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866Y1 - 스마트폰 방수부력 셀카봉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방수부력 셀카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866Y1
KR200479866Y1 KR2020150000283U KR20150000283U KR200479866Y1 KR 200479866 Y1 KR200479866 Y1 KR 200479866Y1 KR 2020150000283 U KR2020150000283 U KR 2020150000283U KR 20150000283 U KR20150000283 U KR 20150000283U KR 200479866 Y1 KR200479866 Y1 KR 2004798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
rod
buoyancy
smartphone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2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명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카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카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카팩
Priority to KR20201500002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8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8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8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 고안은, 전면에 스마트폰 방수팩(10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 중공이 형성되어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봉(230); 상기 부력봉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봉(210); 및 상기 부력봉의 일단 개구부를 밀폐하는 실리콘 밀봉뚜껑(233);을 포함하고, 상기 부력봉은 내부 중공부가 밀폐됨으로써 물속에서 부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방수부력 셀카봉을 제공한다. 상기 부력봉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마트폰 방수팩이 장착되는 회전마운트(2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마운트(240)에는 링형상의 마운트 돌기부(236a)가 형성되고, 상기 부력봉에는 상기 마운트 돌기부(236a)와 맞물리는 링형상의 부력봉 돌기부(235a)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방수부력 셀카봉{SMART PHONE SELFIE STICK WITH WATER PROOF AND FLOATING FUNCTION}
최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카메라 촬영을 하는 경우에 다른 사람에게 촬영을 부탁하지 않고 스스로 자기 사진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폰 촬영용 지지대 일명 셀카봉이 유행이다. 본 고안은 휴대폰 촬영을 보조하는 셀카봉에 관한 것으로, 셀카봉에 부력 수단을 구비하여 물에 뜰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또한 휴대폰 방수팩에도 부력 수단을 구비한 후 휴대폰 방수팩과 셀카봉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촬영을 위해 사용되는 셀카봉은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등의 철과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등 철과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되어 물에서 사용할 경우 물에 뜨지 않는다. 그러므로, 물놀이장이나 강가 또는 바닷가 등에서 사용하는 도중에 떨어뜨리게 되면 물놀이장 바닥으로 가락앉아서 분실의 염려가 있었다. 또한 장착이 가능한 블루투스 리모컨을 이용하여 셀카봉의 스마트폰을 촬영하는 경우 리모컨에 대해 방수처리가 되지 않아서 물에서 사용할 경우 고장의 원인이 되었다.
또한, 기존의 셀카봉은 휴대폰을 그대로 장착한 상태에서 사진을 촬영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물놀이장 등에서 셀카봉에 스마트폰을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방수에 문제가 있어서 사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셀카봉 사용시 물과의 접촉하거나 침수시에도 내부에 수용된 스마트폰 기기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할 필요성이 있었다.
기존의 휴대폰 방수팩에 대한 종래의 예로는, 본 고안자에 의해 출원된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4432호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방수팩은 내부에 수용된 휴대폰을 보호하는 역할을 함에 그치고 있을 뿐이며 방수팩 자체에 거치수단이 없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방수팩을 셀카봉에 장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에는 스마트폰을 방수팩에 넣은 상태에서 셀카봉에 장착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서 물놀이장 등에서 셀카봉 사용에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물놀이장에서 방수팩에 스마트폰을 수용한 상태에서 방수팩을 셀카봉에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하며 셀카봉 역시 부력을 갖도록 하여 물에 뜨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스마트폰을 방수팩에 넣은 상태에서 셀카봉에 장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스마트폰을 작동시키는 리모컨 역시 방수기능을 가진 수단이 수용함으로써 물놀이장에서 보다 다양하고 편리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전면에 스마트폰 방수팩(10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 중공이 형성되어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봉(230); 상기 부력봉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봉(210); 및 상기 부력봉의 일단 개구부를 밀폐하는 실리콘 밀봉뚜껑(233);을 포함하고, 상기 부력봉은 내부 중공부가 밀폐됨으로써 물속에서 부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방수부력 셀카봉을 제공한다.
상기 부력봉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마트폰 방수팩이 장착되는 회전마운트(2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마운트(240)에는 링형상의 마운트 돌기부(236a)가 형성되고, 상기 부력봉에는 상기 마운트 돌기부(236a)와 맞물리는 링형상의 부력봉 돌기부(235a)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봉의 일단부(215)에 구비되어 내부에 리모컨을 방수가능하게 수용하는 리모컨 수용부(280);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마트폰 방수팩은, 내부에 스마트폰을 수용하는 공간을 갖는 몸체(1);
상기 몸체의 외측에 구비되는 마운트(10); 상기 몸체의 내측에 구비되는 마운트 고정부재(3);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관통공으로 삽입되어, 몸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마운트(10)와 마운트 고정부재(3)를 서로 결합시키는 나사(5); 및 상기 몸체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마운트 고정부재를 전체적으로 덮으면서 테두리가 상기 몸체에 열융착되는 방수보강부재(2);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나사(5)와 관통공 사이로 스며든 물이 상기 방수보강부재로 인해 스마트폰이 수용된 몸체 내부 공간으로는 침투하지 못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구성에 의해서, 스마트폰을 방수팩에 장착한 상태에서 방수팩을 거치할 수 있고 부력을 갖는 수단을 가진 방수 셀카봉으로서, 부력 거치대를 셀카봉의 상단에 부착하여 분실시 물에 떠올라 분실의 위험을 방지하고, 블루투스 리모컨을 수납할 수 있는 탈부착 가능한 리모컨 수용부를 구비하여 물에서 장시간 사용할 수 있게 한 유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방수팩이 방수부력 셀카봉에 장착되는 모습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형태이며,
도 3은 도 1의 방수부력 셀카봉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방수부력 셀카봉 중 일부 구성인 부력봉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방수팩이 거치대에서 회전 작동되는 모습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방수팩에 장착되는 리모컨 수용부의 모습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방수팩의 사용상태 모습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방수팩이 거치대에 결합되는 모습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방수팩의 마운트부 분리도면이며,
도 10은 도 4의 V-V부위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고안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방수팩이 방수부력 셀카봉에 장착되는 모습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형태이며, 도 3은 도 1의 방수부력 셀카봉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방수부력 셀카봉 중 일부 구성인 부력봉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방수부력 셀카봉을 보면, 전면에 스마트폰이 내장된 방수팩(100)이 장착된다.
방수부력 셀카봉(200)은, 손으로 파지하는 봉 형상의 지지봉(210)과 상기 지지봉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부력봉(230)을 포함한다. 그리고, 부력봉의 전면에는 스마트폰 방수팩(10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부력봉은 내부가 중공이어서 부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지지봉(210)과 부력봉(230)은 연결부에 연결핀(222)에 의해 회전가능하면서 동시에 특정 각도로 유지가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부력봉(230)은 내부가 중공의 형태이며, 외부 단면은 사각형이거나 또는 원형일 수 있으나 본 도면에서는 그 한가지 예로서 원형 봉의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부력봉의 일단에 형성된 개구부는 밀봉뚜껑(233)을 이용하여 내부를 밀폐하게 된다. 밀봉뚜껑은 실리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나 기타 개구부를 밀봉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재질도 가능하다.
이로써, 상기 부력봉 내부에는 공기가 밀봉된 상태이고, 물속에 빠져도 내부 공기에 의해서 물속에 가라앉지 않고 떠오르게 된다.
상기 부력봉(230)의 전면에는 회전마운트(240)가 구비되어 상기 스마트폰 방수팩을 장착하게 된다. 상기 회전마운트에 스마트폰 방수팩이 장착되는 원리에 대해서는 도 8 이하 스마트폰 방수팩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스마트폰 방수팩(100)은 상기 회전마운트(24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장는 상기 부력봉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부력봉(230)에는 일정 정도 돌출된 마운트 장착부위(235)가 있고, 상기 마운트 장착부위에는 링형상으로 요철부가 둥글게 형성된 부력봉 돌기부(235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마운트(240)의 일측에는 부력봉 돌기부(235a)와 맞물리게 링형상으로 요철부가 둥글게 형성된 마운트 돌기부(236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마운트 돌기부(236a)의 가운데 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마운트를 상기 부력봉에 결합하는 볼트(239)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마운트와 볼트 사이에는 스프링(237)과 와셔(238)이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237)은 상기 회전마운트를 상기 부력봉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함으로써, 회전마운트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마운트를 회전시키면, 상기 부력봉 돌기부(235a)와 마운트 돌기부(236a)가 서로 맞물리면서 회전되고 특정 각도에서 회전을 정지하면 스프링이 회전마운트를 가압함으로써 그 각도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스마트폰 셀카 기능을 작동시켜서 사진 촬영이 가능해진다. 도 5는 이러한 원리로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방수팩이 거치대에서 회전 작동되는 모습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방수팩에 장착되는 리모컨 수용부의 모습이다. 본 고안에 따른 리모컨 수용부(280)는 내부에 리모컨(R)을 수용하고 상부를 커버하는 실리콘커버(288)이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나사(28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주면에 나사(289a)가 형성된 뚜껑(289)으로 상기 내부면의 나사(282a)를 조여서 내부를 밀폐시켜 리모컨(R)을 물로부터 보호한다. 그리고, 리모컨 수용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지지봉(210)의 일단부(215)에 장착되기 위해 양측으로 둥글게 형성되어 상기 일단부(215)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고정부재(282)가 구비된다.
상기 리모컨은 셀카봉에 장착된 스마트폰의 특수기능, 예를 들어 카메라 작동기능을 동작시키는 기능 등을 수행하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방수팩의 사용상태 모습이며, 물속에서 상기 부력봉(230)의 부력에 의해 물 위에 떠 있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방수팩이 거치대에 결합되는 모습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라 셀카봉에 장착되는 스마트폰 방수팩은 내부에 스마트폰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갖는 몸체(1)를 갖고 전면부에는 내부에 수용된 스마트폰의 화면이 보이도록 투명한 재질의 창이 구비되고, 후면부에는 일부 투명부와 더불어 특정 부위에 고정하여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마운트(10)가 구비된다. 상기 마운트(10)는 스마트폰 방수팩의 몸체(1)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마운트(10)는 사각형상이며, 상기 마운트의 상부의 마주보는 양측단에는 단면이 대략 ㄱ 형상인 슬라이딩 장착부(11)가 형성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셀카봉의 부력봉 전면에 배치되는 회전마운트(240)가 상기 마운트(10)에 장착되되, 회전마운트(240)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부(245)가 상기 마운트의 슬라이딩 장착부(11)에 슬라이딩되어 결합된다. 회전마운트(245)는 슬라이딩되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마운트(245)의 일단부(247)가 상기 마운트(10)의 스냅부(12)에 걸림으로써 결합이 완료된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방수팩의 마운트부 분리도면이며, 도 10은 도 9의 V-V부위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스마트폰 방수팩은,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마운트 고정부재(3)를 갖는다. 상기 마운트 고정부재(3)는 상기 마운트(1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나사를 고정결합할 수 있는 딱딱한 플라스틱 재질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운트(10)와 마운트 고정부재(3)는 나사(5)를 이용해서 서로 결합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몸체에는 나사가 관통되기 위해서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즉, 몸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마운트(10)와 마운트 고정부재(3)가 나사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내측에는 상기 마운트 고정부재(3)를 전체적으로 덮어서 내부와 밀폐시키는 방수보강부재(2)가 구비된다. 상기 방수보강부재(2)의 테두리는 상기 몸체(1)의 내부에서 상기 몸체와 열융착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방수보강부재(2)를 구비함으로써, 혹시 외부에서 상기 나사(5)와 관통공 사이로 물이 스며든다 하더라도 스며든 물이 상기 방수보강부재로 인해 스마트폰이 수용된 몸체 내부 공간으로는 침투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며, 이것이 본 고안의 특징 중 하나이다. 즉, 본 발명은 셀카봉의 부력봉과 상기 스마트폰 방수팩의 부력에 의해 물 위에 떠오를 수 있는 것이다.
도 9 내지 도 10에서 방수보강부재(2)가 몸체(1)의 안쪽에 위치하고 이들 사이에 마운트 고정부재(3)가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방수보강부재(2)가 몸체(1)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이들 사이에 마운트 고정부재(3)가 위치하는 형태도 가능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방수 셀카봉은 스마트폰을 방수팩에 장착한 상태에서 방수팩을 거치할 수 있고 부력을 갖는 수단을 가진 방수 셀카봉으로서, 부력 거치대를 셀카봉의 상단에 부착하여 분실시 물에 떠올라 분실의 위험을 방지하고, 블루투스 리모컨을 수납할 수 있는 탈부착 가능한 리모컨 수용부를 구비하여 물에서 장시간 사용할 수 있게 한 유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Claims (4)

  1. 전면에 스마트폰 방수팩(10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 중공이 형성되어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봉(230);
    상기 부력봉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봉(210);
    상기 부력봉의 일단 개구부를 밀폐하는 밀봉뚜껑(233); 및
    상기 부력봉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마트폰 방수팩이 장착되는 회전마운트(2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마운트(240)에는 링형상의 마운트 돌기부(236a)가 형성되고, 상기 부력봉에는 상기 마운트 돌기부(236a)와 맞물리는 링형상의 부력봉 돌기부(235a)가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 방수팩(100)은,
    상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스마트폰을 수용하는 공간을 갖는 몸체(1);
    상기 몸체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마운트(240)에 결합되는 마운트(10);
    상기 몸체의 내측에 구비되는 마운트 고정부재(3);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관통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몸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마운트(10)와 마운트 고정부재(3)를 서로 결합시키는 나사(5); 및
    상기 몸체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마운트 고정부재를 전체적으로 덮으면서 테두리가 상기 몸체에 열융착되는 방수보강부재(2);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나사(5)와 관통공 사이로 스며든 물이 상기 방수보강부재로 인해 스마트폰이 수용된 몸체 내부 공간으로는 침투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방수부력 셀카봉.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50000283U 2015-01-14 2015-01-14 스마트폰 방수부력 셀카봉 KR2004798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283U KR200479866Y1 (ko) 2015-01-14 2015-01-14 스마트폰 방수부력 셀카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283U KR200479866Y1 (ko) 2015-01-14 2015-01-14 스마트폰 방수부력 셀카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866Y1 true KR200479866Y1 (ko) 2016-03-15

Family

ID=55531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283U KR200479866Y1 (ko) 2015-01-14 2015-01-14 스마트폰 방수부력 셀카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86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27873A (zh) * 2016-04-11 2016-10-12 盐城工学院 便携式多功能自拍杆
WO2019041464A1 (zh) * 2017-08-28 2019-03-07 深圳市森锡源科技有限公司 一种自拍杆
KR20190087684A (ko) * 2017-08-28 2019-07-25 썬전 썬 시위엔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셀프카메라 장치
KR20190087683A (ko) * 2017-08-28 2019-07-25 썬전 썬 시위엔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지지 프레임 및 휴대폰 케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346Y1 (ko) 2005-05-06 2005-08-17 주식회사 디카팩 디지털카메라용 방수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346Y1 (ko) 2005-05-06 2005-08-17 주식회사 디카팩 디지털카메라용 방수케이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1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27873A (zh) * 2016-04-11 2016-10-12 盐城工学院 便携式多功能自拍杆
CN106027873B (zh) * 2016-04-11 2019-02-15 盐城工学院 便携式多功能自拍杆
WO2019041464A1 (zh) * 2017-08-28 2019-03-07 深圳市森锡源科技有限公司 一种自拍杆
KR20190087684A (ko) * 2017-08-28 2019-07-25 썬전 썬 시위엔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셀프카메라 장치
KR20190087683A (ko) * 2017-08-28 2019-07-25 썬전 썬 시위엔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지지 프레임 및 휴대폰 케이스
KR102005981B1 (ko) * 2017-08-28 2019-07-31 썬전 썬 시위엔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지지 프레임 및 휴대폰 케이스
KR102072053B1 (ko) * 2017-08-28 2020-03-02 썬전 썬 시위엔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셀프카메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9866Y1 (ko) 스마트폰 방수부력 셀카봉
JP6357044B2 (ja) フロート、フロート付き撮影装置
KR20110131684A (ko) 가습기
US9028288B2 (en) Floating mounting base for an umbrella
CN114509905A (zh) 浮力调整机构及壳体
CN210212690U (zh) 一种电动冲浪板电池舱防水密封结构
CN205029711U (zh) 一种新型手机防水保护壳
CN207969209U (zh) 一种具有防水装置的移动终端
CN206226572U (zh) 新型摄像机潜水防水外壳
KR101960938B1 (ko) 응급구조 튜브
CN105120035A (zh) 带转轴防水船手机配件装置
KR20110034909A (ko) 밀폐용기
CN217242991U (zh) 一种手机防水袋的密封夹
CN215646930U (zh) 一种实现水下拍摄功能的防水壳
JPH11221109A (ja) 携帯用製品の収納ケース及び収納袋
CN105120034A (zh) 盒形带万向节防水手机配件装置
CN105100323A (zh) 带万向球防水盆手机配件装置
KR200359424Y1 (ko) 카메라의 방수케이스.
CN210899259U (zh) 一种液体硅胶防水手机壳
KR101336419B1 (ko) 밀폐형 화장품 용기
WO2022044997A1 (ja) 着脱起動式浮遊防水ブザー
JPH0427692A (ja) 海中観測システム
KR101336545B1 (ko) 밀폐형 화장품 용기
CN107426352A (zh) 带转轴防水盆手机配件装置
KR200350740Y1 (ko) 휴대전화기의 방수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