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4591B1 -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 - Google Patents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591B1
KR102564591B1 KR1020197001434A KR20197001434A KR102564591B1 KR 102564591 B1 KR102564591 B1 KR 102564591B1 KR 1020197001434 A KR1020197001434 A KR 1020197001434A KR 20197001434 A KR20197001434 A KR 20197001434A KR 102564591 B1 KR102564591 B1 KR 102564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onductor
insulator layer
coil
via electrode
inne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1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3171A (ko
Inventor
요시하루 오오모리
겐이치 마츠시마
다케시 이치하라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53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00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 H03H1/0007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of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9/00Fixed transformers or mutual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9Filters comprising mutual inductan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42Networks for transforming balanced signals into unbalanced signals and vice versa, e.g. baluns
    • H03H7/425Balance-balance networks
    • H03H7/427Common-mod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01F2017/002Details of via holes for interconnecting th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2017/0066Printed inductances with a magnetic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2017/0073Printed inductances with a special conductive pattern, e.g. flat spi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2017/0093Common mode choke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01F2027/2809Printed windings on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00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 H03H2001/0021Constructional details
    • H03H2001/0028RFI filters with housing divided in two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Filters And Equalizers (AREA)

Abstract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는, 적층된 제 1 내지 제 4 절연체층을 갖는 적층체와, 제 1 내지 제 4 절연체층의 상면에 각각 마련된 소용돌이 형상으로 연장하는 제 1 내지 제 4 코일 도체와, 제 1 코일 도체와 제 2 코일 도체를 접속하는 제 1 비아 전극과, 제 3 코일 도체와 제 4 코일 도체를 접속하는 제 2 비아 전극과, 제 1 코일 도체의 내측단과 제 1 비아 전극을 접속하는 제 1 접속부와, 제 2 코일 도체의 내측단과 제 1 비아 전극을 접속하는 제 2 접속부와, 제 3 코일 도체의 내측단과 제 2 비아 전극을 접속하는 제 3 접속부와, 제 4 코일 도체의 내측단과 제 2 비아 전극을 접속하는 제 4 접속부를 구비한다. 제 1 접속부와 제 2 접속부는 상면에서 보아 겹쳐 있고, 제 3 접속부와 제 4 접속부는 상면에서 보아 겹쳐 있다. 이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는 고주파 대역에서의 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
본 발명은, 디지털 기기나 AV 기기, 정보 통신 단말 등의 각종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소형이고 박형인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종래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500)의 분해 사시도이다.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500)는 적층된 복수의 절연체층(1a~1g)에 형성된 코일(2, 3)을 갖는다. 코일(2)은 소용돌이 형상의 코일 도체(4a, 4b)로 구성되어 있고, 코일 도체(4a, 4b)는 비아 전극(5)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코일(3)은 소용돌이 형상의 코일 도체(6a, 6b)로 구성되어 있고, 코일 도체(6a, 6b)는 비아 전극(7)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코일 도체(4a, 4b)는 코일 도체(6a, 6b)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도 8은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500)의 복수의 절연체층(1b~1e)의 상면도이다. 코일 도체(4a, 4b, 6a, 6b)는 각 절연체층의 단면에 형성된 외부 전극과 각각 접속되어 있다.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500)는 코일 도체(4a)와 비아 전극(5)을 접속하는 접속부(4c)와, 코일 도체(4b)와 비아 전극(5)을 접속하는 접속부(4d)와, 코일 도체(6a)와 비아 전극(7)을 접속하는 접속부(6c)와, 코일 도체(6b)와 비아 전극(7)을 접속하는 접속부(6d)를 더 구비한다. 접속부(4c)는 접속부(4d)와 상면에서 보아 겹치지 않고, 접속부(6c)는 접속부(6d)와 상면에서 보아 겹치지 않는다.
도 8은 절연체층(1e)에 형성된 코일 도체(6b), 절연체층(1d)에 형성된 코일 도체(4b), 절연체층(1c)에 형성된 코일 도체(6a), 절연체층(1b)에 형성된 코일 도체(4a)를 나타낸다.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500)와 유사한 종래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13-122940호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는, 적층된 제 1 내지 제 4 절연체층을 갖는 적층체와, 제 1 내지 제 4 절연체층의 상면에 각각 마련된, 소용돌이 형상으로 연장하는 제 1 내지 제 4 코일 도체와, 제 1 내지 제 4 절연체층 중 적어도 1개를 관통해서 제 1 코일 도체와 제 2 코일 도체를 접속하는 제 1 비아 전극과, 제 1 내지 제 4 절연체층 중 적어도 1개를 관통해서 제 3 코일 도체와 제 4 코일 도체를 접속하는 제 2 비아 전극과, 제 1 코일 도체의 내측단과 제 1 비아 전극을 접속하는 제 1 접속부와, 제 2 코일 도체의 내측단과 제 1 비아 전극을 접속하는 제 2 접속부와, 제 3 코일 도체의 내측단과 제 2 비아 전극을 접속하는 제 3 접속부와, 제 4 코일 도체의 내측단과 제 2 비아 전극을 접속하는 제 4 접속부를 구비한다. 제 1 접속부와 제 2 접속부는 상면에서 보아 겹쳐 있고, 제 3 접속부와 제 4 접속부와는 상면에서 보아 겹쳐 있다.
이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는 고주파 대역에서의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b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의 회로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의 절연체층의 상면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의 주요부의 상면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의 절연체층의 상면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또 다른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종래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종래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의 주요부의 상면도이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1000)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10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b는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1000)의 회로도이다. 도 3은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1000)의 절연체층의 상면도이다.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1000)는 상하 방향(D1)으로 적층된 복수의 절연체층(11a~11e)과, 절연체층(11a~11e)에 형성된 코일(12, 13)을 구비한다. 절연체층(11a~11e)은 위쪽으로부터 보아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절연체층(11a~11e) 및 코일(12, 13)은 직방체 형상을 갖는 적층체(14)를 구성한다. 코일(12)은 모두 소용돌이 형상을 갖는 코일 도체(15, 16)로 구성되어 있고, 코일(13)은 모두 소용돌이 형상을 갖는 코일 도체(17, 18)으로 구성되어 있다. 코일(12)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15, 16)는 코일(13)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17, 18)와, 상하 방향(D1)에 있어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코일 도체(15)는 코일 도체(16)와 절연체층(11b, 11c)에 형성된 비아 전극(19)을 통해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코일 도체(17)는 코일 도체(18)와 절연체층(11c, 11d)에 형성된 비아 전극(20)을 통해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1000)는, 코일 도체(15)의 내측단(15a)과 비아 전극(19)을 접속하는 접속부(15b)와, 코일 도체(16)의 내측단(16a)과 비아 전극(19)을 접속하는 접속부(16b)와, 코일 도체(17)의 내측단(17a)과 비아 전극(20)을 접속하는 접속부(17b)와, 코일 도체(18)의 내측단(18a)과 비아 전극(20)을 접속하는 접속부(18b)를 더 구비한다. 접속부(15b)는 접속부(16b)와 상면에서 보아 겹쳐 있고, 접속부(17b)는 접속부(18b)와 상면에서 보아 겹쳐 있다.
적층체(14)의 단면(314)에는 외부 전극(21a, 21c)이 형성되어 있고, 단면(314)의 반대측의 단면(414)에는 외부 전극(21b, 21d)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체층(11a)은 Cu-Zn 페라이트, 유리 세라믹 등의 비자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절연성을 갖고,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시트 형상을 갖는다.
코일 도체(15)는 절연체층(11a)의 상면(111a)에 은 등의 도전 재료를 소용돌이 형상으로 도금, 인쇄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코일 도체(15)의 내측단(15a)은 접속부(15b)와 접속되고, 접속부(15b)를 통해서 비아 전극(19)과 접속되어 있다. 코일 도체(15)의 외측단(15c)은 인출부(15d)와 접속되고, 인출부(15d)는 외부 전극(21a)과 접속되어 있다.
절연체층(11b)은 Cu-Zn 페라이트, 유리 세라믹 등의 비자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절연성을 갖고,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시트 형상을 갖는다. 절연체층(11b)은 코일 도체(15)의 상면에 마련되어 있다. 절연체층(11b)에는 절연체층(11b)의 상면(111b)으로부터 하면(211b)을 관통하는 비아 전극(19)이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15b)는 비아 전극(19)과 접속되어 있다.
코일 도체(17)는 소용돌이 형상으로 은 등의 도전 재료를 도금, 인쇄함으로써 형성되어, 절연체층(11b)의 상면(111b)에 마련되어 있다. 코일 도체(17)의 내측단(17a)은 접속부(17b)와 접속되고, 접속부(17b)를 통해서 비아 전극(20)과 접속되어 있다. 코일 도체(17)의 외측단(17c)은 인출부(17d)와 접속되고, 인출부(17d)는 외부 전극(21c)과 접속되어 있다.
코일 도체(15)와 코일 도체(17)는 상면에서 보아 동일 권선 방향(D10)으로 권선되어 서로 겹쳐 있고, 이 구성에 의해, 서로 자기(磁氣) 결합한다.
절연체층(11c)은 Cu-Zn 페라이트, 유리 세라믹 등의 비자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절연성을 갖고,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시트 형상을 갖는다. 절연체층(11c)은 코일 도체(17)의 상면에 마련되어 있다. 절연체층(11c)에는 절연체층(11c)의 상면(111c)으로부터 하면(211c)을 관통하는 비아 전극(19) 및 비아 전극(20)이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17b)는 비아 전극(20)과 접속되어 있다.
코일 도체(16)는 소용돌이 형상으로 은 등의 도전 재료를 도금, 인쇄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절연체층(11c)의 상면(111c)에 마련되어 있다. 코일 도체(16)의 내측단(16a)은 접속부(16b)와 접속되고, 접속부(16b)를 통해서 비아 전극(19)과 접속되어 있다. 코일 도체(16)의 외측단(16c)은 인출부(16d)와 접속되고, 인출부(16d)는 외부 전극(21b)과 접속되어 있다.
절연체층(11b, 11c)에 형성된 비아 전극(19)을 통해서, 접속부(15b)는 접속부(16b)와 접속되어 있다. 이 결과, 코일 도체(15, 16)는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코일(12)을 구성한다.
절연체층(11d)은 Cu-Zn 페라이트, 유리 세라믹 등의 비자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절연성을 갖고,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시트 형상을 갖는다. 절연체층(11d)은 코일 도체(16)의 상면에 마련되어 있다. 절연체층(11d)에는 절연체층(11d)의 상면(111d)으로부터 하면(211d)을 관통하는 비아 전극(20)이 형성되어 있다.
코일 도체(18)는 소용돌이 형상으로 은 등의 도전 재료를 도금, 인쇄함으로써 형성되어, 절연체층(11d)의 상면(111d)에 마련되어 있다. 코일 도체(18)의 내측단(18a)은 접속부(18b)와 접속되고, 접속부(18b)를 통해서 비아 전극(20)과 접속되어 있다. 코일 도체(18)의 외측단(18c)은 인출부(18d)와 접속되고, 인출부(18d)는 외부 전극(21d)과 접속되어 있다.
절연체층(11d, 11c)에 형성된 비아 전극(20)을 통해서, 접속부(17b)는 접속부(18b)와 접속되어 있다. 이 결과, 코일 도체(17, 18)는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코일(13)을 구성한다.
코일 도체(16, 18)는 상면에서 보아 동일 권선 방향(D10)으로 권선되어 서로 겹쳐 있고, 이 구성에 의해, 서로 자기 결합한다. 코일 도체(15~18)는 동일 권선 방향(D10)으로 권선되어 있고, 코일 도체(15~18)에는 상면에서 보아 동일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이 구성에 의해, 코일(12)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15, 16)는 코일(13)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17, 18)와 상하 방향(D1)에 있어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최상층의 코일 도체(18)와 접속되어 있는 비아 전극(20)은, 상면에서 보아 비아 전극(19)보다, 코일 도체(18)와 접속되어 있는 외부 전극(21d)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 코일 도체(16)와 접속되어 있는 비아 전극(19)은, 상면에서 보아 비아 전극(20)보다, 외부 전극(21b)에 가깝다. 최하층의 코일 도체(15)와 접속되어 있는 비아 전극(19)은, 상면에서 보아 비아 전극(20)보다, 외부 전극(21a)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 코일 도체(17)와 접속되어 있는 비아 전극(20)은, 상면에서 보아 비아 전극(19)보다, 외부 전극(21c)에 가깝다.
코일 도체(17)의 내측단(17a)은 코일 도체(15)와 상면에서 보아 겹쳐 있다. 상면에서 보아 내측단(17a)과 외측단(15c) 사이의 코일 도체(15)의 부분은, 내측단(17a)과 외측단(17c) 사이의 코일 도체(17)와 상면에서 보아 겹친다. 실시 형태에서는 코일 도체(15)의 외측단(15c)은 코일 도체(17)의 외측단(17c)과 상면에서 보아 겹쳐 있다. 마찬가지로, 코일 도체(16)의 내측단(16a)은 코일 도체(18)으로 상면에서 보아 겹쳐 있다. 상면에서 보아 내측단(16a)과 외측단(18c)까지의 코일 도체(18)의 부분은, 내측단(16a)으로부터 외측단(16c)까지의 코일 도체(16)와 상면에서 보아 겹친다. 이 구성에 의해, 코일 도체(15, 17)가 겹치는 거리를 가장 길게 할 수 있어 서로 크게 자기 결합하고, 코일 도체(16, 18)가 겹치는 거리를 가장 길게 할 수 있어 서로 크게 자기 결합하므로, 공통 모드 노이즈를 보다 크게 제거할 수 있다.
절연체층(11e)은 Cu-Zn 페라이트, 유리 세라믹 등의 비자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절연성을 갖고,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시트 형상을 갖는다. 절연체층(11e)은 코일 도체(18)의 상면에 마련되어 있다.
절연체층(11a)의 하면(211a)에는 절연체층(22a)이 마련되어 있고, 절연체층(11e)의 상면(111e)에는 절연체층(22b)이 마련되어 있다. 절연체층(22a, 22b)은 Cu-Zn 페라이트, 유리 세라믹 등의 비자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절연성을 갖고,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시트 형상을 갖는다. 절연체층(22a, 22b)의 각각은 자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교대로 적층된 자성체와 비자성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절연체층(11a~11e, 22a, 22b)은 상면(111a~111e, 122a, 122b)과 하면(211a~211e, 222a, 222b)을 각각 갖는다. 절연체층(11a)의 하면(211a)이 절연체층(22a)의 상면(122a)에 위치한다. 절연체층(11b)의 하면(211b)이 절연체층(11a)의 상면(111a)에 위치한다. 절연체층(11c)의 하면(211c)이 절연체층(11b)의 상면(111b)에 위치한다. 절연체층(11d)의 하면(211d)이 절연체층(11c)의 상면(111c)에 위치한다. 절연체층(11e)의 하면(211e)이 절연체층(11d)의 상면(111d)에 위치한다. 절연체층(22b)의 하면(222b)이 절연체층(11e)의 상면(111e)에 위치한다. 적층된 절연체층(11a~11e, 22a, 22b)은 실질적으로 직방체 형상을 갖는 적층체(14)를 구성한다. 절연체층(22a)의 하면(222a)은 적층체(14)의 하면(214)을 구성하고, 절연체층(22b)의 상면(122b)이 적층체(14)의 상면(114)을 구성한다. 절연체층(11a~11e, 22a, 22b)의 매수는 도 2a에 나타내는 매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층체(14)의 단면(314, 414)에는 외부 전극(21a~21d)이 마련되어 있다. 외부 전극(21a~21d)에는 인출부(15d~18d)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2a에 나타내는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1000)에서는, 절연체층(11a)의 상면(111a)에 마련된 코일 도체(15)는 절연체층(11b)의 하면(211b)에 위치한다. 절연체층(11b)의 상면(111b)에 마련된 코일 도체(17)는 절연체층(11c)의 하면(211c)에 위치한다. 절연체층(11c)의 상면(111c)에 마련된 코일 도체(16)는 절연체층(11d)의 하면(211d)에 위치한다. 절연체층(11d)의 상면(111d)에 마련된 코일 도체(18)는 절연체층(11e)의 하면(211e)에 위치한다.
절연체층(11a~11e, 22a, 22b)은 상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있고, 길이 방향(D2)과 너비 방향(D3)을 갖는다. 즉, 절연체층(11a~11e, 22a, 22b)의 각각은 길이 방향(D2)으로 연장하는 장변과, 길이 방향(D2)에 직각인 너비 방향(D3)으로 연장하고 장변보다 짧은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적층체(14)는, 상면에서 보아, 길이 방향(D2)으로 연장하는 장변과, 너비 방향(D3)으로 연장하고 장변보다 짧은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직방체 형상을 갖는다. 코일 도체(15~18)는, 길이 방향(D2)으로 연장하는 장변과, 길이 방향(D2)에 직각인 너비 방향(D3)으로 연장하고 장변보다 짧은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의 외연(外緣)(15p~18p)을 각각 갖는다. 코일 도체(15~18)의 각각은, 길이 방향(D2)으로 연장하는 부분이 너비 방향(D3)으로 연장하는 부분보다 긴 소용돌이 형상을 갖는다. 코일 도체(15~18)의 각각의 적층체(14)의 길이 방향(D2)의 변에 대향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은 직선 형상으로 적층체(14)의 상기 변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있다.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1000)는 비자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절연체층(11a~11e) 중 적어도 1개의 절연체층의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관통하고, 상면에서 보아 코일(12, 13)의 내측에 마련된 관통 구멍을 충전하는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자성 비어를 더 구비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1000)의 공통 모드의 전류에 대한 임피던스를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적층체(14)는 상하 방향(D1)으로 적층된 절연체층(11a~11d)을 갖는다. 코일 도체(15)는 절연체층(11a)의 상면(111a)에 마련되어 있고, 외측단(15c)으로부터 내측단(15a)까지 상면에서 보아 소정의 영역(R1000)을 중심으로 소정의 권선 방향(D10)으로 소용돌이 형상으로 연장한다. 코일 도체(16)는 절연체층(11c)의 상면(111c)에 마련되어 있고, 내측단(16a)으로부터 외측단(16c)까지 상면에서 보아 소정의 영역(R1000)을 중심으로 소정의 권선 방향(D10)으로 소용돌이 형상으로 연장한다. 코일 도체(17)는 절연체층(11b)을 사이에 두고 실질적으로 상하 방향(D1)으로 코일 도체(15)에 대향해서 자기 결합하도록 절연체층(11b)의 상면(111b)에 마련되어 있고, 외측단(17c)으로부터 내측단(17a)까지 상면에서 보아 소정의 영역(R1000)을 중심으로 소정의 권선 방향(D10)으로 소용돌이 형상으로 연장한다. 코일 도체(18)는 절연체층(11d)을 사이에 두고 실질적으로 상하 방향(D1)으로 코일 도체(16)에 대향해서 자기 결합하도록 절연체층(11d)의 상면(111d)에 마련되어 있고, 내측단(18a)으로부터 외측단(18c)까지 상면에서 보아 소정의 영역(R1000)을 중심으로 소정의 권선 방향(D10)으로 소용돌이 형상으로 연장한다. 비아 전극(19)은 절연체층(11a~11d) 중 적어도 1개를 관통해서 코일 도체(15)와 코일 도체(16)를 접속한다. 비아 전극(20)은 절연체층(11a~11d) 중 적어도 1개를 관통해서 코일 도체(17)와 코일 도체(18)를 접속한다. 접속부(15b)는 코일 도체(15)의 내측단(15a)과 비아 전극(19)을 접속한다. 접속부(16b)는 코일 도체(16)의 내측단(16a)과 비아 전극(19)을 접속한다. 접속부(17b)는 코일 도체(17)의 내측단(17a)과 비아 전극(20)을 접속한다. 접속부(18b)는 코일 도체(18)의 내측단(18a)과 비아 전극(20)을 접속한다.
다음으로, 코일 도체(15~18)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절연체층(11a~11d)의 상면도이며, 코일 도체(15~18)와 인출부(15d~18d)의 배치를 나타낸다. 도 4는 코일 도체(15~18)의 배치를 나타내는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1000)의 상면도이다.
접속부(15b)는 접속부(16b)와 상면에서 보아 겹치고, 접속부(17b)는 접속부(18b)와 상면에서 보아 겹쳐 있다. 이것에 의해, 코일 도체(15)의 내측단(15a)은 코일 도체(16)의 내측단(16a)과 상면에서 보아 겹치고, 코일 도체(17)의 내측단(17a)은 코일 도체(18)의 내측단(18a)과 상면에서 보아 겹쳐 있다. 또, 코일 도체(15)의 외측단(15c)은 코일 도체(17)의 외측단(17c)과 상면에서 보아 겹치고, 코일 도체(16)의 외측단(16c)은 코일 도체(18)의 외측단(18c)과 상면에서 보아 겹쳐 있다.
비아 전극(19, 20)은 상면에서 보아 적층체(14)의 길이 방향(D2)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고, 코일 도체(15~18)의 길이 방향(D2)의 직선 형상으로 연장하는 부분과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비아 전극(19)과 비아 전극(20)의 거리를 길게 해서 이들 사이의 부유 용량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해서, 코일 도체의 너비 방향(D3)으로 연장하는 수(數), 즉 길이 방향(D2)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코일 도체의 부분의 수를 늘릴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많은 코일의 권수를 많이 할 수 있고, 공통 모드 노이즈에 대해서 큰 인덕턴스를 얻어 그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면에서 보아 비아 전극(19, 20)은 길이 방향(D2)으로 연장하는 직선(LA)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접속부(15b, 16b, 17b, 18b)는, 상면에서 보아 직선(LA)에 대해 동일 측에 위치한다. 즉, 코일 도체(15)의 내측단(15a)과 코일 도체(16)의 내측단(16a)은 상면에서 보아 직선(LA)에 대해 동일 측에 위치하고, 코일 도체(17)의 내측단(17a)과 코일 도체(18)의 내측단(18a)은 상면에서 보아 직선(LA)에 대해 동일 측에 위치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1000)에서는, 코일 도체(15)의 내측단(15a)과 코일 도체(16)의 내측단(16a)과 코일 도체(17)의 내측단(17a)과 코일 도체(18)의 내측단(18a)은 상면에서 보아 직선(LA)에 대해 동일 측에 위치한다. 이 구성에 의해, 접속부(15b, 16b, 17b, 18b)가 없는 측에서 코일 도체(15~18)의 최내주(最內周) 부분의 각각과 직선(LA) 사이에는, 상면에서 보아 코일 도체(15~18)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또한, 코일 도체(15~18)의 비아 전극(19, 20)과 접속되어 있는 부분은 국부적으로 넓은 선폭을 갖는 패드부가 마련되어 있지만,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최근, 모바일 단말에 있어서, 실장 부품의 소형화 요망과 함께, 고해상도 카메라 등의 방대한 데이터를 취급하기 때문에, 데이터를 보다 고속으로 전송할 필요가 있고,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에 있어서도 고주파 영역에 있어서 차동 데이터 전송시의 손실이 적은 것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USB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USB 3.0의 전송 속도는 5 Gbps이지만, 초고속 전송이 되는 USB 3.1의 전송 속도는 10 Gbps이다. 고속 디지털 데이타를 구성하는 기본 주파수는, USB 3.0의 2.5 GHz로부터 USB 3.1의 5 GHz로 고주파화하고 있고, 실제로 디지털 신호를 구성하는 n차 고조파 성분까지 포함하면 USB 3.1에서는 5 GHz~15 GHz 정도까지의 손실을 억제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상술의 종래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500)에 있어서는, 접속부(4c)로부터 비아 전극(5)에 유입한 전류가, 접속부(4d)에서는 접속부(4c)와 상이한 방향으로 유출하고, 접속부(4d)로부터 소용돌이 형상으로 더 전류가 흐른다. 즉, 코일 도체(4a)의 권선 종료 부분과 코일 도체(4b)의 권선 시작 부분이 상면에서 보아 상이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코일 도체(6a)의 권선 종료 부분과 코일 도체(6b)의 권선 시작 부분이 상이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더욱이, 비아 전극(5)과 비아 전극(7)은 상면에서 보아 상이한 위치에 있으므로, 비아 전극(5) 근방의 코일 도체(4a)의 권선 종료 부분과 코일 도체(4b)의 권선 시작 부분, 비아 전극(7) 근방의 코일 도체(6a)의 권선 종료 부분과 코일 도체(6b)의 권선 시작 부분도 상이한 장소에 있다.
따라서, 코일(2)의 가장 내측의 1 턴의 길이가 코일(3)의 가장 내측의 1 턴의 길이가 상이하며, 이것에 의해, 코일(2)의 길이는 코일(3)의 길이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있어서, 코일(2)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4a)는 대략 3 턴을 가지며, 코일 도체(4b)는 대략 2.5 턴을 갖는다. 코일(3)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6a)는 대략 3.5 턴을 가지며, 코일 도체(6b)는 대략 3 턴을 갖는다. 따라서, 코일(2)은 대략 5.5 턴을 가지며, 코일(3)은 대략 6.5 턴을 갖는다.
이 결과, 고주파 성분을 많이 포함한 고속 차동 신호가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500)를 통과해서 출력되는 경우에, 코일(2)의 대략 5.5 턴의 길이와 코일(3)의 대략 6.5 턴의 길이의 차에 기인하는 신호의 타이밍의 어긋남이나, 길이가 다름으로써 자기 결합하고 있는 코일(2, 3)에 결합하고 있지 않는 부분이 생기고 손실 특성이 증가한다. 특히, 신호가 고속으로 됨에 따라, 고속 신호를 형성하는 주파수 성분은 고주파화해 가고, 그 대응하는 파장은 보다 짧아진다. 따라서, 상술의 파장에 대한 코일(2, 3)의 길이의 차의 상대적 비율이 증가한다. 이것에 의해, 고속 신호에 대한 영향도가 많아지고 손실이 커지는 경향으로 되기 때문에, 고주파 대역에서의 사용이 곤란하게 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1000)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일 도체(15)의 내측단(15a)과 비아 전극(19)을 접속하는 접속부(15b)는 코일 도체(16)의 내측단(16a)과 비아 전극(19)을 접속하는 접속부(16b)와 상면에서 보아 겹친다. 코일 도체(17)의 내측단(17a)과 비아 전극(20)을 접속하는 접속부(17b)는 코일 도체(18)의 내측단(18a)과 비아 전극(20)을 접속하는 접속부(18b)와 상면에서 보아 겹친다. 이 구성에 의해, 코일 도체(15)의 권선 종료 부분인 내측단(15a)과 코일 도체(16)의 권선 시작 부분인 내측단(16a)이 상면에서 보아 동일 개소에 위치하고, 코일 도체(17)의 권선 종료 부분인 내측단(17a)과 코일 도체(18)의 권선 시작 부분인 내측단(18a)이 상면에서 보아 동일 개소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상면에서 보아 코일(12)의 가장 내측의 1 턴과 코일(13)의 가장 내측의 1 턴이 겹치므로, 코일(12)의 길이는 코일(13)의 길이에 대략 동일해진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12)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15)는 대략 2.5 턴의 길이를 가지며, 코일 도체(16)는 대략 3 턴의 길이를 가지며, 코일(13)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17)는 대략 3 턴의 길이를 가지며, 코일 도체(18)는 대략 2.5 턴의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코일(12)와 코일(13)은 모두 대략 5.5 턴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높은 주파수를 갖는 차동 신호가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1000)를 통과해서 출력된 경우에도, 차동 신호의 타이밍의 어긋남이나, 코일(12, 13)이 자기 결합하고 있지 않는 미결합 부분을 없게 할 수 있고, 이 결과,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1000)는 고주파 대역에서 사용할 수 있다.
4개의 코일 도체(15~18) 중, 적층 방향인 상하 방향(D1)에 있어서 상방의 2개의 코일 도체(16, 18)는 합계로 대략 5.5 턴의 길이를 가지며, 하방의 2개의 코일 도체(15, 17)는 합계로 대략 5.5 턴으로 코일 도체(16, 18)의 합계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상하 방향(D1)에 있어서, 중앙부의 코일 도체(16, 17)의 각각은 대략 3 턴의 길이를 가지며, 외측의 코일 도체(15, 18)의 각각은 대략 2.5 턴의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코일 도체(15~18)는 양호한 대칭성을 갖는다.
높은 주파수의 차동 신호가 코일(12, 13)에 들어 왔을 때에, 대략 2.5 턴의 길이를 갖는 코일 도체(15)와 대략 3 턴의 길이를 갖는 코일 도체(17)가 자기 결합해서 공통 모드 필터부(1000a)를 형성하고, 대략 3 턴의 길이를 갖는 코일 도체(16)와 대략 2.5 턴의 길이를 갖는 코일 도체(18)가 자기 결합해서 공통 모드 필터부(1000b)를 형성한다. 서로 직렬로 접속된 코일 도체(15, 16)로 이루어지는 코일(12)는, 서로 직렬로 접속된 코일 도체(17, 18)로 이루어지는 코일(13)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더욱이, 공통 모드 필터부(1000a)를 구성하는 코일 도체(15, 17)의 권수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공통 모드 필터부(1000b)를 구성하는 코일 도체(16, 18)의 권수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코일(12, 13)의 길이가 실질적으로 같아서, 높은 주파수의 차동 신호가 공통 모드 필터부(1000a)로부터 입력되는 경우와 공통 모드 필터부(1000b)로부터 입력되는 경우의 특성의 차가 작다.
도 8에서 나타내는 종래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500)에서는, 대략 3 턴의 권수의 코일 도체(4a)와 대략 3.5 턴의 권수의 코일 도체(6a)가 제 1 공통 모드 필터부를 형성하고, 대략 2.5 턴의 권수의 코일 도체(4b)와 대략 3 턴의 권수의 코일 도체(6b)는 제 2 공통 모드 필터부를 형성한다. 제 1 공통 모드 필터부에 비해, 제 2 공통 모드 필터부의 쪽이 권수가 많은 코일 도체의 조합에 의해 권선 수가 많아지고, 또한 코일(2)과 코일(3)의 길이의 차가 대략 1 턴이다. 따라서, 높은 주파수의 차동 신호가 제 1 공통 모드 필터부로부터 입력되는지, 제 2 공통 모드 필터부로부터 입력되는지로 특성의 차가 생겨 버린다.
도 4는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1000)의 주요부의 상면도이며, 도 3에 나타내는 코일 도체(15~18)의 상면에서 보아 중첩된 배치를 나타낸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1000)에서는, 상면에서 보아 4개의 코일 도체(15~18)가 겹쳐 있다. 코일(12, 13)은 대략 5.5 턴의 동일한 권선 수를 가지며, 상면에서 보아 동일 영역에 조밀하게 감겨진 코일을 배치할 수 있다. 이 배치로 코일(12, 13)(코일 도체(15~18))을 내측단부터 채워 감음으로써, 상하 방향(D1)으로 대향하는 코일 도체(15~18)의 상면에서 볼 때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코일 도체간의 불필요한 부유 용량을 작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나타내는 종래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500)에서는, 상면에서 보아 코일 도체(4a, 6a)의 면적이 코일 도체(4b, 6b)의 면적보다 크고, 코일 도체간의 불필요한 부유 용량이 커진다. 따라서, 높은 주파수의 차동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의 손실이 커져 신호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도 3, 도 4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1000)에서는, 외부 전극(21a)으로부터 코일 도체(15)에 유입된 전류는 내측단(15a), 접속부(15b), 비아 전극(19)을 통해서 코일 도체(16)에 흐른다. 이 때, 코일 도체(16)의 권선 시작 부분인 접속부(16b)에는, 코일 도체(15)의 권선 종료 부분인 접속부(15b)와는 역의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고, 코일 도체(16)의 내측단(16a)에 이른다. 코일 도체(15)의 내측단(15a)과 코일 도체(16)의 내측단(16a)은 상면에서 보아 실질적으로 겹쳐 있으므로, 내측단(15a)과 상면에서 보아 동일 장소에 위치하는 내측단(16a)으로부터 코일 도체(16)에 전류가 흐르고, 이 전류의 방향은 코일 도체(15)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 전류는 코일(12)의 최내주 부분을 상면에서 보아 영역(R1000)을 중심으로 과부족 없이 정확히 일주(一周)한다.
마찬가지로, 코일 도체(17, 18)로 이루어지는 코일(13)을 흐르는 전류는 코일(13)의 최내주 부분을 상면에서 보아 영역(R1000)을 중심으로 과부족 없이 정확히 일주한다. 상면에서 보아 코일(12)의 최내주의 1 턴과 코일(13)의 최내주의 1 턴이 겹쳐 있다. 따라서, 코일(12)의 길이와 코일(13)의 길이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부(15b~18b)의 길이를 모두 동일하게 함으로써, 코일(12)의 길이를 코일(13)의 길이와 보다 고정밀도로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비아 전극(19, 20)은 상면에서 보아 적층체(14)의 길이 방향(D2)으로 연장하는 직선(LA)을 따라 위치한다. 더욱이, 직선(LA)이 적층체(14), 즉 코일 도체(15~18)의 너비 방향(D3)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비아 전극(19, 20)이 배치됨으로써, 너비 방향(D3)에 있어서 코일 도체(15~18)을 균등, 대칭으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외측단(15c, 16c, 17c, 18c)도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상면에서 보아 적층체(14), 즉 너비 방향(D3)에서의 코일 도체(15~18)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LA)을 따라 위치한다. 상면에서 보아 겹치는 코일 도체(15, 17)의 외측단(15c, 17c)으로부터 연장하는 인출부(15d, 17d)의 부분(15d1, 17d1)은 상면에서 보아 겹쳐 있다. 또한, 인출부(15d) 내의 부분(15d1)과 외부 전극(21a)에 접속된 부분(15d2)의 길이는, 인출부(17d) 내의 부분(17d1)과 외부 전극(21c)에 접속된 부분(17d2)의 길이와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상면에서 보아 겹치는 코일 도체(16, 18)의 외측단(16c, 18c)으로부터 인출부(16d, 18d)의 부분(16d1, 18d1)은 상면에서 보아 중첩되어 있다. 또한, 인출부(16d)의 부분(16d1)과 외부 전극(21b)에 접속된 부분(16d2)의 길이는, 인출부(18d)의 부분(18d1)과 외부 전극(21d)에 접속된 부분(18d2)의 길이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인출부(15d~18d)의 길이를 대략 동일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 전극(21a~21d) 근방에서의 코일(12)의 길이와 코일(13)의 길이도 대략 동일하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코일(12) 전체의 길이와 코일(13) 전체의 길이를 보다 고정밀도로 동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외측단(15c, 16c, 17c, 18c)과 비아 전극(19, 20)은 직선(LA)을 따라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코일 도체(15)는 상면에서 보아 영역(R1000)을 사이에 두고 너비 방향(D3)에 있어서 내측단(15a)과 대향하는 최내주 부분(15e)을 갖는다. 코일 도체(16)는 상면에서 보아 영역(R1000)을 사이에 두고 너비 방향(D3)에 있어서 내측단(16a)과 대향하는 최내주 부분(16e)을 갖는다. 코일 도체(17)는 상면에서 보아 영역(R1000)을 사이에 두고 너비 방향(D3)에 있어서 내측단(17a)과 대향하는 최내주 부분(17e)을 갖는다. 코일 도체(18)는 상면에서 보아 영역(R1000)을 사이에 두고 너비 방향(D3)에 있어서 내측단(18a)과 대향하는 최내주 부분(18e)을 갖는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에서 보아, 코일 도체(15~18)의 내측단(15a~18a)의 각각은 코일 도체(15~18)의 최내주 부분(15e~18e)의 어느 하나와도 거리 W만큼 떨어져 있다. 상면에서 보아 비아 전극(19, 20)이 배열되는 직선(LA)은 코일 도체(15~18)의 내측단(15a~18a)의 각각과 코일 도체(15~18)의 최내주 부분(15e~18e)의 각각의 중앙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비아 전극(19, 20)을 코일 도체(15~18)로부터 가장 멀리할 수 있고, 비아 전극(19, 20)과 코일 도체(15~18)의 사이의 부유 용량을 줄일 수 있다.
접속부(15b, 16b, 17b, 18b)가 적층체(14)의 길이 방향(D2)과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접속부(15b, 16b, 17b, 18b)의 각각은 다른 접속부와 코일 도체의 사이에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1001)의 절연체층(11a~11d)의 상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내는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1000)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 참조 번호를 부여한다. 도 3에 나타내는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1000)에서는, 접속부(15b, 16b, 17b, 18b)는 적층체(14)의 길이 방향(D2)과 직각으로 연장한다. 도 5에 나타내는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1001)에서는, 접속부(15b, 16b, 17b, 18b)는 길이 방향(D2)으로 연장한다. 비아 전극(19, 20)이 배열되는 직선(LA)과 코일 도체(15)의 최내주 부분의 교점이 코일 도체(15)의 내측단(15a)이며, 직선(LA)와 코일 도체(16)의 최내주 부분의 교점이 코일 도체(16)의 내측단(16a)이며, 직선(LA)와 코일 도체(17)의 최내주 부분의 교점이 코일 도체(17)의 내측단(17a)이며, 직선(LA)와 코일 도체(18)의 최내주 부분의 교점이 코일 도체(18)의 내측단(18a)이다. 접속부(15b)는 코일 도체(15)의 내측단(15a)과 비아 전극(19)을 접속한다. 접속부(16b)는 코일 도체(16)의 내측단(16a)과 비아 전극(19)을 접속한다. 접속부(17b)는 코일 도체(17)의 내측단(17a)과 비아 전극(20)을 접속한다. 접속부(18b)는 코일 도체(18)의 내측단(18a)과 비아 전극(20)을 접속한다. 이 배치에서는, 상면에서 보아 접속부(15b, 16b)가 겹치는 부분을 짧게 할 수 있어, 접속부(15b, 16b) 간의 불필요한 부유 용량이 감소되고, 상면에서 보아 접속부(17b, 18b)가 겹치는 부분을 짧게 할 수 있어, 접속부(17b, 18b) 간의 불필요한 부유 용량이 감소되므로, 고주파 영역에서의 특성의 변동이 억제된다.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1001)에서는, 접속부(15b, 16b, 17b, 18b)와 외측단(15c, 16c, 17c, 18c)와 비아 전극(19, 20)이 직선(LA)을 따라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도 6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또 다른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100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에 있어서, 도 2a에 나타내는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1000)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 참조 번호를 부여한다. 도 2a에 나타내는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1000)에서는, 코일(12)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15, 16)와, 코일(13)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17, 18)는 상하 방향(D1)에 있어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1002)에서는, 코일(13)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17, 18)는, 상하 방향(D1)에 있어서, 코일(12)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15, 16)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도 6에 나타내는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1002)에서는, 절연체층(11a)의 하면(211a)이 절연체층(22a)의 상면(122a)에 위치한다. 절연체층(11b)의 하면(211b)이 절연체층(11a)의 상면(111a)에 위치한다. 절연체층(11d)의 하면(211d)이 절연체층(11b)의 상면(111b)에 위치한다. 절연체층(11c)의 하면(211c)이 절연체층(11d)의 상면(111d)에 위치한다. 절연체층(11e)의 하면(211e)이 절연체층(11c)의 상면(111c)에 위치한다. 절연체층(22b)의 하면(222b)이 절연체층(11e)의 상면(111e)에 위치한다. 절연체층(11a)의 상면(111a)에 마련된 코일 도체(15)는 절연체층(11b)의 하면(211b)에 위치한다. 절연체층(11b)의 상면(111b)에 마련된 코일 도체(17)는 절연체층(11d)의 하면(211d)에 위치한다. 절연체층(11d)의 상면(111d)에 마련된 코일 도체(18)는 절연체층(11c)의 하면(211c)에 위치한다. 절연체층(11c)의 상면(111c)에 마련된 코일 도체(16)는 절연체층(11e)의 하면(211e)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1002)에서는, 코일 도체(18)는, 절연체층(11c)을 사이에 두고 실질적으로 상하 방향(D1)으로 코일 도체(16)에 대향해서 자기 결합하도록 절연체층(11d)의 상면(111d)에 마련되어 있다. 즉,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1000~1002)에서는, 코일 도체(18)는, 절연체층(11c, 11d) 중 한쪽을 사이에 두고 실질적으로 상하 방향(D1)으로 코일 도체(16)에 대향해서 자기 결합하도록 절연체층(11d)의 상면(111d)에 마련되어 있다.
또, 도 2a, 도 3, 도 6에 나타내는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1000), 1002)에 있어서, 코일 도체(15)와 코일 도체(17)을 서로 대체하고, 코일 도체(16)와 코일 도체(18)를 서로 대체해서 코일 도체(15~18)가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술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체(14)의 단변의 단면(314)에 외부 전극(21a, 21c)이 마련되고, 단면(314)의 반대측의 단면(414)에 외부 전극(21b, 21d)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 전극(21a, 21c)의 각각과 외부 전극(21b, 21d)의 각각의 사이의 부유 용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술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에서는, 외부 전극(21a, 21b)이 배열된 방향과 외부 전극(21c, 21d)이 배열된 방향과 비아 전극(19, 20)이 배열된 방향은 실질적으로 적층체(14)의 길이 방향(D2)과 동일하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면」 「하면」 「상방」 「상하 방향」 등의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절연체층이나 코일 등의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의 구성 부재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서만 정해지는 상대적인 방향을 나타내고, 연직 방향 등의 절대적인 방향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는 고주파 대역에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고, 특히 디지털 기기나 AV 기기, 정보 통신 단말 등의 각종 전자 기기의 노이즈 대책으로서 사용되는 소형이며 박형인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로서 유용하다.
11a 절연체층(제 1 절연체층)
11b 절연체층(제 3 절연체층)
11c 절연체층(제 2 절연체층)
11d 절연체층(제 4 절연체층)
12 코일(제 1 코일)
13 코일(제 2 코일)
14 적층체
15 코일 도체(제 1 코일 도체)
15a 내측단(제 1 내측단)
15b 접속부(제 1 접속부)
15c 외측단(제 1 외측단)
16 코일 도체(제 2 코일 도체)
16a 내측단(제 2 내측단)
16b 접속부(제 2 접속부)
16c 외측단(제 2 외측단)
17 코일 도체(제 3 코일 도체)
17a 내측단(제 3 내측단)
17b 접속부(제 3 접속부)
17c 외측단(제 3 외측단)
18 코일 도체(제 4 코일 도체)
18a 내측단(제 4 내측단)
18b 접속부(제 4 접속부)
18c 외측단(제 4 외측단)
19 비아 전극(제 1 비아 전극)
20 비아 전극(제 2 비아 전극)

Claims (17)

  1.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제 1 절연체층과 제 2 절연체층과 제 3 절연체층과 제 4 절연체층을 갖는 적층체와,
    상기 제 1 절연체층의 상면에 마련되어 있고, 제 1 외측단으로부터 제 1 내측단까지 상면에서 보아 소정의 영역을 중심으로 소정의 권선 방향으로 소용돌이 형상으로 연장하는 제 1 코일 도체와,
    상기 제 2 절연체층의 상면에 마련되어 있고, 제 2 내측단으로부터 제 2 외측단까지 상면에서 보아 상기 소정의 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소정의 권선 방향으로 소용돌이 형상으로 연장하는 제 2 코일 도체
    를 갖는 제 1 코일과,
    상기 제 3 절연체층을 사이에 두고 실질적으로 상기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 1 코일 도체에 대향해서 자기(磁氣) 결합하도록 상기 제 3 절연체층의 상면에 마련되어 있고, 제 3 외측단으로부터 제 3 내측단까지 상면에서 보아 상기 소정의 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소정의 권선 방향으로 소용돌이 형상으로 연장하는 제 3 코일 도체와,
    상기 제 2 절연체층과 상기 제 4 절연체층 중 한쪽을 사이에 두고 실질적으로 상기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 2 코일 도체에 대향해서 자기 결합하도록 상기 제 4 절연체층의 상면에 마련되어 있고, 제 4 내측단으로부터 제 4 외측단까지 상면에서 보아 상기 소정의 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소정의 권선 방향으로 소용돌이 형상으로 연장하는 제 4 코일 도체
    를 갖는 제 2 코일과,
    상기 제 1 절연체층과 상기 제 2 절연체층과 상기 제 3 절연체층과 상기 제 4 절연체층 중 적어도 1개를 관통해서 상기 제 1 코일 도체와 상기 제 2 코일 도체를 접속하는 제 1 비아 전극과,
    상기 제 1 절연체층과 상기 제 2 절연체층과 상기 제 3 절연체층과 상기 제 4 절연체층 중 적어도 1개를 관통해서 상기 제 3 코일 도체와 상기 제 4 코일 도체를 접속하는 제 2 비아 전극과,
    상기 제 1 코일 도체의 상기 제 1 내측단과 상기 제 1 비아 전극을 접속하는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2 코일 도체의 상기 제 2 내측단과 상기 제 1 비아 전극을 접속하는 제 2 접속부와,
    상기 제 3 코일 도체의 상기 제 3 내측단과 상기 제 2 비아 전극을 접속하는 제 3 접속부와,
    상기 제 4 코일 도체의 상기 제 4 내측단과 상기 제 2 비아 전극을 접속하는 제 4 접속부
    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2 접속부는 상면에서 보아 겹쳐 있고, 상기 제 2 접속부는 상기 제 1 접속부보다 짧은 길이를 갖고,
    상기 제 3 접속부와 상기 제 4 접속부는 상면에서 보아 겹쳐 있고, 상기 제 3 접속부는 상기 제 4 접속부보다 짧은 길이를 갖고,
    상기 제 1 비아 전극과 상기 제 2 비아 전극은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2 접속부와, 상기 제 3 접속부와, 상기 제 4 접속부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상면에서 보아,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장변과, 상기 길이 방향에 직각인 너비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장변보다 짧은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직방체 형상을 갖고,
    상기 제 1 비아 전극과 상기 제 2 비아 전극은, 상면에서 보아 상기 길이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장하는 직선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아 전극과 상기 제 2 비아 전극이 배열된 상기 직선은, 상면에서 보아 상기 적층체의 상기 너비 방향의 중심을 통과하는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아 전극과 상기 제 2 비아 전극이 배열된 상기 직선은, 상면에서 보아, 상기 제 1 코일 도체의 상기 제 1 내측단과, 상기 소정의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내측단과 대향하는 상기 제 1 코일 도체의 최내주 부분 사이의 중앙을 통과하고,
    상기 직선은, 상면에서 보아, 상기 제 2 코일 도체의 상기 제 2 내측단과, 상기 소정의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2 내측단과 대향하는 상기 제 2 코일 도체의 최내주 부분 사이의 중앙을 통과하고,
    상기 직선은, 상면에서 보아, 상기 제 3 코일 도체의 상기 제 3 내측단과, 상기 소정의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3 내측단과 대향하는 상기 제 3 코일 도체의 최내주 부분 사이의 중앙을 통과하고,
    상기 직선은, 상면에서 보아, 상기 제 4 코일 도체의 상기 제 4 내측단과, 상기 소정의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4 내측단과 대향하는 상기 제 4 코일 도체의 최내주 부분 사이의 중앙을 통과하는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상면에서 보아,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장변과, 상기 길이 방향에 직각인 너비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장변보다 짧은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직방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코일 도체의 상기 제 1 외측단과 상기 제 2 코일 도체의 상기 제 2 외측단과 상기 제 3 코일 도체의 상기 제 3 외측단과 상기 제 4 코일 도체의 상기 제 4 외측단은, 상면에서 보아 상기 적층체의 상기 너비 방향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코일 도체의 상기 제 3 내측단은 상기 제 1 코일 도체와 상면에서 보아 겹쳐 있고,
    상기 제 2 코일 도체의 상기 제 2 내측단은 상기 제 4 코일 도체와 상면에서 보아 겹쳐 있는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1개 이상의 표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코일 도체에 각각 접속된 제 1 내지 제 4 외부 전극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적층체의 상기 1개 이상의 표면은 상기 제 1 비아 전극과 상기 제 2 비아 전극이 배열된 방향에 직각인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일 도체는, 상면에서 보아,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장변과, 상기 길이 방향에 직각인 너비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장변보다 짧은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의 외연(外緣)을 가지며,
    상기 제 1 비아 전극과 상기 제 2 비아 전극은, 상면에서 보아 상기 길이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장하는 직선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아 전극과 상기 제 2 비아 전극이 배열된 상기 직선은, 상면에서 보아 상기 너비 방향의 중심을 통과하는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일 도체는, 상면에서 보아,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장변과, 상기 길이 방향에 직각인 너비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장변보다 짧은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의 외연을 가지며,
    상기 제 1 내지 제 4 코일 도체의 상기 제 1 내지 제 4 외측단은, 상면에서 보아 상기 제 1 코일 도체의 상기 너비 방향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
  13. 삭제
  14. 삭제
  15. 제 1 항 내지 제 5 항,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부는 상기 제 1 절연체층의 상기 상면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 2 접속부는 상기 제 2 절연체층의 상기 상면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 3 접속부는 상기 제 3 절연체층의 상기 상면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 4 접속부는 상기 제 4 절연체층의 상기 상면에 마련되어 있는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아 전극과 상기 제 2 비아 전극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2 접속부와, 상기 제 3 접속부와, 상기 제 4 접속부는 상면에서 보아 상기 직선을 따라 연장하는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부는 상기 제 1 절연체층의 상기 상면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 2 접속부는 상기 제 2 절연체층의 상기 상면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 3 접속부는 상기 제 3 절연체층의 상기 상면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 4 접속부는 상기 제 4 절연체층의 상기 상면에 마련되어 있는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
KR1020197001434A 2016-09-13 2017-08-31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 KR1025645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78162A JP2018046081A (ja) 2016-09-13 2016-09-13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JPJP-P-2016-178162 2016-09-13
PCT/JP2017/031295 WO2018051798A1 (ja) 2016-09-13 2017-08-31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171A KR20190053171A (ko) 2019-05-17
KR102564591B1 true KR102564591B1 (ko) 2023-08-07

Family

ID=61619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1434A KR102564591B1 (ko) 2016-09-13 2017-08-31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78177B2 (ko)
JP (1) JP2018046081A (ko)
KR (1) KR102564591B1 (ko)
CN (1) CN109416970B (ko)
WO (1) WO20180517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213B1 (ko) * 2017-09-20 2019-06-10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부품 및 그 제조방법
JP6874745B2 (ja) * 2018-08-08 2021-05-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6977742B2 (ja) * 2019-03-29 2021-12-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複合型電子部品および電子回路
JP7419884B2 (ja) * 2020-03-06 2024-01-23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
JP7318592B2 (ja) * 2020-06-16 2023-08-0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KR20220023532A (ko) * 2020-08-21 2022-03-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자성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2940A (ja) * 2011-12-09 2013-06-20 Inpaq Technology Co Ltd 多層らせん構造の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138146A (ja) * 2011-12-28 2013-07-11 Taiyo Yuden Co Ltd 積層コイル及びそれを利用した電子部品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3810A (ja) * 2001-06-14 2002-12-26 Tdk Corp チップ型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2009212255A (ja) * 2008-03-04 2009-09-17 Tdk Corp 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231307A (ja) * 2008-03-19 2009-10-08 Panasonic Corp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JP5488566B2 (ja) * 2011-10-28 2014-05-14 Tdk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JP5459327B2 (ja) * 2012-01-24 2014-04-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
JP6186591B2 (ja) 2013-03-28 2017-08-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CN205303100U (zh) * 2013-07-11 2016-06-08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电子元器件
CN204425289U (zh) * 2014-11-05 2015-06-24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共模噪声滤波器
US10147534B2 (en) 2014-11-18 2018-12-0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mmon mode noise filter
JP2016157897A (ja) * 2015-02-26 2016-09-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2940A (ja) * 2011-12-09 2013-06-20 Inpaq Technology Co Ltd 多層らせん構造の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138146A (ja) * 2011-12-28 2013-07-11 Taiyo Yuden Co Ltd 積層コイル及びそれを利用した電子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33673A1 (en) 2019-10-31
US10778177B2 (en) 2020-09-15
WO2018051798A1 (ja) 2018-03-22
KR20190053171A (ko) 2019-05-17
CN109416970A (zh) 2019-03-01
JP2018046081A (ja) 2018-03-22
CN109416970B (zh) 202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4591B1 (ko)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
JP6837195B2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KR20030007453A (ko) 노이즈 필터 및 노이즈 필터를 이용한 전자 기기
CN107408442B (zh) 共模噪声滤波器
CN110828103B (zh) 共模扼流圈
KR102460765B1 (ko)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CN107768789B (zh) 定向耦合器及使用其的无线通信装置
US20190260343A1 (en) Lc filter
JP2012256757A (ja) Lc複合部品及びlc複合部品の実装構造
US9893708B2 (en) Impedance conversion ratio setting method, impedance conversion circuit, and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JP5961813B2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JP5232562B2 (ja) 積層型電子部品
CN108369849B (zh) 共模噪声滤波器
JP2009088329A (ja) コイル部品
JP7182037B2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JP7126042B2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JP7378015B2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JP4033852B2 (ja)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JP2017017062A (ja) パルストランス
JP2014212189A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CN116580939A (zh) 共模滤波器
JP2020184571A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JP2020136578A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