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5106A -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에 리필 토너 공급 - Google Patents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에 리필 토너 공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5106A
KR20190125106A KR1020180049428A KR20180049428A KR20190125106A KR 20190125106 A KR20190125106 A KR 20190125106A KR 1020180049428 A KR1020180049428 A KR 1020180049428A KR 20180049428 A KR20180049428 A KR 20180049428A KR 20190125106 A KR20190125106 A KR 20190125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refill
image forming
article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9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정운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180049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5106A/ko
Priority to BR112020019460-3A priority patent/BR112020019460A2/pt
Priority to MX2020007690A priority patent/MX2020007690A/es
Priority to CN201880092802.6A priority patent/CN112041757B/zh
Priority to US17/040,872 priority patent/US11333995B2/en
Priority to EP18916427.0A priority patent/EP3717969A4/en
Priority to RU2020128380A priority patent/RU2771004C1/ru
Priority to PCT/KR2018/008653 priority patent/WO2019208874A1/en
Publication of KR20190125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1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3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an electronic mem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4Reconditioning of the developer unit, i.e. reusing or recycling parts of the unit, e.g. resealing of the unit before refilling with ton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16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95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identification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 G03G2215/0697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identification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being an 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된 화상 형성 작업부, 토너 리필부,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개시된다. 토너 리필부는 리필 토너 용품(refill toner supplies)과 연결되고, 연결된 리필 토너 용품으로부터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로 리필 토너를 공급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토너 리필부의 동작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에 리필 토너 공급{SUPPLYING REFILL TONER TO MOUNTED TONER CARTRIDGE}
화상 형성 장치가 많은 인쇄를 수행한 경우, 토너 카트리지에 토너가 소진되면 토너 카트리지를 교체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에서 기존의 토너 카트리지를 분리하여 제거하고, 대신, 새로운 토너 카트리지로 교체할 수 있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 리필부와 리필 토너 용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토너 리필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에 리필 토너를 연결하여 토너를 리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토너 리필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예에 따라 토너 리필부에 리필 토너 용품이 연결된 상태에서 화상 형성 장치의 전원이 켜지는 경우의 토너 리필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예에 따라 리필 토너 용품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예에 따라 토너 리필 진행 상황을 디스플레이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예에 따라 토너 리필에 관한 리포트를 출력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진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의 토너 리필부(110)와 리필 토너 용품(200)을 나타낸 도면이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인쇄, 스캔 또는 팩스 등의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인쇄 작업을 위해, 토너를 사용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작업에 사용되는 토너를 수용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100)내에 장착되어,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체 상에 가시적인 토너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가 모두 사용된 경우, 사용자는 토너를 전부 사용한 토너 카트리지를 새로운 카트리지로 교체하여야 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의 구조나 동작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 사용자는 기존의 토너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하고, 새로운 토너 카트리지를 대신하여 장착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하, 토너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분리하지 않고,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장착된 상태로 리필 토너 용품(200)을 이용하여 토너 카트리지에 토너를 리필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가 리필 토너 용품(refill toner supplies)(200)과 연결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리필 토너 용품(200)은 토너 카트리지에 토너를 충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소모품일 수 있다. 리필 토너 용품(200)은 토너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의 구조를 가진다. 리필 토너 용품(200)은 화상 형성 장치(100)에 결합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화상 형성 장치(100)에 구비된 토너 리필부(110)의 연결부와 구조가 서로 대응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필 토너 용품(200)과 연결되는 토너 리필부(110)의 연결부는 화상 형성 장치(100) 외부로 드러난 형태일 수 있다. 토너 리필부(11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내에 위치하되, 리필 토너 용품(200)과 연결되는 연결부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다. 토너 리필부(110)에서 리필 토너 용품이(200)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는 리필 토너 용품(200)이 화상 형성 장치(100)에 직접 결합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화상 형성 장치(100) 외관의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토너 리필부(110)는 리필 토너 용품(200)과 연결되고, 연결된 리필 토너 용품(200)으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100)의 화상 형성 작업부에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로 리필 토너를 공급할 수 있다. 토너 리필부(110)는 토너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작업부에 장착된 체로 리필 토너를 토너 카트리지에 공급할 수 있다.
도 2는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는 토너 리필부(110), 컨트롤러(120),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13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40), 화상 형성 작업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토너 리필부(110)는 리필 토너 용품(200)이 연결되어, 리필 토너 용품(200)으로부터 리필 토너를 공급받아 화상 형성 작업부(150)에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로 리필 토너를 이송할 수 있다.
컨트롤러(120)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각 기능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20)는 RAM(미도시), ROM(미도시), CPU(미도시), GPU(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AM, ROM, CPU, 및 GPU 등은 데이터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스토리지(미도시)에 액세스하여, 스토리지에 저장된 O/S(Operating System)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CPU는 스토리지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ROM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100)는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CPU가 ROM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스토리지에 저장된 O/S를 RAM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킬 수 있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는 스토리지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에 복사하고, RAM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GPU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부팅이 완료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40)의 영역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컨트롤러(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40)에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외부 장치와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13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130)는 외부 장치와의 연결 또는 통신을 위해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Interfa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4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획득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40)는 사용자로부터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한 입력 등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40)는 화상 형성 작업에 대한 정보 또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4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 패널(operation panel) 및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를 포함한 터치 스크린 형태일 수 있다.
화상 형성 작업부(150)는 인쇄부(151), 스캔부(152) 및 팩스부(153)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는데, 필요에 따라서 이들 중 일부 구성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다른 종류의 화상 형성 작업 수행을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화상 형성 작업부(150)는 화상 형성 작업 수행을 위한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화상 형성 작업 수행을 위한 전용 소프트웨어를 가질 수도 있다. 인쇄부(151)는 전자 사진 방식, 잉크젯 방식, 열전사 방식 및 감열 방식 등 다양한 인쇄 방식에 의하여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스캔부(152)는 원고에 광을 조사하고,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읽어들일 수 있다. 팩스부(153)의 경우, 화상을 스캔하기 위한 구성은 스캔부(152)와 공유할 수 있고, 수신한 파일을 인쇄하기 위한 구성은 인쇄부(151)와 공유할 수 있으며, 스캔 파일을 목적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토너 리필부(11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토너 리필부(110)는 센서(111), 인증 장치(113), 리필 토너 공급 모터(115), 및 리필 토너 이송로(117)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구성들 중 일부는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센서(111)는 토너 리필부(110)에 대한 리필 토너 용품(200)의 물리적 연결을 감지할 수 있다.
인증 장치(113)는 물리적 연결이 감지된 리필 토너 용품(200)과 통신을 수행하여 리필 토너 용품(200)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리필 토너 용품(200)이 정품인지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리필 토너 공급 모터(115)는 리필 토너 용품(200)에서 리필 토너의 배출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필 토너 공급 모터(115)의 구동에 따라 리필 토너 용품(200)에 압력을 가하여, 리필 토너 용품(200)으로부터 리필 토너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토너 리필부(110)에서 리필 토너 공급 모터(115)를 이용하는 경우, 리필 토너 용품(200)은 리필 토너 공급 모터(115)와 연동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리필 토너 용품(200)이 외부의 압력에 의해 수축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된 경우, 사용자가 누르는 압력에 의해 리필 토너가 리필 토너 용품(200)으로부터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리필 토너 용품(200)에 리필 토너가 배출되도록 하는 전동기기와 전동기기를 작동시키는 스위치가 있는 경우, 리필 토너 용품(200)의 스위치를 눌러, 리필 토너 용품(200)으로부터 리필 토너가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들에서는 도 3의 토너 리필부(110)에서 리필 토너 공급 모터(115)가 생략될 수 있다.
리필 토너 이송로(117)는 리필 토너 용품(200)으로부터 배출된 리필 토너를 토너 카트리지의 일 측면에 형성된 토너 주입구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는 일 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0)에 리필 토너 용품(200)을 연결하여 토너를 리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리필 토너 용품(200)을 연결할 수 있다.(S 400)
화상 형성 장치(100)는 토너 리필 모드를 진행할 수 있다.(S 405)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40)는 리필 토너 용품(200)의 연결에 따라 토너 리필 진행 상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컨트롤러(120)는 토너 리필부(110)에 리필 토너 용품(200)이 연결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4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토너 리필 동작에 대해 승인을 받고, 화상 형성 장치(100)가 토너 리필 모드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20)는 토너 리필 모드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40)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화상 형성 작업부(150)가 실행되지 않도록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능의 사용을 차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120)는 화상 형성 작업부(150)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20)는 토너 리필부(110)가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리필 토너를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토너 리필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리필 토너 용품(200)을 제거할 수 있다.(S 410) 화상 형성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40)를 통해 토너 리필컨트롤러(120)는 토너 리필부(110)에서 리필 토너 용품(200)이 제거되면, 토너 리필부(110)의 상태를 정지로 설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120)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능의 사용 차단을 해제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화상 형성 작업부를 재시작할 수 있다. 컨트롤러(120)는 토너 리필 모드에 따라 정지된 화상 형성 작업부(150)를 재시작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가 정상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화상 형성 작업부(150)는 초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토너 리필에 관한 리포트를 출력할 수 있다.(S 420) 컨트롤러(12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저장된 토너 리필 모드 시작 정보, 토너 리필 진행 상황 정보, 및 토너 리필 모드 종료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토너 리필에 관한 리포트를 생성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40)를 통해 생성된 리포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토리 리필 모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토너 리필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리필 토너 용품(200)의 연결에 따라 리필 토너 용품(200)에 대해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리필 토너 용품(200)이 정품인지에 대한 인증 성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 500)
화상 형성 장치(100)는 연결된 리필 토너 용품(200)으로부터 리필 토너가 공급될 수 있는지 살펴, 리필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 505) 예를 들어, 리필 토너 용품(200)에 리필 토너가 없거나, 리필 토너의 배출이 불가능한 경우, 토너 리필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리필 토너 용품(200)에 대한 인증이 불가하거나 실패된 경우 또는 토너 리필이 불가능한 경우, 리필 토너 인증 오류 또는 토너 리필이 불가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S 510)
화상 형성 장치(100)는 리필 토너 용품(200)에 대한 인증 성공 및 토너 리필이 가능함을 확인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40)를 통해 사용자의 토너 리필 동작 승인을 요청하고, 사용자로부터 토너 리필 동작을 시작하라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 515)
화상 형성 장치(100)는 토너 리필을 진행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40)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화상 형성 작업부(150)가 실행되지 않도록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능의 사용을 차단하고, 토너 리필부(110)가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 520) 화상 형성 장치(100)는 토너 리필이 진행되는 동안 화상 형성 작업부(150)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정착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Laser Scanning Unit, LSU), 급지부 등의 동작을 정지시켜, 절전 모드 진입시와 같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토너 리필 시작에 따라, 토너 리필 모드 시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 525) 토너 리필 모드 시작 정보는 리필 토너 용품(200)의 고유번호, 모델, 용량, 및 토너 리필이 시작된 날짜 및 시간이 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리필 토너 용품(200)으로부터 리필 토너가 배출되도록 리필 토너 공급 모터(115)를 구동할 수 있다.(S 530) 다만, 토너 리필부(110)에 리필 토너 공급 모터(115)가 없고 리필 토너 용품(200)이 외부의 압력에 의해 수축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된 경우이거나, 리필 토너 용품(200)에 리필 토너가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리필 토너 용품(200)에 압력을 가하거나 리필 토너 용품(200)을 작동시켜서 리필 토너 용품(200)으로부터 리필 토너가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리필 토너 용품(200)으로부터 화상 형성 작업부(150)에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로 리필 토너를 공급할 수 있다.(S 535) 화상 형성 장치(100)는 토너 리필이 진행되는 동안에, 토너 리필 진행 상황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토너 리필이 진행되는 도중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원이 꺼지거나, 토너 리필을 계속하여 진행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된 경우, 추후 토너 리필 작업을 이어서 할 수 있도록, 토너 리필 진행 상황 정보를 화상 형성 장치(100)에 저장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리필 토너 용품(200)으로부터 리필 토너가 더 배출되지 않거나, 토너 카트리지에 토너가 소정의 량 이상 찬 경우, 토너 리필을 완료할 수 있다.(S 540)
화상 형성 장치(100)는 토너 리필 완료에 따라, 토너 리필 모드 종료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 545) 토너 리필 모드 종료 정보는 리필 토너 용품(200)의 고유번호, 모델, 용량, 및 토너 리필이 종료된 날짜 및 시간이 될 수 있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화상 형성 작업이 현재 진행되고 있는 도중에 토너 리필부(110)에 리필 토너 용품(200)이 연결되면, 화상 형성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4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현재 진행되고 있는 화상 형성 작업의 취소, 일시정지, 및 완료 중 어느 하나의 선택에 따라 토너 리필 모드를 수행하거나, 토너 리필을 취소할 수 있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100)가 절전 모드일 때, 토너 리필부(110)에 리필 토너 용품(200)이 연결되면, 컨트롤러(120)는 절전 모드에서도 리필 토너 용품(200)의 물리적 연결을 감지하는 센서(111)로부터 리필 토너 용품(200)이 연결되었음을 전달받고, 절전 모드를 토너 리필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6은 일 예에 따라 토너 리필부(110)에 리필 토너 용품(200)이 연결된 상태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원이 켜지는 경우의 토너 리필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서 S 600 내지 S 615, 및 S 635 내지 S 660에 대한 설명은 앞서 도 5에서 설명한 S 500 내지 S 545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하고, 사용자의 토너 리필 동작 승인에 따라 토너 리필을 시작하기 전 과정(S 620, S 625, S 630)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한다.
전원이 켜짐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0)의 부팅 또는 재부팅시, 리필 토너 용품(200)이 화상 형성 장치에 연결된 상태이면, 전원이 켜지기 전 토너 리필 모드가 진행되고 있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토너 리필 모드가 진행되지 않은 경우는 도 5에서 설명한 토너 리필 모드에 따라 토너 리필을 진행하면 되지만, 토너 리필 모드가 진행되고 있었던 경우에는 진행되고 있었던 토너 리필 모드에 대한 후속 작업이 진행되도록 화상 형성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토너 리필부(110)로부터 수신된 리필 토너 용품(200)의 정보와 메모리에 저장된 토너 리필 모드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토너 리필 모드 진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 620)
토너 리필 모드가 진행되던 중 재부팅이 발생한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0)는 토너 리필 모드의 진행 정보를 복구할 수 있다.(S 625)
화상 형성 장치(100)는 토너 리필 재시작 지점을 설정할 수 있다.(S 630)
도 7은 일 예에 따라 리필 토너 용품(200)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도 5의 S 500 및 도 6의 S 600에서 도 7에 도시된 리필 토너 용품(200)에 대한 인증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리필 토너 용품(200)을 화상 형성 장치(100)에 연결할 수 있다.(S 700)
화상 형성 장치(1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물리적으로 연결된 리필 토너 용품(200)을 센서(111)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S 705)
화상 형성 장치(100)의 인증 장치(113)와 리필 토너 용품(200) 간의 통신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S 710) 이때, 인증 장치(113)와 리필 토너 용품(200) 간 보안 통신이 연결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의 인증 장치(113)는 리필 토너 용품(200)에 리필 토너 용품(200)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 715) 리필 토너 용품(200)의 정보는 일련번호와 같은 리필 토너 용품(200)의 고유 번호, 모델명, 용량 등이 될 수 있다.
리필 토너 용품(200)은 인증 장치(113)에 의한 리필 토너 용품(200)의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리필 토너 용품(200)의 정보를 화상 형성 장치(100)의 인증 장치(113)에 전송할 수 있다.(S 720)
화상 형성 장치(100)의 인증 장치(113)는 수신된 리필 토너 용품(200)의 정보에 기초하여, 리필 토너 용품(200)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 725)
리필 토너 용품(200)에 대한 인증 절차가 완료되면, 화상 형성 장치(100)의 인증 장치(113)와 리필 토너 용품(200) 간의 통신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S 730)
도 8은 일 예에 따라 토너 리필 진행 상황을 디스플레이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40)를 통해 토너 리필 진행 상황 정도를 알 수 있는 진행율을 나타낼 수 있다. 토너 리필 진행 상황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토너 리필이 완료될 때까지, 주기적으로 기록 및 표시될 수 있으며, 토너 리필 모드 진행 중 재부팅시에도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의 컨트롤러(120)는 토너 리필부(110)의 인증 장치(113)를 통해 획득한 리필 토너 용품(200)에서 측정된 토너 주입량, 토너 리필부(200)의 리필 토너 공급 모터(115)의 구동 시간, 및 토너 카트리지의 잔량 센서를 통해 늘어난 토너 주입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토너 리필 모드의 진행율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필 토너 용품(200)이 토너 주입량을 측정할 수 있는 경우, 컨트롤러(120)는 리필 토너 용품(200)에 연결된 인증장치(113)를 통해 측정된 토너 주입량을 수신하고, 토너 주입량을 리필 토너 용품(200)의 용량으로 나누어 진행율을 계산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리필 토너 공급 모터(115)를 이용하여 리필 토너를 공급하는 경우, 컨트롤러(120)는 리필 토너 공급 모터(115)의 구동 시간을 총 구동 예상 시간으로 나누어 진행율을 계산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컨트롤러(120)는 토너 카트리지의 잔량 센서를 통해 토너 리필 시작점에서부터 늘어난 토너 주입량을 이용하여, 진행율을 계산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40)를 통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토너 리필 진행 상황을 출력할 수 있다. 토너 리필이 시작된 시작 시간, 리필 토너 용품(200)의 모델, 용량, 일련번호, 및 진행율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40)를 통해 출력될 수 있고, 토너 리필이 완료되면, 토너 리필이 종료된 종료 시각이 더 출력될 수 있다.
도 9는 일 예에 따라 토너 리필에 관한 리포트를 출력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토너 리필 모드에서 저장된 토너 리필 모드 시작 정보, 토너 리필 진행 상황 정보, 및 토너 리필 모드 종료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토너 리필에 관한 리포트를 생성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40)를 통해 생성된 리포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필 토너 용품(200)에 관한 정보, 토너 카트리지에 관한 정보, 토너 리필 모드를 진행함에 따라 발생된 데이터들이 기재된 토너 리필 리포트와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수행된 전체 토너 리필 상황이 기재된 토너 리필 이력 리포트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4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는 read-only memory (ROM), random-access memory (RAM), flash memory, CD-ROMs, CD-Rs, CD+Rs, CD-RWs, CD+RWs, DVD-ROMs, DVD-Rs, DVD+Rs, DVD-RWs, DVD+RWs, DVD-RAMs, BD-ROMs, BD-Rs, BD-R LTHs, BD-REs, 마그네틱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자기 데이터 저장 장치, 광학 데이터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솔리드-스테이트 디스크(SSD), 그리고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나 컴퓨터가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나 컴퓨터에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라도 될 수 있다.

Claims (14)

  1.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된 화상 형성 작업부;
    리필 토너 용품(refill toner supplies)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된 리필 토너 용품으로부터 상기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로 리필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리필부; 및
    상기 토너 리필부의 동작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리필부에서 상기 리필 토너 용품이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는 상기 리필 토너 용품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직접 결합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화상 형성 장치 외관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토너 리필부는,
    상기 토너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 형성 작업부에 장착된 체로 상기 리필 토너를 공급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리필부는,
    상기 리필 토너 용품으로부터 배출된 리필 토너를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일 측면에 형성된 토너 주입구로 이동시키는 리필 토너 이송로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리필부는,
    상기 토너 리필부에 대한 상기 리필 토너 용품의 물리적 연결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물리적 연결이 감지된 상기 리필 토너 용품과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리필 토너 용품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리필 토너 용품이 정품인지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장치;
    를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필 토너 용품의 연결에 따라 토너 리필 진행 상황을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토너 리필부에 상기 리필 토너 용품이 연결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토너 리필 동작에 대해 승인을 받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토너 리필 모드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토너 리필 모드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화상 형성 작업부가 실행되지 않도록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능의 사용을 차단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작업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며, 상기 토너 리필부가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리필 토너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토너 리필부에서 상기 리필 토너 용품이 제거되면, 상기 토너 리필부의 상태를 정지로 설정하고,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능의 사용 차단을 해제하고 정지된 화상 형성 작업부를 재시작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정상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토너 리필 모드에 따라, 토너 리필 시작 시에, 상기 토너 리필부에서 획득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토너 리필 모드 시작 정보를 저장하고, 토너 리필이 진행되는 동안에, 토너 리필 진행 상황 정보를 저장하며, 토너 리필 완료 시에, 토너 리필 모드 종료 정보를 저장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저장된 토너 리필 모드 시작 정보, 상기 토너 리필 진행 상황 정보, 및 상기 토너 리필 모드 종료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토너 리필에 관한 리포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상기 생성된 리포트를 출력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일 때, 상기 토너 리필부에 상기 리필 토너 용품이 연결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절전 모드에서도 상기 리필 토너 용품의 물리적 연결을 감지하는 센서로부터 상기 리필 토너 용품이 연결되었음을 전달받고, 상기 절전 모드를 상기 토너 리필 모드로 전환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리필부에 상기 리필 토너 용품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전원이 켜지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토너 리필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리필 토너 용품의 정보와 메모리에 저장된 토너 리필 모드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토너 리필 모드 진행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토너 리필 모드의 진행 정보를 복구하여, 토너 리필 재시작 지점을 설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토너 리필부의 인증 장치를 통해 획득한 상기 리필 토너 용품에서 측정된 토너 주입량, 상기 토너 리필부의 리필 토너 공급 모터의 구동 시간, 및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잔량 센서를 통해 늘어난 토너 주입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토너 리필 모드의 진행율을 계산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상기 계산된 진행율을 나타낼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 5 항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작업이 현재 진행되고 있는 도중에 상기 토너 리필부에 상기 리필 토너 용품이 연결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현재 진행되고 있는 화상 형성 작업의 취소, 일시정지, 및 완료 중 어느 하나의 선택에 따라 토너 리필 모드를 수행하거나, 토너 리필을 취소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리필 토너 용품(refill toner supplies)과 화상 형성 장치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연결된 리필 토너 용품으로부터 화상 형성 작업부에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로 리필 토너를 공급하는 단계; 및
    토너 리필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80049428A 2018-04-27 2018-04-27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에 리필 토너 공급 KR20190125106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428A KR20190125106A (ko) 2018-04-27 2018-04-27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에 리필 토너 공급
BR112020019460-3A BR112020019460A2 (pt) 2018-04-27 2018-07-31 Fornecimento de toner de recarga a cartucho de toner montado
MX2020007690A MX2020007690A (es) 2018-04-27 2018-07-31 Suministro de toner de recarga a cartucho de toner montado.
CN201880092802.6A CN112041757B (zh) 2018-04-27 2018-07-31 将补充调色剂供应到安装的调色剂盒
US17/040,872 US11333995B2 (en) 2018-04-27 2018-07-31 Supplying refill toner to mounted toner cartridge
EP18916427.0A EP3717969A4 (en) 2018-04-27 2018-07-31 SUPPLYING FILLING TONER TO A MOUNTED TONER CARTRIDGE
RU2020128380A RU2771004C1 (ru) 2018-04-27 2018-07-31 Подача заправочного тонера в установленный картридж с тонером
PCT/KR2018/008653 WO2019208874A1 (en) 2018-04-27 2018-07-31 Supplying refill toner to mounted toner cart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428A KR20190125106A (ko) 2018-04-27 2018-04-27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에 리필 토너 공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106A true KR20190125106A (ko) 2019-11-06

Family

ID=68295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428A KR20190125106A (ko) 2018-04-27 2018-04-27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에 리필 토너 공급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333995B2 (ko)
EP (1) EP3717969A4 (ko)
KR (1) KR20190125106A (ko)
CN (1) CN112041757B (ko)
BR (1) BR112020019460A2 (ko)
MX (1) MX2020007690A (ko)
RU (1) RU2771004C1 (ko)
WO (1) WO201920887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1509A1 (en) * 2019-11-18 2021-05-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oner refill apparatus
WO2023023415A1 (en) * 2021-08-17 2023-02-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tructure to pop up toner refill cartridge from mounting por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147B1 (ko) 2018-08-30 2022-04-25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현상 카트리지와 본체 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본체에 연결되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
KR20200107098A (ko) * 2019-03-06 2020-09-16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토너 리필 카트리지를 이용한 토너 리필 제어
KR20200135026A (ko) * 2019-05-24 2020-12-02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토너 리필 중 비정상 동작의 처리

Family Cites Families (7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9682A (en) * 1968-08-30 1971-08-17 Eastman Kodak Co Loading mechanism
US3651838A (en) * 1970-12-15 1972-03-28 Eastman Kodak Co Loading mechanism improvement
FR2428378A7 (fr) * 1978-04-22 1980-01-04 Agfa Gevaert Ag Dispositif de developpement pour un appareil de reprographie par voie electrophotographique
US4307763A (en) * 1979-11-29 1981-12-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oner container
JPS5816267A (ja) * 1981-07-22 1983-01-29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粉体供給方法
US4456154A (en) * 1982-08-16 1984-06-26 Xerox Corporation Toner loading cartridge
JPH0311377A (ja) * 1989-06-09 1991-01-18 Ricoh Co Ltd 現像装置
US5614996A (en) * 1994-03-03 1997-03-25 Kyocera Corporation Toner storage unit, residual toner collect unit, toner container with these unit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uch toner container
US5640644A (en) * 1994-06-07 1997-06-17 Konic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oner replenishment device
JPH086370A (ja) * 1994-06-22 1996-01-1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用トナーボトル
EP0736817B1 (en) * 1995-04-03 2002-11-06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container and process cartridge
US5887232A (en) * 1995-12-08 1999-03-23 Hewlett-Packard Company Apparatus for dispensing toner in an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system
JPH1020647A (ja) * 1996-07-03 1998-01-23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トナーカートリッジ、トナーホッパー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0194182A (ja) * 1998-10-19 2000-07-14 Ricoh Co Ltd トナー収納容器および該トナー収納容器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SG128420A1 (en) * 1998-12-22 2007-01-30 Ricoh Kk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JP3476704B2 (ja) 1999-03-30 2003-12-10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249654B1 (en) * 1999-09-29 2001-06-19 Xerox Corporation Refillable all-in-one print cartridge/toner bottle strategy
JP3935666B2 (ja) * 1999-09-30 2007-06-27 株式会社リコー ノズル、トナー移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167807B2 (ja) * 2000-03-10 2008-10-2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収納容器
JP2001265104A (ja) * 2000-03-15 2001-09-28 Toshiba Tec Corp 迅速なトナー濃度回復を行うトナー補給方式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4351814B2 (ja) * 2000-07-21 2009-10-28 株式会社リコー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3958511B2 (ja) * 2000-09-28 2007-08-15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1555582B1 (en) * 2001-01-31 2011-06-29 Ricoh Company, Ltd.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6598625B2 (en) * 2001-10-29 2003-07-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ternal printer ink tank adapted for better space efficiency
US6650847B2 (en) * 2001-12-21 2003-11-18 Xerox Corporation Container figuration matching system and method
DE60304379T2 (de) * 2002-01-31 2007-02-01 Ricoh Co., Ltd. Tonernachfüllvorrichtung und damit versehene Entwicklungsvorrichtung für ein Bilderzeugungsgerät
US20030193185A1 (en) 2002-04-15 2003-10-16 Valley Jeffrey M. Prescription pharmaceutical labeling system
US6676252B2 (en) * 2002-04-24 2004-01-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er ink cartridge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DE10223232B4 (de) * 2002-05-24 2004-06-03 OCé PRINTING SYSTEM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ördern von Tonermaterial aus einem Vorratsbehälter sowie zugehöriger Tonervorratsbehälter
JP2004109998A (ja) * 2002-08-30 2004-04-0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画像形成装置の現像剤補給容器、現像剤補給容器に搭載されるメモリユニット、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6729360B2 (en) * 2002-09-04 2004-05-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k cartridge refilling station
JP4264292B2 (ja) * 2003-04-25 2009-05-13 株式会社リコー 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6984029B2 (en) * 2003-07-11 2006-01-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cartridge temperature control
JP4513286B2 (ja) * 2003-07-14 2010-07-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985753B2 (ja) * 2003-08-19 2007-10-03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862420B1 (en) * 2003-09-26 2005-03-01 Xerox Corporation Toner container cartridge and refilling apparatus
FR2864262B1 (fr) * 2003-12-23 2006-03-24 Sagem Systeme de cartouche a recharge de toner et son procede de mise en oeuvre
KR200355637Y1 (ko) * 2004-01-20 2004-07-07 주식회사 티에스코 카트리지 토너의 재생 공급 장치
US7344232B2 (en) * 2004-01-21 2008-03-18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nkjet printer cartridge refill dispenser with security lock for spent refill
EP1589384B1 (en) * 2004-04-23 2020-01-08 Ricoh Company, Ltd. Developer container
JP2005338386A (ja) * 2004-05-26 2005-12-08 Canon Inc カラー画像形成装置、補給指示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063407B1 (ko) * 2004-08-17 2011-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재생방법
JP4617800B2 (ja) * 2004-09-24 2011-01-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344215B2 (en) * 2004-09-28 2008-03-1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Inkjet cartridge refilling machine and method
US8086146B2 (en) * 2005-11-09 2011-12-27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vely supplying developer
US7758173B2 (en) * 2005-12-23 2010-07-20 Xerox Corporation Collapsible packaging system
KR100738948B1 (ko) * 2006-02-20 2007-07-18 주식회사 에이아이티 토너 리필장치
JP2008033090A (ja) * 2006-07-31 2008-02-14 Ricoh Co Ltd 粉体搬送装置、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758373B2 (ja) * 2007-03-01 2011-08-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包装方法、及び包装容器
JP5118881B2 (ja) * 2007-05-15 2013-01-1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476695B2 (ja) 2008-09-24 2014-04-23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7983601B2 (en) * 2008-10-14 2011-07-19 Xerox Corporation Telescopic auger dispense drop tube
KR20100082201A (ko) * 2009-01-08 2010-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JP5193964B2 (ja) 2009-07-16 2013-05-0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起動方法
JP5509450B2 (ja) * 2009-10-26 2014-06-04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現像剤搬送方法、現像剤搬送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916039B2 (ja) 2009-12-24 2012-04-11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EP2367068A2 (en) * 2010-03-03 2011-09-21 Kabushiki Kaisha Toshiba Toner cartridge
JP5545541B2 (ja) * 2010-07-29 2014-07-0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748093B2 (ja) * 2011-01-11 2015-07-15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5612506B2 (ja) * 2011-02-23 2014-10-22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JP5839826B2 (ja) * 2011-04-22 2016-01-0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の再生産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982759B2 (ja) * 2011-09-06 2016-08-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粉体充填装置
EP2769268A1 (en) * 2011-10-19 2014-08-27 OCE-Technologies B.V. Toner refill device
JP5857783B2 (ja) * 2012-02-17 2016-02-10 株式会社リコー ノズル、画像形成装置、及び粉体導出方法
US9201393B2 (en) * 2013-08-30 2015-12-01 Ricoh Company, Ltd. Toner container,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159691B2 (ja) * 2014-07-30 2017-07-0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収容体
JP2016038397A (ja) * 2014-08-05 2016-03-22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7090479A (ja) * 2015-11-02 2017-05-25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0048617B2 (en) * 2015-12-01 2018-08-14 Oce-Technologies B.V. Refill adapter for coupling a toner bottle to a toner reservoir in a print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JP6686414B2 (ja) 2015-12-16 2020-04-22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供給装置、画像形成装置、トナー供給制御装置、及びトナー供給方法
WO2019152006A1 (en) * 2018-01-31 2019-08-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substance end-of-life predictions
JP7204423B2 (ja) * 2018-10-30 2023-01-16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押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1509A1 (en) * 2019-11-18 2021-05-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oner refill apparatus
US11921443B2 (en) 2019-11-18 2024-03-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oner refill apparatus
WO2023023415A1 (en) * 2021-08-17 2023-02-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tructure to pop up toner refill cartridge from mounting por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17969A1 (en) 2020-10-07
US11333995B2 (en) 2022-05-17
EP3717969A4 (en) 2021-08-04
WO2019208874A1 (en) 2019-10-31
CN112041757A (zh) 2020-12-04
RU2771004C1 (ru) 2022-04-25
BR112020019460A2 (pt) 2021-01-05
US20210026273A1 (en) 2021-01-28
CN112041757B (zh) 2024-04-05
MX2020007690A (es) 2020-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5106A (ko)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에 리필 토너 공급
KR102169264B1 (ko) 화상 형성장치, 카트리지 관리 방법, 및 기억매체
US1086304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executable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2331166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517372B1 (ko)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US2012019818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13272739B (zh) 控制通过使用墨粉重填墨盒进行的墨粉重填
JP2006243997A (ja) ダウンロードシステム
US1005743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operation control program
US1031781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managing consumable, and storage medium
JP7456142B2 (ja) 画像形成装置
US11644768B2 (en) Storing information in a toner refill kit during toner refill
US20100064068A1 (e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KR20200052001A (ko) 토너 리필 과정에서의 에러 처리 방법
JP580359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139615A (ja) 画像形成装置
JP4639959B2 (ja) 画像形成装置
JP4387635B2 (ja) 画像形成装置のデータ書き換え方法
JP2023137081A (ja) 情報処理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画像形成装置
KR20230030927A (ko) 토너 리필 카트리지 내의 토너량의 감지에 따른 구동 유닛의 제어
JP2002072786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2013097421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5141134B2 (ja) 画像形成装置、ファームウエアの設定情報更新方法、およびファームウエアの設定情報更新プログラム
JP2008037011A (ja) 印刷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21143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