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1047A -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회복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회복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1047A
KR20140081047A KR1020120150352A KR20120150352A KR20140081047A KR 20140081047 A KR20140081047 A KR 20140081047A KR 1020120150352 A KR1020120150352 A KR 1020120150352A KR 20120150352 A KR20120150352 A KR 20120150352A KR 20140081047 A KR20140081047 A KR 20140081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jujube
licorice
fatig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0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수
최금부
김태석
여익현
남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풀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풀무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풀무원
Priority to KR1020120150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1047A/ko
Publication of KR20140081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10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기자, 복분자, 산수유, 하수오, 대추, 헛개나무열매, 토사자, 감초 및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로회복 또는 면역 증강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스트레스로 인한 반응 단백질 코티솔의 농도를 신속하게 감소하게 하며, 이에 따라 피로에 의한 운동능력 저하, 면역단백질 발현 감소 등의 현상을 해소함으로써 피로회복 또는 면역증강 기능성 식품 제조에 효과적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

Description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회복용 조성물 {Health promoting composition having antifatigue and immune enhancing effects}
본 발명은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로회복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기자, 복분자, 산수유, 하수오, 대추, 헛개나무열매, 토사자, 감초 및 홍삼의 생약 추출물을 적정 성분비로 포함하여 면역증강, 피로회복 등의 공진단과 유사한 약리활성을 나타내어 면역증강 및 피로회복을 위한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가능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화와 급속한 환경의 변화 속에서 현대인들은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피로를 호소하는 사람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피로가 해소되지 않고 누적되어 만성피로가 발생하는 경우 이는 면역력 저하, 심혈관계 질환, 우울증 등을 유발함에 따라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피로는 일반적으로 작업을 할 때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상태, 항상성의 혼란이 일어나는 상태, 대뇌피질의 제지작용이 일어나는 상태 로서 육체적, 정신적 활동을 하기 위한 능력의 감소라고 정의한다. 피로라는 신호가 오면 신체는 휴양을 취하고 회복할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하나, 바쁜 현대사회에서 이와 같은 피로와 피로회복의 순환을 제대로 유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과로로 인한 피로의 축적은 만성피로를 유발하고, 만성피로는 소화성 궤양, 고혈압, 당뇨병 등의 심각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현대인의 주요 3대 사망원인인 암, 뇌졸중, 심장질환의 주요 원인으로 과로가 지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 누적된 피로를 해소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웰빙 열풍이 부각되고 있다. 이와 같은 사회적인 관심으로 효율적인 피로 회복을 위한 운동, 여가 활동 뿐만 아니라 과학적인 식품섭취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천연물 유래 피로개선 소재 및 식품을 개발하고자 하는 많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Larson RA, Phytochemistry, 27, pp969-978, 1988).
이에 본 발명에서는 식품으로서 안전성을 바탕으로 약리 효과를 갖는 새로운 배합의 생약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구기자, 복분자, 산수유, 하수오, 대추, 헛개나무열매, 토사자, 감초 및 홍삼의 생약 추출물을 적정 성분비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피로회복, 면역력 증진 등의 효과를 나타내며 액상, 또는 환제로 제조시 관능이 우수함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피로회복의 속도를 증진시키며 면역력을 높이는 기능을 나타내는 천연물질을 탐색하는 연구를 수행한 결과, 구기자, 복분자, 산수유, 하수오, 대추, 헛개나무열매, 토사자, 감초 및 홍삼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섭취하는 경우 피로회복 속도가 현저히 증가하며 면역 활성이 높아지는 것을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기자, 복분자, 산수유, 하수오, 대추, 헛개나무열매, 토사자, 감초 및 홍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회복 또는 면역력 증강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기자, 복분자, 산수유, 하수오, 대추, 헛개나무열매, 토사자, 감초 및 홍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로회복 또는 면역력 증강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구기자는 가지과에 속한 구기자나무 또는 기타 독속식물의 성숙한 과실로 carotene 3.39mg%, vitamin B1 0.23mg, riboflavine 0.33mg%, nicotinic acid 1.7mg%, ascorbic acid 3mg%가 함유되어 있다. 또한 -sitosterol, linoleic acid도 분리되었다.
복분자는 산기슭에서 자라는 장미과 산딸기속에 속하는 갈잎떨기나무로 안토시아닌, 비타민C, 탄닌 성분을 가지고 있어 항암효과, 항산화효과를 지녀 각광을 받고 있다.
산수유는 층층나무과에 속한 낙엽소교목인 산수유나무의 성숙한 열매를 건조한 것으로, Verbenalin, Saponin, Tannin, Ursolic acid 및 Vit A가 함유되어 있다.
하수오는 중국이 원산지인 약초로 재배하는 여러해살이 덩굴식물이다. 학명은 Pleuropterus multiflorus 이다. Anthraquinone 화합물인 Emodin, Chrysophanol, Rhein, Physcion 등이 함유되어 있다.
대추는 단백질, 당류, 유기산, 점액질, 비타민 A, B, C 와 칼륨, 칼슘, 인의 무기질과 비타민 B, 당분등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예로부터 대추는 쇠약한 내장의 기능을 골고루 회복시키고 전신을 튼튼하게 해 주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헛개나무열매는 갈매나무과에 딸린 낙엽큰키나무인 헛개나무의 열매로 최근 헛개나무열매룰 활용한 소재가 간 건강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을 식약청으로부터 인정받아 개별인정형으로 등록되어 있다.
토사자는 메꽃과에 속하는 일년생 기생성 덩굴풀인 새삼(Cuscuta japonica Choisy)의 여문 씨를 말린 것이다. 토사자는 각지의 산기슭과 길섶에서 자라며 주로 콩과식물, 국화과식물에 붙어 산다. 맛은 달고 매우며 성질은 평하다. 토사자 등 한방에서 강장(强壯).강정(强精)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감초는 글리시리진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동의보감>에는 '감초는 5장6부의 한열(寒熱)과 사기(邪氣)를 다스리며 눈 코 입 귀와 대소변의 생리를 정상으로 되게 하고 모든 혈맥을 소통시키며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영양 상태를 좋게 할 뿐만 아니라, 모든 약의 독성을 해독하고 72가지 석약(石藥)과 1200가지 초약(草藥)을 서로 조화하여 약효를 잘 나타나게 하므로 별명을 국노(國老)라 한다.'고 적혀 있다. 국로라는 말은 나라의 원로라는 뜻이며 감초는 약 가운데 원로라는 뜻이다.
홍삼(紅蔘)은 한약의 일종으로, 인삼 Panax ginseng C. A. Meyer (두릅나무과 Araliaceae)의 뿌리를 찐 것이다. 의약품으로 이용시, 홍삼은 정량할 때 환산한 건조물에 대하여 진세노사이드 Rg1 (C42H72O14 : 801.01) 0.10 % 이상 및 진세노사이드 Rb1 (C54H92O23 : 1109.29) 0.20 % 이상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피로회복 및 면역증강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구성성분의 함량은 구기자 5~25질량비, 복분자 5~25질량비, 산수유 5~25질량비, 하수오 5~25질량비, 홍삼 5~25질량비, 대추 5~25질량비, 헛개나무열매 5~25질량비, 토사자 5~25질량비, 감초 5~25질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구기자 16.67질량비, 복분자 16.67질량비, 산수유 16.67질량비, 하수오 16.67질량비, 홍삼 10.67질량비, 대추 6.0질량비, 헛개나무열매 5.55질량비, 토사자 5.55질량비, 감초 5.55질량비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피로회복 및 면역증강용 조성물은 상기한 구성성분비를 가질 때,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도 최적의 피로회복, 면역증강 효과를 나타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액상 또는 환제로 제공될 때, 상기한 구성성분비를 가지는 경우 관능이 우수하여 취식성이 높은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피로회복 및 면역 증강용 조성물은 상기에 기재된 조성비를 갖도록 혼합된 한약재를 분쇄하여 얻은 한약재 분말을 8~10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는 1단계 및 농축하는 2단계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그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다른 생약재 또는 그의 추출물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방법으로 추출한 생약재 추출물을 첨가하거나, 다른 생약재를 혼합한 후 상기 방법으로 추출하여 식품에 함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스트레스로 유발된 Cotrisol 농도 증가, 피로의 증상인 운동능력 저하, 면역력 저하를 개선시키는 효능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효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생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화학적 합성 의약보다 극히 적다.
구기자, 복분자, 산수유, 하수오, 대추, 헛개나무열매, 토사자, 감초 및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피로회복 또는 면역증강 효능은 본 발명에서 최초로 공개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기자, 복분자, 산수유, 하수오, 대추, 헛개나무열매, 토사자, 감초 및 홍삼 추출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로회복 또는 면역력 증강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스트레스로 인한 피로를 감소시키며, 피로의 주요 증상인 Cortisol 농도 증가, 운동능력저하, 외부저항력 감소를 신속하게 회복시켜주며, 다양한 면역단백질의 분비량을 증가시켜 피로회복 또는 면역력 증강 활성이 있는 기능성 식품 제조에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성물 및 개별 한약재가 항산화 효소의 일종인 Catalase에 미치는 효과 비교를 통한 시너지 작용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대조군의 조성물을 섭취한 후 스트레스를 가한 후 변화하는 혈중 Cotrisol (실험동물 Corticosterone) 농도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대조군의 조성물을 섭취한 후 스트레스를 가한 후 강제수영을 시킨 다음 관찰한 변화하는 유영시간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대조군의 조성물을 섭취한 후 스트레스를 가한 후 변화하는 비장 내 면역단백질 사이토카인 IL-6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조
구기자, 복분자, 산수유, 하수오, 대추, 헛개나무열매, 토사자, 감초 및 홍삼을 음건하고 세절하여 구기자 16.67질량비, 복분자 16.67질량비, 산수유 16.67질량비, 하수오 16.67질량비, 홍삼 10.67질량로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의 총 무게의 10배의 증류수를 가하고 8~10시간 동안 끓여 열수 추출하였다. 상기 열수 추출물을 여과 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였다.
<실시예 2>
근육세포에 있어서 항산화 활성 효과 실험
랫드 유래 근육 세포주 L6 세포는 5% CO2 와 37로 유지하였으며, 페니실린(100 units/ml), 스트렙토마이신(100/ml) 등의 항생제와 10% 태아 소 혈청이 들어 있는 둘베코 변성 이글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로 배양한다. 배양된 근육 세포주 L6 세포를 24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또한 동시에 구기자, 복분자, 산수유, 하수오, 대추, 헛개나무열매, 토사자, 감초, 홍삼 200 ug/ml 및 동일한 200 ug/ml 농도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24시간 공동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 내의 Catalase의 활성도는 Hugo Abei의 방법에 따라 catalase 효소에 의해 H2O2가 H2O와 O2로 분해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0.1 M potassium phosphate buffer에 19mM H2O2인 반응액에 효소액을 가하여 20 240nm에서 흡광도의 변화를 3분간 10초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Catalase의 활성도는 1분 동안에 1mmol의 H2O2를 분해시키는 효소의 양을 1unit로 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무처리 대조군의 catalase 활성은 5.5unit이였으며, 구기자 처리군은 5.7unit, 복분자 처리군은 5.9unit, 산수유 처리군은 6.6unit, 하수오 처리군은 6.1unit, 대추 처리군은 5.9unit, 헛개나무열매 처리군은 6.1unit, 토사자 처리군은 6.1unit, 감초 처리군은 5.8unit, 홍삼 처리군은 7.2unit으로 측정되었다. 생약재 혼합 추출물 처리군은 catalase 활성이 15.6unit으로 나타나 개별 한약재 처리에 비해 유의적인 수준의 시너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3>
항피로 효과 실험
<3-1> 실험동물의 준비 및 사육
상기 체중 302g의 ICR계 마우스(두열바이오텍, 대한민국)를 분양 받아 201의 온도 조건 및 553%의 습도 조건에서 명암주기를 12시간(light/dark cycle)으로 1주간 적응시킨 후 실험동물을 각 8마리씩 실험군을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실험군 1(스트레스 비유발군, 이하 Normal 표시), 실험군 2(스트레스 유발 대조군, 이하 Control 표시), 실험군 3(생약재 추출물 0.5g/60kg), 실험군 4(생약재 추출물 1g/60kg) 시험물질은 1회/1일 총 10일간 경구투여하였다.
<3-2> 스트레스 유발에 따른 코티솔 분비 확인
투여 종료일에 사육한 실험군 2 내지 4의 생쥐를 대상으로 강제수영시험을 실시하여 스트레스 반응에 의하여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는 대표적인 단백질인 Cortisol (실험동물은 Corticosterone)을 측정하였다. 콩팥 위에 있는 부신에서 만들어지는 코티솔(Cortisol, 실험동물은 Corticosterone)은 급성 스트레스에 반응해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스트레스를 받은 직후 코티솔의 분비가 유의성 있게 증가하므로 이를 낮춤으로써 항스트레스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실험동물을 실험 시작 16시간 전부터 안정된 상태로 사육조건 유지한 후, 스트레스를 유발하기 위해 5시간동안 플라스틱 튜브 (D3 x L7cm)에 감금하였다. 실험 종료 후 실험동물을 해부하여 혈액을 채취하여 Corticosterone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속스트레스 직후 Corticosterone 농도가 Normal의 Corticosterone 혈중 농도 23.1ng/ml에 비해 6배 이상 증가한 133.5ng/ml이였으며, 대조군에 비해 생약재 추출물 0.5g/60kg은 104.9ng/ml, 생약재 추출물 1g/60kg은 52.0ng/ml로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p<0.05 Normal vs Control, *p<0.05 Control vs 생약재 투여군). 생약재 추출물 투여군은 대조군의 Corticosterone 농도에 비해 농도별로 각각 약 21%, 61%의 감소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결과를 통해 생약재 추출물이 스트레스로 유발된 코디솔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피로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3-3> 스트레스 유발에 따른 유영시간 연장 확인
투여 종료일에 사육한 실험군 2 내지 4의 생쥐를 대상으로 강제수영시험을 실시하여 대표적인 피로의 현상인 유영시간 감소를 측정하였다. 스트레스 자극에 의한 일반 운동의 활성 감소는 기능성 식품의 스트레스 완화 기능성 평가를 위한 기준으로 사용되어지고 있음에 대해 건강기능식품 시헙법 가이드 16.수면촉진 및 스트레스 완화편에 서술되어 있다. 따라서 스트레스 개선 효능이 있는 식품의 섭취군은 대조군에 비해 운동활성, 즉 유영시간이 증가될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동물을 실험 시작 16시간 전부터 안정된 상태로 사육조건 유지한 후, 아크릴 플라스틱 수조(70cm 70cm 60cm) 내에 25의 물을 약 70% 정도 넣고, 수조에서 유영하게 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트레스 비유발 Normal군은 평균 유영시간이 6:11이며, 스트레스 유발 대조군은 유영시간이 1:16으로 약 79% 감소함으로써 스트레스로 인한 운동활성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생약재 추출물 0.5g/60kg, 1g/60kg 섭취군은 농도 의존적으로 유영시간이 증가하여 각각 4:09, 2:25로 나타났으며, 대조군에 비해 32%, 61% 증가한 수준인 것을 알 수 있다(#p<0.05 Normal vs Control, *p<0.05 Control vs 생약재 투여군).
이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이 피로로 인한 신체반응인 운동활성 감소를 유의적으로 개선시키고 유영시간 연장효과를 관찰함으로써 피로회복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3-3> 비장 조직내 사이토카인 IL -6 발현 측정
상기 <실시예 3-2>에 따라 실험을 진행 후 12시간 이상 절식시키고 나서 복부를 절개한 다음, 혈액을 채취하여 -70에서 보관하였다.
사이토카인 발현 정도의 측정을 위해 비장 조직을 RIPA buffer(엘피스바이오텍, 한국)을 이용하여 분쇄한 후 대표적은 사이토카인 IL-6를 각각 상용적인 분석키트인 IL-6 assay kit (Thermo SCIENTIFIC, Catalog No. EM2IL6, 미국)을 이용하여 kit 메뉴얼에 따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이토카인 IL-6는 스트레스 비유발군 Normal, 즉 정상군은 41.2pg/ml이며, 스트레스 유발 대조군은 28.4pg/ml로 약 30%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생약재 추출물 0.5g/60kg, 1g/60kg 섭취군은 농도 의존적으로 사이토카인 IL-6의 발현이 정상 수준으로 회복하여 33.1pg/ml, 36.5pg/ml로 측정하였다 (#p<0.05 Normal vs Control, *p<0.05 Control vs 생약재 투여군).
상기 결과와 같이, 생약재 추출물 투여시 면역학적 단백질인 사이토카인 IL-6의 발현이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는 것을 통해 생약재 추출물이 피로 누적에 따른 면역력 감소를 해소함으로써 면역력 증강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 조제예 1>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의 제조
Figure pat00001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 조제예 2>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친수성(O/W형) 연고
Figure pat0000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친수성 연고를 제조하였다.
< 조제예 3>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음료의 제조
Figure pat00003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Claims (6)

  1. 구기자, 복분자, 산수유, 하수오, 대추, 헛개나무열매, 토사자, 감초 및 홍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 회복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기자, 복분자, 산수유, 하수오, 대추, 헛개나무열매, 토사자, 감초 및 홍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력 증강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기자, 복분자, 산수유, 하수오, 대추, 헛개나무열매, 토사자, 감초 및 홍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 및 운동 능력 증강용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기자, 복분자, 산수유, 하수오, 대추, 헛개나무열매, 토사자, 감초 및 홍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물, 탄소수 1~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기자, 복분자, 산수유, 하수오, 대추, 헛개나무열매, 토사자, 감초 및 홍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각각 5~25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추출물은 음료, 제환, 캡슐, 바, 현탁액, 유제품, 겔, 크림, 로션, 비누, 중에서 선택된 제형을 갖는 한약추출 조성물
KR1020120150352A 2012-12-21 2012-12-21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회복용 조성물 KR201400810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352A KR20140081047A (ko) 2012-12-21 2012-12-21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회복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352A KR20140081047A (ko) 2012-12-21 2012-12-21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회복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047A true KR20140081047A (ko) 2014-07-01

Family

ID=51732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0352A KR20140081047A (ko) 2012-12-21 2012-12-21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회복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104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72433A (zh) * 2016-08-31 2018-03-09 江苏康缘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缓解体力疲劳、增强免疫力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610163B1 (ko) * 2023-05-22 2023-12-05 (주)티에스커뮤니티 흑하랑상추 분말을 포함하는 수면개선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72433A (zh) * 2016-08-31 2018-03-09 江苏康缘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缓解体力疲劳、增强免疫力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610163B1 (ko) * 2023-05-22 2023-12-05 (주)티에스커뮤니티 흑하랑상추 분말을 포함하는 수면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73517B2 (ja) 成年女性、高齢者及び亜健康状態の人々に適用できる健康保持製品組成物
KR100939906B1 (ko) 한방 추출액을 이용한 어류 양식용 사료첨가제
CN107853517B (zh) 一种提神抗疲劳的中药饮料及其制备方法
CN107212401A (zh) 缓解体力疲劳的组合物及其制剂和制备方法
CN102430038A (zh) 一种提高血睾酮的组合物,含其制剂及其制备方法
CN100579545C (zh) 一种具有改善睡眠、美容功效的保健酒及其制备方法
Mao-ye et al. Effects of Plantago major L. seeds extract on endurance exercise capacity in mice
CN108813501B (zh) 具有清热润肺止咳化痰平喘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CN103637218A (zh) 一种保健蜂蜜及其制备方法
CN106520426A (zh) 一种缓解体力疲劳的女性保健酒
KR20140081047A (ko)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회복용 조성물
CN106722258A (zh) 一种虾青素阿胶糕及其制备方法
KR101028073B1 (ko) 혈액순환을 개선하여 신체 각 부위를 활성화 시키며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작용 및 기전을 가진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N110772456B (zh) 一种神秘果叶复合物及在抗黑色素形成产品中的应用
CN106509900A (zh) 一种松露保健品
CN103520302A (zh) 一种沙棘叶抗疲劳胶囊及其制备方法
KR101381277B1 (ko) 홍삼을 함유하는 고장초 겔
CN102524490A (zh) 美人香体制品及其制备方法
KR20000037815A (ko) 생약재를 함유한 건강식품
CN105901722A (zh) 一种预防老年痴呆症的南极磷虾油保健胶囊
KR100955826B1 (ko) 염증질환 개선 및 완화용 환제 건강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04406A (ko) 기능성분 함량 증진 효과가 있는 가시오가피 줄기 추출 방법 및 조성물
CN105961975B (zh) 一种含有小球藻生长因子的功能饮料及其制备方法
CN104171786A (zh) 一种行气通便蜜
CN109287916A (zh) 一种短梗五加提取液及其饮料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