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765B1 - 복합형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복합형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0765B1
KR102060765B1 KR1020180074963A KR20180074963A KR102060765B1 KR 102060765 B1 KR102060765 B1 KR 102060765B1 KR 1020180074963 A KR1020180074963 A KR 1020180074963A KR 20180074963 A KR20180074963 A KR 20180074963A KR 102060765 B1 KR102060765 B1 KR 102060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outlet
connection
gaske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승열
이재환
Original Assignee
(주)제철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철산업 filed Critical (주)제철산업
Priority to KR1020180074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7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형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합형 저류조는 콘크리트 관로와, 체결편들과, 연결판들과, 개스킷부들, 및 파형강관들을 포함한다. 콘트리트 관로는 지하에 매설되어 우수를 공급받는 것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통로가 형성되고, 적어도 한쪽 옆면에 유출입홀부가 통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배열된다. 체결편들은 유출입홀부들에 각각 배치되어 유출입홀부 주변을 따라 콘크리트 관로에 부분적으로 각각 매립된다. 연결판들은 체결편들과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유출입홀부에 통하게 형성된 연결홀부와 체결편에 체결되는 연결부를 각각 구비한다. 개스킷부들은 유출입홀부와 연결홀부 사이마다 기밀을 유지한다. 파형강관들은 한쪽 개구 단이 연결판들에 각각 연결되어 지하에 매설된다.

Description

복합형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Hybrid type storage tank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되어 우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필요시에는 저장된 우수를 재활용할 수 있게 하는 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수기에는 집중호우 등으로 하천에 유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도시의 침수나 하천의 범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 갈수기에는 상류에 댐이 없는 하천의 경우 유량이 적으므로 각종 혐기성 생물의 서식처가 되기 마련이며, 이로 인해 미생물의 번식과 기타 오염원이 퇴적되어 악취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하천에 일정한 양의 물이 상시 흐를 수 있도록 유지용량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유지용량을 확보하기 위해, 댐 건설 등이 있어야 하지만, 환경 및 생태적인 문제, 토지 확보 문제 등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쉽지 않다. 댐 건설 등이 없이도 유지유량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지하에 저류조를 매설해서 사용하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85958호(2011.08.03. 공개)
본 발명의 과제는 현장 상황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간편하게 시공 가능한 복합형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저류조는 콘크리트 관로와, 체결편들과, 연결판들과, 개스킷부들, 및 파형강관들을 포함한다. 콘트리트 관로는 지하에 매설되어 우수를 공급받는 것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통로가 형성되고, 적어도 한쪽 옆면에 유출입홀부가 통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배열된다. 체결편들은 유출입홀부들에 각각 배치되어 유출입홀부 주변을 따라 콘크리트 관로에 부분적으로 각각 매립된다. 연결판들은 체결편들과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유출입홀부에 통하게 형성된 연결홀부와 체결편에 체결되는 연결부를 각각 구비한다. 개스킷부들은 유출입홀부와 연결홀부 사이마다 기밀을 유지한다. 파형강관들은 한쪽 개구 단이 연결판들에 각각 연결되어 지하에 매설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저류조 시공방법은, 길이 방향을 따라 통로가 형성되고 적어도 한쪽 옆면에 유출입홀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배열된 형태를 갖는 콘크리트 관로를 현장 타설 공법이나 프리캐스트 공법으로 성형하여 지하 매설 공간에 설치한다. 유출입홀부의 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체결편을 마련한 후, 콘크리트 관로의 성형시, 체결편을 유출입홀부 주변을 따라 부분적으로 매립한다.
그리고, 유출입홀부에 통하게 형성된 연결홀부와 체결편에 체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연결부를 구비하는 연결판을 마련한다. 유출입홀부와 연결홀부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개스킷부를 마련한다. 그 다음, 유출입홀부와 연결홀부 사이마다 개스킷부를 배치한 상태로 상기 체결편과 연결부를 체결한다. 그 다음, 개구된 한쪽 단이 연결판들에 각각 연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파형강관들을 마련한 후, 파형강관들을 지하 매설 공간에 배치한 상태로 파형강관들의 한쪽 개구 단을 연결판들에 각각 연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관로와 파형강관들이 체결편들과 연결판들을 매개로 간편하게 볼팅 결합되어 연결될 수 있는 구성이므로, 현장 상황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저류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 콘크리트 관로의 폭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어서, 콘크리트 관로의 길이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 체결편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저류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있어서, 콘크리트 관로의 폭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있어서, 콘크리트 관로의 길이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있어서, 체결편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체결편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저류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 콘크리트 관로의 폭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어서, 콘크리트 관로의 길이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 체결편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저류조는 지하에 매설되어 우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필요시에는 저장된 우수를 재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콘크리트 관로(110)와, 체결편(120)들과, 연결판(130)들과, 개스킷부(140)들, 및 파형강관(150)들을 포함한다.
콘크리트 관로(110)는 지하에 매설되어 우수를 공급받는다. 콘크리트 관로(1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통로(111)가 형성된다. 콘크리트 관로(110)의 통로(111)는 사각형 통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콘크리트 관로(110)는 내,외벽이 사각형으로 둘러진 사각형 관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콘크리트 관로(110)의 통로(111)는 우수 처리용량을 높일 수 있게 파형강관(150)의 통로보다 큰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콘크리트 관로(110)는 양쪽 단에 맨홀(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콘크리트 관로(110)는 한쪽 맨홀의 집수정을 통해 우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콘크리트 관로(110)의 다른 쪽 맨홀은 복합형 저류조에 저장된 우수를 하천으로 유출하거나 차단하도록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단시간 내에 폭우가 쏟아질 경우, 콘크리트 관로(110)의 다른 쪽 맨홀은 우수를 하천으로 유출시키도록 개방되며, 복합형 저류조는 우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 개방된 맨홀을 통해 하천으로 서서히 유출함으로써, 하천으로 유입되는 우수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강우 종료시, 콘크리트 관로(110)의 다른 쪽 맨홀은 하천으로 유출되는 우수를 차단하도록 폐쇄되며, 복합형 저류조는 저장된 우수를 재활용 시설에 의해 필요에 따라 재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콘크리트 관로(110)는 적어도 한쪽 옆면에 유출입홀부(112)가 통로(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배열된다. 유출입홀부(112)들은 후술할 파형강관(150)들의 배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콘크리트 관로(110)는 한쪽 옆면에 파형강관(150)들이 배열되어 연결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콘크리트 관로(110)는 반대쪽 옆면에 유출입홀부(112)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콘크리트 관로(110)는 양쪽 옆면에 파형강관(150)들이 배열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콘크리트 관로(110)에 대한 파형강관(150)들의 배열 형태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유출입홀부(112)들은 연결판(130)들의 연결홀부(131)들을 거쳐 파형강관(150)들과 통하게 된다. 유출입홀부(112)들은 콘크리트 관로(110)의 통로(111)로 공급되는 우수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콘크리트 관로(110)로부터 우수를 월류(overflow)시켜 파형강관(150)들로 유출시킴으로써, 우수가 파형강관(150)들에 저장될 수 있게 한다. 유출입홀부(112)들은 파형강관(150)들에 저장된 우수를 콘크리트 관로(110)로 유입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유출입홀부(112)들은 작업자가 파형강관(150)들을 출입하여 파형강관(150)들의 각 내부를 점검하게 하는 점검구로 기능할 수 있다. 유출입홀부(112)들은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유출입홀부(112)들은 모두 동일한 크기를 갖는 원형 홀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유출입홀부(112)에는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우수가 콘크리트 관로(110)로부터 유출입홀부(112)를 통해 파형강관(150)으로 유출될 때, 필터는 콘크리트 관로(110)로 공급되는 우수에 포함된 토사 등의 오염원을 제거함으로써, 오염원이 제거된 우수가 파형강관(150)에 저장될 수 있게 한다.
콘크리트 관로(110)는 콘크리트로 타설되어 성형될 수 있다. 콘크리트 관로(110)는 현장 타설 공법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이 경우, 지하 매설 공간(10)에서 콘크리트 관로 성형을 위한 거푸집을 만들어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콘크리트 관로(110)를 성형하게 된다. 다른 예로, 콘크리트 관로(110)는 프리캐스트 공법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이 경우, 콘크리트 관로(110)를 제조 공장에서 미리 성형한 후, 지하 매설 공간(10)에 설치하게 된다.
콘크리트 관로(110)는 일측 상부에 내부 점검을 위한 점검구(113)가 형성될 수 있다. 점검구(113)는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점검구(113)의 상부에는 관 형태로 이루어진 점검관이 연결될 수 있다. 작업자는 점검관의 상부 개구를 통해 출입할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점검관의 상단으로부터 콘크리트 관로(110) 내로 사다리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콘크리트 관로(110)의 내부 점검시 점검 사다리를 이용해서 콘크리트 관로(110)에 대해 편리하게 출입할 수 있다.
또한, 점검관의 상부 개구는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는 우수를 통과시킬 수 있는 메쉬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점검관의 상부 개구에는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필터는 우수에 포함된 토사 등의 오염원을 제거함으로써, 오염원이 제거된 우수가 콘크리트 관로(110)로 공급될 수 있게 한다.
체결편(120)들은 유출입홀부(112)들에 각각 배치된다. 체결편(120)들은 파형강관(150)들을 유출입홀부(112)들과 각각 통하게 한 상태로 콘크리트 관로(110)에 체결하게 한다. 일 예로, 유출입홀부(112)의 주변을 따라 체결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편(120)은 외측 링부(120a)와 내측 링부(120b) 및 체결 볼트 수용부(120c)들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 링부(120a)는 유출입홀부(112)의 외측 주변을 따라 노출되게 콘크리트 관로(110)에 매립된다. 외측 링부(120a)는 유출입홀부(112)의 체결홀들과 일대일로 매칭되는 체결홀들을 가질 수 있다. 외측 링부(120a)의 중앙홀은 유출입홀부(112)와 동일한 지름을 갖는 원형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 링부(120b)는 유출입홀부(112)의 내측 주변을 따라 노출되게 콘크리트 관로(110)에 매립된다. 내측 링부(120b)는 외측 링부(120a)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 볼트 수용부(120c)들은 유출입홀부(112)의 체결홀에 각각 끼워진 상태로 콘크리트 관로(110)에 매립된다.
체결 볼트 수용부(120c)는 체결 볼트(126)를 관통시킨 상태로 수용한다. 체결 볼트 수용부(120c)는 양쪽 끝이 개구된 중공 원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 볼트 수용부(120c)들은 외측 링부(120a)의 체결홀들에 각각 일대일로 매칭되어 고정된 상태로 유출입홀부(112)의 체결홀에 각각 끼워질 수 있다.
체결편(120)들은 콘크리트 관로(110)의 성형시 거푸집에 고정되어 콘크리트 관로(110)에 부분적으로 매립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편(120)은 내,외측 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콘크리트 관로(110)에 매립된다.
연결판(130)들은 체결편(120)들과 각각 연결된다. 연결판(130)들은 파형강관(150)들을 체결편(120)들에 연결할 수 있게 한다. 각각의 연결판(130)은 유출입홀부(112)에 통하게 형성된 연결홀부(131) 및 체결편(120)에 체결되는 연결부(132)를 구비한다.
연결홀부(131)는 유출입홀부(112)와 동일한 지름을 갖는 원형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132)는 연결홀부(131) 주변을 따라 체결홀들이 배열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132)의 체결홀들은 체결편(120)의 체결홀들과 일대일로 매칭되게 형성되어 체결 볼트(126)들을 각각 관통시킬 수 있다. 체결 볼트(126)는 연결부(132)의 체결홀로부터 외측 링부(120a)의 체결홀과 체결 볼트 수용부(120c)를 거쳐 내측 링부(120b)의 체결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 너트(127)와 결합됨으로써, 연결부(132)와 체결편(120)을 볼팅 결합할 수 있다.
개스킷부(140)들은 유출입홀부(112)와 연결홀부(131) 사이마다 기밀을 유지한다. 개스킷부(140)는 유출입홀부(112)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져 체결편(120)과 연결부(132) 사이에 배치된다. 유출입홀부(112)가 원형인 경우, 개스킷부 (140)는 원형 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스킷부(140)는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스킷부(140)는 체결편(120)의 체결홀들과 일대일로 매칭되는 체결홀들을 가질 수 있다. 연결부(132)의 체결홀과 체결편(120)의 체결홀이 체결 볼트(126)에 의해 체결될 때, 개스킷부(140)의 체결홀은 체결 볼트(126)를 끼움으로써, 개스킷부(140)가 체결편(120)과 연결부(132) 사이에 밀착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할 수 있다.
파형강관(150)들은 한쪽 개구 단이 연결판(130)들에 각각 연결되어 지하에 매설된다. 파형강관(150)은 파형 주름이 잡힌 원형 강관으로 이루어진다. 파형강관(150)들은 콘크리트 관로(110)로부터 월류되어 유출입홀부(112)들을 통해 각각 공급되는 우수를 저장할 수 있게 한다. 파형강관(150)들은 한쪽 단이 개구되어 연결판(130)에 연결되며, 다른 쪽 단이 마감판(151)에 의해 막힌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파형강관(150)은 연결판(130)에 용접될 수 있다. 여기서, 파형강관(150)은 연결판(130)에 용접된 부위가 기밀을 유지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파형강관(150)은 양쪽 단에 플랜지를 구비할 수 있다. 플랜지는 둘레를 따라 체결홀들을 가질 수 있다. 연결판(130)은 플랜지의 체결홀들과 일대일로 매칭되는 체결홀들을 가질 수 있다. 파형강관(150)은 플랜지의 체결홀과 연결판(130)의 체결홀이 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연결판(130)에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파형강관(150)과 연결판(130)의 연결 부위는 개스킷에 의해 방수 처리될 수 있다. 마감판(151)도 연결판(130)과 전술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파형강관(150)에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복합형 저류조는 콘크리트 관로(110)와 파형강관(150)들이 체결편(120)들과 연결판(130)들을 매개로 간편하게 볼팅 결합되어 연결될 수 있는 구성이므로, 현장 상황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간편하게 시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저류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있어서, 콘크리트 관로의 폭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있어서, 콘크리트 관로의 길이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있어서, 체결편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저류조에서, 콘크리트 관로(210)의 유출입홀부(212)는 유출구(212a)와 유출구(212a)보다 낮게 위치된 유입구(212b)를 1조로 이루는 형태로 통로(2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배열된다.
유출구(212a)들은 연결판(230)들의 제1 연결홀(231a)들을 거쳐 파형강관(250)들과 통하게 된다. 유출구(212a)들은 콘크리트 관로(210)의 통로(211)로 공급되는 우수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콘크리트 관로(210)로부터 우수를 월류시켜 파형강관(250)들로 유출시킴으로써, 우수가 파형강관(250)들에 저장될 수 있게 한다. 유출구(212a)들은 모두 동일한 크기를 갖는 원형 홀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유출구(212a)에는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우수가 콘크리트 관로(210)로부터 유출구(212a)를 통해 파형강관(250)으로 유출될 때, 필터는 콘크리트 관로(210)로 공급되는 우수에 포함된 토사 등의 오염원을 제거함으로써, 오염원이 제거된 우수가 파형강관(250)에 저장될 수 있게 한다.
유입구(212b)들은 연결판(230)들의 제2 연결홀(231b)들을 거쳐 파형강관(250)들과 통하게 된다. 유입구(212b)들은 파형강관(250)들에 저장된 우수를 콘크리트 관로(210)로 유입시킬 수 있게 한다. 유입구(212b)들은 모두 동일한 크기를 갖는 원형 홀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유입구(212b)들은 작업자가 파형강관(250)들을 출입하여 파형강관(250)들의 각 내부를 점검하게 하는 점검구로 기능할 수 있다. 유입구(212b)들은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콘크리트 관로(210)의 통로(211)는 유출구(212a)들에 통하는 상측 통로(211a)와 유입구(212b)들에 통하는 하측 통로(211b)로 이루어지도록 수평 격벽(211c)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이 경우, 콘크리트 관로(210)의 상측 통로(211a)는 공급된 우수를 유출구(212a)들을 통해 파형강관(250)들에 전달하는 우수관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콘크리트 관로(210)의 하측 통로(211b)는 파형강관(250)들에 저장된 우수를 유입구(212b)들을 통해 전달받아 저장하는 저수조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체결편(220)은 해당 유출입홀부(212)의 유출구(212a) 주변을 따라 콘크리트 관로(210)에 부분적으로 매립된 제1 체결부(220a)와, 해당 유출입홀부(212)의 유입구(212b) 주변을 따라 콘크리트 관로(210)에 부분적으로 매립된 제2 체결부(220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체결부(220a)는 전술한 예의 체결편(120)의 외측 링부(120a)와 내측 링부(120b) 및 체결 볼트 수용부(120c)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외측 링부와 내측 링부 및 체결 볼트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결부(220b)도 전술한 예의 체결편(120)와 동일하게 외측 링부와 내측 링부 및 체결 볼트 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체결부(220a)의 외측 링부와 제2 체결부(220b)의 외측 링부는 연결체(220c)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체(220c)는 콘크리트 관로(210)에 매립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결부(220a)의 외측 링부와 제2 체결부(220b)의 외측 링부는 연결체(220c) 없이 분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밖에도, 체결편(220)은 전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범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연결판(230)의 연결홀부(231)는 유출구(212a)에 통하게 형성된 제1 연결홀(231a)과 유입구(212b)에 통하게 형성된 제2 연결홀(231b)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연결홀(231a)은 유출구(212a)와 동일한 지름을 갖는 원형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연결홀(231b)은 유입구(212b)와 동일한 지름을 갖는 원형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판(230)의 연결부(232)는 제1 체결부(220a)에 체결되는 제1 연결부(232a)와 제2 체결부(220b)에 체결되는 제2 연결부(232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연결부(232a)는 제1 연결홀(231a) 주변을 따라 체결홀들이 배열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부(232b)는 제2 연결홀(231b) 주변을 따라 체결홀들이 배열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232a)의 체결홀들은 제1 체결부(220a)의 체결홀들과 일대일로 매칭되게 형성되어 체결 볼트(226)들을 각각 관통시킬 수 있다. 제2 연결부(232b)의 체결홀들은 제2 체결부(220b)의 체결홀들과 일대일로 매칭되게 형성되어 체결 볼트(126)들을 각각 관통시킬 수 있다.
체결 볼트(226)는 제1 연결부(232a)의 체결홀과 제1 체결부(220a)의 체결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 너트(227)와 결합됨으로써, 제1 연결부(232a)와 제1 체결부(220a)를 체결할 수 있다. 체결 볼트(226)는 제2 연결부(232b)의 체결홀과 제2 체결부(220b)의 체결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 너트(227)와 결합됨으로써, 제2 연결부(232b)와 제2 체결부(220b)를 볼팅 결합할 수 있다.
개스킷부(240)는 유출구(212a)와 제1 연결홀(231a)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제1 개스킷(240a)과, 유입구(212b)와 제2 연결홀(231b)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제2 개스킷(240b)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개스킷(240a)은 유출구(212a)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져 제1 체결부(220a)와 제1 연결부(232a) 사이에 배치된다. 유출구(212a)가 원형인 경우, 제1 개스킷(240a)은 원형 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개스킷(240a)은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개스킷(240a)은 제1 체결부(220a)의 체결홀들과 일대일로 매칭되는 체결홀들을 가질 수 있다. 제1 연결부(232a)의 체결홀과 제1 체결부(220a)의 체결홀이 체결 볼트(226)에 의해 체결될 때, 제1 개스킷(240a)의 체결홀은 체결 볼트(226)를 끼움으로써, 제1 개스킷(240a)이 제1 체결부(220a)와 제1 연결부(232a) 사이에 밀착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제2 개스킷(240b)은 유입구(212b)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져 제2 체결부(220b)와 제2 연결부(232b) 사이에 배치된다. 유입구(212b)가 원형인 경우, 제2 개스킷(240b)은 원형 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개스킷(240b)은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개스킷(240b)은 제2 체결부(220b)의 체결홀들과 일대일로 매칭되는 체결홀들을 가질 수 있다. 제2 연결부(232b)의 체결홀과 제2 체결부(220b)의 체결홀이 체결 볼트(226)에 의해 체결될 때, 제2 개스킷(240b)의 체결홀은 체결 볼트(226)를 끼움으로써, 제2 개스킷(240b)이 제2 체결부(220b)와 제2 연결부(232b) 사이에 밀착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한다.
파형강관(250)들은 한쪽 개구 단이 연결판(230)들에 각각 연결되어 지하에 매설된다. 파형강관(250)들은 콘크리트 관로(210)로부터 월류되어 유출구(212a)들을 통해 각각 공급되는 우수를 저장할 수 있게 한다. 파형강관(250)들은 전술한 파형강관(150)과 동일한 방식으로, 한쪽 단이 개구되어 연결판(230)에 연결되며, 다른 쪽 단이 마감판(251)에 의해 막힌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복합형 저류조를 시공방법의 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콘크리트 관로(110, 210)를 현장 타설 공법이나 프리캐스트 공법으로 성형하여 지하 매설 공간(10)에 설치한다. 이때, 콘크리트 관로(110, 2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통로(111, 211)가 형성되고 적어도 한쪽 옆면에 유출입홀부(112, 212)가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배열된 형태를 갖도록 성형된다.
여기서, 유출입홀부(212)는 유출구(212a)와 유출구(212a)보다 낮게 위치된 유입구(212b)를 1조로 이루는 형태로 배열되게 할 수 있다. 콘크리트 관로(210)의 통로(211)를 유출구(212a)들에 통하는 상측 통로(211a)와 유입구(212b)들에 통하는 하측 통로(211b)로 구획하도록 수평 격벽(211c)을 성형할 수 있다.
현장 타설 공법의 경우, 지하 매설 공간(10)에서 콘크리트 관로 성형을 위한 거푸집을 만들어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콘크리트 관로(110, 210)를 성형하게 된다. 프리캐스트 공법의 경우, 콘크리트 관로(110, 210)를 제조 공장에서 미리 성형한 후, 지하 매설 공간(10)에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체결편(120, 220)들을 마련한 후, 콘크리트 관로(110, 210)의 성형시 콘크리트 관로(110, 210)에 부분적으로 매립한다. 이때, 일 예에 따른 체결편(120)은 유출입홀부(112)의 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콘크리트 관로(110)의 성형시, 체결편(210)를 유출입홀부(112) 주변을 따라 부분적으로 매립한다.
다른 예에 따른 체결편(220)은 유출구(212a) 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제1 체결부(220a)와, 유입구(212b) 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제2 체결부(220b)를 구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 관로(210)의 성형시, 제1 체결부(220a)를 유출구(212a) 주변을 따라 부분적으로 매립함과 아울러 제2 체결부(220b)를 유입구(212b) 주변을 따라 부분적으로 매립한다.
콘크리트 관로(110, 210)의 성형시, 체결편(120, 220)들을 거푸집에 고정한 후 체결편(120, 220)들의 각 한쪽 면을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콘크리트 관로(110, 210)에 매립할 수 있다.
연결판(130, 230)들을 마련한다. 이때, 일 예에 따른 연결판(130)은 유출입홀부(112)에 통하게 형성된 연결홀부(131)와 체결편(120)에 체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연결부(132)를 구비하도록 한다. 다른 예에 따른 연결판(230)의 연결홀부(231)는 유출구(212a)에 통하게 형성된 제1 연결홀(231a)과, 유입구(212b)에 통하게 형성된 제2 연결홀(231b)를 구비할 수 있다. 연결판(230)의 연결부(232)는 제1 체결부(220a)에 체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제1 연결부(232a)와, 제2 체결부(220b)에 체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제2 연결부(232b)를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개스킷부(140, 240)들을 마련한다. 이때, 일 예에 따른 개스킷부(140)는 유출입홀부(112)와 연결홀부(131)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다른 예에 따른 개스킷부(240)는 유출구(212a)와 제1 연결홀(231a)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제1 개스킷(240a)와, 제2 유입구(212b)와 제2 연결홀(231b)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제2 개스킷(240b)를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그 다음, 유출입홀부(112, 212)와 연결홀부(131, 231) 사이마다 개스킷부(140, 240)를 배치한 상태로 체결편(120, 220)과 연결부(132, 232)를 체결한다. 이때, 일 예에 따르면, 유출입홀부(112)와 연결홀부(131) 사이마다 개스킷부(140)들을 배치한 상태에서, 체결 볼트(126)를 연결부(132)의 체결홀과 체결편(120)의 체결홀에 끼운 상태에서 체결 너트(127)와 결합시킴으로써, 체결편(120)과 연결부(132)를 체결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유출구(212a)와 제1 연결홀(231a) 사이마다 제1 개스킷(240a)들을 배치한 상태로 제1 체결부(220a)와 제1 연결부(232a)를 체결한다. 이때, 체결 볼트(226)를 제1 연결부(232a)의 체결홀과 제1 체결부(220a)의 체결홀에 끼운 상태에서 체결 너트(227)와 결합시킴으로써, 제1 체결부(220a)과 제1 연결부(232a)를 체결할 수 있다. 유입구(212b)와 제2 연결홀(231b) 사이마다 제2 개스킷(240b)들을 배치한 상태로 제2 체결부(220b)와 제2 연결부(232b)를 체결한다. 이때, 체결 볼트(226)를 제2 연결부(232b)의 체결홀과 제2 체결부(220b)의 체결홀에 끼운 상태에서 체결 너트(227)와 결합시킴으로써, 제2 체결부(220b)와 제2 연결부(232b)를 체결할 수 있다.
그리고, 파형강관(150, 250)들을 마련한 후, 연결판(130, 230)들에 각각 연결한다. 이때, 각각의 파형강관(150, 250)은 개구된 한쪽 단이 연결판(130, 230)에 연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마련된다. 파형강관(150, 250)들을 지하 매설 공간(10)에 배치한 상태로 파형강관(150, 250)들의 한쪽 개구 단을 연결판(130, 230)들에 각각 연결한다. 파형강관(150, 250)들이 콘크리트 관로(110, 210)에 모두 연결된 후, 지하 매설 공간(10)을 흙으로 메우면 복합형 저류조에 대한 시공이 완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210..콘크리트 관로
120, 220..체결편
130, 230..연결판
140, 240..개스킷부
150, 250..파형강관

Claims (4)

  1. 삭제
  2. 지하에 매설되어 우수를 공급받는 것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통로가 형성되고, 적어도 한쪽 옆면에 유출입홀부가 상기 통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배열된 콘크리트 관로;
    상기 유출입홀부들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유출입홀부 주변을 따라 상기 콘크리트 관로에 부분적으로 각각 매립된 체결편들;
    상기 체결편들과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유출입홀부에 통하게 형성된 연결홀부와 상기 체결편에 체결되는 연결부를 각각 구비하는 연결판들;
    상기 유출입홀부와 연결홀부 사이마다 기밀을 유지하는 개스킷부들; 및
    한쪽 개구 단이 상기 연결판들에 각각 연결되어 지하에 매설되는 파형강관들;을 포함하며,
    상기 유출입홀부는 유출구와 상기 유출구보다 낮게 위치된 유입구를 1조로 이루게 배열되며;
    상기 콘크리트 관로의 통로는 상기 유출구들에 통하는 상측 통로와 상기 유입구들에 통하는 하측 통로로 이루어지도록 수평 격벽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체결편은 상기 유출구 주변을 따라 상기 콘크리트 관로에 부분적으로 매립된 제1 체결부와 상기 유입구 주변을 따라 상기 콘크리트 관로에 부분적으로 매립된 제2 체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홀부는 상기 유출구에 통하게 형성된 제1 연결홀과 상기 유입구에 통하게 형성된 제2 연결홀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체결부에 체결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에 체결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개스킷부는 상기 유출구와 제1 연결홀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제1 개스킷과 상기 유입구와 제2 연결홀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제2 개스킷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저류조.
  3. 삭제
  4. 길이 방향을 따라 통로가 형성되고 적어도 한쪽 옆면에 유출입홀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배열된 형태를 갖는 콘크리트 관로를 현장 타설 공법이나 프리캐스트 공법으로 성형하여 지하 매설 공간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유출입홀부의 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형태로 각각 이루어진 체결편들을 마련한 후, 상기 콘크리트 관로의 성형시, 상기 체결편을 상기 유출입홀부 주변을 따라 부분적으로 매립하는 단계;
    상기 유출입홀부에 통하게 형성된 연결홀부와 상기 체결편에 체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연결부를 각각 구비하는 연결판들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유출입홀부와 연결홀부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개스킷부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유출입홀부와 연결홀부 사이마다 상기 개스킷부를 배치한 상태로 상기 체결편과 연결부를 체결하는 단계; 및
    개구된 한쪽 단이 상기 연결판들에 각각 연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파형강관들을 마련한 후, 상기 파형강관들을 지하 매설 공간에 배치한 상태로 상기 파형강관들의 한쪽 개구 단을 연결판들에 각각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 관로의 성형 단계에서는,
    상기 유출입홀부가 유출구와 상기 유출구보다 낮게 위치된 유입구를 1조로 이루는 형태로 배열되게 하고, 상기 콘크리트 관로의 통로를 상기 유출구들에 통하는 상측 통로와 상기 유입구들에 통하는 하측 통로로 구획하도록 수평 격벽을 성형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편의 매립 단계에서는,
    상기 체결편이 상기 유출구 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제1 체결부와 상기 유입구 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제2 체결부를 구비하도록 한 후, 상기 제1 체결부를 상기 유출구 주변을 따라 부분적으로 매립함과 아울러 상기 제2 체결부를 상기 유입구 주변을 따라 부분적으로 매립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판의 마련 단계에서는,
    상기 연결홀부가 상기 유출구에 통하게 형성된 제1 연결홀과 상기 유입구에 통하게 형성된 제2 연결홀을 구비하도록 하고, 상기 연결부가 상기 제1 체결부에 체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에 체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제2 연결부를 구비하도록 하며;
    상기 개스킷부의 마련 단계에서는,
    상기 개스킷부가 상기 유출구와 제1 연결홀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제1 개스킷과 상기 유입구와 제2 연결홀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제2 개스킷을 구비하도록 하며;
    상기 체결편과 연결부의 체결 단계에서는,
    상기 유출구와 제1 연결홀 사이마다 상기 제1 개스킷을 배치한 상태로 상기 제1 체결부와 제1 연결부를 체결하고, 상기 유입구와 제2 연결홀 사이마다 상기 제2 개스킷을 배치한 상태로 상기 제2 체결부와 제2 연결부를 체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저류조 시공방법.
KR1020180074963A 2018-06-28 2018-06-28 복합형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060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963A KR102060765B1 (ko) 2018-06-28 2018-06-28 복합형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963A KR102060765B1 (ko) 2018-06-28 2018-06-28 복합형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0765B1 true KR102060765B1 (ko) 2019-12-30

Family

ID=69103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963A KR102060765B1 (ko) 2018-06-28 2018-06-28 복합형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076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944B1 (ko) * 2008-03-10 2010-08-13 조용우 관체결합수단을 갖는 인버터맨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944B1 (ko) * 2008-03-10 2010-08-13 조용우 관체결합수단을 갖는 인버터맨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4571B2 (ja) 排水ます及びこれを備えた排水設備
RU88713U1 (ru) Колодец кабельной канализации
KR102200336B1 (ko) 악취 및 빗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빗물받이 및 그 제조방법
AU2010273166A1 (en) Liquid run-off disposal system
JP6069779B2 (ja) 多層式下水道管
CN208899603U (zh) 一种海绵城市建设模式下的雨污废三管合一排水系统
KR102060765B1 (ko) 복합형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359101B1 (ko) 락심부 용접을 한 고내식성 리브 및 파형강관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JP5089566B2 (ja) 排水ます
US20150043972A1 (en) Liquid run-off disposal system
KR20190076949A (ko) 프랑스식 배수구를 포함하는 하수 설비 시스템을 위한 장치
KR101604535B1 (ko) 하수관로 물막이 구조
KR100623240B1 (ko) 배수관이 일체로 형성된 맨홀.
CN213390415U (zh) 一种雨污分流井和排水系统
KR102242347B1 (ko) 밸브실이 구비된 일체식 통합맨홀
CN115059158A (zh) 一种城市旧路的雨污水管网改造系统及其方法
KR100641264B1 (ko) 방사형 관로세척장치
CN210013303U (zh) 新旧污水管道连接结构
KR101580044B1 (ko) 하수관로 물막이 공법
KR100733608B1 (ko) 하수암거 부착식 우오수 분리장치
KR100694193B1 (ko) 방수밀폐형맨홀
CN211257213U (zh) 一种市政排水管
CN219488454U (zh) 一种垃圾站污水收集系统
RU12267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рметизации канализационного колодца
KR100992693B1 (ko) 프리캐스트 구조물과 관로간의 방수용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