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5873B1 -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5873B1
KR100655873B1 KR1020047007445A KR20047007445A KR100655873B1 KR 100655873 B1 KR100655873 B1 KR 100655873B1 KR 1020047007445 A KR1020047007445 A KR 1020047007445A KR 20047007445 A KR20047007445 A KR 20047007445A KR 100655873 B1 KR100655873 B1 KR 100655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cathode
cathode fluorescent
car
fluorescent lamp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7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3790A (ko
Inventor
엔도마사히코
이케다교이치
오카다겐이치
오가와히로유키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6175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09922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1060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14289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1886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14930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1920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20361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1919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18246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191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20361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8757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292116A/ja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43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3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5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5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33Light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6Details of door jambs

Abstract

교체가 용이하고, 교체 횟수도 적으며, 유지 보수 작업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카(21)와, 카의 천장면(11)에 배치되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냉음극 형광등(1)과, 상기 냉음극 형광등(1)으로부터의 조명광(illumination light)을 반사하는 반사판(3) 및 상기 냉음극 형광등(1)을 점등하는 안정기(2)를 포함하고 있다. 냉음극 형광등(1)의 수명을 연장시키면 유지 보수 작업이 감소하게 되어 엘리베이터 사용자들의 불편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교체, 유지 보수, 형광등, 반사판, 안정기, 냉음극, 수명, 열음극.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LIGHTING SYSTEM OF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사용자에게 카의 도착(arrival)과 같은 운행 상태를 표시하는,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홀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홀 랜턴(hall lantern)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각각 엘리베이터 승강장 홀 및 카(car, cage)의 문턱(threshold)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카 외부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의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정전시에 카 내부를 조명하는 엘리베이터의 정전등(blackout lamp)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엘리베이터 천장에 가정용 범용 형광등(열음극선관, hot cathode-ray tube)을 설치한 조명 시스템이 있다. 이 형광등은 조명 시스템에서 반복된 온/오프(ON/OFF)에 의해서 수명이 단축되는 특징이 있다. 이는 형광등의 기동시에 과도한 전류(excessive current)가 필요하고, 이 과도한 전류가 음극(cathode)을 손상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형광등은 동작하지 않거나 깜빡거리게 되어, 교체할 필요가 있게 된다.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유지 보수 작업원이 엘리베이터로 가서, 소정 시간 동안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고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하며, 이후에 엘리베이터의 카의 천장 외측(outside)으로부터 형광등을 교체하게 된다. 한편 형광등의 수명은 대략 6000 시간 정도이다.
이와 같은 유지 보수 작업 중에, 전체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야 하며, 엘리베이터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사용자는 매우 불편하게 된다.
안전의 관점에서 보아, 유지 보수 작업원은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해야 하며, 단지 형광등을 교체하는 일에도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필요하게 된다.
종래 기술의 열음극 형광등의 경우에 있어서, 스타터(starter)를 사용하며 전압의 인가와 등의 점등 사이에 시간 지연(lag)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시간 지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호출(call) 등을 받아서 해당 층(floor)으로 엘리베이터가 이동한 직후에 정면 도어를 개방하도록 제어가 실행된다.
조명 시스템으로서, 개인용 컴퓨터 등의 백라이트(backlight)로 사용되는 소형 형광등과 같은 냉음극 형광등이 있다.
<홀 랜턴(hall lantern)>
다음에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는 홀 랜턴을 설명한다.
도 48은 엘리베이터 승강장 홀과, 엘리베이터 승강장 홀의 벽체(101)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102)를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door frame, (삼방향 프레 임, three-way frame))(103)과, 이를 개폐하기 위해 출입구(102)에 배치된 도어 장치(104)를 나타내고 있다. 이후에, 예를 들어 도어 프레임(103) 측에 인접하도록 엘리베이터 승강장 홀의 벽체(101)의 상측에 홀 랜턴(105)이 배치된다.
도 49는 도 48의 선(A-A)을 따르는 홀 랜턴(105)의 단면도이다. 이 홀 랜턴(105)은 브래킷(108)을 통해서 벽체(101)의 후면측에 부착된 박스(109)를 포함하고 있다. 이 박스(109)는 강판(steel plate)과 같은 금속에 의해, 한쪽 측면에 개구부(109a)를 가진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박스(109)는 벽체(101) 내에 형성된 관통 구멍(101a)과 개구부(109a)가 대향하도록 부착된다. 박스(109) 내에는 백열등(incandescent lamp)으로 구성된 발광체(phosphor)(111)가 소켓(110)을 거쳐서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홀로 노출되어 있는 조광체(115) 및 정면판(116)은 스프링 부재(117)를 통해서 관통 구멍(101a)에 대해 대향되어 벽체(101) 표면에 부착된다. 조광체(115)는 아크릴 수지 등의 투광성 합성 수지로 형성되며, 정면판(116)은 스테인레스 금속(stainless metal) 등으로 형성된다. 정면판(116)은 조광체(115)의 외주에 끼워 맞춰진다.
스프링 부재(117)는 납땜 등에 의해서 정면판(116)에 고정되고, 박스(109) 내로 삽입되고, 그 내벽면에 강제로 끼워 맞춰져 있다. 이 강제 끼워 맞춤 힘(press-fitting force)에 의해 벽체(101)에 조광체(115)와 정면판(116)이 고정된다.
엘리베이터 카가 엘리베이터 승강장 홀에 도착하기 전에, 홀 랜턴(105)은 엘 리베이터 제어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발광체(111)에서 광(light)을 방출시키고, 이 광으로 조광체(115)를 조명하여 엘리베이터 승강장 홀에서 카의 도착을 기다리는 승객들에게 그 정보를 알려주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홀 랜턴(115)에서는 발광체(111)로서 백열등을 사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그 외측 치수가 크며, 발광체(111)를 수용하고 있는 박스(109) 또한 커지게 되었다.
발광체(111)가 백열등이므로, 점등되어 있는 동안에 다량의 열(heat)이 발생하였고, 조도(luminance)는 높았다. 따라서 열에 의해서 초래되는 조광체(115)의 변형 또는 용융(melting) 또는 조광체(115)에서의 불균일한 광(light)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조광체(115)와 발광체(111) 사이에서는 충분히 큰 거리가 필요하였다. 발광체(111)를 수용하고 있는 박스(109)는 필연적으로 커져야 했고, 박스(109)를 작고 얇게 만드는 것은 곤란하였다.
따라서 박스(109)를 벽체(101)의 후면에 부착시키는 경우에, 건물(building)은 빔 구조(beam structure)로 계획되어야 하고, 후면에서의 건물 빔 재료(beam material)(도시하지 않음)와 박스(109) 사이의 기계적인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세세한 부분에서 상세하게 설계되어야 하였다. 따라서 막대한 시간과 노동력이 필요하였다.
최근에는 홀 랜턴(105)의 조명 컬러(illumination color)로 백색(white)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이런 경우, 정상적으로는 일반적인 백색 형광등을 발광체(111)로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형광등은 점등(lighting)시에 불규칙적인 깜박거림이 발생하기 때문에 즉각적으로 점등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홀 랜턴(105)은 엘리베이터 승강장 홀에서 카의 도착을 기다리고 있는 승객들에게 광을 깜빡거리는 것에 의해서 정보를 알려준다. 따라서 일반적인 형광등은 점등 중에 불규칙하게 깜빡거리기 때문에 규칙적인 깜빡거림에 의해서 정보를 표시하는 형태(form)를 채택할 수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은 형광등은 홀 랜턴(105)의 발광체로서 사용될 수 없다.
<엘리베이터 문턱>
일반적인 엘리베이터는, 도 5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물 내에서 복수의 층(floor)을 관통하는 승강로(1041)의 최상부에 제어판(1042)에 의해서 조작되는 호이스트(1043)가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1041) 내부에는, 호이스트(1043)에 현수되어 있는 주로프(1044)에 부착된 카(1045)가 이동하며, 균형추(1046)가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홀(1047a 내지 1047d)에 배치된 호출 버튼(call button)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또는 카(1045) 내에 배치되어 있는 목적층 지정 버튼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제어판(1042)에 의해서 호이스트(1043)가 운행(run)·구동되어 카 내의 승객을 상층 또는 하층으로 수송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주행 중에, 도 5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1045)의 카 바닥(1051)에 배치되어 있고 카 도어(1052)를 안내하기 위한 카 홈(1053)을 가지고 있는 카 문턱(1054)과 승강장 홀의 승강장(1047)에 배치되어 있고 승강장 도어(1055)를 안내하는 승강장 홈(landing groove)(1057)을 가지고 있는 승강장 문턱(1056) 사이에 틈(1058)이 있으며, 카 내로 출입하는 승객 숫자와 한 번의 운행 중에 카가 이동하는 층의 숫자가 증가하거나 감소함에 따라서 주행 상태가 변화한다. 따라서 승강장 문턱(1056)으로부터 카 문턱(1054)이 어긋나게 되어 단차(step)가 형성된 상태로 카(1045)가 도착하게 될 수도 있다.
승객들이 카(1045) 내로 출입할 때, 우산 끝이나 신발의 높은 굽(high heel) 등이 카 문턱(1054)과 승강장 문턱(1056) 사이의 틈(1058)에 걸리게 되거나 고객들이 단차에서 걸려서 넘어지기도 하였다. 따라서 카 문턱과 승강장 문턱 사이를 조명(illumination)하여 승객들에게 경고하는 방법이 있다.
카 문턱과 승강장 문턱 사이를 조명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광원(light source)(1059a, 1059b)은 일반적인 형광등, 백열등 또는 이들의 배열체(array)를 배치하여 형성되었다.
카 문턱과 승강장 문턱 사이의 틈 또는 생성된 단차(step)를 승객들이 인식할 수 있도록 카 문턱과 승강장 문턱 사이를 조명하는 종래 기술의 일반적인 형광등의 경우에, 표준 제품조차도 34 mm와 같이 직경이 크며, 카 바닥과 승강장 바닥의 리모델링이나 건설 등의 작업 규모가 커지게 된다. 일반적인 형광등에 있어서, 평균 수명이 대략 6000 시간 정도로 짧고, 유지 보수와 교체가 시간과 노동력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형광등이 점등되지 않는 경우에 승객에 대한 안전 조치를 취할 수도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유지 보수 시스템을 확보할 필요가 있게 된다.
또한 백열등 배열체에 의한 조명(illumination)에 있어서, 이 조명은 임의로 백열등을 배치하여 제공되어, 그 디자인이 조악하다. 따라서 채택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엘리베이터 카의 조명 시스템>
다음에 종래 기술에서의 엘리베이터 카의 조명 시스템을 설명한다.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도 5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1152)는 승강로(1151) 내에서 수직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엘리베이터 카(1152)는 카 바닥(1153)과, 측판(1154)과, 상판(1155)과, 정면 도어(1156)와, 상기 정면 도어(1156)의 상부와 상판(1155)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엔드 레일(end rail)(1157) 및 카 바닥(1153)과 측판(1154) 사이에 부착된 베이스(1158)를 포함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카(1152)는 정면 도어(1156)측의 좌측 및 우측면측에 대응하는 양 측판(1154)의 거의 길이 방향 중앙에 부착되어 있는 수직 프레임(1159)과, 수직 프레임(1159)의 양 하단부 사이에서 수평으로 놓여있는 하부 빔(1160) 및 수직 프레임(1159)의 양 상단부 사이에서 수평으로 놓여있는 상부 빔(1161)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로프(1162)로 현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카(1152)에서, 조명 시스템(1163)은 상판(1155) 등에 부착되어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를 조명하게 된다. 도 5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명 시스템(1163)은 가정용 범용 형광등(열음극선관)과, 광 방사 방향을 제외하고 형광등(1164)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램프 박스(lamp box)(1165) 및 상기 광 방사 방향측에 배치되어 광을 전달하는 조명판(illumination plate)(1166)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상기 조명 시스템(1163)은 일반적으로 상판(1155)에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다양한 조명 효과를 확보한다는 관점으로부터, 엘리베이터 내의 상판(1155) 이외의 장소에 조명 시스템을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1) 가정용 범용 형광등(열음극선관)(1164)은 형광등 자체가 클뿐만 아니라 형광등의 기동시에 과도한 전류가 필요하기 때문에 형광등(1164)을 점등시키기 위한 안정기를 포함하므로 전체적으로 커지게 된다. 따라서 조명 시스템(1163)의 깊이 방향으로 대략 120 mm 이상의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판(1155) 이외의 장소, 즉 엘리베이터 후면(backside)의 측판(1154)에 부착시키려고 하는 경우, 후면측 판(plate)(1154)과 승강로(1151) 벽 사이의 틈(W)이 120 mm 이하인 경우에는 조명 시스템(1163)을 부착할 수 없게 된다. 특히 설치된 엘리베이터를 갱신(renew)하는 경우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2) 형광등(1164)은 조명 시스템(1163)이 ON/OFF를 반복하는 매 순간마다 그 수명이 짧아진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형광등의 기동시에 과도한 전류가 필요하고, 이 과도한 전류가 음극(cathode)을 손상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정용 범용 형광등(1164)은 대략 매년마다 한번씩 소모된다. 매번, 유지 보수 기술자가 엘리베이터로 가서,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소정 시간 동안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고, 형광등(1164)을 교체하였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조명 시스템(1163)이 상판(1155) 이외의 다른 장소에 부착된 경우에는, 유지 보수 공간이 확보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형광등(1164)의 교체에는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되어, 엘리베이터를 장시간 동안 정지시켜 두어야 했다.
(3) 조명 시스템으로서, 개인용 컴퓨터 등의 백라이트(backlight)용의 소형 형광등으로 냉음극 형광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엘리베이터 카에 이 냉음극 형광등을 부착하는 방법은 아직 고안되지 않았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형광등(1164)을 사용하는 조명 시스템(116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의 상판(1155) 이외의 장소에 상기 조명 시스템을 부착하려고 하는 경우에 공간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부착이 불가능할 수도 있었다. 부착되었다고 하더라도, 유지 보수 공간이 확보되어 있기 않기 때문에, 형광등(1164)의 유지 보수 작업이 곤란하게 되고, 이는 엘리베이터를 장시간 동안 정지시켜야 한다는 불편을 초래하였다.
<엘리베이터의 카 외부 조명 시스템>
다음에 종래 기술의 카 외부 조명 시스템을 설명한다.
종래에는 도 5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카 외부 조명 시스템은 투시창 유리(1251)가 부착된 카(1252) 외측의 외부 패널(1253)에 백열등 또는 형광등(열음극선관)(1254)이 수용되는 박스 형상의 조명 케이싱(1256)이 내부 광원이 되고, 아크릴판(1255)은 표면측에 배치되어 광을 전달하기 위한 광 방출부가 되며, 형광등(1254) 등이 점등되어 아크릴판(1255)을 통해서 외부를 조명하는 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 부호 1257은 승강로 피트(pit)를, 1258은 승강장 바닥을, 1259는 출입문(홀 도어, hall door)을, 1261은 카 내벽을, 1262는 균형 로프(compensation rope)를, 1263은 균형 로프 텐션 풀리를, 1264는 완충기(buffer)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카 외부 조명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거의 백열등 또는 가정용 범용 형광등(1254)만을 사용하여 카(1252)의 외부를 조명한다.
그러나 백열등 또는 가정용 범용 형광등(1254)의 경우에 있어서, 외형 치수가 크고 발생되는 열의 양이 많으며, 또한 아크릴판(1255) 등을 통한 불균일한 광의 전달을 제거한다는 관점에서, 형광등(1254)으로부터 표면의 아크릴판(1255)까지의 거리를 크게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박스 형상의 조명 케이싱(1256)의 깊이 치수가 커지게 된다.
그 결과 외부 패널(1253)의 외측 치수가 커지게 되어, 승강로 피트 내의 균형 로프의 텐션 풀리(1263) 등의 장치와 간섭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게 되었다. 이는 외부 패널(1253)의 장치 설계(device layout)나 디자인을 변경시켜야 할 필요가 있기도 하였다. 백열등 또는 가정용 범용 형광등(1254)은 ON/OFF를 반복하는 매 순간마다 그 수명이 짧아진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형광등의 기동시에 과도한 전류가 필요하고, 이 과도한 전류가 음극을 손상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정용 범용 형광등은 대략 매년마다 한번씩 소모된다. 매번, 유지 보수 기술자가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현장으로 가야 하며,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고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한다. 피트(pit)의 높이 방향으로 치수가 긴 경우 또는 승강로에 작업용 발판이 없는 경우에, 발판 등을 설치하기 위한 시간 등이 필요하게 된다.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숫자가 많은 경우에, 교체 작업도 빈번하게 실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술한 엘리베이터의 카 외부 조명 시스템에서는, 백열등 또는 가정용 범용 형광등(1254)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박스 형상의 조명 케이싱(1256)의 깊이 치수가 커지게 되고, 따라서 외부 패널(1253)의 장치 설계 또는 디자인을 변경해야 하였다. 또한 등(lamp)의 교체 작업이 빈번하기 때문에 유지 보수 비용이 높이지게 되고, 매회 교체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의 주행을 정지시켜야 하였다.
<엘리베이터 카의 조명 시스템>
다음에 종래 기술의 엘리베이터 카의 조명 시스템을 설명한다.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는 승강로 상부의 기계실에 배치되어 있는 호이스트에 의해서 현수된 로프를 통해 수직으로 이동한다. 사용자는 카 내에서 이전 층의 호출 등록 버튼(call registration button) 또는 호출을 등록하기 위해서 도착하는 각 층의 호출 등록 버튼을 누름으로써 카로부터 정의된 층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에 있어서, 조명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천장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명 시스템으로 카 내부를 조명하여 안전과 편의성을 보장한다. 이와 같은 조명 시스템으로는 범용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시판중인 형광등 및 설비가 사용된다. 그러나 형광의 수명이 짧기 때문에 빈번하게 교체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형광등 대신에 직경이 대략 1 mm 내지 6 mm이고 수명이 길다는 특성을 가진 소직경관의 냉음극 형광등을 조명 시스템의 광원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냉음극 형광등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evice)의 백라이트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냉음극 형광등은 원래 광 도파관(optical waveguide)을 통해서 화면(screen)을 면조명(surface-illuminate)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직접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냉음극 형광등의 조사 각도(irradiation angle)가 작고, 조명판 표면에 불균일한 광이 발생한다.
<엘리베이터의 정전등 장치>
다음에 종래 기술의 엘리베이터의 정전등 장치를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내부에는, 정전시에 점등되어 카 내부를 조명하도록 정전등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정전등 장치는 카의 천장부에 배치되어 있는 정전등과, 정전 발생을 검출하고 이 정전 검출시에 이차 배터리를 사용하여 정전등을 점등하는 정전 검출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정전등의 조도는 법에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정전등이 카의 천장부에 배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특히 카 바닥의 표면부, 즉 승객의 발 부분에서의 조도(illuminance, 照度)가 불충분하게 되었다. 정전시에 발 부분이 어두웠기 때문에 승객들이 불안을 느끼게 되었다.
또한 카의 측면 일부에 조작 패널이 배치되어 있고, 비상시에 동작되는 인터폰 버튼은 조작 패널의 목적층 등록 버튼과 도어 개폐 버튼과 함께 배치되어 있었다. 따라서 조작 패널에 대한 조도(illuminance) 또한 불충분하게 되어, 조작 패널의 위치 및 버튼의 내용을 확인하기 힘들게 되었고, 이는 승객을 혼란시킬 뿐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에서의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행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수명을 연장시켜서 유지 보수 작업을 감소시키고 엘리베이터 사용 자에게 문제점이 전혀 없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소형(compact)이고 박형(thin)으로 형성되고 엘리베이터 승강장 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백색광(white light) 방사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홀 랜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객들이 카 문턱과 승강장 문턱 사이의 틈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생성된 단차를 인식하기 쉽도록 고조도(high illuminance)의 조명을 제공하고, 디자인적으로 문턱 전체 폭을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조명하고, 승객의 안전을 보장하는 엘리베이터 문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카 내의 조명 시스템을 교체하는 횟수를 감소시키고, 충분한 유지 보수 공간을 확보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조명의 치수(dimension)를 감소시키고, 장치 설계를 변경하지 않고, 협소한 외부 패널이라 할지라도 외부 조명을 부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카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등 교체 작업의 실행 주기를 연장시키고, 작업 시간을 단축하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카 외부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명 시스템의 광원 교체 작업을 없애고, 조명판(illumination plate)에 조명이 불균일하게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객들의 불안감이 완화되도록 카 내의 소정 부분을 효과 적으로 조명하고, 조작 패널의 위치와 버튼의 내용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정전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은 사용자가 타고 내릴 수 있는 카와, 카의 내부를 조명할 수 있는 냉음극 형광등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은 한쪽 면에 개구부(opening)를 가지는 박스(box)와, 이 박스 내에 배치된 냉음극 형광등으로 구성된 발광체(phosphor)와, 상기 개구부에 대향되어 배치되고 상기 발광체의 광을 엘리베이터 승강장 홀로 지향시키는 조명체(illuminan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은 카가 수직으로 이동하는 승강로 내에 배치된 각층의 승강장 출입구 문턱의 승강로측의 측단부에 배치된 제 1 냉음극 형광등 조명기(illuminator)와, 상기 승강장 출입구의 문턱에 대향하여 카 출입구 문턱의 측단부에 배치된 제 2 냉음극 형광등 조명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냉음극 형광등 조명기 및 제 2 냉음극 형광등은 각각의 문턱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카가 승강장 홀에 도착하면 점등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카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측판(side plate)과, 상기 측판의 표면부에 부착되고, 냉음극 형광등을 수용하고 있으며, 내부에 조명판(illumination plate)이 배치되어 상기 냉음극 형광등에서 방출된 광을 카의 내부로 향해서 전달하는 램프 박스(lamp box)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종래 기술의 범용 형광등과 비교하여, 냉음극 형광등의 사용 기간이 길고, 이의 교체 횟수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냉음극 형광등의 직경이 매우 작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소형으로 형성되며, 공간 문제 때문에 종래 기술의 범용 형광등을 부착할 수 없는 경우의 장소에도 유지 보수 공간을 확보하면서 부착할 수 있다.
냉음극 형광등은 측판만 사용하여 부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카의 각 부분을 구성하는 베이스(base)의 조인트(joint)와, 엔드 레일(end rail) 및 측판의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을 사용해서 부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카의 디자인의 관점으로 보아 다양한 조명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은 냉음극 등(cold-cathode lamp)을 가지는 외부 조명체를 배치하여 광을 방출하고, 외부 패널 상에 외측으로 향하는 측면 상에 광 전달부(light transmission section)를 가진 외부 케이싱이 카의 외측을 덮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예를 들어 외부 조명체(illuminator)가 카 바닥측의 외부 패널에 부착되는 경우에 승강로 피트(pit)의 장치 설계의 변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외부 조명체가 카 측면의 외부 패널, 즉 투시창 아래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승강로를 확장할 필요가 없으며, 외부 조명체는 공간이 좁은 외부 패널에도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카의 천장부에 부착된 복수의 조명 기구(lighting fixture)를 포함한다. 이 조명 기구는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냉음극 형광등과 상기 냉음극 형광등의 상부에 위치된 반사판을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인접한 조명 기구의 냉음극 형광등 사이의 간격은 각각의 조명 기구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냉음극 형광등 사이의 간격과 대략 동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조명 기구의 광원인 냉음극 형광등이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또한 조명판이 균일하게 조사(irradiate)되므로 조명판에서 불균일한 광이 생성되지 않으며, 장수명의 냉음극 형광등의 특징을 사용하여 교체 작업을 감소시킨다.
이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반사판의 가장자리에 상승편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상승편의 높이 치수는 반사판으로부터 냉음극 형광등의 중앙까지의 치수보다 더 짧게 설정된다.
상승편의 높이 치수는 상승편 부근에 위치된 냉음극 형광등의 중앙에서 상승편의 팁(tip)까지 연결하는 직선과 인접한 조명 기구의 냉음극 형광등의 중앙을 서로 연결하는 직선 사이의 각도가 54° 이하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명 기구에는 안정기가 일체적으로 부착되며, 안정기와 냉음극 형광등의 단부(end)는 절연체(insulator)로 덮혀 있을 수도 있다.
조명 기구에 있어서, 복수의 냉음극 형광등은 투광성 합성 수지로 구성된 조명판(illumination plate)으로 덮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카와, 카의 측판부(side plate portion)와, 베이스 및 조작 패널(operation panel)의 저면부(bottom portion) 중의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정전등(blackout lamp)과, 정전을 검출하고, 정전 검출시에 배터리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정전등을 점등하는 정전 검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카와, 상기 카 바닥을 조명(illuminate)하는 부분과, 조작 패널을 조명하는 부분 및 상기 카 전체 부분을 조명하는 부분 중의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정전등과, 정전을 검출하고, 정전 검출시에 배터리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정전등을 점등하는 정전 검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카와, 상기 카 바닥을 조명하는 부분과, 조작 패널을 조명하는 부분 및 상기 카 전체 부분을 조명하는 부분 각각에 배치된 정전등과, 정전을 검출하고, 정전 검출시에 배터리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정전등을 점등하는 정전 검출 장치와, 정전되지 않았을 때 상용 전원을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정전등을 선택적으로 점등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유닛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유닛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car) 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카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카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조명 유닛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조명 유닛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냉음극 형광등의 주변 온도와 형광등의 기동 전압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냉음극 형광등의 주변 온도와 형광등의 조도(luminance)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홀 랜턴의 단면도.
도 11의 (a) 및 도 11의 (b)는 홀 랜턴의 발광체로 사용되는 냉음극 형광등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의 (a) 및 도 12의 (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이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의 (a) 및 도 14의 (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5는 엘리베이터의 기계실(machine room)에 설치된 제어판(control panel)에 홀 랜턴의 발광체를 점등하기 위한 안정기가 배치되어 있는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6은 엘리베이터의 3 방향(three-way) 프레임(frame) 내에 설치된 제어판에 홀 랜턴의 발광체를 점등하기 위한 안정기가 배치되어 있는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7은 엘리베이터 승강로(hoistway) 내의 제어판으로부터 분리된 박스(box)에 홀 랜턴의 발광체를 점등하기 위한 안정기가 저장되어 있는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8은 승강장 위치 표시 장치의 발광체로 냉음극 형광등이 사용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9는 카의 승강장 위치 표시 장치의 발광체로 냉음극 형광등이 사용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0의 (a) 및 도 20의 (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동작을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문턱(threshold)의 개념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된 카 문턱의 개념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된 카 문턱의 개념도.
도 23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을 적용한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를 나타내는 구성도(constitutional view).
도 24의 (a) 및 도 24의 (b)는 도 23에 나타낸 측판(side plate)에 조명 시 스템을 부착한 경우의 단면도.
도 25는 도 23에 나타낸 측판과 베이스의 외부에 바람 소리 방지 수단이 배치된 경우의 본 발명의 조명 시스템의 부착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6은 도 23에 나타낸 베이스 본 발명의 조명 시스템을 부착했을 때의 단면도.
도 27은 도 23에 나타낸 베이스에 본 발명의 조명 시스템을 부착했을 때의 단면도.
도 28의 (a) 및 도 28의 (b)는 도 23에 나타낸 엔드 레일(end rail)에 본 발명의 조명 시스템을 부착했을 때의 단면도.
도 29의 (a) 및 도 29의 (b)는 도 23에 나타낸 두 개의 측판의 조인트(joint)에 본 발명의 조명 시스템을 부착했을 때의 단면도.
도 30은 도 23에 나타낸 카 바닥에 본 발명의 조명 시스템을 부착했을 때의 단면도.
도 31은 카 바닥에 본 발명의 조명 시스템을 부착했을 때의 카 바닥 표면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2는 카 바닥의 단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카 외부 조명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엘리베이터의 구성도.
도 34는 도 33에 나타낸 엘리베이터의 카 외부 조명 시스템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구성도.
도 35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카 외부 조명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엘리베이터의 구성도.
도 36의 (a)는 카 하부(lower portion)의 외부 패널에 외부 조명 시스템이 부착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카 외부 조명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엘리베이터의 구성도.
도 36의 (b)는 카 하부(lower portion)의 측면의 외부 패널에 외부 조명 시스템이 부착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카 외부 조명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엘리베이터의 구성도.
도 37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카 외부 조명 시스템의 다른 부착례를 설명하는 도면.
도 38은 도 37에 나타낸 윈도 컬럼(window column)에 외부 조명 시스템이 부착된 평단면도.
도 39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카의 조명 시스템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0의 (a) 내지 도 40의 (c)는 각각 도 39의 제 1 실시예에서 사용된 조명 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 측단면도 및 저부 단면도.
도 41은 도 39의 확대된 단면 중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4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주요 단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의 조명 기구의 단면도.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외관(appearance) 사시도.
도 45는 카의 측면(side face)과 베이스(base)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정전등(blackout lamp)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6은 카의 천장부에 배치되어 있는 정전등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7은 카의 조작 패널에 배치되어 있는 정전등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8은 엘리베이터 승강장 홀에 배치되어 있는 종래 기술의 홀 랜턴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9는 도 48의 선(A-A)을 따르는 단면도.
도 50의 (a) 및 도 50의 (b)는 종래 기술의 엘리베이터 문턱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51은 엘리베이터의 개념적인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52는 종래 기술의 조명 시스템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53은 종래 기술의 엘리베이터의 카 외부 조명 시스템을 설명하는 엘리베이터의 구성도.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의 제 1 실시예의 정면도, 도 2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의 제 1 실시예의 측면도, 도 3은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이 배 치되어 있는 카의 정면도이다.
조명 시스템(5)은 적어도 10 개의 직선관 형상의 냉음극 형광등(1)과, 냉음극 형광등(1)을 점등하는 안정기(2)와, 냉음극 형광등(1)으로부터 방출되는 가시 광선을 반사하는 반사판(3)과, 안정기(2)에 전력을 공급하는 커넥터(4)와, 냉음극 형광등(1)을 지지하는 지지 베이스(support base)(20)를 포함한다.
냉음극 형광등(1)은 대략 1 mm 내지 6 mm 정도의 직경을 가지는 최소한 하나의 투광성 방전 용기와, 상기 방전 용기의 양쪽에 밀봉된 한 쌍의 냉음극(cold cathode)(도시하지 않음)과, 상기 방전 용기의 내면(inner surface)에 코팅된 형광 물질(도시하지 않음)과, 상기 방전 용기 내에 밀봉된 방전 매체(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다. 냉음극 형광등(1)은, 냉음극이 열이 없는 광(light)을 방출하기 때문에, 수명은 조명(illumination)의 ON/OFF 횟수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광 방출 시간에 따라서 결정되는 특성을 가진다.
또한 냉음극 형광등(1)은 고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 즉각적으로 점등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광 방출시까지 시간 지연은 없다.
지지 베이스(20, 20)는 반사판(3)의 양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냉음극 형광등(1)은 상기 지지 베이스(20)에 대해서 평행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 때 복수의 냉음극 형광등(1)은 소정 거리만큼 각각으로부터 및 소정 거리만큼 반사판(3)으로부터 분리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인버터(inverter) 기능을 갖는 안정기(2)는 반사판(3) 내에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복수의 냉음극 형광등(1)의 단부는 안정기(2)의 한쪽 단부에 접속되어 있으 며, 냉음극 형광등(1)의 다른쪽 단부는 안정기(2)의 다른쪽 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냉음극 형광등(1)과 안정기(2) 사이를 접속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냉음극 형광등(1)의 한쪽 단부의 단자선(terminal line)과 안정기(2)를 납땜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안정기(2)는 커넥터(4)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복수의 냉음극 형광등(1)과, 지지 베이스(20)와, 반사판(3) 및 안정기(2)는 일체로 배치되어 조명 시스템의 1 유닛(unit)을 구성한다.
다음에 도 3의 구성을 설명한다.
카(21)는 카 바닥(6)과, 정면 도어(7)와, 베이스(8)와, 측판(9)과, 엔드 레일(10) 및 상판(11)을 포함하고 있다. 관통 구멍(12)은 상판(11)을 관통하여 천공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광투과성 합성 수지로 형성된 보호판(13)은 상기 관통 구멍(12)을 덮고 있다. 형상이 대략 정육면체인 박스판(box plate)(14)은 카(21)의 외부에 배치되어 보호판(13)을 덮고 있다. 조명 시스템의 1 유닛(5)은 보호판(13)과 대향하여 박스판(14) 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조명 시스템의 커넥터(도시하지 않음) 또한 필요에 따라서 배치된다.
베이스(8)의 바닥면은 카 바닥(6)에 고정되며, 상부면은 측판(9)에 고정된다. 측판(9)은 상판(11)에 고정되고, 인접한 측판에도 고정된다. 엔드 레일(10)의 상부면은 상판(11)에 고정되고, 측면은 측판(9)에 고정된다. 정면 도어(7)는 엔드 레일(10)과, 측판(9)과, 베이스(8) 및 카 바닥(6)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소정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다.
상술한 구성의 제 1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커넥터(4)로부터 안정기(2)로 전원이 공급되고, 전압·전류 등은 안정기(2)에서 소망의 값으로 변환된다. 변환된 전압은 복수의 냉음극 형광등(1)으로 인가되어 소정의 파장을 갖는 광(light)을 방사한다. 방사되는 광의 일부는 보호판(13)으로 직접적으로 입사되며, 상기 광의 나머지는 반사판(3)으로 방사되어 반사판에서 반사되며, 이후에 보호판(13)으로 입사하게 된다. 이후에 광은 보호판(13)을 통해 카(21)로 전달되어 소정 조도로 카 내부를 조명하게 된다.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에 냉음극 형광등(1)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조명 시스템의 수명이 연장된다. 따라서 유지 보수 기술자가 조명 시스템을 교체하는 것과 같은 유지 보수 작업을 감소시키게 되고, 따라서 엘리베이터 사용자에 대한 불편함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종래 기술의 열음극 형광등의 경우에서와는 다르기 때문에, 냉음극 형광등(1)에서는 전류(current)에 의해서 고온으로 되는 냉음극은 전혀 없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음극 단선(cathode disconnection)과 같은 일은 절대로 발생하지 않는다. 열음극 형광등이 수명이 대략 6000 시간 정도인 반면에, 냉음극 형광등(1)의 수명은 대략 50,000 시간 정도이며, 수명의 길이는 열음극 형광등에 비해서 대략 10 배 정도 더 길다. 또한 냉음극 형광등의 수명은 조명(illumination)의 ON/OFF 횟수에 의존하지 않으며, 이는 장수명을 달성하는 몇 가지 요인 중의 하나이다. 한편 열음극 형광등은 조명의 ON/OFF 횟수에 의해서 그 수명이 단축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명이 대략 6000 시간 정도라 할지라도 ON/OFF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수명이 더 단축된다.
냉음극 형광등(1)이 항상 점등되어 있는 경우에, 50,000 시간의 수명을 24 시간으로 나누고 365일로 나누면 대략 5.7 년 정도를 얻는다.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의 ON/OFF 조작에 따라서, 예를 들어 조명 시스템이 항상 점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사용 중에만 점등됨) 수명은 훨씬 더 길어질 수 있다. 조명 시스템의 수명이 길어지게 되면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에 대한 유지 보수 검사 작업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 비용 또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냉음극 형광등(1)의 크기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디자인이나 설치 조건의 완화에 기여하게 된다. 종래 기술의 열음극 형광등의 직경이 대략 34 mm인 반면에, 본 발명의 형광등의 직경은 매우 작아서, 대략 1 mm 내지 6 mm 정도이며, 이는 대략 1/6 수준이다. 소형이기 때문에, 형광등의 개수와 각각의 상호간의 거리는 원하는 조도를 얻을 수 있도록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박스체(box body)(14)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냉음극 형광등(1)과 보호판(12) 사이의 거리를 단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카 내의 전체 조명 시스템을 소형화하고 박형화할 수 있게 된다.
냉음극 형광등(1)의 설치 조건(거리 등)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조명 시스템에서 항상 문제가 되는 불균일한 광을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엘리베이터 사용자에게 불편한 느낌을 전혀 주지 않는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1 유닛에서는, 복수의 냉음극 형광등(1)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그 중의 한 형광등이 광을 방출할 수 없는 상태가 되더라도, 사용자가 그 사실을 알아 차리 기 힘드는데, 그 이유는 다른 냉음극 형광등(1)이 광을 방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체해야 될 냉음극 형광등(1)의 교체 시기를 지연시킬 수 있게 된다.
종래에는 하나의 냉음극 형광등(1) 단자(terminal)를 안정기(2)에 접속하는 것은 납땜 등에 의해서 수작업으로 수행하였다. 그러나 1 유닛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유닛별로 교체를 수행할 수 있게 되었으며, 따라서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교체 작업 중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호출이 이루어진 층에 카가 도착한 이후에 도어를 신속하게 개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냉음극 형광등(1)에 전압을 인가하여 광을 방출하기 전까지의 시간이 종래 기술의 경우와 비교하여 매우 짧기 때문이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의 제 2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서, 제 1 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의 정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 천장(15)은 대략 카의 전체 천장 표면으로부터 광을 방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조명판(13b)은 상기 광 천장(15)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천장판(ceiling plate)(15)에 있어서, 복수의 조명 유닛(5)이 상기 조명판(13b)의 형상과 매치(match)되도록 배치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도 5의 정면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3 실시예의 특징은 조명 유닛(5)이 상판(11)에 직접 부착되어 있다는 것이다.
조명 유닛(5)은 상판(11)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조명 유닛(5)이 상판(11)으로부터 카의 외부로 돌출하지 않기 때문에, 카와 승강로의 천장(ceiling) 사이의 거리인 상부 여유 공간(top clearance)을 줄일 수 있다. 카에는 어떠한 돌출부도 없기 때문에, 카 외관의 디자인을 향상시킬 수 있다.
냉음극 형광등(1)은 구불구불한(meandering)(U 형상을 조합한) 형상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카 천장 등의 크기와 부착 중의 치수를 적절히 매치시켜서 최적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으며, 디자인도 향상된다.
다음에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냉음극 형광등(1)을 보온하도록 냉음극 형광등(1)에 인접하여 열 유지 수단(16)이 배치되어 있다. 이 열 유지 수단(16)은 냉음극 형광등(1)을 실온(normal temperature), 즉 25 ℃로 설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냉음극 형광등(1)에 있어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광등의 기동 전압은 대략 25 ℃ 이하로 된다. 25 ℃ 이하인 경우에는, 기동 전압이 상승하여 형광등의 점등이 곤란하게 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음극 형광등(1)의 조도(luminance)는 대략 25 ℃ 근처에서 낮아진다. 25 ℃ 이하인 경우에, 조도가 감소하여 엘리베이터 내에서 적절한 조도(illuminance)를 얻기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냉음극 형광등을 보온하도록 열 유지 수단(16)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냉음극 형광등을 보온하는 열 유지 수단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냉음극 형광등의 점등이 용이해지고, 순시 점등을 수행할 수 있다. 냉음극 형광등의 출력 특성, 즉 형광등으로부터 광의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력 절약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말할 것도 없이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망의 조도를 얻을 수 있도록 임의 개수의 냉음극 형광등을 설정할 수도 있다. 임의의 거리만큼 서로 분리시키거나 임의의 거리만큼 반사판으로부터 분리시켜서 다수의 냉음극 형광등을 배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음극 형광등을 사용하고 있고, 형광등의 수명이 매우 길고, 예를 들면 50,000 시간이므로, 엘리베이터가 여전히 동작 중에 형광등의 동작이 불가능한 횟수가 종래 기술의 열음극 형광등과 비교하여 1/10이며, 형광등 유지 보수 비용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냉음극 형광등의 수명이 길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냉음극 형광등과, 반사판 및 안정기를 하나의 유닛(unit) 내에 형성한다면, 유지 보수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 횟수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전망용(observation) 엘리베이터 카의 외부 조명 시스템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에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 시스템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에 의해서, 유지 보수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가하지 않는 엘리베이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홀 랜턴(hall lantern)>
다음에 도 10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종래 기술의 구성에 대응하는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브래킷(8)을 통과하여 벽체(101)의 후면에 부착된 박스(109)의 두께는 종래 기술의 경우에서보다 충분하게 작다.
베이스(120)는 박스(109)의 벽면(wall surface)에 부착되고, 전기적인 절연체로 구성된 한 쌍의 대향 브래킷(121)은 베이스(120)에 부착되며, 직선관(straight-tube) 형상의 냉음극 형광등으로 구성되는 발광체(122)는 브래킷(121) 사이에 놓여져서 조광체(115)와 면하게 된다.
안정기(123)는 박스(109) 내의 벽면에 베이스(120)와 함께 나란히 부착되어 있다. 이 안정기(123)는 발광체(122) 및 엘리베이터 제어판(도시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발광체(122)로서의 냉음극 형광등은 직경 대략 1 mm 내지 6 mm의 투광성 방전 용기와, 상기 방전 용기의 양 단부에 밀봉된 한 쌍의 냉음극(도시하지 않음)과, 상기 방전 용기의 내면에 코팅된 형광 물질(도시하지 않음) 및 상기 방전 용기 내에 밀봉된 방전 매체(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다.
냉음극 형광등의 특징 중의 하나는 발열하지 않고 냉음극에서 광을 방출한다는 것으로, 수명이 길고, 이 수명은 범용 형광등(열음극 형광등)과는 달리 ON/OFF 횟수에 의존하지 않으며, 고전압이 인가되면 즉각 점등되고, 따라서 광을 방출하기 전까지 시간 지연이 없다.
이와 같은 홀 랜턴(105)에 있어서, 발광체(122)가 냉음극 형광등이기 때문에 점등 중에는 열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조광체(115) 및 발광체(122)가 서로 근접하게 되거나 접촉하게 되더라도 조광체(115)에서의 열 변형이나 용융과 같은 문제는 전혀 없다. 따라서 박스(109)는 두께가 충분히 작으면서도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발광체(122)로서의 냉음극 형광등의 형상은 그 자체가 백열등과 비교하여 소형이다. 따라서 박스(109)를 더 소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종래 기술의 박스(109)에서 두께는 대략 150 mm 내지 200 mm로 설정되어야 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의 박스(109)에서는 대략 20 mm 내지 30 mm로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벽체(101) 후면에 박스(109)를 부착하는 경우에, 그 후면에서 건물의 빔(도시하지 않음)과 박스(109) 사이의 기계적인 간섭을 방지하도록 하는 디자인 계획이 가능해지며, 그 부착 중의 실행도 가능해진다.
발광체(122)로서의 냉음극 형광등은 백색광을 방출한다. 이 형광등은 전압의 인가에 따라서 즉각적으로 점등된다. 따라서 백색광의 홀 랜턴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제어판의 제어에 기초하여 광을 규칙적으로 ON/OFF하여 점멸하도록 하여, 도착층 승강장 홀에서 카의 도착을 기다리는 승객들에게 정보를 알려주는 형 태를 용이하게 채택할 수 있다.
박스(109) 내의 발광체(122)(냉음극 형광등)의 개수는 단수이거나 복수일 수도 있다. 복수의 발광체(122)를 사용하는 경우에, 조명체(155)에서의 불균일한 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체(122)로서 직선관 형상의 냉음극 형광등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U 형상으로 굽혀진 냉음극 형광등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S 형상으로 굽혀진 냉음극 형광등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U 형상 또는 S 형상의 냉음극 형광등을 사용하는 경우에, 광의 발광 구간은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조명 효율(illumination efficiency)이 증가되며, 형광등의 개수가 적은 만큼 불균일한 광도 감소하게 된다.
도 12의 (a) 및 도 12의 (b)는 제 2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120)에는 일체형 발광체 유닛(U)을 미리 구성하고, 한 쌍의 브래킷(121)은 베이스(120)에 서로 대향하도록 부착되며, 발광체(122)는 브래킷(121) 사이에 놓여진 냉음극 형광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109) 내벽면에 볼트(bolt) 등의 체결 공구(125)를 이용하여 필요한 개수의 발광체 유닛(U)을 부착할 수 있다.
도착층 승강장 홀을 디자인하기 위해서 다양한 규격의 홀 랜턴(105)이 채택되었으며, 이에 따라서 박스(109)의 형상도 변화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박스(109)의 형상 변화에 따라서 정확하게 충분한 필요한 개수의 발광체(122) 를 박스(109) 내에 배치할 수 있다.
박스(109) 내에 복수의 발광체(122)(냉음극 형광등)를 배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일부 발광체(122)를 정상적인 광원으로 사용하도록 설정하고, 나머지 발광체(122)는 예비 광원으로 설정하는 구성을 채택할 수도 있으며, 정상적으로 사용된 발광체(122)(냉음극 형광등)의 수명이 다하는 경우에, 전압 인가 회로가 예비 발광체(122)(냉음극 형광등)로 전환되고, 이후에 예비 발광체(122)가 점등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수명이 다해가는 발광체(122)를 교체할 필요는 없고, 발광체를 교체하지 않는 홀 랜턴(105)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성(maintainability)이 향상된다.
도 13은 제 3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박형으로 형성한 박스(109)는 체결 공구로서 볼트(27)를 통해서 벽체(101) 표면에 부착되어 있다.
베이스(120)는 박스(109)의 내벽면에 부착되어 있고, 한 쌍의 브래킷(121)은 서로 대향되어 베이스(120) 위에 부착되어 있고, 브래킷(121) 사이에는, 조광체(115)에 대향하여 근접하게 냉음극 형광등으로 되는 발광체(122)가 놓여져 있다.
조광체(115)는 스테인레스 금속 등으로 형성된 정면판(116)을 통해 박스(109) 정면의 개구부(109a)에 체결되어 있다. 정면판(116)은 박스(109)의 외주(outer periphery)에 결합되어 있으며, 그 내주 가장자리에는 클로(claw)(116a)가 있다. 이 클로(116a)는 박스(109) 외주면에 형성된 홈(109b)과 맞물려서 정면 판이 뽑히지 않도록 한다.
본 홀 랜턴(105)에 있어서, 박스(109)의 두께는 충분히 작으며, 따라서 박스(109)가 벽체(101) 표면으로 노출된다고 하더라도 디자인 문제는 전혀 없게 된다. 박스(109)가 벽체(101) 표면에 부착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벽체(101)에 큰 관통 구멍을 형성할 필요는 없으며, 와이어(wire)로 고정하기 위한 작은 구멍(도시하지 않음)만 형성할 필요가 있다. 박스(109)는 벽체(101)의 표면측, 즉 도착층의 승강장 홀 측에서 부착할 수 있으며, 따라서 벽체(101) 후면의 승강로에 작업자가 들어갈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부착 작업을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및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박스(109)가 벽체(101) 표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의 발광체(122)의 교체 작업을 벽체(101) 표면측으로부터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및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4의 (a) 및 도 14의 (b)는 제 4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홀 랜턴의 조명체를 점등하는 안정기(123)가 엘리베이터 제어판(130)에 배치되어 있다. 제어판(130)은 강철판 등에 의해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판은 건물(131) 내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승강로(132) 내의 도중에 설치된다.
도 1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정기(123)는 볼트(bolt) 등의 체결 공구(133)에 의해 제어판(130)에 부착되어 있다. 이 안정기(123)는 와이어 장비(wire harness)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도착층 승강장 홀에 배치된 홀 랜턴 의 발광체(냉음극 형광등)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판(130)에 안정기(123)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서, 홀 랜턴의 구성을 단순하게 하고, 홀 랜턴의 디자인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제어판(130)에 안정기(123)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안정기(123)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판(130)은 건물(131)의 옥상(rooftop)에 배치되어 있는 기계실(134)에 설치될 수도 있고,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착층 승강장 홀의 도어 프레임(103) 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7은 제 5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판(130)은 건물(131)의 승강로(132) 내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판(130)과는 별도로 강판 등에 의해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 박스(136)는 앵커(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승강로(132) 도중의 엘리베이터 도착층 승강장 홀 부근 위치에 부착되며, 안정기(123)는 상기 박스(136) 내에 저장된다.
박스(136) 내에 저장된 안정기(123)는 와이어 장비(137)를 통해서 제어판(130) 및 홀 랜턴의 발광체(냉음극 형광등)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제어판(130)과는 별도로 박스(136) 내에 안정기(123)가 배치되어 있고, 이 박스(136)는 승강로(132) 도중의 엘리베이터 도착층 승강장 홀 근처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안정기(123)와 홀 랜턴의 발광체(냉음극 형광등)은 서로에 대해서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전압 강하를 방지할 수 있고, 효율을 증대시키며,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홀 랜턴은 도착층 승강장 홀의 벽체 내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도어 프레임 등의 벽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냉음극 형광등은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103) 내에 배치되어 있는 도트 타입(dot type) 승강장 위치 표시 장치(140)의 발광체로서 사용될 수도 있으며,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141) 내에 배치되는 도트 타입 카 위치 표시 장치(142)의 발광체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각각의 실시예에 있어서, 냉음극 형광등은 발광체의 광원으로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냉음극 형광등을 대신하여 LED(light emitting diode)나 유기 EL(electroluminescence)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예를 들어 적절한 형상의 홀더(holder) 등에 복수의 백색 LED나 유기 EL 소자를 장착하여 막대(bar) 형상이나, 링(ring) 형상 또는 2차원 평면 발광체를 형성하며, 이 발광체를 박스 내에 수납시켜 홀 랜턴을 구성한다. 단일 LED 또는 유기 EL 소자를 사용하여 막대 형상이나, 링 형상 또는 2차원 평면 발광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
박스에는 하나의 LED만 수납하여 광원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유기 EL만 수납할 수도 있고, 아니면 적절한 개수의 LED와 유기 EL 소자를 조합하여 수납할 수도 있다.
LED나 유기 EL의 사용은 백색의 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홀 랜턴의 설치 위치, 주위 환경, 광량, 사용 시간대, 사용 계절 등에 따라서 다른 컬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복수의 컬러 LED와 유기 EL 소자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박스 내에 광원으로서 LED 또는 유기 EL과 함께 냉음극 형광등을 수납하여 홀 랜턴을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LED 또는 유기 EL로부터의 광을 방출하는 수단으로서,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구동 제어 장치가 사용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소형이고 박형 구조로 구성되고, 엘리베이터 도착층 승강장 홀에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백색 조명을 인식할 수 있는 홀 랜턴을 제공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문턱>
다음에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문턱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0의 (a) 및 도 20의 (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승강장 홀(landing)과 카의 문턱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0의 (a)는 카가 단차없이 정지한 경우의 확대 개념도이다. 도 20의 (b)는 카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단차가 발생한 경우의 확대 개념도이다. 도면에서 공통적인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도 20의 (a) 및 도 2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10)의 플랫폼(platform)은 카 바닥(211)과 출입구 컬럼(entrance column)(212)을 포함하며, 카 문턱(213)은 상기 출입구 컬럼(212) 외측의 카 바닥(211)의 일부에 배치되어 있다.
카 문턱(213)의 상부면에는, 출입구 컬럼(212)의 상부에서 미끄럼 운동하고, 현수된 금속 부품으로 유지되어 있는 카 도어(214)용의 안내 홈(215)이 배치되어 있다. 승강장 문턱(223)과 대향하는 카 문턱(213)의 한쪽 측단부에는 카 출입구의 폭과 대략 동일하고 전방의 투광성 수지 커버(218a)를 포함하는 냉음극 형광등 조명기(217a)가 문턱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냉음극 형광등 조명기(217a)는 직경이 대략 1 mm 내지 6 mm 정도인 박형 냉음극 형광등을 사용하고 있으며, 고조도의 조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냉음극 형광등과 마찬가지로, 글래스(glass) 등의 투명한 관 형상 외피(envelope)의 내벽에 형광층이 코팅되어 있으며, 관 내에 밀봉된 수은 증기 또는 제논 가스는 관의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된 냉음극에 의해서 방전되어 형광층을 여기(excite)시키고, 이에 의해서 광을 방출시킨다.
또한 카 문턱(213) 아래에는 승객의 낙하를 방지하는 에이프런(apron)(219)이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도어 프레임(222)은 각 층의 승강장 건물 바닥에 배치되어 있으며, 승강장 문턱(223)은 승강장 건물 바닥(221)의 승강로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어 프레임(222)의 상부에서 미끄럼 운동을 하고 현수된 금속 부품에 의해 유지되는 승강장 도어(224)용의 안내 홈(225)이 배치되어 있다. 카 문턱(213)과 대향하는 승강장 문턱(223)의 한쪽 측단부에는, 승강장 출입구의 폭과 대략 동일하고 승강장의 문턱측을 조명하며, 전방의 투광성 수지 커버(218a)를 포함하는 냉음극 형광등 조명기(217b)가 문턱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문턱에 배치된 각각의 냉음극 형광등 조명기(217a, 217b)에 있어서, 형광등을 점등하기 위해서, 카 바닥(211)의 하부 또는 승강장 건물 바닥(221)의 빈 공간 에 도시하지 않은 안정기(인버터(inverter))가 배치되며, 점등 타이밍 등의 제어는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는 제어판에 의해서 수행된다.
상술한 구성의 제 1 실시예의 동작/작용에 있어서, 카(210)는 승강로에서 이동하며, 도시하지 않은 제어판의 제어에 기초하여 층 중의 하나에 도착하게 되면, 제어판이 카(210)의 정지를 확인하고, 냉음극 형광등 조명기(217a, 217b)의 도시하지 않은 안정기로 전원을 공급하고, 이에 의해서 냉음극 형광등 조명기(217a, 217b)가 점등하게 된다. 점등된 이후에, 카 도어(214)와 승강장 도어(224)를 개방하여 승객들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도어를 개방한 이후에는, 도 2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 문턱(213)과 승강장 문턱(223) 사이의 틈(216)을 통해서 문턱 위를 통과하는 승객에게 점등된 냉음극 형광등 조명기(217a, 217b)의 광이 유출되며, 양 문턱 사이의 상기 틈(216)은 밝게 보여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단차가 생성되고, 카(210)가 낮은 위치에 정지한 경우, 카(210)에서 빠져 나오는 승객들은 더 높은 승강장 문턱(223)의 냉음극 형광등 조명기(217b)의 광에 의해 밝게 조명되는 카 문턱(213)과 광원이 밝게 보이는 승강장 문턱(223)의 측단부를 보게 되고, 따라서 더 높은 승강장 문턱(223)을 즉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마찬가지로 승강장 홀로부터 카(210)로 들어가는 승객들은 밝게 조명되는 카 문턱(223)이 보이기 때문에 단차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다.
카(210)가 높은 위치에 정치한 단차의 경우에, 카(210)로 들어가는 승객들은 더 높은 카 문턱(213)의 냉음극 형광등 조명기(217a)의 광에 의해 밝게 조명되는 승강장 문턱(223)과 광원이 밝게 보이는 카 문턱(213)의 측단부를 분명하게 보게 된다. 한편 밝게 조명되는 승강장 문턱(223)이 보여지기 때문에, 카(210)에서 빠져 나오는 승객들도 마찬가지로 단차의 존재 여부를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카 문턱과 승강장 문턱 사이의 틈은 양 문턱의 측단부 내에 배치된 냉음극 형광등에 의해서 밝게 점등된다. 따라서 카를 출입하는 승객들은 이 틈에 주의를 기울이게 되고, 심지어 유출된 광의 폭에 의해서 틈의 폭도 인식할 수 있다. 단차가 생겼다고 하더라도 단차 중의 하부 문턱의 상부면이 밝게 점등되며, 단차가 더 높은 쪽이 밝게 보이는 냉음극 형광등 조명기의 높이로부터 단차의 높이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냉음극 형광등 조명기로부터의 광을 본 승객들은 직관적으로 틈이나 단차와 같은 회피하는 높이를 인식하게 되고, 카의 출입구를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다.
또한 문턱의 측단부에 배치된 냉음극 형광등 조명기에 있어서, 냉음극 형광등의 직경이 대략 1 mm 내지 6 mm 정도로 작은 경우에도 고조도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카 바닥이나 승강장 건물 바닥을 크게 변경할 필요는 전혀 없으며, 소형이므로 문턱의 측단부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고 승객들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틈과 단차에 대해 주의를 이끌 수 있는 광학적 표시로 효과적이다. 또한 백열등과는 달리 형광등은 광원이 연속적이고 수명이 길기 때문에, 디자인의 외관에도 문제가 없게 된다.
형광등과 같은 범용 조명체와 비교하였을 때 수명이 더 길기 때문에 교체 횟 수가 적어지고 유지 보수성이 높아진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카 문턱에 냉음극 형광등 조명기가 설치된 문턱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카 문턱과 승강장 문턱의 대향하는 측단부에는, 냉음극 형광등을 직접적으로 수용하여 카 문턱과 승강장 문턱을 구성하는 단면이 C 형상인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도 21에 나타낸 카의 경우에, 카 도어(214)용의 안내 홈(215)은 카 문턱(226)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승강장 문턱과 대향하는 카 문턱(226)의 측단부에 있어서, 출입구의 폭과 대략 동일하고 단면이 C 형상인 길이가 긴 오목부(227)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승강장 문턱측에 개구부(229)가 형성된다. 냉음극 형광등 조명체(217a)는 오목부(227) 내에 설치된다. 또한 냉음극 형광등 조명체(217a)를 점등하기 위해서, 카 바닥(211) 하부 등의 빈 공간에 안정기(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며, 마찬가지로 점등 타이밍을 제어하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판도 배치된다.
한편 승강장 문턱에서는, 유사하게, 승강장 도어용의 안내 홈이 상부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측단부에서는, 도어 프레임(222)의 폭과 대략 동일하고 단면이 C 형상인 길이가 긴 오목부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문턱측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냉음극 형광등 조명체는 이 오목부에 설치된다. 또한 냉음극 형광등 조명체를 점등하기 위한 안정기는 승강장 홀 부근의 빈 공간에 배치되며, 점등 타이밍 등의 제어는 상술한 제어판에 의해서 수행된다.
상술한 구성의 제 2 실시예의 작용/동작에 있어서, 카(210)가 해당 층에 도달하고 정지하는 경우에, 카 문턱(226)의 냉음극 형광등 조명체(217a)와 승강장 문턱의 냉음극 형광등 조명체는 제어판에 의해서 점등되며, 카 문턱의 개구부(229) 또는 승강장 문턱의 개구부로부터 광이 방출되어 각각의 전방 방향을 조명하게 된다.
이 조명에 의해서, 카 문턱과 승강장 문턱 사이에 단차가 없이 정지하는 경우에 양 문턱 사이의 틈이 밝게 조명된다. 단차가 생기는 정지의 경우에, 하방 단차쪽 문턱의 상부면은 더 높은 쪽의 문턱의 개구부로부터의 광에 의해서 조명되며, 더 높은 쪽 문턱의 개구부를 승객이 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승객들은 카 문턱과 승강장 문턱의 상황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단면이 C 형상인 오목부가 각각의 문턱에 배치되어 냉음극 형광등 조명체만을 직접 수용하고 있기 때문에, 약 1 mm 내지 6 mm의 박형 관 타입(thin tube type)의 냉음극 형광등이 냉음극 형광등 조명체로 사용되며, 승객들이 카 문턱과 승강장 문턱의 상황을 인식하는데 유용한 문턱 조명 기구를 카 바닥의 박형 카 문턱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승객들이 출입구를 통해서 통과할 때의 안전을 효과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카 문턱과 승강장 문턱은 투광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는 냉음극 형광등 조명체를 직접 수용하도록 측단부에 형성되며, 광 차단 수단은 각각의 카 문턱과 승강장 문턱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각각을 구성한 다.
본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도 22에 나타낸 카에 있어서, 카 문턱(231)은 투광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카 도어(214)용의 안내 홈(215)은 그 상부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광 차단 수단(232), 예를 들어 접착 처리된 광 차단 시트(sheet)는 투광성 수지로 형성된 카 문턱(231)의 전체 상부면에 적용된다. 출입구의 폭과 대략 동일한 길이가 긴 오목부(233)는 승강장 문턱(도시하지 않음)에 대향하여 카 문턱(231)의 측단부에 배치되며, 냉음극 형광등 조명체(217a)는 상기 오목부(233)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냉음극 형광등 조명체(217a)를 점등하기 위해서, 안정기(도시하지 않음)가 카 바닥(211) 등의 하부의 빈 공간에 배치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제어판이 배치되어 점등 타이밍 등을 제어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승강장 문턱도 유사하게 투광성 수지로 형성되고, 승강장 도어용의 안내 홈은 상기 승강장 문턱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광을 차단하기 위해서, 즉 접착 처리된 광 차단 시트는 투광성 수지로 형성된 승강장 문턱의 전체 상부면에 적용된다. 도어 프레임의 폭과 대략 일치하는 길이가 긴 오목부는 카 문턱(231)과 대향하는 승강장 문턱의 측단부에 배치되고, 승강장 문턱의 냉음극 형광등 조명체는 이 오목부에 설치된다. 또한 안정기는 냉음극 형광등을 점등하기 위해 승강장 홀 부근의 빈 공간에 배치되며, 점등 타이밍 등의 제어는 상술한 제어판에서 수행된다.
각각의 문턱의 상부면에서 광 차단 수단(232)이 투광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광 차단 시트 대신에 미끄럼 방지 매트(nonslip mat)를 접착하 거나 광 차단 페인트를 코팅하거나 광 차단 필름을 덮는 것과 같이 각각의 문턱의 상부면에 광 차단 재료를 접착/배치하는 처리는, 당연히 본 실시예의 목적의 하나인 광 차단을 수행한다.
본 제 3 실시예의 작용/동작에서, 카(210)가 해당 층에 도착하고 정지하는 경우에, 카 문턱(231)의 냉음극 형광등 조명체(217a)와 승강장 문턱의 냉음극 형광등 조명체는 제어판의 제어에 의해서 점등되며, 또한 카 문턱과 승강장 문턱의 투광성 수지로 광이 입사하게 된다. 입사광은 문턱에서 불규칙하게 반복적으로 반사되고, 카 문턱(231)의 대향 측단부의 전체면과 광 차단되지 않은 승강장 문턱으로부터 방사된다. 광 차단 수단이 문턱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문턱 내부로부터 상부면으로의 광 방사는 전혀 없다.
상기 측단부의 전체 단부면(end surface)에서 방출되는 광에 의해서, 카 문턱과 승강장 문턱 사이에 단차가 전혀 없는 정지의 경우에 양 문턱 사이의 틈이 밝게 조명된다. 단차가 있는 정지의 경우에, 이 단차의 하부 문턱의 상부면은 더 높은 문턱의 측단부로부터의 광에 의해서 조명되며, 더 높은 문턱의 측단부의 전체면에서 광이 방사되고 있음을 승객들이 알게 된다. 따라서 승객들은 카 문턱과 승강장 문턱의 상황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문턱은 투광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는 냉음극 형광등 조명체를 수용하도록 측단부 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냉음극 형광등 조명체를 점등하여 방출된 광이 투광성 수지 문턱에서 반사/산란을 반복하게 되고, 광 차단이 되어 있지 않은 문턱의 대향 측단부로부터 방출되며, 면광원(surface light source)인 것처럼 각각의 문턱의 측단부의 전체면으로부터 광을 방사한다. 단차가 있는 카의 정지의 경우에 있어서, 측단부가 벨트(belt) 모양의 광을 방사하므로 승객들이 이 단차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승객들이 단차의 높이(level)를 즉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산란된 광이 방출되므로, 원래 광원으로서의 냉음극 형광등 조명체를 알아차리지 못하도록 부드러운 면광원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디자인에서의 장점이 우수하다.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 모두는 기존 엘리베이터 등을 수리하고, 신규 냉음극 형광등 조명체를 설치하거나 기존의 백열등을 냉음극 형광등 조명체로 교체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냉음극 형광등이 소형이므로, 수리 작업에 필요한 처리, 시간 및 비용의 장점이 있으며, 카 문턱이나 승강장 문턱의 디자인을 크게 변경하지 않고도 설치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문턱에 따르면, 승객들이 카 문턱과 승강장 문턱 사이의 틈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이 틈은 고조도로 조명된다. 단차가 발생하는 카의 정지의 경우에 있어서, 틈의 높이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디자인상 용이하게 문턱의 전체 폭을 알아차릴 수 있는 문턱의 측단부의 조명은 박형 관(thin tube)의 냉음극 형광등 조명체에 의해서 수행된다. 엘리베이터 승객들에게는 엘리베이터를 출입할 때 안전을 보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엘리베이터 카의 조명 시스템>
다음에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카에서의 조명 시스템의 제 1 실시예는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엘리베이터 카의 일부를 실선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4의 (a) 및 도 24의 (b)는 측판에 조명 시스템이 부착된 경우의 단면도이다.
이 엘리베이터 카(301)는 카 바닥(302)과, 카 벽으로 되는 측판(303)과, 상기 측판(303)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된 카 천장으로 되는 상판(304)과, 카 전방측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세워진 출입구 컬럼(entrance column)(305)과, 사용자의 출입 중에 개폐되는 양 출입구 컬럼(305) 사이에 배치되는 정면 도어(306)와, 정면 도어(306)의 상부와 상판(304) 사이에 부착되는 엔드 레일(307) 및 카 바닥(302)과 측판(303) 사이에 부착되는 베이스(308)를 포함하고 있다. 도면 부호 309는 측판(303)의 조인트(joint)이다. 정상적으로 정면 도어(306)를 제외한 엘리베이터 카(301) 표면은 복수의 측판(303)을 접합하여 형성된다.
도 24의 (a)는 엘리베이터 카(301)의 일부를 구성하는 측판(303)에 부착된 조명 시스템(310)의 단면도이다.
조명 시스템(310)은, 예를 들어 다섯 개의 직선 관형(straight tube) 냉음극 형광등(311)과, 각각의 냉음극 형광등(311)의 양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 베이스(도시하지 않음)와, 냉음극 형광등(311)을 점등하기 위한 안정기(도시하지 않음)와, 적어도 광 방출측과 램프 지지 베이스를 제외하고 복수의 냉음극 형광등(311)을 둘러싸도록 단면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램프 박스(lamp box)(312a)와, 형광등(311)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전달하는 램프 박스(312a)의 광 방출 방향측에 배치된 조명판(illumination plate)(313) 및 램프 박스(312a) 후면의 복수의 위치로부터 돌출하고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부착 부재(314)를 포함하고 있다.
조명 시스템(310)은 미리 복수의 부착 부재(314)의 부착 치수 관계를 고려하여 측판(303)에 관통 구멍을 천공하고, 램프 박스(312a) 후면의 부착 부재(314)를 각각의 관통 구멍으로 삽입하고, 측판(303)의 대향면으로부터 고정 부재로서의 너트(315)로 나사 고정하는 방식으로 측판(303)에 부착된다.
냉음극 형광등(311)은 직경이 약 1 mm 내지 6 mm인 적어도 하나의 투광성 방전 용기와, 방전 용기의 양 측면에 밀봉된 한 쌍의 냉음극과, 방전 용기의 내면에 코팅된 형광 물질 및 방전 용기 내에 밀봉된 방전 매체를 포함하고 있다. 냉음극 형광등(311)은 냉음극이 발열하지 않기 때문에 그 수명이 조명의 ON/OFF 횟수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광 방출 시간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냉음극 형광등(311)은 고전압이 인가되면 즉각적으로 점등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광 방출까지 시간 지연이 전혀 없다.
램프 박스(312a)에는 내측에서 냉음극 형광등(311)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반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페인트를 도포하거나 재료를 사용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카(301) 내측은 냉음극 형광등(311)으로부터의 광과 함께 효율적으로 조사된다.
램프 박스(312a)에 있어서, 지지 베이스는 소정의 간격으로 양 단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냉음극 형광등(311)은 양 측면의 지지 베이스에 의해서 지지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인버터(inverter) 기능을 가진 안정기는 램프 박스(312a)에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냉음극 형광등(311)의 단부는 안정기의 한쪽 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복수의 냉음극 형광등(311)의 다른쪽 단부는 안정기의 다른쪽 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냉음극 형광등(311)을 사용하는 조명 시스템(310)을 엘리베이터 카(301)의 측판(303)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서, 범용 형광등과 비교하였을 때, 형광등의 수명이 연장되었고, 형광등의 사용 기간도 연장되었으며, 냉음극 형광등을 교체하는 횟수도 감소시킬 수 있었다. 또한 냉음극 형광등(311)의 직경이 매우 작기 때문에, 조명 시스템(310)을 전체적으로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공간 문제 때문에 종래 기술의 범용 형광등이 부착될 수 없는 장소에도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전체 조명 시스템(310)을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측판(303)과 램프 박스(312a) 사이의 단차를 눈치챌 수 없게 되어, 엘리베이터 카의 디자인이 우수해진다.
엘리베이터 카의 내측에서 조명판(313)을 제거할 수 있고, 냉음극 형광등(311)은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지 않고도 단시간에 냉음극 형광등(311)을 교체할 수 있다.
도 24의 (a)에 있어서, 부착 부재(314)는 램프 박스(312a)의 후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나사산을 가진 부착 부재(314)가 측판(303)의 내측면으로 돌출하고, 램프 박스(312a)의 관통 구멍이 부착 부재(314)를 통해 삽입된 이후에, 램프 박스(312a)의 내측으로부터 조명 시스템을 측판(303)에 부착하고 나사 고정되는 구성을 채택할 수도 있다.
도 24의 (b)는 도 24의 (a)와 유사하게, 엘리베이터 카(301)의 일부를 구성하는 측판(303)에 부착된 조명 시스템(310)의 단면도이다.
조명 시스템(310)의 측판 부착 구성에 따르면, 먼저 엘리베이터 카(301)를 구성하는 측판(303)에 엘리베이터 카(301) 내의 조명을 확보하기 위한 영역과 동등한 폭을 가진 개구부(316)가 천공된다.
한편, 램프 박스(312a)에는, 박스의 정면 단부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박스의 정면과 동일한 평면을 유지하도록 하는 부착 플랜지(312ba)가 배치된다. 상기 부착 플랜지(312ba)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된다. 램프 박스(312a)의 부착 플랜지(312ba)에 형성된 관통 구멍 사이의 치수 관계를 고려하여, 나사산을 가진 부착 부재(314)는 측판(303) 후면의 복수의 장소에 배치된다. 도면 부호 315는 고정 부재로 되는 너트(nut)이다.
조명 시스템(310)은 도 24의 (a)와 완전히 동일하므로, 상세는 도 24의(a)를 참조하기로 한다.
다음에 이와 같은 조명 시스템(310)의 부착 작업에 대해서 설명한다.
광을 확보하기 위해 측판(303)에 미리 개구부(316)를 형성하기 때문에, 조명 시스템(301)은 냉음극 형광등(311)을 수용하고 있는 램프 박스(312a)에 배치된 부착 플랜지(312b)의 관통 구멍을 개구부(316)의 후면으로부터 측판(303)으로 돌출된 부착 부재(314)에 삽입하여 측판(303)에 고정되며, 이후에 너트(315)에 의해서 나 사 고정된다.
특히 냉음극 형광등(311)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범용 열음극 형광등과 비교하여, 조명 시스템(310)을 소형으로 부착할 수 있다. 측판(303) 후면에는 튀어 나온 부분(bulging)이 거의 없기 때문에, 측판(303) 근처에 방해물이 있더라도 조명 시스템(310)을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램프 박스(312a)용 공간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에 형광등 교체 중에 상당한 유지 보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냉음극 형광등(311)의 직경이 매우 작기 때문에, 냉음극 형광등(311)과 형광등이 부착되지 않은 측판(303)은 크기면에서 대략 동일하며, 따라서 이들 부재는 동일한 방법으로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규격 중의 하나로서, 도 25를 참고하여 후술하는 측판 커버(317)는 측판(303) 외측에 소정 간격으로 부착되어 바람 소리(wind sound)를 처리한다. 램프 박스(312a)는 측판(303)과 측판 커버(317) 사이의 틈에 충분히 수납될 수 있으며, 소음 대책을 세운 상태에서 확실하게 조명 시스템(310)을 부착할 수 있다.
도 24의 (b)에서, 램프 박스(312b)를 매립(bury)할 수 있는 크기로 엘리베이터 카(301)의 측판(303)에 개구부(316)를 천공하고, 한편으로는 측판(303)의 표면측에 부착 부재(314)를 부착하며, 엘리베이터 카(301)의 내부에서 램프 박스(312b)를 나사 고정하는 구성을 채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조명 시스템(310)의 부착 중에, 램프 박스(312b)는 부착 부재(314)에 부착되고, 너트(315)로 체결·고정되며, 이후에 너트(315)는 가리개 부재(blindfolding member)로 은폐된다. 따라서 디자인이 양호해진다.
(제 2 실시예)
다음에 도 23, 도 26의 (a) 및 도 26의 (b) 및 도 2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카의 조명 시스템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3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에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6의 (a) 및 도 26의 (b) 및 도 27은 본 발명의 조명 시스템을 엘리베이터 카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베이스(308)에 부착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이 엘리베이터 카(301)에 있어서, 단면이 U 형상인 베이스(308)는 카 바닥(302)과 측판(303) 사이에 부착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어 단면이 U 형상인 연결 부재(308)를 통해서 측판(303)과 베이스(308)를 서로 접속시켜 평평한 표면부가 카 내부와 면하도록 할 수 있다.
베이스(308)가 측판(303) 뒤에 배치되는 위치 관계로 측판(303)과 베이스(308)를 배치시킨다면, 측판(303)과 베이스(308) 사이에 단차가 형성된다.
도 26의 (a)는 측판(303)과 베이스(308) 사이의 단차를 사용하여 베이스(308)의 표면부에 조명 시스템(310)을 부착한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조명 시스템(310)은, 예를 들어 세 개의 직선관 형상의 냉음극 형광등(311)과, 각각의 냉음극 형광등(311)의 양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 베이스(도시하지 않음)와, 냉음극 형광등(311)을 점등하기 위한 안정기(도시하지 않음)와, 광 방출측과 형광등 지지 베이스를 제외하고 최소한 복수의 냉음극 형광등(311)을 둘러싸는 단면의 거의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램프 박스(312c)와, 형광등(311)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전달하는 램프 박스(312a)의 광 방출 방향측에 배치된 조명판(313)과 및 램프 박스(312c) 후면의 복수의 위치로부터 돌출되고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부착 수단(314)을 포함하고 있다.
조명 시스템(310)은 미리 램프 박스(312c)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부착 부재(314)와의 부착 치수 관계를 고려하여 베이스(308)측에 관통 구멍을 천공하고, 램프 박스(312c) 후면의 부착 부재(314)를 각각의 관통 구멍으로 삽입하고, 베이스(308)의 후면으로부터 체결 부재로서 너트(315)로 나사 고정되는 방식으로 베이스(308)에 부착된다.
램프 박스(312c)에는, 바람직하게는 내측에서 냉음극 형광등(311)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반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페인트를 도포하거나 재료를 사용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카(301)의 내측은 냉음극 형광등(311)으로부터의 광과 함께 보다 효율적으로 조사된다.
램프 박스(312a)에 있어서, 지지 베이스(도시하지 않음)는 양 단부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냉음극 형광등(311)은 양 단부의 지지 베이스로 지지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인버터 기능을 가진 안정기(도시하지 않음)는 램프 박스(312a)에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냉음극 형광등(311)의 단부는 안정기의 한쪽 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다른 복수의 냉음극 형광등(311)의 단부는 안정기의 다른 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커넥터는 안정기와 전원 공급부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4의 (a)를 참조로 하여 상술한 것들과 동일한 동작 효과에 추가하여, 측판(303)과 베이스(308) 사이의 단차가 일반적으로 약 20 mm 정도이지만, 전체로서는 소형이기 때문에 이 단차 내에 조명 시스템(310)을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냉음극 형광등(311)을 사용하는 조명 시스템(310)을 부착하는 경우에, 예를 들어 승강로 또는 지지용 직립 프레임(support erect frame)을 변경하지 않고도 조명 시스템(310)을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명 시스템(310)은 튀어 나온 부분이 없이 부착되기 때문에, 디자인이 양호한 엘리베이터 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나사산을 가진 부착 부재(314)를 베이스(308)의 표면부로 돌출시키고, 램프 박스(312d)의 적절한 위치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램프 박스(312d)의 관통 구멍을 부착 부재(314)에 삽입한 이후에, 베이스(308)에 부착되는 램프 박스(312d)의 내측으로부터 조명 시스템을 너트(315)로 나사 고정하는 구조를 채택할 수도 있다.
도 26의 (b)는 도 26의 (a)에서와 유사하게 측판(303)과 베이스(308) 사이의 단차를 사용하여 베이스(308)에 조명 시스템(310)을 부착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의 (a)와 다른 점은 베이스(308)의 표면부에 카 내 조명을 확보하기 위한 영역에 상당하는 폭을 가진 개구부(319)가 엘리베이터 카(301)에 천공되어 있다는 것이며, 박스 전방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여 부착 플랜지(312da)가 배치되어 있어, 램프 박스(312d)의 전방에서와 동일한 평면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부착 플랜지(312da)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나사산을 가진 부착 부재(314)는 베이스(308) 후면의 복수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면 부호 315는 체결 부재가 되는 너트(nut)이다.
조명 시스템(310)은 도 24의 (a)의 것과 완전히 동일하며, 따라서 상세한 내용은 도 24의 (a)를 참조하기로 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은 조명 시스템(310)의 부착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광을 확보하기 위해서 베이스(308)에 개구부(319)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냉음극 형광등(311)을 수용하고 있는 램프 박스(312d)에 배치된 부착 플랜지(312da)의 관통 구멍을 개구부(319)의 후면으로부터 베이스(308)가 돌출된 부착 부재(314)로 삽입하여 베이스(308)에 조명 시스템(310)을 부착하고, 이후에 너트(315)로 나사 고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4의 (b)를 참조하여 상술한 것들의 동작 효과에 추가하여,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308)의 외측에 베이스 커버(320)가 배치되어 있지만, 엘리베이터 규격에 바람 소리가 취급되는 경우에는, 램프 박스(312d)를 베이스(308)와 베이스 커버(321) 사이의 틈 내에 충분히 수용될 수 있으며, 소음 대책을 세운 상태에서 조명 시스템(310)을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다.
도 24의 (b)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램프 박스(312d)를 매립할 수 있는 크기로 베이스(308)에 개구부를 천공하고, 한편으로는 상기 베이스(308)의 표면측에 부착 부재(314)를 부착하고, 엘리베이터 카(301)의 내측으로부터 램프 박스(312d)를 나사 고정하는 구성을 채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조명 시스템(310)을 부착하는 도중에, 램프 박스(312d)는 부착 부재(314)에 부착되고, 너트(315)로 체결·고정되며, 이후에 카의 내부로부터 조명 시스템(310)이 부착된다.
도 27은 측판(303)과 베이스(308) 사이의 단차를 사용하여 조명 시스템(310) 을 부착한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측판(303)과 베이스(308) 사이에 단차가 있는 경우, 측판(303)의 하단부를 돌출시켜서 베이스(308)의 일부를 덮어, 상기 돌출된 부분과 베이스(308) 사이에 공간부(322)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공간부(322)를 사용하면 램프 박스(도시하지 않음)를 매립하여 냉음극 형광등(311)을 설치하거나, 지지 베이스를 포함하는 냉음극 형광등(311)을 접속 부재(318)에 부착시켜서 측판(303)과 베이스(308)에 접속시키며, 베이스(308)와 측판(303)의 돌출부 사이의 틈을 사용하여 조명 시스템(310)을 효과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측판(303)과 베이스(308) 사이의 단차가 작더라도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조명 시스템(310)을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측판(303)과 베이스(308) 사이의 단차가 5 mm인 경우라 할지라도 상기 단차에 냉음극 형광등(311)을 수용시킬 수 있다.
(제 3 실시예)
다음에 도 23, 도 28의 (a) 및 도 28의 (b)를 참조로 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조명 시스템에 대한 제 3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3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따라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8의 (a) 및 도 28의 (b)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카의 조명 시스템(310)을 엘리베이터 카의 일부를 구성하는 엔드 레일(317)에 부착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엘리베이터 카(301)에 있어서, 엔드 레일(307)은 도면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전방 도어(306)의 상부와 상판(30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엔드 레일(307)은 사용자의 출입 방향 및 깊이 방향으로 특정한 폭이 설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28의 (a)에 있어서, 냉음극 형광등(311)을 사용하는 조명 시스템(310)은 엔드 레일(307)의 저부 표면부를 사용하여 부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조명 시스템(310)은 소정 갯수의 직선관 형상의 냉음극 형광등(311)과, 각각의 냉음극 형광등(311)의 양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 베이스(도시하지 않음)와, 냉음극 형광등(311)을 점등하는 안정기(도시하지 않음)와, 적어도 광 방출측과 램프 지지 베이스를 제외하고 복수의 냉음극 형광등(311)을 둘러싸도록 단면이 거의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램프 박스(312f)와, 형광등(311)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전달하는 램프 박스(312f)의 광 방출 방향측에 배duf된 조명판(illumination plate)(313) 및 램프 박스(312f) 후면의 복수의 위치로부터 돌출하고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부착 부재(314)를 포함하고 있다.
조명 시스템(310)은 복수의 부착 부재(314)의 부착 치수 관계를 고려하여 베이스(308) 내에 미리 관통 구멍을 천공하고, 램프 박스(312f) 후면의 부착 부재(314)를 각각의 관통 구멍으로 삽입하고, 베이스(308)의 후면으로부터 체결 부재로서의 너트(315)로 나사 고정되는 방식으로 엔드 레일(307)에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4의 (a)를 참조로 하여 상술한 것들과 동일한 동작 효과에 추가하여, 매우 소형인 조명 시스템(310)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엔드 레일(307)의 저부 표면부에 넉넉한 부착 공간이 없는 경우라 할지라도, 종래에는 부착할 수 없는 경우에도 조명 시스템(310)을 부착할 수 있다.
도 28의 (b)는 엔드 레일(307)에 조명 시스템(310)이 부착되어 있다는 점에 서 도 28의 (a)와 유사한 도면이다. 그러나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 카(301) 내의 조명을 확보하기 위한 영역과 동등한 폭을 가진 개구부(323)가 천공되고, 부착 플랜지(312ga)는 박스 정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여 램프 박스(312g)의 정면과 동일한 평면을 유지하며, 상기 부착 플랜지(312ga)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한편 나사산을 가진 부착 부재(314)는 엔드 레일(307) 후면의 복수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면 부호 315는 체결 부재로 되는 너트이다.
조명 시스템(310)은 도 24의 (a)와 완전히 동일하므로, 상세에 대해서는 도 24의 (a)를 참조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 시스템(310)은 냉음극 형광등(311)을 수용하는 램프 박스(312g)에 배치된 부착 플랜지(312ga)의 관통 구멍을 개구부(323)의 후면으로부터 엔드 레일(307)로 돌출된 부착 부재(314)로 삽입하여 엔드 레일(307)에 조명 시스템(310)을 부착하고, 이후에 너트(315)로 나사 고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냉음극 형광등(311)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범용 열음극 형광등과 비교하였을 때, 소형 조명 시스템(310)을 부착할 수 있다. 엔드 레일(307)의 후면으로부터 튀어 나온 부분이 전혀 없기 때문에, 엔드 레일(307) 부근에 방해물이 있는 경우에도 조명 시스템(310)을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램프 박스(312g)용의 공간이 절약되기 때문에 형광등 교체시 상당한 유지 보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다음에 도 23, 도 29의 (a) 및 도 29의 (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엘리베이 터 카의 조명 시스템의 제 4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3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9의 (a) 및 도 29의 (b)는 인접한 측판(303)과 측판(303)의 조인트(309)를 사용하여 조명 시스템(310)을 부착하는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의 (a)는 조인트(309)에 조명 시스템(310)이 부착된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조명 시스템은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측판(303)의 접힘부(folding portion)에 의해서 형성되는 조인트(309)의 틈 또는 의도적으로 작은 틈을 배치한 조인트(309)의 심부(deep portion)의 후면으로부터 검사 브래킷(331)이 고정되어 있고, 지지 베이스를 포함하는 냉음극 형광등(311)은 검사 브래킷(331)과 조인트(309) 사이에 부착되며, 냉음극 형광등(311)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전달하는 조명 부재(332a)는 표면측으로부터 고정되어 표면 조인트(309)를 밀봉하는 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4의 (a) 및 도 24의 (b)를 참조하여 상술한 것들과 동일한 동작 효과에 추가하여, 좁은 조인트(309)를 사용하여 냉음극 형광등(311)을 효과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다. 특히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측판(202)의 접힘부에 표면 조인트(309)에 박스 형상으로 된 조명 시스템(310)을 미리 장착하는 경우에, 조명 시스템(310)을 즉석에서 조인트(309)에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측판(303)의 표면 조인트(309)를 사용하여 엘리베이터 카(301) 내부를 효과적으로 조명할 수 있다. 또한 조명 부재(332a)에 소정 컬러를 설정하여 심미적인 조명을 실현할 수 있으며, 따라서 디자인 효과도 증 가하게 된다.
도 29의 (b)는 조인트(309)에 조명 시스템(310)이 부착된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엘리베이터 카의 조명 시스템은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측판(303)의 접힘부 중의 하나에 광이 통과하는 구멍(333)이 형성되고, 조인트(309)의 틈 내에 광을 전달하는 조명 부재(332b)가 매립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후에 냉음극 형광등(311)을 사용하는 조명 시스템(310)을 상기 구멍(333) 부근에 배치하고, 냉음극 형광등(311)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상기 구멍(333)을 통해 통과시키고, 조명 부재(332b)로부터 간접 광으로서 출력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4의 (a) 및 도 24의 (b)를 참조하여 상술한 것들과 동일한 동작 효과에 추가하여, 측판(303)의 접힘부에 형성된 구멍(333) 부근에 냉음극 형광등(311)이 배치되기 때문에 냉음극 형광등(311)으로부터의 광은 조인트(309)의 조명판(313)을 통해 출력된다. 도 29의 (a)와는 다른 디자인 효과사 실현된다.
(제 5 실시예)
다음에 도 23 및 도 30 내지 도 3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카의 조명 시스템의 제 5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3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0은 엘리베이터 카의 일부를 구성하는 카 바닥(302)에 조명 시스템(310)을 부착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엘리베이터 카의 조명 시스템은 카 바닥(302)의 전체 부분 또는 일부분에 광 을 전달하는 조명 바닥(302a)이 놓여지고, 조명 부착판(337)은 복수의 U 형상 부재(336)를 통해서 조명 바닥(302a)의 저부측에 부착되며, 또한 도 24의 (a) 또는 도 24의 (b)에 나타낸 조명 시스템(310)을 상기 조명 부착판(337)에 설치하는 경우에, 냉음극 형광등(311)에서 방출된 광은 조명 바닥(302a)를 통과하여 카 내부를 조명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도 24의 (a) 및 도 24의 (b)를 참조하여 상술한 것들과 동일한 동작 효과에 추가하여, 카 바닥부의 좁은 공간을 사용하여 카 바닥(302)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카 내부를 조명할 수 있다. 또한 카 바닥(302)을 조명하므로 카 바닥(302)의 무게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1 및 도 32는 동일하게 카 바닥(302)에 조명 시스템(310)을 부착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카 바닥의 표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2는 도 31의 카 바닥의 단면도이다.
상기 카 바닥(302)에 있어서, 광을 전달하며 단면이 볼록한 형상의 바닥 조인트(338)는 카 바닥(302)의 표면부에 직선 형태로 놓여져 있으며, 두 개의 역으로 볼록한 형상의 바닥 조인트 가압 부재(339)는 상부로부터 바닥 조인트(338)의 볼록한 형상부를 가압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두 개의 조인트 가압 부재(339)의 후면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의 부착 부재(340)가 돌출되어 있으며, 중간 블록(341)을 통해서 바닥 베이스판(342)를 통과하여, 체결 부재로 되는 너트(343)에 의해서 바닥 베이스판(342)의 후면으로부터 체결되어 바닥 조인트(338)가 빠지지 않도록 한다. 이후에 바닥 조인트(338)와 한 쌍의 중간 블록(341, 342)으로 형 성되는 공간부에 냉음극 형광등(311)을 사용하는 조명 시스템(310)을 수용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4의 (a) 및 도 24의 (b)에서와 동일한 동작 효과에 추가하여, 냉음극 형광등(311)을 사용하는 조명 시스템(310)을 소형으로 실현할 수 있고, 조명 시스템(310)은 바닥 조인트(308)의 상대적으로 매꾼한 후부에도 부착될 수 있으며, 카 바닥(302)의 디자인 효과도 기대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본 개시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행할 수 있다. 도 23은 엘리베이터 카(301)의 변형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 등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엘리베이터 카가 있다. 본 발명은 이들 모든 종류의 엘리베이터 카(301)에 적용할 수 있다. 각각이 도면에서, 냉음극 형광등(311)은 소정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그 배치 방향에 대해서는 어떤 특정한 제한도 없다.
본 실시예는 조명 시스템(310)으로 냉음극 형광등(311)을 사용할 때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냉음극 형광등(311) 대신에, 예를 들어 LED(light emitting diode)나 유기 EL(elctroluminesece)과 같은 소자를 사용하여 광을 방출시킬 수도 있다. 조명 시스템(310)으로서의 LED나 유기 EL과 같은 소자는 막대 형상(형광등)이나, 링 형상(원형-선형) 또는 이차원 평면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조명 시스템(310)의 일부를 구성하는 램프 박스 등에는, LED만 수용하거나, 유기 EL만 수용하거나, 냉음극 형광등(311)과 LED와 유기 EL을 적절하게 조합할 수도 있다.
또한 LED나 유기 EL용의 백색 컬러를 사용하는 것에 추가하여, 대기 온도, 광량, 사용 시간대, 사용 계절 등에 따라서 다른 컬러도 사용할 수 있으며, 복수 컬러의 LED와 유기 EL을 혼합할 수도 있다. 당연하지만, LED나 유기 EL과 같은 소자로부터 광을 방출시키기 위해서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구동 제어 장치를 사용한다.
또한 가능한한 조합하여 실시예를 구현할 수도 있으며, 이런 경우에 조합에 의한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각각의 실시예에는 상단(upper stage)과 하단(lower stage)의 다양한 발명이 포함되며, 개시된 복수의 구성 요소를 적절히 조합하여 다양한 발명을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술된 모든 필수 구성 요소 중의 일부를 생략하여 발명을 추출할 수 있으며, 이 생략된 부분은 추출된 발명을 구현하는 경우에 통상 공지된 기술에 의해서 적절하게 보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된 조명 시스템의 형광등 교체 시기의 횟수를 감소시키고, 엘리베이터 카의 일부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의 좁은 공간을 사용하여 조명 시스템을 부착하며, 냉음극 형광등의 교체 중에 충분한 유지 보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조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 외부 조명 시스템>
다음에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을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33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카 외부 조명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 는 엘리베이터의 구성도이다.
이 엘리베이터는 승강로(401) 상부의 기계실 등에 설치된 호이스트(도시하지 않음)에 현수된 주로프(도시하지 않음)의 한쪽 단부측에 카(402)를 현수하고, 균형추(counter weight)(도시하지 않음)를 상기 주로프의 다른쪽 단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카(402)의 수직 이동은 호이스트를 구동하여 제어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상 로프(404)는 균형추의 저부와 카(402)의 저부 사이의 보상 로프 텐션 풀리(403)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카(402)와 균형추는 승강로 내의 수직 이동 중에 주로프의 무게를 상쇄하는 기능을 한다. 도면 부호 401a는 승강로 피트(pit), 405는 승강장측의 승강장 도어, 406은 카(402)를 수용하는 기능을 가진 비상 정치 장치인 스프링 또는 유압식 완충 장치이다. 상기 완충 장치(406)는 카(402)의 직하방에서 승강로 피트(401a)로 돌출되어 있으며, 그 길이는 카 무게나, 승강로 길이 등에 따라서 다양하다.
한편 카(402)는 승강장 도어(405)와 면하는 측에 배치되고 각 층의 승강장 홀에 도달할 때 개폐되는 카 도어(411)와, 카 외측을 전망할 수 있도록 카 도어(411)에 대해서 대향하는 표면측의 한쪽 또는 양쪽 및 좌우측면쪽에 배치되는 투시창(412)과, 카 도어(411)와 투시창(412)을 제외한 카(402)의 외측을 덮는 외부 패널(413) 및 카(402) 저부와 면하는 외부 패널(413)에 부착되어 카 외측을 조명하는 외부 조명체(414)를 포함하고 있다. 도면 부호 415는 카 내벽이다.
승강로(401)로서는, 전부 유리로 되어 있거나 외측과 면하는 쪽만 유리로 되 어 있는 경우에, 카(402) 내부에서 상기 투시창(412)을 통해서 외측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승강로(401)가 없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카(402) 내부에서 투시창(412)을 통해서 외측을 관찰할 수 있다.
외부 조명체(414)는 광 투과판(416)이 표면측에 투광성 아크릴 재료를 포함하는 박스 형상의 케이싱(417)과, 상기 박스 형상의 케이싱(417)의 내측에 부착된 지지 베이스(도시하지 않음)로 지지되고 광을 방출하는 하나 이상의 직선관 형상의 냉음극 형광등(418)과, 개별로 또는 복수로 하나 이상의 직선관 형상의 형광등(418)을 점등하기 위한 인버터 기능을 가진 안정기(도시하지 않음) 및 필요한 전력을 안정기로 공급하는 전원(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고 있다.
냉음극 형광등(418)은 적어도 하나의 직경이 약 1 mm 내지 6 mm인 투광성 방전 용기와, 방전 용기의 양 측면에 밀봉된 한 쌍의 냉음극과, 방전 용기의 내면에 코팅된 형광 물질 및 방전 용기 내에 밀봉된 방전 매체를 포함하고 있다. 냉음극 형광등(418)은, 냉음극에서 발열하지 않고 광을 방출하기 때문에 그 수명이 조명의 ON/OFF 횟수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광 방출 시간에 의해서만 결정된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냉음극 형광등(418)은 고전압이 인가될 때 즉각적으로 점등되고, 따라서 광의 방출까지 시간 지연이 전혀 없다는 특징이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제 1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원으로부터 소정의 전원이 안정기로 공급하고, 안정기에서 소정의 값의 전압/전류로 변환하고, 이후에 냉음극 형광등(418)으로 공급한다. 소정의 전원이 공급되면 냉음극 형광등(418)이 점등되어 소정의 파장을 가진 광을 방출하며, 광 투 과판(416)을 통해서 외부 외측을 조명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광을 방출하는 하나 이상의 냉음극 형광등(418)는 카 저부의 외부 패널(413)에 부착되어 있으며, 광 투과판(416)이 배치된 박스 형상의 외부 조명체(414)는 냉음극 형광등(418)으로부터 외측인 외부로서 표면측에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냉음극 형광등(418)의 직경이 매우 작기 때문에, 외부 조명체(414)의 깊이 방향 치수가 매우 작게 되고, 외부 패널(413)로부터 승강로 피트(401)까지의 돌출량도 감소되고, 승강로 피트(401a) 내에 설치된 다양한 장치들과의 간섭도 감소되며, 피트(pit) 내의 장치의 설계 변경이나 외부 디자인의 변경도 줄어든다.
또한 냉음극 형광등(418)을 사용하는 외부 조명체(414)의 경우에, 종래의 범용 형광등과 비교하여, 형광등의 수명이 연장되고, 형광등 사용 기간도 연장되고, 냉음극 형광등(418)의 교체 시기의 횟수도 감소하게 된다. 장기간에 걸친 유지 보수에 필요한 작업 시간도 크게 단축된다. 따라서 유지 보수 비용도 현저하게 감소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외측을 조명하는 외부 조명체(414)는 카(402) 저부의 외부 패널(413)에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조명체(414)를 투시창(412) 저부의 외부 패널(413)에 부착시키는 구성에 의해서, 도 33에서와 동일한 동작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시스템에 있어서, 냉음극 형광등(418)의 외측 치수가 작기 때문에, 외부 패널(413)과 카 내벽(415) 사이의 틈을 확대시키지 않고도 외부 패널(413)의 일부를 조명할 수 있게 된다. 즉 외부 패널(413)의 평면 치수를 변경하지 않고 또한 승강로(401)의 폭을 변경하지 않고도 외부 조명체(414)를 부착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35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카 외부 조명 시스템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는 엘리베이터의 구조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조명 시스템(414)에서 사용되는 냉음극 형광등(418)을 교체하기에 적합한 바람직한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 33과 유사한 부분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으며, 상세를 위해서는 도 33을 참고한다.
이 외부 조명체(414)는 U 형상의 적재 홈(421a)이 우측 단부면에서 좌측 단부로 배치되어 있고, 투광성 아크릴 재료를 포함하는 외측과 면하는 적어도 한쪽 측면에서 광 투과부(421b)를 구성하는 외부 케이싱(421)과, 냉음극 형광등(418)에 필요한 전압/전류 변환용 인버터 기능을 가지고 형광등을 점등하는 안정기(도시하지 않음)를 수용하며, 투광성 아크릴 재료를 포함하는 광 전달부(421a)와 면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광 전달부(422a)를 구성하는 박스 형상 케이싱인 조명 유닛(422) 및 외부 케이싱(421)의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하거나 외부 케이싱(421)의 적재 홈(421a)으로 조명 유닛(422)이 삽입된 이후에 로크(lock)되고 외부 케이싱(421)에 고정되는 외부 케이싱(421)의 우측 단부면 등에 형성된 L 형상의 홈을 따라 직선·회전 이동하는 검사 캡(423)을 포함하고 있다.
전원은 외부 케이싱(421) 내에 설치되어 있다. 외부 케이싱(421)의 전원과 조명 유닛(422)이 안정기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 수단으로는, 예를 들어 전원 단자 로 되는 접점(contact)가 외부 케이싱(421)의 적재 홈(421a)의 저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도시된 조명 유닛(422)의 좌측 단부면에 전원을 확보하기 위한 접점을 추가하는 경우에, 조명 유닛은 광 전달부(422a)가 외부 케이싱(421)의 광 전달부(421b)와 면하고 삽입도록 위치되며, 이후에 외부 케이싱(421)측의 전원은 안정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음에 상술한 방식대로 구성된 조명 시스템의 동작과 관련하여, 냉음극 형광등(418)의 교체 작업을 설명한다.
냉음극 형광등(418)을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 작업자가 소정 방향으로 검사 캡(423)을 회전시키면, 외부 케이싱(421)의 적재 홈(421a)에서 검사 캡(423)이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 외부 케이싱(421)의 적재 홈(421a)에서 조명 유닛(422)을 빼내어, 새로운 조명 유닛(422)으로 교체하여 외부 케이싱(421)의 적재 홈(421a) 내로 삽입되도록 위치시키고, 검사 캡(423)을 닫고, 이후에 냉음극 형광등(418)의 교체 작업이 완료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냉음극 형광등(418)의 외측 치수가 매우 작기 때문에, 냉음극 형광등(418)을 포함하는 단일 유닛으로 조명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탈착 가능한 삽입 홈(421a)을 외부 케이싱(421)에 형성하면, 냉음극 형광등(418)을 원터치 동작으로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형광등과 비교하여 장수명임을 고려하면, 교체 작업 시간이 현저하게 감소되며, 따라서 유지 보수 비용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냉음극 형광등(418)의 교체 수단으로서, 도 33에 나타낸 외부 조명체(414)의 박스 형상의 케이싱(417)의 표면측에 배치된 도시된 광 투과판(416)의 좌측 단부를 힌지(hinge)에 의해 박스 형상의 케이싱(417)에 부착하여 우측 단부측이 개폐되는 캡을 실현하는 경우, 박스 형상의 케이싱(417)에서 냉음극 형광등(418)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36의 (a) 및 도 36의 (b)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카 외부 조명 시스템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는 엘리베이터이 구성도이다. 도 36의 (a)는 도 33과 유사한 도면으로 외부 조명체(414)가 카(402) 저부의 외부 패널(413)에 부착되어 있고, 도 36의 (b)는 도 34와 유사한 도면으로 외부 조명체(414)가 투시창(412) 저부의 외부 패널(413)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도 33 및 도 34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이며, 상세는 도 33과 도 34를 참조한다.
이 외부 조명체(414)는 광 투과판(416)이 투광성 아크릴 재료가 도 33 및 도 34에 나타낸 박스 형상 케이싱(417)의 표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광 투과판(416) 대신에 광 도파관(431)이 배치되며, 냉음극 형광등(418)은 광 도파관의 단부면과 면하도록 배치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른 구성 요소는 도 33 및 도 34와 완전히 동일하다. 따라서 냉음극 형광등(418)이 점등되면, 냉음극 형광등(418)에서 방출되는 광은 광 도파관(431)의 단부면으로 입사되며, 내부적으로는 광 굴절에 의해서 전파되고, 광 도파관(431)의 소정의 한쪽 표면부로부터 광이 출력된다.
광 도파관(431)은 광 섬유의 경우에서와 같이 내부에서 굴절되면서 냉음극 형광등(418)에서 입사된 광을 고정된 방향으로 지향성을 가지고 외부로 방사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카의 내측에서 보았을 때, 외부 패널로부터 광을 방출하도록 동작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동작 효과에 추가하여, 광 투과판(416)을 교체한 광 도파관(431)과 냉음극 형광등(418)을 동일한 선(line)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실시예에서보다 더 좁은 내부 공간을 가진 외부 패널(413)에도 외부 조명체(414)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도 37 및 도 38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카 외부 조명 시스템의 제 4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 조명체(414)가 윈도 칼럼에 부착된 도면이다. 도 37은 카(402)의 투시창(412)을 포함하는 외부 패널(413)을 카의 외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외부 후면도이고, 도 38은 윈도 컬럼 부근의 평면 사시도이다.
즉 카(402)를 카의 외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시창 유리(412a)는 외부 패널(413)에 배치된 투시창(윈도 프레임, window frame)(412)과 소정 간격으로 직립된 두 개의 윈도 컬럼(440)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윈도 컬럼(440)은 두 개의 중공 윈도 컬럼(441a, 441b)이 직립하여 내측 및 외측으로부터 투시창 유리(412a)를 사이에 끼고 있고, 외측 중공 윈도 컬럼(441b)은 나사 고정에 의한 개방된 캡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냉음극 형광등(418)은 중공 윈도 컬럼(441b) 내의 형광등 유지 부재(442)를 통해 부착되며, 투광성 아크릴 재료 등으로 형성된 광 투과부(443)는 개방 캡 구조의 표면측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방 캡 구조의 표면측에 광 투과부(443)를 부착하는 일례로서, 광 투과부(443)가 개방 갭 표면부에 부착되어 개방 캡의 일부를 구성하거나,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 캡측을 2 개로 분할하여 광 투과부(443)를 사이에 끼우도록 2 개의 개방 캡을 배치하고, 볼트와 너트로 서로 개방 캡을 체결하며, 광 투과부(443)를 고정 위치에 고정하는 부착 방벙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냉음극 형광등(418)의 외측 직경이 매우 작기 때문에, 윈도 컬럼(440) 내의 좁은 공간에도 외부 조명체(414)를 부착할 수 있으며, 윈도 컬럼을 조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개시 내용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도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는 외부 조명체로서 냉음극 형광등(411)를 사용한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냉음극 형광등(411) 대신에, 예를 들어 LED(light emitting diode)나 유기 EL(elelctroluminescence)과 같은 소자를 사용하여 광을 방사할 수도 있다. LED나 유기 EL과 같은 소자는 외부 조명체의 광원으로서 막대 형상(형광등), 링 형상(원형-선형) 또는 2 차원 평면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단일 LED나 유기 EL 소자를 사용하여 막대 형상, 링 형상 또는 2 차원 평면 형상을 구성할 수도 있다. 외부 조명체나, 외부 조명체의 일부를 구성하는 조명 유닛 또는 외부 패널에 있어서, LED만 수용할 수도 있고, 유기 EL만 수용할 수도 있고, 냉음극 형광등(411)만 수용할 수도 있으며, LED와 유기 EL을 적절하게 조합할 수도 있다.
또한 LED나 유기 EL용의 백색 컬러를 사용하는 것에 추가하여, 대기 온도, 광량, 사용 시간대, 사용 계절 등에 따라서 다른 컬러도 사용할 수 있으며, 복수 컬러의 LED와 유기 EL을 혼합할 수도 있다. 당연하지만, LED나 유기 EL과 같은 소자로부터 광을 방출시키기 위해서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구동 제어 장치를 사용한다.
또한 가능한한 조합하여 실시예를 구현할 수도 있으며, 이런 경우에 조합에 의한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각각의 실시예에는 상단(upper stage)과 하단(lower stage)의 다양한 발명이 포함되며, 개시된 복수의 구성 요소를 적절히 조합하여 다양한 발명을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술된 모든 필수 구성 요소 중의 일부를 생략하여 발명을 추출할 수 있으며, 이 생략된 부분은 추출된 발명을 구현하는 경우에 통상 공지된 기술에 의해서 적절하게 보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카의 외부 조명체의 외측 치수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카 저부측의 외부 패널에 부착하는 경우에, 승강로 피트(pit)의 장치 설계에 수정 등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카 측면의 외부 패널에 부착하는 경우에, 승강로의 확장은 불필요하며, 좁은 외부 패널이라도 확실하게 조명체를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음극 형광등(418), LED, 유기 EL 등을 외부 조명체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형광등과 비교하면, 형광등 교체 작업의 실행 주기를 길게 하고, 형광등 교체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며, 유지 보수 비용을 감소시킨다.
<엘리베이터 카의 조명 시스템>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9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카의 조명 시스템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0의 (a) 내지 도 40의 (c)는 도 39의 제 1 실시예에서 사용된 조명 툴(lighting tool)을 나타내는 정면도, 측단면도 및 저부 단면도이다. 도 41은 도 39의 주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
도 39에 있어서, 베이스(503)는 정면의 출입구(502)를 제외하고 카 바닥(501)의 상면 주위에 고정되어 있으며, 복수의 측판(504)은 베이스(503) 상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출입구(502)에는, 엔드 레일(505)이 배치되어 양 측판(504) 사이에 유지되어 있다.
조명 시스템은 상판(506)이 복수의 측판(504)과 엔드 레일(505)에 부착되어 천장부를 구성하고, 복수의 냉음극 형광등(507)이 배치되어 유닛 광원(unit light source)을 구성하는 복수의 조명 툴(508)은 상판(506)의 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조명판(509b)은 조명 툴(508)의 하방에 위치하여 복수의 조명 툴(508)을 덮고 박스 몸체(509a)로 지지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명판(509b)은 투광성의 우유 백색 또는 투명체에 오목부와 볼록부, 홈 등이 배치되어 광 산란을 증가시키는 합성 수지 커버로 형성되어 있다.
도 40의 (a) 내지 도 40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명 시스템의 조명 툴(508)은 복수의, 즉 두 개의 직경이 1 mm 내지 6 mm인 냉음극 형광등(507)를 평행하게 배치하여 마찬가지로 유닛 케이스(unit case)로 기능하는 직사각형 반사판(510)에서 지지되도록 하고, 냉음극 형광등(507)을 구동하는 인버터 기능을 가진 안정기(511)는 길이 방향으로 한쪽 단부에 일체로 부착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냉음극 형광등(507)과 안정기(511)는 절연체로 형성된 커버(512, 513)에 의해서 반사판(510)에 지지·고정되고, 전기 와이어(wire) 등으로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커넥터(515)에 의해서 외측에 접속되어 있다.
커버(512, 513)는 반사판(510)에 고정되어 냉음극 형광등(507)의 단부와 안정기(511)의 단자 접속부를 덮는다.
상승편(510a, 510b)은 냉음극 형광등(507)에 대향하여 반사판(510)의 양 측면에 위치된 양 측면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어 반사판(510)의 기계적인 강도를 증가시킨다. 반사판(510)이 저부측에서 팁(tip)까지 각각의 상승편(510a, 510b)의 높이 치수(a)는, 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사판(510)의 저부측에서 냉음극 형광등(507)의 중앙까지의 높이 치수(b)보다 짧으며, 냉음극 형광등(507)의 광도는 180°이상 확장되고, 조명판(509)에서 확산되어 카 내부를 밝게 조명한다.
복수의 조명 툴(508)은 카의 천장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특히 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치되므로, 인접한 조명 툴(508)의 냉음극 형광등(507) 사이의 거리(c)는 각각의 조명 툴(508) 내에 배치된 복수의 냉음극 형광등(507) 사이의 거리(c)와 대략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조명 툴(508) 내의 복수의 냉음극 형광등(507)은 모두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복수의 조명 툴(508) 내에 복수의 냉음극 형광등(507)을 평행하게 배치하여 공통 반사판(510)에서 광을 반사하도록 배치하고, 각각의 조명 툴(508)의 냉음극 형광등(507)을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하고, 반사판(510)의 상승편(510a)의 높이 치수(a)를 높이 치수(b)보다 짧게 설정하며, 반사판(510)으로부터 조명판(509b)으로의 냉음극 형광등(507)의 광도(luminous flux)로 조명시켜서 조명판(509b)에서 불균일한 광이 생성되지 않도록 조명할 수 있다.
각각의 조명 툴(508)은 유닛(unit)으로 구성되어 취급이 용이하며, 장수명 냉음극 형광등의 특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교체 작업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냉음극 형광등(507)과 안정기(511)의 전기적인 접속부가 절연 커버(512, 513)로 덮혀 있기 때문에, 조명 툴(508)을 검사하고 교체할 때의 전기 충격을 예방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저부측으로부터 팁(tip)까지 반사판(510)의 상승편(510a)의 높이 치수(a)는 반사판(510)의 저부측으로부터 냉음극 형광등(507)의 중앙까지의 높이 치수(b)보다 짧게 설정된다. 그러나 반사판(510)의 기계적인 강도를 더 증가시키기 위해서, 상승편(510a)의 높이 치수(a)를 높이 치수(b)보다 길도록하여 노출된 냉음극 형광등(507)을 보호할 수도 있다.
도 4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단면도로, 상승편(510a)의 높이 치수(a)가 높이 치수(b)보다 더 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승편(510b)의 높이 치수(a)는 상승편(510a) 근처에 위치된 냉음극 형광등(507)의 중심과 냉음극 형광등(507)의 팁(tip)을 연결하는 직선과 인접한 조명 툴(508, 508)의 냉음극 형광등(507)의 중심과 이들 상호간을 연결하는 직선 사이의 각도가 54°이하로 되도록 설정된다.
즉 제 1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각각 복수의 냉음극 형광등(507)을 포함하는 복수의 조명 툴(508)을 천장부에 배치하는 경우에, 각각의 조명 툴(508)에서의 냉음극 형광등(507) 사이의 거리(c)가 인접한 조명 툴(508)의 냉음극 형광등(507) 사이의 거리(c)와 동일하도록 설정되는 구성이 조명판(509b) 표면에 불균일한 광의 생성을 방지하는 가장 효과적인 구성이다.
한편 조명 기술에서의 일반적인 법칙으로부터, 광원 사이의 거리(c)가 광원의 중심으로부터 조명판까지의 거리(d)의 1.5 배 이하인 경우에, 조명판에는 불균일한 광이 전혀 생성되지 않고, 다음과 같은 수식을 만족한다.
1.5 d ≥ c
이 수식을 도 42에 나타낸 인접한 조명 툴(508)에 적용해 보면, 다음의 수학식 2를 얻는다.
tanθ = d / 0.5 c
θ = 53.1°를 얻는다. 따라서 관 직경을 고려할 때 θ ≤ 54°로 설정하도록 권장된다. θ = 54°보다 크게 되면, 조명 툴은 서로 더 근접시키거나, 거리(d)를 증가시켜서 불균일한 광을 감소시켜야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이와 같은 문제점을 초래하지 않고도 상승편(510b)의 높이 치수(a)를 증가시켜서 툴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조명 툴의 단면도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냉음극 형광등(507)은 노출되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냉음극 형광등(507)은 투명한 합성 수지 커버(516)로 덮혀 있어서 냉음극 형광등(507)을 보호하고 있다.
조명 툴(508)에 히터(heater)를 배치하여 냉음극 형광등(507)의 동작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카의 조명 시스템에 따르면, 복수의 조명 툴은 복수의 냉음극 형광등으로 구성되고, 인접한 조명 툴의 냉음극 형광등 사이의 간격과 각각의 조명 툴에 배치된 복수의 냉음극 형광등 사이의 간격과 대략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조명판을 균일하게 조명시킬 수 있고, 조명판에 불균일한 광은 전혀 생성되지 않으며, 장수명의 냉음극 형광등의 특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교체 작업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엘리베이터의 정전등 장치>
다음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4는 후면에서 정면으로 카(601) 내부를 보았을 때의 외관도이다. 카(601)는 바닥부(602)와, 천장부(603) 및 복수의 측판(604)을 포함하고 있다. 출입구(605)는 카(601)의 전방에 형성되어 있고, 출입구(605) 내에는, 예를 들어 이중 개방 도어(double-open door)(606a, 606b)가 배치되어 개폐된다.
엔드 레일(607)은 출입구(605)에 배치되어 있으며, 베이스(608)는 바닥부(602)와 측판(60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조작 패널(620)은 출입구(605)의 한쪽 측판(604)에 배치되어 있고, 이 조작 패널(610) 내에는 목적층 등록 버튼(610a)과, 도어 개폐 버튼(610b)과, 비상시 등에 동작하는 인터폰 버튼(610c)이 배치되어 있다.
천장부(603) 중앙에는 평상시 카(601) 내부를 조명하는 주 조명 시스템(611)이 배치되며, 종래 기술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정전시에 점등되는 정전등(blackout lamp)(612)은 조작 패널(610)에 인접한 코너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전등(613, 614, 615)은 조작 패널(610)에 인접한 카(601) 좌우측의 한쪽 측판(604)과, 측판(604)의 저부(bottom portion)측의 베이스(608) 및 조작 패널(610)의 저부에 배치된다.
도 45는 정전등(613, 614)이 측판(604)과 베이스(608)에 배치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측판(604)에 배치된 정전등(613)은 측판(604)에 형성된 대형 개방 창(open window)(613a)과, 상기 개방 창(613a)을 덮는 투광성 커버(613b)와, 상기 투광성 커버(613b)의 후면에 부착되는 광원 케이스(613c) 및 광원 케이스(613c)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613d)을 포함하고 있다.
베이스(608)에 배치된 정전등(614)은 베이스(608)에 형성된 소형 개방 창(614a)과, 상기 개방 창(614a)을 덮는 투광성 커버(614b)와, 상기 투광성 커버(614b)의 후면에 부착되는 광원 케이스(614c) 및 광원 케이스(614c)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614d)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46은 조작 패널(610)의 저부에 배치된 정전등(615)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7은 천장부(603)에 배치된 정전등(612)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조작 패널(610)에 배치된 정전등(615)은 조작 패널(610)과 그 후면의 측판(604)에 형성된 개방 창(615a, 604a)과, 상기 개방 창(615a, 604a)을 덮는 투광성 커버(615b)와, 상기 투광성 커버(615b)의 후면에 부착되는 광원 케이스(615c) 및 상기 광원 케이스(615c)에 배치된 광원(615d)을 포함하고 있다.
천장부(603)에 배치된 정전등(612)은 천장부(603)에 형성된 개방 창(603a)과, 상기 개방 창(603a)을 덮는 투광성 커버(603b)와, 상기 투광성 커버(603b)의 후면에 부착되는 광원 케이스(603c) 및 상기 광원 케이스(603c)에 배치된 광원(603d)을 포함하고 있다.
정전등(612, 613, 614, 615)의 광원(612d, 613d, 614d, 615d)으로서는, 예를 들어 냉음극 형광등을 사용한다. 냉음극 형광등은 직경 약 1 mm 내지 6 mm의 투광성 방전 용기와, 상기 방전 용기의 양쪽 측면을 밀봉하는 한 쌍의 냉음극과, 상기 방전 용기의 내면에 코팅된 형광 물질 및 상기 방전 용기 내에 밀봉된 방전 매체를 포함하고 있다. 냉음극 형광등은, 냉음극이 발열하지 않고 광을 방출하기 때문에, 그 수명이 조명의 ON/OFF 횟수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광 방출 시간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냉음극 형광등은 고전압이 인가될 때 즉각적으로 점등되므로, 광 방출까지 시간 지연이 전혀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카(601) 천장부(603)의 상부에, 정전을 검출하는 정전 검출 장치(620)와 배터리 장치로서의 이차 배터리(621)가 배치되 어 있다. 평상시에는 상용 전원에 의해서 주조명 시스템(611)이 여자(energize)되고 이 주 조명 시스템(611)을 점등하여 카(611) 내부를 전체적으로 밝게 조명한다.
정전이 발생되어 주 조명 시스템(611)이 OFF로 되는 경우에, 정전 검출 장치(620)에서 정전의 발생을 검출하고, 이 검출에 따라서 이차 배터리(621)의 전원으로부터 정전등(612, 613, 614, 615)의 광원(612d, 613d, 614d, 615d)에 전원을 공급한다.
천장부(603)의 정전등(612)의 점등에 의해서, 종래 기술에서와 마찬가지로 천장부(603)로부터 카(601) 내부가 조명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천장부(603)로부터의 조명에 추가하여 베이스(608)의 정전등(614)의 조명에 의해서 카(601) 바닥면부, 즉 승객의 발 부분이 조명된다. 측판(604)의 정전등(613)을 점등하면, 조작 패널(610) 표면을 포함하여 카(601) 내의 거의 모든 영역이 조명되므로, 카(601) 내의 승객들은 불안감을 전혀 느끼지 않게 된다. 조작 패널 저부의 정전등(615)을 점등하면 승객들이 조작 패널(610)의 위치를 확실하게 알 수 있게 되며, 조작 패널(610) 표면은 정전등(613)에 의해서 밝게 조명된다. 따라서 당황하지 않고 인터폰 버튼(610c) 등을 신속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정전등(612, 613, 614, 615)의 광원(612d, 613d, 614d, 615d)으로서의 각각의 냉음극 형광등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직경이 약 1 mm 내지 6 mm의 박형관(thin tube)이다. 따라서 정전등(612, 613, 614, 615)은 소형(박형)으로 구성될 수 있어 카(601) 외주측의 좁은 공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범용 형광등(열음극 형광등)과는 다르게, 냉음극 형광등은 여기 에 의해서 온도가 올라가는 음극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100,000 시간의 장수명이 특징이다. 따라서 교체 시기를 훨씬 연장할 수 있고, 유지 보수 관리 등이 용이해진다.
한편 측판(604)의 정전등(613)의 투광성 커버(613c)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투광성 커버(613b)에 그림이나 캐릭터 등의 도해(illustration)를 실시하고, 평상시 측판(604)의 정전등(613)을 점등하여 카(601)의 디자인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평상시 다른 정전등(612, 614, 615)을 선택적으로 점등하여 카(601)의 디자인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정전등은 카의 조작 패널과, 베이스 및 측판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중 어느 하나에만 배치될 수도 있고, 그 중 일부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정전등의 광원으로서는, 냉음극 형광등의 사용에 추가하여, 예를 들어 LED(light emitting diode)나 유기 EL(electroluminescence)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적절한 형상의 홀더(holder) 등에 복수의 LED 또는 유기 EL 소자를 막대 형상이나, 링 형상 또는 2차원 평면 형상의 유닛(unit)으로 형성하여 사용한다. 단일 LED 또는 유기 EL을 사용하여 막대 형상이나, 링 형상 또는 2차원 평면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광원으로서는, 단 하나의 LED만 이용할 수도 있고, 유기 EL만을 이용할 수도 있고, 적절한 개수의 LED와 유기 EL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백색 컬러 또는 다른 컬러의 LED나 유기 EL을 사용할 수도 있고, 복수의 컬 러 LED와 유기 EL 소자를 혼합할 수도 있다. 또한 냉음극 형광등은 LED나 유기 EL과 함께 광원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당연하지만, LED나 유기 EL로부터 광을 방출시키는 수단으로서,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구동 제어 장치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정전등을 점등하는 전원으로는 이차 배터리가 사용된다. 그러나 커패시터(capacitor) 등의 배터리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정전이 발생했을 때 카 내의 특정 부분을 효율적으로 조명하여 승객들의 걱정거리를 완화시킬 수 있고, 또한 조작 패널의 위치와 버튼 내용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Claims (54)

  1.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타고 내릴 수 있는 카(21)와,
    상기 카 내에 배치되어 카 내측을 조명하며, 수명이 상기 조명 시스템의 ON/OFF 횟수와는 무관한 냉음극 형광등(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2.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와,
    상기 카의 천장에 배치되고, 수명이 상기 조명 시스템의 ON/OFF 횟수와는 무관한 냉음극 형광등과,
    상기 냉음극 형광등을 점등하는 안정기(stabiliz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냉음극 형광등에서 방출되는 조명광을 소정 방향으로 반사하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소정 방향으로 냉음극 형광등에서 방출되는 조명광을 반사하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냉음극 형광등과, 상기 반사부 및 상기 안정기는 일체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음극 형광등 근처에 열 유지부가 배치되어 상기 냉음극 형광등을 보온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음극 형광등 근처에 열 유지부가 배치되어 상기 냉음극 형광등을 보온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8. 한쪽 면에 개구부를 가지는 박스와,
    상기 박스 내에 배치된 냉음극 형광등을 포함하는 발광체(phosphor)와,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발광체의 광을 엘리베이터 승강장 홀로 지향시키는 조명체(illuminan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발광체를 베이스(base)에 부착시키는 복수의 발광체 유닛이 상기 박스 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발광체 유닛의 개수는 증감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11. 삭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내에 정규 발광체와 보조 발광체가 배치되며, 상기 정규 발광체가 수명이 다하면 보조 발광체가 점등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13. 삭제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벽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15. 삭제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냉음극 형광등을 포함하는 상기 발광체는 비직선관 형상으로 U자 또는 S자 형상으로 굽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17. 제 8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제어판 내에 상기 발광체를 점등하는 안정기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18. 제 8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에 상기 발광체를 점등하는 안정기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19. 카가 수직으로 이동하는 승강로 내에 배치된 각층의 승강장 출입구 문턱(threshold)의 승강로측의 측단부에 배치된 제 1 냉음극 형광등 조명체(illuminator)와,
    상기 승강장 출입구의 문턱에 대향하여 카 출입구 문턱의 측단부에 배치된 제 2 냉음극 형광등 조명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냉음극 형광등 조명체 및 제 2 냉음극 형광등 조명체는 각각의 문턱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카가 승강장 홀에 도착하면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냉음극 형광등 조명체는 냉음극 형광등을 보호하는 투광성 수지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문턱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냉음극 형광등 조명체는 상기 문턱의 측단부에 상기 대향하는 출입구의 폭과 대략 동일한 긴 오목부를 배치하여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각층의 승강장 출입구의 상기 문턱과 상기 카 출입구의 문턱은 투광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부면의 전체 표면층에는 광 차단 수단(light shielding mean)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냉음극 형광등 조명체는 상기 문턱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각각의 카 문턱의 상기 광 차단부와 상기 승강장 문턱은 광 차단 시트 또는 미끄럼 방지 매트를 부착하거나, 광 차단 페인트를 도포하거나 광 차단 필름을 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24.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의 일부분을 포함하는 측판(side plate)과,
    상기 측판의 표면부에 부착되고, 냉음극 형광등을 수용하고 있으며, 내부에 조명판(illumination plate)이 배치되어 상기 냉음극 형광등에서 방출된 광(光)을 카의 내부로 향해서 전달하는 램프 박스(lamp box)를 포함하며,
    상기 냉음극 형광등은 상기 카의 내측에서 상기 조명판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서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25. 엘리베이터 카의 일부를 포함하는 측판과,
    상기 측판의 표면부에 천공된 개구부와,
    상기 측판에 천공된 상기 개구부에 부착되고, 냉음극 형광등을 수용하고 있으며, 내부에 조명판이 배치되어 상기 냉음극 형광등에서 방출된 광(光)을 카의 내부로 향해서 전달하는 램프 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냉음극 형광등은 상기 카의 내측에서 상기 조명판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서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26. 제 25 항에 있어서,
    바람 소리(wind sound)를 방지하도록 상기 측판의 외측에 측판 커버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램프 박스는 상기 바람 소리를 방지하도록 상기 측판과 상기 측판 커버 사이에 수용되도록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27. 카 바닥(car floor)과 측판 사이에 배치되며, 엘리베이터 카의 일부를 포함하여 상기 측판의 표면부를 뒤따르는 방향으로 단차(step)가 형성된 베이스(base)와,
    상기 베이스의 표면부에 부착되고, 냉음극 형광등을 수용하고 있으며, 내부에 조명판이 배치되어 상기 냉음극 형광등에서 방출된 광(光)을 카의 내부로 향해서 전달하는 램프 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28. 카 바닥과 측판 사이에 배치되며, 엘리베이터 카의 일부를 포함하여 상기 측판의 표면부를 뒤따르는 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표면부에 천공된 개구부와,
    상기 베이스에 천공된 상기 개구부에 부착되고, 냉음극 형광등을 수용하고 있으며, 내부에 조명판이 배치되어 상기 냉음극 형광등에서 방출된 광(光)을 카의 내부로 향해서 전달하는 램프 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29. 제 28 항에 있어서,
    바람 소리를 방지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외측에 베이스 커버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램프 박스는 상기 바람 소리를 방지하도록 상기 베이스와 상기 측판 커버 사이에 수용되도록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30. 카 바닥과 측판 사이에 배치되며, 엘리베이터 카의 일부를 포함하여 상기 측판의 표면부를 뒤따르는 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측판의 하단부에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상기 베이스 사이의 틈(gap)에 배치되어 상기 틈으로부터 카 내측으로 광(light)을 방출하는 냉음극 형광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31. 엘리베이터 카의 일부분을 포함하는 도어 상부와 상판(top plate) 사이에 배치되는 엔드 레일(end rail)과,
    상기 엔드 레일의 표면부에 부착되고, 냉음극 형광등을 수용하고 있으며, 내부에 조명판이 배치되어 상기 냉음극 형광등에서 방출된 광을 카의 내부로 향해서 전달하는 램프 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32. 엘리베이터 카의 일부분을 포함하는 도어 상부와 상판 사이에 배치되는 엔드 레일과,
    상기 엔드 레일의 표면부에 천공된 개구부와,
    상기 엔드 레일에 천공된 상기 개구부에 부착되고, 냉음극 형광등을 수용하고 있으며, 내부에 조명판이 배치되어 상기 냉음극 형광등에서 방출된 광을 카의 내부로 향해서 전달하는 램프 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33. 엘리베이터 카의 일부를 포함하는 측판의 조인트(joint)와,
    상기 조인트의 후면(backside)으로부터 상기 조인트의 심부(deep portion)에 결합되는 탈착 가능한 검사 부재(inspection member)와,
    상기 검사 부재와 상기 조인트 사이의 틈에 배치되는 냉음극 형광등과,
    상기 틈에 장착되고, 상기 냉음극 형광등에서 방출된 광을 상기 조인트가 전 달하도록 하는 조명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34. 엘리베이터 카의 일부를 포함하는 측판의 조인트와,
    상기 조인트 내에 형성되는 측판 중의 하나의 만곡부(bent portion)에 형성된 구멍(hole)과,
    상기 조인트의 틈에 결합되어 광을 전달하는 조명 부재와,
    상기 구멍 근처에 배치되어 광을 방출하는 냉음극 형광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35. 엘리베이터 카의 일부를 포함하는 카 바닥의 일부 또는 전체 부분에 배치되어 광을 전달하는 조명판과,
    상기 조명판의 아래에 배치되고, 카 바닥 아래의 좁은 공간을 사용하여 상기 조명판으로 광을 방출하는 냉음극 형광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36. 엘리베이터 카의 일부를 구성하는 카 바닥에 배치되어,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고 광을 전달하는 단면이 볼록한 형상의 바닥 조인트(floor joint)와,
    상기 바닥 조인트의 상기 볼록한 형상과 결합하도록 상부로부터 가압되는 역오목 형상의 바닥 조인트 가압 부재와,
    상기 바닥 조인트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바닥 조인트로 광을 전달하는 냉음 극 형광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37. 삭제
  38. 내부에 투시창(observation window)과 외부 패널이 배치된 카(cage)를 포함하며,
    광을 방출하는 냉음극 형광등이 수용된 외부 조명체가 상기 외부 패널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39. 내부에 투시창과 외부 패널이 배치된 카를 포함하며,
    한쪽 측면(side face)에 삽입 홈(insertion groove)을 가진 덮혀진 외부 케이싱을 수용하고 있는 조명 유닛(lighting unit)과, 상기 외부 케이싱의 상기 삽입 홈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냉음극 형광등을 포함하는 외부 조명체(exterior illuminator)가 상기 외부 패널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40. 투시창과 외부 패널이 배치된 카를 포함하며,
    내부에 냉음극 형광등이 배치되어 광을 방출하고, 외부로 면한 일측면 상에 광 전달부를 가지고 있으며, 한쪽이 개방된 형상의 개폐 캡(cap)으로 되는 박스 형상의 외부 조명체가 상기 외부 패널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41. 투시창과 외부 패널이 배치된 카를 포함하며,
    광을 방출하는 냉음극 형광등과, 상기 형광등으로부터 한쪽 단부면측에서 광을 받아서 이 광을 상기 카 외측의 표면부로부터 방출시키는 광 도파관(optical waveguide)을 갖는 외부 조명체가 상기 외부 패널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42. 투시창과 외부 패널이 배치된 카를 포함하며,
    상기 투시창의 유리창을 지지하는 중공 윈도 컬럼(window column)과, 광을 방출하는 냉음극 형광등과, 상기 냉음극 형광등으로부터 상기 중공 윈도 컬럼의 외측과 면하는 컬럼측으로 광을 전달하는 광 전달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43. 삭제
  44. 엘리베이터 카의 천장부에 부착되고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냉음극 형광등과, 상기 냉음극 형광등 상부에 배치된 반사판을 갖는 복수의 조명 기구(fixture) 및 상기 복수의 조명 기구를 덮도록 아래에 배치된 조명판을 포함하며,
    인접한 상기 복수의 조명 기구는 조명 기구의 상기 냉음극 형광등 사이의 간격이 상기 각각의 조명 기구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냉음극 형광등 사이의 간격(interval)과 대략 동일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의 가장자리에 상승편(rising piece)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승편의 높이 치수는 상기 반사판에서 상기 냉음극 형광등의 중앙까지의 치수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46.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의 가장자리에 상승편이 배치되며, 상기 상승편의 높이 치수는 상기 상승편 부근에 위치된 상기 냉음극 형광등의 중앙에서 상기 상승편의 팁(tip)까지 연결하는 직선과 상기 인접한 조명 기구의 상기 냉음극 형광등의 중앙을 서로 연결하는 직선 사이의 각도가 54° 이하로 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47.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기구에는 안정기(stabilizer)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안정기와 상기 냉음극 형광등의 단부(end)는 절연체(insulator)로 덮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48.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기구에는 상기 복수의 냉음극 형광등을 덮도록 투광성 합성 수지 커버로 형성된 조명판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49. 엘리베이터 카와,
    상기 카의 측판부(side plate portion)와, 베이스 및 조작 패널(operation panel)의 저면부(bottom portion) 중의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며, 광원이 냉음극 형광등인 정전등(blackout lamp)과,
    정전을 검출하고, 정전 검출시에 배터리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정전등을 점등하는 정전 검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50. 엘리베이터 카와,
    상기 카 바닥을 조명(illuminate)하는 부분과, 조작 패널을 조명하는 부분 및 상기 카 전체 부분을 조명하는 부분 중의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며, 광원이 냉음극 형광등인 정전등과,
    정전을 검출하고, 정전 검출시에 배터리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정전등을 점등하는 정전 검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51. 엘리베이터 카와,
    상기 카 바닥을 조명하는 부분과, 조작 패널을 조명하는 부분 및 상기 카 전체 부분을 조명하는 부분 각각에 배치된 정전등과,
    정전을 검출하고, 정전 검출시에 배터리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정전등을 점등하는 정전 검출 장치와,
    정전되지 않았을 때 상용 전원을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정전등을 선택적으로 점등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KR1020047007445A 2002-09-06 2003-09-04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KR1006558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61756A JP2004099220A (ja) 2002-09-06 2002-09-06 エレベータの照明装置
JPJP-P-2002-00261756 2002-09-06
JP2002299480 2002-10-11
JPJP-P-2002-00299480 2002-10-11
JPJP-P-2002-00310608 2002-10-25
JP2002310608A JP2004142894A (ja) 2002-10-25 2002-10-25 エレベータ敷居
JPJP-P-2002-00312833 2002-10-28
JP2002312833 2002-10-28
JPJP-P-2002-00317957 2002-10-31
JP2002317957 2002-10-31
JPJP-P-2002-00318864 2002-10-31
JP2002318864A JP2004149303A (ja) 2002-10-31 2002-10-31 エレベータかご室の照明装置
JPJP-P-2003-00019201 2003-01-28
JP2003019201A JP2004203613A (ja) 2002-10-31 2003-01-28 エレベータのかご外装照明装置
JPJP-P-2003-00019199 2003-01-28
JPJP-P-2003-00019194 2003-01-28
JP2003019194A JP2004182468A (ja) 2002-10-11 2003-01-28 エレベータのホールランタン
JP2003019199A JP2004203611A (ja) 2002-10-28 2003-01-28 エレベータかご内照明装置
JP2003087575A JP2004292116A (ja) 2003-03-27 2003-03-27 エレベータの停電灯装置
JPJP-P-2003-00087575 2003-03-27
PCT/JP2003/011316 WO2004022470A1 (en) 2002-09-06 2003-09-04 Lighting system of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790A KR20050043790A (ko) 2005-05-11
KR100655873B1 true KR100655873B1 (ko) 2006-12-11

Family

ID=31982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7445A KR100655873B1 (ko) 2002-09-06 2003-09-04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25097B2 (ko)
EP (1) EP1534619A1 (ko)
KR (1) KR100655873B1 (ko)
CN (1) CN100337898C (ko)
MY (1) MY136930A (ko)
TW (1) TWI268907B (ko)
WO (1) WO20040224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00905A (en) * 2003-04-24 2004-10-27 Memco Ltd Edge device for a powered door with infra-red and visible elements
TWI282773B (en) * 2003-10-31 2007-06-21 Toshiba Elevator Kk Lighting apparatus of elevator
GB2408566A (en) * 2003-11-25 2005-06-01 Mark Hinbest Cold cathode fluorescent lighting
JP2005289202A (ja) * 2004-03-31 2005-10-20 Honda Access Corp 自動車の室内照明装置
EP1619158B1 (de) * 2004-07-22 2012-11-07 Inventio AG Beleuchtung für Aufzugskabine und ein Verfahren zur Beleuchtung einer Kabine
US7677364B2 (en) * 2004-10-25 2010-03-16 Inventio Ag Elevator installation comprising a light module in the door sill profile
DE102005032314A1 (de) * 2005-07-11 2007-01-18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Lampenanordnung
MY143338A (en) 2006-04-28 2011-04-29 Inventio Ag Elevator car lighting equipment for guidance of persons
US7845825B2 (en) * 2009-12-02 2010-12-07 Abl Ip Holding Llc Light fixture using near UV solid state device and remote semiconductor nanophosphors to produce white light
EP2356299B1 (en) * 2008-11-17 2020-09-30 Dovi Brock A method and a system for rapidly and controlled elevation of a raisable floor for pools
JP5376521B2 (ja) * 2009-09-24 2013-12-2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かご内照明装置
JP2011105433A (ja) * 2009-11-16 2011-06-0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用照明装置
US9163802B2 (en) * 2009-12-02 2015-10-20 Abl Ip Holding Llc Lighting fixtures using solid state device and remote phosphors to produce white light
US8517550B2 (en) * 2010-02-15 2013-08-27 Abl Ip Holding Llc Phosphor-centric control of color of light
US8330373B2 (en) * 2010-02-15 2012-12-11 Abl Ip Holding Llc Phosphor-centric control of color characteristic of white light
JP2012056724A (ja) * 2010-09-09 2012-03-2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かご室
FI20106044A (fi) * 2010-10-11 2012-04-12 Kone Corp Hissi
JP5615198B2 (ja) * 2011-02-15 2014-10-2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室内照明装置
WO2013001260A1 (en) * 2011-06-28 2013-01-03 Ridair Systems Limited Hazard highlight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30163270A1 (en) * 2011-12-22 2013-06-27 Seth Burgin Elevator cabin lighting with integrated emergency lighting
US9453639B2 (en) * 2013-09-24 2016-09-27 Mandy Holdings Lllp Rectilinear light source for elevator interior
WO2015181850A1 (ja) * 2014-05-28 2015-12-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用かご
CN104444720A (zh) * 2014-12-08 2015-03-25 重庆富士电梯有限责任公司 一种电梯后壁照明系统
CN107406231B (zh) * 2015-03-05 2019-11-15 奥的斯电梯公司 电梯轿厢

Family Cites Families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377074A (de) 1959-11-25 1964-04-30 Inventio Ag Verfahren zum Signalisieren der Anwesenheit der Aufzugskabine an einem Stockwerk
CA1070279A (en) * 1976-07-14 1980-01-22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Adjustable light diffusing shield for elevator car
JPS5465171A (en) 1977-11-02 1979-05-25 Jgc Corp Catalytic reactor
US4164011A (en) * 1977-11-11 1979-08-07 Westinghouse Electric Corp. Decorative drop ceiling
US4266919A (en) 1979-08-09 1981-05-1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Ram-extrusion apparatus for non-melt fabricable polymeric resins
JPS5630313A (en) 1979-08-21 1981-03-26 Citizen Watch Co Ltd At-cut tuning fork type quartz oscillator
US4425603A (en) * 1981-07-14 1984-01-10 Westinghouse Electric Corp. Indirect light-distributing ceiling fixtures with alternate reflector array
JPS618676A (ja) 1984-06-23 1986-01-16 Mitsubishi Electric Corp レベルメ−タ
JPS624183A (ja) * 1985-07-01 1987-01-1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かご室の照明装置
KR890004057Y1 (ko) 1985-07-09 1989-06-17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카내의 조명장치
JPH0638511B2 (ja) 1987-01-13 1994-05-18 日本電気株式会社 赤外線検出素子の製造方法
US4749061A (en) * 1987-02-27 1988-06-07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cab
US4817608A (en) 1987-05-29 1989-04-04 Mieczyslaw Mirowski Cardioverting transvenous catheter/patch electrode system and method for its use
US5145247A (en) * 1991-03-20 1992-09-08 Mandy Robert R Down lighting systems and fixtures therefor
JP2850457B2 (ja) 1989-05-31 1999-01-27 ジェイエスアール株式会社 帯電防止性樹脂組成物
JPH0384857U (ko) 1989-12-18 1991-08-28
JPH03211178A (ja) 1990-01-17 1991-09-13 Hitachi Elevator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
JPH0441381A (ja) 1990-06-05 1992-02-12 Matsumuragumi:Kk エレベータの表示装置
JPH04121388A (ja) 1990-09-13 1992-04-2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かご室照明装置
JP2501376B2 (ja) 1990-11-19 1996-05-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用タッチボタン装置
JP2761105B2 (ja) 1991-01-16 1998-06-04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かご
US5412542A (en) 1991-03-20 1995-05-02 Man-D-Tec, Inc. Down lighting systems and fixtures therefor
JPH04327476A (ja) 1991-04-30 1992-11-17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表示装置
DK0513492T3 (da) * 1991-05-13 1996-03-18 Inventio Ag Elevatorkabine
JP2829171B2 (ja) 1991-12-17 1998-11-25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かご室の天井照明装置
JPH05254762A (ja) 1992-03-12 1993-10-05 Hitachi Ltd 展望用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ES2064197B1 (es) 1992-05-04 1997-02-01 Otis Elevator Co Perfeccionamientos en cabinas de ascensores.
JPH05319742A (ja) 1992-05-19 1993-12-03 Hitachi Ltd エレベータ乗りかご室
JP2825396B2 (ja) 1992-06-19 1998-11-18 株式会社東芝 電流源回路
CN2141022Y (zh) 1992-06-25 1993-08-25 慈溪市东海照明电器厂 彩色节能荧光灯灯具
JPH0755784A (ja) 1992-08-07 1995-03-03 Katsuichi Asai イオンクロマトグラフ検出器用フローセルの製造方法
JP2605569B2 (ja) 1992-12-25 1997-04-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かごの照明装置
JPH06290351A (ja) 1993-03-31 1994-10-18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誘導灯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誘導用照明システム
JPH0774870A (ja) 1993-09-01 1995-03-17 Canon Inc 画像通信装置及び呼出信号認識装置
JPH0799006A (ja) 1993-09-29 1995-04-11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照明器具
JPH07112884A (ja) 1993-10-20 1995-05-02 Toshiba Corp エレベータ
JPH07228434A (ja) 1994-02-16 1995-08-29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かご内照明装置
JPH07245012A (ja) 1994-03-03 1995-09-19 Ooyama Shomei Kk 照明装置
JPH0817401A (ja) 1994-06-28 1996-01-19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低圧放電灯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H08171812A (ja) 1994-12-20 1996-07-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フレキシブルパイプ押さえ金具
JP3391605B2 (ja) 1995-06-30 2003-03-3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室外装照明装置
JP3653552B2 (ja) 1995-11-24 2005-05-25 ハリソン東芝ライティング株式会社 冷陰極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JPH09203582A (ja) 1996-01-26 1997-08-05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冷蔵庫用照明装置
US6135620A (en) * 1996-04-10 2000-10-24 Re-Energy, Inc. CCFL illuminated device
JPH1064685A (ja) 1996-08-14 1998-03-06 Denso Corp ヒータ付冷陰極蛍光灯
JPH1067479A (ja) 1996-08-27 1998-03-10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かご装置
JP3346990B2 (ja) 1996-09-06 2002-11-18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かご室の照明装置
JPH10104623A (ja) 1996-09-30 1998-04-24 Taihei Meiban Kogyosho:Kk 液晶用バックライト体
JPH1111836A (ja) 1997-06-26 1999-01-19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エレベータの停電灯装置
TW393442B (en) 1997-11-03 2000-06-11 Inventio Ag Escalator or moving walkway with illuminating equipment
JPH11349259A (ja) 1998-06-09 1999-12-21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かご
IL134360A (en) 1999-02-23 2003-04-10 Inventio Ag Emergency lighting in elevator cars with phosphorescent materials
JP2000318935A (ja) 1999-05-11 2000-11-21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かごの到着案内装置
JP2001014904A (ja) 1999-06-28 2001-01-19 Nec Home Electronics Ltd 照明器具
CN2389417Y (zh) 1999-09-20 2000-07-26 葛世潮 大功率冷阴极荧光灯
JP2001163538A (ja) 1999-12-14 2001-06-1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ホールランタン
JP2001272936A (ja) 2000-03-24 2001-10-05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表示装置および誘導灯
JP2001328786A (ja) 2000-05-18 2001-11-27 Kawasaki Heavy Ind Ltd 清浄機能を持つ移動装置および清浄化方法
JP2002132193A (ja) 2000-10-23 2002-05-09 Tominaga Oil Pump Mfg Co Ltd 照明装置
JP4566415B2 (ja) 2001-01-23 2010-10-2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かごの脚光照明装置
JP2002231486A (ja) 2001-01-31 2002-08-16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放電ランプ点灯装置および照明器具
US6936968B2 (en) * 2001-11-30 2005-08-30 Mule Lighting, Inc. Retrofit light emitting diode tu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37898C (zh) 2007-09-19
MY136930A (en) 2008-11-28
US20040257807A1 (en) 2004-12-23
TWI268907B (en) 2006-12-21
US7625097B2 (en) 2009-12-01
CN1585722A (zh) 2005-02-23
WO2004022470A1 (en) 2004-03-18
KR20050043790A (ko) 2005-05-11
EP1534619A1 (en) 2005-06-01
TW200404731A (en) 200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5873B1 (ko)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JP2013041820A (ja) Led照明装置
KR101055177B1 (ko) Led 조명장치
CN103443531B (zh) 用于安装在模块化面板系统的面板支撑元件内部或上面的固态发光带
JP4844028B2 (ja) エレベータかご室の照明装置
KR101055176B1 (ko) Led 조명장치
KR101861707B1 (ko) Led 엣지 조명의 도광판 조립 구조
KR100673863B1 (ko) 정보표시장치
JP2008165337A (ja) 洞道内における誘導灯
JP5282975B2 (ja) 照明装置
CN209431224U (zh) 一种安装稳定的led洗墙灯
JP2020191216A (ja) 照明器具
KR100970110B1 (ko) 등기구 일체형 led 조명장치
JP2004115209A (ja) エレベータの照明装置
JP2008204658A (ja) 照明ユニット
JP2007240545A (ja) 広告用照明装置
JP2004182468A (ja) エレベータのホールランタン
JP3196400U (ja) 標識装置
JP2004099305A (ja) エレベータかご室の手摺り
KR200247545Y1 (ko) 유도 조명장치
KR200418942Y1 (ko) 엘이디램프가 장착된 비상유도등
KR101020637B1 (ko) 엘이디 조명기구
JP2004203613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外装照明装置
JP2004189478A (ja) エスカレータ
JP4561002B2 (ja) 非常用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