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055B1 - 진공을 이용한 여과재 흡입 준설 장치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진공을 이용한 여과재 흡입 준설 장치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055B1
KR102352055B1 KR1020200116800A KR20200116800A KR102352055B1 KR 102352055 B1 KR102352055 B1 KR 102352055B1 KR 1020200116800 A KR1020200116800 A KR 1020200116800A KR 20200116800 A KR20200116800 A KR 20200116800A KR 102352055 B1 KR102352055 B1 KR 102352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medium
unit
vacuum
filter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종
Original Assignee
탑건테크 주식회사
김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탑건테크 주식회사, 김희종 filed Critical 탑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6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0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01D39/2058Carbonaceous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 B01D39/2062Bonded, e.g. activated carbon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68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1/06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gravity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04Applying separate sealing or securing members, e.g. cli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9/00Arrangements or fixed installations methods or devices for cleaning or clearing sewer pipes, e.g. by flu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재 흡입 준설 장치에서 진공을 이용하여 여과재(즉, 활성탄)를 흡입한 후에 제거할 수 있도록 구현한 진공을 이용한 여과재 흡입 준설 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투입기가 분리 전 여과재를 보관하였다가 필요시에 투입하며; 여과조가 투입기에서 투입하는 분리 전 여과재를 임시 저장하며; 진공기가 진공을 발생시켜 진공에 의한 흡입력을 분리기에 제공하며; 분리기가 흡입력을 제공받아 여과조에 임시 저장된 여과재를 흡입하여 세퍼레이팅시켜 주며; 배출기가 분리기에서 세퍼레이팅한 여과재를 전달받아 퇴적시켰다가 배출하며; 배출기의 하단에 탈부착되도록 밀착 형성된 포장용기가, 배출기로부터 배출되는 여과재를 포장한다.

Description

진공을 이용한 여과재 흡입 준설 장치 및 그 운용방법{filter media suction dredging apparatus using vacuu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진공을 이용한 여과재 흡입 준설 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과재 흡입 준설 장치에서 진공을 이용하여 여과재(즉, 활성탄)를 흡입한 후에 제거할 수 있도록 구현한 진공을 이용한 여과재 흡입 준설 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육지로부터 흘러드는 토사나 이물질이 퇴적될 경우, 강물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물의 정체로 인한 악취를 발생시키거나, 홍수 시 침수 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고, 항만에 드나드는 선박이 좌초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장소에 대해서 환경 개선 및 항로 유지 등을 목적으로 퇴적물을 주기적으로 준설하는 작업을 실시해 주어야 한다.
산업의 발달과 도시화의 영향에 따라 대량의 물이 사용되므로, 생활하수 및 각종 폐수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생활하수 및 각종 폐수 내에는 부유물과 오염물 및 토사 등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에 생활하수 및 각종 폐수가 하수관 또는 처리장(정수처리장) 내로 이송되면, 하수에 실린 부유물이나 토사가 하수관 및 처리장 내에 퇴적되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로 인하여 하수관로 및 처리장에 막힘 현상이 발생되어 하수가 역류하거나, 처리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정수장 침전지에 정기적으로 여과재(즉, 활성탄)를 투입하여 부유물을 활성탄에 부착 침전시켜 정수를 하며, 정기적으로 활성탄을 교체 투입시키는 작업을 하고 있다.
하수관로 및 처리장 등과 같이 부유물이나 토사가 퇴적되는 곳이나, 활성탄을 교체 투입하는 곳에서는 준설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준설 작업으로는 인력에 의한 준설 방식 또는 준설 장치를 이용한 준설 방식이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여기서, 준설 장치는 퇴적물을 흡입 준설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차량에 탑재된 탱크에 퇴적물이 흡입 적층되도록 되어 있어, 탱크에 준설물이 가득 채워지게 되면, 차량을 이동하여 준설물을 비우고 다시 차량이 현장으로 복귀하여야 하므로, 탱크의 이동에 따른 준설 작업시간이 지연된다. 또한, 탱크 내에 채워진 준설물이 소정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탱크 내에서 준설물을 배출시킬 때, 탱크 내에 준설물이 잔류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준설 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도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44502호(2017.06.01. 등록)는 이동이 가능한 진공 흡입형 준설 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하부에 개방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진공 흡입된 준설물이 쌓이는 공간부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쌓인 준설물의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하우징의 상측에 공간부와 연결 설치되는 진공압 배출부와, 하우징의 개방구에 연결 설치되어 무게추에 의해 개방구를 개폐하는 시소형 개폐부와, 하우징 내 중앙에서 하우징 내면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출하도록 하우징커버에 연결 설치되는 고압분출부와, 하우징커버의 일측에 설치되어 하우징 내 진공압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진공압배출부와,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하우징 내면 방향으로 고압수를 분사하는 고압수분사부를 포함하여, 하우징 내 쌓여있는 준설물의 중량에 의해 시소형 개폐부가 자동 작동되어 하우징 개방구가 개방됨과 동시에, 고압분출부에서 하우징내로 고압공기가 분사되고, 고압수분사부에서 하우징 내로 고압수가 분사되어, 하우징 내 준설물이 잔류현상 없이 개방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차량 등의 이동수단에 탑재되어 준설 현장으로 이동 설치가 가능하고, 배출 시 하우징 내 준설물의 잔류현상이 없으며, 준설 및 준설물 배출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준설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45081호(2010.02.23. 등록)는 하수도 등의 준설 작업 시 슬러지탱크부에 유체만이 통과되도록 필터링하는 스크린막을 구비하여 슬러지탱크부에 슬러지가 탈수되며 적재됨으로써, 많은 양의 슬러지를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슬러지의 수송에 소용되는 비용을 절감하고, 슬러지의 수송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침출수의 유출 등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슬러지탱크부의 흡입력을 제공하는 원동력으로 석션 챔버가 구비된 이젝터를 이용함으로써, 슬러지에서 분리된 물에 공기나 가스가 혼입되더라도 원활하게 흡입이 가능함과 동시에, 분리된 물을 용수탱크에 공급함으로써, 이젝터순환부의 순환동력으로 재사용이 가능한 이젝터를 이용한 슬러지의 진공흡입 준설 및 탈수 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외부와 기밀이 유지되고 슬러지의 수용이 가능한 탱크 형상으로, 일단에는 흡입관이 구비되고, 타단에는 배출관이 구비되며, 내부에는 유체만이 통과되도록 필터링하는 스크린막이 구비되어, 소정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관으로 유입된 슬러지가 스크린막에 의해 필터링되어 유체는 배출관으로 배출되고 탈수된 슬러지는 내부에 수용되는 슬러지탱크부와; 슬러지탱크부에 흡입력을 제공하도록 유체가 수용되는 용수탱크와, 용수탱크 내의 유체를 펌핑하는 가압펌프와, 입구단은 가압펌프에 연통되고 노즐과 디퓨져의 사이 공간인 석션챔버는 슬러지탱크부의 배출관에 연통되며 출구단은 용수탱크에 연통되는 이젝터가 구비된 이젝터순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여과재 흡입 준설 장치의 경우에, 물과 함께 여과재(즉, 활성탄)를 흡입하여 제거하는 습식 제거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미생물에 오염되기 쉬운 환경을 조성하여 활성탄이 오염되기 쉬운 단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44502호 한국등록특허 제10-0945081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여과재 흡입 준설 장치에서 진공을 이용하여 여과재(즉, 활성탄)를 흡입한 후에 제거할 수 있도록 구현한 진공을 이용한 여과재 흡입 준설 장치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분리 전 여과재를 보관하였다가 필요시에 투입하기 위한 투입기; 상기 투입기에서 투입하는 분리 전 여과재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여과조; 흡입력을 제공받아 상기 여과조에 임시 저장된 여과재를 흡입하여 세퍼레이팅시켜 주기 위한 분리기; 진공을 발생시켜 진공에 의한 흡입력을 상기 분리기에 제공하기 위한 진공기; 상기 분리기에서 세퍼레이팅한 여과재를 전달받아 퇴적시켰다가 배출하기 위한 배출기; 및 상기 배출기의 하단에 탈부착되도록 밀착 형성되어, 상기 배출기로부터 배출되는 여과재를 포장하기 위한 포장용기를 포함하는 진공을 이용한 여과재 흡입 준설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투입기는, 생물활성탄, 안트라사이트, 여과사 중 적어도 하나의 정화 물질을 보관하였다가 필요시에 상기 여과조에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분리기는, 상기 여과조에 연결되는 일측의 위치가 상기 진공기에 연결되는 다른 일측의 위치보다 낮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진공기는, 이송수단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배출기는, 역각뿔 형태의 호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배출기는, 상기 분리기에서 세퍼레이팅한 여과재를 전달받아 퇴적시켰다가, 기 설정된 양이 적층된 경우에 상기 포장용기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배출기는, 일측이 상부와 연결 형성되고, 다른 일측이 바닥에 설치되어, 바닥으로부터 지지해 주기 위한 복수 개의 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포장용기는, 비닐, 플라스틱, 금속 중 하나의 재질을 사용하여 사각기둥형, 원통형 중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포장용기는, 여과재가 상기 배출기로부터 배출 완료된 후에, 입구단을 묶거나 밴딩시켜 입구단을 밀봉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투입기는, 분리 전 여과재를 공급받아 보관하는 수조부; 상기 수조부의 덮개를 개방시켜 분리 전 여과재를 공급받도록 해 주며, 여과재 공급 완료 시 덮개를 폐쇄시켜 주는 수조개폐부; 내부에 담겨져 있는 분리 전 여과재를 상기 수조개폐부를 통해 상기 수조부에 공급해 주는 공급용기부; 및 상기 수조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필요시에 상기 수조부에 보관된 분리 전 여과재를 펌핑하여 상기 여과조에 투입하는 펌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조부는, 상기 여과조와 연결시켜 주기 위한 토출구를 일측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조개폐부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기 수조부의 덮개를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조개폐부는, 상기 공급용기부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공급용기부의 출구단을 상기 수조부의 덮개 테두리에 밀착시켜 주기 위한 체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진공을 이용한 여과재 흡입 준설 장치는, 상기 수조부의 상단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조부가 상기 공급용기부로부터 분리 전 여과재를 공급받을 때에 물을 분사시켜 여과재의 낙하로 발생되는 먼지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살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살수부는, 상기 수조부의 상단 양측에 각각 두 개의 물공급라인을 상하로 형성하며, 각 물공급라인에는 상기 수조부의 덮개 가운데 부분으로 향하게 복수 개의 물분사용 노즐을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진공을 이용한 여과재 흡입 준설 장치는, 상기 수조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조부에 있는 여과재를 필터링시켜 물만을 전달하기 위한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를 통해 전달되는 물만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분리기는, 상기 진공기에서 제공하는 흡입력에 의해 상기 여과조에 임시 저장된 여과재를 흡입받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가 흡입받는 여과재를 부착시키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 형성되어,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필터부에 부착된 여과재를 탈리시켜 상기 배출기로 전달하는 에어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에어분사부는, 상기 필터부의 상부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분리기는,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연결 형성되어, 에어를 발생시켜 상기 에어분사부에 공급하는 에어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분리기는, 상기 진공기에서 제공하는 흡입력에 의해 상기 여과조에 임시 저장된 여과재를 흡입받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가 흡입받는 여과재를 유도하는 유도판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원심력을 발생시켜 원심력으로 상기 유도판부로부터 유도되는 여과재를 집진하는 집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유도판부는, 상기 여과조와 연결하기 위한 유입구보다 상부에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고정 형성되고, 다른 일측이 아래쪽으로 경사지도록 비스듬하게 상기 집진부 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집진부는, 상기 유도판부로부터 유도되는 여과재가 원심력을 가지고 회전할 수 있도록, 원심력을 발생시켜 상기 유도판부로부터 유도되는 여과재를 내벽을 따라 이동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집진부는, 하부에 역원뿔 형태의 호퍼를 구비하여 여과재를 퇴적시켰다가 상기 배출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배출기는, 상기 분리기에서 세퍼레이팅한 여과재를 전달받아 퇴적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부에 퇴적된 여과재의 양을 체크해서 기 설정된 배출기준량인 경우에 개방알림을 생성시켜 통보하는 여과재센싱부; 및 평상시에 상기 하우징부의 배출문을 폐쇄시켜 두었다가, 상기 여과재센싱부로부터 개방알림을 통보받아 배출문을 개방시켜 상기 하우징부에 퇴적된 여과재를 상기 포장용기로 배출하는 배출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여과재센싱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퇴적된 여과재의 양을 체크해서 기 설정된 폐쇄기준량 이하인 경우에 폐쇄알림을 생성시켜 상기 개폐부에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여과재센싱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퇴적된 여과재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한 압력으로 여과재의 양을 체크하는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배출개폐부는, 상기 여과재센싱부로부터 통보되는 폐쇄알림에 따라 배출문을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배출개폐부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기 하우징부의 배출문을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배출기는,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하우징부를 바이브레이팅시켜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 벽면에 부착된 여과재 잔존물을 제거하는 진동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배출기는, 상기 진동발생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배출기는, 상기 여과재센싱부로부터 여과재 양을 통보받아 표시하여 관리자나 운영자가 확인하도록 해 주는 계기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여과재센싱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퇴적된 여과재의 양을 체크해서 상기 계기판부에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배출기는, 상기 하우징부에 길이 방향으로 투명하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를 관리자나 운영자가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해 주는 투명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배출기는, 상기 포장용기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배출구에 형성되어, 상기 포장용기의 입구단을 상기 배출구의 테두리에 밀착시켜 주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투입기가 분리 전 여과재를 보관하였다가 필요시에 투입하는 단계; 여과조가 상기 투입기에서 투입하는 분리 전 여과재를 임시 저장하는 단계; 진공기가 진공을 발생시켜 진공에 의한 흡입력을 분리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분리기가 흡입력을 제공받아 상기 여과조에 임시 저장된 여과재를 흡입하여 세퍼레이팅시켜 주는 단계; 배출기가 상기 분리기에서 세퍼레이팅한 여과재를 전달받아 퇴적시켰다가 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배출기의 하단에 탈부착되도록 밀착 형성된 포장용기가, 상기 배출기로부터 배출되는 여과재를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공을 이용한 여과재 흡입 준설 장치의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여과재 흡입 준설 장치에서 진공을 이용하여 여과재(즉, 활성탄)를 흡입한 후에 제거할 수 있도록 구현한 진공을 이용한 여과재 흡입 준설 장치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물과 함께 활성탄을 흡입하지 않고 활성탄만을 흡입한 후에 제거하여, 미생물에 오염되지 않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활성탄을 오염되지 않고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을 이용한 여과재 흡입 준설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투입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분리기를 제1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분리기를 제2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배출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을 이용한 여과재 흡입 준설 장치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을 이용한 여과재 흡입 준설 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을 이용한 여과재 흡입 준설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진공을 이용한 여과재 흡입 준설 장치(100)는, 투입기(110), 여과조(120), 분리기(130), 진공기(140), 배출기(150), 포장용기(160)를 포함한다.
투입기(110)는, 여과조(120)의 일측에 연결 형성되어, 분리 전 여과재(즉, 분리 전 활성탄)를 보관하였다가 필요시에 여과조(120)에 투입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투입기(110)는, 활성탄(즉, 생물활성탄) 이외에도 안트라사이트, 여과사 등과 같은 정화 물질을 보관하였다가 필요시에 여과조(120)에 투입해 줄 수도 있다.
여과조(120)는, 일측을 투입기(110)에 연결 형성하고 다른 일측을 분리기(130)에 연결 형성하여, 투입기(110)로부터 분리 전 여과재를 투입받아 임시 저장하였다가 분리기(130)로 흡입되도록 해 준다.
분리기(130)는, 일측을 여과조(120)에 연결 형성하고 다른 일측을 진공기(140)에 연결 형성하여, 진공기(140)에서 제공하는 흡입력에 의해 여과조(120)에 임시 저장된 여과재를 흡입받아 세퍼레이팅시켜 배출기(150)로 전달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분리기(130)는, 여과조(120)에 연결되는 일측의 위치가 진공기(140)에 연결되는 다른 일측의 위치보다 낮게 형성해 줌으로써, 진공기(140)에서 제공하는 흡입력에 의해 여과조(120)로부터 여과재를 흡입받게 되는데, 이때에 진공기(140)가 공기를 흡입할 시에 여과조(120)로부터 흡입된 여과재는 중력에 의해 하부로 떨어지도록 해 줄 수 있다.
진공기(140)는, 분리기(130)의 다른 일측에 연결 형성되어, 진공을 발생시켜 해당 발생시킨 진공에 의한 흡입력을 분리기(130)에 제공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진공기(140)는, 차량 등과 같은 이송수단에 탑재되어, 이동 및 연결 설치가 가능한 진공 발생 장치일 수 있다.
배출기(150)는, 상단이 분리기(130)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고 하단이 포장용기(160)와 탈부착되도록 밀착 형성되어, 분리기(130)에서 세퍼레이팅한 여과재를 전달받아 퇴적시켰다가 포장용기(160)로 배출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배출기(150)는, 역각뿔 형태의 호퍼로 형성되어, 분리기(130)에서 세퍼레이팅한 여과재를 전달받아 퇴적시켰다가, 기 설정된 양이 적층된 경우에 포장용기(160)로 배출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배출기(150)는, 일측이 상부와 연결 형성되고, 다른 일측이 바닥에 설치되어, 바닥으로부터 지지해 주기 위한 복수 개의 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다.
포장용기(160)는, 배출기(150)의 하단에 탈부착되도록 밀착 형성되어, 배출기(150)로부터 배출되는 여과재를 포장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포장용기(160)는, 비닐, 플라스틱, 금속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을 사용하여 사각기둥형, 원통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포장용기(160)는, 여과재가 배출기(150)로부터 배출 완료된 후에 포장용기(160)의 입구단을 묶거나(톤백 포장) 밴딩시켜 포장용기(160)의 입구단을 밀봉 처리함으로써, 운반이 용이하도록 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진공을 이용한 여과재 흡입 준설 장치(100)는, 진공기(140)에서 발생시킨 진공에 의한 흡입력을 이용하여 여과조(120)에 임시 저장하고 있는 여과재(즉, 활성탄)를 분리기(130)로 흡입하여 세퍼레이팅시켜 준 후에 배출기(150)를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물과 함께 활성탄을 흡입하지 않고 활성탄만을 흡입한 후에 제거하여, 미생물에 오염되지 않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활성탄을 오염되지 않고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진공을 이용한 여과재 흡입 준설 장치(100)는, 여과재만이 투입기(110)에서 여과조(120)로 투입된 후에, 진공기(140)에 의해 여과조(120)에서 분리기(130)로 전달되고, 그런 후에 분리기(130)에서 세퍼레이팅된 여과재만을 배출기(150)를 통해 포장용기(160)로 배출하도록 해 줌으로써, 종래의 기술과 같은 물 배출을 하지 않음을 잘 할 수가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투입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투입기(110)는, 수조부(111), 수조개폐부(112), 공급용기부(113), 펌핑부(114)를 포함한다.
수조부(111)는, 공급용기부(113)로부터 수조개폐부(112)를 통해 분리 전 여과재(즉, 활성탄)를 공급받아 보관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수조부(111)는, 여과조(120)와 연결시켜 주기 위한 토출구(1111)를 일측에 형성할 수 있다.
수조개폐부(112)는, 수조부(111)의 상부에 형성되되, 공급용기부(113)의 출구단과 연결 형성되어, 수조부(111)의 덮개를 개방시켜 공급용기부(113)로부터 분리 전 여과재(즉, 활성탄)를 공급받도록 해 주며, 여과재 공급 완료 시 바로 덮개를 폐쇄시켜 줌으로써, 여과재의 낙하로 발생되는 먼지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조개폐부(112)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수조부(111)의 덮개를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조개폐부(112)는, 공급용기부(113)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공급용기부(113)의 출구단을 수조부(111)의 덮개 테두리에 밀착시켜 주기 위한 체결부재(112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공급용기부(113)로부터 분리 전 여과재(즉, 활성탄)를 공급받을 때에 여과재의 낙하로 발생되는 먼지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해 줄 수 있다.
공급용기부(113)는, 출구단을 수조개폐부(112)에 연결 형성하여, 내부에 담겨져 있는 분리 전 여과재(즉, 활성탄)를 수조개폐부(112)를 통해 수조부(111)에 공급해 준다.
펌핑부(114)는, 수조부(111)의 내부에 형성되어, 필요시에 수조부(111)에 보관하고 있는 분리 전 여과재를 펌핑하여 여과조(120)에 투입해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투입기(110)는, 살수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살수부는, 수조부(111)의 상단 양측에 형성되어, 수조부(111)가 공급용기부(113)로부터 분리 전 여과재(즉, 활성탄)를 공급받을 때에 물을 분사시켜 여과재의 낙하로 발생되는 먼지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살수부는, 수조부(111)의 상단 양측에 각각 두 개의 물공급라인을 상하로 형성시켜 줄 수 있으며, 해당 각 물공급라인에는 수조부(111)의 덮개 가운데 부분으로 향하게 복수 개의 물분사용 노즐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투입기(110)는, 살수부를 구비하는 경우에, 필터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와 배수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는, 수조부(111)의 하단에 형성되어, 수조부(111) 내부에 있는 여과재를 필터링시켜 물만을 배수부 측으로 전달해 준다.
배수부는, 필터부를 통해 전달되는 물만을 외부로 배출해 준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분리기를 제1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분리기(130)는, 본체부(131), 필터부(132), 에어분사부(133)를 포함한다.
본체부(131)는, 일측을 여과조(120)에 연결 형성하고 다른 일측을 진공기(140)에 연결 형성하여, 진공기(140)에서 제공하는 흡입력에 의해 여과조(120)에 임시 저장된 여과재를 흡입받는다.
필터부(132)는, 본체부(131)의 내부에 형성되어, 진공기(140)에서 제공하는 흡입력에 의해 여과조(120)로부터 흡입되는 여과재를 부착시켜 준다.
에어분사부(133)는, 필터부(132)에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 형성되어, 에어를 분사하여 필터부(132)에 부착된 여과재를 탈리시켜 배출기(150)로 전달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에어분사부(133)는, 필터부(132)의 상부에 연결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분리기(130)는, 에어공급부(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공급부(134)는, 본체부(131)의 외측에 연결 형성되어, 에어분사부(133)에 필요한 에어를 발생시켜 에어분사부(133)에 공급해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분리기(130)는, 진공기(140)에서 제공하는 흡입력에 의해 여과조(120)로부터 흡입되는 여과재를 필터부(132)에서 부착시켜 준 후에, 에어공급부(134)에서 에어를 발생시켜 에어분사부(133)로 전달하고, 에어분사부(133)가 전달받은 에어를 분사하여 필터부(132)에 부착된 여과재를 탈리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분리기를 제2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분리기(130)는, 본체부(131), 유도판부(135), 집진부(136)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부(131)는, 도 3의 설명과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유도판부(135)는, 본체부(131)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어, 진공기(140)에서 제공하는 흡입력에 의해 여과조(120)로부터 흡입되는 여과재를 집진부(136) 측으로 유도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유도판부(135)는, 여과조(120)와 연결하기 위한 유입구보다 상부에 형성되며, 일측이 본체부(131)의 내부에 고정 형성되고, 다른 일측이 아래쪽으로 경사지도록 비스듬하게 집진부(136) 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여과조(120)로부터 흡입되는 여과재가 집진부(136) 측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해 줄 수 있다.
집진부(136)는, 본체부(131)의 내부에 형성되어, 원심력을 발생시켜, 해당 발생시킨 원심력으로 유도판부(135)에 의해 유도되는 여과재를 집진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집진부(136)는, 유도판부(135)에 의해 유도되는 여과재가 원심력을 가지고 회전할 수 있도록, 발생시킨 원심력으로 유도판부(135)에 의해 유도되는 여과재를 내벽을 따라 이동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집진부(136)는, 하부에 역원뿔 형태의 호퍼를 구비하여 여과재를 퇴적시켰다가 배출기(150)로 전달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있는 배출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배출기(150)는, 하우징부(151), 여과재센싱부(152), 배출개폐부(153)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51)는, 상단이 분리기(130)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고 하단이 포장용기(160)와 탈부착되도록 밀착 형성되어, 분리기(130)에서 세퍼레이팅한 여과재를 전달받아 퇴적시켜 준다.
여과재센싱부(152)는, 하우징부(151)의 하부에 형성되어, 하우징부(151)에 퇴적된 여과재의 양을 체크해서 해당 체크한 양이 기 설정된 배출기준량인 경우에 개방알림을 생성시켜 개폐부(153)에 통보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여과재센싱부(152)는, 해당 체크한 양이 기 설정된 폐쇄기준량 이하인 경우에 폐쇄알림을 생성시켜 개폐부(153)에 통보해 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여과재센싱부(152)는, 압력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해당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하우징부(151)에 퇴적된 여과재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을 감지하여 해당 감지된 압력으로 여과재의 양을 체크해 줄 수 있다.
배출개폐부(153)는, 하우징부(151)의 배출구에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하우징부(151)의 배출문을 폐쇄시켜 두었다가, 여과재센싱부(152)로부터 개방알림을 통보받으면 배출문을 개방시켜 하우징부(151)에 퇴적되어 있던 여과재를 포장용기(160)로 배출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배출개폐부(153)는, 여과재센싱부(152)로부터 폐쇄알림을 통보받으면 배출문을 폐쇄시켜 줌으로써, 여과재의 먼지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배출개폐부(153)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하우징부(151)의 배출문을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배출기(150)는, 진동발생부(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출기(150)는, 진동발생부(154)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제어부(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동발생부(154)는, 하우징부(151)에 고정 설치되어, 진동을 발생시켜 해당 발생시킨 진동에 의해 하우징부(151)를 바이브레이팅(vibrating)시켜 하우징부(151)의 내부 벽면에 부착되어 있는 여과재 잔존물을 제거하여 배출개폐부(153)를 거쳐 포장용기(160)로 배출하도록 해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배출기(150)는, 계기판부(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과재센싱부(152)는, 하우징부(151)에 퇴적된 여과재의 양을 체크해서 해당 체크한 양을 계기판부(155)에 통보해 준다.
계기판부(155)는, 하우징부(151)에 고정 설치되어, 여과재센싱부(152)로부터 통보되는 여과재 양을 표시하여 관리자나 운영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배출기(150)는, 투명창부(1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투명창부(156)는, 하우징부(151)에 길이 방향으로 투명하게 형성되어, 하우징부(151)의 내부를 관리자나 운영자가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해 줌으로써, 관리자나 운영자가 육안으로 하우징부(151)에 퇴적된 여과재의 양 또는 하우징부(151)의 내부 벽면에 부착되어 있는 여과재 잔존물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투명창부(156)는, 투명 아크릴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배출기(150)는, 체결부(1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157)는, 포장용기(160)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우징부(151)의 배출구에 형성되어, 포장용기(160)의 입구단을 하우징부(151)의 배출구 테두리에 밀착시켜 줌으로써, 하우징부(151)에서 포장용기(160)로 여과재를 배출할 때에 여과재의 낙하로 발생되는 먼지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해 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을 이용한 여과재 흡입 준설 장치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투입기(110)에서는, 여과조(120)의 일측에 연결 형성시켜 준 후에, 분리 전 여과재(즉, 분리 전 활성탄)를 보관하였다가 필요시에 여과조(120)에 투입해 주게 된다(S601).
상술한 단계 S601에서 여과재를 투입함에 있어서, 투입기(110)에서는, 활성탄(즉, 생물활성탄) 이외에도 안트라사이트, 여과사 등과 같은 정화 물질을 보관하였다가 필요시에 여과조(120)에 투입해 줄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601에서 여과재를 투입하게 되면, 일측이 투입기(110)에 연결 형성되고 다른 일측이 분리기(130)에 연결 형성되어 있는 여과조(120)에서는, 투입기(110)로부터 분리 전 여과재를 투입받아 임시 저장하였다가 분리기(130)로 흡입되도록 해 주게 된다(S602).
상술한 단계 S602에서 여과재를 임시 저장해 준 다음에, 분리기(130)의 다른 일측에 연결 형성되어 있는 진공기(140)에서는, 진공을 발생시켜 해당 발생시킨 진공에 의한 흡입력을 분리기(130)에 제공해 주게 된다(S603).
상술한 단계 S603에서 흡입력을 제공함에 있어서, 진공기(140)는, 진공 발생 장치로 차량 등과 같은 이송수단에 탑재되어, 이동 및 연결 설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3에서 흡입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일측이 여과조(120)에 연결 형성되고 다른 일측이 진공기(140)에 연결 형성되어 있는 분리기(130)에서는, 진공기(140)에서 제공하는 흡입력에 의해 여과조(120)에 임시 저장된 여과재를 흡입받아 세퍼레이팅시켜 배출기(150)로 전달해 주게 된다(S604).
상술한 단계 S604에서 여과재를 세퍼레이팅시켜 전달함에 있어서, 여과조(120)에 연결되는 일측의 위치가 진공기(140)에 연결되는 다른 일측의 위치보다 낮도록 분리기(130)를 형성시켜 줌으로써, 진공기(140)에서 제공하는 흡입력에 의해 여과조(120)로부터 여과재를 흡입받게 될 때에, 진공기(140)가 공기를 흡입할 시에 여과조(120)로부터 흡입된 여과재는 중력에 의해 하부로 떨어지도록 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4에서 여과재를 세퍼레이팅시켜 전달하게 되면, 상단이 분리기(130)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고 하단이 포장용기(160)와 탈부착되도록 밀착 형성되어 있는 배출기(150)에서는, 분리기(130)에서 세퍼레이팅한 여과재를 전달받아 퇴적시켰다가 포장용기(160)로 배출해 주게 된다(S605).
상술한 단계 S605에서 여과재를 배출함에 있어서, 역각뿔 형태의 호퍼로 형성되어 있는 배출기(150)에서는, 분리기(130)에서 세퍼레이팅한 여과재를 전달받아 퇴적시켰다가, 기 설정된 양이 적층된 경우에 포장용기(160)로 배출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5에서 여과재를 배출함에 있어서, 배출기(150)는, 일측이 상부와 연결 형성되고, 다른 일측이 바닥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프레임에 의해서 바닥으로부터 지지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5에서 여과재를 배출하게 되면, 배출기(150)의 하단에 탈부착되도록 포장용기(160)를 밀착 형성시켜 준 후에, 포장용기(160)는 배출기(150)로부터 배출되는 여과재를 포장해 주게 된다(S606).
상술한 단계 S606에서 여과재를 포장함에 있어서, 포장용기(160)는, 비닐, 플라스틱, 금속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을 사용하여 사각기둥형, 원통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여과재가 배출기(150)로부터 배출 완료된 후에 포장용기(160)의 입구단을 묶거나(톤백 포장) 밴딩시켜 포장용기(160)의 입구단을 밀봉 처리함으로써, 운반이 용이하도록 해 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진공을 이용한 여과재 흡입 준설 장치
110: 투입기
111: 수조부
112: 수조개폐부
113: 공급용기부
114: 펌핑부
120: 여과조
130: 분리기
131: 본체부
132: 필터부
133: 에어분사부
134: 에어공급부
135: 유도판부
136: 집진부
140: 진공기
150: 배출기
151: 하우징부
152: 여과재센싱부
153: 배출개폐부
154: 진동발생부
155: 계기판부
156: 투명창부
157: 체결부
160: 포장용기

Claims (5)

  1. 분리 전 여과재를 보관하였다가 필요시에 투입하기 위한 투입기; 상기 투입기에서 투입하는 분리 전 여과재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여과조; 흡입력을 제공받아 상기 여과조에 임시 저장된 여과재를 흡입하여 세퍼레이팅시켜 주기 위한 분리기; 진공을 발생시켜 진공에 의한 흡입력을 상기 분리기에 제공하기 위한 진공기; 상기 분리기에서 세퍼레이팅한 여과재를 전달받아 퇴적시켰다가 배출하기 위한 배출기; 및 상기 배출기의 하단에 탈부착되도록 밀착 형성되어, 상기 배출기로부터 배출되는 여과재를 포장하기 위한 포장용기를 포함하되;
    상기 투입기는, 분리 전 여과재를 공급받아 보관하는 수조부; 상기 수조부의 덮개를 개방시켜 분리 전 여과재를 공급받도록 해 주며, 여과재 공급 완료 시 덮개를 폐쇄시켜 주는 수조개폐부; 내부에 담겨져 있는 분리 전 여과재를 상기 수조개폐부를 통해 상기 수조부에 공급해 주는 공급용기부; 상기 수조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필요시에 상기 수조부에 보관된 분리 전 여과재를 펌핑하여 상기 여과조에 투입하는 펌핑부; 및 상기 수조부의 상단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조부가 상기 공급용기부로부터 분리 전 여과재를 공급받을 때에 물을 분사시켜 여과재의 낙하로 발생되는 먼지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살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기는, 상기 분리기에서 세퍼레이팅한 여과재를 전달받아 퇴적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부에 퇴적된 여과재의 양을 체크해서 기 설정된 배출기준량인 경우에 개방알림을 생성시켜 통보하는 여과재센싱부; 및 평상시에 상기 하우징부의 배출문을 폐쇄시켜 두었다가, 상기 여과재센싱부로부터 개방알림을 통보받아 배출문을 개방시켜 상기 하우징부에 퇴적된 여과재를 상기 포장용기로 배출하는 배출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을 이용한 여과재 흡입 준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기는,
    생물활성탄, 안트라사이트, 여과사 중 적어도 하나의 정화 물질을 보관하였다가 필요시에 상기 여과조에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을 이용한 여과재 흡입 준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는,
    여과재가 상기 배출기로부터 배출 완료된 후에, 입구단을 묶거나 밴딩시켜 입구단을 밀봉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을 이용한 여과재 흡입 준설 장치.
  4. 삭제
  5. 투입기가 분리 전 여과재를 보관하였다가 필요시에 투입하는 단계; 여과조가 상기 투입기에서 투입하는 분리 전 여과재를 임시 저장하는 단계; 진공기가 진공을 발생시켜 진공에 의한 흡입력을 분리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분리기가 흡입력을 제공받아 상기 여과조에 임시 저장된 여과재를 흡입하여 세퍼레이팅시켜 주는 단계; 배출기가 상기 분리기에서 세퍼레이팅한 여과재를 전달받아 퇴적시켰다가 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배출기의 하단에 탈부착되도록 밀착 형성된 포장용기가, 상기 배출기로부터 배출되는 여과재를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투입기는, 분리 전 여과재를 공급받아 보관하는 수조부; 상기 수조부의 덮개를 개방시켜 분리 전 여과재를 공급받도록 해 주며, 여과재 공급 완료 시 덮개를 폐쇄시켜 주는 수조개폐부; 내부에 담겨져 있는 분리 전 여과재를 상기 수조개폐부를 통해 상기 수조부에 공급해 주는 공급용기부; 상기 수조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필요시에 상기 수조부에 보관된 분리 전 여과재를 펌핑하여 상기 여과조에 투입하는 펌핑부; 및 상기 수조부의 상단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조부가 상기 공급용기부로부터 분리 전 여과재를 공급받을 때에 물을 분사시켜 여과재의 낙하로 발생되는 먼지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살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기는, 상기 분리기에서 세퍼레이팅한 여과재를 전달받아 퇴적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부에 퇴적된 여과재의 양을 체크해서 기 설정된 배출기준량인 경우에 개방알림을 생성시켜 통보하는 여과재센싱부; 및 평상시에 상기 하우징부의 배출문을 폐쇄시켜 두었다가, 상기 여과재센싱부로부터 개방알림을 통보받아 배출문을 개방시켜 상기 하우징부에 퇴적된 여과재를 상기 포장용기로 배출하는 배출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을 이용한 여과재 흡입 준설 장치의 운용방법.
KR1020200116800A 2020-09-11 2020-09-11 진공을 이용한 여과재 흡입 준설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2352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800A KR102352055B1 (ko) 2020-09-11 2020-09-11 진공을 이용한 여과재 흡입 준설 장치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800A KR102352055B1 (ko) 2020-09-11 2020-09-11 진공을 이용한 여과재 흡입 준설 장치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2055B1 true KR102352055B1 (ko) 2022-01-18

Family

ID=80051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800A KR102352055B1 (ko) 2020-09-11 2020-09-11 진공을 이용한 여과재 흡입 준설 장치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20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691B1 (ko) 2022-08-23 2023-08-16 전인설 흡입을 통한 여과재 투입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124Y1 (ko) * 2000-12-28 2001-07-19 광림특장차(주) 입상활성탄 수거처리차량
KR100945081B1 (ko) 2009-04-23 2010-03-0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이젝터를 이용한 슬러지의 진공흡입 준설 및 탈수 장치
KR20140100022A (ko) * 2013-02-05 2014-08-14 주식회사 제이콘 활성탄 회수 분리기
KR101744502B1 (ko) 2017-03-15 2017-06-20 주식회사 한국리페어기술 이동이 가능한 진공흡입형 준설장치
KR101792457B1 (ko) * 2017-01-05 2017-10-31 한춘수 건식 여과재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124Y1 (ko) * 2000-12-28 2001-07-19 광림특장차(주) 입상활성탄 수거처리차량
KR100945081B1 (ko) 2009-04-23 2010-03-0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이젝터를 이용한 슬러지의 진공흡입 준설 및 탈수 장치
KR20140100022A (ko) * 2013-02-05 2014-08-14 주식회사 제이콘 활성탄 회수 분리기
KR101792457B1 (ko) * 2017-01-05 2017-10-31 한춘수 건식 여과재 제거 장치
KR101744502B1 (ko) 2017-03-15 2017-06-20 주식회사 한국리페어기술 이동이 가능한 진공흡입형 준설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691B1 (ko) 2022-08-23 2023-08-16 전인설 흡입을 통한 여과재 투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16570B (zh) 工作机械用冷却液净化装置
KR102352055B1 (ko) 진공을 이용한 여과재 흡입 준설 장치 및 그 운용방법
SE506930C2 (sv)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förtjockning av finpartikulära suspensioner
US20110068062A1 (en) System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a water circulation stream
JP6542940B1 (ja) 構造物のアスベスト含有表層部除去システム
KR101808383B1 (ko) 분진처리장치
KR20140005763U (ko) 유류저장탱크의 슬러지 제거장치
US4616377A (en) Recycled liquid cleaning system
KR101381111B1 (ko) 그리스트랩 청소기
US20040088957A1 (en) Waste stream separator
KR20140039272A (ko) 공압식 재료 이송시스템에서의 방법 및 장치
CN102963946B (zh) 浮游式污水处理机
KR20110118044A (ko) 여과사 및 폐촉매의 연속 분리장치
US11697126B2 (en) Granular litter cleaning apparatus and process
CN109865324B (zh) 一种防堵塞养殖废水固液分离装置
CN207838469U (zh) 一种旋液分离与纸带过滤一体机
CN217988616U (zh) 一种可以过滤杂质的装船机洒水水箱
CN211760842U (zh) 射流抛光系统
JP2709411B2 (ja) 多目的吸入処理装置及び多目的洗浄車
JP3447758B2 (ja) 固液回収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3447759B2 (ja) 固液回収装置
KR20020053790A (ko) 취수관 세정방법
CN208532545U (zh) 一种建筑废水净化装置
CN203160397U (zh) 泵驱动系统及具备该泵驱动系统的作业车辆
SU1234369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от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