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6435A - 잉크젯 기록용 블랙 잉크 - Google Patents

잉크젯 기록용 블랙 잉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6435A
KR20110056435A KR1020117011159A KR20117011159A KR20110056435A KR 20110056435 A KR20110056435 A KR 20110056435A KR 1020117011159 A KR1020117011159 A KR 1020117011159A KR 20117011159 A KR20117011159 A KR 20117011159A KR 20110056435 A KR20110056435 A KR 20110056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groups
dye
ink
heterocyc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1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5946B1 (ko
Inventor
토시키 타구치
타카시 오자와
마나부 오가와
나오타카 와치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56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9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2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40Ink-set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inkjet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견뢰도 및 우수한 토출 안정성을 가지며, 블리딩 문제없이 우수한 화상을 부여하는 잉크젯 기록용 잉크 및 잉크셋을 제공하는 것으로, 잉크젯 인쇄용 옐로우 잉크, 블랙 잉크 및 마젠타 잉크는 각각 산화전위가 1.0(vs SCE)를 초과하는 2개 이상의 염료를 함유한다.

Description

잉크젯 기록용 블랙 잉크{BLACK INK FOR INKJET RECORDING}
본 발명은 보존 안정성이 양호한 화상을 제공하고, 장기간 보존 후에도 항상 양호한 토출 안정성을 나타내는 잉크젯 기록용 잉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컴퓨터의 대중화와 함께, 잉크젯 프린터가 사무작업 뿐만 아니라 가정용으로도 종이, 필름, 천 등에 인쇄하기 위해 다용되고 있다.
잉크젯 기록방법으로는 압전소자를 사용하여 압력을 잉크액적에 가하여, 잉크액적을 토출시키는 방식, 잉크에 열적으로 기포를 발생시켜 액적을 토출하는 방식, 초음파를 사용하는 방식 및 정전기력에 의해 잉크액적을 흡인토출하는 방식이 열거된다. 이러한 잉크젯 기록용 잉크 조성물로는 수성 잉크, 유성 잉크 및 고체(용융) 잉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그 생산성, 취급성, 무취 및 안전성 때문에 수성 잉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잉크젯 기록잉크에 사용되는 착색제는 하기 요구조건: 용제에 대한 용해성이 우수하고; 고농도 기록이 가능하고; 색상이 양호하고; 빛, 열, 공기, 물 및 화학약품에 대한 견뢰도가 양호하고; 수상 재료에 대한 정착성이 양호하여 거의 블리드 아웃하지 않고; 잉크의 보존 안정성이 양호하고; 독성이 없고; 순도가 높으며; 저렴하고 입수가 용이함을 만족시켜야만 한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요구조건을 높은 수준으로 만족시키는 착색제를 구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미 잉크젯 기록용으로서 각종의 염료 및 안료가 제안되어 있고, 현재 실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에는 상기 요구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착색제가 알려져 있지 않다. 색지수(C.I.) 목록에 올라 있는 것 등의 종래부터 미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는 염료 및 안료가 잉크젯 기록용 잉크에 필요한 색상 및 견뢰도 모두를 만족시킬 수 없었다.
염료를 함유하는 잉크젯 잉크를 검토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복소환식 아조계 옐로우 염료가 우수한 내후성을 갖는 것을 알아내었다(예컨대, 일본특허공개 2004-168865호 공보).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상기 염료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염료가 다른 염료와 혼합되는 그레이 영역에서의 광견뢰도가 좋지 않다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알았다.
한편, 마젠타 염료는 그 종류에 따라서 장점 및 단점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일부 마젠타 염료는 견뢰도는 우수하지만, 고습도 조건에서는 화상을 블리딩시키는 반면, 그외의 일부 마젠타 염료는 평균 수준의 견뢰도를 갖지만, 중량당 흡수상수가 낮기 때문에 잉크젯 잉크의 토출 안정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단독 염료로는 잉크젯 잉크에 대한 필요 요구조건을 모두 충족시킬 수 없다는 것을 알았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수성 블랙잉크는 화상 내구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는 것을 알았다. 카본블랙이외에, 문자 등의 블랙화상을 단독으로 고품질로 제공할 수 있는 블랙 염료는 거의 없다는 것은 공지되어 있으며, 본 발명자들은 목적한 블랙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다른 흡수 스펙트럼을 갖는 다른 종류의 염료를 일부 혼합해야만 한다는 것을 알았다. 그러나, 이 경우, 혼합하는 염료간 퇴색속도가 다를 수 있고, 또 브로드한 흡수특성을 갖는 염료가 퇴색되어 흡수파장이 변화되는 경우에는, 블랙 함유 화상의 화질이 현저하게 열화된다는 것을 더 알았다.
이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서, 종류가 다른 염료를 혼합하는 방법이 검토될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구조를 갖는 군의 염료를 혼합한 경우에는, 반사농도가 높은 블랙 화상을 얻기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수용성 블랙 잉크는 브로드한 파장 범위를 커버하는 흡수특성을 만족시켜아만 하므로, 그 고체 농도가 증가하기 쉬워, 잉크의 토출 안정성이 열화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빛, 열 및 오존가스에 대한 견뢰도가 우수하고 토출 안정성이 우수하며, 블리딩에 대해서 우수한 내화상성을 제공하는 잉크젯 기록용 잉크 및 잉크셋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1~6의 잉크젯 기록용 블랙 잉크에 의해 달성된다.
1. 수성 매체; 및 2개 이상의 염료를 함유하는 잉크젯 기록용 블랙 잉크로서,
상기 2개 이상의 염료는 각각 독립적으로 λmax가 500~700nm이고; 또한 λmax에서 흡광도 1.0을 갖도록 규격화된 희석용액의 흡수 스펙트럼에 있어서의 반치폭이 100nm 이상이고,
상기 2개 이상의 염료 중 하나 이상은 산화전위가 1.0V(vs SCE) 보다 높은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용 블랙 잉크.
2. 1.에 있어서, λmax가 350~500nm인 염료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용 블랙 잉크.
3.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염료는 일반식(B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용 블랙 잉크.
(B1) A41-N=N-A42-N=N-A43
(식중, A41, A42 및 A43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방향족기 또는 복소환기를 나타내고; A41과 A43은 1가의 기이고; A42는 2가의 기이다.)
4.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염료는 일반식(B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용 블랙 잉크.
(B2) P-(N=N-Qx)y-N=N-R
(식중, P, Q 및 R은 각각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방향족기를 나타내고; x는 1 이상의 정수이고; y는 0 이상의 정수이다.)
5. 4.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B2)에 있어서의 Q는 다환식 방향족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용 블랙 잉크.
6. 5.에 있어서, 3.의 λmax가 350~500nm인 염료는 일반식(B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용 블랙 잉크.
본 발명은 순색이거나 혼합색일 경우에도 양호한 내후성 및 양호한 토출 안정성을 항상 확보하고 나타내는 잉크젯 기록용 옐로우 잉크 및 잉크셋을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2종 이상의 종류가 다른 블랙 염료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흡수특성이 우수하고 평평한 스펙트럼을 갖는 블랙 잉크를 이루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농도의 블랙 화상을 이루었고, 또한 종래부터 그 용해성의 점에서 관련분야에서 논의되고 있는 블랙 잉크가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본 발명의 블랙 잉크 및 잉크셋은 양호한 잉크젯 안정성을 가지며, 또한 우수한 내구성의 고농도 화상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양호한 보존 안정성의 화상을 제공하며, 또한 장기간 보존 후에도 항상 양호한 토출 안정성을 나타내는 잉크젯 기록용 마젠타 잉크 및 잉크셋을 달성하였다.
이하에,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잉크의 λmax는 잉크의 수용액이 흡수 스펙트럼 측정시 최대 흡수를 나타내는 파장이고, 여기서 상기 잉크의 수용액은 최대 흡광도가 1~2가 되도록 물로 희석된다.
본 발명의 옐로우 잉크는 λmax가 390~470nm이고 반치폭이 100nm 미만인 잉크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옐로우 염료의 산화전위는 1.00V(vs SCE)를 초과하는 것이 특히 오존가스에 대한 견뢰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염료의 산화전위는 1.1V(vs SCE)를 초과하는 것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V(vs SCE)를 초과하는 것이다. 그 종류로는, 상술한 물리적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는 아조 염료가 특히 바람직하다.
염료의 산화전위(Eox)는 당업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측정방법은, 예컨대 P. Delahay, New Instrumental Methods in Electrochemistry, 1954, Interscience 출판; A. J. Bard 등의 Electrochemical Methods, 1980, John Wiley & Sons 출판; A. Fujishima 등의 Electrochemical Measurement Methods, 1984, Gihodo 출판에 기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산화전위는 다음과 같이 측정할 수 있다: 분석할 샘플을 나트륨 퍼클로레이트 또는 테트라프로필암모늄 퍼클로레이트 등의 지지전해질을 함유하는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아세토니트릴 등의 용제에 농도 1×10-6~1×10-2mol/L가 되도록 용해시키고, 그 산화전위값 대 SCE의 값(포화 칼로멜 전극)을 순환전압전류법으로 측정한다. 산화전위값은 액간 전위의 영향 또는 샘플용액 저항에 의해 수십 밀리볼트 정도는 벗어나 있어도 좋지만, 기준 샘플(예컨대, 히드로퀴논)로 보정해도 좋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와 같이 하여 측정한 전위값의 재현성을 확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염료의 산화전위를 지지전해질, 테트라프로필암모늄 퍼클로레이트(vs SCE)를 0.1molㆍdm-3 함유하는 디메틸포름아미드(여기서, 염료의 농도는 0.001molㆍdm-3임)에서 측정하여, 그 전위를 무작위로 정한다.
Eox는 샘플로부터 전극으로의 전자 이동도를 나타낸다. Eox 값이 큰 샘플이란(양의 산화전위를 갖는 것들), 그것으로부터 전극으로 전자가 거의 이동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즉 상기 샘플이 거의 산화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화합물의 구조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전자끄는기를 도입함으로써 화합물이 양의 산화전위를 갖게 되는 반면, 전자주는기를 도입함으로써 음의 산화전위를 갖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자끄는기를 염료의 골격에 도입하여, 염료가 양의 산화전위를 갖게 하여 친전자제 형태인 오존과의 염료의 반응성을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호한 견뢰도 이외에, 본 발명에 사용되는 옐로우 염료는 양호한 색상을 부여하여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염료의 흡수 스펙트럼 패턴의 장파장측이 예리한 엔딩 테일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옐로우 염료의 λmax는 390~470nm이고, λmax에서의 흡광도 I(λmax)에 대한 (λmax+70nm)에서의 흡광도 I(λmax+70nm)의 비율 I(λmax+70nm)/I(λmax)는 0.4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10 이하이다.
상기 흡광도비는 디아조 성분과 커플러 성분의 전이 모먼트가 그 사이에 샌드위치된 아조기를 사용하여 가능한 한 균일하게 되도록 염료 분자를 구체적으로 설계함으로써 상술한 소망하는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정의된 흡수파장 및 흡광도는 용제(물 또는 에틸아세테이트)에서 측정한 것이다.
상술한 산화전위 및 흡광도 특성을 만족시키는 염료로는, 하기 일반식(Y1)의 것이 본 발명에 사용된다.
(Y1) (A11-N=N-B11)n-L
식(Y1)에 있어서, A11 및 B11은 각각 독립적으로 필요에 따라 치환된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복소환으로는 5원 또는 6원의 헤테로환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단환구조 또는 2개 이상의 환이 서로 축합된 다환구조를 가져도 좋고; 또는 방향족 헤테로환 또는 비방향족 헤테로환이어도 좋다. 상기 헤테로환을 구성하는 헤테로원자로는 바람직하게는 N, O 및 S원자가 열거된다. n은 1 또는 2에서 선택되는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2이다. L은 A11 또는 B11의 임의의 소정 위치에 결합되어 있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n이 1인 경우, L은 수소원자 또는 1가의 치환기이고; n이 2인 경우, L은 단일결합 또는 2가의 연결기이다. n이 2인 경우, 2개의 A는 같거나 달라도 좋고, 또 2개의 B는 같거나 달라도 좋다.
일반식(Y1)에 있어서, A11의 헤테로환으로는 5-피라졸론, 피라졸, 트리아졸, 옥사졸론, 이소옥사졸론, 바르비투르산, 피리돈, 피리딘, 로다닌, 피라졸리딘디온, 피라졸로피리돈, 멜드럼산 및 이들 헤테로환과 임의의 추가의 탄화수소 방향족환 또는 헤테로환이 축합하여 형성된 축합 헤테로환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5-피라졸론, 5-아미노피라졸, 피리돈, 2,6-디아미노피리딘 및 피라졸로아졸이 바람직하고; 5-아미노피라졸, 2-히드록시-6-피리돈 및 피라졸로트리아졸이 더욱 바람직하다.
B11의 헤테로환으로는 피리딘, 피라진, 피리미딘, 피리다진, 트리아진, 퀴놀린, 이소퀴놀린, 퀴나졸린, 신놀린, 프탈라진, 퀴녹살린, 피롤, 인돌, 푸란, 벤조푸란, 티오펜, 벤조티오펜, 피라졸, 이미다졸, 벤즈이미다졸, 트리아졸, 옥사졸, 이소옥사졸, 벤조옥사졸, 트리아졸, 벤조티아졸, 이소티아졸, 벤즈이소티아졸, 티아디아졸, 벤즈이소옥사졸, 피롤리딘, 피페리딘, 피페라진, 이미다졸리딘, 티아졸린이 바람직하다. 이 중에서, 보다 바람직한 것은 피리딘, 퀴놀린, 티오펜, 벤조티오펜, 피라졸, 이미다졸, 벤즈이미다졸, 트리아졸, 옥사졸, 이소옥사졸, 벤조옥사졸, 티아졸, 벤조티아졸, 이소티아졸, 벤즈이소티아졸, 티아디아졸, 벤즈이소옥사졸이고; 더욱 바람직한 것은 퀴놀린, 티오펜, 피라졸, 티아졸, 벤조옥사졸, 벤즈이소옥사졸, 이소티아졸, 이미다졸, 벤조티아졸, 티아디아졸이고; 특히 바람직한 것은 피라졸, 벤조티아졸, 벤조옥사졸, 이미다졸, 1,2,4-티아디아졸, 1,3,4-티아디아졸이다.
A11 및 B11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그 치환기의 예로는 할로겐원자,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랄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아릴기, 복소환기, 시아노기, 히드록시기, 니트로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실릴옥시기, 복소환식 옥시기, 아실옥시기, 카르바모일옥시기, 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 아릴옥시카르보닐옥시기, 아미노기, 아실아미노기, 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기,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 아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 술파모일아미노기, 알킬 또는 아릴술포닐아미노기, 메르캅토기, 알킬티오기, 아릴티오기, 복소환식 티오기, 술파모일기, 알킬 또는 아릴술피닐기, 알킬 또는 아릴술포닐기, 아실기, 아릴옥시카르보닐기, 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바모일기, 이미도기, 포스피노기, 포스피닐기, 포스피닐옥시기, 포스피닐아미노기, 실릴기 및 후술하는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L의 1가의 치환기로는 A11 및 B11에 있어서의 치환가능한 치환기 및 후술하는 이온성 친수성기가 열거된다.
L의 2가의 연결기로는 알킬렌기, 아릴렌기, 헤테로환 잔기, -CO-, -SOn-(n은 0, 1 또는 2임), -NR-(R은 수소원자, 알킬기 또는 아릴기임), -O- 및 이들 연결기가 조합된 다른 2가의 기가 열거된다. 이들 기는 A11 및 B11에서 상술한 것 및 후술하는 이온성 친수성기 등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다.
일반식(Y1)의 염료가 수용성 염료로서 사용되는 경우, 염료는 1개 이상의 이온성 친수성 기를 분자내에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온성 친수성기로는, 예컨대 술포기, 카르복실기, 포스포노기 및 4급 암모늄기가 열거된다. 이온성 친수성기로는 카르복실기, 포스포노기 및 술포기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기 및 술포기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개 이상의 이온성 친수성기가 카르복실기인 것이다. 카르복실기, 포스포노기 및 술포기는 염을 형성해도 좋다. 염을 형성하는 카운터 이온의 예로는 암모늄이온, 알칼리 금속이온(예컨대, 리튬이온, 나트륨이온, 칼륨이온) 및 유기 양이온(예컨대, 테트라메틸암모늄이온, 테트라메틸구아니듐이온, 테트라메틸포스포늄이온)이 있다. 카운터 이온으로는 알칼리 금속이온이 바람직하다.
일반식(Y1)의 염료 중에서, A11-N=N-B11의 일부가 하기 일반식(Y4), (Y5) 또는 (Y6)으로 표시되는 것들이 바람직하다.
(Y4)
Figure pat00001
식중, R1 및 R3은 각각 수소원자, 시아노기,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랄킬기, 알콕시기, 알킬티오기, 아릴티오기, 아릴기 또는 이온성 친수성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원자,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랄킬기, 카르바모일기, 아실기, 아릴기 또는 복소환기를 나타내고; R4는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Y5)
Figure pat00002
식중, R5는 수소원자, 시아노기,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랄킬기, 알콕시기, 알킬티오기, 아릴티오기, 아릴기 또는 이온성 친수성기를 나타내고; Za는 -N=, -NH- 또는 -C(R11)=을 나타내고: Zb 및 Zc는 각각 독립적으로 -N= 또는 -C(R11)=을 나타내고; R11은 수소원자 또는 비금속성 치환기를 나타내고; R6는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Y6)
Figure pat00003
식중, R7 및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시아노기,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랄킬기, 아릴기, 알킬티오기, 아릴티오기, 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바모일기 또는 이온성 친수성기를 나타내고; R8은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기, 아릴옥시기, 시아노기, 아실아미노기, 술포닐아미노기,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 우레이도기, 알킬티오기, 아릴티오기, 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바모일기, 술파모일기, 술포닐기, 아실기, 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히드록시기 또는 이온성 친수성기를 나타내고; R10은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일반식(Y4), (Y5) 및 (Y6)에 있어서의 R1, R2, R3, R5, R7, R8 및 R9의 알킬기로는 치환 알킬기 및 미치환 알킬기가 열거된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0개의 알킬기이다. 알킬기의 치환기로는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시아노기, 할로겐원자 및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알킬기의 예로는 메틸, 에틸, 부틸, 이소프로필, t-부틸, 히드록시에틸, 메톡시에틸, 시아노에틸, 트리플루오로메틸, 3-술포프로필 및 4-술포부틸기가 있다.
R1, R2, R3, R5, R7, R8 및 R9의 시클로알킬기로는 치환 시클로알킬기 및 미치환 시클로알킬기가 열거된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5~12개의 시클로알킬기이다. 시클로알킬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시클로알킬기의 예로는 시클로헥실기가 있다. R1, R2, R3, R5, R7, R8 및 R9의 아랄킬기로는 치환 아랄킬기 및 미치환 아랄킬기가 열거된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7~20개의 아랄킬기이다. 아랄킬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아랄킬기의 예로는 벤질 및 2-페네틸기가 있다.
R1, R2, R3, R5, R7, R8 및 R9의 아릴기로는 치환 아릴기 또는 미치환 아릴기가 열거된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20개의 아릴기이다. 아릴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알킬기, 알콕시기, 할로겐원자, 알킬아미노기 및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아릴기의 예로는 페닐, p-톨릴, p-메톡시페닐, o-클로로페닐 및 m-(3-술포프로필아미노)페닐기가 있다.
R1, R2, R3, R5, R7, R8 및 R9의 알킬티오기로는 치환 알킬티오기 및 미치환 알킬티오기가 열거된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0개의 알킬티오기이다. 알킬티오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알킬티오기의 예로는 메틸티오기 및 에틸티오기가 있다. R1, R2, R3, R5, R7, R8 및 R9의 아릴티오기로는 치환 아릴티오기 및 미치환 아릴티오기가 열거된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20개의 아릴티오기이다. 아릴티오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알킬기 및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아릴티오기의 예로는 페닐티오기 및 p-톨릴티오기가 있다.
R2의 복소환기로는 5원 또는 6원이 바람직하고, 임의의 다른 환과 축합되어도 좋다. 헤테로환을 구성하는 헤테로원자로는 N, S 및 O가 바람직하다. 상기 기의 헤테로환은 방향족 복소환 또는 비방향족 복소환이어도 좋다. 헤테로환은 더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환의 치환기로는 상술한 아릴기에서의 것과 동일한 것이 열거된다. 바람직하게는, 헤테로환은 6원의 질소함유 방향족 복소환이고, 그 바람직한 예로는 트리아진, 피리미딘 및 프탈라진이 있다.
R8의 할로겐원자로는 불소원자, 염소원자 및 브롬원자가 열거된다. R1, R3, R5 및 R8의 알콕시기로는 치환 알콕시기 및 미치환 알콕시기가 열거된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0개의 알콕시기이다. 알콕시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히드록시기 및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알콕시기의 예로는 메톡시, 에톡시, 이소프로폭시, 메톡시에톡시, 히드록시에톡시 및 3-카르복시프로폭시기가 있다.
R8의 아릴옥시기로는 치환 아릴옥시기 및 미치환 아릴옥시기가 열거된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20개의 아릴옥시기이다. 아릴옥시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알콕시기 및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아릴옥시기의 예로는 페녹시, p-메톡시페녹시 및 o-메톡시페녹시기가 있다. R8의 아실아미노기로는 치환 아실아미노기 및 미치환 아실아미노기가 열거된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20개의 아실아미노기이다. 아실아미노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아실아미노기의 예로는 아세트아미도, 프로피온아미도, 벤즈아미도 및 3,5-디술포벤즈아미도기가 있다.
R8의 술포닐아미노기로는 치환 술포닐아미노기 및 미치환 술포닐아미노기가 열거된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0개의 술포닐아미노기이다. 술포닐아미노기의 예로는 메틸술포닐아미노 및 에틸술포닐아미노기가 있다. R8의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로는 치환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 및 미치환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가 열거된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20개의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이다.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의 예로는 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기가 있다.
R8의 우레이도기로는 치환 우레이도기 및 미치환 우레이도기가 열거된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0개의 우레이도기이다. 우레이도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알킬기 및 아릴기가 있다. 우레이도기의 예로는 3-메틸우레이도, 3,3-디메틸우레이도 및 3-페닐우레이도기가 있다.
R7, R8 및 R9의 알콕시카르보닐기로는 치환 알콕시카르보닐기 및 미치환 알콕시카르보닐기가 열거된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20개의 알콕시카르보닐기이다. 알콕시카르보닐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알콕시카르보닐기의 예로는 메톡시카르보닐 및 에톡시카르보닐기가 있다.
R2, R7, R8 및 R9의 카르바모일기로는 치환 카르바모일기 및 미치환 카르바모일기가 열거된다. 카르바모일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알킬기가 있다. 카르바모일기의 예로는 메틸카르바모일 및 디메틸카르바모일기가 있다. R8의 술파모일기로는 치환 술파모일기 및 미치환 술파모일기가 열거된다. 술파모일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알킬기가 있다. 술파모일기의 예로는 디메틸술파모일 및 디-(2-히드록시에틸)술파모일기가 있다.
R8의 술포닐기의 예로는 메탄술포닐 및 페닐술포닐기가 있다. R2 및 R8의 아실기로는 치환 아실기 및 미치환 아실기가 열거된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0개의 아실기이다. 아실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아실기의 예로는 아세틸 및 벤조일기가 있다.
R8의 아미노기로는 치환 아미노기 및 미치환 아미노기가 열거된다. 아미노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알킬기, 아릴기 및 복소환기가 있다. 아미노기의 예로는 메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아닐리노 및 2-클로로아닐리노기가 있다.
R4, R6 및 R10의 복소환기는 일반식(Y1)에 있어서의 B11의 필요에 따라 치환되어 있는 복소환기와 동일해도 좋다. 그 바람직한 예, 보다 바람직한 예 및 더욱 바람직한 예로는 B11의 기로서 상술한 것과 동일한 것이 열거된다. 구체적으로, 복소환기의 치환기로는, 예컨대 이온성 친수성기, 탄소수 1~12개의 알킬기, 아릴기, 알킬 또는 아릴티오기,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술파모일기, 술폰아미노기, 카르바모일기 및 아실아미노기가 열거된다. 알킬기 및 아릴기는 더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일반식(Y5)에 있어서, Za는 -N=, -NH- 또는 -C(R11)=을 나타내고; Zb 및 Zc는 각각 독립적으로 -N= 또는 -C(R11)=을 나타내고; R11은 수소원자 또는 비금속성 치환기를 나타낸다. R11의 비금속성 치환기로는 시아노기, 시클로알킬기, 아랄킬기, 아릴기, 알킬티오기, 아릴티오기 및 이온성 친수성기가 바람직하다. 이들 치환기는 R1의 치환기와 동일한 의미를 가져도 좋고, 그 바람직한 예도 R1의 것과 동일해도 좋다. 일반식(Y5)에 있어서 2개의 5원환으로 이루어진 헤테로환의 골격의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4
상기 필요에 따라 치환되는 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일반식(Y1)에 있어서의 헤테로환 A11 및 B11의 필요에 따라 치환되는 기로서 상술한 것들이 열거된다.
일반식(Y4)~(Y6)의 염료가 수용성 염료인 경우, 1개 이상의 이온성 친수성기를 분자내에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형태의 염료로는 R1, R2, R3, R5, R7, R8 및 R9 중 어느 하나가 이온성 친수성기인 일반식(Y4)~(Y6)의 것 및 R1~R11 중 어느 하나가 이온성 친수성기의 치환기를 갖는 일반식(Y4)~(Y6)의 것이 열거된다. 상기 이온성 친수성기로는 술포기, 카르복실기, 포스포노기 및 4급 암모늄기가 열거된다. 이온성 친수성기로는 카르복실기, 포스포노기 및 술포기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기 및 술포기이다. 카르복실기, 포스포노기 및 술포기는 염을 형성해도 좋다. 염을 형성하는 카운터 이온의 예로는 암모늄이온, 알칼리 금속이온(예컨대, 리튬이온, 나트륨이온, 칼륨이온) 및 유기 양이온(예컨대, 테트라메틸암모늄이온, 테트라메틸구아니듐이온, 테트라메틸포스포늄이온)이 있다. 카운터 이온으로는 알칼리 금속이온이 바람직하다.
일반식(Y4), (Y5) 및 (Y6)의 염료 중에서, 일반식(Y4)의 것이 바람직하고, 하기 일반식(Y4-1)의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Y4-1)
Figure pat00005
식중, R21 및 R23는 각각 수소원자,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랄킬기, 알콕시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내고; R22는 수소원자, 아릴기 또는 복소환기를 나타내고; X 및 Y 중 하나는 질소원자를 나타내고, 다른 하나는 -CR24를 나타내고; R24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알킬기, 알킬티오기, 알킬술포닐기, 알킬술피닐기, 알킬옥시카르보닐기, 카르바모일기, 알콕시기, 아릴기, 아릴티오기, 아릴술포닐기, 아릴술피닐기, 아릴옥시기 또는 아실아미노기를 나타낸다. 이들 치환기는 더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염료의 바람직한 예가 일본특허공개 2004-83903호, 2003-277662호, 2003-277661호, 2003-128953호 및 2003-4116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후술하는 화합물이 본 발명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염료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화합물은 상기 특허문헌 및 일본특허공개 평2-24191호 및 2001-279145호 공보를 참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옐로우 잉크는 상기 염료 이외에 일반식(Y2) 또는 (Y3)으로 표시되는 다른 옐로우 잉크를 함유하고, 1.0V(vs SCE)를 초과하는 산화전위를 갖는다.
(Y2) P-N=N-Q
식중, P는 필요에 따라 치환되는 아릴기를 나타내고; Q는 필요에 따라 치환되는 복소환기를 나타내고,
(Y3) X-N=N-Y
식중, X 및 Y는 각각 필요에 따라 치환되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식(Y2)에 있어서, Q는 필요에 따라 치환되는 복소환기이고, 그 상세는 상기 일반식(Y1)에서 상술한 것과 동일하다. 일반식(Y2)의 P, 일반식(Y3)의 X 및 Y는 각각 필요에 따라 치환되는 아릴기이다. 일반식(Y2)에 있어서, 복소환기가 아닌 기는 아릴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릴기의 바람직한 예로는 페닐기, 치환 페닐기, 나프틸기 및 치환 나프틸기가 있다.
각종 형태의 치환기가 여기서 사용되는 화합물에 도입될 수 있다. 치환가능한 치환기로는 알킬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2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8개, 예컨대 메틸, 에틸, iso-프로필, tert-부틸, n-옥틸, n-데실, n-헥사데실, 시클로프로필,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알케닐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2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12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8개, 예컨대 비닐, 알릴, 2-부테닐, 3-펜테닐), 알키닐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2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2~12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2~8개, 예컨대 프로파르길, 3-펜티닐), 아릴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3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20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12개, 예컨대 페닐, p-메틸페닐, 나프틸), 아미노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0~2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0~12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0~6개, 예컨대 아미노, 메틸아미노, 디메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디페닐아미노, 디벤질아미노), 알콕시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2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8개, 예컨대 메톡시, 에톡시, 부톡시), 아릴옥시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2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16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12개, 예컨대 페닐옥시, 2-나프틸옥시), 아실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6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2개, 예컨대 아세틸, 벤조일, 포르밀, 피발로일), 알콕시카르보닐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2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16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12개, 예컨대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아릴옥시카르보닐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7~2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7~16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7~10개, 예컨대 페닐옥시카르보닐), 아실옥시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2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16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10개, 예컨대 아세톡시, 벤조일옥시), 아실아미노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2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16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10개, 예컨대 아세틸아미노, 벤조일아미노),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2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16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12개, 예컨대 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 아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7~2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7~16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7~12개, 예컨대 페닐옥시카르보닐아미노), 술포닐아미노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6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2개, 예컨대 메탄술포닐아미노, 벤젠술포닐아미노), 술파모일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0~2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0~16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0~12개, 예컨대 술파모일, 메틸술파모일, 디메틸술파모일, 페닐술파모일), 카르바모일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6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2개, 예컨대 카르바모일, 메틸카르바모일, 디에틸카르바모일, 페닐카르바모일), 알킬티오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6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2개, 예컨대 메틸티오, 에틸티오), 아릴티오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2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16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12개, 예컨대 페닐티오), 술포닐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6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2개, 예컨대 메실, 토실), 술피닐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6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2개, 예컨대 메탄술피닐, 벤젠술피닐), 우레이도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6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2개, 예컨대 우레이도, 메틸우레이도, 페닐우레이도), 포스포르아미도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6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2개, 예컨대 디에틸포스포르아미도, 페닐포스포르아미도), 히드록시기, 메르캅토기, 할로겐원자(예컨대,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시아노기, 술포기, 카르복실기, 니트로기, 히드록삼산기, 술피노기, 히드라지노기, 이미노기, 복소환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3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2개이고, 그 헤테로원자는 질소, 산소 및 황원자에서 선택되고, 구체적으로는 이미다졸릴, 피리딜, 퀴놀릴, 푸릴, 티에닐, 피페리딜, 몰포리노, 벤조옥사졸릴, 벤즈이미다졸릴, 벤조티아졸릴, 카르바졸릴, 아제피닐), 실릴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4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30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24개, 예컨대 트리메틸실릴, 트리페닐실릴)이 있다. 이들 치환기는 더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2개 이상의 치환기는 서로 같거나 달라도 좋다. 가능하다면, 치환기는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일반식(Y2) 및 (Y3)의 염료의 바람직한 예를 후술하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2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용 옐로우 잉크는 상술한 아조 염료를 전체량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0.2~2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5중량% 함유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일반식(Y1)의 염료는 옐로우 잉크 중의 염료의 적어도 50중량%를 차지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블랙 잉크는 각각 λmax가 500~700nm이고, λmax에서의 흡광도가 1.0이 되도록 규격화된 희석용액의 흡수 스펙트럼에 있어서의 반치폭(Wλ,1/2)이 100nm 이상(바람직하게는 120~500nm,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350nm)인 염료(L)를 2개 이상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랙 잉크에 사용되는 염료(L)의 적어도 하나는 산화전위가 1.0V(vs SCE)를 초과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V(vs SCE)를 초과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V(vs SCE)를 초과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25V(vs SCE)를 초과한다.
염료의 산화전위(Eox)는 당업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측정될 수 있다. 그 측정방법으로는, 각종의 방법, 예컨대 수성 용액에서의 순환전압전류법(CV) 또는 그것에 염료가 용해되어 있는 수혼합 용제법, 회전고리원판 전극법 또는 빗살형 전극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염료(L)는 수성 매체에 혼합 및 용해 또는 분산시켜 블랙 잉크를 제조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랙 잉크는 후술하는 염료를 함유한다.
상기 염료(L)가 그 자체로 고품질의 "타이트한" 블랙 화상(관찰광원에 상관없이 B, G 및 R 색조 모두가 하이라이트되지 않음)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면, 블랙 잉크에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좋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상기 염료(L)에 의해 거의 흡광되지 않는 영역을 커버할 수 있는 다른 염료를 상기 염료와 조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염료(L)는 옐로우 영역(λmax가 350~500nm)에서 주 흡수를 갖는 염료(S)와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염료(L)를 다른 염료와 조합하여 블랙 잉크를 형성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블랙 잉크는 일반식(B1)의 아조 염료를 함유한다. 일반식(B1)의 아조 염료는 λmax가 500~700nm이고 흡광도가 1.0이 되도록 규격화된 희석 용액의 흡수 스펙트럼에서의 반치폭이 적어도 100nm인 염료(L)를 함유한다. 그 외에도, 일반식(B1)의 아조 염료는 λmax가 350~500nm인 염료(S)를 더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블랙 잉크 중의 하나 이상의 염료(L)는 일반식(B1)의 염료인 것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염료(L)와 하나 이상의 염료(S) 모두가 일반식(B1)의 염료인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일반식(B1)의 염료가 잉크의 전체 염료의 적어도 50중량%를 차지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블랙 잉크는 상술한 염료이외에 일반식(B2)의 아조 염료를 더 함유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일반식(B2)의 염료는 λmax가 500~700nm이고 흡광도가 1.0이 되도록 규격화된 희석 용액의 흡수 스펙트럼에서의 반치폭이 적어도 100nm인 염료(L)에 상응한다. 일반식(B1)의 염료와 마찬가지로, 일반식(B2)의 염료는 λmax가 350~500nm인 염료(S)이어도 좋다.
일반식(B2)의 염료는 방향족 비스아조 염료의 군으로 분류되고 일반식(B1)의 염료와는 다른 염료로, 이것은 발색단이 탄화수소환으로 완전히 이루어진 화합물이다. 염료의 예가 일본특허 제3,428,178호 및 2,428,263호 및 중국특허 136830-A에 기재되어 있다.
일반식(B1) 및 (B2)의 염료 중에서, 본 발명에서는 산화전위가 높고 회합도가 높은 것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서, 분자내에 전자끄는기의 수가 많고, 또 주 방향족환에 존재하는 π-전자밀도가 낮아지도록 설계하거나, 또는 분자가 회합을 촉진시킬 수 있는 평면구조를 갖고 분자회합이 유발되도록 분자간 치환기로서 다중의 강한 상호작용기를 갖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한 상호작용기로는, 예컨대 수소결합기가 열거되고, 바람직하게는 -COOH, -OH, -SO2NH-, -CONH-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CONH-이다. 염료 분자는 이러한 수소결합기를 복수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염료 분자는 이것을 통해 분자들이 서로 용이하게 오버랩하게 할 수 있게 하는 다수의 평면구조의 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로는, 예컨대 비페닐기 및 나프틸기가 있다.
회합성이 높은 염료에 있어서, 염료의 스펙트럼을 광로길이 1cm의 셀에서 농도 0.025mmol/L의 그 수성 용액으로 하여 측정한 경우와 염료의 스펙트럼을 광로길이 5㎛의 셀에서 농도 50mmol/L의 그 수성 용액으로 하여 측정한 경우, 스펙트럼 및 흡광도에 있어서의 λmax의 위치가 서로 다르다. 특히, 흡광도가 현저하게 변한다. 일반적으로, 고농도 용액의 흡광도를 저농도 용액의 흡광도로 나눈 경우,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이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블랙 잉크는 블랙 염료들을 혼합하고, 그 얻어진 혼합물을 수성 매체에 용해 또는 분산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잉크젯 기록용 블랙 잉크의 바람직한 특성은, 1) 내후성이 양호하고 또/또는 2) 화상이 퇴색 후에도 블랙 밸런스를 상실하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의 블랙 잉크가 상기 바람직한 특성을 보유하기 위해서는, 블랙 잉크는 하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랙 잉크를 사용하여, 48-포인트 크기의 JIS 코드 2223의 블랙 사각기호를 인쇄하고, 그 반사농도(Dvis)를 스테이터스 A 필터(비쥬얼 필터)를 통해 측정한다. 이것을 샘플의 초기농도로 한다. 스테이터스 A 필터를 구비한 반사농도 측정기의 예로는 X-Rite 농도측정기가 있다. 여기서 "블랙"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측정된 데이타 Dvis를 표준 관찰 반사농도로 한다. 상기 인쇄물을 5ppm의 오존을 항시 발생시키는 오존 퇴색시험기를 사용하여 강제 퇴색시킨다. 퇴색된 샘플의 반사농도(Dvis)를 원샘플의 초기농도의 80%까지 저감되는 시간(t)을 측정하고, 강제 퇴색속도상수(kvis)를 관계식 "0.8=exp(-kvisㆍt)"로부터 유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블랙 잉크의 속도상수(kvis)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5.0×10-2[시간-1]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3.0×10-2[시간-1]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1.0×10-2[시간-1]이다.
본 발명의 블랙 잉크를 사용하여, 48-포인트 크기의 JIS 코드 2223의 블랙 사각기호를 인쇄하고, Dvis이외의 3색 컬러 C(시안), M(마젠타) 및 Y(옐로우)의 반사농도를 스테이터스 A 필터를 통해 측정한다. 이렇게 하여 측정한 데이터를 초기농도 DR, DG 및 DB로 한다. 이들 데이터 DR, DG 및 DB는 레드 필터를 통한 C 반사농도, 그린 필터를 통한 M 반사농도 및 블루필터를 통한 Y 반사농도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인쇄물을 5ppm의 오존이 항시 발생하는 오존 퇴색시험기를 사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강제 퇴색시킨다. 퇴색된 샘플의 반사농도 DR, DG 및 DB를 원샘플의 초기농도의 80%까지 저감되는 시간으로부터, 강제 퇴색속도상수(kR, kG, kB)를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도한다. 상기 3개의 속도상수의 최소값에 대한 최대값의 비율(R)(예컨대, kR이 최대값이고, kG가 최소값인 경우, R=kR/kG)은 바람직하게는 최대 1.2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1.1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1.05이다.
상기 사용된 "48-포인트 크기의 JIS 코드 2223의 블랙 사각기호의 인쇄물"에 있어서, 그 화상은 농도측정에 충분하도록 시험기의 개구를 완전히 커버하는 크기로 인쇄한다.
본 발명의 블랙 잉크에 사용되는 블랙 염료가 우수한 색상, 견뢰도 및 보존 안정성을 갖기 위해서는 상기 염료는 이하의 물성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성 1: DMF에서의 흡수 스펙트럼의 최대 흡수파장을 λmax(DMF)로서 나타내는 경우, 680nm≥λmax(DMF)≥570nm임.
물성 2: 산화전위가 1.0V(vs SCE)를 초과하는 양의 것임.
물성 3: 물에서의 흡수 스펙트럼의 최대 흡수파장을 λmax(물)로서 나타내는 경우, │λmax(DMF)-λmax(물)│≥30nm임.
물성 4: DMF에서의 몰흡수상수를 ε(DMF)로서 나타내고, 물에서의 몰흡수상수를 ε(물)로서 나타내는 경우, ε(물)/ε(DMF)≤0.9임.
물성 5: 물에서 측정된 흡수 스펙트럼에 있어서, 회합된 염료의 최대 흡수파장의 흡광도를 Abs(회합)으로 나타내고, DMF에서 측정된 모노머 흡수 스펙트럼의 최대 흡수파장에서의 흡광도를 Abs(모노머)라고 하는 경우, Abs(모노머)/Abs(회합)≤0.75임.
또한, 염료가 100% DMF에 용해되지 않는 경우, 염료를 물(DMF 용제의 10중량% 이하)에 용해시켜 용액을 제조하고, 이 용액을 DMF로 희석하여 희석 용액을 제조한다. 희석 용액에서의 측정치는 DMF에서의 값으로 정의한다.
상술한 물성을 만족시킴으로써 블랙 염료는 우수한 블랙 컬러를 갖고, 또 우수한 광견뢰도 및 오존견뢰도를 가지며, 또한 잉크 중에서 그 보존 안정성이 우수하다. 그러므로, 상기 종류의 블랙 염료가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잉크셋용 잉크는 다음과 같이 특징지워진다:
구체적으로, 2개 이상의 잉크를 사용하여 15단계 그라데이션 인쇄샘플을 최대 30㎖/m2까지의 정도로 형성한다. 상기 패턴의 반사농도의 최대치(반사농도가 포화되어 인쇄 잉크량이 증가되는 경우에도 더이상 증가할 수 없는 부위에서 측정한 농도의 값)는 고농도 잉크의 쪽이 더 높다.
본 발명의 잉크셋은 이들 조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만족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조건 모두를 만족시킨다.
일반식(B1)의 염료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B1) A41-N=N-A42-N=N=A43
식중, A41, A42 및 A43은 각각 독립적으로 더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방향족기 또는 복소환기를 나타내고; A41과 A43은 1가의 기이고, A42는 2가의 기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반식(B1)의 아조 염료가 하기 일반식(B1-A)의 것인 것이다.
일반식(B1-A):
Figure pat00023
일반식(B1-A)에 있어서, B41 및 B42는 각각 =CR41- 또는 -CR42=를 나타내거나, 또는 그들 중 하나는 질소원자이고, 나머지 하나는 =CR41- 또는 -CR42=이다.
G4, R41 및 R4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지방족기, 방향족기, 복소환기, 시아노기, 카르복실기, 카르바모일기, 알콕시카르보닐기, 아릴옥시카르보닐기, 복소환식 옥시카르보닐기, 아실기,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복소환식 옥시기, 실릴옥시기, 아실옥시기, 카르바모일옥시기, 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 아릴옥시카르보닐옥시기, 아미노기(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및 복소환식 아미노기 포함), 아실아미노기, 우레이도기, 술파모일아미노기,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 아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 알킬 또는 아릴술포닐아미노기, 복소환식 술포닐아미노기, 니트로기, 알킬 또는 아릴티오기, 복소환식 티오기, 알킬 또는 아릴술포닐기, 복소환식 술포닐기, 알킬 또는 아릴술피닐기, 복소환식 술피닐기, 술파모일기 또는 술포기를 나타낸다. 이들 기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R45 및 R4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지방족기, 방향족기, 복소환기, 아실기, 알콕시카르보닐기, 아릴옥시카르보닐기, 카르바모일기, 알킬 또는 아릴술포닐기, 또는 술파모일기를 나타낸다. 이들 기는 더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R41와 R45 또는 R45와 R46은 서로 결합하여 5원 또는 6원환을 형성해도 좋다. A41 및 A42는 일반식(B1)에서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식(B1-A)의 아조 염료 중에서, 하기 일반식(B1-B1) 또는 (B1-B2)의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24
일반식(B1-B1) 및 (B1-B2)에 있어서, R47 및 R48은 일반식(B1-A)의 R41의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A41, R45, R46, B41, B42 및 G4는 일반식(B1-A)에서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식(B1) 및 그 구체적 개념, 일반식(B1-A) 및 (B1-B)(이하, (B1-B)는 일반식(B1-B1) 및(B1-B2) 모두를 포함함)을 설명할 때에 사용되는 용어(치환기)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이들은 후술하는 일반식(B1-C) 및 (B1-D)에 대한 설명에 대해서도 공통이다.
할로겐원자로는 불소, 염소 및 브롬원자가 열거된다.
지방족기로는 알킬기, 치환 알킬기, 알케닐기, 치환 알케닐기, 알키닐기, 치환 알키닐기, 아랄킬기 및 치환 아랄킬기가 열거된다. 상기 지방족기는 분기상이어도 좋고, 또는 환상이어도 좋다. 지방족기의 탄소수는 1~20개가 바람직하고, 1~16개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아랄킬기 및 치환 아랄킬기의 아릴부위로는 페닐 또는 나프틸기가 바람직하고, 페닐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지방족기의 예로는 메틸, 에틸, 부틸, 이소프로필, t-부틸, 히드록시에틸, 메톡시에틸, 시아노에틸, 트리플루오로메틸, 3-술포프로필, 4-술포부틸, 시클로헥실, 벤질, 2-페네틸, 비닐 및 알릴기가 있다.
1가의 방향족기로는 아릴기 및 치환 아릴기가 열거된다. 아릴기로는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가 바람직하고, 페닐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1가의 방향족기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6~20개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16개이다. 1가의 방향족기의 예로는 페닐, p-톨릴, p-메톡시페닐, o-클로로페닐 및 m-(3-술포프로필아미노)페닐기가 있다. 2가의 방향족기는 1가의 방향족 기와 상응하지만, 2가기라는 점에서 다르다. 그 예로는 페닐렌, p-톨릴렌, p-메톡시페닐렌, o-클로로페닐렌, m-(3-술포프로필아미노)페닐렌 및 나프틸렌기가 있다.
복소환기에는 치환 복소환기 및 미치환 복소환기가 포함된다. 헤테로환은 지방족환, 방향족 또는 임의의 다른 헤테로환과 축합되어 있어도 좋다. 복소환기로는 5원 또는 6원의 복소환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헤테로환을 형성하는 헤테로원자로는 N, O 및 S가 열거된다. 치환 복소환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지방족기, 할로겐원자, 알킬술포닐기, 아릴술포닐기, 아실기, 아실아미노기, 술파모일기, 카르바모일기 및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1가의 복소환기의 예로는 2-피리딜, 2-티에닐, 2-티아졸릴, 2-벤조티아졸릴, 2-벤조옥사졸릴 및 2-푸릴기가 있다. 2가의 헤테로환기는 1가의 헤테로환으로부터 수소원자 1개를 제거함으로써 프리결합을 갖게 하여 유도된다.
카르바모일기에는 치환 카르바모일기 및 미치환 카르바모일기가 포함된다. 치환 카르바모일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알킬기가 있다. 카르바모일기의 예로는 메틸카르바모일 및 디메틸카르바모일기가 있다.
알콕시카르보닐기에는 치환 알콕시카르보닐기 및 미치환 알콕시카르보닐기가 포함된다. 알콕시카르보닐기의 탄소수는 2~20개가 바람직하다. 치환 알콕시카르보닐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알콕시카르보닐기의 예로는 메톡시카르보닐 및 에톡시카르보닐기가 있다.
아릴옥시카르보닐기에는 치환 아릴옥시카르보닐기 및 미치환 아릴옥시카르보닐기가 포함된다. 아릴옥시카르보닐기의 탄소수는 7~20개가 바람직하다. 치환 아릴옥시카르보닐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아릴옥시카르보닐기의 예로는 페녹시카르보닐기가 있다.
복소환식 옥시카르보닐기에는 치환 복소환식 옥시카르보닐기 및 미치환 복소환식 옥시카르보닐기가 포함된다. 복소환식 옥시카르보닐기의 탄소수는 2~20개가 바람직하다. 상기 치환 복소환식 옥시카르보닐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복소환식 옥시카르보닐기의 예로는 2-피리딜옥시카르보닐기가 있다.
아실기에는 치환 아실기 및 미치환 아실기가 포함된다. 아실기의 탄소수는 1~20개가 바람직하다. 치환 아실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아실기의 예로는 아세틸기 및 벤조일기가 있다.
알콕시기에는 치환 알콕시기 및 미치환 알콕시기가 포함된다. 알콕시기의 탄소수는 1~20개가 바람직하다. 치환 알콕시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알콕시기, 히드록시기 및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알콕시기의 예로는 메톡시, 에톡시, 이소프로폭시, 메톡시에톡시, 히드록시에톡시 및 3-카르복시프로폭시기가 있다.
아릴옥시기에는 치환 아릴옥시기 및 미치환 아릴옥시기가 포함된다. 아릴옥시기의 탄소수는 6~20개가 바람직하다. 치환 아릴옥시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알콕시기 및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아릴옥시기의 예로는 페녹시, p-메톡시페녹시 및 o-메톡시페녹시기가 있다.
복소환식 옥시기에는 치환 복소환식 옥시기 및 미치환 복소환식 옥시기가 포함된다. 복소환식 옥시기의 탄소수는 2~20개가 바람직하다. 치환 복소환식 옥시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알킬기, 알콕시기 및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복소환식 옥시기의 예로는 3-피리딜옥시 및 3-티에닐옥시기가 있다.
실릴옥시기로는 탄소수 1~20개의 지방족 및/또는 방향족기로 치환된 것이 바람직하다. 실릴옥시기의 예로는 트리메틸실릴옥시 및 디페닐메틸실릴옥시기가 있다.
아실옥시기에는 치환 아실옥시기 및 미치환 아실옥시기가 포함된다. 아실옥시기의 탄소수는 1~20개가 바람직하다. 치환 아실옥시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아실옥시기의 예로는 아세톡시 및 벤조일옥시기가 있다.
카르바모일옥시기에는 치환 카르바모일옥시기 및 미치환 카르바모일옥시기가 포함된다. 치환 카르바모일옥시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알킬기가 있다. 카르바모일옥시기의 예로는 N-메틸카르바모일옥시기가 있다.
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에는 치환 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 및 미치환 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가 포함된다. 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의 탄소수는 2~20개가 바람직하다. 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의 예로는 메톡시카르보닐옥시 및 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옥시기가 있다.
아릴옥시카르보닐옥시기에는 치환 아릴옥시카르보닐옥시기 및 미치환 아릴옥시카르보닐옥시기가 포함된다. 아릴옥시카르보닐옥시기의 탄소수는 7~20개가 바람직하다. 아릴옥시카르보닐옥시기의 예로는 페녹시카르보닐옥시기가 있다.
아미노기에는 미치환 아미노기 및 알킬기, 아릴기 또는 복소환기 중 어느 하나로 치환된 아미노기가 포함된다. 상기 치환기 알킬, 아릴 및 복소환기는 더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알킬아미노기의 탄소수는 1~20개가 바람직하다. 치환 알킬아미노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알킬아미노기의 예로는 메틸아미노기 및 디에틸아미노기가 있다.
아릴아미노기에는 치환 아릴아미노기 및 미치환 아릴아미노기가 포함된다. 아릴아미노기의 탄소수는 6~20개가 바람직하다. 치환 아릴아미노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할로겐원자 및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아릴아미노기의 예로는 아닐리노 및 2-클로로페닐아미노기가 있다.
복소환식 아미노기에는 치환 복소환식 아미노기 및 미치환 복소환식 아미노기가 포함된다. 복소환식 아미노기의 탄소수는 2~20개가 바람직하다. 치환 복소환식 아미노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알킬기, 할로겐원자 및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아실아미노기에는 치환 아실아미노기 및 미치환 아실아미노기가 포함된다. 아실아미노기의 탄소수는 2~20개가 바람직하다. 치환 아실아미노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아실아미노기의 예로는 아세틸아미노, 프로피오닐아미노, 벤조일아미노, N-페닐아세틸아미노 및 3,5-디술포벤조일아미노기가 있다.
우레이도기에는 치환 우레이도기 및 미치환 우레이도기가 포함된다. 우레이도기의 탄소수는 1~20개가 바람직하다. 치환 우레이도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알킬기 및 아릴기가 있다. 우레이도기의 예로는 3-메틸우레이도, 3,3-디메틸우레이도 및 3-페닐우레이도기가 있다.
술파모일아미노기에는 치환 술파모일아미노기 및 미치환 술파모일아미노기가 포함된다. 치환 술파모일아미노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알킬기가 있다. 술파모일아미노기의 예로는 N,N-디프로필술파모일아미노기가 있다.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에는 치환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 및 미치환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가 포함된다.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의 탄소수는 2~20개가 바람직하다. 치환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의 예로는 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기가 있다.
아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에는 치환 아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 및 미치환 아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가 포함된다. 아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의 탄소수는 7~20개가 바람직하다. 치환 아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아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의 예로는 페녹시카르보닐아미노기가 있다.
알킬술포닐아미노기 및 아릴술포닐아미노기에는 치환 알킬술포닐아미노 및 아릴술포닐아미노기, 및 미치환 알킬술포닐아미노기 및 아릴술포닐아미노기가 포함된다. 알킬술포닐아미노기 및 아릴술포닐아미노기의 탄소수는 1~20개가 바람직하다. 치환 알킬술포닐아미노기 및 아릴술포닐아미노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알킬술포닐아미노 및 아릴술포닐아미노기의 예로는 메틸술포닐아미노, N-페닐-메틸술포닐아미노, 페닐술포닐아미노 및 3-카르복시페닐술포닐아미노기가 있다.
복소환식 술포닐아미노기에는 치환 복소환식 술포닐아미노기 및 미치환 복소환식 술포닐아미노기가 포함된다. 복소환식 술포닐아미노기의 탄소수는 1~12개가 바람직하다. 치환 복소환식 술포닐아미노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복소환식 술포닐아미노기의 예로는 2-티오펜술포닐아미노 및 3-피리딘술포닐아미노기가 있다.
복소환식 술포닐기에는 치환 복소환식 술포닐기 및 미치환 복소환식 술포닐기가 포함된다. 복소환식 술포닐기의 탄소수는 1~20개가 바람직하다. 치환 복소환식 술포닐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복소환식 술포닐기의 예로는 2-티오펜술포닐 및 3-피리딘술포닐기가 있다.
복소환식 술피닐기에는 치환 복소환식 술피닐기 및 미치환 복소환식 술피닐기가 포함된다. 복소환식 술피닐기의 탄소수는 1~20개가 바람직하다. 치환 복소환식 술피닐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복소환식 술피닐기의 예로는 4-피리딘술피닐기가 있다.
알킬티오기, 아릴티오기 및 복소환식 티오기에는 치환 알킬티오, 아릴티오, 및 복소환식 티오기 및 미치환 알킬티오, 아릴티오 및 복소환식 티오기가 포함된다. 알킬티오, 아릴티오 및 복소환식 티오기의 탄소수는 1~20개가 바람직하다. 치환 알킬티오, 아릴티오 및 복소환식 티오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알킬티오, 아릴티오 및 복소환식 티오기의 예로는 메틸티오, 페닐티오 및 2-피리딜티오기가 있다.
알킬술포닐 및 아릴술포닐기에는 치환 알킬술포닐 및 아릴술포닐기, 및 미치환 알킬술포닐 및 아릴술포닐기가 포함된다. 알킬술포닐 및 아릴술포닐기의 예로는 메틸술포닐 및 페닐술포닐기가 있다.
알킬술피닐 및 아릴술피닐기에는 치환 알킬술피닐 및 아릴술피닐기, 및 미치환 알킬술피닐 및 아릴술피닐기가 포함된다. 알킬술피닐 및 아릴술피닐기의 예로는 메틸술피닐 및 페닐술피닐기가 있다.
술파모일기에는 치환 술파모일기 및 미치환 술파모일기가 포함된다. 치환 술파모일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알킬기가 있다. 술파모일기의 예로는 디메틸술파모일 및 디(2-히드록시에틸)술파모일기가 있다.
일반식(B1), (B1-A) 및 (B1-B)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 있어서, 기 및 치환기에 대해서 상기 설명한 것들이 적용된다.
일반식(B1)에 있어서, A41, A42 및 A43은 각각 독립적으로 필요에 따라 치환되어 있는 방향족기(A41 및 A43은 각각 아릴기 등의 1가의 방향족기이고; A42는 아릴렌기 등의 2가의 방향족기임), 또는 필요에 따라 치환되어 있는 복소환기(A41 및 A43은 각각 1가의 복소환기이고; A42은 2가의 복소환기임)를 나타낸다. 방향족환의 예로는 벤젠 및 나프탈렌환이 열거되고; 헤테로환을 형성하는 헤테로원자로는 N, O 및 S가 열거된다. 헤테로환은 지방족환, 방향족환 또는 임의의 다른 헤테로환과 축합되어도 좋다.
치환기는 아릴아조기 또는 복소환식 아조기이어도 좋다. 따라서, 일반식(B1)의 염료는 트리스아조 염료 및 테트라키스아조 염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A41, A42 및 A43 중 2개 이상은 복소환기이다.
A43의 복소환기로는 방향족의 질소함유 6원의 복소환기가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A43이 하기 일반식(B1-C)의 방향족의 질소함유 6원의 복소환기인 것이다. 이 경우, 일반식(B1)은 일반식(B1-A)에 상응한다.
Figure pat00025
일반식(B1-C)에 있어서, B41 및 B42는 각각 =CR41- 또는 -CR42=를 나타내거나, 또는 그들 중 하나는 질소원자이고, 나머지 하나는 =CR41- 또는 -CR42=이다. 바람직하게는 =CR41- 및 -CR42=을 나타낸다.
R45 및 R4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지방족기, 방향족기, 복소환기, 아실기, 알콕시카르보닐기, 아릴옥시카르보닐기, 카르바모일기, 알킬 또는 아릴술포닐기, 또는 술파모일기를 나타낸다. 이들 기는 더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R45 및 R46는 각각 수소원자, 지방족기, 방향족기, 복소환기, 아실기, 또는 알킬 또는 아릴술포닐기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소원자, 방향족기, 복소환기, 아실기, 또는 알킬 또는 아릴술포닐기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수소원자, 아릴기 또는 복소환기이다. 상기 기는 더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G4, R41 및 R4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지방족기, 방향족기, 복소환기, 시아노기, 카르복실기, 카르바모일기, 알콕시카르보닐기, 아릴옥시카르보닐기, 복소환식 옥시카르보닐기, 아실기,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복소환식 옥시기, 실릴옥시기, 아실옥시기, 카르바모일옥시기, 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 아릴옥시카르보닐옥시기, 아미노기(알킬아미노, 아릴아미노기, 복소환식 아미노기 포함), 아실아미노기, 우레이도기, 술파모일아미노기,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 아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 알킬 또는 아릴술포닐아미노기, 복소환식 술포닐아미노기, 니트로기, 알킬 또는 아릴티오기, 복소환식 티오기, 알킬 또는 아릴술포닐기, 복소환식 술포닐기, 알킬 또는 아릴술피닐기, 복소환식 술피닐기, 술파모일기 또는 술포기를 나타내고, 각각의 기는 더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G4의 치환기로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지방족기, 방향족기,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아실옥시기, 복소환식 옥시기, 아미노기(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복소환식 아미노기 포함), 아실아미노기, 우레이도기, 술파모일아미노기,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 아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 알킬 또는 아릴티오기, 또는 복소환식 티오기가 바람직하고;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알킬기,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아실옥시기, 아미노기(알킬아미노, 아릴아미노, 복소환식 아미노) 또는 아실아미노기가 더욱 바람직하고; 수소원자, 아릴아미노기 또는 아실아미노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들 기는 더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R41 및 R42의 치환기로는 수소원자, 알킬기, 아릴기, 복소환기, 할로겐원자, 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카르바모일기,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또는 시아노기가 바람직하다. 이들 기는 더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R41와 R45 또는 R45와 R46은 서로 결합하여 5원 또는 6원환을 형성해도 좋다. A41, R41, R42, R45, R46 및 G4의 치환된 기의 치환기로는 G4, R41 및 R42의 기로서 상술한 것들이 열거된다. 바람직하게는 A41, R41, R42, R45, R46 및 G4의 어느 위치에 이온성 친수성기를 갖는 염료이다.
치환기로서의 이온성 친수성기로는, 예컨대 술포기, 카르복실기, 포스포노기 및 4급 암모늄기가 열거된다. 바람직하게는 이온성 친수성기가 카르복실기, 포스포노기 또는 술포기인 것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기 또는 술포기인 것이다. 카르복실기, 포스포노기 및 술포기는 염을 형성해도 좋다. 염을 형성하는 카운터 이온의 예로는 암모늄 이온, 알칼리 금속이온(에컨대, 리튬이온, 나트륨이온, 칼륨이온) 및 유기 양이온(예컨대, 테트라메틸암모늄이온, 테트라메틸구아니듐이온, 테트라메틸포스포늄이온)이 있다.
A42의 헤테로환으로는 티오펜, 티아졸, 이미다졸, 벤즈이미다졸 및 티에노티아졸환이 바람직하다. 이들 복소환기는 더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그 중에서도, 하기 일반식(h)~(l)의 티오펜, 티아졸, 이미다졸, 벤즈이미다졸 및 티에노티아졸환이 특히 바람직하다. A42가 티오펜환(h)이고, A43이 일반식(B1-C)의 구조를 갖는 경우, 일반식(B1)은 일반식(B1-B1)에 상응한다. A42가 티아졸환(i)이고, A43이 일반식(B1-C)의 구조를 갖는 경우, 일반식(B1)은 일반식(B1-B2)에 상응한다.
Figure pat00026
일반식(h)~(l)에 있어서, R409~R417은 일반식(B1-C)에 있어서의 G4, R42 및 R43의 치환기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것은 하기 일반식(B1-D1) 또는 (B1-D2)의 구조를 갖는 염료이다.(일반식(B1-D)는 통상 일반식(B1-D1) 및(B1-D2) 모두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27
일반식(B1-D1)에 있어서, Z4는 하멧 치환기 상수 σp가 0.20 이상인 전자끄는기를 나타낸다. Z4는 바람직하게는 σp가 0.3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4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60 이상 이지만 1.0을 초과하지 않는 전자끄는기이다.
구체적으로, 하멧 치환기 상수 σp가 0.60 이상인 전자끄는기의 예로는 시아노기, 니트로기 및 알킬술포닐기(예컨대, 메탄술포닐, 벤질술포닐 등의 아릴술포닐)가 있다.
하멧 치환기 상수 σp가 0.45 이상인 전자끄는기의 예로는 상술한 기 이외에 아실기(예컨대, 아세틸), 알콕시카르보닐기(예컨대, 도데실옥시카르보닐), 아릴옥시카르보닐기(예컨대, m-클로로페녹시카르보닐), 알킬술피닐기(예컨대, n-프로필술피닐), 아릴술피닐기(예컨대, 페닐술피닐), 술파모일기(예컨대, N-에틸술파모일, N,N-디메틸술파모일), 및 할로게노알킬기(예컨대, 트리플루오로메틸)가 열거된다.
하멧 치환기 상수 σp가 0.30 이상인 전자끄는기의 예로는 상술한 기 이외에 아실옥시기(예컨대, 아세톡시), 카르바모일기(예컨대, N-에틸카르바모일, N,N-디에틸카르바모일), 할로게노알콕시기(예컨대, 트리플루오로메톡시), 할로게노아릴옥시기(예컨대, 펜타플루오로페닐옥시), 술포닐옥시기(예컨대, 메틸술포닐옥시), 할로게노알킬티오기(예컨대, 디플루오로메틸티오), σp가 각각 0.15 이상인 2개 이상의 전자끄는기로 치환된 아릴기(예컨대, 2,4-디니트로페닐, 펜타클로로페닐), 및 복소환기(예컨대, 2-벤조옥사졸릴, 2-벤조티아졸릴, 1-페닐-2-벤즈이미다졸릴)가 열거된다.
σp가 0.20 이상인 전자끄는기의 예로는 상술한 기 이외에 할로겐원자가 열거된다.
그 중에서도, Z4는 탄소수 2~20개의 아실기, 탄소수 2~20개의 알킬옥시카르보닐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탄소수 1~20개의 알킬술포닐기, 탄소수 6~20개의 아릴술포닐기, 탄소수 1~20개의 카르바모일기 또는 탄소수 1~20개의 할로게노알킬기가 바람직하고; 시아노기, 탄소수 1~20개의 알킬술포닐기 또는 탄소수 6~20개의 아릴술포닐기가 더욱 바람직하고; 시아노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나타내는 하멧 치환기 상수 σp의 상세한 내용은, 예컨대 일본특허공개 2003-306623호 공보의 (0059)~(0060) 단락에 기재되어 있다.
R41, R42, R45, R46 및 R47은 일반식(B1-B)에서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R43 및 R4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지방족기, 방향족기, 복소환기, 아실기, 알콕시카르보닐기, 아릴옥시카르보닐기, 카르바모일기, 알킬 또는 아릴술포닐기, 또는 술파모일기; 바람직하게는 수소원자, 방향족기, 복소환기, 아실기, 또는 알킬 또는 아릴술포닐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소원자, 방향족기 또는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일반식(B1-D)에 있어서의 기는 더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그 치환기로는 일반식(B1-A)에 있어서의 G4, R45 및 R46의 기로서 상술한 것 및 이온성 친수성기가 열거된다.
A41은 방향족기 또는 복소환기 중 어느 것이어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벤젠환, 나프탈렌환, 피리딘환, 이미다졸환, 피라졸환, 티아졸환, 이소티아졸환, 티아디아졸환, 벤조티아졸환 또는 벤즈이소티아졸환인 것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벤젠환, 나프탈렌환, 피리딘환, 피라진환, 이미다졸환, 이소티아졸환 또는 벤조티아졸환이 더욱 바람직하고, 벤젠환 또는 나프탈레환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블랙 염료로는, 수성 용액 또는 잉크 중의 염료의 보존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아조기에 직접적으로 결합하여 있지 않은 방향족환의 콘쥬게이션 π-전자의 수가 총 12개를 초과하도록 설계된 방향족기 또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아조 염료가 바람직하다. 아조기에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방향족환이란, 아조기에 결합되어 있는 전체 방향족기를 나타내는 반면, 아조기에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있지 않은 방향족환이란 아조기에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있지는 않지만 아조 염료를 구성하는 발색단에 치환기로서 존재하는 방향족환을 나타낸다. 예컨대, 나프탈렌환이 아조기에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 나프탈렌 환의 아조기에 결합되어 있는 하나의 벤젠환이 아니라 그것에 결합되어 있는 전체 나프탈렌환이 아조기에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방향족환이다. 비페닐기가 아조기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 아조기에 결합되어 있는 페닐기는 아조기에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방향족환인 반면, 다른 페닐기는 아조기에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있지 않은 방향족환이다. 방향족환은 아릴기 뿐만 아니라 방향족 복소환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조 염료는 그 아조기에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있지 않은 방향족환의 콘쥬게이션 π-전자의 수가 총 12개를 초과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콘쥬게이션 π-전자의 수는, 예컨대 다음과 같이 카운트할 수 있다: 아조기에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있지 않은 방향족환으로서 1개의 벤젠환과 1개의 나프탈렌환을 갖는 아조 염료에 있어서, 콘쥬게이션 π-전자의 수는 6+10=16이다. 방향족환의 콘쥬게이션 π-전자는 방향족환이 함유하는 콘쥬게이션 π-전자이다(방향족환에는 헤테로환이 포함되고, 6원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치환기로서 이러한 종류의 방향족환을 가짐으로써, 염료는 더욱 회합가능하고, 그 보존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방향족환의 치환위치로는 R41, R42, R43, R44, R45, R46 및 R47 중 어느 하나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R43, R44, R45, R46 및 R47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블랙 잉크의 아조 염료 중의 치환기의 특히 바람직한 조합에 대해서 후술한다. R45 및 R46로는 수소원자, 알킬기, 아릴기, 복소환기, 술포닐기 또는 아실기가 바람직하고; 수소원자, 아릴기, 복소환기 또는 술포닐기가 더욱 바람직하고; 수소원자, 아릴기 또는 복소환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R45와 R46은 동시에 수소원자인 것은 아니다.
G4로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알킬기,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또는 아실아미노기가 바람직하고,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아미노기 또는 아실아미노기가 더욱 바람직하고, 수소원자, 아미노기 또는 아실아미노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A41로는 벤젠환, 나프탈렌환, 피리딘환, 이미다졸환 또는 피라졸환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벤젠환 또는 나프탈렌환이다.
또한, B41 및 B42로는 각각 =CR41- 또는 -CR42=이 각각 바람직하고; R41 및 R42로는 수소원자, 알킬기,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카르바모일기, 카르복실기,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또는 알콕시카르보닐기가 바람직하고, 수소원자, 알킬기, 카르복실기, 시아노기 또는 카르바모일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일반식(B1)의 화합물의 치환기의 바람직한 조합에 대해서는, 1개 이상의 치환기가 상술한 바람직한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다 다수의 치환기가 상술한 바람직한 기인 것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모든 치환기가 상술한 바람직한 기인 것이다.
일반식(B1)의 아조 염료의 구체예를 이하에 나타내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하기 예에 있어서, 카르복실기, 포스포노기 및 술포기는 염을 형성해도 좋다. 염을 형성하는 카운터 이온의 예로는 암모늄이온, 알칼리 금속이온(예컨대, 리튬이온, 나트륨이온, 칼륨이온) 및 유기 양이온(예컨대, 테트라메틸암모늄이온, 테트라메틸구아니듐이온, 테트라메틸포스포늄이온)이 있다. 이들 중에서, 암모늄이온, 유기 양이온 및 리튬이온이 바람직하고; 리튬이온이 가장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28
Figure pat00029
Figure pat00030
Figure pat00031
Figure pat00032
Figure pat00033
Figure pat00034
Figure pat00035
Figure pat00036
Figure pat00037
Figure pat00038
Figure pat00039
일반식(B1)의 블랙 염료는 아조 성분과 커플링 성분의 커플링 반응을 통해서 제조될 수 있다. 그 예로는, 예컨대 일본특허공개 2003-306623호 및 일본특허출원 2003-353498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을 열거할 수 있다.
상기 λmax가 350nm~500nm인 염료(S)로는 상술한 옐로우 염료 및 옐로우 안료가 바람직하다. n이 0이거나 또는 y가 0인 일반식(B1) 및 (B2)의 염료가 염료(S)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잉크 중의 일반식(B1)의 아조 염료의 함유량은 0.2~20중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15중량%이다.
일반식(B2)의 화합물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B2) P-(N=N-Qx)y-N=N-R
식중, P, Q 및 R은 각각 필요에 따라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방향족기를 나타낸다(P 및 R은 각각 아릴기 등의 1가의 방향족기이고, Q는 아릴렌기 등의 2가의 방향족기이다). 특히, Q는 나프탈렌환 등의 다환식 방향족환인 것이 바람직하다.
x는 1 이상의 정수이고, y는 0 이상의 정수이다. 바람직하게는 x=y=1이다.
일반식(B2)에 있어도 좋은 치환기로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지방족기, 방향족기, 복소환기, 시아노기, 카르복실기, 카르바모일기, 알콕시카르보닐기, 아릴옥시카르보닐기, 복소환식 옥시카르보닐기, 아실기,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복소환식 옥시기, 실릴옥시기, 아실옥시기, 카르바모일옥시기, 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 아릴옥시카르보닐옥시기, 아미노기(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복소환식 아미노기 포함), 아실아미노기, 우레이도기, 술파모일아미노기,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 아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 알킬 또는 아릴술포닐아미노기, 복소환식 술포닐아미노기, 니트로기, 알킬 또는 아릴티오기, 복소환식 티오기, 알킬 또는 아릴술포닐기, 복소환식 술포닐기, 알킬 또는 아릴술피닐기, 복소환식 술피닐기, 술파모일기 및 술포기가 열거된다. 이들 기는 더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이들 치환기의 바람직한 예는 일반식(B1)의 기와 상응하는 것과 동일해도 좋다. 그 치환기가 아릴아조기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일반식(B2)의 블랙 염료의 예를 후술하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예에 있어서, 술포기는 염을 형성해도 좋다. 염을 형성하는 카운터 이온의 예로는 암모늄 이온, 알칼리 금속이온(예컨대, 리튬이온, 나트륨이온, 칼륨이온) 및 유기 양이온(예컨대, 테트라메틸암모늄이온, 테트라메틸구아니듐이온, 테트라메틸포스포늄이온)이 있다. 카운터 이온으로는 리튬이온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40
Figure pat00041

본 발명의 마젠타 잉크는 산화전위가 1.0V(vs SCE)를 초과, 바람직하게는 1.1V(vs SCE)를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1.2V(vs SCE)를 초과하는 염료를 함유한다. 산화전위가 1.0V를 초과하는 종류의 염료를 함유함으로써, 잉크는 우수한 내구성, 특히 우수한 내오존성의 화상을 부여한다.
바람직하게는, 산화전위가 1.0V(vs SCE)를 초과하는 염료의 함유량이 잉크 중의 전체 염료의 40중량% 이상인 것이다.
산화전위가 1.0V를 초과하는 염료로는, 그것에 결합되어 있는 헤테로환을 보유한 아조 염료의 2개 이상의 염료와 다른 구조를 갖는 마젠타 염료가 본 발명에서는 병용된다. 다른 구조를 갖는 염료는 아조기를 갖는 아조 염료와는 다른 염료로, 아조기의 각각의 말단은 골격의 점에서 헤테로환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이것은 아조기에 결합되어 있는 헤테로환을 보유하지 않거나, 또는 아조기의 하나의 말단에만 결합되어 있는 헤테로환을 보유하는 아조 염료이거나 또는 아조 염료 이외의 다른 염료이다. 아조 염료 이외의 다른 염료로는, 예컨대 안트라피리돈 염료가 있다.
아조기를 갖고, 이 아조기의 각각의 말단에 헤테로환을 갖는 아조염료로는 일반식(M1)의 염료가 바람직하고, 다른 구조를 갖는 염료로는 안트라피리돈 염료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일반식(2)의 안트라피리돈 염료이다.
(마젠타 염료)
일반식(M1)의 염료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마젠타 염료로는 수성매체 중에서 산화전위가 0.1V(vs SCE)를 초과하는 500~580nm의 스펙트럼 범위에서 흡수 피크를 갖는 아조 염료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마젠타 염료로서의 아조 염료의 바람직한 구조의 제1 특성은 일반식 (헤테로환 A)-N=N-(헤테로환 B)의 발색단을 갖는다. 이 경우에 있어서, 헤테로환 A 및 헤테로환 B는 동일한 구조를 가져도 좋다. 구체적으로, 헤테로환 A 및 헤테로환 B는 5원 또는 6원의 복소환이고, 예컨대 피라졸, 이미다졸, 트리아졸, 옥사졸, 티아졸, 셀레나졸, 피리돈, 피라진, 피리미딘 및 피리딘에서 선택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헤테로환은 일본특허공개 2001-279145호, 2002-309116호 및 2003-1265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아조 염료의 바람직한 구조의 제2 특성은 그 중의 아조기가 그것의 한측 이상에 방향족의 질소함유 6원 헤테로환이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커플링 성분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아조 염료의 구체예가 일본특허공개 2002-37121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아조 염료의 바람직한 구조의 제3 특성은 그 조색단이 방향족 환형 아미노기 또는 복소환식 아미노기의 구조를 갖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조색단은 아닐리노기 또는 헤테릴아미노기이다.
상기 아조 염료의 바람직한 구조의 제4 특성은 입체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염료의 구체예가 일본특허공개 2002-37121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상술한 특정 구조를 가짐으로써, 아조 염료는 증가된 산화전위 및 개선된 내오존성을 가질 수 있다. 아조 염료의 산화전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예컨대 α-수소를 제거한다. 그 증가된 산화전위의 관점에서, 일반식(M1)의 아조 염료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아조 염료의 산화전위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일본특허공개 2003-64275호 공보에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상술한 구조특성 중 어느 하나를 갖는 아조 염료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마젠타 잉크의 λmax(최대흡수파장)가 500~580nm인 것이 그 색상이 양호하여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장파장측과 단파장측의 최대 흡수파장의 반치폭은 100nm 미만인 것으로, 흡수 피크가 샤프하다. 이것에 대해서 일본특허공개 2002-309133호 공보에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일반식(M1)의 아조 염료에 α-메틸을 도입함으로써 얻어진 염료의 샤프한 광흡수가 실현된다.
아조 염료를 함유하는 마젠타 잉크의 오존가스에 대한 강제 퇴색속도상수는 최대 5.0×10-2[시간-1]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3.0×10-2[시간-1]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1.5×10-2[시간-1]이다.
상기 마젠타 잉크의 오존가스에 대한 가속 퇴색속도상수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마젠타 잉크만을 반사형 수상매체에 인쇄하고, 이렇게 형성된 상기 잉크의 주 스펙트럼 흡수영역의 컬러를 가지며 스테이터스 A의 필터를 통해 측정된 반사농도가 0.90~1.10인 화상의 착색영역의 일부를 초기농도점으로서 구체적으로 선택한다. 그 초기농도는 시작농도(=100%)이다. 상기 화상을 오존농도가 항시 5mg/L인 오존퇴색 시험기에서 퇴색시킨다. 그 퇴색된 샘플의 농도가 원샘플의 초기농도의 80%까지 저감되는 시간을 측정하고, 그 시간의 역수[시간-1]를 얻는다. 퇴색농도와 퇴색시간이 1차 반응 속도식을 따른다고 가정하에, 그 값을 퇴색반응 속도상수로 정의한다.
시험용 인화패치는 JIS 코드 2223 블랙 사각기호가 인쇄된 패치, 맥베드 챠트의 단계적 컬러패치, 또는 면적측정이 가능한 임의의 다른 그라데이션 농도 패치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측정용의 인쇄된 반사화상(단계적 컬러패치)의 반사농도는 국제규격 ISO5-4(반사농도의 기하학적 조건)을 만족시키는 농도계를 사용하여 스테이터스 A 필터를 통해 측정된다.
상기 오존가스에 대한 강제 퇴색속도상수 시험용 시험챔버에는 내부 오존농도를 5mg/L로 항시 유지할 수 있는 오존 발생장치(예컨대, 건조공기에 AC 전압을 인가하는 고압방전방식)가 설치되어 있고, 샘플이 상기 발생장치에 노출되는 온도는 25℃로 조절된다.
가속 퇴색속도상수는, 산화 분위기 예컨대 광화학 스모그, 자동차 배기가스, 도장된 가구 또는 카페트로부터의 유기증기 또는 명실의 액자로부터 발생한 가스의 환경하에서의 샘플의 산화력 지표이다. 구체적으로, 오존가스는 이들 산화분위기를 대표한다.
일반식(M1)의 염료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술한 특성을 보유한 대표적 아조 염료이고, 이들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Figure pat00042
일반식(M1)에 있어서, A31은 5원의 헤테로환을 나타낸다.
B31 및 B32는 각각 =CR31- 또는 -CR32=를 나타내거나, 또는 그 중 하나가 질소원자이고, 다른 하나가 =CR31- 또는 -CR32=이다.
R35 및 R3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상기 치환기로는 지방족기, 방향족기, 복소환기, 아실기, 알콕시카르보닐기, 아릴옥시카르보닐기, 카르바모일기, 알킬술포닐기, 아릴술포닐기 및 술파모일기가 열거되고; 각각의 기에 있어서의 수소원자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G3, R31 및 R3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상기 치환기로는 할로겐원자, 지방족기, 방향족기, 복소환기, 시아노기, 카르복실기, 카르바모일기, 알콕시카르보닐기, 아릴옥시카르보닐기, 복소환식 옥시카르보닐기, 아실기,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복소환식 옥시기, 실릴옥시기, 아실옥시기, 카르바모일옥시기, 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 아릴옥시카르보닐옥시기, 아미노기, 아실아미노기, 우레이도기, 술파모일아미노기,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 아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 알킬술포닐아미노기, 아릴술포닐아미노기, 복소환식 술포닐아미노기, 니트로기, 알킬티오기, 아릴티오기, 복소환식 티오기, 알킬술포닐기, 아릴술포닐기, 복소환식 술포닐기, 알킬술피닐기, 아릴술피닐기, 복소환식 술피닐기, 술파모일기 및 술포기가 열거되고; 각각의 기에 있어서의 수소원자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R31와 R35 또는 R35와 R36은 서로 결합하여 5원 또는 6원환을 형성해도 좋다.
일반식(M1)에 있어서, A31은 5원의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헤테로환의 헤테로원자로는 N, O 및 S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테로환은 질소함유 5원의 헤테로환이다. 헤테로환은 지방족환, 방향족환 또는 임의의 다른 헤테로환과 축합되어 있어도 좋다. A31의 헤테로환의 바람직한 예로는 피라졸, 이미다졸, 티아졸, 이소티아졸, 티아디아졸, 벤조티아졸, 벤조옥사졸 및 벤즈이소티아졸환이 있다. 이들 헤테로환은 더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그 중에서도, 하기 일반식(a)~(g)의 피라졸, 이미다졸, 이소티아졸, 티아디아졸 및 벤조티아졸환이 바람직하다.
일반식(a)~(g)에 있어서, R307~R322는 일반식(M1)에 있어서의 G3, R31 및 R3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치환기를 나타낸다.
일반식(a)~(g) 중, 일반식(a) 및 (b)의 피라졸 및 이소티아졸환이 바람직하고; 일반식(a)의 피라졸환이 가장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43
일반식(M1)에 있어서, B31 및 B32는 =CR31- 또는 -CR32=를 각각 나타내거나, 또는 그 중 하나는 질소원자를 나타내고 다른 하나는 =CR31- 또는 -CR32=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CR31- 및 -CR32=를 나타낸다.
R35 및 R36은 각각 수소원자, 지방족기, 방향족기, 복소환기, 아실기, 또는 알킬 또는 아릴술포닐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소원자, 방향족기, 복소환기, 아실기, 또는 알킬 또는 아릴술포닐기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수소원자, 아릴기 또는 복소환기이다. 상기 기에 있어서의 수소원자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그러나, R35와 R36가 동시에 수소원자인 것은 아니다.
G3, R31 및 R3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지방족기, 방향족기, 복소환기, 시아노기, 카르복실기, 카르바모일기, 알콕시카르보닐기, 아릴옥시카르보닐기, 복소환식 옥시카르보닐기, 아실기,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복소환식 옥시기, 실릴옥시기, 아실옥시기, 카르바모일옥시기, 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 아릴옥시카르보닐옥시기, 아미노기(아닐리노기, 복소환식 아미노기 포함), 아실아미노기, 우레이도기, 술파모일아미노기,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 아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 알킬 또는 아릴술포닐아미노기, 복소환식 술포닐아미노기, 니트로기, 알킬 또는 아릴티오기, 복소환식 티오기, 알킬 또는 아릴술포닐기, 복소환식 술포닐기, 알킬 또는 아릴술피닐기, 복소환식 술피닐기, 술파모일기 또는 술포기를 나타내고; 이들 기는 더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G3은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지방족기, 방향족기,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아실옥시기, 복소환식 옥시기, 아미노기(아닐리노기, 복소환식 아미노기 포함), 아실아미노기, 우레이도기, 술파모일아미노기,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 아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 알킬 또는 아릴티오기, 또는 복소환식 티오기가 바람직하고;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알킬기,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아실옥시기, 아미노기(아닐리노기, 복소환식 아미노기 포함) 또는 아실아미노기가 더욱 바람직하고; 수소원자, 아닐리노기 또는 아실아미노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기에 있어서의 수소원자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R31 및 R32는 각각 수소원자, 알킬기, 할로겐원자, 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카르바모일기,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또는 시아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기에 있어서의 수소원자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R31과 R35 또는 R35와 R36은 서로 결합하여 5원 또는 6원환을 형성해도 좋다.
A31이 치환되어 있는 경우, 또는 R31, R32, R35, R36 및 G3의 치환기가 더 치환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치환된 기의 치환기로는 G3, R31 및 R32에서 상술한 치환기가 열거된다.
상기 일반식(M1)의 염료가 물에 가용인 경우에는, A31, R31, R32, R35, R36 및 G3 중 어느 하나는 치환기로서 이온성 친수성기의 치환기를 추가로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치환기의 이온성 친수성기로는 술포기, 카르복실기, 포스포노기 및 4급 암모늄기가 열거된다. 이온성 친수성기로는 카르복실기, 포스포노기 및 술포기가 바람직하고; 카르복실기 및 술포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카르복실기, 포스포노기 및 술포기는 염을 형성해도 좋다. 염을 형성하는 카운터 이온의 예로는 암모늄이온, 알칼리 금속이온(예컨대, 리튬이온, 나트륨이온 및 칼륨이온) 및 유기 양이온(예컨대, 테트라메틸암모늄이온, 테트라메틸구아니듐이온 및 테트라메틸포스포늄이온)이 있다.
일반식(M1)에서 치환기가 나타내는 용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들 용어는 일반식(M1)과 후술하는 일반식(M1-A) 모두에 대해 공통이다.
할로겐원자로는 불소원자, 염소원자 및 브롬원자가 열거된다.
지방족기로는 알킬기, 치환 알킬기, 알케닐기, 치환 알케닐기, 알키닐기, 치환 알키닐기, 아랄킬기 및 치환 아랄킬기가 열거된다. "치환 알킬기" 등에서의 "치환"은 "알킬기" 등에 존재하는 수소원자가 G3, R31 및 R32에서 열거한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지방족기는 분기상이어도 좋고, 또는 환상이어도 좋다. 지방족기의 탄소수는 1~20개가 바람직하고, 1~16개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아랄킬기 및 치환 아랄킬기의 아릴부위로는 페닐 또는 나프틸기가 바람직하고, 페닐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지방족기의 예로는 메틸, 에틸, 부틸, 이소프로필, t-부틸, 히드록시에틸, 메톡시에틸, 시아노에틸, 트리플루오로메틸, 3-술포프로필, 4-술포부틸, 시클로헥실, 벤질, 2-페네틸, 비닐 및 알릴기가 있다.
방향족기로는 아릴기 및 치환 아릴기가 열거된다. 아릴기로는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가 바람직하고, 페닐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방향족기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6~20개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16개이다.
방향족기의 예로는 페닐, p-톨릴, p-메톡시페닐, o-클로로페닐 및 m-(3-술포프로필아미노)페닐기가 있다.
복소환기에는 치환 복소환기 및 미치환 복소환기가 포함된다. 헤테로환은 지방족환, 방향족 또는 임의의 다른 헤테로환과 축합되어 있어도 좋다. 복소환기로는 5원 또는 6원의 복소환기가 바람직하다. 치환 복소환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지방족기, 할로겐원자, 알킬술포닐기, 아릴술포닐기, 아실기, 아실아미노기, 술파모일기, 카르바모일기 및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복소환기의 예로는 2-피리딜, 2-티에닐, 2-티아졸릴, 2-벤조티아졸릴, 2-벤조옥사졸릴 및 2-푸릴기가 있다.
카르바모일기에는 치환 카르바모일기 및 미치환 카르바모일기가 포함된다. 치환 카르바모일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알킬기가 있다. 카르바모일기의 예로는 메틸카르바모일 및 디메틸카르바모일기가 있다.
알콕시카르보닐기에는 치환 알콕시카르보닐기 및 미치환 알콕시카르보닐기가 포함된다. 알콕시카르보닐기의 탄소수는 2~20개가 바람직하다. 치환 알콕시카르보닐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알콕시카르보닐기의 예로는 메톡시카르보닐 및 에톡시카르보닐기가 있다.
아릴옥시카르보닐기에는 치환 아릴옥시카르보닐기 및 미치환 아릴옥시카르보닐기가 포함된다. 아릴옥시카르보닐기의 탄소수는 7~20개가 바람직하다. 치환 아릴옥시카르보닐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아릴카르보닐기의 예로는 페녹시카르보닐기가 있다.
복소환식 옥시카르보닐기에는 치환 복소환식 옥시카르보닐기 및 미치환 복소환식 옥시카르보닐기가 포함된다. 상기 기의 헤테로환 부위로는 상기 복소환기의 헤테로환에서 열거한 것들이 열거된다. 복소환식 옥시카르보닐기의 탄소수는 2~20개가 바람직하다. 상기 치환 복소환식 옥시카르보닐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복소환식 옥시카르보닐기의 예로는 2-피리딜옥시카르보닐기가 있다.
아실기에는 치환 아실기 및 미치환 아실기가 포함된다. 아실기의 탄소수는 1~20개가 바람직하다. 치환 아실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아실기의 예로는 아세틸기 및 벤조일기가 있다.
알콕시기에는 치환 알콕시기 및 미치환 알콕시기가 포함된다. 알콕시기의 탄소수는 1~20개가 바람직하다. 치환 알콕시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알콕시기, 히드록시기 및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알콕시기의 예로는 메톡시, 에톡시, 이소프로폭시, 메톡시에톡시, 히드록시에톡시 및 3-카르복시프로폭시기가 있다.
아릴옥시기에는 치환 아릴옥시기 및 미치환 아릴옥시기가 포함된다. 아릴옥시기의 탄소수는 6~20개가 바람직하다. 치환 아릴옥시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알콕시기 및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아릴옥시기의 예로는 페녹시, p-메톡시페녹시 및 o-메톡시페녹시기가 있다.
복소환식 옥시기에는 치환 복소환식 옥시기 및 미치환 복소환식 옥시기가 포함된다. 상기 기의 헤테로환 부위로는, 상술한 복소환식기의 헤테로환으로서 상술한 것들이 열거된다. 복소환식 옥시기의 탄소수는 2~20개가 바람직하다. 치환 복소환식 옥시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알킬기, 알콕시기 및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복소환식 옥시기의 예로는 3-피리딜옥시 및 3-티에닐옥시기가 있다.
실릴옥시기로는 탄소수 1~20개의 지방족 및/또는 방향족기로 치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릴옥시기의 예로는 트리메틸실릴옥시 및 디페닐메틸실릴옥시기가 있다.
아실옥시기에는 치환 아실옥시기 및 미치환 아실옥시기가 포함된다. 아실옥시기의 탄소수는 1~20개가 바람직하다. 치환 아실옥시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아실옥시기의 예로는 아세톡시 및 벤조일옥시기가 있다.
카르바모일옥시기에는 치환 카르바모일옥시기 및 미치환 카르바모일옥시기가 포함된다. 치환 카르바모일옥시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알킬기가 있다. 카르바모일옥시기의 예로는 N-메틸카르바모일옥시기가 있다.
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에는 치환 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 및 미치환 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가 포함된다. 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의 탄소수는 2~20개가 바람직하다. 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의 예로는 메톡시카르보닐옥시 및 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옥시기가 있다.
아릴옥시카르보닐옥시기에는 치환 아릴옥시카르보닐옥시기 및 미치환 아릴옥시카르보닐옥시기가 포함된다. 아릴옥시카르보닐옥시기의 탄소수는 7~20개가 바람직하다. 아릴옥시카르보닐옥시기의 예로는 페녹시카르보닐옥시기가 있다.
아미노기에는 치환 아미노기 및 미치환 아미노기가 포함된다. 치환 아미노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알킬기, 아릴기 및 복소환기가 있다. 알킬, 아릴 및 복소환기는 더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알킬아미노기로는 치환 알킬아미노기 및 미치환 알킬아미노기가 열거된다. 알킬아미노기의 탄소수는 1~20개가 바람직하다. 치환 알킬아미노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알킬아미노기의 예로는 메틸아미노기 및 디에틸아미노기가 있다.
아릴아미노기에는 치환 아릴아미노기 및 미치환 아릴아미노기가 포함된다. 아릴아미노기의 탄소수는 6~20개가 바람직하다. 치환 아릴아미노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할로겐원자 및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아릴아미노기의 예로는 페닐아미노 및 2-클로로페닐아미노기가 있다.
복소환식 아미노기에는 치환 복소환식 아미노기 및 미치환 복소환식 아미노기가 포함된다. 상기 기의 헤테로환 부위로는 상술한 복소환기의 헤테로환에서 열거한 것들이 열거된다. 복소환식 아미노기의 탄소수는 2~20개가 바람직하다. 치환 복소환식 아미노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알킬기, 할로겐원자 및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아실아미노기에는 치환 아실아미노기 및 미치환 아실아미노기가 포함된다. 아실아미노기의 탄소수는 2~20개가 바람직하다. 치환 아실아미노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아실아미노기의 예로는 아세틸아미노, 프로피오닐아미노, 벤조일아미노, N-페닐아세틸아미노 및 3,5-디술포벤조일아미노기가 있다.
우레이도기에는 치환 우레이도기 및 미치환 우레이도기가 포함된다. 우레이도기의 탄소수는 1~20개가 바람직하다. 치환 우레이도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알킬기 및 아릴기가 있다. 우레이도기의 예로는 3-메틸우레이도, 3,3-디메틸우레이도 및 3-페닐우레이도기가 있다.
술파모일아미노기에는 치환 술파모일아미노기 및 미치환 술파모일아미노기가 포함된다. 치환 술파모일아미노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알킬기가 있다. 술파모일아미노기의 예로는 N,N-디프로필술파모일아미노기가 있다.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에는 치환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 및 미치환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가 포함된다.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의 탄소수는 2~20개가 바람직하다. 치환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의 예로는 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기가 있다.
아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에는 치환 아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 및 미치환 아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가 포함된다. 아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의 탄소수는 7~20개가 바람직하다. 치환 아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아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의 예로는 페녹시카르보닐아미노기가 있다.
알킬술포닐아미노 및 아릴술포닐아미노기에는 치환 알킬술포닐아미노 및 아릴술포닐아미노기, 및 미치환 알킬술포닐아미노기 및 아릴술포닐아미노기가 포함된다. 알킬술포닐아미노기 및 아릴술포닐아미노기의 탄소수는 1~20개가 바람직하다. 치환 알킬술포닐아미노기 및 아릴술포닐아미노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알킬술포닐아미노 및 아릴술포닐아미노기의 예로는 메틸술포닐아미노, N-페닐-메틸술포닐아미노, 페닐술포닐아미노 및 3-카르복시페닐술포닐아미노기가 있다.
복소환식 술포닐아미노기에는 치환 복소환식 술포닐아미노기 및 미치환 복소환식 술포닐아미노기가 포함된다. 상기 기의 헤테로환 부위로는 상기 복소환기의 헤테로환으로서 상술한 것들이 열거된다. 복소환식 술포닐아미노기의 탄소수는 1~12개가 바람직하다. 치환 복소환식 술포닐아미노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복소환식 술포닐아미노기의 예로는 2-티에닐술포닐아미노 및 3-피리딜술포닐아미노기가 있다.
알킬티오기, 아릴티오기 및 복소환식 티오기에는 치환 알킬티오, 아릴티오, 및 복소환식 티오기 및 미치환 알킬티오, 아릴티오 및 복소환식 티오기가 포함된다. 상기 기의 헤테로환 부위로는 상기 복소환기의 헤테로환으로서 상술한 것들이 열거된다. 알킬티오, 아릴티오 및 복소환식 티오기의 탄소수는 1~20개가 바람직하다. 치환 알킬티오, 아릴티오 및 복소환식 티오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알킬티오, 아릴티오 및 복소환식 티오기의 예로는 메틸티오, 페닐티오 및 2-피리딜티오기가 있다.
알킬술포닐기 및 아릴술포닐기에는 치환 알킬술포닐 및 아릴술포닐기 및 미치환 알킬술포닐 및 아릴술포닐기가 포함된다. 알킬술포닐 및 아릴술포닐기의 예로는 메틸술포닐 및 페닐술포닐기가 있다.
복소환식 술포닐기에는 치환 복소환식 술포닐기 및 미치환 복소환식 술포닐기가 포함된다. 상기 기의 헤테로환 부위로는 상기 복소환기의 헤테로환으로서 상술한 것들이 열거된다. 복소환식 술포닐기의 탄소수는 1~20개가 바람직하다. 치환 복소환식 술포닐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복소환식 술포닐기의 예로는 2-티에닐술포닐 및 3-피리딜술포닐기가 있다.
알킬술피닐기 및 아릴술피닐기에는 치환 알킬술피닐 및 아릴술피닐기, 및 미치환 알킬술피닐 및 아릴술피닐기가 포함된다. 알킬술피닐 및 아릴술피닐기의 예로는 메틸술피닐 및 페닐술피닐기가 있다.
복소환식 술피닐기에는 치환 복소환식 술피닐기 및 미치환 복소환식 술피닐기가 포함된다. 상기 기의 헤테로환 부위로는 상기 복소환기의 헤테로환으로서 상술한 것들이 열거된다. 복소환식 술피닐기의 탄소수는 1~20개가 바람직하다. 치환 복소환식 술피닐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이온성 친수성기가 있다. 복소환식 술피닐기의 예로는 4-피리딜술피닐기가 있다.
술파모일기에는 치환 술파모일기 및 미치환 술파모일기가 포함된다. 치환 술파모일기의 치환기의 예로는 알킬기가 있다. 술파모일기의 예로는 디메틸술파모일 및 디(2-히드록시에틸)술파모일기가 있다.
일반식(M1)의 염료 중에서, 하기 일반식(M1-A)의 것들이 더욱 바람직하다.
일반식(M1-A):
Figure pat00044
식중, R31, R32, R35 및 R36은 일반식(M1)에서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R33 및 R3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치환기로는 지방족기, 방향족기, 복소환기, 아실기, 알콕시카르보닐기, 아릴옥시카르보닐기, 카르바모일기, 알킬술포닐기, 아릴술포닐기 및 술파모일기가 열거된다. 그 중에서, 수소원자, 방향족기, 복소환기, 아실기, 알킬술포닐기 및 아릴술포닐기가 바람직하고; 수소원자, 방향족기 및 복소환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Z31은 하멧 치환기 상수 σp가 0.20 이상인 전자끄는기를 나타낸다. Z31은 σp가 0.30 이상인 전자끄는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0.45 이상의 전자끄는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60 이상이지만 1.0을 초과하지 않는 전자끄는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하멧 치환기 상수 σp가 0.60 이상인 전자끄는기로는 시아노기, 니트로기, 알킬술포닐기(예컨대, 메틸술포닐) 및 아릴술포닐기(예컨대, 페닐술포닐)가 열거된다.
하멧 치환기 상수 σp가 0.45 이상인 전자끄는기의 예로는 상술한 기 이외에 아실기(예컨대, 아세틸), 알콕시카르보닐기(예컨대, 도데실옥시카르보닐), 아릴옥시카르보닐기(예컨대, m-클로로페녹시카르보닐), 알킬술피닐기(예컨대, n-프로필술피닐), 아릴술피닐기(예컨대, 페닐술피닐), 술파모일기(예컨대, N-에틸술파모일, N,N-디메틸술파모일), 및 할로게노알킬기(예컨대, 트리플루오로메틸)가 열거된다.
하멧 치환기 상수 σp가 0.30 이상인 전자끄는기의 예로는 상술한 기 이외에 아실옥시기(예컨대, 아세톡시), 카르바모일기(예컨대, N-에틸카르바모일, N,N-디에틸카르바모일), 할로게노알콕시기(예컨대, 트리플루오로메톡시), 할로게노아릴옥시기(예컨대, 펜타플루오로페닐옥시), 술포닐옥시기(예컨대, 메틸술포닐옥시), 할로게노알킬티오기(예컨대, 디플루오로메틸티오), σp가 각각 0.15 이상인 2개 이상의 전자끄는기로 치환된 아릴기(예컨대, 2,4-디니트로페닐, 펜타클로로페닐), 및 복소환기(예컨대, 2-벤조옥사졸릴, 2-벤조티아졸릴, 1-페닐-2-벤즈이미다졸릴)가 열거된다.
σp가 0.20 이상인 전자끄는기의 예로는 상술한 기 이외에 할로겐원자가 열거된다.
그 중에서도, Z31은 탄소수 2~20개의 아실기, 탄소수 2~20개의 알킬옥시카르보닐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탄소수 1~20개의 알킬술포닐기, 탄소수 6~20개의 아릴술포닐기, 탄소수 1~20개의 카르바모일기 또는 탄소수 1~20개의 할로게노알킬기가 바람직하고; 시아노기, 탄소수 1~20개의 알킬술포닐기 또는 탄소수 6~20개의 아릴술포닐기가 더욱 바람직하고; 시아노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Z32는 수소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치환기로는 지방족기, 방향족기 및 복소환기가 열거된다. Z32는 바람직하게는 지방족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6개의 알킬기이다.
Q는 수소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치환기로는 지방족기, 방향족기 및 복소환기가 열거된다. 그 중에서도, Q로는 5~8원환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비금속성 원자로 이루어진 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5~8원환은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포화 환이어도 좋고 또는 불포화 환이어도 좋다. 그 중에서도, 방향족기 또는 복소환기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비금속성 원자로는 질소, 산소, 황 및 탄소원자가 있다. 그 환구조의 예로는 벤젠, 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시클로헵탄, 시클로옥탄, 시클로헥센, 피리딘, 피리미딘, 피라진, 피리다진, 트리아진, 이미다졸, 벤즈이미다졸, 옥사졸, 벤조옥사졸, 티아졸, 벤조티아졸, 옥산, 술포란 및 티안환이 있다.
일반식(M1-A)에 있어서의 각각의 기의 수소원자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치환기로는 일반식(M1)에 있어서의 기 G3, R31 및 R32에서 상술한 것 및 이온성 친수성기가 열거된다.
일반식(M1)의 아조 염료의 치환기의 특히 바람직한 조합에 대해서 후술한다. R35 및 R36으로는 수소원자, 알킬기, 아릴기, 복소환기, 술포닐기 또는 아실기가 바람직하고; 수소원자, 아릴기, 복소환기 또는 술포닐기가 더욱 바람직하고; 수소원자, 아릴기 또는 복소환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R35와 R36은 동시에 수소원자이어서는 안된다.
G3으로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알킬기,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또는 아실아미노기가 바람직하고,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아미노기 또는 아실아미노기가 더욱 바람직하고, 수소원자, 아미노기 또는 아실아미노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A31로는 피라졸환, 이미다졸환, 이소티아졸환, 티아디아졸환 또는 벤조티아졸환이 바람직하고, 피라졸환 또는 이소티아졸환이 더욱 바람직하고, 피라졸환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B31 및 B32로는 =CR31- 및 -CR32=이 각각 바람직하고; R31 및 R32로는 수소원자, 알킬기,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카르바모일기, 카르복실기,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또는 알콕시카르보닐기가 바람직하고, 수소원자, 알킬기, 카르복실기, 시아노기 또는 카르바모일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M1)의 화합물의 치환기의 바람직한 조합에 대해서는, 1개 이상의 치환기가 상술한 바람직한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다 다수의 치환기가 상술한 바람직한 기인 것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모든 치환기가 상술한 바람직한 기인 것이다.
상기 일반식(M1)의 아조 염료의 구체예를 이하에 나타내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pat00045
Figure pat00046
Figure pat00047
Figure pat00048
Figure pat00049
Figure pat00050
Figure pat00051
Figure pat00052
Figure pat00053
Figure pat00054
Figure pat00055
Figure pat00056
Figure pat00057
잉크 중의 일반식(M1)의 아조 염료의 함유량은 0.2~20중량%가 바람직하고, 0.5~15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그 염료의 20℃에서의 물에 대한 용해도(또는 안정한 상태에서의 분산도)는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이다.
일반식(M2)의 염료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Figure pat00058
식중, R은 수소원자, 알킬기, 히드록시 저급 알킬기, 시클로헥실기, 모노 또는 디알킬아미노알킬기 또는 시아노 저급 알킬기를 나타내고; Y는 염소원자,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모노 또는 디알킬아미노기(필요에 따라 그 알킬부위에 술폰산기, 카르복실기 및 히드록시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를 가짐), 아랄킬아미노기, 시클로알킬아미노기, 알콕시기, 페녹시기(필요에 따라 그 벤젠환에 술폰산기, 카르복실기, 아세틸아미노기, 아미노기 및 히드록시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를 가짐), 아닐리노기(필요에 따라 술폰산기 및 카르복실기에서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치환됨), 나프틸아미노기(나프틸기는 술폰산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음), 또는 모노 또는 디알킬아미노알킬아미노기를 나타내고; X는 유교기를 나타내고; Z는 수소원자, 알칼리 금속원소, 알칼리 토금속원소, 알킬아미노기, 알칸올아미노기 또는 암모늄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반식(M2)의 안트라피리돈 염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에 있어서, Z로는 알칼리 금속원소, 알칼리 토금속원소, 알킬아미노기, 알칸올아미노기 또는 암모늄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칼륨 또는 리튬 등의 알칼리 금속원소, 모노에탄올아미노, 디에탄올아미노, 트리에탄올아미노,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미노, 디이소프로판올아미노,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미노 또는 암모늄기 등의 알칸올아미노기이다.
하기 일반식(M3)의 화합물은 일반식(M2)의 염료의 대표예이다.
Figure pat00059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여기서 나타내는 "알킬"이란 본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나타내는 일반적인 일부 및 모든 알킬기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알킬기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탄소수 1~10개의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1~4개의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알콕시기 및 아랄킬기에 있어서의 알킬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일반식(M2) 및 (M3)에 있어서, R의 알킬기는, 예컨대 메틸, 에틸, n-프로필, n-부틸 등의 C1-C4 알킬기이다. R의 히드록시 저급 알킬기 및 시아노 저급 알킬기에 있어서의 알킬로는, 예컨대 에틸 및 프로필이 열거되지만, 에틸이 바람직하다. Y의 알킬아미노기는, 예컨대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부틸아미노, 2-에틸헥실아미노 등의 C1-C8 알킬아미노기이다. 디알킬아미노기는, 예컨대 디에틸아미노, 디부틸아미노, 디헥실아미노 등의 C1-C8 디알킬아미노기이다. 아랄킬아미노기는, 예컨대 벤질아미노, 페네틸아미노, 페닐프로필아미노 등의 페닐(C1-C6)알킬아미노기이다. 시클로알킬아미노기는, 예컨대 시클로헥실아미노, 시클로펜틸아미노 등의 시클로(C5-C7)알킬아미노기이다. 알콕시기는, 예컨대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등의 C1-C4 알콕시기이다. 술폰산 또는 카르복실기를 보유한 알킬아미노기에 있어서 알킬부위는, 예컨대 메틸, 에틸, n-프로필, n-부틸 등의 C1-C4 알킬기이다.
Y의 페녹시기는 술폰산기, 카르복실기, 아세틸아미노기, 아미노기 및 히드록시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그 예로는 4-술폭페녹시, 3-카르복시페녹시, 4-아세틸아미노페녹시, 4-아미노페녹시 및 4-히드록시페녹시기가 있다.
Y의 알킬아미노기는 술폰산기 또는 카르복실기를 갖고, 그 예로는 2-술포에틸아미노, 카르복시메틸아미노, 2-카르복시에틸아미노, 1-카르복시에틸아미노, 1,2-디카르복시에틸아미노 및 디(카르복시메틸)아미노기가 있다. 히드록시기를 갖는 알킬아미노기의 예로는 히드록시에틸아미노 및 디히드록시에틸아미노기가 있다.
Y의 아닐리노기는 술폰산기 및 카르복실기에서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그 예로는 2,5-디술포아닐리노, 3-술포아닐리노, 2-술포아닐리노, 4-술포아닐리노, 2-카르복시-4-술포아닐리노 및 2-카르복시-5-술포아닐리노기가 있다.
Y의 나프틸아미노기는 술폰산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3,6,8-트리술포-1-나프틸아미노, 4,6,8-트리술포-2-나프틸아미노, 3,6,8-트리술포-2-나프틸아미노 및 4,8-디술포-2-나프틸아미노기가 있다.
X의 유교기는, 예컨대 탄소수가 1~20개이고, 필요에 따라서 질소, 산소 및 황원자를 함유하는 탄화수소 잔기의 2가의 기로서, 그 양단에 질소 또는 산소원자를 갖고, 그 양단의 질소 또는 산소원자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결합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N(H)m(-A-)nN(H)m- 또는 -O-A-O-
여기서, A는 탄소수가 1~20개이고 필요에 따라서 질소, 산소 및 황원자 중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2가의 탄화수소 잔기를 나타내고; n은 1 또는 2를 나타내고; m은 1 또는 0을 나타내고; n이 1인 경우, m은 1이고, n이 2인 경우, m은 0이다.
A의 탄소수 1~20개의 2가의 탄화수소 잔기로는, 예컨대 탄소수가 1~15개이고 필요에 따라 1개 또는 2개의 헤테로 원자(예컨대, 질소, 산소, 황)를 함유하는 2가의 지방족기, 탄소수가 3~10개, 바람직하게는 5~10개이고 필요에 따라 1~3개의 헤태로 원자(예컨대, 질소, 산소, 황)를 함유하는 2가의 방향족기, 및 상기 지방족기 와 방향족기를 조합한 2가의 기가 열거된다. 이들 기는 치환기(술폰산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및 방향족기에 대해서는 저급 알킬기)를 가져도 좋다.
지방족기로는, 예컨대 탄소수가 1~6개이고, 메틸렌, 디메틸렌(에틸렌), 트리메틸렌(프로필렌), 2-메틸트리메틸렌(2-메틸프로필렌), 테트라메틸렌(부틸렌), 헥사메틸렌 등의 저급 알킬기로 필요에 따라서 치환된 (폴리)메틸렌; 시클로펜탄-1,2- 또는 -1,3-디일, 시클로헥산-1,2-, -1,3- 또는 -1,4-디일, 시클로헵탄-디일 등의 탄소수 5~7개의 시클로알킬렌; 메틸렌시클로헥산-1,4-디일메틸렌(-CH2-C6H10-CH2-), 메틸렌디시클로헥산-디일(-C6H10-CH2-C6H10-), 메틸렌비스(메틸시클로헥산-디일){-C6H10(CH3)-CH2-C6H10(CH3)-}, 시클로헥산-디일-디메틸렌(-CH2-C6H10-CH2-) 등의 저급 알킬렌을 함유하는 지방족기 및 탄소수 5~7개의 지방족환(필요에 따라 저급 알킬기로 치환됨); 및 메틸렌옥시메틸렌(-CH2-O-CH2-), 비스(디메틸렌)아미노(-C2H4-NH-C2H4-), 메틸렌티오메틸렌(-CH2-S-CH2-), 옥시디시클로헥산-디일(-C6H10-O-C6H10-) 등의 탄소수가 1~7개이고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지방족기가 열거된다.
2가의 방향족기로는, 예컨대 페닐렌(-C6H4-), 나프틸렌(-C10H6-) 등의 탄소수 6~10개의 방향족기가 있다.
상기 지방족기와 방향족기를 조합시킴으로써 형성되는 2가의 기로는, 예컨대 크실렌기(-CH-C6H4-CH-)가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A는 디메틸렌, 헥사메틸렌, 1,3-크실릴렌, 메틸렌디시클로헥산-4,1-디일, 메틸렌비스(2-메틸시클로헥산-4,1-디일) 또는 시클로헥산-1,3-디일-디메틸렌이다.
유교기 X로는, 예컨대 1,2-디아미노에틸렌(-NH-CH2CH2-NH-), 1,4-디아미노부틸렌(-NH-C4H8-NH-), 1,6-디아미노헥실렌(-NH-C6H12-NH-) 등의 디아미노알킬렌기; 1,4-페페라진디일(-NC4H8N-), 1,4-디아미노페닐렌(-NH-C6H4-p-NH-), 1,3-디아미노페닐렌 (-NH-C6H4-m-NH-) 등의 디아미노페닐렌기; 4-술포-1,3-디아미노페닐렌{-NH-C6H4(p-SO3H)-m-NH-}, 5-카르복시-1,3-디아미노페닐렌 등의 치환 디아미노페닐렌기; 1,3-디아미노크실릴렌(-NH-CH2-C6H4-m-CH2-NH-), 1,4-디아미노크실릴렌(-NH-CH2-C6H4-p-CH2-NH-), 4,4'-디아미노-2-술포-디페닐아미노{-NH-C6H4(m-SO3H)-NH-C6H4-p-NH-}, 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NH-C6H10-4-CH2-C6H10-4'-NH-), 4,4'-디아미노-3,3'-디메틸디시클로헥실메탄{-NH-C6H10(3-CH3)-4-CH2-C6H10(3'-CH3)-4'-NH-}, 1,3-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NH-CH2-C6H10-3-CH-NH-); 디옥시에틸렌(-O-CH2CH2-O-), 1,4-디옥시부틸렌(-O-C4H8-O-), 2,2'-디옥시에틸에테르(-O-CH2CH2-O-CH2CH2-O-) 등의 디옥시치환 알킬렌기; 1,4-디옥시페닐렌(-O-C6H4-p-O-), 1,3-디옥시페닐렌(-O-C6H4-m-O-), 4,4'-디옥시디페닐에테르(-O-C6H4-p-O-C6H4-p-0-), 4,4'-디옥시페닐렌-티오에테르(-O-C6H4-p-S-C6H4-p-O-), 2,5- 및 2,6-노르보르난디아미노, 1,4-디옥시메틸시클로헥실렌(-O-CH-C6H10-4-CH2-O-)가 열거된다. 일반식 -N(H)m(-A-)nN(H)m-의 기에 있어서 n은 2이고 m은 0이며, 그 일례로는 1,4-피페라진디일(-NC4H8N-)이 있다.
R, Y 및 X의 바람직한 조합은 다음과 같다: 예컨대, R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Y는 염소원자, 히드록시기 또는 아미노기이고; X는 디아미노에틸렌기, 1,4-피페라진디일기, 1,3-디아미노크실릴렌기, 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기, 4,4'-디아미노-3,3'-디메틸디시클로헥실메탄기 또는 1,3-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기이다.
일반식(M3)의 안트라피리돈 화합물의 구체예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표에 있어서, 디아미노에틸렌은 1,2-디아미노에틸렌(-NH-CH2CH2-NH-)을 의미한다. Ph는 페닐을 의미한다. 예컨대, PhO는 페녹시이고, NHPh는 아닐리노이고, 다른 것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NHPh(p-SO3H)는 4-술포아닐리노(여기서, p-SO3H는 술폰산기가 페닐기의 파라위치에 있는 것을 의미함)를 의미한다. NHPh(COOH)2(3,5)는 3,5-디카르복시아닐리노(여기서, Ph(COOH)2(3,5)는 카르복실기가 페닐기의 3 및 5위치에 치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함)이다. 다른것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나프틸"은 나프틸이고, "NH-2나프틸(SO3H)3(3,6,8)"은 3,6,8-트리술포-2-나프틸아미노이고; NH(시클로헥실)은 시클로헥실아미노이다.
Figure pat00060
Figure pat00061
유교기 X가 그 양단에 아미노기를 갖는 일반식(M3)의 화합물은, 예컨대 하기 일반식(M4)의 화합물 2몰과 2,4,6-트리클로로-S-트리아진(염화시아누르산) 2~2.4몰을 pH 3~7의 물에서 5~35℃에서 2~8시간 반응시키고, 그 얻어진 1차 축합물인 하기 일반식(M5)의 화합물과 하기 일반식(M6)의 디아미노 화합물 1몰을 pH 4~10, 5~90℃에서 10분~5시간 더 반응시켜, 2차 축합물인 하기 일반식(M7)의 화합물을 얻었고, 식중 Y는 염소원자이고, 유교기 X의 양단은 아미노기이다.
Figure pat00062
식중, A는 연결기를 나타내고, 예컨대 탄소수 1~20개의 2가의 탄화수소 잔기이고, 이것은 질소원자,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를 함유해도 좋고; n은 1 또는 2이고; m은 1 또는 0이고; n이 1인 경우 m은 1이고, n이 2인 경우 m은 0이다. 바람직하게는, A는 C1-C6(폴리)메틸렌 또는 필요에 따라 치환되는 페닐렌, 크실릴렌, 메틸렌디시클로헥산-디일, 메틸렌비스(메틸시클로헥산-디일) 또는 시클로헥산-디일-디메틸렌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디메틸렌, 헥사메틸렌, 1,3-크실릴렌, 메틸렌디시클로헥산-4,1-디일, 메틸렌비스(2-메틸시클로헥산)-4,1-디일 또는 시클로헥산-1,3-디일-디메틸렌이다.
Figure pat00063
그러나, 상기 방법에 사용되는 화합물(M6)이 피페리딘 등의 NH(-A-)2NH(일반식(6)에 있어서, n=2, m=0)인 화합물인 경우, 식중 -NH-A-NH-가 -N(-A-)2N-으로 대체된 일반식(M7)의 화합물이 얻어진다. 다음에, 화합물(M7)을 pH 9~12, 70~90℃에서 1~5시간 가수분해시키거나, 또는 암모니아 또는 상응하는 아민, 또는 페놀, 나프톨 또는 메탄올 등의 알콜과 pH 8~10, 90~100℃에서 3~8시간 반응시킨 다음, 3차 축합물인 하기 일반식(M8)의 화합물을 얻으며, 식중 Y는 염소원자가 아니다.
Figure pat00064
일반식(M6)의 HN(-A)2NH의 화합물을 상기 방법에 사용하는 경우, 얻어지는 일반식(M8)의 화합물은 -NH-A-NH- 대신에 -N(-A-)2N-을 갖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의 축합반응의 순서는 반응시킬 화합물의 반응성에 따라 적당히 결정될 수 있고,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수의 일반식(M8)의 화합물이 상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어 있다. 일반식(M8)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예를 표 1 및 표 2의 것을 포함하여 이하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65
일반식 HO-A-OH(식중 A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가짐)의 글리콜 화합물을 일반식(M6)의 디아미노 화합물 대신에 사용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축합을 행한 경우, 유교기 -NH-A-NH-가 -O-A-O-로 대체된 일반식(M7)의 화합물이 얻어진다. 상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행하여, 유교기 -NH-A-NH-가 -O-A-O-로 대체된 일반식(M8)의 화합물이 얻어진다.
이렇게 상술한 방법으로 하여 얻어진 상기 화합물은 유리산 또는 그 염 중 어느 형태이어도 좋다. 따라서, 상기 화합물은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금속염, 알킬아민염, 알칸올아민염 또는 암모늄염 등의 유리산 또는 그 염으로서 사용되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이들은 나트륨염, 칼륨염, 리튬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 모노에탄올아민염, 디에탄올아민염, 트리에탄올아민염,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민염, 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 등의 알칸올아민염; 및 암모늄염의 형태이다.
(잉크셋)
본 발명의 잉크셋은 풀컬러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또는 색조를 조절하기 위해서 상술한 염료와 함께 다른 염료를 함유해도 좋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염료의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옐로우 염료로는, 예컨대 커플링 성분으로서 페놀, 나프톨, 아닐린, 피라졸론, 피리돈 또는 개쇄형 활성 메틸렌 화합물을 갖는 아릴 또는 헤테릴아조 염료; 커플링 성분으로서 개쇄형 활성 메틸렌 화합물을 갖는 아조메틴 염료; 벤질리덴 염료, 모노메틴-옥소놀 염료 등의 메틴염료; 나프토퀴논 염료, 안트라퀴논 염료 등의 퀴논 염료가 있다. 이들 외의 다른 염료종으로는 퀴노프탈론 염료, 니트로-니트로소 염료, 아크리딘 염료 및 아크리디논 염료가 있다. 이들 염료는 발색단의 일부가 해리된 후에만 옐로우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카운터 양이온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암모늄이온 등의 무기 양이온, 또는 피리디늄 또는 4급 암모늄 양이온 등의 유기 양이온이어도 좋고, 또는 부분구조로서 이들 중 어느 하나를 갖는 폴리머 양이온이어도 좋다.
마젠타 염료로는, 예컨대 커플링 성분으로서 페놀, 나프톨 또는 아닐린을 갖는 아릴 또는 헤테릴아조 염료; 커플링 성분으로서 피라졸론 또는 피라졸로트리아졸을 갖는 아조메틴 염료; 아릴리덴 염료, 스티릴 염료, 메로시아닌 염료, 옥소놀 염료 등의 메틴 염료; 디페닐메탄 염료, 트리페닐메탄 염료, 크산텐 염료 등의 카르보늄 염료; 나프토퀴논 염료, 안트라퀴논 염료, 안트라피리돈 염료 등의 퀴논염료; 및 디옥사진 염료 등의 축합 다환식 염료가 있다. 이들 염료는 발색단의 일부가 해리된 후에만 마젠타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카운터 양이온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암모늄이온 등의 무기 양이온, 또는 피리디늄 또는 4급 암모늄 양이온 등의 유기 양이온이어도 좋고, 또는 부분구조로서 이들 중 어느 하나를 갖는 폴리머 양이온이어도 좋다.
시안 염료로는, 예컨대 인다닐린 염료, 인도페놀 염료 등의 아조메틴 염료; 시아닌 염료, 옥소놀 염료, 메로시아닌 염료 등의 폴리메틴 염료; 디페닐메탄 염료, 트리페닐메탄 염료, 크산텐 염료 등의 카르보늄 염료; 프탈로시아닌 염료; 안트라퀴논 염료; 커플링 성분으로서 페놀, 나프톨 또는 아닐린을 갖는 아릴 또는 헤테릴아조 염료; 및 인디고 및 티오인디고 염료가 있다. 이들 염료는 발색단의 일부가 해리된 후에만 시안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카운터 양이온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암모늄이온 등의 무기 양이온, 또는 피리디늄 또는 4급 암모늄 양이온 등의 유기 양이온이어도 좋고, 또는 부분구조로서 이들 중 어느 하나를 갖는 폴리머 양이온이어도 좋다.
더욱이, 폴리아조 염료 등의 블랙 염료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직접 염료, 산성 염료, 식용 염료, 염기성 염료, 반응성 염료 등의 수용성 염료가 사용되도 좋다. 그 중에서도, 특히 바람직한 것은 다음과 같다:
C.I. Direct Red 2, 4, 9, 23, 26, 31, 39, 62, 63, 72, 75, 76, 79, 80, 81, 83, 84, 89, 92, 95, 111, 173, 184, 207, 211, 212, 214, 218, 21, 223, 224, 225, 226, 227, 232, 233, 240, 241, 242, 243, 247;
C.I. Direct Violet7, 9, 47, 48, 51, 66, 90, 93, 94, 95, 98, 100, 101;
C.I. Direct Yellow 8, 9, 11, 12, 27, 28, 29, 33, 35, 39, 41, 44, 50, 53, 58, 59, 68, 86, 87, 93, 95, 96, 98, 100, 106, 108, 109, 110, 130, 132, 142, 144, 161, 163;
C.I. Direct Blue 1, 10, 15, 22, 25, 55, 67, 68, 71, 76, 77, 78, 80, 84, 86, 87, 90, 98, 106, 108, 109, 151, 156, 158, 159, 160, 168, 189, 192, 193, 194, 199, 200, 201, 202, 203, 207, 211, 213, 214, 218, 225, 229, 236, 237, 244, 248, 249, 251, 252, 264, 270, 280, 288, 289, 291;
C.I. Direct Black 9, 17, 19, 22, 32, 51, 56, 62, 69, 77, 80, 91, 94, 97, 108, 112, 113, 114, 117, 118, 121, 122, 125, 132, 146, 154, 166, 168, 173, 199;
C.I. Acid Red 35, 42, 52, 57, 62, 80, 82, 111, 114, 118, 119, 127, 128, 131, 143, 151, 154, 158, 249, 254, 257, 261, 263, 266, 289, 299, 301, 305, 336, 337, 361, 396, 397;
C.I. Acid Violet 5, 34, 43, 47, 48, 90, 103, 126;
C.I. Acid Yellow 17, 19, 23, 25, 39, 40, 42, 44, 49, 50, 61, 64, 76, 79, 110, 127, 135, 143, 151, 159, 169, 174, 190, 195, 196, 197, 199, 218, 219, 222, 227;
C.I. Acid Blue 9, 25, 40, 41, 62, 72, 76, 78, 80, 82, 92, 106, 112, 113, 120, 127:1, 129, 138, 143, 175, 181, 205, 207, 220, 221, 230, 232, 247, 258, 260, 264, 271, 277, 278, 279, 280, 288, 290, 326;
C.I. Acid Black 7, 24, 29, 48, 52:1, 172;
C.I. Reactive Red 3, 13, 17, 19, 21, 22, 23, 24, 29, 35, 37, 40, 41, 43, 45, 49, 55;
C.I. Reactive Violet 1, 3, 4, 5, 6, 7, 8, 9, 16, 17, 22, 23, 24, 26, 27, 33, 34;
C.I. Reactive Yellow 2, 3, 13, 14, 15, 17, 18, 23, 24, 25, 26, 27, 29, 35, 37, 41, 42;
C.I. Reactive Blue 2, 3, 5, 8, 10, 13, 14, 15, 17, 18, 19, 21, 25, 26, 27, 28, 29, 38;
C.I. Reactive Black 4, 5, 8, 14, 21, 23, 26, 31, 32, 34;
C.I. Basic Red 12, 13, 14, 15, 18, 22, 23, 24, 25, 27, 29, 35, 36, 38, 39, 45, 46;
C.I. Basic Violet 1, 2, 3, 7, 10, 15, 16, 20, 21, 25, 27, 28, 35, 37, 39, 40, 48;
C.I. Basic Yellow 1, 2, 4, 11, 13, 14, 15, 19, 21, 23, 24, 25, 28, 29, 32, 36, 39, 40;
C.I. Basic Blue 1, 3, 5, 7, 9, 22, 26, 41, 45, 46, 47, 54, 57, 60, 62, 65, 66, 69, 71;
C.I. Basic Black 8.
본 발명의 잉크에는 안료와 염료가 병용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잉크에 사용될 수 있는 안료로는 시판의 것 및 그외의 각종 문헌에 기재된 공지의 것이 있다. 문헌으로는, 예컨대 Color Index(The Society of Dyers and Colorists 편); 개정 신판의 Pigment Handbook(일본안료기술협회 편, 1989년); Latest Pigment Application Technology(CMC출판, 1986년); Printing Ink Technology(CMC출판, 1984년); W. Herbst & K. Hunger에 의한 Industrial Organic Pigments(VCH Verlagsgesellschaft, 1993년)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기 안료는 아조 안료(아조-레이크 안료, 불용성 아조 안료, 축합 아조 안료, 킬레이트-아조 안료), 다환식 안료(프탈로시아닌 안료, 안트라퀴논 안료, 페릴렌 및 페리논 안료, 인디고 안료, 퀴나크리돈 안료, 디옥사진 안료, 이소인돌리논 안료, 퀴노프탈론 안료, 디케토피롤로피롤 안료), 염색 레이크 안료(산성 또는 염기성 염료의 레이크 안료) 및 아진안료이고; 무기 안료로는 C.I. Pigment Yellow 34, 37, 42, 53 등의 옐로우 안료; C.I. Pigment Red 101, 108 등의 레드 안료; C.I. Pigment Blue 27, 29, 17:1 등의 블루 안료; C.I. Pigment Black 7, 마그네타이트 등의 블랙 안료; 및 C.I. Pigment White 4, 6, 18, 21 등의 화이트 안료이다.
컬러화상 형성에 바람직한 안료로는 프탈로시아닌 안료, 안트라퀴논계 인단트론 안료(예컨대, C.I. Pigment Blue 60) 등의 블루 또는 시안 안료, 및 트리아릴카르보늄 안료 등의 염색 레이크 안료가 있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프탈로시아닌 안료이고, 그 바람직한 바람직한 예로는 C.I. Pigment Blue 15:1, 15:2, 15:3, 15:4, 15:6 등의 구리 프탈로시아닌; 모노클로로 또는 저 클로로-구리 프탈로시아닌, 유럽특허 제860475호에 기재된 것 등의 알루미늄 프탈로시아닌; 비금속 프탈로시아닌, C.I. Pigment Blue 16; 및 Zn, Ni 또는 Ti의 중심금속원자를 갖는 프탈로시아닌이 열거된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C.I. Pigment Blue 15:3, 15:4 및 알루미늄 프탈로시아닌이다.
레드 내지 바이올렛 안료로는 아조 안료 (바람직하게는 C.I. Pigment Red 3, 5, 11, 22, 38, 48:1, 48:2, 48:3, 48:4, 49:1, 52:1, 53:1, 57:1, 63:2, 144, 146, 184; 더욱 바람직하게는 C.I. Pigment Red 57:1, 146, 184); 퀴나크리돈 안료(바람직하게는 C.I. Pigment Red 122, 192, 202, 207, 209, C.I. Pigment Violet 19, 42; 더욱 바람직하게는 C.I. Pigment Red 122); 트리아릴카르보늄 안료(바람직하게는 크산텐형 C.I. Pigment Red 81:1, C.I. Pigment Violet 1, 2, 3, 27, 39) 등의 염색 레이크 안료; 디옥사진 안료(예컨대, C.I. Pigment Violet 23, 37); 디케토피롤로피롤 안료(예컨대, C.I. Pigment Red 254); 페릴렌 안료(예컨대, C.I. Pigment Violet 29); 안트라퀴논 안료(예컨대, C.I. Pigment Violet 5:1, 31, 33), 티오인디고 안료(예컨대, C.I. Pigment Red 38, 88)이 열거된다.
옐로우 안료로는 아조 안료(바람직하게는 C.I. Pigment Yellow 1, 3, 74, 98 등의 모노아조 안료; C.I. Pigment Yellow 12, 13, 14, 16, 17, 83 등의 디아조 안료; C.I. Pigment Yellow 93, 94, 95, 128, 155 등의 일반적 아조 안료; C.I. Pigment Yellow 120, 151, 154, 156, 180 등의 벤즈이미다졸론 안료; 더욱 바람직하게는 벤지딘 화합물을 그 시작물질로서 사용하지 않는 것); 이소인돌린 또는 이소인돌리논 안료(바람직하게는 C.I. Pigment Yellow 109, 110, 137, 139); 퀴노프탈론 안료(바람직하게는 C.I. Pigment Yellow 138); 플라브안트론 안료(예컨대, C.I. Pigment Yellow 24)이 열거된다.
블랙 안료로는 무기안료 (바람직하게는 카본블랙, 마그네타이트) 및 아닐린 블랙이 있다. 이들 이외에, 오렌지 안료(예컨대, C.I. Pigment Orange 13, 16) 및 그린 안료(C.I. Pigment Green 7)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잉크에 사용할 수 있는 안료는 상술한 누드 안료이어도 좋고, 또는 표면처리된 것이어도 좋다. 표면처리 방법으로는 안료를 수지나 왁스로 코팅해도 좋고, 또는 안료에 계면활성제를 가해도 좋고, 또는 반응성 물질(예컨대, 실란 커플링제, 에폭시 화합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디아조늄염으로부터의 라디칼)을 안료 표면에 결합시키도 좋다. 이들은 예컨대 하기 문헌 및 특허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1) Properties and Applications of Metal Soap(Miyuki 출판),
(2) Printing Ink(CMC 출판, 1984),
(3) Latest Pigment Application Technology(CMC출판, 1986)
(4) 미국특허 제5,554,739호 공보, 제5,571,311호 공보
(5) 일본특허공개 평9-151342호 공보, 평10-140065호 공보, 평10-292143호 공보, 평11-166145호 공보
특히, 상기 (4)의 미국특허에서와 같이 디아조늄염을 카본블랙과 반응시켜서 제조된 자기분산성 안료 및 상기(5)의 일본특허공보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된 캡슐화 안료가 잉크 중에 과잉의 분산제를 사용할 일 없이 안정하게 분산되기 때문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료를 분산제를 사용하여 분산시켜도 좋다. 사용되는 안료에 따라서, 각종의 공지된 분산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계면활성제형 저분자 분산제 또는 폴리머형 분산제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가능한 분산제의 예로는 일본특허공개 평3-69949호 공보 및 유럽특허 제549486호 공보에 기재된 것들이 열거된다. 분산제를 사용하는 경우, 안료에 의한 분산제의 흡착을 촉진하기 위해서 시너지스트라 불리는 안료 유도체를 첨가해도 좋다.
본 발명의 잉크에 사용될 수 있는 안료의 입자크기는 분산된 입자의 크기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0.01~1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1㎛이다.
안료의 분산에 있어서는, 잉크 제조 또는 토너 제조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분산기로는 수평형 또는 수직형 아지테이터밀(agitatormill), 마쇄기(attritor), 콜로이드밀, 볼밀, 3롤 밀, 펄밀, 슈퍼밀, 임펠러, 디스퍼저, KD밀, 다이나트론, 가압 혼련기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이들에 대해서는 Latest Pigment Application Technology(CMC 출판, 1986)에 상세하게 기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용 잉크는 계면활성제를 함유해도 좋고, 계면활성제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잉크 중의 계면활성제는 잉크의 액체특성을 조정하고, 잉크의 토출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잉크로 형성된 화상의 내수성의 향상 및 인쇄물 상의 잉크가 블리딩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효하다.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나트륨 도데실술페이트, 나트륨 도데실옥시술포네이트, 나트륨 알킬벤젠술포네이트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트리메틸세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테트라부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등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나프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옥틸페닐에테르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열거된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잉크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0.001~20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0.005~1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5중량%이다.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용 잉크는 수성 매체 중에서 상술한 염료를 바람직하게는 계면활성제와 함께 용해 또는 분산시켜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나타내는 "수성 매체"란 필요에 따라 보습제, 안정화제 및 보존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물 또는 물과 소량의 수혼화성 유지용제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염료가 물에 가용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잉크 제조시에 우선 물에 용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각종의 용제 및 첨가제를 첨가하고, 용해, 혼합하여 균일한 잉크 조성물로 한다.
상기 성분의 용해방법으로는, 예컨대 교반, 초음파 조사 또는 쉐이킹하는 등의 각종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방법은 상기 성분을 교반하는 방법이다. 상기 성분을 교반하는 경우, 본 분야에 공지된 각종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유동교반, 반전 아지테이션, 디솔버를 사용한 전단력 교반 등의 방식으로 교반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자기교반자를 사용하여 용기 저면에 대해 전단력을 이용한 자기교반법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혼화성 유기용제의 예로는 알콜류(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이소부탄올, sec-부탄올, t-부탄올, 펜탄올, 헥산올, 시클로헥산올, 벤질알콜), 다가알콜류(예컨대,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헥산디올, 펜탄디올, 글리세린, 헥산트리올, 티오디글리콜), 글리콜 유도체류(예컨대,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디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페틸에테르), 아민류(예컨대,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N-메틸디에탄올아민, N-에틸디에탄올아민, 몰포린, N-에틸몰포린,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폴리에틸렌이민, 테트라메틸프로필렌디아민), 및 그외 극성 용제(예컨대, 포름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술포란, 2-피롤리돈, N-메틸-2-피롤리돈, N-비닐-2-피롤리돈, 2-옥사졸리돈,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아세토니트릴, 아세톤)이 열거된다. 이들 수혼화성 유기용제 중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상기 염료가 유용성 염료인 경우에는, 고비점의 유기용제에 용해시킨 다음, 수성 매체에 유화 및 분산시켜 본 발명의 잉크를 제조해도 좋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비점의 유기용제의 비점은 150℃ 이상이지만, 바람직하게는 170℃ 이상이다.
예컨대, 상기 용제로는 프탈레이트류(예컨대, 디부틸 프탈레이트, 디옥틸 프탈레이트, 디시클로헥실 프탈레이트,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 데실 프탈레이트, 비스(2,4-디-tert-아밀페닐)이소프탈레이트, 비스(1,1-디에틸프로필)프탈레이트), 인산 또는 포스폰에스테르류(예컨대, 디페닐 포스페이트,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 2-에틸헥실디페닐 포스페이트, 디옥틸부틸 포스페이트, 트리시클로헥실 포스페이트, 트리-2-에틸헥실 포스페이트, 트리데실 포스페이트, 디-2-에틸헥실페닐 포스페이트), 벤조에이트류(예컨대, 2-에틸헥실벤조에이트, 2,4-디클로로벤조에이트, 도데실벤조에이트, 2-에틸헥실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아미드류(예컨대, N,N-디에틸도데칸아미드, N,N-디에틸라우릴아미드), 알콜류 또는 페놀류(예컨대, 이소스테아릴알콜, 2,4-디-tert-아밀페놀), 지방족 에스테르류(예컨대, 디부톡시에틸 숙시네이트, 디-2-에틸헥실 숙시네이트, 2-헥실데실 테트라데카노에이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 디에틸 아젤레이트, 이소스테아릴 락테이트, 트리옥틸 시트레이트), 아닐린 유도체류(예컨대, N,N-디부틸-2-부톡시-5-tert-옥틸아닐린), 클로로파라핀류(예컨대, 염소 함유량 10~80%의 파라핀류), 트리메세이트류(예컨대, 트리부틸 트리메세이트), 도데실벤젠, 디이소프로필나프탈란, 페놀류(예컨류, 2,4-디-tert-아밀페놀, 4-도데실옥시페놀, 4-도데실옥시카르보닐페놀, 4-(4-도데실옥시페닐술포닐)페놀), 카르복실산류(예컨대, 2-(2,4-디-tert-아밀페녹시부티르산, 2-에톡시옥탄-데칸산), 알킬 포스페이트류(예컨대, 디-2(에틸헥실)포스페이트, 디페닐 포스페이트)가 열거된다. 고비점의 유기용제의 사용량은 유용성 염료에 대해서 중량비로 0.01~3배, 바람직하게는 0.01~1.0배이다.
고비점의 유기용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또는 조합(예컨대,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와 디부틸프탈레이트; 트리옥틸 포스페이트와 디(2-에틸헥실)세바케이트; 디부틸 프탈레이트와 폴리(N-t-부틸아크릴아미드))하여 사용해도 좋다.
상술한 것 이외에,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고비점의 유기용제 및/또는 이들 고비점의 유기용제의 제조방법의 예로는, 예컨대 미국특허 제2,322,027호, 제2,533,514호, 제2,772,163호, 제2,835,579호, 제3,594,171호, 제3,676,137호, 제3,689,271호, 제3,700,454호, 제3,748,141호, 제3,764,336호, 제3,765,897호, 제3,912,515호, 제3,936,303호, 제4,004,928호, 제4,080,209호, 제4,127,413호, 제4,193,802호, 제4,207,393호, 제4,220,711호, 제4,239,851호, 제4,278,757호, 제4,353,979호, 제4,363,873호, 제4,430,421호, 제4,430,422호, 제4,464,464호, 제4,483,918호, 제4,540,657, 제4,684,606호, 제4,728,599호, 제4,745,049호, 제4,935,321호, 제5,013,639호 공보; 유럽특허 제276,319A호, 제286,253A호, 제289,820A호, 제309,158A, 제309,159A, 제309,160A호, 제509,311A호, 제510,576A호; 동독특허 제147,009호, 제157,147호, 제159,573호, 제225,240A호 공보; 영국특허 제2,091,124A호, 일본특허공개 소48-47335호, 소50-26530호, 소51-25133호, 소51-26036호, 소51-27921호, 소51-27922호, 소51-149028호, 소52-46816호, 소53-1520호, 소53-1521호, 소53-15127호, 소53-146622호, 소54-91325호, 소54-106228호, 소54-118246호, 소55-59464호, 소56-64333호, 소56-81836호, 소59-204041호, 소61-84641호, 소62-118345호, 소62-247364호, 소63-167357호, 소63-214744호, 소63-301941호, 소64-9452호, 소64-9454호, 소64-68745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평1-101543호, 평1-102454호, 평2-792호, 평2-4239호, 평2-43541호, 평4-29237호, 평4-30165호, 평4-232946호, 평4-346338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고비점의 유기용제의 사용량은 유용성 염료에 대해 중량비로 0.01~3배, 바람직하게는 0.01~1.0배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용성 염료 및 고비점의 유기용제는 수성 매체 중에 유화분산된다. 유화를 더욱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저비점의 유기용제를 사용해도 좋다. 저비점의 유기용제는 상압에서 약 30~150℃의 비점을 갖는다. 그 바람직한 예로는 에스테르류(예컨대,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에틸 프로피오네이트, β-에톡시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셀로솔브 아세테이트), 알콜류(예컨대, 이소프로필알콜, n-부틸알콜, sec-부틸알콜), 케톤류(예컨대,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헥사논), 아미드류(예컨대, 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에테르류(예컨대,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이 열거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화분산은 다음과 같다: 염료를 고비점 유기용제 단독 또는 그것의 저비점 유기용제와의 혼합물에 용해시켜 유상을 제조하고, 이것을 물을 주로 함유하는 수상에 분산시켜, 유상의 미소한 유적을 형성한다. 이 방법에 있어서, 계면활성제, 보습제, 염료 안정화제, 유화 안정화제, 방부제 및 항진균제 등의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수상 및 유상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첨가해도 좋다.
유화에 있어서는, 통상 수상에 유상을 첨가한다. 그러나, 이것과는 반대로 상전환 유화법으로 수상을 유상에 적하해도 좋다. 이것도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염료가 수용성의 것이고 첨가제가 유용성의 것인 경우에는, 유화법을 사용해도 좋다.
상기 유화에 있어서 각종의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지방산염, 알킬 술페이트염, 알킬벤젠술포네이트염, 알킬나프탈렌술포네이트염, 디알킬술포숙시네이트염, 알킬포스페이트염, 나프탈렌술포네이트-포르말린 축합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술페이트염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 블럭 공중합체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아세틸렌계 폴리옥시에틸렌옥사이드 계면활성제, Surfynols(Air Products & Chemicals 제품)도 바람직하다. 또한, N,N-디메틸-N-알킬아민 옥사이드 등의 아민옥사이드계 양성 계면활성제도 바람직하다. 더욱이, 일본특허공개 소59-157636호 공보, pp.37-38; 및 Research Disclosure 제308119호 (1989)에 기재된 계면활성제도 사용할 수 있다.
그 제조직후 유액을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상술한 계면활성제와 함께 수용성 폴리머를 첨가해도 좋다. 수용성 폴리머의 바람직한 예로는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그 코폴리머가 열거된다. 또한, 다당류, 카제인, 젤라틴 등의 천연 수용성 폴리머도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염료 분산을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수성 매체에 실질적으로 용해되지 않는 폴리머, 예컨대 폴리비닐 화합물류, 폴리우레탄류, 폴리에스테르류, 폴리아미드류, 폴리우레아류, 폴리카르보네이트류, 및 아크릴레이트류, 메타크릴레이트류, 비닐에스테르류, 아크릴아미드류, 메타크릴아미드류, 올레핀류, 스티렌류, 비닐에테르류, 아크릴로니트릴류 등을 중합하여 얻어진 것들을 더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폴리머는 -SO3 - 또는 -COO-을 갖는다. 수성 매체에 실질적으로 용해되지 않는 이러한 폴리머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량은 고비점의 유기용제의 중량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최대 2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10중량%이다.
유용성 염료 및 고비점의 유기용제를 유화분산시켜 수성 잉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그 염료 분산액의 입자크기를 조절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잉크젯 모드에서 형성된 화상의 색순도 및 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잉크젯 잉크 중의 염료입자의 평균 입자크기를 줄이는 것은 필수이다. 바람직하게는 염료 입자의 체적평균 입자크기는 최대 1㎛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100nm이다.
분산된 염료입자의 체적평균 입자크기 및 입자크기 분산도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구할 수 있다. 예컨대, 정적 광산란법, 동적 광산란법, 원심침강법 뿐만 아니라 Lecture of Experimental Chemistry, 4판, pp.417~418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잉크 샘플을 염료입자 농도가 0.1~1중량%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한 다음, 시판의 체적평균 입자크기 측정기(예컨대, Microtrack UPA, Nikkiso 제품)로 측정하여 안료 입자의 입자크기를 결정한다. 상기 측정에 있어서, 레이저 도플러 효과에 기초한 동적 광산란법이 작은 입자까지도 측정할 수 있어서 특히 바람직하다.
체적평균 입자크기는 입자의 체적으로 측량한 평균 입자크기이다. 이것은 각각의 응집 입자의 직경과 그 체적을 곱하여 얻어진 값의 총합계를 전체 입자의 총체적으로 나눈 값이다. 체적평균 입자크기에 대해서는, 예컨대 S. Muroi, Chemistry of Polymer Latex(Polymer 출판), p.119에 기재되어 있다.
조대입자가 잉크의 인쇄적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밝혀졌다. 구체적으로, 조대입자가 헤드를 막히게 하거나, 또는 막히지 않았더라도 헤드를 오염시킴으로써, 잉크가 전혀 토출될 수 없게 되거나 또는 불균일하게 토출된다. 이러한 효과로, 조대입자는 잉크의 인쇄적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이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서, 잉크 1㎕ 중에 입자크기 5㎛ 이상의 입자를 최대 10개와 입자크기 1㎛ 이상의 입자를 최대 1000개 함유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조대입자를 제거하기 위해서, 예컨대 공지의 원심분리법 또는 정밀여과법을 사용할 수 있다. 조대입자의 제거처리는 잉크의 유화분산을 행한 직후에 행해도 좋고, 또는 유화분산액에 가습제, 계면활성제 등의 각종의 첨가제를 첨가한 후, 그 얻어진 잉크를 잉크 카트리지에 충전하기 직전에 행해도 좋다.
평균 입자지름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고, 또 조대입자를 제거하기 위해서 기계적 유화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유화장치로는 공지의 것, 예컨대 간단한 교반기, 임펠러보조 교반기, 인라인 교반기, 콜로이드밀과 같은 밀, 초음파 교반기가 열거된다. 이중에서도 고압 호모지나이저가 특히 바람직하다.
고압 호모지나이저의 메카니즘에 대해서는, 예컨대 미국특허 제4,533,254호 및 일본특허공개 평6-47264호 공보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가울린 호모지나이저(Gaulin Homogenizer)(A.P.V. Gaulin 제품), 마이크로플루다이저( Microfluidizer)(Microfluidex 제품) 및 울트라마이저(Ultimizer)(Sugino Machine 제품)이 시판되고 있다.
최근, 미국특허 제5,720,551호 공보에는 초고압 제트류 중에서 미립자화하는 기구를 구비한 고압 호모지나이저가 검토되고 있고, 이들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유화분산 처리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초고압 제트류 기구 등을 구비한 유화장치로는 DeBEE2000(Bee International 제품)이 있다.
이러한 고압 유화분산장치에서의 유화시 압력은 50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60MPa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80MPa 이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2종 이상의 다른 종류의 유화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예컨대, 우선 구성성분을 교반유화장치에서 유화한 후, 고압 호모지나이저에서 더 유화시킨다. 또한, 일단 구성성분을 상기와 같은 유화장치에서 유화 및 분산시킨 후, 그 얻어진 유액에 보습제, 계면활성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한 다음, 얻어진 잉크를 카트리지에 충전하기 전에 고압 호모지나이저에서 더 유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도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비점의 유기용제와 함께 저비점의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경우, 유액의 안전성, 안정성 및 위생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유액으로부터 저비점 용제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비점 용제의 제거에 있어서는 제거할 용제의 종류에 따라서 각종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증발법, 진공증발법 또는 한외여과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저비점 유기용제는 유액의 제조직후 가능한 빨리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젯 잉크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예컨대 일본특허공개 평5-148436호, 평5-295312호, 평7-97541호, 평7-82515호, 평7-118584호 공보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고, 그 설명은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용 잉크의 제조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용 잉크의 제조에 있어서, 염료 및 첨가제가 매체에 용해되어 있는 계에 초음파를 가할 수 있다.
잉크제조시 초음파 진동은 잉크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이것은 잉크가 기록헤드로부터 압력이 받을 때, 기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록헤드로부터 잉크가 받는 에너지와 동일 또는 그 이상의 초음파 에너지를 잉크에 미리 가하여 기포를 제거한다.
초음파 진동의 진동수는 통상 20kHz 이상, 바람직하게는 40kHz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kHz 이상이다. 초음파 진동에 의해 잉크에 가해지는 에너지는 통상 2×107J/m3 이상, 바람직하게는 5×107J/m3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8J/m3 이상이다. 초음파 진동시간은 통상 10분∼1시간 정도이다.
초음파 진동의 효과는 매체에 염료를 투입한 후이면 언제든지 나타날 수 있다. 완성된 잉크를 보존한 후, 초음파에 노출시켜도 효과적이다. 그러나, 염료를 매체 중에 용해 및/또는 분산시키면서 초음파를 가하는 것이, 기포제거의 효과가 보다 크고, 또한 매체 중으로의 염료의 용해 및/또는 분산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초음파 처리는 염료를 매체에 용해 및/또는 분산시키는 공정중 또는 공정후의 어느 공정에서도 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초음파 처리는 잉크 제조후에서 이것을 시판품으로 완성하는 사이의 임의의 시간에 1회 이상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에 있어서, 염료를 매체 중에 용해 및/또는 분산시키는 공정은 염료를 매체의 일부에 용해시키는 단계와, 그 잔여 매체와 그 얻어진 염료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들 단계 중 하나 이상의 단계에서 상기 계에 초음파를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매체의 일부에 염료를 용해시키는 전자의 단계에서 상기 계에 초음파를 가하는 것이다.
그 잔여 매체와 그 얻어진 염료 용액을 혼합하는 후자의 단계는 단독 공정이어도 또는 복수 공정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용 잉크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 계를 가열하에서 또는 감압하에서 탈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잉크로부터 기포를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바람직하다. 가열하에서 또는 감압하에서 상기 계를 탈기하는 단계는 미리 준비된 염료용액과 잔여 매체를 혼합하는 공정과 동시에 또는 그 후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 제조계에 가해지는 초음파는 공지의 초음파기를 사용하여 발생시켜도 좋다.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용 잉크의 제조에 있어서, 제조된 잉크 조성물을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 처리에 있어서, 필터가 사용된다. 필터의 유효한 공극크기는 최대 1μm, 바람직하게는 0.05~0.3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0.3μm이다. 필터를 형성하는 데에는 각종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수용성 염료의 잉크용으로는, 수성 용제용으로 특수 제작된 필터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불순물을 잘 트랩할 수 있는 고분자 재료로 이루어진 필터이다. 여과에 있어서는, 통상의 송액형태로 상기 잉크 조성물을 필터에 통과시켜도 좋다. 그 외에, 가압여과 또는 감압여과의 다른 형태를 사용해도 좋다.
여과후, 잉크에 공기를 주입하는 경우가 많다. 이 공기에 기인한 기포가 잉크젯 기록시 화상을 열화시키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잉크를 상술하듯이 추가로 탈기시키기 위한 공정을 더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기방법으로는, 예컨대, 여과후 잠시동안 정치시켜도 좋고, 또는 시판의 장치를 사용하여 초음파적으로 또는 감압하에서 탈기시켜도 좋다. 초음파 탈기는 30초~2시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분~1시간 정도이다.
이들 처리는 처리시 잉크가 불순물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클린룸 또는 클린벤치의 공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처리는 최대 클래스 1000의 청정도를 갖는 공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정도"란 먼지 카운터로 측정한 값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용 잉크는 잉크가 잉크젯 노즐 오리피스에서 건조되어 그 노즐이 막히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건조방지제, 종이로의 잉크의 침투성을 촉진시키는 침투촉진제, 및 UV 흡수제, 산화 방지제, 증점제, 표면장력 향상제, 분산제, 분산 안정화제, 항진균제, 방청제, pH 조정제, 소포제, 킬레이트제 등의 기타 각종 첨가제를 함유해도 좋다. 본 발명의 잉크는 이들 중 적당히 선택된 것을 함유할 수 있다.
건조 방지제로는, 물보다 증기압이 낮은 수용성 유기용제가 바람직하다. 그것의 구체예로는 대표적으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티오디글리콜, 디티오디글리콜, 2-메틸-1,3-프로판디올, 1,2,6-헥산트리올, 아세틸렌글리콜 유도체, 글리세린, 트리메티롤프로판 등의 다가알콜류;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또는 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또는 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또는 부틸)에테르 등의 다가알콜 저급 알킬에테르류; 2-피롤리돈, N-메틸-2-피롤리돈,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N-에틸몰포린 등의 복소환식 화합물류; 술포란, 디메틸술폭사이드, 3-술포렌 등의 황함유 화합물; 디아세톤알콜, 디에탄올아민 등의 다관능 화합물류; 및 우레아 유도체류가 열거된다. 이들 중에서, 글리세린 및 디에틸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콜류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들 건조 방지제 중 1개 이상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잉크의 건조 방지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50중량%이다.
여기서 사용될 수 있는 침투 촉진제로는, 예컨대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디(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1,2-헥산디올 등의 알콜류; 및 나트륨 라우릴술페이트, 나트륨 올레이트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류가 열거된다. 통상, 잉크 중의 침투 촉진제의 양은 10~30중량%가 충분하다. 그러나, 그 양은 잉크가 블리딩 및 뒷비침을 야기하지 않을 정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는 화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자외선 흡수제로는 일본특허공개 소58-185677호 공보, 소61-190537호 공보, 2-782호 공보, 5-197075호 공보, 9-34057호 공보에 기재된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일본특허공개 평46-2784호 공보, 평5-194483호 공보, 미국특허 제3214463호 공보에 기재된 벤조페논 화합물; 일본특허공고 소48-30492호 공보, 56-21141호 공보 및 일본특허공개 평10-88106호 공보에 기재된 신나메이트 화합물; 일본특허공개 평4-298503호 공보, 평8-53427호 공보, 평8-239368호 공보, 평10-182621호 공보, PCT 특허출원 일본공개 평8-501291호 공보에 기재된 트라아진 화합물; Research Disclosure 제24239호에 기재된 화합물; 및 스틸벤 화합물 및 벤조옥사졸 화합물로 대표되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형광을 방출할 수 있는 화합물, 즉 형광증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산화 방지제는 화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것으로서 각종의 유기 또는 금속착체형 퇴색 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유기 퇴색 방지제로는 히드로퀴논류, 알콕시페놀류, 디알콕시페놀류, 페놀류, 아닐린류, 아민류, 인단류, 크로만류, 알콕시아닐린류 및 복소환식 화합물류가 열거되고; 금속 착체로는 니켈 착체 및 아연 착체가 열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Research Disclosure 제17643호, VII-I~J 항목, 제15162호, 제18716호, p.650 좌측란, 제36544호, p.527, 제307105호, p.872 및 제15162호에 인용된 특허공보에 기재된 화합물 뿐만 아니라 일본특허공개 소62-215272호 공보의 pp.127~137에 기재된 대표적 화합물을 나타내는 일반식 및 그 화합물의 예의 범위내에 있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항진균제로는 나트륨 데히드로아세테이트, 나트륨 벤조에이트, 나트륨 피리딘티온-1-옥사이드, 에틸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 및 그 염이 열거된다. 잉크 중의 그 양은 바람직하게는 0.02~5.00중량%이다.
그 상세한 내용은, 예컨대 Dictionary of Antibacterials and Antifungals(Dictionary Section of the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Society of Japan 출판)에 기재되어 있다.
방청제로는, 예컨대 산성 술파이트, 나트륨 티오술페이트, 암모늄 티오글리콜레이트, 디이소프로필암모늄 니트라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니트레이트, 디시클로헥실암모늄 니트라이트, 벤조트리아졸이 열거된다. 잉크 중의 그 양은 바람직하게는 0.02~5.00중량%이다.
pH 조정제는 pH 조정 및 분산 안정화를 위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잉크의 pH는 25℃에서 8~11의 범위내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H가 8 미만이면, 염료 용해성이 저하하여 노즐이 빠르게 막힌다. 그러나, pH가 11을 초과하면 잉크의 내수성이 열화된다. pH 조정제는 유기 염기 및 무기 알칼리 등의 염기성 화합물, 또는 유기산 및 무기산 등의 산성 화합물이어도 좋다.
염기성 화합물로는, 예컨대 나트륨 히드록사이드, 칼륨 히드록사이드, 나트륨 카보네이트, 칼륨 카보네이트,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나트륨 아세테이트, 칼륨 아세테이트, 나트륨 포스페이트, 나트륨 1수소 포스페이트 및 그외 무기 화합물 뿐만 아니라, 암모니아수, 메틸아민, 에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에틸렌디아민, 피페리딘, 디아자비시클로옥탄, 디아자비시클로운데센, 피리딘, 퀴놀린, 피콜린, 루티딘, 콜리딘 및 그외 유기 염기가 열거된다.
산성 화합물로는, 예컨대 염산, 황산, 인산, 붕산, 나트륨 수소술페이트, 칼륨 수소술페이트, 칼륨 2수소포스페이트, 나트륨 2수소포스페이트 등의 무기 화합물; 및 아세트산, 타르타르산, 벤조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사카린산, 프탈산, 피콜린산, 퀴놀린산 등의 유기 화합물이 열거된다.
본 발명의 잉크의 전도도는 0.01~10S/m 이내, 바람직하게는 0.05~5S/m 이내이다.
전도도는 시판의 포화 염화칼륨을 사용한 전극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전도도는 수용액의 이온농도에 따라 조절가능하다. 그 염농도가 높은 경우, 용액은 한외여과를 통해 탈염시켜도 좋다. 용액의 전도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염 등을 첨가하는 경우, 각종의 유기 염 또는 무기 염을 목적에 따라 사용해도 좋다.
무기 또는 유기 염으로는, 예컨대 칼륨 할라이드, 나트륨 할라이드, 나트륨 술페이트, 칼륨 술페이트, 나트륨 수소술페이트, 칼륨 수소술페이트, 나트륨 나트레이트, 칼륨 니트레이트, 탄산수소칼륨, 나트륨 포스페이트, 나트륨 1수소포스페이트, 보레이트, 칼륨 2수소포스페이트, 나트륨 2수소포스페이트 등의 무기 화합물; 및 나트륨 아세테이트, 칼륨 아세테이트, 칼륨 타르트레이트, 나트륨 타르트레이트, 나트륨 벤조에이트, 칼륨 벤조에이트, 나트륨 p-톨루엔술포네이트, 칼륨 사카리네이트, 칼륨 프탈레이트, 나트륨 피콜리네이트 등의 유기 화합물이 열거된다.
또한, 잉크의 전도도를 다른 첨가제의 성분을 구체적으로 선택하여 조절해도 좋다.
본 발명의 잉크의 점도는 25℃에서 1~20mPaㆍs이지만, 바람직하게는 2~15mPaㆍs, 더욱 바람직하게는 2~10mPaㆍs이다. 점도가 20mPaㆍs를 초과하면 기록화상의 정착이 지연되는 경우가 있고, 잉크토출 성능도 저하한다. 점도가 1mPaㆍs 미만이면, 기록화상에 블러(blurr)가 발생하여 그 품질이 저하된다.
점도는 잉크 용제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소망하는 정도로 조절될 수 있다. 그 잉크 용제로는, 예컨대 글리세린,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탄올아민, 2-피롤리돈,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가 열거된다.
필요에 따라, 증점제를 사용해도 좋다. 증점제로는, 예컨대 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콜 등의 수용성 폴리머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열거된다. 그 상세한 내용은, 예컨대 Viscosity Control Technology(Technology Information Association , 1999), 제9장; Chemicals for Inkjet Printers(1998년 증보)-Investigation of Trends and Views in Development of Materials(CMC 출판, 1997년), pp.162~174에 기재되어 있다.
액체의 점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JIS Z8803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잉크의 점도는 시판의 점도계를 사용하여 간편한 방식으로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공지의 Tokyo Instrument사 제품의 회전식 점도계인 B형 점도계 및 E형 점도계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Yamaichi Electric사 제품의 진동식 점도계인 VM-100A-L형을 사용하여 25℃에서 점도를 측정하였다. 점도의 단위는 파스칼ㆍ초(Paㆍs)이지만, 통상은 밀리파스칼ㆍ초(mPaㆍs)이다.
본 발명의 잉크의 표면장력은 바람직하게는 동적ㆍ정적 표면장력 모두에 대해서, 25℃에서 20~50mN/m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40mN/m이다. 표면장력이 50mN/m을 초과하면 잉크의 토출 안정성이 열화된다. 또한, 다중색을 혼색하여 형성된 인쇄에는 블러가 발생하게 되어 번져서, 인쇄 품질이 현저하게 저하한다. 한편, 그 표면장력이 20mN/m 미만이면, 잉크가 프린터 툴의 표면에 부착되어 인쇄품질이 불량하게 된다.
잉크의 표면장력을 조절하기 위해서, 상술한 것과 같은 각종의 양이온성, 음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잉크에 첨가해도 좋다. 잉크 중의 계면활성제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0.01~20중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10중량%이다. 필요에 따라서, 2종 이상의 다른 종류의 계면활성제를 조합하여 잉크에 사용할 수 있다.
잉크의 정적 표면장력을 측정방법으로는, 모세관 상승법, 적하법 및 적환법 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잉크의 정적 표면장력은 수직판법에 따라 측정된다.
간단하게, 유리 또는 백금의 박판을 액체 중에 그 일부를 담그어 수직으로 매단 경우, 액체와 판이 접촉하는 부분을 따라 액체의 표면장력이 아래방향으로 작용한다. 그 표면장력의 힘을 윗방향으로 작용하는 힘과 균형을 맞춤으로써 액체의 표면장력을 구한다.
잉크의 동적 표면장력을 측정은, 예컨대 Lecture of New Experimental Chemistry, Vol.18, "Interface and Colloid"(마루젠), pp.69~90(1977)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진동제트법, 메니스커스(miniscus) 낙하법, 최대 기포압법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예컨대 일본특허공개 평3-206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액막파괴법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잉크의 동적 표면장력은 기포압차법에 따라 측정된다. 이 방법의 원리 및 메카니즘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교반하여 제조한 균일한 용액에 기포가 발생하는 경우, 새로운 기체-액체 계면이 형성되고, 그 용액 중의 계면활성제 분자가 물의 표면주위로 일정 속도로 모여든다. 이 조건에서, 기포속도(기포의 생성속도)를 변화시킨다. 기포속도가 늦어지면, 보다 많은 계면활성제 분자가 형성된 기포의 표면에 모여들고, 기포가 터지기 직전의 최대 기포압이 작아진다. 기포속도에 대한 최대 기포압(표면장력)을 검출한다. 잉크의 동적 표면장력을 측정하는 일례로는 바람직한 다음과 같다: 큰 탐침 1개와 작은 탐침 1개, 총 2개의 탐침을 사용하여, 잉크 중에 기포를 형성한다. 2개의 탐침의 최대 기포압 상태에서의 차압을 측정하여, 이것으로부터 동적 표면장력을 산출한다.
본 발명의 잉크의 비휘발성 성분은 잉크의 10~70중량%인 것이 화상 견뢰성, 화상 블러내성 및 인쇄물의 비끈적임성의 점에서 잉크의 토출 안정성 및 양호한 인쇄품질을 확보하기 위해서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잉크의 토출 안정성을 확보하고, 또 우수한 인쇄품질을 확보하고, 특히 인쇄물의 화상 블러 내성의 점에서는 20~60중량%이다.
비휘발성 성분으로는 1기압 하에서 150℃ 이상의 비점을 갖는 액체 및 고체 성분, 및 폴리머 성분이 열거된다. 잉크젯 기록용 잉크의 비휘발성 성분으로는 염료, 고비점 용제 및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다른 폴리머 라텍스, 계면활성제, 염료 안정화제, 항진균제 및 완충제가 있다. 염료 안정화제를 제외한 이들 비휘발성 성분의 대부분은 잉크의 분산안정성을 저하시키고, 또 인쇄지에 잔존하여, 염료의 회합 및 안정화를 저해하여, 결과적으로 화상 견뢰성을 열화시키고, 고습도 조건하에서 인쇄된 화상에 블러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잉크는 폴리머 화합물을 함유해도 좋다. 폴리머 화합물이란 잉크 중의 수평균 분자량 5000 이상의 임의 및 모든 폴리머 화합물을 나타낸다. 폴리머 화합물로는 수성 매체 중에 실질적으로 용해되는 수용성 폴리머 화합물, 폴리머 라텍스 및 폴리머 유액 등의 수분산성 폴리머 화합물 뿐만 아니라 보조 용제로서 사용하는 다가 알콜에 용해되는 알콜 가용성 폴리머 화합물이 열거된다. 실질적으로 잉크 중에 균일하게 용해 또는 분산되는 것이면, 어느 폴리머 화합물도 본 발명에 잉크 중에 존재해도 좋다.
수용성 폴리머 화합물의 예로는 폴리비닐알콜, 실라놀 변성 폴리비닐알콜,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등의 폴리알킬렌 옥사이드류,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유도체류 및 그외 수용성 폴리머류가 있고; 또한 다당류, 전분, 양이온화 전분, 카제인, 젤라틴 등의 천연 수용성 폴리머;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그 공중합체 등의 수성 아크릴 수지; 수성 알키드 수지 및 분자내에 -SO3 - 또는 -COO-를 갖고 실질적으로 수성 매체에 용해되는 그외의 수용성 폴리머 화합물이 있다.
폴리머 라텍스로는, 예컨대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 스티렌-아크릴 라텍스, 폴리우레탄 라텍스가 열거된다. 폴리머 유액으로는 아크릴 유액 등이 있다.
이들 수용성 폴리머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수용성 폴리머 화합물은 상술하듯이, 잉크의 양호한 토출특성을 확보하기 위해 적합한 점도영역 내로 잉크의 점도를 조절하기기 위한 증점제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잉크가 상기 화합물을 너무 많이 함유하면, 잉크 점도가 증가하여, 잉크의 토출 안정성이 열화된다. 또한, 보존시 잉크가 침전물을 형성하여 노즐이 막히는 경우가 있다.
점도 조절을 위해 잉크에 첨가되는 상기 폴리머 화합물의 첨가량은 그 화합물의 분자량에 따라 따르지만(고분자량의 화합물일수록 소량임), 잉크의 0~5중량%이다. 바람직하게는 0~3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이다.
상술한 계면활성제 이외에, 다른 각종의 비이온성, 양이온성 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도 표면장력 향상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지방산염, 알킬 술페이트염, 알킬벤젠술포네이트염, 알킬나프탈렌술포네이트염, 디알킬술포숙시네이트염, 알킬포스페이트염, 나프탈렌술포네이트-포르말린 축합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술페이트염이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 블럭 공중합체가 있다. 또한, 아세틸렌계 폴리옥시에틸렌옥사이드 계면활성제, Surfynols(Air Products & Chemicals 제품)이 바람직하다. 또한, N,N-디메틸-N-알킬아민 옥사이드 등의 아민옥사이드계 양성 계면활성제도 바람직하다. 더욱이, 일본특허공개 소59-157636호 공보, pp.37-38; 및 Research Disclosure 제308119호 (1989)에 기재된 계면활성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술한 것과 같은 각종의 양이온성, 음이온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분산제 및 분산안정화제로서 사용해도 좋고, 필요에 따라 불소함유 화합물, 실리콘 화합물 및 EDTA 등의 킬레이트제를 소포제로서 사용해도 좋다.
(수상재료)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상재료로는 후술하는 기록지 및 기록필름 등의 반사메체가 열거된다.
기록지 및 기록필름의 지지체는 LBKP, NBKP 등의 화학펄프; GP, PGW, RMP, TMP, CTMP, CMP, CGP 등의 기계펄프; 또는 DIF 등의 재생지 펄프로 이루어져도 좋다. 필요에 따라서, 안료, 바인더, 사이징제, 정착제, 양이온화제 및 지력증강제 등의 공지된 첨가제를 첨가해도 좋다. 장망식 초지기(Fourdrinier paper machine) 및 환망식 초지기(cylinder paper machine) 등의 각종의 제지기가 지지체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지지체 이외에, 합성종이 및 플라스틱 필름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지지체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250㎛이고, 단위중량은 10~250g/m2이다.
상기 지지체 상에 수상층 및 블랙 코팅층을 직접 형성하여, 본 발명의 잉크의 수상재료를 제조해도 좋다. 필요에 따라, 상기 지지체에 전분, 폴리비닐알콜 등으로 사이즈 프레스 또는 앵커 코팅을 가한 후, 지지체에 수상층 및 블랙 코팅층을 코팅하여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상재료로 한다. 더 필요에 따라, 지지체를 기계 캘린더링, TG 캘린더링, 연화 캘린더링 등을 통해 평탄화시켜도 좋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지지체로는, 양면이 폴리올레핀(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부텐 또는 그 코폴리머)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적층되어 있는 종이 및 플라스틱 필름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에 화이트 염료(예컨대,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또는 착색 염료(예컨대, 코발트 블루, 울트라마린, 산화네오듐)을 첨가한다.
상기 지지체 상에 형성된 수상층은 다공성 재료 및 수성 바인더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상층은 안료를 함유한다. 안료로는 화이트 안료가 바람직하다. 화이트 안료로는 탄산칼륨, 카올린, 탤크, 클레이, 규조토, 합성 비결정질 실리카,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규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 알루미나, 리토폰, 제올라이트, 바륨 술페이트, 칼슘 술페이트, 이산화티타늄, 아연 술파이드, 탄산납 등의 무기 화이트 안료; 및 스티렌계 안료, 아크릴계 안료, 우레아 수지, 멜라민 수지 등의 유기 화이트 안료가 열거된다. 다공성의 무기 화이트 안료가 특히 바람직하고, 큰 공극을 가진 합성 비결정질 실리카가 가장 바람직하다. 합성 비결정질 실리카는 건식 제조법(기상법)에서 얻어지는 무수 실리카 또는 습식 제조법에서 얻어지는 함수 실리카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그 수상층에 상술한 안료를 함유하는 기록지의 예로는, 구체적으로 일본특허공개 평10-81064호, 평10-119423호, 평10-157277호, 평10-217601호, 평11-348409호, 2001-138621호, 2000-43401호, 2000-211235호, 2000-309157호, 2001-96897호, 2001-138627호, 평11-91242호, 평8-2087호, 평8-2090호, 평8-2091호, 평8-2093호, 평8-174992호, 평11-192777호, 2001-30131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고, 이들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좋다.
수상층 중의 바인더로는 폴리비닐알콜, 실라놀 변성 폴리비닐알콜, 전분, 양이온화된 전분, 카제인, 젤라틴,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유도체 등의 수용성 폴리머; 및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 아크릴 유액 등의 수분산성 폴리머가 열거된다. 이들 수성 바인더 중 1종 이상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콜 및 실라놀 변성 폴리비닐 알콜이 안료에 대한 접착성 및 잉크수용층의 내박리성의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안료 및 수성 바인더 이외에, 수상층은 매염제, 내수화제, 광견뢰도 향상제, 내가스성 향상제, 계면활성제, 경막제 등의 임의의 다른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수상층 중의 매염제는 부동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폴리머 매염제가 바람직하다.
폴리머 매염제에 대해서는, 예컨대 일본특허공개 소48-23825호, 소54-74430호, 소54-124726호, 소55-22766호, 소55-142339호, 소60-23850호, 소60-23851호, 소60-23852호, 소60-23853호, 소60-57836호, 소60-60643호, 소60-118834호, 소60-122940호, 소60-122941호, 소60-122942호, 소60-235134호, 평1-161236호 공보; 미국특허 제2,484,430호, 제2,548,564호, 제3,148,061호, 제3,309,690호, 제4,115,124호, 제4,124,386호, 제4,193,800호, 제4,273,853호, 제4,282,305호, 제4,450,22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평1-161236호 공보의 pp.212~215에 기재된 폴리머 매염제가 본 발명의 수상재료에 특히 바람직하다. 이것은 우수한 품질의 화상 및 광견뢰도를 부여한다.
내수화제는 화상의 물에 대한 내성을 부여하는데 유효하다. 내수화제로는 양이온성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 양이온성 수지로는, 예컨대 폴리아미드-폴리아민-에피클로로히드린,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아민-술폰, 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 폴리머, 양이온성 폴리아크릴아미드가 있다. 잉크 수용층의 양이온성 수지의 함유량은 잉크 수용층의 전체 고형분에 대하여 1~15중량%가 바람직하고, 3~10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광견뢰도 향상제 및 내가스성 향상제로는, 예컨대 페놀 화합물, 힌더드 페놀 화합물, 티오에테르 화합물, 티오우레아 화합물, 티오시아네이트 화합물, 아민 화합물, 힌더드 아민 화합물, TEMPO 화합물, 히드라진 화합물, 히드라지드 화합물, 아미딘 화합물, 비닐 함유 화합물, 에스테르 화합물, 아미드 화합물, 에테르 화합물, 알콜 화합물, 술피네이트 화합물, 당류, 수용성의 환원성 화합물, 유기산, 무기산, 히드록시 함유 유기산,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벤조페논 화합물, 트리아진 화합물, 복소환식 화합물, 수용성 금속염, 유기금속 화합물, 금속착체가 열거된다.
이들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일본특허공개 평10-182621호, 2001-260519호, 2000-260519호; 일본특허공고 평4-34953호, 평4-34513호, 평4-34512호; 일본특허공개 평11-170686호, 소60-67190호, 평7-276808호, 2000-94829호; PCT 특허출원 일본공개 평8-512258호; 일본특허공개 평11-321090호에 기재되어 있다.
계면활성제는 도포조제, 박리성 향상제, 매끄럼성 향상제 또는 대전방지제로서 기능한다. 예컨대, 일본특허공개 소62-173463호, 소62-18345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계면활성제 대신에, 유기불소 함유 화합물을 사용해도 좋다. 여기서 사용되는 유기불소 함유 화합물은 소수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불소 함유 화합물의 예로는 불소함유 계면활성제, 유성 불소함유 화합물(예컨대, 불소오일) 및 고체상 불소함유 화합물 수지(예컨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가 열거된다. 유기불소 함유 화합물에 대해서는 일본특허공고 소57-9053호(제8~17열); 일본특허공개 소61-20994호, 소62-13582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경막제로서는 일본특허공개 평1-161236호 공보의 p.222, 평9-263036호, 평10-119423호, 2001-310547호에 기재되어 있는 것들을 사용할 수 있다.
수상층 중의 다른 첨가제로는 안료분산제, 점착부여제, 소포제, 염료, 형광증백제, 방부제, pH 조정제, 매트제 및 경막제가 있다. 잉크 수용재는 1층 이상의 잉크 수용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기록지 및 기록필름은 백코트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 층은 화이트 안료, 수성 바인더 및 그 밖의 성분을 함유해도 좋다.
백코트층 중의 화이트 안료로는, 예컨대 경질 탄산칼슘, 중질 탄산칼슘, 카올린, 탤크, 황산칼슘, 황산바륨,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아연 술파이드, 탄산아연, 새틴 화이트, 규산알루미늄, 규조토,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합성 비결정질 실리카, 콜로이드 실리카, 콜로이드 알루미나, 유사 보에마이트, 수산화 알루미늄, 알루미나, 리토폰, 제올라이트, 수화 할로이사이트, 탄산마그네슘, 수산화 마그네슘 등의 무기 화이트 안료; 및 스티렌계 플라스틱 안료, 아크릴계 플라스틱 안료, 폴리에틸렌 마이크로캡슐, 우레아 수지, 멜라민 수지 등의 유기 화이트 안료가 열거된다.
백코트층 중의 수성 바인더로는, 예컨대 스티렌/말레산염 코폴리머, 스티렌/아크릴산염 코폴리머, 폴리비닐알콜, 실라놀 변성 폴리비닐알콜, 전분, 양이온화 전분, 카제인, 젤라틴,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수용성 폴리머; 및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 아크릴 유액 등의 수분산성 폴리머가 열거된다. 백코트층 중의 그 밖의 성분으로는 소포제, 제포제, 염료, 형광증백제, 방부제, 내수화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지 및 필름의 구성층(백층 포함)에 폴리머 입자의 분산물을 첨가해도 좋다. 폴리머 입자 분산물은, 예컨대 상기 층의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또 상기 층이 컬링, 블록킹 및 크랙킹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코팅층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폴리머 입자 분산물에 대해서는, 일본특허공개 소62-245258호, 소62-1316648호, 소62-11006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유리 전위온도가 낮은(40℃ 이하) 폴리머 입자 분산물을 매염제 함유 층에 첨가하면, 상기 층이 크랙킹 및 컬링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유리 전위온도가 높은 폴리머 입자 분산물을 백층에 첨가하는 경우에도, 층이 컬링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잉크젯 기록)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기록재료 상의 잉크의 도트체적은 0.1~100pl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50pl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pl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잉크젯 기록방법의 방식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고, 공지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정전기인력을 통해 잉크를 토출하는 전하제어 방식; 압전소자의 진동압을 사용한 드롭 온 디맨드(drop-on-demand) 방식(압력펄스방식); 전기신호를 음향빔으로 전환하고, 이것을 잉크에 가하고, 방사압 하에서 잉크를 토출하는 음향 잉크젯 방식; 또는 잉크를 가열하여 기포를 형성하고 그 얻어진 압력을 활용하는 서멀 잉크젯(기포 잉크젯) 모두를 사용할 수 있다.
잉크젯 기록방식으로는 농도가 낮은 포토잉크의 소용량 액적을 많이 토출하는 방식, 실질적으로 같은 컬러이지만 농도가 다른 복수의 잉크를 이용해서 화질을 개선하는 방식, 및 무색 투명 잉크를 사용하는 방식이 열거된다. 기록재료 상의 도트체적은 주로 프린트 헤드에 의해 제어된다.
예컨대, 서멀 잉크젯 방식에 있어서는, 프린트 헤드의 구조에 따라서 도트체적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잉크 챔버, 가열부 및 노즐크기를 변화시켜, 도트체적을 소정의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서멀 잉크젯 방식에 가열부 및 노즐크기가 다른 복수의 프린트 헤드를 사용하는 경우, 크기가 다른 잉크액적을 실현할 수 있다.
압전소자를 사용하는 드롭 온 디맨드 시스템에 있어서, 도트체적은 상술하듯이 서멀 잉크젯 방식에서와 같이 프린트헤드의 구조에 따라 달라도 좋다. 그러나, 이것에 있어서, 압전소자의 구동신호의 파형이 후술하듯이 제어되어, 크기가 다른 잉크액적을 동일 구조의 프린트 헤드를 통해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를 기록재료에 토출적하하는 경우, 토출주파수는 바람직하게는 1kHz 이상이다.
사진과 같은 고화질을 얻기 위해서는, 작은 잉크액적을 사용해야만 샤프하고 고화질을 재현한다. 이것을 위해서는 도트 농도는 600dpi(인치당 도트수) 이상이어야 한다.
한편, 복수의 노줄을 각각 갖는 헤드를 통해 잉크를 토출하고, 기록지가 헤드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하는 기록방식에 있어서는, 동시에 구동할 수 있는 헤드의 수가 수10~200 정도이다. 복수의 헤드가 고정되어 있는 라인헤드방식에서도, 동시에 구동할 수 있는 헤드의 수는 수백개로 제한된다. 이것은 구동력은 제한하지 않기 때문에, 헤드의 열이 형성된 화상에 일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다수의 헤드노즐이 동시에 구동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록 화상에 있어서 도트농도가 증가하는 경우, 기록시간은 늘어날 수 있다. 그러나, 구동주파수가 증가하면, 기록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서멀 잉크젯 방식에 있어서의 잉크젯 주파수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헤드를 가열하도록 헤드구동 신호의 주파수를 제어한다.
압전방식에 있어서는 압전소자를 구동하기 위해 신호의 주파수를 제어한다.
압전 헤드의 구동 메카니즘에 대해서 설명한다. 인쇄용 화상 신호는 도트크기, 도트속도 및 도트 주파수의 점에서 프린터 제어부에서 제어되어, 프린트 헤드를 구동하는 신호가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구동 신호는 프린트 헤드로 인도된다. 압전구동 신호는 도트크기, 도트속도 및 도트주파수를 제어한다. 도트크기 및 도트속도는 구동파형의 형상과 진폭에 의해 결정되고, 그 주파수는 신호의 반복주기에 의해 결정된다.
도트주파수를 10kHz로 설정한 경우, 헤드는 매 100마이크로초 마다 구동되고, 400마이크로초 이내에 1라인기록이 완료된다. 기록지의 이동속도를 기록지가 1/600인치, 즉 400마이크로초 당 약 42마이크론 이동하도록 설정한 경우, 매 1.2초마다 1매를 인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인쇄장치의 구성 및 프린터의 구성에 있어서, 예컨대 일본특허공개 평11-170527에서의 실시형태가 바람직하게 열거된다. 잉크 카트리지로는, 예컨대 일본특허공개 평5-229133호 공보에 개시된 것들이 바람직하다. 인쇄시 흡인 메카니즘의 구성 및 프린팅 헤드를 덮은 캡의 구성에 대해서는, 예컨대 일본특허공개 평7-276671호 공보에 기재된 것들이 바람직하게 열거된다. 또한, 헤드근방에는 일본특허공개 평9-277552호 공보에서와 같이 기포제거용 필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노즐표면은 일본특허공개 2002-292878호 공보에서와 같이 발수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도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잉크는 컴퓨터에 접속되어 있는 프린터에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사진용으로만 특수 설계된 프린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방법에 있어서, 잉크는 평균 도트속도 2m/sec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m/sec로 기록재료에 토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트속도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헤드구동 파형의 형상 및 진폭을 제어할 수 있다.
형상이 다른 복수의 구동파형을 하나의 프린터에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크기가 다른 잉크도트를 프린터의 동일한 헤드를 통해 토출할 수 있다.
(잉크젯 용도)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용 잉크는 잉크젯 기록용 이외의 다른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화상형성, 실내 장식 화상형성 및 옥외 장식 화상형성에 사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화상형성용 용도란, 포스터, 벽지, 장식용 소품(예컨대, 장식물, 인형), 광고선전용 광고지, 포장지, 포장재료, 종이백, 비닐백, 팩킹 재료, 간판, 운송기관(자동차, 버스, 기차)의 측면 뿐만 아니라, 로고가 들어가 있는 천 등에 형성된 화상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염료는 이러한 디스플레이 화상을 형성하는데 사용하는 경우, 화상에는 그 단어의 좁은 의미로의 것뿐만 아니라 추상적 디자인, 문자, 기하학적 패턴 등이 인간이 인지할 수 있는 모든 컬러패턴도 포함한다.
화상형성용 실내장식 재료로는 벽지, 장식용 소품(예컨대, 장식물, 인형), 조명기구, 가구의 부품, 바닥 및 천장의 디자인 부품 등의 각종의 물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염료를 이러한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데 사용하는 경우, 화상에는 그 단어의 좁은 의미로의 것뿐만 아니라, 추상적 디자인, 문자, 기하학적 패턴 등이 인간이 인지할 수 있는 모든 컬러패턴도 포함한다.
화상형성용 옥외장식 재료로는, 벽재, 옥근재, 간판, 조경재, 옥외장식용 소품(예컨대, 장식물, 인형), 옥외 조명기구의 부품 등의 각종의 물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염료를 이러한 재료상에 화상을 형성하는데 사용하는 경우, 화상에는 그 단어의 좁은 의미로의 것뿐만 아니라, 추상적 디자인, 문자, 기하학적 패턴 등이 인간이 인지할 수 있는 모든 컬러패턴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용도에 있어서, 패턴이 형성된 매체로는 종이, 섬유, 천(부직포 포함), 플라스틱, 금속, 세라믹 및 다른 각종 제재가 열거된다. 염색 형태에 있어서는, 염료를 매염, 인쇄 또는 그것에 도입된 반응성 기와의 반응성 염료의 화학반응 중 어느 형태로 도포 및 고정화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매체 상에 염료를 고정시키는 매염형태가 특히 바람직하다.
[실시예]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초순수(저항, 18MΩ 이상)를 후술하는 성분에 1L가 되도록 첨가한 후, 30~40℃로 가열하면서 1시간 교반하였다. 그 다음, 그 얻어진 혼합물을 평균 공극크기 0.25㎛의 마이크로 필터를 통해 감압하 여과하여, 옐로우 잉크, Y-101을 제조하였다.
[옐로우 잉크, Y-101의 처방]
(고체성분)
옐로우 염료(DYE-83) 50g/L
프록셀 5g/L
우레아 25g/L
(액체성분)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TGB) 100g/L
글리세린(GR) 115g/L
트리에틸렌글리콜(TEG) 100g/L
2-피롤리돈 35g/L
트리에탄올아민(TEA) 8g/L
서피놀 STG(SW) 10g/L
여기서 사용된 옐로우 염료(DYE-83)의 산화전위는 염료의 수용액(1mmol/L)을 분석하는 순환전압전류법(CV) 및 회전고리원판 전극법으로 측정한 결과 1.23V(vs SCE)이었다.
비교로서, 옐로우 잉크 카트리지인 Epson사 제품의 PM-980을 사용하였다.
하기 표에 나타낸 다른 옐로우 잉크도 상기 옐로우 잉크 Y-10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나, 상기 염료 DYE-83 대신에, 옐로우 염료 C, DYE-51, YJ-3 또는 YJ-7을 사용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옐로우 염료 C의 산화전위는 0.98V(vs SCE)이었고, 이것 외에는 모두 산화전위가 1.2V(vs SCE)를 초과하였다.
옐로우 염료 C:
Figure pat00066
이들 잉크를 Epson사 제품의 잉크젯 프린터 PM-980C의 옐로우 잉크 카트리지에 장전하고, 그외 PM-980C의 컬러잉크를 각각의 잉크 카트리지에 장전하고, 프린터를 6색 인쇄모드로 구동하여, 단계별로 농도가 변화하는 단색의 옐로우 화상패턴 및 그레이 화상패턴을 인쇄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수상시트는 Fuji Photo Film 제품의 잉크젯지, 포토광택지 "Gasai"이다. 인쇄된 샘플을 화질, 화상 견뢰도 및 잉크 토출 안정성의 점에서 평가하였다.
(평가시험)
1) 하기 주위온도 및 상대습도의 변화에 따른 다른 조건 하에서, 토출 안정성 시험을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카트리지를 프린터에 세트하고, 잉크를 각각의 노즐을 통해 토출시킨다. 그 후, A4지 300매를 다른 조건 하에서 인쇄하여 화상을 형성하고, 이들 모두의 화질을 분석한다. 시험기간동안 잉크를 다 써버린 경우, 카트리지를 교환하고 인쇄시험을 계속한다.
(시험조건)
4개의 조건: 30℃ 80%RH; 30℃ 20%RH; 10℃ 80%RH; 및 10℃ 20%RH
(평가기준)
A: 인쇄구동 시작에서 끝까지 인쇄장애가 발견되지 않음.
B: 인쇄장애가 일부 발견됨.
C: 인쇄구동 전반에 걸쳐서 인쇄장애가 발견됨.
2) 인쇄된 샘플의 화상 보존성을 평가하였다.
(1) 광견뢰도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인쇄직후의 프레쉬 샘플의 화상농도 Ci를 반사농도계(X-Rite 310TR)로 측정한다. 그 다음, 인쇄된 화상을 Atlas 제품의 내후시험기를 사용하여 크세논광(85,000lux)에 20일간 노광시킨 다음, 화상농도 Cf를 측정한다. 염료 잔존율을 {(Cf/Ci)×100}으로부터 얻고, 이것을 인쇄샘플의 광견뢰도로 한다. 상기 염료 잔존율에 있어서, 모든 샘플에 대해서 옐로우 반사농도가 1, 1.5 및 2인 3점을 측정한다. 모든 점에서의 염료 잔존율이 70% 이상인 샘플을 "A"; 2점에서 염료 잔존율이 70% 미만인 샘플을 "B"; 3점 모두에서 염료 잔존율이 70% 미만인 샘플을 "C"로 한다.
(2) 열견뢰도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인쇄된 샘플을 80℃, 70%RH에서 10일간 유지하고, 보존 전후의 농도를 X-Rite 310으로 측정하였다. 이 데이타로부터, 각각의 샘플의 염료 잔존율을 구하고, 이것은 샘플의 열견뢰도로 한다. 염료 잔존률에 있어서, 모든 샘플에 대해서 반사농도가 1, 1.5 및 2인 3점을 측정한다. 모든 점에서의 염료 잔존율이 90% 이상인 샘플을 "A"; 2점 이상에서 염료 잔존율이 90% 미만인 샘플을 "B"; 3점 모두에서 염료 잔존율이 90% 미만인 샘플을 "C"로 하였다.
모든 점에서 90%의 염료 잔존률 수준을 나타내는 샘플을 1일간 상기 조건하에 보존하고, 1일 보존후의 농도증가가 5% 이상인 경우, 그 샘플의 평가등급은 "AX"로 하였다.
(3) 내오존성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인쇄된 샘플을 5ppm의 일정한 오존가스농도를 갖는 박스안에 3일간 보존한다. 오존가스에 노출 전후에, 각각의 샘플의 화상농도를 반사농도계(X-Rite 310TR)로 측정하고, 각각의 샘플의 염료 잔존율을 구한다. 염료 잔존율에 있어서, 모든 샘플에 대해서 반사농도가 1, 1.5 및 2인 3점을 측정한다. 박스 내의 오존가스 농도를 오존가스 모니터(Applics 제품의 Model OZG-EM-01)를 사용하여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렇게 하여 시험한 샘플을 3개의 등급으로 구분한다: 모든 점에서의 염료 잔존율이 80% 이상인 샘플을 "A"; 1점 또는 2점에서 염료 잔존율이 80% 미만인 샘플을 "B"; 3점 모두에서 염료 잔존율이 70% 미만인 샘플을 "C"로 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68
Y-107의 열견뢰도 평가에 있어서, 1일간 보존시 농도가 3% 증가하였다.
상기 표에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잉크를 사용하는 방식은 우수한 견뢰도 및 우수한 컬러 밸런스 안정성을 가진 우수한 화상을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초순수(저항, 18MΩ 이상)를 후술하는 성분에 1L가 되도록 첨가한 후, 30~40℃로 가열하면서 1시간 교반하였다. 그 다음, 그 얻어진 혼합물을 평균 공극크기 0.25㎛의 마이크로 필터를 통해 감압하 여과하여 옐로우 잉크 Y-201을 제조하였다.
[옐로우 잉크, Y-201의 처방]
(고체성분)
본 발명의 옐로우 염료(DYE-83) 30g/L
프록셀 5g/L
우레아(UR) 20g/L
(액체성분)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TGB) 60g/L
글리세린(GR) 100g/L
트리에틸렌글리콜(TEG) 40g/L
이소프로판올 40g/L
1,5-펜탄디올 40g/L
트리에탄올아민(TEA) 8g/L
서피놀 STG(SW) 10g/L
하기 표에 나타낸 다른 옐로우 잉크는 상기 옐로우 잉크 Y-20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지만, 상기 염료 DYE-83 대신에 하기 나타낸 염료를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69
이들 잉크를 Canon사의 잉크젯 프린터 BJ-950의 예로우 잉크 카트리지에 장착하고, BJ-950의 다른 컬러잉크를 각각의 잉크 카트리지에 장착하고, 프린터를 구동하여 단계별로 농도가 변화하는 단색의 옐로우 화상패턴 및 그레이 화상패턴을 인쇄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수상시트는 Fuji Photo Film의 잉크젯지, 포토광택지 "Gasai"이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쇄된 샘플을 화질, 화상 견뢰도 및 잉크 토출 안정성의 점에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70
Y-207의 열견뢰도 평가에 있어서, 1일간 보존시 농도가 3% 증가하였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상기 표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잉크를 사용하는 방식은 우수한 광견뢰도 및 우수한 컬러 밸런스 안정성을 갖는 우수한 화상을 부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초순수(저항, 18MΩ 이상)를 후술하는 성분에 1L가 되도록 첨가한 후, 30~40℃로 가열하면서 1시간 교반하였다. 그 다음, 그 얻어진 혼합물을 평균 공극크기 0.25㎛의 마이크로 필터를 통해 감압하 여과하였다. 각 컬러의 잉크를 이렇게 하여 제조하였다.
[라이트 시안 잉크의 처방]
(고체성분)
시안 염료(C-1) 20g/L
우레아(UR) 15g/L
벤조트리아졸(BTZ) 0.08g/L
프록셀 XL2(PXL) 3.5g/L
(액체성분)
트리에틸렌글리콜(TEG) 110g/L
글리세린(GR) 130g/L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TGB) 110g/L
2-피롤리돈(PRD) 60g/L
트리에탄올아민(TEA) 7g/L
서피놀 STG(SW) 10g/L
시암 염료(C-1):
Figure pat00071
[시안 잉크의 처방]
(고체성분)
시안 염료(C-1) 60g/L
우레아(UR) 30g/L
벤조트리아졸(BTZ) 0.08g/L
프록셀 XL2(PXL) 3.5g/L
(액체성분)
트리에틸렌글리콜(TEG) 110g/L
글리세린(GR) 130g/L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TGB) 130g/L
2-피롤리돈(PRD) 60g/L
트리에탄올아민(TEA) 7g/L
서피놀 STG(SW) 10g/L
[라이트 마젠타 잉크의 처방]
(고체성분)
마젠타 염료(M-1) 7.5g/L
우레아(UR) 10g/L
프록셀 5g/L
(액체성분)
디에틸렌글리콜(DEG) 90g/L
글리세린(GR) 70g/L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TGB) 70g/L
트리에탄올아민(TEA) 6.9g/L
서피놀 STG(SW) 10g/L
마젠타 염료(M-1):
Figure pat00072
[마젠타 잉크의 처방]
(고체성분)
마젠타 염료(M-1) 23g/L
우레아(UR) 15g/L
프록셀 5g/L
(액체성분)
디에틸렌글리콜(DEG) 90g/L
글리세린(GR) 70g/L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TGB) 70g/L
트리에탄올아민(TEA) 6.9g/L
서피놀 STG(SW) 10g/L
[옐로우 잉크의 처방]
(고체성분)
옐로우 염료(Y-1) 35g/L
프록셀 3.5g/L
벤조트리아졸(BTZ) 0.08g/L
우레아 10g/L
(액체성분)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TEG) 130g/L
글리세린(GR) 115g/L
디에틸렌글리콜(DEG) 120g/L
2-피롤리돈 35g/L
트리에탄올아민(TEA) 8g/L
서피놀 STG(SW) 10g/L
옐로우 염료(Y-1):
Figure pat00073
[다크 옐로우 잉크의 처방]
(고체성분)
옐로우 염료(Y-1) 35g/L
마젠타 염료(M-1) 2g/L
시안 염료(C-1) 2g/L
프록셀 5g/L
벤조트리아졸(BTZ) 0.08g/L
우레아 10g/L
(액체성분)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TGB) 140g/L
글리세린(GR) 125g/L
디에틸렌글리콜(DEG) 120g/L
2-피롤리돈(PRD) 35g/L
트리에탄올아민(TEA) 8g/L
서피놀 STG(SW) 10g/L
[블랙 잉크의 처방]
(고체성분)
블랙 염료(Bk-1)(λmax 587nm; 반치폭 105nm) 75g/L
블랙 염료(Bk-2)(λmax 447nm) 30g/L
프록셀 5g/L
우레아 10g/L
벤조트리아졸 3g/L
(액체성분)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DGB) 120g/L
글리세린(GR) 125g/L
디에틸렌글리콜(DEG) 100g/L
2-피롤리돈 35g/L
트리에탄올아민(TEA) 8g/L
서피놀 STG(SW) 10g/L
블랙 염료(BK-1):
Figure pat00074
블랙 염료(BK-2):
Figure pat00075

이들 잉크의 잉크셋을 제조하고, 이것을 IS-101라고 하였다. 또한, 다른 잉크셋 IS-102~IS-108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나, 블랙 잉크의 염료는 하기 표에서와 같이 일부 변화시켰다.
여기서 사용된 염료의 산화전위(Eox)는 1.2V(vs SCE)를 초과하였다.
첨가제
IS-101 (비교) 없음
IS-102 (비교) IS-101 중의 BK-1의 절반을 염료 A로 변경함
IS-103 (비교) IS-101 중의 BK-1의 절반을 염료 B로 변경함
IS-104 (본 발명) IS-101 중의 BK-1의 절반을 염료 C로 변경함
IS-105 (본 발명) IS-101 중의 BK-1의 절반을 염료 D로 변경함
IS-106 (본 발명) IS-101 중의 BK-1의 1/3을 염료 C로 변경함
IS-107 (본 발명) IS-101 중의 BK-1의 1/3을 염료 D로 변경함
IS-108 (본 발명) IS-101 중의 BK-1의 절반을 염료 E로 변경함
Figure pat00076
Figure pat00077
이들 잉크를 Epson사 제품의 잉크젯 프린터 PM-980C의 잉크 카트리지에 장전하고, 프린터를 단색 화상형성 모드로 하여 구동하여, 수상시트에 단계별로 농도가 변화하는 화상패턴을 인쇄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수상시트는 Fuji Photo Film의 잉크젯지, 포토광택지 "Gasai"이다.
(평가시험)
1) 반사농도계 X-Rite를 사용하여 각각의 샘플의 Dvis의 값을 측정하고, 이 값을 최대 그레이 밀도로 한다.
2) 그라데이션 그레이 화상의 화상 보존성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1) 광견뢰도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인쇄직후의 프레쉬 샘플의 화상농도 Ci를 X-Rite 310로 측정한다. 그 다음, 인쇄된 화상을 Atlas 제품의 내후시험기를 사용하여 크세논광(85,000lux)에 20일간 노광시킨 다음, 화상농도 Cf를 측정한다. 염료 잔존율을 {(Cf/Ci)×100}으로부터 얻고, 이것을 인쇄된 샘플의 광견뢰도로 한다. 상기 염료 잔존율에 있어서, 모든 샘플에 대해서 반사농도가 1, 1.5 및 2인 3점을 측정한다. 모든 점에서의 염료 잔존율이 80% 이상인 샘플을 "A"; 2점에서 염료 잔존율이 80% 미만인 샘플을 "B"; 3점 모두에서 염료 잔존율이 80% 미만인 샘플을 "C"로 한다.
(2) 내오존성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인쇄된 샘플을 5ppm의 일정한 오존가스농도를 갖는 박스안에 7일간 보존한다. 오존가스에 노출 전후에, 각각의 샘플의 화상농도를 반사농도계(X-Rite 310TR)로 측정하고, 각각의 샘플의 염료 잔존율을 구한다. 염료 잔존율에 있어서, 모든 샘플에 대해서 반사농도가 1, 1.5 및 2인 3점을 측정한다. 박스 내의 오존가스 농도를 오존가스 모니터(Applics 제품의 Model OZG-EM-01)를 사용하여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렇게 하여 시험한 샘플을 3개의 등급으로 구분한다: 모든 점에서의 염료 잔존율이 80% 이상인 샘플을 "A"; 1점 또는 2점에서 염료 잔존율이 80% 미만인 샘플을 "B"; 3점 모두에서 염료 잔존율이 80% 미만인 샘플을 "C"로 하였다.
(3) 잉크 토출 안정성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30℃, 80% RH의 제어조건 하에서, A4지 100매를 각각의 잉크셋으로 인쇄한다. 인쇄된 블랙 화상에 있어서 화상 장애 및 엷은 스폿을 조사한다. 문제가 없는 샘플을 "A"; 화상 장애 및 다른 문제가 일부 있는 샘플을 "B"; 다수의 문제가 있는 샘플을 "C"로 하였다.
Figure pat00078
상기 결과는 본 발명의 효과를 잘 뒷바침해준다.
(실시예 4)
초순수(저항, 18MΩ 이상)를 후술하는 성분에 1L가 되도록 첨가한 후, 30~40℃로 가열하면서 1시간 교반하였다. 그 다음, 그 얻어진 혼합물을 평균 공극크기 0.25㎛의 마이크로 필터를 통해 감압하 여과하였다. 이렇게 하여 컬러가 다른 잉크를 제조하였다.
[포토 시안 잉크의 처방]
(고체성분)
시안 염료(C-1) 10g/L
우레아(UR) 15g/L
벤조트리아졸(BTZ) 0.08g/L
프록셀 XL2(PXL) 3.5g/L
(액체성분)
트리에틸렌글리콜(TEG) 50g/L
글리세린(GR) 100g/L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TGB) 60g/L
1,5-펜탄디올(PTD) 40g/L
이소프로판올(IPA) 20g/L
트리에탄올아민(TEA) 7g/L
서피놀 STG(SW) 10g/L
[시안 잉크의 처방]
(고체성분)
시안 염료(C-1) 30g/L
우레아(UR) 40g/L
벤조트리아졸(BTZ) 0.08g/L
프록셀 XL2(PXL) 3.5g/L
(액체성분)
트리에틸렌글리콜(TEG) 40g/L
글리세린(GR) 100g/L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TGB) 70g/L
1,5-펜탄디올(PTD) 50g/L
이소프로판올(IPA) 20g/L
트리에탄올아민(TEA) 7g/L
서피놀 STG(SW) 10g/L
[포토 마젠타 잉크의 처방]
(고체성분)
마젠타 염료(M-1) 7.5g/L
우레아(UR) 10g/L
프록셀 5g/L
(액체성분)
트리에틸렌글리콜(TEG) 40g/L
글리세린(GR) 100g/L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TGB) 60g/L
1,5-펜탄디올(PTD) 40g/L
이소프로판올(IPA) 20g/L
트리에탄올아민(TEA) 6.9g/L
서피놀 STG(SW) 10g/L
[마젠타 잉크의 처방]
(고체성분)
마젠타 염료(M-1) 23g/L
우레아(UR) 15g/L
프록셀 5g/L
(액체성분)
트리에틸렌글리콜(TEG) 50g/L
글리세린(GR) 100g/L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TGB) 50g/L
1,5-펜탄디올(PTD) 40g/L
이소프로판올(IPA) 20g/L
트리에탄올아민(TEA) 6.9g/L
서피놀 STG(SW) 10g/L
[옐로우 잉크의 처방]
(고체성분)
옐로우 염료(Y-1) 35g/L
프록셀 3.5g/L
벤조트리아졸(BTZ) 0.08g/L
우레아 10g/L
(액체성분)
트리에틸렌글리콜(TEG) 40g/L
글리세린(GR) 100g/L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TGB) 70g/L
1,5-펜탄디올(PTD) 60g/L
이소프로판올(IPA) 20g/L
트리에탄올아민(TEA) 8g/L
서피놀 STG(SW) 10g/L
[블랙 잉크의 처방]
(고체성분)
블랙 염료(Bk-1) 75g/L
블랙 염료(Bk-2) 30g/L
프록셀 5g/L
우레아 10g/L
벤조트리아졸 3g/L
(액체성분)
트리에틸렌글리콜(TEG) 60g/L
글리세린(GR) 100g/L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TGB) 70g/L
1,5-펜탄디올(PTD) 50g/L
이소프로판올(IPA) 20g/L
트리에탄올아민(TEA) 8g/L
서피놀 STG(SW) 10g/L
이들 잉크의 잉크셋을 제조하였고, 이것을 IS-201로 하였다. 또한 다른 잉크셋 IS-202~IS-208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나, 하기 표에서와 같이 첨가제를 첨가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염료 A~E는 실시예 3과 모두 동일하다.
첨가제
IS-201 (비교) 없음
IS-202 (비교) IS-201 중의 BK-1의 절반을 염료 A로 변경함.
IS-203 (비교) IS-201 중의 BK-1의 절반을 염료 B로 변경함.
IS-204 (본 발명) IS-201 중의 BK-1의 절반을 염료 C로 변경함.
IS-205 (본 발명) IS-201 중의 BK-1의 절반을 염료 D로 변경함.
IS-206 (본 발명) IS-201 중의 BK-1의 1/3을 염료 C로 변경함.
IS-207 (본 발명) IS-201 중의 BK-1의 1/3을 염료 D로 변경함.
IS-208 (본 발명) IS-201 중의 BK-1의 절반을 염료 E로 변경함.
이들 잉크를 Canon사의 잉크젯 프린터 PIXUS950i의 잉크 카트리지에 장전하고, 프린터를 구동하여 C, M, Y, B, G, R의 6컬러와 그레이의 단계별로 농도가 변화하는 화상패턴을 수상시트에 인쇄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수상시트는 카피용 백상지와 Fuji Photo Film의 잉크젯지, 포토광택지 "Gasai"이다.
인쇄된 화상을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79
상기 결과는 본 발명의 효과를 잘 뒷받침한다.
(실시예 5)
초순수(저항, 18MΩ 이상)를 후술하는 성분에 1L가 되도록 첨가한 후, 30~40℃로 가열하면서 1시간 교반하였다. 그 다음, 그 얻어진 혼합물을 평균 공극크기 0.25㎛의 마이크로 필터를 통해 감압하 여과하였다. 이렇게 하여 컬러가 다른 잉크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라이크 마젠타 잉크를 후술하는 처방에 따라 제조하였다.
[라이트 마젠타 잉크의 처방]
(고체성분)
마젠타 염료(M-1) 8g/L
우레아(UR) 10g/L
프록셀 5g/L
(액체성분)
디에틸렌글리콜(DEG) 90g/L
글리세린(GR) 120g/L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TGB) 110g/L
트리에탄올아민(TEA) 8g/L
서피놀 STG(SW) 10g/L
후술하는 처방에 따라, 마젠타 염료(M-1)를 28g로 증가시켜 마젠타 잉크를 제조하였다.
[마젠타 잉크의 처방]
(고체성분)
마젠타 염료(M-1) 28g/L
우레아(UR) 15g/L
프록셀 5g/L
(액체성분)
디에틸렌글리콜(DEG) 100g/L
글리세린(GR) 130g/L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TGB) 110g/L
트리에탄올아민(TEA) 8g/L
서피놀 STG(SW) 10g/L
마젠타 염료(M-1):
Figure pat00080
본 발명의 잉크셋을 형성하는 다른 잉크를 후술하는 처방에 따라 제조하였다.
[라이트 시안 잉크의 처방]
(고체성분)
시안 염료(C-1) 20g/L
우레아(UR) 15g/L
벤조트리아졸(BTZ) 0.08g/L
프록셀 XL2(PXL) 3.5g/L
(액체성분)
트리에틸렌글리콜(TEG) 110g/L
글리세린(GR) 130g/L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TGB) 110g/L
2-피롤리돈(PRD) 60g/L
트리에탄올아민(TEA) 7g/L
서피놀 STG(SW) 10g/L
시안 염료(C-1):
Figure pat00081
[시안 잉크의 처방]
(고체성분)
시안 염료(C-1) 60g/L
우레아(UR) 30g/L
벤조트리아졸(BTZ) 0.08g/L
프록셀 XL2(PXL) 3.5g/L
(액체성분)
트리에틸렌글리콜(TEG) 110g/L
글리세린(GR) 130g/L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TGB) 130g/L
2-피롤리돈(PRD) 60g/L
트리에탄올아민(TEA) 7g/L
서피놀 STG(SW) 10g/L
[옐로우 잉크의 처방]
(고체성분)
옐로우 염료(Y-1) 35g/L
프록셀 3.5g/L
벤조트리아졸(BTZ) 0.08g/L
우레아 10g/L
(액체성분)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TEG) 130g/L
글리세린(GR) 115g/L
디에틸렌글리콜(DEG) 120g/L
2-피롤리돈 35g/L
트리에탄올아민(TEA) 8g/L
서피놀 STG(SW) 10g/L
옐로우 염료(Y-1):
Figure pat00082
[다크 옐로우 잉크의 처방]
(고체성분)
옐로우 염료(Y-1) 35g/L
마젠타 염료(M-1) 2g/L
시안 염료(C-1) 2g/L
프록셀 5g/L
벤조트리아졸(BTZ) 0.08g/L
우레아 10g/L
(액체성분)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TGB) 140g/L
글리세린(GR) 125g/L
디에틸렌글리콜(DEG) 120g/L
2-피롤리돈(PRD) 35g/L
트리에탄올아민(TEA) 8g/L
서피놀 STG(SW) 10g/L
[블랙 잉크의 처방]
(고체성분)
블랙 염료(Bk-1) 75g/L
블랙 염료(Bk-2) 30g/L
프록셀 5g/L
우레아 10g/L
벤조트리아졸 3g/L
(액체성분)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DGB) 120g/L
글리세린(GR) 125g/L
디에틸렌글리콜(DEG) 100g/L
2-피롤리돈 35g/L
트리에탄올아민(TEA) 8g/L
서피놀 STG(SW) 10g/L
블랙 염료(BK-1):
Figure pat00083
블랙 염료(BK-2):
Figure pat00084
이들 잉크의 잉크셋을 제조하였다. 이것을 IS-301으로 하였다. 다른 잉크셋 IS-302~IS-308을 여기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나, 마젠타 잉크 및 라이트 마젠타 잉크 중의 마젠타 염료를 하기 표에서와 같이 변경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염료 M-1, M-2 및 M-3의 산화전위는 모두 1.0V(vs SCE)를 초과한다.
Figure pat00085
Figure pat00086
Figure pat00087
이들 잉크를 Epson사의 잉크젯 프린터 PM-980C의 잉크 카트리지에 장전하였다. 프린터를 구동하여 C, M, Y, B, G, R의 6컬러와 그레이의 단계별로 농도가 변화하는 화상패턴을 수상시트에 인쇄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수상시트는 Fuji Photo Film의 잉크젯지, 포토광택지 "Gasai"이다.
(평가시험)
1) 토출 안정성을 다음과 같이 시험하였다:
프린터에 카트리지를 세트하고, 잉크를 각각의 노즐을 통해 토출시킨다. 이것과 함께, A4지 100매를 인쇄하고, 다음의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A: 인쇄구동 시작에서 끝까지 인쇄장애가 발견되지 않음.
B: 인쇄장애가 일부 발견됨.
C: 인쇄구동 전반에 걸쳐서 인쇄장애가 발견됨.
2) 마젠타 그라데이션 화상의 화상 보존성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1) 광견뢰도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인쇄직후의 프레쉬 샘플의 화상농도 Ci를 X-Rite 310으로 측정한다. 그 다음, 인쇄된 화상을 Atlas 제품의 내후시험기를 사용하여 크세논광(85,000lux)에 20일간 노광시킨 다음, 그 화상농도 Cf를 측정한다. 염료 잔존율을 {(Cf/Ci)×100}으로부터 얻고, 이것을 인쇄된 샘플의 광견뢰도로 한다. 상기 염료 잔존율에 있어서, 모든 샘플에 대해서 반사농도가 1, 1.5 및 2인 3점을 측정한다. 모든 점에서의 염료 잔존율이 70% 이상인 샘플을 "A"; 2점에서 염료 잔존율이 70% 미만인 샘플을 "B"; 3점 모두에서 염료 잔존율이 70% 미만인 샘플을 "C"로 한다.
(2) 내오존성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인쇄된 샘플을 5ppm의 일정한 오존가스농도를 갖는 박스안에 7일간 보존한다. 오존가스에 노출 전후에, 각각의 샘플의 화상농도를 반사농도계(X-Rite 310TR)로 측정하고, 각각의 샘플의 염료 잔존율을 구한다. 염료 잔존율에 있어서, 모든 샘플에 대해서 반사농도가 1, 1.5 및 2인 3점을 측정한다. 박스 내의 오존가스 농도를 오존가스 모니터(Applics 제품의 Model OZG-EM-01)를 사용하여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렇게 하여 시험한 샘플을 3개의 등급으로 구분한다: 모든 점에서의 염료 잔존율이 70% 이상인 샘플을 "A"; 1점 또는 2점에서 염료 잔존율이 70% 미만인 샘플을 "B"; 3점 모두에서 염료 잔존율이 70% 미만인 샘플을 "C"로 하였다.
(3) 고습도 하에서의 화상 블리딩 내성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4개의 마젠타 스퀘어 3cm×3cm 각각을 백색 선간격 1mm로 하여 패턴하여 "田" 모양의 인쇄패턴을 형성한다. 이 화상 샘플을 25℃, 90% RH의 조건 하에서 72시간 유지하고, 백색 선간격내의 마젠타 염료의 블리딩을 스테이터스 A 마젠타 필터를 통해 조사한다. 이것을 인쇄직후의 후레쉬 샘플에 있어서의 블리딩과 비교한다. 보존 후의 백색 선간격에서의 마젠타 농도증가가 0.01 미만인 경우, 그 샘플을 "A"로 하고; 0.01~0.05인 경우, 그 샘플을 "B"로 하고; 0.05를 초과하는 경우, 그 샘플을 "C"로 한다.
그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88
상기 결과는 본 발명의 효과를 잘 뒷받침한다.
(실시예 6)
초순수(저항, 18MΩ 이상)를 후술하는 성분에 1L가 되도록 첨가한 후, 30~40℃로 가열하면서 1시간 교반하였다. 그 다음, 그 얻어진 혼합물을 평균 공극크기 0.25㎛의 마이크로 필터를 통해 감압하 여과하였다. 이렇게 하여 컬러가 다른 잉크를 제조하였다.
[포토 마젠타 잉크의 처방]
(고체성분)
마젠타 염료(M-1) 5g/L
우레아(UR) 10g/L
프록셀 5g/L
(액체성분)
트리에틸렌글리콜(TEG) 40g/L
글리세린(GR) 100g/L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TGB) 60g/L
1,5-펜탄디올(PTD) 40g/L
이소프로판올(IPA) 20g/L
트리에탄올아민(TEA) 6.9g/L
서피놀 STG(SW) 10g/L
[마젠타 잉크의 처방]
(고체성분)
마젠타 염료(M-1) 15g/L
우레아(UR) 15g/L
프록셀 5g/L
(액체성분)
트리에틸렌글리콜(TEG) 50g/L
글리세린(GR) 100g/L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TGB) 50g/L
1,5-펜탄디올(PTD) 40g/L
이소프로판올(IPA) 20g/L
트리에탄올아민(TEA) 6.9g/L
서피놀 STG(SW) 10g/L
[포토 시안 잉크의 처방]
(고체성분)
시안 염료(C-1) 10g/L
우레아(UR) 15g/L
벤조트리아졸(BTZ) 0.08g/L
프록셀 XL2(PXL) 3.5g/L
(액체성분)
트리에틸렌글리콜(TEG) 50g/L
글리세린(GR) 100g/L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TGB) 60g/L
1,5-펜탄디올(PTD) 40g/L
이소프로판올(IPA) 20g/L
트리에탄올아민(TEA) 7g/L
서피놀 STG(SW) 10g/L
[시안 잉크의 처방]
(고체성분)
시안 염료(C-1) 30g/L
우레아(UR) 40g/L
벤조트리아졸(BTZ) 0.08g/L
프록셀 XL2(PXL) 3.5g/L
(액체성분)
트리에틸렌글리콜(TEG) 40g/L
글리세린(GR) 100g/L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TGB) 70g/L
1,5-펜탄디올(PTD) 50g/L
이소프로판올(IPA) 20g/L
트리에탄올아민(TEA) 7g/L
서피놀 STG(SW) 10g/L
[옐로우 잉크의 처방]
(고체성분)
옐로우 염료(Y-1) 35g/L
프록셀 3.5g/L
벤조트리아졸(BTZ) 0.08g/L
우레아 10g/L
(액체성분)
트리에틸렌글리콜(TEG) 40g/L
글리세린(GR) 100g/L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TGB) 70g/L
1,5-펜탄디올(PTD) 60g/L
이소프로판올(IPA) 20g/L
트리에탄올아민(TEA) 8g/L
서피놀 STG(SW) 10g/L
[블랙 잉크의 처방]
(고체성분)
블랙 염료(Bk-1) 75g/L
블랙 염료(Bk-2) 30g/L
프록셀 5g/L
우레아 10g/L
벤조트리아졸 3g/L
(액체성분)
트리에틸렌글리콜(TEG) 60g/L
글리세린(GR) 100g/L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TGB) 70g/L
1,5-펜탄디올(PTD) 50g/L
이소프로판올(IPA) 20g/L
트리에탄올아민(TEA) 8g/L
서피놀 STG(SW) 10g/L
이들 잉크의 잉크셋을 제조하였다. 이것을 IS-401라고 하였다. 또한, 다른 잉크셋 IS-402~IS-408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나, 마젠타 잉크와 포토 마젠타 잉크 중의 염료를 하기 표에서와 같이 변화시켰다.
Figure pat00089
이들 잉크를 Canon사의 잉크젯 프린터 PIXUS950i의 잉크 카트리지에 장전하였다. 프린터를 구동하여 C, M, Y, B, G, R의 6컬러와 그레이의 단계별로 농도가 변화하는 화상패턴을 수상시트에 인쇄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수상시트는 Fuji Photo Film의 잉크젯지, 포토광택지 "Gasai"이다.
화상 견뢰도 및 잉크 토출 안정성을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90
상기 결과는 본 발명의 효과를 잘 뒷받침한다.
본 발명에 대해서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내용 및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각종의 변형 및 변경이 가해질 수 있는 것을 물론이다.
본 출원은 2003년 10월 23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2003-363727호, 2003-363728호 및 2003-363883호에 기초한 것으로, 그 내용을 참조하여 원용하였다.
본 발명은 특별한 제한없이 잉크젯 기록방법에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정전기인력을 통해 잉크를 토출하는 전하제어 방식; 압전소자의 진동압을 사용한 드롭 온 디맨드(drop-on-demand) 방식(압력펄스방식); 전기신호를 음향빔으로 전환하고, 이것을 잉크에 가하고, 방사압 하에서 잉크를 토출하는 음향 잉크젯 방식; 또는 잉크를 가열하여 기포를 형성하고 그 얻어진 압력을 활용하는 서멀 잉크젯(기포 잉크젯) 방식 모두를 사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수성 매체; 및 2개 이상의 염료를 함유하는 잉크젯 기록용 블랙 잉크로서,
    상기 2개 이상의 염료는 각각 독립적으로 λmax가 500~700nm이고; 또한 λmax에서 흡광도 1.0을 갖도록 규격화된 희석용액의 흡수 스펙트럼에 있어서의 반치폭이 100nm 이상이고,
    상기 2개 이상의 염료 중 하나 이상은 산화전위가 1.0V(vs SCE) 보다 높은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용 블랙 잉크.
  2. 제1항에 있어서, λmax가 350~500nm인 염료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용 블랙 잉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염료는 일반식(B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용 블랙 잉크.
    (B1) A41-N=N-A42-N=N-A43
    (식중, A41, A42 및 A43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방향족기 또는 복소환기를 나타내고; A41과 A43은 1가의 기이고; A42는 2가의 기이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염료는 일반식(B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용 블랙 잉크.
    (B2) P-(N=N-Qx)y-N=N-R
    (식중, P, Q 및 R은 각각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방향족기를 나타내고; x는 1 이상의 정수이고; y는 0 이상의 정수이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B2)에 있어서의 Q는 다환식 방향족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용 블랙 잉크.
  6. 제5항에 있어서, λmax가 350~500nm인 염료는 제3항의 일반식(B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용 블랙 잉크.
KR1020117011159A 2003-10-23 2004-10-22 잉크젯 기록용 블랙 잉크 KR1010759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363727 2003-10-23
JP2003363728 2003-10-23
JP2003363883 2003-10-23
JPJP-P-2003-363883 2003-10-23
JPJP-P-2003-363728 2003-10-23
JP2003363727 2003-10-23
PCT/JP2004/016059 WO2005040292A1 (en) 2003-10-23 2004-10-22 Ink and ink set for inkjet recording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7918A Division KR101153252B1 (ko) 2003-10-23 2006-04-24 잉크젯 기록용 옐로우 잉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435A true KR20110056435A (ko) 2011-05-27
KR101075946B1 KR101075946B1 (ko) 2011-10-21

Family

ID=3452759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1160A KR101093031B1 (ko) 2003-10-23 2004-10-22 잉크젯 기록용 마젠타 잉크 및 잉크셋
KR1020117011159A KR101075946B1 (ko) 2003-10-23 2004-10-22 잉크젯 기록용 블랙 잉크
KR1020067007918A KR101153252B1 (ko) 2003-10-23 2006-04-24 잉크젯 기록용 옐로우 잉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1160A KR101093031B1 (ko) 2003-10-23 2004-10-22 잉크젯 기록용 마젠타 잉크 및 잉크셋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7918A KR101153252B1 (ko) 2003-10-23 2006-04-24 잉크젯 기록용 옐로우 잉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76144B2 (ko)
EP (2) EP2455431B1 (ko)
JP (3) JP5204974B2 (ko)
KR (3) KR101093031B1 (ko)
WO (1) WO20050402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04944B2 (ja) * 2004-06-07 2013-06-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黒インク組成物、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DE602005005335T2 (de) * 2004-07-13 2009-03-26 Fujifilm Corp. Tintensatz und tintenstrahlaufzeichnungsverfahren
CN101824245B (zh) * 2004-07-13 2012-05-30 富士胶片株式会社 黑色墨水组合物、含该组合物的墨水组以及喷墨记录方法
KR101174741B1 (ko) * 2005-01-17 2012-08-17 니폰 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안트라피리돈 화합물, 마젠타 잉크 조성물 및 착색체
JP5238155B2 (ja) * 2005-10-20 2013-07-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組成物、インクセット、並びに記録方法
US7758683B2 (en) * 2005-10-20 2010-07-20 Fujifilm Corporation Ink composition, ink set and recording method
JP4548398B2 (ja) * 2006-09-29 2010-09-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セット、インクカートリッジ、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記録物
JP4465721B2 (ja) * 2006-09-29 2010-05-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セット、インクカートリッジ、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記録物
JP4457412B2 (ja) * 2006-12-14 2010-04-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セット、インクカートリッジ、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記録物
JP2008255330A (ja) * 2007-03-09 2008-10-23 Fujifilm Corp インクセット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US8062819B2 (en) * 2007-04-17 2011-11-2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Magenta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
JP4873750B2 (ja) * 2007-05-01 2012-02-08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インクカートリッジ、記録ユニット、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9834660B2 (en) * 2007-06-28 2017-12-0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Rare earth metal complexes that excite in the long UV wavelength range
JP5193525B2 (ja) * 2007-08-08 2013-05-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黒色インク組成物、インクセット、インクカートリッジ、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ー、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BRPI0721997B1 (pt) 2007-10-24 2017-09-12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tinta magenta para impressão a jato de tinta e conjunto de tinta para impressão a jato de tinta
JP2009235122A (ja) * 2008-03-25 2009-10-15 Fujifilm Corp インク組成物、インクセット、及び画像記録方法
JP5590813B2 (ja) * 2008-04-30 2014-09-17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記録ユニット、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5377045B2 (ja) * 2008-05-13 2013-12-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の作製方法、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AU2009261211B2 (en) * 2008-06-16 2014-04-03 Fujifilm Corporation Ink composition, ink composition for inkjet recording, ink set, ink cartridge, inkjet recording method, and recorded matter
JP5568222B2 (ja) * 2008-06-16 2014-08-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組成物、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組成物、インクセット、インクカートリッジ、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記録物
JP2010077285A (ja) * 2008-09-26 2010-04-08 Fujifilm Corp インクセット及び画像形成方法
JP5401299B2 (ja) * 2008-12-26 2014-01-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セット、記録物及び印刷物
JP5663255B2 (ja) * 2010-09-29 2015-02-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セット、インクカートリッジ、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ー、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記録物
JP2012211293A (ja) * 2011-03-18 2012-11-01 Fujifilm Corp インク組成物、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6064785B2 (ja) * 2013-05-24 2017-01-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セット
US9249329B2 (en) * 2014-04-19 2016-02-02 Xerox Corporation Aqueous ink jet printing ink
WO2016158648A1 (ja) * 2015-03-30 2016-10-06 Jsr株式会社 化学機械研磨用処理組成物、化学機械研磨方法および洗浄方法
JP6759073B2 (ja) * 2015-12-28 2020-09-23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EP3272815A1 (en) * 2016-07-21 2018-01-24 OCE Holding B.V. Method for preparing a colorant for use in a hot melt ink
JP6981624B2 (ja) 2017-10-16 2021-12-15 花王株式会社 水系インク
JP7081775B2 (ja) * 2017-10-16 2022-06-07 花王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セット

Family Cites Families (2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470936A (ko) 1940-02-24
US2548564A (en) 1946-12-31 1951-04-10 Eastman Kodak Co Photographic silver halide element with mordanted dye layer
US2484430A (en) 1946-12-31 1949-10-11 Eastman Kodak Co Quaternary salts of polyvinyl pyridine and polyvinyl quinoline
US2533514A (en) 1947-11-19 1950-12-12 Eastman Kodak Co Photographic emulsions containing color couplers and amide coupler solvents
BE528163A (ko) 1953-04-17
US2835579A (en) 1955-08-31 1958-05-20 Eastman Kodak Co N-alkyl and acylphenol coupler solvents for color photography
US3214463A (en) 1960-05-12 1965-10-26 Du Pont Uv-absorbing sulfonated benzophenone derivatives
BE607372A (ko) 1960-08-22
US4273853A (en) 1979-03-30 1981-06-16 Eastman Kodak Company Metal complexes of copolymers comprising vinylimidazole and their use in photographic elements
US3309690A (en) 1966-05-19 1967-03-14 Melville M Moffitt Helmet with detecting circuit mounted thereon for indicating approach to an energized powerline
DE1597593C3 (de) 1966-12-22 1974-08-29 Fuji Shashin Film K.K., Ashigara, Kanagawa (Japan) Verfahren zum Einverleiben von Filter-, Strahlungsschutz- und/oder Lichthofschutzfarbstoffen in mindestens eine Schicht eines photographischen lichtempfindlichen Aufzeichnungsmaterials
DE1772192C2 (de) 1968-04-11 1983-03-17 Agfa-Gevaert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ichtempfindlichen und nicht lichtempfindlichen Schichten für photographische Aufzeichnungsmaterialien
BE755248A (fr) 1969-08-27 1971-02-01 Fuji Photo Film Co Ltd Element photosensible de photographie en couleurs contenant un copulantmagenta
JPS4840422B1 (ko) 1969-09-05 1973-11-30
BE757036A (fr) 1969-10-07 1971-03-16 Fuji Photo Film Co Ltd Materiels photosensibles de photographie en couleurs ayant une meilleure solidite a la lumiere
DE2042659A1 (de) 1970-08-28 1972-03-02 Agfa-Gevaert Ag, 5090 Leverkusen Einlagerungsverfahren
DE2049689A1 (de) 1970-10-09 1972-07-20 Agfa-Gevaert Ag, 5090 Leverkusen Einlagerungsverfahren
JPS5512586B1 (ko) 1971-03-11 1980-04-02
JPS5439733B2 (ko) 1971-10-18 1979-11-29
US3748141A (en) 1972-05-25 1973-07-24 Eastman Kodak Co Coupler dispersions utilizing cyclohexane-containing esters as coupler solvents
JPS561615B2 (ko) 1972-12-28 1981-01-14
JPS5312378B2 (ko) 1973-07-03 1978-04-28
JPS524182B2 (ko) 1973-07-09 1977-02-02
JPS5529418B2 (ko) 1973-10-24 1980-08-04
JPS5125133A (ja) 1974-08-26 1976-03-01 Fuji Photo Film Co Ltd Harogenkaginshashinkankozairyo
US4004928A (en) 1974-08-28 1977-01-25 Mitsubishi Paper Mills, Ltd. Color photographic material
JPS5126036A (ja) 1974-08-28 1976-03-03 Mitsubishi Paper Mills Ltd Karaashashinzairyo
JPS5127921A (en) 1974-09-02 1976-03-09 Konishiroku Photo Ind Shashinyotenkazaino tenkahoho
JPS5127922A (en) 1974-09-02 1976-03-09 Konishiroku Photo Ind Shashinyotenkazaino tenkahoho
US4115124A (en) 1974-09-06 1978-09-19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of immobilizing optical brighteners
JPS51149028A (en) 1975-02-18 1976-12-21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Method of adding photographic additives
JPS525518A (en) 1975-07-03 1977-01-17 Fuji Photo Film Co Ltd Photographic light sensitive material
JPS5246816A (en) 1975-10-13 1977-04-14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Method for adding photographic additive
JPS5249029A (en) 1975-10-16 1977-04-19 Fuji Photo Film Co Ltd Silver halide color photographic light sensitive material
JPS531520A (en) 1976-06-28 1978-01-09 Fuji Photo Film Co Ltd Photographic photosensitive material
JPS531521A (en) 1976-06-28 1978-01-09 Fuji Photo Film Co Ltd Photographic photosensitive material
JPS5937814B2 (ja) 1976-07-26 1984-09-12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写真感光材料
JPS5825260B2 (ja) 1977-02-09 1983-05-26 コニカ株式会社 写真用添加剤の添加方法
JPS53146622A (en) 1977-05-27 1978-12-20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Silver halide photographic material
JPS5845014B2 (ja) 1977-08-16 1983-10-06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JPS5931699B2 (ja) 1978-08-08 1984-08-03 コニカ株式会社 写真要素
US4193800A (en) 1977-10-24 1980-03-18 Konishiroku Photo Industry Co., Ltd. Photographic dye mordant
JPS5474430A (en) 1977-10-24 1979-06-14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Photographic element for color diffusion transfer
JPS6049302B2 (ja) 1977-12-28 1985-11-01 オリエンタル写真工業株式会社 二浴処理用カラ−写真感光材料
JPS5494319A (en) 1978-01-09 1979-07-26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Silver halide photographic material
JPS5845017B2 (ja) 1978-02-02 1983-10-06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JPS54106228A (en) 1978-02-08 1979-08-21 Mitsubishi Paper Mills Ltd Silver halide color photographic photosensitive material
JPS54118246A (en) 1978-03-06 1979-09-13 Oriental Photo Ind Co Ltd Color photographic lightsensitive material
JPS54119235A (en) 1978-03-09 1979-09-17 Fuji Photo Film Co Ltd Silver halide color photographic material
JPS5931696B2 (ja) 1978-03-20 1984-08-03 コニカ株式会社 カラ−拡散転写法用写真材料
JPS5525057A (en) 1978-08-10 1980-02-22 Fuji Photo Film Co Ltd Silver halide photographic material
DE2845907C2 (de) 1978-10-21 1985-03-28 Agfa-Gevaert Ag, 5090 Leverkusen Farbphotographische Entwicklungsbäder
US4282305A (en) 1979-01-15 1981-08-04 Eastman Kodak Company Receiving elements for image transfer film units
US4207393A (en) 1979-03-09 1980-06-1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hotographic contrast enhancers
JPS55142339A (en) 1979-04-23 1980-11-06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Photographic element
JPS5619049A (en) 1979-07-25 1981-02-23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Silver halide photographic material
JPS5937490B2 (ja) 1979-10-30 1984-09-10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DD147009A1 (de) 1979-11-12 1981-03-11 Christoph Roth Verfahren zur dispergierung von hydrophoben fotografischen zusaetzen
JPS5681836A (en) 1979-12-07 1981-07-04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Silver halide photographic sensitive material
DD157147A3 (de) 1980-01-11 1982-10-20 Lothar Kuhnert Verfahren zum einbringen von hydrophoben fotografischen zusaetzen
DD160538A1 (de) 1980-11-26 1983-09-07 Adw Ddr Verfahren zum einbringen von hydrophoben fotografischen zusaetzen
DD159573A1 (de) 1981-06-10 1983-03-16 Arndt Seifert Verfahren zum einbingen fotografischer zusaetze
DE3130079A1 (de) 1981-07-30 1983-02-17 Agfa-Gevaert Ag, 5090 Leverkusen Farbfotografisches aufzeichnungsmaterial
US4363837A (en) 1981-10-23 1982-12-14 Henry Weitz Artificial flower
JPS58105147A (ja) 1981-12-16 1983-06-22 Fuji Photo Film Co Ltd カラ−写真感光材料
EP0084694A1 (en) 1982-01-26 1983-08-03 Agfa-Gevaert N.V. Method of dispersing photographic adjuvants in hydrophilic colloid compositions
DE3271701D1 (en) 1982-01-26 1986-07-17 Agfa Gevaert Nv Method of dispersing photographic adjuvants in a hydrophilic colloid composition
JPS58185677A (ja) 1982-04-22 1983-10-29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紫外線吸収剤
JPS59157636A (ja) 1983-02-25 1984-09-07 Fuji Photo Film Co Ltd カラ−画像形成方法
JPS59204041A (ja) 1983-05-06 1984-11-19 Fuji Photo Film Co Ltd ハロゲン化銀カラ−写真感光材料
US4450224A (en) 1983-07-06 1984-05-22 Eastman Kodak Company Polymeric mordants
JPS6023852A (ja) 1983-07-19 1985-02-06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写真要素
JPS6023851A (ja) 1983-07-19 1985-02-06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写真要素
JPS6023853A (ja) 1983-07-19 1985-02-06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写真要素
JPS6023850A (ja) 1983-07-20 1985-02-06 Fuji Photo Film Co Ltd 新規な電子伝達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カラ−写真感光材料
JPS6057836A (ja) 1983-09-09 1985-04-03 Fuji Photo Film Co Ltd 写真要素
JPS6060643A (ja) 1983-09-13 1985-04-08 Fuji Photo Film Co Ltd 写真要素
JPS6067190A (ja) 1983-09-22 1985-04-17 Ricoh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媒体
JPS60118834A (ja) 1983-11-30 1985-06-26 Fuji Photo Film Co Ltd 写真要素
JPS60122942A (ja) 1983-12-08 1985-07-01 Fuji Photo Film Co Ltd 写真要素
JPS60122941A (ja) 1983-12-08 1985-07-01 Fuji Photo Film Co Ltd 写真要素
JPS60122940A (ja) 1983-12-08 1985-07-01 Fuji Photo Film Co Ltd 写真要素
JPS60235134A (ja) 1984-05-08 1985-11-21 Fuji Photo Film Co Ltd 写真要素
US4540657A (en) 1984-06-06 1985-09-10 Eastman Kodak Company Photographic coupler solvents and photographic elements employing same
DD225240A1 (de) 1984-07-02 1985-07-24 Wolfen Filmfab Veb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arbkuppkerhaltigen dispersionen
JPS6120994A (ja) 1984-07-10 1986-01-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ラオケ練習装置
JPH0644135B2 (ja) 1984-10-02 1994-06-08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JPS61146591A (ja) 1984-12-20 1986-07-04 Mitsubishi Paper Mills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JPS61154989A (ja) 1984-12-28 1986-07-14 Mitsubishi Paper Mills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JPS61163886A (ja) 1985-01-14 1986-07-24 Mitsubishi Paper Mills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US4587346A (en) 1985-01-22 1986-05-06 Ciba-Geigy Corporation Liquid 2-(2-hydroxy-3-higher branched alkyl-5-methyl-phenyl)-2H-benzotriazole mixtures, stabilized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liquid mixtures
JPS62956A (ja) 1985-03-28 1987-01-06 Fuji Photo Film Co Ltd ハロゲン化銀カラ−写真感光材料
JPS62110066A (ja) 1985-11-07 1987-05-21 Aisin Seiki Co Ltd 変速機
US4728599A (en) 1985-12-02 1988-03-01 Eastman Kodak Company Sterically hindered phenolic ester photographic coupler dispersion addenda and photographic elements employing same
JPS62135826A (ja) 1985-12-09 1987-06-18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熱現像感光材料
JPS62136648A (ja) 1985-12-11 1987-06-19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熱現像カラ−感光材料
US4684606A (en) 1985-12-24 1987-08-04 Eastman Kodak Company Sterically hindered photographic coupler solvents and photographic elements employing same
JPS62173463A (ja) 1986-01-28 1987-07-30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形成方法
JPS62183457A (ja) 1986-02-07 1987-08-11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形成方法
JPS62215272A (ja) 1986-02-17 1987-09-21 Fuji Photo Film Co Ltd カラ−画像形成方法
US4745049A (en) 1986-04-11 1988-05-17 Konishiroku Photo Industry Co., Ltd. Silver halide photographic light-sensitive material
JPS62245258A (ja) 1986-04-18 1987-10-26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形成方法
JPS62247364A (ja) 1986-04-21 1987-10-28 Fuji Photo Film Co Ltd ハロゲン化銀カラ−写真感光材料
US5006453A (en) 1986-07-10 1991-04-09 Fuji Photo Film Co. Ltd. Silver halide color photographic material having improved dye image stability
JPS63167357A (ja) 1986-12-27 1988-07-11 Konica Corp 形成される色素の分光吸収特性が良好な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JPH06105341B2 (ja) 1987-03-04 1994-12-21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GB8706358D0 (en) 1987-03-18 1987-04-23 Kodak Ltd Stabilization of dye images
IT1204570B (it) 1987-05-08 1989-03-10 Minnesota Mining & Mfg Materiali fotografici agli alogenuri d'argento sensibili alla luce e procedimento per incorporare additivi fotografici idrofobi in composizioni colloidali idrofile
JPH0743513B2 (ja) 1987-06-02 1995-05-15 コニカ株式会社 形成される色素の分光吸収特性が改良されたハロゲン化銀カラ−写真感光材料
JPS646454A (en) 1987-06-26 1989-01-11 Yuaisha Kk Wall panel mount method
JPS649452A (en) 1987-07-01 1989-01-12 Fuji Photo Film Co Ltd Silver halide color photographic sensitive material
JPH0693084B2 (ja) 1987-09-09 1994-11-16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ATE87378T1 (de) 1987-09-21 1993-04-15 Eastman Kodak Co Photographisches eintragungsmaterial, enthaltend farbbildende kupplerverbindungen.
US4935321A (en) 1987-09-21 1990-06-19 Eastman Kodak Company Photographic recording material comprising a dye image-forming compound
ES2053752T3 (es) 1987-09-21 1994-08-01 Eastman Kodak Co Material de registro fotografico que comprende un compuesto formador de imagenes por colorantes.
EP0309158B1 (en) 1987-09-21 1993-02-10 EASTMAN KODAK COMPANY (a New Jersey corporation) Photographic recording material comprising a magenta dye image forming coupler compound
JPH087406B2 (ja) 1987-10-14 1996-01-2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ハロゲン化銀カラー写真感光材料の処理方法
JPH077186B2 (ja) 1987-10-15 1995-01-30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JPH01161236A (ja) 1987-12-17 1989-06-23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形成方法
DE3888952D1 (de) 1987-12-28 1994-05-11 Ciba Geigy Neue 2-(2-Hydroxyphenyl)-benztriazol-derivate.
EP0324716A3 (en) 1988-01-12 1990-05-16 Fmc Corporation (Uk) Limited Triaryl phosphates
US4885272A (en) 1988-05-06 1989-12-05 Eastman Kodak Company Thiadiazolyl-azo-pyrazole yellow dye-donor element for thermal dye transfer
JPH024239A (ja) 1988-06-21 1990-01-09 Konica Corp ハロゲン化銀カラー写真感光材料
JPH0243541A (ja) 1988-08-04 1990-02-14 Fuji Photo Film Co Ltd 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US5013639A (en) 1989-02-27 1991-05-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Incorporation of hydrophobic photographic additives into hydrophilic colloid compositions
JP3246516B2 (ja) 1992-02-19 2002-01-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これに使用するインクタンク
DE59107294D1 (de) 1990-05-10 1996-03-07 Ciba Geigy Ag Strahlenhärtbare lichtstabilisierte Zusammensetzungen
JPH0429237A (ja) 1990-05-25 1992-01-31 Konica Corp 有機着色物質の光褪色防止方法及びカラー写真材料
JPH0430165A (ja) 1990-05-28 1992-02-03 Konica Corp 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US5164288A (en) 1990-05-29 1992-11-17 Eastman Kodak Company Photographic element containing pyrazoloazole coupler and oxidized developer competitor
US5232821A (en) 1991-04-01 1993-08-03 Eastman Kodak Company Photographic coupler compositions containing ballasted sulfoxides and sulfones and methods
US5298368A (en) 1991-04-23 1994-03-29 Eastman Kodak Company Photographic coupler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continued coupling
JPH04346338A (ja) 1991-05-23 1992-12-02 Konica Corp ハロゲン化銀カラー写真感光材料
EP0521823B1 (de) 1991-07-03 1996-01-17 Ciba-Geigy Ag Phenylthiophenylketone
US5298380A (en) 1991-09-05 1994-03-29 Ciba-Geigy Corporation Photographic material which contains a UV absober
JP3133428B2 (ja) 1991-11-26 2001-02-05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液、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る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US5181124A (en) 1991-12-20 1993-01-19 Eastman Kodak Company Optical intermediate produced by a calibrated printer for use in an electrophotographic copier to compensate for determinable copier reproduction characteristics
JPH05295312A (ja) 1992-04-17 1993-11-09 Canon Inc インク、こ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かかるインクを用いた機器
JPH069949A (ja) 1992-06-29 1994-01-18 Taikisha Ltd 人工雪、及び、人工雪の固化防止方法
JP3800344B2 (ja) 1992-09-07 2006-07-26 チバ スペシャルティ ケミカルズ ホールディング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ヒドロキシフェニル−s−トリアジン
JP3178200B2 (ja) 1992-11-09 2001-06-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黒色再現性に優れた黒色インク組成物
JP3102209B2 (ja) 1993-06-25 2000-10-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H07118584A (ja) 1993-10-20 1995-05-09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
JP3611617B2 (ja) 1994-02-16 2005-01-1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感熱記録材料
WO1995028285A1 (en) 1994-04-19 1995-10-26 Ilford Ag Recording sheets for ink jet printing
JP3398474B2 (ja) 1994-06-17 2003-04-21 旭硝子株式会社 記録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438329B2 (ja) 1994-06-17 2003-08-18 旭硝子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398475B2 (ja) 1994-06-20 2003-04-21 旭硝子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ートの製造方法
JP3443940B2 (ja) 1994-06-21 2003-09-08 旭硝子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型カードの製造方法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型カード用記録媒体
US5556973A (en) 1994-07-27 1996-09-17 Ciba-Geigy Corporation Red-shifted tris-aryl-s-triazines and compositions stabilized therewith
JP3428178B2 (ja) 1994-08-26 2003-07-22 三菱化学株式会社 記録液
AU703967B2 (en) 1994-10-10 1999-04-01 Ciba Specialty Chemicals Holding Inc. Bisresorcinyltriazines
US5720551A (en) 1994-10-28 1998-02-24 Shechter; Tal Forming emulsions
US5554739A (en) 1994-12-15 1996-09-10 Cabot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carbon materials with diazonium salts and resultant carbon products
US5571311A (en) 1994-12-15 1996-11-05 Cabot Corporation Ink jet ink formulations containing carbon black products
JP3325141B2 (ja) 1994-12-20 2002-09-17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記録用シート
JP2568989B2 (ja) 1995-03-13 1997-01-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のインク吸引方法
EP0750224A3 (en) 1995-06-19 1997-01-08 Eastman Kodak Company 2'-Hydroxyphenyl benzotriazole based UV absorbing polymers with particular substituents and photographic elements containing them
JP3428263B2 (ja) 1995-12-20 2003-07-22 三菱化学株式会社 記録液
JP3829370B2 (ja) 1995-09-28 2006-10-04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記録液用アニオン性マイクロカプセル化顔料含有水性分散液及び記録液
JP3468974B2 (ja) 1996-03-27 2003-11-25 三菱製紙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用受像体
JPH09277552A (ja) 1996-04-16 1997-10-28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817840B2 (ja) 1996-06-20 2006-09-06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US5948605A (en) 1996-08-16 1999-09-07 Eastman Kodak Company Ultraviolet ray absorbing polymer latex compositions, method of making same, and imaging elements employing such particles
JPH10140065A (ja) 1996-09-11 1998-05-26 Dainippon Ink & Chem Inc 水性記録液
JP3882956B2 (ja) 1997-04-21 2007-02-21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着色マイクロカプセル分散型水性ジェットインク
JP3321700B2 (ja) 1996-10-25 2002-09-03 コニカ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GB2319523B (en) 1996-11-20 2000-11-08 Ciba Sc Holding Ag Hydroxyphenyltriazines
JP3861345B2 (ja) 1996-11-26 2006-12-20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JP4059356B2 (ja) 1997-02-06 2008-03-12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US5817805A (en) 1997-02-21 1998-10-06 Eastman Kodak Company Synthesis of bis(phthalocyanylalumino)tetraphenyldisiloxanes
JP3492164B2 (ja) 1997-09-22 2004-02-03 タイホ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被記録材
JP3803762B2 (ja) 1997-12-05 2006-08-02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ー用水性記録液の製造方法
JP3785775B2 (ja) 1997-12-05 2006-06-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H11170686A (ja) 1997-12-11 1999-06-29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形成材料及び画像形成方法
JP3907811B2 (ja) 1998-01-05 2007-04-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シートの製造方法
JPH11321090A (ja) 1998-03-17 1999-11-24 Tomoegawa Paper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ト
WO1999048981A1 (fr) * 1998-03-25 1999-09-30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Nouveaux composes d'anthrapyridone, composition d'encre magenta a base aqueuse et procede d'impression par jet d'encre
JP3747635B2 (ja) 1998-06-10 2006-02-22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JP3581023B2 (ja) 1998-07-29 2004-10-27 三菱製紙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シート
JP3758378B2 (ja) 1998-09-25 2006-03-22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GB9827291D0 (en) * 1998-12-12 1999-02-03 Zeneca Ltd Compositions
JP2000260519A (ja) 1999-01-01 2000-09-22 Sumitomo Wiring Syst Ltd 雄型コネクタ
JP3798169B2 (ja) 1999-01-21 2006-07-19 三菱製紙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シート
JP3371365B2 (ja) 1999-04-27 2003-01-27 三菱製紙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シート
JP4068270B2 (ja) 1999-09-28 2008-03-26 三菱製紙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材料
JP3842942B2 (ja) 1999-08-31 2006-11-08 三菱製紙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シート
JP2001138621A (ja) 1999-11-11 2001-05-22 Konica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JP3824478B2 (ja) 2000-01-14 2006-09-20 三菱製紙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材料
JP4105848B2 (ja) 2000-01-25 2008-06-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色素、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2001301314A (ja) 2000-04-17 2001-10-31 Fuji Photo Film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シート
JP3986725B2 (ja) 2000-04-27 2007-10-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シート
JP2002121414A (ja) 2000-07-17 2002-04-23 Fuji Photo Film Co Ltd 着色組成物、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2002292878A (ja) 2001-01-25 2002-10-09 Fuji Photo Film Co Ltd 記録ヘ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30570B2 (ja) * 2001-04-09 2010-08-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着色画像のオゾンガス堅牢性改良方法
JP4666873B2 (ja) 2001-04-09 2011-04-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形成用着色組成物、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感熱記録材料、カラートナー、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ー
JP4397551B2 (ja) 2001-08-24 2010-01-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着色組成物、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組成物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並びに、オゾンガス堅牢性改良方法
JP2002309116A (ja) 2001-04-09 2002-10-23 Fuji Photo Film Co Ltd アゾ化合物、着色組成物、インク組成物、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2002309137A (ja) * 2001-04-12 2002-10-23 Fuji Photo Film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組成物
JP2003012650A (ja) 2001-06-27 2003-01-15 Fuji Photo Film Co Ltd ヘテロ環化合物の製造方法
JP4738655B2 (ja) 2001-07-04 2011-08-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組成物
JP4102039B2 (ja) 2001-07-25 2008-06-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組成物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4362027B2 (ja) * 2001-08-16 2009-11-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着色組成物、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オゾン耐性改良方法
WO2003027185A1 (fr) * 2001-09-26 2003-04-03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Nouveaux composes anthrapyridone, compositions d'encre magenta a base d'eau, et procede d'impression a jet d'encre
JP4245888B2 (ja) 2001-11-22 2009-04-02 日本化学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コバルト系複合酸化物、その製造方法、リチウム二次電池正極活物質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JP4159796B2 (ja) 2002-01-15 2008-10-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化合物、インク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4060138B2 (ja) 2002-01-15 2008-03-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アゾ化合物
CN1186396C (zh) 2002-01-30 2005-01-26 大连理工大学 非诱变性偶氮型黑色直接染料及其制备方法
JP3844338B2 (ja) * 2002-02-01 2006-11-08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セット、インクカートリッジ、記録方法、プリンター及び記録物
JP2003231835A (ja) 2002-02-08 2003-08-19 Fuji Photo Film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組成物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US7175268B2 (en) * 2002-02-13 2007-02-13 Fuji Photo Film Co., Ltd. Inkjet recording ink and inkjet recording method
ATE316554T1 (de) * 2002-02-20 2006-02-15 Fuji Photo Film Co Ltd Tintensatz, denselben enthaltender behälter, tintenstrahl-aufzeichnungsverfahren und verfahren zur verhinderung der entfärbung von durch den tintenstrahl aufgezeichneten bildern
JP4171607B2 (ja) 2002-04-16 2008-10-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水性インク
JP4402917B2 (ja) 2002-08-06 2010-01-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ビスアゾ化合物
JP2004083610A (ja) * 2002-08-22 2004-03-18 Fuji Photo Film Co Ltd インクセット、インクカートリッジ、記録方法、プリンター及び記録物
JP2004075959A (ja) * 2002-08-22 2004-03-11 Fuji Photo Film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組成物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US7311393B2 (en) * 2002-08-26 2007-12-25 Fujifilm Corporation Inkjet recording ink and method of inkjet recording
JP2004115702A (ja) * 2002-09-27 2004-04-15 Fuji Photo Film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
JP4538187B2 (ja) * 2002-09-30 2010-09-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ブラックインク
JP2004115703A (ja) * 2002-09-27 2004-04-15 Fuji Photo Film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
JP2004123772A (ja) * 2002-09-30 2004-04-22 Fuji Photo Film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ブラックインク
JP4538186B2 (ja) * 2002-09-25 2010-09-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ブラックインク
WO2004029166A1 (ja) * 2002-09-25 2004-04-08 Fuji Photo Film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ブラックインク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4538188B2 (ja) * 2002-09-30 2010-09-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
JP4452436B2 (ja) * 2002-09-30 2010-04-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ブラックインク
JP2004123824A (ja) * 2002-09-30 2004-04-22 Fuji Photo Film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ブラックインク
JP2004168865A (ja) 2002-11-19 2004-06-17 Fuji Photo Film Co Ltd インクジェット用カラーインク
DE602004013286T2 (de) * 2003-03-05 2008-08-07 Nippon Kayaku K.K. Wässrige schwarztintenzusammensetzung und gefärbtes material
JP2004307832A (ja) * 2003-03-27 2004-11-04 Fuji Photo Film Co Ltd インクセット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US7323045B2 (en) * 2003-09-30 2008-01-29 Seiko Epson Corporation Magenta ink composition
CN101824245B (zh) * 2004-07-13 2012-05-30 富士胶片株式会社 黑色墨水组合物、含该组合物的墨水组以及喷墨记录方法
US7758683B2 (en) * 2005-10-20 2010-07-20 Fujifilm Corporation Ink composition, ink set and record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3031B1 (ko) 2011-12-13
EP1702013A4 (en) 2009-03-25
KR101075946B1 (ko) 2011-10-21
EP2455431A1 (en) 2012-05-23
KR20060094530A (ko) 2006-08-29
JP2012197444A (ja) 2012-10-18
US20070266890A1 (en) 2007-11-22
EP1702013B1 (en) 2014-09-10
KR20110056343A (ko) 2011-05-26
EP2455431B1 (en) 2013-08-21
EP1702013A1 (en) 2006-09-20
KR101153252B1 (ko) 2012-06-05
JP2007511619A (ja) 2007-05-10
US7776144B2 (en) 2010-08-17
JP5204974B2 (ja) 2013-06-05
JP2012214806A (ja) 2012-11-08
WO2005040292A1 (en) 2005-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3252B1 (ko) 잉크젯 기록용 옐로우 잉크
KR101170368B1 (ko) 잉크젯용 잉크, 잉크젯용 잉크셋 및 잉크젯 기록방법
JP4452436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ブラックインク
JP2005307177A (ja) インク原液、インク組成物、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4857117B2 (ja)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セット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用ブラックインク
JP4210508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ブラックインク
JP2005264090A (ja) インク組成物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4414795B2 (ja) ブラックインク原液、インク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4538186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ブラックインク
JP2005162823A (ja)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セット
JP4538187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ブラックインク
JP2004115701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ブラックインク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4213935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ブラックインク
JP2006037045A (ja) ブラックインク、インクセット、ならびに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4213942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ブラックインク
JP2004123856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ブラックインク
JP2004115702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
JP2006028296A (ja) イエローインク、インクセット、ならびに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2004124017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ブラックインク
JP2004115703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
JP2004123828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ブラックインク
JP2004123860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ブラックインクならびにインクセット
JP2004292482A (ja) インクジェット用ブラックインク
JP2004123824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ブラックインク
JP2005220258A (ja) 着色組成物、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及びそれら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