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8309B1 - 화상 형성 장치용 현상제 용기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용 현상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8309B1
KR100868309B1 KR1020077029087A KR20077029087A KR100868309B1 KR 100868309 B1 KR100868309 B1 KR 100868309B1 KR 1020077029087 A KR1020077029087 A KR 1020077029087A KR 20077029087 A KR20077029087 A KR 20077029087A KR 100868309 B1 KR100868309 B1 KR 100868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container
developer
opening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9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21066A (ko
Inventor
히로시 호소카와
키요노리 츠다
사토시 나루미
류타 타케이치
유지 아라이
마사노리 카와스미
카즈히코 우메무라
히로시 이시이
유타카 푸쿠치
카즈키 스즈키
유유스케 노구치
카즈오사 쿠마
마코토 키쿠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070121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1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15/0872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the developer cartridges being generally horizontally mounted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79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for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not directly attached 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63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2215/0665Generally horizontally mounting of said toner cartridge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03G2215/067Toner discharging opening covered by arcuate shut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92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a slidable sealing member, e.g. shut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2/00Dispensing
    • Y10S222/01Xerograph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원통형 현상제 용기(32)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내부에 현상제를 담는 본체부가 있다. 현상제 용기는 상기 현상제 용기 내의 현상제를 방출하도록 상기 현상제 용기의 일측에 제공된 출구를 포함한다. 입력부(37Y)가 상기 출구에 인접 제공되고, 상기 용기 본체부의 직경보다 작은 내부 직경을 갖는 작은 직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부착되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구동 모터(41)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수용한다. 현상제 안내부(33a, 90Y)가 상기 현상제 용기 내부의 현상제가 상기 현상제 용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입력부의 작은 직경부를 지나 상기 출구로 이동하게 한다.
화상 형성 장치, 현상제 용기, 입력부, 개구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용 현상제 용기{DEVELOPER CONTAINER, DEVELOPER SUPPL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토너와 같은 현상제를 담는 현상제 용기, 및 광전도체와 같은 화상 지지 매체에 가시 화상을 형성하는 가시 화상 형성부와 같은 현상제 수용 장치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현상제 용기와 현상제 공급 장치를 사용하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로서, 토너와 같은 현상제를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 장치에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 장치에 제공되는 현상제 용기로서 원통형 토너통을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토너통은 그 내벽에 배치되는 나선형 돌기와 토너통을 회전시키기 위한 토너통 기어가 제공된다. 기어를 통해 토너통을 회전시키면 토너통 안에 있는 토너와 같은 현상제가 토너통으로부터 방출되어, 현상 장치로 운반되므로, 현상 장치에는 현상제가 공급된다.
하지만, 토너의 개구 근처의 현상제 용기의 측면에 기어가 제공되는 현상제 용기에 토너 가이드가 제공되더라도, 현상제 용기를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켜 토너를 방출하는 것은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현상제 용기로서 토너통에 제공된 토너통 기어는 기어의 내주면에 중앙 개구가 형성된 고리 모양의 형상으로 구성된다. 개구의 직경이 기어가 제공된 위치에서 토너통의 내벽의 내경보다 작으면, 토너통의 내벽에는 토너통 기어의 위치로부터 들어올려진 상승부가 존재한다.
토너통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 수평으로 놓이므로, 통 안의 토너가 토너 출구에 도착하는 위치 이전의 중간 부분에 토너벽의 상승부가 존재하면, 통 안의 토너는 상승부 너머로 전달되어 토너 출구에 도달할 수 없다. 그 때문에, 토너의 방출이 원활히 수행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각할 수 있는 방법은 통 기어의 개구 직경을 토너통의 내벽 내경보다 크게 하는 것이다. 예컨대, 기어의 개구의 직경을 토너통의 내벽의 내경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하지만, 그러한 경우, 기어 개구로부터 기어의 이의 단부까지 상당한 거리가 있고, 기어의 이는 통 주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토너통의 원주 측면으로부터 돌출하게 될 것이다. 그러면, 토너통이 제공된 화상 형성 장치는 장치 내부에 토너통을 수용할 공간과 함께 통의 기어를 장치 안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필요로 할 것이다. 이렇게 하면 화상 형성 장치의 크기가 증가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의 소형화를 위해서는, 토너통의 기어의 개구 직경이 토너통의 내벽의 내경보다 작더라도 토너 공급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으면 바람직 하다.
공개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0-063084호, 제07-020705호 및 제09-251240호에서 개시하는 현상제 용기는 화상 형성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이 장치의 본체부의 토너 공급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된다. 전술한 문헌의 종래기술 장치들에서, 토너통은 화상 형성 장치의 전념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며, 토너통을 수용하는 카트리지는 장치 본체부의 전면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한, 토너통의 회전 구동을 수행하기 위해, 전술한 문헌의 종래기술 장치는 아래의 기구를 갖는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0-063084호의 장치에서는, 토너통의 바닥은 토너통의 회전 구동이 수행되도록 장치 본체부의 배면 측판에 제공된 구동부에 연결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07-020705호의 장치에서는, 토너통의 회전 구동이 수행되도록 토너통의 견부 근처에 제공된 결합부가 장치 본체부에 제공된 구동부에 연결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09-251240호의 장치에서는, 통의 기어가 토너출구가 형성된 토너통의 단부 반대편의 토너통의 다른 단부 근처에 제공되고, 토너통의 회전 구동이 수행되도록 구동 기어와 맞물린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술한 문헌의 장치들에서는, 토너통 또는 이를 수용하는 카트리지는 장치 본체부의 전면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며, 부착과 분리할 때 동작 공간이 장치의 전면에 필요하며, 장치의 다수의 설치 영역을 필요로 한다.
또한, 현상제 용기가 장치 본체부의 전면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구성에서, 작업자는 장치의 전면으로 구부려 토너통 교체를 수행하거나, 토너 출구가 열린 상태에서 장치 본체부로부터 사용된 현상제 용기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남은 토너가 개구로부터 새어 장치의 전면이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이 때문에, 현상제 용기를 장치의 전면에 부착/분리하는 것은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최근 몇 년간 칼라 화상 형성 장치의 보급에 따라, 작업자가 현상제 용기 교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이 요구되며, 현상제 용기의 부착/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할 필요가 있다.
장치의 전면으로부터 현상제 용기를 부착/분리하는 전술한 종래의 방법을 따르지 않고 현상제 용기를 장치의 본체부의 상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면, 현상제 용기를 부착/분리할 때 장치의 본체부의 상부 커버를 열고, 필요한 색의 현상제 용기를 상부로부터 분리하고 새 현상제 용기를 놓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현상제 용기를 장치의 전면으로부터 부착/분리하는 종래의 방법에서와 같이 장치의 설치 영역에 동작 공간을 두는 것이 더 이상 필요 없으며, 설치 영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선 채로 현상제 용기를 보면서, 현상제 용기를 교체할 수 있도록 부착/분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토너가 현상제 용기 개구로부터 새는 것을 쉽게 방지할 수 있고, 부착/분리 동작이 쉬워진다.
이러한 이유로, 장치 본체부의 상부로부터 현상제 용기를 부착/분리하는 것은 작업을 쉽게 해주고, 장치의 설치 영역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는 바람 직한 것이다.
또한, 최근에 장치의 소형화가 요구되지만, 장치를 소형화하기 위해서는, 현상제 용기를 구동하는 구동부의 구성에 대한 고려가 모색되어야 한다.
하지만,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0-063084호의 장치에서는, 토너통에서 장치의 본체부 측면 구동부와 맞물리는 결합부가 토너통 길이의 단부에 제공되고, 구동구가 형성된 위치는 토너통의 길이 방향으로 더 후면 쪽에 구성된다.
그 때문에, 길이 방향으로의 토너통의 길이와 구동부의 깊이의 전체 길이가 장치 깊이에 필요하고, 장치의 길이가 커질 것이다.
토너통의 주변 측면 표면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07-020705호와 제09-251240호의 장치에서와 같이 접하고 구동력의 입력부가 제공되면, 순서대로 배치하고 구동부와 통을 통의 길이 방향으로 제공할 필요성이 없어질 것이며, 장치의 깊이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장치 상부로부터 현상제 용기 부착/분리를 가능하게 하면서 구동력의 입력부가 장치의 상부로부터 현상제 용기의 길이 방향 끝보다는 측면에 제공되면, 부착/분리 작업의 개선과 장치의 소형화가 얻어질 수 있으며, 유용성이 놓다.
또한, 종래기술의 장치에서, 토너통과 같은 현상제 용기는 용기 현상제 공급 장치의 용기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제공된다.
종래기술의 장치에서, 현상제가 소모되어 빈 사용한 현상제 용기를 용기 장착부에서 분리한 다음, 새 현상제 용기를 놓아 가시 화상 형성부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제 수용 장치에 현상제를 교체할 수 있다.
전술한 현상제 공급 장치에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357945호에 개시된 것과 같이, 용기의 본체부에 제공된 교반기와 같은 운반 구동 요소를 사용하여 현상제 공급 장치와 같은 출구에 현상제 용기 안의 현상제를 이동시킨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0-338758호에 개시된 것과 같이, 현상제를 안에 수용하는 용기의 긴 본체부의 내벽에는 나선형 돌기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뻗은 중심축이 회전 중심축으로 바뀔 수 있도록 용기의 본체부를 회전하여 내부 현상제를 출구로 이동시킨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338758호의 호의 현상제 공급 장치에는, 용기의 본체부의 벽에 형성된 나선 돌기가 용기의 본체부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고, 내부 현상제가 나선 돌기의 이동에 의해 출구로 이동한다. Y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0-338758호의 현상제 공급 장치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을 양수한 출원인은 용기의 본체부가 회전하는 현상제 공급 장치가 구비된 화상 형성 장치를 제안하였으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276466호에 개시된 것과 같이, 용기 본체부의 회전에 의해 내부 현상제를 출구로 이동시킨다.
전술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도 32A에 도시한 것과 같은 현상제 용기인 토너통을 사용한다. 도 32A의 토너통(632)은 토너통(632)의 본체부(633)의 선단에 회전부인 캡부(634)를 구비한다.
또한, (도시 생략한) 토너 출구가 캡부(634)의 원주 측면의 일부로 개방되고, 도 32A의 상태에서 셔터(636)로 닫힌다. 셔터(636)는 캡부(634)의 외주 측면에서 활주할 수 있도록 캡부(634)의 외주 측면에 부착된다.
또한, 캡부(634)가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잡는 핸들(635)이 캡부(634)와 일체로 형성된다. 도 32A의 점선으로 나타낸 통 홀더(631)에 토너통(632)을 배치할 때, 토너통(632)은 도시한 상태대로 통 홀더(631)에 놓인다.
도 32A에 화살표(N) 방향으로 핸들(635)을 돌리면, 핸들(635)과 하나로 구성된 캡부(635)가 회전하지만, 통 홀더(631)의 셔터 멈춤부(631a)와 접촉하는 셔터(636)의 회전은 이 상태에서 방지된다.
따라서, 셔터(636)는 회전에 의해 캡부(634)의 외주 측면으로의 활주식 전달을 수행하고, 토너 출구는 하향 수직 방향(도 32A의 아래쪽)으로 통 홀더(631)를 향하도록 움직인다. 따라서, 셔터(636)에 의해 닫힌 상태인 토너 출구는 수직 방향 하측으로 열린다.
한편, 토너통(632)을 통 홀더(631)로부터 분리할 때, 핸들(635)을 도 32A의 화살표(N)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렇게 하면, 토너 출구도 캡부(634)의 회전과 함께 도 32A의 화살표(N)를 따라 역전하고, 셔터(636)는 (도시 생략한) 힘 인가부(energization unit)에 의한 인가력에 따라 캡부(34Y)의 외주 측면에 대해 활주식 전달을 수행한다.
토너 출구는 셔터(636)에 의해 닫힌다. 그에 따라, 토너통(632)을 다루는 경우, 토너는 토너 출구로부터 새기 시작하지 않는다.
도 32B는 토너통(632)의 중심축(O)을 따라 토너 출구를 관통하도록 자른 캡부(634)의 원주의 단면도이다.
도 32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캡부(634)가 통의 본체부(633)의 개구(C)의 일부에 삽입됨에 따라, 캡부(634)는 통의 본체부(633)에 부착된다.
토너통(632)이 통 홀더(631)에 놓이면, 캡부는 통 홀더에 잠긴다. 구동 모터의 구동 기어와 맞물리고, 구동 모터의 회전 구동력이 통의 기어(637)에 의해 통의 본체부(633)로 전달되면, 통의 본체부(633)는 통 기어(637)와 캡부(634)의 마찰식 활주에 의해 도 32A의 화살표(Q)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하지만, 캡부(634)와 통 홀더(631)의 체결은 캡부(634)의 핸들을 조작하는 작업자의 작업을 쉽게 하기 위한 취지로 비교적 약한 힘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통의 회전형 본체부(633)와 캡부(634) 사이의 마찰력이 캡부(634)를 체결하는 힘을 초과하는 경우, 캡부(634)는 통의 본체부(633)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것이다.
그 결과, 수직 방향 하측으로 개방된 토너 출구는 도 32A의 화살표(Q) 방향으로도 이동하고, 셔터(636)에 의해 닫힌 상태가 될 것이다. 그러면, 통의 본체부(633)가 토너 공급 작업을 수행하도록 회전하더라도, 토너 공급이 실제로 수행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는 없다.
또한, 통의 본체부(633)의 회전 방향(도 32A의 화살표(Q) 방향이 역전되면, 토너 출구는 통의 본체부(633)와 캡부(634) 사이의 마찰에 따라 닫히지 않을 것이며, 전술한 문제도 일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이 경우, 통의 본체부(633)의 회전 구동의 방향을 역전시킬 필요가 있고, 토너 공급기와 전체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에 관련된 설계 변경이 강제되며, 그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더욱이, 이 경우 통의 본체부(633)의 내벽에 현재 형성된 나선형 토너 가이드(63a)의 방향이 설계 변경에 따라 역전되어야 하므로, 설계를 변경하기 전에는 토너통을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도 있다.
한편, 토너 출구를 닫힌 상태로 변경할 때 캡부(634)에 대해 셔터(636)를 변위하는 방향(도 32A의 화살표(N) 방향)을 역전시키면, 전술한 문제가 일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이 경우 셔터에 관련된 토너 공급기의 구성을 바꿀 필요가 있을 것이며, 그러한 구성을 채용하기는 어렵다.
더욱이, 이 경우 캡부(634)가 구성이 변경되기도 할 것이므로, 설계 변경 이전에 토너통을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도 있다.
아울러, 캡부(634)(회전부)가 (셔터(636)가 회전 출구를 여는 제2 방향에 반대인)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토너통(632)이 제공되면, 작업자는 토너통(632)을 통 홀더(631)에 부착할 때 캡부(634)(회전부)를 우연히 제1 방향으로 돌릴 수도 있다. 이 경우, 캡부(634)를 부정확하게 댈 수 있다.
또한, 토너통(632)을 통 홀더(631)에 부착할 때 캡부(634)를 제2 방향으로 작업자가 적절하게 회전시켜 토너 출구가 셔터(636)에 의해 열린 후에 캡부(634)가 더 회전될 수 있도록 토너통(632)을 제공하면, 캡부(634)는 과도하게 회전될 것이다. 이 경우, 셔터(636)가 떨어질 가능성이 생긴다.
전술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현상제 용기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착탈 작업을 개선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소형화를 달성하면서, 토너 공급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용의 개선된 현상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설계 변경을 불필요하게 하고 전술한 문제를 피하면서, 용기 본체부의 회전에 따라 셔터에 의해 토너 출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현상제 용기 및 이를 이용하는 현상제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현상제 용기의 부정확한 배치를 방지하고 셔터가 토너 출구를 개방할 때 생기는 캡부의 과도한 회전이 일어나는 문제를 발생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용의 현상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현상제 용기에 따르면, 현상제 용기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착탈 작업을 개선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소형화를 달성하면서, 토너 공급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화상 공급 장치에 따르면, 현상제 용기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착탈 작업을 개선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소형화를 달성하면서, 토너 공급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현상제 공급 장치와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면서, 용기 본체부의 회전 방향을 역전하거나 현상제 용기의 셔터의 개폐 방향을 역전시키도록, 설계 변경을 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전술한 문제를 피하면서, 용기 본체부의 회전에 따라 셔터에 의해 토너 출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현상제 용기에 따르면, 현상제 용기의 부정확한 배치를 방지하고 셔터가 토너 출구를 개방할 때 생기는 캡부의 과도한 회전이 일어나는 문제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은 화상 형성 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내부에 현상제를 담는 본체부가 있는 원통형 현상제 용기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현상제 용기는 상기 현상제 용기 내의 현상제를 방출하도록 상기 현상제 용기의 일측에 제공된 출구; 상기 출구에 인접 제공되고, 상기 용기 본체부의 직경보다 작은 내부 직경을 갖는 작은 직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부착되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구동 모터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수용하는 입력부; 및 상기 현상제 용기 내부의 현상제가 상기 현상제 용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입력부의 작은 직경부를 지나 상기 출구로 이동하게 하는 현상제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지지용 매체; 상기 화상 지지용 매체에 가시 화상을 형성하는 가시 화상 형성부; 상기 가시 화상 형성부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부; 현상제 용기; 상기 현상제 용기가 부착된 용기 장착부; 및 상기 현상제 용기를 현상제 용기의 원주 방향 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용기는, 현상제를 담는 본체부; 상기 현상제 용기 내의 현상제를 방출하도록 현상제 용기의 일측에 제공된 출구; 상기 출구에 인접 제공되고, 상기 용기 본체부의 직경보다 작은 내부 직경을 갖는 작은 직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부착되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구동 모터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수용하는 입력부; 및 상기 현상제 용기 내부의 현상제가 상기 현상제 용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입력부의 작은 직경부를 지나 상기 출구로 이동하게 하는 현상제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현상제를 담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단부면에 있는 개구를 갖는 현상제 용기; 및 상기 개구를 덮도록 상기 용기 본체부에 부착되고, 상기 개구와 연결된 출구가 원주에 형성된 회전부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부 내의 현상제는, 용기 장착부에 부착된 상기 용기 본체부가 용기 본체부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현상제 공급기가 상기 현상제 용기로부터 방출된 현상제를 현상제 수용기로 공급하도록, 상기 입구로 이동하여 상기 출구로부터 방출되며, 상기 현상제 용기는 상기 용기 본체부의 회전 방향으로의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상기 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회전부에 제공된 셔터를 구비하며, 상기 현상제 공급기는 상기 용기 본체부의 회전 중에 상기 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셔터와 상기 회전부의 상대적인 이동을 일으키도록 상기 셔터 또는 회전부에 마찰력을 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현상제 공급기는, 상기 용 기 본체부가 현상제를 상기 출구로부터 방출하도록 회전하면 상기 용기 본체부와의 마찰력을 사용하여, 상기 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셔터와 회전부의 상대적인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이 제공하는 화상 형성 장치는 가시 화상을 화상 지지용 매체에 형성하는 가시 화상 형성부; 및 현상제를 담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단부면에 있는 개구를 갖는 현상제 용기; 및 상기 개구를 덮도록 상기 용기 본체부에 부착되고, 상기 개구와 연결된 출구가 원주에 형성된 회전부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본체부 내의 현상제는, 용기 장착부에 부착된 상기 용기 본체부가 용기 본체부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현상제 공급기가 상기 현상제 용기로부터 방출된 현상제를 상기 가시 화상 형성부의 현상제 수용기로 공급하도록, 상기 입구로 이동하여 상기 출구로부터 방출되며, 상기 현상제 용기는 상기 용기 본체부의 회전 방향으로의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상기 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회전부에 제공된 셔터를 구비하며, 상기 현상제 공급기는 상기 용기 본체부의 회전 중에 상기 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셔터와 상기 회전부의 상대적인 이동을 일으키도록 상기 셔터 또는 회전부에 마찰력을 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현상제 공급기는, 상기 용기 본체부가 현상제를 상기 출구로부터 방출하도록 회전하면 상기 용기 본체부와의 마찰력을 사용하여, 상기 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셔터와 회전부의 상대적인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내부에 현상제를 담는 본체부가 있는 원통형 현상제 용기를 제공하며, 상기 현상제 용기는, 상기 용기 본체부에 대해 회전 가능한 회전부; 상기 현상제 용기 내의 현상제를 방출하도록 상기 회전부에 제공된 출구; 상기 용기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부착되면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회전부에 제공된 셔터; 및 상기 회전부의 원주측 부분에 제공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화상 형성 장치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내부에 현상제를 담는 본체부가 있는 원통형 현상제 용기를 제공하며, 상기 현상제 용기는, 상기 용기 본체부에 대해 회전 가능한 회전부; 현상제를 상기 용기로부터 방출하도록 상기 회전부에 제공된 출구;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회전부에 제공된 셔터; 상기 용기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부착되면 상기 회전부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전부에 제공된 제1 회전 방지부; 및 상기 용기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부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회전부가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셔터가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출구를 개방한 후에 상기 회전부가 제2 방향으로 더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전부에 제공된 제2 회전 방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현상제 용기에 따르면, 현상제 용기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착탈 작업을 개선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소형화를 달성하면서, 토너 공급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화상 공급 장치에 따르면, 현상제 용기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착탈 작업을 개선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소형화를 달성하면서, 토너 공급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현상제 공급 장치와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면서, 용기 본체부의 회전 방향을 역전하거나 현상제 용기의 셔터의 개폐 방향을 역전시키도록, 설계 변경을 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전술한 문제를 피하면서, 용기 본체부의 회전에 따라 셔터에 의해 토너 출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현상제 용기에 따르면, 현상제 용기의 부정확한 배치를 방지하고 셔터가 토너 출구를 개방할 때 생기는 캡부의 과도한 회전이 일어나는 문제를 발생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이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라 한다)가 적용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예로서 전자사진 인쇄 기술이 수행되는 프린터를 설명할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아래에 설명하는 프린터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화상 형성부는 공정 카트리지로서 설명된다.
먼저, 프린터의 구성에 대해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현상제 용기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프린터(100)는 노랑, 마젠타, 시안 및 검정의 토너 화상을 발생하는 공정 카트리지(6Y, 6M, 6C, 6K)가 제공된다. 공정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물질로서 서로 다른 색인 Y, M, C 및 K 토너를 각각 사용하지만, 이들은 동일한 조성이고 토너 보급시 새로운 것으로 교체된다.
Y 토너 화상을 발생하는 공정 카트리지(6Y)를 네 개의 공정 카트리지의 대표적인 예로서 고찰한다.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공정 카트리지(6Y)는 드럼 형태의 광전도체(1Y), 드럼 청소기(2Y), 전기 방전기(도시 생략), 대전기(4Y) 및 현상기(5Y)를 포함한다.
공정 카트리지(6Y)는 프린터(100)의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며, 부품들을 한번에 교체할 수 있다.
전술한 대전기(4Y)는 구동부(도시 생략)에 의해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광전도체(1Y)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킨다.
레이저광(L)에 의해 노출 스캔을 수행하고, 대전 중인 광전도체(1Y)의 표면이 정전잠상을 균일하게 지지한다.
Y의 정전잠상은 Y 토너를 사용하는 현상기(5Y)에 의해 Y 토너 화상에서 현상된다. 중간 전사 벨트(8)에 중간 전사를 수행한다. 중간 전사 공정을 통과한 다음 드럼 청소기(2Y)가 광전도체(1Y) 표면에 남아있는 토너를 제거한다.
또한, 전기 방전기가 청소 후에 광전도체(1Y)의 잔류 전하를 방전한다. 광전도체(1Y)의 표면은 전기 방전에 의해 초기화되고, 후속하는 화상 형성을 위해 준비된다.
공정 카트리지(6M, 6C, 6K)에서도, M, C 및 K 토너 화상이 광전도체(1M, 1C, 1K)에 마찬가지로 형성되며, 중간 전사 벨트(8)에 중간 전사가 수행된다.
노출기(7)는 도 1에 도시된 공정 카트리지(6Y, 6M, 6C, 6K)의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잠상 형성기 역할을 하는 노출기(7)는 화상형성에 따라 방출된 레이저광(L)으로 공정 카트리지(6Y, 6M, 6C, 6K)의 각각의 광전도체를 비춘다. 각각의 광전도체가 레이저광(L)에 노출된다. 노출로 인해, Y, M, C, K의 정전잠상이 광전도체(1Y, 1M, 1C, 1K)에 형성된다.
또한, 노출기(7)는 2 이상의 광학 렌즈와 거울을 통해 광전도체를 비추어, 회전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다각형 거울에 의해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레이저광(L)을 스캔한다.
이송 롤러(27)와 저항 롤러 쌍(28)이 설치된 용지 수용 카세트(26)를 포함하는 용지 이송부가 노출기(7)의 바닥부에 배치된다. 용지 수용 카세트(26)에는 다수의 복사 용지(P)가 담겨있고, 이송 롤러(27)는 다수의 복사 용지 맨 위의 복사 용지(P)와 접촉한다.
이송 롤러(27)가 구동부(도시 생략)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맨 위의 복사용지(P)는 저항 롤러 쌍(28)의 롤러 사이의 위치로 운반된다. 비록 저항 롤러 쌍(28)이 복사 용지(P)를 클램핑하도록 롤러의 회전 구동을 수행하지만, 회전 구동은 즉각 정지된다. 복사용지(P)는 적절한 시간에 저항 롤러 쌍(28)에 의해 제2 전사 닙으로 전달된다.
전술한 용지 이송부에서, 이송 롤러(27)와 저항 롤러 쌍(28)(타이밍 롤러 쌍)의 결합은 운송부를 구성한다. 운송부는 복사용지(P)를 용지 수용 카세트(26)로부터 제2 전사 닙으로 운반한다.
무단 중간 전사 벨트(8)(중간 전사 매체)로 중간 화상 전사를 수행하는 중간 전사부(15)는 각각의 공정 카트리지(6Y, 6M, 6C, 6K)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 중간 전사부(15)에는 네 개의 제1 전사 바이어스 롤러(9Y, 9M, 9C, 9K), 청소기(10) 및 중간 전사 벨트(8)가 제공된다.
또한, 중간 전사부(15)는 제2 전사 백업 롤러(12), 청소용 백업 롤러(13) 및 인장 롤러(14) 등을 포함한다. 중간 전사 벨트(8)의 반시계방향 회전에 따라, 이들 세 개의 롤러 중의 적어도 하나의 회전 구동에 의해 무단 전사가 수행된다.
제1 전사 바이어스 롤러(9Y, 9M, 9C, 9K)는 광전도체(1Y, 1M, 1C, 1K) 사이로 이와 같이 무단 전사를 수행하는 중간 전사 벨트(8)를 놓고, 각각 제1 전사 닙을 형성한다. 이러한 전사에서, 토너는 역전된 극성(예컨대 양)의 전사 바이어스를 중간 전사 벨트(8)의 뒷면(루프의 내면)에 가한다. 제1 전사 롤러(9Y, 9M, 9C, 9K)를 제외한 모든 롤러는 전기적으로 접지된다.
무단 전사에 따라, 중간 전사 벨트(8)는 Y, M, C 및 K를 위해 제1 전사 닙을 하나씩 지나가고 K 위의 광전도체(1Y, 1M, 1C, 1, Y, M, C,)와 K 토너 화상이 적층되고 제1 순서로 전해진다.
그에 따라, 4 색의 중첩된 토너 화상(4 색 토너 화상이라고도 함)이 중간 전사 벨트에 형성된다.
전술한 제2 전사 백업 롤러(12)는 중간 전사 벨트(8)를 제2 전살 롤러(19)들 사이에 놓고, 제2 중간 전사 닙을 그 안에 형성한다. 중간 전사 벨트(8)에 형성된 4 색 토너 화상은 제2 전사 닙에 의해 복사용지(P)로 전사된다. 복사용지(P)에 전 사되지 않고 남은 토너는 제2 전사 닙을 지나간 다음 중간 전사 벨트(8)에 들러붙는다. 청소부(10)에 의해 남은 토너는 청소된다.
제2 전사 닙에서, 복사용지(P)가 전방으로 표면이동(surface migration)을 수행하는 제2 전사 롤러(19)와 중간 전사 벨트(8) 사이로 삽입되고, 전술한 저항 롤러 쌍(28) 쪽이 반대 방향으로 운반된다. 제2 전사 닙으로부터 보내진 복사용지(P)가 고정기(20)의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 열과 압력이 표면에 전사된 4 색 토너 화상을 고정한다.
그런 다음, 복사용지(P)는 배출 롤러 쌍(29)의 롤러를 통과하고, 프린터 밖으로 배출된다. 적재부(30)가 프린터 본체의 상면에 제공된다. 배출 롤러 쌍(29)으로부터 프린터 밖으로 배출된 복사용지(P)는 하나씩 적재부(30)에 쌓인다.
전술한 공정 카트리지(6Y)에서 현상기(5Y)의 구성을 설명한다.
자기장 발생부가 제공된 현상기(5Y)는 현상 슬리브(51Y)와 닥터(doctor, 52Y)를 구비한다. 닥터(52Y)는 현상 슬리브(51Y)에 지지되고 운반된 현상제의 두께를 조절하는 현상제 조절 부재이다. 현상 슬리브(51Y)는 토너와 자기 분말을 함유한 2 성분 현상제를 표면에 지지하고 운반하는 현상제 지지체이다.
제1축 쪽의 현상제 수용부(53Y)는 광전도체(1Y)로의 운반 없이 닥터(52Y)에 의해 조절되는 현상제를 수용하며, 역전된 현상 영역이 닥터(52Y)의 현상제 운반 방향 상류 쪽에 형성된다.
또한, 제1축 쪽의 현상제 수용부(53Y)에 인접한 부분에는 토너가 공급되는 제2축 쪽의 현상제 수용부(54Y)가 형성된다. 현상제의 교반과 운반을 수행하는 2 개의 현상제 운반 스크루(55Y)가 제1축 쪽의 현상제 수용부(53Y)와 제2축 쪽의 현상제 수용부(54Y)에 각각 제공된다.
다음으로, 현상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전술한 현상기(5Y)에는 현상 슬리브(51Y)에 현상제층이 형성된다. 또, 제2축 쪽의 현상제 운반 스크루(Y)에는 토너가 공급되어, 교반과 운반이 수행되며, 토너는 현상제와 혼합된다.
현상제 안의 토너 농도가 미리 정해진 토너 농도의 범위 내에 있도록 토너를 혼합한다. 현상제 안에 합쳐진 토너는 캐리어에 의한 마찰 대전에 의해 대전된다. 대전된 토너를 함유하는 현상제는 자극(magnetic pole)이 그 안에 있는 현상 슬리브(51Y)의 표면으로 공급되고, 자기력에 의해 지지된다. 현상 슬리브(51Y)의 표면에 지지되는 현상제층은 현상 슬리브(51Y)의 회전에 따라 도 2의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운반된다.
현상제층은 두께가 닥터(52Y)에 의해 조절된 후에, 광전도체(1Y)와 만나는 현상 영역으로 운반된다. 현상 영역에서, 광전도체(1Y)에 형성된 잠상에 기초한 현상이 수행된다. 현상 슬리브(51Y)에 남은 현상제는 현상 슬리브(51Y)의 회전에 따라 제2축 쪽의 현상제 수용부(53Y)의 현상제 운반 방향으로 상류부로 운반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같이, 통 홀더(31)는 중간 전사부(15)의 상향부에 제공된 적층부(30)와 중간 전사부(15) 사이에 배치된다. 통 홀더(31)는 Y, M, C, K 토너를 그 안에 수용하는 현상제 용기인 Y, M, C, K 토너통(32Y, 32M, 32C, 32K)을 수용한다.
토너통(32Y, 32M, 32C, 32K)은 위로부터 적층되도록 통 홀더(31)에 배치된다. 토너통(32Y, 32M, 32C, 32K)의 Y, M, C, K 토너는 토너 공급 장치에 의해 공정 카트리지(6Y, 6M, 6C, 6K)의 현상 장치에 각각 적절하게 공급된다.
토너통(32Y, 32M, 32C, 32K)은 공정 카트리지(6Y, 6M, 6C, 6K)와 무관하게 각각 프린터(100)의 본체부로부터 부착/분리될 수 있다.
도 3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토너통(32Y)의 사시도이며, 도 4는 토너통(32K)이 더 부착된 때의 토너통(32Y, 32M, 32C)이 부착된 통 홀더(31)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토너통(32Y)의 본체부(33Y)의 선단에는 토너통(32Y)의 본체부(33Y)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회전부인 캡부(34Y)가 제공된다. 더욱이, 핸들(35Y)은 캡부(34Y)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토너통의 본체부(33Y)와 일체로 형성된 입력부로 사용되는 입력 기어인 토너통 기어(37Y)가 캡부(34Y)가 부착된 토너통의 본체부(33Y)의 위치에 인접하여 제공된다.
토너통(32Y)을 프린터(100)의 본체부에 부착할 때, 도 1에 도시된 적층부(30)가 먼저 열리고, 통 홀더(31)가 노출된다.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토너통(32Y)이 통 홀더(31)에 놓인 다음, 전술한 핸들(35Y)이 회전된다. 이어, 핸들(35Y)과 일체로 형성된 캡부(34Y)가 회전하고, (커버 부재인) 셔터(36Y)가 토너통의 토너 출구(도시 생략)를 외부로 개방하도록 캡부(34Y)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할 때, 캡부(34Y)와 통 홀더(31)는 서로 맞물려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토너통의 보다 상세한 설명은 차후에 한다.
한편, 토너통(32Y)을 프린터(100)의 본체부로부터 분리할 때, 핸들(35Y)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캡부(34Y)와 통 홀더(31)의 맞물림을 해제하며, 동시에 셔터(36Y)가 토너통의 토너 출구를 닫는다.
핸들(35Y)을 잡은 상태에서 토너통(32Y)을 프린터(100)의 본체부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토너통(32Y)은 프린터(100)의 본체부의 상부에 부착 및 분리될 수 있고, 토너통(32Y)의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더욱이, 핸들(35Y)은 캡부(34Y)에 형성되고, 캡부(34Y)는 핸들(35Y)에 의해 통 홀더(31)에 용이하게 회전 및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토너통(32Y)이 프린터(100)의 본체부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는, 캡부(34Y)의 핸들(35)이 회전하더라도, 셔터(36Y)는 토너 출구를 개방하도록 이동되지 않는다. 토너통(32Y)의 교체 작업을 수행할 때 셔터(36Y)가 토너 출구를 우연히 개방하는 것을 방지하여 내부 토너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어, 토너 공급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Y, M, C 및 K 토너 공급 장치의 사시도이다. 토너 공급기(40Y, 40M, 40C, 40K)와 토너통(32Y, 32M, 32C, 32K)이 도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Y, M, C, K 공정 카트리지와 Y, M, C, K 토너 공급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와 도6의 도면은 다른 각도에서 본 것이다.
토너 공급기(40Y, 40M, 40C, 40K)는 중간 전사부(15)의 쪽에 제공되고, 프린터(100)의 본체부에 제공된다. 그 까닭에, 토너 운반부를 종래기술의 장치에서처럼 공정 카트리지(6Y, 6M, 6C, 6K) 또는 토너통(32Y, 32M, 32C, 32K)에 제공할 필 요가 없고, 공정 카트리지(6Y, 6M, 6C, 6K) 또는 토너통(32Y, 32M, 32C, 32K)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장치에서, 공정 카트리지와 토너통은 서로 인접 배치되고, 설계의 한계가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정 카트리지와 토너통은 서로 떨어져 배치된다. 따라서, 설계 자유도를 개선할 수 있고, 프린터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토너통(32Y, 32M, 32C, 32K)의 토너 출구, 토너 공급 장치(40Y, 40M, 40C, 40K) 및 현상기(5Y, 5M, 5C, 5K)의 제2축 쪽의 현상기 수용부(54Y, 54M, 54C, 54K)는 롤러 축 방향으로 중간 전사부(15)의 단부 쪽 가까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토너 공급 장치(40Y, 40M, 40C, 40K)의 토너 운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고, 프린터의 소형화 및 운반 중의 토너 막힘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토너 공급 장치(40Y, 40M, 40C, 40K)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Y 토너만을 공급하는 토너 공급기(40Y)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토너 공급기(40Y)는 구동 모터(41Y), 구동 기어(42Y) 및 토너 운반관(43Y)으로 주로 이루어진다. 코일(도시 생략)은 토너 운반관(43Y) 내부에 설치된다. 구동 기어(42Y)는 토너통(32Y)의 통 기어(37Y)와 맞물리고, 구동 모터(41Y)에 의해 회전되면, 토너통(32Y)의 통 기어(37Y)와 일체로 회전하는 본체부(33Y)를 회전시키는 출력 기어의 기능을 한다.
현상기(5Y)에 제공된 농도 검출 센서(도시 생략)는 제2축 쪽의 현상제 수용 부(54Y)에 의한 토너 농도의 부족을 검출하고, 구동 모터(41Y)는 제어부(57Y)로부터의 토너 공급 신호 출력에 따라 회전한다.
나선형 토너 가이드(33a)가 토너통의 본체부(33Y)의 내벽에 형성되고, 내부 토너가 토너통의 회전에 의해 본체부(33Y)의 후부로부터 캡부(34Y)가 제공된 선단으로 운반된다. 토너통의 본체부(33Y)에 있는 토너는 캡부(34Y)의 토너 출구(도시 생략)로부터 토너 공급기(40Y)의 토너 수용부(도시 생략)로 떨어진다.
토너 수용부는 토너 운반관(43Y)에 연결되고, 구동 모터(41Y)가 회전하는 경우, 토너 운반관(43Y) 내의 코일(도시 생략)이 토너통의 본체부(33Y)가 회전할 때 동시에 회전한다. 코일의 회전에 의해 토너 수용부에 공급되는 토너는 토너 운반관(43Y)의 내부를 통해 운반되고, 현상기(5Y)의 제2축 쪽의 현상기 수용부(54Y)의 토너 입구(도시 생략)에 공급된다. 따라서, 현상기(5Y) 안의 토너 농도가 조절된다.
또한, 광전도체(1Y)에 형성된 화상의 화소의 수를 광센서를 이용해 세거나, CCD 카메라를 사용하여 광전도체(1Y)에 형성된 참조 화상의 화상 농도를 측정하도록, 농도 검출 센서가 사용되는 전술한 실시예를 수정할 수 있다. 광센서 또는 CCD 카메라에 의한 측정 결과에 기초한 토너 농도의 부족이 검출되면 토너 공급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프린터의 일례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토너 가이드(33a)가 토너통의 본체부(33Y)의 내벽에 제공 되더라도, 토너 출구로부터 토너를 배출하는 것은 토너통(32Y)의 원주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서 원활히 수행되지 않을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이 문제의 주원인으로는, 통의 내벽이 들어 올려지고 토너의 출구 가까이 제공된 통 기어(37Y)의 개구 직경이 토너통(32Y)의 내벽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토너가 상승부를 용이하게 통과하지 않는 것이다.
기어의 이가 토너통(32Y)의 주면으로부터 너무 많이 돌출하지 않도록 토너 기어(37Y)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장치 소형화를 위해서도 바람직하다. 통의 기어(37Y)가 토너 출구 가까이에 제공되는 것은 토너 공급의 안정화를 위해서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로, 개구의 직경이 통 기어(37Y)의 위치에서 토너통(32Y)의 내경보다 작더라도, 토너는 토너통의 내벽의 상부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 토너통(32Y) 및 토너가 토너통의 내벽의 상승부를 원활히 통과할 수 있게 해주는 토너통(32Y)을 사용하는 토너 공급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7A와 7B는 수지 케이스를 제거한 토너통(32Y)의 실시예의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도 7A는 수지 케이스를 제거한 본 실시예의 토너통(32Y)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수지 케이스를 제거한 본 실시예의 토너통(32Y)의 정면도이다.
통의 출구가 제공되는 수지 케이스를 토너통(32Y)으로부터 제거하면, 통의 기어(37Y)는 토너통(32Y)의 개구 가까이에 나타날 것이다. 이것은 통의 기어(37Y)가 토너통(32Y)과 일체로 성형되기 때문이다.
도 7B에 도시한 것과 같이, 토너통(32Y)을 통 개구 쪽에서 보면, 가장 작은 내경을 갖는 통 개구의 일부는 통의 기어(37Y)의 (기어 개구라고 부르는) 개구(37Yi)이다.
도 7B에 그늘진 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토너통은 기어 개구(37Yi) 가까이에 두 개의 토너 안내부(90Y)가 제공되고, 각각의 토너 안내부(90Y)는 토너통이 회전될 때 토너통 내부의 토너를 상승부를 지나 통의 출구로 이동시키게 된다.
각 토너 안내부(90Y)는 본 발명의 현상제 용기에 제공된 현상제 안내부로서, 토너통이 회전될 때 토너통 안의 토너가 통의 기어의 작은 직경의 상승부를 지나 통의 출구로 이동하게 한다. 각 토너 안내부(90Y)는 이하와 같이 형성된다. 기어 개구(37Yi)와 토너통(32Y) 내벽의 일부(또는 기어 개구(37Yi)에 인접한 견부 내벽의 일부)는 견부 내벽(기어 개구(37Yi)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진)으로부터 기어 개구(37Yi)를 포함한 기어 개구의 에지까지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각 토너 가이드부(90Y)가 형성되도록, 그들은 나선형 돌기 내에 형성된다.
도 8A와 8B는 본 실시예에 따른 토너통(32Y)의 측면도이다. 도 8A와 8B에는, 서로 다른 원주 방향으로 바라본 동일한 토너통의 측면이 도시된다.
토너통(32Y)은 이중 나선 형상의 토너를 운반하는 2 개의 토너 가이드(33a)로 형성되고, 토너 가이드(33a)가 기어 개구(37Yi)와 만나는 부분인 토너 가이드(33a)의 말단부는 토너통의 회전중심축 쪽으로 기어 개구(37Yi)의 에지로부터 돌출된다. 즉, 토너 가이드(33a)의 말단부는 2 개의 토너 안내부(90Y)를 구성한다. 이 토너 안내부(90Y)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 케이스가 제거된 상태의 통의 개구의 전측으로부터 볼 때 통의 개구 내의 상승부처럼 보인다.
또한,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토너통(32Y)은 토너통(32Y) 내의 통의 기어(37Y)에 인접한 부분에 위치되는 2 개의 상승부(S1, S2)를 가진다. 상승부(S1, S2)가 제공되는 그 인접한 부분은 토너통(32Y)의 견부(S) 내에 위치된다.
상승부(S1, S2)는 2 개의 토너 가이드(33a)에 의해 형성된 토너 운반 경로이다. 토너통(32Y)을 외부로부터 보면, 이들은 2 개의 상승부(S1, S2)처럼 보인다. 전술한 2 개의 토너 안내부(90Y)는 각각 상승부(S1, S2)를 따라 제공된다.
토너 가이드(33a)에 더하여 토너 안내부(90Y)의 사용에 따라, 토너 가이드(33a)에 의해 통의 기어(37Y)에 인접하게 이동되는, 토너통 내부의 토너가 토너통이 회전될 때 상승부를 지나 통의 출구까지 이동되고, 통의 출구로부터 방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는 토너통(32Y)의 측면에서 본, 본 발명의 실시예의 토너통(32Y)의 변형례의 측면도이다.
본 변형례에서, 도 8A와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통(32Y)의 견부(S)에 위치된 2개의 상승부(S1, S2)의 견부 에지가 경사진 견부 형태가 되도록 경사진다. 경사진 에지를 가지는 견부(S)를 제외하고 도 9에 도시된 토너통(32Y)은 도 8A 및 도 8B에 보여지는 토너통(32Y)의 그것과 같은 구성을 가지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토너통은 도 8A 및 도 8B의 실시예에서의 상승부(S1, S2)를 가질 필요는 없다. 토너통의 견부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견부의 형태일 수 있다. 내부 토너가 상승부를 지나 통의 출구까지 이동되고 통의 출구로부터 방출되도록 하 기 위하여, 토너통이 기어의 개구 내부의 돌출된 토너 안내부(90Y)(도 7B에 도시된)를 가지는 것으로 충분한다. 내부 토너가 경사진 견부(도 9에 도시된)를 통하여 본체부 쪽으로부터 점차 상승하게 되고, 내부 토너가 상승부를 지나 통의 출구까지 이동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이어, 토너통(32Y)을 통 홀더(31)에 위치 설정하는 구조 및 토너 출구를 열고 닫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A 내지 12는 각각 통 견부(31Y)와 토너통(32Y)의 단면도이다.
복잡한 형태로 구부러진 위치 설정부인 결합벽(38Y)은 토너통(32Y)의 캡부(34Y)의 캠의 노즈 쪽에 의해 설정된다.
토너통(32Y)은 핸들(36Y)이 수기 방향 하측으로 향해 회전된 상태로, 통 홀더(31Y)에 놓여있다(도 10).
또한, 이 상태는 복잡한 형태로 구부러진 결합벽(38Y)의 개구가 수직 방향 하측으로 회전된 상태이다.
통 홀더(31Y)의 결합부인 결합판(39Y)은 이 상태로 놓은 토너통(32Y)의 결합벽(38Y)에서 개구를 통해 루프 안으로 진입한다(도 11).
이때, 토너통(32Y)이 여전히 정상적으로 놓인 상태뿐만 아니라 캡부(34Y)가 도시하지 않는 토너 출구도 셔터(36Y)에 의해 닫힌다.
작업자는 통 홀더(31Y)에 놓인 토너통(32Y)의 핸들(35Y)을 집어, 핸들(35Y) 반시계방향으로 약 45도 돌린다. 그러면, 캡부(34Y)가 도 12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캡부(34Y)의 셔터(36)는 통 홀더(31Y)의 바닥에 걸린다. 따라서, 셔 터(36Y)만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도 12).
셔터(36Y)에 의해 닫힌 토너 출구(도시 생략)가 노출되고, 수직 하방으로 회전된다.
또한, 캡부(34Y)의 결합벽(38Y)은 통 홀더(31Y)의 결합판(39Y)과 맞물리고, 토너통(32Y)은 통 홀더(31Y)에 고정된다.
도 4에서는, 토너통(32Y)을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게 할 때, 통 홀더(31Y)의 벽과 토너통 외벽 사이에 마찰이 생겨, 회전이 용이하고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회전 보조부인 롤러(60)를 통 홀더(31Y)의 바닥에 형성한다. 이렇게 하면, 토너통(32Y)의 회전은 원활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토너통(32Y)의 회전은 롤러(60)의 사용에 의해 원활해 진다. 이와 달리, 다른 방법으로 토너통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좋은 활주성을 갖는 테이프를 토너통에 부착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그와 같은 테이프는 테플론(등록 상표)과 같은 불소 또는 초거대분자 폴리에틸렌 등을 함유하는 수지 재료로 만들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프린터에서와 같이 토너통(32Y)이 장치 본체부의 상부에 착탈되게 할 때, 구동력을 상부 이외의 위치로부터 토너통(32Y) 쪽의 표면에 제공된 구동력의 입력부로 입력할 것이다.
이러한 결함을 일으키지 않기 위해서, 아래의 고안을 본 실시예에 도입한다.
도 13은 토너통(32Y)의 기어(36Y)에 대한 구동 기어(42Y)의 위치 변경을 설 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기어의 압력각(pressure angle)은 20도가 된다.
통의 기어(37Y)의 회전 샤프트와 구동 기어(42Y)의 회전 샤프트가 수평 위치에 있고 구동 기어(42Y)를 회전시키도록 도 13에 도시한 것과 같은 반시계방향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동 기어(42Y(a))가 통의 기어(37Y) 바로 옆에 배치되면, 구동 기어(42Y)의 회전력은 도 13에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통의 기어(37Y)에 가해지고, 이 방향은 도 13에서 수직 하방으로부터 좌측으로 20도 옮겨진다. 이는 기어의 압력각이 20도이기 때문이다.
또한, 구동 기어(42Y(b))가 구동 기어(42Y)의 축이 통의 기어(36Y)의 축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기울임 위치에 있는 경우, 구동 기어(42Y)의 회전력은 도 13의 화살표(b)로 나타낸 방향으로 통의 기어(37Y)에 가해지며, 이 방향은 화살표(a) 방향으로부터 더 좌측으로 옮겨진다.
더욱이, 구동 기어(42Y(c))가 더욱 기울임 위치에 있으면, 구동 기어(42Y)의 회전력은 도 13의 화살표(c)로 나타낸 좌측 수평 방향으로 통의 기어(37Y)에 가해진다. 구동 기어(42Y)가 42Y(c)의 위치로부터 더 아래에 위치하면, 통의 기어(37Y)에 가해지는 구동 기어(42Y)의 회전력의 방향은 상향이 될 것이고, 이 경우, 토너통(32Y)이 뜰 가능성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통의 기어(37Y)에 가해지는 구동 기어(24Y)의 회전력이 항상 수평 또는 하향 방향을 향하도록, 통의 기어(37Y)와 구동 기어(42Y)를 배치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통의 기어(37Y)와 결합되는 구동 기어(42Y)의 위치는 도 13에서 구동 기어(42Y(a))의 위치로부터 구동 기어(42Y(c))의 위치까지의 범위( 또는 수평 방향으로부터 70도의 범위)에 있다.
이어, 회전력을 각각의 위치에서 비교적 굵은 화살표(a, c)의 방향으로 적용하고, 올라가는 힘은 적어도 통의 기어(37Y)에 적용되지 않으며, 이것은 토너통(32Y)이 뜨지 않게 하고, 안정되게 회전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토너가 기어 개구(37Yi)를 지나 토너 출구로 이동하게 하는 현상제 안내부인 토너 안내부(90Y)는 토너통 회전의 중심선 방향으로 기어 개구(37Yi)의 에지로부터 상승되도록 제공된다. 이것은 통 내부의 토너를 토너통의 내부로부터 돌출하는 기어 개구(37Yi)로 올릴 수 있고, 토너가 작은 직경 부분을 지나 토너 출구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토너통(32Y) 본체부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한 캡부(34Y)가 제공되고, 캡부(34Y)에서 결합판(39Y)과 맞물리는 위치 결정부인 결합벽(38Y)이 제공된다.
토너통(32Y)의 장치의 본체부와의 위치 결정이 토너통(32Y)을 통 홀더(31Y) 안에 두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고, 이렇게 해서 캡부(34Y)를 프린터의 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유용성이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캡부(34Y)의 토너 출구를 열고 닫는 셔터(36Y)가 제공되며, 셔터는 토너통(32Y)의 통 홀더(31Y)에의 고정과 동시에 개방되고, 분리와 동시에 닫힌다.
이렇게 하면 셔터의 여닫음을 위한 특정한 동작이 불필요해지고 유용성이 높아지는 동안 기대되지 않은 토너 누설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토너통(32Y)은 통 기어(37Y)와 일체로 성형된다. 따라서, 통 기어(37Y)가 토너통(32Y)과 다른 대상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와 비교하면, 파트 마크(part mark)를 줄이고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토너통(32Y)과 통 기어(37Y)에 부착하는 경우의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고, 토너통(32Y)과 기어 사이의 부착 정밀도를 살필 필요가 없어진다.
더욱이, 토너통(32Y)과 기어를 분류할 필요가 없으므로, 우수한 재생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롤러(60)는 통 홀더(31Y) 바닥에 형성된다. 그 결과, 안정화되고 토너통(32Y)이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 기어는, 구동 기어(42Y)로부터 통 기어(376)로 주어지는 압력각 방향이 수평 방향 또는 하방으로 돌려지도록 위치한다. 토너 통(32Y)이 뜨지 않게 될 수 있고, 회전을 안정화할 수 있다.
또한, Y 토너통 뿐만 아니라 프린터에서 다른 토너 색의 M, C, K 토너통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검토할 수 있다. 이들은 Y 토너통의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프린터의 기본적인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의 것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어, 본 발명의 토너 공급 장치의 예를 설명한다.
도 14는 토너통(132)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내부에 수용된 토너의 색이 다르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Y 토너를 위한 토너통(132Y)은 예로서 기술되어, 각각의 토너통(132Y, 132M, 132C, 132K)을 설명한다.
토너통(132Y)은 현상제를 내부에 수용하는 통 본체부(133Y)가 제공되며, 통 본체부(133Y)는 용기의 긴 주요부이다.
통 본체부(133Y)는 길이 방향 단부 쪽에 개구(도시 생략)가 있고, 회전부인 캡부(134Y)는 개구가 덮일 수 있도록 부착된다.
캡부(134)는 토너 출구(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토너 출구는 전술한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토너통(132Y)의 주면에서 통 본체부(133Y)의 개구 쪽으로 열린 출구이다. (이하, 이 방향의 주면은 “주면”이라 부르며, 길이 방향의 단부면은 “단부면”으로 부른다.)
도 14의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토너 출구는 셔터(136Y)에 의해 닫힌다.
통 본체부(133Y)는 전술한 개구에 의해 열린 중공형의 원통 요소이다. 통 본체(133Y)를 엠보싱 처리하는 것은, 나선형 토너 가이드(133a)가 내부 주면을 외부로부터 회전시키고 돌기들이 원주 쪽과 만나도록 수행된다.
또한, 토너 공급 장치의 구동 기어와 맞물리는 통 기어(137Y)는 통 본체부(133Y)와 일체로 형성된다.
통 기어(137Y)는 통 주요부(133Y)의 전체 원주 영역에 걸쳐 몇 개의 기어의 이를 갖는다. 토너 공급 장치의 구동 기어의 회전력이 통 기어(137Y)에 전달되면, 통 기어는 회전 중심축으로서 통 본체부(133Y)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축(A) 둘레로 도 14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에 따라, 통 본체부(133Y) 안의 Y 토너는 토너 가이드(133a)를 통해 캡부(134Y)로 이동한다. 토너가 통 본체부(133Y)의 내부로부터 전술한 개구를 통해 캡부(134Y) 안으로 이동한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토너통(132Y)의 단면도이다. 도 15에서, 토너통의 캡부(134Y)의 원주는 토너통(132Y)의 중심축(A)을 따라 토너 출구를 통과하는 토너통(132Y)의 단면으로 도시된다.
결합 돌기(133b)는 주면에 걸쳐 개구(C)를 구성하는 통 본체부(133Y)의 일부에 형성된다. 한편, 결합 돌기(133b)와 통 기어(137Y) 사이의 오목부에 끼워 맞춰지는 결합 돌기(134a)는 캡부(134Y)에 제공된다.
캡부(Y)의 결합 돌기(134a)가 오목부에 끼워 맞춰지도록 캡부(134Y)가 통 본체부(133Y)에 부착되면, 통 본체부(133Y)의 개구(C)는 캡부(134Y)에 의해 덮인다.
캡부(134Y)는 통 본체부(133Y)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갖는 중공형 원통 요소이고, 변위 유닛인 핸들(135Y)은 캡부(134Y)의 주면과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통 본체부(133Y)의 회전 방향(전방 또는 역전 방향을 요하지 않음)으로 캡부(134Y)에 셔터(136Y)의 상대적인 변위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34b)이 캡부(134Y)의 주면에 제공된다.
셔터(136Y)는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면서 캡부(134Y)의 주면을 따라 통 본체부(133Y)의 회전 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다. 도 15의 상태에서, 셔터(136Y)는 캡부(134Y)의 주면에 제공된 토너 출구(D)가 닫힌 상태인 폐쇄 위치에 있다.
또한, 작업자가 토너통(132Y)을 다룰 때 셔터(136Y)가 열리면, 개구(C) 쪽으로 열린 토너 출구(D)는 열리고, Y 토너가 떨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Y 토너가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떨어지지 않도록, 셔터(136)는 폐쇄 위치 쪽으로 도 14에 도시한 힘 인가부인 스프링(14)에 의해 힘을 받는다.
이어, 각각의 토너통(132Y, 132C, 132M, 132K)이 놓이는 토너 공급 장치의 통 홀더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토너 공급 장치의 통 홀더(31)의 사시도이다.
용기 장착부인 통 홀더(31)는 네 개의 토너통(132Y, 132M, 132C, 132K)을 각각 부착하기 위한 네 개의 홀더(31Y, 31M, 31C, 31K)를 포함한다.
도 16에서, 네 개의 토너통(132Y, 132M, 132C, 132K) 중에서 토너통(132Y)은 부착되고 있는 중간 상태로 도시된다.
작업자는 토너통(132Y)을 통 홀더(31Y)에 놓을 때, 캡부의 핸들(135Y)이 수직 방향으로 기울어진 방향을 향하는 상태로 토너통(132Y)을 통 홀더(31Y)에 놓는다.
그런 다음, 도시한 것과 같이 시계방향으로 핸들(135Y)을 회전할 수 있으며, 핸들(135Y)은 도시한 것과 같이 다른 토너통(132M, 132C, 132K)과 유사하게 수직 상방으로 회전한다.
또한, 캡부(134Y)는 핸들(135Y)의 회전과 일치하게 회전한다. 캡부(134Y)와 통 본체부(133Y)가 강한 상태로 부착되면 통 본체부(133Y)도 역시 회전할 것이지 만, 이때 통 본체부(133Y)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한편, 캡부(134Y)에 부착된 셔터(136Y)는 통 홀더(31Y) 내부에 제공된 셔터 정지부(도시 생략)에 의해 정지되고, 캡부(134Y)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지 않는다.
작업자가 본 실시예의 핸들(135Y)을 조작하면, 캡부(134Y)의 토너 출구(D)는 토너 홀더(31Y)의 내부 바닥 쪽(수직 하방)을 향하면서 개방 상태에 놓인다. 또한, 다른 색의 토너통(132M, 132C, 132K)도 역시 동일한 동작에 의해 각각의 통 홀더(31M, 31C, 31K)에 배치된다.
다음에, 토너통(132Y)을 통 홀더(31Y)에 배치하는 구성과 동작을 설명한다.
도 17 내지 19는 캡부(134Y) 쪽에서 토너통(132Y)을 바라본 때의 전면 상승 상태에서의 통 홀더(31Y)의 단면도로, 캡부(134Y)의 측면에서 통 홀더(31Y)의 벽이 제거된다.
도시한 것과 같이, 복잡한 형태로 구부러진 결합벽(138Y)은 캡부(134Y)의 단부면에 제공된다. 토너통(132Y)은 핸들(135Y)이 수직 방향으로 기울어진 방향인 상태이고, 도 18에서 화살표(E)의 방향으로부터 통 홀더(31Y)에 놓인다.
이 상태는 또한, 복잡한 형태로 구부러진 결합벽(138Y)의 절결부가 수직 하방으로 전환되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 놓인 토너통(132Y)의 결합벽(138Y)에서, 통 홀더(13Y)의 결합벽(139Y)은 전술한 절결부를 지나가고, 결합벽(138Y)으로 둘러싸인 공간 안으로 진행한다(도 18).
이 때, 토너통(132Y)은 여전히 정상적으로 배치된 상태에 있지 않고, 캡 돌기(134Y)의 토너 출구(D, 도시 생략)는 셔터(136Y)에 의한 폐쇄 상태에 있다.
도 18의 상태에서, 작업자는 통 홀더(31Y)에 놓인 토너통(132Y) 핸들을 취해, 핸들(135Y)이 수직 하방으로 전환되도록, 도 18의 화살표(F) 방향으로 회전(시계방향 회전)시킨다.
그러면, 캡부(134Y) 또는 바닥 본체부(133Y)는 도 18의 화살표(F) 방향으로 회전한다. 비록 캡부(134Y)에 제공된 셔터(136Y)가 이 회전에 따라 도 18의 화살표(F) 방향으로 회전하기 쉽지만, 셔터(136Y)는 통 홀더(31Y)의 셔터 정지부(31a)와 접촉한다. 그 결과, 셔터(136Y)의 회전이 방지되고, 스프링(144)의 작동력이 캡부(134Y)에 대해 반시계방향 회전의 상대적인 변위를 수행한다.
수직 방향 바닥은 셔터(136Y)에 의해, 그런 다음 폐쇄 상태에 맞는 토너 출구(D)에 의해 회전되어 노출된다.
또한, 캡부(134Y)가 도 19에 도시한 것과 같이 화살표(F)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캡부(134Y)의 결합벽(138Y)은 통 홀더(31Y)의 결합판(139Y)과 맞물린다. 그 결과, 토너 통(132Y)을 통 홀더(31Y)에 배치하는 것이 완료된다.
도 20A와 20B는 중심축(a)에 수직이고 토너 출구(D)를 지나가도록 자른 토너통(132Y)의 단면도이다. 도 20A는 도 18에 도시한 상태의 토너통(132Y)을 보여주고, 도 20B는 도 19에 도시한 상태의 토너통(132Y)을 보여준다.
도 20A와 20B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핸들(135Y)이 화살표(F) 방향으로 회전하면, 셔터(136Y)에 의해 닫힌 상태인 토너 출구(D)가 열리고, 수직 하방을 향하는 위치에 있게 된다. 따라서, 수직 하방을 향한 토너 출구(D)에서, 토너 운반관(도시 생략)은 수직 상방을 향한 토너 수용 개구와 정렬된다. 따라서, 토너 출구(D)로부터 배출된 Y 토너는 중력에 의해 토너 운반관 안으로 떨어진다.
이어, 토너 공급 장치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한다.
도 21은 프린터(100)의 Y, M, C, K 토너 공급 장치(406, 40M, 40C, 40K)의 사시도이다.
토너 공급 장치(40Y, 40M, 40C, 40K)는 토너 공급 장치의 토너들의 색이 서로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아래에서, 프린터(100)의 네 개의 토너 공급 장치의 대표적인 예로서 y 토너 공급 장치(40Y)를 설명한다.
도 21에 도시한 것과 같이, 토너 공급 장치(40Y)는 전술한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구동 모터(41Y), 구동 기어(42Y), 토너 운반관(43Y) 등이 제공된다. 또한, 비록 도시하지 않았지만, 토너 공급 장치(40Y)는 전술한 통 홀더(31Y)도 역시 구비한다.
토너통(132Y)이 전술한 통 홀더(31Y)에 정확히 놓이면, 구동 기어(42Y)는 통 본체부(133Y)의 통 기어(137Y)와 맞물린다. 구동 기어(42Y)가 구동 모터(41Y)에 의해 회전되면, 회전력이 통 기어(137Y)를 통해 통 본체부(133Y)로 전해지고, 통 본체부(133Y)는 도 21의 화살표(G) 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에 의해, 통 본체부(133Y) 내부에 수용된 Y 토너는 개구(A)(도 21의 정면)로 전해지고, 캡부(134Y)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간다. 토너가 캡부(134Y)의 토너 출구(D)로부터 방출되어, 토너 운반관(43Y) 안으로 떨어진다.
토너 운반관(43Y)에는, 전술한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도시 생략한 수지로 만든 코일이 내부에 설치되고, 토너 운반관(43Y)의 회전은 구동 모터(41Y)에 의해 수행된다.
토너 출구(D)로부터 수용된 Y 토너는 토너 운반관(43Y)의 내벽을 따라 운반되고, 수지로 만든 코일이 토너를 프린터(100)의 Y 토너 현상기(도시 생략)에 공급한다.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서, 도 1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캡부(134)의 결합 돌기(134a)를 통 본체부(133)의 결합 돌기(133b)와 통 기어(137) 사이의 오목부에 끼워 맞춤으로써, 캡부(134)는 통 본체부(133)에 부착된다. 구동 모터(41Y)의 회전 구동력이 통 본체부(133Y)에 전해지면, 통 본체부(133)는 도 20B 도는 21에 도시한 화살표(G) 방향으로 회전하며, 그 동안 캡부(134)와 통 본체부(133) 사이에 마찰식 활주가 일어난다.
토너통(132Y)이 통 홀더(31Y)에 놓이면, 통 홀더(31Y)의 결합판(139Y)과 결합벽(138Y)의 맞물림(결합)에 의해 캡부(134Y)가 체결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셔터(136Y)가 도 20B에 도시한 것과 같이 통 본체부(133Y)의 회전 방향(도 20B의 화살표(G)의 방향)에 역방향으로 캡부(134Y)에 대한 상대적인 변위를 가질 때, 토너 출구(D)가 폐쇄 상태에 있도록 셔터(136Y)를 제공한다. 따라서, 통 본체부(133Y)와 캡부(134Y) 사이의 마찰력은 캡부(134Y)를 체결하는 힘을 초과하며, 캡부(134Y)는 통 본체부(133Y)의 회전에 의해 회전한다.
그 결과, 이전에 개방 위치에 있는 토너 출구(D)는 셔터(136Y)에 의해 닫힌 상태가 된다. 이렇게 하면, 토너 공급 장치가 통 본체부(133Y)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되더라도, 토너 공급을 피하게 된다.
도 22A와 22B는 개폐 커버(50)가 닫히기 전후의 통 홀더(31Y)의 단면도이다.
적재부(50A)는 프린터 하우징(51)의 상부에 제공된 개폐 커버의 상면에 의해 형성된다. 작업자는 통 홀더(31)에 장착된 토너통(132Y, 132M, 132C, 132K)이 노출되도록 개폐 커버(50)를 열고, 토너통의 교체 작업을 수행한다.
개폐 커버(50)가 폐쇄된 때에 내부의 토너통(132Y)의 핸들(135Y)을 수용하는 오목부(I)는 개폐 커버(50)의 내면에 형성된다. 또한, 비록 개폐 커버(5P)의 전체 영역 대신 토너통(132Y)의 상부만이 도 22A와 22B에 도시되지만, 다른 색의 각각의 토너통(132M, 132C, 132K)을 위한 오목부(I)가 개폐 커버(50)의 내면에 각각 형성된다.
토너통(132Y)이 통 홀더(31Y)에 놓이면, 개폐 커버(50)를 도 22A의 화살표(H) 방향으로 이동하고, 부착/분리 개구(J)를 도 22B에 도시한 것과 같이 닫는다. 그런 다음, 핸들(135Y)은 개폐 커버(50)의 오목부(I)에 들어가고, 핸들(135Y)이 오목부(I)에 끼워 맞춰진다.
전술한 것과 같이, 구동 모터(41Y)의 회전 구동력이 통 본체부(133Y)에 전해지는 때에, 캡부(134Y)를 체결하는 힘이 통 본체부(133)와 캡부(134) 사이의 마찰력을 초과하면, 캡부(134Y)는 통 본체부(133Y)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기 쉽다.
하지만, 캡부(134Y)와 일체로 회전하는 핸들(135Y)은 개폐 커버(50)의 오목부(I)에의 부착에 의해 조절된다. 즉, 핸들(135Y)이 캡부(134Y)의 회전에 따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향이 있더라도, 핸들(135Y)은 (조절 벽인) 개폐 커버(50)의 오목부(I)의 좌측면과 접촉할 수 없고, 더 이상 변위될 수 없다. 그 결과, 핸들(135Y)과 일체로 회전하는 캡부(134)의 회전도 역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144)에 의해 통 홀더(31Y)의 셔터 정지부(31a)에 대해 압박되는 상태에 위치한 셔터(136Y)는 캡부(134Y)의 상대적 변위를 받지 않는다. 따라서, 캡부(134Y)에 제공된 토너 출구(D)는 폐쇄 상태에 있지 않을 것이다.
또한, Y 토너통(132Y) 뿐만 아니라, 다른 색 토너의 토너통(132M, 132C, 132K)에도 동일한 설명이 적용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핸들(135Y)의 오목부와 캡부(134Y)의 개폐 커버(50)가 끼워지는 구성을 갖는 핸들(135Y)이, 토너 출구(D)가 개방 상태에 있게 될 셔터(136Y)의 상대적인 위치에 해당하는 개방 위치에서, 토너 출구(D)를 폐쇄 상태로 변경하는 방향으로 셔터(136Y)가 상대 변위를 수행하도록 변위를 조절하며, 조절부를 구성한다.
통 본체부(133Y)와의 마찰에 따라 셔터(136Y)가 토너 출구(D)를 닫힌 상태로 바꾸는 방향으로 구성의 상대적인 변위를 캡부(134Y)에 수행하는 것을 조절하는 조절부의 역할을 한다.
즉, 작업자가 핸들(135Y)을 돌리는 것을 잊은 때에 도 23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개폐 커버(50)를 폐쇄하게 되더라도, 핸들(135)이 개폐 커버(50)의 내면에 충돌하고 개폐 커버(50)가 닫히는 것이 방지될 것이다.
그 결과, 작업자는 개폐 커버(50)를 닫을 수 없고 토너통(132Y)의 배치가 적 절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Y 토너통(132) 뿐만 아니라 다른 토너 색의 토너통(132M, 132C, 132K)에도 동일한 설명이 적용된다.
이어, 본 발명의 토너 공급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개폐 커버(50)의 내면의 구성만이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할 뿐이고, 본 실시예의 다른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의 것들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4는 토너통(132Y)을 캡부(134Y) 쪽에서 볼 때의 전면 상승의 상태이고, 캡부(134Y)의 측면에 의해 통 홀더(31Y)의 벽면이 제거된 상태의, 통 홀더(31Y)의 단면도이며, 프린터(100)의 개폐 커버(150)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개폐 커버(150)가 닫히면, 개폐 커버(150) 내면에 제공되는 조절벽(K)은 토너통(132Y)의 핸들(135Y)이 도 24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조절한다.
통 본체부(133Y)와 캡부(134Y) 사이의 마찰력이 통 본체부(133Y)가 전술한 것과 같이 도 24의 화살표(G) 방향으로 회전하는 때에 캡부(134Y)를 체결하는 힘을 초과하면, 캡부(134Y)는 도 24의 화살표(G) 방향으로 회전하기 쉽다.
하지만, 회전에 따라 캡부(134Y)와 일체로 회전하는 핸들이 도 24의 반시계방향으로 변위하더라도, 핸들(135Y)은 개폐 커버(50)의 조절벽(K)과 접촉할 수 없고, 더 이상 변위되지 않는다.
따라서, 핸들(135Y)과 캡부(134)가 일체로 회전할 수 없다. 그 결과, 캡부(134Y)에 제공되는 토너 출구(D)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폐쇄 상태에 있지 않을 것이다.
또한, Y 토너통(132) 뿐만 아니라 다른 토너 색의 토너통(132M, 132C, 132K)에도 동일한 설명이 적용된다.
캡부(134Y)가 화살표(G)의 방향으로 역으로 회전하기 쉽고 핸들(135Y)이 본 실시예에서 변위되더라도, 핸들(135Y)의 변위 방향으로 접촉하는 조절벽은 없다. 하지만, 캡부(134Y)는 회전하는 통 본체부(133Y)와의 마찰에 따른 방향으로 토크를 받지 않는다.
셔터(136Y)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34b)에 스토퍼(134c)가 제공되므로, 셔터(136Y)는 캡부(134Y)에 대해 스토퍼(134c)보다 많은 상대적 변위를 수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핸들(135Y)의 시계회전 방향으로의 변위를 제어하지 않더라도, 어쨌거나 만족스럽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핸들(135Y)의 시계회전 방향으로의 변위를 조절하는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적합한 개방 위치에 있는 핸들(135Y)이 오목부(I)의 각도에서 걸릴 가능성은 감소할 것이다.
따라서, 적합한 개방 위치에 있는 핸들(135Y)은 용이하게 정지하여, 개폐 커비(150)의 개폐 동작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비록 전술한 설명이 Y 토너통(132)에 대한 것이지만, 다른 토너 색의 토너통(132M, 132C, 132K)에도 동일한 설명이 적용된다.
이어, 본 발명의 토너 공급 장치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또한, 개폐 커버(50) 내면의 오목부의 형태가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본 실 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본질적으로 동일하며, 전술한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5는 토너통(132Y)을 캡부(134Y) 쪽에서 볼 때의 전면 상승의 상태이고, 캡부(134Y)의 측면에 의해 통 홀더(31Y)의 벽면이 제거된 상태의, 통 홀더(31Y)의 단면도이며, 프린터(100)의 개폐 커버(250)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오목부(I)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개폐 커버(250) 내면에 형성되지만, 안내부인 안내측(M)이 오목부(I)의 입구부에 형성된다.
개폐 커버(250)를 닫는 동작 중에, 안내측(M)은, 도 25A에 도시한 것과 같이, 토너 출구(D)가 완전히 개방되지 않아 완전하지 않게 놓인 상태(Y)로부터 토너통(132Y)의 핸들(135)과 접촉한다. 개폐 커버(250)를 더 닫을 때에, 핸들(135Y)은 안내측(M)을 따라 활주하고, 오목부(I)에 끼워 맞춰진다.
따라서, 도 25B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핸들(135Y)은 수직 방향 상부로 회전하고, 토너통(132Y)은 적절하게 놓여, 토너 출구(D)가 완전히 열린 상태일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토너 출구(D)는 완전히 열린 상태에 있지 않을 것이지만, 토너통(132Y)을 불완전하게 놓더라도, 개폐 커버(250)가 닫히는 동작은, 토너 출구(D)가 완전히 자동으로 열리는 상태에 있도록, 적절하게 설정된다.
또한, Y 토너통(132) 뿐만 아니라 다른 토너 색의 토너통(132M, 132C, 132K)에도 동일한 설명이 적용된다.
이어, 본 발명의 토너 공급 장치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26A와 26B는 본 실시예에 따른 토너통(332Y)과 통 홀더(31Y)의 단면도이 다.
본 실시예에서, 토너통(332Y)은 핸들(335Y)이 수직 상방으로 회전하는 상태에 있고, 도 26A에 도시한 것과 같이, 통 홀더(31Y)에 놓여있다.
작업자가 통 홀더(31Y)에 놓인 토너통(332Y)의 핸들을 취해, 핸들(335Y)이 수직 방향으로 약 45도 기울어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도 26A의 화살표(F) 방향(시계방향)으로 돌린다.
그러면,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캡부(334Y)가 도면의 화살표(F)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셔터(336Y)는 통 홀더(31Y) 내측의 셔터 정지부(31a)에 의해 정지된다.
그 결과, 도 26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캡부(334Y)의 토너 출구(D)는 통 홀더(31Y)의 내부 바닥 쪽(수직 하방)을 향해 개방된 상태에 있을 것이다.
도 27은 토너통(332Y)을 캡부(334Y) 쪽에서 볼 때의 전면 상승의 상태이고, 캡부(334Y)의 측면에 의해 통 홀더(31Y)의 벽면이 제거된 상태의, 통 홀더(31Y)의 단면도이며, 프린터(100)의 개폐 커버(350)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토너통(332Y)의 핸들(335Y) 쪽으로 돌출한 안내 돌기(352Y)는 본 실시예의 개방/페쇄 커버(350)의 밑면에 제공된다.
개폐 커버(350)의 전체 영역 중에서 Y 토너통(332Y)의 상부만이 도시되지만, 개폐 커버(350)는 다른 색의 토너통에 해당하는 안내 돌기도 역시 각각 제공된다.
안내 돌기(352Y)는 캠 모양의 원형부를 갖는 형태이다. 본 실시예에서, 비록 토너통(332Y)이 통 홀더(31Y)에 놓여 있지만, 캡부(334Y)의 핸들(335Y)은 수직 상방으로 회전될 것이다.
작업자가 전술한 것과 같이 시계회전방향으로 핸들을 돌리지 않으면, 개폐 커버(350)는 토너 출구(D)가 셔터(336Y)에 의해 닫힌 상태에 있더라도 우연히 닫힌다.
그러면, 도 28A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개폐 커버(350)의 안내 돌기(352Y)는 핸들(335Y)과 접촉하여, 핸들(335Y)을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킬 것이다.
개폐 커버(350)가 더 닫힌 경우에는, 핸들(335Y)을 안내 돌기(352Y)를 따라 활주시켜 시계방향으로 약 45도 회전시킨다.
그 결과, 핸들(335Y)은 도 28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수직 상방으로 약 45도 기울어진 방향을 향하는 상태에 놓이며, 토너통(332Y)은 적절하게 놓이고 토너 출구(D)도 개방된 상태일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안내 돌기(352Y)가 안내부 역할을 하고, 토너 출구(D)는 개방된 상태에 있지 않을 것이다. 토너통의 배치가 불완전하더라도, 토너 출구(D)가 완전히 자동으로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개폐 커버(350)의 폐쇄는 적절하게 설정된다.
또한, 도 28B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개폐 커버(350)가 완전히 닫힌다면, 핸들(335Y)이 도면의 반시계방향회전으로 변위하는 경향이 있더라도, 개폐 커버(350)의 안내 돌기(352Y)에 압박되므로, 핸들(335Y)은 변위될 수 없다.
즉, 핸들이 개방 상태로 바뀌려고 하는 방향으로 토너 출구(D)를 변위시키는 경향이 있더라도, 개폐 커버(350)와 안내 돌기(352Y)가 조절부가 되는 변위 조절부 의 역할을 하며, 변위가 조절된다.
따라서, 전술한 것과 같이, 도면의 화살표(G) 방향으로 회전하는 통 본체부(333Y)와의 마찰에 따라, 캡부(334Y)가 도면의 화살표(G) 방향으로도 회전하는 경향이 있더라도, 토너 출구(D)는 폐쇄 상태가 되지 않는다.
또한, Y 토너통 뿐만 아니라, 다른 색 토너의 토너통에도 동일한 설명이 적용된다.
이어, 본 발명의 토너 공급 장치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29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토너통(432Y)의 사시도이고, 도 29B는 토너통(432Y)의 중심축을 따라 토너 출구(D)를 지나가도록 한 캡부(434Y)의 원주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토너통(432Y)이 통 본체부(433)의 구성에 있어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본질적으로 동일하지만, 캡부(434Y)의 구성이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Y 토너를 토너 출구(D)로부터 방출하는 개구를 제외하고는, 셔터(436Y)는 캡부(434Y)의 주면을 덮도록 제공된다. 작업자가 잡는 핸들(435Y)은 셔터(436Y)에 부착된다.
더욱이, 통 홀더(31Y)의 결합판(139Y)과 맞물리는(결합하는) 결합벽(438Y)은, 결합판(139Y)이 결합벽(438Y)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캡부(434Y)의 단부면에 제공된다.
도 30A와 30B는 토너통(432Y)을 캡부(434Y) 쪽에서 볼 때의 본 실시예에 따른 통 홀더(31Y)의 단면도로, 캡부(434Y)의 측면에서 통 홀더(31Y)의 벽부가 제거 된 상태를 보여준다.
토너통(432Y)은 도 30A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핸들(435Y)이 수직 방향으로 적절한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통 홀더(31Y)에 놓인다. 이 상태는 또한, 캡부(434Y)와 일체로 형성된 결합벽(438Y)의 절결부가 수직 하방을 향하도록 회전된 상태이다.
이 때, 캡부(434Y)에 형성된 토너 출구(D)는 셔터(436Y)에 의해 닫히고, 출구(D)는 수직 하방을 향한다.
이 상태로 놓은 토너통(432Y)의 결합벽(438Y)에서, 통 홀더(31Y)의 결합판(139Y)은 전술한 절결부를 지나 서로 평행하게 대향된 두 개의 결합벽 사이로 전진한다.
작업자는 통 홀더(31Y)에 놓인 토너통(432Y)의 핸들(435Y)을 잡고, 핸들(435Y)이 수직 상방으로 회전하도록 도 30B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계방향회전)시킨다. 그런 다음, 셔터(436Y)는 또한 도 30B의 화살표(F) 방향으로 회전한다.
비록 캡부(434Y)는 이 회전에 의해 도 30B에 화살표(F)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향이 있지만, 캡부(434Y)의 회전은 결합벽(438Y)과 결합판(139Y)의 맞물림(결합)에 의해 방지된다.
따라서, 셔터(436Y)의 상대적인 변위가 캡부(434Y)의 시계방향회전에 의해 수행된다. 도 30B에 도시한 것처럼 닫힌 상태인 토너 출구(D)가 셔터(436Y)에 의해 셔터(436Y) 사이의 개구 쪽으로 개방되므로, 토너 출구(D)는 노출될 것이다. 그 결과, 토너통(432Y)의 통 홀더(31Y)의 배치가 완결된다.
도 31은 토너통(432Y)을 캡부(434Y) 쪽으로부터 볼 때의 프린터(100)의 개폐 커버(50)가 닫힌 후의 통 홀더(31Y)의 단면도로, 캡부(434Y)의 측면에서 통 홀더(31Y)의 벽부가 제거된 것을 보여준다.
또한, 개폐 커버(50)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 모터로부터 회전구동력이 전해지면, 통 본체부(433Y)는 캡부(434Y)와의 마찰식 활주에 따라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회전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판(139Y)이 결합벽(438Y) 사이에 캡부(434Y)에 의해 걸리면, 회전이 불가능하고, 캡부(434Y)는 통 본체부(433Y)와의 마찰에 따라 회전하지 않는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통 본체부(433Y)가 회전할 때, 통 본체부(433Y)와 일체로 형성된 셔터(435Y)와 통 기어(437Y)의 측면은 마찰식 활주를 하게 된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 도 3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셔터(436Y)가 통 본체부(433Y)의 회전의 방향(도 31의 화살표(G)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캡부(434Y)에 대한 상대적 변위를 수행하면, 토너 출구(D)는 닫힌 상태가 될 것이다. 따라서, 셔터(435Y)는 통 본체부(433Y)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고, 개방된 상태의 토너 출구(D)가 셔터(436Y)에 의해 폐쇄될 가능성이 있다.
그 결과, 토너통(432Y)을 통 홀더(31Y)에 놓고 개폐 커버(50)를 닫으면, 핸들(435Y)은 개폐 커버(50)의 오목부(I)에 들어가 본 실시예의 오목부(I)에 끼워 맞춰진다.
따라서, 셔터(435Y)가 통 본체부(433Y)의 회전에 따라 시계반대방향회전으로 변위하는 경향이 있더라도, 셔터(435Y)와 일체로 형성된 핸들(435Y)은 도 13의 좌측에 있는 개폐 커버(50)의 오목부(I)의 벽면(조절벽)과 접촉할 수 없고, 더 이상 변위할 수 없다. 그 결과, 캡부(434Y)의 토너 출구(D)는 폐쇄 상태에 있지 않을 것이다.
또한, Y 토너통(432Y) 뿐만 아니라 다른 토너 색의 토너통에도 동일한 설명이 적용 가능하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프린터는 공정 카트리지(6), 노출기(7) 및 광전도체(1)가 제공되며, 광전도체(1)는 가시 화상인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가시 화상 형성부인 화상 지지 매체이다.
더욱이, 현상제 공급 장치인 토너 공급 장치(40)는 현상제 용기인 토너통(132, 332, 432)을 구비하고, 현상제인 토너가 안에 담긴 용기의 긴 방향 본체부(133, 333, 433)가 프린터에 장착되고, 길이 방향 단부 쪽에 개구(C)가 형성된다. (색 코드에 따른 분류에 대해서는, 아래의 설명에서도 생략한다.)
회전부인 캡부(134, 334, 434)는, 전술한 개구(C)가 커버 제공되도록, 토너통에서 통 본체부(133, 333, 433)에 부착되는 방향의 측면(주면)에서 개구(C) 쪽으로 개방된 출구인 토너 출구(D)를 갖고, 형성된 길이 방향으로 수직으로 교차한다.
토너 공급 장치(4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축(a)이 회전 중심축으로 돌도록, 용기 장착부인 통 홀더(31)에 부착된 토너통의 통 본체부(133, 333, 433)를 회전시키며, 통 본체부의 토너를 개구(C)로 이동시켜, 토너는 캡부(134, 334, 434)의 토너 출구(D)를 통해 방출되어, 현상제 공급 대상인 현상기(5)에 공급된다.
셔터(136, 336, 436)는 프린터에서, 통 본체부(133, 333, 433)를 캡부(134, 334, 434) 쪽으로 회전 방향으로 따라 상대적으로 변위하게 하여 토너 출구(D)를 개폐한다.
더욱이, 통 본체부(133, 333, 433)는 캡부(134, 334, 434)와 셔터(136, 336, 436)에 마찰력을 가하면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캡부(134, 334, 434)와 셔터(136, 336, 436)는 캡부 또는 셔터를 폐쇄 상태로 하는 방향으로 토너 출구(D)의 상대적인 변위를 수행한다.
그 결과, 통 본체부(133, 333, 433)의 회전에 따라, 전술한 실시예에서 캡부(134, 334)가 회전하거나 본 실시예의 셔터(436)가 회전하며, 개방 상태의 토너 출구(D)는 셔터(136, 336, 436)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프린터에서는, 통의 본체부(133, 333, 433)를 회전시키면서 통의 본체부 내의 토너를 토너 출구(D)로부터 원활하게 방출하기 위해, 캡부(134, 334, 434) 및 통 본체부와의 마찰에 따라 폐쇄 상태로 바뀌는 방향으로 토너 출구(D)의 상대적인 변위를 수행하는 셔터(136, 336, 436)를 조절하는 조절부가 제공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조절부의 일부 예들을 이미 설명하였다. 구성이 회전하더라도, 구성 변경 없이, 통 본체부의 회전에 따라 토너 출구(D)가 폐쇄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전술한 구성에 의해, 셔터(136, 336, 436)가 캡부(134, 334, 434)에 상대적 변위를 수행하고, 통 본체부(133, 333, 433)가 캡부 또는 셔터 에 대한 마찰식 활주를 수행한다.
특히, 전술한 실시예에서, 토너통(132, 332)이 통 홀더(31)에 부착되는 때에, 셔터(136, 336)가 통 본체부(133, 333)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부가 제공된다. 또한, 캡부와 셔터(136, 336)의 상대적 변위를 수행하도록 되고, 통 본체부(133, 333)의 회전 방향으로 캡부(134, 334)를 회전시켜 토너 출구(D)를 개폐한다.
전술한 구성에서, 통 본체부(133, 333)가 회전하면, 캡부(134, 334)도 역시 그와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며, 토너 출구(D)가 폐쇄 상태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전술한 조절부를 사용하면, 통 본체부(133, 333)가 회전하더라도, 캡부(134, 334)는 회전하지 않는다. 그 결과, 토너 출구(D)는 토너 공급 중에 폐쇄 상태에 있지 않을 것이다.
더욱이, 전술한 실시예에서, 토너통(432)이 통 홀더(31)에 부착되면, 회전 방지부인 결합판(139Y)과 캡부(434)가 통 본체부(433)의 회전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벽(438Y)이 제공된다.
셔터와 캡부(434)의 상대적 변위를 수행하도록 된 구성을 갖게 되고, 토너 출구(D)는 토너통의 본체부(433)의 회전 방향을 따라 셔터(436)를 회전시킴으로써 개폐된다.
전술한 구성에서, 통 본체부(433)가 회전하는 때에, 셔터(436)도 역시 그와의 마찰력에 따라 회전하며, 토너 출구(D)가 폐쇄 상태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전술한 조절부에 의하면, 통 본체부(433)가 회전하더라도, 셔 터(436)는 회전하지 않는다. 그 결과, 토너 출구(D)는 토너 공급 중에 폐쇄 상태에 있지 않게 된다.
더욱이, 전술한 실시예에서, 현상제 공급 장치는 변위 부재인 핸들(135, 335, 435)의 변위와 연동되도록 제공되어, 캡부(134, 334, 434)와 셔터(136, 336, 436)의 상대적인 이동이 수행된다.
핸들(135, 335, 435)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는 간단한 조작으로 토너 출구를 개폐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서, 토너 출구(D)를 개방 생태가 되게 하는 캡부(134, 334, 434)와 셔터(136, 336, 436)의 상대적인 위치에 해당하는 개방 위치에 있는 핸들(135, 335, 435)의 변위를 조절하는 변위 조절부가 사용되므로, 변위 조절부에 의해, 토너 출구(D)를 폐쇄 상태로 바꾸는 방향으로의 캡부와 셔터의 상대적인 변위를 피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조절벽(K), 오목부(I) 및 안내 돌기(352)를 각각 변위 조절부로서 사용한다.
아울러, 전술한 실시예에서, 가시 화상 형성부와 토너 공급기는 하우징(51)으로 구성된다. 하우징(51)은 토너통(132, 332, 432)을 토너 홀더(31)에 착탈하기 위해 제공되는 착탈 개구(J)를 개폐하는 커버 요소인 개폐 커버(50, 150, 250, 350)를 구비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개방 위치에서 핸들(135, 335, 435)이 폐쇄 상태의 개폐 커버(50, 150, 250, 350) 내면에 형성된 조절벽과 접촉함으로써, 손잡이의 변위가 조절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조절벽은 오목부(I)의 내벽, 조절벽(K) 또는 안내 돌기(352)이다. 그러한 구성에 따르면, 토너통을 교체하는 때에, 작업자는 항상 개폐 커버(50, 150, 250, 350)의 개방 동작을 수행하고 이 동작에 따라 통 본체부의 회전에 따라 토너 출구(D)가 폐쇄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토너통의 교체 작업에 추가의 노력을 하지 않고도, 통 본체부의 회전에 따라 토너 출구(D)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 부담이 작업자에게 부가되지 않는다.
특히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핸들(135)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핸들이 착탈 개구(J) 쪽으로 돌출하는 위치에 구성을 배치한다.
폐쇄된 개폐 커버(50)에 의해 개폐 커버 내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이 구성을 추가하고, 핸들(135)은 개방된 위치에 맞춰진다. 이어, 개폐 커버(50) 내면의 오목부에 준비하기 용이한 구성이 된다. 토너통의 주요부의 회전에 의해 토너 출구(D)를 폐쇄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개폐 커버의 내면이 개방 위치에 있지 않는 핸들(135)과 접촉하는 동안 개폐 커버(250, 350)로 하우징(51)을 폐쇄하는 동작 중에 핸들을 개방 위치로 안내하도록 안내부가 제공된다.
토너통(132)이 적절하게 놓이고 토너 출구(D)가 완전히 열린 상태가 아니더라도, 토너통(132)은 일반적으로 작업자에 의해 수행되는 개폐 커버(50)의 폐쇄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적절하게 놓인다.
따라서, 토너통(132)이 적절하게 놓이지 않더라도, 토너통(132)은 개폐 커 버(50)를 닫는 작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놓이며, 작업자의 편의성이 개선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토너통(132, 332, 432)은 토너통의 본체부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회전부인 캡부(134, 334, 434)를 갖는다. 캡부에는 토너통 내부의 토너가 방출되는 출구(D)가 제공되며, 셔터(136, 336, 436)는 토너통이 프린터의 본체부에 부착되는 때에 캡부의 회전에 의해 출구(D)를 개폐한다.
프린터의 본체부와 결합되어 캡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결합부인 핸들(135, 335, 435)이 캡부(134, 334, 434)의 원주 방향 측부에 형성된다.
그 결과, 토너통(132, 332, 432)이 프린터의 본체부에 놓이면, 캡부(134, 334, 434)는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캡부가 부적절하게 잘못된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셔터(136, 336, 436)가 설정 시간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토너통(132, 332, 432)은 프린터의 본체부의 상부에 착탈되도록 제공된다. 전술한 핸들(135, 335, 435)은 프린터의 본체부의 상부 커버인 개폐 커버(50, 150, 250, 350)의 내부와 결합되는 돌기이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토너통(132, 332, 432)은 용기의 본체부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회전부인 캡부(134, 334, 434)를 갖는다. 출구(D)는 용기 내부의 현상제를 방출하고, 셔터(136, 336, 436)는 출구(D)를 개폐한다.
제1 회전 방지부인 핸들(135, 335, 435)은, 셔터(136, 336, 436)를 충분히 개방한 후에, 프린터의 본체부에 토너통이 장착되고, 캡부가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때에, 캡부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캡부의 제2 방향으로 추가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2 회전 방지부인 결합벽(138)이 형 성된다.
셔터가 출구를 개방하게 되는 때에, 토너통이 부정확하게 놓이는 것을 방지하면서, 캡부가 과도하게 회전할 때에 생기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통을 현상제를 담는 현상제 용기의 예로서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현상제 용기에 담긴 다른 현상제에도 적용 가능하다. 즉, 이들은 토너와 자기 담체(magnetic carrier)를 함유하는 2 성분 현상제, 토너와 액상 담체를 함유하는 액상 현상제, 자기 담체, 액상 담체 등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전자사진 인쇄법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직접 기록 방식과 같은 다른 화상 형성 방법을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다른 화상 형성 장치에도 역시 적용 가능하다.
직접 기록 방식은 잠상 지지에 기초하지 않지만 프린터 헤드에 의한 도트 형태의 토너 방울을 이용하며, 그에 따라 토너는 기록 매체 또는 중간 기록 매체에 직접 부착하여, 화소의 화상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변형과 수정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현상제 용기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Y 공정 카트리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Y 토너통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 홀더와 토너통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Y, M, C 및 K 토너 공급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공정 카트리지와 토너 공급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수지 케이스를 제거한 토너통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수지 케이스를 제거한 토너통의 정면도이다.
도 8A와 8B는 본 발명의 토너통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토너통의 변형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0A와 10B는 통을 홀더에 부착하기 전의 토너통과 통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토너통이 부착된 통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토너통이 회전하는 동안의 통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토너통의 기어에 대한 구동 기어의 위치 변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토너통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토너통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통 홀더와 토너통의 사시도이다.
도 17A와 17B는 통을 홀더에 부착하기 전의 토너통과 통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토너통이 부착된 통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토너통이 회전되는 동안의 통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20A는 통 회전 이전의 토너통의 단면도이고, 도 20B는 통 회전 이후의 토너통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실시예에 따른 Y, M, C 및 K 토너 공급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2A는 개폐 커버가 닫히기 전의 통 홀더의 단면도이고, 개폐 커버가 닫힌 후의 통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토너통이 부정확하게 놓인 상태로 개폐 커버가 닫힌 통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서 개폐 커버와 통 홀더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5A는 개폐 커버의 다른 실시예가 닫히기 전의 통 홀더의 단면도이고, 도 25B는 본 실시예의 개폐 커버가 닫힌 후의 통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26A는 토너통이 통 홀더에 부착된 후의 토너통과 통 홀더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26B는 토너통이 회전된 상태의 통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토너통이 부정확하게 놓인 상태의 개폐 커버와 통 홀더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8A와 28B는 개폐 커버가 닫히기 전과 후의 개폐 커버와 통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29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의 토너통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9B는 본 실시예의 토너통의 단면도이다.
도 30A는 토너통이 부착된 통 홀더의 단면도이고, 도 30B는 토너통이 회전하는 동안의 통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31은 개폐 커버가 폐쇄된 후의 통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32A는 종래기술의 토너통의 사시도이고, 도 32B는 종래기술의 토너통의 캡부의 단면도이다.

Claims (8)

  1. 대체로 원통형을 갖는 용기 본체부로서, 상기 용기 본체부의 일 단부에 개구가 있는, 용기 본체부;
    상기 용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용기 본체부를 상기 지지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결합 부재;
    상기 용기 본체부를 회전시키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구동력을 수용하는 입력부; 및
    상기 지지부의 주면에 제공된 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는 상기 용기 본체부의 단부에 있는 개구 근방인 상기 용기 본체부의 작은 직경부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용 현상제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용 현상제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용기 본체부의 단부보다는 상기 용기 본체부 단부 반대편의 상기 용기 본체부의 개구에 더 가까이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용 현상제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용기 본체부의 단부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용 현상제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가 제공된 주면은 상기 입력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용 현상제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의 개구는 상기 주면의 외경과 상기 입력부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용 현상제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의 외경은 상기 용기 본체부의 외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용 현상제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부는 토너가 담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용 현상제 용기.
KR1020077029087A 2003-02-28 2004-02-20 화상 형성 장치용 현상제 용기 KR1008683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54478 2003-02-28
JP2003054478 2003-02-28
JP2003052658 2003-02-28
JPJP-P-2003-00052658 2003-02-28
JP2004004668A JP4383898B2 (ja) 2003-02-28 2004-01-09 現像剤収容器、現像剤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04-00004668 2004-01-0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3281A Division KR100826001B1 (ko) 2003-02-28 2004-02-20 화상 형성 장치용 현상제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066A KR20070121066A (ko) 2007-12-26
KR100868309B1 true KR100868309B1 (ko) 2008-11-11

Family

ID=3293113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9087A KR100868309B1 (ko) 2003-02-28 2004-02-20 화상 형성 장치용 현상제 용기
KR1020057016134A KR100747728B1 (ko) 2003-02-28 2004-02-20 현상제 용기, 현상제 공급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6134A KR100747728B1 (ko) 2003-02-28 2004-02-20 현상제 용기, 현상제 공급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7) US7321744B2 (ko)
EP (2) EP2290465B1 (ko)
JP (1) JP4383898B2 (ko)
KR (2) KR100868309B1 (ko)
ES (2) ES2393999T3 (ko)
HK (1) HK1086894A1 (ko)
TW (1) TWI253549B (ko)
WO (1) WO20040771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1280A (ja) * 2000-12-01 2002-06-14 Sony Corp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4095875B2 (ja) * 2001-10-30 2008-06-04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7542703B2 (en) * 2002-05-20 2009-06-02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replenishing a toner or a carrier of a two-ingredient type develop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developing device
JP4220798B2 (ja) * 2002-09-20 2009-02-04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
CN101158834B (zh) * 2002-09-20 2010-07-21 株式会社理光 成像装置,墨粉供给部件,调色剂容器,墨粉容器及回收方法
JP2004139031A (ja) 2002-09-24 2004-05-1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補給用トナー収容器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383898B2 (ja) 2003-02-28 2009-12-16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収容器、現像剤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245852B2 (en) * 2003-07-08 2007-07-17 Kabushiki Kaisha Toshiba Toner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205531B2 (ja) * 2003-08-25 2009-01-07 株式会社リコー 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341957B2 (ja) * 2003-12-25 2009-10-1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5221825A (ja) * 2004-02-06 2005-08-18 Ricoh Co Ltd トナー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トナー容器、トナー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4656561B2 (ja) * 2004-03-05 2011-03-23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トナー補給装置、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300626A (ja) * 2004-04-07 2005-10-27 Ricoh Co Ltd クリーニング装置、画像形成装置
JP4417788B2 (ja) * 2004-06-18 2010-02-1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措置
CA2547988C (en) * 2004-07-14 2010-10-05 Ricoh Company, Limited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456957B2 (ja) * 2004-08-06 2010-04-28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7720416B2 (en) 2004-08-16 2010-05-18 Ricoh Company, Ltd. Method and toner bottl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supplying toner to image forming apparatus
US7315715B2 (en) * 2004-09-08 2008-01-01 Ricoh Co. Ltd.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image forming
US7447469B2 (en) * 2004-10-18 2008-11-04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device and mounting member for mounting a toner container thereon
RU2407049C2 (ru) 2004-11-24 2010-12-20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Контейнер подачи проявителя
JP4755867B2 (ja) 2004-11-26 2011-08-24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4663455B2 (ja) * 2004-11-30 2011-04-0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RU2398257C2 (ru) 2005-03-04 2010-08-27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Контейнер подачи проявителя и устройство приема проявителя
MXPA06012659A (es) * 2005-04-27 2007-01-16 Ricoh Kk Recipiente de toner y aparato formador de imagen.
EP2889696B1 (en) * 2005-06-07 2018-10-24 Ricoh Company, Ltd.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483659B2 (en) 2005-08-31 2009-01-27 Kabushiki Kaisha Toshiba Ton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mounting the same
JP4689422B2 (ja) * 2005-09-27 2011-05-25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剤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4764743B2 (ja) * 2005-12-20 2011-09-07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
JP4522381B2 (ja) * 2006-03-17 2010-08-11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トナー補給装置
JP4368356B2 (ja) * 2006-03-27 2009-11-18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トナー容器離脱方法
US7729644B2 (en) * 2006-05-11 2010-06-01 Katun Corporation Toner cartridge
JP4820689B2 (ja) 2006-05-15 2011-11-24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239211B2 (ja) * 2006-07-31 2013-07-1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8046240A (ja) * 2006-08-11 2008-02-28 Ricoh Co Ltd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070570A (ja) 2006-09-13 2008-03-27 Ricoh Co Ltd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
US8050597B2 (en) * 2006-11-09 2011-11-01 Ricoh Company, Limited Toner container having a gear portion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413912B2 (ja) * 2006-11-29 2010-02-10 株式会社沖データ 粉体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295737B2 (en) * 2007-01-26 2012-10-23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JP5152628B2 (ja) * 2007-01-26 2013-02-27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
US7925188B2 (en) 2007-03-15 2011-04-12 Ricoh Company Limited Development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development device
JP2008249835A (ja) 2007-03-29 2008-10-16 Ricoh Co Ltd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
JP2008256901A (ja) * 2007-04-04 2008-10-23 Ricoh Co Ltd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7796922B2 (en) 2007-04-20 2010-09-14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magnetic field generating unit at the toner carrying section
US20090016777A1 (en) * 2007-07-13 2009-01-15 Satoru Miyamoto Developer container filled with developer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developer container filled with developer
JP4453047B2 (ja) 2007-07-31 2010-04-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456960B2 (ja) * 2007-09-25 2014-04-02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
US8126373B2 (en) * 2007-09-28 2012-02-28 Ricoh Company Limited Toner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prevents toner from being scattered from the device
US8036575B2 (en) * 2007-10-19 2011-10-11 Ricoh Company, Limited Development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having compact structure for discharging developer
JP4511583B2 (ja) * 2007-11-09 2010-07-28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補給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5332336B2 (ja) * 2008-06-20 2013-11-06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369738B2 (en) 2008-09-09 2013-02-05 Ricoh Company, Ltd.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304124B2 (ja) * 2008-09-12 2013-10-02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8295742B2 (en) * 2008-11-10 2012-10-23 Ricoh Company, Limited Powder container, powder suppl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30082025A1 (en) * 2008-12-05 2013-04-04 Kyung Il Jung Discharging contents from a container while filling the same with gas
CN103853011B (zh) 2009-03-30 2017-04-12 佳能株式会社 显影剂供给容器和显影剂供给系统
JP5286175B2 (ja) * 2009-06-30 2013-09-1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剤カートリッジ
EP2273318A3 (en) * 2009-07-08 2016-08-31 Ricoh Company, Ltd. Development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532542B2 (en) * 2009-07-23 2013-09-10 Ricoh Company, Limited Toner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oner container
CN102597887B (zh) 2009-09-04 2014-06-18 株式会社理光 调色剂容器和成像设备
JP5691196B2 (ja) * 2010-03-03 2015-04-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413251B2 (ja) * 2010-03-05 2014-02-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SG183417A1 (en) 2010-03-10 2012-09-27 Ricoh Co Ltd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device
EP2980656B1 (en) 2010-06-11 2020-10-14 Ricoh Company, Ltd. Information storage device, removable device, developer container,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585871B2 (ja) 2010-08-31 2014-09-10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並びに、これを備え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757079B2 (ja) * 2010-10-21 2015-07-29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容器、粉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2646881A4 (en) 2010-12-03 2014-07-16 Ricoh Co Ltd POWDER CONTAINER, POWDER DISPENS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825545B2 (ja) 2011-01-11 2015-12-02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870647B2 (ja) 2011-02-17 2016-03-01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粉体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185295A (ja) 2011-03-04 2012-09-27 Ricoh Co Ltd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779915B2 (ja) 2011-03-08 2015-09-1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および粉体収納容器
US8717835B2 (en) 2011-08-23 2014-05-06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ompensating for power supply sensitivities of a circuit in a clock path
EP3582026B1 (en) 2011-11-25 2022-08-03 Ricoh Company, Ltd.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574546B2 (ja) * 2012-03-29 2014-08-2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れに搭載される着脱可能な現像剤収容容器
KR101792150B1 (ko) 2012-06-03 2017-10-31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JP6086319B2 (ja) 2012-06-03 2017-03-01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9405221B2 (en) 2012-06-08 2016-08-02 Ricoh Company, Ltd.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JP5709946B2 (ja) * 2012-09-14 2015-04-3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806999B2 (ja) 2012-10-22 2015-11-10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
US9465317B2 (en) 2013-02-25 2016-10-11 Ricoh Company, Ltd. Nozzle insertion member,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064681B2 (ja) 2013-03-01 2017-01-25 株式会社リコー 収納容器から現像剤を補給する現像剤補給装置、それが搭載される画像形成装置、および収納容器から粉体もしくは流体を搬送する搬送装置
JP6137882B2 (ja) * 2013-03-11 2017-05-3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EP2972591B1 (en) 2013-03-15 2021-04-28 Ricoh Company, Limited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2972593A4 (en) 2013-03-15 2016-03-09 Ricoh Co Ltd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983674B2 (ja) * 2013-05-21 2016-09-06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6152699B2 (ja) 2013-05-21 2017-06-28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9071235B2 (en) * 2013-10-18 2015-06-30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hanging signal path delay of a signal path responsive to changes in power
JP6394351B2 (ja) 2014-03-17 2018-09-26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9673793B2 (en) 2014-12-03 2017-06-06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adjusting timing of signals
JP6645015B2 (ja) * 2015-03-06 2020-02-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剤の収容容器
JP6657653B2 (ja) * 2015-08-17 2020-03-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620978B2 (ja) 2015-10-22 2019-12-18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10031441B2 (en) 2015-10-26 2018-07-24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incorporating same
USD828868S1 (en) * 2016-05-23 2018-09-18 Fuji Xerox Co., Ltd. Toner cartridge
JP6532498B2 (ja) * 2017-04-24 2019-06-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2019028322A (ja) 2017-07-31 2019-02-21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1633451S (ko) * 2018-09-21 2019-06-10
JP1633452S (ko) * 2018-09-21 2019-06-10
JP1631903S (ko) * 2018-12-18 2019-05-20
JP7275561B2 (ja) * 2018-12-18 2023-05-18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回転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230527B2 (ja) * 2019-01-22 2023-03-0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7471843B2 (ja) 2020-02-07 2024-04-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WO2021250983A1 (ja) * 2020-06-08 2021-12-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CN115605812A (zh) 2020-12-07 2023-01-13 佳能株式会社(Jp) 调色剂容器和图像形成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0723B2 (ja) * 1996-03-13 2000-12-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トナー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複写機

Family Cites Families (1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64746A (en) * 1924-12-11 1925-12-08 John D Cardinell Game
US4611899A (en) 1983-01-08 1986-09-16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US4878603B1 (en) * 1984-01-09 1994-11-08 Ricoh Kk Toner replenishing device
JPS60146265A (ja) 1984-01-09 1985-08-01 Ricoh Co Ltd 乾式複写機におけるトナ−補給装置
US5184181A (en) 1986-09-24 1993-02-02 Mita Industrial Co., Ltd. Cartridge discriminating system
JP2578228B2 (ja) * 1989-12-26 1997-02-0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トナー現像装置とそのトナーカートリッジ着脱方法
JPH04477A (ja) 1990-04-17 1992-01-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ナー容器
JPH04123074A (ja) 1990-09-14 1992-04-23 Konica Corp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H0659576A (ja) 1992-08-11 1994-03-0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TW240299B (ko) * 1992-12-30 1995-02-11 Ricoh Kk
JP3347201B2 (ja) 1992-12-30 2002-11-20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266227A (ja) * 1993-03-14 1994-09-22 Ricoh Co Ltd トナー収容器及びトナー補給装置
JP3044997B2 (ja) * 1994-02-16 2000-05-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現像装置
JP3392256B2 (ja) 1994-04-22 2003-03-3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5506665A (en) * 1994-05-12 1996-04-0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having detachable toner box for use in image recording apparatus
JP3305159B2 (ja) 1994-06-02 2002-07-22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
JP2986679B2 (ja) 1994-06-17 1999-12-06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3384914B2 (ja) 1994-10-04 2003-03-10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
JP3364632B2 (ja) 1994-11-08 2003-01-08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
US5648840A (en) * 1994-11-14 1997-07-15 Konic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oner conveyance apparatus
US5915155A (en) 1995-01-12 1999-06-22 Ricoh Company, Ltd. Toner replenishing and developer replacing device for a developing unit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8286483A (ja) * 1995-04-17 1996-11-01 Ricoh Co Ltd トナー補給装置
JPH0934331A (ja) 1995-07-18 1997-02-0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3509385B2 (ja) 1995-07-24 2004-03-22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ボトル
KR100227914B1 (ko) 1995-10-11 1999-11-01 이토가 미찌야 화상형성장치 및 토너보급장치, 및 그에 탑재된 토너용기
JP3423542B2 (ja) 1996-08-25 2003-07-07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ボトル
US5722020A (en) 1995-12-12 1998-02-24 Konica Corporation Developer container and developer supplying apparatus
JP3875743B2 (ja) 1996-01-09 2007-01-31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及びトナーボトル
US5722019A (en) * 1996-01-29 1998-02-24 Oki Data Corporation Toner cartridge and drum cartridge for receiving the toner cartridge therein
JPH09311535A (ja) * 1996-05-20 1997-12-02 Ricoh Co Ltd 現像剤補給装置
JP3527384B2 (ja) 1996-06-10 2004-05-17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容容器
US5722014A (en) * 1996-06-21 1998-02-24 Nashua Corporation Enhanced container and method for dispensing toner and supplying toner to an image forming machine
JPH10104927A (ja) * 1996-10-02 1998-04-24 Ricoh Co Ltd 洗浄に適したトナー/現像剤用リサイクルボトル
JP3535721B2 (ja) 1997-01-10 2004-06-07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
US6118951A (en) 1997-01-13 2000-09-12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replenishing device therefor
US5890040A (en) 1997-01-14 1999-03-30 Konica Corporation Developer cartridge and developer replenishing apparatus
JPH10213959A (ja) * 1997-01-30 1998-08-11 Konica Corp 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5890034A (en) * 1997-02-28 1999-03-3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cartridge for use in the developing device
JP3680479B2 (ja) * 1997-02-28 2005-08-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現像装置、その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装置に用いられる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3408166B2 (ja) 1997-09-30 2003-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供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541691B2 (ja) 1997-10-03 2004-07-1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収納容器
JP3824756B2 (ja) * 1997-10-30 2006-09-20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剤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FR2772358B1 (fr) * 1997-12-16 2000-03-10 Materiel Arboriculture Dispositif de convoyage de produits, notamment de fruits, destine a l'alimentation d'une unite de tri desdits produits
DE69823320D1 (de) * 1997-12-24 2004-05-27 Konishiroku Photo Ind Entwicklernachfüllgerät
JP2000105494A (ja) 1998-07-30 2000-04-1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450757B2 (ja) 1998-09-22 2003-09-29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
US5991584A (en) 1998-10-07 1999-11-23 Katun Coporation Toner cartridge assembly
JP3825939B2 (ja) 1998-10-22 2006-09-27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619378B2 (ja) 1998-10-22 2005-02-09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その製造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US6363237B1 (en) 1998-11-12 2002-03-26 Ricoh Company, Ltd. Unit for imparting lubricity to electrophotographic photoconductor,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unit, and image formation method using the apparatus
US6104902A (en) 1998-11-20 2000-08-15 Katun Corporation Toner cartridge assembly
JP2000172059A (ja) 1998-12-07 2000-06-2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774582B2 (ja) 1998-12-07 2006-05-1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3492222B2 (ja) 1998-12-24 2004-02-0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CN1138185C (zh) 1999-01-14 2004-02-11 株式会社理光 检测密封部件是否除去的方法及图像形成装置
US20020012113A1 (en) * 1999-01-25 2002-01-31 Abraham Marthinus Pretorius Maxiprint easel
JP3628539B2 (ja) * 1999-01-25 2005-03-16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
JP2000221858A (ja) 1999-01-29 2000-08-11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978920B2 (ja) 1999-02-04 2007-09-1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133101C (zh) 1999-02-08 2003-12-31 株式会社理光 显影装置
US6521386B1 (en) 1999-02-16 2003-02-18 Ricoh Company Ltd.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photoreceptor
JP2000275941A (ja) 1999-03-24 2000-10-06 Konica Corp トナー供給装置
JP2000293024A (ja) 1999-04-06 2000-10-20 Matsushita Graphic Communication Systems Inc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記録装置
US6562529B1 (en) 1999-04-08 2003-05-13 Ricoh Company, Ltd. Electrophotographic drum-shaped photoconductor and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JP3868146B2 (ja) 1999-04-28 2007-01-17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3959222B2 (ja) 1999-05-06 2007-08-15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014335B2 (ja) 1999-05-25 2007-11-28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1005286A (ja) 1999-06-17 2001-01-12 Ricoh Co Ltd 現像装置、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070387B2 (ja) 1999-06-21 2008-04-02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493529B1 (en) 1999-07-05 2002-12-10 Ricoh Company, Ltd. Charging device with walls surrounding the electrodes which reduce ozone emissions
US6447973B1 (en) 1999-08-24 2002-09-10 Ricoh Company, Ltd. Liquid develop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 and image forming method
JP3935666B2 (ja) 1999-09-30 2007-06-27 株式会社リコー ノズル、トナー移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1125359A (ja) 1999-10-29 2001-05-11 Ricoh Co Ltd 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0172060A (ja) 2000-01-01 2000-06-23 Ricoh Co Ltd トナ―収容器及びトナ―補給装置
CN1900837B (zh) 2000-02-17 2012-10-03 株式会社理光 墨粉收纳容器、补给墨粉的方法及墨粉补给装置
US6256469B1 (en) * 2000-02-18 2001-07-03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Toner supply apparatus in image forming system
US6256470B1 (en) 2000-02-18 2001-07-03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Toner supply device for use in image forming system and toner cartridge for use therein
JP4063498B2 (ja) 2000-03-02 2008-03-1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3882453B2 (ja) 2000-03-14 2007-02-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EP1143013A1 (en) * 2000-04-03 2001-10-10 Warner-Lambert Company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screening Icrac modulators
JP3750483B2 (ja) 2000-04-17 2006-03-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トナー補給装置
US6591077B2 (en) 2000-05-08 2003-07-08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container therefor
US6585448B2 (en) * 2000-05-26 2003-07-01 Grossman Product Services Sdn. Bhd. Bracket
JP4351814B2 (ja) 2000-07-21 2009-10-28 株式会社リコー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3535818B2 (ja) 2000-08-31 2004-06-07 株式会社リコー 容器およびこれの支持構造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958511B2 (ja) 2000-09-28 2007-08-15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993976B2 (ja) 2000-10-31 2007-10-17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ボトル及びトナー補給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221858A (ja) 2000-11-24 2002-08-09 Ricoh Co Ltd トナーボトル及びこれを装着する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並びにトナーボトルの成形方法
JP3787082B2 (ja) 2000-11-30 2006-06-21 株式会社リコー 分級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306953B2 (ja) 2000-12-04 2009-08-0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2244359A (ja) 2000-12-13 2002-08-3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3874654B2 (ja) 2000-12-26 2007-01-3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KR100362390B1 (ko) 2000-12-29 2002-1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토너 카트리지 조립체
ATE514976T1 (de) 2001-01-31 2011-07-15 Ricoh Co Ltd Tonerbehälter und damit versehene bilderzeugungsvorrichtung
US6424812B1 (en) 2001-02-01 2002-07-23 Aetas Technology Corporation Toner container and scraper arrangement
JP2002268295A (ja) 2001-03-13 2002-09-1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並びに記録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JP4672889B2 (ja) 2001-03-14 2011-04-20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
JP4354125B2 (ja) 2001-03-19 2009-10-2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ロケットエンジン着火用点火プラグ
JP4342742B2 (ja) 2001-04-16 2009-10-14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及び該トナー補給装置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DE60238808D1 (de) 2001-04-27 2011-02-17 Ricoh Co Ltd Bilderzeugungsvorrichtung mit verbesserter Tonerzufuhr
JP2002357945A (ja) 2001-05-31 2002-12-13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124992B2 (ja) 2001-10-25 2008-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
JP4095875B2 (ja) 2001-10-30 2008-06-04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6609820B2 (en) 2001-12-20 2003-08-26 Xerox Corporation Internal spring member agitating mechanism for agitating materials within sealed containers
US6665505B2 (en) 2001-12-20 2003-12-16 Xerox Corporation Dry ink replenishment bottle with internal plug agitation device
US6826381B2 (en) 2001-12-28 2004-11-30 Ricoh Company, Ltd Image formation device and agent supplying device including absorber conveying by negative pressure
US6685508B2 (en) * 2001-12-28 2004-02-03 Hon Hai Precision Inc. Co., Ltd. USB connector assembly having reduced mating height
US6731897B2 (en) 2002-02-21 2004-05-04 Konica Corporation Powder or toner accommodating container
US6766135B2 (en) 2002-04-22 2004-07-20 Jui-Chi Wang Toner cartridge
US6987940B2 (en) 2002-04-30 2006-01-17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US7542703B2 (en) 2002-05-20 2009-06-02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replenishing a toner or a carrier of a two-ingredient type develop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developing device
US20030219263A1 (en) 2002-05-24 2003-11-27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Toner supply device for use in image forming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toner thereto
CN100504654C (zh) 2002-06-03 2009-06-24 株式会社理光 色调剂运送装置及图像形成装置
US7212767B2 (en) 2002-08-09 2007-05-01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removably mounted thereto
US6975830B2 (en) 2002-09-12 2005-12-13 Ricoh Company, Limited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waste toner recovery device
KR100564958B1 (ko) 2002-09-12 2006-03-30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컬러 화상 형성 장치
JP2004102137A (ja) 2002-09-12 2004-04-02 Ricoh Co Ltd 廃トナー回収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109631A (ja) 2002-09-19 2004-04-0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220798B2 (ja) 2002-09-20 2009-02-04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
CN101158834B (zh) 2002-09-20 2010-07-21 株式会社理光 成像装置,墨粉供给部件,调色剂容器,墨粉容器及回收方法
JP2004139031A (ja) 2002-09-24 2004-05-1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補給用トナー収容器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4191851A (ja) 2002-12-13 2004-07-08 Ricoh Co Ltd トナー攪拌装置、トナー搬送装置、電子写真式画像形成装置
CN100407065C (zh) 2002-12-20 2008-07-30 株式会社理光 图像形成装置
US7076192B2 (en) 2002-12-27 2006-07-11 Ricoh Company, Ltd. Powder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EP1452931A1 (en) 2003-02-28 2004-09-01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installable process cartridge
JP4383898B2 (ja) 2003-02-28 2009-12-16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収容器、現像剤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1118411B (zh) 2003-03-05 2010-04-21 株式会社理光 图像形成装置及处理卡盒
US6785497B1 (en) 2003-03-24 2004-08-31 Kabushiki Kaisha Toshiba Toner cartridge and toner supply device
US7016629B2 (en) 2003-04-17 2006-03-21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discharging unit of increased capacity
JP4241172B2 (ja) 2003-05-06 2009-03-18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6895191B2 (en) 2003-05-13 2005-05-17 Xerox Corporation Insertion verification of replaceable module of printing apparatus
EP1482385A3 (en) 2003-05-20 2005-04-06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JP4108539B2 (ja) 2003-05-28 2008-06-25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剤収納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208645B2 (ja) 2003-06-03 2009-01-1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2004361749A (ja) 2003-06-05 2004-12-2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及び該画像形成装置の作像ユニット
AU156108S (en) 2003-06-27 2004-08-09 Toshiba Tec Kk Toner storage container
JP2005024665A (ja) 2003-06-30 2005-01-27 Ricoh Co Ltd 粉体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トナー収容部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444719B2 (ja) 2003-07-07 2010-03-3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7245852B2 (en) 2003-07-08 2007-07-17 Kabushiki Kaisha Toshiba Toner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205531B2 (ja) 2003-08-25 2009-01-07 株式会社リコー 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341957B2 (ja) 2003-12-25 2009-10-1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5221825A (ja) 2004-02-06 2005-08-18 Ricoh Co Ltd トナー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トナー容器、トナー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4344260B2 (ja) 2004-02-27 2009-10-1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7043173B2 (en) 2004-02-27 2006-05-09 Grune Guerry L Toner hopper engagement device, a toner container, and a toner refill kit
JP4656561B2 (ja) 2004-03-05 2011-03-23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トナー補給装置、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483349B2 (ja) 2004-03-08 2010-06-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4650780B2 (ja) 2004-05-17 2011-03-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CA2547988C (en) 2004-07-14 2010-10-05 Ricoh Company, Limited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720416B2 (en) 2004-08-16 2010-05-18 Ricoh Company, Ltd. Method and toner bottl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supplying toner to image forming apparatus
US7315715B2 (en) 2004-09-08 2008-01-01 Ricoh Co. Ltd.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image forming
US7447469B2 (en) 2004-10-18 2008-11-04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device and mounting member for mounting a toner container thereon
US7184691B2 (en) 2004-11-09 2007-02-27 Ricoh Company, Ltd. Toner container, toner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145804A (ja) 2004-11-19 2006-06-0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480553B2 (ja) 2004-11-19 2010-06-1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755867B2 (ja) 2004-11-26 2011-08-24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USD532037S1 (en) 2005-02-01 2006-11-14 Ricoh Company, Ltd. Toner cartrid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0723B2 (ja) * 1996-03-13 2000-12-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トナー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複写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426264T3 (es) 2013-10-22
EP2290465A2 (en) 2011-03-02
US20090175660A1 (en) 2009-07-09
HK1086894A1 (en) 2006-09-29
US8005406B2 (en) 2011-08-23
US20080003021A1 (en) 2008-01-03
EP1597634A1 (en) 2005-11-23
KR100747728B1 (ko) 2007-08-08
US20110249991A1 (en) 2011-10-13
US20040223790A1 (en) 2004-11-11
US20110026973A1 (en) 2011-02-03
US7519317B2 (en) 2009-04-14
JP2004280064A (ja) 2004-10-07
US20080286013A1 (en) 2008-11-20
EP1597634B1 (en) 2012-09-05
US7480476B2 (en) 2009-01-20
US7835673B2 (en) 2010-11-16
WO2004077170A1 (en) 2004-09-10
US7697870B2 (en) 2010-04-13
EP2290465B1 (en) 2013-06-05
TWI253549B (en) 2006-04-21
KR20050102150A (ko) 2005-10-25
JP4383898B2 (ja) 2009-12-16
US8195070B2 (en) 2012-06-05
TW200422796A (en) 2004-11-01
KR20070121066A (ko) 2007-12-26
US20070177905A1 (en) 2007-08-02
US7321744B2 (en) 2008-01-22
EP2290465A3 (en) 2012-05-02
ES2393999T3 (es) 201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8309B1 (ko) 화상 형성 장치용 현상제 용기
JP5531579B2 (ja) 粉体補給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粉体容器
EP140373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toner container replenishing a process cartridge
US5903806A (en) Developing agent replenishing apparatus and cartridge
JP3572500B2 (ja) 現像剤補給装置及び現像剤カートリッジ
JP4157809B2 (ja) 剤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476617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7120345B2 (ja) 粉体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7305105B2 (ja) 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774582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826001B1 (ko) 화상 형성 장치용 현상제 용기
CN1754132B (zh) 显影剂容器,显影剂供给装置及成像装置
JP2006047354A (ja) 現像剤収容器、現像剤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2080195A (ja)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062422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