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461A - 안경형 단말기 - Google Patents

안경형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461A
KR20160109461A KR1020150033877A KR20150033877A KR20160109461A KR 20160109461 A KR20160109461 A KR 20160109461A KR 1020150033877 A KR1020150033877 A KR 1020150033877A KR 20150033877 A KR20150033877 A KR 20150033877A KR 20160109461 A KR20160109461 A KR 20160109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inge
optical
unit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충환
이병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3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9461A/ko
Publication of KR20160109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4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두부에 고정가능 하도록 형성되며, 회로기판 및 전자부품이 수납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의 일 단부에 고정되며,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광학부, 상기 광학부와 상기 프레임을 회전가능 하도록 고정하는 힌지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회로기판과 상기 광학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광학부를 연결하는 힌지축 및 상기 내부공간과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프레임부의 일 영역에 상기 힌지축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안경형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안경형 단말기{GLASS TYP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 가능한 안경형 단말기에 관한 발명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사람의 신체의 일부에 장착가능 하도록 형성되는 웨어러블형(wearable-type) 이동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다. 웨어러블 단말기는 사용자 신체의 일부분에 고정되기 위한 특정구조를 포함한다. 다만, 개인의 신체적 특징에 무관하게 규격화된 웨어러블 단말기는 사용자의 신체적 사이즈와 맞지 아니하는 경우, 착용이 불가능하거나 착용시 불편함을 느끼는 단점이 있다.
특히,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눈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광학장치를 포함하는 안경형 단말기의 경우, 광학부가 눈과 인접하게 위치하지 아니하는 경우 적합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크기의 조절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안경형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형 단말기는 사용자의 두부에 고정가능 하도록 형성되며, 회로기판 및 전자부품이 수납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의 일 단부에 고정되며,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광학부, 상기 광학부와 상기 프레임을 회전가능 하도록 고정하는 힌지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회로기판과 상기 광학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힌지부는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광학부를 연결하는 힌지축 및 상기 내부공간과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부의 일 영역에 상기 힌지축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홀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눈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광학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힌지축을 기준으로 양단이 기설정된 각도를 이루는 곡선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광학부가 회전하는 동안 프레임부와 광학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 및 제2 슬라이드부에 의하여 프레임의 길이가 확장 및 축소될 있으므로, 사용자의 두부에 따라 프레임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되는 프레임 일단부의 길이가 조절되므로, 사용자의 신체적 크기에 맞추어 프레임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이미지 등을 출력하는 광학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시야에 적합한 상태로 광학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에 안경형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광학부를 사용자의 눈에 인접하도록 조절할 수 있는 바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상태에서 안경형 단말기를 구동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
도 2는 광학부, 조절부 및 힌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조절부에 의하여 프레임부의 길이의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a 및 도 4b는 조절부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a는 힌지부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광학부와 프레임부의 분해도.
도 6b는 힌지홀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7a 및 도 7b는 광학부가 프레임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광학부가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형 단말기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형 단말기의 착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광학부, 조절부 및 힌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형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가능 하도록 형성되는 프레임부(211), 상기 프레임부(211)의 일 단부에 장착되어 시각정보를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광학부(212), 상기 광학부(212)와 상기 프레임부(211)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211)는 상기 제2 영역(211b)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조절부(22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형 단말기(100)의 상기 프레임부(211)는 사용자 두부에 착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211)는 사용자의 두부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제1 영역(211a)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두부의 측면으로 까지 연결되는 제2 및 제3 영역(211b, 211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부(212)는 상기 제2 영역(211b)의 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프레임부(211)는 사용자의 인체 구조에 따라 곡면을 이루도록 일부가 휘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영역(211a, 211b, 211c)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조립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및 제3 영역(211b, 211c)는 사용자의 두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b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광학부(212)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기 카메라(121) 및 전자부품을 제어하는 회로기판(18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부(212)는 상기 제2 영역(211b)의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광학부(212)의 일 영역은 사용자의 눈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광학부(212)는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등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사용자의 시선 상에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프로젝트 유닛(215) 및 프리즘 글래스(21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프리즘 글래스(215b)가 상기 사용자의 눈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영역(211b)의 일 영역에 조도센서(14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도센서(142)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안경형 단말기(100)의 착용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조도센서(142)는 사용자가 안경형 단말기(100)를 착용한 경우, 사용자의 얼굴에 닿는 상기 프레임부(211)의 일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영역(211b)의 일 영역에 상기 음향출력부(152)가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출력부(152)는 골전도 스피커로 형성될 수 있다. 골전도 스피커는 사용자가 안경형 단말기(100)를 착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얼굴에 닿게 형성되는 제2 영역(211b)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프레임부(211)의 제3 영역(211c)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경형 단말기(100)의 전자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변형가능하게 형성되는 회로기판(181)이 상기 프레임부(211)에 내장될 수 있다.
도 1c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및 제3 영역(211b, 211c)는 사용자 두부의 양 측부에 고정되면 상기 광학부(211)는 한쪽 눈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단말기(100)는 상기 광학부(211)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부(211)를 기준으로 상기 광학부(211)를 회전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힌지부(230) 및 사용자의 두부의 크기에 맞추어 상기 제2 영역(211b)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220)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 힌지부(230)와 상기 조절부(220)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도 3은 조절부에 의하여 프레임부의 길이의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c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부(211)의 제2 영역(211b)의 길이가 변경된다. 상기 조절부(220)는 서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 슬라이드부(221) 및 제2 슬라이드부(222)를 포함한다. 외력에 의하여 상기 제1 슬라이드부(221)의 일 영역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2 슬라이드부(222)가 이동되면 상기 제2 프레임(211b)의 전체적인 길이가 확장된다.
도 1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두부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2 프레임(211b)의 길이를 변경시켜 상기 광학부(212)가 사용자의 눈과 인접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조절부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a는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부(221, 222)를 분해한 부분 분해도이고, 도 4b는 제2 슬라이드부(222)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3,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슬라이드부(221)는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제1 내지 제3 바디(221a, 221b, 221c)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바디(221a, 221b, 221c)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221b)는 상기 제2 슬라이드부(222)의 이동에 따라 커버되거나 노출되며, 상기 제3 바디(221c)는 상기 제2 슬라이드부(222)와 고정되어 상기 제2 슬라이드부(222)와 함께 이동한다.
상기 제1 바디부(221a)는 상기 프레임부(211)의 제1 영역(211a)로부터 연장되는 영역으로,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221a, 221b) 사이에 단차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는 상기 제2 슬라이드부(222)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영역(211b)의 길이가 최소화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부(221, 222)의 외면은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슬라이드부(221)는 상기 제1 바디(221a)로부터 연장된 연장부(221d)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라이드부(221)는 상기 연장부(221d)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리세스부(222b)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부(220)는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부(221, 222)의 슬라이딩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 바디부(221b)에 형성되는 가이드홈(223) 및 상기 제2 슬라이드부(222)의 내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222a)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돌기(222a)는 상기 가이드홈(223)에 끼워진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홈(223) 내에서 이동한다.
상기 가이드 돌기(222a)는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홈(223)은 상기 제2 바디부(221b)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홈(223)의 내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걸림부(223')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걸림부(223')는 서로 마주보는 복수의 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 돌기(222a)는 상기 걸림부(223')들 사이에 배치되며, 외력에 의하여 다른 영역으로 이동한다. 즉, 외력에 의하여 상기 제2 슬라이드부(222)는 상기 제1 슬라이드부(221)를 기준으로 불연속적인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부(221, 222)는 상기 가이드홈(223) 및 상기 가이드 돌기(222a)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223)은 상기 제2 바디부(221b)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222a)는 상기 제2 슬라이드부(222)의 양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바디(221c)는 전자부품을 수납하기 위한 내부공간(221c')을 구비한다. 상기 내부공간(221c')에 상기 회로기판(181)이 배치된다. 상기 제3 바디(221c)는 상기 제2 바디(221b)와 인접한 일 영역에 상기 내부공간(221c')와 연결되는 개구영역(221c'')이 형성된다. 상기 회로기판(181a)과 연결되는 보조 회로기판(181a)은 상기 개구영역(221c'')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보조 회로기판(181a)은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부(221, 222)의 상대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영역(211b)이 확장되면 펼쳐지도록 일 영역이 접힌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221c')에 수납된다.
상기 제2 슬라이드부(222)는 상기 제3 바디부(221c)를 감싸도록 내부공간(222')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슬라이드부(222)는 상기 제3 바디부(221c)와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부(211)의 외관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3 바디부(221c)와 상기 제2 슬라이드부(222)가 고정되기 위하여, 상기 제3 바디부(221c)는 복수의 고정홈(225a)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라이드부(222)는 상기 고정홈(225a)에 대응되는 고정돌기(225b)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슬라이드부(222)에 인가되는 외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슬라이드부(222) 및 상기 제3 바디부(221c)는 상기 제1 바디부(221a)와 멀어지도록 슬라이드 이동한다. 상기 제2 슬라이드부(222)의 이동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바디부(221b)가 노출되며, 상기 프레임부(211)의 상기 제2 영역(211b)의 길이가 확장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두부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광학부(212)가 사용자의 눈과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프레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a는 힌지부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광학부와 프레임부의 분해도이며, 도 6b는 힌지홀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안경형 단말기(100)는 상기 제2 프레임(211b)를 기준으로 상기 광학부(212)가 회전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211b)와 상기 광학부(212)를 연결하는 힌지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부(230)에 의하여 상기 광학부(212)는 상기 제2 프레임(211b)와 기 설정된 범위내의 각도를 이룬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슬라이드부(222)의 단부에 상기 힌지부(230)가 형성된다. 다만, 상기 제2 영역(211b)의 길이가 연장되지 아니하는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힌지부(230)는 상기 광학부(212)가 고정되는 상기 프레임부(211)의 일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슬라이드부(222)의 단부는 안착부(231)를 형성하는 측벽부(222b)와 지지부(222c)를 포함한다. 즉 상기 안착부(231)는 상기 제2 슬라이드부(222)의 일 영역이 리세스되어 형성된다. 상기 힌지부(230)는 돌출부(232), 힌지홈(233), 힌지축(234), 힌지홀(235) 및 가이드홀(236)을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231)에 상기 돌출부(232)가 안착된다. 상기 돌출부(232)는 상기 광학부(212)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며, 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측벽부(222b)의 일 영역이 곡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부(232)의 측면은 상기 측벽부(222b)와 인접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222c)에 상기 힌지홈(233) 및 상기 가이드홀(236)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홈(233)에 상기 힌지축(234)의 일 단부가 고정된다. 상기 돌출부(232)의 상기 힌지롤(235)에 상기 힌지축(234)이 삽입된다. 상기 돌출부(232)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힌지축(234)을 기준으로 상기 돌출부(232)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홀(236)은 상기 힌지홈(233)과 인접한 영역에 상기 힌지홈(233)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곡선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홀(236)의 양단과 상기 힌지홈(233)의 중심 사이의 각도는 기 설정된 각도를 이룬다. 즉, 상기 가이드홀(236)은 상기 힌지홈(233)을 중심으로 하는 부채꼴의 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236)은 상기 회로기판(181)이 배치되는 내부공간(221c', 도 4a 참조)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경형 단말기는 상기 광학부(212) 내에 배치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프레임(211) 내에 배치되는 회로기판(181)을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181b) 및 커넥터(181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부(212)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181b)는 상기 가이드홀(236)을 관통한다. 상기 커넥터(181c)는 상기 와이어(181b)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회로기판(18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홀(236)은 상기 돌출부(232)에 의하여 가려지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와이어(181b)는 상기 광학부(212)가 회전하더라도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한다.
상기 힌지축(234)을 기준으로 상기 광학부(212)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와이어(181b)는 상기 가이드홀(236)의 일 영역을 관통하는 상태로 상기 광학부(212)와 상기 프레임부(211)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도 7a는 광학부가 프레임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힌지축(234)를 기준으로 상기 광학부(212)가 회전하면, 상기 제2 프레임부(211b)와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상기 광학부(212)의 접힘상태가 된다. 또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광학부(212)가 회전하면, 상기 제2 프레부(211b)와 상기 광학부(212)가 기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한편, 상기 광학부(212)는 상기 제2 슬라이드부(222)의 측벽부(222b)의 단부(237a) 및 상기 돌출부(232)의 상기 단부(237a)와 대응되도록 함몰된 리세스부(237b)에 의하여 회전이 제한된다. 상기 광학부(212)가 상기 제2 프레임부(211b)와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에서 상기 단부(237a)와 상기 리세스부(237b)가 접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광학부(212)의 회전범위를 제한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한 힌지부(230)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학부는 상기 프레임(211)이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211)을 기준으로 회전가능 하므로 상기 광학부(212),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사용자의 눈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부(212)를 사용하지 아니하는 경우 및 안경형 단말기를 수납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211)과 상기 광학부(212)가 접히는 상태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광학부의 사용상태에 따라 프레임을 기준으로 광학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7b는 회전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형 단말기는 회전 가이드부(238)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 가이드부(238)는 상기 측벽부(222b)의 단부에 형성되는 회전가이드 돌기(238a)와 상기 돌출부(232)의 외면에 형성되는 돌출레일부(238b)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레일부(238b)는 상기 돌출부(232)의 외면 중 기 설정된 일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가이드 돌기(238a)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홈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가이드 돌기(238a)는 상기 돌출레일부(238b)가 형성되지 아니하는 상기 돌출부(232)의 나머지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없으므로, 상기 돌출레일부(238b)의 범위에 근거하여 상기 광학부(212)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광학부가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a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광학부(212)는 상기 프레임부(211)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광학부(212)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부(211)만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되어 구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힌지부(230)의 상기 힌지축(234)는 상기 광학부(212)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부(2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힌지축(234)은 상기 힌지홈(233, 도 6b 참조)에 끼움 결함 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외력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와이어(181b)는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광학부(212)와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광학부를 포함하는 안경형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9)

  1. 사용자의 두부에 고정가능 하도록 형성되며, 회로기판 및 전자부품이 수납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의 일 단부에 고정되며,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광학부;
    상기 광학부와 상기 프레임을 회전가능 하도록 고정하는 힌지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회로기판과 상기 광학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광학부를 연결하는 힌지축; 및
    상기 내부공간과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프레임부의 일 영역에 상기 힌지축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형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은 곡선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홀의 양단과 상기 힌지축 사이가 기 설정된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형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는 외면 중 일부가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이 삽입되는 힌지홀을 구비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돌출부가 안착되도록 일 영역이 리세스되어 형성되는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착부를 이루는 상기 프레임부의 측벽부는 상기 광학부의 외면과 대응되도록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형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는 힌지홈에 분리가능하도록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형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측벽부로부터 돌출되는 돌기;
    상기 돌출부의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돌기가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홈을 구비하는 돌출레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는 외력에 의한 상기 광학부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형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사용자의 두부에 고정되는 제1 슬라이드부 및 상기 제1 슬라이드부로부터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일단부에 상기 광학부가 고정되는 제2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형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슬라이드부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하여 노출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슬라이드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2 슬라이드부의 슬라이딩 이동과 연동하는 제3 바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형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라이드부는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홈의 일 영역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가이드홈 내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가이드홈을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형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바디는 상기 제2 바디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개구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라이드부는 상기 개구영역을 관통하며 일 영역이 접힌 상태로 수납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형 단말기.
KR1020150033877A 2015-03-11 2015-03-11 안경형 단말기 KR201601094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877A KR20160109461A (ko) 2015-03-11 2015-03-11 안경형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877A KR20160109461A (ko) 2015-03-11 2015-03-11 안경형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461A true KR20160109461A (ko) 2016-09-21

Family

ID=57080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877A KR20160109461A (ko) 2015-03-11 2015-03-11 안경형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94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80307A (zh) * 2019-05-03 2020-11-03 广达电脑股份有限公司 穿戴式装置及其转轴模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80307A (zh) * 2019-05-03 2020-11-03 广达电脑股份有限公司 穿戴式装置及其转轴模块
CN111880307B (zh) * 2019-05-03 2022-08-23 广达电脑股份有限公司 穿戴式装置及其转轴模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8347B2 (en) Glasses-type mobile terminal
KR20150109229A (ko) 글래스 타입 단말기
US9877389B2 (en) Mobile terminal
KR20160050698A (ko) 이동 단말기
US9612453B2 (en) Glasses-type terminal
KR20190119892A (ko) 복수의 하우징들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전자 장치
KR20150125374A (ko) 이동 단말기
US20160004086A1 (en) Glasses-type terminal
KR20160055577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US20210365073A1 (en) Electronic device
KR20160100774A (ko)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KR20160116559A (ko) 이동 단말기
KR20150084159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28018A (ko) 이동 단말기
KR20160109461A (ko) 안경형 단말기
KR2017001708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조립방법
KR20170014629A (ko) 이동 단말기
KR20170123906A (ko) 스마트 워치
KR20170028019A (ko) 이동 단말기
KR20150144630A (ko) 이동 단말기
KR101562592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150543A (ko) 이동 단말기
KR101607974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006438A (ko) 이동 단말기
KR20140147755A (ko) 이동 단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