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2150B1 -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150B1
KR101792150B1 KR1020167028828A KR20167028828A KR101792150B1 KR 101792150 B1 KR101792150 B1 KR 101792150B1 KR 1020167028828 A KR1020167028828 A KR 1020167028828A KR 20167028828 A KR20167028828 A KR 20167028828A KR 101792150 B1 KR101792150 B1 KR 101792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toner
nozzle
opening
sh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3396A (ko
Inventor
히로시 호소카와
츠쿠루 가이
준이치 마츠모토
마코토 고마츠
다다시 하야카와
유즈루 오자와
신지 다마키
겐지 기쿠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92938A external-priority patent/JP637205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92765A external-priority patent/JP548874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160123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68Toner cartridges fulfilling a continuous function within the electrographic apparatus during the use of the supplied developer material, e.g. toner discharge on demand, storing residual toner, acting as an active closure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15/0872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the developer cartridges being generally horizontally mounted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03G2215/0122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 G03G2215/0125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horizontal or slanted
    • G03G2215/0132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horizontal or slanted vertical medium transport path at the secondary transf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분체 용기는 분체 보충 디바이스로 공급되는 분체를 화상 형성을 위해 수용하는 수용 본체; 종방향에서의 일단부로부터 원통형 용기 개구가 형성되는 타단부로 분체를 반송하도록 구성되며, 용기 본체 내에 마련되는 컨베이어; 컨베이어를 외부 구동력에 의해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기어; 기어를 덮도록 구성되고, 기어이를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기어 노출 홀을 갖는 용기 커버; 및 용기 개구 상에 마련되어 용기 본체의 내측에서 반송 노즐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노즐 수납부를 포함한다. 용기 커버는 반경 방향에서 기어의 기어이보다 외측에 마련되는 용기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토너 등의 분체(粉體)를 수납하는 분체 용기에 관한 것이고, 또한 분체를 분체 용기로부터 반송(搬送) 목적지를 향해 반송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복사기, 프린터, 또는 팩시밀리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감광체 상에 형성된 잠상(latent image)은 현상 디바이스에 존재하는 토너를 이용하여 가시 화상(visible image)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잠상의 현상은 토너의 소비를 초래한다. 이 때문에, 현상 디바이스에 토너를 보충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이 점에서, 화상 형성 장치의 주 본체에 설치된 분체 공급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토너 보충 디바이스는 분체를 분체 용기로서 기능하는 토너 용기로부터 현상 디바이스로 반송한다. 그 결과, 현상 디바이스에 토너가 보충된다. 전술한 방식으로 토너가 보충된 현상 디바이스를 이용하면, 연속적인 방식으로 화상을 현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토너 용기는 착탈 가능한 방식으로 토너 보충 디바이스에 부착된다. 따라서, 토너 용기에서 토너가 바닥난 경우, 토너 용기는 토너를 담고 있는 새로운 토너 용기로 교체된다.
토너 보충 디바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토너 용기로서, 토너를 담고 있는 원통형 토너 수납 부재의 내표면 상에 나선형 리브가 형성되는 몇몇의 토너 용기가 공지되어 있다(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241496호,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221825호, 일본 특허 제4342958호,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202656호, 및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233247호 참조). 그러한 토너 용기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에 부착된 상태에서, 토너 수납 부재는 내부에 저장된 토너가 회전축의 방향으로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반송되도록 회전된다. 이때에, 토너 수납 부재의 타단부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토너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의 주 본체를 향해 방출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9-276659호에, 이하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토너 수납 부재 내에 저장된 토너가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반송되도록 토너 수납 부재가 회전되는 토너 용기와 관련하여, 토너 보충 디바이스에 고정된 반송 노즐이 토너 수납 부재의 타단부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삽입된다. 토너 용기 내에 삽입된 반송 노즐은 반송 노즐의 삽입 방향으로 전방 단부에서 단부의 근처에 형성된 토너 수납 개구를 갖는다. 따라서, 토너 용기 내에 삽입될 때에, 반송 노즐은 토너 수납 개구를 통해 토너 수납 부재로부터 토너를 수신한다. 이어서, 반송 노즐은 토너를 토너 보충 디바이스의 주 본체로 반송한다. 또한, 토너 용기에서, 토너 수납 부재의 타단부에 형성된 개구 내에는, 반송 노즐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노즐 삽입 개구를 갖는 노즐 삽입 부재가 고정된다. 또한, 토너 용기는 반송 노즐이 삽입되지 않을 때에 노즐 삽입 개구를 폐쇄하고, 반송 노즐의 삽입 시에 노즐 삽입 개구를 개방하는 용기 셔터를 포함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9-276659호에 개시된 토너 용기에서, 노즐 삽입 개구는 반송 노즐이 삽입될 때까지 폐쇄 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의해, 토너 용기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에 부착되기 전에 토너의 누출 또는 산란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토너 용기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에 부착될 때에, 토너 용기로부터 토너 보충 디바이스의 반송 노즐로의 토너의 반송이 토너 용기 내에서 행해진다. 그 결과, 토너 보충 디바이스에 대한 토너의 반송이 토너 용기의 외측에서 행해지는 방법과 비교할 때에, 토너 보충 디바이스의 내측 뿐만 아니라 토너 용기의 외표면이 산란된 토너에 의해 더러워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 때문에, 화상 형성의 시작 이후라도 작업자가 토너 용기를 당기면, 작업자가 토너에 의해 더러워지지 않는다.
그러나,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9-276659호에서는, 셔터를 외측을 향해 압박하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대항하여 토너 용기(토너 카트리지)를 토너 보충 디바이스에 고정시킬 수 있는 유지 메카니즘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그 외에, 토너 용기 내측에 존재하는 토너를 반송하기 위해 설치되는 기어들과 유지 메카니즘 간의 간섭을 피할 수 있는 특정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기어들과의 간섭을 유발하는 일 없이 토너 용기를 토너 보충 디바이스에 유지할 수 있는 유지 메카니즘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토너를 안정적인 방식으로 반송할 수 없다. 그리고, 노즐 삽입 개구로부터의 토너 누출을 방지하면서 토너를 토너 보충 디바이스에 공급할 수 없다.
따라서, 반송 노즐이 삽입될 수 있고, 분체가 분체 용기로부터 보충 디바이스로 안정적인 방식으로 반송될 수 있도록 분체 용기가 보충 디바이스 내에서 보충 가능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는 분체 용기를 제공하고, 또한 상기 분체 용기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 종방향으로 분체 보충 디바이스에 부착 가능한 분체 용기가 제공된다. 분체 보충 디바이스는 분체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노즐, 분체 용기로부터 분체를 수용하도록 반송 노즐 상에 형성된 노즐 개구, 및 분체 용기를 측방향으로 편향시킴으로써 분체 용기를 유지시키는 보충 디바이스 결합 부재를 포함한다. 분체 용기는, 분체 보충 디바이스로 공급되는 분체를 화상 형성을 위해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용기 본체; 종방향에서의 일단부로부터 원통형 용기 개구가 형성되는 타단부로 분체를 반송하도록 구성되며, 용기 본체 내에 마련되는 컨베이어; 컨베이어를 외부 구동력에 의해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기어; 기어를 덮도록 구성되고, 기어이를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기어 노출 홀을 갖는 용기 커버; 및 용기 개구 상에 마련되어 용기 본체의 내측에서 반송 노즐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노즐 수납부를 포함한다. 용기 커버는 보충 디바이스 결합 부재가 슬라이드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슬라이딩부와, 보충 디바이스 결합 부재가 결합되는 결합 홀을 포함한다. 용기 결합부는 반경 방향에서 기어이보다 외측에 마련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 특징, 이점 및 기술적 그리고 산업적 중요성은, 첨부 도면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토너 용기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에 부착되기 전에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너 보충 디바이스와 토너 용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모든 실시예에 따른 복사기의 전체 구성도이며,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복사기의 화상 형성 유닛을 예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복사기의 토너 보충 디바이스 내에 토너 용기가 유지되는 상태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며,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복사기의 용기 유지부 내에 토너 용기가 유지되는 상태를 예시하는 전체 사시도이고,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7은 토너 용기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에 부착되기 전에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너 보충 디바이스와 토너 용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8은 토너 용기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에 부착된 후에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너 보충 디바이스와 토너 용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도 9는 노즐 수납부가 토너 용기의 용기 본체로부터 제거된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의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노즐 수납부가 토너 용기의 용기 본체로부터 제거된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의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도 11은 노즐 수납부가 도 10에 예시된 상태로부터 토너 용기의 용기 본체에 부착된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의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모든 실시예에 따른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 보았을 때에 노즐 수납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13은 모든 실시예에 따른 용기 후방 단부측에서 보았을 때에 노즐 수납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예시된 상태에서 노즐 수납부의 횡방향 단면도이며,
도 15는 모든 실시예에 따른 노즐 셔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16은 노즐 전방 단부에서 보았을 때에 도 15에 예시된 노즐 셔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17은 노즐 기단부에서 보았을 때에 도 15에 예시된 노즐 셔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토너 보충 디바이스의 반송 노즐 근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도 19는 반송 노즐의 노즐 개구 근처를 설명하는 단면 사시도이고,
도 20은 노즐 셔터를 제거한 후에 노즐 전방 단부에서 보았을 때에 반송 노즐 근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21은 노즐 셔터를 제거한 후에 노즐 개구 근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22는 모든 실시예에 따른 토너 보충 디바이스에 고정되는 커넥터를 설명하는 사시도, 및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 단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23은 도 22에 예시된 IC 태그 유지 구조체가 분해된 상태로 예시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 단부를 설명하는 사시도, 및 커넥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2에 예시된 IC 태그가 IC 태그 홀더에 일시적으로 결합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 단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25는 모든 실시예에 따른 IC 태그, IC 태그 홀더, 및 커넥터 간에 상대 위치 관계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6은 보관되는 상태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27은 흡착제가 캡 상에 배치되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2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용기 본체에 나사 클램핑을 이용하여 고정되는 노즐 수납부에 사용되는 용기 셔터 지지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29는 노즐 수납부가 용기 본체로부터 제거되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의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30은 노즐 수납부가 용기 본체로부터 제거되는 제4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의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31a는 용기 후방 단부측에서 본 제5 실시예에 따른 노즐 수납부에 포함되는 반송 날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31b는 노즐 수납부가 용기 본체로부터 제거되는 제5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의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도 32는 제5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본 리프팅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33은 제6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가 체결되는 토너 보충 디바이스와, 토너 용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도 34는 제7 실시예에 따른 용기 본체를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35는 제8 실시예에 따른 용기 본체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도 36은 제9 실시예에 따른 용기 본체를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37은 제5 실시예에 따른 반송 날개가 제9 실시예에 따른 용기 본체에 배치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도 38은 모든 실시예에 따른 용기 전방 단부 커버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39는 토너 용기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에 부착되기 전에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너 보충 디바이스와 토너 용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도 4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에 부착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41은 토너 용기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에 부착되기 전에 토너 보충 디바이스와 토너 용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도 42는 토너 용기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에 부착되기 전에 제10 실시예에 따른 토너 보충 디바이스와 토너 용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43은 제10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44는 토너 용기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에 부착되기 전에 제10 실시예에 따른 토너 보충 디바이스와 토너 용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45는 토너 용기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에 부착된 후에 제10 실시예에 따른 토너 보충 디바이스와 토너 용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도 46은 제10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를 설명하는 분해도이고,
도 47은 제10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 조립체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48은 제10 실시예에 따른 교반 컨베이어의 샤프트가 없는 구성에서 노즐 수납기와 교반 컨베이어의 횡단면도이고,
도 49는 토너 수납 개구의 위치에서 반송 노즐이 삽입된 노즐 수납부를 절단하여 얻어지는 단면도를 예시하며,
도 50은 토너 수납 개구와 리프팅 부분을 회전축 방향에서 용기 후방 단부측으로부터 용기 전방 단부측을 향해 보았을 때에 제10 실시예에 따른 토너 수납 개구의 근처의 단면도이고,
도 51은 각도(θ)가 둔각인 도 50에 순차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토너 수납 개구와 리프팅 부분의 구성을 이용하여 토너(T)가 토너 수납 개구로 안내되는 순차적인 상태를 예시하며,
도 52는 리프팅 부분이 만곡 형태를 갖는 구성을 예시하고,
도 53은 낙하 방지벽이 리프팅 부분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측면으로부터 직립되는 제10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54는 토너 수납 개구와 리프팅 부분을 회전축 방향에서 용기 후방 단부측으로부터 용기 전방 단부측을 향해 보았을 때에 제10 실시예에 따른 토너 수납 개구의 근처의 단면도이고,
도 55는 각도(θ)가 예각인 도 54에 순차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토너 수납 개구와 리프팅 부분의 구성을 이용하여 토너(T)가 토너 수납 개구로 안내되는 순차적인 상태를 예시하며,
도 56은 보관되는 상태에서 제10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57은 흡착제가 도 56에 예시된 캡 상에 배치되는 제10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도 58은 제10 실시예 내지 제13 실시예에 따른 토너 보충 디바이스에 고정되는 커넥터와, 제10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단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59는 토크 제한기를 이용하여 교반 컨베이어의 회전 구동을 제한하는 구성을 갖는 제7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가 토너에 의해 충분히 충전된 상태를 예시하는 설명도이며,
도 60은 도 59에 예시된 토너 용기 내의 토너의 양이 감소된 상태를 예시하는 설명도이고,
도 61은 도 60에 예시된 토너 용기의 E-E 단면도를 예시하며,
도 62는 토크 제한기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63a는 도 59에 예시된 토너 용기에 사용될 수 있는 날개 형태의 컨베이어의 설명도이며,
도 63b는 도 59에 예시된 토너 용기에 사용될 수 있는 코일 형태의 컨베이어의 설명도이고,
도 64는 상부에 형성된 캠 홈을 갖는 컨베이어 홀더가 도 59에 예시된 토너 용기에 사용될 수 있는 토크 제한기 상에 배치되고, 날개 형태의 컨베이어가 용기 본체의 종방향에서 왕복 운동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지는 구성을 예시하는 설명도이며,
도 65는 교반기 조립체가 통합된 방식으로 용기 전방 단부 커버를 갖도록 구성되는 제12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66은 용기 전방 단부 커버가 용기 기어와 통합된 방식으로 구성되는 제13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의 단면도이며,
도 67a는 도 66에 예시된 토너 용기의 X-X 단면도이고,
도 67b는 리프팅 부분이 그 전방 단부에 경사면을 갖는 제13 실시예에 따른 용기 전방 단부 커버의 단면도이며,
도 67c는 리프팅 부분이 오프셋 방식으로 배치되는 제13 실시예에 따른 용기 전방 단부 커버를 예시한다.
제1 실시예
화상 형성 장치로서 기능하는 복사기[이하, 복사기(500)로서 지칭됨]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이 아래에 제공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복사기(500)의 전체 구성도이다. 복사기(500)는 복사기 본체[이하, 프린터(100)로서 지칭됨], 종이 반송 테이블[이하, 급지부(200)로서 지칭됨], 및 프린터(100) 위에 부착되는 스캐너[이하, 스캐너(400)로서 지칭됨]를 포함한다.
프린터(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용기 유지부(70)에서, 4개의 컬러(각각 황색, 자홍색, 청록색 및 흑색)에 대응하는 분체 용기로서 기능하는 4개의 토너 용기(32)(32Y, 32M, 32C, 및 32K)가 탈착 가능한 방식으로(교체 가능한 방식으로) 설치된다. 용기 유지부(70)의 하부측에 중간 전사 유닛(85)이 배치된다.
중간 전사 유닛(85)은 중간 전사 벨트(48), 4개의 일차 전사 바이어스 롤러(49)(49Y, 49M, 49C, 및 49K), 이차 전사 백업 롤러(82), 복수 개의 인장 롤러, 및 중간 전사 세정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중간 전사 벨트(48)는 복수 개의 롤러 둘레에 권취되어 그 롤러에 의해 지지되며, 복수 개의 롤러 중 하나인 이차 전사 백업 롤러(82)에 의해 회전 구동될 때에 도 2에 예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무단(無斷) 운동을 수행한다.
프린터(100)에는, 4개의 화상 형성 유닛(46)(46Y, 46M, 46C, 및 46K)이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중간 전사 벨트(48)에 대향하게 배치된다. 4개의 토너 용기(32)(32Y, 32M, 32C 및 32K)의 하부측에는, 분체 보충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4개의 토너 보충 디바이스(60)(60Y, 60M, 60C 및 60K)가 각각 배치된다. 여기서, 각 토너 보충 디바이스(60)(60Y, 60M, 60C 및 60K)는 대응하는 토너 용기(32)(32Y, 32M, 32C 및 32K) 내에 보관된 토너를 대응하는 컬러의 화상 형성 유닛(46)(46Y, 46M, 46C, 또는 46K)의 현상 디바이스(분체 이용 유닛)에 공급한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유닛(46)의 하부측에서, 프린터(100)는 잠상 형성 유닛으로서 기능하는 노광 디바이스(47)를 포함한다. 스캐너(400)에 의해 판독된 원래 화상의 화상 정보를 기초로 하여 또는 개인용 컴퓨터 등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입력된 화상 정보를 기초로 하여, 노광 디바이스(47)는 감광체(41; 후술됨)의 외표면을 광에 노출시켜 감광체(41)의 외표면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여기서, 프린터(100)에 배치된 노광 디바이스(47)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레이저빔 스캐닝 방법을 실행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노광 유닛으로서, 발광 다이오드(LED) 어레이 등의 다른 구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황색 컬러에 대응하는 황색용 화상 형성 유닛(46Y)의 전체 구성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황색용 화상 형성 유닛(46Y)은 잠상 베어러(laten image bearer)로서 기능하는 드럼형 감광체(41Y)를 포함한다. 또한, 황색용 화상 형성 유닛(46Y)은 감광체(41Y) 둘레에 배치되는 이하의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 대전 유닛으로서 기능하는 대전 롤러(44Y), 현상 유닛으로서 기능하는 현상 디바이스(50Y); 감광체 세정 디바이스(42Y); 및 제전(除電) 디바이스. 감광체(41Y)는 (대전 작동, 노광 작동, 현상 작동, 전사 작동 및 세정 작동을 비롯하여) 화상 처리를 받는다. 그 결과, 황색 화상이 감광체(41Y) 상에 형성된다.
한편, 다른 3개의 화상 형성 유닛(46)(46M, 46C, 46K)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토너의 컬러가 상이하다는 점을 제외하고, 그 구성은 황색 컬러에 대응하는 황색용 화상 형성 유닛(46Y)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각 감광체(41M, 41C 및 41K) 상에, 대응하는 토너의 컬러의 화상이 형성된다. 이후, 3개의 화상 형성 유닛(46)(46M, 46C, 46K)의 설명은 적절하게 생략되고, 황색용 화상 형성 유닛(46Y)에 대해서만 설명된다.
감광체(41Y)는 도 3을 참조하면 시계 방향으로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회전 구동된다. 이때에, 감광체(41Y)의 표면은 대전 롤러(44Y)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균일하게 대전된다(대전 작동). 그 후에, 감광체(41Y)의 표면은 노광 디바이스(47)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 광(L)의 조명 위치에 도달하고, 그 조명 위치에서 노광 스캐닝을 받는다. 그 결과, 황색 컬러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이 감광체(41Y)의 표면 상에 형성된다(노광 작동). 이어서, 감광체(41Y)의 표면이 현상 디바이스(50Y)에 대향하는 위치에 도달한다. 그 위치에서, 황색 컬러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이 현상됨으로써 황색 토너 화상의 형성을 초래한다(현상 작동).
중간 전사 유닛(85)의 4개의 일차 전사 바이어스 롤러(49)(49Y, 49M, 49C 및 49K) 각각은 대응하는 감광체(41)(41Y, 41M, 41C, 또는 41K)를 이용하여 중간 전사 벨트(48)를 샌드위치함으로써 중간 전사 닙을 형성한다. 이어서, 토너의 극성과 반대인 극성을 갖는 전사 바이어스가 일차 전사 바이어스 롤러(49)(49Y, 49M, 49C 및 49K)에 인가된다.
현상 작동 중에 감광체(41Y)의 표면 상에 황색 토너 화상을 형성한 후에, 감광체(41Y)의 표면은 일차 전사 바이어스 롤러(49Y)에 대향하게 형성되는 일차 전사 닙에 도달한다. 다음에, 일차 전사 닙에서, 황색 토너 화상은 감광체(41Y)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48) 상에 전사된다. 그 때에, 전사되지 않은 토너는 단지 약간이지만 감광체(41Y) 상에 남아 있다. 황색 토너 화상이 일차 전사 닙에서 중간 전사 벨트(48) 상에 전사되면, 감광체(41Y)의 외표면은 감광체 세정 디바이스(42Y)에 대향하는 위치에 도달한다. 그 위치에서, 감광체(41Y) 상에 남아 있는 전사되지 않은 토너가 세정 블레이드(42a)에 의해 기계적으로 수집된다(세정 작동). 마지막으로, 감광체(41Y)의 외표면은 제전 디바이스에 대향하는 위치에 도달한다. 그 위치에서, 감광체(41Y) 상의 잔류 전위가 제거된다. 이는 화상 프로세스 중에 감광체(41Y)에 대해 수행되는 작동들의 순서의 종료를 나타낸다.
또한 다른 화상 형성 유닛(46)(46M, 46C 및 46K)에 관하여, 화상 프로세스는 황색용 화상 형성 유닛(46Y)에 관하여 수행되는 화상 프로세스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즉, 각 화상 형성 유닛(46)(46M, 46C, 또는 46K)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노광 디바이스(47)는 화상 정보 기반 레이저 광(L)을 각 화상 형성 유닛(46)(46M, 46C, 또는 46K)의 감광체(41)(41M, 41C, 또는 41K)를 향해 출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노광 디바이스(47)에서, 레이저 광(L)은 광원으로부터 출사되고, 레이저 광(L)이 복수 개의 광학 요소를 통해 각 감광체(41)(41M, 41C, 및 41K)에 충돌하도록 회전 구동식 다각형 거울을 이용하여 스캐닝된다. 이어서 현상 작동이 이어진다. 다음에, 각 컬러의 토너 화상이 대응하는 감광체(41)(41M, 41C, 또는 41K)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48)로 전사된다.
이때, 중간 전사 벨트(48)는 도 2에 예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고 각 일차 전사 바이어스 롤러(49)(49Y, 49M, 49C 및 49K)의 일차 전사 닙을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그 결과, 4개의 컬러의 토너 화상은 중첩 방식으로 감광체(41)(41Y, 41M, 41C 및 41K)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48) 상으로 일차 전사된다. 그 결과, 중간 전사 벨트(48) 상에 컬러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이어서, 모든 컬러의 토너 화상의 중첩된 전사에 의해 컬러 토너 화상이 형성된 중간 전사 벨트(48)가 이차 전사 롤러(89)에 대향하는 위치에 도달한다. 그 위치에서, 이차 전사 백업 롤러(82)는 이차 전사 롤러(89)를 이용하여 중간 전사 벨트(48)를 샌드위치함으로써 이차 전사 닙을 형성한다. 전사지 등의 기록 매체(P)가 이차 전사 닙의 위치로 반송될 때에, 컬러 토너 화상은 중간 전사 벨트(48)로부터 기록 매체(P) 상으로 전사된다. 이때, 기록 매체(P) 상으로 전사되지 못한 비전사 토너는 중간 전사 벨트(48) 상에 남아 있다. 이차 전사 닙을 통과한 후에, 중간 전사 벨트(48)는 중간 전사 벨트(48)의 외표면으로부터 비전사 토너를 수집하는 중간 전사 세정 디바이스의 위치에 도달한다. 이는 중간 전사 벨트(48)에 관해 수행되는 작동들의 순서의 종료를 나타낸다.
기록 매체에 관한 설명이 아래에 제공된다.
이차 전사 닙으로 반송되는 기록 매체(P)는 프린터(100)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급지부(200)의 급지 트레이(26)로부터 급지 롤러(27)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28)을 거쳐 반송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급지 트레이(26) 내에는 복수 개의 기록 매체(P)가 적층 방식으로 수납되어 있다. 급지 롤러(27)가 도 2 중의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될 때에, 최상단 기록 매체(P)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28)의 2개의 롤러 사이에 형성된 롤러 닙을 향해 반송된다.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28)으로 반송된 기록 매체(P)는 회전 구동이 정지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28)의 롤러 닙의 위치에서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이어서, 중간 전사 벨트(48) 상에 형성된 컬러 토너가 이차 전사 닙에 도달하는 타이밍과 동조하여,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28)은 기록 매체(P)가 이차 전사 닙을 향해 반송되도록 회전 구동된다. 그 결과, 원하는 컬러 토너 화상이 기록 매체(P) 상으로 전사된다.
이어서, 컬러 토너 화상이 이차 전사 닙에서 전사된 기록 매체(P)는 고정 디바이스(86)로 반송된다. 고정 디바이스(86)에서는, 고정 벨트 및 압력 롤러로부터 발생된 열 및 압력으로 인해, 컬러 토너 화상이 기록 매체(P) 상에 고정된다. 고정 디바이스(86)를 통과한 후에, 기록 매체(P)는 배지 롤러 쌍(29)을 통해 복사기(50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기록 매체(P)가 배지 롤러 쌍(29)을 통해 복사기(500)의 외측으로 배출되면, 기록 매체는 적층부(30)에서 출력 화상으로서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이는 복사기(500)에서 화상 형성 프로세스 중에 수행되는 작동들의 순서의 종료를 나타낸다.
각 화상 형성 유닛(46)에 배치되는 현상 디바이스의 구성 및 작동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이 아래에 제공된다. 여기서, 설명은 황색용 화상 형성 유닛(46Y)을 참조하여 제공된다. 그러나, 그 설명은 다른 3개의 컬러에 대응하는 화상 형성 유닛(46M, 46C 및 46K)에 관하여도 동일하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현상 디바이스(50Y)는 현상 롤러(51Y), 닥터 블레이드(52Y), 2개의 현상액 반송 스크류(55Y), 및 토너 밀도 센서(56Y)를 포함한다. 현상 롤러(51Y)는 감광체(41Y)에 대향하게 위치되고, 닥터 블레이드(52Y)는 현상 롤러(51Y)에 대향하게 위치된다. 2개의 현상액 반송 스크류(55Y)는 2개의 현상 입자 수납부(53Y와 54Y) 내에 배치된다. 현상 롤러(51Y)는 내부 고정식 자석 롤러와 자석 롤러 둘레로 회전하는 슬리브를 포함한다. 그리고, 2개의 성분, 즉 캐리어와 토너로 이루어지는 현상액(G)이 제1 현상 입자 수납부(53Y) 뿐만 아니라 제2 현상 입자 수납부(54Y) 내에 수납된다. 제2 현상 입자 수납부(54Y)는 그 상부측에 형성된 개구를 갖고 그 개구를 통해 토너 낙하 통로(64Y)와 연통된다. 한편, 토너 밀도 센서(56Y)는 제2 현상 입자 수납부(54Y) 내에 수납된 현상액(G)의 토너 밀도를 검출한다.
현상 디바이스(50) 내에 존재하는 현상액(G)은 2개의 현상액 반송 스크류(55Y)에 의해 교반되면서 제1 현상 입자 수납부(53Y)와 제2 현상 입자 수납부(54Y) 사이에서 순환한다. 제1 현상 입자 수납부(53Y) 내에 수납되는 현상액(G)은 현상액 반송 스크류(55Y)의 한쪽으로 반송되고, 현상액은 현상 롤러(51Y)로 공급되며 현상 롤러(51Y)의 자석 롤러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현상 롤러(51Y)의 슬리브 표면 상에서 담지(擔持)된다. 현상 롤러(51Y)의 슬리브는 도 3의 화살표로 예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현상 롤러(51Y) 상에 담지된 현상액(G)은 슬리브의 회전으로 인해 현상 롤러(51Y) 위로 이동한다. 이때, 현상액(G) 내의 캐리어 사이의 마찰 대전으로 인해, 현상액(G) 내의 토너가 캐리어와 반대 극성을 갖는 전기 전위로 대전되어, 캐리어 상에 정전 흡착된다. 이어서, 현상 롤러(51Y) 상에 형성된 자기장을 향해 흡인되는 캐리어와 함께, 현상액(G)이 현상 롤러(51Y) 상에서 담지된다.
다음에, 현상 롤러(51Y) 상에서 담지되는 현상액(G)은 도 3에 예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반송되어 닥터 블레이드(52Y)와 현상 롤러(51Y)가 서로 대향하게 위치되는 닥터 부분에 도달한다. 닥터 부분을 통과하는 동안에, 현상 롤러(51Y) 상의 현상액(G)은 양이 최적화되어 감광체(41Y)에 대향하는 위치를 향하는 현상 영역으로 반송된다. 현상 영역에서, 현상 롤러(51Y)와 감광체(41Y) 사이에 형성되는 현상 전기장으로 인해, 현상액(G) 내의 토너가 감광체(41Y) 상에 형성된 잠상 위에 흡착된다. 이어서, 현상 영역을 통과한 현상 롤러(51Y) 상의 잔류 현상액(G)이 현상 롤러(51Y)의 슬리브의 회전으로 인해 제1 현상 입자 수납부(53Y)의 상부측에 도달한다. 그 위치에서, 현상액(G)은 현상 롤러(51Y)로부터 이탈한다.
현상 디바이스(50Y) 내에 존재하는 현상액(G)은 예정된 범위 내의 토너 밀도를 갖도록 조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현상 디바이스(50Y) 내에 존재하는 현상액(G)에 포함되는 토너의 현상 관련 소비량에 따라, 토너 용기(32Y) 내에 보관된 토너는 토너 보충 디바이스(60Y; 후술됨)를 통해 제2 현상 입자 수납부(54Y)로 공급된다.
이어서, 제2 현상 입자 수납부(54Y)에 공급된 토너는 현상액(G)과 혼합되고 2개의 현상액 반송 스크류(55Y)에 의해 교반되면서 제1 현상 입자 수납부(53Y)와 제2 현상 입자 수납부(54Y) 사이에서 순환한다.
토너 보충 디바이스(60)(60Y, 60M, 60C 및 60K)에 관한 설명이 아래에 제공된다.
도 4는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Y) 내에 유지되는 상태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4개의 토너 용기(32)(32Y, 32M, 32C 및 32K)가 용기 유지부(70) 내에 유지되는 상태를 예시하는 전체 사시도이다.
현상 디바이스(50)(50Y, 50M, 50C 및 50K)에서 토너의 소비량에 따라, 각각의 토너가 용기 유지부(70) 내에 설치된 토너 용기(32)(32Y, 32M, 32C 및 32K)로부터 현상 디바이스(50)(50Y, 50M, 50C, 및 50K)로 적절하게 공급된다. 이때, 토너 용기(32)(32Y, 32M, 32C 및 32K) 내의 토너는 토너 컬러를 기초로 하여 설치되는 토너 보충 디바이스(60)(60Y, 60M, 60C 및 60K)에 의해 공급된다. 한편, 4개의 토너 보충 디바이스(60)(60Y, 60M, 60C 및 60K)와 관련하여 또는 4개의 토너 용기(32)(32Y, 32M, 32C 및 32K)와 관련하여, 그 구성들은 화상 프로세스에 사용되는 토너의 컬러가 상이하다는 점 외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러한 이유로, 이후에, 설명은 황색 컬러에 대응하는 토너 보충 디바이스(60Y) 및 토너 용기(32Y)에 관해서만 제공되고, 다른 3개의 컬러에 대응하는 다른 토너 보충 디바이스(60)(60M, 60C 및 60K) 및 다른 토너 용기(32)(32M, 32C 및 32K)의 설명은 적절하게 생략된다.
각 토너 보충 디바이스(60)(60Y, 60M, 60C 및 60K)는 용기 유지부(70), 반송 노즐(611)(611Y, 611M, 611C 및 611K); 반송 스크류(614)(614Y, 614M, 614C 및 614K); 토너 낙하 통로(64)(64Y, 64M, 64C 및 64K); 및 용기 구동부(91)(91Y, 91M, 91C 및 91K)를 포함한다.
토너 용기(32Y)가 도 4 및 도 5에 예시된 화살표(Q)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프린터(100)의 용기 유지부(70)에 부착되는 경우를 고려한다. 이어서, 토너 용기(32Y)를 체결하는 작동과 연계하여, 토너 보충 디바이스(60Y)의 반송 노즐(611Y)이 토너 용기(32)의 용기 전방 단부측으로부터 삽입된다. 그 결과, 토너 용기(32)의 내측이 반송 노즐(611Y)과 연통된다. 체결 작동과 연계하여 연통을 확립하는 상세한 구성은 후술된다.
제1 실시예에서, 토너 용기(32Y)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태를 갖는 토너 병이고, 용기 유지부(70) 내에서 비회전 방식으로 유지되는 용기 커버의 역할을 하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Y), 및 기어의 역할을 하는 용기 기어(310Y)가 일체식으로 구성되는 용기 본체(33Y)를 주로 포함한다. 또한, 용기 본체(33Y)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Y)에 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유지된다.
용기 유지부(70)는 용기 커버 수납부(73), 용기 수납부(72), 및 삽입구부(71)를 주로 포함한다. 용기 커버 수납부(73)는 토너 용기(32Y)의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Y)를 유지하는 부분이다. 용기 수납부(72)는 토너 용기(32Y)의 용기 본체(33Y)를 유지하는 부분이다. 삽입구부(71)는 토너 용기(32Y)를 용기 수납부(72) 내에 체결하는 체결 작동 중에 사용되는 삽입 개구가 형성되는 부분이다. 복사기(500)에서, 가까운 쪽(즉, 도 2를 참조하면 수직 방향으로 가까운 쪽)에 배치된 주 본체 커버가 개방될 때에, 용기 유지부(70)의 삽입구부(71)가 드러난다. 이때, 각 토너 용기(32)(32Y, 32M, 32C 및 32K)의 종방향이 수평 방향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각 토너 용기(32)(32Y, 32M, 32C 및 32K)는 복사기(500)의 가까운 쪽에서 부착되거나 탈착된다[즉, 부착-탈착 작업이 부착-탈착 방향으로서 토너 용기(32)의 종방향에서 수행된다]. 한편, 도 4에 예시된 세팅 커버(608Y)는 용기 유지부(70)의 용기 커버 수납부(73)의 부분이다.
용기 수납부(72)는 용기 본체(33Y)의 종방향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종방향의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용기 커버 수납부(73)는 용기 수납부(72)의 종방향(부착-탈착 방향)에서 용기 전방 단부측에 배치된다. 삽입구부(71)는 용기 수납부(72)의 종방향(부착-탈착 방향)에서 일단부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32Y)를 체결하는 체결 작동 중에,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Y)가 삽입구부(71)를 통과하고, 얼마간의 거리를 용기 수납부(72) 위에서 슬라이드한 다음, 용기 커버 수납부(73) 내에 체결된다.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Y)가 용기 커버 수납부(73)에 부착된 상태에서, 구동 모터와 구동 기어를 포함하는 용기 구동부(91Y)로부터 회전 구동이 용기 본체(33Y) 내에 포함되는 용기 기어(301Y)로 용기 구동 기어(601Y)를 통해 입력된다. 그 결과, 용기 본체(33Y)는 도 4에 예시된 화살표(A)의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용기 본체(33Y)의 회전의 결과로서, 용기 본체(33Y) 내에 보관된 토너가 나선형 리브(302)에 의해 용기 본체(33Y)의 종방향을 따라 도 4 중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반송되는데, 나선형 리브는 용기 본체(33Y)의 내표면 상에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토너는 용기 전방 단부측으로부터 반송 노즐(611Y)의 내측으로 공급된다.
반송 노즐(611Y)의 내측에는 용기 구동부(91Y)로부터 반송 스크류 기어(605Y)로 입력되는 회전 구동에 응답하여 회전하고 반송 노즐(611Y)로 공급된 토너를 반송하는 반송 스크류(614Y)가 배치된다. 반송 노즐(611Y)의 반송 방향으로 하류측 단부는 토너 낙하 통로(64Y)에 연결된다. 따라서, 반송 스크류(614Y)에 의해 반송되는 토너는 그 자중(自重)으로 인해 토너 낙하 통로(64Y)로 낙하하여 현상 디바이스(54Y)[제2 현상 입자 수납부(54Y)]에 도달한다.
임의의 토너 용기(32)(32Y, 32M, 32C, 또는 32K)가 그 제품 수명의 말기에 이를 때에[즉, 임의의 토너 용기(32) 내에 보관된 토너가 거의 완전히 소비됨으로써 토너 용기(32)가 비워질 때에], 토너 용기는 새로운 토너 용기(32)로 교체된다. 토너 용기(32)(32Y, 32M, 32C, 또는 32K) 내에서, 토너 용기(32)의 종방향으로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대향 단부에 파지부(핸들)가 배치된다. 토너 용기(32)(32Y, 32M, 32C, 또는 32K)를 교체하는 동안에, 작업자가 파지부(303)를 유지하고 토너 용기(32)를 빼낼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90)가 노광 디바이스(47)에 사용되는 화상 정보를 기초로 하여 토너 소비량을 계산하고 이에 따라 현상 디바이스(50Y)에게 토너를 공급할 것을 결정하는 시기가 존재한다. 대안적으로, 토너 밀도 센서(56Y)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토너 밀도가 현상 디바이스(50Y)에서 감소된 것을 컨트롤러(90)가 검출하는 시기가 존재한다. 그러한 경우에, 컨트롤러(90)의 제어 하에, 용기 구동부(91Y)가 회전 구동되고 토너 용기(32Y)의 용기 본체(33Y)와 반송 스크류(614Y)가 예정된 기간 동안 회전되어 토너를 현상 디바이스(50Y)로 공급한다. 여기서, 토너는 반송 노즐(611) 내에 배치된 반송 스크류(614Y)의 회전 결과로서 공급된다. 이 때문에, 반송 스크류(614Y)의 회전수가 검출되면, 토너 용기(32Y)로부터 공급된 토너의 양을 정확하게 계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토너 용기(32Y)를 장착한 때로부터 계산되는 공급된 토너의 누적량이 장착시 토너 용기(32Y) 내에 존재하는 토너의 양에 도달하는 경우에, 토너 용기(32Y) 내에 남아 있는 토너가 없다고 고려되고 토너 용기(32Y)의 교체를 재촉하는 통지가 복사기(500)의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토너 밀도 센서(56Y)를 이용하여 토너 밀도의 감소를 검출하는 작동, 토너 공급 작업을 수행하는 작동, 및 토너 밀도가 복구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작동이 여러 시기 동안에 반복되더라도, 토너 밀도가 복구되는 것을 토너 밀도 센서(56Y)가 검출하지 못하는 순간이 존재한다. 이 경우에도, 토너 용기(32Y) 내에 남아 있는 토너가 없다고 고려되고 토너 용기(32Y)의 교체를 재촉하는 통지가 복사기(500)의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7은 토너 용기(32)가 부착되기 전의 토너 보충 디바이스(60), 및 토너 용기(32)의 용기 전방 단부측의 단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토너 보충 디바이스(60)는 반송 노즐(611)을 복사기(500)의 주 본체의 프레임(602)에 고정시키는 노즐 홀더(607)를 포함한다. 노즐 홀더(607)에는 세팅 커버(608)가 고정된다. 또한, 노즐 홀더(607)에는 반송 노즐(611)의 아래쪽으로부터 반송 노즐(611)의 내측과 연통하게 할 수 있도록 놓이는 토너 낙하 통로(64)가 고정된다.
또한, 프레임(602)에는 구동 모터(603), 용기 구동 기어(601), 및 구동 모터(603)의 회전 구동을 용기 구동 기어(601)의 회전축에 전달하는 웜 기어(603a)를 포함하는 용기 구동부(91)가 고정된다. 또한, 용기 구동 기어(601)의 회전축에는 반송 스크류(614)의 회전축에 고정된 반송 스크류 기어(605)와 맞물리는 구동 전달 기어(604)가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구동 모터(603)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용기 구동 기어(601)와 용기 기어(301)를 통해 토너 용기(32)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토너 용기(32)를 회전시키는 것과 함께, 구동 전달 기어(604)와 반송 스크류 기어(605)를 통해 반송 스크류(614)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의 반송 노즐(611)의 설명이 아래에 제공된다.
도 18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 내에서 반송 노즐(611)의 근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노즐 셔터(612)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토너 용기(32)를 부착하는 쪽에서 보았을 때에(즉, 노즐 전방 단부로부터 보았을 때에), 노즐 셔터(612)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측에서 보았을 때에(즉, 노즐 기단부에서 보았을 때에), 노즐 셔터(612)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반송 노즐(611)의 베이스에는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부착될 때에 용기 개구(33a)와 체결되는 용기 세팅부(615)가 형성된다. 용기 세팅부(615)는 형태가 원통형이고, 그 내표면(615a)이 슬라이드 가능한 방식으로 용기 개구(33a)의 외표면에 체결된다. 그 체결의 결과로서,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관한 토너 용기(32)의 위치 결정이 토너 용기(32)의 회전축에 대해 수직인 평면 방향으로 행해진다. 한편, 토너 용기(32)가 회전하는 동안에, 용기 개구(33a)의 외표면은 회전축 부분의 역할을 하고 용기 세팅부(615)는 베어링으로서 기능한다. 이때, 용기 개구(33a)의 외표면은 용기 세팅부(615)와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촉한다. 도 8을 참조하면, "α"는 토너 용기(32)의 위치 결정이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관해 행해지는 위치를 나타낸다.
도 1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노즐 셔터(612)는 접촉부의 역할을 하는 노즐 셔터 플랜지(612a)를 포함하고 노즐 셔터 튜브(612e)를 포함한다. 노즐 전방 단부의 근처에서 노즐 셔터 튜브(612e)의 내표면의 상부의 일부에 제1 내부 리브(612b)가 형성된다. 한편, 노즐 기단부의 근처에서 노즐 셔터 튜브(612e)의 내표면 상에는, 내표면 둘레에서 래핑(lapping) 방식으로 제2 내부 리브(612c)와 제3 내부 리브(612d)가 형성된다.
제1 내부 리브(612b)의 내표면 상에서 원주 방향의 길이는, 노즐 셔터(612)가 반송 노즐(611)에 부착될 때에, 제1 내부 리브(612b)가 노즐 개구(610)의 원주 방향의 폭에 끼워 넣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 및 도 18에 예시된 바와 같이, 편향 부재의 역할을 하는 노즐 셔터 스프링(613)의 노즐 기단부에서의 단부는 용기 세팅부(615)의 단부면(615b) 내로 연장된다. 또한, 노즐 셔터 스프링(613)의 노즐 전방 단부에서의 단부는 노즐 셔터 플랜지(612a)의 노즐 셔터 스프링 수납면(612f) 내로 연장된다. 노즐 셔터 스프링(613)의 압축된 상태에서, 노즐 셔터(612)는 도 18에 예시된 노즐 전방 단부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좌측 방향)으로 압박력을 받는다. 그러나, 제1 내부 리브(612b)가 노즐 개구(610)의 노즐 전방 단부 상의 에지 내로 연장되므로, 즉 반송 노즐(611)의 전방 단부(611a)의 내측 벽면의 상부로 연장되므로, 노즐 셔터(612)가 도 18에 예시된 상태와 비교하여 더 큰 범위까지 반송 노즐(611)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황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한 제1 내부 리브(612b)의 접촉으로 인해 그리고 노즐 셔터 스프링(613)의 압박력으로 인해, 반송 노즐에 관한 노즐 셔터(612)의 위치 결정이 회전축의 방향으로 행해진다.
토너 용기(32)(32Y, 32M, 32C 및 32K) 및 토너 보충 디바이스(60)(60Y, 60M, 60C 및 60K)에 관한 상세한 설명이 아래에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된 토너의 컬러가 각 토너 용기(32)(32Y, 32M, 32C 및 32K) 및 각 토너 보충 디바이스(60)(60Y, 60M, 60C 및 60K)에서 상이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구성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므로, 아래의 설명은 Y, M, C 및 K의 토너 컬러 참조 부호를 쓰지 않고 제공된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32)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은 토너 용기(32)가 부착되기 전의 토너 보충 디바이스(60), 및 토너 용기(32)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단부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토너 용기(32)가 부착된 후의 토너 보충 디바이스(60), 및 토너 용기(32)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단부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토너 보충 디바이스(60)는 반송 스크류(614)를 포함하는 반송 노즐(611)을 포함한다. 게다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는 노즐 셔터(612)를 포함한다. 토너 용기(32)가 아직 체결되지 않은 용기 미부착 상태에서(즉, 도 1 및 도 7에 예시된 상태에서), 노즐 셔터(612)는 반송 노즐(611) 상에 형성되는 노즐 개구(610)를 차단한다. 한편, 토너 용기(32)가 체결된 용기 부착 상태에서(즉, 도 8에 예시된 상태에서), 노즐 셔터(612)는 노즐 개구(610)를 개방한다. 한편, 토너 용기(32)의 정점 표면의 중앙에는, 반송 노즐(611)이 용기 부착 상태에서 삽입되는 노즐 수납 개구(331)가 형성된다. 바꿔 말해서, 노즐 수납 개구(331)는 반송 노즐(611)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미부착 상태에서 노즐 수납 개구(331)를 차단하는 용기 셔터(332)가 배치된다.
먼저, 토너 용기(32)에 관한 설명이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는 용기 본체(33) 및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를 주로 포함한다. 도 9는 노즐 삽입 부재의 역할을 하는 노즐 수납부(330)가 용기 본체로부터 제거된 토너 용기(32)의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노즐 수납부(330)가 용기 본체(33)로부터 제거된 토너 용기(32)의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노즐 수납부(330)가 도 10에 예시된 상태로부터 용기 본체(33)에 부착된 토너 용기(32)의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커버로서 기능하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가 제거되어 있는 토너 용기(32)는 용기 본체(33)를 포함하고 노즐 수납 개구(331)를 구성하는 노즐 수납부(330)를 포함한다.
용기 본체(33)는 형태가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원통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을 "회전축 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토너 용기(32)에서, 노즐 수납 개구(331)가 형성되는 측[즉,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가 존재하는 측]을 "용기 전방 단부측"이라고 한다. 또한, 토너 용기(32)에서, 파지부(303)가 배치되는 측[즉, 용기 전방 단부측에 대향하는 측]을 "용기 후방 단부측"이라고 한다. 이후에, "용기 전방 단부측" 및 "용기 후방 단부측"이라는 용어는 임의의 부재가 토너 용기(32)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지칭된다. 한편, 토너 용기(32)의 종방향은 회전축 방향이다.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부착된 상태에서, 회전축 방향은 수평 방향을 향한다. 용기 기어(301)보다 더 용기 후방 단부측을 향하는 용기 본체(33)의 부분은 용기 전방 단부측에 비해 더 큰 외경을 갖는다. 용기 본체(33)의 내표면 상에는 나선형 리브(302)가 형성된다. 용기 본체(33)가 도 9에 예시되는 화살표(A)의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반송력은 용기 본체(33) 내측의 토너가 나선형 리브(302)의 작용으로 인해 회전축 방향에서 일측(용기 후방 단부측)으로부터 타측(용기 전방 단부측)으로 반송되도록 작용한다.
용기 본체(33)는 용기 본체(33)가 도 9에 예시된 화살표(A)의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나선형 리브(302)가 토너를 노즐 개구(610)와 노즐 수납 개구(331)로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개구 근처에서 내측 벽면이 일측의 주 본체부의 원통형 내부 형태와 연속적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내측 벽면은 원추형 형태를 갖는 측면이고, 토너는 나선형 리브(302)에 의해 안내되는 결과로서 개구를 향해 원추형 측면을 점차 올라간다.
원추형 부분보다 더 용기 전방 단부측을 향하는 용기 본체(33)의 부분에는, 기어로서 기능하는 용기 기어(301)가 형성된다. 그리고,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가 용기 본체(33)에 부착되는 상태에서 용기 기어(301)의 일부가 노출되는 기어 노출 홀(34a)을 포함한다. 이어서,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부착되면, 기어 노출 홀(34a)로부터 노출되는 용기 기어(301)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의 용기 구동 기어(601)와 맞물린다.
용기 기어(301)보다 더 용기 전방 단부측을 향하는 용기 본체(33)의 부분에는, 원통형 형태를 갖는 용기 개구(33a)가 형성된다. 다음에, 노즐 수납부(330)의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가 용기 개구(33a) 내에 압입되면, 노즐 수납부(330)를 용기 본체(33)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노즐 수납부(330)를 고정하는 방법은 압입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노즐 수납부(330)는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스크류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토너 용기(32)에서, 토너가 용기 개구(33a)의 개구로부터 용기 본체(33) 내에 충전될 때에, 노즐 수납부(330)는 용기 본체(33)의 용기 개구(33a)에 고정된다.
용기 개구(33a)에서, 용기 기어(301)의 측면 상의 단부에는 커버 걸림부(306)가 형성된다. 도 9에 예시된 상태에서 토너 용기(32)[용기 본체(33)]에는 용기 전방 단부측으로부터(도 9를 참조하면, 하부 좌측으로부터)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가 부착된다. 그 결과, 용기 본체(33)는 회전축 방향으로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를 통과하고,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에 배치된 커버 후크(341)가 커버 걸림부(306)에 걸리게 된다. 여기서, 커버 걸림부(306)는 용기 개구(33a)의 외표면 둘레에 래핑 방식으로 형성된다. 커버 후크(341)가 걸릴 때에, 용기 본체(33)와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는 상대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부착된다.
한편, 커버 본체(33)는 2축 연신 블로우 성형법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다(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241496호,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221825호, 및 일본 특허 제4342958호 참조). 2축 연신 블로우 성형법은 일반적으로 프리폼(prefrom) 성형 및 연신 블로우 성형을 포함한다. 프로폼 성형 중에, 수지의 사출 성형이 수행되어 시험관 형태의 프리폼을 캐스팅한다. 프리폼 사출 성형의 결과로서, 용기 개구(33a), 커버 걸림부(306) 및 용기 기어(301)가 시험관 형태의 프리폼의 개구에 형성된다. 연신 블로우 성형 중에, 프리폼 사출 성형 후에 냉각되고 주물로부터 제거된 프리폼은 블로우 성형 및 연신 이전에 가열되어 연화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 본체(33)에서, 용기 기어(301)보다 용기 후방 단부측의 부분이 연신 블로우 성형을 수행함으로써 성형된다. 즉, 나선형 리브(302)를 포함하는 부분과, 파지부(303)가 연신 블로우 성형을 수행함으로써 성형된다.
용기 본체(33)에서, 용기 기어(301)보다 더 용기 전방 단부측을 향해 존재하는 용기 개구(33a)와 커버 걸림부(306) 등의 구성 요소들은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프리폼의 형태를 취한다. 그러므로, 이들 구성 요소들은 정확하게 성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반송 날개(304)와 나선형 리브(302)와 파지부(303)를 포함하는 부분은 먼저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 다음에, 연신 블로우 성형 중에 연신된다. 따라서, 성형 정확도가 프리폼 성형에 비해 우수하다.
용기 본체(33)에 고정되는 노즐 수납부(330)에 관한 설명이 아래에 제공된다.
도 12는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 보았을 때에 노즐 수납부(330)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용기 후방 단부측에서 보았을 때에 노즐 수납부(330)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프로파일에서 보았을 때에 노즐 수납부(330)의 횡단면도이다.
노즐 수납부(330)는 용기 셔터 지지부(340), 용기 셔터(332), 용기 시일(333), 용기 셔터 스프링(336) 및 노즐 수납기 고정부(337)를 포함한다. 용기 셔터 지지부(340)는 셔터 후방 단부 지지부(335), 셔터측 지지부(335a) 및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를 포함한다. 용기 셔터 스프링(336)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용기 셔터(332)는 전방 단부 원통형 부분(332c), 슬라이딩부(332d), 안내봉(332e) 및 셔터 후크(332a)를 포함한다. 전방 단부 원통형 부분(332c)은 용기 시일(333)의 원통형 개구[노즐 수납 개구(331)]에 타이트하게 체결되는 용기 전방 단부측 부분이다. 슬라이딩부(332d)는 전방 단부 원통형 부분(332c)보다 더 용기 후방 단부측에 있고, 전방 단부 원통형 부분(332c)보다 약간 더 큰 외경을 가지며, 한 쌍의 셔터측 지지부(335a)의 내표면에서 슬라이드하는 원통형 부분이다. 원통봉(332e)은 전방 단부 원통형 부분(332c)의 내측으로부터 용기 후방 단부측을 향해 직립한 컬럼이고, 용기 셔터 스프링(336)의 코일 내측에 삽입될 때에 좌굴을 방지하도록 용기 셔터 스프링(336)을 안내하는 봉형 부분이다. 셔터 후크(332a)는 안내봉(332e)의 직립한 베이스의 대향 단부에 배치되고, 용기 셔터(332)가 용기 셔터 지지부(230)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쌍의 클로를 갖는다.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셔터 스프링(336)의 전방 단부는 전방 단부 원통형 부분(332c)의 내표면으로 연장되고, 용기 셔터 스프링(336)의 후방 단부는 셔터 후방 단부 지지부(335)의 벽으로 연장된다. 이때, 용기 셔터 스프링(336)이 압축 상태에 있기 때문에, 용기 셔터(332)는 셔터 후방 단부 지지부(33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도 14를 참조하면, 우측 방향으로 또는 용기 전방 단부측 방향으로) 압박력을 받는다. 그러나, 용기 셔터(332)의 용기 후방 단부측에서 단부에 형성되는 셔터 후크(332a)는 셔터 후방 단부 지지부(335)의 외벽에 걸리게 된다. 그 결과, 용기 셔터(332)는 도 14에 예시된 상태보다 셔터 후방 단부 지지부(335)로부터 더 먼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 방식으로, 셔터 후방 단부 지지부(335)에 대한 셔터 후크(332a)의 걸림으로 인해 그리고 용기 셔터 스프링(336)의 압박력으로 인해, 용기 셔터(332)의 토너 누출 방지 기능을 만족시키는 전방 단부 원통형 부분(332c)과 용기 시일(333)의 위치 결정이 축방향으로 용기 셔터 지지부(340)에 관해 행해진다. 여기서, 전방 단부 원통형 부분(332c)과 용기 셔터 지지부(340)는 서로 타이트한 부착 관계로 위치됨으로써, 토너 누출의 방지를 가능하게 한다.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는 외표면의 직경과 내표면의 직경이 용기 후방 단부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관형 형태이다. 즉, 직경은 용기 전방 단부측으로부터 용기 후방 단부측으로 차례로 감소한다.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의 외표면 상에는 2개의 외경부[용기 전방 단부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외표면(AA)과 외표면(BB)]이 존재한다.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의 내경 상에는 5개의 내경부[용기 전방 단부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외표면(CC), 외표면(DD), 외표면(EE), 외표면(FF), 및 외표면(GG)]가 존재한다. 외표면 상에서 외표면(AA)과 외표면(BB) 간의 경계는 테이퍼형 표면에 의해 연결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내표면 상에서 제4 내경부(FF)와 제5 내경부(GG) 간의 경계는 또한 테이퍼형 표면에 의해 연결된다. 내표면 상의 내경부(FF)와 내경부(FF)에 연결되는 테이퍼형 표면은 시일 잼 방지 공간(337b; 후술됨)에 대응하고, 이들 표면의 릿지 라인은 5각형 단면(후술됨)에 대응한다.
도 12 내지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게 위치되고 축방향을 따라 원통을 절단함으로써 박편형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셔터 측면 지지부(335a)는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로부터 용기 후방 단부측을 향해 돌출한다. 2개의 셔터 측면 지지부(335a)의 용기 후방 단부측에서 단부는 바닥의 중앙에 형성되는 홀을 갖는 컵 형태인 셔터 후방 단부 지지부(335)에 연결된다. 2개의 셔터 측면 지지부(335a)가 서로 대향하게 위치되기 때문에, 2개의 셔터 측면 지지부(335a)의 내벽 원통형 표면에 의해 그리고 내벽 원통형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상 원형 표면에 의해 인지될 수 있는 컬럼형 공간(S1)이 그 사이에 형성된다.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는 컬럼형 공간(S1)의 직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원통형 내표면으로서 전방 단부로부터 제5 내경인 내경부(GG)를 포함한다. 용기 셔터(332)의 슬라이딩부(332d)는 컬럼형 공간(S1)과 원통형 내표면(GG) 위에서 슬라이딩한다.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의 제3 내표면(EE)은 45°분포를 갖는 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치되는 접촉부의 역할을 하는 노즐 셔터 위치 결정 리브(337a)의 종방향 정점을 통과하는 수직 원주 방향 표면이다. 사각형의 원통형(원형 튜브형) 단면(즉, 도 14의 단면도에 예시된 단면)을 갖는 용기 시일(333)이 내표면(EE)에 대응하게 배치된다. 용기 시일(333)은 제3 내표면(EE)을 제5 내표면(FF)에 연결하는 수직면에 접착제 또는 이중 테이프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용기 시일(333)이 접착되는 대향면 상의 노출된 표면(즉, 도 14를 참조하면 우측면 상의 표면)은 원통형 형태를 갖는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의 원통형 개구(용기 개구)의 내측 바닥을 형성한다.
한편,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의 내표면(FF) 및 내표면(FF)에 연결되는 테이퍼형 표면에 대응하게 시일 잼 방지 공간(337b)(삽입 잼 방지 공간)이 형성된다. 시일 잼 방지 공간(337b)은 3개의 상이한 부재들에 의해 둘러싸이는 링형 폐쇄 공간이다. 즉, 시일 잼 방지 공간(337b)은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의 내표면[제4 내표면(FF) 및 이 내표면에 연결되는 테이퍼형 표면]에 의해, 용기 시일(333)을 지나는 측면의 수직 표면에 의해, 그리고 전방 단부 원통형 부분(332c)으로부터 용기 셔터(332)의 슬라이딩부(332d)까지의 외표면에 의해 둘러싸이는 링형 공간이다. 또한, 이 링형 공간의 단면(도 14에 예시된 단면)은 형태가 오각형이다.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의 내표면과 용기 시일(333)의 단부면이 이루는 각도가 90°이고, 용기 셔터(332)의 외표면과 용기 시일의 단부면 사이의 각도도 또한 90°이다.
시일 잼 방지 공간(337b)의 기능에 관한 설명이 아래에 제공된다. 용기 셔터(332)가 노즐 수납 개구(331)를 차폐하는 상태로부터 용기 후방 단부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용기 시일(333)의 내표면은 용기 셔터(332)의 전방 단부 원통형 부분(332c)과 슬라이딩한다. 이러한 이유로, 용기 시일(333)의 내표면이 용기 셔터(332)에 의해 당겨져 탄성 변형을 받음으로써 용기 후방 단부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시일 잼 방지 공간(337b)이 없고 제3 내표면[즉, 용기 시일(333)을 부착시키는 표면]이 제5 내표면(GG)에 직교하면, 아래의 상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즉, 용기 시일(333)의 탄성 변형된 부분이 샌드위치되어, 용기 셔터(332)와 슬라이딩하는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의 내표면과, 용기 셔터(332)의 외표면 사이에 고착될 가능성이 있다. 용기 시일(333)이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와 용기 셔터(332)가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하는 부분에서 고착되면, 즉 용기 시일(333)이 전방 단부 원통형 부분(332c)과 내표면(GG) 사이에 고착되면, 용기 셔터(332)는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에 대해 로킹된다. 그 결과, 노즐 수납 개구(331)의 개방 및 폐쇄가 수행될 수 없다.
이와 달리, 제1 실시예에서, 노즐 수납부(330)는 그 내부 가장자리 상에 형성된 시일 잼 방지 공간(337b)을 갖는다. 시일 잼 방지 공간(33b)의 내경[내표면(FF)의 내경과, 내표면(FF)에 연결되는 각 테이퍼형 표면의 내경]은 용기 시일(333)의 외경보다 작다. 이러한 이유로, 전체 용기 시일(333)이 시일 잼 방지 공간(337b)에 진입하지 못한다. 또한, 당겨지고 탄성 변형을 겪는 용기 시일(333)의 영역에 대해 한계가 존재하고, 용기 시일(333) 자체는 내표면(GG)에 고착되기 전에 원래의 상태로 돌아간다. 그 작용으로 인해, 용기 셔터(332)가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에 대해 로킹되기 때문에, 노즐 수납 개구(331)의 개방 및 폐쇄가 수행될 수 없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2 및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의 내표면 상에 있고 용기 시일(333)의 외부 가장자리에 인접한 부분에서, 접촉부의 역할을 하는 복수 개의 노즐 셔터 위치 결정 리브(337a)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시일(333)이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에 고정되는 상태에서, 용기 시일(333)의 용기 전방 단부측의 수직면이 노즐 셔터 위치 결정 리브(337a)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단부에 비해 약간 더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한다.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부착될 때에, 토너 보충 디바이스(60) 내에서 노즐 셔터(612)의 노즐 셔터 플랜지(612a)는 노즐 셔터 스프링(613)에 의해 압박되고 용기 시일(333)의 돌출된 부분이 평평하게 된다. 또한, 노즐 셔터 플랜지(612a)가 더 진행하여, 노즐 셔터 위치 결정 리브(337a)의 용기 전방 단부측으로 연장된 용기 시일(333)의 노즐 수납 개구(331)로부터 용기 시일(333)의 전방 단부면을 덮고, 토너 용기(32)의 외측으로부터 용기 시일(333)의 전방 단부면을 차폐한다. 그 결과, 토너 용기를 체결할 때에, 노즐 수납 개구(331)에서 반송 노즐 둘레의 밀봉성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토너 누출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노즐 셔터 스프링(613)에 의해 압박되는 노즐 셔터 플랜지(612a)의 노즐 셔터 스프링 수납면(612f)의 이면이 노즐 셔터 위치 결정 리브(337a)로 연장될 때에, 노즐 셔터(612)의 회전축 방향에서의 위치가 토너 용기(32)에 관하여 결정된다. 그 결과, 용기 시일(333)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단부면 및 전방 단부 개구(305)[즉, 후술되는 바와 같이, 용기 개구(33a) 내측에 배치되는 원통형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의 내부 공간]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단부면과 노즐 셔터(612)와의 회전축 방향에서의 위치 관계가 결정된다.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부착될 때에, 접촉부로서 기능하는 노즐 셔터(612)와, 압박 부재로서 기능하는 노즐 셔터 스프링(613)이 원통형 내부 공간인 전방 단부 개구 내에 수용된다. 전술한 구성을 달성하기 위해, 용기 개구(33a)의 외표면의 직경,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의 내경, 및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의 용기 세팅부(615) 등의 구성들의 직경 간에 관계에 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41은 용기 개구(33a)의 외표면의 직경,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의 내경, 및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의 용기 세팅부(615) 등의 구성들의 직경 간의 관계를 예시하는 설명도이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용기 세팅부(615)는 토너 용기(32)를 세팅할 때에 토너 용기(32)의 용기 개구(33a)와 맞물리는 내표면(615a)을 갖는다. 용기 세팅부(615)의 내표면(615a)은 내경(D1)을 갖는 것으로 가정되고, 토너 용기(32)의 용기 개구(33a)의 외표면은 직경(d1)을 갖는 것으로 가정된다.
반송 노즐(611) 내에 배치되는 노즐 셔터(612)는 외경(D2)을 갖는 것으로 가정되는 노즐 셔터 플랜지(612a)를 포함한다. 또한,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의 내경 중에, 축방향에서 용기 시일(333)의 외측 상의 내경(즉, 용기 전방 단부측으로부터 제2 내표면의 내경)은 d2인 것으로 가정된다. 또한, 용기 시일(333)의 외경이 d3인 것으로 가정된다. 한편, 노즐 셔터 위치 결정 리브(337a)는 용기 시일(333)의 외표면에 대해 접촉하게 되고, 용기 시일(333)의 외표면과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의 용기 전방 단부측으로부터의 제2 내표면 사이에 복수 개가 배치된다. 노즐 셔터(612)의 외경[즉, 노즐 셔터 튜브(612e)(후술됨)의 외경]은 D3인 것으로 가정되고, 용기 시일(333)의 내경은 d4인 것으로 가정된다.
토너 용기(32)를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체결시킬 때에, 용기 노즐(611)이 노즐 수납 개구(331)에 진입하고, 노즐 개구(610)는 노즐 셔터(612)에 의해 차폐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어서, 노즐 셔터 플랜지(612a)가 용기 시일(333)에 대해 접촉하게 되어 용기 시일을 평평하게 한다. 이후, 노즐 셔터 플랜지(612a)는 노즐 셔터 위치 결정 리브(337a)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 단부로 연장된다. 그 결과, 노즐 개구(610)가 개방되고, 토너 용기(32)의 내측이 반송 노즐(611)의 내측과 연통된다. 이때, 토너 용기(32)의 용기 개구(33a)의 외표면과 용기 세팅부(615)의 내표면(615a)이 서로 체결되어, 토너 용기 본체(33)가 그 체결 위치에서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유지된다.
토너 용기(32)의 용기 개구(33a)의 외표면과 용기 세팅부(615)의 내표면(615a)이 서로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체결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토너 용기(32)의 용기 개구(33a)의 외표면의 직경(d1)과 용기 세팅부(615)의 내표면(615a)의 내경(D1)은 관계 "d1<D1"를 만족시키도록 세팅된다. 여기서, d1과 D1은 0.01 ㎜ 내지 0.1 ㎜의 범위의 체결 공차를 갖도록 세팅된다. 이 방식에서, 관계 "d1<D1"을 유지함으로써, 용기 본체를 용기 세팅부(615)의 내표면(615a) 상에 유지하면서 용기 본체(33)를 회전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구성은 반송 노즐(611)과 노즐 셔터(612)가 노즐 수납 개구(331)로 진입하고 반송 노즐(611)의 노즐 개구(610)가 노즐 셔터(612)에 의해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구성을 실시하기 위하여, 관계 "D2<d2"를 만족시키는 세팅이 행해지고, 여기서 D2는 노즐 셔터 플랜지(612a)의 외경을 나타내며 d2는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의 내경 중에 축방향에서 용기 시일(333)의 외측에 있는 내경을 나타낸다(즉, d2는 용기 전방 단부측으로부터 제2 내표면의 내경을 나타낸다).
한편, 노즐 셔터 플랜지(612a)의 외경(D2)은 이하를 보장하기 위하여 관계 "D2>d3"를 또한 만족시키도록 세팅된다: 노즐 셔터 플랜지(612a)가 용기 시일(333)에 대해 접촉하고 용기 시일(333)을 평평하게 한 후에, 노즐 셔터 플랜지(612a)는 노즐 셔터 위치 결정 리브(337a)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단부로 연장된다. 따라서, 관계 "d3<D2<d2"를 만족시키도록 세팅이 행해지는데, 여기서 D2는 노즐 셔터 플랜지(612a)의 외경을 나타내고, d2는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의 내경 중에 축방향으로 용기 시일(333)의 외측에 있는 내경을 나타내며(즉, d2는 용기 전방 단부측으로부터 제2 내표면의 내경을 나타내며), d3은 용기 시일(333)의 외경을 나타낸다.
이 방식으로 세팅을 행한 결과, 노즐 셔터(612)는 토너 용기(32)의 전방 단부 개구(305) 내에 수용될 수 있다[즉,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이어서, 용기 본체(33)의 회전과 동반하여, 용기 시일(333)과 노즐 셔터 플랜지(612a)가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할 때에, 용기 시일(333)의 슬라이딩 유도된 열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용기 시일(333)이 과도하게 평평하게 되지 않고 슬라이딩 하중이 제어될 수 있도록 노즐 셔터 플랜지(612a)가 노즐 셔터 위치 결정 리브(337a)에 대해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가능해진다. 또한, 노즐 셔터 플랜지(612a)는 용기 시일(333)을 평평하게 하고 용기 시일에 타이트하게 그러나 한계값 내에서 체결되기 때문에, 또한 토너 용기(32)를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체결할 때에 발생하는 토너 스캐터링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노즐 셔터(612)의 외경(D3)과 노즐 수납부(330)의 용기 시일(333)의 내경(d4)은 관계 "d4<D3"를 만족시키도록 세팅된다. 이 때문에, 반송 노즐(611)이 용기 시일(333)에 진입할 때에, 용기 시일(333)의 내경이 압박된다. 그러므로, 용기 시일(333)이 타이트하지만 한계값 내에서 노즐 셔터(612)에 체결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반송 노즐(611)이 삽입된 상태에서, 토너 용기(32)로부터 외측으로 토너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직경들의 전술한 관계를 요약함으로써, 토너 용기(32)의 구성 요소들은 "d4<D3<d3<D2<d2<d1<D1"을 만족시키도록 세팅된다. 그러한 방식으로 세팅을 행한 결과로서, 토너 용기(32)로부터 토너의 스캐터링 또는 누출을 방지하는 밀봉성을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즐 셔터(612)와 노즐 셔터 스프링(613)을 수용하는 수용 용량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후술되는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를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체결할 때에, 노즐 개구(610)는 노즐 셔터 플랜지(612a)가 노즐 셔터 위치 결정 리브(337a)로 연장되고 토너 용기(32)에 관한 노즐 셔터(612)의 상대 위치가 고정된 후에만 개방하기 시작한다. 다른 한편으로, 토너 용기(32)를 토너 보충 디바이스(60)로부터 제거할 때에, 반송 노즐(611)이 토너 용기(32)로부터 빠지기 시작하더라도, 노즐 개구(610)가 개방되는 한, 토너 용기(32)에 관한 노즐 셔터(610)의 상대 위치는 노즐 셔터 스프링(613)에 의해 인가되는 압박력 때문에 변하지 않는다.
토너 용기(32)가 빠지면, 반송 노즐(611)에 관한 토너 용기(32)의 상대 위치가 변하게 된다. 이 때문에, 반송 노즐(611)에 관한 노즐 셔터(612)의 상대 위치가 또한 변화되고, 노즐 셔터(612)가 노즐 개구(610)를 차단하기 시작한다. 이때, 토너 용기(32)가 빠짐에 따라, 토너 용기(32)와 용기 세팅부(615) 간의 거리가 증가하게 된다. 그 결과, 노즐 셔터 스프링(613)은 그 자체의 복원력 때문에 본래의 길이로 복귀하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노즐 셔터(612)에 대한 압박력이 감소하기 시작한다.
게다가, 토너 용기(32)가 빠지고 노즐 셔터(612)가 노즐 개구(610)를 완전히 차단하면, 노즐 셔터(612)의 일부[즉, 제1 내부 리브(612b)(상세하게 후술됨)]가 반송 노즐(611)의 일부로 연장된다. 그 접촉의 결과로서, 반송 노즐(611)에 관한 노즐 셔터(612)의 상대 위치가 고정되고, 노즐 셔터 위치 결정 리브(337a)에 대해 노즐 셔터 플랜지에 의해 이루어진 접촉이 해제된다.
토너 용기(32)가 더 빠질 때에, 노즐 셔터(612)는 반송 노즐(611)과 함께 토너 용기(32)에서 빠져나간다.
노즐 셔터 플랜지(612a)가 노즐 셔터 위치 결정 리브(337a)로 연장된 상태에서, 노즐 개구(610)가 형성되는 반송 노즐(611)의 부분은 노즐 수납 개구(331)의 개구 부분에 비해 내향측(용기 후방 단부측 또는 깊이측)에 충분하게 위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노즐 개구(610)가 용기 후방 단부측을 향해 회전축 방향으로 용기 기어(301)를 지난 위치에 배치되도록 배열이 되어 있다. 노즐 개구(610)는 토너 용기(32)의 내향측에 충분하게 있는 위치로부터 개방 및 폐쇄를 수행하기 때문에, 토너가 노즐 개구(610)로부터 외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셔터 측면 지지부(335a) 및 셔터 측면 지지부(335a) 사이의 공간(335b)과 관련하여,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셔터 측면 지지부(335a)가 셔터 측면 지지부(335) 사이의 공간 부분(2개의 위치)에서 크게 절단되는 원통형 형태를 구성한다. 그러한 형태 때문에, 용기 셔터(332)는 원통형 형태의 내향측에 형성되는 컬럼형 공간(S1) 내에서 회전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용기 본체(33)가 회전하는 동안에, 용기 본체(33)에 고정되는 노즐 수납부(330)가 또한 용기 본체(33)를 따라 회전한다. 이때, 노즐 수납부(330)의 셔터 측면 지지부(335a)는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의 반송 노즐(611) 둘레로 회전한다. 이 때문에, 회전하는 셔터 측면 지지부(335a)는 반송 노즐(611)의 상부에 형성되는 노즐 개구(610) 바로 위의 공간을 통과한다. 이에 의해, 토너가 노즐 개구(610) 위에 일시적으로 퇴적되더라도, 셔터 측면 지지부(335a)가 퇴적된 토너를 가로질러 절단하여 그 토너를 파괴시킨다. 그 결과, 퇴적된 토너가 디바이스의 미사용 기간 중에 교착됨으로써 디바이스가 재시작될 때에 토너를 반송하는 도중에 문제를 초래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셔터 측면 지지부(335a)가 반송 노즐(611)에 관하여 측방향으로 그리고 노즐 개구(610)에 대향하게 위치되는 타이밍에, 용기 본체(33) 내의 토너는 도 8에 예시된 화살표(β)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 노즐(611) 내로 공급된다.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노즐 수납부(330)의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의 외표면에서, 용기 후방 단부측의 외경은 회전축 방향의 중간에서 더 작아진다. 이는 높이차[제1 외표면(AA)과 제2 외표면(BB) 간의 높이차]를 형성하게 한다. 게다가,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33)의 용기 개구(33a)의 내표면은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의 외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를 갖고, 내경이 용기 후방 단부측에서 더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높이차를 갖는다. 이때에,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의 외표면 상의 높이차는 원주 방향을 가로질러 용기 개구(33a)의 내표면의 높이차로 연장된다. 이는 용기 본체(33)에 관한 노즐 수납부(330)의 축 경사의 방지[즉, 원통형 형태를 갖는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의 중앙축이 원통형 형태를 갖는 용기 개구(33a)의 중앙에 관하여 경사지는 상태의 방지]를 가능하게 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구성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토너 용기(32)를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체결할 때에,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는 도 5에 예시된 용기 수납부(72) 위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된다. 4개의 토너 용기(32) 바로 아래에, 삽입구부(71)로부터 용기 커버 수납부(73)까지 4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 도 5에 예시되어 있는데, 용기 본체(33)의 축방향은 종방향의 역할을 한다. 각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가 대응하는 홈 내에 체결되고 그 안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도록, 한 쌍의 슬라이딩 안내부(361)가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하부에서 양 측면 상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용기 수납부(72)에 형성된 각 홈에는, 용기 수납부(72)의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측면 레일이 형성된다. 한 쌍의 측면 레일을 위아래로부터 샌드위치함으로써, 각 슬라이딩 안내부(361)는 용기 본체(33)의 회전축을 따라 슬라이드 거터(361a)를 갖는다. 게다가,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는 토너 용기(32) 를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체결할 때에 세팅 커버(608) 내에 배치되는 보충 디바이스 결합 부재(609)와 결합되는 용기 결합부(339)를 포함한다.
한편,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 상에는 토너 용기(32)의 사용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기록할 때에 사용되는 IC 태그(ID 태그 또는 ID 칩; 700)이 배치된다. 게다가,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 상에는 특정한 컬러의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용기(32)가 상이한 토너 컬러에 대응하는 세팅 커버(608)에 체결되는 상황을 방지하는 컬러 특정 리브(34b)가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를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체결할 때에, 슬라이딩 안내부(361)는 용기 수납부(72)의 슬라이드 레일과 결합한다. 그 결과, 토너 보충 디바이스(60) 내에서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배향이 결정된다. 그에 의해, 용기 결합부(339)와 보충 디바이스 결합 부재(609) 간의 위치 조절이 원활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IC 태그(700; 후술됨)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의 커넥터(800) 간의 위치 조절이 원활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토너 용기(32)를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체결하는 작동에 관한 설명이 아래에 제공된다.
도 7 또는 도 1에 예시된 화살표(Q)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의 방향으로 이동될 때에, 반송 노즐(611)의 전방 단부(611a)는 용기 셔터(332)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 단부면과 접촉하게 된다.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의 방향으로 더 이동될 때에, 반송 노즐(611)은 용기 셔터(332)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 단부면을 압박한다. 용기 셔터(332)를 압박하기 때문에, 용기 셔터 스프링(336)이 압축을 받는다. 따라서, 용기 셔터(332)는 토너 용기(32)의 내향측으로 압박되고(즉, 용기 후방 단부측으로 압박되고), 반송 노즐(611)의 노즐 전방 단부가 노즐 수납 개구(331) 내에 삽입된다. 이때, 노즐 셔터(612)의 노즐 셔터 플랜지(612a)에 비해 더 노즐 전방 단부를 향해 위치되는 노즐 셔터 튜브(612a)가 또한 반송 노즐(611)과 함께 노즐 수납 개구(331) 내에 삽입된다.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의 방향으로 더 이동될 때에, 노즐 셔터 스프링 수납면(612f)에 대향하는 노즐 셔터 플랜지(612a)의 표면이 용기 시일(333)의 용기 전방 단부측과 접촉하게 된다. 용기 시일(333)이 약간 평평하게 될 때에, 노즐 셔터 플랜지(612a)의 전술한 표면은 노즐 셔터 위치 결정 리브(227a)로 연장된다. 그 결과, 토너 용기(32)에 관한 노즐 셔터(612)의 회전축 방향에서의 상대 위치가 고정된다.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의 방향으로 더 이동될 때에, 반송 노즐(611)은 토너 용기(32)의 내향측에서 더 삽입된다. 이때, 노즐 셔터 위치 결정 리브(337a)로 연장되는 노즐 셔터(612)는 반송 노즐(611)에 관하여 노즐 기단부를 향해 다시 압박된다. 그 결과, 노즐 셔터 스프링(613)이 압축을 받고, 반송 노즐(611)에 관한 노즐 셔터(612)의 상대 위치가 노즐 기단부로 이동한다. 상대 위치의 이동과 동반하여, 노즐 셔터(612)에 의해 덮인 노즐 개구(610)가 용기 본체(33) 내에서 노출되고, 용기 본체(33)의 내측이 반송 노즐(611)의 내측과 연통된다.
반송 노즐(611)이 노즐 수납 개구(331) 내에 삽입되는 상태에서, 압축된 상태에서 용기 셔터 스프링(336)의 압박력 또는 압축된 상태에서 노즐 셔터 스프링(613)의 압박력으로 인해, 토너 용기(32)를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관하여 압박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즉, 도 7 또는 도 1에 예시된 화살표(Q)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그러나, 토너 용기(32)를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체결할 때에, 토너 용기(32)는 용기 결합부(339)가 보충 디바이스 결합 부재(609)와 결합될 때까지 전술한 힘에 대항하여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용기 셔터 스프링(336)의 압박력 및 노즐 셔터 스프링(613)의 압박력의 작용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보충 디바이스 결합 부재(609)에 관하여 용기 결합부(339)의 결합 작용이 존재한다. 그러한 압박력 및 결합의 작용 때문에, 도 8에 예시된 상태에서,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관한 토너 용기(32)의 회전축 방향에서의 위치 결정이 행해진다.
도 7 및 도 39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 용기 결합부(339)는 안내 돌출부(339a), 안내 거터(339b), 범프(339c), 및 사각형 결합 홀(339d)을 포함한다. 단일 세트를 형성하는 이들 구성 요소들에 의해, 그러한 2개의 세트가 노즐 수납 개구(331)를 통과하는 수직선에 관하여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양측면에 한 쌍의 용기 결합부(339)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각 안내 돌출부(339a)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전방 단부에서 수직 평면 상에 그리고 노즐 수납 개구(331)의 중앙을 통과하는 수평선 상에 배치된다. 게다가, 각 안내 돌출부(339a)는, 토너 용기(32)를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체결할 때에, 보충 디바이스 결합부(609)가 안내 돌출부(339a)에 대해 접촉하고 안내 거터(339b)를 향해 안내되도록 대응하는 안내 거터(339b)에 연결되는 경사면을 갖는다. 여기서, 각 안내 거터(339b)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측면 가장자리면보다 낮은 높이에 형성된다. 안내 돌출부(339a)와 안내 거터(339b)는 보충 디바이스 결합 부재(609)가 접촉 방식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부의 역할을 한다.
게다가, 안내 거터(339b)의 거터 폭은 보충 디바이스 결합 부재(609)의 폭보다 약간 크고, 보충 디바이스 결합 부재(609)가 거터로부터 낙하하지 않는 범위로 세팅된다.
각 안내 거터(339b)의 용기 후방 단부측은 대응하는 결합 홀(339d)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데드 단부를 갖는다. 게다가, 각 안내 거터(339b)의 용기 후방 단부측은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측면 가장자리면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즉, 각 안내 거터(339b)와 대응하는 결합 홀(339d) 사이에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약 1 ㎜ 두께의 외표면이 존재한다. 그 부분은 대응하는 범프(339c)에 대응한다. 보충 디바이스 결합 부재(609)는 범프(339c) 위에 오르고 결합 홀(339d) 내에 안착한다. 이에 의해,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관한 토너 용기(32)의 결합이 달성된다.
토너 용기(32)는 회전축에 직교하는 가상 평면에서 용기 셔터(332)가 2개의 용기 결합부(339)를 결합시키는 라인 세그먼트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용기 셔터(332)가 2개의 용기 결합부(339)를 결합시키는 라인 세그먼트에 위치되지 않으면, 이하의 가능성이 생긴다. 즉, 라인 세그먼트로부터 용기 셔터(332)까지의 거리는 모멘트 아암(arm of moment)으로서 기능하고, 용기 셔터 스프링(336)과 노즐 셔터 스프링(613)의 압박력으로 인해, 라인 세그먼트 둘레에서 토너 용기(32)를 회전시키는 힘의 모멘트의 작용이 발생한다. 힘의 모멘트의 작용 때문에,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관해 경사질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 경우에, 토너 용기(32)의 체결 하중이 증가하고, 용기 셔터(332)를 유지 및 안내하는 노즐 수납부(330)가 변형을 받는다.
특히, 토너가 충분히 충전된 새로운 토너 용기(32)의 경우, 수평 돌출형 반송 노즐(611)이 토너 용기(32) 내에 삽입을 위해 토너 용기(32)의 후방 단부로부터 압박될 때에, 토너 용기(32)를 회전시키는 힘의 모멘트는 토너 중량을 또한 고려함으로써 작용한다. 그 결과, 반송 노즐(611)이 삽입되는 노즐 수납부(330)가 변형을 받고, 최악으로는 변형되거나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달리,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32)에서, 용기 셔터(332)는 2개의 용기 결합부(339)를 결합시키는 라인 세그먼트 상에 위치된다. 이 때문에, 용기 셔터(332)의 위치에서 작용하는 용기 셔터 스프링(336)과 노즐 셔터 스프링(613)의 압박력으로 인해,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관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부착된 상태에서, 용기 개구(33a)의 원형 단부면은 용기 세팅부(615)의 단부면(615b)과 접촉하지 않는다. 이는 이하의 이유 때문이다. 용기 개구(33a)의 원형 단부면이 용기 세팅부(615)의 단부면(615b)과 접촉하는 구성을 고려한다. 그러한 경우에, 용기 결합부(339)의 결합 홀(339d)이 보충 디바이스 결합 부재(609)에 걸리기 전에, 용기 개구(33a)의 원형 단부면이 용기 세팅부(615)의 단부면(615b)으로 연장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한 접촉이 발생하면, 토너 용기(32)는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의 방향으로 조금도 더 이동될 수 없고, 회전축 방향에서 토너 용기(32)의 위치 결정이 행해질 수 없다. 그러한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부착된 상태에서, 용기 개구(33a)의 원형 단부면과 용기 세팅부(615)의 단부면(615b) 사이에 작은 간극의 갭이 존속된다.
회전축 방향에서 토너 용기(32)의 위치 결정이 전술한 방식으로 행해지는 상태에서, 용기 개구(33a)의 외표면은 용기 세팅부(615)의 내표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된다. 이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의 위치 결정은 회전축에 직교하는 평면 방향으로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관해 행해진다. 이에 의해, 토너 보충 디바이스(60) 내에 토너 용기(32)의 체결이 완료된다.
토너 용기(32)의 체결이 완료된 후, 구동 모터(603)가 회전 구동될 때에, 토너 용기(32)의 용기 본체(33)가 회전할 뿐만 아니라 반송 노즐(611) 내의 반송 스크류(614)가 회전한다.
용기 본체(33)의 회전으로 인해, 용기 본체(33) 내의 토너가 나선형 리브(302)에 의해 용기 본체(33)의 용기 전방 단부측으로 반송된다. 이어서, 노즐 개구(610) 근처로 반송된 토너가 노즐 개구(610)에 진입하여 반송 노즐(611)에서 공급된다. 이후, 반송 노즐에서 공급되는 토너는 반송 스크류(614)에 의해 토너 낙하 통로(64)를 통해 현상 디바이스(50)를 향해 앞으로 반송된다. 용기 본체(33)의 내측으로부터 토너 낙하 통로(64)로의 토너의 유동은 도 8에 예시된 화살표(β)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32)에서, 용기 본체(33)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단부면은 노즐 수납 개구(331)가 형성되는 노즐 수납부(330)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단부면에 비해 회전축 방향으로 더 돌출한다. 즉, 토너 용기(32)에서, 노즐 수납 개구(331)의 개방 위치는 용기 본체(33)의 개방 위치인 전방 단부 개구(305)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단부에 비해 더 용기 후방 단부측을 향해 형성된다.
이 방식에서, 노즐 수납 개구(331)의 개방 위치가 용기 본체(33)의 개방 위치에 비해 더 깊기 때문에, 용기 개구(33a)의 외표면에 대한 토너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반송 노즐(611)을 토너 용기(32)로부터 빼낼 때에 토너 누출이 발생하더라도, 노즐 수납 개구(331)로부터 누출되고 자유롭게 부동하는 토너가 용기 개구(33a)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단부면 둘레에서 쉽게 부동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노즐 수납 개구(331)로부터 누출되고 낙하하는 토너는 전방 단부 개구(305)의 하부 내표면에 고착하게 된다. 이 때문에, 용기 세팅부(615)의 내표면(615a)에 대한 토너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노즐 수납 개구(331)로부터 누출되는 토너는 용기 개구(33a)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단부면에 비해 더 용기 개구(33a)의 용기 후방 단부측을 향하는 내표면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에서 유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32)의 외측을 향하는 토너의 스캐터링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전술한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부착될 때에, 용기 시일(333)은 노즐 셔터 플랜지(612a)에 의해 평평하게 된다. 그 결과, 노즐 셔터 플랜지(612a)는 용기 시일(333)에 대해 타이트하게 그리고 가압 상태로 체결된다. 이는 토너 누출을 더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토너 셔터(332)가 개방 위치에 비해 더 종방향으로 내향측을 향해(즉, 더 용기 후방 단부측을 향해) 배치되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토너 용기(32)의 전방 단부와 용기 셔터(332)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단부면과 용기 시일(333) 사이에 원통형 공간이 형성된다.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반송 노즐(61)의 노즐 개구(610)는 노즐 셔터(612)에 의해 차단된다. 따라서,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부착될 때에, 토너가 수납될 수 있도록 노즐 셔터(612)를 개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서, 용기 개구(33a)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단부와 용기 셔터(332)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단부면과 용기 시일(333) 사이에 원통형 공간[전방 단부 개구(305)]가 형성된다. 상기 공간 내에는 개방 상태에서 노즐 셔터(612)의 취출 공간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체결되는 취출 공간이 형성된다. 게다가, 상기 취출 공간에서, 노즐 셔터(612)를 차단하도록 사용되는 노즐 셔터 스프링(613)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체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노즐 셔터(612)와 노즐 셔터 스프링(613)을 배치하는 데에 요구되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부착된 상태에서, 노즐 셔터(612)의 취출 위치는 노즐 셔터(612)의 노즐 전방 단부가 노즐 셔터 플랜지(612a)에 비해 용기 시일(333)의 내향측에 더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게다가, 노즐 셔터 플랜지(612a)보다 더 노즐 기단부를 향하는 노즐 셔터(612)의 부분은 전방 단부 개구(305)의 개방 위치(즉,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단부)와 용기 시일(333)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단부면 사이에 형성된 원통형 공간 내에 실질적으로 체결된다. 게다가, 압축 상태의 노즐 셔터 스프링(613)이 또한 상기 원통형 공간 내에 체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토너 용기(32)의 최전방 단부인 전방 단부 개구(305)의 개방 위치로부터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의 토너 낙하 부분[즉, 토너 낙하 통로(64)가 반송 노즐(611)에 연결되는 위치]까지의 거리가 단축될 수 있다. 그 결과, 복사기(500)의 주 본체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32)에서, 노즐 수납부(330)를 용기 본체(33)에 압입하기 위한 부분이 이해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부분들(γ1과 γ2) 중 어느 하나가 압입부의 역할을 한다. 부분(γ1)은 용기 기어(301)의 위치에서 용기 본체(33)의 내표면이고, 부분(γ2)은 커버 걸림부(306)의 위치에서 용기 본체(33)의 내표면이다.
도 11에 예시된 토너 용기(32)는 이하의 발명을 포함한다. 여기서, 토너 용기(32)는 분체형 현상제인 토너를 수납하고, 용기 셔터(332)와 노즐 수납부(330)를 포함하는 분체 용기이다. 용기 셔터(332)는 용기 본체(33)로부터 방출되는 토너를 통과시키는 분체 출구의 역할을 하는 노즐 수납 개구(331)를 개방 또는 차단한다. 노즐 수납부(330)는 용기 셔터를 유지한다. 토너 용기(32)에서, 용기 개구(33a)는 용기 전방 단부측의 단부에서 원형 형태로 형성된다. 용기 개구(33a)[즉, 용기 본체(33)의 회전축 유닛]의 외표면은 용기 세팅부(615)(즉, 베어링)의 내표면(615a)에 슬라이딩 가능한 방식으로 체결된다. 게다가, 노즐 수납부(330)는 용기 본체(33)의 내표면에 압입 및 고정되고, 압입부의 회전축 방향에서의 위치는 용기 개구(33a)의 외표면과 용기 세팅부(615)의 원형 내표면이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하는 위치에 비해 더 용기 후방 단부측에 있다.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노즐 수납부(330)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단부와 용기 개구(33a)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단부는 회전축 방향에서 일치하는 위치를 갖는다. 이 때문에, 노즐 수납부(330)가 용기 개구(33a)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 단부 근처의 내표면에 압입되는 구성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용기 개구(33a)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 단부의 근처는 용기 세팅부(615)의 원통형 내표면(615a)에 체결된다. 그러므로, 노즐 수납부(330)가 압입될 때에, 용기 개구(33a)의 압입부가 팽창된다. 용기 개구(33a)의 외경이 증가하면, 용기 세팅부(615)로의 체결이 일어날 수 없다. 그 결과,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부착될 수 없는 가능성이 생긴다. 게다가,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부착될 수 있더라도, 토너 용기(32)의 회전 토크가 증가될 수 있다.
그러한 문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입으로 인해 유발되는 용기 개구(33a)의 팽창량이 미리 추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용기 개구(33a)의 외경이 토너 용기(32)를 제조하는 동안에 세팅될 수 있다. 그러나, 용기 개구(33a)의 외경이 압입으로 인해 유발되는 팽창량을 고려함으로써 세팅되면, 이하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즉, 용기 개구(33a)의 외경에 대해 큰 치수 공차를 세팅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팽창량이 치수 공차 내에서 작으면, 용기 개구(33a)의 외경과 용기 세팅부(615)의 원통형 내표면(615a) 간에 차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부적절한 위치 결정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한 문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32)에서는, 노즐 수납부(330)의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단부 근처에서, 노즐 수납부(330)가 용기 개구(33a)의 내표면에 대해 압입이 아니라 헐거운 끼워맞춤이 되는 범위까지 외경이 약간 감소된다. 게다가,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단부가 압입부로서 세팅되지 않는다. 대신에, 용기 후방 단부측을 더 향하고 용기 세팅부(615) 및 토너 용기 본체(33)의 체결과 관련이 없는(즉, 체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위치에서,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의 외경은 용기 내경에 관하여 적절한 압입이 가능한 범위까지 세팅된다. 체결과 관련되지 않는 위치의 예는 용기 기어(301)의 두꺼운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즉, 도 11에 예시된 부분(γ1)] 또는 용기 개구(33a)의 내경이 노치 아래로 가고 용기 개구(33a)의 두께가 증가하는 부분[즉, 도 11에 예시된 부분(γ2)]을 포함한다. 내경이 변화하는 부분[즉, 도 11에 예시된 부분(γ2)]이 이에 의해 높이차의 형성을 초래하기 때문에, 외측 가장자리에 링형 리브를 갖는 커버 걸림부가 또한 존재한다.
더 큰 외경을 갖는 압입부가 노즐 수납부(330)의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단부에 비해 더 용기 후방 단부측을 향하게 형성되면, 용기 세팅부(615)의 체결부에 관한 용기 개구(33a)의 팽창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부착될 수 없거나 토너 용기(32)의 회전 토크가 증가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용기 개구(33a)가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프리폼의 형태를 갖기 때문에, 용기 개구가 정확하게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용기 개구(33a)의 압입부가 노즐 수납부(330)를 압입한 후에 팽창되지 않고 위치 결정부 또는 슬라이딩부로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사출 성형의 정확도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정확한 위치 결정 및 우수한 활주성을 달성할 수 있다.
한편, 부분(1γ)에 압입되는 토너 용기(32)는 이하의 발명을 포함한다. 부분(γ1)에 압입되는 토너 용기(32)와 관련하여, 수지질의 노즐 수납부(330)의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의 압입부는 용기 본체(33)의 용기 기어(301)가 배치되는 위치의 내표면에 대응한다. 용기 기어(301)의 부분이 회전축의 전체 원주 및 수직 방향에서 기어링 메카니즘을 갖기 때문에, 용기 본체(33)의 다른 부분보다 더 큰 강도를 갖고 압입으로 인해 쉽게 변형되지 않는다. 게다가,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가 죄여지기 때문에, 노즐 수납부(330)는 시간 경과에 따라 쉽게 빠지지 않는다. 따라서, 이 압입부는 목적에 적절하다.
부분(γ2)에 압입되는 토너 용기(32)는 이하의 발명을 포함한다. 부분(γ2)에 압입되는 토너 용기(32)와 관련하여, 노즐 수납부(330)의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의 압입부는 용기 개구(33a)의 내경이 노치(단차부) 아래로 가고 두께가 증가하는 부분에 대응한다. 용기 개구(33a)의 내경이 노치 아래로 가는 부분은 회전축의 전체 원주 및 수직 방향에서 두껍기 때문에, 용기 본체(33)의 다른 부분보다 더 큰 강도를 갖고 압입으로 인해 쉽게 변형되지 않는다. 게다가,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가 죄여지기 때문에, 노즐 수납부(330)는 시간 경과에 따라 쉽게 빠지지 않는다. 따라서, 이 압입부는 목적에 적절하다.
게다가, 부분(γ2)에 압입되는 토너 용기(32)는 이하의 발명을 포함한다. 부분(γ2)에 압입되는 토너 용기(32)와 관련하여, 수지질의 노즐 수납부(330)의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의 압입부는 용기 본체(33)의 커버 걸림부(306)가 배치되는 위치의 내표면에 대응한다. 커버 걸림부(306)의 부분은 회전축의 전체 원주 및 수직 방향으로 리브 구조를 갖기 때문에, 용기 본체(33)의 다른 부분보다 더 큰 강도를 갖고 압입으로 인해 쉽게 변형되지 않는다. 게다가,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가 죄여지기 때문에, 노즐 수납부(330)는 시간 경과에 따라 쉽게 빠지지 않는다. 따라서, 이 압입부는 목적에 적절하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32)에 배치되는 IC 태그(ID 태그 또는 ID 칩)(700)의 유지 메카니즘에 관한 설명이 아래에 제공된다.
도 22는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고정되는 커넥터(800)와, 토너 용기(32)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단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는 용기 본체(33)를 포함하고, 용기 본체(33)의 토너 출구로서 형성되는 노즐 수납 개구(331)를 갖는 용기 개구(33a)가 노출되도록 용기 본체(33)에 부착되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를 포함한다. 게다가, 토너 용기(32)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전방 단부에 정보 메모리 디바이스로서 부착되는 IC 태그(700)를 포함하고, IC 태그(700)를 유지하는 IC 태그 유지 구조(345)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본 특허 출원 제2011-121688호에 개시된 IC 태그가 제1 실시예에 따른 IC 태그(700)로서 사용되고, 접촉식 통신 방법이 실시된다. 따라서,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 단부면에 대향하는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의 그러한 위치에 커넥터(800)가 배치된다.
도 23은 IC 태그 유지 구조(345)가 분리된 상태로 예시되는 토너 용기(32)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단부와, 커넥터(800)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3에 예시된 바와 같이, IC 태그(700)는 위치 결정을 위해 ID 태그 홀(701)이 상부에 형성된다.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부착될 때에, 커넥터(800)의 안내 핀(801)이 ID 태그 홀(701) 내에 삽입된다.
IC 태그 유지 구조(345)는 IC 태그(700)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베이스(358)를 갖는 유지부(343)를 포함하고, 도 22 및 도 23에 예시된 X-Z 방향에서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IC 태그(700)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탈착 가능한 방식으로 유지부(343)와 결합하는 커버 부재인 IC 태그 홀더(344)를 포함한다. 토너 용기(32)가 회전축을 따라 용기 전방 단부측으로부터 보일 때에, IC 태그(700)와 IC 태그 유지 구조(345)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대각선 상방 우측 공간에 배치된다. 즉, IC 태그 유지 구조(345)는 다른 컬러의 토너 용기(32)가 또한 배치될 때에 데드 공간이 되는 대각선 상방 우측 공간을 사용함으로써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 위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원통형 토너 용기(32)가 서로 가깝게 배치될 수 있는 콤팩트한 토너 보충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대각선 상방 좌측 공간에는, 용기 기어(301)와 용기 구동 기어(601)가 배치된다. 여기서, 인접한 토너 보충 시스템이 서로 방해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IC 태그 유지 구조(345), 커넥터(800)의 단자(804), 및 용기 구동 기어(601)는 비간섭 방식으로 배치된다.
도 24는 IC 태그(700)가 IC 태그 홀더(344)에 일시적으로 결합되는 상태에서 토너 용기(32)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단부와, 커넥터(800)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유지부(343)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용기 전방 단부측의 단부에 존재하는 IC 태그 부착면(357)에 형성된다. 게다가, 유지부(343)는 강성 배선이 없는 IC 태그(700)의 후방면인 보드면을 지지하는 4개의 각형 칼럼으로 이루어지는 유지 베이스(358)를 갖는다. IC 태그 홀더(344)는 프레임(352)과 홀더 돌출부(353)를 포함한다. 프레임(352)은 유지부(343)와의 결합시에 유지 베이스(358)를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도록 그리고 IC 태그(7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홀더 돌출부(353)는 IC 태그(700)의 상부면의 단자 자유 영역에 걸쳐 프레임(352)의 내표면으로부터 돌출한다. IC 태그 홀더(344)의 프레임(352)은 장방형 IC 태그를 내부에 수용하기에 충분히 크고, IC 태그(700)가 내부에 세팅될 때에, X-Z 방향으로 일정 범위까지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IC 태그(700)를 유지할 수 있다.
IC 태그 유지 구조(345)에 관한 설명이 보다 상세하게 아래에 제공된다.
IC 태그 홀더(344)의 프레임(352)은 도 23 및 도 24에 예시된 Y축 방향으로 유지 베이스(358)의 길이보다 길게[즉, IC 태그 부착면(357)으로부터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IC 태그(700)가 유지 베이스(358) 상에 설치될 때에, IC 태그(700)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에 고정되지 않는다. 게다가, IC 태그(700)는 X-Z 방향으로 IC 태그(700)의 외측을 둘러싸는 프레임(352)과 간극 갭을 유지하면서 설치된다. 게다가, IC 태그(700)는 또한 IC 태그 홀더(344)의 홀더 돌출부(353)와 약간의 간극 갭을 갖는다. 이 때문에, IC 태그(700)가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에 고정되지 않더라도, 또한 분리되지 않는다. IC 태그(700)는 토너 용기(32)가 가볍게 흔들리면 IC 태그(700)가 시끄러운 소리를 내면서 이동하도록 유지된다.
IC 태그를 조립하는 동안에, IC 태그(700)는 도 24에 예시된 바와 같이 IC 태그 홀더(344)의 내벽 돌출부(351; 도 25 참조)에 대해 걸리고, 유지부(343)의 유지 베이스(358) 상에 일시적으로 결합된 방식으로 조립된다. 이때, 4개의 각형 칼럼으로 이루어지는 유지 베이스(358)의 외측은 IC 태그 홀더(344)를 위한 안내부의 역할을 하고, 유지 베이스(358)에 조립된 IC 태그(700)는 내벽 돌출부(351)로부터 멀리 이동하며, 4개의 유지 베이스(358)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단부면 상에 장착된다.
IC 태그 홀더(344)를 부착하는 것에 관한 상세한 설명이 아래에 제공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32)에서, IC 태그 홀더(344)는 열 코킹 또는 파스너를 이용하지 않고 후크를 이용함으로써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에 고정된다.
도 25에 예시된 바와 같이, IC 태그 홀더(344)는 홀더 상부(350)에 홀더 상부 후크(355)를 포함하고, 홀더 하부(348)에 홀더 하부 후크(354)를 포함하며, 홀더 우측부(349)에 홀더 우측 후크(356)를 포함한다.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에서 IC 태그 부착면(357) 둘레에는, 홀더 상부 후크(355), 홀더 하부 후크(354), 및 홀더 우측 후크(356)에 각각 대향하게 3개의 부분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IC 태그 부착면(357) 둘레에는, 홀더 상부 후크(355)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부 부착 부분(359a)이 형성된다. 게다가, IC 태그 부착면(357) 둘레에는, 홀더 하부 후크(354)에 대향하는 위치에 하부 부착 부분(359b)이 형성된다. 유사하게, IC 태그 부착면(357) 둘레에는, 홀더 우측 후크(356)에 대향하는 위치에 측면 부착 부분(360)이 형성된다.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에 IC 태그 홀더(344)를 세팅하는 동안에, IC 태그 홀더(344)의 3개의 후크[홀더 상부 후크(355), 홀더 하부 후크(344) 및 홀더 우측 후크(356)]가 3개의 부착 부분[각각 상부 부착 부분(359a), 하부 부착 부분(359b), 및 측면 부착 부분(360)]과 맞물려 고정된다. 한편, 상부 부착 부분(359a)과 하부 부착 부분(359b)은 홀 형태이고, 측면 부착 부분(360)은 후크 형태이다.
홀 형태의 상부 부착 부분(359a)과 홀 형태의 하부 부착 부분(359b)에 관하여, IC 태그 홀더(344)는 홀더 상부 후크(355)와 홀더 하부 후크(354)의 후크 전방 단부에서의 기울기를 이용할 뿐만 아니라 이들 후크의 탄성을 이용하여 세팅된다. 후크 형태의 측면 부착 부분(360)에 관하여, IC 태그 홀더(344)는 홀더 우측 후크(356)의 후크 전방 단부에서의 기울기를 이용할 뿐만 아니라 측면 부착 부분(360)의 경사면(360a)을 이용하여 세팅된다.
그러한 구성에서, 도 24에 예시된 바와 같이, IC 태그(700)는 IC 태그 홀더(344)의 프레임(352)의 내향측에 일시적으로 세팅되고, 이어서 IC 태그 홀더(344)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유지 베이스(358)를 따라 이동된다. 이에 의해, IC 태그 홀더(344)에 형성된 후크[홀더 상부 후크(355), 홀더 하부 후크(354) 및 홀더 우측 후크(356)]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에 형성된 부착 부분[각각, 상부 부착 부분(359a), 하부 부착 부분(359b) 및 측면 부착 부분(360)]과 맞물린다. 맞물림의 결과로서, IC 태그 홀더(344)를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에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2 내지 도 25에 예시된 예에서, IC 태그 홀더(344)의 윗 부분, IC 태그 홀더(344)의 아래 부분 및 IC 태그 홀더(344)의 우측 부분이 후크[홀더 상부 후크(355), 홀더 하부 후크(354) 및 홀더 우측 후크(356)]와 부착 부분[상부 부착 부분(359a), 하부 부착 부분(359b) 및 측면 부착 부분(360)]의 맞물림을 위한 부분으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IC 태그 태그 홀더(344)의 맞물림을 위한 부분은 상부, 하부 및 우측 부분의 조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IC 태그 홀더(344)의 맞물림을 위한 부분은 상부와 하부만의 조합일 수 있거나, 우측 부분과 좌측 부분만의 조합일 수 있거나, 상부, 하부, 우측 부분 및 좌측 부분의 조합일 수 있다. 게다가, 맞물림을 위한 부분들 또는 맞물림 개수는 제1 실시예에서 제공된 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 방식으로, 제1 실시예에서, 후크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맞물림에 관한 설명이 제공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IC 태그 홀더(344)는 열 코킹을 이용하거나 파스너를 이용하여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에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IC 태그를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에 보다 견고한 방식으로 부착하기를 원하는 예 또는 IC 태그를 재사용할 때에 IC 태그를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로부터 제거하는 일 없이 IC 태그에 다시 쓰기를 수행할 수 있는 지그가 존재하는 예를 고려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IC 태그(700)에서, 기판(702) 상에 단일의 ID 태그 홀(701)만이 형성된다. 상기 ID 태그 홀(701)은 직사각형 금속판으로 제조되는 복수 개의 금속 패드(710; 710a, 710b 및 710c) 사이에 형성된다.
사용되지 않을 때에 토너 용기(32)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유닛에 관한 설명이 아래에 제공된다.
도 26은 보관시에 토너 용기(32)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6에는 도 6에 예시된 토너 용기(32)의 용기 개구(33a)의 개구[전방 단부 개구(305)]를 밀봉하는 시일의 역할을 하는 캡(370)이 부착된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도 26에 예시된 토너 용기(32)는 이하의 발명을 포함한다. 도 26에 예시된 토너 용기(32)는 분체형 현상제인 토너를 수용하고, 현상제 출구의 역할을 하는 노즐 수납 개구(331)를 밀봉하는 시일인 캡(370)이 전방 단부 개구(305)에 부착될 수 있는 분체 용기이다. 게다가,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 단부 개구(305)는 용기 본체(33)의 일부이다. 도 1, 도 6 및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33)에서, 전방 단부 개구(305)는 토너 용기(32)를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고정시키는 데에 요구되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그 결과, 용기 본체(33)를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로부터 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용기(32)의 일부인 전방 단부 개구(305)는 캡(370)에 의해 직접 밀봉될 수 있다. 이는 향상된 밀봉 결과를 달성하고 보다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토너 누출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32)에서, 캡(370)은 캡 플랜지(371)를 갖는다. 캡(370)이 토너 용기(321)에 부착될 때에, 도 2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캡 플랜지(371)가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에 배치된 IC 태그(700)를 숨긴다. 그 결과, 토너 용기(32)가 보관 상태로 유지될 때에, IC 태그(700)가 외부 접촉 또는 외부 충격을 받지 않을 수 있어, ID 칩 태그의 보호가 가능하다.
게다가,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32)에서, 캡(370)의 캡 플랜지(371)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용기 본체(33)의 외경보다 크기가 더 크게 된다. 이에 의해, 예기치 않은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낙하가 있더라도,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토너 용기(32)의 보호가 가능하다.
게다가, 토너 용기(32)의 일부인 전방 단부 개구(305)는 캡(370)에 의해 직접 밀봉된다. 따라서, 전방 단부 개구(305)가 용기 본체(33)와 다른 상이한 부재[용기 전방 단부 커버(34) 등]를 통해 밀봉되는 구성에 비해, 더 큰 밀봉 효과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전방 단부 개구(305)를 직접적인 방식으로 밀봉함으로써, 또한 용기 본체(33)를 기밀 밀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기밀 밀봉이 달성될 수 있다면, 공기 또는 습기가 용기 본체(33) 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또한 토너 용기(32)를 보관 상태로 유지하면서 패킹 재료의 사용의 감소를 달성할 수 있게 한다.
토너 용기(32)를 사용할 때에[즉, 토너 용기(32)를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체결할 때에], 캡(370)이 제거된다. 캡(370)을 토너 용기(32)에 부착하는 것에 관한 한, 고정 목적을 위해 스크류 또는 후크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류 를 이용하기 위한 나사산 등의 고정부 또는 후크를 이용하기 위한 걸림부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로부터 노출되는 방식으로 전방 단부 개구(305)의 외표면 상에 배치된다. 한편, 도 2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방 단부 개구(305)의 외표면에 수나사(309)가 배치된다. 즉, 시일 고정을 위해 스크류가 사용된다.
한편, 전방 단부 개구(305)에 형성된 개구를 밀봉하는 구성은 캡(370)을 고정하도록 스크류를 이용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개구는 필름을 전방 단부 개구(305)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단부에 압력 접합함으로써 밀봉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 건조제 등의 흡착제가 보관 시에 사용되는 토너 용기(2032)가 도 27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도 27은 흡착제(2372)가 캡(2370) 상에 배치되는 토너 용기(2032)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한편, 제2 실시예에 따른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실시예에 설명된 구성 요소들과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지칭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흡착제는 습기 뿐만 아니라 다양한 다른 원소들(가스 등)을 흡착한다. 그러므로, 흡착제는 또한 건조제로서 기능한다. 흡착제의 예는 실리카 겔, 알루미늄 산화물 및 제올라이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흡착 특성을 갖는 임의의 물질이 흡착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용기 본체(2033)가 캡(2370)에 의해 완전히 밀봉되면, 공기 또는 습기가 용기 본체(2033) 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흡착제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하고 흡착 물질을 수반하는 패킹 물질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한다. 이 방법에서, 토너 용기(32)를 패킹하기 위한 백 등의 패킹 물질, 완충 물질 및 개별적인 패킹 박스를 감소시킴으로써, 패킹을 축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는 사용 물질의 감소 뿐만 아니라 환경 부담의 감소를 초래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발명자는 분체 형태의 토너로부터 가스가 형성되고, 가스가 교착 또는 고형화를 초래하지 않더라도, 작은 덩어리 형태의 토너 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한 토너 집합체가 흰색 점 또는 다른 컬러의 점을 갖는 불완전한 화상의 발생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발생이 방지될 필요가 있다. 가스가 토너로부터 형성되지 않으면, 임의의 흡착제를 이용하는 일 없이 밀봉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토너 용기(32)가 가스가 형성되는 토너를 수용하는 경우에, 가스를 흡착하기 위한 흡착제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7에 예시된 토너 용기(2032)는 이하의 발명을 포함한다. 도 27에 예시된 토너 용기(2032)는 분체형 현상제인 토너를 수용하고, 현상제 출구의 역할을 하는 노즐 수납 개구(331)를 밀봉하는 시일인 캡(2370)을 가질 수 있는 분체 용기이며, 캡은 용기 본체(2033)가 내측으로부터 기밀 폐쇄되도록 전방 단부 개구(305)에 부착된다. 게다가, 도 27에 예시된 토너 용기(2032)에서, 흡착제(2372)는 전방 단부 개구를 기밀 밀봉하는 캡(2370)의 내향측에 배치된다. 게다가, 도 27에 예시된 토너 용기(2032)에서, 흡착제(2372)는 그 적어도 일부가 토너 용기(2032)의 전방 단부의 오목부를 충전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토너 용기(2032)의 전방 단부의 오목부는 전방 단부 개구(305)의 개방 위치와 용기 시일(333)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단부면 사이에 형성되는 원통형 공간을 향한다.
도 27에 예시된 토너 용기(2032)에서, 흡착제(2372)는 캡(2370) 상에 배치된다. 여기서, 캡(2370)이 제거될 때에, 흡착제(2372)가 또한 캡(2370)과 함께 제거될 수 있다.
게다가, 도 27에 예시된 토너 용기(2032)에서, 흡착제(2372)의 적어도 일부가 토너 용기(2032)의 전방 단부의 오목부를 충전하기 때문에, 회전축 방향에서 캡(2370)의 길이를 단축시키고 토너 용기(2032)를 보관 목적을 위해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캡(2370)이 토너 용기(2032)를 밀봉하는 데에 사용되는 구성에서, 토너 용기(2032)의 전방 단부 개구(305)와 캡(2370) 간의 부착 정도는 패킹 물질 등을 이용하여 향상될 수 있다.
흡착제(2372)를 캡(2370) 상에 배치하는 구성에 관한 한, 흡착제(2372)는 캡(2370)과 통합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거나[즉, 캡(2370)에 고정될 수 있음], 캡(2370)과 별개로 배치될 수 있다[즉, 캡(2370)에 관해 고정되지 않을 수 있음]. 그러나, 흡착제(2372)가 캡(2370)과 통합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면, 흡착제(2372)와 캡(2370)이 함께 제거될 수 있다. 이는 흡착제(2372)의 제거를 잊어버릴 여지를 남기지 않는다. 따라서, 작동성이 또한 향상된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에 따르면, 토너 용기(3032)는 분체형 현상제로서 토너를 수용하고, 용기 본체(3033)로부터 방출된 토너가 통과하는 분체 출구인 노즐 수납 개구(331)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용기 셔터(332)를 포함하는 분체 용기이다. 또한, 토너 용기(3032)에서, 용기 셔터(332)를 지지하기 위한 노즐 삽입 부재의 역할을 하는 노즐 수납부(3330)가 용기 본체(3033)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노즐 수납부(3330)가 용기 본체(3033)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게 하는 스크류 클램프 메카니즘에 대한 설명이 제공된다. 게다가, 노즐 수납부(3330)가 스크류 클램프 메카니즘을 이용하여 용기 본체(3033)에 고정되는 구성 예에 대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28은 스크류 클램핑을 이용하여 용기 본체(3033)에 고정되는 노즐 수납부(3330)에서 사용되는 용기 셔터 지지부(3340)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8에 예시되는 용기 셔터 지지부(3340)는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의 외표면 상에 형성되는 수나사(3337c)를 갖는다. 도 29는 노즐 수납부(3330)가 용기 본체(3033)로부터 분리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토너 용기(3032)에서, 용기 본체(3033)의 용기 개구(33a)의 개구[전방 단부 개구(305)]의 내표면에는, 수나사(3337c)와 스크류 클램핑하는 데에 사용되는 수나사(3033a)가 형성된다.
도 28에 예시된 용기 셔터 지지부(3340)가 사용되는 노즐 수납부(3330)에서, 용기 셔터 지지부(3340)는 용기 시일(333)과 용기 셔터(332)가 용기 셔터 지지부(3340) 상에 유지되면서 용기 본체(3033)에 스크류 클램핑된다. 한편, 용기 셔터 지지부(3340)를 포함하는 토너 용기(3032)에 관련하여, 노즐 수납부(3330)를 용기 본체(3033)에 고정시키는 데에 스크류 클램프 메카니즘이 사용된다는 점 외에,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토너 용기(3032)와 구성이 동일하다.
도 9에 관하여 설명된 토너 용기(32)의 조립된 형태에서, 토너 충전을 위해 사용되는 전방 단부 개구(305)의 개구는 압입된 노즐 수납부(330)에 의해 덮인다. 그러나, 이 경우에, 토너 용기들만이 먼저 제조되고 소비 지점에 가까운 부분으로 토너 용기를 운송한 후에 토너를 각 토너 용기에 충전하는 비즈니스 모델이 채택된다면, 이하의 단점들에 직면할 수 있다. 용기 본체(33)와 용기 셔터 지지부(340)가 토너 충전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통합된 방식으로 구성되면, 먼저 용기 본체(33)의 내측과 외측 간에 연통을 확립하도록 용기 셔터(332)가 가압될 필요가 있고, 이어서 토너가 토너 충전 노즐을 이용하여 충전되어야 한다. 이는 토너 충전 작업의 효율성에 있어서 퇴보를 유발한다. 다른 한편으로, 용기 본체(33)와 용기 셔터 지지부(340)가 별개로 운송된 후에 토너 충전이 이어지면, 운송 비용 및 관리 비용에 있어서의 증가를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와 관련하여, 도 28에 예시된 용기 셔터 지지부(3340)가 사용되는 토너 용기(3032)에서, 토너 용기(3032)가 고정 상태로 유지되고 노즐 수납부(3330)가 도 28에 예시된 화살표(A)의 방향으로 회전되면, 또는 노즐 수납부(3330)가 고정 상태로 유지되고 토너 용기(3032)가 도 28에 예시된 화살표(A)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 용기 본체(3033)에 관한 노즐 수납부(3330)의 스크류 클램핑이 해제된다. 그러므로, 노즐 수납부(3330)가 사용 후에 용기 본체(3033)로부터 쉽게 취출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용기 본체(3033)로부터, 토너 충전 개구의 역할을 하는 전방 단부 개구(305)의 개구를 덮은 노즐 수납부(3330)의 취출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도 28에 예시된 용기 셔터 지지부(3340)가 사용되는 토너 용기(3032)의 경우에, 용기 본체(3033)와 노즐 수납부(3330)는 통합된 방식으로 조립되고 그 상태에서 운송될 수 있다. 이어서, 토너를 충전할 때에, 노즐 수납부(3330)가 제거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토너 충전에 요구되는 시간과 노력을 감소할 뿐만 아니라 운송 비용을 감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외에, 또한 토너를 재충전함으로써 한번 사용된 토너 용기(3032)를 재활용 및 재사용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한편, 노즐 수납부(3330)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폴리스티렌(PS; polystyrene), 또는 폴리옥시메틸렌(POM; polyoxymethylene) 등의 수지로 제조되는 용기 셔터 지지부(3340)와 용기 셔터(332); 스폰지로 제조되는 용기 시일(333); 및 SW-C(강철 와이어), SWP-A(피아노 와이어), 또는 SUS304(스프링용 강제 와이어)로 제조되는 용기 셔터 스프링(336) 등의 상이한 타입의 물질을 포함한다. 이 때문에, 노즐 수납부(3330)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으로 제조되는 용기 본체(3033)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3032)가 분해되고 상이한 물질이 분리되는 재료 재활용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게다가, 제3 실시예는 이하의 발명을 포함한다. 한편, 제3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3032)에서, 도 2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 보았을 때에 우측에 위치되는 용기 본체(3033)의 측면 상에 배치되는 나선형 리브(302)는 상부면의 용기 전방 단부측을 향해 경사진 권선 방향을 갖는다. 이 때문에,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 보았을 때에 우측에 위치되는 용기 본체(3033)가 그 측면이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회전할 때에[즉, 도 29에 예시된 화살표(A)의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용기 본체(3033) 내에 보관된 토너는 용기 전방 단부측으로 반송될 수 있다.
용기 본체(3033)와 함께, 노즐 수납부(3330)는 또한 도 29에 예시된 화살표(A)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나, 용기 시일(333)과 반송 노즐(611)이 서로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회전을 정지시키는 방향에서의 마찰력이 반송 노즐(611)로부터 인가된다. 이때, 수나사(3337c)의 권선 방향이 도 28에 예시된 권선 방향과 상이하지만 나선형 리브(302)의 권선 방향과 동일하면, 즉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 보았을 때에 우측에 위치되는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의 측면에 배치되는 수나사(3337c)가 상부면에서 용기 전방 단부측을 향해 경사진 권선 방향(오른손 나사의 방향)을 갖는다면, 도 29에 예시된 화살표(A)의 방향에서 용기 본체(3033)의 회전은 노즐 수납부 고정부(337)에 관한 스크류 클램핑이 느슨해지는 방향이 된다.
이와 달리, 도 28에 예시된 용기 셔터 지지부(3340)가 사용되는 토너 용기(3032)에서, 수나사(3337c)의 권선 방향은 나선형 리브(302)의 권선 방향과 반대가 되도록 세팅된다. 즉, 제3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3032)에서, 도 2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나사(3337c)는 노즐 수납부(3330)가 왼손 나사가 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해, 화살표(A)의 방향으로 용기 본체(3033)의 회전이 용기 본체(3033)에 관하여 노즐 수납부(3330)의 스크류 클램핑이 느슨해지는 방향이 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30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노즐 삽입 부재의 역할을 하는 노즐 수납부(4330)의 사시도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용기 본체(4033)의 사시도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와 비교할 때에, 제4 실시예는 용기 기어(4301)와 캡(4370)을 고정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수나사(4309)가 용기 셔터 지지부(4340)의 외측 가장자리에 통합된 방식으로 배치되는 방식이 상이하다. 이는 용기 본체 내에 용기 기어를 가질 필요성을 없앤다. 한편, 노즐 수납부(4330)와 용기 본체(4033)를 고정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수나사(3337c)는 제3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왼손 나사이다. 화살표(A) 방향으로의 토크가 용기 기어(4301)에 작용하면, 노즐 수납부(4330)와 용기 본체(4033) 사이에서 스크류 클램핑의 풀림을 초래하지 않는다. 게다가, 캡(4370)을 고정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수나사(4309)는 오른손 나사이다. 따라서, 캡(4370)을 느슨하게 하는 토크가 유저 동작에 응답하여 작용하면, 왼손 나사인 노즐 수납부(4330)가 용기 본체(4033)에 관해 느슨해지지 않는다.
제5 실시예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비해, 제5 실시예는 노즐 수납부가 토너 반송 특성을 향상시키는 반송 날개를 포함하는 방식이 상이하다.
도 31a는 반송 날개의 역할을 하는 리프팅 부분(5304i)이 노즐 삽입 부재의 역할을 하는 노즐 수납부(5330)와 통합된 방식으로 배치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1b는 노즐 수납부(5330)가 용기 본체(33)로부터 제거된 토너 용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2는 토너 용기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표면 상의 리프팅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1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노즐 수납부(5330)에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가요성 수지질 필름으로 제조되는 리프팅 부분(5304i)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용기 셔터 지지부(340)의 셔터측 지지부(335a)에 부착된다. 여기서, 2개의 리프팅 부분(5304i)이 존재하고, 노즐 수납부(5330)의 중앙축 둘레에서 점 대칭 방식으로 배치된다(즉, 180°대칭으로 배치된다). 도 3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33)의 내벽과 접촉하는 리프팅 부분(5304i)의 경사면은 나선형 리브(302)를 따라 노치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셔터측 지지부(335a)에 대한 리프팅 부분(5304i)의 고정은 접합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예컨대 스냅 체결 타입의 복수 개의 핀이 셔터측 지지부(335a)에 배치될 수 있고, 이들 핀이 고정 목적을 위해 리프팅 부분(5304i)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리프팅 부분(5304i)을 이용하는 토너 반송 작용이 도 32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32는 노즐 개구(610)의 측면으로부터 취한 단면도이다. 용기 본체(33)가 화살표(A)의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용기 본체(33)에 고정된 노즐 수납부(5330)가 또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노즐 수납부(5330)에 부착된 리프팅 부분(5304i)이 또한 화살표(A)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바닥에 존재하는 토너를 상부측으로 상승시킨다. 용기 본체(33)의 중앙에 삽입되는 반송 노즐(611)의 노즐 개구(610)는 상부측에서 상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각 리프팅 부분(5304i)에 의해 상승된 토너는 화살표(T1)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낙하하여 노즐 개구(610)에 진입한다. 2개의 리프팅 부분(5304i)이 이 반송 작용을 교대 방식으로 수행한다. 리프팅 부분(5304i) 때문에, 토너 반송 특성이 제1 실시예에 비해 향상된다. 그러므로, 용기 본체(33) 내의 토너의 양이 감소하더라도, 반송 노즐(611) 내로 토너를 계속 반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제5 실시예에서는, 리프팅 부분(5304i)이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33) 및 노즐 수납부(330) 상에 배치되는 예에 대한 설명이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리프팅 부분(5304i)이 제2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토너 용기 및 노즐 수납부 내에 배치되더라도, 여전히 동일한 토너 반송 특성을 달성할 수 있다.
제6 실시예
도 33은 제6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 및 토너 보충 디바이스의 일부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토너 용기와 토너 보충 디바이스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 및 토너 보충 디바이스와 상이한 형태를 갖지만,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그 설명은 반복되지 않는다. 도 3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6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구동력을 용기 본체(6033)에 전달하기 위한 구동 전달 장치로서 기능하는 용기 기어(6380)가 용기 본체(6033)로부터 별개의 구성 요소로서 배치된다. 용기 기어(6380)를 별개의 구성 요소로서 배치함으로써, 용기 본체(6033)의 구성이 간소화되며 이에 따라 용기 본체(6033)가 보다 용이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는 용기 본체(6033)의 제조 비용의 절감을 달성할 수 있게 한다. 그 외에, 또한 용기 기어(6380)와 용기 본체(6033)를 서로 상관없이 교체할 수 있다.
도 33을 참조하면, 용기 기어(6380)는 용기 본체(6033)의 노즐 수납 개구(331)의 측면 상의 단부의 외표면에 배치된다. 게다가, 용기 플랜지(6315)가 용기 본체(6033)의 노즐 수납 개구(331)의 측면 상의 단부에 형성된다. 게다가, 용기 전방 단부 커버(6034)에는, 반경 방향으로 용기 기어(6380)의 기어이보다 외측에 결합용 후크(6380a)가 제공된다. 결합용 후크(6380a)는 용기 기어(6380)의 기어이 위에서 교차하고, 용기 본체(6033)의 용기 플랜지(6315)와 결합한다. 그 결과, 용기 전방 단부 커버(6034)는 용기 본체(6033)에 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용기 본체(6033)와 통합된 방식으로 구성된다. 용기 본체(6033)가 용기 기어(6380)에 의해 전달되는 회전 구동력으로 인해 회전할 때에, 용기 본체(6033) 내에 존재하는 토너는 노즐 수납부(330)의 토너 수납 개구(338)를 통해 그리고 노즐 개구(610)를 통해 반송 노즐(611)로 공급된다. 이때, 반송 노즐(611)의 반송 스크류(614) 때문에, 토너는 토너 보충 디바이스(60)를 향해 반송된다. 한편, 기어(6380)를 둘러싸도록 부착되고 토너 용기(6032)의 커버로서 기능하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6034)는 이 커버에 부착되는 IC 태그(700)를 갖고 프레임(6602) 상에 배치되는 안내 핀(6620)에 의해 위치 및 유지된다.
제7 실시예
도 34는 제6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용기 본체(6033)의 변형예에 따른 용기 본체(7033)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4에 예시된 토너 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7033)의 내측 벽면 상에 형성되는 나선형 리브(7302)에서는, 용기 개구(개구)(33a)의 측면 상의 단부(7302a)가 용기 본체(7033)의 회전축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바꿔 말해서, 용기 본체(7033)의 개구 근처의 내측 벽면 상에 형성되는 나선형 리브(7302a)의 일부는 회전축에 평행한 피치를 포함한다. 단부(7302a) 때문에, 노즐 수납부(330)가 조립될 때에, 용기 본체(7033) 내의 토너 수납 개구(338)의 근처로 반송된 토너는 하부측으로부터 용기 본체(7033)의 내측 벽면을 따라 상부측으로 상승되는 방식으로 앞으로 반송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 수납부(330)의 토너 수납 개구(338)가 용기 본체(7033)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될 때에, 용기 본체(7033) 내의 토너 수납 개구(338)의 근처로 반송된 토너가 상승되어 노즐 수납부(330)의 토너 수납 개구(338)를 향해 효율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한편, 나선형 리브(7302)의 단부(7302a)가 용기 본체(7033)의 회전축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구성은 제6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즉, 동일한 구성이 제1 내지 제6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서 실시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구성이 제5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분과 조합하여 실시된다면, 리프팅 부분과 나선형 리브의 단부는 용기 본체의 회전축 둘레에서 서로 90°로 위치될 수 있다.
제8 실시예
한편, 제1 내지 제6 실시예에서, 용기 본체(8033)의 용기 개구(33a)의 근처에서 내측 벽면 상에 형성되는[즉,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 또는 외측 단부에서, 또는 원추형 부분에서 내측 벽면에 형성되는] 나선형 리브(8302)는 도 3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8033)의 일단부(용기 후방 단부측 또는 파지부 단부)에서 주 본체부(원통형 부분)의 내측 벽면 상에 형성되는 나선형 리브(302)의 피치보다 크게 세팅되는 피치를 가질 수 있다. 요약하면, 나선형 리브(8302)는 주 본체부의 나선형 리브(302)의 일부이다. 이 경우에, 용기 본체(8033)의 일단부에서, 용기 본체(8033)의 내측 벽면 상에 형성되는 나선형 리브(302)의 연장 방향과 용기 개구(33a)를 향하는 방향(즉, 용기 본체의 회전축을 따른 방향) 사이의 각도가 비교적 커진다. 이 때문에, 용기 본체 내측의 일단부에 존재하는 분체형 토너가 용기 개구(33a)가 형성되는 타단부로 효율적으로 반송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용기 본체(8033)의 용기 개구(33a)의 근처에서, 용기 본체(8033)의 내측 벽면의 나선형 리브(8302)의 연장 방향과 용기 개구(33a)[토너 수납 개구(338)]를 향하는 방향 사이의 각도가 비교적 작아진다. 이 때문에, 용기 개구(33a)의 근처로 반송된 토너는 용기 본체(8033)의 내측 벽면을 따라 상승되는 방식으로 앞으로 반송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 수납부(330)의 토너 수납 개구(338)가 용기 본체(8033)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될 때에, 용기 본체(33) 내측의 토너 수납 개구(338)의 근처로 반송된 토너가 상승되어 노즐 수납부(330)의 토너 수납 개구(338)로 효율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제9 실시예
한편, 제1 내지 제6 실시예에서, 이하의 구성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용기 본체(9033)의 개구 근처에서 내측 벽면 상에 형성되는 나선형 리브(9302)는 그 일부가 용기 본체(9033)의 회전축에 직교될 수 있다. 그 예로서, 도 36은 제6 실시예에 따른 용기 본체의 변형예를 예시한다. 여기서, 노즐 수납부(330)의 토너 수납 개구(338)의 근처에서 나선형 리브(9302)의 일부의 경사 각도를 변경시시킴으로써, 반송되는 토너의 유동이 변경된다. 그 결과, 토너가 용기 본체(9033)의 내측 벽면으로부터 분리되고 토너 수납 개구(338)로 쉽게 안내될 수 있다는 것이 예상될 수 있다. 도 3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분(5304i)을 포함하는 노즐 수납부가 용기 본체(9033)와 조합되는 구성에서, 토너가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토너 수납 개구(338)로 안내될 수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제10 실시예
토너 용기(A032)(A032Y, A032M, A032C 및 A032K) 및 토너 보충 디바이스(60)(60Y, 60M, 60C 및 60K)의 보다 상세한 설명이 아래에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된 토너의 컬러가 각 토너 용기(A032)(A032Y, A032M, A032C 및 A032K) 및 각 토너 보충 디바이스(60)(60Y, 60M, 60C 및 60K)에서 상이하다는 점을 제외하고, 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여기서, Y, M, C 및 K의 토너 컬러 참조 문자를 쓰지 않고 아래의 설명이 제공된다.
도 43은 제10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A032)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4는 토너 용기(A032)가 부착되기 전에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와,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 토너 용기(A032)의 단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2는 토너 용기(A032)가 부착되기 전에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와,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 토너 용기(A032)의 단부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5는 토너 용기(A032)가 부착된 후에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와,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 토너 용기(A032)의 단부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토너 보충 디바이스(60)는 반송 스크류(614)를 갖는 반송 노즐(611)을 포함한다. 게다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는 노즐 셔터(612)를 포함한다. 토너 용기(A032)가 아직 부착되지 않은 용기 미부착 상태에서(즉, 도 42 및 도 44에 예시된 상태에서), 노즐 셔터(612)는 반송 노즐(611) 상에 형성된 노즐 개구(610)를 차단한다. 다른 한편으로, 토너 용기(A032)가 부착된 용기 부착 상태에서(즉, 도 45에 예시된 상태에서), 노즐 셔터(612)는 노즐 개구(610)를 개방시킨다. 한편, 토너 용기(A032)의 단부의 중앙에는 반송 노즐(611)이 용기 부착 상태에서 삽입되는 수납 개구(A331)가 형성된다. 게다가, 용기 미부착 상태에서 노즐 수납 개구(A331)를 차단하는 용기 셔터(A332)가 배치된다.
먼저, 도 43을 참조하여 토너 용기(A032)에 관한 설명이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토너 용기(A032)는 용기 본체(A033), 노즐 수납부(A330), 교반 컨베이어(A380) 및 용기 전방 단부 커버(A034)를 주로 포함한다.
도 46은 토너 용기(A032)의 구성 요소 중에서 회전 가능한 부재들, 즉 용기 기어(A301), 노즐 수납부(A330) 및 교반 컨베이어(A380)의 분해도이다. 도 46에서, 점선은 이들 회전 가능한 부재들의 스핀들을 표시한다. 따라서, 용기 기어(A301), 노즐 수납부(A330), 교반 컨베이어(A380)는 동일한 스핀들을 갖도록 구성된다.
용기 본체(A033)는 형태가 원통형이고 교반 컨베이어(A380)(후술됨)를 수용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용기 본체(A033)의 종방향을 따라 교반 컨베이어(A380)의 스핀들에 평행한 방향은 "샤프트 방향"으로 명명된다. 샤프트 방향은 전술한 제1 내지 제9 실시예에서 지칭되는 회전축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다. 게다가, 샤프트 방향에서, 노즐 수납 개구(A331)가 토너 용기(A032)에 형성되는 쪽[즉, 용기 전방 단부 커버(A034)가 배치되는 쪽]은 "용기 전방 단부측"이라 명명된다. 게다가, 파지부(A303)가 토너 용기(A032)에 배치되는 쪽[즉, 용기 전방 단부측의 반대 단부]는 "용기 후방 단부측"으로 명명된다. 토너 용기(A0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부착되는 상태에서, 샤프트 방향은 수평 방향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교반 컨베이어(A380)는 용기 본체(A033) 내에 배치되고 구동 전달이 용기 기어(A301)와 노즐 수납부(A330)를 통해 제공될 때에 회전한다. 교반 컨베이어(A380)가 구동 전달을 수신한 결과로서 도 45에 예시된 화살표(A)의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용기 본체(A033) 내의 토너(T)가 교반 컨베이어(A380)의 작용으로 인해 샤프트 방향으로 일측(용기 후방 단부측)으로부터 타측(용기 전방 단부측)으로 반송되도록 반송력이 작용한다.
토너 용기(A032)에서, 토너(T)가 후방 단부 뚜껑(A307)에 형성된 충전 홀(A307a)을 통해 용기 본체(A033)에 충전된 후에, 충전 홀(A307a)은 캡(A311)에 의해 덮인다. 그 결과로서, 토너(T)는 토너 용기(A032) 내에 수용된다.
노즐 수납부(A330)는 용기 셔터(A332)를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지지하는 용기 셔터 지지부(A330a)와, 용기 셔터 지지부(A330a)의 베이스이고 용기 셔터 스프링(A336)의 단부와 접촉하는 용기 스프링 지지부(A330b)를 포함한다.
게다가, 노즐 수납부(A330)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A034)에 의해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지지되는 제1 외표면(A330c)과, 제1 외표면(A330c)보다 큰 외경을 갖고 제1 용기 커버(A308a)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외표면(A330d)을 갖는다. 제1 외표면(A330c)은 상부에 형성된 토너 수납 개구(A392)를 갖고 용기 기어(A301)를 고정시키는 키 볼록부(A391)를 갖는다. 제2 외표면(A330d)은 토너 용기(A0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부착될 때에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의 용기 세팅부(615)에 의해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지지되는 노즐 수납부(A330)의 그러한 외표면을 향한다.
노즐 수납부(330)의 내표면은 용기 셔터 지지부(A330a)를 포함하고; 용기 셔터 지지부(A330a)보다 큰 내경을 갖는 내표면(A330e)을 가지며; 용기 셔터 지지부(A330a)와 내표면(A330e)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부(A330f)를 갖는다. 그리고, 노즐 수납부(A330)는 용기 시일(A333)을 포함한다. 용기 시일(A333)의 일단부 표면은 단차부(용기 시일 고정면; A330f)에 부착되고, 용기 시일(A333)의 타단부 표면과 내표면(A330e)은 원통형 공간 영역으로서 전방 단부 개구(A305)를 형성한다. 게다가, 용기 셔터(A332)의 외표면은 노즐 수납 개구(A331)가 밀봉되도록 용기 시일(A333)의 내표면에 대해 접촉된다. 이 수납 개구(A331) 내에는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의 반송 노즐(611)이 삽입된다. 토너 용기(A032)에서, 노즐 수납부(A330)의 노즐 수납 개구(A331)는 반송 노즐(611)이 삽입될 수 있는 개구의 역할을 하고, 전방 단부 개구(A305)의 외표면[즉, 제2 외표면(A330d)]은 용기 개구의 역할을 한다.
여기서, 노즐 수납 개구(A331) 내로 반송 노즐(611)의 원활한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테플론(등록 상표)으로 제조되고 우수한 활주성을 갖는 삽입 안내 부재가 용기 셔터 지지부(A330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노즐 수납부(A330)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스티렌(PS), 또는 폴리옥시메틸렌(POM) 등의 수지로 제조되는 용기 셔터(A332); 및 SW-C(강철 와이어), SWP-A(피아노 와이어), 또는 SUS304(스프링용 강제 와이어)로 제조되는 용기 셔터 스프링(A336) 등의 상이한 타입의 물질을 포함한다.
이 때문에, 노즐 수납부(A330)는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으로 제조되는 용기 본체(33)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32)가 분해되고 상이한 물질이 분리되는 재료 재활용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교반 컨베이어(A380)는 토너(T)가 일단부(용기 후방 단부측)로부터 타단부(용기 전방 단부측)으로 샤프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용기 본체(A033) 내에 수용되는 토너(T)에 반송력을 제공한다. 게다가, 교반 컨베이어(A380)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는, 노즐 수납부(A330)의 토너 수납 개구(A392)의 근처로부터 용기 본체(A033)의 내표면을 향해 연장되는 리프팅 부분(A382)이 배치된다.
리프팅 부분(A382)은 노즐 수납부(A330)의 회전 방향에서 토너 수납 개구(A392)에 비해 더 상류측으로부터 연장된다. 교반 컨베이어(A380)의 회전으로 인해, 리프팅 부분(A382)은 토너(T)를 하부측으로부터 상부측으로 상승시키고 토너(T)를 토너 수납 개구(A392) 내로 운반시킨다. 이때, 노즐 수납부(A330)의 분체 수납 개구(A392)는 분체 수납 개구(A392)가 노즐 개구 위를 통과하도록 회전한다. 여기서, 교반 컨베이어(A380)는 리프팅 부분(A382)이 토너 수납 개구(A392)의 에지에서 접선 방향에 관하여 예정된 각도를 형성하도록 노즐 수납부(A330)에 부착된다.
토너 용기(A0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부착될 때에, 토너 수납 개구(A392)는 노즐 수납부(A330)의 노즐 수납 개구(A331)로부터 삽입된 반송 노즐(611)의 노즐 개구(610)와 연통된다. 그 결과, 토너(T)를 토너 용기(A032)로부터 토너 보충 디바이스(60)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2 및 도 45에 예시된 구성에서, 교반 컨베이어(A380)의 형태는 샤프트를 대칭축으로서 고려하면서 한 쌍의 평판을 나선형으로 꼬아서 얻어진다. 리프팅 부분(A382)은 회전 방향에 관하여 패들 날개의 형태이다.
용기 전방 단부 커버(A034)는 용기 전방 단부측으로부터 용기 기어(A301)를 덮을 뿐만 아니라 그 위에 IC 태그(700; 후술함)를 유지한다. 용기 전방 단부 커버(A034)는 노즐 수납부(A330)의 제2 외표면(A330d)을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지지하는 제1 용기 커버(A308a)를 갖고; 용기 본체(A033)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 고정되고 노즐 수납부(A300)의 제1 외표면(A330c)을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지지하는 제2 용기 커버(A308b)를 갖는다. 제1 용기 커버(A308a)는 제2 용기 커버(A308b)에 고정되어 용기 전방 단부 커버(A034)를 구성한다. 게다가, 용기 전방 단부 커버(A034)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A034)의 양쪽 하부측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 안내부(A361)를 포함하고, 용기 결합부(A339)를 포함하며, 토너 용기(A032)의 부착-탈착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돌출하는 컬러 특정 리브(A034b)를 포함한다. 한편, 용기 전방 단부 커버(A03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일한 외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토너 보충 디바이스(60) 내로 토너 용기(A032)를 체결할 때에, 용기 전방 단부 커버(A034)의 양쪽 하부측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 안내부(A361)는 도 5에 예시된 용기 수납부(72) 위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도록 용기 전방 단부 커버(A034)를 위한 안내부로서 기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는, 4개의 토너 용기(A032) 바로 아래에, 용기 본체(A033)의 샤프트 방향이 종방향의 역할을 하면서 4개의 홈이 삽입 홀부(71)로부터 용기 커버 수납부(73)까지 형성된다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한 쌍의 슬라이드 안내부(A361)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A034)가 홈 내에 체결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용기 수납부(72)에 형성된 각 홈에는 용기 수납부(72)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슬라이드 레일이 형성된다. 한 쌍의 슬라이드 레일을 위쪽 및 아래쪽에서 샌드위치하도록, 각 슬라이드 안내부(A361)는 용기 본체(A033)의 샤프트 방향에 평행한 슬라이드 거터(A361a)를 갖는다.
게다가, 토너 용기(A032)를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체결할 때에, 용기 결합부(A339)는 세팅 커버(608)에 배치되는 보충 디바이스 결합 부재(609)와 결합된다. 게다가, 각 용기 결합부(A339)는 대응하는 보충 디바이스 결합 부재(609)와의 상대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거터(A339b)와, 토너 용기(A0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부착된 상태에서 대응하는 보충 디바이스 결합 부재(609)와 결합되는 결합 홀(A339d)을 포함한다.
용기 전방 단부 커버(A034)의 제1 용기 커버(A308a)는 안내 거터(A339b)를 구성하고 토너 용기(A032)의 사용 상태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에 사용되는 ID 태그(IC 태그)(700)를 포함한다. 게다가, 제1 용기 커버(A308a)는 노즐 수납부(A330)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 단부를 통과시키고 제2 외표면(A330d)을 노출시키도록 사용되는 관통홀(A308e)을 포함한다. 게다가, 종방향에서 제1 용기 커버(A308a)와 노즐 수납부(A330)의 위치 관계는 노즐 수납부(A330)의 용기 전방 단부측으로부터 제2 외표면(A330d) 내에 체결되는 링 정지부(A306)에 의해 조절된다.
한편, 컬러 특정 리브(A034b)는 특정한 컬러의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용기(A032)가 상이한 컬러 토너에 대응하는 세팅 커버(608)에 체결되는 상황을 방지한다.
용기 전방 단부 커버(A034) 상에는 용기 기어(A301)의 일부(도 43에 예시된 중앙 뒷면측)가 노출되는 기어 노출 홀(A034a)이 형성된다. 그러한 구성에 의해, 토너 용기(A0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부착될 때에, 기어 노출 홀(A034a)로부터 노출되는 용기 기어(A301)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의 용기 구동 기어(601)와 기어 체결될 수 있다. 그 결과, 화상 형성 장치의 주 본체로부터 토너 용기(A032)의 회전 가능한 부재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6은 토너 용기(A032)의 교반기 조립체(A390)의 구성요소들 중에 회전 가능한 부재들, 즉 용기 기어(A301), 노즐 수납부(A330) 및 교반 컨베이어(A380)의 분해도이다. 도 46에서, 점선은 이들 회전 가능한 부재들의 스핀들을 가리킨다. 따라서, 용기 기어(A301), 노즐 수납부(A330), 및 교반 컨베이어(A380)는 동일한 스핀들을 갖도록 구성된다.
용기 본체(A033)에 관하여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배치되는 노즐 수납부(A330)와 교반 컨베이어(A380)를 포함하는 교반기 조립체(A390)에 관한 설명이 아래에 제공된다.
도 47은 노즐 수납기(A330)와 교반 컨베이어(A380)를 포함하는 교반기 조립체(A39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8은 교반 컨베이어(A380)의 샤프트가 없는 구성에서 노즐 수납부(A330)와 교반 컨베이어(A380)의 횡단면도이다.
도 46과 도 47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교반기 조립체(A390)는 용기 기어(A301), 2개의 교반 컨베이어(A380) 및 샤프트(A334)를 노즐 수납부(A330)에 관하여 조립함으로써 구성된다. 용기 셔터 스프링(A336)과 용기 셔터(A332)가 노즐 수납부(A330)의 노즐 수납 개구(A331) 내에 삽입되고 세팅된 후에, 셔터 핀(A340)이 용기 셔터(A332)의 홀을 통해 그리고 노즐 수납부(A330)의 안내 슬릿(330g)을 통해 회전축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삽입된다. 게다가, 용기 셔터(A332)는 후크를 갖고, 노즐 수납부(A330)의 용기 스프링 지지부(A330b)는 후크가 걸리는 홀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용기 셔터(A332)와 노즐 수납부(A330)가 함께 조립될 수 있다.
교반기 조립체(A390)는 용기 기어(A301)를 통해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의 용기 구동 기어(601)의 구동을 수신한다. 이는 노즐 수납부(A330)가 회전하게 하고 교반 컨베이어(A380)가 회전하게 한다. 교반 컨베이어(A380)가 회전할 때에, 용기 본체(A033)의 용기 후방 단부측에 존재하는 토너(T)가 토너 수납 개구(A392)가 형성되는 용기 전방 단부측으로 반송될 뿐만 아니라, 용기 본체(A033) 내에 존재하는 토너(T)가 경화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리프팅 부분(A382)이 교반 컨베이어(A380)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교반 컨베이어(A380)가 회전할 때에, 리프팅 부분(A382)은 용기 전방 단부측으로 반송된 토너(T)를 노즐 수납부(A330)에 형성된 토너 수납 개구(A392)까지 상승시키고, 토너(T)를 토너 수납 개구(A392) 내로 운반한다. 이어서, 토너 수납 개구(A392)에 진입한 토너(T)는 노즐 수납 개구(A331) 내에 삽입되고 노즐 개구(610)를 통해 토너 수납 개구(A392)에 연통되는 반송 노즐(611)에 순차적으로 진입한다.
도 4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기어(A301)와 노즐 수납부(A330)는 노즐 수납부(A330)의 제1 외표면(A330c) 상에 형성된 키 볼록부(A391)와 결합된다. 그러나, 이는 유일하게 가능한 구성이 아니다. 대안적으로, 용기 기어(A301)와 노즐 수납부(A330)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될 수 있거나 슬라이드 핀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즉, 토너 보충 디바이스(60)로부터 노즐 수납부(A330)로 구동이 전달될 수 있는 한, 임의의 타입의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대안적으로, 용기 기어(A301)와 노즐 수납부(A330)는 통합된 방식으로 몰딩될 수 있거나, 노즐 수납부(A330)와 교반 컨베이어(A380)가 통합된 방식으로 몰딩될 수 있다.
이는 조립 프로세스를 합리화하고 비용 절감을 달성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샤프트(A334)는 회전하는 동안에 노즐 수납부(A300)의 센터 런아웃(회전 불규칙)을 방지하도록 배치된다. 그러나, 노즐 수납부(A330)가 회전하는 동안에 센터 런아웃을 피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갖는다면, 도 4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를 포함하지 않는 구성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한 구성에서, 교반 컨베이어(A380)가 후방 단부 뚜껑(A307)의 중앙 부분에서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지지되도록 교반 컨베이어(A380)의 용기 후방 단부측에 중앙 핀(A381)이 배치될 수 있다.
게다가, 노즐 수납부(A330)가 용기 전방 단부 커버(A034) 및 제1 용기 커버(A308a)와 슬라이드하는 부분에 베어링을 이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여기서, 베어링은 또한 토너 밀봉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토너 용기(A032)가 용기 유지부(70) 내에 삽입될 때에, 반송 노즐(611)의 전방 단부는 노즐 수납 개구(A331)에 진입한다. 토너 용기(A032)가 용기 유지부(70) 내에 더 삽입될 때에, 반송 노즐(611)의 전방 단부는 용기 셔터(A332)에 대해 접촉한다. 그 결과, 용기 셔터(A332)는 용기 셔터 스프링(A336)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용기 후방 단부측을 향해 압박된다. 따라서, 용기 셔터(A332)는 용기 후방 단부측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토너 수납 개구(A392)는 반송 노즐(611)의 노즐 개구(610)와 연통된다.
토너 수납 개구(A392)가 반송 노즐(611)의 노즐 개구(610)와 연통되면, 토너(T)를 유입(공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여기서, 토너 수납 개구(A392)와 교반 컨베이어(A380)의 리프팅 부분(A382) 간의 위치 관계는 바람직하게는 토너 수납 개구(A392) 내로 토너(T)의 원활한 진입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로 세팅된다.
도 49의 (b)에는 반송 스크류(614)를 포함하는 반송 노즐(611)이 토너 수납 개구(A392)의 위치에서 삽입되는 노즐 수납부(A330)를 절단함으로써 취득한 단면이 예시되어 있고, 용기 전방 단부측으로부터 용기 후방 단부측을 향한 단면을 보여준다. 도 49의 (a)에는 반송 노즐(611)의 노즐 개구(610) 뿐만 아니라 토너 수납 개구(A392)가 반송 스크류(614)의 회전 중앙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구성을 예시하는 비교도가 예시되어 있다. 반송 스크류(614)가 도 49를 참조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토너(T)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로 반송된다.
도 49의 (a)에 예시된 구성에서, 노즐 개구(610)와 토너 수납 개구(A392)는 중력 방향에서 반송 스크류(614)의 회전 중심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서 개방된다. 게다가, 이들 개구는 모두 반송 스크류(614)의 직경보다 넓다. 토너(T)가 노즐 개구(610)와 토너 수납 개구(A392)보다 높은 위치로부터 낙하할 때에, 토너 수납 개구(A392)를 통해 연통되는 노즐 개구(610)로부터 반송 노즐(611) 내에 토너(T)를 유입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반송 노즐(611)에 의해 반송되는 반송 스크류(614)의 영역은 반송 스크류(614)의 하부 절반 영역을 나타낸다. 따라서, 반송 스크류(614)가 노즐 개구(610)를 통해 공급된 토너(T)를 토너 보충 디바이스(60)로 반송하기 위해 회전할 때에, 토너(T)는 반송 스크류(614)의 회전과 함께 경사진 방식으로 앞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토너(T)는 반송 노즐(611)의 상부 절반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낙하한다. 이 때문에, 토너 보충 디바이스(60)로 반송 스크류(614)에 의해 반송되는 토너의 양이 토너 수납 개구(A392)와 노즐 개구(610)를 통해 반송 노즐(611)로 공급된 토너의 양에 비해 감소한다.
이와 달리, 도 49의 (b)에 예시된 구성에서, 노즐 개구(610)와 토너 수납 개구(A392)는 중력 방향에서 반송 스크류(614)의 회전 중심보다 높을 뿐만 아니라 반송 스크류(614)의 상단부보다 높은 위치에서 개방된다. 게다가, 이들 개구 모두는 반송 스크류(614)의 직경보다 좁다.
따라서, 토너(T)가 노즐 개구(610)와 토너 수납 개구(A392)보다 높은 위치로부터 낙하될 때에, 토너 수납 개구(A392)를 통해 연통되는 노즐 개구(610)로부터 반송 노즐(611) 내측에 토너(T)를 유입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구성에서, 반송 스크류(614)는 반송 노즐(611)에 의해 도 49의 (a)에 예시된 구성에 비해 상부측 영역까지[반송 스크류(614)의 상단부 근처까지] 반송된다. 이 때문에, 반송 스크류(614)가 노즐 개구(610)를 통해 공급된 토너(T)를 토너 보충 디바이스(60)로 반송하도록 회전할 때에, 토너(T)는 회전과 함께 경사진 방식으로 앞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토너(T)는 반송 노즐(611)의 내표면이 토너(T)가 외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반송 노즐(611) 내에 유지 및 반송된다. 따라서, 도 49의 (b)에 예시된 구성에서, 반송 스크류(614)에 의해 토너 보충 디바이스(60)로 반송된 토너의 양은 수납 개구(A392)와 노즐 개구(610)를 통해 반송 노즐(611)로 공급된 토너의 양과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이는 토너 용기(A032)로부터 토너 보충 디바이스(60)로 공급되는 토너의 양을 쉽게 제어하게 한다.
한편, 제10 실시예에서, 노즐 수납부(A330)는 용기 셔터(332)를 지지하는 용기 셔터 지지부(A330a)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용기 셔터 스프링(A336)을 유지한다.
도 49의 (a)에 예시된 구성에서, 용기 셔터 스프링(A336)의 원주 방향은 중력 방향에서 노즐 수납부(A330)의 하부 절반의 내표면(A330a)(용기 셔터 지지부)에 의해 유지된다. 게다가, 용기 셔터 스프링(A336)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는 용기 셔터(A332)가 배치되고, 용기 셔터 스프링(A336)의 용기 후방 단부측은 노즐 수납부(A330)의 용기 스프링 지지부(A330b)에 의해 유지된다. 그러한 타입의 노즐 수납부(A330)에서, 반송 노즐(611)은 노즐 수납 개구(A331)로부터 삽입된다. 이어서, 반송 노즐(611)의 전방 단부는 용기 셔터(A332)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 대해 접촉한다. 따라서, 용기 셔터(A332)가 용기 후방 단부측을 향해 이동할 때에, 용기 셔터 스프링(A336)의 압축이 시도되면, 압축력이 상방향으로 탈출함으로써 용기 셔터 스프링(A336)의 상부측이 노즐 수납부(A330)의 내표면(A330a)(셔터 지지부)에 의해 덮이지 않기 때문에 용기 셔터 스프링(A336)의 좌굴을 유발한다. 용기 셔터 스프링(A336)의 좌굴이 발생하면, 노즐 수납 개구(A331)는 그 자체가 폐쇄할 수 없다. 그 결과, 토너 용기(A032)를 토너 보충 디바이스(60)로부터 제거할 때에, 토너는 노즐 수납 개구(A331)로부터 모든 방향으로 날린다.
이와 달리, 도 49의 (b)에 예시된 구성에서, 토너 수납 개구(A392)를 제외하고, 용기 셔터 스프링(A336)의 원주 영역이 용기 셔터 지지부(A330a)에 의해 덮인다. 반송 노즐(611)이 노즐 수납 개구(A331)로부터 삽입될 때에, 반송 노즐(611)의 전방 단부는 용기 셔터(A332)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 대해 접촉한다. 이어서, 용기 셔터(A332)가 용기 후방 단부측을 향해 이동할 때에, 용기 셔터 스프링(A336)의 압축이 시도되면, 용기 셔터 스프링(A336)이 또한 노즐 수납부(A330)의 내표면(A330a)(셔터 지지부)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부터 유지되기 때문에 압축력은 상방향으로 탈출하는 것이 조절된다. 그러므로, 용기 셔터 스프링은 용기 셔터(A332)의 이동 방향으로 압축된다. 이 때문에, 도 49의 (b)에 예시된 구성에서, 용기 셔터 스프링(A336)의 좌굴이 발생하고 노즐 수납 개구(A331)가 그 자체를 폐쇄할 수 없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방식에서, 노즐 개구(610)와 토너 수납 개구(A392)가 중력 방향에서 반송 스크류(614)의 회전 중심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서 개방하는 도 49의 (a)에 예시된 구성에 비해, 노즐 개구(610)와 토너 수납 개구(A392)가 중력 방향으로 반송 스크류(614)의 회전 중심보다 높은 위치에서 개방되는 구성에서, 공급된 토너의 양에 안정성을 갖고 토너 스캐터링을 방지하는 것이 예상될 수 있다. 게다가, 도 49의 (a)에 예시된 구성에 비해, 노즐 개구(610)와 토너 수납 개구(A392)가 중력 방향으로 반송 스크류(614)의 회전 중심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도 49의 (b)에 예시된 구성에서, 개구들은 더 좁아진다. 이 때문에, 노즐 개구(610)와 토너 수납 개구(A392)가 연통되는 타이밍에 토너(T)를 노즐 개구(610) 내로 원활하게 운반할 수 있다.
제10 실시예에 따른 축적부의 예로서, 토너를 토너 수납 개구(A392)의 상부측까지 상승시키고 토너를 토너 수납 개구(A392) 내로 운반하는 복수 개의 예시적인 구성에 관한 설명이 아래에 제공된다.
도 50 내지 도 55는 회전 방향에서 토너 수납 개구(A392) 내로 토너(T)의 원활한 진입을 가능하게 하는 교반 컨베이어(A380)의 리프팅 부분과 토너 수납 개구(A392) 간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용기 본체(A033) 내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 반송된 토너(T)가 교반 컨베이어(A380)의 리프팅 부분(A382)에 의해 원활하게 상승되고 토너 수납 개구(A392) 내로 운반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토너가 리프팅 부분(A382)의 근처에 축적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노즐 수납부의 토너 수납 개구(A392)가 상부에 형성된 제1 외표면(A339c)에 관한 리프팅 부분(A382)의 장착 각도가 중요한 인자이다.
도 50은 토너 수납 개구(A392)와 교반 컨베이어(A380)의 리프팅 부분(A382)을 회전축 방향(샤프트 방향)에서 용기 후방 단부측으로부터 용기 전방 단부측을 향해 보았을 때에 노즐 수납부(A330)의 토너 수납 개구(A392)의 근처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토너 수납 개구(A392)가 상부에 형성된 노즐 수납부(A330)와, 교반 컨베이어(A380)를 포함하는 교반기 조립체(A390)는 도 50을 참조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도 50에서, 교반 컨베이어(A380)에 포함되는 토너 수납 개구(A392)와 리프팅 부분(A382)의 단일 세트만이 대표적인 예로서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제10 실시예에 따른 도 45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교반 컨베이어(A380)에 포함되는 토너 수납 개구(A390)와 리프팅 부분(A382)의 하나 이상의 세트가 회전 중심에 관하여 점 대칭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대안적으로, 토너 수납 개구(A392)와 리프팅 부분(A382)의 2개보다 많은 세트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즉, 토너 수납 개구(A392)와 리프팅 부분(A382)의 세트의 개수는 원하는 토너 보충 속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교반 컨베이어(A380)에 포함되는 토너 수납 개구(A392)와 리프팅 부분(A382)의 복수 개의 세트를 갖는 경우에, 등간격으로 토너 수납 개구(A392)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토너를 토너 수납 개구(A392) 내에 운반하는 규칙적인 시간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도 50에 예시된 예에서, 교반 컨베이어(A380)는 리프팅 부분(A382)이 노즐 수납부(A330)의 회전 방향으로 토너 수납 개구(A392)의 상류측 에지에서 접선 방향에 관하여 각도(θ)를 형성하도록[즉, 도 50에 예시된 점선에 관하여 각도(θ)를 형성하도록] 노즐 수납부(A330)에 부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도(θ)는 노즐 수납부(A330)의 회전 방향에서 노즐 수납부(A330)의 회전 중심과 토너 수납 개구(A392)의 상류측 에지를 연결하는 가상 직선에 직교하는 법선에 관하여 리프팅 부분(A382)의 토너 수납 개방측에 기단면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를 가리킨다. 리프팅 부분(A382)을 이용하여 토너(T)를 토너 수납 개구(A392) 내로 운반하는 기능에 관한 한, 리프팅 부분(A382)의 토너 수납 개구측의 표면과 토너 수납 개구(A392) 간의 관계가 가장 중요하다. 도 50에서, 각도(θ)는 둔각인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토너 수납 개구(A392)가 상부측에 위치될 때에, 구성은 리프팅 부분(A382)이 경사면이 되도록 토너 수납 개구(A392)에 관하여 개방된다. 이에 의해, 리프팅 부분(A382)은 토너(T)를 유지하고 중력 방향에 대해 토너 수납 개구(A392)보다 높은 위치까지 상승시키는 축적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51은 토너(T)가 토너 수납 개구(A392)보다 높은 위치까지 상승되고, 각도(θ)가 둔각인 도 50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토너 수납 개구(A392)와 리프팅 부분(A382)의 구성을 이용하여 토너 수납 개구(A392)로 안내되는 상태를 예시한다. 연대순으로, 도 51의 (b)에 예시된 상태는 도 51의 (a)에 예시된 상태 다음이고, 도 51의 (c)에 예시된 상태는 도 51의 (b)에 예시된 상태 다음이다. 한편, 도 51을 참조한 설명에서 간소화를 위해, 노즐 수납부(A330) 내에 삽입되는 반송 노즐(611)의 반송 스크류(614)는 예시되어 있지 않다.
토너 용기(A0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부착되는 상태에서, 구동 모터(603)는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의 용기 구동 기어(601)로부터의 구동이 용기 기어(A301)로 전달됨으로써 도 51의 (a)에 예시된 화살표(B)의 방향으로 노즐 수납부(A330)의 회전을 초래하도록 구동될 때에, 리프팅 부분(A382)의 근처에 존재하는 토너(T)가 상승된다. 노즐 수납부(A330)가 도 51의 (a)에 예시된 화살표(B)의 방향으로 더 회전할 때에, 리프팅 부분(A382)은 도 51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은 실질적으로 수평 연장 상태에 도달하고 토너(T)가 리프팅 부분(A382) 상에 올라간다. 노즐 수납부(A330)가 도 51의 (b)에 예시된 화살표(B)의 방향으로 더 회전할 때에, 리프팅 부분(A382)은 도 51의 (c)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토너 수납 개구(A392)에 관하여 경사면을 만드는 상태에 도달하고(즉, 도 50에 예시된 상태에 도달하고), 리프팅 부분(A382) 상에 올라간 토너(T)가 더 상승된다. 그 결과, 토너(T)는 경사면을 따라 토너 수납 개구(A392) 내로 슬라이드한다.
이어서, 토너 수납 개구(A392)를 통해, 토너(T)는 노즐 수납부(A330) 내에 삽입된 반송 노즐(611)의 노즐 개구(610) 내로 낙하한다. 이어서, 반송 스크류(614)의 회전으로 인해, 토너(T)는 토너 보충 디바이스(60)로 공급된다. 이 방식에서, 리프팅 부분(A382)이 노즐 수납부(A330)의 회전 방향에서 토너 수납 개구(A392)의 상류측 에지에서 접선 방향(도 50에 점선으로 예시됨)에 관하여 둔각(θ)을 형성하도록 교반 컨베이어(A380)가 노즐 수납부(A330)에 부착되는 도 50에 예시된 구성에서, 리프팅 부분이 토너를 중력 방향에 대항하여 토너 수납 개구보다 높은 위치까지 상승시키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상승된 토너가 반송 노즐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승된 토너를 토너 수납 개구로 안내할 수 있다.
한편, 회전축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리프팅 부분(A382)의 단면 형태는 도 50 및 도 5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직선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도 52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교반 컨베이어(A380)의 리프팅 부분(A382)은 토너 수납 개구(A392)의 근처에서 부착되는 측면에 대향하고 용기 본체(A033)의 내표면을 향해 연장되는 측면 상의 리프팅 부분(A382)의 단부가 도 52의 (a)의 화살표(B)에 의해 표시되는 회전 방향으로 하류측을 향해 만곡되는 그러한 만곡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꿔 말해서, 리프팅 부분(A382)은 축적부의 역할을 하고 리프팅 부분(A382)의 베이스와 리프팅 부분(A382)의 단부 사이의 부분에서 만곡되도록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도 52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교반 컨베이어(A380)의 리프팅 부분(A382)은 용기 본체(A033)의 내표면을 향해 연장되는 전체 리프팅 부분(A382)이 도 52의 (b)에 예시된 화살표(B)의 방향에 관하여 움푹 들어간 예정된 곡률을 갖도록 세팅되는 그러한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꿔 말해서, 리프팅 부분(A382)은 축적부의 역할을 하고, 리프팅 부분(A382)의 베이스와 리프팅 부분(A382)의 단부 사이의 부분에서 만곡되도록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체 리프팅 부분(A382)이 도 52의 (b)의 곡선 형태를 갖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용기 본체(A033)의 내표면을 향해 연장되는 측면 근처의 부분과 같은 일부만이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대안적으로, 도 52의 (c)에 예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부분(A382)은 도 52의 (a)에 예시된 만곡 형태의 단부를 더 만곡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다중 만곡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꿔 말해서, 리프팅 부분(A382)은 축적부의 역할을 하고 리프팅 부분(A382)의 베이스와 리프팅 부분(A382)의 단부 사이에 복수 개의 위치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52에 있어서, 회전축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교반 컨베이어(A380)의 리프팅 부분(A382)의 단면 형태는 도 52에 예시된 화살표(B)의 방향에 관하여 움푹 들어간 만곡 형태이다. 그러한 단면 형태의 결과로서, 상승된 토너(T)를 리프팅 부분(A382) 상에 유지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게다가, 도 50에 예시된 구성과 동일한 방식으로, 교반 컨베이어(A380)는 리프팅 부분(A382)이 노즐 수납부(A330)의 회전 방향에서 토너 수납 개구(A392)의 상류측 에지에서 접선 방향에 관하여 둔각(θ)을 형성하도록 노즐 수납부(A330)에 부착된다. 이 때문에, 리프팅 부분(A382) 상에 유지된 토너(T)는 토너 수납 개구(A392) 내로 더 용이하게 슬라이딩할 수 있다.
도 53은 낙하 방지벽(A383)이 교반 컨베이어(A380)의 리프팅 부분(A382)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 측면으로부터 직립되는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교반 컨베이어(A380)가 용기 후방 단부측으로부터 용기 전방 단부측을 향한 방향으로 반송력을 토너(T)에 가하기 때문에, 리프팅 부분(A382)의 위치에 존재하는 토너(T)가 또한 용기 후방 단부측으로부터 용기 전방 단부측을 향해 반송력을 동일하게 받는다. 그러한 반송력 때문에, 리프팅 부분(A382) 상에 존재하는 토너(T)는 때때로 리프팅 부분(A382)의 용기 전방 단부측으로부터 낙하한다. 그와 관련하여, 낙하 방지벽(A383)은 리프팅 부분(A382)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 측면으로부터 직립된다. 낙하 방지벽(A383)을 직립시킨 결과, 리프팅 부분(A382) 상에 존재하는 토너(T)가 리프팅 부분(A382)의 용기 전방 단부측으로부터 낙하하는 거리를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3에서, 회전축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교반 컨베이어(A380)의 리프팅 부분(A382)의 단면 형태는 2개의 위치에서, 즉 부착된 부분의 근처에서 그리고 단부의 근처에서 만곡되는 슬라이드형 형태이다. 그러한 단면 형태에서도, 만곡 형태는 도 53에 예시된 화살표(B)의 방향에 관하여 움푹 들어가 있다. 그러므로, 도 52에 예시된 구성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승된 토너(T)를 리프팅 부분(A382) 상에 유지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게다가, 도 50에 예시된 구성과 동일한 방식으로, 교반 컨베이어(A380)는 리프팅 부분(A382)이 노즐 수납부(A330)의 회전 방향으로 토너 수납 개구(A392)의 상류측 에지에서 접선 방향에 관하여 둔각(θ)을 형성하도록 노즐 수납부(A330)에 부착된다. 이 때문에, 리프팅 부분(A382) 상에 유지되는 토너(T)는 토너 수납 개구(A392)로 더 용이하게 슬라이드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3을 참조하여 설명된 낙하 방지벽(A383)은 또한 도 50 또는 도 52에 예시된 교반 컨베이어(A380)의 리프팅 부분(A382) 상에 직립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53에 예시된 구성과 동일한 방식으로, 리프팅 부분(A382) 상에 존재하는 토너(T)가 리프팅 부분(A382)의 용기 전방 단부측으로부터 낙하하는 경우를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0과 동일한 방식으로, 도 54는 토너 수납 개구(A392)와 교반 컨베이어(A380)의 리프팅 부분(A382)이 회전축 방향에서 용기 후방 단부측으로부터 용기 전방 단부측을 향해 보았을 때에 노즐 수납부(A330)의 토너 수납 개구(A392)의 근처의 단면도이다.
도 54에 예시된 구성은 리프팅 부분(A382)이 노즐 수납부(A330)의 회전 방향으로 토너 수납 개구(A392)의 상류측 에지에서 접선 방향(도 54에 점선에 의해 예시됨)에 관하여 둔각(θ)을 형성한다는 점을 제외하고 도 50에 예시된 구성과 동일하다.
도 55는 각도(θ)가 둔각인 도 5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토너(T)가 토너 수납 개구(A392)와 리프팅 부분(A382)의 구성을 이용하여 토너 수납 개구(A392)로 안내되는 구성을 예시한다. 연대순으로, 도 55의 (b)에 예시된 상태는 도 55의 (a)에 예시된 상태 다음이고, 도 55의 (c)에 예시된 상태는 도 55의 (b)에 예시된 상태 다음이다. 한편, 도 55를 참조한 설명의 간소화를 위해, 노즐 수납부(A330) 내에 삽입되는 반송 노즐(611)의 반송 스크류(614)는 예시되어 있지 않다.
토너 용기(A0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부착되는 상태에서,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의 용기 구동 기어(601)로부터의 구동이 용기 기어(A301)로 전달되도록 구동 모터(603)가 구동될 때에, 노즐 수납부(A330)가 회전을 시작하고 노즐 수납부(A330)의 리프팅 부분(A382)이 회전을 시작한다. 리프팅 부분(A382)이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도 55의 (a)에 예시된 상태에서, 토너(T)는 리프팅 부분(A382) 상에 올라간다. 노즐 수납부(A330)가 도 55의 (a)에 예시된 화살표(B)의 방향으로 더 회전할 때에, 리프팅 부분(A382)은 도 55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토너 수납 개구(A392)에 관하여 경사면을 형성하는 상태에 도달한다. 그러나, 중력에 의해 떨어지는 토너(T)를 수납하기 위하여, 반송 노즐(611)의 노즐 개구(610)는 도 55를 참조하여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 55의 (b)에 예시된 상태에서, 토너 수납 개구(A392)와 노즐 개구(610)는 연통되지 않는다. 그 결과, 토너(T)는 토너 수납 개구(A392)와 노즐 개구(610)를 통해 반송 노즐(611)로 공급될 수 없다.
노즐 수납부(A330)가 도 55의 (b)에 예시된 화살표(B)의 방향으로 더 회전할 때에, 토너 수납 개구(393)와 노즐 개구(610)가 연통되기 전에 토너(T)는 그 자체의 중력으로 인해 낙하하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토너 수납 개구(A392)와 노즐 개구(610)가 연통되는 도 55의 (c)에 예시된 상태에서, 리프팅 부분(A382)에 의해 상승된 토너(T)는 토너 수납 개구(A392)의 근처에서 소량으로만 남아 있다. 그 결과, 소량의 토너만이 노즐 개구(610)를 통해 토너 보충 디바이스(60)로 공급된다.
도 55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리프팅 부분(A382)이 노즐 수납부(A330)의 회전 방향으로 토너 수납 개구(A392)의 상류측 에지에서 접선 방향(도 55의 점선에 의해 예시됨)에 관하여 예각(θ)을 형성하면, 각도(θ)가 둔각인 도 50, 도 51 및 도 52에 예시된 구성에 비해 소량의 토너만이 노즐 개구(610)를 통해 토너 보충 디바이스(60)로 공급된다.
여전히, 토너 수납 개구(A392)와 교반 컨베이어(A380)의 리프팅 부분(A382)의 복수 개의 세트가 배치되면, 교반기 조립체(A390)의 회전 당 공급된 토너의 양이 증가될 수 있다. 게다가, 교반기 조립체(A390)의 회전 횟수와 공급된 토너의 양 간의 관계에 따라 공급된 토너의 충분한 양이 보장될 수 있다면, 도 55에 예시된 구성을 채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토너 용기(A032)를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체결하는 작동에 관한 설명이 아래에 제공된다.
도 44 또는 도 42에 예시된 화살표(Q)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A0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의 방향으로 이동될 때에, 반송 노즐(611)의 노즐 전방 단부는 노즐 수납 개구(A331) 내에 삽입된다. 토너 용기(A0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의 방향으로 더 이동될 때에, 반송 노즐(611)의 전방 단부(611a)는 용기 셔터(A332)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 단부면과 접촉하게 된다. 토너 용기(A0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의 방향으로 더 이동될 때에, 반송 노즐(611)은 용기 셔터(A332)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 단부면을 압박한다. 이 때문에, 용기 셔터 스프링(A336)은 압축을 받는다. 따라서, 용기 셔터(A332)는 토너 용기(A032)의 내향측으로 압박된다(즉, 용기 후방 단부측으로 압박된다). 이때, 노즐 셔터(612)의 노즐 셔터 플랜지(612a)에 비해 더 노즐 전방 단부를 향해 위치되는 노즐 셔터 튜브(612a)는 반송 노즐(611)과 함께 노즐 수납 개구(331) 내에 삽입된다.
토너 용기(A0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의 방향으로 더 이동될 때에, 노즐 셔터 스프링 수납면(612f)에 대향하는 노즐 셔터 플랜지(612a)의 표면은 용기 시일(A333)의 용기 전방 단부측과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토너 용기(A032)에 관한 노즐 셔터(612)의 회전축 방향(샤프트 방향)에서의 상대 위치가 고정된다.
토너 용기(A0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의 방향으로 더 이동될 때에, 반송 노즐(611)은 토너 용기(A032)의 내향측 상에 더 삽입된다. 이때, 용기 시일(A333)의 용기 전방 단부측과 접촉한 노즐 셔터(612)는 반송 노즐(611)에 관하여 노즐 기단부를 향해 다시 압박된다. 그 결과, 노즐 셔터 스프링(613)이 압축을 받고 반송 노즐(611)에 관한 노즐 셔터(612)의 상대 위치가 노즐 기단부를 향해 이동한다. 상대 위치의 이동과 동반하여, 노즐 셔터(612)에 의해 덮인 노즐 개구(610)는 용기 본체(A033) 내에서 노출되고, 용기 본체(A033)의 내측이 반송 노즐(611)의 내측과 연통된다.
반송 노즐(611)이 노즐 수납 개구(A331) 내에 삽입되는 상태에서, 압축 상태에서의 용기 셔터 스프링(A336)의 압박력 또는 압축 상태에서의 노즐 셔터 스프링(613)의 압박력 때문에,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관하여 토너 용기(A032)를 압박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즉, 도 44 또는 도 42에 예시된 화살표(Q)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그러나, 토너 용기(A032)를 토너 보충 디바이스(60) 내로 체결할 때에, 토너 용기(A032)는 토너 결합부(A339)가 보충 디바이스 결합 부재(609)와 결합될 때까지 전술한 힘에 대항하는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용기 셔터 스프링(A336)의 압박력 및 노즐 셔터 스프링(613)의 압박력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보충 디바이스 결합 부재(609)에 관하여 용기 결합부(A339)의 결합 작용이 존재한다. 압박력과 결합의 그러한 작용 때문에, 도 45에 예시된 상태에서,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관한 토너 용기(A032)의 회전축 방향(샤프트 방향)에서의 위치 결정이 행해진다.
도 44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 용기 결합부(A339)는 안내 돌출부(A339a), 안내 거터(A339b), 범프(A339c) 및 네모꼴 결합 홀(A339d)을 포함한다. 단일 세트를 형성하는 이들 구성 요소에 의해, 2개의 그러한 세트는 노즐 수납 개구(A331)를 통과하는 가상 수직선에 관하여 용기 전방 단부 커버(A034)의 양면 상에 한 쌍의 용기 결합부(A339)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각 안내 돌출부(A339a)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A034)의 전방 단부측에서 수직 평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안내 돌출부(A339a)는 노즐 수납 개구(A331)의 중앙을 통과하는 가상 수평선 상에 있다. 게다가, 각 안내 돌출부(A339a)는 토너 용기(A032)를 체결할 때에 보충 디바이스 결합 부재(609)가 안내 돌출부(A339a)에 대해 접촉하고 안내 거터(A339b)를 향해 안내되도록 대응하는 안내 거터(A339b)에 연결되는 경사면을 갖는다. 여기서, 각 안내 거터(A339b)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A034)의 측면 주변면보다 낮은 높이에 형성된다.
게다가, 안내 거터(A339b)의 거터 폭은 보충 디바이스 결합 부재(609)의 폭보다 약간 크고, 보충 디바이스 결합 부재(609)가 거터로부터 낙하하지 않는 범위로 세팅된다.
각 안내 거터(339b)의 용기 후방 단부측은 대응하는 결합 홀(A339d)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데드 단부를 갖는다. 게다가, 각 안내 거터(339b)의 용기 후방 단부측은 용기 전방 단부 커버(A034)의 측면 주변면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즉, 각 안내 거터(A339b)와 대응하는 결합 홀(A339d) 사이에는 약 1 ㎜ 두께의 용기 전방 단부 커버(A034)의 외표면이 존재한다. 그 부분은 대응하는 범프(A339c)에 대응한다. 보충 디바이스 결합 부재(609)는 범프(A339c) 위에 올라타 결합 홀(A339d) 내에 안착한다. 이에 의해,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관한 토너 용기(A032)의 결합이 달성된다.
제10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A032)에서, 용기 전방 단부 커버(A034)는 제1 용기 커버(A308a)를 포함한다. 제1 용기 커버(A308a)는 용기 전방 단부측으로부터 용기 전방 단부 커버(A034)에 부착되기 때문에, 제1 용기 커버(A308a)는 외측으로부터 용기 전방 단부 커버(A034)를 덮는다. 따라서, 슬릿이 제1 용기 커버(A308a) 상에 형성될 때에 그리고 이들 슬릿이 용기 전방 단부 커버(A034) 상에 형성된 결합 홀(A339d)와 체결할 때에, 슬릿은 또한 안내 거터(A339b)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토너 용기(A032)는 회전축에 직교하는 가상 평면에서, 용기 셔터(A332)가 2개의 용기 결합부(A339)와 결합하는 라인 세그먼트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용기 셔터(A332)가 2개의 용기 결합부(A339)와 결합하는 라인 세그먼트 상에 위치되지 않으면, 이하의 가능성이 생긴다. 즉, 용기 셔터 스프링(336)과 노즐 셔터 스프링(613)의 압박력으로 인해, 라인 세그먼트로부터 용기 셔터(A332)까지의 거리는 모멘트 아암으로서 기능하고 라인 세그먼트 둘레에서 토너 용기(A032)를 회전시키는 힘의 모멘트 작용이 발생한다. 힘의 모멘트 작용 때문에, 토너 용기(A0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관해 기울어질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 경우에, 토너 용기(A032)의 체결 하중의 증가가 발생하고, 용기 셔터(A332)를 유지하고 안내하는 노즐 수납부(A330)가 변형을 받는다.
구체적으로, 토너가 충분히 충전된 새로운 토너 용기(A032)의 경우에, 수평 돌출 반송 노즐(611)이 토너 용기(A032) 내의 삽입을 위해 토너 용기(A032)의 후방 단부로부터 압박될 때에, 토너 용기(A032)를 회전시키는 힘의 모멘트는 또한 토너 중량을 고려함으로써 작용한다. 그 결과, 반송 노즐(611)이 삽입되는 노즐 수납부(A330)가 변형을 받고, 최악으로는 변형되거나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달리, 제10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A032)에서, 용기 셔터(A332)는 2개의 용기 결합부(A339)의 라인 세그먼트 상에 위치된다. 이 때문에, 용기 셔터(A332)의 위치에서 작용하는 용기 셔터 스프링(A336)과 노즐 셔터 스프링(613)의 압박력으로 인해, 토너 용기(A0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관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5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A0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부착된 상태에서, 토너 용기(A032)에서 용기 수납부(A330)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단부면은 용기 세팅부(615)의 단부면(615b)과 접촉하지 않는다. 이는 이하의 이유 때문이다. 노즐 수납부(A330)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단부면이 용기 세팅부(615)의 단부면(615b)과 접촉하는 구성을 고려한다. 그러한 경우에, 용기 결합부(A339)의 결합 홀(A339d)이 보충 디바이스 결합 부재(609)에 걸리기 전에, 노즐 수납부(A330)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단부면이 용기 세팅부(615)의 단부면(615b)에 대해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한 접촉이 발생하면, 토너 용기(A032)는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의 방향으로 조금도 더 이동될 수 없다 그러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토너 용기(A0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부착된 상태에서, 용기 수납부(A330)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단부면과 용기 세팅부(615)의 단부면(615b) 사이에 작은 간극의 갭이 존속된다.
회전축 방향(샤프트 방향)에서의 위치 결정이 전술한 방식으로 행해지는 상태에서, 용기 수납부(A330)의 제2 외표면(A330d)는 용기 세팅부(615)의 내표면(615a)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된다. 이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관한 토너 용기(32)의 위치 결정은 회전축에 직교하는 평면 방향으로 행해진다[평면 방향은 노즐 수납부(A330)의 반경 방향에 대응함]. 이에 의해, 토너 보충 디바이스(60) 내에 토너 용기(A032)의 체결이 완료된다.
토너 용기(A032)의 체결이 완료되면, 구동 모터(603)가 회전 구동될 때에, 토너 용기(A032)의 교반기 조립체(A390)가 회전할 뿐만 아니라 반송 노즐(611) 내의 반송 스크류(614)가 회전한다.
교반 조립체(A390)에서 교반 컨베이어(A380)의 회전 때문에, 용기 본체(A033) 내측의 토너(T)는 용기 본체(A033)의 용기 전방 단부측으로 반송되어 리프팅 부분(A382)에 도달한다. 이어서, 교반 컨베이어(A380)의 회전은 리프팅 부분(A382)이 토너 수납 개구(A392)의 상부면까지 토너(T)를 상승시키게 한다. 토너 수납 개구(A392)의 상부면까지 상승된 토너(T)는 토너 수납 개구(A392)와 연통되는 노즐 개구(610) 내로 낙하한다. 그 결과, 토너(T)가 반송 노즐(611)에 공급된다. 따라서, 반송 노즐(611)에 공급된 토너(T)는 반송 스크류(614)에 의해 토너 낙하 통로(64)를 통해 현상 디바이스(50)로 앞으로 반송된다. 용기 본체(A033)의 내측으로부터 토너 낙하 통로(64)까지 토너(T)의 유동은 도 45에 예시된 화살표(β)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게다가, 전술한 바와 같이, 노즐 수납부(A330)의 제2 외표면(A339d)이 용기 세팅부(615)와 슬라이딩 방식으로 접촉하고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관한 토너 용기(A032)의 위치 결정이 행해지는 위치는 도 45의 α에 의해 표시된다. 그러나, 도 45의 α에 의해 표시되는 위치는 슬라이딩부 뿐만 아니라 위치 결정부의 함수를 갖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구성은 도 45에 의해 지시되는 위치가 슬라이딩부 또는 위치 결정부의 함수를 갖도록 될 수 있다.
게다가, 전술한 바와 같이, 토너 용기(A0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부착될 때에, 용기 시일(A333)은 노즐 셔터 플랜지(612a)에 의해 평평하게 된다. 그 결과, 노즐 셔터 플랜지(612a)는 용기 시일(A333)에 대해 타이트하게 압력에 의해 체결된다. 이는 보다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토너 누출의 방지를 달성할 수 있다. 용기 셔터(A332)가 개방 위치에 비해 종방향에서 더 내향측을 향해(용기 전방 단부측을 향해) 배치되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노즐 수납부(A330)의 전방 단부로부터 용기 셔터(A332)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단부면 및 용기 시일(A333)까지 원통형 공간이 형성된다.
토너 용기(A0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부착되지 않는 상태에서, 반송 노즐(611)의 노즐 개구(610)는 노즐 셔터(612)에 의해 차단된다. 토너 용기(A0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부착되는 상태에서, 토너가 수납될 수 있도록 노즐 셔터(612)를 개방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서, 노즐 수납부(A330)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단부로부터 용기 셔터(A332)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단부면 및 용기 시일(A333)까지 원통형 공간[전방 단부 개구(A305)]가 형성된다. 상기 공간 내에는 개방 상태에서 노즐 셔터(612)의 취출 공간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체결하는 취출 공간이 형성된다. 게다가, 위치 공간 내에서, 노즐 셔터(612)를 폐쇄하는 데에 사용되는 노즐 셔터 스프링(613)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체결된다. 그러한 구성에 의해, 노즐 셔터(612)와 노즐 셔터 스프링(613)을 배치하는 데에 필요한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0 실시예에서, 토너 용기(A0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부착되는 상태에서, 노즐 셔터(612)의 취출 위치는 노즐 셔터 플랜지(612a)에 비해 더 용기 시일(A333)의 내향측에 위치된 노즐 전방 단부를 갖는다. 게다가, 노즐 셔터 플랜지(612a)보다 더 노즐 기단부를 향하는 취출 위치의 부분은 실질적으로 전방 단부 개구(A305)의 개방 위치(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단부)와 용기 시일(A333)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단부면 사이에 형성되는 원통형 공간 내에 체결된다. 게다가, 압축된 상태에서 노즐 셔터 스프링(613)은 또한 상기 원통형 공간 내에 실질적으로 체결된다.
그러한 구성에 의해, 토너 용기(A032)의 최전방 단부인 전방 단부 개구(A305)의 개방 위치로부터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의 토너 낙하부까지의 거리(토너 낙하 통로(64)가 반송 노즐(611)에 연결되는 위치)가 단축될 수 있다. 그 결과, 복사기(500)의 주 본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제10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A032)에 배치되는 IC 태그(ID 태그, ID 칩, 또는 IC 칩)(700)의 유지 메카니즘에 관한 설명이 아래에 제공된다. 여기서, 제10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IC 태그(ID 태그 또는 정보 메모리 디바이스) 및 유지 메카니즘이 채택된다.
도 58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고정되는 커넥터(800)와, 토너 용기(A032)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단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58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A032)는 용기 본체(A033)를 포함하고, 용기 본체(A033)에 유지되며 그 위에 형성된 노즐 수납 개구(A331)를 갖는 전방 단부 개구(A305)가 노출되도록 용기 본체(A033)에 부착되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A034)를 포함한다. 게다가, 토너 용기(A032)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A034)의 전방 단부에 정보 메모리 디바이스로서 부착되는 IC 태그(700)를 포함하고, IC 태그(700)를 유지하는 IC 태그 유지 구조(345)를 포함한다. 커넥터(800)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A034)의 제1 용기 커버(A308a)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사용하지 않을 때에 토너 용기(A032)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유닛에 관한 설명이 아래에 제공된다.
도 56은 보관 시에 토너 용기(A032)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56에는 도 43에 예시된 토너 용기(A032)의 전방 단부 개구(A305)의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시일의 역할을 하는 캡(370)이 부착되는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 단부 개구(A305)는 노즐 수납부(A330)의 일부이다. 도 42, 도 43 및 도 4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방 단부 개구(A305)는 토너 용기(A032)를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고정시키는 데에 요구되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A034)를 관통시키도록 형성된다. 그 결과, 용기 전방 단부 커버(A034)로부터 용기 본체(A033)의 전방 단부 개구(A305)를 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토너가 보관되는 용기 본체(A033)의 일부인 전방 단부 개구(A305)는 캡(370)에 의해 직접 밀봉될 수 있다. 이는 향상된 밀봉 결과를 달성하고 토너 누출을 보다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제10 실시예에서도, 캡(370)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부착된다. 그러므로, 제1 실시예에서 달성되는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57은 캡(B370)이 제2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흡착제(B372)를 갖고, 캡(B370)이 제10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A032)에 부착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57에 예시된 구성에서도, 캡(B370) 상에 배치된 흡착제 때문에, 제2 실시예에서 달성되는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제11 실시예
제11 실시예에서는, 토너 보충 디바이스(60)가 제10 실시예에 따른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에 의해 참조된다.
보통, 토너 충전 작동 중에, 분체 용기인 토너 용기(D023)는 유동화된 토너(T)에 의해 충전된다. 토너(T)는 토너 충전 작동 중에 공기와 혼합되기 때문에, 예정된 기간의 경과 후에 탈기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토너 분체의 용적이 감소한다. 예컨대, 토너 분체의 용적은 용기 본체(D033)의 용량의 약 70% 내지 90%까지 감소된다.
토너(T)를 수용하는 새로운 토너 용기(D032)가 사용을 위해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부착될 때에, 많은 양의 토너(T)가 토너 수납 개구(D392)의 근처에 존재한다. 따라서, 교반 컨베이어(D380)를 회전시킨 다음에 토너(T)를 용기 전방 단부측까지 반송함으로써 토너(T)를 유동화시키지 않더라도, 토너(T)는 여전히 토너 수납 개구(D392)와 노즐 개구(610)를 통해 반송 노즐(611) 내에 유입될 수 있다. 오히려, 토너(T)가 많은 양이 존재할 때에 교반 컨베이어(D380)를 회전하도록 시도되면, 용기 본체(D033) 내의 많은 양의 토너(T)의 존재로 인해 회전 하중이 증가한다.
다른 한편으로, 용기 본체(D033) 내의 토너(T)의 양이 감소할 때에, 용기 전방 단부측을 향해 토너(T)를 반송하도록 교반 컨베이어(D380)를 회전시키고, 토너(T)를 토너 수납 개구(D392)까지 상승시켜 토너(T)를 토너 수납 개구(D392) 내로 운반하도록 리프팅 부분(A382)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이 때문에, 제11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D032)에서, 교반기 조립체(D390)와 샤프트(D334)가 토크 제한기(D900)를 통해 연결되도록 구성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새로운 토너 용기(D032)를 사용하기 시작할 때에, 토너(T)가 토너 수납 개구(D392)의 근처에 많은 양이 존재하면, 교반 컨베이어(D380)가 회전 제한을 받는다.
도 59는 교반 컨베이어(D380)의 회전 구동을 제한하는 구성을 갖는 토너 용기(D032)가 토너(T)에 의해 충분히 충전되고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부착되는 상태를 예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0은 토너 용기(D032) 내의 토너(T)의 양이 감소된 상태를 예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1은 토너(T)의 양이 감소할 때에 리프팅 부분(반송 날개; D382)에 의해 토너 공급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하고, 도 60의 E-E 단면은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 본 것이다. 도 62는 토크 제한기(D900)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5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0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A032)에 비해, 제11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D032)는 교반기 조립체(D390)와 샤프트(D334)가 토너 제한기(D900)를 통해 연결되는 방식이 상이하다. 게다가, 제11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D032)는 교반기 조립체(D390)에서 노즐 수납부(3440)와 용기 기어(D301)가 통합된 방식으로 구성되는 방식이 상이하고, 교반 컨베이어(D380)와 리프팅 부분(반송 날개; D382)가 별개로 구성된다. 게다가, 제11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D032)는 제1 용기 커버(A308a)와 제2 용기 커버(A308b)가 통합된 방식으로 용기 전방 단부 커버(D034)를 구성하고, 노즐 수납부(D330)를 베어링(D905)을 통해 지지하는 방식이 상이하다. 한편, 제11 실시예에서도, IC 태그(700)는 제10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용기 전방 단부 커버(D034) 상에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교반기 조립체(D380)의 노즐 수납부(D330)의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의 단부 상에, 토크 제한기(D900)가 샤프트(D334)와 연결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게다가, 교반 컨베이어(D380)는 샤프트(D334)와 통합된 방식으로 회전하도록 샤프트(D334) 상에 배치된다.
도 6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토크 제한기(D900)는 하우징(D901), 샤프트(D334)가 연결되는 내부 링(D902), 구동 토크를 제어하는 평탄한 스프링(D903) 및 차폐 부재(D904)를 포함한다. 용기 본체(D033)가 토너(T)에 의해 충분히 충전될 때에, 토크 제한기(D900)가 구동 전달을 제한하도록 토크 세팅이 행해지고, 토너(T)가 소모됨으로써 토너(T)의 양의 감소를 초래할 때에, 토너 제한기(D900)는 구동 전달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토너(T)가 도 5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D033) 내에 많은 양이 존재할 때에, 교반기 조립체(D390)의 용기 기어(D301) 상에 구동력이 작용하고, 노즐 수납부(D330)와 리프팅 부분(D382)이 통합된 방식으로 회전한다. 그러나, 토크 제한기(D900)가 미끄러지고 샤프트(D334)와 교반 컨베이어(D380)가 회전하지 않도록 토크 세팅이 이루어진다. 이와 달리, 도 6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소량의 토크(T)만이 용기 본체(D033) 내에 존재할 때에, 토크 제한기(D900)의 토크 세팅은 교반기 조립체(D390)의 노즐 수납부(D330)와 샤프트(D334)가 통합된 방식으로 회전하도록 된다.
그러한 구성에서, 도 59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토너(T)가 토너 수납 개구(D392)의 상부까지 충분히 충전되는 경우를 고려한다. 이 경우에, 토너 공급 명령이 토너 보충 디바이스(60)로부터 수신되고 교반기 조립체(D390)가 그 요청에 응답하여 회전하더라도, 샤프트(D334)와 교반 컨베이어(D380)는 토크 제한기(D900)의 미끄러짐 때문에 회전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토너(T)가 용기 후방 단부측으로부터 용기 전방 단부측으로 반송되지 않더라도, 토너 수납 개구(D392)의 근처에 존재하는 토너(T)가 경화되지 않고 교반기 조립체(D390)의 노즐 수납부와 통합된 방식으로 회전하는 리프팅 부분(D382)에 의해 상승된다. 다음에, 상승된 토너(T)는 토너 수납 개구(D392)를 통해 반송 노즐(611)의 노즐 개구(610) 속으로 낙하한다.
이와 달리, 도 6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D033) 내에 소량의 토너(T)만이 존재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이 경우에, 토너 공급 명령이 토너 보충 디바이스(60)로부터 수신되고 교반기 조립체(D390)가 그 요청에 응답하여 회전하면, 토크 제한기(D900)는 미끄러지지 않고 샤프트(D334)와 교반 컨베이어(D380)를 통합된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동 연결시킨다. 이 때문에, 토너(T)가 용기 후방 단부측으로부터 용기 전방 단부측으로 반송되고, 용기 전방 단부측으로 반송된 토너(T)는 토너 수납 개구(D392)까지 리프팅 부분(D382)에 의해 상승된다. 이어서, 상승된 토너(T)는 토너 수납 개구(D392)를 통해 반송 노즐(611)의 노즐 개구(610) 내에 낙하한다. 따라서, 도 61a 및 도 6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D033) 내에 존재하는 토너(T)는 리프팅 부분(반송 날개; D382)에 의해 상승되고 토너 수납 개구(D392)를 통해 반송 노즐(611)로 공급되기 때문에, 용기 본체(D033) 내에 존재하는 토너(T)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50을 참조하여 설명된 제10 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동일한 방식으로, 교반 컨베이어(A380)가 노즐 수납부(A033)에 부착되어, 리프팅 부분(D382)은 노즐 수납부(D330)의 회전 방향으로 토너 수납 개구(D392)의 상류측 에지에서 접선 방향(도 50에 점선으로 예시됨)에 관해 각도(θ)를 형성한다. 도 61a와 도 61b를 참조하면, 각도(θ)는 둔각이다. 따라서, 토너 수납 개구(D392)가 상부면 상에 위치될 때에, 구성이 토너 수납 개구(D392)에 관해 개방되어 리프팅 부분(D382)이 경사진 표면이 된다. 이 구성에서, 리프팅 부분은 토너 수납 개구보다 높은 위치까지 중력 방향에 대항하여 토너를 상승시키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상승된 토너가 반송 노즐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승된 토너를 반송 노즐의 토너 수납 개구로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구성에서, 리프팅 부분(D382)은 축적부로서 기능한다.
한편, 토너(T)에서, 토너 기본 입자에는 유동화를 용이하게 하고 충전하도록 보조제로서 사용되는 서브미크론 크기의 첨가제가 살포된다. 그러나, 교반 컨베이어(D380)의 회전 등의 이동으로 인해, 첨가제가 토너(T) 내에 침지되거나 토너(T)로부터 분리되고, 토너(T)가 현상 디바이스(50)로 공급될 때에 원래의 기능성을 만족시키는 것이 실패하는 시기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1 실시예에 따른 구성에서, 토너 제한기(D900) 때문에, 용기 본체(D033) 내에 보관된 토너(T)는 용기 본체(D033) 내의 토너(T)에 힘을 과도하게 가하는 일 없이 현상 디바이스(50)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베어링(D905)은 노즐 수납부(D330)를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지지할 뿐만 아니라 용기 본체(D033)의 내측으로부터 토너 누출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도 59에서, 교반 컨베이어(D380)는 스크류형 형태를 갖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유일하게 가능한 경우가 아니다. 즉, 토너(T)를 용기 전방 단부측에 배치된 리프팅 부분(D382)까지 이동시킬 수 있는 한, 교반 컨베이어(D380)는 임의의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 63a에 예시된 날개 형태의 컨베이어(D912)를 사용하거나, 도 6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을 갖지 않는 스프링 형태인 코일 형태의 컨베이어(D913)를 사용할 수 있다. 도 6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날개 형태의 컨베이어(D913)를 이용하는 경우에, 상부에 형성되는 캠 홈(D914a)을 갖는 컨베이어 홀더(D914)는 회전 운동을 왕복 운동으로 전환시키도록 토크 제한기(D900) 상에 배치된다. 이어서, 날개 형태의 컨베이어(D913)는 토너(T)가 용기 전방 단부측으로 이동되도록 용기 본체(D033)의 종방향(샤프트 방향)에서 왕복 운동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2 실시예
제12 실시예에 따르면, 도 65는 제10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 조립체(A390)를 제10 실시예에 따른 제2 용기 커버(A308b)와 통합시킴으로써 교반기 조립체(E390)가 구성되는 토너 용기(E032)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제10 실시예와 달리, 제1 용기 커버(E308a)[용기 전방 단부 커버(E034)]는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교반기 조립체(E390)의 노즐 수납부(E330)의 제2 외표면(E330d)을 지지하고, 용기 본체(E033)의 주변에 고정 부착되는 용기 후방 단부측을 갖는다.
제12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E032)에서, 교반기 조립체(E390)는 형태가 원통형인 노즐 수납부(E330), 용기 커버 부분(E308b), 기어 부분(E301) 및 샤프트 부분(E334)을 주로 포함한다. 교반기 조립체(E390)에서, 용기 셔터 스프링(E336)과 용기 셔터(E332)는 수납 개구(E331)의 뒷면측에 배치된다. 도 65에 예시된 예에서, 용기 셔터(E332)가 용기 셔터 스프링(E336)의 압박력으로 인해 노즐 수납 개구(E331)를 밀봉하도록 위치되는 상태가 예시된다. 게다가, 리프팅 부분(D382)은 토너 수납 개구(E392)가 형성되는 노즐 수납부(E330)의 외표면(E330c) 상에 배치되고, 교반 컨베이어(E380)가 샤프트 부분(E334)에 부착된다.
토너 용기(E032)에서, 기어 부분(E301)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수신하고, 교반기 조립체(E390)가 회전 구동된다. 그 결과, 교반 컨베이어(E380)가 샤프트 부분(E334)을 통해 회전하고 용기 본체(E334) 내에 존재하는 토너(T)를 용기 후방 단부측으로부터 용기 전방 단부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리프팅 부분(E382)이 노즐 수납부(E330)를 통해 회전하고, 용기 전방 단부측으로 이동된 토너(T)를 상승시켜 토너(T)를 토너 수납 개구(E392)로 운반한다. 다음에, 토너 수납 개구(E392)와 노즐 개구(610)가 연통되는 타이밍에, 토너(T)가 반송 노즐(611)로 공급된다. 한편, 도 65에 예시된 예에서, 용기 본체(E033)가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더라도, 용기 본체(E033)가 교반 조립체(E390)와 함께 회전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용기 본체(E033)가 교반기 조립체(E390)와 함께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 용기 본체(E033)는 샤프트 방향을 따라 역 반원통형 등의 쉽게 회전 가능하지 않은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교반기 조립체(E390)에 관한 리프팅 부분(E382)의 장착 각도에 관한 한, 제10 실시예에 따른 도 50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구성과 동일한 방식으로, 리프팅 부분(E382)은 교반기 조립체(E390)의 회전 방향에서 토너 수납 개구(E392)의 상류측 에지에서 접선 방향에 관하여 둔각(θ)을 형성한다. 이 구성에서, 리프팅 부분(E382)은 토너 수납 개구(E392)보다 높은 위치까지 중력 방향에 대해 토너를 상승시키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상승된 토너가 반송 노즐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반송 노즐의 토너 수납 개구(E392)로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구성에서, 리프팅 부분(E382)은 제10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축적부로서 기능한다.
제13 실시예
제13 실시예에 따르면, 도 66은 제10 실시예에 따른 용기 전방 단부 커버(A034)의 제2 용기 커버(A308b)가 제10 실시예에 따른 용기 기어(A301)와 통합된 방식으로 구성되는 토너 용기(F032)의 단면도이다.
제13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F032)에서, 교반기 조립체(F390)는 교반 컨베이어(F380), 지지대(F381), 샤프트(F334), 리프팅 부분(F382), 제2 용기 커버(F308b) 및 용기 기어(F301)를 포함한다.
제2 용기 커버(F308b)는 용기 본체(F033)에 고정된 그 용기 후방 단부측을 갖는 제1 용기 커버(F308a)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부터 덮인다. 제1 용기 커버(F308a)와 제2 용기 커버(F308b)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F034)를 구성한다. 제2 용기 커버(F308b)의 내표면 상에는 회전축을 향해 연장되는 리프팅 부분(F382)이 부착된다. 한편, 회전 슬라이딩부(F905)는 용기 본체(F033)와 제2 용기 커버(F308b) 사이의 연결부의 역할을 하고, 밀봉된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회전 슬라이딩부(F905)로서, 밀봉성을 갖는 베어링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6을 참조하면, 노즐 수납부(F330)는 용기 본체(F033)에 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고, 유지 링(F306)에 의해 용기 전방 단부 커버(F034)의 제1 용기 커버(308a)에 고정된다. 이 때문에, 토너 용기(F0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의 용기 세팅부(615)에 세팅되는 상태에서, 노즐 수납부(F330)의 외표면(F330d)이 용기 세팅부(615)의 내표면(615a)에 체결되더라도, 슬라이딩이 존재하지 않는다.
한편, 제10 실시예에 따른 노즐 수납부(A330)와 동일한 방식으로, 노즐 수납부(F330)는 용기 전방 단부측에 수납 개구(F331)를 포함하고, 용기 시일(F333)을 포함하며, 용기 셔터(F332)를 포함하고, 용기 셔터 스프링(F336)을 포함한다.
게다가, 제10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용기 전방 단부 커버(F034)의 제1 용기 커버(F308a)는 IC 태그(700)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용기 결합부(F339) 및 슬라이딩 안내부(F361)를 포함한다.
도 66에 예시된 구성에서, 용기 셔터(F332)가 용기 셔터 스프링(F336)의 압박력으로 인해 노즐 수납 개구(F331)를 밀봉하도록 위치되는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노즐 수납부(F330)의 제1 외표면(F330c) 상에는, 노즐 수납부(F330)에 관하여 상대 회전을 수행하는 제2 용기 커버(F308b)의 내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오목부(F393)에 체결되는 키 볼록부(F391)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키 볼록부(F391)와 오목부(F393)는 시일과 후크의 역할을 한다. 여기서, 회전 슬라이딩부(F905)와 동일한 방식으로, 밀봉성을 갖는 베어링이 키 볼록부(F391)와 오목부(F393)를 포함하는 밀봉 구성에 대해 대체될 수 있다.
제2 용기 커버(F308b)의 내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리프팅 부분(F382)은 교반 컨베이어(F380)의 전방 단부(F380a)와 연결된다. 교반 컨베이어(F380)는 스크류(F380b), 지지대(F381) 및 샤프트 부분(F334)을 포함한다. 게다가, 교반 컨베이어(F380)는 리프팅 부분(F382)을 통해 그리고 제2 용기 커버(308b)와 함께 회전한다. 교반 컨베이어(F380)의 회전으로 인해, 토너(T)는 용기 후방 단부측으로부터 용기 전방 단부측으로 이동된다. 이어서, 용기 전방 단부측으로 이동된 토너(T)는 리프팅 부분(F382)에 의해 상승되고 토너 수납 개구(F392) 내로 낙하된다. 따라서, 토너(T)는 반송 노즐(611)의 노즐 개구(610) 내로 공급된다. 제13 실시예에 따른 도 66에 예시된 구성에서, 노즐 수납부(F330)는 노즐 개구(610)에 관해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노즐 수납부(F330)의 토너 수납 개구(F392)는 노즐 개구(610)와 일정하게 정렬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토너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노즐 수납부(F330)의 측면 상의 리프팅 부분(F382)의 단부와 노즐 수납부(F330)의 제1 외표면(F330c) 간의 갭(t)은 바람직하게는 2 ㎜ 이하이거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이하이다. 제13 실시예에서, 갭(t)은 0.75 ㎜가 되도록 세팅된다. 이에 의해, 토너 누출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떠한 간섭 없이 리프팅 부분(F382)의 원활한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도 67a는 도 66의 X-X 단면을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67b와 도 67c는 도 67a의 변형예이다. 도 67c의 (b)에는 연대순으로 도 67c의 (a) 이전인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도 67a 내지 도 67c에서, 제2 용기 커버(F308b)의 외부 가장자리에 존재하는 제1 용기 커버(F308a)는 예시되어 있지 않다. 게다가, 노즐 개구(610)와 토너 수납 개구(F392)는 중력 방향에서 반송 스크류(614)의 회전 중심보다 높을 뿐만 아니라 반송 스크류(614)의 상단부보다 높은 위치에서 개방된다. 게다가, 이들 개구는 모두 반송 스크류(614)의 직경보다 좁다. 도 67a 내지 도 67c에 예시된 구성에서, 리프팅 부분(F382)은 노즐 개구(610)와 토너 수납 개구(F392)보다 높은 위치까지 토너(T)를 상승시키고 토너(T)를 하방으로 운반한다.
도 67a를 참조하면, 구동이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의 용기 구동 기어(601)로부터 제2 용기 커버(308b)와 통합된 방식으로 구성된 용기 기어(F301)로 전달될 때에, 제2 용기 커버(308b)는 도 67a를 참조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용기 커버(308b)의 회전과 함께, 제2 용기 커버(308b)의 내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리프팅 부분(F382)이 또한 도 67a를 참조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67a를 참조하여 하부측에 위치될 때에, 각 리프팅 부분(F382)은 교반 컨베이어(F380)에 의해 용기 전방 단부측으로 반송된 토너(T)를 리프팅 부분(F382)과 리프팅 부분(F382)의 루트 부분(F382a)보다 더 회전 방향 하류측에 있는 제2 용기 커버(308b)의 내표면 사이의 공간 내에 유지하고, 토너(T)를 상승시킨다. 도 67a를 참조하여 시계 방향에서 추가 회전으로 인해, 각 리프팅 부분(F382)은 토너(T)를 토너 수납 개구(F392) 내로 낙하시킨다. 그 결과, 토너는 토너 수납 개구(392)와 연통되는 반송 노즐(611)의 노즐 개구(610)로부터 토너 보충 디바이스(60)로 공급된다.
도 67b에 예시된 예에서, 도 67a에 예시된 각 리프팅 부분(F382)의 단부(F382b)는 회전 방향 하류측에서 만곡되고 노즐 수납부(F330)의 제1 외표면(F330c)을 따라 곡률이 형성된다. 바꿔 말해서, 리프팅 부분(F382)은 축적부의 역할을 하고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목부는 용기 커버(F034)의 내표면으로부터 노즐 수납부(F330)의 외표면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연장부와, 회전 방향 하류측으로 노즐 수납부(F330)의 외표면을 따라 만곡되도록 형성되는 만곡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만곡부는 연장부보다 짧다. 만곡 형태의 결과로서, 리프팅 부분(F382)은 도 67a에 예시된 예에 비해 많은 양의 토너(T)를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만곡된 형태는 또한 토너(T)를 토너 수납 개구(F992) 내로 운반할 때에 브릿지로서 작용하는 경사면이다. 도 67a에 예시된 리프팅 부분(F382)에 관하여, 제2 용기 커버(F308b)가 각 리프팅 부분(F382)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치보다 더 회전 방향 하류측을 향해 회전할 때에, 리프팅 부분(F382)에 존재하는 토너(T)는 노즐 수납부(F300)의 제1 외표면(F330c)과 리프팅 부분(F382)의 단부(F382b) 사이의 갭으로부터 낙하를 시작한다. 이 때문에, 리프팅 부분(F382)의 단부(F382b)가 토너 수납 개구(F392)의 에지에 대향하는 타이밍에, 리프팅 부분(F382)에 존재하는 토너(T)는 양이 약간 작다.
이와 달리, 도 67b에 예시된 예에서, 제2 용기 커버(F308b)가 각 리프팅 부분(F382)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치보다 더 회전 방향 하류측을 향해 회전하더라도, 리프팅 부분(F382)은 만곡된 형태 때문에 토너(T)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67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부분(F382)의 만곡된 단부(F382b)가 토너 수납 개구(F392)의 에지에 대향하는 타이밍에, 도 67a에 예시된 예에 비해 더 많은 양의 토너(T)가 리프팅 부분(F382) 상에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제10 실시예에 따른 도 50에 예시된 구성과 동일한 방식으로, 리프팅 부분(F382)은 토너(T)를 토너 수납 개구(392)보다 높은 위치로 상승시키는 축적부로서 기능한다. 한편, 도 67b에 예시된 예에서, 각 단부(F382b)의 폭[즉, 제2 용기 커버(F308b)의 회전 방향을 따른 길이]은 약 5 ㎜가 되도록 세팅된다.
도 67c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부분(F382)을 제2 용기 커버(F308b)의 회전 중심을 향해 연장시키는 대신에, 각 리프팅 부분(F382)은 회전 방향 하류측으로 소량만큼 오프셋된 위치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오프셋은 리프팅 부분(F382)이 실질적으로 수평일 때에, 리프팅 부분(F382)이 제2 용기 커버(F308b)의 회전 중심보다 약간 상방 위치를 따라 연장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요약하면, 리프팅 부분(F382)은 제2 용기 커버(F308b)의 회전 방향의 하류측에서 오프셋을 두고 연장되는 축적부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67c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부분(F382)의 베이스는 노즐 수납부(F330)에 대향하는 측면에서 리프팅 부분(F382)의 단부보다 더 제2 용기 커버(F308)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7a에 예시된 구성에 비해, 상류측에서 베이스가 움푹 들어간 단면 형태가 얻어진다. 이때, 제10 실시예에 따른 도 50에 예시된 구성과 동일한 방식으로, 리프팅 부분(F382)은 토너(T)를 토너 수납 개구(392)보다 높은 위치로 상승시키는 축적부로서 기능한다.
도 67a 내지 도 67c에 예시된 구성에서, 제10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반송 노즐(611)은 제2 용기 커버(F308b)의 회전 중심 내에 실질적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노즐 개구(610)와 토너 수납 개구(F392)는 제2 용기 커버(F308b)의 회전 중심[즉, 반송 스크류(614)의 회전 중심] 위에서 개방된다. 도 67b 및 도 67c에 예시된 구성에 따르면, 각 리프팅 부분(F382)에 존재하는 토너(T)는 제2 용기 커버(F308b)의 회전 중심[즉, 반송 스크류(614)의 회전 중심] 위로 상승될 수 있고 토너 수납 개구(F392)를 향해 운반될 수 있다. 이 방식에서, 도 67b 및 도 67c에 예시된 구성에 따르면, 리프팅 부분(F382)이 토너를 토너 수납 개구(F392)보다 높은 위치까지 중력 방향에 대항하여 상승시키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상승된 토너가 반송 노즐(611)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승된 토너를 반송 노즐(611)의 노즐 개구(610)로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구성에서, 리프팅 부분(F382)은 제10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축적부로서 기능한다.
토너 용기 체결 메카니즘의 설명은 제1 실시예 내지 제13 실시예와 공통으로 실시된다.
이하, 토너 용기 체결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1 실시예의 구성이 다른 실시예들을 대표하는 실시예로서 사용된다.
도 38은 기어 노출 홀(34a)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제1 내지 제13 실시예에서 모두 공통으로 실시되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 본체(33)의 회전축을 포함하는 수평 평면에서 절단된 단면도이고,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부착되기 전에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와 토너 용기(32)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0은 도 39에 예시된 토너 용기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에 부착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외표면 상에는, 용기 전방 단부측으로부터 용기 기어(301) 위를 가로지르고 용기 종방향(즉, 토너 용기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에 부착되는 상태에서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용기 결합부(339) 위에 용기 개구(33a)가 형성된다.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부착될 때까지의 다양한 상태가 도 39 및 도 40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되어 있다. 도 39에 예시된 상태에서, 토너 보충 디바이스(60)는 그 중앙에 반송 노즐(611)을 포함하고, 반송 노즐(611)의 양면에 보충 디바이스 결합 부재(609)의 쌍을 포함한다. 보충 디바이스 결합 부재(609)는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세팅 커버(608) 상에 유지되고 스프링에 의해 반송 노즐(611)을 향해 편향된다. 토너 용기(32)가 도 39에 예시된 상태로부터 화살표(Q)의 방향으로 이동될 때에, 각 보충 디바이스 결합 부재(609)는 먼저 토너 용기(32) 내에서 각 용기 결합부(339)의 용기 전방 단부측 상에 구성되는 대응하는 안내 돌출부(339a)의 테이퍼면 상에 올라간다. 토너 용기(32)가 추가 이동될 때에, 각 보충 디바이스 결합 부재(609)는 대응하는 안내 거터(339b) 위에서 슬라이딩하고 용기 기어(301)를 방해하는 일 없이 용기 기어(301) 위에서 가로지른다. 이어서, 각 보충 디바이스 결합 부재(609)는 대응하는 범프(339c) 위에 올라가고 도 4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의 압박력으로 인해 대응하는 결합 홀(339d) 내에 결합된다. 보충 디바이스 결합 부재(609)의 결합 작동과 동시적인 방식으로, 용기 셔터(332)가 반송 노즐(611)에 의해 압박되고 용기 셔터 스프링(336)의 압축을 동반하는 반응력에 대항하여 용기 본체(33)의 내측으로 들어간다. 게다가, 노즐 셔터 플랜지(612a)는 또한 노즐 셔터 위치 결정 리브(337a)에 대해 접촉하고 노즐 셔터 스프링(613)을 압축한다. 보충 디바이스 결합 부재(609)는 결합 홀(339d)과 결합하고 용기 셔터 스프링(336)과 노즐 셔터 스프링(613)의 복원력을 받는다. 이에 의해, 보충 위치에서 토너 용기(32)를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는 용기 구동 기어(601)를 포함한다.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부착된 도 40에 예시된 상태에서, 용기 구동 기어(601)는 용기 기어(301)와 결합한다.
토너 용기(32)의 종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보충 디바이스 결합 부재(609)를 올라가게 하고 슬라이딩하게 한 다음 결합 홀과 결합하게 하는 용기 결합부(339)는 용기 기어(301)의 외부 가장자리의 외측에 배치된다. 바꿔 말해서, 각 용기 결합부(339)는 용기 기어(301)의 반경 방향에서 용기 기어(301)의 기어이보다 외측에 마련된다. 따라서, 용기 결합부(339)는 용기 기어(301)를 방해하지 않는다. 게다가, 용기 전방 단부측에서 용기 개구(33a)로부터 토너 용기(32)의 종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결합 홀(339d)은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용기 후방 단부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 홀(339d)은 토너 용기(32)의 종방향에서 용기 기어(301)를 지나 제공된다. 따라서, 토너 용기(32)가 보충 디바이스(60) 내에 체결될 때에, 토너 용기(32)는 용기 세팅부(615)와 보충 디바이스 결합 부재(609)가 있는 위치에 유지된다. 그리고, 위치들은 종방향에서 용기 기어(301)를 샌드위치한다. 따라서, 용기 기어(301)의 구동이 충분히 수신될 수 있고, 용기 본체(33) 내측에서 토너의 반송이 안정적인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게다가, 도 40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충 디바이스(60)에 부착되는 상태에서, 결합 부재가 결합되는 결합 홀(339d)은 용기 종방향에서 노즐 수납부(330) 내에 삽입되는 반송 노즐(611)의 노즐 개구(610)에 대응하게 위치된다[즉, 결합 홀(339d)은 도 40의 사선으로 해칭된 영역을 가로질러 위치된다]. 바꿔 말해서, 위치 관계는 결합 홀(339d)의 쌍의 중앙[제1 실시예에 따른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 홀(330d)의 경우에, 각각의 대각선의 교차점]이 노즐 개구(610)를 통과하는 가상 직선에 의해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 관계에서, 반송 노즐(611)의 근처의 부분[즉, 노즐 개구(610)가 형성되는 부분]은 용기 기어(301)를 지나고 결합 홀(339d)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노즐 수납부(330) 내에 깊게 삽입된다. 따라서, 회전하는 용기 본체(33)가 내부에 보관된 토너의 중량으로 인해 그리고 그 자체의 중량으로 인해 기울어지는 상황을 방지하고, 용기 기어와 용기 구동 기어(601)의 결합 시에 오정렬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합 시에 상당한 오정렬이 존재하면, 구동 하중의 증가를 유발함으로써 비정상적인 소음 및 기어 마찰을 초래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토너 용기에서는, 그러한 오기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아래의 노트 1 내지 18에 기재된 분체 용기와, 아래의 노트 19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를 포함한다.
노트 1. 수평 종방향으로 분체 보충 디바이스(60)에 부착 가능한 분체 용기(A032, D032; E032; F032)로서, 상기 분체 보충 디바이스(60)는 분체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노즐(611), 분체 용기(A032; D032; E032; F032)로부터 분체를 수용하도록 반송 노즐(611) 상에 형성된 노즐 개구(610), 반송 노즐(611) 상에 마련되어 노즐 개구(610)로부터 수용된 분체를 반송시키는 반송 스크류(614)를 포함하고, 노즐 개구(610)는 반송 스크류(614)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반송 스크류(614)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분체 용기(A032; D032; E032; F032)는,
분체 보충 디바이스(60)로 공급되는 분체를 화상 형성을 위해 수용하도록 구성된 용기 본체(A033; D033; F033);
종방향에서의 일단부로부터 원통형 용기 개구가 형성되는 타단부로 분체를 반송하도록 구성되고, 용기 본체(A033; D033; F033) 내에 마련되는 컨베이어(A380; D380; E380; F380);
용기 개구 상에 마련되고, 용기 본체(A033; D033; F033)의 내측에서 반송 노즐(611)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노즐 수납부(A330; D330; E330; F330);
노즐 개구(610)를 용기 본체(A033; D033; F033)의 내측과 연통하도록 구성되는 분체 수납 개구(A392; D392; E392; F392); 및
분체 컨베이어(A380; D380; E380; F380)에 의해 타단부로 반송된 분체를 상승시키고 분체를 분체 수납 개구(A392; D392; E392; F392)로 운반하도록 구성되는 리프팅 부분(A382; D382; E382; F382)를 포함하는 것인 분체 용기.
노트 1에 기재된 분체 용기에 따르면, 리프팅 부분이 분체 수납 개구보다 높은 위치까지 중력 방향에 대항하여 분체(토너)를 상승시키도록 제공되기 때문에, 상승된 토너가 반송 노즐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승된 토너를 반송 노즐의 분체 수납 개구로 안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노트 2. 노트 1에 있어서,
노즐 수납부는,
반송 노즐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노즐 수납 개구,
노즐 수납 개구를 개방 또는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용기 셔터(A332; E332; D332; F332), 및
용기 셔터를 노즐 수납 개구를 차단하는 위치를 향해 편향시키도록 구성되는 편향 부재(A336; E336; D336; F336)를 더 포함하는 것인 분체 용기.
노트 2에 기재된 분체 용기에 따르면, 공급되는 분체(토너)의 양에 안정성을 제공하고 토너 스캐터링의 방지를 달성할 수 있다.
노트 3. 노트 1 또는 노트 2에 있어서,
리프팅 부분은 분체가 상승되는 동안에 축적되는 축적부를 갖는 것인 분체 용기.
노트 3에 기재된 분체 용기에 따르면, 분체(토너)이 리프팅 부분 근처에서 축적된다. 따라서, 용기 본체 내측의 용기 전방 단부측으로 반송된 토너(T)는 분체 컨베이어의 리프팅 부분에 의해 완활하게 상승된 다음 분체 수납 개구로 운반된다.
노트 4. 노트 1 내지 노트 3 중 어느 한 노트에 있어서,
노즐 수납부는 분체 용기와 분체 보충 디바이스 사이에서 위치 결정부의 역할을 하는 외표면을 갖는 것인 분체 용기.
노트 5. 노트 3에 있어서,
노즐 수납부는 상부에 형성된 분체 수납 개구를 더 포함하고 분체 수납 개구가 노즐 개구 위를 통과하도록 회전하고,
리프팅 부분은 노즐 수납부의 주변으로부터 용기 본체의 내표면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주변은 노즐 수납부의 회전 방향에서 분체 수납 개구보다 더 노즐 수납부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것인 분체 용기.
노트 6. 노트 5에 있어서,
리프팅 부분은 노즐 수납부의 회전 방향으로 분체 수납 개구의 상류측 에지에서 접선 방향에 관하여 둔각을 형성하는 베이스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인 분체 용기.
노트 6에 기재된 분체 용기에 따르면, 노트 3 및 노트 5에 따라 만족되는 리프팅 부분을 이용하여 분체(토너; T)를 상승하는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노트 7. 노트 6에 있어서,
리프팅 부분은 분체 수납 개구의 에지에 인접한 노즐 수납부의 주변으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분체 용기.
노트 7에 기재된 분체 용기에 따르면, 분체(토너; T)를 분체 수납 개구 내로 원활하게 운반하는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노트 8. 노트 6 또는 노트 7에 있어서,
축적부는 노즐 수납부의 분체 수납 개구와 반송 노즐의 노즐 개구가 회전 방향으로 연통될 때에 분체 수납 개구에 관하여 리프팅 부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인 분체 용기.
노트 8에 기재된 분체 용기에 따르면, 노트 3 및 노트 5에 따라 만족되는 리프팅 부분을 이용하여 분체(토너; T)를 상승시키고 상승된 토너를 분체 수납 개구 내로 원활하게 운반하는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노트 9. 노트 6 또는 노트 7에 있어서,
축적부는 리프팅 부분의 단부와 베이스 사이의 부분에서 만곡되도록 형성되는 오목부를 갖는 것인 분체 용기.
노트 10. 노트 6 또는 노트 7에 있어서,
축적부는 리프팅 부분의 단부와 베이스 사이의 부분에서 휘어지도록 형성되는 오목부를 갖는 것인 분체 용기.
노트 11. 노트 9에 있어서,
리프팅 부분의 베이스와 단부 사이의 복수 개의 위치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만곡되도록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인 분체 용기.
노트 9, 노트 10 및 노트 11에 기재된 분체 용기에 따르면, 노트 6과 노트 7에 따라 만족되는 리프팅 부분을 이용하여 분체(토너; T)를 상승시키는 기능을 추가 향상시킬 수 있다.
노트 12. 노트 1 내지 노트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노즐 수납부는 컨베이어에 연결되고,
컨베이어는 토크 제한기를 통해 노즐 수납부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것인 분체 용기.
노트 13. 노트 12에 있어서,
토크 제한기의 토크 세팅은 용기 본체가 분체에 의해 충분히 충전될 때에 토크 제한기가 구동 전달을 제한하도록 행해지며, 토크 제한기는 분체가 소모됨으로써 분체의 양을 감소시킬 때에 구동 전달을 수행하는 것인 분체 용기.
노트 12 및 노트 13에 기재된 분체 용기에 따르면, 분체(토너; T)가 용기 본체 내에 많은 양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분체 컨베이어의 회전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노트 14. 노트 3에 있어서,
용기 본체에 관해 회전 가능하고, 용기 본체의 타단부 상에 마련되는 제2 용기 커버를 더 포함하고,
리프팅 부분은 제2 용기 커버의 내표면으로부터 제2 용기 커버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분체 용기.
노트 15. 노트 14에 있어서,
축적부는 리프팅 부분에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는,
제2 용기 커버의 내표면으로부터 노즐 수납부의 외표면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성된 연장부, 및
회전 방향 하류측에서 노즐 수납부의 외표면을 따라 만곡되도록 형성되는 만곡부를 포함하는 것인 분체 용기.
노트 15에 기재된 분체 용기에 따르면, 노트 3 및 노트 14에 따라 만족되는 리프팅 부분을 이용하여 분체(토너; T)를 상승시키는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노트 16. 노트 15에 있어서,
만곡부는 연장부보다 짧은 것인 분체 용기.
노트 17. 노트 14에 있어서,
축적부는 제2 용기 커버의 회전 방향의 하류측에서 오프셋을 두고 연장되는 리프팅 부분인 것인 분체 용기.
노트 16 및 노트 17에 기재된 분체 용기에 따르면, 리프팅 부분을 이용하여 분체(토너; T)를 상승시키고 상승된 토너(T)를 토너 수납 개구 내로 원활하게 운반하는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노트 18. 노트 13 내지 노트 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리프팅 부분의 단부와 노즐 수납부의 외표면 사이의 갭이 2 ㎜ 이하인 것인 분체 용기.
노트 18에 기재된 분체 용기에 따르면, 분체(토너; T)를 상승시키는 동안에, 노즐 수납부와 노즐 수납부의 측면 상의 리프팅 부분의 단부 사이의 갭으로부터 토너 누출이 방지될 수 있다.
노트 19.
화상 형성 장치로서,
화상 형성을 위한 분체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유닛을 포함하고,
분체 보충 디바이스가 노트 1 내지 노트 1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분체 용기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분체 보충 디바이스는 분체 용기가 분체 보충 디바이스에 부착될 때에 분체를 분체 용기로부터 화상 형성 유닛으로 반송하는 것인 화상 형성 장치.
본 발명을 완벽하고 명백한 개시를 위한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첨부한 청구범위는 그와 같이 제한되지 않고 여기에 개시된 기본적인 교시 내에 사실상 속하는 당업자에게 일어날 수 있는 모든 수정 및 변형 구성을 구현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26 : 급지 트레이 27 : 급지 롤러
28 :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 29 : 배지 롤러 쌍
30 : 적층부
32, 6032, A032, D032, E032, F032 : 토너 용기(분체 용기)
33, 2033, 3033, 4033, 6033, 7033, 8033, 9033, A033, D033, F033 : 용기 본체(분체 보관부)
33a : 용기 개구
34, A034, D034, E034, F034 : 용기 전방 단부 커버(용기 커버)
34a, A034a : 기어 노출 홀 34b, A034b : 컬러 특정 리브
41 : 감광체 42a : 세정 블레이드
42 : 감광체 세정 디바이스 44 : 대전 롤러
46Y : 황색용 화상 형성 유닛 46 : 화상 형성 유닛
47 : 노광 디바이스 48 : 중간 전사 벨트
49 : 일차 전사 바이어스 롤러 50 : 현상 디바이스
51 : 현상 롤러 52 : 닥터 블레이드
53 : 제1 현상 입자 수용부 54 : 제2 현상 입자 수용부
55 : 현상제 반송 스크류 56 : 토너 밀도 센서
60 : 토너 보충 디바이스(분체 보충 디바이스)
64 : 토너 낙하 통로(분체 반송 디바이스)
70 : 용기 유지부 71 : 삽입 홀부
72 : 용기 수납부 73 : 용기 커버 수납부
82 : 이차 전사 백업 롤러 85 : 중간 전사 유닛
86 : 고정 디바이스 89 : 이차 전사 롤러
90 : 컨트롤러 91 : 용기 구동부
100 : 프린터 200 : 시트 반송부
301, 6380, A301, F301 : 용기 기어(기어)
302 : 나선형 리브 303, A303 : 파지부(핸들)
305, A305 : 전방 단부 개구(개구)
306 : 커버 걸림부 309, A309 : 수형 스크류
6315 : 용기 플랜지
330, A330, D330, F330 : 노즐 수납부(노즐 삽입 부재)
331, A331, E331, F331 : 노즐 수납 개구(노즐 삽입 개구)
332, A332, E332, F332 : 용기 셔터
332a : 셔터 후크
332c : 전방 단부 원통형 부분 332d : 슬라이딩부
332e : 안내봉 332f : 외팔보
333, A333, F333 : 용기 시일 335 : 셔터 후방 단부 지지부
335a : 셔터 측면 지지부 335b : 측면 지지부들 간의 공간
336, A336, E336, F336 : 용기 셔터 스프링
337 : 노즐 수납부 고정부
337a : 노즐 셔터 위치 결정 리브(접촉부)
337b : 시일 잼 방지 공간 3337c : 수형 스크류
338, A392, D392, E392, F392 : 토너 수납 개구
339, A339, F339 : 용기 결합부 339a, A339a : 안내 돌출부
339b, A339b : 안내 거터 339c, A339c : 범프
339d, A339d : 결합 홀 340 : 용기 셔터 지지부
341 : 커버 후크 343 : 유지부
344 : IC 태그 홀더 345 : 유지 구조
347 : 홀더 홀 348 : 홀더 하부
349 : 홀더 우측부 350 : 홀더 상부
351 : 내벽 돌출부 352 : 프레임
353 : 홀더 돌출부 354 : 홀더 하부 후크
355 : 홀더 상부 후크 356 : 홀더 우측 후크
357 : IC 태그 부착면 358 : 유지 베이스
359a : 상부 부착부 359b : 하부 부착부
360 : 측면 부착부 360a : 경사면
361, A361, F361 : 슬라이딩 안내부 361a : 슬라이딩 거터
370, 2370, B370 : 캡 371 : 캡 플랜지
2372, B372 : 흡착 물질 400 : 스캐너
500 : 복사기(화상 형성 장치) 601 : 용기 구동 기어
602 : 프레임 603 : 구동 모터
604 : 구동 전달 기어 605 : 반송 스크류 기어
607 : 노즐 홀더 608 : 세팅 커버
609 : 보충 디바이스 결합 부재(록 레버)
610 : 노즐 개구 611 : 반송 노즐
611a : 노즐의 전방 단부 611s : 노즐 개구 림
612 : 노즐 셔터 612a : 노즐 셔터 플랜지(접촉부)
612b : 제1 내부 리브 612c : 제2 내부 리브
612d : 제3 내부 리브 612e : 노즐 셔터 튜브
612f : 노즐 셔터 스프링 수납면 613 : 노즐 셔터 스프링(편향 부재)
614 : 반송 스크류 615 : 용기 세팅부
615a : 용기 세팅부의 내표면 615b : 용기 세팅부의 단부면
6620 : 안내 핀
700 : IC 태그(ID 태그, ID 칩, 정보 저장 디바이스)
701 : ID 태그 홀(홀, 노치) 702 : 기판
703 : 접지 단자 705 : 접지 단자 돌출부
710 : 금속제 패드(용기의 단자) 710a : 제1 금속제 패드
710b : 제2 금속제 패드 710c : 제3 금속제 패드
800 : 커넥터 801 : 안내 핀(돌출부)
802 : 주 본체의 접지 단자 803 : 스윙 방지기
804 : 주 본체의 단자 805 : 커넥터 본체
5304i : 리프팅 부분(반송 날개) A306 : 링 정지부
A307 : 후방 단부 뚜껑 A307a : 충전 홀
A308a, F308a : 제1 용기 커버(전방 단부 뚜껑)
A308b, F308b : 제2 용기 커버 A311 : 캡
A330a : 용기 셔터 지지부 A330b : 용기 스프링 지지부
A330c : 제1 외표면 A330d : 제2 외표면
A330e : 내표면 A330f : 단차부
A330g : 안내 슬릿 A334, D334, F334 : 샤프트(스핀들)
A340 : 셔터 핀
A380, D380, E380, F380 : 교반 컨베이어
A382, D382, E382, F382 : 리프팅 부분(반송 날개)
A390, D390, E390, F390 : 교반기 조립체
A391, F391 : 키 볼록부 D900 : 토크 제한기
D901 : 하우징 D902 : 내부 링
D903 : 평탄한 스프링 D904 : 차폐 부재
D905 : 베어링 D912 : 날개 형태의 컨베이어
D913 : 코일 형태의 컨베이어 D914 : 컨베이어 홀더
D914a : 캠 홈 E301 : 기어부
S308b : 용기 커버 부분 E330 : 노즐 수납부
E334 : 샤프트 부분 F306 : 유지 링
F380a : 반송 교반기의 전방 단부 F380b : 스크류
F381 : 지지대 F382a : 루트부
F382a : 단부 F393 : 오목부
F905 : 회전 슬라이딩부(베어링) G : 현상제
L : 레이저광 P : 기록 매체
γ : 압입부

Claims (16)

  1. 종방향으로 화상 형성 장치에 부착 가능한 분체 용기로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분체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노즐, 상기 분체 용기로부터 분체를 수용하도록 반송 노즐 상에 형성된 노즐 개구, 및 상기 분체 용기를 유지시키는 보충 디바이스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분체 용기는,
    화상 형성을 위한 분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용기 본체;
    삽입 가능한 상기 반송 노즐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노즐 수납부;
    종방향에서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노즐 수납부가 배치되는 타단부로 분체를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컨베이어로서, 용기 본체의 내측 벽면 상에 형성되는 나선형 리브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를 외부 구동력에 의해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기어;
    상기 보충 디바이스 결합 부재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결합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나선형 리브는 상기 노즐 수납부가 배치되는 그 타단부에서 상기 용기 본체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분체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파트는 상기 분체 용기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부착될 때에 종방향에서 상기 반송 노즐의 노즐 개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인 분체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리브는 상기 용기 본체의 타단부에서 종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분체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는 상기 용기 본체와 상이한 별개의 부재로서 마련되는 것인 분체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파트는 상기 분체 용기의 종방향에서 상기 노즐 수납부로부터 보았을 때 기어를 지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분체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파트는 관통 홀을 포함하는 것인 분체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수납부는,
    상기 반송 노즐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노즐 수납 개구,
    상기 노즐 수납 개구를 개방 또는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용기 셔터, 및
    상기 용기 셔터를 상기 노즐 수납 개구를 차단하는 위치를 향해 편향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편향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분체 용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파트를 포함하는 용기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분체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커버는 상기 보충 디바이스 결합 부재가 슬라이딩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것인 분체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분체 용기의 종방향에서 상기 기어를 지나도록 구성되는 것인 분체 용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분체 용기의 종방향에서 상기 결합 파트를 향해 연장되는 것인 분체 용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커버는 기어이(gear tooth)를 노출시키는 개구를 포함하는 것인 분체 용기.
  13. 제8항에 있어서, 정보 저장 디바이스; 및
    상기 정보 저장 디바이스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유지 구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지 구조는 상기 용기 커버에 부착되는 것인 분체 용기.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 용기는 토너를 안에 수용하는 것인 분체 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 용기는 안에 캐리어 입자를 더 수용하는 것인 분체 용기.
  16. 화상 형성 장치로서,
    화상 형성을 위한 분체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화상 형성 유닛; 및
    제8항에 따른 분체 용기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체 보충 디바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분체 보충 디바이스는,
    분체 용기가 부착될 때에 분체를 상기 분체 용기로부터 상기 화상 형성 유닛으로 반송하는 것인 화상 형성 장치.
KR1020167028828A 2012-06-03 2013-06-03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7921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26637 2012-06-03
JP2012126637 2012-06-03
JPJP-P-2012-126642 2012-06-03
JP2012126642 2012-06-03
JPJP-P-2013-092938 2013-04-25
JPJP-P-2013-092765 2013-04-25
JP2013092938A JP6372050B2 (ja) 2012-06-03 2013-04-25 粉体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092765A JP5488743B2 (ja) 2012-06-03 2013-04-25 粉体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PCT/JP2013/065901 WO2013183782A1 (en) 2012-06-03 2013-06-03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2139A Division KR101670568B1 (ko) 2012-06-03 2013-06-03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0677A Division KR101845683B1 (ko) 2012-06-03 2013-06-03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396A KR20160123396A (ko) 2016-10-25
KR101792150B1 true KR101792150B1 (ko) 2017-10-31

Family

ID=50345526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828A KR101792150B1 (ko) 2012-06-03 2013-06-03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20207018639A KR102270523B1 (ko) 2012-06-03 2013-06-03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20177030677A KR101845683B1 (ko) 2012-06-03 2013-06-03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20147032139A KR101670568B1 (ko) 2012-06-03 2013-06-03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20217018091A KR102407411B1 (ko) 2012-06-03 2013-06-03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20197020620A KR102129834B1 (ko) 2012-06-03 2013-06-03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20187008685A KR102002623B1 (ko) 2012-06-03 2013-06-03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639A KR102270523B1 (ko) 2012-06-03 2013-06-03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20177030677A KR101845683B1 (ko) 2012-06-03 2013-06-03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20147032139A KR101670568B1 (ko) 2012-06-03 2013-06-03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20217018091A KR102407411B1 (ko) 2012-06-03 2013-06-03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20197020620A KR102129834B1 (ko) 2012-06-03 2013-06-03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20187008685A KR102002623B1 (ko) 2012-06-03 2013-06-03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4) US9740139B2 (ko)
EP (3) EP2856265B1 (ko)
KR (7) KR101792150B1 (ko)
CN (3) CN106896675B (ko)
BR (1) BR112014028842B1 (ko)
CA (3) CA2975462C (ko)
ES (1) ES2693160T3 (ko)
MX (2) MX362932B (ko)
RU (4) RU2644081C1 (ko)
TW (6) TWI516884B (ko)
WO (1) WO20131837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46881A4 (en) 2010-12-03 2014-07-16 Ricoh Co Ltd POWDER CONTAINER, POWDER DISPENS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3582026B1 (en) 2011-11-25 2022-08-03 Ricoh Company, Ltd.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792150B1 (ko) 2012-06-03 2017-10-31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US9465317B2 (en) 2013-02-25 2016-10-11 Ricoh Company, Ltd. Nozzle insertion member,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2972591B1 (en) * 2013-03-15 2021-04-28 Ricoh Company, Limited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BR112015031576B1 (pt) 2014-03-17 2022-11-29 Ricoh Company, Limited Receptor de bocal, recipiente de pó, aparelho de formação de imagem e dispositivo de suporte
CN105308511B (zh) * 2014-03-17 2019-12-20 株式会社理光 喷嘴接收装置、粉末容器和图像形成设备
JP6379753B2 (ja) * 2014-07-04 2018-08-29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6361972B2 (ja) * 2014-08-08 2018-07-25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60091827A1 (en) * 2014-09-25 2016-03-31 Fuji Xerox Co., Ltd. Powder storage device and image-forming apparatus
JP6774166B2 (ja) * 2015-03-18 2020-10-2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の収容容器
JP6376040B2 (ja) * 2015-05-27 2018-08-22 株式会社デンソー 接合体、及び、その接合体を用いるアクセル装置
CN204807914U (zh) * 2015-07-02 2015-11-25 北京新晨办公设备有限公司 一种改进的旋转下粉结构
JP6657653B2 (ja) * 2015-08-17 2020-03-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372480B2 (ja) * 2015-12-09 2018-08-1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およ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6569581B2 (ja) * 2016-04-07 2019-09-0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6919831B2 (ja) * 2017-05-18 2021-08-18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6864871B2 (ja) 2017-05-30 2021-04-28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07168025B (zh) * 2017-06-16 2020-02-14 上福全球科技股份有限公司 墨粉盒
JP7024264B2 (ja) * 2017-09-04 2022-02-24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1292194B2 (en) * 2017-10-05 2022-04-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aterial conveying member for a printing material container
CN107589647A (zh) * 2017-11-01 2018-01-16 珠海维翼打印科技有限公司 输送嘴接收装置和碳粉筒
CN207908865U (zh) * 2017-11-23 2018-09-25 纳思达股份有限公司 动力接收部件以及粉筒
EP3709097B1 (en) * 2017-11-23 2023-07-19 Ninestar Corporation Drive force-receiving component, and toner cartridge
JP7045690B2 (ja) * 2018-02-22 2022-04-01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蓋体開閉装置並びに各種機器
JP7015053B2 (ja) * 2018-03-08 2022-02-02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蓋体開閉装置並びに各種機器
CN109298612B (zh) * 2018-10-10 2020-12-11 嘉兴方沐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添加碳粉的碳粉盒
IT201900002391A1 (it) * 2019-02-19 2020-08-19 De Longhi Appliances S R L Div Commerciale Ariete Elettrodomestico per la produzione di prodotti caseari
US11500304B2 (en) * 2019-03-20 2022-11-15 Print-Rite ⋅ Unicorn Image Products Co., Ltd. Of Zhuhai 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electrophotography imaging apparatus
WO2020214137A1 (en) * 2019-04-14 2020-10-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tainer
US11036161B2 (en) 2019-04-18 2021-06-15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bearing member,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7483453B2 (ja) * 2019-04-18 2024-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7362382B2 (ja) 2019-09-17 2023-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カートリッジ、トナー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TWI727779B (zh) * 2020-05-01 2021-05-11 上福全球科技股份有限公司 用於碳粉匣之連動機構
DE212021000253U1 (de) * 2020-08-10 2022-08-31 Jiangxi Yibo E-Tech Co., Ltd. Entwicklungskartusche, Trommelkartusche und Bilderzeugungsvorrichtung
US11454901B2 (en) 2020-08-10 2022-09-27 Jiangxi Yibo E-Tech Co. Ltd. Developing cartridge
JP2022049852A (ja) * 2020-09-17 2022-03-30 株式会社リコー シャッタ機構、トナー収容容器、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12213930B (zh) * 2020-11-17 2023-04-21 珠海好印宝打印耗材有限公司 碳粉筒的加粉组件及碳粉筒
JP2022080152A (ja) * 2020-11-17 2022-05-27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納容器、画像形成装置、及び、シャッタユニット
JP2022136710A (ja) 2021-03-08 2022-09-21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残量検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230054104A (ko) * 2021-10-15 2023-04-24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토너 배출구를 통해 구동력이 전달되는 구조를 가지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
CN113995236B (zh) * 2021-11-08 2023-06-06 宁波工程学院 智能储菜柜
KR20240035253A (ko) * 2022-09-08 2024-03-15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토크 리미터를 구비하는 토너 카트리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2852A (ja) * 2000-01-17 2001-10-05 Konica Corp トナー収容容器、及びトナー補給装置
JP2007148320A (ja) * 2005-06-30 2007-06-14 Ricoh Co Ltd トナー容器、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容器の製造方法
JP2008298907A (ja) 2007-05-30 2008-12-11 Ricoh Co Ltd トナー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186554A (ja) * 2008-02-04 2009-08-20 Ricoh Co Ltd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58325A (ko) 1972-10-09 1974-06-06
FR2569411B1 (fr) 1984-08-23 1986-11-21 Charbonnages Ste Chimique Nouveau procede de fabrication de terpolymeres radicalaires de l'ethylene et de copolymeres radicalaires de l'ethylene
JPS61162071A (ja) 1985-01-11 1986-07-22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カラ−複写機
JPS63178271A (ja) 1987-01-20 1988-07-22 Ricoh Co Ltd 電子写真装置のトナ−補給機構
JPH01130159A (ja) 1987-11-17 1989-05-23 Konica Corp 感光体の製造方法
JPH0720679Y2 (ja) 1988-03-01 1995-05-15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及びその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H049061A (ja) 1990-04-26 1992-01-13 Mitsui Petrochem Ind Ltd 高光線透過性防塵体
JPH04168459A (ja) 1990-11-01 1992-06-16 Mita Ind Co Ltd 現像装置
JPH04342958A (ja) 1991-05-21 1992-11-30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非水電解液電池用負極
JPH04368965A (ja) 1991-06-18 1992-12-21 Canon Inc 現像装置
JP3061307B2 (ja) 1991-09-17 2000-07-10 株式会社リコー デジタル複合機
JPH05249825A (ja) 1992-03-09 1993-09-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ナー容器及び現像装置
JPH0659572A (ja) 1992-08-11 1994-03-04 Ricoh Co Ltd トナー容器及び該トナー容器を装着するトナー補給装置
TW240299B (ko) 1992-12-30 1995-02-11 Ricoh Kk
JP3347201B2 (ja) 1992-12-30 2002-11-20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266227A (ja) * 1993-03-14 1994-09-22 Ricoh Co Ltd トナー収容器及びトナー補給装置
JP3245288B2 (ja) 1993-12-24 2002-01-07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納容器
ES2143534T3 (es) * 1993-12-28 2000-05-16 Canon Kk Cartucho revelador y metodo de rehabilitacion del mismo.
JP3299618B2 (ja) 1993-12-31 2002-07-08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充填済みの現像剤収納容器及び現像装置
US5495323A (en) 1994-02-28 1996-02-27 Xerox Corporation Clean spiral toner cartridge
JPH0895361A (ja) * 1994-09-20 1996-04-12 Ricoh Co Ltd 容器内壁トナー付着防止装置
US5528349A (en) * 1994-09-28 1996-06-18 Minolta Co., Ltd. Developer container for stably replenishing developer to developing device
US5648840A (en) 1994-11-14 1997-07-15 Konic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oner conveyance apparatus
JPH08220857A (ja) 1995-02-16 1996-08-30 Ricoh Co Ltd トナーボトル
JP3353194B2 (ja) 1995-12-08 2002-12-03 コニカ株式会社 現像剤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5576816A (en) * 1996-01-11 1996-11-19 Xerox Corporation Toner cartridge internal plug
JPH09197783A (ja) * 1996-01-18 1997-07-31 Ricoh Co Ltd トナーボトル
JPH09211977A (ja) 1996-01-30 1997-08-15 Ricoh Co Ltd 現像剤補給装置
JP3492856B2 (ja) 1996-07-08 2004-02-0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3416485B2 (ja) 1996-09-30 2003-06-1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171230A (ja) 1996-12-13 1998-06-26 Ricoh Co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H10196147A (ja) 1996-12-21 1998-07-28 Otto Woehr Gmbh 駐車装置
JPH10198147A (ja) * 1997-01-13 1998-07-31 Ricoh Co Ltd トナー補給装置
US6118951A (en) * 1997-01-13 2000-09-12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replenishing device therefor
US5890040A (en) 1997-01-14 1999-03-30 Konica Corporation Developer cartridge and developer replenishing apparatus
JP3861428B2 (ja) 1997-01-14 2006-12-20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トナー収納容器及びトナー補給装置
JP3861429B2 (ja) 1997-01-14 2006-12-20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トナー補給装置
JPH10254229A (ja) 1997-03-06 1998-09-25 Ricoh Co Ltd 電子写真複写機におけるトナー補給装置
AUPP702198A0 (en) 1998-11-09 1998-12-03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mage creation method and apparatus (ART79)
US6104902A (en) 1998-11-20 2000-08-15 Katun Corporation Toner cartridge assembly
JP2000187382A (ja) 1998-12-22 2000-07-04 Canon Inc トナー補給装置
JP4028944B2 (ja) 1999-01-11 2008-01-09 株式会社リコー 二成分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314261B1 (en) 1999-03-17 2001-11-06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container and toner replenishing mechanism
US6169864B1 (en) 1999-07-06 2001-01-02 Xerox Corporation Toner container including a movably mounted sealing member
JP3205547B2 (ja) 1999-07-22 2001-09-04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又は液体の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1083785A (ja) 1999-09-10 2001-03-3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にトナーを供給するためのトナーボトル
US6370349B2 (en) 2000-01-17 2002-04-09 Konica Corporation Toner storing container and toner replenishing device therewith
JP4737839B2 (ja) 2000-01-19 2011-08-03 株式会社エンプラス 歯車及び歯車装置
CN1900837B (zh) 2000-02-17 2012-10-03 株式会社理光 墨粉收纳容器、补给墨粉的方法及墨粉补给装置
JP4014786B2 (ja) 2000-04-28 2007-11-28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
JP4185672B2 (ja) 2000-05-08 2008-11-2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2196629A (ja) 2000-12-26 2002-07-1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907408B2 (ja) 2000-12-28 2007-04-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926569B2 (ja) 2001-02-13 2007-06-06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納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ATE514976T1 (de) 2001-01-31 2011-07-15 Ricoh Co Ltd Tonerbehälter und damit versehene bilderzeugungsvorrichtung
JP4048051B2 (ja) 2001-01-31 2008-02-13 株式会社リコー 剤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PT2051145E (pt) * 2001-02-19 2013-10-31 Canon Kk Recipiente de fornecimento de pó de impressão e sistema de fornecimento de pó de impressão
EP1233311B1 (en) * 2001-02-19 2012-08-29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supply container
US6990301B2 (en) * 2001-02-19 2006-01-24 Canon Kabushiki Kaisha Sealing member, toner accommodating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2357946A (ja) 2001-05-31 2002-12-13 Canon Inc トナー補給容器、トナー補給装置及び封止部材
US6405011B1 (en) * 2001-06-12 2002-06-11 Jui-Chi Wang Developer replenishing container
JP4714384B2 (ja) 2001-08-23 2011-06-29 株式会社アルバック ウエハエッジ部分の処理方法及びプラズマ処理装置
JP3848111B2 (ja) 2001-08-29 2006-11-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
JP2003066704A (ja) 2001-08-29 2003-03-05 Canon Inc 封止部材及びトナー補給容器及びトナー補給装置
US6505006B1 (en) 2001-11-15 2003-01-07 Xerox Corporation Supply cartridge for a printing apparatus
US6665505B2 (en) 2001-12-20 2003-12-16 Xerox Corporation Dry ink replenishment bottle with internal plug agitation device
US6859634B2 (en) 2002-01-31 2005-02-22 Ricoh Company, Ltd. Toner refilling device and developing device using the sam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3233247A (ja) 2002-02-08 2003-08-22 Canon Inc トナー補給容器
JP2003241496A (ja) 2002-02-20 2003-08-27 Ricoh Co Ltd トナーボトル
JP3684212B2 (ja) 2002-06-05 2005-08-17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収納容器の減容方法及び現像剤補給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DE10245778A1 (de) 2002-09-26 2004-04-08 Reinhardt Maschinenbau Gmbh Biegemaschine
JP4422956B2 (ja) * 2002-10-16 2010-03-0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機構
JP4140951B2 (ja) * 2002-12-18 2008-08-27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転写制御因子zhx3
JP4383898B2 (ja) 2003-02-28 2009-12-16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収容器、現像剤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099434A (ja) 2003-09-25 2005-04-14 Kyocera Mita Corp トナーコンテナ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342958B2 (ja) 2004-01-08 2009-10-14 株式会社リコー 再生材料を用いたトナー/現像剤用ボトルの製造方法並びにトナー/現像剤用ボトル
JP2005221825A (ja) 2004-02-06 2005-08-18 Ricoh Co Ltd トナー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トナー容器、トナー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4468014B2 (ja) 2004-02-27 2010-05-26 京セラミタ株式会社 装着物のロック機構およびこれを用いた現像装置
KR101032526B1 (ko) 2004-03-09 2011-05-04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마스크 블랭크 정보 취득방법 및 시스템, 마스크 블랭크 정보 제공방법, 전사 마스크 제작지원 및 제조방법, 그리고 마스크 블랭크 제조 및 제공방법
JP2005292630A (ja) * 2004-04-02 2005-10-20 Canon Inc 現像剤補給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331622A (ja) 2004-05-18 2005-12-02 Ricoh Co Ltd トナー容器のリサイクル方法及び生産方法
JP4456957B2 (ja) * 2004-08-06 2010-04-28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7720416B2 (en) 2004-08-16 2010-05-18 Ricoh Company, Ltd. Method and toner bottl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supplying toner to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072166A (ja) 2004-09-06 2006-03-16 Ricoh Co Ltd 現像材収容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684624B2 (ja) 2004-11-12 2011-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6209060A (ja) 2004-12-28 2006-08-10 Ricoh Co Ltd 容器収納装置、該容器収納装置を備えた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396946B2 (ja) 2005-01-26 2010-01-13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588484B2 (ja) 2005-02-23 2010-12-01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移動体通信端末
RU2398257C2 (ru) 2005-03-04 2010-08-27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Контейнер подачи проявителя и устройство приема проявителя
JP4794892B2 (ja) 2005-04-11 2011-10-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371317B2 (ja) 2005-06-20 2009-11-25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画像形成装置、及び、梱包箱
JP4368331B2 (ja) * 2005-04-27 2009-11-18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ボトル及び画像形成装置
JP4371318B2 (ja) 2005-06-21 2009-11-25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MXPA06012659A (es) 2005-04-27 2007-01-16 Ricoh Kk Recipiente de toner y aparato formador de imagen.
JP4651011B2 (ja) 2005-04-28 2011-03-16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GB0510484D0 (en) 2005-05-24 2005-06-29 New Transducers Ltd Acoustic device
JP4557296B2 (ja) 2005-06-07 2010-10-0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EP2889696B1 (en) * 2005-06-07 2018-10-24 Ricoh Company, Ltd.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455286B2 (en) 2005-06-28 2008-11-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heet separation using two torque motors
JP2007065813A (ja) 2005-08-30 2007-03-15 Dainippon Printing Co Ltd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ソフトの起動管理システム
JP4723317B2 (ja) 2005-08-31 2011-07-13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7085271A (ja) 2005-09-22 2007-04-05 Akimasa Akiyama 風車構造体及びこれを用いた風力発電装置
JP5043337B2 (ja) 2006-01-12 2012-10-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822427B2 (ja) * 2006-03-10 2011-11-24 株式会社リコー 粉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8102489A (ja) 2006-09-19 2008-05-01 Ricoh Co Ltd 現像剤搬送装置、現像装置、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4803828B2 (ja) 2006-11-09 2011-10-26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8050597B2 (en) 2006-11-09 2011-11-01 Ricoh Company, Limited Toner container having a gear portion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413912B2 (ja) * 2006-11-29 2010-02-10 株式会社沖データ 粉体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442641B2 (ja) 2007-06-04 2010-03-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の製造方法、電子写真感光体、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9069417A (ja) 2007-09-12 2009-04-0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9116120A (ja) 2007-11-07 2009-05-28 Ricoh Co Ltd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648413B2 (ja) 2008-02-07 2011-03-0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ファイル転送システム、ファイル転送方法、ホストクライアント装置、サーバ装置、ホストクライアントプログラムおよびサーバプログラム
KR100912900B1 (ko) * 2008-02-22 2009-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제카트리지, 현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JP5011160B2 (ja) 2008-02-29 2012-08-29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用のカートリッジ
JP5397729B2 (ja) * 2008-05-16 2014-01-22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JP4604114B2 (ja) 2008-07-01 2010-12-22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US8369738B2 (en) 2008-09-09 2013-02-05 Ricoh Company, Ltd.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295742B2 (en) 2008-11-10 2012-10-23 Ricoh Company, Limited Powder container, powder suppl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311029B2 (ja) 2009-02-16 2013-10-09 村田機械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370540B1 (ja) * 2009-03-11 2009-11-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像形成剤収容容器、画像形成装置、像形成剤収容容器の装着方法、及び像形成剤収容容器の取り外し方法
CN101833650A (zh) 2009-03-13 2010-09-15 清华大学 一种基于内容的视频复制检测方法
CN103853011B (zh) 2009-03-30 2017-04-12 佳能株式会社 显影剂供给容器和显影剂供给系统
JP2010262236A (ja) 2009-05-11 2010-11-18 Murata Machinery Ltd 画像形成装置
JP4441581B2 (ja) 2009-07-10 2010-03-31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トナー収納容器
JP4958325B2 (ja) 2009-09-04 2012-06-20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5483101B2 (ja) * 2009-09-04 2014-05-07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CN102597887B (zh) 2009-09-04 2014-06-18 株式会社理光 调色剂容器和成像设备
JP5515673B2 (ja) 2009-11-20 2014-06-1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収容容器
JP2011121688A (ja) 2009-12-10 2011-06-23 Nitta Corp 導電性透明ベルト
JP2011150121A (ja) 2010-01-21 2011-08-04 Ricoh Co Ltd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U2011221816B2 (en) 2010-03-01 2014-02-06 Ricoh Company, Limited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582385B2 (ja) 2010-03-01 2014-09-03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容器、画像形成装置、トナー収容器製造方法、及びトナー収容器再生方法。
JP5772004B2 (ja) 2010-03-10 2015-09-02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SG183417A1 (en) * 2010-03-10 2012-09-27 Ricoh Co Ltd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device
JP5640412B2 (ja) 2010-03-17 2014-12-17 株式会社リコー 封止部材、現像剤収納容器、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637430B2 (ja) 2010-04-01 2014-12-10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EP2980656B1 (en) * 2010-06-11 2020-10-14 Ricoh Company, Ltd. Information storage device, removable device, developer container,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534431B2 (ja) 2010-06-14 2014-07-02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5523957B2 (ja) 2010-07-06 2014-06-18 株式会社根本杏林堂 造影剤注入条件を決定する機能を備えた医療装置
JP5622465B2 (ja) 2010-07-22 2014-11-12 ローム株式会社 Led電球およびled電球の製造方法
JP5569241B2 (ja) * 2010-08-09 2014-08-13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261426B2 (en) 2010-08-20 2012-09-11 Xerox Corporation Method of constructing a toner dispensing unit
JP2012058569A (ja) * 2010-09-10 2012-03-2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トナー容器
JP5836736B2 (ja) 2010-09-29 2015-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現像剤補給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093460A (ja) 2010-10-25 2012-05-17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5488571B2 (ja) * 2010-12-03 2014-05-14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粉体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2646881A4 (en) 2010-12-03 2014-07-16 Ricoh Co Ltd POWDER CONTAINER, POWDER DISPENS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811452B2 (ja) 2010-12-06 2015-11-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8849163B2 (en) 2011-01-06 2014-09-30 Ricoh Company, Limited Powder convey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der container
US8633969B2 (en) 2011-02-09 2014-01-21 Omnivision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hree-dimensional image capture with extended depth of field
JP5870647B2 (ja) 2011-02-17 2016-03-01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粉体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779915B2 (ja) * 2011-03-08 2015-09-1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および粉体収納容器
JP5017475B1 (ja) * 2011-04-15 2012-09-0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コンテナ
JP5836704B2 (ja) 2011-08-29 2015-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EP3582026B1 (en) 2011-11-25 2022-08-03 Ricoh Company, Ltd.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822128B2 (ja) 2011-11-25 2015-11-24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粉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792150B1 (ko) 2012-06-03 2017-10-31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US9405221B2 (en) * 2012-06-08 2016-08-02 Ricoh Company, Ltd.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US9465317B2 (en) * 2013-02-25 2016-10-11 Ricoh Company, Ltd. Nozzle insertion member,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2972591B1 (en) * 2013-03-15 2021-04-28 Ricoh Company, Limited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983674B2 (ja) * 2013-05-21 2016-09-06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6007941B2 (ja) * 2013-05-21 2016-10-19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6149509B2 (ja) * 2013-05-21 2017-06-21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6152699B2 (ja) * 2013-05-21 2017-06-28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6175896B2 (ja) * 2013-05-21 2017-08-09 株式会社リコー 補給現像剤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2852A (ja) * 2000-01-17 2001-10-05 Konica Corp トナー収容容器、及びトナー補給装置
JP2007148320A (ja) * 2005-06-30 2007-06-14 Ricoh Co Ltd トナー容器、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容器の製造方法
JP2008298907A (ja) 2007-05-30 2008-12-11 Ricoh Co Ltd トナー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186554A (ja) * 2008-02-04 2009-08-20 Ricoh Co Ltd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4028842A2 (pt) 2017-07-18
KR20160123396A (ko) 2016-10-25
TW201723687A (zh) 2017-07-01
CA2975462C (en) 2019-12-31
US20210116842A1 (en) 2021-04-22
EP2856265A1 (en) 2015-04-08
EP4060418A1 (en) 2022-09-21
CN106896675A (zh) 2017-06-27
US10948850B2 (en) 2021-03-16
KR102270523B1 (ko) 2021-06-29
US11467516B2 (en) 2022-10-11
KR20200080345A (ko) 2020-07-06
US20150338775A1 (en) 2015-11-26
RU2771343C2 (ru) 2022-04-29
RU2597681C2 (ru) 2016-09-20
KR20190088572A (ko) 2019-07-26
CN106896676B (zh) 2022-11-11
TW202209021A (zh) 2022-03-01
RU2675200C1 (ru) 2018-12-17
EP2856265B1 (en) 2018-09-19
MX2014014124A (es) 2015-02-24
KR20170121330A (ko) 2017-11-01
US10474062B2 (en) 2019-11-12
ES2693160T3 (es) 2018-12-07
CA3066121C (en) 2021-09-14
CA2975462A1 (en) 2013-12-12
KR20150003821A (ko) 2015-01-09
TW201403269A (zh) 2014-01-16
KR102129834B1 (ko) 2020-07-03
RU2018143538A (ru) 2020-06-10
TW201610619A (zh) 2016-03-16
KR102407411B1 (ko) 2022-06-10
RU2644081C1 (ru) 2018-02-07
KR20180035932A (ko) 2018-04-06
KR101845683B1 (ko) 2018-04-04
EP2856265A4 (en) 2015-04-29
CA2875393C (en) 2017-09-19
TWI581078B (zh) 2017-05-01
TWI654501B (zh) 2019-03-21
RU2018143538A3 (ko) 2021-12-20
CN103782243B (zh) 2017-04-12
TWI748785B (zh) 2021-12-01
TWI773576B (zh) 2022-08-01
US20170315473A1 (en) 2017-11-02
KR101670568B1 (ko) 2016-10-28
TWI715931B (zh) 2021-01-11
CN106896676A (zh) 2017-06-27
WO2013183782A1 (en) 2013-12-12
EP3432077B1 (en) 2022-05-04
US9740139B2 (en) 2017-08-22
US20200033758A1 (en) 2020-01-30
KR20210074418A (ko) 2021-06-21
TWI516884B (zh) 2016-01-11
EP3432077A1 (en) 2019-01-23
CA3066121A1 (en) 2013-12-12
CN103782243A (zh) 2014-05-07
TW202113512A (zh) 2021-04-01
BR112014028842B1 (pt) 2021-12-14
MX345088B (es) 2017-01-17
RU2014103494A (ru) 2016-07-27
TW201921190A (zh) 2019-06-01
KR102002623B1 (ko) 2019-07-22
CA2875393A1 (en) 2013-12-12
CN106896675B (zh) 2020-04-28
MX362932B (es)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150B1 (ko)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JP7173261B2 (ja) 粉体収納容器及び粉体収納容器への粉体の充填及び密閉方法
RU2799559C1 (ru) Контейнер порошка и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