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1264B1 - 방사형 관로세척장치 - Google Patents

방사형 관로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1264B1
KR100641264B1 KR1020050022655A KR20050022655A KR100641264B1 KR 100641264 B1 KR100641264 B1 KR 100641264B1 KR 1020050022655 A KR1020050022655 A KR 1020050022655A KR 20050022655 A KR20050022655 A KR 20050022655A KR 100641264 B1 KR100641264 B1 KR 100641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shing apparatus
pipe washing
outle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2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4401A (ko
Inventor
진용환
Original Assignee
(주)아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산테크 filed Critical (주)아산테크
Publication of KR20060044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02Using electric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61H2201/105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with means for delivering media, e.g. drugs or cosme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형 관로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하나의 관로세척장치에 다수의 부관로를 조합, 설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관로세척시 이물질이 포함된 가압수를 도로상으로 배출시키지 않고, 유수지 또는 하천으로 배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방사형 관로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사형 관로세척장치의 관체는 상기 피그입출구 하단을 중심으로 하여 90도 직각 네 방향으로 분기되며;
상기 네 방향으로 분기된 관체의 각 단부에 배치된 레듀서와, 상기 레듀서 단부에 배치된 주관로에 제수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하나의 관로세척장치에 다수의 부관로를 조합, 설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관로세척시 이물질이 포함된 가압수를 도로변에 배출시키지 않고, 유수지 또는 하천으로 배출하여 교통 흐름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관로를 세척하도록 한 이점이 있다.
관로세척장치

Description

방사형 관로세척장치{Radiation type pipe conduit cleaning equipment}
도 1은 종래 관로세척장치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형 관로세척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형 관로세척장치의 작용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 "A"-"A"선에서 바라본 일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관로세척장치 10;관체
11;레듀서 13;제수변
15;주관로 20;피그입출구
25;커버
본 발명은 관로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그입출구의 하단을 중심으로 하여 관체가 각 90도 직각방향으로 분기되며, 이 관체의 각 단부에는 레듀서와, 이 레듀서의 단부에 배치된 주관로에 제수변이 설치된 방사형 관로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004년 4월 8일자로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특허출원 제 24213호에 대한 국내 우선권주장출원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에 매설되어 상수도를 공급하는 관로 내부에 퇴적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관로세척장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관로세척장치(1)가 그 대표적인 것으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이하, "세척장치"라 칭한다.)
도시한 바를 참조하면, 종래의 세척장치(1)는 관체(10)와 피그입출구(20)로 이루어져 있다.
관체(10)는 양단부가 관로(2)와 연결되며, 그 상부중심의 수직방향에는 피그입출구(20)가 마련되며, 이 피그입출구(20)의 상부에 커버(25)가 설치된다.
이러한 세척장치(1)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 배치되며, 부분적으로 세척작업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세척장치(1)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일측에 마련된 피그입출구(20)에 포탄 형태로 이루어진 폴리피그(5)를 삽입한 후, 관로(2)를 통해 압축공기 또는 고압의 가압수를 불어 넣음으로서, 상기한 폴리피그(5)를 추진시켜, 소정거리 이격된 다른 세척장치(1)의 피그입출구(20)로 배출시키므로서, 상기 관로(2)에 퇴적된 이물질 또는 스케일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 때, 도시 계획의 변경이나 도로망 정비등에 따라 이미 매설된 기존 관로(2)의 직각방향으로 새로운 관로(2)를 추가로 배관해야 할 경우가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기존관로의 직각방향으로 새로운 관로를 배관하기 위하여 맨홀을 추가로 굴착해야 하므로서, 막대한 시공예산이 추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맨홀뚜껑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 관로세척작업을 시행해야 하기 때문에 도로의 일정부분을 점유하므로서, 교통상황을 악화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폴리피그를 추진시켰던, 가압수가 도로상으로 배출되면 동절기에는 얼어 붙어 대형교통사고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관로에 다수의 청소관로를 직각방향으로 조합,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교통흐름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도 세척작업을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로세척시 이물질이 포함된 가압수를 도로변에 배출시키지 않고, 하천이나 유수지로 배출하도록 하여 교통 흐름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도 관로를 용이하게 세척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된 부관로에 연결, 설치되도록 배치된 관체와, 상기 관체의 상부중심에 마련된 피그입출구와, 상기 피그입출구의 상부에 설치된 커버를 포함하는 관로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관로세척장치의 관체는 상기 피그입출구의 하단을 중심으로 하여 90도 직각 네 방향으로 분기되며;
상기 네 방향으로 분기된 관체의 각 단부에 배치된 레듀서와, 상기 레듀서 단부에 배치된 주관로에 제수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예시도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형 관로세척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형 관로세척장치의 작용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 "A"-"A"선에서 바라본 일측단면도이다.(이하, 설명 편의상 종래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명칭과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사형 관로세척장치(1)(이하, "세척장치"라 칭한다.)는 관체(10)와 피그입출구(20)로 대별된다.
관체(10)는 환형의 파이프가 90도 직각방향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각 단부에는 레듀서(11)(Reducer)가 배치되는데, 레듀서(11)가 배치되는 이유로는, 탄성(彈性)이 있는 폴리우레탄(Poly Urethane)으로 이루어진 폴리피그(미도시)가 관체(10)를 통과하고 나서 주관로(15)를 통과할 때, 압축되며, 상기한 주관로(15)와 연결되는 동일 외경의 부관로(2a) 내벽에 퇴적된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이 레듀서(11)의 각 단부에 주관로(15)가 배치되고, 이 주관로(15)의 단부에는 제수변(13)이 설치되는데, 이 제수변(13)에 의해 각 주관로(15)가 개폐되는 것이다.
제수변(13)은 관로내부 유체(물)의 흐름을 조절하는 밸브(Valve)의 일종으로서, 관의 분기점(分岐點)에 설치하여 흐르는 유체의 양을 조절,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제수변(13)에 의해 90도 직각방향으로 설치된 네 개의 관체(10)중 일측 방향("F"표시부위)으로 연결된 관체(10)를 한 라인으로 연결할 경우, 직각방향인 타측방향("R"표시부위)으로 배치된 관체(10) 단부에 마련된 제수변(13)을 잠그고 사용하면 된다.
또한, 상술한 타측방향("R"표시부위)에 부관로(2a)가 추가배치될 경우, 잠겨져 있던 제수변(13)을 열어주면 된다.
상기한 주관로(15)의 각 단부는 부관로(2a)와 연결된다.
이와 같은 관체(10)의 중심부분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피그입출구(20)가 일체로 배치된다.
피그입출구(20)는 상기한 관체(10)의 외경보다는 다소 큰 외경으로 형성되며, 상단에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볼트홀(미도시)이 형성된 플랜지(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플랜지(21)의 상면에 커버(25)가 배치되며, 이 커버(25)의 상부중심에 압축공기나 가압수를 쏘아주도록 유입포트(26)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한 플랜지(21)와 커버(25)는 도시하지 않은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 해체되는 것이다.
피그입출구(20)의 하측은 상기한 관체(10)의 단부방향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확경되는 경사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피그입출구(20)로 삽입되는 폴리피그(미도시)가 후술하는 작용에서 제수변(13)이 오픈된 주관로(15)와 연결된 부관로(2a)를 따라 용이하게 방향전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90도 직각방향으로 배치된 각 주관로(15)의 단부에는 파이프 커플링(30)이 배치되는데, 이 파이프 커플링(30)은 단면상 "C"자형 대칭형으로 마련된 커플링(31)과 이 커플링(31)의 양측을 체결하는 결합부재(33)로 이루어진다.
이 파이프 커플링(30)은 상기한 주관로(15)와 부관로(2a)를 연결한 상태에서, 이 주, 부관로(15)(2a)의 연결부에 이 커플링(31)을 대칭형으로 배치시킨 뒤, 결합부재(33)를 체결하면 간단히 고정이 완료된다.
계속해서,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1)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에 마련된 세척장치(1)의 각 관체(10) 단부에 마련된 제수변(13)을 모두 잠그고, 세척장치(1)의 상측에 마련된 피그입출구(20) 상측의 커버(25;미도시)를 해체하여 폴리피그(5)를 투입하고, 이 폴리피그(5)의 투입이 완료되면, 도시하지 않은 커버(25)를 닫아서 체결, 고정한다.
그런 다음, 커버(25)의 상측중심에 마련된 유입포트(26)에 압축공기 또는 가압수를 쏘아 주면, 이 세척장치(1) 내부에 압력이 발생한다.
이와 동시에, 주, 부관로(15)(2a)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방향("R"표시부위)의 제수변(13) 열고, 하측방향에 도시된 다른 세척장치(1)의 제수변(13)("F" 및 "L"표 시부위)을 개방하면, 이 폴리피그(5)는 압축공기 또는 가압수의 압력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이, 오픈되어 있는("F" 및 "L"표시부위) 제수변(13)이 설치된 관체(10)를 통해 배출된다.
이에 따라, 각 주, 부관로(15)(2a) 내부에 퇴적되어 있던, 스케일 및 물때등의 이물질이 제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1)는 유수지 또는 하천 방향으로 마련된 관체(10)의 제수변(13)을 열어 주고 세척작업을 시행하면 가압수는 도로상에 배출되지 않고, 하천 또는 유수지등으로 배출되며, 맨홀 뚜껑(MH)을 닫아 놓은 상태에서 시공할 수 있으므로, 차량통행에 전혀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관로(15)와 부관로(2a)는 파이프 커플링(PC)에 의해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용이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1)에 의해 90도 직각방향 방사형으로 분기된 각 관체(10)에 부관로(2a)를 직각방향으로 조합,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도시계획변경이나 도로망 재정비등에 의해 부관로(2a)의 추가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폴리피그(5) 및 가압수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배치된 관체(10)는 유수지 또는 하천으로 직접 배출됨과 동시에, 맨홀(MH)을 덮어 놓은 상태로 세척작업이 이루어지므로, 도로상을 운행하는 차량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며, 나아가, 동절기에 도로를 결빙시키지 않아 교통흐름이 원활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 고, 그와 같은 변형실시는 본 발명 청구항의 기재 범위내에 있게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옥내배관용 관 세척장치에 의하면,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관로에 다수의 청소관로를 직각방향으로 조합, 설치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관로세척시 이물질이 포함된 가압수를 유수지 또는 하천으로 배출시키므로서, 교통 흐름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도 관로를 용이하게 세척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가압수를 도로상으로 배출시키지 않으므로, 동절기에 도로결빙에 의한 교통사고를 원천적으로 예방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지중에 매설된 부관로에 연결, 설치되도록 배치된 관체와, 상기 관체의 상부중심에 마련된 피그입출구와, 상기 피그입출구의 상부에 설치된 커버를 포함하는 관로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로세척장치의 관체는 상기 피그입출구 하단을 중심으로 하여 90도 직각 네 방향으로 분기되며;
    상기 네 방향으로 분기된 관체의 각 단부에 배치된 레듀서와, 상기 레듀서 단부에 배치된 주관로에 제수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관로세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는 상기 주관로와 부관로를 연결하는 파이프 커플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관로세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커플링은 단면상 "C"자형 대칭으로 마련된 커플링과, 상기 커플링의 양측을 체결하는 결합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관로세척장치.
KR1020050022655A 2004-04-08 2005-03-18 방사형 관로세척장치 KR1006412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213 2004-04-08
KR20040024213 2004-04-0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406U Division KR200387478Y1 (ko) 2004-04-08 2005-03-18 방사형 관로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401A KR20060044401A (ko) 2006-05-16
KR100641264B1 true KR100641264B1 (ko) 2006-11-14

Family

ID=37149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2655A KR100641264B1 (ko) 2004-04-08 2005-03-18 방사형 관로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12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590B1 (ko) * 2008-04-30 2009-04-03 정재현 위치고정된 기존관로의 연결용 관이음 구조
KR101418958B1 (ko) * 2012-04-24 2014-07-16 (주)아산테크 다관경의 세척과 점검용 밸브체
KR101952949B1 (ko) * 2018-05-28 2019-05-22 주식회사 키커시스템 유로 전환 밸브를 이용한 배관 유지 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77A (ja) 1996-06-17 1998-01-06 Inax Corp 配管接続具セ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77A (ja) 1996-06-17 1998-01-06 Inax Corp 配管接続具セ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401A (ko) 200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8330B1 (en) Truck tire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161982B1 (ko) 스마트 사계절 클린로드시스템
KR102120645B1 (ko) 고압질소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부단수 분기장치
JP4493699B2 (ja) 透水セグメントおよびこの透水セグメントを用いたトンネル
KR100641264B1 (ko) 방사형 관로세척장치
CN104727259A (zh) 设置有v型底部的市政桥梁护栏清洗装置及其使用方法
KR20120138973A (ko) 하수관거 유량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548990B1 (ko) 하수관거 세척장치
JP2008163622A (ja) 下水管の伏越し構造
KR200387478Y1 (ko) 방사형 관로세척장치
CA2313547C (en) Low profile high capacity inside drop for a manhole
KR100654632B1 (ko) 맨홀 물막이로 발생된 수두차 및 가설수로를 이용한무동력 하수관거 물돌리기 공법 및 그 장치
KR101045111B1 (ko) 수계전환용 관세척점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 관로 교체 시공방법
CN206289663U (zh) 一种管体及综合管廊
CN212715245U (zh) 一种建筑给排水用具有防逆流功能的排水管道
CN107489096A (zh) 一种城市高架道路雨水快速收集系统及其施工方法
KR102049198B1 (ko) 바닥 노즐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과 그 시공방법
KR200266201Y1 (ko) 도로의 조경 가로수 물 공급시설
CN113356321A (zh) 一种高密度建成区城市雨水系统溢流污染的控制方法
Kercho et al. Mains, Trains, and Automobiles: Utilizing Fort Worth’s Risk Assessment Data to Drive Sanitary Sewer Rehabilitation
KR102060765B1 (ko) 복합형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295837Y1 (ko) 관로세척장치
KR101668220B1 (ko) 하수,오수,폐수관용 세정장치
CN104963383B (zh) 一种有压输水管道倒虹吸管水力自动冲淤装置
JP2578342Y2 (ja) 下水道管における既設管との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