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645B1 - 고압질소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부단수 분기장치 - Google Patents

고압질소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부단수 분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645B1
KR102120645B1 KR1020200005177A KR20200005177A KR102120645B1 KR 102120645 B1 KR102120645 B1 KR 102120645B1 KR 1020200005177 A KR1020200005177 A KR 1020200005177A KR 20200005177 A KR20200005177 A KR 20200005177A KR 102120645 B1 KR102120645 B1 KR 102120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pipe
nitrogen
water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보연
Original Assignee
(주)이젠리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젠리버텍 filed Critical (주)이젠리버텍
Priority to KR1020200005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6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cleaning or refurbishing water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질소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부단수 분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수도관의 절단, 절단된 구간의 보수작업 등을 하지 않고서도 상수관에 질소를 간편하게 투입하여 상수관을 깨끗하게 세척하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상수도관에 질소를 투입하기 위해서는 상수도관의 2개 구간을 절단한 후 2개의 절단구간에 각각 별도의 질소투입구 및 질소분출구를 추가로 연결 설치해야 함은 물론 세척이 끝난 이후에는 2개의 절단구간을 배관으로 연결해야만 함으로써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공사비가 증가하고, 교통통제와 단수에 따른 주민생활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상수도관과 연결된 소화전에 질소투입장치를 연결함과 아울러 상수관에 부단수 분기장치를 이용하여 상수관을 절단하지 않고 퇴수 및 분출구를 설치한 후 상기 소화전을 이용하여 질소를 상수도관에 투입하고 퇴수 및 분출구를 통해 이물질 및 녹물을 분출하는 방법으로 상수도관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압질소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부단수 분기장치{Water pipe cleaning method using high pressure nitrogen and branching device used therefor}
본 발명은 상수도관의 절단, 절단된 구간의 보수작업 등을 하지 않고서도 상수관에 질소를 간편하게 투입하여 상수관을 깨끗하게 세척하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수돗물은 강·호수·댐(저수지)·지하수 등의 취수원에서 정수장을 거쳐 상수도관망으로 공급되어 각 가정(건물)에서 사용하게 된다. 정수장에서 각 가정(건물)의 입구까지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된 배관을 상수도관망이라 하며, 수도사업자가 이를 관리·운영하게 된다.
상수도관망은 다양한 설치년도·관경·공급수압·재질이 다른 배관으로 거미줄처럼 연결되어 있다. 물이 흐르는 배관의 내부는 오랜 시간이 흐르면서 이물질이 침착되어 쌓이게 되며 이는 수돗물을 오염시키는 주요 원인이 된다.
즉 수돗물이 공급되는 상수도관망 내부는 시간이 흐르면서 물에 포함된 각종의 성분들이 배관 내부에 침착되어 쌓이게 되는데, 그 양이 많아지게 되면 이물질의 농도도 높아져 주민이 사용하는 물에서도 육안으로 보이는 적수(녹물)가 보이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정수장에서부터 공급되는 양질의 수돗물을 오염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깨끗한 수돗물이 공급되게 하기 위해서는 정수장에서 생산되는 양질의 수돗물이 각 가정 (건물)의 입구까지 원수 그대로 공급이 될 수 있게 해야 하는데, 그러자면 상수도관망 전체를 주기적으로 일시에 세척하는 수밖에 없다고 할 것이다. 그래야지만 양질의 수돗물이 깨끗한 상태로 각 가정(건물)의 입구까지 공급이 될 수 있게 되고 주민들의 건강과 삶의 질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상기 상수도관망을 세척하는 기존의 세척방법들에는 압축공기를 이용한 방법, 압축공기와 물을 이용한 방법, 물의 수압을 이용한 방법, 약품을 이용한 방법,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세척하는 방법 등이 다양하게 개시되고 있다.
근자에는 질소기체(Gaseous Nitrogen)를 이용한 세척방법이 대두되고 있고, 상기 질소기체는 반응성(비활성)·폭발성·가연성·조연성이 없는 인체에 무해한 기체로서 공기보다 가볍고 분자 크기도 작아 기체의 진행 속도가 매우 빠르게 되기 때문에 높은 압 력으로 배관 내에 투입하여도 배관 내부의 압력은 상승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질소기체를 이용한 세척방법에 관련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9-0141567호, 명칭/ 고압질소를 이용한 수도배관세척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도배관세척방법」이 개시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고압질소를 이용하여 수도배관 내부 세척하므로, 일반 세척수에 의한 세척에 비해 세척률이 향상되고 단순한 세척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압의 질소를 주입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세척이 가능하며, 수도배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배관 세척 작업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상수도관에 질소를 투입하기 위해서는 상수도관의 2개 구간을 절단한 후 2개의 절단구간에 각각 별도의 질소투입구 및 질소분출구를 추가로 연결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세척이 끝난 이후에는 2개의 절단구간을 배관으로 연결해야만 함으로써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공사비가 증가하고, 교통통제와 단수에 따른 주민생활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또한, 고압의 질소가 분출되는 과정에서 오염된 이물질과 녹물이 함께 분출됨을 주민들이 볼 때 우리가 마시고 사용했던 물이 녹물이었다니 건강은 괜찮을까 하는 건강 염려증상이 생기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수도관과 연결된 소화전에 질소투입장치를 연결함과 아울러 상수관에 부단수 분기장치를 이용하여 상수관을 절단하지 않고 퇴수 및 분출구를 설치한 후 상기 소화전을 이용하여 질소를 상수도관에 투입하고 퇴수 및 분출구를 통해 이물질 및 녹물을 분출하는 방법으로 상수도관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화전이 구비되지 않은 상수도관의 2개 구간에는 부단수 분기장치를 이용하여 상수도관을 절단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질소투입구 및 퇴수 및 분출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퇴수 및 분출구 또는 수도미터기와 분리시킨 세대 분기관에 연결한 분출호스를 하수구 맨홀의 내부로 인입시켜 오염된 이물질과 녹물을 하수구 맨홀로 직접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수도관에 연결된 소화전을 이용하여 질소를 투입하고 상수도관을 절단하지 않고 설치한 퇴수 및 분출구를 통해 녹물을 분출하여 세척작업을 시행함으로써 상수도관의 절단, 질소투입구 및 질소분출구를 연결하고 해체하는 작업, 절단부위를 배관으로 연결하는 작업 등을 생략할 수 있어 세척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대폭 감축하고, 공기 단축 및 공사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수도관에 연결된 소화전이 구비되지 않더라도 부단수 분기장치를 이용하여 상수도관을 절단하지 않고 퇴수 및 분출구를 확보함으로써 세척작업이 매우 용이함은 물론 본격적인 세척작업의 이전 단계에는 단수를 하지 않기 때문에 단수의 알림, 급수차의 출동, 작업 후 청소 등의 사소한 일이 필요하지 않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수장에서부터 공급되는 양질의 수돗물을 각 가정(건물)의 입구까지 깨끗해진 상수도관을 통해서 공급받음으로써 국민의 건강을 지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빠른 세척시공으로 민원발생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더욱이 상수도관 내부에 고압으로 충전된 질소를 투입하여 기체의 운동(속도)에너지에 따른 마찰력으로 이물질을 제거하여 상수도관을 세척함으로써 일반 세척수에 의한 세척에 비해 세척률이 획기적으로 향상되고, 공기보다 가볍고 분자의 크기가 작은 질소를 이용함으로써 높은 압력으로 투입 시에도 상수도관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지 않아 세척작업의 안정성을 도모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고압질소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전이 구비된 상수도관에 퇴수 및 분출구가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지상식 소화전에 질소투입장치가 연결된 상태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지하식 소화전에 질소투입장치가 연결된 상태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퇴수 및 분출구에 연결된 배출호스가 하수구 맨홀에 인입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전이 구비되지 않은 상수도관에 질소투입구와 퇴수 및 분출구가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상수관에 분기 클램프가 설치되는 상태의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부단수 분기장치의 설치상태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부단수 분기장치에 의한 상수도관의 천공상태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상수도관을 천공한 후 제수변을 잠근 상태의 정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천공된 상수도관에 퇴수 및 분출구 또는 질소투입구가 설치된 상태의 정단면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수도관 세척공법의 전체적인 순서도를 첨부된 도면 1에 의거 살펴보면 세척구역(20)을 설정하는 단계, 소화전(30)(30a)에 질소투입장치(40)를 연결하는 단계, 퇴수 및 분출구(60)를 설치하는 단계, 세척작업 홍보 및 안내 단계, 단수를 시행하는 단계, 상수도관(10) 내부의 물을 퇴수시키는 단계, 상수도관(10)을 1차 세척하는 단계, 세대 분기관(70) 및 수도계량기(71)의 연결부를 분리하는 단계, 세대 분기관(70)을 2차 세척하는 단계, 소화전(30)(30a)을 잠그는 단계, 세척구역(20)으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 본 발명의 상수도관 세척공법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1) 세척구역(20)을 설정하는 단계
노후된 상수도관(10)의 내부에 쌓인 스케일 등으로 녹물, 이물질이 나와 민원이 발생하는 구역에 대하여 관할 수도사업소와 협의하여 세척작업계획을 수립하여 세척구역(20)을 설정한다.
(2) 소화전(30)(30a)에 질소투입장치(40)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세척구역(20)의 상수도관(10)에 연결된 소화전(30)(30a)에 질소를 투입할 수 있도록 관할 소방서와 사전 협의하여 차질이 없도록 조치하고 상기 소화전(30)(30a)에 질소투입장치(40)를 연결한다.
여기에서 상기 소화전(30)(30a)이 구비되지 않아 질소투입구(50)를 신설해야 하는 구간에는 부단수 분기장치(100)를 이용하여 단수 없이 질소투입구(50)를 설치한다.
아울러 상기 소화전(30)(30a)은 도로나 인도에 설치된 지상식 소화전(30)이나 도로나 인도 밑에 매설된 지하식 소화전(30a)에 관계없이 질소투입장치(40)를 간편하게 연결함으로써 질소를 상수도관(10)에 투입할 수 있게 된다.
(3) 퇴수 및 분출구(6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상수도관(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을 퇴수하거나 상기 소화전(30)(30a)을 통해 상수도관(10)의 내부로 투입된 질소를 외부로 토출할 수 있도록 세척구역(20)의 상수도관(10)에는 퇴수 및 분출구(60)를 신설해야만 하고, 이러한 퇴수 및 분출구(60)는 부단수 분기장치(100)를 이용하여 단수 없이 설치한다.
여기에서 상기 상수도관(10)에 부단수 분기장치(100)를 이용하여 퇴수 및 분출구(60)를 설치하는 방법은, 도 8 내지 도 11과 같이 상기 상수도관(10)에 분기 클램프(110), 제수변(120), 어댑터(130)를 순차적으로 연결한 후 천공기(140)를 장착하고, 상기 천공기(140)를 작동하여 센터드릴(142)을 전진시켜 상수도관(10)을 천공하여 통수공(11)을 형성하며, 통수공(11)을 확인한 후 센터드릴(142)을 후진시키고 제수변(120)을 잠그는 한편, 상기 어댑터(130)와 천공기(140)를 해체하고 제수변(120)에 퇴수 및 분출구(60)를 연결하는 방법으로 단수 없이 시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수도관(10)을 절단하지 않고 퇴수 및 분출구(60)를 확보함으로써 세척작업이 매우 용이함은 물론 본격적인 세척작업의 이전 단계에는 단수를 하지 않기 때문에 민원발생을 최소화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4) 세척작업 홍보 및 안내 단계
본격적인 상수도관(10)의 세척작업 전에 단수위치 및 기간, 단수시간 등이 기재된 안내문을 각 가정에 배부 또는 대문 등에 부착하고, 유선 및 인터넷, 방송 등에 홍보하여 단수로 인한 주민생활불편 및 민원발생이 없도록 한다.
또한, 필요한 경우 구청이나 동사무소를 통한 홍보를 하고, 언론사에 보도자료를 제공하여 보도를 요청한다.
세척작업은 예정 시간 내에 완료하여 단수시간을 준수하고, 질소를 투입하기 위한 소화전(30)(30a) 및 퇴수 및 분출구(60)의 주변에는 공사안내간판, 교통표지판, 안전보호책 등 안전시설을 설치하여 안전 및 주민통행에 불편이 없도록 하며, 교통 및 현장 정리원을 배치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조치한다.
그리고 교통통제나 차로의 우회, 변경 시에는 교통안내표지판을 설치하여 민원발생 및 차량정체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하고, 특히 야간작업일 경우에는 점멸등, 경고등 및 싸인보드 등의 조명시설을 설치하고 작업자는 안전모, 안전 조끼 등 개인안전용구 착용을 하여야 한다.
(5) 단수를 시행하는 단계
세척구역(20)에 위치하는 상수도관(10)에 공급되는 물의 급수를 제어하는 제수밸브를 잠그고 세척구역(20)의 단수를 시행한다.
(6) 상수도관(10) 내부의 물을 퇴수시키는 단계
상수도관(10)에 분기 설치된 부단수 분기장치(100)의 제수변(120)을 열어 상수도관(10)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물을 퇴수 및 분출구(60)를 통해 외부로 퇴수시킨다.
(7) 상수도관(10)을 1차 세척하는 단계
상기 상수도관(10)의 자연적인 퇴수가 끝나면 질소투입장치(40)가 연결된 소화전(30)(30a)을 이용하여 상수도관(10)의 내부로 고압의 질소를 투입하여 이물질과 녹물을 퇴수 및 분출구(60)를 통해 배출시키는 상수도관(10)의 1차 세척작업을 실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고압의 질소는 반응성(비활성)·폭발성·가연성·조연성이 없는 인체에 무해한 기체로서, 공기보다 가볍고 분자 크기도 작아 기체의 진행 속도가 매우 빠르게 되기 때문에 높은 압력으로 상수도관(10) 내에 투입하여도 상수도관(10)내부의 압력은 상승하지 않게 됨으로써 세척력은 매우 우수하면서도 상수도관(10) 이음부 이탈(누수) 등의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퇴수 및 분출구(60)에는 배출호스(62)의 일측을 연결하고, 상기 배출호스(62)의 타측을 하수구 맨홀(1)의 내부로 인입시켜 이물질과 녹물을 하수구 맨홀(1)로 직접 배출함으로써 오염된 슬러지 녹물을 지나가는 행인이나 주민들이 볼 수 없도록 하여 녹물을 마시고 있었다는 생각을 불식하여 건강 염려증을 방지한다.
(8) 세대 분기관(70) 및 수도계량기(71)의 연결부를 분리하는 단계
상수도관(10)을 1차 세척한 이후에는 제수변(120)을 잠가 퇴수 및 분출구(60)를 밀폐한 후 상수도관(10)에서 분기된 세대 분기관(70) 및 수도계량기(71)의 연결부를 상호 분리함으로써 세대 분기관(70) 내의 물을 퇴수하거나 이물질과 녹물을 외부로 분출할 수 있게 된다.
(9) 세대 분기관(70)을 2차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대 분기관(70) 및 수도계량기(71)의 연결부위를 분리한 후 질소투입장치(40)가 연결된 소화전(30)(30a)을 이용하여 상수도관(10) 및 세대 분기관(70)의 내부로 고압의 질소를 투입함으로써 이물질과 녹물을 세대 분기관(70) 및 수도계량기(71)의 분리된 부위를 통해 분출함으로써 세대 분기관(70)의 2차 세척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분리된 세대 분기관(70)에는 배출호스(62)의 일측을 연결하고, 상기 배출호스(62)의 타측을 하수구 맨홀(1)의 내부로 인입시켜 이물질과 녹물을 하수구 맨홀(1)로 직접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10) 상수도관 내시경 촬영 및 판독
세척작업이 완료되면 상수도관(10)의 내부를 내시경(cctv)을 이용하여 촬영 및 판독함으로써 세척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진 것인지 여부를 쉽게 육안으로 확인하게 된다.
(11) 소화전(30)(30a)을 잠그는 단계
상기 내시경의 판독이 끝나면 소화전(30)(30a)과 질소투입장치(40)를 분리하고, 소화전(30)(30a)을 잠가 외부로 물이 누수됨을 방지한다.
(12) 세척구역(20)으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단계
이물질과 녹물의 분출을 위해 일시적으로 분리한 세대 분기관(70) 및 수도계량기(71)를 상호 일체로 연결함과 아울러 제수변(120)을 잠가 퇴수 및 분출구(60)를 밀폐하고, 세척구역(20)으로 수돗물을 공급한다.
여기에서 상기 퇴수 및 분출구(60)를 바로 밀폐하지 않고 수돗물을 공급함으로써 상수도관(10) 내부의 공기배출 및 수돗물 공급을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확인이 완료되면 비로소 제수변(120)을 잠가 퇴수 및 분출구(60)를 밀폐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질소가 저장된 차량, 장비 및 안내표지판, 안전시설 등을 철거하고 현장 정리, 청소를 하고 작업을 최종 완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수도관 세척공법은 상수도관(10)에 소화전(30)(30a)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도 6과 같이 상수도관(10)에 부단수 분기장치(100)를 이용하여 질소투입구(50)를 설치하고, 질소투입구(50)에 질소를 투입할 수 있도록 질소투입장치(40)를 연결하며, 상기 질소투입구(50)를 이용하여 질소를 투입함으로써 상수도관(10)의 1차 세척 및 세대 분기관(70)의 2차 세척을 시행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제외한 모든 단계는 위에서 설명한 상수도관 세척공법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고압질소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에 사용되는 부단수 분기장치(100)는,
상수도관(10)의 외주면을 마주하게 감싸도록 조립되는 한 쌍의 클램프(111)(111a)로 구성되되 어느 하나의 클램프(111a)는 외면에 분기구(112)가 형성된 구성을 갖는 분기 클램프(110)와; 상기 분기구(112)에 일측이 연결되는 제수변(120)과; 상기 제수변(120)의 타측에 어댑터(130)를 매개로 연결되고, 일측에 형성된 핸들(141)의 회전조작에 따라 센터드릴(142)이 제수변(120)의 내부를 통과하여 전진하면서 상수도관(10)을 천공하는 천공기(140)로 이루어짐으로써 상수도관(10)을 절단하지 않고 질소투입구(50) 및 퇴수 및 분출구(60)를 확보할 수 있는 편리성 및 시공성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1: 하수구 맨홀 10: 상수도관
11: 통수공 20: 세척구역
30, 30a: 소화전 40: 질소투입장치
50: 질소투입구 60: 퇴수 및 분출구
62: 배출호스 70: 세대 분기관
71: 수도계량기 100: 부단수 분기장치
110: 분기 클램프 111, 111a: 클램프
112: 분기구 120: 제수변
130: 어댑터 140: 천공기
141: 핸들 142: 센터드릴

Claims (6)

  1. 노후된 상수도관(10)의 내부 세척을 위한 세척구역(20)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상수도관(10)과 연결된 소화전(30)(30a)에 질소를 투입할 수 있도록 소화전(30)(30a)에 질소투입장치(40)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상수도관(10)에 부단수 분기장치(100)를 이용하여 퇴수 및 분출구(60)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세척구역(20)의 단수를 시행하는 단계와;
    상기 퇴수 및 분출구(60)를 통해 세척구역(20)의 상수도관(10) 내부의 물을 퇴수시키는 단계와;
    상기 소화전(30)(30a)을 이용하여 상수도관(10)의 내부로 고압의 질소를 1차 투입하여 이물질과 녹물을 퇴수 및 분출구(60)로 분출하여 상수도관(10)을 1차 세척하는 단계와;
    상기 퇴수 및 분출구(60)를 밀폐한 후 상수도관(10)에서 분기된 세대 분기관(70) 및 수도계량기(71)의 연결부를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소화전(30)(30a)을 이용하여 상수도관(10) 및 세대 분기관(70)의 내부로 고압의 질소를 2차 투입하여 이물질과 녹물을 세대 분기관(70) 및 수도계량기(71)의 분리된 부위로 분출하여 세대 분기관(70)을 2차 세척하는 단계와;
    상기 소화전(30)(30a)과 질소투입장치(40)를 분리한 후 소화전(30)(30a)을 잠그는 단계와;
    상기 분리된 세대 분기관(70) 및 수도계량기(71)를 연결함과 아울러 퇴수 및 분출구(60)를 밀폐하고 세척구역(20)으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상수도관(10)에 부단수 분기장치(100)를 이용하여 퇴수 및 분출구(60)를 설치하는 방법은;
    상기 상수도관(10)에 분기 클램프(110), 제수변(120), 어댑터(130)를 순차적으로 연결한 후 천공기(140)를 장착하고, 상기 천공기(140)를 작동하여 센터드릴(142)을 전진시켜 상수도관(10)을 천공하여 통수공(11)을 형성하며, 통수공(11)을 확인한 후 센터드릴(142)을 후진시키고 제수변(120)을 잠그는 한편, 상기 어댑터(130)와 천공기(140)를 해체하고 제수변(120)에 퇴수 및 분출구(60)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질소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
  2. 삭제
  3. 노후된 상수도관(10)의 내부 세척을 위한 세척구역(20)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상수도관(10)에 부단수 분기장치(100)를 이용하여 질소투입구(50)를 설치하고, 질소투입구(50)에 질소를 투입할 수 있도록 질소투입장치(40)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상수도관(10)에 부단수 분기장치(100)를 이용하여 퇴수 및 분출구(60)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세척구역(20)의 단수를 시행하는 단계와;
    상기 퇴수 및 분출구(60)를 통해 세척구역(20)의 상수도관(10) 내부의 물을 퇴수시키는 단계와;
    상기 질소투입구(50)를 이용하여 상수도관(10)의 내부로 고압의 질소를 1차 투입하여 이물질과 녹물을 퇴수 및 분출구(60)로 분출하여 상수도관(10)을 1차 세척하는 단계와;
    상기 퇴수 및 분출구(60)를 밀폐한 후 상수도관(10)에서 분기된 세대 분기관(70) 및 수도계량기(71)의 연결부를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질소투입구(50)를 이용하여 상수도관(10) 및 세대 분기관(70)의 내부로 고압의 질소를 2차 투입하여 이물질과 녹물을 세대 분기관(70) 및 수도계량기(71)의 분리된 부위로 분출하여 세대 분기관(70)을 2차 세척하는 단계와;
    상기 질소투입구(50)와 질소투입장치(40)를 분리한 후 질소투입구(50)를 밀폐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된 세대 분기관(70) 및 수도계량기(71)를 연결함과 아울러 퇴수 및 분출구(60)를 밀폐하고 세척구역(20)으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상수도관(10)에 부단수 분기장치(100)를 이용하여 질소투입구(50) 또는 퇴수 및 분출구(60)를 설치하는 방법은;
    상기 상수도관(10)에 분기 클램프(110), 제수변(120), 어댑터(130)를 순차적으로 연결한 후 천공기(140)를 장착하고, 상기 천공기(140)를 작동하여 센터드릴(142)을 전진시켜 상수도관(10)을 천공하여 통수공(11)을 형성하며, 통수공(11)을 확인한 후 센터드릴(142)을 후진시키고 제수변(120)을 잠그는 한편, 상기 어댑터(130)와 천공기(140)를 해체하고 제수변(120)에 질소투입구(50) 또는 퇴수 및 분출구(60)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질소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
  4. 삭제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퇴수 및 분출구(60) 또는 분리된 세대 분기관(70)에는 배출호스(62)의 일측을 연결하고, 상기 배출호스(62)의 타측을 하수구 맨홀(1)의 내부로 인입시켜 이물질과 녹물을 하수구 맨홀(1)로 직접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질소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기재된 고압질소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에 사용되는 부단수 분기장치(100)로서,
    상수도관(10)의 외주면을 마주하게 감싸도록 조립되는 한 쌍의 클램프(111)(111a)로 구성되되 어느 하나의 클램프(111a)는 외면에 분기구(112)가 형성된 구성을 갖는 분기 클램프(110)와;
    상기 분기구(112)에 일측이 연결되는 제수변(120)과;
    상기 제수변(120)의 타측에 어댑터(130)를 매개로 연결되고, 일측에 형성된 핸들(141)의 회전조작에 따라 센터드릴(142)이 제수변(120)의 내부를 통과하여 전진하면서 상수도관(10)을 천공하는 천공기(1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분기장치.
KR1020200005177A 2020-01-15 2020-01-15 고압질소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부단수 분기장치 KR102120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177A KR102120645B1 (ko) 2020-01-15 2020-01-15 고압질소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부단수 분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177A KR102120645B1 (ko) 2020-01-15 2020-01-15 고압질소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부단수 분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0645B1 true KR102120645B1 (ko) 2020-06-09

Family

ID=71082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177A KR102120645B1 (ko) 2020-01-15 2020-01-15 고압질소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부단수 분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6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473B1 (ko) * 2020-08-03 2020-12-15 구자현 고압질소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는 고압질소 상수도관 세척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상수도관 세척장치
KR102521055B1 (ko) 2022-04-19 2023-04-12 유길태 상수도관 관로 내부 세척방법
KR102530426B1 (ko) 2022-08-25 2023-05-10 유길태 상수도관 관로 내부 세척장치
KR102662940B1 (ko) * 2022-06-23 2024-05-03 박신영 상수도관 관리방법 및 관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4586A (ko) * 2011-02-17 2012-08-27 전성은 충격파에 의한 배관세척장치
KR101690588B1 (ko) * 2015-10-12 2017-01-02 (주)동호플랜트 물과 압축공기로 형성된 에어피그를 이용한 관로 세척 방법
KR101959244B1 (ko) * 2017-08-03 2019-03-18 전연자 수도배관 세척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4586A (ko) * 2011-02-17 2012-08-27 전성은 충격파에 의한 배관세척장치
KR101690588B1 (ko) * 2015-10-12 2017-01-02 (주)동호플랜트 물과 압축공기로 형성된 에어피그를 이용한 관로 세척 방법
KR101959244B1 (ko) * 2017-08-03 2019-03-18 전연자 수도배관 세척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473B1 (ko) * 2020-08-03 2020-12-15 구자현 고압질소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는 고압질소 상수도관 세척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상수도관 세척장치
KR102521055B1 (ko) 2022-04-19 2023-04-12 유길태 상수도관 관로 내부 세척방법
KR102662940B1 (ko) * 2022-06-23 2024-05-03 박신영 상수도관 관리방법 및 관리장치
KR102530426B1 (ko) 2022-08-25 2023-05-10 유길태 상수도관 관로 내부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0645B1 (ko) 고압질소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부단수 분기장치
KR102150301B1 (ko) 고압질소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상수도관 세척장치
US9359746B1 (en) Over and under combined sewer overflow/stormwater conveyance chambers
US6627089B1 (en) Water main recirculating/filtering/flushing system and method
CN101765450B (zh) 废水过滤系统
US20090101591A1 (en) Storm drain inlet protection device
CN205252617U (zh) 一种泥水盾构隧道污水循环利用装置
KR100548990B1 (ko) 하수관거 세척장치
CN105887618A (zh) 道路排水处理装置及其排水方法
JP4510922B1 (ja) 下水用埋設管の清掃方法
KR102116758B1 (ko) 빗물 전처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빗물 재이용 장치
CN112982563A (zh) 一种海绵城市雨水收集处理系统及雨水收集处理方法
JP2005180569A (ja) 止水プラグ及びバイパスシステム
KR100654632B1 (ko) 맨홀 물막이로 발생된 수두차 및 가설수로를 이용한무동력 하수관거 물돌리기 공법 및 그 장치
US7988851B2 (en) Stormwater control system and related method
KR100760969B1 (ko) 빗물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1760856B1 (ko) 초기우수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RU2393336C1 (ru) Обвязка устьевого и назем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метаноугольной скважины (варианты)
KR101045111B1 (ko) 수계전환용 관세척점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 관로 교체 시공방법
CN205313228U (zh) 一种雨水回用系统
KR100641264B1 (ko) 방사형 관로세척장치
Tam et al. Management of rubber dams in Hong Kong
KR200211157Y1 (ko) 지중관체 보수장치
RU2239698C1 (ru) Способ подготовки воды для закачки в нагнетательные скважины
KR101036279B1 (ko) 집배수시설용 침투식 비점오염 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