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011Y1 - 블럭식 보강토 옹벽 축조구조 - Google Patents

블럭식 보강토 옹벽 축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011Y1
KR200290011Y1 KR2020020019201U KR20020019201U KR200290011Y1 KR 200290011 Y1 KR200290011 Y1 KR 200290011Y1 KR 2020020019201 U KR2020020019201 U KR 2020020019201U KR 20020019201 U KR20020019201 U KR 20020019201U KR 200290011 Y1 KR200290011 Y1 KR 2002900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wall construction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92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희
Original Assignee
오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희 filed Critical 오세희
Priority to KR20200200192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0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0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011Y1/ko

Links

Landscapes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블럭식 보강토 옹벽 축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 및 좌우방향을 따라 상호 인접하게 배열되어 상기 옹벽의 일면을 형성하며, 그 내측에 상하 관통슬릿을 구비하고 있는 복수개의 블럭과; 상기 블럭의 내부에 형성된 슬릿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정착판과; 일단은 상기 정착판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블럭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강토에 매설되는 복수의 강판 보강재와; 상기 보강재가 이탈 및 인발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상기 보강재를 부분적으로 결속시키는 결속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고가인 지오그리드 대신 저렴한 강판을 이용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하면서도 여러 유형의 곡선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 블럭식 보강토 옹벽 축조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자재를 절감시킬 수 있고 결속부재로 인해 보강재의 인발저항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각 구성요소들이 분리가능하므로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며 분리된 상태에서도 운반 후, 현장에서 간단하게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이 용이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측방향 및 높이방향으로 층상배열되는 블럭간의 확고한 결합구조로 인해 보다 높은 연결강도를 얻을 수 있고, 블럭 전면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럭식 보강토 옹벽 축조구조{Breast wall structure of reinforcement earth for block}
본 고안은 블럭식 보강토 옹벽 축조구조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옹벽 축조구조는, 블럭과 철근,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블럭식 보강토 옹벽과, 강판과 콘크리트 판넬을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판넬식 보강토 옹벽으로 구분되는 것으로서, 이는 국내 특허공보 제0247361호에 비교적 상세하게 개시되고 있다.
그런데, 전자의 블럭식 보강토 옹벽의 경우에는, 지오그리드가 고가이므로 경제성이 크게 떨어지고, 신장성 보강재의 사용으로 인한 배부름, 뒷채움 재료 등의 제한이 뒤따르게 된다. 그리고, 수동저항체와 철근을 이용하는 경우는 콘크리트를 이용한 수동저항체의 주변부 다짐 부실이 우려되며, 어느 정도 변위를 허용해야 발현되는 수동저항력의 특성상 비신장성인 철근과의 결합시 약간의 변위도 바로 블럭 전면부의 변형으로 연결된 가능성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다짐이 요구될 수 밖에 없다.
또한, 후자의 판넬식 보강토 옹벽의 경우에는 보강재와 전면판의 연결에 볼트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서, 시공에 번거로움이 따르게 되고 곡선 시공이 불가능하며, 마감처리가 난해할 뿐만 아니라 보수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고가인 지오그리드 대신 저렴한 강판을 이용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하면서도 여러 유형의 곡선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 블럭식 보강토 옹벽 축조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결속부재로 인해 보강재의 인발저항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블럭식 보강토 옹벽 축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개별 구성물의 운반 및 조립이 용이하여 따라서 현장 시공성을 향상과 더불어 공기를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블럭식 보강토 옹벽 축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층상 배열되는 블럭간의 확고한 결합구조를 통해 보다 높은 연결강도를 얻을 수 있고, 블럭 전면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블럭식 보강토 옹벽 축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블럭의 정면사시도, 저면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및 배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정착판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정착판의 사시도,
도 8은 도 6 및 도 7의 정착판에 결합되는 제1보강재의 평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1보강재가 제1정착판에 결합된 채로 블럭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제1보강재가 제2정착판에 결합된 채로 블럭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구성이 측방향으로 다수개 결합된 상태에서 제1보강재에 제1결속부재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A"영역의 확대도,
도 13은 블럭을 도 11와 다른 배열방법으로 배열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의 제3정착판에 제2보강재가 결합된 사시도,
도 16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의 제4정착판에 제2보강재가 결합된 사시도,
도 17은 도 15에 제2보강재에 제3결속부재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18은 제5정착판에 제3보강재가 끼워진 후 제3보강재에 제3결속부재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블럭, 11 : 전면판, 11b : 제1전단키, 12 : 후면부, 13 : 연결부, 13d : 슬릿, 20a~20e : 제1 내지 제5정착판, 21a : 보강재삽입공, 21b : 보강재걸림부, 30 : 제1보강재, 30a : 제2보강재, 30b : 제3보강재, 40a~40c : 제1 내지 제3결속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하 및 좌우방향을 따라 상호 인접하게 배열되어 상기 옹벽의 일면을 형성하며, 그 내측에 상하 관통슬릿을 구비하고 있는 복수개의 블럭과; 상기 블럭의 내부에 형성된 슬릿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정착판과; 일단이 상기 정착판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블럭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강토에 매설되는 복수의 강판 보강재와; 상기 보강재가 이탈 및 인발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상기 보강재를 부분적으로 결속시키는 결속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럭은 상기 옹벽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다각형상의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보강토에 묻히는 후면부와, 상기 전면부 및 상기 후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는다.
상기 전면부의 판면에는 중앙부에 토사체움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부의 저면 토사체움공의 주변에는 인접한 블럭과의 높이방향으로의 연결을 위한 복수의 제1전단키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의 저면에는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인접한 블럭과 연결되는 제2전단키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전단키가 형성된 면의 이면에는 상기 보강재가 상기 연결부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인접한 블럭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상기 연결부의 판면에 대해 소정 깊이 함몰된 보강재끼움홈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블럭의 슬릿 주변에는 적어도 하나의 키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정착판의 판면에는 상기 보강재가 삽입되는 보강재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다른 정착판의 일단에는 상기 보강재에 형성된 결합공이 걸림유지되는보강재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재는 띠형의 강판이나 철근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블럭식 보강토 옹벽 축조구조에 의하면,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인접하게 배열되어 옹벽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블럭(10)과, 이같은 블럭(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슬릿(13d)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띠형으로 제작된 강판으로 구성되는 정착판(20a~20e)과, 일단이 상기 정착판(20a~20e)에 결합되고 그 타단은 상기 블럭(1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보강재(30,30a,30b)와, 상기 보강재(30,30a,30b)가 이탈 및 인발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보강재(30,30a,30b)를 부분적으로 결속시키는 결속부재(40a~40c)가 요구된다.
이때, 상기 블럭(10)은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곡선을 갖는 옹벽구조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블럭(10)간의 확고한 결합구조로 인해 종래보다 높은 연결강도를 얻을 수 있어 블럭(10) 전면부(1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정착판(20a~20e) 및 보강재(30,30a,30b), 그리고 결속부재(40a~40c)는 소정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으면 족하므로 비교적 저렴한 강판으로 제작한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원가를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고 자재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블럭(10)들과 정착판(20a~20e), 그리고 보강재(30,30a,30b)및 결속부재(40a~40c)는 상호 분리가능한 착탈식 결합구조로 제공된다. 이는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며, 현장에서 간단하게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를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보강재(30,30a,30b)를 부분적으로 결속시키는 상기 결속부재(40a~40c)는 상기 보강재(30,30a,30b)의 인발저항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즉, 보강재(30,30a,30b)의 일단을 해당하는 정착판(20a~20e)에 결합시킨 후, 이를 블럭(10)의 슬릿(13d)에 끼워 넣고, 이어서 그 타단에 결속부재(40a~40c)가 결합된 상기 보강재(30,30a,30b)의 배치영역에 보강토를 충진시킴으로써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화된 블럭식 보강토 옹벽을 축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블럭식 보강토 옹벽 축조구조에 사용되는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블럭(10)은 도 1 내지 도 5에 상세하게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옹벽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전면부(11)와, 전면부(11)의 후방에 배치되어 보강토에 묻히는 후면부(12)와, 상기 전면부(11) 및 후면부(12)를 연결하는 연결부(13)를 갖는다. 전면부(11)는 좌우방향으로 다양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도록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연결부(13)와 후면부(12)는 평면에서 투시할 경우, 대체로 "T"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면부(11)의 상면에는 중앙부에 토사체움공(11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토사체움공(11a)에 체워지는 콘리리트 또는 토사는 상하로 적층되는 블럭(10)들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일체적이고도 견고한 옹벽구조를 이룰수 있게 하는 것이며, 상기 토사체움공(11a)은 또한 시공면을 따라 흐르게 되는 우수를 하방으로 배수하는역활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전면부(11)의 저면 토사체움공(11a) 인접부에는 인접한 블럭(10)과의 연결을 위한 좌우 한쌍의 제1전단키(11b)가 돌출되어 있다.
전면부(11)에 형성된 제1전단키(11b)와 마찬가지로 연결부(13)의 저면에는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인접한 블럭(10)과 연결되는 제2전단키(13a)가 형성되어 있다. 제2전단키(13a) 형성면의 이면에는 보강재(30,30a,30b)가 연결부(13)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인접한 블럭(10)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연결부(13)의 표면에 대해 소정깊이 함몰된 보강재끼움홈(13b)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13)의 중앙영역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길이방향으로 천공된 관통공(13c)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13c)의 인접 영역에는 관통공(13c)의 가로방향을 따라 정착판(20a,20b)이 끼워지는 슬릿(13d)이 형성되며, 슬릿(13d)의 주변에는 한 쌍의 키홈(13e)이 마련된다. 쌍을 이루며 마련되는 상기 키홈(13e)은 상기 보강재끼움홈(13b)에 함몰된 상태로 설치되어 표면 노출이 효과적으로 억제되는 상기 보강재(30,30a,30b)의 선단을 규제함으로서 보강재(30,30a,30b)가 블럭(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정착판(20a)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정착판(20b)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정착판(20a)의 상부에는 긴 직사각형 형상을 유지하며 성형되는 띠형의 보강재(30) 일단부가 끼워지는 장공형태의 보강재삽입공(21a)이 형성되어 있다.
반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정착판(20b)에는 상단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고 그 말단이 전방으로 절곡되어 제1보강재(30)에 형성된 결합공(31)이 걸림유지되는 보강재걸림부(21b)가 형성되는 것으로, 이들은 각각 보강재와 쌍을 이루며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정착판(20a,20b)의 하부에는 절취부(22)와 한 쌍의 핀홀(23)이 대칭의 구조를 이루며 형성된다.
도 8은 도 6 및 도 7의 정착판(20a,20b)에 결합되는 제1보강재(30)의 평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 및 도 7의 정착판(20a,20b)에 결합되는 제1보강재(30)는 긴 직사각형의 띠형 강판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부에는 또한 대체로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결합핀(36)이 끼워지는 핀공(32)이 형성되어 있다. 핀공(32)의 주변에는 제2정착판(20b)의 보강재걸림부(21b)가 끼워지는 결합공(3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같은 제1보강재(30)의 몸체에는 크고 작은 복수의 관통공(33,34)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각각 천공되는 것인데, 관통공(33)은 띠형으로 제공되는 또 다른 수평 및 수직보강재를 설치하기 위함이며, 관통공(34)는 수평 및 수직보강재의 설치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핀을 설치하는데 이용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1보강재(30)가 제1정착판(20a)에 결합된 채로 블럭(10)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는 도 8에 도시된 제1보강재(30)가 제2정착판(20b)에 결합된 채로 블럭(10)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강재(30)를 일측면을 제1정착판(20a)에 형성된 보강재삽입공(21a)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제1정착판(20a)을 블럭(10)에 형성된 슬릿(13d)에 끼워 넣는다. 그런 다음, 결합핀(36)을 제1보강재(30)에 형성된 핀공(32)으로 삽입하여 블럭(10)의 키홈(13e)으로 장착함으로써 제1정착판(20a), 그리고 제1보강재(30) 및 블럭(10)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이처럼 시공이 매우 용이하기 때문에 공기는 현저하게 단축될 수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도 10를 참조하면, 제1보강재(30)에 형성된 결합공(31)을 제2정착판(20b)에 형성된 보강재걸림부(21b)에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제2정착판(20b)을 블럭(10)에 형성된 슬릿(13d)에 끼워 넣는다. 그런 다음, 결합핀(36)을 제1보강재(30)에 형성된 핀공(32)으로 삽입하여 블럭(10)의 키홈(13e)으로 장착함으로써 제2정착판(20b), 그리고 제1보강재(30) 및 블럭(10)을 상호 쉽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보강토 블럭 구조물을 좌우방향으로 반복 결합하여 시공한 상태. 즉 제1보강재(30)에 제1결속부재(40a)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A"영역의 확대도이다.
전술한 도 10의 결합방법을 이용하여 제2정착판(20b), 그리고 제1보강재(30) 및 블럭(10)을 상호 결합시킨 다음, 이들을 측방향 일렬로 배열한다. 그런 다음, 직사각형의 띠형으로 성형된 제1결속부재(40a)의 결속공(41a)에, 블럭(10)과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1보강재(30) 단부를 삽입시키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속부재(40a)의 결속공(41a)을 통과한 제1보강재(30)의 후미 관통공(34)에 결합핀(36)을 끼워 넣는다. 그러면, 결속부재(40a)는 제1보강재(3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며, 이러한 결속부재(40a)로 인해 제1보강재(30)의 인발저항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블럭(10)을 도 11과 다른 배열방법으로 배열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의 배열방법 외에도 블럭(1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에 대한 곡면을 갖도록 배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블럭(10), 정착판(20a,20b), 제1보강재(30)간의 결합방식은 도 11와 동일하게 행할 수 있는데 반해, 결속부재는 제2결속부재(40b)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결속부재(40b)는 띠형의 강판을 반달형으로 구부려 가공하며, 제2결속부재(40b)의 직선구간에는 제1보강재(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판면을 관통하는 결속공(41b)이 형성되어 있다.
도 1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3정착판(20c)에 제2보강재(30a)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제4정착판(20d)에 제2보강재(30a)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보면, 제2보강재(30a)는 전술한 제1보강재(30)와는 달리 가늘고 긴 강철 봉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제2보강재(30a)의 각 단부는 절곡되어 있다.
이러한 제2보강재(30a)가 결합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제3정착판(20c)의 측부에는 내측을 향해 절취된 절취부(21c)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절취부(21c) 사이에는 제2보강재(30a)의 절곡단부가 끼워지는 끼움공(21d)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4정착판(20d)은 그 상단으로부터 하향 절취된 절취부(21e)가 형성되어 있으며, 절취부(21e)의 주변에도 역시, 제2보강재(30a)의 절곡단부가 끼워지는 끼움공(21f)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제2보강재(30a)의 절곡단부 형상은 도시된 것과는 다른 형상을 취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각 끼움공(21d,21f)의 위치 역시 적절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2보강재(30a)에 제3결속부재(40c)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제5정착판(20e)에 제3보강재(30b)가 끼워진 후 제3보강재(30b)에 제3결속부재(40c)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결속부재(40c)의 판면에는 제2보강재(30a)의 절곡단부가 끼워지기 위한 서로 다른 크기의 관통공(41d,41e)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8을 보면, 일단이 개방되고 일체로 된 제3보강재(30b)가 개시되어 있으며, 제3보강재(30b)의 개방부분의 절곡단부가 끼워지도록 제3결속부재(40c)의 판면에는 서로 다른 크기의 관통공(41d,41e)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참조부호 41d의 관통공은 점선으로 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보강재(30,30a,30b)의 일단을 정착판(20a~20e)에 결합시킨 후, 블럭(10)의 슬릿(13d)에 끼워 넣는다. 그런 다음, 결속부재(40a~40c)를 이용하여 보강재(30,30a,30b)를 결속시킨 후, 보강재(30,30a,30b)가 배치된 영역에 보강토를 충진시킴으로써 안정적이고도 견고한 블럭식 보강토 옹벽을 축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고가인 지오그리드 대신 저렴한 강판을 이용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하면서도 여러 유형의 곡선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자재를 절감시킬 수 있고 결속부재(40a~40c)로 인해 보강재(30,30a,30b)의 인발저항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각 구성요소들이 분리가능하므로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며 분리된 상태에서도 운반 후, 현장에서 간단하게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이 용이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측방향 및 높이방향으로 층상배열되는 블럭(10)간의 확고한 결합구조로 인해 보다 높은 연결강도를 얻을 수 있고, 블럭(10) 전면부(11)가 변형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고가인 지오그리드 대신 저렴한 강판을 이용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하면서도 여러 유형의 곡선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 블럭식 보강토 옹벽 축조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자재를 절감시킬 수 있고 결속부재로 인해 보강재의 인발저항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각 구성요소들이 분리가능하므로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며 분리된 상태에서도 운반 후, 현장에서 간단하게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이 용이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측방향 및 높이방향으로 층상배열되는 블럭간의 확고한 결합구조로 인해 보다 높은 연결강도를 얻을 수 있고, 블럭 전면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8)

  1. 블럭식 보강토 옹벽 축조구조에 있어서,
    상하 및 좌우방향을 따라 상호 인접하게 배열되어 상기 옹벽의 일면을 형성하며, 그 내측에 상하 관통슬릿을 구비하고 있는 복수개의 블럭과; 상기 블럭의 내부에 형성된 슬릿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정착판과; 일단은 상기 정착판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블럭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강토에 매설되는 복수의 강판 보강재와; 상기 보강재가 이탈 및 인발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상기 보강재를 부분적으로 결속시키는 결속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식 보강토 옹벽 축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은 상기 옹벽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다각형상의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보강토에 묻히는 후면부와, 상기 전면부 및 상기 후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식 보강토 옹벽 축조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의 판면에는 그 중앙에 토사체움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부의 저면 토사체움공의 주변에는 인접한 블럭과의 높이방향으로의 연결을 위한 복수의 제1전단키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식 보강토 옹벽 축조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저면에는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인접한 블럭과 연결되는 제2전단키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전단키 형성면의 이면에는 상기 보강재가 상기 연결부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인접한 블럭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상기 연결부의 상면에 대해 소정 깊이로 함몰된 보강재끼움홈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식 보강토 옹벽 축조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의 슬릿 주변에 한쌍의 키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식 보강토 옹벽 축조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판의 일면에는 상기 보강재가 삽입되는 보강재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식 보강토 옹벽 축조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판의 일단에는 상기 보강재에 형성된 결합공이 걸림 유지되는 보강재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식 보강토 옹벽 축조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띠형으로 성형된 강판이나 철근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식 보강토 옹벽 축조구조.
KR2020020019201U 2002-06-25 2002-06-25 블럭식 보강토 옹벽 축조구조 KR2002900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201U KR200290011Y1 (ko) 2002-06-25 2002-06-25 블럭식 보강토 옹벽 축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201U KR200290011Y1 (ko) 2002-06-25 2002-06-25 블럭식 보강토 옹벽 축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011Y1 true KR200290011Y1 (ko) 2002-09-27

Family

ID=73077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201U KR200290011Y1 (ko) 2002-06-25 2002-06-25 블럭식 보강토 옹벽 축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011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488B1 (ko) * 2002-01-28 2004-08-16 한승호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KR100515136B1 (ko) * 2002-11-26 2005-09-15 이근희 식생 블럭 및 그를 이용한 식생 옹벽 및 호안 시공방법
KR100779583B1 (ko) 2007-07-05 2007-11-28 이정근 보강블록 및 이를 이용한 비탈면안정 및 보강공법
KR101193330B1 (ko) * 2009-07-13 2012-10-19 이정수 식생경관 연출용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
KR101386206B1 (ko) * 2012-09-04 2014-04-17 박성현 식생블록 고정구
KR101818911B1 (ko) * 2014-12-31 2018-01-17 (주)대한콜크 띠형 보강재 및 이를 포함하는 보강재 어셈블리
KR20190117920A (ko) * 2018-04-09 2019-10-17 김유영 옹벽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CN113666279A (zh) * 2021-08-16 2021-11-19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外爬塔吊的附墙预埋件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488B1 (ko) * 2002-01-28 2004-08-16 한승호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KR100515136B1 (ko) * 2002-11-26 2005-09-15 이근희 식생 블럭 및 그를 이용한 식생 옹벽 및 호안 시공방법
KR100779583B1 (ko) 2007-07-05 2007-11-28 이정근 보강블록 및 이를 이용한 비탈면안정 및 보강공법
KR101193330B1 (ko) * 2009-07-13 2012-10-19 이정수 식생경관 연출용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
KR101386206B1 (ko) * 2012-09-04 2014-04-17 박성현 식생블록 고정구
KR101818911B1 (ko) * 2014-12-31 2018-01-17 (주)대한콜크 띠형 보강재 및 이를 포함하는 보강재 어셈블리
KR20190117920A (ko) * 2018-04-09 2019-10-17 김유영 옹벽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084842B1 (ko) * 2018-04-09 2020-03-04 김유영 옹벽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CN113666279A (zh) * 2021-08-16 2021-11-19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外爬塔吊的附墙预埋件
CN113666279B (zh) * 2021-08-16 2023-11-21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外爬塔吊的附墙预埋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90011Y1 (ko) 블럭식 보강토 옹벽 축조구조
KR20190123639A (ko) 흙막이 벽체용 강재 조립파일
KR20190022240A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JP4898591B2 (ja) コンクリート版およびコンクリート版の接合構造
KR200397873Y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KR101397432B1 (ko) 보강토 옹벽 패널
KR100736269B1 (ko) 수직 방향의 연속 통공이 형성되는 근입식 블록 옹벽 및 그시공방법
KR100789500B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축조방법 및 옹벽 축조용 블록
KR102560550B1 (ko) 엄지말뚝 시공용 강재 조립 파일
KR102062534B1 (ko) 옹벽블록의 그리드 결속구조물
KR200369479Y1 (ko) 흙막이용 패널
JP2003003474A (ja) 補強土構造物および補強土ブロック
KR200448481Y1 (ko) 식재 가능한 절토사면 옹벽 구조
KR102587240B1 (ko) 흙막이 벽체용 강재 조립 엄지파일
JP2003138542A (ja) フトン籠構造および土留め擁壁およびフトン籠構造の組立方法
KR102647387B1 (ko) 흙막이 벽 시공을 위한 말뚝용 강재 조립체
KR102546083B1 (ko) 스트립을 결합한 철근콘크리트 패널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156134B1 (ko) 복합 파일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H04254618A (ja) 石積み擁壁構造
KR20190117920A (ko) 옹벽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JP3161394U (ja) 補強芯材、及び補強芯材を用いた地中構造物
KR101089661B1 (ko) 보강토 옹벽 블럭
KR200371613Y1 (ko) 와이어로 체결된 콘크리트 벽체패널을 이용한 하천 배수로
KR102683239B1 (ko)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을 사용한 보강토 옹벽 축조방법
CN218813649U (zh) 一种基坑支护用排桩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