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7341Y1 - 고무댐의 본체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고무댐의 본체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7341Y1
KR200187341Y1 KR2020000003336U KR20000003336U KR200187341Y1 KR 200187341 Y1 KR200187341 Y1 KR 200187341Y1 KR 2020000003336 U KR2020000003336 U KR 2020000003336U KR 20000003336 U KR20000003336 U KR 20000003336U KR 200187341 Y1 KR200187341 Y1 KR 2001873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seat cover
anchor bolt
rubber dam
d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33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호
홍계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유일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유일기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유일기연
Priority to KR20200000033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73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3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3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05Deformable barrages or barrages consisting of permanently deformable elements, e.g. inflatable, with flexible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적하는 수위에 따라 공기의 주입조절로 높이가 변화되는 고무댐의 본체를 보호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본 고안은, 고무댐 본체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금구 전방쪽의 하상 콘크리트에 길이방향으로 매설되어 있는 하판부재와, 소정간격 마다 하판부재에 끼워져 결합되고 하상 콘크리트에 매설되어 있는 제2 앵커볼트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며 일단부가 제2 앵커볼트에 끼워지고 타단부가 고정금구의 전방쪽에서부터 고무판체의 하방쪽의 적정 부위까지 덮어져 고무판체를 보호하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탄성재질의 시트커버와, 제2 앵커볼트에 끼워진 시트커버의 위에 길이방향으로 얹혀져 제2 앵커볼트와 나사의 조임에 의해 시트커버의 일단부를 하판부재에 밀착·고정시키는 클램핑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낙석 또는 유석 및 유목 등의 충격으로부터 고무댐이 보호가 되어 제방용 뚝으로서의 기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고, 또 고무댐의 파손에 의한 경제적 손실 및 인명사고를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고무댐의 본체 보호장치{APPARATUS FOR PROTECTION OF RUBBER DAM}
본 고안은 소수력 발전용 상단보, 농업 및 공업용 취수보, 상수도용 취수보, 건천방지 및 위락용 담수보, 배수지 펌프 부식 방지용 차수보, 폭풍 해일용 방조제, 폐수처리저장 등에 사용되는 여러가지의 댐(DAM) 중에서 특히 목적하는 수위에 따른 공기의 주입조절로 높이가 변화되는 고무댐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낙석, 유석(流石) 및 쓰레기 등과 같은 부유물과의 강한 충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고무댐의 파손을 방지시켜 주는 고무댐의 본체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저수지 또는 농업/공업용 취수보, 상수도용 취수보, 위락용 담수보 등의 뚝으로서 절첩식 및 유체 팽창식 등의 많은 고무댐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는 산간지역이나 지형조건이 좋지 않은 곳에서도 효과적인 저수량 확보와 조립 설치가 용이하고, 또 목적하는 수위에 따라 고무댐의 높이를 공기압력으로 조절하여 관리하기 때문에 제방용 뚝으로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절첩식 또는 팽창식 고무댐들의 대부분은 그 본체의 팽창을 위하여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도록 되어 있고, 또 하상 콘크리트와 제방에 고무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와 공기를 공급 또는 배출하기 위한 배관설비 및 송풍기, 수위조절을 위한 프로트 밸브를 갖는 것들로서, 특히 팽창식 고무댐의 예를 들면,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56240호(명칭; 유체 팽창식 고무댐)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56240호에 기재된 그와 같은 유체 팽창식 고무댐의 하나를 표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유체 팽창식 고무댐의 팽창과 기복을 위해 하천 제방의 경사부에 설치한 공기 입, 배출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고무댐의 팽창과 기복을 위한 유체의 급, 배출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내부에 가요성 중공체가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설치되고, 팽창식 고무댐이 하상에 고정·팽창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유체 팽창식 고무댐에 있어서, 고무댐 내의 길이 방향과 폭 방향으로 설치하는 연속 중공체(3)(4)는 고무호스로 되어 있다. 이 고무호스로 된 연속 중공체(3)(4)는 고무판 브라킷트(3a)(4a)를 이용하여 고무댐 본체(1)에 접착시킨다. 연속 중공체(3)(4)가 공기 입, 배출구(8)에 모여 있으므로 최종적인 공기의 배출까지 연속 중공체(3)(4)는 공기의 통로 역할을 하는 것이며, 특히 고무댐 본체(1)의 폭방향으로 설치하는 연속 중공체(3)는 고무댐 본체(1)가 팽창되는 곡선을 따라 자유로이 굽혀지므로써 고무댐 본체(1)의 팽창, 이완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도 균일한 공기 배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연속 중공체(3)(4)가 고무호스로 제조되므로서 자체의 탄력이 있어 하상에 구르는 암석이나 유목에 의하여 고무댐 본체(1) 표면이 충격을 받는 것을 완화시키는 것이며, 연속 중공체(3) 내부로 공기가 유통되는 것을 기대하기 보다는 양쪽 고무판체(9)의 사이에 끼어 있어서 생기는 공간으로 공기가 유통되면서 탄력을 가지고 있어 항상 일정한 원형 단면 상태를 유지하여 주도록 하는 것이다.
가요성 고무판체(9)는 탄성고무로 제조되고 내부에 보강용 나이론 코드를 넣어서 충분한 인장을 갖도록 일반적인 고무판체로 제작되어진다.
이와 같은 고무판체(9)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기초가 균일하고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상 콘크리트(13)에 매설되는 하상 구조체(11)를 설치하고 제1 앵커볼트(10)를 하상 콘크리트(13)에 매설하여 둔다.
하상 구조체(11)에 고무판체(9)를 밀착고정시키기 위하여 단부에 걸림턱(5)과 안착홈(6) 및 보강살(7)이 형성된 고정금구(2)를 사용한다.
고무판체(9)를 고정하는 방법은 고무판체(9)를 공장에서 공급된 상태 그대로 양단부를 겹쳐서 하상 구조체(11) 위에 올려 놓은 다음 고정금구(2)를 덮어놓고 제1 앵커볼트(10)에 제1 너트(10a)를 조여주는 것으로 고정이 쉽게 완료되는 것이다.
고정장치에서는 고무판체(9)의 양단부를 펀칭하거나 손상시킴이 없어 뒷쪽에서만 제1 앵커 보울트(10)의 하나로서 고정시키는 구조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특히 하상 구조체(11)는 돌출부(12)를 부착시켰기 때문에 고무판체(9)가 고정금구(2)의 안착홈(6)에 밀착되는 성능을 높일 수 있으며, 수압에 의하여 고무댐 본체(1)가 하류 방향으로 빠져나가는 힘을 억제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가요성 고무판체(9)의 일단이 하상 콘크리트(13)에 고정되고 양단이 제방 경사부에 매설된 하상 구조체(11)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기와 같은 공기공급장치(14)를 통해 공기압을 발생시키면 그 공기는 공기입, 배출관(8a) 및 이에 결합된 공기 입, 출구(8)를 통해 가요성 고무판체(9)에 유입되어 고무댐 본체(1)가 목적하는 수위에 따라 높이가 변화되어 저수량을 확보하게 된다.
전술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제방용 뚝으로서의 고무댐들은 대부분 가요성 고무판체의 일단을 하상에 고정하고 양단을 제방 경사부에 매설된 구조체에 끼워 고정한 후에 목적하는 수위에 따라 공기압력으로 고무판체의 높이를 조절하여 제방을 막아 저수량을 확보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고무댐들의 대부분이 낙석, 유석 및 유목에 직접 노출되어 있는 관계로 인하여 산간지역 등에서의 낙석 또는 강한 수압에 의해 하상으로 구르는 날카로운 유석 또는 유목 등으로부터 충격을 받을 경우 가요성 고무판체가 찌져지거나 구멍이 뚫려 제방용 뚝으로서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며, 심하게는 고무댐을 다시 조립 설치해야 하는 어려움과 경제적 손실을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특히 해일용 방조제 또는 홍수제어를 위한 고무댐일 경우에는 하류쪽의 막대한 재산상의 피해와 인명사고를 불러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치유하면서도 비용 및 설치 면에서는 보다 저렴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고무댐의 본체 보호장치를, 그리고 안전성 면에서는 낙석, 유석 및 유목 등의 충격으로부터 고무댐을 보호해 주어 제방용 뚝으로서의 기능을 장기간 유지하도록 하는 고무댐의 본체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낙석 및 강한 수압에 의해 하상으로 흐르는 유석 및 유목 등으로부터의 충격을 차단시켜 고무댐을 보호해 주도록 하는 고무댐의 본체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보호장치는 탄성재질을 갖으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시트커버의 일단을 고무댐 본체가 고정되는 부위 쪽으로 하여 안정되게 고정하고 타단을 고무댐 본체의 소정부위까지 감쌓서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고무댐 본체가 받는 물의 저항을 최대로 줄여 주어 고무댐 본체가 강한 수압에 의해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고무댐의 본체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보호장치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커버시트의 표면에 격자형상의 요철부를 형성하여 물의 저항을 줄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고무댐 보호 시에 시트커버가 고무댐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고무댐의 본체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보호장치는 시트커버의 일단부에 물의 방향에 따라 유선형의 유속지연체와 벗김방지편을 소정의 간격마다 부착·형성하여 시트커버의 벗겨짐 및 유속에 따른 와류와 정체 현상 등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유체 팽창식 고무댐의 팽창과 기복을 위해 하천 제방의 경사부에 설치한 공기 입, 배출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고무댐의 팽창과 기복을 위한 유체의 급, 배출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내부에 가요성 중공체가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설치되고, 팽창식 고무댐이 하상에 고정·팽창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무댐의 본체 보호장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시트커버가 하상에 설치되어 상기 고무댐을 낙석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나타낸 고무댐이 내부의 유체를 배출하고 하상에 접혀있을 때의 시트커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고무댐 본체 내의 연속 중공체가 생략된 상태에서의 시트커버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서 시트커버가 하상에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무댐 본체 2 : 고정금구
3 : 연속 중공체 3a : 고무판 브라킷트
9 : 가요성 고무판체 10 : 제1 앵커볼트
51 : 시트커버 52 : 벗김방지편
53 : 유속지연체 54 : 클램핑 플레이트
55 : 제2 앵커볼트 56 : 하판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측면에 따른 고무댐의 본체 보호장치는, 고무판체의 양단부를 겹쳐서 하상 콘크리트에 매설된 구조체 위에 올려 놓고 그 위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금구를 덮은 후 콘크리트에 매설된 제1 앵커볼트에 너트를 조여 고정하며 내부에 유체를 채워 제방을 막는 고무댐에 있어서:
(1) 아연으로 도금되어 상기 고정금구의 전방쪽의 하상 콘크리트에 길이방향으로 매설되어 있는 하판부재; (2) 상기 하판부재에 소정 간격마다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하상 콘크리트에 매설·돌출되어 있는 제2 앵커볼트; (3)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제2 앵커볼트에 끼워지고 타단부가 상기 고무판체의 하방쪽의 적정 부위까지 덮어져 상기 고무판체를 보호하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탄성재질의 시트커버; 및 (4) 상기 고정금구의 전방 쪽의 제2 앵커볼트에 끼워진 상기 시트커버의 위에 얹혀진 후 상기 제2 앵커볼트와 나사의 조임에 의해 상기 시트커버의 일단부를 상기 하판부재에 밀착·고정시켜 주는 클램핑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고무판체의 적정부위까지 덮어지는 상기 시트커버의 타단부 표면에 물의 방향에 따라 소정간격 마다 유선형의 유속지연체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시트커버의 표면에 격자상의 요철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하면, 탄성재질을 갖는 시트커버의 일단부가 고정금구 전방쪽의 제2 앵커볼트, 클램핑 플레이트 및 하판부재에 의해 하상 콘크리트에 밀착 고정되고 또 시트커버의 타단부가 고무댐 본체의 하방쪽까지 덮어줌으로써, 낙석 또는 날카로운 유석 및 유목 등으로부터의 충격을 완화시켜 주게 됨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낙석 또는 유석 및 유목 등의 충격으로부터 고무댐이 보호가 되어 제방용 뚝으로서의 기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고, 또 고무댐의 파손에 의한 경제적 손실 및 인명사고를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 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고무댐의 본체 보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은 고무댐의 크기에 무관하고 여러 종류의 고무댐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설명에 사용되는 각 도면에 있어서, 같은 구성성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표시하고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것도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무댐의 본체 보호장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시트커버가 하상에 설치되어 상기 고무댐을 낙석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나타낸 고무댐이 내부의 유체를 배출하고 하상에 접혀있을 때의 시트커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고무댐 본체 내의 연속 중공체가 생략된 상태에서의 시트커버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요성의 고무판체(9) 내에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고무재질의 연속 중공체(3)(4)를 고무판 브라킷트(3a)(4a)를 이용하여 설치한 후 이 가요성 고무판체(9)의 양단부를 겹쳐서 하상 콘크리트(13)에 매설된 하상 구조체(11) 위에 올려 놓고 그 위에 걸림턱(5)과 안착홈(6) 및 보강살(7)이 형성된 고정금구(2)를 길이방향으로 하여 덮은 다음 하상 콘크리트(13)에 매설된 제1 앵커볼트(10)에 너트(10a)를 조여 고정하며 고무판체(9) 내부에 공기를 유입하여 제방을 막는 고무댐 본체(1)에 있어서, 이 고무댐 본체(1)를 보호하는 본 실시 예에 따른 고무댐의 본체 보호장치는,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무댐 본체(1)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금구(2)의 전방쪽의 하상 콘크리트(13)에 길이방향으로 매설·돌출되어 있는 제2 앵커볼트(55)와,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홀이 형성되어 제2 앵커볼트(55)에 끼워져 하상 콘크리트(13)에 매설되는 아연 도금된 하판부재(56)와, 가요성 고무판체(9)와 대응하게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며 일단부가 제2 앵커볼트(55)에 끼워지고 타단부가 일정한 간격마다 내측방향으로 절개되어 절단면(52a)들을 가지며 그 절단면들 사이에는 다수의 벗김방지편(52)들이 돌출·형성되어 고무판체(9)의 하방쪽의 적정 부위까지 덮어지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고무재질의 시트커버(51)와, 물의 흐르는 방향에 따라 벗김방지편(52)들의 표면에 안정되게 부착되어 와류(渦流) 및 정체(停滯)의 현상을 방지하는 탄성재질을 갖는 유선형의 유속지연체(53)와,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가지며 하판부재(56)와 대응되도록 상기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다수의 홀(54a)이 형성되어 고정금구(2) 전방 쪽의 제2 앵커볼트(55)에 끼워져 시트커버(51) 위에 길이방향으로 얹혀진 후 제2 앵커볼트(55)와 나사(55a)의 조임에 의해서 시트커버(51)의 일단부를 하판부재(56)에 밀착·고정시켜 주는 아연 도금된 클램핑 플레이트(54)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고무재질의 시트커버(51)의 전 표면에 물의 저항력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격자상의 요철부(51a)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고무댐의 본체 보호장치를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자체의 탄력성이 좋은 고무재질의 시트커버(51)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기초가 균일하고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도 3,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금구(2) 전방 쪽의 하상 콘크리트(13)에 제2 앵커볼트(55)를 일정한 간격이 되게 길이방향으로 매설하고 또 그 제2 앵커볼트(55)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 예컨대 20cm 마다 홀이 형성된 하판부재(56)를 제2 앵커볼트(55)에 끼워 길이방향으로 매설하여 설치해 둔다. 제2 앵커볼트(55)와 하판부재(56)는 충분한 강도와 내구성을 가질 수 있도록 제2 앵커볼트(55)를 스턴레스로 제작하고 또 하판부재(56)는 아연도 강판으로 제작하여 녹을 방지케 한다.
자체의 탄성력이 좋은 고무재질의 시트커버(51)를 고무댐 본체(1)에 덮어 씌운 다음 하판부재(56)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커버(51)의 일단부를 하상 콘크리트(13)에 길이방향으로 매설되어 있는 제2 앵커볼트(55)에 끼워서 하판부재(56)에 올려 놓은 다음 길이 방향에 대해 일정한 간격마다, 예컨대 20cm 간격 마다 홀(54a)이 형성되어 있는 대략 H자 형상의 클램핑 플레이트(54)를 제2 앵커볼트(55)에 끼우게 되면 클램핑 플레이트(54)가 시트커버(51)의 일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놓여지게 된다. 이와 같이 클램핑 플레이트(54)를 시트커버(51)에 길이방향으로 올려 놓은 후에 스텐레스 재질의 제2 앵커볼트(55)에 너트(55a)를 조여 줌으로서 시트커버(51)가 하판부재(56)에 밀착 고정이 된다. 여기서 클램핑 플레이트(54)는 충분한 강도와 내구성을 가질 수 있도록 주강으로 제작된 후 아연 도금된 것으로서 녹을 방지케 한다. 특히 클램핑 플레이트(54)를 20cm 간격마다 제2 앵커볼트(55)를 통해 하상 콘크리트(13)에 매설된 하판부재(56)에 고정 하였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 시트커버(51)가 하판부재(56)에 밀착되는 성능이 높아지고, 또한 강한 수압에 의하여 시트커버(51)가 하류방향으로 빠져나가는 힘이 억제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탄성재질을 가지며 또 충분한 두께를 가지는 시트커버(51)를 클램핑 플레이트(54)와 제2 앵커볼트(55)를 이용하여 하상 콘크리트(13)에 매설된 하판부재(56)에 안정되게 밀착 고정시킨 다음 그 시트커버(51)의 타단부를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금구(2)의 전방 쪽에서부터 고무댐 본체(1)의 가요성 고무판체(9)의 하방쪽까지 덮어 씌워 보호해 준다. 이때, 시트커버(51)의 씌워짐 정도는 가능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요성 고무판체(9) 내에 유체가 유입되어 최대로 팽창된 상태라 할 때, 그 탄성재질의 시트커버(51)의 타단부가 팽창된 하방쪽의 고무판체(9)를 적어도 1/3 정도 덮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시트커버(51)를 도 4와 같이 고무판체(9)에 덮어 씌워준 다음 공기공급장치를 통해 공기압을 발생시켜 가요성 고무판체(9) 내로 유입시키면 고무판체(9)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팽창되고 또 시트커버(51)는 고무판체(9)의 주연부에 안정되게 접촉되면서 그의 타단부가 고무판체(9)를 1/3정도 덮어 줌으로써 낙석 또는 강한 수압에 의해 하방향으로 흐르는 유석 및 유목 등의 충격으로부터 고무판체(9)의 파손을 방지하여 주게 된다.
한편, 고무댐 본체(1)가 제방 뚝으로서 기능을 하고 있을 때, 상류에서 하류쪽으로 강하게 흐르는 물의 저항에 의해 고무댐 본체(1) 및 시트커버(51)가 상기 강한 수압으로 인하여 하방쪽으로 밀려나게 되는데, 이때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커버(51)의 표면에 형성된 격자형의 요철부(51a)가 물의 저항을 최대로 줄여주어 고무댐 본체(1)는 물론 시트커버(51)가 하방쪽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또한, 시트커버(51)의 타단부를 일정한 간격마다, 바람직하게는 100cm 마다 내측방향으로 절개하여 절단면(52a)을 형성하고 그 절단면들 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벗김방지편(52)의 표면에 물이 흐르는 방향에 따라 탄성재질을 갖는 유선형의 유속지연체(53)가 안정되게 부착되어 있음으로 인해서 물이 시트커버(51)의 표면을 타고 하방향으로 흐를 때, 그 유속지연체(53)에 의해서 와류 및 정체 현상이 방지되면서 안정되게 흐르게 된다. 또한 유속지연체(53)가 어느 정도의 중량을 가지고 벗김방지편(52)들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음으로 인해서 시트커버(51)를 향해 역풍이 불더라도 그 시트커버(51)가 고무댐 본체(1)로부터 벗겨지지 않는다. 즉 다시 말해, 벗김방지편(52)은 하방으로 떨어지는 물을 유속지연체(53)를 통해 받쳐주게 되며 그 결과, 벗김방지편(52)이 계속 하방쪽으로 중력을 받게 된다. 이것에 의해 역풍이 불더라도 시트커버(51)가 고무댐 본체(1)로부터 벗겨져 나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시트커버(51)의 벗겨짐을 방지하기 위한 다른 실시 예로서, 벗김방지편(52)의 표면에 부착되는 유속지연체(53)를 제거하고 대신에 그 벗김방지편(52)을 상방향으로 라운딩 절곡시켜서 시트커버(51)의 벗겨짐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벗김방지편(52)이 시트커버(51)의 표면을 타고 하방향으로 떨어지는 물을 받쳐주는 결과되므로, 이것에 의해 어느 정도의 역풍이 불더라도 시트커버(51)가 고무댐 본체(51)로부터 벗겨지지 않는다.
또한, 시트커버(51)의 벗겨짐을 방지하기 위한 또다른 실시 예로서, 시트커버(51)의 벗김방지편(52)에 환형링을 설치하여 그 환형링과 하상 콘크리트에 로프를 연결해 줌으로써, 특히 여름철의 강한 태풍에 의한 시트커버(51)의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서 고무댐들의 대부분이 낙석, 유석 및 유목에 직접 노출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본 고안은 탄성재질을 가지며 충분한 두께를 갖는 시트커버가 고정금구 전방쪽의 하상 콘크리트에 밀착 고정되어 고정금구에서부터 고무댐 본체의 하방쪽까지 씌워져 있으므로 낙석 또는 유석 및 유목 등으로부터의 충격이 완화되고 또 물의 저항이 최소화 됨을 알 수 있다.
이 적용례에 의하면, 구조 면에서는 보다 간소한 고무댐의 본체 보호장치를, 신뢰성 면에서는 보다 안전성이 있는 고무댐의 본체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본 고안의 고무댐의 본체 보호장치에 의하면, 타성재질을 가지며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시트커버가 고정금구 전방쪽에서부터 고무댐 본체의 하방쪽까지 덮어 낙석 또는 날카로운 유석 및 유목 등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함으로써, 고무댐이 제방용 뚝으로서의 기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고, 또 고무댐의 파손에 의한 경제적 손실과 인명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고무판체의 양단부를 겹쳐서 하상 콘크리트에 매설된 구조체 위에 올려 놓고 그 위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금구를 덮은 후 콘크리트에 매설된 제1 앵커보울트에 너트를 조여 고정하며 내부에 유체를 채워 제방을 막는 고무댐에 있어서:
    (1) 상기 고정금구 전방쪽의 하상 콘크리트에 길이방향으로 매설되어 있는 하판부재;
    (2) 소정간격 마다 상기 하판부재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하상 콘크리트에 매설·돌출되어 있는 제2 앵커볼트;
    (3)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제2 앵커볼트에 끼워지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금구의 전방쪽에서부터 상기 고무판체의 하방쪽의 적정 부위까지 덮어져 상기 고무판체를 보호하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탄성재질의 시트커버; 및
    (4) 상기 제2 앵커볼트에 끼워진 상기 시트커버의 위에 길이방향으로 얹혀져 상기 제2 앵커볼트와 나사의 조임에 의해 상기 시트커버의 일단부를 상기 하판부재에 밀착·고정시키는 클램핑 플레이트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댐의 본체 보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무판체의 적정부위까지 덮어지는 상기 시트커버의 타단부 표면에 물의 방향에 따라 소정간격 마다 탄성재질을 갖는 유선형의 유속지연체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댐의 본체 보호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커버의 표면에 격자상의 요철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댐의 본체 보호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무판체 내에 유체가 유입되어 팽창된 상태라 할 때, 상기 시트커버의 타단부가 상기 팽창된 하방쪽의 고무판체를 적어도 1/3 정도 덮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댐의 본체 보호장치.
KR2020000003336U 2000-02-09 2000-02-09 고무댐의 본체 보호장치 KR2001873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336U KR200187341Y1 (ko) 2000-02-09 2000-02-09 고무댐의 본체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336U KR200187341Y1 (ko) 2000-02-09 2000-02-09 고무댐의 본체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7341Y1 true KR200187341Y1 (ko) 2000-07-01

Family

ID=19641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3336U KR200187341Y1 (ko) 2000-02-09 2000-02-09 고무댐의 본체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734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032B1 (ko) 2007-03-27 2007-10-17 (주)대도엔텍 고무댐 보호커버 고정구조
KR101153441B1 (ko) 2011-11-07 2012-06-07 (주)대도엔텍 고무댐 보호커버구조
KR20170044085A (ko) * 2014-07-18 2017-04-24 헨리 케이 오베르메이어 물 조절 게이트 고정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032B1 (ko) 2007-03-27 2007-10-17 (주)대도엔텍 고무댐 보호커버 고정구조
KR101153441B1 (ko) 2011-11-07 2012-06-07 (주)대도엔텍 고무댐 보호커버구조
KR20170044085A (ko) * 2014-07-18 2017-04-24 헨리 케이 오베르메이어 물 조절 게이트 고정 시스템 및 방법
KR102521621B1 (ko) * 2014-07-18 2023-04-13 헨리 케이 오베르메이어 물 조절 게이트 고정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83675B2 (ja) 永久・半永久防波堤構造体および海岸部および陸地部再生方法
US6027285A (en) Mat installation
US8251612B2 (en) Tidal responsive barrier
US7828499B2 (en) Erosion control system
KR100644779B1 (ko) 가요성 고무댐
US5899632A (en) Beach restoration structure and method
KR200187341Y1 (ko) 고무댐의 본체 보호장치
KR100586483B1 (ko) 철교교각의 세굴방지구조
US5888020A (en) Sub-tidal platform
KR100530273B1 (ko) 교각기초의 세굴을 방지하기 위한 세굴방지대
KR100767032B1 (ko) 고무댐 보호커버 고정구조
US20150376852A1 (en) Beach Maintenance System
KR200195534Y1 (ko) 고무댐의 침전물 배출장치
CN210797464U (zh) 气盾坝止水防护结构
US5975796A (en) Vertical flow diversion mat system
KR200413712Y1 (ko) 파손방지 가요성 고무댐의 보강구조
CN113987621A (zh) 根据水阻力的拦污网设计方法
CN108999148B (zh) 一种防渗型水利堤坝及建造方法
KR200421282Y1 (ko) 가요성 고무댐
KR100696066B1 (ko) 해안방호시설용 옹벽구조물
RU2374385C2 (ru) Защитное гидротехническое сооружение
KR200338820Y1 (ko) 하천 제방의 유실 방지공 설치구조
KR100768556B1 (ko) 고무댐 보호커버 고정구조
KR200340987Y1 (ko) 어도가 형성되고 심층수 배출이 용이한 공압식 가동보
CN219490844U (zh) 一种用于上段河道防洪护岸围栏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