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2001A - 토너 리필 과정에서의 에러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토너 리필 과정에서의 에러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2001A
KR20200052001A KR1020180135024A KR20180135024A KR20200052001A KR 20200052001 A KR20200052001 A KR 20200052001A KR 1020180135024 A KR1020180135024 A KR 1020180135024A KR 20180135024 A KR20180135024 A KR 20180135024A KR 20200052001 A KR20200052001 A KR 20200052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image forming
refilling
erro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4582B1 (ko
Inventor
임목화
김진철
안성철
정병노
김장근
이현승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180135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582B1/ko
Priority to US17/051,267 priority patent/US11209762B2/en
Priority to CN202310803392.4A priority patent/CN116661275A/zh
Priority to EP19882518.4A priority patent/EP3765915A4/en
Priority to PCT/US2019/031331 priority patent/WO2020096643A1/en
Priority to CN201980059167.6A priority patent/CN112703453B/zh
Publication of KR20200052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001A/ko
Priority to US17/532,101 priority patent/US1189278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582B1/ko
Priority to US18/392,873 priority patent/US2024014289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3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an electronic mem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79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for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not directly attached 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4Reconditioning of the developer unit, i.e. reusing or recycling parts of the unit, e.g. resealing of the unit before refilling with ton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66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using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support, e.g. magnetic car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75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 G03G15/5079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for maintenan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7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lifetime of the cartridge
    • G03G21/1878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95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identification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 G03G2215/0697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identification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being an 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23Cartridges having 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화상형성장치는 토너 카트리지에 채워진 토너를 이용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인쇄 엔진, 토너 카트리지에 토너를 리필하는 토너 리필 장치에 부착된 메모리 칩과 통신 가능한 통신 장치, 및 토너 리필 장치를 이용한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토너 주입 과정 중에 에러가 확인되면, 에러에 대한 정보를 토너 카트리지에 저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토너 리필 과정에서의 에러 처리 방법{METHOD FOR ERROR HANDLING IN THE TONER REFILL PROCESS}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 Function Peripheral: MFP) 등을 들 수 있다.
레이저 프린팅 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을 인쇄하기 위하여 토너를 사용한다. 토너는 화상형성작업이 진행될 때마다 사용되어, 소정 시간 이상 사용되면 고갈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화상형성시스템의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간단한 구성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도 2의 인쇄 엔진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토너 리필 장치의 메모리 칩에 저장되는 정보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에러가 발생한 경우, 토너 리필 장치의 정보를 토너 카트리지가 저장하는 경우, 토너 카트리지의 CRUM 장치에 저장되는 정보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에러가 발생한 경우, 토너 리필 장치의 정보를 화상형성장치의 메모리가 저장하는 경우, 토너 카트리지 및 메모리에 저장되는 정보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9는 본 개시의 에러 처리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 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화상 형성 작업(image forming job)”이란 화상의 형성 또는 화상 파일의 생성/저장/전송 등과 같이 화상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들(e.g. 인쇄, 스캔 또는 팩스)을 의미할 수 있으며, “작업(job)”이란 화상 형성 작업을 의미할 뿐 아니라,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해서 필요한 일련의 프로세스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란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기록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등을 들 수 있다. 프린터(printer), 스캐너(scanner), 팩스기(fax machine),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장치들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인쇄 데이터”란 프린터에서 인쇄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프린터가 다이렉트 프린팅을 지원한다면, 파일 그 자체가 인쇄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란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여, 또는 화상형성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작업과 관련된 조작을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란 화상형성장치의 모든 기능 및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관리자”와 “사용자”는 동일한 사람일 수도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화상형성시스템의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시스템(1000)은 화상형성장치(100)와 토너 리필 장치(400)로 구성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2의 토너 카트리지(200)에 저장된 토너를 이용하여 인쇄 잡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토너 리필 장치(400)가 연결되면, 도 2의 토너 카트리지(200)의 리필 가능 여부 및 토너 리필 장치(400)의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여 토너 리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토너 리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화상형성장치(100)는 토너 리필 장치(400)를 이용하여 도 2의 토너 카트리지(200)에 토너를 리필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화상형성장치(100)는 토너 리필 장치와 연결되기 위한 실링 커버(17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링 커버(171)의 하부에는 실링 커버(171)와 도 2의 토너 카트리지(200)(구체적으로,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 보관 용기)를 연결하는 관이 배치될 수 있다. 즉, 토너 리필 장치(400)에서 제공되는 토너는 관을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200)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200)의 구멍 또는 관의 특정 위치에는 구멍 또는 관을 전기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어 부재(미도시)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구멍을 개폐하는 장치로, 솔레노이드 등과 같은 장치로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100)는 토너 리필 장치(400)를 이용한 토너 주입 과정 중에 에러가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하고, 에러가 발생하였으면 에러에 대한 정보를 토너 카트리지(20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100)는 버튼(161)을 포함하며, 버튼(161)을 통하여 사용자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버튼(161)은 전원 버튼, 취소 버튼, 인쇄 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161)은 토너 리필 과정에서의 에러가 발생하였다는 사실을 입력받기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토너 리필 장치(40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토너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토너 리필 장치(400)는 토너를 담을 수 있는 병 형태를 가지며, 병에 담긴 토너를 토너 카트리지(200)의 구멍에 넣을 수 있는 배출구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배출구는, 토너 리필 장치(400)가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되는 경우에, 상술한 실링 커버(171)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구현시에 토너 리필 장치(400)는 주사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토너 리필 장치(400)는 리필 보틀, 토너 주사기(toner syringe)로 지칭될 수 있다.
그리고 토너 리필 장치(400)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칩(410)을 포함한다. 이러한 메모리 칩(410)은 리필 보틀 메모리, 리필 보틀 칩, 리필 실링 메모리, 리필 실링 칩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메모리 칩(410)은 토너 리필 장치(4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 칩(410)은 토너 리필 장치(400)의 주입구가 화상형성장치(100)의 실링 커버(171)에 삽입되었을 때 화상형성장치(100)의 유선 단자 또는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어, NFC)와 통신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 칩(411)은 토너 리필 장치(400)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너 리필 장치(400)의 시리얼 정보, 제조사, 제조일, 포함된 토너의 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칩(410)은 토너 리필과 관련된 이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 칩(410)은 리필 시작 정보, 리필 종료 정보, 리필 시간 정보, 화상형성장치(100)의 카트리지 정보, 에러 정보 등도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에러 정보는 리필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1비트의 플래그)이거나, 에러 발생 횟수를 나타내는 도킹 횟수일 수 있다. 여기서 도킹 횟수는 토너 리필 장치(400)가 화상형성장치(100)(또는 토너 카트리지(200))에 몇 번 연결된 이력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로, 예를 들어, 최초 연결되는 경우 0의 값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1회 연결 후 리필 완료된 경우에는 1의 값을 저장할 수 있으며, 토너 리필 중 에러가 발생한 이력이 있는 경우 1 이상 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킹 회수가 2 이상의 값이 기재되어 있거나, 1의 값을 가지나 리필 종료 정보가 완료 정보를 갖지 않으면 이전에 에러가 발생된 이력이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구현시에는 에러가 발생한 카운터 값만을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메모리 칩(410)에 저장되는 정보는 암호화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1000)은 토너 리필 장치(400)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 토너를 리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화상형성시스템(1000)은 리필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 화상형성장치(100)가 이를 인지할 수 있어 에러 발생에 대한 적절한 대응 수행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간단한 구성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통신 장치(110), 인쇄 엔진(120) 및 프로세서(130)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장치(110)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미도시)와 연결되며, 인쇄 제어 단말장치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 제어 단말장치는 인쇄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로, PC,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폰, 서버 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장치(110)는 화상형성장치(100)를 외부 장치와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단말장치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또는 무선 통신(예를 들어, WiFi 802.11a/b/g/n, NFC, Bluetooth) 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이러한 통신 장치(110)는 송수신부(transceiver)로 지칭될 수도 있다.
그리고 통신 장치(110)는 도 1의 토너 리필 장치(400)에 부착된 메모리 칩(410)과 통신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통신 장치(110)는 도 1의 실링 커버(171)에 연결되는 경우, 토너 리필 장치(400)의 메모리 칩(41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통신 장치(11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본체에 장착된 복수의 단자를 통하여 토너 리필 장치(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RFID 방식으로 토너 리필 장치(400)의 메모리 칩(41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장치(110)는 토너 카트리지(200)의 토너량이 일정량 이하가 되어 토너 카트리지(200)의 교체 또는 토너 리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버(미도시) 또는 관리자(구체적으로, 관리자의 단말장치)에게 통지할 수 있다.
인쇄 엔진(120)은 화상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인쇄 엔진(120)은 감광드럼, 중간전사벨트 및 용지 이송 벨트와 같은 화상이 형성되는 화상형성매체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인쇄 엔진(120)은 화상형성잡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여하는 다양한 소모품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대전장치, 노광 장치, 현상 장치, 전사장치, 정착장치, 각종 롤러, 벨트, OPC 드럼 등이 소모품 장치가 될 수 있으며, 그 밖에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에 있어서 현상기와 같이 교체가 요구되는 다양한 유형의 장치들이 소모품 장치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소모품 장치 중 하나가 토너 카트리지이고, 토너 카트리지는 상술한 현상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인쇄 엔진(12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프로세서(130)는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각 구성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미도시)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인쇄 데이터가 인쇄되도록 인쇄 엔진(12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30)는 CPU와 같은 단일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클럭 발생 회로, CPU, 그래픽 프로세서 등의 복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장치(400)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메모리 칩(410)과의 전기적인 연결 또는 NFC 통신 연결이 확인되면, 토너 리필 장치(400)가 연결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토너 리필 장치(400)가 연결되면,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사용 가능 여부와 토너 카트리지(200)의 리필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먼저 토너 카트리지(200)의 리필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토너 카트리지(200)에 토너를 주입받을 수 있는 여유 공간이 있어야 토너 리필이 가능하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토너 리필은 토너 리필 장치(400) 내의 모든 토너를 토너 카트리지(200)에 주입하는 것을 예정하기 때문에, 토너 카트리지(200)는 토너 리필 장치(400)에 포함된 토너량 이상의 빈 공간을 갖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프로세서(130)는 토너 카트리지(200)의 토너량이 기설정된 제1 토너량 이상인 경우에는 토너 카트리지(200)에 대한 리필을 수행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토너량이 기설정된 제1 토너량 미만(또는 이하)인 경우에는 토너 카트리지(200)에 대한 리필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토너 카트리지(200) 내의 토너량을 정확히 산출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토너 주입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 프로세서(130)가 파악하는 토너 카트리지(200)의 토너량과 실제 토너 카트리지(200)의 토너량과 상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가 알고 있는 토너 카트리지(200)의 토너량이 토너 리필이 가능한 수준이나 실제로는 더 많은 토너를 포함할 수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술한 기설정된 제1 토너량보다 낮은 제2 토너량을 기준으로 토너 카트리지(200)에 대한 리필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토너 카트리지(200)에 대한 에러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제1 기준값(예를 들어, 60%)을 기초로 리필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토너 카트리지(200)에 대한 에러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제1 기준값보다 낮은 제2 기준값(예를 들어, 20%)을 기초로 리필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서 사용자가 에러 발생 이후에 새로운 토너 리필 장치를 이용하여 리필 동작을 다시 수행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토너 넘침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에러가 발생한 시점에 이용된 토너 리필 장치가 재연결된 경우에, 상술한 토너 카트리지(200)의 리필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은 생략될 수 있다. 즉, 해당 토너 리필 장치(400)를 재연결한 경우, 이미 이전에 해당 토너 리필 장치(400)의 토너 전체를 토너 카트리지(200)에 주입하더라도 토너 넘침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먼저 토너 리필 장치의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메모리 칩(41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토너 리필 장치(400)의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메모리 칩(410)에 저장된 정보를 읽고, 메모리 칩(41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연결된 토너 리필 장치(400)가 적법한 장치인지를 판단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인증 절차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할 CRUM 장치(300)에 대한 인증 방식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는 토너 리필 장치(400)에 대한 인증은 CRUM 장치(300)에 대한 인증 방식과 상이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토너 리필 장치(400)에 대한 인증 절차는 보안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하거나 상대적으로 단순한 인증 과정을 사용함으로써 CRUM 장치(300)에 대한 인증 방식에 비해 간단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메모리 칩(410)에 저장된 디지털 서명을 해독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토너 리필 장치(400)가 인증된 장치이면,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이용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현재 연결된 토너 리필 장치(40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즉, 메모리 칩(410)에 별도의 다른 화상형성장치와 관련된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토너 리필을 진행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와 관련된 정보는 토너 리필 장치(400)가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된 이력이 있는지 나타내는 사용 이력 정보로 시리얼 정보(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의 시리얼 정보, 또는 토너 카트리지의 시리얼 정보)일 수 있다. 한편, 구현시에는 시리얼 정보뿐만 아니라, 화상형성장치의 MAC 정보 등 화상형성장치와 관련된 고유의 정보를 이용하거나, 토너 카트리지를 특정할 수 있는 고유의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메모리 칩(410)에 사용 이력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해당 토너 리필 장치(400)는 사용 이력이 없는 것으로 확인하고, 사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토너 리필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였으면, 예를 들어, 리필 과정에서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이 꺼진 경우, 사용자의 실수로 일부 토너만 리필한 경우, 주입구 또는 관로가 일시적으로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해당 토너 리필 장치를 다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화상형성장치와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어 있더라도 저장된 정보가 화상형성장치(100)의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즉, 메모리 칩(410)에 저장된 시리얼 코드가 화상형성장치(100)의 시리얼 코드와 일치하는 경우, 해당 토너 리필 장치(400)를 사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위하여, 프로세서(130)는 메모리 칩(410)에 다른 화상형성장치와 관련된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즉, 토너 리필 장치(400)가 최초로 연결된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의 시리얼 정보, 토너 카트리지의 시리얼 정보)를 메모리 칩(410)에 저장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예외 동작이 악용되지 않도록 토너 리필 장치(400)를 일정 횟수만 연결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장치(400)에 저장된 도킹 횟수가 일정 값 이하인 경우에만 해당 토너 리필 장치(400)를 사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위하여,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도킹 횟수(또는 에러 카운터 값)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토너 리필 장치(400)가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프로세서(130)는 도어 부재가 홀을 개방하도록 도어 부재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과정 중에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토너 주입 중에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기설정된 시간 내에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토너 주입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기설정된 시간 동안 토너 주입 완료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프로세서(130)는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토너 주입 과정 중에 토너 에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버튼이 선택되면,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버튼은 실링 커버(171) 근처에 부착되어 토너 에러가 발생하였음을 입력받는 전용의 버튼일 수도 있으며,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일 수도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과정 중에 화상형성장치(100)의 본체에 구비된 버튼을 고유의 기능 대신에 에러를 입력받는 기능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토너 리필 과정 중에 본체에 구비된 버튼을 선택하는 동작으로 에러 사실을 프로세서(130)에 알릴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버튼은 전원 버튼, 취소 버튼, 인쇄 버튼 등일 수 있다.
그리고 토너 리필 과정에서 에러가 확인되면, 프로세서(130)는 에러에 대한 정보를 토너 카트리지(200)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정보를 토너 카트리지(200)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시리얼 정보를 토너 카트리지(200)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에러가 발생한 이력이 있음을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만을 토너 카트리지(200)에 설정하고, 토너 카트리지(200)의 시리얼 정보는 별도의 저장소에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이 완료되면, 토너 리필 완료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 칩(41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화상형성장치를 구성하는 간단한 구성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다양한 구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통신 장치(110), 인쇄 엔진(120), 프로세서(130), 메모리(140), 디스플레이(150), 입력 장치(160) 및 락킹 장치(170)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장치(110)에 대해서는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하였는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30), 인쇄 엔진(120)에 대해서도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하였는바, 도 2에서 설명한 내용은 중복 기재하지 않고, 도 3에 추가된 구성과 관련된 내용만 이하에서 설명한다.
프로세서(130)는 CRUM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CRUM 장치(300)에 대한 인증 및 CRUM 장치(300)에 저장된 데이터 관리를 위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CRUM 장치(300)와 I2C(Inter-Integrated Circuit) 방식 또는 eI2C(enhanced Inter-Integrated Circuit)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I2C 방식은 데이터(SDA) 신호와 클럭(Clock) 신호를 이용한 표준화된 직렬 통신 방식이고, 유휴 구간에서도 클럭 신호가 주기성을 갖도록 I2C 방식을 변경한 것이 eI2C 방식이다. eI2C 방식은 3 접점 I2C 방식, 인코딩 I2C 방식 등 다양한 이름으로 지칭될 수 있다.
여기서, CRUM 장치(300)는 소모품 장치(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200))의 장치 정보 등을 저장하는 장치로, 메모리, 메모리 칩, 칩 장치, 토너 카트리지 메모리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메모리 칩(41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00)가 토너 리필 장치(400)와 연결을 위한 단자들을 포함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상술한 CRUM 장치(300)와 동일하게 I2C 방식 또는 eI2C 방식으로 토너 리필 장치(400)의 메모리 칩(41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CRUM 장치(300) 또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메모리 칩(410) 사이에 전달되는 데이터에 대해서 암호화를 수행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암호화 알고리즘은 RSA, ECC 비대칭 키 알고리즘, ARIA, TDES, SEED, AES 대칭키 알고리즘 등과 같은 다양한 암호화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연결된 CRUM 장치(300) 또는 토너 리필장치(400)의 메모리 칩(410)과 I2C 또는 eI2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CRUM 장치(300) 또는 메모리 칩(410)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클럭 신호를 생성하고,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CRUM 장치(300)에서 제공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장착된 CRUM 장치(300)가 적법한 장치인지를 판단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CRUM 장치(300)에서 제공되는 정보(예를 들어, 소모품 잔량 정보)에 기초하여 토너 리필이 필요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토너 리필이 필요한 경우,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이 필요함을 알리는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화상형성장치(100)의 카트리지 정보는 토너 카트리지(200)에 부착된 CRUM 장치(30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100)의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만약 CRUM 장치(30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CRUM 장치(300)에 저장된 카트리지 정보를 읽어 올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정보를 CRUM 장치(30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CRUM 장치(300)에 저장되는 정보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고유의 정보(예를 들어, 토너 리필 장치(400)의 시리얼 번호)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정보(예를 들어, 토너 리필 장치의 시리얼 정보)를 CRUM 장치(300)에 저장하는바, 토너 리필 장치(400)의 사용 가능 여부의 판단을 CRUM 장치(300)에 저장된 토너 리필 장치의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CRUM 장치(300)에 토너 리필 장치(400)의 시리얼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CRUM 장치(300)에 저장된 토너 리필 장치의 시리얼 정보와 토너 리필 장치(400)의 정보(즉, 토너 리필 장치의 시리얼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토너 리필 장치(400)의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토너 리필 장치(400)가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토너 리필 과정에서 토너 리필 장치(400)와 화상형성장치(100)가 고정되도록 락킹 장치(17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락킹 장치(170)는 토너 리필 장치(400)를 화상형성장치(100)에 고정하는 장치로, 솔레노이드 등과 같은 장치로 구동될 수 있다.
한편, 토너 리필 장치(400)가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장치(400)를 사용할 수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사용이 어렵다는 점뿐만 아니라, 그 이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는 비정품 토너 리필 장치(400)가 연결된 것인지, 이미 토너 리필을 완료한 제품인지, 토너 리필이 완료되지 않았지만 사용 기한이 지난 것인지, 연결 횟수를 초과한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토너 리필이 진행되면,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이 완료되었는지를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토너 카트리지(200) 내의 토너량을 감지하는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토너 카트리지(200)에서 감지된 토너량이 일정 이상 값으로 변화되면 토너 주입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이 완료되면 토너 리필 장치(400)와 화상형성장치(100)가 분리되도록 락킹 장치(170)를 제어하고, 토너 리필 장치(400)를 분리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
만약 토너 리필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였으면, 프로세서(130)는 에러 발생 사실을 알리는 플래그를 메모리(140) 또는 토너 카트리지(20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초기 부팅 중에 저장된 플래그를 이용하여 토너 리필 중에 에러가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에러에 대한 정보(구체적으로, 상술한 플래그)가 토너 카트리지에 저장될 때 토너 리필 장치와 화상형성장치가 분리되도록 락킹 장치(17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이 완료되면, 토너 카트리지(200)의 토너량을 새롭게 업데이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토너 카트리지(200) 내에 구비된 센서를 이용하여 새롭게 감지된 토너량을 해당 토너 카트리지(200)의 토너량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새롭게 변경된 토너량을 토너 카트리지(200)의 CRUM 장치(30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연결된 토너 리필 장치(400)의 정보를 CRUM 장치(30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토너 리필 횟수 등의 정보도 CRUM 장치(300)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통신 장치(110)를 통하여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4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수행된 인쇄 잡의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40)는 토너 카트리지(200)에 대한 토너 리필 이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토너 리필이 진행중인 경우, 리필 진행 중임을 알리는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토너 리필이 완료되면 삭제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40)는 리필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 에러가 발생한 토너 리필 장치(400)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시리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140)는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저장매체 및 외부 저장 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네트워크를 통한 웹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구현시에 메모리(140)는 복수의 메모리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와 CRUM 장치(300) 또는 토너 리필 장치(400)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메모리는 메모리 칩(410)(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50)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제공하는 각종 기능을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5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기능 수행을 위한 제어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50)는 소모품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50)는 소모품의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교체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예측된 교체 시점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50)는 소모품 중 토너 카트리지(200)의 토너가 기설정된 양 이하가 되면 토너의 리필이 필요함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50)는 토너 리필 과정에서,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구비된 버튼을 통하여 에러 발생 사실을 입력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50)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이용 방법에 대한 매뉴얼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연결된 토너 리필 장치(400)가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리필을 수행할 수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입력 장치(160)는 사용자로부터 기능 선택 및 해당 기능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기능은 인쇄 기능, 복사 기능, 스캔 기능, 팩스 전송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 제어 명령은 디스플레이(150)에 표시되는 제어 메뉴를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입력 장치(16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본체에 배치되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전원 버튼, 취소 버튼, 인쇄 버튼 등일 수 있다. 상술한 버튼은 상술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리필 과정에서는 에러 발생 사실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버튼은 일반적인 경우에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을 전환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토너 리필 과정에서는 에러 발생 사실을 입력받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인쇄 엔진(120)은 화상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인쇄 엔진(120)은 토너 카트리지(200)에 채워진 토너를 이용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00)는 현상기에 토너를 제공하는 장치로 토너 리필 장치(400)에 의하여 토너가 리필 될 수 있다. 그리고 토너 카트리지(200)에는 토너 카트리지(20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CRUM 장치(30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CRUM 장치(300)는 토너 카트리지(200)에 부착되거나 별도로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될 수도 있다.
토너 카트리지(200)는 실링 커버(171)와 토너 카트리지를 연결하는 관을 통하여, 토너 리필 장치(400)에 저장된 토너를 전달받아, 토너 리필을 받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토너 카트리지(200)의 교체 없이도 토너를 리필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리필 과정의 에러가 발생한 경우라도, 일정 횟수 토너 리필 장치(400)를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설명함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100)에 하나의 토너 카트리지(20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화상형성장치(100)에는 복수의 토너 카트리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그에 대응하여 복수의 CRUM 장치(300)가 화상형성장치(100)에 탑재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설명함에 있어서 프로세서(130)가 직접 CRUM 장치(300)와 토너 리필 장치(400)와 통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통신 장치(110)를 통하여 프로세서(130)는 CRUM 장치(300) 또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메모리 칩(47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인쇄 엔진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쇄 엔진(120)은 감광 드럼(121), 대전기(122), 노광기(123), 현상기(200), 전사기(125) 및 정착기(128)를 구비할 수 있다.
감광 드럼(121)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감광 드럼(121)은 그 형태에 따라서 감광 드럼, 감광벨트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대전기(122)는 감광 드럼(121)의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킨다. 대전기(122)는 코로나 대전기, 대전 롤러, 대전 브러쉬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노광기(123)는 인쇄할 화상 정보에 따라 감광 드럼(121)의 표면 전위를 변화시킴으로써 감광 드럼(121)의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시킨다.
현상기(200)는 그 내부에 현상제를 수용하며,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정전 잠상을 가시적인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현상기(200)는 현상제를 정전 잠상으로 공급하는 현상 롤러(12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기(200)를 교체 가능하게 구현한 것을 토너 카트리지라고 지칭할 수 있다.
감광 드럼(121)에 형성된 가시적인 화상은 전사기(125) 또는 중간 전사 벨트(미도시)에 의하여 기록매체(P)로 전사된다.
정착기(128)는 기록 매체(P) 상의 가시적인 화상에 열 및/또는 압력을 가하여 가시적인 화상을 기록매체(P)에 정착시킨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에 의하여 인쇄작업이 완료된다.
상술한 현상제는 화상형성작업이 진행될 때마다 사용되어, 일정 횟수 이상 사용되면 고갈된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는 상술한 토너 리필 장치를 이용하여 토너 카트리지(200)의 교체 없이 토너를 리필할 수 있다.
도 5는 토너 리필 장치의 메모리 칩에 저장되는 정보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메모리 칩(410)에는 도킹 횟수, 완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킹 횟수는 토너 리필 장치(400)가 화상형성장치(100)(또는 토너 카트리지(200))에 연결되는 경우에 화상형성장치(100)에 의하여 저장되는 정보로 토너 리필 장치(400)가 화상형성장치(100)에 몇번 연결된 이력이 있는지를 나타낸다.
완료 정보는 토너 리필 장치(400)를 이용한 토너 주입을 완료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로, 1 비트의 코드일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2개의 정보가 메모리 칩(410)에 저장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상술한 정보 이외에 다양한 정보가 메모리 칩(410)에 추가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너 리필 장치(400)에 포함된 토너의 종류(색 정보), 제조사 정보, 사용 기한 정보, 정품 확인 코드, 리필 시간 정보, 토너 리필 장치(400)의 고유의 정보, 연결 이력이 있는 화상형성장치(100) 또는 토너 카트리지(200)의 고유의 정보 등을 더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정보 중 일부는 생략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에러가 발생한 경우, 토너 리필 장치의 정보를 토너 카트리지가 저장하는 경우, 토너 카트리지의 CRUM 장치에 저장되는 정보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200)는 토너 리필 중에 에러가 발생한 시점에 연결된 토너 리필 장치(400)의 고유의 정보(즉, 시리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40)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이용 가능 여부를 확인할 때, 토너 카트리지(200)에 저장된 시리얼 정보를 읽어 토너 리필 장치(400)의 이용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구현시에 토너 카트리지(200)는 상술한 정보 이외에 일반적인 토너 카트리지가 저장하는 정보 등을 더 저장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에러가 발생한 경우, 토너 리필 장치의 정보를 화상형성장치의 메모리가 저장하는 경우, 토너 카트리지 및 메모리에 저장되는 정보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200)는 에러가 발생된 이력이 있음을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의 메모리(140)는 토너 리필 중에 에러가 발생한 시점에 연결된 토너 리필 장치(400)의 고유의 정보(즉, 시리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40)는 토너 카트리지(200)에 대한 리필을 진행할 때, 토너 카트리지(200)에 저장된 플래그 정보에 기초하여 에러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메모리(140)에 저장된 고유의 정보와 연결된 토너 카트리지의 고유의 정보를 비교하여 토너 리필 장치(400)를 이용한 토너 리필이 가능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에러 처리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토너 리필 장치를 이용한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토너 리필을 수행한다(S910).
그리고 상술한 토너 리필 과정 중에 에러가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920). 구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100)의 본체에 구비된 버튼을 통하여 에러 발생을 입력받거나, 기설정된 시간 내에 토너 리필이 완료되지 않으면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만약, 토너 리필 과정 중에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에러에 대한 정보를 토너 카트리지에 저장한다(S930). 그리고 토너 리필 장치(400)와 화상형성장치(100)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에러 발생 없이 토너 주입이 완료되면, 토너 리필 장치(100)가 사용된 것임을 알리는 정보를 메모리 칩(410)에 저장하고, 토너 리필 장치(400)와 화상형성장치(100)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에러 처리 방법은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도 에러 발생 사실을 토너 카트리지에 저장하는바, 에러가 발생한 이력이 있는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새로운 토너 리필 장치에 대한 리필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화상형성장치에서의 통신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화상형성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화상형성장치에서의 통신 방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화상형성장치 110: 통신장치
120: 인쇄 엔진 130: 프로세서
140: 메모리 150: 디스플레이
160: 입력 장치 170: 락킹 장치
200: 토너 카트리지 300: CRUM 장치
400: 토너 리필 장치 410: 메모리 칩

Claims (15)

  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토너 카트리지에 채워진 토너를 이용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인쇄 엔진;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 토너를 리필하는 토너 리필 장치에 부착된 메모리 칩과 통신 가능한 통신 장치; 및
    상기 토너 리필 장치를 이용한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토너 주입 과정 중에 에러가 확인되면, 에러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 저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토너 주입 과정 중에 상기 토너 리필 장치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고정하는 락킹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에러에 대한 정보가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 저장될 때 상기 토너 리필 장치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분리되도록 상기 락킹 장치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에 대한 정보는,
    토너 주입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플래그 정보 및 상기 토너 리필 장치의 시리얼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토너 리필 장치를 이용한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토너 주입 과정 중에 에러가 확인되면, 상기 메모리 칩에 저장된 도킹 횟수를 갱신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는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토너 주입 과정 중에 상기 버튼이 선택되면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전원 버튼, 취소 버튼, 또는 인쇄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인 화상형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토너 주입이 완료되지 않으면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 저장된 에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리필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 에러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기설정된 제1 기준값 및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서 감지된 토너량을 기초로 리필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 에러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제1 기준값보다 낮은 제2 기준값 및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서 감지된 토너량을 기초로 리필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토너 리필 장치의 메모리 칩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토너 리필 장치의 사용 가능 여부를 핀단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 칩에 저장된 도킹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토너 리필 장치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 저장된 에러 정보가 상기 토너 리필 장치의 시리얼 정보를 포함할 때, 상기 토너 리필 장치를 사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화상형성장치.
  13.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에러 처리 방법에 있어서,
    토너 리필 장치를 이용하여 토너 카트리지에 토너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토너 주입 과정 중에 에러가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에러가 발생하였으면, 에러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러 처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토너 주입 과정 중에 상기 토너 리필 장치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에러에 대한 정보가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 저장될 때 상기 토너 리필 장치와 상기 화상형성장치 간의 고정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러 처리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리필 장치를 이용한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토너 주입 과정 중에 에러가 확인되면, 상기 메모리 칩에 저장된 도킹 횟수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러 처리 방법.

KR1020180135024A 2018-11-06 2018-11-06 토너 리필 과정에서의 에러 처리 방법 KR102404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024A KR102404582B1 (ko) 2018-11-06 2018-11-06 토너 리필 과정에서의 에러 처리 방법
US17/051,267 US11209762B2 (en) 2018-11-06 2019-05-08 Method for error handling in the toner refill process
CN202310803392.4A CN116661275A (zh) 2018-11-06 2019-05-08 墨粉盒和墨粉再填充设备
EP19882518.4A EP3765915A4 (en) 2018-11-06 2019-05-08 PROCEDURES FOR ERROR HANDLING IN A TONER REFILL PROCEDURE
PCT/US2019/031331 WO2020096643A1 (en) 2018-11-06 2019-05-08 Method for error handling in the toner refill process
CN201980059167.6A CN112703453B (zh) 2018-11-06 2019-05-08 用于在墨粉再填充过程中的错误处理的方法
US17/532,101 US11892781B2 (en) 2018-11-06 2021-11-22 Method for error handling in the toner refill process
US18/392,873 US20240142892A1 (en) 2018-11-06 2023-12-21 Method for error handling in the toner refill proc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024A KR102404582B1 (ko) 2018-11-06 2018-11-06 토너 리필 과정에서의 에러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001A true KR20200052001A (ko) 2020-05-14
KR102404582B1 KR102404582B1 (ko) 2022-06-02

Family

ID=70612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024A KR102404582B1 (ko) 2018-11-06 2018-11-06 토너 리필 과정에서의 에러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11209762B2 (ko)
EP (1) EP3765915A4 (ko)
KR (1) KR102404582B1 (ko)
CN (2) CN116661275A (ko)
WO (1) WO20200966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5026A (ko) 2019-05-24 2020-12-02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토너 리필 중 비정상 동작의 처리
JP7446759B2 (ja) * 2019-10-07 2024-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4581A (ja) * 1999-03-30 2000-10-13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5181855A (ja) * 2003-12-22 2005-07-0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16114921A (ja) * 2014-12-15 2016-06-23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ボトル駆動装置の異常判定方法、トナー充填装置、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6695A (ja) * 2000-06-26 2002-01-1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3778110B2 (ja) * 2002-03-19 2006-05-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部品
US6729360B2 (en) 2002-09-04 2004-05-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k cartridge refilling station
JP3985753B2 (ja) * 2003-08-19 2007-10-03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295787B2 (en) * 2003-08-22 2007-11-13 Ricoh Company, Ltd. Device unit, an image forming apparatus, a management system, and a recycling system capable of using non-genuine device unit as replacement product
US7258432B2 (en) * 2004-01-21 2007-08-21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nkjet printer cartridge with controlled refill
US7344232B2 (en) * 2004-01-21 2008-03-18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nkjet printer cartridge refill dispenser with security lock for spent refill
US7344215B2 (en) 2004-09-28 2008-03-1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Inkjet cartridge refilling machine and method
KR100635272B1 (ko) * 2004-12-01 200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그의 제어방법 및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기록제 저장매체
KR100693341B1 (ko) * 2004-12-10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리필토너 판별기능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CA2620086A1 (en) * 2005-08-24 2007-03-01 Tonerhead, Inc Inkjet cartridge maintenance and refill device and method
US20090153602A1 (en) 2007-12-18 2009-06-18 Thomas Daniel Brown Printing Cartridge Refill Method And Associated Cartridge Refill System
JP5235436B2 (ja) 2008-02-04 2013-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5210784B2 (ja) 2008-09-30 2013-06-12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307200B2 (ja) * 2011-07-28 2013-10-02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支持装置と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支持方法
JP6163734B2 (ja) 2012-08-31 2017-07-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液体消費装置
JP6432261B2 (ja) 2014-09-30 2018-12-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消費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4581A (ja) * 1999-03-30 2000-10-13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5181855A (ja) * 2003-12-22 2005-07-0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16114921A (ja) * 2014-12-15 2016-06-23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ボトル駆動装置の異常判定方法、トナー充填装置、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96643A1 (en) 2020-05-14
US20220075307A1 (en) 2022-03-10
WO2020096643A8 (en) 2020-12-10
EP3765915A4 (en) 2021-11-17
CN116661275A (zh) 2023-08-29
KR102404582B1 (ko) 2022-06-02
US20240142892A1 (en) 2024-05-02
US11209762B2 (en) 2021-12-28
CN112703453B (zh) 2023-08-04
CN112703453A (zh) 2021-04-23
US11892781B2 (en) 2024-02-06
US20210232066A1 (en) 2021-07-29
EP3765915A1 (en)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271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905511B2 (en) Network printer system
US20240142892A1 (en) Method for error handling in the toner refill process
JP6256228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
US2015010420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230120746A1 (en) Toner refill control of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152419A (ja) 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および印刷システムのライセンス管理方法
EP2914437B1 (en) Network printer system
US11249417B2 (en) Toner refill control using reusable refill apparatus
JP2004062078A (ja) 消耗品の識別システム及び識別方法
JP4840576B2 (ja) 画像形成装置
WO202120060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inting permission method
CN116745704A (zh) 图像形成装置、初始化方法以及控制方法
US11537063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connection status of a toner refill device
JP2008292840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ユニット
JP7256952B2 (ja) 画像形成装置
JP5157280B2 (ja) 画像形成装置、同装置の印刷制御方法及び印刷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消耗品ユニット
WO2023162773A1 (ja) 画像形成装置及び初期化方法
JP2018092029A (ja) 画像形成装置
JP2022117334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制御方法
CN117435148A (zh) 耗材芯片的通信方法、耗材芯片、耗材及图像形成装置
JP2023152169A (ja) 画像形成装置及び制御方法
JP2023152168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18028650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制御方法及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JP2019043002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