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2178B1 - 흑연 입자 및 이를 음극으로 이용하는 리튬 2차 전지 - Google Patents

흑연 입자 및 이를 음극으로 이용하는 리튬 2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2178B1
KR100442178B1 KR1020030003776A KR20030003776A KR100442178B1 KR 100442178 B1 KR100442178 B1 KR 100442178B1 KR 1020030003776 A KR1020030003776 A KR 1020030003776A KR 20030003776 A KR20030003776 A KR 20030003776A KR 100442178 B1 KR100442178 B1 KR 100442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secondary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graphite
graphite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3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시이요시또
니시다다쓰야
후지따아쓰시
야마다가즈오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가세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가세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가세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20040017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68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2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21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20Graph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20Graphite
    • C01B32/205Prepa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compressing or compaction
    • H01M4/0433Mo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3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60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ir crystallite siz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7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 C01P2002/72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by d-values or two theta-values, e.g. as X-ray diagra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54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aspect ratio, i.e. the ratio of sizes in the longest to the shortest dimen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1Micrometer sized, i.e. from 1-100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2Surface area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4Pore volu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1Physical characteristics, e.g. porosity, surface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10T29/49115Electric battery cell making including coating or impregn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Abstract

다수의 판상형 입자들을 응집 또는 결합시켜, 그 배향면이 서로 평행하지 않도록 제조되는 흑연 입자, 또는 종횡비가 5 이하이거나, 또는 비표면적이 8 m2/g 이하이거나, 또는 X 선 광각 회절로 측정된, 결정의 c-축 방향에서의 결정 크기가 500 Å 이상이고, 폄방향에서의 결정 크기가 1000 Å 이하인 흑연 입자, 또는 102내지 106Å 범위내의 기공 크기를 갖는 기공의 부피가 흑연 입자의 무게당 0.4 내지 2.0 cc/g 이거나, 1 ×102내지 2 ×104Å 범위내의 기공 크기를 갖는 기공의 부피가 흑연 입자의 무게당 0.08 내지 0.4 cc/g 인 흑연 입자가, 리튬 2차 전지용 음극의 제조에 적합하며, 상기 흑연 입자로부터 제조되는 리튬 2차 전지는 빠른 충-방전 특성, 사이클 특성 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흑연 입자 및 이를 음극으로 이용하는 리튬 2차 전지{GRAPHITE PARTICLES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THEM AS NEGATIVE ELECTRODE}
본 발명은 신규한 흑연 입자, 상기 흑연 입자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 상기 흑연 입자를 이용한 흑연 페이스트(paste), 상기 흑연 페이스트를 이용한 리튬 2차 전지용 음극, 상기 음극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 및 리튬 2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휴대용 기계, 전기 자동차, 전원 저장 등에 사용하기적합하며, 빠른 충-방전 특성, 사이클 특성 등에 있어서 우수한 리튬 2차 전지에 관한 것이며, 또한 리튬 2차 전지의 음극으로 사용되는 흑연 입자, 상기 흑연 입자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 상기 흑연 입자를 이용한 흑연 페이스트, 상기 흑연 페이스트를 이용하는 리튬 2차 전지용 음극 및 상기 음극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흑연 입자로서는 천연 흑연 입자, 코크(coke)를 흑연화하여 제조된 인공 흑연 입자, 유기 중합체 물질, 피치(pitch) 등을 흑연화하여 제조된 인공 흑연 입자, 이러한 흑연들을 분쇄(pulverizing)하여 제조된 흑연 입자 등을 인용할 수 있다.
흑연 입자를 유기 바인더 및 유기 용제와 혼합하여 흑연 페이스트를 제조하고, 상기 흑연 페이스트로 구리 호일의 표면을 코팅한 후, 용제를 증발시킴으로써, 이러한 흑연 입자들을 리튬 2차 전지용 음극으로써 사용한다. 예를 들어, 흑연을 음극으로 사용함으로써, 리튬 덴드라이트(dendrite)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점인 내부 회로-단락을 제거하고 사이클 특성을 개선하려는 시도가 일본국 JP-B 62-23433 호 공보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나, 흑연 결정이 잘 성장된 천연 흑연 입자 및 코크를 흑연화하여 제조된 인공 흑연들에서는 결정의 c-축 방향의 층간 결합력이 결정면 방향의 결합력보다 작기 때문에, 분쇄 방법시에 흑연 층간의 결합이 파괴되어, 종횡비가 큰 소위 "플레이크(flake) 흑연"을 형성한다. 종횡비가 큰 플레이크 흑연 입자를 바인더와 반죽하여 집전 장치상에 코팅하여 전극을 형성하면, 플레이크 흑연 입자들은 집전 장치의 면방향으로 배향된다. 그 결과로, 리튬이 흑연 결정속으로 반복적으로 흡장(occlusion)되고 릴리즈(release)되기 때문에, c-축 방향으로 변형이 일어나고, 이는 전극의 내부 파괴를 일으킨다. 따라서, 사이클 특성이 저하되고, 또한 빠른 충-방전 특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면방향에서 큰 결정 크기를 갖는 종래의 흑연 입자는 리튬의 흡장 및 릴리즈에 긴 시간이 필요하다. 또한, 큰 종횡비를 갖는 종래의 플레이크 흑연 입자는 비표면적이 매우 크다. 따라서, 그로부터 얻어진 리튬 2차 전지는 제 1 사이클에서 큰 비가역 용량을 가지며, 또한 그러한 흑연 입자는 집전 장치에 점착력이 나빠서 다량의 바인더가 필요하다. 집전 장치에의 점착력이 좋지 않으면 집전 효과가 좋지 않으며, 방전 용량, 빠른 충-방전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리튬 2차 전지의 형성에 있어서, 빠른 충-방전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이 우수하거나, 제 1 사이클에서 비가역 용량이 작고 사이클 특성이 우수하거나, 또는 제 1 사이클에서 비가역 용량이 작고 빠른 충-방전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흑연 입자의 개발이 요구된다.
도 1a 및 도 1b 는 본 발명의 흑연 입자의 주사 전자 현미경(SEM) 사진이며, 도 1a 는 상기 입자의 외부 표면 사진이고, 도 1b 는 상기 입자의 단면 사진이다.
도 2 는 실린더형 리튬 2차 전지의 부분 단면 정면도이다.
도 3 은 방전 용량과 충-방전 사이클 횟수 사이의 관계를 도해하는 그래프이다.
도 4 는 방전 용량과 충-방전 전류 사이의 관계를 도해하는 그래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충-방전 특성 및 비가역 용량의 측정에 이용되는 리튬 2차 전지의 일예를 도시하는 윤곽도이다.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고, 빠른 충-방전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이 우수한 리튬 2차 전지의 음극으로서 이용하기에 적합한 흑연 입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 1 사이클에서 비가역 용량이 작고 사이클 특성이 우수한 리튬2차 전지의 음극으로서 이용하기에 적합한 흑연 입자를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빠른 충-방전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이 우수하거나, 제 1 사이클에서 비가역 용량이 작고 사이클 특성이 우수하거나, 또는 제 1 사이클에서 비가역 용량이 작고 빠른 충-방전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이 우수한 리튬 2차 전지의 음극으로서 이용하기에 적합한 흑연 입자의 생산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빠른 충-방전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이 우수하거나, 제 1 사이클에서 비가역 용량이 작고 사이클 특성이 우수하거나, 또는 제 1 사이클에서 비가역 용량이 작고 빠른 충-방전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이 우수한, 리튬 2차 전지의 음극으로서 이용하기에 적합한 흑연 페이스트를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고 용량을 가지며, 빠른 충-방전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이 우수하거나, 제 1 사이클에서 비가역 용량이 작고 사이클 특성이 우수하거나, 또는 비가역 용량이 작고 빠른 충-방전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이 우수한, 리튬 2차 전지의 음극을 더 제공하며, 상기 음극의 생산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고 용량을 가지며 빠른 충-방전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이 우수하거나, 제 1 사이클에서 비가역 용량이 작고 사이클 특성이 우수하거나, 또는 제 1 사이클에서 비가역 용량이 작고 빠른 충-방전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이 우수한, 리튬 2차 전지를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흑연 입자는 (1) 내지 (6)의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1) 다수의 판상형 입자를 응집 또는 결합하여 배향면이 서로 평행이 되지 않도록 제조된 흑연 입자.
(2) 상기 흑연 입자의 종횡비가 5 이하인 흑연 입자.
(3) 비표면적이 8 m2/g 이하인 흑연 입자.
(4) X 선 광각 회절(X-ray broad angle diffraction)에 의해 측정된 c-축(두께 방향)에서의 결정 크기가 500 Å 이상, 그리고 면방향에서의 결정 크기가 1000 Å 이하인 흑연 입자.
(5) 102내지 106Å 범위내의 기공 크기를 갖는 기공의 부피가 흑연 입자의 무게를 기준으로 0.4 내지 2.0 cc/g 인 흑연 입자.
(6) 1 ×102내지 2 ×104Å 범위내의 기공 크기를 갖는 기공의 부피가 흑연 입자의 무게를 기준으로 0.08 내지 0.4 cc/g 인 흑연 입자.
본 발명은 또한 흑연화 될 수 있는 응집체(원료 물질), 흑연, 흑연화 될 수 있는 바인더와 1 내지 50 중량%의 흑연화 촉매를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하소 및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술된 흑연 입자의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된 흑연 입자 또는 상술된 방법으로 제조된 흑연 입자에 유기 바인더 및 용제를 첨가하고, 상기의 혼합물을 균질화함으로써 제조되는 흑연 페이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리튬 2차 전지용 음극은 상술된 흑연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제조되며, (1) 내지 (3)의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1) 상기 흑연 페이스트를 집전 장치상에 코팅하고, 일체화함으로써 제조되는 리튬 2차 전지용 음극.
(2) 흑연 입자와 유기 바인더의 혼합물 및 집전 장치를 일체화하여 제조되는 리튬 2차 전지용 음극으로서, 압착되고 일체화된 흑연 입자 및 유기 바인더의 혼합물이 1.5 내지 1.9 g/cm3의 밀도를 갖는 리튬 2차 전지용 음극.
(3) 흑연 입자와 유기 바인더의 혼합물 및 집전 장치를 일체화하여 제조되는 리튬 2차 전지용 음극으로서, 상기 유기 바인더의 함유량이 상기 혼합물의 3 내지 20 중량% 인 리튬 2차 전지용 음극.
본 발명은 1 내지 50 중량% 의 흑연화 촉매를 흑연화 될 수 있는 응집체 또는 흑연 및 흑연화 될 수 있는 바인더에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균질화하며, 하소하고, 분쇄하여 흑연 입자를 제조하고, 유기 바인더 및 용제를 흑연 입자에 첨가 및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집전 장치상에 코팅하고 상기 용제를 증발시키고, 그후 압착 및 일체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의 리튬 2차 전지용 음극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싱(casing), 커버, 한 쌍 이상의 음극 및 양극, 격리판이 사이에 삽입되어 배치된 상기 케이싱, 커버 및 전극들, 및 상기 케이싱, 커버 및 전극들 부근에 제공되는 전해질 용액으로 이루어진 리튬 2차 전지에 관한 것이며, 상기 음극은 상기 흑연 입자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흑연 입자는 그 특성에 따라 6 가지로 분류된다.
본 발명의 제 1 흑연 입자는 다수의 판상형 입자가 응집 또는 결합되어 배향면이 서로 평행하지 않은 흑연 입자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판상형 입자"라는 용어는 주축과 부축을 갖는 형상, 즉 완전한 구형이 아닌 형상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판상형 입자는 비늘형상의 입자, 플레이크 형상의 입자 및 덩어리의 일부분 형상의 입자를 포함한다.
다수의 판상형 입자에서 "배향면이 서로 평행하지 않다"라는 용어는 각 입자의 판상형의 면, 또는 다른 말로 평면에 가장 가까운 면을 배향면으로 간주했을 때, 다수의 입자들이 응집되어 그 배향면이 한 방향으로 배열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재료의 구성 성분의 관점에서는, 각각의 판상형 입자들은 흑연화 될 수 있는 원료 물질(응집체) 또는 흑연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흑연 입자에 있어서, 판상형 입자들은 서로 응집 또는 결합되어 있다. "서로 결합된다"라는 용어는 바인더 등을 매개로 하여 입자들이 서로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응집된다"라는 용어는 입자들이 형상등의 이유로 집합체의 형태를 유지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각 입자들이 바인더 등을 매개로 하여 서로 부착되는 것은 아니다. 기계적 강도의 관점에서 보면 서로 결합된 입자들이 바람직하다.
각 판상형 입자의 크기는 평균 직경으로 나타냈을 때, 1 ㎛ 내지 100 ㎛ 인 것이 바람직하며, 1 ㎛ 내지 50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각 판상형 입자의 크기는 서로 응집 또는 결합된 흑연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의 2/3 또는 그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흑연 입자에 있어서, 서로 응집 또는 결합된 판상형 입자의 수는 3 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평균 입자 크기는 레이저 회절 입자 크기 분포 측정기(laser diffraction particle size distribution meter)로 측정될 수 있다.
그러한 흑연 입자가 음극으로 사용되면, 흑연 결정은 집전 장치상에서 쉽게 배향되지 않고, 리튬은 음극을 구성하는 흑연으로 용이하게 흡장되고, 그로부터 용이하게 릴리즈된다. 결과적으로, 그로부터 제조된 리튬 2차 전지의 빠른 충-방전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 는 본 발명의 흑연 입자의 SEM 사진의 일예로서, 도 1a 는 본 발명의 흑연 입자의 외부 표면의 SEM 사진이고, 도 1b 는 상기 흑연 입자의 단면의 SEM 사진이다. 도 1a 에서 다수의 플레이크 흑연 입자들이 서로 결합되어, 그 배향면이 서로 평행하지 않도록 흑연 입자가 형성된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흑연 입자는 5 이하의 종횡비를 갖는 흑연 입자이다. 이러한 흑연 입자가 사용되면, 집전 장치상에서 입자의 배향이 이루어지기 어렵고, 따라서 리튬이 상기 경우와 유사하게 쉽게 흡장 및 릴리즈된다.
상기 종횡비는 1.2 내지 5 의 범위내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횡비가 1.2 보다 작으면, 입자들간의 접촉 면적이 감소하여 전도도가 감소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좀 더 바람직한 종횡비의 범위는 1.3 이상이다.
반면에, 종횡비의 상한은 5 이며, 좀 더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종횡비가 5 보다 크면, 빠른 충-방전 특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가장 바람직한 종횡비 값은 1.3 내지 3 이다.
주축 방향에서의 흑연 입자의 길이를 A 라 하고, 부축 방향에서의 흑연 입자의 길이를 B 라 하면, 종횡비는 A/B 로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종횡비는 흑연 입자를 현미경으로 확대하여 무작위로 100 개의 흑연 입자를 선택하여 A/B 를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계산함으로써 결정되었다.
종횡비가 5 이하인 흑연 입자 중에서, 작은 크기를 갖는 흑연 입자의 응집 또는 결합 물질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3 흑연 입자는 8 m2/g 이하의 비표면적을 갖는 흑연 입자이다. 비표면적은 5 m2/g 이하가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 m2/g 이며, 좀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m2/g 이다. 그러한 흑연 입자를 음극으로 이용함으로써, 그로부터 얻어지는 리튬 2차 전지의 빠른 충-방전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 1 사이클에서의 비가역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비표면적이 8 m2/g 보다 크면, 그로부터 얻어지는 리튬 2차 전지의 제 1 사이클에서의 비가역 용량이 크고 에너지 밀도가 낮으며, 또한 음극의 제조에 다량의 바인더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비표면적이 1.5 m2/g 보다 작으면, 그로부터 얻어지는 리튬 2차 전지의 빠른 충-방전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비표면적은 BET 법(nitrogen gas adsorption method)등과 같이 공지된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흑연 입자는 X 선 광각 회절로 측정했을 때, 결정의 c-축 방향(002)에서의 결정 크기(Lc) 가 500 Å 이상, 면방향(110)에서의 결정 크기(La)가1000 Å 이하인 흑연 입자이다. 그러한 흑연 입자를 음극으로 이용함으로써, 그로부터 얻어지는 리튬 2차 전지의 빠른 충-방전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정의 c-축 방향(002)에서의 결정 크기(Lc)는 3000 Å 을 초과하는 Lc(002) 는 X 선 광각 회절로는 정확하게 측정될 수 없다는 전제하에서, 1000 내지 100000 Å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며, 결정의 면방향(110)에서의 결정 크기(La)는 800 내지 50 Å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c-축 방향에서의 결정 크기(Lc)(002)가 500 Å 미만이거나, 결정면 방향에서의 결정 크기(La)(110)가 1000 Å 보다 크면, 충전 용량이 작아진다.
제 4 흑연 입자에 있어서, X 선 광각 회절로 측정한 흑연 입자의 결정 층간 거리(d)(002)는 3.38 Å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3.37 내지 3.35 Å 범위내에 속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결정의 층간 거리(d)(002)가 3.38 Å 을 초과하면 충전 용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제 5 흑연 입자는 102내지 106Å 범위내에 속하는 기공 크기를 갖는 기공의 부피가 흑연 입자의 무게를 기준으로, 0.4 내지 2.0 cc/g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한 흑연 입자를 음극으로 이용함으로써, 충전 및 방전시의 전극의 팽창 및 수축이 흑연 입자의 기공에 의해 흡수되고, 이 때문에 전극의 내부 파괴가 억제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그로부터 얻어지는 리튬 2차 전지의 사이클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102내지 106Å 범위내에 속하는 기공 크기를 갖는 기공의 부피는 0.4 내지 1.5 cc/g 범위내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0.6 내지 1.2cc/g 범위내인 것이 좀 더 바람직하다. 전체 기공 부피가 0.4 cc/g 이하이면 사이클 특성이 좋지 않다. 전체 기공 부피가 2.0 cc/g 보다 크면, 흑연 입자와 집전 장치를 일체화하는데 다량의 바인더가 필요하고, 이는 생산되는 리튬 2차 전지의 용량을 감소시킨다. 상기 기공 부피는 수은-포로시메터(mercury-porosimeter)를 이용한 기공 직경 분포 측정에 의해 결정된다. 기공 크기 또한 수은-포로시메터를 이용한 기공 직경 분포 측정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제 6 흑연 입자는 1 ×102내지 2 ×104Å 범위내에 속하는 기공 크기를 갖는 기공의 부피가 흑연 입자의 무게를 기준으로, 0.08 내지 0.4 cc/g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한 흑연 입자가 음극으로 이용되면, 충전 및 방전시에 전극의 팽창 및 수축이 흑연 입자의 기공에 의해 흡수되고, 이 때문에 전극의 내부 파괴가 억제되며, 결과적으로 그로부터 얻어지는 리튬 2차 전지의 사이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 ×102내지 2 ×104Å 범위내에 속하는 기공 크기를 갖는 기공의 부피는 0.1 내지 0.3 cc/g 범위내에 속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내에 속하는 기공 크기를 갖는 기공의 부피가 0.08 cc/g 보다 작으면, 사이클 특성이 좋지 않다. 상기 범위내에 속하는 기공 크기를 갖는 기공의 부피가 4 cc/g 보다 크면, 흑연 입자와 집전 장치를 일체화하는데 다량의 바인더가 필요하고, 이는 그로부터 얻어지는 리튬 2차 전지의 용량을 감소시킨다. 상기 범위내에 속하는 기공 크기를 갖는 기공의 부피는 수은-포로시메터법에 의한 기공 직경 분포 측정에 의해 또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된 제 2 내지 제 6 흑연 입자에 있어서, 상기 흑연 입자는 제 1 흑연 입자의 특성, 즉 다수의 판상형 입자들이 응집 또는 결합되어 배향면이 서로 평행하지 않다는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흑연 입자가 음극으로 이용되면, 집전 장치상에서 흑연 결정의 배향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리튬이 음극 흑연 내부로 흡장되거나 음극 흑연으로부터 릴리즈되는 것이 용이해지고, 그로부터 얻어지는 리튬 2차 전지의 빠른 충-방전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이 더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흑연 입자 및 제 3 내지 제 6 흑연 입자가 본 발명의 제 2 흑연의 특성, 즉 입자들이 5 이하의 종횡비를 가지기 때문에 집전 장치상에서 입자들의 배향이 이루어지기 어렵고, 전술된 바와 유사하게 리튬의 흡장 및 릴리즈가 용이하다는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흑연 입자의 종횡비는 3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종횡비의 하한은 1.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1.3 이상인 것이 좀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흑연 입자와 제 4 내지 제 6 흑연 입자는 본 발명의 제 3 흑연 입자의 특성, 즉 흑연 입자는 8 m2/g 이하의 비표면적, 바람직하게는 5 m2/g 이하의 비표면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m2/g 이하의 비표면적을 갖는다는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표면적이 증가하면 비가역 용량이 증가하고, 그로부터 제조되는 리튬 2차 전지의 에너지 밀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비표면적이 증가하면 그로부터 제조되는 리튬 2차 전지의 비가역 용량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음극의 제조에 필요한 바인더의 양 또한 증가한다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 흑연 입자와 제 5 및 제 6 흑연 입자에 있어서, 층간 거리(d)(002)가 작으면 방전 용량이 커지기 때문에, 흑연 분말의 X 선 광각 회절로 측정된 결정의 층간 거리(d)(002)는 바람직하게는 3.38 Å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37 Å 이하이어야 한다. 반면에, 결정 크기(Lc)(002)가 클수록 방전 용량이 크기 때문에, c-축 방향에서의 결정 크기(Lc)(002)는 바람직하게는 500 Å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Å 이상이 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4 흑연 입자는 본 발명의 제 5 및 제 6 흑연 입자의 특성, 즉 충전 및 방전시에 전극의 팽창 및 수축이 흑연 입자의 기공에 의해 흡수될 수 있기 때문에, 흑연 입자가 특정크기의 기공에 대응하는 기공 부피를 갖는다는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문에 전극의 내부 파괴가 억제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리튬 2차 전지의 사이클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내지 제 6 흑연 입자의 크기는 평균 입자 직경으로 나타냈을 때, 1 내지 100 ㎛ 인 것이 바람직하며, 10 내지 5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술된 특성을 만족시키는 상술된 흑연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정하게 제한되지는 않았지만, 그러한 흑연 입자들은 흑연화 될 수 있는 원료 물질 또는 흑연 및 흑연화 될 수 있는 바인더의 혼합물에 1 내지 50 중량% 의 흑연화 촉매를 첨가 및 혼합한 후, 하소 및 분쇄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그러한 방법에 의해 흑연화 촉매가 제거된 공간에 기공이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흑연 입자에 우수한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흑연화 촉매의 양은 3 내지 2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된 흑연 입자들 각각은 흑연 또는 응집체와 바인더의 혼합 방법, 바인더의 양 등과 같은 혼 합비율 및 하소 후의 분쇄 조건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도 제조될 수 있다.
흑연화 될 수 있는 원료 물질로서는 코크 분말, 수지(resin)의 탄화물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분말 형태의 물질이 흑연화 될 수 있기만 하다면, 임의의 분말 형태의 물질도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분말 형태의 물질 중에, 니들 코크(needle coke) 등과 같이 용이하게 흑연화 될 수 있는 코크 분말이 바람직하다.
상기 흑연으로서는 천연 흑연 분말, 인공 흑연 분말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것이 분말 형태이기만 하다면 어떠한 흑연도 사용될 수 있다. 흑연화 될 수 있는 원료 물질 및 흑연은 본 발명에 따라 생산되는 흑연 입자의 입자 직경보다 작은 입자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흑연화 촉매로서는 철, 니켈, 티타늄, 실리콘, 붕소 등과 같은 금속의 탄화물 및 산화물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흑연화 촉매 중에, 실리콘 또는 붕소 탄화물 및 산화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흑연화 촉매의 평균 입자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150 ㎛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00 ㎛ 이하, 좀 더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이다. 평균 입자 직경이150 ㎛ 를 초과하면, 결정의 성장이 일정하지 않고 방전 용량이 일정하지 않게 되는 경향이 있다.
흑연화 촉매는 얻어지는 흑연 입자를 기준으로 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중량% 가 첨가된다. 흑연화 촉매의 양이 1 중량% 보다 적으면, 흑연 결정이 만족스럽게 성장하지 않으며, 동시에 흑연 입자내의 기공 부피가 적어지는 경향이 있다. 반면에, 흑연화 촉매의 양이 50 중량% 보다 크면, 작업성(workability)이 저하되고, 동시에 흑연 입자내의 기공 부피가 너무 커지는 경향이 있다.
바인더로서는 타르(tar), 피치(pitch), 열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등과 같은 유기 물질이 바람직하다. 혼합되는 바인더의 양은 흑연화 될 수 있는 판상형의 원료 물질 또는 흑연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 중량%, 좀 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80 중량% 이다. 바인더의 양이 너무 많거나 너무 적으면, 제조되는 흑연 입자의 종횡비 및 비표면적이 너무 크게 되는 경향이 있다.
흑연화 될 수 있는 응집체 또는 흑연과 바인더를 함께 혼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혼합 방법은 혼련기(kneader)에 의해 실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 방법은 바인더의 연화점보다 낮지 않은 온도에서 실행된다. 엄밀히 말해 바인더가 피치, 타르 등이면, 50 내지 300 ℃, 바인더가 열경화성 수지이면 20 내지 100 ℃ 에서 혼합 방법이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얻어진 상기 혼합물이 하소되어 흑연화 처리가 실행된다. 필요하다면, 흑연화 처리 전에 상기 혼합물은 소정 형상으로 성형될 수도 있다. 또한, 필요하다면 흑연화 처리 전에 상기 형성된 혼합물을 분쇄하여 입자 직경을 소정값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하소 방법은 상기 혼합물이 산화되기 어려운 조건에서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질소, 아르곤 또는 진공에서 하소가 실행된다. 흑연화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00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800 ℃ 내지 3200 ℃ 이다.
흑연화 온도가 낮으면, 흑연 결정은 만족스럽게 성장할 수 없고, 흑연화 촉매가 흑연 입자내에 잔류하는 경향이 있다. 흑연화 촉매가 제조된 흑연 입자내에 잔류하면, 방전 용량이 감소한다. 흑연화 온도가 너무 높으면, 흑연이 승화될 수 있다.
이어지는 단계에서 제조된 흑연화된 생성물을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흑연화된 생성물을 분쇄하는 방법은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지만, 제트 밀, 바이브레이션 밀, 핀 밀, 햄머 밀 등과 같은 공지의 수단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분쇄 방법 후의 평균 입자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 이다. 평균 입자 직경이 너무 크면, 전극 표면상에 고르지 못한 부분이 쉽게 생기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술된 제 1 내지 제 6 흑연 입자는 상술된 단계들을 통해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흑연 페이스트는 상기 흑연 입자와 유기 바인더, 용제 등을 혼합하여 제조된다.
상기 유기 바인더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테르폴리머(ethylene-propylene terpolymer), 부타디엔 러버(butadiene rubber), 스티렌-부타디엔 러버(styrene-butadiene rubber), 부틸 러버, 고 이온 전도도를 갖는 폴리머 화합물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고 이온 전도도를 갖는 중합체 화합물로서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르화물(polyvinylidene fluoride), 폴리에틸렌 산화물(polyethylene oxide), 폴리에피클로로히드린(polyepichlorohydrin), 폴리포스파젠(polyphosphazen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유기 바인더들 중에 고 이온 전도도를 갖는 폴리머 화합물이 바람직하며,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르화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흑연 입자와 유기 바인더 사이의 혼합 비율은 흑연 입자의 100 중량부당 유기 바인더의 3 내지 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등이 사용된다.
상기 용제의 양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흑연 페이스트가 소정 점도로 조절될 수만 있으면 임의의 양이어도 상관없다. 바람직하게는 흑연 페이스트를 기준으로, 30 내지 70 중량% 의 용제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리튬 2차 전지용 음극은 그 특징에 따라서 대략 3 가지 형태로 분류된다.
본 발명의 리튬 2차 전지용 제 1 음극은 상술된 흑연 입자중의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리튬 2차 전지용 음극은 상기 흑연 페이스트를 시트, 펠렛 등의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상기 흑연 페이스트는 집전 장치상에 코팅되고 상기 집전 장치와 일체화됨으로써 음극을 형성한다.
집전 장치로서는 니켈, 구리 등의 호일 또는 메쉬와 같은 금속 집전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일체화 방법은, 롤(roll), 프레스(press) 등의 몰딩법, 또는 이러한 수단들의 조합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의 리튬 2차 전지용 제 2 음극은 흑연 입자와 유기 바인더의 혼합물이 집전 장치와 일체화되고, 상기 일체화 방법 후에 흑연 입자와 바인더의 혼합물은 1.5 내지 1.9 g/cm3, 바람직하게는 1.55 내지 1.85 g/cm3, 보다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1.85 g/cm3, 그리고 좀 더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1.8 g/cm3의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음극을 구성하는 흑연 입자와 바인더의 혼합물의 밀도를 증진시킴으로써, 상기 음극으로부터 얻어지는 리튬 2차 전지의 부피당 에너지 밀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흑연 입자와 유기 바인더의 혼합물의 밀도가 1.9 g/cm3를 초과하면, 빠른 충-방전 특성이 저하된다. 상기 밀도가 1.5 g/cm3보다 작으면, 그로부터 제조되는 리튬 2차 전지는 저하된 에너지 밀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리튬 2차 전지용 제 2 전극에 이용되는 흑연 입자는 그 밀도가 상술된 범위내에 속하도록 할 수 있기만 하다면 임의의 흑연도 될 수 있다. 천연 흑연 등과 같이 본 발명의 상술된 흑연 입자 이외의 물질도 이용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흑연 입자들 중에 본 발명의 상술된 흑연 입자들이 특히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본 발명의 흑연 입자를 이용하면 그로부터 제조되는 리튬 2차 전지의 음극의 밀도가 증진될 때, 방전 용량, 빠른 충-방전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을 개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리튬 2차 전지용 제 2 음극에 이용되는 유기 바인더, 집전 장치 및 용제의 종류 및 이러한 구성 요소들의 혼합 비율은 본 발명의 리튬 2차 전지용 제 1 음극과 동일할 수도 있다.
일체화 방법 후에 흑연 입자들과 유기 바인더의 혼합물의 밀도가 상술된 범위내에 속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가압하면서 집전 장치와 흑연 입자 및 유기 바인더의 혼합물의 일체화 방법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력은 롤, 프레스 등의 수단에 의해 가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리튬 2차 전지용 제 3 음극은 유기 바인더의 양이 흑연 입자 및 유기 바인더의 혼합물의 무게를 기준으로 3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2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기 바인더의 양을 상기 범위내에 속하도록 조절함으로써, 상기 혼합물의 무게당 리튬 2차 전지용 음극의 방전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유기 바인더의 양은, 흑연 입자 및 유기 바인더의 혼합물의 무게를 기준으로 12 내지 16 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바인더의 양이 3 중량% 보다 적으면, 흑연 입자들간 및 흑연 입자와 집전 장치간의 결합력이 약하고 그 계면에서의 저항이 높기 때문에, 제조된 리튬 2차 전지의 전도도가 낮고, 흑연 입자의 무게당 및 흑연 입자와 유기 바인더의 혼합물의 무게당 방전 용량이 낮다. 또한, 상기 흑연 입자들은 충전 및 방전시에 팽창 및 수축한다. 따라서, 충전과 방전이 반복되면 흑연 입자들간 및 흑연 입자와 집전 장치간에 파손이 용이하게 일어나게 되며, 이 때문에 사이클 특성이 저하된다. 반면에, 유기 바인더의 양이 20 중량% 를 초과하면, 흑연 입자들간 및 흑연 입자와 집전 장치간에 전도도가 낮은 유기 바인더가 다량 존재하고, 이 때문에 음극의 전기 전도도가 저하되며 흑연 입자의 무게당 방전 용량이 감소하고, 결과적으로 흑연 입자와 유기 바인더의 혼합물의 무게당 방전 용량이 감소한다. 또한, 유기 바인더는 충전도 방전도 되지 않기 때문에, 유기 바인더의 함량이 20 중량% 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혼합물 내의 흑연 입자들의 양이 80 중량% 보다 적어지고, 이 때문에 흑연 입자와 유기 바인더의 혼합물의 무게당 방전 용량이 적어진다.
본 발명의 리튬 2차 전지용 제 3 음극의 흑연 입자로서 본 발명의 상술된 흑연 입자들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상기 흑연 입자로부터 리튬 2차 전지용 음극이 고밀도를 갖도록 제조되면, 그로 인해 방전 용량, 빠른 충-방전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이 개선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리튬 2차 전지용 제 3 전극에 사용되는 유기 바인더, 집전 장치 및 용제의 종류, 이러한 구성성분들의 혼합 비율 및 집전 장치와 상기 혼합물의 몰딩 조건들은 본 발명의 리튬 2차 전지용 제 1 음극에서와 동일할 수도 있다.리튬 2차 전지용 제 2 음극에서와 같이 일체화된 흑연 입자와 바인더의 혼합물이 1.5 내지 1.9 g/cm3의 밀도를 갖도록 몰딩 조건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튬 2 차 전지에 전해질 용액을 주입한 후, 각 리튬 2차 전지용 음극을 격리판(seperator)을 매개로하여 상대 전극과 마주보도록 배치한다. 그러한 과정에 의해, 종래의 리튬 2차 전지들보다 용량이 크고, 빠른 충-방전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이 보다 우수하며, 비가역 용량이 적은 리튬 2차 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튬 2차 전지의 양극으로 이용되는 물질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LiNiO2, LiCoO2, LiMn2O4등이 단일하게 또는 혼합물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전해질 용액으로서는 LiClO4, LiPF6, LiAsF6, LiBF4, LiSO3CF3등의 리튬염을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디에틸 카보네이트(diethyl carbonate), 디메톡시에탄(dimethoxyethane),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등의 비수용성 용제에 용해시켜 제조한 소위 유기 전해질 용액이 이용될 수 있다.
격리판으로는 예를 들어 제직되지 않은 직물(unvoven cloths), 직물(cloths), 미세-다공성 필름 및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polyolefin)을 주 구성성분으로 이용한 결합체(combinations)가 이용될 수 있다.
도 2 는 실린더형 리튬 2차 전지의 일 실시예의 부분 단면 정면도이며, 1 은 양극, 2 는 음극, 3 은 격리판, 4 는 양극 탭(tab), 5 는 음극 탭, 6 은 양극 리드(lid), 7 은 전지 캔(battery can) 및 8 은 가스켓(gasket)을 나타낸다.
다음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실시예 1 내지 7 은 본 발명의 제 1, 제 2 및 제 3 흑연 입자들이 흑연 입자로서 사용된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리튬 2차 전지용 제 1 음극은 리튬 2차 전지용 음극 물질로서 이용된다.
제 1 실시예
(1) 흑연 입자의 제조
70 중량부의 10 ㎛ 의 평균 직경을 갖는 코크 분말, 20 중량부의 타르 피치, 10 중량부의 산화철, 20 중량부의 석탄 타르(coal tar)를 혼합하여 100 ℃ 에서 1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의 2800 ℃ 에서 하소한 후, 분쇄하여 20 ㎛ 의 평균 직경을 갖는 흑연 입자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흑연 입자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SEM 사진)에 따르면, 상기 흑연 입자들은 다수의 판상형 입자들이 서로 결합되어, 그 배향면이 서로 평행하지 않은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흑연 입자들로부터 무작위로 100 개의 입자를 선택하여 그들의 평균 종횡비를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 그 평균값은 1.8 이었다. 상기 흑연 입자의 X 선 광각 회절에서 결정의 층간 거리(d)(002) 는 3.360 Å, 및 결정 크기(Lc)(002)는 1000 Å 이상이었다. BET 법으로 측정된 비표면적은 3.5 m2/g 이었다.
(2) 리튬 2차 전지의 제조
도 2 에 도시된 형상을 갖는 리튬 2차 전지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양극 활성 물질(active material)로서는 88 중량% 의 LiCoO2가 이용되었다. 전기 전도 물질로서는 7 중량% 의 1 ㎛ 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플레이크 형상의 천연 흑연이 이용되었다. 바인더로서는 5 중량% 의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르화물(PVDF)이 이용되었다. 이 물질들에 N-메틸-2-피롤리돈(양은 페이스트를 기준으로 50 중량%, 이후 동일)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균질화하여, 양극 형성용 혼합물로서 페이스트를 얻는다.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1)에서 얻어진 90 중량부의 흑연 분말에, 바인더로서 10 중량% 의 PVDF 를 첨가하여 음극 활성물질을 제조한다. 여기에 N-메틸-2-피롤리돈(양은 페이스트를 기준으로 50 중량%, 이후 동일)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균질화하여, 음극 형성용 혼합물로서 페이스트를 얻는다.
이어서, 전술된 양극 형성용 혼합물의 페이스트를 25 ㎛ 의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 호일의 양면에 코팅하고 진공의 120 ℃ 에서 1 시간 동안 건조시킨다. 건조 후에, 롤러 프레스로 전극을 압착-형성하여 190 ㎛ 의 두께를 갖도록 한다. 단위 면적당 양극 형성용 혼합물의 코팅량은 49 mg/cm2이었다. 양극(1)의 양 단자부(길이가 각각 10 mm)는 양극 형성용 혼합물로 코팅되지 않기 때문에, 이 부분들에서는 알루미늄 호일을 노출시킨 상태로 상기 양극(1)을 폭 40 mm, 길이 285 mm 로 절단하여 양극(1)을 제조한다. 상기 노출된 알루미늄 호일부들중 하나에,초음파 결합법(ultrasonic bonding method)으로 양극 탭(4)을 접촉-결합시킨다.
한편, 음극 형성용 혼합물의 페이스트를 10 ㎛ 두께의 구리 호일의 양면에 코팅하고, 120 ℃ 에서 1 시간동안 진공 건조시킨다. 건조 후에, 롤러 프레스로 압착-성형하여 두께를 175 ㎛ 로 조절한다. 단위 면적당 음극 형성용 혼합물의 코팅량은 20 mg/cm2이고, 폭 40 mm, 길이 290 mm 의 크기로 절단하여 음극(2)을 제조한다. 양극(1)과 마찬가지로 음극(2)의 양 단자부(길이가 각각 10 mm)는 음극 형성용 혼합물로 코팅되지 않기 때문에 구리 호일이 노출되었다. 노출된 구리 호일 부분들중 하나에, 음극 탭(5)을 초음파로 접촉-결합시킨다.
격리판(3)으로서는 두께 25 ㎛, 폭 44 mm 의 폴리에틸렌 재질의 미세-다공성 필름이 이용된다. 그 후,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1), 격리판(3), 음극(2) 및 격리판(3)이 순서대로 적층되고, 이렇게 하여 얻어진 층상 구조를 말아서 전극군을 형성한다. 상기 전극군이 싱글-3(single-3) 크기의 전지 캔(7)에 삽입되고, 상기 캔 바닥에 용접으로 음극 탭(5)이 결합되고, 양극 리드(6)를 밀봉하기 위한 압착부가 제공된다. 그 후, 1 mol/liter 의 리튬 핵사플루오르포스페이트를, 에틸렌 카보네이트와 디메칠 카보네이트(도시 않음)의 1 : 1 혼합물에 용해시켜 제조된 전해질 용액을 전지 캔(7)에 주입하고, 양극 탭(4)을 용접으로 양극 리드(6)에 결합시킨 후, 양극 리드(6)를 밀봉하여 리튬 2차 전지를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리튬 2차 전지에 대하여 300 mA 의 충-방전 전류, 4.15 V 의 최종 충전 전압 및 2.8 V 의 최종 방전 전압에서, 충전 및 방전이 반복되었다. 또한, 300 mA 내지 900 mA 범위내에서 충-방전 전류를 변화시켜가며 빠른충-방전이 실행되었다. 그 결과는 도 3 및 도 4 에 도시되었다.
제 2 실시예
70 중량부의 10 ㎛ 의 평균 직경을 갖는 코크 분말, 10 중량부의 타르 피치, 2 중량부의 산화철 및 20 중량부의 석탄 타르를 혼합하여 100 ℃ 에서 1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의 2800 ℃ 에서 하소한 후, 분쇄하여 20 ㎛ 의 평균 직경을 갖는 흑연 입자를 제조하였다. 상기 흑연 입자를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다수의 판상형 입자들이 서로 응집 또는 결합되어 배향면이 서로 평행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흑연 입자들로부터 무작위로 100 개의 입자를 선택하여 그들의 평균 종횡비를 측정하였고, 그 평균값은 4.8 이었다. 상기 흑연 입자의 X 선 광각 회절로부터 결정의 층간 거리(d)(002) 는 3.363 Å, 및 결정 크기(Lc)(002)는 1000 Å 이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BET 법으로 측정된 비표면적은 4.3 m2/g 이었다.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절차로 제조된 흑연 입자로부터 리튬 2차 전지가 제조되었고, 그 전지 특성은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검사되었다. 그 결과는 도 3 및 도 4 에 도시되었다.
제 3 실시예
20 ㎛ 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코크 분말을 질소 분위기의 2800 ℃ 에서 하소하여, 20 ㎛ 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흑연 입자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흑연 입자는 평균 종횡비가 6, 비표면적이 11 m2/g, 결정의 층간거리(d)(002)는 3.365 Å, 및 결정 크기(Lc)(002)는 800 Å 인 플레이크 형상의 흑연을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플레이크 형상의 흑연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을 통해 리튬 2차 전지로 제조되었고, 그 전지 특성은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검사되었다. 그 결과는 도 3 및 도 4 에 도시되었다.
본 발명의 제 1, 제 2 및 제 3 실시예에서 제조된 리튬 2차 전지는 리튬의 흡장 및 릴리즈에 대하여 서로 비교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 3 은 리튬 2차 전지의 반복된 충-방전 테스트에 있어서, 방전 용량과 충-방전 사이클 횟수 사이의 관계를 도해하는 그래프이다. 도 3 에서 곡선 9 는 제 1 실시예에서 제조된 리튬 2차 전지의 방전 용량을 나타내고, 곡선 10 은 제 2 실시예에서 제조된 리튬 2차 전지의 방전 용량을 나타내며, 곡선 11 은 제 3 실시예에서 제조된 리튬 2차 전지의 방전 용량을 나타낸다.
도 3 에서 제 1 실시예에서 제조된 리튬 2차 전지는 최고 방전 용량이 750 mAh 이고, 500 사이클에서 방전 용량의 용량 감소비율은 최고 방전 용량을 기준으로 하여 8 % 이다. 제 2 실시예에서 제조된 리튬 2차 전지는 최고 방전 용량이 720 mAh 이고, 500 사이클에서 방전 용량의 용량 감소비율은 최고 방전 용량을 기준으로 하여 12 % 이다. 제 3 실시예에서 제조된 리튬 2차 전지는 최고 방전 용량이 650 mAh 이고, 500 사이클에서 방전 용량의 용량 감소 비율은 최고 방전 용량을 기준으로 하여 31 % 이다.
도 4 는 빠른 충-방전 테스트에 있어서 충-방전 전류와 방전 용량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곡선 12 는 제 1 실시예에서 제조된 리튬 2차 전지의 방전 용량을 나타내고, 곡선 13 은 제 2 실시예에서 제조된 리튬 2차 전지의 방전 용량을 나타내며, 곡선 14 는 제 3 실시예에서 제조된 리튬 2차 전지의 방전 용량을 나타낸다. 900 mA 의 충-방전 전류에서 제 1 실시예에서 제조된 리튬 2차 전지의 방전 용량은 630 mAh, 제 2 실시예에서 제조된 리튬 2차 전지의 방전 용량은 520 mAh 이다. 반면에, 제 3 실시예에서 제조된 리튬 2차 전지의 방전 용량은 350 mAh 이다. 300 mA 의 충-방전 전류에서 방전 용량을 기준으로하여 용량 감소 비율은 제 1 실시예에서 제조된 리튬 2차 전지에서는 16 %, 제 2 실시예에서 제조된 리튬 2차 전지에서는 28 %, 그리고 제 3 실시예에서 제조된 리튬 2차 전지에서는 46 % 이다.
제 1, 제 2 및 제 3 실시예의 테스트 결과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제 1, 제 2 및 제 3 흑연 입자를 이용한 리튬 2차 전지는 고용량이며, 충-방전 사이클 특성 및 빠른 충-방전 특성에 있어서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제 4 실시예
50 중량부의 10 ㎛ 의 평균 직경을 갖는 코크 분말, 20 중량부의 타르 피치, 10 중량부의 실리콘 탄화물 및 20 중량부의 석탄 타르를 혼합하여 100 ℃ 에서 1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의 2800 ℃ 에서 하소한 후, 분쇄하여 20 ㎛ 의 평균 직경을 갖는 흑연 입자를 제조하였다. 상기 흑연 입자들로부터 무작위로 100 개의 입자를 선택하였고, 측정된 평균 종횡비는 1.5 였다. 상기 흑연 입자의 BET 법으로 측정된 비표면적은 2.9 m2/g 이었다. 상기 흑연입자의 X 선 광각 회절로 측정된 결정의 층간 거리(d)(002) 는 3.360 Å, 및 결정 크기(Lc)(002)는 1000 Å 이상이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흑연 입자의 SEM 사진에 따르면, 상기 흑연 입자들은 다수의 판상형 입자들이 서로 응집 또는 결합되어 그 배향면이 서로 평행하지 않은 구조를 갖는다.
이어서, 90 중량% 의 상기 흑연 입자와 N-메틸-2-피롤리돈에 용해된 10 중량% (고상 성분의 무게)의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르화물을 혼합하여 흑연 페이스트를 제조한다. 상기 흑연을 두께 10 ㎛ 의 롤형 구리 호일상에 코팅하고 건조한 후, 490 MPa(0.5 ton/cm2)의 표면 압력하에서 압축-성형(compression-molded)하여 샘플 전극을 제조한다. 흑연 입자층의 두께 및 그 밀도는 각각 75 ㎛ 및 1.5 g/cm3으로 조절되었다.
상기 제조된 샘플 전극에 대하여 3-단자법에 의해 정전류(constant current) 충-방전 테스트를 실행하여, 리튬 2차 전지용 음극으로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도 5 는 리튬 2차 전지의 윤곽도이다. 에틸렌 카보네이트(EC)와 디메틸 카보네이트(DMC)의 1 : 1 (부피) 혼합물에 용해된 LiPF4로 구성된 전해질 용액(16)을 제조하고(상기 용액내에서 LiPF4의 농도는 1 mol/liter 이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액을 유리 셀(15)로 도입하고, 샘플 전극(음극)(17), 격리판(18) 및 카운터 전극(양극)(19)을 적층하고, 기준 전극(20)을 위에서 아래로 매다는 것에 의해 상기 샘플 전극을 평가하여 리튬 2차 전지를 제조한다. 카운터 전극(19) 및 기준 전극(20)으로는 금속 리튬이 이용되고, 격리판(18)으로는 미세-다공성 폴리에틸렌 필름이 이용된다. 상기 제조된 리튬 2차 전지를 이용하여, 샘플 전극(17)과 카운터 전극(19) 사이의 전압이 5 mV(Vvs. Li/Li+)가 될 때까지, 0.3 mA/cm2(샘플 전극의 면적당)의 일정한 전류에서 충전하고, 그 후 상기 전압이 1 V(Vvs. Li/Li+)가 될 때까지 방전시키고, 이 사이클을 반복하여 실험을 실행하였다. 표 1 은 제 1 사이클에서의 흑연 입자의 단위 무게당 충전 용량, 흑연 입자의 단위 무게당 방전 용량, 및 비가역 용량과 제 50 사이클에서의 흑연 입자의 단위 무게당 방전 용량을 도시한다. 또한, 빠른 충-방전 특성의 평가로서 표 2 는 0.3 mA/cm2의 일정한 전류에서 충전한 후, 0.3, 2.0, 4.0 및 6.0 mA/cm2의 다양한 방전 전류에서 방전한 실험에 있어서 방전 용량의 변화를 도시한다.
제 5 실시예
50 중량부의 10 ㎛ 의 평균 직경을 갖는 코크 분말, 10 중량부의 타르 피치, 5 중량부의 실리콘 탄화물 및 10 중량부의 석탄 타르를 혼합하여 100 ℃ 에서 1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의 2800 ℃ 에서 하소한 후, 분쇄하여 20 ㎛ 의 평균 직경을 갖는 흑연 입자를 제조하였다. 상기 흑연 입자들로부터 무작위로 100 개의 입자를 선택하였고, 측정된 평균 종횡비는 4.5 였다. 상기 흑연 입자의 BET 법으로 측정된 비표면적은 4.9 m2/g 이었다. 상기 흑연 입자의 X 선 광각 회절로 측정된 결정의 층간 거리(d)(002) 는 3.362 Å, 및 결정 크기(Lc)(002)는 1000 Å 이상이었다. 상기 흑연 입자들은 다수의 판상형 입자들이 서로 응집 또는 결합되어 그 배향면이 서로 평행하지 않은 구조를 갖는다.
그 후, 제 4 실시예의 절차를 반복하여 리튬 2차 전지를 제조한 후, 제 4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테스트를 실행하였다. 표 1 은 제 1 사이클에서의 흑연 입자의 단위 무게당 충전 용량, 흑연 입자의 단위 무게당 방전 용량, 및 비가역 용량과 제 50 사이클에서의 흑연 입자의 단위 무게당 방전 용량을 도시한다. 또한, 빠른 충-방전 특성의 평가로서 표 2 는 0.3 mA/cm2의 일정한 전류에서 충전한 후, 0.3, 2.0, 4.0 및 6.0 mA/cm2의 다양한 방전 전류에서 방전한 실험에 있어서 방전 용량의 변화를 도시한다.
제 6 실시예
50 중량부의 10 ㎛ 의 평균 직경을 갖는 코크 분말, 5 중량부의 타르 피치, 및 5 중량부의 석탄 타르를 혼합하여 100 ℃ 에서 1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의 2800 ℃ 에서 하소한 후, 분쇄하여 20 ㎛ 의 평균 직경을 갖는 흑연 입자를 제조하였다. 상기 흑연 입자들로부터 무작위로 100 개의 입자를 선택하였고, 측정된 평균 종횡비는 5 였다. 상기 흑연 입자의 BET 법으로 측정된 비표면적은 6.3 m2/g 이었다. 상기 흑연 입자의 X 선 광각 회절로 측정된 결정의 층간 거리(d)(002) 는 3.368 Å, 및 결정 크기(Lc)(002)는 700 Å 이었다. 상기 흑연 입자들은, 다수의 판상형 입자들이 서로 응집 또는 결합되어 그 배향면이 서로 평행하지 않은 구조를 갖는다.
그 후, 제 4 실시예의 절차를 반복하여 리튬 2차 전지를 제조한 후, 제 4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테스트를 실행하였다. 표 1 은 제 1 사이클에서의 흑연 입자의 단위 무게당 충전 용량, 흑연 입자의 단위 무게당 방전 용량, 및 비가역 용량과, 제 50 사이클에서의 흑연 입자의 단위 무게당 방전 용량을 도시한다. 또한, 빠른 충-방전 특성의 평가로서 표 2 는 0.3 mA/cm2의 일정한 전류에서 충전한 후, 0.3, 2.0, 4.0 및 6.0 mA/cm2의 다양한 방전 전류에서 방전한 실험에 있어서 방전 용량의 변화를 도시한다.
제 7 실시예
22 ㎛ 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코크 분말을 질소 분위기의 2800 ℃ 에서 하소하여, 20 ㎛ 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흑연 입자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흑연 입자는 평균 종횡비가 7, 비표면적이 8.5 m2/g, X 선 광각 회절법으로 측정한 결정의 층간 거리(d)(002)는 3.368 Å, 및 결정 크기(Lc)(002)는 800 Å 인 플레이크 형상의 흑연을 구성하였다.
제 4 실시예의 절차를 반복하여 리튬 2차 전지를 제조하여 제 4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전지 성능을 검사하였다. 표 1 은 제 1 사이클에서의 흑연 입자의 단위 무게당 충전 용량, 흑연 입자의 단위 무게당 방전 용량, 및 비가역 용량과 제 50 사이클에서의 흑연 입자의 단위 무게당 방전 용량을 도시한다. 또한, 빠른 충-방전 특성의 평가로서 표 2 는 0.3 mA/cm2의 일정한 전류에서 충전한 후, 0.3, 2.0, 4.0 및 6.0 mA/cm2의 다양한 방전 전류에서 방전한 실험에 있어서방전 용량의 변화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 1, 제 2 및 제 3 흑연 입자를 이용한 리튬 2차 전지는 제 7 실시예의 경우보다 방전 용량이 높고, 제 1 사이클의 비가역 용량이 적으며, 사이클 특성과 빠른 충-방전 특성이 더 우수하다는 것은 표 1 및 표 2 로부터 명백하다.
하술된 제 8 내지 제 11 실시예에서는 흑연 입자로서 본 발명의 제 4 흑연 입자의 사용, 및 리튬 2차 전지용 음극 물질로서 본 발명의 리튬 2차 전지용 제 1 음극 물질의 사용이 고찰되었다.
제 8 실시예
(1) 흑연 입자의 제조
50 중량부의 10 ㎛ 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코크 분말, 20 중량부의 타르 피치, 12 중량부의 65 ㎛ 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산화철 및 18 중량부의 석탄 타르를 혼합하여 200 ℃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먼저 질소 분위기의 800 ℃ 에서 하소한 다음, 질소 분위기의 2800 ℃ 에서 하소한 후, 분쇄하여 20 ㎛ 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흑연 입자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흑연 입자의 SEM 사진에 따르면, 상기 흑연 입자들은 다수의 판상형 입자들이 서로 응집 또는 결합되어 그 배향면이 서로 평행하지 않은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흑연 입자들로부터 무작위로 100 개의 입자를 선택하여, 그들의 평균 종횡비를 측정하였고, 계산된 평균값은 1.7 이었다. 상기 흑연 입자의 X 선 광각 회절에서 결정의 층간 거리(d)(002) 는 3.360 Å, 면 방향(La)(110)에서의 결정 크기는 720 Å 이고, c-축 방향(Lc)(002)에서의 결정 크기는 1800 Å 이었다.
(2) 리튬 2차 전지의 제조
도 2 에 도시된 리튬 2차 전지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양극 활성 물질(active material)로서 88 중량% 의 LiCoO2, 전기전도 물질로서 7 중량% 의 1 ㎛ 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플레이크 형상의 천연 흑연, 및 바인더로서 5 중량% 의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르화물(PVDF)을 이용하고, 상기 혼합물에 N-메틸-2-피롤리돈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균질화하여 양극 형성용 혼합물의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유사하게, 음극 활성물질로서 (1)에서 얻어진 90 중량% 의 흑연 분말 및 바인더로서 10 중량% 의 PVDF 이용하고, N-메틸-2-피롤리돈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균질화하여 음극 형성용 혼합물의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제조된 상기 양극 형성용 혼합물의 페이스트를 25 ㎛ 의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 호일의 양면에 코팅하고 120 ℃ 에서 1 시간동안 진공-건조시켰다. 건조 후에, 롤러 프레스로 전극을 압착-형성하여 190 ㎛ 의 두께를 갖도록 한다. 단위 면적당 양극 형성용 혼합물의 코팅량은 49 mg/cm2이었다. 길이가 각각 10 mm 인 양극(1)의 양 단자부는 양극 형성용 혼합물로 코팅되지 않기 때문에, 이 부분들에서는 알루미늄 호일을 노출시킨 상태로, 상기 양극(1)을 40 mm(폭) × 285 mm(길이) 로 절단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노출된 알루미늄 호일부들중 하나에, 초음파 결합법으로 양극 탭(4)을 접촉-결합하였다.
한편, 음극 형성용 혼합물의 페이스트를 10 ㎛ 두께의 구리 호일의 양면에 코팅하고, 120 ℃ 에서 1 시간동안 진공-건조시켰다. 건조 후에, 전극은 롤러 프레스로 압착-성형하여 두께를 175 ㎛ 로 조절한다. 단위 면적당 음극 형성용 혼합물의 코팅량은 20 mg/cm2이다. 40 mm(폭) × 290 mm(길이)의 크기로 절단하여 음극(2)을 제조한다. 양극(1)과 마찬가지로, 길이가 각각 10 mm 인 음극(2)의 양 단자부는 음극 형성용 혼합물로 코팅되지 않기 때문에, 그 부분들에서는 구리 호일이 노출되었다. 노출된 부분들중 하나에 음극 탭(5)을 초음파로 접촉-결합시킨다.
격리판(3)으로서는 두께 25 ㎛, 폭 44 mm 의 폴리에틸렌 재질의 미세-다공성 필름이 이용된다. 이어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1), 격리판(3), 음극(2) 및 격리판(3)이 순서대로 적층되고, 이렇게 하여 얻어진 층상 구조를 말아서 전극군을 형성한다. 상기 전극군이 싱글-3(single-3) 크기의 전지 캔(7)에 삽입되고, 상기 캔 바닥에 용접으로 음극 탭(5)이 결합되고, 양극 리드(6)를 밀봉하기 위한 압착부가 제공된다. 그 후, 1 mol/liter 의 리튬 핵사플루오르포스페이트를, 에틸렌 카보네이트와 디메칠 카보네이트의 1 : 1 혼합물에 용해시켜 제조된 전해질 용액(도시 않음)을 전지 캔(7)에 주입하고, 양극 탭(4)을 양극 리드(6)에 결합시킨 후, 양극 리드(6)를 밀봉하여 리튬 2차 전지를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리튬 2차 전지에 대하여 300 mA 의 충-방전 전류, 4.15 V 의 최종 충전 전압 및 2.8 V 의 최종 방전 전압에서 충전 및 방전 테스트가 반복적으로 실행되었다. 또한, 300 mA 내지 600 mA 범위내에서 충-방전 전류를 변화시켜가며 빠른 충-방전 테스트가 실행되었고, 제 1 사이클에서 흑연 입자의 단위 무게당 방전 용량 및 제 100 사이클에서 흑연 입자의 단위 무게당 방전 용량의 유지 비율이 측정되었다. 그 결과는 표 3 에 도시되었다.
제 9 실시예
50 중량부의 10 ㎛ 의 평균 직경을 갖는 코크 분말, 22 중량부의 타르 피치, 8 중량부의 25 ㎛ 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붕소 질화물 및 15 중량부의 석탄 타르를 혼합하여 200 ℃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먼저 질소 분위기의 800 ℃ 에서 하소한 다음 질소 분위기의 2800 ℃ 에서 하소한 후, 분쇄하여 20 ㎛ 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흑연 입자를 제조하였다. SEM 사진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제조된 흑연 입자들은 다수의 판상형 입자들이 서로 응집 또는 결합되어 그 배향면이 서로 평행하지 않은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흑연 입자들로부터 무작위로 100 개의 입자를 선택하여, 그들의 평균 종횡비를 측정하였고, 계산된 평균값은 1.5 이었다. 상기 흑연 입자의 X 선 광각 회절에 따르면, 결정의 층간 거리(d)(002) 는 3.363 Å, 면 방향(La)(110)에서의 결정 크기는 560 Å 이고, c-축 방향(Lc)(002)에서의 결정 크기는 1760 Å 이었다.
제 8 실시예와 동일한 절차로 제조된 흑연 입자로부터 리튬 2차 전지가 제조되었고, 그 전지 특성은 제 8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검사되었다. 그 결과는 표 3 에 도시되었다.
제 10 실시예
50 중량부의 15 ㎛ 의 평균 직경을 갖는 코크 분말, 23 중량부의 타르 피치, 및 20 중량부의 석탄 타르를 혼합하여 200 ℃ 에서 1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먼저 질소 분위기의 800 ℃ 에서 하소한 다음 질소 분위기의 2600 ℃ 에서 하소한 후, 분쇄하여 20 ㎛ 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흑연 입자를 제조하였다. SEM 사진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제조된 흑연 입자들은 다수의 판상형 입자들이 서로 응집 또는 결합되어 그 배향면이 서로 평행하지 않은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흑연 입자들로부터 무작위로 100 개의 입자를 선택하여, 그들의 평균 종횡비를 측정하였고, 계산된 평균값은 2.0 이었다. 상기 흑연 입자의 X 선 광각 회절에 따르면, 결정의 층간 거리(d)(002) 는 3.390 Å, 면방향(La)(110)에서의 결정 크기는 460 Å 이고, c-축 방향(Lc)(002)에서의 결정 크기는 300 Å 이었다.
제 8 실시예와 동일한 절차로 제조된 흑연 입자로부터 리튬 2차 전지가 제조되었고, 그 전지 특성은 제 9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검사되었다. 그 결과는 표 3 에 도시되었다.
제 11 실시예
3000 ℃ 에서 하소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 10 실시예의 절차를 반복하여 20 ㎛ 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흑연 입자가 제조되었다. SEM 사진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제조된 흑연 입자들은 다수의 판상형 입자들이 서로 응집 또는 결합되어 그 배향면이 서로 평행하지 않은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흑연 입자들로부터 무작위로 100 개의 입자를 선택하여 그들의 평균 종횡비를 측정하였고 계산된 평균값은 2.2 였다. 상기 흑연 입자의 X 선 광각 회절에 따르면, 결정의 층간 거리(d)(002) 는 3.357 Å, 면 방향(La)(110)에서의 결정 크기는 1730 Å 이고, c-축 방향(Lc)(002)에서의 결정 크기는 2050 Å 이었다.
제 8 실시예와 동일한 절차로 제조된 흑연 입자로부터 리튬 2차 전지가 제조되었고, 그 전지 특성은 제 8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검사되었다. 그 결과는 표 3 에 도시되었다.
본 발명의 제 4 흑연 입자를 이용한 리튬 2차 전지는 300 mA 의 충-방전 전류에서 방전 용량이 높고, 600 mA 의 증진된 충-방전 전류에서도 상기 높은 방전 용량의 70 % 이상을 유지하며, 빠른 충-방전 측성이 우수하다는 것은 표 3 으로부터 명백하다.
하술된 제 12 내지 제 15 실시예에서는 흑연 입자로서 본 발명의 제 5 및 제 6 흑연 입자의 사용 및 리튬 2차 전지용 음극 물질로서 본 발명의 리튬 2차 전지용 제 1 음극 물질의 사용이 고찰되었다.
제 12 실시예
40 중량부의 5 ㎛ 의 평균 직경을 갖는 코크 분말, 25 중량부의 타르 피치, 5 중량부의 48 ㎛ 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실리콘 탄화물 및 20 중량부의 석탄 타르를 혼합하여 200 ℃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의 2800 ℃ 에서 하소한 후, 분쇄하여 30 ㎛ 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흑연 입자를 제조하였다. Shimadzu Poresizer 9320 을 이용하여 수은 포로시메터법으로 상기 흑연 입자의 기공 크기 분포를 측정한 결과, 기공 크기는 102내지 106Å 범위에 걸쳐 분포하였고, 흑연 입자의 무게당 전체 기공 부피는 0.6 cc/g 이었다. 또한, 1 ×102내지 2 ×104Å 의 기공 크기를 갖는 기공들의 기공 부피는 흑연 입자들의 무게당 0.2 cc/g 이었다. 상기 흑연 입자들로부터 무작위로 100 개의 입자를 선택하였고, 측정된 평균 종횡비는 1.5 였다. 상기 흑연 입자의 BET 법으로 측정된 비표면적은 1.5 m2/g 이었다. 상기 흑연 입자의 X 선 광각 회절로 측정된 결정의 층간 거리(d)(002) 는 3.362 Å, 및 결정 크기(Lc)(002)는 1000 Å 이상이었다. 또한, SEM 사진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제조된 흑연 입자들은 다수의 판상형 입자들이 서로 응집 또는 결합되어 그 배향면이 서로 평행하지 않은 구조를 갖는다.
이어서, 90 중량% 의 상기 흑연 입자와 10 중량% (고상성분의 무게)의 N-메틸-2-피롤리돈내의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르화물(PVDF) 용액을 혼합하여 흑연 페이스트를 제조한다. 상기 흑연을 두께 10 ㎛ 의 롤형 구리 호일상에 코팅하고, 건조한 후, 490 MPa(0.5 ton/cm2)의 표면 압력하에서 압축-성형하여 샘플 전극을 제조한다. 흑연 입자층의 두께 및 그 밀도는 각각 90 ㎛ 및 1.6 g/cm3으로 조절되었다.
상기 제조된 샘플 전극에 대하여 3-단자법에 의해 정전류 충-방전 테스트를 실행하여, 리튬 2차 전지용 음극으로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도 5 는 리튬 2차 전지의 윤곽도이다. 전해질 용액(16)으로서 에틸렌 카보네이트(EC)와 디메틸 카보네이트(DMC)의 1 : 1 (부피) 혼합물내의 1 mol/liter 의 LiPF6용액을 유리 셀(15)로 도입하고, 샘플 전극(17), 격리판(18) 및 카운터 전극(19)을 적층하고, 기준 전극(20)을 위에서 아래로 매다는 것에 의해 상기 샘플 전극을 평가하여 리튬 2차 전지를 제조한다. 카운터 전극(5) 및 기준 전극(20)으로는 금속 리튬이 이용되고, 격리판(18)으로는 미세-다공성 폴리에틸렌 필름이 이용되었다. 상기 제조된 리튬 2차 전지를 이용하여, 샘플 전극(17)과 카운터 전극(19) 사이의 전압이 5 mV(Vvs. Li/Li+) 가 될 때까지, 0.5 mA/cm2(샘플 전극의 면적당)의 일정한 전류에서 충전하고, 그 후 상기 전압이 1 V(Vvs. Li/Li+)가 될 때까지 방전시키고, 이 사이클을 반복하여 테스트를 실행하였다. 표 4 는 제 1 사이클에서의 흑연 입자의 단위 무게당 충전 용량 및 방전 용량, 제 30 사이클에서의 흑연 입자의 단위 무게당 방전 용량을 도시한다.
제 13 실시예
50 중량부의 20 ㎛ 의 평균 직경을 갖는 코크 분말, 20 중량부의 타르 피치, 7 중량부의 48 ㎛ 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실리콘 탄화물 및 10 중량부의 석탄 타르를 혼합하여 200 ℃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의 2800 ℃ 에서 하소한 후, 분쇄하여 30 ㎛ 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흑연입자를 제조하였다. Shimadzu Poresizer 9320 을 이용하여 수은 포로시메터법에 의한 기공 크기 분포의 측정에 따르면, 상기 흑연 입자의 기공 크기는 102내지 106Å 에 걸쳐 분포하며, 흑연 입자의 무게당 전체 기공 부피는 1.5 cc/g 이었다. 1 ×102내지 2 ×104Å 범위의 기공 크기를 갖는 기공들의 기공 부피는 흑연 입자들의 무게당 0.13 cc/g 이었다. 상기 흑연 입자들로부터 무작위로 100 개의 입자를 선택하였고, 측정된 평균 종횡비는 2.3 이었다. 상기 흑연 입자의 BET 법으로 측정된 비표면적은 3.6 m2/g 이었다. 상기 흑연 입자의 X 선 광각 회절로 측정된 결정의 층간 거리(d)(002) 는 3.361 Å, 결정 크기(Lc)(002)는 1000 Å 이상이었다. SEM 사진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제조된 흑연 입자들은 다수의 판상형 입자들이 서로 응집 또는 결합되어, 그 배향면이 서로 평행하지 않은 구조를 갖는다.
그 후, 제 12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절차에 의해 리튬 2차 전지가 제조되고, 제 12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테스트되었다. 표 4 는 제 1 사이클에서의 흑연 입자의 단위 무게당 충전 용량 및 방전 용량, 제 30 사이클에서의 흑연 입자의 단위 무게당 방전 용량을 도시한다.
제 14 실시예
Meso Carbon Microbeads(제조원 Kawasaki Steel Corporation, 상표 KMFC)를 질소 분위기의 2800 ℃ 에서 하소하여, 25 ㎛ 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흑연 입자를 제조하였다. Shimadzu Poresizer 9320 을 이용하여 수은 포로시메터법에 의한 기공 크기 분포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상기 흑연 입자의 기공 크기는 102내지 106Å 에 걸쳐 분포하며, 흑연 입자의 무게당 전체 기공 부피는 0.35 cc/g 이었다. 1 ×102내지 2 ×104Å 범위의 기공 크기를 갖는 기공들의 기공 부피는 흑연 입자들의 무게당 0.06 cc/g 이었다. 상기 흑연 입자들로부터 무작위로 100 개의 입자를 선택하였고, 측정된 평균 종횡비는 1 이었다. 상기 흑연 입자의 BET 법으로 측정된 비표면적은 1.4 m2/g 이었다. 상기 흑연 입자의 X 선 광각 회절로 측정된 결정의 층간 거리(d)(002) 는 3.378 Å, 결정 크기(Lc)(002)는 500 Å 이었다.
제 12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여 리튬 2차 전지가 제조되고, 제 12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테스트된다. 표 4 는 제 1 사이클에서의 흑연 입자의 단위 무게당 충전 용량 및 방전 용량, 제 30 사이클에서의 흑연 입자의 단위 무게당 방전 용량을 도시한다.
제 15 실시예
50 중량부의 5 ㎛ 의 평균 직경을 갖는 코크 분말, 10 중량부의 타르 피치, 30 중량부의 65 ㎛ 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산화철 및 20 중량부의 석탄 타르를 혼합하여 200 ℃ 에서 1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의 2800 ℃ 에서 하소한 후, 분쇄하여 15 ㎛ 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흑연 입자를 제조하였다. Shimadzu Poresizer 9320 을 이용하여 수은 포로시메터법에 의한기공 크기 분포의 측정에 따르면, 상기 흑연 입자의 기공 크기는 102내지 106Å 에 걸쳐 분포하며, 흑연 입자의 무게당 전체 기공 부피는 2.1 cc/g 이었다. 1 ×102내지 2 ×104Å 범위의 기공 크기를 갖는 기공들의 기공 부피는 흑연 입자들의 무게당 0.42 cc/g 이었다. 상기 흑연 입자들로부터 무작위로 100 개의 입자를 선택하였고, 측정된 평균 종횡비는 2.8 이었다. 상기 흑연 입자의 BET 법으로 측정된 비표면적은 8.3 m2/g 이었다. 상기 흑연 입자의 X 선 광각 회절로 측정된 결정의 층간 거리(d)(002) 는 3.365 Å, 결정 크기(Lc)(002)는 1000 Å 이상이었다.
이어서, 제 12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절차에 의해 리튬 2차 전지가 제조되고, 제 12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테스트되었다. 표 4 는 제 1 사이클에서의 흑연 입자의 단위 무게당 충전 용량과 방전 용량, 및 제 30 사이클에서의 흑연 입자의 단위 무게당 방전 용량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 5 및 제 6 흑연 입자를 이용한 리튬 2차 전지는 고용량을 가지며, 사이클 특성이 우수하다는 것은 표 4 로부터 명백하다.
하술된 제 16 내지 제 21 실시예에서는 리튬 2차 전지용 음극 물질로서 본 발명의 리튬 2차 전지용 제 2 음극 물질의 사용이 고찰되었다.
제 16 실시예
50 중량부의 8 ㎛ 의 평균 직경을 갖는 코크 분말, 20 중량부의 타르 피치, 5 중량부의 실리콘 탄화물 및 15 중량부의 석탄 타르를 혼합하여 100 ℃ 에서 1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의 2800 ℃ 에서 하소한 후, 분쇄하여 25 ㎛ 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흑연 입자를 제조하였다. 상기 흑연 입자들로부터 무작위로 100 개의 입자를 선택하였고, 측정된 평균 종횡비는 1.5 였다. 상기 흑연 입자의 BET 법으로 측정된 비표면적은 2.1 m2/g 이었다. 상기 흑연 입자의 X 선 광각 회절로 측정된 결정의 층간 거리(d)(002) 는 3.365 Å, 및 결정 크기(Lc)(002)는 1000 Å 이상이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흑연 입자들은 다수의 판상형 입자들이 서로 응집 또는 결합되어 그 배향면이 서로 평행하지 않은 구조를 갖는다.
이어서, 90 중량% 의 상기 흑연 입자와 10 중량% (고상성분의 무게)의 N-메틸-2-피롤리돈내의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르화물(PVDF) 용액을 혼합하여 흑연 페이스트를 제조한다. 상기 흑연을 두께 10 ㎛ 의 롤형 구리 호일상에 코팅하고, 건조시켜 상기 N-메틸-2-피롤리돈을 제거하고, 30 MPa 의 압력하에서 압축하여 샘플 전극을 제조한다. 흑연-PVDF 혼합물 층의 두께 및 그 밀도는 각각 80 ㎛ 및1.55 g/cm3으로 조절되었다. 상기 제조된 샘플 전극에 대하여 3-단자법에 의해 정전류 충-방전 테스트를 실행하여, 리튬 2차 전지용 음극으로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도 5 는 리튬 2차 전지의 윤곽도이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해질 용액(16)으로서 에틸렌 카보네이트(EC)와 디메틸 카보네이트(DMC)의 1 : 1 (부피) 혼합물내의 1 mol/liter 의 LiPF6용액을 유리 셀(15)로 도입하고, 샘플 전극(17), 격리판(18) 및 카운터 전극(19)을 적층하고, 기준 전극(20)을 위에서 아래로 매다는 것에 의해 상기 샘플 전극을 평가하여 리튬 2차 전지를 형성하였다. 카운터 전극(19) 및 기준 전극(20)으로는 금속 리튬이 이용되고, 격리판(18)으로는 미세-다공성 폴리에틸렌 필름이 이용되었다. 상기 제조된 리튬 2차 전지를 이용하여, 샘플 전극(17)과 카운터 전극(19) 사이의 전압이 5 mV(Vvs. Li/Li+) 가 될 때까지, 0.2 mA/cm2(샘플 전극내의 흑연 입자-PVDF 혼합물의 면적당)의 일정한 전류에서 충전하고, 그 후 상기 전압이 1 V(Vvs. Li/Li+)가 될 때까지 방전시켰다. 이 사이클을 50 회 반복하여 테스트를 실행하였지만, 방전 용량은 감소하지 않았다. 또한, 빠른 충-방전 특성의 평가로서 0.3 mA/cm2의 일정한 전류에서 충전한 후, 0.5, 2.0, 4.0 및 6.0 mA/cm2의 다양한 방전 전류에서 방전을 실행하였다. 방전 용량과 흑연 입자-PVDF 혼합물의 부피 사이의 관계는 표 5 에 도시하였다.
제 17 실시예
압력의 압축력이 40 MPa 로 바뀐 것을 제외하고는, 제 16 실시예의 절차를 반복하여 샘플 전극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샘플 전극에 있어서, 흑연 입자-PVDF 혼합물의 두께는 80 ㎛ 이고, 그 밀도는 1.63 g/cm3이다.
이어서, 제 16 실시예의 절차를 반복하여 리튬 2차 전지를 제조하였고, 제 16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테스트를 실행하였다. 결과적으로, 방전 용량이 감소하지 않았다. 또한, 빠른 충-방전 특성의 평가로서 0.3 mA/cm2의 일정한 전류에서 충전한 후, 0.5, 2.0, 4.0 및 6.0 mA/cm2의 다양한 방전 전류에서 방전을 실행하였다. 상기 방전 용량들은 표 5 에 도시되었다.
제 18 실시예
압력의 압축력이 80 MPa 로 바뀐 것을 제외하고는, 제 16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샘플 전극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샘플 전극에 있어서 흑연 입자-PVDF 혼합물의 두께는 80 ㎛ 이고, 그 밀도는 1.75 g/cm3이다.
이어서, 제 16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 2차 전지를 제조하였고, 제 16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테스트를 실행하였다. 결과적으로 방전 용량이 감소하지 않았다. 또한, 빠른 충-방전 특성의 평가로서 0.3 mA/cm2의 일정한 전류에서 충전한 후, 0.5, 2.0, 4.0 및 6.0 mA/cm2의 다양한 방전 전류에서 방전을 실행하였다. 상기 방전 용량들은 표 5 에 도시되었다.
제 19 실시예
압력의 압축력이 100 MPa 로 바뀐 것을 제외하고는, 제 16 실시예의 절차를 반복하여 샘플 전극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샘플 전극에 있어서 흑연 입자-PVDF 혼합물의 두께는 80 ㎛ 이고, 그 밀도는 1.85 g/cm3이다.
이어서, 제 16 실시예의 절차를 반복하여 리튬 2차 전지를 제조하였고, 제 16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테스트를 실행하였다. 결과적으로, 방전 용량이 감소하지 않았다. 또한, 빠른 충-방전 특성의 평가로서 0.3 mA/cm2의 일정한 전류에서 충전한 후, 0.5, 2.0, 4.0 및 6.0 mA/cm2의 다양한 방전 전류에서 방전을 실행하였다. 상기 방전 용량들은 표 5 에 도시되었다.
제 20 실시예
압력의 압축력이 20 MPa 로 바뀐 것을 제외하고는, 제 16 실시예의 절차를 반복하여 샘플 전극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샘플 전극에 있어서 흑연 입자-PVDF 혼합물의 두께는 80 ㎛ 이고, 그 밀도는 1.45 g/cm3이다.
이어서, 제 16 실시예의 절차를 반복하여 리튬 2차 전지를 제조하였고, 제 16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테스트를 실행하였다. 결과적으로 방전 용량이 감소하지 않았다. 또한, 빠른 충-방전 특성의 평가로서 0.3 mA/cm2의 일정한 전류에서 충전한 후, 0.5, 2.0, 4.0 및 6.0 mA/cm2의 다양한 방전 전류에서방전을 실행하였다. 상기 방전 용량들은 표 5 에 도시되었다.
제 21 실시예
압력의 압축력이 140 MPa 로 바뀐 것을 제외하고는, 제 16 실시예의 절차를 반복하여 샘플 전극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샘플 전극에 있어서 흑연 입자-PVDF 혼합물의 두께는 80 ㎛ 이고, 그 밀도는 1.93 g/cm3이다.
이어서, 제 16 실시예의 절차를 반복하여 리튬 2차 전지를 제조하였고, 제 16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테스트를 실행하였다. 결과적으로 방전 용량이 15.7 % 감소하였다. 빠른 충-방전 특성의 평가로서 0.3 mA/cm2의 일정한 전류에서 충전한 후, 0.5, 2.0, 4.0 및 6.0 mA/cm2의 다양한 방전 전류에서 방전을 실행하였다. 상기 방전 용량들은 표 5 에 도시되었다.
표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튬 2차 전지용 제 2 음극을 이용한 리튬 2차 전지는 방전 용량이 높고 빠른 충-방전 특성이 우수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제 22 실시예 내지 제 29 실시예에서, 리튬 2차 전지용 음극물질로서 본 발명의 리튬 2차 전지용 제 3 음극의 이용이 고찰되었다
제 22 실시예
50 중량부의 10 ㎛ 의 평균 직경을 갖는 코크 분말, 20 중량부의 타르 피치, 5 중량부의 실리콘 탄화물 및 15 중량부의 석탄 타르를 혼합하여 100 ℃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의 3000 ℃ 에서 하소한 후, 분쇄하여 25 ㎛ 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흑연 입자를 제조하였다. 상기 흑연 입자들로부터 무작위로 100 개의 입자를 선택하였고, 측정된 평균 종횡비는 1.3 이었다. 상기 흑연 입자의 BET 법으로 측정된 비표면적은 1.9 m2/g 이었다. 상기 흑연 입자의 X 선 광각 회절로 측정된 결정의 층간 거리(d)(002) 는 3.36 Å, 및 결정 크기(Lc)(002)는 1000 Å 이상이었다. 또한, SEM 사진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제조된 흑연 입자들은 다수의 판상형 입자들이 서로 응집 또는 결합되어, 그 배향면이 서로 평행하지 않은 구조를 갖는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제조된 89 중량% 의 상기 흑연 입자와 11 중량% (고상성분의 무게)의 N-메틸-2-피롤리돈내의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르화물(PVDF) 용액을 혼련하여 흑연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흑연 페이스트를 두께 10 ㎛ 의 롤형 구리 호일상에 코팅하고, 건조시키며, 롤러로 압축하여, 흑연-PVDF 혼합물 층의 두께가 80 ㎛ 이고, 그 밀도는 1.5 g/cm3인 샘플 전극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샘플 전극에 대하여 3-단자법에 의해 정전류 충-방전 테스트를 실행하여, 리튬 2차 전지용 음극으로서의 성능이 평가되었다. 도 5 는 리튬 2차 전지의 윤곽도이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틸렌 카보네이트(EC)와 디메틸 카보네이트(DMC)의 1 : 1 (부피) 혼합물에 용해된 LiPF 로 구성된 전해질 용액(2)으로서, 상기 용액의 농도가 1 mol/liter 가 되도록 전해질 용액(16)을 제조하고, 상기 용액을 유리 셀(15)로 도입하고, 샘플 전극(17), 격리판(18) 및 카운터 전극(19)을 적층하고, 기준 전극(20)을 위에서 아래로 매다는 것에 의해 상기 샘플 전극을 평가하였다. 카운터 전극(19) 및 기준 전극(20)으로는 금속 리튬이 이용되고, 격리판(18)으로는 미세-다공성 폴리에틸렌 필름이 이용되었다. 상기 제조된 리튬 2차 전지를 이용하여, 샘플 전극(17)과 카운터 전극(19) 사이의 전압이 5 mV(Vvs. Li/Li+) 가 될 때까지, 0.3 mA/cm2(샘플 전극내의 흑연 입자-PVDF 혼합물의 면적당)의 일정한 전류에서 충전하고, 그 후 상기 전압이 1 V(Vvs. Li/Li+)가 될 때까지 방전시키고, 이 사이클을 반복하여 테스트를 실행했다. 표 6 은 흑연 입자의 단위 무게당 방전 용량, 흑연 입자-PVDF 혼합물의 단위 무게당 방전 용량, 및 제 50 사이클에서의 흑연 입자-PVDF 혼합물의 단위 무게당 방전 용량을 도시한다. 또한, 빠른 충-방전 특성의 평가로서 표 6 은 또한, 0.3 mA/cm2의 일정한 전류에서 충전하고, 3.0 mA/cm2의 전류에서 방전하는 실험에 있어서의 방전 용량을 나타낸다.
제 23 실시예
87 중량% 의 제 22 실시예에서 제조된 상기 흑연 입자와 13 중량%(고상성분의 무게)의 N-메틸-2-피롤리돈내에 용해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르화물(PVDF)을 혼련하여, 흑연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그 후, 제 22 실시예의 절차를 반복하여, 흑연 입자-PVDF 혼합물층의 두께가 80 ㎛ 이고, 그 밀도가 1.5 g/cm3인 샘플 전극을 제조하였다.
그 후, 제 22 실시예와 동일한 절차에 의해 리튬 2차 전지를 제조하고, 제 22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테스트하였다. 그 결과는 표 6 에 도시하였다.
제 24 실시예
85 중량% 의 제 22 실시예에서 제조된 상기 흑연 입자와 15 중량%(고상성분의 무게)의 N-메틸-2-피롤리돈내에 용해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르화물(PVDF)을 혼련하여 흑연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그 후, 제 22 실시예의 절차를 반복하여, 흑연 입자-PVDF 혼합물층의 두께가 80 ㎛ 이고 그 밀도가 1.5 g/cm3인 샘플 전극을 제조하였다.
그 후, 제 22 실시예와 동일한 절차에 의해 리튬 2차 전지를 제조하고, 제 22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테스트하였다. 그 결과는 표 6 에 도시하였다.
제 25 실시예
82 중량% 의 제 22 실시예에서 제조된 상기 흑연 입자와 18 중량%(고상성분의 무게)의 N-메틸-2-피롤리돈내에 용해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르화물(PVDF)을 혼련하여, 흑연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그 후, 제 22 실시예의 절차를 반복하여, 흑연 입자-PVDF 혼합물층의 두께가 80 ㎛ 이고 그 밀도가 1.5 g/cm3인 샘플 전극을 제조하였다.
그 후, 제 22 실시예와 동일한 절차에 의해 리튬 2차 전지를 제조하고, 제 22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테스트하였다. 그 결과는 표 6 에 도시하였다.
제 26 실시예
80 중량% 의 제 22 실시예에서 제조된 상기 흑연 입자와 20 중량%(고상성분의 무게)의 N-메틸-2-피롤리돈내에 용해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르화물(PVDF)을 혼련하여, 흑연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그 후, 제 22 실시예의 절차를 반복하여, 흑연 입자-PVDF 혼합물층의 두께가 80 ㎛ 이고 그 밀도가 1.5 g/cm3인 샘플 전극을 제조하였다.
그 후, 제 22 실시예와 동일한 절차에 의해 리튬 2차 전지를 제조하고, 제 22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테스트하였다. 그 결과는 표 6 에 도시하였다.
제 27 실시예
92 중량% 의 제 22 실시예에서 제조된 상기 흑연 입자와 8 중량%(고상성분의 무게)의 N-메틸-2-피롤리돈내에 용해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르화물(PVDF)을 혼련하여, 흑연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그 후, 제 22 실시예의 절차를 반복하여, 흑연 입자-PVDF 혼합물층의 두께가 80 ㎛ 이고 그 밀도가 1.5 g/cm3인 샘플 전극을 제조하였다.
그 후, 제 22 실시예와 동일한 절차에 의해 리튬 2차 전지를 제조하고, 제22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테스트하였다. 그 결과는 표 6 에 도시하였다.
제 28 실시예
97.5 중량% 의 제 22 실시예에서 제조된 상기 흑연 입자와 2.5 중량%(고상성분의 무게)의 N-메틸-2-피롤리돈내에 용해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르화물(PVDF)을 혼련하여 흑연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그 후, 제 22 실시예의 절차를 반복하여, 흑연 입자-PVDF 혼합물층의 두께가 80 ㎛ 이고 그 밀도가 1.5 g/cm3인 샘플 전극을 제조하였다.
그 후, 제 22 실시예와 동일한 절차에 의해 리튬 2차 전지를 제조하고, 제 22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테스트하였다. 그 결과는 표 6 에 도시하였다.
제 29 실시예
78 중량% 의 제 22 실시예에서 제조된 상기 흑연 입자와 22 중량%(고상성분의 무게)의 N-메틸-2-피롤리돈내에 용해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르화물(PVDF)을 혼련하여, 흑연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그 후, 제 22 실시예의 절차를 반복하여, 흑연 입자-PVDF 혼합물층의 두께가 80 ㎛ 이고 그 밀도가 1.5 g/cm3인 샘플 전극을 제조하였다.
그 후, 제 22 실시예와 동일한 절차에 의해 리튬 2차 전지를 제조하고, 제 22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테스트하였다. 그 결과는 표 6 에 도시하였다.
표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리튬 2차 전지는 용량이 높고, 빠른 충-방전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이 우수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흑연 입자는 빠른 충-방전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이 우수한 리튬 2차 전지용으로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흑연 입자는 제 1 사이클에서 비가역 용량이 적고 사이클 특성이 우수한 리튬 2차 전지용으로 적합하다.
또한, 흑연 입자를 위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빠른 충-방전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이 우수한 리튬 2차 전지용, 또는 제 1 사이클에서 비가역 용량이 적고 사이클 특성이 우수한 리튬 2차 전지용, 또는 제 1 사이클에서 비가역 용량이 적고 빠른 충-방전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이 우수한 리튬 2차 전지용으로 적합한 흑연 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흑연 페이스트는 빠른 충-방전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이 우수한 리튬 2차 전지용, 또는 제 1 사이클에서 비가역 용량이 적고 사이클 특성이 우수한 리튬 2차 전지용, 또는 제 1 사이클에서 비가역 용량이 적고 빠른 충-방전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이 우수한 리튬 2차 전지용으로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리튬 2차 전지용 음극 물질 및 그 생산 방법은 용량이 높고 빠른 충-방전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이 우수한 리튬 2차 전지, 또는 제 1 사이클에서 비가역 용량이 적고 사이클 특성이 우수한 리튬 2차 전지, 또는 제 1 사이클에서 비가역 용량이 적고 빠른 충-방전 특성 및 사이클 특성 이 우수한 리튬 2차 전지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리튬 2차 전지는 용량이 높고 빠른 충-방전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이 우수하거나, 또는 제 1 사이클에서 비가역 용량이 적고 사이클 특성이 우수하거나, 또는 제 1 사이클에서 비가역 용량이 적고 빠른 충-방전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이 우수하다.

Claims (29)

  1. 종횡비가 5 이하이고, 결정의 c-축 방향(두께 방향)의 결정크기가 500 Å 이상이고, 프레싱으로 일체화한 후 측정하였을 때, 음극 밀도가 1.5 내지 1.9 g/㎤인 리튬 2 차 전지 음극용 흑연입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종횡비가 1.2 내지 5 인 리튬 2 차 전지 음극용 흑연입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종횡비가 1.3 내지 3 인 리튬 2 차 전지 음극용 흑연입자.
  4. 제 1 항에 있어서, 면방향의 결정크기가 1000 Å 이하인 리튬 2 차 전지 음극용 흑연입자.
  5. 제 1 항에 있어서, 흑연입자의 비표면적이 8 ㎡/g 이하인 리튬 2 차 전지 음극용 흑연입자.
  6. 제 1 항에 있어서, 흑연입자의 비표면적이 2 내지 5 ㎡/g 인 리튬 2 차 전지 음극용 흑연입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입자가 집합체의 형태인 리튬 2 차 전지 음극용 흑연입자.
  8. 흑연입자의 비표면적이 8 ㎡/g 이하이고, 결정의 c-축 방향(두께 방향)의 결정크기가 500 Å 이상이고, 프레싱으로 일체화한 후 측정하였을 때, 음극 밀도가 1.5 내지 1.9 g/㎤인 리튬 2 차 전지 음극용 흑연입자.
  9. 제 8 항에 있어서, 흑연입자의 비표면적이 2 내지 5 ㎡/g 인 리튬 2 차 전지 음극용 흑연입자.
  10. 제 8 항에 있어서, 종횡비가 1.2 내지 5 인 리튬 2 차 전지 음극용 흑연입자.
  11. 제 8 항에 있어서, 종횡비가 1.3 내지 3 인 리튬 2 차 전지 음극용 흑연입자.
  12. 제 8 항에 있어서, 면방향의 결정크기가 1000 Å 이하인 리튬 2 차 전지 음극용 흑연입자.
  13. 제 8 항에 있어서, 입자가 집합체의 형태인 리튬 2 차 전지 음극용 흑연입자.
  14. 3 이상의 판상형 입자가 서로 응집 또는 결합되어 배향면이 서로 평행하지 않고, 프레싱으로 일체화한 후 측정하였을 때, 음극 밀도가 1.5 내지 1.9 g/㎤인 리튬 2 차 전지 음극용 흑연입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제 1 흑연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1 내지 100 ㎛ 인 리튬 2 차 전지 음극용 흑연입자.
  16. 제 14 항에 있어서, 각 판상형 입자의 크기가 서로 응집 또는 결합된 흑연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의 2/3 인 리튬 2 차 전지 음극용 흑연입자.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정의 층간 거리가 3.38 Å 이하인 리튬 2 차 전지 음극용 흑연입자.
  18.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흑연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10 내지 50 ㎛ 인 리튬 2 차 전지 음극용 흑연입자.
  19. 흑연화 될 수 있는 원료 물질 또는 흑연 및 흑연화 될 수 있는 바인더에 1내지 50 중량%의 흑연화 촉매를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균질화 및 하소하고, 그 후 분쇄하는 것을 포함하는 음극 밀도가 1.5 내지 1.9 g/㎤ 인 리튬 2 차 전지 음극용 흑연입자의 제조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흑연화 촉매의 평균 입자경이 150 ㎛ 이하인 리튬 2 차 전지 음극용 흑연입자의 제조방법.
  21. 흑연화 될 수 있는 원료 물질 또는 흑연 및 흑연화 될 수 있는 바인더에 1 내지 50 중량%의 흑연화 촉매를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균질화 및 하소하고, 분쇄하는 것을 포함하는 리튬 2 차 전지 음극용 흑연입자의 제조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흑연화 촉매의 평균 입자경이 150 ㎛ 이하인 리튬 2 차 전지 음극용 흑연입자의 제조방법.
  23. 프레싱으로 일체화한 후 측정하였을 때, 음극 밀도가 1.5 내지 1.9 g/㎤인 제 1 항, 제 8 항, 제 14 항 또는 제 19 항의 흑연입자를 포함하는 리튬 2 차 전지 음극용 흑연페이스트.
  24. 프레싱으로 일체화한 후 측정하였을 때, 음극 밀도가 1.5 내지 1.9 g/㎤인 제 1 항, 제 8 항, 제 14 항 또는 제 19 항의 흑연입자를 포함하는 리튬 2 차 전지용 음극.
  25. 제 24 항에 있어서, 유기 바인더의 함량이 흑연입자 및 유기바인더의 혼합물을 기준으로하여 3 내지 20 중량 % 인 리튬 2 차 전지용 음극.
  26. 제 24 항에 있어서, 유기 바인더의 함량이 흑연입자 및 유기바인더의 혼합물을 기준으로하여 11 내지 20 중량 % 인 리튬 2 차 전지용 음극.
  27. 제 24 항에 있어서, 프레싱으로 일체화한 후 측정하였을 때, 음극 밀도가 1.55 내지 1.85 g/㎤인 리튬 2 차 전지용 음극.
  28. 제 24 항에 있어서, 프레싱으로 일체화한 후 측정하였을 때, 음극 밀도가 1.6 내지 1.8 g/㎤인 리튬 2 차 전지용 음극.
  29. 제 24 항의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2 차 전지.
KR1020030003776A 1996-08-08 2003-01-20 흑연 입자 및 이를 음극으로 이용하는 리튬 2차 전지 KR100442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319A KR100446828B1 (ko) 1996-08-08 2004-03-15 흑연 입자 및 이를 음극으로 이용하는 리튬 2차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971396 1996-08-08
JPJP-P-1996-00209713 1996-08-08
JPJP-P-1996-00264265 1996-10-04
JP26426596 1996-10-04
JP28810996 1996-10-30
JPJP-P-1996-00288109 1996-10-30
JP32392196 1996-12-04
JPJP-P-1996-00323921 1996-12-04
JP34840696 1996-12-26
JP34840596 1996-12-26
JPJP-P-1996-00348405 1996-12-26
JPJP-P-1996-00348406 1996-12-26
KR10-2002-7012882A KR100438476B1 (ko) 1996-08-08 1997-08-07 흑연 입자 및 이를 음극으로 이용하는 리튬 2차 전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2882A Division KR100438476B1 (ko) 1996-08-08 1997-08-07 흑연 입자 및 이를 음극으로 이용하는 리튬 2차 전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7319A Division KR100446828B1 (ko) 1996-08-08 2004-03-15 흑연 입자 및 이를 음극으로 이용하는 리튬 2차 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2178B1 true KR100442178B1 (ko) 2004-07-30

Family

ID=2755386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0949A KR100377993B1 (ko) 1996-08-08 1997-08-07 흑연 입자 및 이를 음극으로 이용하는 리튬 2차 전지
KR10-2002-7012882A KR100438476B1 (ko) 1996-08-08 1997-08-07 흑연 입자 및 이를 음극으로 이용하는 리튬 2차 전지
KR1020030003776A KR100442178B1 (ko) 1996-08-08 2003-01-20 흑연 입자 및 이를 음극으로 이용하는 리튬 2차 전지
KR1020040017319A KR100446828B1 (ko) 1996-08-08 2004-03-15 흑연 입자 및 이를 음극으로 이용하는 리튬 2차 전지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0949A KR100377993B1 (ko) 1996-08-08 1997-08-07 흑연 입자 및 이를 음극으로 이용하는 리튬 2차 전지
KR10-2002-7012882A KR100438476B1 (ko) 1996-08-08 1997-08-07 흑연 입자 및 이를 음극으로 이용하는 리튬 2차 전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7319A KR100446828B1 (ko) 1996-08-08 2004-03-15 흑연 입자 및 이를 음극으로 이용하는 리튬 2차 전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5) US6344296B1 (ko)
EP (2) EP0918040B1 (ko)
KR (4) KR100377993B1 (ko)
CN (4) CN100350653C (ko)
CA (3) CA2262613C (ko)
DE (2) DE69718327T2 (ko)
WO (1) WO19980066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40397B (zh) * 1996-08-08 2011-07-20 日立化成工业株式会社 石墨颗粒
CN100350653C (zh) * 1996-08-08 2007-11-21 日立化成工业株式会社 石墨颗粒
KR100269918B1 (ko) * 1997-08-28 2000-10-16 김순택 리튬 계열 이차 전지의 음극용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020054995A1 (en) * 1999-10-06 2002-05-09 Marian Mazurkiewicz Graphite platelet nanostructures
KR100597065B1 (ko) * 2001-01-25 2006-07-06 히다치 가세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인조흑연질 입자 및 그 제조방법, 비수전해액 2차전지음극 및 그 제조방법, 및 리튬 2차전지
JP2002348110A (ja) * 2001-05-28 2002-12-04 Mitsui Mining Co Ltd 黒鉛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6921610B2 (en) * 2001-07-11 2005-07-26 The Gillette Company Battery
US7052803B2 (en) * 2002-07-31 2006-05-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WO2004056703A1 (ja) * 2002-12-19 2004-07-08 Jfe Chemical Corporation 複合黒鉛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負極材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US20040234860A1 (en) * 2003-05-23 2004-11-25 Deyang Qu Alkaline electrochemical cell having modified graphite additive
KR20060022230A (ko) 2003-07-22 2006-03-09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개질된 흑연 미립자 및 이의 제조방법
US7947394B2 (en) * 2003-09-05 2011-05-24 Hitachi Chemical Co., Lt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use cathode material, production method there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use cathode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using the cathode material
US7557433B2 (en) 2004-10-25 2009-07-07 Mccain Joseph H Microelectronic device with integrated energy source
EP2472638A3 (en) * 2003-12-15 2013-09-11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Nonaqueous-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KR20130024968A (ko) * 2004-01-16 2013-03-08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리튬 이차전지
KR101189533B1 (ko) * 2004-03-30 2012-10-11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용 음극 재료, 그 제조 방법, 음극 및전지
CN100385719C (zh) * 2004-06-11 2008-04-30 肇庆市风华锂电池有限公司 锂离子二次电池负极材料及所得电池
JP4310646B2 (ja) * 2005-02-09 2009-08-12 ソニー株式会社 負極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池
JP4911909B2 (ja) * 2005-03-29 2012-04-04 三洋電機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
JP4244041B2 (ja) * 2005-04-07 2009-03-25 シャープ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19716B1 (ko) * 2005-09-27 2007-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JP4797577B2 (ja) * 2005-10-31 2011-10-19 ソニー株式会社 電池
US8329136B2 (en) * 2005-12-14 2012-12-11 Nippon Coke & Engineering Company, Limited Graphite particle, carbon-graphite composite particle and their production processes
KR100861713B1 (ko) * 2006-02-09 2008-10-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
JP4413888B2 (ja) 2006-06-13 2010-02-10 株式会社東芝 蓄電池システム、車載電源システム、車両、および蓄電池システムの充電方法
US20080067972A1 (en) 2006-09-15 2008-03-20 Norio Takami Power supply system and motor car
JP4735579B2 (ja) * 2007-03-26 2011-07-27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
EP2212951A1 (en) * 2007-11-01 2010-08-04 Lockheed Martin Corporation Safe reserve activated lithium ion battery
CN101323447B (zh) * 2008-07-21 2012-02-22 深圳市贝特瑞新能源材料股份有限公司 锂离子电池负极的石墨粉及其制备方法
US20110200874A1 (en) * 2008-09-30 2011-08-18 Tetsushi Ono Anodic carbon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lithium secondary battery anode,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odic carbon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JP2010272380A (ja) * 2009-05-22 2010-12-02 Hitachi Ltd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WO2011052452A1 (ja) * 2009-10-27 2011-05-05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負極用炭素粒子、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101117632B1 (ko) * 2010-07-07 2012-02-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층간 거리가 조절된 결정성 탄소 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US9437344B2 (en) 2010-07-22 2016-09-06 Nanotek Instruments, Inc. Graphite or carbon particulates for the lithium ion battery anode
EP2650954B1 (en) * 2010-12-10 2016-09-28 Hitachi Chemical Co., Ltd.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N102593434B (zh) * 2011-01-11 2015-11-25 上海杉杉科技有限公司 锂二次电池用复合石墨颗粒及其制备方法
EP2738842A4 (en) * 2011-07-29 2015-03-11 Sumitomo Bakelite Co PROCESS FOR PRODUCING A CARBON MATERIAL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ARBON MATERIAL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COMPOSITION, CARBON COMPOSITE MATERIAL FOR NEGATIVE ELECTRODE OF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MIXTURE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N102424376A (zh) * 2011-09-09 2012-04-25 湖州创亚动力电池材料有限公司 一种锂离子动力电池倍率型负极材料的制造方法及制品
US9059467B2 (en) 2011-10-21 2015-06-16 Showa Denko K.K. Method for producing electrode material for lithium ion batteries
JP5266428B1 (ja) 2011-10-21 2013-08-21 昭和電工株式会社 黒鉛材料、電池電極用炭素材料、及び電池
WO2013058347A1 (ja) 2011-10-21 2013-04-25 昭和電工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電極材料の製造方法
US8568924B2 (en) * 2011-11-30 2013-10-29 CNano Technology Limited Modified battery anode with carbon nanotubes
KR101569976B1 (ko) * 2012-02-29 2015-11-17 신코베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리튬 이온 전지
HUE036038T2 (hu) * 2012-04-05 2018-06-28 Imerys Graphite & Carbon Switzerland Ltd Felület-oxidált alacsony fajlagos felületû grafit, eljárás annak elõállítására, és annak alkalmazása
CN104718158B (zh) 2012-10-12 2016-11-09 昭和电工株式会社 碳材料、电池电极用碳材料以及电池
CN103022492A (zh) * 2012-11-28 2013-04-03 上海锦众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改良石墨复合负极材料的制备方法
CN108502877A (zh) 2013-02-04 2018-09-07 昭和电工株式会社 石墨粉及其制造方法、以及电池电极用石墨材料、锂电池用电极和锂离子二次电池
WO2014141552A1 (ja) * 2013-03-15 2014-09-18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負極製造用ペーストの製造方法、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の製造方法、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5996473B2 (ja) 2013-03-29 2016-09-21 Jxエネルギー株式会社 黒鉛の製造方法及び黒鉛製造用粒子
CN103241731B (zh) * 2013-04-01 2016-03-30 东莞市凯金新能源科技有限公司 二次锂离子电池用复合石墨材料的制备方法
US20160204422A1 (en) * 2013-08-20 2016-07-14 Graftech International Holdings Inc. Battery anode
WO2015115089A1 (ja) * 2014-01-29 2015-08-06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電極用スラリー組成物、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電極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101898359B1 (ko) * 2014-02-04 2018-09-12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리튬이온 이차 전지용 음극, 리튬이온 이차 전지, 리튬이온 이차 전지용 음극용 합재 페이스트 및 리튬이온 이차 전지용 음극의 제조 방법
CN103943860B (zh) * 2014-04-25 2016-03-30 焦作聚能能源科技有限公司 锂离子动力与储能电池用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和电池
KR101685832B1 (ko) * 2014-07-29 2016-1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흑연 2차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6181960A1 (ja) * 2015-05-11 2016-11-17 昭和電工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負極材用黒鉛粉の製造方法
KR20170016711A (ko) * 2015-08-04 2017-02-14 지에스에너지 주식회사 전해액 함습성이 우수한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활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EP3408225B1 (de) * 2016-01-29 2024-03-06 SGL Carbon SE Katalytisch wirksame additive für petrolstaemmige oder kohlestaemmige kokse
US10710094B2 (en) 2016-05-18 2020-07-14 Syrah Resources Ltd. Method and system for precision spheroidisation of graphite
KR102061442B1 (ko) 2016-06-08 2019-12-31 가부시키가이샤 인비젼 에이이에스씨 재팬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
CN109314239A (zh) 2016-06-23 2019-02-05 昭和电工株式会社 石墨材料及使用其的二次电池用电极
US10710882B2 (en) 2016-06-27 2020-07-14 Syrah Resources Ltd. Purification process modeled for shape modified natural graphite particles
KR102338842B1 (ko) * 2016-07-13 2021-12-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80007618A (ko) * 2016-07-13 2018-0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255125B1 (ko) * 2016-11-29 2021-05-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CN110520381A (zh) * 2017-04-03 2019-11-29 乔治华盛顿大学 从生物质或其它含碳材料生产结晶片状石墨的方法和系统
US11196036B2 (en) 2017-04-10 2021-12-07 Nano And Advanced Materials Institute Limited High energy density fast charge Li ion battery and the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WO2019026265A1 (ja) * 2017-08-03 2019-02-07 日立化成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材、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材スラリー、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CN111356651A (zh) * 2017-11-16 2020-06-30 株式会社大赛璐 电容器用电极材料
EP3731315A4 (en) 2017-12-22 2021-10-27 Tokai Carbon Co., Ltd.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CN108879014B (zh) * 2018-07-26 2020-11-27 桑顿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负极材料的回收方法
WO2020144977A1 (ja) * 2019-01-10 2020-07-16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及び蓄電素子の製造方法
US10601047B1 (en) * 2019-04-02 2020-03-24 Chongqing Jinkang New Energy Automobile Co., Ltd. Pre-cracked anode particles for high-rate charging applications
DE112022001023T5 (de) * 2021-04-08 2023-11-23 The Industry & Academic Cooperation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ac) Graphitaktives material,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hochleistungs-sekundärbatterie zum hochgeschwindigkeitsladen mit demselben
EP4180394A4 (en) * 2021-09-22 2023-08-30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 COMPOUNDED ARTIFICIAL GRAPHIT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COMPOUNDED ARTIFICIAL GRAPHITE SECONDARY BATTERY AND POWER DRAWING DEVICE
US20230147558A1 (en) * 2021-11-09 2023-05-11 Microvast Power Systems Co., Ltd. Negative electrode material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9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22395U (ko) 1971-04-03 1972-11-13
EP0067555A3 (en) 1981-05-22 1983-11-09 Fuji Photo Optical Co., Ltd. Apparatus for restoring the light transmittance of an image-transmitting optical fiber bundle used in fiberoptic endoscope
JPS59213610A (ja) 1983-05-18 1984-12-03 Showa Denko Kk 炭素成形体及びその製造法
JPS61127612A (ja) * 1984-11-26 1986-06-14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導電性黒鉛材料の製造方法
US4945014A (en) 1988-02-10 1990-07-31 Mitsubishi Petrochemical Co., Ltd. Secondary battery
JPH01294356A (ja) * 1988-05-20 1989-11-28 Hitachi Maxell Ltd リチウム二次電池
JPH0222738A (ja) 1988-07-11 1990-01-25 Nec Field Service Ltd 再実行ジョブ名表示方式
US5475491A (en) * 1989-02-10 1995-12-12 Canon Kabushiki Kaisha Exposure apparatus
JPH0714805B2 (ja) * 1989-07-28 1995-02-22 オリエンタル産業株式会社 改良黒鉛粉末,該改良黒鉛粉末を含有する乾電池及び摺動部材
US5257167A (en) 1989-08-24 1993-10-26 Delco Electronics Corporation Silhouette illuminated vehicle display apparatus
US5268398A (en) 1989-09-01 1993-12-07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Friction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material
JPH0399126A (ja) 1989-09-12 1991-04-24 Sumitomo Chem Co Ltd 潜熱蓄熱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潜熱蓄熱式電気床暖房装置
JPH03137001A (ja) * 1989-10-19 1991-06-11 Mitsubishi Gas Chem Co Inc メタノールの改質方法
JP3017524B2 (ja) 1990-10-09 2000-03-13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Icメモリカードにおけるデータ記録方法およびicメモリカードシステム
JP2637305B2 (ja) 1991-01-14 1997-08-06 株式会社東芝 リチウム二次電池
US5602789A (en) * 1991-03-12 1997-02-11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non-volatile and multi-level memory systemn with write-verify controller
JPH04308671A (ja) 1991-04-08 1992-10-30 Fuji Photo Film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
JP3167767B2 (ja) 1991-12-27 2001-05-21 シャープ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及びその製造方法
JP3291756B2 (ja) 1992-04-28 2002-06-10 三菱化学株式会社 非水溶媒二次電池およびその電極材料
JP3064662B2 (ja) 1992-04-30 2000-07-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3162531B2 (ja) 1993-03-18 2001-05-08 株式会社東芝 リチウム二次電池
JP3291758B2 (ja) 1992-06-02 2002-06-10 三菱化学株式会社 非水溶媒二次電池およびその電極材料
JPH0652860A (ja) 1992-07-27 1994-02-25 Sanyo Electric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
JPH0684515A (ja) 1992-09-03 1994-03-25 Sanyo Electric Co Ltd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3529802B2 (ja) 1992-11-10 2004-05-24 株式会社リコー 二次電池用負極
JP2895694B2 (ja) 1992-12-08 1999-05-24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記録・再生用スライダー、情報記録・再生用スライダーの製造方法および情報記録・再生装置
JP2991884B2 (ja) * 1993-02-16 1999-12-20 シャープ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
JP3238980B2 (ja) 1993-03-17 2001-12-17 三洋電機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
JP3188033B2 (ja) 1993-04-02 2001-07-16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
JP3236400B2 (ja) * 1993-04-07 2001-12-10 旭化成株式会社 非水二次電池
JP3253185B2 (ja) 1993-09-03 2002-02-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およびその負極の製造法
JP2948097B2 (ja) 1994-04-28 1999-09-13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二次電池電極用黒鉛質材料およびその製造法
KR0169267B1 (ko) * 1993-09-21 1999-02-01 사토 후미오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
JPH07105935A (ja) 1993-10-07 1995-04-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3048808B2 (ja) 1993-11-10 2000-06-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H07192722A (ja) 1993-12-24 1995-07-28 Sanyo Electric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
US5524462A (en) * 1994-01-18 1996-06-11 Loughlin; Robert W. Two piece shackle padlock
JP3082557B2 (ja) 1994-02-10 2000-08-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の製造法
JP3202498B2 (ja) * 1994-03-15 2001-08-27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
JP3617550B2 (ja) 1994-04-01 2005-02-09 株式会社東芝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該負極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該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の製造方法
JPH07282799A (ja) 1994-04-01 1995-10-27 Nippon Steel Corp リチウム二次電池
EP0675555B1 (en) 1994-04-01 1999-07-28 Kabushiki Kaisha Toshiba Negative electrode for use in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3844495B2 (ja) 1994-04-08 2006-11-15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3556270B2 (ja) 1994-06-15 2004-08-18 株式会社東芝 リチウム二次電池
JPH08148185A (ja) * 1994-06-28 1996-06-07 Sharp Corp 非水系二次電池及び非水系二次電池用負極
US5601950A (en) 1994-06-29 1997-02-11 Sony Corporatio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cell
JPH0831455A (ja) 1994-07-13 1996-0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電解液二次電池の製造法
JPH0831422A (ja) 1994-07-19 1996-02-02 Nippon Steel Corp リチウム二次電池負極用炭素材料とその製造方法
JPH0845548A (ja) 1994-08-03 1996-0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およびその負極の製造法
JP3460742B2 (ja) 1994-08-04 2003-10-27 三菱化学株式会社 非水溶媒二次電池電極材料の製造方法
JP3236170B2 (ja) * 1994-09-05 2001-12-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
JP3641648B2 (ja) 1994-09-13 2005-04-27 株式会社東芝 リチウム二次電池
JP3475530B2 (ja) 1994-11-29 2003-12-08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H08180873A (ja) * 1994-12-26 1996-07-12 Sony Corp 負極材料の製造方法及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3422389B2 (ja) 1995-02-03 2003-06-30 東洋紡績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H08287950A (ja) 1995-04-18 1996-11-01 Sumitomo Chem Co Ltd 非水電解液とこ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JPH08315817A (ja) 1995-05-17 1996-11-29 Sony Corp 炭素負極材料の製造方法及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
US5721308A (en) * 1995-06-20 1998-02-24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Pitch based carbon fib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DE69605486T2 (de) * 1995-06-23 2000-07-13 Hitachi Chemical Co Ltd Sekundärbatterie mit Elektroden die ein mehrphasiges, poröses aktives Material enthalten
JPH0922738A (ja) 1995-07-03 1997-01-21 Hitachi Maxell Ltd 有機電解液二次電池
US5643695A (en) * 1995-09-26 1997-07-01 Valence Technology, Inc. Carbonaceous electrode and compatible electrolyte
US5660948A (en) 1995-09-26 1997-08-26 Valence Technology, Inc. Lithium ion electrochemical cell
CN1091072C (zh) 1995-11-14 2002-09-18 大阪瓦斯株式会社 一种双层碳材料、其制备方法以及用该材料的锂蓄电池
US5753387A (en) * 1995-11-24 1998-05-19 Kabushiki Kaisha Toshiba Lithium secondary battery
EP0778283A3 (en) * 1995-12-05 1998-01-28 Pfizer Inc. Antibiotic macrolides
JPH09190821A (ja) 1996-01-09 1997-07-22 Hitachi Ltd リチウム二次電池
JP3459742B2 (ja) * 1996-01-17 2003-10-27 キヤノン株式会社 露光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3424419B2 (ja) 1996-01-19 2003-07-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負極炭素物質の製造法
JPH09249407A (ja) * 1996-03-14 1997-09-22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黒鉛複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770018A (en) * 1996-04-10 1998-06-23 Valence Technology, Inc. Method for preparing lithium manganese oxide compounds
US5767950A (en) * 1996-04-15 1998-06-16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iris of photographic printer
JP3740212B2 (ja) 1996-05-01 2006-02-01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EP0935302A1 (en) 1996-05-07 1999-08-11 Toyo Tanso Co., Ltd. Cathode material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US5677082A (en) * 1996-05-29 1997-10-14 Ucar Carbon Technology Corporation Compacted carbon for electrochemical cells
JP3538500B2 (ja) * 1996-06-12 2004-06-14 日機装株式会社 非水電解液系二次電池
JP3481392B2 (ja) 1996-06-13 2003-12-2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子部品リード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3153471B2 (ja) 1996-06-14 2001-04-09 日本カーボン株式会社 リチウム電池負極材料用炭素又は黒鉛粉末とその製造方法
US6030726A (en) * 1996-06-17 2000-02-29 Hitachi, Ltd.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negative electrode of carbon material which bears metals
JPH1015805A (ja) 1996-07-02 1998-01-20 Tokyo Seimitsu Co Ltd ワイヤソー
CN100350653C (zh) * 1996-08-08 2007-11-21 日立化成工业株式会社 石墨颗粒
JP3285520B2 (ja) 1996-08-08 2002-05-27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黒鉛粒子、黒鉛粒子の製造法、黒鉛粒子を用いた黒鉛ペースト、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US5665265A (en) 1996-09-23 1997-09-09 Motorola, Inc., Non woven gel electrolyte for electrochemical cells
US5681357A (en) 1996-09-23 1997-10-28 Motorola, Inc. Gel electrolyte bonded rechargeable electrochemical cell and method of making same
JP3137011B2 (ja) 1996-12-06 2001-02-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感震装置
JP3305995B2 (ja) 1996-12-26 2002-07-24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負極用黒鉛粒子
US5922494A (en) * 1997-04-14 1999-07-13 Valence Technology, Inc. Stabilized electrolyte for electrochemical cells and batteries
US5962720A (en) * 1997-05-29 1999-10-05 Wilson Greatbatch Ltd. Method of synthesizing unsymmetric organic carbonates and preparing nonaqueous electrolytes for alkali ion electrochemical cells
JP2001196293A (ja) 2000-01-14 2001-07-19 Canon Inc 露光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デバイスの製造方法
CN100384833C (zh) 2001-01-16 2008-04-30 阿斯特拉曾尼卡有限公司 治疗用苯并二氢吡喃化合物
KR100603592B1 (ko) 2001-11-26 2006-07-24 학교법인 고황재단 영상 화질 향상 인자를 이용한 지능형 파문 스캔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영상 코딩/디코딩 장치 및 그 방법
US6614091B1 (en) 2002-03-13 2003-09-02 Motorola, Inc.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wire bond pad and method therefor
KR20130024968A (ko) * 2004-01-16 2013-03-08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리튬 이차전지
JP5335016B2 (ja) 2010-12-21 2013-11-06 株式会社鷺宮製作所 弁構造体および該弁構造体を備えた逆止弁
CA2821830A1 (en) 2012-02-23 2013-08-23 Square Enix Holdings Co., Ltd. Moving image distribution server, moving image playback apparatus, control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94882A (zh) 2010-08-04
US20060093546A1 (en) 2006-05-04
US20060099509A1 (en) 2006-05-11
CN1275341C (zh) 2006-09-13
US20060159996A1 (en) 2006-07-20
US20110189542A1 (en) 2011-08-04
US7947395B2 (en) 2011-05-24
US7335447B2 (en) 2008-02-26
US7288342B2 (en) 2007-10-30
CA2696813A1 (en) 1998-02-19
DE69718327T2 (de) 2003-10-16
US20060001003A1 (en) 2006-01-05
US6444365B2 (en) 2002-09-03
US20020006376A1 (en) 2002-01-17
CA2696813C (en) 2012-04-17
KR100377993B1 (ko) 2003-03-29
US8129051B2 (en) 2012-03-06
US20120189905A1 (en) 2012-07-26
US7399553B2 (en) 2008-07-15
US20010033822A1 (en) 2001-10-25
US20100159323A1 (en) 2010-06-24
EP1220349A1 (en) 2002-07-03
KR100446828B1 (ko) 2004-09-04
US6953640B2 (en) 2005-10-11
US9508980B2 (en) 2016-11-29
US7378191B2 (en) 2008-05-27
US20070117016A1 (en) 2007-05-24
US20080274404A1 (en) 2008-11-06
KR100438476B1 (ko) 2004-07-07
CN1076711C (zh) 2001-12-26
EP1220349B1 (en) 2008-11-26
US20140057159A1 (en) 2014-02-27
CA2668822C (en) 2011-03-15
DE69739132D1 (de) 2009-01-08
EP0918040A4 (en) 2001-07-04
WO1998006679A1 (en) 1998-02-19
US7410727B2 (en) 2008-08-12
US20030022064A1 (en) 2003-01-30
US8802297B2 (en) 2014-08-12
CN1423350A (zh) 2003-06-11
KR20000029812A (ko) 2000-05-25
US20140349173A1 (en) 2014-11-27
CA2262613C (en) 2006-11-28
DE69718327D1 (de) 2003-02-13
US6447956B2 (en) 2002-09-10
US8580437B2 (en) 2013-11-12
CA2262613A1 (en) 1998-02-19
KR20030097608A (ko) 2003-12-31
US6344296B1 (en) 2002-02-05
EP0918040B1 (en) 2003-01-08
CN1645653A (zh) 2005-07-27
US7700239B2 (en) 2010-04-20
CA2668822A1 (en) 1998-02-19
EP0918040A1 (en) 1999-05-26
CN100350653C (zh) 2007-11-21
CN1230159A (zh) 1999-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2178B1 (ko) 흑연 입자 및 이를 음극으로 이용하는 리튬 2차 전지
JP3285520B2 (ja) 黒鉛粒子、黒鉛粒子の製造法、黒鉛粒子を用いた黒鉛ペースト、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JP3305995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負極用黒鉛粒子
JP2001089118A (ja) 黒鉛粒子、その製造法、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JP3321782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負極用黒鉛粒子
JP3732654B2 (ja) 黒鉛粒子、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JP3951219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及びその製造法並びにリチウム二次電池
JP4483560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
JP4811699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
JP4135162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
JP2002343341A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
JP4066699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
JP4828118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
JP3325021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負極用黒鉛粒子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負極用黒鉛ペースト
JP5853293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
JP5704473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JP4687661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JP2008016455A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
JPH10223231A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