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3313A - 적층 코어 및 회전 전기 기기 - Google Patents
적층 코어 및 회전 전기 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83313A KR20210083313A KR1020217016141A KR20217016141A KR20210083313A KR 20210083313 A KR20210083313 A KR 20210083313A KR 1020217016141 A KR1020217016141 A KR 1020217016141A KR 20217016141 A KR20217016141 A KR 20217016141A KR 20210083313 A KR20210083313 A KR 2021008331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ical steel
- steel sheet
- bonding
- ratio
- core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00976 Electrical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7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3522 acrylic ce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0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5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0565 Non-oriented electrical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2484 in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774 resonanc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224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PBRXRYQALVLMV-UHFFFAOYSA-N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 PPBRXRYQALVLM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9142 PO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KGBXLFKZBHKPEV-UHFFFAOYSA-N boric acid Chemical compound OB(O)O KGBXLFKZBHKPE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27 bor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HIWVLPBUQWDMQ-UHFFFAOYSA-N butyl prop-2-enoate;methyl 2-methylprop-2-enoate;prop-2-en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OC(=O)C(C)=C.CCCCOC(=O)C=C QHIWVLPBUQWDM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SOCTUWSJJQCPFX-UHFFFAOYSA-N dichromate(2-) Chemical compound [O-][Cr](=O)(=O)O[Cr]([O-])(=O)=O SOCTUWSJJQCPF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2 electromagnet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LNEPOXFFQSENCJ-UHFFFAOYSA-N haloperidol Chemical compound C1CC(O)(C=2C=CC(Cl)=CC=2)CCN1CCCC(=O)C1=CC=C(F)C=C1 LNEPOXFFQSENC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NBIIXXVUZAFLBC-UHFFFAOYSA-K phosphate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2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5 polyester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5 polyester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6 radical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050 silico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82 strain hard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F3/02—Cores, Yokes, or armatures made from she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206—Manufacturing of magnetic cores by mechanical means
- H01F41/0233—Manufacturing of magnetic circuits made from shee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45—Magnetic cores made from sheets, e.g. grain-oriente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6—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a generally annular yoke with salient pol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6—Stator cores with slots for winding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21—Magnetic cores
- H02K15/022—Magnetic cores with salient poles
-
- H02K15/024—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magnetic circuits
- H02K2201/09—Magnetic cores comprising laminations characterised by being fastened by caulk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03—Machines characterised by numerical values, ranges, mathematical expressions or similar inform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적층 코어는, 서로 적층되고, 양면이 절연 피막에 의해 피복된 복수의 전자 강판과, 적층 방향으로 인접하는 전자 강판끼리의 사이에 마련되고, 전자 강판끼리를 각각 접착하는 접착부를 구비하고, 접착부에 의한 전자 강판의 접착 면적률이 1% 이상 40% 이하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적층 코어 및 회전 전기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8년 12월 17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8-235855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부터,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적층 코어가 알려져 있다. 이 적층 코어에서는 적층 방향으로 인접하는 전자 강판이 접착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적층 코어에는 자기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하여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자기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안하고 있다.
(1)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서로 적층되고, 양면이 절연 피막에 의해 피복된 복수의 전자 강판과, 적층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전자 강판끼리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전자 강판끼리를 각각 접착하는 접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착부에 의한 상기 전자 강판의 접착 면적률이 1% 이상 40% 이하인 적층 코어이다.
적층 방향으로 인접하는 전자 강판끼리 어떠한 수단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으면, 양자가 상대적으로 변위된다. 한편, 적층 방향으로 인접하는 전자 강판끼리, 예를 들어 코오킹에 의해 고정되는 경우에는, 전자 강판이 크게 변형되어 버려, 적층 코어의 자기 특성에 큰 영향을 준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적층 코어에서는, 적층 방향으로 인접하는 전자 강판끼리 접착부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전자 강판 전체에 있어서, 적층 방향으로 인접하는 전자 강판끼리 상대적으로 변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접착부에 의한 전자 강판의 접착 면적률이 1% 이상이다. 따라서, 접착부에 의한 전자 강판끼리의 접착을 확실한 것으로 하고, 예를 들어 적층 코어 슬롯으로의 권선 시 등에 있어서도, 적층 방향으로 인접하는 전자 강판끼리의 상대적인 변위를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게다가, 전자 강판끼리의 고정 방법이, 상기와 같은 코오킹에 의한 고정이 아니라 접착에 의한 고정이므로, 전자 강판에 생기는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적층 코어의 자기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런데, 접착부의 경화에 수반하여 전자 강판에 압축 응력이 생긴다. 그 때문에, 접착부에 의한 접착에 의해서도 전자 강판에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적층 코어에서는, 접착부에 의한 전자 강판의 접착 면적률이 40% 이하이다. 따라서, 접착부를 기인으로 하여 전자 강판에 생기는 변형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적층 코어의 자기 특성을 한층 더 확보할 수 있다.
(2) 상기 (1)에 기재된 적층 코어에서는, 상기 접착 면적률이 1% 이상 20% 이하여도 된다.
접착 면적률이 20% 이하이다. 따라서, 접착부를 기인으로 하여 전자 강판에 생기는 변형을 한층 더 낮게 억제할 수 있다.
(3) 상기 (1) 또는 상기 (2)에 기재된 적층 코어에서는,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전자 강판의 주연을 따라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접착부가 전자 강판의 주연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전자 강판의 말림을 억제하는 것 등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적층 코어 슬롯으로의 권선 부여를 용이하게 하며, 또한 적층 코어의 자기 특성을 한층 더 확보할 수 있다.
(4) 상기 (3)에 기재된 적층 코어에서는, 상기 접착부가 마련된 상기 전자 강판의 접착 영역과, 상기 전자 강판의 주연 사이에는, 상기 접착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기 전자 강판의 비접착 영역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5) 상기 (4)에 기재된 적층 코어에서는,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전자 강판의 외주연을 따라 마련된 제1 접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자 강판의 비접착 영역은, 상기 제1 접착부가 마련된 상기 전자 강판의 접착 영역과, 상기 전자 강판의 외주연 사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6) 상기 (4) 또는 상기 (5)에 기재된 적층 코어에서는,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전자 강판의 내주연을 따라 마련된 제2 접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자 강판의 비접착 영역은, 상기 제2 접착부가 마련된 상기 전자 강판의 접착 영역과, 상기 전자 강판의 내주연 사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적층 코어를 형성하는 전자 강판은, 모재로 되는 전자 강판을 펀칭 가공함으로써 제조된다. 펀칭 가공 시에는, 전자 강판의 주연으로부터, 전자 강판의 내측을 향하여, 전자 강판의 판 두께에 상당하는 크기의 폭으로, 펀칭 가공을 기인으로 하는 변형이 부여된다. 전자 강판의 주연은, 상기 변형에 따라 가공 경화하기 때문에, 전자 강판의 주연이 국소적으로 말리는 변형은 생기기 어렵다. 따라서, 전자 강판의 주연에서는 접착하지 않아도 전자 강판의 변형은 생기기 어렵다. 그 때문에, 전자 강판의 주연에 비접착 영역을 형성해도 전자 강판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비접착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전자 강판에 쓸데없는 변형이 부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적층 코어의 자기 특성을 더 확보할 수 있다.
(7) 상기 (1) 내지 상기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코어에서는, 상기 전자 강판은, 환형의 코어 백부와, 상기 코어 백부로부터 상기 코어 백부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됨과 함께 상기 코어 백부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티스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8) 상기 (7)에 기재된 적층 코어에서는, 상기 접착부에 의한 상기 코어 백부의 접착 면적은, 상기 접착부에 의한 상기 티스부의 접착 면적 이상이어도 된다.
티스부의 폭(둘레 방향의 크기)이 코어 백부의 폭(직경 방향의 크기)과 비교하여 좁은 경우, 티스부에는 자속이 집중하고, 티스부의 자속 밀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접착부에 의해 전자 강판에 변형이 부여되었을 때, 동일량의 변형이면, 코어 백부의 자기 특성보다 티스부의 자기 특성에 부여되는 영향 쪽이 크다.
접착부에 의한 코어 백부의 접착 면적은, 접착부에 의한 티스부의 접착 면적 이상이다. 따라서, 티스부에 있어서의 접착부의 변형에 의한 자기 특성의 열화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코어 백부에 있어서 적층 코어 전체로서의 접착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9) 상기 (8)에 기재된 적층 코어에서는, 상기 전자 강판은, 환형의 코어 백부와, 상기 코어 백부로부터 상기 코어 백부의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됨과 함께 상기 코어 백부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티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전자 강판의 외주연을 따라 마련된 제1 접착부와, 상기 전자 강판의 내주연을 따라 마련된 제2 접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접착부 중 상기 코어 백부의 외주연을 따라 마련되는 부분의 폭이, 상기 코어 백부의 폭에서 차지하는 비율인 제1 비율은 33% 이하이고, 상기 제2 접착부 중 상기 티스부의 측연을 따라 마련되는 부분의 폭이, 상기 티스부의 폭에서 차지하는 비율인 제2 비율은 10% 이하여도 된다.
(10) 상기 (9)에 기재된 적층 코어에서는, 상기 제1 비율은 5% 이상이고, 상기 제2 비율은 5% 이상이어도 된다.
(11) 상기 (9) 또는 상기 (10)에 기재된 적층 코어에서는, 상기 제1 비율은 상기 제2 비율 이상이어도 된다.
제1 비율이 33% 이하이며 또한 제2 비율이 10% 이하이다. 이들 양쪽 비율이 크면, 접착 면적률이 커진다. 그 때문에, 양쪽 비율을 적절하게 작게 억제함으로써, 접착 면적률을 예를 들어 40% 이하 등, 적절한 값 이하로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비율 및 제2 비율 중, 한쪽이 극단적으로 높은 경우(예를 들어 50% 초과)라도, 다른 쪽이 극단적으로 낮은 경우(예를 들어 0%)에는, 접착 면적률 자체는 적절한 값 이하로 억제할 수 있는 경우도 고려된다. 그러나, 이 경우, 코어 백부 또는 티스부에 있어서 접착이 국소적으로 불충분해져 버릴 우려가 있다.
이에 비해, 이 적층 코어에서는, 제1 비율 및 제2 비율이 일정값 이하이며, 이들 양쪽 비율 중 한쪽이 극단적으로 높게 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접착 면적률을 적절한 값 이하로 억제하면서, 코어 백부 및 티스부 각각에 있어서의 접착 강도를 확보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 양쪽 비율이 모두 5% 이상인 경우, 코어 백부 및 티스부 각각에 있어서의 접착 강도를 양호하게 확보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는, 티스부에서는 예를 들어 극수나 슬롯수 등에 따라 형상에 제약이 생긴다. 그 때문에, 티스부의 폭을 조정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한편, 코어 백부에서는 상기 제약이 생기지 않고, 코어 백부의 폭은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코어 백부는 적층 코어로서의 강도를 담보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코어 백부의 폭은 넓어지기 쉽다.
이상으로부터, 코어 백부의 폭은 티스부의 폭에 비하여 넓어지기 쉽다고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코어 백부에서는 자속이 폭 방향으로 넓게 분산되고, 코어 백부에 있어서의 자속 밀도가, 티스부에 있어서의 자속 밀도에 비하여 낮아지기 쉽다. 따라서, 접착부를 기인으로 하여 전자 강판에 변형이 생겨도, 코어 백부에 있어서 변형이 생긴 경우에는, 티스부에 있어서 변형이 생긴 경우에 비하여, 자기 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작아진다.
제1 비율이 제2 비율 이상인 경우, 티스부에 비하여 코어 백부에 접착부가 편재된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코어 백부에 있어서 변형이 생긴 경우에는, 티스부에 있어서 변형이 생긴 경우에 비하여, 자기 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작다. 따라서, 제1 비율을 제2 비율 이상으로 함으로써, 접착 면적률을 확보하면서 전자 강판에 생기는 자기 특성의 영향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12) 상기 (1) 내지 상기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코어에서는, 상기 접착부의 평균 두께가 1.0㎛ 내지 3.0㎛여도 된다.
(13) 상기 (1) 내지 상기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코어에서는, 상기 접착부의 평균 인장 탄성률 E가 1500MPa 내지 4500MPa이어도 된다.
(14) 상기 (1) 내지 상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코어에서는, 상기 접착부가, 엘라스토머 함유 아크릴계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SGA를 포함하는 상온 접착 타입의 아크릴계 접착제여도 된다.
(15)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상기 (1) 내지 상기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코어를 구비하는 회전 전기 기기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기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회전 전기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회전 전기 기기가 구비하는 스테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회전 전기 기기가 구비하는 스테이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회전 전기 기기가 구비하는 스테이터의 전자 강판 및 접착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회전 전기 기기의 제1 변형예에 관한 회전 전기 기기가 구비하는 스테이터의 전자 강판 및 접착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회전 전기 기기의 제2 변형예에 관한 회전 전기 기기가 구비하는 스테이터의 전자 강판 및 접착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스테이터의 확대도이다.
도 8은 검증 시험에서 철손의 시뮬레이션 대상으로 한 스테이터의 전자 강판 및 접착부의 평면도이며, 접착 면적률이 100%인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검증 시험에서 철손의 시뮬레이션 대상으로 한 스테이터의 전자 강판 및 접착부의 평면도이며, 접착 면적률이 80%인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검증 시험에서 철손의 시뮬레이션 대상으로 한 스테이터의 전자 강판 및 접착부의 평면도이며, 접착 면적률이 60%인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검증 시험에서 철손의 시뮬레이션 대상으로 한 스테이터의 전자 강판 및 접착부의 평면도이며, 접착 면적률이 40%인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검증 시험에서 철손의 시뮬레이션 대상으로 한 스테이터의 전자 강판 및 접착부의 평면도이며, 접착 면적률이 20%인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검증 시험에서 철손의 시뮬레이션 대상으로 한 스테이터의 전자 강판의 평면도이며, 접착 면적률이 0%인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검증 시험에서 철손의 시뮬레이션 대상으로 한 스테이터의 전자 강판의 평면도이며, 전자 강판을 코오킹 접합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검증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회전 전기 기기가 구비하는 스테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회전 전기 기기가 구비하는 스테이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회전 전기 기기가 구비하는 스테이터의 전자 강판 및 접착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회전 전기 기기의 제1 변형예에 관한 회전 전기 기기가 구비하는 스테이터의 전자 강판 및 접착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회전 전기 기기의 제2 변형예에 관한 회전 전기 기기가 구비하는 스테이터의 전자 강판 및 접착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스테이터의 확대도이다.
도 8은 검증 시험에서 철손의 시뮬레이션 대상으로 한 스테이터의 전자 강판 및 접착부의 평면도이며, 접착 면적률이 100%인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검증 시험에서 철손의 시뮬레이션 대상으로 한 스테이터의 전자 강판 및 접착부의 평면도이며, 접착 면적률이 80%인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검증 시험에서 철손의 시뮬레이션 대상으로 한 스테이터의 전자 강판 및 접착부의 평면도이며, 접착 면적률이 60%인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검증 시험에서 철손의 시뮬레이션 대상으로 한 스테이터의 전자 강판 및 접착부의 평면도이며, 접착 면적률이 40%인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검증 시험에서 철손의 시뮬레이션 대상으로 한 스테이터의 전자 강판 및 접착부의 평면도이며, 접착 면적률이 20%인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검증 시험에서 철손의 시뮬레이션 대상으로 한 스테이터의 전자 강판의 평면도이며, 접착 면적률이 0%인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검증 시험에서 철손의 시뮬레이션 대상으로 한 스테이터의 전자 강판의 평면도이며, 전자 강판을 코오킹 접합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검증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회전 전기 기기를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전기 기기로서 전동기, 구체적으로는 교류 전동기, 보다 구체적으로는 동기 전동기, 한층 더 구체적으로는 영구 자석 계자형 전동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이러한 종류의 전동기는,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 등에 적절하게 채용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전기 기기(10)는, 스테이터(20)와, 로터(30)와, 케이스(50)와, 회전축(60)을 구비한다. 스테이터(20) 및 로터(30)는 케이스(50)에 수용된다. 스테이터(20)는 케이스(50)에 고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전기 기기(10)로서, 로터(30)가 스테이터(20)의 내측에 위치하는 이너 로터형을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회전 전기 기기(10)로서, 로터(30)가 스테이터(20)의 외측에 위치하는 아우터 로터형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전기 기기(10)가 12극 18슬롯의 3상 교류 모터이다. 그러나, 예를 들어 극수나 슬롯수, 상수(相數) 등은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이 회전 전기 기기(10)는, 예를 들어 각 상에 실효값 10A, 주파수 100Hz의 여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회전수 1000rpm으로 회전할 수 있다.
스테이터(20)는, 스테이터 코어(21)와, 도시하지 않은 권선을 구비한다.
스테이터 코어(21)는, 환형의 코어 백부(22)와, 복수의 티스부(23)를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스테이터 코어(21)(코어 백부(22))의 축 방향(스테이터 코어(21)의 중심 축선(O) 방향)을 축 방향이라고 하고, 스테이터 코어(21)(코어 백부(22))의 직경 방향(스테이터 코어(21)의 중심 축선(O)에 직교하는 방향)을 직경 방향이라고 하고, 스테이터 코어(21)(코어 백부(22))의 둘레 방향(스테이터 코어(21)의 중심 축선(O) 둘레로 주회하는 방향)을 둘레 방향이라고 한다.
코어 백부(22)는, 스테이터(20)를 축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으로 보아 원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티스부(23)는, 코어 백부(22)로부터 직경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직경 방향을 따라 코어 백부(22)의 중심 축선(O)을 향해) 돌출된다. 복수의 티스부(23)는, 둘레 방향으로 동등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심 축선(O)을 중심으로 하는 중심각 20도 간격으로 18개의 티스부(23)가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티스부(23)는 서로 동등한 형상이며, 또한 동등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권선은 티스부(23)에 권회되어 있다. 상기 권선은 집중 감기되어 있어도 되고, 분포 감기되어 있어도 된다.
로터(30)는, 스테이터(20)(스테이터 코어(21))에 대하여 직경 방향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로터(30)는, 로터 코어(31)와, 복수의 영구 자석(32)을 구비한다.
로터 코어(31)는, 스테이터(20)와 동축에 배치되는 환형(원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로터 코어(31) 내에는, 상기 회전축(60)이 배치되어 있다. 회전축(60)은 로터 코어(31)에 고정되어 있다.
복수의 영구 자석(32)은 로터 코어(31)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 1조의 영구 자석(32)이 1개의 자극을 형성하고 있다. 복수조의 영구 자석(32)은, 둘레 방향으로 동등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심 축선(O)을 중심으로 하는 중심각 30도 간격으로 12조(전체로는 24개)의 영구 자석(32)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영구 자석 계자형 전동기로서, 매립 자석형 모터가 채용되고 있다. 로터 코어(31)에는, 로터 코어(31)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공(33)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관통공(33)은, 복수의 영구 자석(32)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다. 각 영구 자석(32)은, 대응하는 관통공(33) 내에 배치된 상태로 로터 코어(31)에 고정되어 있다. 각 영구 자석(32)의 로터 코어(31)에의 고정은, 예를 들어 영구 자석(32)의 외면과 관통공(33)의 내면을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는 것 등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영구 자석 계자형 전동기로서, 매립 자석형 모터 대신에 표면 자석형 모터를 채용해도 된다.
스테이터 코어(21) 및 로터 코어(31)는, 모두 적층 코어이다. 적층 코어는, 복수의 전자 강판(40)이 적층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터 코어(21) 및 로터 코어(31) 각각의 적층 두께는, 예를 들어 50.0mm로 된다. 스테이터 코어(21)의 외경은, 예를 들어 250.0mm로 된다. 스테이터 코어(21)의 내경은, 예를 들어 165.0mm로 된다. 로터 코어(31)의 외경은, 예를 들어 163.0mm로 된다. 로터 코어(31)의 내경은, 예를 들어 30.0mm로 된다. 단, 이들 값은 일례이며, 스테이터 코어(21)의 적층 두께, 외경이나 내경, 및 로터 코어(31)의 적층 두께, 외경이나 내경은 이들 값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스테이터 코어(21)의 내경은, 스테이터 코어(21)에 있어서의 티스부(23)의 선단부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스테이터 코어(21)의 내경은, 모든 티스부(23)의 선단부에 내접하는 가상원의 직경이다.
스테이터 코어(21) 및 로터 코어(31)를 형성하는 각 전자 강판(40)은, 예를 들어 모재로 되는 전자 강판을 펀칭 가공하는 것 등에 의해 형성된다. 전자 강판(40)으로서는, 공지된 전자 강판을 사용할 수 있다. 전자 강판(40)의 화학 조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강판(40)으로서, 무방향성 전자 강판을 채용하고 있다. 무방향성 전자 강판으로서는, 예를 들어 JIS C 2552: 2014의 무방향성 전강대를 채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강판(40)으로서, 무방향성 전자 강판 대신에 방향성 전자 강판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방향성 전자 강판으로서는, 예를 들어 JIS C 2553:2012의 방향성 전강대를 채용할 수 있다.
전자 강판의 가공성이나, 적층 코어의 철손을 개선하기 위해, 전자 강판(40)의 양면에는 절연 피막이 마련되어 있다. 절연 피막을 구성하는 물질로서는, 예를 들어 (1) 무기 화합물, (2) 유기 수지, (3) 무기 화합물과 유기 수지의 혼합물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무기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1) 중크롬산염과 붕산의 복합물, (2) 인산염과 실리카의 복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수지로서는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아크릴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불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서로 적층되는 전자 강판(40) 사이에서의 절연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절연 피막의 두께(전자 강판(40) 편면당 두께)는 0.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으로 절연 피막이 두꺼워짐에 따라 절연 효과가 포화된다. 또한, 절연 피막이 두꺼워짐에 따라 점적률이 저하되고, 적층 코어로서의 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절연 피막은, 절연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범위에서 얇은 편이 좋다. 절연 피막의 두께(전자 강판(40) 편면당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2㎛ 이하이다.
전자 강판(40)이 얇아짐에 따라 점차 철손의 개선 효과가 포화된다. 또한, 전자 강판(40)이 얇아짐에 따라 전자 강판(40)의 제조 비용은 증가한다. 그 때문에, 철손의 개선 효과 및 제조 비용을 고려하면 전자 강판(40)의 두께는 0.10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으로 전자 강판(40)이 지나치게 두꺼우면, 전자 강판(40)의 프레스 펀칭 작업이 곤란하게 된다. 그 때문에, 전자 강판(40)의 프레스 펀칭 작업을 고려하면 전자 강판(40)의 두께는 0.65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자 강판(40)이 두꺼워지면 철손이 증대된다. 그 때문에, 전자 강판(40)의 철손 특성을 고려하면, 전자 강판(40)의 두께는 0.35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mm 또는 0.25mm이다.
상기의 점을 고려하여, 각 전자 강판(40)의 두께는, 예를 들어 0.10mm 이상 0.65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10mm 이상 0.35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mm나 0.25mm이다. 또한 전자 강판(40)의 두께에는, 절연 피막의 두께도 포함된다.
스테이터 코어(21)를 형성하는 복수의 전자 강판(40)은, 접착부(41)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접착부(41)는, 적층 방향으로 인접하는 전자 강판(40)끼리의 사이에 마련되며, 분단되지 않고 경화된 접착제이다. 접착제에는, 예를 들어 중합 결합에 의한 열경화형 접착제 등이 사용된다. 접착제의 조성물로서는, (1) 아크릴계 수지, (2) 에폭시계 수지, (3) 아크릴계 수지 및 에폭시계 수지를 포함한 조성물 등이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접착제로서는 열경화형 접착제 외에, 라디칼 중합형 접착제 등도 사용 가능하며, 생산성의 관점에서는 상온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온 경화형 접착제는 20℃ 내지 30℃에서 경화된다. 상온 경화형 접착제로서는 아크릴계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대표적인 아크릴계 접착제에는 SGA(제2 세대 아크릴계 접착제. Second Generation Acrylic Adhesive)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혐기성 접착제, 순간 접착제, 엘라스토머 함유 아크릴계 접착제가 모두 사용 가능하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접착제는 경화 전의 상태를 말하며, 접착제가 경화된 후에는 접착부(41)로 된다.
접착부(41)의 상온(20℃ 내지 30℃)에 있어서의 평균 인장 탄성률 E는, 1500MPa 내지 4500MPa의 범위 내로 된다. 접착부(41)의 평균 인장 탄성률 E는, 1500MPa 미만이면, 적층 코어의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긴다. 그 때문에, 접착부(41)의 평균 인장 탄성률 E의 하한값은 1500MPa,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0MPa로 된다. 반대로, 접착부(41)의 평균 인장 탄성률 E가 4500MPa을 초과하면, 전자 강판(40)의 표면에 형성된 절연 피막이 박리되는 문제가 생긴다. 그 때문에, 접착부(41)의 평균 인장 탄성률 E의 상한값은 4500MPa, 보다 바람직하게는 3650MPa로 된다.
또한, 평균 인장 탄성률 E는 공진법에 의해 측정된다. 구체적으로는, JIS R 1602:1995에 준거하여 인장 탄성률을 측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측정용 샘플(도시하지 않음)을 제작한다. 이 샘플은, 2매의 전자 강판(40) 사이를 측정 대상의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고, 경화시켜 접착부(41)를 형성함으로써 얻어진다. 이 경화는, 접착제가 열경화형인 경우에는, 실제 조업 상의 가열 가압 조건에서 가열 가압함으로써 행한다. 한편, 접착제가 상온 경화형인 경우에는 상온 하에서 가압함으로써 행한다.
그리고, 이 샘플에 대한 인장 탄성률을 공진법으로 측정한다. 공진법에 의한 인장 탄성률의 측정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JIS R 1602:1995에 준거하여 행한다. 그 후, 샘플의 인장 탄성률(측정값)로부터, 전자 강판(40) 자체의 영향분을 계산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접착부(41) 단체의 인장 탄성률이 구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샘플로부터 구해진 인장 탄성률은, 적층 코어 전체로서의 평균값과 동등하게 되므로, 이 수치를 갖고 평균 인장 탄성률 E로 간주한다. 평균 인장 탄성률 E는, 그 적층 방향을 따른 적층 위치나 적층 코어의 중심 축선 주위의 둘레 방향 위치에서 거의 변하지 않도록 조성이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평균 인장 탄성률 E는, 적층 코어의 상단 위치에 있는, 경화 후의 접착부(41)를 측정한 수치를 갖고 그 값으로 할 수도 있다.
접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전자 강판(40)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가열 및 압착 중 어느 것 또는 양쪽에 의해 접착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가열 수단은, 예를 들어 고온조나 전기로 내에서의 가열, 또는 직접 통전하는 방법 등, 어떠한 수단이어도 된다.
안정적으로 충분한 접착 강도를 얻기 위해, 접착부(41)의 두께는 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으로 접착부(41)의 두께가 100㎛를 초과하면 접착력이 포화된다. 또한, 접착부(41)가 두꺼워짐에 따라 점적률이 저하되고, 적층 코어의 철손 등의 자기 특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접착부(41)의 두께는 1㎛ 이상 1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상 1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접착부(41)의 두께는 접착부(41)의 평균 두께를 의미한다.
접착부(41)의 평균 두께는 1.0㎛ 이상 3.0㎛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부(41)의 평균 두께가 1.0㎛ 미만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충분한 접착력을 확보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접착부(41)의 평균 두께의 하한값은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1.2㎛로 된다. 반대로, 접착부(41)의 평균 두께가 3.0㎛를 초과하여 두꺼워지면, 열경화 시의 수축에 의한 전자 강판(40)의 변형량이 대폭 증가하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그 때문에, 접착부(41)의 평균 두께의 상한값은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2.6㎛로 된다.
접착부(41)의 평균 두께는, 적층 코어 전체로서의 평균값이다. 접착부(41)의 평균 두께는 그 적층 방향을 따른 적층 위치나 적층 코어의 중심 축선 주위의 둘레 방향 위치에서 거의 변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접착부(41)의 평균 두께는, 적층 코어의 상단 위치에 있어서, 원주 방향 10개소 이상에서 측정한 수치의 평균값을 갖고 그 값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접착부(41)의 평균 두께는, 예를 들어 접착제의 도포량을 바꾸어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접착부(41)의 평균 인장 탄성률 E는, 예를 들어 열경화형 접착제의 경우에는, 접착 시에 가하는 가열 가압 조건 및 경화제 종류 중 한쪽 혹은 양쪽을 변경하는 것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터 코어(31)를 형성하는 복수의 전자 강판(40)은, 코오킹(C)(맞춤못)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로터 코어(31)를 형성하는 복수의 전자 강판(40)이 접착부(41)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스테이터 코어(21)나 로터 코어(31) 등의 적층 코어는, 소위 돌려쌓기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층 방향으로 인접하는 전자 강판(40)끼리 접착부(41)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적층 방향으로 인접하는 전자 강판(40)끼리는 접착에 의해서만 고정되어 있고, 다른 수단(예를 들어, 코오킹 등)에 의해서는 고정되어 있지 않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층 방향으로 인접하는 전자 강판(40)끼리는 서로 전면 접착되어 있지 않다. 이들 전자 강판(40)끼리는 서로 국소적으로 접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층 방향으로 인접하는 전자 강판(40)끼리는, 전자 강판(40)의 주연을 따라 마련된 접착부(41)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적층 방향으로 인접하는 전자 강판(40)끼리는, 제1 접착부(41a)와 제2 접착부(41b)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제1 접착부(41a)는, 전자 강판(40)을 적층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으로 보아, 전자 강판(40)의 외주연을 따라 마련되어 있다. 제2 접착부(41b)는, 전자 강판(40)을 적층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으로 보아, 전자 강판(40)의 내주연을 따라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1, 제2 접착부(41a, 41b)는, 각각 평면으로 보아 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띠형이란, 띠의 폭이 도중에 변화하는 형상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환 형상의 점이 분단되지 않고 일방향으로 연속되는 형상도,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띠형에 포함된다. 단, 접착부(41)가 주연을 따르고 있는 것은, 접착부(41)가 일방향으로 연속되는 형상을 전제로 하고 있지 않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접착부(41)가 일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된다. 단 이 경우, 일방향으로 인접하는 한 쌍의 접착부(41)끼리의 간격(일방향의 길이)이, 한 쌍의 접착부(41) 각각의 크기(일방향의 길이)도 크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부(41)가 주연을 따르고 있는 것에는, 접착부(41)가 주연으로부터 간극 없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접착부(41)가 전자 강판(40)의 주연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마련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된다. 또한, 이 경우, 접착부(41)가 주연을 따르고 있는 것은, 대상으로 하는 주연에 대하여 접착부(41)가 실질적으로 평행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바꾸어 말하면, 접착부(41)가 주연을 따르고 있는 것에는, 접착부(41)가 주연에 대하여 완전히 평행인 경우뿐만 아니라, 접착부(41)가 주연에 대하여 예를 들어 5도 이내의 경사를 갖고 있는 경우도 포함된다.
제1 접착부(41a)는, 전자 강판(40)의 외주연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제1 접착부(41a)는, 둘레 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해서 연장되어 있다. 제1 접착부(41a)는, 이 제1 접착부(41a)를 적층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으로 보아 원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접착부(41b)는, 전자 강판(40)의 내주연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제2 접착부(41b)는, 둘레 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해서 연장되어 있다.
제2 접착부(41b)는, 복수의 티스 부분(44)과, 복수의 코어 백 부분(45)을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티스 부분(44)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며, 각 티스부(23)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코어 백 부분(45)은, 코어 백부(22)에 배치되며,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티스 부분(44)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티스 부분(44)은, 한 쌍의 제1 부분(44a)과 제2 부분(44b)을 구비하고 있다. 제1 부분(44a)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1 부분(44a)은, 직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1 부분(44a)은, 직경 방향으로 띠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부분(44b)은, 한 쌍의 제1 부분(44a)끼리를 둘레 방향으로 연결하고 있다. 제2 부분(44b)은, 둘레 방향으로 띠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강판(40)의 평면으로 보아, 접착부(41)가 전자 강판(40)의 주연으로부터 간극 없이 마련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하는 제1 변형예에 관한 스테이터(20A)와 같이, 전자 강판(40)의 평면으로 보아, 접착부(41)가 전자 강판(40)의 주연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즉, 접착부(41)가 마련된 전자 강판(40)의 접착 영역(42)과, 전자 강판(40)의 주연 사이에, 접착부(41)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전자 강판(40)의 비접착 영역(43)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접착부(41)가 마련된 전자 강판(40)의 접착 영역(42)이란, 전자 강판(40)에 있어서 적층 방향을 향하는 면(이하, 전자 강판(40)의 제1 면이라고 함) 중, 분단되지 않고 경화된 접착제가 마련되어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접착부(41)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전자 강판(40)의 비접착 영역(43)이란, 전자 강판(40)의 제1 면 중, 분단되지 않고 경화된 접착제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의미한다.
여기서, 접착부(41)가 주연을 따르고 있는 것에는, 접착부(41)가, 전자 강판(40)의 주연에 대하여, 일정한 폭을 초과한 간극을 두고 마련되어 있는 경우는 포함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접착부(41)가, 전자 강판(40)의 주연으로부터, 전자 강판(40)의 판 두께에 상당하는 크기의 3배의 폭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로 마련되어 있다. 접착부(41)와 전자 강판(40)의 주연 사이의 거리(폭)는, 전자 강판(40)의 판 두께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판 두께의 3배 이하이면 된다. 또한 상기 거리가 0인 경우에는, 접착부(41)가 전자 강판(40)의 주연에 간극 없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로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강판(40)끼리의 사이에 마련된 모든 접착부(41)의 평면으로 본 형상은 동일하다. 접착부(41)의 평면으로 본 형상이란, 접착부(41)가 마련된 전자 강판(40)을 적층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으로 보면, 접착부(41)의 전체 형상을 의미한다. 전자 강판(40)끼리의 사이에 마련된 모든 접착부(41)의 평면으로 본 형상이 동일한 것은, 전자 강판(40)끼리의 사이에 마련된 모든 접착부(41)의 평면으로 본 형상이 완전히 동일한 경우만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를 포함한다. 상기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에는, 전자 강판(40)끼리의 사이에 마련된 모든 접착부(41)의 평면으로 본 형상이 95% 이상의 부분에서 공통되어 있는 경우이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착부(41)에 의한 전자 강판(40)의 접착 면적률은 1% 이상 40% 이하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접착 면적률은 1% 이상 20% 이하이고, 구체적으로는 20%이다. 또한, 접착부(41)에 의한 전자 강판(40)의 접착 면적률이란, 전자 강판(40)의 상기 제1 면의 면적에 대한, 제1 면 중 접착부(41)가 마련된 영역(접착 영역(42))의 면적의 비율이다. 접착부(41)가 마련된 영역이란, 전자 강판(40)의 제1 면 중, 분단되지 않고 경화된 접착제가 마련되어 있는 영역(접착 영역(42))이다. 접착부(41)가 마련된 영역의 면적은, 예를 들어 박리 후의 전자 강판(40)의 제1 면을 촬영하고, 그 촬영 결과를 화상 해석함으로써 구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강판(40)끼리의 사이에 있어서, 접착부(41)에 의한 전자 강판(40)의 접착 면적률이 1% 이상 20% 이하이다. 적층 방향으로 인접하는 양쪽 전자 강판(40)에 있어서, 그 접착부(41)에 의한 전자 강판(40)의 접착 면적률은, 모두 1% 이상 20% 이하로 되어 있다. 1개의 전자 강판(40)에 대하여 적층 방향의 양측에 접착부(41)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 그 전자 강판(40)의 양면에 있어서의 상기 접착 면적률은, 모두 1% 이상 20% 이하로 되어 있다.
또한, 전자 강판(40)을 접착부(41)에 의해 접착함으로써, 전자 강판(40)을 코오킹하는 경우에 비하여, 접착 면적(접합 면적)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착부(41)에 의한 코어 백부(22)의 접착 면적(이하, 「제1 접착 면적 S1」이라고 함)이, 접착부(41)에 의한 티스부(23)의 접착 면적(이하, 「제2 접착 면적 S2」라고 함) 이상이다. 즉, S1≥S2이다.
여기서 제1 접착 면적 S1은, 전자 강판(40)의 제1 면의 코어 백부(22) 중, 분단되지 않고 경화된 접착제가 마련되어 있는 영역이다. 제2 접착 면적 S2는, 전자 강판(40)의 제1 면의 티스부(23) 중, 분단되지 않고 경화된 접착제가 마련되어 있는 영역이다. 또한, 접착부(41)가 마련된 영역의 면적과 마찬가지로, 제1 접착 면적 S1 및 제2 접착 면적 S2는, 예를 들어 박리 후의 전자 강판(40)의 제1 면을 촬영하고, 그 촬영 결과를 화상 해석함으로써 구해진다.
제1 접착부(41a)에 의한 전자 강판(40)의 접착 면적을 S11로 한다. 제2 접착부(41b) 중, 코어 백 부분(45)에 의한 전자 강판(40)의 접착 면적을 S12a로 한다. 제2 접착부(41b) 중, 티스 부분(44)에 의한 전자 강판(40)의 접착 면적을 S12b로 한다. 또한, 제1 접착부(41a)에 의한 전자 강판(40)의 접착 면적이란, 전자 강판(40)의 제1 면 중 제1 접착부(41a)가 마련된 영역의 면적이다. 제2 접착부(41b) 중, 코어 백 부분(45)에 의한 전자 강판(40)의 접착 면적이란, 전자 강판(40)의 제1 면의 코어 백 부분(45) 중 제2 접착부(41b)가 마련된 영역의 면적이다. 제2 접착부(41b) 중, 티스 부분(44)에 의한 전자 강판(40)의 접착 면적이란, 전자 강판(40)의 제1 면의 티스 부분(44) 중 제2 접착부(41b)가 마련된 영역의 면적이다.
상기 S11, S12a, S12b를 사용하면, S1, S2는 이하의 식으로 표시된다.
S1=S11+S12a
S2=S12b
게다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접착부(41a)에 의한 전자 강판(40)의 접착 면적은, 제2 접착부(41b)에 의한 전자 강판(40)의 접착 면적 이상이다. 즉, S11≥S12a+S12b이다. 이 경우의 전제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어 이하의 (1)(2)의 한쪽 또는 양쪽을 들 수 있다. (1) 제1 접착부(41a)가 형성하는 띠의 길이가, 제2 접착부(41b)가 형성하는 띠의 길이보다 길다. (2) 제1 접착부(41a)가 형성하는 띠의 폭이, 제2 접착부(41b)가 형성하는 띠의 폭보다 넓다.
스테이터 코어(21)에서는, 적층 방향으로 인접하는 전자 강판(40)끼리 어떠한 수단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으면, 양자가 상대적으로 변위된다. 한편, 적층 방향으로 인접하는 전자 강판(40)끼리, 예를 들어 코오킹에 의해 고정되는 경우에는, 전자 강판(40)이 크게 변형되어 버려, 스테이터 코어(21)의 자기 특성에 큰 영향을 준다.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테이터 코어(21)에서는, 적층 방향으로 인접하는 전자 강판(40)끼리 접착부(41)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전자 강판(40) 전체에 있어서, 적층 방향으로 인접하는 전자 강판(40)끼리 상대적으로 변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접착부(41)에 의한 전자 강판(40)의 접착 면적률이 1% 이상이다. 따라서, 접착부(41)에 의한 접착을 확실한 것으로 하고, 예를 들어 스테이터 코어(21)의 슬롯으로의 권선 시 등에 있어서도, 적층 방향으로 인접하는 전자 강판(40)끼리의 상대적인 변위를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게다가, 전자 강판(40)의 고정 방법이, 상기와 같은 코오킹에 의한 고정이 아니라 접착에 의한 고정이므로, 전자 강판(40)에 생기는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스테이터 코어(21)의 자기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런데, 전자 강판(40)에 접착제를 도포하면, 접착제의 경화에 수반하여 전자 강판(40)에 압축 응력이 생긴다. 그 때문에, 접착제를 전자 강판(40)에 도포함으로써 접착부(41)를 형성하면, 전자 강판(40)에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테이터 코어(21)에서는, 접착부(41)에 의한 전자 강판(40)의 접착 면적률이 40% 이하이다. 따라서, 접착제를 기인으로 하여 전자 강판(40)에 생기는 변형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테이터 코어(21)의 자기 특성을 한층 더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접착부(41)에 의한 전자 강판(40)의 접착 면적률이 20% 이하이다. 따라서, 접착제를 기인으로 하여 전자 강판(40)에 생기는 변형을 한층 더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접착부(41)가, 전자 강판(40)의 주연을 따라 형성된 접착 영역(42) 상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적층 방향으로 인접하는 전자 강판(40)끼리의 말림을 억제하는 것 등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스테이터 코어(21)의 슬롯으로의 권선 부여를 용이하게 하며, 또한 스테이터 코어(21)의 자기 특성을 한층 더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테이터 코어(21)의 자기 특성을 한층 더 확보할 수 있다.
티스부(23)의 폭 W1(주위 방향의 크기)은, 코어 백부(22)의 폭 W2(직경 방향의 크기)와 비교하여 좁은 경우, 티스부(23)에는 자속이 집중하고, 티스부(23)의 자속 밀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접착제에 의해 강판에 변형이 부여되었을 때, 동일량의 변형이면, 코어 백부(22)의 자기 특성보다 티스부(23)의 자기 특성에 부여되는 영향 쪽이 크다.
제1 접착 면적 S1이 제2 접착 면적 S2 이상이다. 따라서, 티스부(23)에 있어서의 접착제의 변형에 의한 자기 특성의 열화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코어 백부(22)에 있어서 스테이터 코어(21) 전체로서의 접착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접착부(41)에 의한 전자 강판(40)의 접착 면적률이 1% 이상 40% 이하인 한, 제2 접착부(41b)의 형태는, 상기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형태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티스 부분(44) 중 제2 부분(44b)이 없어도 된다. 이 경우, 자속 밀도가 높아지는 티스부(23)의 제2 부분(44b)에 있어서의 접착제의 변형에 의한 자기 특성의 열화의 영향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예를 들어 제1 접착부(41a)에 의한 접착 면적률을 높임으로써, 전자 강판(40) 전체에 있어서의 접착 면적률을 확보해도 된다.
또한, 스테이터 코어(21)를 형성하는 전자 강판(40)은, 모재로 되는 전자 강판을 펀칭 가공함으로써 제조된다. 펀칭 가공 시에는, 전자 강판(40)의 주연으로부터, 전자 강판(40)의 내측을 향하여, 전자 강판(40)의 판 두께에 상당하는 크기의 폭으로, 펀칭 가공을 기인으로 하는 변형이 부여된다(또한 전자 강판(40)의 내측이란, 전자 강판(40)의 외주연과 내주연 사이의 영역임). 전자 강판(40)의 주연은, 상기 변형에 따라 가공 경화되기 때문에, 전자 강판(40)의 주연이 국소적으로 말리는 변형은 생기기 어렵다. 따라서, 전자 강판(40)의 주연에서는 접착하지 않아도, 전자 강판(40)의 변형은 생기기 어렵다. 그 때문에 도 5에 도시하는 제1 변형예에 관한 스테이터 코어(21)와 같이, 전자 강판(40)의 주연에 비접착 영역(43)을 형성해도, 전자 강판(40)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비접착 영역(43)을 형성함으로써, 전자 강판(40)에 쓸데없는 변형이 부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테이터 코어(21)의 자기 특성을 더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펀칭 가공 시에 생기는 변형에 의한 가공 경화를 고려하면, 상기 비접착 영역(43)의 폭은 전자 강판(40)의 판 두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테이터 코어의 형상은, 상기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스테이터 코어의 외경 및 내경의 치수, 적층 두께, 슬롯수, 티스부(23)의 둘레 방향과 직경 방향의 치수 비율, 티스부(23)와 코어 백부(22)의 직경 방향의 치수 비율 등은 원하는 회전 전기 기기의 특성에 따라 임의로 설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제2 변형예에 관한 스테이터(20I)와 같이, 티스부(23)의 수가 많아도 된다. 이러한 스테이터(20I)는, 상기 권선이 분포 감기되는 형태에 적합하게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권선이 분포 감기되는 경우, 권선이 집중 감기되는 경우에 비하여, 티스부(23)의 폭 W1이 좁아지기 쉽다.
여기서, 제1 접착부(41a) 중 코어 백부(22)의 외주연을 따라 마련되는 부분(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접착부(41a) 그 자체)의 폭 W2a가, 코어 백부(22)의 폭 W2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제1 비율이라고 한다.
또한, 제1 비율을 구할 때에 있어서의 폭 W2, W2a는, 모두 각 폭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제1 비율을 구할 때에 있어서의 코어 백부(22)의 폭 W2는, 예를 들어 코어 백부(22)에 있어서 둘레 방향과 동등한 간격을 둔 3점(중심 축선(O) 둘레의 120도 간격의 3점) 각각에 있어서의 폭의 평균값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 비율을 구할 때에 있어서의 제1 접착부(41a)의 폭 W2a는, 예를 들어 제1 접착부(41a)에 있어서 둘레 방향과 동등한 간격을 둔 3점(중심 축선(O) 둘레의 120도 간격의 3점) 각각에 있어서의 폭의 평균값으로 할 수 있다.
제2 접착부(41b) 중 티스부(23)의 측연을 따라 마련되는 부분의 폭 W1a가, 티스부(23)의 폭 W1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제2 비율이라고 한다. 티스부(23)의 측연이란, 티스부(23)의 주연 중 둘레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다. 제2 접착부(41b) 중 티스부(23)의 측연을 따라 마련되는 부분이란, 티스 부분(44)의 제1 부분(44a)이다.
또한, 제2 비율을 구할 때에 있어서의 폭 W1, W1a는, 모두 각 폭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제2 비율을 구할 때에 있어서의 티스부(23)의 폭 W1은, 예를 들어 티스부(23)에 있어서 직경 방향과 동등한 간격을 둔 3점 각각에 있어서의 폭의 평균값으로 할 수 있다. 이 3점은, 예를 들어 티스부(23)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내측의 단부 에지와, 티스부(23)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내측의 단부 에지와, 티스부(23)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중앙의 3점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2 비율을 구할 때에 있어서의 제1 부분(44a)의 폭 W1a는, 예를 들어 제1 부분(44a)에 있어서 직경 방향과 동등한 간격을 둔 3점 각각에 있어서의 폭의 평균값으로 할 수 있다. 이 3점은, 예를 들어 제1 부분(44a)(티스부(23))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내측의 단부 에지와, 제1 부분(44a)(티스부(23))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내측의 단부 에지와, 제1 부분(44a)(티스부(23))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중앙의 3점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비율은 티스부(23)별로 규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모든 티스부(23)에 대한 제2 비율이 동등하다. 여기서, 모든 티스부(23)에 대한 제2 비율이 동등한 것에는, 각 티스부(23)에 대한 제2 비율이 다른 경우라도, 그 차가 조금인 경우는 포함된다. 차가 조금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각 티스부(23)에 대한 제2 비율이, 이들 제2 비율의 평균값에 대하여 ±5% 이내의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모든 티스부(23)에 대한 제2 비율이란, 각 티스부(23)에 대한 제2 비율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스테이터(20I)에서는, 제1 비율이 33% 이하이다. 게다가 도시된 예에서는, 제1 비율이 5% 이상이다.
또한 스테이터(20I)에서는, 제2 비율이 10% 이하이다. 게다가 도시된 예에서는, 제2 비율이 5% 이상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모든 티스부(23)에 대한 제2 비율이 10% 이하이며, 또한 5% 이상이다.
또한 스테이터(20I)에서는, 제1 비율이 제2 비율 이상이다.
제1 비율이 33% 이하이며, 또한 제2 비율이 10% 이하이다. 이들 양쪽 비율이 크면, 접착 면적률이 커진다. 그 때문에, 양쪽 비율을 적절하게 작게 억제함으로써, 접착 면적률을 예를 들어 40% 이하 등, 적절한 값 이하로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비율 및 제2 비율 중, 한쪽이 극단적으로 높은 경우(예를 들어 50% 초과)라도, 다른 쪽이 극단적으로 낮은 경우(예를 들어 0%)에는, 접착 면적률 자체는 적절한 값 이하로 억제할 수 있는 경우도 고려된다. 그러나, 이 경우, 코어 백부(22) 또는 티스부(23)에 있어서, 접착이 국소적으로 불충분해져 버릴 우려가 있다.
이에 비해, 이 스테이터 코어(21)에서는, 제1 비율 및 제2 비율이 일정값 이하이며, 이들 양쪽 비율 중 한쪽이 극단적으로 높게 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접착 면적률을 적절한 값 이하로 억제하면서, 코어 백부(22) 및 티스부(23) 각각에 있어서의 접착 강도를 확보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 양쪽 비율이 모두 5% 이상인 경우, 코어 백부(22) 및 티스부(23) 각각에 있어서의 접착 강도를 양호하게 확보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는, 티스부(23)에서는, 예를 들어 극수나 슬롯수 등에 따라 형상에 제약이 생긴다. 그 때문에, 티스부(23)의 폭 W1을 조정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한편, 코어 백부(22)에서는 상기 제약이 생기지 않아, 코어 백부(22)의 폭 W2는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게다가, 코어 백부(22)는, 스테이터 코어(21)로서의 강도를 담보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코어 백부(22)의 폭 W2는 넓어지기 쉽다.
이상으로부터, 코어 백부(22)의 폭 W2는 티스부(23)의 폭 W1에 비하여 넓어지기 쉽다고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코어 백부(22)에서는 자속이 폭 방향으로 넓게 분산되고, 코어 백부(22)에 있어서의 자속 밀도가, 티스부(23)에 있어서의 자속 밀도에 비하여 낮아지기 쉽다. 따라서, 접착부(41)를 기인으로 하여 전자 강판(40)에 변형이 생겨도, 코어 백부(22)에 있어서 변형이 생긴 경우에는, 티스부(23)에 있어서 변형이 생긴 경우에 비하여 자기 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작아진다.
제1 비율이 제2 비율 이상인 경우, 티스부(23)에 비하여 코어 백부(22)에 접착부(41)가 편재된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코어 백부(22)에 있어서 변형이 생긴 경우에는, 티스부(23)에 있어서 변형이 생긴 경우에 비하여 자기 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작다. 따라서, 제1 비율을 제2 비율 이상으로 함으로써, 접착 면적률을 확보하면서 전자 강판(40)에 생기는 자기 특성의 영향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로터에서는, 2개 1조의 영구 자석(32)이 1개의 자극을 형성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1개의 영구 자석(32)이 1개의 자극을 형성하고 있어도 되고, 3개 이상의 영구 자석(32)이 1개의 자극을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전기 기기로서, 영구 자석 계자형 전동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회전 전기 기기의 구조는, 이하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나아가 이하에 예시하지 않는 여러 공지된 구조도 채용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동기 전동기로서, 영구 자석 계자형 전동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회전 전기 기기가 릴럭턴스형 전동기나 전자석 계자형 전동기(권선 계자형 전동기)여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교류 전동기로서, 동기 전동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회전 전기 기기가 유도 전동기여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동기로서, 교류 전동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회전 전기 기기가 직류 전동기여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전기 기기로서, 전동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회전 전기 기기가 발전기여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적층 코어를 스테이터 코어에 적용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로터 코어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취지에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를 주지의 구성 요소로 치환하는 것은 적절하게 가능하며, 또한 상기한 변형예를 적절하게 조합해도 된다.
다음에, 상기한 작용 효과를 검증하는 검증 시험(제1 검증 시험 및 제2 검증 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 검증 시험은, 후술하는 접착 강도의 검증을 제외하고,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시뮬레이션에 의해 실시하였다. 소프트웨어로서는, JSOL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유한 요소법 전자장 해석 소프트웨어 JMAG를 이용하였다.
(제1 검증 시험)
도 8 내지 도 14에 본 검증 시험에서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스테이터(20B 내지 20G)를 도시한다. 이들 스테이터(20B 내지 20G)에서는, 모두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 관한 스테이터(20)를 기본 구조로 하고, 이 스테이터에 대하여 이하의 점을 변경하였다. 즉, 전자 강판(40)의 판 두께를 0.25mm 또는 0.20mm로 하였다. 그리고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종류의 판 두께의 스테이터(20B 내지 20G) 모두, 접착부(41)에 의한 각 전자 강판(40)의 접착 면적률을 0% 내지 100%에서 20% 간격으로 서로 다르게 하였다(합계 12종류).
12종류의 스테이터(20B 내지 20G)를 구성하는 각 전자 강판(40)의 철손을 상기 시뮬레이션에 의해 구하였다. 또한 비교 대상으로서, 도 14에 도시하는 스테이터(20H)와 같이, 복수의 전자 강판(40)이 전체층 코오킹되어 있는 스테이터(20H)에 있어서의 전자 강판(40)의 철손도 구하였다. 비교 대상의 스테이터(20H)도, 판 두께가 0.25mm 또는 0.20mm인 경우의 2종류에 대하여 철손을 구하였다. 비교 대상의 스테이터(20H)는 복수의 코오킹(C1, C2)을 구비하고 있다. 코오킹(C1, C2)은, 코어 백부(22)에 마련된 제1 코오킹(C1)과, 티스부(23)에 마련된 제2 코오킹(C2)을 포함한다. 전자 강판(40)의 제1 면 중, 코오킹(C1, C2)이 점유하는 면적의 비율은 3.2% 정도이다.
결과를 도 15의 그래프에 도시한다. 도 15의 그래프에서는, 횡축이, 접착부(41)에 의한 전자 강판(40)의 접착 면적률이다. 종축이, 각 스테이터(20B 내지 20G)에 있어서의 전자 강판(40)의 철손을, 상기 비교 대상으로 되는 스테이터(20H)(전자 강판(40)의 판 두께가 동일한 스테이터(20H))에 있어서의 전자 강판(40)의 철손으로 나눈 값(철손비)이다. 각 스테이터(20B 내지 20G)에 있어서의 전자 강판(40)의 철손이, 비교 대상으로 되는 스테이터(20H)에 있어서의 철손과 동등하면, 철손비가 100% 전후로 된다. 철손비가 작을수록, 전자 강판(40)의 철손이 작고, 스테이터(20B 내지 20G)로서의 자기 특성이 우수하다.
도 15에 도시하는 그래프에서는, 12종류의 스테이터(20B 내지 20G)를 2개의 군으로 나누고, 각 군의 결과를 꺽은 선 그래프로서 정리하였다. 또한, 전자 강판(40)의 판 두께가 0.25mm인 6개의 스테이터(20B 내지 20G)를 제1 군, 전자 강판(40)의 판 두께가 0.20mm인 6개의 스테이터(20B 내지 20G)를 제2 군으로 하였다.
도 15에 도시하는 그래프로부터, 접착부(41)에 의한 전자 강판(40)의 접착 면적률이 40% 이하인 스테이터(20E 내지 20G)에서는, 비교 대상으로 되는 스테이터(20H)와 동등한 철손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2 검증 시험)
본 검증 시험은, 제1 비율 및 제2 비율에 대한 검증 시험이다.
본 검증 시험에서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스테이터는, 모두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제2 변형예에 관한 스테이터(20I)를 기본 구조로 하였다.
각 스테이터에서는, 전자 강판(40)의 형상을 그대로 하고, 접착부(41)의 형상을 변화시킴으로써, 제1 비율이나 제2 비율을 변화시켰다. 구체적으로는, 접착부(41)의 폭 W1a, W2a를 좁게 하여, 제1 비율이나 제2 비율을 변화시켰다. 또한 어느 스테이터에 있어서도, 접착부(41)를 전자 강판(40)의 주연에 대하여 간극 없이 배치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각 스테이터에서는, 제1 비율을 고정한 후에 제2 비율을 변동시켰다. 그리고 나서, 각 스테이터에 대하여 접착 면적률 및 접착 강도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각 스테이터에 대하여, 제1 비율 및 제2 비율의 각 값, 접착 면적률 및 접착 강도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상기 표 1에 있어서, 접착 강도에 대해서는, 스테이터 코어 제작 후, 슬롯에 권선을 실시하여 모터를 복수 제작한 상태에서 평가하였다. 스테이터 코어는, 각 실시예에 대하여 5개씩 제작하였다. 그때, 5개의 스테이터 코어 전부에 있어서, 코어 백부 및 티스부의 어느 것에도 영향이 없는 경우, 즉 코어 백부 및 티스부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스테이터 코어의 박리(접착부의 파손, 인접하는 전자 강판의 박리)가 생기지 않은 경우는 우량으로 하였다. 권선한 결과, 5개의 스테이터 코어 중 1개에서만, 티스부의 일부에 스테이터 코어의 박리가 생기기는 하였지만, 권선 완료 시에 있어서 티스부의 형상에 영향이 생기지 않은 경우를 양호로 평가하였다. 5개의 스테이터 코어 중 2개 이상에 있어서, 권선한 결과, 티스부에 스테이터 코어의 박리가 생기기는 하였지만, 권선 완료 시에 있어서 티스부의 형상에 영향이 생기지 않은 경우를 가능(可)으로 평가하였다. 그 밖의 경우를 불가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각 스테이터에서는 모두, 제1 비율을 33%로 하였다. 그리고 나서, 제2 비율을 각각 변화시켰다.
상기 결과로부터, 제1 비율이 33%인 경우, 제2 비율을 10%로 해도 접착 면적률은 40%로 된다(실시예 3). 단, 제2 비율이 10%를 초과하여, 예를 들어 13%로 되면(비교예 1), 접착 면적률이 40%를 초과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제2 비율이 5%로 되면(실시예 1), 티스부에 박리가 생긴 스테이터 코어가 있고, 접착 강도에 약간 영향이 생기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1 내지 13 및 비교예 11)
실시예 11 내지 13 및 비교예 11의 각 스테이터에서는, 제2 비율을 고정한 후에 제1 비율을 변동시켰다. 그리고 나서, 각 스테이터에 대하여 접착 면적률 및 접착 강도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11 내지 13 및 비교예 11의 각 스테이터에 대하여, 제1 비율 및 제2 비율의 각 값, 접착 면적률 및 접착 강도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상기 표 2에 있어서, 접착 강도에 대한 평가 기준은, 스테이터 제작 후, 케이스로의 스테이터 삽입 시에 스테이터와 케이스의 접촉에 의해 생기는 스테이터 코어의 상하면의 박리 유무 및 박리 정도로 하였다. 스테이터는, 각 실시예에 대하여 5개씩 제작하였다. 케이스로의 스테이터 삽입 시에, 5개의 스테이터 전부에 있어서, 코어 백부 및 티스부의 어느 것에도 영향이 없는 경우, 즉 코어 백부 및 티스부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스테이터 코어의 박리(접착부의 파손, 인접하는 전자 강판의 박리)가 생기지 않은 경우는 우량으로 하였다. 상기 삽입 시에, 5개의 스테이터 중 1개에서만, 코어 백부의 일부에 스테이터 코어의 박리가 생기기는 하였지만, 삽입 완료 시에 있어서 코어 백부의 형상에 영향이 생기지 않은 경우를 양호로 평가하였다. 상기 삽입 시에, 5개의 스테이터 중 2개 이상에 있어서, 티스부에 스테이터 코어의 박리가 생기고, 삽입 완료 시에 있어서 코어 백부의 형상에 영향이 생기지 않은 경우를 가능으로 평가하였다. 그 밖의 경우를 불가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1 내지 13 및 비교예 11의 각 스테이터에서는 모두, 제2 비율을 10%로 하였다. 그리고 나서, 제1 비율을 각각 변화시켰다.
상기 결과로부터, 제2 비율이 10%인 경우, 제2 비율을 33%로 해도 접착 면적률은 40%로 된다(실시예 13). 단, 제1 비율이 33%를 초과하여, 예를 들어 36%로 되면(비교예 11), 접착 면적률이 40%를 초과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제1 비율이 4.9%로 되면(실시예 11), 스테이터를 케이스에 삽입하였을 때, 일부의 스테이터에 있어서 코어 백부의 상면이 박리되어, 접착 강도에 약간 영향이 생기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1)
실시예 21의 스테이터에서는 제1 비율을 6.6%, 제2 비율을 7%로 하였다. 이 스테이터에 있어서의 접착 면적률을 확인한 바 12%였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따르면, 자기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은 크다.
10: 회전 전기 기기
21: 스테이터 코어(적층 코어)
22: 코어 백부
23: 티스부
40: 전자 강판
41: 접착부
42: 접착 영역
43: 비접착 영역
21: 스테이터 코어(적층 코어)
22: 코어 백부
23: 티스부
40: 전자 강판
41: 접착부
42: 접착 영역
43: 비접착 영역
Claims (15)
- 서로 적층되고, 양면이 절연 피막에 의해 피복된 복수의 전자 강판과,
적층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전자 강판끼리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전자 강판끼리를 각각 접착하는 접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착부에 의한 상기 전자 강판의 접착 면적률이 1% 이상 40% 이하인, 적층 코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면적률이 1% 이상 20% 이하인, 적층 코어.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전자 강판의 주연을 따라 마련되어 있는, 적층 코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가 마련된 상기 전자 강판의 접착 영역과, 상기 전자 강판의 주연 사이에는, 상기 접착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기 전자 강판의 비접착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적층 코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전자 강판의 외주연을 따라 마련된 제1 접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자 강판의 비접착 영역은, 상기 제1 접착부가 마련된 상기 전자 강판의 접착 영역과, 상기 전자 강판의 외주연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적층 코어.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전자 강판의 내주연을 따라 마련된 제2 접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자 강판의 비접착 영역은, 상기 제2 접착부가 마련된 상기 전자 강판의 접착 영역과, 상기 전자 강판의 내주연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적층 코어.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강판은, 환형의 코어 백부와, 상기 코어 백부로부터 상기 코어 백부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됨과 함께 상기 코어 백부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티스부를 구비하는, 적층 코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에 의한 상기 코어 백부의 접착 면적은, 상기 접착부에 의한 상기 티스부의 접착 면적 이상인, 적층 코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강판은, 환형의 코어 백부와, 상기 코어 백부로부터 상기 코어 백부의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됨과 함께 상기 코어 백부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티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전자 강판의 외주연을 따라 마련된 제1 접착부와, 상기 전자 강판의 내주연을 따라 마련된 제2 접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접착부 중 상기 코어 백부의 외주연을 따라 마련되는 부분의 폭이, 상기 코어 백부의 폭에서 차지하는 비율인 제1 비율은 33% 이하이고,
상기 제2 접착부 중 상기 티스부의 측연을 따라 마련되는 부분의 폭이, 상기 티스부의 폭에서 차지하는 비율인 제2 비율은 10% 이하인, 적층 코어.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율은 5% 이상이고, 상기 제2 비율은 5% 이상인, 적층 코어.
-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율은 상기 제2 비율 이상인, 적층 코어.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의 평균 두께가 1.0㎛ 내지 3.0㎛인, 적층 코어.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의 평균 인장 탄성률 E가 1500MPa 내지 4500MPa인, 적층 코어.
-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가, 엘라스토머 함유 아크릴계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SGA를 포함하는 상온 접착 타입의 아크릴계 접착제인, 적층 코어.
-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코어를 구비하는, 회전 전기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8235855 | 2018-12-17 | ||
JPJP-P-2018-235855 | 2018-12-17 | ||
PCT/JP2019/049271 WO2020129928A1 (ja) | 2018-12-17 | 2019-12-17 | 積層コアおよび回転電機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3313A true KR20210083313A (ko) | 2021-07-06 |
KR102572555B1 KR102572555B1 (ko) | 2023-08-30 |
Family
ID=71100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16141A KR102572555B1 (ko) | 2018-12-17 | 2019-12-17 | 적층 코어 및 회전 전기 기기 |
Country Status (13)
Country | Link |
---|---|
US (1) | US11915860B2 (ko) |
EP (1) | EP3902108B1 (ko) |
JP (1) | JP7055209B2 (ko) |
KR (1) | KR102572555B1 (ko) |
CN (1) | CN113169593B (ko) |
BR (1) | BR112021008895A2 (ko) |
CA (1) | CA3131540A1 (ko) |
EA (1) | EA202192072A1 (ko) |
PL (1) | PL3902108T3 (ko) |
RS (1) | RS65860B1 (ko) |
SG (1) | SG11202108946VA (ko) |
TW (1) | TWI738152B (ko) |
WO (1) | WO202012992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BR112021009584A2 (pt) | 2018-12-17 | 2021-08-17 | Nippon Steel Corporation | núcleo laminado, bloco de núcleo, máquina elétrica rotativa e método para fabricar bloco de núcleo |
WO2020129941A1 (ja) | 2018-12-17 | 2020-06-25 | 日本製鉄株式会社 | 積層コア、積層コアの製造方法、および回転電機 |
EP3902112A4 (en) | 2018-12-17 | 2022-11-30 | Nippon Steel Corporation | ADHESIVE LAMINATION CORE FOR STATOR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AND ROTARY ELECTRICAL MACHINE |
CA3131659C (en) | 2018-12-17 | 2023-11-14 | Nippon Steel Corporation | Adhesively-laminated core for stator and electric motor |
CA3131661C (en) | 2018-12-17 | 2023-11-21 | Nippon Steel Corporation | Laminated core and electric motor |
CN113196617A (zh) | 2018-12-17 | 2021-07-30 | 日本制铁株式会社 | 层叠芯、其制造方法、以及旋转电机 |
CA3131669A1 (en) | 2018-12-17 | 2020-06-25 | Nippon Steel Corporation | Laminated core and electric motor |
US11996231B2 (en) | 2018-12-17 | 2024-05-28 | Nippon Steel Corporation | Laminated core and electric motor |
KR102583082B1 (ko) | 2018-12-17 | 2023-09-27 |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 접착 적층 코어, 그의 제조 방법 및 회전 전기 기계 |
JP7130042B2 (ja) | 2018-12-17 | 2022-09-02 | 日本製鉄株式会社 | 積層コアおよび回転電機 |
JP7576981B2 (ja) | 2018-12-17 | 2024-11-01 | 日本製鉄株式会社 | 積層コアおよび回転電機 |
EP3902104A4 (en) | 2018-12-17 | 2022-10-05 | Nippon Steel Corporation | LAMINATED CORE AND ROTATING ELECTRICAL MACHINE |
SG11202108982PA (en) | 2018-12-17 | 2021-09-29 | Nippon Steel Corp | Laminated core and electric motor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15302A (ja) * | 2005-07-08 | 2007-01-25 | Toyobo Co Ltd | ポリアミド系混合樹脂積層フィルムロ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2008067459A (ja) * | 2006-09-06 | 2008-03-21 | Mitsubishi Electric Corp | 積層コアおよびステータ |
JP2011023523A (ja) | 2009-07-15 | 2011-02-03 | Nippon Steel Corp | 良好な熱伝導性を有する電磁鋼板積層コアおよびその製造方法 |
WO2016017132A1 (ja) * | 2014-07-29 | 2016-02-04 | Jfeスチール株式会社 | 積層用電磁鋼板、積層型電磁鋼板、積層型電磁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自動車モーター用鉄心 |
JP2017011863A (ja) * | 2015-06-22 | 2017-01-12 | 新日鐵住金株式会社 | モータ鉄心用積層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7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386058A (en) | 1966-11-21 | 1968-05-28 | Westinghouse Electric Corp | Inductive assembly with supporting means |
US4025379A (en) | 1973-05-03 | 1977-05-24 | Whetstone Clayton N | Method of making laminated magnetic material |
US4103195A (en) | 1976-08-11 | 1978-07-25 | General Electric Company | Bonded laminations forming a stator core |
JPS5665326A (en) | 1979-10-29 | 1981-06-03 | Tdk Corp | Magnetic core for magnetic head |
JPS576427A (en) | 1980-06-11 | 1982-01-13 | Canon Inc | Manufacture of magnetic core |
US4413406A (en) | 1981-03-19 | 1983-11-08 | General Electric Company | Processing amorphous metal into packets by bonding with low melting point material |
JPS60170681A (ja) | 1984-02-16 | 1985-09-04 |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 接着剤組成物 |
JPS60186834A (ja) | 1984-03-07 | 1985-09-24 | Toray Ind Inc | 水現像可能な感光性樹脂版材 |
JPS63207639A (ja) | 1987-02-25 | 1988-08-29 | 日新製鋼株式会社 | 制振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
JPH03124247A (ja) | 1989-10-05 | 1991-05-27 | Aichi Emerson Electric Co Ltd | 回転電機の固定子 |
JPH03247683A (ja) | 1990-02-23 | 1991-11-05 | Sumitomo Chem Co Ltd | アクリル系接着剤組成物 |
JP2897344B2 (ja) | 1990-05-23 | 1999-05-31 |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 熱可塑性樹脂組成物 |
JPH08996B2 (ja) * | 1991-01-24 | 1996-01-10 | 新日本製鐵株式会社 | 溶接性、塗料密着性に優れた表面処理鋼板の製造方法 |
US5448119A (en) | 1991-03-29 | 1995-09-05 | Nagano Nidec Corporation | Spindle motor |
US5142178A (en) | 1991-04-12 | 1992-08-25 | Emerson Electric Co. | Apparatus for aligning stacked laminations of a dynamoelectric machine |
JPH0614481A (ja) | 1992-06-25 | 1994-01-21 | Mitsubishi Electric Corp | 電機子鉄心 |
JPH07118620A (ja) | 1993-10-22 | 1995-05-09 | Nippon Zeon Co Ltd | エポキシ系接着剤組成物 |
JPH07298567A (ja) | 1994-04-26 | 1995-11-10 | Honda Motor Co Ltd | 積層鋼板の接着用加熱装置 |
JPH08259899A (ja) | 1995-03-23 | 1996-10-08 | Three Bond Co Ltd | シアノアクリレート系接着剤組成物 |
JP3369941B2 (ja) | 1997-11-27 | 2003-01-20 | 日本鋼管株式会社 | 接着強度、耐食性及び耐ブロッキング性に優れた接着鉄芯用電磁鋼板の製造方法 |
JP2000050539A (ja) | 1998-07-28 | 2000-02-18 | Toshiba Corp | 回転電機の固定子鉄心、固定子鉄心用鋼板部品、固定子鉄心の製造方法および固定子鉄心用鋼板部品の製造方法 |
JP2000152570A (ja) | 1998-11-06 | 2000-05-30 | Toshiba Corp | 磁石鉄心の製造方法 |
JP2001115125A (ja) | 1999-10-01 | 2001-04-24 |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 ネオジム磁石用接着剤及びモータ |
FR2803126B1 (fr) | 1999-12-23 | 2006-04-14 | Valeo Equip Electr Moteur | Alternateur pour vehicule a stator generant peu de bruit magnetique |
JP2001251828A (ja) | 2000-03-02 | 2001-09-14 | Moric Co Ltd | 内燃機関用多極磁石式発電機 |
JP2002078257A (ja) | 2000-08-24 | 2002-03-15 | Mitsubishi Electric Corp | モーター及びそのローター |
JP2002164224A (ja) | 2000-08-30 | 2002-06-07 | Mitsui Chemicals Inc | 磁性基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4020236B2 (ja) | 2000-09-18 | 2007-12-12 |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 硬化性樹脂組成物、硬化体、接着剤組成物及び接合体 |
JP2002105283A (ja) | 2000-09-28 | 2002-04-10 | Nhk Spring Co Ltd | エポキシ樹脂分散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銅張り積層板及び銅張り金属基板 |
JP2002125341A (ja) * | 2000-10-16 | 2002-04-26 | Denki Kagaku Kogyo Kk | ステーター及びそれを用いたモーター |
JP2002151335A (ja) | 2000-11-10 | 2002-05-24 | Nippon Steel Corp | 鉄損特性の優れた積層鉄芯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3725776B2 (ja) | 2000-11-10 | 2005-12-14 | 新日本製鐵株式会社 | 積層鉄芯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
EP1241773B1 (en) | 2001-03-14 | 2012-09-12 | Nissan Motor Co., Ltd. | Rotating electrical machine with air-gap sleeve |
JP4076323B2 (ja) | 2001-05-08 | 2008-04-16 |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 硬化性樹脂組成物、硬化体、接着剤組成物及び接合体 |
JP4018885B2 (ja) | 2001-05-25 | 2007-12-05 |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 積層鉄心 |
JP3594003B2 (ja) | 2001-08-28 | 2004-11-24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回転電機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3169431A (ja) * | 2001-11-29 | 2003-06-13 | Hitachi Ltd | 電動機 |
JP2003199303A (ja) | 2001-12-27 | 2003-07-1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モータの製造方法 |
JP4165072B2 (ja) | 2002-01-15 | 2008-10-15 |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 接着剤組成物、接着フィルム、半導体搭載用配線基板及び半導体装置とその製造方法 |
JP2003219585A (ja) | 2002-01-22 | 2003-07-31 | Mitsubishi Electric Corp | 積層鉄心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3771933B2 (ja) | 2002-03-08 | 2006-05-10 | Jfeスチール株式会社 | 積層コア用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3284274A (ja) | 2002-03-22 | 2003-10-03 | Nippon Steel Corp | 永久磁石同期モータのロータ |
JP2003324869A (ja) * | 2002-05-08 | 2003-11-14 | Daikin Ind Ltd | 電動機及び圧縮機 |
JP2004088970A (ja) | 2002-08-29 | 2004-03-18 | Hitachi Ltd | 積層鉄心とそれを用いた回転電機およびトランス |
JP2004111509A (ja) | 2002-09-17 | 2004-04-08 | Nippon Steel Corp | 鉄損特性の優れた積層鉄芯及びその製造方法 |
JP4222000B2 (ja) | 2002-10-29 | 2009-02-12 | Nok株式会社 | 磁気エンコーダ |
JP3791492B2 (ja) | 2002-12-25 | 2006-06-28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回転電機及び電動車両並びに樹脂のインサート成形方法 |
JP4143090B2 (ja) | 2003-02-03 | 2008-09-03 | 新日本製鐵株式会社 | 接着用表面被覆電磁鋼板 |
JP4987216B2 (ja) | 2003-06-25 | 2012-07-25 | Jfeスチール株式会社 | 寸法精度に優れた積層コア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5269732A (ja) | 2004-03-17 | 2005-09-29 | Nippon Steel Corp | 鉄芯の製造方法とその方法に適した装置 |
JP2005268589A (ja) | 2004-03-19 | 2005-09-29 | Nippon Steel Corp | エネルギー変換機器用磁性部材の簡易製造方法 |
JP4548049B2 (ja) | 2004-09-01 | 2010-09-22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回転電機 |
JP4498154B2 (ja) | 2005-01-27 | 2010-07-07 | ファナック株式会社 | モータの製造方法、及びモータ製造装置 |
JP2006254530A (ja) | 2005-03-08 | 2006-09-21 | Mitsubishi Electric Corp | 電動機 |
JP2006288114A (ja) | 2005-04-01 | 2006-10-19 | Mitsui High Tec Inc | 積層鉄心、及び積層鉄心の製造方法 |
JP4861985B2 (ja) * | 2005-05-06 | 2012-01-25 | 株式会社ミツバ | 電動機、回転電機及びそのステータ、並びにこのステータの製造方法 |
JP2006353001A (ja) | 2005-06-15 | 2006-12-28 | Japan Servo Co Ltd | 積層鉄心と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
JP4586669B2 (ja) | 2005-08-01 | 2010-11-24 |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 回転子用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
JP2007053896A (ja) | 2005-08-17 | 2007-03-01 | Minebea Co Ltd | ステータ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
JP4236056B2 (ja) | 2006-02-08 | 2009-03-11 | 三菱電機株式会社 | 磁石発電機 |
KR100808194B1 (ko) | 2006-05-19 | 2008-02-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아우터 로터 타입 모터의 스테이터 |
EP2086089A4 (en) | 2006-10-13 | 2013-04-17 | Mitsui High Tec | LAMINATED IRON CO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ITMI20070508A1 (it) | 2007-03-14 | 2008-09-15 | Corrada Spa | Articolo laminare per uso elettrico procedimento e macchine per realizzare detto articolo laminare |
JP5129810B2 (ja) | 2007-05-09 | 2013-01-30 |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 積層鉄心及びその製造方法 |
WO2009011383A1 (ja) | 2007-07-19 | 2009-01-22 | Sekisui Chemical Co., Ltd. | 電子部品用接着剤 |
JP2009072035A (ja) | 2007-09-18 | 2009-04-02 | Meidensha Corp | 回転電機の回転子コア |
JP5211651B2 (ja) | 2007-11-15 | 2013-06-12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モ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
JP5172367B2 (ja) | 2008-01-23 | 2013-03-27 | 三菱電機株式会社 | 積層コア、積層コアの製造方法、積層コアの製造装置およびステータ |
WO2009101961A1 (ja) | 2008-02-15 | 2009-08-20 | Kuraray Co., Ltd. | 硬化性樹脂組成物および樹脂硬化物 |
JP5428218B2 (ja) | 2008-06-23 | 2014-02-26 | 富士電機株式会社 | 永久磁石形回転電機の回転子構造 |
JP2010081659A (ja) | 2008-09-24 | 2010-04-08 | Hitachi Ltd | 電動機及びそれを用いた電動圧縮機 |
CN102132366B (zh) * | 2009-01-14 | 2013-03-06 | 三菱电机株式会社 | 层叠铁芯的制造方法及其制造夹具 |
CN102325801B (zh) | 2009-01-15 | 2015-02-25 | 株式会社钟化 | 固化性组合物、其固化物、及其制备方法 |
JP5084770B2 (ja) | 2009-03-13 | 2012-11-28 | 三菱電機株式会社 | 電動機及び圧縮機及び空気調和機 |
GB2480958B (en) | 2009-03-26 | 2014-06-25 | Vacuumschmelze Gmbh & Co Kg | Laminated core with soft-magnetic material and method for joining core laminations by adhesive force to form a soft-magnetic laminated core |
JP2010239691A (ja) | 2009-03-30 | 2010-10-21 | Denso Corp | 回転電機の固定子及び回転電機 |
JP5444812B2 (ja) | 2009-04-22 | 2014-03-19 | Jfeスチール株式会社 | 高速モータ用コア材料 |
US20120088096A1 (en) | 2009-06-17 | 2012-04-12 | Kazutoshi Takeda | Electromagnetic steel sheet having insulating coat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PL2460652T3 (pl) | 2009-07-31 | 2016-07-29 |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 Laminowana blacha stalowa |
BE1019128A3 (nl) | 2009-11-06 | 2012-03-06 | Atlas Copco Airpower Nv | Gelamelleerde kern van een magneetlager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zulke gelamelleerde kern. |
JP5174794B2 (ja) * | 2009-12-04 | 2013-04-03 | 三菱電機株式会社 | 固定子鉄心及び固定子及び電動機及び圧縮機 |
JP5716339B2 (ja) | 2010-01-08 | 2015-05-13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粘接着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接着方法 |
JP5844963B2 (ja) | 2010-03-19 | 2016-01-20 |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 電子部品用接着剤 |
JP5459110B2 (ja) | 2010-06-30 | 2014-04-02 | 株式会社デンソー | 回転電機の固定子 |
JP2012029494A (ja) | 2010-07-26 | 2012-02-09 | Nissan Motor Co Ltd | 電動機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5350342B2 (ja) | 2010-09-08 | 2013-11-27 | 三菱電機株式会社 | 同期電動機の回転子 |
JP2012061820A (ja) | 2010-09-17 | 2012-03-29 | Dainippon Printing Co Ltd | 繊維強化複合材料の賦型方法 |
JP2012120299A (ja) | 2010-11-30 | 2012-06-21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ステータコア、回転電機およびステータコアの製造方法 |
JP5809819B2 (ja) | 2011-03-18 | 2015-11-11 | 富士重工業株式会社 | 回転電機 |
JP5915075B2 (ja) | 2011-10-21 | 2016-05-11 | Jfeスチール株式会社 | 積層コアの製造方法 |
CN104144797B (zh) | 2012-02-29 | 2016-06-22 | 株式会社普利司通 | 轮胎 |
JP5966445B2 (ja) | 2012-03-01 | 2016-08-10 |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 固定用樹脂組成物、ロータ、および自動車 |
KR101995611B1 (ko) | 2012-03-01 | 2019-07-02 |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 로터 고정용 수지 조성물, 로터, 및 자동차 |
DE102012005795A1 (de) | 2012-03-14 | 2013-09-19 | Kienle + Spiess Gmbh | Lamellenpake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
JP2013194130A (ja) | 2012-03-19 | 2013-09-30 | Nitto Denko Corp | 塗膜保護シート |
JP2013253153A (ja) | 2012-06-06 | 2013-12-19 | Mitsubishi Chemicals Corp | エポキシ樹脂、エポキシ樹脂組成物、硬化物及び光学部材 |
JP2014014231A (ja) | 2012-07-04 | 2014-01-23 | Mitsubishi Heavy Ind Ltd | 電動モータ |
JP2014019777A (ja) | 2012-07-18 | 2014-02-03 | Nitto Denko Corp | 表面保護シート |
JP6134497B2 (ja) | 2012-11-08 | 2017-05-24 | 京セラ株式会社 | 積層コアの製造方法 |
JPWO2014102915A1 (ja) | 2012-12-26 | 2017-01-12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低融点ガラス樹脂複合材料と、それを用いた電子・電気機器、アキシャルギャップモータ |
JP5896937B2 (ja) | 2013-02-08 | 2016-03-30 | 三菱電機株式会社 | 分割鉄心、及びこの分割鉄心を用いた固定子、並びにこの固定子を備えた回転電機 |
JP2015012756A (ja) | 2013-07-01 | 2015-01-19 | 日本精工株式会社 | ダイレクトドライブモータ |
US9490667B2 (en) * | 2013-07-23 | 2016-11-08 | General Electric Company | Apparatus and system for attaching integral spacers to laminations |
KR101539849B1 (ko) | 2013-09-23 | 2015-07-28 | 뉴모텍(주) | 절연 코팅에 적합한 구조를 갖는 모터의 적층 코어 |
JP6164039B2 (ja) | 2013-10-21 | 2017-07-19 |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 積層鉄心の製造方法 |
JP6066936B2 (ja) | 2014-01-17 | 2017-01-25 | 三菱電機株式会社 | 積層鉄心の製造方法、固定子の製造方法 |
JP6064923B2 (ja) | 2014-01-29 | 2017-01-25 | Jfeスチール株式会社 | 積層鉄心の製造方法 |
JP6065032B2 (ja) | 2014-01-29 | 2017-01-25 | Jfeスチール株式会社 | 積層鉄心製造方法および積層鉄心 |
JP6248711B2 (ja) | 2014-03-06 | 2017-12-20 | 株式会社デンソー | 回転電機の固定子 |
JP6226194B2 (ja) * | 2014-03-06 | 2017-11-08 | 株式会社デンソー | 回転電機の固定子 |
JP6383202B2 (ja) | 2014-07-24 | 2018-08-29 |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 積層鉄心の製造方法及び積層鉄心 |
JP6431316B2 (ja) | 2014-08-26 | 2018-11-28 | 日東シンコー株式会社 | モーター用絶縁シート |
JP6479392B2 (ja) | 2014-09-30 | 2019-03-06 |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 積層鉄心及びその製造方法 |
JP6303978B2 (ja) | 2014-10-27 | 2018-04-04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回転電機のステータ |
JP6247630B2 (ja) | 2014-12-11 | 2017-12-13 | Ckd株式会社 | コイルの冷却構造 |
JP6587800B2 (ja) | 2014-12-26 | 2019-10-09 | Jfeスチール株式会社 | 積層鉄心の製造方法 |
WO2016113876A1 (ja) | 2015-01-15 | 2016-07-21 | 三菱電機株式会社 | 回転電機 |
JP2016140134A (ja) | 2015-01-26 | 2016-08-04 |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 モータコアおよびモータコアの製造方法 |
JP6249417B2 (ja) | 2015-03-09 | 2017-12-20 | 三菱電機株式会社 | 回転電機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
JP6432397B2 (ja) | 2015-03-12 | 2018-12-05 |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 モータの製造方法およびモータコア |
JP6495092B2 (ja) | 2015-05-07 | 2019-04-03 |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 分割型積層鉄心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16226170A (ja) | 2015-05-29 | 2016-12-28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電動機用積層コア |
JP6627270B2 (ja) | 2015-06-12 | 2020-01-08 |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 整流子 |
JP2017028911A (ja) | 2015-07-24 | 2017-02-02 | 日東シンコー株式会社 | 回転電機用絶縁紙 |
WO2017033229A1 (ja) | 2015-08-21 | 2017-03-02 | 三菱電機株式会社 | 永久磁石埋込型モータ、圧縮機、および冷凍空調装置 |
JP6429129B2 (ja) | 2015-08-26 | 2018-11-28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ロータの製造方法 |
WO2017061625A1 (ja) | 2015-10-07 | 2017-04-13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接着シートセットおよび物品の製造方法 |
JP6560588B2 (ja) * | 2015-10-08 | 2019-08-14 |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 誘導加熱装置、及び発電システム |
JP2017075279A (ja) | 2015-10-16 | 2017-04-20 | 株式会社菱晃 | 接着剤及び接合体 |
CN108352734B (zh) * | 2015-11-25 | 2019-06-04 | 三菱电机株式会社 | 旋转电机及旋转电机的制造方法 |
US10658885B2 (en) | 2015-11-27 | 2020-05-19 | Nidec Corporation | Mo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otor |
WO2017104479A1 (ja) * | 2015-12-18 | 2017-06-22 | Dic株式会社 | 熱硬化性接着シート、補強部付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そ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
CN108699217B (zh) | 2016-02-25 | 2020-10-30 | 日立化成株式会社 | 环氧树脂组合物、半固化环氧树脂组合物、固化环氧树脂组合物、成型物及成型固化物 |
WO2017170957A1 (ja) | 2016-03-31 | 2017-10-05 | デンカ株式会社 | 組成物 |
JP6452166B2 (ja) * | 2016-05-13 | 2019-01-16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回転電機およびその製造方法 |
WO2017199527A1 (ja) | 2016-05-20 | 2017-11-23 | 日本電産株式会社 | ステータコアの製造方法 |
CN107674499B (zh) | 2016-08-01 | 2021-07-13 | 株式会社理光 | 墨水,墨水容器,液体排出装置,图像形成方法及其装置 |
JP6874550B2 (ja) | 2016-08-01 | 2021-05-19 | 株式会社リコー | インク、インク容器、画像形成方法、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物、及び液体吐出装置 |
JP6376706B2 (ja) * | 2016-08-29 | 2018-08-22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積層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
WO2018043429A1 (ja) | 2016-09-01 | 2018-03-08 | 三菱電機株式会社 | 積層鉄心、積層鉄心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鉄心を用いた電機子 |
JP6848314B2 (ja) | 2016-10-03 | 2021-03-24 | 日本製鉄株式会社 | ステータコアおよび回転電機 |
JP6724735B2 (ja) | 2016-11-08 | 2020-07-15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回転電機のステータ |
KR101874918B1 (ko) | 2016-11-15 | 2018-07-06 |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 저비중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성형품 |
CN108155730B (zh) | 2016-12-06 | 2022-02-25 |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 铁芯和电机 |
JP6905905B2 (ja) | 2016-12-06 | 2021-07-21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鉄心およびモータ |
WO2018105473A1 (ja) | 2016-12-07 | 2018-06-14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鉄心及びモータ |
JP6543608B2 (ja) | 2016-12-22 | 2019-07-10 |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 積層鉄心の製造方法及び積層鉄心の製造装置 |
WO2018138864A1 (ja) | 2017-01-27 | 2018-08-02 | 三菱電機株式会社 | 固定子、電動機、圧縮機、および冷凍空調装置 |
FR3062970B1 (fr) | 2017-02-13 | 2021-07-23 | Valeo Equip Electr Moteur | Stator de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
JP2018138634A (ja) | 2017-02-24 | 2018-09-06 |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 樹脂組成物および該樹脂組成物を用いた半導体装置 |
JP6866696B2 (ja) | 2017-03-07 | 2021-04-28 | 日本製鉄株式会社 | 無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モータコア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WO2018199269A1 (ja) | 2017-04-26 | 2020-04-23 | 東亞合成株式会社 | 接着剤組成物 |
US11496005B2 (en) | 2017-05-10 | 2022-11-08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Stator, electric motor, compressor, refrigerating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ator |
EP3633830A4 (en) | 2017-05-23 | 2021-03-17 | Three Bond Co., Ltd. |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LAMINATED STEEL SHEET, LAMINATED STEEL SHEET, MOTOR AND ADHESIVE COMPOSITION FOR LAMINATED STEEL SHEETS |
JP2018201303A (ja) | 2017-05-29 | 2018-12-20 | 日本電産株式会社 | モータ |
JP6972138B2 (ja) | 2017-08-25 | 2021-11-24 | 三菱電機株式会社 | 分割コア連結体および電機子の製造方法 |
DE102017010685A1 (de) | 2017-11-16 | 2019-05-16 | Wieland-Werke Ag | Kurzschlussläuf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urzschlussläufers |
JP6826566B2 (ja) | 2018-08-06 | 2021-02-03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回転電機用ステータコアおよび回転電機 |
KR102583082B1 (ko) | 2018-12-17 | 2023-09-27 |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 접착 적층 코어, 그의 제조 방법 및 회전 전기 기계 |
CN113196617A (zh) | 2018-12-17 | 2021-07-30 | 日本制铁株式会社 | 层叠芯、其制造方法、以及旋转电机 |
EP3902104A4 (en) | 2018-12-17 | 2022-10-05 | Nippon Steel Corporation | LAMINATED CORE AND ROTATING ELECTRICAL MACHINE |
WO2020129941A1 (ja) | 2018-12-17 | 2020-06-25 | 日本製鉄株式会社 | 積層コア、積層コアの製造方法、および回転電機 |
TWI734303B (zh) | 2018-12-17 | 2021-07-21 | 日商日本製鐵股份有限公司 | 積層鐵芯及旋轉電機 |
EP3902112A4 (en) | 2018-12-17 | 2022-11-30 | Nippon Steel Corporation | ADHESIVE LAMINATION CORE FOR STATOR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AND ROTARY ELECTRICAL MACHINE |
CA3131661C (en) | 2018-12-17 | 2023-11-21 | Nippon Steel Corporation | Laminated core and electric motor |
WO2020129929A1 (ja) | 2018-12-17 | 2020-06-25 | 日本製鉄株式会社 | ステータ用接着積層コアおよび回転電機 |
CA3131659C (en) | 2018-12-17 | 2023-11-14 | Nippon Steel Corporation | Adhesively-laminated core for stator and electric motor |
JP7130042B2 (ja) | 2018-12-17 | 2022-09-02 | 日本製鉄株式会社 | 積層コアおよび回転電機 |
JP7576981B2 (ja) | 2018-12-17 | 2024-11-01 | 日本製鉄株式会社 | 積層コアおよび回転電機 |
US11996231B2 (en) | 2018-12-17 | 2024-05-28 | Nippon Steel Corporation | Laminated core and electric motor |
CA3131669A1 (en) | 2018-12-17 | 2020-06-25 | Nippon Steel Corporation | Laminated core and electric motor |
SG11202108982PA (en) | 2018-12-17 | 2021-09-29 | Nippon Steel Corp | Laminated core and electric motor |
BR112021009584A2 (pt) | 2018-12-17 | 2021-08-17 | Nippon Steel Corporation | núcleo laminado, bloco de núcleo, máquina elétrica rotativa e método para fabricar bloco de núcleo |
TWI720745B (zh) | 2018-12-17 | 2021-03-01 | 日商日本製鐵股份有限公司 | 定子用接著積層鐵芯、其製造方法、及旋轉電機 |
TWI717940B (zh) | 2018-12-17 | 2021-02-01 | 日商日本製鐵股份有限公司 | 定子用接著積層鐵芯及旋轉電機 |
-
2019
- 2019-12-17 BR BR112021008895-4A patent/BR112021008895A2/pt unknown
- 2019-12-17 TW TW108146222A patent/TWI738152B/zh active
- 2019-12-17 WO PCT/JP2019/049271 patent/WO202012992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9-12-17 US US17/294,955 patent/US11915860B2/en active Active
- 2019-12-17 PL PL19898927.9T patent/PL3902108T3/pl unknown
- 2019-12-17 EA EA202192072A patent/EA202192072A1/ru unknown
- 2019-12-17 SG SG11202108946VA patent/SG11202108946VA/en unknown
- 2019-12-17 CN CN201980079490.XA patent/CN113169593B/zh active Active
- 2019-12-17 KR KR1020217016141A patent/KR10257255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12-17 CA CA3131540A patent/CA3131540A1/en active Pending
- 2019-12-17 EP EP19898927.9A patent/EP3902108B1/en active Active
- 2019-12-17 RS RS20240928A patent/RS65860B1/sr unknown
- 2019-12-17 JP JP2020536820A patent/JP7055209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15302A (ja) * | 2005-07-08 | 2007-01-25 | Toyobo Co Ltd | ポリアミド系混合樹脂積層フィルムロ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2008067459A (ja) * | 2006-09-06 | 2008-03-21 | Mitsubishi Electric Corp | 積層コアおよびステータ |
JP2011023523A (ja) | 2009-07-15 | 2011-02-03 | Nippon Steel Corp | 良好な熱伝導性を有する電磁鋼板積層コアおよびその製造方法 |
WO2016017132A1 (ja) * | 2014-07-29 | 2016-02-04 | Jfeスチール株式会社 | 積層用電磁鋼板、積層型電磁鋼板、積層型電磁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自動車モーター用鉄心 |
JP2017011863A (ja) * | 2015-06-22 | 2017-01-12 | 新日鐵住金株式会社 | モータ鉄心用積層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A202192072A1 (ru) | 2021-11-09 |
KR102572555B1 (ko) | 2023-08-30 |
TWI738152B (zh) | 2021-09-01 |
WO2020129928A1 (ja) | 2020-06-25 |
SG11202108946VA (en) | 2021-09-29 |
EP3902108B1 (en) | 2024-06-12 |
EP3902108A4 (en) | 2022-10-05 |
CN113169593B (zh) | 2024-10-25 |
CN113169593A (zh) | 2021-07-23 |
JP7055209B2 (ja) | 2022-04-15 |
PL3902108T3 (pl) | 2024-10-14 |
CA3131540A1 (en) | 2020-06-25 |
US11915860B2 (en) | 2024-02-27 |
EP3902108A1 (en) | 2021-10-27 |
US20220020530A1 (en) | 2022-01-20 |
TW202037043A (zh) | 2020-10-01 |
JPWO2020129928A1 (ja) | 2021-02-15 |
RS65860B1 (sr) | 2024-09-30 |
BR112021008895A2 (pt) | 2021-08-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72555B1 (ko) | 적층 코어 및 회전 전기 기기 | |
JP7568943B2 (ja) | 積層コアおよび回転電機 | |
JP7412351B2 (ja) | 積層コアおよび回転電機 | |
KR102643516B1 (ko) | 적층 코어 및 회전 전기 기계 | |
KR102607589B1 (ko) | 적층 코어 및 회전 전기 기기 | |
TWI732384B (zh) | 積層鐵芯及旋轉電機 | |
JP2023017058A (ja) | ステータ用接着積層コア | |
KR20210082509A (ko) | 적층 코어, 코어 블록, 회전 전기 기기 및 코어 블록의 제조 방법 | |
KR20210087069A (ko) | 스테이터용 접착 적층 코어 및 회전 전기 기기 | |
KR20210083337A (ko) | 스테이터용 접착 적층 코어 및 회전 전기 기기 | |
KR102695729B1 (ko) | 코어 블록, 적층 코어 및 회전 전기 기기 | |
EA041716B1 (ru) | Шихтованный сердечник и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ь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