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772B1 - 체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 Google Patents

체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772B1
KR102568772B1 KR1020150136466A KR20150136466A KR102568772B1 KR 102568772 B1 KR102568772 B1 KR 102568772B1 KR 1020150136466 A KR1020150136466 A KR 1020150136466A KR 20150136466 A KR20150136466 A KR 20150136466A KR 102568772 B1 KR102568772 B1 KR 102568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holder
front case
seating area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7210A (ko
Inventor
윤석진
강태석
변동현
왕상진
정민화
허진혁
황지성
유민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6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772B1/ko
Priority to PCT/KR2016/010469 priority patent/WO2017052156A1/en
Priority to US15/270,605 priority patent/US10123434B2/en
Priority to EP16190355.4A priority patent/EP3147748B1/en
Priority to CN201610847808.2A priority patent/CN106802482B/zh
Publication of KR20170037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7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22Viewing apparatu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28Viewing or read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05K5/0013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assembled by resilient memb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Abstract

한 실시 예는 렌즈가 배치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 중 전자 장치가 안착되는 안착 영역과 상기 안착 영역에 안착되는 상기 전자 장치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는 감싸는 테두리 영역을 포함하는 전면 케이스, 상기 테두리 영역의 일측에서 상기 전면 케이스의 안착 영역 바닥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전자 장치가 장착될 때 상기 전자 장치의 일측 측면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연결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홀더, 상기 테두리 영역의 일측에서 상기 전면 케이스의 안착 영역 바닥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전자 장치가 장착될 때, 상기 전자 장치의 타측 측면 일부를 감싸는 고정 홀더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를 개시한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체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Connection Device for Display device and Head-mounted Display Device}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헤드 마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신체에 직접 착용될 수 있는 형태의 다양한 전자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보통 웨어러블(Wearable) 전자장치라 불린다.
신체의 어느 일부분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전자장치는 예컨대, 사용자의 두부 또는 머리에 장착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Head-mounted display device, HMD), 스마트 안경 (smart glass), 스마트 시계 또는 밴드(smart watch, wristband), 콘텍트 렌즈형 장치, 반지형 장치, 신발형 장치, 의복형 장치, 장갑형 장치 등을 포함하며, 인체의 일부 또는 의복에 탈 부착 가능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특히 HMD는 고글 형상 또는 안경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장치는 신체에 직접 착용됨에 따라, 이동성(portability) 및 사용자의 접근성(Accessibility)이 향상될 수 있다.
헤드 마운트 장치는 전자 장치가 프레임에 장착되어 운용될 수 있다. 그런데, 전자 장치는 다양한 크기와 다양한 형상을 가지며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헤드 마운트 장치도 전자 장치 형태별로 다양하게 제작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조 라인과 판매 등에 있어서 다양한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의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장착 및 고정시킬 수 있는 체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장치는 렌즈가 배치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 중 전자 장치가 안착되는 안착 영역과 상기 안착 영역에 안착되는 상기 전자 장치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는 감싸는 테두리 영역을 포함하는 전면 케이스, 상기 테두리 영역의 일측에서 상기 전면 케이스의 안착 영역 바닥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전자 장치가 장착될 때 상기 전자 장치의 일측 측면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연결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홀더, 상기 테두리 영역의 일측에서 상기 전면 케이스의 안착 영역 바닥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전자 장치가 장착될 때, 상기 전자 장치의 타측 측면 일부를 감싸는 고정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체결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를 안착하는 안착 영역과 상기 전자 장치의 테두리를 감싸는 테두리 영역을 포함하는 전면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케이스는 상기 테두리 영역의 일측에서 상기 전면 케이스의 안착 영역 바닥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전자 장치가 장착될 때 상기 전자 장치의 일측 측면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연결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홀더, 상기 테두리 영역의 일측에서 상기 전면 케이스의 안착 영역 바닥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전자 장치가 장착될 때, 상기 전자 장치의 타측 측면 일부를 감싸는 고정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전자 장치의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타입의 전자 장치를 헤드 마운트 장치에 장착 및 고정시킬 수 있어, 전자 장치 타입에 관계없이 균일화된 헤드 마운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문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장치가 전자 장치와 결합되지 않은 상태의 메인 프레임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전자 장치 및 커버를 장착한 상태에서 도 2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헤드 마운트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도이다.
도 5a는 한 실시 예에 따른 HMD 장치의 전면 케이스 부분 중 커넥터 홀더의 제1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한 실시 예에 따른 HMD 장치의 전면 케이스 부분 중 커넥터 홀더의 제2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c는 한 실시 예에 따른 HMD 장치의 전면 케이스 부분 중 커넥터 홀더의 제3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d는 한 실시 예에 따른 HMD 장치의 전면 케이스 부분 중 커넥터 홀더의 제4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한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b는 한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홀더의 제1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c는 한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홀더의 제1 절단면(A-A`)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d는 한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홀더의 제2 절단면(B-B`)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e는 한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홀더의 가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f는 한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홀더의 제3 상태에서의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g는 한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홀더의 제4 상태에서의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h는 한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홀더와 전면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a는 한 실시 예에 따른 HMD 장치의 전면 케이스 부분 중 고정 홀더의 제1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는 한 실시 예에 따른 HMD 장치의 전면 케이스 부분 중 고정 홀더의 제2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c는 한 실시 예에 따른 HMD 장치의 전면 케이스 부분 중 고정 홀더의 제3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정 홀더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b는 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정 홀더의 제1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c는 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정 홀더의 제1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d는 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정 홀더의 제2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e는 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정 홀더의 가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f는 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정 홀더의 제2 상태의 제1 절단면(C-C`)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g는 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정 홀더의 제3 상태에서의 제1 절단면(C-C`)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h는 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정 홀더의 제3 상태의 제2 절단면(D-D`)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i는 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정 홀더와 전면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a는 한 실시 예에 따른 측벽 보호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b는 한 실시 예에 따른 측벽 보호부와 전면 케이스의 결합도이다.
도 10은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장치의 일반 모드 (Normal mode)와 HMM(Head-mounted Mode) 또는 VR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장치가 스마트폰의 후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시-스루(See-through) 모드를 제공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문서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문서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헤드 마운트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제공하는 시-스루(See-through) 또는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을 제공하는 시-클로즈드(See-closed)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시-스루(See-through) 기능은, 구글 글래스를 예로 들면,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투명/반투명 렌즈를 통하여 실제 외부의 사물들을 사용자의 안구에 전달하면서, 상기 사물 또는 가상의 대상 또는 사물을,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다양한 감각적인 수단을 사용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일반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루(See-through) 기능에 의하면, 실제로 보이는 사물 등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 및 또 이미지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나 렌즈없이 홀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시-클로즈드 기능은 소니의 HMZ를 예로 들면, 별도의 디스플레이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의 안구 앞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공되는 컨텐츠(게임, 영화, 스트리밍, 방송 등)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독립된 화면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몰입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문서의 HMD, (Head-mounted theater) 장치는 기존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차별화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장치의 메인 프레임에 탈장착되는 전자장치는 통신 기능이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HMD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도 2는 HMD장치가 전자 장치와 커버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전자 장치 및 커버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헤드 마운트 장치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HMD 장치 100은 메인 프레임(main frame) 110 및 착용 파트(support part) 115, (예, 고글 밴드(goggle band))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HMD 장치는 상기 착용 파트 115 중 착용자의 머리 상부에 위치하는 부분이 제외되고, 착용자의 머리 측부에 위치하는 부분만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메인 프레임 110은 사용자의 얼굴 중 적어도 일부(예: 안면(facial side))에 착용될 수 있고, 다양한 구성 요소에 의해 사용자의 안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착용 파트115는 탄성 소재로 형성된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여 메인 프레임 110이 사용자 얼굴의 눈 주위로 밀착되게 할 수 있고, 밴드에는 장시간의 착용을 고려하여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고자 쿠션들이 부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착용 파트115는 안경 다리(eyeglass temples), 헬멧(helmets) 또는 스트랩(straps)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 110의 후면은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되는 부분 예컨대, 안면 접촉 파트 130으로서, 사용자의 안면의 굴곡에 대응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탄성체 134를 적어도 일부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 134는 안면 접촉 파트 130이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될 시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스폰지와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쿠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탄성체 134는 하나의 스폰지로 구성될 수도 있고, 압축률이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폰지를 합지한 형상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탄성체 134는 세 겹(예, 상층, 중층, 하층)으로 합지된 스폰지로서, 상, 하층은 압축률인 낮은 스폰지를 사용하고, 중층은 압축률이 높은 스폰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체 134는 메인 프레임 110 과 분리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탄성체 134의 일면은 접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접착부재를 통해 메인 프레임 110과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접착부재는 벨크로, 테이프, 접착제 등이 될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고 탈부착이 가능한 접착부재는 어느 것이든 사용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HMD 장치 100을 여러 사용자가 사용 할 경우 본인에 맞는 탄성체(예를 들어 안면 윤곽이 다른 어른 또는 아이 등에 맞는 탄성체)를 사용 할 수 있다. 탄성체 134 표면이 오염되거나 (예를 들면 화장품이나 땀), 잦은 사용에 따라 탄성체 134가 파기될 경우 다른 탄성체로 교체하여 HMD 장치 100 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문서의 HMD 장치 100이 사용자의 안면에서의 용이한 착용을 고려하여, 예를 들어, 메인 프레임 110의 모양이나 구조는 사용자의 눈을 덮은 외형이되, 사용자의 코가 위치할 수 있도록 코 형상의 홈(nose recess), 120을 포함할 수 있다. 안면 접촉 파트 130의 일부 중 사용자의 두 눈에 대면하는 위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가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가 HMD 장치 100을 착용할 때, 사용자의 눈으로 전자 장치 200의 화면을 볼 수 있도록, 안면 접촉 파트 130에 렌즈의 적어도 일 면이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 110은 사용자가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을 정도로 가벼우면서도 전자 장치 200을 지지할 수 있는 재료,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 HMD 장치 100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재료가 메인 프레임 110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보호 재료는 강도 또는 미관을 위하여 다양한 재료, 예를 들어 유리, 플라스틱(예, ABS, 폴리카보네이트), 세라믹, 금속(예, 알루미늄) 또는 금속 합금(예, 강철, 스테인레스강, 티타늄 또는 마그네슘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 110은 터치 패드112, 디스플레이 위치 조정부114 및 렌즈 고정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 110은 전면에 전자 장치 200을 결합할 수 있는 공간이나 구조를 포함하는 전면 케이스122를 형성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 110은 결합된 전자 장치 200과 통신할 수 있도록 커넥터(connec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넥터는 전자 장치 200의 전기접속부, 예를 들어, USB 포트에 접속될 수 있는 USB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USB 커넥터의 전기접속부를 통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신호를 전자 장치 200에 제공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 110의 전면 케이스122는 전자 장치 200의 외형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면 케이스122는 탄성 소재 또는 플렉서블한 재료를 포함하여 크기를 변형시킴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전자 장치 200을 수납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HMD 장치 100은 메인 프레임 110에 전자 장치 200의 단말기를 체결한 상태에서 단말기를 메인 프레임 110에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결합되는 커버 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220은 메인 프레임 110에 후크와 같은 형태로 물리적인 결합을 할 수 있고, 자석이나 전자석과 같은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커버 220은 전자 장치 200이 메인 프레임 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추가로 방지 할 수 있고, 메인 프레임 110의 외관을 구성하면서 심미감을 높일 수도 있다.
커버 220은 전면에 윈도우 240을 추가로 포함 할 수 있으며, 윈도우 240은 다양한 형태의 재질 및 컬러 등을 통해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윈도우 240은 PC(Polycarbonate), 아크릴과 같은 일반적인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 될 수 있고, 유리, 사파이어, 투명 세라믹과 같은 세라믹 재질로 제작 될 수도 있고, 알루미늄, SUS 등 메탈 재질로도 제작 될 수 있다. 투명한 재료의 경우는 유색 컬러를 포함할 수 있고, 투명도를 조절 할 수 도 있다.
또한 커버 220은 추가로 하나 이상의 개구부 222를 포함 할 수 있다. 개구부 222는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커버 220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단말기 온도를 낮춰 단말기 성능 저하를 막을 수 있다. 그리고 하나 이상의 개구부 222를 통해 커버 220의 중량을 가볍게 하여 전체적인 무게를 줄여 경량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 110의 렌즈 고정부116에는 디스플레이 또는 투명/반투명 렌즈260가 일체형으로 고정될 수도 있고, 탈착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와 사용자의 눈 사이에 렌즈 조립체가 삽입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 110의 후면에는 또한 메인 프레임 110이 사용자의 눈 주위에 과도하게 밀착되는 것을 보호하고자 부드러운 소재(예, 스폰지, 고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 110은 전자 장치 200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 장치 또는 사용자 입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장치는 예를 들어, 메인 프레임 110 측면의 터치 패드112, 물리적 키, 물리적 버튼, 터치 키, 조이스틱, 또는 휠(wheel) 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터치 패드112는 전자장치 2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리 설정에 대한 GUI는 전자 장치 20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고, 영상 재생에 관한 GUI는 전자 장치 200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드112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예: 터치 패드112을 직접 터치하는 입력) 또는 호버링(hovering)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문서의 HMD장치 100은 USB 등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 200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수신한 터치 입력을 전자 장치 20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 200은 HMD장치 100으로부터 수신한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200은 수신한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음량을 조절하거나 영상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위치 조정부114는 휠(wheel) 또는 다이얼(dial)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위치 조정부114로 구현된 휠 또는 다이얼을 돌리면, 전자 장치 200이 이동되어 전자 장치 200의 디스플레이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고, 그 결과 사용자는 자신의 시력에 적합하거나 최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감상할 수 있도록 전자 장치 2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메인 프레임 110의 전면 케이스122에는 결합된 외부 전자 장치 200을 고정하는 커넥터 홀더 500 및 고정 홀더 6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는 한 실시 예에 따른 HMD 장치의 전면 케이스 부분 중 커넥터 홀더의 제1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HMD 장치 100은 메인 프레임 110 중 전면 케이스 122를 포함하고, 전면 케이스 122는 렌즈 260이 위치하는 렌즈 홀 270과, 렌즈 홀 270 주변에 배치된 장치 보호부 280, 장치 측벽 보호부 700, 커넥터 홀더 500 및 고정 홀더 6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케이스 122는 장치 타입을 지시하는 지시부 8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면 케이스 122는 중앙에 전자 장치 200이 안착되는 안착 영역 122a과, 안착 영역 122a을 감싸는 테두리 영역 122b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 영역 122a에는 상기 렌즈 홀 270, 장치 보호부 280, 장치 측벽 보호부 70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 영역 122b에는 상기 커넥터 홀더 500 및 고정 홀더 600이 배치되데, 커넥터 홀더 500 및 고정 홀더 600의 적어도 일부는 안착 영역 122a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 홀 270은 예컨대, 전면 케이스 122의 중앙부에 일정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렌즈 홀 270은 착용자의 양안을 고려하여 두 개의 홀을 포함하거나 또는 중앙부가 연결된 하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 보호부 280은 렌즈 홀 270을 둘러싸는 전면 케이스 122의 일정 일치에서,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 바닥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장치 보호부 280은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에 장착되는 전자 장치 200과 물리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장치 보호부 280은 일정 텐션을 가지는 재질 또는 쿠션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장치 보호부 280은 고무 재질 또는 융 재질 또는 실크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장치 보호부 280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안착 영역 122a의 4곳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장치 보호부 280은 1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장치 보호부 280은 전자 장치 200이 안착 영역 122a에 균일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 영역 122a의 가장자리에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장치 측벽 보호부 700은 예컨대,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에 안착되는 전자 장치 200의 측벽을 보호할 수 있다. 장치 측벽 보호부 700은 예컨대, 상기 장치 보호부 280이 배치된 영역에 인접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장치 측벽 보호부 700은 상기 안착 영역 122a의 가장자리 영역 중 적어도 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장치 측벽 보호부 700은 안착되는 전자 장치 200들의 다양한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 측벽 보호부 700은 예컨대, 특정 전자 장치 타입의 측벽을 보호하는 제1 측벽 보호부 710과, 다른 전자 장치 타입의 측벽을 보호하는 제2 측벽 보호부 720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 측벽 보호부 700의 다른 예와 관련하여 도 9a 및 도 9b를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커넥터 홀더 500은 예컨대, 전면 케이스 122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홀더 500은 예컨대, 전자 장치 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 홀더 500은 커넥터에 연결되는 동안 전자 장치 200의 측벽을 감싸는 형태(예: C자 형상)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전자 장치 200의 측벽을 감싸는 형상이 동시 배치되는 경우 E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홀더 500은 외압에 의하여 다양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커넥터 홀더 500은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상태, 전면 케이스 122의 테두리 영역 122b 방향으로 치우쳐 배치되는 상태, 상기 안착 영역 122a 방향으로 더 돌출된 상태에서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 바닥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 상기 테두리 영역 122b 방향으로 치우쳐 배치된 상태에서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 바닥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 등을 가질 수 있다. 도 5a 도시된 커넥터 홀더 5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전면 케이스 122의 테두리 영역 122b 방향으로 치우쳐 배치된 제1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 홀더 500은 전면 케이스 122와 나란한 방향을 기준으로 전면 케이스 122의 중심부 방향 또는 전면 케이스 122의 테두리 방향으로 가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 홀더 500은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 바닥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으로 회전되었다가, 다시 안착 영역 122a 바닥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홀더 600은 상기 전면 케이스 122의 세로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커넥터 홀더 500과 대칭되는 전면 케이스 122의 테두리 영역 122b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홀더 6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홀더 600은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전면 케이스 122의 가로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홀더 600은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고정 홀더 600은 상기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의 중심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시부 800은 상기 전면 케이스 122에 안착되는 전자 장치 200의 타입을 지시하는 복수의 프린트 영역 820 및 커넥터 홀더 500의 이동 상태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전자 장치 200의 타입을 지시하는 지시자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노출홀 8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린트 영역 820은 예컨대, 상기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 안착 영역 122a 바닥에 인쇄되어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린트 영역 820의 상기 안착 영역 122a 안착 영역 122a 바닥에 음각되거나 양각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노출홀 810은 상기 안착 영역 122a의 안착 영역 122a 바닥 중 일정 영역에 배치되어 하부에 배치된 지시자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시자는 상기 커넥터 홀더 500 일측에 배치되고, 커넥터 홀더 500의 이동에 따라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홀더 500이 전면 케이스 122의 테두리 영역 122b 방향으로 치우쳐 배치되는 동안 상기 지시자는 상기 지시부 800의 프린트 영역 820 중 제1 타입의 전자 장치와 관련한 프린트 영역 820을 지시하는 노출홀 810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 홀더 500이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 방향으로 치우쳐 배치되는 동안 상기 지시자는 상기 지시부 800의 프린트 영역 820 중 제2 타입의 전자 장치와 관련한 프린트 영역 820을 지시하는 노출홀 810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실시 예에 따른 HMD 장치 100은 커넥터 홀더 500과 고정 홀더 600이 전면 케이스 122의 중심부 방향에서 바깥쪽 또는 바깥쪽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HMD 장치 100은 다양한 크기 또는 길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들의 디스플레이를 렌즈 홀 270 영역의 지정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HMD 장치 100은 커넥터 홀더 500 및 고정 홀더 600이 전면 케이스 122의 전면을 기준으로 상하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삽입 및 이출을 용이하게 지원할 수 있다.
도 5b는 한 실시 예에 따른 HMD 장치의 전면 케이스 부분 중 커넥터 홀더의 제2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한 실시 예에 따른, HMD 장치 100 중 커넥터 홀더 5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 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수평 이동한 제2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홀더 500은 전면 케이스 122의 상측에서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 바닥 방향으로 향하는 방향(예: 전면 케이스 122 안착 영역 122a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메인 프레임 110의 내측(예: 안면 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눌려진 상태에서 전면 케이스 122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커넥터 홀더 500의 상부를 메인 프레임 110의 안면 착용 방향으로 누른 상태에서, 전면 케이스 122의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힘을 이동시킴으로써, 커넥터 홀더 50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 5b는 도 5a에서의 커넥터 홀더 500에 대하여, 직하방으로 힘을 가하면서,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 중심부 방향(예: 우측 방향)으로 힘을 가할 경우의 커넥터 홀더 500의 이동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커넥터 홀더 500의 이동에 따라, 커넥터 홀더 500 일측에 배치되고 안착 영역 122a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지시자는 다른 타입의 전자 장치를 설명하는 지정된 프린트 영역을 지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5c는 한 실시 예에 따른 HMD 장치의 전면 케이스 부분 중 커넥터 홀더의 제3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c를 참조하면, HMD 장치 100의 커넥터 홀더 5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 바닥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 홀더 500은 제1 상태에서 일측 방향으로 회전된 제3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커넥터 홀더 500의 일측 끝단(예: 우측 끝단)을 파지한 상태에서, 커넥터 홀더 500의 곡선 운동을 위한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 방향에 나란하게 배치된 결착부 510은 전면 케이스 122의 전면 방향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결착부 510이 전면 케이스 122의 전면 방향(예: 하늘 방향)으로 향하는 상태에서, 결착부 510 내측에 배치된 커넥터 514가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장치 200의 일측 예컨대, USB 포트를 상기 커넥터 514에 삽입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200의 길이가 제1 크기 또는 제1 길이를 가지는 경우, 커넥터 홀더 500의 결착부 5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 영역 122b 방향으로 치우쳐 배치되고, 사용자는 제1 크기 또는 제1 길이의 전자 장치를 커넥터 홀더 500에 삽입 고정한 후, 고정 홀더 600에 삽입하여 전자 장치가 렌즈 홀 270의 중심부에 배치되도록 작업할 수 있다.
도 5d는 한 실시 예에 따른 HMD 장치의 전면 케이스 부분 중 커넥터 홀더의 제4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d를 참조하면, HMD 장치의 커넥터 홀더 500은 제2 상태에서 일정 방향으로 회전된 제4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커넥터 홀더 500은 테두리 영역 122b에서보다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 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이동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결착부 510이 상부 방향(예: 하늘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도 6a는 한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 홀더 500은 결착부 510 및 이동 지지대 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착부 510은 커넥팅 장치 홀더 511, 커넥팅 캡 512, 제1 탄성 부재 513, 커넥터 514, 지시자 516, 홀더 러버 5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지지대 520은 슬라이드 버튼 521, 제2 탄성 부재 523, 커넥팅 슬라이더 524, 슬라이더 캡 525, 슬라이드 받침 5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착부 510은 전자 장치 200의 일측 예컨대, 전기적 연결 포트가 배치되는 전자 장치 200의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 동안 결착부 510 내측에 배치된 커넥터 514는 전자 장치 200의 하단부에 배치된 연결 포트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지지대 520은 상기 결착부 510을 지지하면서, 상기 결착부 510은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지지대 520은 상기 결착부 510이 특정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장치 홀더 511은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이 곡선으로 마련되고, 일측이 전자 장치 200의 측벽을 감싸도록 C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팅 장치 홀더 511은 일측에 상기 커넥팅 슬라이더 524에 체결되면서, 일정 각도로 회동하는 동안 커넥팅 슬라이더 524와 분리되지 않도록 커넥팅 슬라이더 524 일측에 마련된 고리 524a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 51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장치 홀더 511의 외곽부에는 사용자의 터치 이후 가압 동작에서 손가락 등이 밀리지 않도록 적어도 일부가 주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캡 512는 상기 커넥팅 장치 홀더 511 내측에 안착되며, 전자 장치 200의 측벽과 실질적으로 대면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팅 캡 512는 커넥팅 장치 홀더 51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마련되어, 커넥팅 장치 홀더 511 내측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캡 512는 상기 전자 장치 200 측벽 일부를 감싸도록 C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팅 캡 512는 일측에 상기 홀더 러버 515가 도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 부재 513은 커넥터 홀더 500이 회전 운동을 하는 동안 탄성력을 제공하여, 원래의 상태(예: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복원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탄성 부재 513은 상기 커넥팅 장치 홀더 511의 돌기 511a들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면서, 상기 커넥팅 슬라이더 524 일측에 안착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탄성 부재 513은 커넥터 홀더 500이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감겨지는 힘에 의해 탄성력을 응축하고, 외압이 해제되면, 상기 커넥터 홀더 500을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탄성 부재 513은 커넥터 홀더 500은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 바닥에서 상측 방향으로 회동하는 동안 탄성력이 응축되어 상기 커넥터 홀더 500을 안착 영역 122a 바닥 방향으로 복원시키도록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514는 상기 커넥팅 캡 512의 일측에 마련된 홀을 통하여 커넥팅 캡 512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커넥터 514만을 도시하였으나, 커넥터 홀더 500은 상기 커넥터 51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들(예: FPCB)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커넥터 514는 상기 HMD 장치 100과 전자 장치 200 간의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홀더 러버 515는 상기 커넥팅 캡 512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홀을 통하여 커넥팅 캡 512의 내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홀더 러버 515는 예컨대, 고무 재질이나 또는 일정 텐션을 가지는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홀더 러버 515는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 200이 삽입되는 동안 상기 전자 장치 200의 측면부(예: 연결 포트가 배치된 측면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생활 스크래치의 발생을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지시자 516은 상기 커넥팅 슬라이더 524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시자 516은 예컨대, 일정 색상이 프린트된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시자 516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면 케이스 122의 지시부 800에 마련된 복수개의 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버튼 521은 지지대와 적어도 하나의 기둥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둥부들은 예컨대, 상기 슬라이더 캡 525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레일 홀을 통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기둥부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제2 탄성 부재 523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상기 제2 탄성 부재 523이 상기 기둥부들 중 중앙에 배치된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상기 슬라이드 버튼 521은 예컨대, 상기 커넥팅 슬라이더 524 인접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버튼 521의 기둥부들의 끝단은 상기 슬라이드 받침 526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 부재 523은 상기 슬라이드 버튼 521의 기둥부들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 캡 525의 표면과 대면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 부재 523은 예컨대, 상기 슬라이드 버튼 521이 눌려지는 동안 응축되면서, 슬라이드 버튼 521을 상측 방향으로 밀어 올리도록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슬라이더 524는 상기 홀더 러버 515, 상기 커넥팅 캡 512, 상기 커넥팅 장치 홀더 511이 안착되는 안착 영역 122a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넥팅 슬라이더 524 일측에는 상기 커넥터 5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배선들이 배치되는 통로(또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슬라이더 524 일측은 상기 슬라이드 버튼 521의 상단 지지대가 안착되는 덮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슬라이더 524는 상기 커넥팅 장치 홀더 511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 511a와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리 524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슬라이더 524의 하부는 상기 슬라이더 캡 525에 마련된 레일 홈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캡 525는 예컨대, 상기 커넥팅 슬라이더 524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슬라이드 버튼 521의 기둥부들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배치되는 관통홀, 상기 커넥팅 슬라이더 524의 수평 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더 캡 525의 양측벽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배치되며, 체결 장치(예: 스크류 등)에 의해 전면 케이스 122에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캡 525의 하부에는 상기 슬라이드 받침 526이 안착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더 캡 525의 하부 중 슬라이드 받침 526이 배치되는 영역에는 복수개의 홈이 배치되어, 수평 방향으로만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커넥팅 슬라이더 524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슬라이더 캡 525와 슬라이드 받침 526이 복수개의 홈 중 적어도 하나의 홈과 체결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홈은 커넥팅 슬라이더 524의 수평 방향에 대한 이동을 방지하는 걸림턱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받침 526이 직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복수개의 홈으로부터 이탈되는 동안, 상기 복수개의 홈은 상기 커넥팅 슬라이더 524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가능 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받침 526은 예컨대, 상기 슬라이드 버튼 521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둥부들과 체결될 수 있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받침 526은 기둥부들과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 캡 525에 마련된 관통홀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드 받침 526은 상측(예: 슬라이더 캡 525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직하방(예: 메인 프레임 110의 안면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압의 발생 또는 외압 제거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더 캡 525의 일측에 마련된 복수개의 홈에 결합 해제되거나 또는 결합 될 수 있다.
도 6b는 한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홀더의 제1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홀더 500의 결착부 510 및 이동 지지대 520을 포함할 수 있다. 결착부 510은 예컨대, 전자 장치 200의 일측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결착부 510에 배치된 커넥터는 전자 장치 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결착부 510은 제1 탄성 부재 513이 커넥팅 슬라이더 524에 결합된 상태에서, 일측으로 회전하는 회전 운동에 대해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결착부 510을 상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킨 후, 일정 압력을 유지하여 결착부 510이 상측 방향을 지시하도록 유지시킨 상태에서 전자 장치 200을 결착부 510에 배치된 커넥터에 삽입하도록 작업할 수 있다. 상기 결착부 510의 상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주름(또는 주름 돌기)가 배치되어, 결착부 510의 회전 운동 또는 수평 운동 시 사용자 손가락에 대한 마찰력이 증대될 수 있다. 지시자 51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팅 슬라이더 524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시자 516은 커넥팅 슬라이더 524의 수평 이동에 대응하여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도 6c는 한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홀더의 제1 절단면(A-A`)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d는 한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홀더의 제2 절단면(B-B`)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c 및 도 6d를 참조하면, 커넥터 홀더 500의 제1 상태와 관련하여, 커넥터 514는 수평 방향(예: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 바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드 받침 526은 슬라이더 캡 525의 하단 중 제1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더 캡 525는 하부 일측에 복수개의 홈 예컨대, 제1 홈 525a 및 제2 홈 52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홈 525a은 예컨대, 제1 타입의 전자 장치와 결합 시 이용되고, 제2 홈 525b은 예컨대, 제2 타입의 전자 장치와 결합 시 이용될 수 잇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슬라이더 캡 525의 하부에 배치되는 홈은 HMD 장치 100이 지원하는 전자 장치의 타입에 따라 2개 이상일 수 있다. 또한, HMD 장치 100이 지원하는 전자 장치들의 종류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 캡 525의 하부에 배치되는 홈의 간격과 홈의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 523은 슬라이드 버튼 521의 기둥부들과 결합되면서, 슬라이더 캡 525와 커넥팅 슬라이더 5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커넥터 514가 배치된 상태와 수직한 방향으로 외압이 작용하면, 상기 제2 탄성 부재 523은 하방으로 응축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 523이 응축되는 동안, 슬라이드 버튼 521의 기둥부와 연결된 슬라이드 받침 526은 슬라이더 캡 525의 홈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수평 방향(예: 커넥터 514가 배치되고 있는 수평 방향)으로 외압이 작용하면, 상기 결착부 510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결착부 510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외압이 제거되면, 상기 제2 탄성 부재 523은 원복되면서, 슬라이드 버튼 521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버튼 521과 연결된 상기 슬라이드 받침 526은 이전과 다른 위치의 홈과 체결될 수 있다.
도 6e는 한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홀더의 가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e를 참조하면, 커넥터 홀더 500은 회동 상태를 기준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상태 및 회전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수평 상태에서는 상기 커넥터 홀더 500의 커넥터 514가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 바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회전 상태에서는 상기 커넥터 514가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 바닥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을 지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홀더 500은 회전 축 530을 통하여 회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축 530에는 상술한 제1 탄성 부재 513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축 530은 상기 커넥팅 슬라이더 524에 마련된 고리 524a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홀더 500은 상기 제1 탄성 부재 513의 탄성력에 의하여 수평 상태로 복원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도 6f는 한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홀더의 제3 상태에서의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f를 참조하면, 커넥터 홀더 500은 상대적으로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에 더 돌출된 상태에서,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 바닥으로부터 일정 기울기를 가지며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상태와 관련하여, 지정된 크기 이상의 외압(예: 제1 탄성 부재 513의 원복을 위한 탄성력 이상의 외압)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커넥터 홀더 500은 제3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커넥터 홀더 500은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수평 방향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수평 방향 운동 수행 후, 커넥터 홀더 500은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방향으로 치우쳐 배치(또는 테두리 영역 122b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의 안착 영역 122a에 배치)될 수 있다. 이후, 회전 방향(예: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 바닥에서 상측 방향(또는 테두리 영역 122b방향으로의 곡선 방향))으로 외압이 작용하면, 커넥터 홀더 500은 도시된 바와 같은 제3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제3 상태는 예컨대, 제1 타입(또는 제2 타입) 전자 장치의 결합과 관련한 위치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커넥터 홀더 500의 지시자가 지시부 800의 일정 위치(예: 전자 장치의 타입을 나타내는 프린트 영역)을 지시함으로, 사용자는 해당 지시자의 위치 및 프린트 영역 확인을 통하여 전자 장치 타입과 관련한 커넥터 홀더 500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g는 한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홀더의 제4 상태에서의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g를 참조하면, 커넥터 홀더 500은 상대적으로 전면 케이스 122의 테두리 영역 122b 방향에 치우쳐 배치된 상태(또는 상대적으로 안착 영역 122a으로 벗어나 배치된 상태)에서,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 바닥으로부터 일정 기울기를 가지며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4 상태와 관련하여, 지정된 크기 이상의 외압(예: 제1 탄성 부재 513의 원복을 위한 탄성력 이상의 외압)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커넥터 홀더 500은 제4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커넥터 홀더 500은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수평 방향(예: 안착 영역 122a에서 테두리 영역 122b 방향)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수평 방향 운동 수행 후, 커넥터 홀더 500은 전면 케이스 122의 테두리 영역 122b방향으로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이후, 지정된 각도의 회전 방향으로 외압이 작용하면, 커넥터 홀더 500은 도시된 바와 같은 제4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제4 상태는 예컨대, 제2 타입(또는 제1 타입) 전자 장치의 결합과 관련한 위치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커넥터 홀더 500이 배치된 위치에서, 지시자가 노출되면서, 지시부 800의 일정 위치(예: 프린트 영역)을 지시함으로, 사용자는 해당 지시자의 위치 및 프린트 영역 확인을 통하여 전자 장치 타입과 관련한 커넥터 홀더 500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h는 한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홀더와 전면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h를 참조하면, 커넥터 홀더 500은 전면 케이스 122의 후면에서 전면 방향으로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전면 케이스 122는 커넥터 홀더 500이 전면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커넥터 홀더 홀 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홀더 500의 결착부 510은 상기 커넥터 홀더 홀 123을 통하여 전면 케이스 122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커넥터 홀더 500이 커넥터 홀더 홀 123에 장착된 후, 체결 장치(예: 후크 또는 스크류 등)를 기반으로 커넥터 홀더 500이 커넥터 홀더 홀 123에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홀더 500 는 슬라이드 받침 526에 마련된 홈들 중 어느 하나의 홈과 결합하는 배면을 가진 슬라이더 캡 525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과정에서, 커넥터 홀더 500의 제1 탄성 부재 513이 배치된 영역은 전면 케이스 122의 테두리 영역 122b에 의하여 가려질 수 있다.
도 7a는 한 실시 예에 따른 HMD 장치의 전면 케이스 부분 중 고정 홀더의 제1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HMD 장치 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 중앙에 렌즈 홀 270이 배치되고, 렌즈 홀 270 주변부에 커넥터 홀더 500 및 고정 홀더 6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홀더 600은 예컨대,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 중심부 방향으로 또는 상기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에서 테두리 영역 122b 방향으로 수평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 홀더 600은 별도의 외압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 영역 122a 방향에 치우쳐 배치되는 제1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 커넥터 홀더 500은 테두리 영역 122b방향에 치우쳐 배치되는 형태로 나타내었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넥터 홀더 500은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수평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b는 한 실시 예에 따른 HMD 장치의 전면 케이스 부분 중 고정 홀더의 제2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HMD 장치 100은 렌즈 홀 270이 배치된 안착 영역 122a 주변에 배치된 커넥터 홀더 500 및 고정 홀더 6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홀더 600은 예컨대,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 중심부에서 멀어지는 방향(또는 테두리 영역 122b 방향)으로 수평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 홀더 600은 지정된 크기 이상의 외압이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 바닥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제공되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 영역 122a 쪽에서 멀어지는 방향 또는 테두리 영역 122b 쪽에 치우쳐 배치되는 제2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상태는 상기 지정된 외압이 유지되는 동안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외압이 해제되면, 상기 고정 홀더 600은 예컨대,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 중심부로 수평 이동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 커넥터 홀더 500은 테두리 영역 122b쪽에 치우쳐 배치되는 형태로 나타내었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넥터 홀더 500은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수평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c는 한 실시 예에 따른 HMD 장치의 전면 케이스 부분 중 고정 홀더의 제3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c를 참조하면, 한 실시 예에 따른 HMD 장치 100은 렌즈 홀 270이 배치된 안착 영역 122a 주변에 배치된 커넥터 홀더 500 및 고정 홀더 6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홀더 600은 예컨대,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 중심부에서 멀어지는 방향(또는 테두리 영역 122b 방향)으로 수평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고정 홀더 600이 테두리 영역 122b 방향으로 수평 운동을 하는 동안 내부에 배치된 탄성 부재의 탄성력이 증가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 홀더 600은 지정된 크기 이상의 외압이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 바닥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제공되어, 도 7b에서 설명한 제2 상태를 가진 이후, 추가적으로 지정된 크기 이상의 외압이 작용하는 경우, 제2 상태의 위치에서,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 바닥과 일정 기울기를 가지는 형태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홀더 600은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 바닥과 수평하게 위치하다가, 회전 운동에 따라 안착 영역 122a 바닥으로부터 일정 기울기로 기울어진 제3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상태는 별도의 외압(예: 전면 케이스 122 테두리 영역 122b에서 안착 영역 122a 중심부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3 상태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할 수 있도록 고정 홀더 600이 테두리 영역 122b에 배치된 걸림턱과 체결되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홀더 500은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수평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a는 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정 홀더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고정 홀더 600은 홀더부 610 및 지지부 6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부 610은 고정부 바디 611, 고정부 슬라이더 6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 620은 제3 탄성 부재 621, 홀더 캡 623, 고정부 지지대 6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 바디 611은 예컨대, 외곽이 일정 폭을 가지면 전체적으로 일정 각도 범위의 곡면을 형성하는 곡면부 611a와, 곡면부 611a 하단에서 제1 방향(예: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쪽)으로 일정 폭을 가지며 형성되는 지지바 611b, 지지바 611b 하부에서 제2 방향(예: 지지바 611b의 바닥면에 수직한 방향) 쪽으로 형성되는 걸림턱 611c, 곡면부 611a 하단에서 제2 방향(예: 직하방 또는 전면 케이스 122의 안면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 611d, 곡면부 611a의 측면에 배치되는 연결축 611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면부 611a의 일측 예컨대, 상단은 라운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면부 611a의 적어도 일부에는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곡면부 611a의 상단은 행오버 형상으로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곡면부 611a의 전체적인 형상은 갈고리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 611b는 예컨대, 제1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잇다. 상기 지지바 611b는 예컨대, 전자 장치 200이 HMD 장치 100에 안착되는 동안 전자 장치 200의 측면 일부와 대면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지지바 611b가 제1 방향으로 돌출됨에 따라, 고정 홀더 600은 전체적으로 C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고정 홀더 600은 전체적으로 C자형상으로 마련되데 상단 돌출부가 하단 돌출부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 200이 지지바 611b와 대면되는 동안 곡면부 611a와의 충돌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 611b 하부에는 걸림턱 611c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 611c은 상기 고정부 슬라이더 612에 마련된 단턱에 걸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 611d는 상기 곡면부 611a의 하단 중 제1 방향과 대향된 방향의 끝단에서 아래방향(또는 고정 홀더 600이 결합되는 전면 케이스 122의 안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 611d는 두께와 폭이 다른 단들이 연결되어 다단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 611d의 일측(예: 도시된 도면 기준으로 아래 제1 단)은 예컨대 제3 탄성 부재 621의 일단과 연결되고, 타측(예: 도시된 도면 기준으로 제1 단 위에 위치한 제2 단)은 홀더 캡 623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 611d는 예컨대, 제3 탄성 부재 621의 일측은 고정부 바디 611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연결축 611e은 예컨대, 상기 곡면부 611a의 측벽을 기준으로 깊이 방향(또는 곡면부 611a의 측벽 표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일정 두께만큼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축 611e은 상기 고정부 슬라이더 612에 마련된 연결홀 612c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 홀더 600의 힌지 운동(또는 지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의 회전 운동)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 슬라이더 612는 상기 고정부 바디 611이 안착되는 홀 612a, 홀 612a을 감싸는 측벽들 612b, 측벽들 612b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축 611e과 체결되는 연결홀 612c, 상기 걸림턱 611c이 안착되는 제1 안착부 612d, 상기 지지바 611b가 안착되는 제2 안착부 612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홀 612c은 예컨대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안착부 612d는 제2 안착부 612e에 안쪽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 슬라이더 612의 바닥을 기준으로 제1 안착부 612d는 상기 제2 안착부 612e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안착부 612d와 제2 안착부 612e 사이에는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 슬라이더 612의 전단(예: 제2 안착부 612e의 전단)에는 제3 탄성 부재 621이 배치되는 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3 탄성 부재 621 일측은 예컨대, 상기 고정부 슬라이더 612에 안착되는 고정부 바디 611의 일측(예: 돌출부 611d)과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탄성 부재 621의 타측은 상기 고정부 지지대 625에 배치된 돌기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탄성 부재 621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수평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용수철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 바디 611 및 고정부 슬라이더 612가 고정부 지지대 625를 기반으로 수평 방향(예: 전면 케이스 122의 테두리 영역 122b쪽)으로 이동하는 동안 제3 탄성 부재 621은 탄성력이 증가하여, 고정부 바디 611 및 고정부 슬라이더 612를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 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다. 상술한 제3 탄성 부재 621은 예컨대 상기 돌출부 611d와 체결되기 위한 고리 및 상기 고정부 지지대 625에 형성된 돌기와 체결하기 위한 고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 캡 623은 상기 제3 탄성 부재 621의 일측이 돌출부 611d에 결합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홀더 캡 623은 예컨대, U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홀더 캡 623은 예컨대, 제3 탄성 부재 621의 일측이 안착되는 고리부와 상기 돌출부 611d와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 지지대 625는 상기 제3 탄성 부재 621의 일측이 안착 고정되는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 지지대 625는 상기 고정부 슬라이더 612가 수평 방향으로 수평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레일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홈에는 상기 고정부 슬라이더 612의 바닥에 마련된 레일이 안착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 지지대 625의 일측(예: 고정부 지지대 625)의 측벽)에는 고정부 지지대 625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 구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 구조는 예컨대, 후크 또는 스크류 등을 기반으로 전면 케이스 122 일측과 고정부 지지대 625를 고정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8b는 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정 홀더의 제1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c는 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정 홀더의 제1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 및 도 8c를 참조하면, 고정 홀더 600은 예컨대, 홀더부 610이 지지부 620 상에 놓이면서, 수평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 620에 배치되는 제3 탄성 부재 621은 홀더부 610과 고정부 지지대 625를 연결하면서, 홀더부 610이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위치가 복원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다. 도시된 고정 홀더 600의 제1 상태는 제3 탄성 부재 621이 수축된 상태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홀더부 610은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쪽으로 치우쳐 배치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지지부 620 중 고정부 지지대 625 일측에는 홀더부 610의 고정부 바디 611(또는 곡면부 611a) 하단과 일시적으로 체결되는 후크부 625a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 625a는 예컨대, 홀더부 610이 테두리 쪽으로 이동한 후, 일정 기울기로 회전 운동을 하면서,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후크부 625a는 예컨대, 측벽의 일부가 내측으로 절개되면서 삼각형 형상의 홈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8d는 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정 홀더의 제2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d를 참조하면, 예컨대, 고정 홀더 600의 일측에 외압이 작용하면, 고정 홀더 600의 홀더부 6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 영역 122b쪽으로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홀더부 610의 상단 일정 부분에 접촉된 가압 물체가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 중심부에서 테두리 영역 122b 쪽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 홀더부 610은 지지부 620의 레일을 따라 후방(예: 테두리 영역 122b쪽)으로 수평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상태에서, 제3 탄성 부재 621은 일정 길이만큼 신장되면서, 탄성력이 증가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홀더부 610을 테두리 영역 122b쪽으로 이동시키는 외압이 해제되면, 상기 홀더부 610은 도 8b에 도시된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도 8e는 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정 홀더의 가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e를 참조하면, 고정 홀더 6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축 630을 기준으로 일정 방향으로 일정 각도 내에서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예컨대, 고정 홀더 600의 홀더부 610이 도 8d에서 설명한 위치까지 이동하면서, 고정 홀더 600의 홀더부 610은 전면 케이스 122의 바닥을 기준으로 일정 기울기를 가지면 회전 운동할 수 있다. 회전 운동하는 경우, 홀더부 610 일측(예: 고정부 바디 611 일측)이 후크부 625a에 체결되면서, 별도의 외압이 가해지지 않더라도 홀더부 610은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홀더부 610의 회전 상태에 따라, 지지바 611b는 수평 방향으로 놓여져 있는 상태에서,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 바닥을 상측 방향으로 일정 기울기를 가지며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외압이 해제되고 또는 상기 후크부 625a와 상기 홀더부 610의 체결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홀더부 610은 제1 상태로 자동 복원될 수 있다. 또는, 후크부 625a와 홀더부 610의 체결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외압이 작용한 상태에서, 테두리 영역 122b쪽으로 외압이 유지되면, 상기 홀더부 610은 제2 상태(예: 홀더부 610이 테두리 영역 122b 쪽에 치우쳐 배치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도 8f는 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정 홀더의 제2 상태의 제1 절단면(C-C`)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f를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홀더 600은 홀더부 610과 지지부 620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부 610에 가해지는 외압이 전면 케이스 122의 테두리 영역 122b쪽으로 작용하는 경우, 홀더부 610은 테두리 영역 122b쪽으로 이동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 탄성 부재 621은 초기 상태에 비하여 연장된 상태를 가지면서, 증가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외압이 해제되면, 상기 홀더부 610은 이전 상태(예: 도 8b에서의 홀더부 610 상태)로 위치가 복원될 수 있다.
도 8g는 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정 홀더의 제3 상태에서의 제1 절단면(C-C`)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h는 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정 홀더의 제3 상태의 제2 절단면(D-D`)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g 및 도 8h를 참조하면, 고정 홀더 600은 홀더부 610과 지지부 620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부 610에 가해지는 외압이 전면 케이스 122의 테두리 영역 122b 쪽으로 더 증가하거나 또는 전면 케이스 122의 안면 방향으로 휘어지는 곡선 형태의 외압이 발생하면, 홀더부 6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기울기를 가지면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홀더부 610의 하단부 일측은 후크부 625a에 체결되어 별도의 외압이 가해지지 않더라도, 홀더부 610은 제3 상태(예: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제3 탄성 부재 621은 최초 상태에 비하여 연장된 상태여서,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 중심부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후크부 625a에 홀더부 610이 체결되면서, 상기 탄성력이 발휘되더라도 상기 홀더부 610은 제3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홀더부 610에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 중심부 방향으로 소정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홀더부 610은 제3 탄성 부재 621의 탄성력에 의하여 도 8b의 제1 상태로 위치가 복원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힘은 예컨대, 상기 홀더부 610의 하단이 후크부 625a로부터 이탈되도록 가해지는 힘의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i는 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정 홀더와 전면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i를 참조하면, 전면 케이스 1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가 배치되는 렌즈 홀 270, 앞서 설명한 커넥터 홀더 500이 배치되는 커넥터 홀더 홀 123, 고정 홀더 600이 안착되는 고정 홀더 홀 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홀더 홀 123과 상기 고정 홀더 홀 124는 렌즈 홀 270을 중심으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홀더 홀 124는 예컨대, 상기 고정 홀더 600의 크기에 대응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홀더 홀 124의 주변부에는 상기 고정 홀더 600에 배치된 체결 구조와 체결되는 구조물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정 홀더 홀 124 주변 전면 케이스 122에는 스크류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스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홀더 600의 배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탄성 부재 621이 신장 및 응축될 수 있도록 일정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홀더 600의 테두리 영역 122b 쪽 내측은 상기 제3 상태로 동작하기 위해 상기 안착 영역 122a 쪽보다 더 큰 내측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홀더 600의 상기 테두리 영역 122b 쪽 부분이 안착 영역 122a쪽 부분보다 더 돌출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장치는 렌즈가 배치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 중 전자 장치가 안착되는 안착 영역과 상기 안착 영역에 안착되는 상기 전자 장치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는 감싸는 테두리 영역을 포함하는 전면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 마운트 장치는 상기 테두리 영역의 일측에서 상기 전면 케이스의 안착 영역 바닥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전자 장치가 장착될 때 상기 전자 장치의 일측 측면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연결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홀더 및 상기 테두리 영역의 일측에서 상기 전면 케이스의 안착 영역 바닥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전자 장치가 장착될 때, 상기 전자 장치의 타측 측면 일부를 감싸는 고정 홀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홀더는 상기 전자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외압에 의하여 상기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결착부, 상기 결착부의 수평 방향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이동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결착부는 상기 전면 케이스의 안착 영역 바닥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회전 운동에 대한 복원을 지원하는 제1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지지대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해지는 제1 외압에 의하여 눌려진 후 수평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압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지지대는 제1 외압에 의해 눌려진 상태의 복원을 지원하는 제2 탄성 부재, 상기 제2 탄성 부재와 결합하는 슬라이드 버튼, 상기 슬라이드 버튼과 결합하며 일정 돌기가 형성된 슬라이드 받침, 상기 제1 외압의 유무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받침의 돌기와 체결 또는 체결 해제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된 슬라이드 캡, 상기 결착부가 안착되고 상기 슬라이드 캡 상에서 수평 이동 하는 커넥팅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헤드 마운트 장치 중 상기 전면 케이스는 전면 케이스의 안착 영역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커넥터 홀더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복수개의 노출홀, 상기 복수개의 노출홀과 인접되어 배치된 복수개의 프린트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헤드 마운트 장치는 상기 이동 지지대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 지지대의 일부가 이동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노출홀 중 어느 하나의 노출홀을 통해 노출되는 지시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홀더는 상기 전자 장치의 측면 일부와 체결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의 수평 이동 및 회전 운동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홀더부가 외압에 의해 일정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상기 홀더부의 복원과 관련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3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홀더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측면 일측을 감싸는 반원 형태로 마련되데,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측면을 감싸는 영역의 돌출 길이가 상기 전자 장치의 제2 측면을 감싸는 영역의 돌출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고정부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 바디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제2 측면을 감싸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홀더부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 길이를 제한하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홀더부가 지정된 크기 이상의 길이만큼 이동된 상태에서 회전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홀더부 일측과 체결되는 후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체결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를 안착하는 안착 영역과 상기 전자 장치의 테두리를 감싸는 테두리 영역을 포함하는 전면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케이스는 상기 테두리 영역의 일측에서 상기 전면 케이스의 안착 영역 바닥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전자 장치가 장착될 때 상기 전자 장치의 일측 측면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연결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홀더, 상기 테두리 영역의 일측에서 상기 전면 케이스의 안착 영역 바닥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전자 장치가 장착될 때, 상기 전자 장치의 타측 측면 일부를 감싸는 고정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a는 한 실시 예에 따른 측벽 보호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상기 HMD 장치 10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양한 타입의 전자 장치들의 측벽을 보호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장치 측벽 보호부 700이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장치 측벽 보호부 700은 제1 타입의 전자 장치의 측벽을 보호하도록 마련되는 제1 측벽 보호부 710 및 제2 측벽 보호부 7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 보호부 710 및 제2 측벽 보호부 720 중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일정 텐션을 가지는 재질(예: 고무 재질, 섬유 재질 등)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측벽 보호부 710 및 제2 측벽 보호부 720 중 나머지 적어도 일부는 상기 텐션을 가지는 부분을 지지하도록 지정된 강성(또는 강도)을 가진 재질(예: 플라스틱, 유리, 나무, 등)로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_에 따르면, 상기 장치 측벽 보호부 700은 제1 측벽 보호부 710과 결합하는 제1 탄성부 730, 제2 측벽 보호부 720과 결합하는 제2 탄성부 740, 상기 제1 탄성부 730과 상기 제2 탄성부 740을 고정하는 받침부 7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 750은 예컨대, 용수철 형태의 상기 제1 탄성부 730과 제2 탄성부 740이 안착 고정되는 원통 돌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원통 돌기들은 상기 제1 측벽 보호부 710에 포함된 기둥부 및 상기 제2 측벽 보호부 720에 포함된 기둥부가 관통되면서 상하 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케이스 122의 하단에는 상기 장치 측벽 보호부 700이 삽입되는 삽입홀 125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홀 125들이 배치된 전면 케이스 122 주변 영역에는 상기 받침부 750과 체결되는 보스부가 배치될 수 있다.
도 9b는 한 실시 예에 따른 측벽 보호부와 전면 케이스의 결합도이다.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장치 측벽 보호부 700은 전면 케이스 122 일측(예: 테두리 일정 영역)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장치 측벽 보호부 700은 예컨대, 제1 탄성부 730을 통해 전면 케이스 122에 안착 고정되면서, 상단 적어도 일부가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 바닥에서 노출되게 배치되는 제1 측벽 보호부 710, 제2 탄성부 740을 통해 전면 케이스 122에 안착 고정되면서, 상단 적어도 일부가 전면 케이스 122의 안착 영역 122a 바닥에서 노출되게 배치되는 제2 측벽 보호부 7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측벽 보호부 710 또는 제2 측벽 보호부 720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예: 전자 장치가 전면 케이스 122에 체결되는 경우) 상기 제1 측벽 보호부 710 또는 상기 제2 측벽 보호부 720은 전면 케이스 122의 후방(예: 안면 방향)으로 적어도 일정 길이만큼 후퇴되면서 상기 전자 장치 200의 측벽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장치 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schematic block diagram)를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HMD 장치 100은 제어부(Micro Controller Unit, MCU) 320, 통신모듈340, 센서모듈360, 입력장치380, 전력관리모듈400 및 배터리410, 시선추적부(Eye tracker) 420, 모터(Vibrator) 430, 초점 조절부(Adjustable optics)또는 렌즈 조립체440 및 메모리4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도에서는, 다른 구성요소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되지 않았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블록도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일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 110 내에, 다른 구성요소는, 전자 장치 200의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면, 착탈가능한 스마트폰)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MCU) 320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운영체제(OS) 또는 임베디드 S/W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제어부 32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모듈 340은 본 문서 HMD 장치 100의 메인 프레임 110과 전자 장치 200, 예를 들어 스마트폰 단말기를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모듈 340 은 USB 모듈, WiFi 모듈, BT 모듈, NFC 모듈, GP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르면, WiFi 모듈, BT 모듈, GPS 모듈 또는 NFC 모듈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집적 칩(integrated chip, 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센서모듈 360은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HMD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모듈 360 은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계 센서, 마그네틱 센서, 근접 센서, 제스처 센서, 그립 센서, 생체 센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계 센서를 이용하여 HMD 장치 100을 착용한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근접 센서 혹은 그립 센서를 이용하여 HMD 장치 100의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센서 모듈 360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착탈가능한 전자장치 200의 스마트 폰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착용에 따른 IR 인식, 가압인식, 캐패시턴스(혹은 유전율)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감지 할 수 있다.
제스처 센서는 사용자의 손 또는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본 문서 HMD 장치 100의 입력 동작으로 받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센서모듈 360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홍채 센서 등의 생체인식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센서모듈 36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장치 380은 터치 패드 112,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드 112 는,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드 112는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정전식의 경우, 물리적 접촉 또는 근접 인식이 가능하다. 터치 패드는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터치 패드 112는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버튼은,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시선추적부(Eye tracker) 420은, 예를 들면, EOG 센서(Electircal oculography), 코일 시스템(Coil systems), (Dual purkinje systems), (Bright pupil systems), (Dark pupil systems)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할 수 있다. 또한, 시선추적부420은 시선추적을 위한 마이크로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초점 조절부(Ajustable optics) 440은 사용자가 자신의 시력에 적합한 영상을 감상할 수수 있도록 사용자의 양안 사이 거리(Inter-Pupil Distance, IPD)를 측정하여 렌즈의 거리 및 및 전자장치 200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메모리450은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장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예를 들면,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NAND flash memory, NOR flash memory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장 메모리는 Solid State Drive (SSD)일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또는 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HMD 장치 100과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HMD장치 100은 하드 드라이브와 같은 저장 장치(또는 저장 매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450은 제어부320, 통신 모듈340, 입력장치380 및 센서 모듈360으로부터 생성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450은 커널(kernel), 미들웨어(middleware),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또는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그래밍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은 커널 외의 다른 프로그래밍 모듈들(예를 들어, 미들웨어, API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를 들어, 제어부360 또는 메모리450)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커널은 미들웨어, API 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HMD 장치 100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하여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는 API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커널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들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들과 관련하여, 미들웨어는 애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에 헤드 마운트 장치 100 의 시스템 리소스(예를 들어, 제어부320 또는 메모리450)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배정하여 작업 요청에 대한 제어(예: 스케쥴링 또는 로드 밸런싱)을 수행할 수 있다.
API는 애플리케이션이 커널 또는 미들웨어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API는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SMS/MMS 애플리케이션, 이메일 애플리케이션, 달력 애플리케이션, 알람 애플리케이션, 건강 관리(health care) 애플리케이션(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애플리케이션(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등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은 HMD 장치 100과 전자 장치 200 사이의 정보 교환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교환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은 전자 장치 200에 특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알림 전달(notification relay) 애플리케이션 또는 전자 장치 200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관리(device management)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전달 애플리케이션은 HMD 장치 100의 다른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SMS/MMS 애플리케이션, 이메일 애플리케이션,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애플리케이션 등)에서 발생한 알림 정보를 전자 장치 200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알림 전달 애플리케이션은 전자 장치 200으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HMD 장치 100과 통신하는 전자 장치 200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기능(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 자체(또는, 일부 구성 부품)의 턴온/턴오프 또는 디스플레이의 밝기(또는, 해상도) 조절),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예: 통화 서비스 또는 메시지 서비스)를 관리(예: 설치, 삭제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HMD 장치 100의 일반 모드 (Normal mode)와 HMM(Head-mounted Mode) 또는 VR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HMM 또는 VR모드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제공하는 시-스루(See-through) 또는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을 제공하는 시-클로즈드(See-closed)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모드로서, 예를 들면, 전자장치 200으로서 스마트폰이 본 문서 HMD장치 100의 메인 프레임 110에 장착되어 동작할 경우, 일반 모드에서 상기 HMM 또는 VR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HMM또는 VR모드는 하나의 영상이 두 개의 영상으로 분리되어 표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HMM또는 VR모드는 메인 프레임 110에 포함된 렌즈240에 의해 영상이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왜곡되지 않은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평면의 이미지를 렌즈의 특성에 따라 역 왜곡을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장치가 스마트폰의 후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시-스루(See-through) 모드를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헤드 마운트 장치 100은 전자 장치 200으로서, 스마트폰의 후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시-스루(See-through)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로 시-스루(See-through)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은 VR 모드에서 시-스루(See-through) 모드 전환 버튼을 누르면 스마트폰의 후면 카메라가 실행될 수 있다. 이때, 후면 카메라의 프리뷰(Preview) 화면을 기존 VR 화면의 일부 영역에 PIP(Picture-in-Picture) 형태로 보여줄 수도 있고, VR화면을 배경(Background)으로 전환하고, 카메라 프리뷰 화면을 전체 영역으로 확장하여 보여줄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외부 가상 환경을 체험하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 주변 환경을 카메라 영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 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문서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렌즈가 배치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 중 전자 장치가 안착되는 안착 영역과 상기 안착 영역에 안착되는 상기 전자 장치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테두리 영역을 포함하는 전면 케이스;
    상기 테두리 영역의 일측에서 상기 전면 케이스의 안착 영역 바닥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전자 장치가 장착될 때 일정 각도로 회전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일측 측면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연결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홀더;
    상기 테두리 영역의 일측에서 상기 전면 케이스의 안착 영역 바닥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전자 장치가 장착될 때 일정 각도로 회전되고, 상기 전자 장치의 타측 측면 일부를 감싸는 고정 홀더;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홀더는
    상기 전자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외압에 의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결착부;
    상기 결착부의 수평 방향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이동 지지대;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는
    상기 전면 케이스의 안착 영역 바닥을 기준으로 상측으로의 회전 운동에 대한 복원을 지원하는 제1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지지대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해지는 제1 외압에 의하여 눌려진 후 수평 방향으로 가해지는 제2 외압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 되는 헤드 마운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지지대는
    상기 제1 외압에 의해 눌려진 상태의 복원을 지원하는 제2 탄성 부재;
    상기 제2 탄성 부재와 결합하는 슬라이드 버튼;
    상기 슬라이드 버튼과 결합하며 일정 돌기가 형성된 슬라이드 받침;
    상기 제1 외압의 유무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받침의 돌기와 체결 또는 체결 해제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된 슬라이드 캡;
    상기 결착부가 안착되고 상기 제2 외압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캡 상에서 수평 이동 하는 커넥팅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케이스의 안착 영역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커넥터 홀더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복수개의 노출홀;
    상기 복수개의 노출홀과 인접되어 배치된 복수개의 프린트 영역;을 더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지지대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 지지대의 일부가 이동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노출홀 중 어느 하나의 노출홀을 통해 노출되는 지시자;를 더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홀더는
    상기 전자 장치의 측면 일부와 체결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의 수평 이동 및 회전 운동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가 외압에 의해 일정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상기 홀더부의 복원과 관련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3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측면 일측을 감싸는 반원 형태로 마련되데,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측면을 감싸는 영역의 돌출 길이가 상기 전자 장치의 제2 측면을 감싸는 영역의 돌출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고정부 바디;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바디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제2 측면을 감싸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홀더부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 길이를 제한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가 지정된 크기 이상의 길이만큼 수평 이동된 후 회전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홀더부 일측과 체결되는 후크부;를 더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13. 전자 장치가 장착되는 체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안착되는 안착 영역과 상기 전자 장치의 테두리를 감싸는 테두리 영역을 포함하는 전면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케이스는
    상기 테두리 영역의 일측에서 상기 전면 케이스의 안착 영역 바닥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전자 장치가 장착될 때 일정 각도로 회전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일측 측면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연결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홀더;
    상기 테두리 영역의 일측에서 상기 전면 케이스의 안착 영역 바닥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전자 장치가 장착될 때 일정 각도로 회전되고 상기 전자 장치의 타측 측면 일부를 감싸는 고정 홀더;를 포함하는 체결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홀더는
    상기 전자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외압에 의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전면 케이스의 안착 영역 바닥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회전 운동에 대한 복원을 지원하는 제1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결착부;
    상기 결착부의 수평 방향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이동 지지대;를 포함하는 체결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지지대는
    제1 외압에 의해 눌려진 상태의 복원을 지원하는 제2 탄성 부재;
    상기 제2 탄성 부재와 결합하는 슬라이드 버튼;
    상기 슬라이드 버튼과 결합하며 일정 돌기가 형성된 슬라이드 받침;
    상기 제1 외압의 유무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받침의 돌기와 체결 또는 체결 해제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된 슬라이드 캡;
    상기 결착부가 안착되고 제2 외압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캡 상에서 수평 이동하는 커넥팅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체결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케이스의 안착 영역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커넥터 홀더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복수개의 노출홀;
    상기 복수개의 노출홀과 인접되어 배치된 복수개의 프린트 영역;을 더 포함하는 체결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지지대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 지지대의 일부가 이동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노출홀 중 어느 하나의 노출홀을 통해 노출되는 지시자;를 더 포함하는 체결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홀더는
    상기 전자 장치의 측면 일부와 체결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의 수평 이동 및 회전 운동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홀더부가 외압에 의해 일정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상기 홀더부의 복원과 관련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3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체결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측면 일측을 감싸는 반원 형태로 마련되데,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측면을 감싸는 영역의 돌출 길이가 상기 전자 장치의 제2 측면을 감싸는 영역의 돌출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고정부 바디;를 포함하는 체결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가 지정된 크기 이상의 길이만큼 수평 이동된 후 회전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홀더부 일측과 체결되는 후크부;를 더 포함하는 체결 장치.
KR1020150136466A 2015-09-25 2015-09-25 체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KR102568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466A KR102568772B1 (ko) 2015-09-25 2015-09-25 체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PCT/KR2016/010469 WO2017052156A1 (en) 2015-09-25 2016-09-20 Coupler and head mounted display device
US15/270,605 US10123434B2 (en) 2015-09-25 2016-09-20 Coupler and head mounted display device
EP16190355.4A EP3147748B1 (en) 2015-09-25 2016-09-23 Coupler and head mounted display device
CN201610847808.2A CN106802482B (zh) 2015-09-25 2016-09-23 联接器以及头戴式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466A KR102568772B1 (ko) 2015-09-25 2015-09-25 체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210A KR20170037210A (ko) 2017-04-04
KR102568772B1 true KR102568772B1 (ko) 2023-08-22

Family

ID=56990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466A KR102568772B1 (ko) 2015-09-25 2015-09-25 체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23434B2 (ko)
EP (1) EP3147748B1 (ko)
KR (1) KR102568772B1 (ko)
CN (1) CN106802482B (ko)
WO (1) WO20170521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546653S (ko) * 2015-07-30 2016-03-28
USD827015S1 (en) * 2016-06-24 2018-08-28 Shenzhen Wanney Science And Technology Co., Ltd. Night vision goggles
CN106019597A (zh) * 2016-07-27 2016-10-1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虚拟现实眼镜
KR20180021515A (ko) * 2016-08-22 2018-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
US10168798B2 (en) * 2016-09-29 2019-01-01 Tower Spring Global Limited Head mounted display
EP3504584B1 (en) * 2016-12-07 2022-07-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US20180192031A1 (en) * 2017-01-03 2018-07-05 Leslie C. Hardison Virtual Reality Viewing System
EP3396436B1 (en) * 2017-03-24 2020-10-07 HTC Corporation Head-mounted display device
US10133305B1 (en) * 2017-04-24 2018-11-20 Oculus Vr, Llc Facial-interface systems for head-mounted displays
US10545349B1 (en) 2017-05-12 2020-01-28 Facebook Technologies, Llc Facial-interface cushion, system, and method for head-mounted displays
US10848751B2 (en) * 2017-05-19 2020-11-24 Facebook Technologies, Llc Interpupillary distance adjustment in a head-mounted display
US10653016B1 (en) 2017-06-07 2020-05-12 Facebook Technologies, Llc Facial-interface cushion, system, and method for head-mounted displays
CN107238930A (zh) * 2017-07-19 2017-10-1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虚拟现实眼镜
TWI626473B (zh) * 2017-07-25 2018-06-11 廣達電腦股份有限公司 頭戴式顯示設備
KR102464476B1 (ko) * 2017-08-22 2022-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
US10228727B1 (en) * 2017-08-22 2019-03-12 Facebook Technologies, Llc Adjustable front assembly in head-mounted display
US11163155B1 (en) 2017-12-18 2021-11-02 Snap Inc. Eyewear use detection
US11454783B2 (en) * 2018-04-25 2022-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iled triplet lenses providing a wide field of view
US10905186B2 (en) * 2018-05-03 2021-02-02 Htc Corporation Head-mounted display device
WO2020006284A1 (en) * 2018-06-29 2020-01-02 Magic Leap, Inc. Head mounted audio-visual display system
CN110794579B (zh) * 2018-08-01 2022-05-03 宏星技术股份有限公司 头戴显示装置
TWI663428B (zh) * 2018-08-01 2019-06-21 宏星技術股份有限公司 頭戴顯示裝置
TWI672104B (zh) * 2018-08-31 2019-09-21 宏星技術股份有限公司 頭戴顯示裝置
US11480801B1 (en) * 2018-12-07 2022-10-25 Meta Platforms, Inc. Facial interface assemblies for head-mounted display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CN110083251A (zh) * 2019-06-03 2019-08-02 北京七鑫易维科技有限公司 眼球追踪装置及眼球追踪设备
CN112230428B (zh) * 2019-07-15 2022-08-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头戴式设备支架及头戴式设备
US11064188B2 (en) 2019-07-29 2021-07-13 Htc Corporation Driving method for calculating interpupillary distance and related head-mounted device
TWI748631B (zh) * 2019-09-05 2021-12-0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頭戴式顯示裝置
CN110619769A (zh) * 2019-09-27 2019-12-27 浙江商业职业技术学院 一种vr教育交互设备
US11402642B2 (en) 2019-11-03 2022-08-02 Facebook Technologies, Llc Head-mounted display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for interpupillary distance adjustments
CN112145545A (zh) * 2020-10-20 2020-12-29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转轴机构
CN112973132A (zh) * 2021-03-08 2021-06-18 北京正远展览展示有限公司 一种vr虚拟现实体验系统
KR102455306B1 (ko) * 2022-05-16 2022-10-19 주식회사 라훔나노테크 스마트폰 연동 헤드 마운트를 이용한 영상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프로그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8693A1 (en) 2013-01-11 2014-07-17 Sachin Patel Head mounted display device
US20150253574A1 (en) * 2014-03-10 2015-09-10 Ion Virtual Technology Corporation Modular and Convertible Virtual Reality Headse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3411B2 (ja) * 1997-10-23 2003-02-04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ステーション及びこれを使用する情報処理装置
US8957835B2 (en) 2008-09-30 2015-02-17 Apple Inc.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for retain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CN201576132U (zh) * 2009-08-11 2010-09-08 广东工业大学 一种头戴式视频透视立体显示器
CN102918443B (zh) * 2010-04-27 2016-01-13 寇平公司 可佩戴的电子显示器
US9615476B2 (en) * 2011-06-13 2017-04-04 Treefrog Developments, Inc. Housing for encasing a mobile device
JP5969602B2 (ja) * 2011-06-13 2016-08-17 ツリーフロッグ ディベロップメンツ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タブレットコンピュータを収納するためのハウジング
WO2013056029A1 (en) 2011-10-14 2013-04-18 Ergotron, Inc Tablet mounting systems and methods
KR20140013676A (ko) * 2012-07-25 2014-02-05 허춘화 디스플레이 단말기 헤드마운트 장치
KR101419007B1 (ko) * 2013-01-08 2014-07-11 주식회사 고글텍 스마트폰용 헤드마운트형 스테레오스코피 장치
US9529194B2 (en) 2013-11-21 2016-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US20150234501A1 (en) 2014-02-18 2015-08-20 Merge Labs, Inc. Interpupillary distance capture using capacitive touch
CN203773161U (zh) * 2014-04-14 2014-08-13 黃通兵 一种可多处折叠的头戴立体成像装置
CN204116717U (zh) * 2014-09-09 2015-01-21 湖南维爱电子科技有限公司 头戴式便携电子设备观看器
CN204229049U (zh) * 2014-12-02 2015-03-25 北京七鑫易维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主动散热的可更换显示模块的头戴显示装置
CN104730730B (zh) * 2015-04-13 2017-03-01 刘东光 头戴式自动翻转眼镜
TWM515653U (zh) * 2015-07-13 2016-01-11 銘異科技股份有限公司 頭戴式顯示裝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8693A1 (en) 2013-01-11 2014-07-17 Sachin Patel Head mounted display device
US20150253574A1 (en) * 2014-03-10 2015-09-10 Ion Virtual Technology Corporation Modular and Convertible Virtual Reality Headse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47748A1 (en) 2017-03-29
EP3147748B1 (en) 2019-03-13
CN106802482B (zh) 2020-11-03
CN106802482A (zh) 2017-06-06
WO2017052156A1 (en) 2017-03-30
US20170094816A1 (en) 2017-03-30
KR20170037210A (ko) 2017-04-04
US10123434B2 (en) 201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8772B1 (ko) 체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US10261579B2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CN109085698B (zh) 头戴式显示设备
KR102297102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30076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US10095275B2 (en) Band connecting device and head mounted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101655792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78490Y1 (ko) 헤드 마운트 장치
EP3329320B1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with detachable device
KR102574490B1 (ko) 머리 장착형 전자 장치
KR102236895B1 (ko) 증강 및/또는 가상 현실 헤드셋
US9529194B2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ES2858520T3 (es) Interacciones multitáctiles en elementos oculares
CN104932679B (zh) 可穿戴设备及其操作方法
KR20170109297A (ko) 전방위 영상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061425B1 (ko) 뷰기능이 개선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80387A (ko) 사용자 렌즈가 삽입되는 렌즈 클립 및 렌즈 클립에 사용자 렌즈의 삽입 여부를 검출하는 머리 장착형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