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0751A -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0751A
KR20040010751A KR10-2003-7016607A KR20037016607A KR20040010751A KR 20040010751 A KR20040010751 A KR 20040010751A KR 20037016607 A KR20037016607 A KR 20037016607A KR 20040010751 A KR20040010751 A KR 20040010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powder
extract
active ingredient
plant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6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8768B1 (ko
Inventor
야스시 사까이
요시하루 요꼬오
Original Assignee
교와 핫꼬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와 핫꼬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교와 핫꼬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0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0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8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87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로부터 얻어지는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액을 식물체 분말의 존재하에서 농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의 제조 방법,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로부터 얻어지는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액을 식물체 분말의 존재하에서 농축하여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의 제조 방법,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로부터 얻어지는 유효성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액 또는 추출물 및 식물체 분말을 함유하고, 또한 상기 추출액 중 또는 상기 추출물 중의 유효 성분의 함유량이 식물체 중의 유효 성분의 함유량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 또는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 및 상기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 또는 상기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을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음식품 또는 사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의 제조 방법{Process for Producing Plant Extract Containing Plant Powder}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 예를 들면 감차(Hydrangea macrophyllaSERINGE var. Thunbergii MAKINO)의 엽부 및 가지끝을 채취하여 발효시킨 후, 건조시켜 얻어지는 감차(Hydrangea dulcisFolium)를 지용성 유기 용매와 물의 혼합 용매 등의 각종 용매로 추출하면, 필로둘신(phyllodulcin) 등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액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 추출액을 농축하면 고점도의 엿 상태의 침전물이 발생한다.
엿 상태의 침전물은 용기 바닥부에 고착되거나, 수송 라인에 쌓이기 때문에 다른 용기로 옮겨 담는 것이 곤란하다.
한편, 에탄올 등의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지는 유효 성분 함유 추출액을 농축 처리 등의 처리를 행하지 않고, 직접 분무 건조기나 드럼 건조기로 건조시켰을 경우, 추출액 중의 고형분의 함유량이 낮기 때문에 회수율이 매우 나쁘고, 방폭 시설등의 특수 설비가 필요해지기 때문에 실용적인 방법은 아니었다.
따라서, 분무 건조기나 동결 건조기를 이용하여 공업적으로 유효한 성분을 많이 함유하는 분말 등을 제조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또한, 엿 상태의 침전물을 그대로 건조시킨 것은 매우 딱딱하여 음식품, 시료 또는 이들의 원재료로서 사용하는 데에는 부적합하였다.
감차를 초임계 이산화탄소나 액화 이산화탄소로 추출한 것은 에탄올 가용성 성분이면서 감미 성분인 필로둘신이 풍부하다고는 하나, 페이스트상을 나타내기(일본 특허 공개 (평)1-262772) 때문에 추출물의 취급이 쉽다고는 할 수 없다.
식물체 분말로서 감차 분말이 예시되지만, 감차 분말은 감차를 그대로 분말화한 것으로서, 이 분말의 필로둘신의 함유량은 1 내지 2 중량% 정도로 낮은 것이다. 또한, 식품 용도로 시판되고 있는 감차 추출물 분말은 감차를 수용성 용매로 추출한 것인데, 이 분말의 필로둘신의 함유량은 2 중량% 이하로 낮은 것이다.
이와 같이 식물체를 단순히 분말화하는 것만으로는 식물 분말 중의 유효 성분의 함량을 높일 수 없다.
본 발명은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 성분을 추출하여 농축하는 방법,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액 또는 추출물, 및 이 추출액 또는 추출물을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음식품 또는 사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액 또는 추출물, 및 이 추출액 또는 추출물을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음식품 또는 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은 이하의 항목 (1) 내지 (38)에 관한 것이다.
(1)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로부터 얻어지는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액을 식물체 분말의 존재하에서 농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의 제조 방법.
(2)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액을 제조하는 공정, 식물체 분말의 존재하에서 상기 추출액을 농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의 제조 방법.
(3)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로부터 얻어지는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액을 식물체 분말의 존재하에서 농축하여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의 제조 방법.
(4)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액을 제조하는 공정, 식물체 분말의 존재하에서 상기 추출액을 농축하여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을 제조하는 공정, 및 이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을 건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의 제조 방법.
(5) 상기 항목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액이,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에 함수 에탄올을 첨가하여 추출한 후, 식물체 잔사를 제거하여 얻어지는 것인 제조 방법.
(6) 상기 항목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 중량으로서 1 중량부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액에 대하여, 건조 중량으로서 19 내지 1/19 중량부의 식물체 분말을 존재시키는 제조 방법.
(7) 상기 항목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가 수국속(Hydrangea)에 속하는 식물의 식물체인 제조 방법.
(8) 상기 항목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가 감차(Hydrangea macrophyllaSERINGE var. Thunbergii MAKINO)의 식물체인 제조 방법.
(9) 상기 항목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이 에탄올 가용성 성분인 제조 방법.
(10) 상기 항목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이 필로둘신인 제조 방법.
(11) 상기 항목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체 분말이 건조 상태에서 0.1 ㎛ 내지 1 mm의 평균 입경을 갖는 입자인 제조 방법.
(12) 상기 항목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체 분말이 수국속에 속하는 식물의 식물체 분말인 제조 방법.
(13) 상기 항목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체 분말이 감차 분말, 녹차 분말 또는 울금 분말인 제조 방법.
(14) 상기 항목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농축 방법이 감압 가열 방법인 제조 방법.
(15) 상기 항목 (3)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 방법이 동결 건조 방법 또는 감압 가열 방법인 제조 방법.
(16)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로부터 얻어지는 유효성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액과 식물체 분말을 함유하고, 상기 추출액 중의 유효 성분의 함유량이 식물체 중의 유효 성분의 함유량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
(17) 상기 항목 (16)에 있어서, 유효성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액이 함수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어지는 것인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
(18) 상기 항목 (16) 또는 (17)에 있어서, 건조 중량으로서 1 중량부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액에 대하여, 건조 중량으로서 19 내지 1/19 중량부의 식물체 분말을 함유하는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
(19) 상기 항목 (16) 내지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가 수국속에 속하는 식물의 식물체인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
(20) 상기 항목 (16) 내지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가 감차(Hydrangea macrophyllaSERINGE var. Thunbergii MAKINO)의 식물체인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
(21) 상기 항목 (16) 내지 (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이 에탄올 가용성 성분인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
(22) 상기 항목 (16) 내지 (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이 필로둘신인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
(23) 상기 항목 (16) 내지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체 분말이 건조 상태에서 0.1 ㎛ 내지 1 mm의 평균 입경을 갖는 입자인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
(24) 상기 항목 (16) 내지 (2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체 분말이 수국속에 속하는 식물의 식물체 분말인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
(25) 상기 항목 (16) 내지 (2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체 분말이 감차 분말, 녹차 분말 또는 울금 분말인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
(26)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로부터 얻어지는 유효성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물과 식물체 분말을 함유하고, 상기 추출물 중의 유효 성분의 함유량이 식물체 중의 유효 성분의 함유량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
(27) 상기 항목 (26)에 있어서, 유효성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물이 함수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어지는 것인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
(28) 상기 항목 (26) 또는 (27)에 있어서, 건조 중량으로서 1 중량부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물에 대하여, 건조 중량으로서 19 내지 1/19 중량부의 식물체 분말을 함유하는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
(29) 상기 항목 (26) 내지 (2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가 수국속에 속하는 식물의 식물체인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
(30) 상기 항목 (26) 내지 (2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가 감차(Hydrangea macrophyllaSERINGE var. Thunbergii MAKINO)의 식물체인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
(31) 상기 항목 (26) 내지 (3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이 에탄올 가용성 성분인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
(32) 상기 항목 (26) 내지 (3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이 필로둘신인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
(33) 상기 항목 (26) 내지 (3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체 분말이 건조 상태에서 0.1 ㎛ 내지 1 mm의 평균 입경을 갖는 입자인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
(34) 상기 항목 (26) 내지 (3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체 분말이 수국속에 속하는 식물의 식물체 분말인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
(35) 상기 항목 (26) 내지 (3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체 분말이 감차 분말, 녹차 분말 또는 울금 분말인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
(36) 상기 항목 (26) 내지 (3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이 분말 형태인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
(37) 상기 항목 (16) 내지 (2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을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음식품 또는 사료.
(38) 상기 항목 (26) 내지 (3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을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음식품 또는 사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로서는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의 식물체라면, 예를 들어 야생 식물체, 재배에 의해 얻어지는 식물체, 또는 조직 배양 등의 배양에 의해 얻어지는 식물체 등 어떠한 것이든 좋다.
식물체로서는, 예를 들면 잎, 꽃, 가지, 줄기, 과실, 뿌리, 종자, 배양된 세포 또는 기관, 유합 조직(callus) 등의 부위, 또는 이들 부위에 물리적 또는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으로 처리하여 얻어지는 각종 처리물 등을 들 수 있다.
물리적 또는 화학적 처리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천일 건조, 풍건 등의 건조 처리, 동결 건조 처리, 분쇄 처리, 추출 처리 등을 들 수 있으며, 물리적 또는 화학적 처리물로서는 건조 처리물, 동결 건조 처리물, 분쇄 처리물, 추출 처리물 등을 들 수 있다.
생물학적 처리 방법으로서는 발효 방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생물학적 처리물로서는 발효 처리물 등을 들 수 있다.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로서는, 예를 들면 후생 노동성 의약국장발 통지 제243호 "의약품 범위에 관한 기준 개정에 대하여" 별첨 3의 "의약품적 효능 효과를 표방하지 않는 한 식품이라고 인정되는 성분 본질(원재료) 리스트"에 기재된 식물, 후생 노동성 의약국장발 통지 제243호 "의약품 범위에 관한 기준 개정에 대하여" 별첨 2의 "오로지 의약품으로서 사용되는 성분 본질(원재료) 리스트"에 기재된 식물, 및 수국속에 속하는 식물 등을 들 수 있으며, 수국속에 속하는 식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후생 노동성 의약국장발 통지 제243호 "의약품 범위에 관한 기준 개정에 대하여" 별첨 3의 "의약품적 효능 효과를 표방하지 않는 한 식품이라고 인정되는 성분 본질(원재료) 리스트"에 기재된 식물로서는, 예를 들면 아이슬란드 이끼, 아이브라이트, 벽오동, 용설란, 명아주, 아카쇼마(Astilbe thunbergii), 레드 클로버, 아카테츠(Planchonella obovata), 적느릅나무(Ulmus rubra), 아카바나무쇼케기쿠, 예덕나무(Mallotus japonicus), 미역취(Solidago virga-aurea), 으름덩굴(Akebia quinata), 삼, 나팔꽃, 큰산파, 갈대, 수국, 신선초, 팥, 나한백, 아세로라, 퉁퉁마디(Salicornia europaea), 아니스, 아파니조메존, 아보가드(Persea americana), 아마, 감차, 돌외, 산자고, 미국 산초, 미국삼(Panax quinquefolium), 미국 감자콩 (Apios americana), 알라가오, 아라비아 고무, 대황, 에파조테(Chenopodium ambrosioides), 아르테아, 알팔파, 알로에, 안젤리카, 안틸리스ㆍ브르네라리아 (Anthyllis vlneraria), 이크리닌, 둥글레, 갯질경이, 감제풀, 주목, 무화과나무, 어저귀, 은행나무, 쥐엄나무(Ceratonia siliqua), 개산초, 개냉이, 개불알풀 (Veronica didyma), 개박하, 개꽈리, 벼, 백리향(Thymus quinquecostatus), 이보츠즈라후지(Tinospora tuberculata), 쐐기풀속, 위령선(Clematidis Radix), 바위담배 (Conandron ramondioides), 좀씀바귀(Ixeris stolonifera), 바위돌꽃(Rhodiola rosea), 덩굴강남콩(Phaseolus vulgaris L.), 인스리나(Cissus sicyoides L.), 인도감차, 인도탱자(Aegle marmelos L.), 인도나가코쇼(Piper longum L.), 인도야향목, 임페티기노사, 임페라트리아, 회향풀, 비타니아(Withania somnifera Dunal.), 매자기(Scirpus fluviatilis), 오갈피나무, 울금, 우쇼, 당아욱, 부채선인장속, 부채야자(Licuala grandis), 땅두릅, 멀꿀(Stauntonia hexaphylla), 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japonicus), 매화나무, 매화노루발(Chimaphila japonica), 오약 (Linderae Radix), 우라지로카시, 벚꽃(Prunus grayana), 에키나케아, 에스트라곤, 시베리아삼, 백두산떡쑥, 와일드 스트로베리(Fragaria vesca), 서양골담초(Cytisus scoparius), 팽이버섯, 결명자, 연자,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귀리, 엠베리아, 구기자, 황기,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서양 오리나무, 황정, 황벽, 황약자, 황련, 왕모람(Ficus pumila), 질경이, 대반혼초(Rudbekialaciniata), 엉겅퀴, 보리, 솜방망이(Senecio integrifolius), 수송나물(Salsola komarovii), 고려인삼, 고추나물(Hypericum erectum), 오토메아제아, 광대수염, 가시연, 오페루쿠리나ㆍ타루페탐, 올리브, 해홍두, 해초, 해백(Allium macrostemon Bunge), 가우크루아, 감, 페르시안 호두, 카시스, 봉출, 카슈토, 카차바, 쥐오줌풀(Valeriana fauriei), 자작나무, 카바노아나타께(樺孔茸), 꽃가루, 호박, 부들, 카밀레, 카무카무, 방동사니 (Cyperus microiria), 살갈퀴(Vicia angustifolia), 메귀리, 과라나, 카리우스포레스콜리, 카르케하,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갈레가, 과루인(Trichosanthis Semen), 구름버섯(Coriolus versicolor), 칸쿄닌, 고구마, 원추리, 칸브이, 희수 (Camptotheca acuminata), 나무딸기, 도라지, 키구, 돼지감자, 국화, 치커리, 목이버섯, 광귤나무(Citrus aurantium L.), 노회(Aloe arborescens), 키다치킨바이(Ludwigia adscendens), 세이보리, 망태버섯 (Dictyophora indusiata), 명아주, 베네딕도초(Blessed Thistle), 키바나슈스랑 (Anoectochilus formosanus), 키부테다이오우(Rumex nepalensis Sprengel.), 김네마, 카사바(Cassava), 켓츠 클로, 구절차, 우백등, 산마늘, 협죽도, 위성류, 교류모도키(Calluna vulgaris cv. Sunrise), 금창초, 기린초, 금감, 금은화, 망종화, 금침채, 금전초, 금천련, 은합환(銀合歡), 킨마(Piper betle), 짚신나물(Agrimonia japonica), 금목서, 금련화, 약초, 구아바 (Psidium guajava), 구아야쿠노키, 구층초, 구기자나무, 풀명자나무, 구지쵸, 칡, 녹나무, 얼룩조릿대, 마편초, 청사조, 구미스쿠틴(Orthosiphon stamineus Benth.), 커민, 쿠라차이, 덩굴월귤, 그린랜드 이소츠츠지, 선갈퀴, 포도과즙, 클로브, 흑겨자, 검정호두, 검정낙엽관목, 흑미,크로요나(Pongamia pinnata), 클로렐라, 뽕나무, 쿠와가타소우(Veronica miqueliana), 케이케토우(Spatholobus suberectus Dunn), 케이코츠소우, 계피, 케일, 양귀비, 공작 선인장, 월계수, 해조, 켄, 켄케레바, 겐티아나, 현미배아, 코우카간쇼우, 코우키, 코쥬, 코신소우(Pinguicula ramosa), 홍초, 개연꽃, 커피나무, 콜라, 고카, 월귤, 싸라기초, 후추나무, 코진, 호채자, 울산도깨비바늘(Bidens pilosa L.), 좀가지풀(Lysimachia japonica), 잔나비걸상(Elfvingia applanata), 우엉, 참깨, 여우구슬(Phyllanthus urinaria), 밀, 인도고무나무(Ficus elastica), 쌀전분, 코리비, 스타 후루츠(Averrhoa carambola), 호로파(Trigonella foenum-graecum), 다시마, 캄프리, 소지, 쥐엄나무, 사이코, 족도리, 약난초, 사쿄우, 앵초, 석류나무, 사고야자, 녹나무, 사탕무, 사프란, 비누풀, 살라시아, 살라시아ㆍ오블론가, 살사, 다래, 샐비어, 산카쿠토우, 산귀래, 산사나무, 팬지, 치자, 산시찌삼(Panax pseudo-ginseng Wall.), 산수유, 초피나무, 초피나무장미, 산조인(Zizyphi Spinosi Semen), 산나(Hedychium spicatum), 차풀, 산약, 시아, 표고버섯, 사군자, 시케이죠테이, 고벨화, 왕바랭이, 지진, 차조기, 옐로우 버취, 자단, 지쵸우, 참피나무, 구주개밀, 지프, 시마타코노키(Pandanus tectorius), 고추, 샤우페데코우로, 샤엔시, 쟈쿠제츠소우, 작약, 샤진(Adenophora takedae), 쟈스민, 자토바, 자바쿠시, 자바나가고쇼우, 어성초, 쥬르베베, 당종려, 생강, 쇼우즈쿠, 쇼란, 식용 대황, 식용 꽈리, 자작나무, 자란, 시리, 흰목이, 동속약초, 석송, 신토쿠쿠스노키, 스위트 오렌지, 즈이카쿠, 수영 (Rumex acetosa), 스칼캡(Scutellaria lateriflora), 쇠뜨기, 구즈베리, 스테비아, 스트로브, 스피룰리나, 스페아민트, 스마, 스맥, 제비꽃, 슬림아마랑즈, 즈루카마라, 세이센류, 댑싸리, 세이타카미로바랑(terminalia belerica), 청피, 서양 꼭두서니, 서양 쐐기풀, 메리로드, 서양 고추나물, 서양 나무딸기, 서양 짚신나물, 서양 앵초, 서양 산사나무 열매, 서양 참피나무, 서양 백색 버드나무, 서양 자두, 서양 민들레, 서양 칠엽수, 서양 물푸레, 서양 큰개현삼, 서양 접골목, 서양 인삼목, 서양 두송, 서양 톱풀, 서양 박하, 서양 호랑가시나무, 서양 히메스노키, 서양 송이, 서양 벗나무, 서양 노란매자나무, 세키코쥬, 석창포, 자이언트 발리스네리아, 색적양, 접골목, 설연화, 당아욱, 셀퓸소우, 셀러리, 천궁이, 부채마, 천심련, 천초, 센소토우, 전단, 센나, 선모(Curculigo orchioides Gaertn), 천리향, 측백나무, 메밀, 아니스스타, 대황, 다이켓토우, 뱀무, 태자삼, 콩, 대추, 타이완수쿠, 타이완 티카카즈라, 가막사리, 다카사고기쿠(Blumea balsamifera), 한련초, 철도목, 버섯류, 접시꽃, 타임, 홍귤나무, 도금양과, 호메밀, 쪽염색, 타베비아, 타모기버섯, 두릅나무, 다라엽, 단삼, 담죽엽, 탄테이히호우, 티아, 권문죽, 치시마루리소우, 차, 차빌, 차데브구레, 시계꽃, 초코토, 정향, 안젤리카, 진피 (Aurantii Nobilis Pericarpium), 으름난초, 오크모스, 동백나무, 병풀, 닭의장풀, 종버섯, 하수오, 번행초, 더덕, 말라바시금치, 티율, 악마의 발톱, 듀날리엘라, 우뭇가사리, 첨차(Rubus suavissimus S. Lee), 천문동, 동과자, 고추, 동규자, 당금잔화, 동충하초, 옥수수, 도오우렌, 중대가리풀, 시계초, 두송, 칠엽수, 두충나무, 백화, 토마토, 통캇 알리, 루스커스, 냉이, 휘버휴, 메주, 대추야자, 마가목, 알피니아 갈랑가, 난산소우, 난쇼참마, 난요아부라기리(Jatropha curcas L.), 제비꽃, 덩굴여지, 육두구, 화살나무, 오조금영(Tithonia Diversifolia), 뇨테이, 부추, 느릅나무, 인삼, 인삼목, 마늘, 네바리미소하기, 자귀나무, 개맨드라미, 방가지똥, 톱야자, 개머루, 하이코쇼, 파인애플, 하이비스커스, 파우다르코, 맥아, 백차, 하쿠토우스기, 하쿠히쇼, 별꽃, 우의초, 바시캉, 파초, 연꽃, 파슬리, 버터땅콩, 파타 데 바카, 박하, 박하 크레이시, 허클베리, 벨벳콩, 율무, 바나바, 캘리포니아 양귀비, 하나비라타케, 하네센나(Cassia alata), 파파야, 떡쑥, 석결명, 갯사상자, 해당화, 갯방풍, 장미, 파라밀(派羅蜜), 바란, 울금, 감자, 팔로 아줄(Palo azul), 반지연(Scutellaria barbata), 한다이카이, 오렌지 그레이프근, 히메라기모치, 개물퉁이, 히지츠, 마름, 가든 버베나, 히소프, 데이지, 개양귀비, 노송나무, 푸커스, 히말라야삼, 해바라기, 캐러웨이, 개망초, 빈카마이너(Vinca minor), 백두구, 호리병박, 배풍등, 메꽃, 빌베리, 멀린, 비파나무, 빈랑, 후추등, 퓨에라리아 미르피카, 부카토우, 콜츠후트(Tussilago farfara), 표주박, 등나무혹, 부쥬칸, 후타밤쿠사, 근대, 부코, 부쉬차, 훗소게, 포도, 대회향(Nigella sativa L), 검은 노루삼, 블랙베리, 블랙루트, 프랑스 해안송, 플란타코 오바타(Plantago ovata), 브리오니아, 블루베리, 프루이트(Pruitt), 당유자나무, 수세미, 홍국, 잇꽃, 주홍서나물, 창질경이, 헤르니아리아초, 베르노키(Aegle marmelos), 헨즈, 운향, 레몬 베어베나, 봉선화, 께묵, 명자나무, 포공영근(민들레뿌리), 보골지, 보리수, 모란, 홉, 호호바, 보르도, 보로호, 화이트 샐비어, 바늘엉겅퀴, 콘슈, 잎새버섯, 마이텐, 마카, 누리장나무, 줄(Zizania latifolia), 마치코, 소나무, 송이버섯, 마테, 마죠람, 엉겅퀴, 환엽박하, 뽕나무잎, 만다린, 부처꽃, 마디풀, 아카시아, 벌노랑이,민트, 무이라브아마, 무칸시, 자주쓴풀, 페니로얄, 메구스리노키, 메시마코부, 시나몬 바실, 겹달맞이꽃, 멜리사, 멜론, 목천료, 모카, 몰식자, 복숭아, 트로피칼 아몬드, 모리아자미, 모로헤이아, 야콘, 노니(Morinda citrifolia L.), 야쿠시마아지사이 (Hydrangea grosseserrata Engler), 수레국화, 야자, 까치밥나무, 들메나무, 버드나무, 분홍바늘꽃, 주름진두발, 담배풀, 개옻나무, 참마속, 산떡쑥, 생열귀나무, 황매화나무, 야마부키다케, 머루, 박, 유칼리, 설차, 유자, 굴거리나무, 유카, 백합, 서양 질경이, 요슈칸보쿠, 참소리쟁이, 유럽 소쿠즈, 서양 까치밥나무, 쑥, 쑥국화, 뇌환, 내복자, 호밀, 나한과, 라스구라부라, 라즈베리, 낙화생, 라후마, 라벤사라, 라벤더, 람부탄, 용안, 류기노, 유구람, 능소화, 녹두, 루이보스, 서양지치, 뚜껑별꽃, 참제비고깔, 여주, 레오누루스소우, 레몬그라스, 레몬타임, 자운영, 긴병꽃풀, 연리초, 로즈힙, 로즈마리, 로만 카모마일, 라베지, 미국흑벚나무, 와일드 레티스, 겨자무 등을 들 수 있다.
후생 노동성 의약국장발 통지 제243호 "의약품 범위에 관한 기준 개정에 대하여" 별첨 2의 "오로지 의약품으로서 사용되는 성분 본질(원재료) 리스트"에 기재된 식물로서는, 예를 들면 아오다모(Fraxinus lanuginosa Koidz), 아라비아 차나무, 아라비아 몰약, 아르니카, 주목, 개사프론(Colchicum autumnale), 이리스, 위령선, 인진호, 인도살사, 라우볼피아 서어펜티나속, 인도 보리수, 음양곽, 쥐방울덩굴속, 오약, 우바 우루시, 찔레꽃, 금작화, 현호색, 회화나무, 오우카시, 오우카보, 황기, 황금, 황벽, 벚꽃피, 황련, 관중(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 오니노스, 만년청, 원지(Polygalae Radix), 해초속, 해동피, 가회톱, 꿀풀, 떡갈나무, 하수오, 카스카라 사구라다, 카코, 갈근, 자작나무근, 칼라바콩, 천화분, 캘로라이나 자스민, 구름버섯, 감송향, 관동화, 한방이, 한란, 개오동나무, 귤피, 키나, 강활, 행인(Armeniacae Semen), 양취란, 고삼, 쿠스노하가시와(Mallotus philippinensis), 그리포니아 심플리시포리아, 형개(Schizonepeta tenuifolia Briq), 양귀비, 견우자, 현삼(Scrophularia ningpoensis), 켄티아나, 이질풀, 향부자, 향분, 후박, 고본, 호황련, 골덴실, 코케모모요우, 우슬, 오주유, 호장근, 오배자, 우방자, 오미자, 들외, 콜롬보, 콘듀랑고, 사이코, 세신, 사비나, 쇄양, 사루카케미칸, 살사, 숫잔대, 산귀래, 산장근, 산자고, 지황, 탱알, 디기탈리스(Digitalis purpurea), 붓순나무, 지골피, 자근, 질려자, 시티, 작약, 사상자, 축사(Amomum xanthioides), 창포근, 녹나무피, 승마(Cimicifugae Rhizoma), 자리공, 신이(Magnoliae Flos), 침향, 수채, 스컬캡, 은방울꽃, 얼레지, 서양 자쇼, 서양 칠엽수, 서양 기생목, 석위, 가을가재무릇, 석창근, 석남엽, 석곡, 세네가, 천궁, 전호, 천골, 천초, 센타우리움소우, 멀구슬나무, 센나, 선복화, 쓴풀, 초과(Amomum tsao-ko Crevost et Lemarie), 상사자, 도꼬마리, 백출, 소우쥬요, 상백피(Mori Cortex), 두릅나무 총목피, 속단(Dipsacus asper Wall), 소철, 소목(Caesalpinia sappan L.), 서리자(Rhamnus japonica Marim), 대황, 다이케이, 대복피, 택사(Alismatis Rhizoma), 다미아나, 타유야, 두릅 근피, 단삼, 죽여 (Bambusae Caulis), 죽절인삼, 지모, 지유, 흰독말풀속, 조구등, 저령, 천남성, 천마, 천문동, 동과자, 당귀, 당삼, 등심초, 토우츠루킨바이, 도인(Persicae Semen), 토우료우소우, 독활(Aralia continentalis), 토콘속, 토사자(Cuscutae Semen), 두충(Eucommia ulmoides), 토목향, 바곳속, 남천실, 남모, 소태나무, 육종용, 일일초 (Vinca rosea L.), 유향, 뇨테이, 박새속, 패장초, 패모, 측백나무, 백선피, 백두옹, 하쿠토우스기, 맥문동, 파극천, 미치광이풀속, 파두, 하마메리스요우, 바리에라속, 하르말라, 반하, 피마자유, 백지(Angelicae Dahuricae Radix), 백출, 백단, 백부(Stemona japonica), 사리풀속, 복수초, 브쿠신보쿠, 복분자, 복령, 등나무혹, 제비꽃, 프란굴라피, 벨라돈나속, 방이, 모근(Imperatae Rhizoma), 봉선화, 봉미초, 방풍(Ledebouriellae Radix), 포황, 목단피, 포도필룸, 마황, 해인초, 마자인, 마전속(Loganiaceae), 마루바타바코(Nicotiana rustica L.), 만형자, 만드라고라속, 수염가래꽃, 밀봉화, 미미센나, 무이라푸아마, 털진득찰, 모우오렌, 속새 (Equisetum hiemale L.), 으름, 모쿠벳시, 목향, 몰약, 비터 카다몬, 익모초, 담배풀, 야보란디(Pilocarpus jaborandi), 야라파, 스노우드롭속, 설할초, 양매피, 요힘베(Pausinystalia yohimba), 라타니아, 남조, 용담, 용뇌, 고량강(Alpiniae Officinari Rhizoma), 연교, 로우하쿠카, 녹제초, 노근, 로벨리아초 등을 들 수 있다.
수국속에 속하는 식물로서는, 예를 들면 액수국(Hydrangea MacrophyllaSeringe), 수국(Hydrangea mavrophylla Seringevar. otaksa Makino), 홍액수국(Hydrangea macrophyllaSeringe subsp. serrata Makino var. japonica Makino), 산수국(Hydrangea macrophyllaSeringe subsp. serrata Makino var. acuminata Makino), 액공목(Hydrangea scandensSeringe), 소수국(Hydrangea hirataSieb. et Zucc.), 옥수국(Hydrangea involucrataSieb), 시괄수국(Hydrangea sikokianaMaxim.), 호공목(Hydrangea paniculataSieb.), 덩굴수국 (Hydrangea petiolarisSieb. et Zucc.), 애기수국(Hydrangea macrophyllaSeringe subsp. serrata Makino var. amoena Makino), 호소바코가쿠(Hydrangea macrophyllaSeringe subsp. serrata Makino var. angustata Makino), 감차(Hydrangea macrophyllaSERINGE var. Thunbergii MAKINO) 등을 들 수 있으며, 감차(Hydrangea macrophyllaSERINGE var. Thunbergii MAKINO)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약국방에 기재된 식물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일본 약국방에 기재된 식물체로서는, 예를 들면 아선약, 아선약 분말, 아편, 아편 분말, 감차, 감차 분말, 알로에, 알로에 분말, 회향풀, 우바 우루시, 찔레꽃 분말, 현호색, 황기, 황금, 황금 분말, 황벽, 황벽 분말, 황련, 황련 분말, 원지, 원지 분말, 카올린, 꿀풀, 봉출, 카콘, 쥐오줌풀, 쥐오줌풀 분말, 천화분, 원추리, 원추리 분말, 도라지, 도라지 분말, 개오동나무, 광귤나무, 행인, 고삼, 고삼 분말, 형개, 계피, 계피 분말, 결명자, 견우자, 켄티아나, 켄티아나 분말, 이질풀, 이질풀 분말, 홍삼, 향부자, 향부자 분말, 후박, 후박 분말, 우황, 우슬, 오주유, 콘듀랑고, 콜롬보, 콜롬보 분말, 사이코, 세신, 산귀래, 산귀래 분말, 치자, 치자 분말, 산수유, 산장, 산장 분말, 산약, 지황, 디기탈리스, 디기탈리스 분말, 자근, 작약, 작약 분말, 차전자, 차전초, 어성초, 축사, 축사 분말, 생강 분말, 카다몬, 승마, 세네가, 세네가 분말, 천궁, 천궁 분말, 천골, 천초, 센나, 센나 분말, 쓴풀, 쓴풀 분말, 백출, 백출 분말, 상백피, 소엽, 대황 분말, 대추, 택사, 택사 분말, 죽절인삼, 죽절인삼 분말, 지모, 정향, 정향 분말, 저령, 진피, 고추, 고추 분말, 당귀, 당귀 분말, 도인, 가문비 나무, 토콘, 토콘 분말, 트라가칸트, 트라가칸트 분말, 소태, 소태 분말, 인삼, 맥문동, 박하, 갯방풍, 백지, 백출, 백출 분말, 방이, 모근, 방풍, 목단피, 목단피 분말, 호미카, 마황, 으름, 목향, 비터 카다몬, 율무쌀, 율무쌀 분말, 용담, 용담 분말, 고량강, 로진 등을 들 수 있다.
유효 성분으로서는 상술한 식물체가 함유되는 성분에서 후술하는 추출 방법에 의해 식물체로부터 추출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에탄올 가용성 성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효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수국속에 속하는 식물의 식물체로부터 추출되는 히드란게놀, 감차 식물체, 예를 들면 감차로부터 추출되는 필로둘신, 울금 식물체로부터 추출되는 쿠르쿠민, 감초 식물체로부터 추출되는 글라브리딘이나 글라브롤, 파슬리 식물체로부터 추출되는 아피게닌 등을 들 수 있다.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각종 용매 추출, 초임계 유체 추출 등에 의한 방법을 들 수 있다.
식물의 용매 추출에 사용하는 용매로서는 유효 성분을 추출할 수 있는 용매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물, 무기염 수용액, 완충액 등의 수성 매체, 알코올, 헥산, 톨루엔, 석유 에테르, 벤젠, 아세트산 에틸,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1,2-트리클로로에텐, 디메틸술폭시드, 아세톤 등의 유기 용매 등을 들 수 있는데, 그 중 알코올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물로서는 수돗물, 증류수, 탈이온수, 순수한 물 등을 들 수 있다.
완충액으로서는, 예를 들면 인산 완충액, 시트르산 완충액 등을 들 수 있다. 무기염 수용액의 무기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1가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롤 등의 다가 알코올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 1가 알코올이 바람직하고, 1가 알코올로서는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이들 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복수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혼합된 용매로서는 함수 알코올이 바람직하며, 함수 1가 알코올이 보다 바람직하고, 함수 에탄올이 특히 바람직하다.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 성분을 추출할 때에는, 음식품 또는 사료에 허용되는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러한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물 또는 함수 또는 무수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용매로서는 액화 이산화탄소나 초임계 유체화 이산화탄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액은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 성분이 추출되는 조건에서 각종 용매 추출, 초임계 유체 추출 등으로 추출하여 얻어지는데, 또한 상기 추출액을 유효 성분이 추출되는 조건에서 각종 용매 추출, 초임계 유체 추출 등으로 추출하여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식물체로부터 유효 성분이 추출되지 않거나, 추출되기 어려운 조건에서 각종 용매 추출, 초임계 유체 추출 등으로 추출하여 얻어지는 추출 잔사 등을 유효 성분이 추출되는 조건에서 각종 용매 추출, 초임계 유체 추출 등으로 추출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가 감차(Hydrangea Dulcis Folium) 등의 감차의 식물체인 경우, 이 식물체로부터 유효 성분, 예를 들면 필로둘신 등의 에탄올 가용성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으로서는 상술한 식물체를 수성 매체로 추출하여 얻어지는 잔사를 함수 에탄올 또는 무수 에탄올로 추출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식물체로서는 건조 처리된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추출은, 예를 들면 식물체 1 중량부에 대하여 용매 0.1 중량부 내지 100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를 사용하여 행한다. 추출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0 ℃ 내지 100 ℃가 바람직하고, 20 ℃ 내지 90 ℃가 보다 바람직하다. 추출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 분 내지 1 주일이 바람직하고, 30 분 내지 1 일이 보다 바람직하다.
추출에 사용하는 기기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효율적으로 추출하기위해 고안된 용기, 교반기, 환류 냉각기, 속슬레 추출기, 균질기, 진탕기, 초음파 발생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추출액은 침강 분리, 케이크 여과, 청정 여과, 원심 여과, 원심 침강, 압착 분리, 필터 압축 등의 각종 고액 분리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다.
식물체 분말로서는 유효 성분을 추출하는 데 사용되는 식물체와 동종의 식물체 분말이거나, 또는 다른종의 식물체 분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물이 감차 추출물인 경우, 식물체 분말로서는 예를 들면 감차의 식물체 분말, 녹차 분말, 울금 분말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식물체 분말의 제조에 사용되는 식물로서는, 예를 들면 상술한 후생 노동성 의약국장발 통지 제243호 "의약품 범위에 관한 기준 개정에 대하여" 별첨 3의 "의약품적 효능 효과를 표방하지 않는 한 식품이라고 인정되는 성분 본질(원재료) 리스트"에 기재된 식물, 후생 노동성 의약국장발 통지 제243호 "의약품 범위에 관한 기준 개정에 대하여" 별첨 2의 "오로지 의약품으로서 사용되는 성분 본질(원재료) 리스트"에 기재된 식물 및 수국속에 속하는 식물 등을 들 수 있다.
식물체 분말의 제조에 사용되는 식물체로서는, 예를 들면 상술한 일본 약국방에 기재된 식물체 등을 들 수 있다.
식물체 분말의 제조에 사용하는 식물체로서는, 예를 들면 잎, 꽃, 가지, 줄기, 과실, 뿌리, 종자, 배양된 세포 또는 기관, 유합 조직 등 어떠한 부위를 사용해도 좋지만, 현미경 관찰에 의해 도관 등의 식물 조직이 관찰되는 부위, 예를 들면 잎, 가지, 줄기, 뿌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부위를 그대로, 또는 필요에 따라 물리적 또는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으로 처리하여 얻어지는 각종 처리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물리적 또는 화학적 처리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건조 처리, 동결 건조 처리, 분쇄 처리, 추출 처리 등을 들 수 있으며, 물리적 또는 화학적 처리물로서는, 예를 들면 건조 처리물, 동결 건조 처리물, 분쇄 처리물, 추출 처리물 등을 들 수 있다. 추출 처리물로서는 상술한 추출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식물체 잔사 등을 들 수 있다.
생물학적 처리 방법으로서는 발효 방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생물학적 처리물로서는 발효 처리물을 들 수 있다.
식물체 분말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식물체, 바람직하게는 건조시킨 식물체를, 예를 들면 조 분쇄기(Jaw Crusher), 자이레트리 분쇄기, 콘 분쇄기 등의 압축 파쇄기, 커터 밀, 슈레더 등의 전단 조쇄기, 햄머 분쇄기 등의 충격 파쇄기, 롤 분쇄기 등의 롤 밀, 디스인터그레이터(disintegrator), 게이지 밀 등의 회전 해쇄기, 커피 밀 등의 스크류 밀, 엣지 런너 등의 롤 전동 밀, 스탬프 밀 등의 타추 밀, 원심 롤러 밀, 볼 베어링 밀, 바울 밀, 제고 밀, 옴 밀 등의 롤러 밀, 스윙 햄머 밀, 핀 밀, 게이지 밀, 터보 타입 밀, 원심 분급 밀 등의 고속 회전 밀, 전동 볼 밀, 진동 볼 밀, 유성 볼 밀, CF 밀 등의 용기 진동 밀, 유통관식 밀, 교반조식 밀, 환식 밀, 기류 흡입, 기류 충돌, 충돌판 충돌, 유동층 타입 등의 제트 밀, 초음파 파쇄기 등의 파쇄기나 맷돌, 막자사발 등의 장치를 사용하여 분쇄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것에 상술한 물리적 또는 화학적 처리를 더 행하여 식물체 분말을 제조할 수도 있다.
식물체 분말은 미립자라면 입경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평균 입경이 건조 상태에서 0.1 ㎛ 내지 1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10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 내지 50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건조 상태에서의 식물체 분말의 평균 입경은, 예를 들면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식물체 분말은 글리세롤과 물의 1:1 혼합액으로 팽윤시킨 상태에서의 평균 입경이 1 ㎛ 내지 10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내지 1 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 ㎛ 내지 500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팽윤시킨 상태에서의 식물체 분말의 평균 입경은, 예를 들면 현미경 관찰로 관찰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식물체 분말의 존재하에서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액을 농축시킨다.
상기 추출액의 농축 과정에서 추출액 중에 석출된 추출물이 농축 장치의 벽면에 고착되거나, 추출물에 의한 침전물이 생길 때까지 식물체 분말이 존재하도록 하기만 한다면, 식물체 분말은 유효 성분을 식물체로부터 추출하는 공정에 첨가할 수도 있고, 상기 추출액을 농축하는 공정 전에 첨가할 수도 있는데, 상기 추출액을 농축하는 공정 전에 상기 추출액에 식물체 분말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액을 농축할 때, 식물체 분말을 존재시키는 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건조 중량으로서 1 중량부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액에 대하여 건조 중량으로서 19 내지 1/19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9 내지 1/9 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며, 3 내지 1/3 중량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액의 농축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감압 가열 농축, 상압 가열 농축, 분무 건조, 드럼 건조, 동결 건조 등의 방법을 들 수 있으며, 그 중 감압 가열 농축이 바람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물체 분말을 첨가하지 않고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액을 농축했을 경우, 침전물이 생길 정도까지 농축해도 추출물의 침전물을 생기게 하지 않고, 유동성이 양호한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이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을 그대로, 또는 필요에 따라 추출액을 정치한 후에 상층 부분을 제거한 후, 건조함으로써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건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감압 가열 건조, 상압 가열 건조, 분무 건조, 드럼 건조, 동결 건조 등의 방법을 들 수 있으며, 그 중 감압 가열 건조, 동결 건조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건조품은 간편한 식물체 분쇄 방법, 예를 들면 압축, 손으로 비비기 등에 의해 쉽게 분체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에 포함되는 식물 추출액의 건조물 중, 또는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에 포함되는 식물 추출물의 건조물 중의 유효 성분의 함유량(중량%)은 추출에 사용하는 식물체 건조물 중의 유효 성분의 함유량(중량%) 이상이면 좋지만, 2배 이상이 바람직하고, 5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10배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술한 식물 추출액, 식물 추출물 및 추출에 사용하는 식물체의 건조물은, 각각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에 포함되는 식물 추출액,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에 포함되는 식물 추출물 및 추출에 사용하는 식물체를, 예를 들면 감압 가열 건조, 상압 가열 건조, 동결 건조법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수분 함량이 10 중량% 이하가 되도록 건조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이 감차인 경우, 유효 성분 중 하나인 필로둘신은 일반적으로 감차의 건조물 중에 1 내지 1.5 중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 또는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에 포함되는 감차의 추출액, 또는 추출물의 건조물 중의 필로둘신의 함유량은 1 내지 1.5 중량%보다 높으면 좋지만, 2 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5 중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 또는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에 포함되는 식물체 분말은, 건조 중량으로서 1 중량부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액 또는 추출물에 대하여 건조 중량으로서 19 내지 1/19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9 내지 1/9 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며, 3 내지 1/3 중량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 또는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은 식물체 분말을 함유하여, 추출액 또는 추출물 중의 유효 성분의 함유량이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 중의 유효 성분의 함유량보다 높고, 또한 쉽게 분말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 및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은 그가 함유하는 성분에 있어서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에탄올 가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에탄올 가용성 성분을 20 중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중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 및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의 에탄올 가용성 성분의 함유량(중량%)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 및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을 분석용 시료로 하고, 그의 70 mg을 2 ㎖ 용량의 폴리프로필렌제 튜브 내에서 정밀하게 달아 특급 에탄올을 약 1.4 ㎖ 첨가하여 50 mg/㎖ 용액으로 한다. 추출액의 경우에는 감압 건조하여 얻어진 고체 분말을 분석용 시료로 한다. 이 튜브에 뚜껑을 덮고 때때로 흔들어 섞으면서 40 ℃에서 1 시간 침출한 후, 12000 rpm으로 5 분간 원심 분리하여 침전물과 상청액으로 분리한다. 이 상청액 1 ㎖를 증발 건고시켜 에탄올 가용성 성분의 중량을 측정한다. 시료 중량에서 건조 감량을 빼 시료의 건조 중량을 구하고, 에탄올 가용성 성분의 함유량을 산출한다. 건조 감량은 이하와 같이 측정한다. 분석용 시료 2 내지 6 g을 미리 중량을 단 병에 넣어 그 중량을 정밀하게 달고, 이것을 105 ℃에서 6 시간 건조시킨 후 중량을 정밀하게 달아 그 감량을 건조 감량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 중에 식물체 분말이 존재하는가의 여부는, 예를 들면 접안 렌즈 10배, 대물 렌즈 40배를 사용하여 이하의 순서로 현미경 관찰함으로써 판정할 수 있다.
분말의 분석용 시료 0.1 g에 글리세롤과 물의 1:1 혼합액을 2, 3 방울 적하하고, 기포가 들어가지 않도록 작은 유리 막대로 잘 섞은 후, 10 분 이상 방치하여 시료를 팽윤시킨다. 팽윤된 시료 중 소량을 유리 막대 끝으로 슬라이드 유리에 도말하고, 그 위에 글리세롤과 물의 1:1 혼합액을 1 방울 적하하여 조직편이 겹쳐지지 않도록 거의 균등하게 펴서 기포가 봉입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커버 유리로 덮는다.
이 슬라이드 유리를 현미경 관찰함으로써 원형 또는 다각형의 세포로 이루어지는 유조직, 윗면, 밑면의 표피, 도관 등이 확인되는 경우, 특히 도관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식물체 분말이 함유되어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도관에는 고리 무늬, 나선 무늬, 망 무늬, 구멍 무늬, 층 무늬 등 어떠한 무늬가 있어도 상관이 없다.
본 발명의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 또는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을 첨가하는 음식품 또는 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 또는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을 첨가하는 음식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쥬스류, 청량 음료수, 스프류, 차류, 유산균 음료, 발효유, 빙과, 버터, 치즈, 요쿠르트, 가공유, 탈지분유 등의 유제품, 햄, 소시지, 햄버거 등의 축육 제품, 어육 손질 제품, 계란말이, 달걀 두부 등의 난제품, 쿠키, 젤리, 스낵 과자, 츄잉검 등의 과자류, 빵류, 면류, 김치류, 훈제품, 건어물, 해산물 조림, 조미료 등을 들 수 있다.
음식품의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분말 식품, 시트상 식품, 병조림 식품, 통조림 식품, 레토르트 식품, 캡슐 식품, 정제상 식품, 유동 식품, 드링크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 또는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을 첨가하는 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포유류, 어류, 파충류, 양서류, 어류 등의 동물에 대한 사료이면 어떠한 것이든 좋으며, 예를 들면 개, 고양이, 쥐 등의 애완용 사료, 소, 돼지 등의 가축용 사료, 닭, 칠면조 등의 가금용 사료, 도미, 방어등의 양식어용 사료 등을 들 수 있고, 곡물류, 조강류, 식물성 유박류, 동물성 사료 원료, 그 밖의 사료 원료, 정제품 등의 사료 원료를 포함하는 사료를 들 수 있다.
곡물류로서는, 예를 들면 마이로, 밀, 보리, 귀리, 호밀, 현미, 메밀, 조, 수수, 피, 옥수수, 대두 등을 들 수 있다.
조강류로서는, 예를 들면 쌀겨, 탈지 쌀겨, 밀기울, 말분, 밀, 배아, 보리겨, 스크리닝, 펠렛, 옥수수겨, 옥수수 배아 등을 들 수 있다.
식물성 유박류로서는, 예를 들면 대두박, 콩가루, 아마박, 면실박, 낙화생박, 홍화박, 야자박, 팜박, 호마박, 해바라기박, 유채박, 케이폭박, 겨자박 등을 들 수 있다.
동물성 사료 원료로서는, 예들 들면 어분(북양 밀, 수입 밀, 홀 밀, 연안 밀), 가용성 생선, 육분, 어골분, 혈분, 분해모, 골분, 가축용 처리 부산물, 우모분, 누에, 탈지 분유, 카제인, 건조 유장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사료 원료로서는 식물 경엽류(알팔파, 헤이큐브, 알팔파잎 분말, 유사 아카시아 분말 등), 옥수수 가공 공업 부산물(콘 글루텐, 밀, 콘 글루텐 피드, 콘스테이프리카 등), 전분 가공품(전분 등), 설탕, 발효 공업 산물(효모, 맥주박, 맥아근, 알코올박, 장유박 등), 농산 제조 부산물(감귤 가공박, 두부박, 커피박, 코코아박 등), 그 외(카사바, 잠두콩, 구아밀, 해조, 크릴, 스피룰리나, 클로렐라, 광물 등) 등을 들 수 있다.
정제품으로서는 단백질(카제인, 알부민 등), 아미노산, 당질(전분, 셀룰로오스, 슈크로우스, 글루코오스 등), 미네랄, 비타민 등을 들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감차(시헤이 쇼뗑사 제조) 10 g을 200 ㎖의 30 % 에탄올[특급 에탄올(기시다 가가꾸사 제조)을 순수한 물로 희석]로 때때로 교반하면서 40 ℃에서 2 시간 추출한 후, 미라클로스(MIRACLOTH)[칼비오켐(CALBIOCHEM)사 제조]로 여과하여 감차의 30 % 에탄올 추출액 180 ㎖를 얻었다. 이 추출액 1 ㎖를 동결 건조했더니 수분 함량이 10 % 이하인 건조물 17.1 mg이 얻어졌고, 필로둘신의 함유량은 0.537 mg/㎖이었다.
이 추출액 180 ㎖에 감차 분말(야스마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0.4 g을 첨가한 후, 회전식 증발기로 감압 가열하고 농축하여 20 ㎖의 농축액을 얻었다. 이 농축액을 50 ㎖ 비이커로 옮겨 정치했더니, 비이커 바닥부에 균일하고 유동성이 있는 현탁액이 침강하였다. 이 현탁액에는 엿 상태의 침전물 생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 현탁액은 쉽게 동결 건조기로 옮길 수 있었으며, 이 현탁액을 동결 건조에 의해 건조했더니 붕괴성이 우수한 고체상의 건조물을 얻을 수 있었다. 이 건조물을 손으로 비벼 분쇄했더니 감차 분말을 함유하는 감차 추출물 분말을 얻을 수 있었다.
이 분말은 약 89 중량%의 감차 추출물 및 3.0 중량%의 필로둘신을 함유하고 있었다.
또한, 추출에 사용한 감차(시헤이 쇼뗑사 제조)는 1.55 중량%의 필로둘신을 함유하고 있고, 감차 분말(야스마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은 1.0 중량%의 필로둘신을 함유하고 있었다.
이 감차 분말은 이하의 방법으로 에탄올 가용성 성분을 측정했더니, 10 중량%의 에탄올 가용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었다.
건조 중량 약 70 mg의 시료를 2 ㎖ 용량의 프로필렌제 튜브 내에서 정밀하게 달아 50 mg/㎖가 되도록 특급 에탄올 약 1.4 ㎖를 첨가하였다. 이 튜브에 뚜껑을 덮고 때때로 흔들어 섞으면서 40 ℃에서 1시간 침출한 후, 12000 rpm으로 5 분간 원심 분리하여 침전물과 상청액으로 분리하였다. 이 상청액 1 ㎖를 증발 건고시킨 후에 중량을 측정하여 에탄올 가용성 성분의 중량으로 하였다. 시료의 중량에 대한 에탄올 가용성 성분의 중량비(중량%)를 산출하였다.
또한, 이 감차 분말은 이하의 방법을 이용하여 현미경 관찰함으로써 도관이 관찰되었다.
분말 시료 0.1 g에 글리세롤과 물의 1:1 혼합액을 3 방울 적하하고, 기포가 들어가지 않도록 작은 유리 막대로 잘 섞은 후, 10 분 이상 방치하여 시료를 팽윤시켰다. 팽윤된 시료 중 소량을 유리 막대 끝으로 슬라이드 유리에 도말하고, 그 위에 글리세롤과 물의 1:1 혼합액을 1 방울 적하하여 조직편이 겹쳐지지 않도록 거의 균등하게 펴서 기포가 봉입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커버 유리로 덮었다. 이 슬라이드 유리를 접안 렌즈 10배, 대물 렌즈 40배를 사용하여 현미경 관찰하였다.
또한, 이 감차 분말은 건조 상태에서의 입경을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Particle Size Analyzer: JEOL HELOS & LODOS사 제조)로 측정했더니, 평균 입경이 5.5 ㎛이었다.
<실시예 2>
감차(시헤이 쇼뗑사 제조) 10 g을 200 ㎖의 40 % 에탄올[특급 에탄올(기시다 가가꾸사 제조)을 순수한 물로 희석]로 때때로 교반하면서 40 ℃에서 2 시간 추출한 후, 미라클로스[칼비오켐사 제조]로 여과하여 감차의 40 % 에탄올 추출액 180 ㎖를 얻었다. 이 추출액 1 ㎖를 동결 건조했더니 수분 함량이 10 % 이하인 건조물 17.5 mg이 얻어졌고, 필로둘신의 함유량은 0.763 mg/㎖이었다.
이 추출액 180 ㎖에 감차 분말(야스마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0.4 g을 첨가한 후, 회전식 증발기로 감압 가열하고 농축하여 30 ㎖의 농축액을 얻었다. 이 농축액을 50 ㎖ 비이커로 옮겨 정치했더니, 비이커 바닥부에 균일하고 유동성이 있는 현탁액이 침강하였다. 이 현탁액에는 엿 상태의 침전물 생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 현탁액은 쉽게 동결 건조기로 옮길 수 있었으며, 이 현탁액을 동결 건조에 의해 건조했더니 붕괴성이 우수한 고체상의 건조물을 얻을 수 있었다. 이 건조물을 손으로 비벼 분쇄했더니 감차 분말을 함유하는 감차 추출물 분말을 얻을 수 있었다.
이 분말은 약 89 중량%의 감차 추출물 및 4.0 중량%의 필로둘신을 함유하고 있었다.
<실시예 3>
감차(시헤이 쇼뗑사 제조) 10 g을 200 ㎖의 50 % 에탄올[특급 에탄올(기시다 가가꾸사 제조)을 순수한 물로 희석]로 때때로 교반하면서 40 ℃에서 2 시간 추출한 후, 미라클로스[칼비오켐사 제조]로 여과하여 감차의 50 % 에탄올 추출액 180 ㎖를 얻었다. 이 추출액 1 ㎖를 동결 건조했더니 수분 함량이 10 % 이하인 건조물 16.5 mg이 얻어졌고, 필로둘신의 함유량은 0.853 mg/㎖이었다.
이 추출액 180 ㎖에 감차 분말(야스마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0.4 g을 첨가한 후, 회전식 증발기로 감압 가열하고 농축하여 30 ㎖의 농축액을 얻었다. 이 농축액을 50 ㎖ 비이커로 옮겨 정치했더니, 비이커 바닥부에 균일하고 유동성이 있는 현탁액이 침강하였다. 이 현탁액에는 엿 상태의 침전물 생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 현탁액은 쉽게 동결 건조기로 옮길 수 있었으며, 이 현탁액을 동결 건조에 의해 건조했더니 붕괴성이 우수한 고체상의 건조물을 얻을 수 있었다. 이 건조물을 손으로 비벼 분쇄했더니 감차 분말을 함유하는 감차 추출물 분말을 얻을 수 있었다.
이 분말은 약 89 중량%의 감차 추출물 및 4.7 중량%의 필로둘신을 함유하고 있었다.
<실시예 4>
감차(시헤이 쇼뗑사 제조) 10 g을 200 ㎖의 60 % 에탄올[특급 에탄올(기시다 가가꾸사 제조)을 순수한 물로 희석]로 때때로 교반하면서 40 ℃에서 2 시간 추출한 후, 미라클로스[칼비오켐사 제조]로 여과하여 감차의 60 % 에탄올 추출액 180 ㎖를 얻었다. 이 추출액 1 ㎖를 동결 건조했더니 수분 함량이 10 % 이하인 건조물 14.9 mg이 얻어졌고, 필로둘신의 함유량은 0.861 mg/㎖이었다.
이 추출액 180 ㎖에 감차 분말(야스마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0.4 g을 첨가한 후, 회전식 증발기로 감압 가열하고 농축하여 30 ㎖의 농축액을 얻었다. 이 농축액을 50 ㎖ 비이커로 옮겨 정치했더니, 비이커 바닥부에 균일하고 유동성이 있는 현탁액이 침강하였다. 이 현탁액에는 엿 상태의 침전물 생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 현탁액은 쉽게 동결 건조기로 옮길 수 있었으며, 이 현탁액을 동결 건조에 의해 건조했더니 붕괴성이 우수한 고체상의 건조물을 얻을 수 있었다. 이 건조물을 손으로 비벼 분쇄했더니 감차 분말을 함유하는 감차 추출물 분말을 얻을 수 있었다.
이 분말은 약 89 중량%의 감차 추출물 및 5.2 중량%의 필로둘신을 함유하고 있었다.
<비교예 1>
감차(시헤이 쇼뗑사 제조) 10 g을 200 ㎖의 30 % 에탄올[특급 에탄올(기시다 가가꾸사 제조)을 순수한 물로 희석]로 때때로 교반하면서 40 ℃에서 2 시간 추출한 후, 미라클로스[칼비오켐사 제조]로 여과하여 감차의 30 % 에탄올 추출액 180 ㎖를 얻었다. 이 추출액에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고 회전식 증발기로 감압 가열하고 농축하여 20 ㎖의 농축액을 얻었다. 이 농축액을 50 ㎖ 비이커로 옮겨 30 분간 정치했더니, 비이커 바닥부에는 엿 상태의 침전물이 생성되었다. 이 침전물은 유동성, 균일성이 없었다. 이 침전물은 비이커 바닥부에 고착되어 용기를 진탕하여도 확산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침전물을 동결 건조기로 옮겨 담기가 쉽지 않았다. 이 침전물을 동결 건조했더니, 딱딱한 타르상의 건조물을 얻을 수 있었다. 이 건조물은 동결 건조기의 용기 내에 고착되어 쉽게 회수할 수 없었다. 또한, 이 건조물은 손으로 비벼도 파쇄되지 않았다.
<비교예 2>
감차(시헤이 쇼뗑사 제조) 10 g을 200 ㎖의 40 % 에탄올[특급 에탄올(기시다 가가꾸사 제조)을 순수한 물로 희석]로 때때로 교반하면서 40 ℃에서 2 시간 추출한 후, 미라클로스[칼비오켐사 제조]로 여과하여 감차의 40 % 에탄올 추출액 180 ㎖를 얻었다. 이 추출액에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고 회전식 증발기로 감압 가열하고 농축하여 30 ㎖의 농축액을 얻었다. 이 농축액을 50 ㎖ 비이커로 옮겨 30 분간 정치했더니, 비이커 바닥부에는 엿 상태의 침전물이 생성되었다. 이 침전물은 유동성, 균일성이 없었다. 이 침전물은 비이커 바닥부에 고착되어 용기를 진탕하여도 확산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침전물을 동결 건조기로 옮겨 담기가 쉽지 않았다. 이 침전물을 동결 건조했더니, 딱딱한 타르상의 건조물을 얻을 수 있었다. 이 건조물은 동결 건조기의 용기 내에 고착되어 쉽게 회수할 수 없었다. 또한, 이 건조물은 손으로 비벼도 파쇄되지 않았다.
<비교예 3>
감차(시헤이 쇼뗑사 제조) 10 g을 200 ㎖의 50 % 에탄올[특급 에탄올(기시다 가가꾸사 제조)을 순수한 물로 희석]로 때때로 교반하면서 40 ℃에서 2 시간 추출한 후, 미라클로스[칼비오켐사 제조]로 여과하여 감차의 50 % 에탄올 추출액 180 ㎖를 얻었다. 이 추출액에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고 회전식 증발기로 감압 가열하고 농축하여 30 ㎖의 농축액을 얻었다. 이 농축액을 50 ㎖ 비이커로 옮겨 30 분간 정치했더니, 비이커 바닥부에는 엿 상태의 침전물이 생성되었다. 이 침전물은 유동성, 균일성이 없었다. 이 침전물은 비이커 바닥부에 고착되어 용기를 진탕하여도 확산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침전물을 동결 건조기로 옮겨 담기가 쉽지않았다. 이 침전물을 동결 건조했더니, 딱딱한 타르상의 건조물을 얻을 수 있었다. 이 건조물은 동결 건조기의 용기 내에 고착되어 쉽게 회수할 수 없었다. 또한, 이 건조물은 손으로 비벼도 파쇄되지 않았다.
<비교예 4>
감차(시헤이 쇼뗑사 제조) 10 g을 200 ㎖의 60 % 에탄올[특급 에탄올(기시다 가가꾸사 제조)을 순수한 물로 희석]로 때때로 교반하면서 40 ℃에서 2 시간 추출한 후, 미라클로스[칼비오켐사 제조]로 여과하여 감차의 60 % 에탄올 추출액 180 ㎖를 얻었다. 이 추출액에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고 회전식 증발기로 감압 가열하고 농축하여 30 ㎖의 농축액을 얻었다. 이 농축액을 50 ㎖ 비이커로 옮겨 30 분간 정치했더니, 비이커 바닥부에는 엿 상태의 침전물이 생성되었다. 이 침전물은 유동성, 균일성이 없었다. 이 침전물은 비이커 바닥부에 고착되어 용기를 진탕하여도 확산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침전물을 동결 건조기로 옮겨 담기가 쉽지 않았다. 이 침전물을 동결 건조했더니, 딱딱한 타르상의 건조물을 얻을 수 있었다. 이 건조물은 동결 건조기의 용기 내에 고착되어 쉽게 회수할 수 없었다. 또한, 이 건조물은 손으로 비벼도 파쇄되지 않았다.
<실시예 5>
감차(시헤이 쇼뗑사 제조) 10 g을 200 ㎖의 30 % 에탄올[특급 에탄올(기시다 가가꾸사 제조)을 순수한 물로 희석]로 때때로 교반하면서 40 ℃에서 2 시간 추출한 후, 미라클로스[칼비오켐사 제조]로 여과하여 감차의 30 % 에탄올 추출액 180 ㎖를 얻었다. 이 추출액 1 ㎖를 동결 건조했더니 수분 함량이 10 % 이하인건조물 17.1 mg이 얻어졌고, 필로둘신의 함유량은 0.537 mg/㎖이었다.
이 추출액 180 ㎖에 감차 분말(야스마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0.4 g을 첨가한 후, 회전식 증발기로 감압 가열하고 농축하여 20 ㎖의 농축액을 얻었다. 이 농축액을 50 ㎖ 비이커로 옮겨 정치했더니, 비이커 바닥부에 균일하고 유동성이 있는 현탁액이 침강하였다. 이 현탁액에는 엿 상태의 침전물 생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정치된 농축액의 상층 부분 10 ㎖를 제거하여 하층 부분을 얻었다. 이 하층 부분은 동결 건조기로 쉽게 옮길 수 있었으며, 이 하층 부분을 동결 건조했더니 붕괴성이 우수한 고체상의 건조물을 얻을 수 있었다. 이 건조물을 손으로 비벼 분쇄했더니 감차 분말을 함유하는 감차 추출물 분말 0.6 g을 얻을 수 있었다.
이 분말은 약 53 중량%의 감차 추출물 및 6.0 중량%의 필로둘신을 함유하고 있었다. 또한, 이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에탄올 가용성 성분의 함유량 측정과 도관의 관찰을 행했더니 25 중량%의 에탄올 가용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었고, 도관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6>
감차(시헤이 쇼뗑사 제조) 10 g을 200 ㎖의 40 % 에탄올[특급 에탄올(기시다 가가꾸사 제조)을 순수한 물로 희석]로 때때로 교반하면서 40 ℃에서 2 시간 추출한 후, 미라클로스[칼비오켐사 제조]로 여과하여 감차의 40 % 에탄올 추출액 180 ㎖를 얻었다. 이 추출액 1 ㎖를 동결 건조했더니 건조물 17.5 mg이 얻어졌고, 필로둘신의 함유량은 0.763 mg/㎖이었다.
이 추출액 180 ㎖에 감차 분말(야스마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0.4 g을 첨가한 후, 회전식 증발기로 감압 가열하고 농축하여 30 ㎖의 농축액을 얻었다. 이 농축액을 50 ㎖ 비이커로 옮겨 정치했더니, 비이커 바닥부에 균일하고 유동성이 있는 현탁액이 침강하였다. 이 현탁액에는 엿 상태의 침전물 생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정치된 농축액의 상층 부분 20 ㎖를 제거하여 하층 부분을 얻었다. 이 하층 부분은 동결 건조기로 쉽게 옮길 수 있었으며, 이 하층 부분을 동결 건조했더니 붕괴성이 우수한 고체상의 건조물을 얻을 수 있었다. 이 건조물을 손으로 비벼 분쇄했더니 감차 분말을 함유하는 감차 추출물 분말 0.6 g을 얻을 수 있었다.
이 분말은 약 53 중량%의 감차 추출물 및 8.0 중량%의 필로둘신을 함유하고 있었다. 또한, 이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에탄올 가용성 성분의 함유량 측정과 도관의 관찰을 행했더니 34 중량%의 에탄올 가용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었고, 도관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7>
감차(시헤이 쇼뗑사 제조) 10 g을 200 ㎖의 50 % 에탄올[특급 에탄올(기시다 가가꾸사 제조)을 순수한 물로 희석]로 때때로 교반하면서 40 ℃에서 2 시간 추출한 후, 미라클로스[칼비오켐사 제조]로 여과하여 감차의 50 % 에탄올 추출액 180 ㎖를 얻었다. 이 추출액 1 ㎖를 동결 건조했더니 건조물 16.5 mg이 얻어졌고, 필로둘신의 함유량은 0.853 mg/㎖이었다.
이 추출액 180 ㎖에 감차 분말(야스마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0.4 g을 첨가한 후, 회전식 증발기로 감압 가열하고 농축하여 30 ㎖의 농축액을 얻었다. 이 농축액을 50 ㎖ 비이커로 옮겨 정치했더니, 비이커 바닥부에 균일하고 유동성이 있는현탁액이 침강하였다. 이 현탁액에는 엿 상태의 침전물 생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정치된 농축액의 상층 부분 20 ㎖를 제거하여 하층 부분을 얻었다. 이 하층 부분은 동결 건조기로 쉽게 옮길 수 있었으며, 이 하층 부분을 동결 건조했더니 붕괴성이 우수한 고체상의 건조물을 얻을 수 있었다. 이 건조물을 손으로 비벼 분쇄했더니 감차 분말을 함유하는 감차 추출물 분말 0.6 g을 얻을 수 있었다.
이 분말은 약 53 중량%의 감차 추출물 및 8.0 중량%의 필로둘신을 함유하고 있었다. 또한, 이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에탄올 가용성 성분의 함유량 측정과 도관의 관찰을 행했더니 34 중량%의 에탄올 가용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었고, 도관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8>
감차(시헤이 쇼뗑사 제조) 10 g을 200 ㎖의 60 % 에탄올[특급 에탄올(기시다 가가꾸사 제조)을 순수한 물로 희석]로 때때로 교반하면서 40 ℃에서 2 시간 추출한 후, 미라클로스[칼비오켐사 제조]로 여과하여 감차의 60 % 에탄올 추출액 180 ㎖를 얻었다. 이 추출액 1 ㎖를 동결 건조했더니 건조물 14.9 mg이 얻어졌고, 필로둘신의 함유량은 0.861 mg/㎖이었다.
이 추출액 180 ㎖에 감차 분말(야스마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0.4 g을 첨가한 후, 회전식 증발기로 감압 가열하고 농축하여 30 ㎖의 농축액을 얻었다. 이 농축액을 50 ㎖ 비이커로 옮겨 정치했더니, 비이커 바닥부에 균일하고 유동성이 있는 현탁액이 침강하였다. 이 현탁액에는 엿 상태의 침전물 생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정치된 농축액의 상층 부분 20 ㎖를 제거하여 하층 부분을 얻었다. 이 하층 부분은 동결 건조기로 쉽게 옮길 수 있었으며, 이 하층 부분을 동결 건조했더니 붕괴성이 우수한 고체상의 건조물을 얻을 수 있었다. 이 건조물을 손으로 비벼 분쇄했더니 감차 분말을 함유하는 감차 추출물 분말 0.6 g을 얻을 수 있었다.
이 분말은 약 53 중량%의 감차 추출물 및 8.0 중량%의 필로둘신을 함유하고 있었다. 또한, 이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에탄올 가용성 성분의 함유량 측정과 도관의 관찰을 행했더니 38 중량%의 에탄올 가용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었고, 도관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9>
감차(시헤이 쇼뗑사 제조) 20 g을 400 ㎖의 물로 때때로 교반하면서 40 ℃에서 2 시간 추출한 후, 미라클로스[칼비오켐사 제조]로 여과하여 추출 잔사를 얻었다. 이 추출 잔사를 60 % 에탄올 400 ㎖[특급 에탄올(기시다 가가꾸사 제조)을 물로 희석]로 때때로 교반하면서 40 ℃에서 2 시간 추출한 후, 미라클로스로 여과하여 감차 추출액을 얻었다. 이 추출액 1 ㎖를 동결 건조했더니 건조물 4.5 mg이 얻어졌고, 필로둘신의 함유량은 0.66 mg/㎖이었다. 감차 추출액 중의 필로둘신의 함유량은 고형분 총량비로 15 %였다.
감차 추출액 약 400 ㎖에 1.6 g의 감차 분말(야스마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을 첨가한 후, 회전식 증발기로 감압 가열하고 농축하여 60 ㎖의 농축액을 얻었다. 이 농축액을 100 ㎖ 용량의 비이커로 옮겨 30 분간 정치했더니, 비이커 바닥부에 균일하고 유동성이 있는 현탁액이 침강하였다. 이 현탁액에는 엿 상태의 침전물 생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정치된 농축액의 상층 부분 40 ㎖를 제거하여 하층 부분20 ㎖를 얻었다. 이 하층 부분은 동결 건조기로 쉽게 옮길 수 있었으며, 이 하층 부분을 동결 건조했더니 붕괴성이 우수한 고체상의 건조물을 얻을 수 있었다. 이 건조물을 손으로 비벼 분쇄했더니 감차 분말을 함유하는 감차 추출물 분말 2.5 g을 얻을 수 있었다.
이 분말은 약 55 중량%의 감차 추출물 및 18.0 중량%의 필로둘신을 함유하고 있었다. 또한, 이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에탄올 가용성 성분의 함유량 측정과 도관의 관찰을 행했더니 50 중량%의 에탄올 가용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었고, 도관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10>
감차 추출액 약 400 ㎖에 1.6 g의 감차 분말을 첨가하는 대신에 1.6 g의 녹차 분말(미노 시라까와 맛쨔사 제조)을 첨가한 것 외에는, 실시예 9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60 ㎖의 농축액을 얻었다. 이 농축액을 100 ㎖ 용량의 비이커로 옮겨 30 분간 정치했더니, 비이커 바닥부에 균일하고 유동성이 있는 현탁액이 침강하였다. 이 현탁액에는 엿 상태의 침전물 생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정치된 농축액의 상층 부분 40 ㎖를 제거하여 하층 부분 20 ㎖를 얻었다. 이 하층 부분은 동결 건조기로 쉽게 옮길 수 있었으며, 이 하층 부분을 동결 건조했더니 붕괴성이 우수한 고체상의 건조물을 얻을 수 있었다. 이 건조물을 손으로 비벼 분쇄했더니 녹차 분말을 함유하는 감차 추출물 분말 2.5 g을 얻을 수 있었다.
이 분말은 36 중량%의 감차 추출물 및 15.0 중량%의 필로둘신을 함유하고 있었다. 또한, 이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에탄올 가용성성분의 함유량 측정과 도관의 관찰을 행했더니 53 중량%의 에탄올 가용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었고, 도관이 관찰되었다.
또한, 이 녹차 분말은 건조 상태에서의 입경을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Particle Size Analyzer: JEOL HELOS & LODOS사 제조)로 측정했더니, 평균 입경이 4.4 ㎛이었다.
<실시예 11>
감차 추출액 약 400 ㎖에 1.6 g의 감차 분말을 첨가하는 대신에 1.6 g의 울금 분말(가네까 산스파이스사 제조)을 첨가한 것 외에는, 실시예 9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60 ㎖의 농축액을 얻었다. 이 농축액을 100 ㎖ 용량의 비이커로 옮겨 30 분간 정치했더니, 비이커 바닥부에 균일하고 유동성이 있는 현탁액이 침강하였다. 이 현탁액에는 엿 상태의 침전물 생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정치된 농축액의 상층 부분 40 ㎖를 제거하여 하층 부분 20 ㎖를 얻었다. 이 하층 부분은 동결 건조기로 쉽게 옮길 수 있었으며, 이 하층 부분을 동결 건조했더니 붕괴성이 우수한 고체상의 건조물을 얻을 수 있었다. 이 건조물을 손으로 비벼 분쇄했더니 울금 분말을 함유하는 감차 추출물 분말 2.5 g을 얻을 수 있었다.
이 분말은 36 중량%의 감차 추출물 및 15.0 중량%의 필로둘신을 함유하고 있었다. 또한, 이 분말에 대하여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에탄올 가용성 성분의 함유량 측정과 도관의 관찰을 행했더니 53 중량%의 에탄올 가용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었고, 도관이 관찰되었다.
또한, 이 울금 분말은 건조 상태에서의 입경을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Particle Size Analyzer: JEOL HELOS & LODOS사 제조)로 측정했더니, 평균 입경이 31.7 ㎛이었다.
<비교예 5>
감차 추출액 약 400 ㎖에 1.6 g의 감차 분말을 첨가하는 대신에 1.6 g의 건조 이스트(디프코(DIFCO)사 제조)를 첨가한 것 외에는, 실시예 9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60 ㎖의 농축액을 얻었다. 이 농축액을 100 ㎖ 용량의 비이커로 옮겨 30 분간 정치했더니, 비이커 바닥부에 엿 상태의 침전물을 생성하고 유동성이 높아 균일한 현탁액은 얻을 수 없었다.
<비교예 6>
감차 추출액 약 400 ㎖에 1.6 g의 감차 분말을 첨가하는 대신에 1.6 g의 셀룰로오스(오리엔탈 고모사 제조)를 첨가한 것 외에는, 실시예 9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60 ㎖의 농축액을 얻었다. 이 농축액을 100 ㎖ 용량의 비이커로 옮겨 30 분간 정치했더니, 비이커 바닥부에 엿 상태의 침전물을 생성하고 유동성이 높아 균일한 현탁액은 얻을 수 없었다.
<비교예 7>
감차 추출액 약 400 ㎖에 1.6 g의 감차 분말을 첨가하는 대신에 1.6 g의 한천(디프코사 제조)을 첨가한 것 외에는, 실시예 9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60 ㎖의 농축액을 얻었다. 이 농축액을 100 ㎖ 용량의 비이커로 옮겨 30 분간 정치했더니, 비이커 바닥부에 엿 상태의 침전물을 생성하고 유동성이 높아 균일한 현탁액은 얻을 수 없었다.
<비교예 8>
감차 추출액 약 400 ㎖에 1.6 g의 감차 분말을 첨가하는 대신에 1.6 g의 전분(니찌덴 가가꾸사 제조)을 첨가한 것 외에는, 실시예 9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60 ㎖의 농축액을 얻었다. 이 농축액을 100 ㎖ 용량의 비이커로 옮겨 30 분간 정치했더니, 비이커 바닥부에 엿 상태의 침전물을 생성하고 유동성이 높아 균일한 현탁액은 얻을 수 없었다.
<비교예 9>
감차 추출액 약 400 ㎖에 1.6 g의 감차 분말을 첨가하는 대신에 1.6 g의 파인 덱스 #1(마쯔따니 가가꾸사 제조)을 첨가한 것 외에는, 실시예 9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60 ㎖의 농축액을 얻었다. 이 농축액을 100 ㎖ 용량의 비이커로 옮겨 30 분간 정치했더니, 비이커 바닥부에 엿 상태의 침전물을 생성하고 유동성이 높아 균일한 현탁액은 얻을 수 없었다.
<비교예 10>
감차 추출액 약 400 ㎖에 1.6 g의 감차 분말을 첨가하는 대신에 1.6 g의 아라비아 검(기시다 가가꾸사 제조)을 첨가한 것 외에는, 실시예 9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60 ㎖의 농축액을 얻었다. 이 농축액을 100 ㎖ 용량의 비이커로 옮겨 30 분간 정치했더니, 비이커 바닥부에 엿 상태의 침전물을 생성하고 유동성이 높아 균일한 현탁액은 얻을 수 없었다.
<비교예 11>
감차 추출액 약 400 ㎖에 1.6 g의 감차 분말을 첨가하는 대신에 1.6 g의 유당(기시다 가가꾸사 제조)을 첨가한 것 외에는, 실시예 9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60 ㎖의 농축액을 얻었다. 이 농축액을 100 ㎖ 용량의 비이커로 옮겨 30 분간 정치했더니, 비이커 바닥부에 엿 상태의 침전물을 생성하고 유동성이 높아 균일한 현탁액은 얻을 수 없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액 또는 추출물, 및 이 추출액 또는 추출물을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음식품 또는 사료가 제공된다.

Claims (38)

  1.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로부터 얻어지는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액을 식물체 분말의 존재하에서 농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의 제조 방법.
  2.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액을 제조하는 공정, 식물체 분말의 존재하에서 상기 추출액을 농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의 제조 방법.
  3.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로부터 얻어지는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액을 식물체 분말의 존재하에서 농축하여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의 제조 방법.
  4.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액을 제조하는 공정, 식물체 분말의 존재하에서 상기 추출액을 농축하여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을 제조하는 공정, 및 이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을 건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의 제조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액이,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에 함수 에탄올을 첨가하여 추출한 후, 식물체 잔사를 제거하여 얻어지는 것인 제조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 중량으로서 1 중량부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액에 대하여, 건조 중량으로서 19 내지 1/19 중량부의 식물체 분말을 존재시키는 제조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가 수국속에 속하는 식물의 식물체인 제조 방법.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가 감차(Hydrangea macrophyllaSERINGE var. Thunbergii MAKINO)의 식물체인 제조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이 에탄올 가용성 성분인 제조 방법.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이 필로둘신인 제조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체 분말이 건조 상태에서 0.1 ㎛ 내지 1 mm의 평균 입경을 갖는 입자인 제조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체 분말이 수국속에 속하는 식물의 식물체 분말인 제조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체 분말이 감차 분말, 녹차 분말 또는 울금 분말인 제조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농축 방법이 감압 가열 방법인 제조 방법.
  15. 제3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 방법이 동결 건조 방법 또는 감압 가열 방법인 제조 방법.
  16.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로부터 얻어지는 유효성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액과 식물체 분말을 함유하고, 상기 추출액 중의 유효 성분의 함유량이 식물체 중의 유효 성분의 함유량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
  17. 제16항에 있어서, 유효성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액이 함수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어지는 것인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건조 중량으로서 1 중량부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액에 대하여, 건조 중량으로서 19 내지 1/19 중량부의 식물체 분말을 함유하는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가 수국속에 속하는 식물의 식물체인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
  20.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가 감차(Hydrangea macrophyllaSERINGE var. Thunbergii MAKINO)의 식물체인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
  21.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이 에탄올 가용성 성분인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
  22.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이 필로둘신인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
  23. 제16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체 분말이 건조 상태에서 0.1 ㎛ 내지 1 mm의 평균 입경을 갖는 입자인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
  24. 제16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체 분말이 수국속에 속하는 식물의 식물체 분말인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
  25. 제16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체 분말이 감차 분말, 녹차 분말 또는 울금 분말인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
  26.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로부터 얻어지는 유효성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물과 식물체 분말을 함유하고, 상기 추출물 중의 유효 성분의 함유량이 식물체 중의 유효 성분의 함유량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
  27. 제26항에 있어서, 유효성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물이 함수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어지는 것인, 유효 성분 함유량이 높여진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건조 중량으로서 1 중량부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물에 대하여, 건조 중량으로서 19 내지 1/19 중량부의 식물체 분말을 함유하는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
  29. 제2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가 수국속에 속하는 식물의 식물체인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
  30. 제2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가 감차(Hydrangea macrophyllaSERINGE var. Thunbergii MAKINO)의 식물체인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
  31. 제26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이 에탄올 가용성 성분인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
  32. 제26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이 필로둘신인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
  33. 제26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체 분말이 건조 상태에서 0.1 ㎛ 내지 1 mm의 평균 입경을 갖는 입자인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
  34. 제26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체 분말이 수국속에 속하는 식물의 식물체 분말인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
  35. 제26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체 분말이 감차 분말, 녹차 분말 또는 울금 분말인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
  36. 제26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이 분말 형태인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
  37. 제16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액을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음식품 또는 사료.
  38. 제26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을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음식품 또는 사료.
KR1020037016607A 2001-06-21 2002-06-21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08587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88480 2001-06-21
JP2001188480 2001-06-21
PCT/JP2002/006226 WO2003000074A1 (fr) 2001-06-21 2002-06-21 Procede permettant de produire un extrait vegetal contenant une poudre vegeta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751A true KR20040010751A (ko) 2004-01-31
KR100858768B1 KR100858768B1 (ko) 2008-09-16

Family

ID=19027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6607A KR100858768B1 (ko) 2001-06-21 2002-06-21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521079B2 (ko)
EP (1) EP1407679A4 (ko)
JP (1) JP4093956B2 (ko)
KR (1) KR100858768B1 (ko)
CN (1) CN1278629C (ko)
CA (1) CA2451144A1 (ko)
HK (1) HK1067281A1 (ko)
WO (1) WO2003000074A1 (ko)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609B1 (ko) * 2004-12-22 2006-09-2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천마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0878397B1 (ko) * 2006-09-07 2009-01-13 정광호 곡물의 제조방법
KR100884445B1 (ko) * 2007-08-08 2009-02-19 주식회사 내추럴폰드 발효 강황을 주재로 하는 건강기능성 식품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100886811B1 (ko) * 2008-05-21 2009-03-05 박상진 감귤과즙을 이용한 감귤커피의 제조방법
KR100910747B1 (ko) * 2009-05-26 2009-08-05 장문식 항균, 항여드름, 피부진정, 보습 및 피지 조절 활성이 우수한 생약 혼합 추출물
KR100967178B1 (ko) * 2008-02-14 2010-07-05 배태윤 길경 차 제조방법
KR100971078B1 (ko) * 2007-12-28 2010-07-20 김기호 유산균, 효모 혼합발효 대추잎차
KR101367986B1 (ko) * 2012-03-07 2014-02-28 주식회사 크레시앙 으름빵 제조방법
KR101496345B1 (ko) * 2012-11-08 2015-02-27 주식회사 양원농장농업회사법인 울금을 주성분으로 하는 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울금 혼합 음료
KR20160131148A (ko) * 2015-05-06 2016-11-16 (주)비타바이오 촉규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또는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65721A (ko) * 2016-12-08 2018-06-18 이성현 멀구슬을 이용한 기능성 향수 제조방법
KR102035261B1 (ko) * 2019-04-22 2019-10-22 신경섭 사료 첨가제 조성물
KR20200073766A (ko) * 2018-12-14 2020-06-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천연 항산화제를 함유하는 기능성 샐러드 드레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96434A (ko) * 2020-01-28 2021-08-05 주식회사다모생활건강 반려동물의 모낭충 제거 및 냄새 제거를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09155B1 (ko) * 2021-04-14 2021-10-08 주식회사 유비무환 소비자 만족도가 매우 높은 건강 웰빙 실치 함유 적층형 김 스낵
KR102361992B1 (ko) * 2022-01-11 2022-02-14 양정열 제주 전통 발효음료 쉰다리 함유 고기국수용 육수와 그 제조방법
KR102373966B1 (ko) * 2020-09-28 2022-03-15 농업회사법인 더라이스 주식회사 홍화잎을 이용한 기능성 떡의 제조방법
KR102454128B1 (ko) * 2021-10-29 2022-10-14 (주)메디프레소 미생물의 세포벽 파괴 및 동결건조를 통해 유효성분의 함량 및 보존성을 향상시킨 캡슐 음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486555B1 (ko) * 2022-08-11 2023-01-09 유재홍 효모엑기스분말을 포함하는 분말형 천연 조미료조성물
KR20230008409A (ko) * 2021-07-07 2023-01-16 사단법인 참 강황과 김치를 이용한 누룽지의 제조방법
KR102489680B1 (ko) * 2022-02-08 2023-01-18 농업회사법인 맑을청웰빙 주식회사 여주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WO2023204363A1 (ko) * 2022-04-20 2023-10-26 한국 한의학 연구원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9312A1 (en) * 2000-03-15 2003-03-13 Frauke Gaedcke Hard gelatine capsules containing sustained-release plant extracts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US7026005B2 (en) * 2001-08-20 2006-04-11 Jiying Xu Process for tea flower
AU2003260985B2 (en) * 2002-09-11 2009-09-03 Sk Chemicals Co., Ltd. Extraction and purification method of active constituents from stem of Lonicera japonica Thunb., its usage for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drug
KR100535655B1 (ko) * 2003-03-14 2005-12-0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신경세포 보호 효과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머위 추출물
MXPA05013705A (es) * 2003-07-01 2006-03-08 Zeller Max Soehne Ag Metodo de extraccion de plantas y extracto.
KR100658772B1 (ko) * 2004-01-20 2006-12-15 씨제이 주식회사 초미세 인삼 분말을 이용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US20050238654A1 (en) * 2004-04-26 2005-10-27 Yoshinori Takeda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weight loss
JP4623999B2 (ja) * 2004-05-07 2011-02-02 丸善製薬株式会社 アルドースリダクターゼ活性阻害剤、糖尿病性合併症予防・治療剤及び糖尿病性合併症予防・治療用飲食品
JP2007537750A (ja) * 2004-05-17 2007-12-27 ユン−ジョン オ メシマコブ飲料とその製造方法及びメシマコブ飲料食品
WO2005123735A1 (ja) * 2004-06-16 2005-12-29 Kyowa Hakko Kogyo Co., Ltd. エボジアミン類含有組成物の製造方法
US7205010B2 (en) * 2004-07-02 2007-04-17 Shinhan Sha Dietary supplement composition for ameliorating inflammatory changes in influenza process
FR2873295B1 (fr) * 2004-07-26 2006-12-01 Expanscience Sa Lab Utilisation d'au moins un triene d'acide gras conjugue pour la preparation d'un medicament destine au traitement de l'inflammation
KR100574097B1 (ko) * 2004-09-01 2006-04-27 이행우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060024927A (ko) 2004-09-15 2006-03-20 씨제이 주식회사 기계적 분쇄법에 의한 미크론 사이즈 인삼 분말의제조방법
JP4546540B2 (ja) * 2004-12-10 2010-09-15 カウンシル オブ サイエンティフィク アンド インダストリアル リサーチ 毛髪美化に使用される植物性黒色素およびその適用
PE20050179A1 (es) * 2005-01-03 2005-05-21 Kelas Internat S A C Bebida energetica a base de maca, camu camu y guarana
CA2537648A1 (en) * 2005-02-28 2006-08-28 New Ace Formulations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creasing muscle mass and strength, improving athletic performance, and/or reducing body fat mass leading to weight loss
US8067045B2 (en) * 2005-03-03 2011-11-29 Pharmanex, Llc Nutritional formulations and associated methods
US7833777B2 (en) 2005-08-22 2010-11-16 Nature Technologies International Llc Stabilized actively aerated compost tea
US7303772B2 (en) * 2005-11-10 2007-12-04 Olalde Rangel Jose Angel Synergistic phytoceutical compositions
US8231913B2 (en) * 2005-11-10 2012-07-31 Jose Angel Olalde Rangel Angina pectoris and ischemic heart disease and synergistic phytoceutical composition for same
US9101160B2 (en) 2005-11-23 2015-08-11 The Coca-Cola Company Condiments with high-potency sweetener
US7550412B2 (en) * 2005-11-30 2009-06-23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ducing guar gum and for using the guar gum in treating a subterranean formation
US9012626B2 (en) 2006-06-19 2015-04-21 The Coca-Cola Company Rebaudioside a composition and method for purifying rebaudioside a
US8791253B2 (en) 2006-06-19 2014-07-29 The Coca-Cola Company Rebaudioside A composition and method for purifying rebaudioside A
US8756861B2 (en) * 2006-06-29 2014-06-24 Seedlife Tech. Inc Germinated seeds possessing increased water-soluble polyphenol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20080003314A1 (en) * 2006-06-29 2008-01-03 Indivi Wine Usa, Llc Germinated seeds possessing increased water-soluble polyphenol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20080267938A1 (en) * 2006-09-13 2008-10-30 Jose Angel Olalde Rangel Cardiac phyto-nutraceutical synergistic composition
JP2008092806A (ja) * 2006-10-06 2008-04-24 Sanei Gen Ffi Inc ウコン入り飲料の製造方法
CN101547609A (zh) * 2006-10-11 2009-09-30 Wm.雷格利Jr.公司 包含中药或其提取物的口服递送媒介物
US20100104518A1 (en) * 2006-10-11 2010-04-29 Cai Jianwei J Chewing gum, confection, and other oral delivery vehicles containing a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or extract thereof
US8017168B2 (en) 2006-11-02 2011-09-13 The Coca-Cola Company High-potency sweetener composition with rubisco protein, rubiscolin, rubiscolin derivatives, ace inhibitory peptides, and combinations thereof, and compositions sweetened therewith
JP4988529B2 (ja) * 2006-12-08 2012-08-01 ハウス食品株式会社 容器入りウコン飲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819767B2 (ja) * 2006-12-12 2011-11-24 株式会社エス・エフ・シー イグサ青汁
JP2008173044A (ja) * 2007-01-18 2008-07-31 Nitto Fuji Flour Milling Co Ltd 魚介類用飼料、魚介類用成長促進剤、魚介類用体色改善剤、魚介類用食味改善剤、魚介類用免疫賦活剤、及び魚介類の飼育方法
WO2008115583A1 (en) * 2007-03-21 2008-09-25 John Mini Herbal treatments
JP5144534B2 (ja) * 2007-04-25 2013-02-13 アークレイ株式会社 飲食品の風味改良剤
US8877266B2 (en) 2007-05-02 2014-11-04 Tom's Of Maine, Inc. Supercritical CO2 liquorice extract anti-microbial and anti-inflammatory isolates and products made there from
US20080274063A1 (en) * 2007-05-02 2008-11-06 Chantal Bergeron Supercritical CO2 liquorice extract anti-microbial and anti-inflammatory isolates and products made there from
US8236360B2 (en) * 2007-05-02 2012-08-07 Tom's Of Maine, Inc. Supercritical CO2 liquorice extract and products made there from
US8030481B2 (en) 2007-05-21 2011-10-04 The Coca-Cola Company Stevioside polymorphic and amorphous forms, methods for their formulation, and uses
IL184312A0 (en) * 2007-06-28 2008-01-20 Ascarit Ltd Herb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and/or conditions associated therewith
US20090011060A1 (en) * 2007-07-06 2009-01-08 Peter Koepke Campsiandra angustifolia extract and methods of extracting and using such extract
US7879369B2 (en) 2007-09-18 2011-02-01 Selvamedica, Llc Combretum laurifolium Mart. extract and methods of extracting and using such extract
WO2009036772A1 (es) * 2007-09-21 2009-03-26 Pharmabrand S.A. Composición herbaria estimulante del sistema inmune, antitumoral y anti sida y proceso de elaboración de la composición herbaria
US20100249248A1 (en) * 2007-10-24 2010-09-30 Suntory Holdings Limited LIGAND AGENTS FOR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S (PPARs)
US8142826B2 (en) 2007-11-05 2012-03-27 Naturex, Inc. Extract of Fraxinus excelsior seeds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therefor
KR100968597B1 (ko) * 2007-11-22 2010-07-08 녹차원(주) 비타민 나무의 잎을 이용한 차 및 그 제조방법
WO2009094631A2 (en) * 2008-01-25 2009-07-30 Newagriculture, Inc. A novel composition of matter and method for stimulating the growth of beneficial microorganisms
US20090202664A1 (en) * 2008-02-11 2009-08-13 Svetislav Mikalacki Herbal cream or oil for the treatment hemorroids and wounds
US20090226549A1 (en) 2008-03-06 2009-09-10 Kenneth John Hughes Herbal extracts and flavor systems for oral product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4763749B2 (ja) * 2008-04-07 2011-08-31 株式会社 伊藤園 粉砕ウコン末およびそれを用いた飲食物
US8029830B2 (en) * 2008-04-18 2011-10-04 Nuvocare Health Services Inc.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moting internal health and external appearance
KR101031363B1 (ko) 2008-08-11 2011-04-29 송성건 구아바 및 울금을 함유하는 양계 사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생산된 계란
CN101361518B (zh) * 2008-09-18 2010-12-22 赵人洁 一种三清保健茶
CN101756016B (zh) * 2008-10-07 2012-09-05 上海朝翔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防治畜禽拉稀的天然植物制剂及其制备方法
CN101756037B (zh) * 2008-10-07 2012-09-05 上海朝翔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动物用天然植物肉质风味改良剂及其制备方法
CN101744113B (zh) * 2008-12-12 2012-07-11 上海百树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改善畜禽肉质风味的复合预混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01874822A (zh) 2009-04-27 2010-11-03 玫琳凯有限公司 植物性抗痤疮制剂
US8252354B2 (en) * 2009-06-08 2012-08-28 Mas Marketing Holding Company, Llc Manufacture of seed derivative compositions
WO2010148394A1 (en) * 2009-06-19 2010-12-23 Olszewski Agnes P Herbal supplement
US9352008B2 (en) 2009-08-12 2016-05-31 Melaleuca, Inc. Dietary supplements and methods for treating pain and inflammation
US10624372B2 (en) * 2009-08-28 2020-04-21 Symrise Ag Reduced-sweetener products, flavoring mixtures for said reduced-sweetener products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roducts of this type
KR101114578B1 (ko) 2009-10-15 2012-02-27 주식회사 아이기스화진화장품 황기 캘러스 대량 생산 방법
TW201116331A (en) * 2009-11-10 2011-05-16 Shu-Hua Chiang Low temperature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for plants
CA2793218C (en) * 2010-03-15 2018-11-13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Methods of obtaining natural products from comestible fluids and methods of use
CN101862367B (zh) * 2010-07-05 2011-09-07 马建中 一种降脂减肥用决明子软胶囊及其制备方法
CN101978905B (zh) * 2010-08-23 2014-05-07 张雪峰 银杏原汁回融方便炖品及其制备方法
US20120093999A1 (en) * 2010-10-19 2012-04-19 The Republic of Tea, Inc. Sweet Tea Composition Without Use of Natural or Artificial Sweeteners
EP2632474B1 (en) * 2010-10-26 2016-08-24 Vasil Petrov Terezov Composition for food supplement and its use for lowering high cholesterol level
US20130337090A1 (en) * 2010-11-07 2013-12-19 Skin Matrix Ltd. Plant extracts for treating burns and chronic wounds
KR101045279B1 (ko) 2011-01-26 2011-07-25 주식회사 티어트 비만억제효능을 갖는 기능성 식품의 조성물
TWI406845B (zh) * 2011-04-25 2013-09-01 Nat Univ Chung Hsing Method for recovering polyunsaturated triglycerides from the seeds of
KR101104898B1 (ko) * 2011-08-12 2012-01-12 주식회사 예지미인 강화사자발쑥 등의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효과를 갖는 피부세정제 조성물
EP3566691B1 (en) 2011-12-19 2024-04-17 Mary Kay Inc. Cosmetic method of whitening skin and evening tone with azuki beans
US8673324B2 (en) * 2012-01-19 2014-03-1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producing gamma-aminobutyric acid and food produced thereby
KR101364213B1 (ko) 2012-02-29 2014-02-14 박종호 기능성 밥물용 첨가제 제조방법
US10485258B2 (en) 2012-05-01 2019-11-26 Board Of Trustees,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Production of enriched products
CN102813884A (zh) * 2012-08-27 2012-12-12 靳先玲 一种治疗形寒肢冷型闭合性骨折的中药洗剂制备方法
EP2981243B1 (en) * 2013-04-02 2019-09-04 Evonik Degussa GmbH Compositions of botanical powder-based delivery systems for personal care products
CN103211117B (zh) * 2013-04-18 2014-08-20 天津市畜牧兽医研究所 一种促进母猪乳腺发育及保胎的添加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US9375463B2 (en) * 2013-09-10 2016-06-28 Creative Medical Health,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sleep using a nutraceutical formulation
CN103589771B (zh) * 2013-11-13 2015-02-11 江南大学 一种机械预处理结合固态发酵提高啤酒糟生物利用度的方法
KR101591872B1 (ko) * 2014-01-20 2016-02-04 주식회사 신라비앤에이치 항염, 항알러지 및 항산화 효능이 우수한 Ge-8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23049B1 (ko) 2014-03-10 2021-11-05 마리 케이 인코포레이티드 피부 라이트닝 조성물
CN103907463B (zh) * 2014-04-14 2016-07-06 贵州芊芊园艺新技术发展公司 间种石蒜和除虫菊防控农作物病虫害的方法
JP2016013122A (ja) * 2014-06-10 2016-01-28 小浜海産物株式会社 水生生物用飼料及び養殖方法
US10610562B2 (en) * 2014-06-10 2020-04-07 Akay Flavours & Aromatics PVT. LTD Instant water soluble bioactive dietary phytonutrients composition of spice/herb extracts and a process for its preparation
KR101651175B1 (ko) * 2014-07-15 2016-08-26 전라남도 인디언시금치 함유 가공소금 제조방법
IL276734B2 (en) * 2014-10-31 2023-04-01 Pomega Inc Formulations containing pomegranate seed oil, dog rose fruit oil and resin oil or extract of gum
US20160250271A1 (en) * 2015-02-26 2016-09-01 Han Sheng Pharmtech, Inc. Herbal composition for diabetic retinopathy
CN106137811B (zh) * 2015-04-03 2020-08-25 伽蓝(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植物提取物组合物及其用途
DE102015112331B4 (de) * 2015-07-28 2017-10-19 Grand Textile Co., Ltd. Fertigungsverfahren für antimikrobielle Stoffe
CN105360063A (zh) * 2015-10-10 2016-03-02 怀宁县绿洲禽业专业合作社 一种高邮鸭生态养殖方法
CN105248366A (zh) * 2015-10-10 2016-01-20 怀宁县绿洲禽业专业合作社 一种肉鸭无公害养殖方法
KR101895972B1 (ko) * 2015-11-10 2018-09-07 한국한의학연구원 번행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5614062A (zh) * 2016-01-15 2016-06-01 隆江河 一种中草药浓缩饲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6709938B2 (ja) * 2016-04-04 2020-06-17 有限会社柏崎青果 アイ組成物またはアイ茶、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ITUA20162973A1 (it) * 2016-04-28 2017-10-28 Stasi Michele Di Composizione alimentare e metodo per la sua produzione
CN106177408B (zh) * 2016-07-20 2021-05-11 山东禾宝药业有限公司 一种皮肤抗过敏中药组合物、中药制剂、面膜、制备方法
KR101714762B1 (ko) 2016-07-22 2017-03-22 (주)엔키스 명월초를 이용한 천연 비닐위생용품의 제조 방법
CN106538873A (zh) * 2016-10-25 2017-03-29 李丙亲 一种防治1~8周龄蛋鸡腹泻的绿色营养饲料
JP6675967B2 (ja) * 2016-11-02 2020-04-08 ボスケイン ニュートリション リミテッド 飼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84832B1 (ko) * 2016-12-12 2019-05-31 조일푸드(주) 육류가공식품의 풍미와 기능성을 증진시키는 구절초의 제조방법
CA3047054A1 (en) * 2016-12-16 2018-06-21 Malteurop Groupe Malt sprouts extracts and their uses
CN108929818A (zh) * 2017-05-25 2018-12-04 杭州砖巷文化传播有限公司 一种桂花啤酒的制作工艺
US10272360B2 (en) 2017-08-05 2019-04-30 Priya Naturals, Inc. Phytochemical extraction system and methods to extract phytochemicals from plants including plants of the family Cannabaceae sensu stricto
KR101981489B1 (ko) * 2017-08-11 2019-08-28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자소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74924B1 (ko) * 2017-09-13 2019-05-03 (주)이에프씨 육계용 음수 첨가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육계용 음수 첨가물
KR102101381B1 (ko) * 2017-10-23 2020-04-27 (주)오션 카무카무열매 추출액이 포함된 애완동물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CN107751609A (zh) * 2017-10-25 2018-03-06 韦俊 一种猪饲料添加剂
KR101864351B1 (ko) * 2017-11-14 2018-06-04 이정봉 축산용 사료
CN108432810B (zh) * 2018-04-11 2020-12-04 杨凌馥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植物源杀虫组合物、制剂及其防治农作物害虫的应用
CN108498462A (zh) * 2018-05-17 2018-09-07 云南泊尔恒国际生物制药有限公司 一种中药散剂的制备技术
CN108813614B (zh) * 2018-06-13 2022-02-01 中国医学科学院药用植物研究所海南分所 一种沉香有效部位提取物抗焦虑抗抑郁的应用及其制备方法
KR102122914B1 (ko) * 2018-08-10 2020-07-01 한성호 식품 발효 방법
CN109287919A (zh) * 2018-08-20 2019-02-01 广州初品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赤豆薏仁草本膏的配方及制备方法
CN109095945B (zh) * 2018-08-29 2021-06-08 南京金德瑞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抗菌防霉型沸石基调湿材料的制备方法
CN109287806A (zh) * 2018-09-30 2019-02-01 安徽源和堂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荞麦复合保健茶及其制备方法
KR102322065B1 (ko) * 2019-03-18 2021-11-04 주식회사 케이오씨바이오텍 오미자 줄기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육질 개선을 위한 가축 급이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0100733B (zh) * 2019-05-29 2022-03-01 成都大学 一种以杜鹃兰组培根为外植体快速诱导杜鹃兰再生植株的方法
US20200375882A1 (en) * 2019-05-29 2020-12-03 Precision Biologics Hemp-based cosme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same
CN110100965A (zh) * 2019-05-30 2019-08-09 福建丰久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多层包被型精油有机酸复合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169524A (zh) * 2019-06-19 2019-08-27 福建省农业科学院亚热带农业研究所(福建省农业科学院蔗麻研究中心) 一种适用于糖尿病患者的嘉宝果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CN110972938B (zh) * 2019-12-09 2022-03-11 江苏农林职业技术学院 一种快速繁殖黄精试管苗的方法
CN111011684A (zh) * 2019-12-30 2020-04-17 广东绿宝堂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昆仑雪菊水提物饮料及其制备方法
CN111345371A (zh) * 2020-05-08 2020-06-30 曦晟源科贸有限公司 一种沙棘金银花甘草茶
KR102430055B1 (ko) * 2020-05-21 2022-08-18 농업회사법인 원삼로즈힙 주식회사 생열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1620819B (zh) * 2020-06-22 2022-05-13 贵州医科大学 芭蕉根中的两个化合物的分离纯化方法及用途
KR102241429B1 (ko) * 2020-07-21 2021-04-16 전성원 인삼 및 두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첨가제
KR102516242B1 (ko) * 2020-10-05 2023-03-29 이상우 보양염소의 사육방법
CN112385840B (zh) * 2020-10-16 2022-08-09 江南大学 一种低gl谷物源营养特膳食品及其加工方法
CN112293741A (zh) * 2020-10-31 2021-02-02 江苏弘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植物提取物及其应用
CN112401228A (zh) * 2020-11-12 2021-02-26 浙江优嘿嘿食品有限公司 银耳红豆薏米粉及其制备方法
CN112335607A (zh) * 2020-11-17 2021-02-09 德昌县鸿宇农业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饲养梅花鹿的方法
CN112370390B (zh) * 2020-11-27 2022-06-28 奥克斯路株式会社 一种抗衰老、去皱、修护肌肤屏障的发酵液及其制备方法
CN112690424A (zh) * 2020-12-02 2021-04-23 广西联环生态科技有限公司 酸菜加工工艺
CN113142352A (zh) * 2021-04-08 2021-07-23 贵州贝因特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刺梨青钱柳速溶茶的制备方法
TW202306496A (zh) * 2021-04-14 2023-02-16 中央研究院 植物補充劑及其用於預防動物疾病、促進動物生長和存活的方法
KR102367647B1 (ko) * 2021-05-18 2022-02-25 김효섭 옻나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닭 사료 조성물을 이용한 항산화능 및 혈액 순환 개선능을 갖는 달걀의 생산 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달걀
CN113317328B (zh) * 2021-05-24 2022-05-27 上海交通大学 凌霄花提取物在抑制革兰氏阳性细菌生长中的应用
CN113952263B (zh) * 2021-06-04 2022-07-29 太和康美(北京)中医研究院有限公司 一种一点红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护肤应用
WO2023078553A1 (en) * 2021-11-04 2023-05-11 Symrise Ag Preparation of dried plant material having an increased content of phyllodulcin
WO2023125719A1 (zh) * 2021-12-28 2023-07-06 珠海市藤栢医药有限公司 一种水苦荬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336686A (zh) * 2022-08-15 2022-11-15 电子科技大学中山学院 一种全利用零添加植物基发酵饮料的制作方法
CN115486340A (zh) * 2022-11-22 2022-12-20 云南兴乡规划研究院有限公司 一种自然仿野生状态下石斛杨梅繁殖方法
KR102632734B1 (ko) * 2023-03-06 2024-02-01 황규택 우슬 추출물을 함유한 반려동물용 사료 조성물
CN117257711B (zh) * 2023-03-23 2024-02-27 广州宾缇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盐生杜氏藻提取物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16267620A (zh) * 2023-04-21 2023-06-23 德兴市中医研究院试验培训基地 一种利用苍术叶柄进行愈伤组织诱导及不定芽再生体系建立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6804A (en) * 1974-10-21 1976-08-24 Societe D'assistance Technique Pour Produits Nestle S.A. Powdered tea product and process for production
JPS5359075A (en) * 1976-11-10 1978-05-27 Karupisu Shiyokuhin Kougiyou K Production of coffee flavor containing oil and fat
CA1131983A (en) * 1979-12-28 1982-09-21 General Foods, Limited Soluble coffee process
US4512983A (en) * 1982-09-29 1985-04-23 Kunihiko Shino Method for making a sanitary drink
JPS6043338A (ja) * 1983-08-18 1985-03-07 Morishita Yasuhiro 可溶性玄米茶粉末の製法
US4808409A (en) * 1984-08-16 1989-02-28 Board Of Trustees, University Of Illinois Low cariogenic sweetening agents
JPH01156277A (ja) * 1987-12-10 1989-06-19 Sohachi Nakamura 糊付巻取りテープ引出し切断法
JPH01262772A (ja) 1988-04-12 1989-10-19 Nippon Sanso Kk 甘茶エキスの製造方法
JP2778706B2 (ja) * 1988-11-10 1998-07-23 味の素ゼネラルフーヅ株式会社 コーヒー及び茶抽出液の濃縮方法
DE4029550A1 (de) * 1989-09-18 1991-03-28 Yoshio Tanaka Chlorella-algen und pilze enthaltende fettoel-nahrungsmitte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JPH0722493B2 (ja) 1989-09-18 1995-03-15 美穂 田中 クロレラ含有油脂食品とその製造方法
JP3633634B2 (ja) * 1992-03-26 2005-03-30 サントリー株式会社 消臭用組成物並びにこれを配合した食品および化粧品
JP3253678B2 (ja) * 1992-06-08 2002-02-04 アサヒ飲料株式会社 麦 茶
KR0149831B1 (ko) * 1995-08-08 1998-09-15 황성호 복합효소의 반응으로 생성되는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JPH1156277A (ja) 1997-08-22 1999-03-02 Hirai Seisakusho:Kk ウコンおよびカルシウム入り穀物加工品
JPH11253128A (ja) * 1998-03-09 1999-09-21 Yoshihide Hamano 杜仲葉の粉末及びエキスとバラ科甜茶エキスを混合した食品
ES2227298T3 (es) * 2000-10-06 2005-04-01 Phytrix Ag Procedimiento para la produccion de extractos de phyllanthus.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609B1 (ko) * 2004-12-22 2006-09-2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천마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0878397B1 (ko) * 2006-09-07 2009-01-13 정광호 곡물의 제조방법
KR100884445B1 (ko) * 2007-08-08 2009-02-19 주식회사 내추럴폰드 발효 강황을 주재로 하는 건강기능성 식품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100971078B1 (ko) * 2007-12-28 2010-07-20 김기호 유산균, 효모 혼합발효 대추잎차
KR100967178B1 (ko) * 2008-02-14 2010-07-05 배태윤 길경 차 제조방법
KR100886811B1 (ko) * 2008-05-21 2009-03-05 박상진 감귤과즙을 이용한 감귤커피의 제조방법
KR100910747B1 (ko) * 2009-05-26 2009-08-05 장문식 항균, 항여드름, 피부진정, 보습 및 피지 조절 활성이 우수한 생약 혼합 추출물
KR101367986B1 (ko) * 2012-03-07 2014-02-28 주식회사 크레시앙 으름빵 제조방법
KR101496345B1 (ko) * 2012-11-08 2015-02-27 주식회사 양원농장농업회사법인 울금을 주성분으로 하는 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울금 혼합 음료
KR20160131148A (ko) * 2015-05-06 2016-11-16 (주)비타바이오 촉규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또는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65721A (ko) * 2016-12-08 2018-06-18 이성현 멀구슬을 이용한 기능성 향수 제조방법
KR20200073766A (ko) * 2018-12-14 2020-06-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천연 항산화제를 함유하는 기능성 샐러드 드레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35261B1 (ko) * 2019-04-22 2019-10-22 신경섭 사료 첨가제 조성물
KR20210096434A (ko) * 2020-01-28 2021-08-05 주식회사다모생활건강 반려동물의 모낭충 제거 및 냄새 제거를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73966B1 (ko) * 2020-09-28 2022-03-15 농업회사법인 더라이스 주식회사 홍화잎을 이용한 기능성 떡의 제조방법
KR102309155B1 (ko) * 2021-04-14 2021-10-08 주식회사 유비무환 소비자 만족도가 매우 높은 건강 웰빙 실치 함유 적층형 김 스낵
KR20230008409A (ko) * 2021-07-07 2023-01-16 사단법인 참 강황과 김치를 이용한 누룽지의 제조방법
KR102454128B1 (ko) * 2021-10-29 2022-10-14 (주)메디프레소 미생물의 세포벽 파괴 및 동결건조를 통해 유효성분의 함량 및 보존성을 향상시킨 캡슐 음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361992B1 (ko) * 2022-01-11 2022-02-14 양정열 제주 전통 발효음료 쉰다리 함유 고기국수용 육수와 그 제조방법
KR102489680B1 (ko) * 2022-02-08 2023-01-18 농업회사법인 맑을청웰빙 주식회사 여주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WO2023204363A1 (ko) * 2022-04-20 2023-10-26 한국 한의학 연구원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86555B1 (ko) * 2022-08-11 2023-01-09 유재홍 효모엑기스분말을 포함하는 분말형 천연 조미료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61524A1 (en) 2004-08-19
CN1518417A (zh) 2004-08-04
CA2451144A1 (en) 2003-01-03
US7521079B2 (en) 2009-04-21
EP1407679A1 (en) 2004-04-14
JP4093956B2 (ja) 2008-06-04
EP1407679A4 (en) 2005-06-15
KR100858768B1 (ko) 2008-09-16
WO2003000074A1 (fr) 2003-01-03
CN1278629C (zh) 2006-10-11
HK1067281A1 (en) 2005-04-08
JPWO2003000074A1 (ja) 2004-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8768B1 (ko)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1616688B1 (ko) 굼벵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제조방법
Capasso Phytotherapy: a quick reference to herbal medicine
US6440448B1 (en) Food supplement/herbal composition for health enhancement
KR101628995B1 (ko) 고농축 식물성 소마티드 천연 겔 엑기스를 이용한 천연 파우더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다기능 원료 조성물
JP2005255527A (ja) 生体コラーゲン合成促進剤用組成物
Jadhav et al. Antioxidant properties of Indian medicinal plants
FR3061416A1 (fr) Utilisation de l&#39;eau de coco comme solvant d&#39;extraction
CN105592709A (zh) 包含经重构植物材料的可食用产品
Jha et al. Phytochemical analysis and in vitro urolithiatic activity of Peltophorum pterocarpum leaves (DC) Baker
CN111011521A (zh) 一种食用又能美容护肤奶粉
Kamble et al. Pharmaceutico-Analytical Study of Muktashukti Pishti and Muktashukti Bhasma and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ir Relative Oral Bioavailability
RU2137400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ой пищевой композиции &#34;золотой рог&#34;
CN107303006A (zh) 改善更年期症状或骨质疏松症的组合物
KR101413328B1 (ko) 미역귀를 이용한 미백 기능성 화장품 원료추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백 기능성 화장품
WO2006112037A1 (ja) キノコ由来の生理活性成分の取得方法
Akpoghelie et al. THE NUTRITIONAL ASSESSMENT OF THE SEED OF WALNUT (Plukenetia conophora) SEED PURCHASED IN AN OPEN MARKET IN WARRI, DELTA STATE. NIGERIA.
Garmashov et al. Technological parameters of countercurrent extraction: deriving bioactive compounds from plant raw materials
CN108338097A (zh) 一种提高鲈鱼品质的养殖方法
RU2332866C2 (ru)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ая добавка к пище &#34;перстевит&#34;
CN113678963A (zh) 一种防治水产品疾病的中草药添加剂及其制备方法
WO2005087243A1 (de) Wirkstoffkomplexe aus pflanzen der seegräser, insbesondere der familie zosteracea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KR20140081047A (ko)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회복용 조성물
Carradori et al. Patent survey on saffron and its multiple applications: an update
Gupta et al. Ultrasonication Extraction Techniques for a New Approach for Development of Pharmacognostical and Phytochemical Screening of Syzygium aromatic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