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426B1 - 상수도관 관로 내부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상수도관 관로 내부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426B1
KR102530426B1 KR1020220107186A KR20220107186A KR102530426B1 KR 102530426 B1 KR102530426 B1 KR 102530426B1 KR 1020220107186 A KR1020220107186 A KR 1020220107186A KR 20220107186 A KR20220107186 A KR 20220107186A KR 102530426 B1 KR102530426 B1 KR 102530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supply pipe
pipe
cleaning fluid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7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길남
유길태
Original Assignee
유길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길태 filed Critical 유길태
Priority to KR1020220107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4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 B08B9/043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provided exclusively with fluid jets as clean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1Cleaning pipe ends or pipe fittings, e.g. before sold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4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by creating a shock wave in the cleaning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7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 B08B2209/03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상수도관의 직경에 대응하여 인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를 갖는 관체로서, 일측 단으로 공급되는 고압 에어 및 세척수를 타측 단 일측 수평방향으로 분사 유도하는 세척유체 유도부;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의 일측 단 외부에 마련되어, 수직 직선 이동 및 수평 회전을 위한 조작 부위를 제공하면서 분사 방향을 표시하는 조작부; 일측 단이 세척대상 상수도관 부위에 착탈식으로 수직 연결되어, 타측 단으로 인입되는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가 기밀 유지 상태에서 상수도관 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지지 유도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일측 단에 마련되어,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의 깊이 또는 회전 조작된 상태를 고정하여 유지시키는 조작고정부; 를 포함하는 상수도관 관로 내부 세척장치이다.

Description

상수도관 관로 내부 세척장치{Washing device for clean the inner pipe of the water supply pipe}
본 발명은 상수도관 관로 내부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수도관 관로에 착탈식으로 연결하여, 고압의 에어 및 세척수 공급 분사를 통해, 관로 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상수도관 관로 내부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수돗물은 강·호수·댐(저수지)·지하수 등의 취수원에서 정수장을 거쳐 상수도관망으로 공급되어 각 가정(건물)에서 사용하게 된다. 정수장에서 각 가정(건물)의 입구까지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된 배관을 상수도관망이라 하며, 수도사업자가 이를 관리·운영하게 된다.
상수도관망은 다양한 설치 년도·관경·공급수압·재질이 다른 배관으로 거미줄처럼 연결되어 있다. 물이 흐르는 배관의 내부는 오랜 시간이 흐르면서 이물질이 침착되어 쌓이게 되며 이는 수돗물을 오염시키는 주요 원인이 된다.
즉, 수돗물이 공급되는 상수도관망 내부는 시간이 흐르면서 물에 포함된 각종의 성분들이 배관 내부에 침착되어 쌓이게 되는데, 그 양이 많아지게 되면 이물질의 농도도 높아져 주민이 사용하는 물에서도 육안으로 보이는 적수(녹물)가 보이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정수장에서부터 공급되는 양질의 수돗물을 오염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깨끗한 수돗물이 공급되게 하기 위해서는 정수장에서 생산되는 양질의 수돗물이 각 가정 (건물)의 입구까지 원수 그대로 공급이 될 수 있게 해야 하는데, 그러자면 상수도관망 전체를 주기적으로 일시에 세척하는 수밖에 없다고 할 것이다. 그래야만 양질의 수돗물이 깨끗한 상태로 각 가정(건물)의 입구까지 공급이 될 수 있게 되고 주민들의 건강과 삶의 질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상수도관망을 세척하는 종래 기술로는 압축공기를 이용한 방법, 수압을 이용한 방법, 약품을 이용한 방법,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세척하는 방법 등이 다양하게 개시되고 있다.
종래 압축공기를 이용한 상수도관망 세척으로는 질소 기체를 이용한 것이 있는데, 상기 질소 기체는 반응성(비활성)·폭발성·가연성·조연성이 없는 인체에 무해한 기체로서 공기보다 가볍고 분자 크기도 작아 기체의 진행 속도가 매우 빠르게 되기 때문에 높은 압력으로 배관 내에 투입하여도 배관 내부의 압력은 상승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질소기체를 이용한 세척방법에 관련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20645호(이하 문헌 1이라 함)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91473호(이하 문헌 2이라 함)가 개시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 중 문헌 1은 상수도관에 연결된 소화전을 이용하여 질소를 투입하고 상수도관을 절단하지 않고 설치한 퇴수 및 분출구를 통해 녹물을 분출하여 세척작업을 시행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선행기술 중 문헌 2는 세척하고자 하는 상수도관의 시단부에서 종단부에 도달하도록 상수도관의 내부에 설치한 에어튜브에 에어를 주입하여 팽창시킨 후 팽창된 에어튜브의 단면적을 제외한 줄어든 공간으로만 질소가 통과하면서 상수도관을 세척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수도관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상수도관에 연결하여, 고압 에어와 세척수를 상수도관 관로 내에 공급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장치 및 이를 상수도관에 연결하는 구조가 요구된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20645호(명칭: 고압질소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부단수 분기장치/출원일: 2020.01.15.)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81473호(명칭: 고압질소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는 고압질소 상수도관 세척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상수도관 세척장치/출원일: 2020.08.03.)
본 발명은 상수도관에 착탈식으로 연결되어, 고압 에어 및 세척수의 공급 분사를 통해 관로 내부를 세척하는 세척장치로서, 상수도의 직경에 따라 인입 깊이 조절이 가능하고, 수직선상에서의 분사 위치 및 방향 조절이 가능한 상수도관 관로 내부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수도관에 대해 세척장치의 장착(연결) 및 탈리(해체) 시, 안정적이면서 용이한 착탈이 가능한 상수도관 관로 내부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상수도관의 직경에 대응하여 인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를 갖는 관체로서, 일측 단으로 공급되는 고압 에어 및 세척수를 타측 단 일측 수평방향으로 분사 유도하는 세척유체 유도부;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의 일측 단 외부에 마련되어, 수직 직선 이동 및 수평 회전을 위한 조작 부위를 제공하면서 분사 방향을 표시하는 조작부; 일측 단이 세척대상 상수도관 부위에 착탈식으로 수직 연결되어, 타측 단으로 인입되는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가 기밀 유지 상태에서 상수도관 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지지 유도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일측 단에 마련되어,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의 깊이 또는 회전 조작된 상태를 고정하여 유지시키는 조작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는 일측 단에 세척유체를 공급하는 세척유체 공급경로가 연결되고, 타측 단에 경사면과 이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분사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는 단일의 관체로 이루어지거나, 길이 신장 또는 단축을 위해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다단의 관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조작부는 수직의 세척유체 유도부 일측 단 외경을 중심으로 수평 방향으로 '-' 또는 '+' 형태로 돌출된 핸들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돌출된 핸들 중 세척유체의 분사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는, 다른 핸들과 상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상이하게 표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의 내경은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의 외경과 유격을 갖도록 직경이 큰 관체로서, 일측 단에 형성되어 상기 상수도관 부위와의 결합 부위를 제공하는 관로 연결단; 타측 단 내경에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에 밀착 기밀력을 제공하는 패킹 및 내경 상단에 상기 조작고정부가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인입단; 및 관체 중간에서 수평 방향으로 분기한 분기관에 수직 마련되는 압력계와 드레인관; 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관로 연결단은 내경에 상기 상수도관 부위에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것으로, 연결부인 관체와 동일체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관체에 회전 가능하게 별도 마련된 연결구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조작고정부는 관체로서, 일측 단 외경에 상기 연결부의 인입단 내경과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측 단은 '
Figure 112022089501393-pat00001
'형태로 탄성 절결부위가 형성되어, 마주하는 양단면을 관통하는 조임나사에 의해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의 외경에 가압 고정력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상수도관의 상기 연결부와 연결 결합되는 부위는 상수도관 외경에 돌출 마련된 관통공을 갖는 연결체로서, 상기 연결체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연결체에는 레버에 의해 회전 조작되는 볼밸브가 내제된 밸브체가 더 연결되고, 상기 밸브체의 선단에 상기 연결부의 관로 연결단이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볼밸브는 차단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가 상수도관 내부로 인입 유도되는 경우, 개방되면서 관통 경로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110)가 다양한 상수도관(10)의 직경에 대응하여 인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를 가짐으로써, 큰 직경의 상수도관과 작은 직경의 상수도관 모두에 적용 가능한 적용 확장성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110)는 상기와 같이 깊이 조절을 통한 분사 높이 조절은 물론, 회전 조작을 통해 분사 방향도 조절 가능함으로써, 원하는 위치에서 고압 에어 및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수도관 내부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사용성 및 세척성 향상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대상인 상수도관(10)의 연결체(11)에 레버(151)에 의해 회전 조작되는 볼밸브(152)가 내제된 밸브체(150)를 사전에 연결(볼밸브(152)는 차단 상태로 물의 유출을 방지)하고, 이때 세척 작업이 필요한 경우, 상기 밸브체(150)에 연결부(130)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130)를 통해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110)를 상수도관(10) 내부로 인입 유도하는 시점에, 상기 밸브체(150)의 볼밸브(152)를 개방시켜 관통 경로를 형성한 후,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110)가 관통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수도관(10)에 대해 세척장치(100)의 장착(연결) 및 탈리(해체)가 안정적이면서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사용성 향상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110)가 길이 신장 또는 단축을 위해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다단의 연장 관체로 이루어짐으로써, 세척대상인 상수도관(10)의 직경이 아무리 크더라도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110)의 길이를 신장시켜 적용 가능하며, 상기와 같이 직경이 큰 상수도관에 적용 가능하도록 길이가 긴 세척유체 유도부(110)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도 분리하여 용이한 휴대 및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는 사용성 향상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수도관(10) 외부에 위치하는 조작부(120)인 돌출된 핸들 중 상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상이하게 표시된 핸들의 방향을 확인하면서 분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상수도관(10) 내의 분사 방향을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원하는 방향으로 정확히 분사 방향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사용성 향상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수도관(10) 관로 내부에 대한 고압 에어 세척 시, 관로 내부의 건조화를 방지함과 동시에, 고압 에어와 세척수를 통해 다원적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세척성 및 세척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대상인 상수도관(10)의 관내에 채워진 물을 배수하지 않고, 상수도관(10)의 관 선단(PI)에 고압 에어와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장치(100)를 연결하여 즉시 세척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수도관(10) 관로 내부에 대한 세척 시간은 단축시키고, 세척 작업은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분리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동작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이 직경이 상이한 상수도관에 적용된 상태에서 깊이 조절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중 세척유체 유도부의 구조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이 상수도관 내에서 분사 방향이 조절되는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이 상수도관에 연결 고정되는 단계적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특별한 인과관계에 의해 나열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나열된 순서와 상관없이 수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상수도관(10)의 직경에 대응하여 인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를 갖는 관체로서, 일측 단으로 공급되는 고압 에어 및 세척수를 타측 단 일측 수평방향으로 분사 유도하는 세척유체 유도부(110);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110)의 일측 단 외부에 마련되어, 수직 직선 이동 및 수평 회전을 위한 조작 부위를 제공하면서 분사 방향을 표시하는 조작부(120); 일측 단이 상수도관(10) 부위에 착탈식으로 수직 연결되어, 타측 단으로 인입되는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110)가 기밀 유지 상태에서 상수도관(10) 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지지 유도하는 연결부(130); 및 상기 연결부(130)의 일측 단에 마련되어,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110)의 깊이 또는 회전 조작된 상태를 고정하여 유지시키는 조작고정부(140); 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110)는 일측 단에 세척유체를 공급하는 세척유체 공급경로(20)가 연결되고, 타측 단에 경사면(111)과 이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분사공(112)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조작부(120)는 수직의 세척유체 유도부(110) 일측 단 외경을 중심으로 수평 방향으로 '-' 또는 '+' 형태로 돌출된 핸들인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연결부(130)는 내경이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110)의 외경과 유격을 갖도록 직경이 큰 관체로서, 일측 단에 형성되어 상기 상수도관(10) 부위와의 결합 부위를 제공하는 관로 연결단(131); 타측 단 내경에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110)에 밀착 기밀력을 제공하는 패킹(132a) 및 내경 상단에 상기 조작고정부가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인입단(132); 및 관체 중간에서 수평 방향으로 분기한 분기관(133)에 수직 마련되는 압력계(134)와 드레인관(135); 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조작고정부(140)는 관체로서, 일측 단 외경에 상기 연결부(130)의 인입단(132) 내경과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측 단은 '
Figure 112022089501393-pat00002
'형태로 탄성 절결부위(141)가 형성되어, 마주하는 양단면을 관통하는 조임나사(142)에 의해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110)의 외경에 가압 고정력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상수도관(10)의 상기 연결부(130)와 연결 결합되는 부위는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수도관(10) 외경에 돌출 마련된 관통공을 갖는 연결체(11)로서, 상기 연결체(11)는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체(11)에는 레버(151)에 의해 회전 조작되는 볼밸브(152)가 내제된 밸브체(150)가 더 연결되고, 상기 밸브체(150)의 선단에 상기 연결부(130)의 관로 연결단(131)이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110)가 다양한 상수도관(10)의 직경에 대응하여 인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를 가짐으로써, 큰 직경의 상수도관과 작은 직경의 상수도관 모두에 적용 가능한 적용 확장성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110)는 상기와 같이 깊이 조절을 통한 분사 높이 조절은 물론, 회전 조작을 통해 분사 방향도 조절 가능함으로써, 원하는 위치에서 고압 에어 및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수도관 내부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대상인 상수도관(10)의 연결체(11)에 레버(151)에 의해 회전 조작되는 볼밸브(152)가 내제된 밸브체(150)를 사전에 연결(볼밸브(152)는 차단 상태로 물의 유출을 방지)하고, 이때 세척 작업이 필요한 경우, 상기 밸브체(150)에 연결부(130)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130)를 통해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110)를 상수도관(10) 내부로 인입 유도하는 시점에, 상기 밸브체(150)의 볼밸브(152)를 개방시켜 관통 경로를 형성한 후,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110)가 관통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수도관(10)에 대해 세척장치(100)의 장착(연결) 및 탈리(해체)가 안정적이면서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세부적인 구성 내지 실시예와 그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상수도관(10)의 직경에 대응하여 인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를 갖는 관체로서, 일측 단으로 공급되는 고압 에어 및 세척수를 타측 단 일측 수평방향으로 분사 유도하는 세척유체 유도부(110);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110)의 일측 단 외부에 마련되어, 수직 직선 이동 및 수평 회전을 위한 조작 부위를 제공하면서 분사 방향을 표시하는 조작부(120); 일측 단이 상수도관(10) 부위에 착탈식으로 수직 연결되어, 타측 단으로 인입되는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110)가 기밀 유지 상태에서 상수도관(10) 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지지 유도하는 연결부(130); 및 상기 연결부(130)의 일측 단에 마련되어,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110)의 깊이 또는 회전 조작된 상태를 고정하여 유지시키는 조작고정부(140); 를 포함하는 것을 기본적인 실시예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110)는 일측 단에 세척유체를 공급하는 세척유체 공급경로(20)가 연결되고, 타측 단에 경사면(111)과 이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분사공(112)이 형성된 것을 세부적인 실시예로 한다.
상기에서, 세척유체 공급경로(20)는 호스 또는 파이프로서, 에어컴프레서와 연결되어 고압 에어(예: 질소)가 공급되고, 가압펌프 및 물탱크와 연결되어, 세척수가 공급되는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110)는 고압 에어와 세척수가 사전에 설정된 비율(상수도관의 직경에 따른 비율, 예: 1:9, 2:8, 3:7)로 혼합 공급되는 단일의 연결부위가 형성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나, 고압 에어 공급단과 세척수 공급단이 각각 마련되어, 각각의 세척유체 공급경로(20)가 연결되는 것도 다른 실시예로 적용 가능하다.
이때,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110)는 상수도관(10)의 직경에 대응하여 인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로 이루어져,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대상인 상수도관(10)의 직경이 크거나(직경 D),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대상인 상수도관(10)의 직경이 작은 것(직경 d)에 대응하여,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110)의 인입 높이를 조절하면서 직경의 중심부 부분에서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본 발명의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110)는 상수도관(10)의 직경에 따라 깊이 조절하여 직경의 증심부에서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으나, 정밀한 세척 등 필요한 경우,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110)의 분사 위치를 상수도관(10)의 관로 내부 상방 또는 하방에 위치시켜 내부 표면에 정밀 타격 분사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110)는 첨부 도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관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하나,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신장 또는 단축을 위해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다단의 연장 관체(110-1, 110-2, 110-n)로 이루어지는 것도 다른 실시예로 적용 가능하다.
상기에서, 연장 관체(110-1)는 상기 조작부(120)가 마련되는 상단부이고, 연장 관체(110-2)는 상기 분사공(112)이 형성된 하단부이며, 연장 관체(110-n)는 1~5개 정도(상수도관의 직경에 따라 증개 가능) 연결되는 중간부이다.
상기 도 6의 b)와 같이 되면, 세척대상인 상수도관의 직경이 아무리 크더라도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110)의 길이를 신장시켜 적용 가능하며, 상기와 같이 직경이 큰 상수도관에 적용 가능하도록 길이가 긴 세척유체 유도부(110)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도 분리하여 휴대 및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조작부(120)는 수직의 세척유체 유도부(110) 일측 단 외경을 중심으로 수평 방향으로 '-' 또는 '+' 형태로 돌출된 핸들인 것을 세부적인 실시예로 한다.
이때, 상기 돌출된 핸들 중 세척유체의 분사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는 다른 핸들과 상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상이하게 표시된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상수도관(10) 외부에 위치하는 조작부(120)인 돌출된 핸들 중 상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상이하게 표시된 핸들의 방향을 확인하면서 분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수도관(10) 내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정확히 분사 방향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또한, 상기 돌출된 핸들의 외곽은 원형 환테(미도시)에 의해 연결된 것도 회전 조작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부분에서 바람직하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연결부(130)는 내경이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110)의 외경과 유격을 갖도록 직경이 큰 관체로서, 일측 단에 형성되어 상기 상수도관(10) 부위와의 결합 부위를 제공하는 관로 연결단(131); 타측 단 내경에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110)에 밀착 기밀력을 제공하는 패킹(132a) 및 내경 상단에 상기 조작고정부가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인입단(132); 및 관체 중간에서 수평 방향으로 분기한 분기관(133)에 수직 마련되는 압력계(134)와 드레인관(135); 을 포함하는 것을 세부적인 실시예로 한다.
이때, 상기 관로 연결단(131)은 내경에 상기 상수도관(10) 부위에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것으로, 연결부(130)인 관체와 동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나로 제시하나, 상기 관체에 회전 가능하게 별도 마련된 연결구인 것도 바람직한 실시예로 가능하다.
상기에서, 관로 연결단(131)이 상기 관체에 회전 가능하게 별도 마련된 연결구는 예시적으로, 상기 연결부(130)이 관체 일측 선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상태에서 관체에 끼워진 연결체로서, 연결부위 예컨대, 후술하는 밸브체(150)의 일측 단 외경에 형성된 나사산에, 상기 관로 연결단(131)인 연결체의 내경에 형성된 나사산을 대응시켜, 회전을 통해 나선 결합하면, 상기 관로 연결단(131)인 연결체가 관체 일측 선단의 플랜지를 상기 밸브체(150)의 일측 단에 가압하면서 밀착시켜 연결과 함께 기밀(플랜지 부위에 기밀용 패킹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이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부(130)는 내경이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110)의 외경과 유격을 갖도록 직경이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유격진 부분을 통해 상기 상수도관(10)에 채워진 물이 유입되고, 이와 같이 유입된 물의 압력을 상기 압력계(134)가 감지하여 수압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조작고정부(140)는 관체로서, 일측 단 외경에 상기 연결부(130)의 인입단(132) 내경과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측 단은 '
Figure 112022089501393-pat00003
'형태로 탄성 절결부위(141)가 형성되어, 마주하는 양단 면을 관통하는 조임나사(142)에 의해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110)의 외경에 가압 고정력을 제공하는 것을 세부적인 실시예로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110)가 연결부(130) 일측 단에 결합된 상기 조작고정부(140)를 거쳐 연결부(130)로 인입된 후, 상기 상수도관(10) 내부로 유도되어 깊이 및 분사 방향이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110)의 외경을 감싸고 있는 '
Figure 112022089501393-pat00004
'형태의 탄성 절결부위(141) 양단 면을 관통하는 조임나사(142)의 조임에 의해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110)의 외경에 가압 고정력이 작용하여, 상기 깊이 및 분사 방향이 조절된 세척유체 유도부(110)의 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상수도관(10)의 상기 연결부(130)와 연결 결합되는 부위는 상수도관(10) 외경에 돌출 마련된 연결체(11)로서, 상기 연결체(11)는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세부적인 실시예로 한다.
이때, 상기 연결체(11)에는 레버(151)에 의해 회전 조작되는 볼밸브(152)가 내제된 밸브체(150)가 더 연결되고, 상기 밸브체(150)의 선단에 상기 연결부(130)의 관로 연결단(131)이 연결되는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다.
이때, 상기 볼밸브(152)는 상수도관(10)의 수압에 의해 물이 외부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평상시에는 차단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연결부(130)를 통해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110)가 상수도관(10) 내부로 인입 유도되는 경우, 상기 레버(151) 조작에 의해 개방되면서 관통 경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상기 상수도관(10)에 대한 본 발명의 적용 예를 살펴보면,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수도관(10) 외경에 돌출 마련된 연결체(11)에 상기 밸브체(150)가 연결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130)를 밸브체(150) 일측 단(상단)에 연결 고정하며, 이때, 상기 밸브체(150)의 볼밸브(152)는 차단 상태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상수도관(10) 내부 세척을 위해, 첨부 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110)를 연결부(130)를 통해 인입시키게 되는데, 이때까지도 상기 밸브체(150)의 볼밸브(152)는 차단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110)의 선단부가 상수도관(10) 내부에 위치하도록 더 인입시키는 과정에서, 첨부 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체(150)의 레버(151)를 조작하여 볼밸브(152)를 개방시키게 되면, 관통 경로가 형성되어, 상기 관통 경로를 통해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110)가 관통 인입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밸브체(150)의 볼밸브(152)가 개방 상태가 되면, 상기 상수도관(10) 내의 물이 수압에 의해, 상기 밸브체(150) 내로 유입되어 연결부(130) 방향으로 유입되나, 상기 기밀 유지용 패킹(132a)에 의해 저지되어, 상기 연결부(13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세척대상인 상수도관(10)의 일측 단에 연결되고, 관 타측 단에 배수량을 포함한 세척상태를 측정하는 상태측정부를 연결하여 세척과 동시에 세척 상태를 모니터링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수도관(10) 관로 내부에 대한 고압 에어 세척 시, 관로 내부의 건조화를 방지함과 동시에, 고압 에어와 세척수를 통해 다원적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대상인 상수도관(10)의 관내에 채워진 물을 배수하지 않고, 즉시 세척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수도관(10) 관로 내부에 대한 세척 시간을 단축시켜 세척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세척대상인 상수도관(10)이 세척되면서 배수되는 배수량을 측정하여, 희망하는 잔류 유량을 유지한 상태에서 고압 에어와 세척수를 희망 비율로 혼합 공급하면서 세척이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고압 에어에 의해 관 내부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오염물질이 관 내경에 고착 내지 응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기술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각 기술적 특징이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서로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상수도관 관로 내부 세척장치 110: 세척유체 유도부
111: 경사면 112: 분사공
120: 조작부 130: 연결부
131: 관로 연결단 132: 인입단
132a: 패킹 133: 분기관
134: 압력계 135: 드레인관
140: 조작고정부 141: 탄성절결부위
142: 조임나사 150: 밸브체
151: 레버 152: 볼밸브
10: 상수도관 11: 연결체
20: 세척유체 공급경로

Claims (11)

  1. 다양한 상수도관의 직경에 대응하여 인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를 갖는 관체로서, 일측 단으로 공급되는 고압 에어 및 세척수를 타측 단 일측 수평방향으로 분사 유도하는 세척유체 유도부;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의 일측 단 외부에 마련되어, 수직 직선 이동 및 수평 회전을 위한 조작 부위를 제공하면서 분사 방향을 표시하는 조작부;
    일측 단이 세척대상 상수도관 부위에 착탈식으로 수직 연결되어, 타측 단으로 인입되는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가 기밀 유지 상태에서 상수도관 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지지 유도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일측 단에 마련되어,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의 깊이 또는 회전 조작된 상태를 고정하여 유지시키는 조작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내경은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의 외경과 유격을 갖도록 직경이 큰 관체로서, 일측 단에 형성되어 상기 상수도관 부위와의 결합 부위를 제공하는 관로 연결단; 타측 단 내경에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에 밀착 기밀력을 제공하는 패킹 및 내경 상단에 상기 조작고정부가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인입단; 및 관체 중간에서 수평 방향으로 분기한 분기관에 수직 마련되는 압력계와 드레인관; 을 포함하는
    상수도관 관로 내부 세척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는 일측 단에 세척유체를 공급하는 세척유체 공급경로가 연결되고, 타측 단에 경사면과 이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분사공이 형성된 상수도관 관로 내부 세척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는 단일의 관체로 이루어지거나, 길이 신장 또는 단축을 위해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다단의 관체로 이루어진 상수도관 관로 내부 세척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수직의 세척유체 유도부 일측 단 외경을 중심으로 수평 방향으로 '-' 또는 '+' 형태로 돌출된 핸들인 상수도관 관로 내부 세척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핸들 중 세척유체의 분사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는, 다른 핸들과 상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상이하게 표시된 상수도관 관로 내부 세척장치.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 연결단은 내경에 상기 상수도관 부위에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것으로, 연결부인 관체와 동일체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관체에 회전 가능하게 별도 마련된 연결구인 상수도관 관로 내부 세척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고정부는 관체로서, 일측 단 외경에 상기 연결부의 인입단 내경과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측 단은 '
    Figure 112022089501393-pat00005
    '형태로 탄성 절결부위가 형성되어, 마주하는 양단면을 관통하는 조임나사에 의해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의 외경에 가압 고정력을 제공하는 상수도관 관로 내부 세척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수도관의 상기 연결부와 연결 결합되는 부위는 상수도관 외경에 돌출 마련된 관통공을 갖는 연결체로서, 상기 연결체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수도관 관로 내부 세척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에는 레버에 의해 회전 조작되는 볼밸브가 내제된 밸브체가 더 연결되고, 상기 밸브체의 선단에 상기 연결부의 관로 연결단이 연결되는 상수도관 관로 내부 세척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볼밸브는 차단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세척유체 유도부가 상수도관 내부로 인입 유도되는 경우, 개방되면서 관통 경로를 형성하는 상수도관 관로 내부 세척장치.
KR1020220107186A 2022-08-25 2022-08-25 상수도관 관로 내부 세척장치 KR102530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186A KR102530426B1 (ko) 2022-08-25 2022-08-25 상수도관 관로 내부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186A KR102530426B1 (ko) 2022-08-25 2022-08-25 상수도관 관로 내부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0426B1 true KR102530426B1 (ko) 2023-05-10

Family

ID=86386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7186A KR102530426B1 (ko) 2022-08-25 2022-08-25 상수도관 관로 내부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4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645B1 (ko) 2020-01-15 2020-06-09 (주)이젠리버텍 고압질소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부단수 분기장치
KR102181473B1 (ko) 2020-05-13 2020-11-23 진우산전 주식회사 지주대의 아암 결합 장치
KR102288136B1 (ko) * 2021-02-10 2021-08-11 주식회사 금결 상수도관 세척 시스템 및 방법
KR102335828B1 (ko) * 2021-07-13 2021-12-06 주식회사 대현이엔씨 클린볼을 이용한 상수도 관로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척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645B1 (ko) 2020-01-15 2020-06-09 (주)이젠리버텍 고압질소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부단수 분기장치
KR102181473B1 (ko) 2020-05-13 2020-11-23 진우산전 주식회사 지주대의 아암 결합 장치
KR102288136B1 (ko) * 2021-02-10 2021-08-11 주식회사 금결 상수도관 세척 시스템 및 방법
KR102335828B1 (ko) * 2021-07-13 2021-12-06 주식회사 대현이엔씨 클린볼을 이용한 상수도 관로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척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6188B1 (ko) 물 기반 음료의 인라인 탄산화
US9757766B2 (en) Device and a method for applying a hardenable plastics coating in a tubular construction
KR102253395B1 (ko) 저압질소와 크린볼을 이용한 수도배관의 세척장치 및 방법
FR2984455A1 (fr) Procede et dispositif d'injection de produit d'addition dans une canalisation de liquide
US20150059858A1 (en) Device and Method for Multi-Path Flow From Vertical Hydraulic Tank
KR102530426B1 (ko) 상수도관 관로 내부 세척장치
CN107497157A (zh) 一种用于滴灌系统的反冲洗过滤器
CN205849846U (zh) 一种软式内镜清洗消毒装置
JP2006297180A5 (ko)
KR100899453B1 (ko) 밸브 조립체
US20190308046A1 (en) Main valve with pressure relief valve having a lockout feature
KR100729827B1 (ko) 개폐밸브가 장착된 지관을 갖춘 상수관
US9234334B2 (en) Pressure tank
JP2010029573A (ja) シャワー装置
CA2685803C (en) Pressure tank
KR102521055B1 (ko) 상수도관 관로 내부 세척방법
CN108261889B (zh) 易维护的废气处理喷淋系统
EP0396542B1 (en) A device at washing and rinsing apparatuses for producing a foam
CN205475141U (zh) 防堵水利管道结构
CN106106044B (zh) 一种多功能取水器及其应用
CN218405731U (zh) 一种排水管道施工装置
KR102520098B1 (ko) Wap 기술 기반 관로 세척 장치
JP2005262037A (ja) 液体散布用スプレー装置
CN216765858U (zh) 一种高压旋喷注浆装置
KR100758738B1 (ko)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및 이 분사노즐을 이용한 비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