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1857A - 물에 뜨는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물에 뜨는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1857A
KR20180081857A KR1020170002674A KR20170002674A KR20180081857A KR 20180081857 A KR20180081857 A KR 20180081857A KR 1020170002674 A KR1020170002674 A KR 1020170002674A KR 20170002674 A KR20170002674 A KR 20170002674A KR 20180081857 A KR20180081857 A KR 20180081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water
fixing
phone cas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민
Original Assignee
신승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승민 filed Critical 신승민
Priority to KR1020170002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1857A/ko
Publication of KR20180081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18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에 뜨는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보다 밀도가 작은 재질로 구성된 몸체부가 휴대폰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감싸 휴대폰을 물 위에 떠 있게 유지하여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폰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는 연질 재질로 구성되어 속이 빈 직육면체 모양의 얇은 막을 가져 휴대폰이 빈공간에 삽입되어 휴대폰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밀도가 물에 비하여 작으며 연질의 재질로 구성되어 상부와 하부의 모서리는 돌출되어 있고 중부는 오목한 형태이며 상부와 하부의 두께가 중부보다 두꺼고 고정부를 포함하기 위해 직사각형 모양의 구멍을 포함하는 모양을 가져 부력을 제공하는 몸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에 뜨는 휴대폰 케이스{Cell phone case floating in water}
본 발명은 물에 뜨는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보다 밀도가 작은 재질로 구성된 몸체부가 휴대폰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감싸 휴대폰을 물 위에 떠 있게 유지하여 주는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물보다 밀도가 작은 재질로 구성된 몸체부가 휴대폰 고정장치를 감싸 부력을 제공하며, 몸체의 상부와 하부가 돌출되어 물위에서 뒤집힘을 방지하고 중부는 오목한 형태이며, 고정부를 통해 휴대폰을 휴대폰 케이스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카메라와 버튼 구멍이 있어 휴대폰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물에 뜨는 휴대폰케이스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영장, 목욕탕, 욕조 등에서는 휴대기기의 침수 등의 위험을 문제로 휴대기기를 사용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최근 수영장에서 사진찍기, 목욕하며 인터넷 접속 등 물속에서도 휴대용기기를 이용하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방수팩'Waterproof pack[2004684290000 (2013.08.06)]이 발명 되었다. '방수팩'은 휴대기기 사용시 휴대기기 전면을 감싸 물로부터 침수 위험으로부터 휴대기기를 보호하였다. 이로 인해 휴대기기를 물 안에서도 사용 가능해졌다. 하지만 휴대폰 전면을 감싸 휴대폰 버튼을 누르기 힘들었으며, 소리가 휴대폰 전체를 감싸는 막에 의해 잘 전달 되지 않았다. 또한 방수 기능을 갖추어야 하므로 제작비용이 증가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체 방수기능을 갖춘 휴대폰들이 제작되고 있다. '휴대폰의 방수 방법 및 구조[1020080078094 (2008.08.08.)]The waterproof method and structure of portable telephone',방수용 휴대폰에 내장되는 내장형 안테나 장치[1014008460000 (2014.05.22.)] Built-in antenna apparatus for water-proof type portable phone','방수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 ELECTRONIC DEVICE HAVING WATERPROOF STRUCTURE[1020150082043 (2015.07.15)]등이 휴대폰 자체의 방수기능을 위하여 발명되었다. 이러한 발명으로 더이상 '방수팩'Waterproof pack[2004684290000 (2013.08.06)]과 같이 휴대폰에 별도로 방수기능을 위한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때문에 휴대폰을 수중에서 사용하기 위해 기존의 '방수팩'과 같이 따로 방수 기능을 갖추는 것은 생산비용을 증가시켜 경제적이지 않다.
그러나 여전히 수중에서 휴대폰을 사용할 때에는 수영장이나 목욕탕 욕조 등에서 휴대폰을 사용중에 거치할 공간이 부족하고 수중에서 휴대폰을 떨어뜨릴 시 다시 회수하기가 힘들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핸드폰을 수중에서 사용시 수영복을 착용중이거나 맨몸인 상태에 주머니가 없다는 점과 휴대폰이 무겁다는 점을 보아 수중에서 휴대폰의 휴대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물보다 밀도가 작은 재질을 휴대폰 케이스 주변부에 충분한 부피로 감싸는 것에 의해서 휴대폰이 물에 잠기지 않고 떠있는 것과 상부와 하부는 돌출되는 것에 의하여 충분한 부피를 갗춰 휴대폰이 물에 뜨기 충분한 부력을 제공하고 뒤집힘을 방지하는 것과 중부는 오목하여 휴대폰을 사용시 잡기 편리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휴대폰케이스는 휴대폰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는 연질 재질로 구성되어 속이빈 직육면체 모양의 얇은 막을 가져 휴대폰이 빈공간에 삽입되어 휴대폰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밀도가 물에 비하여 작으며 연질의 재질로 구성되어 상부와 하부의 모서리는 돌출되어 있고 중부는 오목한 형태이며 상부와 하부의 두께가 중부보다 두꺼고 고정부를 포함하기 위해 직사각형 모양의 구멍을 포함하는 모양을 가져 부력을 제공하는 몸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고정부와 몸체부는 휴대폰의 특성에 맞게 카메라구멍과 측면에 형성된 버튼을 누르기위한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부는 몸체부의 직사각형모양의 구멍에 고정되어 고정부와 몸체부가 일체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또한,몸체부의 중부는 오목하게 들어가있어 고정부의 버튼구멍이 드러나있으며 상부와 하부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물에 뜨는 휴대폰 케이스는 사용자가 물속에서 활동하고 있을 시, 휴대폰을 사용한 후 별도의 거치대 필요없이 물위에 휴대폰을 바로 띄워 휴대폰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을 높이며 휴대폰을 상황에 따라서 즉각적으로 물위에 놓고 활동할 수 있어 편리성을 높인다. 또한 몸체부의 상부와 하부의 도출된 부분은 휴대폰이 물위에 놓였을 때 뒤집힘을 방지하여 사용시 침수등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켰다. 그리고 몸체부의 중부는 오목한 형태로 구성 되어있어 사용자가 휴대폰을 잡을시 한손에 잡히도록하여 사용시 안정감과 편리성을 늘리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물에 뜨는 휴대폰 케이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물에 뜨는 휴대폰 케이스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물에 뜨는 휴대폰 케이스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물에 뜨는 휴대폰 케이스의 몸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물에 뜨는 휴대폰 케이스의 몸체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물에 뜨는 휴대폰 케이스의 몸체부를 도시하는 하부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물에 뜨는 휴대폰 케이스의 후면을 되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물에 뜨는 휴대폰 케이스의 고정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물에 뜨는 휴대폰 케이스의 고정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이다.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물에 뜨는 휴대폰 케이스의 고정부와 몸체부 분리장면을 도시하는 사시도 이다.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물에 뜨는 휴대폰 케이스의 수면의 잠겨 기운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의 상부(110), 몸체부의 하부(120), 몸체부의 중부(130), 고정부홈(140)을 가지는 몸체부(100)과, 측면고정벽(210), 후면고정벽(220), 카메라구멍(230), 버튼구멍(240)을 가지는 고정부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몸체부(100)는 도3, 도4, 도5, 도6,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부분은 평평하고 후면부분은 곡선형으로 볼록하며 많은 부피를 지닌 몸체부의 상부(110)와 몸체부의 하부(130)와, 상부와 하부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후면이 오목한 몸체부의 중부(120), 휴대폰의 크기정도의 직육면체로 파여진 고정부홈(14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몸체부(100) 전체는 물보다 밀도가 작고 물을 많이 흡수하지 않으며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상부(110),중부(130),하부(120)이 곡선으로 부드럽게 연결되도록 구성되어진다.
또한 몸체부(100)는 도3,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의 상부(110)와 몸체부의 하부(120)에 각각 상부의 전면 돌출부(111)과 하부의 전면 돌출부(121)를 가지고 몸체부의 중부(130)의 전면에는 상대적으로 오목한 몸체가 곡선형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진다.
또한 몸체부(100)에서는 도3,도6,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의 상부(110)와 몸체부의 하부(120)에 각각 휴대폰이 물에 뜨기에 충분한 부력을 제공할 수 있는 부피를 갖도록 형성되어 후면으로 도출된 상부의 후면 돌출부(112)과 하부의 후면 돌출부(122)를 가지고 돌출부보다 상대적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사용자가 잡기 쉽게 만들어진 몸체부의 중부(130)의 오목한 손잡이(131)로 구성되어진다.
또한 몸체부(100)에서는 도4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부보다 들어가 있어 고정부(200)를 결합시킬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부홈(140)은 고정부홈 측면에 버튼 구멍(142)와 고정부홈의 카메라 구멍(141)이 있어 고정부(200)와 몸체부(100)결합 시 고정부의 버튼구멍(240)과 고정부의 카메라 구멍(230)과 이어져 고정부홈의 버튼구멍(142)을 통해 휴대폰의 버튼을 직접 누를 수 있고 고정부홈의 카메라 구멍(141)을 통해 카메라 사용이 가능하게 형성되며 고정부홈의 가메라 구멍은 휴대폰 케이스의 몸체부의 상부(110)를 관통해 카메라 기능 사용시 가려지지 않도록 구성되어진다.
한편 고정부(200)에서는 도8,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의 측면을 고정하기 위해서 직사각형의 모서리를 감싸고 있는 측면고정벽(210), 휴대폰의 후면부를 고정하기 위한 후면고정벽(220), 휴대폰의 카메라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후면 고정부(220)의 카메라 위치에 직사각형의 구멍을 뚤어 몸체부(100)의 고정홈의 카메라구멍(141)과 연결되도록한 카메라구멍(230), 고정부홈의 버튼구멍(142)과 연결되고 휴대폰의 버튼 위치에 알맞게 측면고정벽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직접 휴대폰의 버튼을 눌러 제어할 수 있게 만든 버튼구멍(240)으로 구성되어진다.
여기서 고정부(200)는 도8,도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한 직육면체 형태로 다섯면을 제외한 내부와 한면이 비어 있는 모양이다. 고정부 전체는 연질의 재질로 구성되어 휴대폰을 끼울 수 있고 휴대폰의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위와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설명한 물에 뜨는 휴대폰 케이스의 사용방법 및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몸체부(100)는 물보다 밀도가 작고 부드러운 경질 우레탄 폼, , 등의 제질로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경질 우레탄 폼의 밀도는 35kg/M^3으로 물보다 밀도가 작고 부드러워 사용자의 사용감을 좋게하며 휴대폰을 떨어뜨릴시 충격을 흡수하여 준다. 일반적인 휴대폰의 무게인 100~150g의 휴대폰을 물위에 띄우기 위한 부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몸체부는 105~160ml 정도의 부피를 갖도록 구성되어야한다. 몸체부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위의 설명과 같이 상부와 하부의 후면은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만들어 많은 부피로 물에 잠길시 휴대폰을 띄울 수 있는 충분한 부력을 제공하여주고 중부는 상대적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사용자가 한손으로 휴대폰을 편하게 잡을수 있도록한다. 상부와 하부의 전면은 양옆으로 돌출되게 구성하여 도11에 도시된바와 같이 한쪽으로 기울시 기운쪽의 잠긴 부분이 증가하여 부력이 커지고 반대편의 잠긴 부분이 감소하여 부력이 감소하도록하여 원래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하여 휴대폰을 물위에 띄울시 뒤집힘을 방지한다.
여기서 경질 우레탄 폼을 이용한 몸체부의 제작 방법은 틀을 놓고 안에서 우레탄폼을 발포 시키는 방법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카메라 구멍과 버튼 구멍은 우레탄폼을 틀에 넣고 발포시킨후 프레스로 구멍을 내는 방식으로 제작할 수있다.
또한 고정부(200)는 사용자가 휴대폰을 넣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탄력이 있어 휴대폰을 고정시킬 수 있으면서 질긴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TPU)등의 제질로 이루어진다. 고정부는 사용자가 고정부의 빈공간으로 휴대폰을 넣어 휴대폰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일정한 변형 후 복원이 가능하도록 제작된다. 고정부는 휴대폰을 고정하기 위하여 후면고정벽(220)과 4면의 측면고정벽(210)을 갖고 이들이 직육면체의 한면을 제외한 나머지 5면을 이루고 중앙의 빈공간을 구성하도록 하여 중앙의 빈공간에 휴대폰을 삽입시 좌우 또는 상하의 흔들림 없이 고정부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고정부는 휴대폰별로 크기와 모양, 특징에 맞게 제작하여 휴대폰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도록 제작한다.
여기서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TPU)을 이용한 고정부의 제작방법은 고정부모양의 틀을 놓고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TPU)을 사출하여 제작하는 방법 등이 있다.
몸체부(100)과 고정부(200)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의 고정부홈(140)의 고정부를 열성형 또는 접찹제를 사용하여 고정부홈 안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결합한다. 이때 후면고정벽(220)이 고정부홈의 벽과 맏닿게 하여 고정시키며 고정부홈의 버튼구멍(142)와 고정부의 버튼구멍(240)이 적절히 연결되어 두구멍이 어긋남 없이 연결되어 휴대폰의 버튼을 누를 수 있도록 몸체부와 고정부를 연결해야 하며, 고정부홈의 카메라 구멍(141)과 고정부의 카메라 구멍(230) 또한 구멍끼리 어긋남 없이 연결하여 카메라 사용시 카메라가 몸체부에 가려지는 등의 상황이 없도록 몸체부와 고정부 결합시 이들을 세밀히 조작한 후 결합시킨다.
보다 상세한 물에 뜨는 휴대폰 케이스의 사용방법은 사용자가 휴대폰을 물에 뜨는 휴대폰 케이스의 몸체부(100)의 고정부홈(140)에 고정된 고정부(200)에 삽입하여 휴대폰을 물에 뜨는 휴대폰 케이스에 고정되게 함으로써 물에 뜨는 휴대폰 케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물에 뜨는 휴대폰 케이스 사용시 사용자는 휴대폰을 손에 들고 사용시 중부의 오목한 손잡이(131)를 한 손으로 감싸 잡는 방법으로 휴대폰을 들 수 있으며 상부나 하부에 비해 오목하여 손이 작은 경우에도 편리하게 휴대폰을 잡을 수 있다. 휴대폰의 버튼을 이용하여 휴대폰 조작시 고정부홈의 버튼구멍(142)과 이와 연결된 고정부의 버튼구멍(240)을 통하여 직접 휴대폰의 버튼을 누르는 방식으로 버튼을 이용하여 휴대폰을 조작할 수 있다. 카메라사용시 연결된 고정부홈의 카메라 구멍과 고정부의 카메라 구멍을 통하여 카메라가 작동된다,
여기서, 물에 뜨는 휴대폰 케이스에 적용되는 휴대폰은 방수기능을 갖춘 휴대폰이어야 한다. 별도의 방수기능을 갖추지 않은 본 발명의 특징을 보았을 때 물속에서 휴대폰을 쓰기 위해서 휴대폰 자체의 방수기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은 물에 뜨는 휴대폰 케이스의 몸체부이다.
110은 몸체부의 상부이다.
111은 상부의 전면 돌출부이다.
112는 상부의 후면 돌출부이다.
120은 몸체부의 하부이다.
121은 하부의 전면 돌출부이다.
122는 하부의 후면 돌출부이다.
130은 몸체부의 중부이다.
131은 중부의 오목한 손잡이이다.
140은 물에 뜨는 휴대폰 케이스의 몸체부의 고정부홈이다.
141은 고정부홈의 카메라 구멍이다.
142는 고정부홈의 버튼 구멍이다.
200은 물에 뜨는 휴대폰 케이스의 고정부이다.
210은 고정부의 측면고정벽이다.
220은 고정부의 후면고정벽이다.
230은 고정부의 카메라 구멍이다.
240은 고정부의 버튼 구멍이다.

Claims (4)

  1.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휴대폰을 감싸 휴대폰을 고정해주는 고정부(200)와 물보다 밀도가 낮은 제질로 이루어져 물에 잠길 시 휴대폰에 부력을 주는 몸체부(100)를 포함하는 물에 뜨는 휴대폰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몸체부의 상부와 하부의 전면에 양옆으로 돌출된 상부의 전면 돌출부(111),하부의 전면 돌출부(121)과 상부와 하부의 후면에 볼록한 형태로 많은 부피를 갖는 상부의 후면돌출부(112), 하부의 후면돌출부(122)로 구성되는 몸체부
  3. 제 1항에 있어서,
    몸체부의 중부에 상부와 하부에 비하여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구성된 중부의 오목한 손잡이(131)와 고정부를 몸체부와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홈(140)으로 구성되는 몸체부
  4. 제 3항에 있어서,
    고정부와 몸체부 결합시 고정부의 카메라구멍, 버튼구멍과 연결되도록 만들어진 고정부홈의 카메라 구멍(141), 고정부홈의 버튼 구멍(142)를 포함하는 고정부홈



KR1020170002674A 2017-01-08 2017-01-08 물에 뜨는 휴대폰 케이스 KR201800818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674A KR20180081857A (ko) 2017-01-08 2017-01-08 물에 뜨는 휴대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674A KR20180081857A (ko) 2017-01-08 2017-01-08 물에 뜨는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857A true KR20180081857A (ko) 2018-07-18

Family

ID=63049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674A KR20180081857A (ko) 2017-01-08 2017-01-08 물에 뜨는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18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0356A (ko) 2021-01-29 2022-08-08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용 부력 케이스
US11591054B1 (en) 2022-04-25 2023-02-28 George Geotes Floatation attachment device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2031U (ko) * 1989-10-20 1991-06-18
KR19990035073U (ko) * 1999-05-31 1999-09-06 김상훈 핸드폰완충커버
KR200172554Y1 (ko) * 1999-08-09 2000-03-15 카도마츠 마사즈미 휴대전화기용 휴대주머니
KR200207725Y1 (ko) * 2000-05-01 2000-12-15 변영모 에어펌프가 장착된 물에 뜨는 핸드폰 케이스
KR20010086761A (ko) * 2000-03-03 2001-09-15 변영모 물에 뜨는 핸드폰 케이스
US20050023157A1 (en) * 2003-07-31 2005-02-03 Logan Andrew J. Case with elastic-secured end cap
US20070215663A1 (en) * 2006-03-15 2007-09-20 Chongson Ian S Water resistant case for electronic devices
KR200465669Y1 (ko) * 2012-12-20 2013-03-05 김성화 핸드폰 케이스
JP2014003293A (ja) * 2011-06-13 2014-01-09 Tree Frog Developments Inc タブレットコンピュータを収納するためのハウジン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2031U (ko) * 1989-10-20 1991-06-18
KR19990035073U (ko) * 1999-05-31 1999-09-06 김상훈 핸드폰완충커버
KR200172554Y1 (ko) * 1999-08-09 2000-03-15 카도마츠 마사즈미 휴대전화기용 휴대주머니
KR20010086761A (ko) * 2000-03-03 2001-09-15 변영모 물에 뜨는 핸드폰 케이스
KR200207725Y1 (ko) * 2000-05-01 2000-12-15 변영모 에어펌프가 장착된 물에 뜨는 핸드폰 케이스
US20050023157A1 (en) * 2003-07-31 2005-02-03 Logan Andrew J. Case with elastic-secured end cap
US20070215663A1 (en) * 2006-03-15 2007-09-20 Chongson Ian S Water resistant case for electronic devices
JP2014003293A (ja) * 2011-06-13 2014-01-09 Tree Frog Developments Inc タブレットコンピュータを収納するためのハウジング
KR200465669Y1 (ko) * 2012-12-20 2013-03-05 김성화 핸드폰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0356A (ko) 2021-01-29 2022-08-08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용 부력 케이스
US11591054B1 (en) 2022-04-25 2023-02-28 George Geotes Floatation attachment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4847B2 (en) Portable device case with corner protection element
KR200469733Y1 (ko) 부레팩이 구비된 휴대용 방수팩
JP2000125916A (ja) 携帯用電話機などの収納用防水ケ―ス
TWM520781U (zh) 保護殼
KR20180081857A (ko) 물에 뜨는 휴대폰 케이스
KR101991668B1 (ko) 부상되는 스마트폰 케이스
KR101560790B1 (ko) 스마트폰 방수 케이스
KR200479866Y1 (ko) 스마트폰 방수부력 셀카봉
JP6637684B2 (ja) 携帯機器
JP2001046132A (ja) 携帯電話等携帯型通信端末器用保護カバー
US20240036526A1 (en) Waterproof protective case for smart watches
US6293841B1 (en) Foldable under water viewing window
JP3187455U (ja) 防水ケース
KR20170121831A (ko) 손난로 담는 휴대폰케이스
CN206559428U (zh) 一种具有浮力的防摔手机套
JP3823901B2 (ja) 電子機器
KR20210026584A (ko) 부표가 형성된 휴대용 방수팩
WO2022044997A1 (ja) 着脱起動式浮遊防水ブザー
KR20050119726A (ko) 휴대폰에 이용되는 1회용 진공 비닐팩의 밀봉기구
JP3776846B2 (ja) 防水性携帯電話機
KR200476114Y1 (ko) 모바일 기기 거치구
KR200429162Y1 (ko) 소지품 수중 휴대장치
KR20180048019A (ko) 방수팩용 스마트폰 고정패드
KR200214555Y1 (ko) 휴대용 핸드폰 튜브 주머니
KR101793900B1 (ko)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