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476B1 -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 - Google Patents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476B1
KR102464476B1 KR1020170106241A KR20170106241A KR102464476B1 KR 102464476 B1 KR102464476 B1 KR 102464476B1 KR 1020170106241 A KR1020170106241 A KR 1020170106241A KR 20170106241 A KR20170106241 A KR 20170106241A KR 102464476 B1 KR102464476 B1 KR 102464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housing
holder structure
button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1093A (ko
Inventor
황지성
강규명
김경수
김재천
윤석진
유중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6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476B1/ko
Priority to US16/038,804 priority patent/US10983348B2/en
Priority to PCT/KR2018/008317 priority patent/WO2019039745A1/en
Priority to CN201810960216.0A priority patent/CN109425990B/zh
Publication of KR20190021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9Beam shaping, e.g.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2B27/0938Using specific optical elements
    • G02B27/095Refractive optical elements
    • G02B27/0955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는, 제1 면과 제2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착용될 때, 상기 제1 면은 사용자의 얼굴을 마주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면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하우징;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2 면까지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에 위치하는 한 쌍의 렌즈들;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양안의 전면에 상기 한쌍의 렌즈들을 위치시키면서,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운팅 멤버;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를 홀드(hold)하기 위해 상기 제2 면에 또는 상기 제2 면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홀더 구조로서,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홀더 구조에 의해 홀드될 때, 상기 모바일 장치의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오프닝에 대면하도록 하는 홀더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 구조는 상기 오프닝을 막지 않도록 위치하고, 상기 홀더 구조는,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홀더 구조에 의해 홀드될 때 눌리도록, 상기 제2 면에 위치하는 기계적 버튼, 제1 위치으로부터 제2 위치까지 제1 방향으로 상기 제2 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1 멤버(member)로서, 상기 제2 면 위에서 볼 때, 상기 제1 위치가, 상기 제2 위치보다 상기 오프닝에 가까운 제1 멤버; 상기 제1 멤버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2 멤버로서, 상기 제1 멤버와 함께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리세스(recess)를 형성하는 제2 멤버; 및 상기 버튼이 눌려질 때, 상기 제1 멤버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며, 상기 제2 멤버가 상기 제2 면에 인접하도록 구성된 제1 바이어싱 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다양한 실시 예들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HEAD MOUNT WEARABLE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바일 장치가 탈부착되는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착용될 수 있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신체에 착용되는 장치들은 웨어러블 장치라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head mount wearable device), 스마트 안경(smart glasses), 스마트 시계(smart watch) 또는 손목 밴드(wristband), 콘택트 렌즈형 장치, 반지형 장치, 신발형 장치, 의복형 장치 또는 장갑형 장치 등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신체 또는 의복에 탈부착 가능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신체에 직접 착용되어, 휴대성(portablility) 및 사용자의 접근성(accessibility)을 향상시킬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 중에서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는 모바일 장치(예: 스마트폰)와 일체형으로 제공되거나, 모바일 장치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는 모바일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는, 모바일 장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홀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 구조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모바일 장치의 테두리를 감쌀 수 있다. 탄성 재질의 홀더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 반복적인 모바일 장치와의 결합을 통해 탄성 재질의 홀더 구조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하나의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의 홀더 구조는 특정 크기의 모바일 장치만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특정 크기보다 크거나 작은 모바일 장치를 장착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모바일 장치들을 장착할 수 있는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는, 제1 면과 제2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착용될 때, 상기 제1 면은 사용자의 얼굴을 마주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면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하우징;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2 면까지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에 위치하는 한 쌍의 렌즈들;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양안의 전면에 상기 한쌍의 렌즈들을 위치시키면서,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운팅 멤버;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를 홀드(hold)하기 위해 상기 제2 면에 또는 상기 제2 면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홀더 구조로서,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홀더 구조에 의해 홀드될 때, 상기 모바일 장치의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오프닝에 대면하도록 하는 홀더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 구조는 상기 오프닝을 막지 않도록 위치하고, 상기 홀더 구조는,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홀더 구조에 의해 홀드될 때 눌리도록, 상기 제2 면에 위치하는 기계적 버튼, 제1 위치으로부터 제2 위치까지 제1 방향으로 상기 제2 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1 멤버(member)로서, 상기 제2 면 위에서 볼 때, 상기 제1 위치가, 상기 제2 위치보다 상기 오프닝에 가까운 제1 멤버; 상기 제1 멤버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2 멤버로서, 상기 제1 멤버와 함께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리세스(recess)를 형성하는 제2 멤버; 및 상기 버튼이 눌려질 때, 상기 제1 멤버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며, 상기 제2 멤버가 상기 제2 면에 인접하도록 구성된 제1 바이어싱 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배치되며, 모바일 장치가 장착되는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모바일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구조; 및 상기 하우징에 포함되며, 상기 하우징에 배치된 버튼이 눌림에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일부를 감싸는 홀더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구조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제1 멤버; 상기 바디부와 상기 제1 멤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멤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바이어싱 멤버; 상기 제1 멤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일부를 감싸는 제2 멤버; 상기 제2 멤버가 상기 바디부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하는 락킹 멤버; 상기 모바일 장치에 의해 눌려짐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락킹 멤버의 걸림을 해제하는 버튼; 및 상기 버튼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바이어싱 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의 홀더 구조는, 기계적인 버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제1 방향으로 상기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의 일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1 멤버로서, 상기 일면 위에서 볼 때, 상기 제1 위치가, 상기 제2 위치보다 상기 오프닝에 가까운 제1 멤버; 상기 제1 멤버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축에 대해 회전 가능한 제2 멤버로서, 상기 제1 멤버와 함께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리세스(recess)를 형성하는 제2 멤버; 및 상기 버튼이 눌려질 때, 상기 제1 멤버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며, 상기 제2 멤버가 상기 제2 면에 인접하도록 구성된 제1 바이어싱 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배치되며, 모바일 장치가 장착되는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모바일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구조; 및 상기 하우징에 포함되며, 상기 하우징에 배치된 버튼이 눌림에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일부를 감싸는 홀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는, 모바일 장치에 의해 눌려지는 버튼을 이용하여 홀더 구조를 슬라이딩시킴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모바일 장치들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의 홀더 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의 홀더 구조가 하우징과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의 홀더 구조의 레버가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의 홀더 구조의 제2 멤버가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의 홀더 구조가 슬라이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의 홀더 구조가 슬라이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도 6b에 표시된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도 6b에 표시된 B-B'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의 홀더 구조가 슬라이딩되기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의 홀더 구조가 슬라이딩되기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도 7b에 표시된 C-C'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도 7b에 표시된 D-D'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에 모바일 장치가 장착되기 전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의 커넥터 구조에 모바일 장치의 커넥터가 결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의 공간에 모바일 장치가 장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의 홀더 구조가 모바일 장치의 일부를 감싸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10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100)는 하우징(101), 마운팅 멤버(119), 커넥터 구조(107) 및 홀더 구조(105)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101)은 사용자의 머리의 일부에 착용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101)은 수지(resin) 재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1)은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강성을 가지면서 사용자의 착용감을 위해 가벼운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101)은 제1 면, 제2 면 및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면은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가 사용자에 의해 착용될 때, 사용자의 얼굴을 마주할 수 있다. 상기 제1 면은 사용자의 얼굴과 대응되도록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면에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의 일부와 접촉되는 안면 착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면 착용부는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안면 착용부는 스폰지 등과 같은 쿠션(cushion)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면 착용부는 쿠션 형태로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될 시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면의 반대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오프닝(113)은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2 면까지 상기 하우징(101)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오프닝(113)에는 한 쌍의 렌즈들(102)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렌즈들(102)의 위치들은,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시, 사용자의 양안(eyes)의 위치와 대응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간(115)의 내측면에는 상기 버튼(157)의 일부분이 노출되는 제3 오프닝113d))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101)의 제2 면에는, 모바일 장치(예: 후술할 도 10의 모바일 장치(10))가 수용되는 공간(1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115)의 측벽에는, 상기 모바일 장치(10)의 측면에 접촉하는 흔들림 방지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흔들림 방지부(116)는 제1 흔들림 방지부(116a), 제2 흔들림 방지부(116b) 및 제3 흔들림 방지부(116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제3 흔들림 방지부(116a, 116b, 116c)는 상기 하우징(101)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흔들림 방지부(116a)는 상기 공간(115)의 측벽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흔들림 방지부(116b)보다 더 멀리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흔들림 방지부(116b)는 상기 공간(115)의 측벽을 기준으로 상기 제3 흔들림 방지부(116c)보다 더 멀리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흔들림 방지부(116a)는 제1 크기를 가지는 모바일 장치(10)가 상기 공간(115)에 수용될 경우, 상기 모바일 장치(10)의 측면을 감싸면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흔들림 방지부(116b)는 상기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를 가지는 모바일 장치(10)가 상기 공간(115)에 수용될 경우, 상기 모바일 장치(10)의 측면을 감싸면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흔들림 방지부(116b)는, 상기 제2 크기를 가지는 상기 모바일 장치(10)에 의해 눌려지면서 상기 하우징(1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3 흔들림 방지부(116c)는 상기 제2 크기보다 큰 제3 크기를 가지는 모바일 장치(10)가 상기 공간(115)에 수용될 경우, 상기 모바일 장치(10)의 측면을 감싸면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흔들림 방지부(116b)와 상기 제3 흔들림 방지부(116c)는 상기 모바일 장치(10)에 의해 눌려지면서 상기 하우징(1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흔들림 방지부(116a, 116b, 116c)는 다양한 크기(예: 제1, 제2, 제3 크기)를 가지는 모바일 장치(10)를 감싸면서 상기 모바일 장치(1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흔들림 방지부(116a, 116b, 116c)는 상기 모바일 장치(10)의 측면의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모바일 장치(10)가 상기 공간(115)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모바일 장치(10) 또는 상기 하우징(101)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흔들림 방지부(116)는 상기 모바일 장치(10)의 측면의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공간(115)에 수용되는 상기 모바일 장치(10)의 위치를 정렬하거나 상기 모바일 장치(10)의 상기 공간(115) 내에서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간(115)의 내측면에는, 디스플레이 보호부(11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부(117)는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부(117)는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장치(10)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공간(115)의 내측면을 향하면서 상기 공간(115)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부(117)가 상기 모바일 장치(10)의 디스플레이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보호부(117)가 상기 모바일 장치(10)의 디스플레이와 접촉하게 되어, 상기 모바일 장치(10)의 디스플레이 전체가 상기 공간(115)의 내측면에 전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마운팅 멤버(119)는 상기 하우징(101)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101)을 사용자에 착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마운팅 멤버(119)는 사용자의 머리(head)를 감싸는 밴드 형태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마운팅 멤버(119)는 밴드부(미도시)와 길이조절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는 다양한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따라 상기 밴드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밴드부는 스트랩(straps) 형태, 안경 다리 형태 또는 헬멧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구조(107)는 상기 하우징(101)의 제2 면 상에 위치하거나 상기 제2 면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구조(107)는 상기 하우징(10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구조(107)는 상기 모바일 장치(10)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에 장착될 때, 상기 모바일 장치(10)의 커넥터(예: 도 10의 모바일 장치의 커넥터(1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10)는 상기 커넥터 구조(107)와 상기 모바일 장치의 커넥터(11)를 통해 전기적인 신호를 상기 모바일 장치(10)에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홀더 구조(105)와 상기 커넥터 구조(107) 사이에 상기 오프닝(113)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홀더 구조(105)는 상기 오프닝(110)의 좌측에서 상기 하우징(101)의 일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 구조(107)는 상기 오프닝(110)의 우측에서 상기 하우징(101)의 다른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홀더 구조(105)는 상기 하우징(101)의 상기 제2 면 상에 배치되거나 상기 하우징(101)의 상기 제2 면에 인접한 상기 하우징(101)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더 구조(105)는 상기 모바일 장치(10)가 상기 공간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모바일 장치(10)의 일부를 잡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홀더 구조(105)는 상기 모바일 장치(10)의 일부를 잡을 수 있고, 상기 커넥터 구조(107)는 상기 모바일 장치(10)의 다른 일부를 잡을 수 있다. 상기 홀더 구조(105)에 대해서는 이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예: 도 1의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100))의 홀더 구조(105)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홀더 구조(105)는 바디부(151), 제1 멤버(153), 제2 멤버(155), 제 1 바이어싱 멤버(152) 또는 제2 바이어싱 멤버(158)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부(151)는 상기 하우징(예: 도 1의 하우징(101))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51)는 제1 체결구(151b)가 형성된 플랜지들(151a)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에는 상기 제1 체결구(151b)와 대응되는 제2 체결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구(151b)와 상기 제2 체결부에는 볼트(미도시)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바디부(151)는 상기 하우징(101)에 결합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멤버(153)는 상기 바디부(151) 상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멤버(153)의 하면에는 제1 가이드부(153c)가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151)의 상면에는 상기 제1 가이드부(153c)와 대응되는 제2 가이드부(151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멤버(153)의 상기 제1 가이드부(153c)는 상기 바디부(151)의 제2 가이드부(151c)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멤버(155)는 상기 제1 멤버(153)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멤버(153)에는 회전부(15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153a)는 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부(153a)는 홀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멤버(155)는 상기 회전부(153a)에 삽입되는 축(155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155a)은 상기 제1 멤버(155)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멤버(155)는 상기 축(155a)이 상기 회전부(153a)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 멤버(155)는 상기 제2 멤버(153)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멤버(153)는 상기 제2 멤버(155)와 함께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리세스(155c)를 형성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바이어싱 멤버(152)는 상기 바디부(151)와 상기 제1 멤버(153)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이어싱 멤버(152)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바이어싱 멤버(152)는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제1 바이어싱 멤버(152)의 일단은 상기 바디부(151)와 결합되고, 상기 제1 바이어싱 멤버(152)의 타단은 상기 제1 멤버(153)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이어싱 멤버(152)는 상기 제1 멤버(153)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1 멤버(153)를 상기 바디부(151) 상에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바이어싱 멤버(158)는 상기 버튼(157)과 상기 하우징(예: 도 1의 하우징(101))의 내측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바이어싱 멤버(158)는 상기 버튼(157)을 가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예: 도 1의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100))의 홀더 구조(예: 도 2의 홀더 구조(105))가 하우징(101)과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01)은 상기 오프닝(113)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제2의 오프닝(11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멤버(155)는 상기 제2의 오프닝(113b)을 통해 상기 하우징(10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버튼(157)는 상기 바디부(151)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튼(157)의 돌출부(157a)는 상기 하우징(101)의 제2 면에 형성된 제3의 오프닝(예: 도 1의 제3 오프닝(113d))을 통해 상기 하우징(10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예: 도 1의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100))의 홀더 구조(105)의 버튼(157)이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버튼(157)은 레버(157c), 돌출부(157a) 및 제2의 축(157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157c)는 길이 방향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바디부(151)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157a)는 상기 레버(157c)의 일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의 축(157b)은 상기 레버(157c)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바디부(151)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157a)가 외력에 의해 눌려지면, 상기 레버(157c)는 상기 제2의 축(157b)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레버(157c)의 타단은 상기 돌출부(157a)의 눌려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예: 도 1의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100))의 홀더 구조(105)의 제2 멤버(155)가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멤버(155)는 축(155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155a)은 상기 제1 멤버(153)의 상기 회전부(예: 도 2의 회전부(153a))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멤버(155)는 상기 축(155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 멤버(155)는 상기 하우징(101)의 제2 면과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멤버(155)는 상기 하우징(101)의 제2 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을 따라 회전하게 되어, 상기 모바일 장치(예: 도 10의 모바일 장치(10))가 상기 공간에 장착될 때, 상기 제2 멤버(155)가 상기 모바일 장치(10)의 일부를 감쌀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예: 도 1의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100))의 홀더 구조(105)가 슬라이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의 홀더 구조가 슬라이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도 6b에 표시된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도 6b에 표시된 B-B'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면, 상기 홀더 구조(105)는 상기 제2 멤버(153)가 상기 바디부(151)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하는 락킹 멤버(151c, 155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킹 멤버(151c, 155c)는 제1 락킹부(151c)와 제2 락킹부(155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락킹부(151c)는 상기 바디부(151)에 형성되며, 홈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락킹부(155c)는 상기 제2 멤버(155)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락킹부(151c)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제2 락킹부(155c)는 상기 제1 락킹부(151c)의 홈 형태와 대응되는 돌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멤버(155)는 상기 제1 멤버(153)에 대해 회전하여, 상기 제2 락킹부(155c)가 상기 제1 락킹부(151c)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제2 락킹부(155c)가 상기 제1 락킹부(151c)에 걸림에 따라, 상기 제2 멤버(153)에 연결된 상기 제1 멤버(153)가 상기 제1 바이어싱 멤버(15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바디부(151)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버튼(157)의 타단(157c)은 상기 제2 락킹부(155c)와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락킹부(155c)는 상기 제1 락킹부(151c)에 걸리면서 상기 버튼의 타단(157c)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버튼의 타단(157c)은 상기 제2 락킹부(155c)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상기 버튼(155)은 제2의 축(예: 도 4의 제2의 축(157b))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버튼(155)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버튼의 돌출부(157a)는 상기 버튼(157)의 타단(157c)이 가압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버튼의 돌출부(157a)는 상기 하우징(101)의 공간(예: 도 1의 공간(115))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예: 도 1의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100))의 홀더 구조(105)가 슬라이딩되기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의 홀더 구조가 슬라이딩되기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도 7b에 표시된 C-C'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도 7b에 표시된 D-D'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면, 상기 버튼(157)의 돌출부(157c)가 눌려짐에 따라, 상기 버튼(157)은 상기 제2의 축(예: 도 4의 제2의 축(157b))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버튼(157)의 회전에 따라, 상기 버튼(157)의 타단(157)은 상기 제2 락킹부(155c)를 들어올릴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락킹부(155c)는 상기 버튼(157)이 눌리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 락킹부(155c)가 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기 제1 락킹부(151c)와의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제2 락킹부(155c)와 상기 제1 락킹부(151c)의 걸림 해제에 따라, 상기 제1 멤버(153)는 상기 제1 바이어싱 멤버(15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방향(①)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예: 도 1의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100))에 모바일 장치(10)가 장착되기 전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예: 도 1의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100))의 커넥터 구조(107)에 모바일 장치(10)의 커넥터(11)가 결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 구조(107)는 상기 모바일 장치(10)의 커넥터(11)와 연결되는 전기적인 커넥터(1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구조(107)는 상기 하우징(101)에서 회전하여, 상기 전기적인 커넥터(171)가 상기 하우징(101)에 대해 경사진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장치(10)는 상기 하우징(101)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상기 커넥터 구조(107)를 향해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모바일 장치(10)의 다른 일부는 상기 커넥터 구조(107)에 감싸질 수 있다. 상기 전기적인 커넥터(171)는 상기 모바일 장치(10)의 커넥터(11)에 삽입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예: 도 1의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100))의 공간(예: 도 1의 공간(115))에 모바일 장치(10)가 장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모바일 장치(10)는 상기 커넥터 구조(107)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커넥터 구조(107)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장치(10)가 회전하면서 상기 공간(115)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장치(10)의 디스플레이(12)는 상기 한 쌍의 렌즈들(예: 도 1의 한 쌍의 렌즈들(102))들과 대면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장치(10)는 상기 공간(115)에 수용되면서 상기 버튼(157)을 누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예: 도 1의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100))의 홀더 구조(105)가 모바일 장치(10)의 일부를 감싸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버튼(예: 도 10의 버튼(157))은 상기 모바일 장치(10)에 의해 눌려짐에 따라, 상기 홀더 구조(105)가 상기 제1 방향(①)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홀더 구조(105)가 상기 제1 방향(①)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홀더 구조(105)는 상기 모바일 장치(10)의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상기 모바 장치(10)는 상기 커넥터 구조(107)와 상기 홀더 구조(105)에 의해 부분적으로 감싸지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예: 도 1의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 구조(예: 도 9의 커넥터 구조(107))를 회전시켜, 상기 커넥터 구조(107)는 상기 모바일 장치(예: 도 9의 모바일 장치(10))의 커넥터(예: 도 9의 커넥터(11))와 연결할 수 있다(201).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 장치(10)를 상기 하우징(예: 도 10의 하우징(101))의 공간(예: 도 1의 공간(115))에 장착함에 따라, 상기 모바일 장치(10)가 상기 버튼(157))을 누를 수 있다(203).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버튼(157))의 누름에 의해 상기 홀더 구조(예: 도 7a의 홀더 구조(105))의 상기 락킹 멤버(예: 도 7의 락킹 멤버(151c, 155c))의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205).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홀더 구조(105)의 상기 제1 바이어싱 멤버(예: 도 6의 제1 바이어싱 멤버(28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홀더 구조(105)가 상기 제1 방향(①)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207).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홀더 구조(105)가 상기 모바일 장치(10)의 일부를 감쌀 수 있다(209).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홀더 구조(105)의 상기 제2 바이어싱 멤버(예: 도 10의 제2 바이어싱 멤버(10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버튼(157)이 상기 하우징(101)의 상기 공간(115)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211).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예: 도 1의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100))는, 제1 면과 제2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예: 도 1의 하우징(101))으로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가 사용자에 의해 착용될 때, 상기 제1 면은 사용자의 얼굴을 마주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면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하우징(101);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2 면까지 상기 하우징(101)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예: 도 1의 오프닝(113))에 위치하는 한 쌍의 렌즈들(예: 도 1의 한 쌍의 렌즈들(102)); 상기 하우징(101)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양안의 전면에 상기 한쌍의 렌즈들(102)을 위치시키면서,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운팅 멤버(예: 도 1의 마운팅 멤버(119)); 및 디스플레이(예: 도 12의 디스플레이(12))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예: 도 12의 모바일 장치(10))를 홀드(hold)하기 위해 상기 제2 면에 또는 상기 제2 면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홀더 구조(예: 도 1의 홀더 구조(105))로서, 상기 모바일 장치(10)가 상기 홀더 구조(105)에 의해 홀드될 때, 상기 모바일 장치(10)의 상기 디스플레이(11)가 상기 오프닝(113)에 대면하도록 하는 홀더 구조(105);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 구조(105)는 상기 오프닝(113)을 막지 않도록 위치하고, 상기 홀더 구조(105)는, 상기 모바일 장치(10)가 상기 홀더 구조(105)에 의해 홀드될 때 눌리도록, 상기 제2 면에 위치하는 기계적 버튼(예: 도 2의 버튼(157)), 제1 위치으로부터 제2 위치까지 제1 방향(예: 도 7의 제1 방향(①))으로 상기 제2 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1 멤버(member)(예: 도 2의 제1 멤버(153))로서, 상기 제2 면 위에서 볼 때, 상기 제1 위치가, 상기 제2 위치보다 상기 오프닝(113)에 가까운 제1 멤버(153); 상기 제1 멤버(153)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방향(①)과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축(예: 도 2의 축(155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2 멤버(예: 도 2의 제2 멤버(155))로서, 상기 제1 멤버(153)와 함께 상기 모바일 장치(10)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리세스(recess)(예: 도 2의 리세스(155r))를 형성하는 제2 멤버(155); 및 상기 버튼(157)이 눌려질 때, 상기 제1 멤버(153)가 상기 제1 방향(①)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며, 상기 제2 멤버(155)가 상기 제2 면에 인접하도록 구성된 제1 바이어싱 멤버(예: 도 2의 제1 바이어싱 멤버(15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바이어싱 멤버(예: 도 2의 제1 바이어싱 멤버(152))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홀더 구조(예: 도 2의 홀더 구조(105))는, 상기 버튼(예: 도 2의 버튼(157))이 눌려질 때, 상기 제1 멤버(예: 도 2의 제1 멤버(153))가 상기 제1 방향(①)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 멤버(153)를 릴리즈(release)하도록 구성되는 제2 바이어싱 멤버(예: 도 2의 제2 바이어싱 멤버(1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바이어싱 멤버(예: 도 2의 제2 바이어싱 멤버(158))는 상기 제2 면의 수직한 제3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예: 도 1의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100))는, 상기 홀더 구조(예: 도 1의 홀더 구조(105))로부터 상기 오프닝(예: 도 1의 오프닝(113))의 반대편의 영역에, 상기 제2 면에 또는 상기 제 2면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커넥터 구조(예: 도 1의 커넥터 구조(10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구조(107)는 상기 모바일 장치(예: 도 10의 모바일 장치(10))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예: 도 1의 웨어러블 장치(100))에 장착될 때, 상기 모바일 장치(10)의 커넥터(예: 도 10의 커넥터(11))와 연결되는 전기적인 커넥터(예: 도 10의 커넥터(17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예: 도 1의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예: 도 1의 렌즈(102))가 배치되며, 모바일 장치(예: 도 10의 모바일 장치(10))가 장착되는 공간(예: 도 1의 공간(115))을 가지는 하우징(예: 도 1의 하우징(101)); 상기 하우징(10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모바일 장치(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구조(예: 도 1의 커넥터 구조(107)); 및 상기 하우징(101)에 포함되며, 상기 하우징(101)에 배치된 버튼(예: 도 2의 버튼(157))이 눌림에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모바일 장치(10)의 일부를 감싸는 홀더 구조(예: 도 1의 홀더 구조(105))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구조(105)는, 상기 하우징(101)에 결합되는 바디부(예: 도 2의 바디부(151)); 상기 바디부(151)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제1 멤버(예: 도 2의 제1 멤버(153)); 상기 바디부(151)와 상기 제1 멤버(153)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멤버(15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바이어싱 멤버(예: 도 2의 제1 바이어싱 멤버(152)); 상기 제1 멤버(15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모바일 장치(10)의 일부를 감싸는 제2 멤버(예: 도 2의 제2 멤버(155); 상기 제2 멤버(155)가 상기 바디부(151)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하는 락킹 멤버(예: 도 6d의 락킹 멤버(151c, 155c)); 상기 모바일 장치(10)에 의해 눌려짐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락킹 멤버(151c, 155c)의 걸림을 해제하는 버튼(예: 도 2의 버튼(157)); 및 상기 버튼(157)이 상기 하우징(101)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바이어싱 멤버(예: 도 2의 제2 바이어싱 멤버(158))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구조(예: 도 1의 커넥터 구조(107))는 상기 모바일 장치(예: 도 10의 모바일 장치(10))의 다른 일부를 감쌀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바이어싱 멤버(예: 도 2의 제1 바이어싱 멤버(152))는, 상기 제1 멤버(예: 도 2의 제1 멤버(153))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바디부(예: 도 2의 바디부(151)) 상에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버튼(예: 도 2의 버튼(157))은, 상기 제1 멤버(예: 도 2의 제1 멤버(153))가 슬라이딩되는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의 축(예: 도 4의 제2의 축(157b)); 및 상기 제2의 축(157b)에 대해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멤버(예: 도 2의 제2 멤버(155))를 들어올려 상기 락킹 멤버(예: 도 6d의 락킹 멤버(151c, 155c))의 걸림을 해제하는 레버(예: 도 4의 레버(157c))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락킹 멤버(예: 도 6d의 락킹 멤버(151c, 155c))는, 상기 바디부(151)에 형성되는 제1 락킹부(예: 도 6d의 제1 락킹부(151c)); 및 상기 제2 멤버(155)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락킹부(151c)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되는 제2 락킹부(예: 도 6d의 제2 락킹부(155c))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버튼(157)은 상기 모바일 장치(10)에 의해 눌려짐에 따라, 상기 레버(157)는 상기 제2의 축(157b)에 대해 회전하면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에 수직한 제3 방향으로 상기 제2 락킹부(155c)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2 락킹부(155c)는 상기 제3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 락킹부(151c)의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바이어싱 멤버(158)는, 상기 하우징(101)과 상기 레버(157c)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버튼(157)을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3 방향으로 상기 레버(157c)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레버(157c)는 상기 제2 락킹부(155c)의 의해 눌려지게 됨에 따라, 상기 제2 바이어싱 멤버(158)를 압축시키고, 상기 제2 락킹부(155c)가 상기 제1 락킹부(151c)와의 걸림 해제됨에 따라, 상기 제2 바이어싱 멤버(158)는 상기 버튼(157)을 상기 제3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바이어싱 멤버(152)는, 상기 제2 락킹부(155c)가 상기 제1 락킹부(151c)와의 걸림 해제됨에 따라, 상기 제1 멤버(153)가 상기 모바일 장치(10)의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멤버(153)를 끌어당길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멤버(155)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축(예: 도 5의 축(155a))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락킹부(151c)는 홈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락킹부(155c)는 상기 제1 락킹부(151c)의 홈 형태에 대응되는 돌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멤버(155)는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외력을 받아 상기 제1 멤버(153)와 함께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 멤버(155)가 상기 모바일 장치(10)의 일부에서 이탈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멤버(155)가 상기 제1 멤버(153)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멤버(155)의 제2 락킹부(155c)가 상기 제1 락킹부(151c)에 걸릴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락킹부(155c)가 상기 제1 락킹부(151c)에 걸리면서 상기 버튼(157)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버튼(157)은 상기 제2 축(157c)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예: 도 1의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100)의 홀더 구조(예: 도 1의 홀더 구조(105))는, 기계적인 버튼(예: 도 2의 버튼(157)),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제1 방향으로 상기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100)의 일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1 멤버(도 2의 제1 멤버(153))로서, 상기 일면 위에서 볼 때, 상기 제1 위치가, 상기 제2 위치보다 상기 오프닝(예: 도 1의 오프닝(113))에 가까운 제1 멤버(153); 상기 제1 멤버(153)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축(예: 도 2의 축(155a))에 대해 회전 가능한 제2 멤버(예: 도 2의 제2 멤버(155))로서, 상기 제1 멤버(153)와 함께 상기 모바일 장치(예: 도 10의 모바일 장치(10))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리세스(recess)(예: 도 2의 리세스(155r))를 형성하는 제2 멤버(155); 및 상기 버튼(157)이 눌려질 때, 상기 제1 멤버(153)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며, 상기 제2 멤버(155)가 상기 제2 면에 인접하도록 구성된 제1 바이어싱 멤버(예: 도 2의 제1 바이어싱 멤버(15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예: 도 1의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예: 도 1의 렌즈(102))가 배치되며, 모바일 장치(예: 도 10의 모바일 장치(10))가 장착되는 공간(예: 도 1의 공간(115))을 가지는 하우징(예: 도 1의 하우징(101)); 상기 하우징(10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모바일 장치(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구조(예: 도 1의 커넥터 구조(107)); 및 상기 하우징(101)에 포함되며, 상기 하우징(101)에 배치된 버튼(157)이 눌림에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모바일 장치(10)의 일부를 감싸는 홀더 구조(예: 도 1의 홀더 구조(10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 100 하우징: 101
커넥터 구조: 107 홀더 구조: 105
바디부: 151 제1 멤버: 153
제2 멤버: 155 버튼: 157
제1 바이어싱 멤버: 152 제2 바이어싱 멤버: 158
락킹 멤버: 151c, 155c

Claims (21)

  1.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제1 면과 제2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착용될 때, 상기 제1 면은 사용자의 얼굴을 마주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면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하우징;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2 면까지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에 위치하는 한 쌍의 렌즈들;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양안의 전면에 상기 한쌍의 렌즈들을 위치시키면서,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운팅 멤버;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를 홀드(hold)하기 위해 상기 제2 면에 또는 상기 제2 면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홀더 구조로서,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홀더 구조에 의해 홀드될 때, 상기 모바일 장치의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오프닝에 대면하도록 하는 홀더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 구조는 상기 오프닝을 막지 않도록 위치하고,
    상기 홀더 구조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제1 방향으로 상기 제2 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1 멤버(member)로서, 상기 제2 면 위에서 볼 때, 상기 제1 위치가, 상기 제2 위치보다 상기 오프닝에 가까운 제1 멤버;
    상기 제2 면에 위치하고,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홀더 구조에 홀드될 때,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눌리는 기계적 버튼;
    상기 제1 멤버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축에 평행하게 배치된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2 멤버로서, 상기 제1 멤버와 함께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리세스(recess)를 형성하는 제2 멤버; 및
    상기 기계적 버튼이 눌려질 때, 상기 제1 멤버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며, 상기 제2 멤버가 상기 제2 면에 인접하도록 구성된 제1 바이어싱 멤버를 포함하는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이어싱 멤버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구조는, 상기 버튼이 눌려질 때, 상기 제1 멤버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 멤버를 릴리즈(release)하도록 구성되는 제2 바이어싱 멤버를 더 포함하는 장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이어싱 멤버는 상기 제2 면의 수직한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구조로부터 상기 오프닝의 반대편의 영역에, 상기 제2 면에 또는 상기 제 2면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커넥터 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구조는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장착될 때, 상기 모바일 장치의 커넥터와 연결되는 전기적인 커넥터를 포함하는 장치.
  6.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배치되며, 모바일 장치가 장착되는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모바일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구조; 및
    상기 하우징에 포함되며, 상기 하우징에 배치된 버튼이 눌림에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일부를 감싸는 홀더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구조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제1 멤버;
    상기 바디부와 상기 제1 멤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멤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바이어싱 멤버;
    상기 제1 멤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일부를 감싸는 제2 멤버;
    상기 제2 멤버가 상기 바디부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하는 락킹 멤버;
    상기 모바일 장치에 의해 눌려짐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락킹 멤버의 걸림을 해제하는 버튼; 및
    상기 버튼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바이어싱 멤버를 포함하는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구조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다른 일부를 감싸는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싱 멤버는, 상기 제1 멤버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바디부 상에서 슬라이딩시키는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제1 멤버가 슬라이딩되는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의 축; 및
    상기 제2의 축에 대해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멤버를 들어올려 상기 락킹 멤버의 걸림을 해제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멤버는,
    상기 바디부에 형성되는 제1 락킹부; 및
    상기 제2 멤버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락킹부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되는 제2 락킹부를 포함하는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모바일 장치에 의해 눌려짐에 따라, 상기 레버는 상기 제2의 축에 대해 회전하면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에 수직한 제3 방향으로 상기 제2 락킹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2 락킹부는 상기 제3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 락킹부의 걸림이 해제되는 장치.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이어싱 멤버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레버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버튼을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3 방향으로 상기 레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장치.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제2 락킹부의 의해 눌려지게 됨에 따라, 상기 제2 바이어싱 멤버를 압축시키고,
    상기 제2 락킹부가 상기 제1 락킹부와의 걸림 해제됨에 따라, 상기 제2 바이어싱 멤버는 상기 버튼을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에 수직한 제3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가압하는 장치.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이어싱 멤버는, 상기 제2 락킹부가 상기 제1 락킹부와의 걸림 해제됨에 따라, 상기 제1 멤버가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멤버를 끌어당기는 장치.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멤버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축에 대해 회전 가능한 장치.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락킹부는 홈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락킹부는 상기 제1 락킹부의 홈 형태에 대응되는 돌출 형태로 이루어지는 장치.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멤버는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외력을 받아 상기 제1 멤버와 함께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 멤버가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일부에서 이탈되는 장치.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7 항에 있어서,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멤버가 상기 제1 멤버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멤버의 제2 락킹부가 상기 제1 락킹부에 걸리는 장치.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락킹부가 상기 제1 락킹부에 걸리면서 상기 버튼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버튼은 상기 제2의 축에 대해 회전하는 장치.
  20. 삭제
  21. 삭제
KR1020170106241A 2017-08-22 2017-08-22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 KR102464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241A KR102464476B1 (ko) 2017-08-22 2017-08-22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
US16/038,804 US10983348B2 (en) 2017-08-22 2018-07-18 Head mount wearable device
PCT/KR2018/008317 WO2019039745A1 (en) 2017-08-22 2018-07-24 DEVICE OF VISIOCASQUE TYPE
CN201810960216.0A CN109425990B (zh) 2017-08-22 2018-08-22 头戴式可穿戴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241A KR102464476B1 (ko) 2017-08-22 2017-08-22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093A KR20190021093A (ko) 2019-03-05
KR102464476B1 true KR102464476B1 (ko) 2022-11-09

Family

ID=65435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241A KR102464476B1 (ko) 2017-08-22 2017-08-22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83348B2 (ko)
KR (1) KR102464476B1 (ko)
CN (1) CN109425990B (ko)
WO (1) WO201903974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62125A1 (en) * 2014-09-01 2016-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d-mounted display device
US20170094816A1 (en) * 2015-09-25 2017-03-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upler and head mounted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3786B2 (ja) * 1992-10-09 2001-05-08 ソニー株式会社 眼鏡型映像表示装置
US6144347A (en) * 1992-10-09 2000-11-07 Sony Corporation Head-mounted image display apparatus
CN100399638C (zh) 2005-07-04 2008-07-02 诸葛瑞 带防触电安全保护装置的可换插脚的电源插头
US8957835B2 (en) 2008-09-30 2015-02-17 Apple Inc.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for retain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US9423827B2 (en) 2011-12-01 2016-08-23 Seebright Inc. Head mounted display for viewing three dimensional images
US9529194B2 (en) 2013-11-21 2016-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WO2015138266A1 (en) 2014-03-10 2015-09-17 Ion Virtual Technology Corporation Modular and convertible virtual reality headset system
US9420075B2 (en) 2014-07-16 2016-08-16 DODOcase, Inc. Virtual reality viewer and input mechanism
CN106019602B (zh) * 2016-08-03 2018-03-30 深圳酷酷科技有限公司 头戴式显示设备
CN106154555B (zh) * 2016-08-24 2020-08-2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虚拟现实眼镜
EP3396436B1 (en) * 2017-03-24 2020-10-07 HTC Corporation Head-mounted display device
CN106842583A (zh) * 2017-04-18 2017-06-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自锁机构及电子设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62125A1 (en) * 2014-09-01 2016-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d-mounted display device
US20170094816A1 (en) * 2015-09-25 2017-03-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upler and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83348B2 (en) 2021-04-20
CN109425990B (zh) 2022-05-03
WO2019039745A1 (en) 2019-02-28
KR20190021093A (ko) 2019-03-05
US20190064523A1 (en) 2019-02-28
CN109425990A (zh) 201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92198A1 (en) Optical redirection adapter
WO2018139020A1 (ja) ヒンジ機構、及びこのヒンジ機構を有する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US10481633B1 (en) Electronic apparatus
JP2015099350A (ja) カメラボディ
JP2018049046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US10043045B1 (en) Electronic apparatus
JP7465063B2 (ja) 光学ユニット
KR102464476B1 (ko) 헤드 마운트 웨어러블 장치
JP6125605B1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拡張装置
JP6004224B2 (ja) 電子機器
JP6173111B2 (ja) 電子機器
US11714454B1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wearable assembly
JP6411547B2 (ja) クレードル、及び、携帯型電子機器セット
JP2009069380A (ja) 撮像装置
JP2020120005A (ja) 蓋開閉機構
TWM561351U (zh) 插卡結構
JP6171823B2 (ja) 端末システム及び携帯端末
KR101636869B1 (ko) 커버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WO2023040484A1 (zh) 头戴式设备
JP2014075539A (ja) 端末装置
TWI619427B (zh) 可攜式電子裝置
JP2016006928A (ja) 画像読取装置と画像形成装置
TW201515553A (zh) 電子裝置
KR20160109461A (ko) 안경형 단말기
TW202331346A (zh) 頭戴式顯示裝置及穿戴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