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765B1 -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 Google Patents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0765B1
KR102460765B1 KR1020187017895A KR20187017895A KR102460765B1 KR 102460765 B1 KR102460765 B1 KR 102460765B1 KR 1020187017895 A KR1020187017895 A KR 1020187017895A KR 20187017895 A KR20187017895 A KR 20187017895A KR 102460765 B1 KR102460765 B1 KR 102460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spiral
pad part
viewed
outgo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7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3495A (ko
Inventor
요시하루 오오모리
아츠시 신카이
마사카츠 나와테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43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42Networks for transforming balanced signals into unbalanced signals and vice versa, e.g. baluns
    • H03H7/425Balance-balance networks
    • H03H7/427Common-mod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2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with two longitudinal conductors
    • H01P3/08Microstrips; Strip lines
    • H01P3/088Stacked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9Filters comprising mutual induct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01F2017/002Details of via holes for interconnecting th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01F2017/0026Multilayer LC-fil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2017/004Printed inductances with the coil helically wound around an axis without a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2017/0066Printed inductances with a magnetic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2017/0093Common mode choke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01F2027/2809Printed windings on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00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 H03H2001/0021Constructional details
    • H03H2001/0035Wound magnetic cor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00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 H03H2001/0021Constructional details
    • H03H2001/0057Constructional details comprising magnetic materi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00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 H03H2001/0021Constructional details
    • H03H2001/0078Constructional details comprising spiral inductor on a substrat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00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 H03H2001/0021Constructional details
    • H03H2001/0085Multilayer, e.g. LTCC, HTCC, green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Filters And Equalizers (AREA)

Abstract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는, 내부에 복수의 층면이 구성된 적층체와, 적층체의 내부의 서로 상이한 층면에 각각 마련된 제 1과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를 구비한다.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는,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와,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의 외측단에 마련된 제 1 패드부와,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의 내측단에 마련된 제 2 패드부를 갖는다.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는,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와,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의 외측단에 마련된 제 3 패드부와,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의 내측단에 마련된 제 4 패드부를 갖는다.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는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와 대향한다. 제 2 패드부는 제 4 패드부와 위에서 볼 때 겹치지 않는다.

Description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본 발명은, 디지털 기기나 AV 기기, 정보 통신 단말 등의 각종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에 관한 것이다.
도 8은 종래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501)의 분해 사시도이다.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501)에서는, 절연층(1a~1d)의 각각의 상면에 도체(2~5)가 마련되어 있다. 도체(2)의 일단부에 형성된 패드부(2a)와 도체(3)의 일단부에 형성된 패드부(3a)를 비아 전극(6a)을 통해서 접속하는 것에 의해 코일(7)을 형성한다. 도체(4)의 일단부에 형성된 패드부(4a)와 도체(5)의 일단부에 형성된 패드부(5a)를 비아 전극(6b)을 통해서 접속하는 것에 의해 코일(8)을 형성한다. 도체(3, 4)는 소용돌이 형상을 갖는다. 도체(2~5)의 타단부는 각각 외부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501)와 유사한 종래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는, 예컨대,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1-60514호 공보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는, 내부에 복수의 층면이 구성된 적층체와, 적층체의 내부의 서로 상이한 층면에 각각 마련된 제 1과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를 구비한다.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는,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와,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의 외측단에 마련된 제 1 패드부와,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의 내측단에 마련된 제 2 패드부를 갖는다.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는,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와,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의 외측단에 마련된 제 3 패드부와,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의 내측단에 마련된 제 4 패드부를 갖는다.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는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와 대향한다. 제 2 패드부는 위에서 봤을 때 제 4 패드부와 겹치지 않는다.
이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는 고주파 대역에서의 사용이 가능하다.
도 1a는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나타내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의 선 1B-1B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의 주요부의 상면도이다.
도 4는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의 주요부의 상면도이다.
도 5a는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의 주요부의 상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나타내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의 주요부의 상면도이다.
도 6은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또 다른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의 주요부의 상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의 주요부의 상면도이다.
도 8은 비교예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a는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1)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나타내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1)의 선 1B-1B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1)의 분해 사시도이다.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1)는, 적층체(12)와, 적층체(12)의 외부에 형성된 외부 전극(13a~13d)과, 적층체(12)의 내부에 형성된 소용돌이 형상 도체(14, 15)와, 적층체(12)의 내부에 형성된 인출 도체(16~19)를 구비하고 있다. 적층체(12)는, 상하 방향 D1로 서로 적층된 절연체층(11a~11e)으로 이루어진다. 소용돌이 형상 도체(14)와 인출 도체(16, 17)는 서로 접속되어 코일(20)을 구성한다. 소용돌이 형상 도체(15)와 인출 도체(18, 19)는 서로 접속되어 코일(21)을 구성한다.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체(12)는, 상하 방향 D1로 적층된 복수의 절연체층(11a~11e, 23a, 23b)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절연체층(11a)은 절연체층(23a)의 상면(123a)에 적층되어 있다. 절연체층(11b)은 절연체층(11a)의 상면(111a)에 적층되어 있다. 절연체층(11c)은 절연체층(11b)의 상면(111b)에 적층되어 있다. 절연체층(11d)은 절연체층(11c)의 상면(111c)에 적층되어 있다. 절연체층(11e)은 절연체층(11d)의 상면(111d)에 적층되어 있다. 절연체층(23b)은 절연체층(11e)의 상면(111e)에 적층되어 있다. 절연체층(11a~11e, 23a, 23b)의 상면과 하면은 상하 방향 D1로 서로 떨어진 복수의 층면 P1~P8을 구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절연체층(23a)의 하면(223a)은 층면 P1을 구성한다. 절연체층(23a)의 상면(123a)과 절연체층(23a)의 상면(123a)에 위치하는 절연체층(11a)의 하면(211a)은 층면 P2를 구성한다. 절연체층(11a)의 상면(111a)과 절연체층(11a)의 상면(111a)에 위치하는 절연체층(11b)의 하면(211b)은 층면 P3을 구성한다. 절연체층(11b)의 상면(111b)과 절연체층(11b)의 상면(111b)에 위치하는 절연체층(11c)의 하면(211c)은 층면 P4를 구성한다. 절연체층(11c)의 상면(111c)과 절연체층(11c)의 상면(111c)에 위치하는 절연체층(11d)의 하면(211d)은 층면 P5를 구성한다. 절연체층(11d)의 상면(111d)과 절연체층(11d)의 상면(111d)에 위치하는 절연체층(11e)의 하면(211e)은 층면 P6을 구성한다. 절연체층(11e)의 상면(111e)과 절연체층(11e)의 상면(111e)에 위치하는 절연체층(23b)의 하면(223b)은 층면 P7을 구성한다. 절연체층(23b)의 상면(123b)은 층면 P8을 구성한다.
소용돌이 형상 도체(14)는, 적층체(12)의 내부에 있어서 복수의 층면 P1~P8 중 층면 P4에 마련되어 있다. 소용돌이 형상 도체(15)는, 적층체(12)의 내부에 있어서 복수의 층면 P1~P8 중 층면 P5에 마련되어 있다. 인출 도체(16)는 적층체(12)의 내부에 있어서 복수의 층면 P1~P8 중 층면 P4와 상이한 층면 P3에 마련되어 있다. 인출 도체(17)는, 적층체(12)의 내부에 있어서 복수의 층면 P1~P8 중 층면 P4와 상이한 층면 P3에 마련되어 있다. 인출 도체(18)는, 적층체(12)의 내부에 있어서 복수의 층면 P1~P8 중 층면 P5와 상이한 층면 P6에 마련되어 있다. 인출 도체(19)는, 적층체(12)의 내부에 있어서 복수의 층면 P1~P8 중 층면 P5와 상이한 층면 P6에 마련되어 있다.
소용돌이 형상 도체(14)의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14p)는 소용돌이 형상 도체(15)의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15p)와 절연체층(11a~11e) 중 하나의 절연체층(11c)을 사이에 두고 대향한다. 외부 전극(13a~13d)은 인출 도체(16~19)의 단부(16a~19a)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소용돌이 형상 도체(14, 15)는 인출 도체(16~19)와 상이한 절연체층에 형성되어 있다.
절연체층(11a)은 Cu-Ni-Zn 페라이트 등의 자성 재료, 또는 Cu-Zn 페라이트, 유리 세라믹 등의 비자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시트 형상을 갖고 절연성을 갖고 있다.
인출 도체(16, 17)는, 절연체층(11a)의 상면(111a)에 은 등의 도전 재료를 도금, 인쇄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인출 도체(16, 17)는 절연체층(11a)의 상면(111a)을 따라 상이한 방향으로 인출되어 있다. 인출 도체(16)의 단부(16a)는 외부 전극(13a)과 접속되고, 인출 도체(17)의 단부(17a)는 외부 전극(13b)과 접속되어 있다.
절연체층(11b)은, Cu-Zn 페라이트, 유리 세라믹 등의 비자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시트 형상을 갖고 절연성을 갖는다. 절연체층(11b)은 인출 도체(16, 17)의 상면에 마련되어 있다. 절연체층(11b)에는 절연체층(11b)의 상면(111b)으로부터 하면(211b)까지 관통하는 비아 전극(22a, 22b)이 형성되어 있다. 인출 도체(16)는 비아 전극(22a)과 접속되고, 인출 도체(17)는 비아 전극(22b)과 접속되어 있다.
소용돌이 형상 도체(14)는, 은 등의 도전 재료를 도금 또는 인쇄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소용돌이 형상을 갖고, 절연체층(11b)의 상면(111b)에 마련되어 있다. 소용돌이 형상 도체(14)의 외측단(14a)은 비아 전극(22a)과 접속되고, 이것에 의해, 비아 전극(22a)을 통해서 인출 도체(16)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소용돌이 형상 도체(14)의 내측단(14b), 즉 소용돌이의 중심부는 비아 전극(22b)과 접속되고, 이것에 의해, 비아 전극(22b)을 통해서 인출 도체(17)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소용돌이 형상 도체(14)의 외측단(14a)과 내측단(14b)에 각각 접속된 인출 도체(16)와 인출 도체(17)와, 소용돌이 형상 도체(14)는 코일(20)을 구성한다.
소용돌이 형상 도체(14)의 외측단(14a)과 내측단(14b)은 절연체층(11b)으로부터 직접 외부 전극에 접속되지 않는다. 즉, 소용돌이 형상 도체(14)가 상면(111b)에 형성된 절연체층(11b)과 상이한 절연체층(11a)의 상면(111a) 상에, 소용돌이 형상 도체(14)와 접속된 인출 도체(16, 17)가 형성되고, 소용돌이 형상 도체(14)의 외측단(14a)과 내측단(14b)은 인출 도체(16, 17)를 통해서 외부 전극(13a, 13b)과 각각 접속된다.
절연체층(11c)은, Cu-Zn 페라이트, 유리 세라믹 등의 비자성 재료로 이루어져 시트 형상을 갖고, 절연성을 갖는다. 절연체층(11c)은 소용돌이 형상 도체(14)의 상면에 마련되어 있다.
소용돌이 형상 도체(15)는, 은 등의 도전 재료를 도금 또는 인쇄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소용돌이 형상을 갖고, 절연체층(11c)의 상면(111c)에 마련되어 있다. 소용돌이 형상 도체(15)는 절연체층(11c)을 사이에 두고 소용돌이 형상 도체(14)와 위에서 볼 때 겹치도록 대향하고, 소용돌이 형상 도체(14)와 자기 결합한다.
절연체층(11d)은, Cu-Zn 페라이트, 유리 세라믹 등의 비자성 재료로 이루어져 시트 형상을 갖고, 절연성을 갖는다. 절연체층(11d)은 소용돌이 형상 도체(15)의 상면에 마련되어 있다. 절연체층(11d)에는 절연체층(11d)의 상면(111d)으로부터 하면(211d)을 관통하는 비아 전극(22c, 22d)이 형성되어 있다. 소용돌이 형상 도체(15)의 외측단(15a)은 비아 전극(22c)과 접속되고, 내측단(15b), 즉 소용돌이의 중심부는 비아 전극(22d)과 접속되어 있다.
비아 전극(22a~22d)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b는 비아 전극(22a~22d) 중 예컨대 비아 전극(22d)을 나타낸다.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아 전극(22d)은 복수의 절연체층(11a~11e) 중 적어도 1개의 절연체층(11d)을 관통하여 패드부(29, 33)에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비아 전극(22a)은 복수의 절연체층(11a~11e) 중 적어도 1개의 절연체층(11b)을 관통하여 패드부(26, 30)에 접속되어 있다. 비아 전극(22b)은 복수의 절연체층(11a~11e) 중 적어도 1개의 절연체층(11b)을 관통하여 패드부(27, 31)에 접속되어 있다. 비아 전극(22c)은 복수의 절연체층(11a~11e) 중 적어도 1개의 절연체층(11d)을 관통하여 패드부(28, 32)에 접속되어 있다.
인출 도체(18, 19)는, 은 등의 도전 재료를 도금, 인쇄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절연체층(11d)의 상면(111d)에 마련되어 있다. 인출 도체(18, 19)는 절연체층(11d)의 상면(111d)을 따라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인출되어 있다.
인출 도체(18)는 비아 전극(22c)과 접속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비아 전극(22c)을 통해서 소용돌이 형상 도체(15)의 외측단(15a)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인출 도체(19)는 비아 전극(22d)과 접속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비아 전극(22d)을 통해서 소용돌이 형상 도체(15)의 내측단(15b)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소용돌이 형상 도체(15)의 외측단(15a)과 내측단(15b)에 비아 전극(22c)과 비아 전극(22d)을 통해서 각각 접속된 인출 도체(18)와 인출 도체(19)와, 소용돌이 형상 도체(15)는 코일(21)을 구성한다.
소용돌이 형상 도체(15)의 외측단(15a)과 내측단(15b)은 절연체층(11c)으로부터 직접 외부 전극에 접속되어 있지 않다. 소용돌이 형상 도체(15)가 상면(111c)에 형성된 절연체층(11c)과 상이한 절연체층(11d) 상에, 소용돌이 형상 도체(15)와 접속된 인출 도체(18, 19)가 형성되어 있다. 소용돌이 형상 도체(15)는 인출 도체(18, 19)를 통해서 외부 전극(13c, 13d)과 각각 접속되어 있다.
비아 전극(22a, 22b)은 절연체층(11b)을 관통하는 구멍에 은 등의 도전체를 충전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비아 전극(22c, 22d)은 절연체층(11d)을 관통하는 구멍에 은 등의 도전체를 충전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절연체층(11e)은, Cu-Ni-Zn 페라이트 등의 자성 재료, 또는 Cu-Zn 페라이트, 유리 세라믹 등의 비자성 재료로 이루어져 시트 형상을 갖고, 절연성을 갖는다. 절연체층(11e)은 인출 도체(18, 19)의 상면에 마련되어 있다.
절연체층(11a)의 하면(211a)에는 절연체층(23a)이 마련되어 있고, 절연체층(11e)의 상면(111e)에는 절연체층(23b)이 마련되어 있다. 절연체층(23a, 23b)은 시트 형상을 갖고 절연성을 갖고 있다. 절연체층(23a, 23b)의 각각은 자성 재료 또는 비자성 재료 중 어느 것으로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고, 교대로 적층된 자성체와 비자성체로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절연체층(11a~11e)과 절연체층(23a, 23b)의 매수는, 도 2에 나타내는 매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절연체층(11a~11e)과 절연체층(23a, 23b)은 서로 적층되어 적층체(12)를 구성한다. 적층체(12)의 단면(312)에는 외부 전극(13a, 13c)이 마련되어 있고, 적층체(12)의 단면(312)의 반대쪽의 단면(412)에는 외부 전극(13b, 13d)이 마련되어 있다. 외부 전극(13a~13d)은 인출 도체(16~19)의 단부(16a~19a)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절연체층(11a~11e) 중 비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절연체층 중 적어도 1매에 대하여, 위에서 볼 때 소용돌이 형상 도체(14, 15)의 안쪽에 대응하는 부분에 관통 구멍을 마련하고, 이 관통 구멍을 자성 재료로 충전하여 자성 비아(91b~91d)가 형성되어 있다. 실시의 형태에서는, 자성 비아(91b)는 절연체층(11b)의 상면(111b)으로부터 하면(211b)까지 관통하여 절연체층(11b)에 마련되어 있다. 자성 비아(91c)는 절연체층(11c)의 상면(111c)으로부터 하면(211c)까지 관통하여 절연체층(11c)에 마련되어 있다. 자성 비아(91d)는 절연체층(11d)의 상면(111d)으로부터 하면(211d)까지 관통하여 절연체층(11d)에 마련되어 있다. 자성 비아(91b~91d)는 커먼 모드의 신호에 대한 임피던스를 높인다. 또,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1)는 자성 비아(91b~91d) 중 적어도 1개를 구비하고 있지 않더라도 좋다.
다음으로, 소용돌이 형상 도체(14, 15)와 인출 도체(16~19)의 배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인출 도체(18, 19)가 형성된 절연체층(11d)의 상면(111d)과, 소용돌이 형상 도체(15)가 형성된 절연체층(11c)의 상면(111c)과, 소용돌이 형상 도체(14)가 형성된 절연체층(11b)의 상면(111b)과, 인출 도체(16, 17)가 형성된 절연체층(11a)의 상면(111a)을 나타낸다.
절연체층(11d)의 상면(111d)에는 인출 도체(18, 19)가 형성되어 있다. 인출 도체(18)는, 단부(18a, 18b)를 갖는 인출 도체부(18p)와, 인출 도체부(18p)의 단부(18b)에 마련되어 비아 전극(22c)에 접속된 패드부(32)를 갖는다. 인출 도체부(18p)의 단부(18a)는 외부 전극(13c)에 접속되어 있다. 인출 도체(19)는, 단부(19a, 19b)를 갖는 인출 도체부(19p)와, 인출 도체부(19p)의 단부(19b)에 마련되어 비아 전극(22d)에 접속된 패드부(33)를 갖는다. 인출 도체부(19p)의 단부(19a)는 외부 전극(13d)에 접속되어 있다. 인출 도체부(18p, 19p)는 단부(18a, 19a)로부터 단부(18b, 19b)까지 각각 가늘고 길게 연장된다. 위에서 볼 때, 패드부(32, 33)의 지름은, 인출 도체부(18p, 19p)가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방향과 직각의 방향의 인출 도체부(18p, 19p)의 선폭보다 크다. 인출 도체부(18p, 19p)의 단부(18a, 19a)의 폭은 국부적으로 큰, 즉 인출 도체부(18p, 19p)의 상기 선폭보다 크다. 이와 같이, 인출 도체부(18p)의 단부(18a)와 단부(18b)(패드부(32))는, 인출 도체부(18p)의 다른 부분보다 선폭이 넓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인출 도체부(19p)의 단부(19a)와 단부(19b)(패드부(33))는, 인출 도체부(19p)의 다른 부분보다 선폭이 넓게 되어 있다.
절연체층(11c)의 상면(111c)에는 소용돌이 형상 도체(15)가 형성되어 있다. 소용돌이 형상 도체(15)는, 외측단(15a)과 내측단(15b)을 갖는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15p)와, 외측단(15a)에 마련되어 비아 전극(22c)과 접속된 패드부(28)와, 내측단(15b)에 마련되어 비아 전극(22d)과 접속된 패드부(29)를 갖는다.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15p)는 외측단(15a)으로부터 내측단(15b)까지 소용돌이 형상의 중심으로 향해서 소용돌이 형상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된다. 위에서 볼 때, 패드부(28, 29)의 지름은,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15p)가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방향과 직각의 방향의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15p)의 선폭보다 크다.
절연체층(11b)의 상면(111b)에 소용돌이 형상 도체(14)가 형성되어 있다. 소용돌이 형상 도체(14)는, 외측단(14a)과 내측단(14b)을 갖는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14p)와, 외측단(14a)에 마련되어 비아 전극(22a)과 접속된 패드부(26)와, 내측단(14b)에 마련되어 비아 전극(22b)과 접속된 패드부(27)를 갖는다.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14p)는 외측단(14a)으로부터 내측단(14b)까지 소용돌이 형상의 중심으로 향해서 소용돌이 형상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된다. 위에서 볼 때, 패드부(26, 27)의 지름은,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14p)가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방향과 직각의 방향의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14p)의 선폭보다 크다.
절연체층(11a)의 상면(111a)에는 인출 도체(16, 17)가 형성되어 있다. 인출 도체(16)는, 단부(16a, 16b)를 갖는 인출 도체부(16p)와, 단부(16b)에 마련되어 비아 전극(22a)에 접속된 패드부(30)를 갖는다. 인출 도체부(16p)의 단부(16a)는 외부 전극(13a)에 접속되어 있다. 인출 도체(17)는, 단부(17a, 17b)를 갖는 인출 도체부(17p)와, 단부(17b)에 마련되어 비아 전극(22b)에 접속된 패드부(31)를 갖는다. 인출 도체부(17p)의 단부(17a)는 외부 전극(13b)에 접속되어 있다. 인출 도체부(16p, 17p)는 단부(16a, 17a)로부터 단부(16b, 17b)까지 각각 가늘고 길게 연장된다. 위에서 볼 때, 패드부(32, 33)의 지름은, 인출 도체부(16p, 17p)가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방향과 직각의 방향의 인출 도체부(16p, 17p)의 선폭보다 크다. 인출 도체부(16p, 17p)의 단부(16a, 17a)의 폭은 국부적으로 큰, 즉 인출 도체부(16p, 17p)의 상기 선폭보다 크다. 이와 같이, 인출 도체부(16p)의 단부(16a)와 단부(16b)(패드부(30))는, 인출 도체부(16p)의 다른 부분보다 선폭이 넓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인출 도체부(17p)의 단부(17a)와 단부(17b)(패드부(31))는, 인출 도체부(17p)의 다른 부분보다 선폭이 넓게 되어 있다.
패드부(26, 27, 30, 31)는 코일(20)의 일부분을 이룬다. 패드부(28, 29, 32, 33)는 코일(21)의 일부분을 이룬다.
패드부(26, 30)와 비아 전극(22a)은 위에서 볼 때 겹쳐 있고, 서로 접속되어 있다. 패드부(27, 31)와 비아 전극(22b)은 위에서 볼 때 겹쳐 있고, 서로 접속되어 있다.
패드부(28, 32)와 비아 전극(22c)은 위에서 볼 때 겹쳐 있고, 서로 접속되어 있다. 패드부(29, 33)와 비아 전극(22d)은 위에서 볼 때 겹쳐 있고, 서로 접속되어 있다.
위에서 볼 때 비아 전극(22a)의 면적은 패드부(26, 30)의 면적보다 작고, 위에서 볼 때 비아 전극(22a)은 패드부(26, 30)로부터 노출되지 않는다. 위에서 볼 때 비아 전극(22b)의 면적은 패드부(27, 31)의 면적보다 작고, 위에서 볼 때 비아 전극(22b)은 패드부(27, 31)로부터 노출되지 않는다. 위에서 볼 때 비아 전극(22c)의 면적은 패드부(28, 32)의 면적보다 작고, 위에서 볼 때 비아 전극(22c)은 패드부(28, 32)로부터 노출되지 않는다. 위에서 볼 때 비아 전극(22d)의 면적은 패드부(29, 33)의 면적보다 작고, 위에서 볼 때 비아 전극(22d)은 패드부(29, 33)로부터 노출되지 않는다.
위에서 볼 때 소용돌이 형상 도체(14)의 내측단(14b)에 있어서의 코일(20)의 패드부(27, 31)는, 소용돌이 형상 도체(15)의 내측단(15b)에 있어서의 코일(21)의 패드부(29, 33)와 겹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위에서 볼 때 소용돌이 형상 도체(14)의 외측단(14a)에 있어서의 코일(20)의 패드부(26, 30)는 소용돌이 형상 도체(15)의 외측단(15a)에 있어서의 코일(21)의 패드부(28, 32)와 위에서 볼 때 겹치지 않는다.
인출 도체(16~19)의 인출 도체부(16p~19p)의 상하 방향 D1의 두께는 소용돌이 형상 도체(14, 15)의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14p, 15p)의 두께보다 크다. 또는, 인출 도체(16~19)의 인출 도체부(16p~19p)의 선폭은 소용돌이 형상 도체(14, 15)의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14p, 15p)의 선폭보다 크다. 이것에 의해, 인출 도체(16~19)를 외부 전극(13a~13d)과 높은 신뢰성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인출 도체(16~19)는 커먼 모드 노이즈에 영향을 거의 주지 않기 때문에, 직류 저항치나 특성 임피던스의 변동을 저감할 수 있다.
도 4는 절연체층(11a~11e)을 적층한 경우의 소용돌이 형상 도체(14, 15)와 인출 도체(16~19)를 나타낸다.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용돌이 형상 도체(14)의 외측단(14a)에 마련된 패드부(26, 30)의 각각은 소용돌이 형상 도체(15)의 외측단(15a)에 마련된 패드부(28, 32) 중 어느 것과도 위에서 볼 때 겹쳐 있지 않다. 소용돌이 형상 도체(14)의 내측단(14b)에 마련된 패드부(27, 31)의 각각은 소용돌이 형상 도체(15)의 내측단(15b)에 마련된 패드부(29, 33) 중 어느 것과도 위에서 볼 때 겹쳐 있지 않다. 즉, 코일(20)의 일부분의 패드부(26, 30)는 코일(21)의 일부분의 패드부(28, 32)와 위에서 볼 때 겹치지 않고, 코일(20)의 일부분의 패드부(27, 31)는 코일(21)의 일부분의 패드부(29, 33)와 위에서 볼 때 겹쳐 있지 않다.
인출 도체(17)의 인출 도체부(17p)의 부분(17c)은, 인출 도체(19)의 인출 도체부(19p)의 부분(19c)과 위에서 볼 때 겹쳐 있다. 소용돌이 형상 도체(14, 15)의 외측단(14a, 15a)의 근방부(14c, 15c)의 일부는 위에서 볼 때 서로 겹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일(20, 21)과, 코일(20, 21)을 구성하는 소용돌이 형상 도체(14, 15)(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14p, 15p))와 인출 도체(16~19)(인출 도체부(16p~19p))는 가늘고 길게 연장되고 있는 선 형상 도체이다. 선 형상 도체는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방향을 따른 길이인 선 길이를 갖는다. 이하에, 코일(20, 21)과 소용돌이 형상 도체(14, 15)(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14p, 15p))와 인출 도체(16~19)(인출 도체부(16p~19p))의 선 길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패드부(27, 31)의 각각이 패드부(29, 33) 중 어느 것과도 위에서 볼 때 겹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소용돌이 형상 도체(14)의 내측단(14b)은 소용돌이 형상 도체(15)의 내측단(15b)보다 감김이 더 진행된 부분에 형성된다. 즉, 소용돌이 형상 도체(15)의 내측단(15b)은 소용돌이 형상 도체(14)의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14p)와 위에서 볼 때 겹쳐 있다. 따라서, 소용돌이 형상 도체(15)보다 소용돌이 형상 도체(14)(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14p))를 따른 소용돌이 형상 도체(14)(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14p))의 선 길이가 소용돌이 형상 도체(15)(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15p))를 따른 소용돌이 형상 도체(15)(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15p))의 선 길이보다 커진다.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전극(13a, 13c)과, 외부 전극(13a, 13c)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외부 전극(13b, 13d)을 잇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에서 볼 때 겹치는 외측단(14a, 15a)의 근방부(14c, 15c)를 통과하는 선 LA를 정의한다. 상기 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에서 볼 때 적층체(12)의 중심부를 통과하는 중심선 LB를 정의한다. 선 LA는 중심선 LB에 대하여 소용돌이 형상 도체(14)의 외측단(14a)의 쪽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소용돌이 형상 도체(14)에 있어서의 근방부(14c)와 외측단(14a)의 선 길이를, 소용돌이 형상 도체(15)에 있어서의 근방부(15c)와 외측단(15a)의 선 길이보다 짧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소용돌이 형상 도체(14)(코일(20))와 소용돌이 형상 도체(15)(코일(21))의 선 길이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또, 위에서 볼 때, 소용돌이 형상 도체(14)의 내측단(14b)과 소용돌이 형상 도체(15)의 내측단(15b)의 사이의 거리를 선 LA와 중심선 LB의 거리의 2배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용돌이 형상 도체(14)와 소용돌이 형상 도체(15)의 선 길이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하는 것에 의해, 코일(20, 21)을 통과하는 신호의 주파수가 높더라도, 이들 신호의 타이밍의 위상의 어긋남을 막을 수 있고, 이들 신호의 커먼 모드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인출 도체(17)의 인출 도체부(17p)의 부분(17c)은, 인출 도체(19)의 인출 도체부(19p)의 부분(19c)과 위에서 볼 때 겹치고, 소용돌이 형상 도체(14, 15)의 외측단(14a, 15a)의 근방부(14c, 15c)의 일부가 서로 위에서 볼 때 겹쳐 있다. 따라서, 인출 도체(16)의 선 길이는 인출 도체(18)의 선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인출 도체(17)의 선 길이는 인출 도체(19)의 선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해진다. 이것에 의해, 소용돌이 형상 도체(14, 15)의 선 길이를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함으로써, 코일(20, 21)의 선 길이도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인출 도체(16)의 선 길이가 인출 도체(18)의 선 길이와 동일하지 않거나, 또는, 인출 도체(17)의 선 길이가 인출 도체(19)의 선 길이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선 LA와 중심선 LB의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여, 코일(20, 21)의 선 길이를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각 도체부의 선 길이를 상술한다.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14p)는, 외측단(14a)으로부터 연장되는 외측 비중첩부(214a)와, 외측 비중첩부(214a)에 접속된 중첩부(114)와, 내측단(14b)으로부터 연장되어 중첩부(114)에 접속된 내측 비중첩부(214b)를 갖는다. 외측 비중첩부(214a)와 내측 비중첩부(214b)는,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15p)와 위에서 볼 때 겹치지 않는다. 중첩부(114)는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15p)와 위에서 볼 때 겹친다.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15p)는, 외측단(15a)으로부터 연장되는 외측 비중첩부(215a)와, 외측 비중첩부(215a)에 접속된 중첩부(115)를 갖는다. 외측 비중첩부(215a)는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14p)와 위에서 볼 때 겹치지 않는다. 중첩부(114)는 위에서 볼 때 접속 위치(51)에서 외측 비중첩부(214a)에 접속되어 있다. 중첩부(115)는 위에서 볼 때 접속 위치(51)에서 외측 비중첩부(215a)에 접속되어 있다. 외측단(15a)에 비하여 외측단(14a)은 접속 위치(51)에 가깝다. 외측 비중첩부(215a)의 선 길이는 외측 비중첩부(214a)의 선 길이보다 길다. 중첩부(114, 115)는 근방부(14c, 15c)를 포함하고, 선 La와 부분적으로 겹친다.
인출 도체부(17p, 19p)의 선 길이가 서로 동일하고 또한 인출 도체부(16p, 18p)의 선 길이가 서로 동일한 경우에는, 외측 비중첩부(214a, 215a)의 선 길이와 내측 비중첩부(214b)의 선 길이는, 코일(20)의 선 길이가 코일(21)의 선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해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인출 도체부(17p, 19p)의 선 길이가 서로 동일하지 않거나, 또는 인출 도체부(16p, 18p)의 선 길이가 서로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외측 비중첩부(214a, 215a)의 선 길이와 내측 비중첩부(214b)의 선 길이와 인출 도체부(16p~19p)의 선 길이는, 코일(20)의 선 길이가 코일(21)의 선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해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코일(20, 21)의 선 길이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하는 것에 의해, 코일(20, 21)을 통과하는 신호의 주파수가 높더라도, 이들 신호의 타이밍의 위상의 어긋남을 막을 수 있고, 이들 신호의 커먼 모드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도 5a와 도 5b는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2)의 주요부의 상면도이다. 도 5a와 도 5b에 있어서, 도 1a로부터 도 4에 나타내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1)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인다. 도 5a와 도 5b에 나타내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2)에서는, 소용돌이 형상 도체(15)의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15p)에 소용돌이 형상 도체(14)의 외측단(14a)이 위에서 볼 때 겹쳐 있다. 이것에 의해, 소용돌이 형상 도체(14)의 선 길이를 소용돌이 형상 도체(15)의 선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2)에서는, 인출 도체(16)는 인출 도체(18)와 위에서 볼 때 겹쳐 있지 않다.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2)에서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1)와 마찬가지로, 소용돌이 형상 도체(14)의 외측단(14a)은, 소용돌이 형상 도체(15)의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15p)와 위에서 볼 때 겹쳐 있다.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1, 1002)에서는, 도 3으로부터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출 도체부(17p)의 부분(17c)이 인출 도체부(19p)의 부분(19c)과 위에서 볼 때 겹쳐 있고,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14p)의 외측단(14a)의 근방부(14c)의 일부가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15p)의 외측단(15a)의 근방부(15c)의 일부와 위에서 볼 때 겹쳐 있다. 이것에 의해,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1, 1002)의 특성 임피던스를 최적화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또 다른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3)의 주요부의 상면도이다. 도 6과 도 7에 있어서, 도 5a와 도 5b에 나타내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2)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인다. 도 6과 도 7에 나타내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3)에서는, 도 5a와 도 5b에 나타내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2)와 마찬가지로, 인출 도체(16)는 인출 도체(18)와 위에서 볼 때 겹쳐 있지 않다.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3)에서는, 도 6,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드부(30~33)의 근방을 제외하고 인출 도체(17)의 인출 도체부(17p)가 인출 도체(19)의 인출 도체부(19p)와 위에서 볼 때 겹쳐 있지 않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출 도체(16~19)의 두께를 소용돌이 형상 도체(14, 15)의 두께보다 크게 하거나, 또는 인출 도체(16~19)의 선폭을 소용돌이 형상 도체(14, 15)의 선폭보다 크게 하는 것에 의해, 인출 도체(16~19)를 외부 전극(13a~13d)과 각각 높은 신뢰성으로 접속할 수 있다. 도 6, 도 7에 나타내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3)는, 인출 도체(16, 18)의 사이의 부유 용량과, 인출 도체(17, 19)의 사이의 부유 용량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고주파 대역에서 보다 확실히 사용할 수 있다.
도 1a로부터 도 7에 나타내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1~1003)에서는, 내측단(14b, 15b)에 있어서, 패드부(27(31))와 패드부(29(33))의 사이의 위에서 볼 때의 거리 L11은, 패드부(26~33)의 지름보다 크다. 절연체층(11a~11e)을 적층함으로써 적층체(12)를 제작할 때에, 적층하는 공정에서의 절연체층(11a~11e)의 위치의 정밀도의 격차에 의해, 비아 전극(22d)과 패드부(27, 31)의 중심의 위치가 층면 P5, P6에 평행한 방향에서 어긋나는 적층 어긋남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적층 어긋남에 의해 비아 전극(22d)이 패드부(27, 31)의 근처에 도달하여 비아 전극(22d)이 패드부(27, 31)의 외주 부근에서 접속되어 있더라도,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1~1003)에서는, 패드부(27, 31)의 각각이 패드부(29, 33) 중 어느 것과도 위에서 볼 때 겹치지 않고 절연체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패드부(27, 29)의 사이의 부유 용량을 보다 확실히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외측단(14a, 15a)에 있어서, 패드부(26(30))와 패드부(28(32))의 사이의 위에서 볼 때의 거리 L12를, 패드부(27(31))와 패드부(29(33))의 사이의 위에서 볼 때의 거리 L11보다 크게 하는 것에 의해, 패드부(26, 28, 30, 32)에 있어서의 코일(20, 21)의 사이의 부유 용량을 보다 확실히 저감시킬 수 있다.
최근, USB 3.1로 대표되는 바와 같이 10Gbps라고 하는 초고속 전송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게 되고 있다. 이것에 근거하여,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는 고주파 대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501)에 있어서는, 패드부(2a~5a)가 위에서 볼 때 겹치고, 또한, 비아 전극(6a, 6b)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패드부(3a, 4a)의 폭 혹은 지름은, 차동 신호를 전송하고 또한 자기 결합하고 있는 코일(7, 8)의 선폭보다 넓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패드부(2a~5a)의 사이에서 큰 부유 용량이 발생하고, 이것에 의해, 고주파 대역에서는 차동 신호의 부정합이 생기고 삽입 손실이 증가하므로, 고주파 대역에서의 사용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는 고주파 대역에서의 사용이 가능하다.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1~1003)에 있어서, 소용돌이 형상 도체(14, 15)의 외측단(14a, 15a)에 있어서, 패드부(26, 30)의 각각이 패드부(28, 32) 중 어느 것과도 위에서 볼 때 겹치지 않는다. 또한, 소용돌이 형상 도체(14, 15)의 내측단(14b, 15b)에 있어서, 패드부(27, 31)의 각각이 패드부(29, 33) 중 어느 것과도 위에서 볼 때 겹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패드부(26(30))와 패드부(27(31))의 사이의 부유 용량과, 패드부(28(32))와 패드부(29(33))의 사이의 부유 용량을 저감시킬 수 있고, 고주파 대역에서 차동 신호의 부정합이 생겨 삽입 손실이 증가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1~1003)는, 고주파 대역에서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1~1003)에서는, 소용돌이 형상 도체(14, 15)의 내측단(14b, 15b)에 있어서의 패드부(27, 29, 31, 33)가 위에서 볼 때 서로 겹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외측단(14a, 15a)에 있어서의 패드부(26, 28, 30, 32)도 위에서 볼 때 서로 겹치지 않는다.
또,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1~1003)에서는, 상하 방향 D1에 있어서, 소용돌이 형상 도체(14, 15)는 인출 도체(16, 17)의 각각과 인출 도체(18, 19)의 각각의 사이에 위치한다. 즉, 소용돌이 형상 도체(14, 15)가 위치하는 층면 P4, P5는, 인출 도체(16, 17)가 위치하는 층면 P3과 인출 도체(18, 19)가 위치하는 층면 P6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 배치에 한하지 않고, 인출 도체(16~19)가 소용돌이 형상 도체(14, 15)의 사이에 위치하더라도 좋고, 즉, 인출 도체(16~19)가 위치하는 층면이, 소용돌이 형상 도체(14)가 위치하는 층면과 소용돌이 형상 도체(15)가 위치하는 층면의 사이에 위치하더라도 좋다.
또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1~1003)에서는, 인출 도체(16, 17)가 층면 P3에 위치하고, 인출 도체(18, 19)가 층면 P6에 위치한다. 이 배치에 한하지 않고, 인출 도체(16)가 위치하는 층면은, 인출 도체(17)가 위치하는 층면과 상이하더라도 좋다. 또한, 인출 도체(18)가 위치하는 층면은, 인출 도체(19)가 위치하는 층면과 상이하더라도 좋다.
또,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상면", "하면", "상하 방향", "위에서 볼 때" 등의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절연체층이나 소용돌이 형상 도체, 인출 도체 등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의 구성 부재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로만 정해지는 상대적인 방향을 나타내고, 연직 방향 등의 절대적인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는, 고주파 대역에서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고, 특히 디지털 기기나 AV 기기, 정보 통신 단말 등의 고주파 기기에서 유용하다.
11a~11e : 절연체층
12 : 적층체
13a : 외부 전극(제 1 외부 전극)
13b : 외부 전극(제 2 외부 전극)
13c : 외부 전극(제 3 외부 전극)
13d : 외부 전극(제 4 외부 전극)
14 : 소용돌이 형상 도체(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
14p :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
15 : 소용돌이 형상 도체(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
15p :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
16 : 인출 도체(제 1 인출 도체)
16p : 인출 도체부(제 1 인출 도체부)
17 : 인출 도체(제 2 인출 도체)
17p : 인출 도체부(제 2 인출 도체부)
18 : 인출 도체(제 3 인출 도체)
18p : 인출 도체부(제 3 인출 도체부)
19 : 인출 도체(제 4 인출 도체)
19p : 인출 도체부(제 4 인출 도체부)
20 : 코일(제 1 코일)
21 : 코일(제 2 코일)
22a : 비아 전극(제 1 비아 전극)
22b : 비아 전극(제 2 비아 전극)
22c : 비아 전극(제 3 비아 전극)
22d : 비아 전극(제 4 비아 전극)
26 : 패드부(제 1 패드부)
27 : 패드부(제 2 패드부)
28 : 패드부(제 3 패드부)
29 : 패드부(제 4 패드부)
30 : 패드부(제 5 패드부)
31 : 패드부(제 6 패드부)
32 : 패드부(제 7 패드부)
33 : 패드부(제 8 패드부)
51 : 접속 위치
P1~P3, P6~P8 : 층면
P4 : 층면(제 1 층면)
P5 : 층면(제 2 층면)

Claims (29)

  1.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절연체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절연체층의 상면과 하면이 상기 상하 방향에서 서로 떨어진 복수의 층면을 구성하는 적층체와,
    상기 적층체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층면 중 제 1 층면에 마련되어, 제 1 내측단과 제 1 외측단을 갖는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와, 상기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의 상기 제 1 외측단에 마련된 제 1 패드부와, 상기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의 상기 제 1 내측단에 마련된 제 2 패드부를 갖는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와,
    상기 적층체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층면 중 제 2 층면에 마련되어, 제 2 내측단과 제 2 외측단을 갖는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와, 상기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의 상기 제 2 외측단에 마련된 제 3 패드부와, 상기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의 상기 제 2 내측단에 마련된 제 4 패드부를 갖는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와,
    상기 적층체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층면 중 상기 제 1 층면과 상이한 층면에 마련되어, 제 1 인출 도체부와, 상기 제 1 인출 도체부의 제 1 단부에 마련된 제 5 패드부를 갖는 제 1 인출 도체와,
    상기 적층체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층면 중 상기 제 1 층면과 상이한 층면에 마련되어, 제 2 인출 도체부와, 상기 제 2 인출 도체부의 제 1 단부에 마련된 제 6 패드부를 갖는 제 2 인출 도체와,
    상기 적층체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층면 중 상기 제 2 층면과 상이한 층면에 마련되어, 제 3 인출 도체부와, 상기 제 3 인출 도체부의 제 1 단부에 마련된 제 7 패드부를 갖는 제 3 인출 도체와,
    상기 적층체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층면 중 상기 제 2 층면과 상이한 층면에 마련되어, 제 4 인출 도체부와, 상기 제 4 인출 도체부의 제 1 단부에 마련된 제 8 패드부를 갖는 제 4 인출 도체와,
    상기 복수의 절연체층 중 적어도 1개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패드부와 상기 제 5 패드부에 접속된 제 1 비아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절연체층 중 적어도 1개를 관통하여 상기 제 2 패드부와 상기 제 6 패드부에 접속된 제 2 비아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절연체층 중 적어도 1개를 관통하여 상기 제 3 패드부와 상기 제 7 패드부에 접속된 제 3 비아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절연체층 중 적어도 1개를 관통하여 상기 제 4 패드부와 상기 제 8 패드부에 접속된 제 4 비아 전극
    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는 상기 복수의 절연체층 중 1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와 대향하고 있고,
    상기 제 2 패드부와 상기 제 6 패드부의 각각은, 상기 제 4 패드부와 상기 제 8 패드부 중 어느 것과도 위에서 볼 때 겹치지 않으며,
    상기 제 1 패드부와 제 5 패드부의 각각은, 상기 제 3 패드부와 상기 제 7 패드부 중 어느 것과도 위에서 볼 때 겹치지 않고,
    상기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는,
    상기 제 1 외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와 위에서 볼 때 겹치지 않는 제 1 외측 비중첩부와,
    상기 제 1 외측 비중첩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와 위에서 볼 때 겹치는 제 1 중첩부
    를 갖고,
    상기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는,
    상기 제 2 외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와 위에서 볼 때 겹치지 않는 제 2 외측 비중첩부와
    상기 제 2 외측 비중첩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와 위에서 볼 때 겹치는 제 2 중첩부
    를 갖고,
    상기 제 1 중첩부는 위에서 볼 때 접속 위치에서 상기 제 1 외측 비중첩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2 중첩부는 위에서 볼 때 상기 접속 위치에서 상기 제 2 외측 비중첩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2 외측단에 비하여 상기 제 1 외측단은 상기 접속 위치에 가까우며,
    상기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는, 상기 제 1 내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1 중첩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와 위에서 볼 때 겹치지 않는 내측 비중첩부를 더 가지며,
    상기 제 1 인출 도체와 상기 제 2 인출 도체와 상기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는 제 1 코일을 구성하고,
    상기 제 3 인출 도체와 상기 제 4 인출 도체와 상기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는 제 2 코일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외측 비중첩부의 선 길이와 상기 제 2 외측 비중첩부의 선 길이와 상기 내측 비중첩부의 선 길이는, 상기 제 1 코일의 선 길이가 상기 제 2 코일의 선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해지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위에서 볼 때, 상기 제 1 패드부는 직선에 대하여, 상기 제 3 패드부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위에서 볼 때, 상기 제 2 패드부는 상기 직선에 대하여, 상기 제 4 패드부의 반대 측에 위치하고,
    위에서 볼 때, 상기 제 1 패드부는 상기 직선에 대하여, 상기 제 4 패드부와 동일 측에 위치하고,
    위에서 볼 때, 상기 제 2 패드부는 상기 직선에 대하여, 상기 제 3 패드부와 동일 측에 위치하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패드부와 상기 제 6 패드부의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 4 패드부와 상기 제 8 패드부의 각각까지의 위에서 볼 때의 거리는, 상기 제 1 내지 제 8 패드부의 직경보다 큰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외측 비중첩부의 선 길이는 상기 제 1 외측 비중첩부의 선 길이보다 긴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위에서 볼 때 상기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는 상기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의 상기 제 1 외측단과 겹치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출 도체는 상기 제 3 인출 도체와 위에서 볼 때 겹치지 않고,
    상기 제 2 인출 도체는 상기 제 4 인출 도체와 위에서 볼 때 겹치지 않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외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인출 도체부의 제 2 단부에 접속된 제 1 외부 전극과,
    상기 적층체의 외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2 인출 도체부의 제 2 단부에 접속된 제 2 외부 전극과,
    상기 적층체의 외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3 인출 도체부의 제 2 단부에 접속된 제 3 외부 전극과,
    상기 적층체의 외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4 인출 도체부의 제 2 단부에 접속된 제 4 외부 전극
    을 더 구비한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12.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절연체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절연체층의 상면과 하면이 상기 상하 방향에서 서로 떨어진 복수의 층면을 구성하는 적층체와,
    상기 적층체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층면 중 제 1 층면에 마련되어, 제 1 내측단과 제 1 외측단을 갖는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와, 상기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의 상기 제 1 외측단에 마련된 제 1 패드부와, 상기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의 상기 제 1 내측단에 마련된 제 2 패드부를 갖는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와,
    상기 적층체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층면 중 제 2 층면에 마련되어, 제 2 내측단과 제 2 외측단을 갖는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와, 상기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의 상기 제 2 외측단에 마련된 제 3 패드부와, 상기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의 상기 제 2 내측단에 마련된 제 4 패드부를 갖는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와,
    상기 적층체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층면 중 상기 제 1 층면과 상이한 층면에 마련되어, 제 1 인출 도체부와, 상기 제 1 인출 도체부의 제 1 단부에 마련된 제 5 패드부를 갖는 제 1 인출 도체와,
    상기 적층체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층면 중 상기 제 1 층면과 상이한 층면에 마련되어, 제 2 인출 도체부와, 상기 제 2 인출 도체부의 제 1 단부에 마련된 제 6 패드부를 갖는 제 2 인출 도체와,
    상기 적층체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층면 중 상기 제 2 층면과 상이한 층면에 마련되어, 제 3 인출 도체부와, 상기 제 3 인출 도체부의 제 1 단부에 마련된 제 7 패드부를 갖는 제 3 인출 도체와,
    상기 적층체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층면 중 상기 제 2 층면과 상이한 층면에 마련되어, 제 4 인출 도체부와, 상기 제 4 인출 도체부의 제 1 단부에 마련된 제 8 패드부를 갖는 제 4 인출 도체와,
    상기 복수의 절연체층 중 적어도 1개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패드부와 상기 제 5 패드부에 접속된 제 1 비아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절연체층 중 적어도 1개를 관통하여 상기 제 2 패드부와 상기 제 6 패드부에 접속된 제 2 비아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절연체층 중 적어도 1개를 관통하여 상기 제 3 패드부와 상기 제 7 패드부에 접속된 제 3 비아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절연체층 중 적어도 1개를 관통하여 상기 제 4 패드부와 상기 제 8 패드부에 접속된 제 4 비아 전극
    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는 상기 복수의 절연체층 중 1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와 대향하고 있고,
    상기 제 2 패드부와 상기 제 6 패드부의 각각은, 상기 제 4 패드부와 상기 제 8 패드부 중 어느 것과도 위에서 볼 때 겹치지 않으며,
    상기 제 1 패드부와 제 5 패드부의 각각은, 상기 제 3 패드부와 상기 제 7 패드부 중 어느 것과도 위에서 볼 때 겹치지 않고,
    상기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는,
    상기 제 1 외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와 위에서 볼 때 겹치지 않는 제 1 외측 비중첩부와,
    상기 제 1 외측 비중첩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와 위에서 볼 때 겹치는 제 1 중첩부
    를 갖고,
    상기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는,
    상기 제 2 외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와 위에서 볼 때 겹치지 않는 제 2 외측 비중첩부와
    상기 제 2 외측 비중첩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와 위에서 볼 때 겹치는 제 2 중첩부
    를 갖고,
    상기 제 1 중첩부는 위에서 볼 때 접속 위치에서 상기 제 1 외측 비중첩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2 중첩부는 위에서 볼 때 상기 접속 위치에서 상기 제 2 외측 비중첩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2 외측단에 비하여 상기 제 1 외측단은 상기 접속 위치에 가까우며,
    상기 제 1 인출 도체와 상기 제 2 인출 도체와 상기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는 제 1 코일을 구성하고,
    상기 제 3 인출 도체와 상기 제 4 인출 도체와 상기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는 제 2 코일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외측 비중첩부의 선 길이와 상기 제 2 외측 비중첩부의 선 길이는, 상기 제 1 코일의 선 길이가 상기 제 2 코일의 선 길이와 실질적으로 같아지도록 설정되고,
    위에서 볼 때, 상기 제 1 패드부는 직선에 대하여, 상기 제 3 패드부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위에서 볼 때, 상기 제 2 패드부는 상기 직선에 대하여, 상기 제 4 패드부의 반대 측에 위치하고,
    위에서 볼 때, 상기 제 1 패드부는 상기 직선에 대하여, 상기 제 4 패드부와 동일 측에 위치하고,
    위에서 볼 때, 상기 제 2 패드부는 상기 직선에 대하여, 상기 제 3 패드부와 동일 측에 위치하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패드부와 상기 제 6 패드부의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 4 패드부와 상기 제 8 패드부의 각각까지의 위에서 볼 때의 거리는, 상기 제 1 내지 제 8 패드부의 직경보다 큰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외측 비중첩부의 선 길이는 상기 제 1 외측 비중첩부의 선 길이보다 긴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는, 상기 제 1 내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1 중첩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와 위에서 볼 때 겹치지 않는 내측 비중첩부를 더 갖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16. 제 12 항에 있어서,
    위에서 볼 때 상기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는 상기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의 상기 제 1 외측단과 겹치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출 도체는 상기 제 3 인출 도체와 위에서 볼 때 겹치지 않고,
    상기 제 2 인출 도체는 상기 제 4 인출 도체와 위에서 볼 때 겹치지 않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외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인출 도체부의 제 2 단부에 접속된 제 1 외부 전극과,
    상기 적층체의 외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2 인출 도체부의 제 2 단부에 접속된 제 2 외부 전극과,
    상기 적층체의 외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3 인출 도체부의 제 2 단부에 접속된 제 3 외부 전극과,
    상기 적층체의 외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4 인출 도체부의 제 2 단부에 접속된 제 4 외부 전극
    을 더 구비한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19.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절연체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절연체층의 상면과 하면이 상기 상하 방향에서 서로 떨어진 복수의 층면을 구성하는 적층체와,
    상기 적층체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층면 중 제 1 층면에 마련되어, 제 1 내측단과 제 1 외측단을 갖는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와, 상기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의 상기 제 1 외측단에 마련된 제 1 패드부와, 상기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의 상기 제 1 내측단에 마련된 제 2 패드부를 갖는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와,
    상기 적층체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층면 중 제 2 층면에 마련되어, 제 2 내측단과 제 2 외측단을 갖는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와, 상기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의 상기 제 2 외측단에 마련된 제 3 패드부와, 상기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의 상기 제 2 내측단에 마련된 제 4 패드부를 갖는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와,
    상기 적층체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층면 중 상기 제 1 층면과 상이한 층면에 마련되어, 제 1 인출 도체부와, 상기 제 1 인출 도체부의 제 1 단부에 마련된 제 5 패드부를 갖는 제 1 인출 도체와,
    상기 적층체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층면 중 상기 제 1 층면과 상이한 층면에 마련되어, 제 2 인출 도체부와, 상기 제 2 인출 도체부의 제 1 단부에 마련된 제 6 패드부를 갖는 제 2 인출 도체와,
    상기 적층체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층면 중 상기 제 2 층면과 상이한 층면에 마련되어, 제 3 인출 도체부와, 상기 제 3 인출 도체부의 제 1 단부에 마련된 제 7 패드부를 갖는 제 3 인출 도체와,
    상기 적층체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층면 중 상기 제 2 층면과 상이한 층면에 마련되어, 제 4 인출 도체부와, 상기 제 4 인출 도체부의 제 1 단부에 마련된 제 8 패드부를 갖는 제 4 인출 도체와,
    상기 복수의 절연체층 중 적어도 1개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패드부와 상기 제 5 패드부에 접속된 제 1 비아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절연체층 중 적어도 1개를 관통하여 상기 제 2 패드부와 상기 제 6 패드부에 접속된 제 2 비아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절연체층 중 적어도 1개를 관통하여 상기 제 3 패드부와 상기 제 7 패드부에 접속된 제 3 비아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절연체층 중 적어도 1개를 관통하여 상기 제 4 패드부와 상기 제 8 패드부에 접속된 제 4 비아 전극
    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는 상기 복수의 절연체층 중 1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와 대향하고 있고,
    상기 제 2 패드부와 상기 제 6 패드부의 각각은, 상기 제 4 패드부와 상기 제 8 패드부 중 어느 것과도 위에서 볼 때 겹치지 않으며,
    상기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의 상기 제 1 외측단의 근방부의 일부가 상기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의 상기 제 2 외측단의 근방부의 일부와 위에서 볼 때 겹치도록 구성되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드부와 제 5 패드부의 각각은, 상기 제 3 패드부와 상기 제 7 패드부 중 어느 것과도 위에서 볼 때 겹치지 않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패드부와 상기 제 6 패드부의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 4 패드부와 상기 제 8 패드부의 각각까지의 위에서 볼 때의 거리는, 상기 제 1 내지 제 8 패드부의 직경보다 큰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는,
    상기 제 1 외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와 위에서 볼 때 겹치지 않는 제 1 외측 비중첩부와,
    상기 제 1 외측 비중첩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와 위에서 볼 때 겹치는 제 1 중첩부
    를 갖고,
    상기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는,
    상기 제 2 외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와 위에서 볼 때 겹치지 않는 제 2 외측 비중첩부와
    상기 제 2 외측 비중첩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와 위에서 볼 때 겹치는 제 2 중첩부
    를 갖고,
    상기 제 1 중첩부는 위에서 볼 때 접속 위치에서 상기 제 1 외측 비중첩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2 중첩부는 위에서 볼 때 상기 접속 위치에서 상기 제 2 외측 비중첩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2 외측단에 비하여 상기 제 1 외측단은 상기 접속 위치에 가까운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외측 비중첩부의 선 길이는 상기 제 1 외측 비중첩부의 선 길이보다 긴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는, 상기 제 1 내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1 중첩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와 위에서 볼 때 겹치지 않는 내측 비중첩부를 더 갖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출 도체와 상기 제 2 인출 도체와 상기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는 제 1 코일을 구성하고,
    상기 제 3 인출 도체와 상기 제 4 인출 도체와 상기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는 제 2 코일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외측 비중첩부의 선 길이와 상기 제 2 외측 비중첩부의 선 길이와 상기 내측 비중첩부의 선 길이는, 상기 제 1 코일의 선 길이가 상기 제 2 코일의 선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출 도체와 상기 제 2 인출 도체와 상기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는 제 1 코일을 구성하고,
    상기 제 3 인출 도체와 상기 제 4 인출 도체와 상기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는 제 2 코일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외측 비중첩부의 선 길이와 상기 제 2 외측 비중첩부의 선 길이는, 상기 제 1 코일의 선 길이가 상기 제 2 코일의 선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27. 제 20 항에 있어서,
    위에서 볼 때 상기 제 2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는 상기 제 1 소용돌이 형상 도체 선부의 상기 제 1 외측단과 겹치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28.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출 도체는 상기 제 3 인출 도체와 위에서 볼 때 겹치지 않고,
    상기 제 2 인출 도체는 상기 제 4 인출 도체와 위에서 볼 때 겹치지 않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29.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외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인출 도체부의 제 2 단부에 접속된 제 1 외부 전극과,
    상기 적층체의 외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2 인출 도체부의 제 2 단부에 접속된 제 2 외부 전극과,
    상기 적층체의 외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3 인출 도체부의 제 2 단부에 접속된 제 3 외부 전극과,
    상기 적층체의 외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4 인출 도체부의 제 2 단부에 접속된 제 4 외부 전극
    을 더 구비한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KR1020187017895A 2016-06-22 2017-06-15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KR1024607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23190 2016-06-22
JP2016123190 2016-06-22
PCT/JP2017/022045 WO2017221794A1 (ja) 2016-06-22 2017-06-15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495A KR20190043495A (ko) 2019-04-26
KR102460765B1 true KR102460765B1 (ko) 2022-10-28

Family

ID=60748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895A KR102460765B1 (ko) 2016-06-22 2017-06-15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39584B2 (ko)
JP (1) JPWO2017221794A1 (ko)
KR (1) KR102460765B1 (ko)
CN (2) CN107527728B (ko)
WO (1) WO20172217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21794A1 (ja) * 2016-06-22 2017-12-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CN112640013B (zh) * 2018-11-30 2023-06-13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共模噪声滤波器
JP7200957B2 (ja) 2020-02-04 2023-01-1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7200958B2 (ja) * 2020-02-04 2023-01-1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7163935B2 (ja) 2020-02-04 2022-11-0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7200959B2 (ja) * 2020-02-04 2023-01-1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CN111653853B (zh) * 2020-06-11 2021-08-17 浙江大学 一种无过孔的锯齿型带状线共模滤波电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7426A (ja) * 2001-02-09 2002-08-23 Toko Inc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の製造方法
JP2015035463A (ja) * 2013-08-08 2015-02-19 Tdk株式会社 積層型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0514A (ja) 1999-08-20 2001-03-06 Toko Inc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198244A (ja) * 2000-12-27 2002-07-12 Toko Inc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の製造方法
JP3767437B2 (ja) * 2001-09-05 2006-04-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型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4788419B2 (ja) * 2006-03-16 2011-10-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JP4618206B2 (ja) * 2006-07-18 2011-01-26 Tdk株式会社 Lcフィルタ
CN201562517U (zh) * 2009-06-10 2010-08-25 深圳振华富电子有限公司 一种共模滤波器
JP2011091269A (ja) * 2009-10-23 2011-05-06 Taiyo Yuden Co Ltd 積層インダクタ
JP2013135109A (ja) * 2011-12-27 2013-07-08 Panasonic Corp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KR101397488B1 (ko) * 2012-07-04 2014-05-20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코일 부품 및 그의 제조 방법
CN204029521U (zh) * 2014-03-26 2014-12-17 深圳市优创展科技有限公司 一种叠层电感器
JP2016025192A (ja) * 2014-07-18 2016-02-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コイル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7221794A1 (ja) * 2016-06-22 2017-12-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7426A (ja) * 2001-02-09 2002-08-23 Toko Inc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の製造方法
JP2015035463A (ja) * 2013-08-08 2015-02-19 Tdk株式会社 積層型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39584B2 (en) 2019-10-08
CN107527728B (zh) 2021-09-10
US20180367115A1 (en) 2018-12-20
JPWO2017221794A1 (ja) 2019-04-18
WO2017221794A1 (ja) 2017-12-28
KR20190043495A (ko) 2019-04-26
CN107527728A (zh) 2017-12-29
CN206976139U (zh) 201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0765B1 (ko)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JP6837195B2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JP6303123B2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US10090096B2 (en) Common mode choke coil
CN109416970B (zh) 共模噪声滤波器
KR102385508B1 (ko)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JP6235099B2 (ja)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5849241B2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CN112640013A (zh) 共模噪声滤波器
CN108063606A (zh) 层叠型滤波器
CN114334351B (zh) 线圈部件
JP2015111784A (ja) 積層帯域除去フィルタ
JP7182037B2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JP6007399B2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JP2012182286A (ja) コイル部品
JP7378015B2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JPH11283833A (ja) 積層型電子部品
JP2012182285A (ja) コイル部品
TWI833683B (zh) 電路板模組
WO2018047486A1 (ja) 積層トロイダルコイ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3144797A (ja) 電子部品
JP2014216980A (ja) 積層バラン
JP2003069358A (ja) 積層型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