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본 발명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에 근거해 설명한다.
A. 실시예
인쇄 장치 및 잉크 카트리지의 구성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인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인쇄 장치(1000)는 부주사 공급 기구와, 주주사 공급 기구와, 헤드 구동 기구를 갖고 있다. 부주사 공급 기구는 도시하지 않은 종이 공급 모터를 동력으로 하는 종이 공급 롤러(10)를 이용하여 인쇄 용지(P)를 부주사 방향으로 반송한다. 주주사 공급 기구는 캐리지 모터(2)의 동력을 이용하여, 구동 벨트에 접속된 캐리지(3)를 주주사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헤드 구동 기구는 캐리지(3)에 장착된 인쇄 헤드(5)를 구동하여 잉크의 토출 및 도트 형성을 실행한다. 또한, 인쇄 장치(1000)는 상술한 여러 기구를 제어하는 주제어 회로(40)를 구비하고 있다. 주제어 회로(40)는 플렉서블 케이블(37)을 거쳐 캐리지(3)와 접속되어 있다.
캐리지(3)는 홀더(4)와, 상술한 인쇄 헤드(5)와, 후술하는 캐리지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홀더(4)는 후술하는 복수의 잉크 카트리지를 장착 가능하게 설계하고, 인쇄 헤드(5)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홀더(4)는 4개의 잉크 카트리지를 장착 가능하고, 예컨대, 블랙,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4종류의 잉크 카트리지가 하나씩 장착된다. 홀더(4)에는, 장착되는 잉크 카트리지마다 4개의 개폐 가능한 커버(1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인쇄 헤드(5)의 상면에는 잉크 카트리지로부터 인쇄 헤드(5)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 공급 침(6)이 배치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관한 잉크 카트리지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실시예에 관한 잉크 카트리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실시예에 관한 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잉크 카 트리지가 홀더에 장착되는 모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잉크 카트리지가 홀더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홀더(4)에 장착되는 잉크 카트리지(100)는 잉크를 수용하는 하우징(101)과, 하우징(101)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덮개(102)와, 기판(200)과, 센서(104)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1)의 저면에는, 잉크 카트리지(100)가 홀더(4)에 장착되었을 때, 상술한 잉크 공급 침(6)이 삽입되는 잉크 공급구(110)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1)의 전면(FR)의 상단에는 돌출부(103)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1)의 전면(FR)의 중앙의 아래쪽에는, 상하 리브(107, 106)에 의해 둘러싼 오목부(105)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05)에는 상술한 기판(200)이 끼워져 있다. 센서(104)는 기판(200)의 후부에 배치되어 있다. 센서(10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잉크 잔량의 검출에 이용될 수 있다.
도 3a는 기판(200)의 표면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표면은 기판(200)이 잉크 카트리지(100)에 장착되었을 때 바깥쪽으로 노출되어 있는 면이다. 도 3b는 기판(200)을 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기판(200)의 상단부에는, 보스 홈(201)이 형성되고, 기판(200)의 하단부에는, 보스 구멍(202)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00)이 하우징(101)의 오목부(105)에 장착된 상태에서, 보스 홈(201) 및 보스 구멍(202)에는, 오목부(105)의 저면에 형성된 보스(108, 109)가 감합한다. 보스(108, 109)의 선단부는 찌부러뜨려, 코킹된다. 이것에 의해 기판(200)은 오목부(105)에 고정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잉크 카트리지(100)가 장착되는 모양을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11)는 회동 축(9)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 계되어 있다. 커버(11)를 위쪽으로 회전 이동시켜 열린 상태에서, 잉크 카트리지(100)를 홀더(4)에 장착하면, 잉크 카트리지(100)의 돌출부(103)는 커버(11)의 돌기(14)에 받아들여진다. 이 상태로부터 커버(11)를 닫으면, 돌기(14)가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잉크 카트리지(100)는 하방(도 4에서의 Z축 방향)으로 하강한다. 커버(11)가 완전히 닫히면, 커버(11)의 갈고리부(18)와 홀더(4)의 갈고리부(16)가 결합된다. 커버(11)가 완전히 닫혀진 상태에서는, 잉크 카트리지(100)는 탄성 부재(20)에 의해 홀더(4)에 대항하여 고정된다. 또한, 커버(11)가 완전히 닫혀진 상태에서는, 잉크 카트리지(100)의 잉크 공급구(110)에, 잉크 공급 침(6)이 삽입되어, 잉크 카트리지(100)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는, 잉크 공급 침(6)을 거쳐 인쇄 장치(1000)에 공급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100)는 도 4 및 도 5에서의 Z축의 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삽입됨으로써, 홀더(4)에 장착된다. 도 4 및 도 5에 있어서의 Z축의 정 방향은 잉크 카트리지(100)의 삽입 방향이라고도 한다.
도 3으로 되돌아가, 기판(200)에 대하여 더 설명한다. 도 3a에서의 화살표 R은 상술한 잉크 카트리지(100)의 삽입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00)은 이면에 메모리(203)를 구비하고, 전면에 9개의 단자(210 내지 290)로 이루어지는 단자군을 구비하고 있다. 메모리(203)는 잉크 카트리지(100)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단자(210 내지 290)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삽입 방향 R과 대략 수직인 열을 2열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2개의 열 중 삽입 방향 R쪽, 즉, 도 3a에서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열을 아래쪽 열이라 하고, 삽입 방향 R의 반대쪽, 즉, 도 3a에서의 위쪽에 위치하는 열을 위쪽 열이라 한다. 위쪽 열을 형성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단자는, 도 3a 중 왼쪽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접지 단자(220), 전원 단자(230),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로 구성된다. 아래쪽 열을 형성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단자는 도 3a 중 왼쪽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리셋 단자(260), 클럭 단자(270), 데이터 단자(280),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로 구성된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단자(210 내지 290)는 그 중앙부에 후술하는 복수의 장치측 단자 중 대응하는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부(CP)를 포함하고 있다.
위쪽 열을 형성하는 단자(210 내지 240)와, 아래쪽 열을 형성하는 단자(250 내지 290)는 서로의 단자 중심이 삽입 방향 R에 나란하지 않도록 번갈아 배치되어, 이른바 지그재그 형상의 배치를 구성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위쪽 열을 형성하는 단자(210 내지 240)의 각 접촉부(CP)와, 아래쪽 열을 형성하는 단자(250 내지 290)의 각 접촉부(CP)도, 마찬가지로, 번갈아 배치되어, 이른바 지그재그 형상의 배치를 구성하고 있다.
도 3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는 2개의 다른 단자(리셋 단자(26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서로 이웃하고 있지만, 그 중 단락 검출을 위한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가장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해서,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는 2개의 다른 단자(제 2 단락 검출 단자(240)와 데이터 단자(280))와 이웃하고 있지 만, 그 중 단락 검출에 이용되는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는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의 가장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다.
접촉부(CP)간의 관계에 대하여,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접촉부(CP)는 2개의 다른 단자(리셋 단자(26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의 각 접촉부(CP)와 이웃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해서,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의 접촉부(CP)는 2개의 다른 단자(제 2 단락 검출 단자(240)와 데이터 단자(280))의 각 접촉부(CP)와 이웃하고 있다.
도 3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및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는 아래쪽 열의 양 단부, 즉 아래쪽 열의 가장 바깥쪽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아래쪽 열은 위쪽 열보다 단자수가 많고, 아래쪽 열의 삽입 방향 R과 대략 수직 방향의 길이는 위쪽 열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및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는 위쪽 열 및 아래쪽 열을 포함하는 모든 단자(210 내지 290) 중, 삽입 방향 R과 대략 수직 방향으로 보아,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다.
접촉부(CP)간의 관계에 대하여,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접촉부(CP) 및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의 접촉부(CP)는 단자의 접촉부(CP)에 의해 형성되는 아래쪽 열의 양 단부, 즉, 아래쪽 열의 가장 바깥쪽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접촉부(CP) 및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의 접촉부(CP)는 위쪽 열 및 아래쪽 열을 포함하는 모든 단자(210 내지 290)의 접촉부(CP) 중에서, 삽입 방향 R과 대략 수직 방향으로 보아,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다.
도 3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및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는 위쪽 열의 양 단부, 즉, 위쪽 열의 가장 바깥쪽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의 접촉부(CP) 및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의 접촉부(CP)도, 마찬가지로, 각 단자의 접촉부(CP)에 의해 형성되는 위쪽 열의 양 단부, 즉,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메모리(203)에 접속되는 단자(220, 230, 260, 270, 280)는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및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 및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와 양측에서 끼워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판(200)은 삽입 방향 R의 약 12.8㎜의 폭, 삽입 방향 R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약 10.1㎜의 폭, 약 0.71㎜의 두께를 갖는다. 각 단자(210 내지 290)는 삽입 방향 R의 약 1.8㎜의 폭, 삽입 방향 R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약 1.05㎜의 폭을 갖는다. 여기에 주어진 치수값은 예시에 지나지 않고, 예컨대, ±0.5㎜ 정도의 편차가 있어도 좋다. 또한, 주어진 열(아래쪽 열 또는 위쪽 열)에서 서로 인접하는 각 단자의 간격, 예컨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접지 단자(220)의 간격 K는, 1㎜이다. 단자의 간격에 대해서, 예컨대, ±0.5㎜ 정도의 편차가 있어도 좋다. 위쪽 열과 아래쪽 열과의 간격 J는 약 0.2㎜이다. 열(列)간 간격값에 관해서도, 예컨대, ±0.3㎜ 정도의 편차가 있어도 좋다.
기판(200)의 단자(210 내지 290)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100)가 홀더(4)에 완전히 장착된 상태에서, 홀더(4)에 배치된 접점 기구(400) 를 거쳐, 캐리지 회로(5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6a 및 도 6b을 참조하여, 접점 기구(400)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는 접점 기구(400)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접점 기구(400)에는, 기판(200)의 각 단자(210 내지 290)에 대응하도록, 거의 일정한 피치로 깊이가 다른 두 종류의 복수의 슬릿(401, 402)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각 슬릿(401, 402)에는, 도전성과 탄성을 구비한 접점 형성 부재(403, 404)가 감입되어 있다. 접점 형성 부재(403, 404)의 양 단부 중, 홀더(4)의 안쪽에 노출되는 단부는 기판(200)의 단자(210 내지 290) 중 대응하는 단자에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도 6a에는, 접점 형성 부재(403, 404)에 있어서의, 단자(210 내지 290)와 접촉하는 부분(410 내지 490)이 도시되어 있다. 특히, 단자(210 내지 290)와 접촉하는 부분(410 내지 490)은 인쇄 장치(1000)와 단자(210 내지 29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장치측 단자로서 기능한다. 이하, 단자(210 내지 290)와 접촉하는 부분(410 내지 490)은, 장치측 단자(410 내지 490)라고 부른다. 홀더(4)에 잉크 카트리지(1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장치측 단자(410 내지 490)는, 각각, 상술한 각 단자(210 내지 290)의 접촉부(CP)(도 3a)에 접촉된다.
한편, 접점 형성 부재(403, 404)의 양 단부 중 홀더(4)의 바깥쪽에 노출되는 단부는 캐리지 회로(500)에 마련된 단자(510 내지 590) 중 대응하는 단자에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서, 잉크 카트리지(100)와 인쇄 장치(1000)의 전기적 구성을 잉크 카트리지(100)와 관련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이하에 설명한다. 도 7은 잉크 카트리지와 인쇄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카트리지 검출/단락 검출 회로를 중심으로 한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우선, 잉크 카트리지(100)의 전기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기판(200)의 단자 중 접지 단자(220), 전원 단자(230), 리셋 단자(260), 클록 단자(270), 데이터 단자(280)는 메모리(20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203)는, 예컨대, 직렬로 액세스되는 메모리 셀(도시 생략)을 구비하고, 클럭 신호에 동기하여, 데이터의 기입 판독을 행하는 EEPROM이다. 접지 단자(220)는 인쇄 장치(1000) 쪽의 단자(520)를 거쳐 접지되어 있다. 리셋 단자(260)는 캐리지 회로(500)의 단자(56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캐리지 회로(500)로부터 메모리(203)에 리셋 신호 RST를 공급하기 위해 이용된다. 클록 단자(270)는 캐리지 회로(500)의 단자(57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캐리지 회로(500)로부터 메모리(203)에 클럭 신호 CLK를 공급하기 위해 이용된다. 데이터 단자(280)는 캐리지 회로(500)의 단자(58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캐리지 회로(500)와 메모리(203) 사이에서, 데이터 신호 SDA를 수수하기 위해 이용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기판(200)의 단자 중에서,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및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는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접지 단자(2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가 접지 단자(220)와 접속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및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는 각각 캐리지 회로(500)의 단자(510, 54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후술하는 카트리지 검출 및 단락 검출에 이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센서(104)에는 압전 소자가 이용된다. 압전 소자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여 역압전 효과에 의해 압전 소자를 진동시켜, 그 잔류 진동의 압전 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전압의 진동 주파수를 측정함으로써, 잉크 잔량을 검출할 수 있다. 특히, 진동 주파수는 압전 소자와 함께 진동하는 주위의 구조체(예컨대, 하우징(101) 및 잉크)의 고유 진동수를 나타낸다. 고유 주파수는 잉크 카트리지에 잔존하는 잉크량에 따라 변화되기 때문에, 진동 주파수를 측정함으로써 잉크 잔량을 검출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기판(200)의 단자 중에서,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는 센서(104)로서의 압전 소자의 한쪽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제 1 센서 구동 단자(250)는 다른쪽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있다. 이들 단자는 센서 구동 전압이나 센서(104)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캐리지 회로(500)와 센서(104) 간에 주고 받기 위해 이용된다.
캐리지 회로(500)는 메모리 제어 회로(501)와, 카트리지 검출/단락 검출 회로(502)와, 센서 구동 회로(503)를 구비하고 있다. 메모리 제어 회로(501)는 상술한 캐리지 회로(500)의 단자(530, 560, 570, 580)와 접속되고, 잉크 카트리지(100)의 메모리(203)를 제어하여 데이터의 기입 판독을 실행하는 회로이다. 메모리 제어 회로(501) 및 메모리(203)는 비교적 낮은 전압(본 실시예에서는, 최대 약 3.3V)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저전압 회로이다. 메모리 제어 회로(501)는 주지의 구성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센서 구동 회로(503)는 캐리지 회로(500)의 단자(590, 550)와 접속되고, 이들 단자(590, 550)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전압을 제어하여 센서(104)를 구동하고, 센서(104)로 하여금 잉크 잔량을 검출시키는 회로이다. 구동 전압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대략 사다리꼴의 형상을 갖고, 비교적 높은 전압(예컨대, 약 36V)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센서 구동 회로(503) 및 센서(104)는 단자(590, 550)를 거쳐 비교적 높은 전압을 이용하는 고전압 회로이다. 센서 구동 회로(503)는, 예컨대, 로직 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상세한 것은 생략한다.
카트리지 검출/단락 검출 회로(502)는, 메모리 제어 회로(501)와 마찬가지로, 비교적 낮은 전압(본 실시예에서는, 최대 약 3.3V)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저전압 회로이다. 카트리지 검출/단락 검출 회로(502)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검출 회로(5021)와 제 2 검출 회로(5022)를 구비한다. 제 1 검출 회로(5021)는 상술한 캐리지 회로(500)의 단자(510)와 접속되어 있다. 제 1 검출 회로(5021)는 단자(510)와 기판(200)의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도 3)의 접촉 유무를 검출하는 카트리지 검출 기능과, 단자(510)와 고전압이 출력될 수 있는 단자(550, 590)의 단락을 검출하는 단락 검출 기능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1 검출 회로(5021)는 직렬로 접속된 2개의 저항(R2, R3)의 일단에 기준 전압 V-ref1을 인가하고, 타단을 접지함으로써, 도 4에 나타내는 포인트 P1과 포인트 P2의 전위를 각각 V-ref1, V-ref2로 유지하고 있다. 여기서, V_ref1을 단락 검출 전압이라 하고, V-ref2를 카트리지 검출 전압이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락 검출 전압 V-ref1을 6.5V, 카트리지 검출 전압 V-ref2를 2.5V로 설정하고 있다. 이들의 값은 회로에 따라 설정되는 것으로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락 검출 전압 V-ref1(6.5V)은 제 1 연산 증폭기(OP1)의 부입력핀에 입력되고, 카트리지 검출 전압 V-ref2(2.5V)는 제 2 연산 증폭기(OP2)의 부입력핀에 입력된다. 단자(510)의 전위는, 제 1 연산 증폭기(OP1)와 제 2 연산 증폭기(OP2)의 정입력핀에 입력된다. 이들 2개의 연산 증폭기는 부입력핀에 입력된 전위보다 정입력핀에 입력된 전위가 높은 경우에, 하이 신호를 출력하고, 반대로 부입력핀에 입력된 전위보다 정입력핀에 입력된 전위가 낮은 경우에, 로우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로서 기능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510)는 트랜지스터(TR1)를 거쳐, 3.3V의 전원인 VDD 3.3과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단자(510)가 해방시, 예컨대, 단자(510)와 접촉하지 않는 경우는, 단자(510)의 전위는 약 3V로 설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100)가 장착되면, 단자(510)가 상술한 기판(200)의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접촉한다. 여기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00)에서,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접지 단자(220)가 전기적으로 접속(단락)되는 경우, 단자(510)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접촉하면(이하, 접촉 시라고 함), 단자(510)는 접지되어 있는 단자(520)와 도통하고, 단자(510)의 전위는 0V로 떨어진다.
따라서, 단자(510)의 해방 시에는, 제 2 연산 증폭기(OP2)로부터의 하이 신호가 카트리지 검출 신호 CS1로서 출력된다. 단자(510)의 접촉 시에는, 제 2 연산 증폭기(OP2)로부터의 로우 신호가 카트리지 검출 신호 CS1로서 출력된다.
한편, 단자(510)가 인접하는 단자(550)와 단락되어 있으면, 단자(510)에는, 센서 구동용 전압(최대 45V)이 인가되는 경우가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락에 의해, 단자(510)에 단락 검출 전압 V-ref1(6.5V)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면, 제 1 연산 증폭기(OP1)로부터 하이 신호가 AND 회로(AA)에 출력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ND 회로(AA)의 다른쪽의 입력핀에는, 주제어 회로(40)로부터의 단락 검출 허가 신호 EN이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제 1 검출 회로(5021)는, 하이 신호를 단락 검출 허가 신호 EN으로서 입력되어 있는 기간만, 제 1 연산 증폭기(OP1)로부터의 하이 신호를, 단락 검출 신호 AB1로서 출력한다. 즉, 제 1 검출 회로(5021)의 단락 검출 기능은 주제어 회로(40)의 단락 검출 허가 신호 EN에 의해 제어된다. AND 회로(AA)로부터의 단락 검출 신호 AB1은 주제어 회로(40)에 출력됨과 아울러,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 핀에, 저항(R1)을 거쳐 출력된다. 그 결과, 단락 검출 시(단락 검출 신호 AB1이 하이일 때)에는, 단자(510)를 거쳐, 전원 VDD 3.3에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트랜지스터(TR1)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제 2 검출 회로(5022)는 단자(540)와 기판(200)의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도 3)와의 접촉의 유무를 검출하는 접촉 검출 기능과, 단자(540)와 고전압이 출력될 수 있는 단자(550, 590)와의 단락을 검출하는 단락 검출 기능을 구비한다. 제 2 검출 회로(5022)는 제 1 검출 회로(5021)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기 때문에, 자세한 구성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제 2 검출 회로(5022)로부터 출력되는 카트리지 검출 신호를 CS2, 단락 검출 신호를 AB2라고 한다.
이상으로 하나의 잉크 카트리지(100)와 대응하는 캐리지 회로(500)의 구성을 설명했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잉크 카트리지(100)가 장착되기 때문에, 상술한 카트리지 검출/단락 검출 회로(502)는 4개의 잉크 카트리지(100)의 장착 위치마다 4개 구비되어 있다. 센서 구동 회로(503)는 하나뿐이지만, 전환 스위치에 의해, 4개의 장착 위치에 장착된 잉크 카트리지(100)의 각 센서(104)에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도시는 생략). 메모리 제어 회로(501)는 하나의 회로로 4개의 잉크 카트리지에 관한 처리를 담당한다.
주제어 회로(40)는 중앙 연산 장치(CPU),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를 구비하는 주지의 컴퓨터이다. 주제어 회로(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프린터 전체를 제어하지만, 도 8에서는, 본 실시예의 설명에 필요한 구성 요소만을 선택적으로 도시하고, 이하, 도시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제어 회로(40)는 카트리지 판정부(M50)와 잉크 잔량 판정부(M60)를 구비하고 있다. 카트리지 판정부(M50)는 수신한 카트리지 검출 신호 CS1, CS2에 근거하여, 후술하는 카트리지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 잉크 잔량 판정부(M60)는 센서 구동 회로(503)를 제어하고, 후술하는 잉크 잔량 검출 처리를 실행한다.
카트리지 판정 처리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주제어 회로(40)의 카트리지 판정부(M50)가 실행하는 카트리지 판정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카트리지 판정 처리의 처리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기판(200)에 있어서의 3종류의 단자 배선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카트리지 판정 처리에 앞서, 도 10을 참조하여, 기판(200)에 대하여 보충 설명한다. 상술한 기판(200)에는,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및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와 접지 단자(220)의 배선 패턴에 의해, 3개의 종류가 있다. 이들 3개의 종류를 각각 Type A, Type B, Type C라고 한다.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Type A의 기판(200)은 접지 단자(220)가 도통선(207)에 의해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접지 단자(220)는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도록 배선되어 있다.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Type B의 기판(200)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의 양쪽이 접지 단자(220)와 도통선(207)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배선되어 있다.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Type C의 기판(200)은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와 접지 단자(220)가 도통선(207)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접지 단자(220)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도록 배열되어 있다. 잉크 카트리지(100)에는, 예컨대, 잉크의 종류나 잉크의 양에 의해 미리 결정할 수 있었던 종류의 기판(200)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잉크 카트리지(100)에 수용된 잉크량에 따라, 잉크량이 많은 L 사이즈의 카트리지에는, Type A의 기판(200)이 배치되고, 잉크량이 표준인 M 사이즈의 카트리지에는, Type B의 기판(200)이 배치되며, 잉크량이 적은 S 사이즈의 카트리지에는, Type C의 기판(200)이 배치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주제어 회로(40)의 카트리지 판정부(M50)는 카트리지 검출/단락 검출 회로(502)로부터 카트리지 검출 신호 CS1 및 CS2를, 홀더(4)의 4개의 장착 위치마다, 항상 수신하고 있고, 이들 신호를 이용하여 장착 위치마다 카트리지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
카트리지 판정부(M50)는 선택하는 장착 위치(이하, 선택 장착 위치라고 함)에 대하여 카트리지 판정 처리를 시작하면, 먼저, 카트리지 판정부(M50)는 선택 장착 위치의 카트리지 검출/단락 검출 회로(502)부터의 카트리지 검출 신호 CS1이 로우 신호인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102). 계속해서, 카트리지 판정부(M50)는 선택 장착 위치에서의 카트리지 검출 신호 CS2가 로우 신호인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104 또는 S106). 그 결과, 카트리지 검출 신호 CS1과 카트리지 검출 신호 CS2가 모두 로우 신호인 경우(단계 S102: 예, 또한 단계 S104: 예)에는, 카트리지 판정부(M50)는 선택 장착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잉크 카트리지(100)는 상술한 Type B의 기판(200)을 구비하는 카트리지라고 판단한다(단계 S108).
마찬가지로, 카트리지 판정부(M50)는, 카트리지 검출 신호 CS1이 로우 신호이며, 카트리지 검출 신호 CS2가 하이 신호인 경우(단계 S102: 예, 또한 단계 S104: 아니오)에는, 상술한 Type A의 기판(200)을 구비하는 카트리지라고 판단하고(단계 S110), 카트리지 검출 신호 CS1이 하이 신호이며, 카트리지 검출 신호 CS2가 로우 신호인 경우(단계 S102: 아니오, 또한 단계 S106: 예)에는, 상술한 Type C의 기판(200)을 구비하는 카트리지라고 판단한다(단계 S112).
카트리지 검출 신호 CS1과 카트리지 검출 신호 CS2가 모두 하이 신호인 경우(단계 S102: 아니오, 또한 단계 S104: 아니오)에는, 카트리지 판정부(M50)는 선택 장착 위치에는, 잉크 카트리지(100)가 장착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단계 S114). 이와 같이 하여, 카트리지 판정부(M50)는 4개의 장착 위치의 각각에 대하여, 잉크 카트리지(100)의 종류 및 장착 유무를 판정할 수 있다.
잉크 잔량 검출 처리
도 11 및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하여, 주제어 회로(40)의 잉크 잔량 판정부(M60)가 실행하는 잉크 잔량 검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잉크 잔량 검출 처리의 처리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잉크 잔량 검출 처리 실행 중에서의 단락 검출 허가 신호 EN 및 센서 전압의 시계열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주제어 회로(40)의 잉크 잔량 판정부(M60)는, 홀더(4) 중 어느 장착 위치에 장착된 잉크 카트리지(100)의 잉크 잔량을 검출하는 경우, 우선, 모든 카트리지 검출/단락 검출 회로(502)에 대한 단락 검출 허가 신호 EN을 하이 신호로 설정한다(단계 S202). 그 결과, 모든 카트리지 검출/단락 검출 회로(502)에서 단락 검출 기능이 실행되고, 상술한 단자(510) 및 단자(540)에 단락 검출 전압 V-ref1(6.5V)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면, 하이 신호를 단락 검출 신호 AB1, AB2로서 출력 가능한 상태로 된다. 환언하면, 단락 검출 허가 신호 EN을 하이 신호로 한 상태는 단자(510) 또는 단자(540)의 단자(550) 또는 단자(590)로의 단락을 감시하고 있는 상태이다.
다음에, 잉크 잔량 판정부(M60)는 센서 구동 회로(503)에 지시하여, 단자(550) 또는 단자(590)로부터의 구동 전압을 센서(104)에 출력시켜 잉크 잔량을 검출시킨다(단계 S204).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센서 구동 회로(503)가 잉크 잔량 판정부(M60)의 지시 신호를 받으면, 단자(550) 및 단자(590)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구동 전압을 출력하여, 잉크 카트리지(100)의 센서(104)로서의 압전 소자에 전압을 인가하여 충전하고, 역압전 효과에 의해 압전 소자를 휘어지게 한다. 그 후, 센서 구동 회로(503)는 인가한 전압을 저하시키고, 압전 소자에 충전한 전하를 방전시켜, 압전 소자를 진동시킨다. 구동 전압은, 도 12에서, 기간 T1에서의 전압으로서 도시되어 있는 전압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전압은 기준 전압으로부터 최대 전압 Vs까지의 사이에서,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그리도록 변동한다. 최대 전압 Vs는 비교적 높은 전압(예컨대, 약 36V)으로 설정되어 있다. 센서 구동 회로(503)는 압전 소자의 진동의 결과, 압전 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전압(도 12에서, 기간 T2에서의 전압으로서 도시되어 있음)을, 단자(550) 또는 단자(590)를 거쳐 검출하고, 그 진동 주파수를 측정함으로써, 잉크 잔량을 검출한다. 즉, 이 진동 주파수는 압전 소자와 함께 진동하는 주위의 구조체(하우징(101) 또는 잉크)의 고유 진동수를 나타내고, 잉크 카트리지(100)에 잔존하는 잉크량에 따라 변화되기 때문에, 진동 주파수를 측정함으로써 잉크 잔량을 검출할 수 있다. 센서 구동 회로(503)는 검출 결과를 주제어 회로(40)의 잉크 잔량 판정부(M60)로 출력한다.
잉크 잔량 판정부(M60)는 센서 구동 회로(503)로부터 그 검출 결과를 수신하면, 단계 S202에서 하이 신호로 이미 설정한 단락 검출 허가 신호 EN을 로우 신호로 되돌려(단계 S206), 본 처리를 종료한다. 본 처리에서는, 잉크 잔량을 검출하고 있는 동안은, 단락 검출 허가 신호 EN을 하이 신호로 설정하여 단락 검출 가능 한 상태로 하고 있는 상태이다. 환언하면, 단락의 발생을 카트리지 검출/단락 검출 회로(502)에 의해 감시하면서, 잉크 잔량을 검출하고 있다.
단락 검출 시의 처리
잉크 잔량의 검출(단계 S204)을 실행하는 중에, 잉크 잔량 판정부(M60)가, 단락 검출 신호 AB1 또는 AB2로서, 하이 신호를 수신한 경우, 예컨대, 단락이 검출되고 있는 경우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에는, 단락 검출 시의 인터럽트 처리 루틴의 흐름도가 또한 나타나 있다. 단자(510) 또는 단자(540)는, 단자(550, 590)의 센서 구동 전압을 출력하고 있는 단자와 단락이 발생하고 있으면, 센서 구동 전압이 그 단락되어 있는 단자(510) 또는 단자(540)에 인가된다. 그렇게 하면, 단락 검출 허가 신호 EN이 하이 신호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센서 구동 전압이 단락 검출 전압 V_ref1(6.5V)을 초과한 순간에, 하이 신호가 단락 검출 신호 AB1, AB2로서, 카트리지 검출/단락 검출 회로(502)로부터 출력된다. 잉크 잔량 판정부(M60)는 이 단락 검출 신호 AB1, AB2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면, 잉크 잔량의 검출을 중단하고, 단락 검출 시의 인터럽트 처리를 실행한다.
인터럽트 처리가 시작되면, 잉크 잔량 판정부(M60)는 즉시, 센서 구동 회로(503)에 지시하여, 센서 구동 전압의 출력을 차단한다(단계 S208).
다음에, 잉크 잔량 판정부(M60)는 잉크 잔량 검출을 최후까지 실행하지 않고, 단락 검출 허가 신호 EN을 로우 신호로 되돌려(단계 S206), 본 처리를 종료한다. 주제어 회로(40)는, 예컨대, 사용자에게 단락의 발생을 통지하는 등의 대응 처리를 취할 수 있다.
도 12a는 단락 검출 허가 신호 EN의 시계열적인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b는 단자(510) 또는 단자(540)가, 단자(550, 590)의 센서 구동 전압을 출력하고 있는 단자와 단락이 발생하지 않아, 잉크 잔량 검출 처리가 정상적으로 실행된 경우의 센서 전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c는 단자(510) 또는 단자(540)가, 단자(550, 590)의 센서 구동 전압을 출력하고 있는 단자와 단락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의 센서 전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잉크 잔량 검출 처리의 실행 중에는, 단락 검출 허가 신호 EN이 하이 신호로 되어 있다.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상 시(단락 없음)에는, 센서(104)에는 고전압 Vs이 인가된 후에, 인가된 전압이 저하되고, 그 후에 압전 효과에 의한 진동 전압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Vs는 36V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도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정상(단락) 시에는, 센서 전압은 단락 검출 전압 V_ref1(6.5V)을 초과한 순간에 저하한다. 이것은, 센서 전압이 단락 검출 전압 V_ref1(6.5V)을 초과한 순간에, 하이 신호가 단락 검출 신호 AB1 또는 AB2로서, 카트리지 검출/단락 검출 회로(502)로부터 잉크 잔량 판정부(M60)로 출력되고, 이 신호를 수신한 잉크 잔량 판정부(M60)가 센서 구동 전압을 즉시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도 13은 단락의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여기서, 센서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단자(550, 590)에 의해 다른 단자가 단락하는 시나리오로서 생각 되는 것은, 예컨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100)의 기판(200)에 도전성 잉크 액적(S1) 또는 응축에 의해 발생한 수적(水滴)(S2)이 부착되고,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또는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가, 기판(200)의 다른 단자와 브리지되어 단락하는 경우이다. 예컨대, 캐리지(3)의 저면이나 잉크 공급 침(6)에 부착되어 있던 잉크 액적(S1)이 잉크 카트리지(100)의 탈착 동작에 의해 비산하여,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잉크 카트리지(100)가 장착되어 있을 때에, 예컨대, 센서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단자(550)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잉크 액적(S1)에 의해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브리지되어 있는 단자(도 13: 단자(210, 220, 260))를 거쳐, 캐리지 회로(500)의 다른 단자(510, 520, 560)와 단락된다. 또는, 센서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단자(590)는,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와, 수적(S2)에 의해서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와 브리지되어 있는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도 13)를 거쳐, 캐리지 회로(500)의 다른 단자(540)와 단락한다. 이러한 단락은 잉크 액적이나 수적의 부착에 기인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형태가 생각된다. 예컨대, 단락은 전도성 물체, 예컨대, 카트리지(3)의 종이 클립을 트랩함으로써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단락은 예컨대, 단자에 전도 물질, 예컨대, 사용자의 유지가 부착함으로써 일어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대한 잉크 카트리지(100)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에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및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는 단자군의 양 단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웃하는 단자의 수 가 적다. 그 결과,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및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가, 다른 단자와 단락될 가능성이 낮아지게 된다.
기판(200)에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가 이웃하는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단락하면, 상술의 카트리지 검출/단락 검출 회로(502)에 의해 단락이 검출된다. 예컨대,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쪽으로부터 침입한 잉크 액적(S1)에 의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다른 단자의 단락을 즉시 검출할 수 있고, 센서 구동 전압의 출력이 차단되어, 이러한 단락에 기인하는 메모리(203) 및 인쇄 장치(1000)의 회로(메모리 제어 회로(501)나 카트리지 검출/단락 검출 회로(502))의 손상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이웃함과 아울러,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가장 가까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가 다른 단자와 잉크 액적(S1)이나 수적(S2)에 의해 단락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는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단락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다른 단자와의 단락을 더욱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단락 검출에 더해서,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는 상술한 카트리지 검출/단락 검출 회로(502)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100)의 장착 유무 및 잉크 카트리지(100)의 종류의 판정에도 이용된다. 그 결과, 기판(200)의 단자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고, 기판(200)의 제작 공정의 삭감이나, 기판(200)의 부품수의 삭감이 가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가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와 단락되면, 카트리지 검출/단락 검출 회로(502)에 의해, 단락이 검출된다. 따라서,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 쪽으로부터 침입한 잉크 액적(S1)에 의한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와 다른 단자와의 단락을 즉시 검출할 수 있다. 그 결과, 이러한 단락에 기인하는 메모리(203) 및 인쇄 장치(1000)의 회로의 손상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는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의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단자이다. 따라서,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가 다른 단자와 잉크 액적(S1)이나 수적(S2)에 의해 단락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가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와 단락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다른 단자와의 단락을 더욱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및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와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는 다른 단자(220, 230, 260 내지 270)를 사이에 두도록, 단자군의 양단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도 13에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단 쪽으로부터 침입하는 이물질(잉크 액적(S1), 수적(S2) 등)이 단자군의 중앙 부근에 위치하는 다른 단자(220, 230, 260 내지 270)까지 침입하기 전에, 그 침입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의 침입에 기인하는 메모리(203) 및 인쇄 장치(1000)의 회로의 손상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및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는 삽입 방향 R쪽의 열(아래쪽 열)에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고전압을 포함하는 센서 구동 전 압이 인가되는 단자(250, 290)는 삽입 방향의 반대쪽이 되기 때문에, 잉크 액적이나 이물질(예컨대, 클립)이 이들 단자(250, 290)의 위치까지 침입할 가능성이 낮아지게 된다. 그 결과, 이물질의 침입에 기인하는 메모리(203) 및 인쇄 장치(1000)의 회로의 손상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기판(200)의 단자군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장착 동작의 도중에서, 잉크 카트리지(100)의 단자와, 인쇄 장치(1000)의 단자(상술한 접점 형성 부재(403, 404))의 불필요한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B. 변형예
도 14a 내지 도 16b을 참조하여, 잉크 카트리지(100)에 장착되는 기판(200)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변형예에 대한 기판을 예시하는 제 1 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변형예에 대한 기판을 예시하는 제 2 도이다. 도 16a 및 도 16b은 변형예에 대한 기판을 예시하는 제 3 도이다.
제 1 변형예
도 14a에 나타내는 기판(200b)의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는 실시예에 대한 기판(200)의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의 하단부에, 아래쪽 열의 하단부 부근에 이르는 연장부를 갖고 있다. 연장부는 아래쪽 열의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리셋 단자(26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예컨대, 도 14a에 나타내는 잉크 액적(S3)이 부착된 경우더라도,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의 연장부와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단락이 검출된다. 이와 같이,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이외의 단자가 단락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가 단락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아, 센서 구동 전압이 차단된다. 따라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다른 단자(도 14a의 예에서는, 리셋 단자(260))와의 단락에 기인하는 문제를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00b)의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도 상술한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고 있고,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와 다른 단자과의 단락에 대해서도 보다 확실히 검출된다.
제 2 변형예:
도 14b에 나타내는 기판(200c)은 상술한 기판(200b)의 구성에 더해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가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상단 쪽에, 위쪽 열의 상단부 부근에 이르는 연장부를 갖고 있다. 그 결과, 도 14b에 나타내는 잉크 액적(S4)이 부착된 경우더라도,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연장부의 단락이 검출된다. 이와 같이,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이외의 단자가 단락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도 단락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아, 센서 구동 전압이 차단된다. 따라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다른 단자와의 단락에 기인하는 문제를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00c)의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도 상술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고 있고,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가 배치된 쪽의 단부부터의 잉크 액적의 침입도 즉시 검출할 수 있다.
제 3 변형예:
도 14c에 나타내는 기판(200d)은,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판(200)과 다르다. 도 10a에 나타내는 Type A의 기판(200)의 경우,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는 카트리지 검출/단락 검출 회로(502)에 의해, 접촉의 검출이 행해지지 않는다(접지 단자(220)와 단락되어 있지 않기 때문). 따라서, Type A의 기판(200)의 경우,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는 단락 검출을 위해서만 이용되고, 따라서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더라도,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에 대하여,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가 가장 가까이에 이웃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이외의 단자가 단락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도 단락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아, 센서 구동 전압이 차단된다. 또한,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 쪽에의 잉크 액적의 침입도, 어느 정도는 검출된다. 도 14c에서, 기호 CP는,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가 존재하는 경우에,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와 접촉하는 접점 형성 부재(403)(캐리지 회로(500)의 단자(540)에 대응하는 접점 형성 부재(403))의 접촉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가 없는 경우더라도, 잉크 액적(S5)에 의해,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 와, 캐리지 회로(500)의 단자(540)에 대응하는 접점 형성 부재(403)의 단락이 발생하면, 잉크 액적(S5)의 침입이 검출된다. 마찬가지로 해서, Type C의 기판(200)의 경우,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가 생략될 수 있다.
제 4 변형예
도 14d에 나타내는 기판(200e) 상에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가 위쪽 열의 상단부 부근에서 아래쪽 열의 하단부 부근까지 이르는 가늘고 긴 형상을 갖고 있다. 이러한 형상의 단자더라도, 도 14d에서 접촉 위치를 기호 CP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된 대응하는 접점 형성 부재(403)와 접촉할 수 있다. 기판(200e)의 경우에는, 상술한 기판(200c)과 같이, 예컨대, 잉크 액적(S6)이 부착된 경우더라도,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연장부 사이의 단락이 검출된다. 이와 같이,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이외의 단자 사이에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이외의 단자가 단락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도 단락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아, 센서 구동 전압이 차단된다.
기판(200e)의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와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는 상술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및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고 있다. 따라서,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와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 이외의 단자가 단락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와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도 단락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그 결과,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290)의 단락에 기인하는 문제를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을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제 5 변형예
도 15a에 나타내는 기판(200f)은 실시예에 대한 기판(200)에 있어서의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접지 단자(220)에 상당하는 단자로서, 이들 2개의 단자가 하나의 부재로 일체적으로 형성된 일체 단자(215)를 갖고 있다. 이러한 기판(200f)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접지 단자(220)가 단락되어 있는 Type A 및 Type B의 기판(200)(도 10) 대신에 이용될 수 있다. 기판(200f)에서는, 실시예에 대한 기판(200)에서는 필요했던,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접지 단자(220) 사이의 배선이 불필요하게 되어, 기판(200)의 제조 공정수 및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 6 변형예
도 15b에 나타내는 기판(200g)에서, 위쪽 열의 단자(210 내지 240)는, 각각, 상술한 기판(200b)의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고 있다. 즉, 단자(210 내지 240) 각각은 실시예에 대한 기판(200)이 대응하는 단자의 하단부에, 아래쪽 열의 하단부 부근에 이르는 연장부를 갖고 있다. 기판(200g)의 아래 쪽 열의 단자(250 내지 290)는, 각각, 상술한 기판(200c)의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고 있다. 즉, 단자(250 내지 290) 각각은 실시예에 대한 기판(200)이 대응하는 단자의 상단부에, 위쪽 열의 상단부 부근에 이르는 연장부를 갖고 있다.
그 결과, 기판(200g)의 단자(210 내지 290)는 위쪽 열과 아래쪽 열의 2열로 나눠 배치되어 있기보다는, 대략 주걱 형상의 단자가 번갈아 배치된 일렬의 단자군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고전압의 센서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및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가 1열의 단자군의 양 단부에 배치되고,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및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및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의 안쪽에, 각각,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모양이 된다.
기판(200g)에서는, 양 단부로부터 침입한 잉크 액적이나 이물질 등이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또는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와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를 단락시킨 시점에서 즉시 검출할 수 있다.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또는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가 다른 단자와 잉크 액적 등에 의해 단락되는 경우,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또는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와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의 단락이 동시에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확실히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또는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와 다른 단자의 단락을 검출할 수 있다. 그 결과, 이러한 단락에 기인하는 메모리(203) 및 인쇄 장치(1000)의 회로(메모리 제어 회로(501)나 카트리지 검출/단락 검출 회로(502))의 손상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제 7 변형예
도 15c에 나타내는 기판(200h)에서, 단자(210 내지 290)는 상술한 기판(200e)의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및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같이, 실시예에 대한 기판(200)의 2열에 상당하는 거리에 걸쳐 가늘고 긴 형상을 갖고 있다. 이러한 형상의 단자더라도, 도 15c에서 접촉 위치를 기호 CP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된 대응하는 접점 형성 부재(403)와 접촉할 수 있다.
기판(200h)에서, 단자(210 내지 290)는, 상술한 기판(200g)과 마찬가지로, 삽입 방향 R과 대략 수직 방향으로 하나의 단자열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기판(200g)과 마찬가지로, 고전압의 센서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및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가 하나의 단자열의 양 단부에 배치되고,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및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및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의 안쪽에, 각각, 이웃하도록 배치된다. 그 결과, 기판(200h)은 상술한 기판(200g)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제 8 변형예
도 16a에 나타내는 기판(200i)의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는 실시예에 대한 기판(200)의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에 비해, 도면에서의 왼쪽에 긴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기판(200i)의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는 좌단부로부터 아래쪽 열의 하단부 부근에 이르는 연장부를 갖고 있다. 이러한 연장부는 아래쪽 열의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보다 왼쪽에 위치하고 있다. 환언하면, 이러한 연장부는 단자군의 중앙으로부터 삽입 방향 R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이격된 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단자 전체를 보면,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보다 바깥쪽(왼쪽)에 위치하고 있지만, 단자의 접촉부(CP)의 관점으로부터 보면,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접촉부(CP)는 전체 단자(210 내지 290)의 접촉부(CP) 중에서, 가장 바깥쪽(좌단)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접촉부(CP)와 이웃하는 접촉부(CP)를 포함하는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의 단락이 검출된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대한 기판(200i)은 실시예에 대한 기판(200)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즉, 단부로부터의 잉크 액적의 침입을 즉시 검출하고, 이러한 단락에 기인하는 메모리(203) 및 인쇄 장치(1000)의 회로 손상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가 연장부를 갖고 있는 것에 의해,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외주 가장자리 중,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의 외주 가장자리와 이웃하는 부분(제 1 부분이라 함)의 길이가 길게 되어 있다. 도 16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외주 가장자리 중, 리셋 단자(260)와의 외주 가장자리와 이웃하는 제 2 부분의 길이보다, 제 1 부분의 길이가 길게 되어 있다. 그 결과, 예컨대,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이외의 단자(예컨 대, 리셋 단자(260))가 단락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도 단락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센서 구동 전압이 차단되어,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다른 단자의 단락에 기인하는 문제를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도 16c에 나타내는 기판(200p)의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는 기판(200i)의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보다 더 긴 연장부를 갖고 있다. 도 1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00p)의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의 연장부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좌/상으로부터 우/하까지 연장하고 있다. 그 결과,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의 외주 가장자리와 이웃하는 제 1 부분이 더 길게 되어 있다. 그 결과,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이외의 단자가 단락하고 있는 경우에, 센서 구동 전압이 차단되어,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다른 단자와의 단락에 기인하는 문제를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을 가능성이 보다 높아지게 된다.
도 16d에 나타내는 기판(200q)의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는 기판(200i) 및 기판(200q)의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보다 더 긴 연장부를 갖고 있다. 도 16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00q)의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의 연장부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좌/상으로부터 아래를 통해 우/상에까지 연장하고 있다. 즉,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기판(200q)의 제 1 부분의 길이는 기판(200i 및 200p)의 제 1 부분의 길이보 다 길다. 따라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이외의 단자가 단락되어 있는 경우에, 센서 구동 전압이 차단되고,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다른 단자의 단락에 기인하는 문제를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을 가능성이 보다 높아지게 된다.
도 16a 내지 도 1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00i, 200p, 200q)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의 연장부를 마련함으로써,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일부분이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의 일부분과 이웃하게 배치된 방향을 증가시키고 있다. 기판(200i) 주위에서,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의 연장부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왼쪽 가장자리에, 잉크 카트리지(100)의 측면 가장자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웃하고,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위쪽 가장자리에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웃하고 있다. 한편, 기판(200p)에서는, 상기 2 방향에 부가하여,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의 연장부는 잉크 카트리지(100)의 가장자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우측 가장자리에 이웃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기판(200q)에서는, 모든 방향에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의 적어도 일부가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에 이웃하고 있는 것으로 된다.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일부분과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의 일부분이 이웃하는 방향으로부터 침입한 잉크 액적이나 이물질에 의해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이외의 단자가 단락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도 단락하고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그와 같은 방향으로부터 침입한 잉크 액적이나 이물질에 의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다른 단자와의 단락에 기인하는 문제를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을 가능성이 보다 높아지게 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에 연장부를 마련함으로써,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가 이웃하는 방향을 증가시켜, 보다 높은 확률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다른 단자와의 단락에 기인하는 문제를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변형예에 대한 기판(200i, 200p, 200q)에서는, 왼쪽의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만이 상술한 연장부를 갖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지만,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함께, 또는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대신에, 우측의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가 상술한 연장부를 갖는 구조를 구비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도, 본 변형예에 대한 기판(200i, 200p, 200q)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제 9 변형예
도 16b에 나타내는 기판(200j)은, 제 5 변형예에서 상술한 기판(200f)과 마찬가지로, 실시예에 대한 기판(200)에 있어서의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접지 단자(220)가 하나의 부재로 일체 형성된 일체 단자(215)를 갖고 있다. 기판(200j)의 일체 단자(215)는 상술한 기판(200f)의 일체 단자(215)와 형상이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기판(200j)의 일체 단자(215)는, 제 8 변형예에서 상술한 기판(200i)의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마찬가지로, 왼쪽에 긴 형상과, 좌단부로부터 아래쪽 열의 하단부 부근에 이르는 연장부를 갖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기판의 제조 공정수 및 부품수를 저감하면서, 제 8 변형예에 있어서의 기판(200i)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예에서는, 모든 단자가 기판(200) 상에 배치되어 있지만, 반드시 모든 단자가 기판(200) 상에 배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좋다. 예컨대, 단자의 일부를 잉크 카트리지(100)의 하우징(101) 상에 배치하여도 좋다. 이하, 그 구체예를 도 17a 내지 도 18d을 참조하여, 제 10 변형예 및 제 11 변형예에서 설명한다. 도 17a 내지도 17d은 변형예에 대한 잉크 카트리지의 구성을 기판을 중심으로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8a 내지 도 18d는 도 17에서의 A-A 단면 내지 D-D 단면을 각각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 10 변형예
도 17a에 나타내는 기판(200k)은 실시예에 대한 기판(200)이 구비하는 9개의 단자(210 내지 290) 중 7개의 단자(210 내지 240, 260 내지 280)를 구비하고 있다. 기판(200k)은 실시예에 따른 기판(200)이 구비하는 9개의 단자(210 내지 290) 중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를 구비하지 않는다. 본 변형예에 대한 기판(200k)은 실시예에 대한 기판(200)에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및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를 구비하고 있던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에 절결부(NT1) 또는 절결부(NT2)가 마련된다. 절결부의 형상은, 도 17a에서, 실선 NT1로 나타내는 형상이라도 좋고, 파선 NT2로 나타내는 형상이라도 좋다. 실시예 에 대한 기판(200)에 있어서의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및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단자(150) 및 단자(190)는 기판(200k)의 뒤편에 위치하는 하우징(101)에 배치되어 있다. 당연하지만, 이들 단자(150) 및 단자(190)는 홀더(4)에 잉크 카트리지(100)가 장착되었을 때에,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450, 490)와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18a에는, 도 17a에서의 A-A 단면이 표시되어 있다. 도 1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150) 및 인접하는 단자(260, 210)(도 18a에는, 리셋 단자(260)가 표시되어 있음) 사이에는, 기판(200k)의 절결부(NT1)와 단자(150) 사이의 갭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DE)가 배치된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단자(190) 및 인접하는 단자(280, 240) 사이에도 마찬가지로 오목부가 배치된다.
본 변형예에 따르면, 실시예에 대한 기판(200)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에 더해서, 이하의 효과를 나타낸다. 본 변형예에 대한 잉크 카트리지(100)의 단부로부터 잉크 액적이나 이물질이 침입하면, 단자(150) 및 단자(190)의 주위에 배치된 오목부에 트랩되기 때문에, 침입한 잉크 액적이나 이물질에 의해, 단자(150) 및 단자(190)와, 다른 단자와의 단락을 더욱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제 11 변형예
도 17b에 나타내는 기판(200m)은 제 10 변형예에 대한 절결부(NT1) 또는 절결부(NT2) 대신에, 실시예에 따른 기판(200)에 있어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 공(HL)을 구비하고 있다. 도 18d에는, 도 17b에 나타낸 B-B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제 11 변형예에 대한 잉크 카트리지(100)의 그 밖의 구성은 제 10 변형예에 대한 잉크 카트리지(100)의 구성과 동일하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단자(150, 190) 및 인접하는 단자 사이에 오목부(DE)가 배치된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대한 잉크 카트리지(100)는 제 10 변형예에 대한 잉크 카트리지(100)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제 12 변형예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예에 있어서의 기판에서는, 모든 단자가 메모리(203) 또는 센서(104)에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기판은 어느 장치에도 접속되지 않은 더미 단자를 포함하여도 좋다. 이러한 유형의 기판의 구체예를, 도 19a 내지 도 19d를 참조하여, 제 12 변형예로서 설명한다. 도 19a 내지 도 19d는 변형예에 대한 기판을 예시하는 제 4 도이다.
도 19a에 나타내는 기판(200r)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판(200)과 마찬가지로, 4개의 단자로 형성되는 위쪽 열과, 5개의 단자로부터 형성되는 아래쪽 열을 구비하고 있다. 위쪽 열 및 아래쪽 열을 형성하는 단자(210 내지 290)의 배치나 기능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판(200)(도 3)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a에 나타내는 기판(200r)은 위쪽 열과 아래쪽 열 사이와, 아래쪽 열의 아래쪽(삽입 방향 쪽) 더미 단자(DT)를 구비하고 있다. 더미 단자(DT)는, 예컨대, 다른 단자(210 내지 290)와 같은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19a에서의 더미 단자(DT)를 포함하는 E-E 단면이 도 19c에 나타내어져 있다. 더미 단자(DT)의 두께는 다른 단자(210 내지 290)와 거의 같은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더미 단자(DT)는 잉크 카트리지(100)의 장착 또는 탈착 시에, 접점 형성 부재(403)에 부착된 쓰레기 등의 이물질을 모으기 위해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잉크 카트리지(100)의 장착 또는 탈착시에, 접점 형성 부재(403)가 접촉해야 할 단자(예컨대, 도 19c에서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막아, 접점 형성 부재(403)와 단자의 접촉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9a에 나타내는 기판(200r)에서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사이에, 더미 단자(DT)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는 이웃하고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러나, 더미 단자(DT)는 메모리(203)와 접속되어 있지 않고, 인쇄 장치(1000) 쪽의 단자(510 내지 590)와도 접속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더미 단자(DT)가 단락되어도 전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판(200r)에서도,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판(200)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즉, 기판(200r)에서, 엄밀히 말해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가 이웃하지 않더라도, 단자(단자(220, 230, 260 내지 280))가 배치되어 있지 않고,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 1 센서 구동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사이의 단락을 검출하기 위해, 소정 방향으로 제 1 센서 구동 단자(250)의 적어도 일부분에 상대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는, 실질적으로는, 이웃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가 잉크 액적(S1)이나 수적(S2)에 의해 다른 단자와 단락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도 단락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그 결과, 센서 구동 전압의 출력이 차단되어, 이러한 단락에 기인하는 메모리(203) 및 인쇄 장치(1000)의 손상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제 13 변형예
실시예 및 변형예에 대한 기판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 캐리지" 타입의 프린터에 이용되는 잉크 카트리지(100)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설명했다. 하지만, "오프 캐리지" 타입의 프린터에 이용되는 잉크 카트리지에 장착되어도 좋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오프 캐리지" 타입의 프린터에 대하여 이용되는 잉크 카트리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제 13 변형예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제 13 변형예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를 프린터에 장착할 때의 모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제 13 변형예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100b)는 잉크 카트리지를 캐리지 상에 구비하지 않는, 이른바, "오프 캐리지" 타입의 프린터에 대하여 장착되기 위한 형태를 갖고 있다. 오프 캐리지 타입의 프린터는, 일반적으로, 대형 프린터인 경우가 많고, 이러한 대형 프린터에 이용되는 잉크 카트리지는 온 캐리지 타입의 프린터에 이용되는 잉크 카트리지와 비교하여 대형이다.
잉크 카트리지(100b)는 잉크를 수용하는 하우징(1001)과, 기판(200)을 장착하는 기판 장착부(1050)와, 하우징으로부터의 잉크를 프린터에 공급하기 위한 잉크 공급구(1020)와, 잉크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하우징(1001) 내에 공기를 보내주기 위한 공기 공급구(1030)와, 프린터 내에 장착하기 위한 가이드부(1040)를 구비하고 있다. 잉크 카트리지(100b)의 외부 치수는 가이드부(1040) 등이 형성되어 있는 변(폭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변(깊이 방향)의 길이가 폭 방향보다 긴 외형 크기를 갖고 있다. 잉크 카트리지(100b)의 깊이 치수와 기판(200)의 폭 치수와의 관계를, 양자의 비로 나타낸 경우, 예컨대, 그 비는 15:1 이상이다.
기판(200)은,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보스 홈(201) 및 보스 구멍(202)에서 위치 결정됨과 아울러, 잉크 카트리지(100b)의 기판 장착부(1050)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100b)가 프린터에 장착될 때는, 잉크 카트리지(100b)의 가이드부(1040)가 프린터측의 가이드핀(2040)을 안내하고, 기판 장착부(1050), 잉크 공급구(1020) 및 공기 공급구(1030)는, 프린터 쪽의 접촉 핀(2050), 잉크 공급구(2020) 및 공기 공급구(2030)와 적절히 접촉, 접합시킨다. 잉크 카트리지(100b)의 삽입 방향은 도 21에서 화살표 R로 표시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100b)의 삽입 방향은,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본 변형예에 대한 오프 캐리지 타입의 프린터용의 잉크 카트리지(100b)에서도,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다른 단자의 단락에 기인하는 메모리 및 인쇄 장치의 손상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제 14 변형예
도 2에 나타내는 "온 캐리지" 타입의 프린터용 잉크 카트리지의 형상은 일례이다. "온 캐리지" 타입의 프린터용 잉크 카트리지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온 캐리지" 타입의 프린터용 잉크 카트리지의 다른 형상을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제 14 변형예로서 설명한다. 도 22는 제 14 변형예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제 1 도이다. 도 23은 제 14 변형예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제 2 도이다. 도 24는 제 14 변형예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제 3 도이다.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4 변형예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100b)는 하우징(101b)과 기판(200)과 센서(104b)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1b)의 저면에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100)와 마찬가지로, 홀더(4b)에 장착되었을 때에 잉크 공급 침이 삽입되는 잉크 공급구(110b)가 마련된다. 기판(200)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100)와 마찬가지로, 하우징(101b)의 전면(Y축의 부 방향 쪽의 면)의 아래쪽(Z축의 정 방향 쪽)에 탑재되어 있다. 기판(200)의 구성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판(200)과 동일하다. 센서(104b)는, 하우징(101b)의 측벽에 매설되고, 잉크 잔량의 검출에 이용된다. 하우징(101)의 전면의 위쪽에는, 홀더(4b)에 장착되었을 때에 홀더(4b)의 결합부와 결합하는 후크(120b)가 마련된다. 후크(120b)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100b)는 홀더(4b)에 고정된다. 잉크 카트리지(100b)를 홀더(4b)에 장착할 때의 삽입 방향은 도 22에서 화살표 R로 나타내는 방향(Z축의 정 방향)이며, 실시예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 지(100)와 마찬가지이다.
하우징(101b)은 기판(200)에 근접한 하우징(101b)의 측면(X축 방향 쪽)에 위치 어긋남 방지부(PO1 내지 PO4)가 마련된다. 위치 어긋남 방지부(PO1 내지 PO4)는 잉크 카트리지(100b)가 홀더(4b)에 장착되었을 때에, 홀더(4b)의 측벽의 대응하는 부분에 근접 또는 접촉한다. 이에 따라, 잉크 카트리지(100b)가 홀더(4b)에서의 옳은 장착 위치로부터 X축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억제한다. 구체적으로는, 위치 어긋남 방지부(PO1, PO2)는 기판(200)의 위쪽에 위치하고, 잉크 카트리지(100b)의 위쪽이 잉크 공급구(110b)를 회전의 중심으로 하여, X축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위치 어긋남 방지부(PO3, PO4)는 기판(200)에 있어서의 단자군(210 내지 290)(도 3)의 양 단부에 위치하고, 단자군(210 내지 290)을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410 내지 490)와 정확히 접촉하도록 위치 결정한다.
제 14 변형예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100b)의 전기적 구성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100)의 전기적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14 변형예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100b)에 따르면, 실시예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100)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에 더해서, 이하와 같은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잉크 카트리지(100b)는 위치 어긋남 방지부(P01 내지 P04)를 구비하기 때문에, 홀더에 장착되었을 때의 장착 위치의 어긋남을 방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위치 어긋남 방지부(PO3, PO4)는 기판(200)에서의 단자군(210 내지 290)의 양 단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410 내지 490)에 대한 단자군(210 내지 290)의 위치 결정이 정밀도 좋게 행해진다. 또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기판(200)에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및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는 단자군(210 내지 290)의 양단에 위치하고 있고, 즉,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및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는 위치 어긋남 방지부(PO3, PO4)에 가장 근접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및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의 위치 결정 정밀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고전압이 인가되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및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는 다른 단자와 잘못하여 접촉하는 것을 방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판(200) 대신에, 도 14 내지 도 19에 나타내는 기판(200b 내지 200s) 중 하나가 도 22 내지 24에 나타내는 잉크 카트리지(100b)에 탑재될 수 있다.
그 밖의 변형예
도 17(c), 도 17(d) 및 도 18(c), 도 18(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제 10 변형예 및 제 11 변형예에 있어서의 오목부, 즉, 단자(150, 190)와 기판 사이에, 다공체(PO)를 배치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단자(150, 190)와 다른 단자와의 단락의 원인으로 되기 쉬운, 잉크 액적이나 수적의 수분을, 다공체(PO)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술한 제 10 변형예 및 제 11 변형예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잉크 카트리지(100)는, 복수의 장치로서, 센서(104)(압 전 소자)와, 메모리(203)가 탑재되어 있지만, 복수의 장치는 센서(104) 및 메모리(203)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센서(104)는 잉크 카트리지(100) 내의 잉크에 전압을 인가하여, 그 저항치를 측정함으로써, 잉크의 특성이나 양을 검출하는 타입의 센서라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장치 중, 센서(104)는 하우징(101)에, 메모리(203)는 기판(200)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복수의 장치의 배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메모리(203)는 기판(200)과는 별개로 되어, 하우징(101)에 배치되어도 좋다. 복수의 장치는 단일 기판 상에 배치되어도 좋고, 단일 모듈 내에 배치되어도 좋다. 복수의 장치를 포함하는 기판 또는 모듈은 하우징(101)에 배치되어도 좋고, 기판(200)에 배치되어도 좋다. 적어도 복수의 장치 중 보다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장치의 단자를 상술한 단자(250, 290)의 위치에 배치하여, 보다 낮은 전압이 인가되는 장치의 단자를, 상술한 단자(220, 230, 260 내지 280)의 위치에 배치하면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보다 높은 전압이 인가될 수 있는 장치에 접속된 단자와, 보다 낮은 전압이 인가되는 장치에 접속된 단자 사이의 단락에 기인하는, 잉크 카트리지(100) 또는 인쇄 장치(1000)의 손상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메모리(203)용의 5개의 단자(220, 230, 260 내지 280)와, 센서(104)용의 2개의 단자(250, 290)가 사용되지만, 이들의 단자수는 디바이스의 사양에 의해 달라도 좋다. 예컨대, 보다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디바이스에 접속된 단자는 1개라도 좋다. 이러한 경우는 그 1개의 단자는 상술한 단자(250, 290)의 어느 위치에 배치되면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잉크 카트리지(100)에 본 발명을 적용하고 있지만, 잉크 카트리지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인쇄재, 예컨대, 토너가 수용된 수용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인쇄 장치에서의 주제어 회로(40)나 캐리지 회로(500)의 구성과 관련하여,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 있던 구성의 일부는 소프트웨어로 치환되어도 좋고, 역으로,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고 있던 구성의 일부를 하드웨어로 치환하여도 좋다.
실시예, 변형예에 근거하여 본 발명에 다른 인쇄재 수용체와 기판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상기한 발명의 실시의 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 및 특허 청구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변경, 개량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