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2890B1 - 감광 부재 카트리지, 현상제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카트리지 - Google Patents

감광 부재 카트리지, 현상제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2890B1
KR100752890B1 KR1020050071657A KR20050071657A KR100752890B1 KR 100752890 B1 KR100752890 B1 KR 100752890B1 KR 1020050071657 A KR1020050071657 A KR 1020050071657A KR 20050071657 A KR20050071657 A KR 20050071657A KR 100752890 B1 KR100752890 B1 KR 100752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cartridge
wall
side wall
side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1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0248A (ko
Inventor
마사또시 시라끼
Original Assignee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05552A external-priority patent/JP422167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05551A external-priority patent/JP434862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75936A external-priority patent/JP446367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77284A external-priority patent/JP435233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77285A external-priority patent/JP4770171B2/ja
Application filed by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0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0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6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ocess cartridge to the apparatus, electrical connectors, power supply

Abstract

감광 부재를 포함하는 감광 본체 카트리지로부터 장착 및 탈거 가능한 현상제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현상제 카트리지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을 갖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현상제 카트리지는 또한 현상제를 수납하기 위한 현상제 수납 섹션을 포함한다. 현상제 수납 섹션은 현상제 수납 섹션이 현상제 공급 섹션과 접하는 개방 단부와, 개방 단부로부터 사실상 대향된 폐쇄 단부를 포함한다. 폐쇄 단부는 현상제 수납 섹션의 사실상 최저부로부터 현상제 수납 섹션의 상부까지 연장한다. 현상제 카트리지의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는 현상제 수납 섹션의 외부면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한다. 현상제 카트리지가 감광 본체 카트리지에 탈거식으로 장착될 때, 상기 결합부는 현상제 공급 섹션을 감광 본체 카트리지 쪽으로 가압하고 감광 본체 카트리지에 대해 현상제 카트리지의 이동을 조절하도록 감광 본체 카트리지와 결합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드럼 카트리지, 현상제 카트리지, 현상제 수납 섹션, 결합부

Description

감광 부재 카트리지, 현상제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PHOTOSENSITIVE MEMBER CARTRIDGE, DEVELOPER CARTRIDGE AND PROCESS CARTRIDGE}
도1은 대표적인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전방 커버가 폐쇄된 대표적인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
도2는 커버가 개방된 도1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4는 대표적인 현상제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5는 도4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상부-전방-좌측의 사시도.
도6은 도4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평면도.
도7은 도4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후방-상부-좌측의 사시도.
도8은 대표적인 기어 커버를 포함하는 도4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좌측면도.
도9는 기어 커버가 없는 도4에 도시된 대표적인 현상제 카트리지의 좌측면도.
도10은 도4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우측면도.
도11은 대표적인 드럼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12는 도11에 도시된 드럼 카트리지의 전방-상부-좌측의 사시도.
도13은 도3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전방-상부-좌측의 사시도.
도14는 도3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후방-상부-좌측의 사시도.
도15는 도3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저부-전방-좌측의 사시도.
도16은 도3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평면도.
도17은 도3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좌측면도.
도18은 도3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우측면도.
도19는 도3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정면도.
도20은 대표적인 현상제 롤러와 대표적인 현상제 공급 롤러의 배면도.
도21a, 도21b, 도21c 및 21d는 도4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를 도11에 도시된 드럼 카트리지에 장착하는 것을 도시하는 순차적인 부분 좌측면도.
도22는 도11에 도시된 드럼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23a, 도23b 및 도23c는 대표적인 전사 롤러의 좌측 단부를 강조한 도11에 도시된 드럼 카트리지의 부분도이고, 도23a는 단면도, 도23b는 사시도, 도23c는 사시도.
도24는 도3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도1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의 평면도.
도25는 도1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의 대표적인 좌측 프레임의 내부면의 측면도.
도26은 도1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의 대표적인 우측 프레임의 내부면의 측면도.
도27a 및 도27b는 대표적인 커플링 부재의 전진 및 수축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28a 및 도28b는 대표적인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는 대표적인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29a 및 도29b는 도28a 및 도28b에 도시된 커플링 부재의 측면도.
도30은 도4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31은 대표적인 현상제 카트리지와 대표적인 드럼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대표적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32는 도31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전방-상부-좌측의 사시도.
도33은 도31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전방-저부-우측의 사시도.
도34는 도31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후방-상부-좌측의 사시도.
도35는 도31에 도시된 드럼 카트리지의 전방-상부-좌측의 사시도.
도36은 도31에 도시된 드럼 카트리지의 전방-저부-좌측의 사시도.
도37은 도31에 도시된 드럼 카트리지의 후방-저부-좌측의 사시도.
도38은 도31에 도시된 드럼 카트리지의 좌측면도.
도39는 도31에 도시된 드럼 카트리지의 우측면도.
도40은 도31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전방-상부-좌측의 사시도.
도41은 도31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전방-저부-좌측의 사시도.
도42는 도31에 도시된 드럼 카트리지의, 기준 바아를 포함하는 평면도.
도43은 도31에 도시된 드럼 카트리지의, 기준 바아를 포함하는 배면도.
도44는 도31에 도시된 드럼 카트리지의, 기준 바아를 포함하는 정면도.
도45는 도31에 도시된 드럼 카트리지의, 기준 바아를 포함하는 좌측면도.
도46은 도31에 도시된 드럼 카트리지의, 기준 바아를 포함하는 저면도.
도47은 도47의 선 A-A를 따라 도시된 드럼 카트리지의, 기준 바아를 포함하는 단면도.
도48은 도31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기준 바아를 포함하는 평면도.
도49는 도31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기준 바아를 포함하는 배면도.
도50은 도31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기준 바아를 포함하는 좌측면도.
도51은 도31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기준 바아를 포함하는 저면도.
도52는 도48의 선 B-B를 따라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기준 바아를 포함하는 단면도.
도53은 도31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좌측면도.
도54는 대표적인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전방 커버가 폐쇄된 대표적인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
도55는 전방 커버가 개방된 도54에 도시된 대표적인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
도56은 대표적인 결합부를 포함하는 도54에 도시된 대표적인 현상제 카트리지의 전방-저부-좌측의 사시도.
도57은 도54에 도시된 드럼 카트리지의 전방-상부-좌측의 사시도.
도58은 도57의 선 E-E를 따라 도시한 드럼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59a, 도59b 및 도59c는 도57에 도시된 드럼 카트리지에 도56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장착을 도시하는 순차적인 좌측면도.
도60은 도54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61은 도54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전방-상부-좌측의 사시도.
도62는 도54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전방-저부-좌측의 사시도.
도63은 도54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좌측면도.
도64는 도54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우측면도.
도65는 도54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평면도.
도66a 및 도66b는 도56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67은 대표적인 결합부를 포함하는 도54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좌측면도.
도68은 대표적인 결합부를 포함하는 도56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저부-전방-좌측의 사시도.
도69a, 도69b, 도69c 및 도69d는 도68에 도시된 결합부의 다양한 대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69a는 도54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둥근 단부를 갖는 도68에 도시된 결합부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69b는 장방형 단부를 갖는 도68에 도시된 결합부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69c는 각진 단부를 갖는 도68에 도시된 결합부의 부분 좌측면도이고, 도69d는 각진 단부를 갖는 도68에 도시된 결합부의 부분 좌측면도.
도70a는 대표적인 결합부를 포함하는 도56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전방 -저부-우측 사시도이고, 도70b, 도70c, 도70d 및 도70e는 도70a에 도시된 대표적인 결합부의 다양한 대표적인 실시예를 각각 도시하고, 도70b는 둥근 단부를 갖는 도70a에 도시된 결합부의 부분 좌측면도이고, 도70c는 각진 단부를 갖는 도70a에 도시된 결합부의 부분 좌측면도이고, 도70d는 각진 단부를 갖는 도70a에 도시된 결합부의 부분 좌측면도이고, 도70e는 장방형 단부를 갖는 도70a에 도시된 결합부의 부분 좌측면도.
도71은 도70a에 도시된 대표적인 결합부를 포함하는 도54에 도시된 대표적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전방-상부-좌측 사시도.
도72는 대표적인 결합부를 포함하는 도56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전방-저부-우측 사시도.
도73은 도72에 도시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도54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부분 단면도.
도74는 대표적인 결합부를 포함하는 도54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부분 단면도.
도75는 대표적인 결합부를 포함하는 도56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전방-상부-좌측 사시도.
도76은 도75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저면도.
도77은 도75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전방-상부-좌측 사시도.
도78은 도75에 도시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현상제 카트리지가 대표적인 드럼 카트리지로부터 부분적으로 탈거되어 있는 도54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좌 측면도.
도79는 현상제 카트리지가 드럼 카트리지에 거의 장착되어 있는 상태의 도78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좌측면도.
도80은 현상제 카트리지가 드럼 카트리지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의 도78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좌측면도.
도81은 도56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평면도.
도82는 도56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후방-상부-좌측 사시도.
도83은 기어 커버를 포함하는 도56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좌측면도.
도84는 기어 커버가 없는 도56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좌측면도.
도85는 라인 D-D를 따라 취한 도81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프로세스 카트리지
27: 드럼 카트리지
28: 현상제 카트리지
30: 현상제 수납 섹션
210, 214: 결합부
본 출원은 전체가 본원에서 참조로서 합체된 2004년 8월 6일자로 출원된 일 본 특허 출원 제2004-231201 및 제2004-231202호, 2004년 10월 20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4-30551호 및 제2004-30552호 및 2004년 12월 27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4-377284호, 제2004-377284호 및 제2004-375936호를 우선권 주장한다.
본 발명은 착탈식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식 드럼 카트리지, 착탈식 현상제 카트리지와, 착탈식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식 드럼 카트리지, 착탈식 현상제 카트리지를 채용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전기록 화상 형성 장치는 광학 시스템, 감광 장치(예를 들어, 감광 드럼), 감광 장치에 인접하여 배열된 대전 장치, 현상제 장치(예를 들어, 현상제 롤러), 전사 장치(예를 들어, 전사 롤러) 및 세척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전기록 화상 형성 장치는 감광 장치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고, 감광 장치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함으로써 현상제 화상을 형성하고, 기록 매체 상에 현상제 화상을 전사함으로써 화상을 기록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되는 화상에 상응하는 정전 잠상을 형성하도록 레이저 비임으로 표면이 조사되기 전에 감광 드럼의 표면은 대전 장치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다. 그 다음에 잠상은 현상제 화상이 감광 드럼에 형성되도록 현상제 롤러에 의해 공급된 현상제를 이용하여 현상된다. 그 다음에 현상제 화상은 전사 롤러에 의해 기록 매체에 전사된다. 가시 화상이 전사된 후에, 감광 본체에 잔류하는 임의의 토너의 대부분, 바람직하게 전부는 세척 수단에 의해 제거된다.
다수의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 감광 장치, 대전 장치, 현상제 롤러, 전사 롤러 및/또는 세척 수단과 같은 다수의 화상 형성 부품이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탈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제공된다.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예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6,041,203호 및 제6,546,217호에 개시된다.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예를 들어,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부품의 교체 및/또는 유지보수 작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채용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일반적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부품들이 수납되고 복수의 전극 및 구동 기어가 배열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이들 전극들 중 하나는 접지 접속용으로 제공될 수 있고, 다른 전극들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본체에 배열된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다양한 부품으로의 전력 이송용일 수 있다. 구동 기어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다양한 부품을 구동시키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의 기어 및/또는 부재들과 상호 작용한다.
이러한 착탈식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채용한 화상 형성 장치는 일반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 및 탈거하기 위해 할당된 내부 공간 또는 통로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착탈식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에 탈거식으로 장착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내부 공간 또는 통로 내에 배열되고,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일부는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 및 탈거용으로 파지 가능토록 형성된다. 현상제 카트리지가 드럼 카트리지에 탈거식으로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서, 로크 기구가 현상제 카트리지와 드럼 카트리지가 현상제 카트리지 및 드럼 카트리지 각각의 일부를 파지하 지 않고 제거될 수 있도록 현상제 카트리지를 드럼 카트리지에 고정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로크 기구가 한 손으로 해제될 수 있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다른 손으로 취급될 수 있도록 양손을 이용하는 것이 필수적일 것이다. 이러한 파지 가능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작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화상 형성 장치가 바람직하다.
특히, 화상 형성 장치를 더 작게 하기 위한 요구가 증가되었다. 이러한 증가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보다 작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또한 제공되어야 한다. 일견,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또는 화상 형성 장치의 크기를 감소(예를 들어, 모든 부품의 크기를 X%만큼 감소)시키는 것은 수월한 작업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요인 및/또는 요구가 이러한 현혹하는 단순한 작업을 악화시키고, 해당 기술 분야의 종사자들은 사실상 다양한 설계의 고려사항과 요구가 이러한 프로세스를 복잡하게 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최근, 화상 형성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전체 크기는 사실상 실용적인 목적으로 이미 감소되었고, 화상 형성 장치 및/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이러한 부품의 소정의 "최소 크기"로 억제되었다. 따라서, 작업 필드(예를 들어, 활용 가능한 자유/초과 공간의 양)는 이미 사실상 감소되었다. 따라서, 해당 기술 분야의 종사자는 실용적인 장치 및 카트리지를 제공하면서 보다 작은 화상 형성 장치 및 보다 작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설계 및 실행 작업이 광대한 실험, 고려 및 창조성을 요구한다는 것을 이해한다.
다양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감광 부재가 제공되는 감광 본체 카트리지에 착탈식인 현상제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현상제 카트리지는 프레임, 현상제 공급 섹션, 현상제 수납 섹션 및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를 포함한다. 프레임은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을 포함하고,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은 길이 방향으로 사실상 연장된다. 감광 본체 카트리지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공급 섹션은 제1 측벽으로부터 제2 측벽의 길이 방향에 사실상 직각인 폭 방향으로 연장한다. 현상제를 수납하기 위한 현상제 수납 섹션은 제1 측벽으로부터 제2 측벽으로 폭 방향으로 연장한다. 현상제 수납 섹션은 개방 단부 및 폐쇄 단부를 포함한다. 개방 단부는 현상제 수납 섹션이 현상제 공급 섹션에 인접하는 곳이다. 폐쇄 단부는 개방 단부로부터 사실상 대향되고, 폐쇄 단부는 현상제 수납 섹션의 사실상 최저부로부터 현상제 수납 섹션의 상부로 연장하는 외부면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는 현상제 수납 섹션의 외부면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한다. 현상제 카트리지는 감광 본체 카트리지에 탈거식으로 장착되고, 결합부는 현상제 공급 섹션은 감광 본체 카트리지 쪽으로 가압하고 감광 본체 카트리지에 대해 현상제 카트리지의 이동을 조절하도록 감광 본체 카트리지와 결합한다.
다양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감광 부재를 포함하는 감광 카트리지로부터 착탈식인 현상제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현상제 카트리지는 프레임, 현상제 공급 섹션, 현상제 수납 섹션 및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를 포함한다. 프레임은 제1 측벽과 제2 측벽을 포함하고, 제1 측벽과 제2 측벽은 길이 방향으로 사실상 연장된다. 감광 본체 카트리지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공급 섹션은 제1 측벽으로부터 제2 측벽으로의 길이 방향에 사실상 직각인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현상제를 수납 하기 위한 현상제 수납 섹션은 제1 측벽으로부터 제2 측벽으로의 폭 방향으로 연장한다.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는 프레임의 제1 측벽 또는 제2 측벽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된다.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는 경량 전도성 재료로 형성된다.
다양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감광 부재를 포함하는 감광 본체 카트리지로부터 착탈식인 현상제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현상제 카트리지는 프레임, 현상제 공급 섹션, 현상제 수납 섹션 및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를 포함한다. 프레임은 제1 측벽과 제2 측벽을 포함하고,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은 길이 방향으로 사실상 연장된다. 감광 본체 카트리지로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공급 섹션은 제1 측벽으로부터 제2 측벽으로의 길이 방향에 사실상 직각인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현상제를 수납하기 위한 현상제 수납 섹션은 제1 측벽으로부터 제2 측벽으로의 폭 방향으로 연장한다. 현상제 수납 섹션의 하반부는 현상제 수납 섹션의 상부보다 현상제 수납 섹션의 최저부에 근접하고, 현상제 수납 섹션의 상반부는 최저부보다 상부에 인접한다. 현상제 수납 섹션은 현상제 수납 섹션이 현상제 공급 섹션과 접하는 곳에 개방 단부와, 개방 단부로부터 사실상 대향된 폐쇄 단부를 포함한다. 폐쇄 단부는 최저부로부터 상부로 연장하는 외부면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는 감광 본체 카트리지와 마찰식으로 결합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는 길이 방향으로 현상제 수납 섹션의 하반부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태양의 이러한 특징과 다른 부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은 본 발명의 다양한 태양을 실시하는 시스템 및 방법의 대표적인 실시예의 후술하는 상 세한 설명에 개시되거나 또는 그로부터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은 다음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이하의 설명에 걸쳐서, 다수의 특정 구조체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태양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태양은 이들 특정 구조체 모두를 이용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공지의 요소는 강조가 본 발명의 다양한 태양에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상세히 도시되지 않거나 설명되지 않는다.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레이저 프린터 및 복사기와 같은 소정의 화상 형성 장치는 형성될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을 감광 드럼 상에 형성하기 위해 레이저 비임으로 감광 드럼을 조사하기 전에 대전 장치(예를 들면, 코로나 대전기)로 감광 장치(예를 들면, 감광 드럼)의 표면을 대전한다. 형성된 잠상은 이어서 현상제 담지 장치(예를 들면, 현상제 롤러)에 의해 공급된 현상제(예를 들면, 토너)를 사용하여 현상된다. 다음, 형성된 현상제 화상은 전사 장치(예를 들면, 전사 롤러)에 이해 기록 매체(예를 들면, 용지)에 전사된다. 전사된 현상제 화상은 이어서 정착 장치에 의해 열 및/또는 압력을 받게 된다.
용이한 설명을 위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태양의 대표적인 실시예의 이하의 설명에서, 그 상부에 전방 커버(7)가 배열되어 있는 레이저 프린터(1)의 측면은 "전방측" 또는 "전방측"이라 칭할 것이고, 그 상부에 전방 커버(7)가 배열되어 있는 측면에 사실상 대향하는 측면은 "후방부" 또는 "후방측"이라 칭할 것이다. 레 이저 프린터(1) 및/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다양한 개별의 대상물과 관련하여, 개별 대상물의 측면은 레이저 프린터(1) 상/내의 대상물의 배열된/장착된 위치에 기초하여 유사하게 식별될 것이다. 또한, 대상물이 레이저 프린터(1) 내에 배열되어 있는 동안 측면이 레이저 프린터(1)의 전방부로부터 대상물을 볼 때 좌측에 있으면 측면은 "좌측면"으로 고려되고, 대상물이 레이저 프린터(1) 내에 배열되어 있는 동안 측면이 레이저 프린터(1)의 전방부로부터 대상물을 볼 때 우측에 있으면 측면은 "우측면"으로 고려될 것이다.
또한, 대상물이 레이저 프린터(1) 내에 배열되어 있는 동안 측면 또는 부분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프린터(1)의 전방부로부터 대상물을 볼 때 상부면 또는 상부에 있으면 측면 또는 부분은 "상부" 또는 "상측"으로 고려될 것이다. 대상물이 레이저 프린터(1) 내에 배열되어 있는 동안 면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프린터(1)의 전방부로부터 대상물을 볼 때 저부면 또는 하부에 있으면 측면 또는 부분은 "저부" 또는 "하측"으로 고려될 것이다. 예를 들면, 제1 반사 미러(24)는 대표적인 레이저 프린터(1)의 상부 또는 상측부에 위치되고 시트 가압 부재(15)는 대표적인 레이저 프린터(1)의 저부 또는 하측부에 위치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대상물의 폭 또는 폭방향은 사실상 우측면으로부터 사실상 좌측면으로 또는 사실상 좌측면으로부터 사실상 우측면으로 연장하는 방향 또는 축으로 칭하고, 대상물의 길이 또는 길이 방향은 사실상 전방측으로부터 사실상 후방측으로 또는 사실상 후방측으로부터 사실상 전방측으로 연장하는 방향 또는 축을 칭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예를 들면 대상물의 폭은 대상물의 길이보다 길 수 있고, 다른 대상물의 폭은 그 대상물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대상물의 높이 또는 두께 방향은 사실상 저부면으로부터 사실상 상부면으로 또는 그 역방향으로 연장하는 방향 또는 축을 칭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장치는 롤러로서 칭할 것이지만, 장치는 롤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장치는 예를 들면 컨베이어 벨트의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특징부는 "좌측", "우측", "후방", "전방" 등에 있는 것을 설명될 수 있지만, 어떠한 방식으로도 이는 특징부를 이 배열에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다양한 특징부의 위치/배열이 본원에 설명된 이들 특징부의 위치/배열과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어떠한 것이 "사실상 Z"라 칭해질 때, 이는 "정확한 Z" 및 "대략 Z"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특정 거리 또는 크기와 관련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Y mm"라는 것은 예를 들면 달리 지정되지 않으면 "정확히 Y mm" 및 "대략 Y mm"를 포함한다.
도1 및 도2는 대표적인 화상 형상 장치로서의 대표적인 레이저 프린터(1)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레이저 프린터(1)는 주 케이싱(2), 기록 매체로서의 시트(3)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섹션(4) 및 이송된 시트(3)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섹션(5)을 포함한다.
주 케이싱(2)은 장착/탈거 공극(6) 및 전방 커버(7)를 갖는다. 장착/탈거 공극(6)은 장착/탈거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20)를 수용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0)는 주 케이싱(2)에 대한 장착 및 탈거를 위해 전방 커버(7)를 경유하여 장착 /탈거 공극(6)에 반입 및 반출될 수 있다.
전방 커버(7)는 예를 들면, 전방 커버(7)가 장착/탈거 공극(6)으로의 접근을 허용하거나 장착/탈거 공극(6)을 덮기 위해 회전될 수 있도록 주 케이싱(2)에 샤프트(도시 생략)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될 수 있다. 대표적인 레이저 프린터(1)에서, 샤프트는 전방 커버(7)의 하단부에 제공된다. 전방 커버(7)는 물론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반입/반출 또는 장착/탈거를 허용하는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장착/탈거 가능할 수 있다.
전방 커버(7)는 부정확한 교체 카트리지(예를 들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설치되는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바람직하게는 방지하기 위한 돌출부(35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351)는 전방 커버가 폐쇄/장착될 때 레이저 프린터(1)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고 돌출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레이저 프린터(1)에 장착될 때 대표적인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수용부(352)(도5) 내로 돌출된다. 전방 커버(7)가 개방/탈거될 때, 돌출부(351)는 수용부(352)를 점유하지 않는다.
사무실과 같은 환경에서, 상이한 유형의 화상 형성 장치가 채용될 수 있고, 따라서 다수의 상이한 유형의 교체 카트리지가 이용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른 유형의 프린터를 위한 교체 카트리지를 부주의하게 설치할 수 있다.
전방 커버(7)가 폐쇄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수용부(352) 내로 돌출되는 돌출부(351)를 제공함으로써, 유사한 크기/형상이지만 수용부(352)를 갖지 않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설치되면, 사용자가 전방 커버(7)를 폐쇄하려 시도할 때, 돌출부(351)가 전방 커버(7)가 적절하게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상을 인쇄하려 시도하기 전에 부정확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레이저 프린터(1) 내에 배치되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돌출부(351) 및 수용부(352)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전방 커버(7)는 부정확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돌출부(351)를 수납하기 위한 대응 수용부(352)를 갖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부정확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설치/배열되면 폐쇄되지 않을 수 있다. 두 개의 수용부(352) 및 두 개의 돌출부(351)가 설치되었지만, 소정의 실시예에서, 수용부(352) 또는 돌출부(351)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고, 소정의 실시예에서는 두 개 이상의 수용부(352) 또는 돌출부(351)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소정의 실시예에서, 돌출부(351)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 상에 제공될 수 있고, 수용부(352)는 주 케이싱(2)에 제공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주 케이싱(2)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20) 각각은 돌출부(351) 및 수용부(352) 양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송 섹션(4)은 시트 공급 트레이(9), 시트 공급 롤러(10), 분리 패드(11), 취출 롤러(12), 압착 롤러(13) 및 한 쌍의 정합 롤러(14)(예를 들면, 상측 정합 롤러 및 하측 정합 롤러)를 포함한다.
용지 공급 트레이(9)는 예를 들면 주 케이싱(2)의 저부에 대해 장착/탈거 가능하다. 시트 공급 롤러(10) 및 분리 패드(11)는 시트 공급 트레이(9)보다 높은 레벨에서 레이저 프린터(1)의 전방 단부에 배열될 수 있다. 분리 패드(11)는 압축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생성된 힘에 의해 시트 공급 롤러(10)를 가압한다. 취 출 롤러(12)는 시트 공급 롤러(10)의 하측 후방부에 근접하여 배열될 수 있고, 압착 롤러(13)는 시트 공급 롤러(10)의 하측 전방부에 근접하여 배열될 수 있다.
취출 롤러(12) 및 압착 롤러(13)는 시트 공급 롤러(10)와 사실상 대칭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측 및 하측 정합 롤러(14)는 취출 롤러(12) 상부에 배열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하측 정합 롤러(14)는 시트 공급 롤러(10)의 상측 후방부에 근접하여 배열되고 상측 정합 롤러(14)는 하측 정합 롤러(14) 상부에 배열될 수 있다.
용지 공급 트레이(9)는 상부에 배열된 시트의 적층체(3)를 지지할 수 있는 시트 가압 부재(15)를 포함한다. 시트 가압 부재(15)는 플레이트의 형태일 수 있다. 시트 가압 부재(15)의 일 단부는 시트 공급 트레이(9)의 저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시트 가압 부재(15)의 다른 단부는 상부에 배열된 시트의 적층체(3)의 높이에 기초하여 필요에 따라 상향 및 하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시트 가압 부재(15)는 시트의 적층체(3)가 취출 롤러(12)와 압축식으로 접촉하여 최상부 시트(3)가 취출 롤러(12)에 의해 취출되어 시트 공급 롤러(10) 및 분리 패드(11)를 향해 운반될 수 있도록 시트의 적층체(3)를 상향으로 가압하는 기능을 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대표적인 레이저 프린터(1)에서, 레버(17)가 시트 가압 부재(15)의 전방 단부를 상승시켜 지지하도록 제공된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7)는 사실상 단면이 L-형상이고 시트 공급 트레이(9)의 전방 단부에 배열될 수 있다. 사실상 최대 높이를 갖는 시트의 적층체(3)가 시트 가압 부재 (15) 상에 배열될 때, 레버(17)의 제1 아암이 시트 가압 부재(15)와 사실상 평행하고 레버(17)의 제2 아암은 제1 아암에 사실상 수직이 된다. 시트의 적층체(3)의 최대 높이는, 시트 가압 부재(15)가 사실상 편평하게 위치될 때[즉, 시트 가압 부재(15)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가 레이저 프린터(1)의 저부면으로부터 사실상 동일한 높이에 있음] 취출 롤러(12)의 최하부 지점과 시트 가압 부재(15)의 최상부 지점 사이의 거리에 사실상 동일할 수 있다.
레버(17)의 제2 아암의 상단부는 예를 들면 시트 공급 트레이(9)의 전방 단부에 제공된 레버 샤프트(18)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시트 공급 트레이(9)가 주 케이싱(2)에 배열될 때, 시트 가압 부재(15) 상의 적층체(3)의 높이 및/또는 취출 롤러(12)에 의해 시트의 적층체(3)에 인가된 압력이 감소함에 따라 레버(17)가 레버 샤프트(18)의 축 둘레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의해 시트 가압 부재(15)의 전방 단부 및 시트 가압 부재(15) 상에 배열된 시트의 적층체(3)를 상승시키도록 시계방향 회전 구동력이 레버 샤프트(18)에 인가된다.
한편, 시트 공급 트레이(9)가 주 케이싱(2)으로부터 탈거될 때 또는 시계방향 회전 구동력이 레버 샤프트(18)에 인가되지 않을 때, 시트 가압 부재(15)의 전방 단부가 레버(17)에 의해 상향으로 압박되지 않는다. 따라서, 시트 가압 부재(15)의 전방 단부는, 시트 가압 부재(15)가 사실상 편평하게 위치되도록[즉, 시트 가압 부재(15)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가 사실상 레이저 프린터(1)의 저부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에 있음] 하향으로 이동한다. 시트 공급 트레이(9)는 시트 공급 트레이(9)가 주 케이싱(2)으로부터 탈거될 때 사용자에 의해 시트(3)로 충전될 수 있다.
한편, 시트 공급 트레이(9)가 주 케이싱(2)에 장착/배열될 때, 시계방향 회전 구동력은 시트 가압 부재(14)의 전방 단부가 레버(17)에 의해 상승되고 최상부 시트(3)가 취출 롤러(12)에 대해 가압되도록 레버 샤프트(18)에 인가된다. 취출 롤러(12)의 회전은 시트 공급 롤러(10)와 분리 패드(11) 사이로 최상부 시트(3)를 이송한다. 시트 공급 롤러(10)의 회전에 의해, 시트(3)가 시트 공급 롤러(10)와 분리 패드(11) 사이에 개재되고, 시트(3)가 압착 롤러(13)로 이송된다.
시트 공급 롤러(10)와 압착 롤러(13)의 회전에 의해, 시트(3)가 시트 공급 롤러(10)와 압착 롤러(13) 사이에 압착되고, 다음에 시트(3)는 상측 및 하측 정합 롤러(14) 사이로 반송된다. 상측 및 하측 정합 롤러(14)는 화상 형성 섹션(5)의 전사 위치로 시트(3)를 더욱 반송시키는 것을 조력한다.
전사 위치는 감광 드럼(92)과 같은 감광 요소와 전사 롤러(94)와 같은 전사 요소 사이이다. 전사 위치에서, 감광 드럼(92)에 의해 담지된 현상제 화상은 전사 롤러(94)의 조력하에 시트(3)로 전사된다.
화상 형성 섹션(5)은 스캐너(19), 프로세스 카트리지(20) 및 정착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캐너(19)는 주 케이싱(2)의 상측부에 제공되고, 레이저 광원(도시 생략), 회전형 다각형 미러(22), fθ 렌즈(23), 제1 반사 미러(24), 렌즈(25) 및 제2 반사 미러(26)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광원은 형성될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레이저 비임을 방출하고, 방출된 레이저 비임은 회전형 다각형 미러 (22)에 의해 편의/편향된다.
도1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된 레이저 비임은, 레이저 비임의 광로(도1의 점선)가 제1 반사 미러(24)에 의해 굴곡되기 전에 fθ 렌즈(23)를 통과한다. 제1 반사 미러(24)로부터, 레이저 비임은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주 케이싱(2)에 배열될 때 감광 드럼(92)의 표면에 레이저 비임이 조사되도록 제2 반사 미러(26)에 의해 1회 더 굴곡되기 전에 렌즈(25)를 통과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케이싱(2)에 대해 장착 및 제거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부분은 주 케이싱(2)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장착 및 제거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20)는 장착/탈거 가능한 드럼 카트리지(27) 및 장착/탈거 가능한 현상제 카트리지(28)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20)는 단일 유닛으로서[예를 들면, 현상제 카트리지(28)가 드럼 카트리지(27)에 장착됨] 주 케이싱(2)으로부터 장착 및 탈거 가능할 수 있고,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부분[예를 들면, 현상제 카트리지(28), 드럼 카트리지(27)]은 독립적인 장착/탈거 가능한 서브-유닛으로서[예를 들면, 현상제 카트리지(28)는 드럼 카트리지(27)가 주 케이싱(2)에 장착된 후에 드럼 카트리지(27)에 장착 가능하고, 또는 현상제 카트리지(28)는 드럼 카트리지(27)가 주 케이싱(2)으로부터 탈거되기 전에 드럼 카트리지(27)로부터 탈거 가능함] 주 케이싱(2)으로부터 장착/탈거 가능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현상제 카트리지(28)는 드럼 카트리지(27)에 대해 장착 되거나 탈거될 수 있고, 드럼 카트리지(27)는 주 케이싱(2)에 장착되고 드럼 카트리지(27)는 주 케이싱(2)으로부터 분리된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현상제 카트리지(28)는 드럼 카트리지(27)의 적어도 일부만이 주 케이싱(2)으로부터 제거되는 경우에만 드럼 카트리지(27)에 대해 장착되거나 탈거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현상제 카트리지(28)는 카트리지(27)가 주 케이싱(2)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될 때에만 드럼 카트리지(27)에 대해 장착되거나 탈거될 수 있고,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20)는 항상 단일 유닛으로서 주 케이싱(2)에 대해 장착되고 탈거된다.
도4는 현상제 카트리지(28)의 대표적인 실시예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카트리지(28)는 제1 케이싱으로서의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29), 현상제 공급 롤러(31), 현상제 담지 부재로서의 현상제 롤러(32), 교반기(46) 및 두께 조절 부재(33)를 포함한다.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29)은 폴리스티렌과 같은 수지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개방면(8)을 갖는 일반적으로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4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표적인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29)은 현상제 카트리지(28)의 후방측을 향해 배열된 현상제 카트리지(28)의 구성 요소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방면(8)을 갖는다. 개방면(8)은 현상제 카트리지(28)가 드럼 카트리지(27)에 장착될 때 현상제 롤러(32)의 부분(32A)이 노출되어 감광 드럼(92)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29)은 현상제 수용 섹션(30), 현상제 공급 섹션(36) 및 제1 연장부로서의 상측 연장 섹션(37)을 포함한다. 현상제 수용 섹션(30)은 내부에 토너와 같은 현상제를 수용한다.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29)의 일반적인 형상은 하측 프레임(34) 및 상측 프레임(35)에 의해 형성된다. 도4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프레임(34)은 단일 유닛으로서 좌측벽(38), 우측벽(39), 하측벽(40), 상측벽(41) 및 상측 전방 측벽(42), 상측벽 연장부(50), 좌측벽 연장부(52) 및 우측벽 연장부(53)를 포함한다. 좌측벽(38)과 우측벽(39)의 사이에는, 현상제 수용 섹션(30), 현상제 공급 섹션(36) 및 상측 연장 섹션(37)이 배열된다.
상측벽 연장부(50), 좌측벽 연장부(52) 및 우측벽 연장부(53)는 상측 연장 섹션(37)을 형성한다. 좌측벽 연장부(52) 및 우측벽 연장부(53)는 좌측벽(38) 및 우측벽(39)으로부터 각각 전방으로 연장된다. 하측벽(40) 및 상측벽(41)은 좌측벽(38) 및 우측벽(39)에 사실상 수직으로 연장된다. 하측벽(40) 및 상측벽(41)은 좌측벽(38)과 우측벽(39) 사이로 연장된다. 하측벽(40)은 예를 들면 후방부(43) 및 전방부(44)를 포함한다.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벽부로서의 상측 전방 측벽(42)은 예를 들면 상측벽 연장부(50)의 전방 에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하는 벽이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상측벽(41)은 현상제 카트리지(28)의 상부 부분을 따라 상측벽 개구(49)를 형성한다. 상측벽 개구(49)는 상측 프레임(35)이 하측 프레임(34)에 장착될 때 상측 프레임(35)에 의해 덮인다. 상측벽 개구(49)는 현상제 카트리지928)의 상부로부터 볼 때 사실상 장방형 형상을 갖고 상측 프레임(35)이 하측 프레임(34)에 장착되지 않을 때 현상제 공급 섹션(36)의 적어도 일부와 현상제 수용 섹션(30)을 노출시킨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벽(40)은 좌측벽(38)과 우측벽(39) 사이에 개재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부(43)는 하측벽(40)의 전방부(44)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후방부(43)는 일반적으로 현상제 공급 섹션(36)의 하측 경계를 형성하는 하측벽(40)의 부분에 대응하고, 전방부(44)는 일반적으로 현상제 수용 섹션(30)의 하측 및 전방측 경계를 형성하는 하측벽(40)의 부분에 대응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후방부(43)는 현상제 공급 섹션(36)의 하측 경계를 형성하고 좌측벽(38)과 우측벽(39) 사이에서 그에 사실상 수직으로 연장한다. 도4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28)의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하측벽(40)의 후방부(43)의 내부면은 길이 방향을 따른 단면에서 파형 형상을 갖는다.
후방부(43)의 내부면은 대표적인 현상제 카트리지(28)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부터 볼 때, 현상제 롤러(32)의 하부의 하측벽의 부분에 대응하는 경사부, 현상제 공급 롤러(31)의 하부의 하측벽의 부분에 대응하는 오목부 및 사실상 상향 연장부를 포함한다 사실상 상향 연장부는 현상제 공급 섹션(36)과 현상제 수용 섹션(30) 사이에 하측 격벽(55)을 형성한다.
전방부(44)는 전방 세그먼트(44A) 및 후방 세그먼트(44B)를 포함한다. 전방 세그먼트(44A)는 전방부(44)의 최저부(44C)에서 후방 세그먼트(44B)로 전이된다. 전방부(44)는 현상제 수용 섹션(30)의 외부 경계인 내부면(44D)을 추가로 포함한다. 내부면(44D)에 대향하는 것은 외부면(44E)이다. 내부면(44D)의 후방 세그먼 트(44B)는 하측 격벽(55)으로부터 하향으로 기울어진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격벽(55)은 후방부(43)와 전방부(44)의 교점에 제공되고, 현상제 수용 섹션(30)의 하측 후방 단부로부터 현상제 공급 섹션(36)의 하측 전방 단부를 분할하는 반전 V-형 단면을 갖는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기(46)의 하부의 하측벽(40)의 전방부(44)의 적어도 내부면(44D)은 사실상 오목형이고 교반기(46)의 전방측을 따라 상측벽(41)을 향해 상향으로 만곡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전방 세그먼트(44A)의 최상부 에지는 상측벽 개구(49)의 전방측에서 상측벽(41)에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태양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의 소정의 실시예에서, 벽 또는 프레임의 외부면 및 내부면은 상이한 특징을 갖는다(예를 들면, 내부면의 단면 형상 또는 조직은 외부면의 단면 형상 또는 조직과 상이할 수 있음). 소정의 실시예에서, 리브 또는 지지 부재가 예를 들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벽(40)의 외부면에 제공될 수 있다.
도3,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수용 섹션(30)의 좌측 및 우측면은 좌측벽(38) 및 우측벽(39)의 대응하는 각각의 부분(38A, 39A)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이하의 대표적인 실시예의 설명에서, 현상제 수용 섹션(30)의 하측부(30A)는 현상제 수용 섹션(30) 내에 수용되는 교반기(46)의 회전 샤프트(59)의 하부에 있는 현상제 수용 섹션(30)의 부분에 대응할 수 있고, 현상제 수용 섹션(30)의 상측부(30B)는 현상제 수용 섹션(30) 내에 수용된 교반기(46)의 회전 샤프트(59)의 상부에 있는 현상제 수용 섹션(30)의 부분에 대응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위치설정 부재(84)가 현상제 카트리지(28)에 제공되어 현상제 카트리지(28)가 드럼 카트리지(27)에 장착될 때 위치 설정 부재(84)가 드럼 카트리지(27)에 대해 현상제 카트리지(28)를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것을 조력할 수 있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두 개의 위치설정 부재(84)가 하측벽(40)의 전방부(44)의 최저부(44C)에 제공되고, 위치설정 부재(84)는 드럼 카트리지(27)의 돌출부(118)(도11)와 협동하여 작동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두 개의 위치설정 부재(84)가 전방부(44)의 외부 저부면에 제공된다. 위치설정 부재(84)는 하측벽의 오목 전방부(44)의 기부에서 폭방향을 따라 서로로부터 이격된 편평한 플레이트형 부분이다. 위치설정 부재(84)는 현상제 카트리지(28)가 드럼 카트리지(27)에 장착될 때 드럼 카트리지(27)의 돌출부(118)의 상부에 실질적으로 안착하는 편평한 표면을 제공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돌출부(118)는 사실상 오목형 돌출 표면이다.
도5는 도4에 도시된 대표적인 현상제 카트리지(28)의 전방-좌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고, 도6은 도4에 도시된 대표적인 현상제 카트리지(28)의 평면도이다.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프레임(34)의 상측벽(41)은 사실상 편평하다. 하측 프레임(34)의 상측벽(41)은 좌측벽(38)과 우측벽(39) 사이로 연장한다. 하측 프레임(34)의 상측벽(41)은 좌측벽(38) 및 우측벽(39)의 각각으로부터 외향으로 더욱 연장될 수 있다. 상측벽(41)은 좌측벽(38)과 우측벽(39)의 상측부 및/또는 표면을 연결한다.
현상제 롤러(32) 및 현상제 공급 롤러(31) 상부의 상측벽(41)의 부분에 사실 상 대응하는 상측벽(41)의 후방부는 지지 부재(57)를 포함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벽(41)의 대표적인 지지 부재(57)는 사실상 하향으로 돌출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57)는 사실상 좌측벽(38)과 우측벽(39) 사이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평면형 부재이고 현상제 롤러(32)를 향해 사실상 하향으로 돌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측벽(41)은 예를 들면 현상제 수용 섹션(30) 및 현상제 공급 섹션(36)의 부분을 노출시키는 상측벽 개구(49)를 형성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하측벽(40)의 전방부(44)의 상측 에지는 상측벽 개구(49)의 전방측에서 상측벽(51)과 연결된다. 상측벽(41)은 전방부(44)의 상측 에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측벽 연장부(50)와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측벽 연장부(50)는 상측벽(41)의 전방 에지로부터 상측 전방 측벽(42)으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상측벽(41)은 상측벽 연장부(50)와 연속적일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벽 연장부(50)는 좌측벽 연장부(52)와 우측벽 연장부(53) 사이로 연장된다. 상측벽 연장부(50)는 좌측벽 연장부(52) 및 우측벽 연장부(53) 각각으로부터 외향으로 더욱 연장될 수 있다. 상측벽 연장부(50)의 상부면은 사실상 편평할 수 있고, 상측벽 연장부(50)의 전방 에지는 상측 전방 측벽(42)에 연결될 수 있다.
상측 전방 측벽(42)은 사실상 평면 형상을 갖고 상측벽 연장부(50)의 전방 에지로부터 사실상 수직으로 하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벽 연장부(52)와 우측벽 연장부(53) 사이의 상측 전방 측벽(42)의 부분은 현상 제 카트리지 케이싱(29)의 두께의 약 절반 정도로 하향으로 연장하고 좌측벽 연장부(52) 및 우측벽 연장부(53)를 넘어 연장하는 상측 전방 측벽(42)의 부분은 각각 더 작은 양으로 하향으로 연장된다.
돌출 부재(51)는 예를 들면 상측 전방 측벽(42)의 하측 에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돌출 부재(51)는 좌측 측벽 연장부(52) 및 우측 측벽 연장부(53)의 전방 에지에 사실상 대응하는 부분에서 상측 전방 측벽(42)의 하측 에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돌출 부재(51)는 상측 전방 측벽(42)과 동일한 평면에서 연속적으로 형성된 사실상 얇은 장방형 플레이트형 부재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80)를 무시하고, 상측 전방 측벽(42) 및 돌출 부재(51)는 사실상 편평한 외부면을 갖는 역"U"자형 형상을 형성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U"자형의 기부는 상측 전방 측벽(42)에 의해 형성되고 상측 전방 측벽(42)의 사실상 중심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노치(80)를 형성하도록 내향으로 만곡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6에 도시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좌측벽(38) 및 우측벽(39)은 서로 사실상 평행하고 상측벽(41) 및 하측벽(40)을 거쳐 연결된다. 상측벽(41) 및 하측벽(40)은 좌측벽(38) 및 우측벽(39)에 사실상 수직으로 연장된다.
좌측벽(38) 및 우측벽(39)의 후방 에지는 하측벽(40)의 후방부(43)의 후방 에지와 상측벽(41)의 후방 에지로 연장될 수 있고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29)의 개방측면(8)을 형성할 수 있다. 좌측벽(38) 및 우측벽(39)의 전방 에지는 상측 전 방 측벽(42) 및/또는 돌출 부재(51)로 연장될 수 있다.
교반기(46)의 외부 원주방향 경로의 전방측을 따라 사실상 상향으로 굴곡된 하측벽(40)의 전방부(44)의 전방측은 좌측벽(38) 및 우측벽(39)의 대응 부분(38A, 39A)을 형성하기 위해 좌측벽(38) 및 우측벽(39)의 중앙 전방부에 연결될 수 있다.
교반기(46)에 대면하는 하측벽(40)의 전방부(44)의 내부면은 현상제 수용 섹션(30)의 전방부를 형성한다. 드럼 카트리지(27)에 대면하고 위치설정 부재(84)를 포함하는 하측벽(40)의 전방부(44)의 외부면은 상측 연장부(37)의 후방 경계를 형성한다.
상측벽 연장부(50), 좌측벽 연장부(52) 및 우측벽 연장부(53)(즉, 측벽 연장부의 제1 쌍)는 하측벽(40)의 전방부(44)의 외부면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전방으로 연장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측벽 연장부(50), 좌측벽 연장부(52) 및 우측벽 연장부(53)는 하측벽(40)의 전방부(44)로부터 사실상 수직으로 연장된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상측 연장부(37)는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29)의 좌측 또는 우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길이 방향으로 하측벽(40)의 전방부(44)를 넘어 연장되도록 경사지게 계속 연장되거나 만곡된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상측 연장부(37)는 상측 연장부(37)의 부분이 상측벽(41)을 넘어 상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측벽(40)을 넘어 전방으로만 돌출된다.
내부에 제공된 벽 및 부분의 설명에서, 벽 및 부분은 연속적으로 연결되고/연장되는 것으로서 설명되었지만, 소정의 실시예에서 벽은 예를 들면 장착벽부 또는 세그먼트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카트리지의 상측 프레임(35)은 사실상 편평한 전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현상제 수용 섹션(30)에 대응하는 상측 프레임(35)의 부분은 약간 볼록형 부분을 형성하도록 약간 상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측 프레임(35)은 하측 프레임(34)에 장착되고 하측 프레임(34)의 상측벽 개구(49)를 밀봉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프레임(35)은 상측 프레임(35)의 내부면을 따라 복수의 리브(54)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54)는 좌측벽(38)과 우측벽(39) 사이로 폭방향으로 사실상 연장되고 서로 사실상 평행할 수 있다. 소정의 간격이 인접한 리브(54) 사이에 존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측 격벽(55)은 하측벽(40)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어 현상제 공급 섹션(36) 및 현상제 수용 섹션(30)을 분할한다. 하측 격벽(55)은 현상제 롤러(32)에 대면하는 상측 프레임(34)의 내부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하는 상측 격벽(56)과 사실상 정렬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격벽(56)과 하측 격벽(55) 사이에는 갭이 존재한다. 갭은 현상제 수용 섹션(30) 내에 저장된 현상제를 현상제 공급 섹션(36)에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통로(58)에 대응한다. 상측부(56) 및 하측부(55)는 또한 현상제 공급 섹션(36)의 전방측 및 현상제 수용 섹션(30)의 후방측을 형성한다.
전술한 특징을 갖는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29)은 하측 격벽(55) 및 상측 격벽(56)의 후방에 내부 공간을 포함한다. 하측 격벽(55) 및 상측 격벽(56)의 후방의 내부 공간은 현상제 공급 섹션(36)을 형성한다. 하측 격벽(55) 및 상측 격벽 (56)의 전방의 내부 공간은 현상제 수용 섹션(30)을 형성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현상제 수용 섹션(30)에 저장된 현상제는 양으로 대전될 수 있는 비자성 단일 성분 토너일 수 있다. 토너는 현탁액 중합법과 같은 공지의 중합법을 사용하여 중합성 모노머를 공중합함으로써 얻어진 중합 토너일 수 있다. 중합성 모노머는 스티렌 모노머(예를 들면, 스티렌)와 같은 스티렌계 모노머 또는 아크릴산, 알킬(C1-C4) 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C1-C4)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아크릴계 모노머일 수 있다. 중합 프로세스는 고품질 화상이 형성될 수 있도록 양호한 유동성을 갖는 사실상 구형 토너 입자를 형성한다.
카본 블랙과 같은 왁스 및/또는 착색제가 토너와 함께 조합될 수 있다. 토너의 유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리카가 또한 첨가될 수 있다. 다양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토너의 평균 입경은 약 6 ㎛ 내지 약 10 ㎛이다.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실시예에서, 현상제 수용 섹션(30)은 하측 프레임(34)의 좌측벽(38) 및 우측벽(39)의 각각에 토너 검출 윈도우(85)를 구비할 수 있다. 토너 검출 윈도우(85)는 토너 검출 윈도우(85)가 서로 대향하도록 좌측벽(38) 및 우측벽(39)의 대면 하측부에 배열될 수 있다.
현상제 수용 섹션(30) 내의 현상제의 양이 부족하게 되거나 고갈될 때[즉, 현상제 공급이 토너 검출 윈도우(85) 중 하나를 조사하는 광이 현상제 수용 섹션(30)을 통해 및 다른 토너 검출 윈도우(85)를 통해 통과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충분히 높지 않음], 현상제 부족/고갈 센서(371)(도25)로부터의 광이 토너 검출 윈도우(85) 양자를 통과하고 현상제 부족/고갈 신호가 트리거된다. 현상제 부족/고갈 센 서(371)는 주 케이싱(2)에 제공될 수 있다.
현상제(예를 들면, 토너)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46)가 현상제 수용 섹션(30) 내에 수용되고 현상제 통로(58)를 거쳐 현상제 공급 섹션(36)에 현상제를 공급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기(46)의 회전 샤프트(59)는 현상제 수용 섹션(30)의 중심에 사실상 제공된다. 교반기(46)의 회전 샤프트(59)는 좌측벽(38) 및 우측벽(39)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교반기(46)는 예를 들면 하측벽(40)의 전방부(44)의 내부면(44D)에 의해 형성된 바와 같이 현상제 수용 섹션(30)의 경계를 향해 회전 샤프트(59)로부터 연장하는 교반 부재(60)를 포함한다. 좌측벽(38)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 샤프트(59)의 좌측 단부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벽(38)의 현상제 수용 섹션(30) 부분(38A)을 통과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교반 부재(60)가 회전할 때 필름이 현상제 수용 섹션(30)의 내부면(44D)을 따라 미끄러져서 현상제 수용 섹션(30) 내에 수용된 현상제(예를 들면, 토너)를 혼합하는 것을 조력하도록 필름(도시 생략)이 교반 부재(60)의 단부(들)에 제공될 수 있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공급 개구(47)는 우측벽(39)에 제공될 수 있다. 현상제 공급 개구(47)는 현상제 수용 섹션(30)이 고갈될 때 현상제 수용 섹션(30)이 현상제(예를 들면, 토너)로 충전될 수 있게 한다. 현상제 공급 개구(47)는 현상제 수용 섹션(30)에 대응하는 부분에서의 우측벽(39)의 부분(39A) 내의 둥근 개구일 수 있다. 공급 캡 부재(48)가 현상제 공급 개구(47)를 밀봉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캡 부재(48)는 공급 캡 부재(48)가 현상제 공급 개구(47)의 외부로 현상제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우측벽(39)의 외부면을 오버랩하도록 현상제 공급 개구(47)보다 약간 큰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현상제 공급 개구(47)가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수용 섹션(30)에 인접한 것은 현상제 카트리지(28)의 현상제 공급 섹션(36)이다. 현상제 공급 섹션(36)에서, 현상제 공급 롤러(31)가 현상제 공급 섹션(36)의 전방-하측부에 배열되고 좌측벽(38) 및 우측벽(39)에 사실상 수직으로 연장된다. 현상제 공급 롤러(31)는 공급 롤러 샤프트(62)의 주연을 덮는 스폰지 롤러(63) 및 공급 롤러 샤프트(62)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 롤러 샤프트(62)는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고, 스폰지 롤러(63)는 도전성 발포체로 제조될 수 있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공급 롤러 샤프트(62)의 좌측 단부는 좌측벽(38)으로부터 돌출되고 좌측벽(38)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현상제 롤러(32)는 또한 현상제 공급 섹션(36)에 배열된다. 현상제 롤러(32)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공급 섹션(36)의 후방-하측부에서 현상제 공급 롤러(31)의 후방에 배열된다. 현상제 롤러(32) 및 현상제 공급 롤러(31)는 서로 압력 접촉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롤러(32)의 일측은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29)의 현상제 공급 섹션(36)의 후방 단부(87)를 넘어 약간 돌출하고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29)의 개방측(8)을 거쳐 노출된다.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29)의 후방 단부(87)는 개구(16)를 형성한다.
현상제 롤러(32)는 좌측벽(38) 및 우측벽(39)에 사실상 수직인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현상제 롤러 샤프트(64) 및 롤러(65)를 포함한다. 롤러(65)는 현상제 롤러 샤프트(64)의 주연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현상제 롤러 샤프트(64)는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고 롤러(65)는 도전성 고무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전성 고무 재료는 예를 들면 플루오르 함유 우레탄 고무 또는 플루오르 함유 실리콘 고무로 덮인 표면을 갖는 탄소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도전성 우레탄 또는 실리콘 고무일 수 있다.
현상제 롤러 샤프트(64)의 좌측 및 우측 단부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벽(38) 및 우측벽(39)으로부터 각각 돌출된다.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롤러 샤프트(62)의 우측 단부 및 현상제 롤러 샤프트(64)의 우측 단부는 베어링 부재(82)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베어링 부재(82)는 절연성 수지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우측벽(39)에 배열될 수 있다. 칼라 부재(83)가 공급 롤러 샤프트(62)의 좌측 단부 및 현상제 롤러 샤프트(64)의 좌측 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칼라 부재(83)는 현상제 롤러 샤프트(6)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 모두에 제공된다.
칼라 부재(83)는 사실상 동일한 전위에서 현상제 공급 롤러(31) 및 현상제 롤러(32)를 유지하는 도전성 수지 재료로 구성될 수 있는 도전성 부재이다. 칼라 부재(83)는 현상제 롤러(32)의 현상제 롤러 샤프트(64)의 좌측 단부 및 현상제 공급 롤러(31)의 공급 롤러 샤프트(62)의 좌측 단부에 활주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현상제 롤러(32)의 현상제 롤러 샤프트(64)의 좌측 단부를 덮는 칼라 부재(83)의 부분은 현상제 롤러 전극(76)으로서 기능한다. 현상제 롤러 전극(76)은 현상제 카트리지(28)가 주 케이싱(2)에 탈거 가능하게 배열되거나 장착될 때 레이저 프린터(1)의 현상제 롤러 접촉 부재(175)에 접촉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 조절 부재(33)가 현상제 공급 섹션(36) 내에 제공된다. 두께 조절 부재(33)는 탄성/가요성 금속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는 가요성 부재(66) 및 가요성 부재(66)의 하단부의 가압 부재(67)를 포함한다. 가요성 부재(66)는 플레이트형 부재의 형태일 수 있다. 가압 부재(67)는 반원형 또는 볼록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절연성 실리콘 고무로 제조될 수 있다.
두께 조절 부재(33)는 현상제 롤러(32) 부근에 위치된다. 가요성 부재(66)의 상단부는, 가요성 부재(66)의 하단부에서 가요성 부재(66)의 탄성력에 의해 현상제 롤러(32)의 롤러(65)의 주위면에 대해 가압되도록 상측벽(41)의 지지 부재(57) 및/또는 상측벽(41)에 의해 지지된다.
현상제 카트리지(28)의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기어 기구(45)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벽(38)에 제공될 수 있다. 도9는 기어 커버(77)가 없는 도4에 도시된 대표적인 현상제 카트리지(28)의 좌측면도이다. 기어 기구(45)는 현상제 롤러(32), 현상제 공급 롤러(31) 및 교반기(46)에 기계적 구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구동력 입력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기어 기구(45)는 입력 기어(68), 교반기 구동 기어(69), 중간 기어(70), 현상제 롤러 구동 기어(71) 및 공급 롤러 구동 기어(72)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 에서, 기어[예를 들면, 현상제 롤러 구동 기어(71), 공급 롤러 구동 기어(72), 교반기 구동 기어(69), 중간 기어(70)]는 플레이트형 부재의 중심에 개구를 갖는 톱니형 외부 에지를 구비한 둥근 판형 부재의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대표적인 기어는 기어의 중심에서 개구를 통해 사실상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축 둘레로 회전한다. 둥근 플레이트형 부재의 회전에 의해 형성된 평면은 기어가 구동될 때 좌측벽(38)에 평행하거나 사실상 평행하다. 이하의 설명에서, 기어[예를 들면, 현상제 롤러 구동 기어(71), 공급 롤러 구동 기어(72), 교반기 구동 기어(69), 중간 기어(70)]는 기어의 회전에 의해 형성된 평면의 좌측벽(38)에 평행할 때 좌측벽(38)에 평행한 것으로 칭할 수 있다. 톱니형 외부 에지는 다른 기어의 톱니형 외부 에지와 결합한다.
입력 기어(68)는 구동력 전달부로서 기능하고 좌측벽(38)의 상측 후방부에서 좌측벽(38)에 사실상 평행하게 배열된다. 중간 기어(70)는 좌측벽(38)에 사실상 평행하게 배열된다. 중간 기어(70)는 입력 기어(68)의 전방 및 좌측에 배열된다. 중간 기어(70)는 입력 기어(68)와 결합한다.
교반기 구동 기어(69)는 교반기(46)의 회전 샤프트(59)의 좌측 단부에 제공된다. 교반기 구동 기어(69)는 좌측벽(38)에 사실상 평행하게 배열된다. 교반기 구동 기어(69)는 중간 구동 기어(70)의 전방 및 우측에 배열된다. 교반기 구동 기어(69)는 중간 기어(70)와 결합한다.
현상제 롤러 구동 기어(71)는 현상제 롤러 샤프트(64)의 좌측 단부에 배열된다. 현상제 롤러 구동 기어(71)는 좌측벽(38)에 사실상 평행하다. 현상제 롤러 구동 기어(71)는 입력 기어(68)의 후방 및 좌측에 있다. 현상제 롤러 구동 기어(71)는 입력 기어(68)와 결합한다.
공급 롤러 구동 기어(72)는 공급 롤러 샤프트(62)의 좌측 단부에 배열된다. 공급 롤러 구동 기어(72)는 사실상 좌측벽(38)에 평행하다. 공급 롤러 구동 기어(72)는 입력 기어(68)의 사실상 하부에 배열된다. 공급 롤러 구동 기어(72)는 입력 기어(68)와 결합한다.
교반기 구동 기어(69), 현상제 롤러 구동 기어(71) 및 공급 롤러 구동 기어(72)는 회전 샤프트(58), 현상제 롤러 샤프트(64) 및 공급 롤러 샤프트(62)와 각각 일체로 회전 가능하다. 즉, 교반기 구동 기어(69), 현상제 롤러 구동 기어(71) 및 공급 롤러 구동 기어(72)는 회전 샤프트(59), 현상제 롤러 샤프트(64) 및 공급 롤러 샤프트(62) 각각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다.
입력 기어(68)의 사실상 중심부에서, 연결 구멍(74)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된다. 이를 통해 구동력이 입력되는 커플링 부재(73)(도26)가 연결 구멍(74)을 거쳐 연결된다. 커플링 부재(73)는 입력 기어(68)와 일체로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된다.
도5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 기구(45)는 좌측벽(38)에 장착된 기어 커버(77)로 덮일 수 있다. 기어 커버(77)는 좌측벽(38)에 사실상 평행하게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을 포함할 수 있다. 기어 커버(77)는 적어도 하나의 벽으로부터 좌측벽(38)을 향해 연장하는 복수의 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벽은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들)는 다양한 기어[예를 들면, 입력 기어(68), 현상제 롤러 구동 기어(71), 공급 롤러 구동 기어(72), 교반기 구동 기어(69), 중간 기어(70)] 및/또는 토너 검출 윈도우(85) 및 토너 검출 개구(101)로의 접근을 허용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 커버(77)는 입력 기어(68)에 접근하기 위한 개구(75)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 커버(77)는 입력 기어(68)가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입력 기어(68)를 노출시키고 회전 가능하게 하는 개구(75)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 커버(77)는 또한 중간 기어(70), 교반기 구동 기어(69), 현상제 롤러 구동 기어(71) 및 공급 롤러 구동 기어(72)의 전체 또는 일부를 덮는다. 현상제 롤러 샤프트(64)의 좌측 단부는 기어 커버(77)의 외부면을 넘어 돌출한다. 현상제 롤러 샤프트(64)는 좌측벽(38)을 통해 돌출되고 좌측벽(38)과 기어 커버(77) 사이의 공간을 통해 연장되고, 폭방향으로[즉, 좌측벽(38)에 사실상 평행하게] 기어 커버(77)의 외부면을 넘어 돌출된다.
커버 연장부(86)가 기어 커버(77)의 상측 전방부에 제공될 수 있다. 대표적인 커버 연장부(86)는 기어 커버(77)로부터 폭방향으로 외향으로 돌출하고, 또한 좌측벽(38)에 사실상 평행하게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커버 연장부(86)는 좌측벽 연장부(52)의 상측부를 부분적으로 오버랩하고 상측벽(41) 상부로 약간 연장된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연장부(86)는 현상제 카트리지(28)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27)에 장착될 때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좌측벽(96)의 좌측에 배열된다. 커버 연장부(86)는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좌측벽 (96)의 가능한 만곡을 감소시킨다.
현상제 카트리지(28)의 대표적인 실시예는 기어 커버(77)를 포함하지만, 소정의 실시예에서 기어 커버 및/또는 커버 연장부가 생략될 수도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기어 커버(77) 및/또는 커버 연장부(86)는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29)을 일체로 구비할 수 있다.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파지부(78) 및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가 상측 연장부(37)에 제공된다. 파지부(78)는 상측 연장부(37)에서 제1 절결부로서의 노치(80)에 배열된 핸들(81)을 포함한다. 노치(80)(제1 노치부)는 상측 연장부(37)의 전방-상부 코너부를 따라 형성되고 상측벽 연장부(50) 및 상측 전방 측벽(42)의 전방 및 상부 에지의 사실상 중심부를 따라 연장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노치(80)에 인접하는 상측벽 연장부(50)의 부분은, 상측벽 연장부(50)의 다른 부분이 상부로부터 볼 때 사실상 "U"형 부분을 형성하는 한 전방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노치(80)에 대응하는 상측 전방 측벽(42)의 부분은 상측벽 연장부(50)의 사실상 전방 중심부를 따라 사실상 "U"형 부분을 형성하는 상측벽 연장부(50)의 전방 에지를 따라 내향(즉, 후방을 향해)으로 만곡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실시예에서 현상제 카트리지(28)는 상측 연장부(37)의 전방 상측 코너부에 수용부(352)를 포함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352)는 상측 전방 측벽(42) 및 상측벽 연장부(50)의 개구 또는 절결부일 수 있다. 돌출부(351)는 대표적인 레이저 프린터(1)의 전방 커버(7)로부터 돌 출되고 부정확한 현상제 카트리지가 주 케이싱(2)에 설치되고/배열되는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조력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수용부(352)는 전방 커버(7)가 폐쇄될 때 도5에 도시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현상제 카트리지(28)의 좌측-전방 상단부에 대응하는 대응 돌출부(351)를 수납할 수 있는 위치에 제공된다.
도11은 도1에 도시된 대표적인 프로세스 카트리지(20) 및/또는 대표적인 주 케이싱(2)에 의해 장착/탈거 가능하게 이용 가능한 드럼 카트리지(27)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12는 도11에 도시된 대표적인 드럼 카트리지(27)의 전방-상부-좌측면 사시도이다.
도11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표적인 드럼 카트리지(27)는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 감광 부재로서의 감광 드럼(92), 대전기(93)(예를 들면, 스크로트론형 대전기), 전사 롤러(94) 및 세척 부시(95)를 포함한다. 대전기(93)는 감광 드럼(92)의 주위면을 대전하기 위한 대전 수단으로서의 스크로트론형 대전기)이다. 전사 롤러(94)는 감광 드럼(92) 상에 현상된 화상을 전사하기 위한 전사 수단이다. 세척 부시(95)는 현상제 화상이 시트(3)에 전사된 후에 감광 드럼(92)의 주위면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예를 들면, 토너)를 제거하도록 감광 드럼(92)의 주위면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 수단이다.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은 수지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이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은 좌측벽(96), 우측벽(97), 저부벽(98), 하측 전방 측벽(99) 및 상측 후방 측벽(100)(제2벽부로서)을 포함할 수 있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좌측벽(96) 및 우측벽(97)은 서로 사실상 평행하게 배열된다. 좌측벽(96)과 우측벽(97) 사이에는 공간이 존재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좌측벽(96) 및 우측벽(97)은 좌측벽(96)의 내부면이 우측벽(97)의 내부면에 대면하도록 배열된다. 감광 드럼(92)은 좌측벽(96)과 우측벽(97) 사이에 배열된다. 그 둘레로 감광 드럼(92)이 회전하는 축은 좌측벽(96) 및 우측벽(97)에 사실상 수직이다.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은 드럼 수납부(102), 현상제 카트리지 수납부(103) 및 하측 연장부(104)를 포함한다.
좌측벽(96) 및 우측벽(97) 각각은 후방 측벽부(105L, 105R) 각각, 전방 측벽부(106L, 106R) 각각 및 연장벽부(107L, 107R) 각각을 포함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좌측벽(96)의 각각의 부분[즉, 후방 측벽부(105L), 전방 측벽부(106L) 및 연장벽부(107L)]의 특징부는 우측벽(97)의 각각의 부분[즉, 즉, 후방 측벽부(105R), 전방 측벽부(106R) 및 연장벽부(107R)]의 특징부와 상이하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태양과 관련된 대표적인 실시예의 각각의 부분의 특징부를 이하에 설명한다.
좌측벽(96) 및 우측벽(97)의 후방 측벽부(105L, 105R)는 제1벽(108L, 108R), 제2벽(109L, 109R), 제3벽(110L, 110R)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좌측벽(96)의 후방벽부(105L)는 제4벽(111), 제5벽(112), 제6벽(113) 및 제7벽(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14 내지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측벽부(105L)의 제1벽(108L)은 좌측벽(6)의 전방 측벽부(106L)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한다. 제2벽(109L)은 제1벽 (108L)에 사실상 평행할 수 있고 제1벽(108L)의 하부 및 우측에 존재한다.
제3벽(110L)은 제1벽(108L)의 저부 경계와 제2벽(109L)의 상부 경계를 연결하기 위해 제1벽(108L) 및 제2벽(109L)에 사실상 수직이다. 제4벽(111)은 제1벽(108L)에 사실상 수직이고 제1벽(108L)과 제2벽(109L) 상부에서 이들 사이에 배열된다.
제5벽(112)은 제4벽(111)의 저부 경계를 제1벽(108L)의 상측 경계와 연결한다. 제6벽(113)은 제1벽(108L), 제2벽(109L) 및 제4벽(111)의 후방 및 우측에 배열된다. 제7벽(114)은 제2벽(109L), 제4벽(111) 및 제6벽(113)을 함께 연결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제1벽(108L)은 좌측벽(96)의 후방 측벽부(105L)의 제1벽(108L), 제2벽(109L), 제3벽(110L), 제4벽(111), 제5벽(112), 제6벽(113) 및 제7벽(114)의 최외부(예를 들면, 최좌측)에 있다. 제1벽(108L)은 예를 들면 전방 측벽부(106L)와 동일 평면을 따라서 연장되고 측면으로부터 볼 때 좌측벽(96)의 후방 측벽부(105L)의 중심부를 사실상 둘러싼다. 제1벽(108L)의 상부 후방부는 감광 드럼(92)의 부분의 형상에 사실상 대응하는 굴곡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17 및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벽(109L, 109R)은 반전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삼각형 형상 제2벽(109L, 109R)의 '기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2벽(109L, 109R)이 각각의 제3벽(110L, 110R)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도록 각각의 제3벽(110L, 110R)에 연결된다. 제2벽(109L, 109R)의 저부면은 각각 비교적 라운딩된 또는 첨예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벽(109L, 109R) 각각의 두께는 제2벽(109L, 109R)의 사실상 중간부에서 최대일 수 있다. 제 2벽(109L, 109R) 각각의 두께는 제2벽(109L, 109R)의 전방 및 후방을 향해 점진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즉, 반전 삼각형 형상을 형성함). 전사 롤러((4)는 제2벽(109L, 109R) 각각 사이에 수용된다. 제2벽(109L, 109R) 각각의 가장 두꺼운 부분은 사실상 접지 전극(127)과 전사 전극(137) 하부에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3벽(110L, 110R)의 각각은 각각의 제1벽(108L, 108R)의 저부 부분에 각각의 제2벽(109L, 109R)의 상부 부분을 연결한다. 제2벽(109L, 109R) 각각의 비교적 첨예한 또는 라운딩된 저부 에지는 후방 측벽부(105L, 105R) 각각의 최저부에 대응한다.
제4벽(111)은 일반적으로 감광 드럼(92)의 대응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오목 저부를 가질 수 있다. 제4벽(111)은 제1벽(108L)의 상부 및 우측과 제2벽(109L)의 좌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4벽(111)의 상부 부분은 후방 측벽부(105L)의 상부 부분에 대응한다. 제4벽(111)의 최상부 에지는 제4벽(111)의 최상부 에지의 최후방 단부가 제4벽(111)의 최상부 에지의 최전방 단부보다 낮도록 수평에 대해 경사진다.
제5벽(112)은 제4벽(111)의 저부 부분에 제1벽(108L)의 상부 부분을 연결한다. 제5벽(112)은 제1벽(108L) 및 제4벽(111)에 사실상 수직이다. 제6벽(113)은 사실상 마름모꼴 형상이고 제1벽(108L)에 사실상 평행한 평면에서 연장하며 후방 측벽부(105L)의 최내부를 포함한다.
제7벽(114)은 제4벽(111)에 제6벽(113)의 부분을 연결하고 제2벽(109L)에 제6벽(113)의 다른 부분을 연결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제7벽(114)은 제4벽 (111)의 후방부에 제6벽(113)의 사실상 마름모꼴 형상의 일측을 사실상 연결하고 제2벽(109L)의 후방부에 제6벽(113)의 사실상 마름모꼴 형상의 다른측을 더 연결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제7벽(114)은 제1벽(108L)에 사실상 수직이다.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 드럼 구동 기어(191)의 부분은 제1벽(108L)의 후방을 넘어 연장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감광 드럼 기어 개구(196)가 제3벽(110L) 및 제4벽(112) 사이에 제공된다. 감광 드럼 기어 개구(196)는 감광 드럼 구동 기어(191)의 부분을 노출시킨다.
도18은 도3에 도시된 대표적인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우측면도이다. 도19는 도3에 도시된 대표적인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전방 측면도이다. 도22는 도11에 도시된 대표적인 드럼 카트리지(27)의 폭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18, 도19 및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벽(97)의 후방 측벽부(105R)는 제1벽(108R), 제2벽(109R) 및 제3벽(110R)을 일체로 구비할 수 있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도17, 도18 및 도19에 도시된 우측벽(97)의 후방 측벽부(105R)의 제1벽(108R)의 형상은 좌측벽(96)의 후방 측벽부(105L)의 제1벽(108L)의 형상과 상이하다.
또한, 우측벽(97)의 후방 측벽부(105R)의 제2벽(109R)의 형상은 좌측벽((6)의 후방 측벽부(105L)의 제6벽의 저부 부분 및 좌측벽((6)의 후방 측벽부(105L)의 제2벽(109L)의 전체 형상에 사실상 대응한다. 우측벽(97)의 후방 측벽부(105R)의 제3벽(110R)은 우측벽(97)의 후방 측벽부(105R)의 제2벽(109R)의 상부 부분에 우측벽(97)의 후방 측벽부(105R)의 제1벽(108R)의 저부 부분을 연결한다.
도11 및 도12는 좌측벽(96) 및 우측벽(97)의 전방 측벽부(106L, 106R)가 드럼 카트리지(27)에 대한 현상제 카트리지(28)의 장착 및 탈거 동안에 현상제 롤러 샤프트(64)의 좌측 및 우측 단부를 각각 안내하기 위한 샤프트 안내부(115)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도시한다. 현상제 롤러 샤프트 수용부(116)는 샤프트 안내부(115)의 후방 단부에 제공되고 현상제 카트리지(28)가 드럼 카트리지(27)에 장착될 때 샤프트 안내부(115)를 따라 안내되고 있는 현상제 롤러 샤프트(64)의 단부를 위한 정지/조절 부재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샤프트 안내부(115)는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좌측벽(96) 및 우측벽(97) 각각의 전방 측벽부(106L, 106R)의 상측 경계를 형성한다. 샤프트 안내부(115)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배열된 3개의 부분, 즉 수평부(115A), 제1 경사부(115B) 및 제2 경사부(115C)를 포함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경사부(115B)는 제2 경사부(115C)보다 수평에 대해 더 경사진다.
현상제 롤러 샤프트 수용부(116)는 후방 측벽부(105R, 105L)의 상측부로부터 약간 상향으로 돌출하고 좌측벽(96) 및 우측벽(97) 각각의 샤프트 안내부(115)의 후방의 부분을 오버랩하는 돌출벽(117)에 의해 형성된 사실상 비스듬한 U형 노치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좌측벽(96) 및 우측벽(97)의 연장벽부(107L, 107R)는 좌측벽(96) 및 우측벽(97)의 각각의 전방 측벽부(106L, 106R)와 연속적으로 이들과 동일 평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11 및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저부벽(98)은 우측벽(97) 및 좌측벽(96) 각각의 하측부 사이에 사실상 개재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저부벽(98)은 후방 저부벽부(193), 전방 저부벽부(194) 및 저부 연장벽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 저부벽부(193)는 예를 들면 우측벽(97)의 제2벽(109R)의 저부 부분과 좌측벽(6)의 제2벽(109R)의 저부 부분을 함께 연결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후방 저부벽부(103)는 사실상 V형 형상을 갖는다.
하부 연장벽부(195), 전방 저부벽부(194) 및 후방 저부벽부(193)는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저부 연장벽부(195)는 우측벽(97)의 연장벽부(107R)와 좌측벽(96)의 연장벽부(107L) 사이에 사실상 개재될 수 있다. 전방 저부벽부(194)는 우측벽(97)의 전방 측벽부(106R)와 좌측벽(96)의 전방 측벽부(106L) 사이에 사실상 개재될 수 있다.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은 저부 연장벽부(195)의 전방 에지로부터 사실상 수직으로 상향으로 연장되는 하측 전방 측벽(99)을 포함할 수 있다. 하측 전방 측벽(99) 및 저부 연장벽부(195)는 노치(119)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노치(119)는 폭방향으로 하측 전방 측벽(99)의 사실상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하측 전방 측벽(99)은 내부에 형성된 노치(119)를 가질 수 있고, 저부 연장벽부(195)는 노치(119)가 드럼 카트리지(27)의 저부로부터 볼 때 보이지 않을 수 있도록 하측 연장부(104)의 전체 폭 및 길이를 사실상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저부 연장벽부(195)는 전방 저부벽부(194)와 일체로 형성된 제1층(195A) 및 제1층(195A)에 대해 장착 및 탈거될 수 있는 제2층(195B)을 포함하는 다중층의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저부 연장벽부(195)의 제1층(195A)은 제1층(195A)에 형성된 노치(119)를 가질 수 있고 제2층(195B)은 제1층(195A)의 적어도 일부 및 노치(119)의 폭을 가로질러 폭방향으로 상측 정합 롤러(14)의 전방측으로부터 제1층(195A)의 노치(119)의 전방 단부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2층(195B)은 제1층(195A)에 장착 및 탈거 가능할 수 있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전방 측벽(99)의 좌측 및 우측 측면은 좌측벽(96) 및 우측벽(97)과 각각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전방 측벽(99)은 현상제 카트리지(28)가 드럼 카트리지(27)에 장착될 때 상/하 방향으로 상측 전방 측벽(42)과 정렬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하측 전방 측벽(99)의 전방면은 편평-플레이트형 형상을 갖는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119)는 현상제 카트리지(28)가 드럼 카트리지(27)에 장착될 때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29)의 상측 전방 측벽(42) 내의 노치(80)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하측 전방 측벽(99)에 제공될 수 있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노치(119)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실상 장방형 형상이다. 현상제 카트리지(28)가 드럼 카트리지(27)에 장착될 때, 사실상 장방형 형상 개구가 하측 전방 측벽(99)의 노치(119)와 상측 전방 측벽(42)의 노치(80)의 조합에 의해 형성된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전방 측벽(99)의 우측 및 좌측 단부에는 수 용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하측 전방 측벽(99)의 수용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29)의 상측 전방 측벽(42)으로부터 돌출되는 각각의 돌출 부재(51)를 수납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각각의 수용부(120)는 하측 전방 측벽(99)에 전방 돌출 홈형부에 의해 형성된다.
도12 및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부재(51)는 현상제 카트리지(28)가 드럼 카트리지(27)에 장착될 때 대응 수용부(120)에 의해 수납될 수 있다.
이제 드럼 카트리지(27)의 후방을 참조하면,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27)는 좌측벽(96) 및 우측벽(97)의 각각의 후방 측벽부(105L, 105R)의 상측부를 연결하기 위해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측 후방 측벽(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측 후방 측벽(100)은 사실상 편평-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상측 후방 측벽(100)의 전방 단부가 상측 후방 측벽(100)의 후방 단부보다 높도록 수평에 대해 경사진다.
상측 후방 측벽(100)은 대표적인 드럼 카트리지(27)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실상 장방형 형상 레이저 입사 윈도우(121)를 그의 전방부에 포함할 수 있다. 상측 후방 측벽(100)에는, 대전기(93)를 지지하는 대전기 지지 부재(들)(122)와 세척 브러시(95)를 지지하는 브러시 지지 부재(들)(123)가 제공될 수 있다.
도11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 좌측벽(96) 및 우측벽(97)의 각각의 후방 측벽부(105L, 105R)가 저부벽(98)의 하측 저부벽부(193) 및 상측 후방 측벽(100)에 의해 연결된다. 후방 저부벽부(193)는 드럼 수납부(102)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상측 후방 측벽(100)에 사실 상 대향하여 배열될 수 있다.
드럼 수납부(102)는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후방 단부에 제공될 수 있고 사실상 폐쇄 공간일 수 있다. 도11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수납부(102)는 사실상 개방된 전방측을 갖고, 드럼 수납부(102)의 상측, 후방 및 하측은 사실상 폐쇄된다. 사실상 개방된 전방측은 드럼 수납부(102)의 개방된 전방측으로부터 노출된다.
좌측벽(96)의 전방 측벽부(106L) 및 우측벽(97)의 전방 측벽부(106R) 및 저부벽(98)의 전방 저부벽부(194)는 현상제 카트리지 수납부(103)를 형성한다. 현상제 카트리지 수납부(103)는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사실상 중심부에 제공될 수 있다. 현상제 카트리지 수납부(103)는 그의 상부측에서 개방되고,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현상제 카트리지(28)는 현상제 카트리지 수납부(103)에 현상제 카트리지(28)를 배치함으로써 드럼 카트리지(27)에 장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은 하측 연장부(103)를 포함한다. 하측 연장부(104)는 현상제 카트리지 수납부(103)의 전방측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드럼 수납부(102)는 현상제 카트리지 수납부(103)의 후방측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좌측벽(96)의 연장벽부(107L), 우측벽(97)의 연장벽부(107R), 저부벽(98)의 저부 연장벽부(195) 및 하측 전방 측벽(99)은 대표적인 하측 연장부(104)를 형성한다.
도11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연장부(104)는 현상제 카트리지 수납부(103)로부터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전방측으로 연장하는 공간을 형성한 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하측 연장부(104)는 현상제 카트리지 수납부(103)와 연속적이며, 하측 연장부(104)의 상부측은 개방되어 있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저부벽부(194)는 단차형 방식으로 배열된 제1부(194A) 및 제2부(194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트(3)가 진입하여 통과될 수 있는 개구(332)가 제1부(194A)와 제2부(194B) 사이에 형성된다. 제2부(194B)의 상측면(194D)은 제1부(194A)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제2부(194B)의 상측면(194D)은 제2부(194B)의 최전방 단부에 제1부(194A)에 대해 더 경사져 있는 경사진 플레이트부(331)를 포함할 수 있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194B)의 상측면(194D)은 복수의 용지 안내 리브(194C)를 포함할 수 있다. 용지 안내 리브(194C)는 사실상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공간이 용지 안내 리브(194C)의 인접한 것들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실시예에서, 용지 안내 필름(333)이 경사진 플레이트부(331)의 후방 단부에 제공된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안내 필름(333)은 예를 들면 경사진 플레이트부(331)의 후방 단부의 중심에서 소정의 폭을 갖는 영역을 개재하는 두 개의 부분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용지 안내 필름(333)을 제공함으로써, 개구(332)로부터 드럼 카트리지(27)로 진입하는 시트(3)가 용지 안내 필름(333)을 따라 전진하고, 시트(3)의 선단부가 감광 드럼(92)의 주위면에 접촉한다. 시트(3)의 선단부는 감광 드럼(92)의 회전에 기초하여 감광 드럼(92)과 전사 롤러(94) 사이로 유도된다. 시트(3)가 감광 드럼(92)과 접촉한 후에 시트(3)를 감광 드럼(92)과 전사 롤러(94) 사이에 유도함으로써, 시트(3)가 감 광 드럼(92)의 대전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감소되고 바람직하게는 제거된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 드럼(92)은 드럼 수납부(102) 내에 배열된다. 이 감광 드럼(92)은 원통형 형상을 갖고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는 양으로 대전된 감광층 및 드럼 샤프트(125)로 형성될 수 있는 드럼 본체(124)를 포함한다. 감광 드럼(92)의 최외부면층은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드럼 샤프트(125) 및 드럼 본체(124)는 드럼 카트리지(27)의 폭방향으로 연장된다. 드럼 샤프트(125)는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본체(124)의 축방향 중심을 따라 연장된다.
드럼 샤프트(125)는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좌측벽(96) 및 우측벽(97)에 의해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 지지 부재(190)가 드럼 본체(124)의 좌측 및 우측 단부에 제공된다. 회전 지지 부재(190)는 드럼 본체(124) 및 회전 지지 부재(190)가 드럼 샤프트(125)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드럼 샤프트(125)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도14 및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샤프트(125)의 좌측 단부는 좌측벽(96)의 제1벽(108L)으로부터 돌출된다. 드럼 샤프트(125)의 좌측 단부(125B)의 최외부면(125A)은 접지 전극(127)으로서 기능한다. 감광 부재 전극으로서의 접지 전극(127)은 주 케이싱(2)에 제공된 접지 전극 접촉부(171)에 접촉한다.
부가적으로, 드럼 샤프트(125) 둘레에 회전식으로 지지된 감광 드럼 구동 기어(191)는 드럼 본체(124)와 함께 일체로 회전 가능하도록 드럼 본체(124)의 좌측 단부에 연결된다. 즉, 감광 드럼 구동 기어(191)는 드럼 본체(124)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및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 드럼 구동 기어(191)는 감광 드럼 기어 개구(196)로부터 노출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압축 스프링(192)이 드럼 본체(124)의 우측 단부에 제공된다. 압축 스프링(192)은 드럼 본체(124)의 우측 단부에서 회전 지지 부재(190)와 우측벽(97)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압축 스프링(192)은 드럼 본체(124)의 과회전이 감소되고 바람직하게는 방지되도록 드럼 구동 기어(191)의 회전에 대해 마찰 저항이 적용되도록 한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전기(93)가 드럼 수납부(102) 내에 배열될 수 있고 대전기 지지 부재(들)(12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대전기 지지 부재(들)(122)는 감광 드럼(92)의 상부 후방측에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대전기(93)는 상측 후방 측벽(100)을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대전기(93)는 감광 드럼(92)에 접촉하지 않도록 감광 드럼(92)으로부터 이격된다. 대전기(93)는 와이어(128), 그리드(129) 및 와이어 세척기(130)를 포함한다.
대전기 지지 부재(122)는 또한 와이어(128)를 지지할 수 있다. 와이어(128)는 좌측벽(96) 및 우측벽(97) 사이로 연장한다. 와이어 전극(131)이 와이어(128)의 좌측 단부에 연결되고, 예를 들면 시트 금속의 부재로 제조될 수 있다. 도14 및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전극(131)은 좌측벽(96)의 제4벽(111)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슬릿(111A)으로부터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고정된다.
그리드(129)는 드럼 카트리지(28)의 폭방향을 따라 좌측벽(96)과 우측벽(97) 사이로 와이어(128)의 하부로 연장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시트 금속의 부재로 제조된 그리드 전극(132)은 좌측벽(96)의 제4벽(111)에서 제2 슬릿(111B)으로부터 드럼 카트리지(28)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도14 및 도17에 도시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제4벽(111)의 그리드 전극(132)의 제2 슬릿(111B)은 그리드 전극(132)의 상단부가 그리드 전극(132)의 저부 단부보다 드럼 카트리지(27)의 후방부에 더 근접하도록 대각선으로 연장된다.
대전기 지지 부재(들)(122)는 또한 와이어 세척기(130)를 지지할 수 있다. 와이어 세척기(130)는 와이어(128)를 사실상 개재할 수 있고 드럼 카트리지(27)의 폭방향을 따라 활주식으로 지지된다. 드럼 카트리지(27)의 폭방향을 따라 와이어 세척기(130)를 활주함으로써, 와이어(128)가 세척될 수 있다.
드럼 수납부(102)에서, 전사 롤러(94)가 또한 감광 드럼(92)의 하부에 배열될 수 있다. 전사 롤러(94)는 금속으로 제조된 전사 롤러 샤프트(133) 및 전사 롤러 샤프트(133)의 주연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이온 도전성 고무 재료로 제조된 롤러(1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23a, 도23b 및 도23c는 도11에 도시된 대표적인 드럼 카트리지(27)의 대표적인 전사 롤러(94)의 좌측 단부를 도시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도23a는 폭방향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23b는 전사 전극(137)이 드럼 카트리지(27)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23c는 전사 전극(137)이 드럼 카트리지(27)에 장착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 롤러 샤프트(133)의 좌측 단부에, 전사 롤 러 구동 기어(135)가 배열될 수 있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전사 롤러 구동 기어(135)는 전사 롤러 샤프트(133)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다. 베어링 부재(136)가 전사 롤러 샤프트(133)의 좌측 및 우측 단부 모두에 제공될 수 있다. 베어링 부재(136) 중 하나는 전사 롤러 구동 기어(135)의 내부측에 인접하여 배열될 수 있다. 베어링 부재(136)는 전사 롤러 샤프트(133) 및 전사 롤러 구동 기어(135)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베어링 부재(136) 각각은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저부벽(98)에 제공된 베어링 지지 부재(14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베어링 지지 부재(144)는 하나 이상의 리브 및/또는 홈의 형태일 수 있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베어링 지지 부재(144) 각각의 리브는 저부벽(98)의 내부면을 따라 전사 롤러 샤프트(133)의 회전축에 사실상 수직으로 연장한다. 전사 롤러 샤프트(133)의 우측 및 좌측 단부는 저부벽(98) 상에 베어링 지지 부재(144)의 하나 이상에 의해 지지된 베어링 부재(136)의 하나에 의해 각각 회전식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전사 전극(137)은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전사 전극 보유부(138)에 의해 지지된다. 도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전사 롤러 샤프트(133)의 좌측 단부는 전사 롤러 구동 기어(135) 및 좌측에서 베어링 부재(136)를 통해 돌출되고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전사 전극 보유부(138)에 의해 지지된 전사 전극(137)의 전극 접촉부(141)에 접촉한다. 따라서, 전사 롤러 샤프트(133)는 예를 들면 우측에서 베어링 부재(136)와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좌측에서 전사 전극(137) 사이로 연장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전사 전극(137)은 도전성 수지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도23b 및 도2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부재(139), 돌출부(140) 및 전극 접촉부(141)를 일체로 포함할 수 있다. 전극 접촉부(141)는 결합 부재(139)의 내부면의 사실상 중심부로부터 이격되어 돌출될 수 있다. 도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접촉부(141)는 결합 부재(139)의 내부면으로부터 팽창된다. 전사 전극(137)은 전극 접촉부(141)를 거쳐 전사 롤러 샤프트(233)의 좌측 단부의 단부면에 접촉한다. 결합 부재(139)는 돌출부(140)를 지지하는 플레이트형 부재일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139)는 돌출 부재(1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전사 전극 개구(142)는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벽(96)의 제3벽(110L) 및 제2벽(109L) 각각에 사실상 장방형 절결부에 의해 형성된 연속 개구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도23b 내지 도2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벽(110L)의 절결부는 예를 들면 전사 전극(137)이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에 장착될 때 돌출부(140)가 제3벽(110L)에 접촉하지 않도록 돌출부(140)보다 약간 크고 제2벽(109L)의 절결부보다 작을 수 있다.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전사 전극 보유부(138)는 전사 전극 개구(142) 내에 전사 전극(137)을 수납하기 위한 수용부로서의 전사 전극 수용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전사 전극 수용부(143)는 결합 부재(139)를 수납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전사 전극(137)을 장착하기 위해, 전사 전극(137)은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내부로부터 삽입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사 전극(137)이 전사 전극 수용부(143)와 결합하는 전사 전극 보유부 (138) 내로 안내된다.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 전극 개구(142)는 전사 전극(137)이 제2벽(109L)의 전사 전극 보유부(138) 내로 삽입될 때 돌출부(140)가 제3벽(110L)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사 전극(137)이 전극 수용부(143)에 의해 결합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전사 전극(137)이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에 장착될 때 돌출부(140)가 제3벽(110L)을 통과하도록 전사 전극 개구(142)가 제공되기 때문에 전사 전극 개구(142)는 개방 유지된다. 돌출부(140)가 제3벽(110L)을 통과한 후에, 전사 전극 개구(142)가 개방된다(즉, 덮이지 않음).
따라서, 전사 전극(137)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사 전극(137)이 레이저 프린터(1)의 작동 중에 전사 전극 개구(142) 및 전사 전극 수용부(143)로부터 활주하고 및/또는 벗어나지 않도록 전사 전극 수용부(143)에 결합된다.
전사 및 전사 전극 수용부(143)는 예를 들면 전사 전극 개구부(142)의 각각의 측면에 서로 대면하여 위치된 두 개의 결합 리브(145)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리브(145)는 전사 전극 개구(142)의 전방측에 제공될 수 있고, 다른 결합 리브(145)가 전사 전극 개구(142)의 후방측에 제공될 수 있다.
도23b 및 도2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결합 리브(145)는 그의 단부에 갈고리부(147)를 포함할 수 있다. 갈고리부(147)는 후크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갈고리부(147)는 전사 전극(137)이 전사 전극 수용부(143)로부터 활주하거나 이동하지 않도록 전사 전극 수용부(143)에 전사 전극(137)을 고정하는 것을 조력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전사 전극(137)은 이하와 같이 전사 전극 보유부(138)에 배열된다. 도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돌출부(140)를 포함하는 결합 부재(139)가 제3벽(110L)에 사실상 수직인 방향으로 결합 부재(139)를 이동함으로써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전사 전극 수용부(143)에 위치된다.
결합 부재(139)가 전사 전극 수용부(143)에 배열될 때, 돌출부(140)가 제2벽(109L)에 직각인 폭방향으로 전사 전극 개구부(142)로부터 돌출한다. 다음, 결합 부재(139)의 일 단부가 대응 결합 리브(145)의 하나의 갈고리부(147)와 결합된다. 다음, 도2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부재(139)는 결합 부재(139)의 다른 단부가 다른 결합 리브(145)의 갈고리부(147)와 결합될 수 있도록 회전된다.
전사 전극(137)이 전사 전극 수용부(143)에 의해 수납되어 전사 전극 보유부(138)에서 보유될 때, 돌출부(140)는 결합 리브(145)에서의 결합 부재(139)의 결합에 의해 결합 부재(139)의 회전이 조절되고 바람직하게는 방지되도록 폭방향으로 외향으로 전사 전극 개구(142)로부터 돌출된다.
도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 전극(137)이 전사 전극 수용부(143)에 의해 수납될 때, 전사 롤러 샤프트(33)의 좌측 단부의 단부면이 전극 접촉부(141)에 활주식으로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전사 롤러 구동 기어(135)는 전사 롤러 구동 기어(135)가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축(폭)방향으로 제2벽(109L)과 전사 롤러 구동 기어(135)의 외부면 사이에 갭이 존재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 부시(95)는 드럼 수용부(102)에 위치되어 브 러시 지지 부재(123)에 의해 보유된다. 브러시 지지 부재(123)는 감광 드럼(92)의 후방에서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좌측 및 우측면 양자에서 상측 후방 측벽(100)에 제공될 수 있다.
세척 브러시(95)는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사실상 장방형 바아 형상의 보유 플레이트에 이식된 다수의 브러시 헤어를 포함한다. 세척 브러시(95)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감광 드럼(92)에 대면하여 놓이도록 위치될 수 있다. 브러시 헤어는 감광 드럼(92)의 주위면이 세척될 수 있도록 감광 드럼(92)의 주위면에 접촉한다. 예를 들어 시트 금속의 부재로 제조된 세척 전극(148)은 좌측에서 브러시 지지 부재(123)에 연결된다. 세척 전극(148)은 드럼 카트리지(27)의 좌측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하도록 브러시 지지 부재(123)에 고정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세척 전극(148)은 도14 및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벽(96)의 제6벽(113)에 형성된 사실상 수직 슬릿으로부터 돌출된다.
대표적인 현상제 카트리지 수납부(103)에서, 돌출부(118)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공될 수 있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각각의 돌출부(118)는 현상제 카트리지(28)의 위치설정 부재(84) 중 하나에 접촉한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폭방향을 따라 두 개의 돌출부(118) 사이에는 공간이 존재한다. 두 개의 돌출부(118)는 전방 저부벽부(194)에 제공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돌출부(118)는 현상제 카트리지(28)가 드럼 카트리지(27)에 부착될 때 현상제 카트리지(28)의 위치설정 부재(84) 중 하나에 대면하도록 위치된다. 각각의 돌출부(118)는 사실상 볼록한 상향 돌출 형상을 갖는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돌출부(118)는 현상제 카트리지(28)에 제공될 수 있고 위치설정 부재(84)는 드럼 카트리지(27) 상에 제공된다.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3)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로서의 저부 리브(162)가 또한 현상제 카트리지 수납부(103)에 제공된다. 저부 리브(162)는 전방 저부벽부(194)의 저부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된다. 저부 리브(162)는 복수의 후방 저부 리브(163) 및 복수의 중간 저부 리브(164)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 저부 리브(163)는 길이 방향으로 사실상 연장된다. 폭방향으로 인접한 후방 저부 리브(163) 사이에 갭이 존재한다. 복수의 중간 저부 리브(164)는 후방 저부 리브(163)보다 전방을 향해 더 멀리 위치될 수 있고 길이 방향으로 사실상 연장될 수 있다. 폭방향으로 인접한 중간 저부 리브(164) 사이에는 갭이 존재한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카트리지 수납부(103)에는, 이를 통해 현상제 부족/고갈 센서(371)로부터의 광이 통과할 수 있는 토너 검출 개구(101)가 좌측벽(96) 및 우측벽(97) 각각의 대면부에 제공된다. 드럼 카트리지(27)의 좌측벽(96) 및 우측벽(97) 각각 상의 토너 검출 개구(101)의 위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 카트리지(28)의 좌측벽(38) 및 우측벽(39)의 토너 검출 윈도우(85)의 위치에 대응한다.
따라서, 토너 검출 윈도우(85) 및 토너 검출 개구(101)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일측(예를 들면, 좌측 또는 우측)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토너 검출 윈도우 및/또는 개구(85, 101)의 각각의 세트를 통과하여 적어도 토너 레벨이 소정량 미만일 때 다른측에서 검출될 수 있도록 정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 부족/고갈 센서(371)가 토너의 양이 소정량 미만이라고 판단하면, 소정의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토너 공급부가 고갈되거나 부족하다는 것을 지시하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고 및/또는 토너 공급부가 보충될 때까지 기능을 정지시킬 수 있다.
토너 레벨이 소정량/레벨보다 높을 때에도, 일측으로부터 방출된 광의 일부가 토너 검출 윈도우 및/또는 개구(85, 101)를 통과할 수 있고 다른 단부에서 수신될 수 있다. 따라서, 토너 현상제 부족/고갈 센서(371)는 소정량 이상의 광이 다른 측에서 검출되는 경우 토너 부족/고갈 센서를 트리거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연장부(104)는 가압부(149) 및 드럼 카트리지 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 카트리지 보스(150)는 대표적인 레이저 프린터(1)의 주 케이싱(2)에 대표적인 드럼 카트리지(27) 및/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를 안내하고 배열하는 것을 조력한다. 대표적인 드럼 카트리지(27)에서, 드럼 카트리지 보스(150)는 좌측벽(96) 및 우측벽(97) 각각의 연장벽부(107L, 107R)로부터 돌출된다.
도12 및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 보스(150)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들이 좌측벽(96) 및 우측벽(97)의 연장벽부(107L, 107R)로부터 각각 돌출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드럼 카트리지 보스(150)는 각각의 연장벽부(107L, 107R)의 하측 전방부의 외부면으로부터 폭방향을 따라 외향으로 각각 돌출될 수 있다.
가압부(149)는 현상제 카트리지(28)가 드럼 카트리지(27)의 현상제 카트리지 수납부(103)에 장착될 때 감광 드럼(92)을 향해 현상제 롤러(32)를 가압하는 것을 조력한다. 도12에 도시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하나의 가압부(149)는 하측 연장부(104)의 좌측 및 우측면의 각각에 제공된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하나의 가압부(149)가 제공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가압부(149)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가압부(149)를 포함하는 소정의 실시예에서, 상이한 유형의 가압부가 제공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드럼 카트리지(28)의 현상제 카트리지 수납부(103)로의 현상제 카트리지(28)의 장착 후에 드럼 카트리지(27)에 현상제 카트리지(28)를 로킹하거나 고정하기 위한 로킹 수단으로서의 로킹 레버(153)가 제공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현상제 카트리지(28)가 로킹 레버(153)를 가압하고 및/또는 견인함으로써 드럼 카트리지(27)로부터 해제된다.
도21a, 도21b, 도21c 및 도21d는 도3에 도시된 대표적인 프로세스 카트리지(20)를 형성하기 위해 도11에 도시된 대표적인 드럼 카트리지(27)를 갖는 도4에 도시된 대표적인 현상제 카트리지(28)의 배열/장착의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일반적인 프로세스 다이어그램을 구성한다. 도21에 도시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커버 연장부(86)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21a는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가 가압부(149)의 상부측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21b는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가 가압부(149)의 대표적인 안내면(154)에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21c는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가 가압부(149)의 정착면(155)과 안내면(154) 사이의 경계에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한 다. 도21d는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가 가압부(149)의 정착면(155)에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21a 내지 도2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가압부(149)는 대표적인 현상제 카트리지(28)가 대표적인 드럼 카트리지(27)에 장착/배열되고 탈거/제거될 때 각각의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에 결합식 및 분리식으로 접촉하는 가압 부재(151)를 구비할 수 있다. 압박 수단으로서의 스프링(152)이 드럼 카트리지(27)의 좌측 및 우측에서 대응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에 대해 가압 부재(151)를 가압하도록 각각의 가압 부재(151)의 하부에 제공될 수 있다.
가압 부재(151)는 플레이트형 부재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볼 때 삼각형 형상을 갖는 두꺼운 플레이트형 부재로 제조될 수 있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안내면(154) 및 정착면(155)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안내면(154)은 안내면(154)의 전방부가 안내면(154)의 후방부보다 높은 레벨에 있도록 하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정착면(155)은 안내면(154)으로부터 드럼 카트리지(27)의 전방을 향해 사실상 하향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대표적인 가압 부재(151)는 안내면(154) 및 정착면(155)이 둔각을 형성하도록 사실상 후방 및 하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면(154) 및 사실상 전방 및 하향으로 연장되는 정착면(155)을 가질 수 있다. 안내면(154) 및 정착면(155) 양자는 드럼 카트리지 하우징(91)의 후방에 대면한다.
가압 부재(151)는 가압 부재(151)의 하단부를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에 장착하는 장착/부착부(156)에 의해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에 장착될 수 있다. 장착/부착부(156)의 하단부는 좌측벽(96) 및 우측벽(97) 양자의 연장벽부(107L, 107R)로부터 사실상 폭방향으로 내향으로[즉,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정착 샤프트(157)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보유될 수 있다.
각각의 스프링(152)의 일 단부는 저부 연장벽부(195)의 하측 전방부에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스프링의 다른 단부는 가압 부재(151)의 저부면에 대해 가압되거나 이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21a 내지 도2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스프링(152)의 배열 및 스프링(152)에 의해 인가된 힘에 기인하여 장착/탈거 프로세스의 다양한 상태에서, 대응 가압 부재(151)는 스프링(152)이 가압 부재(151)보다 드럼 카트리지(27)의 전방에 더 근접하도록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압박된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레버(153)는 하측 연장부(104)의 좌측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대표적인 로킹 레버(153)는 가압 부재(151)에 근접하게 제공될 수 있다. 로킹 레버(153)는 레그 중 하나가 기부의 일 단부로부터 사실상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부재(159)이고 다른 레그는 기부의 다른 단부로부터 사실상 대각선으로 이격되어 연장되는 제어 부재(158)인 기부로부터 돌출되는 두 개의 레그를 구비한 기부를 가질 수 있다.
제어 부재(158)는 드럼 카트리지(27)로부터 현상제 카트리지(28)를 해제하기 위해 로킹 레버(153)를 이동하거나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로킹 레버(153)를 해제하는 것을 조력하기 위해, 제어 부재(158)는 제어 부재(158)의 일 단부에 파지부[예를 들면, 도12 및 도21a 내지 도21d의 제어 부재(158)의 리브 형성된 더 큰/ 더 넓은 영역]를 포함할 수 있다.
로킹 레버(153)의 기부는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에 접촉하여 이를 적소에 "로킹"하는 접촉부(161)를 형성할 수 있다. 접촉부(161)의 일측은, 이를 따라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접촉부(161)의 다른측에 의해 로킹되고 접촉부(161)의 하측 코너부 주위로 활주하기 전에 활주하는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현상제 카트리지(28)의 내부를 향해 폭방향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28)의 좌측벽(96)의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가 적소에 로킹되면, 우측벽(97)의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는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홈(16) 내에 배열될 수 있다. 홈(16)은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우측벽(97)의 상측 정합 롤러(14)의 사실상 상부에서 하측 연장부(104)에 제공될 수 있다.
가요성 부재(159)는 도21a 내지 도2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27)에 대해 대응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를 로킹 및/또는 해제하는 것을 조력하도록 만곡 및 굴곡할 수 있는 얇은 핀형 부재일 수 있다. 가요성 부재(159)는 하측 연장부(104)의 전방을 향해 하향으로 로킹 레버(153)의 기부의 일 단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가요성 부재(159)의 하단부는 예를 들면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리브(도시 생략)에 결합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현상제 카트리지(28)는 드럼 카트리지(27)에 대해 장착된 상태이거나 현상제 카트리지(28)는 드럼 카트리지(27)에 대해 분리된 상태이고, 로킹 레버(153)의 기부에 장착된 가요성 부재(159)의 단부는 일반적으로 가요 성 부재(159)의 다른 단부보다 로킹 부재(153)의 제어 부재(158)에 더 가깝고, 제어 부재(158)는 일반적으로 도21a, 21b 및 2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27)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사실상 수평으로 유지된다. 즉, 가요성 부재(159)의 탄성력으로 인해, 도13 및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부재(158)의 상부면이 사실상 상부벽 연장부(50)와 정렬하도록 로킹 레버(153)가 위치된다.
도2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는 로킹 레버(153)와 가요성 부재(159) 사이의 경계 둘레로 안내되고, 가요성 부재(159)는 로킹 레버(153)의 기부에 연결되지 않은 가요성 부재(159)의 단부가 제어 부재(158)에 더 가깝게 이동하고 제어 부재(158)를 견인하도록 만곡되거나 굴곡되어,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는 로킹 레버(153)의 접촉부(161)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도21d 참조).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가 도2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161) 하부에 배치되면, 가압부(149)는 드럼 카트리지(27)의 감광 드럼(92)을 향해 현상제 카트리지(28)를 가압하는 스프링(152)의 가압력의 결과로 현상제 롤러(32)가 감광 드럼(92)과 접촉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조력한다.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정합 롤러(14) 및/또는 전방 저부 리브(165)가 하측 연장부(104)의 외부 저부를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정합 롤러(14)가 감광 드럼(92)을 향해 시트(3)를 반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부 정합 롤러(14)는 중간 저부 리브(164)의 전방 단부에 회전식으로 제공될 수 있고, 상부 저항 롤러(14)가 저부벽(98)의 저부 연장벽부(195)의 저부면을 따라 사 실상 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부 정합 롤러(14)는 축(14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상부 정합 롤러(14)는 폭방향을 따라 전방 저부 리브(165)와 저부 리브(16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정합 롤러(14)는 드럼 카트리지(27)가 주 케이싱(2)에 장착될 때 상향 및 하향으로 하부 정합 롤러(14)와 대면하게 위치된다.전방 저부 리브(165)는 레이저 프린터(1)를 통해 시트(3)를 안내하는 것을 조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저부 리브(165)는 예를 들면 하측 연장부(104)의 저부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되고 사실상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폭방향으로 인접한 전방 저부 리브(165)의 사이에는 갭이 존재한다.
전방 저부 리브(165)는 상측 정합 롤러(14)의 전방측에 제공될 수 있다.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저부 리브(165)는 폭방향을 가로질러 제공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노치(119)가 저부 연장벽부(195) 및 하측 전방 측벽(99)에 형성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저부 연장벽부(195)는 제1 층(195A) 및 제2 층(195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전방 저부 리브(165)는 시트(3)가 더 효율적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노치(119)에 오버랩되는 저부 연장벽부(195)의 제2 층(195B)의 외부 저부면을 가로질러 제공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전방 저부 리브(165)는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재료와는 상이한 재료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전방 저부 리브 (165)는 전방 저부 리브(165)로의 손상을 감소시키고 바람직하게는 방지하기 위해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을 형성하도록 사용된 재료보다 경질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이 수지 재료(예를 들면, 폴리스티렌)로 제조되면, 전방 저부 리브(165)는 폴리아세탈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부 연장벽부(195)가 제1 층(195A) 및 제2 층(195B)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층(195A)은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층(195B)은 더 경질의 재료로 제조된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전방 저부 리브(165), 중간 저부 리브(164) 및 후방 저부 리브(163)의 각각 것들 사이의 갭은 레이저 프린터(1)를 통한 시트(3)의 안내를 향상시키기 위해 배열될 수 있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전방 저부 리브(165), 중간 저부 리브(164) 및 후방 저부 리브(163)의 임의의 두 개 이상은 대응 인접 리브 사이에 사실상 동일한 크기의 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실시예에서, 전방 저부 리브(165), 중간 저부 리브(164) 및 후방 저부 리브(163)의 임의의 두 개 이상은 대응 인접 리브 사이에 상이한 크기의 갭을 가질 수 있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전방 저부 리브(165) 및 중간 저부 리브(164)는 길이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가압부(149)로의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의 장착/탈거가 현상제 카트리지(28)가 드럼 카트리지(27)에 장착될 때 현상제 롤러(32)와 감광 드럼(92) 사이의 접촉을 조력하는 동안, 드럼 카트리지(27)의 다른 부분은 드럼 카트리지(27)에 대한 현상제 카트리지(28)의 장착 및 탈거 동안 현상제 카트리지(28)의 다른 부분과 결합할 수 있다.
도17, 도18 및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롤러 샤프트(64)의 좌측 및 우측 단부는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좌측벽(96) 및 우측벽(97)의 샤프트 안내부(115)를 넘어서 폭방향으로 외향으로 돌출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현상제 카트리지(28)가 현상제 카트리지 수용부(103)에 수용될 때, 예를 들면 현상제 롤러 샤프트(64)의 좌측 및/또는 우측 단부에 제공된 칼라 부재(83)는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좌측벽(96) 및 우측벽(97) 각각의 샤프트 안내부(115)를 넘어서 폭방향으로 외향으로 돌출되고, 칼라 부재(83)의 후방측은 현상제 롤러 샤프트 수납부(116)의 후방 단부에 접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 카트리지(28)가 현상제 카트리지 수납부(103)에 배열될 때, 현상제 롤러(32)가 감광 드럼(92)에 접촉한다. 드럼 카트리지(27)에 대한 현상제 카트리지의 장착/탈거 프로세스의 더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 제공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단지 하나의 가압부(149)가 제공된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가압부(149)가 제공될 수 있다. 도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27)에 현상제 카트리지(28)를 장착하기 위해, 현상제 카트리지(28)는 예를 들면 좌측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가 가압부(149)의 상측면에 위치되고 현상제 롤러 샤프트(64)의 좌측 및 우측 단부가 예를 들면 드럼 카트리지(27)의 대응 샤프트 안내부(115) 상에 배열되도록 드럼 카트리지(27)의 현상제 카트리지 수용부(103)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도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현상제 카트리지(28)가 점 진적으로 하향 가압되면,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의 각각은 하향으로 이동하고 좌측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가 가압 부재(151)의 안내면(154) 상에서 미끄러진다. 그 결과, 가압 부재(151)는 대응 샤프트 안내부(115)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현상제 롤러 샤프트(64)의 좌측 및 우측 단부가 현상제 롤러 샤프트 수납부(116)를 향해 더 미끄러지는 동안 가압 부재(151)의 상측부가 스프링(152)의 힘에 대항하여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정착 샤프트(157) 둘레로 점진적으로 회전한다.
다음, 좌측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가 가압부(149)의 정착면(155)과 안내면(154) 사이의 경계에 접촉할 때, 도 2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는, 로킹 레버(153)가 정착 가능 부재(159)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보유 샤프트(160) 둘레로 회전하는 동안 대응 접촉부(161)와 접촉하면서 더 하향으로 이동한다. 제어 부재(158)는 정착 가능 부재(159)에 더 근접하여 하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도2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롤러(32)가 감광 드럼(92)과 접촉할 때, 현상제 롤러 샤프트(64)의 좌측 및 우측 단부에 제공된 칼라 부재(83)는 대응 현상제 롤러 샤프트 수납부(116)(도17 참조)에 수용된다. 좌측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는 가압부(149)의 정착면(155)과 안내면(154) 사이의 경계에 도달한다.
그 후에, 현상제 카트리지(28)의 전방 단부가 더 하강함에 따라,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가 로킹 레버(153)의 접촉부(161)와 가압 부재(151) 사이로 통과한다. 도2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는, 접촉부(161)의 일 에지와 가압 부재(151)의 정착면(155)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로킹 레버(153)의 접 촉부(161)의 다른 에지와 정착면(155) 사이의 적소에 "로킹"되기 전에 접촉부(161)의 코너 둘레로 미끄러진다.
도2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가 적소에 "로킹"된 후에, 제어 부재(158)는 그의 실질적인 수평 위치를 재점유하고 및/또는 상측벽 연장부(50)와 사실상 정렬된다. 이 상태에서, 스프링(152)으로부터 기인하는 가압 부재(151)의 후방 가압력은 현상제 롤러(32)가 감광 드럼(92)에 대해 가압되도록 드럼 카트리지(27)를 향해 현상제 카트리지(28)를 가압하는 것을 조력한다.
또한, 이 상태에서,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가 로킹 레버(153)의 대응 접촉부(161)의 하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접촉부(161)는 로킹 레버(153)가 하향으로 이동하여 좌측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를 해제하지 않으면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가 상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좌측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에 결합한다.
도21d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드럼 카트리지(27)의 현상제 카트리지 수납부(103)로부터 현상제 카트리지(28)를 제거하기 위해,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로킹 레버(153)의 제어 부재(158)가 접촉부(161)의 하부로부터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를 해제시키도록 하향 가압될 수 있다.
로킹 레버(153)가 가압될 때, 로킹 레버(153)는 보유 샤프트(160) 둘레로 회전하고,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는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의 상부에 위치된 접촉부(161)가 현상제 카트리지(28)의 후방을 향해 회전함에 따라 해제된다. 그 결과, 현상제 카트리지(28)가 상향 견인될 때,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는 스프링(152) 및 가압 부재(151)의 후방 가압력에 대해 로킹 레버(153)의 접촉부(161) 사 이로 자유롭게 상향 이동된다.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가 가압부(149)로부터 해제된 후에, 현상제 카트리지(28)가 견인되면, 현상제 롤러 샤프트(64)의 양 단부는 대응 현상제 롤러 샤프트 수용부(116)를 점유하지 않고, 현상제 카트리지(28)가 현상제 카트리지 수납부(103)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현상제 카트리지(28)가 드럼 카트리지(27)에 장착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20)를 형성할 때, 현상제 카트리지(28)의 다양한 부분이 드럼 카트리지(27)의 대응 부분과 연결되고 및/또는 정렬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29)의 하측벽(40)은 하측벽(40)의 좌측 및 우측면에 제공된 스토퍼(341)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341)는 하측벽(40)의 후방 단부로부터 사실상 수직으로 상향으로 돌출된 플레이트형 부재일 수 있다. 스토퍼(341) 각각은 드럼 카트리지(27)의 스토퍼 수납 부재(244)와 결합하고,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341)가 스토퍼 수납 부재(244)와 결합하도록 현상제 카트리지(28)가 드럼 카트리지(27)에 장착될 때, 현상제 카트리지(28)는 드럼 카트리지(27)에 대해 더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스토퍼(341) 중 하나는 현상제 카트리지(28)의 좌측 및 우측 단부 각각에 제공될 수 있고 스토퍼 수납 부재(244) 중 하나는 드럼 카트리지(27)의 좌측 및 우측 단부 각각에 제공될 수 있다. 스토퍼(341)는 또한 현상제 카트리지(28)로부터의 현상제의 누출을 방지하는 것을 조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 카트리지(28)가 드럼 카트리지(27)에 장착될 때, 현상제 카트리지(28)의 각각의 위치설정 부재(84)는 드럼 카트리지(27)의 대응 돌출부(118) 상에 위치된다. 현상제 카트리지(28)의 상측 연장부(37) 및 드럼 카트리지(27)의 하측 연장부(104)는 상측 연장부(37)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연장부의 상부에 정렬되도록 정렬된다.
드럼 카트리지(27)에 대한 현상제 카트리지(28)의 적절한 위치설정 및 더 구체적으로는 드럼 카트리지(27)의 감광 드럼(92)에 대한 현상제 롤러(32)의 적절한 위치설정은 스토퍼(341), 스토퍼 수납 부재(244), 위치설정 부재(84), 돌출 부재(118), 가압부(149) 및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의 조합에 의해 보장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도7, 도8 및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규 제품 검출기(301)가 예를 들면 현상제 카트리지(28)의 좌측벽(38)에 제공될 수 있다. 미국 특허 출원 제10/891,142호에는 이러한 검출기가 더 상세히 설명되어 있고 이 출원에 개시된 요지는 본원에 참조에 의해 합체되어 있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규 제품 검출기(301)는 기어 커버(77) 상의 사실상 원호형 구멍(303)으로부터 폭방향을 따라 외향으로 돌출되는 접촉 레버(302)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 레버(302)는 현상제 카트리지(28)가 신규 제품일 때 원호형 구멍(303)의 일 단부(예를 들면, 전방 단부)에 위치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레이저 프린터(1)의 신규 제품 검출 액추에이터(374)(도25)에 의해 현상제 카트리지(28)가 최초로 사용될 때 원호형 구멍(303)의 다른 단부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접촉 레버(302)의 위치에 기초하여, 신규 제품 검출기(301)는 현상제 카트리지(28)가 신규한 것인지 또는 사용되고 있는 것인지(사용 이력을 갖는 제품)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신규 현상제 카트리지(28) 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주 케이싱(2)에 장착될 때, 현상제 카트리지(28)에 제공된 신규 제품 검출기(301)의 접촉 레버(302)(도13 참조)가 신규 제품 검출 액추에이터(374)의 하단부에 접촉하여, 신규 제품 검출 액추에이터(374)의 하단부가 접촉 레버(302)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된다. 그 결과, 신규 제품 검출 액추에이터(37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신규 제품 검출 액추에이터(374)의 회전에 기초하여 현상제 카트리지(28)가 신규 제품으로 검출된다.
한편, 현상제 카트리지(28)의 신규 제품 검출기(301)의 접촉 레버(302)는 사용된 현상제 카트리지(29)가 주 케이싱(2)에 장착될 때 접촉 레버(302)가 외향으로 돌출하는 원호형 구멍(303)의 일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로 이동되기 때문에, 사용자 현상제 카트리지(28)의 접촉 레버(302)는 신규 제품 검출 액추에이터(374)에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신규 제품 검출 액추에이터(374)가 회전하지 않는다. 이 동작에 기초하여, 장착된 현상제 카트리지(28)가 사용된 제품이라는 판정이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주 케이싱(2)에 설치될 때, 드럼 카트리지(27)의 토너 검출 개구(101), 현상제 카트리지(28)의 토너 검출 윈도우(85) 및 현상제 부족/고갈 센서(371)의 적어도 일부가 폭방향을 따라 정렬된다. 게다가, 정합 롤러 가압 부재(372)의 하단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에 의해 지지된 상측 정합 롤러(14)의 좌측 단부에 접촉하고, 상측 정합 롤러(14)의 좌측 단부는 정합 롤러 가압 부재(372)에 의해 하향으로 가압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현상제 카트리지(28)가 드럼 카트리지(27)에 장착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20)를 형성하면, 현상제 카트리지(28)의 기어 기구(45)가 가압부(149)와 감광 드럼(92) 사이이 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점유한다.
현상제 카트리지(28)가 드럼 카트리지(27)에 장착될 때 형성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좌측면의 더 상세한 설명이 이하에 제공된다.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 전극(148), 그리드 전극(132), 와이어 전극(131) 및 전사 전극(137)이 예를 들면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좌측벽(96)에 제공된다. 접지 전극(127)이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벽(96)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어 제공될 수 있다.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29)의 좌측벽(38)에서, 현상제 정합 롤러(76)는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29)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현상제 카트리지(28)가 드럼 카트리지(27)에 장착될 때, 현상제 롤러 전극(76)은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좌측벽(96)을 넘어 외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모든 전극[즉, 세척 전극(148), 그리드 전극(132), 와이어 전극(131), 접지 전극(127), 전사 전극(137) 및 현상제 롤러 전극(76)]이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좌측면에 위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기어 기구(45)가 또한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29)의 좌측벽(38)에 제공되고 따라서 기어 기구(45)는 예를 들면 전술한 전극들[즉, 세척 전극(148), 그리드 전극(132), 와이어 전극(131), 접지 전극(127), 전사 전극(137) 및 현상제 롤러 전극(76)]과 동일한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29)의 측면에 위치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전술한 전극들 및 기어 기구(45)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29)의 좌측벽(38)의 후방과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좌측벽(96)의 후방을 향해 각각 배열된다.
따라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전술한 전극 및 기어 기구(45)는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좌측벽(96)의 연장벽부(107L)와 전방 측벽부(106L) 및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29)의 상측 연장부(37)의 좌측벽부(52)에 각각 배열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전술한 전극 모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사실상 중심(도17의 지점 C 참조)의 후방에 배열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입력 기어(68)가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좌측면을 따라 전술한 전극(148, 132, 131, 127, 137, 76)에 대해 최전방에 배열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전술한 전극들[즉, 세척 전극(148), 그리드 전극(132), 와이어 전극(131), 접지 전극(127), 전사 전극(137) 및 현상제 롤러 전극(76)] 모두 중에서, 세척 전극(148)이 최후방 배열 전극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세척 전극(148)은 제6벽(113)에 배열되고 따라서 그리드 전극(132) 및 와이어 전극(131)이 제4벽(111)에 제공되고 전사 전극(137)이 제2벽(109L)에 제공되고 접지 전극(127) 및 현상제 롤러 전극(76)이 제1벽(108L)으로부터 연장되기 때문에 전술한 전극들 중 폭방향을 따라 최내부에 있다. 따라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세척 전극(148)은 전술한 전극들 중 최후방 및 최내부 배열 전극이다.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세척 전극(148)은 기어 기구(45)보다 폭방향을 따라 더 내부에 배열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세척 전극(148)은 형성될 화상이 감광 드럼(92)과 전사 롤러(94) 사이를 통과하는 시트(3) 상에 형성되는 화상 형성 영역(X)의 외부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20) 상에 폭방향을 따라 위치된다.
대표적인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폭방향을 따른 전술한 전극들의 상대 위치의 설명이 이하에 제공된다.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롤러 전극(7) 및 접지 전극(127)은 드럼 카트리지(27)의 제1벽(108L, 108R)을 넘어 폭방향을 따라 돌출한다. 제5벽(11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벽(108L)의 상부로부터 내향으로 연장하고 와이어 전극(131) 및 그리드 전극(132)이 배열되어 있는 제4벽(111)에 연결된다. 따라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와이어 전극(131) 및 그리드 전극(132)은 현상제 롤러 전극(76) 및 접지 전극(127)보다 더 내향에 배열된다.
전사 전극(137)은 현상제 롤러 전극(76), 접지 전극(127), 와이어 전극(131) 및 그리드 전극(132)보다 폭방향을 따라 더 내향에서 제2벽(109L)에 배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벽(108L)의 저부로부터 제5벽(111)보다 더 내향으로 연장하는 제3벽(110L)은 제4벽(111)의 우측에 배열된 제2벽(109L)에 연결된다.
세척 전극(148)은 현상제 롤러 전극(76), 접지 전극(127), 와이어 전극(131), 그리드 전극(132) 및 전사 전극(137)보다 폭방향을 따라 더 내향에서 제6벽(113)에 배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7벽(114)이 제4벽(111) 및 제2벽(109L)으로부터 더 내향으로 연장되고 제4벽(111) 및 제2벽(109L)을 제6벽(113)에 연결한 다.
따라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세척 전극(148), 전사 전극(137), 와이어 전극(131), 그리드 전극(132), 접지 전극(127) 및 현상제 롤러 전극(76)은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좌측벽(96)의 부근 또는 그 상부에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전극(148, 137, 131, 132, 127, 76)은 또한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이한 지점에 배열된다.
다음, 장착/탈거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20) 및 주 케이싱(2) 사이의 관계의 다양한 특징을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2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케이싱(2)에 장착되거나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주 케이싱(2)에 장착될 때, 드럼 카트리지 보스(150)는 주 케이싱(2)에 제공될 수 있는 위치설정 부재(166)와 결합한다. 위치설정 부재(166)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후방 단부가 감광 드럼(92) 및 현상제 롤러(32)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힘에 의해 상향으로 압박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전방 단부가 하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주 케이싱(2)에 프로세스 카트리지(20)를 위치시키는 것을 조력한다. 따라서, 위치설정 부재(166)는 프로세스 카트리지920)가 주 케이싱(2) 내에 적절하게 배열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조력한다. 위치설정 부재(166)는 또한 힘이 프로세스 카트리지(20)를 압박하여 그의 배열 위치로부터 이동시킬 때 화상 형성 프로세스 동안에 주 케이싱(2) 내의 그의 장착 위치에 프로세스 카트리지920)가 잔류하는 것을 조력한다.
도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케이싱(2)은 장착/탈거 공극(6)의 좌측면에 좌 측 프레임(167)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프레임(167)의 내부 지향면[즉, 장착/탈거 공극(6)을 지향하는 면]은 예를 들면, 세척 전극 접속부(168), 그리드 전극 접속부(169), 와이어 전극 접속부(170), 접지 전극 접속부(171), 전사 전극 접속부(172) 및 현상제 롤러 전극 접속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 전극 접속부(168), 그리드 전극 접속부(169), 와이어 전극 접속부(170), 접지 전극 접속부(171), 전사 전극 접속부(172) 및 현상제 롤러 전극 접속부(173)는 각각 주 케이싱(2)의 내부에 제공된 도시하지 않은 전원(예를 들면, 고전압 전원)에 도시하지 않은 배선을 거쳐 접속된다.
전극 접속부(168, 169, 170, 171, 172, 173)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주 케이싱(2)에 장착될 때 세척 전극 접속부(168), 그리드 전극 접속부(169), 와이어 전극 접속부(170), 접지 전극 접속부(171), 전사 전극 접속부(172) 및 현상제 롤러 전극 접속부(173)가 각각 세척 전극(148), 그리드 전극(132), 와이어 전극(131), 접지 전극(127), 전사 전극(137) 및 현상제 롤러 전극(76)에 지향하여 이에 접촉하도록 좌측 프레임(167)의 내부 지향면에 제공된다.
전극 접속부(168, 169, 170, 171, 172, 173)의 각각은 대응 전극(148, 132, 131, 127, 137, 76)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접지하는 것을 조력한다.
세척 전극 접속부(168)는 예를 들면 와이어를 거쳐 전원에 접속될 수 있다. 세척 전극 접속부(168)는 세척 전극(148)에 세척 바이어스를 인가하기 위한 접속점으로서 기능한다. 세척 바이어스는 400 V 또는 약 400 V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드 전극 접속부(169)는 와이어를 거쳐 전원에 접속될 수 있다. 그리드 전극 접속부(169)는 그리드 전극(132)에 그리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접속점으로서 기능한다. 그리드 전압은 900 V 또는 약 900 V로 설정될 수 있다.
와이어 전극 접속부(170)는 와이어를 거쳐 전원에 접속될 수 있다. 와이어 전극 접속부(170)는 와이어 전극(131)에 토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접속점으로서 기능한다. 토출 전압은 7000 V 또는 약 7000 V로 설정될 수 있다.
접지 전극 접속부(171)는 와이어를 거쳐 전원에 접속될 수 있다. 접지 전극 접속부(171)는 접지 전극(127)을 접지하기 위한 접속점으로서 기능한다.
전사 전극 접속부(172)는 와이어를 거쳐 전원에 접속될 수 있다. 전사 전극 접속부(172)는 전사 전극(137)에 전사 바이어스를 인가하기 위한 접속점으로서 기능한다. 전사 바이어스는 양의 전사 바이어스로서 -6500 V 또는 약 -6500 V, 역전사 바이어스로서 1600 V 또는 약 1600 V의 최대값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전술 및 후술된 현상제 롤러 전극 접속부(173) 및 현상제 롤러 접속 부재(175)가 와이어를 거쳐 전원에 접속된다. 현상제 롤러 접속부(173)는 현상제 롤러 전극(76)에 현상 바이어스를 인가하기 위한 접속점으로서 기능한다. 현상 바이어스는 400 V 또는 약 400 V로 설정될 수 있다.
도25는 레이저 프린터(1)의 좌측 프레임(167)의 대표적인 내부면의 측면도이다. 도26은 대표적인 레이저 프린터(1)의 우측 프레임(281)의 대표적인 내부면의 측면도이다. 도27a 및 도27b는 레이저 프린터(1)에 의해 이용 가능한 대표적인 커플링 부재(73)의 전진 및 수축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프레임(167)의 내부면[즉, 장착/탈거 공극 (6)에 대면하는 표면]에서, 와이어 전극 접촉부(271), 전사 전극 접촉부(272), 현상제 롤러 전극 접촉부(273), 그리드 전극 접촉부(274), 세척 전극 접촉부(275) 및 접지 전극 접촉부(276)는 주 케이싱(2)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와이어 전극 접촉부(271), 전사 전극 접촉부(272), 현상제 롤러 전극 접촉부(273), 그리드 전극 접촉부(274), 세척 전극 접촉부(275) 및 접지 전극 접촉부(276)는 드럼 카트리지(27) 및/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주 케이싱(2) 내에 배열될 때 드럼 카트리지(27)의 와이어 전극(131), 전사 전극(137), 현상제 롤러 전극(76), 그리드 전극(132), 세척 전극(148) 및 접지 전극(127)과 각각 접촉한다.
와이어 전극 접촉부(271)는 예를 들면 와이어 전극 접속부(170)(도24 참조)에 접속된 도전성 와이어의 노출부일 수 있다. 와이어 전극 접촉부(271)는 예를 들면 사실상 U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U형 형상 와이어 전극 접촉부(271)의 적어도 기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주 케이싱(2)에 장착될 때 노출되어 와이어 전극(131)에 접속된다. U형 와이어 전극 접촉부(271)의 아암은 도시되지 않은 배선을 거쳐 주 케이싱(2) 내부에 제공된 도시되지 않은 전원(예를 들면, 고전압 전원) 및 와이어 전극 접속부(170)에 접속된다. U형 와이어 전극 접촉부(271)의 기부는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대각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전사 전극 접촉부(272)는 예를 들면 전사 전극 접속부(172)(도24 참조)에 접속된 도전성 와이어의 노출부일 수 있다. 전사 전극 접촉부(272)는 예를 들면 사실상 U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U형 형상 전사 전극 접촉부(272)의 기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주 케이싱(2)에 장착될 때 노출되어 전사 전극(137)에 접 속된다. U형 전사 전극 접촉부(272)의 아암은 도시되지 않은 배선을 거쳐 주 케이싱(2)의 내부에 제공된 도시되지 않은 전원(예를 들면, 고전압 전원) 및 전사 전극 접속부(172)에 접속된다.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 전극 접촉부(272)는 와이어 전극 접촉부(271)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U형 형상 전사 전극 접촉부(272)의 기부는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사실상 수평으로 연장될 수 있다.
현상제 롤러 전극 접촉부(273)는 현상제 롤러 전극 접속부(173)에 접속되는 도전성 와이어 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다(도24 참조). 예를 들면, 현상제 롤러 전극 접촉부(273)는 대체로 확장된 반전 마우스형 U 형상을 갖는다.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확장된 반전 마우스형 U형 현상제 롤러 전극 접촉부(273)의 기부 및 아암은 노출되어 현상제 롤러 전극(76)에 접속한다. 역"U"자형 현상제 롤러 전극 접촉부(273) 아암의 저부는 현상제 롤러 전극 접속부(173) 및 주 케이싱(2)에 제공된 도시하지 않은 전원(예를 들면, 고전압 전원과 같은)에 도시하지 않은 배선을 거쳐 접속될 수 있다.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롤러 전극 접촉부(273)는 와이어 전극 접촉부(271) 및 전사 전극 접촉부(272)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현상제 롤러 전극 접촉부(273)는 또한 전사 전극 접촉부(272)의 상부 및 와이어 전극 접촉부(271)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리드 전극 접촉부(274)는 그리드 전극 접속부(169)에 접속된 도전성 와이어의 노출된 부분일 수 있다(도24 참조). 예를 들어, 그리드 전극 접촉부(274)는 대체로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U형 그리드 전극 접촉부 (274)의 기부는 노출되어 그리드 전극(132)에 접속된다. U형 그리드 전극 접촉부(274)의 아암은 그리드 전극 접속부(169) 및 주 케이싱(2)에 제공된 도시하지 않은 전원(예를 들어, 고전압 전원)에 도시하지 않은 배선을 거쳐 접속된다.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드 전극 접촉부(274)는 와이어 전극 접촉부(271) 및 전사 전극 접촉부(272)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드 전극 접촉부(274)는 전사 전극 접촉부(272)의 상부 및 와이어 전극 접촉부(271)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드 전극 접촉부(274)는 전사 전극 접촉부(272)보다 와이어 전극 접촉부(271)에 더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U형 그리드 전극 접촉부(274)의 기부는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대각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척 전극 접촉부(275)는 세척 전극 접속부(168)에 접속된 도전성 와이어의 노출부일 수 있다(도24 참조). 예를 들어, 세척 전극 접속부(275)는 대체로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U형 세척 전극 접촉부(275)의 기부는 노출되어 세척 전극(148)에 접속한다. U형 세척 전극 접촉부(275)의 아암은 세척 전극 접속부(168) 및 주 케이싱(2)에 제공된 도시하지 않은 전원(예를 들어, 고전압 전원)에 도시하지 않은 배선을 거쳐 접속된다.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 전극 접촉부(275)는 와이어 전극 접촉부(271) 및 전사 전극 접촉부(272)의 배면에 위치될 수 있다. 세척 전극 접촉부(275)는 전사 전극 접촉부(275)의 위 및 와이어 전극 접촉부(271)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세척 전극 접촉부(275)는 와이어 전극 접촉부(271)보다 전사 전극 접촉부(272)에 더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U형 세척 전극 접촉부(275)의 기부는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대각 선으로 연장할 수 있다.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주 케이싱(2)에 부착될 때 접지 전극(127)이 접촉하는 접지 전극 접촉부(276)는 좌측 프레임(167)의 내부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지 전극 접촉부(276)는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를 대체로 삼각형 형상으로 굴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접지 전극 접촉부(276)는 접지 전극 수용부(323)와 결합하도록 접지 전극 접촉부(276)를 상향 가압하는 스프링과 같은 가압 부재(도시 생략)를 포함할 수 있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접지 전극 접촉부(276)는 접지 전극 접속부(171)를 거쳐 좌측 프레임(167)에 접속한다(도24 참조).
접지 전극 접촉부(276)는 와이어 전극 접촉부(271)의 하부 및 전사 전극 접촉부(272)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접지 전극 접촉부(276)를 형성하는 와이어는 접지 전극 접촉부(276)를 접지 전극 접속부(171)와, 주 케이싱(2) 내부에 제공된 도시하지 않은 전원(예를 들어, 고전압 전원) 또는 주 케이싱(2)의 금속부에 도시하지 않은 배선을 거쳐 접속한다.
또한, 좌측 프레임(167)은 드럼 카트리지(27), 현상제 카트리지(28) 및/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상응하는 부분과 접속하는 다른 접촉부 또는 부재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기어(28)를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입력하기 위한 커플링 부재(73)는 현상제 롤러 전극 접촉부(273)의 전방측 위의 좌측 프레임(167)의 내부면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열될 수 있고, 대체로 길이 방향을 따라 와이어 전극 접촉부 (271)와 정렬될 수 있다.
드럼 카트리지(27) 및/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주 케이싱(2)에 부착될 때 드럼 카트리지(27) 및/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감광성 드럼 구동 기어(191)와 결합하는(도37 및 도38 참조) 드럼 기어(321)는 좌측 프레임(167)의 내부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럼 기어(321)는 전사 전극 접촉부(272) 및 접지 전극 접촉부(276) 후방과, 그리드 전극 접촉부(274) 하부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좌측 프레임(167)의 내부면 상에, 현상제 카트리지(28)의 현상제 하우징 섹션(30) 내에 함유된 토너의 고갈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현상제 부족/고갈 센서(371)가 현상제 롤러 전극 접촉부(273)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주 케이싱(2) 내에 배열될 때 현상제 부족/고갈 센서(371)는 폭 방향을 따라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우측벽(97)의 토너 검출 윈도우(101) 및 좌측 벽(96) 상에 형성된 토너 검출 윈도우(101)(도35 참조)와 정렬된다. 현상제 부족/고갈 센서(371)는 좌측 프레임(167) 및 우측 프레임(281) 중 하나에 배열된 발광 소자와, 좌측 프레임(267) 및 우측 프레임(281)들 중 다른 하나 상의 수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현상제 부족/고갈 센서(371)의 전방에, 정합 롤러 통과 부재(372)가 위치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주 케이싱(2)에 부착될 때, 정합 롤러 통과 부재(372)는 상부 정합 롤러(14)의 좌측 단부를 하향 가압한다. 예를 들어, 정합 롤러 통과 부재(372)는 샤프트(373)에 의해 지지되는 비틀림 스프링의 형태일 수 있다. 정합 롤러 통과 부재(372)는 폭 방향을 따라 좌측 프레임(167)으로부터 내부로 돌출할 수 있다.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합 롤러 가압 부재(372)는 일단부가 전극 안내면(322)(후술함)을 따라 레이저 프린터(1)의 전방측을 향해 대각선으로 상향으로 연장하고 다른 단부가 레이저 프린터(1)의 전방측을 향햐여 대각선으로 하향 연장한다.
또한, 좌측 또는 우측에서 볼 때 대체로 V 형상을 갖는 신규 제품 검출 액추에이터(374)는 현상제 부족/고갈 센서(371)와 정합 롤러 가압 부재(372) 상부 및 사이에 위치된다. 신규 제품 검출 액추에이터(374)는 폭 방향을 따라 좌측 프레임(167)으로부터 내부로 돌출하는 샤프트(37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규 제품 검출 액추에이터(374)의 저부 단부는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레이저 프린터(1)의 전방을 향하여 일정하게 가압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좌측 프레임(167)은 전극 안내면(322)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 안내면(322)은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장착시에 접지 전극(127) 및 현상제 롤러 전극(76)을 안내하는 것을 조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 안내면(322)은 길이 방향을 따라 주 케이싱(2)의 전방부로부터 접지 전극 수용부(323)로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지 전극 수용부(323)는 접지 전극 접촉부(276)에 인접하여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주 케이싱(2)에 부착될 때, 접지 전극(127) 및 현상제 롤러 전극(76)은 접지 전극(127)이 전극 수용부(323)에 의해 결합될 때까지 전극 안내면(322)의 표면을 따라 활주한다. 예를 들어, 접지 전극 수용부(323)는 U형 접지 전극 수용부(323)의 마우스가 레이저 프린터(1)의 전방을 향하도록 배열된 U형 홈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 안내면(322)은 전극 안내면(322)의 후방부가 접지 전극 수용부(323)가 제공된 전극 안내면(322)의 후방부보다 레이저 프린터(1)의 상부에 더욱 인접하도록 배열된 경사진 표면일 수 있다. 또한, 전극 안내면(322)은 현상제 롤러 전극 접촉부(273) 및 접지 전극 접촉부(276)를 가로질러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현상제 롤러 전극 접촉부(273) 및 접지 전극 접촉부(276)는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안내면(322)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도록 제공된다.
주 케이싱(2)에 프로세스 카트리지(20)를 장착할 때, 접지 전극(127)은 접지 전극 수용부(323)에 의해 수납될 때까지 전극 안내면(322)으로 안내된다. 접지 전극 수용부(323)에 도달하기 전에, 접지 전극 접속부(171)는 접지 전극 접촉부(273) 상부로 통과하도록 현상제 롤러 접촉부(273)를 하향 가압함으로써 전극 안내면(322)으로부터 상향 돌출한 현상제 롤러 전극 접촉부(273)를 통과한다. 그 후에, 접지 전극 접속부(171)는 전극 안내면(322)을 향해 접지 전극 접촉부(276)를 아래로 가압한다.
접지 전극(127)이 접지 전극 수용부(323)에 의해 수납될 때, 접지 전극(127) 및/또는 접지 전극 연결부(171)는 접지 전극 접속부(276)의 가압 부재(예를 들어, 스프링)에 의해 접지 전극 수용부(323)의 후방부로 상향 가압된다. 결국, 접지 전극(127) 및/또는 접지 전극 접속부(171)는 접지 전극 수용부(323)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고, 접지 전극 접촉부(276)는 적절하게 접지 전극(127) 및/또는 접지 전극 접속부(171)에 접속된다.
또한, 현상제 롤러 전극(76)은 현상제 롤러 전극 접촉부(273)를 하향 가압함으로써 현상제 롤러 전극 접촉부(273) 상부로 통과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주 케이싱(2)에 부착될 때[예를 들어, 접지 전극(127) 및/또는 접지 전극 접속부(171)가 접지 전극 수용부(323)에 의해 수납될 때], 현상제 롤러 전극 접촉부(273)는 현상제 롤러 전극(76)의 전방 저부에 접촉하고, 현상제 롤러 전극(76) 및/또는 현상제 롤러 전극 접속부(173)는 현상제 롤러 전극 접촉부(273)의 가압력에 의해 상부 후방측을 향해 대각선으로 상향으로 가압된다.
현상제 롤러 전극 접촉부(273)가 현상제 롤러 전극(76) 및/또는 현상제 롤러 전극 접속부(173)를 그 전방 저부로부터 접촉하도록 현상제 롤러 전극 접촉부를 제공함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주 케이싱(2)에 부착될 때 현상제 롤러 전극 접촉부(273)와 와이어 전극 접촉부(271) 사이의 공간이 증가된다. 즉, 현상제 롤러 전극 접촉부(273)가 현상제 롤러 전극(76)의 상부 및/또는 현상제 롤러 전극 접속부(173)에 접속된다면, 그 후에 더 작은 공간이 현상제 롤러 전극 접속부(273)와 와이어 전극 접속부(271) 사이에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현상제 롤러 전극(76) 및/또는 현상제 롤러 전극 접속부(173)를 그들의 전방 저부로부터 접촉하는 현상제 롤러 전극 접촉부(273)를 제공함으로써, 현상제 롤러 전극 접촉부(273)로부터 현상제 롤러 전극(76)으로의 전하의 전사의 효율 및 정밀도가 개선된다.
좌측 프레임(167)을 참조하여,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구동력 전달 기어(277)는 레버 구동력 전달 기어(277)의 전방 하부가 노출되도록 좌측 프레임 (16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시트 공급 트레이(9)(도1 참조)가 주 케이싱(2)에 부착될 때, 시트 공급 트레이(9) 내에 제공된 입력 기어(도시 생략)는 레버 구동력 전달 기어(277)와 결합한다. 구동력이 레버 구동력 전달 기어(277)로부터 입력 기어(68)에 제공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레버(17)(도1 참조)는 제공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고, 시트 가압 부재(15)의 전방 단부는 레버(17)에 의해 상향 가압된다. 입력 기어(68)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레버 구동력 전달 기어(277)와 함께, 시트 공급 트레이(9)는 레버 구동력 전달 기어(277)와 트레이 로킹 부재(283)(후술함)의 결합에 의해 주 케이싱(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26은 레이저 프린터(1)의 대표적인 우측 프레임(281)의 내부면의 측면도이다. 우측 프레임(281)의 내부면은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주 케이싱(2)에 부착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우측에 대면한다. 우측 프레임(281)의 내부면에는, 샤프트 안내면(361) 및 드럼 샤프트 수용부(362)가 제공될 수 있다. 샤프트 안내면(361)은 주 케이싱(2)으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장착 및 탈거 중에 드럼 샤프트(125) 및 현상제 롤러 샤프트(64)의 우측 단부를 안내한다. 드럼 샤프트 수용부(362)는 드럼 카트리지(27) 및/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주 케이싱(2)에 부착될 때 드럼 샤프트(125)의 우측 단부를 수납한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드럼 샤프트(125)의 우측 단부는 또한 드럼 샤프트(125)의 우측 및 좌측 단부가 접지 전극(127)으로서 기능하도록 접지될 수 있다.
샤프트 안내면(361) 및 드럼 샤프트 수용부(362)는 좌측 프레임(167)의 접지 전극 수용부(323) 및 전극 안내면(322)에 각각 대칭적으로 대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샤프트 안내면(361)은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샤프트 안내면(361)의 전방부는 드럼 샤프트 수용부(362)가 제공되는 그의 후방부보다 레이저 프린터(1)의 상부에 더 근접하게 배열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주 케이싱(2)에 장착될 때, 드럼 샤프트(125)의 우측 단부 및 현상제 롤러 전극(76)의 우측 단부는 드럼 샤프트(125)가 드럼 샤프트 수용부(362)에 의해 결합될 때까지 샤프트 안내면(361)의 표면을 따라 활주한다. 드럼 샤프트 수용부(362)는 예를 들면 U형 드럼 샤프트 수용부(362)가 레이저 프린터(1)의 전방에 대면하도록 배열된 U형 형상 홈부일 수 있다.
주 케이싱(2)으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장착시에, 접지 전극(127)[즉, 칼라 부재(83)] 및 좌측 현상제 롤러 전극(76)[즉, 현상제 롤러 샤프트(64)의 좌측 단부]은 좌측 프레임(167)의 전극 안내면(322) 상에 안내되고, 드럼 샤프트(125)의 우측 단부 및 현상제 롤러 샤프트(64)의 우측 단부는 우측 프레임(281)의 샤프트 안내면(361) 상에 안내된다. 드럼 샤프트(125)의 우측 단부는 접지 전극(127)이 접지 전극 수용부(323)에 의해 수납될 때와 사실상 동시에 드럼 샤프트 수용부(362)에 의해 수납된다.
게다가, 우측 프레임(281)의 내부면에는, 광 소자 및 수광 소자 중 하나가 우측 프레임(281)에 제공되고 다른 것은 좌측 프레임(167)에 제공되도록 발광 소자의 다른 것 및 현상제 부족/고갈 센서의 수광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주 케이싱(2)에 부착될 때, 드럼 카트리지(27)의 토너 검출 개구(101), 현상제 카트리지의 토너 검출 윈도우(85) 및 우측 프레임(281)에 제공된 현 상제 부족/고갈 센서(371)의 수광 소자 또는 발광 소자가 폭방향을 따라 정렬된다.
우측 프레임(281)에 제공된 현상제 부족/고갈 센서(371)의 전방측에는 정합 롤러 가압 부재(381)가 위치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주 케이싱(2)에 장착될 때, 정합 롤러 가압 부재(381)는 상측 정합 롤러(14)의 우측 단부를 하향으로 가압한다. 정합 롤러 가압 부재(381)는 예를 들면 샤프트(382)에 의해 지지되는 비틀림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정합 롤러 가압 부재(381)는 우측 프레임(281)으로부터 폭방향을 따라 내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합 롤러 가압 부재(381)는 일 단부가 전극 안내면(361)을 따라 레이저 프린터(1)의 전방측을 향해 대각선으로 상향으로 연장되고 다른 단부는 레이저 프린터(1)의 전방측을 향해 대각선으로 하향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장착된 상태에서,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우측벽(97)의 토너 검출 윈도우 및 현상제 부족/고갈 센서(371)는 폭방향으로 서로 대면한다. 게다가, 정합 롤러 가압 부재(381)의 하단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에 의해 지지된 상측 정합 롤러(14)의 우측 단부에 접촉하여 정합 롤러(14)의 우측 단부를 하향으로 가압한다.
더욱이, 우측 프레임(281)의 내부면에는, 폭방향을 따라 우측 프레임(281)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하는 오목부(282)가 우측 프레임(281)의 전방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282)에서, 트레이 로킹 부재(283)가 시트 공급 트레이(9)(도1 참조)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로킹 기구로서 제공될 수 있다.
트레이 로킹 부재(283)는 예를 들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예를 들면 굴곡 아암(284)의 후방 단부가 레이저 프린터(1)의 내부를 향해[즉, 오목부(282)의 외부로] 지향되도록 굴곡된 굴곡 아암(284)을 포함한다. 접촉 영역(285)은 굴곡 아암(284)의 후방 단부에 제공되고 굴곡 아암(284)의 전방 단부는 오목부(282)의 두께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샤프트(286)에 회전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게다가, 스프링(도시 생략)이 접촉 영역(285)이 스프링의 힘에 의해 레이저 프린터(1)의 내부를 향해 및 오목부(282)의 외부를 향해 계속 압박된다.
시트 공급 트레이(9)가 주 케이싱(2)에 장착될 때, 시트 공급 트레이(9)의 우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로킹 부재 결합부(도시 생략)가 트레이 로킹 부재(283)의 접촉 영역(285)에 접촉하고, 트레이 로킹 부재(283)는 로킹 부재 결합부가 오목부(282) 및 트레이 로킹 부재(283)에 의해 통과될 수 있도록 스프링(도시 생략)의 힘에 대항하여 오목부(282) 내로 접촉 영역(285)을 가압한다.
로킹 부재 결합부가 접촉 영역(285)에 의해 통과될 때, 트레이 로킹 부재(283)는 접촉 영역(285)이 오목부(282)로부터 돌출되고 시트 공급 트레이(9)의 로킹 부재 결합부와 결합하도록 스프링에 의해 공급된 힘에 의해 복원된다. 그 결과, 주 케이싱(2)으로부터의 시트 공급 트레이(9)의 바람직하지 않은 분리가 방지된다.
게다가, 우측 프레임(281)의 내부면에는, 가압 접지 접점(287)이 제공될 수 있다. 가압 접지 접점(287)은 시트 공급 트레이(9)가 주 케이싱(2)에 장착될 때 시트 공급 트레이(9)의 우측면에 형성된 접지 접속 개구(도시 생략) 내로 끼워맞춤된다.
더욱이, 우측 프레임(281)에는, 팬이 우측 프레임(281)의 폭방향을 따라 사실상 중심부에 위치될 수 있다 팬(288)은 레이저 프린터(1)의 내부를 냉각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20) 및 정착부(21)에 의해 생성된 열을 상쇄한다. 팬(288)은 우측 프레임(281)의 내부 및 외부 모두로 노출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도27a 및 도27b는 커플링 부재(73)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전진/수축 작동의 설명을 위해 도27a는 커플링 부재(73)의 전진 상태를 지시하고, 도 27b는 커플링 부재(73)의 수축 상태를 지시한다.
커플링 부재(73)는 연결 구멍(74)에 연결되도록 전진하고 입력 기어(68)의 연결 구멍(74)(도8 참조)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수축된다. 커플링 부재(73)를 전진 및 수축하기 위한 아암(291)이 좌측 프레임(167)에 제공된다. 아암(291)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1 아암(292) 및 제1 아암(292)의 후방 단부에 제공된 제2 아암(293)을 포함한다.
제2 아암(293)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그 내부로 커플링 부재(73)가 삽입될 수 있는 기다란 구멍을 포함한다. 도27a 내지 도2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아암(293)의 후방 단부는 그의 전방 단부보다 두꺼운 측벽을 갖는다. 제2 아암(293)의 후방 단부는 커플링 부재(73)를 위한 수축부(294)에 대응하고 제2 아암(293)의 전방 단부는 전진부(295)에 대응한다.
아암(291)은 아암(291)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좌측 프레임(167)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아암(291)은 예를 들면 커플링 부재(73)가 아암(291)의 후방 단부에서 전진부(294)에 의해 결합될 때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 다. 아암(291)은 전방 커버(7)의 개방 및 폐쇄 상태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커플링 부재(73)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주 케이싱(2)에 부착될 때 입력 기어(68)의 연결 구멍(74)으로부터 가로지르도록 위치될 수 있다. 회전 구동력이 주 케이싱(2)에 제공된 모터(도시 생략)로부터 커플링 부재(73)로 입력될 수 있다. 커플링 부재(73)는 스프링과 같은 가압 부재(도시 생략)에 의해 폭방향을 따라 내향으로 연속적으로 가압된다.
주 케이싱(2)에 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2)의 장착 및 탈거 중에, 전방 커버(7)가 개방되면, 아암(291)은 전방 커버(7)의 개방 상태와 함께 전방측으로 이동한다. 이 동안에, 제2 아암(293)의 수축부(294)는 도2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73)와 결합한다. 따라서, 커플링 부재(73)는 가압 부재에 의해 공급된 힘에 대항하여 입력 기어(68)의 연결 구멍(74)으로부터 수축된다.
주 케이싱(2)으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장착 후에, 전방 커버(7)가 폐쇄되면, 아암(291)은 후방을 향해 이동한다. 이 동안에, 전진부(295)가 도2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73)와 결합한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주 케이싱(2)에 장착되면, 커플링 부재(73)는 가압 부재에 의해 공급된 힘에 의해 입력 기어(68)의 연결 구멍(74) 내로 전진하고 커플링 부재(73)가 입력 기어(680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그 결과, 커플링 부재(73)로부터의 구동력이 입력 기어(68)에 전달될 때, 현상제 공급 롤러(31), 현상제 롤러(32) 및 교반기(46)가 입력 기어(68)에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도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주 케이싱(2)에 장착될 때 입력 기어(68)의 연결 구멍(74)에 연결되는 커플링 부재(73)가 좌측 프레임(167)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커플링 부재(73)는 폭방향을 따라 전진 및/또는 수축하여 입력 기어(68)의 연결 구멍(74)과 연결될 수 있다. 커플링 부재(73)는 활주 아암(174)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커플링 부재(73)는 도28a 및 도2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케이싱(2)에 대한 활주 아암(174)의 위치에 따라 전진 상태와 수축 상태 사이에서 제어될 수 있다.
현상제 롤러 접촉 부재(175)는 또한 예컨대 활주 아암(174) 상에 제공될 수 있다. 활주 아암(174)의 위치에 따라, 현상제 롤러 접촉 부재(175)는 현상제 롤러 전극(76)과 접촉하거나 현상제 롤러 전극에서 분리된다.
도28a 및 도2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주 아암(174)은 예컨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아암(176)과 제2 아암(177)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아암(177)은 제1 아암(176)의 후방 단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제1 아암(176)은 사실상 제2 아암(177)에 수직이다. 제2 아암(177) 상에 상향 및 하향으로 연장된 긴 구멍 또는 홈이 제공된다. 커플링 부재(73)는 제2 아암(177)의 긴 구멍 또는 홈 내로 삽입될 수 있다. 긴 구멍 또는 홈은 커플링 부재(73)가 제2 아암(177)의 일단부에서 다른 단부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긴 구멍 또는 홈은 수축부(178) 및 전진부(179)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수축부(178)는 전진부(179)보다 폭방향을 따라 더 두껍다. 따라서, 수축부(178)는 도2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73)의 적어도 일부를 보호할 수 있다. 활주 아암(174)의 제2 아암(177)의 수축부(178)가 커플링 부재(73)와 결합하면, 도2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73)는 탈거 공극(6)으로부터 멀리 폭방향을 따라 외향으로 당겨져서 커플링 부재(73)가 수축 상태로 된다.
활주 아암(174)의 제2 아암(177)의 전진부(179)가 커플링 부재(73)와 결합하면, 도2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73)는 탈거 공극(6)쪽으로 폭방향을 따라 내향으로 밀어져서 커플링 부재(73)가 전진 상태로 된다.
도29a 및 도2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73)는 외향 돌출되고 수축부(178)에서 폭방향을 따라 더 두꺼운 제2 아암(177)의 외부면에 따라 수축 상태 및 전진 상태에 놓일 수 있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주 케이싱(2)에 장착될 때, 커플링 부재(73)는 현상제 카트리지(28)의 입력 기어(68)의 연결 구멍의 폭 방향을 따라 대면하여 위치된다. 주 케이싱(2)의 내측에 제공된 모터(도시 안됨)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은 커플링 부재(73)를 경유하여 현상제 카트리지(28)의 입력 기어(68)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커플링 부재(73)는 스프링(181)에 의해 장착/탈거 공극(6)쪽으로 내향으로 항상 압박된다(도24 참조).
활주 아암(174)이 이동 또는 회전할 때, 커플링 부재(73)와 결합된 제2 아암(177)의 긴 구멍 또는 홈의 위치는 변경된다. 제2 아암(177)의 정렬된 위치가 전진부(179) 또는 수축부(178)인지에 따라, 커플링 부재(73)는 전진 상태 또는 수축 상태에서 각각 설정된다. 제2 아암(177)의 수죽부(178)가 커플링 부재(73)와 결합될 때, 커플링 부재(73)는 폭 방향을 따라 스프링(181)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외향 으로 당겨지고, 제2 아암(177)의 외부면에 의해 장착/탈거 공극(6)으로부터 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 롤러 연결 부재(175)는 또한 활주 아암(174)에 제공될 수 있다. 도28a 내지 도28d 및 도29a 내지 도2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롤러 연결 부재(175)는 제2 아암(177)의 전진부(179)의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아암(177)의 수축부(178)는 커플링 부재(73)와 결합되고, 도28a 및 도2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롤러 연결 부재(175)는 현상제 롤러 전극(76)과 접촉하지 않고 분리된 상태이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도2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롤러 연결 부재(175)가 분리된 상태 일 때, 현상제 롤러 연결 부재(175)는 현상제 롤러 전극(76)으로부터 분리되고, 예를 들어, 현상제 롤러 전극(76)의 아래에 위치된다. 제2 아암(177)의 전진부(179)가 커플링 부재(73)와 결합될 때, 현상제 롤러 연결 부재(175)는 현상제 롤러 전극(76)과 접촉되고, 접속 상태이다.
현상제 롤러 연결 부재(175)는 현상제 롤러 연결 부재(175)가 현상제 롤러 전극(76)의 좌측 단부와 접촉할 때 현상제 롤러 전극(76)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원통형 또는 반원형 부재의 형상일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현상제 롤러 연결 부재(175)는 현상제 롤러 전극(76)의 좌측 단부와 접촉하는 돌출하는 플레이트형 부재일 수 있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현상제 롤러 연결 부재(17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 케이싱 내측의 도시되지 않은 전원 공급원에 연결된다. 도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롤러 연결 부재 (175)는 활주 아암(14)의 제2 아암(177)의 하부 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제공된다.
도28a 및 도2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주 아암(174)의 제1 아암(176)의 전방 단부는 좌측 프레임(167)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될 수 있어서, 활주 아암(174)의 제2 아암(177)은 사실상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아암(176)이 전방 단부에 대해 회전할 때, 커플링 부재(73)는 수축부(178) 또는 전진부(179)에서 배열되도록 제2 아암(177)의 긴 구멍 또는 홈을 따라 활주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활주 아암(174)의 이동 또는 회전은 전방 커버(7)에 활주 아암(174)을 링크시키는 링크(1890)에 의해 전방 커버(7)의 개폐에 기초한다.
전방 커버(7)가 개방될 때, 주 케이싱(2)으로 그리고 그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설치 및 제거 동안, 제1 아암(176)의 후방 단부는 지렛점이고, 도2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커버(7)의 개방과 동조되고, 도2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부(178)는 커플링 부재(73)와 결합한다. 그 결과, 커플링 부재(73)는 스프링(81)에 인가된 힘에 저항하는 입력 기어(68)의 연결 구멍(74)으로부터 수축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주 케이싱(2)에 장착될 때, 전방 커버(7)가 폐쇄되면, 제1 아암(176)의 후방 단부는 상승하고 커플링 부재(73)의 상태가 변경되도록(예를 들어, 수축 상태 또는 전진 상태) 제1 아암(176)의 전방 단부에 대해 회전하고, 도28a 내지 도28b 및 도29a 내지 도2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롤러 연결 부재(175)는 전방 커버(7)의 개폐와 동조(예를 들어, 접촉 상태 또는 분리 상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아암(177)의 전진부(179)는 커플링 부재(73)와 결합되고, 커플링 부재(73)는 커플링 부재(73)가 입력 기어(68)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스프링(181)의 압박력에 의해 입력 기어(68)의 연결 구멍(74) 내로 전진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커플링 부재(73)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은 입력 기어(68)로 전달될 수 있다.
전술한 기어 기구(45)의 작동 결과,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구동력이 커플링 부재(73)로부터 입력 기어(68)로 전달될 때, 구동력은 또한 중간 기어(70)를 경유하여 교반기 구동 기어(69)에 공급되어 교반기(46)는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부가로, 이러한 상태의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구동력은 입력 기어(68)로부터 현상제 롤러 구동 기어(71) 및 공급 롤러 구동 기어(72)로 전달되어 현상제 롤러(32)와 현상제 공급 롤러(31)는 각각 회전되도록 구동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2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 롤러 연결 부재(175)는 현상제 롤러 전극(76)을 폭 방향으로 오버랩함으로써 현상제 롤러 전극(76)과 접촉한다. 이러한 상태의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현상 바이어스는 현상제 롤러 연결 부재(175)를 경유하여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현상제 롤러 전극(76)으로 공급될 수 있다.
감광 드럼(92)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감광 드럼 구동 기어(191)는 감광 드럼 기어 개구(196)로부터 노출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주 케이싱(2)에 장착될 때, 감광 드럼 구동 기어(191)는 감광 드럼 기어 개구(196)에 의해 주 케이싱(2)에 제공된 드럼 기어(도시 안됨)와 결합한다. 드럼 기어는 감광 드럼(92)을 회전시키도록 모터(도시 안됨)로부터 감광 드럼(9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공급한다.
다음에, 현상제 카트리지(28)의 토너 공급 프로세스의 설명이 제공될 것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주 케이싱(2)에 장착될 때, 기어 기구(45)는 모터(도시 안됨)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고, 현상제 카트리지(28)의 현상제 수납 섹션(30)의 토너는 교반기(46)에 의해 교반된다. 그 다음에, 토너는 현상제 통로(58)로부터 현상제 공급 섹션(36)쪽으로 토출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현상제 통로(58)로부터 현상제 공급 섹션(36)으로 토출된 토너는 현상제 공급 롤러(31)의 회전에 의해 현상제 롤러(32)에 공급된다. 이 때, 토너는 현상제 롤러(32)에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를 경유하여 양으로 대전된다.
현상제 롤러(32)의 표면상에 공급된 토너는 현상제 롤러(32)의 회전에 따라 두께 조절 부재(33)의 가압 부재(67)와 현상제 롤러(32) 사이에서 이동하여, 사실상 균일한 두께를 갖는 박층으로써 토너가 현상제 롤러(32)의 표면에 보유된다.
다음에, 감광 드럼(92)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대표적인 프로세스가 설명될 것이다. 대전기(93)는 감광 드럼(92)의 표면을 균일하게 양으로 대전시키도록 그리드 전압과 방전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접지 방전을 발생시킨다. 감광 드럼(92)이 회전되면서 감광 드럼(92)의 외주면이 균일하게 양으로 대전된 후에, 감광 드럼(92)의 표면은 스캐너(19)로부터 레이저 비임의 고속 주사에 의해 노출된다. 형성될 화상에 상응하는 정전 잠상 화상은 감광 드럼(92)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 레이저 비임에 노출되는 감광 드럼(92)의 일부는 감광 드럼(92)의 양으로 대전된 노출되지 않은 부분보다 낮은 전위를 획득한다.
따라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감광 드럼(92)이 회전함에 따라, 현상제 롤러(32)의 표면에 보유된 양으로 대전된 토너가 현상제 롤러(32)의 회전에 의해 감광 드럼(92)과 대면하고 접촉할 때, 토너가 감광 드럼(92)의 낮은 전위의 노출부에 공급된다. 그 결과, 감광 드럼(92) 상의 정전 잠상은 가시화되고, 역현상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된 토너 화상은 감광 드럼(92)의 외주면에 보유된다.
그 다음에,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감광 드럼(92)이 회전함에 따라, 예를 들어, 전사 롤러(94)와 대면하고, 감광 드럼(92)의 외주면상에 보유된 토너 화상은 시트(3)가 감광 드럼(92)과 전사 롤러(94)의 사이의 전사 위치를 지나 정합 롤러(14)에 의해 전사되면서 전사 롤러(94)에 인가된 전사 바이어스에 의해 시트(3)p 전사된다. 토너 화상이 전사된 시트(3)는 후술하는 정착부(21)에 전사된다.
토너 화상이 시트(3)에 전사된 후에, 감광 드럼(92)이 회전하고 세척 브러시(95)와 대면할 때, 감광 드럼(92)의 외주면에 부착된 용지 먼지는 세척 바이어스가 세척 전극(148)을 경유하여 세척 브러시(95)에 인가될 때 세척 브러시(95)에 의해 수집된다. 시트(3)에 화상이 전사된 후에 감광 드럼(92)의 외주면에 잔류하는 토너는 현상제 롤러(32)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정착부(21)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케이싱(2)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0) 후방에 제공된다. 정착부(21)는 가열 롤러(183)와 압착 롤러(184)를 수납하는 정착 프레임(18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 롤러(183)는 금속 으로 제조된 튜브와, 튜브의 내측에 제공된 램프(예를 들어 할로겐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롤러(183)는 모터(도시 안됨)에 의해 공급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압착 롤러(184)는 가열 롤러(184)와 하방에서 접촉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압착 롤러(184)는 금속으로 제조된 롤러 샤프트와 고무 재료로 제조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는 롤러 샤프트를 커버할 수 있고 가열 롤러(183)의 회전에 따라 회전된다.
정착부(21)에서, 전사부에서 시트(3) 상에 전사된 토너는 시트(3)가 가열 롤러(183)와 가압 롤러(184) 사이를 통과하면서 가열되고 정착된다. 토너가 정착된 시트(3)는 주 케이싱(2)의 상부면 쪽으로 상향 및 하향으로 연장하는 용지 방출 경로(185)로 이송된다. 용지 방출 경로(185)로 이송된 시트(3)는 주 케이싱(2)의 상부면에 형성된 용지 방출 트레이(187)로 용지 방출 롤러(186) 세트에 의해 방출될 수 있다. 용지 방출 롤러(186)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방출 트레이(187)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태양을 채용한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다양한 대표적인 실시예들의 다양한 특징이 후술된다. 도17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대표적인 실시예와 같은 소정의 실시예에서, 모든 전극[예를 들어, 세척 전극(148), 그리드 전극(132), 와이어 전극(131), 접지 전극(127), 전사 전극(137) 및 현상제 롤러 전극(76)]들이 폭 방향을 따라 드럼 카트리지(27) 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일측(예를 들어, 좌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드럼 카트리지(27) 및/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크기가 감소되면서, 드럼 카트리지(27) 및/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구조는 단순화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들[예를 들어, 세척 전극(148), 그리드 전극(132), 와이어 전극(131), 접지 전극(127), 전사 전극(137) 및 현상제 롤러 전극(76)] 중에서 세척 전극(148)은 최후방이고 폭 방향으로 최내측 전극일 수 있다. 그 결과,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탈거 중에, 세척 전극(148)이 최후방 전극일 수 있기 때문에, 세척 전극(148)은 폭 방향을 따라 세척 전극 접속부(168)와 정렬되기 전에 다른 전극들(132, 131, 127, 137, 6)의 전극 접속부(169, 170, 171, 172, 173)를 통과한다.
그러나, 세척 전극(148)이 폭 방향으로 최내측 전극이기 때문에, 전극 접속부(169, 170, 171, 172, 173, 175)에 대한 세척 전극(148)의 긁힘 또는 마찰이 감소되고, 바람직하게는 방지된다.
세척 전극(148)을 모든 전극들(132, 131, 127, 137, 76)의 최내측에 정렬함에 따라, 세척 전극(148)과 전극 접속부(169, 170, 171, 172, 173)들 사이에는 큰공간이 존재한다. 이러한 정렬은 전극 접속부(169, 170, 171, 172, 173)들에 대한 전극(148, 132, 131, 127, 137, 76)들의 마찰, 긁힘 및 느슨해짐을 야기할 수 있는 접속 오류를 감소시키고 바람직하게는 방지할 수 있도록 조력한다.
전극(148, 132, 131, 127, 137, 76)들이 폭 방향을 따라 상이한 위치에 정렬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드럼 카트리지(27) 및/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수명은 드럼 카트리지(27) 및/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장착 및 탈거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전극(148, 132, 131, 127, 137, 76)과 전극 접속부(168, 169, 170, 171, 172, 173)에 대한 손상을 감소시키고 바람직하게는 방지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실시예에서 세척 전극(148)이 최후방이고 폭 방향을 따라 최내측에 있을 수 있고, 세척 전극(148)은 화상 형성 영역(X)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어서, 화상 형성 영역(X)은 세척 전극(148)에 의해 시트(3)에 대해 차단되지 않는다. 따라서, 세척 전극(148)의 접촉 오류는 정확한 화상 형성이 달성되면서 억제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세척 전극(148)이 최후방 전극이면, 세척 브러시(95)가 감광 드럼(92)의 뒤에 [예를 들어, 감광 드럼(92)의 회전 방향에 기초하여 감광 드럼(92)과 전서 롤러(94)가 서로 대면하는 전사 위치의 하류에] 위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세척 브러시(95)는 화상 형성 영역(X)의 하류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태양을 채용한 소정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기어 기구(45)는 또한 모든 전극(148, 132, 131, 127, 137, 76)과 같이 동일한 측면(예를 들어, 좌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드럼 카트리지(28) 및/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구조는 드럼 카트리지(28) 및/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크기를 감소시키면서 간소화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어 기구(45)는 드럼 카트리지(27)의 좌측벽(96)의 전방 쪽으로 위치될 수 있고, 모든 전극(148, 132, 131, 127, 137, 76)은 드럼 카트리지(27)의 좌측벽(96)의 후방 쪽으로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드럼 카트리지(28) 및/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간소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모든 전극(148, 132, 131, 127, 137, 76)은 기어 기구(45)의 입력 기어(48)의 뒤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력이 활주 아암(174)에 장착된 커플링 부재(73)를 통해 입력 기어(68)로 공급될 수 있으면서, 커플링 부재(73)와 활주 아암(174)이 입력 기어(68)의 전방에 제공되기 때문에, 커플링 부재(73)와 활주 아암(174)은 전극(148, 132, 131, 127, 137, 76)들과 간섭하지 않는다.
따라서, 커플링 부재(73)와 활주 아암(174)의 이동에 의해 전극(148, 132, 131, 127, 137, 76)에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은 방지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20)를 구동하기 위한 안정된 구동력이 커플링 부재(73)를 경유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20)에 제공될 수 있으면서, 드럼 카트리지(27)의 전극(148, 132, 131, 127, 137, 76)의 정확한 위치 설정이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태양을 채용한 소정의 실시예에서, 모든 전극(148, 132, 131, 127, 137, 76)과 기어 기구(45)가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동일한 측면(예를 들어, 좌측)에 위치되더라도, 모든 전극(148, 132, 131, 127, 137, 76)은 기어 기구(45)의 후방에 위치되어, 기어 기구에 의해 발생되는 그리스와 먼지에 의한 전극(148, 132, 131, 127, 137, 76)의 오염이 감소되고, 바람직하게는 방지된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전극(148, 132, 131, 127, 137, 76)의 적어도 일부의 오염은 또한 이들 전극이 기어 기구(45)에 의해 발생되는 먼지, 그리스 등으로부터 방지될 수 있도록 적어도 소정의 전극(148, 132, 131, 127, 137, 76)을 기어 기구(45)의 우측에 위치시킴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대표적인 실시 예에서, 세척 전극(148)이 모든 전극(132, 131, 127, 137, 76)들의 최내측에 배열되기 때문에 세척 전극(148)은 다른 전극(132, 131, 127, 137, 76)들보다 기어 기구(45)에 의해 발생되는 먼지, 그리스 등으로부터 보다 보호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태양의 소정의 실시예에서, 현상제 공급 개구(47)는 전극(148, 132, 131, 127, 137, 76)들이 위치되는 측면(예를 들어, 좌측)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다른 측(예를 들어, 우측)에 제공될 수 있다. 도10에 도시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현상제 공급 개구(47)는 현상제 카트리지(28)의 우측벽(39)에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현상제의 누출로 인한 전극(148, 132, 131, 127, 137, 76)의 오염은 감소되고 바람직하게는 제거된다.
실시예에서, 세척 전극(148), 전사 전극(137), 와이어 전극(131), 그리드 전극(132), 접지 전극(127) 및 현상제 롤러 전극(76)은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좌측벽(96)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세척 전극(148), 전사 전극(137), 와이어 전극(131), 그리드 전극(132), 접지 전극(127) 및 현상제 롤러 전극(76)이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좌측벽(96)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148, 132, 131, 127, 137, 76)들은 또한 그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전극(148, 132, 131, 127, 137, 76)들이 배열되는 다양한 벽(108L, 109L, 111, 113)을 연결하기 위한 벽으로써 제공되는 제3벽(110L), 제5벽(112) 및 제7벽(114) 때문에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을 따라 상이한 지점에서 배치될 수 있다.
전극(148, 132, 131, 127, 137, 76)들 사이의 거리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소형화를 허용하면서 전극(148, 132, 131, 127, 137, 76)들 사이의 누전 또는 단락을 감소시키고 바람직하게는 방지하도록 조력한다. 예를 들어, 현상제 롤러(76)와 와이어 전극(131) 사이의 누전 또는 단락은 폭 방향을 따라 현상제 롤러(76)와 와이어 전극(131)을 분리시키는 제5벽(112)에 의해 감소되고 바람직하게는 방지된다.
도23b에 도시된 대표적인 실시예와 같은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소정의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139)가 전사 전극 보유부(138)에 의해 결합될 때, 전사 전극(137)은 폭 방향을 따라 외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40)를 포함하고 전사 전극 개구(142)에 의해 수용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도23b 및 도2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 전극(137)은 결합 부재(139)가 제3벽(110L)에 사실상 직각으로 배열되도록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내측으로부터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전사 전극 수용부(143) 내로 결합 부재(139)를 삽입함으로써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에 장착된다.
보다 상세히는, 도23c에 도시된 대표적인 실시예와 같은 소정의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139)는 각각의 결합 리브(145)의 발톱부(147)와 결합 부재(139)의 일단부를 결합시키고, 다른 결합 리브(145)의 발톱부(147)와 결합 부재(139)의 타단부가 결합되도록 돌출부에 대해 결합 부재(139_를 회전시킴으로써 전사 전극 수용부(143)에 의해 수용된다. 그 결과, 전사 전극(137)은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에 간단하고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돌출부(140)와 전극 접촉부 (141)를 포함할 수 있는 결합 부재(139)는 결합 리브(145)와 발톱부(147)에 의해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전사 전극(137)이 예를 들어, 도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에 배열될 때, 전사 롤러 샤프트(133)의 좌측 단부는 전사 전극(137)의 전극 접촉부(141)와 접촉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전사 롤러 구동 기어(135)는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내측[예를 들어, 제2벽(109L)의 우측]에 배열되고, 제2벽(109L)과 전사 롤러 구동 기어(135) 사이에 소정의 거리가 존재한다.
또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전사 롤러(137)는 드럼 카트리지(27)의 좌측벽(96)의 후방측 벽부(105L)의 제1벽(108L)의 우측에 위치된 제2벽(109L)에 배열된다. 따라서, 전사 전극(137)과 전사 롤러 구동 기어(135)는 제1벽(108L)의 우측에 배열되고, 따라서, 주 케이싱(2)에 프로세스 카트리지(20)를 장착/탈거하는 동안 마찰 또는 긁힘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손상으로부터 보호된다.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현상제 카트리지(28)를 참조하면, 공급 롤러 샤프트(62)의 우측 단부와 현상제 롤러 샤프트(64)의 우측 단부는 공급 롤러 샤프트(62)의 좌측 단부와 현상제 롤러 샤프트(64)가 예를 들어 도전성 수지 재료로 제조된 칼라 부재(83)에 장착되면서, 예를 들어 절연 수지 재료로 제조된 베어링 부재(82)에 의해 회전식으로 보유된다.
현상제 롤러 샤프트(64)와 공급 롤러 샤프트(62)를 도전성 칼라 부재(83)에 접속시킴으로써, 현상제 공급 롤러(31)와 현상제 롤러(32)는 동일한 전위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급 롤러 샤프트(62)와 현상제 롤러(64)의 우측 단부를 지지하 는 베어링 부재(82)는 위치 설정 정확도와 공급 롤러(31) 및 현상제 롤러(32)의 회전 안정성을 증가시키도록 크게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베어링 부재(82)는 또한 현상제 카트리지(28) 및/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데 조력하도록 저렴한 절연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실시예에서 현상제 카트리지(28)는 기어 커버(77)를 포함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 커버(77)는 입력 기어(68), 교반기 기어(69), 중간 기어(70), 현상제 롤러 구동 기어(71) 및 공급 롤러 구동 기어(72)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기어 커버(77)는 기어(68, 69,70, 71, 72)가 현상 카트리지(28) 및/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주 케이싱(2)에 장착 및 탈거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하도록 조력한다.
또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기어 커버(77)는 현상제 롤러 샤프트(64)의 좌측 단부뿐만 아니라 기어(68, 69, 70, 71, 72)를 지지한다. 따라서, 현상제 롤러(32) 및 기어(68, 69, 70, 71, 72)의 위치 설정이 또한 보장된다. 그 결과, 안정적인 구동력이 현상제 카트리지(28)에 인가될 수 있으면서, 현상제 카트리지(28)의 부품 수를 감소시키고 현상제 카트리지(28)의 구조를 단순하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 기어(68)에 장착되기 위해 전진하는 커플링 부재(73)로 돌아가서,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주 케이싱(2)에 배열되고 전방 커버(7)가 폐쇄될 때, 도2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진부(179)는 커플링 부재(73)와 결합한다. 커플링 부재(73)는 입력 기어(68)의 연결 구멍(74) 내로 전진하여 입력 기어(68)와 커플링되어, 커플링 부재(73)는 입력 기어(68)와 일체식으로 회전한다. 즉, 커플 링 부재(73)는 입력 기어(68)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다.
동시에, 현상제 롤러 접촉 부재(175)는 폭 방향을 따라 현상제 롤러 전극(76)을 오버랩함으로써 현상제 롤러 전극(76)으로 전진하여 접촉한다. 그 결과, 현상제 카트리지(28)로의 전력의 안정적인 공급과 안정적인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접속이 보장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현상제 롤러 접촉 부재(175)가 폭 방향을 따라 현상제 롤러 전극(76)을 오버랩함으로써 현상제 롤러 전극(76)과 접촉하여 현상제 롤러 전극(76)에 대해 가압하기 때문에, 현상제 롤러 접촉 부재(175)는 커플링 부재(73)를 경유하여 입력 기어(68)에 인가되는 구동력 때문에 현상제 카트리지(28)의 좌측벽(38)이 이동하거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조력한다.
대표적인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칼라 부재(83)와 베어링 부재(82)에 대해, 예를 들어, 현상제 카트리지(28)의 현상제 롤러 샤프트(64)의 양 단부에 베어링 부재(82)가 제공되고 각각의 칼라 부재(83)가 드럼 카트리지(27)의 상응하는 샤프트 수용부(116)에 의해 수용되기 때문에, 구동력이 커플링 부재(73)로부터 입력 기어(68)로 전달될 때,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29)의 이동 또는 회전이 조절되고 바람직하게는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즉,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칼라 부재(83)는 각각의 롤러 샤프트 수용부(116)를 사실상 가로지르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상을 가질 수 있어서,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에 대한 현상제 카트리지(28)와 현상제 롤러 샤프트(64)의 이동 및/또는 회전이 조절되고 바람직하게는 방지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태양을 실시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 드럼 카트리지(27) 및/또는 현상제 카트리지(20)를 채용하는 레이저 프린터(1)는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으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20)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현상제 카트리지(28) 내에 토너가 적거나 없기 때문에 의한 화상 형성 문제를 포함하지 않는] 레이저 프린터(1)가 신뢰성있게 작동하는 평균 시간 길이를 증가시킨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전극 배열이 전극(148, 132, 131, 127, 137, 76)의 손상을 감소시키고 바람직하게는 방지하는데 유리하면서, 전극 배열은 주 케이싱(2)의 전극 접촉부(168, 169, 170, 171, 172, 173)의 손상을 감소시키고 바람직하게는 방지하도록 조력한다.
따라서, 전극(148, 132, 131, 127, 137, 76)들과 상응하는 접촉부(168, 169, 170, 171, 172, 173) 및/또는 접촉부(271, 272, 273, 274, 275, 276) 사이의 접촉 오류는 감소된다. 따라서, 한정적인 화상 형성을 위해 필요한 전력의 안정적인 공급이 긴 기간 동안 평균적으로 보장될 수 있다.
적절하고 안정적인 전력을 제외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20)는 또한 고품질 화상을 프로세스하기 위해 적절하게 위치 설정되는 것에 종속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드럼 카트리지(27)에 장착되고 적어도 화상 형성 장치가 개시될 때, 현상제 롤러(32)는 감광 드럼(92)과 접촉하여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21a 내지 도21d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현상제 카트리지(28)를 드럼 카트리지(27)에 장착하기 위해,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는 드럼 카트리지(27)의 가압부(149)의 가압 부재(151)와 결합된다.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는 현상제 카트리지(28)의 상부 연장부(37)에 제공될 수 있고, 가압부(149)는 드럼 카트리지의 하부 연장부(104)에 제공된다.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가 가압부(149)쪽으로 가압될 때,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는 스프링(152)의 후방 압박력에 의해 가압 부재(151)와 접촉하고,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가 가압부(149) 내로 "로킹"될 때,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 및 현상제 카트리지(28)는 후방으로 압박되어 현상제 카트리지(28)의 현상제 롤러(32)의 노출부는 감광 드럼(92)의 노출부와 접촉한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서, 가압부(149)는 현상제 카트리지(28)가 드럼 카트리지(27)에 장착될 때 감광 드럼(92)과 현상제 롤러(32) 사이에서 적절한 접촉을 보장하도록 조력한다. 따라서,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주 케이싱(2)에 장착될 때, 레이저 프린터(1)의 화상 형성 작동 동안 프로세스 카트리지(20)는 감광 드럼(92)과 현상제 롤러(32) 사이의 적절한 접촉을 보장하도록 조력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는 좌측벽 연장부(52)와 우측벽 연장부(53) 중 적어도 하나의 후방 저부로부터 폭 방향을 따라 외향으로 돌출한다. 하나의 가압부(149)만이 제공되는 실시예에서, 가압부(149)와 동일한 측의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는 가압부(149)의 가압 부재(151)와 손쉽고 정확하게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감광 드럼(92)에 대한 현상제 롤러(32)의 보다 정확한 가압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현상제 카트리지(28)가 드럼 카트리지(27)에 장착될 때, 하부 연장부(104)에 제공된 로크 레버(153)의 접촉부(161)는 상부 연장부(37)의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와 결합되어,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는 상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현상제 카트리지(28)는 드럼 카트리지(27)에 "로크"되어, 현상제 롤러(32)와 감광 드럼(92) 사이의 접촉을 유지하기 위해 드럼 카트리지(27)에 대한 현상제 카트리지(28)의 이동이 조절되고 바람직하게는 방지된다.
현상제 카트리지(28)가 드럼 카트리지(27)로부터 탈거될 때,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제어 부재(158)는 가압부(149)의 접촉부(161)로부터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를 해제하도록 하향으로 가압된다.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29)의 좌측벽(38)과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좌측벽(96) 사이의 공간과 같은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전체 경계 내에 제어 부재(158)를 제공함으로써,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로크 레버(153)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외부 경계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로크 레버(153), 그리고 특히, 제어 부재(158)는 주 케이싱(2)으로/으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 및 탈거 동안 주 케이싱(2)에 대해 결합 또는 마찰되기 쉽지 않다. 그러나, 소정의 실시예에서, 제어 부재(158)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외부 경계 너머로 돌출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는 가압부(작동부)와 결합부로써 기능한다. 즉,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는 현상제 카트리지(28)의 일부이고, 즉 가압부(149)의 접촉부(161)와 결합하는 현상제 카트리지(28)의 일부뿐만 아니라 가압부(151)에 의해서 가압되거나 작동된다. 따라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가압부와 결합부로써 제공되는 부재[예를 들어, 현상제 카트 리지 보스(79)]를 가짐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구조는 단순화되고 현상제 카트리지(28)의 다수의 부품들은 감소될 수 있다. 가압부와 결합부가 개별적으로 제공되면, 현상제 카트리지(28)의 부품 수는 증가될 것이다.
감광 드럼(92) 및 현상제 롤러(32) 사이의 접촉을 보장하는 것을 조력하기 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제공된 다른 기구는 현상제 카트리지(28)의 위치설정 부재(84)와 결합하는 드럼 카트리지(27)의 돌출부(118)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8)와 위치 설정 부재(84)가 단순한 구조를 갖더라도, 돌출부(118)와 위치 설정 부재(84)는 드럼 카트리지(27)에 대해 현상제 카트리지(28)의 쉽고 정확한 위치설정을 조력한다. 돌출부(118)와 위치 설정 부재(84)는 또한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가 가압부(149)에 의해 "로크"될 때, 드럼 카트리지(27)에 대해 현상제 카트리지(28)의 이동을 조절하도록 조력한다.
또한, 위치 설정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프린터(1)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주 케이싱(2)에 장착될 때 드럼 카트리지 보스(150)와 결합하는 위치 설정 부재(166)가 제공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위치 설정 부재(166)가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비교적 작은 부재[예를 들어, 드럼 카트리지 보스(150)]과 함께 작용하기 때문에, 위치 설정 부재(166) 자체는 또한 작을 수 있고, 위치 설정 부재(166)는 레이저 프린터(1)의 전체 크기를 감소시키는 데 조력하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주 케이싱(2) 내에 정확하게 위치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조력한다.
위치 설정 부재(166)는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프로세스 카트리지 (20)의 하부 전방 단부에 대해 회전하도록 하기 위해 현상제 롤러(32)에 대한 감광 드럼(92)의 회전이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전방 단부를 하향으로 압박하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후방 단부를 상향으로 압박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작동 동안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이동을 조절하도록 조력한다.
대표적인 위치 설정 부재(166)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전방 단부가 감광 드럼(92)과 현상제 롤러(32)의 회전을 야기하는 압박력에 반응하여 하향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정지부로서 작용하도록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전방 단부 아래에 위치된다.
다시 프로세스 카트리지(20)를 참조하면, 현상제 카트리지(28)의 동일 측에 기거 기구(45)와 로크 레버(153)를 제공함으로써, 현상제 카트리지(28)의 폭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드럼 카트리지(27)의 하부 연장부(104)에 가압부(149)를 제공하고 현상제 카트리지의 상부 연장부(37)에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를 제공함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두께(예를 들어, 상하 방향의 거리) 및/또는 전체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레이저 프린터(1)의 크기 또한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두께가 감소될 때, 주 케이싱(2)의 장착 탈거 공극(6)의 두께(예를 들어, 상하 방향의 거리)는 또한 감소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전체 크기(예를 들어, 두께, 체적, 길이 및/또는 폭)가 감소될 때, 주 케이싱(2)의 장착/탈거 공극(6)의 크기 또한 감소될 수 있다. 그 결과, 레이저 프린터(1)의 전체 크기 또한 감소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드럼 카트리지(27)를 참조하면,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정합 롤러(14)와 전방 저부 리브(165)는 하부 연장부(104)의 하부 연장벽부(195)의 하부면에 제공될 수 있다. 저부 리브(162)는 현상제 카트리지 수납부(103)의 저부벽부(194)의 저부면에 제공될 수 있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현상제 카트리지(28)가 드럼 카트리지(27)에 장착될 때, 전방 저부 리브(165)는 상부 정합 롤러(14)의 전방에 위치되면서, 저부 리브(162)가 상부 정합 롤러(14)의 뒤에 위치되어, 시트 공급 롤러(10)로부터 공급된 시트(3)는 상부 및 하부 정합 롤러(14)로 전방 저부 리브(165)에 의해 안내되어 저부 리브(162)에 의해 감광 드럼(92)으로 안내된다.
보다 상세히는,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드럼 카트리지(27)의 저부벽(98)의 저부 리브(162)와 드럼 카트리지(27)의 하부 연장벽부(195)의 전방 저부 리브(165)의 조합은 저부벽(98) 및 저부 연장벽(195) 각각이 강성을 갖도록 조력하면서, 상부 및 하부 정합 롤러(14)로, 그리고 저부 연장벽부(195)와 저부벽(98)을 따라 감광 드럼(92)으로 시트(3)를 안내하기 위한 사실상 연속 안내 기구를 형성한다.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개선시키는데 조력하기 위한 그리고/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크기를 감소시키는데 조력하기 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20)에 포함된 특성을 제외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20)는 또한 주 케이싱(2) 또는 서로 장착/탈거하는 동안 프로세스 카트리지(20), 드럼 카트리지(27) 및/또는 현상제 카트리지(28)를 취급하는 사용자를 조력하는 특성을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카트리지(28)는 현상제 카트리지(28)의 전방측에 핸들(81)을 구비할 수 있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파지부(78)는 현상제 수납 섹션(30)의 위 또는 아래보다 현상제 수납 섹션(30)의 전방에 제공된다. 따라서, 현상제 카트리지(28)의 전체 두께(즉, 상향 및 하향의 거리)는 파지부(78)에 의해 증가되지 않는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주 케이싱(2)에 장착될 때, 파지부(78)는 손쉽게 도달하고 파지된다.
보다 상세히는, 전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 프린터(1)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크기가 감소됨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수가 일반적으로 주 케이싱(2) 내에 깊게 위치되는 것을 요구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파지부(78)가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장착 및 탈거되는 주 케이싱(2)의 개구에 근접하게 제공되고, 사용자가 프로세스 카트리지(20)를 장착/탈거하는데 보다 용이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소정의 실시예에서, 파지부(78)는 현상제 수납 섹션(30) 위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현상제 카트리지 하우징(29)의 하부 프레임(34)에 일체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하부 연장부(37)에 파지부(78)를 제공함으로써, 현상제 카트리지(28)는 상부 연장부(37)와 현상제 수납 섹션(30) 사이의 연결을 고정하기 위한 부가의 연결부를 요구하지 않고 파지부(78)를 경유하여 안정적으로 취급될 수 있다. 그러나, 소정의 실시예에서, 상부 연장부(37)는 연결부에 의해 현상제 수납 섹션(30)에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0)를 형성하기 위해 현상제 카트리지(28)가 드럼 카트리지(27)에 장착될 때, 파지부(78)는 드럼 카트리지(27)와 현상제 카트리지(28)[예를 들어, 프로세스 카트리지(20)]를 동시에 제거/부탁/취급/파지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실시예에서, 드럼 카트리지(27)는 그 자체의 핸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드럼 카트리지(27)는 그 자체의 핸들을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현상제 카트리지(28)의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상부 연장부(37)의 상부벽 연장부(50)와 상향 및 하향 방향을 따라 사실상 연장하는 상부 연장부(37)의 상부 전방측벽(42)은 사실상 편평한 외부면을 갖는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주 케이싱(2)으로부터 탈거될 때, 사실상 편평한 표면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편평한 외부면 을 파지함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20)를 보다 쉽게 취급할 수 있다.
부가로, 도13에 도시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상부 연장부(37)의 노치(80)와 하부 연장부(104)의 노치의 조합은 사용자가 핸들(81)을 보다 쉽게 파지하도록 핸들(81) 주위의 개방 공간을 한정한다. 따라서, 폭 방향을 따라 현상제 카트리지(28)의 사실상 중앙에, 그리고 두께 방향(예를 들어 상하방향)을 따라 상부 연장부(37)의 사실상 중심에 제공된 핸들(81)은 고정적으로 손쉽게 파지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핸들(81)은 노치(80)의 상부 전방측벽(42)의 대면부들 사이에서 폭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로드형 부재이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핸들(81)은 노치(80)의 측벽을 형성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상부 전방측벽(42)의 하나 또는 두 부분으로부터 돌출하는 부재일 수 있는 반면, 소정의 실시예에서, 핸들(81)은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노치(80)의 후방 벽을 형성하는 상부 전방 측벽(42)의 내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한다. 핸들(81)이 다양한 형상으로 실시될 수 있지만,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핸들(81)은 단면이 U자형 또는 오목 형상을 가져서, 사용자는 U자형 핸들(81)의 전방 아암을 확실하고 손쉽게 파지할 수 있다.
도13 및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27)의 하부측 전방벽(99)은 현상제 카트리지(28)의 상부 전방측벽(42)과 같이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따라서, 현상제 카트리지(28)가 드럼 카트리지(27)에 장착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20)는 상부 연장부(37)의 노치(80)와 하부 연장부(104)의 노치(119)를 제외하고 사실상 편평한 외부면(61)을 갖는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돌출부에 의해 찔리거나 상처받거나 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구성요소의 손상 및/또는 오염될 위험없이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전방부 주위에서 그 또는 그녀의 손을 둘러쌈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20)를 손쉽고 편리하게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하부 연장부(104)의 노치(119)는 상부 연장부(37)의 노치(80)와 사실상 오버랩된다. 따라서, 현상제 카트리지(28)가 드럼 카트리지(27)에 장착될 때, 노치(80, 119)의 조합은 프로세스 카트리지(20)를 주 케이싱(2)으로/으로부터 장착 /탈거하는 동안 사용자가 핸들(81)을 파지하기 위한 큰공간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히는, 도13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노치(18, 119)의 조합은 프로세스 카트리지(20)의 전방에서 볼 때 사 실상 장방형 형상을 형성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상부 연장부(37)의 돌출 부재(51)는 현상제 카트리지(28)가 드럼 카트리지(27)에 장착될 때 하부 연장부(104)의 수용부(120)에 의해 수용된다. 돌출 부재(51) 및/또는 수용부(120)는 또한 현상제 카트리지(28)가 부정확하게 드럼 카트리지(27)에 장착되거나 또는 현상제 카트리지(28)가 드럼 카트리지(27)에 부정확하게 장착될 기회를 감소시키는데 조력한다.
상부 전방측벽(42)이 사실상 편평한 결과, 현상제 카트리지(28)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실상 편평한 전방 외부면(61)을 갖는다. 따라서, 도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카트리지(28)는 표면(197)의 전방측 하향에 놓여질 수 있다. 또한, 상부 전방측벽(42)은 그 자체로 현상제 카트리지(28)가 표면(197)의 전방측 하향으로 놓여지도록 하는데 충분하지만, 상부 전방측벽(42)의 하부 에지로부터 현상제 카트리지(28)의 두께(예를 들어, 상하방향)를 따라 잔여 거리에 걸쳐 사실상 연장하는 돌출 부재(51)가 현상제 카트리지(28)를 표면(197)의 전방 하향으로 보다 안정적으로 배열되도록 한다.
현상제 카트리지(28)를 표면(197)의 전방 하향으로 놓여지게 함으로써, 현상제 카트리지(28)는 예를 들어, 현상제 롤러(32)가 현상제 카트리지(28)가 놓여지는 표면(197)과 접촉하도록 할 수 있는 현상제 롤러(32)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수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각각의 드럼 카트리지(27)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20)는 또한 사실상 편평한 전방 외부면을 갖는다. 드럼 카트리지 (27) 및/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주 케이싱(2)으로부터 제거될 때, 사실상 편평한 전방 외부면을 갖는 드럼 카트리지(27)와 프로세스 카트리지(20)를 각각 제공함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20)는 도30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28)와 유사하게 전방 하향으로 놓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럼 카트리지(27) 및/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표면(197)의 전방측 하향으로 저장함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주 케이싱(2)의 외측에 있으면서 감광 드럼(92)의 손상이 감소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방지될 수 있다. 조립 동안, 예를 들어 현상제 카트리지(28), 드럼 카트리지(27) 및/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를 전방측 하향에 놓음으로써, 터널 시일(도시 안됨)과 같은 부품이 쉽게 조립될 수 있다.
부가로, 현상제 카트리지(28)의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수용부(352)는 부적절한 화상 형성 장치[예를 들어, 레이저 프린터(1)와 상이한 화상 형성 장치]에 현상제 카트리지(28)가 장착되는 것을 감소시키고 바람직하게는 방지한다. 홈 또는 만입부 형상의 수용부(352)를 제공함으로써, 현상제 카트리지(28)의 전체 크기는 수용부(352)의 포함에 의해 증가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하부벽(40)의 전방부를 따르는 것 대신에 상부 연장부(37)의 수용부(352)를 제공함으로써, 현상제 수납 섹션(30)의 체적[현상제 수납 섹션(30)에 수용되는 토너량]은 감소되지 않는다.
또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수용부(352)는 상부 연장부(37)의 상부 코너부를 따라 형성된 만입부 또는 노치의 형성이어서, 수용부(352)는 상부 연장벽부(50)로부터 전방측 상부벽(42)으로 연속적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전방 커 버(7) 상에 제공된 돌출부(351)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가 주 케이싱(2)에 장착되고 전방 커버(7)가 그 하단부 주위에서 전방 커버를 회전시킴으로써 근접할 때, 수용부(352) 내로 보다 손쉽게 끼워맞춤될 수 있다.
도31은 현상제 카트리지(728)의 다른 대표적인 실시예와 드럼 카트리지(727)의 다른 대표적인 실시예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20)의 다른 대표적인 실시예의 길이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31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720)는 드럼 카트리지(727)에 현상제 카트리지(728)를 장착함으로써 형성되고,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프로세스 카트리지(720)는 주 케이싱(2)에 장착 및 탈거된다. 도31 내지 도41은 대표적인 프로세스 카트리지(720)와 도31 내지 도31에 도시된 전술한 대표적인 드럼 카트리지(727) 및/또는 대표적인 현상제 카트리지(728)의 소정의 대표적인 변형을 도시하고, 도1 내지 도30에 도시된 대표적인 실시예의 요소들과 유사하거나 또는 동일한 요소들은 간결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32는 도31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728)의 상부-전방-좌측 사시도이고, 도33은 현상제 카트리지(728)의 전방-저부-우측 사시도이고, 도34는 도31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상부-후방-좌측 사시도이다.
현상제 카트리지(728)는 예를 들어, 현상제 케이싱(729), 현상제 공급 롤러(31), 현상제 롤러(32), 교반기(46) 및 두께 조절 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729)은 현상제 공급 롤러(31), 현상 롤러(32) 및 교반기(46)를 회전식으로 지지한다.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729)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과 같은 수지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개방 후방측을 갖는 장방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현상제 카트리지(729)는 하부 프레임(34) 및 상부 프레임(35)을 포함할 수 있다. 도32 및 도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34)은 예를 들어, 폭 방향으로 이들을 따라 공간을 갖고 서로 대면하게 위치된 좌측벽(38) 및 우측벽(39)을 일체식으로 포함할 수 있고, 하부벽(40) 및 상부벽(41)은 좌측벽(38)과 우측벽(39) 및 예를 들어, 상부벽(41)의 전방 에지에 제공된 상부 전방측벽(42)을 연결한다. 상부벽(41)의 후방 단부(88)(도4)는 현상제 공급 섹션(36)의 후방 단부(87)의 상부에 상응한다.
도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실시예에서, 현상제 카트리지(728)는 후방부(43)의 외부 저부면의 시트(3)를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리브(311)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311)는 리브(311)들 사이의 공간을 두고 길이 방향을 따라 사실상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각각의 리브(311)는 현상제 카트리지(728)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볼 때 계단형 또는 파장형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어서, 리브(311)의 후방부의 저부 에지는 리브(311)의 전방부의 저부 에지보다 현상제 롤러(32)의 회전축으로부터 멀리 있다. 리브(311)는 현상제 카트리지(728)가 드럼 카트리지(727)에 장착될 때, 용지 안내 리브(194C)와 대면하도록 구성된다. 작동 동안, 시트(3)는 리브(311)와 용지 안내 리브(194C) 사이에서 안내된다. 시트(3)와 접촉하고 용지 안내 리브(194C)와 대면하는 리브(311)의 일부는 사실상 길이 방향으로 수평이다.
도32 및 도33은 현상제 카트리지(728) 및/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20)의 소 정의 실시예에 이용될 수 있는 현상제 카트리지(728)의 파지 및 취급을 위한 파지부(201)의 다른 대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13에 도시된 파지부(78)와 유사하게, 파지부(201)는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729)의 상부 연장부(37)에 제공될 수 있다. 파지부(201)는 예를 들어, 노치(202) 및 노치(202)에 제공된 핸들(203)을 포함한다.
노치(202)는 예를 들어, 폭 방향을 따라 상부벽 연장부(50)의 사실상 중심에서 형성될 수 있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노치(202)는 상부벽 연장부(50)의 전방부와 상부 전방측벽(42)의 상부의 폭 방향을 따른 사실상 장방형 절결부의 결과로써 형성된다. 상부벽 연장부(50)와 상부 전방측벽(42)의 절결부는 도32 및 도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어서, 핸들(203)이 사용자에 의해 쉽게 어세스될 수 있다.
노치(202)는 상부 전방측벽(42)의 두 개의 측벽부(204)와 후방벽부(207)에 의해 한정된다. 측벽부(204)는 서로 대면하고 상부 전방 측벽(42)과 상부벽 연장부(50)에 사실상 직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후방벽부(207)는 상부 전방측벽(42)에 사실상 평행하게 폭 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핸들(203)은 두 개의 측벽부(204) 사이에서 폭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1 벽부(205) 및 제2 벽부(206)를 가질 수 있다. 제2 벽부(206)의 후방 단부는 상부 전방측벽(42)의 후방벽부(207)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한다. 제1 벽부(205)의 후방 단부는 제2 벽부(206)의 전방 단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한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제2 벽부(206)는 폭 방향과 길이 방향을 따라 사실상 수 평으로 연장하는 플레이트형 부재일 수 있지만, 제1 벽부(205)는 제1 벽부(205)와 제2 벽부(206)가 각도를 형성하도록 제2 벽부(206)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는 플레이트형 부재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후방벽부(207), 제1 벽부(205) 및 제2 벽부(206)의 조합은 U자형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32 및 도33에 도시된 대표적인 실시예와 같은 소정의 실시예에서, 손가락 파지부(208)는 핸들(203)의 사실상 중심에 제공될 수 있다. 손가락 파지부(208)에서, 제2 벽부(206)는 제1 벽부(205)의 사실상 중심과 상단 에지를 갖고 후방벽부(207)의 사실상 중심부에 연결되도록 경사를 따라 상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손가락 파지부(208)는 제1 벽부(205)의 전방 단부를 따라 형성된 사실상 반원형 또는 장방형 절결부일 수 있다.
도35 내지 도39는 도31에 도시된 대표적인 드럼 카트리지(727)의 상이한 도면을 도시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전사 전극 개구(142)는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791)의 좌측벽(96)의 제2 벽(109L) 및 제3 벽(110L) 각각의 절결 섹션에 의해 형성된 연속적인 개구이다. 전사 전극 개구(142)는 도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을 따라 단면이 사실상 역 L자형을 갖는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전사 전극(727)은 전사 전극 개구(142)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전사 전극(737)은 폭 방향을 따라 단면이 사실상 L자형을 갖는다.
전사 전극(737)은 도전성 수지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 전극(737)은 사실상 L자형 단면을 형성하도록, 폭 방향을 따라 외향으로 돌출하는 전극 접촉부(252)와 전극 접촉부(252)의 상단부로부터 폭 방향을 따라 더 외향으로 연장하는 결합부(251)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 부재(도시 안됨)는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791)[예를 들어, 좌측벽(96)의 우측으로부터)의 내측에 제공될 수 있다. 접촉 부재는 전사 전극(737)이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791)에 장착될 때, 위로부터 전사 전극(737)의 결합부(251)와 접촉할 수 있다. 접촉 부재가 결합부(251)와 접촉할 때, 전사 전극(737)은 레이저 프린터(1)가 작동하는 동안 전사 전극 수용부(143)의 상부로부터 이동 또는 활주되는 것이 방지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차단 부재(209)가 예를 들어, 도37 및 도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벽(109L)의 외부면의 전사 전극 개구(142)의 뒤에 제공될 수 있다. 차단 부재(209)는 제2 벽(109L)의 전사 전극 개구(142)의 후방 가장자리에 사실상 인접하여 상하 방향으로 사실상 연장될 수 있다. 드럼 카트리지(727) 및/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20)가 주 케이싱(2)에 장착될 때 차단 부재(209)의 결과로써, 차단 부재(209)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사 전극 접속부(272)가 전사 전극 보유부(138)와 전사 전극(737) 사이의 간극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조력한다. 따라서, 전사 전극 접속부(272)와 전사 전극(737)은 정확하게 접속될 수 있다.
또한, 도35, 도38 및 도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실시예에서, 좌측 결합 부재(210) 및 우측 결합 부재(214)는 상부 후방측벽(100)의 좌측 및 우측 단부에 형성된다. 좌측 결합 부재(210)가 예를 들어, 제5 벽(112)의 전방에 제공되고, 예를 들어, 우측 결합 부재(214)는 상부 후방측벽(100)으로부터 일체식으로 연장된다. 좌측 결합 부재(210)와 우측 결합 부재(214)는 예를 들어, 좌측벽(96) 및 우측벽(97)의 돌출벽(117)의 상단부에 핀치되는 홈형 부재와 하향 대면할 수 있다.
좌측 결합 부재(210)는 예를 들어, 상부 플레이트(211), 좌측 플레이트(212) 및 우측 플레이트(213)를 일체식으로 포함할 수 있다. 좌측 플레이트(212)는 우측 플레이트(213)와 대면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사실상 모두 연장된다. 좌측 플레이트(212)와 우측 플레이트(213)는 서로 사실상 평행하고 상부 플레이트(211)에 의해 상단부에서 연결된다. 상부 플레이트(211)는 좌측 플레이트(212)와 우측 플레이트(213)를 함께 연결하고 예를 들어, 제4 벽(111)의 하부-전방-단부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좌측 플레이트(212), 우측 플레이트(213) 및 상부 플레이트(211)의 조합은 돌출벽(117)을 수용할 수 있는 상측 하향 홈을 형성한다.
우측 결합 부재(214)는 예를 들어, 사실상 장방형 형상을 갖고, 전방 쪽으로 연장하고 좌측 플레이트(216)와 우측 플레이트(217)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부 플레이트(215)를 포함한다. 좌측 플레이트(216) 및 우측 플레이트(217)는 예를 들어, 돌출벽(117)을 수용 가능한 하향 대면 홈을 형성하도록 상부 플레이트(215)의 좌측 및 우측 단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하는 플레이트형 부재이다.
도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사실상 장방형 형상을 갖는 용지 배출 개구(222)는 후방 저부측벽(193)의 상부 후방 단부와 상부 후방측벽(100)의 후방 단부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시트(3)가 감광 드럼(92)과 전사 롤러(94) 사이를 통과하고 시트(3)에 화상이 전사된 후에, 시트(3)는 용지 출구 개구(222)를 통해 방출될 수 있다. 용지 출구 개구(222)는 예를 들어, 레터용지 크기 또는 A4 크기의 시트(3)가 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시트(3)의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부가로, 도3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정의 실시예에서, 후방 저부벽부(193)에는, 예를 들어 용지 출구 개구(222)의 상단부로부터 감광 드럼(92)의 후방 쪽으로 연장하는 브러시 지지 플레이트(223)가 제공될 수 있다. 브러시 지지 플레이트(223)는 그 후방 단부가 전방 단부보다 두께 높이를 따라 약간 높은 수준에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 브러시(95)를 지지하기 위한 브러시 지지 플레이트(223)가 예를 들어, 브러시 지지 플레이트(223)의 전방 단부에서 폭 방향을 따라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브러시 지지 플레이트(223)의 외부면에, 복수의(예를 들어, 4개의) 접촉 방지 리브(224)가 폭 방향을 따라 이들 사이에 공간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접촉 방지 리브(224)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브러시 지지 플레이트(223)의 외부면의 양 단부에서, 도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 지지 플레이트(223)의 하부 또는 외부면에서 볼 때 예를 들어, 사실상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는 접촉 방지부(225)가 제공될 수 있다.
접촉 방지부(225)는 도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 지지 플레이트(223)의 후방 코너부를 하향 굴곡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접촉 방지부(225)는 용지 출구 개구(222)로부터 배출되는 시트(3)가 접촉 방지 리브(224), 보다 상세히는, 브러시 지지 플레이트(223)의 하부 및 외부면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용지 출구 개구(222)의 상부의 폭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용지 출구 개구(222)에서 배출되는 시트(3)의 우측 및 좌측 에지는 접촉 방지부(225)에 의해 브러시 지지 플레이트(223)의 하부면으로 안내되고 그로부터 압박될 수 있다.
따라서, 폭 방향을 따라 시트(3)의 중심부는 브러시 지지 플레이트(223)의 측면으로 상승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브러시 지지 플레이트(223)와 접촉 방지 리브(224)는 시트(3)에 전사된 토너 화상이 브러시 지지 플레이트(223)와 접촉하는 것을 감소시키고 바람직하게는 방지한다. 그 결과, 토너에 의한 브러시 지지 플레이트(223)의 저부면의 오염이 감소되고 바람직하게는 방지될 수 있고, 시트(3)에 전사된 토너 화상의 품질이 유지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도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방지 리브(224)는 브러시 지지 플레이트(223)의 하부면에 제공될 수 있다. 접촉 방지 리브(224)는 용지 출구 개구(222)의 상단부로부터 감광 드럼(92)의 후방측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접촉 방지 리브(224)는 토너 화상이 전사된 시트(3)가 브러시 지지 플레이트(223)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것을 감소시키고, 바람직하게는 방지하도록 조력한다. 즉, 시트(3)가 브러시 지지 플레이트(223)에 접근하면서 용지 출구 개구(222)를 통해 빠져나가는 경우, 시트(3)는 브러시 지지 플레이트(223)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대신 브러시 지지 플레이트(223)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된 접촉 방지 리브(224)와 접촉할 것이다.
따라서, 브러시 지지 플레이트(223)의 하부면은 빠져나가는 시트(3) 또는 다음의 시트(3)의 다른 부분에 나중에 전사될 수 있고 전사된 토너 화상의 품질을 악화시킬 수 있는 토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접촉 방지 리브(224)는 용지 출구 개구(222)로부터 빠져나가는 시트(3)가 오염되지 않고 시트(3)에 전사된 토너 화상 품질이 유지될 수 있도록 브러시 지지 플레이트(223)의 오염 을 감소시키고 바람직하게는 방지하도록 조력한다.
브러시 지지 플레이트(223)의 하부면의 사실상 중심에서, 사실상 장방형의 필름형 부재(226)가 도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될 수 있다. 필름 부재(226)는 예를 들어, 폭 방향을 따라 픽업 롤러(12)의 폭보다 약간 넓은 폭일 수 있다. 필름 부재(226)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수지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필름 부재(226)는 브러시 지지 플레이트(223)의 전방 단부로부터 전방[예를 들어, 감광 드럼(92)]쪽으로 약간 돌출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필름 부재(226)는 예를 들어, 양면 접착 테이프에 의해 브러시 지지 플레이트(223)의 하부면의 사실상 중심부에 접착될 수 있다. 양면 접착 테이프는 필름 부재(226)의 전방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그리고 감광 드럼(92)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즉, 양면 접착 테이프는 또한 예를 들어 브러시 지지 플레이트(223)의 단부로부터 전방 쪽으로 돌출하는 필름 부재(226)의 일부에 제공될 수 있다.
드럼 카트리지(727)의 전방측 쪽으로[예를 들어, 감광 드럼(92)쪽으로) 브러시 지지 플레이트(223)의 전방 에지 너머로 약간 돌출되도록 브러시 지지 플레이트(223)의 하부면의 사실상 중심부에 필름 부재(226)를 위치시킴으로써, 세척 브러시(95)에 의해 감광 드럼(92)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용지 먼지는 필름 부재(226)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부가로, 브러시 지지 플레이트(223)의 전방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필름 부재(226)의 일부에 양면 접착 테이프를 또한 제공함으로써, 세척 브러시(95)로부터 수용된 용지 먼지는 양면 접착 테이프의 접착 표면에 접착되어 용지 먼지가 필름 부재(226)로부터 비상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3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정의 실시예에서, 드럼 카트리지 핸들(234)이 제공될 수 있다. 드럼 카트리지 핸들(234)은 예를 들어, 하부 연장부(104)에 제공될 수 있다. 드럼 카트리지 핸들(234)은 예를 들어, 노치(235) 및 드럼 카트리지 그립(236)을 포함할 수 있다. 드럼 카트리지 그립(236)은 하부 연장부(104)의 저부 연장벽부(195)의 사실상 상향의 테이블형 또는 역U자형 돌출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드럼 카트리지 그립(236)은 현상제 카트리지(728)가 드럼 카트리지(727)에 장착될 때, 드럼 카트리지(727) 및/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20)를 제거/장착/취급하기 위해 파지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노치(235)는 폭 방향을 따라 하부측 연장부(104)의 사실상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저부 연장벽부(195)와 저부 전방측벽(99)은 연속적으로 절결될 수 있어서, 저부벽 연장부(195)의 전방 단부는 예를 들어, 평면도에서 폭 방향을 따라 사실상 장방형 형상으로 절결된다. 노치(235)는 현상제 카트리지(728)의 상부벽 연장부(50)에 형성된 노치(202)보다 약간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드럼 카트리지 그립(236)은 노치(235)의 좌측 및 우측으로부터 사실상 직각으로 상향 연장하는 한 쌍의 측면 지지 부재(237)를 일체식으로 포함할 수 있다. 드럼 카트리지 그립(236)은 드럼 카트리지 그립(236)의 전방 저부벽부(194)로부터 상부 후방 단부 쪽으로 약간 경사져서 연장하는 후방 지지 부재(2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드럼 카트리지 그립(236)은 예를 들어, 측면 지지 부재(237)의 상단부 및 후방 지지 부재(238) 사이에 제공된 평면에서 사실상 장방형 형상을 갖는 상부 면부(2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240)는 후방 지지 부재(238)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240)는 전방에서 봤을 때 장방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개구(240)는 드럼 카트리지(727)의 현상제 카트리지 수납부(103)에 하부 연장부(104)를 노출시킨다. 따라서, 상부면(239)과 핸들(203)을 함께 파지할 때, 손가락은 개구(240)를 통해 삽입되어, 현상제 카트리지(728)가 현상제 카트리지 수납부(103)에 장착될 때 손가락은 현상제 카트리지(728)의 하부벽(40)의 전방부(44)와 접촉할 수 있다. 그 결과, 주 케이싱(2)에 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720)의 장착 및 탈거는 보다 정확하게 달성될 수 있다.
부가로, 이러한 실시예에서 드럼 카트리지(727)로부터 현상제 카트리지(728)를 탈거하기 위해, 사용자가 상부면부(239)의 절결부(241)와 오버랩되는 손가락 파지부(208)를 경유하여 핸들(203)만을 파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도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 그립(236)은 현상제 카트리지(728)가 드럼 카트리지(727)에 장착될 때 현상제 카트리지(728)의 노치(202) 내에 끼워맞춤될 수 있다. 상부면부(239)는 현상제 카트리지(728)가 드럼 카트리지(727)에 장착될 때 상부면(239)이 현상제 카트리지(728)의 한 쌍의 측벽부(204) 사이에서 사실상 연장하도록 폭 방향을 따라 노치(202)보다 약간 작도록 형상을 갖고, 그리고/또는 크기가 정해질 수 있다.
상부면부(239)에서, 단차부(261)는 상부면부(239)의 사실상 후방 절반부가 상부면부(239)의 사실상 전방 절반부보다 비교적 높게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한, 단차부(261)는 사실상 후방 절반부가 비교적 높고 사실상 전방 절반부가 비교적 낮도록 상부면부(239)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부면부(239)와 핸들(203)을 함께 파지할 때 손가락이 단차부(261)에 후크될 수 있다. 그 결과, 상부면부(239)와 핸들(203)의 파지가 쉽고 되고, 주 케이싱(2)에 대한 드럼 카트리지(727)와 현상제 카트리지(728)의 일체식 장착 및 탈거는 보다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결부(241)는 현상제 카트리지(728)의 핸들(203)의 손가락 파지부(208)를 오버랩하는 부분에서 상부면부(239)에 형성될 수 있다. 절결부(241)는 예를 들어, 길이 및 폭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사실상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현상제 카트리지(728)가 드럼 카트리지(727)에 장착될 때, 상부면부(239)와 핸들(203) 사이에 존재하는 매우 작은 간극을 갖는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현상제 카트리지(728)가 드럼 카트리지(727)에 장착될 때, 상부면부(239)와 핸들(203)은 서로 접촉된다.
그 결과, 도37 및 도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카트리지(728)가 드럼 카트리지(727)에 장착될 때, 핸들(203)과 드럼 카트리지 그립(236)은 핸들(203)의 손가락 파지부(208)와 함께 파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럼 카트리지 그립(236)의 상부면부(239)가 현상제 카트리지(728)의 상부 연장부(37)에 제공된 핸들(203)과 오버랩되도록 위치되기 때문에, 상부면부(239) 및 핸들(203)은 함께 쉽게 파지될 수 있다. 그 결과, 드럼 카트리지(727)와 현상제 카트리지(728)는 함께 손쉽게 파지될 수 있고, 주 케이싱(2)에 일체식으로 장착 및/또는 탈거 가능하다.
즉, 드럼 카트리지(727) 및 현상제 카트리지(728)가 장착된 상태로 주 케이 싱(2)에 드럼 카트리지(727) 및 현상제 카트리지(728)를 장착 및/또는 탈거할 때, 현상제 카트리지(728)는 드럼 카트리지(727)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보다 상세히는, 현상제 카트리지(728)가 드럼 카트리지(727)에 장착되고 드럼 카트리지 그립(236)이 파지될 때, 상부면부(239)는 드럼 카트리지(727)와 현상제 카트리지(728)가 장착된 상태로 손쉽게 취급될 수 있는 핸들(203)을 지지한다.
즉, 드럼 카트리지(727)와 현상제 카트리지(728)가 장착된 상태로 드럼 카트리지(727) 및 현상제 카트리지(728)가 주 케이싱(2)에 장착 및/또는 탈거될 때, 현상제 카트리지(728)는 드럼 카트리지(727)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보다 상세히는, 현상제 카트리지(728)가 드럼 카트리지(727)에 장착되고 드럼 카트리지 그립(236)이 파지될 때, 상부면부(239)는 드럼 카트리지(727)와 현상제 카트리지(728)가 장착된 상태로 손쉽게 취급될 수 있도록 핸들(203)을 지지한다.
도3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저부 연장벽부(195)를 참조하면, 전방 저부 리브(165)는 하부 전방측벽(99)에 형성된 노치(235)의 저부 측부를 포함하는 폭 방향을 따라 저부벽(98)의 저부 연장벽부(195)에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 저부 리브(165)는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729)과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791)의 재료보다 경질인 폴리아세탈 수지와 같은 수지 재료로,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791)으로부터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방 저부 리브(165)가 시트(3)와의 접촉의 결과로써 마찰되면, 전방 저부 리브(165)는 전체 드럼 카트리지(727) 및/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를 교체하지 않고 교체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도36에 도시된 대표적인 실시예에 서, 예를 들어, 복수의 전방 저부 리브(165)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폭 방향을 따라 이들 사이에 공간을 갖고 위치된다. 전방 저부 리브(165)는 예를 들어, 폭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연결 부재(227)에 접속됨으로써, 저부 연장벽부(195)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드럼 카트리지(727)의 저부벽(98)의 저부 연장벽부(195)의 하부면에서, 전방 저부 리브(165)는 적어도 측면 지지 부재(237)의 하단부들 사이에서 공간을 커버하도록 폭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위치된 연결 부재(227)의 부품으로써 장착될 수 있다. 그 결과, 측면 지지 부재(237)와 드럼 카트리지 그립(236)의 강도(강성)는 저부벽(98)의 하부 연장벽부로부터 측면 지지 부재(237)와 드럼 카트리지 그립(236)을 일체식으로 형성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고, 전방 저부 리브(165)는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791)을 형성하는 데 이용되는 재료보다 강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실시예에서, 연결 부재(227)는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791)이 제조되는 재료보다 강성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저부벽(98)의 저부 연장벽부(195)는 하부 연장부(104)의 좌측 및 우측면 사이에서 사실상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고, 드럼 카트리지 그립(234)용 돌출부를 일체식으로 포함할 수 있다.
작고 경량이고 보다 휴대성이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끊임없는 요구와 희망 사항이 존재함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특성을 각각 갖고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 공간이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소 형인 소형의 장착/탈거식 드럼 카트리지, 소형의 장착/탈거식 현상제 카트리지 및 소형의 장착/탈거식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태양을 실시하는 드럼 카트리지(727), 현상제 카트리지(728)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720)의 다양한 대표적인 구성요소의 적절한 크기가 도42 내지 도53과 관련하여 이하에 제공될 것이다. 다양한 구성 요소들의 대표적인 크기는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태양에 따른 소형의 장착/탈거식 드럼 카트리지(727), 현상제 카트리지(728) 및/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20)를 채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효율적인 내부 공간의 이용을 허용한다.
도42 내지 도47은 각각 기준 바아를 포함하는 드럼 카트리지(727)의 대표적인 실시예의 평면도, 배면도, 정면도, 좌측면도, 저면도 및 도31의 선 A-A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31에 도시된 대표적인 드럼 카트리지(727)의 다양한 부품들의 상세한 측정 관계는 도42 내지 도47 및 이하에 제공되는 표1 내지 표4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부가로, 도42 내지 도47의 부품들에 도면 부호가 할당되어 있지 않지만, 도42 내지 도47에 도시된 부품들 사이의 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표1 내지 표4에 이전의 도면들에 대해 전술한 도면부호들이 이용된다.
표1 내지 표8의 측정 단위는 각도를 제외하고는 밀리미터(㎜)이다. 제공된 모든 값들은 정확한 값과 사실상 정확한 값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표1의 값 D1은 7.6으로써 제공된다. 따라서, 대표적인 실시예의 실시에서 접지 전극(127)의 최외부와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791)의 좌측벽(96) 사이의 거리 D1은 정 확하게 7.6 ㎜이거나 또는 약 7.6 ㎜이다. 다음의 표들에서, 접지 전극(127)과 접지 전극 접촉부(276) 사이의 불완전한 접촉은 주 케이싱(2)의 드럼 샤프트(125)의 위치가 참조 위치로부터 오프셋되어 있을 때 발생하기 때문에, 다수의 측정들이 참조 위치로써 드럼 샤프트(125)[예를 들어 접지 전극(127)]의 위치로 결정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접지 전극(127)의 최외부는 드럼 샤프트(125)의 최외부(125A)에 상응하고, 드럼 샤프트(125)의 단부(125B)는 좌측벽(96) 너머로 연장하는 드럼 샤프트(125)의 일부에 상응한다.
D1 7.6 폭 방향으로 드럼 샤프트[예를 들어, 접지 전극(127)]의 최외부(125A)로부터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791)의 좌측벽(96)까지의 거리
D2 14.6 폭 방향으로 드럼 샤프트[예를 들어, 접지 전극(127)]의 최외부(125A)로부터 그리드 전극(132)의 최내부 노출부까지의 거리
D3 18.2 폭 방향으로 드럼 샤프트[예를 들어, 접지 전극(127)]의 최외부(125A)로부터 전사 전극(737)의 최내부 노출부까지의 거리
D4 19.7 폭 방향으로 드럼 샤프트[예를 들어, 접지 전극(127)]의 최외부(125A)로부터 드럼 구동 기어(191)의 최내부까지의 거리
D5 28.4 폭 방향으로 드럼 샤프트[예를 들어, 접지 전극(127)]의 최외부(125A)로부터 제6 벽(113)까지의 거리
D6 7.2 폭 방향으로 후방 저부벽부(193)로부터 제2 벽(109L)까지의 거리
D7 13.2 폭 방향으로 드럼 샤프트[예를 들어, 접지 전극(127)]의 최외부(125A)로부터 그리드 전극(132)의 최외부(132A)까지의 거리
D8 16.7 폭 방향으로 드럼 샤프트[예를 들어, 접지 전극(127)]의 최외부(125A)로부터 전사 전극(737)의 최외부(737A)까지의 거리
D9 25.9 폭 방향으로 드럼 샤프트[예를 들어, 접지 전극(127)]의 최외부(125A)로부터 세척 전극(148)의 최외부(148A)까지의 거리
D10 26.8 폭 방향으로 드럼 샤프트[예를 들어, 접지 전극(127)]의 최외부(125A)로부터 세척 전극(148)의 최내부 노출부까지의 거리
D11 126.4 폭 방향으로 드럼 샤프트[예를 들어, 접지 전극(127)]의 최외부(125A)로부터 필름 부재(226)의 단부까지의 거리
D12 83.8 폭 방향으로 드럼 샤프트[예를 들어, 접지 전극(127)]의 최외부(125A)로부터 접촉 방지 리브(224)의 대표적인 것까지의 거리
D13 123.9 폭 방향으로 드럼 샤프트[예를 들어, 접지 전극(127)]의 최외부(125A)로부터 세척 전극(148)의 최내부 노출부까지의 거리
D14 53.0 폭 방향으로 접촉 방지 리브(224)의 인접한 대표적인 것들 사이의 거리
D15 133.0 폭 방향으로 두 개의 접촉 방지 리브(224) 사이의 거리
D16 265.2 폭 방향으로 드럼 샤프트[예를 들어, 접지 전극(127)]의 최외부(125A)로부터 후방벽부(193)의 단부까지의 거리
D17 8.1 제3 벽(110R)의 폭
D18 218.4 전방 저부 리브(165)와 연결 부재(227)의 전체 폭
D19 226.4 기록 매체가 통과 가능한 최대폭
D20 229.0 폭 방향으로 최외부 중앙 저부 리브(164) 사이의 거리 폭 방향으로 돌출부(118)의 중심 사이의 거리
D21 41.2 드럼 샤프트[예를 들어, 접지 전극(127)]의 최외부(125A)로부터 최좌측 전방 저부 리브(165)까지의 거리
D22 37.2 폭 방향으로 드럼 샤프트[예를 들어, 접지 전극(127)]의 최외부(125A)로부터 최대 용지 통과 가능한 영역의 좌측까지의 거리
D23 35.9 폭 방향으로 드럼 샤프트[예를 들어, 접지 전극(127)]의 최외부(125A)로부터 대표적인 최좌측 중앙 저부 리브까지의 거리 폭 방향으로 드럼 샤프트[예를 들어, 접지 전극(127)]의 최외부(125A)로부터 좌측 돌출부(118)의 중심까지의 거리
D26 17.9 두께 방향으로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전사 전극(737)의 중심까지의 거리
D27 20.0 두께 방향으로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와이어 전극(131)의 중심까지의 거리
D28 9.7 두께 방향으로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그리드 전극(132)의 중심까지의 거리
D29 3.4 두께 방향으로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세척 전극(148)의 중심까지의 거리
D30 5.8 전사 전극(737)의 두께
D31 7.0 세척 전극(148)의 두께
D32 5.8 그리드 전극(132)의 단부들 사이의 선형 거리
D33 6.0 와이어 전극(131)의 단부들 사이의 선형 거리
D34 3.2 길이 방향으로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와이어 전극(131)의 중심까지의 거리
D35 19.8 길이 방향으로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그리드 전극(132)의 중심까지의 거리
D36 13.0 길이 방향으로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상부 후방 측벽(100)의 전방 단부까지의 거리
D37 25.3 길이 방향으로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세척 전극(148)의 중심까지의 거리
D38 48.0 길이 방향으로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현상제 카트리지(728)의 샤프트 안내부(115)의 사실상 수평부의 후방 단부까지의 거리
D39 58.5 길이 방향으로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토너 검출 개구(101)의 중심까지의 거리
D40 70.5 길이 방향으로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현상제 카트리지 수납부(103)의 최저부까지의 거리
D41 130.1 길이 방향으로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하부 전방 측벽(99)까지의 거리
D42 159.7 길이 방향으로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791)의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 단부까지의 거리
D43 29.6 길이 방향으로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791)의 전방 단부까지의 거리
D44 8.1 현상제 카트리지(728)의 샤프트 안내부(115)의 상부 내부면으로부터 하부 내부면(115C)까지의 거리
D45 27.7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상부 후면측벽(100)의 최저부까지의 거리
D46 13.2 두께 방향으로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현상제 카트리지 수납부(103)의 저부면까지의 거리
D47 27.8 두께 방향으로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제2 벽(109L, 109R)의 최하부까지의 거리
D48 19.2 두께 방향으로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후면 저부 리브(162)의 최하부까지의 거리
D49 3.6 길이 방향으로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토너 검출 개방 윈도우(101)의 중심까지의 거리
D50 12.2 두께 방향으로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현상제 카트리지 수납부(103)의 저부면의 사실상 편평한 표면부까지의 거리
D51 8.0 두께 방향으로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정합 롤러(14)의 중심까지의 거리
D52 1.0 두께 방향으로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드럼 카트리지 보스(150)의 중심까지의 거리
D53 33.1 두께 방향으로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하부 측면 연장부(104)의 상단부까지의 거리
D54 28.2 길이 방향으로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제3 벽(110L)의 전방 단부까지의 거리
D55 45.4 폭 방향으로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저부 리브(162)의 전방 단부까지의 거리
D56 100.8 길이 방향으로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정합 롤러(14)의 중심까지의 거리
D57 124.9 길이 방향으로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드럼 카트리지 보스(150)의 중심까지의 거리
D58 1.9 길이 방향으로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전사 전극(737)의 중심까지의 거리
D59 5.0 길이 방향으로 전사 전극(737)의 폭
D60 18.0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전사 전극(737)의 중심까지의 선형 거리
D61 25.5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그리드 전극(132)의 중심까지의 선형 거리
D62 21.8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세척 전극(148)의 중심까지의 선형 거리
D63 20.3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와이어 전극(131)의 중심까지의 선형 거리
D64 두께 방향으로 접지 전극(127)의 중심과 전사 전극(737)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에 의해 형성된 각도
D65 7.6° 길이 방향으로 접지 전극(127)의 중심과 세척 전극(148)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에 의해 형성된 각도
D66 26.4° 길이 방향으로 접지 전극(127)의 중심과 그리드 전극(132)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에 의해 형성된 각도
D67 9.1° 두께 방향으로 접지 전극(127)의 중심과 와이어 전극(131)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에 의해 형성된 각도
D68 289.7 접지 전극(127)의 폭
D69 226.4 기록 매체가 통과 가능한 최대폭
D70 37.2 폭 방향으로 접지 전극(127)의 최외부로부터 용지 전사 가능 영역의 좌측 단부까지의 거리
D71 105.5 용지 안내 필름(333)의 제1 대표적인 접착부의 폭
D72 15.4 폭 방향으로 용지 안내 필름(333)의 접착부 사이의 거리
D73 105.5 용지 안내 필름(333)의 제2 대표적인 접착부의 폭
D74 274.5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791)의 폭
D75 144.9 폭 방향으로 접지 전극(127)으로부터 드럼 카트리지 그립(236)의 중심까지의 거리
D76 34.6 드럼 카트리지 그립(236)의 절결부(241)의 폭
D77 127.6 폭 방향으로 접지 전극(127)의 최외부로부터 절결부(241)의 좌측 단부까지의 거리
D78 93.2 폭 방향으로 접지 전극(127)의 최외부로부터 드럼 카트리지 그립(236)의 좌측 단부까지의 거리
D79 103.4 드럼 카트리지 그립(236)의 폭
D80 8.0 드럼 카트리지 보스(150)의 직경
D82 22.3 두께 방향으로 감광 드럼(92)의 중심[예를 들어,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상부면부(239)의 전방 측면까지의 거리
D83 28.5 두께 방향으로 감광 드럼(92)의 중심[예를 들어,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상부면부(239)의 최상부까지의 거리
D84 0.8 두께 방향으로 감광 드럼(92)의 중심[예를 들어,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전방 저부 리브(165)의 최상부/전방부까지의 거리
D85 12.1 전사 롤러(94)의 직경
D86 23.9 감광 드럼(92)의 직경
D87 두께 방향으로 감광 드럼(92)의 중심[예를 들어, 접지 전극(127)의 중심과 전사 롤러(94)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에 의해 형성된 각도
D88 10.6 길이 방향으로 감광 드럼(92)의 중심[예를 들어,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용지 출구 개구(222)에서의 후방 저부벽부(193)의 단부까지의 거리
D89 27.3 폭 방향을 따라 감광 드럼(92)의 중심[예를 들어,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중앙 저부 리브(164)의 중심에서 예비 전사 필름 부재의 전방 단부까지의 거리
D90 45.3 길이 방향으로 감광 드럼(92)의 중심[예를 들어,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중앙 저부 리브(164)의 전방 단부까지의 거리
D91 16.2 두께 방향으로 감광 드럼(92)의 중심[예를 들어,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용지 출구 개구(222)에서 후방 저부벽부(193)까지의 거리
D92 7.9 용지 출구 개구(222)의 경사와 평행하게 선을 그을 때 접지 전극(127)으로부터의 거리
D93 15° 길이 방향에 대해 용지 출구 개구(222)의 경사 각도
D95 49° 두께 방향으로 드럼 샤프트(125)의 중심과 와이어 전극(131)을 연결하는 선에 의해 형성된 각도
D96 10.4° 그리드 전극(132)의 단부들 사이의 선형 거리
D97 25.0 길이 방향으로 드럼 샤프트(125)의 중심[예를 들어,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벽(117)의 전방 단부까지의 거리
D98 13.0 길이 방향으로 드럼 샤프트(125)의 중심[예를 들어,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791)의 전방 상단부까지의 거리
D99 6.0 길이 방향으로 드럼 샤프트(125)의 중심[예를 들어, 접지 전극(127)의 중심]으로부터 레이저 입사 윈도우(121)의 전방 단부까지의 거리
D100 21.3 두께 방향으로 샤프트 안내부(115)의 최하부 샤프트부로부터 드럼 카트리지 그립(236)의 상부면(239)의 최저부까지의 거리
D200 36.0 입력 기어(68)의 중심으로부터 드럼 샤프트(125)의 중심[예를 들어, 접지 전극(127)의 중심]까지의 거리
D202 22.0 현상제 롤러(32)의 중심으로부터 드럼 샤프트(125)의 중심[예를 들어, 접지 전극(127)의 중심]까지의 거리
D204 4.8 두께 방향으로 현상제 롤러(32)의 중심으로부터 드럼 샤프트(125)의 중심[예를 들어, 접지 전극(127)의 중심]까지의 거리
도48 내지 도53은 각각 도31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대표적인 실시예의 대표적인 실시의 참조 바아를 포함하는 평면도, 배면측도 및 도31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31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728)의 다양한 요소들의 상세한 치수는 도48 내지 도53과 이하에 제공되는 표5 내지 표8에 제공된다. 부가로, 요소들의 도면부호는 도48 내지 도53에 제공되어 있지 않지만, 이전의 도면들에 대해 상술한 도면부호가 측정이 제공되는 요소들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표5 내지 표8에 제공된다.
전술한 측정 중 대부분은 커플링 부재(73)와 입력 기어(68) 사이의 불완전한 접속이 주 케이싱(2)의 입력 기어(68)의 위치가 참조 위치로부터 오프셋되어 있을 때 발생하기 때문에 참조 위치에 있는 입력 기어(68)로 결정된다.
T1 15.1 길이 방향으로 현상제 롤러(32)의 중심으로부터 현상제 공급 롤러(31)의 중심까지의 거리
T2 25.8 길이 방향으로 현상제 롤러(32)의 중심으로부터 현상제 카트리지(728)의 하부 격벽(55)에 상응하는 하부벽(40)의 일부까지의 거리
T3 28.8 현상제 롤러(32)의 중심으로부터 현상제 카트리지(728)의 후방 표면의 리브(311)의 전방 단부까지의 거리
T4 37.5 길이 방향으로 현상제 롤러(32)의 중심으로부터 토너 검출 윈도우(85)까지의 거리
T5 49.5 길이 방향으로 현상제 롤러(32)의 중심으로부터 교반기 샤프트(46)의 중심까지의 거리
T6 63.7 길이 방향으로 현상제 롤러(32)의 중심으로부터 현상제 공급 개구(47)의 중심까지의 거리
T7 80.8 길이 방향으로 현상제 롤러(32)의 중심으로부터 핸들(203)의 후방 단부까지의 거리
T8 20.0 현상제 롤러(32)의 직경
T9 13.0 공급 롤러(31)의 직경
T10 8.0 토너 검출 윈도우(85)의 직경
T11 22.4 현상제 공급 개구(47)의 직경
T12 29.5 교반기(46)의 단부들 사이의 선형 거리
T13 18.3 샤프트의 중심으로부터 교반기(46)의 전방 단부까지의 거리
T14 37.0 교반기(46)의 직경
T15 9.7 길이 방향으로 현상제 롤러(32)의 중심으로부터 후방부(43)의 후방 단부까지의 거리
T16 8.2 길이 방향으로 현상제 롤러(32)의 중심으로부터 정지부(341)의 전방 단부까지의 거리
T17 0.3 두께 방향으로 현상제 롤러(32)의 중심으로부터 하부 격벽(55)의 상단부까지의 거리
T18 2.2 두께 방향으로 현상제 롤러(32)의 중심으로부터 현상제 카트리지(728)의 하부 격벽(55)의 외부면에 상응하는 하부벽(40)의 일부까지의 거리
T19 12.1 두께 방향으로 현상제 롤러(32)의 중심으로부터 현상제 수납 섹션(30)과 현상제 공급 섹션(36)을 구획하는 상부 격벽 플레이트(56)까지의 거리
T20 27.1 두께 방향으로 현상제 롤러(32)의 중심으로부터 상부 격벽(56)위의 상부 프레임의 일부에 사실상 상응하는 상부 프레임(35)의 편평 표면까지의 거리
T21 15.6 두께 방향으로 현상제 롤러(32)의 중심으로부터 현상제 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재(84)까지의 거리
T22 30.2 두께 방향으로 현상제 롤러(32)의 중심으로부터 상부 프레임(35)의 최상부 지점까지의 거리
T23 17.9 두께 방향으로 현상제 롤러(32)의 중심으로부터 리브(311)의 가장 돌출된 지점까지의 거리
T24 13.7 두께 방향으로 현상제 롤러(32)의 중심으로부터 현상제 수납 섹션(30)의 최하부 지점까지의 거리
T25 27.3 두께 방향으로 현상제 롤러(32)의 중심으로부터 현상제 수납 섹션(30)의 최상부 지점까지의 거리
T26 4.5 두께 방향으로 현상제 롤러(32)의 중심으로부터 핸들(203)의 측벽의 하단부까지의 거리
T27 25.1 두께 방향으로 현상제 롤러(32)의 중심으로부터 핸들(203)의 측벽의 상단부까지의 거리
T28 20.6 층 두께 조절 부재(33)의 길이
T29 10.5 층 두께 조절 부재(33)의 자유 부품의 높이
T30 10.4 폭 방향으로 현상제 롤러(32)의 중심으로부터 층 두께 조절 부재(33)의 가압 부재(67)까지의 거리
T31 4.4 길이 방향으로 현상제 롤러(32)의 중심으로부터 상부벽(41)의 후방 단부까지의 거리
T32 19.5° 길이 방향에 대해 현상제 롤러(32)의 중심과 공급 롤러(31)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에 의해 형성된 각도
T33 5.3 두께 방향으로 현상제 롤러(32)의 중심으로부터 공급 롤러의 중심까지의 거리
T34 2.9 두께 방향으로 현상제 롤러(32)의 중심으로부터 토너 검출 윈도우(85)까지의 거리
T35 10.2 두께 방향으로 현상제 롤러(32)의 중심으로부터 현상제 공급 개구(47)의 중심까지의 거리
T36 11.0 두께 방향으로 현상제 롤러(32)의 중심으로부터 입력 기어(68)의 중심까지의 거리
T37 14.0 길이 방향으로 현상제 롤러(32)의 중심으로부터 입력기어(68)의 중심까지의 거리
T38 11.5 두께 방향으로 현상제 롤러(32)의 중심으로부터 접촉 레버(302)에 근접한 구멍의 중심까지의 거리 두께 방향으로 현상제 롤러(32)의 중심으로부터 입력 기어(68)의 중심까지의 거리
T39 55.4 길이 방향으로 현상제 롤러(32)의 중심으로부터 접촉 레버(302)의 구멍의 중심까지의 거리
T40 83.1 길이 방향으로 현상제 롤러(32)의 중심으로부터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까지의 거리
T41 106.0 길이 방향으로 현상제 롤러(32)의 중심으로부터 핸들(203)의 전방 단부까지의 거리
T42 4.2 두께 방향으로 현상제 롤러(32)의 중심으로부터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의 중심까지의 거리
T43 11.0 기어 커버(77)의 현상제 롤러(32)의 기부로부터 돌출하는 현상제 롤러(32)의 폭
T44 3.5 기어 커버(77)의 현상제 롤러(32)에 기초하여 입력 기어(68)의 기부 단부까지 돌출하는 현상제 롤러(32)의 폭
T45 2.5 폭 방향으로 현상제 롤러(32)의 돌출 부품의 기부로부터 기어 커버(77)까지의 길이
T46 8.2 폭 방향으로 입력 기어(68)의 최외부로부터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까지의 거리
T47 281.0 폭 방향으로 우측의 현상제 롤러(32)의 전방 단부로부터 좌측 단부측의 돌출 부품의 기부까지의 거리
T48 270.0 폭 방향으로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729)의 좌측으로부터 우측 단부 돌출 부품을 제외한 현상제 롤러(32)의 우측 단부까지의 거리
T49 10.0 폭 방향으로 현상제 롤러(32)의 돌출부의 기부로부터 신규 제품 검출기(301)까지의 거리
T50 10.8 폭 방향으로 현상제 롤러(32)의 돌출 부품의 기부로부터 하부 프레임(34)까지의 거리
T51 72.8 폭 방향으로 하부 프레임(34)의 좌측 단부로부터 핸들(203)까지의 거리
T52 103.4 핸들(203)의 길이
T53 79.8 폭 방향으로 핸들(203)로부터 하부 프레임(34)의 우측 단부까지의 거리
T54 272.4 폭 방향으로 입력 기어(68)의 외측으로부터 현상제 롤러(32)의 중심까지의 거리
T55 261.2 폭 방향으로 입력 기어(68)의 외측으로부터 우측벽 연장부(53)의 외부면까지의 거리
T56 24.2 폭 방향으로 입력 기어(68)의 외측으로부터 좌측벽 연장부(52)의 내부면까지의 거리
T57 4.6 우측 및 좌측벽 연장부(52, 53)의 두께
T58 221.0 폭 방향으로 현상제 공급 섹션(36)의 후방측 단부의 하나의 리브(311)로부터 타단부의 다른 리브(311)까지의 거리
T59 4.0 폭 방향으로 입력 기어(68)의 외부측으로부터 현상제 롤러(32)의 금속 샤프트의 좌측 단부까지의 거리
T60 5.5 현상제 롤러 샤프트(32)의 두께
T61 9.6 폭 방향으로 입력 기어(68)의 최외부로부터 현상제 롤러 구동 기어(71)까지의 거리
T62 6.9 현상제 롤러 구동 기어(71)의 폭
T63 35.1 폭 방향으로 입력 기어(68)의 최외부로부터 현상 영역까지의 거리
T64 211.4 현상 영역의 최대 폭
T65 22.3 폭 방향으로 입력 기어(68)의 최외부로부터 좌측 베어링 부재(82)의 내부면까지의 거리
T66 237.5 폭 방향으로 좌측 베어링 부재(82)의 내부면과 현상제 롤러(32) 사이의 거리
T67 25.3 폭 방향으로 입력 기어(68)의 최외부로부터 현상제 롤러(32)의 좌측까지의 거리
T68 231.0 현상제 롤러(32)의 폭
T69 24.5 폭 방향으로 입력 기어(68)의 최외부로부터 최좌측 나사의 중심까지의 거리
T70 15.8 폭 방향으로 최좌측 나사의 중심과 내부 좌측 나사 사이의 거리
T71 201.0 폭 방향으로 내부 좌측 나사의 중심과 내부 우측 나사 사이의 거리
T72 232.1 폭 방향으로 내부 우측 및 최우측 나사 사이의 거리
T73 49.5 폭 방향으로 입력 기어(68)의 최외부로부터, 층 두께 조절 블레이드(33)가 상단부에서 하향으로 돌출하는 돌출 부품의 좌측 단부까지의 거리
T74 20.0 돌출부(89)의 폭
T75 212.1 폭 방향으로 입력 기어(68)의 최외부로부터 다른 돌출 부품의 좌측 단부까지의 거리
T76 8.0 현상제 롤러(32)의 직경
T77 23.7 길이 방향으로 입력 기어(68)의 중심으로부터 현상제 롤러(32)의 최후방 표면까지의 거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729)의 현상제 공급 섹션(36)[현상제 공급 섹션(36)이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729)에 형성된 위치]의 외부 두께(T20+T23)는 현상제 수납 섹션(30)[현상제 수납 섹션(30)이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729)에 형성되는 위치]의 외부 두께(T21+T22)보다 작다. 현상제 카트리지(728)가 주 케이싱(2)에 장착될 때, 현상제 공급 섹션(36)이 배열되는 측면은 주 케이싱(2) 내에 깊게 위치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729)의 현상제 공급 섹션(36)의 외부 두께(T20+T23)는 현상제 수납 섹션(30)의 위치에서 내부 두께(T21+T23)보다 작기 때문에, 주 케이싱(2)에 대한 현상제 카트리지(728)의 장착 및 탈거는 부드럽게 수행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현상제 수납 섹션(30)의 외부 두께(T21+T22)는 현상제 공급 섹션(36)의 외부 두께(T20+T23)와 사실상 동일할 수 있다[예를 들어, 현상제 수납 섹션(30)의 외부 두께(T21+T22)는 현상제 공급 섹션(36)의 외부 두께(T20+T23)의 약 5 ㎜ 내에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현상제 공급 섹션(36)의 외부 두께(T20+T23)는 현상제 수납 섹션(30)의 내부 두께(T24+T25)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예를 들어, 편평화), 현상제 공급 섹션의 외부 두께보다 현상제 수납 섹션의 내부 두께가 작은 현상제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현상제 수납 섹션(30)의 외부 두께(T21+T22)는 위치 설정 부재(84)를 참조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위치 설정 부재(84)는 주 케이싱(2)에 대해 현상제 카트리지(728)의 장착/탈거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 결과, 주 케이싱(2)으로의 현상제 카트리지(728)의 부드러운 장착 및 탈거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729)의 현상제 공급 섹션(36)의 외부 두께(T20+T23)는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729)의 후방부(43)의 하부면에 위치된 리브(311)를 참조하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리브(311)는 주 케이싱(2)에 대해 현상제 카트리지(728)의 장착/탈거를 방해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주 케이싱(2)으로의 현상제 카트리지(728)의 부드러운 장착 및 탈거가 수행될 수 있다.
부가로, 리브(311)의 두께는 현상제 수납 섹션(30)으로부터 현상제 공급 섹션(36)측(후방측)쪽으로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현상제 공급 섹션(36)의 리브(311)는 현상제 수납 섹션(30)의 리브(311)보다 비교적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리브(311)는 현상제 카트리지(728)가 수평인 현상제 카트리지(728)의 상부면이 주 케이싱이 장착될 때 시트(3)를 갖는 리브(311)의 접촉 표면이 사실상 수평으로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시트(3)는 주 케이싱(2) 내측에 적절하게 안내될 수 있다.
이하에, 현상제 카트리지(28, 728)의 소정의 대표적인 변형의 설명이 도54 내지 도85를 참조하여 제공될 것이다. 따라서, 도54 내지 도85에 도시된 대표적인 실시예들의 이하의 설명에서, 도1 내지 도41에 도시된 대표적인 실시예의 요소들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요소들은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시되고 그에 대한 설명은 간결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현상제 카트리지 및 드럼 카트리지의 각각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은 각각 전술한 현상제 카트리지(28, 728), 드럼 카트리지(27, 727)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20, 720)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된 전술한 특성들의 임의의 조합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에 설명되는 현상제 카트리지(728a)는 리브(311)를 포함할 수 있지만 상부 연장 섹션(37)을 포함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드럼 카트리지(727a)는 가압 부재(149)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유사하게, 프로세스 카트리지(720a)는 전술한 특성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 설명되는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형성하기 위해 드럼 카트리지를 현상제 카트리지에 장착하기 위한 결합부의 다양한 대표적인 실시예들이 드럼 카트리지(727a), 현상제 카트리지(728a)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720a)에 관련하여 설명된다. 이하에 설명되는 다양한 대표적인 결합부는 현상제 카트리지(예를 들어, 28, 728), 프로세스 카트리지(20, 720) 및 드럼 카트리지(27, 727)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채용될 수 있다.
도54 내지 도66b, 도77, 도84 및 도85는 결합 부재(44)를 채용하거나 채용 가능한 현상제 카트리지(728a), 드럼 카트리지(727a)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720a)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5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정의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440)는 감광 드럼(92)쪽으로 현상제 카트리지(728a)를 가압하는 것을 조력하고, 현상제 카트리지(728a) 및 드럼 카트리지(727a)가 함께 탈거식으로 장착된 후에 드럼 카트리지(727a)에 대해 현상제 카트리지(728a)의 이동을 조절하고 바람직하게는 방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결합 부재(440)는 하부벽(40)의 전방부(44)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440)는 전방부(44)의 외부면(44E)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440)는 도6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수납 섹션(30)의 하부(30A)에 상응하는 부분에서 전방부(44)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440)는 도6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수납 섹션(30)의 상부(30B)에 상응하는 부분에서 전방부(44)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도56에 도시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상부벽(41)은 하부벽(40)의 전방부(44) 너머로 돌출되고, 따라서, 현상제 카트리지(728a)를 드럼 카트리지(727a)에/로부터 장착/탈거하기 위해 현상제 카트리지(728a)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로써 기능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상부벽(41)은 하부벽(40)의 전방부(44) 너머로 돌출하지 않을 수 있고 파지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파지부는 개별적으로 설계/계수될 수 있는 반면, 이러한 파지부는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729a) 자체의 벽부일 수 있다(예를 들어, 돌출부가 아닐 수 있다).
이러한 결합 부재(440)를 채용한 실시예에서, 길이 방향을 따른 결합 부재(440)의 돌출량은 결합 부재(440)가 드럼 카트리지(727a)에 과도한 힘을 가하지 않도록, 그리고 현상제 카트리지(728a)가 사용자에 의해 드럼 카트리지(727a)에 손쉽게 장착/탈거될 수 있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현상제 카트리지(728a)가 드럼 카트리지(727a)에 장착될 때 결합 부재(440)가 드럼 카트리지(727a)에 과도한 힘을 가하도록 돌출되면, 결합 부재(440)자체 및/또는 드럼 카트리지(727a)의 상응하는 부분은 손상되기 쉽다. 또한, 결합 부재(440)는 감광 드럼(92)과 현상제 롤러(32) 사이의 적절한 접촉을 보장하도록 충분히 외향으로 돌출되어야 한다.
결합 부재(440)는 하부벽(40)의 전방부(44)로부터 연장하는 플레이트형 부재의 형상일 수 있고, 결합 부재(44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사실상 연장될 수 있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하부벽(40)의 전방부(44)의 사실상 굴곡된 표면에서 볼 때, 결합 부재(440)의 길이는 결합 부재(440)의 상단부보다 결합 부재(440)의 하단부에서 더 길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440)의 전방부는 두께 방향을 따라 사실상 편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440)는 제1 부분(440c), 제2 부분(440b) 및 하단부의 연결부(440a)를 포함할 수 있고, 도66a 및 도6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되거나 둥글게 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440)의 제1 부분(440b)은 제1 부분(440b)이 도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부재(440)의 제2 부분(440c)보다 더 후방으로 배열되도록 대각선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부분(440c)은 예를 들어, 드럼 카트리지(727a)의 개구(240) 내로 보다 손쉽게 스냅될 수 있다.
도59a 내지 도59c, 도83 및 도8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440a)(예를 들어, 전방 저부 에지 또는 코너부)는 예를 들어, 현상제 카트리지(28)가 드럼 카트리지(727a)에 배열될 때 드럼 카트리지(727a)의 상응하는 부분을 따라 보다 손쉽게 활주할 수 있도록 굴곡되거나 또는 둥글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59a 내지 5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440)는 드럼 카트리지(727a)의 개구(240)를 통해 전방으로 돌출되기 전에 상부면부(239) 및/또는 후방 지지 부재(238)를 따라 활주할 수 있다.
도58 내지 도60을 참조하면,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드럼 카트리지(727a)에 현상제 카트리지(728)를 장착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 카트리지(728a)는 드럼 카트리지(727a) 위에 초기에 정렬되고, 현상제 카트리지(728a)의 후방 단부는 드럼 카트리지(727a)의 감광 드럼(92)쪽으로 샤프트 안내부(115)에 의해 지지되고 안내되어, 현상제 카트리지(728a)의 전방 단부는 저부벽(98)쪽으로 하향 가압될 수 있다.
도59a 내지 도5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카트리지(728a)가 드럼 카트리지(727a)에 장착될 때, 각각의 결합 부재(440)의 적어도 일부는 드럼 카트리지(727a)의 개구(240)를 통해 전방으로 돌출된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개구(240)는 후방 지지 부재(238)의 외향 돌출된 홈형부의 형상일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드럼 카트리지(727a)는 노치(235)의 개구(24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440)는 드럼 카트리지의 상응하는 표면부에 대해 가압됨으로써, 드럼 카트리지와 결합될 수 있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440)가 개구(240)를 통해 전방으로 돌출될 때, 결합 부재(440)는 드럼 카트리지에 대한 현상제 카트리지의 이동을 조절하도록 조력한다. 즉, 결합 부재(440)와 드럼 카트리지(727a) 사이의 접촉에 의해 발생된 마찰력은 드럼 카트리지(727a)와 함께 현상제 카트리지(728a)와 결합시킨다. 현상제 카트리지(728a)를 드럼 카트리지(727a)로부터 탈거시키기 위해, 현상제 카트리지(728a)는 마찰력보다 큰 힘으로 드럼 카트리지(727a)로부터 당겨내는 것만이 요구된다.
또한, 전술한 상부 연장부(37)의 대표적인 실시예와 유사하게, 결합 부재(440)가 현상제 카트리지(728a)와 결합될 때, 결합 부재(440)는 현상제 카트리지(728a)를 감광 드럼(92)쪽으로 다시 가압하도록 조력하여, 현상제 롤러(32)가 감광 드럼(92)의 외주면과 충분히 안정적으로 접촉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드럼 카트리지(727a)에 대해 현상제 카트리지(728a)의 이동을 조절하고 바람직하게는 방지하도록 한다[예를 들어, 현상제 롤러(32)와 감광 드럼(92) 사이의 접촉을 유지하기 위한 허용 범위 내에서 유지된다].
결합 부재(440)는 또한 드럼 카트리지(727a)와 현상제 카트리지(728a)를 결합시키는 것을 조력하여, 두께 방향을 따라 드럼 카트리지(727a)에 대한 현상제 카트리지(728a)의 이동이 조절되고 바람직하게는 이를 방지한다.
도60 내지 도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드럼 카트리지(727a)의 하부 연장부(104)는 현상제 카트리지(28)가 그에 배열될 때 상부측에서 사실상 개방을 유지한다. 하부 연장부(104)는 가압부(149)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부벽(41)이 상향 및/또는 하향으로 돌출되지 않고 다른 파지부가 제공되지 않는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그의 손을 하부 연장부(104) 위의 개방 공간 내로 삽입하여 하부벽(40)의 전방부(44)와 상부벽(41)의 일부를 파지할 수 있다. 상부벽(41) 또는 상부벽(41)의 일부가 외향으로 돌출되는 실시예에서도, 드럼 카트리지(727a)로부터 현상제 카트리지(728a)를 탈거하기 위해 사용자가 하부 연장부(104) 위의 개방 공간 내로 손을 삽입하는 것이 여전히 가능할 것이다.
도59a 내지 도59c에 도시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드럼 카트리지(727a)로부터 현상제 카트리지(728a)를 탈거하기 위해, 현상제 카트리지(728a)의 전방 단부는 개구(240)로부터 결합 부재(440)를 해제하기 위해 충분한 힘[예를 들어, 결합 부재(440)와 드럼 카트리지(727a)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보다 큰 힘]으로 파지하고 상향으로 당길 수 있다. 즉, 도59a 내지 도59c에 도시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현상제 카트리지(728a)는 예를 들어, 드럼 카트리지(727a)의 가압부(149)와 결합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어, 현상제 카트리지 보스(79)인 가압부(149)의 제어 부재(158)가 해제되도록 이동될 필요가 없다.
결합 부재(440)는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729a)과 동일한 재료 또는 상이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부재(440)는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729a)의 부품과 일체식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결합 부재(440)는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729a)과 연결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440)는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791a), 보다 상세하게는, 후방 지지 부재(238)를 형성하는데 이용되는 재료보다 단단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440)가 후방 지지 부재(238)를 따라 활주식으로 가압될 때, 후방 지지 부재(238)는 결합 부재(440)를 수용하기 위해 변형되고 외향으로 팽창되고, 결합 부재(40)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240) 너머로 전방으로 돌출될 때, 원래 형상으로 회복된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440)는 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729a)으로부터 외향으로 결합 부재(440)의 전방부를 일정하게 가압하는 스프링형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부재(440)가 예를 들어 탄성 재료로 제조된 실시예에서, 재료의 탄성은 예를 들어, 후방 지지 부재(238)를 통과하여 개구(240) 내로 결합 부재(440)가 통과하는 것이 비틀리도록 조력한다. 결합 부재(440)의 일부는 개구(240)로부터 돌출됨에 따라 원래 형상으로 회복된다.
두 개의 결합 부재(440)가 도62에 도시되었지만, 예를 들어, 소정의 실시예에서 두 개보다는 하나 이상의 결합 부재(440)가 제공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상이한 형상, 크기 및 형식의 결합 부재(440)가 동일한 카트리지(728a)에 제공된다. 또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440)는 하부벽(40)의 전방부(44)에 제공되고, 결합 부재(440)는 결합 부재(440)가 드럼 카트리지(727a)의 일부와 결합되도록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728a)의 임의의 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
결합 부재(440)가 하부벽(40)의 전방부(44)에 제공되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440)는 현상제 카트리지(728a)가 드럼 카트리지(727a)에 장착될 때, 예를 들어, 도5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부재(440)의 적어도 일부에서 개구(240)의 상부와 결합되는 수준에서 제공될 수 있다.
결합 부재(440)의 다양한 대표적인 변형의 후술하는 설명에서, 별도로 특정되지 않으면 결합 부재(440)에 대한 전술한 다양한 특성들이 적용된다.
도67은 전술한 결합 부재(440)의 대표적인 변형을 도시한다. 도67에 도시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441)는 예를 들어, 굴곡된 또는 둥근 바아형 부재로 형성된다. 도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부재(441)는 결합 부재(441)가 후방 지지 부재(238)를 따라 보다 손쉽게 활주할 수 있도록 굴곡된 전방-저부(441a)를 갖도록 굴곡될 수 있다. 결합 부재(440)와 유사하게, 결합 부재(441)는 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결합 부재(441)는 제1 부분(441b), 제2 부분(441c) 및 제1 부분(441b)과 제2 부분(441c)을 연결하는 연결부(441a)를 포함할 수 있다.
도68은 결합 부재(442)의 다른 대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442)는 하부벽(40)의 전방부(44)의 폭 방향을 따라 주로 연장되고, 드럼 카트리지(727a)와 결합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외향으로 연장된다. 도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부재(442)는 넓은 바아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대표적인 실시예의 탄성 부재(442)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현상제 카트리지(728a)를 가압하기 위한 보다 균일한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442)는 노치(235) 또는 개구(240)보다 넓을 수 있어서, 결합 부재(442)는 개구(240) 너머로 외향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이러한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442)의 전방 전방면은 예를 들어, 도6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지지 부재(238)의 내부면 또는 드럼 카트리지(727a)의 다른 부분과 결합할 수 있다.
도69a 내지 도6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부재(442)의 전방 단부(442a 내지 442d)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69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정의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442)는 둥글거나 또는 굴곡된 전방면(442a)을 가질 수 있다. 도69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정의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442)는 단면이 사실상 장방형인 전방부(442b)를 가질 수 있다. 도69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정의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결합 부재(442)는 각진 전방면(442c)을 가질 수 있고, 결합 부재(442)의 저부 전방부는 결합 부재(442)의 상부 전방부보다 전방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도69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정의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결합 부재(442)는 각진 전방면(442d)을 가질 수 있고, 결합 부재(442)의 상부 전방부는 결합 부재(442)의 저부 전방부보다 전방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 부재(442)는 결합 부재(442)가 드럼 카트리지(727a)의 일부와 결합되도록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728a)의 임의의 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
도70a 내지 도70e 및 도7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부재(443)는 변형 및/또는 결합 부재(442)와의 조합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도70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다중 결합 부재(443)가 제공된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443)는 감광 드럼(92)쪽으로 현상 롤러(32)를 균일하게 가압하는 것을 조력하도록 사실상 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70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정의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443)는 둥근 또는 굴곡된 전방면(443a)을 가질 수 있다. 도70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정의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결합 부재(443)는 각진 전방면(443b)을 가질 수 있고, 결합 부재(443)의 상부 전방부는 결합 부재(442)의 저부 전방부보다 전방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도70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정의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443)는 각진 전방면(443c)을 가질 수 있고, 결합 부재(443)의 저부 전방부는 결합 부재(442)의 상부 전방부보다 전방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도70e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정의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443)는 사실상 장방형의 전방면(443d)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 부재(443)는 결합 부재(443)가 드럼 카트리지(727a)의 일부와 결합하도록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728a)의 임의의 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
도72 및 도73은 결합 부재(440)의 다른 대표적인 변형인 결합 부재(450)를 도시한다. 이러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450)는 하부벽(40)의 전방면(44) 너머로 돌출하는 상부벽(41)의 일부로부터 돌출한다. 따라서, 이러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450)는 하부벽(40) 자체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 대신에, 이러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450)는 상부벽(41)의 돌출부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된다. 도7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450)의 전방면은 상부면부(239)의 후방 표면에 대해 가압되고, 결합 부재(450)의 저부 단부는 후방으로 가압될 수 있다. 결합 부재(450)의 저부 단부는 예를 들어, 개구(240)로 연장될 수 있다.
결합 부재(450)의 변형으로써, 결합 부재(450)는 결합 부재(450)의 자유 단부(예를 들어, 결합부)에서 결합부(451)를 포함할 수 있다. 도7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부재(450)의 자유 단부의 결합부(451)는 개구(240) 내로 연장될 수 있다. 결합 부재(451)는 상부벽(41)의 돌출부의 중간부로부터 돌출될 수 있어서, 상부벽(410은 결합 부재(450) 너머로 전방으로 연장된다. 그 결과, 현상제 카트리지(728)가 드럼 카트리지(727a)에 장착될 때, 상부면부(239)의 후방 단부는 도7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벽(41)의 돌출부의 전방부와 결합 부재(450)의 결합부(451) 사이에서 적층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현상제 카트리지(728a)가 드럼 카트리지(727a)에 장착되고, 결합 부재(450)의 결합부(451)가 상부면부(239)의 후방 단부와 접촉할 때, 결합 부재(450)의 저부 단부는 상부면부(239)의 후방 단부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될 수 있다. 결합 부재(450)의 결합부(451)가 상부면부(239)를 통과할 때, 결합 부재(450)는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로 후방으로 스냅될 수 있다.
도75, 도76 및 도78 내지 도80은 대표적인 결합 부재(600, 610)를 포함하는 현상제 카트리지(728a)를 도시한다. 도7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카트리지(728a)는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729a)의 좌측벽(38) 및 우측벽(39)으로부터 돌출하는 결합 부재(610, 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729a)은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729a)의 좌측 및 우측벽(38, 39)의 각각에 토너 검출 윈도우(85)를 포함할 수 있다.
토너 검출 윈도우(85)는 광 투과성(예를 들어, 투명) 재료로 제조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600, 610)의 적어도 일부는 토너 검출 윈도우(85)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결합 부재(600, 610)의 적어도 일부는 광 투과성 재료로 제조되고, 광 투과성 재료는 폭 방향을 따라 정렬되도록 배열된다. 예를 들어, 결합 부재(600, 610)의 최외부(600a, 610a)는 광 투과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부가로, 결합 부재(600, 610)는 감광 드럼(92)에 대해 현상제 롤러(32)를 안정적으로 가압하고 드럼 카트리지(727a)에 대한 현상제 카트리지(728a)의 이동을 조절하고, 바람직하게는 방지하도록 조력하기 위해 드럼 카트리지(727a)와 결합한다. 이러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현상제 카트리지(728a)가 드럼 카트리지(727a)에 장착될 때, 결합 부재(600, 610)는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좌측벽 및 우측벽(96, 97)에 대해 가압하고, 결합 부재(600, 610)의 적어도 일부는 좌측벽 및 우측벽(96, 97)의 토너 검출 윈도우(101)를 통해 돌출된다. 드럼 카트리지 케이싱(91)의 좌측벽 및 우측벽(96, 97)의 토너 검출 윈도우(101)를 통해 돌출됨으로써, 결합 부재(600, 610)는 현상제 롤러(32)가 감광 드럼(92)과 안정적으로 접촉하도록 가압하고, 드럼 카트리지(727a)에 대한 현상제 카트리지(728a)의 이동을 조절하고 바람직하게는 방지하도록 조력한다.
결합 부재(600, 610)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어서, 결합 부재(600)는 토너 검출 윈도우(101)로부터 돌출하기 전에 좌측 및 우측벽(96, 97)의 상부에 의해 통과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결합 부재(600, 610)의 적어도 일부(601, 611)는 광 투과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광 투과성 재료(601, 611)는 폭 방향을 따라 사실상 정렬되도록 배열된다.
결합 부재(600, 610)는 도7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실상 편평한 최외부면(600a, 610a)을 갖는 원추형 돌출 부재일 수 있다. 즉, 좌측 또는 우측벽(38, 39)과 연결되고 그로부터 일체식으로 연장되는 결합 부재(600, 610)의 기부(600b, 610b)는 결합 부재(600, 610)의 최외부 좌측 및/또는 최외부 우측 표면(600a, 610a)보다 클 수 있다.
또한, 결합 부재(600, 610)의 소정의 실시예 전부가 광 투과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지만, 소정의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600, 610)의 일부(예를 들어, 최외부 좌측 및 최외부 우측 표면)만이 광 투과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실시예에서, 모든 결합 부재(600, 610)가 가요성 재료로 제조되지만, 소정의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600, 610)의 일부만이 가요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거나 또는 가요성 부재로 제조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어 커버(77)는 예를 들어, 좌측벽(38)에 배열될 수 있고, 따라서, 좌측 및 우측벽(38, 39)의 토너 검출 윈도우(85)와 사실상 정렬되는 개구(77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기어 커버(77)의 현상제 카트리지(728a)의 좌측에서, 결합 부재(610)는 개구(77b)에 제공될 수 있다. 결합 부재(610)는 결합 부재(600)와 유사하지만, 토너 검출 윈도우(85, 101)와 사실상 정렬된 기어 커버(77)의 일부에서 기어 커버(77)로부터 연장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광 투과성 부분(611)은 광 투과성 부분(611)이 현상제 카트리지(728a)의 우측[예를 들어, 기어 커버(77)측]의 결합 부재(600)의 광 투과성 부분(601)과 사실상 정렬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기어 커버(77)에 결합 부재(610)를 포함함으로써, 드럼 카트리지(728a)에 대한 현상제 카트리지(728a)의 장착 및 탈거 동안의 마찰의 결과로서 결합 부재(610)가 손상되면, 결합 부재(610)는 기어 커버(77)를 신규한 기어 커버로 교체함으로써 교체될 수 있다.
도76은 현상제 카트리지(728a)의 저면도이다. 도7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을 따라 결합 부재(600, 610)의 좌측 최외부와 우측 최외부 사이에서 거리 L1이 존재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거리 L1은 드럼 카트리지(791a)의 좌측벽(96)과 우측벽(97)의 토너 검출 윈도우(101) 사이의 폭 방향을 따른 거리보다 클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에서, 현상제 카트리지(728a)가 드럼 카트리지(727a)에 장착될 때, 결합 부재(600, 610)의 일부는 현상제 카트리지(728a)가 드럼 카트리지(727a)와 결합하도록 토너 검출 윈도우(101) 내로 돌출된다.
도78 내지 도8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727a)에 대표적인 현상제 카트리지(728a)를 장착하기 위해, 현상제 카트리지(728a)는 우선 드럼 카트리지(727a) 위에 정렬되고, 현상제 카트리지(728a)의 현상제 롤러 샤프트(64)의 후방 단부는 샤프트 안내부(115)에 정렬될 수 있다. 그 다음에, 도8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카트리지(728a)의 전방 단부는 결합 부재(600, 610)가 드럼 카트리지(727a)의 좌측 및 우측벽(96, 97)과 접촉하도록 하향으로 가압된다. 그 결과, 드럼 카트리지(727a)의 좌측 및 우측벽(96, 97)은 결합 부재(610, 600)를 수용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예를 들어, 외향으로 굴곡된다). 그 다음에, 도7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부재(610, 600)가 좌측 및 우측벽(96, 97)의 토너 검출 윈도우(101)로부터 돌출된 후에, 좌측 및 우측벽(96, 97)은 응력을 받지 않은 상태로(예를 들어, 사실상 편평하게) 후방으로 스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소정의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600, 610)는 좌측 및 우측벽(96, 97)의 상부에 의해 통과하도록 변형될 수 있고, 소정의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600, 610)와 좌측 및 우측벽(96, 97)의 각각의 부분 모두는 드럼 카트리지(727a)에/로부터 현상제 카트리지(728a)를 장착/탈거하는 장착/탈거 프로세스 동안 변형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600, 610)의 최외부(600a, 610a) 및/또는 토너 검출 윈도우(101)는 부드럽고 손쉽게 드럼 카트리지(727a)에 현상제 카트리지(728a)를 장착/탈거하도록 굴곡되거나 또는 둥근 에지를 가질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600, 610, 440, 450, 441, 442, 443 등)의 임의의 조합이 제공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외부 전방 경계[예를 들어, 현상제 수납 섹션(30)의 내부면의 형상에 사실상 상응하는 전방부(44)의 형상인 현상제 카트리지(728a)의 하부벽(40)의 전방부(44)] 너머 전방으로 결합 부재가 돌출되지 않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는 결합 부재가 현상제 카트리지(728a)를 드럼 카트리지(727a)에 충분히 탈거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고, 감광 드럼(92)과 현상제 롤러(32) 사이의 충분한 접촉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현상제 카트리지(728a)를 감광 드럼(92)쪽으로 가압하는 한, 다양한 형상 및/또는 위치에서 제공될 수 있다. 현상제 롤러(32)에 공급되는 회전 구동력이 감광 드럼(92)에 인가되는 회전 구동력보다 큰 실시예와 같은 소정의 실시예에서, 시계 방향의 회전 구동력이 인가되면, 현상제 카트리지(728a)의 후방 단부가 압박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는 화상 형성 프로세스가 방해받지 않도록 드럼 카트리지(727a)에 대해 현상제 카트리지(728a)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력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729a)은 드럼 카트리지(727a)로부터 현상제 카트리지(728a)를 탈거하도록 당겨질 수 있는 접철식 부재(도시 안됨)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접철식 부재가 당겨지지 않을 때, 접철식 부재는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729a)의 외부 경계를 따라 놓여질 수 있고 그리고/또는 형성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접철식 부재가 당겨질 때, 접철식 부재는 접철식 부재가 드럼 카트리지(727a)로부터 현상제 카트리지(728a)를 탈거하기 위해 이에 보유될 수 있도록 현상제 카트리지 케이싱(729a)의 외부 경계 너머로 외향으로 돌출한다.
전술한 설명에서, 구성요소가 예를 들어,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성요소를 장착/탈거하기 위해 구성요소의 과도한 조립 또는 해제를 요구하지 않고 다른 구성요소에/로부터 손쉽게 장착/탈거 가능하면 장착/탈거 가능한 것으로서 지칭된다. 따라서, 구성요소가 탈거 불가능한 것으로 지칭될 수 있고,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예를 들어, 강제로 들어올리거나 나사 조임 등을 제거하면 탈거될 수 있다. 유사하게, 구성요소는 탈거 가능한 것으로 지칭될 수 있고,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당겨지거나 또는 예를 들어 해제 수단이 결합된 후에 당겨짐으로써 손쉽게 해제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태양은 전술한 대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 변화 및 변형은 해당 기술 분야의 종사자들에게 명백하다. 따라서, 전술한 대표적인 실시예는 도시하기 위한 것이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 것을 의도한다. 다양한 변경은 본 발명의 다양한 태양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남없이 실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실용적인 장치 및 카트리지를 제공하면서 보다 작은 화상 형성 장치 및 보다 작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0)

  1. 삭제
  2. 감광 부재(92)를 포함하는 감광 본체 카트리지(727a)로부터 장착 및 탈거 가능한 현상제 카트리지(728a)이며,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728a)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측벽(38)과 제2 측벽(39)을 포함하는 프레임(729a)과,
    상기 감광 본체 카트리지(727a)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측벽(38) 및 제2 측벽(39)으로부터 길이 방향에 직각인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현상제 공급 섹션(36)과,
    현상제를 수납하기 위한 것이고, 제1 측벽(38)으로부터 제2 측벽(39)까지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현상제 공급 섹션(36)에 접하는 개구 단부(58)와,
    상기 개구 단부(58)로부터 대향된 폐쇄 단부(44A)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 단부(44A)는 최저부(44C)로부터 상부(35)까지 연장하는 외부면(44E, 38A, 39A)을 포함하는 현상제 수납 섹션(30)과,
    상기 현상제 수납 섹션(30)의 외부면(44E, 38A, 39A)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440, 441, 442, 443, 450, 600, 610)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728a)는 감광 본체 카트리지(727a)에 탈거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결합부(440, 441, 442, 443, 450, 600, 610)는 현상제 카트리지(728a)를 감광 본체 카트리지(727a) 쪽으로 가압하며,
    상기 결합부(440)는 플레이트형 부재이고, 상기 결합부(440)의 상단부(440b)는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부(440)의 하단부(440c)보다 짧은 현상제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440)의 하단부(440c)의 최외부(440a)는 둥글거나 굴곡된 현상제 카트리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440)의 최외부(440a)는 두께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두께 방향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 직각인 현상제 카트리지.
  5. 삭제
  6. 감광 부재(92)를 포함하는 감광 본체 카트리지(727a)로부터 장착 및 탈거 가능한 현상제 카트리지(728a)이며,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728a)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측벽(38)과 제2 측벽(39)을 포함하는 프레임(729a)과,
    상기 감광 본체 카트리지(727a)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측벽(38) 및 제2 측벽(39)으로부터 길이 방향에 직각인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현상제 공급 섹션(36)과,
    현상제를 수납하기 위한 것이고, 제1 측벽(38)으로부터 제2 측벽(39)까지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현상제 공급 섹션(36)에 접하는 개구 단부(58)와,
    상기 개구 단부(58)로부터 대향된 폐쇄 단부(44A)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 단부(44A)는 최저부(44C)로부터 상부(35)까지 연장하는 외부면(44E, 38A, 39A)을 포함하는 현상제 수납 섹션(30)과,
    상기 현상제 수납 섹션(30)의 외부면(44E, 38A, 39A)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440, 441, 442, 443, 450, 600, 610)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728a)는 감광 본체 카트리지(727a)에 탈거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결합부(440, 441, 442, 443, 450, 600, 610)는 현상제 카트리지(728a)를 감광 본체 카트리지(727a) 쪽으로 가압하며,
    상기 프레임(729a)은 제1 측벽(38)과 제2 측벽(39) 사이에서 연장하고 길이 방향으로 현상제 수납 섹션(30)의 폐쇄 단부(44A)로부터 돌출되는 상부벽(41)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450)는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 직각인 두께 방향으로 상기 상부벽(41)으로부터 연장되는 현상제 카트리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450)는 길이 방향으로 결합부(450)의 잔여부로부터 연장하는 돌출부(451)를 포함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8. 감광 부재(92)를 포함하는 감광 본체 카트리지(727a)로부터 장착 및 탈거 가능한 현상제 카트리지(728a)이며,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728a)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측벽(38)과 제2 측벽(39)을 포함하는 프레임(729a)과,
    상기 감광 본체 카트리지(727a)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측벽(38) 및 제2 측벽(39)으로부터 길이 방향에 직각인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현상제 공급 섹션(36)과,
    현상제를 수납하기 위한 것이고, 제1 측벽(38)으로부터 제2 측벽(39)까지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현상제 공급 섹션(36)에 접하는 개구 단부(58)와,
    상기 개구 단부(58)로부터 대향된 폐쇄 단부(44A)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 단부(44A)는 최저부(44C)로부터 상부(35)까지 연장하는 외부면(44E, 38A, 39A)을 포함하는 현상제 수납 섹션(30)과,
    상기 현상제 수납 섹션(30)의 외부면(44E, 38A, 39A)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440, 441, 442, 443, 450, 600, 610)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728a)는 감광 본체 카트리지(727a)에 탈거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결합부(440, 441, 442, 443, 450, 600, 610)는 현상제 카트리지(728a)를 감광 본체 카트리지(727a) 쪽으로 가압하고,
    상기 결합부(441)는 제1 단부(441b), 제2 단부(441c) 및 중심부(441a)를 갖고, 상기 제1 단부(441b) 및 제2 단부(441c)는 현상제 수납 섹션(30)의 외부면(44E)에 개별적으로 장착되고, 상기 중심부(441a)는 길이 방향으로 현상제 하우징 섹션(30)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현상제 카트리지.
  9. 삭제
  10. 감광 부재(92)를 포함하는 감광 본체 카트리지(727a)에 장착 및 탈거 가능한 현상제 카트리지(728a)이며,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728a)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측벽(38)과 제2 측벽(39)을 포함하는 프레임(729a)과,
    상기 감광 본체 카트리지(727a)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측벽(38)으로부터 제2 측벽(39)까지 길이 방향에 직각인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현상제 공급 섹션(36)과,
    현상제를 수납하기 위한 것이고, 제1 측벽(38)으로부터 제2 측벽(39)까지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현상제 수납 섹션(30)과,
    상기 프레임(729a)의 제1 측벽(38) 또는 제2 측벽(39)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600, 61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600, 610)의 적어도 일부는 광 투과성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600, 610)는 원추형 형상인 현상제 카트리지.
  11. 감광 부재(92)를 포함하는 감광 본체 카트리지(727a)에 장착 및 탈거 가능한 현상제 카트리지(728a)이며,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728a)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측벽(38)과 제2 측벽(39)을 포함하는 프레임(729a)과,
    상기 감광 본체 카트리지(727a)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측벽(38)으로부터 제2 측벽(39)까지 길이 방향에 직각인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현상제 공급 섹션(36)과,
    현상제를 수납하기 위한 것이고, 제1 측벽(38)으로부터 제2 측벽(39)까지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현상제 수납 섹션(30)과,
    상기 프레임(729a)의 제1 측벽(38) 또는 제2 측벽(39)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600, 61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600, 610)의 적어도 일부는 광 투과성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벽(38)은 제1 결합부(600, 610)를 포함하고, 제2 측벽(39)은 제2 결합부(600, 61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600, 610)는 폭 방향으로 정렬되는 현상제 카트리지.
  12. 삭제
  13. 감광 부재(92)를 포함하는 감광 본체 카트리지(727a)에 장착 및 탈거 가능한 현상제 카트리지(728a)이며,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728a)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측벽(38)과 제2 측벽(39)을 포함하는 프레임(729a)과,
    상기 감광 본체 카트리지(727a)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측벽(38)으로부터 제2 측벽(39)까지 길이 방향에 직각인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현상제 공급 섹션(36)과,
    현상제를 수납하기 위한 것이고, 제1 측벽(38)으로부터 제2 측벽(39)까지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현상제 수납 섹션(30)과,
    상기 프레임(729a)의 제1 측벽(38) 또는 제2 측벽(39)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600, 61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600, 610)의 적어도 일부는 광 투과성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600, 610)의 최외부(600a, 610a)는 제1 측벽(38) 또는 제2 측벽(39)에 인접한 결합부(600, 610)의 최내부(600b, 610b)보다 좁은 현상제 카트리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38)에 배열된 커버부(77)를 더 포함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38)은 제1 결합부(600)를 포함하고, 제2 측 벽(39)은 제2 결합부(61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600)는 커버부(77)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고, 제2 결합부(610)는 제2 측벽(39)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38)은 광 투과성 개구(85)를 갖고, 상기 광 투과성 개구(85)의 적어도 일부는 결합부(600, 610)의 광 투과성 재료에 의해 커버되는 현상제 카트리지.
  17. 삭제
  18. 감광 부재(92)를 포함하는 감광 본체 카트리지(727a)로부터 장착 및 탈거 가능한 현상제 카트리지(728a)이며,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728a)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측벽(38)과 제2 측벽(39)을 포함하는 프레임(729a)과,
    상기 감광 본체 카트리지(727a)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측벽(38)으로부터 제2 측벽(39)까지 길이 방향에 직각인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현상제 공급 섹션(36)과,
    현상제를 수납하기 위한 것이고, 제1 측벽(38)으로부터 제2 측벽(39)까지 폭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부(35)보다 최저부(44C)에 근접한 하반부(30A)와 최저부(44C)보다 상부(35)에 근접한 상반부(30B)를 갖고,
    상기 현상제 공급 섹션(36)에 접하는 개구 단부(58)와,
    상기 개구 단부(58)로부터 대향되고, 상기 최저부(44C)로부터 상부(35)까지 연장하는 외부면(44E, 38A, 39A)을 포함하는 대향된 폐쇄 단부(44A)를 포함하는 현상제 수납 섹션(30)과,
    상기 감광 본체 카트리지(727a)와 마찰식으로 결합 가능하고, 길이 방향으로 현상제 수납 섹션(30)의 하반부(30A)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440, 441, 442, 443)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440, 441, 443)는 둥글거나 만곡된 하부 전방 외부면(440a, 441a, 442a, 443a)을 갖는 현상제 카트리지.
  19. 삭제
  20. 감광 부재(92)를 포함하는 감광 본체 카트리지(727a)로부터 장착 및 탈거 가능한 현상제 카트리지(728a)이며,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728a)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측벽(38)과 제2 측벽(39)을 포함하는 프레임(729a)과,
    상기 감광 본체 카트리지(727a)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측벽(38)으로부터 제2 측벽(39)까지 길이 방향에 직각인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현상제 공급 섹션(36)과,
    현상제를 수납하기 위한 것이고, 제1 측벽(38)으로부터 제2 측벽(39)까지 폭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부(35)보다 최저부(44C)에 근접한 하반부(30A)와 최저부(44C)보다 상부(35)에 근접한 상반부(30B)를 갖고,
    상기 현상제 공급 섹션(36)에 접하는 개구 단부(58)와,
    상기 개구 단부(58)로부터 대향되고, 상기 최저부(44C)로부터 상부(35)까지 연장하는 외부면(44E, 38A, 39A)을 포함하는 대향된 폐쇄 단부(44A)를 포함하는 현상제 수납 섹션(30)과,
    상기 감광 본체 카트리지(727a)와 마찰식으로 결합 가능하고, 길이 방향으로 현상제 수납 섹션(30)의 하반부(30A)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440, 441, 442, 443)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440, 441, 442, 443)는 프레임(729a)의 일부로서 일체식으로 형성되는 현상제 카트리지.
KR1020050071657A 2004-08-06 2005-08-05 감광 부재 카트리지, 현상제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카트리지 KR1007528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31201 2004-08-06
JP2004231202 2004-08-06
JPJP-P-2004-00231202 2004-08-06
JP2004231201 2004-08-06
JP2004305552A JP4221671B2 (ja) 2004-08-06 2004-10-20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感光体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JP-P-2004-00305551 2004-10-20
JP2004305551A JP4348625B2 (ja) 2004-08-06 2004-10-20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感光体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JP-P-2004-00305552 2004-10-20
JP2004375936A JP4463676B2 (ja) 2004-12-27 2004-12-27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4377284A JP4352335B2 (ja) 2004-12-27 2004-12-27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JP-P-2004-00377284 2004-12-27
JPJP-P-2004-00375936 2004-12-27
JPJP-P-2004-00377285 2004-12-27
JP2004377285A JP4770171B2 (ja) 2004-12-27 2004-12-27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7657A Division KR101006012B1 (ko) 2004-08-06 2007-06-13 감광 부재 카트리지, 현상제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248A KR20060050248A (ko) 2006-05-19
KR100752890B1 true KR100752890B1 (ko) 2007-08-28

Family

ID=3548475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1652A KR100719003B1 (ko) 2004-08-06 2005-08-05 감광 부재 카트리지, 현상제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카트리지
KR1020050071657A KR100752890B1 (ko) 2004-08-06 2005-08-05 감광 부재 카트리지, 현상제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카트리지
KR1020070057657A KR101006012B1 (ko) 2004-08-06 2007-06-13 감광 부재 카트리지, 현상제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카트리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1652A KR100719003B1 (ko) 2004-08-06 2005-08-05 감광 부재 카트리지, 현상제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카트리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7657A KR101006012B1 (ko) 2004-08-06 2007-06-13 감광 부재 카트리지, 현상제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카트리지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0) US7522859B2 (ko)
EP (4) EP1640814B1 (ko)
KR (3) KR100719003B1 (ko)
CN (14) CN101329544B (ko)
AT (1) ATE475911T1 (ko)
AU (1) AU2005270972B2 (ko)
CA (1) CA2577617C (ko)
DE (1) DE602005022526D1 (ko)
ES (1) ES2347793T3 (ko)
HK (3) HK1081670A1 (ko)
NZ (1) NZ553334A (ko)
RU (1) RU2402797C2 (ko)
TW (1) TWI266157B (ko)
WO (2) WO200601624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7817B2 (ja) * 2002-04-02 2007-10-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1640814B1 (en) * 2004-08-06 2011-10-0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hotosensitive member cartridge, developer cartridge and process cartridge having handle interlocking elements
ATE527582T1 (de) * 2004-08-06 2011-10-15 Brother Ind Ltd Behälter für ein lichtempfindliches element, entwicklungseinheit und arbeitseinheit mit handgriffverriegelung
JP2006184556A (ja) * 2004-12-27 2006-07-13 Brother Ind Ltd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4736568B2 (ja) * 2005-06-29 2011-07-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カートリッジ
JP2007086600A (ja) * 2005-09-26 2007-04-05 Brother Ind Ltd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093753A (ja) * 2005-09-27 2007-04-12 Brother Ind Ltd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626502B2 (ja) * 2005-12-01 2011-02-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4655924B2 (ja) * 2005-12-27 2011-03-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ユニットと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EP1821157A3 (en) * 2006-02-20 2013-08-21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Toner cartridge, process cartridge, imag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o which thoses cartridges are attachable
JP2007256351A (ja) * 2006-03-20 2007-10-04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
US7792465B2 (en) * 2007-02-20 2010-09-07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O2008105556A1 (en) * 2007-02-28 2008-09-0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Cartridge
JP4636037B2 (ja) * 2007-02-28 2011-02-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剤収容体
JP5012087B2 (ja) * 2007-03-01 2012-08-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680232B2 (ja) * 2007-05-07 2011-05-11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162908A (ja) 2007-12-28 2009-07-23 Brother Ind Ltd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
JP4645646B2 (ja) * 2007-12-28 2011-03-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743199B2 (ja) * 2007-12-28 2011-08-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029349B2 (ja) * 2007-12-28 2012-09-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
JP2009205087A (ja) * 2008-02-29 2009-09-10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4636097B2 (ja) 2008-03-07 2011-02-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ユニット
JP5127565B2 (ja) * 2008-05-23 2013-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0107619A (ja) * 2008-10-29 2010-05-13 Brother Ind Ltd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と、その現像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JP4710965B2 (ja) * 2008-11-28 2011-06-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感光体ユニット
JP4760937B2 (ja) * 2009-03-17 2011-08-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523216B2 (ja) * 2009-06-30 2014-06-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868033B2 (ja) 2009-06-30 2012-02-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剤カートリッジおよび現像装置
JP5029659B2 (ja) 2009-06-30 2012-09-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現像剤カートリッジ
JP2011133763A (ja) * 2009-12-25 2011-07-07 Brother Industries Ltd 現像カートリッジ
JP5621257B2 (ja) * 2009-12-25 2014-11-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
US8515309B2 (en) * 2009-12-25 2013-08-2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develop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029682B2 (ja) * 2009-12-25 2012-09-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5487954B2 (ja) * 2009-12-25 2014-05-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5521539B2 (ja) * 2009-12-25 2014-06-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
CN101763017B (zh) * 2010-01-16 2013-06-19 珠海赛纳打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处理盒
CN101846955A (zh) * 2010-01-28 2010-09-29 珠海赛纳科技有限公司 一种处理盒
JP4905567B2 (ja) * 2010-02-23 2012-03-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201638008U (zh) * 2010-03-03 2010-11-17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碳粉盒及处理盒
JP5293663B2 (ja) 2010-03-24 2013-09-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136582B2 (ja) 2010-03-24 2013-02-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5182313B2 (ja) * 2010-03-24 2013-04-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018921B2 (ja) * 2010-03-25 2012-09-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126268B2 (ja) * 2010-03-26 2013-01-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5517989B2 (ja) * 2010-05-14 2014-06-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573366B2 (ja) 2010-05-31 2014-08-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ユニット
CN101887224A (zh) * 2010-06-22 2010-11-17 富美科技有限公司 一种硒鼓感光鼓定位结构
JP2012013909A (ja) * 2010-06-30 2012-01-19 Brother Ind Ltd 現像カートリッジ
JP5382044B2 (ja) 2011-03-31 2014-01-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記録装置
CA2910240C (en) 2011-07-27 2019-06-04 Tomohiro Kubota Developer container, developing device, process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895400B2 (ja) 2011-08-30 2016-03-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348209B2 (ja) 2011-08-31 2013-11-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5348211B2 (ja) 2011-08-31 2013-11-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5182402B2 (ja) 2011-08-31 2013-04-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5403018B2 (ja) 2011-08-31 2014-01-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感光体カートリッジ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788742B2 (ja) 2011-08-31 2015-10-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5413428B2 (ja) 2011-08-31 2014-02-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CN106647209B (zh) * 2011-11-26 2019-10-18 江西亿铂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处理盒
US8867966B2 (en) * 2011-12-30 2014-10-21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for use in an image forming device
US8867970B2 (en) 2011-12-30 2014-10-21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s having positional control features
US9008556B2 (en) * 2012-03-15 2015-04-14 Ricoh Company, Ltd. Development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unit incorporating same
CA3141014A1 (en) 2012-06-15 2013-12-19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8879953B2 (en) 2012-06-25 2014-11-04 Lexmark International, Inc. Retainer assembly having positioning features for processing circuitry used within an image forming device supply item
JP5953996B2 (ja) * 2012-07-09 2016-07-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5962271B2 (ja) 2012-07-09 2016-08-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6035920B2 (ja) 2012-07-09 2016-11-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US9122235B2 (en) * 2012-09-11 2015-09-01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means to regulate movement of developing unit with respect to drum unit in axial direction of developing roller
JP5669794B2 (ja) 2012-09-11 2015-02-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N104781774A (zh) * 2012-09-12 2015-07-15 格林伊登美国控股有限责任公司 利用模板动态配置联络中心的系统和方法
PT2911346T (pt) * 2012-11-13 2017-08-18 Huawei Tech Co Ltd Método e dispositivo de rede para estabelecimento de um grupo virtual
US9696684B2 (en) * 2012-12-14 2017-07-04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025266B2 (en) * 2012-12-14 2018-07-17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including a coupling member and a sheet that contacts the coupling member
JP2014120978A (ja) * 2012-12-18 2014-06-30 Canon Inc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104169B2 (en) 2013-01-24 2015-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PL3214503T3 (pl) 2013-01-24 2020-07-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parat do elektrograficznego tworzenia obrazów i wkład wywołujący
US9182739B2 (en) 2013-01-24 2015-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CN103969990B (zh) * 2013-01-24 2017-09-22 爱思打印解决方案有限公司 电子照相图像形成设备及显影盒
US9058017B2 (en) 2013-01-24 2015-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ment cartridge
JP6098410B2 (ja) * 2013-07-19 2017-03-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6163957B2 (ja) 2013-08-13 2017-07-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ユニット
CN104730896B (zh) * 2013-12-24 2022-05-06 纳思达股份有限公司 一种处理盒及与之匹配使用的图像形成装置
CN110703572B (zh) * 2014-01-06 2022-04-22 兄弟工业株式会社 具有驱动力接收构件的显影盒
US9645545B2 (en) 2014-01-06 2017-05-0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photosensitive member cartridge
JP6525556B2 (ja) * 2014-01-29 2019-06-0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6098554B2 (ja) * 2014-03-11 2017-03-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248752B2 (ja) 2014-03-28 2017-12-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1610191B1 (ko) 2014-05-07 2016-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징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6394168B2 (ja) * 2014-08-08 2018-09-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720372B2 (en) * 2014-11-28 2017-08-0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6413736B2 (ja) * 2014-12-15 2018-10-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印刷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421631B2 (ja) * 2015-02-06 2018-11-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ドラムカートリッジ
AT517322A1 (de) * 2015-06-10 2016-12-15 Trodat Gmbh Stempel und Abdruckeinheit, insbesondere als Ersatzteil für einen Stempel
US9836011B2 (en) * 2015-07-30 2017-12-05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driving lever switching driven unit into transmission state and transmission release state
JP2017167290A (ja) * 2016-03-15 2017-09-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US10139774B2 (en) * 2016-04-27 2018-11-27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729118B2 (ja) 2016-07-15 2020-07-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US10126704B2 (en) 2016-10-14 2018-11-1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rum cartridge and developing cartridge capable of suppressing variation in position of electrical contact surface
JP6880712B2 (ja) 2016-10-14 2021-06-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ドラムカートリッジ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
JP6658630B2 (ja) * 2017-03-15 2020-03-0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ユニット
US9989917B1 (en) 2017-05-17 2018-06-05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with positional control features
JP2019015800A (ja) * 2017-07-04 2019-01-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039226B2 (ja) 2017-09-21 2022-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7009132B2 (ja) 2017-09-21 2022-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TWI665554B (zh) * 2018-01-22 2019-07-11 緯穎科技服務股份有限公司 熱插拔控制電路及相關儲存伺服器系統
JP2019174689A (ja) 2018-03-29 2019-10-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9174690A (ja) 2018-03-29 2019-10-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9174691A (ja) 2018-03-29 2019-10-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094163B2 (ja) * 2018-06-25 2022-07-01 シャープ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CN113574470B (zh) * 2019-03-22 2024-02-09 利盟国际有限公司 具有编码构件和用于相对于编码构件定位传感器的对准引导件的墨粉容器
CN111495908B (zh) * 2020-05-28 2023-06-23 东莞市合鼎盛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显像器自动清扫设备
JP2022123330A (ja) * 2021-02-12 2022-08-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14827561B (zh) * 2022-03-07 2023-03-28 成都极米科技股份有限公司 投影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4962A (ja) * 1994-10-17 1996-05-07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8339152A (ja) * 1995-06-13 1996-12-24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300A (en) * 1869-01-26 Improvement in letter-openers
US185594A (en) * 1876-12-19 Improvement in door-locks
US126132A (en) * 1872-04-30 Improvement in safes
US18666A (en) * 1857-11-24 Improvement in machines for covering sugar-cane
JPS59198476A (ja) * 1983-04-26 1984-11-10 Canon Inc 現像装置
JPS6460549A (en) 1987-08-27 1989-03-07 Toshiba Corp Paper sheet conveyer in picture forming device
JPH01146243U (ko) * 1988-03-31 1989-10-09
JPH02168278A (ja) 1988-12-21 1990-06-28 Canon Inc 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このプロセスユニットが着脱自在な画像形成装置
US5623328A (en) 1990-04-27 1997-04-22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system on which process cartridge is mountable
US5828928A (en) 1990-04-27 1998-10-27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mountable in an image forming system and a method for assembling a cleaning device
DE69127392T2 (de) 1990-04-27 1997-12-18 Canon Kk Von einem Bilderzeugungsgerät abnehmbare Arbeitseinheit
JPH04156575A (ja) 1990-10-19 1992-05-29 Toshiba Corp 定着装置
US5682579A (en) 1990-11-06 1997-10-28 Canon Kabushiki Kaisha Detachable two-frame process cartridg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5294960A (en) 1990-11-06 1994-03-15 Canon Kabushiki Kaisha Detachable two-frame process cartridg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4362961A (ja) 1990-11-06 1992-12-1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EP0692745B1 (en) * 1990-11-06 2000-05-10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able therewith
JPH0545716A (ja) 1991-08-15 1993-02-26 Canon Inc カメラ
JPH06282122A (ja) 1992-04-16 1994-10-07 Canon Inc ブレード部材、ブレード部材取り付け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て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CN1023050C (zh) 1992-05-06 1993-12-08 中国人民解放军三六○一四部队 长途电话自动接续信号的接收转发装置
EP0813119B1 (en) * 1992-06-30 2001-04-11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system
JP3320102B2 (ja) 1992-06-30 2002-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DE69219119T2 (de) 1992-06-30 1997-10-02 Canon Kk Prozesseinheit und Bilderzeugungssystem für eine solche Prozesseneinheit
JP3270121B2 (ja) 1992-06-30 2002-04-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619229A (ja) 1992-06-30 1994-01-2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06273987A (ja) * 1993-03-23 1994-09-30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285413B2 (ja) * 1993-04-28 2002-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感光体ドラム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815940A (ja) * 1994-04-28 1996-01-19 Canon Inc 現像フレーム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7319362A (ja) * 1994-05-19 1995-12-0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CA2160649C (en) * 1994-10-17 1999-11-23 Yoshiya Nomura Toner container, toner container assembling method,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H08202136A (ja) 1995-01-27 1996-08-09 Ricoh Co Ltd 現像装置、並びに現像装置のトナー残量検知手段における発光部及び受光部の位置設定方法
JP2875203B2 (ja) 1995-03-27 1999-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駆動力伝達部品、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
JP3839932B2 (ja) 1996-09-26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及びカップリング
JPH08305102A (ja) 1995-04-28 1996-11-22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926737A (ja) 1995-07-11 1997-01-2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359194B2 (ja) 1995-07-31 2002-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ホルダ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530644B2 (ja) 1995-07-31 2004-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フレーム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0962079A (ja) 1995-08-25 1997-03-0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トナー再充填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KR970062827A (ko) * 1996-02-17 1997-09-12 김광호 레이저 빔 프린터의 현상기착탈장치
US6240266B1 (en) * 1996-03-21 2001-05-29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drum mount for photosensitive drum
US6226478B1 (en) 1996-03-21 2001-05-01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having drive mount for photosensitive drum
JP3902683B2 (ja) 1996-06-14 2007-04-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の作像ユニット
US5832342A (en) * 1996-07-25 1998-11-03 Mita Industrial Co., Ltd. Image forming machine with a contact type developing device
JP3537107B2 (ja) 1996-09-03 2004-06-1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AU3926597A (en) 1996-09-26 1998-04-02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driving force transmission part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JP3416486B2 (ja) 1996-09-30 2003-06-1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268614A (ja) * 1997-03-25 1998-10-09 Casio Electron Mfg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689552B2 (ja) * 1997-04-07 2005-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フレーム、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195509A (ja) * 1997-09-18 1999-04-09 Sanyo Electric Co Ltd 画像形成装置
US5784671A (en) * 1997-11-14 1998-07-21 Xerox Corporation Process cartridge including a handle defining part of a machine paper path
JPH11161131A (ja) 1997-11-29 1999-06-1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754813B2 (ja) 1997-12-02 2006-03-1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787441B2 (ja) 1998-10-08 2006-06-2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19378B2 (ja) 1998-10-22 2005-02-09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その製造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0132039A (ja) * 1998-10-26 2000-05-12 Canon Inc クリーニング枠体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EP1031894B1 (en) * 1999-02-26 2002-06-1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hotosensitive member cartridge
JP3948155B2 (ja) 1999-03-19 2007-07-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0250310A (ja) 1999-02-26 2000-09-14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感光体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カートリッジ
JP4737349B2 (ja) 1999-02-26 2011-07-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330410B1 (en) 1999-02-26 2001-12-1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hotosensitive member cartridge
JP3684910B2 (ja) 1999-03-31 2005-08-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光走査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1350307A (ja) 2000-06-07 2001-12-21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320403B2 (ja) * 2000-06-28 2002-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2002207408A (ja) * 2001-01-10 2002-07-26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6751428B2 (en) * 2001-09-13 2004-06-1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device and detachably loaded process unit
CN2627544Y (zh) * 2001-09-13 2004-07-21 兄弟工业株式会社 成像装置及其所用的处理单元
JP2003084647A (ja) 2001-09-13 2003-03-19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ユニット
US6763210B2 (en) * 2002-03-11 2004-07-1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of refilling used developing cartridge
JP2003280490A (ja) 2002-03-25 2003-10-02 Fuji Denki Gazo Device Kk 分離型プロセスユニットおよびこのユニット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997817B2 (ja) * 2002-04-02 2007-10-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6842598B2 (en) * 2002-07-03 2005-01-11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developing means around an image carrier
US6678489B1 (en) * 2002-07-15 2004-01-13 Lexmark International, Inc. Two part cartridges with force biasing by printer
JP3542588B2 (ja) * 2002-09-30 2004-07-1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一端サイドカバーの取付け方法、他端サイドカバーの取付け方法、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858875B2 (ja) 2003-08-25 2006-12-20 村田機械株式会社 現像器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EP1640814B1 (en) * 2004-08-06 2011-10-0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hotosensitive member cartridge, developer cartridge and process cartridge having handle interlocking elements
JP4217676B2 (ja) 2004-09-06 2009-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4962A (ja) * 1994-10-17 1996-05-07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8339152A (ja) * 1995-06-13 1996-12-24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8114962
0833915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1004157Y (zh) 2008-01-09
AU2005270972A1 (en) 2006-02-16
EP1637933B1 (en) 2010-07-28
EP1640814A2 (en) 2006-03-29
AU2005270972B2 (en) 2010-12-09
KR20070067059A (ko) 2007-06-27
HK1081672A1 (en) 2006-05-19
RU2402797C2 (ru) 2010-10-27
CN1755541A (zh) 2006-04-05
KR101006012B1 (ko) 2011-01-05
NZ553334A (en) 2010-02-26
US20110064461A1 (en) 2011-03-17
TWI266157B (en) 2006-11-11
US7386253B2 (en) 2008-06-10
DE602005022526D1 (de) 2010-09-09
CN1731296A (zh) 2006-02-08
WO2006016244A2 (en) 2006-02-16
EP1637933A3 (en) 2006-04-05
US20060029422A1 (en) 2006-02-09
ES2347793T3 (es) 2010-11-04
HK1081670A1 (en) 2006-05-19
CN2893755Y (zh) 2007-04-25
EP1640814A3 (en) 2006-04-05
CN1731293A (zh) 2006-02-08
EP1637933A2 (en) 2006-03-22
KR20060050248A (ko) 2006-05-19
CN101354562A (zh) 2009-01-28
CN102117034A (zh) 2011-07-06
CN100419587C (zh) 2008-09-17
KR100719003B1 (ko) 2007-05-16
US20060029419A1 (en) 2006-02-09
US7522859B2 (en) 2009-04-21
CN100445890C (zh) 2008-12-24
CN1731297A (zh) 2006-02-08
CN1755541B (zh) 2011-07-06
EP1640814B1 (en) 2011-10-05
US20060029420A1 (en) 2006-02-09
CN102117034B (zh) 2013-06-19
CN101329544A (zh) 2008-12-24
CN101329544B (zh) 2010-11-03
US20090169248A1 (en) 2009-07-02
KR20060050245A (ko) 2006-05-19
US20060029421A1 (en) 2006-02-09
CN2849778Y (zh) 2006-12-20
EP2365396A1 (en) 2011-09-14
CA2577617A1 (en) 2006-02-16
US20080279583A1 (en) 2008-11-13
ATE475911T1 (de) 2010-08-15
US7450882B2 (en) 2008-11-11
US7844197B2 (en) 2010-11-30
CN101943880A (zh) 2011-01-12
HK1082299A1 (en) 2006-06-02
US20060029418A1 (en) 2006-02-09
CN2849777Y (zh) 2006-12-20
WO2006016244A3 (en) 2006-04-27
CN101943880B (zh) 2012-12-05
US7412188B2 (en) 2008-08-12
TW200615717A (en) 2006-05-16
CA2577617C (en) 2010-12-07
US7796915B2 (en) 2010-09-14
US20080170882A1 (en) 2008-07-17
EP1640820B1 (en) 2011-12-14
EP2365396B1 (en) 2013-01-16
CN101354562B (zh) 2011-08-10
WO2006016242A2 (en) 2006-02-16
US7369792B2 (en) 2008-05-06
CN1737696A (zh) 2006-02-22
EP1640820A3 (en) 2006-04-05
US7873296B2 (en) 2011-01-18
US7957669B2 (en) 2011-06-07
US7565092B2 (en) 2009-07-21
EP1640820A2 (en) 2006-03-29
WO2006016242A3 (en) 2006-04-27
CN2919308Y (zh) 2007-07-04
CN100535781C (zh) 2009-09-02
US20060029423A1 (en) 2006-02-09
CN100480882C (zh) 2009-04-22
RU2007108301A (ru) 2008-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2890B1 (ko) 감광 부재 카트리지, 현상제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카트리지
JP4348625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感光体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269241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6072285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感光体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389153B2 (ja) 感光体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