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0078B1 - 산화막의 형성 방법, 질화막의 형성 방법, 산질화막의 형성 방법, 산화막의 스퍼터링 방법, 질화막의 스퍼터링 방법, 산질화막의 스퍼터링 방법, 게이트 절연막의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산화막의 형성 방법, 질화막의 형성 방법, 산질화막의 형성 방법, 산화막의 스퍼터링 방법, 질화막의 스퍼터링 방법, 산질화막의 스퍼터링 방법, 게이트 절연막의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0078B1
KR100760078B1 KR1020027011935A KR20027011935A KR100760078B1 KR 100760078 B1 KR100760078 B1 KR 100760078B1 KR 1020027011935 A KR1020027011935 A KR 1020027011935A KR 20027011935 A KR20027011935 A KR 20027011935A KR 100760078 B1 KR100760078 B1 KR 100760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lasma
substrate
gas
nit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1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9386A (ko
Inventor
다다히로 오미
스가와시게토시
Original Assignee
다다히로 오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다히로 오미 filed Critical 다다히로 오미
Publication of KR20030009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9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8/00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8/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4Inorganic layers
    • H01L21/316Inorganic layers composed of oxides or glassy oxides or oxide based glass
    • H01L21/31604Deposition from a gas or vapour
    • H01L21/31641Deposition of Zirconium oxides, e.g. ZrO2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8/00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8/06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gases
    • C23C8/36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gases using ionised gases, e.g. ionitri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2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 H01L21/021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the material being a silicon nitride not containing oxygen, e.g. SixNy or SixByNz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2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process other than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process other than a deposition process formation by oxidation, e.g. oxidation of the substrate
    • H01L21/0223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process other than a deposition process formation by oxidation, e.g. oxidation of the substrat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or a semiconductor layer
    • H01L21/0223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process other than a deposition process formation by oxidation, e.g. oxidation of the substrat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or a semiconductor layer group IV semiconductor
    • H01L21/02238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process other than a deposition process formation by oxidation, e.g. oxidation of the substrat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or a semiconductor layer group IV semiconductor silicon in uncombined form, i.e. pure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2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process other than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4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process other than a deposition process formation by nitridation, e.g. nitridation of the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2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process other than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5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process other than a deposition process formation by plasma treatment, e.g. plasma oxidation of the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9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 H01L21/02318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ost-treatment
    • H01L21/02321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ost-treatment introduction of substances into an already existing insulating layer
    • H01L21/0232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ost-treatment introduction of substances into an already existing insulating layer introduction of oxyge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9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 H01L21/02318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ost-treatment
    • H01L21/02321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ost-treatment introduction of substances into an already existing insulating layer
    • H01L21/0232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ost-treatment introduction of substances into an already existing insulating layer introduction of nitroge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9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 H01L21/02318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ost-treatment
    • H01L21/0233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ost-treatment treatment by exposure to a gas or vapour
    • H01L21/0234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ost-treatment treatment by exposure to a gas or vapour treatment by exposure to a plasm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4Inorganic layers
    • H01L21/3143Inorganic layers composed of alternated layers or of mixtures of nitrides and oxides or of oxinitrides, e.g. formation of oxinitride by oxidation of nitride layers
    • H01L21/3144Inorganic layers composed of alternated layers or of mixtures of nitrides and oxides or of oxinitrides, e.g. formation of oxinitride by oxidation of nitride layers on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4Inorganic layers
    • H01L21/316Inorganic layers composed of oxides or glassy oxides or oxide based glass
    • H01L21/31604Deposition from a gas or vapour
    • H01L21/31608Deposition of SiO2
    • H01L21/31612Deposition of SiO2 on a silicon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4Inorganic layers
    • H01L21/316Inorganic layers composed of oxides or glassy oxides or oxide based glass
    • H01L21/31604Deposition from a gas or vapour
    • H01L21/31637Deposition of Tantalum oxides, e.g. Ta2O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4Inorganic layers
    • H01L21/316Inorganic layers composed of oxides or glassy oxides or oxide based glass
    • H01L21/3165Inorganic layers composed of oxides or glassy oxides or oxide based glass formed by oxidation
    • H01L21/31654Inorganic layers composed of oxides or glassy oxides or oxide based glass formed by oxidation of semiconductor materials, e.g. the body itself
    • H01L21/31658Inorganic layers composed of oxides or glassy oxides or oxide based glass formed by oxidation of semiconductor materials, e.g. the body itself by thermal oxidation, e.g. of SiGe
    • H01L21/31662Inorganic layers composed of oxides or glassy oxides or oxide based glass formed by oxidation of semiconductor materials, e.g. the body itself by thermal oxidation, e.g. of SiGe of silicon in uncombined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4Inorganic layers
    • H01L21/318Inorganic layers composed of nitrides
    • H01L21/3185Inorganic layers composed of nitrides of siliconnitr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1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 H01L27/10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24Gate electrodes for transistors with a floating g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4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4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 H10B41/42Simultaneous manufacture of periphery and memory cells
    • H10B41/49Simultaneous manufacture of periphery and memory cells comprising different types of peripheral transisto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9/00Erasable-and-programmable ROM [EPROM]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10B41/00 - H10B63/00, e.g. ultraviolet erasable-and-programmable ROM [UVEPROM]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2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 H01L21/021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the material containing Si, O, and at least one of H, N, C, F, or other non-metal elements, e.g. SiOC, SiOC:H or SiONC
    • H01L21/0214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the material containing Si, O, and at least one of H, N, C, F, or other non-metal elements, e.g. SiOC, SiOC:H or SiONC the material being a silicon oxynitride, e.g. SiON or SiON: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2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 H01L21/02164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the material being a silicon oxide, e.g. SiO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6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 H01L21/02271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deposition by decomposition or reaction of gaseous or vapour phase compounds,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 H01L21/02274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deposition by decomposition or reaction of gaseous or vapour phase compounds,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the presence of a plasma [PECV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 Formation Of Insulating Film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상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절연막을 Kr 혹은 Ar를 불활성 가스로 한 플라스마에 따라 생성된 원자상태 산소 O* 혹은 원자상태 질화 수소 NH*에 노출하고, 막질을 개변하는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절연막의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산화막의 형성 방법, 질화막의 형성 방법, 산질화막의 형성 방법, 산화막의 스퍼터링 방법, 질화막의 스퍼터링 방법, 산질화막의 스퍼터링 방법, 게이트 절연막의 형성 방법{METHOD FOR FORMING DIELECTRIC FILM}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과 관한 것으로, 특히 절연막의 형성 방법, 및 플래시 메모리 소자를 포함한 전기적으로 정보의 개서(rewrite)가 가능한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는 휘발성 메모리 장치인 DRAM나 SRAM, 비휘발성 메모리인 마스크 ROM이나 PROM, EPROM, EEPROM 등이 포함되지만, 메모리 셀 1개당 1개의 트랜지스터를 갖는 EEPROM인 이른바 플래시 메모리는 소형·대용량·저소비 전력을 특징으로 하고, 그 개량을 향해 막대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플래시 메모리를 저전압으로 장기간에 걸쳐 안정되게 구동하기에는 균일로 뛰어난 막질의 유전체막이 필요 불가결하다.
또, 균일로 누설(leak) 전류가 적은 뛰어난 막질의 절연막은 플래시 메모리만이 아니고 커패시터를 갖는 다른 여러 가지 반도체 장치, 예를 들면 강유전체 반도체 메모리 소자에 있어서 강유전체 커패시터를 구성하는 강유전체막에 있어서도 중요하다. 또한, 균일로 누설 전류가 적은 뛰어난 막질의 고유전체막은, 게이트 길이가 0.1㎛ 이하의 고속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게이트 절연막으로서도 중요하다.
우선, 종래의 플래시 메모리 소자를 일반적인 적층형 게이트(stacked-gate) 구조를 갖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실리콘 기판(1700) 상에 구성되어 있고, 상기 실리콘 기판(1700) 중에 형성된 소스 영역(1701) 및 드레인 영역(1702)과, 상기 실리콘 기판(1700) 상에 있어서 상기 소스 영역(1701)과 드레인 영역(1702)의 사이에 형성된 터널 게이트 산화막(1703)과, 상기 터널 게이트 산화막(1703) 상에 형성된 플로팅 게이트(1704)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팅 게이트(1704) 상에는 실리콘 산화막(1705)과 실리콘 질화막(1706)과 실리콘 산화막(1707)이 차례차례 적층(積層)되고, 또한, 상기 실리콘 산화막(1707) 상에는 콘트롤 게이트(1708)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적층 구조의 플래시 메모리 셀에서는, 도 1에 나타내듯이, 플로팅 게이트(1704)와 콘트롤 게이트(1708)가 절연막(1705, 1706 및 1707)에 의해 이루어지는 절연 구조를 사이에 끼우듯이 적층되어 있다.
상기 플로팅 게이트(1704)와 콘트롤 게이트(1705)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절연 구조는, 플로팅 게이트(1704)와 콘트롤 게이트(1705) 사이의 누설 전류를 억제하기 때문에, 이와 같이 질화물막(1706)을 산화물막(1705 및 1707)으로 끼운 이른바 ONO(Oxide Nitride Oxide) 구조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상의 플래시 메모리 소자에서는, 터널 게이트 산화막(1703) 및 실리콘 산화막(1705)은 열산화법으로, 또, 실리콘 질화막(1706) 및 실리콘 산화막(1707)은 CVD(Chemical Vapor Deposition)법으로 형성된다. 실리콘 산화막(1705)은 CVD로 형성되는 경우도 있 다. 터널 게이트 산화막(1703)의 막 두께는 8㎚ 정도이고 절연막(1705, 1706, 1707)의 막 두께의 총계는 산화막 두께 환산으로 15㎚ 정도이다. 또, 이 메모리 셀 외에 3∼7㎚ 정도의 두께의 게이트 산화막을 갖는 저전압용 트랜지스터와 15∼30㎚ 두께의 게이트 산화막을 갖는 고전압용 트랜지스터가 동일 실리콘 상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적층 구조의 플래시 메모리 셀에서는, 정보의 기입시에 드레인(1702)에 약 5∼7V를 인가하고, 또한, 콘트롤 게이트(1708)에 12V 정도 이상의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드레인 영역(1702) 부근에 발생하는 채널 핫 전자(channel hot electron)를 터널 절연막(1703)을 통해 플로팅 게이트에 축적한다. 또, 이와 같이 하여 축적된 전자를 소거할 때에는, 드레인 영역(1702)을 플로팅(floating)으로 하고, 콘트롤 게이트(1708)를 접지하고, 소스 영역(1701)에 12V 정도 이상의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플로팅 게이트(1704)에 축적된 전자를 상기 소스 영역(1701)으로 뽑아 낸다.
그러나, 이 종래의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정보의 기입 및 소거 동작시에 고전압을 필요로 하고, 이 고전압의 인가에 의해 다량의 기판 전류가 발생하여 터널 절연막이 열화하고, 소자의 특성의 저하를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고전압의 인가가 원인으로 되어 개서 회수의 제한이나 과소거(過消去) 등의 문제가 내포되어 있다.
종래의 플래시 메모리 소자에 있어서 고전압을 인가하지 않으면 안되는 원인은, 절연막(1705, 1706 및 1707)으로 이루어지는 ONO 막의 막 두께가 두꺼운데 있 다.
종래의 막 형성 기술에서는, 플로팅 게이트(1704) 상에 상기 절연막(1705)으로서 산화막을 형성할 때에 열산화 등의 고온 처리를 사용하면 폴리 실리콘 게이트(1704)와 상기 산화막의 계면(界面)이 서말 버짓(thermal budget) 등의 영향으로 투박하게 되어 버리는 문제가 생기고 있었다. 한편, 이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서 CVD 등의 저온 처리로 이 산화막을 형성하려고 할 경우, 고품질로 박막의 산화막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했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의 플래시 메모리 소자에서는 절연막(1705, 1706, 1707)의 막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절연막의 누설 전류를 억제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나, 절연막(1705, 1706, 1707)의 막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이 종래의 플래시 메모리 소자에서는 기입 및 소거 전압이 필연적으로 높아져 버리고, 그 결과 상기 터널 게이트 절연막(1703)도 고전압에 견디도록 두껍게 할 필요가 있었다.
막 두께가 작아도 누설 전류가 적은 뛰어난 막질의 절연막은, 플래시 메모리만이 아니고, 다른 여러 가지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도 바람직한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한 신규하고 유용한 유전체막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개괄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과제는, 실질적인 누설 전류를 일으키는 일 없이 막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고품질로 균일한 산화막, 질화막 혹은 산질화막(酸窒化膜)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기판상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기판상에 형성된 산화막을 원자상태 산소 O*에 노출하고, 막질을 개변(改變)하는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막질을 개변하는 공정은, Kr 혹은 Ar 가스와 산소 가스의 혼합 가스 중에 플라스마를 마이크로파에 의해 여기하는 공정과, 상기 산화막을 상기 플라스마에 노출하는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막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자상태 산소 O*는 상기 기판상에 형성된 산화막 중에 용이하게 침입하고, 상기 산화막 중의 댕글링본드(dangling bond) 혹은 위크본드(weak bond)를 종단한다. 그 결과, 예를 들면 CVD법에 의해 형성된 SiO2 막이어도, 이 원자상태 산소 O*에의 노출의 결과, 열산화막에 가까운 막질을 가지도록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산화막은, 계면 준위가 적고, 화학량론 조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조성을 가지고 누설 전류가 적은 특징을 가진다. 상기 원자상태 산소 O*는, Kr와 산소의 혼합 가스를 마이크로파 여기(勵起)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이미 형성되어 있는 질화막의 막질을 개선할 수 있는 질화막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기판상에 질화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기판상에 형성된 질화막을 질화 수소 라디칼(radical) NH*에 노출하고, 막질을 개변하는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막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질화 수소 라디칼 NH*는 상기 기판상에 형성된 질화막 중에 용이하게 침입하고, 상기 질화막 중의 결함을 보상한다. 그 결과, 이 처리가 실시된 실리콘 질화막은 Si3N4의 화학량론 조성에 가까운 조성을 가지고, 계면 준위가 적고, 누설 전류가 적은 특징을 가진다. 또한, 이 처리를 실시한 실리콘 질화막에서는, 막 중에 축적되는 왜곡이 감소한다. 상기 질화 수소 라디칼 NH*는, Kr와 산소의 혼합 가스를 마이크로파 여기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외의 과제는, 기판상에의 산화막의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산화막을 상기 기판상에 CVD법에 의해 퇴적하면서, 동시에 플라스마 중에 생성하는 원자상태 산소에 의해, 상기 퇴적한 산화막을 처리하는 산화막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그 외의 과제는,
처리실 내에 Kr 혹은 Ar에 의해 이루어지는 불활성 가스와 산소 가스를 도입하고, 마이크로파에 의해 여기함으로써 플라스마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처리실 중에 처리 가스를 도입하고, 상기 처리 가스의 상기 플라스마에 의한 활성화에 의해, 상기 처리실 중에 있어서 기판상에 산화막을 퇴적하는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산화막의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산화막은 퇴적과 동시에 상기 플라스마 중에 생성하는 원자상태 산소 O*에 의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막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그 외의 과제는, 기판상에의 질화막의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질화막을 상기 기판상에 CVD법에 의해 퇴적하면서, 동시에 플라스마 중에 생성하는 질화 수소 라디칼에 의해 상기 퇴적한 질화막을 처리하는 질화막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처리실 내에 Kr 혹은 Ar에 의해 이루어지는 불활성 가스와 질소 및 수소를 포함하는 가스를 도입하고, 마이크로파에 의해 여기함으로써 플라스마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처리실 중에 처리 가스를 도입하고, 상기 처리 가스의 상기 플라스마에 의한 활성화에 의해, 상기 처리실 중에 있어서 기판상에 질화막을 퇴적하는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질화막의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질화막은 퇴적과 동시에 상기 플라스마 중에 생성하는 질화 수소 라디칼 NH*에 의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막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그 외의 과제는, 기판상에의 산질화의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산 질화막을 상기 기판상에 CVD법에 의해 퇴적하면서, 동시에 플라스마 중에 생성하는 원자상태 산소 및 질화 수소 라디칼에 의해, 상기 퇴적한 산질화막을 처리하는 산질화막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그 외의 과제는,
처리실 내에 Kr 혹은 Ar에 의해 이루어지는 불활성 가스와 산소 가스와 질소 및 수소를 포함하는 가스를 도입하고, 마이크로파에 의해 여기함으로써 플라스마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처리실 중에 처리 가스를 도입하고, 상기 처리 가스의 상기 플라스마에 의한 활성화에 의해, 상기 처리실 중에 있어서 기판상에 산질화막을 퇴적하는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산질화막의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산질화막은 퇴적과 동시에 상기 플라스마 중에 생성하는 원자상태 산소 및 질화 수소 라디칼에 의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질화막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그 외의 과제는, 기판상에의 산화막의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산화막을 상기 기판상에 스퍼터링(sputtering)법에 의해 퇴적하면서, 동시에 플라스마 중에 생성하는 원자상태 산소에 의해, 상기 퇴적한 산화막을 처리하는 산화막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그 외의 과제는,
처리실 중에 있어서 기판상에 타겟(target)의 스퍼터링에 의해 산화막을 퇴적하는 공정과,
상기 처리실 중에 있어서, Kr 혹은 Ar에 의해 이루어지는 불활성 가스와 산소 가스를 마이크로파 여기함으로써, 플라스마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플라스마 중에 생성된 원자상태 산소 O*에 의해, 상기 산화막을 처리하는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막의 스퍼터링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그 외의 과제는, 기판상에의 질화막의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질화막을 상기 기판상에 스퍼터링법에 의해 퇴적하면서, 동시에 플라스마 중에 생성하는 질화 수소 라디칼에 의해 상기 퇴적한 질화막을 처리하는 질화막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그 외의 과제는,
처리실 중에 있어서 기판상에 타겟의 스퍼터링에 의해 질화막을 퇴적하는 공정과,
상기 처리실 중에 있어서, Kr 혹은 Ar에 의해 이루어지는 불활성 가스와 질소 및 수소를 포함하는 가스를 마이크로파 여기함으로써, 플라스마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플라스마 중에 생성된 질화 수소 라디칼 NH*에 의해, 상기 질화막을 처리하는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막의 스퍼터링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그 외의 과제는, 기판상에의 산질화의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산질화막을 상기 기판상에 스퍼터링법에 의해 퇴적하면서, 동시에 플라스마 중에 생 성하는 원자상태 산소 및 질화 수소 라디칼에 의해, 상기 퇴적한 산질화막을 처리하는 산질화막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그 외의 과제는,
처리실 중에 있어서 기판상에 타겟의 스퍼터링에 의해 산질화막을 퇴적하는 공정과,
상기 처리실 중에 있어서, Kr 혹은 Ar에 의해 이루어지는 불활성 가스와 산소 가스와 질소 및 수소를 포함하는 가스를 마이크로파 여기함으로써, 플라스마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플라스마 중에 생성된 원자상태 산소 O* 및 질화 수소 라디칼 NH*에 의해, 상기 산질화막을 처리하는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질화막의 스퍼터링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그 외의 과제는, 기판상에의 질화막과 고유전체막(高誘電體膜)을 적층한 게이트 절연막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그 외의 과제는, 기판상에의 게이트 절연막의 형성 방법으로서,
기판 표면에 질화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질화막을 질화 수소 라디칼 NH*에 의해 처리하는 공정과,
상기 처리된 질화막 상에 고유전체막을 퇴적하는 공정과,
상기 고유전체막의 표면을 질화 수소 라디칼 NH*에 의해 처리하고, 질화막을 형성하는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절연막의 형성 방법 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그 외의 과제는, 기판상에의 게이트 절연막의 형성 방법으로서,
기판 표면에 산질화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산질화막을 질화 수소 라디칼 NH*와 원자상태 산소 O*에 의해 처리하는 공정과,
상기 처리된 산질화막 상에 고유전체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고유전체막의 표면을 질화 수소 라디칼 NH*에 의해 처리하고, 질화막을 형성하는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절연막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그 외의 특징 및 이점은,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행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분명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단면 구조의 개략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2는 래디얼(radial) 라인 슬롯 안테나를 이용한 플라스마 장치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해 형성된 산화막에 대해서 얻어진 산화 막 두께와 처리실 내의 가스 압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해 형성된 산화막에 대해서 얻어진 산화 막 두께의 산화 시간 의존성을 나타내는 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실리콘 산화막 중의 Kr 밀도의 깊이 방향 분포를 나타내는 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실리콘 산화막의 계면 준위 밀도를 나타내는 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실리콘 산화막 중의 계면 준위 밀도와 절연 내압(耐壓)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
도 8(a), 8(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얻어진 실리콘 산화막 중의 계면 준위 밀도 및 절연 내압과 처리실 내의 전압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해 형성된 질화막에 대해서, 질화막 두께의 처리실 내 가스 압력 의존성을 나타내는 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실리콘 질화막의 전류 전압 특성을 나타내는 도,
도 11(a), 11(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폴리(poly) 실리콘막의 산화 처리, 질화 처리 및 산질화 처리를 나타내는 도,
도 12(a), 12(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CVD 산화막의 개변 처리를 나타내는 도,
도 13은 CVD 산화막의 개변 처리의 효과를 나타내는 도,
도 14(a), 14(b)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고유전체막의 개변 처리를 나타내는 도,
도 15(a), 15(b)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강유전체막의 개변 처리를 나타내는 도,
도 16(a), 16(b)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의한 저유전율 절연막의 개변 처리를 나타내는 도,
도 17(a)∼17(e)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의한 질화막의 개변 처리를 나타내는 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의한 개변 처리를 하면서 실행되는 산화막의 막 형성 처리를 나타내는 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의한 개변 처리를 하면서 실행되는 고유전체막의 스퍼터링 처리를 나타내는 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의한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21∼24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의한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의한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의한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우선, 플라스마를 이용한 저온의 산화막 형성에 대해서 말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산화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래디얼 라인 슬롯 안테나를 이용한 마이크로파 플라스마 처리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WO98/33362호 공보 참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산화막 형성시를 위해서 Kr를 플라스마 여기 가스로서 사용하고 있는 것에 신규한 특징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마이크로파 플라스마 처리 장치는 피처리 기판(103)을 보관 유지하는 시료대(104)를 구비한 진공 용기(처리실)(101)를 가지고, 상기 처리실(101) 내를 진공으로 하고, 상기 처리실(101)의 벽면의 일부에 형성한 샤워 플레이트(shower plate)(102)로부터 Kr 가스 및 O2 가스를 도입함으로써 처리실 내의 압력을 1Torr 정도로 설정한다. 또한, 실리콘 웨이퍼 등의 원형 모양의 기판을 상기 피처리 기판(103)으로서 가열 기구를 갖는 시료대(104)에 두고, 시료의 온도를 400℃ 정도로 설정한다. 이 온도 설정은 200 - 55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범위내이면 이하에 설명하는 결과는 거의 같은 것으로 된다.
다음에, 외부의 마이크로파원(microwave source)에 접속된 동축 도파관(105)으로부터, 래디얼 라인 슬롯 안테나(106) 및 유전체판(107)을 통해, 처리실(101) 내에 2.45㎓의 마이크로파를 공급하고, 처리실(101) 내에 고밀도의 플라스마를 생성한다. 공급하는 마이크로파의 주파수가 900㎒ 이상 10㎓ 이하의 범위에 있으면, 이하에 설명하는 결과는 거의 같은 것으로 된다. 샤워 플레이트(102)와 기판(103)의 간격은, 본 실시예에서는 6㎝로 하고 있다. 이 간격은 좁은 편이 보다 고속의 막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도 2의 마이크로파 플라스마 처리 장치에서는, 상기 피처리 기판(103)의 표면에 있어서 1×1012-3을 넘는 플라스마 밀도를 실현할 수 있다. 또, 형성되는 고밀도 플라스마는 마이크로파에 의해 여기되기 때문에 전자 온도가 낮고, 피처리 기판(103)의 표면에 있어서의 플라스마 전위는 10V 이하로 된다. 이 때문에 피처리 기판(103) 표면이 플라스마에 의해 손상되는 일이 없고, 또 처리실(101)의 플라스마 스퍼터링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피처리 기판(103)이 오염되는 일도 없다. 또, 플라스마 처리가 샤워 플레이트(102)와 피처리 기판(103) 사이의 좁은 공간에 있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반응 생성물은 상기 공간을 신속하게 측방(側方)으로 흐르고, 시료 보관 유지대(104)의 주위에 형성된 대용적의 공간으로부터 배기되기 때문에, 매우 균일한 처리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Kr 가스와 O2 가스가 혼합된 고밀도 여기 플라스마 중에서는, 중간 여기 상태에 있는 Kr*와 O2 분자가 충돌하고, 원자상태 산소 O* 가 효율적으로 발생하고, 이 원자상태 산소에 의해 기판 표면이 산화된다. 종래의 실리콘 표면의 산화는 H2O 분자 혹은 O2 분자에 의해 행해지고, 처리 온도는 800℃ 이상으로 대단히 높은 것이었지만, 본 발명의 원자상태 산소에 의한 산화는 550℃ 이하로 충분히 낮은 온도에서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산화막의 개질(改質) 방법은, 550℃ 이하의 저온에서 할 수 있으므로, 산화막 중의 댕글링본드를 종단하고 있는 수소를 이탈시키는 일 없이, 산소 결손을 회복시킬 수 있다. 이는 다음에 설명하는 질화막 혹은 산질화막의 형성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Kr*와 O2의 충돌 기회를 크게 하는데는, 처리실(101) 내의 압력이 높은 편이 바람직하지만, 너무 높게 하면, 발생한 O*끼리 충돌하고, O2 분자로 되돌아가 버린다. 이 때문에 당연한 최적 가스 압력이 존재한다.
도 3에 상기 처리실(101) 내에서의 Kr와 산소의 압력비를 Kr 97%, 산소 3%로 유지하면서 처리실(101)의 전체 압력을 바꾸었을 때, 얻어지는 산화막의 두께를 나타낸다. 다만, 도 3의 실험에서는 실리콘 기판 온도를 400℃로 설정하고 산화 처리를 10분간 행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처리실(101) 내의 가스압이 1Torr(약 133Pa)일 때에 얻어지는 산화막의 막 두께는 최대로 되고, 이 압력 내지는 그 근방의 산화 조건이 최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게다가, 이 최적 압력은 기판 실리콘의 면 방위(面方位)가 (100) 면에서도 (111) 면에서도 바뀌지 않는다.
도 4는 상기 Kr/O2 고밀도 플라스마를 이용한 실리콘 기판 표면의 산화 처리 시에 얻어지는 산화막의 막 두께와 산화 시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다만, 도 4중에는 실리콘 기판의 면 배향이 (100) 면과 (111) 면인 경우의 양쪽 모두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4에는 종래의 900℃의 드라이(dry) 열산화에 의한 산화 시간 의존성도 나타내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기판 온도 400℃, 처리실 내 압력 1Torr(약 133Pa)에서의 Kr/O2 고밀도 플라스마 산화 처리에 의한 산화 속도는, 기판 온도 900℃에서의 대기압 드라이 O2 산화시의 산화 속도보다 빠른 것을 알 수 있다.
또, 종래의 900℃ 드라이 열산화에서는 (111) 면 방위 실리콘의 쪽이 (100) 면 방위 실리콘보다 산화막의 성장 속도가 빠르지만, Kr/O2 고밀도 플라스마 산화에서는, 반대로 (111) 면 방위 실리콘의 쪽이 (100) 면 방위 실리콘보다 성장 속도가 늦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원래 Si 기판에서는 (111) 면 방위의 쪽이 (100) 면보다 실리콘의 면 원자(面原子) 밀도가 많기 때문에, 산소 라디칼의 공급량이 같다면 산화 속도는 (111) 면의 쪽이 (100) 면보다 늦어질 것이다. Kr/O2 고밀도 플라스마를 이용한 실리콘 기판 표면 산화에서는, 이 예측대로 되어 있고, (111) 면상에도 (100) 면과 같이 치밀한 산화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대해 종래의 열산화 처리에서는, (111) 면의 산화 속도의 쪽이 (100) 면의 산화 속도보다 크게 되어 있지만, 이는 형성되어 있는 (111) 면의 산화막이 (100) 면상에 형성된 산화막에 비해 거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상기의 순서로 형성되는 실리콘 산화막 중의 Kr 밀도의 깊이 방향 분포를 전반사 형광 X선 분광장치를 이용하여 조사한 것이다. 다만, 도 5의 실험에서는, 실리콘 산화막의 형성은 Kr 중의 산소 분압을 3%, 처리실 내의 압력을 1Torr(약 133Pa)로 하고 기판 온도를 400℃로 설정하여 행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Kr의 면밀도는 실리콘/실리콘 산화막 계면에 근접함에 따라 감소하지만, 실리콘 산화막 표면에서는 2×1011-2 정도의 밀도로 포함된다. 즉, 도 5는 Kr/O2 고밀도 플라스마를 이용한 실리콘 기판 표면 산화에서 형성되는 실리콘 산화막은 막 두께가 4㎚ 이상인 경우에는 Kr 농도가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실리콘/실리콘 산화막의 계면으로 향해 Kr 농도가 감소하는 막으로 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실리콘 산화막 형성 방법에 의하면, 1010-2 이상의 면밀도의 Kr가 실리콘 산화막 중에 함유된다. 도 5의 결과는 실리콘의 (100) 면상에 있어서도, 또 (111) 면상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얻어진다.
도 6은 산화막의 계면 준위 밀도를 저주파 C-V 측정으로부터 구한 결과이다. 실리콘 산화막의 형성은 도 2에 나타낸 장치를 이용하여, 기판 온도 400℃로 막 형성했다. 희가스(rare gas) 중의 산소의 분압은 3%, 처리실 내의 압력은 1Torr(약 133Pa)로 고정했다. 비교를 위해서 900℃ 산소 100%의 분위기로 막 형성한 열산화막의 계면 준위 밀도도 동시에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Kr 가스를 이용하여 막 형성한 산화막의 계면 준위 밀도는 (100) 면, (111) 면 모두 낮고, 900℃의 드라이 산화 분위기로 막 형성한(100) 면에 형성한 열산화막의 계면 준위 밀도와 동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해, (111) 면에 형성한 열산화막의 계면 준위 밀도는 이들에 비해 한자리 수 이상 크다.
이는 다음과 같은 기구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실리콘 결정을 산화막측에서 보면, (100) 면에서는 실리콘 원자의 결합이 2개, (111) 면에서는 실리콘의 결합이 1개와 3개가 교대로 나타난다. 그래서 종래의 (111) 면의 열산화 처리에서는, (111) 면에 있는 실리콘 원자의 3개의 결합에 산소 원자가 결합하여 버리면, 그 실리콘 원자의 뒤(後) 측의 결합이 성장하여 위크본드로 되거나, 끊어져 댕글링본드가 되거나 하여 계면 준위가 증가하여 버린다.
이에 대해, Kr와 O2의 혼합 가스의 고밀도 여기 플라스마 산화를 하면, 중간 여기 상태에 있는 Kr*와 O2 분자가 충돌하여 원자상태 산소 O*가 효율적으로 발생하고, 이 원자상태 산소가 위크본드나 댕글링본드인 곳에 효율 좋게 이르러 실리콘-산소의 새로운 결합을 만듬으로써, (111) 면에 있어서도 계면 준위를 저감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실리콘 산화막 막 형성 분위기에 있어서의 Kr 중에서의 산소의 분압과, 실리콘 산화막의 절연 내압, 및 막 형성된 실리콘 산화막 중의 계면순위 밀도의 관계를 처리실 내의 압력을 1Torr(약 133Pa)로 막 형성하여 측정하면, (100) 면, (111) 면 모두 동일의 결과가 얻어지고, Kr 중의 산소 분압이 3%일 때, 계면순위 밀도는 최 소로 되고, 열산화막 중에서의 계면순위 밀도와 동등의 값이 얻어진다. 또, 실리콘 산화막의 절연 내압도 산소 분압 3% 부근에서 최대로 된다. 이로부터 Kr/O2 혼합 가스를 이용하여 산화를 행할 때의 산소 분압은 2 - 4%가 매우 적합하다.
도 7은 실리콘 산화막 막 형성시의 압력과 실리콘 산화막의 절연 내압, 계면순위 밀도의 관계이다. 이때 산소의 분압은 3%로 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막 형성시의 압력이 1Torr(약 133Pa) 부근에서 실리콘 산화막의 절연 내압은 최대로 되고, 계면순위 밀도는 최소로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의 결과로부터 Kr/O2 혼합 가스를 이용하여 산화막을 형성하는 경우의 압력은 800 - 1200mTorr(약 107 ∼ 약 160Pa)가 최적인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의 결과는 실리콘의 (100) 면상에 있어서도 (111) 면상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얻어진다.
이 외에 산화막의 내압 특성, 누설 특성, 핫 캐리어(hot carrier) 내성, 스트레스(stress) 전류를 흘렸을 때의 실리콘 산화막이 파괴에 이를 때까지의 전하량 QBD(Charge-to-Breakdown) 등의 전기적 특성, 신뢰성 특성에 관해서, Kr/O2 고밀도 플라스마를 이용한 실리콘 기판 표면 산화에 의한 산화막은 900℃의 열산화와 마찬가지의 양호한 특성이 얻어진다.
도 8(a), 8(b)는 얻어진 실리콘 산화막의 스트레스 전류 유기(誘起) 누설 전류 특성을 종래의 열산화막의 경우와 비교하여 나타낸다. 다만, 도 8(a), 8(b)에 있어서 산화막의 막 두께는 3.2㎚로 하고 있다.
도 8(a), 8(b)를 참조하면, 종래의 열산화막에서는 전하를 주입하면 누설 전 류가 증가하는데 대해, 본 발명의 Kr/O2에 의한 플라스마 산화에서는 100C/㎝2의 전하를 주입해도 전류 특성에 변화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리콘 산화막에서는 터널 전류를 흘려도 산화막이 열화에 이를 때까지의 수명이 지극히 길고,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터널 산화막으로서 이용하는데 최적이다.
상술한 것처럼, Kr/O2 고밀도 플라스마에 의해 성장한 산화막은, 400℃라는 저온에서 산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100) 면, (111) 면 모두, 종래의 (100) 면의 고온 열산화막과 동등 내지는 보다 뛰어난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산화막 중에 Kr가 함유되는데도 기인하고 있다. 산화막 중에 Kr가 함유됨으로써, 막 중이나 Si/SiO2 계면에서의 스트레스가 완화되고, 막 중 전하나 계면 준위 밀도가 저감되고, 실리콘 산화막의 전기적 특성이 큰폭으로 개선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특히, 도 5에 나타내듯이, 밀도에 있어서 1010-2 이상의 Kr를 포함하는 것이 실리콘 산화막의 전기적 특성, 신뢰성 특성의 개선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제 2 실시예)
다음에, 고밀도 마이크로파 플라스마를 이용한 저온에서의 질화막 형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질화막 형성에 사용되는 장치는 도 2의 장치와 같고, 질화막 형성시를 위해 서 Ar 또는 Kr를 플라스마 여기 가스로서 사용한다.
즉, 상기 진공 용기(처리실)(101) 내를 고진공 상태로 배기하고, 샤워 플레이트(102)로부터 일례로서 Ar 가스 및 NH3 가스를 도입함으로써 처리실(101) 내의 압력을 100mTorr(약 13Pa) 정도로 설정한다. 또한, 실리콘 웨이퍼 등의 원형 모양의 기판(103)을 상기 시료대(104) 상에 두고 기판 온도를 약 500℃로 설정한다. 다만, 기판 온도가 400 - 550℃의 범위내이면 거의 같은 결과가 얻어진다.
다음에, 상기 동축 도파관(105)으로부터, 래디얼 라인 슬롯 안테나(106) 및 유전체판(107)을 통해 처리실 내에 2.45㎓의 마이크로파를 공급하고, 처리실 내에 고밀도 플라스마를 생성한다. 공급하는 마이크로파의 주파수가 900㎒ 이상 10㎓ 이하의 범위에 있으면 거의 같은 결과가 얻어진다. 또, 샤워 플레이트(102)와 기판(103)의 간격은 본 실시예에서는 6㎝로 설정하고 있다. 이 간격은 좁은 편이 보다 고속의 막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래디얼 라인 슬롯 안테나를 이용한 플라스마 장치를 이용하여 막 형성한 예를 나타내지만,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마이크로파를 처리실 내에 도입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라스마 여기 가스에 Ar를 사용하고 있지만, Kr를 이용하여도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플라스마 프로세스 가스에 NH3를 이용하고 있지만, N2와 H2 등의 혼합 가스를 이용해도 좋다.
Ar 또는 Kr와 NH3(또는, N2와 H2)의 혼합 가스에 여기된 고밀도 플라스마 중에서는, 중간 여기 상태에 있는 Ar* 또는 Kr*에 의해, NH* 라디칼이 효율 좋게 발생 하고, 이 NH* 라디칼에 의해 기판 표면이 질화된다. 종래부터 실리콘 표면의 직접 질화에 대한 보고는 없고, 질화막은 플라스마 CVD법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이 방법에서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막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고품질인 질화막이 얻어지지 않았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의 실리콘 질화에 의하면 실리콘의 면 방위를 선택하지 않고, (100) 면에서도 (111) 면에서도 저온으로 고품질인 질화막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의 실리콘 질화막 형성에 있어서는, 수소가 존재하는 것이 하나의 중요한 요건이다. 플라스마 중에 수소가 존재함으로써, 실리콘 질화막 중 및 계면의 댕글링본드가 Si-H, N-H 결합을 형성하여 종단되고, 그 결과 실리콘 질화막 및 계면의 전자 트랩이 없어진다. Si-H 결합, N-H 결합이 본 발명의 질화막에 존재하는 것은 각각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X선 광전자 분광 스펙트럼을 측정함으로써 확인되고 있다. 수소가 존재함으로써 CV 특성의 히스테리시스도 없어지고, 실리콘/실리콘 질화막 계면 밀도도 기판 온도를 500℃ 정도 이상으로 하면 3×1010-2로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희가스(Ar 또는 Kr)와 N2/H2의 혼합 가스를 사용하여 실리콘 질화막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수소 가스의 분압을 0.5% 이상으로 함으로써 막 중의 전자나 정공의 트랩이 급격하게 감소한다.
또, 본 발명의 질화막의 개질 방법은 550℃ 이하의 저온에서 할 수 있으므로 질화막 중의 댕글링본드를 종단하고 있는 수소를 이탈시키는 일이 없다.
도 9는 상술의 순서로 작성한 실리콘 질화막 두께의 압력 의존성을 나타낸다. 다만, Ar:NH3의 분압비는 98:2, 막 형성 시간은 30분으로 했다.
도 9를 참조하면, 질화막의 성장 속도는 처리실(101) 내의 압력을 내려 희가스(Ar 또는 Kr)가 NH3(또는 N2/H2)에게 주는 에너지를 늘리는 쪽이 신속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질화의 효율화의 관점으로부터는 가스 압력은 50∼100mTorr(약 6∼13Pa)가 바람직하다. 또, 희가스 중의 NH3(또는 N2/H2)의 분압은 1∼10%의 범위가 좋고, 더 바람직하게는 2∼6%가 좋다.
본 실시예의 실리콘 질화막의 유전율은 7.9이고 실리콘 산화막의 약 2배인 것이 얻어졌다.
도 10은 본 실시예의 실리콘 질화막의 전류 전압 특성을 나타낸다. 다만, 도 10에 나타내는 결과는, Ar/N2/H2 가스를 이용하고, Ar:N2:H2의 분압비를 93:5:2로 설정하고, 두께가 4.2㎚의 실리콘 질화막(유전율 환산 산화막 2.1㎚에 상당)을 막 형성했을 때의 것이고, 이 결과를 도 10에서는 두께 2.1㎚의 열산화막과 비교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1V의 전압 인가시에 실리콘 산화막보다 네자리 수 이상이나 낮은 누설 전류 특성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얻어진 실리콘 질화막이 플래시 메모리 소자에 있어서 플로팅 게이트 전극과 콘트롤 게이트 전극간의 누설 전류를 억제하는데 적합한 절연막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막 형성 조건, 물성적·전기적 특성은 실리콘의 면 방위에 의하지 않고, (100) 면에서도 (111) 면에서도 동일하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어느 면 방위에 있어서도 뛰어난 막질의 실리콘 질화막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산화막 중에 Si-H 결합, N-H 결합뿐만이 아니고 Ar 또는 Kr가 함유되는데도 관계하고 있고, 질화막 중이나 실리콘/질화막 계면에서의 스트레스가 완화되고, 실리콘 질화막 중의 고정 전하나 계면 준위 밀도가 저감되어 전기적 특성, 신뢰성 특성이 큰 폭으로 개선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도 5에 나타난 실리콘 산화막의 경우와 같이, 밀도에 있어서 1010-2 이상의 Ar 또는 Kr를 포함하는 것이 실리콘 질화막의 전기적 특성, 신뢰성적 특성의 개선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제 3 실시예)
이상 설명한 산화막 및 질화막 형성 방법은, 폴리 실리콘의 산화·질화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되고, 양질인 산화막, 질화막을 폴리 실리콘 상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폴리 실리콘막 상에의 유전체막의 형성 방법을 도 11(a), 11(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절연막(202)으로 덮여진 실리콘 기판(201) 상에는 폴리 실리콘막(203)이 퇴적된다. 그래서, 이 폴리 실리콘막(203)을 도 11(b)의 공정으로, 도 2에서 설명한 마이크로파 플라스마 처리 장치의 처리 용기(101) 내에 있어서 Kr 혹은 Ar와 산소의 고밀도 혼합 가스 플라스마에 노출함으로써, 폴리 실리 콘막(203)의 표면에 막질이 뛰어난 즉 계면 준위 밀도가 작고 누설 전류가 적은 실리콘 산화막(204)을 얻을 수 있다.
또, 도 11(b)의 공정에서, 상기 폴리 실리콘막(203)을 Kr 혹은 Ar와 NH3 혹은 N2와 H2의 고밀도 혼합 가스 플라스마에 노출함으로써, 상기 폴리 실리콘막(203)의 표면에 동일한 막질이 뛰어난 질화막(205)을 얻을 수 있다.
또, 도 11(b)의 공정에서, 상기 폴리 실리콘막(203)을 Kr 혹은 Ar와 산소 및 NH3 혹은 N2와 H2의 고밀도 혼합 가스 플라스마에 노출함으로써, 상기 폴리 실리콘막(203)의 표면에 막질이 뛰어난 산질화막(206)을 얻을 수 있다.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폴리 실리콘은, (111) 면 방위가 절연막에 대해서 수직 방향이 된 상태가 안정하고, 한편 치밀하고 결정성이 좋은 고품질인 것으로 되지만, 실제로는 다른 면 방위를 가진 결정 입자도 폴리 실리콘 내에 존재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산화막, 질화막 혹은 산질화막의 형성 방법에 의하면, 위에 설명한 것처럼, 실리콘의 면 방위에 의존하지 않고 고품질인 산화막, 질화막 혹은 산질화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폴리 실리콘이 P 형태나 N 형태의 불순물이 도핑(doping)되어 있는지 없는지에 관계없이, 본 실시예에 의한 산화막 혹은 질화막의 형성 방법에 의하면 성장 속도가 거의 동등한 막 형성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도 11(a), (b)의 공정은, 플래시 메모리의 플로팅 전극인 제 1 폴리 실리콘 게이트 전극 등의 폴리 실리콘막 상에 얇고 고품질인 산화막, 질화막 및 산질화막을 저온으로 형성하는데 최적이다. 또, 본 발명의 산화막, 질화막 및 산 질화막은 550℃ 이하의 저온에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입자 성장이 억제되어 폴리 실리콘 표면이 거칠어지는 일이 없다.
또, 본 발명의 산질화막의 개질 방법은 550℃ 이하의 저온에서 할 수 있으므로 산질화막 중의 댕글링본드를 종단하고 있는 수소를 이탈시키는 일이 없다.
(제 4 실시예)
도 12(a), 12(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CVD 산화막의 개질(후 담금질(post anneal)) 처리를 나타낸다.
도 12(a)를 참조하면, Si 기판(301) 상에는 CVD법에 의해 SiO2막(302)이 퇴적되지만, 이와 같이 하여 퇴적된 SiO2막(302)을, 도 12(b)의 공정에 있어서 Kr 혹은 Ar와 산소의 혼합 가스로 이루어지는 플라스마에 노출함으로써, 플라스마 중에 중간 여기 상태의 Kr* 혹은 Ar*와 O2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원자상태 산소 O*가 상기 SiO2막(302) 중에 침입하고, 상기 SiO2막(302)의 막질을 변화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원자상태 산소 O*는 상기 CVD-SiO2막(302)중에 있어서 댕글링본드를 종단하고, CVD-SiO2막(302)는 도 12(b)의 후 담금질 처리 후에는, 열산화막에 가까운 밀도와 구조, 특히 이상적인 화학량론 조성을 가지도록 변화한다.
도 13은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CVD-SiO2막(NSG막)에 대해서, 앞의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같은 Kr/O2 플라스마 처리를 실시하여 막 표면의 개질을 할 경우의 에칭 속도와 에칭 양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CVD-SiO2막은 퇴적한 것만의 상태에서는 열산화막에 대해서 매우 큰 에칭 속도를 나타내지만, 상기 Kr/O2 플라스마 처리를 실시할 경우, 약 20㎚의 깊이에 상당하는 최초의 10분간 정도까지의 에칭에서는 에칭 속도가 감소하고, 열산화막에 필적하는 작은 에칭 속도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CVD-SiO2막 중에, 상기 Kr/O2 플라스마 처리에서 생성한 원자상태 산소 O*가 침입하고, 상기 CVD-SiO2막이 치밀화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치밀한 SiO2막은 계면 준위 등의 결함이 적고, 누설 전류가 저감되는 바람직한 특징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CVD-SiO2막의 개질 플라스마 처리는, 원자상태 산소 O*의 생성 효율이 높은 상기 Kr/O2 플라스마 처리가 가장 바람직하지만, Ar/O2 플라스마 처리에 있어서도 가능하다.
(제 5 실시예)
도 14(a), 14(b)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고유전체막의 후 담금질 처리를 나타낸다.
도 14(a)를 참조하면, Si 기판(401) 표면에는 SiO2 층간 절연막(402)이 Kr/O2 플라스마에 의한 직접 산화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SiO2 층간 절연막(402) 상에는 도시를 생략한 Ti 등의 밀착층을 개재하여 Pt 전극층(40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Pt 전극층(403)상에는 Ta2O5에 의해 이루어지는 고유전체막(404)이, TaCl5 혹은 Ta(OC2H5)5를 원료로 사용한 CVD법에 의해 퇴적된다. 상기 Ta2O5막(404)은 퇴적 직후에 있어서는 다량의 산소 결손을 포함하고 있고, 그 결과, 도 14(a)의 공정에서는 상기 Ta2O5막(404)에 있어서 누설 전류가 크고, 또 원래의 높은 비유전율은 얻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도 14(a)의 구조는, 다음에 도 14(b)의 공정에 있어서 상기 도 2의 고밀도 플라스마 처리 장치 중에 있어서, 앞의 제 1 실시예와 같은 조건 하에서, Kr/O2 플라스마에 노출된다.
도 14(b)의 공정에 있어서는, 이 플라스마 처리 공정에 의해 플라스마 중에 원자상태 산소 O*를 효율적으로 생성하고, 생성한 원자상태 산소 O*가 상기 Ta2O5막(404) 중에 효과적으로 침입하고 산소 결손을 보상한다. 이때 상기 Ta2O5막(404)의 두께는 겨우 수십 나노미터 정도이고, 상기 원자상태 산소 O* 는 상기 강유전체막(404)의 두께 방향 전체에 걸쳐서 도입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산소 결함 보상 공정이 도 14(b)의 플라스마 처리 공정 을 사용함으로써 550℃ 이하의 저온에서 가능하게 되고, 종래와 같이 산소 분위기 중에서의 고온 급속 담금질(RTA)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에 따라 먼저 Si 기판(401) 중에 형성되어 있던 활성 소자에 있어서 확산 영역의 불순물 분포 프로파일(profile)이 변화하는 문제가 생기는 일도 없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플라스마 처리된 Ta2O5막은, 고유전체 재료에 고유의 큰 비유전율을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유전율막(404)은 Ta2O5막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ZrO2막은 HfO2막이어도 좋다.
도 14(b)의 공정에 계속하여 상기 Ta2O5막(404) 상에 Pt나 SrRuO3 등의 도전성 산화물에 의해 이루어지는 전극층을 형성함으로써 고유전체 커패시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Kr/O2 플라스마 대신에 Ar/O2 플라스마를 사용해도 원자상태 산소 O*를 효율적으로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6 실시예)
도 15(a), 15(b)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강유전체막의 후 담금질 처리를 나타낸다.
도 15(a)를 참조하면, Si 기판(501) 표면에는 SiO2 층간 절연막(502)이 Kr/O2 플라스마에 의한 직접 산화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SiO2 층간 절연막(502) 상에는 도시를 생략한 Ti 등의 밀착층을 개재하여 Pt 전극층(50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Pt 전극층(503) 상에는 BST(BaSrTiO3) 혹은 SBT(SrBi2(Ta)2O9)에 의해 이루어지는 강유전체(504)가 졸겔(sol gel)법 혹은 스퍼터링(sputtering)에 의해 퇴적된다. 상기 강유전체막(504)은 퇴적 직후에 있어서는 아몰퍼스(amorphous)이고, 도 15(a)의 공정에서는 상기 강유전체막(504)에 있어서는 강유전체막에 특유의 큰 스위칭 전하 QSW는 얻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도 15(a)의 구조는, 다음에 도 15(b)의 공정에 있어서 상기 도 2의 고밀도 플라스마 처리 장치 중에 있어서, 앞의 제 1 실시예와 같은 조건 하에서 Kr/O2 플라스마에 노출된다.
도 15(b)의 공정에 있어서, 이 플라스마 처리 공정에 의해 플라스마 중에 원자상태 산소 O*를 효율적으로 생성하고, 생성한 원자상태 산소 O*가 상기 강유전체막(504) 중에 효과적으로 침입하고, 이를 결정화함과 동시에 산소 결손을 보상한다. 이때 상기 강유전체막(504)의 두께는 겨우 수십 나노미터 정도이고, 상기 원자상태 산소 O*는 상기 강유전체막(504)의 두께 방향 전체에 걸쳐서 도입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결정화 및 산소 결함 보상 공정이, 도 15(b)의 플라스마 처리 공정을 사용함으로써 550℃ 이하의 저온에서 가능하게 되고, 종래와 같이 산소 분위기 중에서의 고온 급속 담금질(RTA) 처리를 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에 따라 먼저 Si 기판(501) 중에 형성되어 있던 활성 소자에 있어서 확산 영역의 불순물 분포 프로파일이 변화하는 문제가 생기는 일도 없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플라스마 처리된 강유전체막(504)은 강유전체 재료에 고유한 큰 스위칭 전하량 QSW를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유전율막(504)은 BST 혹은 SBT막에 한정됨이 없고, PZT막이나 PLZT막이어도 좋다.
도 15(b)의 공정에 계속하여 상기 강유전체막(504) 상에 Pt나 SrRuO3 등의 도전성 산화물에 의해 이루어지는 전극층을 형성함으로써 강유전체 커패시터를 형성할 수 있다.
(제 7 실시예)
도 16(a), 16(b)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의한 저유전율 절연막의 후 담금질 처리를 나타낸다.
도 16(a)를 참조하면, Si 기판(601) 상에는 F 도프(dope) SiO2(SiOF)막(602)이 CVD법에 의해 저유전율 층간 절연막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도 16(b)에 공정에 있어서 상기 도 2의 마이크로파 플라스마 처리 장치 중에 있어서 상기 SiOF막(602)에 대해서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은 조건에 있어서 Kr/O2 플라스마 처리를 하고 그 표면 및 막내를 개질한다.
이 표면 개질의 결과, 상기 SiOF막(602) 상에 도체 패턴을 형성할 경우, 이 도체 패턴과 상기 SiOF막(602) 사이의 밀착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배선간의 누설 전류의 감소, 내압의 개선이 이루어진다.
(제 8 실시예)
도 17(a)∼17(e)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의한 고유전율 게이트 절연막의 형성 방법을 나타낸다.
도 17(a)를 참조하면, Si 기판(701) 상에는 CVD법 등에 의해 두께 1 나노미터 이하의 SiN(702)가 형성되고, 도 17(b)의 공정에 있어서 상기 SiN막(702)을 상기 도 2의 마이크로파 플라스마 처리 장치 중에 있어서, 상기 제 2 실시예와 같은 조건 하에서 Kr/NH3 플라스마에 노출한다.
도 17(b)의 공정에서는 상기 Kr/NH3 플라스마에 따라 생성되는 질화 수소 라디칼 NH*가 상기 SiN막(702) 중에 침입하고, 댕글링본드 등의 결함을 종단한다. 그 결과 상기 SiN막(702)은 계면 준위 밀도가 감소하고, 또 화학량론 조성 Si3N4에 가까운 조성을 갖는 누설 전류 특성이 뛰어난 실리콘 질화막으로 변화한다.
다음에, 도 17(c)의 공정에 있어서, 상기 Kr/NH3 플라스마에 의해 후 담금질 처리된 실리콘 질화막(702) 상에, 예를 들면 ZrCl4 및 H2O를 원료로 한 CVD법 혹은 ALD(atomic layer deposition)법 등에 의해, ZrO2에 의해 이루어지는 고유전체막(703)을 수 나노미터의 두께로 퇴적한다.
다음에, 도 17(d)의 공정에 있어서 도 17(c)의 구조를 상기 도 2의 마이크로파 플라스마 처리 장치 중에 도입하고, 상기 고유전체막(703)의 표면을 Kr/NH3 플라 스마에 노출한다. 이 후 담금질 처리의 결과, 상기 고유전체막(703)의 표면이 질화되고, 상기 고유전체막(703)의 표면에는 질화막(703A)이 형성된다.
다음에, 도 17(e)의 공정에 있어서, 도 17(d)의 구조상에 폴리 실리콘 게이트 전극(704)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Si 기판(701) 상에 형성되는 질화막(702)은 실리콘 질화막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알루미늄 질화막이어도 좋다. 또, 상기 고유전체막(703)은 ZrO2막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HfO2막이나 Ta2O5막이어도 좋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 17(b)의 공정에 있어서 상기 Si 기판(701) 상에 비유전율이 7.9인 치밀하고 결함이 적은 SiN막(702)이 형성되기 때문에, 그 위에 도 17(c)의 공정에 있어서 금속 산화막에 의해 이루어지는 고유전체막(703)을 형성할 경우에도, 상기 고유전체막(703)으로부터 상기 Si 기판(701)에의 산소의 침입이 효과적으로 저지되고, 게이트 절연막 전체의 실효 막 두께가 증가하여 버리는 문제가 회피된다.
또, 도 17(d)의 공정에 있어서 상기 고유전체막(703)의 표면에 질화막을 형성하여 둠으로써, 후의 공정에 있어서 환원 분위기 중에 있어서의 처리가 된 경우에도 상기 고유전체막(703)이 환원되는 문제가 회피된다.
(제 9 실시예)
도 18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의한 기판상에의 산화막의 형성 방법을 나 타낸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펌프(121B)에 의해 배기되는 배기 포트(121A)를 갖추고, 또한 마이크로파 창(122A, 122B)과 이에 협동하는 마이크로파 안테나(123A, 123B)를 구비한 CVD 장치(120)가 사용된다.
상기 처리실(121) 중에는 히터(124A)를 갖는 스테이지(stage)(124)가 설치되고, 상기 스테이지(124) 상에 피처리 기판(125)이 보관 유지된다. 또, 상기 처리실(121) 중에는 상기 피처리 기판(125)에 대향하도록 샤워 플레이트(126)가 설치되고, 라인(126A)으로부터 공급되는 처리 가스가 상기 샤워 플레이트(126)를 개재하여 상기 처리실(120) 중에 도입된다. 또, 상기 처리실(121) 중에는 상기 마이크로파 창(122A, 122B)에 인접하여, 라인(127A)으로부터 공급되는 Kr/O2 플라스마 가스를 상기 처리실(121) 중에 도입하는 가스 도입 포트(12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로파 안테나(123A, 123B)는, 도 2의 장치에서 사용된 래디얼 라인 슬롯 안테나이어도 좋다. 또, 상기 마이크로파 안테나(123A, 123B)는 혼(horn) 안테나이어도 좋다.
이 구성의 CVD 장치(120)에서는, 상기 안테나(123A, 123B)로부터 마이크로파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처리실(121) 중에 있어서 저에너지로 고밀도인 플라스마가 형성되고, Kr*와 원자상태 산소 O*가 효율적으로 생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또한 상기 샤워 플레이트(126)에 의해, 예를 들면 Ta(OC2H5)5와 O2 등의 원료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피처리 기판(125)의 표면 근 방에 있어서 Ta2O5막을 퇴적한다.
이때 이 Ta2O5막은 퇴적과 동시에, 먼저 도 12(a), 12(b)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원자상태 산소 O*에 의한 담금질 처리를 받고, 그 결과 형성되는 Ta2O5막의 막질이 특히 계면 준위 밀도 및 누설 전류 특성에 대해서 한층 더 개선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Ta2O5막의 퇴적과 담금질 처리가 동시에 행해지기 때문에 공정이 단축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VD막(125)은 Ta2O5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SiO2막이나 BSG막, BPSG막 등의 산화막, 혹은 질화막, 또한 산질화막에 대해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 기판(125) 상에 질화막을 퇴적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스 도입 포트(127)로부터 Kr와 NH3의 혼합 가스, 혹은 Kr와 N2와 H2의 혼합 가스를 공급하면 좋다. 이 경우에도 실리콘 질화막을 퇴적함과 동시에 질화 수소 라디칼 NH*에 의해 담금질 처리가 되기 때문에 얻어지는 질화막은 계면 준위 밀도가 낮고 누설 전류가 적은, 반도체 장치의 게이트 절연막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특성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 기판(125) 상에 산질화막을 퇴적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스 도입 포트(127)로부터 Kr와 O2, 및 NH3 혹은 N2와 H2 를 포함하는 혼 합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피처리 기판(125) 상에 계면 준위 밀도가 낮고, 누설 전류가 적은 산질화막을 퇴적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0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의한 Kr/O2 플라스마에 의해 여기된 원자상태 산소 O* 혹은 Kr/NH3 플라스마에 의해 여기된 질화 수소 라디칼 NH*를 사용한 스퍼터링 처리에 대해서 도 1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다만, 도 19중 앞에서 설명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CVD 장치(120) 대신에 도 19에 나타내는 스퍼터(sputter) 장치(130)를 사용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스퍼터 장치(130)에서는 상기 피처리 기판(125)에 대면하도록, 고주파 전원(131A)에 의해 고주파가 공급되는 BST 등의 타겟(131)이 배치되고, 또 상기 타겟(131)의 근방에는 자석(magnet)(132)이 설치된다. 또, 도 19의 스퍼터 장치(130)에서는 상기 샤워 플레이트(126) 대신에 가스 도입 포트(133)가 설치된다.
또, 도 19의 구성에서는, 상기 마이크로파 창(122A)에 대응하여 통상의 혼(horn) 안테나(123C)가 마이크로파 안테나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의 스퍼터 장치(130)에서는, 상기 타겟(131)의 스퍼터링에 의해 상기 피처리 기판(125) 상에 BST막 등의 산화막 형성이 이루어지지만, 그때 상기 가스 도입 포트(127)로부터 Kr 가스 혹은 Kr/O2 가스를 상기 처리실(121) 중에 도입하고, 또한 상기 마이크로파 안테나(123C)로부터 마이크로파를 도입함으로써, 상기 처리 장치 중에 원자상태 산소 O*가 효율 좋게 생성되고, 그 결과 상기 피처리 기판(125) 상에 형성되는 BST막은, 퇴적과 동시에 원자상태 산소 O*에 의해 후 담금질 처리를 받는다. 또, 상기 가스 도입 포트(port)(133)에 의해 다른 분위기 가스를 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9의 스퍼터 장치(130)에 있어서 상기 타겟(131)으로서 질화물을 사용하고, 상기 가스 도입 포트로부터 Ar 가스 혹은 Kr 가스와 NH3 가스의 혼합 가스, 혹은 Ar 가스 또는 Kr 가스와 N2 가스 및 H2 가스의 혼합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피처리 기판(125) 상에 질화막을 퇴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 퇴적된 질화막은 플라스마 중에 생성한 질화 수소 라디칼 NH*에 의해 후 담금질 처리를 받는다.
또한, 도 19의 스퍼터 장치(130)에 있어서 상기 타겟(131)으로서 산질화 실리콘을 사용하고, 상기 가스 도입 포트로부터 Ar 가스 혹은 Kr 가스와 산소 가스 및 NH3 가스의 혼합 가스, 혹은 Ar 가스 또는 Kr 가스와 N2 가스 및 H2 가스와 산소 가스의 혼합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피처리 기판(125) 상에 산질화막을 퇴적 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때 퇴적된 산질화막은 플라스마 중에 생성한 원자 상태 산소 O* 및 질화 수소 라디칼 NH*에 의해 후 담금질 처리를 받는다.
(제 11 실시예)
다음에, 상술한 마이크로파 플라스마를 이용한 저온의 산화막과 질화막의 형성 기술을 사용한 폴리 실리콘/실리사이드 적층 구조의 게이트 전극을 갖는 고전압용 트랜지스터와 저전압용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의한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공정을 설명한다.
도 20은 본 실시예에 의한 플래시 메모리 소자(1000)의 개략 단면 구조를 나타낸다.
도 20을 참조하면, 플래시 메모리 소자(1000)는 실리콘 기판(1001) 상에 구성되어 있고, 상기 실리콘 기판(1001)에 형성된 터널 산화막(1002)과, 상기 터널 산화막(1002) 상에 형성되고 플로팅 게이트 전극으로 되는 제 1의 폴리 실리콘 게이트 전극(1003)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 실리콘 게이트 전극(1003) 상에는 실리콘 질화막(1004)과, 실리콘 산화막(1005)과, 실리콘 질화막(1006)과, 실리콘 산화막(1007)이 차례차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실리콘 질화막(1007) 상에는 콘트롤 게이트 전극으로 되는 제 2의 폴리 실리콘 게이트 전극(1008)이 형성되어 있다. 도 20중,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 콘택트 홀, 배선 패턴 등의 도시는 생략하여 기재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플래시 메모리에서는, 상기 실리콘 산화막(1002, 1005, 1007)이 앞에서 설명한 실리콘 산화막 형성 방법에 의해, 또, 실리콘 질화막(1004, 1006)이 앞에서 설명한 실리콘 질화막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되므로, 이러한 막의 막 두께를 종래의 산화막, 질화막의 약 반으로까지 감소시켜도 양호한 전기적 특성이 보증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플래시 메모리 소자를 포함한 반도체 집적회로의 제조 방법을 도 21∼도 2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실리콘 기판(1101) 상에는 필드 산화막(1102)에 의해 플래시 메모리 셀 영역 A와, 고전압용 트랜지스터 영역 B와, 저전압용 트랜지스터 영역 C가 구획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영역 A∼C에는 실리콘 산화막(110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드 산화막(1102)은 선택 산화법(LOCOS법)이나 STI(shallow trench isolation)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산화막 및 질화막 형성을 위해서 Kr를 플라스마 여기 가스로서 사용한다. 산화막 및 질화막의 형성에는 도 2의 마이크로파 플라스마 처리 장치를 사용한다.
다음에 도 22의 공정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셀 영역 A에 있어서 실리콘 산화막(1103)을 제거하고, 또한 상기 메모리 셀 영역 A에 터널 산화막(1104)을 약 5㎚의 두께로 형성한다. 상기 터널 산화막(1104)을 형성할 때에는, 진공 용기(처리실)(101) 내를 진공으로 하고, 샤워 플레이트(102)로부터 Kr 가스 및 O2 가스를 도입하고, 처리실 내의 압력을 1Torr(약 133Pa) 정도, 실리콘 웨이퍼의 온도를 450℃로 설정하고, 동축 도파관(105)으로부터 공급되는 주파수가 2.56㎓의 마이크로파를 래디얼 라인 슬롯 안테나(106) 및 유전체판(107)을 통해 처리실 내에 공급하고, 고밀도의 플라스마를 생성한다.
도 22의 공정에서는, 상기 터널 산화막(1104)의 형성 후, 또한 제 1의 폴리 실리콘층(1105)을 상기 터널 산화막(1104)을 덮도록 퇴적하고, 또한 수소 라디칼 처리에 의해 퇴적한 폴리 실리콘층(1105)의 표면을 평탄화 한다. 다음에, 상기 고전압용 트랜지스터 영역 B 및 저전압용 트랜지스터 영역 C로부터 상기 제 1 폴리 실리콘층(1105)을 패턴닝(patterning)에 의해 제거하고, 상기 메모리 셀 영역 A의 터널 산화막(1104) 상에만 상기 제 1 폴리 실리콘(1105)을 남긴다.
다음에, 도 23의 공정에 있어서, 상기 도 22의 구조상에 하부 질화막(1106A)과 하부 산화막(1106B)과 상부 질화막(1106C)과 상부 산화막(1106D)을 차례차례 형성하고, NONO 구조를 갖는 절연막(1106)을 도 2의 마이크로파 플라스마 처리 장치를 사용하여 형성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의 마이크로파 플라스마 처리 장치에 있어서 진공 용기(처리실)(101) 내를 고진공 상태로 배기하고, 또한 샤워 플레이트(102)로부터 Kr 가스, N2 가스, H2 가스를 도입하고, 처리실 내의 압력을 100mTorr(약 13Pa) 정도로, 또 실리콘 웨이퍼의 온도를 500℃로 설정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상기 동축 도파관(105)으로부터의 주파수가 2.45㎓의 마이크로파를 래디얼 라인 슬롯 안테나(106) 및 유전체판(107)을 통해 처리실 내에 공급하고, 처리실 내에 고밀도의 플라스마를 생성한다. 그 결과 상기 폴리 실리콘 표면에는 약 2㎚의 두께의 실리콘 질화막이 상기 하부 질화막(1106A)으로서 형성된다.
다음에, 마이크로파의 공급을 일시 정지한 후, Kr 가스, N2 가스, H2 가스의 도입을 멈추고, 진공 용기(처리실)(101) 내를 배기한다. 그 다음에 상기 샤워 플레이트(102)로부터 Kr 가스 및 O2 가스를 도입하고, 처리실 내의 압력을 1Torr(약 133Pa) 정도로 설정한 상태로, 다시 2.45㎓의 마이크로파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처리실(101) 내에 고밀도의 플라스마를 생성하고, 두께가 약 2㎚인 실리콘 산화막을 상기 하부 산화막(1106B)으로서 형성한다.
다음에, 다시 마이크로파의 공급을 일시 정지한 후, Kr 가스, O2 가스의 도입을 멈추고 진공 용기(처리실)(101) 내를 배기한다. 또한, 상기 샤워 플레이트(102)로부터 Kr 가스, N2 가스 및 H2 가스를 도입하고, 처리실 내의 압력을 100mTorr 정도로 설정하고, 이 상태에서 2.45㎓의 마이크로파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처리실(101) 내에 고밀도의 플라스마를 생성한다. 이 고밀도 플라스마 처리에 의해 또한 3㎚의 두께의 실리콘 질화막이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마이크로파의 공급을 일시 정지한 후, Kr 가스, N2 가스, H2 가스의 도입을 멈추고, 진공 용기(처리실)(101) 내를 배기하고, 샤워 플레이트(102)로부터 Kr 가스, O2 가스를 도입하고, 처리실 내의 압력을 1Torr(약 133Pa) 정도로 설정한다. 이 상태에서 다시 2.45㎓의 마이크로파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처리실(101) 내에 고밀도의 플라스마를 생성하고, 두께가 2㎚인 실리콘 산화막을 상기 상부 산화막(1106D)으로서 형성한다.
즉, 이러한 공정에 의해 NONO 구조를 갖는 절연막(1106)을 9㎚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NONO막(1106)에서는 폴리 실리콘의 면 방위 의존도 보여지지 않고, 각각의 산화막 및 질화막의 막 두께 및 막질은 지극히 균일하다.
도 23의 공정에서는, 또한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절연막(1106)을 패턴닝 하고, 고전압용 트랜지스터 영역 B 및 저전압용 트랜지스터 영역 C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다음에, 도 24의 공정에 있어서 고전압용 트랜지스터 영역 B 및 저전압용 트랜지스터 영역 C상에 임계치 전압 제어용의 이온(ion) 주입을 하고, 또한 상기 영역 B 및 C 상의 산화막(1103)을 제거한다. 또한, 상기 고전압용 트랜지스터 영역 B에는 게이트 산화막(1107)을 7㎚의 두께로 형성하고, 그 다음에 저전압용 트랜지스터 영역 C에 게이트 산화막(1108)을 3.5㎚의 두께로 형성한다.
도 24의 공정에서는, 그 후 상기 필드 산화막(1102)을 포함하는 구조 전체 상에 제 2의 폴리 실리콘층(1109) 및 실리사이드층(1110)을 차례차례 형성하고, 또한 이들을 패턴닝 함으로써, 상기 고전압용 및 저전압용 트랜지스터 영역 B, C에 게이트 전극(1111B, 1111C)을 각각 형성한다. 다음에, 메모리 셀 영역에 있어서 상기 폴리 실리콘층(1109) 및 실리사이드층(1110)을 패턴닝 하고 게이트 전극(1111A)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표준적인 반도체 공정에 준거하여, 소스·드레인 형성, 절연막 형성, 콘택트 형성, 배선 형성 등을 하고 소자를 완성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NONO(Nitride Oxide Nitride Oxide)막(1106) 중의 실리콘 산화막 및 실리콘 질화막은 매우 박막화 되어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호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고, 치밀하고 또 고품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리콘 산화막 및 실리콘 질화막은 저온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게이트 폴리 실리콘과 산화막의 계면에서 서말 버짓(thermal budget) 등이 발생하는 일이 없이 양호한 계면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래시 메모리 소자를 2 차원으로 복수 배치하여 작성한 플래시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는, 정보의 기입 및 소거 동작을 저전압에서 행하고, 기판 전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터널 절연막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고, 소자의 특성이 안정된다. 본 발명의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뛰어난 낮은 누설 특성을 가지며, 기입 소거가 7V 정도의 전압으로 동작 가능이고, 메모리 보관 유지 시간을 종래보다 한자리 수 이상, 개서 가능 회수를 약 한자리 수 이상 증가시킬 수 있다.
(제 12 실시예)
다음에, 상기 고밀도 마이크로파 플라스마를 이용한 저온에서의 산화막과 질화막의 형성 기술을 사용한 폴리 실리콘/실리사이드 적층 구조의 게이트 전극을 갖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플래시 메모리 소자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5는 본 실시예에 의한 플래시 메모리 소자(1500)의 개략 단면 구조를 나 타낸다.
도 25를 참조하면, 플래시 메모리 소자(1500)는 실리콘 기판(1501) 상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리콘 기판(1501)에 형성된 터널 질화막(1502)과, 상기 터널 질화막(1502) 상에 형성되고, 플로팅 게이트 전극으로 되는 제 1의 폴리 실리콘 게이트 전극(1503)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의 폴리 실리콘 게이트 전극(1503) 상에는 실리콘 산화막(1504)과, 실리콘 질화막(1505)과, 실리콘 산화막(1506)이 차례차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 산화막(1506) 상에는 콘트롤(control) 게이트 전극으로 되는 제 2 폴리 실리콘 전극(1507)이 형성되어 있다. 도 25중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 콘택트 홀, 배선 패턴 등의 도시는 생략하여 기재하고 있다.
도 25의 플래시 메모리 소자(1500)에서는, 상기 실리콘 산화막(1502, 1504 및 1506)은 앞에서 설명한 고밀도 마이크로파 플라스마를 사용한 실리콘 산화막 형성 방법에 의해, 또 실리콘 질화막(1505)은 앞에서 설명한 고밀도 마이크로파 플라스마를 사용한 실리콘 질화막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플래시 메모리 집적회로의 작성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제 1의 폴리 실리콘층(1503)을 패턴닝 할 때까지의 공정은 앞의 도 21 및 도 22의 공정과 마찬가지이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터널 질화막(1502)은 진공 용기(처리실)(101) 내를 배기하고 나서, 샤워 플레이트(102)로부터 Ar 가스, N2 가스, H2 가스를 도입하고, 처리실 내의 압력을 100mTorr(약 13Pa) 정도로 설정하고, 2.45㎓의 마이크로파를 공급하고, 처리실 내 에 고밀도의 플라스마를 생성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약 4㎚의 두께를 가진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제 1의 폴리 실리콘층(1503)이 형성된 후, 상기 영역 A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폴리 실리콘층 상에 하부 실리콘 산화막(1504)과, 실리콘 질화막(1505)과, 상부 실리콘 산화막(1506)이 차례차례 형성되고, ONO(Oxide Nitride Oxide) 구조를 갖는 절연체막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도 1에 설명한 마이크로파 플라스마 처리 장치의 진공 용기(처리실)(101) 내를 고진공 상태로 배기하고, 샤워 플레이트(102)로부터 Kr 가스, O2 가스를 도입하고, 처리실(101) 내의 압력을 1Torr(약 133Pa) 정도로 설정한다. 이 상태에서 2.45㎓의 마이크로파를 상기 처리실(101) 내에 공급하고, 고밀도의 플라스마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제 1의 폴리 실리콘층(1503)의 표면에 약 2㎚의 두께가 실리콘 산화막이 형성된다.
다음에, 상기 실리콘 산화막 상에 CVD법에 의해 실리콘 질화막을 3㎚형성한 후, 진공 용기(처리실)(101) 내를 배기하고, 또한 샤워 플레이트(102)로부터 Ar 가스, N2 가스, H2 가스를 도입하고, 처리실 내의 압력을 1Torr(약 133Pa) 정도로 설정한다. 이 상태에서 2.45㎓의 마이크로파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처리실(101)내에 고밀도 플라스마를 생성하고, 상기 실리콘 질화막을 고밀도 플라스마에 따른 질화 수소 라디칼 NH*에 노출함으로써, 치밀한 실리콘 질화막으로 변환한다.
다음에, 상기 치밀한 실리콘 질화막 상에 CVD법에 의해, 실리콘 산화막을 약 2㎚의 두께로 형성하고, 다시, 마이크로파 플라스마 장치에 의해 샤워 플레이트(102)로부터 Kr 가스, O2 가스를 도입하고, 처리실(101) 내의 압력을 1Torr(약 133Pa) 정도로 설정한다. 이 상태에서 다시 2.45㎓의 마이크로파를 상기 처리실(101) 중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처리실(101) 중에 고밀도의 플라스마를 생성한다. 상기 CVD법으로 형성한 산화막을, 상기 고밀도 플라스마에 따른 원자상태 산소 O*에 노출함으로써, 상기 CVD 실리콘 산화막은 치밀한 실리콘 산화막으로 변환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폴리 실리콘막(1503) 상에는 ONO막이 약 7㎚의 두께로 형성되지만, 형성된 ONO막에는 폴리 실리콘의 면 방위 의존도 보여지지 않고, ONO막은 지극히 균일한 막 두께를 가진다. 이 ONO막에는, 그 후 고전압용 및 저전압용 트랜지스터 영역 B, C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거하는 패턴닝 공정을 행하고, 계속하여 앞의 제 11 실시예와 같은 공정을 행함으로써 소자를 완성시킨다.
이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뛰어난 낮은 누설 특성을 가지고 있고, 기입 소거 전압은 6V 정도로 동작 가능하고, 앞의 실시예의 플래시 메모리(1000)와 마찬가지로, 메모리 보관 유지 시간을 종래보다 한자리 수 이상, 개서 가능 회수를 약 한자리 수 이상 증가시킬 수 있다.
(제 13 실시예)
다음에, 상기 마이크로파 고밀도 플라스마를 이용한 저온 산화막과 질화막의 형성 기술을 사용한 폴리 실리콘/실리사이드 적층 구조의 게이트 전극을 갖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의한 플래시 메모리 소자(16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6은 상기 플래시 메모리 소자(1600)의 개략적 단면 구조를 나타낸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플래시 메모리 소자(1600)는 실리콘 기판(1601)상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리콘 기판(1601) 상에 형성된 터널 산화막(1602)과, 상기 터널 산화막(1602) 상에 형성되고 플로팅 게이트 전극을 구성하는 제 1의 폴리 실리콘 게이트 전극(1603)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의 폴리 실리콘 게이트 전극(1603) 상에는 실리콘 질화막(1604)과, 실리콘 산화막(1605)이 차례차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 산화막(1605) 상에는 콘트롤 게이트 전극으로 되는 제 2 폴리 실리콘 게이트 전극(1606)이 형성되어 있다.
도 26중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 콘택트 홀, 배선 패턴 등의 도시는 생략하여 기재하고 있다.
도 26의 플래시 메모리(1600)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산화막(1602, 1605)은 위에 설명한 실리콘 산화막 형성 방법에 의해, 또 실리콘 질화막(1604)은 위에 설명한 실리콘 질화막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의한 플래시 메모리 집적회로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제 1의 폴리 실리콘층(1603)을 패터닝 할 때까지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 1의 폴리 실리콘층(1603)을 영역 A에 형성한 후, 상기 제 1의 폴리 실리콘층(1603) 상에 실리콘 질화막 및 실리콘 산화막을 차례차례 형성하여 NO 구조를 갖는 절연체막을 형성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NO막은 도 2의 마이크로파 플라스마 처리 장 치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하여 형성된다.
진공 용기(처리실)(101) 내를 진공으로 하고, 샤워 플레이트(102)로부터 Kr 가스, N2 가스, H2 가스를 도입하고, 처리실 내의 압력을 100mTorr(약 13Pa) 정도로 설정한다. 이 상태에서 2.45㎓의 마이크로파를 공급하고, 처리실 내에 고밀도의 플라스마를 생성하고, 상기 폴리 실리콘층(1603)의 질화 반응에 의해 약 3㎚의 두께의 실리콘 질화막을 형성한다.
다음에, CVD법에 의해 실리콘 산화막을 약 2㎚의 두께로 형성하고, 다시 상기 마이크로파 플라스마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워 플레이트(102)로부터 Kr 가스 및 O2 가스를 도입하고, 처리실 내의 압력을 1Torr(약 133Pa) 정도로 설정한다. 이 상태에서 주파수가 2.45㎓인 마이크로파를 공급함으로써, 처리실 내에 고밀도의 플라스마를 생성하고, CVD법으로 형성한 산화막을 상기 고밀도 플라스마에 따른 원자상태 산소 O*에 노출한다. 그 결과, 상기 CVD 산화막은 치밀한 실리콘 산화막으로 변환된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NO(Nitride Oxide)막은 약 5㎚의 두께를 가지지만, 폴리 실리콘의 면 방위 의존도 보여지지 않고, 지극히 균일한 막 두께이다. 상기 NO막은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후, 패턴닝 되고, 고전압용 및 저전압용 트랜지스터 영역 B, C에 형성된 부분이 선택적으로 제거된다.
또한, 도 24의 공정과 동일한 공정을 행하고 소자를 완성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뛰어난 낮은 누설 특성을 가지 고 있고, 기입 소거를 5V 정도의 저전압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앞의 실시예의 플래시 메모리 소자와 마찬가지로, 메모리 보관 유지 시간을 종래보다 한자리 수 이상, 개서 가능 회수를 약 한자리 수 이상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 나타낸 메모리 셀, 고전압용 트랜지스터, 저전압용 트랜지스터의 형성 방법은 어디까지나 일례이고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질화막 형성에는 Kr 대신에 Ar를 이용해도 좋고, 또 상기 제 1 및 제 2의 폴리 실리콘층 대신에, 폴리 실리콘/실리사이드, 폴리 실리콘/고융점 금속/아몰퍼스 실리콘 또는 폴리 실리콘 등의 적층 구조를 갖는 막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산화막·질화막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도 2의 마이크로파 플라스마 처리 장치 이외에, 플라스마를 이용한 저온의 산화막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플라스마 프로세스용 장치를 사용해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래디얼 라인 슬롯 안테나를 이용한 플라스마 장치를 이용하여 막 형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마이크로파를 처리실 내에 도입해도 좋다.
또, 도 2의 마이크로파 플라스마 처리 장치 대신에, Kr 가스 혹은 Ar 가스 등의 플라스마 가스를 제 1의 샤워 플레이트에 의해 방출하고, 처리 가스를 상기 제 1의 가스 방출부와 다른 제 2의 샤워 플레이트로부터 방출하는 2단 샤워 플레이트 형태 플라스마 프로세스 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는, 예를 들면 산소 가스를 상기 제 2의 샤워 플레이트에 의해 방출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제 1의 폴리 실리콘 전극에 의해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 전극을 형성함과 동시에, 동일의 제 1의 폴리 실리콘 전극에 의해 고전압용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이 형성되도록 프로세스를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형·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Kr 혹은 Ar를 불활성 가스로 한 플라스마에 따라 생성한 원자상태 산소 O* 혹은 질화 수소 라디칼 NH*에 의해, 상기 기판상에 형성된 산화막 혹은 질화막 혹은 산질화막을 처리함으로써, 상기 막 중의 댕글링본드 혹은 위크본드가 종단되고, 그 결과, CVD법 등에 의해 형성된 막질이 뒤떨어지는 절연막이어도 막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7)

  1. 기판상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기판상에 형성된 산화막을 원자상태 산소 O*에 노출하고, 막질을 개변하는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막질을 개변하는 공정은, Kr 혹은 Ar 가스와 산소 가스의 혼합 가스 중에 플라스마를 마이크로파에 의해 여기하는 공정과, 상기 산화막을 상기 플라스마에 노출하는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막의 형성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막질을 개변하는 공정은 550℃ 이하의 기판 온도에 있어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막의 형성 방법.
  4. 기판상에 질화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기판상에 형성된 질화막을 균일한 분포를 가지는 질화 수소 라디칼 NH*에 노출하고, 막질을 개변하는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막의 형성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막질을 개변하는 공정은 Kr 혹은 Ar 가스와 질소 및 수소를 포함하는 가스의 혼합 가스 중에 플라스마를 균일한 분포를 가지는 마이크로파에 의해 여기하는 공정과, 상기 질화막을 상기 플라스마에 노출하는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막의 형성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막질을 개변하는 공정은 550℃ 이하의 기판 온도에 있어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막의 형성 방법.
  7. 처리실 내에 Kr 혹은 Ar에 의해 이루어지는 불활성 가스와 산소 가스를 도입하고, 마이크로파에 의해 여기함으로써 플라스마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처리실 중에 처리 가스를 도입하고, 상기 처리 가스의 상기 플라스마에 의한 활성화에 의해, 상기 처리실 중에 있어서 기판상에 산화막을 퇴적하는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산화막의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산화막은 퇴적과 동시에 상기 플라스마 중에 생성하는 원자상태 산소 O*에 의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막의 형성 방법.
  8. 처리실 내에 Kr 혹은 Ar에 의해 이루어지는 불활성 가스와 질소 및 수소를 포함하는 가스를 도입하고, 마이크로파에 의해 여기함으로써 플라스마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처리실 중에 처리 가스를 도입하고, 상기 처리 가스의 상기 플라스마에 의한 활성화에 의해, 상기 처리실 중에 있어서 기판상에 질화막을 퇴적하는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질화막의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질화막은 퇴적과 동시에 상기 플라스마 중에 생성하는 질화 수소 라디칼 NH*에 의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막의 형성 방법.
  9. 처리실 내에 Kr 혹은 Ar에 의해 이루어지는 불활성 가스와 산소 가스와 질소 및 수소를 포함하는 가스를 도입하고, 마이크로파에 의해 여기함으로써 플라스마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처리실 중에 처리 가스를 도입하고, 상기 처리 가스의 상기 플라스마에 의한 활성화에 의해, 상기 처리실 중에 있어서 기판상에 산질화막을 퇴적하는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산질화막의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산질화막은 퇴적과 동시에 상기 플라스마 중에 생성하는 원자상태 산소 및 질화 수소 라디칼에 의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질화막의 형성 방법.
  10. 처리실 중에 있어서 기판상에 타겟의 스퍼터링에 의해 산화막을 퇴적하는 공정과,
    상기 처리실 중에 있어서, Kr 혹은 Ar에 의해 이루어지는 불활성 가스와 산소 가스를 마이크로파 여기함으로써, 플라스마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플라스마 중에 생성된 원자상태 산소 O*에 의해, 상기 산화막을 처리하는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막의 스퍼터링 방법.
  11. 처리실 중에 있어서 기판상에 타겟의 스퍼터링에 의해 질화막을 퇴적하는 공정과,
    상기 처리실 중에 있어서, Kr 혹은 Ar에 의해 이루어지는 불활성 가스와 질소와 수소를 포함하는 가스를 마이크로파 여기함으로써, 플라스마를 형성하는 공정 과,
    상기 플라스마 중에 생성된 질화 수소 라디칼 NH*에 의해, 상기 질화막을 처리하는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막의 스퍼터링 방법.
  12. 처리실 중에 있어서 기판상에 타겟의 스퍼터링에 의해 산질화막을 퇴적하는 공정과,
    상기 처리실 중에 있어서, Kr 혹은 Ar에 의해 이루어지는 불활성 가스와 산소 가스와 질소 및 수소를 포함하는 가스를 마이크로파 여기함으로써, 플라스마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플라스마 중에 생성된 원자상태 산소 O* 및 질화 수소 라디칼 NH*에 의해, 상기 산질화막을 처리하는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질화막의 스퍼터링 방법.
  13. 기판상에의 게이트 절연막의 형성 방법으로서,
    기판 표면에 질화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질화막을 질화 수소 라디칼 NH*에 의해 처리하는 공정과,
    상기 처리된 질화막 상에 고유전체막을 퇴적하는 공정과,
    상기 고유전체막의 표면을 질화 수소 라디칼 NH*에 의해 처리하고, 질화막을 형성하는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절연막의 형성 방법.
  14. 기판상에의 게이트 절연막의 형성 방법으로서,
    기판 표면에 산질화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산질화막을 질화 수소 라디칼 NH*와 원자상태 산소 O*에 의해 처리하는 공정과,
    상기 처리된 산질화막 상에 고유전체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고유전체막의 표면을 질화 수소 라디칼 NH*에 의해 처리하고, 질화막을 형성하는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절연막의 형성 방법.
  15. 반도체 기판 상에 게이트 절연막과 게이트 전극을 갖는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실리콘 질화막보다 유전율이 높은 고유전체막을 갖고, 또한, 상기 고유전체막의 표면에 상기 표면을 질화하여 얻어진 질화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전체막은, ZrO2막, HFO2막, 또는 Ta2O5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상기 고유전체막의 아래에 실리콘 질화막 또는 실리콘 산질화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KR1020027011935A 2000-03-13 2001-03-13 산화막의 형성 방법, 질화막의 형성 방법, 산질화막의 형성 방법, 산화막의 스퍼터링 방법, 질화막의 스퍼터링 방법, 산질화막의 스퍼터링 방법, 게이트 절연막의 형성 방법 KR1007600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15940 2000-03-13
JPJP-P-2000-00115940 2000-03-13
PCT/JP2001/001966 WO2001069665A1 (fr) 2000-03-13 2001-03-13 Procede de formation de pellicule dielectr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9386A KR20030009386A (ko) 2003-01-29
KR100760078B1 true KR100760078B1 (ko) 2007-09-18

Family

ID=1862746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1936A KR100833406B1 (ko) 2000-03-13 2001-03-13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유전체막의 형성 방법
KR1020027011935A KR100760078B1 (ko) 2000-03-13 2001-03-13 산화막의 형성 방법, 질화막의 형성 방법, 산질화막의 형성 방법, 산화막의 스퍼터링 방법, 질화막의 스퍼터링 방법, 산질화막의 스퍼터링 방법, 게이트 절연막의 형성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1936A KR100833406B1 (ko) 2000-03-13 2001-03-13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유전체막의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9) US6551948B2 (ko)
EP (3) EP1265276B1 (ko)
JP (6) JP4987206B2 (ko)
KR (2) KR100833406B1 (ko)
AT (1) ATE514181T1 (ko)
DE (1) DE60140179D1 (ko)
TW (2) TW498544B (ko)
WO (2) WO20010696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74127A1 (fr) * 1999-05-26 2000-12-07 Tokyo Electron Limited Dispositif de traitement au plasma
WO2001069673A1 (fr) * 2000-03-13 2001-09-20 Tadahiro Ohmi Dispositif de memoire flash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procede de formation de pellicule dielectrique
JP4382265B2 (ja) * 2000-07-12 2009-12-09 日本電気株式会社 酸化シリコン膜の形成方法及びその形成装置
JP2002343790A (ja) * 2001-05-21 2002-11-29 Nec Corp 金属化合物薄膜の気相堆積方法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426481B1 (ko) * 2001-06-26 2004-04-1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코드 저장 메모리 셀 제조 방법
TW557514B (en) * 2001-08-02 2003-10-11 Tokyo Electron Ltd Method for processing a substrate and material for electronic devices
JP3746968B2 (ja) * 2001-08-29 2006-02-22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絶縁膜の形成方法および形成システム
US6806145B2 (en) * 2001-08-31 2004-10-19 Asm International, N.V. Low temperature method of forming a gate stack with a high k layer deposited over an interfacial oxide layer
JP4727102B2 (ja) * 2001-09-27 2011-07-20 株式会社アルバック 光学薄膜の成膜方法及び成膜装置
JP2003115587A (ja) * 2001-10-03 2003-04-18 Tadahiro Omi <110>方位のシリコン表面上に形成された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517751B2 (en) * 2001-12-18 2009-04-14 Tokyo Electron Limited Substrate treating method
US20030124873A1 (en) * 2001-12-28 2003-07-03 Guangcai Xing Method of annealing an oxide film
JP2003282873A (ja) * 2002-03-22 2003-10-03 Sony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53978B1 (ko) 2002-03-26 2012-06-14 카부시키카이샤 시.브이.리서어치 비결정질 금속 산화막의 제조 방법 및 비결정질 금속산화막을 가지는 커패시턴스 소자와 반도체 장치를제조하는 방법
EP1492161A4 (en) * 2002-03-29 2006-05-24 Tokyo Electron Ltd METHOD FOR CONSTITUTING AN UNDERLYING INSULATING FILM
TWI225668B (en) * 2002-05-13 2004-12-21 Tokyo Electron Lt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KR101044366B1 (ko) * 2002-06-12 2011-06-29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기판을 처리하기 위한 플라즈마 방법 및 장치
TWI235433B (en) * 2002-07-17 2005-07-01 Tokyo Electron Ltd Oxide film forming method, oxide film form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material
JP2004095918A (ja) * 2002-08-30 2004-03-25 Fasl Japan Ltd 半導体記憶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4153037A (ja) * 2002-10-31 2004-05-27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4149093A (ja) 2002-11-01 2004-05-27 Pacific Ind Co Ltd タイヤ状態監視装置
SG124265A1 (en) * 2002-12-02 2006-08-30 Tadahiro Ohmi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320167B2 (ja) * 2002-12-12 2009-08-26 忠弘 大見 半導体素子及びシリコン酸化窒化膜の製造方法
WO2004070816A1 (ja) * 2003-02-06 2004-08-19 Tokyo Electron Limited プラズマ処理方法,半導体基板及びプラズマ処理装置
US6822284B2 (en) * 2003-04-16 2004-11-23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ONO dielectric for memory cells
JP2004356114A (ja) * 2003-05-26 2004-12-16 Tadahiro Omi Pチャネルパワーmis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およびスイッチング回路
CN1316574C (zh) * 2003-06-11 2007-05-16 旺宏电子股份有限公司 Ono介电质及其制造方法
KR100672753B1 (ko) * 2003-07-24 2007-01-2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전자트랩을 억제할 수 있는 트렌치형 소자분리막의 형성방법
JP4522916B2 (ja) * 2005-06-27 2010-08-11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プラズマ窒化処理方法、制御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およびプラズマ処理装置
US7183143B2 (en) * 2003-10-27 2007-02-27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Method for forming nitrided tunnel oxide layer
US20060079100A1 (en) * 2004-03-15 2006-04-13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High density plasma grown silicon nitride
KR20070004881A (ko) * 2004-03-26 2007-01-09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산질화막 및 질화막의 형성 방법, 형성 장치, 산질화막,질화막 및 기재
US20050214456A1 (en) * 2004-03-29 2005-09-29 Donghul Lu Enhanced dielectric layers using sequential deposition
JP2005303074A (ja) * 2004-04-13 2005-10-27 Renesas Technology Corp 薄膜形成装置および薄膜形成方法
US7163877B2 (en) * 2004-08-18 2007-01-16 Tokyo Electr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modifying a gate dielectric stack containing a high-k layer using plasma processing
KR100945770B1 (ko) * 2004-08-31 2010-03-08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실리콘 산화막의 형성 방법,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및컴퓨터 기억 매체
CN101027941A (zh) * 2004-09-24 2007-08-29 大见忠弘 有机el发光元件及其制造方法以及显示装置
US20060138392A1 (en) * 2004-10-28 2006-06-29 Bowden Ned B Mild methods for generating patterned silicon surfaces
CN101048858B (zh) * 2004-11-04 2010-11-03 东京毅力科创株式会社 绝缘膜形成方法及基板处理方法
US20060113586A1 (en) * 2004-11-29 2006-06-01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Charge trapping dielectric structure for non-volatile memory
KR100623177B1 (ko) * 2005-01-25 2006-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높은 유전율을 갖는 유전체 구조물, 이의 제조 방법, 이를포함하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900073B1 (ko) 2005-03-16 2009-05-28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고쿠사이 덴키 기판처리방법 및 기판처리장치
JP4689324B2 (ja) * 2005-04-04 2011-05-25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成膜装置、成膜方法および記録媒体
US20060270066A1 (en) * 2005-04-25 2006-11-3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Organic transistor,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and organic transistor
JP4734019B2 (ja) * 2005-04-26 2011-07-27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7785947B2 (en) * 2005-04-28 2010-08-3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nitride/oxide by high-density plasma
JP5052033B2 (ja) * 2005-04-28 2012-10-1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JP2006310601A (ja) * 2005-04-28 2006-11-09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732342B2 (en) * 2005-05-26 2010-06-08 Applied Materials, Inc. Method to increase the compressive stress of PECVD silicon nitride films
US8129290B2 (en) * 2005-05-26 2012-03-06 Applied Materials, Inc. Method to increase tensile stress of silicon nitride films using a post PECVD deposition UV cure
US8138104B2 (en) * 2005-05-26 2012-03-20 Applied Materials, Inc. Method to increase silicon nitride tensile stress using nitrogen plasma in-situ treatment and ex-situ UV cure
US7566655B2 (en) * 2005-05-26 2009-07-28 Applied Materials, Inc. Integration process for fabricating stressed transistor structure
JP4853857B2 (ja) * 2005-06-15 2012-01-11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基板の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基板処理装置
KR100648194B1 (ko) * 2005-07-27 2006-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670925B1 (ko) * 2005-08-01 2007-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070065576A1 (en) * 2005-09-09 2007-03-22 Vikram Singh Technique for atomic layer deposition
US20070087581A1 (en) * 2005-09-09 2007-04-19 Varian Semiconductor Equipment Associates, Inc. Technique for atomic layer deposition
JP5283833B2 (ja) * 2005-09-29 2013-09-04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729354B1 (ko) * 2005-12-07 2007-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전막의 전기적 특성 향상을 위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EP1818989A3 (en) * 2006-02-10 2010-12-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Nonvolatile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88516B1 (ko) * 2006-03-21 2015-02-0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
TWI416738B (zh) 2006-03-21 2013-11-21 Semiconductor Energy Lab 非揮發性半導體記憶體裝置
EP1837917A1 (en) 2006-03-21 2007-09-2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P1837900A3 (en) * 2006-03-21 2008-10-1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786526B2 (en) * 2006-03-31 2010-08-3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P1840947A3 (en) * 2006-03-31 2008-08-1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554854B2 (en) * 2006-03-31 2009-06-3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deleting data from NAND type nonvolatile memory
US8022460B2 (en) * 2006-03-31 2011-09-2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O2007138937A1 (en) * 2006-05-26 2007-12-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00024732A1 (en) * 2006-06-02 2010-02-04 Nima Mokhlesi Systems for Flash Heating in Atomic Layer Deposition
US20070277735A1 (en) * 2006-06-02 2007-12-06 Nima Mokhlesi Systems for Atomic Layer Deposition of Oxides Using Krypton as an Ion Generating Feeding Gas
US20070281105A1 (en) * 2006-06-02 2007-12-06 Nima Mokhlesi Atomic Layer Deposition of Oxides Using Krypton as an Ion Generating Feeding Gas
US20070281082A1 (en) * 2006-06-02 2007-12-06 Nima Mokhlesi Flash Heating in Atomic Layer Deposition
JP4764267B2 (ja) * 2006-06-27 2011-08-31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04729B1 (ko) * 2006-06-30 2009-06-2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방법
JP5305620B2 (ja) * 2006-07-14 2013-10-0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不揮発性メモリ
US8344347B2 (en) * 2006-12-15 2013-01-01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Multi-layer electrode structure
US7687359B2 (en) * 2006-12-22 2010-03-30 Dongbu Hitek Co., Ltd. Method for fabricating flash memory device
JP4861204B2 (ja) * 2007-01-22 2012-01-25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270706A (ja) * 2007-03-26 2008-11-06 Tokyo Electron Ltd 窒化珪素膜および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装置
WO2008123289A1 (ja) * 2007-03-26 2008-10-16 Tokyo Electron Limited 窒化珪素膜および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装置
JP5138261B2 (ja) 2007-03-30 2013-02-06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シリコン酸化膜の形成方法、プラズマ処理装置および記憶媒体
JP4562751B2 (ja) * 2007-05-28 2010-10-13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絶縁膜の形成方法
JP4963679B2 (ja) * 2007-05-29 2012-06-27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ヘッド用基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基体を用いる液体吐出ヘッド
JP5408930B2 (ja) * 2007-08-31 2014-02-0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WO2009031886A2 (en) * 2007-09-07 2009-03-12 Fujifilm Manufacturing Europe B.V. Method and apparatus for atomic layer deposition using an atmospheric pressure glow discharge plasma
KR100933835B1 (ko) * 2007-11-12 2009-12-2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US7687338B2 (en) * 2007-12-05 2010-03-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of reducing embedded SiGe loss in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JP4611414B2 (ja) 2007-12-26 2011-01-12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基板処理方法および基板処理装置
JP5374748B2 (ja) * 2008-02-08 2013-12-25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絶縁膜の形成方法、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および処理システム
KR101250057B1 (ko) * 2008-02-08 2013-04-03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절연막의 플라즈마 개질 처리 방법 및 플라즈마 처리 장치
JP5374749B2 (ja) * 2008-02-08 2013-12-25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絶縁膜の形成方法、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および処理システム
WO2009099254A1 (ja) 2008-02-08 2009-08-13 Tokyo Electron Limited 絶縁膜の形成方法、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および処理システム
KR100950477B1 (ko) * 2008-03-05 2010-03-3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전하 트랩층을 갖는 불휘발성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US8807075B2 (en) * 2008-09-22 2014-08-19 Applied Materials, Inc. Shutter disk having a tuned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US20100089315A1 (en) 2008-09-22 2010-04-15 Applied Materials, Inc. Shutter disk for physical vapor deposition chamber
US8524616B2 (en) * 2008-11-12 2013-09-03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Method of nonstoichiometric CVD dielectric film surface passivation for film roughness control
US8236706B2 (en) * 2008-12-12 2012-08-07 Mattso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rowing thin oxide films on silicon while minimizing impact on existing structures
KR101563541B1 (ko) * 2010-12-30 2015-10-27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마이크로파 플라즈마를 이용한 박막 증착
JP5663384B2 (ja) * 2011-04-19 2015-02-04 三菱電機株式会社 絶縁膜の製造方法
FR2978867B1 (fr) * 2011-08-01 2014-03-21 St Microelectronics Rousset Resistance ajustable
KR101361673B1 (ko) 2011-10-07 2014-02-12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고쿠사이 덴키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기판 처리 방법, 기판 처리 장치 및 기록 매체
US8741785B2 (en) 2011-10-27 2014-06-03 Applied Materials, Inc. Remote plasma radical treatment of silicon oxide
US8664729B2 (en) 2011-12-14 2014-03-0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ed gate resistance finFET
US9018108B2 (en) 2013-01-25 2015-04-28 Applied Materials, Inc. Low shrinkage dielectric films
WO2015134398A1 (en) 2014-03-02 2015-09-11 Tokyo Electron Limited METHOD OF ENHANCING HIGH-k FILM NUCLEATION RATE AND ELECTRICAL MOBILITY IN A SEMICONDUCTOR DEVICE BY MICROWAVE PLASMA TREATMENT
CN104952734B (zh) * 2015-07-16 2020-01-24 矽力杰半导体技术(杭州)有限公司 半导体结构及其制造方法
JP6742165B2 (ja) * 2016-06-14 2020-08-19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窒化珪素膜の処理方法および窒化珪素膜の形成方法
JP6419762B2 (ja) * 2016-09-06 2018-11-07 株式会社Kokusai Electric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基板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80033369A (ko) 2016-09-23 2018-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US9991363B1 (en) * 2017-07-24 2018-06-05 Globalfoundries Inc. Contact etch stop layer with sacrificial polysilicon layer
US10276697B1 (en) * 2017-10-27 2019-04-3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Negative capacitance FET with improved reliability performance
JP6839672B2 (ja) 2018-02-06 2021-03-10 株式会社Kokusai Electric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基板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DE102020120420A1 (de) 2020-08-03 2022-02-03 VON ARDENNE Asset GmbH & Co. KG Verfahr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2423A (ja) * 1990-08-08 1992-03-25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JPH0964307A (ja) * 1995-08-29 1997-03-07 Hitachi Ltd 酸化物薄膜の熱処理方法
JPH10135207A (ja) * 1996-10-24 1998-05-22 Lg Semicon Co Ltd N2oガスを用いた薄膜形成方法
JP2000022139A (ja) * 1998-06-30 2000-01-21 Toshiba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87A (en) * 1864-09-13 Machine for cutting lacings
JPS5684462A (en) * 1979-12-10 1981-07-09 Shunpei Yamazaki Plasma nitriding method
JPS59105371A (ja) 1982-12-08 1984-06-18 Hitachi Ltd 不揮撥性半導体装置
JPS61183459A (ja) * 1985-02-07 1986-08-16 Hitachi Ltd 保護膜の形成方法
JPS6251264A (ja) * 1985-08-30 1987-03-05 Hitachi Ltd 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JPS62254432A (ja) * 1986-04-28 1987-11-06 Toshiba Corp 表面処理方法及び装置
JP2821138B2 (ja) * 1988-05-27 1998-11-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薄膜形成方法及びその装置
US5304829A (en) * 1989-01-17 1994-04-19 Kabushiki Kaisha Toshiba Nonvolatile semiconductor device
US5068124A (en) * 1989-11-17 1991-11-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depositing high quality silicon dioxide by pecvd
JP3029434B2 (ja) * 1989-12-29 2000-04-04 正俊 右高 絶縁膜の製造方法及びこの絶縁膜を使用する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3229871A (ja) * 1990-02-01 1991-10-11 Toagosei Chem Ind Co Ltd 絶縁膜の製造方法及びこの絶縁膜を使用する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5268320A (en) * 1990-12-26 1993-12-07 Intel Corporation Method of increasing the accuracy of an analog circuit employing floating gate memory devices
JP2764472B2 (ja) * 1991-03-25 1998-06-11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半導体の成膜方法
JPH053319A (ja) * 1991-06-25 1993-01-08 Canon Inc 薄膜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267684A (ja) * 1992-03-18 1993-10-15 Rohm Co Ltd 不揮発性記憶素子
JP3295133B2 (ja) * 1992-07-30 2002-06-24 シャープ株式会社 非晶質半導体の製造方法
EP0600303B1 (en) * 1992-12-01 2002-02-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for fabrication of dielectric thin film
JPH06192827A (ja) * 1992-12-28 1994-07-12 Canon Inc 堆積膜及びその形成方法
JP2786071B2 (ja) * 1993-02-17 1998-08-13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714803A (ja) * 1993-06-24 1995-01-17 Kawasaki Steel Corp Al薄膜の形成方法
JP2640910B2 (ja) * 1993-07-14 1997-08-13 株式会社フロンテック 電子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413276B2 (ja) * 1994-04-20 2003-06-03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薄膜の形成方法
JPH0851164A (ja) * 1994-08-08 1996-02-20 Matsushita Electron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115912A (ja) * 1994-10-14 1996-05-0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窒化ケイ素薄膜の作製方法
JP3586332B2 (ja) * 1995-02-28 2004-11-1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5707888A (en) * 1995-05-04 1998-01-13 Lsi Logic Corporation Oxide formed in semiconductor substrate by implantation of substrate with a noble gas prior to oxidation
JPH0955351A (ja) * 1995-08-15 1997-02-25 Sony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5891809A (en) * 1995-09-29 1999-04-06 Intel Corporation Manufacturable dielectric formed using multiple oxidation and anneal steps
JPH09172081A (ja) * 1995-12-19 1997-06-30 Sony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9205155A (ja) * 1996-01-25 1997-08-05 Sony Corp 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
JP3802945B2 (ja) * 1996-02-01 2006-08-02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
JPH09223752A (ja) * 1996-02-16 1997-08-26 Hitachi Ltd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
US6110842A (en) * 1996-06-07 2000-08-2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of forming multiple gate oxide thicknesses using high density plasma nitridation
JPH1060655A (ja) * 1996-08-22 1998-03-03 Canon Inc 薄膜形成方法および装置
US5939763A (en) * 1996-09-05 1999-08-17 Advanced Micro Devices, Inc. Ultrathin oxynitride structure and process for VLSI applications
JPH1098038A (ja) * 1996-09-19 1998-04-14 Sony Corp 半導体装置におけるシリコン酸化膜の形成方法
GB2319533B (en) * 1996-11-22 2001-06-06 Trikon Equip Ltd Methods of forming a barrier layer
JPH10237662A (ja) * 1996-12-24 1998-09-08 Sony Corp 金属膜のプラズマcvd方法、および金属窒化物膜の形成方法ならびに半導体装置
JP4356117B2 (ja) * 1997-01-29 2009-11-04 財団法人国際科学振興財団 プラズマ装置
US6287988B1 (en) * 1997-03-18 2001-09-11 Kabushiki Kaisha Toshiba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semiconductor device
US6461984B1 (en) * 1997-03-18 2002-10-08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Semiconductor device using N2O plasma oxide and a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3191745B2 (ja) * 1997-04-23 2001-07-23 日本電気株式会社 薄膜トランジスタ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6040216A (en) * 1997-08-11 2000-03-21 Mosel Vitelic, Inc.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tunnel silicon oxynitride layer
JPH11162970A (ja) * 1997-11-25 1999-06-18 Sony Corp 酸化膜の形成方法
JP3838397B2 (ja) * 1997-12-02 2006-10-25 忠弘 大見 半導体製造方法
JPH11204517A (ja) * 1998-01-12 1999-07-30 Sony Corp シリコン酸化膜の形成方法、及びシリコン酸化膜形成装置
JPH11219950A (ja) * 1998-02-03 1999-08-10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製造装置
JPH11279773A (ja) * 1998-03-27 1999-10-12 Tomoo Ueno 成膜方法
JPH11340321A (ja) * 1998-05-27 1999-12-10 Sony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20009861A1 (en) * 1998-06-12 2002-01-24 Pravin K. Narwankar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formation of dielectric layers
US6727148B1 (en) * 1998-06-30 2004-04-27 Lam Research Corporation ULSI MOS with high dielectric constant gate insulator
JP3837934B2 (ja) * 1998-09-16 2006-10-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837938B2 (ja) * 1998-09-28 2006-10-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薄膜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4135236B2 (ja) * 1998-11-19 2008-08-20 ソニー株式会社 Cvd膜の成膜方法
JP2000223439A (ja) * 1999-01-27 2000-08-11 Sony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119029B2 (ja) * 1999-03-10 2008-07-16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745495B1 (ko) * 1999-03-10 2007-08-03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반도체 제조방법 및 반도체 제조장치
JP3326718B2 (ja) * 1999-03-19 2002-09-24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736189B2 (ja) * 1999-03-30 2006-01-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SiO2膜の形成方法、薄膜トランジスタデバイス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0332009A (ja) * 1999-05-25 2000-11-30 Sony Corp 絶縁膜の形成方法及びp形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JP2001015507A (ja) * 1999-06-30 2001-01-19 Toshiba Corp シリコン酸化窒化膜の形成方法
JP2001044375A (ja) * 1999-07-29 2001-02-16 Fujitsu Ltd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380033B1 (en) * 1999-09-20 2002-04-30 Advanced Micro Devices, Inc. Process to improve read disturb for NAND flash memory devices
US6337289B1 (en) * 1999-09-24 2002-01-08 Applied Material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a metal nitride film in a semiconductor device
KR20010066386A (ko) * 1999-12-31 2001-07-11 박종섭 플래시 메모리의 게이트전극 제조방법
US6297103B1 (en) * 2000-02-28 2001-10-02 Micron Technology, Inc. Structure and method for dual gate oxide thicknesses
WO2001069673A1 (fr) * 2000-03-13 2001-09-20 Tadahiro Ohmi Dispositif de memoire flash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procede de formation de pellicule dielectrique
JP4056195B2 (ja) * 2000-03-30 2008-03-05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2423A (ja) * 1990-08-08 1992-03-25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JPH0964307A (ja) * 1995-08-29 1997-03-07 Hitachi Ltd 酸化物薄膜の熱処理方法
JPH10135207A (ja) * 1996-10-24 1998-05-22 Lg Semicon Co Ltd N2oガスを用いた薄膜形成方法
JP2000022139A (ja) * 1998-06-30 2000-01-21 Toshiba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239749A (ja) 2013-11-28
EP1265276A1 (en) 2002-12-11
JP5479437B2 (ja) 2014-04-23
US6551948B2 (en) 2003-04-22
JP2012089855A (ja) 2012-05-10
US6669825B2 (en) 2003-12-30
US6838394B2 (en) 2005-01-04
TW527683B (en) 2003-04-11
EP1265276B1 (en) 2011-06-22
KR20020086638A (ko) 2002-11-18
WO2001069665A1 (fr) 2001-09-20
US20030148568A1 (en) 2003-08-07
EP1265279A4 (en) 2004-11-24
US6998355B2 (en) 2006-02-14
US7026681B2 (en) 2006-04-11
EP1912253A3 (en) 2009-12-30
EP1265276A4 (en) 2005-07-13
EP1265279A1 (en) 2002-12-11
US6846753B2 (en) 2005-01-25
KR100833406B1 (ko) 2008-05-28
JP2013077823A (ja) 2013-04-25
US20030137007A1 (en) 2003-07-24
DE60140179D1 (de) 2009-11-26
US20030148629A1 (en) 2003-08-07
WO2001069673A1 (fr) 2001-09-20
US20040171216A1 (en) 2004-09-02
JP2011119747A (ja) 2011-06-16
US7109083B2 (en) 2006-09-19
JP4966466B2 (ja) 2012-07-04
JP4987206B2 (ja) 2012-07-25
TW498544B (en) 2002-08-11
US20020040847A1 (en) 2002-04-11
ATE514181T1 (de) 2011-07-15
EP1912253A2 (en) 2008-04-16
US6998354B2 (en) 2006-02-14
US20040150031A1 (en) 2004-08-05
JP5386515B2 (ja) 2014-01-15
EP1265279B1 (en) 2009-10-14
US20020025691A1 (en) 2002-02-28
KR20030009386A (ko) 2003-01-29
US20040152263A1 (en) 2004-08-05
US7001855B2 (en) 2006-02-21
US20040121538A1 (en) 200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0078B1 (ko) 산화막의 형성 방법, 질화막의 형성 방법, 산질화막의 형성 방법, 산화막의 스퍼터링 방법, 질화막의 스퍼터링 방법, 산질화막의 스퍼터링 방법, 게이트 절연막의 형성 방법
JP5068402B2 (ja) 誘電体膜およびその形成方法、半導体装置、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4713752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803275B1 (en) ONO fabrication process for reducing oxygen vacancy content in bottom oxide layer in flash memory devices
US7033957B1 (en) ONO fabrication process for increasing oxygen content at bottom oxide-substrate interface in flash memory devices
US20010044187A1 (en) Method for forming gate electrode of flash memory
US7510931B2 (en) Method of fabricating a nonvolatile memory device
KR20030040733A (ko) 반도체 장치에서 유전막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