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904B1 - 정수장 소형생물 방지체계 대응 스마트 밸브실 - Google Patents

정수장 소형생물 방지체계 대응 스마트 밸브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904B1
KR102583904B1 KR1020220173898A KR20220173898A KR102583904B1 KR 102583904 B1 KR102583904 B1 KR 102583904B1 KR 1020220173898 A KR1020220173898 A KR 1020220173898A KR 20220173898 A KR20220173898 A KR 20220173898A KR 102583904 B1 KR102583904 B1 KR 102583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ipe
water purification
purification plant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3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호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밸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밸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밸브
Priority to KR1020220173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9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8Arrangement of draining devices, e.g. manual shut-off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4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장 소형생물 방지체계 대응 스마트 밸브실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정수장에는 여과지 또는 활성탄지가 한 개에서 50개에 달해 이를 개별로 관리하는데 어려움 및 불편함이 있어 대형관로를 통과하는 정수한 수돗물에서 발생하는 초미세 유충을 제거하도록 대형관로를 분기하여 여러개의 듀얼필터 게이트를 설치하여 무단수로 듀얼필터 게이트를 순차적으로 여과하되, 필터가 유충에 의해 폐색되면 이를 감지하여 필터를 자동세척할 수 있으며, 정비 및 청소를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며 듀얼필터 게이트의 고장시 또는 정비시를 대비하여 스페어(대기) 듀얼필터 게이트를 설치한 스마트 밸브실에 관한 것으로 중앙집중식으로 원격관리가 가능한 정수장 소형생물 방지체계 대응 스마트 밸브실에 있다. 이는 여과지에서 가정으로 공급되기 전 정수한 수돗물이 통과하는 대형관로의 주위에 소형생물을 제거하기 위한 밸브실을 형성하되, 상기 밸브실은, 대형유입관로와 대형유출관로 사이에 분기관부를 형성하고, 상기 분기관부는 제1분기관부와 제2분기관부로 구분되며, 상기 제1분기관부와 제2분기관부 사이에 복수개의 연결관로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연결관로에 듀얼필터 게이트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정수장 소형생물 방지체계 대응 스마트 밸브실{Smart valve room for small organism prevention system in water purification plant}
본 발명은 정수장 소형생물 방지체계 대응 스마트 밸브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수장에는 여과지 또는 활성탄지가 한 개에서 50개에 달해 이를 개별로 관리하는데 어려움 및 불편함이 있어 가정으로 공급되기 전 대형관로를 통과하는 정수한 수돗물에서 발생하는 초미세 유충을 제거하도록 대형관로를 분기하여 여러개의 듀얼필터 게이트를 설치하여 무단수로 듀얼필터 게이트를 순차적으로 여과하되, 필터가 유충에 의해 폐색되면 이를 감지하여 필터를 자동세척할 수 있으며, 정비 및 청소를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며 듀얼필터 게이트의 고장시 또는 정비시를 대비하여 스페어(대기) 듀얼필터 게이트를 설치한 스마트 밸브실에 관한 것으로 중앙집중식으로 원격관리가 가능한 정수장 소형생물 방지체계 대응 스마트 밸브실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정수장에서는 하천의 물을 식수로 사용 가능하도록 정수한 후 배관을 통해 가정에 공급하고 있는데, 취수장, 정수장 또는 배수지에서 각종 날벌레 등의 살아 움직이는 유충이나 사멸되지 않은 사체가 포함된 정수된 물이 가정집으로 공급되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실제로, 최근 인천 수돗물에서 발견된 유충이 유래한 것으로 지목된 인천 공촌 정수장 외 6개 정수장에서도 유충 등이 일부 발견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환경부는 최근 공촌 정수장에 적용된 정수 설비인 활성탄 여과지가 설치된 전국 정수장 49개소를 15
Figure 112022134040921-pat00001
17일 긴급점검한 결과 인천 공촌 정수장을 포함한 7개 정수장에서 유충과 벌레의 일종인 등각류 등이 일부 발견되었다.
또한, 2022.09,.14일 JIPS 제주방송에서는 제주도 강정 정수장에서 발견된 유충크기가 타지역서 발견된 유충에 비해 월등히 작은데도 재발 방지책은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10-2338865호 " 여과성능이 향상되고 용이한 필터 교체구조를 가지는 필터 게이트"를 선등록받은 바있다.
상기 선등록된 특허는, 관로 상에 고정되는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바디의 내측에 승강되는 필터게이트와; 상기 필터게이트에 장착되어 관로 상에 흐르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게이트에 장착된 필터부가 상기 필터게이트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밸브바디의 상단에 구성되는 본네트; 및 상기 본네트에 구성되어 상기 밸브바디에서 필터게이트를 승강시키도록 이송력을 제공하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게이트와 이송부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이송부에 묻혀진 구리스가 필터게이트를 통해 관로의 내측으로 침투됨을 방지시켜 유체가 오염됨을 원천봉쇄하는 오일스키머; 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필터게이트의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측이 본네트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필터게이트를 승강시키는 이송축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축의 외주연에는 상기 이송축의 승강작용 중 외부로 노출됨을 방지시켜 상기 이송축을 보호 및 오염됨이 방지되도록 지지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필터게이트는, 대형관로에는 설치할 수 없고, 필터가 유충에 의해 폐색되면 이를 감지하여 필터를 자동세척할 수 없으며, 정비 및 청소를 원격제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특허 1: 특허 등록번호 10-2338865호(공고일자 2021년12월14일)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수장에는 여과지 또는 활성탄지가 한 개에서 50개에 달해 이를 개별로 관리하는데 어려움 및 불편함이 있어 가정으로 공급되기 전 대형관로를 통과하는 정수한 수돗물에서 발생하는 초미세 유충을 제거하도록 대형관로를 분기하여 여러개의 듀얼필터 게이트를 설치하여 무단수로 듀얼필터 게이트를 순차적으로 여과하되, 필터가 유충에 의해 폐색되면 이를 감지하여 필터를 자동세척할 수 있으며, 정비 및 청소를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며 듀얼필터 게이트의 고장시 또는 정비시를 대비하여 스페어(대기) 듀얼필터 게이트를 설치한 스마트 밸브실에 관한 것으로 중앙집중식으로 원격관리가 가능한 정수장 소형생물 방지체계 대응 스마트 밸브실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정수장 소형생물 방지체계 대응 스마트 밸브실은, 여러 여과지에서 가정으로 공급되기 전 정수한 수돗물이 통과하는 대형관로의 주위에 소형생물을 제거하기 위한 밸브실을 형성하되, 상기 밸브실은, 대형유입관로와 대형유출관로 사이에 분기관부를 형성하고, 상기 분기관부는 제1분기관부와 제2분기관부로 구분되며, 상기 제1분기관부와 제2분기관부 사이에 복수개의 연결관로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연결관로에 듀얼필터 게이트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밸브실은 사면을 격벽으로 폐쇄하고, 세척시 발생되는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세척수 드레인밸브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대형유입관로와 대형유출관로에는 대형 버터플라이밸브가 각각 설치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듀얼필터 게이트의 전,후에는 각각 소형 버터플라이밸브가 설치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제1분기관부와 제2분기관부에는 소형생물 및 이물질이 퇴적되는 퇴적공간이 형성되고, 이를 배출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드레일밸브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듀얼필터 게이트는, 연결관로 상에 고정되고, 유체가 유동되는 유로가 형성되어진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의 내측에서 승강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필터게이트; 상기 필터게이트에 장착되어 유로 상에 흐르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 및 유충을 여과시키는 정밀여과부; 상기 밸브바디의 상단에 구성되는 본네트; 상기 본네트에 구성되어 상기 필터게이트가 결합되어 승하강되는 것을 안내하는 안내봉; 및 상기 안내봉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게이트를 상승시키는 이송력을 제공하는 상기 밸브바디의 상측에 설치된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게이트가 상승된 위치에 상기 정밀여과부를 세척하도록 상기 본네트의 일측면에 설치되어진 세척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정밀여과부는, 프리필터와 메인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프리필터에 비해 상기 메인필터의 매쉬가 조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정밀여과부의 조립순서는 필터 보호 RIB, 필터 보호 메쉬, 프리필터, 프리필터 메쉬, 메인필터, 필터 보호 메쉬, 필터 보호 RIB 의 순으로 조립되고, 외각 둘레를 고무성형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세척부는,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을 상기 본네트에 고정하는 고정브라켓에 고정하며, 수조에 충진되어진 세척수를 펌프의 구동에 따라 상기 노즐로 분사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노즐은, 전자동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전,후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관로에 수압을 측정하도록 제1 압력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대형유출관로에 수압을 측정하도록 제2 압력센서가 구비되며, 여과지의 수위를 레벨센서로 감지하도록 하고, 상기 제1 압력센서와 제2 압력센서의 압력차가 설정된 값 이상으로 감지되고, 레벨센서의 수위가 기준값 이상으로 상승하면, 중앙통제실에서 정밀여과부가 폐색되었다고 판단하고, 발생된 신호에 의해 상기 필터게이트를 액츄에이터로 상승시킴과 아울러 상기 펌프를 구동하여 노즐을 통해 정밀여과부를 세척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관로상에 설치된 상기 제1버터플라이밸브 및 제2버터플라이밸브를 차단하고 상기 필터게이트를 액츄에이터로 상승시킴과 아울러 상기 펌프를 구동하여 노즐을 통해 정밀여과부를 세척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필터게이트는, 한쌍으로 이루어져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닫혀 있도록 하고, 상승된 필터게이트의 정밀여과부의 세척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연속적인 정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관로에는 벨로즈부를 적용하여 상기 밸브바디의 설치 및 정비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듀얼 필터 게이트, 버터플라이밸브, 드레인밸브의 작동중 멈춤 또는 정지가 되는 이상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CCTV 및 IOT를 활용하여 원격으로 감시 또는 통제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 소형생물 방지체계 대응 스마트 밸브실은, 여과지에서 가정으로 공급되기 전 대형관로를 통과하는 정수한 수돗물에서 발생하는 초미세 유충을 제거하도록 대형관로를 분기하여 여러개의 듀얼필터 게이트를 설치하여 무단수로 듀얼필터 게이트를 순차적으로 여과하되, 필터가 유충에 의해 폐색되면 이를 감지하여 필터를 자동세척할 수 있으며, 정비 및 청소를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 소형생물 방지체계 대응 스마트 밸브실은, 듀얼필터 게이트의 고장시 또는 정비시를 대비하여 스페어(대기) 듀얼필터 게이트를 설치하여 중앙집중식으로 원격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 소형생물 방지체계 대응 스마트 밸브실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 소형생물 방지체계 대응 스마트 밸브실의 배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필터 게이트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필터 게이트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필터 게이트의 정밀여과부의 요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필터 게이트의 정밀여과부의 조립순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필터 게이트의 노즐이 전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 소형생물 방지체계 대응 스마트 밸브실(100)은, 여과지에서 가정으로 공급되기 전 정수한 수돗물이 통과하는 대형관로의 주위에 소형생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밸브실(100)은, 대형유입관로(110)와 대형유출관로(120) 사이에 분기관부를 형성하고, 상기 분기관부는 제1분기관부(130)와 제2분기관부(140)로 구분되며, 상기 제1분기관부(130)와 제2분기관부(140) 사이에 복수개의 연결관로(150)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연결관로(150)에 듀얼필터 게이트(160)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밸브실(100)은 사면을 격벽(170)으로 폐쇄하고, 세척시 발생되는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세척수 드레인밸브(171)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으로, 격벽(170)은 벽돌이나 콘크리트를 활용하며, 세척수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대형유입관로(110)와 대형유출관로(120)에는 대형 버터플라이밸브(180)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 비상 상황이 발생되면 급수를 차단할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듀얼필터 게이트(160)의 전,후에는 각각 소형 버터플라이밸브(190)가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개방 및 차단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분기관부(130)와 제2분기관부(140)에는 소형생물 및 이물질이 퇴적되는 퇴적공간이 형성되고, 이를 배출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드레인밸브(151)를 설치하여 청소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듀얼필터 게이트(160)는, 밸브바디(161), 필터게이트(162), 정밀여과부(163), 본네트(164), 안내봉(165), 액츄에이터(166) 및 세척부(167)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바디(161)는, 연결관로(150) 상에 고정되고, 유체가 유동되는 유로가 형성되어진다.
또한, 밸브바디(161)의 하측에는 공간부(161b)가 형성되어 유충이나 이물질이 쌓일 수 있있으므로, 일측에 분사노즐(161c)이 설치되고, 타측에 배출구(161d)를 형성하여 청소 등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로(150)의 일측에는 수압을 측정하도록 제1압력센서(152)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제2압력센서(153)가 구비된다.
또한, 여과지의 수위를 레벨센서(154)로 감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관로(150)에는 벨로즈부(155)를 적용하여 상기 밸브바디(161)의 설치 및 정비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필터게이트(162)는, 상기 밸브바디(161)의 내측에서 승강되며, 두개 이상으로 설치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한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일예로 설명한다.
상기 정밀여과부(163)는, 상기 필터게이트(162)에 장착되어 유로(161a) 상에 흐르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 및 유충을 여과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정밀여과부(163)는, 프리필터(163c)와 메인필터(163e)를 포함하며, 상기 프리필터(163c)에 비해 상기 메인필터(163e)의 매쉬가 조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정밀여과부(163)의 조립순서는 필터 보호 RIB(163a), 필터 보호 메쉬(163b), 프리필터(163c), 프리필터 메쉬(163d), 메인필터(163e), 필터 보호 메쉬(163f), 필터 보호 RIB(163g) 의 순으로 조립되고, 외각 둘레를 고무성형하여 테두리부(163h)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필터 등은 고내식, 고강도 소재를 활용된다.
또한, 상기 정밀여과부(163)는 여과망 형태로 이루어져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네트(164)는 밸브바디(161)의 상단에 구성되어, 액츄에이터(166)의 이송력에 의해 승강되는 필터게이트(162)의 안정적인 승강을 지지하도록 안내봉(165)이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본네트(164)는 밸브바디(161)의 상단에 일정높이로 형성되되, 전후면이 개방되어 있다.
상기 안내봉(165)은, 상기 본네트(164)에 구성되어 상기 필터게이트(162)가 결합되어 승하강되는 것을 안내하는 것이다.
상기 액츄에이터(166)는, 상기 안내봉(165)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게이트(162)를 상승시키는 이송력을 제공하는 상기 밸브바디(161)의 상측에 설치된 것으로, 모터 및 감속기 등을 포함하다.
그리고, 상기 액츄에이터(166), 밸브 및 센서 등은 중앙통제실(210)과 통신모듈로 연결되어 원격제어가 가능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청소 및 정비 등을 무인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실(100) 내부에는 CCTV(200)가 설치되고, CCTV(200)를 통해 중앙통제실(210)에서 밸브실 상황을 항상 점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듀얼필터 게이트(160), 대형 버터플라이밸브(180), 소형 버터플라이밸브(190), 세척수 드레인밸브(171), 드레인밸브(151) 등의 작동 중 멈춤 또는 정지가 되는 이상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CCTV(200) 및 IOT를 활용하여 원격으로 감시 또는 통제를 할 수 있다.
상기 세척부(167)는, 상기 필터게이트(162)가 상승된 위치에 상기 정밀여과부(163)를 세척하도록 상기 본네트(164)의 일측면에 설치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세척부(167)는, 노즐(167a)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167a)을 상기 본네트(164)에 고정하는 고정브라켓(167b)에 고정하며, 수조(167c)에 충진되어진 세척수를 펌프(167d)의 구동에 따라 상기 노즐(167a)로 분사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노즐(167a)은, 전자동 액츄에이터(167e)를 이용하여 전,후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으로, 한쌍으로 이루어진 필터게이트(162)에 결합된 정밀여과부(163)의 거리에 따라 노즐(167a)의 위치를 전,후로 변경하도록 하는 것이다(도 7 참고)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 소형생물 방지체계 대응 스마트 밸브실(100)은, 여과지에서 가정으로 공급되기 전 정수한 수돗물이 통과하는 대형유입관로(110)와 대형유출관로(120)에 설치하게 되며, 사면을 격벽(170)으로 폐쇄하고, 내부에 설치된 CCTV(200)를 통해 중앙통제실(210)에서 내부의 상황을 점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대형유입관로(110)와 대형유출관로(120) 사이의 설치된 제1분기관부(130)와 제2분기관부(140)를 연결관로(150)로 연결하고, 상기 연결관로(150)에 복수개 설치된 필터게이트(162)를 순차적으로 개방 및 폐쇄시켜 소형생물 및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여기서, 하나의 필터게이트(162)에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정밀여과부(163)의 프리필터(163c)에 1차로 소형생물 및 이물질 등이 여과됨과 아울러 미세한 유충은 2차로 메인필터(163e)에서 여과된 후 완전히 수돗물만 공급되어진다.
일정한 시간이 흘러 정밀여과부(163)에 소형생물 및 이물질 등에 의해 폐색되면, 연결관로(150)의 제1압력센서(152)와 제2압력센서(153)의 압력차(1 ~ 50 kPa)가 설정된 값 이상으로 감지됨과 아울러 여과지의 레벨센서(154)의 수위가 기준값에서 500mm 상승하게 되면, 중앙통제실(210)에서 정밀여과부(163)가 폐색되었다고 판단하고, 발생된 신호에 의해 상기 필터게이트(162)를 액츄에이터(166)로 상승시킴과 아울러 상기 펌프(167d)를 구동하여 노즐(167a)을 통해 정밀여과부(163)를 세척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필터게이트(162)는, 한쌍으로 이루어져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닫혀 있도록 하고, 상승된 필터게이트(162)의 정밀여과부(163)를 세척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정수공급을 차단하지 않고, 연속적인 정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세척작업시 노즐(167a)을 전자동 액츄에이터(167e)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함으로 도면상 좌,우측의 필터게이트(162)를 세척할 때 노즐의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연결관로(150)의 필터케이트의 양측에 설치된 소형 버터플라이밸브(190)를 차단하여 유체의 흐름을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필터게이트(162)를 액츄에이터(166)로 상승시킴과 아울러 상기 펌프(167d)를 구동하여 노즐(167a)을 통해 정밀여과부(163)를 세척할 수 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100: 정수장 소형생물 방지체계 대응 스마트 밸브실
110: 대형유입관로 120: 대형유출관로
130: 제1분기관부 140; 제2분기관부
150: 연결관로 151: 드레인밸브
152: 제1압력센서 153: 제2압력센서
154: 레벨센서 155: 벨로즈부
160: 듀얼필터 게이트 161: 밸브바디
161a: 유로 161b: 공간부
161c: 분사노즐 161d: 배출구
162: 필터게이트 163: 정밀여과부
163a: 필터 보호 RIB 163b: 필터 보호 메쉬
163c: 프리필터 163d: 프리필터 메쉬
163e: 메인필터 163f: 필터 보호 메쉬
163g: 필터 보호 RIB 163h: 테두리부
164: 본네트 165: 안내봉
166: 액츄에이터 167: 세척부
167a: 노즐 167b: 고정브라켓
167c: 수조 167d: 펌프
167e: 전자동 액츄에이터 170: 격벽
171: 세척수 드레인밸브 180: 대형 버터플라이밸브
190; 소형 버터플라이밸브 200: CCTV
210: 중앙통제실

Claims (15)

  1. 여과지에서 가정으로 공급되기 전 정수한 수돗물이 통과하는 대형관로의 주위에 소형생물을 제거하기 위한 밸브실을 형성하되,
    상기 밸브실은, 대형유입관로와 대형유출관로 사이에 분기관부를 형성하고,
    상기 분기관부는 제1분기관부와 제2분기관부로 구분되며,
    상기 제1분기관부와 제2분기관부 사이에 복수개의 연결관로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연결관로에 듀얼필터 게이트를 설치하도록 하고,
    상기 밸브실은 사면을 격벽으로 폐쇄하고, 세척시 발생되는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세척수 드레인밸브를 설치하도록 하며,
    상기 대형유입관로와 대형유출관로에는 대형 버터플라이밸브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듀얼필터 게이트의 전,후에는 각각 소형 버터플라이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제1분기관부와 제2분기관부에는 소형생물 및 이물질이 퇴적되는 퇴적공간이 형성되고, 이를 배출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드레일밸브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소형생물 방지체계 대응 스마트 밸브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필터 게이트는, 연결관로 상에 고정되고, 유체가 유동되는 유로가 형성되어진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의 내측에서 승강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필터게이트;
    상기 필터게이트에 장착되어 유로 상에 흐르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 및 유충을 여과시키는 정밀여과부;
    상기 밸브바디의 상단에 구성되는 본네트;
    상기 본네트에 구성되어 상기 필터게이트가 결합되어 승하강되는 것을 안내하는 안내봉; 및
    상기 안내봉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게이트를 상승시키는 이송력을 제공하는 상기 밸브바디의 상측에 설치된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게이트가 상승된 위치에 상기 정밀여과부를 세척하도록 상기 본네트의 일측면에 설치되어진 세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소형생물 방지체계 대응 스마트 밸브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밀여과부는, 프리필터와 메인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프리필터에 비해 상기 메인필터의 매쉬가 조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소형생물 방지체계 대응 스마트 밸브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밀여과부의 조립순서는 필터 보호 RIB, 필터 보호 메쉬, 프리필터, 프리필터 메쉬, 메인필터, 필터 보호 메쉬, 필터 보호 RIB 의 순으로 조립되고, 외각 둘레를 고무성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소형생물 방지체계 대응 스마트 밸브실.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을 상기 본네트에 고정하는 고정브라켓에 고정하며, 수조에 충진되어진 세척수를 펌프의 구동에 따라 상기 노즐로 분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소형생물 방지체계 대응 스마트 밸브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전자동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전,후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소형생물 방지체계 대응 스마트 밸브실.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로에 수압을 측정하도록 제1 압력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대형유출관로에 수압을 측정하도록 제2 압력센서가 구비되며,
    여과지의 수위를 레벨센서로 감지하도록 하고,
    상기 제1 압력센서와 제2 압력센서의 압력차가 설정된 값 이상으로 감지되고, 레벨센서의 수위가 기준값 이상으로 상승하면, 중앙통제실에서 정밀여과부가 폐색되었다고 판단하고, 발생된 신호에 의해 상기 필터게이트를 액츄에이터로 상승시킴과 아울러 상기 펌프를 구동하여 노즐을 통해 정밀여과부를 세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소형생물 방지체계 대응 스마트 밸브실.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로상에 설치된 상기 소형 버터플라이밸브를 차단하고 상기 필터게이트를 액츄에이터로 상승시킴과 아울러 상기 펌프를 구동하여 노즐을 통해 정밀여과부를 세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소형생물 방지체계 대응 스마트 밸브실.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게이트는, 한쌍으로 이루어져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닫혀 있도록 하고, 상승된 필터게이트의 정밀여과부의 세척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연속적인 정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소형생물 방지체계 대응 스마트 밸브실.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로에는 벨로즈부를 적용하여 상기 밸브바디의 설치 및 정비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소형생물 방지체계 대응 스마트 밸브실.
  15. 제11항,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필터게이트, 소형 버터플라이밸브 등의 작동 중 멈춤 또는 정지가 되는 이상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CCTV 및 IOT를 활용하여 원격으로 감시 또는 통제를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소형생물 방지체계 대응 스마트 밸브실.
KR1020220173898A 2022-12-13 2022-12-13 정수장 소형생물 방지체계 대응 스마트 밸브실 KR102583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3898A KR102583904B1 (ko) 2022-12-13 2022-12-13 정수장 소형생물 방지체계 대응 스마트 밸브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3898A KR102583904B1 (ko) 2022-12-13 2022-12-13 정수장 소형생물 방지체계 대응 스마트 밸브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3904B1 true KR102583904B1 (ko) 2023-10-05

Family

ID=88293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3898A KR102583904B1 (ko) 2022-12-13 2022-12-13 정수장 소형생물 방지체계 대응 스마트 밸브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90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2907A (ko) * 2009-12-04 2011-06-10 주식회사 포스코 스테인레스강 산세 슬러지 회수장치
KR101637049B1 (ko) * 2011-05-16 2016-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KR102304127B1 (ko) * 2021-05-03 2021-09-23 주식회사 현대밸브 배관 상의 필터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338865B1 (ko) 2021-06-22 2021-12-14 주식회사 현대밸브 여과성능이 향상되고 용이한 필터 교체구조를 가지는 필터 게이트
KR102373256B1 (ko) * 2021-12-08 2022-03-10 김선애 자력스크린을 구비한 나이프 게이트 밸브
KR102391446B1 (ko) * 2021-12-27 2022-04-28 주식회사 현대밸브 수위 기반의 필터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2907A (ko) * 2009-12-04 2011-06-10 주식회사 포스코 스테인레스강 산세 슬러지 회수장치
KR101637049B1 (ko) * 2011-05-16 2016-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KR102304127B1 (ko) * 2021-05-03 2021-09-23 주식회사 현대밸브 배관 상의 필터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338865B1 (ko) 2021-06-22 2021-12-14 주식회사 현대밸브 여과성능이 향상되고 용이한 필터 교체구조를 가지는 필터 게이트
KR102373256B1 (ko) * 2021-12-08 2022-03-10 김선애 자력스크린을 구비한 나이프 게이트 밸브
KR102391446B1 (ko) * 2021-12-27 2022-04-28 주식회사 현대밸브 수위 기반의 필터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7735B1 (ko) 스마트 자동세척 듀얼필터 게이트
KR102081960B1 (ko) 구동챔버 변동형 여과방식을 이용한 역세척자동화 비점오염저감시스템
US4627118A (en) Vacuum filter for swimming pools controlling water recirculation capacity to accommodate varying gutter flow
KR102065570B1 (ko) 다층 구조 어류 사육용 수조
CN202380513U (zh) 一种雨水弃流池
KR102583904B1 (ko) 정수장 소형생물 방지체계 대응 스마트 밸브실
US20110042311A1 (en) Membrane system
KR102527734B1 (ko) 무단수 게이트형 자동세척 듀얼필터 정밀여과기
KR101208694B1 (ko) 우수의 여과장치
JP6544525B2 (ja) 逆流洗浄装置移動型ろ過装置、逆流洗浄装置、逆流洗浄方法
JP5253466B2 (ja) スローダウン方式の洗浄手段を備えた自然平衡形ろ過装置と方法
KR100523853B1 (ko) 다가구 주택용 물탱크의 여과 장치
CN204745769U (zh) 重力式无阀过滤器
CN110496429B (zh) 一种智能型自清洗节水循环冲洗装置
KR101067404B1 (ko) 수중 전단면 오염물질 배출 및 수위 제어 장치
KR20160072555A (ko) 정체수 배재 및 역세척 설비를 이용한 비점오염저감시설
CN212440240U (zh) 一种自动清洗滤网式鱼池旋流固液分离及水位控制装置
CN211799300U (zh) 一种观赏水用反冲洗过滤箱
CN114790765A (zh) 一种用于生态园林的雨水收集循环设备
CN210737727U (zh) 一种市政排水改道装置
CN208511963U (zh) 一种具备电磁液位控制自动化反冲洗装置的废水处理系统
CN202090425U (zh) 大水流全封闭防臭易清洗地漏
KR100718547B1 (ko) 회전식 상향류 수질 여과 장치
KR200292207Y1 (ko) 무인 자동화 정수장치
KR102556443B1 (ko) 원터치 필터 게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