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4909A -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4909A
KR20110034909A KR1020090092396A KR20090092396A KR20110034909A KR 20110034909 A KR20110034909 A KR 20110034909A KR 1020090092396 A KR1020090092396 A KR 1020090092396A KR 20090092396 A KR20090092396 A KR 20090092396A KR 20110034909 A KR20110034909 A KR 20110034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pressing plate
cover
soup
posi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석균
Original Assignee
오석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석균 filed Critical 오석균
Priority to KR1020090092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4909A/ko
Publication of KR20110034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9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means for keeping contents in position, e.g. resilien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와 같이 국물이 있는 음식물을 몸체(통)의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누름판을 이용하여 눌러 국물에 상기 음식물과 누름판이 완전하게 잠기도록 한 후 덮개를 이용하여 몸체의 상부를 덮어 밀폐함으로써, 국물이 있는 음식물을 장기간 변질 없이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김치, 보관, 국물, 밀폐용기, 변질

Description

밀폐용기{AIRTIGHT CONTAINER}
본 발명은 국물이 있는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한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치를 포함하여 국물이 있는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하여 가정에서는 필수적으로 밀폐용기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밀폐용기는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원형, 사각 등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하여 수용공간을 밀폐하는 덮개로 구성되며, 이 덮개에 선택적으로 손잡이를 달아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밀폐용기는 통상적으로 인체에 무해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몸체와 덮개를 형성하고 있으며, 수용공간의 음식물을 손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하고 있다.
한편, 음식물이 담긴 밀폐용기는 상온에서의 부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냉장고와 같이 저온을 유지할 수 있는 냉장장치에 넣어 보관하고 있다.
그러나, 김치와 같이 국물이 있는 음식물은 냉장장치에 보관하더라도 수용공간 내에서 국물에 완전하게 잠기지 않을 경우 변질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이로 인해 음식물이 쉽게 쉬거나 상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밀폐용기에 담긴 음식물이 국물에 완전하게 잠기지 않아 발생하는 변질과 같은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국물이 있는 음식물을 장기간 변질 없이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밀폐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국물이 포함된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하여 수용공간을 밀폐하는 덮개와;
상기 음식물을 눌러 국물에 음식물이 완전히 잠길 수 있도록 수용공간에 구비되고, 이 음식물로 인해 넘치는 국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가 형성되며, 누름 상태가 유지되도록 덮개에 밀착되는 위치고정부가 상부에 돌출형성된 누름판을 포함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국물이 있는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몸체와 이를 덮어 밀폐하는 덮개를 포함하면서 상기 음식물을 눌러 국물에 완전히 잠기도록 하는 누름판을 더 포함함으로써, 음식물이 국물에 완전히 잠기지 않아 발생하는 변질을 방지하게 되어 안전하게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누름판의 상부에 위치고정부가 형성되어 덮개의 하부에 밀착됨으로써 음식물의 누름 상태가 항상 유지되어 국물의 부력에 의해 음식물이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누름판에 위치고정부를 중심으로 가장자리까지 이어진 보강부가 형성됨으로써, 음식물을 누르는 과정에서 상기 누름판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장기간 교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덮개의 하부에 위치고정부와 상응하는 고정홈이 형성됨으로써, 누름판의 불필요한 움직임을 차단하여 일부 음식물이 국물에 잠기지 않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위치고정부에 결합하여 누름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구 및 이에 결합하는 보조높이조절구를 더 포함함으로써, 몸체에 수용공간이 깊게 형성되더라도 상기 누름판의 높낮이조절을 통해 음식물이 항상 국물에 잠겨 변질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분해 사시도로 보인 것으로, 덮개에 의해 상부가 밀폐되는 몸체의 내부에 누름판이 구비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단면도로 보인 것으로, 몸체의 내부에 구비된 누름판을 이용하여 김치를 김칫국물에 잠그는 것을 보이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구를 단면도로 보인 것으로, 누름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구를 위치고정부에 나사방식으로 결합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보조높이조절구를 분해 사시도로 보인 것으로, 보조높이조절구를 높이조절구에 나사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을 보이고 있으며, 각각의 상부에 요철이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분해 사시도로 보인 것으로, 몸체 및 이를 덮어 밀폐하는 덮개 사이에 누름판이 구비되고, 상기 누름판의 중앙에 형성된 위치고정부에 높이조절구 및 보조높이조절구를 결합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
즉, 본 발명인 밀폐용기(1)는 김치와 같이 국물이 있는 음식물을 장기간 변질 없이 보관할 수 있도록 몸체(10) 및 이를 덮어 밀폐하는 덮개(20)를 포함하면서 상기 음식물을 눌러 국물에 잠기도록 하는 누름판(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10)는 국물과 음식물을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11)이 형성된 일종의 통(桶)으로써, 이를 본 발명에서는 도 1에서 보인 것과 같이, 사각형상으로 보이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로써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몸체(10)의 상부는 덮개(20)를 통해 밀폐되어 음식물을 안전하게 보관토록 하게 되며, 상기 덮개(20)를 이용한 밀폐가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와 덮개(20) 사이에 통상의 고무링(미도시)을 결합하여 기밀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누름판(30)은 수용공간(11)에 보관된 음식물을 눌러 국 물에 완전히 잠기도록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누름판(30)은 수용공간(11)에 구비되며, 음식물을 누르는 과정에서 상기 음식물에 의해 수표면이 상승하는 국물을 수용공간(11)의 상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배수구(31)를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31)는 도 2에서 보인 것과 같이, 상기 누름판(30)의 전체면적에 걸쳐 고르게 형성된 것을 실시 예로 보이고 있다.
또한, 상기 누름판(30)의 상부에는 실시 예로써 원형으로 형성된 위치고정부(32)가 돌출형성되며, 이에 따라 덮개(20)의 하부에 상기 위치고정부(32)가 밀착되어 음식물의 누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누름판(30)을 이용하여 국물이 있는 음식물을 밀폐용기(1)에 변질 없이 보관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국물이 있는 음식물은 편의상 김치로 지칭하여 설명함을 밝혀둔다. 일반적으로 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11)에 김치를 수용할 경우 김칫국물의 위로 김치가 노출된다.
상기 김칫국물의 위로 노출된 김치는 누름판(30)을 이용하여 눌러 김칫국물에 완전히 잠기도록 하게 되며, 이때의 김치에 의해 수표면이 상승하는 김칫국물은 상기 누름판(30)에 형성된 배수구(31)를 통해 배수하여 김치와 함께 누름판(30)이 상기 김칫국물에 완전하게 잠기도록 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몸체(10)의 상부에 덮개(20)를 덮어 밀폐하게 되는데, 상기 덮개(20)의 하부에 누름판(30)의 위치고정부(32)가 밀착되어 단속됨에 따라 김칫국물의 부력에 의해 상기 누름판(30)이 부상(浮上)하여 김치의 누름 상태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김칫국물에 김치가 완전히 잠긴 상태로 냉장고에 밀폐용기(1)를 보관함에 따라 상기 김치가 쉽게 상하거나 쉬지 않게 되어 장기간 변질 없이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포함되는 누름판(30)에는 위치고정부(32)를 중심으로 가장자리까지 이어진 보강부(33)가 형성되며, 이 보강부(33)를 통해 내구성을 높여 음식물을 누르는 과정에서 상기 누름판(30)이 휘어지는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부(33)가 누름판(30)의 전체면적에 걸쳐 고르게 형성되는 것이며, 이를 위한 실시 예로써 도 1에서 보인 것과 같이, 상기 누름판(30)의 중심에 위치고정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부(32)를 중심으로 보강부(33)가 방사형으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즉, 누름판(30)의 상면에 보강부(33)가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음식물을 눌러 국물에 잠기도록 하기 위한 압력을 손쉽게 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덮개(20)는 누름판(30)에 형성된 위치고정부(32)에 상응하는 하부에 고정홈(21)이 형성되어 제공되며, 이의 실시 예로써 도 2에서 보인 것과 같이, 상기 누름판(30)의 중앙 상부에 위치고정부(32)가 형성되고, 덮개(20)의 중앙 하부에 상기 위치고정부(32)가 삽입되는 고정홈(21)이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몸체(10)의 상부에 덮개(20)를 결합할 경우 상기 몸체(10)의 내부 수용공간(11)에 구비되는 위치고정부(32)가 상기 덮개(20)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홈(21)에 삽입되어 누름판(30)의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상기 누름판(30)이 수용공간(11) 내에서 좌우로 치우치거나 불필요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3에서 보인 것과 같이, 국물이 있는 음식물을 대용량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몸체(10)에 수용공간(11)이 깊게 형성되고, 덮개(20)에는 손잡이(22) 및 통상의 결속수단(23)이 선택적으로 적용된 대용량 밀폐용기일 수 있다.
이때에는 음식물의 보관량에 따라 누름판(30)만으로는 음식물을 국물에 용이하게 잠기도록 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즉, 음식물의 보관량이 줄어들수록 몸체(10)에 구비되는 누름판(30)의 위치가 하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누름판(3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부(32)가 덮개(20)의 하부에 도달하지 못하여 국물의 부력에 의해 음식물이 부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누름판(30)에 형성되는 위치고정부(32)의 길이를 상부방향으로 연장하여 덮개(20)에 간섭되도록 하여 해결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위치고정부(32)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높이조절구(40)를 제공하여 해결하게 된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높이조절구(40)는 속이 비어 있는 위치고정부(32)의 내부에 결합하여 상,하 이동함으로써, 누름판(30)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되고, 이를 통해 몸체(10)에 수용공간(11)이 깊게 형성되더라도 음식물이 항상 국물에 잠기도록 하게 된다.
상기 높이조절구(40)와 위치고정부(32)는 실시 예로써 나사방식으로 결합하 는 것을 보이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로 억지 끼워 맞춤방식으로 상호 결합하여도 무방하므로 반드시 상기 나사방식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러한 높이조절구(40)가 더 포함되는 본 발명은 김장철과 같이 김치를 대용량으로 담아 보관한 후 서서히 섭취함으로 인해 보관량이 줄어들더라도 상기 높이조절구(40)를 이용한 누름판(30)의 높낮이조절을 통해 김치가 항상 김칫국물에 잠기도록 하게 되어 변질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높이조절구(4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치고정부(32)에 결합하여 상,하 이동하게 되는데, 이동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상부에 요철(41)이 돌출 형성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4에서 보인 것과 같이, 높이조절구(4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좌우에 걸쳐 요철(41)이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즉, 상기 요철(41)은 위치고정부(32)를 기준으로 높이조절구(40)를 상,하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이를 간섭하면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요철(41)은 높이조절구(40)가 위치고정부(32)에 나사방식으로 결합하는 구조에 더욱 적합하다.
본 발명은 상기 높이조절구(40)를 적층 결합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높이조절구(42)를 더 포함하며, 이 보조높이조절구(42)는 내부가 중공 처리된 높이조절구(40)에 나사방식으로 결합하거나 억지 끼워 맞춤방식으로 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보조높이조절구(42)는 도 5에서 보인 것과 같이, 결합 가능한 범위 내에 그 수를 늘려 적층하여 사용하게 되며, 각각의 보조높이조절구(42)의 상부에 는 높이조절구(40)와 같이 요철(41)을 돌출형성하되, 이 요철(41)들은 정면에서 볼 때 동일한 지름을 갖도록 돌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높이조절구(42)를 더 포함하는 본 발명은 장독대와 같이 수용공간(11)이 깊게 형성되더라도 누름판(30)의 높낮이 조절이 자유로워 음식물을 국물에 완전하게 잠기도록 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변질 없이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구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보조높이조절구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몸체 11 - 수용공간
20 - 덮개 30 - 누름판
31 - 배수구 32 - 위치고정부
40 - 높이조절구

Claims (6)

  1. 국물이 포함된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하여 수용공간을 밀폐하는 덮개와;
    상기 음식물을 눌러 국물에 음식물이 완전히 잠길 수 있도록 수용공간에 구비되고, 이 음식물로 인해 넘치는 국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가 형성되며, 누름 상태가 유지되도록 덮개에 밀착되는 위치고정부가 상부에 돌출형성된 누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에는 위치고정부를 중심으로 가장자리까지 이어진 보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위치고정부에 상응하는 하부에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깊이에 따라 위치고정부에 결합하여 누름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구는 상부 둘레에 요철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구는 내부가 중공 형성되고, 이 높이조절구의 내부에 결합하여 누름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보조높이조절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KR1020090092396A 2009-09-29 2009-09-29 밀폐용기 KR201100349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396A KR20110034909A (ko) 2009-09-29 2009-09-29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396A KR20110034909A (ko) 2009-09-29 2009-09-29 밀폐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909A true KR20110034909A (ko) 2011-04-06

Family

ID=44043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396A KR20110034909A (ko) 2009-09-29 2009-09-29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490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875B1 (ko) * 2013-10-29 2014-08-29 성유준 음식물 절임용 누름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판 절임용 누름기구
KR200477192Y1 (ko) * 2011-05-11 2015-06-16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김치보관용기
CN106983413A (zh) * 2017-04-20 2017-07-28 湖州师范学院 一种新型泡菜罐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192Y1 (ko) * 2011-05-11 2015-06-16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김치보관용기
KR101433875B1 (ko) * 2013-10-29 2014-08-29 성유준 음식물 절임용 누름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판 절임용 누름기구
CN106983413A (zh) * 2017-04-20 2017-07-28 湖州师范学院 一种新型泡菜罐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34909A (ko) 밀폐용기
KR101494254B1 (ko) 밀폐용기
KR200466582Y1 (ko) 밀폐형 음식물 보관 용기용 누름판의 쏠림 방지구조
KR100814783B1 (ko) 보온보냉 도시락
WO2005091725A3 (en) Structure of cap having storing space
KR20140095141A (ko) 깊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KR20170060444A (ko) 음료수병 보온 용기
KR20200027572A (ko) 폼 절연물을 갖는 누설 방지 용기 뚜껑
US7328548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introducing air into, or removing air from, containers
JP2016169042A (ja) 蓋付断熱容器
KR200349023Y1 (ko) 김치저장고용 김치용기
RU2019135369A (ru) Клап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крышка в сборе, контейнер и их использование
KR20170027945A (ko) 조리 용기를 위한 보관 덮개
KR100624778B1 (ko) 컵 뚜껑
KR200391222Y1 (ko) 머그컵의 뚜껑 밀폐구조
CN204708500U (zh) 酒杯
KR20140019583A (ko) 김치보관용기
CN213650611U (zh) 一种麦片密封保鲜罐
KR20100010638U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KR100386498B1 (ko) 냉장고용 식품저장용기
JP2010197009A (ja) 冷凍冷蔵庫
KR200485154Y1 (ko) 용기용 캡의 구조
CN207590431U (zh) 一种真空杯
KR20110105093A (ko) 오크통 와인셀러
KR20110006506A (ko) 진공식 밀폐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