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9229A - 글래스 타입 단말기 - Google Patents

글래스 타입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9229A
KR20150109229A KR1020140032398A KR20140032398A KR20150109229A KR 20150109229 A KR20150109229 A KR 20150109229A KR 1020140032398 A KR1020140032398 A KR 1020140032398A KR 20140032398 A KR20140032398 A KR 20140032398A KR 20150109229 A KR20150109229 A KR 20150109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output module
connector
sound output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6364B1 (ko
Inventor
이민종
주원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2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364B1/ko
Priority to US14/546,986 priority patent/US9612441B2/en
Priority to EP14194389.4A priority patent/EP2921928A1/en
Priority to CN201510020452.0A priority patent/CN104935354B/zh
Publication of KR20150109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9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39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based on proj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integrated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mage capture systems, e.g. camer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착용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사용자에게 시각 정보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두부 전면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일측 귀에 거치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를 구비하는 제1 서브 프레임, 및 상기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타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장착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는 글래스 타입 단말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글래스 타입 단말기{GLASS TYPE TERMINAL}
본 발명은 안경처럼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이동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최근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 예로 글래스 타입 단말기를 들 수 있다.
기존의 글래스 타입 단말기는 소형화, 경량화에 치중하여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활용하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프레임 좌/우측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없어 전자부품을 편측 배치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편측 배치에 의해 무게가 편중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설계 특성상 배터리를 내장형으로 적용하여 잦은 충전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골전도 진동을 이용하여 음향을 전달하는 글래스 타입 단말기도 제시되고 있으나, 그 음질이 뛰어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글래스 타입 단말기의 특성상 문제되는 전원공급 이슈 및 각종 전자부품들의 편측 배치에 기인한 무게 불균형 이슈가 개선된 글래스 타입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에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보다 향상된 음질을 제공할 수 있는 글래스 타입 단말기를 제공하는데에 다른 일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글래스 타입 단말기는,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착용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사용자에게 시각 정보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두부 전면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일측 귀에 거치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를 구비하는 제1 서브 프레임, 및 상기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타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장착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 서브 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타측 귀에 거치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프레임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커넥터가 장착되며,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에는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커넥터와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커넥터가 장착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타단부의 일측에 제1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제1 커넥터를 수용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개구부를 덮어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한 상기 제1 커넥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타단부에 장착되는 이탈방지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타단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2 커넥터와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의 내측에는 상기 제1 커넥터가 상기 제2 커넥터와 접속시 상기 이탈방지캡에 형성되는 홀에 삽입되어 상기 이탈방지캡을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돌기가 상기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이 상기 메인 프레임에 대하여 틸팅되면, 상기 돌기는 상기 홀에서 인출되어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이 상기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에는, 내부에 수용된 상기 제1 커넥터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1 커넥터에 형성되는 홈에 걸림되는 이탈방지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1 개구부와 연통되어 상기 일단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테이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제2 개구부를 덮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1 테이퍼부에 맞물리도록 상기 제1 테이퍼부에 대응하여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테이퍼부를 구비하는 제2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글래스 타입 단말기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하여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어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연성회로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은, 외측에 상기 제1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제1 부분, 및 내측에 상기 연성회로기판이 배치되는 제2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글래스 타입 단말기는, 골전도 진동을 이용하여 음향을 전달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통하여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는 음향 출력 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음향 출력 모듈은 상기 음향 출력 모듈을 탄성 지지하는 브리지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서브 프레임과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관통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부재는, 상기 음향 출력 모듈에 부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의 내부면에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고정부 간을 연결하며 상기 골전도 진동이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으로 전달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음향 출력 모듈이 사용자의 두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음향 출력 모듈을 탄성 지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래스 타입 단말기는, 상기 음향 출력 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홀에서 돌출된 제1 상태와 가압에 의하여 상기 제1 서브 프레임 내부로 변위된 제2 상태 사이에서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상태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상태 변화에 근거하여 상기 음향 출력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음향 출력 모듈이 작동되는 경우, 상기 제1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음향 출력 모듈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 모듈은, 골전도 진동을 발생하고 일면 상에 돌출부를 구비하는 골전도 소자, 및 상기 돌출부가 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골전도 소자와 결합되고 사용자의 두부에 밀착되어 상기 골전도 진동을 전달하는 작동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용홈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 모듈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어 상기 작동자에 고정되고 상기 돌출부와 나사 결합되는 조립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립부재는 이중 사출 또는 인서트 사출을 통하여 상기 작동자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제2 서브 프레임은 메인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바, 여분의 제2 서브 프레임을 통하여 전원공급부의 기능이 확장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구조에 의하면, 제1 서브 프레임과 서로 마주보는 제2 서브 프레임에는 전원공급부가 구비되어 단말기의 좌우 무게 균형이 일정 수준 맞춰질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은 음향 출력 모듈을 탄성 지지하는 브리지 부재에 의해 제1 서브 프레임과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관통홀 내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음질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음향 출력 모듈은 브리지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사용자별 다양한 두부 형상에 맞게 밀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글래스 타입 단말기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글래스 타입 단말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제2 서브 프레임이 메인 프레임에서 분리된 모습을 보인 개념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Ⅳ 부분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Ⅴ 부분을 다른 방향에서 보인 확대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메인 프레임 단부의 분해도.
도 7은 도 5의 라인 Ⅶ-Ⅶ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은 메인 프레임과 제2 서브 프레임 간의 체결 구조의 변형예를 보인 개념도.
도 9는 도 8의 라인 Ⅸ-Ⅸ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Ⅹ 부분의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음향 출력 모듈의 설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2a 및 도 12b는 도 11에 도시된 음향 출력 모듈이 상태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태 변화에 근거하여 제어되는 일 예를 보인 개념도들.
도 13 및 도 14는 도 10에 도시된 음향 출력 모듈의 변형예를 보인 개념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글래스 타입 단말기(100)의 블록도(block diagram).
글래스 타입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글래스 타입 단말기(100)를 구현하는 데에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글래스 타입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글래스 타입 단말기(100)와 다른 단말기 사이, 글래스 타입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10)는, 글래스 타입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글래스 타입 단말기(100) 내의 정보, 단말기(10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글래스 타입 단말기(10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글래스 타입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글래스 타입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글래스 타입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글래스 타입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글래스 타입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글래스 타입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단말기(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글래스 타입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글래스 타입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글래스 타입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충전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글래스 타입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글래스 타입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글래스 타입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글래스 타입 단말기(2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제2 서브 프레임(204)이 메인 프레임(202)에서 분리된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글래스 타입 단말기(200)는 안경처럼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한 프레임부(201, 또는 케이스, 하우징 등)를 구비한다.
본 도면에서는, 프레임부(201)가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되었을 때, 두부 전면 상에서 양측의 귀 부분으로 연장되는 'U'자 형태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프레임부(201)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 가능한 다른 형태로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일 예로, 프레임부(201)는 사용자의 두부를 감싸는 루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프레임부(201)는 사용자의 두부에 밀착 가능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부(201)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금속,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바와 같이, 금속 재질과 합성수지 재질이 조합되어 프레임부(201)를 구성할 수도 있다.
프레임부(201)는 각종 부품들이 장착되는 공간을 마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201)에는 제어모듈(280a), 제어부(280), 전원 공급부(290) 등과 같은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프레임부(201)에는 일부 전자부품이 장착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하우징(206)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후술할 메인 프레임(202)의 일측에 하우징(206)이 장착되고, 하우징(206)에 디스플레이부(251), 카메라(221) 및 사용자 입력부(233a)가 구비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하우징(206)은 제1 하우징(206a) 및 제2 하우징(206b)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251)가 구비되는 제2 하우징(206b)은 제1 하우징(206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시야 상에 출력되는 영상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HMD 형태란, 두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눈 앞에 직접 영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방식을 말한다. 사용자가 글래스 타입 단말기(200)를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눈 앞에 직접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251)는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사용자의 우안을 향하여 영상이 출력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251)가 우안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프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으로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투사된 이미지와 전방의 일반 시야(사용자가 눈을 통하여 바라보는 범위)를 함께 볼 수 있도록, 프리즘은 투광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251)를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은, 일반 시야와 오버랩(overlap)되어 보여질 수 있다. 글래스 타입 단말기(200)는 이러한 디스플레이(251)의 특성을 이용하여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221)는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형성된다. 카메라(221)가 눈에 인접하여 위치하므로, 카메라(221)는 사용자가 바라보는 장면을 영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카메라(221)가 디스플레이부(251)에 구비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221)는 프레임부(201)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복수 개로 구비되어 입체 영상을 획득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글래스 타입 단말기(200)는 제어명령을 입력 받기 위하여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223a)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23a)는 터치, 푸시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하우징(206)에 터치 입력 방식의 사용자 입력부(223a)가 구비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200)에는 사운드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하는 마이크(미도시) 및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2)이 구비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252)은 일반적인 음향 출력 방식 또는 골전도 방식으로 음향을 전달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252)이 골전도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가 글래스 타입 단말기(200)를 착용시, 음향 출력 모듈(252)은 두부에 밀착되며, 두개골을 진동시켜 음향을 전달하게 된다.
이하, 프레임부(201)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프레임부(201)는 메인 프레임(202), 제1 서브 프레임(203) 및 제2 서브 프레임(204)을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202)은 사용자의 두부 전면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메인 프레임(202)에는 좌안과 우안 중 적어도 하나를 덮는 렌즈(205)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202)에는 사용자의 코에 지지될 수 있는 코받침이 구비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02)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는 각각 제1 서브 프레임(203)과 제2 서브 프레임(204)이 구비된다. 제1 및 제2 서브 프레임(203, 204)은 사용자의 귀에 거치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부분으로서, 안경의 다리와 같은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서브 프레임(203)은 메인 프레임(202)과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어 메인 프레임(202)에 장착될 수도 있고, 메인 프레임(202)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서브 프레임(203)이 메인 프레임(202)과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는 경우, 제1 서브 프레임(203)은 메인 프레임(202)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서브 프레임(203)에는 제어부(280) 및 골전도 진동 방식의 음향 출력 모듈(252)이 구비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사용자가 글래스 타입 단말기(200)를 착용시 음향 출력 모듈(252)은 두부에 밀착되어 골전도 진동을 통하여 음향을 전달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서브 프레임(204)은 전원 공급부(290)를 구비하며, 메인 프레임(20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장착에 의해 제2 서브 프레임(204)에 구비되는 전원 공급부(290)는 제1 서브 프레임(203)에 구비되는 제어부(2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전원 공급부(290)를 구비하는 제2 서브 프레임(204)이 메인 프레임(202)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바, 전원 공급부(290)의 전원이 부족한 경우, 제2 서브 프레임(204)은 전원이 충분한 전원 공급부(290)를 구비하는 여분의 제2 서브 프레임(204)으로 교체되어, 단말기(200)에 충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기존의 글래스 타입 단말기(200)는 전자부품의 편측 배치에 의해 무게가 편중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 프레임(202)의 일측에는 일부 전자부품이 구비되는 하우징(206)이 장착되고, 상기 일측에 대응되는 제1 서브 프레임(203)에는 제어부(280) 및 음향 출력 모듈(252)이 구비된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무게의 편중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서브 프레임(203)과 서로 마주하는 제2 서브 프레임(204)에는 전원 공급부(290)가 구비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글래스 타입 단말기(200)에서는 좌우 무게 균형이 일정 수준 맞춰질 수 있다.
이하, 메인 프레임(202)과 제2 서브 프레임(204) 간의 결합 구조 및 전기적 연결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Ⅳ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Ⅴ 부분을 다른 방향에서 보인 확대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메인 프레임(202) 단부의 분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2 서브 프레임(204)과 결합되는 메인 프레임(202)의 단부에는 제1 커넥터(231)가 구비된다. 후술할 바와 같이, 제1 커넥터(231)는 연성회로기판(233)을 통하여 제1 서브 프레임(203)에 구비되는 제어부(2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서브 프레임(204)에는 제1 커넥터(231)와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커넥터(232)가 장착된다. 제2 커넥터(232)는 연성회로기판(233)을 통하여 전원 공급부(2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231, 232) 각각은 터미널 및 상기 터미널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및 제2커넥터(231, 232)의 하우징이 서로 결합되면,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터미널이 서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메인 프레임(202)은 복수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202)은 제1 프레임(202a)과 제2 프레임(20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브 프레임(204)과 마주하는 제1 프레임(202a)의 단부에는 제1 개구부(202c)가 형성된다. 본 도면에서는, 제1 프레임(202a)의 단부에 내측을 향하여 개구된 제1 개구부(202c)가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제1 커넥터(231)의 일부는 제1 개구부(202c)를 통하여 제1 프레임(202a)에 수용되며, 다른 일부는 제1 프레임(202a)에서 돌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제1 커넥터(231)에는 홈(231a)이 형성되고, 제1 프레임(202a)에는 상기 홈(231a)에 대응되는 이탈방지돌기(202c')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제1 커넥터(231)가 제1 개구부(202c)를 통하여 삽입될 때, 이탈방지돌기(202c')는 홈(231a)에 삽입되어, 제1 프레임(202a) 내부에 수용된 제1 커넥터(231)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 프레임(202a)에는 제1 개구부(202c)를 통하여 삽입된 제1 커넥터(23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1 개구부(202c)를 덮는 이탈방지캡(235)이 장착된다. 이탈방지캡(235)이 제1 프레임(202a)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이탈방지캡(235)의 내부에는 제1 프레임(202a)의 고정돌기(202e)에 대응되는 고정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231, 232)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는 다른 하나의 커넥터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에 의하여 메인 프레임(202)과 제2 서브 프레임(204)이 체결될 수 있다. 체결력 강화를 위하여, 메인 프레임(202)과 제2 서브 프레임(204) 간에는 후크를 이용한 체결 구조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메인 프레임(202)에는 제1 커넥터(231)와 제2 커넥터(232)의 접속시 제2 서브 프레임(204)에 구비되는 전원 공급부(290)와 제1 서브 프레임(203)에 구비되는 제어부(280)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구조가 구비된다. 이하, 이와 관련된 구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도 5의 라인 Ⅶ-Ⅶ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앞선 도 6과 함께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202)은 제1 프레임(202a)과 제2 프레임(202b)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들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연성회로기판(233)이 배치될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233)은 메인 프레임(202)에 구비되는 제1 커넥터(231) 및 제1 서브 프레임(203)에 구비되는 제어부(280)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관련된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프레임(202a)에는 제1 개구부(202c)와 연통되는 제2 개구부(202d)가 구비된다. 상기 구조에 따라, 제1 개구부(202c)를 통하여 제1 커넥터(231)가 메인 프레임(202) 내부에 삽입될 때, 제1 커넥터(231)와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233)은 제2 개구부(202d)를 통하여 메인 프레임(202)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개구부(202d)는 제1 서브 프레임(203)과 마주하는 메인 프레임(202)의 단부를 향하여 연장되게 형성된다. 즉, 메인 프레임(202)은 글래스 타입 단말기(200)가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본연의 기능에 더하여, 제1 커넥터(231)와 제어부(280)를 연결하는 배선 역할을 하는 연성회로기판(233)을 수용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르면, 제1 서브 프레임(203)에 구비되는 전자부품과 제2 서브 프레임(204)에 구비되는 전자부품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하게 되며, 연성회로기판(233)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보다 깔끔한 외관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2 프레임(202b)은 제2 개구부(202d)를 덮도록 제1 프레임(202a)에 장착된다. 제1 프레임(202a)과 제2 프레임(202b)이 구조적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제1 프레임(202a)과 제2 프레임(202b)에는 서로 맞물리도록 이루어지는 제1 테이퍼부(202d')와 제2 테이퍼부(202b')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개구부(202d)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테이퍼부(202d')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2 프레임(202b)에는 제1 테이퍼부(202d')에 걸리도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테이퍼부(202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제2 프레임(202b)이 제1 프레임(202a)에 결합시, 제2 테이퍼부(202b')는 탄성 변형된 상태로 제2 개구부(202d)를 통해 삽입되고, 제2 개구부(202d)에 삽입된 후 복원되어 제1 테이퍼부(202d')에 걸림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202a)은 제2 개구부(202d)에 인접한 외측에 대응되는 제1 부분(A)과 내측에 대응되는 제2 부분(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부분(A)에는 제1 테이퍼부(202d')가 형성되고, 제2 프레임(202b)이 제1 프레임(202a)에 장착시 제2 테이퍼부(202b')가 수용된다. 제2 부분(B)에는 연성회로기판(233)이 배치된다. 연성회로기판(233)은 제2 개구부(202d)에 대향하는 제1 프레임(202a)의 내측벽에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메인 프레임(202)의 폭 방향(W)으로 제1 및 제2 프레임(202a, 202b) 간의 체결을 위한 구조가 구비되는 제1 부분(A)과 연성회로기판(233)이 배치되는 제2 부분(B)이 각각 별개로 마련되므로, 메인 프레임(202)의 측면 두께(T)가 최소화될 수 있다. 디자인적 관점으로 보면, 메인 프레임(202)의 측면 두께(T)가 최소화되어, 외부에서 보았을 때 메인 프레임(202)이 얇아보이는 효과가 부여될 수 있다.
한편, 제1 프레임(202a)과 제2 프레임(202b)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프레임(202a)은 금속 재질(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마그네슘 등)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프레임(202b)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프레임(202a)이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제1 프레임(202a)의 적어도 일부는 급전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선 전자기파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프레임(202a)의 적어도 일부는 안테나로 이용될 수 있다.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제2 프레임(202b)은 사용자의 두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금속 재질의 제1 프레임(202a)이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닿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프레임(202a)의 적어도 일부가 안테나로 기능하는 경우, 금속 재질의 제1커넥터(231)와 연성회로기판(233)은 무선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무선 전자기파의 방사는 사용자의 두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커넥터(231, 232)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가 다른 하나의 커넥터에 수용되어 메인 프레임(202)과 제2 서브 프레임(204)을 결합시키는 구조를 개시하였다. 이하, 메인 프레임(202)과 제2 서브 프레임(204) 간의 체결 구조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메인 프레임(302)과 제2 서브 프레임(304) 간의 체결 구조의 변형예를 보인 개념도이고, 도 9는 도 8의 라인 Ⅸ-Ⅸ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커넥터(331)의 적어도 일부는 메인 프레임(302)에서 돌출되어 제2 서브 프레임(304)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2 커넥터(332)와 접속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이탈방지캡(335)은 제2 서브 프레임(304)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02)과 제2 서브 프레임(304)의 체결을 위하여, 제2 서브 프레임(304)에는 돌기(304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탈방지캡(335)에는 제2 서브 프레임(304) 내부로 삽입시 돌기(304a)가 수용되는 홀(335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커넥터(331)와 제2 커넥터(332)가 접속되면, 돌기(304a)는 홀(335a)에 삽입되어 이탈방지캡(335)을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돌기(304a)가 홀(335a)에 삽입 및 인출되기 위해서는, 제2 서브 프레임(304)이 메인 프레임(302)에 대하여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상대 회전(또는 틸팅)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커넥터(331)가 제2 커넥터(332)와 접속 되도록 제2 서브 프레임(304) 내부로 삽입되면, 이탈방지캡(335)은 돌기(304a) 상을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2 서브 프레임(304)은 메인 프레임(302)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상대 회전된 상태가 된다.
제1 커넥터(331)와 제2 커넥터(332)가 접속되면, 돌기(304a)는 홀(335a)에 삽입되어 메인 프레임(302)을 제2 서브 프레임(304)에 대하여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제1 커넥터(331)가 제2 커넥터(332)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더라도 메인 프레임(302)과 제2 서브 프레임(304)은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돌기(304a)가 홀(335a)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서브 프레임(304)이 메인 프레임(302)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면, 돌기(304a)는 홀(335a)에서 인출되어 제2 서브 프레임(304)이 메인 프레임(302)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메인 프레임(302)은 제1 커넥터(331)와 제2 커네겉(332)의 접촉 부분을 중심으로 제2 서브 프레임(304)에 대하여 상대 회전될 수 있다. 이처럼, 메인 프레임(302)과 제2 서브 프레임(304)을 서로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상대 회전이 전제되어야 하므로, 상기 구조에 의하면 체결력이 강화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메인 프레임(302)과 제2 서브 프레임(304)이 상대 회전되어야 하므로, 제1 커넥터(331)와 제2 커넥터(332) 자체에 체결 구조가 없는 경우에 보다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커넥터(331)와 제2 커넥터(332)가 서로 면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앞선 실시예에서도 제1 커넥터(231)와 제2 커넥터(232) 간에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면, 메인 프레임(202)과 제2 서브 프레임(204) 간의 체결력 강화를 위하여 상기 구조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도 5의 홀(235a) 참조].
한편, 글래스 타입 단말기(200)는 골전도 진동을 이용하여 음향을 전달하는 음향 출력 모듈(252)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음질이 향상될 수 있는 음향 출력 모듈(252)의 구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Ⅹ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서브 프레임(204) 내부에는 회로기판(281)이 배치된다. 회로기판(281)은 메인 프레임(202)을 통하여 연장되는 연성회로기판(2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회로기판(281)은 글래스 타입 단말기(200)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28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면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회로기판(281)에 인터페이스부(260)가 장착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음향 출력 모듈(252)은 회로기판(28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가 글래스 타입 단말기(200)를 착용시 두부에 밀착되어, 두개골을 진동시켜 음향을 전달하도록 이루어진다. 이하, 음향 출력 모듈(252)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음향 출력 모듈(252)의 설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음향 출력 모듈(252)은 골전도 진동을 이용하여 음향을 전달하도록 형성되고, 제1 서브 프레임(203)의 내측에 형성되는 관통홀(203a)을 통하여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음향 출력 모듈(252)은 골전도 진동을 발생하는 골전도 소자(252a) 및 사용자의 두부에 밀착되어 진동을 전달하는 작동자(252b)를 포함할 수 있다. 골전도 소자(252a)는 중공부를 구비하는 실린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오디오 성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제작 편차가 줄어들 수 있다.
골전도 소자(252a)의 중공부에는 체결부재(252c)가 삽입되어 작동자(252b)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재(252c)의 체결에 의하여 골전도 소자(252a)의 골전도 진동이 작동자(252b)로 손실없이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다.
작동자(252b)는 음향 출력 모듈(252)을 탄성 지지하는 브리지 부재(236)에 의해 제1 서브 프레임(203)과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관통홀(203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브리지 부재(236)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브리지 부재(236)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브리지 부재(236)는 베이스부(236a), 고정부(236b) 및 연결부(236c)를 포함한다. 베이스부(236a), 고정부(236b) 및 연결부(236c)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236a)는 음향 출력 모듈(252)에 부착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골전도 소자(252a)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부(236b)은 제1 서브 프레임(203)의 내부면에 결합된다. 본 도면에서는, 체결부재(237)에 의해 고정부(236b)이 제1 서브 프레임(203)의 내부면에 고정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연결부(236c)는 베이스부(236a)와 고정부(236b) 간을 연결하며, 골전도 진동이 제1 서브 프레임(203)으로 전달되는 것을 제한하고 음향 출력 모듈(252)이 사용자의 두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음향 출력 모듈(252)을 탄성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작동자(252b)는 음향 출력 모듈(252)을 탄성 지지하는 브리지 부재(236)에 의해 제1 서브 프레임(203)과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관통홀(203a) 내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음향 출력 모듈(252)에서 발생되는 골전도 진동이 연결부(236c)에서 감쇄되어 제1 서브 프레임(203)으로 퍼져나가는 것이 최소화된 상태로, 두부로 직접 전달되어 음질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브리지 부재(236)는 음향 출력 모듈(252)을 탄성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므로, 음향 출력 모듈(252)은 사용자별 다양한 두부 형상에 맞게 밀착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11에 도시된 음향 출력 모듈(252)이 상태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태 변화에 근거하여 제어되는 일 예를 보인 개념도들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음향 출력 모듈(252)은 적어도 일부가 관통홀(203a)을 통하여 노출되도록 배치된다(제1 상태). 이러한 제1 상태에서 사용자가 글래스 타입 단말기(200)를 착용하면, 사용자의 두부(H)에 의해 가압되어 내부로 변위된다(제2 상태). 이러한 제2 상태에서 사용자가 글래스 타입 단말기(200)를 벗으면, 음향 출력 모듈(252)은 브리지 부재[236, 특히, 음향 출력 모듈(252)을 탄성 지지하는 연결부(236c)]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제1 상태).
도 12a는 음향 출력 모듈(252)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의 두부에 의해 가압되어 제1 서브 프레임(203) 내부로 변위된 제2 상태이고, 도 12b는 음향 출력 모듈(252)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홀(203a)에서 돌출된 제1 상태이다. 즉, 제1 상태와 제2 상태는 음향 출력 모듈(252)이 사용자의 두부에 의해 가압되었는지에 따라 결정되므로, 사용자의 글래스 타입 단말기(200) 착용 여부와 직접적으로 관계가 있다.
글래스 타입 단말기(200)는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에서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상태 감지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상태 감지부는 센싱부(14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상태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태 변화에 근거하여 음향 출력 모듈(252)을 제어한다.
일 예로, 제어부는 제2 상태에서 음향 출력 모듈(252)이 작동되는 경우, 제1 상태로 전환되면, 음향 출력 모듈(252)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음향 출력 모듈(252)의 작동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조작을 가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반대로, 제1 상태에서 사용자가 글래스 타입 단말기(200)를 착용하는 경우, 제어부(280)는 이러한 상태 변화를 감지하여 음향 출력 모듈(252)을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글래스 타입 단말기(200)를 착용하면, 음향 출력 모듈(252)은 사용자에게 음성명령을 요청하는 음성에 대응되는 골전도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하, 음향 출력 모듈(252)의 변형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음향 출력 모듈(352)은 골전도 소자(352a) 및 작동자(352b)를 포함한다. 골전도 소자(352a)는 골전도 진공을 발생하고, 작동자(352b)는 골전도 소자(352a)와 결합되고, 사용자의 두부에 밀착되어 상기 골전도 진동을 전달하도록 이루어진다.
골전도 소자(352a)와 작동자(352b)가 서로 결합되는 구조와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골전도 소자(352a)의 일면 상에는 돌출부(352c)가 구비된다. 즉, 돌출부(352c)는 골전도 소자(352a)를 관통하지 아니하고, 골전도 소자(352a)의 일면에 조립, 용접, 융착, 레빗팅 등의 방법으로 골전도 소자(352a)에 고정된다. 돌출부(352c)와 마주하는 작동자(352b)의 일면에는 돌출부(352c)를 수용하도록 내측으로 리세스되는 수용홈(352b')이 구비된다.
돌출부(352c)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수용홈(352b')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부(352c)는 수용홈(352b')에 나사 결합되어, 골전도 소자(352a)와 작동자(352b)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돌출부(352c)는 수용홈(352b')에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되거나, 후크 구조를 통하여 결합되거나, 접착제에 의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다른 변형예로서, 도 14를 참조하면, 수용홈(452b')에는 돌출부(452c)와 나사 결합되는 조립부재(452d)가 수용될 수 있다. 즉, 조립부재(452d)는 돌출부(452c)와 나사 결합되고 수용홈(452b')에 고정되어, 돌출부(452c)와 작동자(452b)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조립부재(452d)는 이중 사출 또는 인서트 사출을 통하여 작동자(452b)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조립부재(452d)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조립부재(452d)는 골전도 진동시 돌출부(452c)와의 기구적 마찰에 의한 잡음이 유발되지 않도록, 탄성 재질(실리콘, 러버 등)로 형성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구조에 의하면, 체결부재가 골전도 소자(352a, 452a)를 관통하여 삽입될 필요가 없고, 돌출부(352c, 452c)를 수용홈(352b', 452b')에 삽입시킨 후 작동자(352b, 452b)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조립이 완료될 수 있으므로, 조립 구조가 단순해지며, 조립이 간편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착용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사용자에게 시각 정보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두부 전면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일측 귀에 거치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를 구비하는 제1 서브 프레임; 및
    상기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타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장착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는 글래스 타입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타측 귀에 거치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타입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커넥터가 장착되며,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에는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커넥터와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커넥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타입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타단부의 일측에 제1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제1 커넥터를 수용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개구부를 덮어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한 상기 제1 커넥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타단부에 장착되는 이탈방지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타입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타단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2 커넥터와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의 내측에는 상기 제1 커넥터가 상기 제2 커넥터와 접속시 상기 이탈방지캡에 형성되는 홀에 삽입되어 상기 이탈방지캡을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타입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돌기가 상기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이 상기 메인 프레임에 대하여 틸팅되면, 상기 돌기는 상기 홀에서 인출되어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이 상기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타입 단말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에는, 내부에 수용된 상기 제1 커넥터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1 커넥터에 형성되는 홈에 걸림되는 이탈방지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타입 단말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1 개구부와 연통되어 상기 일단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테이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제2 개구부를 덮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1 테이퍼부에 맞물리도록 상기 제1 테이퍼부에 대응하여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테이퍼부를 구비하는 제2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타입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타입 단말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하여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어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연성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글래스 타입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외측에 상기 제1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제1 부분; 및
    내측에 상기 연성회로기판이 배치되는 제2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타입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골전도 진동을 이용하여 음향을 전달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통하여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는 음향 출력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타입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 모듈은 상기 음향 출력 모듈을 탄성 지지하는 브리지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서브 프레임과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관통홀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타입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부재는,
    상기 음향 출력 모듈에 부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의 내부면에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고정부 간을 연결하며, 상기 골전도 진동이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으로 전달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음향 출력 모듈이 사용자의 두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음향 출력 모듈을 탄성 지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타입 단말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 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홀에서 돌출된 제1 상태와 가압에 의하여 상기 제1 서브 프레임 내부로 변위된 제2 상태 사이에서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상태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상태 변화에 근거하여 상기 음향 출력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타입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음향 출력 모듈이 작동되는 경우, 상기 제1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음향 출력 모듈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타입 단말기.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 모듈은,
    골전도 진동을 발생하고, 일면 상에 돌출부를 구비하는 골전도 소자; 및
    상기 돌출부가 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골전도 소자와 결합되고, 사용자의 두부에 밀착되어 상기 골전도 진동을 전달하는 작동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타입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용홈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타입 단말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 모듈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어 상기 작동자에 고정되고, 상기 돌출부와 나사 결합되는 조립부재를 더 포함하는 글래스 타입 단말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재는 이중 사출 또는 인서트 사출을 통하여 상기 작동자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타입 단말기.
KR1020140032398A 2014-03-19 2014-03-19 글래스 타입 단말기 KR102176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398A KR102176364B1 (ko) 2014-03-19 2014-03-19 글래스 타입 단말기
US14/546,986 US9612441B2 (en) 2014-03-19 2014-11-18 Glass type terminal
EP14194389.4A EP2921928A1 (en) 2014-03-19 2014-11-21 Glasses type terminal
CN201510020452.0A CN104935354B (zh) 2014-03-19 2015-01-15 眼镜式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398A KR102176364B1 (ko) 2014-03-19 2014-03-19 글래스 타입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229A true KR20150109229A (ko) 2015-10-01
KR102176364B1 KR102176364B1 (ko) 2020-11-09

Family

ID=52006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398A KR102176364B1 (ko) 2014-03-19 2014-03-19 글래스 타입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12441B2 (ko)
EP (1) EP2921928A1 (ko)
KR (1) KR102176364B1 (ko)
CN (1) CN104935354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2384A1 (ko) * 2016-02-18 2017-08-24 주식회사 예일전자 사용자 착용 장비에 구비되는 진동 출력 장치
KR20170097583A (ko) * 2016-02-18 2017-08-28 주식회사 예일전자 사용자 착용 장비에 구비되는 진동 출력 장치
KR20180122994A (ko) * 2016-01-12 2018-11-1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2065767B1 (ko) * 2018-07-25 2020-01-13 (주)오프렌 탈부착 모듈이 결합되는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
KR20200005578A (ko) * 2017-05-31 2020-01-15 페이스북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충격 흡수 벽들을 갖는 머리 장착식 디바이스의 금속 프레임
KR20220000693U (ko) * 2020-09-17 2022-03-24 쳉 쉬-슈 자기 블루투스 안경
KR20230109000A (ko) * 2022-01-12 2023-07-1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각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글래스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520B1 (ko) * 2014-03-25 2020-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9922518B2 (en) 2014-12-11 2018-03-20 Elwha Llc Notification of incoming projectiles
US9741215B2 (en) * 2014-12-11 2017-08-22 Elwha Llc Wearable haptic feedback devic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wearable haptic feedback devices
US10449445B2 (en) 2014-12-11 2019-10-22 Elwha Llc Feedback for enhanced situational awareness
US10166466B2 (en) 2014-12-11 2019-01-01 Elwha Llc Feedback for enhanced situational awareness
US9998817B1 (en) 2015-12-04 2018-06-12 Google Llc On head detection by capacitive sensing BCT
JP6686505B2 (ja) * 2016-02-15 2020-04-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頭部装着型画像表示装置
CN107484424A (zh) * 2016-06-23 2017-12-15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一种头戴式播放设备
US10750302B1 (en) * 2016-09-26 2020-08-18 Amazon Technologies, Inc. Wearable device don/doff sensor
JP6845554B2 (ja) * 2016-10-12 2021-03-17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ヘッドホン
US10747026B1 (en) * 2017-03-28 2020-08-18 Amazon Technologies, Inc. Ergonomic spacer for head-mounted wearable device
US10659868B1 (en) 2017-03-28 2020-05-19 Amazon Technologies, Inc. Field replaceable spacer for head-mounted wearable device
CN107071643A (zh) * 2017-04-24 2017-08-18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骨感眼镜的声音传导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206863381U (zh) * 2017-06-28 2018-01-09 深圳创维数字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眼镜
WO2019036362A1 (en) * 2017-08-16 2019-02-21 Molex, Ll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10904667B1 (en) * 2018-03-19 2021-01-26 Amazon Technologies, Inc. Compact audio module for head-mounted wearable device
JP2020003692A (ja) * 2018-06-29 2020-01-09 ソニー株式会社 頭部装着型ディスプレイ
CN110445505B (zh) * 2019-07-03 2021-09-24 深圳市百泰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无线音频眼镜的指向性外放方法
KR20190100105A (ko) * 2019-08-09 2019-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
CL2020001870A1 (es) * 2020-07-14 2020-09-04 Univ Talca Banda sensorial para la orientación de una persona con discapacidad visual
EP4057051B1 (en) * 2021-03-11 2024-10-09 Lighthouse Tech Sagl Temples of glasses for the blind or visually impaired
CN113296263B (zh) * 2021-04-27 2022-09-20 歌尔股份有限公司 可发声镜腿结构和头戴式显示设备
TWI783619B (zh) * 2021-08-09 2022-11-11 鄭溪州 藍芽耳機及結合有藍芽耳機之物件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1928A (ja) * 1993-05-24 1994-12-02 Sony Corp 眼鏡型ディスプレイ装置
US7621633B1 (en) * 2007-08-06 2009-11-24 Valerie Foster Reversible eyewear and associated method
KR20130029789A (ko) * 2010-08-09 2013-03-25 파나소닉 주식회사 광디바이스, 및 이것을 포함한 충전 시스템
WO2013109874A1 (en) * 2012-01-19 2013-07-25 Google Inc. Wearable device with input and output structures
US20130235331A1 (en) * 2012-03-07 2013-09-12 Google Inc. Eyeglass frame with input and output functionality
US20130242262A1 (en) * 2005-10-07 2013-09-19 Percept Technologies Inc. Enhanced optical and perceptual digital eyewear
JP2013238813A (ja) * 2012-05-17 2013-11-28 Olympus Corp 頭部装着型表示装置
US20130329918A1 (en) * 2012-06-06 2013-12-12 Google Inc. External Vibration Reduction in Bone-Conduction Speak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96113B2 (en) * 2005-10-07 2014-04-15 Percept Technologies Inc. Enhanced optical and perceptual digital eyewear
US8186828B2 (en) * 2009-06-16 2012-05-29 Scan Sound Inc. Prism glasses with movable lenses and detachable temples
US8918149B2 (en) * 2010-12-27 2014-12-23 Rohm Co., Ltd. Mobile telephone
US8867762B2 (en) * 2011-06-07 2014-10-21 Jonathan Jack Lund Audio towing handle
US8553910B1 (en) * 2011-11-17 2013-10-08 Jianchun Dong Wearable computing device with behind-ear bone-conduction speaker
CN103293685A (zh) * 2012-03-04 2013-09-11 王淩宇 一种可交互的立体视频眼镜
CN104285438B (zh) 2012-05-21 2018-09-07 奥林巴斯株式会社 眼镜型可佩戴装置、眼镜型可佩戴装置的前方部和镜腿部
US9241209B2 (en) * 2013-06-25 2016-01-19 Google Inc. Headphones with adaptable fit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1928A (ja) * 1993-05-24 1994-12-02 Sony Corp 眼鏡型ディスプレイ装置
US20130242262A1 (en) * 2005-10-07 2013-09-19 Percept Technologies Inc. Enhanced optical and perceptual digital eyewear
US7621633B1 (en) * 2007-08-06 2009-11-24 Valerie Foster Reversible eyewear and associated method
KR20130029789A (ko) * 2010-08-09 2013-03-25 파나소닉 주식회사 광디바이스, 및 이것을 포함한 충전 시스템
WO2013109874A1 (en) * 2012-01-19 2013-07-25 Google Inc. Wearable device with input and output structures
US20130235331A1 (en) * 2012-03-07 2013-09-12 Google Inc. Eyeglass frame with input and output functionality
JP2013238813A (ja) * 2012-05-17 2013-11-28 Olympus Corp 頭部装着型表示装置
US20130329918A1 (en) * 2012-06-06 2013-12-12 Google Inc. External Vibration Reduction in Bone-Conduction Speaker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2994A (ko) * 2016-01-12 2018-11-1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웨어러블 디바이스
US10564433B2 (en) 2016-01-12 2020-02-18 Amogreentech Co., Ltd. Wearable device
WO2017142384A1 (ko) * 2016-02-18 2017-08-24 주식회사 예일전자 사용자 착용 장비에 구비되는 진동 출력 장치
KR20170097583A (ko) * 2016-02-18 2017-08-28 주식회사 예일전자 사용자 착용 장비에 구비되는 진동 출력 장치
KR20200005578A (ko) * 2017-05-31 2020-01-15 페이스북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충격 흡수 벽들을 갖는 머리 장착식 디바이스의 금속 프레임
KR102065767B1 (ko) * 2018-07-25 2020-01-13 (주)오프렌 탈부착 모듈이 결합되는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
WO2020022625A1 (ko) * 2018-07-25 2020-01-30 (주) 오프렌 탈부착 모듈이 결합되는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
KR20220000693U (ko) * 2020-09-17 2022-03-24 쳉 쉬-슈 자기 블루투스 안경
KR20230109000A (ko) * 2022-01-12 2023-07-1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각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글래스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68475A1 (en) 2015-09-24
EP2921928A1 (en) 2015-09-23
KR102176364B1 (ko) 2020-11-09
CN104935354A (zh) 2015-09-23
US9612441B2 (en) 2017-04-04
CN104935354B (zh) 2019-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09229A (ko) 글래스 타입 단말기
KR101726676B1 (ko)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KR101759950B1 (ko) 이동 단말기
US9612453B2 (en) Glasses-type terminal
KR20160019280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02189A (ko) 글래스 타입 단말기
KR20160016153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4641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874754B2 (en) Glasses-type terminal
KR20170079637A (ko) 이동 단말기
KR20150140134A (ko) 이동 단말기
KR20190057286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84444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14629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1708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조립방법
KR20160127522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70998A (ko) 웨어러블 단말기
KR2015014005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08626B1 (ko) 이동 단말기
KR20190020934A (ko) 모기 퇴치 장치 및 이동 단말기
KR20160109461A (ko) 안경형 단말기
KR20160150543A (ko) 이동 단말기
KR101607974B1 (ko) 이동 단말기
KR101578013B1 (ko) 이동 단말기
KR101566285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