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6991B1 - 노이즈 필터 및 노이즈 필터를 이용한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노이즈 필터 및 노이즈 필터를 이용한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6991B1
KR100686991B1 KR1020027011728A KR20027011728A KR100686991B1 KR 100686991 B1 KR100686991 B1 KR 100686991B1 KR 1020027011728 A KR1020027011728 A KR 1020027011728A KR 20027011728 A KR20027011728 A KR 20027011728A KR 100686991 B1 KR100686991 B1 KR 100686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coil
noise filter
magnetic body
conduc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1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7453A (ko
Inventor
나카야마쇼고
오리타다케시
우리우에이이치
오이시가즈오
와시자키도모유키
니시무라고지
마츠무라가즈토시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7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7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6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6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2017/0093Common mode choke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6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substantially closed in itself, e.g. toroid
    • H01F2017/065Core mounted around conductor to absorb noise, e.g. EMI filt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00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 H03H2001/0092Inductor filters, i.e. inductors whose parasitic capacitance is of relevance to consider it as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Filters And Equalizers (AREA)

Abstract

자성체 시트(24, 28, 30, 31)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함으로써 형성된 자성체(32), 상기 자성체(32) 내에 형성된 제1 임피던스 소자(21), 및 상기 제1 임피던스 소자(21)의 위쪽에 형성된 제2 임피던스 소자(25)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임피던스 소자(21)는 제1 노멀 임피던스 소자부(22)와 제1 공통 임피던스 소자부(23)를 갖고, 상기 제2 임피던스 소자(25)는 제2 공통 임피던스 소자부(26)와 제2 노멀노멀던스 소자부(27)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노이즈 필터 및 노이즈 필터를 이용한 전자 기기{NOISE FILTE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NOISE FILTER}
본 발명은 휴대 전화, 정보 기기 등의 노이즈 대책으로 사용되는 노이즈 필터 및 이 노이즈 필터를 이용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노이즈 필터는 특개평 8-335517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도 35는 종래의 노이즈 필터(적층 공통 모드 초크 코일)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1 코일(1)과 제1 코일(1)의 위쪽에 형성된 제2 코일(2)은 소용돌이 형상으로 형성되며, 은으로 이루어진다.
절연 시트(3)는 제1 코일(1)의 하면에 형성되고, 두 개의 비아 홀(via hole)(4, 5)이 설치되어 있다. 제2 절연체 시트(6)는 제1 코일(1)과 제2 코일(2) 사이에 형성되고, 하나의 비아 홀(7)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제1 절연체 시트(3), 제2 절연체 시트(6)는 폴리이미드 등으로 이루어진 절연성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코일(1)의 일단부에 설치된 제1 외부 전극(8), 제1 코일(1)의 다른 일단부인 제1 비아 전극(8a)은 각각 제1 코일과 동일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외부 전극(9)은 제1 절연체 시트(3)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 제1 절연체 시트(3)의 하면에는 제2 비아 전극(9a)이 형성되고, 제2 외부 전극(9)은 제1 절연체 시트(3)에 형성된 비아 홀(4), 제2 비아 전극(9a) 및 제1 절연체 시트(3)의 하면에 형성된 제1 인출부(10)를 통해 제1 비아 전극(8a)과 접속되어 있다.
제2 코일(2)의 일단부에 설치된 제3 외부 전극(11)과, 제2 코일(2)의 다른 일단부에 설치된 제3 비아 전극(11a)이 각각 제2 코일(2)과 동일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4 외부 전극(12)이 제1 절연체 시트(3)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 제1 절연체 시트(3)의 하면에는 제4 비아 전극(12a)이 형성되고, 제4 외부 전극(12)은 제2 절연체 시트(6)에 형성된 비아 홀(7), 제1 절연체 시트(3)에 형성된 비아 홀(5), 제4 비아 전극(12a), 및 제1 절연체 시트(3)의 하면에 형성된 제2 인출부(13)를 통해 제2 코일(2)과 접속되어 있다. 즉, 제2 외부 전극(9)과 제4 외부 전극(12)은 동일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외부 전극(8), 제2 외부 전극(9), 제3 외부 전극(11), 제4 외부 전극(12)은 각각 제1 절연체 시트(3), 제2 절연체 시트(6)의 단면에 대해 그 일부가 노출하고 있다.
제3 절연체 시트(14)는 제2 외부 전극(9), 제4 외부 전극(12)의 하면 및 제1 코일(1)의 상면에 소정 매수 형성되며, 페라이트로 이루어진다.
이 종래의 노이즈 필터는 제1 코일(1), 제2 코일(2)에 공통 모드의 노이즈가 인가되었을 때, 각 코일(1, 2)의 임피던스값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공통 모드의 노이즈를 제거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노이즈 필터는 공통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더 높일 수 없다는 과제를 갖고 있었다.
즉, 제1 코일(1), 제2 코일(2) 각각의 일단부(제1 코일(1)에 접속되는 제2 외부 전극(9)과 제2 코일(2)에 접속되는 제4 외부 전극(12))는 동일 방향으로(아래 쪽) 인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코일(1)에 형성된 제1 비아 전극(8a) 및 제2 코일(2)과 제4 비아 전극(12a)이나 제4 외부 전극(12)을 접속하기 위한 비아 홀(5, 7)이 단락할 가능성이 있다. 만약 단락하면 제1 코일(1)과 제2 코일(2)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공통 모드 노이즈의 제거 특성이 얻어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비아 전극(8a)과 비아 홀(7) 사이에 어느 정도의 간격(15)을 둘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간격(15) 사이에는 제1 코일(1)의 연장 부분이 되는 도체를 설치할 수 없고, 그 결과, 간격(15) 사이에 상당하는 부분에는 제1 코일(1)과 제2 코일(2)을 겹칠 수 없기 때문에, 제1 코일(1)과 제2 코일(2) 사이의 중복 영역을 그 이상 증가시킬 수 없다.
또, 제1 코일(1)과 제2 코일(2)에서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반대가 되었을 때, 제1, 제2 코일에서 각각 발생하는 자속이 서로 약해지기(상쇄하기) 때문에, 노멀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높게 할 수 없다는 과제를 갖고 있었다.
또, 종래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는 실공평 7-45932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도 36은 종래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적층형 코일)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체부(201)에 제1 코일과 제2 코일이 형성되어 있다. 상하의 전극부(202, 203)가 본체부(1)를 끼우도록 설치되어 있다. 자기 차폐층(204, 205)이 공통 모 드 노이즈 필터의 가장 바깥층에 설치되어 있다. 즉, 종래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는 본체부(201), 전극(202, 203), 자기 차폐층(204, 205)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201)는 다수의 제1 코일용 자성체 시트(206, 207, 208)와, 제2 코일용 자성체 시트(2, 9, 210, 211)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코일용 자성체 시트(206∼208)와 제2 코일용 자성체 시트(209∼211)는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즉, 아래에서부터 제2 코일용 자성체 시트(211), 제1 코일용 자성체 시트(208), 제2 코일용 자성체 시트(210), 제1 코일용 자성체 시트(207), 제2 코일용 자성체 시트(209), 제1 코일용 자성체 시트(206)의 순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자성체 시트(206∼211)의 상면에는 거의 1턴(turn)의 사각형의 제1 코일 형성용 도체 패턴(212, 213, 214)과, 제2 코일 형성용 도체 패턴(215, 216, 217)이 인쇄되어 있다.
자성체 시트(206)에 형성된 도체 패턴(212)의 끝단(212b)은, 끝단(212b) 부분의 관통홀(212c), 자성체 시트(209)의 관통홀(209a)을 통해 자성체 시트(207)에 형성된 도체 패턴(213)의 시작단(213a)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자성체 시트(207)에 형성된 도체 패턴(213)의 끝단(213b)은, 끝단(213b) 부분의 관통홀(213c), 자성체 시트(210)의 관통홀(210a)을 통해 자성체 시트(208)에 형성된 도체 패턴(214)의 시작단(214a)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자성체 시트(209)에 형성된 도체 패턴(215)의 끝단(215b)은 끝단(215b) 부분의 관통홀(215c), 자성체 시트(207)의 관통홀(207a)을 통해 자성체 시트(210)에 형성된 도체 패턴(216)의 시작단(216a)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자성체 시트(210)에 형성된 도체 패턴(216)의 끝단(216b)은, 끝단(216b) 부분의 관통홀(216c), 자성체 시트(208)의 관통홀(214a)을 통해 자성체 시트(211)에 형성된 도체 패턴(217)의 시작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하여, 자성체 시트(206∼208)의 도체 패턴(212∼214)으로 이루어진 제1 코일과, 자성체 시트(209∼211)의 도체 패턴(215∼217)으로 이루어져, 제1 코일과 동상으로 동일 턴 수의 제2 코일이 한층마다 형성되어 있다.
또, 상부 전극(202)은 자성체 시트(218, 219, 220)로 구성되어 있다. 각 자성체 시트(218∼220)에는 각각 인출용 전극 도체 패턴(221a, 221b, 221c)과 (222a, 222b, 222c)이 형성되어 있다.
인출용 전극 도체 패턴(221a∼221c)은 관통홀에 의해 서로 접속되고, 또 이들에는 제1 코일을 형성하는 자성체 패턴(206)의 도체 패턴(212)의 시작단(212a)이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인출용 전극 도체 패턴(222a∼222c)은 관통홀에 의해 서로 접속되고, 또 이들에는 자성체 시트(206)의 관통홀(206a)을 통해 제2 코일을 형성하는 자성체 패턴(209)의 도체 패턴(215)의 시작단(215a)이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하여, 상 전극부(202)에는 제1 코일의 인출 전극 터미널(T1a)과, 제2 코일의 인출 전극 터미널(T2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하부 전극(203)은 자성체 시트(223, 224, 225)로 구성되어 있다. 각 자성체 시트(223∼225)에는 각각 인출용 전극 도체 패턴(226a, 226b, 226c)과 (227a, 227b, 227c)이 형성되어 있다.(227b, 227c는 도시하지 않음)
인출용 전극 도체 패턴(226a∼226c)은 관통홀에 의해 서로 접속되고, 또 이들은 자성체 시트(211)의 관통홀(211a)을 통해 제1 코일을 형성하는 자성체 패턴(208)의 도체 패턴(214)의 끝단(214b)이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인출용 전극 도체 패턴(227a∼227c)은 관통홀에 의해 서로 접속되고, 또 이들에는 제2 코일을 형성하는 자성체 패턴(211)의 도체 패턴(217)의 끝단이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하여, 하부 전극(203)에는 제1 코일의 인출 전극 터미널(T1b)과, 제2 코일의 인출 전극 터미널(T2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종래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는, 제1 코일, 제2 코일에 공통 모드의 노이즈가 인가되었을 때, 각 코일의 임피던스값이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공통 모드의 노이즈를 제거해왔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는 공통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더 높게 할 수 없다는 과제를 갖고 있었다.
즉, 이것은 사각형의 도체 패턴(212∼217) 중 제1 코일을 구성하는 212를 예로 하면, 시작단(212a)이 끝단(212b)보다 내측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작단(212a)과 도체 패턴(212)이 절곡하는 (212d) 사이의 도체 패턴을 제2 코일을 구성하는 도체 패턴(215)과 상면에서 보아 겹치게 할 수 없고, 이에 따라, 제1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속과 제2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속이 서로에 의해 효율적으로 서로 강해질 수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공통 모드, 노멀 모드 양쪽의 임피던스값을 높게 할 수 있고, 공통 모드의 노이즈에서도 노멀 모드의 노이즈에서도 제거 특성이 높은 노이즈 필터, 노이즈 필터를 이용한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공통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보다 높게 할 수 있어, 공통 모드의 노이즈 제거 특성이 높은 노이즈 필터 및 이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를 이용한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 1(후술하는 실시예 1, 2)의 노이즈 필터는 자성체 시트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함으로써 형성된 자성체, 상기 자성체 내에 형성된 제1 임피던스 소자, 상기 제1 임피던스 소자의 위쪽에 형성된 제2 임피던스 소자, 및 상기 자성체의 양 단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제2 임피던스 소자의 각 단부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외부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임피던스 소자는 제1 노멀 임피던스 소자부와, 상기 제1 노멀 임피던스 소자부의 위쪽에서 상기 제1 노멀 임피던스 소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공통 임피던스 소자부를 갖고, 상기 제2 임피던스 소자는 제2 공통 임피던스 소자부와, 상기 제2 공통 임피던스 소자부의 위쪽에서 상기 제2 공통 임피던스 소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노멀 임피던스 소자부를 가지며, 상기 제1 공통 임피던스 소자부와 상기 제2 공통 임피던스 소자부는 서로 대향하고, 또 절연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공통 모드, 노멀 모드 양쪽의 임피던스값을 높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 2(후술하는 실시예 3, 4, 5)의 노이즈 필터는 자성체 시트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함으로써 형성된 자성체, 다수의 제1 내부 도체를 적층함으로써 형성된 제1 코일, 다수의 제2 내부 도체를 적층함으로써 형성된 제2 코일, 및 상기 자성체의 양 단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제2 코일의 각 단부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외부 전극을 갖고, 상기 자성체 내에 상기 제1 내부 도체로 이루어진 제1 적층부, 상기 제1 적층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내부 도체와 상기 제2 내부 도체가 교대로 적층된 제2 적층부, 및 상기 제2 적층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내부 도체로 이루어진 제3 적층부가 구비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공통 모드, 노멀 모드 양쪽의 임피던스값을 높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 3(후술하는 실시예6)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는 자성체 시트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함으로써 형성된 자성체, 다수의 제1 내부 도체를 적층함으로써 형성된 제1 코일, 상기 제1 내부 도체와 교대로 형성된 다수의 제2 내부 도체를 적층함으로써 형성되며, 또 상기 자성체의 상면에서 보아 상기 제1 코일과 겹치는 제2 코일, 및 상기 제1 내부 도체끼리 또는 상기 제2 내부 도체끼리를 접속하기 위해 상기 자성체 시트에 형성된 다수의 비아 홀을 갖고, 상기 제1 내부 도체끼리를 접속하는 비아 홀은 상기 자성체의 상면에서 보아 상기 제2 코일과 겹치고, 상기 제2 내부 도체끼리를 접속하는 비아 홀과, 상기 자성체의 상면에서 보아 상기 제1 코일과 겹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내부 도체와, 상기 제1 내부 도체와 인접하는 상기 제2 내부 도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자성체의 상면에서 보아 거의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공통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보다 높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노이즈 필터의 분해 사시도,
도 2(a)는 동 노이즈 필터의 A-A선 단면도,
도 2(b)는 동 노이즈 필터의 사시도,
도 3(a)는 동 노이즈 필터에 노멀 모드, 공통 모드의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의 임피던스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 3(b)는 동 노이즈 필터에 노멀 모드, 공통 모드의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의 임피던스 특성의 측정 회로를 도시한 도면,
도 4(a)∼(d)는 동 노이즈 필터의 각 도체의 상면도,
도 4(e)는 동 노이즈 필터의 다른 예의 단면도,
도 5(a)는 동 노이즈 필터(패턴(A))의 등가 회로도,
도 5(b)는 동 노이즈 필터(패턴(B))의 등가 회로도,
도 6(a)는 동 노이즈 필터(패턴(a)) 및 패턴(B))에 노멀 모드의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의 임피던스 특성(감쇠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b)는 동 패턴(A) 및 패턴(B)의 노이즈 필터를 모식하여 각 패턴이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도시한 도면,
도 7(a)∼(f)는 동 노이즈 필터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동 노이즈 필터의 제2 도체와 제3 도체간의 거리와, 결합 계수, 내전압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동 노이즈 필터의 다른 예의 단면도,
도 10은 고주파 영역에서 임피던스 값이 향상한 것을 도시한 주파수 특성도,
도 11(a), (b)는 동 노이즈 필터의 다른 예의 단면도,
도 12(a)∼(d)는 동 노이즈 필터의 다른 예의 상면도,
도 13은 동 노이즈 필터의 다른 예의 단면도,
도 14(a), (b), (d), (e)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노이즈 필터의 각 도체의 상면도,
도 14(c), (f)는 동 노이즈 필터의 패턴 투과도,
도 15(a)는 휴대 전화의 한 쌍의 신호 라인의 반송파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
도 15(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2의 노이즈 필터의 사용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15(c)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2의 노이즈 필터가 휴대 전화의 한 쌍의 신호 라인에 사용되었을 때의 감쇠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노이즈 필터의 분해 사시도,
도 17(a)은 동 노이즈 필터의 A-A선 단면도,
도 17(b)는 동 노이즈 필터의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 및 4의 노이즈 필터의 등가 회로도,
도 19(a)는 동 주요부인 제2 적층부의 내부 도체의 턴 수와 결합 계수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9(b)는 동 주요부인 제1 적층부 및 제3 적층부의 내부 도체의 턴 수와 결합 계수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20(a)∼(g)는 동 노이즈 필터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노이즈 필터의 분해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노이즈 필터의 분해 사시도,
도 23(a)는 동 도 22의 A-A선 단면도,
도 23(b)는 동 노이즈 필터의 상면 투과도,
도 24는 동 노이즈 필터의 다른 예의 단면도,
도 25(a), (b)는 동 노이즈 필터의 다른 예의 상면 투과도,
도 26(a)는 동 노이즈 필터의 다른 예의 분해 사시도,
도 26(b)는 동 노이즈 필터의 다른 예의 A-A선 단면도,
도 27은 동 노이즈 필터의 등가 회로도,
도 28(a)은 본 발명의 실시예 3∼5의 노이즈 필터(패턴(A))의 단면도,
도 28(b), (c)는 패턴(B)의 노이즈 필터의 단면도,
도 28(d)는 본 발명의 실시예 3∼5의 노이즈 필터(패턴(A)와 패턴(B))의 주파수와 감쇠량과의 관계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 29는 비교예의 패턴(B)의 노이즈 필터의 등가 회로도,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의 분해 사시도,
도 31(a)은 동 A-A선 단면도,
도 31(b)는 동 사시도,
도 32(a)∼(c)는 동 제조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
도 33(a)∼(d)는 동 제조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
도 34(a)는 휴대 전화의 한 쌍의 신호 라인의 반송파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
도 34(b)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의 사용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34(c)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가 휴대 전화의 한 쌍의 신호 라인에 사용되었을 때의 주파수와 감쇠량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35는 종래의 노이즈 필터의 분해 사시도,
도 36은 종래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노이즈 필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노이즈 필터의 분해 사시도, 도 2(a)는 동 노이즈 필터의 A-A선 단면도, 도 2(b)는 동 노이즈 필터의 사시도이다.
또, 이하 제1 임피던스 소자를 제1 코일, 제2 임피던스 소자를 제2 코일, 제1 노멀 임피던스 소자부를 제1 도체, 제1 공통 임피던스 소자부를 제2 도체, 제2 공통 임피던스 소자부를 제3 도체, 제2 노멀 임피던스 소자부를 제4 도체라 한다.
도 1, 도 2에서 제1 코일(21)은 소용돌이 형상의 제1 도체(22) 및 제1 도체(22)의 위쪽에 형성된 소용돌이의 형상의 제2 도체(23)로 이루어진다. 제1 도체(22)는 제1 인출부(22a)와 소용돌이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1 비아 전극(22b)을, 제2 도체(23)는 제2 인출부(23a)와 소용돌이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2 비아 전극(23b)을 각각 갖고 있다. 또, 제1 도체(22)와 제2 도체(23)는 인출부(22a, 23a)간에 전류를 흐르게 했을 때, 제1 도체(22)와 제2 도체(23)에 흐르는 전류는 제2 도체(23)의 위쪽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보아 동일한 방향(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인출부(22a, 23a)는 서로 평면 방향에 대해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사각형의 제1 자성체(24)는 제1 도체(22)와 제2 도체(23) 사이에 형성되며, 제1 비아 홀(24a)을 갖고 있다. 또, 제1 비아 전극(22b)과 제2 비아 전극(23b)이 제1 비아 홀(24a)에 의해 서로 접속되고, 이에 따라, 제1 도체(22)와 제2 도체(23)가 접속되어, 제1 코일(21)이 형성된다.
제2 코일(25)은 소용돌이 형상의 제3 도체(26) 및 제3 도체(26)의 위쪽에 형성된 소용돌이 형상의 제4 도체(27)로 이루어진다. 제3 도체(26)는 제3 인출부(26a)와 소용돌이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3 비아 전극(26b)을, 제4 도체(27)는 제4 인출부(27a)와 소용돌이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4 비아 전극(27b)을 각각 갖고 있다. 또, 제3 도체(26)와 제4 도체(27)는 인출부(26a, 27a)간에 전류를 흐르게 했을 때, 제3 도체(26)나 제4 도체(27)에 흐르는 전류는 제4 도체(27)의 위쪽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보아 동일 방향(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인출부(26a, 27a)는 평면 방향에 대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또 인출부(26a)가 인출부(22a)와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사각형의 제2 자성체 시트(28)는 제3 도체(26)와 제4 도체(27) 사이에 형성 되며, 제2 비아 홀(29)을 갖고 있다. 또, 제3 비아 전극(26b)과 제4 비아 전극(27b)이 제2 비아 홀(29)에 의해 서로 접속되고, 이에 따라 제3 도체(26)와 제4 도체(27)가 접속되어, 제2 코일(25)이 형성된다.
또, 도 2(a)에서는 제1 비아 홀(24a)과 제2 비아 홀(29)이 상면에서 보아 거의 동일한 위치로 되어 있지만, 상면에서 보아 어긋난 위치에 있어도 된다.
이 때, 각 도체(22, 23, 26, 27)는 은, 구리 등의 도전체로 이루어지고, 그 길이, 폭, 두께는 소정의 특성에 맞도록 조정하면 된다. 또, 구리를 이용하면 후술하는 소성이 불필요하게 되고, 은을 이용하면 에어 분위기 중에서 소성할 수 있다. 또, 소용돌이 형상의 각 도체(22, 23, 26, 27)는 한 평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외형 치수(인출부(22a, 23a, 26a, 27a)를 제외한 가로 세로 폭의 치수), 도체선간 피치, 턴 수는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즉, 각 도체(22, 23, 26, 27)는 인출부(인출부(22a, 23a, 26a, 27a)를 제외한 부분이 거의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단, 소용돌이 형상의 제1 도체(22), 제3 도체(26)의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는 방향은 제4 도체(27)의 위쪽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제2 도체(23), 제4 도체(27)는 시계 방향으로 되어 있다.
또, 제2 도체(23)와 제3 도체(26)는 서로 대향하고, 또 그 사이는 절연되어 있다. 또, 동일 방향으로 인출되어 있는 인출부(22a, 26a)로부터 인출부(23a, 27a)로 전류를 흘려보냈을 때, 제4 도체(27)의 위쪽(후술하는 자성체(32)의 위쪽)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보아 제2 도체(23)와 제3 도체(26)에 동일 방향(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배치 관계에 각 도체(22, 23, 26, 27)를 형성함으로써, 제2 도체(23)나 제3 도체(26)의 일단부(제2 비아 전극(23b), 제3 비아 전극(26b))이 상하 방향으로 따로따로(제2 도체(23)는 아래쪽의 제1 도체(22)와, 제3 도체(26)는 위쪽의 제4 도체(27)와) 각각 접속되기 때문에, 제2 도체(23)와 제3 도체(26)가 단락할 가능성이 없어진다.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은 인접하는 각 도체간의 거리는, 50㎛보다 길고, 200㎛보다 짧다. 이에 따라, 종래의 노이즈 필터와 달리 제2 도체(23)나 제3 도체(26)를 필요한만큼 연장할 수 있는 데다, 제2 도체(23)와 제3 도체(26)는 소용돌이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2 도체(23)와 제3 도체(26)와의 중복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제2 도체(23)와 제3 도체(26)에 동일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면, 제2 도체(23), 제3 도체(26)에서 각각 발생하는 자속을 서로 강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공통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높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제2 도체(23)와 제3 도체(26)에 역방향의 전류가 흘러 제2 도체(23), 제3 도체(26)에서 각각 발생하는 자속을 서로 약하게 하는(상쇄하는) 것에 의해서도, 제1 도체(22)와 제4 도체(27)는 제2 도체(23)와 제3 도체(26)를 통해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제1 도체(22), 제4 도체(27)에서 각각 발생하는 자속을 서로 약하게(상쇄하는) 하지 않기 때문에, 노멀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높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얻어진다.
사각형의 제3 자성체 시트(30)가 제1 코일(21)과 제2 코일(25)의 사이(제2 도체(23)와 제3 도체(26)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제3 자성체 시트(30)에 의해 제2 도체(23)와 제3 도체(26) 사이가 절연된다. 사각형의 제4 자성체 시트(31)가 제1 코일(21)의 하면(제1 도체(22)의 하면)과, 제2 코일(25)의 상면(제4 도체(27) 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자성체 시트(24, 28, 30, 31)는 페라이트 분말체의 산화물 및 수지로 이루어진 혼합물로 구성되고, 수지와 페라이트를 혼합한 수지 복합 재료, 글래스 세라믹 등의 유전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수지를 이용한 경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성이 불필요해진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방향으로 적층함으로써 사각형이고, 판 형상의 자성체(32)가 형성된다. 또, 자성체(32)는 판 형상이 아니고,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 자성체(32)는 반드시 사각형일 필요는 없다. 또, 각각의 두께는 소정의 특성(임피던스값, 내전압 등)에 의해 적당히 조정하면 되고, 두께의 조정은 자성체 시트 자체의 두께를 변화시키거나, 형성되는 자성체 시트의 매수를 변화시킴으로써 행한다.
또, 자성체(32)는 불소계 시레인 커플링제가 주입되어 있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휘수성이 있는 불소계 시레인 커플링제가 자성체(32) 내에 존재하는 미세한 작은 구멍에 충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노이즈 필터 자신의 내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성체(32)의 양 단면에 형성된 외부 전극(33a, 33b, 33c, 33d) 중, 33a와 33c는 자성체(32)의 일 단면에, 33b와 33c는 자성체(32)의 다른 일 단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 외부 전극(33a, 33b, 33c, 33d)은 은 등의 도체 표면에 니켈 도금, 주석이나 땜납 등의 저융점 금속 도금이 행해지고 있다.
그리고, 제1 코일(21)의 양단부, 즉, 제1 인출부(22a), 제2 인출부(23a)는 제1 인출부(22a)가 외부 전극(33a)과, 제2 인출부(23a)가 외부 전극(33b)과 전기적 으로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코일(25)에 대해서도, 제3 인출부(26a)가 외부 전극(33c)과 제4 인출부(27a)가 외부 전극(33d)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제1 도체(22)와 제3 도체(26)가 자성체(32)의 일 단면에 인출되고, 제2 도체(23)와 제4 도체(27)가 자성체(32)의 다른 일 단면에 인출되어 있다.
또, 제2 도체(23), 제3 도체(26)의 형상을 소용돌이 형상으로 함으로써, 도체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도체(23)와 제3 도체(26)와의 중복 영역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도체(23)와 제3 도체(26)에 동일 방향의 전류가 흐르면, 공통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보다 높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적어도 제2 도체(23)와 제3 도체(26)는 전기 주조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이와 같이 하면, 작은 도체 폭, 가는 도체선간 피치를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소용돌이 형상의 제2 도체(23)와 제3 도체(26)의 길이를 더 길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도체(23)와 제3 도체(26)와의 중복 영역을 더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2 도체와 제3 도체에 동일 방향의 전류가 흐르면, 제2, 제3 도체에서 각각 발생하는 자속을 서로 더 강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통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더 높게 할 수 있다.
한편, 도체를 인쇄로 형성하는 경우는 마스크의 정도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작은 도체폭, 가는 도체선간 피치를 얻을 수 없고, 그 결과, 공통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높게 하는 것은 어느 정도까지밖에 할 수 없다.
또, 제2 도체(23)와 제3 도체(26)가 소용돌이 형상이고, 동일 방향으로 인출되어 있는 외부 전극(33a, 33c)으로부터 외부 전극(33b, 33d)으로 전류를 흐르게 했을 때, 자성체(32)의 위쪽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보아 제2 도체(23)와 제3 도체(26)에 동일 방향(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형성되고, 또 상기한 위치 관계에 있으면 공통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높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1 도체(22)와 제4 도체(27)는 제2 도체(23)와 제3 도체(26)에 대해 자성체(32)의 위쪽으로부터 평면에서 보아 위치가 어긋나거나, 감김 방향이 다르거나 해도 상관없다. 또, 한 평면에 형성된 소용돌이 형상이 아니라, 나선 형상으로 적층된 것, 활 형상의 것 등의 다른 형상이어도 좋다. 단, 소용돌이 형상이나 나선 형상(스파이럴 형상)이면, 발생하는 자속이 강하다. 그 때문에, 노멀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더 높게 할 수 있으므로, 스파이럴 형상인 쪽이 바람직하다. 또, 직선 형상의 경우는 발생하는 자속이 약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용도에는 적합하지 않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노이즈 필터에 노멀 모드, 공통 모드의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의 임피던스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때, 각 모드의 전류에 대해 주파수를 변화시켜, 입출력 단자간의 임피던스값을 측정했다(각각의 측정 회로는 도 3(b)에 도시한다). 시료로서, 각 도체(22, 23, 26, 27)의 외형 치수(인출부(22a, 23a, 26a, 27a)를 제외한 가로 세로의 치수)가 600㎛ ×600㎛, 턴 수가 4인 것을 이용했다.
도 3(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노이즈 필터는 노 멀 모드, 공통 모드 양쪽의 임피던스값을 높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여기에서, 도 4(a)∼(d)에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노이즈 필터의 각 도체(22, 23, 26, 27)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또, 제1 도체(22)가 제2 도체(23)와 교체되어도(이 때, 자성체(32)의 일 단면에 외부 전극(33a)과 (33b)이, 다른 일 단면에 외부 전극(33c)과 (33d)가 형성된다. 또, 이 때의 패턴을 이하 패턴(B), 상기한 패턴을 패턴(A)이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도체(22), 제2 도체(23)는 인출부(22a, 23a)를 제외하고, 자성체(32)의 위쪽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보아 거의 동일한 형상이 되기 때문에, 특성은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이 때의 단면도를 도 4(e)에 도시한다).
또, 패턴(A)(본 발명의 실시예 1)은 아래에서부터 제1 도체(22), 제2 도체(23), 제3 도체(26), 제4 도체(27)의 순으로 적층되고, 패턴(B)은 아래에서부터 제2 도체(23), 제1 도체(22), 제3 도체(26), 제4 도체(27)의 순으로 적층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도체(22, 23, 26, 27)의 상하 관계가 교체되어도, 이들의 형상은 각각의 인출부(22a, 23a, 26a, 27a)를 제외하고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각 도체(22, 23, 26, 27)의 상하 관계를 확인할 필요는 없고, 그 결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노이즈 필터(패턴(A))의 등가 회로도, 도 5(b)는 동 노이즈 필터(패턴(B))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노이즈 필터(패턴(A)) 및 패턴(B)의 노이즈 필터에 노멀 모드의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의 임피던스 특성(감쇠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 도 6(b)는 패턴(A) 및 패턴(B)(패턴(B1), 패턴(B2))를 모식하여 각 패턴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 시료는 도 3과 동일한 것을 이용했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패턴(B)의 경우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의해 감쇠 특성이 변화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노이즈 필터(패턴(A))는, 자성체(32)의 일단부에 형성된 외부 전극(33a, 33C)과 제1 도체(22), 제3 도체(26)와의 접속부 부근(인출부(22a, 26a))간의 거리와, 자성체(32)의 다른 일단부에 형성된 외부 전극(33b, 33d)과 제2 도체(23), 제4 도체(27)와의 접속부 부근(인출부(23a, 27a)간의 거리가 동일하기 때문에, 노멀 모드 전류가 인가되는 방향이 달라도 자성체 내에서 발생하는 부유 용량은 변화되지 않고, 이에 따라 실장 기판에 실장할 때에 방향이 달라져도, 감쇠 특성은 변화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실장 기판에 실장하는 방향을 지정할 필요가 없어, 제품 방향을 나타내는 마킹을 부여하는 공정 등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한편, 패턴(B)의 경우는 자성체(32)의 일단부에 형성된 외부 전극(33a, 33d)과 제1 도체(22), 제4 도체(27)와의 접속부 부근(인출부(22a, 27a))간의 거리와, 자성체(32)의 다른 일단부에 형성된 외부 전극(33b, 33c)과 제2 도체(23), 제3 도체(26)와의 접속부 부근(인출부(23a, 27a))간의 거리가 다르다. 이 때문에, 노멀 모드 전류가 인가되는 방향이 다르면 입출력 부분에 가까운 접속부 부근(인출부) 간의 거리도 다르기 때문에, 자성체 내에서 발생하는 부유 용량은 변화하고, 이에 따라 감쇠 특성이 변화하기 때문에, 제품에 방향을 나타내는 마킹 등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패턴(B)일 때(도 3의 도체(26)의 바로 아래에 제1 도체(22)가 형성되어 있을 때)는 제1 도체(22)와 제3 도체(26)는 인출부(22a, 23a, 26a, 27a)를 제외하고 거의 동일한 형상이고, 또 소용돌이의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는 방향은 자성체(32)의 위쪽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이기 때문에, 자성체(32)의 위쪽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보아 다르게 형성된다. 이 때, 각각의 중복 면적을 최대한으로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각각 발생하는 자속을 서로 강하게 할 수 있어, 공통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가장 높게 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실시예 1에서 외부 전극(33a∼33d)은 각각 자성체(32)의 양 단면에 형성되어 있지만, 자성체(32)의 상면에서 보아 네 모퉁이에 형성되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노이즈 필터에 대해서, 이하에 그 제조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f)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노이즈 필터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페라이트 분말체의 산화물 및 수지로 이루어지는 혼합물로부터 사각형의 제1 자성체 시트(24), 제2 자성체 시트(28), 제3 자성체 시트(30), 제4 자성체 시트(31)를 제작한다.
다음에, 제1 자성체 시트(24), 제2 자성체 시트(28)의 소정의 위치에 레버, 해칭 등으로 천공 가공하여 제1 비아 홀(24a), 제2 비아 홀(29)을 각각 설치한다. 또, 각 비아 홀(24a, 29)에 은 등의 도전 재료를 충전하면, 제1 도체(22)와 제2 도체(23), 제3 도체(26)와 제4 도체(27)와의 접속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판(33)에 각 도체(22, 23, 26, 27)의 패턴이 노출하도록 마스크를 형성하고, 이 노출한 부분에 은 도금을 행하여, 마스크를 제거함으로써(전기 주조법), 은 등으로 이루어진 소용돌이 형상의 제1 도체(22), 제2 도체(23), 제3 도체(26), 제4 도체(27)를 각각 다수 제작한다.
각 도체(22, 23, 26, 27)는 각각 일단부에 소용돌이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1 비아 전극(22b), 제2 비아 전극(23b), 제3 비아 전극(26b), 제4 비아 전극(27b)을 갖고, 또 다른 일단부에 각각 제1 인출부(22a), 제2 인출부(23a), 제3 인출부(26a), 제4 인출부(27a)를 갖고 있다.
또, 각 도체(22, 23, 26, 27)는 인출부(22a, 23a, 26a, 27a)를 제외한 부분이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인출부(22a, 23a) 및 (26a, 27a)는 각각 수평 방향에 대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또 인출부(26a)가 인출부(22a)와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한다.
다음에, 소정 매수의 제4 자성체 시트(31)의 상면에 다수의 제1 도체(22)를, 제1 도체(22)의 상면에 제1 비아 홀(24a)을 갖는 제1 자성체 시트(24)를, 또 제1 자성체 시트(24)의 상면에 다수의 제2 도체(23)를 각각 설치하여, 제1 코일(21)을 형성한다.
또, 이 때 제1 비아 전극(22b)과 제2 비아 전극(23b)을 제1 비아 홀(24a)을 통해 접속시켜, 제1 도체(22)와 제2 도체(23)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다음에, 제2 도체(23)의 상면에 제3 자성체 시트(30)를 형성한다.
다음에, 제3 자성체 시트(30)의 상면에 다수의 제3 도체(26)를, 제3 도체(26)의 상면에 제2 비아 홀(29)을 갖는 제2 자성체 시트(28)를, 또 제2 자성체 시트(28)의 상면에 다수의 제4 도체(27)를 각각 설치하여, 제2 코일(25)을 형성한다.
또, 이 때 제3 비아 전극(26b)과 제4 비아 전극(27b)을 제2 비아 홀(29)을 통해 접속시켜, 제3 도체(26)와 제4 도체(27)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 각 도체(22, 23, 26, 27)의 적층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순차 행해도 되고, 각 도체(22, 23, 26, 27)의 하면에 형성되는 각 자성 시트(24, 28, 30, 31)에 한번 형성한 후, 이 자성체 시트끼리를 적층해도 된다.
다음에, 제4 도체(27)의 상면에 소정 매수의 제4 자성체 시트(31)를 설치하여,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배치 관계로 적층한다.
다음에,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노이즈 필터에 각 도체(22, 23, 26, 27)가 각각 하나 내설되도록 절단하여,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하나의 적층물(34)을 얻는다. 이 때, 적층물(34)의 양 단면으로부터 제1 인출부(22a)와 제3 인출부(26a)가, 다른 단면에는 제2 인출부(23a)와 제4 인출부(27a)가 각각 노출하고 있다.
다음에, 이 적층물(34)을 소성하여 자성체(32)를 형성한다.
다음에, 도 7(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성체(32)를 모서리 따기한다.
마지막으로, 도 7(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성체(32)의 양 단면에 노출한 인출부(22a, 23a, 26a, 27a)에 각각 은 등의 도체를 형성하고, 또 이들의 표면에 도금에 의해 니켈 도금을, 니켈 도금의 표면에 도금에 의해 주석이나 땜납 등의 저융점 금속 도금을 각각 설치한다. 이에 따라, 제1 인출부(22a)에 외부 전극(33a)을, 제2 인출부(23a)에 외부 전극(33b)을, 제3 인출부(26a)에 외부 전극(33a)을, 제4 인출부(27a)에 외부 전극(33d)을 각각 형성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노이즈 필터를 제조한다.
또, 은 등의 도체를 형성한 후, 또 니켈 도금을 형성하기 전에 감압 분위기 중에서 자성체(32)에 불소계 시레인 커플링제를 주입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노이즈 필터에서, 제2 도체(23)와 제3 도체(26)와의 거리를 가깝게 하여 자기 결합을 크게 하면, 공통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높게 할 수 있지만, 제2 도체(23)와 제3 도체(26)와의 거리가 지나치게 가까워지면 제2 도체(23)와 제3 도체(26) 사이의 내전압이 악화하여, 제2 도체(23)와 제3 도체(26) 사이가 단락해 버린다.
따라서, 제2 도체(23)와 제3 도체(26)와의 거리(제3 자성체 시트(30)의 두께)는 소정 범위로 규정해야만 한다.
도 8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노이즈 필터의 제2 도체(23)와 제3 도체(26)와의 거리와, 결합 계수, 내전압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 내전압은 제2 도체(23)와 제3 도체(26) 사이에 100V, 1분간 인가했을 때의 양품률(절연 저항이 108Ω 이상인 것)을 나타내고, 가로축에 제2 도체(23)와 제3 도체(26)와의 거리를, 세로축에 결합 계수와 내전압 불량률을 도시하고 있다. 시료로서 각 내부 도체(22, 23, 26, 27)의 외형 치수가 600㎛ ×600㎛, 턴 수가 4인 것을 사용했다.
제2 도체(23)와 제3 도체(26)는 서로 대향하고, 또 그 사이는 절연되어 있다.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도체(23)와 제3 도체(26)와의 거리는 50㎛ 보다 길고, 200㎛ 보다 짧으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2 도체(23)와 제3 도체(26) 사이의 내전압을 유지할 수 있고, 또 제2, 제3 도체(23, 26)간의 결합 계수가 높아지기 때문에, 공통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높게 할 수 있다.
또, 이 종류의 노이즈 필터는 일반적으로 그 사이즈가 1.0mm ×1.0mm ×두께 0.5mm의 것이 사용되기 때문에, 각 도체(22, 23, 26, 27)의 가로 세로의 외형 치수는 각각 500㎛ ∼800㎛ 의 것이 통상 사용되고, 따라서, 각 도체(22, 23, 26, 27)의 가로 세로의 외형 치수에 대해 제2 도체(23)와 제3 도체의 도체(26) 사이의 거리는 1/4∼1/6이 된다.
또, 상기한 조건에서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자기적인 결합 계수가 0.2∼0.7인 것이 얻어졌다. 결합 계수의 오차가 발생하는 것은, 제2 도체(23)와 제3 도체(26) 사이의 거리가 변화하기 때문이다(자성체(32)의 재료 등의 조건이 동일한 경우).
또, 결합 계수는 각 도체(22, 23, 26, 27)의 턴 수에 의해 변화한다. 예컨 대, 제1 도체(22)와 제4 도체(27)의 턴 수를 1, 제2 도체(23)와 제3 도체(26)의 턴 수를 6으로 하면, 결합 계수 0.5∼0.95가 되었다. 턴 수의 차를 6배 이상으로 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노이즈 필터의 결합 계수는 0.2∼0.95가 된다. 이에 따라, 공통 모드, 노멀 모드 양쪽의 임피던스값을 높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도체(23)와 제3 도체(26) 사이의 거리나 각 도체의 턴 수를 변화시킴으로써, 결합 계수를 소정의 값으로 할 수 있다.
또,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도체(22)와 제2 도체(23) 사이의 거리(T1), 제3 도체(26)와 제4 도체(27) 사이의 거리(T2), 제2 도체(23)와 제3 도체(26) 사이의 거리(t)가 T1, T2>t가 되도록 하면, 제1 도체와 제2 도체 사이, 제3 도체와 제4 도체 사이, 및 제1 도체와 제4 도체 사이에서 발생하는 부유 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고주파 영역에서 임피던스값이 향상하고, 또 제1, 제4 도체간의 거리를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제4 도체에서 각각 발생하는 자속을 서로 약하게 하지(상쇄하지) 않고, 노멀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높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0은 고주파 영역에서 임피던스값이 향상한 것을 나타내는 주파수 특성도이다.
도 10에서, 주파수 특성(C)은 제1 도체(22)와 제2 도체(23) 사이, 제3 도체(26)와 제4 도체(27) 사이의 거리가 제2 도체(23)와 제3 도체(26) 사이의 거리와 거의 동일해지도록 한 것, 주파수 특성(D)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도체(22)와 제2 도체(23) 사이, 제3 도체(26)와 제4 도체(27) 사이의 거리가 제2 도체(23)와 제3 도체(26)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한 것을 나타내고, 세로축이 임피던스값, 가로축이 인가된 전류의 주파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임피던스값이 피크를 나타내는 주파수는, C보다 D쪽이 더 높은 값으로 되어 있다. 즉, D쪽이 고주파의 노이즈의 제거 특성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노이즈 필터에 있어서, 고주파 영역에서 임피던스값이 향상하는 다른 것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주파수가 변화하는 비율은 각 조건에 따라 다르다.
또, 도 11(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도체(22)와 제2 도체(23) 사이, 제3 도체(26)와 제4 도체(27) 사이, 자성체(32)보다 투자율이 낮은 재료(34a)를 설치하면 제1 도체(22)와 제4 도체(27)에서 각각 발생하는 자속을 서로 약하게(상쇄) 하지 않기 때문에, 노멀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높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투자율이 낮은 재료(34a)로서, 비자성체의 재료를 제1 자성체 시트(24), 제2 자성체 시트(28) 중에 설치한 것, 또는 제1 자성체 시트(24), 제2 자성체 시트(28)의 일부가 전부를 비자성체로 형성한 것, 또는 자성체 재료의 조성을 변경하여 투자율을 낮춘 것이면 된다.
단,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도체(22)와 제2 도체(23) 사이, 제3 도체(26)와 제4 도체(27) 사이, 모두에 투자율이 낮은 재료(34a)를 설치하는 것보다도,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적어도 투자율이 낮은 재료(34a)와 제2 도체(23), 제3 도체(26)와의 각각의 사이에 투자율이 높은(자성체(32)) 것을 설치하는 쪽이, 공통 모드의 임피던스값이 높아지게 되어 유리하다. 왜냐하면, 각각의 사이에 투자율이 높은 것을 설치함으로써, 제2 도체(23), 제3 도체(26)에서 발생하는 자속이 강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 12(a)∼(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제2 코일(21, 25)의 각 외부 전극간의 도체의 길이가 동일해지도록 하면, 인출부(22a, 23a, 26a, 27a)를 포함하는 전체의 코일의 길이가 동일해지기 때문에, 제1, 제2 코일(21, 25)의 임피던스값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그 수단으로서 각 도체의 비아 전극(22b, 23b, 26b, 27b)을 통과하는 선(35)에 대해 선 대칭이 되도록 각 도체(22, 23, 26, 27)을 형성한다. 점(36)은 각 도체(22, 23, 26, 27)와 선(35)이 교차하는 점이다. 또, 인출부(22a, 23a, 26a, 27a)가 자성체(32)의 단면에 노출하는 각각의 부분(37)이 선(35)에 대해 선대칭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점(36)과 (37)의 사이의 각 인출부(22a, 23a, 26a, 27a)의 길이가 동일해지도록 하면 된다.
또,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도체(23)와 제3 도체(26) 사이를 다른 부분보다 밀도가 높아지게 하면, 제 2 도체(23)와 제3 도체(26) 사이의 공극률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제2의 도체(23)와 제3의 도체(26) 사이의 내전압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이 때, 제 2의 도체(23)와 제3 도체(26) 사이의 부분의 다른 자성체 시트(자성체(32))보다 밀도가 높은 제5 자성체 시트(38)를 설치하면 되는데, 제5 자 성체 시트(38)의 재료로서, 소결 조재인 CuO나 Bi2O3의 함유율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제5 자성 시트(38) 자체로서 다른 자성체 시트(자성체(32))보다 밀도가 높은 것을 사용하면 된다.
(실시예 2)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노이즈 필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노이즈 필터와 본 발명의 실시예 1이 다른 점은, 제1 도체(22c)와 제2 도체(23c), 제3 도체(26c)와 제4 도체(27c) 각각, 자성체(32)의 위쪽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보아 각각 겹치지 않도록 형성된 점뿐이기 때문에, 다른 구조 및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a), (b), (d), (e)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노이즈 필터의 각 도체(22c, 23c, 26c, 27c)의 상면도, 도 14(c), (f)는 동 노이즈 필터의 제1 도체(22c)와 제2 도체(23c)의 제3 도체(26c)와 제4 도체(27c) 각각의 패턴 투과도이다.
도 14에 있어서, 제1 도체(22c)와 제2 도체(23c)가, 또 제3 도체(26c)와 제4 도체(27c)가 각각 직교하고 있기 때문에, 각각 자성체(32)의 위쪽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보아 각각 직교하고 있는 부분을 제외하고 겹쳐지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도체(22c)와 제2 도체(23c) 사이, 제3 도체(26c)와 제4 도체(27c) 사이에서 발생하는 부유 용량을 각각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고주파 영역에서 임피던스값이 향상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제1 도체(22c)와 제4 도체(27c)는 자성체(32)의 위쪽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보아 제2 도체(23c)나 제3 도체(26c)와 겹쳐지지 않도록 형성해도 좋다.
또, 제2 도체(23c)와 제3 도체(26c)는 동일 방향으로 인출되어 있는 인출부(22a, 26a)(외부 전극(33a, 33c))로부터 인출부(23a, 27a(외부 전극(33b, 33d))에 전류를 흐르게 했을 때, 자성체(32)의 위쪽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보아 동일 방향(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형성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의 노이즈 필터는, 코일(21, 25)(임피던스 소자)을 두 개 상하로 적층한 것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다수 상하에 적층한 것이어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이 경우, 상하 방향에 인접하는 도체(공통 임피던스 소자부)는 공통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높게 할 수 있어, 최상부, 최하부의 도체(노멀 임피던스 소자부)는 노멀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높게 할 수 있고, 또 공통 임피던스 소자부와 노멀 임피던스 소자부 사이의 도체는, 이 노멀 모드의 임피던스값과 공통 모드의 임피던스값의 중간적인 값도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면, 노멀 모드 및 공통 모드 양쪽의 임피던스 값, 및 코일간의 결합 정도를 나타내는 결합 계수를 원하는 값으로 용이하게 조정, 설계할 수 있다. 여기에서, 결합 계수는 큰 공통 모드의 임피던스값이 커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의 노이즈 필터를 휴대 전화 등의 무선 통신 기기의 한 쌍의 신호 라인에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컨대, 휴대 전화 헤드셋 등의 통신성의 신호 라인은 통상 한 쌍의 케이블( 신호 라인)로 구성되어 있어, 휴대 전화의 반송파 등의 고주파 신호가 복사 노이즈로서, 상기 케이블에 대해 노멀 모드 및 공통 모드로 중첩되기 때문에, 노이즈의 영향을 크게 받기 쉽다. 예컨대, 이 복사 노이즈가 음성 신호의 잡음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음성 등의 신호가 공통 모드의 고주파 노이즈에 의해 장해를 받는 것은, 회로 중의 비선형 소자와 정전 용량에 의해, 신호 중에 있었던 낮은 주파수 성분이 검출되어, 중첩되기 때문이다.
예컨대, 도 15(a)에 도시한 바와 같은 TDMA 방식의 휴대 전화의 송수신 회로의 반송파 900MHz(TDMA 반송파)가 217Hz(버스트 주파수)에서 송수신되고 있는 경우, 217Hz가 검파되어, 노멀 모드의 음성 신호에 중첩되어 가청 잡음이 들리게 된다. 따라서, 유기되는 공통 모드와 노멀 모드의 전류를 억제할 수 있으면, 음성 출력 등의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2의 노이즈 필터를 한 쌍의 신호 라인(오디오 라인)에 접속했을 때, 도 15(c)에 도시하는 감쇠 특성이 얻어졌다.
도 15(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휴대 전화의 반송파 900MHz에서도 공통 모드, 노멀 모드 양쪽의 노이즈가 감쇠되고 있다. 따라서, 반송파 900MHz와 함께 검파된 반복 주파수의 217MHz의 신호를 저감할 수 있어, 가청 잡음이 들리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2의 노이즈 필터를 휴대 전화 등의 무선 통 신 기기의 한 쌍의 신호 라인에, 각각 제1 코일(21)(제1 임피던스 소자), 제2 코일(25)(제2 임피던스 소자)에 접속시키면, 공통 모드, 노멀 모드 양쪽의 노이즈가 인가되는 한 쌍의 신호 라인에서 공통 모드, 노멀 모드 양쪽의 임피던스값을 높게 할 수(신호를 감쇠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예컨대 한 쌍의 신호 라인으로서의 오디오 라인에서 가청 잡음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3)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노이즈 필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노이즈 필터의 분해 사시도, 도 17(a)는 동 노이즈 필터의 A-A선 단면도, 도 17(b)는 동 노이즈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16, 도 17에 있어서, 나선 형상의 제1 코일(121)은 제1 내부 도체(121a∼121f)를 아래에서부터 순서대로 적층, 접속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나선 형상의 제2 코일(122)은 제2 내부 도체(122a∼122f)를 아래에서부터 순서대로 적층, 접속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제2 코일(121, 122)은 각각 6층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제1, 제2 코일(121, 122)은 반드시 6층 구조로 할 필요는 없다. 그리고, 제1 내부 도체(121a∼121f), 제2 내부 도체(122a∼122f)는 은 등의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또, 제1 내부 도체(121a∼121f), 제2 내부 도체(122a∼122f) 중 각각의 최하층, 최상층에 형성된(121a, 121f, 122a, 122f)를 제외한 다른 제1 내부 도체, 제2 내부 도체는 U자 형상을 하고 있다. 또, U자 형상이 아니라, L자 등의 다른 형상 이어도 된다.
이 때, 아래에서부터 제1 내부 도체(121a∼121f), 제2 내부 도체(122a), 제1 내부 도체(121d), 제2 내부 도체(122b), 제1 내부 도체(121e), 제2 내부 도체(122c), 제1 내부 도체(121f), 제2 내부 도체(122d∼121f)의 순으로 형성되며, 제1 내부 도체(121a∼121c)만으로 구성되고 있는 부분이 제1 적층부(123), 제1 내부 도체와 제2 내부 도체가 교대로 구성되어 있는 부분(제2 내부 도체(122a), 제1 내부 도체(121d), 제2 내부 도체(122b), 제1 내부 도체(121e), 제2 내부 도체(122c), 제1 내부 도체(121f)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제2 적층부(124), 제2 내부 도체(122d∼122f)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부분이 제3 적층부(125)로 되어 있다. 즉, 각각 6층 구조로 되어 있는 제1, 제2 코일(121, 122)은 그 중 3층이 교대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1 내부 도체(121a∼121f) 중 최하층, 최상층에 형성된 121a, 121f에는 각각 제1 코일(121)의 단부가 되는 제1, 제2 인출 전극(126, 12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내부 도체(122a, 122f)에는 제3, 제4 인출 전극(128, 129)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인출 전극(126, 127, 128, 129)은 제2 내부 도체(122f)(후술하는 자성체(138))의 상면에서 보아, 자성체(138)의 네 모퉁이에 형성해도 된다.
사각형인 다수의 제1 자성체 시트(130)는 제1 적층부(123)의 제1 내부 도체(121b, 121c)의 하면에 각각 형성되며, 제1 비아 홀(13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비아 홀(131)에 의해 제1 내부 도체(121a∼121c)가 접속되어 있다.
사각형인 다수의 제2 자성체 시트(132)는 제3 적층부(125)의 제2 내부 도체(122d∼122f)의 하면에 각각 형성되며, 제2 비아 홀(13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비아 홀(133)에 의해 제2 내부 도체(122d∼122f)가 접속되어 있다.
사각형인 다수의 제3 자성체 시트(134)는 제2 적층부(124)의 제2 내부 도체(122a), 제1 내부 도체(121d), 제2 내부 도체(122b), 제1 내부 도체(121e), 제2 내부 도체(122c), 제1 내부 도체(121f)의 각 하면에 형성되며, 제3 비아 홀(135), 제4 비아 홀(136)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제2 내부 도체(122a)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3 자성체 시트(134)에는 제3 비아 홀(135)만이 설치되어 있다).
제3 비아 홀(135)에 의해, 제1 내부 도체(121c)와 (121d), (121d)와 (121e), (121e)와 (121f)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 제4 비아 홀(136)에 의해 제2 내부 도체(122a)와 (122b), (122b)와 (122c), (122c)와 (122d)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즉, 제1 내부 도체(121d)의 하면의 제3 비아 홀(135)이 설치된 제3 자성체 시트(134)에는 제4 비아 홀(13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내부 도체(121d)는 이 제3 비아 홀(135)과 또 그 아래(제1 내부 도체(121c)의 위)의 제3 자성체 시트(134)에 설치된 제3 비아 홀(135)에 의해 제1 내부 도체(121c)와 접속되고, 제2 내부 도체(122b)는 이 제4 비아 홀(136)과 그 위(제2 내부 도체(122b)의 아래)의 제3 자성체 시트(134)에 설치된 제4 비아 홀(136)에 의해 제2 내부 도체(122a)와 접속되는 상태가 되고 있다.
또, 제3 비아 홀(135)과 제2 내부 도체(122a∼122c)가, 제4 비아 홀(136)과 제1 내부 도체(121d∼121f)가 각각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사각형인 다수의 제4 자성체 시트(137)는 제1 내부 도체(121a)의 하면과 제2 내부 도체(122f)의 상면에 소정 매수 형성되어 있다.
각 자성체 시트(130, 132, 134, 137)는, 페라이트 분말체의 산화물 및 수지로 이루어진 혼합물로 구성되고,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함으로써 사각형인 판 형상의 자성체(138)가 형성된다. 또, 자성체(138)는 판 형상이 아니라,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 자성체(138)는 반드시 사각형일 필요는 없다. 또, 각각의 두께는 소정의 특성(임피던스값, 내전압 등)에 의해 적당히 조정하면 되고, 두께의 조정은 자성체 시트 자체의 두께를 변화시키거나, 형성되는 자성체 시트의 매수를 변경함으로써 행한다.
또, 자성체(38)는 불소계 시레인 커플링제가 주입되어 있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휘수성이 있는 불소계 시레인 커플링제를 자성체(138) 내에 존재하는 미세한 작은 구멍에 충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노이즈 필터 자신의 내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성체(138)의 양 단면에 형성된 외부 전극(139a, 139b, 139c, 139d) 중, 139a와 139c는 자성체(138)의 일 단면에, 139b와 139d는 자성체(138)의 다른 일 단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 외부 전극(139a, 139b, 139c, 139d)는 은 등의 도체의 표면에 니켈 도금, 주석이나 땜납 등의 저융점 금속 도금이 행해져 형성되어 있다.
또, 외부 전극(139a, 139b, 139c, 139d)은 자성체(138)의 상면에서 보아 자성체(138)의 네 모퉁이에 형성되어도 된다.
그리고, 제1 코일(121)의 양단부, 즉 제1 인출 전극(126), 제2 인출 전극(127)은 제1 인출 전극(126)이 외부 전극(139a)과 제2 인출 전극(127)이 외부 전극(139b)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코일(122)에 대해서도 제3 인출 전극(128)이 외부 전극(139c)과 제4 인출 전극(129)이 외부 전극(139d)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노이즈 필터는 제1 내부 도체(121a∼121c)만으로 이루어진 제1 적층부(123)와, 제1 적층부(123)의 상면에 형성되어, 제1 내부 도체(121d, 121e, 121f)와 제2 내부 도체(122a, 122b, 122c)가 교대로 적층된 제2 적층부(124)와, 제2 적층부(124)의 상면에 형성되어, 제2 내부 도체(122d∼122f)만으로 이루어진 제3 적층부(125)와의 3층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코일(121)과 제2 코일(122)에 동일 방향(자성체(138)의 상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전류가 흐르면, 제2 적층부(124)의 제1 내부 도체(121d, 121e, 121f)와 제2 내부 도체(122a, 122b, 122c)는 교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제1 내부 도체(121d, 121e, 121f)와 제2 내부 도체(122a, 122b, 122c)의 거리가 짧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제2 적층부(124)의 제1 내부 도체(121d, 121e, 121f)와 제2 내부 도체(122a, 122b, 122c)에서 각각 발생하는 자속을 서로 강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공통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높게 할 수 있고, 또 제1 코일(121)과 제2 코일(122)에 역 방향의 전류가 흘러도, 제1 적층부(123)에는 제1 내부 도체(122a∼122e)만이, 제3 적층부(125)에는 제2 내부 도체(122d∼122f)만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적층부(123)에 형성된 제1 내부 도체(121a∼121c) 및 제3 적층부(125)에 형성된 제2 내부 도체(122d∼122f)에서 각 각 발생하는 자속을 서로 약하게(상쇄) 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노멀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높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코일(121)과 제2 코일(122)(제2 적층부(124)의 제1 내부 도체(121d, 121e, 121f)와 제2 내부 도체(122a, 122b, 122c)에 동일 방향의 전류가 흐르는 경우, 제1 내부 도체(121d, 121e, 121f)와 제2 내부 도체(122a, 122b, 122c)의 임피던스값이 높아지게 되어, 이들의 내부 도체가 공통 모드의 노이즈를 저감한다. 한편, 반대로 흐른 경우는, 제1 적층부(123)에 형성된 제1 내부 도체(121a∼121c) 및 제3 적층부(125)에 형성된 제2 내부 도체(122d∼122f)의 임피던스 값이 높아져, 이들의 내부 도체가 노멀 모드의 노이즈를 저감한다.
즉, 공통 모드, 노멀 모드 양쪽의 임피던스값을 높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공통 모드, 노멀 모드 각각의 임피던스값을 소정의 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도 18에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노이즈 필터의 등가 회로도를 도시한다.
또, 제1 적층부(123)에 형성된 제1 내부 도체의 수와, 제3 적층부(125)에 형성된 제2 내부 도체의 수를 다르게 하면, 제1 코일(121)과 제2 코일(122)에 역 방향의 전류가 흐른 경우, 제1 적층부(123)에 형성된 제1 내부 도체 및 제3 적층부(125)에 형성된 제2 내부 도체에서 각각 발생하는 자속의 강도가 다르기 때문에, 제1 내부 도체로부터 입력된 노멀 모드의 임피던스값과 제3 내부 도체로부터 입력되는 노멀 모드의 임피던스 값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또, 자기적인 결합 계수를 미세 조정할 수 있는 효과도 얻어진다. 즉, 상기한 노이즈 필터는 제1, 제2 코일(121, 122)이 각각 6층 구조로 되고, 그 중 3층, 즉 반분량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데,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비율(전체의 내부 도체에 대한 제2 적층부(24)에 형성되어 있는 내부 도체의 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자속을 서로 강하게 할 수 있는 내부 도체의 비율이 변화하여, 결합 계수가 변화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결합 계수를 미세 조정할 수 있으면, 공통 모드의 임피던스값, 노멀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각각 소정의 값으로 규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 효과는 매우 유효하다.
또, 교대로 형성되고 있는 부분의 비율을 가능한한 크게, 또는 가능한한 작게 함으로써 결합 계수를 0.2∼0.95 사이의 소정의 값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노멀 모드, 공통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노이즈 필터에 있어서, 도 19(a)는 제2 적층부(124)의 내부 도체의 턴 수(제1 내부 도체(121d∼121f), 제2 내부 도체(122a∼122c) 각각의 턴 수)와 결합 계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b)는 제1 적층부(123) 및 제3 적층부(125)의 내부 도체의 턴 수(제1 내부 도체(121a∼121c), 제2 내부 도체(122d∼122f) 각각의 턴 수)와 결합 계수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 자성체(138)의 상면에서 보아 내부 도체가 1회전한 경우를 1턴이라 한다. 즉, 내부 도체가 1/4 턴의 경우, 4층 적층하여 1턴이라 한다.
시료로서, 자성체가 1.0mm ×1.0mm ×2.5mm 두께의 것, 자성체의 상면에서 보아 나선 형상의 제1 코일(121), 제2 코일(122)로 둘러싸인 부분의 치수가 600㎛ ×600㎛인 것을 이용했다. 또, 도 19(a)는 제1 적층부(123) 및 제3 적층부(125)의 내부 도체의 턴 수가 1인 것, 도 19(b)는 제2 적층부(124)의 내부 도체의 턴 수가 10인 것을 사용했다.
도 19(a), (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적층부(124)의 내부 도체의 턴 수가 많을수록, 제1 적층부 및 제3 적층부의 내부 도체의 적층 수가 적을수록, 그리고, 각 자성체 시트(130, 132, 134)의 두께가 얇을수록 결합 계수가 커진다.
각 자성체 시트(130, 132, 134)의 두께가 50㎛인 경우, 제2 적층부(124)의 내부 도체의 턴 수가 10이하이고, 제1 적층부 및 제3 적층부의 내부 도체의 턴 수가 5이상일 때, 각 자성체 시트(130, 132, 134)의 두께가 100㎛인 경우, 제2 적층부(124)의 내부 도체의 턴 수가 5∼11, 제1 적층부 및 제3 적층부의 내부 도체의 턴 수가 4이하일 때, 각각 결합 계수가 0.2∼0.95가 된다.
또, 가능한한 제1 적층부 및 제3 적층부의 내부 도체의 턴 수를 작게, 제2 적층부(124)의 내부 도체의 턴 수를 많게 하면, 결합 계수가 0.95인 것을 얻을 수 있다. 또, 가능한한 제1 적층부 및 제3 적층부의 내부 도체의 턴 수를 많게, 제2 적층부(124)의 내부 도체의 턴 수를 적게 하면, 결합 계수가 0.2인 것을 얻을 수 있다.
또, 소정의 노멀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얻을 수 있는 것이면, 제1 적층부(123)에 형성된 제1 내부 도체(121a∼121c), 제3 적층부(125)에 형성된 제2 내부 도체(122d∼122f)의 형상은 하나의 면에 형성된 소용돌이 형상, 나선 형상 등의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또, 감김 방향이 반대가 되어도 된다.
또, 제2 적층부(124)의 제1 내부 도체(121d, 121e, 121f)와 제2 내부 도체(122a, 122b, 122c)를 가능한한 1턴에 가깝게 함으로써, 각 내부 도체의 길이를 최대한으로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내부 도체(121d, 121e, 121f)와 제2 내부 도체(122a, 122b, 122c)에서 각각 발생하는 자속을 서로에 의해 강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코일(121)과 제2 코일(122)(제2 적층부(124)의 제1 내부 도체(121d, 121e, 121f)와 제2 내부 도체(122a, 122b, 122c)에 동일 방향의 전류가 흐르면, 공통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더 높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노이즈 필터에 대해서, 이하에 그 제조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a)∼(g)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노이즈 필터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페라이트 분말체의 산화물 및 수지로 이루어진 혼합물로부터 사각형의 제1 자성체 시트(130), 제2 자성체 시트(132), 제3 자성체 시트(134), 제4 자성체 시트(137)를 제작한다.
다음에, 도 2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자성체 시트(132)의 소정의 위치에 레이저, 해칭 등으로 천공 가공하여 제2 비아 홀(133)을 설치한다.
다음에, 도 2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자성체 시트(132)의 상면에 제4 인출 전극(129)을 갖는 제2 내부 도체(122f)를 인쇄에 의해 형성한다. 또, 이 때 동시에 제2 비아 홀(133)에 은 등의 도전 재료를 충전한다. 이 때, 제2 내부 도체(122f)의 단부와 제2 비아 홀(133)이 접속되도록 한다.
또, 도 20(a), (b)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제2 비아 홀(133)이 설치된 제2 자성체 시트(132)의 상면에 제2 내부 도체(122d, 122e)를, 제3 비아 홀(135), 제4 비아 홀(136)이 설치된 제3 자성체 시트(134)의 상면에 제1 내부 도체(121d, 121e, 121f), 제2 내부 도체(122a, 122b, 122c)를, 제1 비아 홀(131)이 설치된 제1 자성체 시트(130)의 상면에 제1 내부 도체(121a, 121b, 121c)를 각각 형성한다.
또, 각 내부 도체는 인쇄가 아니라 도금, 증착, 스퍼터 등의 다른 방법으로 형성해도 된다.
다음에, 도 20(c)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배치 관계로 적층하여 나선 형상의 제1, 제2 코일(121, 122)를 설치하고, 제1 내부 도체(121a∼121c)만으로 이루어진 제1 적층부(123)와, 제1 적층부(123)의 상면에 형성되어, 제1 내부 도체(121d, 121e, 121f)와 제2 내부 도체(122a, 122b, 122c)가 교대로 적층된 제2 적층부(124)와, 제2 적층부(124)의 상면에 형성되어, 제2 내부 도체(122d∼122f)만으로 이루어진 제3 적층부(125)를 구비한다.
다음에, 도 20(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노이즈 필터에 제1 코일(121), 제2 코일(122)이 각각 하나 내설되도록 절단하여, 도 20(e)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하나의 적층물(140)을 얻는다. 이 때, 적층물(140)의 양 단면으로부터 제1 인출 전극(16)과 제3 인출 전극(128)이, 다른 단면에는 제2 인출 전극(127)과 제4 인출 전극(129)이 각각 노출하고 있다.
다음에, 이 적층물(140)을 소성하여 자성체(138)를 형성한다.
다음에, 도 20(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성체(138)를 모서리 따기한다.
마지막으로, 도 20(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성체(138)의 양 단면에 노출한 인출 전극(126, 127, 128, 129)에 각각 은 등의 도체를 형성하고, 또 이들의 표면에 도금에 의해 니켈 도금을, 니켈 도금의 표면에 도금에 의해 주석이나 땜납 등의 저융점 금속 도금을 각각 설치함으로써, 제1 인출 전극(126)에 외부 전극(139a)을, 제2 인출 전극(127)에 외부 전극(139b)을, 제3 인출 전극(128)에 외부 전극(139c)을, 제4 인출 전극(129)에 외부 전극(139d)을 각각 형성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노이즈 필터를 제조한다.
또, 은 등의 도체를 형성한 후, 및 니켈 도금을 형성하기 전에 감압 분위기 중에서 자성체(138)에 불소계 시레인 커플링제를 주입한다.
여기에서, 제1 적층부(123) 및 제3 적층부(125)의 인접하는 제1 내부 도체(121a∼121c) 각각의 사이, 제2 내부 도체(122d∼122f) 각각의 사이의 간격을, 제2 적층부(124)의 인접하는 제1 내부 도체(121d∼122f)와 제2 내부 도체(122a∼122c)와의 간격보다 크게 하면, 제1 적층부(123) 및 제3 적층부(125)의 인접하는 제1 내부 도체(121a∼121c) 각각의 사이 및 제2 내부 도체(122d∼122f) 각각의 사이, 제1 적층부(123)의 제1 내부 도체(121a∼121c)와 제3 적층부(125)의 제2 내부 도체(122d∼122f) 사이에서 각각 발생하는 부유 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고주파 영역에서 임피던스값이 향상하고, 또 제1 적층부(123)의 제1 내부 도체(121a∼121c)와 제3 적층부(125)의 제2 내부 도체(122d∼122f) 사이의 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적층부(123)의 제1 내부 도체(121a∼121c) 및 제3 적층부(125)의 제2 내부 도체(122d∼122f)에서 각각 발생하는 자속을 서로 약하게(상쇄) 하지 않고, 노멀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높게 할 수 있다.
또, 제1 적층부(123) 및 제3 적층부(125)의 인접하는 제1 내부 도체(121a∼121c) 각각의 사이, 제2 내부 도체(122d∼122f) 각각의 사이에 자성체(138)보다 투자율이 낮은 시트를 형성하면, 제1 적층부(123)의 제1 내부 도체(121a∼121c) 및 제3 적층부(125)의 제2 내부 도체(122d∼122f)에서 각각 발생하는 자속을 약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노멀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낮게 할 수 있다. 또, 이에 따라 공통 모드의 임피던스값이 일정할 때에 노멀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조정함으로써 결합 계수를 조정할 수 있다.
또, 제1, 제2 코일(121, 122)의 각 외부 전극간(139a와 139b 사이, 139c와 139d 사이)의 길이가 동일해지도록 하면, 인출부를 포함하는 전체의 코일의 길이가 동일해지기 때문에, 제1, 제2 코일(121, 122)의 임피던스값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적층부(124)의 인접하는 제1 코일(121)(제1 내부 도체(121d∼121f)와, 제2 코일(122)(제2 내부 도체(122a∼122c)와의 각각의 사이의 자성체를, 다른 부분(제1 적층부(123), 제3 적층부(125))의 자성체보다 밀도가 높아지도록 하면, 제1 코일(121)과 제2 코일(122)의 사이(제2 적층부(124)의 제1 내부 도체(121d∼121f)와 제2 내부 도체(122a∼122c) 사이)의 공극률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제2 적층부(124)의 제1 내부 도체(121d∼121f)와 제2 내부 도체(122a∼122c) 사이의 내전압을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4)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노이즈 필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노이즈 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에서, 나선 형상의 제1 코일(141)은 제1 내부 도체(141a∼141i)를 아래에서부터 순서대로 적층, 접속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142는 나선 형상의 제2 코일에서, 제2 내부 도체(142a∼141i)를 아래에서부터 순서대로 적층, 접속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제2 코일(141, 142)은 각각 9층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제1, 제2 코일(141, 142)은 반드시 9층 구조일 필요는 없다. 그리고, 제1 내부 도체(141a∼141i), 제2 내부 도체(142a∼142i)는 은 등의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또, 제1 내부 도체(141a∼141i), 제2 내부 도체(142a∼142i) 중 각각 최하층, 최상층에 형성된 141a, 141i, 142a, 142i를 제외한 다른 제1 내부 도체, 제2 내부 도체는 U자 형상을 하고 있다. 또, U자 형상이 아니라, L자 형상 등의 다른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이 때, 아래에서부터 제1 내부 도체(141a∼141d), 동일면에 형성된 제1 내부 도체(141e)와 제2 내부 도체(142a), 동일면에 형성된 제1 내부 도체(141f)와 제2 내부 도체(142b), 동일면에 형성된 제1 내부 도체(141g)와 제2 내부 도체(142c), 동일면에 형성된 제1 내부 도체(141h)와 제2 내부 도체(142d), 동일면에 형성된 제1 내부 도체(141i)와 제2 내부 도체(142e), 제2 내부 도체(142f∼142i)의 순서대로 형성되고, 제1 내부 도체(141a∼141d)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부분이 제1 적층부(143), 제2 내부 도체와 제2 내부 도체가 동일면에 구성되어 있는 부분(제1 내부 도체(141e)와 제2 내부 도체(142a), 제1 내부 도체(141f)와 제2 내부 도체(142b), 제1 내부 도체(141g)와 제2 내부 도체(142c), 제1 내부 도체(141h)와 제2 내부 도체(142d), 제1 내부 도체(141i)와 제2 내부 도체(142e)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제2 적층부(144), 제2 내부 도체(142f∼142i)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부분이 제3 적층부(145)로 되어 있다. 즉, 각각 9층 구조로 되어 있는 제1, 제2 코일(141, 142)은 그 중 5층이 동일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1 내부 도체(141a∼141i) 중 최상층, 최하층에 형성된 141a, 141i에는 각각 제1 코일(141)의 단부로 이루어지는 제1, 제2 인출 전극(146, 14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내부 도체(142a, 142i)에는 제3, 제4 인출 전극(148, 149)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인출 전극(146, 147, 148, 149)은 제2 내부 도체(142i)(후술하는 자성체(158))의 상면에서 보아, 자성체(158)의 네 모퉁이에 형성해도 된다.
사각형인 다수의 제1 자성체 시트(150)는 제1 적층부(143)의 제1 내부 도체(141b∼141d)의 하면에 각각 형성되며, 제1 비아 홀(15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비아 홀(151)에 의해 제1 내부 도체(141a∼141d)가 접속되어 있다.
사각형인 다수의 제2 자성체 시트(152)는 제3 적층부(145)의 제2 내부 도체(142f∼142i)의 하면에 각각 형성되며, 제2 비아 홀(15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비아 홀(153)에 의해 제2 내부 도체(142e∼142i)가 접속되어 있다.
사각형인 다수의 제3 자성체 시트(154)는 제2 적층부(144)의 각각 동일면에 형성된 제1 내부 도체(141e)와 제2 내부 도체(142a), 제1 내부 도체(141f)와 제2 내부 도체(142b), 제1 내부 도체(141g)와 제2 내부 도체(142c), 제1 내부 도체(141h)와 제2 내부 도체(142d), 제1 내부 도체(141i)와 제2 내부 도체(142e)의 각 하면에 형성되며, 제3 비아 홀(155), 제4 비아 홀(156)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동일면에 형성된 제1 내부 도체(141e), 제2 내부 도체(142a)의 하면의 자성체 시트(154)에는 제3 비아 홀(155)만이 설치되어 있다).
제3 비아 홀(155)에 의해 제1 내부 도체(141e)와 (141f), (141f)와 (141g), (141g)와 (141h), (141h)와 (141i)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 제4 비아 홀(156)에 의해 제2 내부 도체(142a)와 (142b), (142b)와 (141c), (142c)와 (142d), (142d)와 (142e)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즉, 제1 내부 도체(141f)의 하면의 제3 비아 홀(155)이 설치되어 있던 제3 자성체 시트(154)에는 제4 비아 홀(15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내부 도체(141f)는 이 제3 비아 홀(155)에 의해 제1 내부 도체(141e)와 접속되고, 제1 내부 도체(141f)와 동일면에 형성된 제2 내부 도체(142b)는 이 제4 비아 홀(155)에 의해 제2 내부 도체(142a)와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동일면에 형성된 제1 내부 도체와 제2 내부 도체는 각각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사각형인 다수의 제4 자성체 시트(157)는 제1 내부 도체(141a)의 하면과 제2 내부 도체(142i)의 상면에 소정 매수 형성되어 있다.
각 자성체 시트(150, 152, 154, 157)는 페라이트 분말체의 산화물 및 수지로 이루어지는 혼합물로 구성되고,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에 적층함으로써 사 각형인 판 형상의 자성체(158)(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된다. 또, 자성체(158)는 판 형상이 아니라,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 자성체(158)는 반드시 사각형일 필요는 없다. 또, 각각의 두께는 소정의 특성(임피던스값, 내전압 등)에 의해 적당히 조정하면 되고, 두께의 조정은 자성체 시트 자체의 두께를 변화시키거나, 형성되는 자성체 시트의 매수를 변화시킴으로써 행한다.
또, 자성체(158)는 불소계 시레인 커플링제가 주입되어 있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휘수성이 있는 불소계 시레인 커플링제가 자성체(158) 내에 존재하는 미세한 작은 구멍에 충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노이즈 필터 자신의 내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성체(158)의 양 단면에 형성되는 외부 전극(159a, 159b, 159c, 159d)(도시하지 않음) 중, 159a와 159c는 자성체 (158)의 일 단면에, 159b와 159d는 자성체(158)의 다른 일 단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 외부 전극(159a, 159b, 159c, 159d)은, 은 등의 도체의 표면에, 니켈 도금, 주석이나 땜납 등의 저융점 금속 도금이 행해져 형성되어 있다.
또, 외부 전극(159a, 159b, 159c, 159d)은 자성체(158)의 상면에서 보아 자성체(158)의 네 모퉁이에 형성되어도 좋다.
그리고, 제1 코일(141)의 양단부, 즉 제1 인출 전극(146), 제2 인출 전극(147)은 제1 인출 전극(146)이 외부 전극(159a)과, 제2 인출 전극(147)이 외부 전극(159b)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코일(142)에 대해서도, 제3 인출 전극(148)이 외부 전극(159c)과, 제4 인출 전극(149)이 외부 전극(159d)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때, 각각 동일면에 형성된 제1 내부 전극(141e)과 제2 내부 도체(142a), 제1 내부 도체(141f)와 제2 내부 도체(142b), 제1 내부 도체(141g)와 제2 내부 도체(142c), 제1 내부 도체(141f)와 제2 내부 도체(142d), 제1 내부 도체(141i)와 제2 내부 도체(142e)에 대해서는 각각 제1 내부 도체(141c, 141d, 141e, 141f, 141g)가 제2 내부 도체(142a, 142b, 142c, 142d, 142e)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노이즈 필터는 제1 내부 도체(141a∼141d)만으로 이루어진 제1 적층부(143)와, 제1 적층부(143)의 상면에 형성되어, 제1 내부 도체(141e)와 제2 내부 도체(142a), 제1 내부 도체(141f)와 제2 내부 도체(142b), 제1 내부 도체(141g)와 제2 내부 도체(142c), 제1 내부 도체(141h)와 제2 내부 도체(142d), 제1 내부 도체(141i)와 제2 내부 도체(142e)가 각각 동일면에 설치된 제2 적층부(144)와, 제2 적층부(144)의 상면에 형성되고, 제2 내부 도체(142f∼142i)만으로 이루어진 제3 적층부(145)와의 3층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코일(141)과 제2 코일(142)에 동일 방향(자성체(58)의 상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전류가 흐르면, 제2 적층부(144)의 제1 내부 도체(142f∼142i)와 제2 내부 도체(142a∼142c)에서 각각 발생하는 자속을 서로 강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공통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높게 할 수 있다.
또, 제1 코일(141)과 제2 코일(142)에 역 방향의 전류가 흘러도, 제1 적층부(143)에는 제1 내부 도체(142f∼142i)만이, 제3 적층부(145)에는 제2 내부 도체(142a∼142c)만이 설치되기 때문에, 제1 적층부(143)에 형성된 제1 내부 도체(141a∼141d) 및 제3 적층부(145)에 형성된 제2 내부 도체(142f∼142i)에서 각각 발생하는 자속을 서로 약하게(상쇄) 하지 않고, 이에 따라 노멀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높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따라서, 제1 코일(141)과 제2 코일(142)(제2 적층부(144)의 제1 내부 도체(141e∼141i)와 제2 내부 도체(142a∼142e)에 동일 방향의 전류가 흐른 경우, 제1 내부 도체(141e∼141i)와 제2 내부 도체(142a∼142e)의 임피던스값이 높아져, 이들의 내부 도체가 공통 모드의 노이즈를 저감한다. 한편, 반대로 흐른 경우는, 제1 적층부(143)에 형성된 제1 내부 도체(141a∼141d) 및 제3 적층부(145)에 형성된 제2 내부 도체(142f∼142i)의 임피던스값이 높아져, 이들의 내부 도체가 노멀 모드의 노이즈를 저감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노이즈 필터의 등가 회로도도 도 18에서 도시된다.
또, 제1 적층부(143)에 형성된 제1 내부 도체의 수와, 제3 적층부(145)에 형성된 제2 내부 도체의 수를 다르게 하면, 제1 코일(141)과 제3 코일(142)에 역 방향의 전류가 흐른 경우, 제1 적층부(143)에 형성된 제1 내부 도체 및 제3 적층부(145)에 형성된 제2 내부 도체에서 각각 발생하는 자속의 강도가 다르기 때문에, 제1 내부 도체로부터 입력되는 노멀 모드의 임피던스값과 제3 내부 도체로부터 입력되는 노멀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적층부(144)의 제1 내부 도체(141e, 141f, 141g, 141h, 141i)가 제2 내부 도체(142a, 142b, 142c, 142d, 142e)의 내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제1, 제2 코일(141, 142)의 각 외부 전극간(159a와 159b의 사이, 159c와 159d의 사이)의 길이가 다르다. 이에 따라, 제1, 제2 코일(141, 142)의 각 임피던스값이 다르지만, 제1 적층부(143)에 형성된 제1 내부 도체의 수를, 제3 적층부(145)에 형성된 제2 내부 도체의 수보다 증가시켜, 제1, 제2 코일(141, 142)의 각 외부 전극간(159a와 159b 사이, 159c와 159d 사이)의 거리를 동일하게 하면, 이와 같은 문제점은 해소된다.
또, 자기적인 결합 계수를 미세 조정할 수 있는 효과도 얻어진다. 즉, 상기한 노이즈 필터는 제1, 제2 코일(141, 142)이 각각 9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중 5층, 즉 그 약 56%가 동일면에 형성되어 있지만, 동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비율(전체의 내부 도체에 대한 제2 적층부(144)에 형성되어 있는 내부 도체의 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자속을 서로 강하게 할 수 있는 내부 도체의 비율이 변화하기 때문에, 결합 계수가 변화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결합 계수를 미세 조정할 수 있으면, 공통 모드의 임피던스값, 노멀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각각 소정의 값으로 규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 효과는 매우 유효하다.
또, 동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비율을 가능한한 크게, 또는 가능한 한 작게 함으로써, 결합 계수를 0.2∼0.95의 사이의 소정의 값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노멀 모드, 공통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조정할 수 있다.
또, 소정의 노멀 모드의 임피던스값이 얻어지는 것이면, 제1 적층부(143)에 형성된 제1 내부 도체(141a∼141d), 제3 적층부(145)에 형성된 제2 내부 도체(142f ∼142i)의 형상은 하나의 면에 형성되는 소용돌이 형상, 구부러진 형상 등의 다른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또, 감김 방향이 달라도 상관없다.
또, 제2 적층부(144)의 제1 내부 도체(141e∼141i)와 제2 내부 도체(142a∼142e)를 가능한 한 1턴에 가깝게 함으로써, 각 내부 도체의 길이를 최대한으로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내부 도체(141e∼141i)와 제2 내부 도체(142a∼142e)에서 각각 발생하는 자속을 서로에 의해 강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코일(141)과 제2 코일(142)(제2 적층부(144)의 제1 내부 도체(141e∼141i)와 제2 내부 도체(142a∼142e)에 동일 방향의 전류가 흐르면, 공통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보다 높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그 각 내부 도체의 형성 위치가 다를 뿐, 기본적인 방법은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 3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에서, 제1 적층부(143) 및 제3 적층부(145)의 인접하는 제1 내부 도체(142a∼142d) 각각의 사이, 제2 내부 도체(142f∼142i) 각각의 사이의 간격을 제2 적층부(144)의 동일면에 형성된 제1 내부 도체와 제2 내부 도체 사이(제1 내부 도체(141f)와 제2 내부 도체(141a), (141g)와 (142b), (141h)와 (142c), (141g)와 (142d), (141i)와 (142e) 각각의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하면, 제1 적층부(143) 및 제3 적층부(145)의 인접하는 제1 내부 도체(142a∼142d) 각각의 사이 및 제2 내부 도체(142f∼142i) 각각의 사이, 제1 적층부(143)의 제1 내부 도체(141a∼141d)와 제3 적층부(145)의 제2 내부 도체(142f∼142i)의 사이에서 각각 발생하는 부유 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고주파 영역에서 임피던스값이 향상하고, 또 제1 적층부(143)의 제1 내부 도체(141a∼141d)와 제3 적층부(145)의 제2 내부 도체(142f∼142i)와의 거리를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적층부(143)의 제1 내부 도체(141a∼141d) 및 제3 적층부(145)의 제2 내부 도체(142f∼142i)에서 각각 발생하는 자속을 서로 약하게(상쇄) 하지 않고, 노멀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높게 할 수 있다.
또, 제1 적층부(143) 및 제3 적층부(145)의 인접하는 제1 내부 도체(141a∼141d) 각각의 사이, 제2 내부 도체(142f∼142i) 각각의 사이에 자성체(138)보다 투자율이 낮은 시트를 형성하면, 제1 적층부(143)의 제1 내부 도체(141a∼141d) 및 제3 적층부(145)의 제2 내부 도체(142f∼142i)에서 각각 발생하는 자속을 약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노멀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낮게 할 수 있다. 또, 이에 따라 공통 모드의 임피던스값이 일정할 때에 노멀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조정함으로써 결합 계수를 조정할 수 있다.
또, 제1, 제2 코일(141, 142)의 각 외부 전극((159a)와 (159b) 사이, (159c)와 (159d)의 사이)의 길이가 동일해지도록 하면, 인출부를 포함하는 전체의 코일의 길이가 동일해지기 때문에, 제1, 제2 코일(141, 142)의 임피던스값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적층부(144)의 인접하는 제1 코일(141)과, 제2 코일(142) 각각의 사이(제1 내부 도체(141e)와 제2 내부 도체(142a), (141f)와 (142b), (141g)와 (142c), (141h)와 (142d), (141i)와 (142e) 각각의 사이)의 자성체를, 다른 부분(제1 적층부(143), 제3 적층부(145))의 자성체보다 밀도가 높아지도록 하면, 적층부(144)의 제1 코일(141)과 제2 코일(142)의 사이의 공극률을 낮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적층부(144)의 제1 코일(141)과 제2 코일(142)의 사이의 내전압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 3 및 4에 있어서, 제1 적층부(123, 143)와 제2 적층부(124, 144) 사이(제1 내부 도체(121c)와 제2 내부 도체(122a) 사이, 제1 내부 도체(141d)와 제2 내부 도체(142a) 사이)의 거리, 제2 적층부(124, 144)와 제3 적층부(125, 145) 사이(제1 내부 도체(121f)와 제2 내부 도체(122d) 사이, 제1 내부 도체(141i)와 제2 내부 도체(142f) 사이)의 거리를 제1 적층부(123, 143), 제2 적층부(124, 144), 제3 적층부(125, 145)의 각각이 인접하는 각 내부 도체간의 거리보다 길게 하면, 제1 적층부(123, 143)의 제1 내부 도체(121a∼121c, 141a∼141d)와 제3 적층부(125, 145)의 제2 내부 도체(122d∼122f, 142f∼142i) 사이에서 발생하는 부유 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고주파 영역의 임피던스값을 높게 할 수 있고, 또 제1 적층부(123, 143)의 제1 내부 도체(121a∼121c, 141a∼141d)와의 제3 적층부(125, 145)의 제2 내부 도체(122d∼122f, 142f∼142i)와의 거리를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적층부(123, 143)의 제1 내부 도체(121a∼121c, 141a∼141d) 및 제3 적층부(125, 145)의 제2 내부 도체(122d∼122f, 142f∼142i)에서 각각 발생하는 자속을 서로 약하게(상쇄) 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노멀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높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제1 적층부(123, 143)와 제2 적층부(124, 144) 사이, 제2 적층부(124, 144)와 제3 적층부(125, 145) 사이에 다른 자성체 시트보다 투자율이 낮은 자성체 시트를 형성하면, 제1 적층부(123, 143)의 제1 내부 도체(121a∼121c, 141a∼141d) 및 제3 적층부(125, 145)의 제2 내부 도체(122d∼122f, 142f∼142i)에서 각각 발생하는 자속을 서로 약하게(상쇄) 하지 않기 때문에, 노멀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높게 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노이즈 필터의 분해 사시도, 도 23(a)는 도 22의 A-A선 단면도, 도 28(b)는 동 노이즈 필터의 상면 투과도이다.
나선 형상의 제1 코일(161)과, 제1 내부 도체(161a∼161d)를 아래에서부터 순서대로 적층, 접속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나선 형상의 제2 코일(162)은 제2 내부 도체(162a∼162d)를 아래에서부터 순서대로 적층, 접속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제2 코일(161, 162)은 각각 4층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제1, 제2 코일(161, 162)은 반드시 4층 구조로 할 필요는 없다. 그리고, 제1 내부 도체(161a∼161d), 제2 내부 도체(162a∼162d)는 은 등의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또, 제1 내부 도체(161a∼161d), 제2 내부 도체(162a∼162d) 중 각각 최하층, 최상층에 형성된 161a, 161d, 162a, 162d를 제외한 다른 제1 내부 도체, 제2 내부 도체는 U자 형상을 하고 있다. 또, U자 형상이 아니고, L자 형상 등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이 때, 아래에서부터 제1 내부 도체(161a), 제2 내부 도체(161a), 제1 내부 도체(161b), 제2 내부 도체(162b), 제1 내부 도체(161c), 제2 내부 도체(162c), 제1 내부 도체(161d), 제2 내부 도체(162d)의 순서대로, 즉 제1 내부 도체(161a∼161d), 제2 내부 도체(162a∼162d)는 교대로 구성된다. 또, 도 2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내부 도체(162d)의 상면에서 보아(후술하는 자성체(171)의 상면에서 보아) 제1 코일(161)로 둘러싼 부분, 제2 코일(162)로 둘러싼 부분이 각각 일부만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나선 형상으로 된 제1 코일(161)의 중심축을 B, 나선 형상으로 된 제2 코일(162)의 중심축을 C로 한 경우, B와 C가 어긋나 있다.
또, B와 C는 제1, 제2 코일(161, 162)이 제2 내부 도체(162d)의 상면에서 보아(후술하는 자성체(171)의 상면에서 보아) 제1 코일(161)로 둘러싼 부분, 제2 코일(162)로 둘러싼 부분이 완전히 겹치거나, 또는 완전히 겹치지 않는 정도로 어긋나 있다.
또, 제1 내부 도체(161a∼161d) 중, 최하층, 최상층에 형성된 161a, 161d에는 각각 제1 코일(161)의 단부가 되는 제1, 제2 인출 전극(163, 16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내부 도체(162a, 162d)에는 제3, 제4 인출 전극(165, 16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인출 전극(163, 164, 165, 166)은 제2 내부 도체(162d)(후술하는 자성체(171))의 상면에서 보아, 자성체(171)의 네 모퉁이에 형성해도 된다.
사각형인 다수의 제1 자성체 시트(167)는 제1 내부 도체(161a∼161d), 제2 내부 도체(162a∼162d)의 각 하면에 각각 형성되며, 제1 비아 홀(168), 제2 비아 홀(169)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제2 내부 도체(162a)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1 자성 체 시트(167)에는 제1 비아 홀(168)만이. 제2 내부 도체(162d)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1 자성체 시트(167)에는 제2 비아 홀(169)만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1 비아 홀(168)에 의해, 제1 내부 도체(161a)와 (161b), (161b)와 (161c), (161c)와 (161d)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 제2 비아 홀(169)에 의해, 제2 내부 도체(162a)와 (162b), (162b)와 (162c), (162c)와 (162d)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즉, 제1 내부 도체(161b)의 하면의 제1 비아 홀(168)이 설치된 제1 자성체 시트(167)에는 제2 비아 홀(16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내부 도체(161b)는 이 제1 비아 홀(168)과 그 더 아래(제1 내부 도체(161a)의 위)에 형성된 제1 자성체 시트(167)에 설치된 제1 비아 홀(168)에 의해 제1 내부 도체(161a)와 접속되며, 제2 내부 도체(162b)는 이 제2 비아 홀(169)과 그 위(내부 도체(162b)의 아래)에 형성된 제1 자성체 시트(167)에 설치된 제2 비아 홀(169)에 의해 제2 내부 도체(162a)와 접속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제1 비아 홀(168)과 제2 내부 도체(162a∼162d)가, 제2 비아 홀(169)과 제1 내부 도체(161a∼161d)가 각각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있다.
사각형인 다수의 제2 자성체 시트(170)는 제1 내부 도체(161a)의 하면과 제2 내부 도체(162d)의 상면에 소정 매수 형성되어 있다.
각 자성체 시트(167, 170)는 페라이트 분말체의 산화물 및 수지로 이루어진 혼합물로 구성되고,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함으로써 사각형인 판 형상의 자성체(171)가 형성된다. 또, 자성체(171)는 판 형상이 아니고,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 자성체(171)는 반드시 사각형일 필요는 없다. 또, 각각의 두께는 소정의 특성(임피던스값, 내전압 등)에 의해 적당히 조정하면 되며, 두께의 조정은 자성체 시트 자체의 두께를 변화시키거나, 형성되는 자성체 시트의 매수를 변경함으로써 행한다.
또, 자성체(171)는 불소계 시레인 커플링제가 주입되어 있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휘수성이 있는 불소계 시레인 커플링제를 자성체(171) 내에 존재하는 미세한 작은 구멍에 충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노이즈 필터 자신의 내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성체(171)의 양 단면에 형성된 외부 전극(172a, 172b, 172c, 172d)(도시하지 않음) 중, 172a와 172c는 자성체(171)의 일 단면에, 172b와 172d는 자성체(171)의 다른 일 단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 외부 전극(172a, 172b, 172c, 172d)은, 은 등의 도체의 표면에 니켈 도금, 주석이나 땜납 등의 저융점 금속 도금이 행해져 형성되어 있다.
또, 외부 전극(172a, 172b, 172c, 172d)은, 자성체(171)의 상면에서 보아 자성체(71)의 네 모퉁이에 형성되어도 좋다.
그리고, 제1 코일(161)의 양단부, 즉 제1 인출 전극(163), 제2 인출 전극(164)은 제1 인출 전극(163)이 외부 전극(172a)과, 제2 인출 전극(164)이 외부 전극(172b)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코일(162)에 대해서도 제3 인출 전극(165)이 외부 전극(172c)과, 제4 인출 전극(166)이 외부 전극(172d)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나선 형상으로 된 제1 코일(161)의 중심축(B), 나선 형상으로 된 제2 코일(162)의 중심축(C)이 어긋나고, 또 본 발명의 실시예 3과 같이 제1 내부 도체만으로 이루어진 제1 적층부, 제1 적층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제1 내부 도체와 제2 내부 도체가 교대로 적층된 제2 적층부, 및 제2 적층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제2 내부 도체로 이루어진 제3 적층부가 구비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도 2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성체(171)의 상면에서 보아 제1 코일(161)로 둘러싼 부분, 제2 코일(162)로 둘러싼 부분이 도 23(b)의 그 부분에 대해 직교하도록, 또는 도 2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성체(171)의 상면에서 보아 제1 코일(161)로 둘러싼 부분과 제2 코일(162)로 둘러싼 부분이 겹치는 부분이 대각 형상이 되도록 배치해도 좋다.
또, 도 26(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용돌이 형상의 제1, 제2 코일(161', 162')이 자성체의 상면에서 보아 그 일부가 겹쳐지도록 형성해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노이즈 필터는 제1 내부 도체(161a∼161d)로 이루어진 나선 형상의 제1 코일(161), 제2 내부 도체(161a∼162d)로 이루어진 나선 형상의 제2 코일(162)을 자성체(171)의 상면에서 보아 제1 코일(161)로 둘러싼 부분, 제2 코일(162)로 둘러싼 부분이 각각 일부만 겹치도록 형성했다. 그리고, 제1 코일(161)과 제2 코일(162)에 동일 방향(자성체(171)의 상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전류가 흐르면, 제1 내부 도체(161a∼161d)와 제2 내부 도체(162a∼162d)가 교대로 형성되기 때문에, 교대로 형성된 인접하는 제1 내 부 도체(161a∼161d)와 제2 내부 도체(162a∼162d)의 거리가 짧아진다. 이에 따라, 제1 코일(161)과 제2 코일(162)의 자성체(71)의 상면에서 보아 제1 코일(161)로 둘러싼 부분, 제2 코일(162)로 둘러싼 부분이 겹쳐지지 있는 지점에서 각각 발생하는 자속은 서로 약하게 되지(상쇄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노멀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높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따라서, 제1 코일(161)(제1 내부 도체(161a∼161d))과 제2 코일(162)(제2 내부 도체(162a∼162d)와의 동일 방향의 전류가 흐른 경우, 제1 코일(161)과 제2 코일(162)이 자성체(171)의 상면에서 보아 겹치고 있는 부분의 임피던스값이 높아지게 되어, 이 부분이 공통 모드의 노이즈를 저감한다. 한편, 반대로 흐른 경우는 제1 코일(161)과 제2 코일(162)이 자성체(171)의 상면에서 보아 겹치고 있지 않은 부분의 임피던스값이 높아지게 되어, 이 부분이 노멀 모드의 노이즈를 저감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노이즈 필터의 등가 회로도이다. 노멀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높게 하는 제1 코일(161)과 제2 코일(162)에서, 자성체(171)의 상면에서 보아 제1 코일(161)로 둘러싸인 부분, 제2 코일(162)로 둘러싸인 부분이 겹쳐지지 않는 부분의 면적이 동일한 경우는, 노멀 모드의 임피던스값은 동일해지기 때문에, 방향성을 갖지 않는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자성체(171)의 상면에서 보아 제1 코일(161)로 둘러싸인 부분, 제2 코일(162)로 둘러싼 부분이 겹치지 않는 부분의 면적을 다르게 하면, 제1 코일(161)과 제2 코일(162)에 역 방향의 전류가 흐른 경우, 제1 코일(161) 및 제2 코일(162)에서 각각 발생하는 자속의 강도가 다르다. 이 때문에, 제1 코일(161) 로부터 입력된 노멀 모드의 임피던스값과 제2 코일(162)로부터 입력되는 노멀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또, 자기적인 결합 계수를 미세 조정할 수 있는 효과도 얻어진다. 즉, 상기한 노이즈 필터는 제1, 제2 코일(161, 162)이 자성체(171)의 상면에서 보아 겹쳐지는 부분의 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자속을 서로 강하게 할 수 있는 내부 도체의 비율이 변화하기 때문에, 결합 계수가 변화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결합 계수를 미세 조정할 수 있으면, 공통 모드의 임피던스값, 노멀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각각 소정의 값으로 규정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효과는 매우 유효하다.
또, 제1, 제2 코일(161, 162)이 자성체(171)의 상면에서 보아 겹쳐 있는 부분의 면적을 가능한 한 크게, 또는 가능한한 작게 함으로써 결합 계수를 0.2∼0.95의 사이의 소정의 값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노멀 모드, 공통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조정할 수 있다.
또, 소정의 노멀 모드의 임피던스값이 얻어지는 것이면, 제1 내부 도체(161a∼161d), 제2 내부 도체(162a∼162d)의 형상은 소용돌이 형상, 구부러진 형상 등의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또, 감김 방향이 반대가 되어도 상관없다.
또, 제1 내부 도체(161a∼161d)와 제2 내부 도체(162a∼162d)를 각각 가능한한 1턴에 가깝게 함으로써, 각 내부 도체의 길이를 최대한으로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내부 도체(161a∼161d)와 제2 내부 도체(162a∼162d)에서 각각 발생하는 자속을 서로에 의해 강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코일(161)과 제2 코일(162) 에 동일 방향의 전류가 흐르면, 공통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보다 높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그 각 내부 도체의 형성 위치가 다를 뿐, 기본적인 방법은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 3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에서, 제1, 제2 코일(161, 162)의 각 외부 전극간(172a과 172b 사이, 172c와 172d 사이)의 길이가 동일해지도록 하면, 인출부를 포함하는 전체의 코일의 길이가 동일해지기 때문에, 제1, 제2 코일(161, 162)의 임피던스값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또, 제1 코일(161)의 인접하는 제1 내부 도체와, 제2 코일(162)의 제2 내부 도체 사이(제1 내부 도체(161a)와 제2 내부 도체(162a), (162a)와 (161b), (161b)와 (162b) 등의 각각의 사이)의 자성체를 다른 내부 도체간의 자성체보다 밀도가 높아지도록 하면, 제1 코일(161)과 제2 코일(162) 사이(인접하는 제1 내부 도체와 제2 내부 도체와의 각각의 사이)의 공극률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제1 내부 도체(161a)와 제2 내부 도체(162a), (162a)와 (161b), (161b)와 (162b) 등의 각각의 사이(제1 코일(161)과 제2 코일(162) 사이)의 내전압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 3 내지 5의 노이즈 필터는, 자성체의 일 단면에 형성된 한 쌍의 외부 전극 및 이 외부 전극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코일과 제2 코일과의 각 접속부가, 자성체의 다른 일 단면에 형성된 한 쌍의 외부 전극, 및 이 외부 전극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코일과 제2 코일과의 각 접속 부에 대해, 자성체의 측면에서 보아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실장 기판에 실장할 때에 방향이 달라도, 감쇠 특성은 변화하지 않는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 3 내지 5의 노이즈 필터는, 도 28(a)(도면은 그 일례로서 실시예 5의 노이즈 필터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성체(171)의 일 단면에 형성된 한 쌍의 외부 전극(181)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코일(161)과 제2 코일(162)과의 각 접속부(181a, 181b)가 자성체(171)의 다른 일 단면에 형성된 한 쌍의 외부 전극(182)이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코일(161)과 제2 코일(162)의 각 접속부(182a, 182b)에 대해, 자성체(171)의 측면에서 보아 위쪽에 형성되어 있다(이하 패턴(A)으로 한다). 또, 이 패턴(A)의 등가 회로도는 도 18에 도시되어 있다.
또, 이 때, 자성체(171)의 측면에서 보아 위쪽으로부터 자성체(171)의 일 단면에 형성된 외부 전극(181)과 제1 코일(161)과의 접속부(181a), 자성체(171)의 일 단면에 형성된 외부 전극(181)과 제2 코일(162)과의 각 접속부(181b), 자성체(171)의 다른 일 단면에 형성된 외부 전극(182)과 제1 코일(161)과의 접속부(182a), 자성체(171)의 다른 일 단면에 형성된 외부 전극(182)과 제2 코일(162)과의 접속부(182b)의 순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코일(161)과 제2 코일(162)이 교체되어도 된다.
이에 대해, 자성체(171)의 일 단면에 형성된 한 쌍의 외부 전극(181)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코일(161)과 제2 코일(162)과의 각 접속부(181a, 181b)가 도 2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성체(171)의 다른 일 단면에 형성된 한 쌍의 외부 전극(182)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코일(161)과 제2 코일(162)과 각 접속부(182a, 182b)를 통해, 자성체(171)의 측면에서 보아 위쪽,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어도, 또는 도 2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접속부(182a, 182b)에 끼우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이하, 패턴(B)라 한다). 또, 도 28(c)에 도시한 것은 도 28(b)에 도시한 것의 실장 면적을 변화시킨(반전한) 것이다.
도 28(d)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 내지 5의 노이즈 필터(패턴(A))와 패턴(B)의 주파수와 감쇠량과의 관계(감쇠 특성)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또, 시료로서 도 19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했다. 또, 이 도면의 부호(A, B, C)는 각각 도 28(a), (b), (c)에 대응한다.
도 28(d)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발명의 실시예 3 내지 5의 노이즈 필터(패턴(A))는 감쇠 특성에 오차를 발생하지 않지만, 패턴(B)의 것은(전류의 방향이 변화하면) 오차가 발생한다. 또, 패턴(B)의 등가 회로도를 도 29에 도시한다.
왜냐하면, 발명의 실시예 3 내지 5의 노이즈 필터(패턴(A))는, 자성체(171)의 일 단면에 형성된 외부 전극(181)과 제1 코일(161) 및 제2 코일(162)의 접속부(181a, 181b) 사이의 거리와, 자성체(171)의 다른 일 단면에 형성된 외부 전극(182)과 제1 코일(121) 및 제2 코일(122)과의 접속부(182a, 182b) 사이의 거리가 동일하기 때문에, 노멀 모드 전류가 인가된 방향이 달라도(181a에서 입력하여 182a에서 출력한 전류가, 다시 182b에서 입력하여 181a에서 출력한 경우와, 182a에서 입력하여 181a에서 출력한 전류가, 다시 181b에서 입력하여 182a에서 출력한 경우) 자성체(171) 내에서 발생하는 부유 용량(입력부 부근과 출력부 부근 사이의 부유 용량)은 변화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실장 기판에 실장할 때에 방향이 달라도, 감쇠 특성은 변화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실시예 3, 4에서는 제1, 제2 코일을 각각 구성하는 내부 도체가 동일한 경우는 노멀 모드의 임피던스값은 동일해지기 때문에, 방향성을 갖지 않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 3 내지 5에 서술한 노이즈 필터를 휴대 전화 등의 무선 통신 기기의 한 쌍의 신호 라인에 적용한 경우도 실시예 1, 2에서 도 15(a), (b), (c)를 이용하여 서술한 것과 동일한 효과가 있다.
(실시예 6)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의 분해 사시도, 도 31(a)는 동 A-A선 단면도, 도 31(b)는 동 사시도이다.
도 30, 도 31에 있어서, 나선 형상의 제1 코일(231)은 제1 내부 도체(231a∼231e)를 아래에서부터 순서대로 적층, 접속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나선 형상의 제2 코일(232)은 제2 내부 도체(232a∼232e)를 아래에서부터 순서대로 적층, 접속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제2 코일(231, 232)은 각각 5층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제1, 제2 코일(231, 232)은 반드시 5층 구조로 할 필요는 없 다. 그리고, 제1 내부 도체(231a∼231e), 제2 내부 도체(232a∼232e)는 은 등의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 때, 제1 내부 도체(231a∼231e), 제2 내부 도체(232a∼232e)는 교대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아래에서부터 제1 내부 도체(231a), 제2 내부 도체(232a), 제1 내부 도체(231b), 제2 내부 도체(232b), 제1 내부 도체(231c), 제2 내부 도체(232c), 제1 내부 도체(231d), 제2 내부 도체(232d), 제1 내부 도체(231e), 제2 내부 도체(232e)의 순서대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내부 도체(231a∼231e)를 적층함으로써 얻어지는 나선 형상의 제1 코일(231)과, 제2 내부 도체(232a∼232e)를 적층함으로써 얻어지는 나선 형상의 제2 코일(232)은 후술하는 자성체(246)의 상면에서 보아 제1 코일(231)과 제2 코일(232)이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내부 도체(231a∼231e), 제2 내부 도체(232a∼232e)는 대략 U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대략 U자 형상으로 함으로써, 각 내부 도체를 2층 적층하는 것만으로 1턴의 코일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적층 수는 적어도 된다. 이에 따라,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고, 또 동일한 코일을 형성하는 각각의 내부 도체에 대해서, 인접하는 내부 도체간의 거리를 근접할 수 있어, 이에 따라 제1, 제2 코일(231, 232)에서 각각 발생하는 자속을 서로 강하게 할 수 있다.
또, 제1 내부 도체(231a∼231e) 중 최하층에 형성된 231a의 하면에는 제1 코 일(231)의 단부와 접속하는 제1 인출 전극(233)이, 최상층의 231e의 상면에는 제1 코일(231)의 다른 단부와 접속하는 제2 인출 전극(23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내부 도체(232a, 232e)에는 제3, 제4의 인출 전극(235, 23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인출 전극(233, 234, 235, 236)은 자성체(246)의 상면에서 보아, 자성체(46)의 네 모퉁이에 형성해도 된다.
사각형인 다수의 제1 자성체 시트(237)는 제1 내부 도체(231b∼231e)의 하면에 각각 형성되어, 제1 비아 홀(238), 제2 비아 홀(239)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제1 비아 홀(238)은 각 제1 내부 도체(231a∼231e)의 단부와 접속되고, 제2 비아 홀(239)과는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또, 제2 비아 홀(239)은 자성체(246)의 상면에서 보아 제1, 제2 코일(231, 232)과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사각형인 다수의 제2 자성체 시트(240)는 제2 내부 도체(232a∼232e)의 하면에 각각 형성되며, 제3 비아 홀(241), 제4 비아 홀(242)이 설치되어 있다. 제4 비아 홀(242)은 각 제2 내부 도체(232a∼232e)의 단부와 접속되어, 제3 비아 홀(241)과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또, 제3 비아 홀(241)은 자성체(246)의 상면에서 보아 제1, 제2 코일(231, 232)과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제1 비아 홀(238), 제3 비아 홀(241)에 의해 제1 내부 도체(231a∼231e)가 접속되어, 나선 형상의 제1 코일(231)이 얻어진다. 또, 제2 비아 홀(239), 제4 비아 홀(242)에 의해 제2 내부 도체(232a∼232e)가 접속되어, 나선 형상의 제2 코일(232)이 얻어진다.
즉, 제1 내부 도체(231b)의 하면의 제1 비아 홀(238)이 설치된 제1 자성체 시트(237)에는 제2 비아 홀(23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내부 도체(231b)는 이 제1 비아 홀(238)과 또 그 아래(제1 내부 도체(231a)의 위)의 제2 자성체 시트(240)에 설치된 제3 비아 홀(241)에 의해 제1 내부 도체(231a)와 접속되고, 제2 내부 도체(232b)는 이 제2 비아 홀(239)과 그 위(제2 내부 도체(232b)의 아래)의 제2 자성체 시트(240)에 설치된 제4 비아 홀(242)에 의해 제2 내부 도체(232a)와 접속되는 문제가 되고 있다.
그리고, 제1 내부 도체(231a∼231e)와, 제1 내부 도체(231a∼231e)와 인접하는 제2 내부 도체(232a∼232e)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성체(246)의 상면에서 보아 거의 겹치도록 되어 있다.
즉, 제1 내부 도체(231a)와 제2 내부 도체(232a), 제1 내부 도체(231b)와 제2 내부 도체(232b), 제1 내부 도체(231c)와 제2 내부 도체(232c), 제1 내부 도체(231d)와 제2 내부 도체(232d), 제1 내부 도체(231e)와 제2 내부 도체(232e) 각각의 쌍이 자성체(246)의 상면에서 보아 거의 (비아 홀(238, 239, 241, 242)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하고) 겹치도록 각각 설치되어 있다.
사각형인 다수의 제3 자성체 시트(243)는 제1 내부 도체(231a)의 하면, 제2 내부 도체(232e)의 상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 내부 도체(231a)의 하면에 형성된 제3 자성체 시트(243)의 하면에는 제1, 제3 인출 전극(233, 235)이 설치되고, 제2 내부 도체(231e)의 상면에 형성된 제3 자성체 시트(243)의 상면에는 제2, 제4 인출 전극(234, 236)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제2 내부 도체(232e)의 상면에 형성된 제3 자성체 시트(243)에는 제5 비아 홀(244)이 설치되고, 이 제5 비아 홀(244)에 의해, 제2 내부 도체(232e)와 제4 인출 전극(236), 제1 내부 도체(231e)와 (제3 비아 홀(241)을 통해) 제2 인출 전극(234)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 제1 내부 도체(231a)의 하면에 형성된 제3 자성체 시트(243)에는 제1, 제2 비아 홀(238, 239)이 설치되고, 이 제1, 제2 비아 홀(238, 239)에 의해, 제1 내부 도체(231a)와 제1 인출 전극(233), 제2 내부 도체(232a)와 (제2 비아 홀(239)을 통해) 제3 인출 전극(235)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제4 자성체 시트(245)는 제1, 제3 인출 전극(233, 235)의 하면, 및 제2, 제4 인출 전극(234, 236)의 상면에 소정 매수 형성되어 있다.
각 자성체 시트(237, 240, 243, 245)는 페라이트 분말체의 산화물 및 수지로 이루어지는 혼합물로 구성되고,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에 적층함으로써 사각형인 판 형상의 자성체(246)가 형성된다. 또, 자성체(246)는 판 형상이 아니고,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 자성체(246)는 반드시 사각형일 필요는 없다. 또, 각각의 두께는 소정의 특성(임피던스 값, 내전압 등)에 의해 적당히 조정하면 되며, 두께의 조정은 자성체 시트 자체의 두께를 변화시키거나, 형성되는 자성체 시트의 매수를 변경시킴으로써 행한다.
또, 자성체(246)는 불소계 시레인 커플링제가 주입되어 있고, 이와 같이 함 으로써, 휘수성이 있는 불소계 시레인 커플링제가 자성체(246) 내에 존재하는 미세한 작은 구멍에 충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노이즈 필터 자신의 내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성체(46)의 양 단면에 형성된 외부 전극(247a, 247b, 247c, 247d) 중에서 247a와 247c는 자성체(246)의 일 단면에, 247b와 247d는 자성체(246)의 다른 일 단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 외부 전극(247a, 247b, 247c, 247d)은, 은 등의 도체의 표면에 니켈 도금, 주석이나 땜납 등의 저융점 금속 도금이 행해져 형성되어 있다.
또, 외부 전극(247a, 247b, 247c, 247d)은 자성체(246)의 상면에서 보아 자성체(246)의 네 모퉁이에 형성되어도 좋다.
그리고, 제1 코일(231)의 양단부에 접속되는 제1 인출 전극(233), 제2 인출 전극(234)은 제1 인출 전극(233)이 외부 전극(247a)과, 제2 인출 전극(234)이 외부 전극(247b)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코일(232)에 대해서도, 제3 인출 전극(235)이 외부 전극(247c)과, 제4 인출 전극(236)이 외부 전극(247d)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에 대해서, 이하에 그 제조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2(a)∼(c), 도 33(a)∼(d)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페라이트 분말체의 산화물 및 수지로 이루어지는 혼합물로부터 사각형 의 제1 자성체 시트(237), 제2 자성체 시트(240), 제3 자성체 시트(243), 제4 자성체 시트(245)를 제작한다.
다음에, 도 3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자성체 시트(243)의 소정의 위치에, 레이저, 해칭 등으로 천공 가공하여 제5 비아 홀(244)을 설치한다.
다음에,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제1 자성체 시트(237)의 소정의 위치에 제1, 제2 비아 홀(238, 239)을 설치한다. 또, 제2 자성체 시트(240)의 소정의 위치에 제3 비아 홀(241), 제4 비아 홀(242)을, 다른 제3 자성체 시트(243)의 소정의 위치에 제1, 제2 비아 홀(238, 239)을 각각 설치한다.
다음에, 도 3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비아 홀(244)을 갖는 제3 자성체 시트(243)의 상면에 제2 인출 전극(234)과 제4 인출 전극(236)을 각각 형성한다. 또, 이 때 동시에 제5 비아 홀(244)에 은 등의 도전 재료를 충전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제1 비아 홀(238), 제2 비아 홀(239)을 갖는 제3 자성체 시트(243)의 상면에 제1 내부 도체(231a)를 인쇄에 의해 형성한다. 그리고, 제1 비아 홀(238)과 제1 인출 전극(233)이, 제2 비아 홀(239)과 제3 인출 전극(235)이 각각 접속되도록 한다. 또, 이 때 동시에 제1 비아 홀(238), 제2 비아 홀(239)에 은 등의 도전 재료를 충전한다.
또, 제2 자성체 시트(240)의 상면에 제2 내부 도체(232a)를 인쇄에 의해 형성한다. 그리고, 제2 내부 도체(232a)의 단부와 제4 비아 홀(242)이 접속되도록 한다. 또, 이 때 동시에 제3 비아 홀(241), 제4 비아 홀(242)에 은 등의 도전 재료를 충전한다.
그리고, 제1 자성체 시트(237)의 상면에 제1 내부 도체(231b)를 인쇄에 의해 형성한다. 그리고, 제1 내부 도체(231b)의 단부와 제1 비아 홀(238)이 접속되도록 한다. 또, 이 때 동시에 제1 비아 홀(238), 제2 비아 홀(239)에 은 등의 도전 재료를 충전한다.
다음에, 제4 자성체 시트(245)의 상면에 제1, 제3 인출 전극(233, 235)을 인쇄에 의해 형성한다.
다음에,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설치한 다수의 제1 자성체 시트(237)와 제2 자성체 시트(240)를 교대로 적층하여, 도 32(c)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배치 관계로 한다. 또, 제4 자성체 시트(245)는 제1, 제3 인출 전극(233, 235)의 하면 및 제2, 제4 인출 전극(234, 236)의 상면에 소정 매수 형성한다.
이 때, 제1 자성체 시트(237)에 형성된 제1 비아 홀(238), 제2 자성체 시트(240)에 형성된 제3 비아 홀(241)에 의해 제1 내부 도체(231a∼231e)를 각각 접속하여, 제1 코일(231)을 얻는다. 또, 제1 자성체 시트(237)에 형성된 제2 비아 홀(239), 제2 자성체 시트(240)에 형성된 제4 비아 홀(242)에 의해 제2 내부 도체(232a∼232e)를 각각 접속하여, 제2 코일(232)을 얻는다.
또, 제3 자성체 시트(243)에 형성된 제5 비아 홀(244)에 의해, 제2 내부 도체(232e)와 제4 인출 전극(236), 제1 내부 도체(231e)와 (제3 비아 홀(241)을 통해) 제2 인출 전극(234)을 각각 접속한다.
또, 제3 자성체 시트(243)에 형성된 제1 비아 홀(238)에 의해 제1 내부 도체(231a)와 제1 인출 전극(233), 제2 자성체 시트(240)의 하면에 형성된 제4 비 아 홀(242)에 의해 제2 내부 도체(232a)와 (제2 비아 홀(239)을 통해) 제3 인출 전극(235)을 각각 접속한다.
또, 각 내부 도체, 인출 전극은, 인쇄가 아니라, 도금, 증착, 스퍼터 등의 다른 방법으로 형성해도 된다.
다음에, 도 3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에 제1 코일(231), 제2 코일(232)이 각각 하나 내설되도록 절단하여, 도 33(b)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하나의 적층물(248)을 얻는다. 이 때, 적층물(248)의 양 단면으로부터 제1 인출 전극(233)과 제3 인출 전극(235)이, 다른 단면에는 제2 인출 전극(234)과 제4 인출 전극(236)이 각각 노출하고 있다.
다음에, 이 적층물(248)을 소성하여 자성체(246)를 형성한다.
다음에, 도 3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성체(246)를 모서리 따기한다.
마지막으로,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성체(246)의 양 단면에 노출한 인출 전극(233, 234, 235, 236)에 각각 은 등의 도체를 형성하고, 또 이들의 표면에 도금에 의해 니켈 도금을, 니켈 도금의 표면에 도금에 의해 주석이나 땜납 등의 저융점 금속 도금을 각각 설치함으로써, 제1 인출 전극(233)에 외부 전극(247a)을, 제2 인출 전극(234)에 외부 전극(247b)을, 제3 인출 전극(235)에 외부 전극(247c)을, 제4 인출 전극(236)에 외부 전극(247d)을 각각 형성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를 제조한다.
또, 은 등의 도체를 형성한 후, 및 니켈 도금을 형성하기 전에 감압 분위기 중에서 자성체(246)에 불소계 시레인 커플링제를 주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는, 제1 코일(231)과 제2 코일(232)이 자성체(246)의 상면에서 보아 겹치고, 또 제1 내부 도체(231a∼231e)와, 이 제1 내부 도체(231a∼231e)와 인접하는 제2 내부 도체(232a∼232e)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성체(246)의 상면에서 보아 거의 겹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제1 코일(231)과 제2 코일(232)에 동일 방향(자성체의 상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전류가 흐르면, 제1 내부 도체(231a∼231e) 및 제2 내부 도체(232a∼232e)에서 각각 발생하는 자속을 서로 강하게 할 수 있고, 또, 인접하는 제1 내부 도체(231a∼231e)와 제2 내부 도체(232a∼232e)에서 발생하는 자속이 특히 서로 강해진다. 이에 따라, 공통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더 높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따라서, 제1 코일(231)과 제2 코일(232)에 동일 방향의 전류가 흐른 경우, 제1 내부 도체(231a∼231e)와 제2 내부 도체(232a∼232e)의 임피던스값이 높아지게 되어, 이들의 내부 도체가 공통 모드의 노이즈를 저감한다.
또, 제2 비아 홀(239), 제3 비아 홀(241)은 자성체(246)의 상면에서 보아 제1, 제2 코일(231, 232)과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 비아 홀(239)과 (상하 방향으로) 접속되는 제2 내부 도체(232a∼232e)는, 자성체(246)의 상면에서 보아 제1 내부 도체(231a∼231e)로 이루어지는 제1 코일(231)과 겹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비아 홀(241)과 (상하 방향으로) 접속되는 제1 내부 도체(231a∼231e)는, 자성체(246)의 상면에서 보아 제2 내부 도체(231a∼231e)로 이루어지는 제2 코일(232)과 겹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반드시 자성체(246) 의 상면에서 보아 제1, 제2 코일(231, 232)을 겹쳐지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공통 모드의 임피던스값을 보다 효과적으로 높게 할 수 있다.
한편, 제2 비아 홀(239), 제3 비아 홀(241)이 자성체(246)의 상면에서 보아 제1, 제2 코일(231, 232)과 겹쳐지지 않는 경우는, 제2 비아 홀(239)과 (상하 방향으로) 접속되는 제2 내부 도체(232a∼232e) 및 제3 비아 홀(241)과 (상하 방향으로) 접속되는 제1 내부 도체(231a∼231e)는 각 내부 도체(231a∼231e, 232a∼232e)의 제2 비아 홀(239), 제3 비아 홀(241)과 접속된 부근에서, 자성체(246)의 상면에서 보아 제1, 제2 코일(231, 232)과 겹쳐지지 않는다.
물론, 제1 비아 홀(238), 제4 비아 홀(242)은 각각 각 내부 도체(231a∼231e, 232a∼232e) 각각의 단면에 접속되기 때문에, 자성체(246)의 상면에서 보아 제1, 제2 코일(231, 232)과 겹치고 있다.
또, 인출 전극(233∼236)을 포함한 제1, 제2 코일(231, 232)의 길이를 하면, 제1, 제2 코일(231, 232)의 임피던스값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를, 전자 기기의 일례로서 휴대 전화 등의 무선 통신 기기의 한 쌍의 신호 라인에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컨대, 휴대 전화의 헤드 셋 등의 통신선의 신호 라인은 통상 한 쌍의 케이블(신호 라인)으로 구성되어 있고, 휴대 전화의 반송파 등의 고주파 신호가 복사 노이즈로서 상기 케이블에 대해, 노멀 모드 및 공통 모드로 중첩되기 때문에, 노이즈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예컨대, 공통 모드에서 중첩된 복사 노이즈가 음성 신 호의 잡음으로서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음성 등의 신호가 공통 모드의 고주파 노이즈에 의해 장해를 받는 것은, 회로중의 비선형 소자와 정전 용량에 의해 신호 중에 있었던 낮은 주파수 성분이 검출되어, 중첩되기 때문이다.
예컨대, 도 34(a)에 도시한 바와 같은, TDMA 방식의 휴대 전화의 송수신 회로의 반송파 900㎒(TDMA 반송파)가 217㎒(버스트 주파수)로 송수신되고 있는 경우, 217㎒가 검파되어, 노멀 모드의 음성 신호에 중첩되어 가청 잡음이 들리게 된다. 따라서, 유기되는 공통 모드의 전류를 억제할 수 있으면, 음성 출력 등의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의 사용 방법의 일례를 도 34(b)에 도시한다.
도 34(c)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의 감쇠 특성(주파수와 감쇠량과의 관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휴대 전화의 반송파 900㎒에서도 공통 모드의 노이즈가 감쇠되고 있다. 따라서, 반송파 900㎒와 함께 검파된 반복 주파수의 217Hz의 신호를 저감할 수 있어, 가청 잡음이 들리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공통 모드 및 노멀 모드의 임피던스값이 높은 노이즈 필터, 공통 모드의 임피던스값이 높은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를 실현할 수 있다. 이들을 휴대 전화 등의 무선 통신 기기의 신호 라인에 적용하면 노이즈 를 감쇠시킬 수 있다. 예컨대 한 쌍의 신호 라인으로의 오디오 라인에서 가청 잡음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36)

  1. 노이즈 필터에 있어서,
    자성체 시트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함으로써 형성된 자성체, 상기 자성체 내에 형성된 제1 임피던스 소자, 상기 제1 임피던스 소자의 위쪽에 형성된 제2 임피던스 소자, 및 상기 자성체의 양 단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제2 임피던스 소자의 각 단부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외부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임피던스 소자는 제1 노멀 임피던스 소자부와, 상기 제1 노멀 임피던스 소자부의 위쪽에서 상기 제1 노멀 임피던스 소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공통 임피던스 소자부를 갖고, 상기 제2 임피던스 소자는 제2 공통 임피던스 소자부와, 상기 제2 공통 임피던스 소자부의 위쪽에서 상기 제2 공통 임피던스 소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노멀 임피던스 소자부를 가지며, 상기 제1 공통 임피던스 소자부와 상기 제2 공통 임피던스 소자부는 서로 대향하고, 또 절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2. 노이즈 필터에 있어서,
    자성체 시트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함으로써 형성된 자성체, 상기 자성체 내에 형성된 다수의 임피던스 소자, 및 상기 자성체의 양 단면에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임피던스 소자의 각 단부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외부 전극을 구비하고, 각 임피던스 소자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최하부에 형성된 임피던스 소자는 노멀 임피던스 소자부와, 상기 노멀 임피던스 소자부의 위쪽에서 상기 노멀 임피던스 소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공통 임피던스 소자부를 갖고, 최상부에 형성된 임피던스 소자는 공통 임피던스 소자부와, 상기 공통 임피던스 소자부의 위쪽에서 상기 공통 임피던스 소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노멀 임피던스 소자부를 갖고, 다른 임피던스 소자는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두 개의 공통 임피던스 소자부를 가지며, 각 공통 임피던스 소자부는 서로 대향하고, 또 절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3. 노이즈 필터에 있어서,
    자성체 시트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함으로써 형성된 자성체, 상기 자성체 내에 형성된 제1 코일, 상기 제1 코일의 위쪽에 형성된 제2 코일, 및 상기 자성체의 양 단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제2 코일의 각 단부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외부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코일은 제1 도체와, 상기 제1 도체의 위쪽에서 상기 제1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도체를 갖고, 상기 제2 코일은 제3 도체와, 상기 제3 도체의 위쪽에서 상기 제3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4 도체를 가지며, 상기 제1 도체와 상기 제4 도체는 스파이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도체와 상기 제3 도체는 상호 대향하고, 또 절연되며, 또 각각 소용돌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4. 노이즈 필터에 있어서,
    자성체 시트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함으로써 형성된 자성체, 상기 자성체 내 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코일, 및 상기 자성체의 양 단면에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코일의 각 단부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외부 전극을 구비하고, 각 코일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두 개의 도체를 갖고, 최상부와 최하부에 형성된 도체는 스파이럴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도체는 소용돌이 형상으로 형성되며, 또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은 인접하는 도체끼리는 서로 대향하고, 또 절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5. 제3항에 있어서,
    제2 도체와 제3 도체간의 거리는 50㎛보다 길고, 200㎛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6. 제4항에 있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은 인접하는 각 도체간의 거리는, 50㎛보다 길고, 200㎛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7. 제3항에 있어서,
    제1 도체와 제2 도체 사이, 제3 도체와 제4 도체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2 도체와 상기 제3 도체 사이의 거리보다 길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8. 제3항에 있어서,
    제1 도체와 제2 도체 사이, 제3 도체와 제4 도체 사이에 투자율이 낮은 재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9. 제1항에 있어서,
    제1, 제2 임피던스 소자의 각 외부 전극간의 도체의 길이가 동일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10. 제3항에 있어서,
    제1, 제2 코일의 각 외부 전극간의 도체의 길이가 동일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11. 제1항에 있어서,
    제1 공통 임피던스 소자부와 제2 공통 임피던스 소자부 사이를 다른 부분보다 밀도가 높아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12. 제3항에 있어서,
    제2 도체와 제3 도체 사이를 다른 부분보다 밀도가 높아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1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1 공통 임피던스 소자부와 제2 공통 임피던스 소자부가 전기 주조법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14.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2 도체, 제3 도체가 전기 주조법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15. 제1항에 있어서,
    제1 노멀 임피던스 소자부와 제1 공통 임피던스 소자부, 제2 공통 임피던스 소자부와 제2 노멀 임피던스 소자부가 각각 자성체의 위쪽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보아 각각 겹쳐지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16. 제3항에 있어서,
    제1 도체와 제2 도체, 제3 도체와 제4 도체가 각각 자성체의 위쪽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보아 각각 겹쳐지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17. 제1항에 있어서,
    자성체의 일 단면에 형성된 외부 전극에 제1 노멀 임피던스 소자부와 제2 공통 임피던스 소자부가 접속되고, 자성체의 다른 일 단면에 형성된 외부 전극에 제1 공통 임피던스 소자부와 제2 노멀 임피던스 소자부가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18. 제3항에 있어서,
    자성체의 일 단면에 형성된 외부 전극에 제1 도체와 제3 도체가 접속되고, 자성체의 다른 일 단면에 형성된 외부 전극에 제2 도체와 제4 도체가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19. 제1항에 기재된 노이즈 필터의 각각 제1 임피던스 소자, 제2 임피던스 소자를 무선 통신 기기의 한 쌍의 신호 라인에 접속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0. 노이즈 필터에 있어서,
    자성체 시트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함으로써 형성된 자성체, 다수의 제1 내부 도체를 적층함으로써 형성된 제1 코일, 다수의 제2 내부 도체를 적층함으로써 형성된 제2 코일, 및 상기 자성체의 양 단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제2 코일의 각 단부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외부 전극을 갖고, 상기 자성체 내에 상기 제1 내부 도체로 이루어지는 제1 적층부, 상기 제1 적층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내부 도체와 상기 제2 내부 도체가 교대로 적층된 제2 적층부, 및 상기 제2 적층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내부 도체로 이루어지는 제3 적층부가 구비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21. 노이즈 필터에 있어서,
    자성체 시트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함으로써 형성된 자성체, 다수의 제1 내부 도체를 적층함으로써 형성된 제1 코일, 다수의 제2 내부 도체를 적층함으로써 형성된 제2 코일, 및 상기 자성체의 양 단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제2 코일의 각 단부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외부 전극을 갖고, 상기 자성체 내에 상기 제1 내부 도체로 이루어지는 제1 적층부, 상기 제1 적층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내부 도체와 상기 제2 내부 도체가 동일면에 설치된 제2 적층부, 및 상기 제2 적층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내부 도체로 이루어지는 제3 적층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22. 노이즈 필터에 있어서,
    자성체 시트를 상하 방향에 적층함으로써 형성된 자성체, 상기 자성체 내에 형성된 제1, 제2 코일, 및 상기 자성체의 양 단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제2 코일의 각 단부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외부 전극을 갖고, 상기 제1, 제2 코일은 상기 자성체의 상면에서 보아 상기 제1 코일에 둘러싸인 부분과 상기 제2 코일에 둘러싸인 부분이 각각 일부만 겹쳐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23. 제3항, 제4항,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 계수를 0.2∼0.95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24.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제1 적층부 및 제3 적층부의 인접하는 제1 내부 도체간, 제2 내부 도체간의 간격이 제2 적층부의 인접하는 제1 내부 도체와 제2 내부 도체와의 간격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25.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제1 적층부 및 제3 적층부의 인접하는 제1 내부 도체간, 제2 내부 도체간에 다른 자성체 시트보다 투자율이 낮은 시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26.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제2 코일의 각 외부 전극간의 길이가 동일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27.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제1 적층부 및 제3 적층부를 구성하는 자성체의 밀도보다 제2 적층부를 구성하는 자성체의 밀도가 높아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노이즈 필터.
  28.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제1 적층부와 제2 적층부 사이의 거리, 상기 제2 적층부와 제3 적층부 사이의 거리를 상기 제1 적층부, 상기 제2 적층부, 제3 적층부의 각각의 인접하는 각 내부 도체간의 거리보다 길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29.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제1 적층부와 제2 적층부 사이의 거리, 상기 제2 적층부와 제3 적층부 사이에 다른 자성체 시트보다 투자율이 낮은 자성체 시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30.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성체의 일 단면에 형성된 한 쌍의 외부 전극, 및 상기 외부 전극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코일과 제2 코일의 각 접속부가, 상기 자성체의 다른 일 단면에 형성된 한 쌍의 외부 전극, 및 상기 외부 전극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과의 각 접속부에 대해, 상기 자성체의 측면에서 보아 위쪽 또는 아래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31. 제3항,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노이즈 필터의 각각 제1 코일, 제2 코일을 무선 통신 기기의 한 쌍의 신호 라인에 접속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를 이용한 전자 기기.
  32. 노이즈 필터에 있어서,
    자성체 시트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함으로써 형성된 자성체, 다수의 제1 내부 도체를 적층함으로써 형성된 제1 코일, 상기 제1 내부 도체와 교대로 형성된 다수의 제2 내부 도체를 적층함으로써 형성되며, 또 상기 자성체의 상면에서 보아 상기 제1 코일과 겹치는 제2 코일, 및 상기 제1 내부 도체끼리, 또는 상기 제2 내부 도체끼리를 접속하기 위해 상기 자성체 시트에 형성되는 다수의 비아 홀을 갖고, 상기 제1 내부 도체끼리를 접속하는 비아 홀은 상기 자성체의 상면에서 보아 상기 제2 코일과 겹치고, 상기 제2 내부 도체끼리를 접속하는 비아 홀은 상기 자성체의 상면에서 보아 상기 제1 코일과 겹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내부 도체와, 상기 제1 내부 도체와 인접하는 상기 제2 내부 도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자성체의 상면에서 보아 거의 겹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33. 제32항에 있어서,
    제1 내부 도체, 제2 내부 도체가 대략 U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34. 제1항, 제3항, 제20항 내지 제22항,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성체는 불소계 시레인 커플링제가 주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35. 제32항에 있어서,
    제1, 제2 코일의 길이가 동일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36. 제32항에 기재된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 각각의 제1 코일, 제2 코일을 무선 통신 기기의 한 쌍의 신호선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를 이용한 전자 기기.
KR1020027011728A 2000-03-08 2001-03-07 노이즈 필터 및 노이즈 필터를 이용한 전자 기기 KR1006869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62885 2000-03-08
JPJP-P-2000-00062885 2000-03-08
JPJP-P-2000-00073837 2000-03-16
JP2000073837 2000-03-16
JPJP-P-2000-00081233 2000-03-23
JP2000081233 2000-03-23
PCT/JP2001/001764 WO2001067470A1 (fr) 2000-03-08 2001-03-07 Filtre de bruit et dispositif electronique utilisant un tel filt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7453A KR20030007453A (ko) 2003-01-23
KR100686991B1 true KR100686991B1 (ko) 2007-02-27

Family

ID=27342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1728A KR100686991B1 (ko) 2000-03-08 2001-03-07 노이즈 필터 및 노이즈 필터를 이용한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98939B2 (ko)
EP (1) EP1271572A4 (ko)
JP (2) JP4411818B2 (ko)
KR (1) KR100686991B1 (ko)
CN (1) CN1220222C (ko)
WO (1) WO200106747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4605A2 (ko) * 2008-08-29 2010-03-04 주식회사 아모텍 적층형 복합 칩 소자
KR20150019279A (ko) * 2013-08-13 2015-02-25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부품 및 그 제조방법
JP2018190822A (ja) * 2017-05-02 2018-11-29 太陽誘電株式会社 磁気結合型コイル部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91534A1 (en) * 2002-12-13 2006-05-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hip part manufacturing method and chip parts
US7592884B2 (en) * 2003-07-28 2009-09-22 Nxp B.V. High frequency component
JP4598384B2 (ja) * 2003-11-06 2010-12-15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積層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JP2005166791A (ja) * 2003-12-01 2005-06-23 Taiyo Yuden Co Ltd 積層チップ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2005294486A (ja) * 2004-03-31 2005-10-20 Tdk Corp 積層型電子部品
JP4626185B2 (ja) * 2004-05-28 2011-02-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US7119649B2 (en) 2004-05-28 2006-10-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mon mode noise filter
JP4670262B2 (ja) * 2004-05-28 2011-04-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JP4676957B2 (ja) * 2004-05-31 2011-04-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4485333B2 (ja) * 2004-12-02 2010-06-23 株式会社住友金属エレクトロデバイス 低域通過フィルタアレイ
JP2006278847A (ja) * 2005-03-30 2006-10-12 Seiko Epson Corp 等長配線構造、該等長配線構造を備えた記録装置及び電子機器
WO2006109374A1 (ja) * 2005-04-12 2006-10-19 Murata Manufacturing Co., Ltd. 積層コイル部品
JP2007027444A (ja) * 2005-07-15 2007-02-01 Fdk Corp 積層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692221B2 (ja) * 2005-10-31 2011-06-01 Tdk株式会社 積層型電子部品
TWI294681B (en) * 2006-01-25 2008-03-11 Ind Tech Res Inst Image ground shielding structure
JP2007227517A (ja) * 2006-02-22 2007-09-06 Mitsubishi Materials Corp 積層型ノイズフィルタ
US7791445B2 (en) * 2006-09-12 2010-09-07 Cooper Technologies Company Low profile layered coil and cores for magnetic components
US8466764B2 (en) 2006-09-12 2013-06-18 Cooper Technologies Company Low profile layered coil and cores for magnetic components
US8378777B2 (en) * 2008-07-29 2013-02-19 Cooper Technologies Company Magnetic electrical device
JP2008098625A (ja) * 2006-09-12 2008-04-24 Murata Mfg Co Ltd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US8941457B2 (en) 2006-09-12 2015-01-27 Cooper Technologies Company Miniature power inductor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9589716B2 (en) 2006-09-12 2017-03-07 Cooper Technologies Company Laminated magnetic component and manufacture with soft magnetic powder polymer composite sheets
KR100845947B1 (ko) * 2007-04-11 2008-07-11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회로 보호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845948B1 (ko) * 2007-04-11 2008-07-11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회로 보호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844151B1 (ko) * 2007-04-11 2008-07-07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회로 보호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WO2008127023A1 (en) 2007-04-11 2008-10-23 Innochips Technology Co., Ltd. Circuit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605192B2 (ja) * 2007-07-20 2011-01-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コイル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WO2009113604A1 (ja) * 2008-03-12 2009-09-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ノイズフィルタ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装置
JP4683071B2 (ja) * 2008-05-16 2011-05-11 Tdk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US8659379B2 (en) * 2008-07-11 2014-02-25 Cooper Technologies Company Magnetic compon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558881B2 (en) 2008-07-11 2017-01-31 Cooper Technologies Company High current power inductor
JP5316638B2 (ja) * 2009-03-13 2013-10-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
JP2010232343A (ja) * 2009-03-26 2010-10-14 Murata Mfg Co Ltd 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5229095B2 (ja) * 2009-05-07 2013-07-0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223557A (ja) * 2010-03-26 2011-11-04 Nippon Soken Inc 差動通信用のフィルタ回路
US8505192B2 (en) * 2010-10-08 2013-08-13 Advance Furnace Systems Corp. Manufacturing method of common mode filter
JP5786120B2 (ja) * 2010-11-15 2015-09-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CN103493158B (zh) * 2011-04-25 2016-07-06 株式会社东芝 磁性片和使用其的非接触受电装置、电子设备及非接触充电装置
JP5909626B2 (ja) * 2011-08-22 2016-04-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JP2013051308A (ja) * 2011-08-31 2013-03-14 Shindengen Electric Mfg Co Ltd 積層磁性素子
US10128035B2 (en) 2011-11-22 2018-11-13 Volterra Semiconductor LLC Coupled inductor arrays and associated methods
US9373438B1 (en) 2011-11-22 2016-06-21 Volterra Semiconductor LLC Coupled inductor arrays and associated methods
JP5700140B2 (ja) * 2011-12-27 2015-04-1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型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US9627738B2 (en) * 2012-01-16 2017-04-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Wideband multilayer transmission line transformer
KR20130101849A (ko) * 2012-03-06 2013-09-16 삼성전기주식회사 박막형 공통 모드 필터
CN104170034B (zh) * 2012-03-16 2016-11-02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共模扼流圈
US9263177B1 (en) 2012-03-19 2016-02-16 Volterra Semiconductor LLC Pin inductor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CN102682953A (zh) * 2012-05-28 2012-09-19 深圳顺络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共模滤波器
KR101792277B1 (ko) * 2012-08-29 2017-11-20 삼성전기주식회사 박막형 공통 모드 필터
JP5585748B1 (ja) * 2012-10-19 2014-09-1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TWI459414B (zh) * 2012-12-19 2014-11-01 Ind Tech Res Inst 耦合電感
KR20140081224A (ko) * 2012-12-21 2014-07-01 삼성전기주식회사 신호보상 기능을 갖는 공통 모드 필터
TWM459535U (zh) * 2013-01-14 2013-08-11 Max Echo Technology Corp 共模濾波器
JP5900373B2 (ja) 2013-02-15 2016-04-0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
WO2014129279A1 (ja) 2013-02-19 2014-08-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インダクタブリッジおよび電子機器
JP5716778B2 (ja) * 2013-03-22 2015-05-1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の製造方法
WO2015029976A1 (ja) * 2013-09-02 2015-03-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及び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KR102047560B1 (ko) 2014-04-30 2019-11-21 삼성전기주식회사 커먼 모드 필터, 신호 전달 모듈 및 커먼 모드 필터 제조방법
KR101686989B1 (ko) 2014-08-07 2016-12-19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파워 인덕터
KR101565705B1 (ko) * 2014-08-11 2015-11-03 삼성전기주식회사 인덕터
KR101662209B1 (ko) * 2014-09-11 2016-10-06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파워 인덕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9491B1 (ko) * 2014-09-16 2019-10-07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KR102047563B1 (ko) * 2014-09-16 2019-11-21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JP6172119B2 (ja) * 2014-11-10 2017-08-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KR101630083B1 (ko) * 2014-12-03 2016-06-13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JP6678292B2 (ja) * 2015-02-19 2020-04-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KR102105394B1 (ko) * 2015-03-09 2020-04-28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JP6528126B2 (ja) * 2015-07-07 2019-06-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ノイズフィルタ
KR101719910B1 (ko) * 2015-07-20 2017-04-04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JP6825189B2 (ja) * 2015-07-29 2021-02-03 サムソン エレクトロ−メカニック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098300A (zh) * 2015-09-11 2015-11-25 禾邦电子(中国)有限公司 共模滤波器及其制造方法
WO2017065143A1 (ja) * 2015-10-16 2017-04-2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6418134B2 (ja) * 2015-11-02 2018-11-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
KR101735599B1 (ko) * 2015-11-11 2017-05-16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회로 보호 소자
KR101617003B1 (ko) * 2016-01-04 2016-04-29 씨유테크 주식회사 노이즈 필터용 비드
US10490349B2 (en) * 2016-07-07 2019-11-2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oil compon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209168856U (zh) * 2016-07-15 2019-07-26 株式会社村田制作所 高频变压器以及移相器
CN209462744U (zh) * 2016-11-28 2019-10-01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多层基板以及多层基板向电路基板的安装构造
JP6575773B2 (ja) * 2017-01-31 2019-09-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及び該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JP6642544B2 (ja) * 2017-09-12 2020-02-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
JP7307524B2 (ja) * 2017-09-15 2023-07-12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及び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JP6743836B2 (ja) * 2018-02-07 2020-08-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CN108429542A (zh) * 2018-03-19 2018-08-21 南京邮电大学 一种具有高性能三维内螺旋电感的ltcc带通滤波器
KR102084066B1 (ko) * 2018-06-12 2020-03-04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적층형 소자
KR20200036237A (ko) * 2018-09-28 2020-04-07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전자 부품
JP7147713B2 (ja) * 2019-08-05 2022-10-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
JP7147714B2 (ja) * 2019-08-05 2022-10-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
JP7200957B2 (ja) 2020-02-04 2023-01-1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7200958B2 (ja) * 2020-02-04 2023-01-1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7264078B2 (ja) * 2020-02-04 2023-04-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7163935B2 (ja) 2020-02-04 2022-11-0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7322833B2 (ja) * 2020-08-05 2023-08-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7435351B2 (ja) * 2020-08-05 2024-02-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610Y2 (ja) * 1988-06-09 1995-07-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複合インダクタ
JP2725499B2 (ja) * 1991-10-08 1998-03-1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チップ型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H0669038A (ja) * 1992-08-13 1994-03-11 Murata Mfg Co Ltd チップ型コイル
JP3650419B2 (ja) * 1993-06-10 2005-05-18 横河電機株式会社 プリントコイル
JPH0722243A (ja) * 1993-07-02 1995-01-24 Murata Mfg Co Ltd インダクタアレイ
JPH08138941A (ja) * 1994-09-12 1996-05-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積層型セラミックチップインダ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148354A (ja) * 1994-11-18 1996-06-07 Taiyo Yuden Co Ltd 積層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3139368B2 (ja) 1995-04-03 2001-02-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3397229B2 (ja) * 1997-03-27 2003-04-14 戸田工業株式会社 球状複合体粒子粉末及び該粒子粉末からなる電子写真用磁性キャリア
US6144269A (en) * 1997-06-10 2000-11-07 Fuji Electric Co., Ltd. Noise-cut LC filter for power converter with overlapping aligned coil patterns
JP3650949B2 (ja) * 1997-07-04 2005-05-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複合電子部品
JPH11214229A (ja) * 1998-01-23 1999-08-06 Kankyo Denji Gijutsu Kenkyusho:Kk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3602712B2 (ja) * 1998-02-19 2004-12-1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チョークコイル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4605A2 (ko) * 2008-08-29 2010-03-04 주식회사 아모텍 적층형 복합 칩 소자
WO2010024605A3 (ko) * 2008-08-29 2010-06-24 주식회사 아모텍 적층형 복합 칩 소자
KR20150019279A (ko) * 2013-08-13 2015-02-25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부품 및 그 제조방법
JP2018190822A (ja) * 2017-05-02 2018-11-29 太陽誘電株式会社 磁気結合型コイル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25183A (zh) 2003-06-18
KR20030007453A (ko) 2003-01-23
EP1271572A4 (en) 2009-04-08
JP4411818B2 (ja) 2010-02-10
US20030134612A1 (en) 2003-07-17
CN1220222C (zh) 2005-09-21
JP2009302580A (ja) 2009-12-24
WO2001067470A1 (fr) 2001-09-13
EP1271572A1 (en) 2003-01-02
US6998939B2 (en) 2006-02-14
JP4706786B2 (ja)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6991B1 (ko) 노이즈 필터 및 노이즈 필터를 이용한 전자 기기
KR100712752B1 (ko) 노이즈 필터
CN109585122B (zh) 磁耦合型线圈部件
US11087914B2 (en) Common mode choke coil
KR102564591B1 (ko)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
JP2012256757A (ja) Lc複合部品及びlc複合部品の実装構造
JP5961813B2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JP3545701B2 (ja)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
JP5994108B2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US11189416B2 (en) Coil component and method of changing frequency characteristic thereof
JP2006294723A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JP7182037B2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JP3444226B2 (ja) 積層インダクタ
CN110676029B (zh) 电感器
JP2005294637A (ja) 積層コイルアレイ
KR20190064436A (ko) 적층형 필터
KR101207663B1 (ko) Hdmi용 공통 모드 필터 제조 방법
KR20120072424A (ko) 트랜스포머
KR100513347B1 (ko) 칩 인덕터
JP2006147615A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JP2023134342A (ja) 積層コイル部品
JP2022126115A (ja) 積層コイル部品
CN116759208A (zh) 层叠线圈部件
JPH10144543A (ja) コイル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