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7545Y1 - 유도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유도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545Y1
KR200247545Y1 KR2020010017331U KR20010017331U KR200247545Y1 KR 200247545 Y1 KR200247545 Y1 KR 200247545Y1 KR 2020010017331 U KR2020010017331 U KR 2020010017331U KR 20010017331 U KR20010017331 U KR 20010017331U KR 200247545 Y1 KR200247545 Y1 KR 2002475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light
light guide
supplied
tempered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73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기
Original Assignee
이철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기 filed Critical 이철기
Priority to KR20200100173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5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5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545Y1/ko

Links

Landscapes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휘도 도광판을 이용하여 고휘도로 발광함과 아울러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유도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광판(4)과; 도광판(4)의 측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8,18)과; 광원(8,18)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 1 반사판(10,20)과; 도광판(4)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강화유리(2)와; 도광판(4)의 전면부와 강화유리(2)의 사이에 설치되어 도광판(4)으로부터 공급되는 빛을 균일하게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지(3,13)와; 도광판(4)의 후면부에 소정의 패턴을 가지는 무뉘가 형성되고, 도광판(4)의 후면부에 설치되어 광원(8,18)으로부터 공급되는 빛을 강화유리(2)로 공급하기 위한 제 2 반사판(6)과; 광원(8,18)에 구동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압 공급부(16)와; 전압 공급부(16)에 공급되는 전압을 충전하기 위한 예비용 충전지(2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유도 조명장치{Apparatus of guidance Illumination}
본 고안은 유도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휘도 도광판을 이용하여 고휘도로 발광함과 아울러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유도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도 조명장치는 건물의 실내에 설치되어 건물의 비상구등을 가르키는데 이용되고 있다. 다시 말하여, 유도 조명장치는 건물에 화재등이 발생하였을 때 건물 내부의 사람들이 탈출할 수 있는 비상구의 위치를 가르키게 된다. 따라서, 유도 조명장치는 멀리서도 사람들이 인지할 수 있도록 고휘도를 가져야하며, 정전시에도 소정시간이상 사용할 수 있도록 저소비전력을 소모해야 한다. 또한, 설치장소에 상관없이 설치될 수 있도록 가능한한 적은 크기로 형성되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유도 조명장치의 광원으로는 형광등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형광등이 광원으로 이용되고 있는 종래의 유도 조명장치는 형광등의 크기등에 의하여 제품의 소형화에 한계가 있다. 또한, 형광등은 높은 소비전력(10W 정도)을 소모함과 아울러 적은 수명(3600시간 정도)을 가지고 있다. 아울러, 적은 크기로 설치되는 형광등의 휘도에는 그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적은 소비전력, 높은 수명 및 고휘도를 유지할 수 있는 유도 조명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고휘도 도광판을 이용하여 고휘도로 발광함과 아울러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유도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광판의 후면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강화유리 3,13 : 확산지
4 : 도광판 6,10,20 : 반사판 8,18 : 광원 12 : 전면부 14 : 후면부 16 : 전압공급부 22 : 예비용 충전지 24 : 외부 전압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유도 조명장치는 도광판(4)과; 도광판(4)의 측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8,18)과; 광원(8,18)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 1 반사판(10,20)과; 도광판(4)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강화유리(2)와; 도광판(4)의 전면부와 강화유리(2)의 사이에 설치되어 도광판(4)으로부터 공급되는 빛을 균일하게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지(3,13)와; 도광판(4)의 후면부에 소정의 패턴을 가지는 무뉘가 형성되고, 도광판(4)의 후면부에 설치되어 광원(8,18)으로부터 공급되는 빛을 강화유리(2)로 공급하기 위한 제 2 반사판(6)과; 광원(8,18)에 구동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압 공급부(16)와; 전압 공급부(16)에 공급되는 전압을 충전하기 위한 예비용 충전지(22)를 구비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유도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유도 조명장치는 도광판(4)과, 도광판(4)을 보호하기 위하여 도광판(4)의 전면에 설치되는 강화유리(2)와, 강화유리(2)와 도광판(4)의 사이에 설치되는 확산지(3)와, 도광판(4)의 측면에 설치되는 광원(8)과, 광원(8)으로부터 생성된 빛을 도광판(4) 쪽으로 반사히기 위한 제 1 반사판(10)과, 도광판(4)으로부터 공급된 빛을 강화유리(2) 쪽으로 반사하기 위한 제2 반사판(6)을 구비한다.
강화유리(2)는 도광판(4)의 전면부(12)에 설치되어 도광판(4)으로부터 공급되는 빛을 통과시킴과 아울러 도광판(4)을 보호하게 된다. 확산지(3)는 강화유리(2)와 도광판(4)의 사이에 설치되어 도광판(4)으로부터 공급되는 빛을 균일하게 확산시켜 강화유리(2)로 공급한다. 이러한 확산지(3)에는 유도 조명장치임을 알 수 있는 문자가 인쇄된다. 예를 들어, 확산지(3)에는 비상구임을 나타내는 'EXIT'이라는 문자가 인쇄될 수 있다.
광원(8)은 빛을 생성하여 도광판(4)으로 공급한다. 이러한 광원(8)으로는 냉음극 형광램프 및 고휘도 LED(light-emitting diode)등이 선택된다. 광원(8)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 1 반사판(10)은 광원(8)으로부터 생성된 빛을 도광판(4)쪽으로 반사한다. 제 2 반사판(6)은 도광판(4)에서 자신으로 공급되는 빛을 강화유리(2) 쪽으로 반사한다.
도광판(4)의 후면부(14)는 도 2와 같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과 깊이로 가공되어 있다. 도광판(4) 후면부(14)의 가로 및 세로선의 밀도와 깊이에 따라 유도 조명장치의 휘도가 결정된다. 이러한 도광판(4)의 후면부(14)는 투명 아크릴판으로 형성되고, 가로 및 세로선의 밀도와 깊이는 제작자에 의하여 결정된다. 다시 말하여, 본원의 고안에서는 도광판(4)의 후면부(14)에 형성되는 소정의 패턴에 의하여 도광판(4)으로부터 공급되는 빛이 난반사되어 고휘도의 빛을 얻을 수 있다.
전압 공급부(16)는 외부 전압원(24)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광원(8)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가공(예를 들면, 직류를 교류로 변환)한다. 예비용 충전지(22)는 외부 전압원(24)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충전한다. 이와 같은 예비용 충전지(22)는 외부 전압원(24)으로 부터 전압이 공급되지 않을 때(예를 들면, 정전등) 자신에게 충전된 전압을 전압 공급부(16)로 공급한다.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외부전압원(24)으로부터 소정의 전압이 예비용 충전지(22) 및 전압 공급부(16)로 공급된다. 예비용 충전지(22)는 외부전압원(24)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충전하게 된다. 전압 공급부(16)는 외부전압원(24)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광원(8)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가공한다. 전압 공급부(16)에서 가공된 전압은 광원(8)으로 공급된다.
전압 공급부(16)로부터 전압을 공급받은 광원(8)은 빛을 생성한다. 광원(8)에서 생성된 빛은 도광판(4) 및 제 1 반사판(10)으로 공급된다. 제 1 반사판(10)은 광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빛을 도광판(4)으로 반사한다. 도광판(4)으로 공급된 빛은 도광판(4)의 후면부(14)에 형성된 소정의 패턴에 의하여 높은 휘도를 갖는 빛으로 변환된다. 이와 같은 빛은 제 2 반사판(6)에 의하여 강화유리(2) 및 확산지(3)로 공급된다. 이때, 확산지(3)에는 소정의 문자가 인쇄되어 있고, 이 문자는 도광판(4)으로부터 공급되는 빛에 의하여 용이하게 식별된다.
한편, 본 고안의 광원(8)으로 선택되는 냉음극 형광램프 및 고휘도 LED등은 낮은 소비전력(5W 미만)과 높은 수명(10만 시간이상)을 갖는다. 또한, 냉음극 형광램프 및 고휘도 LED는 적은 부피를 가지기 때문에 유도 조명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광원(8)들이 낮은 소비전력을 가지기 때문에 예비용 충전지(22)에 충전된 전압만으로도 소정시간 이상 광원(8)에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도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2개의 광원(8,18)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광원들(8,18)은 도광판(4)의 측면에 설치된다. 또한, 광원들(8,18)을 감싸도록 제 1 반사판들(10,20)이 설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2개의 광원(8,18)이 설치되면 높은 휘도를 가지는 유도 조명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는 도광판(4)의 모든 측면에 광원들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확산지(13)에는 문자가 인쇄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확산지(13)에 문자가 인쇄되지 않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유도 조명장치는 실내 또는 실외의 조명장치로 이용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유도 조명장치는 고휘도를 갖기 때문에 유도등뿐만 아니라 실내 또는 실외의 조명장치로도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도 조명장치에 의하면 도광판의 후면부에 소정의 패턴을 가지는 무뉘를 형성하여 고휘도의 빛을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유도 조명장치의 광원으로는 냉음극 형광램프 및 고휘도 LED가 이용되기 때문에 저소비전력을 가짐과 아울러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광원들이 높은 수명을 가지기 때문에 유도 조명장치의 유지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2)

  1. 도광판(4)과;
    상기 도광판(4)의 측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8,18)과;
    상기 광원(8,18)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 1 반사판(10,20)과;
    상기 도광판(4)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강화유리(2)와;
    상기 도광판(4)의 전면부와 상기 강화유리(2)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도광판(4)으로부터 공급되는 빛을 균일하게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지(3,13)와;
    상기 도광판(4)의 후면부에 소정의 패턴을 가지는 무뉘가 형성되고, 상기 도광판(4)의 후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8,18)으로부터 공급되는 빛을 상기 강화유리(2)로 공급하기 위한 제 2 반사판(6)과;
    상기 광원(8,18)에 구동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압 공급부(16)와;
    상기 전압 공급부(16)에 공급되는 전압을 충전하기 위한 예비용 충전지(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조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지에는 소정의 문자가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조명장치.
KR2020010017331U 2001-06-11 2001-06-11 유도 조명장치 KR2002475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331U KR200247545Y1 (ko) 2001-06-11 2001-06-11 유도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331U KR200247545Y1 (ko) 2001-06-11 2001-06-11 유도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7545Y1 true KR200247545Y1 (ko) 2001-10-17

Family

ID=73066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331U KR200247545Y1 (ko) 2001-06-11 2001-06-11 유도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54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592B1 (ko) * 2006-04-10 2007-02-02 한국전력공사 충전기능을 가진 절전형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
KR100868584B1 (ko) 2007-05-07 2008-11-12 엄희섭 발광기능이 구비된 명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592B1 (ko) * 2006-04-10 2007-02-02 한국전력공사 충전기능을 가진 절전형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
KR100868584B1 (ko) 2007-05-07 2008-11-12 엄희섭 발광기능이 구비된 명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19860A1 (en) Light panel illuminated by light emitting diodes
MY136930A (en) &#34;lighting system of elevator&#34;
KR100754799B1 (ko) 유도등
KR101055177B1 (ko) Led 조명장치
KR200473336Y1 (ko) 바닥매입형 led조명장치
KR200444788Y1 (ko) 도광판을 이용한 양면 간판
JP2011014316A (ja) 照明装置
KR101055176B1 (ko) Led 조명장치
KR200247545Y1 (ko) 유도 조명장치
JPH11260121A (ja) 手すり照明装置
KR100679733B1 (ko) 엘이디를 이용한 비상유도등
KR100970110B1 (ko) 등기구 일체형 led 조명장치
KR101042946B1 (ko) 에너지 절약 효과를 갖는 엘이디 조명 시스템
JP2011113673A (ja) 照明装置
US20100246180A1 (en) Solid state architectural lighting system
JP2009187763A (ja) 光源装置
KR200389317Y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등기구
KR20030022845A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비상 유도 장치
CN212061737U (zh) 一种消防应急照明标志复合灯具
CN101713522B (zh) 发光二极管光源模块及应用其的发光二极管照明模块
KR20030044324A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터널용 램프
KR101982100B1 (ko) 탈착형 평판조명장치
KR100353135B1 (ko) 프로그램 연출형 광고판
WO2011126300A2 (ko) 광 확산패널과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JP2009110926A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