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8411B1 - 토너수납용기, 그것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 Google Patents

토너수납용기, 그것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8411B1
KR100348411B1 KR1019990060272A KR19990060272A KR100348411B1 KR 100348411 B1 KR100348411 B1 KR 100348411B1 KR 1019990060272 A KR1019990060272 A KR 1019990060272A KR 19990060272 A KR19990060272 A KR 19990060272A KR 100348411 B1 KR100348411 B1 KR 100348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container
image forming
discharge port
electrophotographic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0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8335A (ko
Inventor
테라자와세이지
쿠사노테쯔야
무라마쯔사또시
가사하라노부오
오가따-후미오
다마루다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000048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8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8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84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79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for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not directly attached 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4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non-rigid containers, e.g. foldable cartridges, ba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82Bag-type non-rigid con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2/00Dispensing
    • Y10S222/01Xerograph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내에 있어서 토너수납용기와 현상부를 인접 혹은 근접시키지 않아도 설치할 수 있고 레이아웃상의 배치 공간 제약을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토너를 시종 안정하게 배출하여 현상부로 공급할 수 있고 게다가 최후로 남는 토너 양을 종래보다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새로운 토너공급방식에 의한 전자사진화상형성방법과 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에 이용되는 새로운 토너수납용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토너수납용기는 적어도 장척형 물체와 끼워 맞춰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끼워맞춤부를 구비한 토너배출구(13), 저부 및 이들을 연결하는 측벽으로 되며 측벽이 저부로부터 토너배출구를 향하여 축경(縮徑)구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토너수납용기, 그것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토너수납용기,그것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담지체에 형성된 정전잠상(靜電潛像)을 분말체 형상의 토너에 의해 현상(顯像)화하는 현상장치를 구비한 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는 종래로부터 주지한 것이다. 이 화상형성장치는 전자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혹은 이중에서 적어도 2개의 기능을 구비한 복합기 등으로서 구성되지만 그 어느 형식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도 그 현상부에 토너수납용기로부터 토너가 공급되고 그 토너가 현상부에 있어서의 정전잠상의 현상화에 제공된다.
통상 토너수납용기는 화상형성장치 본체 혹은 현상부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토너수납용기내의 토너잔량이 적어졌을 때, 새로운 토너수납용기와 교환된다. 이 토너수납용기는 토너가 충전된 상태에서 화상형성장치본체와는 별개의 독립한 상품으로서 판매되어 고객에게 제공된다.
이 토너수납용기로서 통상 이용되는 것은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7-20705공보에 제시된 바와같이 내부벽과 토너배출구에 걸쳐 나선홈을 구비한 용기로, 그 안에 수납한 토너를 용기를 회전시킴으로써 나선홈을 개재하여 배출하여 현상부로 공급하는 플라스틱 등으로 되는 타입과,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7-281519공보에 제시된 바와같이 토너용기내에 토너배출용 교반기를 구비하고 교반기의 회전에 의해 토너를 교반하여 배출하여 현상부로 공급하는 플라스틱 혹은 두꺼운 종이로 되는 타입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 바, 어느 것이나 용기내에 토너배출기구를 구비한 용기전체가 단단한 (하드 타입이라고 한다)것으로 된 것이다.
이들 용기로부터 토너배출기구에 의해 배출된 토너를 현상부의 호퍼내로 직접 낙하시켜 현상기구로 이송하여 토너화상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내에서는 토너수납용기를 현상부와 인접 혹은 근접하게 배치하지 않으면 안되며, 나아가 토너를 낙하시키는 것을 고려하면 특별한 기구를 취하지 않는 한 이 용기를 현상부의 상측에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어 있다.이와 같은 이유로 화상형성장치내에 배치하는 각 종 수단이나 부품의 레이아웃을 검토하는 경우에 통상 토너수납용기와 현상부는 일체물로 하여 공간을 확보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제약을 초래하고 있다.
나아가 토너수납용기로부터 현상부로의 토너공급이 연속적이고도 안정하게 행해져여 할 필요가 있지만 이들 용기에 의해 현상부로 토너를 공급하는 종래방식은 이 요구를 충분히 만족시키기 않기 때문에 형성되는 화상품질에도 문제가 있고, 게다가 용기내에 수납된 토너의 전체 양이 화상형성에 사용되지 않고 일부 남아 버리는 상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의 조사에 의하면 종래에 이와 같은 문제가 제의 된바 없었으며 아울러 그것을 해결하는 방법 또한 없었다.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내에 있어서 토너수납용기와 현상부를 인접 혹은 근접시키지 않아도 설치할 수 있고 레이아웃상의 배치 공간 제약을 요하지 않는 새로운 토너공급방식에 의한 전자사진화상형성방법과 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에 이용되는 새로운 토너수납용기를 제안하는 것을 제1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토너를 시종 안정하게 배출하여 현상부로 공급할 수 있고 게다가 최후로 남는 토너 양을 종래보다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새로운 토너공급방식에 의한 전자사진화상형성방법과 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에 이용되는 새로운 토너수납용기를 제안하는 것을 제2목적으로 한다.
도1은 화상형성장치 본체내에 장착된 현상부와, 이 현상부로 보급되는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수납용기와 이 양자를 접속하는 토너송출수단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2는 취입방식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
도3a는 노즐의 일례를 나타낸 정면도.
도3b는 노즐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4은 토너수납용기를 노즐과 접속시킨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5a는 도3에 나타낸 노즐의 변형예를 나타낸 표면도.
도5b는 도3에 나타낸 노즐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6은 취입방식에 관한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7은 공기흡인수단으로서 흡인펌프를 이용한 경우의 개념도.
도8은 본 발명의 흡인방식에 이용하는 흡인펌프의 일례를 나타낸 구성의 단면도.
도9는 취입방식과 흡인방식을 병용한 개념도.
도10a은 2개의 스릿을 구비한 탄성부재로 통상체의 입구부를 덮어서 밀착성향상기구로 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10b은 탄성부재를 이용한 다른 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11a은 탄성부재를 이용한 다른 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1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11c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12는 임의의 폭의 판형상 혹은 시이트 형상 또는 패킹재와 같은 탄성부재를 통상체의 내표면 의 주위에 고정하여 밀착성향상기구로 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13은 임의의 폭의 판형상 혹은 시이트 형상 또는 패킹재와 같은 탄성부재를 통상체의 외표면주위에 고정하여 밀착성향상기구로 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14a은 밀착성향상기구의 밀봉부재로서 통상체 단면위에 시이트모양의 재료를 붙인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14b는 그 위로부터 노즐을 누르는 것을 나타낸 설명도.
도14c은 상기 노즐이 시이트모양의 재료를 찢고 삽입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15a는 축경구조부의 면과 통상체 단면이 이루는 각도θ가 좌우 거의 동일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15b는 축경구조부의 면과 통상체 단면이 이루는 각도가 θ1이 약 90。이며θ2이90。보다 작게 설정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16a은 토너수납용기의 입구부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16b는 도16a에 있어서 고착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16c은 토너수납용기의 입구부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17은 통상체의 끼워맞춤부와 고착부사이에 칼라부를 구비한 용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18은 압력조정수단을 주머니부에 구비한 용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19a은 주머니부의 입구부 접속부 근처에 축경부를 구비한 용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119b는 주머니부의 측면에 복수의 축경부를 구비한 용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20은 방해판을 구비한 용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21a은 봉투형의 용기 주머니부 저면에 스윙 홀을 구비한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21b는 봉투형의 용기 주머니부 저면에 스윙 홀을 구비한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21c은 봉투형 용기 주머니부에 손잡이(57)를 구비한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22는 토너수납용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23은 토너수납용기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24은 토너수납용기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25a은 상자형의 6면형의 자세지지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25b는 상기 6면형의 자세지지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26은 충전밀도와 응집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27은 보존온도를 50℃로 행한 경우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28은 본 발명의 토너수납용기에 토너를 충전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
도29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실험장치의 개념도이다.
도30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토너충전밀도와 토너잔량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31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실험장치의 개념도이다.
도32의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토너충전밀도와 토너잔량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33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토너수납용기의 입체형상이다.
도34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토너충전밀도와 토너잔량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35는 횡축에 토너수납용기내의 토너잔량, 종축에 펌프구동 단위시간당 토너배출량을 나타낸 그래프.
도36은 횡축에 토너수납용기내의 토너잔량, 종축에 펌프구동 단위시간당 토너배출량을 나타낸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현상부 2 토너수납용기
2' 주머니부 3 토너송출수단
4 현상용기 5,6 교반스크루
7 현상롤러 8 감광체
10 공기펌프 11,41 노즐
12 토너송출관 12-1 토너송출관(A)
12-2 토너송출관(B) 13-1 토너송출구
13 토너배출구 13' 입구부
14 공기공급관 15 토너배출용 개구(開口)
16 토너배출관부 17 노즐외벽부
18 취입공기 유로관부 20 밀착성향상기구
21 펌프 22 토너공급튜브
23 토너송입구 24 접속부재
25 필터 26 탄성부재
26-a 스릿 28 케이싱
29 회전축 30 흡인펌프
31 속이 빈 탄성부재 31-1 구멍
32 필터 33 공기도입관
34 송출관 35 송출관
36 토너흡인관 38 압력조정수단
53 축경(縮徑)부 54 방해판
56 스윙부 57 손잡이
65 전자천평 66 비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1의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는,토너배출구를 구비하는 토너수납용기에 있어서,상기 토너배출구가 장척형 물체와 끼워 맞춰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끼워맞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청구항2의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1에 있어서, 끼워맞춤부가 통상체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청구항3의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는 적어도 토너배출구, 저부 및 이들을 연결하는 측벽으로 되며 측벽이 저부로부터 토너배출구를 향하여 축경(縮徑)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청구항4의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3에 있어서,축경구조부를 형성하는 측벽의 면과 토너배출구의 통상체의 단면이 이루는 각도가 약 45°∼9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청구항5의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3에 있어서, 저부 또는 측벽에 압력조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청구항6의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는 통상체구조의 토너배출구를 구비하는 토너수납용기로,상기 토너배출구가 장척형 물체와 끼워 맞춰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끼워맞춤부를 구비하고 토너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청구항7의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6에 있어서,충전된 토너의 중량(g)을 이 토너수납용기의 용적(㎤)으로 나눈 값을 토너충전밀도로 한 경우, 이 토너충전밀도가 0.7g/㎤이하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청구항8의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7에 있어서,토너배출구가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청구항9의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8에 있어서,밀봉을 뚜껑으로 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0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8에 있어서,통상체의 단면위에 시이트 재료를 붙여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1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7에 있어서,화상형성장치의 현상부로의 토너공급이 공기류로 행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12의 토너수납용기는 통상체구조의 토너배출구를 구비하는 토너수납용기로,상기 토너배출구가 장척형 물체와 끼워 맞춰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끼워맞춤부를 구비하고 또한 이 끼워맞춤부와 장척형물체를 끼워 맞추었을 때에 양자간의 밀착성을 높이는 성질을 갖는 기구(이후, 밀착성향상기구라고 한다)를 끼워맞춤부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3의 토너수납용기는청구항12에 있어서,통상체자체를 가공하여 표면에 밀착성 향상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4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12에 있어서,끼워맞춤부가 통상체와 그 내부에 밀착성 향상기구를 구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5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12에 있어서,끼워맞춤부가 통상체와 그외부표면에 밀착성 향상기구를 구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6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12에 있어서,밀착성 향상기구가 탄성부재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7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14에 있어서,밀착성 향상기구가 탄성부재로 되며, 탄성부재가 통상체의 단면내부를 덮는 크기의 판형상으로 그 두께방향으로 스릿이 형성된 것으로, 이 탄성부재를 적어도 한 개의 통상체내부에 끼워넣고 동시에 통상체 내표면에 접착하여 밀착성향상기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8의 토너수납용기는청구항12에 있어서,적어도 토너배출구, 저부 및 이들을 연결하는 측벽으로 되며 측벽이 저부로부터 토너배출구를 향하여 축경(縮徑)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9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12에 있어서,축경구조부를 형성하는 측벽의 면과 토너배출구의 통상체의 단면이 이루는 각도가 약 45°∼9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20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18에 있어서,저부가 4각형으로, 측벽을 형성하는 4개 면중에서 적어도 1개 면과 토너배출구의 통상체의 단면이 이루는 각도가90°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21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12에 있어서,저부 또는 측벽에 압력조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22의 토너수납용기는장척형 물체와 끼워 맞춰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끼워맞춤부를 구성요소로 하는 토너배출구를 구비하는 토너수납용기로, 이 끼워맞춤부와 장척형물체를 끼워 맞추었을 때에 양자간의 밀착성을 높이는 성질을 갖는 기구(이후, 밀착성향상기구라고 한다)를 끼워맞춤부에 구비하고, 토너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23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22에 있어서,충전된 토너의 중량(g)을 이 토너수납용기의 용적(㎤)으로 나눈 값을 토너충전밀도로 한 경우, 이 토너충전밀도가 0.7g/㎤이하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24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22 또는 청구항23에 있어서,토너배출구가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25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24에 있어서,통상체의 단면내부를 덮는 크기의 판 형상으로 그 두께방향으로 스릿이 형성된 탄성부재를 통상체 내표면에 접착시켜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26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24에 있어서,밀봉을 뚜껑으로 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27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24에 있어서,통상체의 내표면 또는 외표면에 형성된 나사 홈에 뚜껑에 형성한 나사홈을 장착하여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28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24에 있어서,통상체의 단면위에 시이트 재료를 붙여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29의 토너수납용기는청구항22 내지 24에 있어서,화상형성장치의 현상부로의 토너공급이 공기류로 행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30의 토너수납용기는 유연성 재료로 형성되는 주머니부분과 토너배출구로 되며, 이 토너배출구가 장척형의 물체와 끼워맞추어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끼워맞춤부를 구비하고, 공기 압력에 의해 변형하여 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나아가 청구항31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30에 있어서,유연성 재료의 두께가 약 20㎛∼20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32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30 또는 청구항31에 있어서,유연성 재료가 수지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33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30에 있어서,토너배출구가 주머니부분에 구비한 개구부와 고착시키는 부분(고착부라고 한다)와 상기 끼워맞춤부로부터 되는 통상체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34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33에 있어서,통상체의 고착부 선단부를 시점으로 하는 선단부 근처의 주머니부분의 벽이 통상체의 고착부 외벽과 거의 평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35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33에 있어서,통상체를 구성하는 끼워맞춤부의 내경이 고착부의 내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나아가 청구항36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33에 있어서,통상체의 고착부 단면이 선형(船型)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37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33에 있어서,통상체의 끼워맞춤부와 고착부 사이에서 통상체의 단면과 거의 평행으로 칼라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38의 토너수납용기는청구항33에 있어서,통상체의 끼워맞춤부와 고착부가 분리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39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30에 있어서,적어도 토너배출구, 저부 및 이들을 연결하는 측벽으로 되며 측벽이 저부로부터 토너배출구를 향하여 축경(縮徑)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40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39에 있어서,축경구조부를 형성하는 측벽의 면과 토너배출구의 통상체의 단면이 이루는 각도가 약 45°∼9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41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39에 있어서,저부가 4각형으로, 측벽을 형성하는 4개 면중에서 적어도 1개 면과 토너배출구의 통상체의 단면이 이루는 각도가90°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42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39에 있어서,저부 또는 측벽에 압력조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43의 토너수납용기는 유연성재료로 형성되는 주머니부와 토너배출구로 되며, 이 토너배출구가 장척형 물체와 끼워 맞춰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끼워맞춤부를 구비하고, 공기 압력에 의해 변형하여 용량이 변화하는 토너수납용기로, 토너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44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43에 있어서,토너배출구가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45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44에 있어서,통상체의 단면내부를 덮는 크기의 판 형상으로 그 두께방향으로 스릿이 형성된 탄성부재를 통상체 내표면에 접착시켜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46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44에 있어서,밀봉을 뚜껑으로 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47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44에 있어서,통상체의 내표면 또는 외표면에 형성된 나사 홈에 뚜껑에 형성한 나사홈을 장착하여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48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44에 있어서,통상체의 단면위에 시이트 재료를 붙여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수납용기.
나아가 청구항49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43에 있어서,주머니부가 그 자세를 유지하는 수단으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50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49에 있어서,자세지지수단이 주머니부분의 전 둘레를 싸는 상자 형의 부재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51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43에 있어서,화상형성장치의 현상부로의 토너공급을 공기류로 행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52의 토너수납용기는 유연성재료로 형성되는 주머니부와 토너배출구로 되며, 이 토너배출구가 장척형 물체와 끼워 맞춰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끼워맞춤부를 구비하고, 공기 압력에 의해 변형하여 용량이 변화하는 토너수납용기로, 이 용기에 토너가 충전되고, 충전된 토너의 중량(g)을 이 토너수납용기의 용적(㎤)으로 나눈 값을 토너충전밀도로 한 경우, 이 토너충전밀도가 0.7g/㎤이하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53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52에 있어서,토너배출구가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54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53에 있어서,통상체의 단면내부를 덮는 크기의 판 형상으로 그 두께방향으로 스릿이 형성된 탄성부재를 통상체 내표면에 접착시켜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55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53에 있어서,밀봉을 뚜껑으로 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56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53에 있어서,통상체의 내표면 또는 외표면에 형성된 나사 홈에 뚜껑에 형성한 나사홈을 장착하여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57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53에 있어서,통상체의 단면위에 시이트 재료를 붙여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58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52에 있어서,주머니부가 그 자세를 유지하는 수단으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59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58에 있어서,자세지지수단이 주머니부분의 전 둘레를 싸는 상자 형의 부재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60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52에 있어서,화상형성장치의 현상부로의 토너공급을 공기류로 행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61의 토너수납용기는 유연성재료로 형성되는 주머니부와 토너배출구로 되며, 이 토너배출구가 장척형 물체와 끼워 맞춰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끼워맞춤부를 구비하고, 공기 압력에 의해 변형하여 용량이 변화하는 토너수납용기로, 토너가 충전되고, 토너수납용기의 최대용적을 Cmax, 토너를 충전하여 봉한 후의 용적을 Ctoner + Cair(Ctoner:토너가 점한 용적, Cair:공기가 점한 용적)로 했을 때,
(Cmax)-{(Ctoner) + (Cair)}≥0.1×(Cair)
을 만족하도록 토너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62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61에 있어서,충전된 토너의 중량(g)을 이 토너수납용기의 용적(㎤)으로 나눈 값을 토너충전밀도로 한 경우, 이 토너충전밀도가 0.7g/㎤이하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63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61 또는62에 있어서,토너배출구가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64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63에 있어서,통상체의 단면내부를 덮는 크기의 판 형상으로 그 두께방향으로 스릿이 형성된 탄성부재를 통상체 내표면에 접착시켜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65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63에 있어서,밀봉을 뚜껑으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66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63에 있어서,통상체의 내표면 또는 외표면에 형성된 나사 홈에 뚜껑에 형성한 나사홈을 장착하여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67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63에 있어서,통상체의 단면위에 시이트 재료를 붙여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68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61 또는 62에 있어서,주머니부가 그 자세를 유지하는 수단으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69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68에 있어서,자세지지수단이 주머니부분의 전 둘레를 싸는 상자 형의 부재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70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61 또는 62에 있어서,화상형성장치의 현상부로의 토너공급을 공기류로 행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71의 토너수납용기는 유연성재료로 형성되는 주머니부와 토너배출구로 되며, 이 토너배출구가 장척형 물체와 끼워맞추어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끼워맞춤부를 구비하고 또한 끼워맞춤부와 장척형물체를 끼워 맞추었을 때에 양자간의 밀착성을 높이는 밀착성향상기구를 끼워맞춤부에 구비하고,공기 압력에 의해 변형하여 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72의 토너수납용기는청구항71에 있어서,토너배출구가 통상체이며, 이 통상체자체를 가공하여 표면에 밀착성 향상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73의 토너수납용기는청구항71에 있어서,끼워맞춤부가 통상체와 그 내부에 밀착성 향상기구를 구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나아가 청구항74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71에 있어서,끼워맞춤부가 통상체와 그 외부표면에 밀착성 향상기구를 구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75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71에 있어서,밀착성 향상기구가 탄성부재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76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73에 있어서,밀착성 향상기구가 탄성부재로 되며, 탄성부재가 통상체의 단면내부를 덮는 크기의 판형상으로 그 두께방향으로 스릿이 형성된 것으로, 이 탄성부재를 적어도 한 개의 통상체내부에 끼워넣고 동시에 통상체 내표면에 접착하여 밀착성향상기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77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71에 있어서,유연성 재료의 두께가 약 20㎛∼20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78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71 또는 청구항77에 있어서,유연성 재료가 수지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79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71에 있어서,토너배출구가 주머니부에 구비한 개구부와 고착시키는 부분(고착부라고 한다)과 상기 끼워맞춤부로부터 되는 통상체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80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79에 있어서,통상체의 고착부 선단부를 시점으로 하는 선단부 근처의 주머니부 벽이 통상체의 고착부 외벽과 거의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81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79에 있어서,통상체를 구성하는 끼워맞춤부의 내경이 고착부의 내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82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79에 있어서,통상체의 고착부 단면이 선형(船型)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83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79에 있어서,통상체의 끼워맞춤부와 고착부 사이에서 통상체의 단면과 거의 평행으로 칼라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84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79에 있어서,통상체의 끼워맞춤부와 고착부가 분리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85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71에 있어서,적어도 토너배출구, 저부 및 이들을 연결하는 측벽으로 되며 측벽이 저부로부터 토너배출구를 향하여 축경(縮徑)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86의 토너수납용기는청구항85에 있어서,축경구조부를 형성하는 측벽의 면과 토너배출구의 통상체의 단면이 이루는 각도가 약 45°∼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나아가 청구항87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85에 있어서,저부가 4각형으로, 측벽을 형성하는 4개 면중에서 적어도 1개 면과 토너배출구의 통상체의 단면이 이루는 각도가90°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88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85에 있어서,저부 또는 측벽에 압력조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89의 토너수납용기는 유연성재료로 형성되는 주머니부와 토너배출구로 되며, 이 토너배출구가 장척형 물체와 끼워 맞춰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끼워맞춤부를 구비하고, 또한 이 끼워맞춤부와 장척형물체를 끼워 맞추었을 때에 양자간의 밀착성을 높이는 밀착성향상기구를 끼워맞춤부에 구비하고,공기 압력에 의해 변형하여 용량이 변화하는 토너수납용기로, 토너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90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89에 있어서,토너배출구가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91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90에 있어서,통상체의 단면내부를 덮는 크기의 판 형상으로 그 두께방향으로 스릿이 형성된 탄성부재를 통상체 내표면에 접착시켜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92의 토너수납용기는청구항90에 있어서,밀봉을 뚜껑으로 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93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90에 있어서,통상체의 내표면 또는 외표면에 형성된 나사 홈에 뚜껑에 형성한 나사홈을 장착하여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94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90에 있어서,통상체의 단면위에 시이트 재료를 붙여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95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89에 있어서,주머니부가 그 자세를 유지하는 수단으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96의 토너수납용기는청구항95에 있어서,자세지지수단이 주머니부분의 전 둘레를 싸는 상자 형의 부재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97의 토너수납용기는청구항91에 있어서,화상형성장치의 현상부로의 토너공급을 공기류로 행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98의 토너수납용기는 유연성재료로 형성되는 주머니부와 토너배출구로 되며, 이 토너배출구가 장척형 물체와 끼워 맞춰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끼워맞춤부를 구비하고, 이 끼워맞춤부와 장척형물체를 끼워 맞추었을 때에 양자간의 밀착성을 높이는 밀착성향상기구를 끼워맞춤부에 구비하고, 공기 압력에 의해 변형하여 용량이 변화하는 토너수납용기로, 이 용기에 토너가 충전되고, 충전된 토너의 중량(g)을 이 토너수납용기의 용적(㎤)으로 나눈 값을 토너충전밀도로 한 경우, 이 토너충전밀도가 0.7g/㎤이하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99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98에 있어서,토너배출구가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00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99에 있어서,통상체의 단면내부를 덮는 크기의 판 형상으로 그 두께방향으로 스릿이 형성된 탄성부재를 통상체 내표면에 접착시켜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01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99에 있어서,밀봉을 뚜껑으로 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02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99에 있어서,통상체의 내표면 또는 외표면에 형성된 나사 홈에 뚜껑에 형성한 나사홈을 장착하여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03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99에 있어서,통상체의 단면위에 시이트 재료를 붙여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04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98에 있어서,주머니부가 그 자세를 유지하는 수단으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05의 토너수납용기는청구항104에 있어서,자세지지수단이 주머니부분의 전 둘레를 싸는 상자 형의 부재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07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98에 있어서,화상형성장치의 현상부로의 토너공급을 공기류로 행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107의 토너수납용기는 유연성재료로 형성되는 주머니부와 토너배출구로 되며, 이 토너배출구가 장척형 물체와 끼워 맞춰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끼워맞춤부를 구비하고, 또한 이 끼워맞춤부와 장척형물체를 끼워 맞추었을 때에 양자간의 밀착성을 높이는 밀착성향상기구를 끼워맞춤부에 구비하고, 공기 압력에 의해 변형하여 용량이 변화하는 토너수납용기로, 토너가 충전되고, 토너수납용기의 최대용적을 Cmax, 토너를 충전하여 봉한 후의 용적을 Ctoner + Cair(Ctoner:토너가 점한 용적, Cair:공기가 점한 용적)로 했을 때,
(Cmax)-{(Ctoner) + (Cair)}≥0.1×(Cair)
을 만족하도록 토너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08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107에 있어서,충전된 토너의 중량(g)을 이 토너수납용기의 용적(㎤)으로 나눈 값을 토너충전밀도로 한 경우, 이 토너충전밀도가 0.7g/㎤이하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09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107 또는108에 있어서,
토너배출구가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10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109에 있어서,통상체의 단면내부를 덮는 크기의 판 형상으로 그 두께방향으로 스릿이 형성된 탄성부재를 통상체 내표면에 접착시켜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11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109에 있어서,밀봉을 뚜껑으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12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109에 있어서,통상체의 내표면 또는 외표면에 형성된 나사 홈에 뚜껑에 형성한 나사홈을 장착하여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13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109에 있어서,통상체의 단면위에 시이트 재료를 붙여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14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107에 있어서,주머니부가 그 자세를 유지하는 수단으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15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114에 있어서,자세지지수단이 주머니부분의 전 둘레를 싸는 상자 형의 부재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16의 토너수납용기는 청구항61 또는 62에 있어서,화상형성장치의 현상부로의 토너공급을 공기류로 행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117의 토너충전방법은 유연성재료로 형성되는 주머니부와 토너배출구로 되며, 공기 압력에 의해 변형하여 용량이 변화하는 토너수납용기에 토너를 충전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토너수납용기의 주머니부를 미리 감용(減容)시킨 상태에서 토너 충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18의 토너충전방법은 토너수납용기의 공기를 빼면서 토너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19의 전자사진형성방법은 현상부를 구비하고 있는 화상형성장치내에토너가 충전된 토너수납용기를 설치하고, 토너수납용기와 현상부 사이에 토너송출통로를 형성하고, 공기류에 의해 토너를 토너수납용기로부터 토너송출통로내를 통하여 현상부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20의 전자사진형성방법은 청구항119에 있어서,적어도 토너 공급중은 토너송출통로가 실질 밀페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21의 전자사진형성방법은 청구항119에 있어서,상기 토너송출통로가 토너수납용기의 배출구와 현상부를 장척형의 토너송출수단으로 접속함으로써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22의 전자사진형성방법은 청구항121에 있어서,토너송출수단이 적어도 공기류형성수단으로 되며, 이 공기류형성수단을 가동하여 상기 공기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23의 전자사진형성방법은 청구항122에 있어서,공기류형성수단이 공기 흡인수단 및/또는 공기취입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24의 전자사진형성방법은 청구항119에 있어서,토너수납용기가 통상체구조의 토너배출구를 구비하고 동시에 이 통상체에 밀착성향상기구가 구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25의 전자사진형성장치는 화상형성수단내에 현상부와 장척형의 토너송출수단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수단로, 현상부와 토너송출수단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26의 전자사진형성장치는 청구항125에 있어서,토너송출수단이 적어도 공기류형성수단과 토너송출관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27의 전자사진형성장치는청구항126에 있어서,공기류형성수단이 공기흡인수단 및/또는 공기취입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28의 전자사진형성장치는청구항126에 있어서,공기류형성수단이 공기송출구를 구비하는 공기취입수단으로, 이 공기송출구에 공기 공급관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29의 전자사진형성장치는 청구항128에 있어서,토너송출수단이 공기취입수단, 노즐 및 토너송출관으로 주로 되어 있고, 이 노즐이 그것을 관통하는 토너배출관부와 공기 유로관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공기취입수단의 상기 공기송출구와 이 공기공기공급관에 개재하여 접속되고 또한 이 토너배출관부는 토너송출관의 일단부와 접속되며 이 토너송출관의 타단부가 현상부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30의 전자사진형성장치는 청구항129에 있어서,토너송출수단이 나아가 공기흡인구와 공기배출구를 구비하는 공기흡인수단을 구비하고, 이 공기흡인구가 상기 토너배출관부와 직접 또는 토너송출관A을 개재하여 접속되고 동시에 이 공기배출구가 현상부와 직접 또는 토너송출관B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31의 전자사진형성장치는 청구항130에 있어서,통상체 구조의 토너배출구를 구비하고, 토너가 충전되어 있는 토너수납용기의 토너배출구의 통상체부와 노즐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32의 전자사진형성장치는청구항131에 있어서,토너수납용기의 토너배출구의 통상체에 밀착성향상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133의 전자사진형성장치는 공입취입수단과 현상부가 탑재되고, 동시에 공기취입구와 통상체 구조의 토너배출구를 구비하고 토너가 충전되어 있는 토너수납용기가 장착된 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로, 공기취입수단과 공기취입구 및 토너배출구와 현상부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34의 전자사진형성장치는 청구항127에 있어서,공기류형성수단이 토너흡인구와 공기배출구를 구비하는 공기흡인수단으로, 이 토너흡인구에 토너송출관A이 접속되고 동시에 이 토너배출구가 현상부와 직접 혹은 토너송출관B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35의 전자사진형성장치는청구항134에 있어서,토너송출관A의 토너흡인구와 접속되어 있지 않는 단부에 밀착성 향상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36의 전자사진형성장치는 청구항135에 있어서,통상체 구조의 토너배출구를 구비하고 토너가 충전되어 있는 토너수납용기의 토너배출구의 통상체부와, 토너송출관A의 토너흡인구에 접속되어 있지 않는 단부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137의 전자사진형성장치는 청구항136에 있어서,토너수납용기의 토너배출구의 통상체에 밀착성 향상기구가 구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화상형성장치 본체내에 장착된 현상부(1)와, 이 현상부(1)로 보급되는토너를 수용하는 토너수납용기(2)와 이 양자를 접속하는 토너송출수단(3)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1에 일례로서 나타낸 현상부(1)는 토너와 캐리어를 혼합하여 되는 분말체 형상의 2성분계 현상제D를 수용한 현상용기(4)와, 그 현상제D를 교반하여 혼합하는 제1 및 제2의 교반스크루(5,6)와, 현상롤러(7)를 구비하고 있고, 당해 현상롤러(7)가 잠상담지체의 감광체(8)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감광체(8)는 도1에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구동되어 그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의 교반스크루(5,6)가 회전함으로써 현상용기(4)내의 현상제D가 교반되고 그 토너를 캐리어가 상호 역극성으로 마찰하여 대전된다. 이 현상제D가 화살표방향으로 회전구동되는 현상롤러(7)의 둘레면에 공급되고 그 공급된 현상제는 현상롤러(7)의 둘레면에 담지되고 당해 현상롤러(7)의 회전에 의해 그 회전방향으로 이송된다. 다음 이 이송된 현상제는 독터 블레이드(9)에 의해 양이 규제되고, 규제후의 현상제가 감광체(8)와 현상롤러(7) 사이의 현상영역으로 운반되며, 여기서 현상제중의 토너가 감광체표면의 정전잠상으로 정전적으로 이행하여 그 정전잠상이 토너상으로서 현상화된다.
미도시한 토너농도센서에 의해 현상용기(4)내의 현상졔D의 토너농도가 저하한 것이 검지되면 화상형성장치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세트된 토너수납용기(2)내의 토너가 현상용기(4)내로 보급되고, 이것에 의해 현상용기(4)내의 현상제D의 토너농도가 일정한 범위내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새로운 토너공급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이 토너공급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이 토너수납용기와 현상부 사이에 토너이송통로를 구비하고 그 사이를 공기류에 따라 토너를 현상부로 공급하는 것이다.
이 방식에 의하면 토너수납용기와 현상부를 이간(離間)하여 배치해도 토너를 현상부로 공급할 수 있다.
나아가 이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 토너이송통로는 적어도 토너를 현상부로 공급하고 있는 사이는 가능한 한 높은 밀폐상태로 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가능한 한 높은 밀폐상태, 즉 실질 밀폐상태라는 것은 상기 토너이송통로로부터 토너가 실질적으로 누출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토너이송통로는 토너수납용기와 현상부를 장척형의 토너송출수단으로 접속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실질밀폐상태는 이 토너송출수단의 일단부와 토너수납용기의 배출구의 접촉부로부터 토너송출수단의 타단부와 현상부의 접속부까지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것이다.
높은 밀폐상태를 확보하는 데는 각 부품간의 접속상태에 유의할 필요가 있지만 특히 토너송출수단의 일단부와 토너수납용기 배출구와의 접속부의 영향이 커서 이 접속부가 가능한 한 밀착하여 있는 것이 중요한 것이 판명되어 본 발명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접속부의 기밀성 향상책에 대해 검토했다.
상기 토너송출수단은 적어도 공기류를 형성하는 수단(공기류형성수단이라고 한다)과 토너송출관으로 되며 이 토너송출관이 가늘고 긴 것이기 때문에 토너송출수단 전체를 장척(長尺)형으로 표현하지만 그 길이는 임의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토너송출수단이라는 것은 토너수납용기로부터 토너를 배출하여 현상부로공급하기 위해 관여하고 동시에 용기와 현상부 사이에 존재하도록 한 공기류형성수단이나 토너송출관과 같은 부품을 상호 접속하여어 얻어진 것의 총칭이며, 또 이와 같이 하여 접속함에 의해 형성되어 토너를 통과시키는 통로를 토너이송통로라고 한다.
이 공기류형성수단에는 예컨대 공기 펌프와 같이 용기내로 공기를 불어 넣는 수단(공기취입수단이라고 함)과 예컨대 흡인펌프와 같이 용기내 공기를 흡인하는 수단(공기흡인수단이라고 한다)이 포함된다. 이 공기류형성수단을 가동시키면 토너이송통로내에 현상부를 향한 일방향의 공기류가 형성되고 토너는 이 공기류를 따라 이 송류통로내를 통하여 도중에 체류함이 없이 또한 체류시킬 필요없이 현상부로 공급한다. 이 공기류형성수단의 가동을 조정함으로써 공기류의 강도를 조정하여 공급하는 토너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새로운 토너공급방식을 이하의 3개 구체예에 근거하여 설명하지만 이 예에 따라 토너송출수단, 그것을 구성하는 부품 및 토너이송통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토너용기내로 공기를 불어 넣어 토너를 밀어내는 방식(취입 방식)
2) 용기내의 토너를 공기와 함께 흡인하여 내는 방식(흡인 방식)
3) 상기 취입방식과 흡인방식을 병용한 방식
우선 취입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도2는 취입방식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 예에 있어서 토너송출수단(3)은 공기취입수단으로서의 취입용 공기펌
프(10)외에 노즐(11), 토너송출관(12) 및 공기 공급관(14)으로 되며, 이들 토너송출관(12) 및 공기 공급관(14)이 각각 토너수납용기, 취입용 공기펌프, 노즐 및 현상부를 접속하고 있다.
이 토너송출관과 공기공급관의 칫수 및 재질은 임의로 할 수 있어 한정되지 않지만 토너수납용기와 취입용 공기펌프와 현상부 각각의 배치를 자유로 하여 상하 좌우 임의의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는 데는 유연한 것이 바람직하다.
유연성이 있는 튜브는 예컨대 직경이 4∼10mm의 것으로, 예컨대 폴리우레탄, 니트릴, EPDM, 실리콘 등과 같이 내토너성이 뛰어난 고무재료로 만들어 진 것을 이용하는 것이 극히 유효하다.
도3은 노즐(11)의 일례를 나타내고, 도3a은 정면도, 도3b이 단면도이다.
이 노즐은 플라스틱 혹은 금속과 같은 재료로 작성된 통상체(筒狀體)로, 이 통상체의 길이 방향으로 내장된 토너배출관부(16)과 취입공기 유로관부(18)가 통상체의 양단면 또는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예의 노즐은 토너배출관부(16)의 일단측에 토너배출용의 개구(15)가 구비되고, 이 취입공기 유로관부(18)는 이 토너배출관부(16)의 주위를 고리형으로 둘러 싸도록 형성되어 이들이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이 노즐의 외벽부(17)는 토너배출관부의 일단부에 구비된 상기 토너배출용의 개구(15)가 토너수납용기의 토너수납부내에 위치하도록 토너수납용기의 토너배출구를 구성하는 끼워맞춤부와 접속된다. 이 끼워맞춤부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개구(15)가 없는 토너배출관(16)의 돌출한 단부는 토너송출관(12)과 접속됨과 동시에 이 토너송출관(12)의 타단측은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부(1)의 토너송입구(23)에 고정된 접속부재(24)에 접속된다. 이 접속부재(24)에는 공기를 통과하고 토너를 투과하지 않는 필터(25)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취입공기 유로관부(18)의 돌출한 타단부는 공기공급관(14)과 접속되고, 공기 공급관(14)의 타단부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된 공기취입수단으로서의 공기펌프(10)의 공기 유출구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노즐(11)이 토너수납용기(2)의 토너배출구(13)와 끼워 맞추어지고, 토너배출관(16)과 현상부(1)의 접속부재(24)가 토너송출관(12)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토너이송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도4는 토너수납용기를 상기 노즐(11)과 접속시킨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여기서 나타낸 토너수납용기는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가능한 것의 일례이며 용기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토너수납용기(2)의 배출구(13)를 하향으로 하여 이 배출구에 형성된 밀착성을 높이는 기구(26)중에 노즐(11)의 일단측, 즉 선단부를 삽입하여 끼워 맞추고 있다.
이 예의 토너수납용기(2)에서는 배출구(13)인 통상체의 내표면의 공간을 메우는 크기 또한 도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리 스릿(12)이 형성된 판형상의 탄성부재를 고정하여 밀착성을 높이는 기구(20)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고정된 탄성부재는 스릿이 형성되어 있어도 용기로부터 토너를 새지 않게 하는 효과를 가져옴과 동시에 노즐(11)의 선단측이 용기(2)내로 돌출하도록 하여 삽입하면 이 탄성부재가 변형하여 노즐(11)과 탄성부재와의 틈새가 없어져전체로서 기밀성이 유지되며 공기류에 의한 토너이송을 확실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용기(2)내에 공기가 공급되면 그 내부의 분말체의 토너가 유동화하고 게다가 용기(2)내의 압력이 높아진다. 이 때문에 그 압력이 상승하는 분 유동화한 토너가 토너배출관(16)의 토너배출구(13)를 통하여 토너수납용기(2)의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된 토너는 공기와 함께 토너배출관부(16) 내로 이송되며 도1에 나타낸 현상부(1)의 접속부재(24)로 이송되어 다음에 토너입구(23)로부터 현상용기(3)내로 공급된다.
이 때, 토너와 공기의 혼합기중의 공기만이 필터(25)를 통과하여 외부로 유출한다. 어느 시간 공기펌프(10)가 작동한 후 그 작동이 정지된다. 이와 같은 동작이 현상장치(1)에 수용된 현상제D의 토너농도저하가 검지될 때마다 행해지고 이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D의 토너농도가 일정한 범위내로 유지된다.
도5a과 도5b는 도3에 나타낸 노즐의 변형예이며, 이 도면의 번호는 도3a,도3b와 동일한 것임을 의미하고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낸 노즐은 도3a,도3b의 것과는 달리 토너배출관부(16)와 공기 유로관부(18)는 독립으로 또한 거의 평형으로 구비되어 노즐로서 일체화된 것이다.
토너배출관부(16)와 공기유로관부(18)를 지지하는 노즐은 내부가 공간인 것이든 내부가 가득찬 기둥형상의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취입방식의 다른 예로서 미도시했지만 토너수납용기 자체에 토너배출구와 공기취입구인 2개의 구멍을 구비하고 토너배출구의 통상구조체와 토너송출관(12)을 직접 끼워맞추고, 이 취입구가 공기공급관을 개재하여 공기펌프와 접속되고, 이 취입구로부터 공기펌프에 의해 공기를 불어 넣어 토너를 토너배출구로부터 토너송출관을 통과하여 현상부로 이송할 수 있다.
취입방식에 관한 구체적인 예를 개념도6에 의해 나타낸다.
이상 서술한 취입방식은 용기내에서 토너가 장기간 보존되어 설사 응집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라도 그것을 풀어서 유동화시키는 데에 유효하므로 특히 토너의 배출을 안정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뛰어난 방식이다.
다음에 흡인방식에 관하여 일례를 들어 설명한다.
도7은 공기흡인수단으로서 흡인펌프를 이용한 경우의 개념도이다.
이 예의 흡인방식의 특징은 토너수납용기(2)와 현상부(1)의 사이에 흡인수단으로서의 흡인펌프(30)을 배치하여 각각을 토너송출관에 의해 접속하고 이 흡인펌프에 따라 토너를 용기로부터 끌어 내어 공기류와 함께 토너를 현상부로 공급하는 것이며, 공기취입을 행하지 않는 이외는 취입방식과 거의 같다.
도8은 본 발명의 흡인방식에 이용하는 흡인펌프의 일례를 나타낸 구성의 단면도이다.
이 흡인펌프(30)는 이른바 모오노펌프로 불리우는 흡인형 일축편심스크루 펌프로 되며, 내벽에 옅은 나선홈을 가지는 케이싱(28)내에 토션 바(Totion bar)로 되는 회전축(29)이 구비된 흡인펌프본체(30)와, 흡인펌프본체(30)의 배출측에 설치되어 공기도입관(33)과 송출관(34)을 구비하는 송출부(35)를 구비한다. 펌프본체(30)의 흡인측은 토너흡인구를 구비하는 토너흡인관(36)을 토너송출관(12-1)(토너송출관A)을 개재하여 토너수납용기(2)의 배출구(13)에 접속되고, 송출부(35)의 공기배출구를 구비하는 공급관(34)은 토너송출관(12-2) (토너송출관B)을 개재하여 현상부(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흡인펌프와 현상부의 접속은 토너송출관B를 개재하지 않고 직접 접속해도 좋다.
특히 흡인펌프를 이용하는 방식의 경우, 토너수납용기와 아주 멀리 떨어져 있는 위치에 설치해도 충분히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예의 흡인방식에 있어서는 토너송출관(12-1, 12-2) 및 흡인펌프에 의해 토너송출수단이 구성되며 또한 토너송출관(12-1), 흡인펌프내의 흡인관(36)과 송출관(34) 및 토너송출관(12-2)에 의해 토너송출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토너수납용기(2)의 배출구(13)와 흡인펌프(30)와 현상부(1)가 각각 접속되어 형성되는 토너송출통로는 가능한 한 틈새가 없는 접속상태로 될 것, 즉 밀폐상태로 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토너수납용기(2)의 배출구(13)와 토너송출관(12-1)의 접속부가 밀폐상태로 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접속상태에서 흡인펌프(30)의 송출부(35)에 공기도입관(33)으로부터 소정압력의 공기를 공급하면서 펌프본체(30)의 회전축(29)을 회전한다. 이 회전축(29)의 회전에 의해 케이싱(28)과의 사이의 공간이동에 의해 토너수납용기(2)에 수납된 토너가 토너흡인구를 통하여 흡인되어 토너를 압축함이 없이 송출부(35)로 이송된다. 송출부(35)로 이송된 토너는 공기도입관(33)으로부터 보내온 공기류에 의해 확산되어 유동화하고, 송출관(34)의 공기배출구로부터 토너송출관(12-2)을 통하여 현상부(2)로 공급된다.
흡인방식은 펌프의 회전수와 회전시간을 조절하여 토너의 배출량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특히 토너의 공급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점에서 뛰어난 방식이다.
또한 본 발명의 토너수납용기의 일종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연성 재료로 형성되는 주머니 부분과 토너배출구로부터 되며, 공기 압력에 의해 변형하여 용량이 변화하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용기를 흡인방식에 적용하는 경우, 흡인하면 주머니를 구성하는 유연성 재료 사이에서 상호 밀착해 버려 토너가 배출할 수 없게 되는 것이 우려된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이 확인한데 의하면 공기흡인수단을 가동하면 용기의 중앙부로부터 우선 흡인되어 그 부분의 토너가 배출됨과 동시에 벽면에 토너가 정체하여 중앙부에 공간이 형성된 상태로 되며 나아가 흡인을 계속하면 용기의 벽면이 차츰차츰 오목 볼록이 생기고 모 난 상태로 변화하면서 벽면에 정체한 토너가 중앙부의 공간으로 떨어져 용기밖으로 배출되고 이것을 반복해서 용기내의 토너를 남김 없이 배출하여 문제가 없음이 판명되었다.
다음에 제3의 병용식에 관해 일례를 들어 설명한다.
이 방식은 취입방식과 흡인방식을 병용한 것이며, 상기 설명한 취입방식에 있어서 토너송출관(12)과 현상부(1)의 사이에 예컨대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인펌프(30)를 배치한 것이며, 도9는 그 개념도이다.
따라서 이 예에 있어서의 토너송출수단은 상기 설명한 취입방식에 있어서 흡인펌프를 추가하는 이외는 동일하다.
이와 같이 배치하고 접속하여 흡인펌프(30)를 작동시키면 노즐(11)을 구성하는 토너배출관부(16)의 토너배출용의 개구(15)로부터 토너가 흡인된다. 이 때 동시에 공기펌프(10)를 작동시켜서 공기 출구(19)로부터 토너수납용기(2)내로 공기를 보낸다.
토너배출용의 개구(15) 근처에 토너가 정체하여 덩어리로 되어 있는 경우에도 이 보내온 공기에 의해 상기 토너가 풀어져 덩어리에 의한 막힘을 방지하고 나아가 토너가 응집되어 있어도 상기 공기에 의해 부수어져 개개의 토너입자로 분리시킬 수 있다.
토너는 그 후 흡인펌프(30)에 의해 흡인되어 토너송출관(12)을 통하여 현상부(1)로 공급된다.
이 예의 병용식에 있어서는 토너송출수단은 취입용 공기펌프(10), 흡인펌프(30), 노즐(11), 토너송출관(12) 및 공기 공급관(14)으로 되며, 노즐의 벽부(1)가 토너수납용기(2)의 토너배출구(13)와 끼워 맞추어지고 노즐부(17)의 토너송출관(16)과 흡인펌프(30)와 현상부(1)의 접속부재(24)가 토너공급튜브(12)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토너송출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방식에 있어서도 토너송출통로의 밀폐성의 점에 관해 상기 2개 방식과 마찬가지로 충분히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병용식은 공기펌프에 의해 항상 유동화된 토너를 흡인하므로 토너의 배출과 공급이 안정하고도 정밀도 높게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뛰어난 방식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토너수납용기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토너수납용기는 상술한 새로운 토너공급방식에 적용가능한 것으로서 고려한 것이지만 이 토너공급방식에만 사용가능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이하 서술하는 토너수납용기자체 및 토너가 충전된 토너수납용기에 대해 창출해낸 각종 기술적 고안은 새로운 토너공급방식을 실시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목적에 대해 보다 높은 레벨에서의 효과를 가져오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것이며, 각각의 기술적 고안은 조합하지 않아도 단독으로도 유효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토너수납용기의 배출구부를 아래를 향한 상태로 이용한 경우에 관하여 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토너수납용기는 화상형성장치내에서 배출구부를 아래로 향한 상태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상태라도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토너수납용기는 적어도 토너수납부와 토너배출구로부터 되며, 이 토너배출구가 장척(長尺)형 물체(장척물)와 끼워맞추어서 그 끼워맞춤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통상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장척물과 끼워맞추어서 그 끼워맞춤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끼워맞춤부]라는 것은 상기 토너송출수단의 일단부와 접속되는 토너배출구 부분의 특성기능을 표현하는 것이다. 즉, 장척물(長尺物)을 상기 부분과 끼워맞추어 보고서 끼워맞출 수 있고 또한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면 여기서 말하는 끼워맞춤부로 간주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장척물이라는 것은 이 특성의 유무를 확인하는 것으로, 비교적 가늘고 긴 기둥형의 물체 혹은 관상 물체이면 좋고, 본 발명의 토너공급방식을 구성하는 상기 토너이송수단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끼워맞춤부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토너수납용기에는 전체가 단단한 하드타입과, 토너수납부가 유연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되는 주머니형상의 것(이후 주머니부라고 한다)으로 되는 소프트타입의 것이 있다.
하드타입의 용기는 전체가 단단한 재료로 되는 것이다. 그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우레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수지 혹은 두께가 있는 종이 등이 이용된다.
본 발명의 토너수납용기의 특징은 토너 배출과 공급을 공기류로 행하기 위한 종래와 같은 용기 자체에 토너배출기구를 구비하지 않는 것과, 하드타입이든 소프트타입이든 그 새로운 토너공급방식에 적용시키기 위해 상술한 토너송출수단의 일단부를 구성하는 노즐 혹은 토너송출관 (이후 노즐 등이라고 한다)과의 접속을 끼워맞춤에 의하는 것과, 그 때문에 배출구부의 적어도 노즐 등과 끼워 맞추는 부분 (끼워맞춤부라고 한다)에 상기와 같은 특성기능을 갖게 한 것이다.
공기류를 이용하는 토너공급방식이기 때문에 용기내에 토너배출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따라서 종래와 같은 토너배출기구를 구비하기 위해 재질이 하드여야 할 필요성이 없어지기 때문에 소프트타입의 용기가 실현되어 사용가능하게 된 것이다.
이 끼워맞춤부로서는 배출구부의 적어도 노즐 등과 끼워맞추는 부분이 비교적 강성이 있는 통상체로 되는 것이지만 통상체 그 자체로 구성되는 경우와 상술한 끼워맞춤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는 기능을 보다 높이기 위해 더욱 가공된 통상체로 구성되는 경우가 포함된다.
나아가 그 가공은 통상체 자체에 행하는 경우와, 통상체에 대해 다른 재료를 이용하여 행하는 경우가 있다.
가공하지 않고 통상체 자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특히 양자 사이에서 면접촉하는 부분이 형성될 수 있는 형상 혹은 그것을 위한 재질과 사이즈를 선택하고 통상체와 노즐등을 끼워맞추어도 그 상태가 흔들리지 않고 계속적으로 유지되며 나아가 가능한 한 높은 밀착상태를 확보한다.
통상체는 끼워맞춤 조작상에서 원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통상체가 수지제의 하드타입의 경우는 이 통상체가 통상 토너수납부와 일체성형에 의해 제조된 것이 이용된다.
한편, 소프트타입의 경우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미리 주머니부와 입구부를 별개로 준비하여 상호 고착하는 것이 제조상 유리하다.
배출구의 통상체부와 노즐 등의 끼워맞춤은 통상체내부로 노즐 등을 삽입하는 A방식과, 토너송출관 혹은 통 구조를 갖는 노즐로 통상체를 삽입하는 B방식이 있다.
본 발명의 토너공급방식은 토너송출통로를 가능한 한 밀폐상태로 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노즐 등과 끼워맞춤부의 사이로부터 공기가 누설하면 토너가 안정하게 배출되지 않아 토너 잔량이 많아지며 나아가 장치내가 토너에 의해 오염되는 등 문제가 발생하므로 끼워맞춤부와 노즐 등은 가능한 한 높은 밀폐상태로 끼워맞추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가공하지 않고 통상체 자체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통상체부와 노즐 등의 끼워맞춤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양자 사이의 밀폐상태를 더욱 높이기 위한 기구 (이후 밀착성 향상기구라고 한다) 를 구비한 끼워맞춤부를 제안한다. 이 통상체에 밀착성향상기구를 구비한 경우가 상술한 가공된 통상체에 해당된다.
이 밀착성향상기구를 구비하는 장소는 상기 A방식에 있어서는 통상체의 내부 혹은 노즐 등의 외부이며, B방식에 있어서는 통상체의 외표면 및 노즐 등이 토너송출관의 경우는 내부이며 나아가 노즐을 통 구조로 하여 그 내부에 밀착성향상기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후, 이 밀착성향상기구에 대해 이것을 통상체의 내부에 구비하는 경우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앞서 도4를 이용하여 탄성부재를 밀착성향상기구로서 통상체의 내부에 구비한 것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 탄성부재로서는 탄성과 신축성이 있고 통기성이 있는 것을 이용하면 토너가 새는 경우가 있으므로 통기성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발포폴리우레탄과 같은 스폰지, 고무, 펠트 등과 같은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스폰지의 경우는 노즐 등과의 접촉면적을 될수록 크게 하기 위해 통기성이 없는 것으로 밀도가 높은 것이 적합하다.
도4의 경우는 통상체의 입구를 덮는 크기의 판형상으로 스릿을 형성한 탄성부재를 통상체의 내측에 삽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 때 탄성부재(26)를 통상체의 내측표면위에 접착한 편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유연성이 높은 스폰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노즐부 등의 삽입작업을 곤란하게 할 수 있으므로 판형상 표면위에 두께 약 0.1mm이하의 엷은 필름을 붙여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도4에 나타낸 밀착성향상기구는 토너수납용기를 노즐 등과 끼워맞추어서 장치내에설치하기 전에는 토너가 용기로부터 누출하지 않는 밀봉기능을 겸하여 갖고 있다. 나아가 노즐 등이 스릿에 삽입되는 상태라도 노즐 등과 스릿의 사이는 탄성부재(26)의 탄성에 의해 틈이 생기지 않아 높은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10a은 2개의 스릿(12)을 구비한 탄성부재로 통상체의 입구를 덮어서 밀착성향상기구로 한 예를 나타낸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 2개의 스릿 사이의 각도(θ)를 90도로 되도록 설정하면 노즐(11)의 전 둘레에 걸쳐 보다 균등한 힘으로 탄성부재(26)에 의해 눌려져 밀폐성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스릿의 수에 제한은 없지만 가능한 한 스릿 사이의 각도를 동일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10b은 탄성부재를 이용한 다른 예이며, 탄성부재(26)의 주위면에 적당한 강성을 가지는 커버부재(40)가 장착되어 있다. 이 커버부재(40)는 탄성부재(26)가 삽입가능한 원관 형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커버부재(40)의 내경이 탄성부재(26)의 외경보다도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커버부재(40)에 삽입 장착된 탄성부재(26)는 그 중심방향으로 압축되기 때문에 마개(自栓) 효과가 높아져 밀폐성이 보다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 미도시하지만 탄성부재를 사용하는 다른 예로서 통기성이 없는 것과 통기성이 있는 것으로 둘 다 스릿을 구비한 2개의 탄성부재를 사용하고, 전자를 용기의 수납기측으로 하되 스릿이 합치되지 않도록 설치하여 통상체에 장착하여 밀착성향상기구를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으로 하면 용기가 소프트타입의 경우에 토너가 소비되어 비면 용기가 감용하여 잔류한 토너가 스릿으로부터 뿜겨나와 사방으로 튀길 수 있지만 통기성이 있는 탄성부재에 의해 잔류토너가 보충되어 감용시의 토너 튀김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다.
도11a은 탄성부재를 이용한 다른 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나타내는 통상체는 후술하는 도16a에 나타낸 바와 같은 내부에 돌기부C를 갖는 것이며, 도11a의 13-1은 이 돌기부에 의해 형성되어 통상체내부에 있는 토너송출구이다. 탄성부재(26)와 토너송출구(13-1)의 사이에 속이 빈 탄성부재(31)를 구비하고, 이 속이 빈 탄성부재(31)는 노즐(11)을 끼웠다 뺐다 할 수 있는 방향으로 관통된 속이 빈 부로서의 구멍(31-1)이 구비되며, 이 구멍(31-1)은 그 구경(口徑)D1이 노즐(11)의 구경D2보다도 약간 작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토너용기(2)는 노즐(11)이 삽입되면 구멍(31-1)의 구경D1이 노즐(11)의 구경D2보다도 작으므로 노즐이 속이 빈 탄성부재(31)에 밀착하여 탄성부재(26)와에 의한 이중으로 기밀이 유지됨과 동시에 노즐(11)이 빼질 때 이 노즐이 속이 빈 탄성부재(31)를 통과하므로 노즐에 부착한 토너가 속이 빈 탄성부재(31)에 의해 클리닝된다.
나아가 노즐(11)은 탄성부재(26)에 의해서도 클리닝되기 때문에 노즐(11)에 부착한 토너에 의한 2차 오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1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며, 본 예의 토너용기(2)는 그 토너송출구(13-1)의 구경D3을 탄성부재(26)의 스릿(26-a)의 길이L보다도 작게 하고 있다. 이 경우의 탄성부재(26)에는 4개의 스릿이 구비되어 있다.
탄성부재(26)에 스릿(26-a)이 3개이상의 경우, 노즐(11)이 삽입되었을 때 스릿(26-a)이 말려져 노즐의 토너배출용 입구 등을 덮어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 때 상기와 같이 토너송출구(13-1)의 구경D3을 탄성부재(26)의 스릿(26-a)의 길이L보다도 작게 함으로써 말려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말려짐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는 도1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릿(26-a)의 길이L보다도 작은 구경D4의 구멍이 형성된 필름(32)을 사용해도 좋다.
이 필름(32)은 구멍(32-1)의 중심과 토너송출구(13-1)의 중심을 중첩하도록 하여 설치하며 그 설치방법으로서는 양면테이프를 이용하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구멍(32-1)을 구비하는 필름(32)은 탄성부재(26) 전면에 붙이도록 하여도 좋다. 즉, 위쪽 탄성부재(26)의 스릿(26-a)과 아래쪽 탄성부재(26)의 스릿(26-a)은 중심점이 일치하지만 다른 부분에서는 전혀 합치되지 않도록 설정하고 있다.
도12-1,12-2와 13-1,13-2는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은 탄성부재를 통상체 내부에 삽입하는 방법이 아니고 임의의 폭의 판형상 혹은 시이트 형상 또는 패킹재와 같은 탄성부재(26)를 통상체의 내표면 (도12) 혹은 통상체의 외표면 (도13)의 각각의 주위에 고정하여 밀착성향상기구로 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탄성부재의 폭a은 임의로 할 수 있고 나아가 복수개 구비해도 좋다.
나아가, 다른 밀착성향상기구의 구체예를 도14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노즐을 장착하기 전의 용기는 수납된 토너가 누출하지 않도록 통상 토너배출구는 어떠한 수단으로 밀봉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이 밀봉부재로서 통상체 단면위에 시이트모양의 재료(43)를 붙이고 (도14a), 그 위로부터 노즐을 눌러 (도14b) 시이트모양의 재료를 찢고 삽입하고 있다(도14c) . 이 때 찢어진 시이트모양의 재료가 통상체(42)와 노즐 의 사이에 끼워지는 상태로 되어 이것이 밀폐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오고 있다.
밀봉부재의 시이트모양의 재료로서는 예컨대 고무시이트, 알루미늄시이트, 발포우레탄시이트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나아가 노즐을 끼워맞출 때에 쉽게 찢어지도록 하기 위해 중심부분에 미리 움푹 팬 부분 등을 형성하여 두거나 하는 등 고안을 하는 것도 유효하다.
밀착성향상기구로서 통상체자체의 외표면위 주위에 오목 볼록 구조를 구비하여 그것에 토너송출관을 삽입하는 방법도 있다.
나아가 통상체와 노즐의 내표면 또는 외표면위에 나사기구를 구비하여 접속하도록 하여 밀착성향상기구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나사가 토너누출방지용으로 통상체의 입구를 밀봉하기 위해 이용하는 뚜껑을 고정하는 나사홈으로도 된다. 뚜껑에도 나사기구를 설치하여 두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토너수납용기는 적어도 토너수납부와 토너배출구부로 되는 것을 앞서 서술했지만 도15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적어도 토너배출구부(50), 저부(51) 및 이들을 연결하는 측벽으로 되며,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단면(50-1)의 최대경(最大徑)이 저부면(51)의 최대경보다 작고 따라서 측벽(52)은 저부(51)로부터 토너배출구부(50)를 향하여 적어도 도중으로부터 축경(縮徑)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용기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기만 하면 저부의 형상 및 용기의 입체형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토너수납용기는 공기류에 의한 새로운 토너공급방식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내에서는 가로든지 세로든지 어떠한 설치형태라도 가능하지만 배출구부를 하향으로 한 상태로 이용하는 것이 중력의 관점으로부터 자연적이며 가장 유효하다.
용기의 배출구부를 하향으로 한 상태로 공기류에 의해 토너를 안정하게 배출하고 게다가 잔류토너량을 가능한 한 적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측벽의 축경구조부(52-1)면이 통상체의 단면(50-1)에 대해 경사도를 갖게 하는 것이 유효하며 특히 소프트타입의 용기의 경우에는 쉽게 늘어지지 때문에 이와 같은 경사를 갖게 하는 것은 바람직한 방법이다.
따라서 한정적인 것은 아니지만 축경구조부(52-1)의 면과 통상체의 단면(50-1)이 이루는 각도θ가 약 45。∼90。가 바람직하며 특히 약60。∼90。가 바람직하다.
도15a는 각도θ가 좌우 거의 동일한 경우이며, 도15b는 각도θ1이 약 90。이며 각도θ2가 90。보다 작게 설정된 경우이다. 이 축경구조부는 측면 전체일 필요는 없다.
다음에 소프트타입의 용기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프트타입의 용기는 적어도 유연성 재료로 형성되는 주머니형상의 토너수납부(이후 주머니부라고 한다)와 강성 재료로 되는 토너배출구로 구성되는 것이다. 토너배출구는 상술한 바와 같은 특성 기능을 갖는 끼워맞춤부로 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강성이 있는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소프트타입의 용기에 관해 [용기내의 공기 압력에 의해 변형가능]이라는 것은 흡인하여 탈기함에 따라 내부용적이 감소함과 동시에 반대로 공기를 유입하면내부용적이 증가하는 특성을 의미하며 나아가 상술한 [용기의 입체형]이라는 것은 소프트타입의 경우는 공기를 충만시켰을 때의 형상을 의미한다.
소프트타입 용기의 하드타입 용기에 없는 이점을 서술한다.
토너를 용기에 충전하는 공정에 있어서, 토너충전을 행하기 전에 미리 용기의 주머니부를 감용하여 거의 공기를 뺀 상태로 할 수 있고 따라서 호퍼로부터 낙하한 토너분말체 사이에 공기가 새어 들지 않으므로 토너의 침강속도가 빨라 전체적으로 충전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토너 오염도 발생하지 않는다.
용기내에 토너를 충전하여 말단 이용자의 손에 닿기까지에 용기가 유연하기 때문에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용기가 파손되지 않고 게다가 하드타입의 용기와 같이 특히 완충재를 이용하지 않고 운반하거나 보관할 수 있고 따라서 각 종 경비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다.
나아가, 용기내의 토너를 전부 사용한 후 용기를 떼낼 때, 주머니부를 접거나 때로는 접어서 뭉친 상태로 하여 용기의 용량을 아주 콤팩트로 할 수 있으므로 이용자로서는 취급이 용이하게 되고 예컨대 용기의 재이용을 위해 우편으로 부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운반업자로서는 용기 1개 당 중량이 가볍고 또한 부피가 대폭 적어지며 게다가 유연성이 있으므로 취급이 용이하고, 또 빈 용기가 쉽게 흠이 생기거나 파손하거나 하지 않기 때문에 빈 용기의 운반 경비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다. 나아가 토너제조업자로서는 용기를 재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코스트 경감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유연성이 있기 때문에 하드타입보다 잔류토너 등의 오염물을 제거하기 쉽다는것이 본 발명자들에 의해 확인되어 있고 재이용에도 적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프트타입의 경우는 주머니부와 배출구를 별개로 만들고 그 후 상호 고착하는 방법이 제조상 유리하다.
주머니부를 구성하는 유연성 재료로서는 폴리에스텔,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나일론수지 등 플라스틱제 시이트 혹은 종이 등을 단층으로 혹은 다른 종류의 것을 복수층으로 가공한 것, 더 나아가 종이위에 수지를 코팅한 우유팩과 같은 것도 이용할 수 있다.
2층이 모두 수지로 되는 것의 경우는, 외부 압력 등에 의해서도 쉽게 찢어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측을 폴리에틸렌 과 같은 유연성, 외측을 나일론 수지와 같은 강성이 있는 것으로 하면 적합하다.
나아가 유연성 재료에 알루미늄을 증발시켜 정착시키든지 대전방지제를 함유하게 하여 정전기대책으로 할 수도 있다.
유연성재료의 두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너무 두꺼우면 유연성이라는 상술한 이점을 얻기 힘들고, 또 너무 엷으면 토너가 충전된 부분이 늘어져 토너의 배출이 충분히 행해지지 않게 되므로 바람직하기는 약20㎛∼200㎛, 더욱이는 약 80㎛∼150㎛이 적당하다.
주머니부에는 배출구부와 고착시키는 고착부를 구비하고 있다. 나아가 주머니부로서는 소정의 용기 형태로 되도록 미리 준비한 복수의 유연성 재료 절편을 히트 시일법 등에 의해 접착하여 형성한 이음매 있는 것과, 유연성재료가 플라스틱 수지의 경우에는 튜브 압출법으로 일체성형에 의해 소정의 형태로 형성하는 이음매없는 것이 이용된다.
배출구를 구성하는 통상체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플로피렌과 같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되어 비교적 강성이지만 재료는 적어도 주머니부를 구성하는 재료와 동일한 또는 동일계의 것인 것이 양자를 고착하는 데 바람직하다.
이 통상체는 노즐 등과의 끼워맞춤부 및 주머니부의 개구부에 고착시키는 부분(고착부라고 한다)으로 크게 나누며 그 각 부분의 목적에 응하여 내경과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16a은 입구부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A는 끼워맞춤부, B는 고착부이다.이 경우는 통상체의 내경은 A부분의 x 쪽이 B부분의 Y보다 작고, 돌기부C까지 밀폐성향상기구를 장착하여 노즐 등이 끼워맞추어질 수 있는 구조로 한 것이며 즉, 통상체의 끼워맞춤부 내경을 고착부의 내경보다 크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은 통상체의 구조는 하드타입의 용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통상체의 끼워맞춤부와 고착부를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하면, 특히 끼워맞춤부를 형성하는 통상체내부에 탄성부재와 같은 밀폐성향상기구를 구비하는 경우에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 제이용에 있어서 파손한 부분을 교환할 수도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 분리구조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끼워맞춤구조든가 나사구조등을 적용하는데 양자를 접속하는 경우에는 기밀성이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고착은 밀폐상태를 확보하여 공기가 누설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예컨대 가열 혹은 초음파 등에 의해 용착시켜 행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 고착을 보다 확실하게 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B부분의 형상을 고안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예컨대 도16b는 B부분의 단면도이며 이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착부를 구성하는 통상체의 단면을 선형(船型)형상으로 함으로써 원통형상으로는 얻을 수 없는 밀폐상태가 높은 고착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 공기류에 의해 토너를 보다 배출하기 쉽게 하는 고안에 대해 설명한다. 예컨대 도16c의 표시기호는 도16a과 같고, B부분에서 주머니부의 개구부가 입구부에 고착되어 있다. 이 경우, B부분에서 고착한 주머니부의 D부분 면을 입구부의 B부분의 면과 거의 평행으로 되도록 형성하면 이 부분에 토너가 모이기 쉽게 되어 토너의 배출과 공급을 보다 안정하게 행할 수 있다. D부분의 길이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B부분의 길이정도이면 좋다.
이와 같은 구조는 하드타입의 용기에도 적용가능하다.
나아가 도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체의 끼워맞춤부와 고착부사이에 칼라부E를 통 방향과 거의 직각으로 설치하고 이 부분으로 종이제 혹은 플라스틱제 등의 상자체 등의 소정부에 걸어서 용기를 지지하면 토너를 충전한 용기를 보관하고 운송하고 혹은 화상형성장치내의 설치에 유효하다.
또 이와 같은 칼라부를 구비하면 배출구를 상향으로 하여 용기에 토너를 충전할 때에 용기를 지지하는 데 좋다.
칼라부를 구비하는 것에 관해서는 하드타입의 용기에도 적용가능하다.
또 도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를 통과시키지만 토너를 통과시키지 않는 공기창문과 같은 압력조정수단(38)을 주머니부에 구비하면 특히 토너공급방식이 취입방식혹은 병용방식의 경우에는 과잉한 공기는 압력조정수단으로부터 밖으로 나오므로 공기를 가능한 한 불어 넣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토너의 배출과 공급을 보다 안정하게 행할 수 있다. 또 토너를 수납한 용기를 장시간 보존하여 두면 용기가 팽창하여 토너의 응집이 발생할 수 있지만 이 압력조정수단을 구비하면 공기가 빠지기 때문에 그와 같은 현상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이 압력조정수단은 용기에 토너를 충전시에 용기내의 공기를 외부로 적당히 빼내어 효율높게 토너를 충전할 수 있고 또 저기압 환경에 있어서의 용기의 파손도 방지할 수 있다.
이 압력조정수단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토너와 같은 미립자는 통과시키지 않지만 공기를 통과시키는 것을 적용할 수 있고 예컨대 다공질의 불소계 수지필름과 같은 합성수지제의 필름, 종이 혹은 금속박막을 조합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압력조정수단을 구비하는 용기의 장소는 임의이며, 용기의 형상, 적용하는 토너공급방식 혹은 배출구를 하향으로 하는가 등 용기의 설치방향 등에 의해 선택할 수 있다.
또 이 압력조정수단을 하드타입의 용기에 구비해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토너용기의 변형예를 열거한다.
도1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머니부(2)의 입구부(13) 접속부 근처에 축경부(53)를 구비하거나 도1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머니부(2)의 측면에 복수의 축경부(53)를 구비한 용기는 축경부(53)로부터 상측 토너의 자중을 받아서 입구부(13)로 전달하지 않아 입구부(13)근처 토너의 덩어리나 맺힘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큰 사이즈의 덩어리를 통과시키지 않으므로 토너송출관(12)이나 토너송출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해판(54)을 설치하면 토너의 덩어리를 풀거나 큰 사이즈의 덩어리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고 토너의 막힘을 방지하는데 유효하다.
또 거의 동일 형의 유연성 재료를 준비하여 개구부이외의 끝부를 히트 시일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나아가 입구부를 개구부에 고착하여 형성된 봉투형의 용기도 본 발명에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도21a, 도2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봉투형의 용기 주머니부 저면에 스윙 홀(55)을 구비한 스윙부(56)를 구비하거나 도2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머니부(2') 측면에 손잡이(57)를 구비하여 두면 토너수납용기를 화상형성장치내에 장착할 때 스윙부(56)나 손잡이(57)에 의해 토너수납용기를 지지하면 이 봉투형의 용기(2')가 유연성이 있기 때문에 수납한 토너가 적어졌을 때 토너수납용기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스윙부(56)나 손잡이(57)를 구비함으로써 토너를 수납한 토너보급용기의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토너수납용기의 주머니부를 내부가 보이는 재료로 형성하면 토너의 잔량이나 토너수납용기의 교환시기를 간단히 판단할 수 있으므로 유효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토너수납용기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22에 나타낸 토너수납용기는 주머니부가 플라스틱 필름을 히트 시일에 의해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도23에 나타낸 토너수납용기는 주머니부를 우유팩과 같은 어느 정도의 강도와 단단함이 있는 종이로 형성한 것이다.
도24에 나타낸 토너수납용기는 주머니부분에 감아지는 특성을 스프링 등에 의해 부여되어 있고, 토너가 배출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자체이 탄성으로 감아져 용기의 회수가 용이하게 된다.
소프트타입의 용기는 화상형성장치내에 설치하여 가동시켜 화상형성을 반복하면, 수납되는 토너량이 감소함에 따라 입체형상이 변형하여 구부러져 토너배출이 충분히 될 수 없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토너수납용기가 가능한 한 최초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수단 (이하 '자세지지수단'이라고 한다) 을 이용하여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25a은 그 일례를 나타낸 것이며, 내측이 용기의 배출구를 하향으로 한 소프트타입의 용기(49)에서 48이 그 외측에 용기의 주위를 둘러 싸도록 하여 구비된 자세지지수단이다.
자세지지수단의 재질은 그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비교적 단단한 플라스틱, 종이 혹은 이들의 합성물 등이 이용되지만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자세지지수단으로서는 그 기능을 갖는 것이면 형상 및 구조는 임의로 할 수 있다.
도25a의 경우는 상자형으로 게다가 용기의 주위와 접하도록 하여 대체로 둘러 싸고 있지만 반드시 이와 같은 구조여야 할 필요는 없다. 도25b는 도25a에 나타낸 6면체의 자세지지수단의 변형예이며, 내측의 용기는 도시하지 않는다. 이 경우는 용기의 토너배출구가 지지되는 a면이외의 면은 전부 끝부분이외의 부분이 도려내어져있는 것이며, 이것도 본 발명의 상자형에 포함된다.
자세지지수단으로서 예컨대 공기를 충만시킨 공기 주머니를 이용하든가 도17에 나타낸 배출구를 구성하는 통상체에 구비하는 칼라, 도21의 스윙부(56)나 손잡이(57)를 지지하는 자세지지수단을 장치내에 구비할 수도 있다.
나아가 주머니부의 임의의 개소에 접착부재를 고정하여 자세지지수단으로 하여 장치내의 소정 개소에 붙여서 소기의 목적을 발휘시킬 수도 있다.
자세지지수단의 구조에 따라서는 그것으로 지지된 소프트타입의 용기는 그대로 운송 혹은 보존하는 데에도 유효하다.
1개의 토너수납용기에 가능한 한 다량의 토너를 수납할 수 있으면 보존과 운송이 효율적으로 행해질 수 있는 외, 이용자에게 있어서도 다량 장수의 복사가 가능하게 되어 용기의 교환횟수가 적어지는 등 편의성이 있으므로 그와 같은 다량으로 충전된 토너수납용기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한편, 토너수납용기에 충전되는 토너의 양이 너무 많으면 본 발명의 토너공급방식의 이점을 발휘하기 어렵게 되는 것으로도 된다.
본 발명자들은 새로운 토너공급방식과 새로운 토너수납용기를 조합한 경우, 실효성이 있는 토너충전량에 대해 바람직한 조건을 검토했다.
그 결과, 토너수납용기내에 충전된 토너의 중량(g)을 이 토너수납용기내의 용적(㎤)으로 제한 값, 즉 [미사용의 토너수납용기내의 토너중량(g)]/[토너수납용기내의 용적(㎤)]을 상술한 바와 같이 토너충전밀도로 한 경우, 그 토너충전밀도를 0.7 g/㎤이하로 설정하면 용기가 하드타입이든 소프트타입이든 항상 안정한 토너 보급이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최후로 토너수납용기내에 잔류하는 토너의양도 극히 적어 질수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 0.7 g/㎤을 경계로 한 효과의 차가 크다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지만 이 조건에 합치하지 않는 경우라도 새로운 토너공급방식은 실시가능하며, 이 조건은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서 이해하면 된다.
용기내에서 토너가 장기간 고온상태로 보존되면 덩어리 상태로 굳어져 버리는 경우가 있으므로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상태가 발생하는 요인을 해명하기 위해 이하에 나타낸 2개의 실험을 행하였다.
(실험1)
사용한 용기는 직경 63.5mm, 높이 135mm의 원기둥 형상으로 용적 250cc의 토너충전구로 되는 아구리부를 갖는 유리병과, 100㎛ 두께의 폴리에틸렌과 나일론의 복합재료인 유연한 시이트로 만들어진 소프트 타입의 용기이다.
소프트 타입의 용기는 미리 준비한 상기 시이트의 절편을 열용착하여 형성된 주머니부와, 폴리에틸렌제의 구경이 φ14mm의 토너충전구로 되는 강성 부재를 열영착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변의 길이가 100mm의 사각형 저부를 갖는 높이 200mm의 입체형을 3개 준비했다.
용기에 수납하는 토너는 유출개시온도가 약 89℃인 비교적 저융점을 갖는 주식회사 리꼬 제의 저온 정착성 컬러토너를 이용하고 충전은 상온 환경하에서 실시했다.
합계4개의 용기 각각에 100g의 토너를 상온 환경하에서 충전한 후, 뚜껑에 의해 밀폐상태로 했다.
소프트 타입의 용기에 대해서는 3000메시의 다공질(多孔質)스텐레스광 제의 필터로부터 되는 길이 600mm, 직경 5mm의 노즐에 의해 150mmHG흡인압으로 탈기를 행하여 소망의 충전밀도로 조정하고 그 후 뚜껑을 덮었다.
여기서, 용기의 충전밀도는 토너의 충전량(g)/탈기하여 뚜껑을 덮은 후의 용기 체적에 의해 구해진다. 탈기하여 뚜껑을 덮은 후의 용기의 체적은 용기를 수중에 잠가서 변화하는 수면의 높이를 측정하여 체적을 구했다.
이와 같은 충전방법에 의해 시료로서 충전밀도 0.4의 유리병 (시료명 a)1개와, 충전밀도가 각각 0.4 (시료명 b), 0.54 (시료명 c), 0.67 (시료명 d)의 소프트 타입 용기에 관해 3개를 작성하고 이들 시료에 대해 보존온도가 50℃에 있어서의 보존기간에 대한 응집도의 변화를 확인했다.
또 응집도는 메시 구멍이 149㎛, 74㎛, 45㎛의 금속메시를 중첩한 것에 149㎛메시위에 토너 2g을 싣고 30초 채쳐서 잔류한 응집토너의 중량을 측정하고 정수를 곱한 것의 총합을 전체 양에 대한 비율 (퍼센트)로 나타낸 것이다.
도26은 그 결과를 나타낸 것이지만 토너수납용기가 소프트 타입의 경우는 그 어느 시료에 관해서도 이 충전밀도의 변화범위에서는 충전밀도를 변화시켜도 응집도는 거의 변화하지 않는 데에 비해 유리병의 경우는 단시간내에 응집이 일어나 측정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보존중의 용기 상태는 소프트 타입에서는 용기가 약간 부픈 정도였다.
(실험2)
실험1에 이용한 동일한 종류의 용기를 이용하여 동일한 토너를 동일한 방법에 의해100g 충전하고 충전후 용기에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뚜껑이 씌워진 충전밀도가 어느 것이나 0.4인 유리병과 소프트타입의 용기 각각 3개 합계6개의 시료를 준비했다.
이 2종류의 시료에 대해 보존온도를 50℃, 45℃, 40℃로 변화시켰을 때의 보존시간에 대한 토너의 응집상태를 관찰하고 이 토너응집상태는 침입도(針入度)에 의해 측정했다. 침입도라는 것은 보존 후의 토너의 일정량에 바늘을 떨구어 어느 정도까지 침입했는가로 보는 방법이며, 이 방법은 JIS ~ K2207에서 정해져 있다. 단위는 이 표준으로 규정한 단위로, 수치는 작을 수록 바늘이 침입하지 않는 것으로 되며 응고해 있다.
도27의 그래프는 보존온도를 50℃로 행한 경우의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유리병의 경우 스타트로부터 40시간 경과하면 응집이 진행하고 120시간 경과하면 소프트타입의 용기에 비해 극히 응집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 경향은 보존온도가40℃ 및 45℃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였다.
이들 실험결과로부터 토너가 충전되어 밀봉된 유리병을 고온에서 보존하면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토너의 응집이 발생하는 것이 명백해 졌다. 그 요인은 유리병의 경우에는 온도 상승에 동반하여 내부의 공기가 팽창해도 내벽이 유연성이 없는 단단한 재료로 그 팽창을 흡수할 수 없기 때문에 내압이 상승해 버려 그것이 토너 응집을 초래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 사실은 소프트 타입의 용기의 경우라도 내부 온도가 상승하여 그 이상 팽창할 수 없는 정도로 최대용적까지 팽창하여 벽에 그것을 흡수할 수 있는 유연성이 없어진 상태로 되면 유리병과 마찬가지로 내압이 상승하여 토너 응집이 발생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 대책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압력조정수단을 용기의 토너수납부에 구비하는 것도 있지만 본 발명자는 압력조정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내부온도가 상승하여도 토너 응집이 발생하기 어려운 소프트 타입의 용기에 관한 바람직한 조건을 검토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하면 이와 같은 상태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보아 냈다.
[소프트타입의 용기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 용기의 최대용적을 Cmax, 용기에 토너를 충전하여 봉한 후 토너가 점하는 용적을 Ctoner, 용기에 토너를 충전하여 봉한 후 점하는 용기내 공기의 용적을 Cair로 했을 때,
을 만족하도록 토너를 충전할 것.]
여기서 [용기의 최대용적]이라는 것은 소프트 타입의 용기를 최대로 부풀게 했을 때의 용적이다.
용적의 측정은 용기를 수중에 잠가 물 양의 변화에 의해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용기중의 공기가 점한 용적]은 용기에 충전된 토너 분말체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의 용적과 토너가 존재하지 않는 틈새의 용적을 가한 것이다.
용기중의 공기의 용적은 토너를 충전하여 봉한 후의 용기의 용적으로부터 토너가 점한 용적을 감하면 산출할 수 있고 토너가 점한 용적은 토너의 중량을 토너의 참비중으로 제하면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수학식1중 [0.1]은 토너수납용기중의 온도 상승에 동반하는 기압의 변화에 대한 틈새의 여유도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며, 다음에 이 [0.1]에 대해 고찰한다.
토너수납용기내의 온도 변화에 의한 기압, 체적의 변화량은 PV/T = 일정한 법칙으로부터 유도할 수 있다. (P는 기압, V는 체적, T는 절대온도)
상술한 실험에 있어서 유리병의 경우는 체적V이 일정한 계라고 생각할 수 있다.
유리병내의 기밀이 확보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체적이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예컨대 토너 충전시를 (20℃,P1), 보관시의 최고를 (50℃,P2)로 하면, P2/P1 = 1.102의 관계로 된다.
마찬가지로 최고를(40℃,P3)으로 하면, P3/P1 = 1.068의 관계로 된다.
즉 온도 상승에 의해 용기내의 토너분말은 공기에 의해 압축되어 50℃에서는 10% 높아지며 이 온도 상승과 온도 상승에 의한 압력의 커짐에 의해 토너분말의 응집, 고착이 발생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한편, 소프트 타입의 용기의 경우는 압력 일정한 계라고 생각할 수 있다.
토너수납용기중의 토너는50℃일 때 가장 용기내압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상기 실험으로부터 판명했으므로 충전시의 온도를20℃, 보존 최고온도를 50℃로 설정할 때, 온도차 30℃로 용기내압을 일정하게 하면 토너분말의 응집, 고착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계산하면 용기내의 기압P을 일정하다고 할 때 토너 충전시를 (20℃,V1), 보관시의 최고를 (50℃,V2)로 하면, V2/V1 = 1.102의 관계로 된다. 토너수납용기중의 공기가 존재하지 않는 체적이 용기중의 공기 체적의 1/10배 존재하면 온도 상승에 의한 용기 내압 상승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되며 토너의 응집·고착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정값]은 이 1/10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토너가 갖는 내열적 특성인 저온 정착성(저온에서 정착할 수 있는 특성)과 크게 관련이 있는 것이 미도시한 실험에서 명백하게 되었다. 즉 토너의 유출개시 온도(저온정착성과 관련하는 특성. 저온에서 용융 또는 난화하는 특성.)이 컬러토너에 존재하는 예컨대 85℃ 전후의 소위 저온정착성 토너에 있어서, 용기가 다름에 의한 응집도 차가 더욱 현저하여 응집이 생기기 쉬움이 판명되었다.
반대로 유출개시온도가 105℃이상의 토너이면 케이스의 다름에 의한 응집 차가 적음이 판명되었다.
이상의 저온정착용 토너로 효과가 현저하게 되는 이유는 저온정착용 토너가 보다 응집·고착하기 쉬운 것과 관련이 있다고 추측된다.
본 발명의 토너수납용기에 이용되는 토너로서는 전자사진법을 이용하는 화상형성프로세스에 사용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통상의 1 성분 토너든 2성분 토너든 좋고, 자성토너든 비자성토너든 사용가능하다.
토너로서는 스티롤계 수지, 폴리에스텔계 수지 등과 같은 바인더 수지와 착색재 및 필요에 응하여 전하 제어제나 다른 첨가제로 구성되지만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1성분계 자성토너의 경우는 나아가 페라이트계 혹은 마그네타이트계 자성재료가 첨가된다. 토너는 흑색뿐 만아니라 풀 컬러 프로세스에 이용되는 채색이 있는 것도 사용가능하다.
1성분토너는 현상부를 구성하는 현상롤러에 끌어 당겨지는 강도가 너무 커도 너무 작아도 현상이 순조롭게 되지 않고, 1성분계 토너의 경우, 참비중이 1.55∼1.75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2성분 토너의 경우에는 그 참비중으로서 1.1∼1.3인 것을 이용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토너수납용기에 있어서, 토너를 이와 같은 참비중을 갖는 토너를 이용하면 용기에 충전할 때에 토너의 침강이 빠르고 토너내의 공기량도 적기 때문에 용기 용적을 결과적으로 적게 할 수 있어 용기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토너수납용기에 있어서는 토너입자의 체적평균입경은 4.0㎛∼12.0㎛, 바람직하기는 5.0㎛∼9.0㎛이다. 토너입자의 체적평균입경이 4.0㎛보다 작게 되면 화상형성장치내에서 현상 공정후의 전사 공정이든가 클리닝 공정 등에서의 문제가 발생하고, 12.0㎛를 초과하면 화상 해상도를 높게 유지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화상의 고정밀화, 고섬세화를 위해서는 토너입자의 체적평균입경은9.0㎛이하인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하는 실제 토너의 입도 (粒度)분포의 예를 나타낸다. 또한 토너분말의 개수와 중량평균입경은 코르터(Coulter)사제의 입도분포측정기(Coulter TA~2)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1) 체적평균입경7.5㎛의 토너
4.0㎛이하의 미분의 개수가 전체의 18%
7.0㎛이상의 거친 분말의 중량이 전체의 1.5%
(2) 체적평균입경9.0㎛의 토너
4.0㎛이하의 미분의 개수가 전체의 15%
7.0㎛이상의 거친 분말의 중량이 전체의 2.0%
다음에 본 발명의 토너수납용기에 토너를 충전하는 방법에 대해 서술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8-33496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 공지의 충전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개략을 도28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토너충전관 삽입구와 공기흡인관삽입구를 구비하고, 토너수납용기의 배출구에 구비한 끼워맞춤부내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크기의 부재(60)에 토너충전관(61)과 공기흡인관(62)을 삽입 고정한 후, 이 부재를 상기 끼워맞춤부내에 삽입하여 장착한다.
토너충전기의 호퍼(63)가 이 토너충전관(61)에 및 공기흡인펌프(64)가 공기흡인관(62)에 각각 접속되고, 공기흡인펌프(64)를 가동하여 종래법에 의해 토너수납용기에 토너가 충전된다.
공기흡인펌프를 이용하여 용기내의 공기를 빼면서 충전을 행하면 최후까지 틈이 생김이 없이 안정하게 충전할 수 있고 게다가 고밀도의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종래와 같은 하드타입의 용기를 이용한 경우에는 용기내에 공기가 들어 있는 상태중에 호퍼로부터 토너를 낙하시키는 것으로 되므로 그 공기가 토너분말체 사이에 들어가 토너가 침강하기 어렵게 하여 충전에 시간이 걸리고 나아가 토너 오염이 생긴다.
그러나 소프트타입의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토너충전을 행하기전에 미리 용기 주머니부를 감용하여 거의 공기를 빼낸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충전작업을 행하여도 하드타입 용기를 이용하는 경우와 같은 문제는 일어나지 않는 다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소프트타입의 용기의 경우, 충전작업중 호퍼로부터 용기로 들어가는 부근에서 토너가 막히거나 해도 그 막힌 부분에 주머니부를 구성하는 유연성 재료를 개재하여 압력을 가할 수 있으므로 토너의 덩어리를 용이하게 풀 수 있다.
이와 같은 것으로부터 토너를 대량 충전하는 데에는 특히 하드타입 용기의 경우에는 상기 공기흡인펌프를 이용하여 공기를 빼는 것이 필요하지만 소프트타입의 용기의 경우에는 공기흡인펌프를 이용하지 않고도 대량의 토너를 충전할 수 있다.
충전이 끝난 후는 그 어떤 방법으로 밀봉한다. 이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서술하지만 이것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의 토너공급방식 일례인 취입방식과, 토너배출부를 구성하는 통상체의 끼워맞춤부가 밀착성향상기구를 구비한 하드타입의 토너수납용기를 조합하여 공기취입수단으로서의 공기펌프를 가동시키면 공기류에 의해 토너가 실제로 소정부로 송출되는 것과, 용기내의 토너 충전밀도가 0.7g/㎤이하의 경우에 용기내 토너잔량이 특히 적지 않다는 사실을 나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29는 실험장치의 개념도이다. 여기서는 도3에 나타낸 형태의 노즐(11)이 사용되고, 토너배출관부(16)는 내경φ6mm, 두께 0.5mm로, 외측의 취입공기 유로관부(18)는 상기 토너배출관부(16)의 외벽과 틈새 1mm 폭을 가지고 설치되고, 두께 0.5mm, 외경φ9mm이며 양자의 접속부분은 기밀이 확보되어 있다.
상기 토너배출관부(16)의 끝부에는 유연하게 변형가능한 내경φ7mm으로 EPDM고무제의 토너송출관(12)이 기밀성을 확보하면서 접속되어 있다. 토너송출관의 길이는 전체길이 1000mm로, 도중 300mm의 고저차를 가지며 다른 타단은 전자천평(65) (에이앤드디사제의 FA-2000)의 위에 세트된 비커(66)위에 위치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취입공기 유로관부(18)의 일단에는 공기펌프(10)가 유연성 튜브 ( 내경φ5mm, EPDM고무)를 개재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접속되어 있다. 공기펌프로서는 유량 1.5L/min의 격막 펌프 (신명전기주식회사 SR-01)를 이용했다. 공기펌프(10)에는 타이머가 접속되어 있고, 공기 공급시간, 간격이 설정가능하게 되어 있다.
토너를 충전한 용기(2)는 토너배출구를 하향으로 하여 위치시켜 상기 노즐(11)과 접속되어 있다. 토너배출구는 직경φ14mm이고, 그 위가 내경φ22mm, 깊이 10mm의 통상체이며, 그 내부에 두께 10mm, 직경φ22mm의 스릿이 있는 우레탄 스폰지를 삽입하고 붙여 밀착성향상기구를 구비한 끼워맞춤부를 형성하고 있다. 스릿은 2개로, 중앙에서 약 90。로 교차하며 그 길이는 12mm이다.
노즐(11)을 이 스폰지의 스릿을 관통시켜 취입공기 유로관부(18)의 개구부(15)가 용기내에 위치하도록 용기내부에 삽입한다.
용기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하드타입이며, 두께 1mm,외형 φ65mm의 원기둥 형상으로, 중앙에 토너배출구를 구비하고 용적이 210cc이다.
토너를 충전한 토너수납용기(2)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노즐과 접속하여 토너송출관(12)의 타단측을 전자천평(65)위에 실은 비커(66) 상방에 배치했다.
이 상태에서 공기펌프(10)를 작동시켜 토너수납용기(2)로부터 토너를 배출하고 그 배출토너를 비커(66)로 옮기며 이 동작을 토너수납용기(2)로부터 토너가 배출되지 않을 때까지 계속하고, 이 때 비커(66)로 옮겨진 토너의 중량을 전자천평(60)으로 측정하여 토너수납용기내에 남은 토너의 중량을 측정했다. 또한 공기펌프(10)를 1초간 구동시키고 5초간 휴지시키며 이것을 반복하여 토너를 비커로 배출시켰다.
이 토너수납용기(2)에 토너를 충전하고, 충전밀도(g/㎤)가0.4, 0.5, 0.6, 0.7, 0.8, 및 0.9로 되도록 6개의 시료를 준비했다.
또한 충전은 용기의 배출구에 로토를 삽입하고 이 로토로부터 스푼으로 토너를 넣었다. 용기의 저부에 금속봉으로 수동으로 진동을 주면서 충전량을 조정했다.
사용한 분말체의 토너는 수지에 산화철로 되는 자성체와 극성 제어재를 내첨가한 토너입자에 첨가재를 외첨가한 토너이다.이 토너는 (株) 리꼬제의 레이저 프린터 PC-LASER SP-10용 의 토너로서 널리 사용되어 있는 것이다.
그 각 토너수납용기에 대해 상술한 실험을 행했다. 그 때, 노즐(11)에 접속하기 전의 각 토너수납용기(2)를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각각 10회 흔든 후 그 각 토너수납용기(2)를 노즐(11)에 세트했다.
이상의 실험으로부터 토너수납용기와 전자천평을 도중 300mm의 고저차를 갖게 하여 멀리 떨어지게 배치해도 1000mm의 길이를 가지는 유연한 토너송출관을 통하여 토너를 용기로부터 전자천평위까지 이송할 수 있어 본 발명의 토너공급방식의 취입방식이 실효성이 있다는 것을 실증하고 있다.
나아가 도30의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는 바 토너충전밀도가 0.7g/㎤보다도 크게 되면 토너수납용기(2)로부터 최후끼지 배출되지 않고 잔류하는 양, 즉 토너잔량이 급격히 증대하고 있다.
이 사실로부터 미사용상태에 있는 토너수납용기(2)의 토너충전밀도가0.7g/㎤이하로 설정되어 있으면 현상부(1)에 토너를 안정상태로 공급할 수 있고 게다가 토너수납용기내에 최후로 잔류하는 토너의 양을 극히 적게 할 수 있고 혹은 실질적으로 이것을 0으로 할 수 있어 이용자에게 불필요한 경제적 부담을 주는 문제점을 제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험은 용기내의 토너잔량을 상대 비교한 것이므로 용기내 잔량이 많이 나오지만 실제에는 용기형상을 앞끝을 가늘게 하는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용기의 측면을 축경구조로 함으로써 전체 잔량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
(실시예2)
이 실시예의 목적은 실시예1과 같은 것이며, 토너공급방식으로서 병용방식을 채용하여 실시예1에 나아가 흡인펌프를 이용한 것으로, 실시예1과 마찬가지 실험을 행했다. 도31이 실험장치의 개념도이다.
실험의 방법은 상기 실시예1 장치의 토너송출관의 선단에 도8어?? 나타낸 구조의 일축편심스크루펌프의 흡인구를 접속하고, 나아가 이 펌프의 공기배출구를 다른 토너송출관과 접속하고 그 토너송출관의 끝부분 하방에 비커를 설치하여 전자천평으로 토너배출량을 측정했다.
토너수납용기의 저부에 압력조정수단으로서 직경 φ65mm, 메시 구멍이 3㎛의 필터를 붙였다.
또한 사용한 토너 및 토너충전방법, 토너충전밀도는 실시예1과 같은 물체,방법을 이용했다. 노즐과 용기의 접속, 및 측정전의 용기를 흔드는 조건 등도 전부 같다.
실험은 일축편심스크루펌프를 1초 회전시킨 후 5초 휴지시키고 그 사이에 토너배출량을 전자천평으로 측정하고 토너가 배출되지 않을 때까지 행하여 그 시점에서의 용기내 토너잔량을 계산했다.
이 실험으로부터 본 발명의 토너공급방식의 일례인 취입방식과 흡인방식과의 병용식이 실효성이 있다는 것을 실증하고 있다.
나아가 도32의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는 바 토너충전밀도가 0.7g/㎤이하로 되면 토너수납용기(2)에 남는 토너의 양, 즉 토너잔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실시예3)
이 실시예는 소프트타입의 용기를 이용하는 점 이외에 목적과 내용은 실시예1과 거의 같다.
소프트타입의 용기는 주머니부가 폴리에틸렌과 나일론의 복합재료인 두께0.1mm의 시이트재로 형성되며, 이 주머니부에 구비된 개구부를 토너배출구부로서 형성된 폴리에틸렌제의 통상체의 고착부 외면과 열용착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용기의 입체형상은 도33에 나타낸 것이지만 탈기하면 저부와 2개의 측면의중앙부 세로방향으로 접은 금이 생기도록 접을 수 있는 것이다. 이 용기는 저부가 세로 110mm와 가로 80mm의 사각형으로, 측면과 상기 고착부의 단면이 이루는 각도가 60℃인 축경(縮徑)구조부를 구비하며 높이130mm,용적이 약 700cc이다.
이 용기의 주머니부는 소기의 입체형상으로 되도록 미리 4개의 시이트재 절편을 준비하여 두고 그것의 끝부를 열용착함으로써 형성된 것이다.
토너배출구부로서 형성된 폴리에틸렌제의 통상체를 구성하는 상기 고착부에는 직경φ14mm의 토너통로가 구비되어 있다.
또 상기 통상체를 구성하는 다른 한쪽 끼워맞춤부는 그 내부가 내경φ22mm, 길이 10mm의 속이 빈 구멍으로 되어 있고 그 속 빈 곳에 우레탄 스폰지(브리스톤제 에바라이트ST)의 단면에 두께 25㎛의 PET필름을 붙인 것이 양면테이프 (일동전공제의 5000N)으로 장착 고정되어 있다.
이 우레탄 스폰지는 두께10mm, 직경φ22mm의 원형상으로, 2개의 길이가12mm의 스릿이 중앙에서 거의 90。 각도로 교차되도록 하여 구비된 것이다.
사용하는 토너는 (株) 리꼬제의 레이저 프린터 PC-LASER SP-10용의 것으로, 충전밀도가 0.4, 0.5, 0.6, 0.7, 0.8, 0.9로 되도록 6개의 시료를 준비했다. 충전밀도는 토너충전량 g/소프트케이스의 최대용적 CC의 계산식에 따라 산출된다.
용기가 유연하고 진동이 전달되기 어려워 다량 충전하기 어렵기 때문에 충전은 3000메시의 다공질 스테인리스광제의 필터를 선단부에 구비한 길이 60mm, 직경 5mm의 노즐을 이용하여 150mmHG의 흡인압으로 탈기하면서 행했다.
실험장치, 실험방법은 실험1과 같은 방법으로 행했다.
이 실험으로부터 본 발명의 소프트타입의 용기를 사용해도 토너를 멀리 떨어져 있는 소정위치로 보낼수 있어 본 발명이 실효성이 있는 것을 실증하고 있다.
나아가 도34에 나타낸 그래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토너충전밀도가 0.7를 초과하면 토너잔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용기내의 토너잔량은 용기가 토너배출구를 향하여 축경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현저히 감소했다.
(실시예4)
이 실시예는 용기에 수납한 토너의 보존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사용하는 용기와 토너는 실시예3에서 사용한 것과 같다.
토너를 20℃의 환경에 100시간 방치한 후, 20℃의 환경에서 용기에 토너를 300g을 충전하고, 용기의 주머니부를 구성하는 재료와 동일한 폴리에틸렌과 나일론의 복합재료를 밀봉재료로서 이용하여 용기의 토너배출구에 열융착하여 밀폐했다.
이 밀폐한 용기에 대해 상기 수학식1과 일치한 것인지 여부를 검증했다.
[수학식 1]
(Cmax)-{(Ctoner) + (Cair)}≥0.1×(Cair)
Cmax = 700cc,
토너의 참비중이 1.2이므로 Ctoner = (300÷1.2) = 250cc,
Cair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토너를 충전한 후 밀폐한 용기를 수중에 잠가서 변화하는 수면의 높이로부터 산출한다. Cair = 409cc
이들의 값을 수학식1에 맞추면
700 - (250 + 409) = 41 ≥ 0.1×409 = 40.9
로 되며, 이 밀폐한 용기는 수학식1을 만족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음에 이 토너를 충전한 후 밀폐한 용기를 50℃의 환경하에서 10일간 보존한 후, 토너를 취출하여 그 상태를 관찰한 결과 응집이 없었다.
(실시예5)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의 토너수납용기의 토너배출구에 구비하는 밀착성향상기구의 효과를 실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샘플① : 밀착상태가 나쁜 샘플로서, 배출구에 밀착성향상기구를 형성하는 부재로서 통기성이 극히 높은 연속 기포의 에스텔계 우레탄 스폰지 (일본의 브리지스톤사제의 에바라이트ST)를 장착한 것.
샘플② : 밀착성이 좋은 샘플로서, 샘플①의 우레탄 스폰지표면에 25㎛의 PET필름시이트를 붙인 것. 이 구성에서는 필름에 의해 공기가 차단되어 통과되지 않는다.
두 샘플에 이용하는 스폰지는 직경, 두께 10mm로, 단면에 폭 12mm인 두 개의 스릿이 직각으로 중앙에서 교차하도록 하여 된 것이다.
실험에 이용하는 토너수납용기는 실시예3에서 이용한 것과 마찬가지로, 도32에 나타내지만 저부에 공기압 조정수단인 필터 (메시의 구멍 3㎛, 직경φ12mm)가 붙여져 있는 점이 다르다. 상기 스폰지는 양면테이프 (일동전공제의 5000N)로 고정했다.
토너는 일본 리꼬사제의 1magio Color 토너 타입 S 황색을 이용하여 300g을충전했다.
실험은 토너용기내에 공기를 불어 넣어서 흡인하는 방법으로, 즉 병용식에 의해 토너의 배출성과 토너잔량을 비교했다.
사용하는 실험장치는 실시예2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하다.
실시예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장치의 노즐(11)을 이 스폰지의 스릿을 관통시켜 공기를 불어 넣는 공기 유로관부(18)의 개구부(15)가 용기내에 위치하도록 용기내부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세트된 상태로 공기를 1초 불어 넣고 펌프를 1초 구동시켰을 때의 토너배출량을 전자 천평으로 측정했다.
그 결과를 플롯한 것이 도35(샘플①)과 도36(샘플②)의 그래프로, 횡축에 토너수납용기내의 토너잔량, 종축에 펌프구동 단위시간당 토너배출량을 나타내고 있다.
샘플①의 용기를 사용한 경우에는 도35의 그래프로부터 1초마다 배출되는 토너의 양은 때로는 0으로 될 때도 있어 안정하지 않고 또한 최종적으로 남는 토너량도 35g정도이라는 것이 판명된다. 한편, 샘플②)의 용기를 사용한 경우에는 도36의 그래프로부터 1초마다 배출되는 토너의 양은 거의 0.6g 좌우로 안정하고 또한 최종적으로 남는 토너량도 거의 0g이라는 것이 판명된다.
샘플①을 이용한 경우는, 스폰지가 연속기포구조이기 때문에 노즐과의 밀착성을 높일 수 없고 따라서 실제 토너수납용기를 노즐로부터 떼냈을 때는 스폰지 주변은 토너로 오염되어 있었다.
그것에 대비하여 샘플②에서는 PET필름이 붙어 있어 스폰지에 공기가 누설하지 않기 때문에 노즐과의 밀착성이 높아지고, 그 결과 토너의 배출이 안정하고 토너잔량도 적어지게 할 수 있다는 것이 판단되었다.
또한 샘플②의 경우에, 토너수납용기를 떼냈을 때 스폰지 주위의 토너오염은 없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새로운 토너공급방식을 이용한 전자사진화상형성방법과 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에 이용되는 새로운 토너수납용기에 의하면, 화상형성장치내에 있어서, 토너수납용기와 현상부를 인접 혹은 근접시키지 않아도 설치할 수 있어 레이아웃상 공간이 자유롭게 얻어지게 되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새로운 토너공급방식을 이용한 전자사진화상형성방법과 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에 이용되는 새로운 토너수납용기에 의하면, 토너를 시종 안정하게 배출하여 현상부로 공급할 수 있고, 게다가 최후로 남는 토너 양을 종래보다도 대폭 감소시킬 수 있게 되었다.

Claims (137)

  1. 토너배출구를 구비하는 토너수납용기에 있어서,
    상기 토너배출구가 장척형 물체와 끼워 맞춰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끼워맞춤부를 구비하고,
    끼워맞춤부는 통상체로 되며,
    상기 토너배출구, 저부 및 이들을 연결하는 측벽을 포함하며 저부로부터 토너배출구를 향하여 축경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축경구조부를 형성하는 측벽의 면과 토너배출구의 통상체의 단면이 이루는 각도가 약 45°∼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 수납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1에 있어서,
    저부 또는 측벽에 압력조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6. 통상체구조의 토너배출구를 구비하는 토너수납용기로,상기 토너배출구가 장척형 물체와 끼워 맞춰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끼워맞춤부를 구비하고 토너가 충전되어 있으며,
    충전된 토너의 중량(g)을 이 토너수납용기의 용적(㎤)으로 나눈 값을 토너충전밀도로 한 경우, 이 토너충전밀도가 0.7g/㎤이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7. 삭제
  8. 청구항6에 있어서,
    토너배출구가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수납용기.
  9. 청구항8에 있어서,
    밀봉을 뚜껑으로 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수납용기.
  10. 청구항8에 있어서,
    통상체의 단면위에 시이트 재료를 붙여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수납용기.
  11. 청구항6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부로의 토너공급이 공기류로 행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12. 삭제
  13. 통상체구조의 토너배출구를 구비하는 토너수납용기로,상기 토너배출구가 장척형 물체와 끼워 맞춰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끼워맞춤부를 구비하고 또한 이 끼워맞춤부와 장척형물체를 끼워 맞추었을 때에 양자간의 밀착성을 높이는 성질을 갖는 밀착성향상기구를 통상체자체를 가공하여 표면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14. 통상체구조의 토너배출구를 구비하는 토너수납용기로,상기 토너배출구가 장척형 물체와 끼워 맞춰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끼워맞춤부를 구비하고 또한 이 끼워맞춤부와 장척형물체를 끼워 맞추었을 때에 양자간의 밀착성을 높이는 성질을 갖는 밀착성향상기구를 통상체와 끼워맞춤부 내부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15. 통상체구조의 토너배출구를 구비하는 토너수납용기로,상기 토너배출구가 장척형 물체와 끼워 맞춰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끼워맞춤부를 구비하고 또한 이 끼워맞춤부와 장척형물체를 끼워 맞추었을 때에 양자간의 밀착성을 높이는 성질을 갖는 밀착성향상기구를 통상체와 끼워맞춤부 외부 표면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16. 삭제
  17. 청구항14에 있어서,
    밀착성 향상기구가 탄성부재로 되며, 탄성부재가 통상체의 단면내부를 덮는 크기의 판형상으로 그 두께방향으로 스릿이 형성된 것으로, 이 탄성부재를 적어도 한 개의 통상체내부에 끼워넣고 동시에 통상체 내표면에 접착하여 밀착성향상기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18. 청구항13 내지 15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토너배출구, 저부 및 이들을 연결하는 측벽으로 되며 측벽이 저부로부터 토너배출구를 향하여 축경(縮徑)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축경구조부를 형성하는 측벽의 면과 토너배출구의 통상체의 단면이 이루는 각도가 약 45°∼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19. 삭제
  20. 청구항18에 있어서,
    저부가 4각형으로, 측벽을 형성하는 4개 면중에서 적어도 1개 면과 토너배출구의 통상체의 단면이 이루는 각도가90°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21. 청구항13 내지 15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부 또는 측벽에 압력조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22. 장척형 물체와 끼워 맞춰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끼워맞춤부를 구성요소로 하는 토너배출구를 구비하는 토너수납용기로, 이 끼워맞춤부와 장척형물체를 끼워 맞추었을 때에 양자간의 밀착성을 높이는 성질을 갖는 밀착성향상기구를 끼워맞춤부에 구비하고, 토너가 충전되어 있으며,
    충전된 토너의 중량(g)을 이 토너수납용기의 용적(㎤)으로 나눈 값을 토너충전밀도로 한 경우, 이 토너충전밀도가 0.7g/㎤이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23. 삭제
  24. 청구항22에 있어서,
    토너배출구가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25. 청구항24에 있어서,
    통상체의 단면내부를 덮는 크기의 판 형상으로 그 두께방향으로 스릿이 형성된 탄성부재를 통상체 내표면에 접착시켜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수납용기.
  26. 청구항24에 있어서,
    밀봉을 뚜껑으로 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수납용기.
  27. 청구항24에 있어서,
    통상체의 내표면 또는 외표면에 형성된 나사 홈에 뚜껑에 형성한 나사홈을 장착하여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수납용기.
  28. 청구항24에 있어서,
    통상체의 단면위에 시이트 재료를 붙여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수납용기.
  29. 청구항22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부로의 토너공급이 공기류로 행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수납용기.
  30. 유연성 재료로 형성되는 주머니부분과 토너배출구로 되며, 이 토너배출구가 장척형의 물체와 끼워맞추어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끼워맞춤부를 구비하고, 공기 압력에 의해 변형하여 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31. 청구항30에 있어서,
    유연성 재료의 두께가 약 20㎛∼2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32. 청구항30 또는 청구항31에 있어서,
    유연성 재료가 수지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33. 청구항30에 있어서,
    토너배출구가 주머니부분에 구비한 개구부와 고착시키는 부분(고착부라고 한다) 및 상기 끼워맞춤부를 포함하는 통상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34. 청구항33에 있어서,
    통상체의 고착부 선단부를 시점으로 하는 선단부 근처의 주머니부분의 벽이 통상체의 고착부 외벽과 거의 평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35. 청구항33에 있어서,
    통상체를 구성하는 끼워맞춤부의 내경이 고착부의 내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36. 청구항33에 있어서,
    통상체의 고착부 단면이 선형(船型)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37. 청구항33에 있어서,
    통상체의 끼워맞춤부와 고착부 사이에서 통상체의 단면과 거의 평행으로 칼라부를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38. 청구항33에 있어서,
    통상체의 끼워맞춤부와 고착부가 분리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39. 청구항30에 있어서,
    적어도 토너배출구, 저부 및 이들을 연결하는 측벽으로 되며 측벽이 저부로부터 토너배출구를 향하여 축경(縮徑)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40. 청구항39에 있어서,
    축경구조부를 형성하는 측벽의 면과 토너배출구의 통상체의 단면이 이루는 각도가 약 45°∼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41. 청구항39에 있어서,
    저부가 4각형으로, 측벽을 형성하는 4개 면중에서 적어도 1개 면과 토너배출구의 통상체의 단면이 이루는 각도가90°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42. 청구항39에 있어서,
    저부 또는 측벽에 압력조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43. 유연성재료로 형성되는 주머니부와 토너배출구로 되며, 이 토너배출구가 장척형 물체와 끼워 맞춰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끼워맞춤부를 구비하고, 공기 압력에 의해 변형하여 용량이 변화하는 토너수납용기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부에 토너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44. 청구항43에 있어서,
    토너배출구가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45. 청구항44에 있어서,
    통상체의 단면내부를 덮는 크기의 판 형상으로 그 두께방향으로 스릿이 형성된 탄성부재를 통상체 내표면에 접착시켜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수납용기.
  46. 청구항44에 있어서,
    밀봉을 뚜껑으로 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수납용기.
  47. 청구항44에 있어서,
    통상체의 내표면 또는 외표면에 형성된 나사 홈에 뚜껑에 형성한 나사홈을 장착하여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수납용기.
  48. 청구항44에 있어서,
    통상체의 단면위에 시이트 재료를 붙여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수납용기.
  49. 청구항43에 있어서,
    주머니부가 그 자세를 유지하는 수단으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50. 청구항49에 있어서,
    자세지지수단이 주머니부분의 전 둘레를 싸는 상자 형의 부재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51. 청구항43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부로의 토너공급을 공기류로 행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52. 유연성재료로 형성되는 주머니부와 토너배출구로 되며, 이 토너배출구가 장척형 물체와 끼워 맞춰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끼워맞춤부를 구비하고, 공기 압력에 의해 변형하여 용량이 변화하는 토너수납용기로, 이 용기에 토너가 충전되고, 충전된 토너의 중량(g)을 이 토너수납용기의 용적(㎤)으로 나눈 값을 토너충전밀도로 한 경우, 이 토너충전밀도가 0.7g/㎤이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53. 청구항52에 있어서,
    토너배출구가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54. 청구항53에 있어서,
    통상체의 단면내부를 덮는 크기의 판 형상으로 그 두께방향으로 스릿이 형성된 탄성부재를 통상체 내표면에 접착시켜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수납용기.
  55. 청구항53에 있어서,
    밀봉을 뚜껑으로 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수납용기.
  56. 청구항53에 있어서,
    통상체의 내표면 또는 외표면에 형성된 나사 홈에 뚜껑에 형성한 나사홈을 장착하여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수납용기.
  57. 청구항53에 있어서,
    통상체의 단면위에 시이트 재료를 붙여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수납용기.
  58. 청구항52에 있어서,
    주머니부가 그 자세를 유지하는 수단으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59. 청구항58에 있어서,
    자세지지수단이 주머니부분의 전 둘레를 싸는 상자 형의 부재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60. 청구항52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부로의 토너공급을 공기류로 행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61. 유연성재료로 형성되는 주머니부와 토너배출구로 되며, 이 토너배출구가 장척형 물체와 끼워 맞춰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끼워맞춤부를 구비하고, 공기 압력에 의해 변형하여 용량이 변화하는 토너수납용기로, 토너가 충전되고, 토너수납용기의 최대용적을 Cmax, 토너를 충전하여 봉한 후의 용적을 Ctoner + Cair(Ctoner:토너가 점한 용적, Cair:공기가 점한 용적)로 했을 때,
    (Cmax)-{(Ctoner) + (Cair)}≥0.1×(Cair)
    을 만족하도록 토너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 성용 토너수납용기.
  62. 청구항61에 있어서,
    충전된 토너의 중량(g)을 이 토너수납용기의 용적(㎤)으로 나눈 값을 토너충전밀도로 한 경우, 이 토너충전밀도가 0.7g/㎤이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63. 청구항61 또는62에 있어서,
    토너배출구가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64. 청구항63에 있어서,
    통상체의 단면내부를 덮는 크기의 판 형상으로 그 두께방향으로 스릿이 형성된 탄성부재를 통상체 내표면에 접착시켜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수납용기.
  65. 청구항63에 있어서,
    밀봉을 뚜껑으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수납용기.
  66. 청구항63에 있어서,
    통상체의 내표면 또는 외표면에 형성된 나사 홈에 뚜껑에 형성한 나사홈을 장착하여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수납용기.
  67. 청구항63에 있어서,
    통상체의 단면위에 시이트 재료를 붙여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수납용기.
  68. 청구항61 또는 62에 있어서,
    주머니부가 그 자세를 유지하는 수단으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69. 청구항68에 있어서,
    자세지지수단이 주머니부분의 전 둘레를 싸는 상자 형의 부재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70. 청구항61 또는 62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부로의 토너공급을 공기류로 행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71. 유연성재료로 형성되는 주머니부와 토너배출구로 되며, 이 토너배출구가 장척형 물체와 끼워맞추어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끼워맞춤부를 구비하고 또한 끼워맞춤부와 장척형물체를 끼워 맞추었을 때에 양자간의 밀착성을 높이는 밀착성향상기구를 끼워맞춤부에 구비하고,공기 압력에 의해 변형하여 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72. 청구항71에 있어서,
    토너배출구가 통상체이며, 이 통상체자체를 가공하여 표면에 밀착성 향상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73. 청구항71에 있어서,
    끼워맞춤부가 통상체와 그 내부에 밀착성 향상기구를 구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74. 청구항71에 있어서,
    끼워맞춤부가 통상체와 그 외부표면에 밀착성 향상기구를 구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75. 청구항71에 있어서,
    밀착성 향상기구가 탄성부재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76. 청구항73에 있어서,
    밀착성 향상기구가 탄성부재로 되며, 탄성부재가 통상체의 단면내부를 덮는 크기의 판형상으로 그 두께방향으로 스릿이 형성된 것으로, 이 탄성부재를 적어도 한 개의 통상체내부에 끼워넣고 동시에 통상체 내표면에 접착하여 밀착성향상기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77. 청구항71에 있어서,
    유연성 재료의 두께가 약 20㎛∼2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78. 청구항71 또는 청구항77에 있어서,
    유연성 재료가 수지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79. 청구항71에 있어서,
    토너배출구가 주머니부에 구비한 개구부와 고착시키는 부분(고착부라고 한다)과 상기 끼워맞춤부로부터 되는 통상체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80. 청구항79에 있어서,
    통상체의 고착부 선단부를 시점으로 하는 선단부 근처의 주머니부 벽이 통상체의 고착부 외벽과 거의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81. 청구항79에 있어서,
    통상체를 구성하는 끼워맞춤부의 내경이 고착부의 내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82. 청구항79에 있어서,
    통상체의 고착부 단면이 선형(船型)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83. 청구항79에 있어서,
    통상체의 끼워맞춤부와 고착부 사이에서 통상체의 단면과 거의 평행으로 칼라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84. 청구항79에 있어서,
    통상체의 끼워맞춤부와 고착부가 분리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85. 청구항71에 있어서,
    적어도 토너배출구, 저부 및 이들을 연결하는 측벽으로 되며 측벽이 저부로부터 토너배출구를 향하여 축경(縮徑)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86. 청구항85에 있어서,
    축경구조부를 형성하는 측벽의 면과 토너배출구의 통상체의 단면이 이루는 각도가 약 45°∼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87. 청구항85에 있어서,
    저부가 4각형으로, 측벽을 형성하는 4개 면중에서 적어도 1개 면과 토너배출구의 통상체의 단면이 이루는 각도가90°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88. 청구항85에 있어서,
    저부 또는 측벽에 압력조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89. 유연성재료로 형성되는 주머니부와 토너배출구로 되며, 이 토너배출구가 장척형 물체와 끼워 맞춰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끼워맞춤부를 구비하고, 또한 이 끼워맞춤부와 장척형물체를 끼워 맞추었을 때에 양자간의 밀착성을 높이는 밀착성향상기구를 끼워맞춤부에 구비하고,공기 압력에 의해 변형하여 용량이 변화하는 토너수납용기로, 토너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90. 청구항89에 있어서,
    토너배출구가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91. 청구항90에 있어서,
    통상체의 단면내부를 덮는 크기의 판 형상으로 그 두께방향으로 스릿이 형성된 탄성부재를 통상체 내표면에 접착시켜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수납용기.
  92. 청구항90에 있어서,
    밀봉을 뚜껑으로 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수납용기.
  93. 청구항90에 있어서,
    통상체의 내표면 또는 외표면에 형성된 나사 홈에 뚜껑에 형성한 나사홈을 장착하여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수납용기.
  94. 청구항90에 있어서,
    통상체의 단면위에 시이트 재료를 붙여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수납용기.
  95. 청구항89에 있어서,
    주머니부가 그 자세를 유지하는 수단으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96. 청구항95에 있어서,
    자세지지수단이 주머니부분의 전 둘레를 싸는 상자 형의 부재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97. 청구항91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부로의 토너공급을 공기류로 행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98. 유연성재료로 형성되는 주머니부와 토너배출구로 되며, 이 토너배출구가 장척형 물체와 끼워 맞춰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끼워맞춤부를 구비하고, 이 끼워맞춤부와 장척형물체를 끼워 맞추었을 때에 양자간의 밀착성을 높이는 밀착성향상기구를 끼워맞춤부에 구비하고, 공기 압력에 의해 변형하여 용량이 변화하는 토너수납용기로, 이 용기에 토너가 충전되고, 충전된 토너의 중량(g)을 이 토너수납용기의 용적(㎤)으로 나눈 값을 토너충전밀도로 한 경우, 이 토너충전밀도가 0.7g/㎤이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99. 청구항98에 있어서,
    토너배출구가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100. 청구항99에 있어서,
    통상체의 단면내부를 덮는 크기의 판 형상으로 그 두께방향으로 스릿이 형성된 탄성부재를 통상체 내표면에 접착시켜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수납용기.
  101. 청구항99에 있어서,
    밀봉을 뚜껑으로 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수납용기.
  102. 청구항99에 있어서,
    통상체의 내표면 또는 외표면에 형성된 나사 홈에 뚜껑에 형성한 나사홈을 장착하여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수납용기.
  103. 청구항99에 있어서,
    통상체의 단면위에 시이트 재료를 붙여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수납용기.
  104. 청구항98에 있어서,
    주머니부가 그 자세를 유지하는 수단으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105. 청구항104에 있어서,
    자세지지수단이 주머니부분의 전 둘레를 싸는 상자 형의 부재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106. 청구항98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부로의 토너공급을 공기류로 행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107. 유연성재료로 형성되는 주머니부와 토너배출구로 되며, 이 토너배출구가 장척형 물체와 끼워 맞춰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끼워맞춤부를 구비하고, 또한 이 끼워맞춤부와 장척형물체를 끼워 맞추었을 때에 양자간의 밀착성을 높이는 밀착성향상기구를 끼워맞춤부에 구비하고, 공기 압력에 의해 변형하여 용량이 변화하는 토너수납용기로, 토너가 충전되고, 토너수납용기의 최대용적을 Cmax, 토너를 충전하여 봉한 후의 용적을 Ctoner + Cair(Ctoner:토너가 점한 용적, Cair:공기가 점한 용적)로 했을 때,
    (Cmax)-{(Ctoner) + (Cair)}≥0.1×(Cair)
    을 만족하도록 토너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 성용 토너수납용기.
  108. 청구항107에 있어서,
    충전된 토너의 중량(g)을 이 토너수납용기의 용적(㎤)으로 나눈 값을 토너충전밀도로 한 경우, 이 토너충전밀도가 0.7g/㎤이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109. 청구항107 또는108에 있어서,
    토너배출구가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110. 청구항109에 있어서,
    통상체의 단면내부를 덮는 크기의 판 형상으로 그 두께방향으로 스릿이 형성된 탄성부재를 통상체 내표면에 접착시켜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수납용기.
  111. 청구항109에 있어서,
    밀봉을 뚜껑으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수납용기.
  112. 청구항109에 있어서,
    통상체의 내표면 또는 외표면에 형성된 나사 홈에 뚜껑에 형성한 나사홈을 장착하여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수납용기.
  113. 청구항109에 있어서,
    통상체의 단면위에 시이트 재료를 붙여 밀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수납용기.
  114. 청구항107에 있어서,
    주머니부가 그 자세를 유지하는 수단으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115. 청구항114에 있어서,
    자세지지수단이 주머니부분의 전 둘레를 싸는 상자 형의 부재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116. 청구항61 또는 62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부로의 토너공급을 공기류로 행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용 토너수납용기.
  117. 삭제
  118. 삭제
  119. 현상부를 구비하고 있는 화상형성장치내에 토너가 충전된 토너수납용기를 설치하고, 토너수납용기와 현상부 사이에 토너송출통로를 형성하고, 공기류에 의해 토너를 토너수납용기로부터 토너송출통로내를 통하여 현상부로 공급하고, 적어도 토너 공급중은 토너송출통로가 실질 밀폐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방법.
  120. 삭제
  121. 청구항119에 있어서,
    상기 토너송출통로가 토너수납용기의 배출구와 현상부를 장척형의 토너송출수단으로 접속함으로써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방법.
  122. 청구항121에 있어서,
    토너송출수단이 적어도 공기류형성수단으로 되며, 이 공기류형성수단을 가동하여 상기 공기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방법.
  123. 청구항122에 있어서,
    공기류형성수단이 공기 흡인수단 및/또는 공기취입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방법.
  124. 청구항119에 있어서,
    토너수납용기가 통상체구조의 토너배출구를 구비하고 동시에 이 통상체에 밀착성향상기구가 구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방법.
  125. 화상형성장치내에 현상부와 장척형의 토너송출수단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부와 상기 장척형의 토너송출수단의 일단부가 서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126. 청구항125에 있어서,
    토너송출수단이 적어도 공기류형성수단과 토너송출관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127. 청구항126에 있어서,
    공기류형성수단이 공기흡인수단 및/또는 공기취입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128. 청구항126에 있어서,
    공기류형성수단이 공기송출구를 구비하는 공기취입수단으로, 이 공기송출구에 공기 공급관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129. 청구항128에 있어서,
    토너송출수단이 공기취입수단, 노즐 및 토너송출관으로 주로 되어 있고, 이 노즐이 그것을 관통하는 토너배출관부와 공기 유로관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공기취입수단의 상기 공기송출구와 이 공기공기공급관에 개재하여 접속되고 또한 이 토너배출관부는 토너송출관의 일단부와 접속되며 이 토너송출관의 타단부가 현상부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130. 청구항129에 있어서,
    토너송출수단이 나아가 공기흡인구와 공기배출구를 구비하는 공기흡인수단을 구비하고, 이 공기흡인구가 상기 토너배출관부와 직접 또는 토너송출관A을 개재하여 접속되고 동시에 이 공기배출구가 현상부와 직접 또는 토너송출관B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131. 청구항130에 있어서,
    통상체 구조의 토너배출구를 구비하고, 토너가 충전되어 있는 토너수납용기의 토너배출구의 통상체부와 노즐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132. 청구항131에 있어서,
    토너수납용기의 토너배출구의 통상체에 밀착성향상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133. 공기취입수단과 현상부가 탑재되고, 동시에 공기취입구와 통상체 구조의 토너배출구를 구비하고 토너가 충전되어 있는 토너수납용기가 장착된 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취입수단과 공기취입구 및 토너배출구와 현상부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134. 청구항127에 있어서,
    공기류형성수단이 토너흡인구와 공기배출구를 구비하는 공기흡인수단으로, 이 토너흡인구에 토너송출관A이 접속되고 동시에 이 토너배출구가 현상부와 직접 혹은 토너송출관B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135. 청구항134에 있어서,
    토너송출관A의 토너흡인구와 접속되어 있지 않는 단부에 밀착성 향상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136. 청구항135에 있어서,
    통상체 구조의 토너배출구를 구비하고 토너가 충전되어 있는 토너수납용기의 토너배출구의 통상체부와, 토너송출관A의 토너흡인구에 접속되어 있지 않는 단부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137. 청구항136에 있어서,
    토너수납용기의 토너배출구의 통상체에 밀착성 향상기구가 구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KR1019990060272A 1998-12-22 1999-12-22 토너수납용기, 그것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KR1003484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6510898 1998-12-22
JP8057799 1999-03-24
JP11-080577 1999-03-24
JP10-365108 1999-04-15
JP10846499 1999-04-15
JP11-108464 1999-04-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335A KR20000048335A (ko) 2000-07-25
KR100348411B1 true KR100348411B1 (ko) 2002-08-10

Family

ID=27303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0272A KR100348411B1 (ko) 1998-12-22 1999-12-22 토너수납용기, 그것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4) US6678492B1 (ko)
EP (4) EP1447721B1 (ko)
JP (1) JP4257386B2 (ko)
KR (1) KR100348411B1 (ko)
CN (1) CN1119715C (ko)
DE (1) DE69925701T2 (ko)
ES (1) ES2243029T3 (ko)
MX (1) MXPA00000209A (ko)
SG (3) SG156515A1 (ko)
TW (6) TWI2724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56515A1 (en) * 1998-12-22 2009-11-26 Ricoh Kk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JP4157681B2 (ja) * 2000-02-14 2008-10-01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納容器
CN1900837B (zh) * 2000-02-17 2012-10-03 株式会社理光 墨粉收纳容器、补给墨粉的方法及墨粉补给装置
US6591077B2 (en) * 2000-05-08 2003-07-08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container therefor
AU2001272367A1 (en) * 2000-07-18 2002-01-30 Coloplast A/S A dressing
CN100422865C (zh) * 2000-07-21 2008-10-01 株式会社理光 图像形成装置及墨粉收纳容器
JP4351814B2 (ja) * 2000-07-21 2009-10-28 株式会社リコー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3958511B2 (ja) * 2000-09-28 2007-08-15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1626315A3 (en) * 2001-01-31 2006-08-02 Ricoh Company, Ltd.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6679301B2 (en) * 2001-03-13 2004-01-20 Ricoh Company, Ltd. Powder pack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JP2002296825A (ja) * 2001-03-30 2002-10-09 Kyocera Mita Corp 補充用トナー
JP4095875B2 (ja) * 2001-10-30 2008-06-04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3741691B2 (ja) * 2002-04-12 2006-02-0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7133629B2 (en) * 2002-04-12 2006-11-07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including as easy-to-handle large capacity toner container
JP2003330218A (ja) * 2002-05-17 2003-11-19 Ricoh Co Ltd トナー、トナー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542703B2 (en) * 2002-05-20 2009-06-02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replenishing a toner or a carrier of a two-ingredient type develop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developing device
DE10223231A1 (de) * 2002-05-24 2003-12-24 Oce Printing System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ördern von Tonermaterial aus einem Vorratsbehälter
JP3684212B2 (ja) 2002-06-05 2005-08-17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収納容器の減容方法及び現像剤補給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3974463B2 (ja) * 2002-07-03 2007-09-12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およびこれを用いた二成分現像剤
JP2004037889A (ja) * 2002-07-04 2004-02-05 Ricoh Co Ltd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7116928B2 (en) 2002-12-18 2006-10-03 Ricoh Company, Ltd. Powder discharg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4241172B2 (ja) * 2003-05-06 2009-03-18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5017787A (ja) 2003-06-27 2005-01-20 Ricoh Co Ltd トナー補給装置
JP3985753B2 (ja) * 2003-08-19 2007-10-03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DE10342742A1 (de) * 2003-09-16 2005-05-12 Braun Melsungen Ag Behälter für Infusionsflüssigkeiten
JP2005091797A (ja) * 2003-09-18 2005-04-07 Ricoh Co Ltd 現像方法および現像装置
JP4330962B2 (ja) * 2003-09-18 2009-09-16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収納容器、現像剤供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1584990A1 (en) * 2004-04-05 2005-10-12 Ricoh Co., Ltd. Toner supplying device with gas feeding
JP4535807B2 (ja) * 2004-08-25 2010-09-0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584701B2 (ja) * 2004-12-22 2010-11-2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用粉体を内包する易変形性容器用容器収納箱
KR100809730B1 (ko) 2005-04-27 2008-03-06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토너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EP1890201B1 (en) * 2005-06-07 2014-12-31 Ricoh Company, Ltd.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device
CN101099117B (zh) 2005-10-04 2010-05-19 株式会社理光 粉体供给装置、图像形成装置及监视系统
EP1785780B1 (en) * 2005-11-09 2011-03-09 Ricoh Company, Ltd. Replenishment container for two-component developer and filling method
JP2007155841A (ja) 2005-11-30 2007-06-21 Ricoh Co Ltd 粉体容器、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680435B2 (en) * 2006-01-26 2010-03-16 Ricoh Company, Ltd. Flange, flan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flange
JP4392844B2 (ja) * 2006-02-14 2010-01-06 株式会社リコー 粉体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566147B2 (ja) * 2006-03-06 2010-10-20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容器及びトナー充填方法
JP2007238167A (ja) * 2006-03-13 2007-09-20 Ricoh Co Ltd ストレッチラベル装着治具
JP2007322916A (ja) * 2006-06-02 2007-12-13 Ricoh Co Ltd 現像剤供給装置、現像剤容器、現像剤、及び、画像形成装置
JP4990040B2 (ja) * 2006-11-01 2012-08-01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補給装置、画像形成装置
US8050597B2 (en) * 2006-11-09 2011-11-01 Ricoh Company, Limited Toner container having a gear portion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129288A (ja) * 2006-11-20 2008-06-05 Sharp Corp トナー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132161B2 (ja) * 2007-02-02 2013-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680232B2 (ja) * 2007-05-07 2011-05-11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US7853173B2 (en) 2007-10-27 2010-12-14 Wazana Brothers International Excess toner evacuation process
US7974557B2 (en) * 2007-12-19 2011-07-05 Xerox Corporation Carrier replenishment and image mottle reduction system
JP5321112B2 (ja) * 2008-09-11 2013-10-23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U2014216008B2 (en) * 2009-03-30 2015-12-03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developer supplying system
PL2908180T3 (pl) * 2009-03-30 2018-07-31 Canon Kabushiki Kaisha Zbiornik do uzupełniania wywoływacza i układ uzupełniania wywoływacza
US8953986B2 (en) 2010-04-27 2015-02-10 Ricoh Company, Limited Powder container, powder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2691817B1 (en) 2011-03-30 2021-06-30 Ricoh Company, Ltd. Powder storage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3003517A (ja) 2011-06-21 2013-01-07 Ricoh Co Ltd 光沢付与装置、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822061B2 (ja) 2011-06-21 2015-11-24 株式会社リコー 光沢付与装置、画像形成装置、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13007801A (ja) 2011-06-22 2013-01-10 Ricoh Co Ltd 光沢付与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S2772277T3 (es) 2011-11-25 2020-07-07 Ricoh Co Ltd Recipiente de polvo y aparato formador de imágenes
US8768223B2 (en) 2011-12-30 2014-07-01 Lexmark International, Inc. Imaging apparatus assembly with pressure equalization
JP5861489B2 (ja) * 2012-02-15 2016-02-16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857783B2 (ja) * 2012-02-17 2016-02-10 株式会社リコー ノズル、画像形成装置、及び粉体導出方法
JP6019799B2 (ja) * 2012-06-22 2016-11-02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容器
JP2014029475A (ja) * 2012-07-06 2014-02-13 Ricoh Co Ltd トナー補給容器及びトナー補給システム
MX346597B (es) 2013-03-14 2017-03-24 Ricoh Co Ltd Recipiente de polvo y aparato de formación de imágenes.
US8774685B1 (en) * 2013-06-14 2014-07-08 Lexmark International, Inc. Venting system for a toner cartridge for use with an image forming device
US9128412B2 (en) 2013-06-14 2015-09-08 Lexmark International, Inc. Venting system for a toner cartridge for use with an image forming device
JP2015041001A (ja) * 2013-08-22 2015-03-02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搬送装置、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SG10201804311QA (en) 2014-03-17 2018-07-30 Ricoh Co Ltd Nozzle receiver,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217956B1 (en) * 2014-09-15 2015-12-22 Xerox Corporation Dispense-end seal for toner containers
US9594331B2 (en) 2015-02-27 2017-03-14 Ricoh Company, Ltd.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US9494909B1 (en) * 2015-08-12 2016-11-15 Xerox Corporation Toner micro-container
US9665064B1 (en) * 2015-12-29 2017-05-30 Grs Korea Inc. Output apparatus with an external toner supplying device
JP6546559B2 (ja) * 2016-03-31 2019-07-17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処理装置、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1827259B1 (ko) * 2016-06-13 2018-02-08 김영준 레이저 프린터용 토너 커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레이저 프린터 그리고 레이저 프린터의 토너 자동 공급 시스템
CN108107695B (zh) * 2017-11-29 2020-09-25 苏州市信睦知识产权服务有限公司 一种碳粉填充装置
KR20190125106A (ko) * 2018-04-27 2019-11-06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에 리필 토너 공급
KR20200025336A (ko) * 2018-08-30 2020-03-10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토너 충전부의 유입 셔터를 선택적으로 로킹하는 구조
KR102390147B1 (ko) * 2018-08-30 2022-04-25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현상 카트리지와 본체 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본체에 연결되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
CN111497523A (zh) * 2019-01-31 2020-08-07 郑州三华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转盘调色机
JP2022094855A (ja) * 2020-12-15 2022-06-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5956A (en) * 1986-10-02 1990-08-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Device for transferring toner from a transport container into a toner reservoir
JPH03156482A (ja) * 1989-11-15 1991-07-04 Seikosha Co Ltd 磁気記録装置
JPH04190267A (ja) * 1990-11-24 1992-07-08 Mita Ind Co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H0664182A (ja) * 1992-08-25 1994-03-08 Alps Electric Co Ltd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H06130812A (ja) * 1992-10-22 1994-05-13 Ricoh Co Ltd トナー供給装置
JPH06191049A (ja) * 1992-12-25 1994-07-12 Canon Inc インクタンク、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とインクタンクへのインク注入装置ならびにその注入方法
JPH07295355A (ja) * 1994-04-25 1995-11-10 Konica Corp トナー補給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補充容器
JPH0985962A (ja) * 1995-09-25 1997-03-31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9152764A (ja) * 1995-11-28 1997-06-10 Mita Ind Co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8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14002A (fr) * 1961-11-24 1963-01-04 Procédé et dispositif pour distribuer une substance non compacte
US4274455A (en) * 1979-04-13 1981-06-23 Tbs, Inc. Toner loading device
JPS5699364A (en) 1980-01-11 1981-08-10 Olympus Optical Co Ltd Magnet roll developing device
JPS5757451A (en) 1980-09-25 1982-04-06 Hitachi Ltd Cathode-ray tube tester
JPS58174769A (ja) 1982-04-07 1983-10-13 Hitachi Ltd 静止誘導電器用自動復帰形放圧装置
JPS599360A (ja) 1982-07-07 1984-01-18 Nissan Motor Co Ltd トルクコンバ−タの伝達トルク容量制御装置
JPS5927558A (ja) 1982-08-03 1984-02-14 Toshiba Corp 半導体装置用リ−ドフレ−ム
JPS5938459A (ja) 1982-08-27 1984-03-02 株式会社南星 コンクリ−トバケツトの自動着脱装置
DE3232369C1 (de) * 1982-08-31 1984-03-01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Fixiereinrchtung zum Fixieren von Tonerbildern in einer mit Fixiermitteldampf angereicherten Atmosphaere
JPS6082651A (ja) 1983-10-07 1985-05-10 Sumitomo Metal Ind Ltd 合金化溶融亜鉛めつき鋼板の製法
JPS60232578A (ja) * 1984-05-02 1985-11-19 Canon Inc 粉粒体補給用容器
JPS6159464A (ja) * 1984-08-31 1986-03-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ナ−補給装置
JPS6159465A (ja) 1984-08-31 1986-03-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ナ−補給装置
JPS61122673A (ja) * 1984-11-20 1986-06-10 Fuji Xerox Co Ltd トナ−供給装置
FI72775C (fi) 1985-08-08 1987-07-10 Yhtyneet Paperitehtaat Oy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att foerbaettra en torrbandsprocess.
DE3633593A1 (de) * 1986-10-02 1988-04-07 Siemens Ag Vorrichtung zum verschmutzungsfreien wechseln eines tonerbehaelters in einer tonerfoerdereinrichtung eines nichtmechanischen druck- oder kopiergeraetes
JPS63271378A (ja) 1987-04-30 1988-11-09 Toshiba Corp 複写機のトナ−補給装置
JPH0820805B2 (ja) 1987-08-24 1996-03-04 新電元工業株式会社 電子写真装置の現像装置
JPS6452181U (ko) 1987-09-28 1989-03-30
GB2214486A (en) * 1988-01-20 1989-09-06 John David Yair Container
JPH0253055A (ja) 1988-08-17 1990-02-22 Dainippon Screen Mfg Co Ltd 製版用画像処理装置のための接続ライン選択切換装置
JPH0254392A (ja) 1988-08-18 1990-02-23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リペイドカードシステム
JPH0269627A (ja) 1988-09-06 1990-03-08 Toyota Motor Corp 熱電対用保護管
JPH02134554U (ko) * 1989-04-12 1990-11-08
JPH03176303A (ja) * 1989-11-30 1991-07-31 Mita Ind Co Ltd 粉体充填方法
JPH03241372A (ja) * 1990-02-20 1991-10-28 Ricoh Co Ltd 電子写真装置の現像器
JPH049082A (ja) 1990-04-26 1992-01-13 Mita Ind Co Ltd トナー補給装置
JPH0487901A (ja) 1990-07-18 1992-03-19 Canon Inc 粉体充填方法
US5074344A (en) * 1990-10-22 1991-12-24 Eastman Kodak Company Toner container and latchable cover
JPH0546022A (ja) 1991-08-09 1993-0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現像装置
JPH0588546A (ja) * 1991-09-27 1993-04-09 Ricoh Co Ltd トナー容器
JPH05170271A (ja) * 1991-12-20 1993-07-09 Ricoh Co Ltd 補充用トナー容器
JPH05232810A (ja) 1992-02-19 1993-09-10 Ricoh Co Ltd トナー容器
KR0127279B1 (ko) * 1992-07-24 1997-12-29 사또 후미오 전자사진장치용 용기 및 현상장치
JPH06175490A (ja) 1992-12-08 1994-06-2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6175430A (ja) 1992-12-11 1994-06-2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347201B2 (ja) 1992-12-30 2002-11-20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208301A (ja) 1993-01-08 1994-07-26 Konica Corp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H06222669A (ja) 1993-01-26 1994-08-1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6250520A (ja) * 1993-02-23 1994-09-0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5380469A (en) 1993-03-18 1995-01-10 Calgene Chemical, Inc. Polyglycerol esters as functional fluids and functional fluid modifiers
JP3225136B2 (ja) 1993-07-31 2001-11-05 花王株式会社 トナー補給用治具およ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2500054B2 (ja) 1993-10-15 1996-05-29 ヤマキ工業株式会社 屋根材の接続構造
US5474111A (en) 1993-10-22 1995-12-12 Degussa Corporation Fine particle handling
US5570170A (en) * 1993-12-27 1996-10-29 Moore Business Forms, Inc. Electrostatic printing apparatus with a hopper and applicator roller with method of applying toner to and declumping the applicator roller
JP3245512B2 (ja) 1994-03-03 2002-01-15 京セラ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5614996A (en) 1994-03-03 1997-03-25 Kyocera Corporation Toner storage unit, residual toner collect unit, toner container with these unit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uch toner container
JPH07261529A (ja) * 1994-03-18 1995-10-13 Katsuragawa Electric Co Ltd トナー補給装置
US5655180A (en) * 1994-03-19 1997-08-05 Kao Corporation Toner cartridge with a rotary element which is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a developing apparatus
JPH07261531A (ja) 1994-03-19 1995-10-13 Kao Corp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3904246B2 (ja) 1994-04-08 2007-04-11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及び現像装置
JPH07333964A (ja) * 1994-06-10 1995-12-22 Union Kemikaa Kk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詰め替え方法
DE69504777T2 (de) 1994-07-15 1999-02-04 Ricoh Kk Tonerbehälter für eine Entwicklungsvorrichtung in einem Bildaufzeichnungsgerät
JPH0844174A (ja) * 1994-07-29 1996-02-16 Fujitsu Ltd シリアル型電子写真装置
US5595223A (en) * 1994-10-21 1997-01-21 Mitsubishi Pencil Corporation Of America Ink refilling assembly
JP2685002B2 (ja) 1994-11-11 1997-12-03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写真装置のトナー補給機構
EP0739298B1 (en) * 1994-11-16 1998-12-23 Legend Incorporation Limited Fluid container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JPH08171331A (ja) * 1994-12-16 1996-07-0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現像剤補給容器
JPH08171281A (ja) * 1994-12-16 1996-07-0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現像剤補給容器
JP2806848B2 (ja) * 1995-02-22 1998-09-30 日本電気データ機器株式会社 トナー補給機構
CA2146102C (en) * 1995-03-31 2000-07-25 Hermann Ophardt Bag fluid dispenser
JP3784454B2 (ja) 1995-04-07 2006-06-14 株式会社リコー 充填トナー補給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314272A (ja) 1995-05-19 1996-11-2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現像剤補給容器
JPH096108A (ja) 1995-06-15 1997-01-1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のトナー補給装置
JP3437332B2 (ja) 1995-07-10 2003-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粉体供給用容器と該粉体供給用容器の製造方法及び粉体供給方法
JPH09106156A (ja) 1995-10-09 1997-04-22 Canon Inc 現像剤容器、袋状シート及び現像剤充填装置
JP3403594B2 (ja) * 1995-11-15 2003-05-0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H09166912A (ja) 1995-12-18 1997-06-24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剤容器
US5576816A (en) * 1996-01-11 1996-11-19 Xerox Corporation Toner cartridge internal plug
JPH09305080A (ja) * 1996-05-16 1997-11-28 Mitsubishi Electric Corp 廃トナー回収容器及び廃トナー回収装置
JP3572500B2 (ja) 1996-08-21 2004-10-06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現像剤補給装置及び現像剤カートリッジ
TW330907B (en) * 1996-09-09 1998-05-01 Riso Kagaku Corp The ink container and ink supplied device for packing ink container
US5848326A (en) * 1996-10-18 1998-12-08 Ricoh Company, Ltd. Toner conveying method and devic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H10123814A (ja) 1996-10-24 1998-05-15 Nec Niigata Ltd トナー補給方式
DE19652860C2 (de) * 1996-12-18 2002-03-21 Oce Printing Systems Gmbh Vorrichtung zum Fördern von Tonermaterial aus einem Vorratsbehälter
JPH10268641A (ja) * 1997-03-24 1998-10-09 Ricoh Co Ltd 粉体移送装置
JPH10274877A (ja) * 1997-03-31 1998-10-13 Ricoh Co Ltd 現像剤収納器及び該現像剤収納器を用いる現像剤貯蔵装置
US5950055A (en) * 1997-04-18 1999-09-07 Ricoh Company, Ltd. Powder pump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powder pump and method therefor
JP3373143B2 (ja) 1997-08-19 2003-02-04 株式会社昭和丸筒 トナーカートリッジ
KR100307584B1 (ko) * 1998-02-27 2001-12-12 윤종용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용잉크공급장치
US6201941B1 (en) * 1998-06-25 2001-03-13 Ricoh Company, Ltd. Developer container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veying a developer
SG156515A1 (en) * 1998-12-22 2009-11-26 Ricoh Kk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6591077B2 (en) 2000-05-08 2003-07-08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container therefor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5956A (en) * 1986-10-02 1990-08-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Device for transferring toner from a transport container into a toner reservoir
JPH03156482A (ja) * 1989-11-15 1991-07-04 Seikosha Co Ltd 磁気記録装置
JPH04190267A (ja) * 1990-11-24 1992-07-08 Mita Ind Co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H0664182A (ja) * 1992-08-25 1994-03-08 Alps Electric Co Ltd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H06130812A (ja) * 1992-10-22 1994-05-13 Ricoh Co Ltd トナー供給装置
JPH06191049A (ja) * 1992-12-25 1994-07-12 Canon Inc インクタンク、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とインクタンクへのインク注入装置ならびにその注入方法
JPH07295355A (ja) * 1994-04-25 1995-11-10 Konica Corp トナー補給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補充容器
JPH0985962A (ja) * 1995-09-25 1997-03-31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9152764A (ja) * 1995-11-28 1997-06-10 Mita Ind Co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72460B (en) 2007-02-01
JP4257386B2 (ja) 2009-04-22
US7039346B2 (en) 2006-05-02
SG128420A1 (en) 2007-01-30
EP1445665A3 (en) 2007-12-05
TWI272461B (en) 2007-02-01
EP1447720A3 (en) 2007-12-05
US6678492B1 (en) 2004-01-13
US6608983B2 (en) 2003-08-19
EP1447721A3 (en) 2007-12-05
EP1445665B1 (en) 2012-06-06
TWI251725B (en) 2006-03-21
CN1119715C (zh) 2003-08-27
EP1447721B1 (en) 2012-02-22
TW200413866A (en) 2004-08-01
EP1014214A3 (en) 2000-08-30
TWI227815B (en) 2005-02-11
EP1447720A2 (en) 2004-08-18
ES2243029T3 (es) 2005-11-16
TW200416502A (en) 2004-09-01
KR20000048335A (ko) 2000-07-25
US20040091289A1 (en) 2004-05-13
CN1259690A (zh) 2000-07-12
SG93854A1 (en) 2003-01-21
EP1447720B1 (en) 2012-02-08
MXPA00000209A (es) 2002-11-04
DE69925701T2 (de) 2006-03-23
TWI243292B (en) 2005-11-11
DE69925701D1 (de) 2005-07-14
EP1014214A2 (en) 2000-06-28
EP1445665A2 (en) 2004-08-11
US20010041083A1 (en) 2001-11-15
JP2008225505A (ja) 2008-09-25
TWI243293B (en) 2005-11-11
TW200410056A (en) 2004-06-16
US7277665B2 (en) 2007-10-02
US20040253023A1 (en) 2004-12-16
TW200410057A (en) 2004-06-16
EP1014214B1 (en) 2005-06-08
TW200416501A (en) 2004-09-01
EP1447721A2 (en) 2004-08-18
SG156515A1 (en) 200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8411B1 (ko) 토너수납용기, 그것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JP3523129B2 (ja) トナー収納容器
EP1933208B1 (en) Powder supply device, image forming device, and monitor system
EP1793283A1 (en) Powder container and toner replenish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01166581A (ja) ノズル、トナー移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2000861B1 (en) Particle Supply Apparatus, Imaging Apparatus, and Particle Accommodating Unit Transporting Method
JP2004191851A (ja) トナー攪拌装置、トナー搬送装置、電子写真式画像形成装置
JP4860359B2 (ja) 粉体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当該粉体容器を収納する粉体容器収納箱、並びに粉体容器の製造方法、粉体容器の再生方法
US20050008398A1 (en)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efficiently replenishing toner from a soft toner container
JP4359482B2 (ja) トナー収納容器及びトナー充填方法
JP2001201926A (ja) 現像剤収納容器
JP2003122100A (ja) 現像剤移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11383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2214894A (ja) 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359483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2002833A (ja) 粉体収納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04801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4012693A (ja)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13240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113615A (ja) 画像形成装置
JP399396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2132028A (ja) 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2072644A (ja) 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2116612A (ja) 現像剤補給容器
JP2005189481A (ja) 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