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795B1 - 이동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프레임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795B1
KR101919795B1 KR1020120143278A KR20120143278A KR101919795B1 KR 101919795 B1 KR101919795 B1 KR 101919795B1 KR 1020120143278 A KR1020120143278 A KR 1020120143278A KR 20120143278 A KR20120143278 A KR 20120143278A KR 101919795 B1 KR101919795 B1 KR 101919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rner
edge
mobile terminal
inn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3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5183A (ko
Inventor
신동호
이병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3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795B1/ko
Priority to US13/836,120 priority patent/US9350409B2/en
Publication of KR20140075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5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1Hermetically-sealed casings sealed by a gasket held between a removable cover and a body, e.g. O-ring, p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개구부;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단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내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는 모서리 부분의 강성이 보완을 통해 모서리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케이스의 모서리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케이스가 형합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프레임{MOBILE TERMINAL AND INNER FRAME PROVIDED THERERIN}
본 발명은 낙하 등에 의해 이동 단말기의 모서리에 충격이 가해질 때 부재의 변형으로 인해 부재가 서로 형합되지 않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동 단말기를 떨어져 이동 단말기의 모서리가 먼저 낙하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의 모서리에는 큰 충격이 가해진다.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부재는 대체적으로 합성 수지로 형성되는 바, 상기 충격에 의해 케이스 부재의 모서리의 형상이 종종 변형된다. 케이스 부재의 모서리 부분의 형상이 변형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가 온전히 형합되지 않아 이동 단말기의 내구성 및 완성도를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케이스 부재의 모서리 부분의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케이스 부재의 모서리 부분의 내측에 별도의 리브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케이스 부재의 모서리 부분의 두께의 증가시킴에 따라 이동 단말기 전체의 두께가 증가된다. 이에 따라, 슬림한 디자인의 이동 단말기에서 케이스 부재의 모서리 부분의 두께 증가를 통해 모서리 부분의 형상 변형을 방지하는 데 한계가 있다. 또한, 리브는 보통 케이스 부재와 동일하게 합성수지로 형성되는데, 합성수지로 형성된 리브는 강도가 약하다. 그 결과, 강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리브 자체가 파손되어 모서리 부분의 형상 변형이 여전히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서, 강성이 큰 물질로 형성되며 케이스 부재의 내부에 장착되는 내부 프레임을 이용하여 모서리 부분의 강성을 보완할 수 있는 구조의 케이스 부재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개구부;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단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내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는 평판의 패널; 및 상기 패널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모서리 측벽을 포함하되, 상기 모서리 측벽의 외측면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프레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프레임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내부 프레임의 모서리가 케이스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모서리에 강한 충격이 가해질 때 케이스 대신 큰 강성을 갖는 내부 프레임이 상기 충격을 받는다. 그 결과, 이동 단말기의 모서리에 외부 충격이 가해짐으로써 케이스의 모서리 형상이 변형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케이스의 모서리 형상 변형이 줄어듬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내구성 및 완성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바디, 배터리 및 후면커버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바디를 A-A' 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바디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포함되는 내부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프론트 케이스, 내부 프레임 및 리어 케이스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바디를 도 3의 A-A' 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프론트 케이스, 내부 프레임, 사이드 베젤 및 리어 케이스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프론트 케이스, 내부 프레임, 사이드 베젤 및 리어 케이스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포함되는 후면커버가 결합된 이동 단말기의 바디를 도 3의 A-A' 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포함되는 후면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포함되는 후면커버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1, 10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그러나 케이스의 구성이 상기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볼 수 있듯이, 다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 리어 케이스(102) 및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와 상기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 구비되는 사이드 베젤(109)로 구분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도 전자부품이 실장 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되는 전자부품은 사용자가 탈착이 필요한 배터리, USIM카드 및 메모리카드 등이 있다.
이 때, 상기 이동 단말기는 그 표면을 커버하기 위한 후면커버(10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103)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후면커버(103)를 제거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이 노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커버(103)를 결합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만 노출될 수도 있고, 상기 후면커버(103)의 사이즈를 작게하면 상기 리어케이스(102)의 배면 일부도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103)가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배면 전체을 커버하는 경우 카메라(121)나 음향 출력부(152)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1, 102) 및 후면커버(103)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U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케이스(101, 102)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 132, 133)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 132, 133)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조작 유닛들(131, 132, 133)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3 조작유닛(133)은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 활성화/비활성화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조작 유닛들(131, 132, 133)는 사용자가 압력을 가하면 인식하는 버튼방식이 있을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외에 조작 유닛(131, 132, 133)에도 터치센서(137)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터치만으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같거나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 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바디 후면의 음향 출력부(152)는 바디 전면의 음향 출력부(152, 도 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후면커버를 분리하여 리어 케이스의 표면을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101), 리어 케이스(102), 후면커버(또는 배터리 커버)(103), 카메라(121'), 인터페이스(170), 마이크(122), 음향출력부(152), 배터리(191), 배터리 장착부(104), USIM카드 장착부(105), 메모리카드 장착부(106)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는 이동 단말기의 바디를 구성하고, 상기와 같은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커버(103)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케이스(102) 표면에는 배터리 장착부(104), USIM카드 장착부(105) 및 메모리카드 장착부(106)와 같은 외장부품이 실장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되는 외장부품은 이동 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화 되고 다양해진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동 단말기의 성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전력소모가 큰점을 보완하기 위해 배터리(191)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교체형의 경우 사용자가 탈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배터리 장착부(104)를 형성한다. 상기 배터리 장착부(104)에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실장되는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속 단자를 구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IM카드 장착부(105)나 메모리카드 장착부(106)는 배터리 장착부(104)의 옆에 형성될 수도 있고, 배터리 장착부(104)의 바닥면에 형성하여, 배터리(191)를 상기 배터리 장착부(104)로부터 분리하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배터리 장착부(104)의 크기가 더 커질 수 있어 배터리(191)의 대형화가 가능하다.
도 3에는 USIM카드 장착부(105)나 메모리카드 장착부(106)는 리어 케이스(102)의 후면에 실장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나, 그 외에 측면에서 삽입하는 방식으로 이동 단말기에 삽입 분리 가능하다.
상기 후면커버(103)는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을 커버하여,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된 배터리(191), USIM카드, 메모리카드 등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며, 외부 충격이나 이물질로부터 상기 외장부품을 보호한다. 최근에는 방수기능을 부가하여, 상기 외장부품에 물이 투입되지 않도록 상기 리어 케이스(102)와 상기 후면커버(103)를 결합시 밀폐되도록 하는 방수구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 바디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바디의 일례가 분해 사시도의 일부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에는 개구부(1020)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내부 프레임(200)이 구비되며, 상기와 같은 내부 프레임(200)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단부는 상기 개구부(102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프레임(200)은 케이스를 이루는 합성 수지보다 강성이 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 프레임(200)은 그 모서리가 케이스에 형성된 개구부(1020)를 통해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케이스 내에서 적절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가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성된 경우, 내부 프레임(200)은 리어 케이스(102)의 내측에서 리어 케이스(102)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프레임(200)의 모서리는 상기 개구부(1020)로 노출되어 리어 케이스(102)의 외측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바디의 모서리를 A-A' 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프레임(200)의 모서리 단부는 케이스에 형성된 개구부(102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개구부(1020)를 통해 케이스(102)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내부 프레임(200)의 모서리 단부의 끝면은 케이스(102)의 외측 표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케이스의 전체적인 외형에서 모서리 부분이 돌출되거나 함몰되지 않게 케이스의 모서리 부분이 내부 프레임(200)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프레임(200)은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내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과 접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는 평판 프레임일 수 있다. 내부 프레임(200)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케이스를 이루는 물질보다 큰 강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일 예로, 내부 프레임(200)의 적어도 일부는 유리섬유(glass fiber)가 50% ?유된 고강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모서리 단부 역시 상기와 같은 고강성의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 따르면, 내부 프레임(200)이 이동 단말기 케이스의 모서리의 외부로 노출되는 바, 낙하 등에 의해 이동 단말기 바디의 모서리에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충격이 케이스가 아닌 내부 프레임(200)의 모서리에 가해진다. 내부 프레임(200)은 상대적으로 강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 지는 바, 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본래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내부 프레임(200)의 모서리 단부가 이동 단말기 바디의 모서리를 구성하게 함으로써 모서리 부분의 강성을 보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 바디의 모서리에 큰 충격이 가해질 때에도 이동 단말기 케이스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으며, 그 결과 형상 변형에 의해 케이스가 형합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프레임(200)의 모서리 단부는 케이스의 하부의 양쪽 모서리에서 노출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를 사용 도중에 떨어뜨리는 경우, 이동 단말기 바디의 하부 모서리에 큰 충격이 가해질 가능성이 크다. 도 3에서와 같이 이동 단말기 바디의 하부의 양쪽 모서리를 내부 프레임(200)의 단부로 구성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 사용 도중 낙하에 의해 케이스 부재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프레임(200)의 모서리 단부는 케이스의 네 모서리에서 노출될 수 있다. 도 5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바디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프레임(200)의 모서리 단부는 케이스의 하부의 양쪽 모서리에서 노출되고, 케이스의 상부의 양쪽 모서리에서도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의 모서리 중 어느 모서리에 충격이 가해지는지에 관계 없이 외부 충격에 의해 케이스 부재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의 도면에서는, 내부 프레임의 모서리 단부가 케이스의 하부의 양쪽 모서리에서만 노출되는 실시예에 대한 내부 프레임 및 케이스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동 단말기 바디에서 내부 프레임의 모서리 단부를 어느 모서리에서 노출시키고자 하는지에 따라 내부 프레임과 케이스 각각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의 개수가 증가될 수 있고, 각 구성 요소가 형성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포함하는 내부 프레임 및 케이스의 구체적인 형상 및 구조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6에는 이동 단말기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프레임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프레임은 패널과 상기 패널의 모서리에 형성된 모서리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210)은 편평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패널(210)의 모서리의 형상은 케이스의 모서리의 내측면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패널(210)의 모서리의 형상은 내부 프레임(200)이 케이스 내부에 장착될 때 패널(210)의 모서리가 케이스의 내측면에 접하거나 케이스의 내측면으로부터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케이스 모서리의 내측면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패널(210)의 모서리 단부는 곡선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곡선은 케이스 모서리의 내측면을 구성하는 곡면과 형합될 수 있다.
내부 프레임(200)이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경우, 패널(210)의 일면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과 접할 수 있다. 이 때, 패널(210)의 타면에는 각종 전자 부품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210)의 타면에는 배터리가 안착될 수 있는 배터리 장착부(104, 도 3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 프레임(200)의 일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방열을 위한 그래파이트 시트(graphite sheet)가 구비될 수 있다.
모서리 측벽(220)은 패널(210)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 측벽(220)은 패널(210)의 하부의 양쪽 모서리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모서리 측벽(220)은 패널(210)의 네 모서리 가장자리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210) 모서리의 가장자리가 곡선을 이루는 경우, 모서리 측벽(220)은 상기 패널(21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곡선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모서리 측벽(220)이 패널(210)의 모서리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됨에 따라, 모서리 측벽(220)의 외측면이 내부 프레임(200)의 모서리 단부를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모서리 측벽(220)이 케이스의 개구부(1020)에 삽입된다. 그 결과, 케이스의 외부로 내부 프레임(200)의 모서리 단부가 노출될 수 있다. 모서리 측벽(220)이 케이스의 개구부(1020)에 삽입된 모습은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서리 측벽(220)이 케이스의 개구부(1020)에 삽입되면 모서리 측벽(220)의 외측면이 케이스의 외측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된 바와 같이 케이스의 전체적인 외형에서 모서리 부분이 돌출되거나 함몰되지 않게 케이스의 모서리 부분이 내부 프레임(200)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내부 프레임(200)의 노출되는 모서리 단부를 모서리 측벽(220)으로 구성함으로써, 노출되는 단부의 표면적을 넓힐 수 있다. 모서리 측벽(220) 없이 패널(210)의 모서리가 노출된다면, 노출된 내부 프레임(200)의 단부에 충격이 가해질 때 얇은 패널(210)의 단면 면적에 충격이 집중된다. 본 실시예서와 같이 가장자리에 측벽을 형성하는 경우, 모서리 측벽(220)의 외측면이 패널(210)의 단면보다 더 큰 면적을 가져 내부 프레임(200) 모서리에 가해지는 충격이 분산될 수 있다. 그 결과, 모서리 측벽(220)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 바디의 모서리 부분의 강성을 더 효과적으로 보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210)은 평면 플레이트(211)와 체결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평면 플레이트(211)는 사출 형성될 수 있고, 내부 프레임(200)이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과 주로 접할 수 있다.
체결부(212)는 평면 플레이트(211)의 단부에 형성되며, 평면 플레이트(211)와 상이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212)에는 케이스의 조립을 위한 나사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홀(2130)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21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플레이트(211)의 하측 단부와 상측의 양쪽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체결부(212)는 평면 플레이트(211)의 하측 단부와 상측 단부에 형성되거나, 평면 플레이트(211)의 하측의 양쪽 단부와 상측의 양쪽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212)는 유리섬유(glass fiber)가 50% ?유된 고강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부(212)는 평면 플레이트(211)의 단부에 형성되어 패널(210)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체결부(212)의 모서리가 내부 프레임(200)의 모서리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모서리 측벽(220)은 체결부(212)의 모서리 가장자리를 따라 체결부(212)로부터 돌출됨으로써 패널(210)의 모서리 단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 측벽(220)은 케이스의 조립을 위한 나사가 삽입되는 홀(2130)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곡선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모서리 측벽(220)은 내부 프레임(200)의 모서리 단부를 구성하여 케이스의 개구부(1020)에 삽입되어 노출됨과 동시에 상기 홀(2130)에 삽입된 나사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면 플레이트(211)와 체결부(212)는 이중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평면 플레이트(211)와 체결부(212) 중 어느 하나가 먼저 사출 성형된 후, 다른 하나가 상기 사출물 상에 사출되어 성형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진 평면 플레이트(211)와 체결부(212)가 견고한 결합을 이뤄 일체의 패널(210)을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내부 프레임(200) 전체의 강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패널(210)을 구성하는 평판 플레이트와 체결부(212)가 각각의 기능에 최적인 재질로 이루어지는 바, 내부 프레임(200)의 패널(210)이 효율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동시에, 체결부(212)에 형성된 홀(2130)을 통해 내부 프레임(200)이 케이스 내부에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어, 이동 단말기 바디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에는 도 6에 도시된 내부 프레임과 프론트 케이스, 리어 케이스의 결합 관계가 나타난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프론트 케이스(101)는 이동 단말기 바디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고, 리어 케이스(102)는 상기와 같은 프론트 케이스(101)의 후면에 결합되어 이동 단말기 바디의 후면 외관을 형성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케이스(101)의 후면에 내부 프레임(200)이 배치되고, 내부 프레임(200) 후면에 리어 케이스(102)가 배치된 상태에서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가 조립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에 따라 내부 프레임(200)의 패널(210)에 홀(2130)이 형성된 경우,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조립하기 위한 나사(10a)가 상기 홀(213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나사(10a)가 내부 프레임(200)의 홀(2130)에 삽입됨으로써,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서 내부 프레임(20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가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되는 경우, 리어 케이스(102)의 모서리에는 리세스부(10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부(1021)는 리어 케이스(102)와 프론트 케이스(101)가 결합 시 이동 단말기 케이스에 개구부(1020)를 형성한다. 상기 리세스부(1021)는 리어 케이스(102)의 모서리 가장자리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리세스부(1021)는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을 형성하는 리어 케이스(102) 측벽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론트 케이스(101), 내부 프레임(200) 및 리어 케이스(102)가 결합될 때 내부 프레임(200)의 패널(210)에 형성된 모서리 측벽(220)이 상기 리세스부(1021)에 삽입될 수 있다. 그 결과, 모서리 측벽(220)의 외측면이 리어 케이스(102)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서리 측벽(220)의 외측면이 리어 케이스(102)의 외측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에는 리세스부(1021)가 리어 케이스(102)의 하단의 양쪽 모서리에 형성된 모습이 도시되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리세스부(1021)는 리어 케이스(102)의 상단의 양쪽 모서리에 더 형성될 수 있다. 리세부가 형성되는 위치는 내부 프레임(200)의 모서리 측벽(220)이 내부 프레임(200)의 어느 모서리에 형성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내부 프레임(200)에 형성된 모서리 측벽(220)의 위치에 대응되는 리어 케이스(102) 모서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이동 단말기 바디의 모서리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프레임(200)에는 모서리 돌기(22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모서리 돌기(221)는 모서리 측벽(22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모서리 측벽(220)을 따라 연장됨과 동시에, 적어도 일부가 모서리 측벽(220)의 돌출 방향과 반대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6 및 도 7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 돌기(221)는 모서리 측벽(220)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 측벽(220)의 돌출 방향과 반대로 돌출될 수 있다.
이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프레임(200)이 케이스 내에 장착될 때 상기 모서리 돌기(221)는 케이스에 형성된 모서리 고정홈(101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모서리 고정홈(1011)은 케이스 모서리의 내면이 함몰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서리 고정홈(1011)은 특히 프론트 케이스(101)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모서리 고정홈(1011)은 프론트 케이스(101)의 내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함몰되고, 모서리 돌기(22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될 수 있다. 모서리 고정홈(1011)에 모서리 돌기(221)가 삽입된 상태에서 내부 프레임(200)이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와 함께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 고정홈(1011)은 프론트 케이스(101)의 하단의 양쪽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모서리 고정홈(1011)은 프론트 케이스(101)의 하단의 양쪽 모서리에 더 형성될 수 있다. 모서리 고정홈(1011)이 형성되는 위치는 내부 프레임(200)의 모서리 측벽(220) 및 모서리 돌기(221)가 내부 프레임(200)의 어느 모서리에 형성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서리 고정홈(1011)은 내부 프레임(200)에 형성된 모서리 측벽(220) 및 모서리 돌기(221)의 위치에 대응되는 케이스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모서리 측벽(220)으로부터 돌출된 모서리 돌기(221)가 케이스에 형성된 모서리 고정홈(1011)에 삽입됨으로써, 모서리 측벽(220)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즉, 모서리 돌기(221)는 모서리 고정홈(1011)에 삽입됨으로써 케이스 외부로 노출된 내부 프레임(200)의 모서리 측벽(220)에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모서리 측벽(220)이 변형되거나 케이스 내부로 이동되는 현상을 이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모서리 돌기(221)는 모서리 측벽(220)으로부터 두 방향(모서리 측벽(220)의 높이 방향, 측방향)으로 동시에 돌출되는 바, 모서리 측벽(220)의 위치를 다각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9에는 도 6에 도시된 내부 프레임과 프론트 케이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베젤, 리어 케이스의 결합 관계가 나타난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는 도 6에 도시된 내부 프레임과 프론트 케이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베젤, 리어 케이스의 결합 관계가 나타난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드 베젤(109) 및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이드 베젤(109)은 이동 단말기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고,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는 각각 이동 단말기의 전면 및 후면 외관을 형성한다. 프론트 케이스(101)는 사이드 베젤(109)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고, 리어 케이스(102)는 사이드 베젤(109)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드 베젤(109) 및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되는 경우, 사이드 베젤(109)의 모서리에는 리세스부(109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부(1091)는 사이드 베젤(109)의 모서리 가장자리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부(1091)는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드 베젤(109) 및 리어 케이스(102)가 결합 시 이동 단말기 케이스에 개구부(1020)를 형성할 수 있고, 내부 프레임(200)의 패널(210)에 형성된 모서리 측벽(220)이 상기 리세스부(1091)에 삽입됨으로써 사이드 베젤(109)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서리 측벽(220)의 외측면이 사이드 베젤(109)의 외측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베젤(109)의 모서리에는 관통홀(109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092)은 사이드 베젤(109)의 모서리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092)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드 베젤(109) 및 리어 케이스(102)가 결합 시 이동 단말기 케이스에 개구부(1020)를 형성할 수 있고, 내부 프레임(200)의 패널(210)에 형성된 모서리 측벽(220)이 상기 관통홀(1092) 삽입됨으로써 사이드 베젤(109)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서리 측벽(220)의 외측면이 사이드 베젤(109)의 외측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리세스부(1091) 또는 상기 관통홀(1092)은 도 9 및 도 10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베젤(109)의 하단의 양쪽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세스부(1091) 또는 상기 관통홀(1092)은 사이드 베젤(109)의 상단의 양쪽 모서리에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리세스부(1091) 또는 상기 관통홀(1092)이 형성되는 위치는 내부 프레임(200)의 모서리 측벽(220)이 내부 프레임(200)의 어느 모서리에 형성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내부 프레임(200)에 형성된 모서리 측벽(220)의 위치에 대응되는 사이드 베젤(109) 모서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포함하는 후면커버의 구체적인 형상 및 구조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11에는 본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포함되는 후면커버가 결합된 이동 단말기 모서리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상기 후면커버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케이스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면커버(1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후면커버(103)가 상기 케이스와 결합 시 케이스 모서리와 상기 후면커버(103)의 내측면 사이에는 이격공간(1031a)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이격공간(1031a)은 케이스 외부로 노출된 내부 프레임(200)의 모서리 단부와 후면커버(103)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만약 내부 프레임(200)의 패널(210)에 모서리 측벽(220)이 형성되고 모서리 측벽(220)의 일측면이 케이스 외부로 노출된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격공간(1031a)은 모서리 측벽(220)의 외측면과 후면커버(103)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내부 프레임(200)이 케이스의 모서리에서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바, 상기 이격공간(1031a)은 후면커버(103)의 모서리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이격공간(1031a)은 케이스의 외측면과 후면커버(103)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케이스 모서리에서 내부 프레임(20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이격공간(1031a)은 후면커버(103)의 모서리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의 모서리와 후면커버(103)의 내측면 사이에 이격공간(1031a)이 형성됨에 따라, 후면커버(103)의 모서리에 충격이 가해져 후면커버(103)의 모서리 형상이 변형되는 경우에도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형합되게 결합될 수 있다.
후면커버(103)의 모서리가 변형 전보다 내측으로 들어오게 변형되는 경우, 변형된 후면커버(103)의 모서리가 상기 이격공간(1031a) 내에 위치할 수 있기 때문에 후면커버(103) 내측에 결합되는 리어 케이스(102)와 간섭하지 않는다. 또한, 후면커버(103)의 모서리가 변형 전보다 외측으로 나오게 변형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와 결합 시 상기 이격공간(1031a)에 프론트 케이스(101)가 억지끼움 될 수 있어 후면커버(103)와 케이스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낙하 등에 의해 후면커버(103)의 모서리 형상이 어떻게 변형되더라도 이동 단말기가 형합되게 조립될 수 있어 이동 단말기의 품질과 완성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격공간(1031a)은 후면커버(103)의 내측 모서리에 형성된 완충홈(103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홈(1031)은 후면커버(103)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가장자리를 따라 후면커버(103)의 내측면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완충홈(1031)은 후면커버(103)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함몰되면서, 후면커버(103)의 모서리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홈(1031)은 후면커버(103)의 하단의 양쪽 모서리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완충홈(1031)은 후면커버(103)의 모서리 중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내부 프레임(200)의 모서리 단부가 수용되는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스 외부로 노출된 내부 프레임(200)의 모서리 단부를 통한 모서리 강성 보완 효과와 완충홈(1031)에 의한 후면커버(103) 변형 완충 효과가 동시에 구현될 수 있다.
도 13에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포함되는 후면커버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홈(1031)은 후면커버(103)의 네 모서리 내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후면커버(103)의 네 모서리 모두에서 완충홈(1031)에 의한 후면커버(103) 변형 완충 효과가 구현될 수 있으며, 후면커버(103)의 어느 모서리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후면커버(103)가 이동 단말기 케이스와 형합되게 결합될 수 있어 이동 단말기의 품질이 제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1: 프론트 케이스 102: 리어 케이스
103: 배터리 커버 109: 사이드 베젤
1020: 개구부 200: 내부 프레임
210: 패널 211: 평면 플레이트
212: 체결부 220: 모서리 측벽
221: 모서리 돌기 1031: 완충홈

Claims (20)

  1. 이동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개구부;
    상기 케이스 모서리의 내면이 함몰되어 형성된 모서리 고정홈;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단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내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프레임은,
    모서리의 형상이 상기 케이스 모서리의 내측면과 대응되게 형성된 패널;
    상기 패널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모서리 측벽; 및
    상기 모서리 측벽에서 상기 모서리 측벽의 돌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모서리 고정홈에 삽입되는 모서리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프레임은 상기 케이스보다 강성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삭제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측벽의 외측면은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는 이동 단말기.
  4. 삭제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평면 플레이트, 및 상기 평면 플레이트와 상이한 재질로 상기 평면 플레이트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조립을 위한 나사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 측벽은 상기 체결부의 모서리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이동 단말기.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플레이트와 상기 체결부는 이중 사출 성형된 이동 단말기.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 및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결합되는 리어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리어 케이스의 모서리 가장자리가 함몰되어 형성된 리세스부인 이동 단말기.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결합하는 사이드 베젤 및 상기 사이드 베젤과 결합하는 리어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사이드 베젤의 모서리 가장자리가 함몰되어 형성된 리세스부인 이동 단말기.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결합하는 사이드 베젤 및 상기 사이드 베젤과 결합하는 리어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사이드 베젤의 모서리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홀인 이동 단말기.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프레임의 모서리 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의 양쪽 모서리에서 노출되는 이동 단말기.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프레임의 모서리 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의 양쪽 모서리에서 더 노출되는 이동 단말기.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면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후면커버가 상기 케이스와 결합 시 상기 케이스 모서리와 상기 후면커버의 외측면과 상기 후면커버의 내측면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이동 단말기.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후면커버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후면커버의 내측면이 함몰되어 형성된 완충홈에 의해 형성되는 이동 단말기.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프레임은 상기 케이스 내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과 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는 이동 단말기.
  15.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고 모서리의 형상이 상기 케이스 모서리의 내측면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평판의 패널; 및
    상기 패널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모서리 측벽; 및
    상기 모서리 측벽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모서리 측벽을 따라 연장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패널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모서리 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모서리 측벽의 외측면은 상기 케이스의 모서리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모서리 돌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의 내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프레임.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측벽은 상기 패널의 일단의 양 쪽 모서리에 형성되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프레임.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측벽은 상기 패널의 타단의 양 쪽 모서리에 더 형성되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프레임.
  18. 삭제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평면 플레이트, 및 상기 평면 플레이트와 상이한 재질로 상기 평면 플레이트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조립을 위한 나사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 측벽은 상기 체결부의 모서리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프레임.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플레이트와 상기 체결부는 이중 사출 성형된 이동 단말기의 내부 프레임.
KR1020120143278A 2012-12-11 2012-12-11 이동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프레임 KR101919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278A KR101919795B1 (ko) 2012-12-11 2012-12-11 이동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프레임
US13/836,120 US9350409B2 (en) 2012-12-11 2013-03-15 Mobile terminal and inner frame provided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278A KR101919795B1 (ko) 2012-12-11 2012-12-11 이동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183A KR20140075183A (ko) 2014-06-19
KR101919795B1 true KR101919795B1 (ko) 2018-11-19

Family

ID=50881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3278A KR101919795B1 (ko) 2012-12-11 2012-12-11 이동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프레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50409B2 (ko)
KR (1) KR1019197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72917B2 (en) 2014-08-11 2016-10-18 Apple Inc. Internal component arrangement within a housing
KR102266192B1 (ko) * 2015-02-02 2021-06-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D806060S1 (en) * 2015-02-23 2017-12-26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devices
FR3033161B1 (fr) * 2015-02-27 2017-03-24 Valeo Systemes Dessuyage Flanc pour la fabrication d'un dispositif d'emballage d'au moins un balai d'essuie-glace
KR20170017081A (ko) * 2015-08-05 201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조립방법
US9743554B2 (en) * 2015-11-18 2017-08-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eat dissipation in electronics with a heat spreader
US11637919B2 (en) 2019-12-03 2023-04-25 Apple Inc.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12003657B2 (en) 2021-03-02 2024-06-04 Apple Inc. Handheld electronic device
WO2024019580A1 (ko) * 2022-07-22 2024-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완충 프레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2002321U1 (de) 2011-07-13 2012-03-26 Motorola Mobility, Inc. Mobiles elektronisches Gerät mit verbesserter Aufprallmilderung
US20120155035A1 (en) 2010-12-20 2012-06-21 Compal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101201910B1 (ko) 2011-02-14 2012-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3237A (en) * 1994-10-17 1997-03-18 Motorola, Inc. Housing latch system utilizing an elastomeric interlocking band
WO2004105362A1 (ja) * 2003-05-22 2004-12-02 Fujitsu Limited 携帯端末装置
US7447532B2 (en) * 2006-01-11 2008-11-04 Inventec Corporation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shockproof mechanism
US8755852B2 (en) * 2009-02-06 2014-06-17 Speculative Product Design, Llc One piece co-formed exterior hard shell case with an elastomeric liner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US9098238B2 (en) * 2010-03-17 2015-08-04 Otter Products, Llc Energy deflection case
KR101832548B1 (ko) * 2011-06-13 2018-02-26 트리프로그 디벨롭먼츠, 인크. 태블릿 컴퓨터를 수납하기 위한 하우징
US8403136B1 (en) * 2012-04-16 2013-03-26 Aaeon Technology Inc. Waterproof, shockproof container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20140076753A1 (en) * 2012-09-17 2014-03-20 Jamie Limber Case for wireless devi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55035A1 (en) 2010-12-20 2012-06-21 Compal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101201910B1 (ko) 2011-02-14 2012-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DE202012002321U1 (de) 2011-07-13 2012-03-26 Motorola Mobility, Inc. Mobiles elektronisches Gerät mit verbesserter Aufprallmilder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50409B2 (en) 2016-05-24
US20140162736A1 (en) 2014-06-12
KR20140075183A (ko) 201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795B1 (ko) 이동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프레임
US8880129B2 (en) Mobile terminal
KR100810266B1 (ko) 보강 부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8885867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437966B1 (ko) 휴대 단말기
US9285843B2 (en) Electronic device
US9086846B2 (en) Mobile terminal
US9713274B2 (en) Electronic apparatus
US8974246B2 (en) Mobile terminal
US20130265505A1 (en) Television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200028948A1 (en) Mobile terminal
KR102019120B1 (ko) 버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20140035055A (ko) 이동단말기 및 이에 구비된 배터리를 성형하는 프레스 금형 장치
KR20140004875A (ko) 이동단말기
KR101984578B1 (ko) 이동단말기
KR101919774B1 (ko) 이동 단말기
KR20140065085A (ko) 후면커버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102028687B1 (ko) 전자기기용 커버의 결합구조
KR20140045641A (ko) 이동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내부 프레임의 제조 방법
KR10196625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
KR101981315B1 (ko) 이동 단말기
KR20140036699A (ko) 이동단말기
KR101841177B1 (ko) 이동 단말기
KR101980708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115498A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