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986B1 - 세차장 준설물 수거 운반차 - Google Patents

세차장 준설물 수거 운반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986B1
KR101572986B1 KR1020150090007A KR20150090007A KR101572986B1 KR 101572986 B1 KR101572986 B1 KR 101572986B1 KR 1020150090007 A KR1020150090007 A KR 1020150090007A KR 20150090007 A KR20150090007 A KR 20150090007A KR 101572986 B1 KR101572986 B1 KR 101572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dredging
dredged
dredged material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림특장
주식회사 그린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림특장, 주식회사 그린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림특장
Priority to KR1020150090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9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93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차장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을 진공 흡입 방식으로 준설하여 수거한 후 공기분사에 의한 빠른 배출과 탱크내 청소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세차장 준설물 수거 운반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준설차량에 탑재된 탱크의 후방을 개폐시키는 덮개가 구비되는 한편 탱크 내부 공기를 배출시키거나 외부 공기를 탱크로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를 구비함에 있어서, 상기 탱크 덮개의 후방으로 준설물 배출구와 준설물 흡입구를 구비하되 상기 준설물 흡입구에는 준설탱크의 상측으로 준설물을 분출하는 흡입배관을 설치하고, 상기 준설물 배출구에는 준설물에 공기를 분사시키는 분사파이프를 설치하며, 상기 분사파이프는 공기 공급구와 컨넥터로 연결되게 하고, 준설탱크의 상측 중앙에 분사노즐을 설치하여 준설탱크의 내부를 물로 청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세차장 준설물 수거 운반차{ Car wash dredged material recovery vehicle}
본 발명은 세차장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을 진공 흡입 방식으로 준설하여 수거한 후 공기분사에 의한 빠른 배출과 준설탱크내 청소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세차장 준설물 수거 운반차에 관한 것이다.
세차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은 특정 폐기물로 분류되기 때문에 세차장에서 수집된 준설 폐기물은 특정 폐기물을 처리하는 장소로 이동하여 처리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일반 준설차량을 이용하는 경우, 폐기물이 발생하는 세차장과 특정 폐기물을 처리하는 장소와의 거리가 멀어서 폐기물 준설차량이 이동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와, 이동시간 동안 준설차량을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용량의 수거탱크가 탑재된 수거차량을 준비한 후 일반 준설차량으로 준설된 폐기물을 상기 수거차량의 대용량 수거탱크로 비워주고, 준설차량은 다시 세차장 폐기물을 준설하도록 함으로써, 준설차량이 이동하는 거리를 줄여 준설차량의 이용 효율을 높이고 있으나, 준설차량의 준설탱크에 채워진 준설물을 배출하는 압력이 낮아서 대용량 수거탱크에 채워주기가 어려운 것이다.
즉, 준설차량의 준설탱크에 준설물이 채워지면, 준설탱크의 후방을 막아주는 탱크덮개를 개방시킴으로써 준설탱크에 채워진 준설물을 쏟아내게 되나, 세차장 폐기물을 대용량 수거탱크에 채워주는 경우는 상기와 같이 준설탱크에 채워진 준설물을 쏟아낼 경우 대용량 수거탱크에 옮길 수 없으며, 준설차량의 준설탱크에서 공기 압력으로 준설물을 배출시켜 대용량 수거탱크로 옮겨주어야 하나, 이러한 방식에서는 기존 준설차량의 공기 압력으로는 대용량 수거탱크로 준설물을 옮길 수 있는 힘을 제공하지 못하여, 준설차량의 준설탱크에 채워진 준설물을 대용량 수거탱크로 옮기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리고, 준설차량의 준설탱크에 채워진 준설물은 빠른 시간에 대용량 수거탱크로 옮겨 실어야만 준설차량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나, 단순 공기압력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시간이 오래 걸릴 수밖에 없고, 준설차량의 준설탱크에 채워진 준설믈 배출시킬 때, 준설탱크에 내벽에 붙어 있는 준설물을 사람이 직접 준설탱크의 내부로 들어가 청소해 주어야 하는 것이어서, 작업이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20-0267344호(2002.02.26. 등록) 대한민국 특허 등록 10-1444401호(2014.09.18. 등록)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20-0267351호(2002.02.26. 등록) 대한민국 특허 등록 10-0500021호(2005.06.29. 등록)
본 발명은 세차장 폐기물을 일반 준설차량으로 준설하여 대용량 수거탱크에 옮겨 담은 후 특정 폐기물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어서, 일반 준설차량의 준설탱크에 실린 준설 폐기물을 대용량 수거탱크로 이동시킬 때 공기를 이용하게 되나, 준설탱크에 가해지는 공기 압력으로는 준설물을 대용량 수거탱크로 이동시키기가 쉽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준설차량의 준설탱크에서 준설물을 배출시킬 때 공기 분사 압력을 이용하여 강한 배출이 이루어지게 하는 한편 준설탱크에 채워진 준설물을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준설차량에 탑재된 준설탱크의 후방을 개폐시키는 덮개가 구비되는 한편 준설탱크 내부 공기를 배출시키거나 외부 공기를 준설탱크로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를 구비함에 있어서, 상기 준설탱크 덮개의 후방으로 준설물 배출구와 준설물 흡입구를 구비하되 상기 준설물 흡입구에는 준설탱크의 상측으로 준설물을 분출하는 흡입배관을 설치하고, 상기 준설물 배출구에는 준설물에 공기를 분사시키는 분사파이프를 설치하며, 상기 분사파이프는 공기 공급구와 컨넥터로 연결되게 하고, 준설탱크의 상측 중앙에 분사노즐을 설치하여 준설탱크의 내부를 물로 청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준설탱크의 폐기 준설물을 분사파이프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강한 힘으로 배출이 이루어지는 한편 분사노즐로 물을 분사시켜 분사탱크의 내부를 청소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준설물 배출구로 노즐을 이용하여 고압수를 공급함으로써 배출되는 준설물을 희석하여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은 준설탱크로 흡입 준설되는 폐기 준설물은 준설물 배출구로 배출될 때 분사 파이프를 통하여 분사되는 공기압력에 의해 강한 힘으로 배출이 이루어져, 대용량의 수거탱크로 폐기 준설물을 옮길 수 있으며, 준설탱크의 내벽을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물로 청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작업에 의한 청소를 자동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준설물 배출구로 고압수를 공급하여 준설물을 희석시킬 경우, 보다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진다.
도 1은 준설차량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준설탱크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준설탱크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준설물 흡입구와 준설물 배출구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준설물 배출구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분사노즐에서 물이 분사되는 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덮개가 개방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컨넥터 부위를 보인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
본 발명은 준설차량에 탑재되는 준설탱크에 관한 것으로, 준설탱크의 상측에 설치된 공기 공급구를 통하여 준설탱크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준설이 이루어지게 하거나, 외부공기를 준설탱크의 내부로 공급하여 준설탱크에 채워진 준설물을 가압하여 배출이 이루어지게 하되 준설물을 배출시키는 준설물 배출구에 공기를 분사시키는 분사 파이프를 설치하여 폐기 준설물이 큰 힘을 갖고 빠른 시간에 외부로 배출되게 하고, 준설탱크의 내부 상측에는 물을 분사시키는 분사노즐을 설치하여 분사탱크의 내벽을 청소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준설탱크는 후방이 덮개로 개폐되며, 상기 덮개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덮개의 하측으로는 준설물을 흡입하는 준설물 흡입구를 설치하는 한편 준설물을 배출하는 준설물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준설물 흡입구에는 흡입되는 세차장 준설물을 준설탱크의 상부로 이동 배출시키는 흡입배관을 설치함으로써 준설탱크에 준설물이 채워지더라도 흡입배관을 통한 지속적인 흡입이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의 준설물 배출구에는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 파이프를 설치하여 게이트 밸브를 통하여 배출배관으로 배출되는 준설물을 강한 힘으로 분사되게 하고, 상기 준설물 배출구는 콘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준설물 배출구에서 배출배관 쪽을 향하여 공기를 분사시키도록 분사 파이프를 설치함으로써, 준설탱크에서 공기 가압에 의해 배출배관으로 배출되는 페기 준설물이 분사 파이프에서 분사되는 공기의 분사 압력에 의해 강한 힘으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공기 공급구에서 분사 파이프로 공기를 분사하되 덮개의 개폐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컨넥터를 이용하여 분사 파이프에 공기 공급이 이루어지게 하며, 상기 컨넥터는 덮개가 닫혔을 때 정상적인 공기 공급이 이루어지게 하고, 덮개 개방에 방해를 주지 않는다.
본 발명의 준설탱크에는 내부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분사 노즐을 설치하되 상기 분사노즐의 노즐 방향은 준설탱크의 내벽을 향하게 함으로써, 분사노즐로 물을 공급하면 준설탱크의 내벽을 씻어줄 수 있도록 하여, 수작업으로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준설물 배출구에 노즐을 설치하여 고압호스를 통한 물 공급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준설물의 배출시 준설물을 고압수로 희석하여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준설차량(10)에 탑재되는 준설탱크(20)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준설탱크(20)는 상측으로 공기 공급과 공기 배출을 하게 되는 공기 공급구(30)를 설치하는 한편 준설탱크(20)의 후방을 유압실린더(51)로 개폐시키는 덮개(50)를 설치하며, 상기 덮개(50)의 하측으로 준설물 흡입구(60)와 준설물 배출구(70)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준설탱크(20)에 구비된 공기 공급구(30)는 준설탱크(2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준설탱크(20)를 음압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준설물의 흡입이 이루어지게 하는 한편 외부공기를 준설탱크(20)의 내부로 공급하여 준설탱크(20)에 채워진 준설물을 가압함으로써 준설물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의 준설탱크(20)은 유압실린더(51)에 의해 작동되는 덮개(50)에 의해 후방이 개폐되는 것으로, 상기 덮개(50)의 하측으로 준설물 흡입구(60)와 준설물 배출구(70)를 형성하고, 상기 준설물 흡입구(60)에는 준설물을 준설탱크(20)의 상측에서 배출되게 하는 흡입배관(61)을 고정 설치하고, 준설물 배출구(70)에는 공기를 분사시키는 분사 파이프(80)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분사 파이프(80)는 컨넥터(81)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덮개(50)의 개폐에 관계없이 분사 파이프(80)로 공기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준설물 배출구(70)는 게이트 밸브(71)를 설치하여 준설탱크(20)에 채워진 준설물이 배출배관(72)을 통하여 배출되게 하며, 상기 준설물 배출구(70)의 입구를 향하여 분사 파이프(80)가 설치되게 함으로써 준설물이 분사 파이프(80)에서 분사되는 공기압에 의해 강한 힘으로 분사가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의 준설물 배출구(70)는 콘 형태를 갖도록 제작하되 분사 파이프(80)가 준설물 배출구(70)의 입구에서 배출배관(72) 쪽으로 강한 공기 분사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준설탱크(20)에 채워진 준설물이 공기 분사에 따른 강한 힘으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의 준설탱크(20)에는 내부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분사노즐(90)을 설치하되 분사노즐(90)에서 분사되는 물은 준설탱크(20)의 내벽을 청소하면서 흐르도록 하여, 준설탱크(20)의 내벽을 수작업으로 청소하지 않고도 물을 이용한 청소가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준설물 배출구(70)에 노즐(41)을 설치하여 고압호스(50)를 통한 물 공급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준설물의 배출시 준설물을 고압수로 희석하여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준설차량(20)을 세차장으로 이동시킨 후 공기 공급구(30)를 통하여 준설탱크(20)의 내부 압력을 낮추도록 하면, 준설물 흡입구(60)를 통하여 폐기 준설물의 흡입이 이루어지게 되고, 준설물 흡입구(60)로 흡입되는 준설 폐기물을 흡입배관(61)을 통하여 준설탱크(20)의 내부에 채워지게 된다.
여기서, 흡입배관(61)을 설치하여 준설물이 흡입탱크(20)의 상측에서 배출되게 하는 이유는 준설탱크(20)에 준설물이 채워지더라도 계속하여 준설물의 흡입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함이다.
준설탱크(20)에 준설물이 채워지는 것은 덮개(50)의 후방에 설치된 도시되지 아니한 표시창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고, 준설물이 준설탱크(20)에 채워지게 되면, 준설차량(10)을 폐기물 처리장소로 이동하지 않고, 근거리에 배치된 대용량 수거탱크가 위치한 곳으로 이동시킨 후 준설탱크(20)에 채워진 준설물을 대용량 수거탱크에 옮겨 싣도록 한다.
준설탱크(20)의 준설물을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공기 공급구(30)에서 준설탱크(20)로 공기를 공급하여 준설물을 가압시키면 되나, 기존과 같이 준설물의 가압으로는 준설물의 배출 압력이 낮아 대용량의 수거탱크로 준설물을 옮기지 못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분사 파이프(80)를 설치하여 준설물이 배출될 때 공기 분사압력이 더해지게 함으로써 강한 힘으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공기 공급구(30)에서 준설탱크(20)로 공기를 공급하면, 준설탱크(20)의 준설물이 가압되는 한편 준설물 배출구(70)에 설치된 분사 파이프(80)에서 공기를 분사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준설물 배출구(70)에서 게이트 밸브(71)를 통하여 배출배관(72)으로 배출되는 준설물은 준설탱크(20)에 가해지는 공기 압력과 함께 분사 파이프(80)에서 분사되는 공기 압력을 동시에 받게 되므로, 기존과는 달리 강한 힘으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대용량의 수거탱크에 준설물을 옮길 수 있으면서, 빠른 시간에 작업을 끝낼 수 있다.
준설탱크(20)에 채워진 준설물을 여러 번 대용량 수거탱크로 옮긴 후에는 대용량 수거탱크가 탑재된 수거차량을 특정 폐기물 운반장소로 이동하고, 준설차량(10)은 계속하여 작업이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은 준설탱크(20)의 덮개(50)가 닫힌 상태에서는 분사 파이프(80)로 공기 공급이 이루어지고, 덮개(50)가 열리기 위해서는 분리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분사 파이프(80)를 컨넥터(81)로 연결하여 덮개(50)의 개폐에 관계없이 덮개(50)가 닫힌 상태에서는 공기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준설탱크(20) 내부를 가압하여 준설물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할 때, 일부 준설물은 준설탱크(20)의 내벽에 붙은 상태로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직접 떼어주었어야 하나, 본 발명에서는 분사노즐(90)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분사노즐(90)에는 물이 공급되어 준설탱크(20)의 내벽을 향하여 분사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준설탱크(20)의 내벽에 붙어 있는 준설물이 자동으로 씻겨 내리게 되어, 준설 탱크(20)의 내부 청소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준설물 배출구(70)에 설치된 노즐(41)을 통하여 고압호스(50)에서 고압의 물이 공급되게 함으로써, 준설물의 배출시 준설물을 고압수로 희석하여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10 : 준설차량 20 : 준설탱크
30 : 공기공급구 40 : 고압호스
41 : 노즐 50 : 덮개
60 : 준설물 흡입구 70 : 준설물 배출구
80 : 분사 파이프 90 : 분사노즐

Claims (3)

  1. 준설차량(10)에 탑재되는 준설탱크(20)에는 후방을 개폐시키는 덮개(50)를 구비하는 한편 준설탱크(2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외부 공기를 준설탱크(20)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30)를 구비하고,
    상기 준설탱크(20)의 덮개(50)에는 하측으로 준설물 흡입구(60)와 준설물 배출구(70)를 구비하되 상기 준설물 흡입구(60)에는 준설탱크(20)의 내부 상측으로 준설물을 분출하는 흡입배관(61)을 설치하는 한편 콘 형태로 이루어지고 준설물을 배출하는 준설물 배출구(70)에는 게이트 밸브(71)를 통하여 배출배관(72)을 연결하며,
    상기 준설물 배출구(70)에는 배출되는 준설물에 공기를 분사시켜 배출배관(72)으로 배출시키는 분사파이프(80)를 설치하되 상기 분사파이프(80)는 공기 공급구(30)와 컨넥터(81)로 연결되어 덮개(50) 개폐시 분리 결합되게 하고,
    상기 준설탱크(20)의 내부 상측 중앙에는 길이 방향으로 분사노즐(90)을 설치하여 준설탱크(20)의 내벽을 물로 청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장 준설물 수거 운반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준설물 배출구(70)에는 물을 분사시켜 배출배관(72)으로 배출되는 준설물을 희석시키는 노즐(41)을 설치하고, 상기 노즐(41)에는 고압호스(40)를 연결하여 고압수가 공급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장 준설물 수거 운반차.
KR1020150090007A 2015-06-24 2015-06-24 세차장 준설물 수거 운반차 KR101572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007A KR101572986B1 (ko) 2015-06-24 2015-06-24 세차장 준설물 수거 운반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007A KR101572986B1 (ko) 2015-06-24 2015-06-24 세차장 준설물 수거 운반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2986B1 true KR101572986B1 (ko) 2015-11-30

Family

ID=54868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007A KR101572986B1 (ko) 2015-06-24 2015-06-24 세차장 준설물 수거 운반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9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502B1 (ko) 2017-03-15 2017-06-20 주식회사 한국리페어기술 이동이 가능한 진공흡입형 준설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267B1 (ko) * 2010-05-07 2010-09-30 한빛테크원 (주) 진공상태로 흡입하고 압축상태로 배출하는 슬러지 이송차량
KR101104345B1 (ko) * 2009-05-22 2012-01-16 디에이치엠(주) 개방회로형 유압시스템을 가지는 다목적 준설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345B1 (ko) * 2009-05-22 2012-01-16 디에이치엠(주) 개방회로형 유압시스템을 가지는 다목적 준설장치
KR100984267B1 (ko) * 2010-05-07 2010-09-30 한빛테크원 (주) 진공상태로 흡입하고 압축상태로 배출하는 슬러지 이송차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502B1 (ko) 2017-03-15 2017-06-20 주식회사 한국리페어기술 이동이 가능한 진공흡입형 준설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41883A (zh) 一种自带清洗餐厨垃圾桶的上料机构
CN205708363U (zh) 垃圾车
CN209038336U (zh) 带垃圾桶清洗功能的车载高压清洗系统
KR101036740B1 (ko) 우수받이 연결관의 준설장치 및 방법
KR100928073B1 (ko) 복합식 준설차
CN106498997A (zh) 一种集开挖收集与搬运一体的清淤装置及清淤方法
KR101572986B1 (ko) 세차장 준설물 수거 운반차
CN203271917U (zh) 汽车发动机内部油污清除喷枪
CN114226380A (zh) 一种垃圾桶清洗机
CN206956639U (zh) 一种清扫车的扬尘过滤系统
CN107190843B (zh) 一种下水道清淤装置及其应用方法
JP2002127900A (ja) 列車整備の自動化システム
WO201719117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pleting a tank
KR102000097B1 (ko) 소형 다목적 준설 및 진공청소차
CN205308915U (zh) 地下卧罐机械喷洗与抽吸设备
KR101009156B1 (ko) 워터 젯을 이용한 차선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KR101049547B1 (ko) 회전노즐을 이용한 하수관 악취저감 준설공법
KR20100042517A (ko) 우수받이관 준설장치
KR101208228B1 (ko) 하수관 퇴적물 세정장치 및 준설공법
CN210853903U (zh) 自装卸垃圾车
CN203175614U (zh) 煤矿井下用吸污车
JP2578057B2 (ja) 地盤掘進工法における汚泥移送方法及び汚泥移送装置
CN214555962U (zh) 一种腔体型轨道清洗机
CN220810592U (zh) 一种生物柴油厨余原料用存储设备
CN205327025U (zh) 一种混凝土搅拌车冲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