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283B1 -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2283B1
KR101862283B1 KR1020157025262A KR20157025262A KR101862283B1 KR 101862283 B1 KR101862283 B1 KR 101862283B1 KR 1020157025262 A KR1020157025262 A KR 1020157025262A KR 20157025262 A KR20157025262 A KR 20157025262A KR 101862283 B1 KR101862283 B1 KR 101862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toner
powder
powder container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5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0305A (ko
Inventor
겐지 기쿠치
신지 다마키
히로시 호소카와
?지 가토
미치하루 스즈키
히데오 요시자와
신고 구보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10330A external-priority patent/JP5594396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46882A external-priority patent/JP5549766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19469A external-priority patent/JP630355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150130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03G15/0898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for preventing toner scattering during operation,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5/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section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65D15/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section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of curved, or partially curved, cross-section, e.g. cans, drums
    • B65D15/0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section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of curved, or partially curved, cross-section, e.g. cans, drums with curved, or partially curved, walls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 B65D15/0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section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of curved, or partially curved, cross-section, e.g. cans, drums with curved, or partially curved, walls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 end walls made of plastics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15/0872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the developer cartridges being generally horizontally mounted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28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with means for handling the copy material in the fixing nip, e.g. introduction guides, stripp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11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using a blade; Details of cleaning blades, e.g. blade shape, layer form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6Eliminating residual charges from a reusable imaging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7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lifetime of the cartridge
    • G03G21/1878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79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for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not directly attached 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63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2215/0678Bottle shaped container having a bottle neck for toner discharge

Abstract

분체 용기는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된 분체를 수용하고, 화상 형성 장치에 부착되어야 한다. 화상 형성 장치는, 분체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노즐; 반송 노즐 상에 구비되며 분체 용기로부터의 분체를 수납하는 분체 수납 구멍; 구동력을 분체 용기에 전달하기 위한 장치 본체 기어; 및 반송 노즐 주위에 배치되며 분체 용기를 수납하는 용기 수납부를 포함한다. 분체 용기는, 분체 용기의 일 단부 상에 종방향에서 구비되는 개구부; 개구부에서 배치되며 반송 노즐을 수납하는 노즐 수납부; 분체를 분체 수납 구멍으로 반송하도록 회전하는 회전식 반송기; 및 개구부 근처에 구비되며 장치 본체 기어와 맞물림으로써 반송기를 구동하는 용기 기어를 포함한다. 용기 기어는 종방향에서 분체 수납 구멍보다 개구부에 더 근접한 위치에서 장치 본체 기어와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개구부는 용기 수납부와 짝을 이루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프린터, 팩스 기계, 복사기, 또는 프린터, 팩스 기계, 및 복사기의 다수의 기능들을 갖는 다기능 주변기기에 의해 이용된 분체(powder)인 토너(toner)를 저장하기 위한 분체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또한, 분체 용기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electrophotographic) 화상 형성 장치들에서, 분체 보급 디바이스는 분체인 토너를, 토너를 수용하는 분체 용기로서 작용하는 토너 용기로부터 현상 디바이스로 공급(보급)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2-133349호에서 설명된 토너 용기는 토너 용기의 일 단부 상에 배치된 개구부, 토너 용기로부터의 토너를 수납하기 위한 분체 수납 구멍을 포함하는 반송 노즐을 수납하기 위하여 개구부에 구비된 노즐 수납부, 토너를 분체 수납 구멍을 향해 반송하도록 회전하는 회전식 반송기, 및 구동력을 회전식 반송기에 전달하기 위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의 용기 구동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를 포함한다. 토너 용기가 분체 보급 디바이스에 부착될 때, 기어는 분체 수납 구멍에 비해 토너 용기의 종방향(longitudinal direction)에서 개구부 측 상에서 용기 구동 기어와 맞물린다. 이 구성에서는, 토너가 반송 노즐의 분체 수납 구멍으로 전사될 때, 기어의 배치의 영향이 감소될 수 있고, 토너는 기존의 구성에서보다 더욱 원활하게 전사될 수 있다.
그러나, 용기의 기어가 구동될 경우, 기어 및 본체의 용기 구동 기어가 서로 맞물리는 위치에서 생성된 압력은 토너 용기 또는 반송 노즐에 가해진다. 그러므로, 분체 보급 디바이스에 대한 토너 용기의 부착된 위치가 결정되지 않을 경우, 반송 노즐 또는 노즐 수납부 상에서의 부하가 증가하여, 반송 노즐 또는 노즐 수납부가 파손될 수도 있거나, 반송 노즐 및 노즐 수납부 사이에 간극(gap)이 생성될 수도 있어서 토너 누설로 귀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쟁점들을 고려하여 행해졌으며, 본 발명의 목적은 분체를 분체 용기로부터 토너 보급 디바이스로 전사하기 위한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용기 구동 기어에 의해 전달된 구동으로 인한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된 분체를 수용하며 화상 형성 장치에 부착되어야 하는 분체 용기를 구비한다. 화상 형성 장치는, 분체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노즐; 반송 노즐 상에 구비되며 분체 용기로부터의 분체를 수납하는 분체 수납 구멍; 구동력을 분체 용기에 전달하기 위한 장치 본체 기어; 및 반송 노즐 주위에 배치되며 분체 용기를 수납하는 용기 수납부를 포함한다. 분체 용기는, 분체 용기의 일 단부 상에 종방향에서 구비되는 개구부; 개구부에서 배치되며 반송 노즐을 수납하는 노즐 수납부; 분체를 분체 수납 구멍으로 반송하도록 회전하는 회전식 반송기; 및 개구부 근처에 구비되며 장치 본체 기어와 맞물림으로써 반송기를 구동하는 용기 기어를 포함한다. 용기 기어는 종방향에서 분체 수납 구멍보다 개구부에 더 근접한 위치에서 장치 본체 기어와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개구부는 용기 수납부와 짝을 이루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체 용기가 화상 형성 장치에 부착될 때, 용기 기어는 종방향에서 분체 수납 구멍보다 개구부에 더 근접한 위치에서 장치 본체 기어와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개구부는 용기 수납부와 짝을 이루기 위한 것이다. 이것은 분체를 분체 용기로부터 토너 보급 디바이스로 전사하기 위한 성능을 개선시키며 기어에 의해 전달된 구동으로 인한 반송 노즐 또는 노즐 수납부 상의 부하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분체 용기가 부착되기 전의 분체 보급 디바이스 및 분체 용기의 설명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예시된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부의 구성을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4는 분체 용기가 도 2에서 예시된 화상 형성 장치의 분체 보급 디바이스에 부착되는 상태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5는 분체 용기가 용기 유지부에 부착되는 상태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본 실시형태들에 따른 분체 용기의 구성을 예시하는 설명을 위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분체 용기가 부착되기 전의 분체 보급 디바이스 및 분체 용기의 설명을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분체 용기가 부착되는 분체 보급 디바이스 및 분체 용기의 설명을 위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분체 용기가 부착되는 분체 보급 디바이스 및 분체 용기의 설명을 위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용기 전방 단부 커버가 탈착될 때의 분체 용기의 설명을 위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노즐 수납부가 용기 몸체로부터 탈착될 때의 분체 용기의 설명을 위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노즐 수납부가 용기 몸체로부터 탈착될 때의 분체 용기의 설명을 위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노즐 수납부가 도 12에서 예시된 상태로부터 용기 몸체에 부착될 때의 분체 용기의 설명을 위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용기 전방 측으로부터 관측된 노즐 수납부의 설명을 위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용기 후방 측으로부터 관측된 노즐 수납부의 설명을 위한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3 에서 예시된 상태에서 노즐 수납부의 상단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3 에서 예시된 상태에서 노즐 수납부의 횡단면도이고;
도 18은 노즐 수납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9a 내지 도 19d는 부착 동작 중인 개방/폐쇄 부재 및 반송 노즐의 상태들을 설명하기 위한 상단 평면도들이고;
도 20은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들에 따른 용기 유지부의 설명을 위한 사시도이고;
도 21a는 제 1 내지 제 5 실시형태들에 따른 흑색에 대한 용기 유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적으로 확대된 사시도이고;
도 21b는 아래로부터 비스듬하게 관측된 용기 커버 수납부 및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들 근처의 구성의 설명을 위한 사시도이고;
도 22는 제 1 내지 제 5 실시형태들에 따른 용기 유지부의 상부 일부 및 분체 용기의 상부 부분의 구성들을 예시하는 설명을 위한 사시도이고;
도 23은 부착 방향으로부터 관측된 흑색에 대한 용기 유지부의 설명을 위한 정면도이고;
도 24는 제 1 내지 제 5 실시형태들에 따른 흑색 이외의 컬러들에 대한 용기 유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적으로 확대된 사시도이고;
도 25는 부착 방향으로부터 관측된 흑색 이외의 컬러들에 대한 용기 유지부의 설명을 위한 정면도이고;
도 26은 용기 유지부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적으로 확대된 사시도이고;
도 27은 부착 방향으로부터 관측된 흑색 및 흑색 이외의 컬러들에 대한 용기 유지부들의 설명을 위한 정면도이고;
도 28은 용기 유지부 상에 배치된 안내부 및 분체 용기의 피유지부(held portion)의 안내부의 피팅된 상태(fitted state)를 예시하는 부분적으로 확대된 도면이고;
도 29a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의 설명을 위한 사시도이고;
도 29b는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 피계합부(container engaged portion)의 부분적으로 확대된 단면도이고;
도 29c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의 또 다른 예의 설명을 위한 사시도이고;
도 30a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의 설명을 위한 정면도이고;
도 30b는 도 30a에서 Z-Z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고;
도 31은 분체 용기의 피유지부의 안내부의 구성을 예시하는 부분적으로 확대된 도면이고;
도 32는 안내부로서 작용하는 포지셔너의 구성을 예시하는 단면 사시도이고;
도 33은 용기 유지부에 부착된 분체 용기의 확대도이고;
도 34는 부착 방향으로부터 관측된 도 33에서의 기준 라인(X1) 상의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35는 위로부터 관측된 도 33에서의 기준 라인(X2) 상의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36은 용기 유지부에 부착된 분체 용기의 확대도이고;
도 37은 부착 방향으로부터 관측된 도 36에서의 기준 라인(X1) 상의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38a는 분체 용기가 이동하기 시작할 때의 용기 유지부 상의 분체 용기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38b는 수직 구속기(vertical restrictor)들에 의해 얻어진 제 1 구속된 상태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38c는 반송 노즐 및 용기 셔터가 서로 접촉하는 상태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38d는 방사상 구속기(radial restrictor)들에 의해 얻어진 제 2 구속된 상태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39는 용기 유지부에 부착된 분체 용기의 확대도이고;
도 40은 부착 방향으로부터 관측된 도 39에서의 기준 라인(X1) 상의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41은 위로부터 관측된 도 39에서의 기준 라인(X2) 상의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42는 용기 유지부에 부착된 분체 용기의 확대도이고;
도 43은 부착 방향으로부터 관측된 도 42에서의 기준 라인(X1) 상의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44a는 노즐 셔터 플랜지 및 용기 밀봉부가 서로 접촉할 때의 용기 유지부 상의 분체 용기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44b는 원주 구속 홈(circumferential restricting groove)에 의해 얻어진 제 3 구속된 상태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44c는 방사상 구속기들에 의해 얻어진 제 4 구속된 상태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44d는 용기 개구부가 용기 설정부 내로 진입되는 제 5 구속된 상태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44e는 분체 용기가 최종 설정 위치에서 유지되는 제 6 구속된 상태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44f는 부착 동작에서의 반송 노즐 및 노즐 수납부의 상태들(수평 행) 및 분체 용기의 구속된 상태들(수직 열)의 관계를 예시하고;
도 45는 용기 유지부에 부착된 분체 용기의 확대도이고;
도 46은 부착 방향으로부터 관측된 도 45에서의 기준 라인(X1) 상의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47은 위로부터 관측된 도 45에서의 기준 라인(X3) 상의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48은 용기 유지부에 부착된 분체 용기의 확대도이고;
도 49는 위로부터 관측된 도 48에서의 기준 라인(X3) 상의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50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의 설명을 위한 사시도이고;
도 51a는 스쿠핑부(scooping portion)들로서 스쿠핑 리브들을 포함하는 노즐 수납부의 설명을 위한 사시도이고;
도 51b는 노즐 수납부가 용기 몸체에 부착될 때에 도 51a에서 예시된 노즐 수납부의 설명을 위한 단면도이고;
도 51c는 도 51a에서 예시된 노즐 수납부가 부착되는 전체적인 분체 용기의 설명을 위한 횡단면도이고;
도 51d는 도 51c에서 예시된 분체 용기의 용기 셔터의 사시도이고;
도 52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 및 용기 설정부의 전방 단부의 설명을 위한 사시도이고;
도 53a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의 전방 단부의 설명을 위한 사시도이고;
도 53b는 용기 설정부의 설명을 위한 사시도이고;
도 54는 정보 저장 디바이스의 정면도이고;
도 55는 정보 저장 디바이스 및 판독 수단의 구성들 및 접촉 상태를 예시하는 설명을 위한 사시도이고;
도 56은 상이한 구성을 가지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용기 유지부의 구성을 예시하는 설명을 위한 사시도이고;
도 57은 용기 유지부에 부착된 분체 용기의 설명을 위한 단면도이고;
도 58a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의 커버 후크들 및 용기 몸체의 커버 후크 스톱퍼(stopper)들의 접촉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58b는 도 58a에서 라인 JJ를 따라 취해진 부분적인 단면도이고;
도 58c는 커버 후크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9는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의 전방 단부의 설명을 위한 사시도이고;
도 60은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의 전방 단부의 저면도이고;
도 61은 제 4 실시형태에서 채용된 용기 유지부의 구성을 예시하는 설명을 위한 사시도이고;
도 62는 용기 유지부의 삽입 구멍의 구성을 예시하는 확대된 정면도이고;
도 63은 용기 유지부의 삽입 구멍의 구성을 예시하는 설명을 위한 확대된 사시도이고;
도 64는 분체 용기가 용기 유지부의 삽입 구멍에 삽입되는 상태를 예시하는 확대된 도면이고;
도 65a는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피식별부(identified portion) 및 식별부(identifying part)의 구성들 및 부착가능하지 않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된 도면이고;
도 65b는 피식별부 및 식별부의 구성들 및 부착가능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된 도면이고;
도 65c는 부착가능한 상태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된 도면이고;
도 66은 분체 용기 상에 구비된 피식별부의 제 1 예를 예시하는 확대된 저면도이고;
도 67a는 분체 용기 상에 구비된 피식별부의 제 1 예를 예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67b는 분체 용기 상에 구비된 피식별부의 제 1 예를 예시하는 배면도이고;
도 68은 분체 용기 상에 구비된 피식별부의 제 2 예를 예시하는 확대된 저면도이고;
도 69a는 분체 용기 상에 구비된 피식별부의 제 2 예를 예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69b는 분체 용기 상에 구비된 피식별부의 제 2 예를 예시하는 배면도이고;
도 70은 분체 용기 상에 구비된 피식별부의 제 3 예를 예시하는 확대된 저면도이고;
도 71a는 분체 용기 상에 구비된 피식별부의 제 3 예를 예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71b는 분체 용기 상에 구비된 피식별부의 제 3 예를 예시하는 배면도이고;
도 72는 분체 용기 상에 구비된 피식별부의 제 4 예를 예시하는 확대된 저면도이고;
도 73a는 분체 용기 상에 구비된 피식별부의 제 4 예를 예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73b는 분체 용기 상에 구비된 피식별부의 제 4 예를 예시하는 배면도이고;
도 74a는 분체 용기 상에 구비된 피식별부의 제 5 예를 예시하는 확대된 저면도이고;
도 74b는 분체 용기 상에 구비된 피식별부의 또 다른 예를 예시하는 확대된 저면도이고;
도 75a는 분체 용기 상에 구비된 피식별부의 제 5 예를 예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75b는 분체 용기 상에 구비된 피식별부의 제 5 예를 예시하는 배면도이고;
도 76은 분체 용기 상의 제 1 내지 제 5 예들의 피식별부들 및 식별부 사이의 관계들 및 피식별부들의 치수들을 예시하는 확대된 도면이고;
도 77은 분체 용기의 제 1 내지 제 5 예들의 피식별부들의 존재 또는 부재 사이의 관계들 및 피식별부들의 치수들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78은 제 5 실시형태의 제 1 예의 변형예를 예시하는 확대된 저면도이고;
도 79는 제 5 실시형태의 제 2 예의 변형예를 예시하는 확대된 저면도이고;
도 80은 제 5 실시형태의 제 4 예의 변형예를 예시하는 확대된 저면도이고;
도 81은 제 5 실시형태의 제 5 예의 변형예를 예시하는 확대된 저면도이고;
도 82a는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피식별부 및 식별부의 부착가능하지 않은 상태를 예시하는 측면 부분 단면도이고;
도 82b는 피식별부 및 식별부가 서로 계합될 때에 구속 리브 및 슬라이드 안내부의 관계를 예시하는 평면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83은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설정 커버 돌출부들이 구비되는 설정 커버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84는 제 7 실시형태에 따른 회전 구속 오목부를 포함하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85a는 분체 용기가 이동하기 시작할 때의 용기 유지부 상의 분체 용기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85b는 수직 구속기들에 의해 얻어진 제 1 구속된 상태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85c는 반송 노즐 및 용기 셔터가 서로 접촉하는 상태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85d는 방사상 구속기들에 의해 얻어진 제 2 구속된 상태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86a는 노즐 셔터 플랜지 및 용기 밀봉부가 서로 접촉할 때의 용기 유지부 상의 분체 용기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86b는 원주 구속 홈에 의해 얻어진 제 3 구속된 상태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86c는 방사상 구속기들에 의해 얻어진 제 4 구속된 상태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86d는 용기 개구부가 용기 설정부 내로 진입되는 제 5 구속된 상태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86e는 분체 용기가 최종 설정 위치에서 유지되는 제 6 구속된 상태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87a는 IC 칩을 포함하는 분체 용기의 우측면도이고;
도 87b는 IC 칩을 포함하는 분체 용기의 좌측면도이고;
도 87c는 IC 칩을 포함하는 분체 용기의 정면도이고;
도 87d는 IC 칩을 포함하는 분체 용기의 배면도이고;
도 87e는 IC 칩을 포함하는 분체 용기의 평면도이고;
도 87f는 IC 칩을 포함하는 분체 용기의 저면도이고;
도 88a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 측으로부터 관측된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8b는 용기 몸체 측으로부터 관측된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의 전체적인 구성의 사시도이고;
도 89는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의 용기 전방 단부 커버 및 용기 몸체의 전방 단부의 구성들을 예시하는 확대된 사시도이고;
도 90은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의 설명을 위한 정면도이고;
도 91a는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의 용기 전방 단부 커버의 구성을 예시하는 설명을 위한 정면도이고;
도 91b는 도 91a에서 예시된 용기 전방 단부 커버의 저면도이고;
도 92는 제 8 실시형태에서 채용된 용기 유지부의 설명을 위한 사시도이고;
도 93은 도 92에서 예시된 용기 유지부의 구동 시스템 및 용기 커버 수납부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된 사시도이고;
도 94는 도 92에서 예시된 용기 유지부의 설명을 위한 정면도이고;
도 95는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가 용기 유지부에 부착되는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96은 설정 커버 상에 배치된 포지셔너들의 구성들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적으로 확대된 사시도이고;
도 97은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 유지부 상에 배치된 안내부들 및 식별부의 구성들을 예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98은 용기 유지부의 안내부들 및 분체 용기의 수직 구속기들의 계합된 상태들과, 용기 유지부의 식별부 및 분체 용기의 비호환부의 계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부분적으로 확대된 도면이고;
도 99a는 분체 용기가 이동하기 시작할 때의 용기 유지부 상의 분체 용기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99b는 수직 구속기들에 의해 얻어진 제 1 구속된 상태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99c는 반송 노즐 및 용기 셔터가 서로 접촉하는 상태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99d는 수직 구속기들 및 원주 구속기(circumferential restrictor)들에 의해 얻어진 제 2 구속된 상태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100a는 노즐 셔터 플랜지 및 용기 밀봉부가 서로 접촉할 때의 용기 유지부 상의 분체 용기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100b는 이동의 구속이 수직 구속기들 및 원주 구속기들에 의해 유지되는 이동 상태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100c는 수직 구속기들 및 원주 구속기들에 의해 얻어진 제 3 구속된 상태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100d는 수직 구속기들 및 원주 구속기들에 의해 얻어진 제 4 구속된 상태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100e는 분체 용기가 최종 설정 위치에서 유지되는 제 5 구속된 상태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101a는 분체 용기 측으로부터 관측된 제 2 구속된 상태에서의 원주 구속기들 및 유지부의 부분적으로 확대된 단면 사시도이고;
도 101b는 원주 구속기들에 의한 구속이 제 2 구속된 상태에서 강화될 때의 상태를 예시하는 부분적으로 확대된 단면 사시도이고;
도 101c는 제 3 구속된 상태에서의 원주 구속기들 및 유지부의 부분적으로 확대된 단면 사시도이고;
도 102a는 용기 유지부 측으로부터 관측된 제 2 구속된 상태에서의 원주 구속기들 및 유지부의 부분적으로 확대된 단면 사시도이고;
도 102b는 제 3 구속된 상태에서의 원주 구속기들 및 유지부의 부분적으로 확대된 단면 사시도이고;
도 103a는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의 구성을 예시하는 우측면도이고;
도 103b는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의 좌측면도이고;
도 103c는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의 정면도이고;
도 103d는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의 배면도이고;
도 103e는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의 평면도이고;
도 103f는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의 저면도이고;
도 104는 나선형 홈이 용기 몸체에서 구비되지 않은,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의 또 다른 예의 사시도이고;
도 105a 및 도 105b는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 상에 구비된 피식별부의 제 1 예의 정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105c 및 도 105d는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 상에 구비된 피식별부의 제 2 예의 정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105e 및 도 105f는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 상에 구비된 피식별부의 제 3 예의 정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105g 및 도 105h는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 상에 구비된 피식별부의 제 4 예의 정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106a 및 도 106b는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 상에 구비된 피식별부의 제 5 예의 정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106c 및 도 106d는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 상에 구비된 피식별부의 제 6 예의 정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106e 및 도 106f는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 상에 구비된 피식별부의 제 7 예의 정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106g 및 도 106h는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 상에 구비된 피식별부의 제 8 예의 정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107a 및 도 107b는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 상에 구비된 피식별부의 제 9 예의 정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107c 및 도 107d는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 상에 구비된 피식별부의 제 10 예의 정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107e 및 도 107f는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 상에 구비된 피식별부의 제 11 예의 정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107g 및 도 107h는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 상에 구비된 피식별부의 제 12 예의 정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108a 및 도 108b는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 상에 구비된 피식별부의 제 13 예의 정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108c 및 도 108d는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 상에 구비된 피식별부의 제 14 예의 정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108e 및 도 108f는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 상에 구비된 피식별부의 제 15 예의 정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109는 제 9 실시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설명을 위한 사시도이고;
도 110은 제 9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 몸체의 종방향에서의 단면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11은 제 9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 몸체의 구성 및 토너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112a는 도 110에서 예시된 제 1 절단부의 단면도이고;
도 112b는 도 110에서 예시된 제 2 절단부의 단면도이고;
도 112c는 도 110에서 예시된 제 3 절단부의 단면도이고;
도 112d는 도 110에서 예시된 제 4 절단부의 단면도이고;
도 113a는 용기 몸체의 일 단부 상의 안내부들의 구성들을 예시하는 확대된 단면도이고;
도 113b는 용기 몸체의 타 단부 상의 안내부들의 구성들을 예시하는 확대된 단면도이고;
도 114는 반송 노즐이 용기 몸체 내에 삽입되는 상태를 예시하는 확대된 단면도이고;
도 115는 부착되기 전의 분체 용기 및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들의 설명을 위한 단면도이고;
도 116은 분체 용기가 용기 커버 수납부 내로 진입할 때의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들의 설명을 위한 단면도이고;
도 117은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에 가해진 힘들의 관계와, 용기 피계합부의 안내 돌출부 및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가 부착 방향에서의 밀기(pushing)로 인해 서로 접촉하는 상태를 예시하는 설명을 위한 확대된 도면이고;
도 118은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에 가해진 힘들의 관계와, 부착된 상태가 부착 방향에서의 미는 것에 의해 얻어지기 바로 전의 상태를 예시하는 설명을 위한 확대된 도면이고;
도 119는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에 가해진 힘들의 관계 및 부착된 상태를 예시하는 설명을 위한 확대된 도면이고;
도 120은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에 가해진 힘들의 관계와, 부착된 상태에서의 분체 용기가 탈착 방향(Q1)에서 끌어내어지는 상태를 예시하는 설명을 위한 확대된 도면이고; 그리고
도 121은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의 치수들의 예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실시형태들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 또는 동일한 기능들을 갖는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 및 기호들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동일한 설명은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이하의 설명들은 예들에 불과하고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게다가, 당해 분야에서의 숙련자는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변형들 또는 변경들을 행함으로써 다른 실시형태들을 용이하게 구상할 수도 있지만; 그러나, 이러한 변형들 및 변경들은 명백히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속한다. 도면들에서, Y, M, C, 및 K는 황색, 마젠타(magenta), 시안(cyan), 및 흑색에 대응하는 성분들에 첨부된 기호들이고, 적절하게 생략될 것이다.
제 1 실시형태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 작용하는 전자사진 직렬-타입(tandem-type) 컬러 복사기(이하, "복사기(500)"로서 지칭됨)의 전체적인 구성 도면이다. 복사기(500)는 단색 복사기일 수도 있다. 복사기(500)는 복사기 본체(이하, "프린터(100)"로서 지칭됨), 급지 테이블(이하, "시트 급지부(200)"로서 지칭됨), 및 프린터(100) 상에 장착된 스캐너부(이하, "스캐너(400)"로서 지칭됨)를 주로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본체"가 복사기 본체(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를 표시한다.
상이한 색들(황색, 마젠타, 시안, 흑색)에 대응하는 분체 용기들로서 작용하는 4 개의 토너 용기들(32(Y, M, C, K))은 프린터(100)의 상부 일부에서 구비된 용기 유지부로서 작용하는 토너 용기 유지부(70)에 탈착가능하게(교체가능하게) 부착된다. 중간 전사 디바이스(85)는 토너 용기 유지부(70)의 아래에 배치된다.
중간 전사 디바이스(85)는 중간 전사 매체로서 작용하는 중간 전사 벨트(48), 4 개의 1차-전사 바이어스 롤러(primary-trasnfer bias roller)들(49(Y, M, C, K)), 2차-전사 백업 롤러(secondary-transfer backup roller; 82), 다수의 텐션 롤러(tension roller)들, 중간-전사 클리닝 디바이스(intermediate-transfer cleaning device) 등을 포함한다. 중간 전사 벨트(48)는 다수의 롤러 부재들에 의해 당겨져서 지지되고, 롤러 부재들 중의 하나로서 작용하는 2차-전사 백업 롤러(82)의 회전과 함께 도 2에서의 화살표 방향으로 무한 이동한다.
프린터(100)에서는, 각각의 컬러들에 대응하는 4 개의 화상 형성부들(46(Y, M, C, K))이 중간 전사 벨트(48)와 대향하도록 직렬식으로 배치된다. 4 개의 컬러들의 4 개의 토너 용기들(32; Y, M, C, K)에 대응하는 분체 공급(보급) 디바이스들로서 작용하는 4 개의 토너 보급 디바이스들(60(Y, M, C, K))은 토너 용기들(32) 아래에 각각 배치된다. 토너 보급 디바이스들(60(Y, M, C, K))은 토너 용기들(32(Y, M, C, K)) 내에 수용된 분체 현상제인 토너를 각각의 컬러들에 대한 화상 형성부들(46(Y, M, C, K))의 현상 디바이스들에 각각 공급(보급)한다. 실시형태에서는, 4 개의 화상 형성부들(46(Y, M, C, K))이 화상 형성 유닛을 형성한다.
도 2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100)는 4 개의 화상 형성부들(46) 아래에서 잠상(latent-image) 형성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노광 디바이스(47)를 포함한다. 노광 디바이스(47)는 스캐너(400)에 의해 판독된 원래의 화상의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더 이후에 설명될) 화상 담지체(image bearer)들로서 작용하는 감광체(photoconductor)들(41(Y, M, C, K))의 표면들을 노광하고 광으로 스캔하여, 정전 잠상들이 감광체들의 표면들 상에 형성된다. 화상 정보는 스캐너(400)에 의해 판독되는 대신에, 복사기(500)에 연결된,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될 수도 있다.
실시형태에서,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한 레이저 빔 스캐닝 시스템은 노광 디바이스(47)로서 채용된다. 그러나, LED 어레이(array)를 포함하는 구성과 같은 다른 구성들이 노광 수단으로서 채용될 수도 있다.
도 3은 황색에 대한 화상 형성부(46Y)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화상 형성부(46Y)는 드럼-형상 감광체(41Y)를 포함한다. 화상 형성부(46Y)는 대전 디바이스(charging device)로서 작용하는 대전 롤러(44Y), 현상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현상 디바이스(50Y), 클리닝 디바이스로서 작용하는 감광체 클리닝 디바이스(42Y), 및 제전 디바이스(neutralizing device)를 포함하고, 이들 모두는 감광체(41Y) 주위에 배치된다. 화상 형성 프로세스들(대전 프로세스, 노광 프로세스, 현상 프로세스, 전사 프로세스, 및 클리닝 프로세스)은 감광체(41Y) 상에서 수행되어, 황색 토너 화상이 감광체(41Y) 상에 형성된다.
다른 3 개의 화상 형성부들(46(M, C, K))은, 이용되어야 할 토너의 컬러들이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는 황색에 대한 화상 형성부(46Y)와 거의 동일한 구성들을 가지고, 각각의 토너 컬러들에 대응하는 토너 화상들은 감광체들(41(M, C, K)) 상에 형성된다. 이하, 황색에 대한 화상 형성부(46Y)만의 설명이 주어질 것이고, 다른 3 개의 화상 형성부들(46(M, C, K))의 설명은 적절하게 생략될 것이다.
감광체(41Y)는 구동 모터에 의해 도 3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감광체(41Y)의 표면은 대전 롤러(44Y)를 대향하는 위치에서 균일하게 대전된다(대전 프로세스). 다음으로, 감광체(41Y)의 표면은 노광 디바이스(47)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광(L)으로의 조사 위치에 도달하고, 여기서, 황색에 대한 정전 잠상은 노광 스캐닝을 통해 형성된다(노광 프로세스). 다음으로, 감광체(41Y)의 표면은 현상 디바이스(50Y)와 대향하는 위치에 도달하고, 여기서, 정전 잠상은 황색 토너로 현상되어 황색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현상 디바이스).
중간 전사 디바이스(85)의 4 개의 1차-전사 바이어스 롤러들(49(Y, M, C, K)) 및 감광체들(41(Y, M, C, K))은 중간 전사 벨트(48)를 사이에 끼워서, 1차 전사 니프(primary transfer nip)들이 형성된다. 토너의 극성과 반대인 극성을 갖는 전사 바이어스는 1차-전사 바이어스 롤러들(49(Y, M, C, K))에 인가된다.
토너 화상이 현상 프로세스를 통해 그 위에 형성되는 감광체(41Y)의 표면은 중간 전사 벨트(48)를 가로질러 1차-전사 바이어스 롤러(49Y)와 대향하는 1차 전사 니프에 도달하고, 감광체(41Y) 상의 토너 화상은 1차 전사 니프에서 중간 전사 벨트(48)에 전사된다(1차 전사 프로세스). 이 때, 아주 작은 양의 비-전사된 토너가 감광체(41Y) 상에 남아 있다. 토너 화상이 1차 전사 니프에서 중간 전사 벨트(48)로 전사되었던 감광체(41Y)의 표면은 감광체 클리닝 디바이스(42Y)와 대향하는 위치에 도달한다. 이 위치에서, 감광체(41Y) 상에 남아 있는 비-전사된 토너는 감광체 클리닝 디바이스(42Y)에 포함된 클리닝 블레이드(cleaning blade; 42a)에 의해 기계적으로 수집된다(클리닝 프로세스). 감광체(41Y)의 표면은 최종적으로 제전 디바이스와 대향하는 위치에 도달하고, 여기서, 감광체(41Y) 상의 잔여 전위가 제거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감광체(41Y) 상에서 수행된 일련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들이 완료된다.
상기 화상 형성 프로세스들은 또한, 황색에 대한 화상 형성부(46Y)와 동일한 방식으로 다른 화상 형성부들(46(M, C, K)) 상에서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화상 형성부들(46(M, C, K)) 아래에 배치된 노광 디바이스(47)는 화상 형성부들(46(M, C, K))의 감광체들(41(M, C, K))을 향하는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레이저 광(L)을 방출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노광 디바이스(47)는 광원으로부터 레이저 광(L)을 방출하고, 회전하는 폴리곤 미러(polygon mirror)에 의해 레이저 광(L)으로 스캐닝을 수행하면서 다수의 광학 소자들을 통해 레이저 광(L)을 감광체들(41(M, C, K))의 각각에 조사한다. 다음으로, 현상 프로세스를 통해 감광체들(41(M, C, K)) 상에 형성된 각각의 컬러들의 토너 화상들은 중간 전사 벨트(48)에 전사된다.
이 때, 중간 전사 벨트(48)는 도 2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고, 1차-전사 바이어스 롤러들(49(Y, M, C, K))의 1차 전사 니프들을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그러므로, 감광체들(41(Y, M, C, K)) 상의 각각의 컬러들의 토너 화상들은 1차 전사로서 중간 전사 벨트(48) 상에 중첩되어, 컬러 토너 화상이 중간 전사 벨트(48) 상에 형성된다.
각각의 컬러들의 토너 화상들을 중첩시킴으로써 컬러 토너 화상이 그 상에 형성되는 중간 전사 벨트(48)는 2차 전사 롤러(89)와 대향하는 위치에 도달한다. 이 위치에서, 2차-전사 백업 롤러(82) 및 2차 전사 롤러(89)는 중간 전사 벨트(48)를 사이에 끼워서, 2차 전사 니프가 형성된다. 중간 전사 벨트(48) 상에 형성된 컬러 토너 화상은 예를 들어, 2차-전사 백업 롤러(82)에 인가된 전사 바이어스의 작동으로 인해, 2차 전사 니프의 위치로 반송된, 종이의 시트(sheet)와 같은 기록 매체(P)에 전사된다. 이 때, 기록 매체(P)에 전사되지 않았던 비-전사된 토너는 중간 전사 벨트(48) 상에 남아 있다. 2차 전사 니프를 통과하였던 중간 전사 벨트(48)는 중간-전사 클리닝 디바이스의 위치에 도달하고, 여기서, 표면 상에 남아 있는 비-전사된 토너가 수집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중간 전사 벨트(48) 상에서 수행된 일련의 전사 프로세스들이 완료된다.
기록 매체(P)의 이동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기록 매체(P)는 프린터(100) 아래에 배치된 시트 급지부(200)에 구비된 급지 트레이(feed tray; 26)로부터, 급지 롤러(27), 레지스트레이션 롤러(registration roller) 쌍(28) 등을 통해 2차 전사 니프로 반송된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기록 매체들(P)은 급지 트레이(26)에 적재된다. 급지 롤러(27)가 도 2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가장 상단의 기록 매체(P)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28)의 2 개의 롤러들 사이의 니프로 급지된다.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28)으로 반송된 기록 매체(P)는 그 회전이 정지되어 있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28)의 롤러들 사이의 니프의 위치에서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중간 전사 벨트(48) 상의 컬러 토너 화상이 2차 전사 니프에 도달하는 타이밍에 따라,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28)이 회전되어, 기록 매체(P)를 2차 전사 니프를 향해 반송한다. 따라서, 희망하는 컬러 화상이 기록 매체(P) 상에 형성된다.
컬러 토너 화상이 2차 전사 니프에서 전사되는 기록 매체(P)는 고정 디바이스(fixing device; 86)의 위치로 반송된다. 고정 디바이스(86)에서는, 기록 매체(P)의 표면 상에서 전사된 컬러 토너 화상이 고정 벨트 및 가압 롤러에 의해 가해진 열 및 압력에 의해 기록 매체(P)에 고정된다. 고정 디바이스(86)를 통과하였던 기록 매체(P)는 배출 롤러(discharge roller) 쌍(29)의 롤러들 사이의 니프를 통해 장치의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 롤러 쌍(29)에 의해 장치의 외부로 배출된 기록 매체(P)는 적재부(30) 상에 출력 화상으로서 순차적으로 적재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복사기(500)에서의 일련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들이 완료된다.
화상 형성부(46)에서의 현상 디바이스(50)의 구성 및 동작이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아래에서는, 황색에 대한 화상 형성부(46Y)가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다른 컬러들에 대한 화상 형성부(46(M, C, K))는 동일한 구성들을 가지고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도 3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현상 디바이스(50Y)는 현상제 담지체(developer bearer)로서 작용하는 현상 롤러(51Y), 현상제 조절 판(developer regulating plate)으로서 작용하는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 52Y), 2 개의 현상제 반송 스크류들(55Y), 토너 농도 센서(56Y) 등을 포함한다. 현상 롤러(51Y)는 감광체(41Y)와 대향한다. 닥터 블레이드(52Y)는 현상 롤러(51Y)와 대향한다. 2 개의 현상제 반송 스크류들(55Y)은 2 개의 현상제 수용부들, 즉, 제 1 및 제 2 현상제 수용부들(53Y 및 54Y) 내부에 배치된다. 현상 롤러(51Y)는 그 내부에 고정된 자석 롤러(magnet roller)와, 자석 롤러 주위를 회전하는 슬리브(sleeve)를 포함한다. 캐리어(carrier) 및 토너를 수용하는 2-성분 현상제(G)는 제 1 현상제 수용부(53Y) 및 제 2 현상제 수용부(54Y)에서 저장된다. 제 2 현상제 수용부(54Y)는 그 상부 측에서 구비된 개구부를 통해 토너 낙하 통로(64Y)와 연통한다. 토너 농도 센서(56Y)는 제 2 현상제 수용부(54Y)에서 저장된 현상제(G)에서의 토너 농도를 검출한다.
현상 디바이스(50)에서의 현상제(G)는 2 개의 현상제 반송 스크류들(55Y)에 의해 교반되면서, 제 1 현상제 수용부(53Y) 및 제 2 현상제 수용부(54Y) 사이를 순환한다. 제 1 현상제 수용부(53Y)에서의 현상제(G)는, 현상제(G)가 현상제 반송 스크류들(55Y) 중의 하나에 의해 반송되고 있으면서, 현상 롤러(51Y)에서의 자석 롤러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으로 인해 현상 롤러(51Y)의 슬리브의 표면 상에 공급되고 담지된다. 현상 롤러(51Y)의 슬리브는 도 3에서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현상 롤러(51Y) 상에 담지된 현상제(G)는 슬리브의 회전과 함께 현상 롤러(51Y) 상에서 이동한다. 이 때, 현상제(G)에서의 토너는 현상제(G)에서의 캐리어와의 마찰전기 대전(triboelectric charging)으로 인해 캐리어의 극성과 반대인 전위로 대전됨으로써 캐리어에 정전기적으로 고착되고, 현상 롤러(51Y) 상에서 생성된 자기장에 의해 끌어당겨지는 캐리어와 함께 현상 롤러(51Y) 상에서 담지된다.
현상 롤러(51Y) 상에 담지된 현상제(G)는 도 3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반송되고, 닥터 블레이드(52Y) 및 현상 롤러(51Y)가 서로 대향하는 닥터부에 도달한다. 현상 롤러(51Y) 상의 현상제(G)의 양은, 현상제(G)가 닥터부를 통과할 때에 조절되고 적절한 양으로 조절되고, 다음으로, 감광체(41Y)와 대향하는 현상 영역으로 반송된다. 현상 영역에서는, 현상제(G)에서의 토너가 현상 롤러(51Y) 및 감광체(41Y) 사이에 생성된 현상 전계(developing electric field)에 의해 감광체(41Y) 상에 형성된 잠상에 고착된다. 현상 영역을 통과하였던 현상 롤러(51Y)의 표면 상에 남아 있는 현상제(G)는 슬리브의 회전과 함께 제 1 현상제 수용부(53Y)의 상부 측에 도달한다. 이 위치에서, 현상제(G)는 현상 롤러(51Y)로부터 분리된다.
현상 디바이스(50Y)에서의 현상제(G)는 토너 농도가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속하도록 조절된다. 구체적으로, 토너 용기(32Y)에 수용된 토너는 현상을 통해 현상 디바이스(50Y)에서의 현상제(G)로부터 소비된 토너의 양에 따라 (더 이후에 설명될) 토너 보급 디바이스(60Y)에 의해 제 2 현상제 수용부(54Y)에 보급된다. 제 2 현상제 수용부(54Y)에 보급된 토너는, 2 개의 현상제 반송 스크류들(55Y)에 의해 현상제(G)와 혼합되고 현상제(G)로 교반되면서, 제 1 현상제 수용부(53Y) 및 제 2 현상제 수용부(54Y) 사이에서 순환한다.
다음으로, 토너 보급 디바이스(60(Y, M, C, K))가 설명될 것이다.
도 4는 토너 용기(32Y)가 토너 보급 디바이스(60Y)에 부착되는 상태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4 개의 토너 용기들(32(Y, M, C, K))가 토너 용기 유지부(70)에 부착되는 상태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프린터(100)의 토너 용기 유지부(70)에 부착된 토너 용기들(32(Y, M, C, K))에 수용된 토너는 도 4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컬러들에 대한 현상 디바이스들(50(Y, M, C, K))에서의 토너의 소비에 따라 현상 디바이스들(50(Y, M, C, K))에 적절하게 보급된다. 이 때, 토너 용기들(32(Y, M, C, K))에서의 토너는 각각의 컬러들에 대해 구비된 토너 보급 디바이스들(60(Y, M, C, K))에 의해 보급된다.
도 27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4 개의 토너 용기들(32(Y, M, C, K)) 중에서, 흑색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용기(32K)의 크기는 황색 토너, 마젠타 토너, 및 시안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용기들(32(Y, M, C))의 크기들과는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토너 용기(32K)의 직경은 다른 토너 용기들의 직경들보다 더 크다. 그러므로, 빈번하게 이용되는 흑색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용기(32K)의 교체의 빈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토너 보급 디바이스들(60(Y, M, C, K))에 관하여, 흑색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용기(32K)가 부착되는 토너 보급 디바이스(60K)의 형상은 토너 용기들(32)의 형상들에 따라, 황색 토너, 마젠타 토너, 및 시안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용기들(32(Y, M, C)이 부착되는 토너 보급 디바이스들(60(Y, M, C))의 형상들과는 상이하다.
그런데, 토너 보급 디바이스들(60) 및 토너 용기들(32)은, 화상 형성 프로세스들에서 이용되어야 할 토너의 컬러들 및 토너 용기들(32)의 직경들이 상이하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거의 동일한 구성들을 가진다. 그러므로, 황색에 대한 토너 보급 디바이스(60Y) 및 토너 용기(32Y)만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고, 다른 3 개의 컬러들에 대한 토너 보급 디바이스들(60(M, C, K)) 및 토너 용기들(32(M, C, K))의 설명은 적절하게 생략될 것이다. 아래에서는, 상이한 컬러들에 대해 상이한 방식들로 구성된 성분들이 각각의 컬러들을 표시하는 기호들(Y, M, C, 및 K)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도 있고, 컬러들의 전부에 대해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된 성분들 및 컬러들의 전부에 대해 공통적인 성분들은 기호(Y, M, C, K)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도 있거나 기호들 없이 나타내어질 수도 있다.
토너 보급 디바이스(60(Y, M, C, K))는 도 4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유지부(70), 반송 파이프로서 작용하는 반송 노즐(611(Y, M, C, K)), 장치 본체 반송기로서 작용하는 반송 스크류(614(Y, M, C, K)), 토너 낙하 통로(64(Y, M, C, K)), 및 구동부로서 작용하는 용기 회전부(91(Y, M, C, K))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도 4 및 도 5에서 화살표(Q)에 의해 표시된 부착 방향으로 토너 용기(32Y)를 밀기 위한 부착 동작을 수행하고 토너 용기(32Y)가 프린터(100)의 토너 용기 유지부(70) 내부로 이동될 때, 토너 보급 디바이스(60Y)의 반송 노즐(611Y)은 부착 동작과 함께 부착 방향으로 토너 용기(32Y)의 전방 측으로부터 삽입된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32Y) 및 반송 노즐(611Y)은 서로 연통한다. 부착 동작과 함께 연통하기 위한 구성은 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토너 용기의 일 예로서, 토너 용기(32Y)는 적절한 원통 형태의 토너 병(toner bottle)이다. 토너 용기(32Y)는 토너 용기 유지부(70)에 의해 회전가능하지 않도록 유지되는 용기 커버 또는 피유지부로서 작용하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Y)를 주로 포함하고, 용기의 기어(gear)로서 작용하는 용기 기어(301Y)와 통합된 분체 저장소로서 작용하는 용기 몸체(33Y)를 포함한다. 용기 몸체(33Y) 및 용기 기어(301Y)는 단일 부품으로서 또는 별도의 부품들의 짝으로서 일체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용기 몸체(33Y)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Y)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유지된다. 다시 말해서, 용기 커버는 용기 기어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부재이다.
도 5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 유지부(70)는 용기 커버 수납부(73), 용기 수납부(72), 및 삽입 구멍부(71)를 주로 포함한다. 용기 커버 수납부(73)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Y) 및 토너 용기(32Y)의 용기 몸체(33)를 유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용기 수납부(72)는 토너 용기(32Y)의 용기 몸체(33Y)를 지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토너 용기(32Y)의 부착 동작에서 이용된 삽입 개구부로서 작용하는 삽입 구멍(71a)은 삽입 구멍부(71)에 의해 정의된다. 복사기(500)의 전방 측(도 2의 시트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전방 측) 상에 배치된 본체 커버가 개방될 때, 토너 용기 유지부(70)의 삽입 구멍부(71)가 노출된다. 다음으로, 토너 용기들(32(Y, M, C, K))의 각각이 그 종방향이 수평 방향에 대해 평행하도록 배향되는 동안에, 토너 용기들(32(Y, M, C, K))의 각각의 부착/탈착 동작(부착/탈착 방향으로서 취해진 토너 용기들(32)의 종방향과의 부착/탈착 동작)은 복사기(500)의 전방 측으로부터 수행된다. 그런데, 도 4에서의 설정 커버(608Y)는 토너 용기 유지부(70)의 용기 커버 수납부(73)의 일부이다.
용기 수납부(72)는 그 종방향 길이가 용기 몸체(33Y)의 종방향 길이와 대략 동일해지도록 구비된다. 용기 커버 수납부(73)는 종방향(부착 방향)에서 용기 수납부(72)의 용기 전방 측 상에 배치되고, 삽입 구멍부(71)는 종방향(부착 방향)에서 용기 수납부(72)의 용기 후방 측 상에 배치된다. 4 개의 토너 용기들(32)은 용기 수납부(72) 상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32Y)의 부착 동작과 함께,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Y)는 먼저 삽입 구멍부(71)를 통과하고, 잠시 동안 용기 수납부(72) 상에서 슬라이딩하고, 최종적으로 용기 커버 수납부(73)에 부착된다.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Y)가 용기 커버 수납부(73)에 부착되는 동안, 도 4 및 도 8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터, 구동 기어 등을 포함하는 용기 회전부(구동부)(91Y)는 장치 본체 기어로서 작용하는 용기 구동 기어(601Y)를 통해, 용기 몸체(33Y)에서 구비된 기어인 용기 기어(301Y)(도 10)에 회전 구동을 입력한다. 그러므로, 용기 몸체(33Y)는 도 4에서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된다. 용기 몸체(33Y)의 회전으로, 용기 몸체(33Y)의 내부 표면 상에서 나선형 형상이 구비된 회전식 반송기로서 작용하는 나선형 홈(302Y)은 용기 몸체(33Y)에 저장된 토너를 용기 몸체의 종방향을 따라 도 4에서의 좌측의 일 단부로부터 도 4에서의 우측의 타 단부로 반송한다. 구체적으로, 실시형태에서, 나선형 홈(302Y)은 회전식 반송기로서 작용한다. 결과적으로, 토너는 반송 노즐(611Y) 상에 구비된 분체 수납 구멍으로서 작용하는 노즐 구멍(610)을 통해,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Y)로부터 반송 노즐(611Y)의 내부로 공급된다. 도 9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분체 용기(32)는 그 종방향에서의 일 단부 상에서 용기 개구부(33a)(개방 부분)를 가진다. 그리고, 토너 용기(32)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부착되는 상태에서 용기 기어(301Y)가 용기 몸체(33)의 종방향에서 배치되는 위치에 비해 내부 위치에서, 노즐 구멍(610)은 셔터 측부 개구부로서 작용하는 셔터 지지부의 개구부(335b)와 연통한다. 구체적으로, 용기 기어(301Y)가 용기 구동 기어(601Y)와 맞물리는 위치는 노즐 구멍(610) 및 셔터 지지부의 개구부(335b)가 토너 용기(32)의 종방향에서 서로 연통하는 위치보다 용기 개구부(33a)에 더 근접하다. 그리고, 용기 기어(301Y)는 노즐 구멍(610)에 비해 일 단부 측(개구부 측) 상에 위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개구부(33a) 및 용기 기어(301) 사이의 거리가 셔터 지지부의 개구부(335b) 및 노즐 구멍(610) 사이의 거리보다 더 짧은 위치에서, 용기 기어(301)는 용기 구동 기어(601)와 맞물린다. 즉, 토너 용기(32)가 화상 형성 장치에 부착되는 상태에서, 용기 기어(301Y)는 토너 용기(32)의 종방향에서 용기 개구부(33a)(용기 개구부의 전방 단부(33c)) 및 노즐 구멍(610) 사이에 위치된다.
반송 스크류(614Y)는 반송 노즐(611Y)에서 배치된다. 용기 회전부(구동부)(91Y)가 회전 구동을 반송기 스크류 기어(605Y)에 입력할 때, 반송 스크류(614Y)는 회전하여 반송 노즐(611Y)에서 공급된 토너를 반송한다. 반송 방향에서의 반송 노즐(611Y)의 하류 단부는 토너 낙하 통로(64Y)에 연결된다. 반송 스크류(614Y)에 의해 반송된 토너는 중력에 의해 토너 낙하 통로(64y)를 따라 떨어지고, 현상 디바이스(50Y)(제 2 현상제 수용부(54Y))에 보급된다.
(수용된 토너의 거의 전부가 소비되기 때문에, 용기들이 비워질 때) 토너 용기들(32(Y, M, C, K))은 그 수명의 종료 시에 새로운 것들로 교체된다. 그립퍼(gripper)(303)는 종방향에서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와 대향하는 토너 용기(32)의 일 단부 상에 배치된다. 토너 용기(32)가 교체되어야 할 때, 조작자는 그립퍼(303)를 잡고 부착된 토너 용기(32)를 끌어내어 이를 탈착할 수 있다.
용기 회전부(91Y)의 구성은 이하에서 더욱 설명될 것이다. 용기 회전부(91Y)는 용기 구동 기어(601Y) 및 반송기 스크류 기어(605Y)를 포함한다. 도 7 및 도 8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장착 프레임(602)에 고정된 장치 본체 기어로서 작용하는 구동 모터(603)가 구동되고 출력 기어(603a)가 회전될 때, 용기 구동 기어(601Y)는 회전한다. 반송기 스크류 기어(605Y)는 결합된 기어(604)를 통해 출력 기어(603a)의 회전을 받아들임으로써 회전한다.
토너 보급 디바이스(60Y)는 반송 스크류(614Y)의 회전 빈도에 따라 현상 디바이스(50Y)에 공급된 토너의 양을 제어한다. 그러므로, 반송 노즐(611Y)을 통과하는 토너는 현상 디바이스(50Y)에 공급된 토너의 양을 제어할 필요 없이, 토너 낙하 통로(64Y)를 통해 현상 디바이스(50Y)로 직접 반송된다.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반송 노즐(611Y)을 토너 용기(32Y) 내로 삽입하도록 구성된 토너 보급 디바이스(60Y)에서도, 토너 호퍼(toner hopper)와 같은 일시적인 토너 저장소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에 따른 토너 용기들(32(Y, M, C, K)) 및 토너 보급 디바이스들(60(Y, M, C, K))은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들(32(Y, M, C, K)) 및 토너 보급 디바이스들(60(Y, M, C, K))은 이용되어야 할 토너의 컬러들이 상이하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거의 동일한 구성들을 가진다. 그러므로, 다음의 설명에서는, 토너의 컬러들을 나타내는 기호들(Y, M, C, 및 K)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토너 용기(32)가 부착되기 전의 토너 보급 디바이스(60) 및 토너 용기(32)의 전방 단부의 설명을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토너 용기(32)가 부착되는 토너 보급 디바이스(60) 및 토너 용기(32)의 전방 단부의 설명을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토너 용기(32)의 설명을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토너 용기(32)가 부착되기 전의 토너 보급 디바이스(60) 및 토너 용기(32)의 전방 단부의 설명을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토너 용기(32)가 부착되는 토너 보급 디바이스(60) 및 토너 용기(32)의 전방 단부의 설명을 위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의 토너 용기 유지부(70)의 구성을 예시하는 설명을 위한 사시도이다. 도 21a 및 도 21b는 용기 커버 수납부(73)의 구성을 예시하는 설명을 위한 사시도들이다.
토너 보급 디바이스(60)는 반송 스크류(614)가 그 내부에 배치되는 반송 노즐(611)을 포함하고, 또한, 노즐 개방/폐쇄 부재로서 작용하는 노즐 셔터(612)를 포함한다. 토너 용기(32)가 (도 1 및 도 7에서의 상태들에서) 부착되기 전인 탈착 시에 노즐 구멍(610)을 폐쇄하고, 토너 용기(32)가 (도 8 및 도 9에서의 상태들에서) 부착될 때인 부착 시에 노즐 구멍(610)을 개방하도록, 노즐 셔터(612)는 반송 노즐(611)의 외부 표면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노즐 셔터(612)는 반송 노즐(611)과 접촉하는 (더 이후에 설명될) 반송기 수납부로서 작용하는 노즐 수납부(330)의 단부 표면에 비해 부착 방향에서의 하류 측 상에, 플랜지로서 작용하는 노즐 셔터 플랜지(612a)를 포함한다.
한편, 반송 노즐(611)이 부착 시에 삽입되는 노즐 삽입 개구부로서 작용하는 수납 개구부(331)는 토너 용기(32)의 전방 단부의 중심에서 구비되고, 탈착 시에 수납 개구부(331)를 폐쇄하는 개방/폐쇄 부재로서 작용하는 용기 셔터(332)가 구비된다.
토너 용기 유지부(70)는,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 부착될 때에 토너 용기(32)가 슬라이딩 및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용기 수납부(72)를 포함한다. 도 5 및 도 20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수납부(72)는 토너 용기(32)의 종방향(부착/탈착 방향)에 수직인 폭 방향(W)에서 4 개의 부분들로 분할되고, 용기 몸체(33)의 종방향을 따라 삽입 구멍부(71)로부터 용기 커버 수납부(73)로 신장되는 용기 장착부들로서 작용하는 홈통(gutter)들(74)이 구비된다. 각각의 컬러들에 대한 토너 용기들(32(Y, M, C, K))은 종방향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홈통들(74)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도 22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홈통(74)의 장착 표면(74c)의 대향 표면인 천장 표면(76) 상에서는, 천장 표면(76)으로부터 홈통(74)을 향해 돌출되도록, 그리고 홈통(74)의 종방향을 따라 신장되도록, 2 개의 돌출부들(76a 및 76a)이 구비되고, 이들은 토너 용기(32(Y, M, C, K))가 홈통(74) 상에서 슬라이딩 및 이동할 때에 토너 용기(32)의 상부 부분에서 구비된 상향 안내부(35)와 접촉한다.
폭 방향(W)으로 배치된 대향 표면들인, 홈통(74)의 측부 표면들(74a 및 74b) 상에서는, 안내 레일들(75 및 75)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안내 레일들(75)은 각각의 측부 표면들(74a 및 74b)로부터 폭 방향(W)으로 돌출되고, 종방향에서 신장되고, 용기 커버 수납부(73)의 전방에 배치된다. 안내 레일들(75 및 75)은, 토너 용기(32)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부착될 때에 안내부들, 수직 구속기들, 수직 조절기들, 수직 포지셔너들, 또는 수직 안내부들로서 작용하는 슬라이딩 안내부들(361)에 피팅됨으로써 용기 수납부로서 작용하는 용기 설정부(615)에 대한 개구부로서 작용하는 용기 개구부(33a)를 안내하기 위한 기능들을 가진다.
그런데, 도 56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안내 레일들(75)의 각각은 종방향에서 삽입 구멍부(71) 근처로 신장될 수도 있다. 안내 레일들(75)의 각각은,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 부착될 때에 용기 몸체(33)의 회전 축선에 대해 평행하도록 구비된다. 도 27 및 도 28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안내 레일들(75)은, 토너 용기(32K)가 부착되는 홈통(74K) 상의 높이 방향에서의 안내 레일들(75K)의 길이들이 토너 용기들(32(Y, M, C))이 부착되는 각각의 홈통들(74(Y, M, C)) 상의 높이 방향에서의 안내 레일들(75(Y, M, C))의 길이들과는 상이하도록 구비된다. 특히, 높이 방향에서의 안내 레일들(75K)의 길이들은 높이 방향에서의 안내 레일들(75(Y, M, C))의 길이들보다 더 길다. 한편, 토너 용기들(32(Y, M, C))의 직경들은 토너 용기(32K)의 직경보다 더 작고; 그러므로, 토너 용기들(32(Y, M, C)) 중의 임의의 것이 홈터(74K)에서 삽입되더라도, 삽입 동작으로 인한 부하는 작고 토너 용기는 틀린 위치에 부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높이 방향에서의 안내 레일들(75K)의 길이들은 높이 방향에서의 안내 레일들(75(Y, M, C))의 길이들보다 더 길므로, 토너 용기들(32(Y, M, C)) 중의 임의의 것이 홈통(74K) 상에 장착될 경우, 토너 용기(32(Y, M, C))의 (더 이후에 설명될) 슬라이딩 안내부들(361)은 부착 동작 동안에 안내 레일들(75K)과 접촉하고, 그러므로, 부착 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된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들(32(Y, M, C))가 잘못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측부 표면들(74a) 중의 하나 상에 배치된 안내 레이들(75) 중의 하나만 도 20 및 도 56에서 예시되어 있다.
도 20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컬러들에 대한 설정 커버들(608(Y, M, C, K))은 용기 커버 수납부(73) 상에 배치된다. 설정 커버들(608)은, 도 21a, 도 21b, 및 도 23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흑색에 대한 설정 커버(608K)의 방사상 크기가 도 24 및 도 25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황색, 마젠타, 및 시안에 대한 설정 커버들(608(Y, M, C))의 방사상 크기들과는 상이하도록 구비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정 커버(608K)의 방사상 크기는 설정 커버들(608(Y, M, C))의 방사상 크기들보다 더 크다. 반송 노즐(611)은 설정 커버(608)의 중심에 배치된다. 도 21a 및 도 21b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반송 노즐(611)은, 부착 방향에서 내부 측 상에 있으며, 토너 용기(32)의 부착 방향에서 하류 측 상에 위치된 용기 설정부(615)의 제 2 후방 표면(second back surface)으로서 작용하는 용기 설정부의 단부 표면(615b)으로부터, 용기 커버 수납부(73) 내부의 부착 방향에서 상류 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용기 수납부로서 작용하는 용기 설정부(615)는 반송 노즐(611)을 둘러싸도록, 반송 노즐(611)의 돌출 방향에서, 즉, 토너 용기(32)의 부착 방향에서 상류 측을 향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용기 설정부(615)는 반송 노즐(611)의 기저부에 배치되고, 토너 용기 유지부(70)와 관련하여 용기 개구부(33a)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포지셔너로서 작용하고, 여기서, 용기 개구부(33a)는, 토너 용기(32) 내부의 반송기가 회전하여 토너 용기(32)에 수용된 토너를 반송할 때에 회전 축(rotational shaft)으로서 기능한다. 즉, 용기 개구부(33a)가 용기 설정부(615)내에 삽입되어 용기 설정부(615)와 짝을 이루게 될 때, 용기 개구부(33a)의 방사상 위치가 결정된다.
도 21a, 도 21b, 및 도 24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설정 커버의 내부 표면(608c)(제 1 커버 내주(inner periphery))의 일부 상에서는, 다시 말해서, 용기 커버 수납부의 내부 표면의 일부 상에서는, 토너 용기(32)의 부착 방향에서 상류 측 상에 위치된 설정 커버(608f)의 에지로부터 토너 용기(32)의 부착 방향에서 신장되는 깊이를 가지는 홈(77a)은 설정 커버(608)의 방사상 방향에서 절단부로서 구비된다. 부착 방향으로부터 관측될 때에 설정 커버의 홈(77a)에 비해 부착 방향에서 하류 측 상에 위치된 반송 노즐(611)의 기저부에서는,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 부착될 때에 (더 이후에 설명될) 용기 개구부(33a)가 짝을 이루게 되는 용기 설정부(615)가 구비된다.
용기 설정부(615)는 반송 노즐(611)의 기저부에서 위치되고, 용기 개구부(33a)가 삽입되는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615a)을 포함하고,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615a)에 비해 토너 용기(32)의 부착 방향에서 하류 측 상에 용기 설정부의 단부 표면(615b)을 포함한다. 용기 설정부의 단부 표면(615b) 상에서, 도 26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설정부의 단부 표면(615b)으로부터 토너 용기(32)의 부착 방향에서의 상류 측으로 돌출되는 스프링 고정부들(615c)은 바이어싱 부재로서 작용하는 노즐 셔터 스프링(613)의 외주(outer periphery)를 따라 8 개의 균등하게 이격된 위치들에서 구비된다. 도 23 및 도 25에서, 노즐 셔터 스프링(613)은 스프링 고정부들(615c)의 형상을 예시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노즐 셔터 스프링(613)의 외주를 덮도록 스프링 고정부들(615c)을 위치시킴으로써, 노즐 셔터 스프링(613)의 방사상 이동을 구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노즐 셔터 스프링(613)이 방사상 방향에서 이탈된 동안에 토너 용기(32)가 설정되는 것을 방지하고, 노즐 셔터 스프링(613)이 용기 설정부의 단부 표면(615b) 및 용기 개구부의 전방 단부(33c) 사이에서 포획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토너 용기(32)를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 부착하기 위한 불량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 부착될 때, 용기 개구부(33a)의 일부인 용기 개구부의 외부 표면(33b)은 용기 설정부(615)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짝을 이루게 된다.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615a) 상에서는, 도 26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615a)의 일부들이며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615a)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접촉 표면들(615d)이 4 개의 균등하게 이격된 위치들에서 구비된다. 접촉 표면들(615d)과 용기 개구부의 외부 표면(33b)은 토너 용기(32)의 회전과 함께 서로에 대항하여 슬라이딩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접촉 표면들(615d)은 원주 방향에서 약 4 밀리미터(mm)의 폭들을 가지고, 4 개의 균등하게 이격된 위치들에서 구비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접촉 표면들(615d)은 3 개의 균등하게 이격된 위치들에서 원주 방향에서 약 6 mm의 폭들을 가질 수도 있다. 용기 개구부의 외부 표면(33b)과 접촉하는 접촉 표면들(615d)의 영역들이 너무 클 경우, 용기 개구부의 외부 표면들(33b)에 대항하여 슬라이딩 저항이 증가하고 회전 부하가 생성될 수도 있다. 대조적으로, 영역들이 너무 작을 경우, 접촉 표면들(615d)이 문질러지고 용기 개구부의 외부 표면(33b)에 대항하는 슬라이딩으로 인해 시간 경과에 따라 마모되며, 정확하게 위치결정을 수행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그러므로, 위에서 설명된 결함들이 방지될 수 있도록 접촉 영역들을 보장하기 위하여 접촉 표면들(615d)의 폭들 및 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615a)을 토너 용기(32)의 용기 개구부의 외부 표면(33b)과 짝을 이룸으로써, 토너 용기(32)의 종방향(부착/탈착 방향)에 수직인 방사상 방향에서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와 관련된 토너 용기(32)의 위치가 결정된다. 다시 말해서, 용기 개구부(33a)는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 대한 토너 용기(32)의 방사상 구속기 또는 방사상 포지셔너로서 작용한다. 또한, 토너 용기(32)가 회전할 때, 용기 개구부의 외부 표면(33b)은 회전 축으로서 기능하고,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615a)은 베어링(bearing)으로서 기능한다. 다시 말해서, 용기 개구부의 외부 표면(33b)을 포함하는 용기 개구부(33a)는 토너 용기(32)의 회전 축으로서 작용한다.
그런데, 용기 설정부(615)와 관련하여 토너 용기(32)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다음의 방법은 용기 개구부의 외부 표면(33b)이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615a)과 짝을 이루게 되도록 하기 위한 방법 대신에 채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9c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에서의 토너 용기(32)의 전방 단부 상에 위치결정을 위한 복수의 돌출부들(33a')을 구비하고, 위치결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위치결정을 위한 돌출부들(33a')의 외부 표면들(33b')이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615a)과 짝을 이루게 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토너 용기(32)의 상단, 하단, 좌측, 및 우측 위치들을 결정하기 위하여, 위치결정을 위한 적어도 3 개의 돌출부들(33a')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9c에서, 위치결정을 위한 3 개의 돌출부들(33a')은 종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신장되도록 용기 전방 단부 상에서 구비된다. 또한, 위치결정을 위한 3 개의 돌출부들(33a')은 토너 용기(32)의 노즐 수납부(330)의 중심(반송 노즐(611)이 삽입되는 수납 개구부(331)의 중심) 주위로 120도씩 분리된 위치들에서 구비된다. 즉, 용기 개구부(33a)의 형상은 연속적인 원통형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용기 개구부(33a)가 토너 용기(32)의 포지셔너 또는 회전 축으로서 기능하기만 하면, 분할될 수도 있거나 봉형 형상일 수도 있다.
도 9에서,
Figure 112015089314522-pct00001
는, 용기 개구부의 외부 표면(33b)이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615a)의 일부들로서 접촉 표면들(615d)과 슬라이딩 접촉하고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와 관련된 토너 용기(32)의 방사상 위치가 이 때에 결정되는 그 위치를 표시한다.
그런데, 이하의 설명들에서는, 토너 용기(32)의 용기 개구부(33a) 및 용기 설정부(615)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서로 짝을 이루는 것이 반복적으로 설명된다. 짝을 이룬 상태는 정확한 의미에서, 토너 용기(32)의 용기 개구부의 외부 표면(33b)이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615a)의 일부인 접촉 표면들(615d)과 접촉해 있는 상태이다. 이하, 설명의 간략함을 위하여, 짝을 이루는 것은 접촉 표면들(615d)을 생략함으로써 용기 개구부의 외부 표면(33b)을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615a)과 짝을 이루는 것으로서 지칭될 것이다.
용기 설정부(615)는 도 1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가 설정될 때에 토너 용기(32)의 용기 개구부의 외부 표면(33b)과 짝을 이루게 될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615a)을 포함한다.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615a)의 내부 직경은 D1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또한, 토너 용기(32)의 용기 개구부의 외부 표면(33b)의 직경은 d1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토너 용기(32)의 용기 개구부의 외부 표면(33b) 및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615a)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짝을 이루게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토너 용기(32)의 용기 개구부의 외부 표면(33b)의 직경(d1) 및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615a)의 내부 직경(D1)은 "d1 < D1"이 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d1 및 D1 사이의 짝을 이루는 공차는 약 "D1 - d1 = 0.01 내지 0.1 mm"로 설정된다. "d1 < D1"의 관계를 보장함으로써, 토너 용기(32)가 설정 커버(608)에 의해 유지되는 동안, 특히, 용기 몸체(33)가 용기 설정부(615)에 의해 유지되는 동안에 토너 용기(32)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1a, 도 21b, 도 24, 및 도 32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구멍들(608d)은 설정 커버(608)의 폭 방향(W)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구비된다. 설정 커버(608) 상에서, (더 이후에 설명될)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들로서 작용하는 계합 부재들(78 및 78)은 설정 커버(608)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구멍들(608d 및 608d)을 통해 설정 커버의 내부 표면(608c) 측으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계합 부재들(78 및 78)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torsion coil spring)들(782)과 같은 바이어싱 수단에 의해 설정 커버(608)의 외부 측으로부터 내부 측으로 바이어싱된다.
상세한 설명들은 도 21b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주어질 것이다. 계합 부재들(78)의 각각은, 그 일 단부(78a)가 설정 커버(608) 상에 구비된 장착부(608b)로부터 돌출되는 지주(fulcrum)로서 작용하는 축(781) 내에 삽입되도록, 설정 커버(60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계합 부재들(78)의 일 단부(78a)와 대향하는 또 다른 단부(78b) 상에서는, 스프링 가압부(78g) 및 회전 스톱퍼(78h)가 구비된다. 가압 유닛으로서 작용하며 설정 커버(608)의 장착부들(608b) 근처에 구비된 각각의 핀(pin)들(783) 주위에 감겨지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들(782)의 각각은 그 일 단부에서 스프링 가압부들(78g)의 각각에 피팅된다. 계합 부재들(78)의 각각의 선단부(78c)는 가압되고, 구멍들(608d)의 각각을 통해 설정 커버(608)의 내부 표면으로 내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바이어싱된다.
가압 및 바이어싱에 의해, 회전 스톱퍼들(78h)의 각각은 설정 커버(608)의 장착부(608b) 아래에 위치된 계합 부재의 설정 커버(608g)의 지지부 상에 구비된 설정 커버 노치(setting cover notch)(608h)에 대항하여 가압되어, 계합 부재들(78)의 각각의 순방향 및 역방향 이동이 구속된다.
그런데, 도 32에서의 R1에 의해 표시된 방향은 계합 부재들(78)의 각각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782)에 의해 바이어싱됨으로써 설정 커버(608)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방향이고, 계합 방향(용기 유지 방향)으로서 지칭된다. 계합 부재들(78)이 계합 방향(R1)에서 이동할 때, 계합 부재들(78)의 선단부들(78c)은 더 이후에 설명될 토너 용기(32)의 용기 피계합부들(339)의 안내부들, 축선 구속기들(종방향 구속기들), 축선 조절기들, 축선 포지셔너들, 또는 축선 안내부들로서 작용하는 피계합 개구부(engaged opening)들(339d)과 각각 계합되어, 이것에 의해, 부착된 상태에서 토너 용기(32)를 유지한다. 또한, 도 32에서의 R2에 의해 표시된 방향은 계합 부재들(78)의 각각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782)에 의한 바이어싱에 대항하여 설정 커버(608)의 내부 표면 측으로부터 후퇴되는 방향이고, 해제 방향으로서 지칭된다. 계합 부재들(78)이 해제 방향(R2)에서 이동할 때, 계합 부재들(78)의 선단부들(78c) 및 용기 피계합부들(339)의 피계합 개구부들(339d) 사이의 계합이 해제되어, 토너 용기(32)는 탈착 방향에서 끌어내어질 수 있다.
그런데, 선단부들(78c)의 각각은 스프링 가압부(78g)에 대한 대향 측 상에 구비되는 마운틴 형상(mountain-shaped) 상단부(P2)(도 115 및 도 121 참조)를 포함한다. 계합 부재들(78)은 양방향으로 대칭적인 방식으로 설정 커버(608) 상에 장착된다.
설정 커버들(608)은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설정 커버들(608)에 관하여, 토너 용기(32K)가 부착되는 설정 커버(608K)의 형상은 토너 용기들(32(Y, M, C))이 부착되는 설정 커버들(608(Y, M, C))의 형상들과는 상이하다. 도 23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설정 커버(608K)는 부착 방향에서의 내부 측 상의 제 1 후방 표면으로서 작용하는 오목부 표면(608a) 및 설정 커버의 내부 표면(608c) 사이의 코너부(굴곡부) 상의 3 개의 균등하게 이격된 위치들에서 관통 구멍들(79a)을 포함한다. 대조적으로, 도 25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설정 커버들(608(Y, M, C))의 각각은 오목부 표면(608a) 및 설정 커버의 내부 표면(608c) 사이의 커버부 상에 L 형상의 오목부들(79b)을 포함하지만, 코너부 상에는 구멍이 구비되지 않는다. 그런데, 설정 커버(608K) 상에 오목부들을 구비하거나, 설정 커버들(Y, M, C) 상에 관통 구멍들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정 커버들(608(Y, M, C))의 강도를 보장하기 위하여, 오목부들이 설정 커버들(608(Y, M, C)) 상에 구비된다.
토너 용기(32)는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는 토너를 수용하는 용기 몸체(33)를 주로 포함하고,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를 포함한다. 도 10은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가 도 6에서 예시된 상태로부터 탈착될 때의 토너 용기(32)의 설명을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노즐 수납부로서 작용하는 노즐 수납부(330)가 도 10에서 예시된 상태로부터 용기 몸체(33)로부터 탈착될 때의 토너 용기(32)의 설명을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노즐 수납부(330)가 용기 몸체(33)로부터 탈착될 때의 토너 용기(32)의 설명을 위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노즐 수납부(330)가 도 12에서 예시된 상태로부터 용기 몸체(33)에 부착될 때(용기 전방 단부 커버(34)는 도 10과 유사하게 토너 용기(32)로부터 탈착됨)의 토너 용기(32)의 설명을 위한 단면도이다. 도 29a는 토너 용기(32)의 전방 단부의 설명을 위한 사시도이다. 도 30a는 토너 용기(32)의 전방 단부의 정면도들이다.
도 10 및 도 11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몸체(33)는 대략 원통 형태이고, 회전 축선으로서의 원통의 중심 축선 주위로 회전한다. 이하, 수납 개구부(331)가 토너 용기(32)의 종방향에서 구비되는 토너 용기(32)의 일 측(용기 전방 단부 커버(34)가 배치되는 측)은 "용기 전방 단부"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또한, 그립퍼(303)가 배치되는 토너 용기(32)의 타 측(용기 전방 단부와 대향하는 측)은 "용기 후방 단부"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토너 용기(32)의 종방향은 회전 축선 방향이고,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 부착될 때의 수평 방향에 대응한다. 용기 기어(301)에 비해 용기 몸체(33)의 용기 후방 측은 용기 전방 측의 외부 직경보다 더 큰 외부 직경을 가지고, 나선형 홈(302)이 용기 몸체의 내부 표면 상에 구비된다. 용기 몸체(33)가 도면들에서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할 때, 토너를 회전 축선 방향에서 일 단부(용기 후방 단부)로부터 타 단부(용기 전방 단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반송력은 나선형 홈(302)의 작동으로 인해 용기 몸체(33)에서 토너에 가해진다.
도면들에서 화살표(A) 방향에서의 용기 몸체(33)의 회전과 함께 나선형 홈(302)에 의해 용기 전방 단부로 반송된 토너를 퍼올리는 스쿠핑부들(304)은 용기 몸체(33)의 전방 단부의 내부 벽 상에 구비된다. 도 13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스쿠핑부들(304)의 각각은 볼록부(304h) 및 스쿠핑 벽 표면(304f)을 포함한다. 스쿠핑부의 볼록부(304h)는 용기 몸체(33)의 회전 중심을 향해 나선형 형상으로 리지(ridge)를 형성하도록 용기 몸체(33) 내부에서 상승한다. 스쿠핑 벽 표면(304f)은 용기의 회전 방향에서 스쿠핑부들의 볼록부(304h)(리지)로부터 용기 몸체(33)의 내부 벽으로 계속되는 부분의 벽 표면의 하류 일부이다. 스쿠핑 벽 표면(304f)이 하부 측에 위치될 때, 스쿠핑 벽 표면(304f)은 용기 몸체(33)의 회전과 함께, 나선형 홈(302)의 반송력에 의해 스쿠핑부(304)와 대향하는 내부 공간으로 진입되었던 토너를 퍼올린다. 그러므로, 토너는 삽입된 반송 노즐(611) 위에 위치되도록 퍼올려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 및 도 10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 형상인 나선형 리브(spiral rib; 304a)는 나선형 홈(302)과 유사하게, 내부적으로 위치된 토너를 반송하기 위하여 스쿠핑부들(304)의 각각의 내부 표면 상에 구비된다.
용기 기어(301)는 용기 몸체(33) 상의 스쿠핑부들(304)에 비해 용기 전방 측 상에 구비된다.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가 용기 몸체(33)에 부착될 때, 용기 기어(301)의 일부(도 6의 후방 측)가 노출될 수 있도록, 기어 노출부로서 작용하는 기어 노출 개구부(34a)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 상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는 용기 기어(301)의 일부를 덮는 커버부로서 작용한다.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 부착될 때, 기어 노출 개구부(34a)로부터 노출된 용기 기어(301)는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의 용기 구동 기어(601)와 맞물린다.
용기 기어(301)가 용기 구동 기어(601)와 맞물릴 수 있도록, 용기 기어(301)는 용기 몸체(33)의 종방향에서 노즐 구멍(610)에 비해 (용기 개구부(33a) 근처의) 용기 개구부(33a) 측 상에 배치된다. 용기 기어(301)는 용기 구동 기어(601)와 맞물려서, 이것에 의해, 반송기를 회전시킨다.
원통 형태의 용기 개구부(33a)는 용기 기어(301)와 동축이 되도록 용기 몸체(33)의 용기 기어(301)에 비해 용기 전방 측 상에 구비된다. 노즐 수납부(330)의 노즐 수납부 부착부(337)는 용기 개구부(33a)와 동축이 되도록 용기 개구부(33a)에 가압 피팅(press fit)되어, 노즐 수납부(330)는 용기 몸체(33)에 부착될 수 있다. 노즐 수납부(330)를 부착하기 위한 방법은 가압 피팅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접착제들에 의한 부착 또는 스크류들에 의한 부착을 포함하는 다른 방법들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용기 몸체(33) 상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후크 피팅(hook fitting)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노즐 수납부 부착부(337) 상에 구비된 돌출부를 오목부 내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토너 용기(32)는 용기 몸체(33)의 일 단부 상에 구비된 개구부로서 작용하는 용기 개구부(33a)로부터 토너가 보급되도록 구성되고, 그 후에, 노즐 수용부(330)는 용기 몸체(33)의 용기 개구부(33a)에 부착된다.
커버 후크 구속기들로서 작용하는 커버 후크 스톱퍼들(306)은 용기 몸체(33)의 용기 개구부(33a)의 단부 상에서 용기 기어(301) 옆에 구비된다. 커버 후크 스톱퍼들(306)은 부착 방향에서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전방 단부 상에서 원주 방향으로 3 개의 균등하게 이격된 위치들에서, 즉, 120도의 간격들로 구비된다.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는 용기 전방 단부로부터(도 10에서의 하단 좌측으로부터) 도 10에서 예시된 상태에서 토너 용기(32)(용기 몸체(33)에 부착된다. 그러므로, 용기 몸체(33)는 종방향에서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를 관통하고, 커버 후크 스톱퍼들(306)은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 상의 원주 방향에서의 3 개의 위치들에서 배치된 각각의 커버 후크들(340)과 계합된다. 커버 후크 스톱퍼들(306)은 용기 개구부(33a)의 외부 표면을 둘러싸도록 구비되고, 커버 후크 스톱퍼들(306)이 커버 후크들(340)과 계합될 때, 용기 몸체(33) 및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는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부착된다.
토너 용기(32)의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는, 토너 용기(32)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부착될 때, 부착되는 토너 용기(32)를 부착 방향 이외의 방향들에서 이동하는 것으로부터 구속함으로써, 개구부(33a)를 용기 설정부(615)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기능들에 따르면,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는 안내부를 구비하기 위하여 주로 이용된 부분일 수도 있고, 용기 안내 유지부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6, 도 7, 도 29a, 및 도 30a 및 도 30b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에서의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한 쌍의 안내부들은 토너 용기(32)의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하부 부분의 측부 표면들 양쪽 상에 구비된다. 이하, 수직 구속기들로서 작용하는 한 쌍의 안내부들은 슬라이딩 안내부들(361 및 361)로서 지칭된다. 다시 말해서, 용기 커버는 수직 구속기들의 지지체로서 작용한다. 슬라이딩 안내부들(361 및 361)의 각각은 상부 안내부로서 작용하는 상부 표면(361A) 및 하부 안내부로서 작용하는 하부 표면(361B)를 포함하고, 그 각각은 용기 몸체(33)의 종방향을 따라 신장된다. 슬라이딩 홈들(361a 및 361a)은 상부 표면들(361A) 및 하부 표면들(361B) 사이에 각각 구비된다. 도 20, 도 21a, 및 도 21b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수납부(72)의 홈통(74) 상에 구비된 안내 레일들(75 및 75)의 각각이 수직 방향에서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슬라이딩 홈들(361a)의 각각은 용기 몸체(33)의 회전 축선에 대해 평행하게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표면들(361A) 및 하부 표면들(361B)이 각각의 안내 레일들(75)을 수직 방향에서 사이에 끼우므로, 토너 용기(32)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부착될 때, 슬라이딩 안내부들(361 및 361)은 수직 방향(Z) 및 부착/탈착 방향에 수직인 폭 방향(W)에서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포지셔너들로서 기능하고, 이것에 의하여, 수직 방향(Z) 및 폭 방향(W)에서 토너 용기(32)의 이동을 구속한다.
도 31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홈들(361a)의 각각은 서로 대향하는 상부 표면(361A)의 하부 측 및 하부 표면(361B)의 상부 측 사이의 높이 방향에서의 간극(gap)이 부착 방향에서 점차적으로 변화되도록 구비된다. 상부 측 및 하부 측 사이의 간극은 간극 H1 < 간극 H2 < 간극 H3이 되도록 점차적으로 증가되고, 여기서, H1은 토너 용기(32)의 부착 방향에서의 하류 측 상의 슬라이딩 홈의 제 1 안내부로서 작용하는 전방부(361c)의 간극이고, H2는 슬라이딩 홈의 제 2 안내부로서 작용하는 중심부(361d)의 간극이고, H3은 슬라이딩 홈의 후방부(361e)의 간극이다. 즉, 간극은 상부 표면(361A) 및 하부 표면(361B) 사이의 거리이고, 토너 용기(32)의 부착 방향에서의 하류 측 상의 간극이 부착 방향에서의 상류 측 상의 간극보다 더 좁아지도록 설정된다. 또한, 홈 경사부(361f)는 슬라이딩 홈(361a)의 오목한 표면(361g)을 향해 경사지도록 구비되고 슬라이딩 홈의 전방부(361c) 및 중심부(361d)를 따라 신장되어, 슬라이딩 안내부들(361)은 홈통(74)에 의해 굴곡되거나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도 30a 및 도 30b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362)가 일체적으로 연결된 방식으로 슬라이딩 안내부들(361) 사이에서 구비되어, 토너 용기(32)가 아래로 떨어질 때, 슬라이딩 안내부(36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용기 피계합부들(339)은 축선 방향에서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와 관련하여 토너 용기(32)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용기 전방 단부 커버의 외부 표면(34b) 상에 구비된다.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 부착될 때, 설정 커버(608) 상에 배치된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들(78)은 각각의 용기 피계합부들(339)과 계합된다.
도 30a는 용기 전방 단부로부터 관측된 토너 용기(32)의 정면도이다. 도 30b는 도 30a에서 Z-Z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7, 도 30a 및 도 32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피계합부들(339)의 각각은 안내 돌출부(339a), 안내 홈(339b), 힘 변환부로서 작용하는 범프(bump; 339c), 및 사각형 피계합 개구부(339d)를 포함한다. 용기 피계합부들(339)의 2 개의 세트들은 용기 커버(34)의 좌측 및 우측 상에 각각 배치되고, 여기서, 용기 피계합부(339)의 하나의 세트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안내 돌출부(339a), 안내 홈(339b), 범프(339c), 및 피계합 개구부(339d)를 포함한다. 안내 돌출부들(339a)의 각각은 토너 용기(32)의 종방향에 수직인 수직 평면 상에, 그리고 용기 몸체(33)의 회전 축선을 통과하는 수평 평면 상에 위치되도록 용기 커버(34)의 용기 전방 단부 상에서 배치된다. 안내 부재들로서 작용하는 안내 돌출부들(339a)의 각각은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들(78)과 접촉하도록 안내 홈들(339b)의 각각에 인접된 경사 표면인 안내 경사 표면(339a1)을 포함한다. 그리고, 안내 돌출부들(339a)의 각각은 토너 용기(32)가 부착될 때에 계합 부재들(78)을 안내 홈들(339b)에 안내한다. 도 30a 및 도 30b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안내 경사 표면들(339a1)의 각각은, 용기 전방 측의 선단부(339a2)가 용기 커버의 외부 표면(34b)에 비해 내부 측 상에 위치되며 용기 커버의 외부 표면(34b) 상에 배치된 안내 홈들(339b)의 각각으로 신장되도록 구비된다. 안내 홈들(339b)의 각각은 용기 커버의 외부 표면(34b) 상에 구비된 홈이고, 계합 부재들(78) 중 각각의 선단부(78c)의 상단부(P2)가 그 위에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표면이다.
홈들의 종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안내 홈들(339b)의 각각의 폭은, 안내 홈들(339b)이 계합 부재들(78)을 안내할 때, 계합 부재들(78)이 안내 홈들(339b)로부터 탈락(come off)하지 않도록, 동일한 방향에서의 계합 부재들(78)의 각각의 폭보다 약간 더 넓도록 설정된다. 안내 홈들(339b)의 각각은 종 방향으로 신장되고, 안내 홈의 용기 후방 단부 측은 용기 커버의 외부 표면(34b)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범프(339c)에 인접된다. 다시 말해서, 약 1 mm의 폭을 갖는 용기 커버(34)의 외부 표면은 안내 홈들(339b)의 각각 및 피계합 개구부들(339d)의 각각 사이에 위치된다.
계합 부재들(78)의 선단부들(78c)은 범프들(339c) 상부에로 통과하고, 피계합 개구부들(339d)로 진입되고 이 피계합 개구부들(339d)과 계합(강하)되어, 토너 용기(32)는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서 설정(계합)된다. 이 상태는 토너 용기(32)의 부착된 상태이다.
그런데, 피계합 개구부들(339d)의 각각은 관통 구멍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계합 부재들(78)의 각각이 (도 115를 참조하여 더 이후에 설명될) 회전 방향에서의 초기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깊이를 갖는 폐쇄-단부(closed-end)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도 115를 참조하여 더 이후에 설명될) 초기 위치로의 계합 부재들(78)의 이동이 중단되지 않는 한, 용기 몸체의 원주 표면에 더 근접한 용기 커버(34)의 피계합 개구부의 일 측이 폐쇄되도록, 오목부를 채용하는 가능할 수도 있다.
도 30a에서, 용기 셔터(332)는 회전 축선에 수직인 가상의 평면 상에서 2 개의 용기 피계합부들(339)을 연결하는 세그먼트(LL)의 중심에서 위치된다. 용기 셔터(332)가 2 개의 용기 피계합부들(339)을 연결하는 세그먼트(LL) 상에 위치되지 않을 경우, 다음의 상황들이 발생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바이어싱 부재로서 작용하는 용기 셔터 스프링(336) 및 노즐 셔터 스프링(613)의 바이어싱 힘들로 인해, 힘의 모멘트가 작동하여 회전 축선으로서 작용하는 세그먼트(LL) 주위로 토너 용기(32)를 회전시키고, 여기서, 모멘트 아암(moment arm)은 세그먼트(LL)로부터 용기 셔터(332)까지의 거리이다. 힘의 모멘트의 작동으로 인해, 토너 용기(32)는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 대해 경사질 수도 있다. 이 경우, 토너 용기(32) 상의 부착 부하가 증가하여, 부하는 용기 셔터(332)를 유지하며 안내하는 노즐 수납부(330)에 가해진다. 특히, 토너 용기(32)가 새로운 것이고 토너로 적절하게 채워질 경우, 그리고 수평 방향에서 돌출되는 반송 노즐(611)을 삽입하도록 토너 용기(32)가 후방 측으로부터 밀어질 때, 힘의 모멘트가 작동하여 토너 용기(32)를 추가된 토너의 중량과 함께 회전시킨다. 그러므로, 부하는 반송 노즐(611)이 삽입되는 노즐 수납부(330)에 가해지고, 노즐 수납부(330)는 최악의 경우에 변형 또는 파손될 수도 있다. 대조적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토너 용기(32)에서는, 용기 셔터(332)가 2 개의 용기 피계합부들(339)을 연결하는 세그먼트(LL) 상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용기 셔터(332)의 위치에서 작동하는 용기 셔터 스프링(336) 및 노즐 셔터 스프링(613)의 바이어싱 힘들로 인해,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 대하여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동부로서 작용하는 용기 회전부(91)는 용기 구동 기어(601)를 통해 회전 구동을 토너 용기(32)의 용기 기어(301)에 입력한다. 구동이 용기 기어(301)에 입력될 때, 용기 몸체(33)의 용기 개구부의 외부 표면(33b)은 회전 축으로서 기능하고,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615a)은 베어링으로서 기능하여, 용기 기어(301)가 구비되거나 통합되는 용기 몸체(33)가 회전된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서, 용기 기어(301)의 회전 중심은 용기 개구부(33a)의 축선과 동심이 되도록 위치된다.
또한, 용기 구동 기어(601) 및 용기 기어(301) 사이의 맞물림으로 인해, 구동이 용기 기어(301)에 입력될 때, 힘은 용기 기어(301)의 압력 각도((일본 산업 표준들(Japanese Industrial Standards; JIS)에 기초하여) 치면(tooth surface) 상의 단일 포인트(피치 포인트(pitch point))에서 방사상 라인 및 치형(tooth profile) 사이의 각도)의 방향에서 가해져서, 용기 기어(301)가 회전한다. 용기 기어(301)의 압력 각도의 방향에서 가해진 힘은 용기 기어(301)의 회전 중심을 향하는 방향에서의 성분으로 분해되어, 용기 몸체(33)의 중심 축선(회전 축선)을 향하며 중심 축선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힘은 용기 몸체(33)를 포함하는 토너 용기(32)에 추가된다.
힘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의 중심 축선에 수직인 방향에서 가해질 경우, 종방향에서의 토너 용기(32)의 자세는 불안정해지고, 토너 용기(32)는 중심 축선에 대하여 경사질 수도 있다. 그 결과, 용기 구동 기어(601) 및 용기 기어(301) 사이의 맞물린 상태는 불안정해질 수도 있고, 불안정한 맞물린 상태로 인해 잡음이 생성될 수도 있거나, 토너 반송 불량이 발생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의 전방 단부인 용기 개구부의 외부 표면(33b)이 회전 축으로서 작용하고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615a)에 의해 지지되므로, 불안정한 맞물린 상태로 인한 잡음 또는 토너 반송 불량은, 용기 기어(301)가 용기 피계합부들(339)에 비해 용기 후방 측 상에 위치될 때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것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회전 모멘트가 생성되는 것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먼저, 토너 용기(32)가 보급 디바이스에서 설정되고 구동력이 용기 기어(301)에 전달될 때, 토너 용기(32)의 용기 개구부(33a) 상에서 생성된 회전 모멘트의 설명이 주어진다. 토너 용기(32)의 용기 개구부(33a) 상에서는, 용기 기어(301)의 회전 축선에 수직인 방향에서 가해진 힘(구동력)으로 인해 회전 모멘트(M1)가 생성되어, 용기 개구부(33a) 및 용기 설정부(615) 사이의 계합이 불안정해진다. 대조적으로, 토너 용기(32)의 용기 피계합부들(339)의 피계합 개구부들(339d)은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들(78)에 의해 지지된다. 계합 부재들에 의한 유지에 의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용기 기어(301)의 구동력으로 인한 회전 모멘트가 상쇄되는 방향에서, 회전 모멘트(M2)가 용기 개구부(33a) 상에서 생성된다.
용기 기어(301)가 용기 피계합부들(339)에 비해 용기 후방 측 상에 위치될 경우, 회전 모멘트(M1)의 아암의 길이(회전 축선 방향에서의 용기 개구부(33a)로부터 용기 기어(301)까지의 거리)는 회전 모멘트(M2)의 아암의 길이(회전 축선 방향에서의 용기 개구부(33a)로부터 피계합 개구부까지의 거리)보다 더 길어진다. 즉, M1 > M2이어서, 토너 용기 유지부(70)에 의한 토너 용기(32) 및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유지는 불안정해질 수도 있다.
대조적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49 및 도 57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기어(301)는 토너 용기(32)의 중심 축선 방향(종방향)에서 용기 피계합부들(339) 및 용기 개구부(33a) 사이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회전 모멘트(M2)의 아암의 길이는 회전 모멘트(M1)의 아암의 길이보다 더 길어져서, M2 > M1이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32)의 중심 축선에 수직인 방향에서 가해진 힘(구동력)으로 인한 회전 모멘트(M1)의 영향은 감소될 수 있고, 토너 용기 유지부(70)는 토너 용기(32) 및 토너 전방 단부 커버(34)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종방향에서의 토너 용기(32)의 자세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들이 이하에서 주어질 것이다. 토너 용기(32)가 토너 용기 유지부(70)에 의해 유지될 때(설정 상태), 용기 피계합부들(339)의 피계합 개구부들(339d)이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들(78)과 계합되는 동안, 토너 용기(32)의 전방 단부인 용기 개구부의 외부 표면(33b)은 회전 축으로서 작용하고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615a)에 의해 지지되도록, 토너 용기(32)가 설정된다. 또한, 용기 기어(301)는 용기 피계합부들(339) 및 용기 개구부(33a) 사이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용기 구동 기어(601) 및 용기 기어(301) 사이의 맞물림에 의해 야기된 중심 축선에 수직인 방향에서 토너 용기(32)에 가해진 힘으로 인한 회전 모멘트(M1)의 아암의 길이는, 용기 개구부의 외부 표면(33b)이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615a)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로부터, 용기 기어(301)가 중심 축선 방향(종방향)에서 배치되는 위치까지의 길이와 동일하다. 또한, 용기 피계합부들(339)의 피계합 개구부들(339d) 및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들(78) 사이의 계합에 의해 야기된 중심 축선에 수직인 방향에서 토너 용기(32)에 인가된 힘(유지력으로서 지칭됨)으로 인한 회전 모멘트(M2)의 아암의 길이는, 용기 개구부의 외부 표면(33b)이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615a)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로부터, 용기 피계합부들(339)의 피계합 개구부들(339d)이 중심 축선 방향(종방향)에서 배치되는 위치까지의 길이와 동일하다.
그런데, 회전 모멘트는 회전 모멘트의 아암의 길이를 힘의 크기에 의해 승산함으로써 얻어진다. 그러므로, 용기 기어(301)가 용기 피계합부들(339)에 비해 용기 후방 측 상에 배치될 때, 용기 기어(301)가 용기 피계합부들(339) 및 용기 개구부(33a)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에서보다 더 큰 유지력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므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유지력이 일정한 것으로 가정하면, 용기 기어(301)가 용기 피계합부들(339)에 비해 용기 후방 측 상에 배치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용기 기어(301)가 용기 피계합부들(339) 및 용기 개구부(33a)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에서, 토너 용기(32) 및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를 유지하기 위하여 토너 용기 유지부(70)의 유지력을 효과적으로 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구동력이 용기 기어(301)에 전달되더라도, 토너 용기(32)의 자세를 종방향에서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토너 용기(32)가 토너 용기 유지부(70)에 의해 유지될 때, 도 58b 및 도 58c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셔터 스프링(336)을 압축하기 위한 반력(F)(복원력) 및 노즐 셔터 스프링(613)의 압축에 의해 야기된 반력(F1)은 토너 용기(32)에 가해진다. 도 58a, 도 58b, 및 도 58c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원주 방향에서 3 개의 균등하게 이격된 위치들에서 배치된 커버 후크(cover hook)들(340)의 각각은 용기 후방 측 상의 토너 용기(32)의 커버 후크 스톱퍼(306)의 표면을 통해 토너 용기(32)로부터 반력(F1)의 성분(즉, F1의 1/3)을 받아들인다. 반력들(F 및 F1)의 결과적인 힘들은 균등하게, 그리고 토너 용기(32)의 중심 축선 (O)(회전 축선)까지의 동일한 방사상 거리들을 가지면서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에 가해져서, 중심 축선(회전 축선) 방향에서의 성분만이 주로 작동한다. 즉,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가 중심 축선(O)(회전 축선)에 대하여 경사지게 하는 성분은 거의 작동할 수 없다.
또한, 도 57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피계합부들(339)은 중심 축선(O)(회전 축선)에 대하여 수평으로 대칭적인 위치들에서 배치되어, 중심 축선(O)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성분들은 상쇄된다. 그러므로, 중심 축선 방향에서의 성분만이 작동하지만, 중심 축선(O)에 대하여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를 경사지게 하는 성분은 작동하지 않는다.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에서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전방 단부의 내부 표면(340b)이 커버 후크들(340)의 전방 단부들에 비해 용기 전방 측 상에서, 커버 후크 구속기로서 작용하는 커버 후크 스톱퍼(306)의 외부 에지(outer edge; 306a)와 접촉한다. 그러므로,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와 관련된 토너 용기(32)의 방사상 위치가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의 분체 용기로서 작용하는 토너 용기(32)는 화상 형성 장치에 부착가능하다.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을 위한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용기(32)가 그것에 부착되고, 토너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기로서 작용하는 반송 노즐(611), 반송 노즐 상에 배치된 분체 수납 구멍으로서 작용하는 노즐 구멍(610)을 개방하고 폐쇄하는 노즐 개방/폐쇄 부재로서 작용하는 노즐 셔터(612), 노즐 구멍(610)을 폐쇄하기 위하여 노즐 셔터(612)를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부재로서 작용하는 노즐 셔터 스프링(613),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대하여 토너 용기(32)를 유지하기 위하여 바이어싱 힘들을 토너 용기(32)의 측부들에 가하는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들(78), 구동력을 토너 용기(32)에서의 반송기에 전달하기 위한 장치 본체 기어로서 작용하는 용기 구동 기어(601), 및 반송 노즐(611)과 동축이 되도록 반송 노즐(611) 주위로 배치되며 토너 용기(32)를 수납하는 용기 수납부로서 작용하는 용기 설정부(615)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토너 용기(32)는 화상 형성을 위한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용기 몸체(33), 토너 용기(32)의 일 단부 상에 배치된 개구부(33a), 회전하여 용기 몸체 내부의 분체를 용기 개구부(33a) 측으로 반송하는 반송기, 반송기를 구동하기 위하여 용기 구동 기어(601)와 맞물리기 위한 기어로서 작용하는 용기 기어(301),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들(78)과 계합된 용기 피계합부들(339), 및 토너 용기(32)와 동축이 되도록 토너 용기(32)의 외부 표면 상에 배치된 용기 커버로서 작용하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를 포함한다. 개구부(33a)의 중심 및 용기 기어(301)의 회전 중심은 동일한 축선 상에 위치된다. 용기 구동 기어(601)는 토너 용기(32)의 종방향에서 용기 피계합부들(339) 및 용기 개구부(33a) 사이에 배치된다. 개구부(33a)는 또한 용기 설정부(615)와 짝을 이룰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토너 용기(32)는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 대한 방사상 방향 및 축선 방향에서 안정적인 자세로 유지될 수 있다. 용기 기어(301)가 토너 용기(32)의 종방향에서 개구부(33a) 및 용기 피계합부들(339) 사이에 배치될 경우, 중심 축선 방향에서의 힘들 사이의 균형으로 인해 안정적인 상태가 유지된다. 그러므로, 용기 구동 기어(601) 및 용기 기어(301) 사이의 피계합부에서 생성된 힘의 영향이 감소되어, 토너 용기(32)가 종방향에서(중심 축선 방향에서)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결과적으로, 용기 구동 기어(601Y) 및 용기 기어(301) 사이의 맞물린 상태가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불안정한 맞물린 상태로 인한 잡음을 방지하고, 토너 반송 불량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기능들에 따르면,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는 용기 피계합부들(339)을 구비하기 위하여 주로 이용된 부분일 수도 있고, 용기 피계합부 유지부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29와, 도 30a 및 도 30b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토너 후크들(340)은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전방 단부 표면 상에서 원주 방향에서의 3 개의 균등하게 이격된 위치들에서 배치된다. 커버 후크들(340)의 굴곡된 부분들에서는, 안내부들, 방사상 구속기들, 방사상 조절기들, 방사상 위치결정부들, 방사상 포지셔너들, 또는 방사상 안내부들로서 작용하며 용기 전방 단부 커버의 외부 표면(34b)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들(341a)이 구비된다. 돌출부들(341a)은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굴곡부들을 따라 굴곡되고,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원주 방향에서의 3 개의 균등하게 이격된 위치들에서, 즉, 120도의 간격들로 배치된다. 돌출부들(341a)은 용기 전방 단부 커버의 외부 표면(34b)으로부터 0.9 mm 돌출되고, 방사상 방향 및 종방향의 각각에서 굴곡부들로부터 4 mm 신장된다. 도 32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들로서 작용하는 돌출부들(341a)은,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가 용기 커버 수납부(73) 내로 진입될 때에 설정 커버의 내부 표면(608c)과 접촉함으로써, 토너 용기(32)의 이동을 안내하고 방사상 방향에서의 토너 용기(32)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능들을 가진다. 돌출부들(341a)의 각각에는 슬라이딩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설정 커버의 내부 표면(608c)과 점접촉하도록 둥근 형상이 구비된다. 돌출부들(341a)은 설정 커버(608) 상의 3 개의 위치들에서 구비된 각각의 관통 구멍들(79a) 또는 오목부들(79b)(도 23 및 도 24 참조)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돌출부들(341a)은 또한, 용기 몸체(33)의 용기 개구부(33a)가 노즐 셔터 플랜지(612a)와 접촉하기 전에 설정 커버의 내부 표면(608c)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그러므로, 돌출부들(341a)은 설정 커버의 내부 표면(608c)과 접촉함으로써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 대한 토너 용기(32)의 방사상 포지셔너들로서 기능한다. 즉, 돌출부들(341a)은 안내부들, 방사상 구속기들, 방사상 조절기들, 방사상 포지셔너들, 방사상 안내부들 또는 방사상 포지셔너들로서 기능한다.
도 30a 및 도 30b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로서의 원주 구속기로서 작용하는 평판 형상의 원주 구속부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의 외부 표면(34b) 상에 배치된다. 이하, 원주 구속부는 회전 구속부, 회전 구속 돌출부, 안내부, 원주 구속기, 원주 조절기, 원주 포지셔너, 또는 원주 안내부로서 작용하는 회전 구속 리브(342a)로서 설명된다. 회전 구속 리브(342a)와, 슬라이딩 안내부들(361) 중의 하나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와 통합되도록 구비된다. 회전 구속 리브(342a)는 하부 부분에서 위치된 2 개의 돌출부들(341a) 사이에 배치되고,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외부를 향해 돌출된다. 회전 구속 리브(342a)는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 부착될 때에 설정 커버(608) 상에 구비된 홈(77a)(도 21a 참조) 내로 진입되도록 배치된다. 회전 구속 리브(342a)는 부착 방향에서 슬라이드 안내부들(361) 중의 하나의 하류 단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슬라이딩 안내부들(361) 중의 하나와 통합된다. 회전 구속 리브(342a)는 슬라이딩 안내부들(361) 중의 하나로부터 돌출되며 슬라이딩 홈(361a)과 대략 동일한 높이에서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 부착될 때, 슬라이딩 안내부들(361)이 안내 레일들(75)에 대하여 약간 이탈된 방식으로 진입되더라도, 설정 커버의 홈(77a)에 대한 회전 구속 리브(342a)의 위치에서의 이탈은 감소될 수 있고, 회전 구속 리브(342a)는 설정 커버의 홈(77a) 내로 용이하게 진입될 수 있다. 그러므로, 원주 방향에서의 위치를 신뢰성 있게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2, 도 33, 및 도 34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상향 안내부(35)는 부착된 상태에서 용기 커버의 외부 표면(34b)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 상에 배치된다. 상향 안내부(35) 상에서는, 상향 안내부의 상단부(35a), 상향 안내부의 측부들(35b), 및 상향 안내부의 경사 표면들(35c)이 구비된다. 상향 안내부의 상단부(35a) 및 상향 안내부의 측부들(35b)은 토너 용기(32)의 종방향에서 신장된다. 상향 안내부의 측부들(35b)은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원주 방향에서 상향 안내부의 상단부(35a)로부터 아래를 향해 이탈되도록 상향 안내부의 상단부(35a)의 양 측들 상에 구비된다. 상향 안내부의 경사 표면들(35c)은 토너 용기(32)의 상향 안내부의 상단부(35a) 및 상향 안내부의 측부들(35b)로부터 용기 후방 측으로 아래를 향해 경사져 있다.
용기 몸체(33)는 2축 연신 블로우 성형 방법(biaxial stretch blow molding method)에 의해 성형된다. 2축 연신 블로우 성형 방법은 일반적으로 프리폼 성형 프로세스(preform molding process) 및 연신 블로우 성형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2-단계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프리폼 성형 프로세스에서는, 테스트-튜브(test-tube) 형상의 프리폼이 사출 성형(injection molding)에 의해 수지로 성형된다. 사출 성형에 의해, 용기 개구부(33a), 커버 후크 스톱퍼들(306), 및 용기 기어(301)는 테스트-튜브 형상 프리폼의 개구부에서 구비된다. 연신 블로우 성형 프로세스에서는, 프리폼 성형 프로세스 후에 냉각되고 성형물로부터 탈착되는 프리폼이 가열 및 연화(soften)되고, 그 다음으로, 블로우 성형 및 연신을 거친다.
용기 몸체(33)에서는, 용기 기어(301)에 비해 용기 후방 측이 연신 블로우 성형 프로세스에 의해 성형된다. 구체적으로, 나선형 홈(302)이 구비되는 부분 및 그립퍼(303)는 연신 블로우 성형 프로세스에 의해 성형된다.
용기 몸체(33)에서는, 용기 기어(301), 용기 개구부(33a), 및 용기 기어(301)에 비해 용기 전방 측 상에 구비된 커버 후크 스톱퍼들(306)과 같은 부분들의 각각이 사출 성형에 의해 생성된 프리폼에서와 동일한 형태로 남아 있고; 그러므로, 이들은 높은 정확도로 성형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나선형 홈(302)이 구비되는 부분 및 그립퍼(303)는 사출 성형 후에 연신 블로우 성형 프로세스를 통해 연신함으로써 성형되고; 그러므로, 성형 정확도는 프리폼 성형된 부분들의 그것보다 더 낮다.
용기 몸체(33)에 고정된 노즐 수납부(330)가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4는 용기 전방 측으로부터 관측된 노즐 수납부(330)의 설명을 위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용기 후방 측으로부터 관측된 노즐 수납부(330)의 설명을 위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3 에서 예시된 상태에서 위로부터 관측된 노즐 수납부(330)의 상단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3 에서 예시된 상태에서 측부로부터(도 13의 후방 측으로부터) 관측된 노즐 수납부(330)의 횡단면도이다. 도 18은 노즐 수납부(330)의 분해 사시도이다.
노즐 수납부(330)는 지지체로서 작용하는 용기 셔터 지지체(334), 용기 셔터(332), 밀봉부로서 작용하는 용기 밀봉부(333), 바이어싱 부재로서 작용하는 용기 셔터 스프링(336), 및 노즐 수납부 부착부(337)를 포함한다. 용기 셔터 지지체(334)는 셔터 후방부로서의 셔터 후방 단부 지지부(335), 셔터 측부들로서의 셔터 측부 지지부들(335a), 셔터 지지부의 셔터 측부 개구부들로서의 셔터 지지부의 개구부들(335b), 및 노즐 수납부 부착부(337)를 포함한다. 용기 셔터 스프링(336)은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용기 셔터 지지체(334) 상의 셔터 측부 지지부들(335a) 및 셔터 지지부의 개구부들(335b)은, 서로 대향하는 2 개의 셔터 측부 지지부들(335a)이 원통형 형상의 일부를 형성하며 원통형 형상은 셔터 지지부의 개구부들(2 개의 부분들)(335b)에서 대체로 절단되도록, 토너 용기의 회전 방향에서 서로에 대해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 형상으로, 용기 셔터(332)가 원통형 형상에 의해 정의된 원통형 공간(S1)(도 16)에서 종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용기 몸체(33)에 구비된 노즐 수납부(330)는 용기 몸체(33)가 회전할 때에 용기 몸체(33)와 함께 회전한다. 이 때, 노즐 수납부(330)의 셔터 측부 지지부들(335a)은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의 반송 노즐(611) 주위로 회전한다. 그러므로, 회전되고 있는 셔터 측부 지지부들(335a)은 반송 노즐(611)의 상부 측에서 구비된 노즐 구멍(610)의 바로 위의 공간을 교대로 통과한다. 결과적으로, 토너가 노즐 구멍(610) 위에 순간적으로 축적되더라도, 셔터 측부 지지부들(335a)이 축적된 토너를 교차하고 축적을 완화시키므로, 디바이스가 이용되지 않을 때에 축적된 토너의 점착(cohesion)을 방지하고 디바이스가 재기동될 때에 토너 반송 불량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대조적으로, 셔터 측부 지지부들(335a)이 반송 노즐(611)의 측부들 상에 위치되고 노즐 구멍(610) 및 셔터 지지부의 개구부(335b)가 서로 대향할 때, 용기 몸체(33)에서의 토너는 도 9에서의 화살표
Figure 112015089314522-pct00002
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반송 노즐(611)에 공급된다.
용기 기어가 토너 용기의 종방향에서 분체 수납 구멍에 비해 개구부와 대향하는 측 상에 위치되는 기존의 토너 용기에서는, 토너 용기를 부착 및 탈착하고 용기 기어 및 본체의 용기 구동 기어를 결합 및 구동하기 위하여, 용기 기어가 구비되는 부분의 직경이 용기 본체의 다른 부분들의 직경들보다 더 작을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소위 숄더부(shoulder portion)는 작은 직경부 상부에서 통과하도록 구비되고, 토너는 용기 몸체의 내부로부터 개구부로 이동된다.
대조적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용기 기어(301)는 토너 용기(32)의 종방향에서 노즐 구멍(610)에 비해 용기 몸체(33)의 일 단부 상에 배치된 개구부(33a) 측 상의 위치에서 용기 구동 기어(601)에 결합되고 이 용기 구동 기어(601)로 구동된다. 그러므로, 반송 노즐(611)은 용기 기어(301)가 구비되는 위치(작은 직경의 위치)에 비해 용기 몸체(33)의 내부 측 상에서 토너를 수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기존의 구성과 비교하여 토너를 더욱 원활하게 전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용기 셔터(332)는 폐쇄부로서 작용하는 전방 원통부(332c), 슬라이드 영역(332d), 안내 봉(332e), 및 셔터 후크들(332a)을 포함한다. 전방 원통부(332c)는 용기 밀봉부(333)의 원통형 개구부(수납 개구부(331))에 밀집되게 피팅되어야 할 용기 전방 단부 부분이다. 슬라이드 영역(332d)은 전방 원통부(332c)에 비해 용기 후방 측 상에 구비되는 원통부이다. 슬라이드 영역(332d)은 전방 원통부(332c)의 외부 직경보다 약간 더 큰 외부 직경을 가지고, 셔터 측부 지지부들(335a)의 쌍의 내부 표면들 상에서 슬라이딩한다.
안내 봉(332e)은 전방 원통부(332c)의 원통의 내부 측으로부터 용기 후방 단부를 향해 기립해 있는 원통이고, 안내 봉(332e)이 용기 셔터 스프링(336)의 코일의 내부에 삽입될 때에 용기 셔터 스프링(336)이 잠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봉 부분으로 작용한다.
안내 봉 슬라이딩부(332g)는 안내 봉(332e)의 중간으로부터 원통형 안내 봉(332e)의 중심 축선을 가로질러 양 측부들 상에 구비되는 한 쌍의 평판 표면들을 포함한다. 또한, 안내 봉 슬라이딩부(332g)의 용기 후방 단부는 한 쌍의 캔틸레버(cantilever)들(332f) 내로 양분된다.
셔터 후크들(332a)은, 안내 봉(332e)이 기립해 있는 기저부와 대향하는 캔틸레버들(332f)의 단부들 상에 구비되며 용기 셔터(332)가 용기 셔터 지지체(334)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후크들이다.
도 16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셔터 스프링(336)의 전방 단부는 전방 원통부(332c)의 내부 벽에 대항하여 인접해 있고, 용기 셔터 스프링(336)의 후방 단부는 셔터 후방 단부 지지부(335)의 벽에 대항하여 인접해 있다. 이 때, 용기 셔터 스프링(336)은 압축된 상태에 있어서, 용기 셔터(332)는 (도 16에서 우측 또는 용기 전방 단부를 향해) 셔터 후방 단부 지지부(33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서 바이어싱 힘을 받아들인다. 그러나, 용기 셔터(332)의 용기 후방 단부 상에 구비된 셔터 후크들(332a)은 셔터 후방 단부 지지부(335)의 외부 벽 상에서 걸린다. 그러므로, 용기 셔터(332)는 도 16 및 도 17에서 예시된 상태에서 셔터 후방 단부 지지부(33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서 더욱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셔터 후크들(332a) 및 셔터 후방 단부 지지부(335) 사이의 걸려진 상태 및 용기 셔터 스프링(336)의 바이어싱 힘으로 인해, 위치결정이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둘 모두 용기 셔터(332)의 토너 누설 방지 기능을 구현하는 전방 원통부(332c) 및 용기 밀봉부(333)의 종방향 위치들은 용기 셔터 지지체(334)와 관련하여 결정된다. 그러므로, 전방 원통부(332c) 및 용기 밀봉부(333)가 서로 피팅될 수 있어서, 토너 누설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전방 원통부(332c) 및 용기 밀봉부(333)의 위치들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노즐 수납부 부착부(337)는 그 외부 직경 및 내부 직경이 용기 후방 단부를 향해 단계적으로 감소되는 원통의 형태이다. 직경들은 용기 전방 단부로부터 용기 후방 단부로 점차적으로 감소된다. 도 17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외부 직경부들(용기 전방 단부로부터 이 순서로 위치된 외부 표면들(AA 및 BB))은 외부 표면 상에 존재하고, 5 개의 내부 직경부들(용기 전방 단부로부터 이 순서로 위치된 내부 표면들(CC, DD, EE, FF, 및 GG)은 내부 표면 상에 존재한다. 외부 표면 상의 외부 표면들(AA 및 BB)은 그 경계에서의 테이퍼링된 표면(tapered surface)에 의해 연결된다. 유사하게, 내부 표면 상의 제 4 내부 직경부(FF) 및 제 5 내부 직경부(GG)는 그 경계에서 테이퍼링된 표면에 의해 연결된다. 내부 표면의 내부 직경부(FF) 및 연결된 테이퍼링된 표면은 더 이후에 설명될 밀봉부 잼 방지 공간(337b)에 대응하고, 이 표면들의 리지 라인들은 더 이후에 설명될 오각형 단면의 측부들에 대응한다.
도 16 내지 도 18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며, 축선 방향에서 원통을 절단함으로써 얻어진 조각 형상들을 가지는 한 쌍의 셔터 측부 지지부들(335a)은 노즐 수납부 부착부(337)로부터 용기 후방 단부를 향해 돌출된다. 용기 후방 측 상의 2 개의 셔터 측부 지지부들(335a)의 단부들은 하단의 중심에서 원형 개구부를 갖는 컵 형상을 가지는 셔터 후방 단부 지지부(335)에 연결된다. 2 개의 셔터 측부 지지부들(335a)은 서로 대향하고, 이에 따라, 원통형 공간(S1)은 셔터 측부 지지부들(335a)의 내부 원통형 표면들과, 셔터 측부 지지부들(335a)로부터 신장되는 가상의 원통형 표면들에 의해 정의된다. 노즐 수납부 부착부(337)는 원통형 공간(S1)의 직경과 동일한 내부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 내부 표면으로서, 전방 단부로부터 제 5 부분인 내부 직경부(GG)를 포함한다. 용기 셔터(332)의 슬라이드 영역(332d)은 원통형 공간(S1) 및 원통형 내부 표면(GG) 상에서 슬라이딩한다. 노즐 수납부 부착부(337)의 제 3 내부 표면(EE)은, 인접부들 또는 볼록부들로서 작용하며 45°로 동일하게 이격되는 노즐 셔터 위치결정 리브들(337a)의 종방향 선단부들을 통과하는 가상의 원주 표면이다. 사각 원통형(원통형 튜브 형상의) 단면(도 18의 단면도에서의 단면)을 갖는 용기 밀봉부(333)는 내부 표면(EE)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용기 밀봉부(333)는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double-stick tape)로 제 3 내부 표면(EE) 및 제 4 내부 표면(FF)을 연결하는 수직 표면에 부착된다. 부착 표면과 반대(도 16 및 도 17에서의 우측)인 용기 밀봉부(333)의 노출된 표면은 원통형 노즐 수납부 부착부(337)의 원통형 개구부(용기 개구부)의 내부 하단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도 16 및 도 17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 잼 방지 공간(337b)(걸림 방지 공간)은 노즐 수납부 부착부(337)의 내부 표면(FF) 및 연결된 테이퍼링된 표면에 대응하도록 정의된다. 밀봉부 잼 방지 공간(337b)은 3 개의 상이한 부품들로 둘러싸인 환형 밀봉된 공간(annular sealed space)이다. 구체적으로, 밀봉부 잼 방지 공간(337b)은 노즐 수납부 부착부(337)의 내부 표면(제 4 내부 표면(FF) 및 연결된 테이퍼링된 표면), 용기 밀봉부(333)의 부착 측 상의 수직 표면, 및 전방 원통부(332c)로부터 용기 셔터(332)의 슬라이드 영역(332d)까지의 외부 표면에 의해 둘러싸인 환형 공간이다. 환형 공간의 단면(도 16 및 도 17에서 예시된 단면)은 오각형 형태이다. 노즐 수납부 부착부(337)의 내부 표면 및 용기 밀봉부(333)의 단부 표면 사이의 각도와, 용기 셔터(332)의 외부 표면 및 용기 밀봉부(333)의 단부 표면 사이의 각도는 90°이다.
밀봉부 잼 방지 공간(337b)의 기능들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용기 셔터(332)가 수납 개구부(331)가 용기 셔터(332)에 의해 폐쇄되는 상태로부터 용기 후방 단부를 향해 이동할 때, 용기 밀봉부(333)의 내부 표면은 용기 셔터(332)의 전방 원통부(332c)에 대항하여 슬라이딩한다. 그러므로, 용기 밀봉부(333)의 내부 표면은 용기 셔터(332)에 의해 끌어당겨지고, 용기 후방 단부를 향해 이동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이 때, 밀봉부 잼 방지 공간(337b)가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제 3 내부 표면으로부터 계속되는 수직 표면(용기 밀봉부(333)의 부착 표면)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제 5 내부 표면(GG)에 연결될 경우, 다음의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 밀봉부(333)의 탄성적으로 변형된 부분은 용기 셔터(332)에 대항하여 슬라이딩하는 노즐 수납부 부착부(337)의 내부 표면과, 잼을 야기시키는 것으로 귀착되는 용기 셔터(332)의 외부 표면 사이에서 걸릴 수도 있다. 용기 밀봉부(333)가 노즐 수납부 부착부(337) 및 용기 셔터(332)가 서로에 대항하여 슬라이딩하는 부분에서, 즉, 전방 원통부(332c) 및 내부 표면(GG) 사이에서 잼(jam)될 경우, 용기 셔터(332)는 노즐 수납부 부착부(337)에 확고하게 부착되어, 수납 개구부(331)가 개방 및 폐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대조적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노즐 수납부(330)에는 그 내부 영역에서 밀봉부 잼 방지 공간(337b)이 구비된다. 밀봉부 잼 방지 공간(337b)의 내부 직경(내부 표면(EE) 및 연결된 테이퍼링된 표면의 각각의 내부 직경)은 용기 밀봉부(333)의 외부 직경보다 더 작다. 그러므로, 전체적인 용기 밀봉부(333)는 밀봉부 잼 방지 공간(337b) 내로 거의 진입될 수 없다. 또한, 용기 셔터(332)에 의해 끌어당겨짐으로써 탄성적으로 변형되어야 할 용기 밀봉부(333)의 영역은 제한되고, 용기 밀봉부(333)가 내부 표면(GG)에 이르게 되어 잼되기 전에, 용기 밀봉부(333)는 그 자신의 탄성에 의해 복원될 수 있다. 이 작동으로, 용기 셔터(332) 및 노즐 수납부 부착부(337) 사이의 부착된 상태로 인해 수납 개구부(331)가 개방 및 폐쇄될 수 없는 상황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6 내지 도 18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노즐 셔터 위치결정 리브들(337a)은 용기 밀봉부(333)의 외주와 접촉하는 노즐 수납부 부착부(337)의 내부 표면 상에서 방사상으로 신장되도록 구비된다. 도 16 및 도 17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밀봉부(333)가 노즐 수납부 부착부(337)에 부착될 때, 용기 전방 측 상의 용기 밀봉부(333)의 수직 표면은 종방향에서 노즐 셔터 위치결정 리브들(337a)의 전방 단부들에 비해 약간 돌출된다.
도 9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 부착될 때,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의 노즐 셔터(612)의 노즐 셔터 플랜지(612a)는 노즐 셔터 스프링(613)에 의해 바이어싱됨으로써 용기 밀봉부(333)의 돌출부를 가압하고 변형시킨다. 노즐 셔터 플랜지(612a)는 내부를 향해 더욱 이동하고, 노즐 셔터 위치결정 리브들(337a)의 용기 전방 단부들에 대항하여 인접함으로써, 용기 밀봉부(333)의 전방 단부 표면을 덮고 용기의 외부로부터 밀봉한다. 그러므로, 부착된 상태에서 수납 개구부(331)에서의 반송 노즐(611)의 주변에서 밀봉 성능을 보장하여, 토너 누설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노즐 셔터 스프링(613)에 의해 바이어싱된 노즐 셔터 플랜지(612a)의 바이어싱된 표면(612f)의 후방 측은 노즐 셔터 위치결정 리브들(337a)에 대항하게 인접하여, 종방향에서의 토너 용기(32)와 관련된 노즐 셔터(612)의 위치가 결정된다. 그러므로, 용기 밀봉부(333)의 전방 단부 표면, 전방 단부 개구부(305)의 전방 단부 표면(더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용기 개구부(33a)에서 배치된 원통형 노즐 수납부 부착부(337)의 내부 공간), 및 종방향에서의 노즐 셔터(612)의 위치 관계가 결정된다.
용기 셔터(332) 및 반송 노즐(611)의 동작은 도 1, 도 9, 및 도 19a 내지 도 19d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 부착되기 전에, 도 1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셔터(332)는 수납 개구부(331)를 폐쇄하도록 폐쇄 위치를 향해 용기 셔터 스프링(336)에 의해 바이어싱된다. 이 때의 용기 셔터(332) 및 반송 노즐(611)의 외관이 도 19a에서 예시되어 있다.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 부착될 때, 도 19b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반송 노즐(611)은 수납 개구부(331)에 삽입된다.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급 디바이스(60)로 더욱 밀어질 때, 용기 셔터(332)의 단부 표면으로서 작용하는 전방 원통부(332c)의 단부 표면(332h)(이하, "용기 셔터의 단부 표면(332h)"로서 지칭됨), 및 삽입 방향에서 반송 노즐(611)의 단부 표면인 전방 단부(611a)(이하, "반송 노즐의 전방 단부(611a)"로서 지칭됨)는 서로 접촉한다. 토너 용기(32)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상태로부터 더욱 밀어질 때, 용기 셔터(332)는 도 19c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밀어진다. 따라서, 도 19d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반송 노즐(611)은 수납 개구부(331)로부터 셔터 후방 단부 지지부(335) 내에 삽입된다. 그러므로, 도 9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반송 노즐(611)은 용기 몸체(33) 내에 삽입되고 설정 위치에 위치된다. 이 때, 도 19d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노즐 구멍(610)은 셔터 지지부의 개구부(335b)와 중첩하는 위치에 위치된다.
다음으로, 용기 몸체(33)가 회전될 때, 스쿠핑부들(304)에 의해 반송 노즐(611) 위에 퍼올려진 토너가 떨어지고, 노즐 구멍(610)을 통해 반송 노즐(611) 내로 도입된다. 반송 노즐(611) 내로 도입된 토너는 반송 스크류(614)의 회전과 함께 토너 낙하 통로(64)를 향해 반송 노즐(611) 내부에서 반송된다. 다음으로, 토너가 떨어지고, 토너 낙하 통로(64)를 통해 현상 디바이스(50)에 공급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토너 용기(32) 및 토너 보급 디바이스(60) 사이의 관계에서는, 반송 노즐(611)이 용기 몸체(33)의 종방향에서 용기 기어(301)의 내부를 관통함으로써 어떤 위치로 삽입된다. 즉, 토너 용기(32)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부착되는 상태에서, 용기 기어(301)는 용기 몸체(33)의 종방향에서 노즐 구멍(610)보다 개구부(33a)에 더 근접한 위치에서 용기 구동 기어(601)와 맞물린다. 그러므로, 회전 구동이 도 4에서 표시된 방향(A)에서 용기 구동 기어(601)를 통해 용기 기어(301)에 입력될 경우, 용기 구동 기어(601) 및 용기 기어(301)가 서로 맞물리는 위치에서 생성된 힘은 용기 몸체(33), 반송 노즐(611), 또는 용기 몸체(33) 내부에서 신장되는 노즐 수납부(330)에 가해진다. 그러므로, 반송 노즐(611) 또는 노즐 수납부(330)가 손상될 수도 있거나, 반송 노즐(611) 및 노즐 수납부(330) 사이에 간극이 생성될 수도 있어서, 토너 누설로 귀착될 수도 있다.
또한, 토너 용기(32)가 토너 용기 유지부(70) 상의 부착 방향(Q)(미는 방향)에서 슬라이딩하게 함으로써,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의 반송 노즐(611)은 토너 용기(32)의 수납 개구부(331) 내부에서 용기 셔터(332)를 밀어 개방하여, 용기 몸체(33) 내로 진입된다. 그러므로, 상대적 위치가 이동 동안에 이탈될 경우, 토너 누설이 발생할 수도 있거나, 반송 노즐(611), 용기 셔터(332), 또는 노즐 수납부(330)가 손상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반송 노즐(611), 용기 셔터(332), 및 수납 개구부(331)의 중심들이 가능한 한 최상인 것과 동일한 축선 상에 위치되는 동안에 이동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기 기어(301)의 회전 중심은 용기 개구부(33a)(용기 몸체(33))의 축선과 동일한 라인 상에 있다. 그러므로, 기어 맞물림 오류를 야기시키지 않으면서 올바른 위치에서 용기 기어(301)를 용기 구동 기어(601)와 맞물리기 위해서는, 용기 개구부(33a)를 용기 설정부(615)와 짝을 이룸으로써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와 관련하여 토너 용기(32)의 방사상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토너 용기(32)의 축선 방향에서 신장되는 긴 안내부를 균일하게 이용함으로써 토너 용기(32) 및 토너 보급 디바이스(60) 사이의 위치 관계를 구속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지만, 구속되어야 할 방향들의 수가 작을 경우, 적절한 조절을 달성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대안적으로, 부착의 시작부터 토너 용기(32) 및 토너 보급 디바이스(60) 사이의 위치 관계를 결정하도록 다수의 구속기들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위치결정(이동 구속)은 부착 방향(Q)(미는 방향)에서의 이동의 초기 단계로부터 다수의 구속기들에 의해 수행되어, 밀기 저항은 증가하고 동작성은 열화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에서, 용기 개구부(33a)는 반송 노즐(611) 주위에 배치된 용기 설정부(615)와 맞물리기 위한 것이고,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와 관련된 토너 용기(32)의 위치는 용기 개구부(33a) 및 용기 설정부(615)가 서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결정된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32) 및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의 상대적 위치를 안정화하고, 용기 구동 기어(601) 및 용기 기어(301) 사이의 맞물리는 부분에서 생성된 힘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32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의 부착 방향(Q)에서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 대한 구속 및 해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안내부로서 작용하는 위치결정부(600)는 토너 용기(32) 상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반송 노즐(611) 및 노즐 수납부(330)의 중심들이 가능한 한 최상인 것과 동일한 축선 상에 위치되는 동안에 토너 용기(32)를 부착 방향(Q)으로 토너 보급 디바이스(60)를 향해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결과적으로, 토너 누설을 방지하고 반송 노즐(611) 및 노즐 수납부(3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위치결정부(600)는 부착 방향(Q)에서 배치된 다수의 포지셔너들(구속기들 또는 조절기들)을 포함한다. 도 32는 다수의 포지셔너들 및 토너 보급 디바이스(60) 사이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지만, 다수의 포지셔너들의 구성들이 주로 예시되고, 다른 구성들은 생략되거나 복잡함을 회피하기 위하여 간략화된다.
위치결정부(600)는, 토너 용기(32)가 토너 용기 유지부(70) 상의 부착 방향(Q)으로 이동되고 있을 때에 토너 용기(32)의 외부 형상을 정의하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를 이용함으로써 위치결정을 수행한다(미리 결정된 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함). 위치결정부(600)는,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서의 설정 위치에서 위치될 때에 토너 용기(32)의 내부 형상을 정의하는 용기 몸체(33)의 용기 개구부(33a)를 이용함으로써 위치결정을 수행한다. 그런데, 안내부로서 작용하는 위치결정부(600)는, 토너 용기(32)가 토너 용기 유지부(70) 상의 부착 방향(Q)으로 이동되고 있을 때에 토너 용기(32)의 부착 방향(Q) 이외의 방향들 중의 임의의 것에서 이동을 구속함으로써, 토너 용기(32)를 토너 보급 디바이스(60)로 안내한다. 구체적으로, 토너 용기(32)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부착될 때, 안내부는 토너 용기(32)가 이동되고 있는 동안에 부착 방향 이외의 방향에서 토너 용기(32)의 이동을 구속하고, 개구부(33a)를 용기 설정부(615)로 안내한다.
위치결정부(600)에서는, 한 쌍의 슬라이딩 안내부들(361 및 361), 피계합 개구부들(339d), 다수(3 개)의 돌출부들(341a), 회전 구속 리브(342a), 및 용기 개구부(33a)가 포지셔너들로서 작용한다. 이 구성요소들 중에서, 슬라이딩 안내부들(361 및 361) 및 피계합 개구부들(339d), 다수(3 개)의 돌출부들(341a)은 수지(resin)로 이루어진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 상에서 일체적으로 구비되고 배치된다. 용기 개구부(33a)는 용기 몸체(33)와 통합된다.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 대한 포지셔너들의 전부의 구속 및 해제의 순서가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먼저, 도 38a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토너 용기 유지부(70)의 용기 수납부(72)의 홈통(74) 상에 토너 용기(32)를 위치시키고 토너 용기(32)를 부착 방향(Q)으로 밀 때(부착 동작을 수행함), 토너 용기(32)는 홈통(74) 상에서 슬라이딩한다. 이 때, 도 22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의 상향 안내부의 측부들(35b)이 홈통(74)과 대향하는 천장 표면(76) 상에 구비된 돌출부들(76a)과 접촉하는 동안에 토너 용기(32)가 슬라이딩한다. 그러므로, 수직 방향(Z)에서의 이동이 구속되는 동안에, 토너 용기(32)는 부착 방향(Q)으로 밀어질 수 있다. 또한, 수직 방향에서의 이동은 상향 안내부의 상단부(35a)에 의해서가 아니라, 상향 안내부의 상단부(35a)의 양 측들 상에 구비된 상향 안내부의 측부들(35b)에 의해 구속된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32)가 부착 동작 동안에 수평 방향에서 이탈되더라도, 토너 용기(32)는 신뢰성 있게 천장 표면(76) 측과 접촉하게 될 수 있다.
토너 보급 디바이스(60) 측 상에서는, 도 38b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제 1 안내부들로서 작용하는 슬라이딩 홈의 전방부(361c)가 부착 방향(Q)에서 각각의 안내 레일(75)의 가장 상류 측으로 진입된다. 안내 레일(75)로의 슬라이딩 홈의 전방부(361c)의 진입으로 인해, 슬라이딩 안내부(361)는 안내 레일(75)에 올라타고, 홈통(74)의 상단 표면과 접촉하였던 토너 용기(32)는 상향으로 들어올려진다. 안내 레일들(75 및 75)은 홈통(74)의 장착 표면(74c)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홈통(74)의 측부 표면들(74a 및 74b) 상에 구비된다. 그러므로, 슬라이딩 홈의 전방부(361c)가 안내 레일(75)로 진입하게 함으로써, 부착 방향(Q)에 수직인 폭 방향(W) 및 수직 방향(Z)에서 위치들을 대략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상태는 제 1 구속된 상태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 33, 도 34, 도 35, 및 도 38b는 제 1 구속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33은 제 1 구속된 상태를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4는 부착 방향으로부터 관측된 도 33에서의 기준 라인(X1) 상의 부분의 도면이다. 도 35는 위로부터 관측된 도 33에서의 기준 라인(X2) 상의 부분의 도면이다. 그런데, 도 33에서 예시된 기준 라인(X1)은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단부 표면의 위치를 표시하고, 동일한 사항이 이하에서 설명된 다른 도면들에 적용된다.
제 1 구속된 상태에서의 토너 용기(32)가 부착 방향(Q)으로 더욱 밀어질 때, 도 38c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셔터의 단부 표면(332h) 및 반송 노즐의 전방 단부(611a)는 서로 접촉한다. 제 1 구속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안내부들(361) 및 안내 레일들(75)은 폭 방향(W) 및 수직 방향(Z)을 조절하여, 용기 셔터(332)는 희망하는 대로 반송 노즐(611)과 대향할 수 있고, 수납 개구부(331) 및 반송 노즐(611) 사이의 위치 관계가 보장될 수 있다. 수납 개구부(331) 및 반송 노즐(611) 사이의 위치 관계를 보장함으로써, 반송 노즐(611)로의 용기 셔터(332)의 이탈된 방식으로의 삽입으로 인해 용기 밀봉부(333)가 탈착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상태에서의 토너 용기(32)가 부착 방향(Q)으로 더욱 밀어질 때, 도 28, 도 29, 및 도 38d에서 예시된 바와 같은 제 2 구속된 상태가 얻어진다. 제 2 구속된 상태에서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전방 단부가 용기 커버 수납부(73) 내로 진입된다. 용기 커버 수납부(73)로의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전방 단부의 진입으로 인해, 부착 방향에서의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c)의 전방 단부의 외부 표면 상의 균등하게 이격된 원주 위치들에서 구비된 3 개의 돌출부들(341a)은 내부 측으로부터, 용기 커버 수납부(73)의 일부인 설정 커버의 내부 표면(608c)과 접촉한다. 돌출부들(341a)로서 적어도 3 개의 돌출부들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돌출부들의 수는 3 개로 제한되지 않는다.
돌출부들(341a) 및 설정 커버의 내부 표면(608c) 사이의 접촉으로 인해, 토너 용기(32)의 이동이 안내되고, 토너 용기(32)의 방사상 이동이 구속된다. 그러므로, 용기 커버 수납부(73)에 관련된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방사상 이동은 3 개의 돌출부들(341a) 및 설정 커버의 내부 표면(608c) 사이의 접촉에 의해 구속된다. 즉, 용기 커버 수납부(73)에 관련된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방사상 위치는 구속된다. 한편, 미리 결정된 방향에서의 위치의 조절은 미리 결정된 방향에서의 토너 용기(32)의 이동의 구속을 의미한다.
제 2 구속된 상태에서의 토너 용기(32)가 부착 방향(Q)으로 더욱 밀려질 때, 용기 밀봉부(333) 및 노즐 셔터 플랜지(612a)는 도 44a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촉한다. 제 2 구속된 상태에서는, 안내 레일들(75) 및 슬라이딩 안내부들(361)에 의한 폭 방향(W) 및 수직 방향(Z)에서의 조절에 추가하여, 방사상 방향이 돌출부들(341a) 및 설정 커버의 내부 표면(608c)에 의해 구속되고; 그러므로, 용기 셔터(332) 및 반송 노즐(611)의 중심들은 서로 일치한다. 따라서, 토너 용기(32)가 용기 셔터의 단부 표면(332h) 및 반송 노즐의 전방 단부(611a) 사이의 접촉 표면에 대한, 또는 슬라이딩 안내부들(361)에 대한 폭 방향(W) 또는 수직 방향(Z)에서 경사질 때, 부착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반송 노즐(611) 및 용기 셔터(33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용기 밀봉부(333)가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부착 동작으로 인해 슬라이딩 안내부들(361)에 가해진 힘은 돌출부들(341a)에 분산되어, 힘이 감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슬라이딩 안내부들(361)의 파손 또는 손상과 같은 결함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용기 밀봉부(333) 및 노즐 셔터 플랜지(612a)가 도 44a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촉하는 상태에서, 토너 용기(32)가 부착 방향(Q)으로 더욱 밀어질 때, 슬라이딩 홈들의 전방부들(361c)이 안내 레일들(75)로부터 탈락하고, 수직 방향(Z)에서의 구속은 도 44b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홈들의, 제 2 안내부들로서 작용하는 슬라이딩 홈들의 중심부들(361d)에 의해 구현된다. 이 상태에서의 토너 용기(32)가 부착 방향(Q)으로 더욱 밀어질 때, 도 39 내지 도 41에서 예시된 바와 같은 제 3 구속된 상태가 얻어진다. 제 3 구속된 상태에서는, 도 44b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전방 단부의 외부 표면 상에 구비된 회전 구속 리브(342a)가 설정 커버(608)의 홈(77a) 내로 진입된다. 그러므로,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 및 설정 커버(608)(용기 커버 수납부(73))는 통합되고, 원주 이동은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에 의해 추가적으로 구속된다. 이 때, 수직 방향(Z)은 슬라이딩 홈들의 전방부들(361c)의 간극들보다 더 넓은 간극들을 가지는 중심부들(361d)에 의해 구속되므로, 삽입 동안의 슬라이딩 저항이 감소될 수 있고, 이것은 동작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제 3 구속된 상태에서의 토너 용기(32)가 부착 방향(Q)으로 더욱 밀어질 때, 도 42, 도 43, 도 44c에서 예시된 바와 같은 제 4 구속된 상태가 얻어진다. 제 4 구속된 상태에서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 상의 3 개의 돌출부들(341a)이 설정 커버(608K) 상에 구비된 관통 구멍들(79a) 또는 설정 커버(608(Y, M, C))의 오목부들(79b)과 대향하도록 위치된다. 그러므로, 돌출부들(341a)은 설정 커버(608K)의 관통 구멍들(79a) 내로 진입되거나 설정 커버(60(Y, M, C))의 오목부(79b) 내부에 위치되고, 돌출부들(341a) 및 설정 커버의 내부 표면(608c)에 의한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방사상 구속이 해제된다.
제 4 구속된 상태에서의 토너 용기(32)가 부착 방향(Q)으로 더욱 밀어질 때, 도 45, 도 46, 및 도 47에서 예시된 바와 같은 제 5 구속된 상태가 얻어진다. 제 5 구속된 상태에서는, 도 44d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개구부(33a)의 전방 단부가 용기 설정부의 포지셔너로서 작용하는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615a)(설정 커버(608)) 내로 진입된다. 그러므로, 용기 몸체(33)는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615a)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때,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원주 위치는 회전 구속 리브(342a) 및 설정 커버의 홈(77a)에 의해 구속되어, 용기 개구부(33a) 및 용기 설정부(615)는 각각의 중심들이 서로 일치하도록 서로 짝을 이룰 수 있다. 그러므로, 용기 설정부(615)로의 용기 개구부(33a)의 이탈된 방식으로의 삽입으로 인해 용기 셔터(332)로부터의 토너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용기 개구부(33a)가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615a) 내로 진입될 때, 돌출부들(341a)에 의한 방사상 구속은 이미 해제되어, 회전 구속 리브(342a)에 의한 원주 구속은 간섭되지 않는다.
제 5 구속된 상태에서의 토너 용기(32)가 부착 방향(Q)으로 더욱 밀어질 때, 도 44e, 도 48, 및 도 49에서 예시된 바와 같은 제 6 구속된 상태가 얻어진다. 제 6 구속된 상태에서는, 용기 개구부(33a)가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615a) 내로 더욱 진입되고, 도 49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들(78 및 78)은 용기 피계합부들(339 및 339)의 각각의 피계합 개구부들(339d) 내로 진입되어 이들과 계합된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32)는 종방향(회전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설정 위치에서 유지된다.
그런데,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들(78 및 78)이 종방향에서 용기 피계합부들(339 및 339)의 각각의 피계합 개구부들(339d) 내로 진입되는 위치들에서, 백래시(backlash)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하여, 부품들의 정확도들 또는 부품들의 장착 위치들이 변동되더라도,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들(78 및 78)이 용기 피계합부들(339 및 339)의 각각의 피계합 개구부들(339d) 내로 신뢰성 있게 진입되게 하고,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서 토너 용기(32)의 결함 있는 설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것은 바람직한 구성이다.
도 44f는 부착 동작에서의 반송 노즐(611) 및 노즐 수납부(330)의 상태(수평 행) 및 토너 용기(32)의 구속된 상태(수직 열)의 관계를 예시한다. 도 44f에서의 수평 행은 반송 노즐(611) 및 노즐 수납부(330)의 접촉 상태를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a)는 이동의 시작 시와, 반송 노즐(611) 및 노즐 수납부(330)가 서로 접촉하기 전의 상태를 예시하고, (b)는 용기 셔터의 단부 표면(332h) 및 반송 노즐의 전방 단부(611a)가 서로 접촉하는 상태를 예시하고, (c)는 용기 밀봉부(333) 및 노즐 셔터 플랜지(612a)가 서로 접촉하는 상태를 예시하고, (d)는 용기 개구부(33a)가 용기 설정부(615)와 짝을 이루는 상태를 예시한다. 도 44f에서의 수직 열은, 수평 행에서 예시된 상태들 (a) 내지 (d)에서 토너 용기(32)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하여, 수직 방향에서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슬라이딩 안내부들(361), 방사상 방향에서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돌출부들(341a), 및 원주 방향에서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회전 구속 리브(342a) 중으로부터, 안내부들 중의 어느 하나가 이용되는지를 예시한다. 예를 들어, 용기 셔터의 단부 표면(332h) 및 반송 노즐의 전방 단부(611a)가 서로 접촉하는 상태 (b)를 얻기 위하여, 슬라이딩 안내부들(361)은 수직 방향에서의 이동을 구속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 및 토너 보급 디바이스(60) 사이의 위치 관계는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와 관련된 부착 방향(Q)으로의 토너 용기(32)의 이동과 함께, 토너 용기(32) 및 토너 보급 디바이스(60)를 단계적으로 구속하고 해제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반송 노즐(611), 용기 셔터(332), 및 수납 개구부(331)의 중심들의 위치들을 안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부착 동작에서의 동작성을 개선시키고, 반송 노즐(611), 용기 셔터(332), 또는 수납 개구부(331)의 파손을 방지하고, 토너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2 실시형태
도 50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토너 용기(1032)의 설명을 위한 사시도이다. 토너 용기(1032)는 적절한 원통 형태의 토너 병이다. 토너 용기(1032)는 토너 용기 유지부(70)에 의해 회전가능하지 않도록 유지되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를 주로 포함하고, 용기의 기어로서 작용하는 용기 기어(1301)가 일체적으로 구비되는 분체 저장소로서 작용하는 용기 몸체(1033)를 포함한다. 제 1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토너 용기(1032)는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고,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의 토너 용기 유지부(70) 상의 종방향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도 2 및 도 20 참조).
용기 몸체(1033)가 상이한 방식으로 구성되지만, 다른 구성들은 토너 용기(32)의 구성들과 동일하다는 점에서, 토너 용기(1032)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토너 용기(32)와 상이하다. 그러므로, 용기 몸체(1033)의 구성은 이하에서 주로 설명될 것이다.
용기 몸체(1033)는 수지로 이루어진 원통형 부재이다. 용기 몸체(1033)는 분체 현상제로서 작용하는 토너를 그 안에 저장하고, 그 내부에서 반송기를 포함한다. 스쿠핑 기능은 반송기의 일부에서 구비된다. 구성은 도 51a 내지 도 51d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51a는 스쿠핑 벽 표면들(304f)에 대응하는 스쿠핑 리브들(304g)와 통합된 노즐 수납부(330)의 사시도이다(이하, 노즐 수납부는 "노즐 수납부(1330)"으로서 지칭됨). 도 51b는 노즐 수납부(1330)가 용기 몸체(1033) 내부에 배치될 때에 도 51a에서 예시된 노즐 수납부(1330) 및 반송 노즐(611)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1c는 도 51a에서 예시된 노즐 수납부(1330)가 그 위에 장착되는 전체적인 토너 용기(1032)의 설명을 위한 횡단면도이다. 도 51d는 토너 용기(1032)의 일부로서의 용기 셔터(1332)의 사시도이다.
도 51a 내지 도 51d에서 예시된 노즐 수납부(1330)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스쿠핑 리브들(304g)을 포함하고, 수지 필름과 같은 플렉시블 재료로 이루어진 반송 블레이드들(1302)가 구비되는 반송 블레이드 유지부(1330b)와 통합된다.
또한, 도 51a 내지 도 51d에서 예시된 노즐 수납부(1330)는 밀봉부로서 작용하는 용기 밀봉부(1333), 노즐 삽입 개구부로서 작용하는 수납 개구부(1331), 용기 셔터(1332), 및 바이어싱 부재로서 작용하는 용기 셔터 스프링(1336)을 포함한다. 용기 밀봉부(1333)는, 토너 용기(1032)가 복사기(500)의 본체에 부착될 때에 반송 노즐(611)에 의해 유지된 노즐 셔터(612)의 노즐 셔터 플랜지(612a)와 대향하고 접촉하는 전방 표면을 포함하는 밀봉부이다. 수납 개구부(1331)는 반송 노즐(611)이 삽입되는 개구부이다. 용기 셔터(1332)는 수납 개구부(1331)를 개방하고 폐쇄하는 셔터이다. 용기 셔터 스프링(1336)은 수납 개구부(1331)를 폐쇄하도록 용기 셔터(1332)를 폐쇄 위치로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부재이다.
또한, 도 51a 내지 도 51d에서 예시된 구성에서, 노즐 수납부(1330)는 도 52에서 예시된 복사기(500)의 본체의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615a)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짝을 이루는 외부 표면(1330a)을 포함한다. 또한, 도 51d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셔터(1332)는 반송 노즐(611)과 접촉하는 접촉부(1332a)를 포함하고, 셔터 지지부들(1332b)을 포함한다. 셔터 지지부들(1332b)은 용기 몸체(1033)의 종방향에서 접촉부(1332a)로부터 신장되고, 용기 셔터 스프링(1336)에 의한 바이어싱으로 인해 용기 셔터(1332)가 노즐 수납부(1330)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후크부들(1332c)을 포함한다. 별도의 몸체로서 구비된 용기 기어(1301)는 용기 기어가 구동을 전달할 수 있도록 토너 용기(1032)의 노즐 수납부(1330)에 구비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스쿠핑 내부 벽 표면, 브릿징부(bridging portion), 및 셔터 측 개구부들로서 작용하는 셔터 지지부의 개구부들(1335b)과 같이, 토너를 노즐 구멍(610)에 도입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을 통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쿠핑 리브들(304g)을 포함하는 토너 용기(1032)가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51c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1032)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 용기 몸체(1033), 후방 캡(rear cap)으로서 작용하는 후방 커버(1035), 노즐 수납부(1330) 등을 포함한다.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는 복사기(500)의 본체에 대한 부착 방향(Q)에서 토너 용기(1032)의 전방 단부 상에 배치된다. 용기 몸체(1033)는 대략 원통형 형상을 가진다. 후방 커버(1035)는 부착 방향(Q)에서 토너 용기(1032)의 후방 단부 상에 배치된다. 노즐 수납부(1330)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의 용기 몸체(103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유지된다.
기어 노출 개구부(34a)(도 29a 참조)는 노즐 수납부(1330)에 부착된 용기 기어(1301)를 노출하기 위하여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 상에 배치된다. 대략 원통형의 용기 몸체(1033)는 노즐 수납부(1330)가 회전할 수 있도록 노즐 수납부(1330)를 유지한다.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 및 후방 커버(1035)는 (열 용접 또는 접착제와 같은 잘 알려진 방법에 의해) 용기 몸체(1033)에 부착된다. 후방 커버(1035)는 반송 블레이드 유지부(1330b)의 일 단부를 지지하는 후방 측 베어링(1035a)을 포함하고, 사용자인 그/그녀가 토너 용기(1032)를 복사기(500)의 본체에 부착하고 이로부터 탈착할 때에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그립퍼(1303)를 포함한다.
용기 몸체(1033) 상에서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 후방 커버(1035), 및 노즐 수납부(1330)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노즐 수납부(1330)는 먼저 용기 후방 측으로부터 용기 몸체(1033) 내에 삽입되고, 노즐 수납부(1330)가 용기 몸체(1033)의 전방 단부 상에 배치된 전방 측 베어링(103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위치결정이 수행된다. 다음으로, 노즐 수납부(1330)의 반송 블레이드 유지부(1330b)의 일 단부가 후방 커버(1035) 상에 배치된 후방 측 베어링(1035a)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위치결정이 수행되고, 후방 커버(1035)는 용기 몸체(1033)에 조립된다. 그 후에, 용기 기어(1301)는 용기 전방 측으로부터 노즐 수납부(1330)에 조립된다. 용기 기어(1301)가 조립된 후,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는 용기 전방 측으로부터 용기 기어(1301)를 덮도록 용기 몸체(1033)에 조립된다.
그런데, 용기 몸체(1033) 및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조립, 용기 몸체(1033) 및 후방 커버(1035)의 조립, 및 노즐 수납부(1330) 및 용기 기어(1301)의 조립은 잘 알려진 방법(예를 들어, 열 용접, 접착제 등)을 적절하게 이용함으로써 수행된다.
토너를 토너 용기(1032)로부터 노즐 구멍(610)으로 반송하기 위한 구성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리브 표면들이 셔터 측부들로서 작용하는 셔터 측부 지지부들(1335a)의, 회전 방향에서의 하류 측 상에 있는 하류 측 부분들(1335c)로부터 연결되도록, 스쿠핑 리브들(304g)은 용기 몸체(1033)의 내부 표면에 더 근접하도록 돌출된다. 리브 표면들은 굽은 표면들과 유사하도록 그 중간 부분들에서 한번 굴곡되지만; 그러나, 구성은 토너와의 호환성에 따라 이 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굴곡부를 갖지 않는 간단한 평판 리브들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 구성으로, 용기 몸체(1033)에서 융기된 부분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스쿠핑 리브들(304g)은 통합된 방식으로 셔터 지지부(1335b)의 개구부들로부터 기립된다. 그러므로, 셔터 측부 지지부들(335a) 및 볼록부들(304h)이 밀집되게 서로에 대해 피팅되는 구성에서 얻어진 것들과 동일한 브릿징 기능 및 유리한 효과들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토너 용기(1032)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부착되어 있는 동안에 노즐 수납부(1330)가 회전할 때, 반송 블레이드들이 회전하게 되어, 토너 용기(1032)에 수용된 토너는 후방 측으로부터, 노즐 수납부(1330)가 배치되어 있는 전방 측으로 반송된다. 다음으로, 스쿠핑 리브들(304g)은 반송 블레이드들(1302)에 의해 반송된 토너를 수납하고, 회전과 함께 토너를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퍼올리고, 리브 표면들을 슬라이딩부들로서 이용함으로써 토너를 노즐 구멍(610)으로 도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사용자가 토너 용기 유지부(70)의 용기 수납부(72)의 홈통(74) 상에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토너 용기(1032)를 위치시키고 부착 방향(Q)으로 토너 용기(1032)를 밀때, 토너 용기(1032)는 홈통(74) 상에서 이동한다. 토너 용기(1032)의 이동과 함께,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상태는 제 1 구속된 상태로부터 제 5 구속된 상태로 변경되어, 토너 용기의 위치가 상태들의 각각에 따라 단계적으로 구속된다. 토너 용기가 부착 방향(Q)으로 더욱 밀어져서 상태를 제 5 구속된 상태로부터 제 6 구속된 상태로 변경할 때, 용기 개구부(1033a)는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615a) 내로 더욱 진입되고 설정 위치에 위치된다. 그리고,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들(78 및 78)은 용기 피계합부들의 각각의 피계합 개구부들(339d) 내로 진입되고 이와 계합된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서도, 도 29c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 위치가 결정되도록, 용기 개구부(1033a)가 용기 설정부(615) 내로 진입되는 한, 용기 개구부(1033a)의 형상은 원통형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즉, 용기 개구부(1033a)의 형상은 연속적인 원통형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분할될 수도 있거나 봉 형상일 수도 있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1032)는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 대한 부착 방향(Q)으로의 토너 용기(1032)의 이동과 함께 위치결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토너 용기(1032) 및 토너 보급 디바이스(60) 사이의 위치 관계를 단계적으로 구속시킴으로써, 반송 노즐(611), 용기 셔터(332), 및 수납 개구부(331)의 중심들의 위치들을 안정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부착 동작에서의 동작성을 개선시키고 토너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분체 수납 구멍으로서 작용하는 노즐 구멍으로의 토너 반송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스쿠핑부로서, 참조를 위해 이에 따라 본원에 편입되는 국제 특허 공개 제 WO2013/183782 호, 국제 특허 공개 제 WO2013/077474 호, 및 미국 특허 출원 제 13/991250 호에서 개시된 바와 같은 구성들을 채택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스쿠핑부로서 작용하는 반송 블레이드는 반송기 수납부로서 작용하는 노즐 수납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대안적으로, 용기 몸체의 내부 벽으로부터 용기 몸체의 내부 표면을 향해 신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53a 및 도 53b는, IC 칩 또는 정보 저장 매체로서 작용하는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IC) 태그(700) 및 IC 태그의 유지 기구(345)가 토너 용기(1032)의 용기 커버로서 작용하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 상에 배치되고, IC 태그(700)와 접촉함으로써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커넥터(800)가 토너 보급 디바이스(60) 상에 배치되는 제 3 실시형태를 예시한다.
IC 태그(700)는 접촉-타입 통신 시스템을 채용한다. 그러므로, 커넥터(800)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전방 단부 표면과 대향하도록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의 본체 상의 위치에서 배치된다.
도 54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태그 수직 방향에서 기판(702)의 중력 중심 위의 수직인 위치에서 단자가 설정되는 IC 태그 개구부(701)가 IC 태그(700)에 구비된다. IC 태그 개구부(701)는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IC 태그(700)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 개구부로서 작용한다. 금속 단자인, 접지(어스(earth))시키기 위한 어스 단자(703)는 ID 태그 개구부(701)의 내부 표면 상에, 그리고 ID 태그 개구부(701)의 주변 상에 장착된다. 2 개의 어스 단자 돌출부들(705)이 환형부에 비해 태그 수평 방향으로 신장하도록, 어스 단자(703)는 기판(702)의 전방 표면 상에 구비된다. 하나의 직사각형 금속 패드(710)(제 1 금속 패드(710a))는 태그 수직 방향에서 IC 태그 개구부(701) 위에 배치된다. 또한, 2 개의 금속 패드들(710)(제 2 금속 패드(710b) 및 제 3 금속 패드(710c))은 태그 수직 방향에서 IC 태그 개구부(701) 아래에 배치된다. 에폭시(epoxy)와 같은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며 정보 저장 유닛을 덮고 보호하는 반구형 보호구(720)는 기판(702)의 후방 표면 상에 구비된다.
도 53a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유지 기구(345)는 부착 방향에서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하류 표면인 수직 표면(34d) 상에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IC 태그(700)를 유지한다. 유지 기구(345)는, IC 태그 유지부로서 작용하며 IC 태그(700)를 유지하기 위한 기저부를 가지는 유지부(343)와, 커버부로서 작용하고, IC 태그(700)를 유지하며, 유지부(343)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유지부(344)를 포함한다. IC 태그(700) 및 유지 기구(345)는 토너 용기(32)의 회전 축선을 따라 용기 전방 측으로부터 관측될 때에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비스듬한 상부 우측 공간에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토너 용기(32)가 다른 컬러들의 다른 토너 용기들(32)과 직렬로 배치될 때에 데드 공간(dead space)이 되는 비스듬한 상부 우측 공간을 이용함으로써, 유지 기구(345)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 상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원통형 토너 용기들(32)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소형 크기의 토너 보급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비스듬한 상부 좌측 공간에서는, 용기 기어(301) 및 본체의 용기 구동 기어(601)가 배치된다.
IC 태그(700)의 기판(702)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된 유지 기구(345)의 유지부(343) 및 유지부(344)에 의해 사이에 끼워져서, 금속 패드들(710a 내지 710c) 및 어스 단자(703)가 커넥터(800)를 대향하도록 IC 태그(700)가 유지된다.
도 53b 및 도 55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800)는 위치결정 핀(801), 3 개의 장치 본체 단자들(804), 및 장치 본체 어스 단자(802)를 포함한다. 3 개의 장치 본체 단자들(804)은 금속 패드들(710a 내지 710c)과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토너 용기(1032)가 토너 용기 유지부(70)의 홈통(74) 상의 부착 방향(Q)으로 이동될 때에 IC 태그(700)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기 위하여 각각의 패드들과 접촉한다. 위치결정 핀(801)은 위치결정을 위해 이용된 IC 태그 개구부(701)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토너 용기(1032)가 부착 방향(Q)으로 토너 보급 디바이스(60)로 이동되어 이것에 부착되고 있을 때에 IC 태그 개구부(701) 내에 삽입된다. IC 태그(700) 및 커넥터(800)의 위치들은 IC 태그 개구부(701)로의 위치결정 핀(801)의 삽입에 의해 결정된다. 장치 본체 어스 단자(802)는 위치결정 핀(801)이 IC 태그 개구부(701) 내에 삽입된 어스 단자(703)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위치결정 핀(801)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5 구속된 상태 및 제 6 구속된 상태 사이의 부착 방향(Q)으로의 토너 용기(1032)의 이동으로 인해 IC 태그 개구부(701) 내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위치결정 핀(801)이 IC 태그 개구부(701) 내에 삽입되기 전에, 수직 방향(Z) 및 폭 방향(W)에서의 토너 용기(1032)의 위치들은 제 1 구속된 상태에서 대략적으로 결정된다. 제 2 구속된 상태에서는, 용기 커버 수납부(73)에 관련된 방사상 방향에서의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이동이 3 개의 돌출부들(341a) 및 설정 커버의 내부 표면(608c) 사이의 접촉에 의해 구속된다. 즉, 제 2 구속된 상태에서는, 폭 방향(W), 수직 방향(Z), 및 방사상 방향에서의 토너 용기(32)의 위치들이 결정된다. 또한, 제 3 구속된 상태에서는, 회전 구속 리브(342a)가 설정 커버(608)의 홈(77a) 내로 진입되어, 원주 방향(R)에서의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이동이 구속된다. 다음으로, 제 4 구속된 상태에서는, 방사상 방향에서의 구속이 해제된다. 그 후에, 제 5 구속된 상태에서는, 용기 개구부(1033a)가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615a) 내로 진입되어,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와 관련된 용기 몸체(1033)의 위치가 결정된다.
그러므로, 위치결정 핀(801)이 IC 태그 개구부(701) 내에 삽입될 때, 수직 방향, 폭 방향, 원주 방향, 및 방사상 방향에서의 구속이 수행되어, 위치결정 핀(801) 및 IC 태그 개구부(701)의 상대적 위치를 안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착 동작에서의 동작성을 개선시키고, 토너 누설을 방지하고, IC 태그(700) 및 커넥터(800) 사이의 접촉 불량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4 실시형태
제 4 실시형태에서는, 토너 용기들의 각각 및 토너 보급 디바이스 사이의 호환성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기구(식별기)의 설명이 주어질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환성을 식별하기 위하여, 피식별부들이 각각의 토너 용기들 상에 구비되고, 식별부들이 토너 보급 디바이스의 토너 용기 유지부 상에 제공되며, 여기서, 피식별부들 및 식별부들은 식별 기구로서 작용하고 타입마다 상이하다. 상이한 타입의 토너 용기가 토너 용기 유지부에 부착될 경우, 피식별부 및 식별부는 서로 일치하지 않고 서로에 대해 대향되어, 잘못된 부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토너 용기가 토너 용기 유지부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미리 결정된 클리어런스(clearance)가 토너 용기 및 토너 용기 유지부 사이에 구비된다. 이러한 클리어런스가 구비되지 않을 경우, 올바른 토너 용기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자세는 극도로 구속되고, 토너 용기의 부착은 어려워진다. 대조적으로, 클리어런스가 너무 클 경우, 부착이 더 용이해지는 반면, 토너 용기의 자세에 있어서의 자유도는 증가하고, 토너 용기의 자세가 올바르지 않을 때에도, 어떤 힘이 작동하여 토너 용기가 토너 용기 유지부에 부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미리 결정된 양을 초과하는 부하가 부착되어야 할 토너 용기에 가해질 경우, 서로에 대해 장착되는 것으로 추정되지 않는 피식별부 및 식별부의 틀린 조합으로도, 토너 용기가 토너 용기 유지부에 잘못 부착될 수도 있다.
호환성이 부착의 조기의 단계에서 식별될 수 있도록, 토너 용기 유지부 상에 구비된 식별 기구는 화상 형성 장치의 상대적으로 전방 측 상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사용자인 그/그녀가 토너 용기의 부착 동안에 이 부분을 터치할 때에 사용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식별 기구가 그 위에 구비되는 삽입 구멍부는 수지와 같은 연질 재료로 성형된다. 그러므로, 삽입 구멍부 상에 구비된 식별 기구는 용이하게 굴곡되어, 상이한 타입의 토너 용기가 부착되어야 하더라도, 토너 용기는 식별 기구를 가로질러 이동될 수도 있고 토너 용기 유지부에 부착될 수도 있다.
상이한 타입의 토너 용기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부착될 경우, 토너 용기를 탈착하는 것이 불가능해지거나, 식별 기구로서 작용하는 피식별부 및 식별부가 파손될 수도 있다. 부품들의 표준화를 고려하여, 동일한 토너 용기들이 심지어 상이한 타입들에 대해 이용될 때에는, 상이한 타입들이 피식별부들 및 식별부들의 상이한 조합들에 의해 구별된다. 틀린 토너 용기가 토너 용기 유지부에 부착될 경우, 상이한 컬러 또는 상이한 타입의 토너가 토너 보급 디바이스에 의해 반송된다. 그러므로, 현상 디바이스 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의 어떤 부품들이 손상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에서, 구속 기구(구속기)는 토너 용기의 피식별부가 토너 용기 유지부 상에 배치된 식별부 상부에서 통과하면서 이동하는 것으로부터 구속하도록 구비된다. 구속 기구를 구비함으로써, 비호환성의 토너 용기가 토너 용기 유지부에 부착되고 강제적으로 토너 용기 유지부 내로 밀어지더라도, 피식별부는 굴곡된 식별부 상부에서 통과하지 않고, 토너 용기는 틀린 토너 보급 디바이스에 부착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이한 타입의 토너 용기가 부착되는 것을 신뢰성 있게 방지하고 토너 용기 유지부 상에 배치된 식별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토너 용기 및 토너 용기 유지부 사이의 비호환성 관계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59는 토너 용기(32)의 전방 단부의 설명을 위한 사시도이다. 도 60은 토너 용기(32)의 전방 단부의 설명을 위한 저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피식별부(92)는 토너 용기(32)의 하부로서 작용하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의 외부 표면의 하부(34g) 상에 구비된다. 피식별부(92)는 폭 방향(W)에서 위치된 구속기(수직 구속기)로서 작용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안내부들(361 및 361) 사이에서 배치된다. 피식별부(92)가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용기 전방 단부 커버의 외부 표면의 하부(34g) 상에 위치되는 것이 충분하고, 위치는 슬라이딩 안내부들(361 및 361) 사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 피식별부(92)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피식별 돌출부들(920 및 920)(다시 말해서, 피식별 리브) 사이에 구비된 간극(다시 말해서, 피식별 간극)(921)이고, 여기서, 피식별 돌출부들(920 및 920)은 슬라이딩 안내부들 사이의 돌출부들로서 작용하고, 간극(921)은 돌출부들 사이의 간극으로서 작용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피식별부(92)는 오목한 형상이 되도록 부착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안내부들(361 및 361)의 하부들에서 구비되는 간극(922)이고, 여기서, 간극(922)은 통로, 노치(notch), 슬라이딩 안내부의 오목부, 또는 보강부들의 오목부로서 작용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간극(922)은 슬라이딩 안내부들(361 및 361)의 일부들로서 작용하는 보강부들(362 및 362)에서 구비된다. 간극(921)의 폭(W1), 간극(921)의 존재 또는 부재, 슬라이딩 안내부의 간극(922)의 존재 또는 부재는 토너 컬러, 토너 타입, 또는 장치 모델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된다. 피식별 돌출부들(920)은 슬라이딩 안내부들의 전방 단부들(361b 및 361b)에 비해 (토너 용기의 후방 측 상의) 부착 방향에서 상류 측 상에 배치된다. 또한, 피식별 돌출부들(920)의 각각은, 피식별 돌출부의 상부(920a)가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에 연결되며 이와 통합되고, 피식별 돌출부의 측부들(920b 및 920b)은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와 통합된 슬라이딩 안내부들(361 및 361)의 각각에 연결되며 이와 통합되도록 구비된다. 그러므로, 부품들의 강도는 부품들의 상부들만이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와 통합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증가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1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가 부착 및 탈착되는 토너 용기 유지부(70)는 용기 커버 수납부(73), 용기 수납부(72), 및 삽입 구멍부(71A)를 포함한다.
삽입 구멍부(71A)에는 삽입 구멍들(71a(Y, M, C, K))이 구비되고, 이를 통해, 토너 용기들(32)이 부착 및 탈착될 때에 각각의 컬러들에 대한 토너 용기들(32)이 통과한다. 삽입 구멍들(71a)은 각각의 컬러들에 대한 용기 전방 단부 커버들(34)의 외부 형상들과 유사한 형상들을 가지고, 도 62 및 도 63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가 부착 및 탈착될 때, 용기 전방 단부 커버의 외부 표면(34b) 및 삽입 구멍들(71a(Y, M, C, K))의 각각의 내부 표면 사이에 어떤 간극이 유지된다.
삽입 구멍들(71a)의 각각의 하부를 구성하는 삽입 구멍 기저부(71b) 상에는, 식별부로서 작용하며 토너 용기의 타입을 식별하기 위하여 토너 용기(32)의 피식별부(92)에 느슨하게 또는 밀집되게 피팅되거나 계합되어야 하는 식별부로서 작용하는 식별 돌출부(90)(다시 말해서, 리브, 식별 리브)가 삽입 구멍 기저부(71b)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폭 방향(W)에서의 삽입 구멍들(71a)의 하부 측 표면들(71c 및 71c) 상에는, 구속부들로서 작용하는 구속 리브들(93 및 93(Y, M, C, K))이 배치된다. 구속 리브들(93 및 93(Y, M, C, K))의 폭들 및 돌출량들은, 컬러들의 각각에 대한 토너 용기(32)가 삽입 구멍들(71a)의 각각 내로 삽입될 때에 구속 리브들(93 및 93)이 슬라이딩 안내부들(361 및 361)의 슬라이딩 홈들(361a 및 361a)(도 59 참조)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슬라이딩 안내부들(361 및 361)이 슬라이딩하도록 허용된다. 그러므로, 슬라이딩 홈들(361a)이 각각의 구속 리브들(93)을 수납하고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수직 이동이 구속되는 동안에, 용기 전방 단부 커버들(34)의 각각의 하부(34g) 상에 구비된 피식별부(92)는 식별 돌출부들(90)의 각각에 피팅되거나 이와 계합된다. 이 때, 수직 이동이 구속되므로, 피식별부(92) 및 식별부(90)가 서로에게 피팅되거나 서로 계합될 때, 토너 용기(32)는 들어올려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32)가 식별 돌출부(90)를 가로질러 연속적으로 삽입되는 것과, 틀린 위치에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폭 방향(W)에서의 구속 리브들(93)의 길이들(리브들의 높이)의 약 2/3 이상이 삽입될 수 있도록, 폭 방향(W)에서의 슬라이딩 안내부들(361)의 슬라이딩 홈들(361a)의 길이들(홈들의 깊이들)(도 31 참조)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 경사부들(361f)의 길이들이 상대적으로 더 길어지도록, 폭 방향(W)에서의 슬라이딩 홈들의 중심부들(361d)의 길이들(홈들의 깊이들)(도 31 참조)이 폭 방향(W)에서의 구속 리브들(93)의 길이들(리브들의 높이들)의 2/3보다 더 짧을 경우, 슬라이딩 안내부들(361)의 강도는 증가될 수 있지만, 구속 리브들(93)의 전방 단부들만이 슬라이딩 홈들(361a) 내에 삽입되고 수직 방향에서의 구속은 더 약해진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32)의 후방 단부는 구속 리브들(93)에 대하여 들어올려진다. 결과적으로, 틀린 토너 용기가 삽입될 때에도, 토너 용기는 식별 돌출부(90)를 가로질러 잘못 부착될 수도 있다.
도 62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들(32(Y, M, C))이 삽입되는 삽입 구멍들(71a(Y, M, C))의 각각의 위의 구속 리브들(93(Y, M, C))은 용기 커버 수납부(73) 상에 구비된 안내 레일들(75(Y, M, C))과 동일한 높이에서 하부 측 표면들(71c 및 71c)로부터 대향하는 방향들에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대조적으로, 도 63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K)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71a(K)) 상의 구속 리브들(93K)은, 하단 표면들이 용기 커버 수납부(73) 상에 배치된 안내 레일들(75(K))(도 28 참조)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그런데, 안내 레일들(75(K))의 길이들은 구속 리브들(93(K))의 길이들보다 더 길도록, 높이 방향에서의 구속 리브들(93(K))의 길이들은 높이 방향에서의 안내 레일들(75(K))의 길이들과는 상이하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32(K))보다 크기가 더 작은 토너 용기들(32(Y, M, C)) 중의 임의의 것이 삽입 구멍들(71a(Y, M, C))보다 크기가 더 큰 삽입 구멍(71a(K)) 내에 잘못 삽입되더라도, 그리고 토너 용기(32)가 식별 돌출부(90)를 가로질러 연속적으로 삽입될 경우에는, 안내 레일들(75(K))이 토너 용기들(32(Y, M, C))의 각각의 슬라이딩 안내부들(361(Y, M, C))에 대항하여 인접해 있어서, 추가의 삽입이 구속될 수 있고 잘못된 부착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안내 레일들(75(Y, M, C, K)) 및 구속 리브들(93(Y, M, C, K))은 서로 통합될 수도 있다.
높이 방향에서의 구속 리브들(93K)의 길이들은 동일한 방향에서의 슬라이딩 홈들(361a)의 길이들보다 더 짧지만, 하부 측 표면들(71c 및 71c) 상의 돌출 위치들에서의 구속 리브들(93K)의 기저부 단부들은, 토너 용기(32)가 삽입될 때에 슬라이딩 홈들(361a)의 상부 내부 표면들보다 슬라이딩 홈들(361a)의 하부 내부 표면들에 더 근접한 위치들을 지나가도록 구비된다. 그러므로, 구속 리브들(93)이 슬라이딩 홈들(361a) 내에 삽입될 때, 구속 리브들(93)의 하단 표면들 및 슬라이딩 홈들(361a)의 하부 내부 표면들 사이의 간극들이 감소된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32)가 잘못 삽입되더라도, 토너 용기(32)가 들어올려지고 식별 돌출부(90)를 가로질러 연속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또 다른 구속기로서, 토너 용기(32)의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 상에 배치된 상향 안내부의 상단부(35a)가 이용된다. 도 64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상향 안내부의 상단부(35a)는, 삽입 구멍부(71A)의 상부 표면이며 수직 방향에서 식별 돌출부(90)와 대향하는 천장 표면(71e)과 접촉하여, 토너 용기의 수직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32)가 들어올려지고 식별 돌출부(90)를 가로질러 연속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추가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상향 안내부의 경사 표면들(35c)(도 22 참조)이 상향 안내부(35) 상에 구비되므로, 토너 용기(32)가 토너 용기 유지부(70)로부터 탈착되어야 할 때에는, 토너 용기(32)가 상향 안내부의 경사 표면들(35c)의 경사들에 따라 삽입 구멍부(71A)를 통해 탈착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므로, 탈착 동작에서의 동작성이 개선될 수 있다.
식별 돌출부(90) 및 피식별부(92) 사이의 관계는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삽입 구멍(71a)에 부착가능한 호환성 있는 토너 용기(32)의 경우, 예를 들어, 도 65b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간극(921)의 폭(W1)이 삽입 구멍(71a)의 식별 돌출부(90)의 폭(W2)보다 더 넓도록 설정된다. 삽입 구멍(71a)에 삽입가능하지 않은 비호환성의 토너 용기(32)의 경우에는, 도 65a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간극(921)의 폭(W1)이 삽입 구멍(71a)의 식별 돌출부(90)의 폭(W2)보다 더 좁도록 설정된다.
그러므로, 조작자가 토너 용기(32)를 삽입 구멍(71a) 내에 삽입할 때, 도 61 내지 도 63에서 예시된 구속 리브들(93 및 93)은 먼저, 도 59 및 도 60에서 예시된 바와 같은 슬라이딩 안내부들(361 및 361)의 슬라이딩 홈들(361a 및 361a) 내로 진입된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32)(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수직 이동이 구속된다. 이 때, 구속 리브들(93 및 93)이 슬라이딩 홈들(361a 및 361a) 내로 진입될 수 없을 경우에는, 조작자가 토너 용기를 부착 방향(Q)으로 이동시킬 수 없고; 그러므로, 토너 용기(32)는 올바른 자세로 유지될 수 있다.
토너 용기(32)가 구속된 상태에서 부착 방향(Q)으로 밀려질 경우, 피식별부(92)는 식별 돌출부(90)에 접근한다. 이 때, 부착되고 있는 토너 용기(32)가 부착가능한 토너 용기(32)일 경우, 도 65b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피식별부(92)의 간극(921)의 폭(W1)은 식별 돌출부(90)의 폭(W2)보다 더 넓다. 그러므로, 부착 방향(Q)으로의 토너 용기(32)의 이동은 구속되지 않고 간극(921)은 식별 돌출부(90)를 지나가서,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는 용기 수납부(72) 상에서 이동되고 용기 커버 수납부(73)에서 설정된다.
대조적으로, 부착되고 있는 토너 용기(32)가 부착가능하지 않은 토너 용기(32)일 경우, 도 65a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피식별부(92)의 간극(921)의 폭(W1)은 식별 돌출부(90)의 폭(W2)보다 더 좁다. 그러므로, 피식별부(92)의 피식별 돌출부들(920)은 삽입 구멍(71a)의 식별 돌출부(90)와 접촉한다. 그러므로, 부착 방향(Q)으로의 토너 용기(32)의 이동은 구속되고 간극(921)은 식별 돌출부(90) 상부에서 통과할 수 없어서, 부착가능하지 않고 비호환성인 토너 용기(32)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부착가능하지 않은 토너 용기(32)가 부착 방향(Q)으로 강제적으로 밀려지더라도, 토너 용기(32)(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수직 이동은 슬라이딩 홈들(361a 및 361a) 및 구속 리브들(93 및 93)에 의해 구속된다. 그러므로, 피식별부(92)가 식별 돌출부(90) 상부에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부착가능하지 않고 비호환성인 토너 용기(32)가 부착되는 것을 더욱 신뢰성 있게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간극(921)이 식별 돌출부(90) 상부에서 통과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는 토너 용기(32)의 간극(921)의 폭(W1)과, 슬라이딩 안내부의 간극(922)의 존재 또는 부재에 따라 제어된다. 즉, 식별 돌출부들(90)의 위치 또는 갯수들에 따라 폭(W1)을 조절함으로써, 또는 슬라이딩 안내부의 간극(922)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결정함으로써, 호환성 및 비호환성이 결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동작성에 대한 부정적 영향이 없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틀린 토너 용기가 토너 보급 디바이스(토너 용기 유지부(70))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피식별부(92) 및 식별 돌출부(2)의 조합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65a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더 좁은 폭(W1)을 갖는 피식별부(92)의 간극(921)은 2 개의 식별 돌출부들(90)을 포함하는 식별부 상부에서 통과할 수 없다(부착가능하지 않음).
도 65c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더 좁은 폭(W1)을 갖는 피식별부(92)의 간극(921)은 단일의 식별 돌출부(90)를 포함하는 식별부 돌출부(90) 상부에서 통과할 수 있다(부착가능함).
도 65b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더 넓은 폭(W1)을 갖는 피식별부(92)의 간극(921)은 식별 돌출부들(90)의 수가 1 개 또는 2 개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식별 돌출부(90) 상부에서 통과할 수 있다(부착가능함).
피식별부(92) 및 식별 돌출부(90)의 구성들 및 치수들은 도 66 내지 도 77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그런데, 아래에서는, 상이한 참조 번호들이 상이한 예들에서 슬라이딩 안내부의 간극(921) 및 간극(922)에 배정될 것이다. 도 66 내지 도 75b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 상에 구비된 간극(921)의 구성들을 예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66, 도 67a, 및 도 67b는, 슬라이딩 안내부들 사이의 한 쌍의 피식별부들 또는 돌출부들로서 작용하며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하부(34g) 상에 배치되는 피식별 돌출부들(9201a 및 9201a) 사이에 3 mm의 폭을 갖는 간극(9211a)이 구비되는 제 1 예를 예시한다.
도 68, 도 69a, 및 도 69b는, 슬라이딩 안내부들 사이의 한 쌍의 피식별부들 또는 돌출부들로서 작용하며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하부(34g) 상에 배치되는 피식별 돌출부들(9202a 및 9202a) 사이에 7 mm의 폭을 갖는 간극(9212a)이 구비되는 제 2 예를 예시한다.
도 70, 도 71a, 및 도 71b는, 피식별 돌출부들(920)이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슬라이딩 안내부들 사이의 통로인 간극(9213)이, 부착 방향에서의 슬라이딩 안내부들(361 및 361)의 측부 표면들(362a 및 362a) 사이의 폭이 11 mm가 되게 설정되도록, 슬라이딩 안내부들(361 및 361) 사이에 구비되는 제 3 예를 예시한다.
도 72, 도 73a, 및 도 73b는, 슬라이딩 안내부의 통로, 노치, 또는 오목부이며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하부(34g)의 중심으로부터 9 mm만큼 시프트된 오프셋 위치로부터 3 mm의 폭을 가지는 간극(9224a)이 부착 방향(Q)에서의 우측 상의 부착 방향(Q)에서 슬라이딩 안내부(361) 상에서 구비되는 제 4 예를 예시한다. 또한, 제 4 예에서는, 슬라이딩 안내부들 사이의 피식별부 또는 돌출부로서 작용하는 피식별 돌출부(9204a)가 슬라이딩 안내부들(361 및 361) 사이에 구비된다.
도 74a, 도 75a, 및 도 75b는, 보강부의 통로, 노치, 또는 오목부이며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하부(34g)의 중심으로부터 9 mm만큼 시프트된 오프셋 위치로부터 3 mm의 폭을 가지는 간극(9225a)이 부착 방향(Q)에서의 좌측 상의 부착 방향(Q)에서 슬라이딩 안내부(361) 상에서 구비되는 제 5 예를 예시한다. 또한, 제 5 예에서는, 슬라이딩 안내부들 사이의 피식별부 또는 돌출부로서 작용하는 피식별 돌출부(9205a)가 슬라이딩 안내부들(361 및 361) 사이에 구비된다. 그런데, 간극들의 각각의 깊이는 5 mm가 되도록 설정되고, 식별 돌출부들(90)의 각각의 높이(돌출량)는 2.5 mm가 되도록 설정된다.
도 72 및 도 74a에서는, 간극(9224a) 또는 간극(9225a)이 부착 방향(Q)에서의 우측 또는 좌측에 위치된 단일의 슬라이딩 안내부(361) 상에 구비된다. 그러나, 슬라이딩 안내부들의 간극들(9224a 및 9225a)의 구성들은 이 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74b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부착 방향(Q)에서의 우측 및 좌측의 부착 방향(Q)에서의 각각의 슬라이딩 안내부들(361 및 361) 상에서,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하부(34g)의 중심으로부터 9 mm만큼 시프트된 오프셋 위치로부터 3 mm의 폭을 각각 가지는 간극들(9225a)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피식별 돌출부(9204a) 또는 피식별 돌출부(9205a)는 도 72 또는 도 74a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안내부들(361 및 361) 사이에 구비될 수도 있거나, 도 74b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안내부들(361 및 361) 사이에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76은 간극(921), 슬라이딩 안내부의 간극(922), 간극들의 폭들보다 더 좁은 폭을 갖는 식별 돌출부(90)의 관계들 및 치수들을 예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77은 제 1 내지 제 5 예들의 폭들의 관계들을 예시한다.
제 5 실시형태
피식별부(92)의 제 5 실시형태는 도 78 내지 도 81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제 5 실시형태는 간극(921)의 폭(W1) 및 슬라이딩 안내부(922)의 간극의 존재 또는 부재의 측면에서 제 4 실시형태와 동일하지만, 하단 측으로부터 관측될 때에 피식별부(92)의 구성의 측면에서 제 4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그러므로, 도 78 내지 도 81은 제 5 실시형태에 따라 피식별부의 저면도들을 예시하고, 정면도 및 배면도는 생략된다.
도 78은 제 1 예의 변형예를 예시하고, 도 79는 제 2 예의 변형예를 예시하고, 도 80은 제 4 예의 변형예를 예시하고, 도 81은 제 5 예의 변형예를 예시한다.
도 78에서, 9201b 및 9201b는 피식별 돌출부들로서 작용하는 슬라이딩 안내부들 사이의 돌출부들을 나타내고, 9211b는 피식별 간극으로서 작용하는 간극, 또는 돌출부들(9201b 및 9201b) 사이에 구비된, 돌출부들 사이의 간극을 나타낸다.
도 79에서, 9202b 및 9202b는 피식별 돌출부들로서 작용하는 슬라이딩 안내부들 사이의 돌출부들을 나타내고, 9212b는 피식별 간극인 간극, 또는 돌출부들(9202b 및 9202b) 사이에 구비된, 돌출부들 사이의 간극을 나타낸다.
도 80에서, 9224b는 부착 방향(Q)에서 우측 상의 부착 방향(Q)에서의 슬라이딩 안내부(361)의 통로, 노치, 또는 오목부인 간극을 나타내고, 9204b는 피식별 돌출부로서 작용하는 슬라이딩 안내부들 사이의 돌출부를 나타낸다.
도 81에서, 9225b는 부착 방향(Q)에서 좌측 상의 부착 방향(Q)에서의 슬라이딩 안내부(361)의 통로, 노치, 또는 오목부인 간극을 나타내고, 9205b는 피식별 돌출부로서 작용하는 슬라이딩 안내부들 사이의 돌출부를 나타낸다.
도 78 내지 도 81에서 예시된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제 4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슬라이딩 안내부들 사이의 돌출부들(9201b, 9202b, 9204b, 및 9205b)의 각각이 종방향에서의 슬라이딩 안내부들(361 및 361)의 중심들에 비해 부착 방향에서의 하류 측(토너 용기의 전방 단부 근처) 상의 위치로 신장된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안내부들 사이의 돌출부들(9201b, 9202b, 9204b, 및 9205b)의 각각은 그 일 단부가 슬라이딩 안내부들의 전방 단부들(361b 및 361b) 근처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슬라이딩 안내부들 사이의 돌출부들(9201b, 9202b, 9204b, 및 9205b)의 각각의 단부가 슬라이딩 안내부들의 전방 단부들(361b) 근처에 위치되므로, 틀린 토너 용기(32)가 부착될 때, 부착 방향에서의 하류 측 상의 슬라이딩 안내부들 사이의 돌출부들(9201b, 9202b, 9204b, 및 9205b)의 각각의 벽 표면은 토너 용기(32)가 삽입 구멍부(71)의 삽입 구멍(71a) 내로 진입된 직후에 식별 돌출부(90)에 피팅된다. 본 실시형태와 반대로, 피식별 돌출부는 슬라이딩 안내부들 사이의 전방 단부들(361b)로부터 멀어지게 위치되도록 슬라이딩 안내부들(361)의 용기 후방 측 상에 구비될 경우, 슬라이딩 안내부들 사이의 전방 단부들(361b)이 삽입 구멍 기저부(71b)를 가로질러 홈통(74) 내로 진입된 후에, 피식별부(92)가 식별 돌출부(90)와 접촉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삽입 구멍부(71)는 조작자에 의해 터치될 가능성이 있고, 그러므로, 부착 방향에서의 삽입 구멍부(71)에 비해 후방 측에 배치된 용기 수납부(72) 및 홈통(74)의 재료들보다 더 연성이고 더욱 플렉시블인 재료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의 후방 측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고 있는 동안에 토너 용기(32)가 부착 방향으로 밀어질 경우, 굴곡되기 어려운 슬라이딩 안내부들의 전방 단부들(361b) 및 홈통(74) 사이의 접촉부는 삽입 구멍 기저부(71b) 또는 삽입 구멍 기저부(71b)로부터 돌출되는 식별 돌출부(90)가 굴곡되게 하기 위한 지주로서 작동한다. 식별 돌출부(90)가 굴곡될 경우, 피식별부(92)는 식별 돌출부(90) 상부에서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어서, 토너 용기(32)는 틀린 위치에서 부착될 수도 있다.
대조적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82a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안내부들의 전방 단부들(361b)이 홈통(74) 내로 진입되기 전에 삽입 구멍 기저부(71b) 상에 위치될 때에는, 슬라이딩 안내부들 사이의 돌출부들(피식별부들)(9201b, 9202b, 9204b, 및 9205b)의 각각이 식별 돌출부(90)와 접촉한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32)의 후방 단부가 토너 용기(32)의 부착 동작 동안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고 있으면서, 토너 용기(32)가 부착 방향으로 밀어지더라도, 슬라이딩 안내부들의 전방 단부들(361b) 및 삽입 구멍 기저부(71b) 사이의 접촉 위치는 지주로서 작동하므로, 식별 돌출부들(90)은 토너 용기(32)의 수직 이동에 따라 굴곡된다. 그러므로, 슬라이딩 안내부들 사이의 돌출부들(9201b, 9202b, 9204b, 및 9205b)의 각각은 식별 돌출부(90) 상부에서 거의 통과할 수 없어서, 토너 용기(32)가 틀린 위치에서 부착되는 것을 신뢰성 있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82a에서 예시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안내부들 사이의 돌출부들(9201b, 9202b, 9204b, 및 9205b)의 각각은, 그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 사이에 좁은 클리어런스 간극을 각각 가지는, 슬라이딩 홈들(361)의 슬라이딩 홈의 전방부들(361)이 도 82b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구속 리브들(93)을 사이에 끼우는 위치에서 식별 돌출부(90)와 접촉한다.
그러므로, 슬라이딩 안내부들(361) 및 구속 리브들(93)에 의한 수직 구속이 강화되는 동안에는, 슬라이딩 안내부들 사이의 돌출부들(9201b, 9202b, 9204b, 및 9205b)의 각각과 식별 돌출부(90)가 서로 접촉한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32)의 수직 이동이 구속되는 동안에는, 슬라이딩 안내부들 사이의 돌출부들(9201b, 9202b, 9204b, 및 9205b)의 각각과 식별 돌출부(90)가 서로 접촉하여, 슬라이딩 안내부들 사이의 돌출부들(9201b, 9202b, 9204b, 및 9205b)의 각각이 식별 돌출부들(90) 상부에서 통과하는 것을 신뢰성 있게 방지하고 토너 용기(32)가 틀린 위치에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안내부들(361 및 361) 및 구속 리브들(93)에 의한 수직 이동을 구속하는 것뿐만 아니라, 토너 컬러들, 토너 성분들, 및 장치 모델들에 따라, 식별 돌출부(90)의 장소들을 설정하고, 그리고 슬라이딩 안내부들 사이의 돌출부의 각각의 장소들, 치수들, 및 존재 또는 부재, 돌출부들 사이의 간극, 및 슬라이딩 안내부의 간극을 설정함으로써, 돌출부들의 간단한 계합/계합해제에 기초한 비호환성 관계들이 아니라, 양호한 동작성을 보장하면서 토너 용기(32) 및 토너 용기 유지부(70) 사이의 비호환성 관계들의 변동들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부착가능하지 않은 토너 용기가 부착되는 것을 더욱 신뢰성 있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식별부(90), 피식별부(92), 및 구속 리브들(93)의 구성들은 제 1 실시형태에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제 2 및 제 3 실시형태들에서 토너 용기의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 및 삽입 구멍(71a) 사이의 관계에 적용된다. 이 경우들에도, 본 실시형태들의 효과들과 동일한 동일한 유리한 효과들이 얻어질 수 있다.
제 6 실시형태
제 6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내지 제 5 실시형태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 대한 토너 용기(32)의 방사상 구속기의 또 다른 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83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설정 커버의 내부 표면(608c)으로부터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설정 커버 돌출부들(608e)은 설정 커버(608) 상의 원주 방향에서의 3 개의 균등하게 이격된 위치들에서 구비된다.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가 용기 커버 수납부(73) 내로 진입될 때,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외부 표면은 설정 커버 돌출부들(608e)과 접촉하여, 토너 용기(32)의 이동이 안내되고 방사상 위치가 결정된다.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는 설정 커버 돌출부들(608e)과 대향할 수 있는 오목부들을 포함한다.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서의 부착 방향(Q)으로 미리 결정된 위치로 밀어질 때, 오목부들은 설정 커버 돌출부들(608e)과 대향하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외부 표면 및 설정 커버 돌출부들(608e)에 의한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방사상 구속이 해제된다.
토너 용기(32)가 제 6 실시형태에서의 예로서 설명되지만, 본 실시형태는 나선형 홈이 용기 몸체(1033)의 외부 표면 상에 구비되지 않고 스쿠핑 기능을 가지는 반송기가 용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는, 도 50에서 예시된 바와 같은 제 2 실시형태의 토너 용기(1032)에 적용될 수도 있다.
제 7 실시형태
제 7 실시형태에서는,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 대한 토너 용기(32)의 원주 구속기의 또 다른 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84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에는 그 외부 표면 상에서 원주 구속기로서 작용하는 원주 구속 홈이 구비된다. 원주 구속 홈은 용기 전방 단부 커버의 외부 표면(34b)으로부터 내부를 향해 구비된다. 이하, 원주 구속 홈은 안내부 또는 원주 포지셔너로서 작용하는 회전 구속 오목부(342b)로서 지칭된다. 회전 구속 오목부(342b)는,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 부착될 때, 본체 측의 볼록부로서 작용하며 도 83에서 예시된 설정 커버(608) 상에 구비되는 오목부(77b) 내로 진입되도록 배치된다.
아래에서는,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 대한 제 6 및 제 7 실시형태들의 모든 포지셔너들의 구속 및 해제의 순서가 도 85a 내지 도 85d 및 도 86a 내지 도 86e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설정 커버 돌출부들(608e), 회전 구속 오목부(342b), 및 설정 커버의 볼록부(77b)의 구성들이 상이하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순서는 도 38a 내지 도 38d와, 도 44a 내지 도 44e에서 예시된 바와 같은 순서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므로, 아래에서는, 설명이 적절하게 단순화될 것이다.
도 85a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토너 용기 유지부(70)의 용기 수납부(72)의 홈통(74) 상에 토너 용기(32)를 위치시키고 토너 용기(32)를 부착 방향(Q)으로 밀 때(부착 동작을 수행함), 토너 용기(32)는 홈통(74) 상에서 슬라이딩한다. 이 때, 도 22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의 상향 안내부의 측부들(35b)이 홈통(74)과 대향하는 천장 표면(76)으로부터 구비된 돌출부들(76a)과 접촉하는 동안에 토너 용기(32)가 슬라이딩한다. 그러므로, 수직 방향(Z)에서의 토너 용기(32)의 이동이 구속되는 동안에, 토너 용기(32)는 부착 방향(Q)으로 밀어질 수 있다. 또한, 수직 방향에서의 이동은 상향 안내부(35) 위의 상향 안내부의 상단부(35a)에 의해서가 아니라, 상향 안내부의 상단부(35a)의 양 측들 상에 구비된 상향 안내부의 측부들(35b)에 의해 구속된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32)가 밀기 동작 동안에 수평 방향에서 이탈되더라도, 토너 용기(32)는 신뢰성 있게 천장 표면(76) 측과 접촉하게 될 수 있다.
토너 보급 디바이스(60) 측 상에서는, 도 85b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제 1 안내부들로서 작용하는 슬라이딩 홈의 전방부들(361c)이 부착 방향(Q)에서 각각의 안내 레일들(75 및 75)의 가장 상류 측으로 진입된다. 그러므로, 부착 방향(Q)에 수직인 폭 방향(W) 및 수직 방향(Z)에서의 위치들이 대략적으로 결정된다(제 1 구속된 상태).
제 1 구속된 상태에서의 토너 용기(32)가 부착 방향(Q)으로 더욱 밀어질 때, 도 85c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셔터의 단부 표면(332h) 및 반송 노즐의 전방 단부(611a)는 서로 접촉한다. 토너 용기(32)가 부착 방향(Q)으로 더욱 밀어질 때에는, 도 85d에서 예시된 바와 같은 제 2 구속된 상태가 얻어지고, 이 제 2 구속된 상태에서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전방 단부가 용기 커버 수납부(73) 내로 진입된다. 용기 커버 수납부(73)로의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전방 단부의 진입으로 인해, 용기 커버의 외부 표면(34b)은 내부 측으로부터, 설정 커버의 내부 표면(608c) 상에 구비된 설정 커버 돌출부들(608e)과 접촉한다. 용기 커버의 외부 표면(34b) 및 설정 커버의 내부 표면(608c)의 설정 커버 돌출부들(608e) 사이의 접촉으로 인해, 토너 용기(32)의 이동이 안내되고 방사상 이동이 구속된다.
제 2 구속된 상태에서의 토너 용기(32)가 부착 방향(Q)으로 더욱 밀려질 때, 용기 밀봉부(333) 및 노즐 셔터 플랜지(612a)는 도 86a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의 토너 용기(32)가 부착 방향(Q)으로 더욱 밀어질 때, 도 86b에서 예시된 바와 같은 제 3 구속된 상태가 얻어진다. 제 3 구속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딩 홈들의 전방부들(361c)이 안내 레일들(75)로부터 탈락하고, 도 44b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Z)은 제 2 안내부들로서 작용하는 슬라이딩 홈들의 중심부들(361d)에 의해 구속된다. 또한,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전방 단부의 용기 커버의 외부 표면(34b) 상에 구비된 회전 구속 오목부(342b)는 설정 커버(608) 상에 구비된 볼록부(77b) 내로 진입된다. 그러므로,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 및 설정 커버(608)(용기 커버 수납부(73))가 통합되고, 원주 방향(R)에서의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이동이 구속되어,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는 용기 몸체(33)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지 않는다.
제 3 구속된 상태에서의 토너 용기(32)가 부착 방향(Q)으로 더욱 밀어질 때에는, 도 86c에서 예시된 바와 같은 제 4 구속된 상태가 얻어지고, 이 제 4 구속된 상태에서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 상에 구비된 오목부들이 설정 커버 돌출부들(608e)과 대향하도록 위치된다. 그러므로,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외부 표면 및 설정 커버 돌출부들(608e)에 의한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방사상 구속이 해제된다.
제 4 구속된 상태에서의 토너 용기(32)가 부착 방향(Q)으로 더욱 밀어질 때에는, 도 86d에서 예시된 바와 같은 제 5 구속된 상태가 얻어지고, 이 제 5 구속된 상태에서는, 용기 개구부(33a)가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615a)(설정 커버(608)) 내로 진입되고, 용기 몸체(33)가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615a)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때,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원주 위치는 회전 구속 오목부(342b) 및 설정 커버의 볼록부(77b)에 의해 구속되어, 용기 개구부(33a) 및 용기 설정부(615)는 각각의 중심들이 서로 일치하도록 서로 짝을 이룰 수 있다. 그러므로, 용기 설정부(615)로의 용기 개구부(33a)의 이탈된 방식으로의 삽입으로 인해 용기 셔터(332)로부터의 토너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용기 개구부(33a)가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615a) 내로 진입될 때, 용기 커버의 외부 표면(34b) 및 설정 커버 돌출부들(608e)에 의한 방사상 구속이 이미 해제되어, 회전 구속 오목부(342b)에 의한 원주 구속은 간섭되지 않는다.
제 5 구속된 상태에서의 토너 용기(32)가 부착 방향(Q)으로 더욱 밀어질 때, 도 86e에서 예시된 바와 같은 제 6 구속된 상태가 얻어진다. 제 6 구속된 상태에서는, 용기 개구부(33a)가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615a) 내로 더욱 진입되고,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들(78 및 78)은 용기 피계합부들(339 및 339)의 각각의 피계합 개구부들(339d) 내로 진입되고 이들에 피팅된다(도 49 참조). 그러므로, 토너 용기(32)는 종방향(회전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설정 위치에서 유지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회전 구속부가 용기 커버의 외부 표면(34b)에 대해 볼록한 형상을 가질 경우, 그리고 낙하 등으로 인해 볼록부에 충격 또는 힘이 가해질 경우에는, 응력이 집중되고 회전 구속부가 손상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회전 구속부가 용기 전방 단부 커버의 외부 표면(34b)에 대해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회전 구속 오목부(342b)로서 구비될 경우에는, 회전 구속부가 예를 들어, 낙하 시에 바닥과 접촉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회전 구속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87a 내지 도 87f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IC 칩(700)을 포함하는 분체 용기로서의 토너 용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6 개의 도면들이다. 도 87a 내지 도 87f에서 예시된 토너 용기(32)는 나선형 홈이 구비된 용기 몸체(33)와, IC 칩(700)이 그 위에 구비되는 커버부로서 작용하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를 포함한다. 도 87a는 우측면도이고, 도 87b는 좌측면도이고, 도 87c는 정면도이고, 도 87d는 배면도이고, 도 87e는 평면도이고, 도 87f는 저면도이다.
제 8 실시형태
제 8 실시형태에서는, 분체 용기로서 작용하는 토너 용기의 커버부의 구성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커버부로서 작용하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구성과는 상이하고, 토너 용기가 부착되는 용기 유지부의 구성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용기 유지부로서 작용하는 토너 용기 유지부(70)의 구성과는 상이하다. 또한, 토너 용기 및 토너 용기 유지부(토너 보급 디바이스(60)) 사이의 호환성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기구의 구성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식별 기구의 구성과는 상이하다. 그러므로, 제 8 실시형태에서는, 커버부, 용기 유지부, 및 식별 기구가 주로 설명될 것이다. 위에서 설명된 구성들과 동일한 구성들을 가지는 용기 몸체(33 또는 1033) 및 다른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고, 동일한 설명은 적절하게 생략될 것이다.
도 88a, 도 88b, 도 89, 도 90, 도 91a, 및 도 91b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작용하는 토너 용기(2032)는 화상 형성을 위한 분체로서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용기 몸체(33)와, 용기 몸체(33)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 용기 커버로서 작용하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를 포함한다. 용기 몸체(33)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유지된다.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는, 일 단부가 개방되고 용기 몸체(33)의 용기 개구부(33a)가 부착 방향에서의 용기 커버의 전방 단부(2034c)로부터 돌출되도록 원통형 형상으로 구비된다.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가 용기 몸체(33)에 부착될 때, 용기 몸체(33)의 용기 기어(301)의 일부(도 6의 후방 측)가 노출될 수 있도록, 기어 노출 개구부(2034a)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의 외부 표면(2034b) 상에 배치된다.
용기 몸체(33)의 커버 후크 스톱퍼들(306)과 계합되는 커버 후크들(2340)은 부착 방향에서의 용기 전방 단부 커버의 전방 단부(2034c) 상의 원주 방향에서의 3 개의 위치들에서 배치된다. 그러므로, 용기 몸체(33) 및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는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용기 피계합부들(2339 및 2339)은 축선 방향에서 도 92 내지 도 94에서 예시된 토너 용기 유지부(2070(토너 보급 디바이스(60))와 관련하여 토너 용기(2032)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용기 전방 단부 커버의 외부 표면(2034b) 상에 구비된다. 토너 용기(2032)가 토너 용기 유지부(2070)(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 부착될 때,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들(78 및 78)은 각각의 용기 피계합부들(2339 및 2339)과 계합된다.
용기 피계합부들(2339 및 2339)의 각각의 기능 및 구성은 도 7 및 도 29a 및 도 29b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용기 피계합부들(339)의 것들과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도 89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피계합부들(2339)의 각각은 안내 돌출부(2339a), 안내 홈(2339b), 범프(2339c), 및 안내부, 축선 구속기, 축선 조절기, 축선 포지셔너, 또는 축선 안내부로서 작용하는 피계합 개구부(2339d)를 포함한다. 용기 피계합부들(2339)의 2 개의 세트들은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의 좌측 및 우측 상에 각각 배치되고, 여기서, 용기 피계합부(2339)의 하나의 세트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안내 돌출부(2339a), 안내 홈(2339b), 범프(2339c), 및 피계합 개구부(2339d)를 포함한다. 그런데, 용기 피계합부들(2330 및 2339)은 서로 대향하도록, 그리고 용기 개구부(33a)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 라인에 대해 경사지도록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에 배치되는 반면, 용기 피계합부들(339 및 339)은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 상에서 대략 수평 방향에서 위치된다는 점에서, 용기 피계합부들(2339)은 용기 피계합부들(339)과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피계합 개구부들(2339d) 중의 하나는 기어 노출 개구부(2034a) 위에 위치되고 피계합 개구부들(2339d) 중의 다른 하나는 기어 노출 개구부(2034a) 아래에 위치되도록, 피계합 개구부들(2339d 및 2339d)은 용기 개구부(33a)의 중심을 가로질러 좌측 및 우측 상에 배치된다. 안내 돌출부들(2339a)의 각각은 토너 용기(2032)의 종방향에 수직인 수직 평면 상에, 그리고 용기 몸체(33)의 회전 축선을 통과하는 경사 라인 상에 위치되도록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의 용기 전방 단부 상에서 배치된다. 안내 돌출부들(2339a)의 각각은, 토너 용기(2032)가 부착될 때에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들(78)과 접촉하고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들(78)을 안내 홈들(2339b)에 안내하도록, 안내 홈들(2339b)의 각각에 연결된 경사 표면을 포함한다. 안내 홈들(2339b)의 각각은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의 측부 표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 홈이다.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들(78)이 안내 홈들(2339b)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안내 홈들(2339b)의 각각의 폭은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들(78)의 각각의 폭보다 약간 더 넓도록 설정된다. 안내 홈들(2339b)의 용기 후방 단부들은 각각의 피계합 개구부들(2339d)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종단되고,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의 측부 표면들과 동일한 높이에서 위치된다. 즉, 약 1 mm의 폭을 갖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의 외부 표면(2034b)은 안내 홈들(2339b)의 각각 및 사각형 피계합 개구부들(2339d)의 각각 사이에 노출되고, 이 부분은 범프(2339c)로서 작용한다.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들(78)은 범프들(2339c) 상에서 통과하고 피계합 개구부들(2339d) 내에 떨어져서, 토너 용기(2032) 및 토너 용기 유지부(2070)(토너 보급 디바이스(60))는 서로 계합된다. 이 상태는 토너 용기(2032)의 설정 위치(설정 상태)이다.
도 90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셔터(332)는 회전 축선에 수직인 가상 평면 상에서 2 개의 용기 피계합부들(2339)을 연결하는 세그먼트의 중심에서 위치된다. 용기 셔터(332)가 2 개의 용기 피계합부들(2339)을 연결하는 세그먼트 상에 위치되지 않을 경우, 다음의 상황들이 발생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 셔터 스프링(336) 및 노즐 셔터 스프링(613)의 바이어싱 힘들로 인해, 힘의 모멘트가 작동하여 세그먼트 주위로 토너 용기(2032)를 회전시키고, 여기서, 모멘트 아암은 세그먼트로부터 용기 셔터(332)까지의 거리이다. 힘의 모멘트의 작동으로 인해, 토너 용기(2032)는 토너 용기 유지부(2070)(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 대해 경사질 수도 있다. 이 경우, 토너 용기(2032) 상의 부착 부하가 증가하여, 부하는 용기 셔터(332)를 유지하며 안내하는 노즐 수납부(330)에 가해진다. 특히, 토너 용기(2032)가 새로운 것이고 토너로 적절하게 채워질 경우, 그리고 수평 방향에서 돌출되는 반송 노즐(611)을 삽입하도록 토너 용기(2032)가 후방 측으로부터 밀어질 때, 힘의 모멘트가 작동하여 토너 용기(2032)를 추가된 토너의 중량과 함께 회전시킨다. 그러므로, 부하는 반송 노즐(611)이 삽입되는 노즐 수납부(330)에 가해지고, 노즐 수납부(330)는 최악의 경우에 변형 또는 파손될 수도 있다. 대조적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토너 용기(2032)에서는, 용기 셔터(332)가 2 개의 용기 피계합부들(2339)을 연결하는 세그먼트 상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용기 셔터(332)의 위치에서 작동하는 용기 셔터 스프링(336) 및 노즐 셔터 스프링(613)의 바이어싱 힘들로 인해, 토너 용기(2032)가 토너 용기 유지부(2070)(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 대하여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88a, 도 88b, 도 89, 도 90, 및 도 91a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IC 태그(2700) 및 유지부(2343)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 상에 구비되고, 여기서, IC 태그(2700)는 IC 칩, 정보 저장 매체, 또는 토너 용기(2032)의 정보 저장 디바이스로서 작용하고, 유지부(2343)는 IC 태그(2700)에 대한 IC 태그 유지부로서 작용한다. IC 태그(2700)는 접촉-타입 통신 시스템을 채용한다.
도 89, 도 90, 및 도 91a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IC 태그(2700)에서는, 제 1 금속 패드(2710a) 내지 제 4 금속 패드(2701d)와 같은 다수의 직사각형 금속 패드들(금속 판들)이 직사각형 기판(2702)의 표면 상에 나란하게 배치된다. 제 4 금속 패드(2710d)는 접지(어스)를 위한 어스 단자이다. 정보 저장 유닛은 기판(2702)의 후방 표면 상에 구비된다.
제 1 금속 패드(2710a) 내지 제 4 금속 패드(2710d)가 부착 방향에서 하류 측 상에 위치되도록,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IC 태그(2700)는 유지부(2343)에 의해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 상에 유지된다. 유지부(2343)는 수직 표면(2034d)에 비해 부착 방향(Q)에서 돌출되도록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유지부(2343)는 토너 용기(2032)의 원주 구속기로서 기능하고, 그러므로,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용이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와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그러나, 유지부(2343) 및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의 상대적 위치가 관리될 수 있는 한, 유지부(2343)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로부터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고, 본딩, 용접, 또는 체결과 같은 연결 수단에 의해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 상에 일체적으로 장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의 형상을 단순화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프로세싱 비용들이 감소될 수 있다.
유지부(2343)는 용기 피계합부들(2339 및 2339)을 연결하는 경사진 세그먼트에 대략 평행하도록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 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용기 피계합부들(2339 및 2339) 사이의 대략 중간 위치에서 배치된다. 그러므로, 기어 노출 개구부(2034a)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 상에 구비된 기어 노출 개구부(34a)의 위치와는 상이한 대략 수평 위치에서 구비된다. 안내부들, 유지부의 양 표면들, 원주 구속기, 원주 조절기들, 원주 포지셔너들, 또는 수직 방향에서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원주 안내부들로서 작용하는 양 측부 표면들(2343a 및 2343b)은 유지부(2343)의 종방향에서 위치된다.
유지부(2343)는 토너 용기(2032)의 회전 축선을 따라 용기 전방 측으로부터 관측될 때에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의 비스듬한 상부 좌측 공간에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토너 용기(2032)가 다른 컬러들의 다른 토너 용기들(2032)과 직렬로 배치될 때에 데드 공간이 되는 비스듬한 상부 좌측 공간을 이용함으로써, 유지부(2343)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 상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원통형 토너 용기들(2032)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소형 크기의 토너 보급 디바이스(60)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90에서 주로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는, 토너 용기(2032)가 프린터(100)(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부착될 때, 부착되는 토너 용기(2032)를 부착 방향 이외의 방향들에서 이동하는 것으로부터 구속함으로써, 도 92 및 도 93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개구부(33a)를 용기 설정부(615)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한다.
도 90, 도 91a, 및 도 91b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슬라이딩 안내부들(2361 및 2361)은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의 하부(2034g)의 양 측부 표면들 상에 구비되고, 여기서, 슬라이딩 안내부들(2361 및 2361)은 수직 방향에서의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한 쌍의 안내부들, 수직 구속기들, 수직 조절기들, 수직 포지셔너들, 또는 수직 안내부들로서 작용하고, 하부(2034g)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의 외부 표면의 하부로 작용한다. 슬라이딩 안내부들(2361 및 2361)의 각각은 상부 안내부로서 작용하는 상부 표면(2361A) 및 하부 안내부로서 작용하는 하부 표면(2361B)를 포함하고, 그 각각은 용기 몸체(33)의 종방향을 따라 신장된다. 슬라이딩 홈들(2361a 및 2361a)은 상부 표면들(2361A) 및 하부 표면들(2361B) 사이에 각각 구비된다. 도 92, 도 93, 도 94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서의 안내 레일들(2075 및 2075)의 각각이 수직 방향에서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슬라이딩 홈들(2361a)의 각각은 용기 몸체(33)의 회전 축선에 대해 평행하게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표면들(2361A) 및 하부 표면들(2361B)은 각각의 안내 레일들(2075)을 수직 방향에서 사이에 끼워서, 토너 용기(2032)가 프린터(100)(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부착될 때, 슬라이딩 안내부들(2361 및 2361)은 수직 방향(Z) 및 부착/탈착 방향에 수직인 폭 방향(W)에서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의 포지셔너들로서 기능하고, 이것에 의하여, 수직 방향(Z) 및 폭 방향(W)에서 토너 용기(2032)의 이동을 구속한다.
즉, 토너 용기(2032)가 프린터(100)(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부착될 때에 용기 개구부(33a)를 용기 커버 수납부(2073)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들로서,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는 수직 구속기들로서 작용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안내부들(2361 및 2361), 원주 구속기들로서 작용하는 유지부(2343)의 양 측부 표면들(2343a 및 2343b), 및 축선 구석기들로서 작용하는 피계합 개구부들(2339d)을 갖는 용기 피계합부들(2339)을 포함한다.
토너 용기 유지부(2070)(토너 보급 디바이스(60))의 구성은 도 92, 도 93, 및 도 9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에 예시된 토너 용기 유지부(70) 대신에, 토너 용기(2032)가 부착되는 토너 용기 유지부(2070)가 프린터(100)(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서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일의 토너 용기(2032)가 부착되는 토너 용기 유지부(2070)가 설명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단색 화상 형성 장치는 프린터(100)(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서 단일 토너 용기 유지부(2070)를 포함하고, 멀티컬러 화상 형성 장치는 프린터(100)(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서의 컬러들의 수와 동일한 수의 토너 용기 유지부들(2070)을 포함한다. 토너 용기 유지부(2070)에서 설정된 토너 용기(2032)는 보급 타이밍에서, 토너를 토너 용기에 수용된 토너의 컬러에 대응하는 현상 디바이스에 공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토너 보급 디바이스(60)는 토너 용기 유지부(2070), 반송기로서 작용하는 반송 노즐(611), 반송 노즐(611) 내부에 배치된 장치 본체 반송기로서 작용하는 반송 스크류(614), 구동부로서 작용하는 용기 회전부(2091), 및 토너 낙하 통로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부착 방향(Q)으로 토너 용기(2032)를 밀기 위한 부착 동작을 수행하고 토너 용기(2032)가 프린터(100)(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의 토너 용기 유지부(2070) 내부에서 이동될 때,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의 반송 노즐(611)은 부착 동작과 함께, 부착 방향(Q)으로 토너 용기(2032)의 전방 측으로부터 삽입된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2032) 및 반송 노즐(611)은 서로 연통한다.
토너 용기 유지부(2070)는 용기 커버 수납부(2073), 용기 수납부(2072), 및 도 97에서 예시된 삽입 구멍부(2071)를 주로 포함한다. 용기 커버 수납부(2073)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 및 토너 용기(2032)의 용기 몸체(33)를 유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용기 수납부(2072)는 토너 용기(2032)의 용기 몸체(33)를 유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삽입 구멍부(2071)에는, 도 97에서 예시된 바와 같은 토너 용기(2032)의 부착 동작에서 이용된 삽입 개구부로서 작용하는 삽입 구멍(2071a)이 구비된다. 복사기(500)의 전방 측(도 2의 시트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전방 측) 상에 배치된 본체 커버가 개방될 때, 토너 용기 유지부(2070)의 삽입 구멍부(2071)가 노출된다. 다음으로, 토너 용기(2032)가 그 종방향이 수평 방향에 대해 평행하도록 배향되는 동안에, 토너 용기(2032)의 부착/탈착 동작(부착/탈착 방향으로서 취해진 토너 용기들(2032)의 종방향과의 부착/탈착 동작)은 복사기(500)의 전방 측으로부터 수행된다. 그런데, 설정 커버(2608)는 토너 용기 유지부(70)의 용기 커버 수납부(2073)의 일부이다.
용기 수납부(2072)는 그 종방향 길이가 용기 몸체(33Y)의 종방향 길이와 대략 동일해지도록 구비된다. 용기 커버 수납부(2073)는 종방향(부착/탈착 방향)에서 용기 수납부(2072)의 용기 전방 측 상에 배치되고, 삽입 구멍부(2071)는 종방향에서 용기 수납부(2072)의 일 단부 상에 배치된다. 토너 용기(2032)는 용기 수납부(2072) 상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2032)의 부착 동작과 함께,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는 먼저 삽입 구멍부(2071)를 통과하고, 잠시 동안 용기 수납부(2072) 상에서 슬라이딩하고, 최종적으로 용기 커버 수납부(2073)에 부착된다.
도 95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가 용기 커버 수납부(2073)에 부착되는 동안에, 구동 모터(603) 및 다수의 기어들을 포함하는 용기 회전부(2091)는 장치 본체 기어로서 작용하는 용기 구동 기어(601)를 통해 회전 구동을 용기 몸체(33)에 구비된 용기 기어(301)에 입력한다. 그러므로, 용기 몸체(33)는 도 95에서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된다. 용기 몸체(33)의 회전으로, 용기 몸체(33)의 내부 표면 상에서 나선형 형상이 구비된 나선형 홈(302)은 용기 몸체(33)에 저장된 토너를 용기 몸체(33)의 종방향을 따라 반송한다. 반송된 토너는 반송 노즐(611) 상에 구비된 분체 수납 구멍으로서 작용하는 노즐 구멍(610)을 통해, 토너 용기(2032)의 타 단부 상에 있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로부터 반송 노즐(611)의 내부로 공급된다. 다음으로, 회전 구동이 구동부로서 작용하는 용기 회전부(2091)의 반송기 스크류 기어(605)에 입력될 때, 반송 노즐(611) 내부에 배치된 반송 스크류(614)가 회전하여, 반송 노즐(611)에서 공급된 토너가 반송된다. 그 다음으로, 토너는 반송 방향에서 반송 노즐(611)의 하류 단부에 연결된 토너 낙하 통로를 통해 현상 디바이스(50)(제 2 현상제 수용부(54))에 보급된다.
(수용된 토너의 거의 전부가 소비되기 때문에, 용기가 비워질 때) 토너 용기(2032)는 그 수명의 종료 시에 새로운 것으로 교체된다. 토너 용기(2032)가 교체되어야 할 때, 조작자는 부착된 토너 용기(2032)를 끌어내고 이를 탈착하기 위하여, 종방향에서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와 대향하는 토너 용기(2032)의 일 단부 상에 배치되는 그립퍼(303)를 잡을 수 있다.
용기 회전부(2091)의 구성은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용기 회전부(2091)는 용기 회전부(91Y)와 유사하게, 용기 구동 기어(601) 및 반송기 스크류 기어(605)를 포함한다. 도 92 및 도 95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장착 프레임(602)에 고정된 구동 모터(603)가 구동되고 출력 기어(603a)가 회전될 때, 반송기 스크류 기어(605)가 회전한다(도 92 참조). 용기 구동 기어(601)는 다수의 결합된 기어들(604)을 통해 반송기 스크류 기어(605)로부터의 출력 기어(603a)의 회전을 받아들임으로써 회전한다.
도 92, 도 93, 및 도 94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설정 커버(2608)는 용기 커버 수납부(2073) 상에 배치된다. 반송 노즐(611)은 설정 커버(2608)의 중심에 배치된다. 도 94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반송 노즐(611)은 토너 용기(2032)의 부착 방향에서의 하류 측 상의 용기 설정부의 단부 표면(615b)으로부터 용기 커버 수납부(2073) 내부의 부착 방향에서의 상류 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용기 수납부로서 작용하는 용기 설정부(615)는 반송 노즐(611)을 둘러싸도록, 반송 노즐(611)의 돌출 방향에서, 즉, 토너 용기(2032)의 부착 방향에서 상류 측을 향해 기립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 설정부(615)는 반송 노즐(611)의 기저부에서 배치되고, 용기 개구부(33a)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포지셔너로서 작용한다. 용기 개구부(33a)가 용기 설정부(615)내에 삽입되어 용기 설정부(615)와 짝을 이루게 될 때, 용기 개구부(33a)의 방사상 위치가 결정된다.
도 94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부착 방향으로부터 관측될 때에 부착 방향에서 하류 측 상에 위치된 반송 노즐(611)의 기저부에서는, 토너 용기(2032)가 토너 용기 유지부(2070)에 부착될 때에 용기 개구부(33a)가 피팅되는 용기 설정부(615)가 구비된다. 용기 설정부(615)는 반송 노즐(611)의 기저부에서 위치되고, 용기 개구부(33a)가 삽입되는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615a)에 비해 토너 용기(2032)의 부착 방향에서의 하류 측 상에서 용기 설정부의 단부 표면(615b)을 포함한다. 용기 설정부의 단부 표면(615b) 상에서, 용기 설정부의 단부 표면(615b)으로부터 토너 용기(2032)의 부착 방향에서의 상류 측으로 돌출되는 스프링 고정부들(615c)은 노즐 셔터 스프링(613)의 외주를 따라 8 개의 균등하게 이격된 위치들에서 구비된다. 노즐 셔터 스프링(613)의 외주를 덮도록 스프링 고정부들(615c)을 위치시킴으로써, 노즐 셔터 스프링(613)의 방사상 이동을 구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노즐 셔터 스프링(613)이 방사상 방향에서 이탈된 동안에 토너 용기(2032)가 설정되는 것을 방지하고, 노즐 셔터 스프링(613)이 용기 설정부의 단부 표면(615b) 및 용기 개구부(33a)의 전방 단부(33c) 사이에서 포획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토너 용기(2032)를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 부착하기 위한 불량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토너 용기(2032)가 토너 용기 유지부(2070)에 부착될 때, 토너 용기(2032)의 용기 개구부의 외부 표면(33b)은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615a)과 짝을 이룬다.
용기 설정부(615)의 내부 표면(615a) 및 토너 용기(32)의 용기 개구부의 외부 표면(33b)을 서로에 대해 짝을 이룸으로써, 토너 용기(2032)의 종방향에 수직인 방사상 방향에서의 토너 용기 유지부(2070)와 관련된 토너 용기(2032)의 위치가 결정된다. 또한, 토너 용기(2032)가 회전할 때, 용기 개구부의 외부 표면(33b)은 회전 축으로서 기능하고,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615a)은 베어링으로서 기능한다. 이 때, 용기 개구부의 외부 표면(33b)은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615a)의 일부들로서 접촉 표면들(615d)과 슬라이딩 접촉하고, 토너 용기 유지부(2070)와 관련된 토너 용기(2032)의 방사상 위치가 결정된다.
도 94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W)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그리고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들(78 및 78)이 설정 커버(2608)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설정 커버의 내부 표면(2608c) 측으로 전후로 이동하게 하도록, 설정 커버(2608)에는 구멍들(2608d 및 2608d)이 구비된다. 토너 용기(2032)가 부착될 때에 용기 피계합부들(2339 및 2339)와 대향하도록, 구멍들(2608d 및 2608d)은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들(78 및 78)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들(782)과 같은 바이어싱 수단에 의해 설정 커버(2608)의 외부 측으로부터 내부 측으로 바이어싱된다.
설정 커버(2608)는, 토너 용기(2032)가 부착될 때에 IC 태그(2700)와 접촉함으로써 IC 태그(2700)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커넥터(2800)를 포함하고, 커넥터(2800)를 실장하기 위한 안내부(2801)를 포함한다. 안내부(2801)는, 방사상 방향에서 설정 커버(2608)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삽입 방향에서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의 전방 표면과 대향하는 측으로부터 신장되는 직사각형 공간이다. 안내부(2801)의 크기는 안내부(2801)가 커넥터(2800) 및 IC 태그(2700)의 유지부(2343)를 실장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안내부(2801)는 원주 구속기로서 작용한다.
도 94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2800)는 제 1 금속 패드(2710a) 내지 제 4 금속 패드(2710d)와 각각 접촉할 수 있는 4 개의 장치 본체 단자들(제 1 장치 본체 단자(2804a) 내지 제 4 장치 본체 단자(2804d))을 포함한다. 그런데, 제 4 장치 본체 단자(2804d)는 어스 단자로서 작용하는 제 4 금속 패드(2710d)와 접촉할 수 있는 본체의 어스 단자로서 작용한다. 커넥터(2800)는 부착 방향(Q)에서의 하류 측 상의 안내부(2801)의 내부 후방 측 상에 배치된다. 토너 용기(2032)가 토너 용기 유지부(2070)의 용기 장착부로서 작용하는 홈통 (2074) 상의 부착 방향(Q)으로 이동될 때, 커넥터(2800)는 IC 태그(2700)의 패드들과 접촉하고 IC 태그(2700)로부터 정보를 판독한다.
도 96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설정 커버(2608)(용기 커버 수납부(2073))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며 화살표(R)에 의해 표시된 방사상 방향에서 위치되는 내부 표면으로서 작용하는 벽의 내부 표면들(2801c 및 2801d) 상에는, 포지셔너들(2802 및 2803)들이 벽의 내부 표면들(2801c 및 2801d)로부터 공간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포지셔너들의 일 단부들(2802a 및 2803a)이 토너 용기(2032)의 부착 방향에서 상류 측 상에 위치되고 포지셔너들의 타 단부들(2802b 및 2803b)이 부착 방향에서 하류 측 상에 위치되도록, 포지셔너들(2802 및 2803)은 부착 방향(Q)으로 신장되도록 벽의 내부 표면들(2801c 및 2801d) 상에 구비된다. 포지셔너들(2802 및 2803)은 벽의 내부 표면들(2801c 및 2801d)과 통합될 수도 있거나, 별도의 몸체들로서 구비될 수도 있고 본딩, 용접 등에 의해 벽의 내부 표면들(2801c 및 2801d) 상에 일체적으로 장착될 수도 있다. IC 태그(2700)가 토너 용기(2032)의 부착 시에 안내부(2801) 내로 진입될 때, 유지부(2343)의 양 측부 표면들(2343a 및 2343b)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포지셔너들(2802 및 2803)과 접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포지셔너들(2802 및 2803)은 포지셔너들(2802 및 2803) 사이의 공간이 부착 방향(Q)을 따라 감소되도록 구비된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2032)가 부착 방향(Q)으로 더욱 이동될 때, 유지부(2343)의 양 측부 표면들(2343a 및 2343b) 및 포지셔너들(2802 및 2803)은 더욱 밀집되게 연결되어, 포지셔너들(2802 및 2803) 사이의 유지부(2343)의 원주 이동은 더욱 구속된다. 구체적으로, 포지셔너들의 일 단부들(2802a 및 2803a)로부터 포지셔너들의 중심부들(2802c 및 2803c)까지의 부분들은 포지셔너들(2802 및 2803) 사이의 공간이 감소되도록 평판 경사 표면들로서 구비되고, 포지셔너들의 타 단부들(2802b 및 2803b)은 원형 형상들로 구비되고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위치된다. 포지셔너들의 일 단부들(2802a 및 2803a) 사이의 폭(W10)은 유지부(2343)의 양 측부 표면들(2343a 및 2343b) 사이의 폭(W12)보다 더 넓다(도 90 참조). 포지셔너들의 타 단부들(2802b 및 2803b) 사이의 폭(W11)은 유지부(2343)의 양 측부 표면들(2343a 및 2343b) 사이의 폭(W12)과 동일하거나 약간 더 좁도록 설정된다.
도 92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수납부(2072)에는, 용기 몸체(33)의 종방향을 따라 삽입 구멍부(71)로부터 용기 커버 수납부(2073)로 신장되는 용기 장착부로서 작용하는 홈통(2074)이 구비된다. 토너 용기(2032)는 홈통(2074) 상에서 종방향(부착/탈착 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폭 방향(W)으로 배치된 대향 표면들인, 홈통의 측부 표면들(2074a 및 2074b) 상에서는, 안내부들로서 작용하는 안내 레일들(2075 및 2075)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안내 레일들(2075)은 홈통의 측부 표면들(2074a 및 2074b)로부터 폭 방향(W)으로 돌출되고, 종방향으로 신장되고, 용기 수납부의 일 단부(2072a)로부터 용기 커버 수납부(2073)의 전방으로 배치된다. 안내 레일들(2075 및 2075)은, 토너 용기(2032)가 프린터(100)(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부착될 때에 안내부들로서 작용하는 슬라이딩 안내부들(2361)에 피팅됨으로써 용기 개구부(33a)를 용기 수납부로서 작용하는 용기 설정부(615)로 안내하기 위한 기능들을 가진다.
그런데, 안내 레일들(2075)의 각각은 본 실시형태에서 종방향에서 4 개의 부분들로 분할되지만; 그러나, 안내 레일들(2075)의 각각은 종방향에서 단일의 연속적인 레일일 수도 있다. 안내 레일들(2075)은, 토너 용기(2032)가 토너 용기 유지부(2070)에 부착될 때에 용기 몸체(33)의 회전 축선에 대해 평행하도록 구비된다.
식별 기구가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식별 기구는 토너 컬러들, 토너 타입들, 프린트 속도, 또는 장치 모델들에 따라 토너 용기 및 토너 용기 유지부의 조합을 식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91a 및 도 91b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호환성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기구를 구성하는 피식별부(2092)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의 외부 표면(2034b)의 하부(2034g) 상의 슬라이딩 안내부들(2361 및 2361) 사이에 구비된다. 보강부(2362)는 일체적으로 연결된 방식으로 슬라이딩 안내부들(2361 및 2361) 사이에 일체적으로 구비된다. 보강부(2362)는 토너 용기(2032)가 낙하될 때에 슬라이딩 안내부들(236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착/탈착 방향에서 슬라이딩 안내부들(2361 및 2361)의 전체 길이를 따라 구비된다. 피식별부(2092)는 슬라이딩 안내부 상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피식별부(2092)는 보강부(2362) 상에 구비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피식별부(2092)는 부착/탈착 방향에서 신장되는 홈들로서 구비된다.
도 92, 도 94, 도 97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홈통(2074) 상의 삽입 구멍(2071a)에 비해 부착 방향(Q)에서의 하류 측에 위치된 위치에서, 2 개의 식별 돌출부들(2090)은 홈통(2074)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여기서, 식별 돌출부들(2090)은 식별 기구를 구성하는 식별부들로서 작용하며 토너 용기(2032)의 피식별부(2092)와 접촉해야 하고, 홈통(2074)은 용기 수납부(2072)의 용기 장착부로서 작용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식별 돌출부들(2090)은 2 개의 돌출부들로서 구비된다. 그러나, 식별 돌출부들(2090)의 폭들, 높이들, 위치들, 및 수는 토너 용기 및 토너 용기 유지부의 조합들을 서로로부터 구별하기 위하여 피식별부(2092)의 홈들의 폭들, 높이들, 위치들, 및 수에 따라 변경된다.
안내 레일들(2075 및 2075)이 슬라이딩 홈들(2361a 및 2361a) 내에 삽입된 후에 식별 돌출부들(2090)이 피식별부(2092)와 접촉할 수 있도록, 식별 돌출부들(2090)은 용기 수납부(2072)의 일 단부(2072a) 상의 안내 레일들의 전방 에지들(2075a 및 2075a)에 비해 부착 방향(Q)에서의 하류 측 상에 위치된다. 식별 돌출부들(2090)의 배치는 도 92에서 예시된 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식별 돌출부들(2090)은 부착 방향(Q)에서 도 92에서의 위치보다 더욱 하류 위치 상에 위치될 수도 있거나, 삽입 구멍(2071a) 측 상에 위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안내 레일들(2075 및 2075)이 슬라이딩 홈들(2361a 및 2361a) 내에 삽입된 후에 식별 돌출부들(2090)이 피식별부(2092)와 접촉하도록 식별 돌출부들(2090)을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으로, 틀린 토너 용기가 부착될 때, 안내 레일들(2075) 및 슬라이딩 안내부들(2361)이 서로에 대해 적절하게 피팅된 후에 식별 돌출부들(2090)이 토너 용기(2032)의 피식별부(2092)와 접촉한다. 그러므로, 상하 방향(수직 방향)에서의 토너 용기(2032)의 위치가 부착 동작에서 결정된 후에, 피식별부(2092) 및 식별 돌출부들(2090)이 서로 접촉한다. 그 결과, 안정적으로 그리고 더욱 정확하게 피식별부 및 식별 돌출부들을 서로 접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토너 용기 유지부(2070)(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 대한 제 8 실시형태의 모든 포지셔너들의 구속 및 해제의 순서는 도 99a 내지 도 99d, 도 100a 및 도 100e 등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99a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토너 용기 유지부(2070)의 용기 수납부(2072)의 홈통(2074) 상에 토너 용기(2032)를 위치시키고 토너 용기(2032)를 부착 방향(Q)으로 밀 때(부착 동작을 수행함), 토너 용기(2032)는 홈통(2074) 상에서 슬라이딩한다. 다음으로, 안내 레일들(2075 및 2075)은 토너 용기(2032)의 슬라이딩 안내부들(2361)의 슬라이딩 홈들(2361a) 내로 각각 진입되어, 부착 방향(Q)에 수직인 폭 방향(W) 및 수직 방향(Z)에서의 위치들이 대략적으로 결정된다(제 1 구속된 상태).
제 1 구속된 상태에서의 토너 용기(2032)가 부착 방향(Q)으로 더욱 밀어질 때, 그리고 부착되고 있는 토너 용기(2032)가 틀린 토너 용기일 경우, 도 99b 및 도 98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피식별부(2092)는 식별 돌출부들(2090)과 접촉한다. 이 경우, 피식별부(2092) 및 식별 돌출부들(2090)의 형상들 또는 위치들이 서로 일치하지 않을 경우, 부착 방향(Q)으로의 토너 용기(2032)의 이동이 방지되어, 상이한 타입의 토너 용기(2032)의 부착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구속된 상태가 이 때에 유지되고; 그러므로, 상이한 타입의 토너 용기(2032)가 강제적으로 밀어질 경우에도, 수직 방향(Z)에서의 위치가 대략적으로 결정되므로, 피식별부(2092)가 식별 돌출부들(2090) 상부에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상이한 타입의 토너 용기(2032)의 부착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피식별부(2092) 및 식별 돌출부들(2090)의 형상들이 서로 일치하고 식별 돌출부들(2090)이 피식별부(2092)가 이동하도록 할 경우, 토너 용기(2032)는 부착 방향(Q)으로 더욱 이동된다. 그러므로, 도 99c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셔터의 단부 표면(332h) 및 반송 노즐(611)의 전방 단부(611a)는 서로 접촉한다.
토너 용기(2032)가 부착 방향(Q)으로 더욱 밀어질 때에는, 도 99d에서 예시된 바와 같은 제 2 구속된 상태가 얻어지고, 이 제 2 구속된 상태에서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의 수직 표면(2034d)과 관련하여 부착 방향(Q)에서 위치된 유지부(2343)가 커넥터(2800)를 포함하는 안내부(2801) 내로 진입된다. 이 때, 수직 방향(Z)에서의 위치는 슬라이딩 안내부들(2361)의 슬라이딩 홈들(2361a)에 의해 대략적으로 결정되므로, 수직 방향(Z)에서의 그 위치가 대략적으로 결정되는 동안에, 유지부(2343)는 안내부(2801) 내로 진입된다. 진입된 상태는 도 101a 및 도 102a에서 상세하게 예시되어 있다. 그러므로, 원주 방향(R)에서의 유지부(2343)의 측부 표면들(2343a 및 2343b)의 이동은 안내부(2801)의 벽의 내부 표면들(2801c 및 2801d)에 의해 대략적으로 결정된다.
제 2 구속된 상태에서의 토너 용기(2032)가 부착 방향(Q)으로 더욱 밀려질 때, 용기 밀봉부(333) 및 노즐 셔터 플랜지(612a)는 도 100a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촉하고, 유지부(2343)는 도 100b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2801) 내부에서 더욱 이동된다. 이 상태는 도 101b에서 예시되어 있다. 이 때, 유지부(2343)의 측부 표면들(2343a 및 2343b)은 안내부의 내부 표면들(2801c 및 2801d) 상에 배치된 포지셔너들의 일 단부들(2802a 및 2803a)로부터 포지셔너들의 중심부들(2802c 및 2803c)을 향해 테이퍼링된 평판 표면들 상에서 각각 이동하여, 방사상 방향(R)에서의 그 이동이 점차적으로 구속되면서, 측부 표면들(2343a 및 2343b)이 부착 방향(Q)으로 이동한다.
토너 용기(2032)가 부착 방향으로 더욱 이동될 때, 도 100c, 도 101c, 및 도 102b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유지부(2343)의 측부 표면들(2343a 및 2343b)은 포지셔너들의 타 단부들(2802b 및 2803b) 사이에 위치되고, 여기서, 폭은 가장 좁다(제 3 구속된 상태). 구체적으로, 제 3 구속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딩 홈들(2361a) 및 안내 레일들(2075)에 의한 수직 방향(Z)에서의 구속이 유지되는 동안에, 방사상 방향(R)에서의 이동이 유지부(2343) 및 안내부(2801)에 의해 완전히 구속된다. 그러므로,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 및 설정 커버(2608)(용기 커버 수납부(2073))가 통합되고,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는 원주 방향(R)으로 이동하는 것으로부터 구속되고, 용기 몸체(33)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 3 구속된 상태에서의 토너 용기(2032)가 부착 방향(Q)으로 더욱 밀어질 때에는, 도 100d에서 예시된 바와 같은 제 4 구속된 상태가 얻어지고, 이 제 4 구속된 상태에서는, 용기 개구부(33a)가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615a)(설정 커버(2608)) 내로 진입되고, 용기 몸체(33)가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615a)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때, 원주 방향(R)에서의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의 위치는 유지부(2343) 및 안내부(2801)에 의해 구속되어, 용기 개구부(33a) 및 용기 설정부(615)는 각각의 중심들이 서로 일치하도록 서로 짝을 이룰 수 있다. 그러므로, 용기 설정부(615)로의 용기 개구부(33a)의 이탈된 방식으로의 삽입으로 인해 용기 셔터(332)로부터의 토너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상태에서, IC 태그(2700)의 패드들의 각각은 커넥터(2800)의 장치 본체 단자들 중의 대응하는 하나와 접촉하고, 정보는 IC 태그(2700)로부터 판독된다. 즉, IC 태그(2700) 및 커넥터(2800)가 서로 접촉할 때, 수직 방향(Z) 및 방사상 방향(R)에서의 위치들이 결정되고; 그러므로, 접촉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고, 통신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 4 구속된 상태에서의 토너 용기(2032)가 부착 방향(Q)으로 더욱 밀어질 때, 도 100e에서 예시된 바와 같은 제 5 구속된 상태가 얻어진다. 제 5 구속된 상태에서는, 용기 개구부(33a)가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615a) 내로 더욱 진입되고,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들(78 및 78)은 용기 피계합부들(2339 및 2339)의 각각의 피계합 개구부들(2339d) 내로 진입되고 이들과 계합된다(도 49 참조). 그러므로, 토너 용기(2032)는 종방향(회전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설정 위치에서 유지된다. 피계합 개구부들(339d)이 도 49에서 예시되어 있지만, 피계합 개구부들(339d) 및 피계합 개구부들(2339d)의 치수들 및 구성들은 서로 동일하고; 그러므로, 피계합 개구부들(2339d)의 상태들은 피계합 개구부들(339d)의 상태들과 동일하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의 회전이 커넥터(2800)를 실장하는 안내부(2801)와, 용기 커버의 외부 표면(2034b) 상에서 IC 태그(2700)를 유지하는 유지부(2343)와의 사이의 피팅에 의해 구속될 경우, 용기 개구부(33a) 및 용기 설정부(615)는 각각의 중심들이 서로 일치하도록 서로에 대해 피팅될 수 있다. 그러므로, 용기 설정부(615)로의 용기 개구부(33a)의 이탈된 방식으로의 삽입으로 인해 용기 셔터(332)로부터의 토너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IC 태그(2700)의 위치결정이 필요하지 않고 대략적인 위치결정이면 충분하다.
본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IC 태그(2700)가 용기 전방 단부 커버의 외부 표면(2034b) 상에서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들(78 및 78)과 계합된 한 쌍의 용기 피계합부들(2339 및 2339) 사이의 대략 중간 위치에서 배치될 경우, 다음의 유리한 효과들이 얻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IC 태그(2700)의 이동에 관하여, 방사상 방향에서의 이동은 수용가능하지만, 원주 이동은 접촉 불량을 야기시킬 수도 있으므로 원주 방향(R)에서의 이동은 바람직하지 않다. IC 태그(2700)가 한 쌍의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들(78 및 78) 사이의 대략 중간 위치에서 배치될 경우, 원주 방향(R)에서의 양 측들로부터 힘이 동일하게 가해져서, 원주 방향(R)에서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고, IC 태그(2700) 및 커넥터(2800) 사이의 접촉 불량이 방지될 수 있고, 이것은 바람직한 구성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들(78 및 78) 및 용기 피계합부들(2339 및 2339)이 수평 방향에 대해 포함된다. 그러므로,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들(78 및 78) 및 용기 피계합부들(2339 및 2339)이 수평 방향에서 배치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용기 커버의 외부 표면(2034b)으로부터 수평 방향에서의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의 돌출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결과적으로, 컬러들의 각각에 대한 용기 유지부의 공간을 절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프린터(100)(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것은 화상 형성 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다수의 토너 용기들이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서와 같이 부착될 경우, 수평 방향에서 장착 공간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은 화상 형성 장치의 크기를 더욱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토너 용기(2032)의 하부에서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의 하부(2034g) 상에 구비되며 식별 돌출부들(2090) 상부에서 통과할 수 있는 피식별부(2092)가 구비된다. 또한, 피식별부(2090)가 삽입 구멍(2071a)을 통과할 때에 한 쌍의 안내 레일들(2075 및 2075)을 수납함으로써 수직 방향(Z)에서 토너 용기(2032)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수직 구속기들로서 작용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안내부들(2361 및 2361)이 구비된다. 그러므로, 틀린 타입의 토너 용기(2032)의 부착을 신뢰성 있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03a 내지 도 103f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IC 태그(2700)를 포함하는 분체 용기로서의 토너 용기(2032)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6 개의 도면들이다. 도 103a 내지 도 103f에서 예시된 토너 용기(2032)는 나선형 홈이 구비된 용기 몸체(33)와, IC 태그(2700)가 그 위에 구비되는 커버부로서 작용하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를 포함한다. 도 103a는 우측면도이고, 도 103b는 좌측면도이고, 도 103c는 정면도이고, 도 103d는 배면도이고, 도 103e는 평면도이고, 도 103f는 저면도이다.
제 8 실시형태에서, 나선형 홈을 포함하는 용기 몸체(33)는 용기 몸체로서 이용된다. 그러나, 용기 몸체로서 도 50에서 예시된 바와 같은 나선형 홈을 갖지 않는 용기 몸체(1033)를 포함하며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를 포함하는 도 104에서 예시된 바와 같은 토너 용기(3032)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도 있다.
토너 용기(2032)의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 상에 구비된 피식별부(2092)의 예들로서, 도 105a 내지 도 105h로부터 도 108a 내지 도 108f에서 예시된 바와 같은 제 1 내지 제 15 예들이 채용될 수도 있다. 도 105a 내지 도 105h로부터 도 108a 내지 도 108f 중에서, 기호들(a, c, e, 및 g)에 의해 나타낸 도면들은 용기 전방 단부 커버(2034)의 정면도들을 예시하고, 기호들(b, d, f, 및 h)에 의해 나타낸 도면들은 용기 정면 단부 커버(2034)의 저면도들을 예시한다.
도 105a 내지 도 105h로부터 도 108a 내지 도 108f에서, 부착 방향에서 슬라이딩 안내부들(2361 및 2361) 상에 구비되며 이들에 연결되는 보강부(2362)는 폭 방향(W)에서 6 개의 부분들로 분할된다. 편의성을 위하여, 분할된 부분들은 부착 방향(Q)에서 가장 좌측으로부터 블록들 1 내지 6으로서 지칭될 것이다. 또한, 보강부의 각각의 블록들 상에 구비된 간극들(9235a)은 간극들 1 내지 6으로서 지칭된다. 이하의 표 1에서, 각각의 블록들에서의 간극들(9235a)의 존재 및 부재가 예시되어 있다. 표 1에서, "예"는 간극(9235a)이 구비되어 있음을 표시하고, "아니오"는 간극(9235a)이 구비되어 있지 않음을 표시한다.
도 105a 및 도 105b는 제 1 예를 예시한다.
도 105c 및 도 105d는 제 2 예를 예시한다.
도 105e 및 도 105f는 제 3 예를 예시한다.
도 105g 및 도 105h는 제 4 예를 예시한다.
도 106a 및 도 106b는 제 5 예를 예시한다.
도 106c 및 도 106d는 제 6 예를 예시한다.
도 106e 및 도 106f는 제 7 예를 예시한다.
도 106g 및 도 106h는 제 8 예를 예시한다.
도 107a 및 도 107b는 제 9 예를 예시한다.
도 107c 및 도 107d는 제 10 예를 예시한다.
도 107e 및 도 107f는 제 11 예를 예시한다.
도 107g 및 도 107h는 제 12 예를 예시한다.
도 108a 및 도 108b는 제 13 예를 예시한다.
도 108c 및 도 108d는 제 14 예를 예시한다.
도 108e 및 도 108f는 제 15 예를 예시한다.
도 105a 및 도 105b에서 예시된 제 1 예에서는, 슬라이딩 안내부의 간극들(9235a)이 인접한 블록들 1 및 2 상에 구비된다.
도 105c 및 도 105d에서 예시된 제 2 예에서는, 슬라이딩 안내부의 간극들(9235a)이 블록들 1 및 3 상에 구비된다.
도 105e 및 도 105f에서 예시된 제 3 예에서는, 슬라이딩 안내부의 간극들(9235a)이 블록들 1 및 4 상에 구비된다.
도 105g 및 도 105h에서 예시된 제 4 예에서는, 슬라이딩 안내부의 간극들(9235a)이 블록들 1 및 5 상에 구비된다.
도 106a 및 도 106b에서 예시된 제 5 예에서는, 슬라이딩 안내부의 간극들(9235a)이 블록들 1 및 6 상에 구비된다.
도 106c 및 도 106d에서 예시된 제 6 예에서는, 슬라이딩 안내부의 간극들(9235a)이 인접한 블록들 2 및 3 상에 구비된다.
도 106e 및 도 106f에서 예시된 제 7 예에서는, 슬라이딩 안내부의 간극들(9235a)이 블록들 2 및 4 상에 구비된다.
도 106g 및 도 106h에서 예시된 제 8 예에서는, 슬라이딩 안내부의 간극들(9235a)이 블록들 2 및 5 상에 구비된다.
도 107a 및 도 107b에서 예시된 제 9 예에서는, 슬라이딩 안내부의 간극들(9235a)이 블록들 2 및 6 상에 구비된다.
도 107c 및 도 107d에서 예시된 제 10 예에서는, 슬라이딩 안내부의 간극들(9235a)이 인접한 블록들 3 및 4 상에 구비된다.
도 107e 및 도 107f에서 예시된 제 11 예에서는, 슬라이딩 안내부의 간극들(9235a)이 블록들 3 및 5 상에 구비된다.
도 107g 및 도 107h에서 예시된 제 12 예에서는, 슬라이딩 안내부의 간극들(9235a)이 블록들 3 및 6 상에 구비된다.
도 108a 및 도 108b에서 예시된 제 13 예에서는, 슬라이딩 안내부의 간극들(9235a)이 인접한 블록들 4 및 5 상에 구비된다.
도 108c 및 도 108d에서 예시된 제 14 예에서는, 슬라이딩 안내부의 간극들(9235a)이 블록들 4 및 6 상에 구비된다.
도 108e 및 도 108f에서 예시된 제 15 예에서는, 슬라이딩 안내부의 간극들(9235a)이 인접한 블록들 5 및 6 상에 구비된다.
구성이 제 1 내지 제 15 예들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행해지더라도, 슬라이딩 안내부의 간극들(9235a) 및 피식별부(2092)가 홈통(2074) 상에 구비된 식별 돌출부들(2090)에 대응하지 않을 경우, 피식별부(2092)는 식별 돌출부들(2090) 상부에서 통과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비호환성의 토너 용기(2032)의 부착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 내지 제 15 예들에 따른 보강부의 간극들(9235a)의 존재 및 부재가 이하의 표 1에서 예시되어 있다.
Figure 112015089314522-pct00003
제 9 실시형태
제 9 실시형태에서, 분체 용기로서 작용하는 토너 용기의 분체 저장소로서 작용하는 용기 몸체의 구성은 용기 몸체들(33 및 1033)의 구성들과는 상이하다. 그러므로, 용기 몸체의 구성은 본 실시형태에서 주로 설명될 것이고, 위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한 구성들을 가지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 및 다른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 및 기호들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며 그 설명은 적절하게 생략될 것이다.
도 109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작용하는 토너 용기(4032)는 화상 형성을 위한 분체로서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용기 몸체(4033)와, 용기 몸체(4033)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 용기 커버로서 작용하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를 포함한다. 용기 몸체(4033)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유지된다. 토너 용기(4032)가 위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 부착될 때, 반송 스크류(614)가 내부에 배치되는 반송기로서 작용하는 반송 노즐(611)은 토너가 보급될 수 있도록 토너 용기(4032) 내에 삽입된다. 용기 몸체(4033)의 회전 축선이 수평 방향에서 배향되도록, 토너 용기(4032)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에 의해 지지된다.
도 110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몸체(4033)는 대략 원통 형태이고, 회전 축선으로서의 원통의 중심 축선 주위로 회전한다. 그립퍼(4304)는 종방향(부착/탈착 방향)에서 토너 용기(4032)의 용기 후방 단부 상에 구비되고, 용기 개구부로서 작용하는 개구부(4033a)는 용기 전방 단부 커버(34)가 부착되는 용기 전방 단부 상에 구비된다. 개구부(4033a)에서는, 반송 노즐(611)을 수납할 수 있는 반송기 수납부로서 작용하는 노즐 수납부(330)가 삽입 및 설치된다. 구동력이 전달되는 용기 기어(301)는 개구부(4033a) 측의 표면 상에 구비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토너 용기(4032)가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 부착되고, 용기 구동 기어(601)가 용기 기어(301)와 맞물려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할 때, 용기 몸체(4033)는 도 110에서의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한다.
용기 몸체(4033)는 용기 후방 측으로부터 용기 전방 측까지 상이한 외부 형상들을 갖는 다수의 부분들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용기 몸체(4033)는 용기 후방 단부 상에 위치된 그립퍼(4303)에 연결된 후방 원통부(4033A1), 용기 전방 단부 상에 위치된 개구부(4033a)에 연결된 전방 원통부(4033A2), 및 후방 원통부(4033A1) 및 전방 원통부(4033A2) 사이에 위치된 중간 원통부(4033A3)를 포함한다. 경사부(4033A4)는 후방 원통부(4033A1) 및 중간 원통부(4033A3)의 후방 단부 사이에 구비되고, 경사부(4033A5)는 전방 원통부(4033A2) 및 중간 원통부(4033A3)의 전방 단부 사이에 구비된다. 중간 원통부(4033A3)는 직경이 경사부(4033A4) 측 상의 일 단부로부터 경사부(4033A5) 측 상의 타 단부까지 증가되도록 구비된다. 경사부(4033A4)는 직경이 후방 원통부(4033A1)로부터 중간 원통부(4033A3)까지 감소되도록 구비되고, 경사부(4033A5)는 직경이 중간 원통부(4033A3)로부터 전방 원통부(4033A2)까지 감소되도록 구비된다. 도 110에서, 제 1 내지 제 4 절단부들은 쇄선으로 표시된 회전 축선에 수직인 평면들을 따라 절단된 부분들이다. 제 1 절단부는 후방 원통부(4033A1)의 단면을 나타내고, 제 2 절단부는 중간 원통부(4033A3)의 단면을 나타내고, 제 3 절단부는 경사부(4033A5)의 주변의 단면을 나타내고, 제 4 절단부는 전방 원통부(4033A2)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111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후방 원통부(4033A1)의 외부 직경은 d11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중간 원통부(4033A3)의 후방 단부의 외부 직경은 d12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중간 원통부(4033A3)의 전방 단부의 외부 직경은 d13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전방 원통부(4033A2)의 외부 직경은 d14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가정하면, 외부 직경 d11 > 외부 직경 d12 < 외부 직경 d13 > 외부 직경 d14가 되도록 용기 몸체(4033)가 구비된다. 용기 몸체(4033)의 두께가 모든 부분들에서 균일하여, 용기 몸체(4033)의 내부 형상은 외부 형상의 크기 관계와 동일한 크기 관계를 가진다.
용기 몸체(4033)는 후방 원통부(4033A1)로부터 전방 원통부(4033A2)를 향하는 다수의 반송기들을 포함한다. 반송기들은 용기의 표면으로부터 관측될 때에 홈들로서, 그리고 용기의 내부 측으로부터 관측될 때에 돌출부들로서 구비되도록, 용기 몸체(4033)의 표면으로부터 용기의 내부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하, 반송기들은 돌출부들로서 설명된다.
제 1 반송기들로서 작용하는 제 1 돌출부들(4101a 및 4101b)은 중간 원통부(4033A3)를 향해 신장되도록 후방 원통부(4033A1) 상에 구비된다. 도 112a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제 1 돌출부들(4101a 및 4101b)은 용기 몸체(4033)의 회전 방향(화살표(A) 방향)에서 180도만큼 서로 역위상(out of phase)이다. 도 113a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제 1 돌출부들(4101a 및 4101b)은 후방 원통부(4033A1)로부터 경사부(4033A4)를 통해 중간 원통부(4033A3)에 도달하기에 충분히 길다. 제 1 돌출부들(4101a 및 4101b)의 각각은, 용기 몸체(4033)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나선형을 형성하도록 꼬여져 있고, 용기 몸체(4033)가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도 111 및 도 113a에서 예시된 화살표(F1) 방향에서의 힘을 수용된 토너에 가한다. 그런데, 도 113a는 제 1 돌출부(4101a)만을 예시한다.
도 110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제 2 반송기들로서 작용하는 제 2 돌출부들(4102a, 4102b, 4102c, 및 4102d)은 전체 길이를 따라 종방향으로 신장되도록 중간 원통부(4033A3) 상에 구비된다. 도 112b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제 2 돌출부들(4102a, 4102b, 4102c, 및 4102d)은 용기 몸체(4033)의 회전 방향(화살표(A) 방향)에서 90도만큼 서로 역위상이다. 120도만큼 서로 역위상인 3 개의 제 2 돌출부들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중간 원통부(4033A3) 상의 제 2 돌출부들(4102a, 4102b, 4102c, 및 4102d)은 경사부(4033A4)로부터 경사부(4033A5)를 향해 상향으로 경사지도록 구비된다. 그러므로, 용기 몸체(4033)가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할 때, 도 113a 및 도 113b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제 2 돌출부들(4102a 내지 4102d)은 수용된 토너를 교반하면서 (화살표(A2) 방향에서) 전방 원통부(4033A2)를 향해 힘들을 가한다.
제 3 반송기들로서 작용하는 제 3 돌출부들(4103a 및 4103b)은 중간 원통부(4033A3)로부터 전방 원통부(4033A2)까지 구비된다. 도 112c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제 3 돌출부들(4103a 및 4103b)의 각각은 용기 몸체(4033)의 회전 방향(화살표(A) 방향)에서 180도만큼 서로 역위상(out of phase)이 되도록 단일 위치에 구비되고, 개별적으로 구비된다. 제 3 돌출부들(4103a 및 4103b)은, 돌출부들이 도 112c 및 도 113b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중간 원통부(4033A3) 상에서 크기가 증가되고, 도 112d 및 도 113b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전방 원통부(4033A2)를 향해 크기가 감소되도록 구비된다. 도 112d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제 3 돌출부들(4103a 및 4103b)은 중간 원통부(4033A3)로부터 경사부(4033A5)를 통해 전방 원통부(4033A2)에 도달하기에 충분히 길다. 제 3 돌출부들(4103a 및 4103b)의 각각은, 용기 몸체(4033)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나선형을 형성하도록 꼬여져 있고, 용기 몸체(4033)가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화살표(F3) 방향에서의 힘을 수용된 토너에 가한다. 그런데, 도 113b는 제 3 돌출부(4103a)만을 예시한다.
제 2 돌출부들(4102a, 4102b, 4102c, 및 4102d) 및 제 3 돌출부들(4103a 및 4103b)은 각각의 단부 부분들이 부착/탈착 방향(종방향)에서 서로 상부에서 겹치도록(중첩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 114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제 3 돌출부들(4103a 및 4103b)은, 반송 노즐(611)이 용기 몸체(4033) 내에 삽입될 때에 반송 노즐(611)의 분체 수납 구멍으로서 작용하는 노즐 구멍(610)과 중첩되도록 구비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된 용기 몸체(4033)를 포함하는 토너 용기(4032)가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 부착되고 반송 노즐(611)이 도 114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몸체(4033) 내에 삽입되는 동안, 용기 몸체(4033)는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므로, 용기 몸체(4033)의 후방 원통부(4033A1)에서의 토너는 제 1 돌출부들(4101a 및 4101b)을 따라 화살표(F1) 방향으로 이동되고, 전방 원통부(4033A1)로부터 경사부(4033A4)를 통해 중간 원통부(4033A3)로 반송된다.
반송된 토너와, 중간 원통부(4033A3)에서 위치되었던 토너는 제 2 돌출부들(4102a 내지 4102d)에 의해 화살표(F2)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 2 돌출부들(4102a 내지 4102d)을 따라 전방 원통부(4033A2)를 향해 이동된다.
이 경우, 제 3 돌출부들(4103a 및 4103b)은 중간 원통부(4033A3)에서 제 2 돌출부들(4102a 내지 4102d)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므로, 제 2 돌출부들(4102a 내지 4102d)에 의해 반송된 토너는 제 3 돌출부(4103a)에 신뢰성 있게 전사될 수 있다. 한편, 제 3 돌출부(4103b)와 관련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전사된 토너는 제 3 돌출부들(4103a 및 4103b)에 의해 화살표(F3) 방향으로 이동되고, 경사부(4033A5) 상부에서 통과하고, 전방 원통부(4033A2)로 반송된다. 이 경우, 제 3 돌출부(4103a)의 전방 단부(4103a1) 및 제 3 돌출부(4103b)의 전방 단부(4103b1)(예시되지 않음)는 반송 노즐(611)의 노즐 구멍(610)과 중첩된다. 그러므로, 제 3 돌출부들(4103a 및 4103b)에 의해 화살표(F2) 방향으로 이동된 토너는 노즐 구멍(610)으로 신뢰성 있게 반송될 수 있다.
2 개의 제 1 돌출부들 및 2 개의 제 3 돌출부들이 제 9 실시형태에서 구비되지만, 적어도 하나의 제 1 돌출부 및 하나의 제 3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이면 충분하다.
제 1 내지 제 9 실시형태들이 위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지만, 이들은 예들에 불과하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임의적인 실시형태들의 조합들에 의해 행해진 임의의 구성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제 10 실시형태
제 10 실시형태에서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토너 용기(32)를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 부착하고 토너 보급 디바이스(60)로부터 탈착하기 위한 동작성을 개선시키는 기구가 설명될 것이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2-133349호에서 설명된 토너 용기는 회전가능한 원통형 분체 저장소, 분체 저장소에 부착된 노즐 수납부, 노즐 수납부 상에 배치된 개구부, 및 개구부가 폐쇄되는 폐쇄 위치로 바이어싱되며 분체 보급 디바이스의 반송 노즐의 삽입과 함께 개구부를 개방시키는 개방/폐쇄 부재를 포함한다. 토너 용기가 분체 보급 디바이스의 용기 유지부에서 설정되고 부착 방향으로 이동될 때, 반송 노즐은 토너 용기의 이동과 함께 토너 용기의 노즐 수납부 내에 삽입되고, 개방/폐쇄 부재는 개방 위치로 이동되어 개구부를 개방하고 토너를 배출한다. 또한, 분체 보급 디바이스의 반송 노즐에는, 노즐 셔터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되며 토너를 수납하는 노즐 구멍이 구비된다. 노즐 셔터는 노즐 구멍이 폐쇄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되고, 반송 노즐이 토너 용기의 노즐 수납부 내에 삽입될 때에 노즐 구멍을 개방하여, 토너 용기로부터 배출된 토너는 반송 노즐 내로 공급될 수 있다.
분체 보금 디바이스는 토너 용기가 부착될 때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를 포함한다.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를 토너 용기와 계합함으로써, 토너 용기의 부착된 상태가 유지된다.
일본 특허 제4,958,325호는, 토너 용기가 분체 보급 디바이스에 부착될 때에 토너 용기의 하단 부분에서 배치된 개구부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개방/폐쇄 부재를 유지하는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를 개시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2-133349호에서 설명된 구성에서는, 토너 용기가 분체 보급 디바이스에서 설정될 때, 폐쇄 방향에서 토너 용기의 개방/폐쇄 부재를 바이어싱하기 위한 힘과, 폐쇄 방향에서 반송 노즐의 노즐 셔터를 바이어싱하기 위한 힘은 토너 용기가 분체 보급 디바이스로부터 탈착(그로부터 밀어내어짐)되는 방향에서 작동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토너 용기를 부착 방향으로 밀어서 토너 용기를 분체 보급 디바이스에 부착할 때, 그/그녀는 탈착 방향에서의 힘에 대항하여 토너 용기를 부착한다. 대조적으로, 토너 용기가 탈착되도록 끌어내어질 때, 탈착 방향에서의 힘은 보조적인 힘으로서 작동한다. 그러므로, 부착을 위한 동작시키는 힘 및 탈착을 위한 동작시키는 힘 사이의 차이가 증가되고, 이것은 부착/탈착 동작에서 무엇인가가 틀리다는 느낌을 사용자에게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탈착 방향에서의 힘은 부착된 상태에서 토너 용기에 작동한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를 부착된 상태에서 유지시키는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는 탈착 방향에서의 힘에 대항하여 토너 용기를 계속 유지하기 위한 유지력을 가질 필요가 있어서, 토너 용기를 향해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를 바이어싱하고 유지하기 위한 힘이 또한 증가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토너 용기를 탈착 방향에서 부착된 상태로부터 끌어낼 때, 그/그녀는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의 유지력에 대항하여 토너 용기를 끌어내지만, 토너 용기가 끌어내어진 후에는, 토너 용기가 탈착 방향에서의 힘의 도움으로 탈착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은 또한 부착/탈착 동작에서 불편한 느낌을 사용자에게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토너 용기가 용기 유지부에 부착되어야 할 때, 토너 용기를 부착하기 위하여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회전 모멘트는 토너 용기를 탈착하기 위하여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2 회전 모멘트보다 더 크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를 분체 보급 디바이스에 부착하고 분체 보급 디바이스로부터 탈착하기 위하여 부착을 위한 동작시키는 힘 및 탈착을 위한 동작시키는 힘 사이의 차이가 감소될 수 있어서, 부착/탈착 동작성이 개선될 수 있다.
토너 용기 유지부(70)에서 토너 용기(32)를 부착된 상태에서 유지하기 위한 기능은 도 115, 도 116, 및 도 57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15, 도 116, 및 도 57은 수평 방향에서 취해진 토너 용기(32) 및 토너 용기 유지부(70)의 용기 커버 수납부(73)의 상단 단면도들을 예시한다. 도 115는 토너 용기(32)가 부착 방향(Q)으로 이동되고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6은, 토너 용기(32)가 용기 커버 수납부(73)에 도달하였고, 반송 노즐(611)이 밀기에 의해 용기 몸체(33) 내에 진입되어 토너 용기(32)의 수납 개구부(331) 내부에서 용기 셔터(332)를 개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7은, 좌측 및 우측 계합 부재들(78)이 범프들(339c) 상부에서 통과하였고 피계합 개구부들(339d) 내에 진입되어 토너 용기(32)를 부착된 위치에서 유지하는 부착된 상태를 예시한다.
좌측 및 우측들 상의 계합 부재들(78)의 상단부들(78c)의 각각은, 토너 용기(32)가 부착 방향(Q)으로 이동될 때에 용기 피계합부(339)와 접촉하는 제 1 경사 표면(78f)과, 계합된 상태에서의 토너 용기(32)가 탈착 방향(Q1)으로 이동될 때에 용기 피계합부(339)와 접촉하는 제 2 경사 표면(78e)을 포함한다. 제 1 경사 표면(78f) 및 제 2 경사 표면(78e)은 도면들에서 대략 삼각형인 단면을 정의하고, 그러한 표면들에 의해 정의된 선단부는 상단부(P2)로서 지칭된다. 도 115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계합 부재들(78)의 각각은 도 115의 시트에 수직인 방향으로 신장되는 축(781) 주위로 회전하도록 설정 커버(608) 상에 장착된다. 계합 부재들(78)의 각각에서, 스프링 가압부(78g)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782)의 바이어싱 힘을 받아들이고, 스프링 가압부(78g) 근처의 회전 스톱퍼(78h)는 설정 커버(608)의 설정 커버 노치(608h)와 접촉하게 된다. 그러므로, 계합 방향(R1)에서의 계합 부재들(78)의 위치들은, 적절한 삼각형들의 상단부들로서 작용하는 상단부들(P2)(도 115 참조)이 서로 대향하게 설정 커버의 내부 표면(608c)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속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15에서 예시된 회전 방향에서의 계합 부재들(78)의 위치들은 초기 위치들로서 가정된다.
토너 용기(32)의 좌측 및 우측 용기 피계합부들(339)의 각각에서는, 안내 돌출부(339a), 안내 홈(339b), 범프(339c), 및 피계합 개구부(339d)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용기 전방 측으로부터 이 순서로 안내부들로서 배치된다. 범프들(339c)의 각각은 안내 홈(339b)으로부터 연결된 경사 표면인 제 1 접촉 표면(339f)과, 피계합 개구부(339d)에 연결된(피계합 개구부(339d)에 인접한) 경사 표면인 제 2 접촉 표면(339e)을 포함한다. 제 1 접촉 표면들(339f) 및 제 2 접촉 표면들(339e)은 도면들에서 대략 삼각형인 단면들을 정의한다. 범프들(339c)의 각각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대략 삼각형인 상단부가 외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용기 커버(34) 상에 구비된다.
도 115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부착 방향(Q)으로 새로운 토너 용기(32)를 밀어서 토너 용기(32)를 부착한다. 따라서, 용기 셔터(332)의 용기 전방 단부는 반송 노즐(611)의 전방 단부(부착 방향(Q)에서의 상류 측 상의 단부)와 접촉한다. 토너 용기(32)가 부착 방향(Q)으로 더욱 밀어질 때, 용기 셔터(332)는 토너 용기(32)의 후방 측으로 이동하고, 반송 노즐(611)은 토너 용기(32) 내로 진입되기 시작한다. 이 때, 토너 용기(32)를 동작시키고 있는 사용자는 반송 노즐(611)이 토너 용기(32) 내로 더욱 진입될 때에 용기 셔터 스프링(336)의 압축력(compression force)에 대항하는 반력(복원력)을 점차적으로 느낀다.
그런데, 용기 후방 단부 상의 용기 셔터(332)의 셔터 후크들(332a)은 셔터 후방 단부 지지부(335)의 외부 벽 표면 상에 걸려야 할 단차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서, 셔터 후크들(332a)의 걸린 상태를 해제할 때, 토너 용기(32)를 동작시키는 사용자는, 용기 셔터(332)가 토너 용기(32)의 후방 측으로 이동하기 시작하기 전에 부착 방향(Q)의 반대 방향(탈착 방향(Q1))으로 토너 용기(32)를 다시 밀기 위한 힘(반력)을 약간 느낀다.
토너 용기(32)가 부착 방향(Q)으로 더욱 밀어질 때, 토너 용기(32)의 안내 돌출부들(339a)은 좌측 및 우측 계합 부재들(78)의 제 1 경사 표면들(78f)과 접촉한다. 안내부들로서 작용하는 안내 돌출부들(339a)의 각각은 용기 커버(34)(도 117 참조)의 중심 축선 측으로부터 외주 측으로 계속되는 경사 표면인 안내 경사 표면(339a1)을 포함하고, 좌측 및 우측 계합 부재들(78)로 하여금, 토너 용기(32)가 부착 방향(Q)으로 점차적으로 밀어질 때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들(782)의 바이어싱 힘들에 대항하여 초기 위치들로부터 밀어 개방되도록 (해제 방향(R2)으로) 축들(781) 주위로 회전하게 한다.
이 때, 토너 용기(32)를 동작시키는 사용자는 용기 셔터 스프링(336)의 압축력에 대항하는 반력에 추가하여, 좌측 및 우측 계합 부재들(78)이 초기 위치들로 다시 이동하게 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들(782)의 바이어싱 힘들에 대응하여 좌측 및 우측 계합 부재들(78)을 밀어 개방하는 힘의 반력(비틀림 코일 스프링들(782)의 복원력들로 인한 힘)을 느낀다. 그러나, 안내 돌출부들(339a)은 계합 부재들(78)을 점차적으로 밀어 개방하는 안내 경사 표면들(339a1)을 포함하므로, 안내 경사 표면들(339a1)을 가지는 안내 돌출부들(339a)이 구비되지 않은 구성과 비교하여 불편한 동작감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대조적으로, 용기 커버(34)의 전방 단부가 안내 경사 표면들(339a1)을 가지지 않는 코너부들로서 구비될 경우, 사용자는 계합 부재들(78) 및 용기 커버(34)가 서로 접촉할 때에 토너 용기(32)가 다시 밀어지는 방향(Q1)에서 강한 반력을 한 번에 느끼고, 반력으로 인해 부착이 완료되는 것으로 잘못 인식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안내 경사 표면들(339a1)을 가지는 안내 돌출부들(339a)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안내 돌출부들(339a)이 본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용기 전방 측으로 돌출될 경우, 계합 부재들(78)의 선단부들(78c)을 잡는 것이 용이해진다. 그러나, 용기 전방 측을 향하는 돌출부들을 갖지 않는 안내 경사 표면들(339a1)만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16은 토너 용기(32)가 계합 부재들(78)의 제 1 경사 표면들(78f) 및 안내 돌출부들(339a) 사이의 접촉 위치들로부터 부착 방향(Q)으로 더욱 밀어지는 상태를 예시한다. 토너 용기(32)의 용기 커버(34)는 설정 커버(608) 내로 더욱 진입된다. 이 때, 계합 부재들(78)의 선단부들(78c)의 상단부들(P2)은 용기 커버(34)의 안내 홈들(339b)과 접촉한다. 안내 홈들(339b)은 안내 돌출부들(339a)의 안내 경사 표면들(339a1)로부터 원활하게 연결되고, 토너 용기(32)의 종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토너 용기(32)의 부착 방향(Q) 및 종방향은 서로 대략 일치하고; 그러므로, 선단부들(78c)의 상단부들 및 안내 홈들(339b)이 서로 접촉할 때, 계합 부재들(78)은 해제 방향(R2)으로 더욱 회전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32)를 동작시키는 사용자는 초기 위치들을 향해 좌측 및 우측 계합 부재들(78)을 폐쇄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들(782)의 바이어싱 힘들에 대항하는 반력을 느끼지 않는다.
대조적으로, 도 116에서 예시된 상태에서, 반송 노즐(611)의 외주 상에 배치된 노즐 셔터(612)의 노즐 셔터 플랜지(612a)는 노즐 수납부(330)의 내주 상에 배치된 노즐 셔터 위치결정 리브들(337a)의 용기 전방 단부들과 접촉한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32)가 부착 방향(Q)으로 더욱 밀어질 때, 노즐 셔터(612)는 노즐 셔터 위치결정 리브들(337a)과의 접촉으로 인해 부착 방향(Q)으로 밀어지기 시작한다. 이 때, 토너 용기(32)를 동작시키는 사용자는 용기 셔터 스프링(336)의 압축력에 대항하는 반력(복원력)에 추가하여, 노즐 셔터 스프링(613)의 압축력에 대항하는 반력(복원력)을 느낀다.
도 116에서 예시된 상태에서의 토너 용기(32)가 부착 방향(Q)으로 더욱 밀어질 때, 계합 부재들(78)의 선단부들(78c)의 제 1 경사 표면들(78f) 및 범프들(339c)의 제 1 접촉 표면(339f)은 각각 서로 접촉한다. 토너 용기(32)가 제 1 경사 표면들(78f) 및 제 1 접촉 표면들(339f) 사이의 접촉 위치들로부터 부착 방향(Q)으로 더욱 밀어질 때, 좌측 및 우측 계합 부재들(78)의 제 1 경사 표면들(78f)은 제 1 접촉 표면들(339f)에 의해 가압되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들(782)의 바이어싱 힘들에 대항하여, 선단부들(78c)의 상단부들 및 부착 방향(Q)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안내 홈들(339b) 사이의 접촉 위치들로부터 (해제 방향(R2)으로) 축(781) 주위로 외부를 향해 회전된다. 이 때, 토너 용기(32)를 동작시키는 사용자는 용기 셔터 스프링(336)의 압축력에 대항하는 반력 및 노즐 셔터 스프링(613)의 압축력에 대항하는 반력에 추가하여, 좌측 및 우측 계합 부재들(78)을 초기 위치들을 향해 폐쇄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들(782)의 바이어싱 힘들에 대항하여 선단부들(78c)의 상단부들 및 안내 홈들(339b) 사이의 접촉 위치들로부터 외부를 향해 좌측 및 우측 계합 부재들(78)을 밀어 개방하는 힘의 반력(비틀림 코일 스프링들(782)의 복원력들로 인한 힘)을 느낀다.
토너 용기(32)가 부착 방향(Q)으로 더욱 밀어질 때, 좌측 및 우측 계합 부재들(78)을 외부를 향해 밀어 개방하는 힘에 대항하는 반력은, 범프들(339c)의 대략 삼각형들의 상단부들이 선단부들(78c)의 대략 삼각형들의 상단부들(P2)과 접촉하는 위치(대향된 위치)에서 최대가 된다.
토너 용기(32)가 부착 방향(Q)으로 더욱 밀어지고 상기 설명된 위치를 통과할 때, 선단부들(78c)의 제 1 경사 표면들(78f) 및 범프들(339c)의 제 1 접촉 표면들(339f)은 서로 분리되어, 좌측 및 우측 계합 부재들(78)을 외부를 향해 밀어 개방하는 힘은 계합 부재들(78)에 작동하는 것을 정지시키고, 계합 부재들(78)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들(782)의 바이어싱 힘들(압축에 대항하는 복원력)로 인해 (계합 방향(R1)으로) 축들(781) 주위로 회전한다. 이 때, 피계합 개구부들(339d)이 축(781) 주위로 대략 삼각형인 선단부들(78c)의 상단부들(P2)의 이동의 궤도들 상에 위치되도록 용기 커버(34)의 외부 표면 상에 구비되므로, 계합 부재들(78)의 대략 삼각형인 선단부들(78c)의 상단부들(P2)은 피계합 개구부들(339d) 내로 진입되고, 계합 부재들(78)은 도 57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초기 위치들로 다시 이동되어, 토너 용기(32)는 토너 용기 유지부(70)에 완전히 부착된다.
토너 용기(32)를 동작시키는 사용자는 좌측 및 우측 계합 부재들(78)을 외부를 향해 밀어 개방하는 힘에 대항하는 반력이 최대가 된 직후에 반력이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느껴서, 그/그녀는 토너 용기 유지부(70)로의 토너 용기(32)의 부착이 완료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선단부들(78c)의 상단부들(P2)이 용기 피계합부들(339)의 범프들(339c)의 상부에서 통과하고 피계합 개구부들(339d)에 도달할 때에 사용자가 느끼는 느낌은 소위 클릭감이다.
도 57에서 예시된 바와 같은 토너 용기(32)의 부착된 상태에서, 용기 셔터 스프링(336)의 압축력에 대항하는 반력(복원력) 및 노즐 셔터 스프링(613)의 압축력에 대항하는 반력(복원력)은 토너 용기(32)에 가해진다. 그러나, 용기 커버(34)의 용기 피계합부들(339)의 피계합 개구부들(339d)은 계합 부재들(78)과 계합되고 계합 부재들(78)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반력들의 결과적인 힘을 받아들여서(이하, 결과적인 힘은 "복원 스프링력"으로서 지칭됨), 토너 용기(32)는 토너 용기 유지부(70)에서 유지된다. 구체적으로, 도 57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계합 부재들(78)의 선단부(78c)의 제 2 경사 표면들(78e)은 용기 피계합부들(339)의 피계합 개구부들(339d)의 전방 단부들에 연결된 범프들(339c)의 제 2 접촉 표면들(339e)과 접촉하고, 그러므로, 용기 셔터 스프링(336)의 압축력에 대항하는 반력 및 노즐 셔터 스프링(613)의 압축력에 대항하는 반력이 가해진다. 그러나, 계합 부재들(78)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들(782)의 바이어싱 힘들로 인해 초기 위치들에서 유지될 수 있어서, 토너 용기(32)는 부착된 상태에서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토너 용기(32)를 교체하기 위하여 도 57에서 예시된 부착된 상태로부터 탈착 방향(Q1)에서 토너 용기(32)를 탈착하는 경우가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사용자가 그립퍼(303)(도 6 참조)를 잡음으로써 도 57에서 예시된 바와 같은 부착된 상태에서 유지된 토너 용기를 끌어당길 때, 토너 용기(32)를 끌어내기 위한 힘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용기 셔터 스프링(336)의 압축력에 대항하는 반력 및 노즐 셔터 스프링(613)의 압축력에 대항하는 반력에 추가하여, 사용자에 의해 토너 용기(32)에 가해진다. 이 때, 계합 부재들(78)의 제 2 경사 표면들(78e)은 토너 용기(32)의 제 2 접촉 표면들(339e)를 통해 이 힘들을 받아들인다. 계합 부재들(78)에 가해진 비틀림 코일 스프링들(782)의 바이어싱 힘들이 상기 설명된 힘들보다 더 클 때, 토너 용기(32)는 부착된 상태에서 유지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사용자가 끌어당기는 힘을 증가시키고 상기 설명된 힘들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들(782)의 바이어싱 힘들보다 더 커질 때, 계합 부재들(78)은 개방 방향(해제 방향(R2))으로 축(781) 주위로 회전된다.
사용자가 탈착 방향(Q)으로 토너 용기(32)를 더욱 끌어당길 때, 그/그녀는 대략 삼각형인 범프들(339c)의 상단부들이 선단부들(78c)의 상단부들(P2)과 대향하는 위치들에 도달하기 직전에 가장 큰 끌어당기는 힘을 가할 필요가 있다. 대략 삼각형인 범프들(339c)의 상단부들이 선단부들(78c)의 상단부들(P2)과 대향하는 위치들에서, 좌측 및 우측 계합 부재들(78)을 외부를 향해 밀어 개방하는 힘에 대항하는 반력이 최대가 된다. 토너 용기(32)가 이 위치를 통과할 때, 선단부들(78c)의 제 2 경사 표면들(78e) 및 범프들(339c)의 제 2 접촉 표면들(339e)은 서로 분리되어, 좌측 및 우측 계합 부재들(78)을 밀어 개방하는 힘은 계합 부재들(78)에 작동하지 않고, 계합 부재들(78)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782)의 바이어싱 힘들(압축에 대항하는 복원력)로 인해 (계합 방향(R1)으로) 축들(781) 주위로 회전한다. 그 다음으로, 계합 부재들(78)의 선단부들(78c)은 용기 커버(34)의 안내 홈들(339b)과 접촉한다. 이 때, 용기 셔터 스프링(336)의 압축력에 대항하는 반력 및 노즐 셔터 스프링(613)의 압축력에 대항하는 반력은 탈착 방향(Q1)에서의 토너 용기(32)의 이동을 가속화하도록 동일한 방향에서 작동한다. 이 힘들의 도움으로, 사용자는 토너 용기(32)를 토너 용기 유지부(70)로부터 탈착할 수 있고, 복사기(500)의 전방 측(도 2의 시트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전방 측)으로부터 토너 용기(32)를 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가 부착된 상태에 있을 때, 용기 셔터 스프링(336)의 압축력에 대항하는 반력(복원력) 및 노즐 셔터 스프링(613)의 압축력에 대항하는 반력(복원력)은 부착 방향(Q)과 반대인 탈착 방향(Q1)에서 토너 용기(32)에 작동한다. 그러므로, 계합 부재들(78)을 초기 위치들로 바이어싱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들(782)의 스프링 압력(스프링에 의한 압력(부하))은 토너 용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반력들보다 더 큰 것으로 설정된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32)를 부착하기 위하여, 토너 용기(32)가 도 115에서 예시된 상태로부터 도 57에서 예시된 부착된 상태로 부착 방향(Q)으로 밀어질 때, 용기 셔터 스프링(336) 및 노즐 셔터 스프링(613)과 같은 2 개의 스프링들의 복원력들과, 계합 부재들(78)을 초기 위치들로 바이어싱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들(782)의 바이어싱 힘들은 토너 용기(32)의 이동 방향인 부착 방향(Q)과 반대인 탈착 방향(Q1)에서 작동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상기 힘들에 대항하여 부착 방향(Q)으로 토너 용기(32)를 민다.
대조적으로, 토너 용기(32)가 탈착 방향(Q1)으로 끌어당겨질 때, 토너 용기(32)가 부착 동작과 유사하게 계합 부재들(78)을 초기 위치들로 바이어싱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들(782)의 바이어싱 힘들에 대항하여 끌어당겨지는 동안에, 셔터 스프링(336) 및 노즐 셔터 스프링(613)과 같은 2 개의 스프링들의 복원력들은 토너 용기(32)의 이동 방향인 탈착 방향(Q1)에서의 보조적인 힘으로서 작동한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32)를 토너 용기 유지부(70)에 부착하기 위한 동작시키는 힘 및 토너 용기(32)를 토너 용기 유지부(70)로부터 탈착하기 위한 동작시키는 힘 사이의 차이가 증가되고, 이것은 부착/탈착 동작에서의 불편한 느낌을 사용자에게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에서, 계합 부재들(78)의 형상들 및 용기 피계합부들(339)의 형상들은, 부착을 위한 사용자의 동작시키는 힘 및 탈착을 위한 사용자의 동작시키는 힘 사이의 차이가 감소될 수 있도록 구상된다. 구체적으로, 계합 부재들(78) 및 용기 피계합부들(339)은, 토너 용기(32)를 부착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부착 방향(Q)에서의 힘으로 인해 해제 방향(R2)으로 계합 부재들(78)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회전 모멘트가 토너 용기(32)를 탈착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탈착 방향(Q1)에서의 힘으로 인해 해제 방향(R2)으로 계합 부재들(78)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 2 회전 모멘트보다 더 커지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으로, 토너 용기(32)가 탈착될 때와 비교하여, 토너 용기(32)가 부착될 때에 계합 부재들(78)을 더욱 용이하게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토너 용기(32)가 부착될 때와 비교하여 토너 용기(32)가 탈착될 때, 계합 부재들(78)의 회전이 더 무거워진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토너 용기(32)를 부착할 때, 그/그녀는 토너 용기(32)를 토너 용기 유지부(70)를 향해 이동시키기 위하여, 탈착 방향(Q1)에서 용기 셔터 스프링(336) 및 노즐 셔터 스프링(613)과 같은 2 개의 스프링들의 복원력들에 대항하는 힘을 가하지만, 부착으로 인해 작동하는 계합 부재들(78)로부터 더 적은 힘들을 받아들인다. 대조적으로, 사용자가 토너 용기(32)를 끌어당길 때, 탈착 방향(Q1)에서의 용기 셔터 스프링(336) 및 노즐 셔터 스프링(613)과 같은 2 개의 스프링들의 복원력들은 보조적인 힘으로서 작동하지만, 탈착으로 인해 작동하는 계합 부재들(78)로부터 받아들여진 힘들은 토너 용기(32)의 부착 동안에 받아들여진 힘들에 비해 증가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의 토너 용기 유지부(70)로의 토너 용기(32)의 부착 및 그로부터의 토너 용기(32)의 탈착 사이의 사용자의 동작시키는 힘에 있어서의 차이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부착/탈착 동작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계합 부재들(78)에 가해진 힘들 사이의 관계는 도 117 내지 도 120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17은 안내 돌출부(339a)가 부착 방향(Q)으로의 밀기로 인해 계합 부재(78)와 접촉하는 상태를 예시한다. 도 118은 부착 방향(Q)으로의 밀기로 인해 부착된 상태가 얻어지기 직전의 상태를 예시한다. 도 117에서는, 일 측 상의(용기 전방 단부로부터 용기 후방 단부로 관측된 좌측 상의) 안내 돌출부(339a), 안내 경사 표면(339a1), 안내 홈(339b), 및 계합 부재(78)가 예시되어 있다. 도 118에서는, 일 측 상의(용기 전방 단부로부터 용기 후방 단부로 관측된 좌측 상의) 안내 홈(339b), 범프(339c), 피계합 개구부(339d), 및 계합 부재(78)가 예시되어 있다.
도 119는 토너 용기(32)의 부착된 상태를 예시한다. 도 120은 부착된 상태에서의 토너 용기(32)가 탈착 방향(Q1)에서 탈착되는 상태를 예시한다. 도 119 및 도 120에서는, 일 측 상의(용기 전방 단부로부터 용기 후방 단부로 관측된 좌측 상의) 안내 홈(339b), 범프(339c), 피계합 개구부(339d), 및 계합 부재(78)가 예시되어 있다.
토너 용기(32)가 부착 방향(Q)에서 설정될 때에 계합 부재들(78) 상에서 생성된 회전 모멘트들의 관계는 도 117 및 도 118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이 경우, 용기 셔터 스프링(336)의 압축력에 대항하는 반력(복원력) 및 노즐 셔터 스프링(613)의 압축력에 대항하는 반력(복원력)의 결과적인 힘인 복원 스프링력(F)은 탈착 방향(Q1)에서 토너 용기(32)에 작동한다. 또한, 도 117에서, U1은 용기 커버(34)의 안내 돌출부들(339a)의 아내 경사 표면들(339a1) 및 계합 부재들(78)의 선단부들(78c)의 상단부들(P2)이 서로 접촉해 있는 동안에 부착 방향(Q)으로 토너 용기(32)를 밀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힘을 나타낸다. 또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복원 스프링력(F)이 부착 방향(Q)과 반대인 탈착 방향(Q1)에서 작동하므로, 부착 방향(Q)에서 토너 용기(32)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력(S1)은 S1 = U1 - F에 의해 표현된다.
토너 용기(32)의 좌측 및 우측 안내 경사 표면들(339a1)이 부착 방향(Q)에서 토너 용기(32)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력(S1)에 의해 좌측 및 우측 계합 부재들(78)을 밀어 개방하도록, 해제 방향(R2)으로 계합 부재들(78)을 회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먼저, 해제 방향(R2)에서 작동하는 제 3 회전 모멘트로서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M1)가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17에서, 설정력(S1)으로 인한 수직 힘(S1n)은 계합 부재들(78)에 작동한다. 구체적으로, 계합 부재(78)의 선단부(78c)의 상단부(P2)는 안내 경사 표면(339a1)과 접촉하므로, 수직 힘(S1n)은 선단부(78c)의 상단부(P2) 및 안내 경사 표면(339a1) 사이의 접촉 포인트에서의 접선에 수직인 방향으로(즉, R-표면의 중심 및 접촉 포인트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작동한다. 수직 힘(S1n)은 해제 방향(R2)에서의 회전 모멘트로서 작동한다.
이 경우, 수직 힘(S1n)은 선단부(78c)의 상단부(P2) 및 안내 경사 표면(339a1) 사이의 접촉 포인트에서의 접선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설정력(S1)의 성분으로서 표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수직 힘(S1n)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S1n = S1COSθ1
여기서, θ1은 수직 힘(S1n)이 작동하는 방향 및 설정력(S1)이 작동하는 부착 방향(Q) 사이의 각도이다(0 < θ1 ≤ π/2).
또한, 2 개의 계합 부재들(78)이 토너 용기(32)의 좌측 및 우측 상에 구비되므로, 좌측 및 우측 계합 부재들(78)의 각각에서 작동하는 힘은 1/2×S1n으로서 표현된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32)의 좌측 및 우측 안내 경사 표면들(339a1)이 도 117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및 우측 계합 부재들(78)을 밀어 개방하도록, 해제 방향(R2)으로 계합 부재들(78)의 각각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모멘트(M1)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M1 = 1/2×S1n×L1 = 1/2×S1COSθ1×L1
여기서, 해제 방향(R2)은 도면에서 시계방향이다.
그런데, L1은 제 1 라인 및 제 2 라인 사이의 거리이다. 제 1 라인은 선단부(78c)의 상단부(P2) 및 안내 경사 표면(339a1) 사이의 접촉 포인트에서의 접선에 수직이다. 제 2 라인은 지주로서 작용하는 축(781)의 회전 중심(P1)을 통과하고, 접선에 수직인 라인에 대해 평행하다. 즉, L1은 1/2×S1n의 모멘트 아암(moment arm)의 길이이다.
대조적으로, 계합 부재(78)는 계합 방향에서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782)의 스프링력(Fsp)에 의해 바이어싱된다.
위와 유사하게, 계합 방향(R1)에서 작동하는 회전 모멘트(M2)에 관하여, 회전 모멘트(M2)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M2 = Fsp×L2
여기서, 계합 방향은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이다.
그런데, L2는 제 3 라인 및 제 4 라인 사이의 거리이다. 제 3 라인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782)의 스프링력이 작동하는 위치(스프링 가압부(78g))를 통과한다. 제 4 라인은 회전 중심(P1)을 통과하고 스프링 가압부를 통과하는 라인에 대해 평행하다. 즉, L2는 스프링력(Fsp)의 모멘트 아암의 길이이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 유지부(70)를 향해 부착 방향(Q)으로 토너 용기(32)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해제 방향(R2)에서 작동하는 회전 모멘트(M1)는 계합 방향(R1)에서 작동하는 회전 모멘트(M2)보다 더 클 필요가 있다.
즉, 1/2×S1COSθ1×L1 > Fsp×L2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 경우, S1 = U1 - F이므로, 부착 방향(Q)으로 토너 용기(32)를 밀기 위한 힘(U1)은 S1 = U1 - F를 관계 표현식에 배정하여 U1에 대한 상기 관계 표현식을 구함으로써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U1 > (2/COSθ1)×(L2/L1)×Fsp + F (1)
또한, 안내 경사 표면(339a1) 및 계합 부재(78)의 상단부(P2) 사이의 접촉으로 인해 토너 용기(32)에 작동하는 반력은 1/2×S1n의 수직 힘의 그것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1/2×S1n의 수직 힘의 반대 방향에서 작동한다. 그러므로, 탈착 방향(Q1)에서의 힘의 성분은 1/2×S1nCOSθ1로서 표현된다. 따라서, 토너 용기(32)가 도 117에서 예시된 상태에서 부착 방향(Q)으로 이동하게 하는 사용자에 의해 지각된 반력(Cf1)은 복원 스프링력(F) 및 힘의 성분의 합과 동일하고, Cf1 = F + 1/2×S1nCOSθ1로서 표현되며, 여기서, 반력(Cf1)은 탈착 방향(Q1)에서 작동한다. 반력(Cf1)은 θ1 = π/2일 때에 최소가 된다. 이것은 θ1이 부착 방향(Q)에 대해 직각이 되는 접촉 상태가 얻어질 때, 즉, 계합 부재(78)의 선단부(78c)의 상단부(P2)가 용기 피계합부(339)의 안내 홈(339b)과 접촉해 있을 때이다.
다음으로, 계합 부재들(78)의 선단부들(78c)의 상단부들(P2)이 토너 용기(32)의 범프들(339c)의 상부에서 통과할 때에 계합 부재들(78)에 작동하는 회전 모멘트들의 관계는 도 118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돌출부들의 형태인 범프들(339c)은 토너 용기(32)가 토너 용기 유지부(70)에 부착될 때에 부착의 완료를 표시하기 위한 클릭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용기 커버(34) 상에 구비된다. 도 117을 참조한 상기 설명들과 유사하게, 부착 방향(Q)으로 토너 용기(32)를 밀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힘이 U2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탈착 방향(Q1)에서의 복원 스프링력이 F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가정하면, 부착 방향(Q)에서 토너 용기(32)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력(S2)은 S2 = U2 - F에 의해 표현된다.
토너 용기(32)의 범프들(339c)(제 1 접촉 표면들(339f))이 부착 방향(Q)에서 토너 용기(32)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력(S2)에 의해 계합 부재들(78)의 선단부들(78c)(제 1 경사 표면들(78f)) 상부에서 통과할 수 있도록, 해제 방향(R2)으로 계합 부재들(78)을 회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먼저, 해제 방향(R2)으로 계합 부재들(78)을 회전시키는 제 1 회전 모멘트로서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M3)는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범프(339c)의 제 1 접촉 표면(339f)은 계합 부재(78)의 제 1 경사 표면(78f)과 접촉하고 있다. 그러므로, 계합 부재(78)의 제 1 경사 표면(78f)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설정력(S2)의 성분인 힘(S2n)은 해제 방향(R2)에서의 회전 모멘트(M3)로서 작동한다.
이 경우, 설정력(S2)의 성분으로서의 힘(S2n)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S2n = S2COSθ2
여기서, θ2는 제 1 경사 표면(78f)에 수직인 방향 및 설정력(S2)이 작동하는 부착 방향(Q) 사이의 각도이다.
계합 부재들(78)은 특히, 토너 용기(32)의 좌측 및 우측 상의 2 개의 위치들에서 구비된다. 그러므로, 제 1 경사 표면들(78f)의 각각에서 작동하는 힘은 1/2×S2n으로서 표현된다.
그러므로, 도 118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가 부착 방향(Q)에서 부착될 때의 해제 방향(R2)에서의 회전 모멘트(M3)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M3 = 1/2×S2n×L3 = 1/2×S2COSθ2×L3
여기서, 해제 방향(R2)은 도면에서 시계방향이다.
그런데, L3은 제 5 라인 및 제 6 라인 사이의 거리이다. 제 5 라인은 제 1 경사 표면(78f)에 수직이고, 제 1 접촉 표면(339f) 및 제 1 경사 표면(78f) 사이의 접촉 포인트로부터 인출된다. 제 6 라인은 지주로서 작용하는 축(781)의 회전 중심(P1)을 통과하고, 제 1 경사 표면에 수직인 라인에 대해 평행하다. 즉, L3은 1/2×S2n의 힘의 모멘트 아암의 길이이다.
또한, 계합 방향(R1)에서 작동하는 회전 모멘트(M4)는 회전 모멘트(M2)와 동일하고,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M4 = Fsp×L2
여기서, 계합 방향(R1)은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이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32)를 설정하기 위하여, 모멘트들의 관계는, 계합 방향(R1)에서 작동하는 회전 모멘트가 해제 방향(R2)에서 작동하는 회전 모멘트보다 더 커지도록, 다시 말해서, M3 > M4가 되도록 설정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1/2×S2COSθ2×L3 > Fsp×L2의 관계가 충족된다.
이 경우, S2 = U2 - F이므로, 부착 방향(Q)으로 토너 용기(32)를 밀기 위한 힘(U2)은 S2 = U2 - F를 관계 표현식에 배정하여 U2에 대한 상기 관계 표현식을 구함으로써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U2 > (2/COSθ2)×(L2/L3)×Fsp + F (2)
또한, 범프(339c)의 제 1 접촉 표면(339f) 및 계합 부재(78)의 제 1 경사 표면(78f) 사이의 접촉으로 인해 토너 용기(32)에 작동하는 반력은 1/2×S2n의 수직 성분의 그것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1/2×S2n의 수직 성분의 반대 방향에서 작동한다. 그러므로, 탈착 방향(Q1)에서의 힘의 성분은 1/2×S2nCOSθ2로서 표현된다. 따라서, 토너 용기(32)가 도 118에서 예시된 상태에서 부착 방향(Q)으로 이동하게 하는 사용자에 의해 지각된 반력(Cf2)은 복원 스프링력(F) 및 힘의 성분의 합과 동일하고, Cf2 = F + 1/2×S2nCOSθ2로서 표현되며, 여기서, 반력(Cf2)은 탈착 방향(Q1)에서 작동한다.
반력(Cf2)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반력(Cf1)보다 더 크다. 사용자는 먼저 반력(Cf2)을 느끼고, 이 직후에, 계합 부재들(78)의 선단부들(78c)이 피계합 개구부(339d) 내로 진입되기 때문에 반력(Cf2)이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느낀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토너 용기 유지부(70)로의 토너 용기(32)의 부착이 완료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반력이 한번 증가되고 즉시 감소되도록 사용자로 하여금 반력에서의 차이를 느끼게 함으로써, 소위 클릭감이 사용자에게 부여된다.
그런데, 해제 방향(R2)으로 계합 부재들(78)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 3 회전 모멘트로서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M1)는 해제 방향(R2)으로 계합 부재들(78)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회전 모멘트로서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M3)보다 더 크다.
다음으로, 계합 부재들(78)의 선단부들(78c)의 제 2 경사 표면들(78e) 및 토너 용기(32)의 범프들(339c)의 제 2 접촉 표면들(339e)이 서로 접촉하고 있는 부착된 상태에서 계합 부재들에 작동하는 회전 모멘트들의 관계는 도 119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부착된 상태에서는, 용기 셔터 스프링(336)의 압축력에 대항하는 복원력 및 노즐 셔터 스프링(613)의 압축력에 대항하는 복원력의 결과적인 힘인 복원 스프링력(F)이 탈착 방향(Q1)에서 토너 용기(32)에 작동한다.
토너 용기(32)가 복원 스프링력(F)으로 인해 탈착 방향(Q1)으로 밀어내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건은, 계합 부재(78)가 도 119에서 예시된 부착된 상태에서 지주로서 작용하는 축(781) 주위로 (해제 방향(R2)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계합 부재(78)의 지주 주위의 회전 모멘트가 (계합 방향(R1)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작동하는 것이면 충분하다. 좌측 계합 부재(78)의 경우, 반대가 적용되고; 그러므로, 계합 부재(78)의 지주로서의 축(781) 주위의 회전 모멘트가 (계합 방향에서) 시계방향으로 작동하는 것이면 충분하다.
먼저, 해제 방향에서 작동하는 회전 모멘트(M5)가 이하에서 설명된다. 계합 부재(78)의 제 2 경사 표면(78e)은 범프(339c)의 제 2 접촉 표면(339e)과 접촉하고 있다. 그러므로, 계합 부재(78)의 제 2 경사 표면(78e)에 수직이며 복원 스프링력(F)의 성분인 힘(Fn)은 해제 방향(R2)에서의 회전 모멘트(M5)로서 작동한다.
이 경우, 복원 스프링력(F)의 성분으로서의 힘(Fn)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Fn = FCOSθ3
여기서, θ3은 제 2 경사 표면(78e)에 수직인 방향 및 복원력(F)이 작동하는 탈착 방향(Q1) 사이의 각도이다.
계합 부재들(78)은 특히, 토너 용기(32)의 좌측 및 우측 상의 2 개의 위치들에서 구비된다. 그러므로, 제 2 경사 표면들(78e)의 각각에서 작동하는 힘은 1/2×Fn으로서 표현된다.
그러므로, 도 119에서 예시된 부착된 상태에서 해제 방향(R2)에서의 회전 모멘트(M5)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M5 = 1/2×Fn×L4 = 1/2×FCOSθ3×L4
여기서, 해제 방향(R2)은 도면에서 시계방향이다.
그런데, L4는 제 7 라인 및 제 8 라인 사이의 거리이다. 제 7 라인은 제 2 경사 표면(78e)에 수직이고, 제 2 접촉 표면(339e) 및 제 2 경사 표면(78e) 사이의 접촉 포인트로부터 인출된다. 제 8 라인은 지주로서 작용하는 축(781)의 회전 중심(P1)을 통과하고, 제 2 경사 표면에 수직인 라인에 대해 평행하다. 즉, L4는 1/2×Fn의 힘의 모멘트 아암의 길이이다.
또한, 계합 방향(R1)에서 작동하는 회전 모멘트(M6)는 회전 모멘트(M2 또는 M4)와 동일하고,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M6 = Fsp×L2
여기서, 계합 방향(R1)은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이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에서 부착된 위치에서 유지되는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계합 방향(R1)에서 작동하는 회전 모멘트(M6)가 해제 방향(R2)에서 작동하는 회전 모멘트(M5)보다 더 커지도록, 모멘트들의 관계가 설정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1/2×FCOSθ3×L4 < Fsp×L2의 관계가 충족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탈착 방향(Q1)에서 토너 용기(32)를 끌어낼 때에 계합 부재들(78) 상에서 생성된 회전 모멘트들의 관계가 도 120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먼저, 해제 방향(R2)으로 계합 부재들(78)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 2 회전 모멘트로서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M7)가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탈착 방향(Q1)으로 토너 용기(32)를 끌어내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힘이 U3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가정하면, 복원 스프링력(F) 또한 동일한 방향에서 작동하므로, 탈착 방향(Q1)으로 토너 용기(32)를 끌어내기 위한 끌어당기는 힘(S3)은 S3 = U3 + F로서 표현된다.
계합 부재(78)의 제 2 경사 표면(78e)에 수직이며 끌어당기는 힘(S3)의 성분(즉, 계합 부재(78)의 제 2 경사 표면(78e) 및 용기 피계합부(339)의 제 2 접촉 표면(339e) 사이의 접촉 포인트에서의 접선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성분)인 힘(S3n)은 해제 방향(R2)에서 회전 모멘트(M7)로서 작동한다.
그런데, 계합 부재(78)의 회전 중심(P1)이 힘(S3n)이 작동하는 방향 상에 위치되지 않도록, 계합 부재(78)의 제 2 경사 표면(78e) 및 용기 피계합부(339)의 제 2 접촉 표면(339e)의 경사를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경우, 끌어당기는 힘(S3)의 성분으로서의 힘(S3n)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S3n = S3COSθ3
여기서, θ3는 제 2 경사 표면(78e)에 수직인 방향 및 끌어당기는 힘(S3)이 작동하는 탈착 방향(Q1) 사이의 각도이다.
계합 부재들(78)은 특히, 토너 용기(32)의 좌측 및 우측 상의 2 개의 위치들에서 구비된다. 그러므로, 제 2 경사 표면들(78e)의 각각에서 작동하는 힘은 1/2×S3n으로서 표현된다.
그러므로, 도 119에서 예시된 상태에서 탈착 방향(Q1)으로 토너 용기(32)를 끌어내기 위한 해제 방향(R2)에서의 회전 모멘트(M7)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M7 = 1/2×S3n×L4 = 1/2×S3COSθ3×L4
여기서, 해제 방향(R2)은 도면에서 시계방향이다.
그런데, L4는 제 7 라인 및 제 8 라인 사이의 거리이다. 제 7 라인은 제 2 경사 표면(78e)에 수직이고, 제 2 접촉 표면(339e) 및 제 2 경사 표면(78e) 사이의 접촉 포인트로부터 인출된다. 제 8 라인은 지주로서 작용하는 축(781)의 회전 중심(P1)을 통과하고, 제 2 경사 표면에 수직인 라인에 대해 평행하다. 즉, L4는 1/2×S3n의 힘의 모멘트 아암의 길이이다.
또한, 계합 방향(R1)에서 작동하는 회전 모멘트(M8)는 회전 모멘트(M2, M4, 또는 M6)와 동일하고,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M8 = Fsp×L2
여기서, 계합 방향(R1)은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이다.
그러므로, 탈착 방향(Q1)으로 토너 용기(32)를 끌어내기 위하여, 모멘트들의 관계는, 해제 방향(R2)에서 작동하는 회전 모멘트(M7)가 계합 방향(R1)에서 작동하는 회전 모멘트(M8)보다 더 커지도록, 다시 말해서, M7 > M8이 되도록 설정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1/2×S3COSθ3×L4 > Fsp×L2의 관계가 충족된다.
이 경우, S3 = U3 + F이므로, 탈착 방향(Q1)으로 토너 용기(32)를 끌어내기 위한 힘(U3)은 S3 = U3 + F를 관계 표현식에 배정하여 U3에 대한 상기 관계 표현식을 구함으로써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U3 > (2/COSθ3)×(L2/L4)×Fsp - F (3)
또한, 범프(339c)의 제 2 접촉 표면(339e) 및 계합 부재(78)의 제 2 경사 표면(78e) 사이의 접촉으로 인해 토너 용기(32)에 작동하는 반력은 1/2×S3n의 수직 성분의 그것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1/2×S3n의 수직 성분의 반대 방향에서 작동한다. 그러므로, 탈착 방향(Q1)에서의 힘의 성분은 -1/2×S3nCOSθ3으로서 표현된다. 따라서, 토너 용기(32)가 도 120에서 예시된 상태에서 탈착 방향(Q1)으로 이동하게 하는 사용자에 의해 지각된 반력(Cf3)은 복원 스프링력(F) 및 성분력의 합과 동일하고, Cf3 = F - 1/2×S3nCOSθ3로서 표현되며, 여기서, 반력(Cf3)은 탈착 방향(Q1)에서 작동한다.
그런데, 해제 방향(R2)으로 계합 부재들(78)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회전 모멘트로서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M3)는 해제 방향(R2)으로 계합 부재들(78)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 2 회전 모멘트로서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M7)보다 더 크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부착 방향(Q)으로 토너 용기(32)를 밀 때, 사용자는 먼저 미는 힘(U1)을 토너 용기(32)에 가하고, 그 다음으로, 미는 힘(U2)을 가한다. 또한, 탈착 방향(Q1)으로 토너 용기(32)를 끌어낼 때, 사용자는 끌어당기는 힘(U3)을 토너 용기(32)에 가한다.
미는 힘(U1)의 하한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표현식 (1)에 의해 얻어지고, 미는 힘(U2)의 하한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표현식 (2)에 의해 얻어지고, 끌어당기는 힘(U3)의 하한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표현식 (3)에 의해 얻어진다.
또한, 회전 모멘트들의 크기들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설정된다:
M5 < M2 = M4 = M6 = M8 < M7 < M1 < M3 (4)
동작시키는 힘들 및 반력들의 크기들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설정된다.
F < U1 < U2 (5)
U2
Figure 112015089314522-pct00004
U3 (6)
Cf1 < Cf2 (7)
표현식들 (4) 내지 (7)이 동시에 충족될 수 있도록, 표현식들 (4) 내지 (7)에서 이용된 모든 파라미터들 θ1, θ2, θ3, L1, L2, L3, L4, Fsp, 및 F를 설정함으로써, 그리고 특히, 부착 시에 계합 부재들(78)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모멘트(M3) 및 탈착 시에 계합 부재들(78)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모멘트(M7) 사이의 차이를 증가시킴으로써, 분체 용기를 분체 보급 디바이스에 부착하고 이로부터 탈착하기 위하여 이용된 동작시키는 힘(U2) 및 동작시키는 힘(U3) 사이의 차이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부착/탈착 동작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파라미터들 θ1, θ2, θ3, L1, L2, L3, L4, Fsp, 및 F의 각각은, 용기 셔터 스프링(336)의 스프링 압력과, 토너 용기(32)의 용기 커버(34)의 용기 피계합부들(339)의 형상들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그리고 노즐 셔터 스프링(613)의 스프링력, 계합 부재들(78)의 형상들, 및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782)의 스프링 압력을 설정함으로써 희망하는 바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도 12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계합 부재들의 예를 예시한다.
도 121에서, 계합 부재(78)는 그 종방향이 부착 방향(Q) 및 탈착 방향(Q1)에 평행하게 배향되도록 예시되어 있다.
도 121에서, 용기 피계합부(339)의 접촉 포인트(작동의 포인트)가 이동하는 선단부(78c)의 제 1 경사 표면(78f) 및 제 2 경사 표면(78e)의 각각의 각도들인 경사 각도들 θ4 및 θ5는 계합 부재들(78)의 종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 45°로 설정된다. 또한, 부착/탈착 방향에서의 선단부(78c)의 상단부(P2)로부터 회전 중심(P1)까지의 길이(L5)는 12.37 mm로 설정된다. 또한, 폭 방향(W)(부착 방향(Q) 및 탈착 방향(Q1)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선단부(78c)의 상단부(P2)로부터 회전 중심(P1)까지의 길이(L6)는 8.5 mm로 설정된다.
이 경우, θ2 = 51°, θ3 = 45°, L2 = 13.2 mm, L3 = 13.5 mm, L4 = 5.7 mm, Fsp = 5 뉴턴(Newton; N), 및 F = 10이므로,
표현식 (2)에 기초하여 U2 > 25.5 N 이고,
표현식 (3)에 기초하여 U3 > 22.7 N 이다.
그러므로, 사용자에 의해 토너 용기(32)에 가해져야 할 미는 힘(U2) 및 끌어당기는 힘(U3) 사이의 차이를 감소시키고, 미는 힘(U2) 및 끌어당기는 힘(U3)을 대략 동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토너 용기(32)의 토너 보급 디바이스(60)(토너 용기 유지부(70))로의 부착 및 그로부터의 탈착 사이의 동작시키는 힘에 있어서의 차이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져서, 동작성을 개선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토너의 400 내지 500 그램을 수용하는 토너 용기를 부착 및 탈착하기 위한 사용자의 동작시키는 힘을 50 N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동작시키는 힘을 30 N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토너 용기(32)를 토너 용기 유지부(70)에 부착하기 위한 사용자의 동작시키는 힘 및 토너 용기(32)를 토너 용기 유지부(70)로부터 탈착하기 위한 사용자의 동작시키는 힘 사이의 차이가 3N 이하로 설정될 경우, 탈착 동작에서 사용자에 의해 지각될 수도 있는 불편한 느낌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의 토너 용기(32)가 용기 셔터 스프링(336) 및 노즐 셔터 스프링(613)을 포함하므로, 토너 용기(32)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스프링들의 힘들의 결과적인 힘(복원 스프링력(F))에 대항하여 토너 용기 유지부(70)에 부착되어야 할 경우, 부착 방향(Q)에서의 사용자의 동작시키는 힘들(U1 및 U2)은 결과적인 힘(복원 스프링력(F))에 의해 증가된다.
또한, 결과적인 힘(복원 스프링력(F))은 토너 용기(32)가 토너 용기 유지부(70)에서 설정되는 부착된 상태에서도 작동한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32)를 신뢰성 있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들로서 작용하는 계합 부재들(78)로 하여금 비교적 큰 유지력을 토너 용기(32)에 가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부착된 상태에서의 계합 부재들(78)의 유지력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증가될 경우, 부착 방향(Q)에서의 사용자의 동작시키는 힘들(U1 및 U2)을 더욱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해진다. 또한, 사용자가 설정의 완료를 인식하도록 하기 위한 클릭감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계합 부재들(78)의 선단부들(78c)이 범프들(339c) 상부에서 통과하기 전후에 사용자의 동작시키는 힘에 있어서의 차이를 보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동작시키는 힘(U1)에 비해 사용자의 동작시키는 힘(U2)을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해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의 용기 커버(34)는, 계합 부재들(78)의 계합 방향(R1)에서의 회전 모멘트들(M2, M4, M6, 및 M8)에 대항하여 축들(781) 주위로 해제 방향(R2)으로 계합 부재들(78)을 회전시키기 위한 힘들을 생성하는 힘 변환부로서 작용하는 범프들(339c) 및 안내 경사 표면들(339a1)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토너 용기(32)가 토너 용기 유지부(70)를 향해 부착 방향(Q)으로 이동될 때, 안내 경사 표면들(339a1) 및 계합 부재들(78)의 제 1 경사 표면들(78f)은 서로 접촉한다. 접촉으로 인한 계합 부재들(78)의 제 1 경사 표면들(78f) 상의 접촉 포인트들은 축들(781) 주위의 해제 방향(R2)으로 계합 부재들(78)을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의 포인트들로서 작용한다. 그리고, 축들(781)의 중심들(P1)로부터 작동의 포인트들을 통과하는 라인까지의, 회전력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거리는 축들(781) 주위의 계합 부재들(78)의 회전 모멘트들(M1)의 아암들(L1)로서 작용한다.
유사하게, 제 1 접촉 표면들(339f) 및 제 1 경사 표면들(78f)이 서로 접촉할 때, 접촉으로 인한 계합 부재들(78)의 제 1 경사 표면들(78f) 상의 접촉 포인트들은 축들(781) 주위의 해제 방향(R2)으로 계합 부재들(78)을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의 포인트들로서 작용한다. 그리고, 축들(781)의 중심들(P1)로부터 작동의 포인트들까지의, 회전력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거리들은 축들(781) 주위의 계합 부재들(78)의 회전 모멘트들(M3)의 아암들(L3)로서 작용한다.
토너 용기(32)가 탈착 방향(Q1)으로 토너 용기 유지부(70)로부터 이동될 때, 제 2 접촉 표면들(339e) 및 계합 부재들(78)의 제 2 경사 표면들(78e)은 서로 접촉한다. 접촉으로 인한 계합 부재들(78)의 제 2 경사 표면들(78e) 상의 접촉 포인트들은 축들(781) 주위의 해제 방향(R2)으로 계합 부재들(78)을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의 포인트들로서 작용한다. 그리고, 축들(781)의 중심들(P1)로부터 작동의 포인트들까지의, 회전력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거리들은 축들(781) 주위의 계합 부재들(78)의 회전 모멘트들(M7)의 아암들(L4)로서 작용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모두 힘 트랜스듀서(force transducer)들로서 작용하는 안내 경사 표면들(339a1), 제 1 접촉 표면들(339f), 및 제 2 접촉 표면들(339e)은 용기 커버(34)에서 구비되고, 제 1 경사 표면들(78f) 및 제 2 경사 표면들(78e)은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들로서 작용하는 계합 부재들(78)에서 구비된다. 그러므로, 토너(32)를 토너 용기 유지부(70)에 부착하기 위한 작동의 포인트들의 위치들은 토너 용기(32)를 토너 용기 유지부(70)로부터 탈착하기 위한 작동의 포인트들의 위치들과는 상이하다.
그러므로, 축들(781) 주위의 계합 부재들(78)의 회전 모멘트들의 아암들의 길이들 L1, L3, 및 L4는 L1 > L3 > L4가 되도록 서로 상이하여, 토너 용기(32)가 부착될 때에 더 작은 힘에 의해 계합 부재들(78)이 회전될 수 있고, 토너 용기(32)가 부착될 때와 비교하여, 토너 용기(32)가 탈착될 때에 더 큰 힘에 의해 계합 부재들(78)이 회전된다. 결과적으로, 분체 보급 디바이스로서 작용하는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의 토너 용기 유지부(70)로의 토너 용기(32)의 부착 및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의 토너 용기 유지부(70)로부터의 토너 용기(32)의 탈착 사이의 사용자의 동작시키는 힘에 있어서의 차이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부착/탈착 동작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나선형 홈(302)이 구비된 용기 몸체(33)를 포함하며 용기 몸체(33)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용기 커버(34)를 포함하는 토너 용기(32)가 본체 용기의 예로서 설명되지만; 그러나, 구성은 그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용기 몸체는 용기 내부에서 스크류와 같은 반송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정보 저장 디바이스로서 작용하는 IC 태그(IC 칩)(700)을 용기 커버(34) 상에 장착하고, IC 태그와 접촉함으로써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기로서 작용하는 커넥터(800)를 토너 보급 디바이스(60) 상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제 10 실시형태에서, 나선형 홈을 포함하는 용기 몸체(33)는 용기 몸체로서 이용된다. 그러나, 용기 몸체로서, 본 실시형태의 용기 피계합부들(339)을 도 50 및 도 51a 내지 도 51d에서 예시된 다른 실시형태들의 토너 용기(1032) 상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즉, 계합 부재들(78) 및 용기 피계합부들(339)은, 토너 용기(1032)를 부착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부착 방향(Q)에서의 힘으로 인해 해제 방향(R2)으로 계합 부재들(78)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회전 모멘트(M3)가 토너 용기(1032)를 탈착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탈착 방향(Q1)에서의 힘으로 인해 해제 방향(R2)으로 계합 부재들(78)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 2 회전 모멘트(M7)보다 더 커지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제 10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분체 보급 디바이스로서 작용하는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의 토너 용기 유지부(70)로의 분체 용기로서 작용하는 토너 용기(1032)의 부착 및 토너 보급 디바이스(60)의 토너 용기 유지부(70)로부터의 토너 용기(32)의 탈착 사이의 사용자의 동작시키는 힘에 있어서의 차이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부착/탈착 동작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 내지 제 10 실시형태들이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지만, 이들은 예들에 불과하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임의적인 실시형태들의 조합들에 의해 행해진 임의의 구성들은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발명은 완전하고 명백한 개시물에 대한 특정 실시형태들에 대하여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항들은 이에 따라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원에서 개시된 기본적인 교시사항 내에 상당히 속하는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발생할 수도 있는 모든 변형들 및 대안적인 구성들을 채용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양태들을 더 포함한다.
양태 A-1
분체 용기의 종방향이 수평 방향에서 배향된 상태로 분체 보급 디바이스에 부착되어야 할 분체 용기로서,
분체 용기가 부착되며 분체를 반송하는 반송 노즐;
반송 노즐 상에 구비되며 분체 용기로부터의 분체를 수납하는 분체 수납 구멍;
분체 수납 구멍을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노즐 개방/폐쇄 부재;
분체 수납 구멍을 페쇄하도록 노즐 개방/폐쇄 부재를 바이어싱하기 위한 바이어싱 부재; 및
분체 보급 디바이스에서 분체 용기를 유지하기 위하여 분체 용기의 측부를 바이어싱하고, 분체 용기가 분체 보급 디바이스에 부착될 때에 분체 용기와 접촉하기 위한 제 1 경사 표면을 포함하고, 분체 용기가 분체 보급 디바이스로부터 탈착될 때에 분체 용기와 접촉하기 위한 제 2 경사 표면을 포함하고, 제 1 경사 표면 및 제 2 경사 표면에 비해 분체-용기 부착 방향에서 상류 측 상에 배치되는 축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분체 용기는,
분체를 종방향에서의 일 단부로부터, 용기 개구부가 배치되는 타 단부로 반송하는 회전식 반송기;
용기 개구부에서 배치되며 반송 노즐을 수납하는 노즐 수납부; 및
용기 피계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피계합부는,
분체 용기가 분체 보급 디바이스에 부착될 때에 제 1 경사 표면과 접촉하는 제 1 접촉 표면; 및
분체 용기가 분체 보급 디바이스로부터 탈착될 때에 제 2 경사 표면과 접촉하는 제 2 접촉 표면을 포함하고,
노즐 수납부는 노즐 개방/폐쇄 부재와 접촉하며 바이어싱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제 1 접촉 표면은 분체 용기가 분체 보급 디바이스에 접촉될 때에 제 1 경사 표면과의 접촉에 의해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 상에서 제 1 회전 모멘트를 생성하고,
제 2 접촉 표면은 분체 용기가 분체 보급 디바이스로부터 탈착될 때에 제 2 경사 표면과의 접촉에 의해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 상에서 제 2 회전 모멘트를 생성하고,
제 1 회전 모멘트는 제 2 회전 모멘트보다 더 큰, 분체 용기.
양태 A-2
분체 용기의 종방향이 수평 방향에서 배향된 상태로 분체 보급 디바이스에 부착되어야 할 분체 용기로서,
분체 용기가 부착되며 분체를 반송하는 반송 노즐;
반송 노즐 상에 구비되며 분체 용기로부터의 분체를 수납하는 분체 수납 구멍;
분체 수납 구멍을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노즐 개방/폐쇄 부재;
분체 수납 구멍을 페쇄하도록 노즐 개방/폐쇄 부재를 바이어싱하기 위한 바이어싱 부재; 및
2 개의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들로서,
각각은 분체 용기를 유지하기 위하여 분체 용기의 반대 측부를 바이어싱하고,
각각은 분체 용기가 분체 보급 디바이스에 부착될 때에 분체 용기와 접촉하도록, 분체-용기 부착 방향에서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으로 상향으로 경사지는 제 1 경사 표면을 포함하고,
각각은 분체 용기가 분체 보급 디바이스로부터 탈착될 때에 분체 용기와 접촉하도록, 분체-용기 탈착 방향에서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으로 상향으로 경사지며 제 1 경사 표면과 인접한 상단부를 가지는 제 2 경사 표면을 포함하고, 그리고
각각은 제 1 경사 표면 및 제 2 경사 표면에 비해 분체-용기 부착 방향에서 상류 측 상에 배치되는 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상기 2 개의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분체 용기는,
분체를 종방향에서의 일 단부로부터, 용기 개구부가 배치되는 타 단부로 반송하기 위한 회전식 반송기;
용기 개구부에서 배치되며 반송 노즐을 수납하는 노즐 수납부; 및
용기 피계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피계합부는,
분체 용기가 분체 보급 디바이스에 부착될 때에 제 1 경사 표면들과 접촉하는 제 1 접촉 표면;
분체 용기가 분체 보급 디바이스로부터 탈착될 때에 제 2 경사 표면들과 접촉하는 제 2 접촉 표면; 및
제 1 접촉 표면 및 제 2 접촉 표면 사이의 상단부를 포함하고,
노즐 수납부는 노즐 개방/폐쇄 부재와 접촉하며 바이어싱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용기 피계합부의 제 1 접촉 표면은, 분체-용기 부착 방향에서 하류 측으로부터 상류 측으로 상향으로 경사지고, 분체 용기가 분체 보급 디바이스에 부착될 때에 제 1 경사 표면들과의 접촉들에 의해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들의 제 1 경사 표면들에 힘을 가하고, 제 1 경사 표면들과의 접촉들의 위치들에서, 힘이 제 1 경사 표면들에 가해지는 방향에서의 제 1 접촉 표면으로부터 인출된 직선과, 제 1 접촉 표면으로부터 인출된 직선에 대해 평행하도록 축으로부터 인출된 직선과의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아암을 갖는 제 1 회전 모멘트를 생성하는 경사 표면이고, 그리고
용기 피계합부의 제 2 접촉 표면은, 제 1 접촉 표면 및 제 2 접촉 표면 사이의 상단부로부터 시작하는 분체-용기 탈착 방향에서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으로 하향으로 경사지고, 분체 용기가 분체 보급 디바이스로부터 탈착될 때에 제 2 경사 표면들과의 접촉들에 의해 제 2 경사 표면들에 힘을 가하고, 제 2 경사 표면들과의 접촉들의 위치들에서, 힘이 제 2 경사 표면들에 가해지는 방향에서의 제 2 접촉 표면으로부터 인출된 직선과, 제 2 접촉 표면으로부터 인출된 직선에 대해 평행하도록 축으로부터 인출된 직선과의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아암을 갖는 제 2 회전 모멘트를 생성하는 경사 표면이고, 그리고
분체-용기 부착 및 탈착 방향들에 대한 제 1 접촉 표면 및 제 2 접촉 표면의 각각의 경사 각도는, 제 1 회전 모멘트가 제 2 회전 모멘트보다 더 커지도록 설정되고,
접촉들의 위치들은, 제 1 회전 모멘트의 아암 및 제 2 회전 모멘트의 아암이 길이에 있어서 서로 상이하도록 설정되는, 분체 용기.
양태 A-3
양태 A-2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용기 피계합부는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를 갖는 피계합 개구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피계합 개구부는 제 2 접촉 표면에 인접한, 분체 용기.
양태 A-4
양태 A-3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피계합 개구부는 관통 구멍인, 분체 용기.
양태 A-5
양태들 A-2 내지 A-4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노즐 수납부는,
반송 노즐을 용기 몸체의 내부로 안내하기 위하여 노즐 삽입 개구부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용기 개방/폐쇄 부재, 및
노즐 삽입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용기 개방/폐쇄 부재를 바이어싱하기 위한 용기 바이어싱 부재를 포함하는, 분체 용기.
양태 A-6
양태들 A-2 내지 A-5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용기 몸체의 타 단부 상에 배치되는 용기 커버를 더 포함하고,
용기 커버는 용기 피계합부를 포함하는, 분체 용기.
양태 A-7
양태 A-6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용기 피계합부는 제 1 접촉 표면에 비해 용기 전방 측 상에 안내부를 포함하고,
안내부는 용기 커버의 중심 축선으로부터 용기 커버의 외주로 경사진 경사 표면을 포함하는, 분체 용기.
양태 A-8
양태 A-7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안내부의 경사 표면은, 분체 용기가 분체 보급 디바이스에 부착될 때에 제 1 경사 표면과의 접촉에 의해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의 제 1 경사 표면에 힘을 가하고, 제 1 경사 표면과의 접촉의 위치에서, 힘이 제 1 경사 표면에 가해지는 방향에서의 안내부의 경사 표면으로부터 인출된 직선과, 경사 표면으로부터 인출된 직선에 대해 평행하도록 축으로부터 인출된 직선과의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아암을 갖는 제 3 회전 모멘트를 생성하고,
분체-용기 부착 및 탈착 방향들에 대한 안내부의 경사 표면의 경사 각도는, 제 3 회전 모멘트가 제 1 회전 모멘트보다 더 커지도록 설정되고, 그리고
제 3 회전 모멘트의 아암 및 제 1 회전 모멘트의 아암이 길이에 있어서 서로 상이하도록, 안내부의 경사 표면 및 제 1 경사 표면 사이의 접촉의 위치가 제 1 접촉 표면 및 제 1 경사 표면 사이의 접촉의 위치와는 상이한, 분체 용기.
양태 A-9
양태 A-7 또는 A-8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용기 피계합부는 용기 커버의 외부 표면 상에서, 경사 표면으로부터 인접하고 종방향으로 신장되는 안내 홈을 포함하는, 분체 용기.
양태 A-10
양태들 A-6 내지 A-9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분체 보급 디바이스에 공급되어야 할 분체를 그 안에 저장하기 위한 용기 몸체를 더 포함하고,
용기 몸체는 용기 커버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유지되는, 분체 용기.
양태 A-11
양태 A-10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회전식 반송기는 용기 몸체의 내부 표면 상에 구비된 나선형 리브인, 분체 용기.
양태 A-12
양태들 A-6 내지 A-9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분체 보급 디바이스에 공급되어야 할 분체를 그 안에 저장하기 위한 용기 몸체를 더 포함하고,
용기 몸체는 용기 커버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유지되는, 분체 용기.
양태 A-13
양태 A-12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회전식 반송기는 노즐 수납부와 통합되는, 분체 용기.
양태 A-14
화상 형성 장치로서,
양태들 A-2 내지 A-6, 및 A-9 내지 A-13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분체 용기;
분체 용기로부터 반송된 분체를 이용함으로써 화상 담지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 및
분체 용기로부터 화상 형성 유닛으로 분체를 반송하기 위한 분체 보급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양태 A-15
양태 A-14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 분체 용기가 부착 및 탈착되는 용기 유지부를 더 포함하고,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는 용기 유지부에서 구비된 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용기 유지 방향에서의 회전 모멘트를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에 가하는 가압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양태 A-16
양태 A-14 또는 A-15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 분체 용기가 부착될 때에 용기 커버의 제 1 접촉 표면과의 접촉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제 1 경사 표면 상의 작동의 포인트에서 해제 방향으로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회전 모멘트의 아암의 길이는, 분체 용기가 탈착될 때에 용기 커버의 제 2 접촉 표면과의 접촉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제 2 경사 표면 상의 작동의 포인트에서 해제 방향으로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2 회전 모멘트의 아암의 길이보다 더 긴, 화상 형성 장치.
양태 A-17
화상 형성 장치로서,
양태 A-7 또는 A-8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분체 용기로부터 반송된 분체를 이용함으로써 화상 담지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 및
분체 용기로부터 화상 형성 유닛으로 분체를 반송하기 위한 분체 보급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양태 A-18
양태 A-17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 분체 용기가 부착 및 탈착되는 용기 유지부를 더 포함하고,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는 용기 유지부에서 구비된 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용기 유지 방향에서의 회전 모멘트를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에 가하는 가압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양태 A-19
양태 A-17 또는 A-18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 분체 용기가 부착될 때에 용기 커버의 제 1 접촉 표면과의 접촉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제 1 경사 표면 상의 작동의 포인트에서 해제 방향으로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회전 모멘트의 아암의 길이는, 분체 용기가 탈착될 때에 용기 커버의 제 2 접촉 표면과의 접촉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제 2 경사 표면 상의 작동의 포인트에서 해제 방향으로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2 회전 모멘트의 아암의 길이보다 더 긴, 화상 형성 장치.
양태 A-20
양태들 A-17 내지 A-19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 분체 용기가 부착될 때에 안내부의 경사 표면과의 접촉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제 1 경사 표면 상의 작동의 포인트에서 해제 방향으로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3 회전 모멘트의 아암의 길이는, 제 1 회전 모멘트의 아암의 길이보다 더 긴, 화상 형성 장치.
양태 A-21
분체 용기의 종방향이 수평 방향에서 배향된 상태로 분체 보급 디바이스에 부착되어야 할 분체 용기로서,
분체 용기가 부착되며 분체를 반송하는 반송 노즐;
반송 노즐 상에 구비되며 분체 용기로부터의 분체를 수납하는 분체 수납 구멍;
분체 수납 구멍을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노즐 개방/폐쇄 부재;
분체 수납 구멍을 페쇄하도록 노즐 개방/폐쇄 부재를 바이어싱하기 위한 바이어싱 부재; 및
2 개의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들로서,
각각은 분체 용기를 유지하기 위하여 분체 용기의 반대 측부를 바이어싱하고,
각각은 분체 용기가 분체 보급 디바이스에 부착될 때에 분체 용기와 접촉하도록, 분체-용기 부착 방향에서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으로 상향으로 경사지는 제 1 경사 표면을 포함하고,
각각은 분체 용기가 분체 보급 디바이스로부터 탈착될 때에 분체 용기와 접촉하도록, 분체-용기 탈착 방향에서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으로 상향으로 경사지며 제 1 경사 표면과 인접한 상단부를 가지는 제 2 경사 표면을 포함하고, 그리고
각각은 제 1 경사 표면 및 제 2 경사 표면에 비해 분체-용기 부착 방향에서 상류 측 상에 배치되는 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상기 2 개의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분체 용기는,
분체를 종방향에서의 일 단부로부터, 용기 개구부가 배치되는 타 단부로 반송하기 위한 회전식 반송기;
용기 개구부에서 배치되며 반송 노즐을 수납하는 노즐 수납부; 및
용기 피계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피계합부는,
분체 용기가 분체 보급 디바이스에 부착될 때에 제 1 경사 표면들과 접촉하는 제 1 접촉 표면;
분체 용기가 분체 보급 디바이스로부터 탈착될 때에 제 2 경사 표면들과 접촉하는 제 2 접촉 표면; 및
제 1 접촉 표면 및 제 2 접촉 표면 사이의 상단부를 포함하고,
노즐 수납부는 노즐 개방/폐쇄 부재와 접촉하며 바이어싱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용기 피계합부의 제 2 접촉 표면은, 제 1 접촉 표면 및 제 2 접촉 표면 사이의 상단부로부터 시작하는 분체-용기 탈착 방향에서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으로 하향으로 경사지고, 분체 용기가 분체 보급 디바이스로부터 탈착될 때에 제 2 경사 표면들과의 접촉들에 의해 제 2 경사 표면들에 힘을 가하고, 제 2 경사 표면들과의 접촉들의 위치들에서, 힘이 제 2 경사 표면들에 가해지는 방향에서의 제 2 접촉 표면으로부터 인출된 직선과, 제 2 접촉 표면으로부터 인출된 직선에 대해 평행하도록 축으로부터 인출된 직선과의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아암을 갖는 제 2 회전 모멘트를 생성하는 경사 표면이고,
제 1 접촉 표면은, 제 2 접촉 표면에 비해 분체-용기 부착 방향에서 하류 측 상에 구비되고, 분체-용기 부착 방향에서 하류 측으로부터 상류 측으로 상향으로 경사지고, 분체 용기가 분체 보급 디바이스에 부착될 때에 제 1 경사 표면들과의 접촉들에 의해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들의 제 1 경사 표면들에 힘을 가하고, 제 1 경사 표면들과의 접촉들의 위치들에서, 제 1 회전 모멘트의 아암의 길이가 제 2 회전 모멘트의 아암의 길이보다 더 길도록 설정됨으로써 제 2 회전 모멘트보다 더 큰 제 1 회전 모멘트를 생성하는 경사 표면이고, 제 1 회전 모멘트의 아암의 길이는 힘이 제 1 경사 표면들에서 가해지는 방향에서의 제 1 접촉 표면으로부터 인출된 직선과, 제 1 접촉 표면으로부터 인출된 직선에 대해 평행하도록 축으로부터 인출된 직선과의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분체 용기.
양태 B-1
분체 용기로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분체 보급 디바이스에 공급되어야 할 분체를 그 안에 저장하기 위한 용기 몸체;
용기 몸체 내부에 배치되며, 분체를 용기 몸체의 종방향에서의 일 단부로부터 타 단부로 반송하는 회전식 반송기로서, 타 단부는 용기 개구부가 그 위에 배치되는 단부인, 상기 회전식 반송기;
용기 개구부에서 배치되며 반송 노즐을 용기 몸체의 내부로 안내하는 노즐 수납부로서, 반송 노즐은 분체 보급 디바이스에 구비되고 용기 몸체에서의 분체를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노즐 수납부; 및
용기 몸체의 타 단부 상에 구비되며, 분체 보급 디바이스에서 분체 용기를 유지하기 위하여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와 계합되는 용기 커버를 포함하고,
노즐 수납부는,
반송 노즐을 용기 몸체의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입구인 노즐 삽입 개구부를 개방 및 폐쇄하며, 반송 노즐 상에 배치된 분체 수납 구멍이 분체 용기로부터 분체를 수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개방/폐쇄 부재; 및
노즐 삽입 개구부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개방/폐쇄 부재를 바이어싱하기 위한 바이어싱 부재로서, 상기 방향은 노즐 개방/폐쇄 부재가 분체 수납 구멍을 폐쇄하는 방향과 반대인, 상기 바이어싱 부재를 포함하고, 그리고
용기 커버는 용기 피계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피계합부는,
분체 용기가 분체 보급 디바이스에 부착될 때에 분체 용기의 측부로부터 바이어싱된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의 제 1 경사 표면과 접촉하는 제 1 접촉 표면; 및
분체 용기가 분체 보급 디바이스로부터 탈착될 때에 분체 용기의 측부로부터 바이어싱된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의 제 2 경사 표면과 접촉하는 제 2 접촉 표면을 포함하고,
용기 피계합부는,
제 1 접촉 표면이 분체 용기가 분체 보급 디바이스에 접촉될 때에 제 1 경사 표면과의 접촉에 의해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 상에서 제 1 회전 모멘트를 생성하고,
제 2 접촉 표면이 분체 용기가 분체 보급 디바이스로부터 탈착될 때에 제 2 경사 표면과의 접촉에 의해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 상에서 제 2 회전 모멘트를 생성하고, 그리고
제 1 회전 모멘트가 제 2 회전 모멘트보다 더 크도록 구성되는, 분체 용기.
양태 B-2
양태 B-1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용기 커버는 용기 전방 측으로부터 다음의 순서로,
용기 커버의 중심 축선으로부터 용기 커버의 외주로 경사지는 안내 경사 표면,
안내 경사 표면으로부터 연결되며 종방향으로 신장되는 안내 홈,
안내 홈으로부터 연결되며, 용기 커버의 중심 축선으로부터 용기 커버의 외주로 돌출되는 제 1 접촉 표면, 및
제 1 접촉 표면으로부터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와 계합된 피계합 개구부로 연결된 제 2 접촉 표면을 포함하는, 분체 용기.
양태 B-3
양태 B-1 또는 B-2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분체 용기가 분체 보급 디바이스에 부착될 때에 조작자에 의해 분체 용기에 가해져야 할 최소의 힘은 50 뉴턴(Newton) 이하이도록 설정되는, 분체 용기.
양태 B-4
양태들 B-1 내지 B-3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분체 용기가 분체 보급 디바이스에 부착될 때에 조작자에 의해 분체 용기에 가해진 최소의 힘과, 분체 용기가 분체 보급 디바이스로부터 탈착될 때에 조작자에 의해 분체 용기에 가해진 최소의 힘과의 사이의 차이는 3 뉴턴 이하이도록 설정되는, 분체 용기.
양태 C-1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된 분체를 수용하며 화상 형성 장치에 부착되어야 할 분체 용기로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분체 용기가 수평 방향에서 삽입되는 삽입 구멍; 및
삽입 구멍에서 상향으로 돌출되며 화상 형성 장치의 타입에 따라 상이한 형상 또는 위치에서 구비되는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분체 용기는,
리브 상부에서 통과하기 위하여 분체 용기의 하부에서 구비되는 간극; 및
간극이 삽입 구멍에서 리브 상부에서 통과할 때에 수직 방향으로의 분체 용기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구속기를 포함하는, 분체 용기.
양태 C-2
양태 C-1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상기 구속기는 분체 용기의 외부 표면 상에 구비되는 슬라이딩 안내부이고, 그리고
수직 방향으로의 분체 용기의 이동은 삽입 구멍에서 구비된 구속 리브가 슬라이딩 안내부 내로 진입될 때에 구속되는, 분체 용기.
양태 C-3
양태 C-1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구속기는 분체 용기의 상부에 구비된 상향 안내부이고, 그리고
수직 방향으로의 분체 용기의 이동은 상향 안내부가 삽입 구멍의 천장 표면과 접촉할 때에 구속되는, 분체 용기.
양태 C-4
양태 C-2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간극은 한 쌍의 슬라이딩 안내부들 사이에 구비되는, 분체 용기.
양태 C-5
양태 C-4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간극은 슬라이딩 안내부들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용기 리브들에 의해 정의되고, 그리고
간극이 삽입 구멍에서의 리브 상부에서 통과하도록 허용되는지 여부는 용기 리브들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분체 용기.
양태 C-6
양태 C-4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간극은 분체-용기 부착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안내부들의 하부 표면들 상에 구비되고, 그리고
간극이 삽입 구멍에서의 리브 상부에서 통과하도록 허용되는지 여부는 간극의 존재 또는 부재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분체 용기.
양태 C-7
양태 C-5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용기 리브는 종방향에서의 슬라이딩 안내부들의 중심들에 비해 분체-용기 부착 방향에서의 하류 측 상의 위치로 신장되는, 분체 용기.
양태 C-8
양태 C-4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슬라이딩 안내부들의 각각은, 클리어런스 간극이 상부 안내부 및 하부 안내부 사이에 구비되도록, 분체 용기의 종방향을 따라 신장되는 상부 안내부 및 하부 안내부를 포함하고,
분체-용기 부착 방향에서의 하류 측 상의 클리어런스 간극의 전방 단부는 분체-용기 부착 방향에서의 상류 측 상의 클리어런스 간극의 중심보다 더 좁고, 그리고
간극이 돌출부 상부에서 통과하도록 허용되는지 여부는 구속 리브가 간극의 전방 단부에서 삽입되는 동안에 식별되는, 분체 용기.
양태 C-9
화상 형성 장치로서,
양태들 C-1 내지 C-8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분체 용기; 및
분체 용기로부터 반송된 분체를 이용함으로써 화상 담지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양태 C-10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된 분체를 수용하며 화상 형성 장치에 부착되어야 할 분체 용기로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분체 용기가 수평 방향에서 삽입되는 삽입 구멍; 및
삽입 구멍에서 상향으로 돌출되며 화상 형성 장치의 타입에 따라 상이한 형상 또는 위치에서 구비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체 용기는,
돌출부 상부에서 통과하기 위하여 분체 용기의 하부에서 구비되는 간극; 및
간극이 삽입 구멍에서 돌출부 상부에서 통과할 때에 수직 방향으로의 분체 용기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구속기를 포함하고,
간극은 분체 용기의 외부 표면 상에 구비된 한 쌍의 구속기들 사이에 구비되는, 분체 용기.
양태 C-11
양태 C-10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간극은 구속기들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용기 돌출부들에 의해 정의되고, 그리고
간극이 삽입 구멍에서의 돌출부 상부에서 통과하도록 허용되는지 여부는 용기 돌출부들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분체 용기.
양태 C-12
양태 C-10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간극은 구속기들의 하부 표면들 상에 구비되고, 그리고
간극이 삽입 구멍에서의 돌출부 상부에서 통과하도록 허용되는지 여부는 간극의 존재 또는 부재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분체 용기.
양태 C-13
양태 C-11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용기 돌출부는 종방향에서의 구속기들의 중심들에 비해 분체-용기 부착 방향에서의 하류 측 상의 위치로 신장되는, 분체 용기.
양태 C-14
양태들 C-10 내지 C-13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구속기는 분체 용기의 종방향을 따라 신장되는 슬라이딩 안내부인, 분체 용기.
양태 C-15
양태 C-14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슬라이딩 안내부는 분체 용기의 회전 축선에 대해 평행한 것으로 구비된 슬라이딩 홈을 포함하는, 분체 용기.
양태 C-16
양태 C-15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수직 방향으로의 분체 용기의 이동은 삽입 구멍에서 구비된 구속 리브가 슬라이딩 홈 내로 진입될 때에 구속되는, 분체 용기.
양태 C-17
양태 C-15 또는 C-16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슬라이딩 홈은 상부 안내부 및 하부 안내부에 의해 정의되고,
분체-용기 부착 방향에서의 하류 측 상의 슬라이딩 홈의 전방 측은 분체-용기 부착 방향에서의 상류 측 상의 슬라이딩 홈의 후방 측보다 더 좁고, 그리고
간극이 돌출부 상부에서 통과하도록 허용되는지 여부는 구속 리브가 슬라이딩 홈의 전방 단부에서 삽입되는 동안에 식별되는, 분체 용기.
양태 C-18
양태 C-15 또는 C-16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간극은 슬라이딩 안내부의 하부 표면 상에 구비되고, 그리고
간극이 삽입 구멍에서의 돌출부 상부에서 통과하도록 허용되는지 여부는 간극의 존재 또는 부재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분체 용기.
양태 C-19
양태 C-18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슬라이딩 안내부는 슬라이딩 안내부에 연결되며 슬라이딩 안내부와 통합되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간극은 보강부의 하부 표면 상에 구비되는, 분체 용기.
양태 C-20
양태들 C-10 내지 C-19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분체를 그 안에 저장하기 위한 용기 몸체; 및
용기 몸체를 덮기 위한 용기 커버를 더 포함하고,
구속기는 용기 커버에 구비되는, 분체 용기.
양태 C-21
양태들 C-1 내지 C-20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분체 용기는 분체로서의 토너를 수용하는, 분체 용기.
양태 C-22
양태들 C-1 내지 C-21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분체 용기의 상부에 구비된 상향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수직 방향으로의 분체 용기의 이동은 상향 안내부가 삽입 구멍의 천장 표면과 접촉할 때에 구속되는, 분체 용기.
양태 C-23
화상 형성 장치로서,
양태들 C-1 내지 C-22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분체 용기; 및
분체 용기로부터 반송된 분체를 이용함으로써 화상 담지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양태 C'-1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된 분체를 수용하며 화상 형성 장치에 부착되어야 할 분체 용기로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분체 용기가 수평 방향에서 삽입되는 삽입 구멍; 및
삽입 구멍에서 상향으로 돌출되며 화상 형성 장치의 타입에 따라 상이한 형상 또는 위치에서 구비되는 식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체 용기는,
분체 용기의 하부에서 구비되며 식별부 상부에서 통과하도록 허용되는 피식별부; 및
피식별부가 삽입 구멍에서 식별부 상부에서 통과할 때에 수직 방향으로의 분체 용기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구속기를 포함하고,
피식별부는 분체 용기의 외부 표면 상에 구비된 한 쌍의 구속기들 사이에 구비되는, 분체 용기.
양태 C"-1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된 분체를 수용하며 화상 형성 장치에 부착되어야 할 분체 용기로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분체 용기가 수평 방향에서 삽입되는 삽입 구멍; 및
삽입 구멍에서 상향으로 돌출되며 화상 형성 장치의 타입에 따라 상이한 형상 또는 위치에서 구비되는 식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체 용기는,
분체 용기의 하부에서 구비되며 식별부 상부에서 통과하도록 허용되는 피식별부; 및
피식별부가 삽입 구멍에서 식별부 상부에서 통과할 때에 수직 방향으로의 분체 용기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구속기를 포함하는, 분체 용기.
양태 C"-2
양태 C"-1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상기 구속기는 분체 용기의 외부 표면 상에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 구속기들이고, 그리고
수직 방향으로의 분체 용기의 이동은 삽입 구멍에서 구비된 구속 리브가 수직 구속기 내로 진입될 때에 구속되는, 분체 용기.
양태 C"-3
양태 C""-2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피식별부는 한 쌍의 수직 구속기들 사이에 구비되는, 분체 용기.
양태 C"-4
양태 C"-3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피식별부는 수직 구속기들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용기 돌출부들에 의해 정의되고, 그리고
피식별부가 삽입 구멍에서의 식별부 상부에서 통과하도록 허용되는지 여부는 용기 돌출부들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분체 용기.
양태 C"-5
양태 C"-3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피식별부는 분체-용기 부착 방향을 따라 수직 구속기들의 하부 표면들 상에 구비되고, 그리고
피식별부가 삽입 구멍에서의 식별부 상부에서 통과하도록 허용되는지 여부는 피식별부의 존재 또는 부재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분체 용기.
양태 C"-6
양태 C"-4에 따른 분체 용기로서, 용기 돌출부는 종방향에서의 수직 구속기들의 중심들에 비해 분체-용기 부착 방향에서의 하류 측 상의 위치로 신장되는, 분체 용기.
26 급지 트레이 27 급지 롤러
28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 29 배출 롤러 쌍
30 적재부
32(Y, M, C, K), 1032, 2032, 3032 토너 용기(분체 용기)
33, 1033 용기 몸체(분체 저장소) 33a 개구부(용기 개구부)
33b 용기 개구부의 외부 표면 33c 용기 개구부의 전방 단부
34, 2034 용기 전방 단부 커버(용기 커버)
34a, 2034a 기어 노출 개구부
34b, 2034b 용기 커버의 외부 표면
34c, 2034c 부착 방향에서의 전방 단부
34d, 2034d 수직 표면(부착 방향에서의 하류 표면)
34g, 2034g 하부(용기 전방 커버의 외주의 하부)
35 상향 안내부 35a 상향 안내부의 상단부
35b 상향 안내부의 측부 35c 상향 안내부의 경사 표면
41(Y, M, C, K) 감광체(화상 담지체)
42(Y, M, C, K) 감광체 클리닝 디바이스(클리닝 디바이스)
42a 클리닝 블레이드 44(Y, M, C, K) 대전 롤러(대전 디바이스)
46(Y, M, C, K) 화상 형성부 47 노광 디바이스
48 중간 전사 벨트
49(Y, M, C, K) 1차-전사 바이어스 롤러
50(Y, M, C, K) 현상 디바이스(현상 수단)
51(Y, M, C, K) 현상 롤러(현상제 담지체)
52(Y, M, C, K) 닥터 블레이드(현상제 조절 판)
53(Y, M, C, K) 제 1 현상제 수용부
54(Y, M, C, K) 제 2 현상제 수용부
55(Y, M, C, K) 현상제 반송 스크류
56(Y, M, C, K) 토너 농도 센서
60(Y, M, C, K) 토너 보급 디바이스(분체 보급 디바이스)
64(Y, M, C, K) 토너 낙하 통로
70, 2070 토너 용기 유지부(용기 유지부)
71, 71A, 2071 삽입 구멍부 71a, 2071a 삽입 구멍(삽입 개구부)
71b 삽입 구멍 기저부 71c 하부 측 표면(삽입 구멍의 하부 측 표면)
71e 천장 표면(삽입 구멍의 천장 표면)
72, 2072 용기 수납부 73, 2073 용기 커버 수납부
74, 2074 홈통(용기 장착부)
74a, 74b, 2074a, 2074b 홈통의 측부 표면(측부 표면)
74c 장착 표면 75, 2075 안내 레일
76 천장 표면(장착 표면의 대향 표면)
76a 천장 표면으로부터의 돌출부(돌출부)
77a 설정 커버의 홈(홈) 77b 설정 커버의 볼록부(볼록부)
78 계합 부재, 보급 디바이스 계합 부재
78a 계합 부재의 일 단부(일 단부) 78b 계합 부재의 타 단부(타 단부)
78c 선단부 78e 제 1 경사 표면
78f 제 2 경사 표면 78g 스프링 가압부
78h 회전 스톱퍼 79a 설정 커버의 관통 구멍(관통 구멍)
79b 설정 커버의 오목부(오목부) 82 2차-전사 백업 롤러
85 중간 전사 디바이스 86 고정 디바이스
89 2차 전사 롤러
90, 2090 식별 돌출부(식별 리브, 식별부)
91, 2091 용기 회전부(구동부) 92, 2092 피식별부
93 구속 리브(구속부)
100 프린터(복사기 본체, 화상 형성 장치 본체)
200 시트 급지부 301, 1301 용기 기어
302 나선형 홈(회전식 반송기) 303 그립퍼
304 스쿠핑부 304a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
304g 스쿠핑 리브 304f 스쿠핑 벽 표면
304h 스쿠핑부의 볼록부 305 전방 단부 개구부
306 커버 후크 스톱퍼(커버 후크 구속기)
306a 커버 후크 구속기의 외부 에지
330, 1330 노즐 수납부(반송기 수납부)
331, 1331 수납 개구부(노즐 삽입 개구부)
333a 노즐 삽입 개구부의 내부 표면
332, 1332 용기 셔터(개방/폐쇄 부재)
332a 셔터 후크 332b 안내 봉 슬라이딩부
332c 전방 원통부(폐쇄부) 332d 슬라이드 영역
332e 안내 봉 332g 안내 봉 슬라이딩부
332f 캔틸레버 332h 용기 셔터의 단부 표면(전방 원통부의 단부 표면)
333 용기 밀봉부(밀봉부) 334 용기 셔터 지지체(지지체)
335 셔터 후방 단부 지지부(셔터 후방부)
335a 셔터 측부 지지부(셔터 측부)
335b, 1335b 셔터 지지부의 개구부(셔터 측부 개구부)
335d 후방 단부 개구부(관통 구멍)
336, 1336 용기 셔터 스프링(바이어싱 부재)
337 노즐 수납부 부착부
337a 노즐 셔터 위치결정 리브(인접부, 볼록부)
337b 밀봉 잼 방지 공간 339, 2339 용기 피계합부
339a, 2339a 안내 돌출부 339a1 안내 경사 표면
339a2 용기 전방 측의 선단부 339b, 2339b 안내 홈
339c, 2339c 범프
339d, 2339d 피계합 개구부(안내부, 축선 구속기, 축선 포지셔너)
339e 제 1 접촉 표면 339e 제 2 접촉 표면
340, 2340 커버 후크 340b 커버 전방 단부의 내부 표면
341a 돌출부(안내부, 방사상 구속기, 방사상 위치결정부, 방사상 포지셔너)
342a 회전 구속 리브
(회전 구속부, 안내부, 원주 구속기, 원주 구속부, 원주 포지셔너)
342b 회전 구속 오목부(안내부, 원주 구속 홈, 원주 포지셔너)
343, 2343 유지부(IC 태그 유지부) 344 유지부(커버부)
345 유지 기구
361, 2361 슬라이딩 안내부(안내부, 수직 구속기, 수직 포지셔너)
361A, 2361A 상부 표면(상부 안내부)
361B, 2361B 하부 표면(하부 안내부)
361a, 2361a 슬라이딩 홈 361b 슬라이딩 안내부의 전방 단부
361c 슬라이딩 홈의 전방부(제 1 안내부)
361d 슬라이딩 홈의 중심부(제 2 안내부)
361e 슬라이딩 홈의 후방부 361g 슬라이딩 홈의 오목 표면
361f 홈 경사부 362, 2362 보강부
400 스캐너(스캐너부) 500 복사기(화상 형성 장치)
600 위치결정부(안내부) 601 용기 구동 기어
602 장착 프레임 603 구동 모터(장치 본체 기어)
603a 출력 기어 604 결합된 기어
605 반송기 스크류 기어 607 노즐 유지부
608, 2608 설정 커버 608a 오목부 표면(제 1 후방 표면)
608b 장착부 608c 설정 커버의 내부 표면
(용기 커버 수납부의 내부 표면)
608d, 2608d 구멍 608e 설정 커버 돌출부
608f 설정 커버의 에지 608g 계합 부재의 지지부
608h 설정 커버 노치 610 노즐 구멍(분체 수납 구멍)
611 반송 노즐(반송 파이프)
611a 반송 노즐의 전방 단부(단부 표면)
612 노즐 셔터(노즐 개방/폐쇄 부재)
612a 플랜지(노즐 셔터 플랜지)
612f 노즐 셔터 플랜지의 바이어싱된 표면
613 노즐 셔터 스프링(바이어싱 부재)
614 반송 스크류(장치 본체 반송기) 615 용기 설정부(용기 수납부)
615a 용기 설정부의 내부 표면
615b 용기 설정부의 단부 표면(제 2 후방 표면)
615d 접촉 표면 615c 스프링 고정부
700, 2700 IC 태그(IC 칩, 정보 저장 매체)
701 IC 태그 개구부(단자 개구부) 702, 2702 기판
703, 2703 어스 단자(접지 단자) 705 어스 단자 돌출부
710, 2710 금속 패드 710a, 2710a 제 1 금속 패드
710b, 2710b 제 2 금속 패드 710c, 2710c 제 3 금속 패드
2710d 제 4 금속 패드 720 유지 부재
781 축(지주) 782 비틀림 코일 스프링
783 핀 800, 2800 커넥터(판독 수단)
801 위치결정 핀 802 본체의 어스 단자
804 단자
920, 9201a, 9202a, 9204a, 9205a 피식별 돌출부(피식별 리브, 슬라이딩 안내부들 사이의 돌출부)
920a 피식별 리브의 상부 920b 피식별 리브의 측부
921, 9211a, 9211b, 9212a, 9212b 피식별 리브들 사이의 간극(피식별 간극, 돌출부들 사이의 간극)
922, 9224a, 9224b, 9225a, 9225b, 9235a 보강부의 간극(보강부의 통로(노치, 오목부))
9213 슬라이딩 안내부들 사이의 간극(슬라이딩 안내부 사이의 통로)
9201b, 9202b, 9204b, 9205b 슬라이딩 안내부들 사이의 돌출부
1035 후방 커버(후방 캡) 1035a 후방 측 베어링
1036 전방 측 베어링 1302 반송 블레이드
1330a 노즐 수납부의 외부 표면 1330b 반송 블레이드 유지부
1332a 접촉부 1332b 셔터 지지부
1332c 후크부 1335c 회전 방향에서의 하류 측부
2075a 안내 레일의 전방 에지
2343a, 2343b 양 측부 표면들(안내부, 원주 구속기, 유지부의 양 표면들, 원주 포지셔너)
2801 안내부 2801a, 2801b 벽
2801c, 2801d 내부 표면(벽의 내부 표면)
2802, 2803 포지셔너 2802a, 2803a 포지셔너의 일 단부
2802b, 2803b 포지셔너의 타 단부
2802c, 2803c 포지셔너의 중심부
2804a 제 1 장치 본체 단자 2804b 제 2 장치 본체 단자
2804c 제 3 장치 본체 단자 2804d 제 4 장치 본체 단자
2805 장치 본체 단자
H1, H2, H3 상부 안내부 및 하부 안내부 사이의 거리
L 레이저 광 P 기록 매체
Q 부착 방향 Q1 탈착 방향
G 현상제

Claims (36)

  1. 화상을 형성하는데 이용된 분체를 수용하는 분체 용기에 있어서,
    상기 분체 용기는,
    상기 분체 용기의 종방향에서의 상기 분체 용기의 일 단부에 있는 전방 개구부;
    용기 기어;
    상기 분체 용기의 외부 표면의 대향하는 측면 상에 있고, 상기 분체 용기의 종방향에서의 상기 분체 용기의 전방부에 있는 측부 개구부;
    상기 분체를 저장하는 용기 몸체; 및
    상기 용기 기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용기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기어는 상기 분체 용기의 종방향을 따라 상기 전방 개구부와 상기 측부 개구부 사이에 있고,
    상기 측부 개구부는 화상 형성 장치의 상응하는 계합 부재와 직접적으로 계합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용기 커버는,
    상기 분체 용기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부착된 때에 원주 방향에서 상기 용기 커버의 이동을 구속하는 원주 구속기와,
    상기 분체 용기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부착된 때에 수직 방향에서 상기 용기 커버의 이동을 구속하는 수직 구속기를 포함하고,
    상기 원주 구속기는 상기 분체 용기의 부착 방향에 대하여 상기 수직 구속기의 하류에 있는 것인 분체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 용기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부착된 때에 부착 방향에서 상기 전방 개구부를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는, 원주 구속기(restrictor), 수직 구속기, 방사형 구속기, 및 종방향 구속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인 분체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커버는 상기 용기 몸체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안내부는 원주 구속기이고,
    상기 원주 구속기는, 상기 분체 용기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부착된 때에 원주 방향으로의 상기 용기 커버의 이동을 구속하는 것인 분체 용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기어를 노출하기 위한 기어 개구부를 포함하는 용기 커버를 더 포함하는 분체 용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용기 커버 상에 있는 것인 분체 용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용기 커버 상에 있는 것인 분체 용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원주 구속기이고,
    상기 원주 구속기는, 상기 분체 용기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원주 구속부이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홈(groove)에 진입하기 위한 것인 분체 용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수직 구속기이고,
    상기 수직 구속기는 상기 분체 용기의 수직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분체 용기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부착된 때에 상기 분체 용기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는 상향 안내부이며, 하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있는 돌출부와 접촉하는 것인 분체 용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원주 구속기이고, 상기 원주 구속기는 상기 수직 구속기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것인 분체 용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원주 구속기이고, 상기 원주 구속기는 상기 부착 방향에서 상기 부착 방향의 하류 측 상의 상기 수직 구속기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것인 분체 용기.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수직 구속기이고,
    상기 수직 구속기는, 상기 분체 용기의 종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상부 안내부 및 하부 안내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안내부 및 상기 하부 안내부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안내 레일을 사이에 끼워서, 수직 방향으로의 상기 분체 용기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것인 분체 용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방향에서의 하류 측 상의 상기 상부 안내부 및 상기 하부 안내부 사이의 간극은, 상기 부착 방향에서의 상류 측 상의 간극보다 더 좁은 것인 분체 용기.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방사형 구속기이고,
    상기 방사형 구속기는, 상기 분체 용기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부착된 때에 방사 방향으로의 상기 분체 용기의 이동을 구속하는 것인 분체 용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형 구속기는, 상기 분체 용기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이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용기 유지부의 내부 표면에 접촉하여 상기 방사 방향으로의 상기 분체 용기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것인 분체 용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 용기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부착 방향에서의 상기 분체 용기의 전방 단부 상의 적어도 3 개의 위치에 있는 것인 분체 용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 용기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부착 방향에서의 상기 분체 용기의 전방 단부 상의 3 개의 균등하게 이격된 위치들에 있는 것인 분체 용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 용기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부착 방향에서의 상기 분체 용기의 전방 단부 상의 3 개의 균등하게 이격된 위치들에 있는 것인 분체 용기.
  1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종방향 구속기이고,
    상기 측부 개구부는 상기 분체 용기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부착된 때에 종방향으로의 상기 분체 용기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종방향 구속기인 것인 분체 용기.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 용기의 부착 방향에서의 하류 측 상의 상기 분체 용기의 전방 단부 상에 있는 정보 저장 매체를 더 포함하는 분체 용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 매체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핀을 수용하기 위한 정보 저장 매체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인 분체 용기.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는 토너를 포함하고,
    상기 분체 용기는 상기 토너를 저장하는 것인 분체 용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는 캐리어를 더 포함하는 것인 분체 용기.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개구부의 외부 표면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용기 수납부와 맞물리는 것인 분체 용기.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를 반송하도록 회전하는 반송기를 더 포함하는 분체 용기.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기어는 상기 용기 몸체의 외부 표면에 있는 것인 분체 용기.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개구부는 각각 상응하는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것인 분체 용기.
  2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개구부는 관통 구멍을 구비하지 않고 각각 폐쇄되는 것인 분체 용기.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개구부는 상기 분체 용기의 각각의 측면 상에 동일한 높이로 있는 것인 분체 용기.
  2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개구부는 상기 분체 용기의 각각의 측면 상에 다른 높이로 있는 것인 분체 용기.
  3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개구부에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반송 노즐을 수납하기 위한 노즐 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분체 용기.
  31. 화상을 형성하는데 이용된 분체를 수용하기 위한 분체 용기;
    상기 분체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노즐;
    상기 분체 용기로부터 상기 분체를 수납하기 위한, 상기 반송 노즐의 분체 수납 구멍;
    구동력을 상기 분체 용기에 전달하기 위한 장치 본체 기어; 및,
    상기 반송 노즐, 계합 부재 및 상기 분체 용기를 수납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용기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체 용기는,
    상기 분체 용기의 종방향에서의 상기 분체 용기의 일 단부에 있는 전방 개구부;
    상기 분체 용기의 외부 표면의 대향하는 측면 상에 있고, 상기 분체 용기의 종방향에서의 상기 분체 용기의 전방부에 있는 측부 개구부;
    상기 장치 본체 기어와 맞물림으로써 반송기를 구동하기 위한 용기 기어;
    상기 분체를 저장하는 용기 몸체; 및
    상기 용기 기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용기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기어는 상기 분체 용기의 종방향을 따라 상기 전방 개구부 및 상기 측부 개구부의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장치 본체 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측부 개구부는 화상 형성 장치의 대응하는 계합 부재와 직접적으로 계합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용기 커버는,
    상기 분체 용기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부착된 때에 원주 방향에서 상기 용기 커버의 이동을 구속하는 원주 구속기와,
    상기 분체 용기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부착된 때에 수직 방향에서 상기 용기 커버의 이동을 구속하는 수직 구속기를 포함하고,
    상기 원주 구속기는 상기 분체 용기의 부착 방향에 대하여 상기 수직 구속기의 하류에 있는 것인 화상 형성 장치.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KR1020157025262A 2013-03-15 2014-03-14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8622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54372 2013-03-15
JP2013054371 2013-03-15
JPJP-P-2013-054372 2013-03-15
JPJP-P-2013-054371 2013-03-15
JPJP-P-2013-110443 2013-05-24
JP2013110443 2013-05-24
JPJP-P-2013-110330 2013-05-24
JP2013110330A JP5594396B1 (ja) 2013-03-15 2013-05-24 粉体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13-146882 2013-07-12
JP2013146882A JP5549766B1 (ja) 2013-03-15 2013-07-12 粉体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13-153815 2013-07-24
JP2013153815A JP5594408B1 (ja) 2013-03-15 2013-07-24 粉体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13-244411 2013-11-26
JP2013244411 2013-11-26
JP2014019469A JP6303551B2 (ja) 2013-03-15 2014-02-04 粉体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14-019469 2014-02-04
PCT/JP2014/057949 WO2014142362A1 (en) 2013-03-15 2014-03-14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4538A Division KR101967125B1 (ko) 2013-03-15 2014-03-14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305A KR20150130305A (ko) 2015-11-23
KR101862283B1 true KR101862283B1 (ko) 2018-06-29

Family

ID=54073059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380A KR20190038954A (ko) 2013-03-15 2014-03-14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20217027556A KR102416116B1 (ko) 2013-03-15 2014-03-14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20207021940A KR102297457B1 (ko) 2013-03-15 2014-03-14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20157025262A KR101862283B1 (ko) 2013-03-15 2014-03-14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20187014538A KR101967125B1 (ko) 2013-03-15 2014-03-14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380A KR20190038954A (ko) 2013-03-15 2014-03-14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20217027556A KR102416116B1 (ko) 2013-03-15 2014-03-14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20207021940A KR102297457B1 (ko) 2013-03-15 2014-03-14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4538A KR101967125B1 (ko) 2013-03-15 2014-03-14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6) US9513576B2 (ko)
EP (2) EP3842870A1 (ko)
KR (5) KR20190038954A (ko)
CN (3) CN110764382B (ko)
AU (5) AU2014230442B2 (ko)
BR (1) BR112015023410B1 (ko)
CA (2) CA3114929C (ko)
ES (1) ES2873974T3 (ko)
HK (1) HK1214003A1 (ko)
MX (3) MX366627B (ko)
PH (1) PH12015502022A1 (ko)
RU (4) RU2615797C1 (ko)
SA (1) SA515361052B1 (ko)
SG (2) SG11201506930YA (ko)
TW (6) TWI614588B (ko)
WO (1) WO20141423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14331B (zh) 2010-12-03 2017-02-15 株式会社理光 粉末容器、粉末供给装置和成像设备
CN108051988B (zh) 2011-11-25 2021-08-10 株式会社理光 喷嘴接收装置、粉盒和图像形成设备
MX362932B (es) 2012-06-03 2019-02-27 Ricoh Co Ltd Contenedor de polvo y aparato formador de imagenes.
US9465317B2 (en) 2013-02-25 2016-10-11 Ricoh Company, Ltd. Nozzle insertion member,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90038954A (ko) 2013-03-15 2019-04-09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USD734386S1 (en) * 2013-05-17 2015-07-14 Ricoh Company, Ltd. Portion of a powder container
CN110780563B (zh) 2014-03-17 2022-04-19 株式会社理光 粉末容器和图像形成设备
US9448507B2 (en) 2014-09-10 2016-09-20 Ricoh Company, Ltd. Nozzle receiver,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1537177S (ko) * 2015-03-17 2015-11-09
JP1537179S (ko) * 2015-03-17 2015-11-09
US9690233B2 (en) 2015-04-20 2017-06-27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JP2017068075A (ja) 2015-09-30 2017-04-06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460002B2 (ja) * 2016-02-15 2019-01-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665597B2 (ja) * 2016-03-08 2020-03-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の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693402B2 (ja) * 2016-12-09 2020-05-1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容器
JP2018116091A (ja) * 2017-01-16 2018-07-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6864871B2 (ja) 2017-05-30 2021-04-28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1048189B2 (en) * 2019-03-13 2021-06-29 Ricoh Company, Ltd. Toner container, toner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sheet member with two portions to move toner
JP7305105B2 (ja) 2019-07-16 2023-07-10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13785246A (zh) * 2019-09-17 2021-12-10 佳能株式会社 调色剂盒和成像设备
US11048190B1 (en) * 2020-03-23 2021-06-29 General Plastic Industrial Co., Ltd. Leak-prohibiting device of toner cartridge
US11754947B2 (en) 2021-03-31 2023-09-12 Ricoh Company, Ltd. Toner container including a rotatable container body, a gear, and a held portion
JP2023074100A (ja) * 2021-11-17 2023-05-2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1722007S (ja) * 2021-12-09 2022-08-09 トナーパック用補給口部材
JP1722008S (ja) * 2021-12-09 2022-08-09 トナーパック用補給口部材
JP1722010S (ja) * 2021-12-09 2022-08-09 トナーパック用補給口部材
JP1722012S (ja) * 2021-12-09 2022-08-09 トナーパック用補給口部材
JP1722006S (ja) * 2021-12-09 2022-08-09 トナーパック用補給口部材
JP1722005S (ja) * 2021-12-09 2022-08-09 トナーパック用補給口部材
JP1722009S (ja) * 2021-12-09 2022-08-09 トナーパック用補給口部材
JP1722011S (ja) * 2021-12-09 2022-08-09 トナーパック用補給口部材
JP1726639S (ja) * 2021-12-23 2022-10-05 トナーパック用補給口部材
CN116923874B (zh) * 2023-09-14 2023-11-24 江苏希诚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纳米导电浆料储存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9053B2 (ja) * 1997-09-25 2004-03-22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供給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らに使用するトナー容器
JP2012133349A (ja) * 2010-12-03 2012-07-12 Ricoh Co Ltd 粉体収納容器、粉体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226289A (ja) * 2010-06-11 2012-11-15 Ricoh Co Ltd 着脱可能装置、現像剤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2205A (en) * 1871-12-26 Improvement in carriage-top prop-block washers
US3060003A (en) 1959-07-16 1962-10-23 United Carbon Company Inc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 black
US3644462A (en) 1969-03-12 1972-02-22 Olin Mathieson Preparation of aromatic isocyanates by catalytic carbonylation of nitro compounds
JPS4958325A (ko) 1972-10-09 1974-06-06
JPS5717928A (en) * 1980-07-07 1982-01-29 Olympus Optical Co Ltd Photometer against reflection of camera
JPS61162071A (ja) 1985-01-11 1986-07-22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カラ−複写機
JPH0740157B2 (ja) 1985-02-07 1995-05-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加熱定着ローラ用剥離爪
JPS63178271A (ja) 1987-01-20 1988-07-22 Ricoh Co Ltd 電子写真装置のトナ−補給機構
JPH01130159A (ja) 1987-11-17 1989-05-23 Konica Corp 感光体の製造方法
JPH0720679Y2 (ja) 1988-03-01 1995-05-15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及びその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H049061A (ja) 1990-04-26 1992-01-13 Mitsui Petrochem Ind Ltd 高光線透過性防塵体
JP2797633B2 (ja) 1990-04-26 1998-09-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音楽画像情報処理装置
JPH04168459A (ja) 1990-11-01 1992-06-16 Mita Ind Co Ltd 現像装置
JPH04368965A (ja) * 1991-06-18 1992-12-21 Canon Inc 現像装置
JP3061307B2 (ja) 1991-09-17 2000-07-10 株式会社リコー デジタル複合機
JPH05249825A (ja) 1992-03-09 1993-09-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ナー容器及び現像装置
JPH0659572A (ja) 1992-08-11 1994-03-04 Ricoh Co Ltd トナー容器及び該トナー容器を装着するトナー補給装置
JP3347201B2 (ja) 1992-12-30 2002-11-20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3245288B2 (ja) 1993-12-24 2002-01-07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納容器
JP3299618B2 (ja) 1993-12-31 2002-07-08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充填済みの現像剤収納容器及び現像装置
US5495323A (en) * 1994-02-28 1996-02-27 Xerox Corporation Clean spiral toner cartridge
JPH07281492A (ja) 1994-04-05 1995-10-27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895361A (ja) * 1994-09-20 1996-04-12 Ricoh Co Ltd 容器内壁トナー付着防止装置
US5648840A (en) 1994-11-14 1997-07-15 Konic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oner conveyance apparatus
JPH08220857A (ja) 1995-02-16 1996-08-30 Ricoh Co Ltd トナーボトル
JP3353194B2 (ja) 1995-12-08 2002-12-03 コニカ株式会社 現像剤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5576816A (en) 1996-01-11 1996-11-19 Xerox Corporation Toner cartridge internal plug
JPH09211977A (ja) 1996-01-30 1997-08-15 Ricoh Co Ltd 現像剤補給装置
JP3492856B2 (ja) 1996-07-08 2004-02-0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3416485B2 (ja) 1996-09-30 2003-06-1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171230A (ja) 1996-12-13 1998-06-26 Ricoh Co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H10198147A (ja) 1997-01-13 1998-07-31 Ricoh Co Ltd トナー補給装置
US6118951A (en) 1997-01-13 2000-09-12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replenishing device therefor
US5890040A (en) 1997-01-14 1999-03-30 Konica Corporation Developer cartridge and developer replenishing apparatus
JP3861429B2 (ja) 1997-01-14 2006-12-20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トナー補給装置
JP3861428B2 (ja) 1997-01-14 2006-12-20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トナー収納容器及びトナー補給装置
JPH10254229A (ja) 1997-03-06 1998-09-25 Ricoh Co Ltd 電子写真複写機におけるトナー補給装置
JP4118976B2 (ja) 1997-04-01 2008-07-16 五郎八 矢上 木造建造物
JP3534165B2 (ja) * 1998-04-14 2004-06-07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供給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US6091912A (en) 1998-01-26 2000-07-18 Ricoh Company, Ltd. Tower suppl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toner supplying device
US6104902A (en) 1998-11-20 2000-08-15 Katun Corporation Toner cartridge assembly
JP2000187382A (ja) 1998-12-22 2000-07-04 Canon Inc トナー補給装置
JP4028944B2 (ja) 1999-01-11 2008-01-09 株式会社リコー 二成分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169864B1 (en) 1999-07-06 2001-01-02 Xerox Corporation Toner container including a movably mounted sealing member
JP3205547B2 (ja) 1999-07-22 2001-09-04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又は液体の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1083785A (ja) 1999-09-10 2001-03-3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にトナーを供給するためのトナーボトル
JP4737839B2 (ja) 2000-01-19 2011-08-03 株式会社エンプラス 歯車及び歯車装置
CN1900837B (zh) 2000-02-17 2012-10-03 株式会社理光 墨粉收纳容器、补给墨粉的方法及墨粉补给装置
JP4014786B2 (ja) 2000-04-28 2007-11-28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
JP4185672B2 (ja) 2000-05-08 2008-11-2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2196629A (ja) 2000-12-26 2002-07-1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907408B2 (ja) 2000-12-28 2007-04-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560434B2 (en) 2001-01-18 2003-05-06 Lexmark International, Inc.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motion control via surface wheel feedback
JP4048051B2 (ja) 2001-01-31 2008-02-13 株式会社リコー 剤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3926569B2 (ja) 2001-02-13 2007-06-06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納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6665508B2 (en) 2001-01-31 2003-12-16 Ricoh Company, Ltd.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EP1233311B1 (en) 2001-02-19 2012-08-29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supply container
ATE453137T1 (de) 2001-02-19 2010-01-15 Canon Kk Tonerzufuhrbehälter und tonerzufuhrsystem
JP3780864B2 (ja) 2001-04-05 2006-05-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モジュールの包装方法
JP2002357946A (ja) 2001-05-31 2002-12-13 Canon Inc トナー補給容器、トナー補給装置及び封止部材
US6405011B1 (en) 2001-06-12 2002-06-11 Jui-Chi Wang Developer replenishing container
JP3848111B2 (ja) 2001-08-29 2006-11-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
JP2003066704A (ja) * 2001-08-29 2003-03-05 Canon Inc 封止部材及びトナー補給容器及びトナー補給装置
US6505006B1 (en) * 2001-11-15 2003-01-07 Xerox Corporation Supply cartridge for a printing apparatus
US6665505B2 (en) 2001-12-20 2003-12-16 Xerox Corporation Dry ink replenishment bottle with internal plug agitation device
DE60324197D1 (de) 2002-01-31 2008-11-27 Ricoh Kk Tonernachfüllvorrichtung und damit versehene Entwicklungsvorrichtung für ein Bilderzeugungsgerät
JP2003233247A (ja) 2002-02-08 2003-08-22 Canon Inc トナー補給容器
JP2003241496A (ja) 2002-02-20 2003-08-27 Ricoh Co Ltd トナーボトル
JP2003271039A (ja) * 2002-03-15 2003-09-25 Sharp Corp イニシャル検知機構及び作像ユニット
JP3684212B2 (ja) 2002-06-05 2005-08-17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収納容器の減容方法及び現像剤補給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4422956B2 (ja) * 2002-10-16 2010-03-0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機構
JP4383898B2 (ja) 2003-02-28 2009-12-16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収容器、現像剤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895191B2 (en) 2003-05-13 2005-05-17 Xerox Corporation Insertion verification of replaceable module of printing apparatus
JP4141904B2 (ja) 2003-06-11 2008-08-27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剤収納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5099434A (ja) 2003-09-25 2005-04-14 Kyocera Mita Corp トナーコンテナ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342958B2 (ja) 2004-01-08 2009-10-14 株式会社リコー 再生材料を用いたトナー/現像剤用ボトルの製造方法並びにトナー/現像剤用ボトル
JP2005221825A (ja) 2004-02-06 2005-08-18 Ricoh Co Ltd トナー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トナー容器、トナー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4468014B2 (ja) 2004-02-27 2010-05-26 京セラミタ株式会社 装着物のロック機構およびこれを用いた現像装置
JP2005331622A (ja) 2004-05-18 2005-12-02 Ricoh Co Ltd トナー容器のリサイクル方法及び生産方法
JP4456957B2 (ja) 2004-08-06 2010-04-28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7720416B2 (en) 2004-08-16 2010-05-18 Ricoh Company, Ltd. Method and toner bottl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supplying toner to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072166A (ja) 2004-09-06 2006-03-16 Ricoh Co Ltd 現像材収容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621463B2 (ja) 2004-09-16 2011-01-26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再生方法
JP4684624B2 (ja) 2004-11-12 2011-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6209060A (ja) 2004-12-28 2006-08-10 Ricoh Co Ltd 容器収納装置、該容器収納装置を備えた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396946B2 (ja) 2005-01-26 2010-01-13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1859322B1 (en) 2005-03-04 2013-09-11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developer supply system
JP4794892B2 (ja) 2005-04-11 2011-10-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371317B2 (ja) 2005-06-20 2009-11-25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画像形成装置、及び、梱包箱
JP4371318B2 (ja) * 2005-06-21 2009-11-25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809730B1 (ko) 2005-04-27 2008-03-06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토너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JP4380639B2 (ja) 2005-06-30 2009-12-09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容器の製造方法
JP4651011B2 (ja) 2005-04-28 2011-03-16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N101634827B (zh) * 2005-06-07 2011-12-07 株式会社理光 墨粉容器和成像装置
JP4557296B2 (ja) 2005-06-07 2010-10-0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KR100807858B1 (ko) * 2005-06-07 2008-02-27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토너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DE202006020942U1 (de) 2005-06-07 2011-03-10 Ricoh Co., Ltd. Tonerbehälter und Bilderzeugungsvorrichtung
JP4723317B2 (ja) 2005-08-31 2011-07-13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376851B2 (ja) 2005-10-07 2009-12-02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剤補給装置
JP5043337B2 (ja) 2006-01-12 2012-10-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7283603A (ja) 2006-04-14 2007-11-01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およ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US8060003B2 (en) 2006-10-20 2011-11-1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herein a setting unit sets an interval of image formation according to a size of a recording medium
JP4803826B2 (ja) 2007-05-30 2011-10-26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8050597B2 (en) 2006-11-09 2011-11-01 Ricoh Company, Limited Toner container having a gear portion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803828B2 (ja) 2006-11-09 2011-10-26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413912B2 (ja) 2006-11-29 2010-02-10 株式会社沖データ 粉体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069231A (ja) 2007-09-11 2009-04-02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9069417A (ja) 2007-09-12 2009-04-0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9116120A (ja) 2007-11-07 2009-05-28 Ricoh Co Ltd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011160B2 (ja) 2008-02-29 2012-08-29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用のカートリッジ
JP5397729B2 (ja) * 2008-05-16 2014-01-22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JP4604114B2 (ja) 2008-07-01 2010-12-22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ES2760500T3 (es) 2008-09-09 2020-05-14 Ricoh Co Ltd Recipiente de tóner y aparato de formación de imágenes
JP5304124B2 (ja) * 2008-09-12 2013-10-02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8295742B2 (en) 2008-11-10 2012-10-23 Ricoh Company, Limited Powder container, powder suppl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725662B2 (ja) 2009-03-19 2011-07-13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
JP4441581B2 (ja) 2009-07-10 2010-03-31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トナー収納容器
CA2772918C (en) 2009-09-04 2014-12-02 Ricoh Company, Limited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958325B2 (ja) 2009-09-04 2012-06-20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5515673B2 (ja) 2009-11-20 2014-06-1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収容容器
JP5433388B2 (ja) * 2009-12-03 2014-03-05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それを備えたトナー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2011150121A (ja) 2010-01-21 2011-08-04 Ricoh Co Ltd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582385B2 (ja) 2010-03-01 2014-09-03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容器、画像形成装置、トナー収容器製造方法、及びトナー収容器再生方法。
CN102884482B (zh) * 2010-03-01 2015-06-03 株式会社理光 调色剂容器和成像设备
JP2011187625A (ja) * 2010-03-08 2011-09-22 Toshiba Corp 半導体装置
JP5772004B2 (ja) 2010-03-10 2015-09-02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5640412B2 (ja) 2010-03-17 2014-12-17 株式会社リコー 封止部材、現像剤収納容器、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637430B2 (ja) * 2010-04-01 2014-12-10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KR102501517B1 (ko) 2010-06-11 2023-02-21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정보 저장 장치가 탈착 장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 및 방법
JP5534431B2 (ja) 2010-06-14 2014-07-02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5569241B2 (ja) * 2010-08-09 2014-08-13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261426B2 (en) * 2010-08-20 2012-09-11 Xerox Corporation Method of constructing a toner dispensing unit
JP2012093460A (ja) 2010-10-25 2012-05-17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US8948616B2 (en) 2010-11-03 2015-02-03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to discriminate toner cartridge
CN103314331B (zh) 2010-12-03 2017-02-15 株式会社理光 粉末容器、粉末供给装置和成像设备
JP5811452B2 (ja) 2010-12-06 2015-11-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8849163B2 (en) 2011-01-06 2014-09-30 Ricoh Company, Limited Powder convey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der container
JP5870647B2 (ja) 2011-02-17 2016-03-01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粉体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836704B2 (ja) 2011-08-29 2015-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5822128B2 (ja) * 2011-11-25 2015-11-24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粉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8051988B (zh) 2011-11-25 2021-08-10 株式会社理光 喷嘴接收装置、粉盒和图像形成设备
CN202378424U (zh) * 2011-12-20 2012-08-15 珠海艾派克微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成像盒芯片的读写接口模块及成像盒芯片
JP6152089B2 (ja) 2012-03-12 2017-06-21 株式会社きもと 筆記性スクリーン
JP5821753B2 (ja) * 2012-04-02 2015-11-2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軸受部材の取付構造、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02645875A (zh) 2012-04-28 2012-08-22 珠海市汇威打印机耗材有限公司 一种易加粉碳粉盒
MX362932B (es) 2012-06-03 2019-02-27 Ricoh Co Ltd Contenedor de polvo y aparato formador de imagenes.
KR20190038954A (ko) * 2013-03-15 2019-04-09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EP2858285B1 (en) 2013-10-04 2018-01-10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detection of symbols in communication signal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9053B2 (ja) * 1997-09-25 2004-03-22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供給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らに使用するトナー容器
JP2012226289A (ja) * 2010-06-11 2012-11-15 Ricoh Co Ltd 着脱可能装置、現像剤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133349A (ja) * 2010-12-03 2012-07-12 Ricoh Co Ltd 粉体収納容器、粉体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615797C1 (ru) 2017-04-11
KR20150130305A (ko) 2015-11-23
TW202111451A (zh) 2021-03-16
KR20200093699A (ko) 2020-08-05
SG10201806817RA (en) 2018-09-27
CA3114929C (en) 2023-01-10
KR102416116B1 (ko) 2022-07-05
TW201706733A (zh) 2017-02-16
CN105143991B (zh) 2019-11-15
AU2021282517A1 (en) 2022-02-24
US10534290B2 (en) 2020-01-14
TWI775672B (zh) 2022-08-21
TW202242571A (zh) 2022-11-01
EP2972591A4 (en) 2016-03-09
KR20180058859A (ko) 2018-06-01
WO2014142362A1 (en) 2014-09-18
CA2904494A1 (en) 2014-09-18
AU2020230314A1 (en) 2020-10-01
BR112015023410A2 (pt) 2017-07-18
AU2014230442A1 (en) 2015-09-17
KR101967125B1 (ko) 2019-04-08
RU2676631C1 (ru) 2019-01-09
AU2021282517B2 (en) 2023-04-06
BR112015023410B1 (pt) 2022-03-29
US20170068184A1 (en) 2017-03-09
TWI749884B (zh) 2021-12-11
CN110764382B (zh) 2022-12-13
TWI822193B (zh) 2023-11-11
AU2019202358B2 (en) 2020-06-18
MX2015012942A (es) 2015-12-15
US11372347B2 (en) 2022-06-28
EP2972591A1 (en) 2016-01-20
ES2873974T3 (es) 2021-11-04
EP2972591B1 (en) 2021-04-28
TW201835693A (zh) 2018-10-01
RU2655673C1 (ru) 2018-05-29
SG11201506930YA (en) 2015-09-29
MX366627B (es) 2019-07-17
US11803134B2 (en) 2023-10-31
MX2019008423A (es) 2019-09-16
US9513576B2 (en) 2016-12-06
US20160004184A1 (en) 2016-01-07
RU2019122817A (ru) 2021-01-19
CN110716406A (zh) 2020-01-21
KR20210111342A (ko) 2021-09-10
RU2696395C1 (ru) 2019-08-01
US20210003942A1 (en) 2021-01-07
KR20190038954A (ko) 2019-04-09
TW201933005A (zh) 2019-08-16
AU2020230314B2 (en) 2021-10-28
CN105143991A (zh) 2015-12-09
RU2019122817A3 (ko) 2021-12-10
TWI663489B (zh) 2019-06-21
AU2019202358A1 (en) 2019-05-02
US10809648B2 (en) 2020-10-20
SA515361052B1 (ar) 2018-09-03
PH12015502022B1 (en) 2016-01-18
US20220253001A1 (en) 2022-08-11
PH12015502022A1 (en) 2016-01-18
CN110764382A (zh) 2020-02-07
CA3114929A1 (en) 2014-09-18
TWI614588B (zh) 2018-02-11
TW202209022A (zh) 2022-03-01
AU2017204000B2 (en) 2019-01-31
EP3842870A1 (en) 2021-06-30
AU2014230442B2 (en) 2017-04-06
KR102297457B1 (ko) 2021-09-03
HK1214003A1 (zh) 2016-07-15
AU2017204000A1 (en) 2017-07-06
TWI714080B (zh) 2020-12-21
US10935905B2 (en) 2021-03-02
CN110716406B (zh) 2022-10-28
MX2019008424A (es) 2019-09-18
US20210088935A1 (en) 2021-03-25
CA2904494C (en) 2022-04-05
US20200183303A1 (en) 202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283B1 (ko)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RU2774943C2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порошка и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