KR101744502B1 - 이동이 가능한 진공흡입형 준설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이 가능한 진공흡입형 준설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44502B1 KR101744502B1 KR1020170032632A KR20170032632A KR101744502B1 KR 101744502 B1 KR101744502 B1 KR 101744502B1 KR 1020170032632 A KR1020170032632 A KR 1020170032632A KR 20170032632 A KR20170032632 A KR 20170032632A KR 101744502 B1 KR101744502 B1 KR 1017445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opening
- high pressure
- pressure water
- seesa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8816—Mobile land install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 E02B3/023—Removing sedi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9/00—Arrangements or fixed installations methods or devices for cleaning or clearing sewer pipes, e.g. by flu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이 가능한 진공흡입형 준설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준설현장으로 이동설치가 가능하고, 배출시 하우징내 준설물의 잔류현상이 없으며, 준설 및 준설물 배출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준설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이 가능한 진공흡입형 준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진공흡입에 의해 하우징내 준설물이 설정높이 이상으로 쌓이게 되면, 감지센서에 의해 준설물의 높이가 감지되어 하우징내 진공상태가 해제되고, 진공상태의 해제에 따라 하우징내 쌓여있는 준설물의 중량에 의해 시소형 개폐부가 자동 작동되어 하우징 개방구가 개방됨과 동시에, 고압분출부에서 하우징내로 고압공기가 분사되고, 고압수 분사부에서 하우징내로 고압수가 분사되어 하우징내 준설물이 잔류현상없이 개방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진공흡입에 의해 하우징내 준설물이 설정높이 이상으로 쌓이게 되면, 감지센서에 의해 준설물의 높이가 감지되어 하우징내 진공상태가 해제되고, 진공상태의 해제에 따라 하우징내 쌓여있는 준설물의 중량에 의해 시소형 개폐부가 자동 작동되어 하우징 개방구가 개방됨과 동시에, 고압분출부에서 하우징내로 고압공기가 분사되고, 고압수 분사부에서 하우징내로 고압수가 분사되어 하우징내 준설물이 잔류현상없이 개방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이 가능한 진공흡입형 준설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 등의 이동수단에 탑재되어 이동이 가능하고, 내부에 침전적층된 준설물이 잔류현상없이 자동으로 배출될 수 있는 이동이 가능한 진공흡입형 준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천이나 항만 등에는 육지로부터 흘러드는 토사나 이물질이 퇴적될 경우, 강물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물의 정체로 인한 악취를 발생시키거나 홍수시 침수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고, 항만에 드나드는 선박이 좌초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환경개선 및 항로유지 등을 목적으로 퇴적물을 주기적으로 준설하는 작업이 실시되고 있다.
또한, 산업의 발달과 도시화의 영향에 따라 대량의 물이 사용되므로 생활하수 및 각종폐수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생활하수 및 각종폐수내에는 부유물과 오염물 및 토사 등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생활하수 및 각종 폐수가 하수관 또는 처리장(정수처리장)내로 이송되면, 하수에 실린 부유물이나 토사가 하수관 및 처리장내에 퇴적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하수관로 및 처리장에 막힘 현상이 발생되어, 하수가 역류하거나, 처리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또한, 정수장 침전지에 정기적으로 활성탄을 투입하여 부유물을 활성탄에 부착 침전시켜 정수를 하며, 정기적으로 활성탄을 교체 투입시키는 작업을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수관로 및 처리장 등과 같이 부유물이나 토사가 퇴적되는 곳 및 활성탄을 교체투입하는 곳에서는 준설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준설작업으로는 인력에 의한 준설방법 또는 준설장치를 이용한 준설방법이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종래에 사용되어지고 있는 준설장치는 퇴적물을 흡입준설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차량에 탑재된 탱크에 퇴적물이 흡입적층되도록 되어 있어, 탱크에 준설물이 가득 채워지게 되면, 차량을 이동하여 준설물을 비우고 다시 차량이 현장으로 복귀하여야 하므로, 탱크의 이동에 따른 준설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탱크내에 채워진 준설물이 소정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탱크내에서 준설물을 배출시킬 때, 탱크내에 준설물이 잔류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준설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준설현장으로 이동설치가 가능하고, 배출시 하우징내 준설물의 잔류현상이 없으며, 준설 및 준설물 배출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준설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이 가능한 진공흡입형 준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진공흡입에 의해 하우징내 준설물이 설정높이 이상으로 쌓이게 되면, 감지센서에 의해 준설물의 높이가 감지되어 하우징내 진공상태가 해제되고, 진공상태의 해제에 따라 하우징내 쌓여있는 준설물의 중량에 의해 시소형 개폐부가 자동 작동되어 하우징 개방구가 개방됨과 동시에, 고압분출부에서 하우징내로 고압공기가 분사되고, 고압수 분사부에서 하우징내로 고압수가 분사되어 하우징내 준설물이 잔류현상없이 개방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준설물의 흡입 및 배출이 거의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준설능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준설물의 자체중량에 의해 시소형 개폐부가 개방구를 오픈하도록 되어 있어, 별도의 장치없이도 하우징내 쌓여있는 준설물을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준설물이 쌓이는 하우징의 공간부내에 고압분출부 및 고압수 분사부가 설치되어 있어, 개방구를 통한 준설물의 배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하우징 내면에 대한 준설물의 부착에 따른 잔류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이 가능하고, 차량에 탑재된 상태에서 준설작업 및 준설물의 배출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현장의 여건에 따라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진공흡입에 의해 정수장 침전지, 하수관, 오수관, 정수처리장, 하천, 맨홀, 취수설비 등등에 쌓여 있는 건식 또는 습식 퇴적물의 분리배출 및, 여재의 분리배출을 할 수 있어, 적용분야의 한정없이 산업적 활용성이 넓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시소형 개폐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탑재 및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시소형 개폐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탑재 및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시소형 개폐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탑재 및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진공흡입에 의해 하우징내 준설물이 설정높이 이상으로 쌓이게 되면, 감지센서에 의해 준설물의 높이가 감지되어 하우징내 진공상태가 해제되고, 진공상태의 해제에 따라 하우징내 쌓여있는 준설물의 중량에 의해 시소형 개폐부가 자동 작동되어 하우징 개방구가 개방됨과 동시에, 고압분출부에서 하우징내로 고압공기가 분사되고, 고압수 분사부에서 하우징내로 고압수가 분사되어 하우징내 준설물이 잔류현상없이 개방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하부에 개방구(17)를 구비하고 내부에 진공흡입된 준설물이 쌓이는 공간부(13)를 구비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내에 설치되어 쌓인 준설물의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70)와, 하우징(10)의 상측에 공간부(13)와 연결설치되는 진공압 배출부(50)와, 하우징의 개방구(17)에 연결설치되어 무게추(21)에 의해 개방구(17)를 개폐하는 시소형 개폐부(20)와, 하우징(10)내 중앙에서 하우징 내면(18)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출하도록 하우징커버(14)에 연결설치되는 고압분출부(30)와, 하우징커버(14)의 일측에 설치되어 하우징(10)내 진공압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진공압배출부(50)와, 하우징(10)내에 설치되어 하우징 내면(18) 방향으로 고압수를 분사하는 고압수 분사부(40)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진공흡입된 준설물이 쌓이는 것으로, 원통형상을 구비하는 상부하우징(11)과, 상기 상부하우징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원추형상의 하부하우징(12)을 포함하며, 상부하우징(11)과 하부하우징(12)에 걸쳐 위치하도록 내부에 준설물이 쌓이는 하나의 공간부(13)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하우징(11)은 일측에 준설물 유입구(15)를 구비하고, 타측에 진공흡입구(16)를 구비하며, 개방된 상부가 밀폐되도록 하우징커버(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준설물 유입구(15) 및 진공흡입구(16)에는 이중관(90)이 연결설치되며, 상기 이중관(90)은 소정의 탄성력을 구비하는 내관(91)과, 내관(91)을 보호하도록 주름관으로 형성된 외관(92)을 포함한다. 일예로 상기 내관(91)은 고무관으로 이루어지고, 외관(92)은 PE재질의 주름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중관(90)은 진공흡입에 의한 준설물의 흡입시, 흡입되는 준설물 및 진공압에 의해 이중관(90)이 신축/유동되더라도, 준설물(80)이 안정적으로 흡입이송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커버(14)는 볼트너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부하우징(11)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하우징(11)과 하우징커버(14) 사이에는 오-링 등의 기밀수단이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하우징(12)은 준설물의 적층 및 배출이 용이하도록 원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공간부(13)와 연통되는 개방구(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하우징(10)은 프레임(19)에 의해 현장에 지지되어 설치되거나, 차량에 탑재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개방구(17) 하측에는 배출되는 준설물(80)을 담기 위한 포대(400)가 설치되며, 상기 개방구(17)와 포대(400) 사이에는 호퍼(5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진공압 배출부(50)는 개방구(17)를 통해 준설물(8)이 배출될 수 있도록 공간부(13)내의 진공상태를 해제시키는 기능을 구비한다. 즉, 진공압 배출부(50)는 감지센서(70)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공간부(13)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공간부(13)내 진공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진공압 배출부(50)에는 타이머(51)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타이머(51)는 감지센서의 오작동에 의해 진공압 배출부(50)가 작동되지 않더라도 설정시간에 따라 진공압 배출부(50)가 자동작동되도록 하여, 공간부(13)의 용량을 초과하여 준설물이 계속하여 쌓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타이머의 설정은 작업자가 임의로 조정하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70)는 공간부(13)내에 쌓인 준설물(80)의 높이를 감지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즉, 상기 감지센서(70)는 일예로 적외선센서가 설치될 수 있으며, 공간부내에 쌓인 준설물의 높이를 측정하여 준설물의 적층량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시소형 개폐부(20)는 하우징의 개방구(17)를 자동개폐하여 준설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하우징(10)과 힌지축(22)에 의해 연결되어 힌지축(22)을 중심으로 시소작동되는 시소패널(23)과, 상기 시소패널(23)의 일측에 연결설치되는 무게추(21)를 포함하되,
상기 시소패널(23)은 하우징의 개방구를 밀폐시키는 도어패널(24)과, 상기 도어패널(24)에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무게추(21)가 설치되는 지지패널(25)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시소패널(23)은 도어패널(24)과 지지패널(2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패널(25)에 설치된 무게추(21)의 중량에 의해 힌지축(22)을 중심으로 도어패널(24)이 회전되어 하우징의 개방구(17)를 밀폐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도어패널(24)과 개방구(17)에는 오-링 등의 기밀수단(도시없음)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기밀수단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무게추(21)는 개방구(17)에 도어패널(24)이 수밀 또는 기밀을 유지하도록 힌지축을 중심으로 시소패널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지지패널에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또한, 상기 무게추(21)는 다수개의 중량패널(26)이 추가되어 무게추 전체의 중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게추(21)는 하우징의 공간부(13)내에 준설물(80)이 설정중량까지 쌓일 수 있도록 소정의 중량을 구비하며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소형 개폐부(20)는 무게추(21)의 중량에 의해, 힌지축(22)을 중심으로 시소패널(23)이 시소작동되어 도어패널(24)이 하우징 개방구를 밀폐시키고, 준설물의 배출시에는 하우징의 공간부(13)내에 침전적층된 준설물(80)의 중량에 의해, 힌지축(22)을 중심으로 시소패널(23)이 시소작동되어 하우징의 개방구(17)가 개방되도록 작동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개방구가 오픈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시소형 개폐부(20)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60)는 하우징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61)과, 상기 회전축(61)의 일측단에 회전축(61)과 일체로 설치되는 핸들(62)과, 상기 회전축(61)의 타측단에 회전축(61)과 일체로 설치되는 지지고리(63)와, 상기 지지고리(63)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하우징(10)에 연결되는 스프링(64)과, 상기 지지고리(63)에 결합되도록 시소형 개폐부(20)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걸림고리(6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위치고정부(60)는 준설물(80)의 중량에 의해 시소형 개폐부(20)의 시소패널(23)이 힌지축(22)을 중심으로 회전작동될 시, 시소패널의 일측에 설치된 걸림고리(65)가 지지고리(63)에 접촉되어 결합됨으로써, 시스패널의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고리(63)는 스프링(64)에 의해 지지되고 있으므로, 걸림고리(65)와 지지고리(63)의 결합상태는 계속 유지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고리(63)는 회전축(61) 및 핸들(62)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해 핸들을 회전시키면, 핸들(62)에 의해 회전축(61)이 회전되고, 회전축(61)에 의해 지지고리(63)가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되어 걸림고리(65)와의 결합력이 해제되므로, 무게추(21)에 의해 시소패널이 회전되어 하우징의 개방구(17)가 폐쇄되게 된다.
상기 고압분출부(30)는 시소형 개폐부(20)에 의해 하우징의 개방구(17)가 오픈될 시, 개방구(17)를 통해 하우징(10)내에 쌓여 있는 준설물(80)이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의 공간부(13)내에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하우징커버(14)에 연결설치되는 고압분출기(31)와, 고압분출기(31)와 연결되어 하우징커버(14)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고압공급구(32)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압분출부(30)는 하우징(10) 외측에 별도로 설치된 에어컴프레셔 등의 압축공기 공급부(도시없음)에 고압공급구(32)가 연결되어, 고압의 압축공기가 고압공급구(32)를 통해 고압분출기(31)로 공급되고, 고압분출기(31)에 형성 또는 설치된 복수의 분출노즐(33)에 의해 하우징 내면(18)을 향하도록 고압의 압축공기가 분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압수 분사부(40)는 시소형 개폐부(20)에 의해 하우징의 개방구(17)가 오픈될 시, 하우징의 공간부(13)내에 쌓여있는 준설물(80)이 개방구(17)를 통해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또한, 하우징 내면(18)에 준설물(80)이 잔류되지 않도록 고압수를 분사하는 것으로, 하우징 내면(18)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압수 분사기(41)와, 상기 고압수 분사기(41)내로 고압수를 공급하도록 하우징(10)의 일측에 연결설치되는 고압수 투입구(4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압수 분사부(40)는 하우징(10) 외측에 별도 설치된 펌프등의 고압수 공급부(도시없음)에 고압수 투입구(42)가 연결되어, 고압수가 고압수 투입구(42)를 통해 고압수 분사기(41)로 공급되고, 고압수 분사기(41)에 형성 또는 설치된 복수의 분사노즐(43)에 의해 하우징 내면(18)을 따라 고압수가 분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압수 투입구(42)는 준설물 유입구(15) 및 진공흡입구(16)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부하우징(11)에 연결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진공흡입에 의해 준설물 유입구(15)를 통해 하우징의 공간부(13)내로 준설물(80)이 유입되어 적층되고, 공간부(13)내에 준설물(80)의 높이가 설정높이를 초과하면 감지센서(70)가 이를 감지하게 되며, 감지센서(70)의 감지에 의해 진공압 배출기(50)가 작동되어 공간부(13)내의 진공상태가 해제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내 공간부(13)의 진공상태가 해제되면, 준설물의 중량이 시소형 개폐부의 무게추 중량보다 더 크게 되므로, 힌지축을 중심으로 시소형 개폐부가 시소작동되어 개방구가 오픈되어, 준설물의 자중에 의해 준설물이 개방구를 통해 자동배출된다.
이때, 고압분출부에 의해 고압의 압축공기가 공간부내로 분출되어 준설물을 분산 및 밀어내고, 고압수 분사부에 의해 고압수가 하우징의 내면방향으로 분사되어 하우징 내면으로부터 준설물이 이격되도록 되어 있어, 개방구를 통해 준설물이 자중에 의해 신속하게 배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동 즉, 준설물의 진공흡입, 감지센서의 작동, 진공압배출부의 작동, 고압분출부의 작동, 고압수 분사부의 작동은 모두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이와 같은 제어는 공지의 제어기술을 이용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현장으로 신속하게 이동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이 가능한 진공흡입형 준설장치(100)는, 차량(200)과, 상기 차량에 고정설치된 고정레일(210)과, 상기 고정레일(210)을 따라 이동되고 하우징(10)이 연결설치되는 이동레일(220)과, 상기 이동레일(20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길이가 조절되며 끝단에 바퀴(231)가 설치된 지지다리(23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현장에서 준설물을 준설 및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다리의 길이조절은 공지의 기술을 사용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차량에 의해 현장으로 이동되어, 지지다리(230)가 현장바닥면(300)에 대하여 수직되도록 지지다리(230)를 회전시키고, 바퀴(231)가 현장바닥면(300)에 접촉되도록 지지다리(230)의 길이를 조절한 후, 지지다리(23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이동레일(220)에 지지다리(230)를 고정설치한다. 이때, 지지다리(230)는 고정핀, 고정봉, 볼트너트 등에 의해 이동레일(22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지지다리(230)는 이동레일(220)에 대하여 90°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다리(230)가 고정설치되면, 고정레일(210)을 따라 이동레일(220)을 슬라이딩시켜 차량 외측으로 이동이 가능한 진공흡입형 준설장치(100)를 이동시킨다. 이때, 이동이 가능한 진공흡입형 준설장치(100)가 연결설치된 이동레일(220)은 일측이 지지다리(230)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이 고정레일(210)에 의해 지지되며 이동되므로, 이동이 가능한 진공흡입형 준설장치(100)는 수직상태를 유지하며 차량 외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이 가능한 진공흡입형 준설장치(100)가 차량(200) 외측으로 이동되면, 차량의 높이에 의해 이동이 가능한 진공흡입형 준설장치(100) 하측에 시소형 개폐부(20)가 작동가능한 공간 및 배출되는 준설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므로, 현장에서 편리하게 준설물을 준설 및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고압은 하우징내에 쌓여있는 준설물을 잔류현상없이 배출시킬 정도의 대기압 이상의 압력이면 충분하므로, 그 범위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 하우징 (11) : 상부하우징
(12) : 하부하우징 (13) : 공간부
(14) : 하우징커버 (15) : 준설물 유입구
(16) : 진공흡입구 (17) : 개방구
(18) : 하우징 내면 (20) : 시소형 개폐부
(21) : 무게추 (22) : 힌지축
(23) : 시소패널 (24) : 도어패널
(25) : 지지패널 (30) : 고압분출부
(31) : 고압분출기 (32) : 고압공급구
(33) : 분출노즐 (40) : 고압수 분사부
(41) : 고압수 분사기 (42) : 고압수 투입구
(43) : 분사노즐 (50) : 진공압 배출부
(51) : 타이머 (60) : 위치고정부
(61) : 회전축 (62) : 핸들
(63) : 지지고리 (64) : 스프링
(65) : 걸림고리 (70) : 감지센서
(80) : 준설물 (90) : 이중관
(91) : 내관 (92) : 외관
(100) : 준설장치 (200) : 차량
(210) : 고정레일 (220) : 이동레일
(230) : 지지다리 (231) : 바퀴
(300) : 현장 바닥면 (400) : 포대
(500) : 호퍼
(12) : 하부하우징 (13) : 공간부
(14) : 하우징커버 (15) : 준설물 유입구
(16) : 진공흡입구 (17) : 개방구
(18) : 하우징 내면 (20) : 시소형 개폐부
(21) : 무게추 (22) : 힌지축
(23) : 시소패널 (24) : 도어패널
(25) : 지지패널 (30) : 고압분출부
(31) : 고압분출기 (32) : 고압공급구
(33) : 분출노즐 (40) : 고압수 분사부
(41) : 고압수 분사기 (42) : 고압수 투입구
(43) : 분사노즐 (50) : 진공압 배출부
(51) : 타이머 (60) : 위치고정부
(61) : 회전축 (62) : 핸들
(63) : 지지고리 (64) : 스프링
(65) : 걸림고리 (70) : 감지센서
(80) : 준설물 (90) : 이중관
(91) : 내관 (92) : 외관
(100) : 준설장치 (200) : 차량
(210) : 고정레일 (220) : 이동레일
(230) : 지지다리 (231) : 바퀴
(300) : 현장 바닥면 (400) : 포대
(500) : 호퍼
Claims (7)
- 하부에 개방구(17)를 구비하고 내부에 진공흡입된 준설물이 쌓이는 공간부(13)를 구비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내에 설치되어 쌓인 준설물의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70)와,
하우징(10)의 상측에 공간부(13)와 연결설치되는 진공압 배출부(50)와,
하우징의 개방구(17)에 연결설치되어 무게추(21)에 의해 개방구(17)를 개폐하는 시소형 개폐부(20)와,
하우징(10)내 중앙에서 하우징 내면(18)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출하도록 하우징커버(14)에 연결설치되는 고압분출부(30)와,
하우징커버(14)의 일측에 설치되어 하우징(10)내 진공압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진공압배출부(50)와,
하우징(10)내에 설치되어 하우징 내면(18) 방향으로 고압수를 분사하는 고압수 분사부(40)를 포함하여,
하우징내 쌓여있는 준설물의 중량에 의해 시소형 개폐부가 자동 작동되어 하우징 개방구가 개방됨과 동시에, 고압분출부에서 하우징내로 고압공기가 분사되고, 고압수 분사부에서 하우징내로 고압수가 분사되어, 하우징내 준설물이 잔류현상없이 개방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이 가능한 진공흡입형 준설장치.
- 청구항 1 에 있어서;
준설물 유입구(15) 및 진공흡입구(16)에는 이중관(90)이 연결설치되되,
상기 이중관(90)은 소정의 탄성력을 구비하는 내관(91)과, 내관(91)을 보호하도록 주름관으로 형성된 외관(9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이 가능한 진공흡입형 준설장치.
- 청구항 1 에 있어서;
진공압 배출부(50)에는 타이머(51)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타이머(51)는 감지센서의 오작동에 의해 진공압 배출부(50)가 작동되지 않더라도 설정시간에 따라 진공압 배출부(50)가 자동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이 가능한 진공흡입형 준설장치.
- 청구항 1 에 있어서;
시소형 개폐부(20)는, 하우징(10)과 힌지축(22)에 의해 연결되어 힌지축(22)을 중심으로 시소작동되는 시소패널(23)과, 상기 시소패널(23)의 일측에 연결설치되는 무게추(21)를 포함하되,
상기 시소패널(23)은 하우징의 개방구를 밀폐시키는 도어패널(24)과, 상기 도어패널(24)에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무게추(21)가 설치되는 지지패널(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이 가능한 진공흡입형 준설장치.
- 청구항 4 에 있어서;
하우징의 개방구가 오픈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시소형 개폐부(20)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6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위치고정부(60)는 하우징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61)과, 상기 회전축(61)의 일측단에 회전축(61)과 일체로 설치되는 핸들(62)과, 상기 회전축(61)의 타측단에 회전축(61)과 일체로 설치되는 지지고리(63)와, 상기 지지고리(63)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하우징(10)에 연결되는 스프링(64)과, 상기 지지고리(63)에 결합되도록 시소형 개폐부(20)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걸림고리(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이 가능한 진공흡입형 준설장치.
- 청구항 1 에 있어서;
고압분출부(30)는, 하우징의 공간부(13)내에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하우징커버(14)에 연결설치되는 고압분출기(31)와, 고압분출기(31)와 연결되어 하우징커버(14)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고압공급구(32)를 포함하고,
고압수 분사부(40)는, 하우징 내면(18)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압수 분사기(41)와, 상기 고압수 분사기(41)내로 고압수를 공급하도록 하우징(10)의 일측에 연결설치되는 고압수 투입구(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이 가능한 진공흡입형 준설장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이 가능한 진공흡입형 준설장치(100)는, 차량(200)과, 상기 차량에 고정설치된 고정레일(210)과, 상기 고정레일(210)을 따라 이동되고 하우징(10)이 연결설치되는 이동레일(220)과, 상기 이동레일(22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길이가 조절되며 끝단에 바퀴(231)가 설치된 지지다리(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이 가능한 진공흡입형 준설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2632A KR101744502B1 (ko) | 2017-03-15 | 2017-03-15 | 이동이 가능한 진공흡입형 준설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2632A KR101744502B1 (ko) | 2017-03-15 | 2017-03-15 | 이동이 가능한 진공흡입형 준설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44502B1 true KR101744502B1 (ko) | 2017-06-20 |
Family
ID=59281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32632A KR101744502B1 (ko) | 2017-03-15 | 2017-03-15 | 이동이 가능한 진공흡입형 준설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44502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9053B1 (ko) * | 2018-02-26 | 2019-07-10 | 현대제철 주식회사 | 스케일 자동 배출 장치 |
KR102352055B1 (ko) | 2020-09-11 | 2022-01-18 | 탑건테크 주식회사 | 진공을 이용한 여과재 흡입 준설 장치 및 그 운용방법 |
KR102567691B1 (ko) * | 2022-08-23 | 2023-08-16 | 전인설 | 흡입을 통한 여과재 투입 시스템 |
KR102681344B1 (ko) * | 2024-04-05 | 2024-07-04 | 주식회사 태양엔지니어링 | 활성탄 수거시스템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72986B1 (ko) | 2015-06-24 | 2015-11-30 | 주식회사 우림특장 | 세차장 준설물 수거 운반차 |
-
2017
- 2017-03-15 KR KR1020170032632A patent/KR10174450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72986B1 (ko) | 2015-06-24 | 2015-11-30 | 주식회사 우림특장 | 세차장 준설물 수거 운반차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9053B1 (ko) * | 2018-02-26 | 2019-07-10 | 현대제철 주식회사 | 스케일 자동 배출 장치 |
KR102352055B1 (ko) | 2020-09-11 | 2022-01-18 | 탑건테크 주식회사 | 진공을 이용한 여과재 흡입 준설 장치 및 그 운용방법 |
KR102567691B1 (ko) * | 2022-08-23 | 2023-08-16 | 전인설 | 흡입을 통한 여과재 투입 시스템 |
KR102681344B1 (ko) * | 2024-04-05 | 2024-07-04 | 주식회사 태양엔지니어링 | 활성탄 수거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44502B1 (ko) | 이동이 가능한 진공흡입형 준설장치 | |
US20160214039A1 (en) | Nozzle-brush automatic cleaning filter with motor reducer | |
KR101645701B1 (ko) | 오니제거형 지하 매설형 상하수관 | |
US686380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mediation and prevention of fouling of recirculating water systems by detritus and other debris | |
US20050199267A1 (en) | Washing system using recycled cleaning liquid | |
KR101890118B1 (ko) | 탈수여액의 이중 배출구조를 포함하는 슬러지 탈수장치 | |
CN111335451A (zh) | 一种一体化泵站组合格栅清淤装置及其使用方法 | |
US20150129480A1 (en) | System for removal of contaminants in water | |
CN208603907U (zh) | 一种废水处理装置 | |
KR100805877B1 (ko) | 하수도용 저류조 월류수 스크린장치 | |
KR101608043B1 (ko) | 비점오염 처리 시설 | |
JP2915475B2 (ja) | 沈砂排出方法および装置 | |
RU2435989C2 (ru) | Устройство струйно-кольцевого эжектора для откачки (выгрузки) загрязненных жидкостей, донных отложений, сыпучих веществ | |
JP2020148010A (ja) | 受水槽内の洗浄装置及び浄水供給システム | |
CN205242506U (zh) | 安装于无负压供水设备稳流补偿罐中的清洁装置 | |
KR100713212B1 (ko) | 하수박스 내부 퇴적토 방류시설 | |
KR100693281B1 (ko) | 담수호의 침전 슬러지 및 퇴적오니 제거 시스템 | |
KR102160058B1 (ko) | 수저면 오염퇴적물 정화시스템 | |
CN206770224U (zh) | 自控式引水罐 | |
KR100738972B1 (ko) | 파이프 노즐형 오니 수집장치 | |
RU76404U1 (ru) | Устройство эжектора с гидроразрыхлителями | |
JP2009007787A (ja) | 砂泥の固定式吸引搬送除去装置 | |
KR102347977B1 (ko) | 우수처리장치 | |
CN219185935U (zh) | 一种可冲洗悬挂式中心传动刮吸泥机 | |
KR101553631B1 (ko) | 피트 내부 이물질 제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J206 |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 ||
J121 |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