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680B1 - 여주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여주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680B1
KR102489680B1 KR1020220015953A KR20220015953A KR102489680B1 KR 102489680 B1 KR102489680 B1 KR 102489680B1 KR 1020220015953 A KR1020220015953 A KR 1020220015953A KR 20220015953 A KR20220015953 A KR 20220015953A KR 102489680 B1 KR102489680 B1 KR 102489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ter gourd
powder
extract
dried
foo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5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식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맑을청웰빙 주식회사
(주)바다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맑을청웰빙 주식회사, (주)바다푸드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맑을청웰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5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6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6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9Dry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3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sugars o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5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ve energy, irradiation, electrical means or magnetic fields, e.g. oven cooking or roasting using radiant dry 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주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주(Momordica charantia L) 분말 및 스테비아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여주의 쓴맛을 중화시켜 관능적 기호도를 개선하면서도, 그 항당뇨 효능은 배가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여주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식품 조성물{HEALTH FOOD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MOMORDICA CHARANTIA L.}
본 발명은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주 분말과 스테이아 분말을 혼합하여 건강식품 조성물을 구성함으로써, 당뇨를 예방 및 개선하면서도, 그 기호도가 우수한 여주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혈중 포도당 농도의 상승, 췌장의 손상에서 유래되는 인슐린 분비능 저하 또는 내성에 의한 인슐린 작용의 감소, 포도당, 지방과 단백질 대사의 이상과 이로 인한 급성과 만성 합병증의 발생으로 특징 지워지는 다양한 원인과 병을 지닌 일련의 질환 군을 말한다.
당뇨병은 발병 원인이 다양하지만 어떤 형태의 당뇨이던지 증상의 개선이나 치유를 위한 기본원리는 식사 후 체내로 흡수된 당을 각 조직의 세포가 이용하는 속도를 증가시켜 혈중에 당이 과도하게 머무는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이며, 이는 약물이나 천연소재를 막론하고 공통으로 적용된다. 이를 위해서는 세포 내 당을 분해하여 에너지 대사의 기질로 사용하는데 관여하는 효소인 글루코키나아제 (glucokinase) 및 피루베이트 디하이드로게나아제(pyruvate dehydrogenase)의 활성 증가 정도와 에너지를 생성하고 남은 잉여의 당을 지방으로 전환하는데 관여하는 효소인 아세틸-코에이 카르복시라아제(Acetyl-CoA carboxylase)의 활성 증가 및 α-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의 활성 억제가 필요하다.
현재까지 의과학적인 치료목표는 혈당 수준의 정상적 유지를 위해 보조요법인 식사요법, 운동요법과 함께 다양한 원리의 약물 요법들이 시도되고 있지만 오히려 환자는 급증하고 있는 상황이며 유병률 또한 장기화되고 있다. 결국, 발생된 부작용에 대한 완화 차원의 치료가 병행되면서 국가적, 개인적인 경제손실이 막대하며, 아직 당뇨에 대한 의과학적 완치제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천연 소재 중에서 항당뇨 관련 기전상의 과학적 근거를 가지고 부작용 없이 다양한 당뇨 증상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개선하거나 치유할 수 있는 물질을 발굴 및 검증하고, 건강 기능성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여주의 식물 인슐린은 체내에서 인슐린과 비슷한 작용을 하는 펜타이드의 일종으로, 여주의 열매와 씨 속에 많이 들어있다. 식물 인슐린은 간에서 당분(포도당)이 연소되도록 돕고, 또한 포도당이 체내에서 재합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당뇨병환자의 혈당치를 낮추는 작용을 한다.
또한, 여주는 전 세계적으로 오랜 연구결과 많이 복용 하여도 유해한 부작용이 없으며, 내성이 있거나 잦은 설사로 인한 장내 부작용에도 안전하며, 변비에 걸린 당뇨환자들에게 특히 효과가 있다고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농가에서 생여주 열매를 판매하면 소비자들이 구매하여 효소용으로 사용하거나, 다양한 요리 방법으로 식용하였는데, 쓴맛이 너무 강하여 건강에 좋다는 것을 알면서도 많이 식용할 수 없었으며, 보관이 용이하지 못해 비싸게 구매한 후 썩어서 버리는 양이 많은 문제가 있다.
KR 10-1688090 B1 KR 10-1520860 B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항당뇨에 유익한 효능을 가진 여주 분말과 스테비아를 포함하여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여주의 쓴맛을 중화시켜 관능적 기호도를 개선하면서도, 그 항당뇨 효능은 더욱 배가되도록 하는 여주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여주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식품 조성물은, 여주(Momordica charantia L) 분말 및 스테비아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주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스테비아 분말 1~6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말라바시금치(Malaba Spinach) 추출물 10~20중량부 및 백향과 껍질 추출물 10~20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주 분말은 건여주의 추출물을 건조한 추출분말이며, 상기 추출분말은 건여주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건여주와 커피생두를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150~200℃에서 10~30분간 로스팅하는 단계와, 상기 로스팅된 혼합물을 20~30℃에서 1~5시간 숙성하는 단계와, 상기 숙성된 혼합물로부터 건여주를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된 건여주에 물을 가하여 추출, 여과하고 이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여주와 커피생두를 혼합하는 단계에서, 마름열매를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여주, 커피생두 및 마름열매를 1:0.1~0.3:0.1~0.3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여주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식품 조성물에 의하면, 여주의 쓴맛을 중화시켜 관능적 기호도를 개선하면서도, 그 항당뇨 효능은 배가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 여주 분말은 당뇨병에 유효한 효능이 있음이 충분히 알려져 있었지만, 그 쓴맛으로 인하여 섭취가 꺼려지는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여주 분말의 쓴맛을 중화하면서도, 그 효능은 배가시키는 데 가장 큰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여주(Momordica charantia L) 분말 및 스테비아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주는 박과에 속하는 채소 또는 약용식물로 주로 열대나 아열대 지역에서 자라며, 주로 열매를 식용으로 이용하는데 쓴맛이 강하다. 어린 열매는 녹색을 나타내고 더 성숙되면 오렌지색으로 변하며, 시간이 더 지나면 과육이 터져 빨간색 가종피가 노출되고, 종자는 일반적으로 브라운색을 나타낸다. 일본, 중국, 동남아지역에서는 주로 미숙과를 식용으로 재배하고 있으나 어린잎을 식용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여주는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이 들어 있는데 글루코시아드, 사포닌, 알카로이드, 오일, 트리페르펜, 단백질, 스테로이드계, 비타민C, 베타-카로틴, Fe, K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비타민 C의 경우 100g 중 120mg이나 들어 있어 딸기의 15배, 양배추의 3배, 레몬의 약 13배에 해당하는 양일뿐만 아니라 수분이 많은 과육에 들어 있기 때문에 가열해도 거의 파괴되지 않는 특성이 있다.
또한, 여주의 주요 기능성 성분인 카란틴은 인슐린 내성관련 혈당을 낮추는 효과가 높은 것으로 여러 실험을 통해 입증되고 있으며, 여주의 쓴맛에는 식물스테롤 배당체들과 많은 종류의 아미노산, 갈락트론산, 시트룰린, 펙틴 등의 성분이 들어 있어 이 성분들은 혈당강하 기능이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식물인슐린이라고도 불리는 펩타이드성 물질인 카란틴은 인슐린 분비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베타세포를 활성화시켜 인슐린의 분비를 촉진함으로써 혈당을 낮춰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여주 분말은, 여주를 건조하여 그대로 분쇄한 분말이거나, 건여주의 추출물을 건조한 추출분말일 수 있다.
아울러, 그 추출분말은 그 추출방법을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종래 공지된 천연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 중 어떠한 방법이라도 적용 가능하다. 예시적으로 여주 열매를 깨끗이 세척하여 절단한 후, 건조하고, 이에 물을 용매로 투입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건조한 것이면 족하다.
상기 스테비아 분말은 천연 감미료로, 그 감미 성분은 설탕의 200~300배이며, 비타민 및 미네랄이 풍부하다. 또한, 상기 스테비아는 항바이러스 작용으로 면역력을 향상시키고, 카로틴이 풍부하여 건강한 세포를 유지시키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며, 비타민 B6 성분이 간 기능을 강화시킨다. 아울러, 스테비아에 함유되어 있는 스테비오사이드라는 성분은 인체에 흡수되지 않아 체내에 남지 않고, 스테비아의 카로틴은 인슐린 분비를 촉진시켜 혈당을 조절하기도 하여 당뇨병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테비아 분말로는 상업적으로 구매 가능한 상품 중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며, 스테비아의 건조 잎을 그대로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효소처리 스테비아 분말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한바,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여주 분말과 스테비아 분말의 함량비는, 상기 여주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스테비아 분말 1~6중량부를 포함하면 족하다.
즉, 상기 여주 분말에 스테비아 분말이 혼합될 경우, 상기 스테비아 분말의 천연 단맛을 통해 상기 여주 분말의 쓴맛을 중화하면서도, 여주 분말 고유의 항당뇨 기능을 저해하지 않아 기호도가 우수한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게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분말 상으로 제조될 수도 있고, 환, 액상 등으로 제조될 수 있는 것으로, 그 형태를 제한하지 않으며, 그 제형화를 위하여 공지된 다양한 첨가물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당연한바, 그 실시를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그 1일 섭취량 역시 제한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말라바시금치(Malaba Spinach) 추출물 및 백향과 껍질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말라바시금치는 열대아시아가 원산지인 덩굴풀로, 카로틴과 비타민C, 칼슘이 풍부하다. 아울러, 상기 말라바시금치 추출물을 상기 여주 분말과 함께 적용할 경우, 항당뇨 효과가 현저히 개선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말라바시금치 추출물은 그 추출방법을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종래 공지된 천연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 중 어떠한 방법이라도 적용가능하다. 예시적으로 말라바시금치를 깨끗이 세척하여 건조하고, 이에 물을 용매로 투입하여 추출한 추출물이면 족하다.
또한, 상기 말라바시금치 추출물은 상기 여주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10~20중량부로 포함됨이 바람직한바, 이는 식품의 기능성 및 기호도를 고려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백향과(passion fruit)는 아열대와 열대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다년생 상록덩굴 식물로, 시계꽃과(Passifloraceae) 시계꽃속(Passiflora)에 속하고 전 세계적으로 500여 종이 분포한다. 백향과는 알칼로이드(alkaloid), 사포닌(saponin), 폴리페놀(polyphenol), 플라비카르파(flavicarpa), 루세닌2(lucenin-2), 비세닌-2(vicenin-2), 이소오리엔틴(isoorientin), 이소비테신(isovitexin), 루테올린-6-C-키노보시드(luteolin-6-C-chinovoside), 루테올린-6-C-푸코시드(luteolin-6-C-fucoside) 등의 성분을 함유하여 항산화, 항염증, 진정제, 이뇨제, 강장제, 고혈압 치료, 피부염증, 신경안정제, 항경련제, 항불안제 등의 다양한 기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백향과 껍질 추출물을 상기 여주 분말과 함께 적용할 경우, 항당뇨 효과가 현저히 개선되면서도, 그 쓴맛을 개선하여 기호도 역시 현저히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백향과 껍질 추출물은 그 추출방법을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종래 공지된 천연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 중 어떠한 방법이라도 적용가능하다. 예시적으로 백향과 열매의 껍질을 깨끗이 세척하여 건조하고, 이에 물을 용매로 투입하여 추출한 추출물이면 족하다.
또한, 상기 백향과 껍질 추출물은 상기 여주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10~20중량부로 포함됨이 바람직한바, 이는 식품의 기능성 및 기호도를 고려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여주 분말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면 그 쓴맛을 현저히 완화할 수 있다.
그 제조방법은 건여주의 추출물을 건조하여 추출분말을 제조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건여주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건여주와 커피생두를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150~200℃에서 10~30분간 로스팅하는 단계와, 상기 로스팅된 혼합물을 20~30℃에서 1~5시간 숙성하는 단계와, 상기 숙성된 혼합물로부터 건여주를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된 건여주에 물을 가하여 추출, 여과하고 이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건여주, 즉 절단된 형태의 건여주 열매를 준비한다. 이때, 그 크기는 제한하지 않는데, 가로, 세로, 높이가 각 0.5~1cm 정도이면 족하다.
그리고 이에 커피생두를 혼합하고, 150~200℃에서 10~30분간 로스팅한다. 상기와 같이 커피생두와 건여주를 로스팅할 경우 건여주의 쓴맛이 현저히 중화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건여주와 커피생두의 혼합비는 1:0.1~0.3 중량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피생두와 함께 마름열매를 더 혼합하여 로스팅할 수도 있다. 상기 마름열매 역시 상기 건여주의 쓴맛을 현저히 완화해준다. 상기 마름열매는 껍질을 제거한 열매를 그대로 사용하면 족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건여주, 커피생두, 마름열매의 혼합비는 1:0.1~0.3:0.1~0.3 중량비인것이 바람직하다.
로스팅이 완료되면, 로스팅된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20~30℃에서 1~5시간 숙성하여, 쓴맛을 완화한 후, 이 혼합물로부터 커피생두 및 마름열매를 제거하여 건여주만을 분리한다.
그리고 상기 분리된 건여주에 5~10중량배의 물을 가하고, 80~100℃에서 1~10시간 추출한 후, 여과, 농축 및 건조하여 그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을 통해 여주 분말을 제조하면, 그 쓴맛이 현저히 완화되면서도, 항당뇨 효능은 오히려 증가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여주(Momordica charantia L) 열매를 준비하고, 깨끗이 세척한 후, 0.5cm 두께로 슬라이스하였다. 그리고 이를 40~60℃에서 20시간 건조한 후, 100~200mesh로 분쇄하여 여주 분말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여주 분말 100g에 효소처리 스테비아 분말 3g을 혼합하여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여주 분말에 말라바시금치 추출물 15g, 백향과 껍질 추출물 15g을 더 혼합하여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말라바시금치 추출물은, 말라바시금치를 깨끗이 세척한 후, 40~60℃에서 10시간 건조하고, 건조된 말라바시금치 1kg에 10L를 가한 후, 80~100℃에서 8시간 추출하고, 여과,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백향과 껍질 추출물은, 백향과 열매를 깨끗이 세척하여, 껍질을 수득하고, 이를 40~60℃에서 10시간 건조한 후, 건조된 백향과 열매 껍질 1kg에 10L를 가하고, 80~100℃에서 8시간 추출하고, 여과,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여주 분말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여주(Momordica charantia L) 열매를 준비하고, 깨끗이 세척한 후,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0.7cm가 되도록 절단한 후, 이를 40~60℃에서 20시간 건조하였다. 그리고 이 건여주 1kg에 커피생두 200g을 혼합하고, 180℃에서 20분간 로스팅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여 다시 25℃에서 3시간 방치하여 숙성하였다. 그리고 이로부터 건여주만을 분리한 후, 분리된 건여주 1kg에 물 10L를 가하고, 80~100℃에서 8시간 추출하고, 여과,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여주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커피생두의 혼합시 껍질을 제거한 마름열매 200g도 함께 투입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스테비아 분말을 혼합하지 않았다.
(시험예 1)
시료의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는바, 남녀 성별 구분없이 20~70대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그리고 상기 관능검사는 10점 척도로 실시하였으며, 냄새, 맛, 외관 및 기호도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는 30명의 평균값으로 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1 결과
구분 냄새 외관 기호도
실시예 1 5.9 5.8 5.1 5.8
실시예 2 6.8 7.1 5.5 7.0
실시예 3 7.0 7.0 5.4 7.0
실시예 4 7.3 7.2 5.3 7.2
비교예 1 4.8 3.5 5.1 3.8
(10점 : 매우 우수, 7점 : 우수, 5점 : 보통, 1점 : 미흡)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는 비교예 1에 비하여 그 냄새, 맛, 기호도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그 외관에서는 큰 차이는 없었다.
(시험예 2)
평상 시 혈당 수치가 180~200mg/dL인 당뇨병 경계대상자 및 혈당 수치가 200mg/dL 이상인 당뇨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혈당 검사를 실시하였다. 더욱 구체적으로, 검사 대상자를 6명씩 다섯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당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중 하나의 시료를 제공한 후, 검사 대상자에게 각 시료를 하루에 100g씩 꾸준히 섭취토록 하였다.
그리고 시료의 섭취 전 및 섭취 6개월 후 공복 혈당 검사를 실시한 후, 6개월 후 혈당과 섭취 전 혈당의 차를 6명의 평균값으로 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2 결과
구분 혈당 강하(mg/dl)
실시예 1 30
실시예 2 41
실시예 3 33
실시예 4 37
비교예 1 28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는 우수한 혈당 강하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바, 각 첨가물은 여주 분말의 항당뇨 효과를 저해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실시예 2 내지 4는 여주 분말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1에 비하여 오히려 항당뇨 효과가 더 배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6)

  1. 여주(Momordica charantia L) 분말, 스테비아 분말, 말라바시금치(Malaba Spinach) 추출물 및 백향과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여주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스테비아 분말 1~6중량부, 말라바시금치(Malaba Spinach) 추출물 10~20중량부 및 백향과 껍질 추출물 10~20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여주 분말은,
    건여주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건여주와 커피생두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150~200℃에서 10~30분간 로스팅하는 단계;
    상기 로스팅된 혼합물을 20~30℃에서 1~5시간 숙성하는 단계;
    상기 숙성된 혼합물로부터 건여주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건여주에 물을 가하여 추출, 여과하고 이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건강식품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여주와 커피생두를 혼합하는 단계에서,
    마름열매를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건여주, 커피생두 및 마름열매를 1:0.1~0.3:0.1~0.3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KR1020220015953A 2022-02-08 2022-02-08 여주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KR102489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953A KR102489680B1 (ko) 2022-02-08 2022-02-08 여주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953A KR102489680B1 (ko) 2022-02-08 2022-02-08 여주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9680B1 true KR102489680B1 (ko) 2023-01-18

Family

ID=85106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5953A KR102489680B1 (ko) 2022-02-08 2022-02-08 여주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68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9759A (ja) * 1995-04-25 1996-11-05 Ikedachiyou 菱の実の香味抽出用粉体、菱の実の香味抽出方法および菱の実のリキュールの製造方法
KR20040010751A (ko) * 2001-06-21 2004-01-31 교와 핫꼬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의 제조 방법
JP2005087184A (ja) * 2003-09-12 2005-04-07 Tadashi Otake ステビア由来成分含有飲食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89292A (ko) * 2013-07-29 2014-07-14 이건종 여주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20860B1 (ko) 2014-10-21 2015-05-15 주식회사 아이웰 여주를 주원료로 한 당뇨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 제조방법
KR20160006984A (ko) * 2014-07-10 2016-01-20 주식회사 옵스 여주혼합커피의 제조방법
KR101688090B1 (ko) 2016-01-15 2016-12-2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돼지감자 추출물, 미강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여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KR20180102237A (ko) * 2017-03-06 2018-09-17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여주 액상 차의 고미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미 개선 여주 액상 차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9759A (ja) * 1995-04-25 1996-11-05 Ikedachiyou 菱の実の香味抽出用粉体、菱の実の香味抽出方法および菱の実のリキュールの製造方法
KR20040010751A (ko) * 2001-06-21 2004-01-31 교와 핫꼬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식물체 분말 함유 식물 추출물의 제조 방법
JP2005087184A (ja) * 2003-09-12 2005-04-07 Tadashi Otake ステビア由来成分含有飲食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89292A (ko) * 2013-07-29 2014-07-14 이건종 여주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06984A (ko) * 2014-07-10 2016-01-20 주식회사 옵스 여주혼합커피의 제조방법
KR101520860B1 (ko) 2014-10-21 2015-05-15 주식회사 아이웰 여주를 주원료로 한 당뇨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 제조방법
KR101688090B1 (ko) 2016-01-15 2016-12-2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돼지감자 추출물, 미강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여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KR20180102237A (ko) * 2017-03-06 2018-09-17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여주 액상 차의 고미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미 개선 여주 액상 차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6431B1 (ko) 혈당강하 효과가 있는 건강식품 조성물
KR101719241B1 (ko) 여주혼합추출물을 주재로 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US20200147166A1 (en) Health supplement food for promotion of hair growth, mitigation and alleviation of hair loss, regulation of blood glucose, and alleviation and relief of gastric disorder symptoms
KR101134542B1 (ko) 매실 추출액을 이용한 홍삼 정과 및 절편의 제조방법
KR20180137174A (ko) 발모 촉진, 탈모 완화 및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KR20030026939A (ko) 구아바잎을 주성분으로한 당뇨병치료용, 비만개선용,노화방지용차의 효과적인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건강식품
KR102404589B1 (ko) 천년초 액상액을 이용한 누룽지의 제조 방법
KR102262551B1 (ko) 닭가슴살을 이용한 죽의 제조방법 및 닭가슴살을 이용한 죽 조성물
KR100894636B1 (ko) 둥근마추출액을 함유한 음료의 제조방법
KR101788253B1 (ko) 고량강, 풀솜대 및 흑마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CN105192235A (zh) 一种罗汉果薄荷糖及其制作方法
KR102127411B1 (ko)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보호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489680B1 (ko) 여주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KR101647917B1 (ko) 초석잠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재 추출액과 밤 약술 및 그 제조방법
KR102491108B1 (ko) 홍삼 조청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홍삼 조청
KR102309486B1 (ko) 여주 및 뽕잎을 포함하는 당뇨병, 고혈압 예방 및 개선 작용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KR102466759B1 (ko) 멀꿀 함유 국수와 그 제조방법
KR100649128B1 (ko) 매실을 주재료로 한 건강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368446B1 (ko)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59991A (ko) 홍삼, 대두추출액, 대두발효추출액을 포함하는 사포닌 기능성 액상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003463B1 (ko) 아토피성 피부염 억제효능을 갖는 청국장 환(丸)의 제조방법
KR101203790B1 (ko) 머위 된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머위 된장
KR101811227B1 (ko) 구기자, 복분자,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한 면역증진, 피로회복, 생리활성 및 해독작용을 위한 조성물
KR102423746B1 (ko) 꾸지뽕과 예덕나무 및 아마란스 성분을 함유하는 음료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