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631B1 - 우수 저류장치 - Google Patents

우수 저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8631B1
KR101288631B1 KR1020130013081A KR20130013081A KR101288631B1 KR 101288631 B1 KR101288631 B1 KR 101288631B1 KR 1020130013081 A KR1020130013081 A KR 1020130013081A KR 20130013081 A KR20130013081 A KR 20130013081A KR 101288631 B1 KR101288631 B1 KR 101288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torage tank
hemispherical head
rainwater
hemisphe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식
Original Assignee
연합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합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연합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3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6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6Pneumatic sewage disposal system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의 우수 저류장치는 원통형 파형강관의 양 말단부에 반구형상 헤드를 결합시켜 외부에 대하여 폐쇄함으로써 빗물을 저장하고 또한 우수 유입구, 연결관 연결구 및 점검구를 모두 반구형상 헤드에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본 발명의 우수 저류장치는 제작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우수하여 사용중 누수의 염려가 없다.

Description

우수 저류장치{Rainwater Storage Apparatus}
본 발명은 우수 저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구성이 우수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사용이 편리한 우수 저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가 내리면 빗물은 땅속으로 스며들어 지하수로 된다. 지하수는 강물로 흐르게 되고 강물은 바다로 흘러가게 된다. 강물 및 바닷물은 증발하여 다시 비로 변함으로써 물의 순환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물의 순환과정에서 물을 저수지 등에 저장하여 이용하려는 인류의 노력은 역사 속에서 찾을 수 있다. 한편, 도시의 발전으로 인하여 아스팔트 포장 및 시멘트 포장 등과 같은 지표면의 포장이 증가하게 됨에 따라 비가 내리면 내린 비는 땅속으로 스며들지 못하고 곧바로 강으로 흐르게 되어 강물의 범람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강물의 범람을 막고 또한 빗물을 저장하여 물부족 상황에 대처하기 위하여 우수 저류장치가 사용되어 왔다.
특허등록 제10-0776707호(2007. 11. 08. 등록)는 우수 저류시스템의 저류장치를 개시한다. 이 장치는 원통형 강관의 말단부를 원판형 강판으로 막아 저류조로 사용하는 것인데, 원통형 강관에 우수 유입구를 형성하고 관리를 위하여 맨홀을 형성하며, 또한 복수개의 저류조를 서로 연결하여 저장용량을 크게 하기 위하여 연결구를 형성하는 것이다.
특허등록 제10-0776709호(2007. 11. 08. 등록)는 저류조를 개시한다. 이 저류조는 원통형 파형강관의 말단부를 원판형 강판으로 막아 형성된 것으로서, 원통형 파형강관에 우수 유입구, 맨홀 그리고 배출구를 형성한 것이다. 이때, 저류조가 내부의 수압이나 저류조 외부에 쌓이는 토사의 압력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판형 강판으로 된 측벽에 돌출 각형부와 함몰 각형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보강부를 형성하고 또한 저류조의 내부에 보강대를 형성한다.
특허등록 제10-0922622호(2009. 10. 13. 등록)는 확장이 용이한 저류조를 개시한다. 이 저류조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특허등록 제10-0776707호의 것과 유사하며, 차이점은 단위 저류조들 간의 연결구조에 있다. 이 특허의 저류조는 원판형 강판으로 된 차수벽에 연결구를 형성하고 그것들을 하나의 연결관에 연결함으로써 모든 단위 저류조의 연결구가 하나의 연결관에 연통되게 하는 것이다.
특허등록 제10-1143534호(2012. 04. 30. 등록)는 기밀성을 향상시킨 파형강관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류조를 개시한다. 이 특허에 따른 파형강관은 락심부에 밀봉부재를 삽입함으로써 기밀성을 향상시킨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파형강관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저류조의 구조는 위 특허들의 것과 유사하다.
파형강관은 나선파형이 원주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강관으로서, 상대적으로 경량으로도 힘살의 역할을 하는 나선파형에 의하여 높은 구조적 강도를 발휘할 수 있어 지하에 매설되는 하수관 등에 적용되는 것이다. 위 특허들은 이러한 파형강관의 특성을 이용하여 그것의 말단을 원형 강판으로 막아 빗물을 저장하는 저류조로 사용하는 것이지만, 파형강관에는 나선파형의 요부와 철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파형강관에 유입구, 유출구, 맨홀 연결구 등을 형성하고 그것을 용접에 의하여 연결관, 맨홀관 등에 연결하는 것은 그 과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형성된 제품이 지하에 매설되거나 지하 공간에 배치되어 사용될 때 충분한 내구성을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누수의 염려가 있었다.
또한 파형강관의 말단부에 원판형 강판으로 형성된 차수벽 또는 측벽은 그 내부의 수압 및 지하에 매설될 경우 토압을 견디기 어렵기 때문에 보강구조를 형성하여야 하지만, 그러한 보강구조에 의해서도 내구성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인식하였고,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안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구성이 우수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사용이 편리한 우수 저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우수 저류장치는 개방된 양 말단부에 플랜지가 설치된 원통형 파형강관 및 플랜지를 가지는 반구형상으로서 상기 플랜지에 의하여 상기 파형강관의 양 말단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파형강관을 외부에 대하여 폐쇄시키는 2개의 반구형 헤드로 구성된 제1 저류조를 포함한다. 이때, 우수유입구, 연결관 연결구 및 점검구가 상기 제1 저류조의 반구형 헤드들 중 어느 한 반구형 헤드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수 저류장치는 상기 우수유입구에 연결되는 우수유입관, 상기 제1 저류조의 상기 연결관 연결구와 다른 저류조의 연결관 연결구를 연결하거나 상기 제1 저류조의 상기 연결관 연결구와 펌프를 연결하는 제1 연결관, 상기 점검구를 개폐가능하게 덮는 점검구 덮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저류조의 한 반구형 헤드에는 우수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저류조의 다른 반구형 헤드에는 연결관 연결구 및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저류조의 반구형 헤드의 상기 점검구를 덮는 상기 점검구 덮개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그것을 통하여 제1 저류조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저류조의 반구형 헤드에서 상기 우수유입구의 위치를 특정함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 헤드의 정점을 위도 0도 및 경도 0도로 정하고, 그 정점을 포함하여 반구형 헤드를 수직으로 잘랐을 때 반구형 헤드의 표면과 자르는 면이 만나는 선을 경도 0도로 하고, 그 정점을 포함하여 반구형 헤드를 수평으로 잘랐을 때 반구형 헤드의 표면과 자르는 면이 만나는 선을 위도 0도로 하며, 그리하여 반구형 헤드의 왼쪽 테두리는 동경 90도 선이 되고, 반구형 헤드의 오른쪽 테두리는 서경 90도 선이 되게 정의할 때, 상기 우수유입구의 모든 영역은 제1 저류조의 반구형 헤드에서 북위 75도에서 남위 15도의 범위 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수 저류장치는 상기 제1 저류조 아래에 상기 제1 저류조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저류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저류조는 개방된 양 말단부에 플랜지가 설치된 원통형 파형강관 및 플랜지를 가지는 반구형상으로서 상기 플랜지에 의하여 상기 파형강관의 양 말단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파형강관을 외부에 대하여 폐쇄시키는 2개의 반구형 헤드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관 연결구를 가지는 상기 제1 저류조의 반구형 헤드 아래에 배치된 상기 제2 저류조의 반구형 헤드에는 제1 연결관 연결구, 제2 연결관 연결구 및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저류조의 연결관 연결구와 상기 제2 저류조의 제1 연결관 연결구는 상기 제1 연결관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저류조의 제2 연결관 연결구는 펌프에 연결되거나 상기 제2 저류조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3 저류조의 연결관 연결구에 연결되는 제2 연결관에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저류조는 동일한 높이에 평형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저류조이고, 상기 제2 저류조는 상기 제1 저류조들 각각의 아래에 동일한 높이에 평형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저류조이며, 상기 제2 저류조의 제2 연결관 연결구와 펌프를 연결하는 상기 제2 연결관은 상기 제2 저류조들이 서로 공유하는 것이고, 상기 제1 저류조들 및 상기 제2 저류조들은 복수개의 열과 2층으로 형성된 틀에 안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저류조의 상기 반구형 헤드에서 상기 제1 연결관 연결구의 위치를 특정함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 헤드의 정점을 위도 0도 및 경도 0도로 정하고, 그 정점을 포함하여 반구형 헤드를 수직으로 잘랐을 때 반구형 헤드의 표면과 자르는 면이 만나는 선을 경도 0도로 하고, 그 정점을 포함하여 반구형 헤드를 수평으로 잘랐을 때 반구형 헤드의 표면과 자르는 면이 만나는 선을 위도 0도로 하며, 그리하여 반구형 헤드의 왼쪽 테두리는 동경 90도 선이 되고, 반구형 헤드의 오른쪽 테두리는 서경 90도 선이 되게 정의할 때, 상기 제2 저류조의 상기 제1 연결관 연결구의 모든 영역은 제1 저류조의 반구형 헤드에서 북위 75도에서 남위 15도의 범위 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우수 저류장치는 원통형 파형강관의 양 말단부에 반구형상 헤드를 결합시켜 외부에 대하여 폐쇄함으로써 빗물을 저장하고 또한 우수 유입구, 연결관 연결구 및 점검구를 모두 반구형상 헤드에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본 발명의 우수 저류장치는 제작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우수하여 사용중 누수의 염려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우수 저류장치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우수 저류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우수 저류장치에 적용되는 저류조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우수 저류장치에 적용되는 저류조의 반구형 헤드에 형성되는 구멍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3에 대응하는 위치 참조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우수 저류장치(10)는 제1 저류조(100)를 포함한다. 제1 저류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높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저류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저류조(100)는 양 말단이 개방된 원통형 파형강관(110)과 파형강관(110)의 양 말단에 결합되어 파형강관을 외부에 대하여 폐쇄시키는 2개의 반구형 헤드(130 및 130')로 구성된다. 원통형 파형강관(110)과 반구형 헤드(130 및 130')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파형강관(110)의 양 말단에는 플랜지(120)가 설치되고 반구형 헤드(130 및 130')의 둘레에도 플랜지(140)가 설치된다. 그리하여 그 플랜지들(120 및 140) 사이에 가스켓(150)을 끼우고 볼트(170)와 너트(160)에 의하여 플랜지들(120 및 140)을 체결한다. 볼트와 너트에 의한 결합을 위하여 플랜지들(120 및 140)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반구형 헤드(130 및 130')와 플랜지들(120 및 140)은 파형강관과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 철과 적절한 다른 금속이 합금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그 표면에 다른 금속 또는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 수지로 된 코팅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저류조(100)의 반구형 헤드(130 또는 130')에는 빗물이 유입되는 우수유입구(131), 연결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 연결구(133), 제1 저류조(100)의 내부 상황을 점검하고 필요시에 청소를 하기 위한 점검구(135)가 형성된다. 이때, 우수유입구(131), 연결관 연결구(133) 및 점검구(135)는 모두 한 반구형 헤드(130 또는 130')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저류조(100)의 한 반구형 헤드(130')에 우수유입구(131)가 형성되고, 제1 저류조(100)의 다른 반구형 헤드(130)에 연결관 연결구(133) 및 점검구(135)가 형성된다.
제1 저류조(100)의 우수유입구(131)에는 우수유입관(300)이 연결되고, 연결관 연결구(133)에는 제1 연결관(400)이 연결된다. 이때 제1 연결관(400)은 펌프와 직접 연결되는 것일 수도 있지만,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2 저류조(200)의 제1 연결관 연결구(231)와 연결되는 것일 수도 있다. 점검구(135)에는 점검구 덮개(500)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점검구 덮개(500)는 개폐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어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점검구 덮개를 열어 청소를 하는 것은 자주 행하는 것은 아니므로 점검구(135)를 통한 빗물의 누설을 더욱 안전하게 방지하기 위하여 나사체결에 의하여 점검구(135)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검구 덮개(500)에는 빗물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스켓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검구 덮개(500)는 제1 저류조(100) 내부에 빗물 이외의 이물질, 통상적으로는 미세한 토사 누적물이 얼마나 쌓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역할과 그것을 통하여 고압 흡입 청소기를 제1 저류조(100) 내부로 투입하여 쌓인 토사 누적물을 흡입,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점검구 덮개(50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그것을 통하여 제1 저류조(100)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한 재질로는 통상적으로는 아크릴 수지와 같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수압에 견딜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것을 사용한다.
이러한 제1 저류조(100)는 연결관 연결구(133)를 곧바로 펌프에 연결하여 사용될 수도 있으나, 그러한 제1 저류조(100)를 복수개로 병렬로 배치하고 그것들을 연결관 연결구(133)를 통하여 하나의 공통 연결관에 연결하고 그러한 공통 연결관을 펌프에 연결하여 저류 용량을 확장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저류 용량을 더욱 확장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우수 저류장치(10)는 제1 저류조(100) 아래에 제1 저류조에 평행하게 제2 저류조(200)를 더 배치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제1 저류조(100)가 한 층에 병렬로 배치되고, 그 아래 층에 복수개의 제2 저류조(200)가 병렬로 배치된다. 이때, 제2 저류조(200)의 구조는 기본적으로는 제1 저류조(100)의 것과 동일하다. 이러한 복수개의 제1 저류조(100) 및 제2 저류조(200)는 틀(800)에 안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이점은 배관의 연결과 관련하여 형성된 구멍의 배치에 있다. 즉, 제2 저류조(200)의 반구형 헤드(230')에는 제1 저류조(100)의 우수유입구(131)에 대응되는 구멍은 없으며, 그래서 제2 저류조(200)는 우수유입관(300)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지는 않는다. 그 대신에 제2 저류조(200)의 반구형 헤드(230)에는 제1 저류조(100)의 연결관 연결구(133)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 연결구(231)가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관 연결구들(133 및 231)은 제1 연결관(400)에 연결된다. 따라서, 그것들은 제1 연결관 연결구(133 및 231)로 부를 수 있다.
제2 저류조(200)의 반구형 헤드(230)에는 제1 저류조(100)의 반구형 헤드(130)에 설치된 제1 연결관 연결구(133)에 해당하는 위치에 제2 연결관 연결구(233)가 설치되고, 제1 저류조(100)의 반구형 헤드(130)에 설치된 점검구(135)에 대응하는 위치에 점검구(235)가 설치된다. 점검구(235)에는 마찬가지로 점검구 덮개(500)가 설치된다. 제2 저류조(200)의 제2 연결관 연결구(233)는 반구형 헤드(230)에 설치되는 대신에 반구형 헤드(23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2 저류조(200)의 제2 연결관 연결구(233)에는 제2 연결관(600)이 연결된다. 제2 연결관(600)은 펌프(700)에 직접 연결되는 공통관(620) 그리고 공통관(620)으로부터 각 제2 저류조(200)의 제2 연결관 연결구(233)에 연결되는 분지관(610)으로 구성된다. 분지관들(610)에는 필요에 따라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점검구(135 및 235)는 각각 반구형 헤드(130 및 230)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편의에 따라 반구형 헤드(130' 및 230')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1 저류조(100)의 반구형 헤드들(130 및 130') 그리고 제2 저류조(200)의 반구형 헤드들(230 및 230')에 설치되는 구멍들(131, 133, 135, 231, 233 및 235)의 위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반구형 헤드(230)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지구의 위치를 정하는 기준인 위도와 경도를 반구형 헤드에 대하여 적용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 헤드의 정점을 위도 0도 및 경도 0도로 정하였고, 그 정점을 포함하여 반구형 헤드를 수직으로 잘랐을 때 반구형 헤드의 표면과 자르는 면이 만나는 선을 경도 0도로 하였고, 그 정점을 포함하여 반구형 헤드를 수평으로 잘랐을 때 반구형 헤드의 표면과 만나는 선을 위도 0도로 하였다. 따라서, 반구형 헤드의 왼쪽 테두리는 동경 90도 선이 되고, 반구형 헤드의 오른쪽 테두리는 서경 90도 선이 된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반구형 헤드에 설치되는 구멍들의 위치를 설명하면, 먼저 우수유입구(131)의 모든 영역은 제1 저류조(100)의 반구형 헤드(130')에서 북위 75도에서 남위 15도의 범위 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북위 75도에서 위도 0도의 범위 내에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우수 유입구(131)의 모든 영역은 동경 75도에서 서경 75도의 범위 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동경 60도에서 서경 60도의 범위 내에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동경 45도에서 서경 45도의 범위 내에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한 범위에 우수유입구(131)가 설치되면 그것을 통하여 빗물이 유입될 때, 유입되는 빗물은 반구형 헤드(130')의 내면을 따라 흐르게 되고, 그래서 반구형 헤드(130') 및 파형강관(110)에 전달되는 충격량은 크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장기간의 사용에도 파형강관(110)과 반구형 헤드(130') 간의 결합부위에 피로의 누적으로 인한 파손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게 된다.
반면에 우수유입구(131)가 너무 높은 위치, 즉 북위 75도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면 그것을 통하여 빗물이 유입될 때 유입된 빗물은 반구형 헤드(130')의 내면을 따라 흐르지 못하고 낙하하게 되어 반구형 헤드(130')의 아래부분 또는 파형강관(110)을 때리게 된다. 이러한 빗물 낙하에 의한 충격량은 위의 경우와 비교하여 상당히 큰 것인데,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그러한 충격의 누적은 재료의 피로도를 증가시키고 그 결과 파형강관(110)과 반구형 헤드(130') 간의 결합부위에서 파손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우수유입구(131)의 위치가 너무 낮으면 우수유입구(131)에 유입되는 빗물의 적체없이 자연스럽게 흐를 수 있도록 우수유입관(300)을 설치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우수유입관(30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유입되는 빗물이 적체될 수 있는 구조로 우수유입관(300)을 설치하게 되면, 적체된 빗물의 무게 및 유입되는 빗물에 의한 충격이 우수유입관(300)에 전달되어 우수유입구(131)에서 우수유입관(300)의 결합에 파손이 발생할 염려가 있다.
한편, 우수유입구(131)가 경도 0도의 선으로부터 너무 한쪽으로 치우쳐 설치되는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입되는 빗물이 반구형 헤드(130')의 내면을 따라 흐르는 효과가 치우친 정도에 따라 감소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우수유입구(131)의 설치위치에 대한 것은 제2 저류조(200)의 반구형 헤드(230 또는 230')에 설치되는 제1 연결관 연결구(231)의 설치위치에도 적용된다.
다음으로, 점검구(135 및 235)는 그것을 통하여 제1 저류조(100) 및 제2 저류조(200)의 내부에 이물질이 쌓인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므로, 그것을 통하여 내부가 충분히 보일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저류조(100)의 반구형 헤드(130 또는 130') 및 제2 저류조(200)의 반구형 헤드(230 또는 230')의 정점, 즉 위도 0도 및 경도 0도에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만, 그 정점을 중심으로 약간의 거리 이동은 위 기능을 수행하는데 큰 장애를 주지는 않을 것이므로 가능할 것이다.
다음으로, 제1 저류조(100)의 반구형 헤드(130 또는 130')에 설치되는 제1 연결관 연결구(133) 및 제2 저류조(200)의 반구형 헤드(230 또는 230')에 설치되는 제2 연결관 연결구(233)의 위치는 저수된 빗물을 제1 저류조(100)로부터 제2 저류조(200)로 최대로 이동시키고 또한 최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가급적 낮은 위치, 즉 남위 90도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다만, 그러할 경우에는 저수된 빗물의 바닥에 미세 토사가 침전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러한 토사도 함께 이동할 수 있다는 단점은 있다. 그러나 파형강관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우수 저류장치는 파형강관의 나선형 홈에 미세 토사가 침전되고, 제1 연결관 연결구(133) 및 제2 연결관 연결구(233) 근처에 침전된 미세 토사의 양은 많지 않을 것이므로 침전된 토사로 인하여 큰 문제는 없을 것이다. 만약 사용하는 빗물에 미세 토사가 더욱 적게 함유되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제1 연결관 연결구(133) 및 제2 연결관 연결구(233)의 위치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저류조(100) 및 제2 저류조(200)에 저수되지만 실제로 사용되지 않는 저수량이 많아지게 되므로 경제성은 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제1 저류조(100) 및 제2 저류조(200)로 구성된 2층의 우수 저류장치(10)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경우에 따라 제2 저류조(200) 아래에 제3 저류조를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하고 제3 저류조를 제2 저류조(200)에 연결함으로써 더욱 저장용량을 확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2 저류조(200)의 제2 연결관 연결구(233)는 펌프(700)로 연결되지 않고 제3 저류조의 연결관 연결구에 연결되는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우수 저류장치(10)는 파형강관의 양 말단에 반구형 헤드를 결합하여 저류조를 형성하고, 반구형 헤드에 우수유입구 및 연결관 연결구를 설치함으로써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류조(100 및 200)에 유입되는 빗물에 의한 충격을 최소화하여 우수한 내구성을 얻을 수 있다는 것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이점도 가진다.
먼저, 파형강관의 양 말단에 원판형 강판을 차수벽으로 채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반구형 헤드를 차수벽으로 사용하는 본 발명은 저류된 빗물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킨다는 장점을 가진다. 파형강관의 양 말단에 원판형 강판을 차수벽으로 채용한 종래기술에서는 파형강관은 저류된 빗물에 의한 충격을 한 곳에 집중시키지 않고 분산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파형강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차수벽은 물흐름에 대하여 수직으로 그것을 막는 역할을 하는 것이어서, 저류된 빗물에 의한 충격은 차수벽에서 집중될 수 있다. 차수벽에서 저류된 빗물의 충격은 저장된 빗물이 완전히 흐르지 않고 저장되어 있다면 장기 내구성에서도 큰 문제가 없을 것이지만, 우수 저류장치에서는 빗물의 유입과 유출이 이루어진다. 그러한 빗물의 움직임은 저류조 중에서 차수벽에 가장 큰 충격을 주게 되기 때문에 파형강관과 차수벽 간의 결합부위에는 장기간 사용에 의하여 피로가 누적되고 결국에는 파손으로 이어진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서 적용하는 저류조에서는 빗물의 유입 및 유출에 의하여 저류조 내에서 저류된 빗물에 의한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그것이 차수벽 역할을 하는 반구형 헤드의 한 곳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지 않고 전체 영역으로 분산되기 때문에 파형강관과 반구형 헤드 간의 결합부위에는 장기간 사용에도 피로가 크게 누적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우수 저류장치는 이러한 측면에서도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게 된다.
다음으로, 파형강관에 맨홀 및 우수유입관을 설치하는 종래기술과 비교하면, 본 발명은 파형강관이 아니라 반구형 헤드에 우수유입관 및 점검구를 설치하기 때문에 장치의 제작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우수 저류장치는 저류조를 복수층으로 구성하고 그것들을 연결하여 저류용량을 확장할 수 있기 때문에 단위면적당 높은 저류용량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우수 저류장치는 투명한 재질로 개폐가능하게 점검구 덮개를 형성함으로써 저류조 내부의 상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저류조 내부에 대한 점검 및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파형강관의 양 말단부에 결합되는 반구형 헤드는 파형강관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하여 반구형 헤드가 파손된 경우 반구형 헤드를 교체할 수 있고, 파형강관의 플랜지부의 파손이 있는 경우에는 파형강관을 교체하지 않고 현장에서 수리할 수 있어 유지 및 보수가 편리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10: 우수 저류장치 100,200: 저류조
110,210: 파형강관 120,220: 파형강관 플랜지
130,130',230,230': 반구형 헤드 131: 우수유입구
133,231: 제1 연결관 연결구 233: 제2 연결관 연결구
135,235: 점검구 140,240: 반구형 헤드 플랜지
150,250: 가스켓 160,260: 너트
170,270: 볼트 300: 우수유입관
400: 제1 연결관 500: 점검구 덮개
600: 제2 연결관 610: 분지관
620: 공통관 700: 펌프
800: 틀

Claims (7)

  1. 개방된 양 말단부에 플랜지(120)가 설치된 원통형 파형강관(110) 및 플랜지(140)를 가지는 반구형상으로서 상기 플랜지(140)에 의하여 상기 파형강관(110)의 양 말단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파형강관을 외부에 대하여 폐쇄시키는 2개의 반구형 헤드(130 및 130')로 구성된 제1 저류조(100)를 포함하는 우수 저류장치(10)로서,
    우수유입구(131), 연결관 연결구(133) 및 점검구(135)가 상기 제1 저류조(100)의 반구형 헤드들(130 및 130') 중 어느 한 반구형 헤드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수 저류장치(10)는 상기 우수유입구(131)에 연결되는 우수유입관(300), 상기 제1 저류조의 상기 연결관 연결구(133)와 다른 저류조의 연결관 연결구를 연결하거나 상기 제1 저류조의 상기 연결관 연결구(133)와 펌프를 연결하는 제1 연결관(400), 상기 점검구(135)를 개폐가능하게 덮는 점검구 덮개(500)를 더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제1 저류조(100)의 반구형 헤드(130 또는 130')에서 상기 우수유입구(131)의 위치를 특정함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 헤드의 정점을 위도 0도 및 경도 0도로 정하고, 그 정점을 포함하여 반구형 헤드를 수직으로 잘랐을 때 반구형 헤드의 표면과 자르는 면이 만나는 선을 경도 0도로 하고, 그 정점을 포함하여 반구형 헤드를 수평으로 잘랐을 때 반구형 헤드의 표면과 자르는 면이 만나는 선을 위도 0도로 하며, 그리하여 반구형 헤드의 왼쪽 테두리는 동경 90도 선이 되고, 반구형 헤드의 오른쪽 테두리는 서경 90도 선이 되게 정의할 때, 상기 우수유입구(131)의 모든 영역은 제1 저류조의 반구형 헤드에서 북위 75도에서 남위 15도의 범위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저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류조(100)의 한 반구형 헤드(130')에는 우수유입구(1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저류조(100)의 다른 반구형 헤드(130)에는 연결관 연결구(133) 및 점검구(13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저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류조(100)의 반구형 헤드(130 또는 130')의 상기 점검구(135)를 덮는 상기 점검구 덮개(50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그것을 통하여 제1 저류조(100)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저류장치.
  4. 삭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 저류장치는 상기 제1 저류조(100) 아래에 상기 제1 저류조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저류조(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저류조는 개방된 양 말단부에 플랜지(220)가 설치된 원통형 파형강관(210) 및 플랜지(240)를 가지는 반구형상으로서 상기 플랜지(240)에 의하여 상기 파형강관(210)의 양 말단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파형강관을 외부에 대하여 폐쇄시키는 2개의 반구형 헤드(230 및 230')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관 연결구(133)를 가지는 상기 제1 저류조(100)의 반구형 헤드(130 또는 130') 아래에 배치된 상기 제2 저류조(200)의 반구형 헤드(230 또는 230')에는 제1 연결관 연결구(231), 제2 연결관 연결구(233) 및 점검구(23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저류조의 연결관 연결구(133)와 상기 제2 저류조의 제1 연결관 연결구(231)는 상기 제1 연결관(40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저류조의 제2 연결관 연결구(233)는 펌프에 연결되거나 상기 제2 저류조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3 저류조의 연결관 연결구에 연결되는 제2 연결관(600)에 연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저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류조(100)는 동일한 높이에 평형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저류조이고, 상기 제2 저류조(200)는 상기 제1 저류조들 각각의 아래에 동일한 높이에 평형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저류조이며, 상기 제2 저류조의 제2 연결관 연결구(233)와 펌프(700)를 연결하는 상기 제2 연결관(600)은 상기 제2 저류조들(200)이 서로 공유하는 것이고, 상기 제1 저류조들(100) 및 상기 제2 저류조들(200)은 복수개의 열과 2층으로 형성된 틀(800)에 안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저류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류조(200)의 상기 반구형 헤드(230 또는 230')에서 상기 제1 연결관 연결구(231)의 위치를 특정함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 헤드의 정점을 위도 0도 및 경도 0도로 정하고, 그 정점을 포함하여 반구형 헤드를 수직으로 잘랐을 때 반구형 헤드의 표면과 자르는 면이 만나는 선을 경도 0도로 하고, 그 정점을 포함하여 반구형 헤드를 수평으로 잘랐을 때 반구형 헤드의 표면과 자르는 면이 만나는 선을 위도 0도로 하며, 그리하여 반구형 헤드의 왼쪽 테두리는 동경 90도 선이 되고, 반구형 헤드의 오른쪽 테두리는 서경 90도 선이 되게 정의할 때, 상기 제2 저류조의 상기 제1 연결관 연결구의 모든 영역은 제1 저류조의 반구형 헤드에서 북위 75도에서 남위 15도의 범위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저류장치.
KR1020130013081A 2013-02-05 2013-02-05 우수 저류장치 KR101288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081A KR101288631B1 (ko) 2013-02-05 2013-02-05 우수 저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081A KR101288631B1 (ko) 2013-02-05 2013-02-05 우수 저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8631B1 true KR101288631B1 (ko) 2013-07-19

Family

ID=48997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081A KR101288631B1 (ko) 2013-02-05 2013-02-05 우수 저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6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341Y1 (ko) * 2003-02-18 2003-05-09 한무영 빗물이용 및 교육용 빗물저장 탱크
JP2003268813A (ja) * 2002-03-14 2003-09-25 Shimamura Kasei:Kk 波付きポリオレフィン管を用いた雨水貯水槽
KR20070032834A (ko) * 2005-09-20 2007-03-23 한승희 관유닛을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
KR100922622B1 (ko) * 2007-11-21 2009-10-21 주식회사 중원 확장이 용이한 저류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8813A (ja) * 2002-03-14 2003-09-25 Shimamura Kasei:Kk 波付きポリオレフィン管を用いた雨水貯水槽
KR200312341Y1 (ko) * 2003-02-18 2003-05-09 한무영 빗물이용 및 교육용 빗물저장 탱크
KR20070032834A (ko) * 2005-09-20 2007-03-23 한승희 관유닛을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
KR100922622B1 (ko) * 2007-11-21 2009-10-21 주식회사 중원 확장이 용이한 저류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60190A1 (en) Tessellation square module and underground storage system
JP4316601B2 (ja) 雨水の貯水施設
US20110135392A1 (en) Modular, scalable liquid management system
KR101321992B1 (ko) 블록식 우수 저류조
KR101288631B1 (ko) 우수 저류장치
JP4163088B2 (ja) 雨水の貯水施設
KR101182955B1 (ko) 보강리브가 구비된 원통 맨홀
KR200410189Y1 (ko) 맨홀 장치
KR100623240B1 (ko) 배수관이 일체로 형성된 맨홀.
US20190186118A1 (en) An arrangement for a sewerage system comprising a french drain
JP6159295B2 (ja) マンホール補修方法
KR100929687B1 (ko) 암거용 어셈블리
JP4571613B2 (ja) 雨水浸透施設
KR101371151B1 (ko) 밸브실
KR20070113329A (ko) 합성구조 맨홀(상수도밸브실, 하수도맨홀)및 이를 이용한맨홀 시공공법
KR101013596B1 (ko) 블록형 우수 저류조
KR200435698Y1 (ko)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KR101804812B1 (ko)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 설치방법
JP2011202475A (ja) 雨水流出抑制施設
CN210395588U (zh) 雨水口检查井
KR102386350B1 (ko) 세로형 수로관
KR102060765B1 (ko) 복합형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JP7104619B2 (ja) 雨水貯留浸透部材
TWM576748U (zh) Trench structure
KR20190135301A (ko) 셀 구조물 및 저장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