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901B1 - 히알루론산 에스테르와 그 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히알루론산 에스테르와 그 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901B1
KR870001901B1 KR1019860005509A KR860005509A KR870001901B1 KR 870001901 B1 KR870001901 B1 KR 870001901B1 KR 1019860005509 A KR1019860005509 A KR 1019860005509A KR 860005509 A KR860005509 A KR 860005509A KR 870001901 B1 KR870001901 B1 KR 870001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aluronic acid
alcohol
groups
ester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5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1230A (ko
Inventor
델라발레 프란세스코
로메오 아우렐리오
Original Assignee
피디아 에스. 피. 에이.
프란세스코 델라 발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IT8548322A external-priority patent/IT1214658B/it
Priority claimed from IT48202/86A external-priority patent/IT1203815B/it
Application filed by 피디아 에스. 피. 에이., 프란세스코 델라 발레 filed Critical 피디아 에스. 피. 에이.
Publication of KR870001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9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9/00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at least two hetero atoms with a saccharide rad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8Polysaccharid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06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Heter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more than one sugar residue in the main chain in either alternating or less regular sequence; Gellans; Succinoglycans; Arabinogalactans; Tragacanth or gum tragacanth or traganth from Astragalus; Gum Karaya from Sterculia urens; Gum Ghatti from Anogeissus latifolia;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3Glycosaminoglycans or mucopolysaccharides, e.g. keratan sulfate; Derivatives thereof, e.g. fucoidan
    • C08B37/0072Hyaluronic acid, i.e. HA or hyaluronan; Derivatives thereof, e.g. 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lan) or hyalur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08Chitin; Chondroitin sulfate;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ma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히알루론산 에스테르와 그 염의 제조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신규한 히알루론산 에스테르와 그 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히알루론산 에스테르와 그를 약제학 분야와 화장품 분야 및 생체내에서 분해가능한 플라스틱물질 분야에서 이용하는 것 및 그를 이용한 신규한 약제, 화장품과 의료 및 수술용품에 관한 것이다.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이하 HY로 칭함)은 N-아세틸-D-글루코사민과 D-글루쿠론산 부위로 된 분자량이 다양한 산성 폴리사카라이드로서 나타내어지는바, 이는 척추동물의 결합조직에 분포된 기본적인 세포외 물질과 세포표면, 눈의 유리체액, 사람의 탯줄조직 및 닭의 볏 등에 천연적으로 존재한다.
이러한 히알루론산은 생물의 기관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무엇보다도 피부나 건(腱), 근육 및 연골조직 등의 조직에서 세포를 기계적으로 지지하여 세포외 기질의 주요 성분이 되는 반면, 조직의 수화작용이나 윤활작용, 세포이동, 세포의 기능 및 분화와 같은 생물학적 작용에 있어서도 다른 중요한 기능을 갖는다(참조 : A. Balazs et al., Cosmetics & Toiletries, No.5/84 Page 8-17).
또한 히알루론산은 닭의 볏과 같은 천연의 조직으로부터 추출해 낼수도 있을 뿐아니라 특정한 박테리아로부터 추출해낼 수도 있는바, 최근에는 미생물학적 방법에 의해서 제조되기도 하는데, 이와같이 추출에 의해서 얻어진 전체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은 8,000,000 내지 13,000,000이지만 이와같은 폴리사카라이드의 분자사슬은 방사선 및 가수분해, 산화나 혹은 효소제의 영향 또는 기계적인 영향 등 다양한 물리, 화학적 요인에 의해서 쉽게 깨지게 되므로 원래의 추출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정제시키게 되면 초기의 저분자량의 분쇄된 분확물이 얻어지게 된다(참조 : Balazs et al., Cosmetics & Toiletries, No.5/84, Page 8-17). 히알루론산과 그의 분자분확물 및 그들의 염은 약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또한 화장품에 이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왔다(참조 : Balazs et al.의 상기논문 및 프랑스 특허 제2478468호). 히알루론산과 그의 염은 치료제로서 특히 말의 관절염치료에 이용되는 수의과용 약제등의 관절염 치료에 사용되어왔으며(Acta Vet. Scand. 167,379(1976), 또한 히알루론산과 그 분자분확물 및 그들의 염은 천연조직 및 기관에 대한 보조 및 대체 치료제로서 안과 치료에도 사용되어왔다.
(Balazs et al., Modern Problems in ophthalmology. Vol 10, 1970, page 3-E.B. Strieff, S. karger eds., Basel; Viscosurgery and the Use of Sodium Hyaluronate During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ngress and First Firm Festival on Intraocular Implantation, Cannes, 1979 ; U.S. Patent No. 4,328,803 with a summary of the literature on the uses of HY in ophthalmology; and U.S. Patent No. 4,141,973).
1983년 10월 11일 출원한 이탈리아공화국 특허출원 제49143A83에 따르면 히알루론산분자 분확물이 각각의 관절병치료나 안구내액의 대체에 적당한 형태로 관절내주사 및 안구내주사에 나트륨염의 형태로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술되어 있다.
또한 히알루론산은 폴리우레탄과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실옥산, 비닐중합체 및 아크릴중합체와 같은 의료 및 수술용품에 사용되는 다양한 중합체 물질과 이러한 물질과 생물학적으로 조화를 이룰 수 있는 탄소섬유를 위한 첨가제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경우 HY나 그 염을 첨가하므로서 HY나 그의 염이 상기 물질들의 표면을 덮거나 그 속에 확신되거나 혹은 이 두 가지 과정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며, 이러한 상기물질이 심장판막이나 접안렌즈 혈관 클립 및 페이스메이커 등의 위생적인 의료용품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U.S. Patent No. 4,500,676).
상기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히알루론산"이란 용어는 N-아세틸-D-글루코사민과 D-글루쿠론산 부위가 번갈아가면서 배열된 여러가지 분자량의 전 폴라사카라이드 또는 그의 분쇄된 분확물을 나타내는 부적당한 의미로 주로 사용되어 오히려 복수용어인 "히알루론산들"이란 용어가 더 적당한 것으로 생각되나 이하 히알루론산의 분자분확물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히알루론산을 단수형태의 용어로 계속 사용할 것이고, 약자 "HY"로도 사용하도록 한다.
한편, 히알루론산 에스테르에 관련하여서 사람의 탯줄로부터 추출된 고분자량의 히알루론산메틸에스테르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는 문헌이 있는바(Jeanloz et al., J. Biol. Chem. 186(1950), 495-511, and Jager et al., J. Bacteriology 1065-1067(1979)). 이에 따르면 상기 에스테르는 에테르용액에서 디아조메탄으로 유리된 히알루론산을 처리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고, 실제로 모든 카르복실기가 에스테르화되어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또한 5 내지 15개의 이당류 단위로 된 올리고머(Oligomer)의 메틸에스테르에 대해서도 기술되어져 있으며(Biochem. J. (1977) 167, 711-716), 히이드록실알코올기의 일부가 메틸알코올로 에테르화된 히알루론산의 메틸에스테르에 관해서도 역시 기술되어 있다(Jeanloz et al., J. Biol. Chem. 194 (1952) 141-150 ; Jeanloz et al., Helvetica Chimica Acta 35(1952), 262-271). 그러나 상기 문헌중에서는 이들 에스테르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이나 약제에의 용도에 대해서는 기술되어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산의 카르복실기가 전부 혹은 일부만이 에스테르화된 히알루론산의 지방족이나 방향지방족, 환식지방족 또는 이종환식알코올에스테르와 그의 부분적인 에스테르를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금속이나 유기염기와 결합시켜서 된 그 에스테르의 염이 생체 플라스틱과 약물학적 특성을 가지며 화장품이나 수술 및 의약 등의 여러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히알루론산의 경우 신규한 생성물이 질적으로 같거나 비슷한 정도로 물리적, 화학적, 약물학적 및 치료적 특성을 가질때, 특히 히알루로니다아제와 같이 기관내에서 폴리사카라이드 분자를 분해시키는 천연효소의 작용에 의해서는 잘 분해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특성을 매우 오랜동안 유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첫번째 에스테르 그룹은 치료는 물론 상기 이외의 다른 영역에서도 유용한 것으로서 이는 히알루론산 자체의 특성도 탁월하게 나타내는데, 이러한 에스테르는 환식 지방족 계열의 단순한 알코올이나 지방족 계열의 포화알코올 등과 같이 그들 자체는 주목할만한 약물학적 작용을 갖지 않는 알코올 계열로부터 유도되게 되다.
한편, 치료에 유용한 두번째 에스테르 그룹은 알코올 성분의 약리학적 특성이 뛰어난 에스테르인바, 이는 소염작용을 하는 코티손형인 스테로이드 알코올같은 약리학적 활성알코올과 결합된 HY의 에스테르로서 이와같은 화합물들은 질적으로 알코올과 비슷한 성질을 가지나 공지의 에스테르와 비교하여 작용의 범위가 더 분화되어 있고, 좀더 균형잡히고 지속적이며 규칙적인 약리학적 작용을 가지며, 그 지속효과도 탁월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HY의 세번째 에스테르그룹은 상기 두 그룹과 비교하여 좀더 결합된 특성을 갖는 유용한 에스테르로서 HY의 카르복실기에서 일부는 약리학적 활성알코올로 에스테르화되어 있고 다른 일부는 약리학적으로 좋지않은 또는 활성도가 없는 알코올로 에스테르화되어 있다.
이와같이 세번쩨 에스테르그룹은 약리학적 불활성 알코올의 에스테르기이기 때문에 HY를 에스테르화시키는 에스테르화 성분으로서 두가지 알코올을 사용하여 적당한 비율로 첨가시키게 되면, 히알루론산의 독특한 활성은 없지만, 약리학적 활성 알코올과 같은 약리학적 활성도를 갖고 있거나 원하는 활성도와 약리학적 활성알코올의 특성에 대해서 질적으로 좀더 안정성을 갖고 있어서 생물학적 이용도가 있는 상기 에스테르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네번째 에스테르그룹은 에스테르기가 서로 다른 2가지의 치료 활성물질로부터 유도된 혼합된 특성을 갖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부 에스테르화될 수 있는바, 즉 몇몇 카르복실기는 서로 다른 두가지의 치료활성알코올, 예를들면 코티손 스테로이드와 항생제 또는 페노티아진에 의해서 에스테르화되는 반면, 카르복실기가 반응하지 않은채 남아있거나 알카리 금속, 특히 나트륨에 의해서 염화(鹽化)되어 있거나 혹은 모든 카르복실기가 상기 알코올에 의해서 에스테르화되게 되지만 세가지 이상의 알코올 성분으로 결합시킨 에스테르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데 예를들면 하나의 카르복실기가 치료활성알코올로 에스테르화되어 있고, 또다른 하나가 다른 치료 활성알코올로 에스테르화되어 있으며 세번째기는 치료 불활성 알코올로, 네번째기는 금속이나 치료활성 또는 불활성염기로 염화되어 있거나 카르복실기가 반응하지 않은채로 포함되어 있게 된다.
몇몇 카르복실기가 반응하지 않은채로 있는 상기 에스테르에서 이것들은 알카리금속이나 알카리토금속, 암모니아 또는 질소유기염기와 같은 금속 및 유기염기에 의해서 염화되어질 수도 있다.
HY 자체와는 달리 대부분의 HY 에스테르는 유기용매에 대하여 어느정도의 용해도를 갖는바, 그 용해도는 에스테르화된 카르복실기의 백분율(%)과 카르복실기에 결합된 알킬기의 유형에 따라 좌우되므로 그 카르복실기가 전부 에스테르화된 HY 화합물은 상온에서 예를들어 디메틸설폭사이드에 대해서 용해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HY의 벤질에스테르는 DMSO에 200㎎/㎖만큼 용해된다.).
한편, HY 에스테르에 대부분은 HY나 특히 그의 염과는 달리 물에서는 용해도가 좋지 않다.
이와같이 HY 에스테르는 독특하면서 우수한 점착성과 함께 상기와 같은 용해성으로 해서 생리식염수에는 용해되지 않으면서도 독특하면서도 얻고자하는 형태를 갖는 위생적인 의료용품을 제조하는데에 쓰일 수 있게되는데, 이러한 용품은 유기용매에 HY 에스테르를 용해시켜서 된 용액을 제조한 다음 원하는 의료용품의 형태로 매우 점성이 큰 용액으로 만들고 유기용매와는 혼합될 수 있으나 HY 에스테르는 거기에 용해되지 않는 용매로 유기용매를 추출시켜 얻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히알루론산에스테르는 상기 HY 올리고머의 메틸에스테르와 사람의 탯줄로부터 추출해낸 히알루론산의 메틸에스테르를 제외하면 모두 신규한 것이고, 이에따라 문헌에 기재된 상기의 메틸에스테르의 생물학적, 약리학적 활성도는 그의 우수한 생체플라스틱용질 및 우수한 안정성과 같이 잘 알려져있지 않으며 약제와 화장품, 위생 및 수술용품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다른 신규한 생성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이와같은 에스테르를 이용하는 것에 대해서도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특히 공지의 HY 메틸에스테르를 함유하고 있는 약리학적 제제도 신규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신규한 생성물과 상기의 공지 메틸에스테르를 약리학적 활성물질로서 이용하며 상기 히알루론산의 에스테르화 유도체 및 그러한 활성물질을 하나 이상 함유하고 있는 약제도 포함한다.
이와같은 약제에서 히알루론산에스테르나 그 염은 약리학적 불활성 알코올로부터 유도되는 것이 좋으나 그 자체나 약리학적 활성알코올로부터 유도된 에스테르가 약리학적 활성을 가진 것일 수 있다.
또 히알루론산에스테르나 그의 염은 치료하고자하는 기관의 생물학적 환경과 특히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조건에서는 활성물질의 좀더 만족스러운 흡수시에 부형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어지는데 특히 안과분야에서 적용되게 된다. 부형제로서 히알루론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약제중에서 국소용 약제가 특히 중요하다.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실질적으로 모든 카르복실기가 에스테르화되어진 히알루론산의 메틸에스테르를 제외하고 지방족, 방향지방족, 환식지방족 혹은 이종환식 계열의 알코올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부 에스테르화시킨 히알루론산에스테르와 무기 혹은 유기염기로 염화시킨 상기 부분적 에스테르의 염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은 활성물질로서 전부 에스테르화된 히알루론산의 메틸에스테르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상기 히알루론산의 에스테르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염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제 및 이와같은 에스테르를 재료에 이용하도록 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세번째 목적은 다음과 같은 약제, 즉 (1) 하나의 약물학적 활성성분이나 약물학적 활성성분들의 조합과 (2) 지방족, 방향지방족, 환식 지방족, 혹은 이종환식 계열의 알코올로 전부 혹은 부분적으로 에스테르화시킨 히알루론산의 에스테르 또는 유기나 무기염기로 상기 부분적 에스테르화물을 염화시켜서 된 염과 필요에 따라 히알루론산이나 유기 또는 무기염기와 결합된 그의 염을 첨가시켜서 된 부형제를 함유하는 약제와 그러한 약제를 치료에 이용하도록 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네번째 목적은 전술한 에스테르와 그의 염을 화장품에 사용하거나 이와같은 에스테르가 함유된 화장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섯째 목적은 전술한 에스테로와 그의 염을 위생적인 수술용 플라스틱용품을 제조하는데 이용하도록 하며 이와같은 용품 자체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 및 공지의 에스테르에 대한 또 다른 용도는 앞에서 언급된 여러가지 중합체와 같이 이러한 목적을 달성시켜주는 기본 물질에 대한 부형제로서 히알루론산에스테르가 작용하는 위생용품, 화장용품 및 수술용품을 제조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히알루론산의 에스테르화물과 부분적 에스테르화물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히알루론산의 카르복실기를 에스테르화시키는데 사용된 지방족 계열의 알코올은 최대탄소원자수가 34개이며 포화되어 있거나 혹은 불포화된 것일 수 있으며, 반응하지 않고 남아있는 다른 관능기나 아민기, 하이드록실기, 알데히드기, 케톤기, 메르캡탄기, 혹은 카르복실기같은 변형기 또는 하이드로카르빌기나 디하이드로 카르빌 아민기(이하 "하이드로카르빌"은 CnH2n+1과 같은 탄화수소의 1가 기(基)뿐만 아니라 "알킬렌" CnH2n이나 "알킬리덴" CnH2n과 같은 2가 또는 3가기도 일컫음). 에테르나 에스테르기, 아세탈이나 케탈기, 티오에테르나 티오에스테르기, 에스테르화된 카르복실이나 카바미드기 그리고 하나 이상의 하이드로 카르빌기나 니트릴기 혹은 할로겐 화합물에 의해서 치환된 카바미드로부터 유도된 기들에 의해 치환된 것일수도 있다.
이때 하이드로카르빌기를 포함하는 상기 기들중에서는 최대탄소수가 6개인 알킬화합물과 같은 저급 지방족기들이 바람직하며 그러한 알코올을 산소나 질소 혹은 황원자와 같은 이종원자들이 탄소원자 사슬에 끼어있을수도 있고, 상기와 같은 관능기가 한 두개 치환된 알코올이면 더욱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술된 그룹의 알코올은 최대탄소원자수가 12개인 것이 좋으나 6개인 것이 더욱 좋으며 아민에테르, 에스테르, 티오에테르, 티오에스테르, 아세탈, 케탈기에 있는 하이드로카르빌 원자는 최대탄소원자수가 4개인 알킬기를 나타내고, 에스테르화된 카르복실기나 치환된 카바미드기의 하이드로카르빌기도 같은 탄소원자수를 가진 알킬기이며, 아민이나 카바미드기는 최대 탄소원자수가 8개인 알킬렌카바미드 혹은 알킬렌아민이어도 좋다.
특별히 언급된 이 알코올들은 포화되어 있으면서 치환되어 있지 않은 예컨대, 메틸, 에틸, 프로필 및 이소프로필알코올, n-부틸알코올, 이소부틸알코올, t-부틸알코올, 아밀, 펜틸, 헥실, 옥틸, 노닐 및 도데실 알코올, 그리고 무엇보다도 n-옥틸 및 도데실 알코올같은 직쇄구조를 하는 것이 있다.
또한 치환된 알코올 중에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그리고 부틸렌글리콜같은 2가 알코올이있고 글리세린과 같은 3가 알코올, 타르트른 알코올과 같은 알데히드 알코올, 락트산, 글리콜산, 말산, 타르타르산 같은 카르복실알코올, n-아미노에탄올, 아미노프로판올, n-아미노부탄올 그리고 콜린, 피로리디닐에탄올, 피페리디닐에탄올, 피페라지닐에탄올, 디메틸화 및 디에틸화된 그들의 유도체 등의 아미노알코올 및 모노티오에틸렌글리콜이나 메르캡탄기에서의 에틸유도체와 같은 그의 알킬유도체 등의 n-프로필이나 n-부틸알코올의 대응하는 유도체가 있다.
고급 포화지방족 알코올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는바, 본 발명에 따라서 한두개의 이중 결합이 있는 고급 불포화알코올은 제외하고 세틸알코올과 미리실알코올이 특히 중요한데 많은 필수 기름안에 포함되어 있으며, 터펜과 친화성이 있는 시트로넬롤, 게라니올, 네롤, 네로리돌, 리나롤, 파르네솔, 피롤 등이 있다.
불포화저급알코올중에는 알릴알코올과 프로파길알코올이 고려되며 방향지방족 알코올중에서는 오직 한개의 벤젠부위가 있으며 지방족 사슬에 최대 탄소원자수가 4개인 것이 특히 주목을 끄는바, 그 벤젠부위는 1 내지 3개의 메틸기 또는 하이드록실기, 염소, 브롬, 요오드같은 할로겐원자로 치환될 수 있으며, 그 지방족 사술이 반응하지 않은 아민기나 모노-나 디-에틸화된 것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 또는 피롤리딘이나 피페리딘기에 의해 치환된 것일 수 있으며, 이와같은 알코올중 벤질알코올과 펜에틸알코올이 특히 주목을 끈다.
환식 지방족이나 지방족-환식 지방족 계열의 알코올은 모노 혹은 롤리싸이클릭하이드로 카본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데, 최대탄소원자수가 34개이고, 비치환되며 지방족 알코올로서 상기에서 예시한 것들과 같은 치환물을 하나 이상 함유할 수 있는 것이 좋다.
환형단일고리 탄화수소로부터 유도된 알코올중에서 최대탄소원자수가 12개이며, 고리의 탄소원자수는 5내지 7개이고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기와 같은 저급알킬기가 1내지 3개 치환될 수 있는 것이 좋으며 이러한 그룹의 알코올을 나열하면, 싸이클로헥산올, 싸이클로헥산디올, 1,2,3-싸이클로헥산트리올, 1,3,5-싸이클로헥산트리올(플오로글루시톨), 이노시톨, 그리고 카르보멘톨 및 α-r테르피네올같은 p-메탄으로부터 유도된 알코올, 1-테르피네올 4-테르피네올 및 피페리톨 혹은 "테르피네올"로 알려진 이들 알코올, 1,4-및 1,8-테르핀의 혼합물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에 사용되는 지방족-환식지방족, 폴리싸이클릭알코올은 스테롤, 콜산 및 성호르몬과 그들의 합성유사체, 특히 코티코스테로이드 및 그들의 유도체와 같은 스테로이드가 있어서, 콜레스테롤, 디하이드로 콜레스테롤, 에피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코프로스탄올, 에페코프로스탄올, 시토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에르고스테롤, 콜산, 데옥시콜산리노콜산, 에스트리올, 에스트라디올, 에퀼레닌, 에퀼린 및 그들의 알킬염유도체는 물론, 17α-에티닐-에스트라디올 혹은 7-메틸-17α-에티닐-에스트라디올처럼 17위치에서 에티닐이나 프로피닐로 치환된 그들의 유도체, 프레그네놀론, 프레그나네디올, 테스토스테론 및 17α-메틸테스토스테론, 1,2-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17α-메틸-1,2-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과 같은 그들의 유도체, 17α-에티닐레스토스테론, 17α-프로피닐테스토스테론과 같이 1,2-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및 테스토스테론의 17번위치에서 치환된 알키닐레이트유도체, 노르게스트렐, 하이드록시프로게스테론, 코티코스테론, 데옥시코티코스테론, 19-노르테스토스테론, 19-노르-17α-메틸-테스토스테론 및 19-노르-17α-에티닐테스토스테론, 시프로테론, 코티손, 하이드로코티손, 프레드니손, 프레드니소론, 플루오로코티손, 덱사메타손, 베타메타손, 파라메타손, 플루메타손, 플루오시노론, 플루프레드니리덴, 크로베타솔, 베클로메타손, 알도스테론, 데옥시코티코스테론, 알팍소론, 알파도론, 보라스테론과 같은 항호르몬의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화물의 에스테르화 성분으로서는 디기톡시게닌, 기톡시게닌, 디곡시게닌, 스트로판티딘, 티고게닌 및 사포닌과 같은 섬장활성글루코시드의 게닌(아글리콘)이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알코올로는 악세로프톨, 비타민 D2및 D3, 아네우린, 락토플라빈, 아스코르빈산, 리보플라빈, 티아민, 판토텐산 등과 같은 비타민 종류가 있다.
이종환식 알코올중에서 앞에서 언급된 환식지방족이나 지방족-환식지방족 알코올의 유도체를 들 수 있는데, 그들의 직쇄형 또는 환형사술내에 예컨데 -O-, -S-, -N-, -NH-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예를들어 1 내지 3개의 이종원자가 포함되어 있고 이중결합같은 불포화결합이 하나 이상 특히 1내지 3개 존재하며 방향족 구조도 포함되어 있는 이종환식 화합물이 있다.
예를 들어보면, 퍼퓨릴알코올, 알카로이드 및 아트로핀, 스코폴아민, 신코닌, 라신코니딘, 퀴닌, 모르핀, 코데인, 날오르핀, N-부틸스코폴암모늄브로마이드, 아즈말린과 같은 유도체, 에페드린, 이소프로테레놀, 에피네프린과 같은 페닐에틸아민, 페르페나진, 피포티아진, 카르페나진, 호모페나진, 아세토페나진, 플루오페나진, N-하이드록시에틸프로메타진클로라이드와 같은 페노티아진약, 플루펜틱솔 및 크로펜틱솔과 같은 티옥산텐약, 메프로펜디올과 같은 진경제, 오피프타몰과 같은 항신경제, 옥시펜딜과 같은 진토제, 카르베티딘과 페노페리딘 및 메타돌과 같은 진통제, 에로드록시진과 같은 최면제, 벤지드롤 및 디페메톡시딘과 같은 식욕감퇴제(anerexics), 하이드록시진과 같은 신경안정제, 신나메드린, 디필린, 메페네신, 메토카르바몰, 클로르페니신, 2,2-디에틸-1,3-프로파네디올, 구아이페니신, 하이드로시라미드과 같은 근육이완제, 디피티다몰 및 옥시페드린과 같은 관상혈관확장제, 프로파노롤, 티모롤, 핀도롤, 부프라노롤, 아테노롤, 메토프로롤, 프락토롤과 같은 아드레날린차단제, 6-아자우리딘, 시타라빈, 프록스우리딘과 같은 안티네오플라스틱스(antineoplastics), 클로람페니콜, 티암페니콜, 에티스로마이신, 올레안도마이신, 린코마이신과 같은 항생제, 이독스우리딘과 같은 항바이러스제, 이소니코티닐알코올과 같은 말초혈관확장제, 설로카르빌레이트와 같은 탄산탈수효소억제제, 티아르아미드와 같은 항천식제 및 소염제, 2-p-설파닐로노에탄올과 같은 설파미딘제 등이 있다.
앞에서 논의된 바와같이 몇몇 경우의 히알루론산에스테르에서는 그 에스테르그룹이 둘 이상의 치료적활성을 갖는 수산화물질로부터 유도되며 자연히 변형되어서 된 것이라는 점이 흥미로운데, 특히 하이드록실성의 약으로부터 유도된 2종류의 다른 에스테르기가 존재하여 남아있는 카르복실기는 반응하지 않고 남아있어 금속이나 다음에 열거하게 될 다양한 염기로 또는 가능하다면 그 자체가 약리학적 활성을 갖는 예컨데 에스테르화성분과 같거나 유사한 활성도를 갖는 염기로 염화된 물질이다. 또한 한편으로는 앞에서 상세히 언급된 것과 같은 소염성스테로이드로부터 유도된 히알루론산에스테르와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에서 열거한 비타민이나 알카로이드 또는 항생제로부터 유도된 히알루론산에스테르가 가능하다.
히알루론산을 상기 알코올로 에스테르화시키는 정도는 우선 다양한 적용분야에 따라 나타나게 되는 독특한 특성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이를테면, 피부와 같은 특정한 조직에 대해 친수성이나 지방친화성이 높아지기도 하고 낮아지기도 하는 것과 같다.
일반적으로 에스테르화의 정도가 높아져서 히알루론산이 전체적으로 에스테르화가 되면 지방친화특성이 높아지고 물에 대한 용해도는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의 에스테르의 치료적 용도를 고려해볼 때, 히알루론산이나 그의 나트륨염과 비교하여 지방친화성이 충분하게 증가되더라도 10㎎/㎖ 정도의 용해도를 갖는 충분한 수용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에스테르화의 정도를 조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결국 같은 에스테르화반응은 여러가지 역활을 하게되는데 서로 다른 분야, 예컨데 에스테르가 치료제로 사용되는 약제나 수술시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용품 등에도 이용되는바, 치료에 사용될 때에는 치료효과를 높이려는 의도에서 히알루론산을 소염성코티스테로이드와 같이 그 자체가 치료적 활성이 있는 알코올로 에스테르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사한 치료적 활성알코올을 고려하여 볼때, 히알루론산은 생물학적 환경과 완전하게 부합되는 효과적인 부형제로서 작용하게 되며, 본 발명에 있어서 에스테르화에 사용된 상기 알코올에서 몇 가지의 약물학적 활성알코올이 나타나 있으며, 대응하는 에스테르를 적용하였을 때 반응하지 않고 남아있는 알코올을 적용했을때와 같은 징후가 나타났다. 이미 언급했던 바와같이 치료활성 알코올과 결합시켜서 된 부분적인 에스테르에서 히알루론산 성분의 남아있는 카르복실기를 전부 혹은 일부만을 에틸이나 이소프로필알코올같은 포화된 저급지방족 알코올 등의 약리학적 불활성알코올로 에스테르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약물보다 더욱 안전한 약물을 제조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다.
한편으로는 에스테르가 윤활제로 작용하는 관절내부로의 주사와 같이 히알루론산 자체를 전형적인 징후로 사용하는 치료적 비활성알코올을 결합시켜서 된 히알루론산의 에스테르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며 유리산에 비해 히알루로니다제에 대한 에스테르의 안정성이 증진되었으므로 상당한 지연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치료적 활성알코올을 결합시켜서 된 HY의 상기 에스테르나 치료적 활성염기로 염화시킨 것이 "지연"작용을 하는 약물로 되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에스터라제때문에 활성알코올의 유리와 수화작용때문에 염화된 기들의 유리가 매우 천천히 일어나게 된다. 화장품 분야에 있어서는 포화 혹은 불포화된 지방족알코올과 같은 약리학적 불활성알코올, 예를들면 앞에서 특별히 언급된 바와같이 예컨대 탄소원자수가 1 내지 8개인 직쇄상 또는 분자형사슬의 치환되지 않은 알코올을 결합시켜서 된 히알루론산의 전체 혹은 부분적인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비닐이나 알릴알코올같은 하나 이상의 이중결합이 있는 불포화알코올과 예컨데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글리세린같은 다가알코올 등의 그 농축된 유도체이며, 이때 혼합된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싸이클로펜탄이나 싸이클로헥산의 유도체같은 환식지방족 알코올과 탄소원자수가 1 내지 4개인 알킬기, 그중에서도 메틸기같은 저급알킬기에 의해 치환된 그 유도체로 유용하며 환식지방족 및 지방족알코올로 결합시켜서 된 에스테르가 특히 주목을 끄는데 환식지방족 알코올은 상기와 같은 티펜 및 약리학적 활성알코올로부터 유도되며 이것은 화장품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위생 및 수술용품제조에 사용되는 알코올은 화장품에 사용되는 상기 알코올과 기본적으로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적인 에스테르에서 에스테르화된 기의 백분율은 생성물이 사용되어지는 용도에 따라 매우 다양하며 무엇보다도 상기의 다양한 적응분야에서의 용도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특히 HY의 모든 카르복실기 중 5 내지 90%가 에스테르화된 부분적인 에스테르가 좋고 50 내지 80%의 에스테르화율을 나타내는 것이 더 좋다.
다른 유형의 에스테르기들의 수사이의 비율은 혼합되어진 부분적인 에스테르화물에서 역시 명확하게 다양한바, 예를들어 2가지 종류의 그러한 기에 있어서 0.1 : 1내지 1: 0.1로 다양하며 전부 에스테르화된 에스테르화물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치료용에스테르에서는 그 비율이 0.5 : 1 내지 1 : 0.5로 다양하며 전부 에스테르화된 에스테르화물에서도 이러한 비율을 나타내고 부분적인 에스테르화물에서는 포함되어 있는 에스테르화된 기의수에 관한 상기 백분율을 참고하여 취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적인 에스테르에서 에스테르화되지 않은 카르복실기는 반응하지 않은 상태 또는 염화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바, 그러한 염의 형성을 위해서는 얻고자하는 생성물에 따른 기준에 따라 염기를 선택하게 되며 칼륨, 나트륨 및 암모늄 같은 알카리성금속으로부터 유도된 또는 칼슘이나 마그네슘 또는 알루미늄염과 같은 알카리토금속으로부터 유도된 무기염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질소화 염기같은 유기염기와 지방족, 방향지방족, 환식지방족 또는 이종환식 아민으로 결합시켜서 된 아민이 좋은바 이러한 암모늄염은 치료적으로 수용가능하나 불활성인 아민 또는 치료적 활성이 있는 아민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으며, 이중에서 지방족아민은 최대 탄소원자수가 18개인 알킬기를 포함하는 모노-디-, 트리-알킬아민이나 탄소원자수가 상기와 같은 지방족부위를 포함하는 아릴이 1 내지 3개의 메틸기나 할로겐원자 또는 하이드록실기로 치환될 수 있는 벤젠기를 의미하는 아릴알킬아민이 있다.
염을 형성하는데 사용하는 생물학적 비활성염기는 탄소원자수가 4 내지 6개인 환을 포함하는 단일고리 알킬렌아민같은 것이 있는데 그 환안에 질소, 산소, 황중에서 선택된 이종원자가 함유되어 있는 피페리딘이나 모르폴린같은 것이 있으며 아미노에탄올, 에틸렌디아민, 에페드린 또는 콜린같은 아민이나 하이드록실기로 치환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부분적인 에스테르의 4급암모늄염을 형성시킬 수도 있는데, 예를들어 상기와 같은 탄소원자수로 된 테트라알킬암모늄염과 4번째 알킬기의 탄소원자수가 1 내지 4개, 예를들어 메틸기인 염을 형성시킬 수 있다.
치료작용을 하는 것으로 사용되는 생물학적 활성아민중에서 다음과 같은 그룹들을 포함한 질소화 및 염기성약물도 포함되어있는바 알카로이드, 펩티드, 페노티아진, 벤조디아제핀, 티옥산텐, 호르몬, 비타민, 진경제, 항정신제, 진토제, 마취제, 최면제, 식욕감퇴제, 신경안정제, 근육이완제, 관상혈관확장제, 안티네오플라스틱스, 항생제, 항균제, 항바이러스제, 항말라리아제, 탄산탈수효소억제제, 비스테로이드함염증제, 혈관수축제, 콜린효능제, 콜린길항제, 아드레날린효능제, 아드레날린길항제, 마약성길항제 등이 있다.
본 발명에 기술된 염기성 질소화그룹을 갖는 모든 약물과 에스테르의 용도는 실시예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신규한 히알루론산에스테르와 그 염이 치료적 활성물질의 우수한 부형제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잔류의 카르복실그룹이 염화된 부분적인 에스르테화합물이나 전부 에스테르화된 에스테르화물, 예를들면 앞에서 언급된 바와같이 치료적 작용은 허용가능하나 생물학적 활성은 없는 물질, 무엇보다도 나트륨과 같은 알카리금속을 가진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앞에서 언급된 바와같이 다음 2가지 성분을 포함하는 조합에 의해서 만들어진 약제들이다.
성분(1)-약리학적 활성물질이나 둘 이상의 활성물질의 조합물,
성분(2)-알코올로 결합시켜서 된 히알루론산의 부분적인 혹은 전체적인 에스테르화합물이나 유기 혹은 무기염기가 결합시켜서 된 상기 부분적인 에스테르 화합물의 염이 함유된 부형제, 필요에 따라서는 히알루론산이나 무기 혹은 유기염기를 결합시켜서 된 히알루론산의 염이 첨가된 부형제.
이러한 약제에 사용되는 히알루론산에스테르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에스테르화시키는 알코올, 예를들면 앞에서 언급된 간단한 지방족알코올은 그 자체로는 약리학적 활성을 갖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에스테르가 약리학적 활성을 갖는 형태의 약제도 포함되는 바, 이런 경우는 약리학적 작용을 하는 알코올로부터 유도된 상기의 에스테르의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는 성부(2)의 에스테르가 치료적 활성염기에 의해서 염화된 형태의 약제도 역시 포함되는 바, 이러한 염기는 히알루론산에스테르에서의 약리학적 활성부형제와 같은수도 있어서 다음에 설명된 것처럼 이러한 경우의 혼합물에는 치료적 활성염기로 결합시켜서 된 히알루론산의 부분적인 에스테르화물의 염이 포함되며, 가능하면 과량의 활성염가성분(1) 존재하일 수도 있다.
부형물질이 염기성이 아닌채로 존재하며 히알루론산에스테르의 반응하지 않고 남아있는 카르복실기는 치료적 활성염기로 여전히 염화되어있다.
히알루론산에스테르가 부형제로 쓰임으로해서 (1)약리학적 활성물질이나 이러한 물질의 둘 이상의 조합, 그리고 (2)상기 히알루론산에스테르나 그의 염 및 그 약제를 포함하는 신규한 의약제의 제조가 가능하며 이러한 의약제는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이 된다.
상기의 약제에 만일 HY의 부분적인 에스테르를 사용한다면 남아있는 카르복실기의 가능한 염화는 치료적으로 중성인 무기 혹은 유기염기에 의해서 실시되는 것이 좋으며 특히 나트륨이나 암모늄과 같은 알카리금속에 의한 염화가 더욱 좋다. 활성성분(1)이나 이에 대응하는 조합물질을 예를들면 아민기가 포함된 항생제와 같은 염기성기를 가져야하며, 만일 히알루론산의 부분적인 에스테르화합물이 남아있는 유리카르복실기로 사용되어진다면 그 대응하는 염은 카르복실기와 상기 염기성물질 사이에서 형성되어진다.
따라서 신규된 약제는 특히 약물학적 활성물질에 의해서 부분적 혹은 전체적으로 염화된 히알루론산의 염기성 특징을 갖는 부분적 에스테르 화합물이 포함된다.
앞서 기술된 것처럼 이러한 형태의 조합된 약제가 특히 중요하며 성분(1)은 국소적 약물학적 활성물질이다.
국소용 적용약물을 위한 부형제로서 히알루론산 에스테르의 용도는 각막상피조직과 신규한 생성물이 서로 우수한 적합성을 보이며 따라서 어떠한 민감반응없이 우수한 내약성을 가질때 특히 안과적 영역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가 점착성을 가진 농축용액이나 고체형태로 투약된다면 각막상피에 부착시킬 수 있는 투명한 균일한 안정된 필름 형태가 가능하며, 약물의 생물학적 유용성을 지연시켜서 뛰어난 지속효과를 나타낼수 있다. 이와같은 안과적 약제는 수의(獸醫)분야에서 특히 유용한바, 이는 화학욧법제를 포함한 안과적 용도의 수의 전문약제가 형태까지 없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그러하다.
간결하게 하기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성분(1)의 활성물질이 언급된 때부터 하나 이상의 활성물질을 조합하여 포함시키는 것이 가능해졌다.
앞에서 기술된 성분(1)은 우선 그들의 용도를 치료영역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한다음 인체용이나 가축용약물로 구별하고 국소적 용도에 대하여 치료되어야 할 기관이나 조직, 예를들면 안과학, 피부학, 이비인후과학, 부인과학, 맥관학, 신경학 또는 직장치료와 같이 치료되어야할 내부장기의 모든 병리학적 형태를 고려하여 적용분야를 다양하게 결정하게 된다.
히알루론산에스테르의 부형제작용은 앞에서 언급된 형태의 조합된 약제에도 적용되며 약물이 적용부위로 흡수될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비장이나 직장을 통한 흡수, 예를들면 콧속 흡수, 혹은 인두나 구강흡입제는 물론, 경구 혹은 비경구경로, 예를들면 근육내, 피하 혹은 정맥내 경로로도 활성물질이 투여될 수 있다. 그러므로 신규된 약제는 앞에서 언급된 이외의 영역에서도 적용될 수 있으며 실제적으로 내복약과 같은 약물의 모든 영역, 예를들면 심장혈관계통의 병태, 호흡기, 소화기, 신장계통의 감염, 내분비, 종양, 정신의학계통의 질환등등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약물의 독특한 작용의 입장에서 마취제, 진통제, 소염제, 상처치료제, 살균제, 아드레날린효능제 및 길항제, 세포성색전중, 항류마티즘제, 항혈압제, 이뇨제, 성호르몬, 면역증강제 및 면역억제제 등에도 적용될 수 있는바,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화 성분으로 사용된 치료 활성알코올이나 유리카르복실기의 염화에 사용된 치료적 활성염기에 대하여 이미 기술된 활성도를 갖는 약물중의 하나로 분류될 수 있다.
앞에서 언급된 약제의 성분(1)도 본 발명에 따라 이미 알려진 많은 약물에 포함된 것처럼 둘 이상의 활성물질의 조합이 될 수 있는데 안과영역에 있어서 예를들면 축동제, 소염제, 상처치유제 및 항균제 등에 쓰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안약에 사용되는 약리학적 활성물질을 예를들어보면 겐타마이신, 네오마이신, 스트렙토마이신, 디하이드로스트렙토마이신, 가나마이신, 아미카신, 토브라마이신, 스펙티노마이신, 에리스로마이신, 오레안도마이신, 카르보마이신, 스피라마이신, 옥시테트라싸이클린, 로리테트라싸이클린, 바시트라신, 폴리믹신 B, 그라미시딘, 콜리스틴, 클로람페니콜, 린코마이신, 반코마이신, 노보비오신, 리스토세틴, 크린다마이신, 암포테리신 B, 그리세오풀빈, 니스타틴 및 황산염이나 질산염 등의 그염과 같은 염기성 및 비염기성항생물질이나 이들의 혼합물 또는 다음에 열거하게 될 다른 활성물질과의 혼합물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는 또 다른 안약은 디에틸카바미진, 메벤다졸, 설프아세트아미드, 설파디아진, 설프속사졸 등의 설파미드같은 다른 항감염제, 요오드옥시유리딘, 아데닌아라비노시드, 트리플루오로티미딘, 아시크로비어, 에틸데옥시유리딘, 브로모비닐데옥시유리딘, 5-요오드-5'-아미노-2', 5'-디데옥시-유리딘 등의 항바이러스, 덱사메타손, 하이드로코티손, 프레드니소론, 메드리손 및 인산에스테르 등의 그 에스테르같은 스테로이드 소염제, 인도메타신, 옥시펜부타존 및 플루비프로펜 등의 비스테로이드소염제, EGF같은 상처치유제, 베노시네이트, 프로파라카인 및 그 염과 같은 국소마취제, 피로카르딘, 메타콜린, 카바밀콜린, 아세클리딘, 피지오스티그민, 네오스티그민, 데메카리염 및 그 염과 같은 콜린효능제, 아트로핀과 그 염과 같은 콜린길항제, 노르아드레날린, 아드레날린, 나포조린, 메톡사민 및 그 염과 같은 아드레날린효능촉진제, 프로파노롤, 티모롤, 핀도롤, 부프라노롤, 아테노롤, 메토프로롤, 옥스프레노롤, 프락토롤, 부톡사민, 소타롤, 부타린, 라베토롤 및 그 염과 같은 아드레날린 길항제 등이 있다.
이상에서 말한 바와같이 활성성분(1)은 2가지 이상의 활성물질들이 혼합되어진 형태일 수도 있고 한 가지로 된 또는 이와같은 것들이 혼합되어진 또는 피부과용 다른 활성물질들과 혼합되어진 것들의 예로는 항감염제, 항생제, 항균제, 소염제, 세포성색전증, 세포독소, 항바이러스제와 같은 치료제와 마취제, 태양차폐와 같은 예방제, 방취제, 방부제 및 살균제 등이 있다.
특히 항생제로는 에리스로마이신과 바시트라신, 겐타마이신, 네오마이신, 오우레오마이신, 그라미시딘 및 그 혼합물이 항균제 및 살균제로는 니트로프라존과 마페니드, 클로로헥시딘, 8-하이드록시퀴놀린의 유도체 및 그 염이, 소염제로는 프레드니소론, 덱사메타손, 프루메타손, 크로베타솔, 트리암시노론 아세토니드, 베타메타손 또는 바레레이트, 벤조에이트, 디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에스테르가 세포독소 또는 플루오로우라실과 메토트레세이토, 포도필란 등이 마취제로는 디부카인, 리드카인, 벤조카인 등이 사용된다.
상기의 열거된 물질은 본 발명에서 실례를 들어 설명하기 위해 단지 열거한 것이고 문헌에 나와있는 물질들도 사용될 수 있다.
피부과에서도 항생물질(1)로서 에리스로마이신, 겐타마이신, 네오마이신, 그라미시딘, 폴리믹신 B같은 여러가지 항생물질의 혼합물 또는 코티코스테로이드같은 소염제와 결합된 항생물질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고 그 예는 다음과 같다.
(1) 하이드로코티손+네오마이신
(2) 하이드로코티손+네오마이신+폴리믹신B+그라미시딘
(3) 덱사메타손+네오마이신
(4) 플루오로메토론+네오마이신
(5) 프레드니소론+네오마이신
(6) 트리암시노론+네오마이신+그라미시딘+니스타틴
또는 피부과에서 종래에 사용된 다른 혼합물 제제도 사용될 수 있다.
여러가지 활성물질들이 혼합물을 이 분야에만 국한한 것은 아니나 상기 분야에서 공지의 약리학적 제제를 사용했던 것과 유사한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염기적 특성을 갖는 성분(1)의 사용을 설명한 상기예에 있어서, 부분적인 히알루론산에스테르(후에 과량으로 사용됨)와 반응하여 형성되어진 염은 여러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는데, 즉 잔류된 모든 카르복실기가 염화될 수도 있고, 정제수만 염화될 수도 있어서 에스테르-산염이나 에스테르-중성염이 생기게 된다.
반응하지 않고 남아있는 산성기의 숫자는 특수한 pH를 갖는 약제의 제조에 중요하며 반대로 히알루론산에스테르에 있는 이용될 수 있는 모든 카르복실기가 염기로 염화된 경우에는 염기성 성분을 과다하게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단분리하여 비결정형분말과 같이 무수상태의 고체로 정제시켜서 치료할 조직과 접촉시켰을때 수용액상태를 형성하게 되는 점성과 탄력성이 있도록한 약제를 제조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특성은 상당히 희석시켜도 그대로 유지되므로 상기 무수염 대신에 물이나 식염수에서 다소 농축시킨 용액을 다른 부형제나 첨가제, 예를들면 pH와 삼투압을 조절하는 다른 무기염을 첨가시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종래의 약제제조에 사용된 다른 부형제나 성분을 함유시킨 겔, 삽입물, 크림이나 연고를 제조하는 그 염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부형제로서 치료적 활성 혹은 비활성물질과 결합시켜서 된 히알루론산에스테르나 그의 염화합물이 함유된 약제를 사용가능한 수성용매와 함께 사용하는 것외에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모든 형태의 약제로부터 얻을 수 있는 혼합물, 동일한 약제끼리의 혼합물, 유리히알루론산을 갖는 신규한 히알루론산에스테르의 가능한 혼합물이나 나트륨염과 같은 그들의 염 및 그 혼합물도 역시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성분(1)은 2가지 이상의 약물의 혼합물 내지 가능한 다른 성분도 첨가시킨 혼합물이나 조합물이 될 수 있는데, 예를들면 안과분야에 있어서 하나의 약은 항생제나 소염물질과 혈관수축제나 몇 가지 항생물질, 한 가지 이상이 소염물질, 혹은 한 가지 이상의 항생제, 산동제나 축동제 혹은 상처치유제나 항알레르기제제 등과 조합시킬 수 있다.
안과용 약물의 조합에 대한 예를 들어보면, 가나마이신+페닐에프린+덱사메타손포스페이트, 가나마이신+베타메타손포스페이트+페닐에프린이나 혹은 로리테트라싸이클린, 네오마인신, 겐타마이신, 테트라싸이클린과 같이 안과에서 사용되는 다른 항생제와도 유사하게 조합시킬 수 있다.
만일 하나의 활성물질 성분(1) 대신에 상기와 같은 여러 활성물질들의 조합물이 사용된다면, 염기성 활성물질의 염화합물과 히알루론산의 부분적인 에스테르는 하나 이상의 염기성 물질의 염화합물이 혼합될 수도 있고 때에 따라선 앞에서 언급된 금속이나 염기로 염화시킨 폴리사카라이드의 일정한 수만큼의 다른 산성기를 갖는 형태의 염화합물도 혼합될 수도 있다. 예를들면 히알루론산이나 히알라스틴 또는 히알렉틴분자분획물의 부분적인 에스테르가 저급알칸올 같은 약리학적 불활성 알코올과 결합되어 염을 형성하고 그중 일정비율만큼은 가나마이신같은 항생제를 가진 염화된 산성기이며, 다른 일부는 페닐에프린같은 혈관수축제로 염화된 카르복실기이고, 그 나머지는 나트륨이나 앞에서 언급된 금속중의 하나로 염화된 유리될 수 있는 형태로 될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언급된 폴리사카라이드에스테르와 하나의 단일활성물질과의 염을 함유하는 약제에서 지적된 것처럼 이러한 형태의 혼합된 염과 유리히알루론산이나 그들의 분획물 혹은 그들의 금속염화물을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안과 및 피부과 분야에서 논의된 예에서 유추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약제가 이비인후과, 치과 혹은 내분비계 등에 쓰이는 내복약 등과 같이 앞에서 언급된 분야의 약물에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수 있다. 이러한 조제는 안과용으로 언급된 소염제혈관수축제, 혈관압박제 등이나 비타민, 상기와 같은 항생제, 피부과용으로 언급된 호르몬제제, 화학욧법제, 항균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약물학적 활성물질을 결합시켜서 된 히알루론산 에스테르의 조합된 약제는 오직 히알루론산에스테르만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제에서 언급된 것처럼 다른 약제학적 부형제를 포함할 수도 있고, 연고, 크림, 정제, 젤라틴캡슐, 캡슐, 수성 혹은 유성용액, 분무식, 좌약식 등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일한 부형제로서 성분(2)를 갖는(수성용매같은 가능한 용매에서 분리시킨) 성분(1)과 (2)의 조합물이 함유된 약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에 있어서, 각각의 경우에 따라 그들이 적용될 환경에 대하여 적당한 산도를 가져야하기때문에 생리학적으로 알맞는 pH를 가져야한다는 점이 중요한바, pH의 조절은 예를들면 히알루론산의 부분적인 에스테르를 염기성활성물질로 염화시킨 상기 염에서 폴리사카라이드의 양, 그 염의 양 및 염기성 물질 자체의 양에 의하여 pH가 조절될 수 있다. 만일 염기성 물질과 히알루론산의 부분적인 에스테르가 결합되어서 된 염의 산도가 너무 높으면 초과된 유리산성기를 앞에서 언급된 무기염기, 즉 나트륨이나 칼륨 또는 암모늄의 수화물로 중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HY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방법 A]
본 발명에 따른 히알루론산에스테르는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화반응에서 이미 알려진 방법대로 제조될 수 있는데, 예를들면 강무기산이나 산성이온 교환기와 같은 촉매물질의 존재하에서 요구되는 알코올로 유리된 히알루론산을 처리하거나 혹은 무기염이나 유기염기의 존재하에서 요구되는 알코올잔기를 도입시킬 수 있는 에스테르화제제로 유리히알루론산을 처리시켜 제조할 수 있는데, 이때 사용되는 에스테르화 제제로서는 문헌에 알려진 공지의 것들을 사용할 수 있는바, 예를들면 수소산같은 다양한 무기산이나 유기술폰산의 에스테르화합물, 메틸 혹은 에틸요오드화합물같은 하이드로카르빌할로겐화물, 중성황산염 혹은 하이드로카르빌산 알피트(alfites), 탄산염, 규산염, 아인산염 또는 메틸벤젠이나 p-톨루엔황산염, 메틸 혹은 에틸염화황산염같은 탄산황산염 등이 있다.
이러한 반응을 적당한 용매, 예컨데 알코올에서 실시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카르복실기에 도입되게 될 알킬기에 대응하는 것이 좋고, 비극성용매 예컨데 케톤같은 비극성용매, 디옥산같은 에테르 및 디메틸설폭사이드같은 비양자성 용매에서도 반응시킬 수 있다.
염기로서는 알카리금속이나 알카리토금속 혹은 마그네슘, 은산화물, 염기성염이나 탄산염같은 금속의 수화물과 그리고 유기염기, 피리딘이나 콜리딘 등의 3급아조화염기의 수화물을 사용할 수 있는데 염기대신에 염기성이온교환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에스테르화의 다른 방법으로서는 암모늄이나 암모늄치환염 등의 유기아조화염기로 된 금속염이나 금속염들을 적용시키는 것으로서 알카리나 알카리토금속의 염을 사용해도 좋으며 이외의 다른 금속염도 역시 사용될 수 있는바, 이 경우에 에스테르화제제는 앞에서 언급된 것을 사용하며 용매도 상기와 같이 적용되며, 디메틸설폭사이드와 디메틸포름아미드와 같은 비양자성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방법에 따라 얻어진 에스테르나 이하 기술된 다른 과정에 따라 얻어진 에스테르나 부분적인 에스테르의 반응하지 않고 남아있는 카르복실기는 필요시 공지의 방법에 의해서 염화시킬 수 있다.
[방법 B]
본 발명에 따른 히알루론산에스테르는 산성 폴리사카라이드를 카르복실기로 반응시켜서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를 제조하는데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두번째 방법에 따라서 유리하게 제조될 수 있는바, 이 방법은 카르복실기를 포함하고 있는 산성 폴리사카라이드의 4급 암모늄염을 에스테르화제제로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비양자성 유기용매에서 행하는 것이 더욱 좋고 초기의 출발산성폴리사카라이드로는 히알루론산과는 달리, 동물이나 채소에서 얻어진 다른 산성폴리사카라이드와 예를들면 산성헤미셀룰로오즈와 같이 합성적으로 변형된 이들의 유도체, 식물의 알카리추출물에서 크실렌을 침전시킨후 얻을 수 있으며, 이들의 이당류 성분은 D-글루쿠론산과 D-크실로피라노즈(참조 "The carbohydrates" by w. pigman, page 668-669-R.L. Whistler, W.M. corbett)로 되어져있고, 가락투로난(galacturonan)과 같이 상기와 동일하게 얻을 수 있는 산성폴리사카라이드와 펙틴(pectin), 아라비아수지와 같은 식물수지(삼출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산성폴리사카라이드, 트라가칸드(tragacanth), 그리고 마지막으로 캐러기난(carrageenan)이나 한천과 같은 해초로부터 유도된 산성폴리사카라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출발물질로서 상기 폴리사카라이드의 분해에 의해서 얻어진 분자분획물도 역시 사용될 수 있다.
유기용매로서는 비양자성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예컨데 디알킬설폭사이드, 특히 디메틸설폭사이드같은 디알킬카르복사이드 및 디메틸이나 디에틸포름아미드 또는 디메틸이나 디에틸아세트아미드같은 저급지방족산의 저급 알킬디알킬아미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사용가능한 다른 용매로서는 항상 비양자성은 아니더라도 알코올, 에테르, 케톤, 에스테르, 특히 지방족이나 이종환식알코올 및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 트리플루오로에탄올 및 N-메틸피롤리돈 등의 비점이 낮은 케톤 등이 있다.
상기 반응은 약 0℃ 내지 100℃의 온도에서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나 25℃ 내지 75℃ 사이가 좋고,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약 30℃의 온도가 가장 좋다.
에스테르화는 앞에서 언급된 용매중의 하나, 예컨대 디메틸 설폭사이드에 들어있는 상기 암모늄염에 에스테르화제제를 점차적으로 가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알킬화제제로서도 앞에서 언급된 것들이 사용될 수 있는데, 특히 알킬할로겐화물과 같은 하이드로카르빌 할로겐화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초기의 4급암모늄염으로서는 저급 암모늄테트라알킬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탄소원자수가 1 내지 6개인 알킬기가 있으면 좋으나 대개 테트라부틸 암모늄의 히알루론산염이 사용된다. 이러한 4차암모늄염은 앞에서 언급한 특히 나트륨이나 칼륨염같은 산성 폴리사카라이드의 금속염을 수용액중에서 4급암모늄염기로 염화시킨 술폰산수지와 반응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또 산성폴리사카라이드의 테트라알킬 암모늄염은 용출액을 동결건조시킴으로서 제조할 수 있는데, 새로운 공정의 출발물질로 사용되고 하등급의 알킬, 특히 탄소원자수가 1 내지 6개인 알킬로부터 유도된 산성폴리사카라이드의 테트라알킬암모늄염은 신규하며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을 제공한다.
놀랍게도 이러한 염은 앞에서 언급된 유기용매에 용해되는바, 이러한 이유로해서 상기 방법에 따른 산성폴리사카라이드의 에스테르화가 특히 용이하며 수득률도 높게되므로 단지 이와같이 함으로써 에스테르화되는 산성폴리사카라이드의 카르복실기의 수를 알 수 있게 된다.
신규한 방법 B는 본 발명에 따른 히알루론산에스테르의 제조에 매우 적합한바, 특히 신규한 공정이 출발물질로서 저급알킬 특히 탄소원자수가 1 내지 6개인 알킬기로부터 유도된 히알루론산의 4급 암모늄염은 신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이 된다.
앞에서 기술된 공정을 변화시키면, 디메틸설폭사이드같은 용액에 현탁시킨 산성폴리사카라이드나트륨염이나 칼륨염을 테트라부틸암모늄의 요오드화물같은 4급암모늄염을 촉매로하여 이의 존재하에서 적당한 알킬화제제와 반응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에스테르의 제조에는 닭의 볏과 같은 상기 천연의 출발물질로부터 추출한 산과 같이 근원이 어떠한 것이어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산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문헌에 기재되어 있으며 정제된 히알루론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가능한 히알루론산의 분자량 범위는 매우 다양한 바, 예컨데 분자량이 13,000,000인 총합산의 약 90%-80%(M,W =11,700,000-10,400,000)에서 0.2%(M,W=30,000)까지 가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5% 내지 0.2%로서 유기물질의 추출에 의해서 직접 얻어진 총합산의 분자분획물을 포함한 히알루론산이 특별히 사용된다.
상기 분획물은 문헌에 기술된대로 다양한 과정, 예를들면, 가수분해, 산화, 효소 혹은 물리적과정, 기계적 혹은 방사적 과정에 의해서 얻어지며, 따라서 초기추출물도 때때로 유사한 정제과정을 거치는 동안에 형성되어진다. (Balazs et al., "Cosmetics & toiletries") 얻어진 분자분획물의 분리 및 정제는 분자여과와 같은 공지의 기술에 따라 실시된다.
본 발명에 적합한 정제된 HY의 분획물로는 Balazs가 "Healon"(D. Miller & R. Stegmann, eds.John Willey & N.Y. 81983 : P.5)에 발표한 NIF-NaHA(Non-inflammatory-sodium hyaluronate)가 있다.
닭의 볏으로부터 추출된 히알루론산에서 얻어진 2가지의 정제된 분획물, 즉 "히알라스틴"과 "히알렉틴"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의 출발물질로서 특히 중요한데, 히알라스틴 분획의 평균분자량은 약 50,000 내지 100,000인데 반해 히알렉틴의 평균분자량은 500,000 내지 730,000이다. 한편, 이들 두 분획물이 배합된 분획물도 분리되어지며 평균분자량은 약 250,000 내지 350,000인바, 분획물의 수득률은 출발물질에서 이용될 수 있는 총 히알루론산의 80%정도인 반면에 히알렉틴분획물의 수득률은 약 30% 정도이고 히알라스틴분획물은 초기의 50% 정도이며 이들 분획물에 대한 제조는 실시예 A-C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독특한 에스테르화과정을 위한 출발염을 제조하기 위해 상기 금속으로 HY를 염화시키는 방법은 알카리성하이드레이트나 탄산염이나 중탄산염 등의 금속의 염기성염같은 염기를 계산치만큼 HY와 반응시켜서 되는 것과 같은 공지방법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부분적인 에스테르에 있어서, 화학량론적으로 원하는만큼의 염화물이 얻어질 수 있도록 염기의 양을 투여함으로서 유리카르복실기의 일부 혹은 전체를 염화시킬 수 있고, 정확한 염화도는 서로 상이한 넓은 범위의 해리상수를 가진 에스테르를 얻을 수 있게하며 따라서 치료적으로 적용될 장소나 용액에 따라 요구되는 pH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생성물에 있어서는 상기의 에스테르와 그들의 염이 특히 중요하며, 이에 대해서는 다음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신규한 에스테르와 그의 염기에 대하여 변형된 제조과정도 역시 포함되는바, 제조과정이 주어진 어떤 단계에서 중단되거나 잔류단계가 시행되는 중간화합물로부터 시작되기도 하며, 출발물질이 본래대로 형성되어지기도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조실시예]
다음 실시예 A 내지 C는 본 발명에 필요한 히알루론산의 분획물의 제조과정을 설명한 것이다.
[실시예 A]-소염활성이 있는 히알라스틴과 히알렉틴분획물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신선한 냉동 닭의 볏(3000g)을 미트민서(meat mincer)에서 갈아 기계적 균질기로 조심스럽게 균질화한 다음 그 반죽을 스테인레스스틸용기(AISI 316)나 유리속에서 10배 부피의 무수아세톤으로 처리하여 6시간동안 50rpm의 속도로 교반시킨다.
아세톤을 사이포닝(syphoning)으로 제거한후 분리를 위해 12시간동안 놓아두고 제거된 아세톤이 적절한 습도가 될때까지 아세톤 추출을 되풀이한다(Karl-Fischer method). 이것을 원심분리하고 적당온도에서 5-8시간동안 진공건조하여 약 500-600g의 닭볏의분말을 제조한다. 그중 300g의 분말을 수성상태에서 0.2g의 파페인효소로 분해하고 적당한 양의 시스테인 염산존재하의 인산염 완충액에서 완충시킨다.
이와 같은 용액을 60-65℃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24시간동안 60rpm의 속도로 교반한다음 25℃의 온도로 냉각시켜 다시 1시간동안 교반시키면서 Celite(60g)를 첨가시켜 얻어진 혼합물을 맑은 액체가 얻어질때까지 여과한다. 얻어진 맑은 액체는 분자량 축출 한계값이 30,000인 한외여과막 상에서 여과시켜 30,000 이상의 분자를 막위에 남도록 한다. 그 생성물을 한외여과시키는 동안 계속 증류수를 첨가시킴으로써 5 내지 6배부피로 한외여과시킨 다음 물을 그만 첨가시키고 부피를 원래 부피의 1/3로 감소시킨다. 남은 액체에 0.1M염화나트륨을 첨가시키고 온도를 50℃로 하며 60rpm으로 교반시키면서 45g의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를 첨가시킨다.
이 용액은 60분동안 교반시키고 50g의 Celite를 첨가시키는데 교반시 온도를 25℃로 하며 원심분리로 형성된 침전물을 수집한다.
얻은 침전물은 0.05%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함유 0.01M염화나트륨용액(5ℓ)에 용해시켜 그 현탁액을 50℃의 온도에서 60분간 교반시키고 온도를 25℃로 한 다음 침전물을 원심분리시킨다.
침전물을 0.05%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함유 0.05M염화나트륨용액(3ℓ)의용기에 수집하여 3번 세척하고 60rpm으로 60분동안 세척하고 2시간동안 25℃의 온도를 유지시킨다. 상층액은 원심분리로 제거하고 몇번 되풀이하여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은 제거한다.
침전물은 0.05%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함유 0.30M 염화나트륨용액 3ℓ에 녹여 교반시키고 침전물과 맑은 액체를 수집한다.
추출을 침전물에 대해 3번 이상 되풀이하는데 매번 0.5ℓ의 같은 수용액을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침전물을 제거하고 맑은 액체를 하나의 용기에 모으는데 그 액체의 온도를 계속 교반시키면서 50℃로 하면 0.23M 염화나트륨에 그 액체를 옮겨서 1g의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를 첨가하고 12시간동안 교반시킨다. 이 혼합물은 25℃로 냉각하여 우선 Celite 팩상에서 여과하고 다시 여과지를 따라 여과시킨 다음 분자량 축출한계값이 30,000인 한외여과막위에서 다시 여과하고 0.33M 염화나트륨용액으로 초기부피의 3배로 여과시킨다.
염화나트륨용액을 첨가하여 중단시키고 초기부피의
Figure kpo00001
로 감소시켜 농축된 용액을 25℃에서 교반(60rpm)시키면서 3배부피의 95% 에탄올로 침전시킨다.
이 침전물은 원심분리로 수집하고 상층액은 제거한다. 침전물은 0.1M염화나트륨 1ℓ에 용해시키고 침전을 3배부피의 95% 에탄올로 되풀이하여 침전물을 수집한 다음 우선 3번 75% 에탄올로 세척하고 무수에탄올로 3번 세척한다음 마지막으로 무수아세톤으로 3번 세척한다.
이와같이 하여 얻은 생성물은(히알라스틴+히알렉틴분획물) 평균분자량이 250,000-350,000이며 수득률은 질량비로 처음의 신선한 조직의 0.6%에 해당한다.
[실시예 B]-실시예 A에서 설명한대로 얻어진 혼합물로부터 히알라스틴 분획물을 제조하는 방법
실시예 A에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얻어진 혼합물은 물 1㎖당 10㎎의 생성물의 농도로 2회 증류, 무발열원성 물에 용해시킨다.
얻어진 용액을 분자량 축출한계값이 200,000인 여과막을 통해 여과시켜 물을 첨가시키지 많고 막위에서 농축시킨다. 이 과정동안 분자량이 200,000 이상인 분자는 막을 통과하지 못하고 작은 분자는 물과 함께 막을 통과한다.
여과시키는 동안 물을 첨가시키지 않아 부피가 감소하게 되고 분자량 200,000 이상의 분자농도가 증가하게 된다.
생성물을 막의 꼭대기에서 그 부피가 초기부피의 10%로 감소될때까지 한외여과를 시킨다. 2배부피의 무발연원성, 2회 증류수를 첨가하여 부피가 1/3로 감소될때까지 다시 한외여과시키고 이러한 과정을 두번이상 되풀이한다.
막을 통과한 용액은 0.1M 염화나트륨에 옮겨 4배부피의 95% 에탄올로 침전시키고 다시 그 침전물은 75% 에탄올로 3번 세척하여 진공시킨다.
이와같이 하여 얻은 생성물(히알라스틴 분획물)의 평균분자량은 50,000-100,000이며 HY수득률은 질량비로 처음의 신선한 조직의 0.4%에 해당한다.
[실시예 C]-히알렉틴의 분획물을 제조하는 방법
실시예 B에서와 같이 분자량 축출한계값이 200,000인 한외여과막위의 용기에 수집된 농축용액을 글루쿠론산의 양에 근거한 정량분석결과에 따른 값인 5㎎/㎖의 히알루론산이 함유된 용액이 얻어질때까지 물로 희석시킨다.
그 용액을 0.1M염화나트륨수용액에 옮겨 4배부피의 95% 에탄올로 침전시킨다음 75% 에탄올로 3번 세척하고 진공 건조시킨다.
이와같이하여 얻은 생성물(히알렉틴 분획물)의 분자량은 500,000-730,000이며 순도가 높은 2,500-3,500개의 사카라이드 단량체로 된 독특한 히알루론산 분획물이며 HY 수득률은 질량비로 처음의 신선한 조직의 0.2%에 해당한다.
[실시예 D]-히알루론산(HY)의 테트라부틸암모늄염의 제조
HY나트륨염 4.02g(10mEq)을 증류수 400㎖에 녹이고 테트라부틸암모늄형 술폰산수지(Dowe×50×8)15㎖가 함유된 자동온도조절 컬럼(colum)에서 4℃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용출시킨다. 나트륨이 제거된 용출액은 즉시 냉동시켜서 동결건조시킨다. 수득량은 6.18g이다.
[실시예 1]-히알루론산(HY)의 (부분적인) 프로필에스테르의 제조(에스테르화된 카르복실기가 50%이며 Na로 염화된 카르복실기가 50%
단량체단위로 20mEq에 해당하는 분자량 170,000인 HY테트라부틸암모늄염 12.4g을 25℃에서 디메틸 설폭사이드 620㎖에 용해시킨다음 여기에 프로필 요오드화물 1.8g(10.6mEq)을 첨가하여 이 용액을 30℃의 온도에서 12시간동안 방치시킨다.
상기 용액에 염화나트륨 9g과 물 62㎖이 함유되어 있는 용액을 첨가하고 3,500㎖의 아세톤에 천천히 부으면서 계속 교반시키면 침전이 생기게 되는바, 상기 침전물을 여과하여 아세톤 : 물이 5 : 1인 용액 500㎖로 3번 세척시키고 다시 아세톤으로 3번 세척시킨다음 30℃의 온도에서 8시간동안 진공건조시킨다.
이와같이하여 얻어진 생성물 1%의 염화나트륨이 함유된 물 550㎖에 녹인다음 아세톤 3,000㎖에 천천히 부으면서 계속 교반시키면 침전이 생긴다. 상기 침전물을 여과시켜 아세톤 : 물(5 : 1)용액 500㎖로 2번 세척하고 다시 500㎖ 아세톤으로 3번 세척한후 3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진공건조시키면 얻고자하는 부분적인 프로필에스테르 화합물이 된다. 여기서 에스테르기의 정량적인 측정은 R.H. Cundiff와 P.C. Markunas〔Anal. Chem. 33, 1028-1030, (1961)〕의 방법에 따라 실시한다.
[실시예 2]-히알루론산(HY)의 (부분적인) 이소프로필에스테르의 제조(에스테르화된 카르복실기가 50%이며 Na로 염화시킨 카르복실기가 50%)
단량체 단위로 20mEq에 해당하는 분자량 160,000인 HY테트라부틸암모늄염 12.4g을 25℃의 온도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620㎖에 용해시킨 다음, 이소프로필요오드화물 1.8g(10.6mEq)을 첨가하고 30℃에서 12시간동안 방치시킨다.
상기 용액에 염화나트륨 9g과 62㎖의 물이 함유되어 있는 수용액을 첨가하고 아세톤 3,500㎖에 천천히 부으면서 교반시키면 침전물이 생기는바 상기 침전물을 여과하여 아세톤 : 물(5 : 1)용액 500㎖로 3번 세척시키고 아세톤으로 3번 세척시킨 다음 30℃에서 8시간동안 진공건조시킨다.
얻어진 생성물을 다시 1%의 염화나트륨이 녹아있는 수용액 550㎖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아세톤 3,000㎖에 천천히 부으면서 계속 교반시킨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아세톤 : 물(5 : 1) 용액 500㎖로 2번 세척시키고 다시 아세톤 500㎖로 3번 세척시킨 다음 30℃에서 24시간동안 진공건조시키면 얻고자하는 부분적인 이소프로필에스테르 7.8g이 얻어진다.
여기서 에스테르기의 정량적인 측정은 R.H. Cundiff와 P.C. Markunas〔Anal. Chem. 33, 1028-1030, (1961)〕에 의한 방법에 따라 실시한다.
[실시예 3]-히알루론산(HY)의 (부분적인) 에틸에스테르의 제조(에스테르화된 카르복실기가 75%이며 Na로 염화시킨 카르복실기가 25%)
단량체 단위로 20mEq에 해당하는 분자량 250,000인 HY 테트라부틸암모늄염 12.4g을 25℃의 온도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620㎖에 용해시키고 에틸요오드화물 2.5g(15.9mEq)을 가한다음 30℃의 온도에서 12시간동안 방치시킨다.
상기 생성물에 염화나트륨 9g과 물 62㎖가 함유된 용액을 가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아세톤 3,500㎖에 천천히 부으면서 교반시키면 침전이 생기는바 상기 침전물을 여과하여 아세톤 : 물(5 : 1) 용액 500㎖로 3번 세척시키고 다시 아세톤으로 3번 세척시킨다음 30℃의 온도에서 8시간동안 진공건조시킨다.
얻어진 생성물 1%의 염화나트륨이 포함된 수용액 550㎖에 용해시킨다음 아세톤 3,000㎖에 부으면서 계속 교반시킨다. 이때 침전이 생기게 된는데 상기 침전물을 여과시켜 아세톤 : 물(5 : 1)용액 500㎖로 2번 세척하고 다시 아세톤 500㎖로 3번 세척한 다음 30℃에서 24시간동안 진공건조시키면 얻고자하는 부분적인 에틸에스테르 7.9g이 얻어진다. 여기서 에스테르기의 정량적인 측정은 R.H. Cundiff와 P.C. Markunas〔Anal. Chem. 33, 1028-1030, (1961)〕의 방법에 따라 실시한다.
[실시예 4]-히알루론산(HY)의 (부분적인) 메틸에스테르의 제조(에스테르화된 카르복실기가 75%이며 Na로 염화시킨 카르복실기가 25%)
단량체단위로 20mEq에 해당하는 분자량 80,000인 HY테트라부틸암모늄염 12.4g을 25℃의 온도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620㎖에 용해시키고 2.26g(15.9mEq)의 메틸요오드화물을 첨가한다음 30℃에서 12시간 방치시킨다.
상기 용액을 9g의 염화나트륨과 62㎖의 물이 함유된 용액에 가한다음 아세톤 3,500㎖에 천천히 부으면서 교반시키면 침전이 생기게 되는바 상기 침전물의 여과시켜서 아세톤 : 물(5 : 1)용액 500㎖로 3번 세척시키고 다시 아세톤으로 3번 세척시킨 다음 30℃에서 8시간동안 진공건조시킨다.
얻어진 생성물을 1% 염화나트륨이 함유된 수용액 550㎖에 녹이고 이 용액을 아세톤 3,000㎖에 천천히 부으면서 계속 교반시킨 다음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아세톤 : 물(5 : 1)용액 500㎖로 2번 세척시키고 다시 아세톤 500㎖로 3번 세척시킨후 30℃에서 24시간동안 진공건조시키면 얻고자하는 부분적인 메틸에스테르 7.8g이 얻어진다. 이때 에스테르기의 정량적인 측정은 R.H.Cundiff와 P.C. Markunas〔Anal. Chem. 33, 1028-1030, (1961)〕의 방법에 따라 실시한다.
[실시예 5]-히알루론산(HY)의 메틸에스테르의 제조
단량체 단위로 20mEq에 해당하는 분자량 120,000인 HY테트라부틸암모늄염 12.4g을 25℃의 온도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620㎖에 용해시키고 메틸요오드화물 3g(21.2mEq)를 가한 다음 30℃에서 12시간동안 방치시킨다.
이 용액을 3,500㎖의 에틸아세트산에 천천히 부으면서 교반시키면 침전이 생기게 되는데 이 침전물을 여과시켜 500㎖의 에틸아세트산으로 4번 세척시킨 다음 30℃에서 24시간 진공건조시키면 얻고자하는 메틸에스테르 8g이 된다.
여기서 에스테르기의 정량적인 측정은 R.H. Cundiff와 P.C. Markunas〔Anal. Chem. 33, 1028-1030, (1961)〕의 방법에 따라 실시한다.
[실시예 6]-히알루론산(HY)의 에틸에스테르의 제조
단량체 단위로 20mEq에 해당하는 분자량 85,000의 HY 테트라부틸암모늄염 12.4g을 25℃에서 620㎖의 디메틸설폭사이드에 용해시키고 에틸요오드화물 3.3g(21.2mEq)를 가한다음 30℃에서 12시간동안 방치시킨다.
상기 혼합물을 3,500㎖의 에틸아세트산에 부으면서 교반시키고, 침전물을 여과시켜 500㎖의 에틸아세트산으로 세척한다음 30℃에서 24시간동안 진공건조시키면 얻고자하는 에틸에스테르 8g이 된다. 이때 에스테르기의 정량적인 측정은 R.H. Cundiff와 P.C. Markunas〔Anal. Chem. 33, 1028-1030, (1961)〕의 방법에 따라 실시한다.
[실시예 7]-히알루론산(HY)의 프로필 에스테르의 제조
단량체 단위로 20mEq에 해당하는 분자량 1,700,000인 HY 테트라부틸암모늄염 12.4g을 25℃ 온도에서 620㎖의 디메틸설폭사이드에 녹이고 3.6g(21.2mEq)의 프로필 요오드화물을 첨가한 다음 30℃의 온도에서 12시간 방치시킨다.
상기 용액을 3,500㎖의 에틸아세트산에 천천히 부으면서 교반시키면 침전물이 형성되는바 이 침전물을 여과하여 500㎖의 에틸아세트산으로 4번 세척하여 3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진공 건조시키면 얻고자하는 프로필에스테르 8.3g이 된다.
이때 에스테르기의 정량적인 측정은 R.H. Cundiff와 P.C. Markunas〔Anal. Chem. 33. 1028-1030, (1961)〕.의 방법에 따라 실시한다.
[실시예 8]-히알루론산(HY)의 (부분적인) 부틸에스테르의 제조(에스테르화된 카르복실기가 50%이며 Na로 염화시킨 카르복실기가 50%)
단량체 단위로 20mEq에 해당하는 분자량 620,000인 HY 테트라부틸암모늄염 12.4g을 25℃ 온도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620㎖에 용해시키고 1.95g(10.6mEq)의 n-부틸요오드화물을 가한다음 30℃의 온도에서 12시간동안 방치시킨다.
상기 용액에 염화나트륨 9g과 물 62㎖를 함유하는 용액을 가한다음 3,500㎖의 아세톤에 천천히 부으면서 교반시키면 침전이 생기게 되는바 이 침전물을 여과하여 아세톤 : 물(5 : 1)용액 500㎖로 3번 세척하고 다시 아세톤으로 3번 세척한후 30℃의 온도에서 8시간동안 진공건조시킨다.
상기 생성물을 1% 염화나트륨이 포함된 수용액 550㎖에 용해시키고 아세톤 3,000㎖에 천천히 부으면서 교반시킨 다음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아세톤 : 물이 5 : 1인 용액 500㎖로 2번 세척하고 다시 아세톤 500㎖로 3번 세척한 다음 3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진공건조시키면 얻고자하는 부분적인 부틸에스테르 8g이 된다. 이때 에스테르기의 정량적인 측정은 R.H.Cundiff와 P.C. Markunas〔Anal. Chem. 33, 1028-1030, (1961)〕의 방법에 따라 실시한다.
[실시예 9]-히알루론산(HY)의 (부분적인) 에톡시카르보닐-메틸에스테르의 제조(에스테르화된 카르복실기가 75%이며 Na로 염화시킨 카르복실기가 25%)
단량체 단위로 20mEq에 해당하는 분자량 180,000인 HY 테트라부틸암모늄염 12.4g을 25℃의 온도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620㎖에 용해시키고 2g의 테트라부틸암모늄요오드화물과 1.84g(15mEq)의 에틸클로로 아세트산을 가한후 3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방치시킨다.
상기 용액에 염화나트륨 9g과 62㎖의 물이 함유되어 있는 용액을 가한다음 3,500㎖의 아세톤에 천천히 부으면서 교반시키면 침전이 생기게 되는바 이 침전물을 여과하여 아세톤 : 물(5 : 1)용액 500㎖로 3번 세척하고 아세톤으로 3번 세척한후 300℃의 온도에서 8시간동안 진공건조시킨다.
상기 생성물을 1%의 염화나트륨이 함유된 수용액 550㎖에 용해시키고 아세톤 3,000㎖에 천천히 부으면서 교반시킨다음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아세톤 : 물(5 : 1)용액 500㎖로 2번 세척하고 다시 아세톤 500로 3번 세척한 다음 3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진공건조시키면 얻고자하는 부분적인 에톡시카르보닐 메틸에스테르 10g이 된다. 이때 에톡시에스테르기의 정량적인 측정은 R.H. Cundiff와 P.C. Markunas〔Anal. Chem. 33,1028-1030, (1961)〕의 방법에 따라 실시한다.
[실시예 10]-히알루론산(HY)의 (부분적인) 코티손 에스테르(C21)의 제조-(에스테르화된 카르복실기가 20%이며 Na로 염화시킨 카르복실기가 80%)
단량체단위로 10mEq에 해당하는 분자량 105,000인 HY테트라부틸암모늄염 6.2g을 25℃의 온도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310㎖에 용해시키고 0.850g(2mEq)의 21-브로모-4-프레그넨-17α-올-3,11,20-트리온을 첨가한후 3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방치시킨다.
상기 용액에 염화나트륨 5g과 물 100㎖가 함유되어 있는 수용액 100㎖를 첨가한 다음 2,000㎖의 아세톤에 천천히 부으면서 교반시키면 침전이 생기게 되는바 이 침전물을 여과하여 아세톤 : 물(5 : 1)용액 100㎖로 3번 세척하고 아세톤으로 3번 세척한 후 30℃의 온도에서 8시간동안 진공건조시킨다.
상기 생성물을 1%의 염화나트륨이 함유된 수용액 300㎖에 용해시키고 아세톤 1,500㎖에 천천히 부으면서 교반시킨다음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아세톤 : 물(5 : 1)용액 100㎖로 2번 세척하고 다시 아세톤 100㎖로 3번 세척한 다음 3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진공건조시키면 얻고자하는 부분적인 코티손에스테르화합물 4.5g이 된다. 이때 코티손의 정량적인 분석은 클로로포름에 의한 추출과 탄산나트륨의 알코올 수용액으로 약 알카리성가수분해를 시킨후 영국약전(1980,p.127)의 방법에 따라 실시한다.
[실시예 11]-히알루론산(HY)의 (부분적인) 하이드로코티손에스테르(C21)의 제조(에스테르화된 카르복실기 20%이며 Na로 염화시킨 카르복실기가 80%)
단량체단위로 20mEq에 해당하는 분자량 80,000 HY테트라부틸암모늄염 6.2g의 25℃의 온도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310㎖에 용해시키고 0.850g(2mEq)의 21-브로모-4-프레그넨-11β,17α-디올-3,20-디온을 첨가한 후 3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방치시킨다.
상기 용액에 염화나트륨 5g과 100㎖의 물을 함유하는 용액을 첨가한 다음 2,000㎖의 아세톤 천천히 부으면서 교반시키면 침전이 생기게 되는바 이 침전물을 여과하여 아세톤 : 물(5 : 1)용액 100㎖로 3번 세척하고 아세톤으로 3번 세척한후 30℃의 온도에서 8시간동안 진공건조시킨다.
상기 생성물을 1%의 염화나트륨이 함유된 수용액 300㎖에 용해시키고 아세톤 1,500㎖에 천천히 부으면서 교반시킨다음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아세톤 : 물(5 : 1)용액 100㎖로 2번 세척하고 다시 아세톤 100㎖로 3번 세척한 다음 3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진공건조시키면 얻고자 하는 부분적인 하이드로 코티손 에스테르 화합물 4.4g이 된다. 이때 하이드로코티손의 정량적인 측정은 클로로포름에 의한 추출과 탄산나트륨의 알코올수용액에 의한 약 알카리성가수분해후에 영국약전 1980,p.224의 방법에 따라 실시한다.
[실시예 12]-히알루론산(HY)의 (부분적인) 플루오로코티손 에스테르(C21)의 제조(에스테르화된 카르복실기가 20%이며 Na로 염화시킨 카르복실기가 80%)
단량체단위로 10mEq에 해당하는 분자량 80,000인 HY테트라부틸암모늄염 6.2g을 25℃의 온도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310㎖에 녹이고 0.89g(2mEg)의 9α-플루오로-21-브로모-4-프레그넨-11β,17α-디올-3,20-디온을 첨가한후 30℃의 온도에서 12시간동안 방치시킨다.
상기 용액에 염화나트륨 5g과 62㎖의 물이 함유되어 있는 용액을 첨가한 다음 2,000㎖의 아세톤에 천천히 부으면서 교반시키면 침전이 생기게 되는바 이 침전물을 여과하여 아세톤 : 물(5 : 1)용액 100㎖로 3번 세척하고 아세톤으로 3번 세척한후 30℃의 온도에서 8시간동안 진공건조시킨다.
상기 생성물을 염화나트륨이 1% 함유된 수용액 300㎖에 용해시키고 아세톤 1,500㎖에 천천히 부으면서 교반시킨다음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아세톤 : 물(5 : 1)용액 100㎖로 2번 세척하고 다시 아세톤 100㎖로 3번 세척한다음 30℃의 온동에서 24시간동안 진공건조시키면 얻고자하는 부분적인 플루오로 코티손 화합물 4.6g이 된다. 이때 플루오로 코티손의 정량적인 측정은 클로로포름에 의한 추출과 탄산나트륨의 알코올 수용액에 의한 약 알카리성가수분해후에 영국약전 1980,p.194의 방법에 따라 실시한다.
[실시예 13]-히알루론산(HY)의 (부분적인) 데속시코티코스테론에스테르(C21)의 제조(에스테르화된 카르복실기가 20%이며 Na로 염화시킨 카르복실기가 80%)
단량체단위로 10mEq에 해당하는 분자량 105,000인 HY테트라부틸암모늄 6.21g을 25℃의 온도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310㎖에 용해시키고 0.661g(2mEq)의 21-브로모-4-프레그넨-3,20-디온을 첨가한후 3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방치시킨다.
상기 용액에 염화나트륨 5g과 100㎖의 물이 함유되어 있는 용액을 첨가한 다음 2,000㎖의 아세톤에 천천히 부으면서 교반시키면 침전이 생기게 되는바 이 침전물을 여과하여 아세톤 : 물(5 : 1)용액 100㎖로 2번 세척하고 아세톤으로 3번 세척한후 30℃의 온도에서 진공건조시킨다.
상기 생성물을 1%의 염화나트륨이 함유된 수용액 300㎖에 용해시키고 아세톤 1,500㎖에 천천히 부으면서 교반시킨다음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아세톤 : 물(5 : 1)용액 100㎖로 2번 세척하고 다시 아세톤 100㎖로 3번 세척한 다음 3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진공건조시키면 얻고자 하는 부분적인 데속시코티코스테론에스테르 화합물 4.5g이 된다. 이때 데속시코티코스테론의 정량적인 측정은 클로로포름에 의한 추출과 탄산나트륨의 알코올 수용액에 의한 약 알카리성가수분해후에 영국약전 1980,p.137에 의거 실시한다.
[실시예 14]-히알루론산(HY)의 (혼합된) 에탄올과 코티손 에스테르(C21)의 제조(에탄올로 에스테르화된 카르복실기가 80%이며 코티손(C21)으로 에스테르화된 카르복실기가 20%)
단량체단위로 10mEq에 해당하는 분자량 70,000인 테트라부틸알모늄염 6.2g을 25℃의 온도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310㎖에 녹이고 1.25g(8mEq)의 에틸요오드화물을 가한후 30℃의 온도에서 12시간동안 방치시킨다음 다시 0.85g(2mEq)의 21-브로모-4-프레그넨-17α-올-3,11,20트리온을 가한후 30℃의 온도에서 24시간 방치시킨다.
상기 용액에 5g의 염화나트륨과 100㎖의 물이 함유되어 있는 용액을 첨가시키고 아세톤 2,000㎖에 천천히 부으면서 교반시키면 침전물이 형성되는바, 이 침전물을 여과하여 아세톤 : 물(5 : 1)용액 100㎖로 3번 세척하고 다시 아세톤 100㎖로 3번 세척하다음 30℃의 온도에서 8시간동안 진공건조시키면 얻고자하는 에탄올과 코티손의 혼합된 에스테르 4.6g이 된다. 이때 코티손의 정량적인 측정은 클로로포름에 의한 추출과 탄산나트륨의 알코올수용액에 의한 약 알카리성가수분해를 실시한 후 영국약전(1980)의 방법에 따라 실시하는 한편, 에톡실화합물의 정량적인 R.H. Cundiff와 P.C. Markunas〔Anal. Chem. 33, 1028-1030, (1961)〕의 방법에 따라 실시한다.
[실시예 15]-히알루론산(HY)의 (혼합된) 에탄올과 하이드로 코티손 에스테르(C21)의 제조(에탄올로 에스테르화된 카르복실기가 80%이며 하이드로 코르티손(C21)으로 에스테르화된 카르복실기가 20%)
단량체단위로 10mEq에 해당하는 분자량 125,000인 테트라부틸암모늄염 6.2g을 25℃의 온도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310㎖에 용해시키고 1.25g(8mEq)의 에틸요오드화물을 첨가한후 30℃의 온도에서 12시간동안 방치시킨다음 다시 0.85g(2mEq)의 21-브로모-4-프레그넨-11β,17α-디올-3,20-디온을 첨가하고 3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방치시킨다.
상기 용액에 5g의 염화나트륨과 100㎖의 물이 함유되어 있는 용액을 첨가한다음 2,000㎖의 아세톤에 천천히 부으면서 교반시키면 침전이 생기게 되는바 이 침전물을 여과하여 아세톤 : 물(5 : 1)용액 100㎖로 3번 세척하고 아세톤 100㎖로 3번 세척한후 30℃의 온도에서 8시간동안 진공건조시키면 얻고자 하는 에탄올과 하이드로 코티손 혼합에스테르 화합물 4.6g을 얻는다. 이때 하이드로 코티손의 정량적인 측정은 클로로포름에 의한 추출과 탄산나트륨의 알코올수용액에 의한 약 알카리성가수분해후에 영국약전(1980)의 방법에 따라 실시하며 한편 에톡실화합물의 정량적인 측정은 R.H. Cundiff와 P.C. Markunas〔Anal. Chem. 33, 1028-1030, (1961)〕의 방법에 따라 실시한다.
[실시예 16]-히알루론산(HY)의 (혼합된) 에탄올과 플루오로코티손에스테르(C21)의 제조(에탄올로 에스테르화된 카르복실기가 80%이며 플루오로코티손(C21)으로 에스테르화된 카르복실기가 20%)
단량체단위로 10mEq에 해당하는 분자량 70,000인 HY테트라 부틸암모늄염 6.2g을 25℃의 온도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310㎖에 용해시키고 1.25g(8mEq)의 에틸요오드화물을 첨가한후 3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방치시킨 다음 다시 0.85g(2mEq)의 9α-플루오로-21-브로모-4-프레그넨-11β,17α-디올-3,20-디온을 첨가하고 30℃의 온도에서 24시간 방치시킨다.
상기 용액에 5g의 염화나트륨과 100㎖의 물이 함유되어 있는 용액을 첨가한 다음 2,000㎖의 아세톤에 천천히 부으면서 교반시키면 침전이 생기게 되는바, 이 침전물을 여과하여 아세톤 : 물(5 : 1)용액 100㎖로 3번 세척하고 아세톤 100㎖로 3번 세척한후 30℃의 온도에서 8시간동안 진공건조시키면 얻고자하는 에탄올과 하이드로코티손혼합에스테르화합물 4.6g을 얻는다.
이때 하이드로 코티손의 정량적인 측정은 클로로포름에 의한 추출과 탄산나트륨의 알코올 수용액에 의한 약알카리성 가수분해후에 영국약전(1980)의 방법에 따라 실시하고 에톡실화합물의 정량적인 측정은 R.H. Cundiff와 P.C. Markunas〔Anal. Chem. 33, 1028-1030, (1961)〕의 방법에 따라 실시한다.
[실시예 17]-히알루론산(HY)의 (혼합된) 에탄올과 데속시코티코스테론 에스테르(C21)의 제조(에탄올로 에스테르화된 카르복실기가 80%이며 데속시코스테론(C21)으로 에스테르화된 카르복실기가 20%)
단량체단위로 10mEq에 해당하는 분자량 70,000인 HY테트라부틸암모늄염 6.2g을 25℃의 온도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310㎖에 용해시키고 1.25g(8mEq)의 에틸요오드화물을 첨가한후 30℃의 온도에서 12시간동안 방치시키고 다시 0.661g(2mEq)의 21-브로모-4-프레그넨-3,20-디온을 첨가하여 30℃의 온도에서 24시간 방치시킨다.
상기 용액에 5g의 염화나트륨과 100㎖의 물이 함유되어 있는 용액을 첨가한 다음 2,000㎖의 아세톤에 천천히 부으면서 교반시키면 침전이 생기게 되는바 이 침전물을 여과하여 아세톤 : 물(5 : 1)용액 100㎖로 3번 세척하고 100㎖ 아세톤으로 3번 세척한후 30℃에서 8시간동안 진공건조시키면 얻고자하는 화합물. 즉 에탄올과 데속시코티코스테론혼합에스테르 4.6g이 된다. 이때 데속시코티코스테론의 정량적인 클로로포름에 의한 추출과 탄산나트륨의 알코올 수용액에 의한 약알카리성가수분해를 실시한후 영국약전(1980)에 따라 실시하며, 한편 에톡실화합물의 정량적인 측정은 R.H. Cundiff와 P.C. Markunas〔Anal. Chem. 33, 1028-1030, (1961)〕의 방법에 따라 실시한다.
[실시예 18]-히알루론산(HY)의 (부분적이고 혼합된) 에탄올과 데속시코티코스테론에스테르의 제조(에탄올로 에스테르화된 카르복실기가 40%이고 데속시코티코스테론(C21)으로 에스테르화된 카르복실기가 20%이며 Na로 염화시킨 카르복실기가 40%)
단량체단위로 10mEq에 해당하는 분자량 125,000인 HY테트라부틸암모늄염 6.2g을 30℃의 온도에서 310㎖의 디메틸설폭사이드에 용해시키고 0.62g(4mEq)의 에틸요오드화물을 가한후 3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방치시키고, 다시 0.85g(2mEq)의 21-브로모-4-프로그넨-3,20-디온을 가하여 3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방치시킨다.
상기 용액에 5g의 염화나트륨과 물 100㎖가 함유된 용액을 첨가하고 2,000㎖의 아세톤에 천천히 부으면서 교반시키면 침전히 생기게 되는바, 이 침전물을 여과시켜 아세톤 : 물(5 : 1)용액 100㎖로 3번 세척하고 아세톤 100㎖로 3번 세척한 다음 30℃의 온도에서 8시간동안 진공건조시키면 얻고자하는 화합물, 즉 에탄올과 데속시코티코스테론의 부분적이고 혼합된 에스테르가 4.5g 얻어진다. 이때 데속시코티코스테론의 정량적인 측정은 클로로포름에 의한 추출과 탄산나트륨의 알코올수용액에 의한 약 알카리성가수분해를 실시한후 영국약전(1980)에 따라 실시하고, 한편 에톡실 화합물의 정량적인 측정은 R.H. Cundiff와 P.C.Markunas〔Anal. Chem. 33, 1028-1030, (1961)〕의 방법에 따라 실시한다.
[실시예 19]-히알루론산(HY)의 (부분적이고 혼합된) 에탄올과 코티손 에스테르의 제조(에탄올로 에스테르화된 카르복실기가 40%이고 코르티손(C21)으로 에스테르화된 카르복실기가 20%이며 Na로 염화시킨 카르복실기가 40%)
단량체단위로 10mEq에 해당하는 분자량 125,000인 테트라부틸암모늄 6.2g 을 25℃의 온도에서 310㎖의 디메틸설폭사이드에 용해시키고, 0.62g(4mEq)의 에틸요오드화물을 가한후 3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방치시키고, 다시 0.85g(2mEq)의 21-브로모-4-프레그넨-17α-올-3,11,20-트리온을 가하여 3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방치시킨다.
상기 용액에 5g의 염화나트륨과 100㎖의 물이 함유되어 있는 용액을 첨가하고, 2,000㎖의 아세톤에 천천히 부으면서 교반시키면 침전이 생기게 되는바, 이 침전물을 여과시켜 아세톤 : 물(5 : 1)용액 100㎖로 3번 세척하고 아세톤 100㎖로 3번 세척한다음 30℃의 온도에서 8시간동안 진공건조시키면 얻고자하는 화합물, 즉 에탄올과 코티손의 부분적이고 혼합된 화합물이 4.5g 얻어진다. 이때 코티손의 정량적인 측정은 클로로포름에 의한 추출과 탄산나트륨의 알코올수용액에 의한 알카리성가수분해를 실시한후 영국약전(1980)에 따라 실시하고, 한편 에톡실 화합물의 정량적인 측정은 R.H. Cundiff와 P.C.Markunas Anal. Chem. 33, 1028-1030, (1961).의 방법에 따라 실시한다.
[실시예 20]-히알루론산(HY)의 (부분적이고 혼합된) 에탄올과 하이드로 코티손 에스테르(C21)의 제조(에탄올로 에스테르화된 카르복실기가 40%이고 하이드로 코티손(C21)으로 에스테르화된 카르복실기가 20%이며 Na로 염화시킨 카르복실기가 40%)
단량체단위로 10mEq에 해당하는 분자량이 70,000인 HY의 테트라부틸암모늄염 6.2g을 25℃의 온도에서 310㎖의 디메틸설폭사이드에 용해시키고, 6.2g(4mEq)의 에틸요오드화물을 첨가한 후 3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방치시키고 다시 0.85g(2mEq)의 21-브로모-4-프레그넨-11β,17α-3,20디온을 첨가하여 3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방치시킨다.
상기 용액에 5g의 염화나트륨과 200㎖의 물이 함유되어 있는 용액을 첨가하고, 2,000㎖의 아세톤에 천천히 부으면서 교반시키면 침전이 생기게 되는바, 이 침전물을 여과시켜 아세톤 : 물(5 : 1)용액 100㎖로 3번 세척하고 아세톤 100㎖로 3번 세척한다음 30℃의 온도에서 8시간동안 진공건조시키면 얻고자하는 화합물, 즉 에탄올과 하이드로코티손의 부분적이고 혼합된 에스테르가 4.5g 얻어진다. 이때 하이드로코티손의 정량적인 측정은 클로로포름에 의한 추출과 탄산나트륨의 알코올수용액에 의한 약알카리성가수분해를 실시한 후 영국약전(1980)에 따라 실시하고, 한편 에톡실 화합물의 정량적인 측정은 R.H. Cundiff와 P.C.Markunas〔Anal. Chem. 33, 1028-1030, (1961)〕의 방법에 따라 실시한다.
[실시예 21]-히알루론산(HY)의(부분적이고 혼합된) 에탄올과 플루오로 코티손 에스테르(C21)의 제조(에탄올로 에스테르화된 카르복실기가 40%이고 플루오로 코티손(C21)으로 에스테르화된 카르복실기가 20%이며 Na로 염화시킨 카르복실기가 40%)
단량체단위로 10mEq에 해당하는 분자량 6,500인 HY테트라부틸암모늄염 6.2g을 25℃의 온도에서 310㎖의 디메틸설폭사이드에 용해시키고, 0.62g(4mEq)의 에틸요오드화물을 첨가한후 3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방치시키고, 다시 0.89g(2mEq)의 9α-플루오로-21-브로모-4-프레그넨-11β,17α-디올-3,20디온을 가하여 3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방치시킨다.
상기 용액에 5g의 염화나트륨과 100㎖이 물이 함유되어 있는 용액을 첨가하고 2,000㎖의 아세톤에 천천히 부으면서 교반시키면 침전이 생기게 되는바 이 침전물을 여과시켜 아세톤 : 물(5 : 1)용액 100㎖로 3번 세척한 다음 30℃에서 8시간동안 진공건조시키면 얻고자하는 화합물, 즉 에탄올과 플루오로코티손의 정량적인 측정은 클로로포름에 의한 추출과 탄산나트륨의 알코올수용액에 의한 약알카리성가수분해를 실시한후 영국약전(1980)에 따라 실시하고, 한편 에톡실 화합물의 정량적인 측정은 R.H. Cundiff와 P.C. Markunas〔Anal. Chem. 33, 1028-1030, (1961)〕의 방법에 따라 실시한다.
[실시예 22]-히알루론산(HY)의 n-펜틸에스테르의 제조
단량체단위의 20mEq에 해당하는 분자량 620,000인 HY테트라부틸암모늄염 12.4g을 25℃의 온도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620㎖에 녹이고 3.8g(25mEq)의 n-펜틸브로마이드와 0.2g의 테트라부틸암모늄요오드화물을 가한다음 상기 용액을 3,500㎖의 에틸아세트산에다 천천히 부으면서 교반시키면 침전이 형성되는바 이 침전물을 여과시켜 500㎖의 에틸 아세트산으로 4번 세척한 다음 3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진공건조시키면 얻고자하는 화합물, 즉 n-펜틸에스테르가 8.7g 얻어진다. 이때 에스테르기의 정량적인 측정은 Sigga S. and Hama J.G.의 방법(p. 169-172, "Quantitative organic analysis via functional groups" 4th ed, John Wiley and Sons)에 따라 실시한다.
[실시예 23]-히알루론산(HY)의 이소펜틸 에스테르의 제조
단량체단위로 20mEq에 해당하는 분자량 170,000인 HY테트라부틸암모늄염 12.4g을 25℃의 온도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620㎖에 용해시키고 3.8g(25mEq)의 이소펜틸브로마이드와 0.2g의 테트라부틸암모늄 요드화물을 가한다음 30℃의 온도에서 12시간동안 방치시킨다.
상기 용액을 3,500㎖의 에틸아세트산에다 천천히 부으면서 교반시키면 침전이 형성되는바, 이 침전물을 여과시켜 500㎖의 에틸아세트산으로 4번 세척한 다음 3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진공건조시키면 얻고자하는 화합물, 즉 이소펜틸에스테르가 3.6g 얻어진다. 이때 에스테르기의 정량적인 측정은 Sigga S. and Hanna J.G.의 방법(p. 169-172, "Quantitative organic analysis via functional groups" 4th ed, John Wiley and Sons)에 따라 실시한다.
[실시예 24]-히알루론산(HY)의 벤질에스테르의 제조
단량체단위로 20mEq에 해당하는 분자량 170,000인 HY테트라부틸암모늄염 12.4g을 25℃의 온도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620㎖에 용해시키고 4.5g(25mEq)의 벤질브롬화물과 0.2g의 테트라부틸암모늄요오드화물을 가한다음 30℃의 온도에서 12시간동안 상기 용액을 3,500㎖의 에틸 아세트산에다 천천히 부으면서 교반시키면 침전이 형성되는바, 이 침전물을 여과시켜 500㎖의 에틸아세트산으로 4번 세척한 다음 3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진공건조시키면 얻고자하는 화합물, 즉 벤질에스테르가 9g 얻어진다. 이때 에스테르기의 정량적인 측정은 Sigga S. and Hanna J.G.의 방법(p. 169-172, "Quantitative organic analysis via functional groups" 4th ed. John Wiley and Sons)에 따라 실시한다.
[실시예 25]-히알루론산(HY)의 β-페닐에틸에스테르의 제조
단량체 단위로 20mEq에 해당하는 분자량 125,000인 HY테트라부틸암모늄염 12.4g을 25℃의 온도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620㎖에 용해시킨 4.6g(25mEq)의 2-브로모에틸벤젠과 185㎎의 테트라부틸암모늄요오드화물을 가한다음 30℃의 온도에서 12시간동안 방치시킨다.
상기 용액을 3,500㎖의 에틸아세트산에다 천천히 부으면서 교반시키면 침전이 형성되는바, 이 침전물을 여과시켜 500㎖의 에틸아세트산으로 4번 세척한 다음 3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진공건조시키면 얻고자 하는 화합물, 즉 B-페닐에틸에스테르가 9.1g 얻어진다.
이때 에스테르기의 정량적인 측정은 Sigga S. and Hanna J.G.의 방법(p. 168-172, Quantitative organic analysis via function groups" 4th ed, John Wiley and Sons)에 따라 실시한다.
[실시예 26]-히알루론산(HY)의 벤질에스테르의 제조
분자량이 162,000인 HY의 칼륨염 3g을 200㎖의 디메틸설폭사이드에 현탁시키고 테트라부틸암모늄요오드화물 120㎎과 벤질브롬화물 2.4g을 첨가한 다음 30℃의 온도에서 48시간동안 교반시킨다.
상기 혼합물을 1,000㎖의 에틸 아세트산에 천천히 부으면서 교반시키면 침전이 형성되는데, 이 침전물을 여과시켜 150㎖의 에틸 아세트산으로 4번 세척한후 3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진공건조시키면 얻고자하는 화합물, 즉 벤질에스테르가 3.1g 얻어진다. 이때 에스테르기의 정량적인 측정은 Sigga S. Hanna J.G.의 방법(p. 168-172, "Quantitative organic analysis via functional groups" 4th ed, John Wiley and Sons)에 따라 실시한다.
[실시예 27]-부분적으로 에탄올로 에스테르화시킨 히알루론산(HY)의 스트렙토마이신염의 제조(에탄올로 에스테르화된 카르복실기가 75%이고 스트렙토마이신으로 염화시킨 카르복실기가 25%)
243㎎의 스트렙토마이신 설페이트(1mEq)를 20㎖의 물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OH-형의 4급 암모늄수지(Dowex1×8) 2㎖가 함유된 온도조절컬럼(Colum)안에서 5℃의 온도로 용출시킨다음 설페이트가 제거된 용출액을 5℃의 온도로 조정된 온도조절 용기에 모은다.
1.6g의 75% 에틸에스테르와 25% 나트륨염(에스테르화되지 않은 카르복실에 대해 단량체 단위로 1mEq에 해당)을 400㎖의 물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H+형의 설폰산수지(Dowex50×80)2㎖가 함유된 온도조절컬럼에서 20℃의 온도에서 용출시킨다음 나트륨이 제거된 용출액을 준비된 스트랩토마이신 염기용액에 가하면서 교반시킨후 얻어진 스트랩토마이신 염기용액에 가하면서 교반시킨후 얻어진 용액을 즉시 냉동시켜서 동결건조시킨다. 수득량은 1.7g이다. 여기서 표준스트렙토마이신과 비교하여 B. Subtillis ATTCC 6633에 따라 실시된 미생물학적 측정에 의하면 스트렙토마이신염기의 함량은 중량비로 0.9%이며, 이것은 이론적으로 산출된 함량과 일치한다.
[실시예 28]-부분적으로 에탄올로 에스테르화된 히알루론산(HY)의 에리스토마이신염의 제조(에탄올로 에스테르화시킨 카르복실기가 75%이고 에리스토마이신으로 염화시킨 카르복실기가 25%)
1.6g의 75% HY 에틸에스테르와 25% 나트륨염(에스테르화되지 않은 카르복실에 대해 단량체단위로 1mEq에 해당)을 400㎖의 물에 녹이고 이 용액을 H+형의 술폰산수지(Dowex50×80)2㎖가 함유된 온도조절컬럼에서 20℃의 온도에서 용출시킨다음 나트륨이 제거된 용출액을 734㎎의 에리스토마이신염기(1mEq)용액에 가한후 얻어진 용액을 즉시 냉동시켜서 동결건조시킨다. 수득량은 2.1g이다. 여기서 표준에리스로마이신과 비교하여 St. aureus ATCC 6538에 따라 실시된 미생물학적 측정에 의하면 에리스로마이신염기의 함량은 중량비로 31.7%이며, 이것은 이론적으로 산출된 함량과 일치한다.
[실시예 29]-부분적으로 에탄올로 에스테르화시킨 히알루론산(HY)의 네오마이신염의 제조(에탄올로 에스테르화시킨 카르복실기가 75%이고 네오마이신으로 염화시킨 카르복실기가 25%)
152㎎의 네오마이신 설페이프(1mEq)를 20㎖의 물에 녹이고 이 용액을 OH-형의 4급암모늄수지(Dowex1×8) 2㎖가 함유된 온도조절컬럼(Column)에 5℃의 온도에서 용출시킨다음 설페이트가 제거된 용출액을 5℃의 온도로 조정된 온도조절용기에 모은다.
1.6g의 75% HY에틸에스테르와 25% 나트륨염(에스테르화되지 않은 카르복실에 대해 단량체 단위로 1mEq에 해당함)을 400㎖의 물에 녹이고 이 용액을 H+형의 술폰산수지(Dowex 50×8)2㎖가 함유된 온도조절컬럼으로 20℃의 온도에서 용출시킨다음 나트륨이 제거된 용출액을 준비된 네오마이신 염기용액에 가하면서 교반시킨후 얻어진 용액을 즉시 냉동시켜서 동결건조시킨다. 수득량은 1.65g이다. 여기서 표준네오마이신과 비교하여 St. aureus ATCC 6538에 따라 실시된 미생물학적 측정에 의하면 네오마이신 염기의 함량은 중량비로 6.1%이며, 이것은 이론적으로 산출된 함량과 일치한다.
[실시예 30]-부분적으로 에탄올로 에스테르화시킨 히알루론산(HY)의 겐타마이신염의 제조(에탄올로 에스테르화된 카르복실기가 75%이고 겐타마이신으로 염화시킨 카르복실기가 25%)
145㎎의 겐타마이신 설페이트를 10㎖의 물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OH-형의 4급 암모늄수지(Dowex 1×8) 2㎖가 함유된 온도조절컬럼(Column)에서 5℃의 온도에서 용출시킨다음 설페이트가 제거된 용출액을 5℃의 온도로 조정된 온도조절용기에 모은다.
1.6g의 75% HY에틸에스테르와 25% 나트륨염(에스테르화되지 않은 카르복실과 관련된 단량체단위 1mEq와 일치함)을 400㎖의 물에 녹이고 이 용액을 H+형의 술폰산수지(Dowex 5×8) 2㎖가 함유된 온도조절 컬럼으로 20℃의 온도에서 용출시킨다음 나트륨이 제거된 용출액을 준비된 겐타마이신 염기용액에 가하면서 교반시킨후 얻어진 용액을 즉시 냉동시켜서 동결건조시킨다.
수득량은 1.7g이다. 여기서 표준겐타마이신과 비교하여 S. epidermidus ATCC 12228에 따라 실시된 미생물학적 측정에 의하면 겐타마이신염기의 함량은 중량비로 6.50%이며, 이것은 이론적으로 산출된 함량과 일치한다.
[실시예 31]-부분적으로 에탄올로 에스테르화된 히알루론산(HY)의 아미카신염의 제조(에탄올로 에스테르화시킨 카르복실기가 75%이고 20㎖의 물에 147㎎(1mEq)의 아미카신 염기를 용해시켜서 된 아미카신으로 염화시킨 카르복실기가 25%)
147㎎의 아미카신 1(1mEq)을 20㎖의 물에 용해시킨다. 1.6g의 75% HY에틸에스테르와 25% 나트륨염(에스테르화되지 않은 카르복실에 대해 단량체단위로 1mEq에 해당함)을 400㎖의 물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H+형의 설폰산수지(Dowex 50×8) 2㎖가 함유된 온도조절컬럼에서 20℃의 온도에서 용출시킨 다음 나트륨이 제거된 용출액을 준비된 아미카신염기용액에 가하면서 교반시킨후 얻어진 용액을 즉시 냉동시켜서 동결건조시킨다. 수득량은 1.70g이다. 여기서 표준 아미카신과 비교하여 St. aureus ATCC 29737에 따라 실시된 미생물학적 측정에 의하면 아미카신 염기의 함량은 중량비로 8.5%이며, 이것은 이론적으로 산출된 함량과 일치한다.
[실시예 32]-부분적으로 에탄올과 에스테르화시킨 히알루론산(HY)의 가나마이신염의 제조(에탄올로 에스테르화시킨 카르복실기가 75%이고 가나마이신으로 염화시킨 카르복실기가 25%)
146㎎의 가나마이신 설페이트(1mEq)를 20㎖의 물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OH-형의 4급 암모늄수지(Dowex 1×8) 2㎖가 함유된 온도조절커럼(column)에서 5℃의 온도에서 용출시킨다음 설페이트가 제거된 용출액을 5℃의 온도로 조절된 온도조절용기에 모은다.
1.6g의 75% HY에틸에스테르와 25% 나트륨염(에스테르화되지 않은 카르복실에 대해 단량체단위로1mEq에 해당함)을 400㎖의 물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H+형의 술폰산수지(Dowex 50×8) 2㎖가 함유된 온도조절컬럼에서 20㎖의 온도에서 용출시킨다음 나트륨이 제거된 용출액을 준비된 가나마이신 염기용액에 가하면서 교반시킨후 얻어진 용액을 즉시 냉동시켜서 동결건조시킨다. 수득량은 1.5g이다.
여기서 표준 가나마이신과 비교하여 B. subtilis ATCC 6633에 따라 실시된 미생물학적 측정에 의하면 가나마이신 염기의 함량은 중량비로 7%이며, 이것은 이론적으로 산출된 함량과 일치한다.
[실시예 33]-부분적으로 에탄올로 에스테르화시킨 히알루론산(HY)의 피로카르핀염의 제조(에탄올로 에스테르화시킨 카르복실기가 75%이고 피로카르핀으로 염화시킨 카르복실기가 25%)
245㎎의 피로카르핀염산(1mEq)을 20㎖의 물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OH-형의 4급 암모늄수지(Dowex 1×8) 2㎖가 함유된 온도조절컬럼(Column)에서 5℃의 온도에서 용출시킨다음 염소가 제거된 용출액을 5℃의 온도로 조정된 온도조절용기에 모은다.
1.6g의 75% HY에틸에스테르와 25% 나트륨염(에스테르화되지 않은 카르복실에 대해 단량체단위로1mEq에 해당함)을 400㎖의 물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H+형의 술폰산수지(Dowex 50×8) 2㎖가 함유된 온도조절컬럼으로 20℃의 온도에서 용출시킨다음 나트륨이 제거된 용출액을 준비된 용출액을 준비된 피로카르핀염기용액에 가하면서 교반시킨후 얻어진 용액을 즉시 냉동시켜서 동결건조시킨다. 수득량은 1.89g이다
[실시예 34]-히알루론산(HY)의 (부분적인) 프로필에스테르의 제조(에스테르화시킨 카르복실기가 85%이고 Na로 염화시킨 카르복실기가 15%)
단량체 단위로 20mEq에 해당하는 분자량 165,000인 HY테트라부틸암모늄염 12.4g을 25℃의 온도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620㎖에 용해시키고 2.9g(17mEq)의 프로필요오드화물을 첨가한후 30℃의 온도에서 12시간동안 방치시킨다. 상기 용액에 염화나트륨 9g과 62㎖의 물이 함유되어있는 용액을 첨가한 다음 3,500㎖의 아세톤에 천천히 부으면서 교반시키면 침전이 생기게 되는바, 이 침전물을 여과하여 아세톤 : 물(5 : 1)용액 500㎖로 3번 세척하고 아세톤으로 3번 세척한후 30℃의 온도에서 8시간동안 진공건조시킨다. 상기 생성물을 식염 1%가 포함된 수용액 550㎖에 용해시키고 아세톤 3,000㎖에 천천히 부으면서 교반시킨다음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아세톤 : 물(5 : 1)용액 500㎖로 2번 세척하고 다시 아세톤 500㎖로 3번 세척한 다음 3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진공 건조시키면 얻고자하는 화합물 즉 부분적인 프로필에스테르 8g이 된다. 이때 에스테르기의 정량적인 측정은 R.H. Cundiff P.C. Markunas〔Anal. Chem. 33, 1028-1030, (1961)〕의 방법에 따라 실시한다.
[실시예 35]-부분적으로 n-프로판올로 에스테르화시킨 히알루론산(HY)의 피로카르핀염의 제조(n-프로판올로 에스테르화시킨 카르복실기가 85%이고 피로카르핀으로 염화시킨 카르복실기가 15%)
245㎎의 피로카르핀염산(1mEq)을 10㎖의 물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OH-형의 4급 암모늄수지(Dowex 1×8) 2㎖가 함유된 온도조절컬럼(Column)에서 5℃의 온도에서 용출시킨다음 염소가 제거된 용출액을 5℃의 온도로 조정된 온도조절용기에 모은다.
4.1g의 85% HY프로필에스테르와 15% 테트라부틸암모늄염(에스테르화되지 않은 카르복실기에 대해 단량체 단위로 1mEq에 해당함)을 100㎖의 디메틸설폭사이드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H+형의 젖은 술폰산수지(Dowex 50×8) 2㎖가 함유된 온도 조절컬럼에서 2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진공건조시키면 얻고자하는 화합물 3.5g이 얻어진다.
[실시예 36]-리노크라디엘과 엘리에이터(Rhinocladiella eliator)에 의해서 제조된 산성폴리사카라이드 에틸에스테르의 제조
리노크라디엘과 엘리에이터 망게노트 NRRL YB-4613에 의해서 제조된 산성 폴리사카라이드가 사용되었다. (P.R. Watson, P.A.Sandford, K.A. Burtor, M.C. Cadmus and A. Jeanes-Carbohydr. Res. 46,259-265(1976) ; L. Kenne, B. Lindberg, K. Peterson and P. Unger, Carbohydr. Res. 84,184-186(1980) 이것은 1-4결합에 의해서 연결된 2-아세트아미도-2-디옥시-D-글루쿠론산단위로 되어져 있다.
Figure kpo00002
단량체단위로 20mEq에 해당하는 상기 산성폴리사카라이드의 칼륨염 5.2g을 250㎖의 디메틸 설폭사이드에 현탁시키고 이 혼합물을 교반시키는 동안 35℃의 온도를 유지시키며 200㎎의 테트라부틸암모늄요오드화물을 가하고 다시 3.5g의 메틸요오드화물을 서서히 가한다음 35℃에서 48시간동안 교반시킨다.
상기 혼합물을 800㎖의 에틸아세트산에 천천히 붓고 계속 교반시키면 침전이 형성되는바, 이 침전물을 여과시켜 에틸아세트산 150㎖로 4번 세척하고 진공건조시키면 카르복실기가 모두 에스테르화된 얻고자 하는 화합물 즉, 에틸에스테르 4g이 얻어진다.
이때 에스테르기의 정량적인 측정은 R.H. Cundiff와 P.C. Markunas〔Anal. Chem. 33,1028-1030, (1961)〕의 방법에 따라 실시한다.
[실시예 37]-리노크라디엘과 엘리에이터에 의해 제조된 산성폴리사카라이드의 에틸에스테르의 제조
실시예 36에서 출발물질로 사용된 단량체 단위로 20mEq에 해당하는 산성폴리사카라이드의 테트라부틸암모늄염 10.0g을 30℃의 온도에서 800㎖의 디메틸 설폭사이드로 처리하고 3.3g(21.2mEq)의 에틸요오드화물을 가한다음 30℃의 온도에서 48시간동안 교반시킨다.
얻어진 혼합물을 4,000㎖의 에틸아세트산에 천천히 붓고 교반시키면 침전이 형성되는바 이 침전물을 여과하여 500㎖의 에틸아세트산으로 4번 세척시킨다음 진공건조시키면 카르복실기가 모두 에스테르화된 얻고자하는 화합물 즉, 에틸에스테르 3g이 얻어진다. 이때 에스테르기의 정량적인 측정은 R.H. Cundiff와 P.C. Markunas〔Anal. Chem. 33,1028-1030, (1961)〕의 방법에 따라 실시한다.
[실시예 38]-리노크라디엘과 만소니(Man Soni)에 의해 제조된 산성폴리사카라이드의 에틸에스테르의 제조
리노크라디엘과 만소니 NRRL Y-46272 A. Jeanes, K.A. Burton, M.C. Cadmus, C.A. Kuntson, G.L. Rowin and P.A. Sandford. -Nature (Condon) 233,259-260(1971) ; P.A. Watson and A.P. Teanes-Carbohydr. Res. 29,153-166(1973)에 의해서 산성폴리사카라이드가 생산되었는데 이는 1-3결합에 의해서 연결된 N-아세틸-D-글루코사민 2분자와 2-아세트아미드-2-디옥시-D-글루쿠론산 1분자로 구성된 단위로 되어있다.
Figure kpo00003
단량체 단위로 20mEq에 해당하는 상기 산성폴리사카라이드의 테트라부틸암모늄염 8.2g를 30㎖의 온도에서 1000㎖의 디메틸설폭사이드로 처리한 다음 교반시키면서 3.3g(21.2mEq)의 에틸요오드화물을 가하고 3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방치시킨후 4,000㎖의 에틸아세트산에 천천히 부으면서 교반시키면 침전이 생긴다.
상기 침전물을 여과시켜 500㎖의 에틸아세트산으로 4번 세척하고 진공건조시키면 카르복실기가 모두 에스테르화된 얻고자하는 화합물 11g을 얻는다. 이때 에스테르기의 정량적 측정은 R.H. Cundiff와 P.C. Markunas〔Anal. Chem. 33,1028-1030, (1961)〕의 방법에 따라 실시한다.
[생물학적 활성에 대한 연구]
1) 소염활성에 대한 연구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에스테르 및 약제의 효과는 예컨대 소염성코티코스테로이드를 결합시켜서 된 히알루론산의 부분적인 에스테르의 소염활성도를 증거로 하고, 집토끼의 눈에 덱스트란을 투여하여 발생하게 되는 삼출성염증을 관찰함으로써 설명할 수 있다.
재료
코드명이 HYC1 내지 HYC9로 붙여진 코티손, 하이드로코티손 및 플루오로코티손(9-플루오로하이드로코티손)의 9가지 히알루론산에스테르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다음의 표 1에서는 상기 화합물을 표시하고 상기 코티코스테로이드로 에스테르화된 HY의 카르복실기의 수에 대한 백분율과 단순지방족 알코올로 에스테르화된 백분율 및 알카리금속(Na)에 의하여 염화된 백분율도 나타내었다. 표 1에 나타낸 화합물의 활성도를 각각 대응하는 코티손과 함께 대비시켰다.
[표 1]
Figure kpo00004
DMSO에 용해시킨 HYC4, HYC5 및 HYC6을 제외한 모든 유도체는 식염수에 용해되었다(2㎎/㎖).
방법
48마리의 집토끼에 덱스트란(식염수중 1%, 0.1㎖)을 안구내부에 주사함으로써 무균성(삼출성)염증을 나타내었다. 토끼의 오른쪽눈(RE)에는 여러가지 약물을 점적투약한 반면, 왼쪽 눈(LE)에는 부형제만을 점적 투입하였으며, 덱스트란주사후 바로 치료를 시작해서(6시간마다 3방울씩) 16일동안 계속 실시하였다.
안검사
각 토끼의 양쪽 눈을 검안등(Slit lamp)으로 관찰하였는데, 특히 결막 및 각막상피의 상태, 안구전방(틴달효과의 존재), 홍채 및 안구후반부의 상태 등을 검사하였고, 골드맨 렌즈를 사용하여 눈의 뒷부분(상태)도 검사하였다. 염증발생의 증거(충헐, 삼출, 안구액의 혼탁)가 기록되었으며 이와같은 염증증상이 전혀 나타나지 않은 눈의 백분율도 산출되었다.
결과
표 2에 나타내어진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모든 HYC 유도체는 비교시험된 대응하는 코티손보다 우수한 소염/활성을 갖는 것으로 증명된 바, 검사하는 날마다 염증이 있는 눈의 비율이 감소되었음은 물론 염증기간도 단축되었다. 한편, 이들 유도체중에서도 HYC4, HYC5 및 HYC6가 가장 우수한 효과를 보였는데, 이는 상기 유도체가 지방친화력이 좀더 크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표 2]
토끼의 눈에 덱스트란 투여로 발생된 무균성(삼출성)염증에 대한 HYC유도체(히알루론에스테르)의 소염효과
Figure kpo00005
수치는 %로 표시되었으며(처치한 전체 눈의 수에 대해 염증이 없어진 눈의 수) 괄호안의 숫자는 처치한 눈의 수를 나타낸다.
2) 흡수성 및 생물학적 유용성에 대한 연구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생성물의 효과를 히알루론산과 결합시킨 하이드로코티손의 몇 가지 유도체에 대한 흡수성 및 생물학적 유용성을 연구하여서 나타내었는데, 이 실험에서 사용한 유도체는 앞에서 기술한 HYC2, HYC5, HYC8이다.
재료와 방법
(1) 동물
체중이 250g 내지 350g인 Charles River-Calco(como) 산 수컷의 Sprague-Dawley 쥐에 코드명이 4RF 21(produced by "Italiana Mangimi", licensee of Charles River)인 정제화합물과 물에 들어있는 리비튬을 먹였다.
(2) 처치
하이드로코티손을 헤미석시네이트나트륨염의 형태로 일반적인 정맥내 경로를 통하여 1.34㎎/㎏(1㎎/㎏의 하이드로코티손염기에 해당함)을 투여하고 피하경로를 통하여 1.34㎎/㎏ 및 2.68㎎/㎏(2㎎/㎏의 하이드로 코티손염기에 해당함)을 투여하였다. (I. V. 경로는 다른 투여경로로의 흡수를 평가하기 위해 비교치로서 제공되는 약리학적 매개변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고려되었다.)
3가지의 HYC 유도체를 피하경로를 통하여 1회투여량으로 6.5㎎/㎏ 및 13㎎/㎏(1㎎/㎏ 및 2㎎/㎏의 하이드로코티손염기에 해당함)으로 투여하였다. HYC5를 제외한 완전한 수용액에는 불용성인 모든 다양한 생성물을 살균식염수에 용해시키고 먼저 디메틸설폭사이드를 필수적인 최소한의 양만큼만 첨가한 다음 식염수로 적당한 부피가 되도록 만든다. 이와같은 화합물은 모두 1㎖/㎏의 일정한 부피로 주사하였다.
(3) 현장샘플의 수거
투여후 심장천자(穿刺)에 의해 항응고제(소디움 헤파린) 존재하에서 각 동물로부터 0.3㎖의 혈액을 취했다. 혈액을 취하는 시간은*15분, 30분, 60분, 120분, 180분300분, 360분, 420분, 480분이었다.(*는 정맥내 투여)
(4) 하이드로 코티손의 투여
하이드로코티손은 복소산염 추적을 이용하는 방사성면역분석법(Cortisolo Kit, Biodata, cod. 10394)에 의해서 투여되었는데, 상기 방법의 정확도 및 정밀도는 공지의 대조용 분석법으로 대조용혈장을 6번 반복(2중)하여 결정하며, 각각 3.03%및 0.021%로 나타났다.
상기 방법은 선형성(線型性)은 1ng/㎖ 내지 1000ng/㎖에서 나타나고 관찰한계값은 1ng/㎖ 이다.
쥐에 대한 코티소레미아의 투여는 쥐에 있는 내인성 글루코코티이드호르몬의 대사형태가 코티손이 아닌 코스테론의 생성을 촉진시킴에 따라(E.L. Green : Biology of the laboratory mouse) 이 호르몬의 24시간 주기의 리듬이나 염기의 수준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는다.
투여방법이 오직 유리코티솔에 대하여 특이하다는 것이 예비적인 증명에 나타나 있으며 항코티솔항체는 세가지 HYC 유도체중 어떤 것에 대하여도 경쟁형태로 존재하지 않는다.
결과
표 3에는 I.V. 및 S. C.주사(1㎎/㎏ 및 2㎎/㎏)를 실시한후 하이드로코티손의 평균 혈장농도의 결과를 나타내었는데 피하주사후 생성물이 급속하게 흡수된다는 것에 특히 주목해야 한다. (Tmax는 약 30분에 구하였고, Cmax는 I.V.경로에서와 같이 같은 용량에서 구하였다.)
한편, 표 4는 혈장감소곡선으로부터 계산한 코티솔의 약리학적운동 매개변수를 나타내었으며 1회복용량이 6.5㎎/㎏ 및 13㎎/㎏(1㎎/㎏ 및 2㎎/㎏의 하이드로코티손염기에 해당함)인 3가지의 HYC 유도체를 피하투여한후 코티솔의 평균농도에 대해서는 표 3에서 나타내었고, 또한 3가지 HYC 생성물의 혈장흡수곡선으로부터 잔여물의 방법으로 도식화하여 산출된 코티솔에 관한 약물학적 운동매개변수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히알루론산이 포함된 3가지 유도체에 의하여 분리되어지는 하이드로코티손의 운동은 선형이 아니라는 점을 특히 주의해야 하는데, 이는 곧, 혈장하향곡선의 아래 면적과 같은 투여용량의 존매개변수와 혈장농도 사이에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코티솔은 동력학적으로 선형이고 첫번째 비율모델결과이므로 HYC 유도체의 경우에 있어서 포화과정이 히알루론산과 티티솔 사이의 에스테르결합에 대한 가수분해라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이러한 추세(동력학적으로 제로비율로 향하려는)는 활성원소의 흡수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며 3가지 HYC 유도체도 동력학적으로 마찬가지로 첫번째 비율모델에 따라 변형된다.
[표 4]
하이드로코티손(1㎎/㎏)과 비교되는 HYC2, HYC5, HYC8을 1회분으로 6.5㎎/㎏만큼 피하투여한후 하이드로코티손의 약물학적 운동매개변수
Figure kpo00006
[표 3]
1회분(1~2㎎/㎏)의 하이드로코티손(average of 4values)과 비교되는 HYC2, HYC5, HYC8의 유도체(6.5 및 13㎎/㎏)를 피하투여한 후의 하이드로코티손의 평균 혈장농도
Figure kpo00007
결론
하이드로코티손과 비교하여 볼때 본 실험에 사용된 세가지 생성물의 생물학적 유용성은 완전한 것으로 판명되며, 신속한 분리제조방법에 의한 것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점에서 흡수는 보다 느리고(최대시간이 약 2시간) 피하로 주입된 코티솔의 농도와 일치하는 최대농도에는 도달되지 않았다.
혈장중의 코티솔레미아는 투여후 몇 시간동안 평균적으로 더 높아졌으며 히알루론산의 에스테르화는 하이드로코티손의 유리를 보다 느리게 하여주며 이것이 곧 본 발명의 목적이다.
3) 피부 수화작용에 대한 연구
이미 언급된 바와같이 에스테르결합의 가수분해는 포화과정으로서 동력학적으로 제조상태로 되려는 경향이 있어 지연형태를 위해서는 매우 필요한 요소이며 조절되어지는 분리제조방법이란 주어진 시간내에 일정한 정제수의 활성물질의 분리를 결정하는 제조방법"으로 정의되어지며 이것은 동력학적으로 제로상태로 도달하는 조건이다.
피부의 병외학적 기능에 대한 복합적 특성때문에 피부는 단순히 수동적인 커버링기관으로만 고려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다분히 동적이고 다원적인 기관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피부의 완전한 기능의 역량은 손상되지 않은 수화지방성 커버링조직으로 인정되고 각질층에는 적당한 수분의 함유가 요구되는바 수분의 양은 피부의 저장능력에 따라 변화한다. (수분의 함량은 10% 내지 60% 정도이다)
이때 피부의 수분함유량은 외부적 및 내부적 인자들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피부수분은 근본적으로 제거시킬 물질을 저장했다가 변형시키는 피부의 독특한 수화지방성박막의 형성에 영향을 주어 피부의 방어적 기능의 기본을 만들어준다.
피부에 대한 수화를 최대치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어적 수단으로는 거의 흡습성물질, 즉 글리세린 소디움락테이트 및 프로필레닉글리콜이 사용된다.
상기 물질들은 건조한 조건에서는 외부환경 대신 피부 자체로부터 습기를 뽑아내는 단점이 있어서 피부가 더 건조해지게 된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최근에는 그들의 독특한 특성을 위하여 앞에서 언급된 자연적인 수화인자에 근원을 둔 생물학적 물질이 유용하게 쓰이고 있으며 따라서 히알루론산도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피부의 수화정도 및 그 영양상태는 피부조직에 포함된 HY의 함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실상 HY의 외부적인 공급이 피부조직의 수화상태에 상당한 기여를 한다고 하는 것이 주장되어져 왔다.
이와같은 히알루론산의 특성을 비록 상당한 정도라 할지라도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화된 HY 유도체에 역시 포함되어 있어서 이러한 이유로해서 화장품 분야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히알루론산과 그의 유도체를 서로 비교하기 위하여 화합물을 국소투여후 수화성을 기계적으로 측정하는 몇가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재료
본 발명에 따른 히알루론산유도체로서는 다음과 같이 에스테르가 사용되었다.
HYAFF 2 : 메탄올에 의해서 75%가 에스테르화된 히알루론산
HYAFF 7 : 에탄올에 의해서 75%가 에스테르화된 히알루론산
AYAFF 8 : 이소프로판올에 의해서 50%가 에스테르화된 히알루론산
HYAFF 9 : n-프로판올에 의해서 50%가 에스테르화된 히알루론산
HYAFF10 : n-부탄올에 의해서 50%가 에스테르화된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 나트륨염(히알라스틴 분획물)
모든 화합물은 연고안에 다음과 같은 조성물을 0.2%의 농도로 부형시켰다.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400,10.000g
-세티올 V, 5.000g
-라네트 SX, 2.000g
-메틸의 파라옥시 벤조에이트, 0.075g
-프로필의 파라옥시 벤조에이트, 0.050g
-소디움 디하이드로 아세테이트, 0.100g
-글리세린 F.U., 1.000g
-소르비톨 70, 1.500g
-테스트크림, 0.050g
-주사액에 사용되는 물, q. b.a. 100.000g 플라세보제제는 부형제만 함유하고 있다.
방법
(1) 샘플연구
실험은 나아가 20세 내지 60세인 건강한 지원자 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어떠한 형태의 피부질환도 갖고있지 않는 남자 4명, 여자 6명)
(2) 처치
각 지원자에 모든 시험제제를 한 번 투여하는데 각자의 전완(前腕)내면에 태여하고 각 생성물의 투여부위(약 25㎠)를 피부용 연필로 표시하고 가능한한 그 과정을 표준화시킨다. 오른쪽 전완에 HYAFF2, HYAFF7, HYAFF8, 9HYAFF9 화합물을 투여하고 왼쪽에는 HYAFF10, 플라세보 및 히알루론산을 투여하였다.
(3)
정해놓은 시간(처치시킨후 0,3,6, 및 24시간)에 수화정도는 각 투여부위의 각질층의 코르네오미터(corneometer)로 측정하는데 특히 피부표면에 감응장치를 설치한후 물의 유전(誘電)강도를 0.8초 이내에 측정하였다. 얻어진 값은 0.07㎎의 물에 대응하는 측정단위로(정상적인 값은 90 내지 100 단위이다) 계기판에 나타내어지며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조건하에서 기록하였다.
결과
표 5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HYAFF 계열의 화합물로 처치시킨 모든 경우에 있어서 각질층의 수화정도가 매우 증가되었는바, 특히 투여후 몇 시간동안은 물론 마지막으로 기록할때까지도 명백하게 나타났다.
이와같은 효과는 플라세보제제나 히알루론산나트륨함유제제의 경우보다 훨씬 우수한 것으로 판명된 한편, 실험에 사용된 화합물중에서 HYAFF2 및 HYAFF9 유도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결론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하여 에스테르화된 HYAFF 유도체는 실제로 피부에 대하여 현저하고도 지속적인 수화효과를 가지며 히알루론산함유제제에서 관찰되어진 것보다 훨씬 우수하여 수화된 지방질필름의 안정성 및 생리학적 유용성이 보장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와같은 만족할만한 결과는 상기 화합물들이 피부가 갈라지는 것을 예방(혹은 치료)하고 화상에 대한 치료 및 피부가 탄력성과 생리학적 영양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화합물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확실한 기초를 제공해준다.
[표 5]
각질층의 수화정도에 대한 HYAFF계열 화합물의 효과
(각 값은 10가지 대상에 대한 평균값을 나타낸다.)
Figure kpo00008
4) 효소에 대한 안정성 및 산소 투과성 연구
재료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에스테르의 유용한 특성은 이미 설명했던 바와같이 공지 화합물이 각각의 분야에서 기술적인 잇점을 제공하는 것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화합물로 제조된 박막의 산소 투과성과 효소에 대한 안정성의 결과로서 나타내어지게 된다.
HYAFF 2-메탄올 100% 에스테르화된 히알루론산
HYAFF 7-에탄올로 100% 에스테르화된 히알루론산
HYAFF 8-이소프로판올로 100% 에스테르화된 히알루론산
HYAFF 9-n-프로판올로 100% 에스테르화된 히알루론산
HYAFF 11-벤진알코올로 100% 에스테르화된 히알루론산
HYAFF 20-β-페닐에틸알코올로 100% 에스테르화된 히알루론산
HYAFF 22-이소펜틸알코올로 100% 에스테르화된 히알루론산
상기 필름은 실시예 39에서 기술된 바와같이 제조될 수 있다.
HYAFF 박막의 효소에 대한 안정성
(1) 혈청에스테라게에 대한 안정성
각 박막(무게 약 20㎎)을 5㎖의 토끼 혈청과 함께 폴리에틸렌캡슐에 넣고 일정한 온도(37℃)에서 방치시켰다. 여기서 측정매개변수는 박막을 용해시키는데 소요된 시간(단위 : 시간)이며 결과는 표 6에 나타나 있다.
(2) 히알루로니다제에 대한 안정성
각박막(무게 약 20㎎)을 각 당 100u의 효소(testicle hyaluronidase from Miles batch 8062, activity 342 turbidometric units/㎎)가 함유된 pH7.2(황산염 0.1M, NaCl 0.15M) 혹은 pH5의 완충액(아세트산염 0.1M, NaCl 0.15M)과 함께 폴리에틸렌캡슐에 넣어주고 일정한 온도(37℃)에서 방치시킨다. 측정매개변수는 박막을 용해시키는데 소요된 시간(단위 : 시간)이며 결과는 표 6에 나타나 있다.
[표 6]
혈청 에스테라제(37℃) 및 히알루로니다제 존재하에 HYAFF계열 유도체 박막의 안정성
(37℃ : pH5 및 pH7.5)
Figure kpo00009
HYAFF 계열 박막의 산소투과성
각박막을 막 자체에 의해서 2개의 부분으로 나뉘어진 용기에 넣고, 한 부분(용량 : 1.2㏄)은 부분적으로 가스가 제거된 물(PO2=45mmHg, 23℃)을 채우는 한편, 다른 하나의 부분에는 O2및 CO2기류(각각 95% 및 5%)를 통과시키고 적당한 시간 방치시켰다(1개의 거품/초).
이때 모든 시스템은 질소 부터 격리시켰다.
일정한 시간(15,30,60,90,120,240분)이다. 적당한 정제수만큼의 물을 뽑아내고(1.2㏄), O2의 분압을 Instrumentation Laboratories의 가스분석장치 1302에 의해서 측정하였다. 포화압력(550mgHg)은 비교값으로 취했고, 상기 실험조건에서 O2압력을 불어넣음으로서 계산되었다.
시험은 불투과성막 및 실라스틱(Lepetit cat. No. 500-1)과 비교하여 시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표 7에 나타난 바와같다.
[표 7]
HYAFF계열 박막의 O2에 대한 투과성
Figure kpo00010
약리학적 제제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은 앞에서 언급된 하나 이상의 히알루론산에스테르 및 그 염이 함유된 약리학적 제제나 국소용 약리학적 활성물질을 가진 상기 에스테르의 조합물로부터 얻어진 하나 이상의 의약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것은 히알루론산에스테르가 활성물질을 위한 부형제로 사용되는 약제이다.
활성성분으로서 히알루론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약리학적 제제는 히알루론산 자체와 같은 용도로 쓰이는 치료학적 불활성알코올을 가진 에스테르의 경우와 그러한 알코올의 일반적인 용도에 쓰이는 치료학적 활성알코올을 가진 에스테르의 경우에 모두 해당되며, 통상의 부형제를 함유하는 한편, 경구, 직장, 말초혈관, 피하, 국소 혹은 피부내로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은 고형이나 반고형, 예를들면 패스틸(Pastilles)형, 정제, 젤라틴 캡슐, 캡슐, 좌약, 부드러운 젤라틴 캡슐 형태인 한편 말초혈관이나 피하용으로는 근육내 혹은 피하내 투여, 혹은 적당한 주입이나 정맥내주사로도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생체액과 조화될 수 있는 삼투압을 가지며 앞에서 언급된 용도로 편리하게 쓰일 수 있는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하나 이상의 부형제나 희석제에 첨가될 활성물질의 동결건조분말이나 활성화합물의 용액형태도 가능하다.
국소용으로는 분무형태, 예를들면 비강분무로도 사용될 수 있고, 국소용크림이나 연고 혹은 특별히 피부내 투여용 반창고로도 제조될 수 있다. 비등점이 낮은 유기용매에 대한 히알루론산의 용해도때문에"분무식"제조에 특히 적당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인체용이나 가축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용액이나 분무식, 연고 및 크림에 대한 활성성분으로서는 0.01% 내지 10% 정도가 적당하며, 고체형태의 제제에서는 활성물질을 1% 내지 100%로 함유하는 것이 좋은데,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5% 내지 50%가 좋다.
한편, 투여용량은 개인적인 필요, 요구되는 효과 및 투여경로에 따라 달라지는데, 일일투여량은 예를들면 사람이나 말의 관절염치료 등에 사용되는 히알루론산과 작용하게 되는 치료학적 활성알코올에 해당하는 공지의 제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들면 코티손함유 히알루론산에스테르의 용량은 상기 스테로이드의 함량과 공지의 약리학적 제제에 있어서의 일반적인 스테로이드의 용량에 따라 결정된다.
약리학적 제제의 독특한 한 가지 형태로서 히알루론산에스테르와 한 가지 이상의 활성성분의 조합물이 함유된 약제를 들 수 있는데, 이들은 고형, 예를들면 오직 2가지 성분(1)과 (2)만이 함께 혹은 따로따로 함유된 동결건조분말이 될 수도 있는바 이러한 형태는 국소용에 특히 적합하다.
실제로 이와같은 고형약제들은 진료될 부위에 접촉될때 생체외에서 미리 제조한 용액과 같은 특성을 갖는 상태의 독특한 특성에 따라 다소 농축되어진 용액형태를 갖게되는데, 이는 본 발명의 또다른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용액은 증류수나 무균식염수에 있는 것이 좋으며, 히알루론산에스테르나 그 염중의 하나와는 분리된 다른 약리학적 부형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이 용액의 농도는 충분하게 넓은 범위안에서 변화되는데 예를들면 각각 취해진 2가지 성분 및 그들의 혼합물이나 그 염의 농도가 각각 0.01% 내지 75%일수도 있고 약제나 그 성분 각각에 대해 10% 내지 90% 이상의 탄력점성을 갖는 용액이 좋다.
특히 무수형태(동결건조분말)나 용액형태로서 농축되어 있거나 물이나 식염수로 희석되어 있으며, 가능하면 안과용에 있어서 완충액이나 기타 다른 것으로 작용하는 금속염이나 살균제같은 첨가제 혹은 보조제를 첨가시킬 수도 있는 약제이다.
또한 그들이 적용될 환경에 알맞는 산성도를 가져야 하는데, 다시말하면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pH를 갖는것으로서, 예를들면 염기성 활성물질을 가진 히알루론산 에스테르의 염에 있어서, 폴리사카라이드나 염기성 물질의 염 그 자체의 양을 알맞게 조절하므로서 pH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며 예컨대 염기성 물질을 가진 히알루론산에스테르염의 산성도가 너무 높다면, 초과된 유리산성기를 앞에서 언급된 무기염기, 즉 나트륨, 칼륨 혹은 암모늄 수화물로 중화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염의 제조는 공지의 방법으로 2가지 성분(1)과 (2), 앞에서 언급된 염기나 적당량의 알카리나 알카리토금속, 혹은 마그네슘, 알루미늄 등의 염기성염을 수용액이나 유기용액에 넣고 작용시켜 공지의 방법에 따라 비결정형 무수형태의 염을 분리시킴으로써 가능한데, 예를들어 두 성분(1)과 (2)의 수용액을 일단 제조하고 적당한 이온교환체를 가진 그들의 염의 수용액으로부터 상기 성분을 분리시키고, 저온, 예컨데 0℃ 내지 20℃의 온도에서 두 용액을 혼합시킨다. 만일 얻어진 염이 수용성이라면 동결건조될 수 있으나, 반면에 그 염이 잘 용해되지 않는다면 원심분리나 여과 혹은 가만히 따루어서 건조시킴으로서 분리시킬 수 있다.
이와같이 조합된 약제에 있어서도 역시 투여량은 활성성분을 단독으로 사용하였을때의 값에 근거하게 되므로 기술자는 대응하는 공지의 약물에 대한 투여량을 고려함으로써 쉽게 그 양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화장품에 있어서 히알루론산에스테르 및 그의 염은 화장품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부형제와 혼합시키는데, 이는 전술된 약리학적 제제에서 이미 예시되어 있는바, 대부분 국소용 크림, 연고 및 로숀으로 사용되며 히알루론산에스테르나 그 염중의 하나는 예를들면 스테로이드, 프레그네노론, 혹은 앞에서 언급된 성분중의 하나와 같은 다른 화장품용 활성성분과 함께 화장품용 활성성분을 나타낼 수 있고 그와같은 제제에서 히알루론산에스테르로는 상기와 같은 저급의 지방족 알코올같은 미용효과가 없는 알코올을 가진 에스테르인 것이 좋다.
그리고 그 효과는 유리히알루론산이나 그의 염의 경우에서와 같이 폴리사카라이드의 내재적인 미용특성때문인 것이다.
화장품은 히알루론산의 특성과는 다른 특이한 성질을 갖는 성분, 예를들면 소독재, 피부에 대한 광선차폐방수 혹은 재생이나 주름 막아주는 물질 또는 방향제 특히 향료도 함유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 히알루론산에스테르 자체가 활성성분으로 작용하기도 하고 동일한 성질을 가진 알코올, 예를들면 향료의 경우에 터펜알코올이나 고급지방족 알코올로부터 유도되거나 이들과 조합되어서 이러한 특성을 갖는 물질이 부형제로서 작용하기도 한다.
특히 앞에서 언급된 약제와 비슷한 화장품 조성물이 중요하며 이때 약리학적 활성성분(1)이 화장품요소나 그의 관계있는 염에 의해 전환되게 된다. 향료산업에 쓰이는 알코올로부터 유도된 상기 에스테르의 사용으로 방향성분의 방출을 천천히 일정하게 방지하므로 기술적으로 진보된 단계를 나타내게 된다.
본 발명은 이미 앞에서 언급된 바와같이 위생 및 수술용품의 제조방법과 그의 이용에도 중요하게 적용되므로 본 발명은 이미 시중에 나와있는 용품들과 비슷한 모든 용품을 포함하는데, 히알루론산에 그 기초를 두고 있어서 유리산이나 그들 염중의 하나 대신에 히알루론산에스테르나 그 염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예를들면 삽입물이나 접안렌즈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매우 신규한 수술 및 위생용품은 적당한 제조방법에 의해 화상이나 외과수술에서 봉합과 같은 심한 손상을 입었을때 피부의 대체나 보조물로서 외과에서 사용되는 필름이나 박막 또는 실을 얻을 수 있는 적당한 유기용액에 의해 재생되어진 히알루론산에스테르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본 발명은 적당한 유기용매 속에서 히알루론산에스테르나 그 염중의 하나로 된 용액에 의해서 형성된 이러한 용품들의 제조방법 및 용도를 포함하는데, 상기의 적당한 유기용매로는 카르복실산의 아미드, 특히 탄소원자수가 1 내지 5개인 지방족 산이나 탄소원자수가 1 내지 6개인 알킬그룹으로부터 유도된 디알킬아미드 무엇보다도 유기설폰화물, 즉 최대탄소원자수가 6개인 알킬기를 가진 디알킬설폭사이드, 특히 디메틸설폭사이드나 디에틸설폭사이드, 비등점이 낮은 불화된 용매, 특히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 등이 사용될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액을 박막이나 실의 형태로 제조하는 것도 포함하는데 처음에 사용된 용매와 혼합될 수 있고 히알루론산에스테르는 용해되지 않는 다른 유기 혹은 수성용매, 특히 저급지방족알코올, 예컨데 에틸알코올(습식실 뽑기)과 접촉시킴으로서 유기용매를 제거하며, 이때 용매 히알루론산유도체의 용액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비등점이 너무 높지 않아야하며, 용매는 건조된 조건에서 기체의 흐름, 특히 적당히 가열된 수소(건식실 뽑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제거시킨다. 건식-습식실뽑기로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히알루론산에스테르를 사용하여 만든 실은 수술이나 상처부위의 약물처리시에 사용되는 가아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가아재의 이러한 용도는 조직속에서 그들이 가진 효소에 의한 분해성으로 이례적인 장점을 가지며, 이는 조직속에 포함되어 있는 생체분해성의 잇점이 있게 된다. 이들 효소는 에스테르를 히알루론산과 대응되는 알코올로 분해시키는데 따라서 이미 조직에도 존재하는 화합물로 분해되며 이는 조직속에 포함되어 있는 효소들에 의해서 가능하게 된다.
이들 효소는 에스테르를 히알루론산과 대응되는 알코올로 분해시키는데, 이들은 이미 조직속에 존재해 있는 화합물로 분해되며, 알코올과 같이 무해한 화합물인바 히알루론산에스테르는 진료학적 허용가능한 알코올, 즉 에틸알코올 등으로부터 유도되어져야 한다.
앞에서 언급된 실은 물론 이들 가아제는 수술후 조직내부에 남겨둘 수도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와 같은 분해작용으로 천천히 흡수되기 때문이다.
이와같은 위생용품 및 수술용품을 제조하는 동안 성형물질이 가해질 수도 있는데, 이는 특히 실의 경우등에 있어서 그들의 기계적인 특성과 매듭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성형물질로는 예를들어 지방산의 알카리염이나 스테아린산나트륨염, 팔미트산나트륨염, 많은 탄소원자를 가진 유기산의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신규한 에스테르의 또다른 적응은 조직에 있는 에스테라제에 의해서 생기는 그들의 효소에 의한 분해성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주사를 위한 미세캡슐이나 약제의 피하주입, 예를들면 피하나 근육내 경로를 위한 캡슐을 제조함으로서 나타난다.
지속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서서히 방출시키기 위한 피하투입약제에 있어서 지금까지는 실리콘물질로 만든 캡슐이 대부분 사용되어 왔으나 조직 내부에서 캡슐이 제거되어야 한다는 것과 그것을 회복시킬수가 없다는 결점이 있었다.
신규한 히알루론산에스테르에 있어서는 이러한 위험이 더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한편, 히알루론산에스테르로 제조된 미세캡슐도 매우 중요한데 앞에서 언급된 바와같은 이유때문에 지금까지 제한되어온 그들의 사용에 대한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으며, 주사경로에 있어서의 지속효과를 찾음으로써 적용범위가 더욱 넓게 되었다.
신규한 에스테르의 수술 및 의약영역에 대한 적용은 매우 다양한 판, 디스크, 시이트와 같은 고형삽입물의 제조 등에도 더욱 폭넓게 적용될 수 있는데 이미 사용되고 있는 합성플라스틱물질이나 금속형의 고형으로 된 것이나 일정한 기간후에 제거되어야 할 삽입물의 대체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천연단백질에 있는 동물폴라겐으로 제조된 경우에는 염증이나 거부반응과 같은 원하지 않는 부작용이 가끔 나타난다.
인체가 아닌 동물의 경우에 있어서 히알루론산은 이러한 위험이 나타나지는 않는데, 이는 서로 다른 동물 종족의 폴리사카라이드 사이에는 상반성이 없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에스테르는 연한조직의 손상을 증대시키고 고치는데 사용된다.
유실되거나 손상된 연한 조직을 회복시키는데 사용되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생체물질의 필요성은 오랫동안 인식되어 왔으며, 이러한 용도로는 파라핀, 테프론페이스트, 실리종 및 보린콜라겐을 포함하는 몇 가지 이물적성형물질이 사용되어져왔다.
그러나 이들 물질은 피부에 대하여 지속적이고 이질적인 축감의 변화를 초래했으며, 이식부위로부터의 전이, 진료역효과 등도 함께 나타내므로 다양한 약제용 생체물질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어져 온바, 본 발명에 따른 히알루론산에스테르는 여드름 자국이나 외과적 처지후의위축증, 모스외과화학(mohs chemiosurgery) 순열(脣裂)자국, 노화로 인한 주름살 등과 같은 피부연조직의 증대나 고치는데 효과적이며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외과용 및 수술용 분야에 있어서는 특히 상처부위나 다양한 병소부위를 진료하는데에 가격이 비싼 스폰지 형태의 물질로서 사용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독특한 약리학적 제제의 전형적인 예이다.
제제 1 -코티손 함유된 콜리륨 100㎖ 내에
-코티손(실시예 10)을 가진 히알루론산의 부분적인 에스테르 ; 0.200g
-에틸 p. 하이드록시벤조산염 ; 0.010g
-메틸 p. 하이드록시벤조산염 ; 0.050g
-염화나트륨 ; 0.900g
-주사용 물/q. b. a ; 100㎖
제제 2 -하이드로코티손이 함유된 주사용 용액 100㎖내에
-하이드로코티손(실시예 11)을 가진 히알루론산의 부분적인 에스테르 ; 0.1g
-염화나트륨 ; 0.9g
-주사용 물/q. b. a ; 100㎖
제제 3 -에틸알코올(실시예 3)을 가진 히알루론산의 부분적인 에스테르가 함유된 크림 100g 내에
-에틸알코올을 가진 히알록론산의 부분적인 에스테르 ; 0.200g
-세티올 V ; 5.000g
-라네트 SX ; 2.000g
-메틸의 파라옥시벤조산염 ; 0.075g
-프로필의 파라옥시벤조산염 ; 0.050g
-소디움 디하이드로아세테이트 ; 0.100g
-글리세린 F.U ; 1.500g
-소르비톨 70 ; 1.500g
-테스트크림 ; 0.050g
-주사용 물/q. b. a ; 100.000g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히알루론산 에스테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실험물질들의 제조방법이다.
[실시예 39]-히알루론산에스테르를 사용한 박막의 제조
HY(MW 130,000)의 n-프로필에스테르를 디메틸설폭사이드에 용해시켜 농도가 180㎎/㎖인 용액이 되게한다. 성층기(Stratifier)에 의해서 유리판위에 상기 용액의 얇은 막을 형성시키는데 그 두께는 박막의 최종두께보다 10배가 되어야한다.
유리판을 디메틸설폭사이드는 흡수하나 고체의 HY에스테르는 용해시키지 않는 에탄올에 담그며 박막을 유리판으로부터 분리하여 에탄올로 세척한후 물로 세척하고 다시 에탄올로 되풀이하여 세척한 다음 얻어진 박막을 30℃의 온도에서 48시간동안 가압건조시킨다.
[실시예 40]-히알루론산에스테르를 사용한 실의제조
HY(MW 165,000)의 벤질에스테르를 디메틸 설폭사이드에 용해시켜 농도가 200 /㎖인 용액이 되게 한다. 얻어진 용액을 펌프로 가압하여 0.5mm 크기의 구멍으로 분출시킨다. 분출된 실을 에탄올/디메틸설폭사이드(80 : 20)용액(에탄올을 계속 첨가해줌으로써 이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에 담그면 디메틸설폭사이드의 거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실은 고형화된다.
여전히 디메틸설폭사이드가 남아있는 실을 되풀이하여 길게 뽑고 에탄올로 세척을 되풀이한 다음 질소기류하에서 실을 건조시킨다.
[실시예 41]-히알루론산에스테르로 된 스폰지 물질의 제조
분자량이 170,000이고 모든 카르복실그룹이 에스테르화된 히알루론산의 벤질에스테르(실시예 14에 따라 얻어진다.) 1g을 5㎖의 디메틸설폭사이드에 용해시키고 이 준비된 용액 10㎖에 입상도가 300μ인 염화나트륨 31.5g과 1.28g의 중탄산나트륨 및 1g의 시트린산의 혼합물을 가하고 그 혼합물을 믹서에서 균질화시킨다.
여러가지 방법, 예를들면 서로 조정될 수 간격을 두고 맞돌아가고 있는 두개의 로울러로 된 장치 등을 이용하여 상기의 반죽 혼합물을 성층시킨다. 이때 상기 혼합물의 두께는 형성된 혼합물층을 지지해주는 역활을 하는 실리콘 종이와 함께 로울러 사이를 지나감으로서 조정된다.
원하는 길이와 폭의 치수대로 층을 절단시키고 실리콘으로부터 제거시켜서 여과지로 싼다음 물과 같은 적당한 용매에 적신다. 이렇게하여 얻어진 스폰지를 물과 같은 적당한 용매로 세척하고 가능하면 감마선으로 살균시킨다.
[실시예 42]-히알루론산에스테르로 된 스폰지 물질의 제조
실시예 41에 기술된 방법에 있어서, 이와는 다른 히알루론산에스테르로 되어진 스폰지 물질의 제조가 가능한바, 필요하다면 디메틸설폭사이드 대신에 선택된 에스테르를 용해시킬 수 있는 다른 용매를 사용할 수도 있고, 염화나트륨 대신에 다른 고체화합물, 즉 히알루론산에스테르를 용해시키는데 사용된 용매에는 용해되지 않으나 상기 기계적인 처리후 히알루론산에스테르를 침전시키는데 사용된 용매에는 용해되며 마지막으로 스폰지 물질에 요구되는 구멍의 형태가 얻어질 수 있는 정확한 입상도를 가진 고체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중탄산나트륨이나 시트르산 대신에 유사한 화합물 즉, 스폰지 물질을 덜 조밀하게 형성시키는 효과를 갖는 이산화탄소같은 가스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히알루론산을 용해시키는데 사용하는 용매의 용액이나 현탁액에서 서로 반응하는 화합물의 다른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는 중탄산나트륨 대신에 다른 중탄산염이나 알카리 혹은 알카리토금속 그리고 시트린산 대신에 고체형태의 다른 산, 즉 타르타르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여러가지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이것의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나 의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가능하며 기타 변형된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다음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포함시킬 예정이다.

Claims (59)

  1. 히알루론산의 카르복실기를 에스테르화시키고 경우에 따라서는 유리카르복실기를 염화시키거나 염화된 카르복실기를 분리시켜서 지방족과 방향지방족, 환식지방족 및 이종환식 알코올을 가진 전체적인 또는 부분적인 히알루론산 에스테르를 제조하고, 이렇게 제조된 히알루론산 에스테르중에서 전체적인 히알루론산의 메틸에스테르를 제외한 부분적인 히알루론산의 에스테르는 유기나 무기염기를 가진 상기의 히알루론산 에스테르의 염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히알루론산에스테르와 그 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에테르화 반응에 사용되는 제제는 히알루론산의 4급암모늄염과 함께 유기용매에서 반응하여서 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유기용매는 비양자성 용매를 사용하여서 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비양자성용매로는 디메틸설폭사이드를 사용하여서 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히알루론산의 4급 암모늄염은 그 출발암모늄염으로 하등급의 테트라알킬암모늄을 사용하여서 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테트라알킬암모늄염으로는 테트라부틸암모늄 히알루론산염을 사용하여서 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히알루론산은 촉매존재하에 원하는 알코올로 처리시키거나 유기나 무기염기 존재하에서 원하는 알코올 부위를 제공할 수 있는 에테르화제제로 처리시켜서 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히알루론산의 금속염이나 유기아조화염기를 함유하고 있는 염을 에테르화제제로 처리시켜서 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히알루론산은 디아조알칸으로 처리시켜서 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지방족 계열의 에스테르는 그 에스테르화 알코올 성분으로 사용되는 지방족 계열의 알코올의 최대탄소원자수가 34개이며, 치환되어있지 않거나, 아미노기, 하이드록시기, 메르캡토기, 알데히드기, 케톤기, 카르복시기, 하이드로카르빌기 및 디하이드로카르빌아미노기, 에테르, 에스테르, 티오에스테르, 티오에테르, 아세탈, 케탈, 카르발콕시, 카르바미드기 및 치환된 카르바미드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되, 이와같이 변형된 기들중 하이드로카르빌기로 된 하나 이상의 알킬기의 최대탄소원자수는 6개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지방족 계열의 알콜이 그 탄소원자 사슬내에 산소와 황 및 질소중에서 선택된 이종원자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사용하여서 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에스테르화 알코올 성분은 최대탄소원자수가 12개인 알코올로부터 유도되고 관능기에 의해서 치환된 알코올의 경우에는 아미노, 에테르, 에스테르, 티오에스테르, 티오에테르, 아세탈, 케탈기의 하이드로카르빌기가 최대탄소원자수가 4개인 알킬그룹을 나타내는 반면, 치환된 카르바이드기의 경우에는 하이드로카르빌기가 상기와 같은 수의 탄소원자수를 가진 알킬기이며, 치환된 아미노 혹은 카르바미드기는 최대탄소원자수가 8개인 알킬렌아민이나 알킬렌카바미드기일 수도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 제10항,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에스테르화알코올 성분은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부틸알코올, 아밀, 펜틸, 헥실 혹은 옥틸알코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타르트론산, 젖산, 글리콜산, 말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아미노에탄올, 아미노프로판올, n-아미노부탄올 또는 아미노에탄올, 아미노프로판올 혹은 n-아미노부탄올의 아미노기에서의 디메틸 혹은 디에틸유도체, 콜린, 리롤리디닐-에탄올, 피페리디닐-에탄올, 피페라지닐-에탄올 혹은 n-프로필 혹은 n-부틸알코올의 상응하는 유도체 모노티오에틸렌글리콜 또는 그 메르캡토기에서의 저급 알킬유도체 혹은 세틸알코올 및 미리실알코올 중 선택된 시트로네롤, 게라니올, 네롤, 네롤리돌, 리나로올, 파르네솔, 피톨같은 고급지방족 알코올로부터 유도된 것임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방향지방족 계열의 에스테르는 방향지방족 계열의 알코올이 오직 하나의 벤젠부위를 포함하고 있으며, 지방족 사슬은 최대탄소원자수가 4개인 것으로서 그 벤젠부위는 탄소원자수가 1 내지 3개인 알킬기, 특히 메틸기로 혹은 하이드록시기나 할로겐원자에 의해서 치환되어 있을수도 있으며, 지방족 사슬은 유리아미노기나 모노 혹은 디에틸기 또는 피롤리돈이나 피페리딘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에 의해 치환될 수도 있도록 제조되어짐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14. 제3항에 있어서, 방향지방족 계열의 알코올은 벤질알코올, 펜에틸알코올, 에페드린 및 아드레날린중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환식지방족 또는 지방-환지방족계열의 알코올은 최대탄소원자수가 34개인 단일이나-다중환식탄화수소로부터 유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알코올은 최대탄소원자수가 12개인 단일환식이며 환은 탄소원자수가 5 내지 7개이고 1 내지 3개의 하등급의 알킬기에 의하여 치환되어질수도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알코올은 싸이클로헥산올, 싸이클로헥산디올, 1,2,3-싸이클로헥산트리올, 1,3,5-싸이클로헥산트리올, 이노시톨, 카르보멘톨, 멘톨 α 및 γ-터피네올, 1-터피네올, 4-터피네올, 피페리톨 1,4 및 1,8-터핀, 투잔, 사비놀, 피놀수화물, D-및 L-보르네올, 그리고 D 및 L-이소보르네올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다중환식 알코올은 스테롤, 콜산, 혹은 스테로이드임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알코올은 콜레스테롤, 디하이드로콜레스레롤, 에피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코프로스탄올, 에피코프로스탄올, 시토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에르고스테롤, 콜산, 디옥시콜산, 리토콜산, 에스트론, 에스트라디올, 에스트라트리올, 에퀴레닌, 에퀴린, 그리고 에스트론, 에스트라디올, 에스트라트리올, 에퀴레닌, 에퀴린의 7위치 메틸유도체 및 17위치의 에틸 및 프로피닐유도체에 의해서 형성된 기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하는 제조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알코올은 프레그네노론, 프레그나네디올, 테스토스테론, 17α-메틸-테스토스테론, 1,2-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17α-메틸-1,2-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17α-에티닐테스토스테론, 17-프로피닐테스토스테론, 노르게스트렐, 하이드록시프로게스테론, 19-노르테스토스테론, 19-노르-17α-메틸테스토스테론, 19-노르-17α-에티닐테스토스테론, 코티손, 하이드로코티손, 프레드니손, 프레드니소론, 플루오로코티손, 덱사메타손, 베타메타손, 코티코스테론, 디옥시코티코스테론, 파라메타손, 플루메타손, 플루오시노론 및 아세토니드, 플루프레드니리덴, 클로베타솔, 베클로메타손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알코올은 심장활성글루코시드의 게닌들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항에 있어서, 환식지방족 또는 지방-환식지방족 계열의 알코올은 최대탄소원자수가 34개인 단일 혹은 다중환식 탄화수소로부터 유도되고 아미노, 하이드록시, 메르캡토, 알데히드, 케토, 카르복시, 하이드로카르빌 및 디하이드로카르빌아미노기, 에테르, 에스테르, 티오에스테르, 티오에테르, 아세탈, 케탈, 카르발콕시, 카르바미드기 및 최대탄소원자수가 6개이며 기능적으로 변형된 하이드로카르빌기를 가진 1 내지 2개의 알킬기로 치환된 카르바미드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관능기로 치환된 것임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23. 제1항에 있어서, 이종환식 알코올은 최대탄소원자수가 34개이고, 치환되지 않을수도 있으며, 아미노, 하이드록시, 메르캡토, 알데히드, 케토, 카르복시, 하이드로카르빌 및 디하이드로카르빌아미노, 에테르, 에스테르, 티오에스테르, 티오에테르, 아세탈, 케탈, 카르발콕시, 카르바미드기 및 최대탄소원자수가 6개인 기능적으로 변형된 하이드로카르빌기를 가진 1 내지 2개의 알킬기로 치환된 카르바미드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관능기에 의해서 치환될 수도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24. 제1항에 있어서, 에스테르화 알코올은 악세로프톨, 칼시페롤 및 비타민 D2,D3그리고 D4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25. 제1항에 있어서, 에스테르화알코올은 아네우린, 락토플라빈, 아스코르빈산, 리보플라빈, 티아민 및 판토텐산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26. 제1항에 있어서, 에스테르화알코올은 알카로이드, 페닐에틸아민, 페노티아진약물, 티옥산텐약물, 진경제, 항정신제, 진토제, 진통제, 최면제, 식욕감퇴제, 신경안정제, 근육이완제, 관상혈관확장제, 아드레날린차단제, 마약성길항제, 티네오플라스틱스(Antineo-plastics), 항생제, 항바이러스제, 말초혈관확장제, 탄산가수분해효소억제제, 항천식제, 항염증제 및 설파이딘 제제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27. 제1항에 있어서, 히알루론산의 카르복실기는 최대로 전체 카르복실기의 95%, 최소로 5% 에스테르화되어짐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28. 제1항에 있어서, 히알루론산의 카르복실기는 전체의 50% 내지 80%가 에스테르화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1항에 있어서, 다양한 카르복실기들은 서로 다른 알코올에 의해서 에스테르화되어짐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30. 제1항에 있어서, 에스테르화물은 서로 다른 2가지 형태의 에스테르화기에 의해서 제조되어지되 상기 서로 다른 형태의 에스테르화기의 숫자 비율은 0.1 : 1 내지 1 : 0.1로 다양함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31. 제1항에 있어서, 얻어진 부분적으로 에스테르화된 에스테르는 알카리 및 알카리토금속, 마그네슘 혹은 알루미늄으로부터 유도된 그들의 염으로 전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1항에 있어서, 얻어진 부분적으로 에스테르화된 에스테르는 그들의 나트륨염이나 암모늄염으로 전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1항에 있어서, 얻어진 부분적으로 에스테르화된 에스테르는 암모늄, 지방족, 방향지방족, 환식지방족 혹은 이종환식염기로부터 유도된 그들의 염으로 전환됨을 특징으로하는 제조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치료적 허용가능한 염기는 아민임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아민은 알카로이드, 펩티드, 페노티아진, 벤조디아제핀, 티옥산텐, 호르몬, 비타민, 진경제, 항정신제, 진통제, 마취제, 최면제, 식욕감퇴제, 신경안정제, 근육이완제, 관상혈관확장제, 안티네오플라스틱스, 항생제, 항균제, 항바이러스제, 항말라리아제, 탄산가수분해효소억제제, 비스테로이드성항염증제, 혈관수축제, 콜린효능제, 콜린길항제, 아드레날린효능제, 아드레날린길항제 및 마약성길항제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36. 제34항에 있어서, 아민은 약물학적으로 불활성이고 최대탄소원자수가 18개인 모노-, 디-및 트리- 알킬아민, 방향족 부위에는 하나의 벤젠기를 가지며 가능하면 1 내지 3개의 메틸기나 할로겐원자 혹은 하이드록시기에 의해서 치환되어 있을수도 있고, 지방족 부위의 최대탄소원자수가 18개인 아릴알킬아민, 가능하면 N,O, 혹은 S중에서 선택된 이종원자가 환에 끼워져 있을수도 있으며 탄소원자수가 4 내지 6개인 환을 갖는 알킬렌아민, 아미노기 혹은 하이드록시기에 의해서 치환된 이들 모든 형태의 아민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37. 제33항에 있어서, 염은 치료적으로 허용가능한 아민중에서부터 유도된 4급 테트라알킬암모늄기이며 4번째 알킬기의 탄소원자수가 1 내지 4개인 염화기에 의해 제조되어짐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38. 제1항, 제31항, 제32항 및 제3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에스테르화된 히알루론산에스테르는 하나 이상의 약물학적 활성염기로 염화되어짐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약물학적 활성염기는 마취제, 진통제, 항염증제, 혈관수축제, 항생제, 항균제 및 항바이러스제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40. 제1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출발물질로 사용되어지는 히알루론산은 결합조직에 분포된 염기성 세포의 물질이나 관절부위의 관절활액 또는 안구내유리액, 사람의 탯줄 조직 또는 그의 알카리금속과 알카리토금속, 마그네슘, 알루미늄, 암모늄 혹은 암모늄 치환체의 염추출물에 의해 얻어진 전(全)히알루론산임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41. 제1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출발물질로서 사용되는 히알루론산은 닭의 볏 추출물, 그의 알카리금속과 알카리토금속, 마그네슘, 알루미늄 또는 암모늄 치환체에 의해 얻어진 전(全)히알루론산임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42. 제1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출발물질로 사용되는 히알루론산은 그 분자량이 8,000,000 내지 13,000,000임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43. 제1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출발물질로 사용되는 히알루론산은 먼저 닭의 볏을 아세톤으로 탈수시키고, 그들을 파페인으로 효소분해시킨다음 필요에 따라 분자한외 여과를 실시하고 얻어진 히알루론산 분획물을 더욱 정제시킴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44. 제1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출발물질로 사용되는 히알루론산은 분자량이 13,000,000인 전(全) 히알루론산의 약 0.23% 내지 80-90% 사이의 분자량은 히알루론산 분획물임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45. 제1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출발물질로 사용되는 히알루론산은 NIF-NaHA(non-inflammatory sodium hyaluronate)로 알려진 히알루론산나트륨염의 정제된 분자분획물임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46. 제1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출발물질로 사용되는 히알루론산은 그의 평균 분자량이 50,000 내지 100,000이거나 500,000 내지 730,000 또는 250,000 내지 350,000인 히알루론산의 분자분획물임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47. 제1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출발물질로 사용되는 히알루론산은 히알라스틴으로 나타내어지는 히알루론산의 분자분획물임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48. 제1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출발물질로 사용되는 히알루론산은 히알렉틴으로 나타내어지는 히알루론산의 분자분획물임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49. 히알루론산에스테르나 그 염으로 되어진 실이나 혹은 필름을 제조함에 있어서, 히알루론산에스테르를 유기용매에 용해시키고, 그 용액을 각각 박막이나 가는줄의 형태로 형성시킨다음 유기용매를 처음에 사용한 용매에 가는줄의 형태로 형성시킨 다음, 유기용매를 처음에 사용한 용매에 용해 가능한 다른 적당 유기 혹은 수성용매로 처리하여 제거시켜서 히알루론산 에스테르나 그 염으로 된 필름 또는 실을 제조하는 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용매는 디메틸설폭사이드임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51. 히알루론산에스테르를 유기용매에 용해시키고, 그 용액을 각각 박막이나 실의 형태로 형성시킨 다음, 유기용매를 적당히 가열시킨 불활성기체 기류로 처리하여 제거시켜서 히알루론산 에스테르나 그 염으로 된 필름 또는 실을 제조하는 방법.
  52. 제51항에 있어서 용매는 헥사플루오로 이소프로판올임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53. 폴리사카라이드의 4급 암모늄염을 비양자성용매 속에서 에테르화제제로 처리시킨다음 필요에 따라서 얻어진 부분적으로 에스테르화된 에스테르의 반응하지 않고 남아있는 카르복실기를 염화시키거나 이렇게 얻어진 부분적으로 에스테르화된 에스테르의 염화된 기를 분리시켜서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산성폴리사카라이드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
  54. 제53항에 있어서, 산성폴리사카라이드는 동물로부터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55. 제53항에 있어서, 산성폴리사카라이드는 채소로부터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56. 제53항에 있어서, 산성 폴리사카라이드는 술폰기가 함유되어잔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57. 제53항에 있어서, 비양자성용매는 디메틸설폭사이드임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58. 제53항에 있어서, 폴리사카라이드의 4급 암모늄염은 출발암모늄염으로 하등급의 테트라알킬암모늄염을 사용하여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59. 제53항에 있어서, 산성폴리사카라이드의 암모늄은 산성폴리사카라이드의 테트라부틸암모늄염임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KR1019860005509A 1985-07-08 1986-07-08 히알루론산 에스테르와 그 염의 제조방법 KR8700019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8548322A IT1214658B (it) 1985-07-08 1985-07-08 Esteri polisaccaridici e loro sali
IT48322A85 1985-07-08
IT48202A86 1986-06-30
IT48202/86A IT1203815B (it) 1986-06-30 1986-06-30 Esteri polisaccaridici e loro sali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1230A KR870001230A (ko) 1987-03-12
KR870001901B1 true KR870001901B1 (ko) 1987-10-21

Family

ID=26329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5509A KR870001901B1 (ko) 1985-07-08 1986-07-08 히알루론산 에스테르와 그 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3) US4851521A (ko)
EP (2) EP0696598B1 (ko)
JP (1) JP2569012B2 (ko)
KR (1) KR870001901B1 (ko)
AR (1) AR242593A1 (ko)
AT (2) ATE227741T1 (ko)
AU (1) AU591501B2 (ko)
CA (2) CA1341276C (ko)
DE (2) DE3650776T2 (ko)
DK (1) DK175661B1 (ko)
ES (1) ES2001512A6 (ko)
FI (6) FI94766C (ko)
HU (1) HU201966B (ko)
IE (1) IE81120B1 (ko)
IL (1) IL79362A (ko)
IN (1) IN165582B (ko)
NO (2) NO175716C (ko)
NZ (2) NZ233045A (ko)
PH (1) PH25189A (ko)
PT (1) PT82941B (ko)
SG (1) SG900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40242A (ko) * 2010-02-19 2012-12-28 큐피가부시키가이샤 수식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염, 그리고 그 제조 방법 및 이것을 함유하는 화장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6331A (en) * 1983-10-10 1992-11-24 Fidia, S.P.A. Hyaluronics acid fractions, method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US5202431A (en) * 1985-07-08 1993-04-13 Fidia, S.P.A. Partial esters of hyaluronic acid
US4851521A (en) * 1985-07-08 1989-07-25 Fidia, S.P.A. Esters of hyaluronic acid
AU600257B2 (en) * 1986-03-21 1990-08-09 International Pharmaceutical Products, Inc. Non-inflammatory hyaluronic acid fraction and process for preparing it
US5264422A (en) * 1986-06-30 1993-11-23 Fidia S.P.A. Esters of alginic acid with steroidal alcohols
IT1203814B (it) * 1986-06-30 1989-02-23 Fidia Farmaceutici Esteri dell'acido alginico
US6150328A (en) * 1986-07-01 2000-11-21 Genetics Institute, Inc. BMP products
IT1198449B (it) * 1986-10-13 1988-12-21 F I D I Farmaceutici Italiani Esteri di alcoli polivalenti di acido ialuronico
IT1219587B (it) * 1988-05-13 1990-05-18 Fidia Farmaceutici Polisaccaridi carbossiilici autoreticolati
LU87350A1 (fr) * 1988-09-28 1990-04-06 Oreal Application cosmetique de polysiloxanes a fonction diester et compositions mises en oeuvre
US4965071A (en) * 1988-10-19 1990-10-23 The Gillette Company Wrinkle masking composition of sodium polystyrene sulfonate and process for use
US5700479A (en) * 1988-12-23 1997-12-23 Guidor Ab Surgical element and method for selective tissue regeneration
DE69018440T2 (de) * 1989-09-12 1995-08-10 Shiseido Co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yaluronsäure mit niedrigem molekulargewicht.
CA1340994C (en) * 1989-09-21 2000-05-16 Rudolf Edgar Dr. Falk Treatment of conditions and disease
JP2945993B2 (ja) * 1989-12-05 1999-09-06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外用剤
JP2788340B2 (ja) * 1989-12-21 1998-08-20 株式会社ニッショー 炎症治療剤
DE69132145T2 (de) * 1990-02-13 2000-09-21 Ethicon Inc Peritoneal wirksame medikamente
US5290271A (en) * 1990-05-14 1994-03-01 Jernberg Gary R Surgical implant and method for controlled release of chemotherapeutic agents
CA2082398C (en) * 1990-05-14 2004-06-29 Gary R. Jernberg Surgical implant and method incorporating chemotherapeutic agents
US5059123A (en) * 1990-05-14 1991-10-22 Jernberg Gary R Periodontal barrier and method for aiding periodontal tissue regeneration
IT1248934B (it) * 1990-06-01 1995-02-11 Fidia Spa Membrane forate biocompatibili,processi per la loro preparazione,loro impiego come supporto per la crescita in vitro di cellule epiteliali, pelli artificiali cosi' ottenute e loro impiego nei trapianti di pelle
US5639738A (en) * 1992-02-20 1997-06-17 Hyal Pharmaceutical Corporation Treatment of basal cell carcinoma and actinic keratosis employing hyaluronic acid and NSAIDs
US5824658A (en) * 1990-09-18 1998-10-20 Hyal Pharmaceutical Corporation Topical composition containing hyaluronic acid and NSAIDS
US5990096A (en) * 1990-09-18 1999-11-23 Hyal Pharmaceutical Corporation Formulations containing hyaluronic acid
US5910489A (en) * 1990-09-18 1999-06-08 Hyal Pharmaceutical Corporation Topical composition containing hyaluronic acid and NSAIDS
CA2061703C (en) * 1992-02-20 2002-07-02 Rudolf E. Falk Formulations containing hyaluronic acid
DE69125595T2 (de) * 1990-10-18 1997-11-13 Shiseido Co Ltd Kombination von hyaluronsäure mit einem medizinischen bestandteil, und seine herstellung
US5733891A (en) * 1990-10-18 1998-03-31 Shiseido Co., Ltd. Compound for medicinal ingredient and hyaluronic acid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GB9024223D0 (en) * 1990-11-07 1990-12-19 Fermentech Ltd Production of hyaluronic acid
CA2061016A1 (en) * 1991-02-11 1992-08-12 Francesco Della Valle Gellan esters
IT1247157B (it) * 1991-02-11 1994-12-12 Fidia Spa Canali di guida biodegradabili e bioassorbibili da impiegare per la rigenerazione nervosa.
IT1247472B (it) 1991-05-31 1994-12-17 Fidia Spa Processo per la preparazione di microsfere contenenti componenti biologicamente attivi.
US5234914A (en) * 1991-06-11 1993-08-10 Patent Biopharmaceutics, Inc. Methods of treating hemorrhoids and anorecial disease
US6022866A (en) * 1991-07-03 2000-02-08 Hyal Pharmaceutical Corporation Use of hyaluronic acid and forms to prevent arterial restenosis
US5817644A (en) * 1991-07-03 1998-10-06 Hyal Pharmaceutical Corporation Targeting of dosages of medicine and therapeutic agents
US5977088A (en) * 1991-07-03 1999-11-02 Hyal Pharmaceutical Corporation Formulations containing hyaluronic acid
US5792753A (en) * 1991-07-03 1998-08-11 Hyal Pharmaceutical Corporation Compositions comprising hyaluronic acid and prostaglandin-synthesis-inhibiting drugs
US6103704A (en) * 1991-07-03 2000-08-15 Hyal Pharmaceutical Corporation Therapeutic methods using hyaluronic acid
WO1994007505A1 (en) * 1991-07-03 1994-04-14 Norpharmco Inc. Use of hyaluronic acid and forms to prevent arterial restenosis
US5990095A (en) * 1991-07-03 1999-11-23 Hyal Pharmaceutical Corporation Use of hyaluronic acid and forms to prevent arterial restenosis
US5356629A (en) * 1991-07-12 1994-10-18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Composition for effecting bone repair
IT1251151B (it) * 1991-08-05 1995-05-04 Fidia Spa Materiale spugnoso essenzialmente costituito da acido ialuronico,o suoi derivati
IT1254119B (it) * 1991-09-13 1995-09-08 Fidia Esteri di derivati carbossilici di polisaccaridi
IT1263755B (it) * 1991-09-16 1996-08-29 Fidia Spa Uso di esteri della colina con polisaccaridi acidi come agenti antiulcera e gastroprotettivi
EP0610441A4 (en) * 1991-10-29 1996-01-10 Clover Cons Ltd CROSSLINKABLE POLYSACCHARIDES, POLYCATIONS AND LIPIDS CAN BE USED TO ENCODE AND DISPENSE MEDICINAL PRODUCTS.
WO1993009229A1 (en) 1991-11-04 1993-05-13 Genetics Institute, Inc. Recombinant bone morphogenetic protein heterodimer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US20080139474A1 (en) * 1991-11-04 2008-06-12 David Israel Recombinant bone morphogenetic protein heterodimer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IT1254704B (it) * 1991-12-18 1995-10-09 Mini Ricerca Scient Tecnolog Tessuto non tessuto essenzialmente costituito da derivati dell'acido ialuronico
US5824335A (en) * 1991-12-18 1998-10-20 Dorigatti; Franco Non-woven fabric material comprising auto-crosslinked hyaluronic acid derivatives
IT1254170B (it) * 1991-12-18 1995-09-11 Mini Ricerca Scient Tecnolog Membrane composite per la rigenerazione guidata di tessuti
IT1254706B (it) * 1991-12-23 1995-10-09 Fidia Spa Uso terapeutico del ganglioside gm1 nel trattamento del danno al midollo spinale
US6136793A (en) * 1992-02-20 2000-10-24 Hyal Pharmaceutical Corporation Formulations containing hyaluronic acid
US6218373B1 (en) 1992-02-20 2001-04-17 Hyal Pharmaceutical Corporation Formulations containing hyaluronic acid
CA2061567C (en) * 1992-02-20 1998-02-03 Rudolf E. Falk Use of hyaluronic acid to repair ischemia reperfusion damage
US5767106A (en) * 1992-02-21 1998-06-16 Hyal Pharmaceutical Corporation Treatment of disease and conditions associated with macrophage infiltration
US6114314A (en) * 1992-02-21 2000-09-05 Hyal Pharmaceutical Corp. Formulations containing hyaluronic acid
IT1259090B (it) 1992-04-17 1996-03-11 Fidia Spa Biomaterialli per protesi d'osso
IT1260154B (it) * 1992-07-03 1996-03-28 Lanfranco Callegaro Acido ialuronico e suoi derivati in polimeri interpenetranti (ipn)
US5879359A (en) * 1992-08-03 1999-03-09 Fidia S.P.A. Biodegradable guide channels comprised of esters of hyaluronic acid for use in tissue repair as surgical aids
IT1259141B (it) * 1992-08-03 1996-03-11 Fidia Spa Canali di guida biodegradabili e bioriassorbibili da impiegare per la riparazione tissutale come adiuvante in interventi chirurgici
DE4328329C2 (de) * 1992-08-26 1998-02-12 Suwelack Nachf Dr Otto Gefriergetrocknete Biomatrix
US5550112A (en) * 1992-12-30 1996-08-27 Patent Biopharmaceutics, Inc. Hyaluronic acid-urea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uses
IT1263144B (it) * 1993-02-04 1996-08-01 Lanfranco Callegaro Composizioni farmaceutiche comprendenti materiale spugnoso costituito da derivati esterei dell'acido ialuronico in associazione con altre sostanze farmacologicamente attive
IT1263316B (it) * 1993-02-12 1996-08-05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Tessuto non tessuto multistrato in cui uno degli strati e' costituito essenzialmente da esteri dell'acido ialuronico
IT1263394B (it) 1993-07-30 1996-08-05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Composizioni farmaceutiche per uso topico a base di acido ialuronico e suoi derivati
US5430142A (en) * 1993-08-06 1995-07-04 The Center For Innovative Technology Thermoplastic pentosan-rich polysaccharides from biomass
WO1995007085A1 (en) * 1993-09-07 1995-03-16 Escalon Ophthalmics, Inc. Surface active viscoelastic solutions for ocular use
US6291206B1 (en) * 1993-09-17 2001-09-18 Genetics Institute, Inc. BMP receptor proteins
US5531716A (en) * 1993-09-29 1996-07-02 Hercules Incorporated Medical devices subject to triggered disintegration
US5616568A (en) * 1993-11-30 1997-04-01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Functionalized derivatives of hyaluronic acid
AU689184B2 (en) 1993-12-07 1998-03-26 Genetics Institute, Llc BMP-12, BMP-13 and tendon-inducing compositions thereof
US5498527A (en) * 1994-02-18 1996-03-12 Ube Industries, Ltd. Phosphorylcholine-containing glyceroglycolipid
JPH0881501A (ja) * 1994-03-22 1996-03-26 Agawamura 酸性多糖
US5633003A (en) * 1994-03-31 1997-05-27 Cantor; Jerome O. Use of intratracheally administered hyaluronic acid to ameliorate emphysema
US5690961A (en) * 1994-12-22 1997-11-25 Hercules Incorporated Acidic polysaccharides crosslinked with polycarboxylic acids and their uses
WO1996024392A1 (en) * 1995-02-07 1996-08-15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Process for the coating of objects with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and semisynthetic polymers
IT1281870B1 (it) * 1995-04-27 1998-03-03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Pelle artificiale umana costituita da materiali biocompatibili a base di derivati dell'acido ialuronico
US6017901A (en) * 1995-05-10 2000-01-25 Fidia Advanced Bioplymers S.R.L. Heavy metal salts of succinic acid hemiesters with hyaluronic acid or hyaluronic acid esters,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relativ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IT1281877B1 (it) * 1995-05-10 1998-03-03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Sali di metalli pesanti di succinil derivati dell'acido ialuronico e loro impiego come potenziali agenti terapeutici
US5559088A (en) * 1995-07-07 1996-09-24 The Proctor & Gamble Company Dryer-activated fabric conditioning and antistatic compositions with improved perfume longevity
US5531910A (en) * 1995-07-07 1996-07-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iodegradable fabric softener compositions with improved perfume longevity
AU718484B2 (en) 1995-08-29 2000-04-13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Biomaterials for preventing post-surgical adhesions comprised of hyaluronic acid derivatives
IT1282219B1 (it) * 1995-12-20 1998-03-16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Processo chimico fisico combinato per la preparazione di frazioni di acido ialuronico a basso peso molecolare caratterizzate da bassa
KR100236771B1 (ko) * 1997-04-01 2000-02-01 성재갑 히아루론산을 이용한 약물의 서방성 미세입자 제형
US5939047A (en) * 1996-04-16 1999-08-17 Jernberg; Gary R. Local delivery of chemotherapeutic agents for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
EP0907721A1 (en) * 1996-05-28 1999-04-14 Brown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Hyaluronan based biodegradable scaffolds for tissue repair
US6060534A (en) 1996-07-11 2000-05-09 Scimed Life Systems, Inc. Medical devices comprising ionically and non-ionically crosslinked polymer hydrogels having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US6368356B1 (en) 1996-07-11 2002-04-09 Scimed Life Systems, Inc. Medical devices comprising hydrogel polymers having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IT1287698B1 (it) * 1996-08-29 1998-08-18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Fili da sutura essenzialmente costituiti da derivati esterei dello acido ialuronico
US6632802B2 (en) * 1996-08-29 2003-10-14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Hyaluronic acid esters, threads and biomaterials containing them, and their use in surgery
IT1287967B1 (it) 1996-10-17 1998-09-10 Fidia Spa In Amministrazione S Preparazioni farmaceutiche per uso anestetico locale
DE69738948D1 (de) 1996-12-06 2008-10-09 Amgen Inc Il-1-inhibitor in kombinationstherapie zur behandlung il-1-vermittelter krankheiten
IT1291452B1 (it) 1997-04-14 1999-01-11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Rivestimento a base di acido ialuronico e suoi derivati per la protezione di parti elettroniche da agenti esterni
US6596703B1 (en) 1997-07-11 2003-07-22 Jagotec Ag Promotion of wound healing utilizing steroids having reduced deteriorous systemic side effects typical of glucocorticoids, mineralocorticoids and sex steroids
US6123957A (en) * 1997-07-16 2000-09-26 Jernberg; Gary R. Delivery of agents and method for regeneration of periodontal tissues
IT1294797B1 (it) 1997-07-28 1999-04-15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Uso dei derivati dell'acido ialuronico nella preparazione di biomateriali aventi attivita' emostatica fisica e tamponante
IT1296689B1 (it) * 1997-11-06 1999-07-14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Derivati esterei dell'acido ialuronico aventi proprieta viscoelastiche e loro uso in campo biomedico-sanitario
WO1999025782A2 (en) 1997-11-17 1999-05-27 Haemacure Corporation Fibrin sealants or adhesives comprising a hyaluronic acid derivative material
US6099952A (en) * 1998-02-18 2000-08-08 Xomed Surgical Products, Inc. Medical sponge having mucopolysaccharide coating
ITPD980037A1 (it) * 1998-02-25 1999-08-25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Acido ialuronico solfatato e i suoi derivati legati covalentemente a polimeri sintetici pe la preparazione di biomateriali e per il rivesti
US6866842B1 (en) 1998-05-01 2005-03-15 University Of Pittsburgh Muscle-derived cells (MDCs) for treating muscle-or bone-related injury or dysfunction
US7115417B1 (en) * 1998-05-01 2006-10-03 Chancellor Michael B Soft tissue and bone augmentation and bulking utilizing muscle-derived progenito compositions, and treatments thereof
KR20010025040A (ko) * 1998-05-20 2001-03-26 나가야마 오사무 관절질환 치료제 및 히알루론산의 결합체
US6872819B1 (en) 1998-05-27 2005-03-29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Biomaterials containin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in the form of three-dimensional structures free from cellular components or products thereof for the in vivo regeneration of tissue cells
US6824793B1 (en) * 1998-06-01 2004-11-30 Chiron Corporation Use of hyaluronic acid polymers for mucosal delivery of vaccine antigens and adjuvants
ITPD980149A1 (it) 1998-06-17 1999-12-17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Protesi tridimensionali comprendenti derivati dell'acido ialuronico per riparare o ricostruire i tessuti danneggiati e processo per la
ITPD980169A1 (it) * 1998-07-06 2000-01-06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Ammidi dell'acido ialuronico e dei suoi derivati e processo per la loro preparazione.
US6630457B1 (en) * 1998-09-18 2003-10-07 Orthogene Llc Functionalized derivatives of hyaluronic acid, formation of hydrogels in situ using same,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IT1303735B1 (it) * 1998-11-11 2001-02-23 Falorni Italia Farmaceutici S Acidi ialuronici reticolati e loro usi medici.
IT1302534B1 (it) * 1998-12-21 2000-09-05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Composizioni iniettabili, biocompatibili e biodegradabili comprendentialmeno un derivato dell'acido ialuronico, cellule condrogeniche, per
EP1140198B1 (en) 1999-01-13 2007-10-31 Alchemia Oncology Pty Limited Use of hyaluronan for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the enhancement of the efficacy of cytotoxic drugs
EP1165097B1 (en) * 1999-02-01 2007-05-02 Dermal Research Laboratories, Inc.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complex carbohydrates and their use
US6727224B1 (en) * 1999-02-01 2004-04-27 Genetics Institute, Ll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healing and repair of articular cartilage
GB9902412D0 (en) * 1999-02-03 1999-03-24 Fermentech Med Ltd Process
US6884427B1 (en) * 1999-02-08 2005-04-26 Aderans Research Institute, Inc. Filamentary means for introducing agents into tissue of a living host
US6586212B1 (en) * 1999-02-10 2003-07-01 Eastman Chemical Company Corn fiber for the production of advanced chemicals and materials: derivatizable cellulose and cellulose derivatives made therefrom
IT1309588B1 (it) * 1999-03-05 2002-01-24 Altergon Sa Cerotto con spessore sottile contenente betametasone ed acidoialuronico per il trattamento di psoriasi, dermatite, dermatosi.
IT1306644B1 (it) 1999-04-08 2001-10-02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Strutture tridimensionali comprendenti derivati dell'acido ialuronicoottenibili mediante la tecnica antisolvente supercritico.
FR2794763B1 (fr) * 1999-06-08 2001-08-24 Centre Nat Rech Scient Nouveaux derives de l'acide hyaluronique, leur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IT1306679B1 (it) * 1999-06-29 2001-10-02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Uso dei derivati dell'acido ialuronico per la preparazione dicomposizoni farmaceutiche e biomateriali per la prevenzione della
EP1481695A1 (en) * 1999-10-15 2004-12-01 Genetics Institute, LLC Formulations of hyaluronic acid for delivery of osteogenic proteins
ES2225241T3 (es) 1999-10-15 2005-03-16 Genetics Institute, Llc Formulaciones de acido hialuronico para suministrar proteinas osteogenicas.
US6710038B1 (en) 1999-12-14 2004-03-23 Kibun Food Chemifa Co., Ltd. Emulsification method using propylene glycol hyaluronate
EP1110971B1 (en) * 1999-12-14 2004-08-11 Kibun Food Chemifa Co., Ltd. Propylene glycol hyaluronate and agent for external use to skin using the same
DE60012866T2 (de) * 1999-12-14 2005-09-08 Kibun Food Chemifa Co., Ltd. Propylenglykolhyaluronat und äusserlich anzuwendendes Hautpflegemittel, das dieses enthält
IT1318403B1 (it) 2000-03-17 2003-08-25 Cooperativa Ct Ricerche Poly T Esteri polisaccaridici di n-derivati di acido glutammico.
CA2406393C (en) * 2000-04-14 2012-10-02 University Of Pittsburgh Soft tissue and bone augmentation and bulking utilizing muscle-derived progenitor cells, compositions and treatments thereof
JP2004513071A (ja) * 2000-05-23 2004-04-30 ザ・トラスティーズ・オブ・コロンビア・ユニバーシティ・イン・ザ・シティ・オブ・ニューヨーク 肺の弾性繊維損傷に関連した呼吸器疾患の治療方法
US9066919B2 (en) * 2000-07-14 2015-06-30 Alchemia Oncology Pty Limited Hyaluronan as a chemo-sensitizer in the treatment of cancer
AUPQ879500A0 (en) * 2000-07-14 2000-08-10 Meditech Research Limited Hyaluronan as cytotoxic agent, drug presensitizer and chemo-sensitizer in the treatment of disease
US7198641B2 (en) * 2000-08-08 2007-04-03 Aderans Research Institute, Inc. Scaffolds for tissue engineered hair
IT1317359B1 (it) * 2000-08-31 2003-06-16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Polisaccaridi percarbossilati, quali l'acido ialuronico, processo perla loro preparazione e loro impiego in campo farmaceutico e
US20030013643A1 (en) * 2000-09-21 2003-01-16 Wessels Michael 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treptococcal and staphylococcal infection
WO2002041877A1 (en) * 2000-10-24 2002-05-30 Clear Solutions Biotech, Inc. Sodium hyaluronate microspheres
US6726898B2 (en) 2000-11-17 2004-04-27 Gary R. Jernberg Local delivery of agents for disruption and inhibition of bacterial biofilm for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
US6576226B1 (en) 2000-11-17 2003-06-10 Gary R. Jernberg Local delivery of agents for disruption and inhibition of bacterial biofilm for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
US20030082233A1 (en) * 2000-12-01 2003-05-01 Lyons Karen M. Method and composition for modulating bone growth
US7722616B2 (en) * 2000-12-28 2010-05-25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Use of a biological material containing three-dimensional scaffolds of hyaluronic acid derivatives for the preparation of implants in arthroscopy and kit for instruments for implanting said biological material by arthroscopy
JP4680483B2 (ja) * 2001-02-23 2011-05-11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ピッツバーグ オブ ザ コモンウェルス システム オブ ハイヤー エデュケイション 組織および臓器の治療および修復に用いるための幹細胞マトリックスの迅速な調製方法
US20020172712A1 (en) * 2001-03-19 2002-11-21 Alan Drizen Antiemetic, anti-motion sustained release drug delivery system
US6913765B2 (en) 2001-03-21 2005-07-05 Scimed Life Systems, Inc. Controlling resorption of bioresorbable medical implant material
EP1249247B1 (en) * 2001-03-30 2007-02-28 Chisso Corporation Pharmaceutical preparation for the treatment of gynecological diseases
JP2005500280A (ja) * 2001-06-01 2005-01-06 ワイエス 骨形成タンパク質(bmp)をコードする配列の全身投与の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TWI267378B (en) * 2001-06-08 2006-12-01 Wyeth Corp Calcium phosphate delivery vehicles for osteoinductive proteins
US20050042303A1 (en) * 2001-08-27 2005-02-24 Brown Tracey Jean Therapeutic protocols
KR100514582B1 (ko) * 2001-09-05 2005-09-13 한스바이오메드 주식회사 생체복원물질의 제조방법
US20030113812A1 (en) * 2001-10-02 2003-06-19 Hemperly John J.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stem cells using extracellular matrix and other molecules
US8524884B2 (en) 2001-10-30 2013-09-03 Colorado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Outer layer material having entanglement of hydrophobic polymer hostblended with a maleated hydrophobic polymer co-host, and hydrophilic polymer guest
US7662954B2 (en) * 2001-10-30 2010-02-16 Colorado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Outer layer having entanglement of hydrophobic polymer host and hydrophilic polymer guest
DE10161110A1 (de) * 2001-12-12 2003-06-26 Ursapharm Arzneimittel Gmbh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 zur ophthalmologischen und rhinologischen Anwendung
US7923431B2 (en) 2001-12-21 2011-04-12 Ferrosan Medical Devices A/S Haemostatic kit, a method of preparing a haemostatic agent and a method of promoting haemostatis
EP1465547A4 (en) * 2001-12-28 2008-04-30 Genzyme Corp BIODEGRADABLE FOAM PACKAGING DEVICE AND ITS USE
ITPD20020003A1 (it) * 2002-01-11 2003-07-11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Biomateriali a base di acido ialuronico come terapia anti-angiogenicanella cura dei tumori.
US20040068284A1 (en) * 2002-01-29 2004-04-08 Barrows Thomas H. Method for stimulating hair growth and kit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ITPD20020064A1 (it) * 2002-03-12 2003-09-12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Derivati esterei dell'acido ialuronico per la preparazione di idrogelda utilizzare in campo biomedico, sanitario e chirurgico e come sistem
US20050142208A1 (en) * 2002-05-09 2005-06-30 Won Min Yoo Pharm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wounds conntaining blood plasma or serum
AU2003228958C1 (en) * 2002-05-17 2009-01-08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Injectable solid hyaluronic acid carriers for delivery of osteogenic proteins
US7776314B2 (en) 2002-06-17 2010-08-17 Grunenthal Gmbh Abuse-proofed dosage system
NZ537735A (en) * 2002-07-03 2006-08-31 Pericor Science Inc Compositions of hyaluronic acid and methods of use
FR2842737B1 (fr) * 2002-07-25 2006-01-27 Centre Nat Rech Scient Particules revetues en surface de hyaluronane ou d'un de ses derives et leur utilisation a titre de vecteurs biologiques pour des matieres actives
NZ538266A (en) 2002-08-16 2007-05-31 Denki Kagaku Kogyo Kk Separate type medical material
US20040062882A1 (en) * 2002-09-30 2004-04-01 Andrea Liebmann-Vinson Cell adhesion resisting surfaces
ITPD20020271A1 (it) * 2002-10-18 2004-04-19 Fidia Farmaceutici Composti chimico-farmaceutici costituiti da derivati dei taxani legati covalentemente all'acido ialuronico o ai suoi derivati.
JP4636883B2 (ja) 2002-11-21 2011-02-23 中外製薬株式会社 薬物徐放担体
WO2004053051A2 (en) * 2002-12-11 2004-06-24 Ferrosan A/S Gelatine-based materials as swabs
WO2004060404A1 (ja) * 2002-12-27 2004-07-22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薬物担体
US20040185022A1 (en) * 2003-02-19 2004-09-23 Steven Rubin Regimen for acne treatment
US7238677B2 (en) * 2003-03-28 2007-07-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evention of urogenital infections
KR20060002933A (ko) * 2003-04-04 2006-01-09 베이코 테크 리미티드 혈관용 스텐트
US6821331B2 (en) * 2003-04-09 2004-11-23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Protein-polysaccharide hybrid hydrogels
DE602004029349D1 (de) * 2003-04-25 2010-11-11 Univ Pittsburgh Von muskeln stammende zellen (mdcs) zur förderung und verbesserung der nervenreparatur und -regeneration
CN1829743B (zh) * 2003-07-30 2010-06-30 安特易斯有限公司 生物医用的复合基质
DE102005005446A1 (de) 2005-02-04 2006-08-10 Grünenthal GmbH Bruchfeste Darreichungsformen mit retardierter Freisetzung
DE102004032051A1 (de) 2004-07-01 2006-01-19 Grünenthal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gegen Missbrauch gesicherten, festen Darreichungsform
US8075872B2 (en) 2003-08-06 2011-12-13 Gruenenthal Gmbh Abuse-proofed dosage form
DE10336400A1 (de) 2003-08-06 2005-03-24 Grünenthal GmbH Gegen Missbrauch gesicherte Darreichungsform
US20070048228A1 (en) 2003-08-06 2007-03-01 Elisabeth Arkenau-Maric Abuse-proofed dosage form
DE10361596A1 (de) 2003-12-24 2005-09-29 Grünenthal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gegen Missbrauch gesicherten Darreichungsform
GB2404920A (en) * 2003-08-12 2005-02-16 Johnson & Johnson Medical Ltd Antimicrobial polymer
US7074615B2 (en) * 2003-08-15 2006-07-1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Peptides for enhanced cell attachment and cell growth
US7157275B2 (en) * 2003-08-15 2007-01-0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Peptides for enhanced cell attachment and growth
US7198855B2 (en) * 2003-09-12 2007-04-03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thods of surface modification of a flexible substrate to enhance cell adhesion
SI1675608T1 (sl) * 2003-09-12 2007-08-31 Wyeth Corp Injektibilne trdne paličice kalcijevega fosfata za dajanje osteogenih proteinov
WO2005028632A2 (en) * 2003-09-19 2005-03-31 Colorado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Csurf) Hyaluronan (ha) esterification via acylation technique for moldable devices
US20050095219A1 (en) * 2003-10-29 2005-05-05 Shu-Ping Yang Compositions for promoting vaginal cell proliferation and maturation
GB2408741B (en) * 2003-12-04 2008-06-18 Ind Tech Res Inst Hyaluronic acid derivative with urethane linkage
US8313765B2 (en) * 2003-12-04 2012-11-2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Biodegradable hyaluronic acid derivative, biodegradable polymeric micelle composition and pharmaceutical or bioactive composition
US7625581B2 (en) * 2003-12-19 2009-12-01 Ethicon, Inc. Tissue scaffolds for use in muscoloskeletal repairs
US7091191B2 (en) * 2003-12-19 2006-08-15 Ethicon, Inc. Modified hyaluronic acid for use in musculoskeletal tissue repair
US8124120B2 (en) * 2003-12-22 2012-02-28 Anika Therapeutics, Inc. Crosslinked hyaluronic acid compositions for tissue augmentation
KR101142583B1 (ko) * 2004-01-07 2012-05-11 세이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히알루론산 유도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약제
EP1713521B1 (en) * 2004-01-30 2010-07-28 Ferrosan A/S Haemostatic sprays and compositions
AU2005212339B2 (en) 2004-02-06 2010-11-25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Load bearing biocompatible device
WO2005077013A2 (en) 2004-02-06 2005-08-25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Surface directed cellular attachment
US7354980B1 (en) 2004-03-12 2008-04-08 Key Medical Technologies, Inc. High refractive index polymers for ophthalmic applications
US7597885B2 (en) * 2004-03-26 2009-10-06 Aderans Research Institute, Inc. Tissue engineered biomimetic hair follicle graft
GB0411166D0 (en) * 2004-05-19 2004-06-23 Bionovate Ltd Treatment for asthma and arthritis
GB0411165D0 (en) * 2004-05-19 2004-06-23 Bionovate Ltd Hyaluronic acid containing pharmaceutical or veterinary compounds
DE102004032049A1 (de) 2004-07-01 2006-01-19 Grünenthal GmbH Gegen Missbrauch gesicherte, orale Darreichungsform
AU2005269995C1 (en) 2004-07-06 2011-12-01 Zymogenetic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FGF18 and IL-1 antagonist and method of use
KR20070046093A (ko) * 2004-07-09 2007-05-02 훼로산 아크티에 셀스카브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지혈 조성물
AR050212A1 (es) * 2004-08-13 2006-10-04 Aderans Res Inst Inc Organogenesis a partir de celulas disociadas
US7858107B2 (en) * 2004-09-10 2010-12-28 Medtronic Xomed, Inc. Flexible bioresorbable hemostatic packing and stent having a preselectable in-vivo residence time
US7446157B2 (en) 2004-12-07 2008-11-04 Key Medical Technologies, Inc. Nanohybrid polymers for ophthalmic applications
DE102005005449A1 (de) 2005-02-04 2006-08-10 Grünenthal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gegen Missbrauch gesicherten Darreichungsform
ITMI20050262A1 (it) * 2005-02-21 2006-08-22 Carlo Ghisalberti Sostanze composizioni e metodi di trattamento dell'alopecia
ITPD20050056A1 (it) 2005-03-02 2006-09-03 Fidia Farmaceutici Derivati ammidici del'acido ialuronico in osteoartrosi
GB0513552D0 (en) 2005-07-01 2005-08-10 Bristol Myers Squibb Co Bandage
ITPD20050206A1 (it) 2005-07-07 2007-01-08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Biomateriali in forma di fibra da impiegarsi come dispositivi medici nel trattamento delle ferite e loro processi di produzione
ITPD20050207A1 (it) * 2005-07-07 2007-01-08 Fidia Farmaceutici Nuove composizioni farmaceutiche contenenti acido ialuronico e collagenas nel trattamento topico di ferite, ustioni ed ulcere
CA2616607C (en) 2005-07-27 2015-06-02 Alchemia Oncology Pty Limited Therapeutic protocols using hyaluronan
ITPD20050242A1 (it) 2005-08-03 2007-02-04 Fidia Farmaceutici Bioconiugati antitumorali dell'acido ialuronico o dei suoi derivati, ottenibili per coniugazione chimica diretta o indiretta, e loro impiego in campo farmaceutico
US7323184B2 (en) * 2005-08-22 2008-01-29 Healagenic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wounds and the reduction of scar formation
MY149606A (en) 2005-09-07 2013-09-13 Alchemia Oncology Pty Ltd Therapeutic compositions comprising hyaluronan and therapeutic antibodies as well as methods of treatment
US20070065515A1 (en) * 2005-09-22 2007-03-22 Key Douglas J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skin lines and wrinkles and improving skin quality
CN103120701B (zh) * 2005-10-12 2014-11-05 生化学工业株式会社 包含疏水基团结合型糖胺聚糖在制备预防或治疗角膜上皮层病症的药物中的用途
AU2006304416B2 (en) 2005-10-18 2013-03-28 Allergan, Inc. Ocular therapy using Glucocorticoid Derivatives selectively penetrating posterior segment tissues
US20090082321A1 (en) * 2007-09-21 2009-03-26 Allergan, Inc. Steroid containing drug delivery systems
US20070110788A1 (en) * 2005-11-14 2007-05-17 Hissong James B Injectable formulation capable of forming a drug-releasing device
AR057629A1 (es) * 2005-11-22 2007-12-05 Aderans Res Inst Inc Injerto de foliculos pilosos de piel obtenida por ingenieria de tejidos
AR057628A1 (es) * 2005-11-22 2007-12-05 Aderans Res Inst Inc Injertos capilares derivados de cabello extirpado
US7976873B2 (en) * 2006-05-10 2011-07-12 Medtronic Xomed, Inc.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solvating system for treatment of bacterial ear conditions
US7993675B2 (en) * 2006-05-10 2011-08-09 Medtronic Xomed, Inc. Solvating system and sealant for medical use in the sinuses and nasal passages
US7959943B2 (en) * 2006-05-10 2011-06-14 Medtronics Xomed, Inc. Solvating system and sealant for medical use in the middle or inner ear
US20070264296A1 (en) * 2006-05-10 2007-11-15 Myntti Matthew F Biofilm extracellular polysachharide solvating system
US20090075935A1 (en) * 2006-07-03 2009-03-19 L'oreal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c-glycoside derivative and at least one hyaluronic acid and its cosmetic use
SA07280459B1 (ar) 2006-08-25 2011-07-20 بيورديو فارما إل. بي. أشكال جرعة صيدلانية للتناول عن طريق الفم مقاومة للعبث تشتمل على مسكن شبه أفيوني
NZ575334A (en) * 2006-09-13 2012-03-30 Enhance Skin Products Inc Cosmetic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skin and methods thereof
JP5395672B2 (ja) * 2006-11-28 2014-01-22 ユニバーシティー オブ ピッツバーグ − オブ ザ コモンウェルス システム オブ ハイヤー エデュケーション 心臓病理学を処置するための筋肉由来の細胞およびその作製法および使用法
US8956602B2 (en) * 2006-12-05 2015-02-17 Landec, Inc. Delivery of drugs
US20100158875A1 (en) 2006-12-18 2010-06-24 University Of Pittsburgh - 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Muscle derived cells for the treatment of gastro-esophageal pathologi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9121009B2 (en) * 2006-12-18 2015-09-01 University of Pittsburgh—Of the Commonwea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Muscle derived cells for the treatment of gastro-esophageal pathologi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EP2118271B1 (en) 2007-01-11 2018-04-18 University of Pittsburgh - 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Muscle derived cells for the treatment of urinary tract pathologi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TW200838552A (en) * 2007-01-25 2008-10-01 Novozymes Biopolymer As Methyl esters of hyaluronic acid
US8088095B2 (en) * 2007-02-08 2012-01-03 Medtronic Xomed, Inc. Polymeric sealant for medical use
US8529951B1 (en) 2007-02-21 2013-09-10 Anand Ramamurthi Elastogenic cues and methods for using same
DE102007011485A1 (de) 2007-03-07 2008-09-11 Grünenthal GmbH Darreichungsform mit erschwertem Missbrauch
EP2166022B1 (en) * 2007-04-24 2016-09-21 Q.P. Corporation Cationized hyaluronic acid and/or salt thereof,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hair modifying agent, cuticle repairing agent, skin modifying agent and cosmetic preparation each using the same
US8609634B2 (en) 2007-05-16 2013-12-17 Mcneil-Ppc, Inc. Preserved compositions containing hyaluronic acid or a pharmaceutically-acceptable salt thereof and related methods
US9579341B2 (en) 2007-05-16 2017-02-28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Preserved compositions containing hyaluronic acid or a pharmaceutically-acceptable salt thereof and related methods
WO2008153813A2 (en) * 2007-05-29 2008-12-18 University Of Pittsburgh-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Bone augmentation utilizing muscle-derived progenitor compositions, and treatments thereof
US7985537B2 (en) * 2007-06-12 2011-07-26 Aderans Research Institute, Inc. Methods for determining the hair follicle inductive properties of a composition
ITMI20071267A1 (it) 2007-06-22 2008-12-23 Fidia Farmaceutici Uso di coniugati dell'acido ialuronico nel trattamento locale di malattie cutanee iperproliferative
EP2177539A1 (en) * 2007-08-09 2010-04-21 Kibun Food Chemifa Co., Ltd. Propylene glycol hyaluronate ester and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using the same
ITMI20071724A1 (it) 2007-09-05 2009-03-06 Fidia Farmaceutici Formulazioni topiche antivirali in forma di gel bioadesivo
KR20100094982A (ko) 2007-11-13 2010-08-27 바이오-테크널러지 제너럴 (이스라엘) 리미티드 점탄성 바이오폴리머의 희석식 여과 멸균 방법
WO2009092601A1 (en) 2008-01-25 2009-07-30 Grünenthal GmbH Pharmaceutical dosage form
CN102014973A (zh) * 2008-02-29 2011-04-13 弗罗桑医疗设备公司 用于促进止血和/或伤口愈合的装置
MX2010010904A (es) 2008-04-04 2010-11-04 Univ Utah Res Found Eteres de glicosaminoglicosano semisinteticos alquilados, y metodos para elaborarlos y usarlos.
MX2010012039A (es) 2008-05-09 2010-11-30 Gruenenthal Gmbh Proceso para la preparacion de una formulacion de polvo intermedia y una forma de dosificacion solida final bajo el uso de un paso de congelacion por rocio.
AU2009257390B2 (en) 2008-06-12 2014-09-04 Medtronic Xomed, Inc. Method for treating chronic wounds with an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 solvating system
AU2009282619B2 (en) * 2008-08-18 2015-08-20 University Of Pittsburgh - 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Bone augmentation utilizing muscle-derived progenitor compositions in biocompatible matrix, and treatments thereof
ES2829971T3 (es) 2008-09-02 2021-06-02 Tautona Group Lp Hilos de ácido hialurónico y/o derivados de los mismos, métodos para fabricar los mismos y usos de los mismos
WO2010042427A2 (en) 2008-10-06 2010-04-15 Microbial Defense Systems, Llc Antimicrobial composition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US8759322B2 (en) * 2008-11-05 2014-06-24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Tokyo Medical And Dental University Hyaluronic acid derivativ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reof
US20100233138A1 (en) * 2008-11-07 2010-09-16 University Of Pittsburgh - 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Vocal Cord Augmentation Utilizing Muscle-Derived Progenitor Compositions, and Treatments Thereof
JP2010163485A (ja) * 2009-01-13 2010-07-29 Teijin Ltd カルボキシ多糖類の溶液
IT1399351B1 (it) 2009-06-16 2013-04-16 Fidia Farmaceutici Procedimento per la sintesi di coniugati di glicosamminoglicani (gag) con molecole biologicamente attive, coniugati polimerici e usi relativi
IT1394570B1 (it) 2009-07-02 2012-07-05 Fidia Farmaceutici Materiale biologico adatto per la terapia dell osteoartrosi del danno dei legamenti e per il trattamento delle patologie delle articolazioni.
RU2567723C2 (ru) 2009-07-22 2015-11-10 Грюненталь Гмбх Стабильная при окислении, прочная на излом лекарственная форма
BR112012001547A2 (pt) 2009-07-22 2016-03-08 Gruenenthal Gmbh forma de dosagem farmacêutica extrusada por fusão a quente
US8273725B2 (en) * 2009-09-10 2012-09-25 Genzyme Corporation Stable hyaluronan/steroid formulation
CZ302503B6 (cs) 2009-12-11 2011-06-22 Contipro C A.S. Zpusob prípravy derivátu kyseliny hyaluronové oxidovaného v poloze 6 glukosaminové cásti polysacharidu selektivne na aldehyd a zpusob jeho modifikace
CZ302504B6 (cs) 2009-12-11 2011-06-22 Contipro C A.S. Derivát kyseliny hyaluronové oxidovaný v poloze 6 glukosaminové cásti polysacharidu selektivne na aldehyd, zpusob jeho prípravy a zpusob jeho modifikace
CN103108661B (zh) * 2010-03-25 2016-01-20 生命细胞公司 再生性组织支架的制备
WO2011148116A2 (fr) 2010-05-27 2011-12-01 Laboratoire Idenov Acide hyaluronique modifie, procede de fabrication et utilisations
CA2806450A1 (en) * 2010-07-29 2012-02-02 Michael Moeller Process for the esterification of hyaluronic acid with hydrophobic organic compounds
PE20131126A1 (es) 2010-09-02 2013-10-21 Gruenenthal Chemie Forma de dosificacion resistente a alteracion que comprende un polimero anionico
RU2604676C2 (ru) 2010-09-02 2016-12-10 Грюненталь Гмбх Устойчивая к разрушению лекарственная форма, содержащая неорганическую соль
CZ302994B6 (cs) 2010-12-31 2012-02-08 Cpn S.R.O. Hyaluronová vlákna, zpusob jejich prípravy a použití
CZ303548B6 (cs) 2011-01-05 2012-11-28 Contipro Pharma A.S. Zdravotní prípravek tvorící jód, zpusob jeho prípravy a bandáž, která jej obsahuje
WO2012129461A1 (en) 2011-03-23 2012-09-27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Methods for treating or preventing urological inflammation
CA2835211C (en) 2011-05-10 2019-09-24 Next Science, Llc Antimicrobial solid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EP2757964B1 (en) 2011-05-26 2016-05-04 Cartiva, Inc. Tapered joint implant and related tools
DK2736497T3 (da) 2011-07-29 2017-11-13 Gruenenthal Gmbh Stød-resistent tablet, der tilvejebringer en øjeblikkelig frigivelse af et lægemiddel.
CA2839123A1 (en) 2011-07-29 2013-02-07 Grunenthal Gmbh Tamper-resistant tablet providing immediate drug release
TWI561535B (en) 2011-10-06 2016-12-11 Bvw Holding Ag Copolymers of hydrophobic and hydrophilic segments that reduce protein adsorption
WO2013097152A1 (zh) * 2011-12-29 2013-07-04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pH敏感的透明质酸衍生物和其应用
US20130225697A1 (en) 2012-02-28 2013-08-29 Grunenthal Gmbh Tamper-resistant dosage form comprising pharmacologically active compound and anionic polymer
CZ2012136A3 (cs) 2012-02-28 2013-06-05 Contipro Biotech S.R.O. Deriváty na bázi kyseliny hyaluronové schopné tvorit hydrogely, zpusob jejich prípravy, hydrogely na bázi techto derivátu, zpusob jejich prípravy a pouzití
RU2657955C2 (ru) 2012-03-06 2018-06-18 Ферросан Медикал Дивайсиз А/С Контейнер под давлением, содержащий гемостатическую пасту
WO2013156453A1 (en) 2012-04-18 2013-10-24 Grünenthal GmbH Tamper resistant and dose-dumping resistant pharmaceutical dosage form
ITMI20120664A1 (it) 2012-04-20 2013-10-21 Anika Therapeutics Srl Biomateriali a base di gellano per l'uso come filler in chirurgia
US10064945B2 (en) 2012-05-11 2018-09-04 Gruenenthal Gmbh Thermoformed, tamper-resistant pharmaceutical dosage form containing zinc
US10350072B2 (en) 2012-05-24 2019-07-16 Cartiva, Inc. Tooling for creating tapered opening in tissue and related methods
ITPD20120173A1 (it) 2012-05-31 2013-12-01 Fidia Farmaceutici "nuovo sistema di rilascio di proteine idrofobiche"
EP2825216B1 (en) 2012-06-12 2015-08-19 Ferrosan Medical Devices A/S Dry haemostatic composition
CZ304512B6 (cs) 2012-08-08 2014-06-11 Contipro Biotech S.R.O. Derivát kyseliny hyaluronové, způsob jeho přípravy, způsob jeho modifikace a použití
IN2015DN02358A (ko) 2012-10-09 2015-09-04 Sigma Tau Ind Farmaceuti
CZ304654B6 (cs) 2012-11-27 2014-08-20 Contipro Biotech S.R.O. Nanomicelární kompozice na bázi C6-C18-acylovaného hyaluronanu, způsob přípravy C6-C18-acylovaného hyaluronanu, způsob přípravy nanomicelární kompozice a stabilizované nanomicelární kompozice a použití
CZ2012841A3 (cs) 2012-11-27 2014-02-19 Contipro Biotech S.R.O. Vlákna založená na hydrofobizovaném hyaluronanu, způsob jejich přípravy a použití, textilie na jejich bázi a použití
ITPD20120360A1 (it) 2012-11-30 2014-05-31 Fidia Farmaceutici "nuovi geli viscoelastici in chirurgia oftalmica"
TWI484983B (zh) * 2012-12-06 2015-05-21 Univ Nat Taiwan 應用於呼吸上皮細胞之敷料
AR096438A1 (es) 2013-05-29 2015-12-30 Gruenenthal Gmbh Forma de dosificación resistente al uso indebido con perfil de liberación bimodal, proceso
CA2907950A1 (en) 2013-05-29 2014-12-04 Grunenthal Gmbh Tamper-resistant dosage form containing one or more particles
JP6390873B2 (ja) 2013-06-21 2018-09-19 フェッローサン メディカル ディバイス エー/エス 減圧膨張させた乾燥組成物およびそれを保持するためのシリンジ
EP3020417A4 (en) * 2013-07-10 2017-01-18 Seikagaku Corpora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respiratory administration
AU2014289187B2 (en) 2013-07-12 2019-07-11 Grunenthal Gmbh Tamper-resistant dosage form containing ethylene-vinyl acetate polymer
WO2015048988A1 (en) 2013-10-02 2015-04-09 Ao Technology Ag Thermosensitive hyaluronic acid conjugates and method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ITMI20131971A1 (it) 2013-11-26 2015-05-27 Fidia Farmaceutici Composizioni farmaceutiche ad attività idratante e lubrificante
MX371372B (es) 2013-11-26 2020-01-28 Gruenenthal Gmbh Preparacion de una composicion farmaceutica en polvo por medio de criomolienda.
US10111980B2 (en) 2013-12-11 2018-10-30 Ferrosan Medical Devices A/S Dry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usion enhancer
CZ2014150A3 (cs) 2014-03-11 2015-05-20 Contipro Biotech S.R.O. Konjugáty oligomeru kyseliny hyaluronové nebo její soli, způsob jejich přípravy a použití
EP3142646A1 (en) 2014-05-12 2017-03-22 Grünenthal GmbH Tamper resistant immediate release capsule formulation comprising tapentadol
JP2017516789A (ja) 2014-05-26 2017-06-22 グリュネンタール・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エタノール過量放出に対して防護されている多粒子
US10940111B2 (en) 2014-06-15 2021-03-09 Yeda Research And Development Co. Ltd. Surface treatment by water-soluble polymers and lipids/liposomes
CZ2014451A3 (cs) 2014-06-30 2016-01-13 Contipro Pharma A.S. Protinádorová kompozice na bázi kyseliny hyaluronové a anorganických nanočástic, způsob její přípravy a použití
KR20170052626A (ko) 2014-09-05 2017-05-12 심바이오믹스 세러퓨틱스 엘엘씨 세균질증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세크니다졸
BR112017007466B1 (pt) 2014-10-13 2021-03-02 Ferrosan Medical Devices A/S método para preparar uma composição seca, método para reconstituir a composição seca, pasta, composição seca, recipiente, kit homeostático, e, uso de uma composição seca
WO2016102446A1 (en) 2014-12-24 2016-06-30 Ferrosan Medical Devices A/S Syringe for retaining and mixing first and second substances
CZ309295B6 (cs) 2015-03-09 2022-08-10 Contipro A.S. Samonosný, biodegradabilní film na bázi hydrofobizované kyseliny hyaluronové, způsob jeho přípravy a použití
CA2981061A1 (en) 2015-03-31 2016-10-06 Cartiva, Inc. Hydrogel implants with porous materials and methods
WO2016161026A1 (en) 2015-03-31 2016-10-06 Cartiva, Inc. Carpometacarpal (cmc) implants and methods
MA41912A (fr) * 2015-04-07 2018-02-13 Hyalblue S R L Esters de glycosaminoglycane, procédés pour leur préparation et leur utilisation dans des formulations à usage ophtalmique
KR20170139158A (ko) 2015-04-24 2017-12-18 그뤼넨탈 게엠베하 즉시 방출되고 용매 추출 방지된 변조 방지된 투여 형태
CZ2015398A3 (cs) 2015-06-15 2017-02-08 Contipro A.S. Způsob síťování polysacharidů s využitím fotolabilních chránicích skupin
CZ306662B6 (cs) 2015-06-26 2017-04-26 Contipro A.S. Deriváty sulfatovaných polysacharidů, způsob jejich přípravy, způsob jejich modifikace a použití
BR112017027695A2 (pt) 2015-07-03 2018-09-04 Ferrosan Medical Devices As seringa para retenção e mistura de primeira e segunda substâncias
CN108136034A (zh) * 2015-07-13 2018-06-08 考司美德制药株式会社 药物缓释载体及制备方法
CA2998259A1 (en) 2015-09-10 2017-03-16 Grunenthal Gmbh Protecting oral overdose with abuse deterrent immediate release formulations
ES2776825T3 (es) 2015-11-18 2020-08-03 Lifecell Corp Malla recubierta de hidrogel
MX2018012964A (es) 2016-04-27 2019-06-10 Anika Therapeutics Inc Métodos y composiciones de uso para el tratamiento de la degeneración de tendón.
CZ308106B6 (cs) 2016-06-27 2020-01-08 Contipro A.S. Nenasycené deriváty polysacharidů, způsob jejich přípravy a jejich použití
AU2017311636B2 (en) 2016-08-19 2023-08-10 Orasis Pharmaceuticals Ltd. Ophthalmi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uses relating thereto
US11337994B2 (en) 2016-09-15 2022-05-24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In situ gelling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inflammation and tissue damage
CZ2016826A3 (cs) 2016-12-22 2018-07-04 Contipro A.S. Léčivý prostředek s nosičem na bázi hyaluronanu a/nebo jeho derivátů, způsob výroby a použití
CZ2016827A3 (cs) * 2016-12-23 2018-02-07 Contipro A.S. Oftalmologický prostředek
US11129862B2 (en) 2017-08-30 2021-09-28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Ophthalmic compositions
JP6279801B1 (ja) * 2017-09-19 2018-02-14 株式会社らいむ 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246994B2 (en) 2017-10-19 2022-02-15 Lifecell Corporation Methods for introduction of flowable acellular tissue matrix products into a hand
IT201700122135A1 (it) * 2017-10-26 2019-04-26 Jointherapeutics S R L Acido ialuronico funzionalizzato o suo derivato nel trattamento di stati infiammatori
WO2020144372A1 (en) 2019-01-10 2020-07-16 The Provost, Fellows, Scholars And Other Members Of Board Of Trinity College Dublin Composite viscoelastic hydrogel, and uses thereof for sealing a channel in tissue
AU2019207781A1 (en) 2018-01-10 2020-07-30 The Provost, Fellows, Scholars And Other Members Of Board Of Trinity College Dublin System and methods for sealing a channel in tissue
KR20230079489A (ko) 2018-04-24 2023-06-07 알러간, 인코포레이티드 안구 증상의 치료를 위한 필로카르핀 염산염의 용도
IT201900006250A1 (it) 2019-04-23 2020-10-23 Fidia Farm Spa Medicazione per il trattamento della cute lesa
CA3097819A1 (en) 2018-05-09 2019-11-14 Ferrosan Medical Devices A/S Method for preparing a haemostatic composition
WO2020016820A1 (en) 2018-07-18 2020-01-23 Bio-Technology General (Israel) Ltd. Process of, and arrangement for, sterile filtering a non-newtonian liquid and formulation of a liquid obtainable thereby
WO2020240034A1 (en) 2019-05-31 2020-12-03 University College Dublin Hyaluronic acid-based hybrid hydrogel
US20230133656A1 (en) * 2019-07-03 2023-05-04 Molly Sandra Shoichet Hydrogel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IT201900019762A1 (it) 2019-10-24 2021-04-24 Fidia Farm Spa Composizione farmaceutica per uso nel trattamento della cistite di varia eziologia
CZ308980B6 (cs) * 2020-01-24 2021-11-03 Contipro A.S. Dentální přípravek z vláken na bázi kyseliny hyaluronové s regulovatelnou biodegradabilitou
WO2022117567A1 (en) 2020-12-02 2022-06-09 Anika Therapeutics S.R.L. Bioabsorbable textiles and methods for joint function restoration
IT202000032243A1 (it) 2020-12-23 2022-06-23 Fidia Farm Spa Nuovi agenti antivirali
IT202100012737A1 (it) 2021-05-18 2022-11-18 Jointherapeutics S R L Miscele di polisaccaridi e poliamminosaccaridi con proprietà reologiche migliorate
IT202100013787A1 (it) 2021-05-27 2022-11-27 Farmigea Spa Composizione per l’uso nel trattamento di affezioni oculari, quali sindrome dell’occhio secco, specialmente post-chirurgico oftalmico / a composition for use in the treatment of ocular affections, such as dry eye disease, especially after eye surgery
IT202100032111A1 (it) 2021-12-22 2023-06-22 Fidia Farm Spa Nuovi sostituti biocompatibili dell’umor vitreo
IT202200004613A1 (it) 2022-03-10 2023-09-10 Cmed Aesthetics S R L “procedimento di preparazione di prodotti sterili”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2236A (en) * 1964-01-29 1968-09-17 Chemstrand Ltd Manufacture and treatment of synthetic fibres and fabrics containing the same
US3474163A (en) * 1967-11-22 1969-10-21 Celanese Corp Process of spinning filaments of vinylidene cyanide
US4141973A (en) * 1975-10-17 1979-02-27 Biotrics, Inc. Ultrapure hyaluronic acid and the use thereof
JPS53105583A (en) * 1977-02-25 1978-09-13 Grelan Pharmaceut Co Ltd Polysaccharide sulfate derivative
DE2736065A1 (de) * 1977-08-10 1979-02-22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ydrophilen faeden und fasern nach dem trocken-duesen-nasspinnverfahren
JPS5436388A (en) * 1977-08-26 1979-03-17 Sumitomo Electric Ind Ltd Porous polysaccharide and its preparation
JPS5629597A (en) * 1979-08-21 1981-03-24 Seikagaku Kogyo Co Ltd Alkyl glycoside of constituent unit disaccharide of acid mucopolysaccharide and oligosaccharide consisting of said disaccharide, and preparation thereof
US4352770A (en) * 1980-04-30 1982-10-05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Process for forming shaped cellulosic product
FR2482603A1 (fr) * 1980-05-14 1981-11-20 Pharmindustrie Nouveaux esters d'heparine utilisables pour la preparation de medicaments, et procedes pour leur preparation
US4328803B1 (en) * 1980-10-20 1994-01-11 Opthalmic Systems, Inc. Opthalmological procedures
FR2519987A1 (fr) * 1982-01-15 1983-07-22 Choay Sa Trisaccharides a structures d-glucosamine, acide d-glucuronique, d-glucosamine et leur preparation
US4593091A (en) * 1981-08-04 1986-06-03 Fidia, S.P.A. Method for preparing ganglioside derivatives and use thereof i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JPS5837001A (ja) * 1981-08-27 1983-03-04 Green Cross Corp:The ヒアルロン酸の製造法
SE8200751L (sv) * 1982-02-09 1983-08-10 Olle Larm Forfarande for kovalent koppling for framstellning av konjugat och hervid erhallna produkter
JPS58135551U (ja) * 1982-03-09 1983-09-12 株式会社クボタ トラクタの駆動構造
US4551296A (en) * 1982-03-19 1985-11-05 Allied Corporation Producing high tenacity, high modulus crystalline article such as fiber or film
US5166331A (en) * 1983-10-10 1992-11-24 Fidia, S.P.A. Hyaluronics acid fractions, method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US4440711A (en) * 1982-09-30 1984-04-03 Allied Corporation Method of preparing high strength and modulus polyvinyl alcohol fibers
JPS59110612A (ja) * 1982-12-15 1984-06-26 Pola Chem Ind Inc 毛髪処理剤
US4517295A (en) * 1983-02-18 1985-05-14 Diagnostic, Inc. Hyaluronic acid from bacterial culture
JPS59219209A (ja) * 1983-05-28 1984-12-10 Kanebo Ltd 皮膚化粧料
JPS6028401A (ja) * 1983-07-27 1985-02-13 Advance Res & Dev Co Ltd トリグリセリド低下活性多糖類
NO169637C (no) * 1983-10-11 1992-07-22 Fidia Spa Fremgangsmaate for fremstilling av terapeutisk aktive hyaluronsyre-fraksjoner
JPS60116618A (ja) * 1983-11-30 1985-06-24 Shiseido Co Ltd 化粧料
CA1238043A (en) * 1983-12-15 1988-06-14 Endre A. Balazs Water insoluble preparations of hyaluronic acid and processes therefor
JPS60130601A (ja) * 1983-12-15 1985-07-12 バイオマトリツクス,インコ−ポレイテツド ヒアルロン酸水不溶性組成物の製法
US4716224A (en) * 1984-05-04 1987-12-29 Seikagaku Kogyo Co. Ltd. Crosslinked hyaluronic acid and its use
US4695624A (en) * 1984-05-10 1987-09-22 Merck & Co., Inc. Covalently-modified polyanionic bacterial polysaccharides, stable covalent conjugates of such polysaccharides and immunogenic proteins with bigeneric spacers, and methods of preparing such polysaccharides and conjugates and of confirming covalency
US4636524A (en) * 1984-12-06 1987-01-13 Biomatrix, Inc. Cross-linked gels of hyaluronic acid and products containing such gels
US4582865A (en) * 1984-12-06 1986-04-15 Biomatrix, Inc. Cross-linked gels of hyaluronic acid and products containing such gels
US4713448A (en) * 1985-03-12 1987-12-15 Biomatrix, Inc. Chemically modified hyaluronic acid preparation and method of recovery thereof from animal tissues
IL78720A (en) * 1985-05-09 1990-01-18 Hill David Cullis Preparation of high-purity hyaluronic acid from synovial fluid
US4851521A (en) * 1985-07-08 1989-07-25 Fidia, S.P.A. Esters of hyaluronic acid
GB8519416D0 (en) * 1985-08-01 1985-09-04 Unilever Plc Oligosaccharides
DE3684887D1 (de) * 1985-11-29 1992-05-21 Biomatrix Inc Arzneistoffabgabesysteme auf basis von hyaluronan, dessen derivaten und salzen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4696677A (en) * 1986-04-11 1987-09-29 Merck & Co., Inc. Quaternary ammonium salts of anionic gums
IT1198449B (it) * 1986-10-13 1988-12-21 F I D I Farmaceutici Italiani Esteri di alcoli polivalenti di acido ialuronic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40242A (ko) * 2010-02-19 2012-12-28 큐피가부시키가이샤 수식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 염, 그리고 그 제조 방법 및 이것을 함유하는 화장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201966B (en) 1991-01-28
NZ233045A (en) 1992-05-26
DE3650501T2 (de) 1996-11-21
FI94766C (fi) 1995-10-25
IN165582B (ko) 1989-11-25
AU591501B2 (en) 1989-12-07
DE3650501D1 (de) 1996-04-25
FI94778C (fi) 1995-10-25
DK323686A (da) 1987-01-09
FI94766B (fi) 1995-07-14
DE3650776T2 (de) 2004-03-11
ATE135713T1 (de) 1996-04-15
NO910295D0 (no) 1991-01-25
HUT42512A (en) 1987-07-28
CA1341603C (en) 2010-04-20
NO305369B1 (no) 1999-05-18
EP0216453A3 (en) 1988-10-26
FI892710A0 (fi) 1989-06-02
JP2569012B2 (ja) 1997-01-08
AR242593A1 (es) 1993-04-30
AU5983686A (en) 1987-02-26
ATE227741T1 (de) 2002-11-15
US4851521A (en) 1989-07-25
FI94767B (fi) 1995-07-14
PT82941B (pt) 1988-05-27
FI862878A (fi) 1987-01-09
NO910295L (no) 1987-01-09
FI901341A0 (fi) 1990-03-16
FI912618A0 (fi) 1991-05-31
FI862878A0 (fi) 1986-07-08
IL79362A (en) 1995-07-31
IE81120B1 (en) 2000-03-22
KR870001230A (ko) 1987-03-12
DE3650776D1 (de) 2002-12-19
NO862734D0 (no) 1986-07-07
JPS6264802A (ja) 1987-03-23
FI892711A0 (fi) 1989-06-02
NO175716B (no) 1994-08-15
DK323686D0 (da) 1986-07-07
PT82941A (en) 1986-08-01
FI892710A (fi) 1989-06-02
NO175716C (no) 1994-11-23
FI94778B (fi) 1995-07-14
US5336767A (en) 1994-08-09
DK175661B1 (da) 2005-01-10
FI94767C (fi) 1995-10-25
US4965353A (en) 1990-10-23
EP0216453B1 (en) 1996-03-20
IL79362A0 (en) 1986-10-31
FI892711A (fi) 1989-06-02
IE861813L (en) 1987-01-08
EP0216453A2 (en) 1987-04-01
FI912619A0 (fi) 1991-05-31
EP0696598B1 (en) 2002-11-13
SG90006A1 (en) 2002-07-23
CA1341276C (en) 2001-07-31
NO862734L (no) 1987-01-09
EP0696598A1 (en) 1996-02-14
NZ216786A (en) 1992-05-26
PH25189A (en) 1991-03-27
ES2001512A6 (es) 1988-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1901B1 (ko) 히알루론산 에스테르와 그 염의 제조방법
US5202431A (en) Partial esters of hyaluronic acid
JP2648308B2 (ja) ヒアルロン酸の架橋エステル
EP0341745B1 (en) Crosslinked carboxy polysaccharides
EP0251905B1 (en) Esters of alginic acid
US5264422A (en) Esters of alginic acid with steroidal alcohols
WO2002032407A2 (de) Verwendung von hyaluronsäure-derivaten zur hemmung von entzündlichen arthritiden
US5147861A (en) Esters of alginic acid
IE83813B1 (en) Polysaccharide esters and their sal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1

Year of fee payment: 1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