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9272A - 공압식 재료 이송시스템에서의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공압식 재료 이송시스템에서의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9272A
KR20140039272A KR1020147000444A KR20147000444A KR20140039272A KR 20140039272 A KR20140039272 A KR 20140039272A KR 1020147000444 A KR1020147000444 A KR 1020147000444A KR 20147000444 A KR20147000444 A KR 20147000444A KR 20140039272 A KR20140039272 A KR 20140039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medium
outlet
conveying air
separation mechanism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0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괴란 순트홀름
Original Assignee
마리캡 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리캡 오이 filed Critical 마리캡 오이
Publication of KR20140039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2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60Devices for separating the materials from propellant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04C2009/004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with internal filters, in the cyclone chamber or in the vortex f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04C2009/008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with injection or suction of gas or liquid into the cycl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쓰레기 재료(w)와 같은 이송대상재료가 반송공기(a)로부터 분리되는 쓰레기 이송시스템과 같은 공압식 재료 이송시스템의 분리기구의 분리 효율을 개선 및/또는 분리기구의 반송공기 출구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다. 압력매체는 분리기구(100) 내의 챔버 공간(101), 바람직하게는 반송공기의 출구(7) 부근의 분리기구 내로 분사된다.

Description

공압식 재료 이송시스템에서의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IN A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청구항 12의 전제부에 따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부분진공 이송시스템과 같은 공압식 재료 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쓰레기의 이송과 같은 쓰레기의 수집 및 이송에 관한 것이다.
흡인, 압력 차이 및/또는 반송공기 흐름에 의하여 배관 내에서 쓰레기를 이송하는 공압식 재료 이송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재료를 위한 공압식 배관 이송시스템은 그 중에서도 다른 빌딩, 설비들 또한 예컨대 블록이나 도시 지구(district)와 같은 보다 광범위한 영역에서의 쓰레기 이송을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압력 차이를 생성하기 위하여 부분진공 생성기가 사용되는 것이 통상적이며, 이 부분진공 생성기에서 부분진공, 압력 차이 및/또는 반송공기 흐름은 진공펌프 또는 이젝터 장치 또는 팬과 같은 부분진공 생성기에 의하여 이송배관 내에 생성된다. 반송공기와 함께 배관을 따라 투입 지점으로부터 예컨대 사이클론 세퍼레이터 또는 다른 탱크인 분리기구로 쓰레기가 보내지고, 이 분리기구에서 이송되는 재료는 반송공기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반송공기는 반송공기용 출구로부터 배출되고 분리기구 내에 남아 있는 쓰레기도 필요에 따라 분리기구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반송공기와 쓰레기는 전형적으로는 벽 근처의 분리기구 내에서 순환되며, 이 경우 더 무거운 쓰레기는 분리기구 내에 남아 있고 반송공기는 사이클론 세퍼레이터의 중심으로부터 천천히 위쪽으로 상승한다. 문제는 가볍고 넓은 표면영역을 가지는 종이와 얇은 플라스틱이 때때로 천천히 상승하는 반송공기 흐름을 따라 상승한다는 점이다. 이송대상 쓰레기를 따라 예컨대 쓰레기 종이, 플라스틱 필름, 플라스틱 백 등의 쓰레기 등급들이 있고, 이 쓰레기 등급들은 부착되지 않고 다른 쓰레기보다 가벼워서 상기 분리기구 또는 다른 탱크의 반송공기 출구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막을 수 있다. 또한, 탱크의 반송공기 출구와 연결하여 또는 그 부근에 종종 필터링 수단이 배치되며, 이 필터링 수단을 통과하여 상기 반송공기는 분리기구 또는 탱크로부터 배출된다. 사이클론 세퍼레이터 또는 다른 탱크와 같은 분리기구의 문제는 대개 예를 들어 종이 및 얇은 플라스틱의 쓰레기들이 이 분리기구의 반송공기출구를 막으려 한다는 점이다. 예컨대 종이 및 플라스틱과 같은 문제를 일으키는 쓰레기 등급들은 통상 넓은 표면영역을 가지고 무게가 가볍다. 이들 문제가 되는 쓰레기 등급들은 반송공기용 출구로의 작은 공기 흐름만으로도 쉽게 부유하기 때문에 세퍼레이터에 문제를 종종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컨대 회전 브러시 등의 다양한 기계적 수단을 사용하여 출구의 폐색을 방지하고, 다른 한편으로 출구로 들어오는 쓰레기를 제거하고자 하는 노력이 행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만족스럽게 기능하지 못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압식 재료이송시스템의 분리기구에 관한 완전히 새로운 타입의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압식 쓰레기 이송시스템에 관하여 적용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에 의하여 분리기구의 출구 막힘을 종래보다 쉽게 방지할 수 있고, 한편으로 분리기구의 반송공기 출구의 폐색도 제거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리기구의 분리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리기구의 필터링 수단의 작용을 강화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공압식 재료이송시스템의 분리기구에 결합하여 압력매체 노즐들을 배치한다는 기술적사상에 기초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즐들을 반송공기 출구 또는 그 부근에 배치하고, 작동시에 상기 압력매체 노즐이 압력매체를 분사/송풍하고 그 분사에 의하여 반송공기 출구 내로 유입되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 필름이나 플라스틱 백(bag)과 같은 쓰레기 입자들 및/또는 출구 막힘을 감소 또는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압력매체가 분리기구 내로 그 챔버 공간, 바람직하게는 반송공기 출구 부근으로 분사되는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청구항 2~11에 서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매체 분사노즐이 분사기구의 챔버 공간 내로 압력매체를 분사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반송공기 출구 부근의 분리기구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또한 청구항 13~22에 서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은 많은 중요한 장점들을 가진다. 분리기구와 연결하여 바람직하게는 출구 혹은 그 부근에 압력매체 노즐들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압력매체노즐이 작동하여 압력매체를 분사/송풍하면 종이 또는 플라스틱 필름 또는 백과 같은 쓰레기 입자들의 출구 내로의 진행 및/또는 출구 폐색을 하지 않게 되어 공압식 쓰레기 이송시스템을 위한 분리기구의 종래보다 더 신뢰성 있는 작동이 달성된다. 상기 압력매체 노즐들이 출구 쪽으로 상승하여 부유하는 종이/플라스틱류를 출구로부터 멀어지도록 송풍한다. 압축공기와 같은 압력매체의 총량은 작아서 반송공기의 실제 양에 본질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압력매체로서 압축공기와 같은 가스 대신에 작동시에 액체를 분사하는 노즐, 바람직하게는 워터 미스트(water mist)를 송풍하는 노즐이 사용될 수 있다. 액체를 분사하는 압력매체 노즐들은 출구의 노즐의 커버 영역 내로 흘러오는 쓰레기 입자들을 물에 접촉시켜 종이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입자들을 더 무겁게 만들고, 이 경우 상기 쓰레기 입자들은 분리기구 내에서 아래로 하강한다. 상기 압력매체 노즐들은 또한 가스 분사노즐들과 액체 분사노즐들의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물은 대량의 반송공기 내에서 급속히 증발되므로, 쓰레기 반송공정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압력매체 분사에 의하여 분리기구의 필터링 수단의 작용이 강화될 수 있다.
도 1은, 분리기구와 연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구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2는, 화살표 A의 방향에서 본 도 1의 실시예의 기구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구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자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구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선을 따라 자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구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자세하게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공압식 재료 이송시스템, 특히 쓰레기 이송시스템의 분리기구(100)에 결합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기구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리기구(100)는 벽들(1,15)에 의해 경계 지어진 챔버공간(101)을 포함하는 이른바 사이클론 세퍼레이터이다. 입력 분기 커플링(2:input branch coupling)이 상기 분리기구의 챔버공간에 연결되며, 이 분기 커플링을 통하여 쓰레기 재료와 같은 이송대상재료가 입구(3)로부터 반송공기와 함께 분리기구 내로 안내된다. 상기 재료 이송시스템에서, 이송배관 내로 공급된 재료는 이송배관을 따라 분리기구로 운반되며, 이 분리기구에서 상기 운반된 재료는 예컨대 낙하속도와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반송공기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도면의 실시예에서, 쓰레기 재료와 같은 분리된 재료는 분리기구의 바닥으로 떠내려간다. 도 1에서, 분리된 재료가 분리기구(100)의 챔버공간(101)의 바닥부로 이동하는 것은 화살표 w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분리된 재료는 필요에 따라서, 분리기구(100)의 바닥부에 배치된 재료 출구(5)를 통하여 분리기구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반송공기는 분리기구로부터 반송공기용의 출력 분기 커플링(4:output branch coupling)으로 안내된다. 상기 반송공기는 상기 분리기구에서 방향이 바뀌는 것이 전형적이며, 이 경우 반송공기에 수반된 더 무거운 재료는 반송공기로부터 보다 쉽게 분리된다. 도면의 실시예에서, 벽 부분(6)이 분리기구의 상부에 배치되고, 이 벽 부분은 분리기구 내로 연장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벽 부분(6)은 원통형이다. 상기 벽 부분(6)의 림(rim) 내측에 공간(9)이 형성되며, 이 공간 내로 벽(6)의 바닥부의 구멍, 즉 출구가 통해 있다. 상기 공간의 상부로부터 반송공기용의 출력 분기 커플링(4)이 연결된다. 상기 도면의 실시예에서, 벽 부분(6)의 바닥부에 출구(7)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원통형 벽 부분(6)의 바닥 단부는 개방된다. 상기 벽(6)의 상부는 반송공기용 출력 분기 커플링(4)을 포함한다. 상기 도면의 실시예에서, 상기 원통형 벽 부분(6)과 공간(9)은, 분리기구의 상부 벽(15)과 같은 상부 끝단을 관통하여, 예컨대 상부 벽(15)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벽 부분(6)의 상부 끝단에는 단부 판(end plate:8)이 있다. 반송공기용 출력 분기 커플링(4)은 상기 벽 부분(6)의 상부에 배치된다. 분리기구에서 반송공기의 이동은 화살표 a로 대략적으로 도시된다.
상기 도면의 실시예에서, 입구(3)는 상기 분리기구의 상부 벽(15)과, 분리기구의 내부로 연장되는 벽(6) 바닥부의 구멍(7) 사이 영역에 있는 분리기구의 벽(1)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분리기구는 링형상 부분을 포함하며, 이 링형상 부분은 상기 벽(6)이 그 링형상 부분의 내측 림을 형성하며 분리기구의 벽(1)이 그 링형상 부분의 외측을 형성하는 영역에 위치한다.
적어도 하나의 분사노즐(10)이 분리기구에 배치되며, 작동시에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공간(9) 및 출력 분기 커플링(4)에 이르는 출구(7)와 같은 출구 근방 혹은 그 출구에 이르는 덕트 근방에서 분리기구로 압력매체를 분사한다. 상기 압력매체는 본질적으로 반송공기 유동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분사된다. 상기 압력매체가 분사노즐(10)로부터 분사되어, 출구(7) 내로 혹은 그 출구 부근으로 흘러온 쓰레기 물질들을 상기 출구 외측 또는 상기 출구 부근으로부터 멀리 이동하도록 한다. 분사노즐(10)은 복수개 있을 수 있다. 도 1~도 3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사노즐(10)은 분리되어 목표 영역에 배치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매체 스프레이(13)는 본질적으로 상기 출구(7)의 전체 영역을 덮는다. 상기 스프레이는 쓰레기 입자들, 특히 종이 또는 플라스틱 필름이나 백들이 출구(7) 내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분사노즐(10)이 원통형 벽(6)의 바닥부 또는 그 부근, 바람직하게는 출구(7)에 배치된다. 상기 도면들의 실시예에서 본관(trunk pipe:12)으로부터 노즐(10)로 압력매체를 운반하기 위한 파이프 수단(11)이 배치되며, 상기 파이프 수단(11)은 상기 공간(9)을 통과하여 연장된다. 압력매체를 본관(12)까지 운반하는 것은 그 자체로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것이므로 상기 도면에서 상술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압력매체는 본관(12)에 연결된 펌프 수단에 의하여 매체 공급원으로부터 운반될 수 있다. 상기 압력매체가 압축공기와 같은 가스상이라면 공지의 공기 압축기를 압력매체 이동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물과 같은 액체 압력매체가 사용된다면, 액체 공급원이 사용될 수 있고 이로부터 액체가 매체 펌프에 의하여 필요한 압력으로 본관(12)으로 펌핑되고 이후 파이프(11) 및 노즐(10)로 보내진다.
분리기구와 결합시켜 바람직하게는 출구(7) 혹은 그 부근에 압력매체 노즐들(10)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압력매체노즐이 작동하여 압력매체를 분사/송풍하면 종이 또는 플라스틱 필름 또는 백들과 같은 쓰레기 입자들의 출구 내로의 진행 및/또는 출구 폐색을 하지 않게 되어 공압식 쓰레기 이송시스템을 위한 분리기구의 종래보다 더 신뢰성 있는 작동이 달성된다. 상기 압력매체 노즐들이 출구(7) 쪽으로 부유하는 반송공기에 수반되는 종이/플라스틱류를 출구로부터 멀어지도록 송풍한다. 노즐(10)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와 같은 압력매체의 총량은 작아서 반송공기의 실제 양에 본질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따라서 재료 이송시스템 그 자체의 작동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압축공기와 같은 가스 대신에 액체, 바람직하게는 워터 미스트(water mist)가 분사될 압력매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액체를 분사하는 압력매체 노즐들은 출구 근방과 같은 노즐의 커버 영역 내로 흘러오는 쓰레기 입자들을 물에 접촉시켜 종이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입자들을 더 무겁게 만들고, 이 경우 상기 쓰레기 입자들은 분리기구 내에서 아래로 하강한다. 상기 압력매체 노즐들(10)은 또한 가스 분사노즐들과 액체 분사노즐들의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가스와 액체를 교대로 분사하는 것과 같이 다른 압력매체를 동일한 노즐로부터 분사시키도록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물과 같은 액체를 분사할 때, 그 물은 대량의 반송공기 내에서 급속히 증발되므로, 쓰레기 반송공정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기 분리기구의 반송공기는, 또한 필터링 수단(17)으로 청정화될 수 있는데, 반송공기는 이 필터링 수단을 통과하여 흘러 상기 분리기구로부터 반송공기용 출력 분기 커플링(4)을 향하여 이동한다. 도 4 및 도 5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분사노즐(10)은 반송공기 유동방향으로 상기 필터링 수단(17)의 전에 배치된다.
도 4 및 도 5에 따른 상기 필터링 수단(17)은 벽(6)에 의해 획정된 공간(9) 내에 배치된다. 상기 도면의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링 수단의 필터 표면 영역은 원추형 또는 원통형의 필터링 수단을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를 사용함에 의하여 보다 확장되어 있다. 필터링 수단(17)의 필터링 요소는 그 필터링 수단의 상부(19)에서 바닥부(18) 쪽으로 원추형으로 테이퍼지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필터링 수단의 상부(19)는 구멍(20)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를 통과하여 이동해온 반송공기가 이 구멍으로부터 반송공기용 출력 분기 커플링(4) 쪽으로 안내된다. 상기 도면에 따르면, 분사 노즐(10)로 이어지는 상기 파이프 수단(11) 중 일부는 필터링 수단의 상부(19))의 구멍(20)을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필터링 수단의 바닥부(18)에 제2 구멍이 형성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도 4), 상기 필터링 수단(17)은 상기 구멍의 테두리 영역 또는 그에 인접한 위치의 분리기구의 상부 벽(15)에 근접하여 고정수단으로 플랜지(16)에 배치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은 제2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바, 여기에서는 분사노즐(10,10')의 적어도 하나가 작동시에 압력매체 스프레이(13')를 필터링 수단(17)의 필터 표면에 분사하도록 배치되며, 이 경우 그 분사되는 압력매체 스프레이(13')는 쓰레기 입자들, 특히 종이입자 또는 플라스틱 입자가 필터링 수단(17)의 필터 표면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다른 한편으로 필터링 수단(17) 표면에 부착된 입자들을 그 표면으로부터 제거하여 출구(5)(도 1 참조) 쪽인 분리기구 바닥측으로 향하게 한다. 도 6 및 도 7에 따르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필터링 수단의 표면 상에 분사되도록 향해지는 압력매체 스프레이(13')의 분사노즐들(10')은 도 7에 도시된 방식과 같이 상기 필터링 수단(17) 사이의 공간에 나란하게 배치된다. 도 7에는 노즐로 이어지는 파이프 수단들(11')의 위치가 필터링 수단(17)과 관련되어 나타나 있으며, 상기 파이프 수단들에 배치되는 노즐들의 위치는 본질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도 6은 분리기구가 수직자세로 있을 때의 높이방향에서의 분사노즐(10')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압력매체 스프레이(13')는 상기 필터링 수단의 표면상에 보다 광범위하게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2 노즐(10')은 높이방향에서 상기 필터링 수단의 하단(18)으로부터 상기 반송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그 필터링 수단의 상단(19) 근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즐들(10,10')의 적어도 일부는 액체 또는 가스의 제2 매체를 통과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는 한 압력매체(압력매체)가 제1 본관(trunk pipe:12)으로부터 제1 파이프라인(11)을 통하여 제1 노즐로 안내되고, 상기 압력매체 또는 제2 압력매체(압력매체')가 제2 본관(12')으로부터 제2 파이프라인(11')을 통하여 제2 노즐(10')로 안내된다. 상기 제1 및 제2 압력매체는 동일한 압력매체 또는 서로 다른 압력매체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압력매체는 압축공기와 같은 가스이고, 제2 압력매체는 워터 미스트와 같은 액체이다. 두 번째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매체가 가스이고 제1 매체가 워터 미스트와 같은 액체이다.
상기 필터링 수단(17)의 세정은 상기 구멍(20)으로부터 필터링 수단으로의 이른바 "역류(back blow)"를 발생시킴에 의하여 강화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필터링 수단을 통과하는 공기 흐름은 통상의 상황과는 반대방향으로 흐른다. 상기 압력매체 분사는 필터로부터 분리기구(100)의 챔버 공간(101) 바닥부로 떨어져나가는 쓰레기 입자들의 이동에 기여한다.
본 발명은 또한 쓰레기 재료(w)와 같은 이송대상재료가 반송공기(a)로부터 분리되는 쓰레기 이송시스템과 같은 공압식 재료 이송시스템의 분리기구의 분리 효율을 개선 및/또는 분리기구의 반송공기 출구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압력매체는 분리기구(100) 내의 챔버 공간(101), 바람직하게는 반송공기의 출구(7) 부근의 분리기구 내로 분사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력매체는 상기 출구(7) 또는 그 부근에 배치된 분사노즐(10)로 분사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력매체가 상기 반송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본질적으로 반대방향으로 분사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상기 압력매체가 복수의 노즐(10,10')로부터 분사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력매체는 분사되어 상기 출구(7) 쪽으로 반송공기를 따라 이동하려고 하는 쓰레기 등급들을 압력매체 스프레이(13)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분리기구의 바닥부 쪽으로 안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력매체는 압축공기와 같은 가스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력매체는 액체이고, 바람직하게는 액체 미스트(liquid mist)가 분사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송공기는 필터링 수단(17)으로 여과되고, 상기 압력매체(13,1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필터링 수단(17)의 필터 표면상으로 향해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터링 수단(17)을 통과하는 반대방향의 공기 흐름이 발생되어, 상기 필터링 수단의 막힘의 제거 또는 세정이 강화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력매체가 액체일 때, 쓰레기 등급의 일부가 압력매체(13,13')에 젖어서, 젖은 쓰레기 등급이 상기 분리기구(100)의 바닥부 쪽으로 안착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리기구(100)는 사이클론 세퍼레이터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리기구(100)는 쓰레기 탱크이다.
본 발명은 또한 반송공기(a)로부터 쓰레기 재료(w)와 같은 이송대상재료가 분리되는 공압식 재료 이송시스템의 분리기구의 분리효율을 개선 및/또는 분리기구의 반송공기 출구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분리기구가 챔버 공간(101), 이송대상재료 및 반송공기용 입구(3), 반송공기 출구(7) 및 분리된 재료의 출구(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압력매체 분사노즐(10,10')이 압력매체를 분리기구의 챔버 공간(101) 내로 분사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송공기의 출구(7) 부근의 분리기구 내에 배치되어, 상기 압력매체 스프레이가 상기 출구(7) 쪽으로 반송공기를 따라 이동하려고 하는 쓰레기 등급들에 작용하여, 그 쓰레기 등급들이 압력매체 스프레이(13)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분리기구(100)의 바닥부 쪽으로 안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력매체의 분사노즐(10,10')이 상기 반송공기의 출구(7) 또는 그 부근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력매체의 분사노즐(10,10')이 상기 반송공기의 출구 덕트(9)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시에 상기 압력매체의 분사노즐(10,10')이 상기 반송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본질적으로 반대방향으로 분사되도록 향해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압력매체 분사노즐(10,10')이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력매체 분사노즐(10,10')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압력매체 분사노즐(10,10')은 병행되게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력매체 분사노즐(10,10')은 반송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사노즐(10,10')은 작동시에 가스 및/또는 액체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상기 반송공기의 적어도 하나의 필터링 수단(17)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압력매체의 분사노즐(10')이 작동시에 상기 필터링 수단의 필터 표면을 향하여 분사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터링 수단(17)을 통과하는 반대방향의 공기 흐름이 발생되어 상기 필터링 수단의 막힘의 제거 또는 세정이 강화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다른 특징들과 결합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내에 개시된 특징들은, 필요하다면 서로 별개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2)

  1. 반송공기(a)로부터 쓰레기 재료(w)가 분리되는 공압식 쓰레기 이송시스템의 분리기구의 분리효율을 개선 및/또는 분리기구의 반송공기 출구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압력매체가 분리기구(100) 내의 챔버 공간(101),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송공기의 출구(7) 부근의 분리기구 내로 분사되어, 상기 출구(7) 쪽으로 반송공기를 따라 이동하려고 하는 쓰레기 등급들을 압력매체 스프레이(13)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분리기구(100)의 바닥부 쪽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매체가 상기 출구(7) 또는 그 부근에 배치된 분사노즐(10)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매체가 상기 반송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본질적으로 반대방향으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매체가 복수의 노즐(10,10')로부터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매체가 압축공기와 같은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매체가 액체이고, 바람직하게는 액체 미스트(liquid mist)가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공기가 필터링 수단(17)으로 여과되고, 상기 압력매체(13,1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필터링 수단(17)의 필터 표면상으로 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수단(17)을 통과하는 반대방향의 공기 흐름이 발생되어, 상기 필터링 수단의 막힘의 제거 또는 세정이 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매체가 액체일 때, 쓰레기 등급의 일부가 압력매체 스프레이(13,13')에 젖어서, 젖은 쓰레기 등급들이 상기 분리기구(100)의 바닥부 쪽으로 가라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구(100)가 사이클론 세퍼레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구(100)가 쓰레기 탱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반송공기(a)로부터 쓰레기 재료(w)가 분리되는 공압식 쓰레기 이송시스템의 분리기구의 분리효율을 개선 및/또는 분리기구의 반송공기 출구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분리기구(100)가 챔버 공간(101), 이송대상재료 및 반송공기용 입구(3), 반송공기 출구(7) 및 분리된 재료의 출구(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압력매체 분사노즐(10,10')이 압력매체를 분리기구의 챔버 공간(101) 내로 분사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송공기의 출구(7) 부근의 분리기구 내에 배치되어, 상기 압력매체 스프레이가 상기 출구(7) 쪽으로 반송공기를 따라 이동하려고 하는 쓰레기 등급들에 작용하여, 그 쓰레기 등급들이 압력매체 스프레이(13)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분리기구(100)의 바닥부 쪽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매체의 분사노즐(10,10')이 상기 반송공기의 출구(7) 또는 그 부근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매체의 분사노즐(10,10')이 상기 반송공기의 출구 덕트(9)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시에 상기 압력매체의 분사노즐(10,10')이 상기 반송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본질적으로 반대방향으로 분사되도록 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압력매체 분사노즐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매체 분사노즐(10,10')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압력매체 분사노즐(10,10')은 병행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2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매체 분사노즐(10,10')은 반송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10,10')은 작동시에 가스 및/또는 액체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12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공기의 적어도 하나의 필터링 수단(17)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압력매체의 분사노즐(10')이 작동시에 상기 필터링 수단의 필터 표면을 향하여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수단(17)을 통과하는 반대방향의 공기 흐름을 발생시켜 상기 필터링 수단의 막힘의 제거 또는 세정이 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47000444A 2011-06-08 2012-06-07 공압식 재료 이송시스템에서의 방법 및 장치 KR201400392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115555 2011-06-08
FI20115555A FI123342B (fi) 2011-06-08 2011-06-08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PCT/FI2012/050570 WO2012168560A1 (en) 2011-06-08 2012-06-07 Method and apparatus in a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272A true KR20140039272A (ko) 2014-04-01

Family

ID=44206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0444A KR20140039272A (ko) 2011-06-08 2012-06-07 공압식 재료 이송시스템에서의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718206A4 (ko)
JP (1) JP2014516018A (ko)
KR (1) KR20140039272A (ko)
CN (1) CN103596857B (ko)
FI (1) FI123342B (ko)
WO (1) WO20121685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92418B (zh) * 2019-01-11 2020-11-06 江苏道金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吸送式气力输送设备
CN112660667A (zh) * 2020-12-07 2021-04-16 华晟博联环境科技(青岛)有限公司 用于垃圾气力输送系统的可称量垃圾分离器
CN114751198B (zh) * 2022-04-22 2023-05-19 山东钢铁集团永锋临港有限公司 一种气力输送堵管自动清吹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4367C (de) * 1920-01-09 1921-11-19 Caspar Schulte Schachtrohrfoermiger Sammelkessel bei Saugluftfoerderern fuer Schuettgut
US1965866A (en) * 1933-04-19 1934-07-10 Jr Edgar B Tolman Fluid actuated control device for pneumatic conveyers
DK102340C (da) * 1961-05-18 1965-08-09 Niro Atomizer As Udslusningsorgan til overføring af et pulver fra et behandlingskammer med en roterende gasstrøm til et pneumatisk transportanlæg.
DE2102928A1 (de) * 1971-01-22 1972-08-03 Zimmermann Maschbau Adolf Verfahren zum Reinigen von Filtern bei pneumatischen Förderanlagen
US3809436A (en) * 1972-05-25 1974-05-07 Cpc Eng Corp Process for conveyance of ash
DE2554032C2 (de) * 1975-12-02 1985-11-28 Babcock-BSH AG vormals Büttner-Schilde-Haas AG, 4150 Krefeld Vorrichtung zum Inberührungbringen einer Flüssigkeit mit einem pulverförmigen Feststoff
JPS628917A (ja) * 1985-07-02 1987-01-16 Nippon Furekuto Kk ゴミ類の空気輸送処理設備
US4927298A (en) 1988-02-22 1990-05-22 Tuszko Wlodzimier J Cyclone separating method and apparatus
JPH0524641Y2 (ko) * 1990-10-24 1993-06-23
JPH05168980A (ja) * 1991-12-17 1993-07-02 Nkk Corp ゴミ分離機
JP2906358B2 (ja) * 1993-03-31 1999-06-21 株式会社クボタ 空気輸送設備における分離器
JP4812930B2 (ja) * 2000-10-31 2011-11-09 株式会社 ワイ・エム・エス 超微粒子輸送用バキュームコンベア
JP2003276844A (ja) * 2002-03-20 2003-10-02 Creation Co Ltd 粉体回収装置
DE10306216A1 (de) * 2002-09-12 2004-03-18 Gel-Verfahrenstechnik Gmbh & Co. Kg Vakuum-Saugförder-Vorichtung
CN2782833Y (zh) * 2005-03-14 2006-05-24 张涉 一种适用于真空管道垃圾收运系统的垃圾分离与收集装置
PT1957386E (pt) * 2005-12-07 2010-12-22 Maricap Oy Método e aparelho para transportar material e aparelho de ejecção
FI20085149L (fi) * 2007-12-21 2009-06-22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CN201236070Y (zh) * 2008-06-16 2009-05-13 上海普泽瑞华环保科技有限公司 用于垃圾气力输送系统的分离器
CN201231114Y (zh) * 2008-07-16 2009-05-06 上海普泽瑞华环保科技有限公司 用于垃圾气力输送系统的空气过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20115555A (fi) 2012-12-09
EP2718206A4 (en) 2015-01-14
CN103596857B (zh) 2015-07-29
CN103596857A (zh) 2014-02-19
WO2012168560A1 (en) 2012-12-13
FI20115555A0 (fi) 2011-06-08
FI123342B (fi) 2013-02-28
JP2014516018A (ja) 2014-07-07
EP2718206A1 (en) 201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7303B1 (ko) 공압식 재료 이송시스템을 위한 분리기구 및 방법
KR101303425B1 (ko) 재료반송방법과 재료반송장치 및 배출기 장치
RU254942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в пневматической системе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материала
JP2007526190A (ja) 材料を搬送する方法及び装置
US20210023476A1 (en) Methods of separating drilling cuttings and gas using a liquid seal
RU2649611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в пневматической системе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материалов и контейнер для отходов/сепар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150110744A (ko) 주입 슈트로부터 폐기 물질을 공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039272A (ko) 공압식 재료 이송시스템에서의 방법 및 장치
US10525380B2 (en) Floating chopper sludge weir
EP1707678A2 (en) Street sweeper having a mechanical vacuum filter system for refuse collection
FI67039B (fi) Dekanteringscyklon foer avskiljning av luft fraon laetta aemnen
JP5961851B2 (ja) グリーストラップ掃除機
KR102352055B1 (ko) 진공을 이용한 여과재 흡입 준설 장치 및 그 운용방법
US20140352268A1 (en) Cyclonic particulate collection device
US11697126B2 (en) Granular litter cleaning apparatus and process
JPH0890559A (ja) 樹脂成形材料の捕集装置
US5330657A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asbestos particles from a slurry
CN105971108A (zh) 强力吸污车
JP5236999B2 (ja) 液体分離用の輸送管、及びその液体分離用の輸送管を備えた空気輸送システム
RU207894U1 (ru) Очистной аппарат
JPH05193703A (ja) 厨芥収集装置
US20230108192A1 (en) Filter and cleaning method
FI118043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materiaalin siirtämiseksi sekä ejektorilaite
KR100428463B1 (ko) 액체저장 탱크의 이동식 다기능 청소기
WO2017091808A1 (en) Separating drilling cuttings and gas using a liquid se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