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7927A - 태블릿 컴퓨터를 수납하기 위한 하우징 - Google Patents

태블릿 컴퓨터를 수납하기 위한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7927A
KR20140037927A KR1020147000898A KR20147000898A KR20140037927A KR 20140037927 A KR20140037927 A KR 20140037927A KR 1020147000898 A KR1020147000898 A KR 1020147000898A KR 20147000898 A KR20147000898 A KR 20147000898A KR 20140037927 A KR20140037927 A KR 20140037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member
upper member
housing
protective housing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0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2548B1 (ko
Inventor
그레이 레이너
Original Assignee
트리프로그 디벨롭먼츠,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22638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03792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트리프로그 디벨롭먼츠, 인크. filed Critical 트리프로그 디벨롭먼츠, 인크.
Publication of KR20140037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8Carrying enclosures containing additional elements, e.g. case for a laptop and a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02Containers; Seals
    • H01L23/10Containers; Sea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arrangement of seals between parts, e.g. between cap and base of the container or between leads and walls of the contain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04M1/035Improv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by means of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housing, e.g. ribs, walls, resonating chambers or cav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1Hermetically-sealed casings sealed by a gasket held between a removable cover and a body, e.g. O-ring, p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3Protecting arrangement for the entire housing of the compu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기를 수용하기 위한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기기가 하우징 내에 장착됨에 따라, 예컨대, 충격 및/또는 액체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우징은 당해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해 탈착가능하게 함께 커플링될 수 있는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는 각각 주연부를 포함한다. 주연부는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뿐만 아니라 대향하는 측면들에 의해 형성된다.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는,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의 주연부를 따라 연장하며 잠금 콤브 또는 쐐기 특징부와 같은 제 3 걸쇠 메커니즘에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는 각각의 걸쇠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걸쇠 메커니즘들은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를 서로 커플링함으로써, 예컨대, 충격 방지 및/또는 수밀 시일로 하우징을 밀봉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태블릿 컴퓨터를 수납하기 위한 하우징{HOUSING FOR ENCASING A TABLET COMPUTER}
관련 출원의 교차 참조
본원은 "태블릿 컴퓨터를 수납하기 위한 하우징"이라는 명칭으로 2011년 6월 13일자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번호 제61/496,503호와, "태블릿 컴퓨터를 수납하기 위한 하우징"이라는 명칭으로 2011년 6월 15일자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번호 제61/497,479호를 35 U.S.C.§119(e) 하에서 우선권 주장하며, 이 가출원들의 전체 개시 사항들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통합되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요소들, 혹사 및/또는 기타 부적절한 취급으로부터 보호가 필요한 물체와 같은 하나 이상의 물체를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전자 기기와 같은, 예컨대, 디지털 태블릿 컴퓨터 등 모바일 컴퓨터와 같은, 기기 자체 또는 기기의 하나 이상의 부품들을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먼지, 진흙, 비, 눈 및 모든 형태의 물은 다양한 물체를 손상시킬 수 있다. 또한, 취약하거나 파손 가능성이 있는 물체는 혹사 및/또는 기타 부적절한 취급으로 인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악천후, 혹사 및/또는 부적절한 취급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보호가 필요한 물체를 내부에 수납할 수 있는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 유용하다. 그러한 보호가 필요한 물체의 유형은, 예컨대, 모바일 컴퓨터, 디지털 태블릿 컴퓨터, 개인 휴대 단말기(PDA), 전자 리더기, 휴대 전화 기기 등의 전자 기기이다.
구체적으로, 데스크탑 컴퓨터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모바일 컴퓨터도 공지되어 있으며, 흔히 메모리 및/또는 처리 능력이 작기는 하지만, 표준 데스크탑 컴퓨터와 동일한 일반적인 기능을 모두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디지털 컴퓨터는 워드 프로세싱 작업, 스프레드 시트 생성, 파워 포인트 생성을 수행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모바일 광대역 연결성을 갖는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도의 처리 능력을 가질 필요가 없으며, 워드 프로세싱, 스프레드 시트 생성, 및 파워 포인트 생성과 프리젠테이션 등 통상의 데스크탑 및/또는 모바일 랩탑 컴퓨터에서 흔히 실행되는 많은 프로그램을 채용할 필요가 없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대역 인터넷 연결성과 아울러, 적당한 처리 능력과 메모리가 필요할 뿐이다. 따라서, 모바일 디지털 태블릿 컴퓨터와 컴퓨팅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가 개발되어 왔다.
모바일 디지털 태블릿 컴퓨터들은 그들의 상대인 데스크 및 랩탑 컴퓨터와 동일한 기본 기능을 제공하지만, 통상적으로, 워드 프로세싱 등이 적을 뿐만 아니라 처리 능력과 메모리가 작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자 메일을 수신하고 전자 책 등의 전자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능력과 아울러 인터넷 연결성이 필요할 뿐이다. 이러한 기능은, 선천적으로 얇고 경량으로 설계된 태블릿 스타일 컴퓨터와 심지어 그러한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에 완벽하게 어울린다. 따라서, 모바일 디지털 태블릿 컴퓨터와 컴퓨팅 전화(computing telephones)가 일반 사용자에게 점점 더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태블릿 컴퓨터 및 컴퓨팅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와 관련하여, 그러한 전자 기기들은 공지되어 있으며 널리 사용되고 있다. 태블릿 컴퓨터와 컴퓨팅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는, 인터넷에 계속 접속할 수 있도록 하고, 전자 책을 쉽게 읽을 수 있게 하며, 사람들이 전통적인 일반 전화(telephone landlines)를 떠나 활동하면서, 예컨대, 전화, 전자 메일 및/또는 다양한 소셜 미디어 양식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편리한 도구인 전자 기기이다. 예컨대, 모바일 태블릿과 전화 기기는 사람들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하고, 책이나 영화를 다운로드하여 읽거나 볼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음성, 문자 메시지,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인스턴트 메시징(IM), 소셜 미디어 양식 등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전자 리더기는 태블릿 컴퓨터와 유사한 기기이지만, 훨씬 더 제한된 컴퓨팅 기능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다양한 인쇄 매체를 쉽게 저장하고, 보고, 읽을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태블릿 컴퓨터, 휴대 전화, 전자 리더기들은 휴대가능하며 사용이 편리하기는 하지만, 몇 가지 단점들로 인해 곤란을 겪고 있다. 예컨대, 이들은 흔히 고가이며, 악천후 및/또는 취급 부주의로 인해 손상되기 쉬운 취약한 전자 부품들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휴대용 태블릿 컴퓨터, 휴대 전화 또는 전자 리더기와 같은 물체를 악천후 및/또는 잘못된 취급 및/또는 물과 같은 유체, 먼지, 진흙 등과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기타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 당업계에 필요하다. 본 발명은, 불리한 환경 조건, 악천후, 취급 부주의 및/또는 손상으로부터, 예컨대, 물과 같은 유체와의 접촉으로부터 기기를 보호하는 방식으로, 태블릿 컴퓨터, 휴대 전화 또는 전자 리더기와 같은 물체 및/또는 그 부품들을 수용 또는 수납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과 아울러, 그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시스템도 제공된다.
일 양태에서, 물체를 수납하기 위한 하우징이 제공된다. 상기 물체는 하나 이상의 불리한 환경 조건, 악천후, 취급 부주의 및/또는 손상으로부터, 예컨대, 물과 같은 유체와의 접촉으로부터 보호가 필요한 임의의 물체일 수 있다. 상기 물체는 기기, 예컨대, 전자 기기일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자 기기가 내부에 수용되는 케이싱일 수 있고; 또는 상기 물체는 상기 기기, 예컨대, 상기 전자 기기를 구성하는 단일의 부품 또는 다수의 부품들일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자 기기의 외부 경계, 예컨대, 케이싱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예컨대, 불리한 환경 조건 및/또는 혹사로부터, 물체를 수용하여 보호할 수 있는 한, 임의의 적절한 크기와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있어서, 수용되는 물체는, 예컨대, 태블릿 컴퓨터, 휴대 전화, 전자 리더기, 개인 휴대 단말기, 전자/디지털 카메라 등의 모바일 컴퓨팅 및/또는 디스플레이 기기와 같은 전자 기기이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자 기기를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어떤 실시예들에 있어서, 수용되는 물체는 컴퓨팅 및/또는 전화 통화 송수신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함께 기능하도록 구성된 전자 부품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예컨대, 복수의 전자 부품들이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자 부품(들)을 수용하면서도 이들을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전자 기기가 태블릿 컴퓨터 또는 휴대 전화 등인 경우, 상기 부품들은 상기 태블릿 컴퓨터 또는 전화 기기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기기가 적절한 방식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부품들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은, 부품들을 통상적으로 수용하는, 태블릿 컴퓨터, 휴대 전화 등의 실제 하우징일 수도 있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액체 침투 방지(liquid proof) 및/또는 충격 방지(shock proof)되도록 후술하는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컨테이너가 제공되며, 상기 컨테이너는 전자 기기와 같은 기기, 예컨대, 모바일 태블릿 스타일 컴퓨터, 휴대 전화, 전자 리더기, 개인 휴대 단말기, 전자/디지털 카메라, 무선 호출기 등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간명함을 위해, 용어 "태블릿 컴퓨터"의 사용은 다양한 컴퓨팅 기능을 가진 그러한 모든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모바일 태블릿 컴퓨터, 휴대 전화, 전자 리더기, 개인 휴대 단말기, 전자/디지털 카메라, 무선 호출기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용어 "태블릿 컴퓨터"와 그 어원의 사용은, 문맥상 다르게 명시되지 않으면, 컴퓨팅 기능을 가진 이 기기들 중 임의의 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다양한 경우들에서, 상기 컨테이너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기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은 특정 기기, 즉 모바일 태블릿 컴퓨터 기기를 수용하기 위한 특정 컨테이너의 형상 및 크기에 대한 설명과 관련하여 기술되어 있지만, 컨테이너 및/또는 물체, 예컨대, 태블릿 기기의 형상, 크기 및/또는 구조는, 예컨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일 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와 같은 기기, 예컨대, 태블릿 컴퓨터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이 제공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기기가 하우징 내부에 장착됨으로써 보호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어떤 경우들에서,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해 탈착가능하게 함께 커플링될 수 있는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경우들에서, 상기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는 분리가능하게 함께 커플링될 수 있는 별도의 부품들이다. 다른 경우에서, 단일의 부품이 상기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를 모두 형성하며, 그러한 경우, 상기 단일의 부품은 그 자체가 절첩된 후 일체로 함께 커플링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은 커플링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커플링 메커니즘은, 상부와 하부가 2개 이상의 별도의 개별 부재들이든, 2개 이상의 별개의 부분들을 가진 단일 부재이든, 하우징의 상부 및/또는 하부를 커플링하거나, 교합(mate)하거나, 연결하거나, 당접하도록 집합적으로 기능하는 임의의 다수의 부품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커플링 부재는 상부 부재 부분을 하부 부재 부분과 커플링하거나, 교합하거나, 연결하거나, 당접하는 어느 것 또는 모든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플링 부재는 상부 부재 부분과 하부 부재 부분 사이에 개재되는 주변 부재(peripheral member) 또는 경계(border)와 같은 임의의 개재 부재(intervening member)를 포함할 것이다.
어떤 특수한 경우들에서, 상기 커플링 메커니즘은 걸쇠 메커니즘(clasping mechanism)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 부재 부분과 하부 부재 부분은 걸쇠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걸쇠 메커니즘은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를 함께 커플링함으로써 액체 침투 방지 시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걸쇠 메커니즘은 대응하는 미국 특허 출원번호 제13/272,156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임의의 적당한 걸쇠 메커니즘일 수 있으며, 이 출원은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통합되었다. 예를 들면, 상기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는, 예컨대, 방수 및/또는 충격 방지 방식으로, 상부 부재 부분과 하부 부재 부분을 함께 커플링하는 방식으로, 서로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개별 걸쇠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서, 상기 상부 부재 부분은 제 1 걸쇠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부 부재 부분은 제 2 걸쇠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걸쇠 부재들은 상부 부재 부분과 하부 부재 부분을 함께 커플링하는 방식으로 서로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제 3 부재, 예컨대, 잠금 요소(locking element)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는, 당해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를 방수 밀봉으로 함께 커플링하기 위해 상기 제 3 부재, 예컨대, 잠금 요소와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걸쇠 메커니즘의 일부로서 잠금 요소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잠금 요소는 상기 상부 부재 부분과 하부 부재 부분의 걸쇠 부재들이 함께 커플링되는 것을 도움으로써 상기 상부 부재 부분과 하부 부재 부분을 제 위치에 잠금하는 기능을 하도록 구성된다. 어떤 경우들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잠금 요소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 부재, 콤브(comb) 부재, 쐐기 부재, 볼트 너트 부재, 볼 조인트 부재, 힌지 부재, 외부 걸쇠 및/또는 래칭(latching) 부재 등일 수 있다. 어떤 경우들에서, 상기 제 3 부재, 예컨대, 잠금 부재는 하나 이상의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또는 상기 제 1 및 제 2 걸쇠 부재들 대신 채용될 수 있다.
어떤 경우들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부재 부분은 걸쇠 부재, 예컨대, 제 1 걸쇠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부 부재 부분은 대응하는 걸쇠 부재, 예컨대, 제 2 걸쇠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경우에서, 상기 상부 부재 부분과 하부 부재 부분의 해당 걸쇠 부재들은 상부 부재 부분과 하부 부재 부분을 견고하게 함께 커플링함으로써 견고한 액체 침투 방지 및/또는 충격 방지 하우징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서로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의 걸쇠 부재들은 서로 함께 커플링됨으로써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 사이에 액체 침투 방지 및/또는 충격 방지 시일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경우들에서, 본 발명의 하우징은,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를 형성할 수 있는, 적어도 상부와 하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는 동일한 부재의 두 부분들이거나 별도의 개별 부재들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 중 하나 또는 모두는 주변부 또는 주연부(perimeter portion)에 의해 둘러싸인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front and back surface member)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경우들에서는,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가 주변부, 예컨대, 주연부를 단순히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의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가 포함되지 않거나 그 자체의 고유한 요소로서 별도로 제공된다. 그러나, 모든 경우에 있어서, 주연부는 포함된다. 주변부, 예컨대, 주연부는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와 아울러 대향하는 측부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주변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부, 중간 및 외부 주연부와 같은 복수의 주연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양태에서,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기기와 같은 전자 기기를 위한 보호 하우징이 제공된다. 이러한 전자 기기는, 태블릿 컴퓨터, 휴대 전화, 전자 리더기, 개인 휴대 단말기, 무선 호출기, 전자/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태블릿 컴퓨팅 기기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이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기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는 대화형 평판 터치 감응 제어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같은 대화형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 스크린, 예컨대, 용량성 및/또는 촉각성 입력 기능을 가진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같은 스크린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는 터치 또는 터치하는 모습에 감응하는, 스크린 또는 그 일부분의 홀로그래픽 표상일 수 있다.
상기 보호 하우징은 상부 부재 부분과 하부 부재 부분을 적어도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상기 하부 부재 부분은 전자 기기의 적어도 제 1 부분, 예컨대, 전자 기기의 하부를 수용하거나, 둘러싸거나, 유지하거나, 내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호 하우징은 상부 부재 부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부재 부분은 전자 기기의 적어도 제 2 부분, 예컨대, 터치 감응 전자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기기의 부분과 같은 전자 기기의 상부를 수용하거나, 둘러싸거나, 유지하거나, 내포하도록 구성된다.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가 전자 기기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현재 기술하고 있으나,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는 전자 기기의 하부에 포함될 수 있으며, 그러한 구성에 부합하는 변경이 보호 하우징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보호 하우징의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는,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에 대한 터치 액세스를 허용하기 위해, 상기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는 내부 에지를 가질 수 있다. 문맥상 다르게 명시되지 않으면, 이러한 터치 액세스는 직접 또는 간접 터치 액세스일 수 있다.
이러한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가 전자 기기, 예컨대, 태블릿 컴퓨팅 기기의 일부로서 제공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의 (전자 기기 내에서 또는 위에서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들)이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의 주변부는 수용되는 전자 기기의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 및/또는 에지들과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의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가 필요하지 않은 방식으로, 상기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의 주변부가 구성될 수 있다. 그 대신, 전자 기기의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의 일부분, 예를 들면, 스크린 부분이나, 전자 기기의 다른 상부 또는 하부가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의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부 및/또는 하부 주변부가 그와 함께 액체 침투 방지 및/또는 충격 방지 시일을 생성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는,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의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가 필요하지 않은 방식으로, 그 주변부가 수납되는 전자 기기의 배면 및/또는 에지들과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대신, 전자 기기 자체의 표면이 이 기능을 제공하고, 상부 및/또는 하부 주변부가 그와 함께 액체 침투 방지 및/또는 충격 방지 시일을 생성하며, 기기에 대한 충격 방지 보호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하우징은 전자 기기의 제 1 및 제 2 부분들, 예컨대, 하부와 상부를 수용하기 위해 상부 부재를 하부 부재와 커플링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커플링 메커니즘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경우들에서, 상기 커플링 메커니즘은 상부 부재를 하부 부재와 밀봉하는 기능을 하고,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의 내부 에지를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에 근접한 영역(예컨대,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의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가 제공되지 않은 개소)과 밀봉하는 기능을 더 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경우들에서, 커플링 메커니즘은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 사이에 제 1 시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시일은, 예컨대, 상부 부재가 하부 부재와 커플링될 때, 하부 부재와 상부 부재의 외부 주변부 사이에 적어도 제 1 액체 침투 방지 및/또는 충격 방지 시일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러 특수한 경우들에서, 상기 제 1 시일은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 중 하나 또는 모두의 외부 주변부에 근접하여 제공된다.
어떤 경우들에서, 상기 커플링 메커니즘은, 예컨대,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의 내부 에지와,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부분과 같이, 수용되는 전자 기기의 상부 또는 하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근접한 영역 사이에, 제 2 시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가 전자 기기의 상부 및/또는 하부의 일부분, 예컨대,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를 둘러싸는 프레임으로서만 구성되는 경우, 이러한 제 2 시일이 제공될 수 있다. 어떤 경우들에서, 이러한 제 2 시일은, 상부 부재가 하부 부재와 커플링될 때, 예컨대,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의 내부 에지와,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에 근접한 영역 사이에, 제 2 액체 침투 방지 및/또는 충격 방지 시일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보호 하우징은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의 내부 에지에 인접한 와이퍼 부분(wiper portion)과 같은 가요성 리지(ridge)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와이퍼 부분은 전자 기기의 상부 또는 하부와 내부 인터페이스에서 인터페이싱하도록 기능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인터페이스에서는 액체 또는 미립자 물질이 상기 인터페이스로 실질적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가 전자 기기를 둘러싼다.
어떤 경우들에서, 상기 커플링 메커니즘은 래칭 메커니즘과 같은 하나 이상의 걸쇠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래칭 메커니즘(들)은, 상부 부재가 하부 부재와 커플링될 때, 상부 부재의 일부분을 하부 부재의 일부분과 래칭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적당한 걸쇠 메커니즘은, 하우징의 상부 부재 부분과 하부 부재 부분의 커플링을 용이하게 하도록 기능하는 한, 임의의 적당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경우들에서, 상기 걸쇠 메커니즘은 상부 부재를 하부 부재와 커플링하기 위해 서로 함께 협력하거나 홀로 독립적으로 기능하도록 구성된 하나 또는 복수의 래칭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하우징의 래칭 메커니즘은, 상부 부재 부분과 하부 부재 부분의 커플링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한, 하우징의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를 따라 임의의 개소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래칭 메커니즘이 제공되며, 상기 제 1 래칭 메커니즘은 하부 부재의 주변부, 예컨대, 외부 주변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 2 래칭 메커니즘은 상부 부재의 대응하는 주변부, 예컨대, 외부 주변부에 제공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래칭 메커니즘들은, 상부 부재가 하부 부재와 커플링될 때, 상부 부재를 하부 부재에 걸거나 래칭하거나 커플링하기에 충분한 방식으로,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는 상기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의 주연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하는 개별 걸쇠 부재들, 예컨대, 제 1 및 제 2 래칭 메커니즘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걸쇠 부재들은 하우징의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의 서로에 대한 커플링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을, 예컨대, 액체 침투 방지 및/또는 충격 방지 시일로 밀봉하는 방식으로, 서로 및/또는 추가적인, 예컨대, 제 3 잠금 부재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상기 걸쇠 메커니즘은 하우징의 전체 주변부를 둘러싼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걸쇠 메커니즘은 하우징의 주연부를 따라 배치되지만, 전체 주연부를 둘러싸지는 않는다.
어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걸쇠 메커니즘은 완전 내부 걸쇠 메커니즘이다. "완전 내부 걸쇠 메커니즘"이란,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가 함께 커플링되어 하우징을 형성할 때, 걸쇠 메커니즘이 하우징의 내부 또는 공동을 형성하는 경계 내부에 완전히 수용됨을 의미한다. 어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걸쇠 메커니즘은 완전 외부 걸쇠 메커니즘이다. "완전 외부 걸쇠 메커니즘"이란,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가 함께 커플링되어 전자 기기가 장착되는 하우징의 공동을 형성할 때, 걸쇠 메커니즘이 하우징의 공동을 형성하는 경계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걸쇠 메커니즘 전체가 하우징의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의 외부에 배치됨을 의미한다. 어떤 실시예들에 있어서, 걸쇠 메커니즘은 하우징의 공동을 형성하는 경계에 대해 부분적으로는 내부에 배치되고 부분적으로는 외부에 배치되는 하이브리드 걸쇠 메커니즘이다.
따라서, 어떤 경우들에 있어서, 상기 주변부는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의 커플링 및/또는 밀봉을 함께 확보하도록 구성된 내부, 외부 및/또는 하이브리드 래칭 메커니즘과 같은 하나 이상의 걸쇠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쇠 메커니즘은, 예컨대, 상기 걸쇠 메커니즘이 외부 래칭 메커니즘인 경우, 하우징의 주변부에 추가된 별도의 요소일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걸쇠 메커니즘이 내부 래칭 메커니즘인 경우, 하우징의 주변부와 일체로 된 부재일 수 있고; 예컨대, 상기 걸쇠 메커니즘이 하이브리드 래칭 메커니즘인 경우,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의 주연부와 일체인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일체로 되지는 않고 함께 상호 작용하도록 추가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실시예들에 있어서, 걸쇠 메커니즘은 복수의 래칭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내부 래칭 메커니즘 및/또는 하나 이상의 외부 래칭 메커니즘 및/또는 하나 이상의 하이브리드 래칭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복수의 내부 래칭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및/또는 하나 이상의 외부 래칭 메커니즘 및/또는 하이브리드 래칭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하우징은 제 1 완전 내부 걸쇠 메커니즘, 예컨대, 하우징 내부의 전체 주연부 또는 일부를 둘러싸는 제 1 내부 걸쇠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완전 내부 걸쇠 메커니즘, 예컨대, 하우징 내부의 전체 주연부 또는 추가적인 부분을 둘러싸는 제 2 내부 걸쇠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를 보다 견고하게 함께 커플링하기 위해 추가적인 외부 또는 하이브리드 걸쇠 메커니즘이 제공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단일의 걸쇠 메커니즘이 제공된다. 예컨대,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단일의 내부, 외부 또는 하이브리드 걸쇠 메커니즘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떤 실시예들에서, 단일의 내부 걸쇠 메커니즘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걸쇠 메커니즘은 복수의 래칭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상기 래칭 메커니즘은,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가 함께 커플링될 때, 액체 침투 방지 시일이 제공됨으로써 상기 시일이 물과 같은 액체로부터 수납된 기기 또는 그 부품들을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를 함께 확실하게 잠금하기 위해 내부 걸쇠 메커니즘과 상호 작용하는 외부 잠금 요소가 포함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의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는 주변부를 적어도 포함하며, 상기 주변부로 둘러싸이는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의 주변부는 내부, 중간 및/또는 외부 주연부와 같은 복수의 주연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주변부는 다수의 다양한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내부, 중간 및/또는 외부 주연부들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고, 및/또는 개별 주변부들에 대해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외부 주연부는, 강고한 중간 주연부에 비해, 부드러운 외부 에지를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에 제공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주연부는, 강고한 중간 주연부에 비해, 부드러운 내부 에지를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에 제공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이 부드러운 에지를 가진 주연부들 중 하나 이상은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에 대해, 충격 방지 기능 및/또는 액체 침투 방지 기능과 같은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의 주연부들 중 하나 이상은 걸쇠 메커니즘의 부분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추가적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주연부가, 예컨대, 하나 또는 복수의 부드럽고 유연한 내부 및/또는 외부 에지 부재들에 의해 둘러싸인 강고한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강고한 부재는 본 발명의 걸쇠 메커니즘(들)을 집합적으로 형성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래칭 메커니즘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당한 래칭 메커니즘은 하나 또는 복수의 래칭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칭 부재는, 반대 측의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의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래칭 부재와 상호 작용함으로써, 예컨대, 액체 침투 방지 및/또는 충격 방지 밀봉으로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의 커플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한, 임의의 적당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 하우징은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의 주변부에 배치된 걸쇠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쇠 메커니즘는 내부, 외부 또는 하이브리드 래칭 메커니즘일 수 있는 제 1 및/또는 제 2 및/또는 더 많은 래칭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경우들에서, 제 1 및 제 2 래칭 부재와 같은 복수의 래칭 부재를 포함하는 래칭 메커니즘이 제공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 1 래칭 메커니즘의 제 1 래칭 부재는 하부 부재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 1 래칭 메커니즘의 제 2 래칭 부재는 하우징의 상부 부재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래칭 부재들은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를 함께 커플링함으로써 하우징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방식으로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래칭 부재들은 내부, 중간 또는 외부 주연부와 같은 주변 부재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내부, 외부 또는 하이브리드 래칭 메커니즘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 1 내부 래칭 메커니즘을 가진 제 1 걸쇠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래칭 메커니즘의 제 1 래칭 부재는 하부 부재의 외부 주변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제 1 벽체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부재의 연장된 제 1 벽체는 외면, 예컨대, 주변 부재의 외부 주연부에 당접하는 면과, 내면, 예컨대, 주변 부재의 내부에 인접한 면을 포함한다. 하부 부재의 연장된 제 1 벽체의 내면은 하우징의 상부 부재의 대응하는 요소의 대응하는 제 2 래칭 요소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캐치(catch), 리지, 그루브, 디텐트(detent), 개구, 연장된 돌출부, 탭(tab), 치형(tooth) 등과 같은 제 1 래칭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특수한 실시예에서, 상기 내면은 하부 부재의 제 1 벽체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리지 또는 그루브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래칭 메커니즘은 제 2 래칭 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제 2 래칭 부재는 상부 부재의 외부 주변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제 2 벽체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부재의 연장된 벽체는 외면, 예컨대, 주변 부재의 외부 주연부에 인접한 면과, 내면, 예컨대, 주변 부재의 내부에 인접한 면을 포함한다. 상부 부재의 연장된 벽체의 내면은 캐치, 리지, 그루브, 디텐트, 개구, 연장된 돌출부, 탭, 치형 등과 같은 제 1 래칭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면은, 상부 부재가 하부 부재와 래칭될 때, 하부 부재의 제 1 래칭 부재의 제 1 리지 또는 그루브와 맞물리도록, 상부 부재의 벽체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캐치와 같은, 리지 또는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한다.
다양한 경우들에서, 상기 보호 하우징은 추가적인, 예컨대, 제 2 래칭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래칭 메커니즘은 제 1 래칭 메커니즘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어떤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 2 래칭 메커니즘은 제 1 내부 래칭 메커니즘 부근에 배치된 제 2 내부 래칭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내부 래칭 메커니즘은, 예컨대, 하부 부재 상에, 제 3 래칭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3 래칭 부재는 제 1 내부 래칭 메커니즘의 제 1 래칭 부재 부근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2 내부 래칭 메커니즘은, 예컨대, 상부 부재 상에, 제 4 래칭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4 래칭 부재는 제 2 내부 래칭 메커니즘의 제 2 래칭 부재 부근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3 및 제 4 래칭 부재들은, 상부 부재가 하부 부재와 커플링될 때, 상부 부재를 하부 부재와 더 래칭하기 위해,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하나의 특수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래칭 메커니즘의 제 3 래칭 부재는, 하부 부재의 외부 주변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며 하부 부재의 외부 주변부의 연장된 제 1 벽체로부터 이격된 제 2 벽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벽체는 하부 부재의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제 1 채널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 1 벽체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상기 하부 부재의 연장된 제 2 벽체는 외면, 예컨대, 상기 제 1 벽체의 내면에 가장 가깝지만 그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면과, 내면, 예컨대, 하우징의 내부에 인접한 면을 포함한다. 하부 부재의 연장된 제 2 벽체는 하우징의 상부 부재의 대응하는 요소의 대응하는 래칭 요소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캐치, 리지, 그루브, 디텐트, 개구, 연장된 돌출부, 탭, 치형 등과 같은 래칭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의 특수한 실시예에서, 제 3 래칭 부재는 제 2 벽체에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디텐트들 또는 통공들을 포함한다. 제 4 래칭 부재는 하우징의 하부 부재의 대응하는 요소의 대응하는 래칭 요소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캐치, 리지, 그루브, 디텐트, 개구, 연장된 돌출부, 탭, 치형 등과 같은 래칭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 4 래칭 부재는 상부 부재의 주변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제 2 벽체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탭들 또는 치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탭들 또는 치형들은 각각, 상부 부재가 하부 부재와 커플링되어 래칭될 때, 제 3 래칭 메커니즘의 복수의 디텐트들의 통공 또는 대응하는 디텐트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다양한 경우들에서,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 중 하나 또는 모두는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의 주변부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따라 연장하는 채널과 같은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의 주변부를 따라 연장하는 채널이 포함되어 있다면, 상기 채널은 내부 주연부, 예컨대, 내부 경계 부재와, 외부 주연부, 예컨대, 외부 경계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경계 부재들은 상기 채널의 경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한다. 상기 채널은 가스켓 부재 또는 O링 등과 같은 밀봉 부재를 포함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경우들에서, 상기 채널의 기능은 밀봉 부재를 수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몇몇 경우들에서는, 채널이 포함되지 않는다. 그 대신, 가스켓과 같은 밀봉 부재가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와 커플링되거나 일체로 직접 성형된다. 따라서,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의 주변부는, 상부 부재가 하부 부재에 커플링될 때, 액체 침투 방지 및/또는 먼지 침투 방지 시일이 형성되도록, 밀봉 부재, 또는 다른 적당한 가스켓 또는 발포 밀봉 부재, 예컨대, O링 또는 가스켓 이외의 다른 형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봉 부재, 예컨대, 가스켓 부재는 주연부 전체 또는 그 일부분을 둘러쌀 수 있다. 어떤 경우들에서는, 가스켓이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의 전체 주연부를 둘러싸도록 하는 것이 특히 유용하다.
따라서, 다양한 경우들에서, 본 발명의 보호 하우징은 하부 부재의 연장된 제 1 및 제 2 벽체들로부터 형성된 채널과 같은 제 1 채널 내에 배치된 가스켓과 같은 제 1 가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은, 상부 부재가 하부 부재와 래칭될 때, 상부 부재의 주변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제 1 벽체에 당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스켓은, 상부 부재가 하부 부재와 커플링될 때,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 사이에 제 1 방수 시일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다른 경우들에서, 상기 보호 하우징은 임의의 적당한 방식으로 하우징에 커플링될 수 있는 제 2 가스켓을 포함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하우징, 예컨대, 상기 하우징의 상부 부재는 제 2 채널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채널은 제 2 가스켓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보호 하우징의 상부 부재는 주변부의 내부 에지에 인접하여 배치된 채널과 같은 제 2 채널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채널 내의 제 2 가스켓은 하우징에 대해 제 2 시일을 제공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스켓은, 상부 부재가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기기 주위에서 하부 부재와 커플링될 때,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인접한 영역에 당접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 2 채널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가스켓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가스켓은, 상부 부재가 하부 부재와 커플링될 때,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 사이에 제 2 액체 침투 방지 및/또는 먼지 침투 방지 시일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러 특수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커플링 메커니즘의 걸쇠 메커니즘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허용되는 한계를 의미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다양한 경우들에서, 상기 걸쇠 메커니즘은 볼트, 나사, 너트, 래칫(ratchet), 스냅, 버튼, 볼 리셉터클 커넥터, 리지, 돌출부, 디텐트, 오목 영역, 볼록 영역, 그루브, 개구, 통공, 홀, 탭, 치형, 탕(tang), 머쉬룸(mushroom) 스냅 등 중 하나 이상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따라서, 여러 특수한 경우들에서, 적당한 걸쇠 메커니즘은 레지(ledge) 부재, 캐치, 그루브, 치형, 통공, 스냅-치형 부재, 스냅-치형 수용 부재, 교합(interdigitated) 부재, 쐐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가 탭, 치형 또는 스냅-치형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예컨대, 반대 측 부재는 디텐트, 통공, 개구, 스냅-치형 수용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가 교합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이 부재들은 서로 교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쐐기 부재와 같은 적당한 잠금 요소에 의해 제 위치에 잠금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경우들에서,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의 해당하는 래칭 부재들은 제 3 부재, 예컨대, 잠금 요소에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잠금 요소는 커플링된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를 함께 더 잠금하는 기능을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의 걸쇠 부재들은 서로 감합(interlocking)할 수 있으며, 상기 제 3 잠금 요소는 이 걸쇠 부재들과 더 맞물려 이들을 제 위치에 보다 확실하게 잠금하고; 다른 실시예에서,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의 걸쇠 부재들은 서로 교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잠금 부재는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의 교합부들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를 제 위치에 확실히 견고하게 잠금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는 상부 및/또는 하부 표면 부재(a top and/or bottom surface member)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몇몇 경우들에서,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는 주변부의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걸쳐 있는 표면 부재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 그 대신, 주변의 주연부들과의 맞물림으로 인해, 하부의 기기가 액체 침투 방지 및/또는 충격 방지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주변의 주연부들이 수용되는 기기의 다양한 표면들과 맞물리도록 특수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들에서는, 원하다면, 상부 및/또는 하부 표면 부재가 포함될 수는 있지만, 주변부가 기기 자체와 인터페이싱하여 액체 침투 방지 및/또는 충격 방지 시일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상부 및/또는 하부 표면 부재가 필요 없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상부 및/또는 하부 표면 부재가 상부 및/또는 하부 부재와 함께 제공되지 않고, 그 대신, 주변부(들)만 제공된다.
예컨대, 하나의 특수한 실시예에서, 하우징이 제공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부 부재 부분과 하부 부재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부재 부분은 수용되는 전자 기기의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의 반대 측에 있는 상기 기기의 배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쌈으로써 상기 배면에 대한 터치 액세스를 허용하도록 구성된 주변부 또는 내부 에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커플링 메커니즘은 상기 전자 기기의 적어도 일부분에 인접한 영역으로 하부 부재의 내부 에지를 밀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예컨대, 전자 기기의 배면 부분이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와 같은 터치 특징부를 포함하는 경우, 유용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커플링 메커니즘은 상기 하부 부재의 내부 에지와 상기 전자 기기의 배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인접한 영역 사이에 추가적인 시일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의 하부 부재와 관련하여 상술하였으나,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기술된 바와 같이, 동일한 설명이 하우징의 상부 부재에 대해서도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상부 및/또는 하부 표면 부재들이 상부 및/또는 하부 주변부와 함께 제공된다. 예를 들면,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 중 하나 또는 모두는 주변부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좌측에서 우측까지 및/또는 근위 측에서 원위 측까지 걸쳐진 전면 표면 부재와 배면 표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우징의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의 전면 표면 부재와 배면 표면 부재는,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임의의 적당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주변부와 동일한 공간에 걸쳐 있거나 주변부에 인접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특수한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부재는 주변부로부터 분리되어 있지만 주변부와 커플링될 수 있는 투명 멤브레인으로 구성된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및/또는 상기 하부 부재는 주변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지만 주변부와 커플링될 수 있는 투명 또는 불투명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나일론 스크린으로 구성된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를 형성하는 동일한 부재가 주변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도 형성하도록, 하나의 유닛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및/또는 하부의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는 동일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주변부의 하나 이상의 부분들과 동일한 공간에 걸쳐 있을 수 있다. 물론, 하부 부재 및/또는 상부 부재의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가 인접하고 있는 주변부와는 다른 물질로 제조될 수도 있다.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가 주변부의 일부분으로부터 타 부분까지 걸쳐 있는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는, 사용자가 멤브레인을 터치할 때, 터치된 멤브레인의 하나 이상의 특성이 하부의 기기의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로 전달되는 방식으로, 수용된 기기의 대화형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 예컨대, 터치 스크린과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 멤브레인과 같은 멤브레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수용된 기기의 스크린을 조작할 수 있다. 명백하게,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가 포함되지 않으면, 사용자는 하부의 기기의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 또는 그 부속 커버와 직접 상호 작용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멤브레인 또는 그 일부가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의 전면 및/또는 배면 표면의 일부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될 수 있거나, 전면 및/또는 배면 표면이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의 일부로서 제공될 필요가 없다. 멤브레인과 같은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가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의 일부로서 포함되면, 멤브레인은 주변 부재의 주연부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그러한 경우, 멤브레인 부분은, 액체 침투 방지 및/또는 충격 방지 및/또는 먼지 침투 방지 시일을 주연부와 함께 유지하는 방식으로,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의 내부 및/또는 외부 주연부와 같은 주연부와 커플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부 부재의 주변부와 같은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의 주변부는, 내부 멤브레인 인터페이싱 부분을 포함하는 제 1 하위 부분(sub-portion), 예컨대, 내부 주연부와, 외부 멤브레인 인터페이싱 부분을 포함하는 제 2 하위 부분, 예컨대, 외부 주연부 같은 복수의 하위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싱 부분들은 멤브레인의 주연부의 전면 및/또는 배면 표면과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 예컨대, 멤브레인이 제공되는 경우, 멤브레인의 배면이 내부 주연부의 적어도 내부 멤브레인 인터페이싱 부분과 연관되고, 멤브레인의 전면이 외부 주연부의 외부 멤브레인 인터페이싱 부분과 연관되는 방식으로, 상기 멤브레인은, 예컨대,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의 주연부의 일측으로부터 그 주연부의 타측까지 걸쳐 이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예컨대, 하부 부재와 관련하여,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가 주연부의 적어도 일부분과 동일한 물질로 제조되는 경우,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는 주연부와 동일한 공간에 걸쳐 있을 수 있으므로, 단일의 독립된 유닛을 형성한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보호 하우징의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의 주변부의 주연부에 탈착가능한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가 포함된다. 예컨대,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가 제공되며, 상기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는 연관된 주변 부재와 탈착가능하게 연관되도록 구성된다. 주변 부재가 다른 주변 부재 또는 기기 자체와 연관되어 액체 침투 방지 및/또는 충격 방지 및/또는 먼지 침투 방지 시일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경우,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의 포함 또는 배제는 연관된 주변 부재의 액체 침투 방지 및/또는 충격 방지 및/또는 먼지 침투 방지 시일의 개방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부재의 주변부와 같은 주변부와 탈착가능하게 연관되도록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가 제공되며, 상기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는 탈착가능한 멤브레인으로서 구성된다. 상기 멤브레인이 주변부와 탈착가능하게 연관될 수 있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어떤 경우들에서는, 상기 멤브레인이, 예컨대, 오버몰딩을 통해, 주변부의 하나 이상의 부분들과 고정적으로 연관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멤브레인이, 예컨대, 상부 부재와 연관되도록 제공되는 경우, 상기 멤브레인은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 상에 또는 적어도 인접하여 고정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상기 멤브레인은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인접한 영역 위로 연장되어, 상부 부재가 하부 부재와 커플링될 때, 상부 부재의 내부 에지, 예컨대, 내부 주연부와 연관되고, 어떤 경우들에서는 밀봉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경우들에서는, 전자 기기의 영역 위에 고정식으로 배치되는 탈착가능한 멤브레인이 제공되며, 상기 탈착가능한 멤브레인은, 예컨대, 상부 부재가 하부 부재와 커플링될 때,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에 의해 둘러싸여 밀봉되도록 구성된다. 다양한 경우들에서, 상기 멤브레인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투명할 수 있으며, 예컨대, 정렬 목적으로, 탈착가능한 당해 멤브레인의 표면에 인쇄된 하나 이상의 표식을 포함할 수 있다.
멤브레인이 포함된 경우, 상기 멤브레인은 추가적인 멤브레인 특징부와 같은 하나 이상의 특징부, 예컨대, 음향 멤브레인 특징부 및/또는 홈 버튼 특징부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멤브레인은 음향 멤브레인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음향 멤브레인 특징부는 멤브레인의 전면으로부터 배면까지 걸쳐 있는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공은 제 1 멤브레인으로부터 오프셋된 음향 투과성 멤브레인과 같은 제 2 멤브레인으로 덮일 수 있다. 음향 멤브레인은 소리에 대해서는 투과성이지만, 물과 같은 액체, 및/또는 먼지 및 오물 등에 대해서는 불투과성일 수 있으며, 임의의 적당한 요소에 의해, 예컨대, 스페이서 부재 또는 접착제 층의 추가에 의해, 제 1 멤브레인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따라서, 적당한 접착제에 의해 2개 이상의 멤브레인들이 서로 부착될 수 있다.
전면 및 배면 표면 멤브레인은 버튼 특징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버튼 특징부는 요입 영역(indented region)을 포함할 수 있다. 요입 영역은 단순히 제 1 멤브레인에 있는 요입 영역이거나, 추가 멤브레인과 같은 추가 물질로 덮인 절개 영역일 수 있다. 다양한 경우들에서, 요입 영역은 리지 영역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서, 버튼 특징부의 주연부는 요입 영역을 둘러싸는 융기된 변형가능한 주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융기된 변형가능한 주연부는 버튼 특징부의 요입 영역의 이동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요입 영역이 눌렸을 때, 융기된 부분이 변형됨으로써 제 1 멤브레인의 심한 연신을 초래하지 않고 요입 영역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어떤 경우들에서, 보호 하우징은 탈착가능한 멤브레인을 포함하며, 상기 멤브레인은, 수용된 전자 기기 상의 버튼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탈착가능한 당해 멤브레인의 상면에 제공되는 요입부(depression)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 영역을 포함한다. 다른 예들에서, 탈착가능한 멤브레인은 탈착가능한 당해 멤브레인의 표면에 제공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돌출부 영역은 전자 기기 상의 버튼 위치와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제 1 멤브레인은 하나 이상의 광학적으로 불투명한 영역 및/또는 광학적으로 투과성인 영역, 예컨대, 하우징으로 수용하고자 하는 하부의 기기의 근접 센서 또는 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카메라 부분과 일치하는 광학적으로 투과성인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하부 부재와 관련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부 부재의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는 카메라 또는 비디오 또는 플래시 렌즈 특징부와 같은 렌즈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서, 하부 부재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 특징부를 포함하는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하부 부재가 하부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표면 부재는 하나 이상의 렌즈, 예로서, 카메라 렌즈 및/또는 플래시 렌즈 특징부를 포함하는 특징부 같은 렌즈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특징부는 하나 이상의 렌즈들을 둘러싸서 하나의 렌즈 영역으로부터 다른 렌즈 영역으로 빛이 투과하지 못하도록 억제하는 스커트와 같은 광학 스커트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특징부는 배면 표면 부재와 동일한 공간에 걸쳐 있거나, 예컨대, 프레싱, 몰딩 등을 통해, 배면 표면 부재와 인접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경우들에서,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의 주변부가 제공된다.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의 주변부들은 전자 기기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는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전자 기기 및/또는 서로와 인터페이싱하여 액체 침투 방지 및/또는 충격 방지 및/또는 먼지 침투 방지 시일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경우들에서,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는, 예컨대, 탈착가능하거나 고정된 관계로, 상부 주변 부재 및 하부 주변 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와 연관될 수 있다. 예컨대,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는, 예컨대, 상부 부재가 전자 기기를 둘러싸는 주변 프레임에 불과한 경우, 주변부 및/또는 수용되는 기기와 탈착가능하게 커플링되도록 구성된 멤브레인과 같은 독립된 유닛일 수 있으며; 어떤 실시예에서,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는, 예컨대, 하부 부재의 전면과 배면이 주변부와 동일한 물질로 제조되거나 및/또는 함께 제조되는 경우, 예를 들면, 상기 전면과 배면이 전자 기기의 표면, 예컨대, 하부 표면이 장착되는 단일의 유닛을 형성하는 경우, 주변부와 일체로 된 유닛일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는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 및/또는 주연부 중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하는 강한 프레임 부재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의 주연부는 단순히 독립된 주변부 또는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를 수반하는 주변부로서 제공되며, 상기 주변부는 복수의 주연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주변부는 내부 및/또는 외부 주연부에 의해 둘러싸인, 예컨대, 하나의 물질로 구성된 중앙 주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내부 및/또는 외부 주연부들은 동일한 물질이나 상이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및/또는 중간 주연부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어떤 경우들에서, 중간 주연부는 대응하는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와 동일한 공간에 걸쳐 있는 물질과 같은 강성 또는 반강성 프레임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가요성의 내부 및/또는 외부 주연부들이 보다 강한 중간 주연부로 변하는 개소에서, 내부 및/또는 외부 주연부는 중간 주연부와 함께 커플링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다 유연한 주변부들이 하우징에 대해 전체적으로, 예컨대, 내부적으로 및 외부적으로, 충격 흡수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및/또는 보다 강한 중간 주연부는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에 대해 견고하거나, 강성 또는 반강성 중추 구조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서, 원위 단부와 같은 주변부는 래치 특징부, 예컨대, 포트 개구와 같은 개구를 둘러싸기 위한 래치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치 특징부는 대응하는 하부 래치 인터페이스, 래치 및 대응하는 상부 래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래치는 당해 래치가 하부 및 상부 래치 인터페이스들 모두와 접촉하며 개구를 둘러싸는 폐쇄 위치로부터, 당해 래치가 하부 또는 상부 래치 인터페이스들 중 오직 하나와 접촉하며 개구가 노출되는 개방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어떤 경우들에서, 상기 래치 특징부는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 상에 전체가 배치될 수 있으며, 다른 경우들에서, 상기 래치 특징부의 부분들이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들 상에 모두 포함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래치 특징부는 액체 침투 방지 및/또는 먼지 침투 방지 특징부이며, 상기 래치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액체 침투 방지 및/또는 먼지 침투 방지 시일을 제공하기 위한 가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래치 커버 자체가 별도의 독립적인 래치 커버 및/또는 가스켓을 자체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개구를 포함한다.
다른 경우에서, 원위 단부 또는 근위 단부와 같은 주연부는 소리를 전송 및/또는 채널링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음향 배출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음향 배출 특징부는 액체 침투는 방지하지만 소리는 침투할 수 있는 음향 배출 물질이 내부에 배치된 소리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배출 물질은 전방 또는 역방향으로 0 내지 180°의 각도로 소리 채널을 가로지를 수 있다. 소리 채널은 소리가 통과하여 유입 및 유출될 수는 있도록 허용하지만 물과 같은 액체의 통과는 실질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주변 부재의 외부로부터 주변 부재의 내부까지 연장할 수 있다. 음향 배출 물질은 물의 유입(또는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예컨대, 관통하는 중심선에 대해 소정 각도로 소리 채널과 교차할 수 있다.
하나의 경우에서, 대향하는 측부들 중 하나와 같은 주변부는 수용된 기기의 대응하는 버튼, 토글 또는 스위치 메커니즘과 맞물리는 버튼, 토글 또는 스위치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특징부는 스위치 하우징(들)과, 스위치 인터페이스(들)를 가진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특징부는, 스위치 하우징(들) 및/또는 스위치 인터페이스에 커플링되도록 구성되어 회전 운동을 측방향 운동으로 변환시킴으로써 수용된 기기의 해당 스위치, 예컨대, 수용된 기기의 뷰 배향(view orientation) 스위치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회전 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특징부는, 액추에이터가 스위치 하우징 내부에서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중심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과 같이 이동할 때, 스위치 인터페이스가 수용된 기기의 스위치를 "온" 위치로부터 "오프" 위치로와 같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또는 하나의 "배향"으로부터 다른 "배향"으로, 예컨대, 측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주연부는 하나 이상의 볼륨 제어 버튼과 같은 하나 이상의 다른 스위치 또는 버튼 또는 토글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버튼형 특징부는, 당해 버튼형 특징부가 하부에 수용된 기기 상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버튼과 인터페이싱할 수 있는 한 임의의 적당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대표적인 버튼 특징부는 2개의 부분으로 된 구성, 예컨대, 주연부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내부 버튼 또는 스위치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버튼 스위치 특징부는 수납된 기기로부터 방출되는 소리를 조작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주변부의 일부로서 포함되는 경우,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의 주연부, 예컨대, 강성 또는 반강성 프레임 주연부는 스위치 또는 버튼 특징부가 속에 배치되는 개구를 가질 수 있으며, 프레임 부재 및/또는 해당 스위치 또는 버튼 부품들은 추가적인 주연부에 의해 덮일 수 있으며, 예컨대, 실질적으로 액체 침투 방지 및/또는 충격 방지 방식으로 보다 유연한 내부 및/또는 외부 주연부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주변 부재의 외부 주연부는 하우징의 하부 부재로부터 하우징의 상부 부재를 분리시키는 것을 돕기 위한 툴 또는 코인 슬롯 특징부와 같은 슬롯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슬롯 특징부는 주변부의 요입부 또는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절개부는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들 중 하나 또는 모두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절개부는 상부 및/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복수의 돌출 영역(overhanging regions)에 의해 더 제한되고, 상기 돌출 영역은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들 중 하나 또는 모두에 배치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절개부를 제한한다. 예컨대, 일 실시예에서, 상부 부재는 절개부를 포함하며,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는 모두 해당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주변부 또는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는 주변 소음을 소거하는 것을 돕기 위한 소음 소거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소음 소거 특징부는, 예컨대,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 중 하나 또는 모두에 배치된 통공, 음향 멤브레인 및 소리 안내 채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소리 안내 채널은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하우징의 내부까지 가로지를 수 있으며, 상기 통공으로부터 수용된 전자 기기에 존재하는 마이크로폰과 같은 소음 소거 특징부를 향해 소리를 유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리 채널은 음향 멤브레인 특징부에 의해 교차될 수 있으며, 음향 멤브레인은 관통하는 중심선에 대해 소정 각도로 소리 안내 채널과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음향 멤브레인은 가스, 예를 들면, 음파에 대해서는 투과성이지만, 액체, 오물, 먼지 등에 대해서는 실질적으로 투과성이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전면 및 배면 표면 부분의 주연부는 추가적인 소리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소리 전송부는, 예컨대,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외부로(또는 역으로), 하우징의 경계를 소리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지만 물과 같은 액체 또는 먼지 또는 오물은 실질적으로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한, 임의의 적당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소리 전송부는 하나 이상의 통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통공은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주변부 또는 표면 부분을 관통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통공은 고어텍스(Gore-Tex®) 멤브레인과 같은 소리 투과성 멤브레인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멤브레인은 통공을 덮음으로써 소리는 통과할 수 있도록 하지만 액체 또는 오물 또는 먼지 등은 통과할 수 없도록 한다. 이러한 소리 투과성 액체 불투과성 멤브레인은, 예컨대, 접착제, 몰딩, 오버몰딩 등을 통해, 임의의 적당한 방식으로 하우징 부품에 부착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소리 전송부는, 소리 전송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쌈으로써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소리 전송부를 하우징의 내부의 나머지로부터 격리시키는 소리, 예컨대, 에코(echo) 차단 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차단 부재는, 통공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서 소리의 내부 전송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에 커플링되거나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가스켓과 같은 별도의 부재일 수 있다. 에코 차단 부재가 소리 입구/출구 특징부를 둘러싸도록 하우징에 추가되는 가스켓과 같은 별도의 부재인 경우, 가스켓이 추가되는 하우징 부품은 에코 차단 부재의 기능에 부합하고 및/또는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가스켓 시트와 같은 예비성형된(preformed)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주변부는, 예컨대, (헤드폰 또는 스피커 조립체의 잭과 같은) 잭 또는 폐쇄 기기 등 중 하나를 수용하기 위해, 헤드폰 포트 특징부와 같은 포트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포트 특징부는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중 하나 또는 모두에 배치된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통공은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하우징의 내부까지 연장한다. 통공은 O링과 같은 가스켓, 스레드(threaded) 또는 캠(cammed) 영역 중 하나 또는 모두에 의해 제한될 수 있으며, 상기 스레드 또는 캠 영역은 그 내부에 삽입될 잭 또는 폐쇄 기기에 존재하는 대응하는 스레드 또는 캠 영역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레드 영역은 통상의 스레드 특징부로서 구성되거나, 캠 특징부, 플러그 등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포트 및 폐쇄 특징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래치 도어에 의해 덮인 하부의 소리 포트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래치 도어 특징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의 보호 하우징은, 충전 포트, 헤드폰 포트, USB 포트, SIM 포트, 디스크 드라이브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기 인터커넥션 포트를 포함한다. 다양한 경우들에서, 하나 이상의 전기 인터커넥션 포트는, 그 자체가 다른 밀봉 부재 등에 의해 폐쇄될 수 있는 통공을 가진 플러그, 마개, 래치 도어와 같은 밀봉 부재를 포함한다. 특수한 경우들에서, 밀봉 부재는, 전기 인터커넥션 포트에 대해 액체 침투 방지 밀봉을 제공하기 위해, 가스켓, 예컨대, O링과 같은 방수 특징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데이터 및 충전 포트로서 구성된 전기 인터커넥션 포트를 포함하며, 밀봉 부재는 래칭 도어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데이터 및 충전 포트는 상부 부재를 관통할 수 있으며, 상기 래칭 도어는, 예컨대, 피벗에 의해 하부 부재에 커플링될 수 있고, 예컨대, 부착된 가스켓을 통해, 상기 데이터 및 충전 포트에 래칭되어 밀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전기 인터커넥션 포트는 스레드 이어폰 잭 통공과, 스레드 이어폰 잭 통공을 점유하여 밀봉하는 스레드 마개를 포함하는 밀봉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전기 인터커넥션 포트는, 래칭 도어, 플러그, 가스켓을 구비한 나사, 바이요넷, 슬라이딩 도어, 밀봉가능한 통공을 구비한 래칭 도어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는 다수의 밀봉 부재들 중 하나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다양한 경우들에서,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는, 예컨대, 하우징의 사용, 운반 및/또는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외부 액세서리가 하우징에 커플링될 수 있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외부 액세서리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서리 포트는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에 배치되거나 부착된 하나 이상의 개구일 수 있다. 어떤 경우들에서, 액세서리 포트는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에 있는 2개의 대응하는 개구들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들은 각각의 개구와 교차하는 중심선이 교차하도록 서로에 대해 정렬되어 있다. 따라서, 개구들의 다양한 내강들이 "L"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액세서리 어댑터가 액세서리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어댑터를 통해, 하우징이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에 커플링될 수 있다. 예컨대, 액세서리 포트 어댑터는 2개의 요소, 즉, 액세서리 슬라이드 요소와 액세서리 잠금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액세서리 슬라이드 요소는 액세서리 포트의 개구들 중 하나의 내강들 중 하나 속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잠금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인터페이스는 다른 액세서리 포트 개구의 내강 속에 삽입될 때 액세서리 잠금 요소의 대응하는 잠금 인터페이스에 맞물림으로써 액세서리 슬라이드 요소를 제 위치에 잠금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 액세서리 슬라이드 요소는 액세서리를 하우징에 커플링하기 위해 액세서리의 일부분과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 액세서리 커넥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우징에 커플링되거나 부착되는 액세서리는 벨트 클립, 핸드 마운트, 레그 마운트, 핸드 스트랩, 아암 스트랩, 숄더 스트랩, 아암 마운트, 바이크 마운트, 카 마운트, 부력체(floatie), 초상화 뷰 마운트, 풍광 뷰 마운트 등과 같은 임의의 적당한 액세서리일 수 있다. 따라서, 어떤 실시예들에서,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는 하우징을 외부 액세서리와 연결하기 위해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는 하나 이상, 예컨대, 2개, 3개, 4개, 5개 또는 그 이상의 외부 액세서리 물리적 인터커넥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실시예들에서,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는 그릴 특징부로 덮인 소리 전송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의 부재는 소리가 수용된 기기의 스피커 부분으로부터 하우징의 경계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하우징의 외부로의 액세스를 허용하는 스피커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 그릴은 수평 및/또는 수직 바(bars) 또는 원형 또는 사각형 등과 같은 복수의 작은 개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스피커 소리 전송 포트는, 소리는 통과하지만 물과 같은 액체 및/또는 오물 및/또는 먼지 등은 실질적으로 통과하지 못하도록, 스피커 그릴을 덮는 멤브레인과 같이, 소리는 통과하지만 액체는 침투할 수 없는 멤브레인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는, 적어도 카메라 레즈를 포함하며 플래시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는 특징부와 같은, 렌즈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 렌즈를 가진 카메라 렌즈 특징부가 하우징의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에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 렌즈 특징부는 하우징의 렌즈, 예컨대, 광학 등급의 카메라 렌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서, 예컨대, 플래시 특징부로부터의 간섭 광이, 예컨대, 광의 내부적 또는 외부적 투과를 통해, 카메라 렌즈에 충돌하거나 투과하지 못하도록 억제하는 렌즈 스커트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스커트는 카메라 렌즈, 플래시 특징부 또는 이들 모두의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하우징의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는, 특히,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에 대하여, 하우징 내부에서의 전자 기기의 위치 결정 및/또는 고정 기능을 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위치 결정 및/또는 고정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일 실시예에서,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는,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의 내면, 예컨대, 내부 주연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하는 치형과 같은 하나 이상의 내부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치형은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에 대해 전자 기기를 수용하거나 및/또는 위치 결정하거나 및/또는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어떤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의 하우징은 수용된 전자 기기의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요소를 작동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밀봉된 액추에이터, 스위치, 버튼 또는 토글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하우징은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수용된 전자 기기의 대응하는 리니어 스위치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다양한 경우들에서, 액추에이터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이 회전에 의해, 수용된 기기의 리니어 스위치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수용된 기기의 스위치는 무음 스위치, 배향 스위치, 제어 스위치 또는 노브, 볼륨 스위치 또는 노브 등이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의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액체 침투 방지 및/또는 충격 방지 하우징이며, 상기 하우징은 상부 부재 부분, 하부 부재 부분 및 상기 두 부분들을 함께 커플링하여 상기 하우징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커플링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어떤 경우들에서, 상기 상부 부재는 전자 기기의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를 한정하여 둘러싸는 외부 주변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변부의 내부 경계에 걸쳐 이어지는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는 포함되지 않는다. 그 대신,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 예컨대, 상부 부재 멤브레인과 같은, 수용된 기기와 주변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액체 침투 방지 시일이 생성된다. 이러한 경우, 전자 기기가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지 않았을 때 하우징의 액체 침투 방지 능력을 실험하기 위해 하우징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상부 부재를 위한 밀봉 부재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실험 요소 또는 시뮬런트(simulant)를 포함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우징이 시뮬런트와 조립되었을 때,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하우징의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와 같은, 하우징의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와 함께 액체 침투 방지 시일을 확립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뮬런트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어떤 경우들에서, 시스템 및/또는 키트가 제공되며, 상기 시스템 및/또는 키트는 시뮬런트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시뮬런트는, 예컨대, 하우징에 누락된 부분이 있어서 시뮬런트가 하우징 속으로 물의 유입을 허용하는 경우, 당해 시뮬런트가 하우징에 커플링되었을 때 하우징을 액체 침투 방지형으로 만들기 위해 하우징에 커플링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전자 기기용 하우징, 예컨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하우징은, 하우징 내부에 전자 기기가 수용되어 있지 않을 때, 하우징의 액체 침투 방지 능력을 결정하기 위해 실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우징의 다양한 경우들에서 상부 부재가 전면 및 배면을 포함하지 않고, 그 대신, 주변 부재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가 개방되기 때문에, 이러한 시뮬런트는 적어도 이러한 맥락에서 유용하다. 그러나, 상부 부재는, 당해 상부 부재가 전자 기기에 커플링되고 및/또는 하우징의 하부 부재에 더 커플링될 때, 액체 침투 방지 시일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험 과정 중에 전자 기기가 위험에 빠지지 않도록 전자 기기가 없을 때 이 시일의 액체 침투 방지 능력을 실험하는 것이 유용하다. 그러한 경우,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시뮬런트 또는 뮬(mule)이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유용하다.
따라서, 어떤 실시예들에서, 상부 부재 및/또는 전자 기기의 치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치수, 예컨대, 밀봉 치수를 가진 전자 기기 시뮬런트 또는 뮬이 제공된다. 다양한 경우들에서, 상기 시뮬런트는 적어도, 전체 전자 기기가 수용되지 않음으로써, 상부 부재가 하부 부재와 커플링되었을 때와 같이,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에 의해 밀봉되는 경우의 밀봉을 모의 실험하는 기능을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경우들에서,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는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 대신, 주변부가 포함되며, 상기 주변부는, 표면, 예컨대, 전자 기기의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에 인접한 에지 표면과 같은 에지 표면과 실질적으로 액체 침투 방지 시일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도록 특수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전자 기기가 포함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가 대응하는 부재 및/또는 뮬에 커플링될 때, 전면 및 배면이 없는 부재의 밀봉성을 실험하는데 있어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뮬이 유용하다. 또한, 다양한 경우들에서, 표면이 없는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와 전자 기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예컨대, 전자 기기의 표면, 예컨대, 상부 또는 하부 에지 표면이 관련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와 접촉하는 인터페이스에 배치될 수 있는, 독립적인 대응하는 전면 및 배면을 포함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전자 기기 및/또는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의 전면 및 배면이 없는 주변부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이러한 독립형 멤브레인은, 전자 기기가 표면이 개방된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있을 때,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표면과 같이 전자 기기의 상면 또는 하면에 대한 보호를 강화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가적인 양태에서, 멤브레인이 제공되며, 상기 멤브레인은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 또는 전자 기기 중 하나 또는 모두에 탈착가능하게 커플링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멤브레인은 전면 또는 배면 스크린 멤브레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어떤 실시예들에서, 탈착가능한 멤브레인은 수용된 기기의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 상에 고정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경우, 탈착가능한 멤브레인은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인접한 영역 위로 연장할 수 있으며, 예컨대, 상부 부재가 하부 부재와 커플링될 때,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의 내부 에지에 대해 밀봉하도록 더 기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탈착가능한 멤브레인은, 전자 기기 상의 버튼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탈착가능한 당해 멤브레인의 상면에 제공되는 요입부로 형성된 영역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 영역; 및/또는 당해 탈착가능한 멤브레인의 표면에 제공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돌출부 영역은 전자 기기 상의 버튼 위치와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다양한 경우들에서, 탈착가능한 멤브레인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투명하거나 및/또는 불투명할 수 있다. 예컨대, 어떤 경우들에서, 탈착가능한 멤브레인은 당해 탈착가능한 멤브레인의 표면에 형성되거나, 인쇄되거나, 부착되거나, 연관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표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탈착가능한 멤브레인은, 상부 부재가 하부 부재와 커플링될 때,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에 의해 둘러싸여 밀봉되도록, 전자 기기의 영역 위에 고정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요지의 하나 이상의 변형예들에 대한 상세(詳細)가 첨부도면과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명시되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여타 양태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러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보호 하우징의 전면, 배면 및 측면의 다양한 사시도를 제공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전면 상부 및 전면 하부도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보호 하우징의 사시도를 제공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전면 상부 및 전면 하부도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보호 하우징의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의 사시도를 제공한다.
도 4a 내지 도 4n은 걸쇠 메커니즘(들)의 단면도를 포함하여 보호 하우징의 다양한 걸쇠 메커니즘의 사시도를 제공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보호 하우징의 상부 전방 부분의 사시도를 제공한다.
도 6a 내지 도 6f는 다양한 걸쇠 메커니즘의 도면들을 포함하여 보호 하우징의 다양한 확대 사시도를 제공한다.
도 7a 내지 도 7e는 다양한 액세서리 및 제어 특징부를 나타내고 있는 보호 하우징의 사시도를 제공한다.
도 8a 및 8b는 보호 하우징의 다양한 걸쇠 메커니즘을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를 제공한다.
도 9a 내지 도 9c는 다양한 액세서리 및 제어 특징부를 나타내고 있는 보호 하우징의 사시도를 제공한다.
도 10a 내지 도 10f는 래치 특징부와 다양한 액세서리 및 제어 특징부를 포함하여 보호 하우징의 전방 부분의 사시도를 제공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제어 특징부, 액세서리 특징부 및 걸쇠 메커니즘을 포함하여 보호 하우징의 사시도를 제공한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액세서리 포트를 포함하여 보호 하우징의 사시도를 제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하우징의 방수 실험에 사용하기 위한 실험 시뮬런트, 예컨대, 뮬의 사시도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요지는 일반적으로 물체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단수인 "물체"가 사용되고 있지만, 상기 용어는 하나 이상의 물체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물체 또는 물체들은 하우징 내부에 설치될 수 있거나, 및/또는 하나 이상의 불리한 환경 조건, 악천후, 취급 부주의 및/또는 물과 같은 액체와의 접촉으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보호가 필요한 임의의 물체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예컨대, 불리한 환경 조건 및/또는 혹사로부터, 물체를 수용하여 보호할 수 있는 한, 임의의 적절한 크기와 치수일 수 있다. 상기 물체는 전자 기기와 같은 단일의 물체이거나, 전자 기기를 구성하는 부품들과 같은 복수의 물체들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물체는, 예컨대, 태블릿 컴퓨터, 휴대 전화, 전자 리더기, 개인 휴대 단말기와 같은 모바일 컴퓨팅 기기와 같은, 예컨대, 컴퓨터와 같은 전자 기기이거나, 디지털 카메라, 무선 호출기 등과 같은 다른 전자 기기일 수 있다. 특수한 실시예들에서,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 물체는 태블릿 컴퓨터, 휴대 전화 기기 또는 디지털 리더기와 같은 모바일 태블릿 컴퓨팅 기기이다.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에 대해, 예컨대, 물체가 태블릿 컴퓨팅 기기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수납되는 물체는, 스캐너, 리더기, 비디오 게임 등과 같이, 하우징 내부에 수납될 수 있는 임의의 적당한 물체일 수 있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은 단지 예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을 뿐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은 특정 물체를 수용하기 위해 당업계에 공지되어 사용되는 임의의 통상의 컨테이너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는, 모바일 태블릿 컴퓨터, 컴퓨팅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디지털 단말기, 카메라, 게임 기기 등과 같은 물체의 주위에서 개폐됨으로써, 액체 침투 방지 및 충격 방지 보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하우징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은 특정 물체를 수용하여 환경적 요인 및/또는 취급 부주의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임의의 적당한 컨테이너를 형성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상기 하우징은, 예컨대, 모바일 태블릿 컴퓨터, 휴대 전화, 및/또는 전자 리더기 등의 전자 기기와 같은 기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하도록 구성된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상기 하우징은 전자 기기와 같은 기기의 일부이며, 상기 하우징은 전자 기기의 다양한 부품을 수납한다. 예컨대, 상기 하우징은 모바일 기기(또는 다른 전자 기기)의 전자 부품을 수납하는, 모바일 태블릿 컴퓨터 또는 휴대 전화 또는 리더기 또는 다른 전자 기기의 하우징일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양태들에서, 태블릿 컴퓨터, 휴대 전화 또는 전자 리더기와 같은 물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하기 위한 하우징, 상기 물체, 예컨대, 기기의 사용 방법, 및/또는 그 시스템이 제공된다. 예컨대,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태블릿 컴퓨터, 휴대 전화 또는 전자 리더기와 같은 기기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이 제공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자 기기가 하우징 내부에 장착됨으로써 액체, 충격, 오물, 먼지 등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보호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함께 커플링되어 하우징을 형성하도록 설계된 상부 부재 부분 및 하부 부재 부분과 같은 복수의 분리된 부재들 또는 동일한 부재의 분리된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는 힌지 요소와 같은 제 3 요소에 의해 연관될 수 있는 분리된 부재들일 수 있으며, 및/또는 잠금 요소와 같은 공통의 제 3 부재에 의해 함께 잠금되는 2개의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상부 부재 부분과 하부 부재 부분은 수납하고자 하는 물체, 예컨대, 전자 기기 주변에서 합체되어 액밀 시일을 형성하도록 설계된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하우징에 의해 달성되는 몇 가지 장점이 있다. 예컨대, 어떤 경우들에서, 본 발명의 하우징은 수용된 기기 또는 그 부품들을 보호하기 위한 충격 흡수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 어떤 경우들에서, 상기 하우징은 수납된 기기 및/또는 그 부품들을 보호하기 위한 액체 저항 수단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다양한 경우들에서,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충격 방지형 및/또는 액체 침투 방지형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하우징은 하부의 기기 또는 그 부품들의 긁힘, 손상, 절삭, 파괴, 균열 등에 대한 보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 어떤 경우들에서, 수납된 기기의 고유한 기술상 또는 설계상 특징을 유지함과 동시에, 충격 및/또는 물과 같은 액체에 대한 저항이 제공된다. 다양한 경우들에서, 상기 하우징은, 예컨대, 소리 및/또는 음질을 증폭하거나 명확하게 하기 위해, 하부의 기기의 소리 전달 특성을 증대시키도록 설계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이러한 장점들은 하부의 기기의 크기 및/또는 중량을 실질적으로 증대시키지 않고 상기 하우징에 의해 제공된다.
예컨대,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하우징의 치수들은 다음과 같은 범위 내에 있다. 예컨대, 공통의 잠금 요소에 의해 결합되는 분리된 개별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일 수 있는 다양한 부재들, 예컨대,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 및/또는 잠금 부재의 두께는 전체적으로, 약 5㎜ 또는 약 3㎜ 이하 또는 심지어 2.5㎜ 이하를 포함하여, 약 50㎜ 초과 또는 미만 또는 약 40㎜ 이하, 예컨대, 약 35㎜ 또는 30㎜ 이하, 예컨대, 약 25㎜ 또는 약 20㎜ 또는 약 18㎜ 이하, 예컨대, 약 17㎜ 또는 약 15㎜ 이하, 예컨대, 13㎜ 이하, 예컨대, 약 10㎜, 예컨대, 약 8㎜ 이하일 수 있다. 하우징의 두께는 수납되는 기기의 두께에 비례하여 좌우될 것임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우징의 다양한 부재들의 길이도 달라질 수 있다. 어떤 경우들에서,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의 길이는, 약 100㎜ 또는 약 75㎜ 이하 또는 심지어 약 50㎜ 또는 약 25㎜ 이하를 포함하여, 약 800㎜ 초과 또는 미만 또는 약 750㎜ 이하, 예컨대, 약 700㎜ 또는 650㎜ 이하, 예컨대, 약 500㎜ 또는 약 450㎜ 또는 약 400㎜ 이하, 예컨대, 약 350㎜ 또는 약 300㎜ 이하, 예컨대, 250㎜ 이하, 예컨대, 약 200㎜, 예컨대, 약 150㎜ 이하일 수 있다. 하우징의 다양한 부재들의 폭도 달라질 수 있다. 어떤 경우들에서,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의 폭은, 약 40㎜ 또는 약 30㎜ 이하 또는 심지어 약 20㎜ 또는 약 15㎜ 이하를 포함하여, 약 600㎜ 초과 또는 미만 또는 약 550㎜ 이하, 예컨대, 약 450㎜ 또는 400㎜ 이하, 예컨대, 약 350㎜ 또는 약 300㎜ 또는 약 250㎜ 이하, 예컨대, 약 200㎜ 또는 약 150㎜ 이하, 예컨대, 100㎜ 이하, 예컨대, 약 75㎜, 예컨대, 약 50㎜ 이하일 수 있다. 하우징의 총 질량도 달라질 수 있으며, 약 100g 또는 약 75g 이하 또는 심지어 약 50g 또는 약 25g 이하를 포함하여, 약 800g 초과 또는 미만 또는 약 750g 이하, 예컨대, 약 700g 또는 650g 이하, 예컨대, 약 500g 또는 약 450g 또는 약 400g 이하, 예컨대, 약 350g 또는 약 300g 이하, 예컨대, 250g 이하, 예컨대, 약 200g, 예컨대, 약 150g 이하일 수 있다.
예컨대, 다양한 경우들에서,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 각각의 두께는, 각 부재들을 제조한 방식, 수납되는 기기의 크기 및 측정이 이루어진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 상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3㎜ 미만 또는 약 2.5㎜ 또는 심지어 약 2㎜ 미만을 포함하여, 약 15㎜ 초과 또는 미만 또는 약 13㎜ 미만, 예컨대, 약 12㎜ 미만 또는 약 11㎜, 예컨대, 약 10㎜ 미만 또는 약 9.5㎜, 예컨대, 약 9㎜ 미만 또는 약 8㎜, 예컨대, 약 7㎜ 미만 또는 약 6㎜, 예컨대, 약 5㎜ 미만 또는 약 4㎜일 수 있다.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 각각의 질량도 특정 실시예의 강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약 55g 또는 약 50g 이하 또는 심지어 약 40g 또는 약 30g 또는 약 25g 이하를 포함하여, 약 400g 초과 또는 미만 또는 약 350g 이하, 예컨대, 약 300g 또는 250g 이하, 예컨대, 약 200g 또는 약 150g 또는 약 100g 이하, 예컨대, 약 90g 또는 약 80g 이하, 예컨대, 75g 이하, 예컨대, 약 70g, 예컨대, 약 65g 또는 60g 이하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계 특징으로 인해, 본 발명의 하우징은 전술한 범위의 두께, 중량, 길이 및 폭만을 갖고도 수용된 기기에 대해 충격과 액체에 대한 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떤 경우들에서,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의 길이 및/또는 폭은 수납하도록 설계된 하부의 기기보다, 약 20㎜ 또는 15㎜를 포함하여, 약 50㎜ 또는 약 45㎜, 예컨대, 약 40㎜ 또는 약 35㎜, 예컨대, 약 30㎜ 또는 약 25㎜를 초과하여 더 길거나 더 넓지 않도록 될 수 있으며, 예컨대,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하우징이 수납하도록 설계된 기기보다, 약 3㎜ 또는 약 2㎜를 초과하여 더 길거나 더 넓지 않은 것을 포함하여, 약 10㎜ 또는 약 8㎜ 또는 약 5㎜를 초과하여 더 길거나 더 넓지 않고, 예컨대, 약 4㎜를 초과하여 더 길거나 더 넓지 않다. 예컨대, 다양한 경우들에서,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의 길이 및/또는 폭은 하우징이 수용하도록 설계된 기기의 길이 및/또는 폭보다, 약 4.5㎜ 미만 또는 약 3.5㎜ 또는 약 2.5㎜, 예컨대, 2.0㎜ 미만, 1.5㎜ 미만, 예컨대, 1㎜ 미만으로 작을 수 있다.
어떤 특정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의 하우징은 약 150㎜ 내지 250㎜, 예컨대, 175㎜ 내지 약 225㎜, 예컨대, 약 200㎜ 내지 약 210㎜, 예컨대, 208㎜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어떤 특정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의 하우징은 약 150㎜ 내지 300㎜, 예컨대, 175㎜ 내지 약 275㎜, 예컨대, 약 200㎜ 내지 약 250㎜, 예컨대, 225㎜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어떤 경우들에서, 상기 길이는 약 265㎜이다. 어떤 특정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의 하우징은 약 10㎜ 내지 50㎜, 예컨대, 20㎜ 내지 약 40㎜, 예컨대, 약 30㎜ 내지 약 35㎜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상기 하우징의 두께는 약 21㎜일 수 있다. 어떤 특정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의 하우징은 약 150g 내지 400g, 예컨대, 200g 내지 약 350g, 예컨대, 약 250g 내지 약 300g의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어떤 경우들에서, 상기 중량은 약 320g일 수 있다. 어떤 경우들에서, 상기 하우징의 부품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어떤 경우들에서, 내부 강성 프레임이 포함되며, 상기 강성 프레임에는 하나 이상의 상대적으로 유연한 부재들이 커플링된다. 따라서, 강성 부재가 포함되는 경우, 다양한 예시적 실시예들에서, 상기 부품은 나일론, 폴리카보네이트 등 중 하나 이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반강성 물질은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ABS, 아크릴, 폴리에테르이미드, 이오노머, 아세탈, 폴리우레탄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유연한 부재가 포함되는 경우, 이러한 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예시적 물질은 실리콘, TPE, TPU, TPV, 열경화성 고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스켓과 같은 밀봉 부재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가스켓은 실리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우레탄, 니트릴, EPDM, 바이톤, 우레탄, SBR, 또는 가황 고무, 이들의 조합 등과 같은 예시적인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은 단순히 예시적인 물질이며, 실제로 채용되는 물질은 이보다 다소 강한 것이 선택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선택된 실제 물질은 본 명세서에 제공된 목록보다 다소 유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우징은, 구조에 따라, 다소의 방수성 및/또는 충격 방지성이 제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문맥에 따라, 본 발명의 하우징은 방수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수용된 전자 기기가 연속적인 또는 일시적인 침수의 영향으로부터 보호됨을 의미한다. 실질적으로 방수성이 있다는 것은 기기가 연속적인 또는 일시적인 침수의 영향으로부터 본질적으로 보호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내수성(water resistant)이 있다는 것은 수용된 기기가 떨어지는 물방울, 날리는 물방울, 분사되는 물, 튀는 물 또는 워터 제트의 영향으로부터 보호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문맥에 따라, 본 발명의 하우징은 충격 방지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아이템이 취급, 운반 및 사용 환경에서 겪게 되는 비교적 드물고 반복적이지 않은 충격을 물리적으로 기능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수용된 전자 기기가 보호됨을 의미한다. 실질적으로 충격 방지성이 있다는 것은, 아이템이 취급, 운반 및 사용 환경에서 겪게 되는 비교적 드물고 반복적이지 않은 충격을 물리적으로 기능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하우징이 어느 정도의 보호를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내충격성(shock resistant)이 있다는 것은, 아이템이 취급, 운반 및 사용 환경에서 겪게 되는 비교적 드물고 반복적이지 않은 충격을 물리적으로 기능적으로 거의 견딜 수 있도록, 하우징이 어느 정도의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충격은 1.0초 이하의 지속 기간과 10,000㎐를 초과하지 않는 주파수 영역으로 일반적으로 한정되는 아이템의 기계적 섭동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계상 특징으로 인해, 본 발명의 하우징은 전술한 범위의 상대적인 두께, 길이 및/또는 폭을 갖고도 수용된 기기에 대해 액체와 충격에 대한 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 몇 가지 공식이 특정 하우징의 적절한 두께, 폭 및/또는 길이를 결정하기 위해 채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하부의 기기의 두께, 폭 및/또는 길이(x)를 결정하고, 즉, 하부의 기기의 치수에 부가하여, 전술한 치수들 중 하나와 같은 치수(y)를 가진 하우징을 제공함으로써, 쉽게 확인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기의 치수가 "x"이면, 하우징의 치수는(x+y)가 될 것이고, 여기서 "y"는 전술한 치수들 중 하나이다. 하우징의 적절한 두께, 폭 및/또는 길이를 결정하기 위한 대안적인 공식은 수납된 기기와 접촉하는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하우징의 외부까지의 거리(y)를 측정하는 것일 수 있으며, 여기서, "y"는 전술한 범위들 중 하나 이내이다.
하우징의 적절한 두께, 폭, 및/또는 길이 및/또는 중량이 제공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수납될 기기를 하우징 내부에 설치할 수 있으며, 그 후, 하우징을 폐쇄하고, 수용된 기기를 실험적으로 떨어뜨리거나 및/또는 습한 조건에 노출시킴으로써, 하우징 및/또는 그 시일이 충격 및/또는 액체에 대해 저항하는 능력을 실험할 수 있다. 예컨대, 후술하는 예들에 관한 항목을 참조하라. 하우징의 두께, 폭, 및/또는 길이 및/또는 중량은 떨어뜨림 및/또는 액체, 예컨대, 모든 형태의 물에 대한 노출에 의해 수납된 기기가 파손되거나, 균열이 발생하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치수들로 제공되어야 한다.
수용하도록 구성된 물체와 하우징의 크기를 연관시킬만한 유용성이 거의 또는 전혀 없는 경우와 같은 어떤 경우들에 있어서, 하우징은 하우징이 수용하도록 구성된 물체보다 더 클 수 있으며, 예컨대, 상당히 더 클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예컨대, 하부의 기기보다 상당히 더 두껍고, 더 넓고, 더 길고 및/또는 더 무거운 하우징을 갖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결정된 경우, 하우징의 치수들은, 800㎜ 초과와 같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치수들보다 더 두껍고, 더 넓고, 더 길 수 있으며, 및/또는 800g 초과의 질량을 가질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하우징은 수납하도록 설계된 기기보다 실질적으로 더 크거나 및/또는 더 무겁지 않다. 따라서, 어떤 경우들에서, 하우징은 기기를 떨어뜨림으로 인해 유발되는 충격, 및/또는 물과 같은 액체와의 접촉으로 인해 유발되는 것과 같은 액체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기기를 보호한다.
따라서, 도 1a와 관련하여, 하우징(1)이 제공된다. 보호 하우징은 물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물체는 본 명세서에 제공된 설명에 따라 수용될 수 있는 임의의 물체일 수 있다. 예컨대, 어떤 실시예들에서, 수용되는 물체는 전자 기기와 같은 기기, 예컨대, 태블릿 컴퓨팅 기기, 예컨대, 디지털 태블릿 컴퓨터, 예컨대, 태블릿 PC, 컴퓨팅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전자 리더기 등이다. 어떤 경우들에서, 수납되는 전자 기기는 휴대용 모바일 전자 기기, 예컨대, 태블릿 PC, 휴대 전화, 또는 다른 그러한 기기, 예컨대, 전자 리더기, 개인 휴대 단말기, 전자 게임 기기, 전자 수첩 등일 수 있다. 하우징의 개별 부품들의 구성에 기초하여, 하우징은 전자 기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수납은 전체 수납이거나, 부분 수납일 수 있다. 예컨대, 어떤 경우들에서, 예컨대,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가 전면 또는 배면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예컨대,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가 멤브레인리스(membraneless)인 경우, 보호 하우징을 형성하는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의 일부분이 개방될 수 있으며, 또는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가 전체 전자 기기를 완전히 둘러싸며 수납하는 경우, 전체 수납이 될 수 있고, 또는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가, 전자 기기의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에 실질적으로 인접한 부분들을 제외하고, 전자 기기를 수납하는 경우, 부분 수납이 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상기 하우징(예컨대,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은, 예컨대, 디스플레이에 인접하여, 개방된 통공을 가짐으로써, 디스플레이에 대한 직접 터치 액세스를 허용하거나; 상기 하우징은 디스플레이, 예컨대,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에 대한 간접 터치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영구적으로 또는 탈착가능하게 고정된 멤브레인이 걸쳐져 있는 통공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멤브레인은, 예컨대, 디스플레이 위를 지나, 하우징 또는 기기에 고정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보호 하우징(1)은 탈착가능하게 또는 고정적으로 함께 커플링되었을 때 보호 하우징(1)을 형성하는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는 상부 부재(2)의 평면도, 하부 부재(3)의 저면도와 아울러, 보호 하우징(1)의 4면 모두의 측면도를 제공한다. 도 1a와 관련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하우징(1)은, 탈착가능하게 함께 커플링되어 보호 하우징(1)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와 같은, 복수의 부재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는 태블릿 PC 또는 휴대 전화 또는 전자 리더기 등과 같은 전자 기기를 그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보호 하우징(1)과 같은 특정 실시예를 제시하고 있으나, 수용되는 물체는 임의의 다수의 다른 물체일 수 있으며, 따라서, 보호 하우징은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형상, 크기 및 구성을 가진 다수의 다른 부재들을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컨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호 하우징은 2개의 분리된 부재들, 예컨대, 탈착가능하게 또는 영구적으로 함께 커플링되어 전자 기기를 둘러싸서 그 기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분리된 개별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경우들에서, (도시되지 않은)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는 분리된 부재들이 아닐 수 있으며, 그 대신, 예컨대, 공통 힌지 요소에 의해 결합되는 부재들이거나, 그 자체가 절첩됨으로써 보호 하우징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단일의 부재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보호 하우징(1)은 2개 초과의 분리된 부재들, 예컨대, 함께 조립되었을 때 보호 하우징(1)을 형성하는 분리된 걸쇠 및/또는 잠금 요소(미도시)와 아울러 분리된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한 특정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기술된 하우징 및 시스템의 범위를 과도하게 제한하고자 의도하는 것이 아니다.
보호 하우징(1)의 상부 부재(2)는 (본 실시예에서는 포함되지 않은) 주변부에 걸쳐진 멤브레인과 같은 상부 전면 및 배면 표면과, 상부 부재 주변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상부 부재(2)는 상부 부재 전면 및 배면 표면을 포함하지 않는다. 오히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부 부재(2)는 단순히 상부 부재 주변부(20)만을 포함한다. 상부 부재(2)의 상부 부재 주변부(20)는 상부 부재 근위 단부(21)와 상부 부재 원위 단부(22)와 아울러, 상부 부재 좌측 측부(23) 및 상부 부재 우측 측부(24)라 칭하는 대향하는 측부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부재 주변부(20)는 복수의 추가적인 특징부들, 예컨대, 헤드폰 포트 밀봉 포트 부재(53)가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헤드폰 포트(50)(미도시)와 아울러, 충전 포트 개구(71a)(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부재(2)는 홈 버튼 특징부(40)와 같은 하나 이상의 버튼 특징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보호 하우징(1)의 하부 부재(3)는 하부 부재 주변부(30)에 의해 둘러싸인 하부 부재 전면 및 후면 표면("표면")(35)을 포함한다. 하부 부재 주변부(30)는 하부 부재 근위 단부(31) 및 하부 부재 원위 단부(32)라 칭하는 근위 및 원위 단부들과 아울러, 각각 하부 부재 우측 측부(33) 및 하부 부재 좌측 측부(34)라 칭하는 대향하는 측부들에 의해 형성된다. 하부 부재 주변부(30)는 복수의 추가적인 특징부들, 예컨대, 볼륨 버튼(99a), 온/오프 버튼(99b), 배향 스위치(90)와 같은 하나 이상의 버튼 또는 스위치 특징부, 및 마이크로폰 전송 포트(61) 및 스피커 전송 포트(60)와 같은 소리 전송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 전송 포트(61)는 개구, 예컨대, 하부 부재(3)의 외부로부터 내부까지 걸쳐 이어진 입구 통공(62a)(미도시)을 포함한다. 마이크로폰 입구 통공의 내부는 마이크로폰 방수 가스켓(61a)(미도시)으로 둘러싸이며, 상기 가스켓은 입구 통공에 걸쳐 덮여 있어 마이크로폰 포트 통공을 방수 밀봉식으로 밀봉하는 기능을 함으로써 하우징을 보호하지만, 이와 동시에, 수용된 기기의 마이크로폰 부분을 향해 소리가 하우징 속으로 효과적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마이크로폰 방수 가스켓은 임의의 적당한 수단에 의해, 예컨대, 접착제, 열적 커플링, 및/또는 마이크로폰 전송 포트(61) 형성과 함께 오버몰딩에 의해, 마이크로폰 전송 입구 통공 위에서 하우징에 고착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 전송 포트(61)의 외부는 입구 통공(62a)의 일부분에 걸쳐진 보호 보강재로서의 기능을 하는 마이크로폰 그릴(61b)을 갖는다.
하부 부재(3)는 대응하는 상부 부재(2) 상에 포함되어 있는 충전 포트 개구(71a)(미도시)와 같은 전기 전송 포트를 덮고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는 래치 도어(71b)를 포함하는 래치 특징부(7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래치 특징부(70)는 액체 침투 방지 및/또는 먼지 침투 방지형이며, 그러한 밀봉을 용이하게 하는 가스켓(78)(미도시)을 포함한다. 하부 부재(3)는, 하부 부재(3)의 하부 주연부(30)의 코너들에서와 같이, 하부 부재(3) 상의 임의의 개소에 배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 연결 포트(97a, 97b, 97c, 97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 포트(97a, 97b, 97c, 97d)들은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를 보호 하우징(1)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하부 부재 표면(35)은 렌즈 특징부(8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부재(3)는 하부 부재 표면(35)을 포함한다. 하부 부재(3)의 하부 부재 표면(35)은 하나 이상의 물질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물질들은 동일한 물질들이거나 상이한 물질들일 수 있으며, 상기 물질들은 하부 부재 주변부(30)의 물질 또는 물질들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하부 부재(3)의 하부 부재 표면(35)은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또는 멤브레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하부 부재(3)의 하면(35)은 폴리카보네이트, 나일론, 플렉시글라스 등과 같은 강성 또는 반강성 물질; 또는 폴리프로필렌 과 같은 더 반가요성인 물질; 또는, 고무와 같은 더 가요성인 물질, 예컨대, TPE로 형성된다. 반강성 물질이 채용되는 경우, 버튼 표면은 수용된 기기로부터 방출되는 소리의 특성을 증폭하는 방식으로 배면이 진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선택된 강성도를 가질 수 있다.
보호 하우징(1)의 특정 구조에 따르면, 그리고, 도 1a와 관련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는 탈착가능하게 함께 커플링되어 보호 하우징(1)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 하우징(1)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방수 및/또는 충격 방지 시일을 사이에 생성하는 방식으로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를 함께 커플링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걸쇠 메커니즘(미도시) 세트들을 포함한다.
내수성 시일 또는 방수 시일은,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의 커플링에 의해 시일이 형성되고, 상기 시일은 다양한 소정 조건들에서 보호 하우징의 일측(예컨대, 보호 하우징의 외부)으로부터 보호 하우징의 타측(예컨대, 보호 하우징의 내부)으로 물과 같은 액체의 통과를 실질적으로 허용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커플링 메커니즘(들)은 보호 하우징의 하나의 부재를 보호 하우징의 다른 부재에 대해, 예컨대, 상부 부재(2)를 하부 부재(3)에 대해, 커플링하는데 참여할 수 있는 한 임의의 적당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어떤 실시예들에서, 커플링 메커니즘은 방수 및/또는 충격 방지 시일을 생성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예컨대, 어떤 경우들에서, 커플링 메커니즘은 걸쇠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걸쇠 메커니즘은 방수 및/또는 충격 방지 밀봉으로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를 함께 밀봉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어떤 경우들에서, 상기 걸쇠 메커니즘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내부 또는 외부 잠금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b는 도 1a의 보호 하우징(1)의 사시도를 제공한다. 따라서, 특정 실시예들에서, 하우징(1)은 탈착가능하게 함께 커플링되었을 때 보호 하우징(1)을 형성하는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부재(2)는 단순히 주변부(20)만을 포함하며, 전면 부재를 포함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상부 부재(2)는 단순히 상부 부재 주변부(20)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부 부재(2)는, 상부 부재(2)가 하부 부재(3)에 커플링되어 하우징(1)을 형성하는 경우와 같이, 전자 기기(미도시)에 커플링되었을 때 실질적으로 방수 및/또는 내수성 시일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상부 부재 주변부(20)는 상부 부재 근위 단부(21) 및 원위 단부(22)와 아울러, 대향하는 상부 부재 좌측 측부(23)와 우측 측부(24)에 의해 형성된다. 상부 부재 주변부(20)는 홈 버튼(40)을 또한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부재 주변부(20)는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0a),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0b) 및 상부 부재 외부 주연부(20c)에 의해 더 형성된다.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0a)에는 근접 센서부(48)가 배치되며, 상기 근접 센서부는 하부에 수용된 기기의 근접 센서가 사용자와 같은 물체의 근접도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절개부로서 구성된다.
하부 부재 주변부(30)는 하부 부재 근위 단부(31) 및 원위 단부(32)와 아울러, 대향하는 하부 부재 우측 측부(33)와 좌측 측부(34)에 의해 형성된다. 하부 부재는 하부 부재 표면(35)을 포함하며, 상기 하면(35)은 스탠드오프(standoff)(16a) 및/또는 브릿지(16b)와 같은 하나 이상의 융기부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브릿지(16b)들은 하면(35)의 내부에 배치된 스탠드오프 채널을 함께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오프(16)들은 수용된 기기를 하부 부재 표면(35)의 평면 위로 상승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하부 부재 표면(35)의 내부는 이러한 스탠드오프들을 갖지 않고, 내면이 실질적으로 평면으로 되어 있다.
하부 부재 표면(35)은 렌즈 특징부(80)를 또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렌즈 특징부(80)는 수용된 전자 기기의 사진 기능을 보강하기 위해 수용된 전자 기기의 카메라 렌즈와 정렬되도록 배치된 광학 등급 렌즈(83)를 포함한다.
하부 부재(3)는 하부 주변부(3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주변부는 배향 제어 스위치(90), 볼륨 제어 요소(99a), 액체 침투 방지 래치 커버(71b), 및 스피커 전송 포트(60)와 같은 소리 전송 특징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피커 포트(60)는 스피커 방수 시일(예컨대, 가스켓)(60a)에 의해 둘러싸이며, 상기 스피커 방수 시일은 방수성은 있지만, 전자 기기로부터의 소리가 보호 하우징(1)으로부터 외부로 전송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시일을 제공한다. 보호 하우징(1)의 주변부(30)는 그 내부에 통합된 하나 이상의 툴 슬롯 특징부(18a, 18b)를 추가적으로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툴 슬롯 특징부는, 예컨대, 스크류드라이버, 코인 등과 같은 툴이,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 사이의 슬롯 특징부(들)(18)에 삽입되어 회전하거나 비틀릴 때, 보호 하우징(1)의 커플링된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가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하우징(1)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는 다양한 다른 부품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서로 다른 복수의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를 제조할 수 있는 적당한 물질은, 보호 하우징에 대해 충격 방지 및/또는 액체 침투 방지 저항을 제공하도록,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제조되어 결합될 수 있는 강성, 반강성, 반가요성 및 가요성 물질을 포함한다. 이러한 물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플라스틱, 폴리카보네이트, 나일론, 액정 폴리머, 금속, 및/또는 고무, 열가소성 우레탄,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 프로필렌, TPEs, 이들의 혼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상기 물질은 물질들의 복합물일 수 있으며, 유리, 세라믹, 탄소 섬유(예컨대, 흑연)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보강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c는 보호 하우징(1)의 하부 부재(3)의 평면 사시도이다. 하부 부재(3)의 하부 부재 배면(35), 주변부(30)와 아울러, 상부 부재(2)의 주변부(20)의 부분들이 도시되어 있다. 하부 부재 주연부(30)는 대향하는 하부 부재 근위 단부(31) 및 원위 단부(32)와, 대향하는 하부 부재 우측 측부(33) 및 좌측 측부(34)에 의해 형성된다. 하부 부재 주변부(30)는 내부 주연부(30a)(미도시), 중간 주연부(30b)(미도시)와 아울러, 외부 주연부(30c)에 의해 더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부재 주변부(30)는 배향 스위치(90)와, 볼륨 스위치(99a), 온/오프 버튼(99b)과 같은 하나 이상의 버튼 특징부와 아울러, 래치 도어(71b) 및 툴 슬롯 특징부(18a, 18b)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향 스위치(90), 볼륨 스위치(99), 온/오프 버튼 특징부(99b) 및 툴 슬롯 특징부(18a, 18b)는 하부 부재(3) 상에 배치된다. 래치 도어 특징부(71b)는 하부 부재(3)로부터 상부 부재(2)까지 걸쳐 있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향 제어 스위치(90)와 볼륨 제어 스위치(99a)는 하부 부재 좌측 측부 부재(34) 상에 배치되고, 온/오프 버튼 특징부(99b)는 하부 부재 원위 단부(32) 상에 배치된다.
카메라 렌즈(83)와 광학 스커트(82)를 포함한 렌즈 특징부(80)는 하부 부재 주변부(30)의 하부 부재 원위 단부(32)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스피커 그릴(60b)은, 하부 부재 주연부(30)의 하부 부재 근위 단부(31)의 일부를 덮으면서, 하부 부재(3)의 하부 부재 주변부(30) 상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폰 보호 그릴(61b)을 가진 마이크로폰 전송 포트는 하부 부재(3)의 하부 주변부(30)의하부 부재 근위 단부(31)의 일부를 덮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하부 부재(3)의 주변부(30)의 하부에 배치된 액세서리 연결 포트(97a, 97b, 97c, 97d)들이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이 도면에 개시된 다양한 특징부들의 위치들 중 하나 이상이 반전되거나 재배치될 수 있다.
도 1d는 상부 부재 근위 단부(21)를 향하고 있는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 근위 단부(31)를 향하고 있는 하부 부재(3)를 나타낸 보호 하우징(1)의 정면도를 제공한다. 래치 도어(71b)와 툴 슬롯 특징부(18a, 18b)는 하부 부재(3)로부터 상부 부재(2)까지 걸쳐 있다. 래치 도어 축(74)은 래치 도어(71)가 축(74)을 중심으로 개폐 위치들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a는, 함께 커플링되어 하우징(1)을 형성한 경우에서, 하우징(1)의 상부 부재(2)의 평면과 하부 부재(3)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를 제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부재 주변부(20)는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0a),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0b) 및 상부 부재 외부 주연부(20c)를 포함하며, 이 부분들은 동일한 물질, 또는 상이한 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부재 주변부(20)는 상부 부재 근위 단부(21)에 배치된 홈 버튼(40)을 포함한다.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0a)에는 근접 센서부(48)가 요입부로 도시되어 있다. 툴 슬롯 특징부(18a, 18b)와 아울러, 전기 전송 포트(71a), 예컨대, 충전 포트(미도시)를 덮기 위한 래치 커버(71b)를 포함한 래치 특징부(70)가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에 걸쳐 도시되어 있다.
하부 부재(3)의 하부 주변부(30)는 스피커 소리 전송 특징부(60)를 포함한다. 스피커 소리 전송 포트(60)는, 수용된 기기의 스피커부로부터 하우징의 내부를 통해 하우징의 외부로 소리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하우징의 외부까지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통공(미도시)을 포함한다. 스피커 포트 통공(들)은 실질적으로 액체 침투 방지성 및/또는 액체 저항성인 스피커 가스켓(60a)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으며, 상기 가스켓은 통공 위를 덮으면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내수성 및/또는 방수성이 있지만 전자 기기로부터의 소리가 보호 하우징(1)으로부터 외부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시일을 하부 부재에 대해 제공한다.
렌즈 특징부(80)가 하부 부재 표면(35)에 인접하여 도시되어 있다. 또한, 하부 전면(35) 상에 포함될 수 있는 융기부(16a, 16b)들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 융기부들은, 예컨대, 더 큰 충격 흡수와 소리 전송 강화를 위해, 하부 부재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35)와 수용된 하우징 사이를 분리할 수 있도록 스탠드오프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b는 도 2a의 보호 하우징(1)의 전면 상단 부분의 확대도를 제공한다. 상부 부재 주변부(20)는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0a),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0b) 및 상부 부재 외부 주연부(20c)를 포함하며, 이 부분들은 근접 센서부(48)와 아울러 마이크로폰 전송 포트(61)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마이크로폰 전송 포트(61)는, 마이크로폰 방수 가스켓(61a)을 포함하며, 상기 가스켓은 마이크로폰 전송 포트의 입구 통공(62a)(미도시)을 덮고 있는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0a) 상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폰 전송 포트(61)의 내부는 에코 소거 특징부(64)를 포함하며, 상기 에코 소거 특징부는 입구 통공(62a)의 내부를 둘러싸서 하우징의 내부로부터(예컨대, 스피커부로부터) 수용된 전자 기기의 마이크로폰 부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소리의 내부 전송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융기된 리지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는, 하부 부재(3)의 하부 부재 표면(35)과 하부 주변부(30)(미도시)에 인접한, 렌즈 특징부(80), 광학 스커트(82) 및 광학 등급 카메라형 렌즈(83)를 볼 수 있다. 또한, 하부 전면(35) 상에 포함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스탠드오프 채널을 형성할 수 있는 스탠드오프(16b)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2c는 도 2a의 보호 하우징(1)의 전면 하단 부분의 확대도를 제공하며,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0a),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0b) 및 상부 부재 외부 주연부(20c)를 포함한 상부 부재 주변부(20)를 도시하고 있고, 상기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0a)는 와이퍼 부분으로서 구성되며, 상기 와이퍼 부분은 부분적으로는 시일로서의 기능을 하고, 상부 부재(2)가 전자 기기에 커플링될 때, 예컨대, 상부 부재(2)가 하부 부재(3)에 커플링되어 하우징(1)을 형성할 때, 액체 또는 미립자 물질이 와이퍼 아래로 유입되지 않도록 유입을 방지하거나 줄이는 미립자 포획체로서의 기능을 부분적으로 한다.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0b)의 상부 부재 근위 단부(21)에서 홈 버튼(40)을 볼 수 있다. 툴 슬롯 특징부(18a, 18b)와 아울러 충전 포트 개구(미도시)를 덮기 위한 래치 도어(71b)가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에 걸쳐 도시되어 있다. 하부 부재(3)의 하부 부재 표면(35)의 내부는, 이 도면에 도시된 스피커 방수 가스켓(60a)과 스피커 포트 가스켓 오버몰딩(60c)을 포함한 소리 전송 특징부(60)를 포함한다. 오버몰딩(60c)은 하부 부재 표면(35)의 내부에 가스켓(60a)을 더 부착하여 밀봉하는 기능을 한다.
도 3a는 보호 하우징(1)의 상부 부재(2)의 주변부(20)의 배면의 사시도를 제공한다. 상부 부재(2)의 주변부(20)는, 예컨대, 수용되는 전자 기기의 외부 주연부를 적어도 실질적으로 완전히 둘러싸지 않고, 전자 기기의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배치하기 위한 개구를 형성한다. 상부 부재 주변부(20)는 내부 주연부(20a), 중간 주연부(20b) 및 외부 주연부(20c)를 포함한다.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0b)는 실질적으로 강성 또는 반강성 물질이며, 커플링되는 전자 기기의 주연부를 둘러쌈으로써 상부 부재(2)의 주변부(30)를 함께 형성하도록 된 강성 또는 반강성 프레임워크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0a)와 상부 부재 외부 주연부(20c)는, 이 부분들이 하우징(1)의 다른 부재들 또는 전자 기기의 대응하는 표면과 함께 시일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더 부드러운 내부 및/또는 외부 에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더 유연하거나 휘어지는 반가요성 또는 연성 물질로 구성된다. 보호 하우징에 대해 적당한 충격 및/또는 액체에 대한 저항을 제공하기 위해, 이러한 다양한 주연부들을 만든 다음 당업계에 공지된 수단을 이용하여 함께 커플링될 수 있는 적당한 강성, 반강성, 반가요성 및 가요성 물질들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플라스틱, 폴리카보네이트, 나일론, 액정 폴리머, 금속, 및/또는 고무, 열가소성 우레탄,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이들의 혼합물 및 복합물, 및 본 명세서에 개시된 것들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다양한 경우들에서, 예컨대, 상부 부재(2)에서와 같이, 내부, 중간 및 외부 주연부 중 하나 이상이 있는 경우, 중간 주연부는 하우징에 대해 구조적 완전성을 제공하기 위해 강성 물질, 예컨대, 경질 플라스틱,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 나일론 등으로 제조될 수 있는 반면, 내부 및/또는 외부 주연부들은, 충격 흡수 및 보호 수단을 하우징의 내부 및/또는 외부 주연부들에 제공하기 위해, 보다 유연한, 예컨대, 반강성 또는 가요성 물질, 예컨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TPE(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물질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경우들에서, 상부 부재(2)는 보다 가요성인 내부 및/또는 외부 주연부(20a, 20b)와 커플링될 수 있는 보다 강성인 중간 주연부(20b)를 포함한다. 강성의 중간 주연부(20b)는 하우징의 상부 부재에 구조적 완전성을 제공하기 위해 강체로 구성되는 반면, 하우징의 가요성의 내부 및/또는 외부 주연부(20a, 20b)는 액체 침투 방지성 및/또는 충격 흡수 수단을 제공한다.
다양한 경우들에서, 내부 주연부(20a), 중간 주연부(20b) 및/또는 외부 주연부(20c)는, 예컨대, 제조 공정에서, 일체로 함께 형성될 수 있으나, 다른 경우들에서, 이들은 제조 공정 후에 함께 커플링될 수 있는 2개 또는 3개 또는 그 이상의 분리된 요소들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부 부재(2)는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나일론 프레임과 같은 강성의 골격 프레임으로 구성된 중간 주연부(20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은 내부 주연부(20a) 및/또는 외부 주연부(20c)를 형성하기 위해 폴리에틸렌, TPE 등과 같은 우레탄 물질 또는 고무와 같이 더 가요성인 물질과 더 연관된다, 예컨대, 더 가요성인 물질로 오버몰딩된다.
따라서, 강성 또는 반강성의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0b)는, 예컨대, 몰딩을 통해, 제조되고 형성될 수 있으며, 형성된 다음에는, 예컨대, 오버몰딩 공정을 통해, 보다 유연한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0a) 및/또는 외부 주연부(20c) 중 하나 또는 모두와 커플링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내부, 중간 및/또는 외부 주연부들 중 하나 이상은 열적 몰딩, 용접, 적당한 접착제 등과 같은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여 함께 부착되거나 커플링될 수 있으며, 다른 경우들에서, 이 주연부들 중 하나 이상은 다른 주연부들 중 하나 이상과 일체가 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상부 부재(2)의 주변 주연부들과 관련하여 상술하였으나, 하부 부재(3)의 주변 주연부들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성립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0b)는 상부 부재(2)의 주변부(2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외측으로 융기된 리지 부재(26)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융기된 리지 부재(26)가 주변부(20)의 전체 주연부를 둘러싸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융기된 리지 부재(26)가 주변부(20)의 주연부의 상당한 부분 또는 적은 부분만을 둘러쌀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융기된 리지 부재(26)는,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0b)로부터 상부 부재 외부 주연부(20c)를 향해 돌출하도록, 융기된 리지 부재(26)의 외면(상부) 에지로부터 연장하는 연장된 립(lip) 또는 돌출된 리지 부재(미도시)로서 형성된 제 1 걸쇠 메커니즘(27)을 포함한다. 작동시, 이러한 립 또는 리지의 연장된 부분은 캐치(catch)(27)를 형성한다. 캐치(27)는 융기된 리지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하며, 하부 부재(3)(미도시)의 주변부(30)의 대응하는 융기된 외부 경계 벽체(30b)(미도시) 내부에 배치된 대응하는 개구 또는 그루브(37)(미도시)와 같은 하부 부재(3)의 대응하는 걸쇠 메커니즘(37) 내부에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부 부재(2)가 돌출된 립(27)을 포함하고 하부 부재(3)가 대응하는 긴 그루브(37)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구성들이 전환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연장된 캐치(27)는 융기된 리지 부재(26)의 전체 또는 상당한 부분 또는 약간의 부분을 둘러쌀 수 있으며, 따라서, 하부 부재(3)의 주변부(30)에 배치된 대응하는 걸쇠 메커니즘(37), 예컨대, 긴 그루브의 전체 또는 상당한 부분 또는 약간의 부분에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융기된 리지 부재(26)는 제 2 걸쇠 메커니즘(13a)을 더 포함한다. 어떤 실시예들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걸쇠 메커니즘들 중 하나만 포함될 수 있는 반면,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이들 두 가지 걸쇠 메커니즘과 추가적인 걸쇠 메커니즘들이 제공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걸쇠 메커니즘(13a)은 복수의 치형(13a)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제 2 걸쇠 메커니즘(13a)은 제 1 걸쇠 메커니즘(27)의 내측에 있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이 위치들이 역전될 수 있다.
치형(13a)은 제 1 걸쇠 메커니즘(27)에 대향하는 표면 상에서 융기된 리지 부재(26)의 내부 에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걸쇠 메커니즘(27, 13)들이 동일한 융기된 리지 부재(26)에 배치되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이 걸쇠 메커니즘들이 각각 서로 다른 융기된 리지 부재들에 배치되거나, 2개 이상의 융기된 리지 부재들로 분할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치형(13a)은 융기된 리지 부재(26)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여, 융기된 리지 부재(26)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치형(13)은, 예컨대, 하부 부재(3)의 융기된 내부 경계 벽체(30a)와 같은 대응하는 융기된 벽체 부재의 디텐트, 개구 또는 통공과 같은, 하부 부재(3)의 대응하는 걸쇠 메커니즘(13b)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도록 더 구성된다. 치형들의 개수와 그들의 간격은 생성하고자 하는 밀봉의 강도와 관련하여 원하는 바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들의 상대적인 원주상 적용 범위는 상당한 원주상 적용 범위에서부터 그보다 적은 원주상 적용 범위까지 다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부재(2)의 주변부(20)의 연장되고 융기된 리지 부재(26)는, 상부 부재(2)가 하우징(1)을 형성하도록 하부 부재(3)에 커플링될 때, 하부 부재(3)의 주변부(30)의 대응하는 수용 부재 속으로, 예컨대, (후술하는) 하부 부재 채널(10b) 속으로, 예컨대, 하방으로, 하부 부재에 대해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동작은 여러 가지 다른 결과를 달성한다. 융기된 리지 부재(26)가 하부 부재 채널(10b) 내에 침입하면, 상부 부재 걸쇠 메커니즘(27a)은 대응하는 하부 부재 걸쇠 메커니즘(37)에 맞물리고; 상부 부재 제 2 걸쇠 메커니즘(13a)은 대응하는 하부 부재 걸쇠 메커니즘(13b)에 맞물리며; 융기된 리지 부재(26)의 상면은 하부 부재 채널(10b) 내에 배치된 O링(15b)과 같은 가스켓에 접촉하여 압축하거나 맞물림으로써,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 사이에 견고한 실질적으로 방수성 및/또는 내수성 및/또는 실질적으로 충격 방지성 및/또는 실질적으로 충격 저항성 시일을 생성하게 된다.
기기 유지 치형(96a, 96b)이 또한 도시되어 있으며, 이 치형들은 전자 기기가 상부 부재(2)에 커플링될 때 전자 기기의 정렬, 배향 및/또는 고정하는 기능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유지 치형(96a, 96b)은, 예컨대, 보호 하우징(1)의 내부 전면에 인접한, 융기된 리지 부재(26)의 일부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부재(2)는 하나 이상의 상보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특징부로 구성될 수 있는 내부 주연부(20c)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 주연부(20c)는 상부 부재 채널(10a)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채널(10a)은 상부 부재 채널 내부 경계 벽체(11a)와 상부 부재 채널 외부 경계 벽체(11b)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계 벽체들은 가스켓과 같은 상부 부재 시일, 예컨대, O링(15a)을 그 내부에 적절하게 유지하기에 충분한 거리만큼, 서로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부 부재 채널(10a) 내에 배치된 상부 부재 가스켓(15a)은, 상부 부재(2)가 전자 기기에 커플링될 때, 가스켓(15a)이 전자 기기의 표면, 예컨대, 상면에 접촉함으로써 전자 기기의 표면에 대해 압축되어 그 사이에 시일을 형성하도록 하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시일은 하부 부재(3)에 커플링되어 있는 상부 부재(2)에 의해 더 고정되어 하우징(1)을 형성하게 된다. 전자 기기와 상부 부재(2)의 커플링 및/또는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의 추가적인 커플링에 의해 생성되는 시일은, 상기 부재(2)와 전자 기기의 상면, 예컨대,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의 상면 사이에 생성되는 견고한 실질적으로 방수성 및/또는 내수성 및/또는 실질적으로 충격 방지성 및/또는 실질적으로 충격 저항성 시일이다.
상부 부재 가스켓(또는 그 문제에 대한 하부 부재 가스켓)은, 예컨대, 하우징(1) 내부에 수용되는 전자 기기의 표면, 예컨대, 상면에 접촉할 때, 압축될 수 있는 한, 임의의 적당한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러한 상부 부재 가스켓(또는 하부 부재 가스켓)의 압축의 정도는 채용되는 가스켓의 유형에 따라 좌우될 것이며, 어떤 실시예들에서, 가스켓은 비압축 상태의 직경의 5% 초과, 10% 초과, 15% 초과, 20% 초과, 25% 초과, 30% 초과, 35% 초과, 40% 초과, 45% 초과, 50% 초과의 압축률을 가질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상부 부재 가스켓(또는 하부 부재 가스켓)은 중공이거나 실질적으로 중공일 수 있다. 상부 부재(2)가 하부 부재(3)에 커플링될 때, 결합력이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0a)와 수용된 전자 기기의 전면, 예컨대,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 사이의 가스켓(15a)을 압축하기에 충분하며, 이에 따라, 그들 사이에 액체 침투 방지 및 오물 침투 방지 시일을 생성한다. 가스켓(15a)은, 임의의 충분한 메커니즘에 의해, 예컨대, 부착력에 의해, 접착제의 추가에 의해 또는 그들 사이에 몰딩됨으로써, 상부 부재(2), 예컨대, 상면 내부 또는 중간 주연부(20a 및/또는 20b)에 부착될 수 있다.
상부 부재(2)의 내부 주연부(20c)는 와이퍼 부분과 같은 추가적인 상면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내부 주연부(20c)의 와이퍼 부분은, 전자 기기가 상부 부재(2)에 커플링될 때, 전자 기기의 상면과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용된 전자 기기의 상면과 와이퍼 부분 간의 인터페이스는, 액체 및/또는 먼지 또는 오물과 같은 미립자 물질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유입되지 않고, 상부 부재 채널(15a) 내에 존재하는 상부 부재 가스켓(10a)에 의해 하우징의 내부로 더 유입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부 부재 와이퍼 부분과 상부 부재 채널(15a) 및 가스켓(10a) 부분들은 모두 상부 부재(2)와 전자 기기 사이의 방수성 및/또는 내수성 시일을 강화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가스켓(10a)이 채널(15a)로부터 분리되어 있기는 하지만 그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부재이거나, 상기 가스켓이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0a)의 일부분으로 형성되거나, 채널(15a)이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에 부착될 수 있음을 더 유의하여야 한다(이는 하부 부재 가스켓(10b)과 채널(15b)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상부 부재 내부 중간 주연부(20b)의 융기된 리지 부재(26)는 상부 부재 외부 채널 경계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와이퍼의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0a)의 융기된 부분과 함께 융기된 리지 부재(26)의 내면은 상부 부재 채널(10a)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0b)의 이 융기된 리지 부재(26)는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0a) 상에 배치된 상부 부재 내부 채널 경계 부재(11a)와 함께 방수 시일이 속에 배치되는 내부 주연부 채널(10a)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미도시)에서, 리지 부재(26)는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의 걸쇠 메커니즘들의 맞물림, 예컨대, 하부 부재(3)의 대응하는 융기된 리지 부재, 예컨대, 대응하는 걸쇠 요소를 가진 벽체와 리지 부재(26)의 맞물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른 기능을 갖거나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르거나 추가적인 구성들은, 예컨대, 다르게 구성된 래칭 요소, 캐치, 리지, 립, 그루브, 연장된 돌출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a와 관련하여, 상부 부재 주변부(20)의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0a)는, 홈 버튼 사용자 인터페이스(40a)(미도시)와, 도시된 바와 같이, 홈 버튼 밀봉 부재(41c)에 의해 덮인 홈 버튼 기기 인터페이스(40b)(미도시)를 포함한 홈 버튼(40)(미도시)을 또한 포함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부재 주변부(20)는 근접 센서부(48),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0a) 상에 배치된 헤드폰 포트 경계 부재(51b)에 의해 둘러싸인 헤드폰 포트(50), 및 전기 전송 인터페이스 포트(71b), 예컨대, 충전 포트 통공을 또한 포함한다.
도 3b는 보호 하우징(1)의 하부 부재(3)의 전면(내면)(35a)의 사시도를 제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부재 주변부(30)는 하부 부재(3)의 주연부를 형성하며, 하부 부재 내부 주연부(30a), 하부 부재 중간 주연부(30b) 및 하부 부재 외부 주연부(30c)를 포함한다.
하부 부재 내부 주연부(30a)는 하부 부재 중간 주연부(30b)와 함께 하부 부재 채널(10b)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 부재 채널 속에는 가스켓, 예컨대, O링과 같은 하부 부재 밀봉 부재(15b)(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채널 내부에 탈착가능하게 배치된 독립된 부재이거나, 하부 부재 주변부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하부 부재 주변부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켓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다양한 구성 및/또는 압축률을 가질 수 있다. 어떤 경우들에서, 하부 부재 가스켓은 O링일 수 있으며, 상기 O링은 중공 또는 반중공일 수 있다.
따라서, 하부 부재 내부 주연부(30a)는 하부 부재 채널 내부 경계 부재, 예컨대, 내부 경계 벽체를 형성하며, 하부 부재 중간 주연부(30b)는 하부 부재 채널 외부 경계 부재, 예컨대, 외부 경계 벽체를 형성하고, 이들은 함께 채널(10b)을 형성한다. 내부 및 외부 경계 벽체들은, 하우징(1)의 하부 부재(3)의 내부 및 외부 경계 벽체들 사이에 배치되는 채널에 대해 구조적 완전성을 제공하기 위해, 예컨대, 경질 플라스틱, 예컨대, 나일론,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강성 물질이나, 폴리프로필렌 물질과 같은 반강성 물질과 같은, 동일하거나 다른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어떤 경우들에서, (하부 부재 및/또는 상부 부재의) 내부 및/또는 외부 경계 벽체들은 하우징의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의 일부 또는 전체 주연부를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부 또는 하부 부재 채널은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의 일부 또는 전체 주연부를 둘러쌀 수 있다.
하부 부재(3)의 하부 부재 중간 주연부("외부 경계 벽체")(30b)는 제 1 걸쇠 메커니즘(37)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걸쇠 메커니즘은 상부 부재(2)의 대응하는 제 1 걸쇠 메커니즘(27)에 맞물리도록 구성됨으로써, 함께 맞물렸을 때,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를 함께 커플링하여 하우징(1)을 형성하는 기능과,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가 함께 커플링되었을 때 이들 사이에 실질적으로 방수성 및/또는 실질적으로 내수성 시일을 하나 이상의 하우징 시일과 함께 생성하는 추가적인 기능을 한다.
또한, 하부 부재(3)의 하부 부재 내부 주연부("내부 경계 벽체")(30a)는 제 2 걸쇠 메커니즘(13b)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걸쇠 메커니즘은 상부 부재(2)의 대응하는 제 2 걸쇠 메커니즘(13a)에 맞물리도록 구성됨으로써, 함께 맞물렸을 때,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를 함께 커플링하여 하우징(1)을 형성하는 기능과,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가 함께 커플링되었을 때 이들 사이에 실질적으로 방수성 및/또는 실질적으로 내수성 시일을 하나 이상의 하우징 시일과 함께 생성하는 추가적인 기능을 한다. 내부 및/또는 외부 경계 벽체들 중 하나 또는 모두는 걸쇠 메커니즘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여기서 설명하는 것과는 다른 유형의 걸쇠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걸쇠 메커니즘은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의 일부 또는 전체 주연부를 따라 연장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예컨대, 하나 이상의 걸쇠 메커니즘(들)은, 예컨대,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가 전체 측부 또는 그 일부를 따라 적당한 축 요소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 주연부의 약 99% 이상, 약 95%, 약 90%, 약 85%, 약 80%, 약 75%, 약 70%, 약 65%, 약 60%, 약 55%, 약 50%, 약 40%, 약 30%, 약 25%, 약 20%, 약 10% 또는 그 이하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의 걸쇠 메커니즘들은 하우징의 상부 부재를 하우징의 하부 부재와 커플링하는 방식으로 서로 상호 작용할 수 있는 한 임의의 적당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어떤 경우들에서, 이러한 커플링은 하우징의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 사이에 액체 침투 방지 및/또는 충격 방지 시일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상기 걸쇠 메커니즘들은, 예컨대, 당업계에 공지된 전통적인 래칭 메커니즘을 채용할 경우 하우징의 2개의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들을 함께 커플링할 때 통상적으로 발생하는 변형을 줄이거나 및/또는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의 외부 주연부를 따르는 한점에서 걸리는 래칭 메커니즘과 같이, 예컨대, 당업계에 공지된 전통적인 래칭 메커니즘을 채용할 경우, 래칭 메커니즘이 대향하는 래칭 표면들 상의 불연속적인 위치들에 대해서만 폐쇄력을 가하기 때문에, 변형이 흔히 발생한다. 그러한 래칭 메커니즘은 여러 인장점들 간에 상당한 간극을 남긴다. 이와 같은 구성은, 간극들 간의 이러한 인장점들이 대향력들이 합체됨으로써 최대화되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하우징의 2개의 부분들이 서로에 대해 작용할 때 변형을 초래한다.
어떤 경우들에서, 본 하우징과 그 특징부들은 이 대향력들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하우징의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는 대향하는 걸쇠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걸쇠 메커니즘은 하우징의 길이를 따라 이 대향력들을 분산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하우징의 2개의 부재들을 밀봉함으로써 유발될 수 있는 변형을 최소화한다. 어떤 경우들에서,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들 중 하나 또는 모두는 가스켓을 수용하는 채널과 같은 채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채널의 일부는 채널을 통해 대향력들을 분산시키도록 구성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걸쇠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경우들에서, 하부 부재(3)는 2개의 경계 부재들, 즉, (하부 부재 내부 주연부를 구성하는) 내부 벽체 경계 부재(30a)와 (하부 부재 중간 주연부를 구성하는) 외부 벽체 경계 부재(30b)에 의해 형성되는 채널(10b)을 포함하며, 상기 경계 부재들은 하부 부재 채널(10b)을 형성하도록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하부 부재 채널(10b)은 상부 부재(2)의 융기된 리지 부재(26)와 밀봉 가스켓(15b)을 모두 수용하도록 더 구성된다.
다양한 크기의 가스켓들이 하우징의 액밀 시일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가스켓은, 채널(10a 및/또는 10b)의 내부와 같이, 수밀 시일이 유용한 어디에나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스켓이 포함됨으로 인하여, 하우징의 2개의 부재들이 함께 커플링됨으로써 유발되는 압축에 대해 가스켓이 저항할 때, 추가적인 대향력들을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걸쇠 메커니즘은 이러한 대향력들을 더 양호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주연부의 상당한 원주를 따라 실질적으로 연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와 같이 연속적인 원주상 걸쇠 시스템은 기기의 원주의 상당 부분 또는 전체를 둘러쌀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과도적인 간극들을 최소화하여, 인장점들 간의 간극들에 축적되는 대향력들을 분산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부 부재 가스켓은 적절한 밀봉을 확립하기 위해 더 큰 압축률이 필요한 래칭 시스템의 일부가 아니기 때문에, 상부 부재 가스켓은 효과적인 시일을 생성하기 위해 더 적은 힘이 필요하며 더 큰 압축률을 허용하는 중공 가스켓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부재(3) 내에 채널(10b)이 포함되며, 상기 채널(10b)은, 예컨대, 걸쇠 메커니즘(27, 37)을 통해,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를 함께 걸어 잠금으로써 유발되는 대향력들을 함께 제한하도록 구성된가스켓(15b)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대향력들은 채널의 작은 공간으로 제한될 수 있으며,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의 걸쇠 메커니즘(27, 37)들의 긴밀한 커플링에 의해 더 최소화될 수 있다. 이는, 가스켓을 더 압축함으로써 액밀 시일을 발생시키기 위해, O링과 같은 덜 압축가능한 가스켓(15)이 채널(10)에 포함된 경우 특히 유용하다.
따라서, 상부 부재(2)의 융기된 리지 부재(26)는,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가 함께 커플링되어 하우징(1)을 형성할 때, 하부 부재(3)의 대응하는 걸쇠 메커니즘(예컨대, 37, 13b)과 각각 맞물리는 복수의 걸쇠 메커니즘, 예컨대, 제 1 걸쇠 메커니즘(27)과 제 2 걸쇠 메커니즘(13a)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대응하는 걸쇠 메커니즘들은 하부 부재(3)와 상부 부재(2)의 강한 커플링, 예컨대, 실질적인 충격 방지 커플링을 유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부재의 융기된 리지 부재(26)는,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가 함께 커플링되어 하우징(1)을 형성할 때, 하우징의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 사이에 실질적으로 방수성 및/또는 실질적으로 내수성 시일이 생성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하부 부재 채널(10b) 내의 하부 부재 가스켓(15b)에 맞물려 압축하도록 구성된 상면을 더 포함한다.
또한, 하부 부재(3)의 걸쇠 메커니즘(13)과 관련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내부 경계 벽체(30a)는 치형 리셉터클(13b)을 형성하는 디텐트 또는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치형 리셉터클은 상부 부재(2)의 대응하는 치형(13a)과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치형(13a)과 치형 리셉터클(13b)은,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가 커플링되어 보호 하우징(1)을 형성할 때, 함께 맞물릴 수 있도록 정렬되며, 상부 부재(2)의 융기된 리지 부재(26)의 내면 상에 배치된 제 2 걸쇠 메커니즘(13)의 치형(13a)은 하부 부재(3)의 내부 경계 벽체(30a)에 배치된 치형 리셉터클(13b)과 가역적으로 인터페이싱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치형(13a)과 치형 리셉터클(13b)의 맞물림이 발생할 때, 상부 부재의 제 1 걸쇠 메커니즘(27)은 하부 부재(3)의 제 1 걸쇠 메커니즘(37)과 가역적으로 맞물린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a 및 도 3b의 치형 및 리셉터클 걸쇠 특징부(13)는 하나 이상의 치형(13a)들 중 하나 이상의 섹션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걸쇠 특징부(13)는 하나 이상의 치형 수용 부재(13b)들 중 하나 이상의 섹션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치형 또는 치형(13a)들은 치형 또는 치형들의 수용 부재(13b)와 인터페이싱하여, 치형(13a)들이 치형 수용 부재(13b)와 커플링되었을 때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가 함께 커플링되어 하우징(1)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치형(13a)들은 상부 부재(2) 또는 하부 부재(3)의 주변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상부 또는 하부 부재는 대응하는 치형 수용 부재(13b)를 가질 것이다. 이 경우에서, 치형(13a)들은 상부 부재(2)의 중간 주연부(20b)를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치형 수용 부재(13b)는 하부 부재(3)의 내부 주연부(30a)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경우들에서는, 치형(13a)들이 하부 부재(3)의 주연부(30)를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치형 수용 부재(13b)는 상부 부재(2)의 주연부(20)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와 관련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부재(2)의 주연부(20b)를 따라 6개의 치형 영역들이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치형 영역은 하나 또는 복수의 치형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서, 각각의 치형 영역(13a)은 복수의 치형을 포함하고 있다. 치형(13a)은 상부 부재(2)의 내부 주연 부재(20b)의 종방향 길이로부터 멀리 하우징의 내부 공동을 향해 측방향으로 내측으로 연장된다. 치형(13a)은 하부 부재(3)의 대응하는 치형 수용 부재(13b)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부재(3)의 내부 주연부, 예컨대, 내부 경계 부재(30a)를 따라 6개의 치형 수용 영역(13a)들이 배치된다. 그러나, 모든 치형들이 내부에 결합될 대응하는 치형 수용 리셉터클을 가질 필요가 없으며, 상당한 부분만 리셉터클을 가지면 충분하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치형 수용 부재(13b)들은 치형(13b)이 내부에 결합될 수 있는 통공으로서 구성된다. 따라서, 상부 부재(2)가 하부 부재(3)에 커플링되었을 때, 6개의 치형 영역들의 치형(13a)은 하부 부재(3)의 6개의 치형 수용 부재 영역들의 대응하는 치형 수용 부재(13b)들과 인터페이싱하며 맞물린다.
그 결과, 하우징(1)이 하부 부재(3)와 상부 부재(2)의 커플링에 의해 형성되며, 함께 결합되는 걸쇠 메커니즘(27, 37)과 아울러 걸쇠 메커니즘(13a, 13b)에 의해 밀봉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어느 한 걸쇠 메커니즘(27, 37; 또는 13a, 13b)이 조합하여 또는 홀로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걸쇠 메커니즘(13a, 13b)이 6개의 서로 다른 영역들의 주연부 주변에 배치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으나, 이들이 액체 침투 방지 및 충격 방지 밀봉을 제공할 수 있는 한, 6개보다 많거나 적은 영역들에 배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치형과 치형 수용 부재들은, 이들이 하우징의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를 함께 커플링하기 위해 서로 인터페이싱할 수 있는 한, 임의의 적당한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치형 및/또는 대응하는 치형 수용 부재들의 개수, 크기 및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긴 치형 또는 다수의 짧은 치형들이 포함될 수 있다. 치형들과 리셉터클들은 전체 주연부 또는 임의의 개수의 그 하위 부분들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부재의 4개의 모든 측면들을 따라 6개의 치형 영역들이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치형들은 상부 부재 대신 하부 부재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및/또는, 원하는 경우, 1개, 2개, 3개, 4개, 5개, 6개 또는 그 이상의 치형 영역이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의 1개, 2개, 3개, 4개, 5개, 6개 또는 그 이상의 측면들을 따라 포함될 수 있다. 치형 및/또는 치형 수용 부재는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와 아울러, 원한다면, 내부 또는 외부 주연부에 배치될 수 있음을 또한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특이한 걸쇠 시스템으로 인하여,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작은 래칭 단면적이 제공되며, 상기 작은 래칭 단면은, 하우징을 폐쇄/조립하여 함께 결합된 상태로 유지하는 방법, (밴드 변화(band inflection)에 저항하기 위해 두꺼운 물질이 필요하지 않도록) 하우징을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물질을 최소화하는 방법, 및 가스켓, 예컨대, O링이 2개의 케이스 하우징들 사이에 적절하게 압축되도록 보장함으로써 액체 침투 방지 및 이음매 없는 시일을 생성하는 것과 관련된 문제점들을 해소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연부 걸쇠 메커니즘들의 작은 래칭 단면적의 특이한 특징은 이들이 완전히 하우징(1)의 내부에 있다는 것이다.
"완전히 하우징의 내부에 있다"라는 것은, 상부 부재(2)가 하부 부재(3)와 커플링될 때, 대응하는 걸쇠 메커니즘(27, 37 및/또는 13a, 13b)들이 하우징의 외부에 있지 않고 완전히 내부에 수용되도록, 예컨대, 걸쇠 메커니즘들이 하우징(1)의 주연부의 내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걸쇠 메커니즘(27, 37 및/또는 13a, 13b)들이 완전히 하우징(1)의 경계 내부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3의 실시예에서, 도시된 걸쇠 메커니즘들은 완전 내부 걸쇠 메커니즘들이다. "완전 내부 걸쇠 메커니즘"이란,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가 함께 커플링되어 하우징이 형성될 때, 걸쇠 메커니즘들이 하우징의 외부 경계에 대해 완전히 내부에 있도록, 예컨대, 이들이 하우징 내부의 내부 공동 내부에 수용되는 것과 같이 하우징의 내부에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걸쇠 메커니즘들이 함께 커플링되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한 내부 걸쇠 메커니즘들은 하우징의 내부에 있으며, 외부 주연부에서 보았을 때 관찰될 수 없다. 물론, 액밀 시일이 제공되도록 더 보장하기 위해, 외부 래칭 메커니즘과 같은 추가적인 래칭 요소들이, 예컨대, 하우징의 외부 부연부를 따라 더 포함될 수 있으나, 이들이 필요하지는 않다. 추가적인 내부 래칭 메커니즘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내부 및/또는 외부 모두에 복수의 걸쇠 메커니즘들이 하우징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은 하나 또는 복수의 내부 걸쇠 메커니즘 및/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 걸쇠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와 관련하여 매우 상세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걸쇠 메커니즘은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는 대향하는 캐치들 또는 연장된 부분들 및 그루브들, 및/또는 연장된 돌출 부재 및 그루브 구조를 가진 리브, 후크들 및 루프들 등으로서 구성된 내부 걸쇠 메커니즘을 각각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걸쇠 메커니즘은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의 주연부의 내부를 둘러쌀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대향하는 캐치 메커니즘들에 부가하여,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는 암수 대응부, 예컨대, 도 3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치형과 홀로서 구성된 내부 걸쇠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하우징은 클립 또는 펙(peg) 및 슬롯 구조와 같은 임의의 적당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 외부 걸쇠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b와 관련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부재(3)의 주변부(30)의 내부 주연부(30a)는 우측, 좌측, 상부 및 하부 범퍼부(36)들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몰딩 영역(36)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가요성 몰딩 영역으로 구성된 다른 내부 부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범퍼(36)들은 보호 하우징(1) 내에서 전자 기기의 배치를 돕거나, 및/또는 보호 하우징(1) 내부에서 전자 기기의 원치 않은 움직임 및/또는 잠재적인 손상을 완화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음향 멤브레인 특징부(60)가 또한 도시되어 있다. 음향 멤브레인 특징부(60)는 복수의 스피커 포트 전송 통공 또는 출구(미도시)를 가진 스피커 전송 포트로서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통공은 스피커 전송 포트 방수 가스켓(60a)으로 덮여 있다. 상기 방수 가스켓(60a)은 소리는 통과시키지만, 물을 포함한 액체와 아울러 먼지, 오물 등은 통과시키지 않을 수 있다. 스피커 출구 통공들은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외부까지 가로지름으로써, 수용된 기기의 스피커 전송부로부터 하우징을 통해 외부로 소리의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물론 방수 가스켓은 상기 개구를 통한 하우징 내로의 물 유입을 방지한다.
충전 포트 특징부(70)를 덮기 위한, 밀봉 가스켓(78)이 부착된 래치 특징부 도어(71b), 배향 스위치(90) 및 볼륨 제어 부분(99a)의 내부 모습과 아울러, 하부 부재(3)의 하부 부재 표면(35)에서 볼 수 있는 렌즈 특징부(80)가 또한 도시되어 있다. 스탠드오프(16a)들 및/또는 브릿지(16b)들이 수납된 기기를 하부 부재 표면(35)의 평면 위로 상승시키도록 구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c는 하부 부재(3)의 전면의 모습(우측 도면)과 상부 부재(2)의 전면의 평면 사시도(좌측 도면)를 나타내며, 보호 하우징 내에서 전자 기기가 맞물릴 때 2개의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가 함께 배치될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부 부재(2)의 상부 주변부(20)에 홈 버튼(40)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이 도면에서는,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0a) 상의 근접 센서부(48)를 볼 수 있다. 하부 부재(3)(우측 도면)는, 하부 부재 내부 주연부(30a), 하부 부재 중간 주연부(30b) 및 하부 부재 외부 주연부(30c)를 포함한 하부 부재 주변부(30)와 아울러, 하부 부재의 전면 및 배면(35)을 포함한다.
하부 부재의 내부 주연부(30a)와 중간 주연부(30b)는 가스켓과 같은 밀봉 부재(미도시), 예컨대, O링이 장착될 수 있는 채널(10b)을 형성한다. 내부 주연부(30a)는 걸쇠 메커니즘(13b)을 포함하며, 상기 걸쇠 메커니즘은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개구들 또는 치형 수용 부재들의 복수의 영역들, 예컨대, 치형 리셉터클들로서 구성된다. 따라서, 치형 리셉터클(13b)은 하부 부재 중간 주연부(30b) 상에서 하우징(1)의 공동을 향해 채널(10b)로부터 내부적으로 통과하는 개구로서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채널(10b)은 내부 경계 벽체(30a)와 외부 경계 벽체(30b)에 의해 형성된다.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가 결합되면, 상부 부재(2)의 치형(13a)(미도시)이 하부 부재(3)의 치형 리셉터클(13b)과 가역적으로 인터페이싱한다.
하부 부재의 하부 부재 전면(35)은, 보호 하우징 내부에서 전자 기기의 원치 않은 움직임 및/또는 잠재적인 손상을 완화하기 위해, 보호 하우징 내에서 전자 기기의 배치를 돕는 우측 및 좌측 범퍼(36a, 36b)들을 포함한다. 또한, 래치 특징부(70)에 대해 액체 침투 방지 시일을 제공하기 위해 충전 포트 특징부를 덮는 가스켓(78)을 포함한 래치 도어(71b); 방수 스피커 가스켓(60a)을 가진 스피커 전송 포트(60); 방수 마이크로폰 가스켓(61a) 및 마이크로폰 가스켓 오버몰딩(61c)을 가진 마이크로폰 전송 포트(61)와 아울러, 하부 부재(3)의 상면(35)에서 볼 수 있는 렌즈 특징부(80)가 도시되어 있다. 스탠드오프(16a)들 및/또는 브릿지(16b)들이 수납된 기기를 하부 부재 표면(35)의 평면 위로 상승시키도록 구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브릿지(16b)들은 함께 스탠드오프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a와 관련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이 제공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를 포함하고, 이들은 함께 커플링되어 방수 및 충격 방지 하우징(1)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부재(2)는 주변부(20)를 포함하고, 상기 주변부는 3개의 하위 부분들, 즉, 내부 주연부(20a), 중간 주연부(20b) 및 외부 주연부(20c)를 더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하부 부재(3)는 주변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주변부는 3개의 하위 부분들, 즉, 내부 주연부(30a), 중간 주연부(30b) 및 외부 주연부(30c)를 더 포함한다.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는 상부 부재(2)의 골격 프레임을 형성하는 강성 또는 반강성 물질로 제조되며, 상기 프레임은 그 내부에 수용되는 전자 기기의 외형을 모델링하도록 구성된다.
상부 부재(2)는 대응하는 하부 부재(3)에 커플링될 때와 아울러 전자 기기(100)에 커플링될 때 모두 방수 시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부 부재(2)는 이러한 밀봉 기능을 용이하게 하는 복수의 특징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0c)는 가요성 또는 반가요성 물질로 제조되며, 와이퍼 부분과 채널 부분(10a) 중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와이퍼 부분은 자동차의 유리 와이퍼와 유사하며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경사진 에지로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와이퍼 부분은 중간 주연부의 강성 프레임과 수용된 기기의 상면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경사진 에지 부분을 갖는다. 경사진 에지는 수용된 기기(100)의 상면 또는 에지와 만날 때까지 중간 주연부(20b)의 상부 에지로부터 하방으로 내부적으로 경사져 있다. 경사진 에지의 선단 부분은 기기의 상면에 맞게 휘어질 수 있도록 충분히 유연하지만, 그 형태를 유지하기에 충분히 강하다. 따라서, 와이퍼와 상면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와이퍼 아래로 액체 및/또는 먼지 및/또는 오물의 침입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긴밀하고 점착성 있는 인터페이스이다.
채널 부분(10a)은 와이퍼 부분의 외부에 형성되며, 내부 및 외부 채널 벽체(11a, 11b)들 모두로 구성되고, 상기 벽체들은 그 내부에 상부 부재 밀봉 부재, 예컨대, 가스켓(15a)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스켓은 채널에 추가되는 별도의 부재이거나, 채널과 일체가 되도록 함께 예비성형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은 수용되는 전자 기기의 상면 또는 상부 에지 표면에 맞물림으로써 압축되어 그들 사이에 방수 및/또는 먼지 침투 방지 밀봉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적당한 밀봉 부재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상기 가스켓은 제 1 팽창 직경으로부터 제 2 압축 직경으로, 예컨대, 본래의 비압축 직경의 1 내지 50%로 압축될 수 있는 중공의 O링과 같은 O링이다. 몇몇 경우들에서, 이러한 압축은 1 내지 75%일 수 있다.
상부 부재(2)는, 하우징(1)이 형성될 때,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 사이의 인터페이스가 방수 및/또는 먼지 침투 방지 및/또는 오물 침투 방지 시일을 형성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하부 부재(3)와 맞물리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하부 부재(3)는 하부 부재 가스켓(15b)을 포함한 하부 부재 채널(10b)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 가스켓은 상부 부재 가스켓(15a)과 동일한 기능을 갖지 않을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중공이 아니고 통상적으로 압축률이 더 작다. 이 가스켓의 압축률은 약 1% 내지 30%이지만, 1% 내지 50%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하부 부재(3) 및/또는 그 부품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부재는 기기를 내부에서 받치기 위해 수용되는 기기의 하부-배면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부 부재 표면(35)을 모두 형성하는 하부 부재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하부 부재 표면은 수용되는 유지되는 기기의 배면의 외형에 맞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면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평면이거나, 곡선형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면(35)은, 당해 배면(35)과 주로 연속적이며 따라서 동일한 물질로 제조되는 주변부(30)를 갖는다. 그러나, 하부 부재 주변부(30)는 하부 부재 채널(10b)과 같은 다양한 특징부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부 부재 채널(10b)은 하부 부재 내부 주연부(30a)와 하부 부재 중간 주연부(30b)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의 주변부(20, 30)들은 모두 몰딩, 예컨대, 오버몰딩에 의해 자신의 각 프레임워크에 커플링된 가요성 또는 반가요성 외부 주연부(20c, 30c)를 각각 포함한다. 이러한 가요성의 오버몰딩 부분들은 하우징(1)에 대해 충격 방지 쿠션을 제공하는 기능을 부분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 부재(3)와 상부 부재(2)의 커플링은, 이 커플링에 의해 방수 및/또는 먼지 및/또는 오물 침투 방지 시일이 실현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커플링이 유발되도록 돕기 위해, 상부 부재(2)의 중간 주연부(20b)는 상부 부재 표면의 평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긴 부재를 포함한다. 이 연장된 부재는 융기된 리지(26)로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융기된 리지 부재(26)는 하부 챔버(3)의 채널(10b) 내부에 수용되어 적어도 복수의 기능을 그 내부에서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첫째, 융기된 리지 부재는 상부 부재 제 1 및 제 2 걸쇠 메커니즘(27, 13a)을 포함하며, 이들은 모두 하부 부재(3)의 대응하는 걸쇠 메커니즘(37, 13b)과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둘째, 융기된 리지 부재는 하부 부재 가스켓(15b)에 맞물려 압축하도록 구성된 하부 가스켓 인터페이스 표면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부 부재의 융기된 리지 부분(26)이 하부 부재 채널(10b)에 침입할 때, 그 상면은 하부 부재 가스켓(15b)에 맞물려 압축하고, 그 제 1 및 제 2 걸쇠 메커니즘(27, 13a)들은 대응하는 하부 부재 걸쇠 메커니즘(37, 13b)과 맞물림으로써,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가 함께 커플링되어 하우징(1)을 형성할 때,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방수 및/또는 먼지 침투 방지 및/또는 오물 침투 방지 밀봉을 생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확실하고 견고한 밀봉을 형성하기 위해, 하부 부재(3)는 제 1 및 제 2 걸쇠 메커니즘(37, 13b)을 모두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걸쇠 메커니즘은 하부 부재 중간 주연부(30b) 상에 배치되고, 제 2 걸쇠 메커니즘은 하부 부재 내부 주연부(30a) 상에 배치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배치는, 제 1 및 제 2 걸쇠 메커니즘들이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를 따라 다른 위치에 배치되거나 및/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른 구성을 갖는 경우, 달라질 수 있다. 2개의 걸쇠 메커니즘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1개,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걸쇠 메커니즘들이 포함될 수 있음을 또한 유의하여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의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는, 다양한 구성들 중 하나를 가질 수 있으며 하우징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걸쇠 메커니즘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대한 나머지 설명은 기준 걸쇠 메커니즘들의 다양한 구성에 관한 것이다. 이 설명은 단지 예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을 뿐이며 과도하게 제한하고자 의도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걸쇠 메커니즘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 조합하여 채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a와 관련하여,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는 제 1 및 제 2 걸쇠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제 1 걸쇠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부 부재의 제 1 걸쇠 메커니즘(27)은 교차면(29)에 의해 교차되는 경사면(28)을 포함한다. 교차면(29)과 경사면(28)은 함께 에지 또는 립 또는 그루브 또는 캐치를 형성하며, 이는 상부 부재(2)의 걸쇠 메커니즘(27)을 구성한다. 경사면(28)과 교차면(29)은 각도를 형성한다. 또한, 하부 부재의 제 1 걸쇠 메커니즘(37)은 교차면(39)에 의해 교차되는 경사면(38)을 포함하는 대응하는 구성을 갖는다. 교차면(39)과 경사면(38)은 함께 에지 또는 립 또는 그루브 또는 캐치를 형성하며, 이는 하부 부재(3)의 걸쇠 메커니즘(37)을 구성한다. 경사면(38)과 교차면(39)은 각도를 형성한다. 예컨대, 제 1 걸쇠 메커니즘의 경사면들은 교차면에 대해, 약 45°를 포함하여, 약 30 또는 40°내지 약 50 또는 60°와 같은, 예컨대, 약 15 또는 20°내지 약 70 또는 75°, 약 5 또는 약 10°내지 약 80 또는 85°와 같은, 0 내지 약 90°범위의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부재(2)의 걸쇠 메커니즘(27)은 하부 부재(3)의 대응하는 걸쇠 메커니즘(37)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대응하는 걸쇠 메커니즘들은 대응하는 표면들, 예컨대, 립 또는 에지 영역들을 갖거나, 다르지만 상보적인 표면들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서, 상부 부재(2)는 교차면(29)에 의해 교차되는 경사면(28)을 포함한 립 또는 에지 영역을 포함하는 걸쇠 메커니즘(27)을 가진 주변부(20)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하부 부재(3)는 교차면(39)에 의해 교차되는 경사면(38)을 포함한 립 또는 에지 영역을 또한 포함하는 걸쇠 메커니즘(37)을 가진 주변부(30)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립 또는 에지 영역들은 함께 커플링되도록 구성된다.
걸쇠 메커니즘(27, 37)들의 특정 구조가, 예컨대, 대응하는 캐치 걸쇠 메커니즘들로서 도시되어 있으나, 예컨대, 경사면들이 직선이거나 실질적으로 직선 등인 경우, 다른 구조들도 적합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예컨대, 일 실시예에서,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 중 하나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예컨대, 립 에지 영역을 가진 걸쇠 부재를 가질 수 있으며, 대응하는 부재는 대향하는 부재의 대응하는 립 에지를 수용하도록 된 그루브와 같은 수용 요소로서, 예컨대, 원주상 그루브로서 구성된 걸쇠 부재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서, 경사면(28)과 교차면(39)은 상부 부재(2)의 걸쇠 메커니즘(27)을 포함하며, 상기 걸쇠 메커니즘은 하부 부재(3)의 걸쇠 메커니즘(37)의 대응하는 표면들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상부 및 하부 걸쇠 메커니즘(27, 37)들은 함께, 이들이 함께 커플링되었을 때, 예컨대, 함께 스냅핑되었을 때, 이들이 하우징을, 예컨대, 액체 침투 방지 시일로 밀봉하는 방식으로, 서로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 대향하는 스냅 밀봉체들을 각각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걸쇠 메커니즘(27, 37)들은 하우징의 전체 주연부를 둘러싸는 완전 내부 걸쇠 메커니즘임을 유의하여야 한다. 상부 및 하부 걸쇠 메커니즘들이 하나의 특정 구조, 예컨대, 전체 주연부를 둘러싸는 완전 내부 구조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으나, 이 구조는 비한정적인 예이며, 걸쇠 메커니즘들이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를 함께 커플링함으로써 하우징을 충분히 밀봉하는 방식으로 함께 결합될 수 있는 한,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하우징(1)은 제 2 걸쇠 메커니즘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걸쇠 메커니즘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걸쇠 메커니즘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채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걸쇠 메커니즘(13)은 하나 이상의 치형(13a)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부분들을 포함한다. 하부 부재(3)의 대응하는 걸쇠 메커니즘(13)은 하나 이상의 치형 수용 부재(13b)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부분들을 포함한다. 상부 부재(2)의 치형 또는 치형(13)들은 하부 부재(3)의 치형 또는 치형들의 수용 부재(13b)와 인터페이싱하여, 치형(13a)들이 치형 수용 부재(13b)와 커플링되었을 때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가 함께 커플링되어 하우징(1)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어떤 실시예들에서, 치형(13a)들은 상부 부재(2) 또는 하부 부재(3)의 주연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대응하는 부재는 치형 수용 부재(13b)를 가질 것이다. 이 경우에서, 상부 부재(2)의 치형(13a)들은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0b)의 융기된 리지 부재(26)의 내향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하부 부재(3)의 치형 수용 부재(13b)는 하부 부재(3)의 내부 주연부(30a)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경우들에서는, 치형들이 하부 부재의 주연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치형 수용 부재들은 상부 부재의 주연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치형(13a)과 치형 수용 부재(13b)는 상부 부재(2) 및/또는 하부 부재(3)의 내면을 따르는 다수의 영역들에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치형/수용 영역은 하나 또는 복수의 치형/수용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치형은 상부 부재(2)의 융기된 리지(26)의 종방향 길이로부터 멀리 하우징의 내부 공동을 향해 측방향으로 내측으로 연장된다. 치형(13)은 하부 부재(3)의 대응하는 치형 수용 부재(13b)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치형 수용 부재(13b)들은 치형(13a)이 내부에 결합될 수 있는 통공으로서 구성된다. 따라서, 상부 부재(2)가 하부 부재(3)에 커플링되었을 때, 치형 영역들의 치형(13a)은 하부 부재(3)의 치형 수용 부재 영역들의 치형 수용 부재(13b)들과 인터페이싱하며 맞물리며, 따라서, 하우징(1)이 하부 부재(3)와 상부 부재(2)의 커플링에 의해 형성되며, 함께 결합되는 걸쇠 메커니즘(27, 37)과 아울러 걸쇠 메커니즘(13a, 13b)에 의해 밀봉된다.
치형과 치형 수용 부재들은, 이들이 하우징의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를 함께 커플링하기 위해 서로 인터페이싱할 수 있는 한, 임의의 적당한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치형 및/또는 대응하는 치형 수용 부재들의 개수, 크기 및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긴 치형 또는 다수의 짧은 치형들이 포함될 수 있다. 치형들은 전체 주연부 또는 임의의 개수의 그 하위 부분들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치형들은 상부 부재 대신 하부 부재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및/또는, 원하는 경우, 1개,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치형 영역이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의 1개,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측면들을 따라 포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나의 긴 치형 수용 부재 또는 다수의 짧은 치형 수용 부재들이 포함될 수 있다. 치형 수용 부재들은 전체 주연부 또는 임의의 개수의 그 하위 부분들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치형 수용 부재들은,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가 함께 커플링될 때, 하우징을 고정하여 밀봉하기 위해 치형 부재들과 대응하여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치형 및/또는 치형 수용 부재는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와 아울러, 원한다면, 내부 또는 외부 주연부에 배치될 수 있음을 또한 유의하여야 한다.
도 4b는 도 4a의 하우징(1)의 걸쇠 메커니즘의 좌측 단면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하우징(1)은 제 1 내부 걸쇠 메커니즘(27, 37)과 아울러, 제 1 내부 걸쇠 메커니즘 내부에 제 2 내부 걸쇠 메커니즘(13)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걸쇠 메커니즘(27, 37, 13)들은 완전 내부 걸쇠 메커니즘이다. 완전 내부 걸쇠 메커니즘(27, 37)은 하우징(1)의 주연부의 전체 내부 원주를 둘러싼다. 이러한 완전 내부 걸쇠 메커니즘(27, 37)은, 시일이 하우징 내부에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하우징을 효과적으로 밀봉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 내부 걸쇠 메커니즘은 캐치 및 그루브 걸쇠 메커니즘으로서 구성된다.
예컨대, 상부 부재는 연장된 립 또는 캐치(27)로서 구성된 내부 걸쇠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하부 부재는 그루브(37)로서 구성된 대응하는 내부 걸쇠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그루브는 하부 부재 중간 주연부의 내면을 따라 원주상으로 연장된다. 상부 부재의 립 또는 캐치(27)와 하부 부재의 그루브(37)는 하우징 부재(2, 3)들을 서로 밀봉하기 위해 함께 커플링되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상부 부재는 복수의 치형(13a)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영역으로 구성된 내부 걸쇠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하부 부재는 복수의 대응하는 치형 수용 리셉터클(13b)로 이루어진 복수의 영역으로 구성된 대응하는 내부 걸쇠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영역들은 자신의 각 주변부를 따라 원주상으로 연장된다. 상부 부재의 치형(13a)과 하부 부재의 리셉터클(13b)은 하우징 부재(2, 3)들을 서로 밀봉하기 위해 함께 커플링되도록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걸쇠 메커니즘을 특정 내부 걸쇠 메커니즘으로서 도시하였으나,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완전 내부 걸쇠 메커니즘들에 대한 다른 변형이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않고 제공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예컨대, 어떤 경우들에서, 걸쇠 메커니즘은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의 전체 주연부를 둘러쌀 필요가 없으며, 완전히 내부에 있을 필요가 없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캐치 및 그루브 구조와는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c는 본 발명의 걸쇠 메커니즘(27, 37)의 다른 구성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걸쇠 메커니즘은 "T" 또는 "J"자 형상으로 구성되며, "T"자 또는 "J"자의 수평 가지의 하면이 밀봉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은 수용된 기기 또는 하우징 부재의 대응하는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T" 또는 "J"자의 수평면이 평탄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채용되는 하우징의 유형에 따라 곡선형이거나 휘어지거나 1 내지 180°의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은, 삽입된 기기의 표면이 래칭 메커니즘에 당접함으로써, 기기가 하우징 내부에 유지되는 한, 하우징의 래칭 메커니즘을 맞물린 상태로 유지하는 지지 부재 역할을 하는 방식으로, 하우징에 삽입되는 기기와 인터페이싱하도록 설계된 단일의 걸쇠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 4c와 관련하여, 하우징(1)이 제공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를 포함하고, 이들은 함께 커플링되어 방수 및 충격 방지 하우징(1)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부재(2)는 단일의 주연부(20)를 포함하지만, 다양한 다른 경우들에서, 상부 부재는 주변부(20)를 포함하고, 상기 주변부는 3개의 하위 부분들, 즉, 내부 주연부(20a), 중간 주연부(20b) 및 외부 주연부(20c)를 더 포함한다. 상부 부재(2)의 주변부(20)는 하우징(1)에 대한 틀을 형성하여 충격 방지 보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하부 부재(3)는 주변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주변부는 3개의 하위 부분들, 즉, 쿠션 및/또는 이격 부재로서 구성된 내부 주연부(30a); 강성 골격 틀 부재로서 구성된 중간 주연부(30b); 및 하우징(1)에 대해 충격 방지 보호를 제공하기 위한 쿠션 범퍼 부분으로서 구성된 외부 주연부(30c)를 포함한다. 상부 부재 주연부(20)는 상부 부재(2)의 골격 프레임을 형성하는 강성 또는 반강성 물질로 제조되며, 상기 프레임은 그 내부에 수용되는 전자 기기의 외형을 모델링하도록 구성된다.
상부 부재(2)는 대응하는 하부 부재(3)에 커플링될 때와 아울러 전자 기기(100)에 커플링될 때 모두 방수 시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부 부재(2)는 이러한 밀봉 기능을 용이하게 하는 복수의 특징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부 부재는 복수의 밀봉 부재, 예컨대, 가스켓(15a, 15c)을 그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채널 부재(10a, 10c)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 및 가스켓 부재들은, 상부 부재가 수용된 전자 기기 및 하부 부재 모두에 커플링되어 전자 기기 주변에 하우징(1)을 형성할 때, 방수 및/또는 먼지 침투 방지 및/또는 충격 방지 시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부 부재 주연부는 일측이 제 1 채널(10a)과 경계를 형성하고 타측이 제 2 채널(10c)과 경계를 형성하는 융기된 리지 부재(26)를 포함한다. 제 1 채널(10a)과 관련하여, 융기된 리지 부재(26)는 외부 채널 경계 부재를 형성하고, 제 2 채널(10c)과 관련하여, 융기된 리지 부재(26)는 내부 채널 경계 부재를 형성한다. 상부 부재 주연부(20)는 제 1 채널 내부 경계 부재를 포함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제 2 채널 외부 경계 부재를 또한 포함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으나, 이 경계 부재들 중 하나 또는 모두가 있을 필요가 없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 1 채널(10a)은 가스켓(15a)과 같은 제 1 밀봉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가스켓은 기기가 상부 부재에 커플링될 때 기기의 상면에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이 커플링에 의해 전자 기기의 상면 또는 상부 에지와 제 1 가스켓(15a) 사이에 방수 및/또는 충격 방지 및/또는 오물 침투 방지 밀봉이 생성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에서 상부 부재 주연부(20)의 내부 주연부 에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퍼 부분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이 가스켓은 중공이며, 1 내지 75%로 압축될 수 있다.
제 2 채널(10c)은 가스켓(15c)과 같은 제 2 밀봉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가스켓은 상부 부재(2)가 하부 부재(3)에 커플링될 때 하부 부재(3)의 중간 주연부(30b)의 가스켓 결합면(36)에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예컨대, 하부 부재 중간 주연부 부재의 가스켓 결합면(36)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제 2 채널(10c) 내부의 제 2 가스켓(15c)이 압축됨으로써, 이 커플링에 의해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가 함께 커플링되어 하우징(1)을 형성할 때 두 부재들 사이에 방수 및/또는 충격 방지 및/또는 오물 침투 방지 밀봉이 생성된다. 이 시일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하부 부재 걸쇠 메커니즘(37)과 맞물리는 상부 부재 걸쇠 메커니즘(27)의 커플링에 의해 더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가스켓은 중공일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중공이 아니며 1 내지 30%로 압축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부재(2)는, 하우징(1)이 형성될 때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 사이의 인터페이스가 방수 및/또는 먼지 및/또는 오물 침투 방지 시일을 형성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하부 부재(3)에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커플링이 유발되도록 하기 위해, 상부 부재 주연부(20)는 상부 부재 표면의 평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긴 부재(26)를 포함한다. 이 연장된 부재는 융기된 리지(26)로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융기된 리지 부재(26)는 하부 부재 중간 주연부(30b)의 연장된 부분(36)에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이 부분은 상부 부재(2)의 대응하는 걸쇠 메커니즘(27)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걸쇠 메커니즘(37)과 가스켓 당접면을 모두 포함한다.
상부 부재의 융기된 리지는 상부 부재 걸쇠 메커니즘(27)을 포함한다. 상부 부재 걸쇠 메커니즘은 경사진 것으로 도시된 표면(28)을 포함한다. 이 표면이 경사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어떤 실시예들에서는,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예컨대, 실질적으로 직선일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상면 걸쇠 메커니즘(27)은 교차면을 또한 포함하며, 이 경우에서, 상기 교차면은 인터페이싱 표면(29)이기도 하다. 인터페이싱 표면(29)은 면(28)과 교차하는 수평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구성은 적당한 걸쇠 메커니즘이 형성되는 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립 또는 에지가 형성되며, 상기 에지는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를 함께 커플링하여 밀봉하기 위해 하부 부재의 대응하는 걸쇠 메커니즘, 예컨대, 립 에지 또는 그루브 부재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부 부재(3)는 융기된 리지 부재(36)를 또한 포함한다. 하부 부재의 융기된 리지(36)는 하부 부재 걸쇠 메커니즘(37)을 포함한다. 하부 부재 걸쇠 메커니즘은 경사진 것으로 도시된 표면(38)을 포함한다. 이 표면이 경사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어떤 실시예들에서는,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예컨대, 실질적으로 직선일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면 걸쇠 메커니즘(37)은 교차면을 또한 포함하며, 이 경우에서, 상기 교차면은 인터페이싱 표면(39)이기도 하다. 인터페이싱 표면(39)은 면(38)과 교차하는 수평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구성은 적당한 걸쇠 메커니즘이 형성되는 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립 또는 에지가 형성되며, 상기 에지는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를 함께 커플링하여 밀봉하기 위해 하부 부재의 대응하는 걸쇠 메커니즘, 예컨대, 립 에지 또는 그루브 부재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부재의 융기된 릿지(26)가 수용된 기기의 상면 또는 에지 표면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기기 결합면을 더 포함한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러한 맞물림은 하우징의 밀봉을 유발하기 위한 경계 및 지지 부재로서 작용한다. 예컨대, 수용된 기기의 적당한 표면이 경계 부재를 형성하며, 기기의 존재에 의해 상기 경계 부재에 대한 융기된 리지 부재(26)의 측방향 내부 운동이 방지된다. 따라서, 기기가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면, 융기된 리지 부재의 내측 방향 운동이 방지된다. 먼저, 하부 부재(3)가 상부 부재(2)로부터 분리되어야 하며, 그 후, 융기된 리지 부재가 내측으로 운동할 수 있기 전에 기기가 제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자 기기 주변에서 하우징(1)의 방수 및 충격 방지 밀봉이 보장된다.
도 4c와 관련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부재(3)는 전자 기기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형성하는 강성의 중간 주연부를 포함하고, 내부 충격 흡수 및/또는 쿠션 부분으로서 형성된 내부 주연부와 아울러, 외부 층격 방지 층을 형성하는 외부 주연부를 더 포함한다. 이 부분들은 강성의 중간 부재와 동일한 물질이나 다른 물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어떤 경우들에서, 강성의 중간 주연부는 나일론,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200 이상, 300 이상, 350 이상의 굴곡 탄성률을 가진 다른 물질로 제조되며, 내부 및/또는 외부 주연부들은 고무 및/또는 TPE 및/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이 보다 유연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것들에 부가하여 또는 대안으로서 하우징의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를 함께 결합하는 것과 관련하여 다른 걸쇠 메커니즘들이 채용될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1)은, 클립, 버클, 락 등과 같은 외부 래치 특징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래치 특징부는 하나 이상의 클램프들 또는 클램프 영역들과 같은 완전 외부 래치 특징부일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클램프들은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클램핑 다운되어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에 대해 결합력을 가함으로써 두 부재들을 함께 커플링하여 하우징을 밀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d는 도 4c의 하우징의 사시도를 제공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에 수용되어 유지되는 기기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구성을 포함하고, 도 4c에 개시된 하우징에 수용되고 및/또는 유지되는 기기는, 곡선형 배면 부분과 같은, 곡선형이거나 라운드형 구성을 갖는다.
도 4e는 도 4c의 하우징(1)의 사시도를 제공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기기(100)가 실제로 수용되어 유지되어 있고, 상부 부재의 연장된 리지 부재(26)는 기기의 상부 코너 에지 및 측부와 맞물려 있으며, 이러한 맞물림은 하우징의 내부를 향하여 리지 부재(26)가 측방향 내측으로 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경우에서, 기기(100)는, 특히, 상부 부재(2)의 긴 리지 부재(26)와 관련하여, 하우징을 위한 인장점과 내부 경계 부재의 역할을 한다.
도 4f는 도 4e에 제공된 하우징과 유사한 하우징의 도면을 제공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어 유지된 기기(100)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구성을 갖는 반면, 도 4e에 도시된 하우징 내부에 유지된 기기(100)는 라우드형 또는 곡선형 배면 구성을 갖는다.
도 4g 내지 도 4j는 도 4d 및 도 4e의 하우징의 다른 사시도를 제공한다.
도 4k 내지 도 4m은 본 발명의 하우징(1)을 위한 대안적 걸쇠 메커니즘의 다른 사시도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는 모두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를 함께 커플링하기 위해 제 3 잠금 요소(4)를 사이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상보적인 구성을 갖는다. 예컨대, 상부 부재(2)는 상부 부재(2)의 주변부(2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L"자 형상의 레지 부재로 구성된 걸쇠 메커니즘(26)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부재 주변부의 하면은 상술한 방식으로 수용된 기기의 상면과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 가스켓(10a)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하부 부재(3)는 하부 부재(3)의 주변부(3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L"자 형상의 레지 부재로 구성된 걸쇠 구조(36)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부재의 하면은 하나의 주연부에서 다른 주연부까지 걸쳐 있음으로써, 수용된 기기의 전체 배면을 덮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부 부재(3)가 상부 부재(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 하부 부재 주변부(30)는 상술한 방식으로 수용된 기기의 상면과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 가스켓(10b)(미도시)을 또한 포함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부 부재(2)나 하부 부재(3) 중 어느 것도 하나의 주연부에서 다른 주연부까지, 예컨대,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까지 걸쳐 있는 멤브레인과 같은 표면을 포함할 필요가 없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부재 걸쇠 메커니즘(26)과 하부 부재 걸쇠 메커니즘(36)은 모두 잠금 요소(4)의 대응하는 걸쇠 메커니즘(4a, 4b)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잠금 요소(4)는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의 측면 주연부의 상당 부분에 걸쳐 있는 긴 부재로서 구성된다. 긴 잠금 요소(4)는 상부 부재(2)의 대응하는 걸쇠 메커니즘(26)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걸쇠 메커니즘(4a)을 포함하고, 하부 부재(3)의 대응하는 걸쇠 메커니즘(36)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걸쇠 메커니즘(4b)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잠금 요소(4)는 수용된 기기 주변에서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를 함께 맞물리고 두 부재를 기기 주변에서 압축할 수 있음으로써, 하우징(1)을 형성하여 밀봉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요소(4)와 대응하는 걸쇠 메커니즘은 슬라이드하여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 모두와 맞물릴 수 있는 슬라이드 부재로 구성된다. 그러나, 특정 걸쇠 메커니즘 구성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 구성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l 및 도 4m과 관련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요소는 하우징 내부에서 기기의 방수 밀봉을 더 잘 확보하기 위해 밀봉 요소, 예컨대, 가스켓(10c)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가스켓들도, 예컨대, 잠금 결합 인터페이스들에 포함될 수 있다.
도 4n은 본 발명의 하우징(1)을 위한 대안적 걸쇠 메커니즘의 다른 사시도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걸쇠 메커니즘은 "F"자형 래치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부재(2)는 "F"자형 구성을 갖는 것으로 상상되며, "F"자의 각 가지는 대응하는 하부 부재(3)의 대응하는 걸쇠 메커니즘에 맞물리도록 설계된 상부 부재 걸쇠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상부 부재(2)는 2개의 길게 연장된 융기된 리지 부재(26a, 26b)를 포함한 비교적 평탄한 주변부(20)를 포함한다. 각각의 융기된 리지 부재(26a, 26b)는 그 원위 부분에 걸쇠 메커니즘(27a, 27b)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걸쇠 메커니즘은 하부 부재(3)의 대응하는 걸쇠 메커니즘(37a, 37b)에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부 부재(2)는 "F"자형 래치 구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F"자형 래치 구성은 외부 래칭 부재(26b)와 내부 래칭 부재(26b)를 포함한다. 내부 래칭 부재(26)의 내면은 수용된 기기의 측면 에지 또는 표면에 맞물리고, 이러한 상호 작용은 하우징의 중심을 향하여 융기된 내부의 융기된 리지 부재(26)가 측방향 내측으로 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F"자형 부재의 내향면들 중 하나 또는 모두는 가스켓(10a, 10b)과 같은 가스켓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스켓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다양한 부재들 및/또는 수용된 전자 기기 사이에 방수 밀봉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각각의 대응하는 걸쇠 메커니즘들이 도 4a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상술한 것들과 같은 경사진 에지 캐치형 구조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 걸쇠 메커니즘들 중 하나 또는 모두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5a는 도 1a의 하우징의 상부 부재 근위 전면부(21)의 확대 사시도이다. 홈 버튼(40)과 홈 버튼 사용자 인터페이스(41a)가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0b)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는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0b)에 당접한 상부 부재 외부 주연부(20c) 및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0a)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0b)는 상부 부재(2)에 구조적 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해 보다 강한 강성의 물질,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조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내부 주연부(20a)와 외부 주연부(20c) 중 하나 또는 모두는 내수성-방수성 보호 및/또는 충격 및/또는 떨어뜨림으로 인한 손상 방지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비교적 더 유연한 물질, 예컨대, TPE로 제조될 수 있다. 근위 주변 부재(20)의 근위부는 홈 버튼(40)을 둘러싸서 수용하는 융기되거나 볼록한 원주상 프로파일을 이 영역에 가지며, 수용된 전자 기기의 상면의 홈 버튼에 인접한 방수 시일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0a)의 내부 에지를 가진 확대된 표면을 제공한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충전 포트를 덮기 위한 래치 포트 개구(71a), 래치 포트 경계 부재(72) 및 래치 램프 수용 부재(76)가 또한 도시되어 있다.
도 5b는 도 5a의 하우징의 상단 전면 부분을 내려다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5a와 마찬가지로, 홈 버튼(40)과 홈 버튼 사용자 인터페이스(41a)가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0b) 상에 도시되어 있고, 상기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는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0b)에 인접한 상부 부재 외부 주연부(20c) 및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0a)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래치 포트 개구(71a), 래치 포트 경계 부재(72) 및 그루브로서 도시된 래치 램프 수용 부재(76)가 또한 도시되어 있다.
도 5c는 도 5a의 하우징의 상부 주변부(20)의 상부 부재(2) 배면을 내려다본 확대 사시도이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홈 버튼(40)의 프로파일이 도시되어 있으며, 홈 버튼 시일(41c)과 홈 버튼 기기 인터페이스(41d)가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홈 버튼은 홈 버튼 밀봉 부재(41c)에 의해 홈 버튼 하우징 인터페이스를 통한 물의 침입에 대해 밀봉된다. 또한, 홈 버튼 기기 인터페이스(41d)는 이러한 홈 버튼을 가진 수용된 전자 기기의 하부 홈 버튼에 대해 하방으로 미는 힘을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0b)의 하면에는 홈 버튼 시일(41c)과 사용자 인터페이스(41d)가 배치되어 있다.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는 내부 주연부(20a)와 상부 부재 외부 주연부(20c) 사이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근위 주변 부재(20)는 수용된 기기의 홈 버튼을 둘러쌈으로써 수용된 전자 기기의 상면의 홈 버튼에 인접하여 방수 시일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확대된 표면적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볼록한 원주상 프로파일을 이 영역에 갖는다.
이 도면의 우측에서 위에서 아래로, 상부 부재 외부 부분(20c), 상부 부재 중간 부분(20b) 및 상부 부재 내부 부분(20a)이 연속되어 있고,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0) 내부에 그루브로서 상부 부재 채널(10a)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그루브는 내부 및 외부 상부 부재 채널 경계 부재(11a, 11b)들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O링(15a)과 같은 시일이 채널(10a) 내부에 배치되며, 상부 부재가 수용되는 전자 기기에 커플링되거나 및/또는 상부 부재(2)가 하부 부재(3)에 커플링되어 하우징(1)을 형성할 때, 방수 및/또는 내수성 시일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부재 채널(10a)의 가스켓(15a)은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가 맞물렸을 때 그들 사이에 방수 시일을 가능하게 한다. 이 도면에서, 전자 기기를 정렬시키고, 배향하고 및/또는 고정하는 기능을 하는 기기 유지 치형(96a, 96b)이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0b)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5d는 도 5a의 하우징의 전방 근위부(21)의 상부 부재(2)의 주연 부재(20) 배면을 내려다본 확대 사시도이다. 이 도면의 우측에서 위에서 아래로,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0b)와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0a)가 연속되어 있고, 내부 및 외부 상부 부재 채널 경계 벽체(11a, 11b)들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0a) 내부에 배치된 상부 부재 채널(10a)이 도시되어 있다. 가스켓(15a)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 도면에는, 기기 유지 치형(96a, 96b)도 도시되어 있다. 기기 유지 치형(96)은 전자 기기를 정렬시키고, 배향하고 및/또는 고정하는 기능을 부분적으로 하며,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0b)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전자 기기에 대해 사용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홈 버튼 밀봉 부재(41c)와 홈 버튼 기기 인터페이스(41d)가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0b)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강성의 포트 경계 부재(72)에 의해 형성된, 전기 전송 포트, 예컨대, 충전 포트, 개구(71a)가 또한 도시되어 있다.
도 6a는 도 1a의 하우징의 코너 전방부의 상부 부재(2)의 주변부(20) 배면을 내려다본 확대 사시도이다. 이 도면의 상부 좌측 부분에서 좌에서 우로, 상부 부재 외부 주연부(20c),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0b) 및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0a)가 도시되어 있다.
외부 주연부(20c)는 TPE와 같은 가요성 또는 반가요성 물질로 구성된 충격 흡수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외부 주연부는, 상부 부재(2)가 하부 부재(3)의 대응하는 경계 부재와 정렬되어 하우징(1)을 형성할 때, 하우징(1)과 상부 부재(2)를 위한 외부 경계를 형성한다.
중간 주연부(20b)는 전자 기기가 하우징에 삽입되었을 때 전자 기기의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각도로 연장된 리지(26)가 돌출된 강성의 프레임 부재로서 구성된다. 상기 각도는 90°보다 더 크거나 작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융기된 리지 부재(26)는, 하우징(1)을 형성할 때 상부 부재(2)를 하부 부재(3)와 정렬시키고 고정하는 기능을 하는, 리지의 상면에 배치된 복수의 융기된 리지 정렬 부재(17)를 또한 포함한다. 융기된 리지 부재(26)는 제 1 및 제 2 걸쇠 메커니즘(27, 13a)을 또한 포함하며, 상기 제 1 걸쇠 메커니즘은 융기된 리지(26)의 외부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돌출된 립 부재(27)로서 구성되고, 제 2 걸쇠 메커니즘(13a)은 융기된 리지(26)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내부적으로 연장된 탭들 또는 치형 요소(13a)들로서 구성된다.
내부 주연부(20a)는, 예컨대, 상부 부재가 하우징(1)을 형성하기 위해 하부 부재(3)에 커플링되거나 및/또는 전자 기기에 커플링될 때, 상부 부재(2)의 방수 및/또는 내수성 시일을 생성하기 위해 서로 협력하여 상호 작용하는 2개의 분리된 특징부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내부 주연부(20a)는 밀봉가능한 가스켓(15a)이 내부에 배치된 채널 부재(10a)를 포함하며, 내부 주연부(20a)는 전자 기기와의 원활한 인터페이스 형성하기 위해 전자 기기의 상면과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 와이퍼 부분을 포함하며,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와이퍼 아래로 그리고 하우징 속으로 물 및/또는 먼지의 침입을 부분적으로 줄이는 기능을 한다.
전자 기기의 정렬, 배향 및/또는 고정을 도울 수 있는 단일의 기기 유지 부재, 예컨대, 치형(96b)이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0b) 상에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전자 기기에 대해 방수 시일과 사용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함께 하는 홈 버튼 밀봉 부재(41c)와 홈 버튼 기기 인터페이스(41d)가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0a)의 일부로서 도시되어 있다.
상부 부재의 2개의 융기된 리지 부재(17a)는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0b)의 융기된 리지 부재(26)의 상면으로부터 멀리 위로 돌출된 치형으로서 구성되며, 이에 따라, 상부 부재의 융기된 리지 치형 부재(17a)는 각각 대응하는 하부 부재의 융기된 리지 치형 또는 치형(17b)들(미도시)과 맞물릴 수 있다.
이 치형 부재(17a)들과 아울러, 본 실시예에는 하우징(1)을 위한 제 2 걸쇠 메커니즘(13)의 일부를 구성하는 치형(13a)들도 도시되어 있다. 제 2 걸쇠 메커니즘의 치형(13a)들은 하부 부재(3)(미도시)의 대응하는 치형 리셉터클(13b)들과 가역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상부 부재 치형(13a)들은 상부 부재(2)가 하부 부재(3)와 맞물릴 때 대응하는 하부 부재(3) 치형 리셉터클(13b)들 속으로 돌출된다. 상부 부재(2)는, 상부 부재(2)가 하부 부재(3)와 맞물릴 때 하부 부재(3)의 대응하는 수용 부재, 예컨대, 그루브(37) 내부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돌출된 립 부재(27)로서 구성된 제 1 걸쇠 메커니즘(27)을 또한 포함한다.
또한, 내부 주연부 채널(10a), 가스켓(15a) 및 와이퍼 부분의 구성을 고려하면,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0a)는 윈드쉴드에 대한 윈도우 와이퍼와 기능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전자 기기의 표면에 대해 시일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 부분들이 다른 부재들과 하나 이상의 시일을 형성할 수 있도록 통상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연질의 물질로 구성된다.
도 6b는 도 1a의 하우징의 코너 전방부의 상부 부재(2)의 주변부(20) 배면을 바라본 확대 사시도이다. 외부 코너로부터 상부 부재 주변부(20)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부 부재 외부 주연부(20c)는 이 도면에 도시된 코너 에지를 포함하고,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0b)가 바로 내부에 인접하여 도시되어 있으며, 이 도면에 도시된 코너 부분의 내부 경계를 형성하도록,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0c)가 바로 내부에 인접하여 도시되어 있다.
외부 주연부(20c)는 연장된 레지를 형성하는 평면으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지에는 융기된 리지 부재(26)가 배치되어 연장된다. 융기된 리지(26)는 도시된 3개의 평면들, 즉, 융기된 리지를 통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중심선으로부터 0 내지 90°의 각도로 외측으로 연장하는 돌출된 립(27)을 갖고 있는 외면으로서, 융기된 리지를 통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중심선으로부터 0 내지 90°의 각도로 하우징(1)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돌출된 립(27)을 갖고 있는 외면; 융기된 리지를 통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중심선으로부터 0 내지 90°의 각도로 하우징(1)의 중심을 향하여 내측으로 연장하는 연장된 치형(13)을 갖고 있는 외면; 및 평면으로 구현되지만 상부 부재 중간 부분(20b)의 코너에 인접한 융기된 리지 부재(26)의 상면 위로 연장된 융기된 리지 치형(17)을 포함하고 있는 상면을 갖는다. 상부 부재의 2개의 융기된 리지 치형(17)들은 각각 대응하는 하부 부재의 융기된 리지 치형(17b)(미도시)과 맞물릴 수 있다. 이 치형 요소들보다 많거나 적은 치형 요소들이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의 대응하는 부분들에 포함될 수 있다. 이 도면에서,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0a)는 전자 기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내부 코너를 형성하며, 이에 따라,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0a)는 전자 기기가 보호 하우징 내에 배치되었을 때 전자 기기의 표면에 대해 밀봉한다.
도 6c는 도 6b의 하우징의 코너 전방부의 상부 부재(2)의 주변 부재(20) 배면과 하부 부재(3)의 주변부(30) 상면(상단)을 상세하게 나타낸, 보호 하우징(1)의 코너를 바라본 확대 사시도이며, 각각의 부재는 하나의 부재가 뒤집혀 배향되면(미도시) 두 부재가 상호 작용하는 것처럼 정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하부 부재(3)의 주변부(30)는 외부 주연부(30c), 중간 주연부(30b) 및 내부 주연부(30a)를 포함한다. 외부 주연부(30c)는 중간 및 내부 주연부들이 위에 배치되는 연장된 레지를 형성하는 평면과 함께 구성되어 있다. 외부 주연부(30c)는, 예컨대,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가 정렬되고 커플링되어 하우징(1)을 형성할 때, 상부 부재(2)의 대응하는 외부 주연부(20c)와 정렬되어 당접하도록 구성된 가요성 물질을 포함한다. 이 부분들은 반가요성 또는 가요성 물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하우징에 대해 충격 방지 및/또는 떨어뜨림으로 인한 손상 방지 보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하부 부재 중간 주연부(30b)와 하부 부재 내부 주연부(30a)는 하부 부재 채널(10b)을 형성하도록 서로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채널은 그 내부에 하부 부재 밀봉 가스켓(15b)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하부 부재 중간 주연부(30b)는 하부 부재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된 융기된 리지로서 형성되며, 채널(10b)을 위한 하부 경계 벽체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 중간 주연부는 돌출된 립으로서 구성된 상부 부재(2)의 대응하는 걸쇠 메커니즘(27)을 그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연장된 그루브로서 구성된 걸쇠 메커니즘(37)을 포함한다.
하부 부재 내부 주연부(30a)도 하면으로부터 연장된 융기된 리지로서 형성되며, 채널(10b)을 위한 내부 경계 벽체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내부 주연부는 복수의 연장된 탭 또는 치형으로서 구성된 상부 부재(2)의 대응하는 걸쇠 메커니즘(13a)을 그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디텐트로서 구성된 걸쇠 메커니즘(13b)을 포함한다. 또한, 하부 부재 중간 주연부(30b)는, 하부 부재 중간 주연부(30b)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것으로 여기에 도시되어 있는, 하부 부재의 융기된 리지 치형(17b)을 갖는다.
상부 부재(2)(하부)는 하부 부재(3)와 가역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부 부재 외부 주연부(20c)는 코너의 외부 주변부를 형성하도록 코너 뷰를 중심으로 휘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0b)는 상부 부재 외부 주연부(20c)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융기된 리지 부재(26)는 중간 주연부(20b)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것으로 여기에 도시되어 있으며, 그 위에 배치된 2개의 상부 부재의 융기된 치형(17a)들이 휘어진 융기된 리지 부재(26)를 둘러싸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상부 부재의 융기된 치형(17a)들은, 특히 떨어뜨릴 때, 예컨대, 하우징의 코너에서, 상부 부재(2) 및 하부 부재(3)의 커플링을 정렬 및 유지하기 위해, 하부 부재(3)의 대응하는 융기된 치형(치형들)(17b)과 정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부 부재(2)의 상부 부재의 융기된 리지 부재(26)는, 예컨대, 하부 부재(3)의 연장된 그루브 부재(37)로서 구성된 대응하는 걸쇠 메커니즘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돌출된 립 영역(27)으로서 구성된 복수의 걸쇠 메커니즘(27, 13a); 및 예컨대, 하부 부재(3)의 대응하는 치형 리셉터클(13b)로서 구성된 대응하는 걸쇠 메커니즘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일련의 연장된 치형 요소(13a)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부 부재(2)의 융기된 리지(26)는 융기된 리지를 통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중심선으로부터 0 내지 90°의 각도로 하우징(1)의 중심을 향하여 내측으로 연장하는 연장된 치형(13)을 가진 내면을 포함할 수 있다. 융기된 리지 부재(26)는 보호 하우징의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가 맞물렸을 때 하부 부재 채널(10b) 속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부 부재 채널(10a)(가스켓은 도시되지 않음)과 내부 주연 부재(20a)의 상부 부재 와이퍼 부분도 도시되어 있다.
도 6d는 하부 부재(3)의 주변부(30) 상면을 상세하게 나타낸, 보호 하우징(1)의 코너를 바라본 확대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2개의 하부 부재의 융기된 리지 치형(17b)은 이 도면에 도시된 하부 부재 외부 주연부(30c)의 코너에 인접하여 배치된 하부 부재 중간 주연부(30b)(예컨대, 채널 외부 경계 부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대응하는 상부 부재는 하나의 상부 부재의 융기된 리지 치형(17a)(미도시)을 포함한다. 채널(10b)을 형성하도록 중간 주연부(30b)로부터 오프셋된 하부 부재 내부 주연부(30a)도 도시되어 있다. 내부 경계 부재(30b)의 내면에 복수의 치형 리셉터클(13b)이 배치되어 있다. 스피커 그릴(60b)을 가진 하부 부재 배면(35b)이 하부 부재 내부 주연부(30a)에 당접하여 도시되어 있다.
2개의 융기된 리지 치형(17b)들이 하부 부재 외부 주연부(20c)의 코너에 인접한 채널 외부 경계 부재(30b)의 상면 위로 연장되어 있다. 2개의 상부 부재의 융기된 리지 치형(17b)들은 각각 대응하는 상부 부재의 융기된 리지 치형(17b)(미도시)과 맞물릴 수 있다. 이 치형 요소들보다 많거나 적은 치형 요소들이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의 대응하는 부분에 포함될 수 있다. 하부 부재 내부 주연부(30a)는, 전자 기기가 보호 하우징 내에 배치될 때 하부 부재 내부 주연부(30a)가 전자 기기의 표면에 맞물리도록, 이 도면에서 전자 기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내부 코너를 형성한다.
도 6e는 상부 부재(2)의 주변부(20) 배면이 전자 기기, 특히, 전자 기기의 근위부(예컨대, 충전부)와 맞물렸을 때, 상부 부재(2)의 주변부(20) 배면을 나타낸, 하우징의 상단 전면 부분을 내려다본 확대 사시도이다.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0a)는 이 도면에서 명확한 상부 부재 근위 단부(21)에 충격 및 범프 저항 부분을 형성한다. 상부 부재 외부 주연부(20c)도 이 도면에서 역시 명백한 상부 부재 근위 단부(21)에 충격 및 떨어뜨림 저항 부분을 형성한다. 하부 부재의 융기된 리지 부재(26)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걸쇠 메커니즘(27)과 2개의 상부 부재의 융기된 리지 치형(17a)이 도시되어 있다. 기기 유지 치형(96a, 96b)과 강화되고 보강된 래치 포트 경계 부재(72)에 의해 형성된 상부 부재 근위 단부(21) 부근에 래치 포트 개구(71a)가 도시되어 있다.
도 6f는 보호 하우징(1)의 하부를 바라본 하부 사시도이며, 스피커 출력을 가진 전자 기기(100)가 도시되어 있다. 상부 부재 외부 주연부(20c)가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0b)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융기된 리지 부재(26)와 당접하여 일체화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융기된 리지 부재(26)가 융기된 리지 부재(26)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4쌍의 상부 부재 치형(17)을 포함한 것을 볼 수 있으며, 각각 2쌍의 상부 부재 치형(17)이 보호 하우징의 상부 부재(2)의 코너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보호 하우징의 하부 부재(3)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상부 부재(2)와 맞물린 전자 기기(예컨대, 아이패드)가 도시되어 있으며, 기기 유지 치형(96a, 96b)이 상부 부재(2)와 전자 기기를 정렬시키고, 배향하고, 고정하는 것을 돕고 있다. 헤드폰 포트 밀봉 부재(53)가 상부 부재 주연부(20)의 상부 부재 원위 단부(22) 상에 도시되어 있으며, 래치 포트 개구 경계 부재(72)가 상부 부재 근위 단부(21)에 배치되어 있다.
도 7a는, 본 명세서에 제공된 바와 같이, 함께 커플링되었을 때 보호 하우징(1)을 형성하는 하부 부재(3)와 상부 부재(2)의 원위 단부의 확대 정면도이다. 상부 부재 주변부(20)와 하부 부재 주변부(30)가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의 원위 단부(22, 32)의 상단에 도시되어 있다. 전기 전송 밀봉 부재(53), 예컨대, 헤드폰 포트 마개가, 상부 부재의 전기 전송 포트 개구(50) 내에 맞물린 상태로, 상부 부재(2) 상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부재(3)는 헤드폰 밀봉 마개(53)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돌출된 림을 갖는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부 부재 액세서리 포트(97)가 하부 부재 하면(35)에 도시되어 있다.
도 7b는 본 명세서에 제공된 보호 하우징의 상부 부재(2)의 원위 단부의 확대 정면도이다. 상부 부재(2)의 상부 부재 원위 단부(22)의 상부 부재 주변부(20) 상면이 도시되어 있다. 상부 부재(2)에 헤드폰 밀봉 포트(53)가 도시되어 있다. 상부 부재(2)는 상부 부재(2)의 외부 경계를 둘러싸는 충격 보호 층을 형성하기 위해 TPE와 같은 가요성 물질로 구성된 연장된 레지를 포함하는 외부 주변부(20c)를 포함한다. 상부 부재(2)는 연장된 립, 예컨대, 오버행 또는 캐치 부재로 구성된 제 1 걸쇠 메커니즘(27)을 포함하는 융기된 리지 부재(26)를 포함하는 중간 주연부(20b)를 더 포함한다. 융기된 리지(26)는 융기된 치형(17a)을 포함하는 평탄한 상면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상면은 휘어진 융기된 리지 부재(26)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대응하는 하부 부재(3)의 대응하는 융기된 치형(17b)(미도시) 또는 치형 부재들을 수용하도록 서로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7b와 관련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주변부(20)는 헤드폰 잭 포트와 같은 전기 전송 포트(50)를 형성하여 수용하는 융기된 부분(52)을 포함하며, 상기 포트는 포트(50)의 통공 내부에 헤드폰 포트 마개(53)를 배치함으로써 밀봉된다.
도 7c는 원위(32) 하부 부재 배면(35)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도시된 대향하는 하부 부재 좌측 부재(33) 및 하부 부재 우측 부재(34)와 함께, 하부 부재 주변부(30)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의 좌측에 도시된 하부 부재 원위 단부(32)는, 포트 밀봉 부재(53)가 내부에 수용된 헤드폰 밀봉 포트(50)로서 구성된 전기 전송 포트를 포함하여, 다양한 추가적인 특징부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 부재 주변부는 이 특징부에 대해 추가적인 충격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전송 포트(50)를 형성하는 융기된 보강 영역(52)을 갖는다. 마이크로폰 전송 포트(61)와 렌즈 특징부(80)가 또한 도시되어 있다. 볼륨 버튼(99a)과 배향 스위치(90)를 포함한 추가적인 특징부들이 하부 부재 우측 부재(34)의 하부 부재 주변부(30) 상에 도시되어 있다. 액세서리 포트(97)도 도시되어 있다.
도 7d는 헤드폰 밀봉 포트 부재(53)와 아울러 하부 부재 액세서리 포트 부재(97)를 나타낸, 보호 하우징(1)의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의 코너의 확대 사시도이다. 헤드폰 밀봉 포트 부재(53)는 헤드폰 포트(50) 내부에 유지되며, 이 부분은 하부 부재(3) 상의 헤드폰 밀봉 포트(50)용 개구를 수용하는 하부 부재 주변부(30)를 따라 돌출된 림(52)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이에 따라, 하우징의 이 부분에 대한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한다. 이 도면에는 보호 하우징의 상부 부재(2)가 정면 반대측을 향하면서 하부 부재(3)와 정렬되어 커플링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두 개의 개구를 갖는 하부 부재 액세서리 포트(97)가 본 특정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도 7e는 헤드폰 포트(50)로 구성된 도 7d의 전기 전송 포트를 나타낸, 하우징의 원위부의 절개도를 제공한다. 도 7e와 관련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 부재(3)는 가요성의 충격 흡수 부재로 구성된 외부 주연부(30c)를 포함한다. 하부 부재(3)는 중간 주연부(30b)와 내부 주연부(30a)를 또한 포함하며, 이들은 하부 부재 채널(15b)을 형성하도록 서로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채널은 그 내부에 배치된 하부 부재 가스켓을 갖는다. 하부 부재 중간 주연부는 캐치로 구성된 걸쇠 부재(37)를 포함하며, 상기 캐치는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가 서로 커플링될 때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를 함께 고정하기 위해 상부 부재(2)의 대응하는 걸쇠 메커니즘(27), 예컨대, 대응하는 캐치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부 부재(3)는 전자 기기(100), 예컨대, 테블릿 PC와 같은 태블릿 컴퓨팅 기기를 그 내부에 수용하여 유지하도록 구성된 하면(35)을 또한 포함한다.
상부 부재(2)는 주변부(20)를 포함하지만, 상면 부재를 포함하지는 않는다. 그 대신, 상기 주연부(20)는, 기기(100) 및 하부 부재(3) 모두와 액체 침투 방지 시일을 형성하기 위해, 하부 부재(3)에 커플링되도록 구성되고 전자 기기의 상면을 둘러싸는 강성의 골격 주연 부재를 형성하는 중간 주연부(20b)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0b)는 하부 부재 채널(10b) 속에 충돌하여 두 가지 관련 기능을 수행하는 연장된 리지 부재(26)를 포함한다. 첫째, 연장된 리지 부재(26)는 캐치로 구성된 걸쇠 메커니즘(27)을 포함하며, 상기 캐치는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가 결합될 때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를 함께 고정하기 위해 하부 부재(3)의 대응하는 걸쇠 메커니즘(37), 예컨대, 대응하는 캐치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둘째, 연장된 리지 부재(26)는 하부 부재 채널(10b) 내의 하부 부재 가스켓(15b)에 맞물려 압축하도록 구성된 상면을 포함한다. 이 요소들은, 이 요소들이 함께 접근하여 인터페이싱하는 주변 부재(20a, 30b)들을 따라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 사이에 액체 침투 방지 시일을 생성하도록 집합적으로 협력하여 기능한다.
또한, 상부 부재(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된 기기(100)의 전방 상면에 커플링되었을 때 방수 시일을 생성하도록 또한 구성된 내부 주연부(20a)를 포함한다. 상부 부재(2)의 내부 주연부(20a)는 수용된 기기와 방수 밀봉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모두 하는 2개의 분리된 부분들을 포함한다. 첫째, 내부 주연부(20a)는 상부 부재 채널(10a)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부 부재 채널은 내부 및 외부 상부 부재 채널 벽체(11a, 11b)들에 의해 형성된다. 상부 부재 채널(10a)은 상부 부재 가스켓(15a)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스켓은 수용된 기기의 일부분에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맞물림에 의해 압축됨으로써 수용된 기기와 방수 밀봉을 생성할 수 있도록 특수하게 설계된다. 예컨대, 어떤 실시예들에서, 상부 부재 가스켓(15a)은 중공이다. 둘째, 내부 주연부(20c)는 자동차의 와이퍼와 같은 기능을 하도록 구성된 에지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에지 부분은 기기(100)와 하우징(1) 사이에 실질적으로 이음매 없는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기 위해 수용된 기기의 상부 또는 에지 부분과 인터페이싱하는 경사진 에지를 가지며, 상기 인터페이스는 하우징(1)을 통한 액체의 침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의 하우징(1)은 수용된 기기의 주변에 방수 및 충격 방지 밀봉을 생성할 수 있다.
상부 부재(2)는 역시 가요성 충격 흡수 부재로 구성된 외부 주연부(20c)를 또한 포함한다. 외부 주연부(20c)는 하부 부재의 대응하는 외부 범퍼 부재(30c)와 정렬되도록 구성되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외부의 가요성 범퍼부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의 소리 송신 포트(50)가 또한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소리 송신 포트(50)는 본 실시예에서 헤드폰 송신 포트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부재(2)는, 헤드폰이나 스피커 기기가 수용된 기기(100)의 헤드폰 부분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헤드폰 인터페이스 또는, 이 경우에서, 헤드폰 어댑터 인터페이스(58b)가 삽입되는 포트 통공(51)을 포함한다. 헤드폰 포트 통공(51)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폰 잭 및/또는 헤드폰 잭 어댑터(57)의 대응하는 연결 요소(54b), 예컨대, 대응하는 스레드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 통공을 형성하는 스레드(54a)와 같은 연결 요소를 포함한다. 헤드폰 포트(50)가 가스켓을 포함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헤드폰 잭 어댑터(57)가 가스켓을 포함하기 때문에, 헤드폰 포트(50) 내에 추가적인 가스켓이 포함될 수 있기는 하지만, 필요하지는 않다.
또한, 도 7e에는 액세서리 잭 어댑터(57), 예컨대, 헤드폰 잭 어댑터가, 하우징(1)과 수용된 기기(100)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액세서리 잭 어댑터(57)는 2개의 전송 인터페이스(58)를 포함한다. 하나의 전송 인터페이스(58a)는 헤드폰, 스피커 기기 등과 같은 액세서리의 잭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전송 인터페이스(58b)는 액세서리, 예컨대, 헤드폰이나 스피커의 잭 부분으로 구성되며, 액세서리와 전자 기기 사이에 전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기 위해 전자 기기의 잭 수용 부분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바와 같은 액세서리 잭 어댑터의 특이한 특징은 수용된 기기의 잭 수용 부분과 잭 부분(58b) 사이에 방수 시일을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잭 어댑터(57)는, 연결 인터페이스(54b)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는 이 경우에서 스크류 스레드로 구성되지만 캠 부분과 같은 임의의 유형의 연결 요소일 수 있으며; 가스켓(55), 예컨대, O링이 위에 배치된 가스켓 시트를 더 포함하고, 이에 따라, 잭 어댑터(57)가 잭 포트 통공(51)을 통해 하우징(1)에 커플링되고 대응하는 연결 요소(54a, 54b)들이 맞물렸을 때, 하우징(1)과 잭 어댑터 사이에 방수 시일이 생성된다. 잭 어댑터(57)가 제공될 필요가 없으며, 하우징과 맞물리게 되는 임의의 액세서리에는 잭 어댑터(57)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된 잭이 포함된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8a는 하부 부재(3)의 전면 부분의 코너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하부 부재는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35)를 둘러싼 주변부(30)를 포함한다. 주변부(30)는 외부 주연부(30c)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주연부는 하부 부재 내부 주연부(30a)와 함께 형성된 경질의 강성 물질로 구성된 하부 부재 중간 주연부(30b)에 부착되거나 오버몰딩된 가요성 물질로 구성되고, 내부 및 중간 주연부들은 배면 표면 부재(35)와 동일한 물질로 동시에 제조된다. 상기 가요성 외부 물질(30c)은 이 골격 프레임 물질에 추가된다. 중간 주연부(30b)와 내부 주연부(30a)는 하부 부재 채널(10b)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부재 가스켓(15b)은 보이지 않는다.
이 도면에서는 하부 부재 중간 주연부(30b)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것으로 나타낸 단일의 하부 부재의 융기된 리지 치형(17b)이 또한 도시되어 있다. 하부 부재 중간 주연부(30b)는 하부 부재 채널(10b)을 위한 경계 벽체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 부재 채널은 하부 부재 외부 주연부(30c)의 바로 우측 내부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채널(10b)은 하부 부재 내부 주연부(30b)에 의해 더 형성된다. 수직하게 정렬된 하부 부재 치형 리셉터클(13b)이 내부의 하부 채널 경계 벽체(30a)의 일부로서 도시되어 있으며, 이 도면에서는 하부 부재 채널(10b)의 우측 내부에 도시되어 있고, 상기 치형 리셉터클(13b)은 상부 부재(미도시)의 대응하는 치형(13a)과 가역적으로 맞물릴 때 제 2 걸쇠 메커니즘의 일부를 구성한다.
하부 부재 범퍼(36)가 수직하게 정렬된 하부 부재 치형 리셉터클(13b)의 내부에 대해 수직하게 도시되어 있다. 하부 부재 내부 주연부(30a)는 하부 부재 전면(35a)과 긴밀한 시일을 형성하도록 우측 내부에 도시되어 있다. 헤드폰 밀봉 포트(53)(미도시)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돌출된 림(52)이 하부 부재 외부 주연부(30a) 내의 휘어진 요입부로서 이 도면의 상단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부재 외부 주연부(30a)는 하부 부재 중간 주연부(30b) 바로 아래에 도시된 하부 부재 채널(10b)의 경계를 형성하는 하부 부재 중간 주연부(30b)와 일체로 되어 있다. 하부 부재 내부 주연부(30a) 아래에서 하부 부재 채널(10b)의 내부로 마이크로폰 전송 포트(61)를 볼 수 있다. 마이크로폰 전송 포트(61)는 하우징 부재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통공을 가지며, 상기 통공은 방수 스피커 가스켓(61a)으로 덮인다.
도 8b는 도 8a의 전면 하부 부재(3)의 일부분의 코너의 확대도이다. 하부 부재 외부 주연부(30c)는 보이지 않는다. 하부 부재 중간 주연부(30b)는 하부 부재(3)의 상부를 형성하며, 상기 상부는 하부 부재 내부 주연부(30a)와 원위측에 배치되지만 일체로 형성된다. 하부 부재 중간 주연부(30b)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하나의 하부 부재의 융기된 리지 치형(17b)이 도시되어 있다. 중간 주연부(30b)는 이 도면에서 하부 부재 내부 주연부(30a) 아래에서 바로 내측에 배치된 하부 부재 채널(10b)용 외부 경계 벽체를 형성한다. 하부 부재 치형 리셉터클(13b)이 하부 채널 내부 경계 부재(30a) 상의 하부 부재 채널(10b) 바로 위에 수평으로 정렬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치형 리셉터클(13b)은 상부 부재(미도시)의 대응하는 치형(13a)과 가역적으로 맞물릴 때 제 2 걸쇠 메커니즘의 일부를 구성한다. 하부 부재 범퍼(36)가 하부 부재 치형 리셉터클(13b) 아래에 도시되어 있으며, 하부 부재 내부 주연부(30a)와 함께 몰딩되어 있다.
도 9a는 하우징이 아래를 바라보도록 배향되어 있고 하부 부재(3)를 위에서 보았을 때, 하우징(1)을 내려다본 사시도이다. 하부 부재 주변부(30)가 볼륨 버튼(99a), 온/오프 버튼(99b), 무음/배향 스위치(90), 마이크로폰 전송 포트(61), 스피커 그릴(60b), 렌즈 특징부(80),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상태로 도시된 전자 전송 포트 어댑터(57)를 구비한 헤드폰 포트 개구(50)와 함께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 전송 포트 어댑터(57)는 수용된 전자 기기(100)와의 전자 통신이 필요할 때 헤드폰, 스피커 또는 다른 부재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액세서리에 대해 방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충전 포트 개구(11a)(미도시)를 덮어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는 래치 도어(71b)에 의해 래치 특징부(70)가 덮여 있다. 툴, 코인 등으로 하부 부재(3)로부터 상부 부재(2)를 분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툴 슬롯 특징부(18a, 18b)도 이 도면에서 볼 수 있다.
도 9b는 볼륨 제어 버튼(99a)에 인접한 무음/배향 제어 스위치(90)를 나타낸, 보호 하우징(1)의 하부 부재(3)의 내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무음/배향 제어 스위치(90)와 볼륨 제어 버튼(99a) 특징부들은 통상적으로 2개의 부분들로 제조된다. 첫째, 하부 부재 전면 및 배면(35)이 하면과 내부 및 중간 주연부들을 형성하도록 사출 및 몰딩되며, 통공들이 관통하여 제공되는 방식으로 주변 부재(30)의 부분들이 제조되고, 상기 통공들은 하우징(1)의 다양한 버튼 특징부들로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버튼 특징부들은 특정 기능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능 요소들은 개별적으로 제작되지만, 하부 부재(3)가 성형된 후 하우징에 추가된다. 그 다음, 예컨대, 오버몰딩 공정에서, 이 특징부들을 위한 방수 시일 및/또는 시트가 제조되어 하부 부재(35) 골격 프레임에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으로, 적당한 배향/무음 스위치 특징부(90a) 및/또는 볼륨 제어 시소 버튼이 가공되어 케이스와 함께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배향 버튼(90)과 볼륨 제어 버튼(99)이 수용된 기기의 대응하는 스위치와 버튼에 맞물리기에 적당한 방식으로 하우징(1)에 커플링된다.
이 도면에서 하우징(1)의 하부 부재(3)의 내부에 도시된 무음/배향 제어 스위치(90)는 보호 하우징(1)의 외부에 작동가능한 커넥션으로 배치된 회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위치 부재(90a)와 맞물린다. 배향 제어 스위치(90)의 회전하는 스위치 부재(90a)는 보호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된 부분적으로 원형인 요입부(90c)(미도시)를 중심으로 사용자가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핸들 부재(90b)(미도시)를 포함한다.
핸들 부재(90b)는 보호 하우징(1)의 외부로부터 그 내부로 연장하는 포스트 부재(90d)와 일체로 형성된다. 포스트 부재 가스켓(90e)은 포스트 부재(90d)를 둘러싸서 이 특징부를 통한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 및 먼지 침투 방지 시일을 사이에 형성한다. 포스트 부재는 배향 제어 스위치(90)와 맞물리며, 상기 배향 제어 스위치는 핸들 부재(90b)와 포스트 부재(90d)의 회전 운동을 수용된 전자 기기 상의 선형적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식 스위치의 수직 또는 수평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하는 U자형 개구를 가진 캠형 특징부(90f)로서 구성될 수 있다. 작동시, 핸들 부재(90b)를 회전시키면, 전자 기기 상에서 선형적으로 병진 운동하는 스위치가, 예컨대, 기기를 무음화시키기 위해, 또는 배향 제어 스위치로서,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슬라이드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도시된 볼륨 제어 부분(99a)는 해머헤드 시소 부재로 구성되며, 수용된 전자 기기의 볼륨 제어 버튼과 각각 인터페이싱하는 진동 토글로서 작동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내부 토글은 내부 토글을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전후로 흔들기 위해 버튼의 업 볼륨 또는 다운 볼륨 부분을 누름으로써, 보호 하우징의 외부에서 작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용된 전자 기기의 볼륨 제어 부분과 작동가능하게 맞물리게 된다. 이 도면에는 치형 리셉터클(13b)을 구성하는 외부 하부 채널 경계 벽체(30b)와 내부 채널 경계 벽체(30a)가 또한 도시되어 있다. 내부 하부 채널 경계 벽체(30a)의 바로 원위 측에는 하부 부재 채널(10b)이 있으며, 상기 하부 부재 채널은 이 부재의 바로 원위 측에 있으며 하부 부재 내부 경계 벽체(30a)와 일체인 외부 채널 경계 벽체(30b)를 갖는다.
도 9c는 도 9b의 보호 하우징의 하부 부재(3) 코너의 사시도이다. 볼륨 제어 부분(99a)이 도시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볼륨 제어 부분은 하부 부재 배면(35)에 근접한 하부 부재 주변부(30) 내부에 배치된 무음/배향 제어 스위치(90)에 인접한 헤머 헤드 토글 스위치를 포함한다. 배향 제어 스위치의 작동은 도 9b의 설명에서 상술하였다. 이 도면에서, 배향 제어 스위치 핸들(90b)은 하부 부재 주변부(30)와 일체인 부분적으로 원형인 요입부(90c) 내부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도시된 볼륨 제어 스위치(99a)는 전자 기기의 볼륨 제어 스위치와 인터페이싱하는 진동 토글과 같이 작동하며,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볼륨 제어 스위치(99a)에 의해 내부 토글(미도시)이 작동될 수 있다. 온/오프 스위치(99b)도 유사한 방식으로 제공되며, 연장된 포스트 특징부가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연장하고, 상기 포스트 부재는 방수 밀봉 엔빌로프에 의해 덮인다. 포스트 부재는 사용자에 의해 눌릴 수 있는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분을 가지며, 그 하향력이 포스트 요소를 근위측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수용된 전자 기기의 온/오프 스위치에 맞물리게 되어 온 위치에서 오프 위치로 또는 그 역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하부 부재 배면(35b)에 당접하는 하부 부재 내부 주연부(30a)에 렌즈 특징부(80)가 또한 도시되어 있다. 렌즈 특징부는, 예컨대, 맨드릴 또는 다른 적당한 수단을 통해, 하부 부재(3)에 삽입된 광학 등급 렌즈(83)와, 예컨대, 플래시 부재(미도시)로부터의 광이 카메라 렌즈(83) 부분에 충돌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렌즈를 둘러싸도록 제조된 광학 스커트(82)를 포함한다. 플래시 특징부(85)가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포함될 수 있다.
도 9d는 하부 부재(3)의 원위 단부(32)의 배면(35)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 스위치로 도시된 볼륨 제어 부분(99a), 배향 제어 스위치(90), 온/오프 버튼(99b) 및 하부 부재 배면(35)에 당접하는 하부 부재 내부 주연부(30) 상에 도시된 렌즈 스커트(82)로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렌즈(83)를 가진 렌즈 특징부(80)를 포함하여, 이 도면에서는 하부 부재 외부 주변부(30)를 따라 다양한 특징부를 볼 수 있다. 보강된 융기된 부재에 의해 보호되는 헤드폰 밀봉 포트(53)와 마이크로폰 전송 포트 특징부(61)도 도시되어 있다. 하부 부재 주변부(30)와 일체인 부분적으로 원형인 요입부(90c) 내부에 배치된 것으로 배향 제어 스위치 핸들(90b)이 도시되어 있으며, 그 작동에 대해서는 도 9b 및 도 9c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핸들(90b)은 그 위에 표시된 운동 표시기를 갖는다. 이 도면에 도시된 온/오프 스위치(99b)는 병진 운동 가능한 토글을 작동시키며, 상기 토글은 전자 기기의 온/오프 스위치와 인터페이싱하고,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도시된 온/오프 스위치(99b)에 의해 내부적으로 눌릴 수 있는 토글 또는 버튼이 작동될 수 있다.
도 10a는 도 1a의 하우징의 충전 포트 특징부(70)로 구성된 전자 전송 포트를 나타낸, 하우징(1)의 근위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는 모두 함께 커플링되어 하우징(1)을 형성하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세하게 나타내기 위해 충전 포트 래치 도어(71b)가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된 상태로, 충전 포트 특징부(70)를 도시하였다.
이 도면의 하단에는 하부 부재(3)와 상부 부재(2)가 함께 커플링되어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의 주변부(20, 30)의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의 근위 단부(21, 31)들은 전방을 향하고 있으면서 래치 특징부 개구(71a)의 각 측면을 형성한다. 하부 부재 외부 주연부(30c)는, 래치 특징부 개구(71a)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다소 많은 상당한 하부 부재 근위 단부(31)를 가짐으로써 충돌, 범핑 등으로부터 보호를 제공하는 하방으로 휘어진 리지를 형성한다.
하부 부재 근위 단부(31)는 연결 부재 및/또는 도어 부재를 수용하기 위해 축 수용 오리피스, 축, 통공, 홀, 힌지, 플랩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래치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래치 도어 축(74)은 전기 전송 포트, 예컨대, 충전 포트에 대해 액체 침투 방지 및 먼지 침투 방지 시일을 제공하는 폐쇄 위치로 개방 위치로부터 피벗 또는 회동할 수 있도록, 래치 도어 축 수용 오리피스(75)에서 래치 도어(71b)를 연결하기 위해 하부 부재 중간 주연부(30b)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는 상부 부재 외부 주연부(20c)도 볼 수 있으며, 상부 부재 근위 단부(21)가 하부 부재 주연부(31)의 상단에 배치되어 있고, 이 두 부분들은 충전 포트 특징부(70)가 배치되는 보호 하우징(1)의 전방에 충격 및 범프 저항 부분을 함께 둘러싸서 형성한다. 이 도면의 상단에는 상부 부재 주변부 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 도면의 중간 좌측 부분에 존재하는 홈 버튼(40)과 아울러 상부 코너에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0b)와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0c)가 도시되어 있다. 상부 주변부(20)의 멤브레인리스 경계를 통해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 부재 걸쇠 메커니즘(13b)도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포트 특징부(70)는 래치 포트 개구(71a)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는 30 핀 데이터 전송 및 충전기와 같은 기기 액세서리의 커넥션 인터페이스를 수용하는 크기의 보강된 경계 부재(72)에 의해 형성된다. 래치 포트 개구(71a)는 상부 부재(2)의 중간 주연부(20b) 완전 내부에 관통하여 배치된다. 경계 부재(72)는 래치 도어(71b)의 래치 램프 폐쇄 요소(77)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래치 램프 수용부(76)를 포함하도록 더 구성된다.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0b)는 래치 도어(71b)에 연결하기 위한 래치 도어 축(74)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따라서, 래치 도어(71b)는 래치 램프 축(74)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축 수용 오리피스(75)를 포함함으로써, 이러한 상호 작용을 통해 래치 도어(71b)는 포트 개구를 방수 및 충격 방지 밀봉으로 덮기 위해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축(7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더 나은 밀봉을 보장하기 위해, 래치 도어(71b)는 여기서는 연장된 래치 램프 부재로 구성된 밀봉 메커니즘(77)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밀봉 메커니즘은 상부 부재(2)의 대응하는 밀봉 메커니즘에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래치 도어(71b)는 래치 포트 개구(72)에 대해 밀봉하도록 구성된 가스켓(78)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스켓은 래치 도어(71b)가 폐쇄되어 상부 부재(2)와 맞물렸을 때 액체의 유입으로부터 개구를 보호한다.
도 10b는 도 10a의 래치 도어 특징부의 단면도이며, 보호 하우징(1)의 코너에 래치 도어 특징부가 배치되어 있다. 래치 도어(71b)는 폐쇄 위치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래치 도어 특징부(70)는 래치 도어 축이 관통하여 수용된 축 수용 오리피스(75)를 포함한다. 또한, 상부 부재(2)의 대응하는 밀봉 메커니즘(76), 예컨대, 래치 램프 수용 부재와 맞물린 밀봉 메커니즘(77), 예컨대, 래치 램프 부재도 포함되어 있다. 래치 도어(71b)는 래치 포트 개구(71a) 및 경계 부재(72)에 대해 밀봉된 가스켓(78)을 더 포함함으로써, 액체의 유입으로부터 개구를 보호한다. 래치 도어 잠금 램프(77)가 래치 램프 수용 부재(76) 내에 수용됨으로써, 래치 램프 도어(71b)의 폐쇄와 밀봉을 확보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홈 버튼(40)은 상부 부재 주변부(20)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홈 버튼은 홈 버튼 사용자 인터페이스(41a), 홈 버튼 기기 인터페이스(41b), 홈 버튼(40) 아래에 도시되어 있으면서 액체 침투 방지 밀봉을 제공하는 홈 버튼 밀봉 부재(41c), 및 홈 버튼 기기 결합부(41d)를 포함한 다양한 관련 특징부들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부 부재 주변부(20)를 따라 우측에 인접하여, 이 도면의 우측에 도시된 래치 커버(71b)와 함께 방수 시일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부 부재 근위 단부(21)가 도시되어 있다. 충전 포트 래치 또는 커버(71b)는, 래치 포트 도어(71b) 및 가스켓(78)과 함께, 충전 포트 오리피스(71a)의 방수 밀봉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이 도면에서는 상부 부재 전면에 시일을 형성하기 위해 래치 램프 수용 부재(76)에 당접한 램프 래치(77)를 볼 수 있으며, 상기 가스켓(78)은 보호 하우징의 외부와 래치 특징부 개구(71a) 사이의 방수 시일을 더 가능하게 한다. 이 도면에서, 래치 특징부 개구(71a)는 단면에서 개구의 곡면이 전방을 향하도록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부재(2)의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0b)는 하부 부재(3)의 하부 부재 중간 주변부(30b)와 정렬되고, 대응하는 걸쇠 메커니즘(27, 37)들은 함께 맞물린다. 하부 채널(10b)은 그 내부에 배치된 가스켓(15b)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0b)의 연장된 리지 부재(26)가 채널(10b) 내부에 충돌하여 하부 부재(3)의 채널(10b) 내부의 가스켓(15b)과 맞물려 누름으로써, 보호 하우징(1)의 이 부분에 방수 시일을 생성한다. 이 도면의 하단 전면에 하부 부재 근위 단부(31)가 도시되어 있으며, 하부 부재 배면(35)은 스피커 그릴(60b)을 포함하고 있다. 이 도면에서는 하부 부재(3)의 내부 주연부(30a)에 배치된 치형 리셉터클(13b)들을 볼 수 있으며, 이 표면이 주변 부재(20) 상면에서 소정 각도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이들 위에서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0a)를 볼 수 있다.
도 10c는 보호 하우징의 하부 부재(3)의 하부 부재 근위 단부(31)와 피벗식으로 부착된 래치 특징부 도어(71b)의 일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래치 도어(71b)의 표면 내부에 배치된 융기된 압축가능한 가스켓(78)과 함께 래치 도어(71b)가 보이며, 이는 래치 도어 축 오리피스(75)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래치 도어 축(74)을 통해 보호 하우징의 하부 부재(3)의 하부 부재 근위 단부(31)에 부착되어 있다. 래치 도어(71b)는 폐쇄 위치에 래치 도어(71b)를 고정하는 것을 돕기 위한 래치 램프(77)를 더 포함한다.
도 10d는 개방 위치에 있는 래치 특징부(70)를 나타낸 보호 하우징(1)의 근위부의 확대 사시도이며, 상기 래치 도어(71b)가 개방 위치에 있고, 래치 개구(71a)가 강화된 경계 부재(72)에 의해 형성된 것을 명확하게 볼 수 있다. 이 도면에서는 하부 부재 배면(35)이 위를 향하고 있으며, 하부 부재(3)의 전방 상단 좌측에 스피커 그릴(60b)이 도시되어 있다. 래치 커버 도어(71b)가 개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 도면에서는 하부 부재(3)로부터 하방으로 폐쇄될 것이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 부재 근위 단부(31)는 이 도면에서 상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곡선형 개구를 가지며, 상기 개구에는 2개의 축 수용 오리피스(75)가 배치되고, 상기 오리피스는 축(74)을 중심으로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피벗하거나 회동하는 래치 도어(71b)를 연결하기 위한 래치 도어 축(74)을 수용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폐쇄 위치에서 충전 포트를 위한 액체 침투 방지 및 먼지 침투 방지 시일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 부재 외부 주연부(20c)는 이 도면에서 명확한 래치 특징부 개구(70)를 둘러싸고 있는 상부 부재 근위 단부(21)에 충격 및 범프 저항 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돕는다. 래치 도어(71b)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방수 밀봉을 보장하기 위한 가스켓(78)을 더 포함한다.
도 10e는 전자 기기(100)를 수용하고 있는 보호 하우징(1)을 내려다본 상부 부재 주변부(20) 상면의 사시도이다. 래치 도어(71b)가 폐쇄되어 맞물린 위치에 있는 래치 특징부(70)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래치 도어(71b)가 하부 부재(3)로부터 회전하여 상부 부재(2)에 맞물림으로써 래치 특징부(70)의 포트 개구를 폐쇄 하여 밀봉하고 있다.
상부 부재(2)는 전자 기기(100)의 외부 주연부를 둘러쌈으로써 전자 기기(100)의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를 배치하기 위한 개구를 형성하는 상부 부재 주변부(20)를 갖는다. 상부 부재 주변부(20)는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0b)를 가지며, 상기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는 기기(100)의 경계를 둘러싸고 하우징(1)의 상부 부재(2)를 형성하는 실질적으로 강성인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0b)는 실질적으로 강성인 물질로 구성된다.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0a)는, 예컨대, 오버몰딩에 의해,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에 커플링되며, 전자 기기가 보호 하우징(1) 내에 배치되었을 때 수용된 전자 기기(1)의 전면과 시일을 형성하기에 적당한 연질의 내부 에지를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0a)가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보다 유연하거나 휘어질 수 있는 물질로 보다 통상적으로 구성된다.
상부 부재 주변부(20)는 대향하는 상부 부재 좌측 부분(23)과 상부 부재 우측 부분(34)과 아울러, 대향하는 (전방의) 상부 부재 근위 단부(21)와 상부 부재 원위 단부(22)를 갖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상부 부재 근위 단부(21)의 표면의 중간 부분에 홈 버튼(40)이 도시되어 있고, 하부 부재(3)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여 하부 부재(3)와 상부 부재(2)를 가로지름으로써 래치 특징부 개구(71a)(미도시)를 위한 방수 시일을 형성하는 래치 도어(71b)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f는 하부 부재 배면(35)이 보이도록 하우징이 아래를 향하고 있을 때 보호 하우징을 내려다본 하우징(1)의 근위 부분의 사시도이다. 하부 부재 표면(35)의 주연부를 형성하는 하부 부재 주변부(30)가 이 도면의 상단에 도시되어 있으며, 좌측과 우측에 각각 대향하는 하부 부재 우측 부재(34)와 하부 부재 좌측 부재(33)가 도시되어 있다. 하부 부재 근위 단부(31)가 이 도면의 전방에 나타나 있으며, 좌측 부분에 스피커 그릴(60b)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래치 도어(71b)가 폐쇄되어 맞물린 위치에 있는 래치 포트 특징부(70)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의 상단 좌측 부분에 나타낸 하부 부재 주연부(30)에는, 소리 제어 버튼(99a), 무음/배향 스위치(90) 및 렌즈 특징부(80)를 포함하여, 추가적인 특징부들이 도시되어 있다. 래치 도어(71b)가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 사이를 가로질러 여기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래치 도어는 충전 포트 개구(미도시)를 덮어 밀폐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이 도면의 전방에는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 사이에 2개의 툴 슬롯 특징부(18a, 18b)들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은 스크류 드라이버, 코인, 또는 힘을 가하여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를 분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부재를 삽입하여,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를 분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1a는 하부 부재 배면(35)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의 상단과 측면에는 하부 부재 주연부(30)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특별한 도면의 좌측과 우측에는 대향하는 하부 부재 우측 부재(33)와 하부 부재 좌측 부재(34)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의 상단에 도시된 하부 부재 원위 단부(32)는 보강된 융기된 리브 부분인 마이크로폰 전송 포트(61)에 의해 보호되는 헤드폰 밀봉 포트 부재(53)와, 렌즈 스커트(82)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이고 그 내부에 광학 등급 렌즈(83)가 배치된 렌즈 특징부(80)를 포함하며, 볼륨 버튼(99a)과 배향 스위치(90)를 포함한 추가적인 특징부들이 하부 부재(3)의 배면(35b)의 하부 부재 우측 부재(33)에 도시되어 있다. 배향 제어 스위치(90)는 하부 부재 주연부(30)와 일체인 부분적으로 원형인 요입부(90c) 내부에 도시된 배향 제어 스위치 핸들(90b)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부재 원위 단부(32)에 도시된 온/오프 스위치(99b)는 전자 기기의 온/오프 스위치와 인터페이싱하는 진동 토글로서 작동한다. 하부 부재 액세서리 포트(97a, 97b)가 대향하는 하부 부재 우측 부재(33)와 하부 부재 좌측 부재(34)의 상부에 도시되어 있다.
도 11b는 보호 하우징(1)의 하부 부재(3)의 내부에서 보았을 때 마이크로폰 전송 포트(61)를 나타낸 보호 하우징의 하부 부재(3)의 확대도이다. 좌우측 범퍼(36)들에 의해 마이크로폰 전송 포트(61)가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 부재 내부 주변부(30)가 도시되어 있다. 마이크로폰 전송 포트(61)는 전자 기기로부터의 소리가 보호 하우징 외부로 전송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물이 보호 하우징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 시일을 제공하는 다수의 특징부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마이크로폰 전송 포트(61)는 입구 통공(62)(미도시)을 포함하므로, 내측에서 마이크로폰 포트의 개구를 덮고 소리에 대해서는 투과성이지만 액체에 대해서는 비투과성인 음향 멤브레인 및/또는 가스켓(61a)을 포함한다. 음향 멤브레인(61a)은 마이크로폰 가스켓 오버몰딩(63) 부분에 의해 하우징에 더 부착되어 커플링된다. 마이크로폰 포트 에코 소거 특징부(64)를 포함함으로써 소리의 전송을 유도하거나, 채널링하거나, 차단하는 것이 또한 유용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마이크로폰 포트 에코 소거 특징부는, 예컨대, 수용된 스피커 부분으로부터의 내부 전송을 통해, 마이크로폰 포트(61) 속에 간섭을 생성할 수 있는 원하지 않는 소리의 전송을 최소화하는 융기되어 둘러싸는 리지로 도시되어 있다. 채널(10b)과 아울러 하부 부재 내부 경계 벽체(30a)에 배치된 하부 부재 치형 리셉터클(13b)이 하부 채널 외부 경계 벽체(30b)의 내면의 내측에 도시되어 있으며, 하부 부재 채널(10b)이 이 도면의 상단에 도시된 하부 부재 중간 주연부(30b)와 연속되는 하부 부재 내부 주연부(30b)에 의해 상단에서 경계를 이루도록, 하부 부재 채널(10b)이 이 도면에서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도 11c는 마이크로폰 전송 포트(61)를 향한 보호 하우징(1)의 하부 부재(3)의 확대 정면도이다. 보호 하우징의 외부를 바라보면, 하부 부재 외부 주연부(30c)가 여기에 보이고, 소리의 전송은 허용하면서 마이크로폰 전송 포트(61) 속으로 원하지 않는 물체의 유입은 방지하는 마이크로폰 그릴(61b)과 함께, 마이크로폰 전송 포트(61)가 그 종축에 대해 하부 부재 원위 단부(32)의 거의 중앙 부분에 도시되어 있다.
마이크로폰 송신 포트(61)는 대안적 실시예들(미도시)에서 보호 하우징의 다른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 전송 포트(61)는 전자 기기로부터 보호 하우징 외부로 소리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며 마이크로폰 포트를 통해 보호 하우징으로 액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 시일을 제공하는 이 도면에서는 보이지 않는 다수의 특징부들을 포함하고, 이 특징부들은, 예컨대, 소리에 대해서는 투과성이지만 액체에 대해서는 비투과성인 음향 멤브레인(61a)(미도시)을 포함하며, 상기 멤브레인은 내측에서 마이크로폰 포트의 통공을 덮고, 마이크로폰 가스켓 오버몰딩(63)(미도시)에 의해 하우징에 밀봉될 수 있다.
도 12a는 보호 하우징의 하부 부재(3)의 코너의 확대도이며, 하부 부재 우측 부재(33)가 하부 부재 주연부(30)를 따라 하부 부재 원위 단부(32)에 당접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 컨트롤인 볼륨 제어 부분(99a)과 배향 제어 스위치(90)가 하부 부재 외부 액세서리 포트(97)에 인접한 하부 부재 우측 부재(33) 상에 배치되어 있다. 배향 제어 스위치 핸들(90b)은, 하부 부재 주변부(30)와 일체인 부분적으로 원형인 요입부(90c) 내부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나타낸 온/오프 스위치(99b)는 전자 기기의 온/오프 스위치와 인터페이싱하는 진동 토글로서 작동하며,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도시된 온/오프 스위치(99b)에 의해 내부 토글(미도시)이 작동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부재 배면(35)에 당접한 하부 부재 내부 주연부(30a) 상에 렌즈 특징부(80)가 도시되어 있다. 렌즈 특징부는 렌즈(83) 속으로 잘못 전송되는 광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오버몰딩된 렌즈 스커트에 의해 둘러싸여 보호되는 광학 등급 카메라 렌즈(83)를 포함한다.
여기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외부 액세서리 포트(97)는, 예컨대, 보호 하우징을 사용하거나, 운반하거나 및/또는 장착하기 위해, 예컨대, 벨트 클립, 레그 마운트, 핸드 마운트, 핸드 스트랩, 아암 스트랩,바이크 마운트, 카 마운트 등을 포함한 다양한 액세서리 부재를 하우징에 커플링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 개구와 이에 인접한 제 2 개구를 포함한다. 렌즈 특징부(80)는 하부 부재 원위 단부(32)에서 하부 부재 주연부(30)와 동일한 공간에 걸쳐 있다.
도 12b는 보호 하우징의 하부 부재(3)의 하부 부재 근위 단부(31)의 코너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하부 부재 주변부(30)의 상방 우측 부분에 스피커 그릴(60b)이 도시되어 있으며, 스피커 그릴(60b) 바로 아래의 하부 부재(3) 배면(35)에 오프셋 또는 라이저(riser)가 도시되어 있고, 상기 오프셋 또는 라이저는 하면이 설치된 표면으로부터 하면을 들어올리는 기능을 한다. 하나의 라이저만 도시되어 있으나, 예컨대,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의 각각의 코너에, 하우징을 중심으로 2개, 3개, 4개 또는 그 이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보호 하우징에 액세서리를 부착하기 위한 2개의 개구를 가진 하나의 외부 액세서리 포트(97)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c는 하우징의 하부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2개의 개구를 가진 외부 액세서리 포트(97)를 나타낸, 보호 하우징의 하부 부재(3)의 하부 부재 근위 단부(31)의 코너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2개의 개구들은 그들의 내강이 교차하여 비교적 "L"자 형상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액세서리 인터페이스를 외부 에지에 갖고 액세서리 잠금 핀 수용 부분을 내부 에지에 가진 긴 액세서리 부착 부재가 개구들 중 하나에 삽입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외부 부분에 갖고 잠금 인터페이스를 내부 에지에 가진 연장된 잠금 핀이 액세서리 부착 부재의 잠금 수용 부분에 맞물려 이를 제 위치에 잠금하기 위해 다른 개구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함께 핸들 및 마운트와 같은 다양한 액세서리들이 하우징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다양한 연결 인터페이스들은 액세서리 부착 부재에 액세서리가 커플링될 수 있도록 하는 임의의 적당한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임의의 적당한 잠금 인터페이스가 채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액세서리 핀의 잠금 수용 부분은 그릴 부분이며, 잠금 요소의 잠금 부분은 그릴 요소와 계합되어 이들을 커플링함으로써 액세서리 핀 요소를 제 위치에 잠금하는 가지를 가진 가요성 포크 부재이다. 또한, 이 도면에서 외부 액세서리 포트(97) 바로 아래에 스피커 그릴(60b)이 도시되어 있다.
도 13a 내지 도 13e는 보호 하우징 실험 시일 부재의 사시도이다. 다른 양태에서, 보호 하우징 실험 시스템이 제공된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보호 하우징 실험 시스템은, 예컨대, 보호 하우징의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의 적절한 시일을 나타내기 위해, 본 명세서에 제공된 보호 하우징의 적절한 시일의 시각적 표시를 제공하는 시일 실험 부재(500)를 포함한다. 보호 하우징 실험 시스템의 실험 시일 부재는 전자 기기의 재생물, 팩시밀리, 복제물, 또는 프록시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실험 시일 부재(500)는 전자 기기의 진정한 복제물일 필요가 없다. 사실, 어떤 실시예들에서는, 특정 보호 하우징이 방수 시일을 갖고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목적에서 실험 시일 부재(500)를 사용하기 위해 의도된 목적으로 모든 바람직한 특징들을 가진 단순화되고 비용 효율적인 전자 기기의 대체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실험 시일 부재는 전자 기기의 어떤 특징부들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어떤 실시예들에서, 보호 하우징을 활용하고자 의도된 전자 기기와 매우 유사하거나 심지어 거의 동일한 크기와 치수를 가진 적어도 몇몇 부재를 실험 시일 부재가 갖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제공된 보호 하우징과 상호 작용하는 전자 기기의 부분들을 시뮬레이팅하기 위해 시일 실험 부재의 상기 부재들이 치수, 크기 및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에 도시된 실험 시일 부재(500)의 실시예에서, 실험 시일 부재는 전면(501)과 배면(502)을 포함한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실험 시일 부재(500)의 전면(501)은 보호 하우징 내에 배치되었을 때 보호 하우징의 상부 부재의 배면(35b)을 대면하고, 실험 시일 부재(502)의 배면은 보호 하우징 내에 배치되었을 때 보호 하우징의 하부 부재의 전면을 대면한다.
실험 시일 부재의 배면(502)은 실험 시일 부재(500)의 하면의 외부 에지에 배치된 외부 주연 부재(503)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주연 부재는 보호 하우징 시스템에 의해 실험되지 않을 때 밀폐된 보호 하우징 내에 있었을 전자 기기 상의 부재들을 긴밀하게 접근시키기 위해 이 표면의 전체 에지를 통상적으로 둘러싼다.
실험 시일 부재의 배면(502)의 외부 주연 부재 이외에, 실험 시일 부재는 추가적인 리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제공된 어떤 실시예들은, 예컨대, 실험 시일 부재의 에지를 형성하는 외부 주연 부재(503)를 중심으로, 외부 주연 부재(503)의 최외각 부분에 배치된 외부 에지 부재(504a)를 포함하여, 복수의 리지 부재(504)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들은 외부 리지 부재(504a) 내측의 중간 리지 부재(504b)와, 실험 시일 부재(500)의 배면(502) 상의 외부 리지 부재(504a)와 중간 리지 부재(504b) 모두의 내측에 배치된 내부 리지 부재(504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리지 부재들은 연장된 연속 리지를 포함하며,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내부 리지 부재가 연속 리지일 필요가 없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중간 리지 부재(504b)와 내부 리지 부재(504c)에 의해 채널(510)이 형성된다. 이 실험 시일 부재(500)의 내부에, 예컨대, 내부 리지 부재의 표면을 형성하는 내부 리지 부재(504c)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채널 리지 부재(504d)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실험 시일 부재(500)의 전면은 그 전면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평탄하고 매끈하다. 다른 실시예(미도시)들에서, 실험 시일 부재의 전면은, 전자 기기가 본 명세서에 제공된 보호 하우징 내에 배치되었을 때, 전자 기기를 모방하도록 구성된 대안적 구조를 갖도록 제공된다.
작동시, 시일 실험 부재는 하부 하우징 부재(3)와 상부 하우징 부재의 적절한 시일, 및 상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인접한 영역과 상부 하우징 부재의 내부 에지의 적절한 시일의 시각적 표시를 제공한다. 도 13c는 보호 하우징의 상부 부재(2) 내에 배치된 실험 시일 부재(500)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서, 실험 시일 부재(500)의 전면(501)은 위를 향하고 있으며, 실험 시일 부재(502)의 배면(502)은 상부 부재(2) 배면(25b)과 맞물려 있다. 상부 부재(2)와 맞물렸을 때 실험 시일 부재(500)를 유지하는 보호 하우징(2)의 상부 부재(2)의 기기 유지 치형(96a, 96b)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기기 유지 치형(96a, 96b)은 실험 시일 부재(10)의 유지를 돕는다. 실험 시일 부재(500)의 외부 주연 부재(503)는 제 1 걸쇠 메커니즘의 일부를 포함하는 융기된 리지 치형(17)과 아울러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0a)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한다. 실험 시일 부재(503)의 외부 주연부는 제 2 걸쇠 메커니즘의 일부를 포함하는 상부 부재의 치형(13a)과 더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실험 시일 부재(500)가 보호 하우징의 하부 부재(3)와 맞물렸을 때, 실험 시일의 외부 주연부(503)가 하부 채널(3)의 하부 채널 내부 경계 부재(30a)에 대해 긴밀하게 장착됨으로써, 실험 시일 부재(500)의 중간 리지 부재(504b)와 내부 리지 부재(504c)가 범퍼(36)의 대향하는 측부에 그 종축을 따라 걸치도록 실험 시일 부재(500)의 중간 리지 부재(504b)와 내부 리지 부재(504c)가 보호 하우징의 하부 부재(3)의 범퍼(36)의 여러 부분들에 대해 당접할 때, 하부 부재의 치형 리셉터클(13b)은 리지 채널 부재(504d)와 맞물리게 된다.
특히, 다른 양태에서, 보호 하우징 실험 시스템이 제공된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보호 하우징 실험 시스템은 시일 실험 부재, 하부 하우징 부재, 상부 하우징 부재 및 커플링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들에 제공된 시일 실험 부재의 기능은 보호 하우징의 하부 하우징 부재와 상부 하우징 부재의 적절한 시일의 시각적 표시를 제공하는 것이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보호 하우징 실험 시스템의 실험 시일 부재는 전자 기기에 대한 복제물 또는 프록시로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실험 시일 부재는 전자 기기의 어떤 특징부들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어떤 실시예들에서, 보호 하우징을 활용하고자 의도된 전자 기기와 매우 유사하거나 심지어 거의 동일한 크기와 치수를 가진 적어도 몇몇 부재를 실험 시일 부재가 갖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제공된 보호 하우징과 상호 작용하는 전자 기기의 부분들을 시뮬레이팅하기 위해 시일 실험 부재의 상기 부재들이 치수, 크기 및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보호 하우징 실험 시스템에 의해 실험되는 보호 하우징은 하부 하우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 부재는 시일 실험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보호 하우징의 상부 하우징 부재는 시일 실험 부재의 적어도 제 2 부분을 수용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보호 하우징의 상부 하우징 부재는 상면 부분에 대한 터치 액세스를 허용하기 위해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내부 에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실험 시일 부재는 전면과 배면을 포함한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실험 시일 부재의 전면은 보호 하우징 내에 배치되었을 때 보호 하우징의 상부 부재의 배면을 대면하고, 실험 시일 부재의 배면은 보호 하우징 내에 배치되었을 때 보호 하우징의 하부 부재의 전면을 대면한다.
실험 시일 부재의 배면은 실험 시일 부재의 하면의 외부 에지에 배치된 외부 주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주연 부재는 보호 하우징 시스템에 의해 실험되지 않을 때 밀폐된 보호 하우징 내에 있었을 전자 기기 상의 부재들을 긴밀하게 접근시키기 위해 이 표면의 전체 에지를 통상적으로 둘러싼다.
실험 시일 부재의 배면의 외부 주연 부재 이외에, 실험 시일 부재는 추가적인 리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제공된 어떤 실시예들은, 예컨대, 실험 시일 부재의 에지를 형성하는 외부 주연 부재를 중심으로, 외부 주연 부재의 최외각 부분에 배치된 외부 에지 부재를 포함하여, 복수의 리지 부재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들은 외부 리지 부재 내측의 중간 리지 부재와, 실험 시일 부재의 배면 상의 외부 리지 부재와 중간 리지 부재 모두의 내측에 배치된 내부 리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리지 부재들은 연장된 연속 리지를 포함하며,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내부 리지 부재가 연속 리지일 필요가 없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중간 리지 부재와 내부 리지 부재에 의해 채널이 형성된다. 이 실험 시일 부재의 내부에, 예컨대, 내부 리지 부재의 표면을 형성하는 내부 리지 부재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채널 리지 부재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실험 시일 부재의 전면은 그 전면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평탄하고 매끈하다. 다른 실시예(미도시)들에서, 실험 시일 부재의 전면은, 전자 기기가 본 명세서에 제공된 보호 하우징 내에 배치되었을 때, 전자 기기를 모방하도록 구성된 대안적 구조를 갖도록 제공된다.
상기 걸쇠 메커니즘은, 실험 시일 부재의 상호 작용이 다양한 걸쇠 메커니즘을 포함하여 보호 하우징의 요소들과 맞물리기 위해 중요한 전자 기기의 몇몇 특징부와 치수를 복제하도록,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걸쇠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시, 시일 실험 부재는 하부 하우징 부재와 상부 하우징 부재의 적절한 시일, 및 상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인접한 영역과 상부 하우징 부재의 내부 에지의 적절한 시일의 시각적 표시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을 하우징(1)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며, 상기 하우징은 하부 부재 또는 상부 부재를 포함하고, 전면 스크린 멤브레인과 같은 상면 또는 하면 표면 부재를 포함하거나 통합하지 않았으나, 다양한 경우들에서, 수용된 기기를 완전히 감싸도록 상면 또는 하면 표면 부재가 하우징의 대응하는 주변부에 추가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컨대,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하나의 주연부에서 다른 주연부까지 걸쳐 있는 상부 또는 하부 디스플레이 멤브레인이 포함될 수 있다. 상부 또는 하부 디스플레이 멤브레인은, 예컨대, 오버몰딩을 통해, 다른 하우징 부품과 함께 일체로 부착되도록 제조되거나, 하우징 부품 자체에 부착되지는 않고 기기 자체에 부착된 다음 상기 기기가 하우징에 커플링되는 별도의 요소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면 스크린 멤브레인은 하우징과 수용된 기기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며, 상기 전면 스크린 멤브레인은, 예컨대, 접착제, 결합력 또는 다른 부착 수단을 통해, 하우징과 기기 중 하나 또는 모두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독립된 표면 요소이다.
상기 멤브레인은 임의의 적당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멤브레인은 통상적으로 투명할 수 있지만, 하나 이상의 광학적으로 불투명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불투명한 영역은 완전히 불투명하거나, 하나 이상의 광학적으로 투과성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멤브레인은 광학적으로 투과성인 영역과 불투명한 영역, 예컨대, 근접 또는 주변 광 센서 특징부를 위해 광학적으로 투명한 영역을 포함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는 불투명한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멤브레인은 버튼 특징부를 포함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멤브레인은 음향 통공 특징부, 카메라 렌즈 특징부, 플래시 특징부 등을 포함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버튼 특징부는 복수의 하위-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버튼 특징부는, 버튼이 눌릴 때, 버튼 특징부 피벗이 변형되도록, 버튼 특징부 피벗과 상호 작용하는 버튼 특징부 제 1 전이부를 구비한 버튼 특징부 멤브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 특징부는 적당한 접착제를 통해 버튼 특징부 멤브레인의 배면과 같은 버튼 특징부 멤브레인에 커플링되는 스탠드오프 또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버튼 특징부 스탠드오프는, 버튼 특징부가 눌릴 때, 스탠드오프가 하부의 기기의 버튼과 인터페이싱하여 상기 버튼을 효과적으로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버튼 특징부는, 예컨대, 부품들로 제작되어 함께 조립되거나, 열성형과 같이 멤브레인과 함께 성형되는 것과 같이, 임의의 적당한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버튼 특징부는 간단히 융기된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전면 멤브레인의 압입부, 예컨대, 열성형된 압입부일 수 있다. 또한, 버튼의 내향면은 하부의 기기의 홈 버튼에 버튼이 잘 맞물리도록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는 접착성 스페이서 요소와 같은 스탠드오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음향 통공 특징부는 방수 가스켓, 예컨대, 음향 멤브레인 또는 배출 물질로 덮인 음향 출구 통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멤브레인 물질이 음향 통공을 덮음으로써, 음향 통공을 통한 물의 유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소리의 전송을 허용한다. 음향 통공 특징부는 음향 멤브레인 물질을 포함하고, 음향 멤브레인 물질은 음향 출구 통공을 포함한다. 음향 멤브레인 물질은 멤브레인으로부터 오프셋되고, 접착 링에 의해 그와 부착되며, 음향 배출 물질과 더 연관되고, 상기 음향 배출 물질은 소리는 통과시키지만 액체는 통과시키지 않는다. 음향 배출 물질은, 물의 유입은 방지함과 동시에 소리의 전송은 허용하기 위해 음향 출구 통공을 덮도록, 음향 멤브레인 물질과 연관될 수 있다.
멤브레인은 비디오 카메라 영역 및/또는 근접 센서 및/또는 주변 광 센서 영역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영역들은 하부의 기기의 비디오 카메라 및 근접 센서 및 주변 광 센서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비디오 카메라 및 근접 센서 및 주변 광 센서 영역들은 단순히 광학적으로 투명한 영역들일 수 있다.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카메라 영역은 수용된 기기의 카메라 렌즈와 정렬되도록 구성된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래시 특징부가 또한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태블릿 컴퓨터를 위한 보호 하우징이 제공된다. 따라서, 태블릿 컴퓨터를 위한 보호 하우징의 어떤 주요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이 단락에 기술된 요소들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이 주요 실시예들에 따른 보호 하우징은 배면, 주연부 및 멀티-터치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전면을 포함한다. 보호 하우징은 하부 부재의 외부 주연부를 형성하는 프레임을 통상적으로 포함하는 하부 부재를 갖는다. 이러한 하부 부재의 프레임은 외부 벽체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의 외부 벽체는 제 1 걸쇠 메커니즘을 갖는다. 하부 부재는 태블릿 컴퓨터의 주연부 또는 배면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내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부재의 내면은 내부 벽체와 아울러 외부 벽체를 서로로부터 이격되도록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하부 부재의 내면의 내부 벽체는 제 2 걸쇠 메커니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하부 부재는 외부 벽체와 내부 벽체 사이에 형성된 제 1 채널을 갖는다. 외부 벽체와 내부 벽체에 의해 형성되는 이 제 1 채널은 제 1 채널 내부에 배치되는 제 1 시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보호 하우징의 실시예는 태블릿 컴퓨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기 위해 하부 부재와 결합되거나 맞물리는 상부 부재를 갖는다. 따라서, 이 상부 부재는, 두 부재가 함께 결합되어 태블릿 컴퓨터용 보호 하우징을 형성할 때, 하부 부재와 맞물리도록 설계된다. 상부 부재는 멀티-터치 디스플레이를 둘러싸는 내부 에지를 가진 프레임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 상부 부재 프레임은 외부 주연부 또는 상부 부재를 또한 형성한다. 상부 부재는 외부 주연부 부근에서 프레임의 내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돌출부는 제 1 채널 속으로 삽입되어 제 1 가스켓과 결합된다. 돌출부는 하부 부재의 외부 벽체의 제 1 걸쇠 메커니즘과 래칭되는 제 3 래칭 메커니즘을 갖는다. 상부 부재의 돌출부는 하부 부재의 내부 벽체의 제 2 래칭 메커니즘과 함께 래칭되는 제 4 래칭 메커니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태블릿 컴퓨터를 위한 보호 하우징의 추가적인 실시예들은 전술한 주요 실시예들로부터 유래될 수 있으며, 그 중 일부는 변형들 및/또는 추가적인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는 하부 부재의 외부 벽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쇼울더를 더 포함한 상부 부재를 갖는다.
보호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부 부재의 내면은 내부 에지에 인접한 외부 벽체와 내부 벽체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채널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제 2 채널 내에 배치되는 제 2 가스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제 2 가스켓은, 상부 부재가 하부 부재와 커플링되었을 때, 멀티-터치 디스플레이에서 태블릿 컴퓨터의 전면을 밀봉하기 위해 제 2 채널의 내부 벽체와 외부 벽체로부터 연장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부 부재는 내부 에지에 가요성 리지를 더 포함한다. 가요성 리지는 제 2 가스켓의 내부에 배치된 멀티-터치 디스플레이의 주변부 부근의 태블릿 컴퓨터의 전면에 대해 당접하도록 구성된다.
어떤 다른 실시예들에서, 태블릿 컴퓨터를 위한 보호 하우징은 상부 부재의내면의 내부 벽체에 인접한 내면으로부터 융기되거나 돌출된 하나 이상의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패드는, 오직 하나가 포함되는지 또는 하나보다 많이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상부 부재의 내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태블릿 컴퓨터의 배면을 오프셋시키기 위해 태블릿 컴퓨터의 배면을 위한 시트를 형성한다. 이 패드들 중 하나 이상은 교환가능할 수 있다.
보호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하부 부재는 하부 부재의 외면과 내면 사이에 형성된 윈도우를 더 포함한다. 이 윈도우는 반투명 멤브레인일 수 있다.
태블릿 컴퓨터를 위한 보호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에서, 하부 부재는 상부 부재의 하부 에지를 관통하는 충전 포트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변형은 통상적으로 충전 포트를 폐쇄하기 위해 하부 부재와 힌지에 의해 커플링된 도어를 갖는다. 충전 포트를 폐쇄하기 위한 도어는 도어를 폐쇄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래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도어는, 도어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충전 포트를 밀봉하기 위해 가요성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가요성 패드는, 도어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태블릿 컴퓨터에서 나오는 소리를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어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부 부재는 하부 부재의 하부 에지의 내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치형을 갖는다. 이러한 하나 이상의 치형은 태블릿 컴퓨터의 하부 에지를 수용하고 상부 부재에 대한 태블릿 컴퓨터의 위치를 결정하는 기능을 한다.
태블릿 컴퓨터를 위한 보호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하부 부재는 카메라 렌즈, 예컨대, 하부 부재의 내면 부근의 상부 에지에 형성된 카메라 렌즈를 또한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보호 하우징의 하부 부재는, 카메라 렌즈 부근에 있지만 카메라 렌즈로부터 광학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광 센서 통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태블릿 컴퓨터를 위한 보호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부 부재는 상부 부재의 내면에 연결된 버튼을 작동시키는 기능을 하는 가요성의 밀봉된 버튼 영역을 더 포함한다.
태블릿 컴퓨터를 위한 보호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부 부재는 헤드폰 잭 통공을 더 포함한다. 이 실시예들에서, 보호 하우징은 통상적으로 헤드폰 잭 통공을 점유하여 밀봉하는 마개를 더 포함한다.
태블릿 컴퓨터를 위한 보호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하부 부재는 태블릿 컴퓨터의 대응하는 토글 스위치를 작동시키 위해 강성 프레임 내에 밀봉된 토글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태블릿 컴퓨터를 위한 보호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하부 부재는 하나 이상의 밀봉된 버튼 영역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밀봉된 버튼 영역은 하부 부재의외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이들은 태블릿 컴퓨터의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각각의 버튼들을 작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하부 부재의 제 1 래칭 메커니즘은 하부 부재의 강성 프레임의 외부 벽체의 내면을 따라 돌출된 제 1 리지를 더 포함한다. 이 실시예들에서, 제 3 래칭 메커니즘은 상부 부재의 돌출부의 외면을 따라 돌출된 제 2 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 2 리지는, 하부 부재가 상부 부재와 결합되었을 때, 제 1 리지와 계합되는 기능을 한다.
주요 실시예의 어떤 다른 유도체에서, 제 2 래칭 메커니즘은, 통상적으로 하부 부재의 내부 벽체를 따라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홀을 더 포함한다. 이 실시예들에서, 제 4 래칭 메커니즘이 상부 부재의 돌출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탭을 갖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복수의 탭들 각각은, 하부 부재가 상부 부재와 결합되었을 때, 제 2 래칭 메커니즘에 존재하는 복수의 홀 중 대응하는 하나의 홀과 계합하도록 설계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태블릿 컴퓨터를 위한 보호 하우징의 하부 부재는 스피커 또는, 하부 부재의 내면의 일부로서 제공된 스피커 그릴과 같은, 그 일부분을 갖는다. 예시적인 스피커 그릴은 강성 프레임의 스피커 영역 내의 통공 또는 개구 패턴과, 스피커 영역 위의 하부 부재의 내면에 부착된 방수 패브릭을 포함한다.
태블릿 컴퓨터를 위한 보호 하우징의 제 1 주요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태블릿 컴퓨터를 위한 보호 하우징의 대안적인 주요 실시예는 외부 벽체를 가진 외부 주연부를 형성하는 강성 프레임을 가진 하부 부재를 또한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부재의 외부 벽체는 제 1 래칭 메커니즘을 갖는다. 하부 부재는 태블릿 컴퓨터의 주연부 또는 배면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내면을 또한 갖는다. 이 내면은 외부 벽체로부터 이격된 내부 벽체를 형성한다. 하부 부재의 내부 벽체는 제 2 래칭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보호 하우징의 하부 부재는 외부 벽체와 내부 벽체 사이에 형성된 제 1 채널을 또한 갖는다. 이 제 1 채널은 제 1 채널 내부에 배치되는 제 1 가스켓을 포함한다. 보호 하우징은 보호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태블릿 컴퓨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기 위해 상술한 상부 부재와 결합되는 상부 부재를 또한 갖는다. 상부 부재는 상부 부재의 외부 주연부를 또한 형성하며 태블릿 컴퓨터의 멀티-터치 디스플레이를 둘러싸는 내부 에지를 구비한 리지 프레임을 갖는다. 하부 부재는 외부 주연부 부근의 강성 프레임의 내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한다. 하부 부재의 이 돌출부는 제 1 가스켓에 대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하부 부재의 제 1 채널로 삽입될 수 있다. 상부 부재의 이 돌출부는 하부 부재의 외부 벽체의 제 1 래칭 메커니즘과 래칭하는 제 3 래칭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래칭할 때, 상부 부재의 돌출부는 하부 부재의 내부 벽체의 제 2 래칭 메커니즘과 래칭하는 제 4 래칭 메커니즘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보호 하우징의 상부 부재는 내부 에지에 인접한 외부 벽체와 내부 벽체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채널을 또한 갖는다. 상부 부재는, 제 2 채널 내부에 배치되어 상부 부재의 내부 벽체와 외부 벽체로부터 연장된 제 2 가스켓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이 제 2 가스켓은, 보호 하우징의 상부 부재가 하부 부재와 결합되었을 때, 멀티-터치 디스플레이에서 태블릿 컴퓨터의 전면을 밀봉하는 기능을 한다.
태블릿 컴퓨터를 위한 보호 하우징의 다른 대안적인 주요 실시예는 외부 벽체를 가진 외부 주연부를 형성하는 프레임을 구비한 하부 부재를 또한 포함하며, 이 외부 벽체는 제 1 래칭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부재는 태블릿 컴퓨터의 주연부 또는 배면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내면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하우징은 태블릿 컴퓨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기 위해 하부 부재와 맞물리거나/결합할 수 있는 상부 부재를 갖는다. 상부 부재는 멀티-터치 디스플레이를 둘러싸는 내부 에지를 구비한 프레임을 갖는다. 이 프레임은 하부 부재의 외부 주연부와 대응하는 외부 주연부를 형성하는 리지 부분을 갖는다. 본 실시예의 상부 부재는 제 1 래칭 메커니즘과 래칭하는 제 2 래칭 메커니즘을 또한 포함한다. 상부 부재는 리지 프레임의 내부 에지 부근에 배치된 가스켓을 또한 포함한다. 이 가스켓은, 상부 부재가 하부 부재와 결합되었을 때, 멀티-터치 디스플레이에서 태블릿 컴퓨터의 전면을 밀봉하는 기능을 한다.
도 14a와 관련하여, 어떤 실시예들에서, 하우징(201)은, 착탈가능하게 함께 커플링되었을 때 하우징(201)을 형성하는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3)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부재(204)가 또한 포함되며,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두 부재를 서로에 대해 제 위치에 잠금하기 위해 상부 부재(202) 및 하부 부재(203) 모두와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 이외에, 하우징은 잠금 부재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경우들에서, 잠금 요소는 포함되지 않는다. 그러나, 잠금 요소가 포함되는 경우, 잠금 요소는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를 함께 잠금하기 위해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 또는 그 부품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임의의 적당한 요소일 수 있다. 이는 패스너, 걸쇠, 래치, 밴드, 벨트, 버클, 와이어, 볼트와 너트, 나사, 자물쇠 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잠금 부재(204)가 포함되어 있으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잠금 부재의 구성 변화 또는 생략으로 인해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에 대해 대응하는 변경이 이루어지기는 하지만, 잠금 부재가 포함될 필요가 없거나, 다른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컨대, 상부 부재(202)는 하부 부재(203)에 커플링됨으로써 잠금 부재(204)를 추가하지 않고 방수 시일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2개의 부재들이 함께 커플링되고 일단 커플링되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설계된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또는, 잠금 요소는 잠금 쐐기 요소와 같이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는 방수 밀봉으로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를 함께 커플링하는 방식으로 잠금 쐐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대응하는 쐐기 수용 부재를 갖도록 적당하게 구성된다.
다양한 경우들에서, 잠금 요소가 포함되는 경우,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 요소는, 각각의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와 연관되도록 구성되고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를 함께 잠금하기 위해 함께 커플링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요소일 수 있다. 하나의 경우에서, 잠금 부재의 두께는, 잠금 부재가 구성된 방식, 잠금 부재를 따라 측정이 이루어진 위치에 따라, 약 2㎜ 미만 또는 약 1㎜를 포함하여, 약 10㎜ 초과 또는 미만 또는 약 8㎜, 예컨대, 약 7㎜ 미만 또는 약 6㎜, 예컨대, 약 5㎜ 미만 또는 약 4㎜, 예컨대, 약 3.5㎜ 미만 또는 약 2.5㎜일 수 있다.
적당한 잠금 요소의 폭도 달라질 수 있으며, 잠금 부재가 구성된 방식, 잠금 부재를 따라 측정이 이루어진 위치에 따라, 약 3㎜ 미만 또는 약 2.5㎜, 심지어 약 2㎜ 미만 또는 약 1㎜를 포함하여, 약 15㎜ 초과 또는 미만 또는 약 13㎜, 예컨대, 약 12㎜ 미만 또는 약 10㎜, 예컨대, 약 9㎜ 미만 또는 약 8㎜, 예컨대, 약 6㎜ 미만 또는 약 5.5㎜, 예컨대, 약 5㎜ 미만 또는 약 4.5㎜일 수 있다.
적당한 잠금 요소의 높이도 달라질 수 있으며, 잠금 부재가 구성된 방식, 잠금 부재를 따라 측정이 이루어진 위치에 따라, 약 3㎜ 미만 또는 약 2.5㎜, 심지어 약 2㎜ 미만 또는 약 1㎜를 포함하여, 약 16㎜ 초과 또는 미만 또는 약 15㎜ 또는 약 13㎜ 이하, 예컨대, 약 12㎜ 미만 또는 약 10㎜, 예컨대, 약 9㎜ 미만 또는 약 8㎜, 예컨대, 약 7㎜ 미만 또는 약 6㎜, 예컨대, 약 5㎜ 미만 또는 약 4.5㎜일 수 있다.
잠금 부재의 길이는 수용되는 하부의 기기의 구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기기는 통상적으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이므로, 각각의 잠금 부재의 길이는 하우징의 어느 측면에 잠금 부재가 배치될 것인지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수납되는 기기가 임의의 적당한 형상, 예컨대, 라운드형, 원형, 타원형, 삼각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등을 가질 수 있으므로, 하우징은 임의의 적당한 대응하는 형상을 추가적으로 가질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그러나, 다양한 경우들에서, 하우징의 형상은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 중 하나이며, 따라서, 잠금 부재의 길이는 약 100㎜ 또는 약 85㎜ 이하, 예컨대, 약 80㎜ 또는 약 75㎜ 이하, 예컨대, 약 70㎜ 또는 약 65㎜ 또는 약 60㎜ 이하, 또는 심지어 약 50㎜ 또는 약 25㎜ 이하를 포함하여, 약 800㎜ 초과 또는 미만 또는 약 750㎜ 이하, 예컨대, 약 700㎜ 또는 650㎜ 이하, 예컨대, 약 500㎜ 또는 약 450㎜ 또는 약 400㎜ 이하, 예컨대, 약 350㎜ 또는 약 300㎜ 이하, 예컨대, 250㎜ 이하, 예컨대, 약 230㎜ 또는 약 200㎜ 이하, 예컨대, 약 150㎜ 이하일 수 있다.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는 임의의 적당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가 적절하게 함께 커플링되었을 때, 수용된 기기에 대해 안정성, 내충격성 및 액체 저항성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할 수 있는 물질로 제조된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는 다양한 부품들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서로 다른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 및/또는 그 부품들을 제조할 수 있는 적당한 물질은 하우징에 대해 충격 및/또는 액체 저항을 제공하기 위해 함께 제조될 수 있는 강성, 반강성 및 가요성 물질을 포함한다. 이러한 물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카보네이트, 및/또는 유리 섬유가 충진된 폴리카보네이트 및/또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및/또는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및/또는 폴리우레탄, 및/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또는 폴리아미드, 및/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또는 열가소성 가황물와 같은 열가소성 물질, 및/또는 열경화성 에폭시, 및/또는 실리콘, 및/또는 알루미늄, 및/또는 스틸, 및/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및/또는 티타늄 등과 같은 금속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202)의 상부 부재(201)는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부재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상부 부재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가 포함되는 경우, 이는 폴리카보네이트, 및/또는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및/또는 폴리우레탄, 및/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또는 실리콘 등과 같은 임의의 적당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주연부의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걸쳐 있는 멤브레인으로 구성될 수 있고, 몰딩 공정에 의해, 예컨대, 주연부들 중 하나 이상과 오버몰딩됨으로써, 부착될 수 있다.
도 14a와 관련하여, 상부 부재(200)는 주연부(220)에 의해 주로 형성된다. 주연부(220)는 근위 단부(221) 및 원위 단부(222)와 아울러, 대향하는 측부(223, 224)들에 의해 형성된다. 주연부(220)는 외부 주연부(220a), 중간 주연부(220b) 및 내부 주연부(220c)와 같은 추가적인 주연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주연부(220a)와 내부 주연부(220c)는 주연부, 예컨대, 중간 주연부(220b)와 동일한 물질이나 상이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물질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주연부 표면은, 본 명세서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포트(246, 285, 291) 및/또는 스위치 특징부(271, 272, 273)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과 같은 추가적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부재(203)는 주연부(230)와 하부 부재 전면 표면 부재(235) 및 배면 표면 부재(236) 모두에 의해 형성된다. 주연부(230)는 근위 단부(231) 및 원위 단부(232)와 아울러, 대향하는 측부(233, 234)들에 의해 형성된다. 주연부(230)는 내부 주연부(230a), 중간 주연부(230b) 및 외부 주연부(230c)와 같은 추가적인 주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주연부(230a)와 외부 주연부(230c)는 주연부, 예컨대, 중간 주연부(230b)와 동일한 물질이나 상이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물질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주연부 표면은, 본 명세서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스위치 특징부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과 같은 추가적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01)의 하부 부재(203)는 하부 부재 전면(235) 및 배면(236) 표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표면 부재는 주연부(230)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하부 부재(3)가 하부 부재 전면(235) 및 배면(236) 표면 부재를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표면 부재가 포함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그 대신, 하부 부재(203)는 상부 부재(200)와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부 부재(203)는 연관된 하부 표면 부재를 갖지 않고 주연부(230)에 의해 주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부 부재(200)가 주연부(200)와 연관된 상부 부재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를 가짐으로써 하부 부재(300)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부재 전면(235) 및 배면(236) 표면 부재는 렌즈 특징부(280)를 포함한다.
하부 표면 부재(203)의 전면(235) 및 배면(236)은 동일한 물질들이나 상이한 물질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물질들은 주연부(230)(들) 중 하나 이상의 주연부의 물질 또는 물질들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하우징(201)의 전면(235) 및 배면(236) 표면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멤브레인으로 구성된다. 다른 경우들에서, 하우징(201)의 전면(235) 및 배면(236) 표면 부재는 주연부(230)의 적어도 일부분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되며, 예컨대, 강성 또는 반강성 중간 주연부(220b)와 동일한 물질로 구성된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하부 부재 표면 부재는 수납된 기기로부터 방출되는 소리의 특성을 증폭하는 방식으로 진동할 수 있는 반강성 물질로 구성되며, 다른 실시예들에서, 하부 표면 부재는 수납된 기기의 소리의 특성을 감쇠하는 물질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표면 부재(35, 36)는 소리가 하우징의 하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 소리 전송부(260)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1)은,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3)가 그들 사이에 방수 시일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함께 커플링될 수 있도록 더 구성된다. 따라서, 하우징(201)의 부품은 걸쇠 메커니즘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납된 기기의 설계상 특징을 유지하면서, 방수 밀봉으로 전자 기기와 같은 수납된 기기 주변에서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3)를 함께 커플링할 수 있는 한, 임의의 적당한 걸쇠 메커니즘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서, 하우징의 걸쇠 메커니즘, 예컨대, 잠금 요소는 대응하는 스냅-치형 요소로 구성된다. 도 14e와 관련하여 후술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들에서, 하우징의 걸쇠 메커니즘은 대응하는 후크와 쐐기 요소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14b와 관련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201)의 상부 부재(200)는 스냅-치형 부재(207)로 구성된 걸쇠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스냅-치형 부재(227)는 하부 부재(203)의 대응하는 걸쇠 메커니즘과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부 부재 걸쇠 메커니즘(227)은 6개의 분리된 스냅-치형 잠금 부재들, 즉, 좌측 근위 스냅-치형 부재(227a), 우측 근위 스냅-치형 부재(227b), 원위 스냅-치형 부재(227c), 좌측 스냅-치형 부재(227d) 및 우측 스냅-치형 부재(240e, 240f)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 경우, 하부 부재(3)의 걸쇠 메커니즘(237)은 스냅-치형 리셉터클(237)을 포함하며, 상기 리셉터클은 스냅-치형 부재(227)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걸쇠 메커니즘(237)은 6개의 분리된 스냅-치형 리셉터클들, 즉, 좌측 근위 스냅-치형 리셉터클(237a), 우측 근위 스냅-치형 리셉터클(237b), 원위 스냅-치형 리셉터클(237c), 좌측 스냅-치형 리셉터클(237d) 및 우측 스냅-치형 리셉터클(240e, 240f)를 포함한다.
또한, 도 14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우징(201)은 스냅-치형 콤브(comb) 잠금 부재로 구성된 걸쇠 메커니즘(204)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잠금 요소(204)는 6개의 분리된 스냅-치형 잠금 콤브들, 즉, 좌측 근위 스냅-치형 콤브(240a), 우측 근위 스냅-치형 콤브(240b), 원위 스냅-치형 콤브(240c), 좌측 스냅-치형 콤브(240d), 우측 스냅-치형 콤브(240e, 240f)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는 방수 시일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스냅-치형 잠금 요소(204)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부 부재(202)의 스냅-치형 부재(227)는 스냅-치형 콤브 잠금 부재(204)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되고, 하부 부재(203)의 스냅-치형 리셉터클(237)은 상부 부재(202)의 스냅-치형 부재(227)와 아울러 스냅-치형 콤브(240)를 모두 수용하도록 더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부재(202)는 6개의 스냅-치형 부재(227a, 227b, 227c, 227d, 227e, 227f) 세트를 포함한다. 그 결과, 하부 부재(203)는 스냅-치형 리셉터클(237a, 237b, 237c, 237d, 237e, 237f)을 포함하고, 잠금 요소(204)는 스냅-치형 콤브(240a, 240b, 240c, 240d, 240e, 240f)를 포함한다. 스냅-치형 부재, 리셉터클, 콤브 요소들의 개수 및 세트는 대응하는 방식으로 달라질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어떤 실시예들에서는, 6개보다 많거나 적은, 예컨대, 5개, 4개, 3개, 2개 또는 1개의 스냅-치형 부재, 리셉터클 및 콤브 세트들이 있을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냅-치형 리셉터클(237)은 스냅-치형 부재(227)와 아울러 스냅 콤브 요소(240)를 수용하여 맞물림으로써 이들 사이에 견고한 연결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16과 관련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스냅-치형 리셉터클(237)은 스냅-치형 부재(227)와 콤브 요소(240)의 일부가 내부에 수용되는 스냅-치형 리셉터클 공간(38)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냅-치형 리셉터클(237)은 스냅-치형 부재(227)와 콤브 요소(240) 모두와 맞물리도록 더 구성된다.
예컨대, 리셉터클(237) 중 하나 이상은 디텐트(239a)와 같은 스냅-치형 콤브 맞물림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디텐트는 콤브 요소(240) 상의 대응하는 맞물림 인터페이스, 예컨대, 디텐트 수용 요소(244)에 맞물린다. 이러한 상호 작용은 콤브(240)를 제 위치에 잠금하는 데 도움이 되며, 콤브가 스냅-치형 리셉터클(238)로부터 분리되거나 수평으로 이동한 다음 그 수직축을 따라 수직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237)은 디텐트(239b)와 같은 스냅-치형 부재 맞물림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디텐트는 스냅-치형 부재(227) 상의 대응하는 맞물림 인터페이스, 예컨대, 디텐트 수용 요소(228b)에 맞물린다. 이러한 상호 작용은 스냅-치형 부재(227)를 제 위치에 잠금하는 데 도움이 되며, 스냅-치형 부재가 그 수직축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냅-치형 부재(228)와 스냅-치형 콤브(240)는, 이들이 서로 접촉할 때, 상대가 수직축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스냅-치형 부재(228)는 스냅-치형 부재 맞물림 디텐트(239b)에 대해 제 위치에 유지되며, 그로부터 수직으로 또는 수평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며, 스냅-치형 콤브(240)는 스냅-치형 콤브 맞물림 디텐트(239a)에 대해 제 위치에 유지되며, 그로부터 수직으로 또는 수평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결과적으로, 콤브(240)가 제 위치에 있을 때, 스냅-치형 부재(228)와 스냅-치형 콤브(240)는 서로에 대해 잠금되고, 상부 부재(202)는 하부 부재(203)와 커플링됨으로써, 방수 시일이 제공된다. 이러한 밀봉은, 콤브가 제거될 때까지 두 부재들이 분리될 수 없도록, 하부 부재(3)에 대해 상부 부재(202)를 잠금하는 기능을 더 한다.
본 명세서에 특정 구성이 제시되어 있으나, 콤브(240)와 스냅-치형 부재(228)의 상호 작용 및 하부 부재(203), 예컨대, 리셉터클(237)과 이들의 상호 작용은 상호 작용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예컨대, 각각의 맞물림 요소(예컨대, 228, 239, 244 등)가 다르게 구성되고 및/또는 다른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스냅-치형 부재(228)는 스냅-치형 콤브-맞물림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냅-치형 콤브(240)는 대응하는 스냅-치형 부재 맞물림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냅-치형 부재(228)는 스냅-치형 부재(228)를 스냅-치형 맞물림 콤브(240)와 함께 잠금하기 위해 대응하는 맞물림 요소를 통해 스냅-치형 콤브(240)와 직접 맞물려 잠금할 수 있음으로써, 하부 부재(203)와 상부 부재(202)의 커플링을 실현한다. 이러한 경우, 리셉터클 디텐트(39)는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인용된 디텐트(239)는 도 18과 관련하여 제공된 것과는 다른 맞물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14b는 하우징(201)의 분해 사시도를 제공한다. 하우징은 상부 부재(202), 하부 부재(203) 및 잠금 요소(204)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요소는 스냅-치형 콤브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부재(202)는 복수의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부 부재(202)는 주연부(220)를 주로 포함할 수 있다. 주연부는 외부 주연부(220a), 중간 주연부(220b) 및 내부 주연부(220c)와 같은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하위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주연부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물질들로 제조될 수 있으며, 및/또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기능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부 부재 외부 주연부(220a)는 하우징(201)에 대해 충격 흡수 방안을 제공하기 위해 가요성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중간 주연부(220b)는 상부 부재(202)에 대해 구조적 완전성을 제공하기 위해 강성 물질 또는 반강성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카보네이트, 및/또는 섬유가 충진된 폴리카보네이트 및/또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및/또는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및/또는 폴리우레탄, 및/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또는 폴리아미드, 및/또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또는 열가소성 가황물과 같은 열가소성 물질, 및/또는 열경화성 에폭시, 및/또는 실리콘, 및/또는 알루미늄, 및/또는 스틸, 및/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및/또는 티타늄 등과 같은 금속을 포함한다. 내부 주연부(220c)는 가요성 또는 반가요성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가요성의 외부 및/또는 내부 주연부들이 제조되어, 오버몰딩, 가황, 접착, 열 접착, 접착 테이프 기판과 같은 기판 접착, 연신과 같은 기계적 접합, 및/또는 그루브 내 혼입 등의 임의의 적당한 공정에 의해, 보다 강한 중간 주연부와 연관될 수 있다.
외부 주연부(220a)와 관련하여, 어떤 경우들에서, 상기 외부 주연부는 가요성 또는 반가요성 물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물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천연 고무와 같은 고무, 및/또는 니트릴, 및/또는 네오프렌, 및/또는 실리콘, 및/또는 플루오로실리콘 및/또는 플루오로카본, 및/또는 퍼플루오로 엘라스토머 및/또는 폴리우레탄, 및/또는 에틸렌 프로필렌과 같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또는 열가소성 가황물, 및/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 및/또는 폴리에틸렌 및/또는 발포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또는 발포 니트릴 고무, 및/또는 발포 폴리우레탄 우레탄 등과 같은 발포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주연부(220a)는 하우징에 대해 충격 보호 방안을 제공하는 범퍼와 같은 작용을 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내부 주연부(220c)와 관련하여, 상기 내부 주연부는 가요성 또는 반가요성 물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물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천연 고무와 같은 고무, 및/또는 니트릴, 및/또는 네오프렌, 및/또는 실리콘, 및/또는 플루오로실리콘 및/또는 플루오로카본, 및/또는 퍼플루오로 엘라스토머 및/또는 폴리우레탄, 및/또는 에틸렌 프로필렌과 같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또는 열가소성 가황물, 및/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 및/또는 폴리에틸렌 및/또는 발포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또는 발포 니트릴 고무, 및/또는 발포 폴리우레탄 우레탄 등과 같은 발포체를 포함할 수 있고, 수납된 기기의 표면, 예컨대, 스크린과 함께 수밀 시일을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내부 주연부는 상기 스크린의 청소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내부 주연부(220c)가 와이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부의 기기의 스크린의 표면을 중간 주연부(220b)와 브릿징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와이퍼를 향해 스크린을 와이핑하면, 모든 미립자 또는 유체 물질이 상부 부재/기기 스크린 인터페이스가 아닌 주연부(220) 위로 밀어 올려진다. 3개의 주연부(220a, 220b, 220c)의 경계가 표시되어 있으나, 더 많거나 더 적은 주연부들이 포함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예컨대, 어떤 실시예들에서는, 외부 주연부(20a) 및/또는 내부 주연부(20c)가 중간 주연부(220b)와 연관될 필요가 없다.
상부 부재(202)는 홈 버튼(215)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중간 주연부(20b)는 하부의 기기의 상면 스크린에 존재하는 버튼과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 연장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부 부재(202)는 충전 포트 래치(241)의 일부에 맞물리기 위한 인터페이스(249)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부재(202)는 하나 이상의 걸쇠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며, 이 경우에서, 상기 걸쇠 메커니즘은 복수의 스냅-치형 부재(227a, 227b, 227c, 227d, 227e, 227f)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 14e 내지 도 14i와 관련하여 제공된 다른 실시예들에서,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걸쇠 메커니즘은 쐐기 수용 덕 후크(duck hook)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부재(202)가 주연부의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연장되어 있는 상부 부재 전면 및 배면을 포함하지 않지만,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휘어질 수 있는 멤브레인과 같은 전면 및 배면이 제공될 수 있다.
하부 부재(203)도 주연부(23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주연부는 외부 주연부(230a), 중간 주연부(230b) 및 내부 주연부(230c)와 같은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하위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부재(203) 주연부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물질들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물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카보네이트, 및/또는 섬유가 충진된 폴리카보네이트 및/또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및/또는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및/또는 폴리우레탄, 및/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또는 폴리아미드, 및/또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또는 열가소성 가황물과 같은 열가소성 물질, 및/또는 열경화성 에폭시, 및/또는 실리콘, 및/또는 알루미늄, 및/또는 스틸, 및/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및/또는 티타늄 등과 같은 금속을 포함하며, 동일하거나 상이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외부 주연부(230a)는 가요성 또는 반가요성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가요성의 외부 주연부가 제조되어, 오버몰딩, 가황, 접착, 열 접착, 접착 테이프 기판과 같은 기판 접착, 연신과 같은 기계적 접합, 및/또는 그루브 내 혼입 등의 임의의 적당한 공정에 의해, 보다 강한 중간 주연부와 연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더 많거나 더 적은 주연부들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주연부(230)는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주연부(230)는 충전 포트 리셉터클(246)과 같은 하나 이상의 포트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포트 리셉터클(246)은 수납되는 기기의 충전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충전 포트 도어와 같은 리셉터클 커버(241)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포트 도어(241)는 개폐됨으로써 충전 포트 리셉터클(246)을 방수 시일로 밀봉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부재(202)는 충전 포트 도어(241)와 인터페이싱하여 그들 사이에 방수 시일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부재(202)는, 충전 포트 리셉터클(246)을 방수 시일로 밀봉하기 위해, 충전 포트 도어(241) 상의 대응하는 래칭 특징부, 예컨대, 래치 램프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래칭 특징부(249), 예컨대, 래치 램프 수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부재(202) 및/또는 하부 부재(203) 부재 상에 배치된 다양한 요소들과 관련하여 래치 특징부를 설명하였으나, 이 순서가 역전될 수 있으며, 및/또는 모든 래치 특징부가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 중 하나에 전부 배치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부 부재(203)는 하나 이상의 배향 토글 인터페이스(72a, 72b), 볼륨 버튼 인터페이스(73) 및/또는 온/오프 버튼 인터페이스(71)와 같은 하나 이상의 버튼 인터페이스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인터페이스들은 하부 부재(203)의 주연부(230)를 따라 또는 배면 표면 부재(235, 236)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부재(203)는 이어폰, 스피커 또는 다른 잭 특징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이어폰 포트(285)와 같은 포트; 및/또는 소음 저감 포트 특징부(291)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부재의 전면(235)과 배면(236)은 렌즈 특징부(280)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도 14b의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235, 236)와 관련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표면은 폴리카보네이트, 및/또는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및/또는 폴리우레탄, 및/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또는 실리콘, 및/또는 강화되거나 충격 개질된 등급이거나 및/또는 페인팅되거나, 및/또는 분말 코팅되거나 및/또는 진공 금속화되거나, 임의의 적당한 색상으로 된 유리 등과 같은 임의의 적당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에서, 전면(235)과 배면(236)은 투명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한 물질로 제조된다. 하부 부재 표면이 투명하면, 사용자가 하부의 전자 기기의 상태를 쉽게 볼 수 있고, 기기로부터 방사 에너지의 전달이 가능하며, 하부 기기의 미적 특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유용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경우들에서, 하부 부재의 전면(235)과 배면(236)은 불투명한 물질로 제조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부재의 주연부(230)는 리셉터클(237a, 237b, 237c, 237d, 237e, 237f)과 같은 하나 이상의 스냅-래치 리셉터클과 같은 걸쇠 메커니즘(237)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리셉터클들은 스냅-치형 부재(228)와 스냅-치형 콤브(240) 중 하나 또는 모두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어떤 경우들에서, 도 14e 내지 도 14i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하부 부재(203)의 걸쇠 메커니즘(237)은 잠금 쐐기 수용 후크 구조와 같은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4b와 관련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은 스냅-치형 콤브(240a, 240b, 240c, 240d, 240e, 240f)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잠금 요소(240)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잠금 요소들은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를 함께 커플링하여 그들 사이에 방수 시일을 제공하기 위해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의 걸쇠 메커니즘들 중 하나 또는 모두에 맞물릴 수 있다. 잠금 요소(204)가 스냅-치형 콤브 잠금 요소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잠금 요소는 잠금 쐐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잠금 쐐기는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의 걸쇠 메커니즘들의 대응하는 후크 요소에 맞물리도록 구성됨을 또한 유의하여야 한다.
도 14c는 도 14b의 하우징의 뒤집힌 사시도를 제공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하부 부재(203)의 하부 부재 전면(235)과 배면(236)은 불투명하고 투명하지 않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부재(202)는 주연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주연부(220)는 일련의 스냅-치형 부재(227)를 포함한다. 하부 부재(203)는 주연부(23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지만; 상부 부재(202)와는 달리, 하부 부재(203)는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235, 236)를 포함한다. 그러나, 어떤 경우들에서는,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은 상부 부재(202)이며, 하부 부재(203)는 포함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부 부재(202)나 하부 부재(203)가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를 포함하지 않으며, 그 대신, 주연부(220, 230)만으로 각각 형성된다. 이 경우에, 하부 부재(203)는 충전 포트 가스켓(245)을 가진 충전 포트 도어(241)와 충전 포트 리셉터클(246)을 포함하는 반면, 상부 부재는 충전 포트 도어 맞물림 부재, 예컨대, 래치 램프 수용기(249)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순서가 역전되거나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잠금 요소(240)가 또한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서, 상기 잠금 요소는 스냅-치형 콤브로 구성되어 있다.
도 14d는 도 14c의 하우징의 배면 사시도를 제공한다. 이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부재(202)는 버튼 특징부(215)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버튼 특징부는 주연부(22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걸쳐 있다. 버튼 특징부(215)는 하부의 기기의 버튼과 상호 작용함으로써 버튼을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특징부(215)는 홈 버튼 가스켓(216)으로 덮여 있으며, 상기 가스켓은 홈 버튼(215)에 대해 방수 밀봉을 제공한다. 중간 주연부(220b) 아래와 같이, 주연부(220)의 하면에 배치된 주연부 가스켓(210)이 또한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서, 가스켓(210)은 전체 주연부(220)를 둘러싸며, 버튼 특징부(215)의 경계를 더 둘러싼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부 부재(202)가 하부 부재(23)와 함께 커플링되고 및/또는, 예컨대, 잠금 요소(204)를 통해, 함께 잠금될 때, 수밀 시일이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4e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하우징(201)의 대안적 실시예의 평면 사시도를 제공한다. 하우징(201)의 이 실시예는 타블렛 컴퓨터 또는 리더기와 같은 전자 기기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를 포함한다.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가 함께 커플링되었을 때, 예컨대, 서로에 대해 배치되었을 때, 이들은 연속적인 내면과 연속적인 외면을 제공한다. 하우징(201)의 이 실시예는,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가 함께 커플링되었을 때, 방수 밀봉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걸쇠 메커니즘을 또한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가 전자 기기를 수납하였을 때,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를 고정적으로 부착하기 위해, 추가적인 걸쇠 메커니즘, 예컨대, 잠금 요소(204)가 또한 제공된다. 잠금 요소(204)는 좌측 근위 잠금 쐐기(240a), 우측 근위 잠금 쐐기(240b), 원위 잠금 쐐기(240c), 좌측 잠금 쐐기(240d) 및 우측 잠금 쐐기(240e)를 포함한다.
상부 부재(202)는 상부 부재 외부 주연부(20a),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20b) 및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20c)를 포함한다.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20c)는 상부 부재(202)의 중간에 직사각형 공간을 형성한다.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0b)는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20c)의 외부 에지를 둘러싼다. 상부 부재 외부 주연부(220a)는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20b)의 외부 에지를 둘러싼다.
상부 부재 외부 주연부(220a)는 범퍼로 구성될 수 있다. 범퍼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상부 부재(202)의 외부 에지를 완충시키는 가요성 또는 반가요성 물질이다. 상부 부재 내부 주연부(20c)는 와이퍼로 구성될 수 있다. 와이퍼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상부 부재와 접촉할 때, 전자 기기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가요성 또는 반가요성 물질이다. 가요성 또는 반가요성 물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천연 고무와 같은 고무, 및/또는 니트릴, 및/또는 네오프렌, 및/또는 실리콘, 및/또는 플루오로실리콘 및/또는 플루오로카본, 및/또는 퍼플루오로 엘라스토머 및/또는 폴리우레탄, 및/또는 에틸렌 프로필렌과 같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또는 열가소성 가황물, 및/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 및/또는 폴리에틸렌 및/또는 발포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또는 발포 니트릴 고무, 및/또는 발포 폴리우레탄 우레탄 등과 같은 발포체일 수 있다.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20b)의 외부 에지의 하면에는 상부 부재 쐐기 수용 덕 후크(227)가 제공된다.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20b)의 좌측 근위면은 중간 주연부(220b)의 외부 에지의 하면에 배치된 상부 부재 좌측 근위 쐐기 수용 덕 후크(227a)를 갖는다.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20b)의 우측 근위면은 중간 주연부(220b)의 외부 에지의 하면에 배치된 상부 부재 우측 근위 쐐기 수용 덕 후크(227b)를 갖는다.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220b)의 우측면은 중간 주연부(220b)의 외부 에지의 하면에 배치된 상부 부재 우측 쐐기 수용 덕 후크(227d)를 갖는다.
하부 부재(203)는 원위 좌측면에 이어폰 잭 포트(285)를 포함한다. 이어폰 잭 포트(285)는 방수 시일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어폰 잭 포트(285)에 탈착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이어폰 포트 커버(286)를 포함한다. 이어폰 포트 커버(286)가 이어폰 잭 포트(285)에 삽입되면, 이어폰 포트 커버(286)는 이어폰 잭 포트(285)로 유체, 특히 액체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이 유체는 공기와 물을 포함한다.
하부 부재(203)는 렌즈 특징부(280)를 또한 포함한다. 렌즈 특징부(280)는 빛을 투과하는 단순히 투명한 표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렌즈 특징부(280)는, 렌즈 특징부(280)의 내면에 대해 배치되는, 수납된 기기에 존재하는 카메라 렌즈와 같은 카메라 렌즈에 대해 배율 및/또는 필터링을 제공하는 렌즈를 포함한다. 렌즈 특징부(280)는 렌즈 특징부(280)의 내면에 대해 배치되는 카메라 렌즈에 대해 광각 효과를 제공하는 렌즈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렌즈 특징부(280)는 렌즈 특징부(280)를 구성하는 물질을 통과하는 빛을 실질적으로 굴절시키지 않는 투명한 물질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렌즈 특징부의 내면에 대해 배치된 카메라는 렌즈 특징부(280)의 존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다. 렌즈 특징부를 구성하는 투명한 물질은 유리, 플라스틱 등일 수 있다.
하부 부재(203)는 그 원위측(232)의 대략 중앙에 소음 저감 포트(296)를 또한 포함한다.
상부 부재(202)와 마찬가지로, 하부 부재(203)도 쐐기 수용 요소들을 포함하며, 이 경우, 쐐기 수용 요소들은 하부 부재 쐐기 수용 후크로 구성되고, 중간 주연부(230b)의 최외각 에지를 따라 배치된다. 하부 부재(203)의 좌측 근위 외부 에지는 그 상부 에지에 배치된 하부 부재 좌측 근위 쐐기 수용 후크(237a)를 갖는다. 하부 부재(203)의 우측 근위 외부 에지는 그 상부 에지에 배치된 하부 부재 우측 근위 쐐기 수용 후크(237b)를 갖는다. 하부 부재(203)의 원위 외부 에지는 그 상부 에지에 배치된 하부 부재 원위 쐐기 수용 후크(237c)를 갖는다. 하부 부재(203)의 좌측 외부 에지는 그 상부 에지에 배치된 하부 부재 좌측 쐐기 수용 후크(237d)를 갖는다. 하부 부재(203)의 우측 외부 에지는 그 상부 에지에 배치된 하부 부재 우측 쐐기 수용 후크(237e)를 갖는다.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는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가 정렬되어 함께 커플링될 때, 상부 부재 쐐기 수용 덕 후크(227)와 하부 부재 쐐기 수용 후크(237)는 맞물림으로써 계합된다. 이러한 맞물림은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가 결합되는 주연부(220)를 따라 그루브를 생성한다. 그 다음,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를 함께 잠금하기 위해, 잠금 쐐기 요소(204)가 이 그루브에 삽입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이는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 사이에 유체 밀봉 시일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어떤 경우들에서, 상기 유체는 공기, 물 등일 수 있다.
도 14f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도 14e의 하우징의 실시예의 배면 사시도이다. 이 사시도에서, 하부 부재(203)는 상부 부재(202)에 인접하여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부재(203)의 전면/배면(235/236)은 폴리카보네이트, 및/또는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및/또는 폴리우레탄, 및/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또는 실리콘, 및/또는 강화되거나 충격 개질된 등급의 유리 등과 같은 투명한 물질로 제조된다. 전면/배면은 주연부(220)의 적어도 일부분과 함께 제조되거나, 이에 인접될 수 있다. 도 14f의 전면 및 배면 표면 부재(235, 236)는 강성, 가요성 또는 반가요성 물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제조된 다음, 오버몰딩, 몰드 내 장식, 가황, 접착, 열 접착, 접착 테이프 기판과 같은 기판 접착, 연신과 같은 기계적 접합, 및/또는 그루브 내 혼입 등의 임의의 적당한 공정에 의해, 중간 주연부와 연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면/배면(235/236)은 연속 부재로서 중간 주연부(220b)와 함께 성형된다. 외부 주연부(230a)가 하부 부재(203)의 중간 주연부(220b)와 배면(236)의 외부 에지에 덮인다. 외부 주연부(230a)는 임의의 적당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하부 부재(223)의 외부 에지를 완충시키는 가요성 또는 반가요성 물질일 수 있고, 상기 물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천연 고무와 같은 고무, 및/또는 니트릴, 및/또는 네오프렌, 및/또는 실리콘, 및/또는 플루오로실리콘 및/또는 플루오로카본, 및/또는 퍼플루오로 엘라스토머 및/또는 폴리우레탄, 및/또는 에틸렌 프로필렌과 같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또는 열가소성 가황물, 및/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 및/또는 폴리에틸렌 및/또는 발포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또는 발포 니트릴 고무, 및/또는 발포 폴리우레탄 우레탄 등과 같은 발포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범퍼부로서 작용한다. 가요성 또는 반가요성 물질은 고무, 네오프렌, 폴리프로필렌 등일 수 있다.
하부 부재(203)의 외관도는 하부 부재(203)의 좌측 원위측(232)을 통과하는 이어폰 잭 포트(285)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하우징의 상단측에서 보았을 때 하부 부재(203)의 우측 원위측이다.) 하부 부재(203)의 외부도는 하부 부재(203)의 우측 원위측을 통과하는 렌즈 특징부(280)를 또한 나타내고 있다. (이는 하우징의 상단측에서 보았을 때 하부 부재(203)의 우측 원위측이다.) 하부 부재(203)의 외부도는 하부 부재(203)의 원위측을 통과하는 소음 소거 특징부(296)를 더 나타내고 있다. 이는 도 14e에 도시된 사시도에서 보았을 때 하부 부재(203)의 우측이다.
하부 부재(203)는 하부 부재(203)의 우측 원위측에 하부 부재 온/오프 스위치(71)를 포함한다. (이는 도 14e에 도시된 사시도에서 보았을 때 하부 부재(203)의 우측 원위측이다.) 하부 부재(203)는 하부 부재(203)의 우측에 배향 토글(272a, 272b)을 더 포함한다. (이는 도 14e에 도시된 사시도에서 보았을 때 하부 부재(203)의 우측이다.) 하부 부재(203)는 배향 토글(272a, 272b) 바로 아래에 볼륨 버튼(273)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하부 부재(203)는 우측 근위 단부(231) 바로 위에 소리 전송부(260)를 또한 포함한다. (이는 도 14e에 도시된 사시도에서 보았을 때 하부 부재(203)의 우측 근위 단부이다.) 또한, 하부 부재(203)의 근위 단부(231)에는 충전 포트 도어(241)가 배치되어 있다. (이는 도 14e에 도시된 사시도에서 보았을 때 하부 부재(203)의 근위 단부이다.) 충전 포트 도어는 수납된 전자 기기의 원위 단부에 배치된 충전 포트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한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충전 포트 도어(241)가 폐쇄되면, 충전 포트 도어(241)를 통해 하우징의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상기 유체는 공기, 물 등이다.
상부 부재(202)는 상부 부재 중간 주연부(도 14e에서 "20b")의 내부 에지를 따라 가스켓(210)을 또한 포함한다. 가스켓(210)는, 전자 기기가 수납되어 상부 부재(202)와 접촉할 때,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 및/또는 전자 기기 사이에 유체 밀봉 시일을 생성한다. 가스켓(210)은 상부 부재(202)와 전자 기기가 만나는 위치를 완충하는 가요성 또는 반가요성 물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들 사이에 시일을 생성할 수도 있다. 가요성 또는 반가요성 물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천연 고무와 같은 고무, 및/또는 니트릴, 및/또는 네오프렌, 및/또는 실리콘, 및/또는 플루오로실리콘 및/또는 플루오로카본, 및/또는 퍼플루오로 엘라스토머 및/또는 폴리우레탄, 및/또는 에틸렌 프로필렌과 같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또는 열가소성 가황물, 및/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 및/또는 폴리에틸렌 및/또는 발포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또는 발포 니트릴 고무, 및/또는 발포 폴리우레탄 우레탄 등과 같은 발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부재(202)의 이 내부도에서, 상부 부재(202)의 원위측(222)을 따라 배치된 원위 쐐기 수용 덕 후크(227c)를 볼 수 있다. (이는 도 14e에 도시된 사시도에서 보았을 때 상부 부재(202)의 원위측이다.) 상부 부재(202)의 이 내부도에서, 상부 부재(202)의 좌측을 따라 배치된 좌측 쐐기 수용 덕 후크(227d)를 또한 볼 수 있다. (이는 도 14e에 도시된 사시도에서 보았을 때 상부 부재(202)의 좌측이다.)
상부 부재(202)는 상부 부재(202)의 원위 단부에 배치된 버튼 가스켓(216a)을 포함한다. (이는 도 14e에 도시된 사시도에서 보았을 때 상부 부재(202)의 원위측이다.) 버튼 가스켓(216a)은 상부 부재(202)의 홈 버튼 특징부(215) 아래에 배치되어 이들 사이에 방수 밀봉을 제공함으로써, 홈 버튼(215)을 통한 액체의 누설을 방지한다. 홈 버튼(215)은 수납된 기기의 홈 버튼을 조작하기 위한 홈 버튼 노브(215b)를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버튼 가스켓은 버튼 가스켓(216a)의 내면에 배치된 버튼 가스켓 버튼 인터페이스(16b)를 통해 하우징을 통한 전자 기기의 제어면의 조작을 또한 허용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는 홈 버튼 노브(215b) 아래에 배치된다. 따라서, 어떤 실시예들에서, 버튼 가스켓(16a)과 버튼 가스켓 버튼 인터페이스(216b)는 전자 기기의 제어면의 조작을 허용하면서, 상부 부재(202)를 유체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한다. 어떤 경우들에서, 이 유체는 공기, 물 등일 수 있다.
상부 부재(202)는 좌측 원위 단부에 배치된 이어폰 잭 절개부(289)를 또한 포함한다. (이는 도 14e에 도시된 사시도에서 보았을 때 상부 부재(202)의 좌측 원위측이다.) 상기 절개부는 이어폰 잭 포트(285)에서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의 긴밀한 접합을 허용한다.
도 14g는 도 14e에 나타낸 하우징의 관련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부재 전면/배면(235, 236)은 불투명하다. 도 14g는 이어폰 포트 커버(286)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이어폰 포트 커버(286)는 마개 헤드(289), 마개 스레드(288) 및 마개 가스켓(287)을 포함한다. 마개 가스켓(287)과 스레드(288)는 이어폰 잭 포트(285) 속에 장착된다. 마개 가스켓(287)이 이어폰 잭 포트(285) 내부에 배치되고 스레드(288)가 포트(285)에 존재하는 대응하는 스레드에 체결되면, 마개 헤드(289)가 이어폰 잭 포트(285)의 외부 개구를 덮음으로써, 방수 시일이 제공된다. 따라서, 어떤 실시예들에서, 마개 가스켓(287)은 하우징의 내부로 유체의 통과를 방지한다. 어떤 경우들에서, 이 유체는 공기, 물 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떤 실시예들에서는, 이어폰 잭 포트(285)에 그루브가 형성됨으로써, 이어폰 포트 커버(286)가 이어폰 잭 포트(285)를 폐쇄하는 위치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 실시예들에서, 이어폰 포트 커버(286)는 이어폰 포트 커버가 이어폰 잭 포트(85)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마개 스레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레드는 통상적으로 나사식 스레드일 수 있으며, 캠 특징부나, 포트 커버(286)가 포트 잭(285)에 삽입될 때 압축된 다음 그 내부에서 팽창함으로써 포트를 방수 시일로 밀봉하는 압축가능한 시일 메커니즘과 같은 다른 폐쇄 메커니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4h는 수용된 전자 기기(100)와 함께 본 명세서에 개시된 하우징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전자 기기(100)는 그 좌측 원위 단부에 기기 이어폰 잭 포트(185)를 포함한다. (이는 도 14e에 도시된 사시도에서 보았을 때 전자 기기(100)의 좌측 원위 단부이다.) 전자 기기(100)는 그 상면의 근위 단부에 기기 소음 소거 특징부(196)를 또한 포함한다. (이는 도 14e에 도시된 사시도에서 보았을 때 전자 기기(100)의 상면의 근위 단부이다.) 전자 기기(100)는 그 우측 원위 단부에 기기 온/오프 스위치(171)를 더 포함한다. (이는 도 14e에 도시된 사시도에서 보았을 때 전자 기기(100)의 우측 원위 단부이다.) 전자 기기(100)는 그 원위 단부 부근의 그 우측에 기기 배향 토글(172)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이는 도 14e에 도시된 사시도에서 보았을 때 전자 기기(100)의 원위 단부 부근의 우측이다.) 전자 기기(100)는 그 상면의 원위 단부에 기기 홈 버튼(115)을 또한 포함한다. (이는 도 14e에 도시된 사시도에서 보았을 때 전자 기기(100)의 상면의 원위 단부이다.)
도 14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 잭 포트(285)는 기기 잭 포트(185)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 14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 저감 포트(96)는 기기 소음 소거 특징부(196)가 하우징 외부로 액세스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 14h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부재 온/오프 스위치 인터페이스(271), 배향 토글(272a, 272b), 볼륨 버튼(273) 및 홈 버튼(15)은, 전자 기기(100)가 하우징에 수납되어 있을 때, 수납된 전자 기기(100)의 기기 온/오프 스위치(171), 기기 배향 토글(172), 기기 볼륨 스위치(173) 및 기기 홈 버튼(115)의 조작을 허용한다.
도 14i는 도 1f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5a는 도 15a의 상부 부재(202)의 뒤집힌 사시도를 제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부재(202)는 주연부(220)에 의해 주로 형성된다. 주연부(220)는 외부 주연부(220a), 중간 주연부(220b) 및 내부 주연부(220c)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서는, 3개의 모든 주연부들이 상이한 물질로 제조되어 함께 몰딩된다. 외부 주연부(220a)는 가요성 또는 반강성 물질로 제조되며, 케이스의 외부 림에 대해 충격 흡수 방안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가요성 또는 반강성 물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천연 고무와 같은 고무, 및/또는 니트릴, 및/또는 네오프렌, 및/또는 실리콘, 및/또는 플루오로실리콘 및/또는 플루오로카본, 및/또는 퍼플루오로 엘라스토머 및/또는 폴리우레탄, 및/또는 에틸렌 프로필렌과 같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또는 열가소성 가황물, 및/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 및/또는 폴리에틸렌 및/또는 발포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또는 발포 니트릴 고무, 및/또는 발포 폴리우레탄 우레탄 등과 같은 발포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외부 주연부(220a)를 범퍼부라 할 수 있다. 가요성 또는 반강성 물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천연 고무와 같은 고무, 및/또는 니트릴, 및/또는 네오프렌, 및/또는 실리콘, 및/또는 플루오로실리콘 및/또는 플루오로카본, 및/또는 퍼플루오로 엘라스토머 및/또는 폴리우레탄, 및/또는 에틸렌 프로필렌과 같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또는 열가소성 가황물, 및/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 및/또는 폴리에틸렌 및/또는 발포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또는 발포 니트릴 고무, 및/또는 발포 폴리우레탄 우레탄 등과 같은 발포체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주연부(220c)도 가요성 또는 반강성 물질로 제조되며, 하우징(201)의 내부에 대해 밀봉 수단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내부 주연부(220c)는 긴밀한 인터페이스가 생성되는 방식으로 수납된 기기의 스크린 부분과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긴밀한 인터페이스는 내부 주연부(220c) 아래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내부 주연부는 유체 및/또는 미립자 물질이 주연부(220) 아래가 아닌 상부 부재(202)의 주연부(220) 위로 미끄러지거나 흐르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내부 주연부를 와이퍼 부분이라 할 수 있다. 가요성 또는 반강성 물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천연 고무와 같은 고무, 및/또는 니트릴, 및/또는 네오프렌, 및/또는 실리콘, 및/또는 플루오로실리콘 및/또는 플루오로카본, 및/또는 퍼플루오로 엘라스토머 및/또는 폴리우레탄, 및/또는 에틸렌 프로필렌과 같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또는 열가소성 가황물, 및/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 및/또는 폴리에틸렌 및/또는 발포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또는 발포 니트릴 고무, 및/또는 발포 폴리우레탄 우레탄 등과 같은 발포체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주연부(220c)는 제조된 다음, 오버몰딩, 몰드 내 장식, 가황, 접착, 열 접착, 접착 테이프 기판과 같은 기판 접착, 연신과 같은 기계적 접합, 및/또는 그루브 내 혼입 및/또는 다른 기계적 접합 방법 등의 임의의 적당한 공정에 의해, 중간 주연부와 연관될 수 있다.
중간 주연부(220b)는 반강성 내지 강성 물질로 제조되며, 내부 와이퍼(220c)로부터 외부 범퍼(220a) 부분을 구분한다. 중간 주연부는 하우징(201)에 대해 구조적 완전성과 안정성을 제공하는 기능을 부분적으로 한다. 강성 내지 반강성 물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카보네이트, 및/또는 섬유가 충진된 폴리카보네이트 및/또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및/또는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및/또는 폴리우레탄, 및/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또는 폴리아미드, 및/또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또는 열가소성 가황물과 같은 가소성 물질, 및/또는 열경화성 에폭시, 및/또는 실리콘, 및/또는 알루미늄, 및/또는 스틸, 및/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및/또는 티타늄 등과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주연부(220)가 3개의 다른 부분(220a, 220b, 220c)들로 구성되고 이 부분들은 세 가지 다른 물질들로 제조된 것으로 여기에 예시하였으나, 다양한 경우들에서, 주연부(220)는 더 많거나 더 적은 부품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부품들이 동일하거나 상이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상부 부재(202)는 복수의 맞물림 부재들로 구성된 걸쇠 메커니즘(227)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부재들은 하부 부재(203), 예컨대, 하부 부재 걸쇠 메커니즘(237) 및/또는 잠금 요소(204) 중 하나 이상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맞물림 부재(227)는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를 함께 커플링하여 그들 사이에 방수 밀봉을 제공하기 위해 하부 부재(203) 또는 잠금 부재(204) 중 하나 또는 모두에 맞물릴 수 있는 한 임의의 적당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맞물림 부재(227)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서는, 복수의 맞물림 부재 세트, 즉, 227a, 227b, 227c, 227d, 227e, 227f가 제공되었다.
각각의 세트에 제공된 개별 맞물림 부재, 예컨대, 스냅-치형의 개수는 다를 수 있으며, 세트의 개수도 다를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그러나, 맞물림 부재들이 전체 주연부 또는 그 상당 부분을 둘러싸도록 하는 것이,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가 서로 보다 견고하게 커플링되도록 하기 때문에, 유용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냅-치형(227e)과 스냅-치형(227f) 사이에 간극이 있으며, 이 간극은 하부의 기기의 다양한 특징부들, 예컨대, 볼륨 제어 특징부 및/또는 배향 특징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하부의 기기의 이러한 특징부들이 달라지면, 걸쇠 메커니즘의 구성, 예컨대, 스냅-치형 맞물림 부재(227)의 구성도 달라질 것임을 유의하여야 한다. 어느 경우에나, 하우징(201)의 주연부 주위에 확실한 방수 밀봉을 생성하기 위해 충분한 스냅-치형 부재(227)가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상부 부재에는 버튼 특징부(215), 충전 포트 래칭 램프 맞물림 요소(239a) 및 썸네일 절개부(239b)가 포함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특징부들 각각의 구성은 간섭하거나 달라질 수 있으며, 예컨대, 원한다면, 이 모든 요소들이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에 전부 배치될 수 있다.
도 15b는 도 15a의 상부 부재(202)의 배면 사시도를 제공한다. 도 15b와 관련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부재(202)의 주연부(220)의 하면은 가스켓(210)을 포함한다. 가스켓 전체 주연부(220)를 둘러싼다. 가스켓(210)이 전체 주연부(220)를 둘러쌀 필요는 없지만, 많은 경우들에서,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가 수납된 기기 주위에 견고하게 장착되어 함께 커플링 및/또는 잠금될 때, 방수 밀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체를 둘러싸는 것이 것이 유리하다.
홈 버튼(215)의 하면이 또한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홈 버튼(215)은 홈 버튼 밀봉 가스켓(216)으로 덮여 있다. 도 15a와 관련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주연부(220b)는 홈 버튼 특징부(215)가 배치되는 연장된 영역을 형성한다. 이 특징부가 주연부의 일부일 수 있지만, 예컨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주연부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연장된 주연부는 홈 버튼 특징부가 배치되는 절개부(215c)를 포함한다. 그 내부에 반강성의 홈 버튼(215a)이 배치되어, 가요성 홈 버튼 가스켓(216)에 의해 덮여 있다. 홈 버튼(215a)은 노브 부분(215b)을 포함하며, 상기 노브 부분은 버튼 인터페이스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인터페이스 부분은 상기 기기의 기능을 조작하기 위해 수납된 기기의 홈 버튼과 인터페이싱한다. 가요성 홈 버튼 가스켓(216)은 홈 버튼 인터페이스 부분(16a)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 부분은 홈 버튼 인터페이스 부분(215b)을 덮고 있다.
상부 부재(202)의 스냅-치형 부재(227a, 227b, 227c, 227d, 227e)들도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스냅-치형 부재(227)는 복수의 하위 부분을 포함한다. 예컨대, 각각의 스냅-치형 부재(227)는 스냅-치형 베이스(228a), 경사면(228b) 및 교차면(228c)을 포함한다. 경사면(228b)과 교차면(228c)은 캐치 또는 레지를 함께 형성하며, 상기 캐치는 하부 부재(203) 또는 잠금 부재(204)에 제공된 대응하는 맞물림 요소와 맞물릴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예컨대, 본 명세서에는 "228"로 표시된 상부 부재의 걸쇠 메커니즘이 하부 부재(203) 및/또는 잠금 부재(204)의 대응하는 걸쇠 메커니즘에 맞물림으로써,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가 함께 커플링되거나 및/또는 잠금될 수 있다.
도 15c는 하부 부재(203)의 뒤집힌 사시도를 제공합니다. 도 15c와 관련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 부재(203)도 주연부(23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주연부는 외부 주연부(230a), 중간 주연부(230b) 및 내부 주연부(230c)를 포함한다.
외부 주연부(230a)는 중간 주연부(246)의 충전 포트 리셉터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충전 포트 리셉터클 절개부와 같은 다수의 특징부와, 배향 토글 인터페이스(272a, 272b), 볼륨 스위치 인터페이스(273) 및 온/오프 스위치 인터페이스(271)와 같은 복수의 버튼 및/또는 스위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이 특징부들은 하부 부재(203)의 외부 주연부(220a)로부터의 동작을 중간 주연부(220b)로 전하는 인터페이스 요소를 포함하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중간 주연부(220b)는 이 동작을 수납된 기기로 전하는 대응하는 버튼 및/또는 스위치 인터페이스를 가짐으로써, 사용자는 외부 버튼 및/또는 스위치 특징부를 조작하여 수납된 기기의 기능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서, 내부 주연부(220c)는 버튼 특징부들로부터 간단히 절개되어 있으나, 어떤 경우들에서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을 덮을 수 있다. 또한, 내부 주연부(220c)는, 하우징 내부로부터 기기를 완충함으로써 충격 흡수 방안을 제공하는, 내부 주연부 범퍼 부분과 아울러 기기 시트를 형성한다.
또한, 하부 부재(203)는 이어폰, 스피커, 또는 다른 잭 특징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이어폰 포트(28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폰 포트(285)는 하우징(201)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이어져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 중 어느 하나에 소음 저감 포트 특징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하부 부재(203)의 전면 및 배면(235, 236)은 불투명하며, 렌즈 특징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하부 부재(203)는 하우징(201)의 내부로부터 하우징의 외부로 소리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스피커 전송부(60)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스피커 소리 전송부(260)는 소리 입구 통공(261)을 포함하며, 상기 통공은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하우징의 외부로 전이됨으로서 소리가 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통공(261)은 멤브레인, 예컨대, 음향 배출 멤브레인(263)에 의해 덮이며, 상기 멤브레인은 소리는 통과하도록 허용하지만 물과 같은 액체는 허용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소리는 하우징(201)의 경계를 통과하도록 허용될 수 있지만, 물은 허용되지 않는다. 상기 전송부는 전송부의 경계 내부에 소리를 구속하고 소리가 하우징(201)의 내부 배면의 다른 영역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소리 배리어(263)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 배리어(263)는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을 수 있으나, 포함되는 경우, 수납된 기기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의 저음 특징을 감쇠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하부 부재(203)의 주연부(230)는 스냅-래치 리셉터클 세트로 구성된 걸쇠 메커니즘(37)을 포함한다. 따라서, 하부 부재는 좌측 근위 스냅-치형 리셉터클(237a), 우측 근위 스냅-치형 리셉터클(237b), 원위 스냅-치형 리셉터클(237c), 좌측 스냅-치형 리셉터클(237d), 우측 스냅-치형 리셉터클(237e) 및 우측 스냅-치형 리셉터클(237f)를 포함한다. 이 리셉터클들은 스냅-치형 콤브(240)와 상부 부재(202)의 스냅-치형 부재(228)를 모두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5d는 도 15c의 하부 부재(203)의 배면 사시도를 제공한다. 도 15d와 관련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 부재는 외부 주연부(230a)와 중간 주연부(230b)를 포함한 주연부(220)를 포함한다. 외부 주연부(230a)는 중간 주변부의 충전 포트 리셉터클(246)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는 충전 포트 절개부를 포함한다. 외부 주연부(220a)는 배향 토글 인터페이스(272a, 272b), 볼륨 스위치 인터페이스(273) 및 온/오프 스위치 인터페이스(271)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하부 부재(203)는 이어폰 포트(285)를 또한 포함하며, 전면 및 배면(235, 236)은 렌즈 특징부(280)와 아울러 소리 입구 통공(261)을 포함한 스피커 전송부(260)를 포함한다. 하부 부재는 스냅-치형 리셉터클(237a, 237b, 237c, 237d, 237e, 237f)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도 15e는 잠금 부재(204)의 사시도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잠금 부재는 복수의 스냅-치형 콤브, 즉, 좌측 근위 스냅-치형 콤브(240a), 우측 근위 스냅-치형 콤브(240b), 원위 스냅-치형 콤브(240c), 우측 스냅-치형 콤브(240d), 우측 스냅-치형 콤브(240e)로 구성된다. 각각의 스냅-치형 콤브는 하나 또는 복수의 스냅-치형 요소를 포함한다. 각각의 스냅-치형 요소는, 스냅-치형 콤브 백본(243)으로 결합된 경사진 스냅-치형 걸쇠 표면(242)과 교차하는 스냅-치형 걸쇠 표면과 같은 복수의 부분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스냅-치형은 스냅-치형 공간(244)에 의해 서로로부터 추가적으로 분리된다. 우측 스냅-치형(240f)은 독립된 스냅-치형 요소이며, 공간에 의해 스냅-치형 콤브(240e)로부터 분리되어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 공간은 하부 부재의 버튼 특징부(272, 273)와 같은 하나 이상의 버튼 특징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공간은 더 길거나 짧을 수 있으며, 스냅-치형 요소(240f)는 복수의 스냅-치형 요소를 갖거나 전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하부 부재(203)와 상부 부재(202)의 커플링에 의해 형성되는 시일에 구조적 완전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스냅-치형(240f)이 존재하는 것이 유용하다.
도 15f는 하부 부재(203)의 근위 단부(231)의 사시도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하부 부재 충전 포트 리셉터클(246)이 제공된다. 충전 포트 리셉터클(246)은 경계 부재(247)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하부 부재는 하나 이상의 충전 포트 축 수용 오리피스(248a, 248b)를 더 포함한다. 도 15f와 관련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충전 포트 경계 부재(247)는 중간 주연부(220b)의 일부로서 형성되며, 외부 주연부(220a)의 절개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더 둘러싸인다.
도 15g는 도 14e의 상부 부재(202)의 대안적인 쐐기 잠금 버전의 뒤집힌 사시도를 제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부재(202)는 주연부(220)에 의해 주로 형성된다. 주연부는 외부 주연부(220a), 중간 주연부(220b) 및 내부 주연부(220c)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 15h와 관련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부재(202)는 복수의 쐐기를 수용하는, 예컨대, 덕 후크 맞물림 부재 세트, 즉, 좌측 근위 덕 후크 부분(227a), 우측 근위 덕 후크 부분(227b), 원위 덕 후크 부분(227c), 좌측 덕 후크 부분(220d) 및 우측 덕 후크 부분(227e)으로 구성된 걸쇠 메커니즘(227)을 포함한다.
상부 부재의 덕 후크 맞물림 부재(227)는 하부 부재(203)의 하나 이상의 걸쇠 메커니즘(237)과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걸쇠 메커니즘은, 본 실시예에서, 쐐기를 수용하는, 예컨대, 후크로 구성됨과 아울러, 그 내부에 잠금 요소(204)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잠금 요소(204)는 쐐기 부재(240)로 구성된다. 도 15k를 참조하라.
본 실시예와 관련하여, 각 세트에 제공된 개별 덕 후크 부재들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으며, 세트의 개수도 달라질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상부 부재 덕 후크와 대응하는 하부 부재 후크 맞물림 부재는 전체 외주부 또는 그 일부분을 둘러쌀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당한 부분을 둘러쌈으로써,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가 서로 보다 견고하게 커플링되도록 한다. 상부 부재는 버튼 특징부(215), 충전 포트 래칭 램프 맞물림 요소(239a) 및 썸네일 절개부(239b)를 또한 포함한다. 도 15h와 관련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부재(202)는 이어폰 포트 절개부(289)와 버튼 특징부 밀봉 가스켓(216)을 가진 버튼 특징부(215)를 더 포함한다.
도 15i는 도 15h에 제공된 잠금 쐐기 실시예의 하부 부재(203)의 뒤집힌 사시도를 제공한다. 도 15i와 관련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 부재(203)는 주연부(23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주연부는 외부 주연부(230a), 중간 주연부(230b) 및 내부 주연부(230c)를 포함한다. 외부 주연부(230a)는 소음 소거 특징부(291)와 아울러, 배향 토글 인터페이스(272a, 272b), 볼륨 스위치 인터페이스(273) 및 온/오프 스위치 인터페이스(271)와 같은 복수의 스위치 인터페이스와 충전 포트 리셉터클(246)을 포함한다. 하부 부재(203)는 이어폰, 스피커 또는 다른 잭 특징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이어폰 포트(285)를 또한 포함한다.
하부 부재(203)의 주연부(230)는 걸쇠 메커니즘(237a, 237b, 237c, 237d, 237e)을 포함하며, 상기 걸쇠 메커니즘은 쐐기 수용 후크 세트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 부재(203)는 좌측 근위 쐐기 수용 후크(237a) 세트, 우측 근위 쐐기 수용 후크(237b) 세트, 원위 쐐기 수용 후크(237c) 세트, 좌측 쐐기 수용 후크(237d) 세트, 우측 쐐기 수용 후크(237e) 세트를 포함한다. 이 쐐기 수용 후크 요소들은, 각 후크 요소 사이의 간극들이 상부 부재(202)의 대응하는 덕 후크 요소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방식으로,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아울러, 상부 부재(202)가 하부 부재(203)에 커플링되고, 상부 부재(202)의 쐐기 수용 덕 후크 요소(227)가 하부 부재(203)의 쐐기 수용 후크(237)와 정렬될 때, 후크 특징부들의 상보적인 형상을 통해 공동이 형성되며, 잠금 쐐기 요소(240)가 공동에 삽입됨으로써, 후크들을 제 위치에 잠금하는 기능을 하고, 이에 따라,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를 방수 밀봉으로 함께 밀봉한다.
도 15j는 도 2i의 하부 부재(203)의 배면 사시도를 제공한다. 도 15j와 관련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 부재는 외부 주연부(230a)와 중간 주연부(230b)를 포함한 주연부(220)를 포함한다. 외부 주연부(230a)는 중간 주변부의 충전 포트 리셉터클(246)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는 충전 포트 절개부를 포함한다. 외부 주연부(220a)는 배향 토글 인터페이스(272a, 272b), 볼륨 스위치 인터페이스(273) 및 온/오프 스위치 인터페이스(271)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하부 부재(203)는 이어폰 포트(285)를 또한 포함하며, 전면 및 배면(235, 236)은 융기된 렌즈 스커트(281)를 가진 렌즈 특징부(280)와 아울러 소리 입구 통공(261)을 포함한 스피커 전송부(260)를 포함한다. 하부 부재는 쐐기 수용 덕 후크 부재(237a, 237b, 237c, 237d, 237e, 237f)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도 15k는 잠금 부재(204)의 사시도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잠금 부재는 복수의 잠금 쐐기, 즉, 좌측 근위 잠금 쐐기(240a), 우측 근위 잠금 쐐기(240b), 원위 잠금 쐐기(240c), 좌측 잠금 쐐기(240d), 우측 잠금 쐐기(240e)로 구성된다. 각각의 잠금 쐐기(240)는, 쐐기 베이스 요소(246), 이 경우에서는 화살촉 형상인 후크 인터페이스 부재(247), 및 이 경우에서는 그루브로 형성됨으로써 잠금 쐐기에 대해 별도의 화살표 형상을 제공하는 쐐기 교차면(248)과 같은 복수의 하위 부분을 포함한다. 적당한 잠금 쐐기(240)는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의 맞물린 후크 부재들에 의해 생성되는 그루브 내에 장착될 수 있음으로써,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를 방수 시일로 함께 잠금할 수 있는 한 임의의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잠금 쐐기(240)가 화살촉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다른 적당한 구성도 가질 수 있으나, 화살촉 구조가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하우징은 전기 인터페이스 포트와 같은 포트 개구, 예컨대, 충전 포트 리셉터클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의 기기를 더 보호하기 위해, 예컨대, 오물, 액체, 충격 등으로부터 하부의 기기를 보호하기 위해, 하우징은 충전 포트 리셉터클을 덮어 밀봉하기 위해 개폐될 수 있는 포트 도어와 래치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포트 및/또는 도어는, 예컨대, 하우징의 주연부를 따라, 예컨대, 그 근위 또는 원위 단부 또는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어떤 경우들에서, 포트 리셉터클과 도어는 내충격성 및 내수성 래치 포트를 제공한다. 포트 도어는 하우징의 상부 또는 하부 주연 부재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개구의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걸쳐 이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5l은 하우징(201)의 래치 특징부의 충전 포트 도어(241)와 래치(249)의 사시도를 제공한다. 충전 포트 도어(241)는 충전 포트 가스켓(245)을 포함한다. 충전 포트 가스켓(245)은 충전 포트 리셉터클(246)에 맞물려 밀봉함으로써 방수 시일을 함께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충전 포트 도어(241)는 충전 포트 축(248b)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충전 포트 축은 본 실시예에서 충전 포트 "핀"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충전 포트 핀 부재(248b)는, 충전 포트 도어(241)를 하부 부재(203)와 연결하여 충전 포트 도어(241)가 축(248b)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개폐되도록 하기 위해, 충전 포트 도어(241)의 충전 포트 축 오리피스(248a)를 통해 장착되어 하부 부재(203)의 대응하는 오리피스(248c, 248d)와 인터페이싱한다.
도 15m은 상부 부재(202)의 근위 단부(221)에서 중간 주연부(220b)에 배치된 버튼 특징부(215)의 사시도를 제공한다. 버튼 특징부(215)는 버튼(215a)과, 버튼(215a)의 하면에 배치된 버튼 인터페이스 부분 또는 노브(215b)를 포함한다. 또한, 버튼 특징부 밀봉 가스켓(16)과 대응하는 버튼 인터페이스 부분 수용 요소(216a)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부 부재(202) 래치 포트 인터페이스(239)가 도시되어 있다. 상부 부재(202) 래치 포트 인터페이스는 래치 수용 램프(239a)와 썸네일 절개부(239b)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예컨대, 하우징(201)의 하부 부재(203)에 충전 포트 리셉터클(246)과 충전 포트 도어(241)가 제공되는 경우, 다른 래치 포트 인터페이스(239)는, 예컨대, 상부 부재(202)에 제공될 수 있다. 래치 포트 인터페이스(239)는 폐쇄 위치에 래치 도어(241)를 잠금하기 위해 충전 포트 도어(241)에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래치 포트 도어 인터페이스(239)는 충전 포트 리셉터클(246)과 리셉터클 경계 부재(247) 위에 배치된다. 래치 포트 도어 인터페이스(239)는 래치 램프로 구성되며, 상기 래치 램프(239a)는 래치 도어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래치 도어(241)의 대응하는 래치 램프 인터페이스 부분(249)에 맞물림으로써 래치 도어를 폐쇄 위치에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5n은 도 15m의 버튼 특징부(15)의 절개도를 제공한다. 버튼 특징부(215)는 버튼(215a)과, 버튼(215a)의 하면에 배치된 버튼 인터페이스 부분 또는 노브(15b)를 포함한다. 또한, 버튼 특징부 밀봉 가스켓(216)과 대응하는 버튼 인터페이스 부분 수용 요소(216b)가 도시되어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버튼(215)과 버튼 밀봉 가스켓(216) 사이에 작은 공간(215c)이 있을 수 있다. 상부 부재 가스켓(210)이 버튼 특징부(215)의 하면을 더 둘러쌈으로써, 방수 보호를 더 제공한다.
도 15o는 버튼 특징부(215)와 래치 포트 특징부의 절개도를 제공한다. 래치 포트 특징부는 충전 포트 경계 부재(247)에 의해 형성되고 도 15l 및 도 15m의 충전 포트 도어(241)에 의해 덮인 충전 포트 리셉터클(246)을 포함한다. 버튼 특징부(215)는 버튼(215a)과, 버튼(215a)의 하면에 배치된 버튼 인터페이스 부분 또는 노브(215b)를 포함한다. 또한, 버튼 특징부 밀봉 가스켓(216)과 대응하는 버튼 인터페이스 부분 수용 요소(216b)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서, 래치 특징부는 하우징(201)의 근위 단부(231)에 배치된다. 래치 특징부는 내부에 포트 개구(246)를 가진 포트 또는 래치 리셉터클 경계 부재(247)를 포함하며, 래치 도어(241)를 더 포함한다. 포트 또는 래치 리셉터클 경계 부재(247)는 개구(246)를 둘러싸며, 상기 개구는 하부의 전자 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래치 특징부는 방수 시일을 함께 형성하기 위해 래치 리셉터클 경계 부재(247)를 덮도록 구성된 래치 커버(241)를 또한 포함한다.
래치 특징부와 포트 개구 경계 부재(247)는 임의의 적당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래치 특징부는 상부 또는 하부 하우징 부재들 중 하나에 전체가 배치된다. 따라서, 래치 특징부의 모든 부품들이 상기 하우징 부재에 완전히 배치될 것이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래치 특징부는 하나의 하우징 부재, 예컨대, "202"로부터 다른 하우징 부재, 예컨대, "203"에 걸쳐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대향하는 하우징 부재(2, 203)들은, 포트 리셉터클(247)을 밀봉하기 위해 래치 도어(241)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대응하는 래치 인터페이스를 가질 것이다. 어느 경우에나, 포트 리셉터클 경계 부재(247)는 개구(246)와 포트 커버(241), 예컨대, 래치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 도어(41)는 포트 리셉터클(246)을 덮기 위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특징부는 하나의 하우징 부재(202)로부터 다른 하우징 부재(203)에 걸쳐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하우징 부재(202, 203)들은 대응하는 래치 인터페이스를 가질 것이다. 예컨대, 충전 포트 리셉터클 경계 부재(247)는 상부 부재(202)의 근위 단부(221) 내부에 배치된다. 래치 특징부는 커버 도어와 복수의 래치 도어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예컨대, 제 1 래치 특징부 인터페이스는 래치 도어 커넥터(48b)이다. 래치 도어 커넥터(248b)는 래치 도어(241)와 인터페이싱하여 래치 도어(241)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또는 그 역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한 임의의 적당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서, 도어 래치 커넥터는 하부 부재(203)의 근위 단부(231)에 배치된 래치 도어 축(248b)으로 구성된다. 래치 도어 축(248b)은 상부 부재(202)에 포함된 포트 리셉터클 경계 부재(247) 아래에 배치된다. 래치 도어 축(248b)은 래치 도어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돕기 위해 축 오리피스(248a)를 통해 래치 도어(241)에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폐쇄된 위치에서, 래치 도어(241)는 충전 포트 리셉터클(246)에 의해 형성된 개구(246)를 가로지른다. 따라서, 래치 도어(241)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이동하면, 충전 포트 리셉터클 경계 부재(247)에 의해 형성된 개구(246)가 덮이거나 및/또는 밀봉된다. 이 경우, 래치 도어(241)는 래치 도어 커넥터(248b)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포트 도어(241)는 실질적으로 폐쇄 위치에 있으며, 이에 따라, 충전 포트 도어 래치 램프(249)는 래치 램프 수용 요소(39a)와 맞물린다. 충전 포트 도어(241)는 충전 포트 리셉터클(246) 주변을 밀봉함으로써 방수 시일을 함께 생성하는 충전 포트 가스켓(245)을 포함한다. 충전 포트 도어(241)의 충전 포트 축 오리피스(248a)를 통해 장착되는 충전 포트 커넥터, 예컨대, 축 핀(248b)이 또한 도시되어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래치 도어(241)가 폐쇄되면, 포트 개구(246)가 액밀 시일로 폐쇄된다. 액밀 시일을 보장하기 위해, 래치 특징부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특징부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래치 특징부는 O-링 또는 다른 압축가능한 가스켓과 같은 가스켓(245)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스켓(245)은 충전 포트 리셉터클 경계 부재(247) 상에 또는 그 주위에 배치되거나, 래치 도어(241) 상에 배치되거나, 이둘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5o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도어(241)는 가스켓(245)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은 경계 부재(247)의 개구(246)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되도록 하는 치수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래치 도어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이동할 때, 가스켓(245)의 일부가 개구(246)를 덮고, 어떤 경우들에서는, 포트 개구(246)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될 수 있음으로써, 모든 경우에서, 포트를 밀봉한다. 따라서, 충전 포트 리셉터클 경계 부재(247)는, 래치 도어(241)가 폐쇄 구조에 있을 때, 예컨대, 래치 램프 인터페이스(239)가 래치 램프(249)에 커플링되었을 때, 가스켓(245)과 상호 작용함으로써 수밀 시일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는 가스켓 인터페이스 표면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호 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어떤 실시예들에서, 충전 포트 개구 경계 부재(247)를 내부에 가진 하우징 부재, 예컨대, "202"는 포트 개구에 대해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충전 포트 리셉터클 경계 부재(247)에 증대된 구조적 완전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추가적인 강성의 구조적 특징부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예컨대, 어떤 경우들에서, 충전 포트 리셉터클 경계 부재(247)가 하우징(201)의 상부 부재(202)에 있는 경우, 포트 개구가 바로 주변에 있는 물질을 약화시키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포트 개구를 둘러싼 영역을 지지하기 위해, 강성의 지지 물질이 경계 부재(247)와 연관될 수 있다.
강성의 지지 물질이 포함되지 않으면, 개구를 둘러싼 상부와 하부가 서로로부터 강제로 멀어짐으로써 수밀 방식으로 밀봉되는 개구의 능력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포트 개구의 완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강성의 보강 물질이 추가될 수 있다. 어떤 경우들에서, 이러한 보강은, 전체 하우징을 더 두껍게, 더 넓게 및/또는 더 길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하우징 부재의 물질을 두껍게 하지 않고 이루어진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따라서, 포트 개구(271a)를 내부에 가진 상부 부재(202)에 강성 요소가 추가된다. 예컨대, 증대된 강성을 제공함으로써 포트 개구의 물리적 완전성을 유지하고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스테인리스 스틸, 마그네슘, 경질 플라스틱 부품 등과 같은 사출 성형된 보강재가 상부 부재(202)에 포함될 수 있으며, 포트 개구(246)를 둘러싼 물질과 연관될 수 있다. 상부 부재(202)에 배치되어 있는 포트 개구와 관련하여 상술하였으나, 다른 래치 특징부들에 대한 변화와 아울러, 포트 개구가 하부 부재(3)에 배치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5p와 관련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래치 특징부는 래치 도어(241)를 가진 충전 포트 리셉터클 경계 부재(247)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 도어는 개방 위치에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부재(202)는 충전 포트 리셉터클 경계 부재(247)를 포함하며, 이와 연관된 래치 램프 수용 부재(239)를 더 포함한다. 포트 개구 경계 부재(247)는 상부 부재(202)의 개구(246), 예컨대, 포트 개구를 형성한다. 하부 부재(203)는 래치 도어 축, 예컨대, 힌지 축(248b)을 포함한다. 래치 도어(241)는 하부 부재(203) 상의 힌지 축(248b)과 인터페이싱한다. 예컨대, 래치 도어(241)는 힌지 축(248b)이 장착되는 축 오리피스(248a)를 포함한다. 따라서, 래치 도어(241)는, 예컨대,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앞뒤로, 힌지 축(48b)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래치 도어(241)는 상부 부재(202)의 포트 개구 경계 부재(247) 위에 배치된 래치 램프 수용 부재(39a)와 인터페이싱하는 래치 램프 또는 인터페이스 부분(49)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따라서, 래치 도어(241)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래치 램프 인터페이스 부분(249)이 래치 램프 수용 부재(39a)와 커플링되어 포트 개구(246)를 폐쇄 및/또는 밀봉한다.
도 15p는 도 15o와 동일한 도면을 제공하며, 여기서는, 래치 램프(249)가 래치 램프 수용 부재(239a)로부터 분리되고, 충전 포트 도어(241)가 개방 위치에 있다. 배면(236)과 근위 단부(231) 주연부(230)를 가진 하부 부재(203)가 도시되어 있다. 하부 부재(203)는 힌지 축(248b)을 또한 포함하며, 상기 축은 힌지 오리피스(248a) 내에 존재한다. 래치 도어(241)도 제공된다. 래치 도어(241)는 하부 부재(203) 상의 힌지 축(248b)과 인터페이싱한다. 래치 도어(241)는, 예컨대, 힌지 오리피스(248a)로 구성된, 힌지 축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힌지 오리피스(248a)는 힌지 축(248b)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힌지 축(48b)과 힌지 오리피스(248a) 간의 상호 작용은 도어(241)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축(248b)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허용한다. 또한, 래치 도어(241)는 래치 커버(271b)를 폐쇄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상부 부재(202)의 래치 램프 수용 부분(239a)과 인터페이싱하는 래치 램프(249)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램프(249)는 래치 램프 수용기(239a)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래치 도어는 개방되어 있다.
또한, 상부 부재(202)가 도시되어 있다. 상부 부재(202)는 근위 단부(221)를 포함한다. 근위 단부(221)는 반가요성 물질로 구성된 외부 주연부(220a)와 강성 물질로 구성된 중간 주연부(220b)를 포함한다. 상부 부재(202)의 근위 단부(221)는 포트 개구(246)를 또한 포함한다. 포트 개구(246)는 포트 리셉터클 경계 부재(247)에 의해 형성된다. 이 경우에서, 외부 주연부(220a)는 절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개부는 충전 포트 리셉터클 경계 부재(247)와 충전 포트 도어(241)를 수용한다. 따라서, 충전 포트 리셉터클 경계 부재(247)는 중간 주연부(220b)를 구성하는 강성 물질과 연속되거나, 예컨대, 형성되거나, 그 강성 물질에 추가될 수 있다.
포트 리셉터클 경계 부재(247)는, 래치 도어(241)와 연관된 가스켓(245)과 같은 가스켓, 예컨대, 래치 도어(241)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포트 개구(246) 주위에 체결되고 및/또는 그 내부를 밀봉하는 치수를 가진 가스켓과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 가스켓 인터페이스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도 15q는 도 15p의 사시도를 제공하며, 여기서는, 충전기(298)가 완전히 장착되어 있다.
도 16a는 분해된 하우징(201)의 측면 수직 사시도를 제공한다. 하우징(201)은 상부 부재(202),하부 부재(203) 및 잠금 요소(204)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요소는 일련의 스냅-치형 콤브 요소(240a), 좌측 근위 스냅-치형 콤브(240b), 우측 근위 스냅-치형 콤브(240c), 원위 스냅-치형 콤브(240d), 좌측 스냅-치형 콤브(240e), 우측 스냅-치형 콤브(240f)로 구성된다. 상부 부재(202)는 대응하는 스냅-치형 부재(227a, 227b, 227c, 227d, 227e, 227f) 세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하부 부재(203)는, 그 주연부, 예컨대, 중간 주연부(230b) 주변에 배치되어 스냅-치형 콤브(240)와 아울러 상부 부재(202)의 스냅-치형 부재(227) 모두를 수용하여 맞물도록 구성된 대응하는 스냅-치형 리셉터클(237a, 237b, 237c, 237d, 237e, 237f)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부 부재(202)의 스냅-치형 부재(227)의 원위 연장부와 스냅-치형 콤브(240)의 원심 연장부는,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를 함께 커플링할 뿐만 아니라 이들을 방수 방식으로 제 위치에 잠금하기 위해, 하부 부재(203)의 스냅-치형 리셉터클(237)에 삽입되어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부재(202)는, 리셉터클(237)에 삽입되어 맞물린 잠금 콤브(240)에 의해, 하부 부재(203)와 커플링되고 제 위치에 잠금된다. 이에 따라, 가스켓(210)이 수납된 기기 및/또는 하부 부재에 대해 압축됨으로써, 액체와, 먼지, 오물, 진흙, 눈 등과 같은 미립자 물질의 침입에 대해 하우징(201)을 밀봉한다. 또한, 충전 포트 도어(241), 온/오프 스위치(271), 배향 토글(272a, 272b), 볼륨 제어 스위치(273), 배면(235)에 배치된 렌즈 특징부(280), 이어폰 포트(285) 및 이어폰 포트 절개부(292)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b는 도 16a의 하우징(201)의 다른 도면을 제공하며, 여기서는, 수평으로 원위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6c는 도 16b에 개시된 것과 동일한 하우징을 제공하지만, 여기서는, 전자 기기(100)가 수납되어 있다. 하우징(1)은 수납되는 기기(100) 위에 장착되어 이를 둘러싸는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를 포함한다. 상부 부재(202)는 복수의 스냅-치형 부재(227a, 227b, 227c, 227d, 227e, 227f) 세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하부 부재(203)는 그 주연부, 예컨대, 중간 주연부(230b) 주변에 배치되어 스냅-치형 콤브(240)와 아울러 상부 부재(202)의 스냅-치형 부재(227) 모두를 수용하여 맞물도록 구성된 대응하는 스냅-치형 리셉터클(237a, 237b, 237c, 237d, 237e, 237f)을 포함한다.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는, 일단 기기(100) 주위에 배치되면, 예컨대, 하부 부재의 스냅-치형 리셉터클의 내부 벽체에 구성된 스냅-치형 캐치와 함께 스냅-치형 부재(227)를 스냅핑함으로써, 함께 커플링된다. 잠금 요소(204)는 대응하는 스냅-치형 콤브(240a, 240b, 240c, 240d, 240e, 240f) 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스냅-치형 콤브 세트는 리셉터클(237a, 237b, 237c, 237d, 237e, 237f) 속에 삽입되어 그 내부에 있는 대응하는 맞물림 부분들에 맞물림으로써 제 위치에 잠금되고, 그 결과, 상부 부재(202)의 스냅-치형 부재(227)도 제 위치에 잠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가 전자 기기(100) 주위에 배치되고 주연부 에지 주위에서 제 위치로 스냅핑됨으로써 함께 커플링되면, 좌측 근위 스냅-치형 콤브(240a)가 삽입되어 제 위치로 스냅핑될 수 있고, 그 다음, 우측 근위 스냅-치형 콤브(240b), 원위 스냅-치형 콤브(240c), 좌측 스냅-치형 콤브(240d), 우측 스냅-치형 콤브(240e), 마지막으로, 우측 근위 스냅-치형 콤브(240f)가 삽입되어 제 위치로 스냅핑됨으로써, 하우징을 함께 잠금한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조립 순서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원하는 바에 따라, 순서를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6d는 도 16c의 하우징의 배면도를 제공하며, 여기서는, 기기(100)가 수납되어 있고,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가 커플링되어 있으며, 잠금 요소(240)가 그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하우징(201)이 완전히 조립되어 제 위치에 잠금되어 있다.
도 17a는 상부 부재(202)와 잠금 요소(240)가 하부 부재(203) 내에 삽입되기 전에 배치되고 정렬될 상태를 나타낸, 상부 부재(202)와 잠금 요소(240)의 원위 전방 사시도를 제공한다. 상부 부재(202)는, 스냅-치형 부재(227) 세트가 위에 배치된, 예컨대, 일체의 부재로 제조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중간 주연부(220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부재의 리셉터클(237) 내부에 삽입되어 맞물림과 아울러 6개의 대응하는 잠금 요소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 6개의 스냅-치형 부재 세트가 있으며, 좌측 근위 스냅-치형 부재(227a)는 좌측 근위 스냅-치형 콤브(240a)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되고, 우측 근위 스냅-치형 부재(227b)는 우측 근위 스냅-치형 콤브(240b)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되며, 원위 스냅-치형 부재(227c)는 원위 스냅-치형 콤브(240c)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되고, 좌측 스냅-치형 부재(227d)는 좌측 스냅-치형 콤브(240d)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되며, 우측 스냅-치형 부재(227e)는 우측 스냅-치형 콤브(240e)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되고, 스냅-치형 부재(227f)는 스냅-치형 요소(240f)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가스켓(210)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가스켓은 하부의 주연부(220b) 및 홈 버튼 특징부(215)와 아울러 래치 도어(241)를 둘러싸고 있다.
도 17b는 도 17a를 역으로 배향한 도면을 제공한다.
도 17c는 상부 부재(202)의 근위 단부(21)의 사시도를 제공한다. 도 17c와 관련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근위 단부(221)는 중간 주연부(220b) 주위에 범퍼 부재를 형성하는 외부 주연부(220a)와, 내부 와이퍼 부분으로 형성된 내부 주연부(220c)를 포함한다. 중간 주연부는 홈 버튼 특징부(215)와 아울러, 충전 포트 리셉터클(246)과 래치 수용 램프(239a)와 절개부(239b)를 형성한다. 예컨대, 중간 주연부(220b)는 래치 포트 램프 수용 부재(239a)와 절개부(239b)를 포함한다. 또한, 좌우 스냅-치형 부재(220d, 220e)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7d는 상부 부재(202)의 좌측 근위 스냅-치형 부재(227)의 확대도를 제공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스냅-치형 부재(227)는 스냅-치형 베이스 부재(228a), 스냅-치형 경사면(228b) 및 스냅-치형 교차면(228c)과 같은 복수의 부분을 포함한다. 이 특징부들은 함께, 스냅-치형 부재가 하부 부재(203) 및/또는 잠금 요소(24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대응하는 특징부와 맞물리거나 맞물려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7e는 우측 스냅-치형 부재의 측면 사시도를 제공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냅-치형 부재(228e, 228f)들 사이에 간극이 있으며, 이 간극은 하부 부재(203)의 우측에 배치된 다양한 버튼 특징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간극은 하부의 기기의 다양한 특징부를 수용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개소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하우징의 주연부를 따라, 하나 이상의 간극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7f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하우징(201)의 상부 부재(202)의 쐐기 잠금 실시예의 상세도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17f는 상부 부재 쐐기 수용 덕 후크를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덕 후크는 잠금 후크 베이스 부재(228a), 쐐기 시트 부재(228b) 및 덕 헤드 부분(228c)을 포함한다. 잠금 후크 베이스 부재는 덕 후크를 상부 부재(202)에 부착한다. 쐐기 시트 부재는, 여기서는 좌측 근위 잠금 쐐기(240a)인 잠금 요소(204)를 유도하기 위한 그루브를 생성한다. 덕 헤드 부분(228c)은 하부 부재(203)의 그루브에 장착됨으로써, 상부 부재(22)와 하부 부재(203)가 결합될 때, 하우징의 안정성을 증대시킨다. 상부 부재는 하부 부재(203)로부터의 대응하는 후크를 수용하기 위한 유사한 그루브를 각각의 덕 후크들 사이에 갖는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의 쐐기 수용 후크는 덕 헤드 부분을 갖는다. 어떤 실시예들에서는, 상부 부재 쐐기 수용 후크만 덕 헤드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상부 부재 쐐기 수용 후크만 덕 헤드를 갖는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쐐기 수용 덕 후크들은 상부 부재(202)의 에지를 가로질러 유사하게 작용한다.
도 17f는 래치 램프 수용 요소(239a)와 썸네일 절개부(239b)를 또한 도시하고 있다. 래치 램프 수용 요소는 충전 포트 도어(241)를 수용하고 그 도어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하우징의 내부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시일을 생성하기 위해, 충전 포트 도어(241)가 체결된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상기 유체는 공기, 물 등이다. 썸네일 절개부(239b)는 툴을 사용하지 않고 충전 포트 도어(241)를 개방하기 위한 것이다. 충전 포트 도어(241)는 썸네일 절개부(239b)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도 17f는 상부 부재(202)의 코너 부재(228e)를 또한 도시하고 있다. 코너 부재(228e)는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가 결합되었을 때 하부 부재(203) 상의 대응하는 그루브에 장착된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코너 부재(228a)는 하우징의 내부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한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상기 유체는 공기, 물 등이다.
도 17g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하우징의 상부 부재(202)의 실시예의 세부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17g는 상부 부재(202)의 우측 근위면과 우측면이 결합된 코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g는 하부 부재(203)의 각 후크 사이에 있는 잠금 후크 덕 헤드 그루브(228d)를 또한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는 모두 덕 헤드 후크를 갖고 있다. 잠금 후크 덕 헤드 그루브는 하부 부재 우측 쐐기 수용 후크(237e)와 하부 부재 우측 근위 쐐기 수용 후크(237b)에 있는 잠금 후크 덕 헤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허용하여,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가 결합되었을 때, 안정성을 증대시킨다. 이러한 잠금 후크 덕 헤드 그루브(28d)는 상부 부재(202)의 하부 에지를 따라 각각의 덕 후크들 사이에서 발견된다.
도 17h는 도 17g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7i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하우징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도면은 하우징의 상단에서 바라본 하부 부재(203)의 우측 근위 단부의 확대도이다.
도 17i는 상부 부재 잠금 요소 수용 공간(246a)을 또한 나타내고 있다. 이 공간은 상부 부재 우측 근위 쐐기 수용 덕 후크(237b)가 하부 부재 우측 근위 하부 부재 쐐기 수용 후크(227b)와 인터페이싱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각각의 상부 부재 잠금 요소 수용 공간(246a)은 상부 부재(202)로부터 덕 후크를 수용한다.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로부터의 덕 후크들의 인터페이스는 잠금 요소(204)가 삽입될 수 있는 그루브를 생성한다.
또한, 각각의 상부 부재 잠금 요소 수용 공간(246a)은 상부 부재(202) 상의 덕 후크로부터의 덕 헤드를 삽입하기 위한 잠금 후크 덕 헤드 그루브(228d)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은 도 17g 및 도 17h에 더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17i는 좌측 근위 잠금 요소(240a)에 대한 추가 세부를 나타내고 있다. 좌측 근위 잠금 요소는 후크 인터페이스 부재(241), 쐐기 교차면(242) 및 쐐기 베이스 요소(243)를 포함한다. 후크 인터페이스 부재(241)는 후크에 의해 생성된 그루브 내부에 가장 깊게 삽입되는 쐐기 부분이다. 쐐기 교차면(242)은 쐐기의 측면을 구성한다. 쐐기 교차면(242)은 후크에 의해 생성된 그루브의 벽체와 상호 작용한다. 쐐기 교차면(242)의 단면은 타원형이다. 즉, 후크 인터페이스 부재(241)와 만나는 위치에서 폭이 좁은 쐐기 교차면(242)은 후크 인터페이스 부재(241)와 쐐기 베이스 요소(243) 사이의 거의 중간에서 최대 폭으로 넓어진 다음, 다시 좁아진다. 이는, 잠금 요소가 후크로 구성된 그루브에 삽입될 때, 하우징 상의 다른 잠금 부재와 좌측 근위 잠금 요소(240a)를 제 위치에 유지한다. 잠금 요소가 그루브에 삽입될 때, 쐐기 베이스 요소(243)는 후크로 만들어진 그루브를 덮는다.
도 18a는 커플링되어 함께 잠금되기 전의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의 절개도를 제공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부재(202)는 하부 부재(203) 상의 대응하는 스냅-치형 수용 리셉터클(237) 내부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스냅-치형 부재(227)를 포함한다. 상부 부재(202) 스냅-치형 부재(227)는 하부 부재(203)의 리셉터클(237)에 맞물려 커플링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하부 부재(203) 리셉터클(237)은 상부 부재(202) 스냅-치형 부재(227)의 대응하는 맞물림 요소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맞물림 요소(239)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스냅-치형 부재(228)는 대응하는 하부 부재 스냅-치형 인터페이스(239b)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스냅-치형 교차면(228c)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맞물렸을 때, 상부 부재(202)는 하부 부재(203)로부터 분리될 수 없게 된다. 또한, 리셉터클(237)은, 리셉터클(237)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스냅-치형 콤브 요소 상의 대응하는 맞물림 요소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잠금 요소 스냅-치형 캐치(239a)를 또한 포함한다.
따라서, 스냅-치형 부재(228)와 스냅-치형 콤브(240)는, 이들이 하부 부재(203)의 스냅-치형 리셉터클(237)에 삽입되어 서로 접촉하였을 때, 각각 다른 부재가 그 수직 축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예컨대 도 18c를 참조하라.
도 18c와 관련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냅-치형 부재(228)는 하부 부재 스냅-치형 부재 맞물림 디텐트 또는 캐치(239b)(도 18b 참조)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스냅-치형 콤브(240)의 삽입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되어 수직으로 또는 수평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유지될 수 있다. 스냅-치형 콤브(240)가 하부 부재(203)의 스냅-치형 수용 리셉터클(237) 내부에 삽입되면, 스냅-치형 콤브(240)는 스냅-치형 콤브 맞물림 디텐트(239a)에 대해 제 위치에 유지되며, 상부 부재(202) 스냅-치형 부재(227)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수직으로 또는 수평으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콤브(240)가 제 위치에 있을 때, 스냅-치형 부재(228)와 스냅-치형 콤브(240)가 모두 서로에 대해 잠금되며, 상부 부재(202)가 하부 부재(203)와 커플링됨으로써, 방수 시일이 제공된다. 이러한 밀봉은 하부 부재(203)에 대해 상부 부재(202)를 잠금하는 기능을 더 하게 됨으로써, 콤브(240)가 제거될 때까지, 두 부재들은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특정 구성이 제시되어 있으나, 콤브(240)와 스냅-치형 부재(228)의 상호 작용 및 하부 부재(203), 예컨대, 리셉터클(237)과 이들의 상호 작용은 상호 작용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예컨대, 각각의 맞물림 요소(예컨대, 228, 239, 244 등)가 다르게 구성되고 및/또는 다른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스냅-치형 부재(228)는 스냅-치형 콤브-맞물림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냅-치형 콤브(240)는 대응하는 스냅-치형 부재 맞물림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냅-치형 부재(228)는 스냅-치형 부재(228)를 스냅-치형 맞물림 콤브(240)와 함께 잠금하기 위해 대응하는 맞물림 요소를 통해 스냅-치형 콤브(240)와 직접 맞물려 잠금할 수 있음으로써, 하부 부재(203)와 상부 부재(202)의 커플링을 실현한다. 이러한 경우, 리셉터클 디텐트(239)는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인용된 디텐트(239)는 도 18과 관련하여 제공된 것과는 다른 맞물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8b는 도 18a의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3)의 동일한 도면을 제공하며, 여기서는, 상부 부재(202)의 스냅-치형 부재(227)가 하부 부재(203) 리셉터클(237)에 완전히 삽입되어, 하부 부재 스냅-치형 인터페이스(239b)와 완전히 맞물려 있다. 이러한 맞물림은 스냅-치형 부재가 하부 부재(203)로부터 수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그러나, 스냅-치형 콤브(240)가 삽입될 때까지, 스냅-치형 부재 맞물림 부분(228)은 하부 부재 스냅-치형 인터페이스(239b)로부터 분리되도록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로부터 해제되어 하부 부재(23)로부터 상부 부재(202)가 분리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예컨대, 하부 부재(203)의 스냅-치형 맞물림 디텐트(239a)가 역 배향으로, 예컨대, 스냅-치형 리셉터클 공간(238b)으로 삽입될 때, 콤브(240)에 배치된 스냅-치형 콤브 디텐트 인터페이스(244)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방향으로, 예컨대, 스냅-치형 리셉터클 공간(238a)으로, 하부 부재의 스냅-치형 리셉터클(237)과 함께 스냅-치형 부재(227)를 잠금하기 위해 사용되는 바로 이 스냅-치형 콤브(240)가 삽입될 때, 스냅-치형 콤브(240)의 가지(241)는 스냅-치형 리셉터클 공간(238b)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콤브(240)의 경사면(241)은 스냅-치형 부재(227)의 경사면(28b)에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스냅-치형 콤브(240)는, 예컨대, 역 배향으로 스냅-치형 리셉터클에 삽입되어 있는 스냅-치형 콤브(240)를 잡은 손을 비트는 간단한 동작으로, 하부 부재(203)로부터 스냅-치형 부재(228)를 분리시키기 위해 채용될 수 있다.
도 18c는 도 18b와 동일한 도면을 제공하며, 여기서는, 대응하는 스냅-치형 콤브(240)가 하부 부재 리셉터클에 삽입되어, 대응하는 스냅-치형 콤브 디텐트 인터페이스(244)를 통해 리셉터클 맞물림 디텐트(239a)와 완전히 맞물려 있다. 도 18c와 관련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부재(202) 스냅-치형 부재(227)와 스냅-치형 콤브(240)가 모두 하부 부재(203) 리셉터클(237) 내부에 수용되어 있지만, 어느 요소도 서로에 대해 잠금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원한다면, 이들은 각각 잠금식(lockingly)으로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콤브(240)가 하부 부재(203)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되고 상부 부재(202) 스냅-치형 부재와의 인터페이싱으로부터 분리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부재(203)로부터 상부 부재(202)를 해제함으로써 하우징(201)을 부품들로 분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채용될 수 있도록, 스냅-치형 부재(228)와 스냅-치형 콤브(240)가 잠금식으로 서로 맞물리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유용하다. 잠금 부재(240)를 스냅-치형 부재(228)와 실제로 견고하게 맞물리게 하면, 하우징(201)이 기기 주변에 제공되어 그로부터 제거되는 않는 경우와 같이, 몇몇 경우들에서는 유용할 수 있지만, 이 공정이 더 어렵게 될 것이다.
하부 부재(203)의 내부 주연부(230c)가 수납된 기기에 대해 충격 흡수를 제공하는 내부 범퍼 부분과 아울러 기기 시트로 형성됨을, 도 18c와 관련하여, 또한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내부 주연부(230c)는 특정 배향으로 하우징 내부에 기기를 배치하도록 구성된 기기 시트 부분(230d)을 포함한다. 예컨대, 기기 시트(230d)는 기기와 접촉하여, 내부 공간(239f)을 사이에 생성하는 하부 부재(203) 전면/배면(235, 236) 위로 기기를 들어올린다. 이 공간(239f)은 하우징에 대해 충격 흡수를 제공하고, 기기로부터 열을 멀리 전달하며, 배면 커버로부터 멀리 소리를 증폭하기 위한 소리 채널을 생성하는 기능을 더 한다. 내부 주연부(230c)는, 수납된 기기의 에지에 맞물림으로써 다른 내부 공간(230e)을 생성하는 추가적인 인터페이스(230g)를 포함하며, 이는 수납된 기기에 대해 충격 흡수 수단을 제공하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한다.
도 18d는 도 18c에 도시된 스냅-치형 부재(228)와 스냅-치형 콤브(240) 간의 상호 작용의 확대도를 제공한다. 상부 부재 스냅-치형 부재(228)와 스냅-치형 콤브(240) 간에 맞물림이 없으면, 콤브(240)가 스냅-치형 부재(28)에 대해 쉽게 제거될 수 있으므로, 케이스의 분해를 용이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콤브는, 제거되면, 반전될 수 있으며, 콤브(스냅-치형 요소(241))의 가지는 리셉터클(237), 예컨대, 스냅-치형 분리 공간(238b)에 삽입되어 리셉터클 스냅-치형 맞물림 디텐트(239b)로부터 스냅-치형 부재 맞물림 표면(228c)을 분리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일단 분리되면, 상부 부재(202)는 하부 부재(203)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어 제거될 수 있으며, 임의의 수납된 기기가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 18e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하우징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상부 부재(202)가 우측 근위 코너에서 하부 부재(203)에 근접하여 도시되어 있다. 하부 부재 우측 쐐기 수용 후크(237e)가 상부 부재 우측 쐐기 수용 덕 후크(227d) 옆에 있는 공간 속에 삽입되어 바로 아래에 도시되어 있다. 후크에 의해 형성된 그루브에 삽입되기 전의 우측 잠금 쐐기(240e)가 또한 도시되어 있다. 후크에 의해 형성되는 그루브를 가리키고 있는 후크 인터페이스 부재(241)가 도시되어 있다. 쐐기 교차면(242)은 하부 부재 쐐기 인터페이싱 디텐트(242a)와 대응하는 디텐트를 나타낸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인터페이싱 디텐트는 쐐기 교차면(242)과 인터페이싱하도록 상부 부재(202)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8e는 내부 주연부 기기 공간(20e)에서 하부 부재(203) 내부의 내부 주연부 기기 시트(220d)와 내부 주연부 기기 인터페이스(220f)를 도시한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내부 주연부 기기 시트(220d)와 내부 주연부 기기 인터페이스(220f)는, 하부 부재(203)와 접촉하였을 때 전자 기기(300)를 완충하는 가요성 또는 반가요성 물질일 수 있다. 가요성 또는 반가요성 물질은 고무, 네오프렌, 폴리프로필렌 등일 수 있다.
도 18f는 전자 기기(300)를 수용하고 있는 하우징의 우측 근위 코너의 다른 단면도이다. 이 단면도에는, 우측 상부 부재 쐐기 수용 덕 후크(227d)와 아울러, 잠금 후크 덕 헤드(228c)가 도시되어 있다. 상부 부재(202) 상의 덕 후크는, 잠금 후크 덕 헤드 그루브(228d)에 삽입되었을 때, 함께 결합되어 있는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덕 헤드를 갖고 있다.
도 18f는 전자 기기와 하부 부재(203) 사이의 내부 공간(220g)을 또한 도시하고 있다.
도 18g는 하우징의 우측 근위 코너의 단면도이며,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가 결합되어 있다. 쐐기 수용 후크 에지(238b)는 하부 부재 잠금 요소 수용 공간(246b)에 삽입되어 있다.
전자 기기(100)는 도 18g에서 생략되었다. 그러나, 전자 기기가 존재하면, 가스켓(10)이 전자 기기(300)에 대해 가압될 것이다.
도 18h는 하우징의 우측 근위 코너의 단면도이며,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가 결합되어 있다. 도 18h는 잠금 후크 덕 헤드 그루브(228d)에 삽입된 잠금 후크 덕(228c)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8h는 상부 부재 잠금 요소 수용 공간(246a)에 삽입된 잠금 후크 쐐기 시트 부재를 또한 도시하고 있다.
도 18i는 전자 기기(300)를 수용하고 있는 하우징의 우측 근위 코너의 단면도이다. 우측 잠금 쐐기(240e)는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로부터의 후크에 의해 형성된 그루브에 삽입되어 있다. 도 18i는,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가 결합되었을 때, 가스켓(210)과 상부 부재 외부 주연부가 전자 기기(300)에 어떻게 인접하는지를 또한 도시하고 있다. 상부 부재 우측 쐐기 수용 덕 후크(227d)의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8j는 도 18i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18j는 하부 부재 우측 쐐기 수용 후크(237e)의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8j는 상부 부재 쐐기 인터페이싱 공간(242b)을 또한 도시하고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이 공간은 하부 부재 쐐기 인터페이싱 디텐트(242a)와 유사한 디텐트에 의해 점유된다.
도 18k는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로부터의 후크에 의해 형성된 그루브에 장착되어 있는 우측 잠금 쐐기(240e)의 측면도이다. 우측 잠금 쐐기가 그루브에 삽입되었을 때, 툴 없이 쐐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핑거 네일 슬롯(244)이 유지된다.
도 1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소리 전송부(260)의 확대도를 제공한다. 소리 전송부는 하우징을 따라, 예컨대, 주연부(220)를 따라, 또는 전면 및 배면 부분(235/236)를 따라, 임의의 적당한 개소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소리 전송부는 하우징의 경계를 통해 소리를 전송함과 동시에 이를 통해 물과 같은 액체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한 임의의 적당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어떤 실시예들에서, 하우징의 주연부 또는 전면 및 배면 부분은 소리 포트로 구성된 소리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소리 포트는 하우징을 통한 소리의 전송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다. 하나의 경우에서, 이러한 소리 포트는 음향 배출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적당한 음향 배출부는, 예컨대,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하부의 전자 기기의 마이크로폰 부분을 향하여, 또는 스피커 부분으로부터 멀리, 하우징의 경계를 통해 소리를 투과 및/또는 유도하도록 구성될 것이다.
예컨대, 원위 또는 근위 단부 상의 주연부 또는 전면/배면 부분은, 소리를 전송하기 위한 음향 배출 특징부로 구성된 소리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배출 특징부는 음향 배출 물질이 내부에 배치된 하나 또는 복수의 소리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배출 물질은 전방 또는 역방향으로 0 내지 180°의 각도로 소리 채널을 가로지를 수 있다. 소리 채널은 주연부 또는 배면의 외부로부터 주연부 또는 전면의 내부까지 연장할 수 있으며, 음향 배출 물질은, 예컨대, 관통하는 중심선에 대해 소정 각도로 소리 채널과 교차할 수 있다.
하우징(201)의 근위 단부는 하나 이상의, 예컨대, 음향 배출부로 구성된 복수의 소리 전송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어떤 실시예들에서, 마이크로폰 음향 배출부 및/또는 스피커 음향 배출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근위 단부는 복수의 음향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음향 배출부는 마이크로폰 음향 배출부로 소리를 전달하기 위한 제 1 소리 채널과, 스피커 음향 배출부로부터 멀리 소리를 전달하기 위한 제 2 소리 채널을 포함한다. 음향 배출부는 상부 부재(202) 또는 하부 부재(203)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외부, 중간 및 내부 주연부들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로 가로지른다. 배출부는 음향 채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음향 채널은 음향 채널과 교차하는 각각의 음향 멤브레인을 포함한다. 음향 멤브레인을 둘러싸는 하우징은 음향 멤브레인과 함께 오버몰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소리 채널은, 함께 오버몰딩됨으로써 하우징과 음향 멤브레인 사이에 액밀 시일을 확보하기 위해, 멤브레인의 주연부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 오버몰드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음향 멤브레인은 소리에 대해서는 투과성이지만 액체에 대해서는 비투과성이다. 따라서, 소리는 하우징의 소리 채널을 통과할 수 있지만, 물과 같은 액체는 음향 멤브레인을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소리 채널을 지날 수 없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근위 단부는 복수의 소리 전송부, 예컨대, 음향 배출부(260)를 포함한다. 어떤 경우들에서, 복수의 소리 전송부는 마이크로폰 음향 배출부로 이어지는 소리 채널과, 스피커 음향 배출부로 이어지는 소리 채널을 포함한다. 음향 배출부는 상부 부재(202) 또는 하부 부재(203)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201)의 외부로부터 하우징의 내부로 가로지른다.
이러한 음향 채널이 제공되는 경우, 음향 채널은 각각의 음향 멤브레인과 그릴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그릴 부분은 음향 멤브레인을 위한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소리 채널은 음향 배출 물질, 예컨대, 멤브레인을 향해 테이퍼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소리 채널은 하우징(201) 내부에 수용된 하부의 전자 기기의 마이크로폰 부분을 향하여, 또는 스피커 부분으로부터 멀리, 소리를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음향 배출 경계 부재, 예컨대, 오버몰딩된 스커트 시일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음향 배출 멤브레인을 둘러싼다. 예컨대, 음향 배출 물질의 일부는, 예컨대, 스피커 배출 부분으로부터의 소리의 전송을 저감하거나 격리하여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강성의 물질로 오버몰딩될 수 있으며, 하우징과 음향 멤브레인 사이의 시일을 더 강화함으로써 음향 배출부의 액체 침투 방지 특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음향 배출 물질(267a)은 멤브레인일 수 있으며, 상기 멤브레인은 0 내지 180°, 예컨대, 90 내지 180°로 경사질 수 있다. 소리 전송부(60)들이 하우징(201)의 근위 단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않고 하우징의 주연부 또는 상부 또는 하부 전면 및 배면을 따라 임의의 개소에 배치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하다. 음향 배출 물질은 소리의 전송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배출 물질의 단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소정 각도로 조립체(26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0은 상세하게 나타낸 배향 및 소리 스위치 인터페이스들과 함께, 내부 주연부(220b)의 확대도를 제공한다. 따라서, 어떤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의 하우징의 주연부는 하나 이상의 제조된 스위치 또는 버튼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온/오프, 배향 또는 무음 스위치 또는 볼륨 버튼과 같은, 수납된 기기의 스위치 또는 버튼 메커니즘에 맞물리기 위한 스위치 또는 버튼 특징부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0과 관련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배향 토글(272a, 272b)과 같은 스위치 특징부가 하우징(201)의 일부분, 예컨대, 대향하는 측부들 중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하우징(201)의 주연부는, 온/오프 스위치(271), 볼륨 제어 버튼(273) 중 하나 이상; 코인 슬롯 특징부; 하나 이상의 음향 배출부, 래치 특징부 등과 같은 다른 특징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토글 및 버튼 특징부가 하우징(201)속에 제조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수납된 기기의 각 스위치, 토글 및 버튼에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하부의 기기의 하부의 스위치 및 버튼의 기능성과 심미감을 모두 보장하고 모델링하도록, 스위치, 토글 및 버튼이 설계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1)의 주연부는 토글 특징부(272)와 볼륨 버튼(273)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1)은 주연부(220)를 가진 상부 하우징 부재(202)와 주연부(230)를 가진 하부 하우징 부재(203)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토글 특징부(272)와 볼륨 버튼(273)은 하부 부재(203)의 주연부(230)를 따라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토글 특징부(272)와 버튼 특징부(273)의 스타일은 하부의 기기의 스위치와 버튼의 기능성과 미적 특징을 유지하도록 설계된다. 배향 토글(272a, 272b)은 수용된 기기의 배향 특징부를 조작하기 위해 수용된 기기의 각 배향 스위치에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볼륨 제어 토글 또는 버튼(73)들은 하부의 기기의 볼륨을 증감하기 위해 수용된 기기의 대응하는 버튼들에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배향 스위치 특징부(272)는 강성의 물질로 제조될 수 있는 액추에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며, 수용된 기기의 무음 스위치의 일부분 또는 부분들에 효과적으로 맞물리기 위해 상기 베이스를 중심으로 피벗하는 하나 이상의 축 또는 로커(rocker)를 포함할 수 있다. 볼륨 제어 토글(273)들은 사용자가 맞물수 있는 평탄한 사용자 맞물림 표면 부분과, 수용된 기기의 버튼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연장된 버튼 맞물림 부분을 포함한다.
예컨대, 배향 토글 특징부는 복수의 슬라이더 토글(272a, 272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토글(272)들은 하우징, 액추에이터 상부 부재, 강성의 액추에이터 베이스 및 스위치 인터페이스(274a, 274b)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인터페이스들은 배향 스위치를, 예컨대, 하나의 배향에서 다른 배향으로 조작하기 위해 하부의 기기의 배향 스위치와 커플링한다. 배향 토글 특징부는 축 또는 로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로커를 중심으로 액추에이터 상부 부재가 회전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토글들은 하부의 기기의 배향 스위치와 같은 스위치를 둘러싸기 위해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타원형 후크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 또는 다른 토글이 눌리면, 토글이 축을 통해 베이스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스위치에 맞물리고 배향을 변환한다. 반대 배향을 원하는 경우, 대향하는 토글이 눌린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슬라이드하고 다시 역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하부의 기기의 배향을 조작하기 위해, 수납된 기기의 배향 스위치가 조작될 수 있다.
또한, 토글 특징부(272)가 다양한 스위치 부품을 가진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스위치 특징부가 하부의 기기의 스위치에 맞물려 조작할 수 있는 한, 스위치 특징부(290)의 본질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스위치 부품이 포함되거나, 배제되거나, 변경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예컨대, 어떤 실시예들에서, 스위치 특징부는 가요성, 반강성 스위치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의 내면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강성 또는 반강성 스위치 인터페이스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인터페이스 부분은 하부의 기기의 스위치에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에서, 스위치 하우징은 상하 방향으로 눌리거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융기된 부재일 수 있으며, 이러한 눌림 또는 스위칭은 스위치 인터페이스 부분들 중 하나가 수용된 기기의 하부의 스위치에 맞물려 상방 또는 하방 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향 토글 특징부는 타원형의 토글 상부 부재, 각각의 토글 축 및 스위치 인터페이스 부분(274a, 274b)을 덮는 액추에이터 스위치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이 눌리면, 상부 부재가 조작되며, 예컨대, 선형 방향으로 상방 또는 하방 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움직이며, 베이스 부재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스위치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가 하부의 기기의 스위치를 반대의 선형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예컨대, 이에 따라, 하부의 기기를 배향을 변경하게 된다.
또한, 볼륨 제어 버튼과 같은 복수의 버튼 스위치가 도시되어 있으며, 스위치 하우징은, 예컨대, 상방 또는 하방으로, 하우징이 눌렸을 때, 수용된 기기의 스위치에 맞물려 조작함으로써 볼륨을 높이거나 낮추도록 구성된 대응하는 스위치 인터페이스 부분을 포함한다. 온/오프 스위치(271)도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21a 내지 도 21c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하부 부재(203)의 원위 단부(232)에 배치된 소음 소거 특징부(291)의 상세도를 제공한다. 소음 소거 특징부(291)는 하우징(201)의 외부(220a)로부터 주연부(220b, 220c)를 통해 하우징(201)의 내부로 이어지는 소리 채널(292)을 포함한다. 소리 채널은 멤브레인(293)에 의해 교차되며, 상기 멤브레인은 소리는 통과하도록 하지만 물과 같은 액체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다양한 경우들에서, 하우징(201)의 주연부 또는 상면 및 하면은 소음 소거 특징부(291)로서 구성된 소리 전송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소음 소거 특징부(291)는 수납된 기기에 존재하는 소음 소거 마이크로폰을 향하여 주변 소음을 유도하는 것을 돕는 기능을 함으로써, 주변 소음의 소거를 용이하게 한다. 소음 소거 특징부(291)는, 예컨대, 주연부(220 또는 230)를 따라, 상부 부재(202) 또는 하부 부재(203), 또는 하우징(201)의 어디에나 배치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 소거 특징부(291)는 하부 부재(203)에 배치된다.
도 21a와 관련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소음 소거 특징부(291)는 하우징의 내부와 소통하는 음향 입구 통공을 포함한다. 도 21b와 관련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입구 통공은 소리 안내 채널(292)과 소통하며, 상기 채널(292)은 소리 안내 채널(292) 내부를 횡단하는 방식으로 배치된 음향 멤브레인(293)을 향해 소리를 유도한다. 음향 입구 통공은 수납된 기기의 소음 소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지만, 소음 소거 마이크로폰으로 주변 소음을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 소거 특징부(291)는 하나 이상의 소리 입구 통공, 소리 안내 채널(292) 및 음향 배출 멤브레인(293)을 포함한다. 소리 안내 채널(292)은 수납된 전자 기기에 존재하는 소음 소거 마이크로폰을 향하여 소리를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음향 배출 멤브레인(293)은 소리 안내 채널(292)과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음향 멤브레인(263)은 오버몰딩된 구성으로 하우징과 연관될 수 있으며, 멤브레인을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해 접착제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1a 내지 도 21f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바와 같은 하부 부재(203)의 원위 단부(232)에 배치된 이어폰 포트(285)의 다양한 상세도를 제공한다. 이 경우에서, 하우징(201)의 외부 및 중간 주연부(220a, 220b)는, 예컨대, 헤드폰 또는 스피커 조립체의 헤드폰 잭과 같은 잭 또는 마개(286) 등과 같은 밀폐 기기를 수용하기 위한, 헤드폰 포트 특징부(285)를 포함한다. 헤드폰 포트 특징부가 상부 부재(202) 및/또는 하부 부재(203)에 포함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21c와 관련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헤드폰 포트 특징부(285)는 하부 부재(203)에 배치된 통공(294)을 포함한다. 통공(294)은 스레드 영역(295)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스레드 영역(295)은 헤드폰 잭 또는 이어폰 잭 포트 마개(286)와 같은 밀폐 기기에 존재하는 대응하는 스레드 영역(288)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경우들에서, O-링과 같은 가스켓이 스레드에 추가하여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적당한 헤드폰 잭 또는 밀폐 기기(286)는 대응하는 스레드 특징부(288)를 포함할 것이고, 가스켓(289)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헤드폰 잭 및/또는 밀폐 기기(286)가 가스켓(289)을 포함하는 경우, 통공(294)은 가스켓을 포함할 필요가 없으며, 그 대신 스레드 특징부(288)만을 포함할 것이다. 스레드 영역(288)은 통상의 스레드 특징부로서 구성되거나 캠 특징부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스켓(289)이 통공(294)의 하우징 내부에 존재하거나, 포트 마개(286) 또는 헤드폰 잭에 존재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통공(294)은 (예컨대, 대응하는 포트 마개(286) 및/또는 잭(257)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가스켓(289)와 스레드 영역(295) 모두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레드 영역(295)은 이어폰 잭 포트 마개(286)의 대응하는 스레드 영역(288) 및/또는 이어폰 또는 스피커 잭의 대응하는 영역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도 21d 내지 도 21f 참조).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헤드폰 포트 특징부(285)와 이어폰 잭 포트 마개(86)의 커플링은 액밀 및 방진 시일을 초래하게 되고, 이 시일은 물과 같은 액체 및/또는 먼지가 헤드폰 포트(285)를 통해 하우징(201)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한다(예컨대, 도 21b 및 도 21e 참조).
도 21e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의 요소는, 헤드폰, 스피커 잭 등과 하부의 기기 사이에 액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헤드폰, 스피커 또는 다른 잭을 포함한 기기와 하부의 전자 기기의 잭 포트 사이의 인터페이스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된 헤드폰 포트와 같은 포트(285)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인터페이스는 액체 및 먼지 침투 방지 시일이다. 그러나, 어떤 경우들에서, 헤드폰, 스피커 또는 다른 기기를 포함한 잭 인터페이스가 포함되지 않거나, 하우징 또는 그와 연관된 하부의 기기와 연관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후술한 바와 같은 액밀 잭이 하우징의 포트와 연관되지 않을 때, 액체 및 방진 시일을 유지하기 위해, 포트 밀봉 기기(285)가 하우징의 포트와 연관될 수 있다.
어떤 경우들에서, 하우징(201)의 관련 포트(285)를 밀봉하기 위해 포트 밀봉 마개(286)가 제공된다. 포트 밀봉 마개(286)는 상부 부재(289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부재는 파지 특징부 영역(289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포트 밀봉 마개(286)는 가스켓(288)을 포함한 가스켓 영역과 스레드(287)들을 포함한 스레드 영역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고, 이 스레드들은 그들 사이에 액밀 및 방진 시일을 확립하기 위해 잭 포트(285)의 대응하는 스레드(295)들과 커플링하도록 구성된다.
스레드 영역들은 스레드 특징부 또는 캠 특징부로서 구성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예컨대, 도시된 스레드 영역 대신, 바이요넷 캠 특징부와 같은 캠 특징부가 제공될 수 있다. 캠 특징부는, 포트가 대응하는 방수 잭 인터페이스와 연관되지 않을 때, 잭 포트 밀봉 마개(286)를 잭 포트(285)와 액밀 시일로 커플링하도록 구성된다. 캠 특징부가 잭 포트 마개(286)에 포함되는 경우, 대응하는 캠 수용 특징부가 포트 잭(285)의 스레드 영역(295)을 대체함을 유의하여야 한다. 예컨대, 캠 특징부가 잭 포트 마개(286)에 포함되는 연장된 캠 특징부인 경우, 대응하여 압입된 캠 수용 특징부가 포트 잭(285)의 스레드 영역(295)을 대체한다. 캠으로된 잭 포트 마개(86)는 파지 특징부(289b)와 가스켓(288)을 가진 상부 부재(289a)를 또한 포함한다.
도 22a 및 도 22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카메라 또는 렌즈 특징부(280)의 확대도를 제공한다. 이 경우에서는, 하부 부재(203)가 렌즈 특징부(280)를 포함하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렌즈 특징부(280)가 상부 부재(202) 또는 모두에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특징부(280)는 광학 스커트(282)를 감싸는 하나 이상의 융기된 립 부분(281)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스커트(282)는 적어도 카메라 렌즈 영역(283a)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플래시 렌즈 영역(283b)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어느 한 렌즈가 광학적으로 투명한 영역으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실시예들에서, 상부 부재(202) 및/또는 하부 부재(203)는 카메라 및/또는 플래시 특징부와 같은, 렌즈 특징부를 가진 카메라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인 경우, 렌즈 및/또는 플래시 특징부는 제공되지 않는다. 그 대신, 단순히 광학적으로 투명한 영역이 제공된다. 그러한 영역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진의 선명도를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예컨대, 플래시가 제공된 경우, 하부의 기기의 카메라 렌즈로 입사되는 빛의 전송을 허용할 수 있음으로써, 촬영된 사진이 사라지게 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케이싱의 절개부가 제공되며, 이를 통해 사진이 촬영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케이스가 방수될 수 없도록 하기 때문에 이상적이지는 않다. 본 발명의 하우징에 카메라 및/또는 렌즈가 제공되는 경우, 하우징으로부터 스텝 업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청소하기 어렵고 스크래치가 발생하기 쉬우며 보호가 어렵기 때문에 이상적이지는 않다.
따라서, 어떤 실시예들에서, 렌즈 특징부(280)가 제공되며, 카메라 렌즈(283a) 및/또는 플래시 렌즈(283b)와 같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이 하우징(201)의 상부 부재(202) 또는 하부 부재(203) 내부에 이들과 일체로, 실질적으로 스텝 업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렌즈 특징부는 카메라용 렌즈(283a) 및/또는 플래시용 다른 렌즈(283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잘못되지 않은 빛의 전송을 방지하기 위해, 예컨대, 내부 반사를 줄임으로써 플레어(flair)를 줄이기 위해 그 하나 이상의 렌즈들을 둘러싸는 광학 스커트(2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렌즈 특징부(280)를 제작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렌즈들이 하우징 물질과 동일 평면상에 압입되도록, 상부 부재(202) 또는 하부 부재(203) 속에 압입될 수 있다. 고무와 다른 그러한 물질을 이용하는 통상의 성형 공정은 열 팽창 및 수축에서의 차이로 인해 유리에 대해 어렵기 때문에, 그러한 제작 방법이 성형법보다 더 좋을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수밀 시일을 만들기가 어렵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렌즈 요소(280)를 포함하는 하우징이 제공되며, 하나 이상의 렌즈(283)들이 그 내부에 제공되고, 이 렌즈들은 하부의 기기에 제공된 렌즈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 부재(202 또는 203)가 제작되고, 예컨대, 성형되고, 그 후, 맨드릴 또는 다른 그러한 툴이 채용되어 렌즈 특징부를 하우징 부재 속으로 압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렌즈 특징부가 하우징 부재의 주변 물질과 깨끗하게 잘 결합하여 인터페이싱하게 된다. 렌즈 특징부는, 렌즈 특징부와 하우징 물질 사이에 공동이 없이 전이부가 동일 평면상에 놓이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도 22a와 관련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카메라 특징부(280)는 광학 스커트(282)를 둘러싼 융기된 립 부분(281)을 포함한다. 광학 스커트(282)는 카메라 렌즈(283a)를 수용하는 카메라 렌즈 오리피스와 플래시 렌즈(283b)를 수용하는 플래시 렌즈 오리피스를 포함한다.
도 22b와 관련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특징부(280)는 광학 스커트(282)를 포함한다. 광학 스커트(282)는 카메라 렌즈(283a)를 수용하는 카메라 렌즈 오리피스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플래시 렌즈(283b)를 수용하는 플래시 렌즈 오리피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플래시 렌즈(283b)가 존재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다른 경우들에서는, 렌즈들이 제공되지 않는다. 그 대신, 간단히 광학적으로 투명한 투과 영역이 제공될 수 있다.
광학 스커트(282)는 플래시로부터 카메라 렌즈로 빛이 전송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학 스커트(282)는 카메라 렌즈(83a)를 수용하는 카메라 렌즈 오리피스를 포함하며, 플래시 렌즈를 수용하는 유사한 플래시 렌즈 오리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스커트(282)는 렌즈(283a)에 대해 향상된 시야를 제공하는 동심 배플 상세(詳細)를 포함한다.
도 24a 및 도 24b는 하우징(201)의 실시예를 제공하며, 상기 하우징은 커버(20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커버는, 예컨대, 성형을 통해 및/또는 접착제 또는 자석을 통해, 상부 부재(202)의 주연부(220a)의 전면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커버는 쐐기 잠금 요소와 연관될 수 있며, 상기 쐐기 요소를 하부 부재와 상부 부재의 커플링에 의해 형성되는 연관된 쐐기 그루브에 삽입함으로써 하우징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하우징과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커버가 수납된 기기를 덮기 위한 목적으로 맞물리면, 상기 기기는 턴 오프되고, 상기 커버가 개방되면, 상기 기기는 턴 온된다. 따라서, 주연부는 커버의 상대적 위치에 기초하여 온/오프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특징부들 중 하나 이상은 상부 부재(202) 또는 하부 부재(203)의 주연부(220, 230)를 따라 배치될 수도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상부 부재(202)의 전면/배면(225/226), 예컨대, 멤브레인이 제공될 수 있다. 제공되는 경우, 상부 부재(202)의 전면/배면(225/226)은 비디오 카메라 광학 투명 영역, 근접 센서 및/또는 상부 부재 멤브레인(225, 226)을 통해 소리를 전송하기 위한 음향 배출 이어폰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부재(202), 하부 부재(203) 및/또는 잠금 부재 중 하나 이상은, 예컨대, 그 전면/배면에, 하나 또는 복수의 스탠드 오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는 하우징의 하부 부재로부터 상부 부재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슬롯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슬롯 내부에 툴이 배치되어 비틀림으로써, 하우징의 두 부재들이 분리되도록, 예컨대, 지퍼가 열리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하우징의 가요성 물질, 예컨대, 상부 부재(202) 또는 하부 부재(203)의 오버몰딩된 외부 외연부(220a)가 그러한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하우징의 물질이 강성이기만 하면, 일정한 밀봉 외에 그러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떤 실시예들에서, 외부 주연부는 하우징의 하부 부재(203)로부터 하우징의 상부 부재(202)를 분리하는 것을 돕기 위해 코인 슬롯 특징부와 같은 슬롯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슬롯 특징부는 두 부재가 만나는 위치에 배치된 주연부를 따라 요입부, 예컨대,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절개부는 상부 부재(202)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부 하우징(202)과 하부 하우징(203)의 돌출부들과 같은 복수의 경계 부재들에 의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부재(202)는 오목한 구조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 반면, 하부 부재(203)는 볼록한 구조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가 함께 결합될 때, 코인 슬롯 특징부가 형성되고, 사용자가 코인과 같은 툴을 볼록한 영역에 삽입하여 비틀어 하부 부재(203)로부터 상부 부재(202)를 멀어지도록 함으로써 하우징(201)의 양 부재들을 개방하는 것을 돕는다.
또한, 본 발명의 하우징은 수용되어 운반될 수 있는 거의 모든 물건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서류 가방, 가방, 메신저 케이스 등과 같은 케이스 형태로 하우징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저장 용기, 냉장기, 가온기 등의 형태로 하우징(1)이 제공될 수 있다. 저장 용기는 음식, 액체, 얼음, 종이, 노트, 책, 가정 용품, 작업 용품, 사무 용품, 의료 용품, 스포츠 용품, 의류, 취약한 물품, 귀중품 등과 같이 환경으로부터 보호될 필요가 있는 모든 물건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들은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를 포함할 것이며, 이 상부 및 하부 부재들은 전술한 바와 같은 각각의 걸쇠 메커니즘(227, 237)을 포함한다.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의 주연부를 따라 가스켓(215)이 또한 제공되어 배치될 것이다. 상술한 쐐기 구조에 힌지 요소가 제공되거나 포함되고, 상부 부재 또는 하부 부재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부재는 힌지 요소를 통해 하부 부재(203)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걸쇠 메커니즘 및/또는 가스켓이 상부 및 하부 부재들의 주연부들을 완전히 둘러쌀 필요는 없으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걸쇠 메커니즘과 가스켓 중 하나 이상이, 예컨대, 각각의 상부 부재(202) 및/또는 하부 부재(203)의 전체 주연부들을 둘러싼다. 이 경우에서는,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가 서로로부터 제거되도록 구성되지 않을 것이다. 다른 경우들에서, 상부 부재(202)는 하부 부재(203)로부터 완전히 제거되도록 구성될 것이다. 이 경우에, 걸쇠 메커니즘(227, 237)들은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의 전체 주연부들을 둘러싸고, 가스켓(210)이 하부 부재(203)의 주연부를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의 밀봉을 더 확보하기 위해,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 중 어느 하나에 추가적인 래칭 메커니즘이 포함될 수 있다. 이 래칭 메커니즘은 상부 부재(202)와 하부 부재(203)의 커플링 및/또는 고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한 임의의 구조로 될 수 있다. 예컨대, 래칭 메커니즘은 당업계에 공지된 것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이는 자물쇠 메커니즘, 조합 메커니즘, 외부의 락이 추가되는 후프 메커니즘 등과 같이 당업계에 공지된 잠금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상술한 2개의 케이스를 제조하였다. 하나의 케이스는 도 1a를 참조하여 설명하고 도시한 바와 같은 스냅-치형 구조를 갖고, 다른 케이스는 도 1e를 참조하여 설명하고 도시한 바와 같은 잠금 쐐기 구조를 갖는다. 케이스들과 그 부품들은 다음과 같은 치수를 갖게 되었다.
쐐기 실시예
> 전체 하우징
- 폭: 204㎜(8")
- 길이: 260㎜(10 1/4")
- 두께: 17㎜(11/16")
- 질량: 220g (8온스)
기기 초과
- 각 측면에 폭 9㎜ 추가(11/32")
- 각 단부에 길이 9㎜ 추가(11/32" )
- 상부 주연부에 두께 4㎜ 추가(5/32")
- 상면에 두께 0 내지 0.5㎜ 추가(0 내지 1/64")
- 하부 주연부에 두께 4㎜ 추가(5/32")
- 하면에 두께 2㎜ 추가(3/32")
상부 부재
- 폭: 204㎜(8")
- 길이: 260㎜(10 1/4")
- 시일에서의 두께: 3.5㎜(1/8")
- 교합부에서의 두께: 9㎜(3/8")
- 중량: 60g (2온스)
하부 부재
- 폭: 204㎜(8")
- 길이: 260㎜(10 1/4")
- 시일에서의 두께: 12㎜(1/2")
- 교합부에서의 두께: 15㎜(5/8")
- 중량: 160g (5 3/4 온스)
쐐기
- 맞물림부에서의 두께: 2.5㎜(1/10")
- 두께 전체: 3.2㎜(1/8")
- 폭: 4.5㎜(3/16")
- 길이 - 변화됨
측면: 230㎜(9")
헤드폰 단부: 150㎜(6")
래치 단부 - 래치의 2개의 짧은 어느 한 측면: 68㎜(2 5/8")
스냅 실시예
> 전체 하우징
- 폭: 204㎜(8")
- 길이: 260㎜(10 1/4")
- 두께: 17㎜(11/16")
- 질량 : 220g (8온스)
기기 초과
- 각 측면에 폭 9㎜ 추가(11/32")
- 각 단부에 길이 9㎜ 추가(11/32" )
- 상부 주연부에 두께 4㎜ 추가(5/32")
- 상면에 두께 0 내지 0.5㎜ 추가(0 내지 1/64")
- 하부 주연부에 두께 4㎜ 추가(5/32")
- 하면에 두께 2㎜ 추가(3/32")
상부 부재
- 폭: 204㎜(8")
- 길이: 260㎜(10 1/4")
- 시일에서의 두께: 3.5㎜(1/8")
- 스냅 핏에서의 두께: 12㎜(1/2")
- 전면에서의 두께: 0㎜(0")
- 중량: 60g (2온스)
하부 부재
- 폭: 204㎜(8")
- 길이: 260㎜(10 1/4")
- 시일에서의 두께: 12㎜(1/2")
- 스냅 수용 포켓에서의 두께: 12㎜(5/8")
- 하면에서의 두께: 2㎜(3/32")
- 중량: 160g (5 3/4 온스)
잠금 콤브
- 맞물림부에서의 두께: 2㎜(3/32")
- 두께 전체: 3.5㎜(1/8")
- 높이: 8㎜(5/16")
- 길이 - 변화됨
볼륨 제어 측면: 175㎜(7")
단일 코너: 15㎜(19/32")
대향 측부: 225㎜(9")
헤드폰 단부: 125㎜(5")
래치 단부 - 래치의 2개의 짧은 어느 한 측면: 68㎜(2 5/8")
태블릿 컴퓨터를 각각의 케이스 내에 배치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를 조립하였다. 구체적으로, 기기를 하부 부재(3) 속에 삽입하였다. 그 다음, 상부 부재(2)를 기기 위에 배치하였고, 스냅-치형 리셉터클 또는 쐐기 수용 후크와 스냅 치형 부재 또는 맞물림 후크 중 어느 하나를 가진 합 부재를 서로 정렬시켰다. 그 다음,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의 주연부들을 압착하여 이 부재들이 제 위치에 스냅핑되거나 커플링되도록 함으로써,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3)를 함께 커플링하였다. 그 다음, 스냅-치형 콤브 또는 쐐기를 순차적으로 삽입함으로써, 제 위치에 스냅핑되거나 함께 커플링되도록 하였다. 충전 포트 도어를 폐쇄하였다. 마개를 마개 리셉터클에 삽입하고 확실하게 조였다. 기기를 수용하고 있는 각각의 하우징을 각 표면에 대해 6회 떨어뜨렸으나, 관찰가능한 물리적 손상 또는 관찰가능한 기능 손상이 하부의 기기에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기기를 수용하고 있는 각각의 케이스를 6피트 깊이의 물속에 6회 침수시키고 한 시간 반 동안 두었으나, 누설로 인한 침수 손상이 하부에 수납된 기기에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제시되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하우징들은 방수 및 충격 방지식이다.
상기 도면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하우징에 포함될 수 있는 특징부와 기능을 이해시키는데 도움이 되도록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한 예시적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장치는 도시된 구조나 구성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대안적 구조와 구성을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예시적 실시예 및 구현예와 관련하여 장치를 상술하였으나, 개별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 기술된 다양한 특징부와 기능이, 그러한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는지의 여부와는 무관하게 그리고 그러한 특징부가 개시된 실시예의 일부인 것으로 존재하는지의 여부와는 무관하게,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특정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는 전술한 어느 예시적 실시예들에 의해서도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와 문구 및 그 파생어는, 다르게 명시하지 않는 한, 한정이 아니라 개방적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 예로서, 용어 "포함하는"은 "제한 없이 포함하는" 등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용어 "예"는 전체적인 또는 제한적인 리스트가 아니라 논의중인 항목의 예시적인 경우들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며, "종래의", "전형적인", "표준", "공지된" 및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들과 같은 형용사는 주어진 기간으로 기술된 항목을 제한하거나 또는 주어진 시간에 이용가능한 항목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그 대신 현재 또는 미래의 어느 시점에 이용가능하거나 공지될 수 있는 종래의, 전형적인, 통상의 또는 표준 기술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접속사 "및"으로 연결된 항목들의 그룹은 그 항목들 각각 또는 모두가 그룹에 존재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다르게 명시하지 않는 한, "및/또는"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접속사 "또는"으로 연결된 항목들의 그룹은 그 그룹 사이에서 상호 배타성을 요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다르게 명시하지 않는 한, 역시 "및/또는"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항목, 요소 또는 부품이 단수로 기술되거나 청구될 수 있지만, 단수로 명시하지 않는 한 복수도 그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어떤 경우들에 있어서, "하나 이상", "적어도",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또는 다른 유사한 문구와 같은 확장형 단어 및 문구의 존재는 그러한 확장형 문구가 없는 경우 더 좁은 케이스가 의도되거나 요구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범위가 명시된 경우, 범위의 상한과 하한은 그 범위 내의 모든 중간 단위를 포함한다.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범위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다른 실시예들도 하기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Claims (40)

  1.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기기를 위한 보호 하우징이며;
    상기 전자 기기의 적어도 제 1 부분을 수용하는 하부 부재;
    상기 전자 기기의 적어도 제 2 부분을 수용하는 상부 부재로서, 상기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에 대한 터치 액세스를 허용하기 위해, 상기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는 내부 에지를 가진, 상부 부재;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하부 부재와 상기 상부 부재를 커플링하고, 상기 하부 부재와 상기 상부 부재를 밀봉하며, 상기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인접한 영역과 상기 상부 부재의 내부 에지를 밀봉하는, 커플링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보호 하우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메커니즘은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 사이에 제 1 시일을 포함하는,
    보호 하우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일은, 상부 부재가 하부 부재와 커플링될 때, 하부 부재와 상부 부재의 외부 주변부 사이에 제 1 내수성 시일을 제공하는,
    보호 하우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일은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 모두의 외부 주변부에 근접하여 제공되는,
    보호 하우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메커니즘은 상부 부재의 내부 에지와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근접한 영역 사이에 제 2 시일을 포함하는,
    보호 하우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일은, 상부 부재가 하부 부재와 커플링될 때, 상부 부재의 내부 에지와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근접한 영역 사이에 제 2 내수성 시일을 제공하는,
    보호 하우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부재의 내부 에지에 인접한 가요성 리지를 더 포함하는,
    보호 하우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메커니즘은, 상부 부재가 하부 부재와 커플링될 때, 상부 부재를 하부 부재와 래칭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래칭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보호 하우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래칭 메커니즘은,
    상기 하부 부재의 외부 주변부에 제공된 제 1 래칭 메커니즘; 및
    상기 상부 부재의 외부 주변부에 제공된 제 2 래칭 메커니즘으로서, 상부 부재가 하부 부재와 커플링될 때, 상부 부재를 하부 부재와 래칭하기 위해 상기 제 1 래칭 메커니즘과 래칭하도록 구성된, 제 2 래칭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보호 하우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래칭 메커니즘은,
    상기 제 1 래칭 메커니즘에 인접하여 상기 하부 부재에 제공된 제 3 래칭 메커니즘; 및
    상기 제 2 래칭 메커니즘에 인접하여 상기 상부 부재에 제공된 제 4 래칭 메커니즘으로서, 상부 부재가 하부 부재와 커플링될 때, 상부 부재를 하부 부재와 더 래칭하기 위해 상기 제 3 래칭 메커니즘과 래칭하도록 구성된, 제 4 래칭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보호 하우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래칭 메커니즘은 하부 부재의 외부 주변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제 1 벽체와, 상기 제 1 벽체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제 1 리지를 포함하는,
    보호 하우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래칭 메커니즘은 상부 부재의 외부 주변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제 2 벽체와, 상부 부재가 하부 부재와 래칭될 때, 상기 제 1 래칭 메커니즘의 제 1 리지와 맞물리기 위해 상기 제 2 벽체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돌출된 제 2 리지를 포함하는,
    보호 하우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래칭 메커니즘은 하부 부재의 외부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제 1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 1 벽체로부터 이격되어 하부 부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제 3 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래칭 메커니즘은 상기 제 3 벽체에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디텐트들을 더 포함하는,
    보호 하우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래칭 메커니즘은 상부 부재의 외부 주변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제 2 벽체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탭들을 포함하며, 복수의 탭들은 각각, 상부 부재가 하부 부재와 래칭될 때, 상기 제 3 래칭 메커니즘의 복수의 디텐트들 중 대응하는 디텐트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보호 하우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부 부재가 하부 부재와 래칭될 때, 상부 부재의 외부 주변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제 2 벽체에 당접하도록 상기 제 1 채널 내에 배치된 제 1 가스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가스켓은, 상부 부재가 하부 부재와 커플링될 때,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 사이에 제 1 내수성 시일을 제공하는,
    보호 하우징.
  1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부재는 상기 내부 에지에 인접한 제 2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시일은, 상부 부재가 하부 부재와 커플링될 때,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근접한 영역에 당접하도록 상기 제 2 채널 내에 배치된 제 2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가스켓은, 상부 부재가 하부 부재와 커플링될 때,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 사이에 제 2 내수성 시일을 제공하는,
    보호 하우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메커니즘은 나사, 래칫, 볼트, 스냅, 디텐트, 볼 앤 소켓 커넥터, 리지, 홀과 연관된 탕, 및 머쉬룸 스냅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보호 하우징.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부재와 상기 하부 부재는 강성의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보호 하우징.
  19.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전기 인터커넥션 포트를 더 포함하는,
    보호 하우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 인터커넥션 포트는 각각 밀봉 부재를 포함하는,
    보호 하우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 인터커넥션 포트는 데이터 및 충전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 부재는 래칭 도어를 포함하는,
    보호 하우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및 충전 포트는 상부 부재를 관통하며, 상기 래칭 도어는 피벗에 의해 하부 부재에 커플링되고, 상기 데이터 및 충전 포트 위에 래칭되도록 구성된,
    보호 하우징.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 인터커넥션 포트는 스레드 이어폰 잭 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밀봉 부재는 스레드 이어폰 잭 통공을 점유하여 밀봉하는 스레드 마개를 포함하는,
    보호 하우징.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 인터커넥션 포트는 각각, 래칭 도어, 플러그, 가스켓을 구비한 나사, 바이요넷, 슬라이딩 도어, 밀봉가능한 통공을 구비한 래칭 도어 로 구성된 다수의 밀봉 부재들 중 하나에 의해 밀봉될 수 있는,
    보호 하우징.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재는 하부 부재를 외부 액세서리와 연결하기 위해 하부 부재의 외면에 하나 이상의 외부 액세서리 물리적 인터커넥션들을 더 포함하는,
    보호 하우징.
  26. 제 1 항에 있어서,
    스피커 그릴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 그릴은 소리는 통과시키지만 물은 통과시키지 않는 멤브레인으로 덮여 있는,
    보호 하우징.
  2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된 카메라 렌즈를 더 포함하는,
    보호 하우징.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부재는 상부 부재의 내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치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치형은 상부 부재에 대해 전자 기기를 수용하고 위치 결정하도록 구성된,
    보호 하우징.
  2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작동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밀봉된 버튼을 더 포함하는,
    보호 하우징.
  3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대응하는 리니어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밀봉된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보호 하우징.
  3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치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치수를 가진 전자 기기 시뮬런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뮬런트는, 상부 부재가 하부 부재와 커플링될 때,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에 의해 수용되고 밀봉되어 있는 전자 기기를 모의 실험하는,
    보호 하우징.
  3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재는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의 반대 측에 있는 상기 전자 기기의 배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쌈으로써 상기 배면에 대한 터치 액세스를 허용하도록 구성된 하부 부재의 내부 에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플링 메커니즘은 상기 전자 기기의 배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인접한 영역으로 하부 부재의 내부 에지를 밀봉하도록 구성된,
    보호 하우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메커니즘은 상기 하부 부재의 내부 에지와 상기 전자 기기의 배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인접한 영역 사이에 제 3 시일을 포함하는,
    보호 하우징.
  3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 위에 고정식으로 배치되는 탈착가능한 멤브레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탈착가능한 멤브레인은, 상부 부재가 하부 부재와 커플링될 때, 상부 부재의 내부 에지에 대해 밀봉하기 위해 상기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인접한 영역 위로 연장하는,
    보호 하우징.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가능한 멤브레인은 상기 전자 기기 상의 버튼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탈착가능한 당해 멤브레인의 상면에 제공되는 요입부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 영역을 포함하는,
    보호 하우징.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가능한 멤브레인은 탈착가능한 당해 멤브레인의 표면에 제공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돌출부 영역은 상기 전자 기기 상의 버튼 위치와 대응하도록 배치된,
    보호 하우징.
  3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영역 위에 고정식으로 배치되는 탈착가능한 멤브레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탈착가능한 멤브레인은, 상부 부재가 하부 부재와 커플링될 때, 상부 부재 및/또는 하부 부재에 의해 둘러싸여 밀봉되는,
    보호 하우징.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가능한 멤브레인은 반투명한,
    보호 하우징.
  39.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가능한 멤브레인은 탈착가능한 당해 멤브레인의 표면에 인쇄된 하나 이상의 표식을 포함하는,
    보호 하우징.
  40. 보호 하우징의 하부 부재에,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기기의 적어도 제 1 부분을 수용하는 단계;
    상기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에 대한 터치 액세스를 허용하기 위해, 상기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는 내부 에지를 가진 보호 하우징의 상부 부재에 상기 전자 기기의 적어도 제 2 부분을 수용하는 단계; 및
    커플링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 부재와 상기 상부 부재를 커플링하여 상기 전자 기기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수용하고, 상기 하부 부재로 상기 상부 부재를 밀봉하며, 상기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인접한 영역과 상기 상부 부재의 내부 에지를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47000898A 2011-06-13 2012-06-13 태블릿 컴퓨터를 수납하기 위한 하우징 KR1018325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96503P 2011-06-13 2011-06-13
US61/496,503 2011-06-13
US201161497479P 2011-06-15 2011-06-15
US61/497,479 2011-06-15
PCT/US2012/042334 WO2012174175A2 (en) 2011-06-13 2012-06-13 Housing for encasing a tablet compu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927A true KR20140037927A (ko) 2014-03-27
KR101832548B1 KR101832548B1 (ko) 2018-02-26

Family

ID=47226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0898A KR101832548B1 (ko) 2011-06-13 2012-06-13 태블릿 컴퓨터를 수납하기 위한 하우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8) US9300344B2 (ko)
EP (1) EP2718781B2 (ko)
JP (2) JP5969602B2 (ko)
KR (1) KR101832548B1 (ko)
CN (3) CN105843331B (ko)
BR (1) BR112013031885A2 (ko)
CA (1) CA2838333C (ko)
MX (1) MX341037B (ko)
WO (1) WO2012174175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478Y1 (ko) * 2014-05-26 2015-06-11 김도훈 전자기기 도난 방지 장치
KR20180014219A (ko) * 2015-06-27 2018-02-07 인텔 코포레이션 디바이스들에 대한 서비스가능 섀시
US10205807B2 (en) 2015-11-13 2019-0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unibody hous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631444B1 (ko) * 2023-12-04 2024-01-30 센티오 주식회사 손상 및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289507S (en) * 1983-10-13 1987-04-28 Rolf Ahlbergs Mekaniska Verkstad Ab Wheeled walking frame
US9885739B2 (en) 2006-12-29 2018-02-06 Electro Industries/Gauge Tech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operating as a USB master device and a USB slave device
US7933122B2 (en) 2007-06-06 2011-04-26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enclosure for a computer
US8776358B2 (en) * 2007-08-06 2014-07-15 Apple Inc. Housing components for electronic devices
US8965458B2 (en) 2009-08-21 2015-02-24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ushion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US9165550B2 (en) 2009-11-19 2015-10-20 Otter Products, Llc Acoustic isolation mechanism with membrane
USD712289S1 (en) 2009-12-01 2014-09-02 Electro Industries/Gauge Tech Electronic meter
US9549598B2 (en) 2010-10-12 2017-01-24 Treefrog Developments, Inc. Housing for encasing an electronic device
EP2628064A2 (en) 2010-10-12 2013-08-21 Tree Frog Developments, Inc. Housing for encasing an object
EP2718781B2 (en) 2011-06-13 2019-10-23 TreeFrog Developments, Inc. Housing for encasing a tablet computer
USD736777S1 (en) 2012-06-13 2015-08-18 Treefrog Developments, Inc.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US9615476B2 (en) 2011-06-13 2017-04-04 Treefrog Developments, Inc. Housing for encasing a mobile device
TWM421679U (en) * 2011-07-01 2012-01-21 Pei-Lin Huang Sound guiding protection cover for tablet electronic device
US8929065B2 (en) * 2011-08-23 2015-01-06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Docking station with ruggedized case
KR101395358B1 (ko) * 2011-09-02 2014-05-14 주식회사 팬택 방수시트가 설치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
US20130063877A1 (en) * 2011-09-12 2013-03-14 Russell F. Still Protective Covering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8762704B2 (en) * 2011-09-29 2014-06-24 Apple Inc. Customized content for electronic devices
CN103140086A (zh) * 2011-12-02 2013-06-05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壳体及其制造方法
NZ716301A (en) 2011-12-22 2017-01-27 Treefrog Dev Inc Electronic device housing with battery
WO2013106474A1 (en) * 2012-01-10 2013-07-18 The Joy Factory, Inc. Protective casing providing impact absorption and water resistan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130193149A1 (en) * 2012-01-30 2013-08-01 Xciel, Inc. Explosion proof tablet enclosure
US9046906B1 (en) * 2012-02-10 2015-06-02 APlus Mobile Inc. Highly survivable and rugged computer assembly
US8712233B2 (en) * 2012-02-24 2014-04-29 Apple Inc. Electronic device assemblies
JP5930287B2 (ja) * 2012-02-27 2016-06-0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気接続箱
US8503170B1 (en) * 2012-03-01 2013-08-06 First International Computer, Inc. Waterproof and shockproof cover for a PAD computer
US8787009B2 (en) 2012-04-13 2014-07-22 Wimo Labs LLC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US9007758B2 (en) 2012-04-13 2015-04-14 Wimo Labs LLC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US20130295836A1 (en) * 2012-05-02 2013-11-07 Robert James Shannon, III Passive Airflow Vent for Electronic Device Cover
US9101188B2 (en) * 2012-05-08 2015-08-11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with integral stand
US8608502B2 (en) 2012-05-08 2013-12-17 Otter Products, Llc Connection mechanism
US9955603B2 (en) 2012-05-29 2018-04-24 Apple Inc. Components of a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for their assembly
WO2013181644A1 (en) 2012-06-01 2013-12-05 Treefrog Developments, Inc. Housing for an electronic device with camera, microphone and flash isolation
US8867198B2 (en) * 2012-06-04 2014-10-21 William Steele Protective case for a tablet computer
US9894781B2 (en) 2012-06-06 2018-02-13 Apple Inc. Notched display layers
US8616748B1 (en) * 2012-06-08 2013-12-31 Apple Inc. Portable computing device
US9241551B2 (en) 2012-06-13 2016-01-26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with compartment
TWM444021U (en) * 2012-07-04 2012-12-21 Wistron Corp Electronic device and locking mechanism thereof
TW201405279A (zh) * 2012-07-20 2014-02-01 Ta Er Innovation Co Ltd 具有電源、解制雙工按鍵的行動通訊裝置保護夾制框
CA2880430A1 (en) 2012-07-30 2014-02-06 Treefrog Developments, Inc. Weatherproof loudspeaker and speaker assembly
US8675359B2 (en) * 2012-08-01 2014-03-18 Tsan-Nien Chen Protective cover structure
USD681632S1 (en) * 2012-08-11 2013-05-07 Apple Inc. Electronic device
US9427071B2 (en) * 2012-08-14 2016-08-30 Treefrog Developments, Inc. Strap system for electronic device
US9084041B2 (en) * 2012-08-15 2015-07-14 Rideman Technology Ltd. Water resistant holder with a speaker for electronic product
US9125297B2 (en) 2012-08-16 2015-09-01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enclosure for an electronic device
US8716598B2 (en) 2012-08-23 2014-05-06 Octo Products LLC Case for housing and protecting an electronic device
US20140066144A1 (en) * 2012-09-05 2014-03-06 Uncommon Llc Waterproof Phone Case
US20140063180A1 (en) * 2012-09-06 2014-03-06 Bby Solutions, Inc. Connected food scale system and method
US9157787B2 (en) 2012-09-25 2015-10-13 Bby Solutions, Inc. Body weight scale with visual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140092536A1 (en) * 2012-09-25 2014-04-03 Speculative Product Design, Llc Case utilizing reinforced film for in-mold labeling
US9867438B2 (en) * 2012-09-26 2018-01-16 Xciel, Inc. Explosion proof assembly
US9146588B2 (en) * 2012-09-30 2015-09-29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components of an electronic device
US9241096B2 (en) * 2012-10-15 2016-01-19 Gopro, Inc. Housing with touch-through membrane
US20140104771A1 (en) * 2012-10-17 2014-04-17 Matthew A. COLAN Universal Keyless Entry System
USD741335S1 (en) * 2012-11-09 2015-10-20 Attainment Company Electronic tablet case
US8964364B2 (en) * 2012-11-23 2015-02-24 Blackberry Limited Carrying case for controlling a mobile device
CN103857235A (zh) * 2012-12-07 2014-06-11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防水的电子装置
KR101919795B1 (ko) * 2012-12-11 201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프레임
AU2013202582B2 (en) * 2012-12-19 2015-01-22 Camel IP Pty Ltd A Phone Holder
CN103876427A (zh) * 2012-12-21 2014-06-25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防水保护套
CN103906382B (zh) * 2012-12-27 2017-12-19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的保护壳
US9084383B2 (en) * 2013-01-04 2015-07-14 Dell Products L.P. Variable stiffness chassis for ultrathin devices
US9048665B2 (en) 2013-01-04 2015-06-02 Otter Products, Llc Electronic device case
US8910863B2 (en) 2013-01-05 2014-12-16 Otter Products, Llc Electronic device case for mobile point of sale
WO2014107702A1 (en) * 2013-01-07 2014-07-10 Nflukz, Llc Cover or device with a sound concentrator
US9671838B2 (en) * 2013-01-10 2017-06-06 Dell Products L.P. Composite chassis for lowering surface temperature
MX342133B (es) * 2013-02-01 2016-09-14 Treefrog Dev Inc Cubierta para un dispositivo electronico que tiene un escaner biometrico.
US20150201723A1 (en) 2013-02-01 2015-07-23 Treefrog Developments, Inc. Encasements fo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biometric scanner
TW201433016A (zh) 2013-02-06 2014-08-16 Hui-Hu Liang 防水密封式電子產品保護裝置
US20140228075A1 (en) * 2013-02-13 2014-08-14 Robert Baschnagel Functional Support System For Cellular Phone Or Related Devices
KR102042727B1 (ko) * 2013-03-14 2019-11-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수 이어 잭 및 이의 제조방법
US9264089B2 (en) 2013-03-15 2016-02-16 A.G. Findings & Mfg. Co. Waterproof mobile device case
US20140262847A1 (en) * 2013-03-15 2014-09-18 The Joy Factory, Inc. Case structure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9416915B2 (en) * 2013-03-15 2016-08-16 Lilitab LLC Configurable mounting system
JP6101940B2 (ja) * 2013-03-22 2017-03-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組み立て方法
AU2014268838B2 (en) 2013-05-18 2017-08-17 Otter Products, Llc Waterproof protective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US9456673B2 (en) 2013-05-23 2016-10-04 David Chang Fluid sealable protective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N104185391A (zh) * 2013-05-24 2014-12-0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
WO2014197870A1 (en) * 2013-06-06 2014-12-11 Otter Products, Llc Acoustic isolation mechanism with membrane
US8958857B1 (en) 2013-07-31 2015-02-17 Fellowes, Inc.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9274568B2 (en) * 2013-08-08 2016-03-01 Blackberry Limited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US9600028B2 (en) 2013-08-19 2017-03-21 Mildef, Inc. Enclosures for protecting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enclosures for protecting devices
USD773465S1 (en) 2013-08-22 2016-12-06 Palmer Distributors, Incorporated Docking station for an electronic device
US9300078B2 (en) 2013-08-23 2016-03-29 Otter Products, Llc Waterproof housing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waterproof adapter for accessory device
US9223346B2 (en) 2013-08-27 2015-12-29 Wimo Labs LLC Mobile device case
US9614569B2 (en) 2013-08-30 2017-04-04 Wimo Labs LLC Waterproof casing with exposed display surface
US9537526B2 (en) 2013-08-30 2017-01-03 Wimo Labs LLC Door securement mechanism for waterproof encasement
US9462099B2 (en) 2013-08-30 2016-10-04 Wimo Labs LLC Mobile device case
WO2015038101A1 (en) 2013-09-10 2015-03-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Orient a user interface to a side
US9990000B2 (en) * 2013-09-10 2018-06-05 Suunto Oy Electronic display suitable for submersion
US9161597B2 (en) * 2013-09-12 2015-10-20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with internal suspension system
US9310020B1 (en) 2013-09-17 2016-04-12 Douglas B. Bernards Mobile device mounting system and method
WO2015041725A1 (en) * 2013-09-17 2015-03-26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with compartment
US9726919B2 (en) 2013-09-17 2017-08-08 Black Diamond Video, Inc. Water resistant operating room display
USD785636S1 (en) * 2013-09-26 2017-05-02 Hand Held Products, Inc. Electronic device case
USD748092S1 (en) * 2013-09-27 2016-01-26 Fujitsu Limited Personal computer
CA155520S (en) * 2013-09-27 2014-10-01 Fujitsu Ltd Personal computer
JP6577693B2 (ja) * 2013-10-09 2019-09-18 パナソニック デバイスSunx竜野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2194305B1 (ko) * 2013-10-09 2020-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곡형 디스플레이 모듈을 갖는 전자 장치
US9241053B2 (en) * 2013-10-25 2016-01-19 M-Edge International Corp. Molded shock resistant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US9122941B2 (en) * 2013-10-30 2015-09-01 The Code Corporation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computing device
US9618968B2 (en) * 2013-10-31 2017-04-11 Sony Corporation Mobile computing device with a combined housing and connector port
US9753494B2 (en) * 2013-11-26 2017-09-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ctronic device accessory with at least one port
ITBA20130081A1 (it) * 2013-12-16 2015-06-17 Michela Lara Ferrucci Porta accessori elettronico per parrucchieri, centri estetici ed attivita' commerciali corredato di schermo con tablet multimediale wifi.
US9256252B2 (en) * 2013-12-17 2016-02-09 Getac Technology Corporation Mobile device protecting structure
US20150185767A1 (en) * 2013-12-27 2015-07-02 Arvind S. Electronic devices with integrated lenses
EP3092541B1 (en) 2014-01-07 2019-07-31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enclosure for an electronic device
US9664540B2 (en) * 2014-01-07 2017-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including optical sensor
US9241051B1 (en) * 2014-01-20 2016-01-19 Christian A. Peterson, III Cell phone case for selectively blocking sound and video input
US9361945B2 (en) * 2014-01-21 2016-06-07 Sanmina Corporation Retaining clip for use with a mass storage device
US20150208616A1 (en) * 2014-01-27 2015-07-30 Lura B. Peck Animal leash apparatus
US9654608B2 (en) * 2014-01-27 2017-05-16 Lenovo (Singapore) Pte. Ltd. Information handling device with built-in stand
EP3100246A2 (en) * 2014-01-27 2016-12-07 Nortek Security & Control LLC Building security and automation system
USD746812S1 (en) * 2014-02-03 2016-01-05 Lg Electronics Inc. Tablet computer
KR102198792B1 (ko) * 2014-03-07 2021-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수 전자 장치
JP6163443B2 (ja) * 2014-03-10 2017-07-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可搬型放射線撮影装置及び筐体
WO2015142996A1 (en) 2014-03-20 2015-09-24 Otter Products, Llc Powered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402016B1 (en) 2014-04-09 2016-07-26 Miguel Alejandro Hidalgo Electronic device mount
AU2015243141B2 (en) * 2014-04-11 2019-05-16 Catalyst Lifestyle Limited Waterproof case
US9698632B2 (en) 2014-05-09 2017-07-04 Otter Products, Llc Wireless battery charger and charge-receiving device
US9629431B2 (en) * 2014-05-19 2017-04-25 Apple Inc. Composite fiber reinforcement for stiffening shells
US9668555B2 (en) * 2014-05-22 2017-06-06 Griffin Technology, Llc Water resistant protective device case
US10228721B2 (en) 2014-05-26 2019-03-12 Apple Inc. Portable computing system
US10133314B2 (en) 2014-05-26 2018-11-20 Apple Inc. Portable computing system
JP6314709B2 (ja) * 2014-07-10 2018-04-25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WO2016007177A1 (en) * 2014-07-11 2016-01-14 Apple Inc. Retention system for dynamic loading
USD753651S1 (en) * 2014-07-25 2016-04-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ablet computer
CN106662892A (zh) * 2014-07-28 2017-05-10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用于装置的保护套
US9318089B2 (en) 2014-07-29 2016-04-19 Fasst Products, Llc Sound amplifying cases for electronic devices
DE102014215047A1 (de) * 2014-07-31 2016-02-0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Gehäuse mit einer Öffnung und einer Abdeckeinrichtung
US9609093B2 (en) * 2014-08-11 2017-03-28 Chih-Juh Wong Protective shell for electronic equipment
USD758363S1 (en) * 2014-08-11 2016-06-07 Apple Inc. Display for electronic device
US9521497B2 (en) * 2014-08-21 2016-12-13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qualizing audio for playback on an electronic device
US9573165B2 (en) * 2014-08-22 2017-02-21 Apple Inc. Hydrophobic mesh cover
CN106662894A (zh) * 2014-08-29 2017-05-10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具有支架的保护套
US20160072209A1 (en) * 2014-09-05 2016-03-10 Hzo, Inc. Waterproof sockets and ports
FR3025967B1 (fr) * 2014-09-12 2018-03-23 Thomson Licensing Procede d'obtention d'une face d'habillage d'un equipement electronique, habillage, equipement et dispositif correspondants
US10327357B2 (en) * 2014-09-18 2019-06-18 Artesyn Embedded Computing, Inc. Thermal conduction to a cylindrical shaft
JP6259382B2 (ja) * 2014-09-22 2018-01-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子カセッテ
CN105511210B (zh) * 2014-09-22 2017-10-24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投影机
US9529389B1 (en) * 2014-09-25 2016-12-27 Amazon Technologies, Inc. Variable plated device enclosure
US9304550B1 (en) * 2014-09-29 2016-04-05 Apple Inc. Adhesive bond with integrated release mechanism
CN207586791U (zh) 2014-09-30 2018-07-06 苹果公司 便携式计算系统
US9575514B2 (en) * 2015-01-09 2017-02-21 Apple Inc. Enclosure features of a portable computing device
KR20160046612A (ko) * 2014-10-21 2016-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내부에 전기 부품을 수납하는 케이스 및 이를 채용한 전자 기기
US11262816B2 (en) 2014-11-11 2022-03-01 Darren Saravis Temperature regulating mount with magnetic power mount
US9836101B1 (en) * 2014-11-11 2017-12-05 Darren Saravis Cooling mount
US11836020B2 (en) * 2014-11-11 2023-12-05 Darren Saravis Temperature regulating mount
US10877529B2 (en) * 2014-11-11 2020-12-29 Darren Saravis Temperature regulating mount
JPWO2016079871A1 (ja) * 2014-11-21 2017-04-27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子機器
US9639115B2 (en) * 2014-11-21 2017-05-02 Dell Products L.P. Method and system for internal shock isolation
EP3032929B1 (en) * 2014-12-10 2018-08-22 Continental Automotive GmbH Housing for electronic control unit
US9490860B2 (en) * 2014-12-17 2016-11-08 Asia Vital Components Co., Ltd. Protective device capable of dissipating heat
US9374922B1 (en) * 2014-12-31 2016-06-21 Avalue Technology Inc. Waterproof structure for use in display device
US9955570B2 (en) 2015-01-09 2018-04-24 Apple Inc. Features of a flexible connector in a portable computing device
US9538334B2 (en) * 2015-01-15 2017-01-03 GEOTAB Incorporated Telematics furtherance visualization system
US10162390B2 (en) 2015-01-16 2018-12-25 Apple Inc. Hybrid acoustic EMI foam for use in a personal computer
US9986806B1 (en) * 2015-01-30 2018-06-05 Otter Products, Llc Enclosures with dispensed seals
US10117487B2 (en) * 2015-01-30 2018-11-06 Otter Products, Llc Encasement with dispensed seal
US9425849B1 (en) 2015-02-11 2016-08-23 IDS Global, Inc. Explosion-proof case for a tablet computer
US9519314B2 (en) 2015-02-11 2016-12-13 IDS Global, Inc. Intrinsically safe case for a tablet computer
KR102303664B1 (ko) * 2015-02-27 2021-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외장 커버
US9654605B2 (en) 2015-03-04 2017-05-16 Otter Products, Llc Accessory for use with electronic device and cover
US9585262B2 (en) * 2015-03-20 2017-02-28 Echostar Technologies L.L.C. Mounting clip for set top box enclosures
US9986805B2 (en) 2015-03-30 2018-06-05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enclosure for an electronic device
US9814289B2 (en) 2015-04-08 2017-11-14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folio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CN104834399B (zh) * 2015-04-15 2018-06-22 业成光电(深圳)有限公司 触控显示模组
US9965000B2 (en) * 2015-04-20 2018-05-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tegrated protective mesh
TWM508946U (zh) * 2015-05-13 2015-09-21 Li-Yi Liu 行動裝置保護套
US9785204B1 (en) * 2015-05-15 2017-10-10 Mobiledemand Lc Ruggedized mobile device with integrated wireless charging and snap mount
US9577697B2 (en) 2015-05-27 2017-02-21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with stylus access feature
US10164468B2 (en) 2015-06-16 2018-12-25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over with wireless charging feature
US10031552B2 (en) * 2015-06-23 2018-07-24 Dell Products L.P. Display cover panel with insert molding
US10185361B2 (en) 2015-06-23 2019-01-22 Dell Products L.P. Display cover panel with insert molding
US9807211B2 (en) 2015-07-19 2017-10-31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modular case for electronic device
US10058155B2 (en) 2015-07-19 2018-08-28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system
US9545140B1 (en) * 2015-07-19 2017-01-17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enclosure for an electronic device
JP2017034023A (ja) * 2015-07-30 2017-02-09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US9737123B2 (en) * 2015-08-04 2017-08-22 Catalyst Lifestyle Limited Waterproof case for electronic device
KR200486692Y1 (ko) * 2015-08-18 2018-07-19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이중 레이어를 구비한 전자 기기용 케이스
US9882596B2 (en) 2015-08-19 2018-01-30 Pelican Products, Inc. Protective case for mobil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US9436239B1 (en) * 2015-08-24 2016-09-06 BobjGear, LLC Cooling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GB201516716D0 (en) 2015-09-21 2015-11-04 Futurenova Ltd An Electronics Display Housing
GB201516718D0 (en) * 2015-09-21 2015-11-04 Futurenova Ltd An electronics display housing
US9729740B2 (en) * 2015-09-21 2017-08-08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display device
KR102568772B1 (ko) * 2015-09-25 2023-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체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US9872408B2 (en) 2015-10-02 2018-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aterproof structure
KR102514770B1 (ko) * 2015-10-02 2023-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800965B2 (en) * 2015-10-19 2017-10-24 Motorola Solutions, Inc. Multi-microphone porting and venting structure for a communication device
ES2827925T3 (es) * 2015-11-20 2021-05-25 Max Co Ltd Herramienta
JP6587918B2 (ja) * 2015-11-27 2019-10-09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電子機器の制御装置、制御プログラム及び電子機器システム
CN105611772B (zh) * 2015-12-24 2018-07-24 天津大学 水下电磁耦合器密封装置
US20170222678A1 (en) * 2016-01-29 2017-08-03 Geelux Holdings, Ltd. Biologically compatibl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10082835B2 (en) 2016-02-01 2018-09-25 Hank Technology Llc Electronic device housings including deformation channels
US9729187B1 (en) 2016-02-01 2017-08-08 Otter Products, Llc Case with electrical multiplexing
US9960521B2 (en) 2016-02-24 2018-05-01 Otter Products, Llc Connector for fluidly sealing an aperture of a protective case
US10132410B2 (en) * 2016-03-22 2018-11-20 Tower Mfg Corp Sealing assembly for mating an electrical device enclosure
US10432013B2 (en) 2016-04-06 2019-10-01 Otter Products, Llc Windshield solar mount assembly
US10536181B2 (en) * 2016-06-16 2020-01-14 Hit Technologies Inc. Providing a seal for a protective mobile device case
US10348353B2 (en) * 2016-06-22 2019-07-09 Steve Weaver Electronic device protection system
WO2018025097A1 (en) * 2016-07-01 2018-02-08 Siddhant Narendra Chothe Physical keyboard assembly for a touch device
GB2552209A (en) * 2016-07-14 2018-01-17 Tech 21 Licensing Ltd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0372166B2 (en) * 2016-07-15 2019-08-06 Apple Inc. Coupling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 housings
JP1570964S (ko) * 2016-08-26 2017-03-06
US10485312B2 (en) 2016-08-30 2019-11-26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system with stand
US10021800B1 (en) * 2016-09-06 2018-07-10 Apple Inc. Venting features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0178902B2 (en) 2016-09-07 2019-01-15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enclosure for encasing an electronic device
USD837193S1 (en) 2016-09-15 2019-01-01 Scott Wilson Design, Ltd. Protective casing with integral bumper for an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JP6512488B2 (ja) * 2016-09-16 2019-05-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携帯機器
US10595107B2 (en) 2016-09-20 2020-03-17 Apple Inc. Speaker module architecture
US9831905B1 (en) 2016-10-12 2017-11-28 Pelican Products, Inc. Control feature of a protective case for engaging a switch of an electronic device
US20180109713A1 (en) * 2016-10-15 2018-04-19 SMPL Inc. System and method for evenly-scattered adaptable subject lighting for mobile device photography
USD844579S1 (en) * 2016-10-18 2019-04-02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apparatus
USD852767S1 (en) * 2016-10-18 2019-07-02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apparatus
USD852153S1 (en) * 2016-10-18 2019-06-25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apparatus
JP6578475B2 (ja) * 2016-10-18 2019-09-25 富士通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ティング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固定具
USD836592S1 (en) * 2016-11-01 2018-12-25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KR20180081857A (ko) * 2017-01-08 2018-07-18 신승민 물에 뜨는 휴대폰 케이스
US10420406B2 (en) 2017-02-16 2019-09-24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over for electronic device
US10404042B2 (en) * 2017-03-03 2019-09-03 Klas Technologies Limited Modular power distribution travel system
US10314376B2 (en) * 2017-03-10 2019-06-11 Tadashi Igarashi Mobile electronic device case
US10634252B2 (en) * 2017-03-15 2020-04-28 Tower Manufacturing Company Dual gasket retainers for mating electrical device enclosures
US10539236B2 (en) * 2017-03-15 2020-01-21 Tower Manufacturing Corporation Gasket retainer for mating an electrical device enclosure
CN106858976A (zh) * 2017-03-17 2017-06-20 马鞍山景翔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平板电脑保护套
US10694630B2 (en) * 2017-05-10 2020-06-23 Tech 21 Licensing Limited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a screen
WO2018222720A1 (en) * 2017-05-30 2018-12-06 Darren Saravis Temperature regulating mount
GB2563255B (en) * 2017-06-07 2022-12-28 Kenwood Ltd Kitchen appliance and system therefor
DE102017209861B3 (de) * 2017-06-12 2018-12-13 Ecom Instruments Gmbh Geräte-Anordnung zur Aufnahme eines elektrisch betriebenen Geräts
US10718129B2 (en) * 2017-07-03 2020-07-21 Hall Labs Llc Housing for digital assistant
CN107370921A (zh) * 2017-07-12 2017-11-21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一种摄像头
KR102349710B1 (ko) 2017-07-26 2022-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피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049445B2 (en) * 2017-08-02 2021-06-29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narrow display borders
US10996713B2 (en) 2017-08-07 2021-05-0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GB2565765B (en) * 2017-08-14 2019-09-11 Lidan Ltd Decorative tablet computer cover
TWI667888B (zh) * 2017-08-23 2019-08-01 愛進化科技股份有限公司 Protective shell set connection unit
KR102364455B1 (ko) * 2017-08-25 2022-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부품 및 이어폰 잭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355735B2 (en) 2017-09-11 2019-07-16 Otter Products, Llc Camera and flash lens for protective case
USD834573S1 (en) * 2017-09-21 2018-11-27 Facebook, Inc. Display device
KR101880465B1 (ko) * 2017-09-22 2018-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0348354B1 (en) 2018-06-07 2019-07-09 Xciel, Inc. Explosion proof assembly
US10097677B1 (en) * 2017-10-30 2018-10-09 Xciel, Inc. Explosion proof assembly
JP6806659B2 (ja) * 2017-10-31 2021-01-06 ファナック株式会社 表示器
KR102392246B1 (ko) * 2017-11-13 2022-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수 구조를 가지는 전자 장치
CN107931730A (zh) * 2017-11-20 2018-04-2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壳体的加工方法、壳体和移动终端
KR102407746B1 (ko) * 2017-12-01 2022-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JP6826973B2 (ja) * 2017-12-22 2021-02-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検出装置
US10628637B2 (en) * 2018-01-16 2020-04-21 Bank Of America Corporation Enclosure for card reader equipped device
US11314280B2 (en) * 2018-01-22 2022-04-26 Pioneer Square Brands,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ssembly
US10623043B2 (en) 2018-01-23 2020-04-14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for electronic device
US20190230203A1 (en) * 2018-01-25 2019-07-2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 Corp., Ltd. Frame assembly, housing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D848436S1 (en) 2018-02-07 2019-05-14 Bank Of America Corporation Enclosure for electronic device
CN108401051B (zh) * 2018-02-26 2020-05-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组件和电子设备
US10362847B1 (en) 2018-03-09 2019-07-30 Otter Products, Llc Lens for protective case
US20190283369A1 (en) * 2018-03-14 2019-09-19 B/E Aerospace, Inc. Monitor glass perimeter cover
US10694835B2 (en) 2018-03-15 2020-06-30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for use with device grip
US10750844B2 (en) 2018-03-15 2020-08-25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for use with device grip
US10827809B2 (en) 2018-04-05 2020-11-10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for electronic device
TWI658653B (zh) * 2018-04-13 2019-05-01 義守大學 Resource integration expansion device for mobile device
CN108304097B (zh) * 2018-04-13 2021-04-23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曲面触控模组结构及其贴合方法
JP7132741B2 (ja) * 2018-04-25 2022-09-07 フォルシアクラリオン・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装置の筐体
TWI651034B (zh) * 2018-06-01 2019-02-1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一種防水結構
US10638815B2 (en) * 2018-06-25 2020-05-05 Taiwan Oasis Technology Co., Ltd. Buckle joint structure
US10708403B2 (en) * 2018-07-23 2020-07-07 Case-Mate, Inc. Electronic device case with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back panel
KR102040318B1 (ko) * 2018-08-08 2019-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하우징 구조물
US10958103B2 (en) 2018-08-14 2021-03-23 Otter Products, Llc Stackable battery pack system with wireless charging
USD918921S1 (en) 2018-08-21 2021-05-11 Samsonite Ip Holdings S.Àr.L. Holder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10728372B2 (en) * 2018-08-21 2020-07-28 Samsonite Ip Holdings S.Àr.L. Holder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11392171B2 (en) 2018-08-21 2022-07-19 Speculative Product Design, Llc Holder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USD933073S1 (en) 2018-08-21 2021-10-12 Speculative Product Design, Llc Holder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10405445B1 (en) * 2018-08-31 2019-09-03 Navico Holding As Media door assembly for a marine electronics device
CN109362020B (zh) * 2018-09-30 2020-09-22 浙江中科电声研发中心 一种扬声器盆架动刚度的数值仿真分析方法
US10905018B2 (en) * 2018-11-08 2021-01-26 Wirepath Home Systems, Llc Television enclosur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20200058634A (ko) * 2018-11-19 2020-05-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208969557U (zh) * 2018-12-18 2019-06-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组件
US11068030B2 (en) 2018-12-19 2021-07-20 Otter Products, Llc Stand for use with electronic device
US11348362B2 (en) 2019-01-18 2022-05-31 Otter Products, Llc Screen protector system for use with a display screen
US11460884B2 (en) * 2019-01-24 2022-10-04 Byrdbyte Creations Inc. Case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US20200245487A1 (en) * 2019-01-29 2020-07-30 Apple Inc. Core shell with various filler materials for enhanced thermal conductivity
CN111519416B (zh) 2019-02-01 2023-05-30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N111519411B (zh) 2019-02-01 2022-09-27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KR20200096040A (ko) * 2019-02-01 2020-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11519412B (zh) 2019-02-01 2023-01-03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N111519406A (zh) 2019-02-01 2020-08-11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KR102333379B1 (ko) 2019-02-01 2021-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11519407B (zh) 2019-02-01 2022-10-21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DE102020100945B4 (de) 2019-02-01 2022-12-08 Lg Electronics Inc. Wäschebehandlungsvorrichtung
CN111519410B (zh) 2019-02-01 2022-09-27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N111519409B (zh) 2019-02-01 2022-09-09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US10372169B1 (en) * 2019-02-25 2019-08-06 Pioneer Square Brands, Inc.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computing device with stand
TWI697267B (zh) * 2019-03-19 2020-06-21 愛進化科技股份有限公司 複合式按鍵及具有複合式按鍵的保護殻
CN110053247B (zh) * 2019-03-29 2021-05-25 深圳市魔膜贴科技有限公司 自助式智能移动设备贴膜机
USD906958S1 (en) 2019-05-13 2021-01-05 Otter Products, Llc Battery charger
US11470934B2 (en) * 2019-05-15 2022-10-18 Targus International Llc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with thermal vents
WO2020246987A1 (en) * 2019-06-07 2020-12-10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Sealing corner bracket for receiving two frame members and cabinet including corner bracket
CN110312022B (zh) 2019-06-26 2020-10-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USD897329S1 (en) 2019-07-02 2020-09-29 Otter Products, Llc Case for a smartphone
US11402061B2 (en) * 2019-07-24 2022-08-02 Cell Gell Mounts, LLC Mounting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s and objects
US20210063608A1 (en) * 2019-09-04 2021-03-04 Panasonic Avionics Corporation Unibody optical grade plastic monitor for in-flight entertainment system
US11294430B1 (en) 2019-09-13 2022-04-05 Facebook Technologies, Llc Media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power-delivery mechanism with integrated stand
US11212930B2 (en) * 2019-09-13 2021-12-28 Facebook Technologies, Llc Media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power-delivery mechanism with integrated stand
USD939988S1 (en) 2019-09-26 2022-01-04 Electro Industries/Gauge Tech Electronic power meter
US10700483B1 (en) * 2020-01-13 2020-06-30 Pioneer Square Brands, Inc.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computing device and for electrical power coupler
US10770853B1 (en) * 2020-01-13 2020-09-08 Pioneer Square Brands, Inc. Electrical power coupler for portable electronic computing device and for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computing device
CN111258379B (zh) * 2020-01-17 2021-06-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组件及保护壳
CN111315173B (zh) * 2020-02-24 2022-05-17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盖板、显示面板及显示终端
US11745670B2 (en) 2020-05-06 2023-09-05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system for use with electronic device
CN111787147A (zh) * 2020-06-05 2020-10-16 深圳市中创卓越科技有限公司 保护壳
DE202020103384U1 (de) * 2020-06-12 2020-07-07 Siemens Healthcare Gmbh Dockingstation zur Aufnahme einer Tabletcomputereinheit
USD943590S1 (en) 2020-06-26 2022-02-15 Speculative Product Design, Llc Electronic case with handle
US11633025B2 (en) 2020-06-26 2023-04-25 Otter Products, Llc Carrying case with stand
WO2022031675A1 (en) 2020-08-03 2022-02-10 Blate Alex Improved electrical connector devices
JP7449199B2 (ja) 2020-08-24 2024-03-13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表示装置
US11640185B2 (en) 2020-09-14 2023-05-02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Mobile device and assembly process
US11689239B2 (en) 2020-11-23 2023-06-27 Speculative Product Design, Llc Outer case for a foldable mobile device
US11550277B2 (en) * 2020-12-30 2023-01-10 Morphix, Inc. Ruggedized edge computing assembly
CN114871974B (zh) * 2021-02-05 2024-05-2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固定装置及显示面板组装方法
US11963315B2 (en) * 2021-03-19 2024-04-16 Deere & Company Housing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1150701B1 (en) * 2021-04-05 2021-10-19 Ibenzer Inc. Case for a computing device
US11071215B1 (en) * 2021-04-15 2021-07-20 Pioneer Square Brands, Inc.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computing device
US11880245B2 (en) * 2021-09-08 2024-01-23 Dell Products L.P. Recyclable liquid crystal polymer and polyethylene fabric for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cover
CN116437592A (zh) * 2022-01-04 2023-07-14 郑州万马云电子科技有限公司 壳体组件及电子装置
TWI801214B (zh) * 2022-04-22 2023-05-0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防水電子裝置
KR102573719B1 (ko) * 2023-02-08 2023-09-01 주식회사 디앤시스 디스플레이장치 결합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0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92787A (en) 1944-07-27 1946-01-08 Hamilton Watch Co Water resistant watchcase
US2851670A (en) 1955-06-02 1958-09-09 Empire Prod Inc Cable connector
US2967222A (en) * 1959-03-25 1961-01-03 Arrow Hart & Hegeman Electric Switch mechanism for alternately energizing branch circuits
US3023885A (en) 1960-03-07 1962-03-06 Bemis Bro Bag Co Package for delicate articles
US3143384A (en) 1962-09-24 1964-08-04 Empire Prod Inc Cable connector assembly
US3482895A (en) 1968-01-26 1969-12-09 Crate Rite Inc Protective case for electronic instruments
US3665991A (en) 1970-07-24 1972-05-30 George W Gillemot Protective enclosure for test instrument
US3689866A (en) 1970-09-11 1972-09-05 William Kelly Heavy duty cable connector
US3922477A (en) 1971-08-30 1975-11-25 Viking Industries Through-wall conductor seal
CH560426A5 (ko) * 1971-09-06 1975-03-27 Olivetti & Co Spa
US3832725A (en) 1973-07-09 1974-08-27 Polaroid Corp Underwater housing for enclosing photographic apparatus
US4012608A (en) * 1974-08-20 1977-03-15 Amp Incorporated Miniature switch with substantial wiping action
CH612516A5 (ko) 1976-02-06 1979-07-31 Alfons Cramer
GB2058374B (en) 1978-10-27 1982-12-08 Nippon Kogaku Kk Water-proof camera
JPS5567735A (en) 1978-11-14 1980-05-22 Minolta Camera Co Ltd Waterproof outside box of camera
US4312580A (en) 1978-12-21 1982-01-26 Eumig Elektrizitats- Und Metallwaren-Industrie Gesellschaft M.B.H. Watertight housing
US4686332A (en) 1986-06-26 1987-08-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bined finger touch and stylus detection system for use on the viewing surface of a visual display device
US4298204A (en) 1980-01-21 1981-11-03 Black & Decker Inc. Seal
US4362910A (en) * 1980-12-31 1982-12-07 Ark-Les Corporation Electrical switch
US4418830A (en) 1981-08-27 1983-12-06 Motorola, Inc. Moisture and dust seal arrangement for a portable radio or the like
US4420078A (en) 1981-10-30 1983-12-13 Norland Corporation Carrying case for a cardiac pacer
CA1217560A (en) 1983-02-08 1987-02-03 Susumu Iwasawa Cassette tape players
US4584718A (en) 1983-03-31 1986-04-22 Product Masters, Inc. Waterproof enclosure for portable radio or tape player
US4546874A (en) 1984-02-27 1985-10-15 Kirchhan James J Container and sealing enclosure
US4658956A (en) 1984-05-30 1987-04-21 El Planning System Ltd. Portable case for a small size audio-visual sensory apparatus
US4803504A (en) 1984-09-03 1989-02-07 Canon Kabushiki Kaisha Waterproof camera
US4733776A (en) 1985-07-08 1988-03-29 Keith Ward Protective device for remote control unit
US4712657A (en) 1986-02-12 1987-12-15 Andiamo Inc. Method and means for sealing a carrying case
US4703161A (en) 1986-09-30 1987-10-27 Mclean Roger D Ruggedized calculator
JPH0637557Y2 (ja) * 1987-01-19 1994-09-2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ツチ装置
IT1208461B (it) 1987-01-30 1989-06-22 Granarolo Dell Emilia Bo Melic Custodia protettiva antiurto per telecomandi in particolare di televisori
GB8717455D0 (en) 1987-07-23 1987-08-26 Johnson J D Waterproof camera housing
US5239323A (en) 1987-07-23 1993-08-24 Johnson John D Waterproof camera housing
US4942514A (en) 1987-11-17 1990-07-17 Hitachi, Ltd. Process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process monitoring and control
US4762227A (en) 1987-11-19 1988-08-09 Patterson Robert C Resilient housing for remote controllers
US4963902A (en) 1988-01-19 1990-10-16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system
USD316932S (en) 1988-01-19 1991-05-21 Escher Jr William F Floatable eyeglass case, or similar article
US5132588A (en) 1989-02-13 1992-07-21 Warman William J Viewing screen protective shield
US4977483A (en) 1989-05-25 1990-12-11 Perretta Louis A Electronic component storage album
US5518802A (en) 1989-05-31 1996-05-21 Colvin; David P. Cushioning structure
US5002184A (en) 1989-06-12 1991-03-26 Grid Systems Corporation Soft case protection for a hand held computer
USD322165S (en) 1989-06-12 1991-12-10 Grid Systems Corporation Soft case for a hand held computer
JP2864384B2 (ja) 1989-07-10 1999-03-03 株式会社ニコン カメラとその交換レンズのマウント機構
DE68928987T2 (de) 1989-10-02 1999-11-1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Datenverarbeitungssystem mit einer Berührungsanzeige und einem Digitalisiertablett, beide integriert in einer Eingabevorrichtung
US5107082A (en) * 1990-01-10 1992-04-21 Judco Manufacturing, Inc. Dual lighted rocker switch embodying a printed circuit board
US5045648A (en) * 1990-03-23 1991-09-03 Eaton Corporation Locking rocker switch
JP2811921B2 (ja) 1990-06-20 1998-10-15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の防水ケースにおけるカメラ取付構造
JP2555684Y2 (ja) 1990-08-04 1997-11-26 株式会社ニコン 防水カメラのレンズマウント装置
US5025921A (en) 1990-08-17 1991-06-25 Motorola, Inc. Environmental radio guard
US5294988A (en) 1990-09-21 1994-03-15 Hitachi, Ltd. Electronic apparatus with a watertight housing
JP2545885Y2 (ja) 1990-11-19 1997-08-27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カメラの防水装置
US5175873A (en) 1990-12-24 1992-12-29 Motorola, Inc. Water resistant selective call receiver
JP2811234B2 (ja) 1991-01-14 1998-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の防水ケース
US5092459A (en) 1991-01-30 1992-03-03 Daniel Uljanic Cover for remote control unit
US5239324A (en) 1991-02-04 1993-08-24 Fuji Photo Film Co., Ltd. Underwater housing and an underwater taking camera
WO1992022918A1 (en) 1991-06-14 1992-12-23 Daniels S.P.A. A protection case for remote controls
US5505328A (en) 1991-07-22 1996-04-09 Woods & Brooks Ltd. Modular container apparatus
JPH05188457A (ja) 1992-01-09 1993-07-30 Fuji Photo Film Co Ltd 防水ケース
JPH0561069U (ja) 1992-01-23 1993-08-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小型電子機器の収納パッケージ
US5219067A (en) 1992-02-04 1993-06-15 Trimble Navigation Limited Keyboard pad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s
US5233502A (en) 1992-03-11 1993-08-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Removable and reversible display device for portable computer
JP3301774B2 (ja) 1992-03-12 2002-07-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機器の収容筐体とその成形方法及び金型
WO1994000037A1 (en) 1992-06-24 1994-01-06 Cad Forms Technology Inc. A pen based computer protective case
US5336896A (en) 1993-02-04 1994-08-09 Katz Joseph M Cellular telephone users protective device
US5383091A (en) 1993-02-22 1995-01-17 Sony Electronics, Inc. Grip and protective casing for cellular telephone
US5386084A (en) 1993-07-22 1995-01-31 Ii Morrow Inc. Electronic device enclosure
US5360108A (en) 1993-08-24 1994-11-01 Sedi S.R.L. Electronic device shock absorber
US5380968A (en) 1993-09-29 1995-01-10 A.P.M. Hexseal Corporation Protective cover for switches
US5388691A (en) 1993-10-21 1995-02-14 White; Nona J. Protective case for remote control transmitter
US5583742A (en) 1993-12-15 1996-12-10 Alps Electric Co., Ltd. Computer with protective cover having outwardly projecting cushioning portions
JPH07201405A (ja) 1993-12-29 1995-08-04 Yazaki Corp コネクタの防水栓
US5388692A (en) 1994-01-03 1995-02-14 Withrow; Joseph E. Lighting cover for a remote control unit
JP3066786B2 (ja) 1994-01-07 2000-07-17 コトブキ技研工業株式会社 遠心破砕機のロータの構造
IT232059Y1 (it) * 1994-04-01 1999-08-16 Si Be R S R L Interruttore elettrico a tasto basculante con stramazzo di scarico acqua verso l'esterno
US5548306A (en) 1994-04-28 1996-08-20 At&T Global Information Solutions Company Visible and touchable touch screen shield
US5946501A (en) 1994-05-24 1999-08-31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Waterproof and/or water-resistant camera
US5713048A (en) 1994-05-24 1998-01-27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Waterproof and/or water-resistant camera
JPH0818637A (ja) 1994-06-27 1996-01-19 Ebisu Kasei:Kk 携帯電話用のケース
US5584054A (en) 1994-07-18 1996-12-10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movable front cover for exposing a touch sensitive display
US5675810A (en) 1994-09-07 1997-10-07 Compaq Computer Corporation Reducing power usage in a personal computer
US5713466A (en) 1994-09-30 1998-02-03 Oi Electric Co., Ltd. Water-resistant portable receiver case
US5613237A (en) 1994-10-17 1997-03-18 Motorola, Inc. Housing latch system utilizing an elastomeric interlocking band
US5508479A (en) 1994-11-17 1996-04-16 Schooley; John L. Elastomeric rocker switch assembly
US5590760A (en) 1994-12-27 1997-01-07 Astarb; Nicholas L. Crush-heat resistant case for spectacle protection
JPH08204356A (ja) 1995-01-27 1996-08-09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子機器筺体の防水構造
USD365927S (en) 1995-01-31 1996-01-09 Summit Company Ltd. Protective boot for a digital multimeter
JP3458295B2 (ja) 1995-04-11 2003-10-20 株式会社モト・コーポレーション 携帯用電話器のカバー
US6031524A (en) 1995-06-07 2000-02-29 Intermec Ip Corp. Hand-held portable data terminal having removably interchangeable, washable, user-replaceable components with liquid-impervious seal
KR0138556B1 (ko) 1995-06-14 1998-06-15 김광호 전자기기용 축전지의 방수 케이스 어셈블리
USD378634S (en) 1995-09-22 1997-04-01 Lapere Roland E Protective case for a remote controller
US5636101A (en) 1995-09-27 1997-06-03 Dynapro Systems, Inc. Touch screen enclosure system having touch screen pan and hinged rear enclosure section for ease of serviceability
US5681122A (en) 1996-02-20 1997-10-28 Ncr Corporation Fluid isolation and dispersion system for tactile input devices
US5746309A (en) * 1996-03-19 1998-05-05 Rayovac Corporation Ratchet cam alternate action mechanism
US5982520A (en) 1996-03-28 1999-11-09 Xerox Corporation Personal storage device for application and data transfer
US5812188A (en) 1996-07-12 1998-09-22 Adair; Edwin L. Sterile encapsulated endoscopic video monitor
US5788059A (en) * 1996-07-16 1998-08-04 Jahangiri; Farhad Fred Electrical switch cover and cover-switch assembly
DE29612454U1 (de) * 1996-07-18 1996-09-12 Testo Gmbh & Co Wasserdichte Schutzvorrichtung zur Aufnahme eines Meß- oder Anzeigegerätes
US6634494B1 (en) 1996-07-18 2003-10-21 Testo Ag Watertight protective device for holding a measuring or display device
JP3217972B2 (ja) 1996-08-02 2001-10-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付き携帯通信機器
US6955293B1 (en) 1997-01-17 2005-10-18 Mike Katsanevas Bank card terminal cover
JPH10254041A (ja) 1997-03-11 1998-09-25 Nikon Corp カメラ用防水ハウジング
JP3098455B2 (ja) 1997-05-14 2000-10-16 邦彦 小池 携帯電話機
US6304459B1 (en) 1997-05-22 2001-10-16 Xybernaut Corp. Mobile computer
US6094785A (en) 1997-06-30 2000-08-01 Motorola, Inc. Snap apparatus for housings
US6092707A (en) 1997-09-24 2000-07-25 Bowes, Jr.; James Shock and weather protective mobile telephone case
FI104928B (fi) 1997-11-27 2000-04-28 Nokia Mobile Phones Ltd Langaton viestin ja menetelmä langattoman viestimen valmistuksessa
US5950816A (en) 1997-12-11 1999-09-14 Reid; Stanley Personal carrier case
US6667738B2 (en) 1998-01-07 2003-12-23 Vtech Communications, Ltd. Touch screen overlay apparatus
JPH11233964A (ja) 1998-02-16 1999-08-27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電子機器用保護ケース
JP3843583B2 (ja) * 1998-03-12 2006-11-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レバースイッチとその操作方法
JP3547988B2 (ja) 1998-03-31 2004-07-28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及び防水処理方法
US5956291A (en) 1998-04-17 1999-09-21 Ductech, Llc Underwater diving assistant apparatus
JP3060175U (ja) 1998-04-22 1999-07-30 爾 米山 耐衝撃防水携帯電話ホルダー
US5907721A (en) 1998-05-05 1999-05-25 Eastman Kodak Company Protective housing for camera
US5990431A (en) * 1998-05-18 1999-11-23 Marquardt Switches, Inc. Protective cover for rocker switch
US5996790A (en) 1998-06-26 1999-12-07 Asahi Research Corporation Watertight equipment cover
US6913201B1 (en) 1998-07-10 2005-07-05 Allflex Usa, Inc. Housing for portable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2000125916A (ja) 1998-08-21 2000-05-09 Koei:Kk 携帯用電話機などの収納用防水ケ―ス
DE19953046A1 (de) * 1998-11-09 2000-05-11 Marquardt Gmbh Elektrischer Schalter
US6532152B1 (en) * 1998-11-16 2003-03-11 Intermec Ip Corp. Ruggedized hand held computer
TW411404B (en) 1998-11-25 2000-11-11 Fuji Photo Film Co Ltd Film unit with waterproof lens and waterproof ring
CA2278832A1 (en) 1999-01-06 2000-07-06 Vtech Communications, Ltd. Touch screen overlay apparatus
US6388877B1 (en) 1999-02-04 2002-05-14 Palm, Inc. Handheld computer with open accessory slot
GB2346759B (en) 1999-02-12 2003-06-18 Nokia Mobile Phones Ltd Radiotelephone
USD424035S (en) 1999-02-16 2000-05-02 Symbol Technologies, Inc. Protective terminal cover
USD419768S (en) 1999-02-23 2000-02-01 Curtis Richardson Water-tight container
USD419297S (en) 1999-02-23 2000-01-25 Curtis Richardson Water-tight container
FI4231U1 (fi) 1999-02-24 1999-11-30 Moduleo Oy Kotelo
US6617973B1 (en) 1999-04-09 2003-09-09 Thomas A. Osterman Underground battery vault system for communications applications
JP3066786U (ja) 1999-05-08 2000-03-07 正史 森脇 携帯機器等の密閉型防水カバ―
US6005210A (en) * 1999-05-10 1999-12-21 Chien; Wen-Ching Push button style switch structure
DE19923015A1 (de) 1999-05-20 2000-12-07 Testo Gmbh & Co Tragbares Bedien- und Anzeigegerät
JP2000341383A (ja) 1999-05-28 2000-12-08 Health Support Japan:Kk 携帯電話用防水カバー
US6987527B2 (en) 1999-06-15 2006-01-17 Philip Kossin Sealed, waterproof digital electronic camera system and method of fabricating and communicating with same
JP2001046132A (ja) 1999-08-05 2001-02-20 Toikoo:Kk 携帯電話等携帯型通信端末器用保護カバー
JP2001061530A (ja) 1999-08-26 2001-03-13 Toshiba Corp 携帯通信端末用キャリングケース
US7263032B2 (en) 1999-10-04 2007-08-28 H2O Audio, Inc. System for housing an audio system in an aquatic environment
US7755975B2 (en) 1999-10-04 2010-07-13 H2O Audio, Inc. System for providing wireless waterproof audio
US7535799B2 (en) 1999-10-04 2009-05-19 H2O Audio, Inc. Protective housing for an audio device
US6396769B1 (en) 1999-10-04 2002-05-28 Rany Polany System for housing a personal S.C.U.B.A diving audio system
US20020009195A1 (en) 1999-10-26 2002-01-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Holder for mobile telephones
US6317313B1 (en) 1999-11-09 2001-11-13 Interlogix, Inc. Case and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DE60028907T2 (de) 1999-11-24 2007-02-15 Donnelly Corp., Holland Rückspiegel mit Nutzfunktion
JP4383629B2 (ja) * 2000-04-14 2009-12-16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キースイッチ装置及びキーボード
US20010040109A1 (en) 2000-05-10 2001-11-15 Jud Yaski Electronic device case
US6519141B2 (en) 2000-05-12 2003-02-11 Palm, Inc. Handheld computer cover with deformable exterior
FI20001639A0 (fi) 2000-07-10 2000-07-10 Moduleo Oy Matkapuhelinkotelo
WO2002011161A2 (en) 2000-07-31 2002-02-07 Johan Kruger Protective cover
US6614423B1 (en) 2000-08-21 2003-09-02 Symbol Technologies, Inc. Touch-pad cover protecting against wear, spills and abuse
USD447634S1 (en) 2000-09-11 2001-09-11 Black & Decker Inc. Storage case
US6525928B1 (en) 2000-09-20 2003-02-25 3Com Corporation Case with communication module having a latching connector for a handheld computer system
US6445577B1 (en) 2000-09-20 2002-09-03 3Com Corporation Case with communication module having a double pin hinge for a handheld computer system
US6608270B2 (en) * 2000-10-20 2003-08-19 Ethicon Endo-Surgery, Inc. Flexible switch members for hand activation handpiece switches
US7194291B2 (en) 2001-06-26 2007-03-20 Gregory Kim Protective mask of mobile phone
US20020065054A1 (en) 2000-11-29 2002-05-30 Morris Humphreys Mobile station and elastomeric cover
US7054441B2 (en) 2000-12-12 2006-05-30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device having a protective user interface cover
US20020079244A1 (en) 2000-12-18 2002-06-27 Addonics Technologies, Inc. Inner enclosure with micro shock absorber for a carrying case
US6448515B1 (en) * 2000-12-21 2002-09-10 Pass & Seymour, Inc. Electrical switching device with fused mechanical interlock
JP2002202557A (ja) 2000-12-28 2002-07-19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の防水構造
US20020085709A1 (en) 2001-01-02 2002-07-04 Gimmy Hsu Cover for portable phone
US20020089820A1 (en) * 2001-01-08 2002-07-11 Pierre Abboud Stackable peripheral housing
JP2002207246A (ja) 2001-01-10 2002-07-26 Ricoh Co Ltd カメラ用防水ケース
US6447140B1 (en) 2001-02-15 2002-09-10 Clive S. Lu Handheld personal aid
WO2002071146A1 (en) 2001-03-05 2002-09-12 Underwater Systems & Technology Watertight universal housing
JP4107810B2 (ja) 2001-03-21 2008-06-25 株式会社リコー 携帯機器用防水ケース
US20020137475A1 (en) 2001-03-21 2002-09-26 Hua-Tai Shou Anti electromagnetic wave box for a mobile phone
US6822640B2 (en) 2001-04-10 2004-11-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lluminated touch pad
US6760570B1 (en) 2001-04-16 2004-07-06 Albert Gene Higdon, Jr. Waterproof radio enclosure
US6536589B2 (en) 2001-04-17 2003-03-25 Tery Chih-Hao Chang Protection device of personal digital assistant
US6456487B1 (en) 2001-04-30 2002-09-24 Nokia Corporation Enclosure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6975888B2 (en) 2001-08-20 2005-12-13 Wildseed Ltd. Interchangeable cover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6992659B2 (en) 2001-05-22 2006-01-31 Palmone, Inc. High transparency integrated enclosure touch screen assembly for a portable hand held device
US20020175064A1 (en) * 2001-05-23 2002-11-28 Hoskins Steven R. Ratcheting switch
US6669017B2 (en) 2001-05-26 2003-12-30 Michael Linihan Protective cover for a key fob
US6595608B1 (en) 2001-06-05 2003-07-22 Garmin Ltd. Water-tight closure for an opening in an electronic device
US7069063B2 (en) 2001-06-19 2006-06-27 Nokia Mobile Phones Limited User changeable mobile phone cover
BR0211047A (pt) 2001-06-22 2004-07-20 Dow Global Technologies Inc Membrana protetora flexìvel transparente selável
US6471056B1 (en) 2001-07-06 2002-10-29 Kuo-Chen Tze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protective cover
US6778388B1 (en) 2001-07-23 2004-08-17 Garmin Ltd. Water-resistant electronic enclosure having a heat sink
US6809529B2 (en) * 2001-08-10 2004-10-26 Wacoh Corporation Force detector
USD464196S1 (en) 2001-12-07 2002-10-15 Pelican Products, Inc. Protector case
US7046230B2 (en) 2001-10-22 2006-05-16 Apple Computer, Inc. Touch pad handheld device
US20030080947A1 (en) 2001-10-31 2003-05-01 Genest Leonard J. Personal digital assistant command bar
US6698608B2 (en) 2001-10-31 2004-03-02 Pelican Products, Inc. Protective case
DE20209610U1 (de) 2001-11-03 2002-11-14 Goros Jean Schutzhülle für mobile elektronische Kleingeräte
US7688580B2 (en) 2001-11-19 2010-03-30 Otter Products, Llc Modular accessory for protective case enclosing touch screen device
US7230823B2 (en) 2003-08-20 2007-06-12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membrane for touch screen device
US7663879B2 (en) 2001-11-19 2010-02-16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enclosure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case having integrated back lighted keyboard
US7609512B2 (en) 2001-11-19 2009-10-27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enclosure for electronic device
US7889489B2 (en) 2001-11-19 2011-02-15 Otter Products, Llc Detachable pod assembly for protective case
US7180735B2 (en) * 2001-11-19 2007-02-20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enclosure and watertight adapter for an interactive flat-panel controlled device
US7158376B2 (en) 2001-11-19 2007-01-02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enclosure for an interactive flat-panel controlled device
US6646864B2 (en) 2001-11-19 2003-11-11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for touch screen device
US7907394B2 (en) 2001-11-19 2011-03-15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enclosure for touch screen device
JP2003164316A (ja) 2001-11-30 2003-06-10 Kyoraku Co Ltd 収納ケー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659274B2 (en) 2001-12-14 2003-12-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Waterproof casing for Hewlett-Packard Jornada portable personal computer
US6625394B2 (en) 2001-12-21 2003-09-23 Eastman Kodak Company Two-shot molded seal integrity indicator, underwater camera, and method
US20030128397A1 (en) 2001-12-21 2003-07-10 Smith Stephen J. Camera and underwater housing having two-shot molded knob seat
US6636697B2 (en) 2001-12-21 2003-10-21 Eastman Kodak Company Depressurized underwater one-time-use camera with seal integrity indicator and method
US6785566B1 (en) 2002-02-04 2004-08-31 Louis Irizarry Cellular telephone case
JP4260406B2 (ja) * 2002-02-14 2009-04-30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押圧方向検出センサ及びこれを用いた入力装置
JP2003304161A (ja) 2002-04-08 2003-10-24 Fuji Electric Co Ltd 無線通信機器の組立構造
JP4062973B2 (ja) 2002-05-28 2008-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の防水構造及び該防水構造を備えた電子機器
US7085542B2 (en) 2002-05-30 2006-08-01 Motorola, Inc. Portable device including a replaceable cover
US7025274B2 (en) 2002-05-31 2006-04-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ablet computer protective display cover and system and method incorporating same
US6751552B1 (en) 2002-06-28 2004-06-15 Garmin Ltd. Rugged, waterproof, navigation device with touch panel
US6721651B1 (en) 2002-06-28 2004-04-13 Garmin Ltd. Rugged, waterproof, navigation device with touch panel
WO2004008725A1 (en) 2002-07-16 2004-01-22 Nokia Corporation Flexible cover for a mobile telephone
US6980777B2 (en) 2002-07-31 2005-12-27 Nokia Corporation Smart pouch cover for mobile device
JP2004070657A (ja) * 2002-08-06 2004-03-04 Olympus Corp 携帯情報端末の筐体構造
US6616111B1 (en) 2002-08-12 2003-09-09 Gabriel A. White Hand held electronic device or game impact protector
CN1477475A (zh) * 2002-08-23 2004-02-25 广达电脑股份有限公司 个人电脑标准界面卡
US7366555B2 (en) 2002-09-30 2008-04-29 Nokia Corporation Mobile station enclosure
JP2004158650A (ja) 2002-11-06 2004-06-03 Nec Corp 電磁波シールド及び防水構造型筐体
US6983130B2 (en) 2002-11-13 2006-01-03 Unitech Electronics Co., Ltd. Waterproof structure of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D581421S1 (en) 2002-11-19 2008-11-25 Otter Products, Llc PDA case
JP4035656B2 (ja) 2002-12-18 2008-01-23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用ゴム栓
SG115592A1 (en) * 2002-12-19 2005-10-28 Eta Sa Mft Horlogere Suisse Energy source mounting device for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US6844845B1 (en) 2003-01-06 2005-01-18 Garmin Ltd. Waterproof combined 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and two-way radio and method of waterproof enclosure fabrication
US6848930B2 (en) 2003-01-15 2005-02-01 Shimano,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resilient retaining ring to restrict radial expansion
US7151237B2 (en) 2003-01-31 2006-12-19 Neeco-Tron, Inc. Control hous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6914774B1 (en) 2003-02-27 2005-07-05 Palmone, Inc. Transparent cover with access to multi-way navigation assembly
JP2004286987A (ja) 2003-03-20 2004-10-14 Olympus Corp 防水構造
US7327841B2 (en) 2003-05-13 2008-02-05 Siemens Communications, Inc. SAR optimized receptacle for mobile devices
US7499040B2 (en) * 2003-08-18 2009-03-03 Apple Inc. Movable touch pad with added functionality
JP2005091803A (ja) 2003-09-18 2005-04-07 Ricoh Co Ltd カメラ及びカメラ用防水ケース
JP4305753B2 (ja) 2003-10-24 2009-07-29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防水ケース
US20050279661A1 (en) 2003-11-12 2005-12-22 Hodges Richard P Cover for remote control device
US7495659B2 (en) 2003-11-25 2009-02-24 Apple Inc. Touch pad for handheld device
JP2005164760A (ja) 2003-11-28 2005-06-23 Olympus Corp 防水プロテクタ装置
US7236588B2 (en) 2003-12-12 2007-06-26 Nokia Corporation Interlocking cover for mobile terminals
US7418278B2 (en) 2003-12-16 2008-08-26 Nokia Corporation Hand-portable devices and covers for hand-portable devices
CA2551678A1 (en) 2004-01-07 2005-07-28 Dow Global Technologies Inc. Impact-resistant case with sealable opening
US20060003709A1 (en) 2004-06-30 2006-01-05 Nokia Corporation Protective enclosure for a mobile terminal
US7400917B2 (en) 2004-01-30 2008-07-15 Nokia Corporation Protective devices for a mobile terminal
JP4305212B2 (ja) 2004-02-18 2009-07-29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及びその製造方法
JP4507674B2 (ja) 2004-04-12 2010-07-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機器用開閉筺体のヒンジ構造
US20050247584A1 (en) 2004-05-05 2005-11-10 Dsi International Taiwan, Inc. Protection shell for portable video-audio device
US6971517B2 (en) 2004-05-06 2005-12-06 Kun-Chen Chen Attache style toolbox with an outer frame
USD516807S1 (en) 2004-05-18 2006-03-14 Otter Products, Llc Box
USD507871S1 (en) 2004-05-27 2005-08-02 Warner-Lambert Company Llc Receptacle
US20050279655A1 (en) 2004-06-16 2005-12-22 Chen Sabrina P Holder for SIM card
CN2710171Y (zh) * 2004-07-01 2005-07-13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防止误触卡合栓的保护装置
US7352961B2 (en) 2004-07-08 2008-04-01 Olympus Corporation Waterproof housing compatible for a plurality of cameras
US7082264B2 (en) 2004-07-08 2006-07-25 Olympus Corporation System comprising camera and waterproof housing
KR200366174Y1 (ko) 2004-07-29 2004-11-08 하나코비 주식회사 휴대폰 보관 케이스
JP2006048098A (ja) * 2004-07-30 2006-02-16 Key Tranding Co Ltd 携帯端末
USD542524S1 (en) 2004-08-17 2007-05-15 Otter Products, Llc Box
US7050841B1 (en) 2004-08-30 2006-05-23 Hideki Francis Onda Protective enclosure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that both stores and plays digital audio recordings
EP1656008B1 (en) 2004-11-08 2009-07-29 Sony Corporation Waterproof electronic device
CN2745104Y (zh) * 2004-11-12 2005-12-0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个人数字助理机保护装置
JP4393356B2 (ja) 2004-11-22 2010-01-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ケース
US7426338B2 (en) * 2004-11-29 2008-09-16 Olympus Imaging Corp. Switch mechanism usable underwater
US7464813B2 (en) 2005-01-28 2008-12-16 Carnevali Jeffrey D Dry box with magnification window and punch-out
US7850032B2 (en) 2005-01-28 2010-12-14 Carnevali Jeffrey D Sealed window for dry box
US7464814B2 (en) 2005-01-28 2008-12-16 Carnevali Jeffrey D Dry box with movable protective cover
JP4683191B2 (ja) 2005-02-08 2011-05-11 Nok株式会社 二部材間の密封構造
CN1825665A (zh) * 2005-02-25 2006-08-30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池盖结构
JP2006243074A (ja) 2005-02-28 2006-09-14 Olympus Imaging Corp 防水ハウジング
USD530079S1 (en) 2005-03-11 2006-10-17 Otter Products, Llc Container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7753202B2 (en) 2005-04-11 2010-07-13 Anderson Ty P Golf bag cover-cooler combination
US20060255493A1 (en) 2005-05-11 2006-11-16 Sik,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form-fitted molded protective cases for products
US20090087655A1 (en) 2005-05-16 2009-04-02 Shinya Yamada Mounting structure of re-peelable protective panel and mounting sheet using the same
JP4703308B2 (ja) 2005-07-29 2011-06-15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JP4492481B2 (ja) 2005-08-16 2010-06-30 株式会社ニコン カメラハウジング
US20070146985A1 (en) 2005-08-31 2007-06-28 Two Technologies, Inc Systems for integrating peripheral devices with hand-held computing devices
JP4452853B2 (ja) 2005-08-31 2010-04-21 ソニー株式会社 撮影装置
JP2007066746A (ja) 2005-08-31 2007-03-15 Fujitsu Ltd 筐体の防排水構造、及び電子機器
TWI384049B (zh) 2005-09-05 2013-02-01 Nitto Denko Corp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sheet and surface protective film
US20070071423A1 (en) 2005-09-27 2007-03-29 Fantone Stephen J Underwater adaptive camera housing
US7428427B2 (en) 2005-11-02 2008-09-2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IMF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4560477B2 (ja) 2005-11-15 2010-10-1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子制御装置および防水ケース
US20070115387A1 (en) * 2005-11-21 2007-05-24 Ho Kenneth K Underwater camera combination
US20070138920A1 (en) 2005-12-16 2007-06-21 Symbol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 rugged mobile device housing
US20070184781A1 (en) 2005-12-20 2007-08-09 Scott Huskinson Protective cover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TW200726360A (en) 2005-12-28 2007-07-01 Benq Corp Water-proof housing for electronic equipments
TWI367660B (en) 2006-01-20 2012-07-01 Fih Hong Kong Ltd Ariproof structur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1018458A (zh) 2006-02-10 2007-08-1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密封结构
JP4537966B2 (ja) 2006-02-20 2010-09-08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IL174211A0 (en) 2006-03-09 2007-07-04 Rotschild Carmel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 cellular phone in water activities
US20070215663A1 (en) 2006-03-15 2007-09-20 Chongson Ian S Water resistant case for electronic devices
US7663878B2 (en) 2006-03-23 2010-02-16 Harris Kent Swan Modular protective housing with peripherals for a handheld communications device
CN101352113B (zh) 2006-03-28 2011-07-27 株式会社田村制作所 用于电子装置的防水外壳
US7389869B2 (en) 2006-04-01 2008-06-24 Mason Jr Andrew C Display protective film application kit
US7775354B2 (en) 2006-04-12 2010-08-17 Janet Lee Latchford Waterproof cover for personal music player
US20110017620A1 (en) 2006-04-12 2011-01-27 Janet Lee Latchford Waterproof Cover for Personal Music Player
US7495895B2 (en) 2006-04-19 2009-02-24 Carnevali Jeffrey D Protective cover for device having touch screen
US20070261978A1 (en) 2006-05-10 2007-11-15 David Sanderson Waterproof case for electronic devices
JP4213729B2 (ja) 2006-05-23 2009-01-21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US7630746B2 (en) 2006-06-28 2009-12-0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over for portable device
US7623898B2 (en) 2006-06-28 2009-11-2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over for portable device
US8624140B2 (en) * 2006-07-10 2014-01-07 Fujitsu Component Limited Key switch and keyboard
US20080032758A1 (en) 2006-08-02 2008-02-07 Ramin Rostami Handheld device protective case
US8068331B2 (en) 2006-09-06 2011-11-29 Roche Diagnostics Operations, Inc. Enclosure to prevent fluid ingress of a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interface
KR100877049B1 (ko) 2006-09-28 2009-01-07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방수구조
TW200819878A (en) 2006-10-19 2008-05-01 Hannspree Inc sealing mechanism of flat panel display
US7993071B2 (en) 2006-10-25 2011-08-09 Burrell E. Clawson Assemblies for coupling two elements and coupled assemblies
US7772507B2 (en) 2006-11-03 2010-08-10 Research In Motion Limited Switch assembly and associa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20080164267A1 (en) 2007-01-09 2008-07-10 Alissa Huber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or instruments
US7854434B2 (en) 2007-04-12 2010-12-21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Ring seal with axially-opposed radially-offset seal beads
US7840740B2 (en) * 2007-06-05 2010-11-23 Apple Inc. Personal media device docking station having an accessory device detector
US7933122B2 (en) 2007-06-06 2011-04-26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enclosure for a computer
USD606751S1 (en) 2007-06-25 2009-12-29 Apple Inc. Cover
USD574819S1 (en) 2007-06-25 2008-08-12 Apple Inc. Case
JP4478894B2 (ja) 2007-08-03 2010-06-09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用防水ケース
US7944697B2 (en) 2007-08-28 2011-05-17 Hitachi, Ltd. Electronic equipment
US7975870B2 (en) 2007-08-29 2011-07-12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Ring seal having sealing lobes
US8031472B2 (en) 2007-09-21 2011-10-04 Meraki, Inc. Electronic device with weather-tight housing
TWI342180B (en) 2007-10-09 2011-05-11 Asustek Comp Inc Housing structure
TWM332217U (en) 2007-10-26 2008-05-11 Wistron Corp Electronic device
JP5233244B2 (ja) 2007-10-30 2013-07-10 富士通株式会社 携帯機器
US7801425B2 (en) 2007-10-30 2010-09-21 Optikos Corporation Underwater adaptive camera housing
CN101426039A (zh) 2007-10-31 2009-05-0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保护壳
US8004835B2 (en) 2007-12-27 2011-08-23 Hand Held Products, Inc. Portable data terminal internal support structure
JP4907512B2 (ja) 2007-12-27 2012-03-28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US8101859B2 (en) * 2008-01-03 2012-01-24 Apple Inc. Metal retaining feature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 casing
USD575056S1 (en) 2008-02-19 2008-08-19 Incase Designs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CN101522006B (zh) 2008-02-25 2011-09-2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JP4829263B2 (ja) 2008-02-25 2011-12-07 富士通株式会社 防水型電子機器
US8112130B2 (en) 2008-04-01 2012-02-07 Apple Inc. Receiver acoustic system
TWI352567B (en) 2008-04-21 2011-11-11 Wistron Corp Waterproof casing
DE102008025754A1 (de) 2008-05-29 2009-12-10 Gigaset Communications Gmbh Verrastungkonstruktion
CN201242701Y (zh) * 2008-06-06 2009-05-20 佛山市顺德区顺达电脑厂有限公司 卡勾结构
JP2009302313A (ja) * 2008-06-13 2009-12-24 Sanyo Electric Co Ltd 電子機器
US8245842B2 (en) 2008-06-27 2012-08-21 Switcheasy Limited Protective case having a hybrid structure for portable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D605850S1 (en) 2008-07-11 2009-12-15 Otter Products, Llc Electronics device case
US8223997B2 (en) 2008-07-11 2012-07-17 H2O Audio, Inc. Waterproof enclosure for audio device
US20100020393A1 (en) 2008-07-24 2010-01-28 Hologic Inc. System and Device for Non-Destructive Raman Analysis
USD597089S1 (en) 2008-08-21 2009-07-28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cover
TWM354841U (en) 2008-08-22 2009-04-11 Wistron Corp Waterproof pushbutton, and the assembly of waterproof pushbutton and electronic device housing
JP4720878B2 (ja) * 2008-08-29 2011-07-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D611478S1 (en) 2008-09-12 2010-03-09 Otter Products, Llc Electronics device case
KR101599064B1 (ko) 2008-09-18 2016-03-0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가스켓 및 상기 가스켓을 이용하는 표시장치
TWM354779U (en) 2008-10-02 2009-04-11 Wistron Corp Case of electronic device
US20100093412A1 (en) 2008-10-09 2010-04-15 Inside Contactless Protective envelope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D593319S1 (en) 2008-10-14 2009-06-02 Otter Products, Llc Case
EP2180773A1 (en) 2008-10-22 2010-04-28 Arthrex,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assembly having sterilizable housing
US7782610B2 (en) 2008-11-17 2010-08-24 Incase Designs Corp.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with battery
WO2010078321A1 (en) 2008-12-29 2010-07-08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ushion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USD603603S1 (en) 2009-01-06 2009-11-10 Powermat Usa, Llc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US8644011B2 (en) 2009-02-06 2014-02-04 Kevin Parkinson Electronic device cov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8755852B2 (en) 2009-02-06 2014-06-17 Speculative Product Design, Llc One piece co-formed exterior hard shell case with an elastomeric liner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JP5262798B2 (ja) 2009-02-16 2013-08-14 富士通株式会社 ケースの防水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WO2010095697A1 (ja) 2009-02-20 2010-08-26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US20100238119A1 (en) 2009-03-18 2010-09-23 Zivthan Dubrovsky Touchscreen Keyboard Overlay
US8359929B2 (en) * 2009-04-01 2013-01-29 Setra Systems, Inc. Surface mounted instrument
JP5110032B2 (ja) 2009-04-17 2012-12-26 富士通株式会社 筐体
US8833379B1 (en) 2009-05-07 2014-09-16 Barrie Beth Kaplan Container attachable to a personal electronic device
US8311595B2 (en) 2009-06-03 2012-11-13 Sony Mobile Communications Japan, Inc.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8454101B2 (en) 2009-06-11 2013-06-04 Getac Technology Corporation Waterproof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and watertight door thereof
US20110002106A1 (en) 2009-07-01 2011-01-06 Wellcore Corporation Miniature Waterproof Electronic Device Enclosure
KR101578736B1 (ko) * 2009-07-07 2015-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8160657B2 (en) * 2009-07-24 2012-04-17 Harris Corporatio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ith elastomeric sealing membrane covering switch and related methods
KR101012871B1 (ko) 2009-07-28 2011-02-08 (주)엠쓰리모바일 방수 및 방진 구조를 갖는 전자기기
CA2771098A1 (en) 2009-08-12 2011-02-17 Uncommon, LLC Two-piece protective carrying case
US8965458B2 (en) 2009-08-21 2015-02-24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ushion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USD616430S1 (en) 2009-09-23 2010-05-25 Incipio Technologies, Inc. Mobile phone case
US8167126B2 (en) 2009-09-29 2012-05-01 Apple Inc. Button mechanisms for electronic device cases
EP2483636B1 (en) 2009-09-30 2016-11-02 Dayton Technologies Limited Performance monitoring apparatus
US9078498B2 (en) 2009-09-30 2015-07-14 Otter Products, Llc Holder
USD624532S1 (en) 2009-11-05 2010-09-28 Reminderband, Inc. Case
USD624908S1 (en) 2009-11-05 2010-10-05 Reminderband, Inc. Case
USD624909S1 (en) 2009-11-05 2010-10-05 Reminderband, Inc. Case
US9165550B2 (en) 2009-11-19 2015-10-20 Otter Products, Llc Acoustic isolation mechanism with membrane
USD644636S1 (en) 2009-12-18 2011-09-06 Otter Products, Llc Case
EP2341414A1 (en) * 2009-12-31 2011-07-06 Sony Computer Entertainment Europe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520373B2 (en) 2010-04-23 2013-08-27 Psion Inc. Display assembly for a portable module
USD678869S1 (en) 2010-06-16 2013-03-26 Incase Designs Corp.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US9720442B2 (en) 2010-07-20 2017-08-01 Samsonite IP Holdings S.ár.l. Flash insert for mobile phone case
KR100988204B1 (ko) 2010-07-26 2010-10-18 에스지피코리아 (주) 바 형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CN201814042U (zh) 2010-08-04 2011-05-04 刘青平 保护套
GB2482877A (en) 2010-08-17 2012-02-22 Okoqu Ltd Protective casing for a mobile device
US20120043235A1 (en) 2010-08-23 2012-02-23 James Robert Klement Protective case for portable electrical device
JP5697232B2 (ja) 2010-09-02 2015-04-08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CN101937789A (zh) * 2010-09-16 2011-01-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按钮及应用该按钮的电子装置
EP2628064A2 (en) * 2010-10-12 2013-08-21 Tree Frog Developments, Inc. Housing for encasing an object
US8699220B2 (en) 2010-10-22 2014-04-15 Xplore Technologies Corp. Computer with removable cartridge
US8512074B2 (en) 2010-10-22 2013-08-20 Baker Hughes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of sealing and fastening pothead to power cable
US20120103844A1 (en) 2010-10-26 2012-05-03 Marware, Inc. Mobile telephone or portable digital media player case having interchangeable panels
WO2012074151A1 (ko) 2010-12-01 2012-06-07 상신이디피(주) 휴대용 충전기와 여기에 장착된 핸드폰의 보호 케이스
US8251210B2 (en) 2011-01-04 2012-08-28 Fellowes, Inc.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with a resilient band for holding items
US20120180852A1 (en) 2011-01-13 2012-07-19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tching composition
US8191706B1 (en) 2011-03-29 2012-06-05 Mitac International Corp. Protective casing adapted for different electronic devices
CA2833166A1 (en) 2011-04-14 2012-10-18 G-Form, LLC Protective case and methods of making
US20120305422A1 (en) 2011-06-01 2012-12-06 Scosche Industries, Inc. Portable device protector case
EP2718781B2 (en) 2011-06-13 2019-10-23 TreeFrog Developments, Inc. Housing for encasing a tablet computer
US8584847B2 (en) 2011-06-21 2013-11-19 A.G. Findings & Mfg. Co., Inc. Portable device case with corner protection element
JP5772468B2 (ja) 2011-10-06 2015-09-0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9116665B2 (en) 2011-10-10 2015-08-25 AFC Trident, Inc. Modular protective cover with accessory slo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30098788A1 (en) 2011-10-19 2013-04-25 Patrick McCarville Cell Phone Case
US20130156218A1 (en) 2011-12-16 2013-06-20 William R. Annacone Enclosure System With Acoustic Element
NZ716301A (en) 2011-12-22 2017-01-27 Treefrog Dev Inc Electronic device housing with battery
WO2013106474A1 (en) 2012-01-10 2013-07-18 The Joy Factory, Inc. Protective casing providing impact absorption and water resistan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130104138A (ko) * 2012-03-13 2013-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방수 케이스
WO2013181644A1 (en) 2012-06-01 2013-12-05 Treefrog Developments, Inc. Housing for an electronic device with camera, microphone and flash isolation
US8708726B2 (en) 2012-08-01 2014-04-29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Llc Electrical connector system with replaceable sealing element
EP2893595B1 (en) 2012-09-03 2019-10-23 I-Blades, Inc. Method and system for smart contact arrays and stacked devices
US20140099526A1 (en) 2012-10-04 2014-04-10 The Code Corporatio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ccessory that facilitates rapid battery replacement
US20140187289A1 (en) 2013-01-03 2014-07-03 Headlogic Llc Modular Components and Methods for an Electronic Device
JP6106443B2 (ja) 2013-01-28 2017-03-29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部材及びシール構造
US20140228074A1 (en) 2013-02-12 2014-08-14 Sonim Technologies, Inc. Embedded Accessory for Mobile Devices
US9155367B2 (en) 2013-03-14 2015-10-13 Incipio Technologies, Inc. Biometric and proximity sensor compatible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
US9537526B2 (en) 2013-08-30 2017-01-03 Wimo Labs LLC Door securement mechanism for waterproof encasement
US9179205B2 (en) 2013-12-17 2015-11-03 Getac Technology Corporation Waterproof gate having speaker mesh fil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478Y1 (ko) * 2014-05-26 2015-06-11 김도훈 전자기기 도난 방지 장치
KR20180014219A (ko) * 2015-06-27 2018-02-07 인텔 코포레이션 디바이스들에 대한 서비스가능 섀시
US10205807B2 (en) 2015-11-13 2019-0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unibody hous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631444B1 (ko) * 2023-12-04 2024-01-30 센티오 주식회사 손상 및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334072A1 (en) 2013-12-19
US20180337704A1 (en) 2018-11-22
US20160099741A1 (en) 2016-04-07
CN105843331A (zh) 2016-08-10
US20130027862A1 (en) 2013-01-31
CN105843331B (zh) 2019-06-14
EP2718781B2 (en) 2019-10-23
US10396843B2 (en) 2019-08-27
JP2014523570A (ja) 2014-09-11
EP2718781B1 (en) 2015-12-30
JP2014003293A (ja) 2014-01-09
CN104317360B (zh) 2018-09-28
US9559741B2 (en) 2017-01-31
WO2012174175A3 (en) 2013-08-22
CA2838333C (en) 2021-07-20
CN103620517A (zh) 2014-03-05
US20120314354A1 (en) 2012-12-13
MX2013014664A (es) 2014-11-21
EP2718781A2 (en) 2014-04-16
KR101832548B1 (ko) 2018-02-26
WO2012174175A2 (en) 2012-12-20
US9300344B2 (en) 2016-03-29
CA2838333A1 (en) 2012-12-20
US20170237460A1 (en) 2017-08-17
MX341037B (es) 2016-07-28
BR112013031885A2 (pt) 2016-12-13
US8995126B2 (en) 2015-03-31
CN103620517B (zh) 2016-04-27
CN104317360A (zh) 2015-01-28
US9660684B2 (en) 2017-05-23
AU2012271660A1 (en) 2014-01-09
US9276626B2 (en) 2016-03-01
US20150171913A1 (en) 2015-06-18
US10090877B2 (en) 2018-10-02
JP5969602B2 (ja) 2016-08-17
US8531834B2 (en) 2013-09-10
US20140233167A1 (en) 2014-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7927A (ko) 태블릿 컴퓨터를 수납하기 위한 하우징
US9615476B2 (en) Housing for encasing a mobile device
US10716377B2 (en) Housing for encasing an object
KR101793313B1 (ko) 전자 기기를 수납하기 위한 하우징
AU2013100995A4 (en) Housing For Encasing A Tablet Computer
AU2013100996A4 (en) Housing For Encasing A Tablet Computer
AU2012271660B2 (en) Housing for encasing a tablet compu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