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7746B1 - 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746B1
KR102407746B1 KR1020170164534A KR20170164534A KR102407746B1 KR 102407746 B1 KR102407746 B1 KR 102407746B1 KR 1020170164534 A KR1020170164534 A KR 1020170164534A KR 20170164534 A KR20170164534 A KR 20170164534A KR 102407746 B1 KR102407746 B1 KR 102407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ualization
area
regions
visible
various embodi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5072A (ko
Inventor
김동헌
박정식
이민성
김청하
서주호
송한길
오승아
이소영
이정원
최종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4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746B1/ko
Priority to CN201880077386.2A priority patent/CN111434094B/zh
Priority to PCT/KR2018/015101 priority patent/WO2019108020A1/en
Priority to EP18884556.4A priority patent/EP3685568A4/en
Priority to US16/207,301 priority patent/US10877520B2/en
Publication of KR20190065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072A/ko
Priority to US17/118,803 priority patent/US2021009660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방향으로 향하고, 전체적으로 곡면으로 구성된, 외관에서 보이는 제1면; 및 상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향하는, 외관에서 보이는 제2면을 구비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면에서 보이는 디스플레이 모듈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상에 배치된 윈도우를 포함하며,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대략적으로 직사각형인 중앙 가시화 영역; 및 상기 중앙 가시화 영역의 각 변을 따라 위치하는 각각의 제1 내지 제4가시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가시화 영역은 제1 내지 제4가시화 측면 영역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제1 내지 제4가시화 측면 영역들 중, 서로 근접하는 두 개의 가시화 측면 영역 사이를 연결하는 비가시화 모서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가시화 측면 영역들의 사이는 각각의 상기 제1 내지 제4비가시화 모서리 영역에 의해 각각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내지 제4비가시화 모서리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어서 연신률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WITH FULL-DISPLAY}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자 장치는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평탄형 디스플레이가 배치되거나, 일부 영역에 커브드 디스플레이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평탄한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하나의 엣지 영역에 커브드 디스플레이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의 엣지 영역에 커브드 디스플레이가 배치된 전자 장치는 새로운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 전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는 베젤 영역을 줄여서, 보다 넓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전자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는 센서들, 예컨대 광학 센서들 또는 홈-키 등 때문에 전면의 베젤 영역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그립감을 향상시킨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면에 풀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의 전면뿐만 아니라 4개의 각각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활용할 수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싱 환경이 편리한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외관적으로 전면 전체를 삼차원 곡면으로 구성하여, 외관적으로 미려한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디스플레이의 활성화 영역을 곡률을 다르게 구성하여 그립감을 향상시킨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방향으로 향하고, 전체적으로 곡면으로 구성된, 외관에서 보이는 제1면; 및 상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향하는, 외관에서 보이는 제2면을 구비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면에서 보이는 디스플레이 모듈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상에 배치된 윈도우를 포함하며,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대략적으로 직사각형인 중앙 가시화 영역; 및 상기 중앙 가시화 영역의 각 변을 따라 위치하는 각각의 제1 내지 제4가시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가시화 영역은 제1 내지 제4가시화 측면 영역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제1 내지 제4가시화 측면 영역들 중, 서로 근접하는 두 개의 가시화 측면 영역 사이를 연결하는 비가시화 모서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가시화 측면 영역들의 사이는 각각의 상기 제1 내지 제4비가시화 모서리 영역에 의해 각각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내지 제4비가시화 모서리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어서 연신률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은 전면을 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성하고, 4개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도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현함으로서, 보다 편리하고,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싱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본체 전면을 전체적으로 삼차원 곡면으로 구성하여서, 외관적으로 미려한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립감이 향상된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이고, (b)는 저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c)는 일측면도이고, (d)는 타측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e)는 정면도이고, (f)는 배면도이다.
도 2a는 도 1a의 (a)의 라인 B-B'을 따라 절개한 전자 장치의 윈도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1a의 (a)의 라인 C-C'을 따라 절개한 전자 장치의 윈도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1a의 (a)의 라인 A-A'을 따라 절개한 전자 장치의 윈도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다양한 윈도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에 전면 및 후면 카메라가 장착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채용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하나의 모서리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하나의 모서리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채용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하우징이 윈도우와 결합되는 경계 부분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과 윈도우의 결합 구조를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a, 도 1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의 배치 구조를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2b는 측면도이며, 도 12c는 다른 측면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3b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 1,""제 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사용자 기기와 제2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 (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 (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 (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 (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 (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 (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 (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 (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 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 (예:Xbox™, PlayStation™),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 (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 (internet of things)(예: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이고, (b)는 저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c)는 일측면도이고, (d)는 타측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e)는 정면도이고, (f)는 배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를 설명함에 있어서, 직교 좌표계가 사용될 수 있다. X축은 전자 장치(100)의 가로 방향을 지칭하고, Y축은 전자 장치(100)의 세로 방향을 의미하며, Z축은 전자 장치(100)의 두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Z축은 제1방향을 의미하고, (-)Z축은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풀 디스플레이(full display)를 가진 장치일 수 있다. 풀 디스플레이란 전자 장치(100)의 제1면이 전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의미로서, 베젤리스(bezeless)라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삼차원(3-dimension) 곡면 외관 표면(curved external surface)을 가지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본체의 4개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가시적 디스플레이 영역(visible display area)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하나의 본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110)는 전자 장치(100) 외부에서 보이는, 제1방향()으로 향하는 제1면(111)과, 전자 장치(100) 외부에서 보이는, 상기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향하는 제2면(112)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면(111)은 전자 장치(100)의 전면 또는 상면으로 지칭할 수 있고, 외관적으로 보이는 외표면일 수 있고, 제2면(112)은 전자 장치(100)의 후면 또는 하면으로 지칭할 수 있다. 제1면(111)에는 가시적으로 윈도우가 배치될 수 있고, 제2면(112)은 하우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110)는 하우징과 윈도우 간의 결합으로 외관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은 금속, 플락스틱 또는 세라믹 등의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2면(112)을 구성하는 하우징이 본체(110)의 측면부분까지 일체로 형성되면서, 제1면(111)을 구성하는 윈도우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상기 본체(110)의 제2면(112)과 측면을 구성하는 하우징이 금속재질로 되어서, 안테나 방사체 역할을 할 수 있다. 미도시되었지만, 상기 본체(110)의 제2면(112)에 글래스가 추가되어, 제1면(111)과 제2면(112)이 글래스로 되어있을 수 있다. 상기 2개의 글래스에 의해 생성되는 측면부에 하우징이 위치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이 안테나 방사체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110)의 제1면(111)은 전체적으로 삼차원으로 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면(111)을 구성하는 곡면은 곡률을 가지게 구성될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률을 가지게 구성될 수 있다. 제1면(111)은 제1곡률을 가지는 제1곡면과, 제2곡률을 가지는 제2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면(111)은 상기 본체(110)의 각각의 모서리 부분 방향으로 곡면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면(111)은 중심에서 각각의 본체(110) 측면 방향으로 곡면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2a는 도 1a의 (a)의 라인 B-B'을 따라 절개한 전자 장치의 윈도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1a의 (a)의 라인 C-C'을 따라 절개한 전자 장치의 윈도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1a의 (a)의 라인 A-A'을 따라 절개한 전자 장치의 윈도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210)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본체(11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210)의 제1면(211)을 구성하는 윈도우(215)는 삼차원으로 전체적으로 곡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면(211)은 윈도우(215)의 외표면으로서, 삼차원으로 전체적으로 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면(211)은 곡률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다양한 윈도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310)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본체(11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310)의 제1면(311)은 가장 크게 커브드된 만곡점이 윈도우(315)의 제1면(311)의 중심(C0)(도 3a)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315)를 상하부로 이등분할 경우(Y축을 따라서 이등분할 경우), 가장 크게 커브드된 만곡점이 상부 중심(C1)(도 3b)에 위치하거나, 하부 중심(C2)(도 3c)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a,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에 전면 및 후면 카메라가 장착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본체(11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410)는 윈도우(415)와 하우징(414)의 결합으로 외관을 이룰 수 있다. 본체(410)는 제1면(411)에 제1카메라 모듈(CM1)이 장착될 수 있고, 본체(410) 제2면(412)에 제2카메라 모듈(CM2)이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카메라 모듈(CM1)은 전면 카메라이고, 제2카메라(CM2)는 후면 카메라일 수 있다. 후면 카메라(CM2)는 듀얼 카메라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카메라 모듈(CM1)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16)의 제2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CM1)의 광학 동작을 위해, 제1카메라 모듈(CM1)과 대면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16)의 제1부분을 절개하여 개구(416a)를 형성할 수 있다. 개구(416a)와 대면하는 윈도우(415)의 재2부분(415a)은 곡면으로 구성되어서, 이미지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윈도우의 제2부분(415a)은 굴절률을 보상하는 구조가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굴절률 보상 구조는 제1카메라 모듈(CM1)의 경통끝과 윈도우(411)와의 거리가 유사하도록 기울여서 실장할 수 있다. 또한, 제1카메라 모듈(CM1)은 윈도우(411)에 안착되기 위해 해당하는 윈도우면이 경통의 일부를 감쌀수 있도록 평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부분(415a)은 제1면(411)과 단차구조없이 동일 평면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부분(415a)과 제1면(411)은 매끈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카메라 모듈(CM2)은 본체의 제2면(412), 즉 하우징(414)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카메라 모듈(CM2)은 제2면(412)에 대해 동일 평면 상태로 배치되어서, 단차 구조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411)는 제1면(411)에 제1카메라 모듈(CM1)이 장착될 수 있고, 본체 제2면(412)에 제2카메라 모듈(CM2)이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카메라 모듈(CM1)은 전면 카메라이고, 제2카메라 모듈(CM2)은 후면 카메라일 수 있다. 후면 카메라(CM2)는 듀얼 카메라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카메라 모듈(CM1)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16)의 제2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CM1)의 광학 동작을 위해, 제1카메라 모듈(c1)과 대면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16)의 제1부분을 절개하여 개구(416a)를 형성할 수 있다. 개구(416a)와 대면하는 윈도우의 제2부분(415b)은 평행하게 배치되어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부분(415b)은 제1면과 단차 구조(s2)가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카메라 모듈(CM2)은 본체의 제2면(412), 즉 하우징(414)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카메라 모듈(CM2)은 하우징의 하면에 대해서 평행하게 배치되어서, 단차 구조(S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500)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본체(11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면 플레이트(510), 플렉시블 디스플레이(520), 인쇄 회로 기판(540), 배터리(550), 지지 부재(530) 및 후면 플레이트(56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3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면 플레이트(510), 예컨대 윈도우는 삼차원으로 외관 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윈도우는 외보에서 보이는 외표면이 삼차원 곡면으로 전체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전면 플레이트(510)는 윈도우라 지칭하기로 한다. 윈도우(510)는 중앙 가시화 영역(예; 도 6의 610)과, 중앙 가시화 영역의 각 변에 위치한 제1 내지 제4가시화 영역(예; 도 6의 621-624)을 포함할 수 있다. 가시와 영역은 윈도우를 통해 보이는 영역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520)는 윈도우(510)에 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520)는 후술하는 중앙 가시화 영역(예; 도 6의 610)과, 제1 내지 제4가시화 영역(예; 도 6의 621-624)을 포함할 수 있다.
다앙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520)는 중심에서 각각의 모서리 부분 방향이나, 각각의 측면 방향으로 각각 곡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520)는 상기에 설명되는 중앙 가시화 영역이 평면이나 곡률을 가지는 곡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4개의 가시화 영역이 곡률을 가지는 곡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4개의 가시화 측면 영역이 평면이나 곡률을 가지는 곡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530)는 금속 재질 및/또는 비금속 (예: 폴리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530)는, 외부로 노출되어 회로 기판과 배터리 등을 보호하고, 안테나로 활용될 수 있다.
지지 부재(530)는 일면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520)가 결합되고 타면에 인쇄 회로 기판(540)이 결합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540)에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또는 인터페이스가 장착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는,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및/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300)를 외부 전자 장치와 전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USB 커넥터, SD 카드/MMC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550)는 전자 장치(5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또는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550)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540)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550)는 전자 장치(500) 내부에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전자 장치(500)와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미도시된 전자 장치의 안테나는, 후면 플레이트(560)와 배터리(5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 무선 충전 안테나, 및/또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370)는, 예를 들어, 외부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하거나, 충전에 필요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후면 플레이트(560)는 하우징으로서, 전자 장치(500)의 측면까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후면 플레이트(560)는 금속으로 구성되어서, 안테나 방사체 역할을 할 수 있다. 후면 플레이트(560)의 적어도 일부에 글래스가 추가로 위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채용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 제1면은 본체 외부에서 보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시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가시화 영역은 외부에서 보이는 영역으로서, 활성화 영역으로 지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600)는 도 4a, 도 4b 및 도 5에 도시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416,52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6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시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시화 영역(visible area)은 제1면을 수직 상방에서 봤을 때, 대략적으로 직사각형인 중앙 가시화 영역(610)과, 상기 중앙 가시화 영역(610)의 각 변을 따라 위치하는, 외부에서 보이는 각각의 제1 내지 제4가시화 영역(621-624)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중앙 가시화 영역(610)의 형상은 직사각형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가능할 수 있다. 중앙 가시화 영역(610)은 대략적으로 직사각형이라서, 4개의 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중앙 가시화 영역(610)은 본체를 정면에서 봤을 때 보이는 디스플레이 영역이고, 상기 각각의 제1 내지 제4가시화 영역(621-624)은 본체를 정면 및 측면에서 봤을 때 모두 보이는 디스플레이 영역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600)의 가시화 영역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률을 가지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중앙 가시화 영역(610)은 평탄하거나 제1곡률을 가지는 제1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각각의 제1 내지 제4가시화 영역(621-624)은 제2곡률을 가지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곡면이 중앙 가시화 영역(610)일 수 있고, 제2곡면이 각각의 제1 내지 제4 가시화 영역(621-624)일 수 있다. 상기 중앙 가시화 영역(610)의 곡률과, 상기 제1 내지 제4가시적 디스플레이 영역(621-624)의 곡률은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4가시화 영역(621-624)은 전자 장치의 전면 베젤리스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가시화 측면 영역(641-644)은 중앙 가시화 영역(610), 제1 내지 제4가시화 영역(621-644), 제1 내지 제4가시화 모서리 영역(631-634)과 상이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내지 제4가시화 측면 영역(641-644)은 측면 물리 키를 제거하여 심리스한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해 삭제한 물리 키와 같은 부가 기능을 제공하는 영역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체 제1면을 수직 상방에서 봤을 때,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가시화 영역(621)은 상기 중앙 가시화 영역(610)의 상단변에 배치되고, 상기 제2가시화 영역(622)은 상기 중앙 가시화 영역(610)의 하단변에 배치되며, 상기 제3가시화 영역(623)은 상기 중앙 가시화 영역(610)의 좌측변에 배치되고, 상기 제4가시화 영역(624)은 상기 중앙 가시화 영역(610)의 우측변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내지 제4가시화 영역(621-624)의 폭은 균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4 가시화 영역(621-624)들 중, 서로 근접한 두 개의 가시화 영역 사이를 연결하는 가시화 모서리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가시화 모서리 영역에 의해 두 개의 가시화 영역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가시화 모서리 영역은 곡률을 가지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균일한 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시화 모서리 영역은 상기 제1,3가시화 영역(621,623) 사이를 연결하는 제1가시화 모서리 영역(631)과, 상기 제2,3가시화 영역(622,623) 사이를 연결하는 제2가시화 모서리 영역(632)과, 상기 제2,4가시화 영역 사이(622,624)를 연결하는 제3가시화 모서리 영역(633) 및 상기 제1,4가시화 영역(621,624) 사이를 연결하는 제4가시화 모서리 영역(6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가시화 영역(621)은 중앙 가시화 영역(610)의 상단에 위치한 변을 따라서 연장되고, 제2가시화 영역(622)은 중앙 가시화 영역(610)의 하단에 위치한 변을 따라서 연장되며, 제3가시화 영역(623)은 중앙 가시화 영역(610)의 일측단에 위치한 변을 따라서 연장되고, 제4가시화 영역(624)은 중앙 가시화 영역(610)의 타측단에 위치한 변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제1 내지 제4가시화 모서리 영역(631-634)은 곡률을 가지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제1 내지 제4가시화 영역(621-624)은 제1 내지 제4가시화 측면 영역(641-644)을 각각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제1 내지 제4가시화 측면 영역(641-644)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3가시화 측면 영역(641,643)과 제1가시화 모서리 영역(631) 사이는 절개될 수 있다. 절개된 부분은 참조부호 651로 표기하였다. 제2,3가시화 측면 영역(642,643)과 제2가시화 모서리 영역(632) 사이는 절개될 수 있다. 절개된 부분은 참조부호 652를 표기하였다. 제2,4가시화 측면 영역(642,644)과 제3가시화 모서리 영역(633) 사이는 절개될 수 있다. 절개된 부분은 참조부호 653로 표기하였다. 제1,4비가시화 영역(641,644)과 제4가시화 모서리 영역(634) 사이는 절개될 수 있다. 절개된 부분은 참조부호 654를 표기하였다. 각각의 절개부(651-654)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600)를 윈도우와 결합하여 프레싱 공정을 수생할 때 각각의 모서리 영역에서 발생하는 연신률 차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절개부(651-654)는 디스플레이 평탄도 유지를 위해 추가의 기구물, 예컨대 지지 부재(예 ; 도 5의 530)의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내지 제4가시화 측면 영역(641-644)은 각각 전부 또는 일부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제1가시화 측면 영역(641)의 일부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동작한다면, 참조후보 641a는 디스플레이 영역일 수 있고, 참조부호 641b는 비디스플레이 영역일 수 있다. 점선 L1은 디스플레이 영역과 비디스플레이 영역의 경계선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내지 제4가시화 측면 영역(642-644)은 제1가시화 측면 영역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제1 내지 제4가시화 측면 영역(641-644)은 비가시화 영역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제1 내지 제4가시화 측면 영역(641-644)들 중, 하나, 둘 또는 세 개의 가시화 측면 영역이 비가시화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600)는 제1 내지 제 4가시화 영역(6210624) 및 제1 내지 제4가시화 모서리 영역(631-634)을 합하면,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폐곡선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600)는 중앙 가시화 영역(610)에서 화면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해 곡률 값이 최대이어야 하고, 제1 내지 제4가시화 영역(621-624)에서 곡률값이 최소이어야 한다. 따라서, 중앙 가시화 영역(610)에서 곡률 값은 제1 내지 제4가시화 영역(621-624)에서 곡률값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언급된 가시화는 윈도우를 통해 보이는 영역이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600)에 구비된 가시화 영역들(예컨대, 중앙 가시화 영역, 가시화 영역, 가시화 모서리 영역 등등)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동작하는 활성화 영역일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하나의 모서리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시화 모서리 디스플레(731)이 영역은 도 6에 도시된 각각의 제1 내지 제4가시화 모서리 영역(631-634)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 따른 가시화 모서리 영역(731)의 폭(w2)은 각각 균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각각의 모서리 디스플레이 영역의 폭은 서로 상이하게 구성될 수도 있고, 각각 비균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가시화 영역(721)의 폭(w1)과, 각각의 가시화 모서리 영역(731)의 폭(w2)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가시화 영역의 폭(w1)과 각각의 가시화 모서리 영역의 폭(w2)은 서로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가시화 측면 영역(741)의 폭(w3,w4)은 각각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가시화 측면 영역의 폭(w3,w4)은 각각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고, 비균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7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하나의 모서리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시화 모서리 영역(735)의 폭은 균일하지 않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시화 모서리 영역(735)의 최대폭(w6)은 가시화 영역(725)의 폭(w5)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시화 측면 영역(745)의 폭(w7,w8)은 각각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가시화 측면 영역(745)의 폭(w7,w8)은 각각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고, 비균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채용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800)는 서로 근접하는 두 개의 가시화 측면 영역 사이를 연결하는 가시화 측면 모서리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3가시화 측면 모서리 영역(841,843) 사이는 제1비가시화 모서리 영역(851)이 위치할 수 있고, 제2,3가시화 측면 모서리 영역(842,843) 사이는 제2비가시화 모서리 영역(852)이 위치할 수 있고, 제2,4가시화 측면 모서리 영역(842,844) 사이는 제3비가시화 모서리 영역(853)이 위치할 수 있고, 제1,4가시화 모서리 영역(841,844) 사이는 제4비가시화 모서리 영역(854)이 위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4비가시화 모서리 영역들(851-85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h1,h2)이 형성될 수 있다. 홀(h1,h2)은 연신률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h1,h2)은 마이크 홀이 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홀(h1,h2)이 비가시화 모서리 영역에 형성된다면, 중앙 가시화 영역(810)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h2)의 직경이 홀(h1)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디스플레이(800)를 윈도우에 적층 시에 디스플레이의 쭈그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하우징이 윈도우와 결합되는 경계 부분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910)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본체(11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910)는 윈도우(914)와의 경계 부근에서, 윈도우(914)보다 더 돌출된 부분(912)으로 하우징(911)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914)와의 경계 부근의 하우징(911)의 곡률은 윈도우(914)의 곡률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돌출된 부분(912)은 본체 낙하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윈도우(914)의 크랙이나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과 윈도우의 결합 구조를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디스플레이 모듈(1010)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11)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11)의 일면에 구성된 윈도우(10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1012)는 전체적으로 외부에서 보이는 표면(1012a)이 삼차원 곡면으로 구성되고, 두께가 균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1012)는 곡률을 구비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11)는 윈도우(1012)에 접합될 수 있다. 예컨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11)는 윈도우(1012)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게 구성될 수 있다. 윈도우(1012)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11) 사이의 접합면(10110)은 곡면일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어느 방향에서 보든지 균일한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디스플레이 모듈(1013)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14)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14)의 일면에 접합된 윈도우(1015)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1015)는 전체적으로 외부에서 보이는 표면(1015a)이 삼차원 곡면으로 구성되고, 두께가 비균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1015)의 제1방향에 있는 표면(1015a)은 곡률을 구비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14)는 윈도우(1015)에 접합될 수 있다. 예컨대, 윈도우(1015)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14) 사이의 접합면은 평면(10131) 및 곡면(10132)의 조합일 수 있고, 곡면(10132)은 곡률을 가질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접합면은 곡면(10132)과 평면(10131) 조합을 사용함으로써, 두면의 빛 굴절율 차이를 이용하여 평면(10131)과 곡면(10132)을 시각적으로 구분함으로써, 서로 다른 기능을 표현할 수 있다.
도 11a, 도 1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의 배치 구조를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0)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14)와, 균일하지 않은 두께로 형성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14)에 접합되는 윈도우(1115)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1115)는 삼차원으로 곡면으로 구성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14) 아래, 즉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14)의 제2방향으로 광센서(1112)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센서(1112)의 광학 동작이 가능하도록 광센서(1112)와 대응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14)의 일부분을 제거하여 개구(1114a)를 형성하거나, 일부분을 제거한 후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개구(1114a)에 의해 광센서(1112)는 광학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윈도우(1115)는 투명 재질로 구성되어서, 광센서(1112)에서 나온 광 신호는 개구(1114a)와 윈도우의 일부(1115a)를 거처 외부로 발광된 후, 다시 광센서(1112)로 수광될 수 있다. 예컨대, 광센서(1112)는 광학 동작이 가능한 센서로서, 이미지 센서나, 근접 센서나, 지문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개구(1114a)와 윈도우의 일부(1115a)는 광센서(1112)의 광신호의 도파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1112)는 전자 장치(1100)의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광센서(1112)는 예를 들어, 하우징(110)의 제 1 면(110A)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일 수 있다.
댜앙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0)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들, 예를 들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1115)는 제1방향으로 향하는 외면이 삼차원 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광신호가 윈도우의 일부분(1115a)을 통과하면서 광신호가 왜곡될 수 있기 때문에, 광신호의 왜곡을 보상할 수 있도록 굴절률을 조절할 수 있다. 윈도우의 일부분(1115a) 하부 혹은 개구(1114a) 내부에 굴절률을 보상할 수 있는 필름 등이 추가될 수 있다. 참조부호 1116은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20)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2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24)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24)에 접합되는 균일한 두께의 윈도우(1125)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2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24) 아래, 즉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24)의 제2방향으로 광센서(1122)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센서(1122)의 광학 동작이 가능하도록 광센서(1122)와 대응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을 제거하여 개구(1124a)를 형성하거나, 일부분을 제거한 후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개구(1124a)에 의해 광센서(1122)는 광학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윈도우(1125)는 투명 재질로 구성되어서, 광센서(1122)에서 나온 광 신호는 개구(1124a)와 윈도우의 일부(1125a)를 거처 외부로 발광된 후, 다시 광센서(1122)로 수광될 수 있다. 예컨대, 광센서(1122)는 광학 동작이 가능한 센서로서, 이미지 센서나, 근접 센서나, 지문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1125)는 제1방향으로 향하는 외면이 삼차원 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참조부호 1126은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2b는 일 측면도이며, 도 12c는 다른 측면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200)는 도 6에 도시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600)가 채용된다면, 본체(1210)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1211)의 4군데 모서리 부분(1212)은 상대적으로 넓게 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200)는 하우징(1211)이 (+)Z축 방향으로 윈도우 글래스를 감싸면서 점차적으로 올라가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200)는 BM 라인(BM1)이 윈도우의 가장 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BM 라인(BM1)은 윈도우의 비가시화 영역에 존재하는 윈도우 배면의 블랙 인쇄면일 수 있다.
BM 라인(BM1)은 하우징(1211) 측면에서 평행하게 연장되고, 모서리 부분(1212)에서 제1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올라가다가 제2방향으로 점차적으로 내려가고, 다시 하우징 측면(1211b)에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참조부호 1211a는 하우징의 상단을 지칭할 수 있다. 참조부호 1213은 본체 전면에서 보이는 가시화 영역일 수 있다.
도 12c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200)를 측방에서 봤을 경우, 2개의 측면에서 디스플레이된 데이터가 보일 수 있다.
도 13a, 도 13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300)는 BM 라인(BM2)이 윈도우의 가장 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BM 라인(BM2)은 윈도우의 비가시화 영역에 존재하는 윈도우 배면의 블랙 인쇄면일 수 있다. BM 라인(BM2)은 본체(1311) 모서리 부근에서 폭이 약간 넓게 형성될 수 있다.
BM 라인(BM2)은 하우징(1211) 측면을 따라서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참조부호 1313은 본체(1311) 전면에서 보이는 가시화 영역일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 (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면, 유닛 (unit), 로직 (logic), 논리 블록 (logical block), 부품 (component), 또는 회로 (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 (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래밍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예: 상기 프로세서 21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상기 메모리 220가 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implement)(예:실행)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예를 들면,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sets of instructions) 또는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와,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그리고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예: 프로그래밍 모듈)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개시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본 개시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래밍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모듈, 프로그래밍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4)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방향으로 향하고, 전체적으로 곡면으로 구성된, 외관에서 보이는 제1면; 및
    상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향하는, 외관에서 보이는 제2면을 구비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면에서 보이는 디스플레이 모듈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상에 배치된 윈도우를 포함하며,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대략적으로 직사각형인 중앙 가시화 영역; 및
    상기 중앙 가시화 영역의 각 변을 따라 위치하는 각각의 제1 내지 제4가시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가시화 영역은
    제1 내지 제4가시화 측면 영역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제1 내지 제4가시화 측면 영역들 중, 서로 근접하는 두 개의 가시화 측면 영역 사이를 연결하는 비가시화 모서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가시화 측면 영역들의 사이는 각각의 상기 제1 내지 제4비가시화 모서리 영역에 의해 각각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내지 제4비가시화 모서리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어서 연신률 차이를 보상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을 수직 상방에서 봤을 때,
    상기 제1가시화 영역은 상기 중앙 가시화 영역의 상단변에 배치되고,
    상기 제2가시화 영역은 상기 중앙 가시화 영역의 하단변에 배치되며,
    상기 제3가시화 영역은 상기 중앙 가시화 영역의 좌측변에 배치되고,
    상기 제4가시화 영역은 상기 중앙 가시화 영역의 우측변에 배치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가시화 영역은 상기 본체를 정면에서 봤을 때 보이는 디스플레이 영역이고, 상기 각각의 제1 내지 제4가시화 영역은 상기 본체를 정면 및 측면에서 봤을 때 보이는 디스플레이 영역인 포함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윈도우 간의 접합면은 평면 또는 곡면을 포함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가시화 영역의 곡률과, 상기 제1 내지 제4가시적 디스플레이 영역의 곡률은 상이하게 구성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가시화 영역들 중, 서로 근접한 두 개의 가시화 영역 사이를 연결하는 가시화 모서리 영역을 더 포함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3가시화 영역 사이를 연결하는 제1가시화 모서리 영역;
    상기 제2,3가시화 영역 사이를 연결하는 제2가시화 모서리 영역;
    상기 제2,4가시화 영역 사이를 연결하는 제3가시화 모서리 영역과,
    상기 제1,4가시화 영역 사이를 연결하는 제4가시화 모서리 영역을 더 포함하는 장치.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1 내지 제4가시화 영역의 폭은 균일 또는 비균일한 장치.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화 모서리 영역의 폭은 균일한 장치.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1 내지 제4가시화 영역의 폭과, 상기 가시화 모서리 영역의 폭은 동일하게 구성되는 장치.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화 모서리 영역의 폭은 균일하지 않고, 상기 가시화 모서리 영역의 최대폭은 상기 제1 내지 제4가시화 영역의 폭보다 크게 구성되는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1 내지 제4가시화 측면 영역은 각각 폭이 동일한 장치.
  16. 삭제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두께가 균일하게 구성되는 장치.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두께가 비균일하게 구성되는 장치.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170164534A 2017-12-01 2017-12-01 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102407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534A KR102407746B1 (ko) 2017-12-01 2017-12-01 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CN201880077386.2A CN111434094B (zh) 2017-12-01 2018-11-30 具有全显示器的电子装置
PCT/KR2018/015101 WO2019108020A1 (en) 2017-12-01 2018-11-30 Electronic device with full-display
EP18884556.4A EP3685568A4 (en) 2017-12-01 2018-11-30 ELECTRONIC DEVICE WITH FULL DISPLAY
US16/207,301 US10877520B2 (en) 2017-12-01 2018-12-03 Electronic device with full-display
US17/118,803 US20210096602A1 (en) 2017-12-01 2020-12-11 Electronic device with full-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534A KR102407746B1 (ko) 2017-12-01 2017-12-01 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072A KR20190065072A (ko) 2019-06-11
KR102407746B1 true KR102407746B1 (ko) 2022-06-13

Family

ID=66659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534A KR102407746B1 (ko) 2017-12-01 2017-12-01 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877520B2 (ko)
EP (1) EP3685568A4 (ko)
KR (1) KR102407746B1 (ko)
CN (1) CN111434094B (ko)
WO (1) WO20191080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22177A (zh) * 2018-12-28 2019-06-21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一种机壳及应用该机壳的移动终端
USD928774S1 (en) * 2019-02-14 2021-08-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O2021000145A1 (zh) * 2019-06-30 2021-01-07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玻璃外壳、天线模组的性能优化方法
KR20210029942A (ko) 2019-09-09 2021-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글래스 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10978A (ko) * 2020-07-20 2022-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220030372A (ko) * 2020-08-28 2022-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43719A1 (en) * 2011-03-21 2012-09-27 Franklin Jeremy C Display-Based Speaker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43271B (en) * 2002-05-17 2005-11-11 Advanced Display Kk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023260B2 (en) * 2007-09-04 2011-09-20 Apple Inc. Assembly of an electronic device
US8195244B2 (en) * 2009-02-25 2012-06-05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Multi-directional display communica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8587939B2 (en) * 2011-01-31 2013-11-19 Apple Inc. Handheld portable device
WO2012129247A2 (en) * 2011-03-21 2012-09-27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s
EP2718781B2 (en) * 2011-06-13 2019-10-23 TreeFrog Developments, Inc. Housing for encasing a tablet computer
US9615476B2 (en) * 2011-06-13 2017-04-04 Treefrog Developments, Inc. Housing for encasing a mobile device
US8665236B2 (en) * 2011-09-26 2014-03-04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wrap around display
US9288294B2 (en) * 2012-10-19 2016-03-15 Htc Corporatio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display panel thereof
KR101615791B1 (ko) * 2012-11-14 2016-04-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측부 구부림 구조를 갖는 무-베젤 표시 패널
US9430180B2 (en) * 2013-11-15 2016-08-3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KR20150107476A (ko) * 2014-03-14 2015-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247283B1 (ko) 2014-10-20 2021-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외관 부재 제작 방법
GB2552090B (en) * 2017-06-29 2021-06-16 Inodyn Newmedia Gmbh Front-facing camera and maximized display screen of a mobile device
KR20170067203A (ko) 2015-12-07 2017-06-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도광 유닛 및 표시 장치
KR101769014B1 (ko) 2016-01-13 2017-08-17 주식회사 맥스젠테크놀로지 곡면부를 가진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되는 비산방지부 및 그 부착방법
KR102491287B1 (ko) * 2016-01-14 2023-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43719A1 (en) * 2011-03-21 2012-09-27 Franklin Jeremy C Display-Based Speaker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08020A1 (en) 2019-06-06
EP3685568A4 (en) 2020-11-18
KR20190065072A (ko) 2019-06-11
CN111434094B (zh) 2022-04-12
US10877520B2 (en) 2020-12-29
CN111434094A (zh) 2020-07-17
US20190171254A1 (en) 2019-06-06
US20210096602A1 (en) 2021-04-01
EP3685568A1 (en) 202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7746B1 (ko) 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102502894B1 (ko) 평면부를 포함하는 윈도우 글래스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윈도우 글래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086159B2 (en)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input detection panel
US1182567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flexible display thereof
KR102392794B1 (ko) 외관 금속 프레임 안테나를 구비한 전자 장치
US20160066412A1 (en) Curved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60066440A1 (en) Curved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448336B1 (ko) 방수 구조를 구비한 전자 장치
EP3346678B1 (en) Cov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EP2993874B1 (en) Curved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70053271A (ko) 방수 구조를 가진 전자 장치
US11316961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ousing structure
KR102426365B1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412846B1 (en) Electronic device and housing structure used in the same
US11348358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tructure compensating for height difference between sensor and elastic member disposed on back surface of display
US10054986B2 (en) Electronic device with large capacity battery
KR102476599B1 (ko) 쉴드 캔 구조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102673323B1 (ko) 하우징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169698A (ko)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80035339A (ko) 방수 구조를 구비한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