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8865B1 - 여과성능이 향상되고 용이한 필터 교체구조를 가지는 필터 게이트 - Google Patents

여과성능이 향상되고 용이한 필터 교체구조를 가지는 필터 게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8865B1
KR102338865B1 KR1020210080989A KR20210080989A KR102338865B1 KR 102338865 B1 KR102338865 B1 KR 102338865B1 KR 1020210080989 A KR1020210080989 A KR 1020210080989A KR 20210080989 A KR20210080989 A KR 20210080989A KR 102338865 B1 KR102338865 B1 KR 102338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gate
filter gate
unit
val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0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호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밸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밸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밸브
Priority to KR1020210080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88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4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8Arrangement of draining devices, e.g. manual shut-off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성능이 향상되고 용이한 필터 교체구조를 가지는 필터 게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필터게이트에 필터부가 안정적으로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브라켓이 구성되고, 상기 필터게이트와 고정브라켓 사이에 구성되는 고정부를 착탈이 용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필터게이트에서 필터부의 탈,부착이 용이한 작업의 편리성과 필터부의 용이한 교체에 의한 관로에 흐르는 유체의 여과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관로 상에 고정되는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바디의 내측에 승강되는 필터게이트와; 상기 필터게이트에 장착되어 관로 상에 흐르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게이트에 장착된 필터부가 상기 필터게이트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밸브바디의 상단에 구성되는 본네트; 및 상기 본네트에 구성되어 상기 밸브바디에서 필터게이트를 승강시키도록 이송력을 제공하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게이트와 이송부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이송부에 묻혀진 구리스가 필터게이트를 통해 관로의 내측으로 침투됨을 방지시켜 유체가 오염됨을 원천봉쇄하는 오일스키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여과성능이 향상되고 용이한 필터 교체구조를 가지는 필터 게이트{Filter gate with improved filtration performance and easy filter replacement structure}
본 발명은 여과성능이 향상되고 용이한 필터 교체구조를 가지는 필터 게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게이트에 필터부가 안정적으로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브라켓이 구성되고, 상기 필터게이트와 고정브라켓 사이에 구성되는 고정부를 착탈이 용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필터게이트에서 필터부의 탈,부착이 용이한 작업의 편리성과 필터부의 용이한 교체에 의한 관로에 흐르는 유체의 여과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용이한 필터 교체구조를 가지는 필터 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돗물은 하천이나 댐의 물을 정수장에서 응집, 침전, 여과, 소독과정의 표준정수처리 또는 표준정수처리에 오존 산화와 활성탄 흡착처리를 추가하는 고도정수처리 단계를 거쳐 정수한 후 배관을 통해 가정으로 공급하고 있다.
배관 내에 존재하는 스케일 등의 이물질은 배관 내의 물 흐름 방향 및 유속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배관에서 떨어져 나와 가정이나 저수조에 도달하여 적수를 유발한다. 또한, 취수장, 정수장이나 배수지에서의 각종 날벌레의 유입으로 염소소독에도 사멸되지 않은 살아 움직이는 유충이나 사멸된 사체가 가정집에 공급되어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는 사례도 있었다.
이러한, 배관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타공망으로 이루어진 스테이너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 데, 종래의 일례로 등록실용신안 제20-383870호의 제수밸브 일체형 스트레이너는 관로 사이에 몸체가 결합되고, 내부에 디스크를 상,하 이동시켜 유체 통로를 단속하는 제수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수밸브의 유체 배출구 쪽 몸체에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형성되는 스트레이너 삽입홈과, 상기 스트레이너 삽입홈에 끼워져 유체와 함께 흐르는 이물질을 걸러주고 타공망으로 W자 형상을 갖게 제작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 삽입홈의 상부를 패킹을 대고 막아주고 내부의 스트레이너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과, 상기 투명창을 몸체에 결합시키는 결합구를 구비한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스트레이너를 교환이나 세척하기 위해서는 볼트 결합되어진 결합구를 몸체에서 분리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신속하게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즉, 소형의 밸브에서는 결합구의 분리가 어렵지 않게 되지만 대형의 밸브에서는 결합구의 무게 등으로 작업이 지연되어 신속하게 교환이나 세척 등의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상기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출원인의 선특허 제10-2226300호의 필터 제수밸브는 유체가 흐르는 관로 상에 설치되도록 좌, 우측에 플랜지가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의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 연통된 게이트홈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밸브바디와, 상기 게이트홈에 결합되어 승하강되는 게이트, 및 상기 게이트에 결합되어 유체상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거름망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거름망 조립체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망사체와, 상기 망사체의 외주면을 양측면에서 지지하는 지지링체와, 상기 지지링체에 지지되어진 망사체가 압착되며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결합돌기가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어진 거름망 플레이트와, 상기 거름망 플레이트에 결합되어진 망사체를 고정하도록 하는 거름망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본 출원인의 종래기술은 필터의 탈부착이 좀 더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과 함께, 다수의 링이 볼트에 의해 체결, 고정됨으로써 구조가 복잡해지고, 이와 더불어 링의 크기가 커짐으로 인해 유로면적이 작아질 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 유량이 덜 통과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2226300호(2021.03.11.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383870호(2005.05.10.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게이트에 필터부가 안정적으로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브라켓이 구성되고, 상기 필터게이트와 고정브라켓 사이에 구성되는 고정부를 착탈이 용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필터게이트에서 필터부의 탈,부착이 용이한 작업의 편리성과 필터부의 용이한 교체에 의한 관로에 흐르는 유체의 여과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용이한 필터 교체구조를 가지는 필터 게이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관로 상에 고정되는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바디의 내측에 승강되는 필터게이트와; 상기 필터게이트에 장착되어 관로 상에 흐르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게이트에 장착된 필터부가 상기 필터게이트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밸브바디의 상단에 구성되는 본네트; 및 상기 본네트에 구성되어 상기 밸브바디에서 필터게이트를 승강시키도록 이송력을 제공하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게이트와 이송부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이송부에 묻혀진 구리스가 필터게이트를 통해 관로의 내측으로 침투됨을 방지시켜 유체가 오염됨을 원천봉쇄하는 오일스키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네트에는 외부로 개방된 개방단을 개폐시킴에 따라 상기 개방단으로 이물질이 침투됨과 함께 이송부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필터게이트는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의 바닥면에 일정간격으로 지지대를 형성시켜 유체의 흐름을 간섭하지 않음과 함께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필터부의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필터게이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망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관로에 흐르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의 걸러짐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여과체와, 상기 여과체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필터게이트의 안착홈에 안착되면 밀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밀폐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필터게이트와 고정브라켓 사이에는 상기 필터게이트의 안착홈에 안착된 고정브라켓이 확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체결나사, 회동스톱퍼형, 스냅단추형, 또는 푸쉬업스위치형;중 어느 하나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어는, 단문형, 양문형 또는 셔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송부는, 필터게이트의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측이 본네트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필터게이트를 승강시키는 이송축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축의 외주연에는 상기 이송축의 승강작용 중 외부로 노출됨을 방지시켜 상기 이송축을 보호 및 오염됨이 방지되도록 지지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게이트에 필터부가 안정적으로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브라켓이 구성되고, 상기 필터게이트와 고정브라켓 사이에 구성되는 고정부를 착탈이 용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필터게이트에서 필터부의 탈,부착이 용이한 작업의 편리성과 필터부의 용이한 교체에 의한 관로에 흐르는 유체의 여과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필터 제수밸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본네트에 도어가 장착된 상태도로서,
2a는 단문형이고, 2b는 양문형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이송부에 오일스키머가 장착된 확대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필터게이트와 필터부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필터게이트의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필터부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정브라켓의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회동스톱퍼형의 도면으로서,
9a는 필터게이트의 사시도이고, 9b는 필터게이트의 측방 반단면도이며, 9c는 필터게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스냅단추형의 도면으로서,
10a는 필터게이트의 분해사시도이고, 10b는 필터게이트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푸쉬업스위치형의 도면으로서,
11a는 필터게이트의 분해사시도이고, 11b는 필터게이트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필터게이트의 도면으로서,
12a는 사시도이고, 12b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필터게이트의 도면으로서,
13a는 사시도이고, 13b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 예>
제1실시 예의 필터 게이트는, 밸브바디(10)와, 필터게이트(20)와, 필터부(30)와, 고정브라켓(40)과, 본네트(50)와, 이송부(60)와, 오일스키머(7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필터 제수밸브는 본 출원인의 선특허 제10-2226300호에 대한 개량발명으로서, 선특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밸브바디(10)는 상수 관로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밸브바디(10)에는 크레인 등과 같은 운반장치를 이용하여 필터 제수밸브를 관로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지지함으로써, 설치의 편리성을 제공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볼트(110)를 포함한다.
상기 아이볼트(110)는 평상시 즉, 필터 제수밸브를 이동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밸브바디(10)의 표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하고, 필터 제수밸브를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 밸브바디(10)의 외부로 돌출시켜 크레인 등과 같은 운반장치에 구성된 후크에 걸림되도록 구성한다.
필터게이트(2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바디(10)의 내측에 구성되어, 필터부(30)가 장착됨과 함께, 상기 필터부(30)가 승강됨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필터게이트(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필터게이트(20)의 상단에는 이송부(60)의 일단이 구성되어, 상기 이송부(60)에서 제공되는 승강력에 의해 밸브바디(10)에서 승강된다.
또한, 상기 필터게이트(20)에는 필터부(30) 및 고정브라켓(40)이 안착되도록 일정깊이를 가지는 안착홈(2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필터게이트(20)에는 상기 안착홈(210)에 안착된 필터부(20)가 관로를 따라 흐르는 유체압력에 의해 안착홈(210)에서 이탈됨을 방지하면서 유체의 흐름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지지망(22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망(220)은 상기 안착홈(210)의 바닥면에서 타방으로 일정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대 형상이 형성됨에 따라 필터부(30)의 이탈을 방지시킴과 함께 유체의 흐름을 간섭하지 않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지지망(220)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지지대가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교차된 격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이공간으로 유체가 흐르도록 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지지망(220)은 안착홈(210)에 안착된 필터부(30)의 이탈방지 및 유체의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 또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채택 가능하다. 예컨대, 지지망(220)은 망사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망(220)은 필터게이트(20)에 일정깊이의 안착홈(210)을 형성한 후 레이저 등의 정밀 절단가공장치를 이용하여 다수의 지지대가 형성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필터게이트(20)에 지지망(220)이 일체화된 상태를 유지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안착홈(210)에서 타방에서 관통된 관통공을 형성한 후 상기 관통공에 다수의 지지대가 형성된 지지망(220)을 위치시켜 용접 또는 체결수단으로 고정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필터게이트(20)에는 안착홈(210)에 안착된 필터부(30) 사이에 기밀성을 유지시켜 유체가 필터부(30)와 지지망(220) 외의 다른 부분으로 흐름됨을 방지시키도록 패킹(22)이 안착되는 일정깊이의 패킹안착홈(230)이 형성된다.
상기 패킹(22)은 필터게이트(20)와 필터부(30) 사이에 기밀성을 유지시키도록 하는 재질 및 형상이나 구조로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패킹(22)은 오링이다.
또한, 상기 필터게이트(2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210)의 외주연에 일정길이와 폭을 가지며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210)에 고정브라켓(40)이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고정홈(240)이 형성된다.
상기 위치고정홈(240)은 안착홈(210)의 외주연에 일정길이와 폭을 가지면서 방사형으로 복수로 형성되되, 고정브라켓(40)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필터게이트(20)에 고정브라켓(40)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위치고정홈(240)은 상기 안착홈(210)과 동일한 깊이로 형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위치고정홈(240)은 생략 가능하고, 이 경우 상기 위치고정홈(240)을 생략할 경우 고정브라켓(40)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위치고정홈(240)에는 필터게이트(20)에 고정브라켓(4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지지하는 고정부의 일종인 체결나사가 체결되도록 일정깊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250)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공(250)은 상기 위치고정홈(24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고정부의 일종인 체결나사가 체결되도록 함에 따라 안착홈(210)에 안착된 필터부(30)가 고정브라켓(40)의 고정에 의해 확고한 안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필터부(30)는 필터게이트(20)의 안착홈(210)에 안착되어, 관로를 흐르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실질적으로 여과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필터부(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체(310) 및 밀폐링(320)을 포함한다.
상기 여과체(310)는 관로를 흐르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실질적으로 여과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밀폐링(320)은 상기 여과체(310)의 외주연에 구성되어, 필터게이트(20)의 안착홈(210)에 안착되면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밀폐링(320)은 연질의 고무 또는 실리콘 등으로 구성된다.
고벙브라켓(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게이트(20)의 안착홈(210)에 삽입되어 필터부(30)가 안착홈(210)에 확고하게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고정브라켓(4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40)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안착홈(210)에 안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40)의 외주연은 안착홈(210)의 외주연에 형성된 위치고정홈(240)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위치고정홈(240)에 삽입이 이루어져 안정적인 삽입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안착핀(410)을 포함한다.
상기 안착핀(410)에는 고정부의 일종인 체결나사가 삽입되는 삽입공(42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안착핀(410)은 필터게이트(20)의 위치고정홈(240)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고정부의 일종인 체결나사에 의해 필터게이트(20)의 안착홈(210)에 삽입된 고정브라켓(40)이 체결, 고정되도록 삽입공(420)은 체결공(250)과 대응되게 구성된다.
본네트(50)는 밸브바디(10)의 상방에 구성되어, 이송부(60)의 이송력에 의해 승강되는 필터게이트(20)의 안정적인 승강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본네트(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바디(10)의 상단에 일정높이로 형성되되, 전면이 개방된 개방단(5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네트(50)의 내측에는 필터게이트(20)가 승강될 때 상기 필터게이트(20)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네트(50)의 개방단(510)에는 상기 본네트(50)의 내측으로 이물질이 임의 침투됨을 방지시켜 특히, 상수관로로 이물질 침투의 염려에 대한 가시적 효과를 가지도록 하는 도어(520)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5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경첩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경첩을 중심으로 회동됨에 따라 개방단(510)을 개폐시키도록 하는 여닫이방식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520)는 도 2a에 같이 하나의 도어(520)로 개방단(510)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문형이고, 또는 상기 도어(52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단(510)에 복수의 도어(520)가 구성되는 양문형이다.
아울러, 상기 도어(520)는 투명재질의 아크릴 또는 스텐레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송부(60)는 필터게이트(20)에 이송력을 제공하여, 상기 필터게이트(20)가 승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필터게이트(20)에 구성되는 필터부(30)의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이송부(60)는 이송축(610)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축(610)은 하단이 필터게이트(20)에 고정되고, 상단부가 본네트(50)에 체결되어, 상기 이송축(610)의 회전방향에 따라 본네트(50)에 지지되면서 승강함으로써, 상기 이송축(610)의 하단에 고정된 필터게이트(20)가 승강된다. 이 경우, 상기 이송축(610)은 스크류축이다.
또한, 상기 이송부(60)에는 상기 이송축(61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이 구성된다. 상기 구동수단은 수동일 경우에 상기 이송축(610)의 상단에 핸들이 구성되고, 자동일 경우 원동기와 상기 원동기의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부재에 이송축(610)이 구성된다.
오일스키머(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축(610)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이송축(610)에 묻혀진 구리스(grease)가 이송축(610)의 하단을 통해 관로로 침투됨을 예방하여, 특히 상수관로에 흐르는 상수를 오염시킴을 원천봉쇄하도록 한다.
상기 오일스키머(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710), 및 흡착스펀지(720)를 포함한다.
상기 챔버(710)는 필터게이트(20)와 이송축(610) 사이 즉, 상기 필터게이트(20)의 상단에 구성되어, 내측에 흡착스펀지(720)를 수용하도록 한다.
상기 흡착스펀지(720)는 챔버(710) 내에 수용되고, 이송축(610)의 외주연에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송축(610)에 묻혀진 구리스가 하방으로 낙하되지 않고, 상기 흡착스펀지(720)에 묻혀지도록 유도함으로써, 상기 구리스가 필터게이트(20) 등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필터 제수밸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게이트(20)의 안착홈(210)에 필터부(30)와 고정브라켓(40)을 순차적으로 안착시킨 후 상기 고정브라켓(40)의 삽입공(420)으로 고정부의 일종인 체결나사를 삽입시켜, 상기 체결나사의 일단이 삽입공(420)을 관통하여 체결공(250)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필터게이트(20)에 필터부(30)가 확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게이트(20)가 관로 상에 위치되면, 상기 관로에 흐르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려지도록 하고, 일정시간 여과작용 후 이송부(60)에서 상승력이 제공됨에 따라 상기 필터게이트(20)를 상승시켜, 상기 필터게이트(20)에 구성된 필터부(30)에 걸려진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한다.
또는, 상기 필터게이트(20)의 필터부(30)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 상기 필터게이트(20)에 체결된 체결나사를 해체시켜 상기 필터부(30)를 교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부(60)의 이송축(610)에는 구리스를 묻혀 상기 이송축(610)의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한, 상기 이송축(610)에 묻혀진 구리스가 이송축(610)을 따라 하방으로 낙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게이트(20)의 상단에 구성된 챔버(710)에 수용된 흡착스펀지(720)에 구리스의 하방으로 이송됨을 차단시켜 상기 구리스가 관로로 침투됨을 원천봉쇄시켜 관로의 오염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필터부(30)는 본 출원인의 선특허 제10-2226300호에서처럼 망사체를 양단 각각에 지지링체를 구성하는 거름망조립체에 비해 구조의 간편성으로 유지보수가 편리하다는 효과와 함께, 제조단가를 하락시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한다.
특히, 본 발명의 필터부(30)는 여과체(310)의 외주연에 밀폐링(320)으로 구성됨에 따른 단면적을 최소화시켜, 필터게이트(20)의 안착홈(210)에 안착되는 유로면적을 선특허에 비해 넓어지도록 함으로써, 필터게이트(20)에 필터부(30)에 작용하는 유량의 유로면적을 확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네트(50)의 개방단(510)에 도어(520)가 구성되어, 상기 개방단(510)으로 이물질이 임의 침투됨을 방지함과 함께, 필터부(30)를 상승시켜 세척할 때 비산되는 세척물 또는 이물질이 주변으로 흩어짐을 방지시켜 필터 게이트 주변의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제2실시 예>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 예의 필터 제수밸브에는 필터게이트(20)의 안착홈(210)에 안착된 필터부(30)와 고정브라켓(40)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고정부를 착탈이 용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필터게이트(20)에서 필터부(30)의 탈,부착 작용이 용이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켰다.
즉, 제1실시 예의 고정부는 체결나사로 형성함에 따라 상기 체결나사를 조임 또는 풀림하는 체결방식의 불편성을 개선시키도록 한다.
제2실시 예의 고정부는 회동스톱퍼형(810)과, 스냅단추형(820), 및 푸쉬업스위치형(830)으로 구성된다.
회동스톱퍼형(8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퍼(812)와, 힌지핀(814)을 포함한다.
또한, 필터게이트(20)의 안착홈(210) 또는 위치고정홈(240)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스톰퍼(812)가 안착되는 회동안착홈(260)을 포함한다.
상기 스톱퍼(812)는 필터게이트(20)의 회동안착홈(260)에 안착되어, 필터게이트(20)의 안착홈(210)에 순차적으로 안착된 필터부(30)와 고정브라켓(40)을 압박시켜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스톱퍼(812)는 일측에 힌지핀(814)이 삽입되는 힌지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톱퍼(812)에는 상기 스톱퍼(812)의 회동이 원활하도록 일정깊이 또는 관통되는 장공형상의 회동지지홈(813)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핀(814)은 상기 회동안착홈(260)의 바닥면에서 돌출되게 구성되어, 상기 스톱퍼(812)의 힌지공이 삽입됨에 따라 상기 힌지핀(814)을 중심으로 상기 스톱퍼(812)를 회동시킴으로써, 필터게이트(20)의 안착홈(210)에 안착된 고정브라켓(40)의 일측을 압박 또는 압박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스냅단추형(82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핀(822), 및 보스(824)를 포함한다.
또한, 필터게이트(20)의 안착홈(210) 또는 위치고정홈(240)의 일측에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보스(824)를 삽입시켜 고정되도록 하는 안착공(270)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핀(822)은 고정브라켓(40)의 일단에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보스(824)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보스(824)에 의해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결합핀(822)의 끝단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보스(824)에 구성되는 압박스프링에 탄성력에 의해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보스(824)는 필터게이트(20)의 안착공(270)에 삽입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스(824)에는 상기 보스(824)로 삽입되는 결합핀(822)의 일단을 압박시킴에 따라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압박스프링(826)이 구성된다.
상기 압박스프링(826)은 상기 보스(824)의 내측에 양쪽으로 이격되게 구성됨으로써, 이격된 공간사이로 결합핀(822)이 진입되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결합핀(822)을 압박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핀(822)이 구성된 고정브라켓(40)을 필터게이트(20)의 안착홈(210)에 삽입시키면, 상기 결합핀(822)이 보스(824)의 내측으로 진입되고, 이때 상기 보스(824)의 내측에 구성된 압박스프링(826)의 탄성력으로 결합핀(822)을 압박시킴으로써, 결국 필터게이트(20)의 안착홈(210)에 고정브라켓(40)이 확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필터게이트(20)의 안착홈(210)에서 필터부(30)를 이탈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제1실시 예와 같은 체결나사를 풀림하는 작업없이 고정브라켓(40)을 잡아당기면, 당김력에 의해 보스(824)의 압박스프링(826)에서 결합핀(822)이 이탈됨에 따라 손쉽게 필터게이트(20)에서 고정브라켓(40)을 분리시키게 된다.
푸쉬업스위치형(83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832)과, 보스(834)를 포함한다.
또한, 필터게이트(20)에는 상기 보스(834)가 안착,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안착공(270)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핀(832)은 고정브라켓(40)의 일단에 일정길이 돌출되게 구성되어, 상기 보스(834)에 삽입되면 고정 또는 고정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고정핀(832)의 끝단은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보스(834)에 구성된 푸쉬업부재에 의해 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보스(834)는 필터게이트(20)의 안착공(270)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핀(832)을 고정 또는 고정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보스(834)의 내측에는 고정핀(832)이 최초 진입되면 상기 고정핀(832)을 고정하고, 상기 고정핀(832)이 구성된 고정브라켓(40)을 재차 눌리면 상기 고정핀(832)을 압박을 해제시켜 필터게이트(20)의 안착홈(210)에서 고정브라켓(40)을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하는 푸쉬업부재(836)를 포함한다.
상기 푸쉬업부재(836)는 고정핀(832)이 최초 진입이 되면 푸쉬업부재(836)가 조임되어 단턱구조의 고정핀(832)을 압박시켜 고정하고, 재차 눌리면 눌림력에 의해 푸쉬업부재(836)의 압박이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제3실시 예>
제1 및 제2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 예의 본네트(50)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단(510)을 개폐시키도록 하는 셔터(530)를 포함한다.
상기 셔터(530)는 개방단(510)에 구성되되, 승강하는 작용에 의해 상기 개방단(510)을 개폐시키는 작용을 수행한다. 즉, 상기 셔터(530)는 제1실시 예의 도어(520)를 대체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도어(520)와 동일한 작용을 수행함에 따라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 실시예는 필터 게이트 필터의 상부가 밀폐되는 밀페형이 될 수 있는 봐, 이는 필터게이트의 필터를 교환하려면 앞단에 밸브가 있어야 되는데 밸브가 없거나 그런 용도로 밸브를 설치할 수 없을 때 일시적으로 필터 게이트가 다 상승하기 전까지는 물이 올라올 수 있기 때문에 필터게이트가 상승하기 전까지 이를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제4실시 예>
제1 내지 제3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실시 예의 이송부(60)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축(610)을 커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필터게이트(20)의 승강작용 중 비산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이송축(610)이 부식되는 등의 열화작용을 방지 또는 최소화되도록 하는 보호커버(630)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커버(630)는 상기 이송축(610)의 외주연에 구성되어, 상기 이송축(610)이 임의로 외부에 노출됨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보호커버(630)는 상기 이송축(610)의 승강작용에 간섭되지 않고, 승강작용에 대응되어 신축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보호커버(630)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된다. 즉, 상기 보호커버(630)는 '자라바'로 구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보호커버(630)는 이송축(610)의 승강작용을 간섭하지 않으면서 상기 이송축(610)이 임의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구조 또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커버(630)는 필터게이트(20)의 승강작용 중 이송부(60)에 이송력의 원활한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묻혀진 그리스 등에 의해 상기 필터게이트(20)를 오염시킴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여과성능이 향상되고 용이한 필터 교체구조를 가지는 필터 게이트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밸브바디 20: 필터게이트
210: 안착홈 220: 지지망
230: 패킹안착홈 240: 위치고정홈
250: 체결공 260: 회동안착홈
270: 안착공 30: 필터부
310: 여과체 320: 밀폐링
40: 고정브라켓 410: 안착핀
420: 삽입공 50: 본네트
510: 개방단 520: 도어
530: 셔터 60: 이송부
610: 이송축 620: 보호커버
70: 오일스키머 710: 챔버
720: 흡착스펀지 810: 회동스톱퍼형
812: 스톱퍼 813: 회동지지홈
814: 힌지핀 820: 스냅단축형
822: 결합핀 824, 834: 보스
826: 압박스프링 830: 푸쉬업스위치형
832: 고정핀 836: 푸쉬업부재

Claims (6)

  1. 관로 상에 고정되는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바디의 내측에 승강되는 필터게이트와;
    상기 필터게이트에 장착되어 관로 상에 흐르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게이트에 장착된 필터부가 상기 필터게이트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밸브바디의 상단에 구성되는 본네트; 및
    상기 본네트에 구성되어 상기 밸브바디에서 필터게이트를 승강시키도록 이송력을 제공하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게이트와 이송부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이송부에 묻혀진 구리스가 필터게이트를 통해 관로의 내측으로 침투됨을 방지시켜 유체가 오염됨을 원천봉쇄하는 오일스키머; 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필터게이트의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측이 본네트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필터게이트를 승강시키는 이송축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축의 외주연에는 상기 이송축의 승강작용 중 외부로 노출됨을 방지시켜 상기 이송축을 보호 및 오염됨이 방지되도록 지지하는 보호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성능이 향상되고 용이한 필터 교체구조를 가지는 필터 게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네트에는 외부로 개방된 개방단을 개폐시킴에 따라 상기 개방단으로 이물질이 침투됨과 함께 이송부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도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성능이 향상되고 용이한 필터 교체구조를 가지는 필터 게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게이트는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의 바닥면에 일정간격으로 지지대를 형성시켜 유체의 흐름을 간섭하지 않음과 함께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필터부의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필터게이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망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관로에 흐르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의 걸러짐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여과체와, 상기 여과체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필터게이트의 안착홈에 안착되면 밀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밀폐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성능이 향상되고 용이한 필터 교체구조를 가지는 필터 게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게이트와 고정브라켓 사이에는 상기 필터게이트의 안착홈에 안착된 고정브라켓이 확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체결나사, 회동스톱퍼형, 스냅단추형, 또는 푸쉬업스위치형;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성능이 향상되고 용이한 필터 교체구조를 가지는 필터 게이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단문형, 양문형 또는 셔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성능이 향상되고 용이한 필터 교체구조를 가지는 필터 게이트.
  6. 삭제
KR1020210080989A 2021-06-22 2021-06-22 여과성능이 향상되고 용이한 필터 교체구조를 가지는 필터 게이트 KR102338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989A KR102338865B1 (ko) 2021-06-22 2021-06-22 여과성능이 향상되고 용이한 필터 교체구조를 가지는 필터 게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989A KR102338865B1 (ko) 2021-06-22 2021-06-22 여과성능이 향상되고 용이한 필터 교체구조를 가지는 필터 게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8865B1 true KR102338865B1 (ko) 2021-12-14

Family

ID=78902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0989A KR102338865B1 (ko) 2021-06-22 2021-06-22 여과성능이 향상되고 용이한 필터 교체구조를 가지는 필터 게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886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735B1 (ko) 2022-11-29 2023-05-02 주식회사 현대밸브 스마트 자동세척 듀얼필터 게이트
KR102556443B1 (ko) 2023-03-07 2023-07-18 주식회사 현대밸브 원터치 필터 게이트
KR102583904B1 (ko) 2022-12-13 2023-10-05 주식회사 현대밸브 정수장 소형생물 방지체계 대응 스마트 밸브실
KR102610136B1 (ko) 2023-03-15 2023-12-06 주식회사 현대밸브 정수장 유충제거용 필터조립체의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척방법
KR102638766B1 (ko) 2023-06-15 2024-02-21 한국수자원공사 정수장에서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 장치 자동 세척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870Y1 (ko) 2005-02-16 2005-05-10 주식회사 삼진정밀 제수밸브 일체형 스트레이너
JP2010024711A (ja) * 2008-07-18 2010-02-0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水路開閉設備用清掃具
KR102226300B1 (ko) 2020-11-12 2021-03-11 주식회사 현대밸브 필터 제수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870Y1 (ko) 2005-02-16 2005-05-10 주식회사 삼진정밀 제수밸브 일체형 스트레이너
JP2010024711A (ja) * 2008-07-18 2010-02-0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水路開閉設備用清掃具
KR102226300B1 (ko) 2020-11-12 2021-03-11 주식회사 현대밸브 필터 제수밸브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735B1 (ko) 2022-11-29 2023-05-02 주식회사 현대밸브 스마트 자동세척 듀얼필터 게이트
KR102583904B1 (ko) 2022-12-13 2023-10-05 주식회사 현대밸브 정수장 소형생물 방지체계 대응 스마트 밸브실
KR102556443B1 (ko) 2023-03-07 2023-07-18 주식회사 현대밸브 원터치 필터 게이트
KR102610136B1 (ko) 2023-03-15 2023-12-06 주식회사 현대밸브 정수장 유충제거용 필터조립체의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척방법
KR102638766B1 (ko) 2023-06-15 2024-02-21 한국수자원공사 정수장에서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 장치 자동 세척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8865B1 (ko) 여과성능이 향상되고 용이한 필터 교체구조를 가지는 필터 게이트
KR102226300B1 (ko) 필터 제수밸브
KR101415336B1 (ko) 배수트랩
JP5938151B1 (ja) 逆流防止装置
JP2007224529A (ja) 排水弁
KR101621682B1 (ko) 냄새 차단장치
KR20180126913A (ko) 배관용 스트레이너
KR20120127107A (ko) 악취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구 개폐 조절 장치
KR102356048B1 (ko) 플러싱 필터게이트
NZ548054A (en) A filter assembly
JP5801962B2 (ja) 小便器、及び小便器の防臭装置を交換するための方法
KR100304270B1 (ko) 하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US935975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nd clearing P-trap systems
KR100756933B1 (ko) 배수구의 냄새 차단 장치
KR200473414Y1 (ko) 냄새 역류 방지장치
KR101162029B1 (ko) 머리카락 수거용 필터를 구비한 배수장치
KR20100136199A (ko) 악취 및 하수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KR101722499B1 (ko)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KR101341961B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장치
CN209081524U (zh) 一种新型滗水装置
KR101681070B1 (ko) 세면대 배수장치
KR20130122061A (ko) 배수트랩
CN112354243A (zh) 一种管道过滤系统
KR20160090044A (ko) 세면대용 팝업 밸브
KR102556443B1 (ko) 원터치 필터 게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