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9789A - 광디바이스, 및 이것을 포함한 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디바이스, 및 이것을 포함한 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9789A
KR20130029789A KR1020127033992A KR20127033992A KR20130029789A KR 20130029789 A KR20130029789 A KR 20130029789A KR 1020127033992 A KR1020127033992 A KR 1020127033992A KR 20127033992 A KR20127033992 A KR 20127033992A KR 20130029789 A KR20130029789 A KR 20130029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pair
optical device
coil
te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3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0560B1 (ko
Inventor
아키라 가키누마
게이스케 요네다
후미오 가토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29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1Ophthalmic lenses with variable focal length
    • G02C7/083Electrooptic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4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involving temporal multiplexing, e.g.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eft and right shut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8Aspects relating to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tolaryng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빛의 투과 상태를 가변으로 하도록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1 이상의 광학 요소, 상기 광학 요소의 구동 회로, 상기 광학 요소의 구동용 전원장치, 적어도 1개의 상기 광학 요소를 지지하는 한 쌍의 테두리, 전단부 및 후단부를 가지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테두리와 상기 전단부에서 각각 접속된 한 쌍의 템플, 및 상기 한 쌍의 템플의 후단부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모던부를 구비하는 광디바이스로서, 상기 전원장치가, 이차전지와, 상기 이차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수전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이차전지의 케이스가 비자성체로 형성되어 있는, 광디바이스.

Description

광디바이스, 및 이것을 포함한 충전 시스템{OPTICAL DEVICE AND POWER CHARGING SYSTEM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광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저의 머리 부분에 장착되는 머리부 장착형 광디바이스의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3D안경, 혹은 3D글래스라 일반적으로 불리는 입체영상 시청장치(이하, 단순히 시청장치라고 한다)에는, 액티브 방식에 대응된 것과 패시브 방식에 대응된 것이 있다.
액티브 방식은, 텔레비전 등의 표시장치에서, 우측 눈용 영상과 좌측 눈용 영상을 교대로 바꾸어 표시하는 동시에, 시청장치측에서, 표시장치의 영상의 전환과 동기하여, 좌우의 렌즈부에 배치한 액정 셔터 등을 교대로 개폐하는 방식이다(특허문헌 1 및 2 참조).
액티브 방식은, 표시장치에는 종래와 거의 같은 구조의 표시장치를 사용하고, 표시장치에 표시시키는 영상 데이터를 입체 영상용 영상 데이터로 하는 것만으로,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해서, 패시브 방식에서는, 우측 눈용 영상과 좌측 눈용 영상을 1라인마다 표시장치에 동시에 표시하고, 그 영상을, 표시장치에 있어서, 편광 필터로 우측 눈용과 좌측 눈용으로 배분한다. 그리고, 배분된 각 영상을, 전용 안경으로 우측 눈과 좌측 눈으로 각각 보낸다. 이 때문에, 패시브 방식에서는, 표시장치의 정면 근처에서 영상을 시청하지 않으면, 3D영상을 정상적으로 시청할 수 없는 동시에, 우측 눈용 영상과 좌측 눈용 영상을 동시에 1개의 화면에 표시하고 있으므로, 해상도는 저하한다. 따라서, 가정의 텔레비전으로 시청하는 경우에는, 액티브 방식의 입체 영상 시청 시스템 쪽이, 유저에게 있어서는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안경의 렌즈에 액정으로 이루어지는 전기활성소자를 포함하여, 그 전기활성소자에 인가하는 전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서, 렌즈의 도수(굴절력), 내지는 초점을 순간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술이 주목을 끌고 있다(특허문헌 3, 4 및 5 참조). 이 기술에 의하면, 근시 교정용 안경렌즈의 일부 영역만을, 필요에 따라서 원시 교정용의 도수로 전환하거나, 안경렌즈의 거의 전체의 도수를, 근시 교정용과 원시 교정용과의 사이에서 필요에 따라서 전환하거나 할 수 있는 안경(이하, 도수 가변 안경이라고 한다)의 실현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통상의 이른바 원근 양용 안경(Bifocal eyeglasses) 등에 비해, 왜곡이 없는 양호한 시야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0-022067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10-020898호 일본공표특허공보 2010-517082호 일본공표특허공보 2009-540386호 일본공표특허공보 2010-522903호
그러나, 액티브 방식에서는, 시청장치가, 액정 셔터나, 그 구동용 전원을 구비할 필요가 있어, 시청장치의 중량 및 부피가, 통상의 안경에 비해 커진다. 이 때문에, 시청장치의 장착감에 불만을 품는 유저도 많다.
따라서, 액티브 방식의 입체 영상 시청 시스템에서는, 시청장치를 경량화하고, 장착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상태로서는, 광셔터 구동용 전원에, 소형 경량의 코인형 전지(일차 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주류이다. 그리고, 시청장치의 경량화를 더 달성하기 위해서, 코인형 전지보다 박형화가 용이한, 라미네이트 전지를 구동용 전원으로서 사용하는 것도 검토되고 있다.
그런데, 통상의 안경은 렌즈가 경량의 플라스틱제의 것이 많은데 비해, 액티브 방식의 시청장치는, 렌즈를 대신하여 액정 광셔터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시청장치의 중량이, 통상의 안경의 중량보다 커지는 것을 피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코인형 전지나 라미네이트 전지의 사용에 의해 시청장치를 경량화했다고 해도, 그것만으로는, 유저가 시청장치의 장착감에 갖는 불만을 완전히 해소할 수 없다.
게다가, 전지의 경량화는 용량의 저하로 연결된다. 이 때문에, 전지를 과도하게 경량화하면, 전지를 빈번히 교환할 필요성이 생긴다. 그것은, 유저에게, 새로운 불만을 품게 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시청장치의 구동용 전원으로서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차전지를 전원으로서 사용함으로써, 전지 교환의 번잡함을 저감할 수 있다.
그런데, 이차전지를 전원으로서 사용하면, 충전용 단자를 시청장치에 구비시킬 필요가 있다. 충전용 단자는, 시청장치의 외측 표면에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시청장치의 디자인이 제한된다.
상술의 도수 가변 안경에 있어서도, 액정 재료에 인가하는 전류를 얻기 위해서, 이차전지를 내장시킨 장치의 실시가 예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중량이 통상의 안경보다 커지는 것이나, 이차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단자를 안경의 외측 표면에 설치할 필요성이 있는 점은, 상술의 시청장치의 경우와 같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동용 전원으로서 이차전지를 사용한 경우에도, 디자인이 제한되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전지 내장형의 광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한 국면은, 빛의 투과 상태를 가변으로 하도록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1 이상의 광학 요소(optical component), 상기 광학 요소의 구동 회로, 상기 광학 요소의 구동용 전원장치, 적어도 1개의 상기 광학 요소를 지지하는 한 쌍의 테두리(rim), 전단부(front end) 및 후단부(rear end)를 가지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테두리와 상기 전단부에서 각각 접속된 한 쌍의 템플(temples), 및 상기 한 쌍의 템플의 후단부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모던부(earpieces)를 구비하는 광디바이스로서,
상기 전원장치가, 이차전지와, 상기 이차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수전 코일(power receiver coil)을 포함하고,
상기 이차전지의 케이스가 비자성체로 형성되어 있는, 광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한 국면은, 우측 눈용 광셔터, 좌측 눈용 광셔터, 상기 양 광셔터의 구동 회로, 상기 양 광셔터의 구동용 전원장치, 상기 양 광셔터를 지지하는 한 쌍의 테두리, 전단부 및 후단부를 가지는 동시에, 상기 테두리와 전단부에서 접속된 한 쌍의 템플, 및 상기 템플의 후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모던부를 구비하는, 안경 형상의 입체영상 시청장치로서,
상기 전원장치가, 이차전지와, 상기 이차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수전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이차전지의 케이스가 비자성체로 형성되어 있는, 입체영상 시청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한 국면은, 상기 광디바이스와,
상기 광디바이스를 소정의 자세로 유지하는 유지부 및 상기 수전 코일과 협동하여 상기 이차전지를 충전하는 송전 코일(power transmitter coil)을 포함한 충전기를 구비하는 충전 시스템으로서, 상기 유지부가, 상기 수전 코일이 상기 송전 코일과 대향하는 자세로 상기 광디바이스를 유지하는,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광디바이스에 의하면, 수전 코일을 구비하게 함으로써, 이차전지의 비접촉 충전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충전용 단자를 시청장치의 외측 표면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디자인의 향상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이차전지의 케이스를 비자성체로 형성함으로써, 이차전지와 수전 코일을, 근접 배치해도, 수전 코일의 주위의 자장이 흐트러지는 일이 없어, 높은 효율로 이차전지를 충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차전지와 수전 코일과의 배치의 자유도를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면, 이차전지와 수전 코일을, 좌우의 템플 중 같은 쪽의 템플에, 가능한 한 서로 근접한 배치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양자를 접속하는 배선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단선 등에 기인하는 고장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광디바이스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규 특징을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기술하지만, 본 발명은, 구성 및 내용의 양쪽에 관해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과 더불어, 도면을 조합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광디바이스로서의 입체영상 시청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청장치의 템플을 접은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입체영상 시청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이차전지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이차전지의 일례의 상세를 나타내는, 일부를 단면으로 한 측면도이다.
도 6은 전원장치 및 구동 회로의 수납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템플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충전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던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충전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충전기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충전기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광디바이스로서의 도수 가변 안경에 사용되는 렌즈를 광입사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에서 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상기 도수 가변 안경에 사용되는 전기활성소자의 층상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충전기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빛의 투과 상태를 가변으로 하도록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1 이상의 광학 요소, 그 광학 요소의 구동 회로, 광학 요소의 구동용 전원장치, 적어도 1개의 광학 요소를 지지하는 한 쌍의 테두리, 전단부 및 후단부를 가지는 동시에, 한 쌍의 테두리와 전단부에서 각각 접속된 한 쌍의 템플, 및 한 쌍의 템플의 후단부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모던부를 구비하는 광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전원장치는, 이차전지와, 이차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수전 코일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차전지의 케이스가 비자성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차전지를 광학 요소의 구동용 전원장치로서 사용하면, 충전용 단자를 시청장치에 구비시킬 필요가 있다. 충전용 단자는, 광디바이스의 외측 표면에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광디바이스의 디자인이 제한된다.
그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단자가 없는 상태에서의 충전이 가능한 비접촉 충전으로 이차전지를 충전한다. 비접촉 충전에는, 대표적으로는, 전자 유도 방식, 전파 수신 방식, 및 공명 방식의 3가지 방식이 있다. 현재 상태에서는, 코일(송전 코일)로부터 코일(수전 코일)에 전력을 급전하는 전자 유도방식이 주류이다.
다만, 전자 유도방식에서는, 2개의 코일 사이의 위치 어긋남에 의한 효율 저하, 이물 침입시의 과열, 전자파나 고주파에의 대책이 필요하게 된다. 게다가, 전자 유도방식에서는, 코일의 근방에 자성체가 존재하면, 자장에 흐트러짐이 생겨, 충전 효율이 저하되는 것도 문제가 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자성 재료를 포함한 이차전지는, 수전 코일과 어느 정도 떨어뜨려 배치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차전지와 수전 코일과의 사이에 거리를 두면, 그 사이의 배선이 길어져, 단선의 리스크가 증대한다. 따라서, 접속의 신뢰성이 저하되고, 고장이 많아진다. 또한, 전력 손실에 의해 충전 효율도 저하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케이스를 비자성체로 형성함으로써, 이차전지와 수전 코일을 근접 배치해도, 수전 코일의 주위의 자장을 흐트러뜨리는 일이 없어, 높은 효율로 이차전지를 충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이차전지와 수전 코일을, 같은 쪽의 템플에 근접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져, 이차전지와 수전 코일을 접속하는 배선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단선의 리스크가 작아지므로, 고장이 일어나기 어려워, 신뢰성이 높은 시청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한편, 비자성체란, 강자성체가 아닌 물질이고, 상자성체 및 반자성체가 이것에 해당한다. 투자율로 말하자면, 강자성체의 투자율은 100~500 사이의 값을 나타내고, 비자성체의 투자율은 거의 1이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관한 광디바이스에 있어서는, 이차전지 및 수전 코일은, 같은 쪽의 템플의 후단부측, 또는 같은 쪽의 모던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템플의 전단부로부터 광디바이스의 무게중심(G)까지의 상기 템플이 이어지는 방향을 따른 거리 L2는, 템플의 전단부로부터 모던부의 후단부까지의 상기 템플이 이어지는 방향을 따른 거리 L1의 15~50%가 되어 있다. 상기 범위 중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20~35%이다.
예를 들면, 안경 형상의 입체영상 시청장치에 있어서는, 우측 눈용 광셔터 및 좌측 눈용 광셔터에는, 액정 광셔터를 사용하는 것이, 셔터의 개폐의 속도 및 정음성(quietness)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액정 셔터는, 통상의 안경의 플라스틱제 렌즈(가벼운 것이고, 1개가 4~7g)보다 중량은 크다(예를 들면, 1개가 6~15g).
안경 형상의 입체영상 시청장치에 있어서는, 그 중량물의 액정 광셔터가, 앞부분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그 무게중심은, 통상의 안경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게다가, 종래의 시청장치에서는, 도 1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템플의 전단에 광폭부(50)를 형성하는 동시에, 코인형 전지(일차 전지)나 라미네이트 전지를, 그 광폭부(50)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입체영상 시청장치의 무게중심은 점점 더 앞쪽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안경은, 일반적으로는, 코와 귀로 지지되어 있다. 시청장치의 중량 밸런스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면, 시청장치의 중량이 주로 코에 걸리게 되어, 땀이 나거나, 머리 부분의 약간의 동작만으로, 빈번히 시청장치가 벗겨져 떨어진다. 이 때문에, 장착감은 극단적으로 악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형태에서는, 전원장치에 사용되는 전지를, 광디바이스의 앞부분에 배치되는 렌즈 형상의 액정 광셔터 등의 광학 요소로부터 떨어진 뒷부분(템플의 후단부측, 또는 모던부)에 배치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광디바이스의 중량 밸런스를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광디바이스의 장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이차전지의 케이스가 비자성체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자장을 흐트러뜨리는 일 없이, 이차전지 및 수전 코일을 시청장치의 같은 쪽의 템플의 뒷부분 또는 모던부에 집중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이차전지와 수전 코일을, 각각, 다른 템플의 뒷부분 등에 배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그들 사이의 배선길이를 큰 폭으로 짧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관한 입체영상 시청장치에 있어서는, 이차전지는 원통 형상 또는 각기둥 형상이며, 그 지름 또는 폭은 2~6㎜이다. 그 결과, 이차전지를 템플 등에 내장시키는 경우에도, 템플 등을 특히 굵게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디자인을 희생하는 일 없이, 이차전지 등을, 템플의 후단부측, 또는 모던부 등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원통 형상 내지는 각기둥 형상의 전지는, 일반적으로 금속캔의 케이스를 구비한다. 또한, 내부의 압력 상승에 강한 형상이기 때문에, 적은 부피라도 많은 재료를 수용할 수 있다. 게다가, 외력에 대한 내성도 높기 때문에, 템플이나 모던부와 같이 굴곡하기 쉬운 광디바이스의 부위에 내장시키는데 적합하다. 한편, 각기둥 형상이라고 하는 용어는, 전지 분야에서 말하는 각형 전지에 대응하는 형상이며, 통부가, 적어도 한 쌍의 평행한 평면 형상부를 가지고 있으면 좋다. 편평하고 박형이며 측부가 원호 형상으로 둥그럼을 띠고 있는 형상도 각기둥 형상에 포함된다. 또한, 각기둥 형상의 이차전지의 폭은, 대소의 폭이 있는 경우에는 작은 쪽의 폭을 말한다.
나아가서는, 이차전지와 수전 코일과의 거리를, 4㎝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양자를 접속하는 배선길이를 매우 짧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단선의 리스크를 매우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배선길이가 커지는 것에 의한 전력손실을 최소 한도로 머무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더 높은 효율로 이차전지를 충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비자성체에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고망간 비자성강, 알루미늄, 티타늄 등의 단체, 또는 그들의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니켈은 단체로는 강자성체이지만, 예를 들면, SUS316(스테인리스강) 등의 니켈 함유 금속은 비자성체이다. 따라서, 니켈도, 그러한 합금으로 하는 것에 의해 비자성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디바이스의 일례는, 이른바 3D안경 등의 시청장치이고, 이 때, 광학 요소의 일례는, 우측 눈용 및 좌측 눈용의 한 쌍의 액정 광셔터이다. 이들 액정 광셔터는, 한 쌍의 테두리에 각각 지지된다. 구동 회로는, 외부의 영상 표시장치에 의해 교대로 표시되는 2계통의 영상, 예를 들면, 우측 눈용 영상과 좌측 눈용 영상과의 전환에 동기하여, 가변 전압을 상기 한 쌍의 액정 광셔터의 각각에 인가한다. 이 때, 한 쌍의 액정 광셔터의 한쪽의 투명도가 클 때에는 다른쪽의 투명도가 작아지고, 한 쌍의 액정 광셔터의 한쪽의 투명도가 작을 때에는 다른쪽의 투명도가 커지도록, 각 액정 광셔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바꾼다.
본 발명의 광학 요소의 다른 일례는, 소정치 이상의 전압의 인가에 의해 활성화하여 굴절률이 변화하는 전기활성재료를 포함한다. 이 때, 구동 회로는, 소정의 조건하에서, 전기활성재료에 상기 소정치 이상의 전압을 인가하고, 전기활성재료를 활성화시킨다. 여기서, 소정의 조건이란, 예를 들면, 유저의 버튼 조작에 의한 지시나, 유저의 소정의 동작(예를 들면, 머리를 아래로 기울이는 동작)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으로부터의 지시이다. 전기활성재료에는, 예를 들면, 콜레스테릭(cholesteric) 액정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의 광디바이스와 충전기를 구비하는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충전기는, 광디바이스를 유지하는 유지부와, 송전 코일을 포함한다. 유지부는, 수전 코일이 송전 코일과 대향하는 자세로 광디바이스를 유지한다. 송전 코일은, 수전 코일과 협동하여 이차전지를 충전한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관한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는, 한 쌍의 템플이, 전단부에서, 한 쌍의 테두리의 외측 단부와, 각각 힌지를 통하여 접힐 수 있게 접속되어 있다. 충전기의 유지부는, 일단부에 개구를 가지는 동시에, 타단부에 바닥을 가지는 통 형상 부재이다. 유지부는, 템플이 접혀진 광디바이스를, 한쪽의 테두리의 외측 단부를 개구측을 향하고, 다른쪽의 테두리의 외측 단부를 바닥측을 향한 상태로, 통 형상 부재의 내부에 유지한다. 그리고, 송전 코일은, 광디바이스가 통 형상 부재의 내부에 유지된 상태로, 수전 코일과 근접하는 위치, 바람직하게는 축을 일치시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코일에 소정 전압의 교류를 통전한 상태에서, 통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유지부에, 템플을 접은 광디바이스를, 송전 코일과 수전 코일이 근접 내지는 대향하는 적당한 방향으로 삽입하는 것만으로, 이차전지를 충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광디바이스의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관한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는, 수전 코일이 설치된 측의 템플, 또는 모던부에, 수전 코일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표시(first mark)가 마련되고, 통 형상 부재에, 송전 코일이 설치된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표시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용이하게, 송전 코일과 수전 코일을 근접 내지는 대향시키는, 광디바이스의 적당한 방향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통 형상 부재의 개구의 형상을 비대칭으로 하여, 템플이 접혀진 광디바이스를 통 형상 부재의 내부에 유지시킬 때의, 광디바이스의 광학 요소측(겉쪽) 및 템플측(안쪽)의 방향, 및 한쪽 및 다른쪽의 테두리측의 방향이 개구의 형상에 의해 규정되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 유저가, 광디바이스의 겉쪽과 안쪽, 및 위쪽(한쪽의 테두리측)과 아래쪽(다른쪽의 테두리측)을 틀리는 일 없이, 또한, 위치 어긋나지 않게, 광디바이스를 통 형상 부재의 내부에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의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는, 한 쌍의 템플이, 전단부에서, 한 쌍의 테두리의 각각의 외측 단부와, 각각 힌지를 통하여 접힘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충전기의 유지부는, 일단부에 개구를 가지는 동시에, 타단부에 바닥을 가지는 통 형상 부재이다. 이차전지 및 상기 수전 코일은, 템플의 후단부측, 또는 모던부에 설치되어 있다. 유지부는, 템플이 접혀진 광디바이스를, 한쪽의 테두리의 외측 단부를 개구측을 향하고, 다른쪽의 테두리의 외측 단부를 바닥측을 향한 상태로, 통 형상 부재의 내부에 유지한다. 송전 코일은, 적어도 4개 있고, 광디바이스가 통 형상 부재의 내부에 유지된 상태로, 수전 코일과 대향할 가능성이 있는, 바닥 가까이의 한 쌍의 위치와, 개구 가까이의 한 쌍의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유저가, 송전 코일 및 수전 코일의 위치를 전혀 의식하지 않아도, 시청장치를 통 형상 부재의 내부에 유지시키는 것만으로, 수전 코일이 합계 4개소에 있는 송전 코일의 어느 한쪽과 반드시 대향한다. 따라서, 이차전지가 충전되지 않은 채 방치되는 것을 극력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충전 시스템에는, 광디바이스가 유지부에 유지된 상태로, 수전 코일이 송전 코일과 가장 근접해야 할 정규 위치로부터 어긋나 있는 편차량(amount of deviation)을 검지하는 편차량 검지부와, 편차량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편차량을 작게 하도록 송전 코일 또는 수전 코일을 이동시키는 코일 이동 제어부를 구비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충전 시간이 장시간화 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전력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광디바이스로서의 입체영상 시청장치를 사시도에 의해 도시한다. 도 2에, 시청장치의 템플을 접은 상태를 배면도에 의해 도시한다. 도 3에, 입체영상 시청장치의 기능 블럭도를 도시한다.
입체영상 시청장치(이하, 시청장치라고 한다)(10)는, 액티브·셔터 방식의 입체 영상 시청 시스템에 대응한, 안경 형상의 시청장치이다.
액티브·셔터 방식의 입체 영상 시청 시스템은, 3D TV 등의 표시장치로, 우측 눈용 영상과 좌측 눈용 영상을 교대로 고속으로 바꾸어 표시하는 동시에, 시청장치(10)로, 표시장치의 영상의 전환과 동기하여, 광셔터를 교대로 개폐하는 것에 의해, 입체 영상을 시청하는 시스템이다.
시청장치(10)는, 우측 눈용 및 좌측 눈용의 광셔터(12)의 도시하지 않은 전극에 구동 회로(14)가 접속되고, 구동 회로(14)에, 광셔터(12)의 구동용 전원장치(16)가 접속되어 있다. 전원장치(16)는, 이차전지(30)와, 이차전지(30)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충방전 회로(32)와, 이차전지(30)를 전자 유도방식으로 비접촉 충전하기 위한 수전 코일(34)을 포함한다. 구동 회로(14)에는, 충방전 회로(32)가 접속되어 있다. 충방전 회로(32)는 이차전지(30) 및 수전 코일(34)과 접속되어 있다.
각 광셔터(12)는, 한 쌍의 테두리(18)에 의해 각각 유지되어 있다. 한 쌍의 테두리(18)는 각각의 내측 단부에서, 브리지(20)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각 테두리(18)의 외측 단부에는, 각각, 템플(22)의 전단부가, 힌지(24)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템플(22)의 후단부에는, 모던부(26)가 형성되어 있다. 각 테두리(18)의, 브리지(20)의 근방에는, 노즈 패드(28)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테두리(18), 브리지(20), 템플(22), 힌지(24), 모던부(26) 및 노즈 패드(28)가 프레임(1)을 구성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은 표시장치(3D TV 등)에서는, 광셔터(12)의 개폐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동기 신호가 송신되어 있고, 브리지(20)에는, 그 동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수신부가 설치되어 있다. 수신부에서 수신된 동기 신호는, 구동 회로(14)로 보내진다.
광셔터(12)에는, 액정 광셔터를 사용하는 것이, 동작 속도, 및 정음성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액정 광셔터는, 전압을 인가하면 투명하게 되고, 인가 전압이 제거되면 불투명해지도록 동작한다.
도 4에, 이차전지의 외관을 사시도에 의해 도시한다. 이차전지(30)는, 바깥지름 내지는 폭 D가 2~6㎜, 길이 L이 15~35㎜의 가느다란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차전지(30)에는, 비수전해질 이차전지, 특히 리튬 이온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에너지 밀도가 높은 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이차전지(30)에는, 도시와 같은 원통 형상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기둥 형상 등의 여러 가지 형상의 이차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원통 형상 내지는 각기둥 형상의 전지는, 일반적으로 금속캔의 케이스를 구비한다.
이차전지(30)를, 상술한 사이즈 및 형상으로 함으로써, 디자인을 희생하는 일 없이, 이차전지(30)를, 템플(22)의 후단부측, 또는 모던부(26)(도시예에서는, 모던부(26))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차전지(30)의 바깥지름 내지는 폭 D를 2㎜ 이상으로 함으로써, 바깥지름 D가 이것보다 작은 경우와 비교해서, 이차전지(30)의 제작이 매우 용이해져, 제조비용이 저감된다. 또한, 이차전지(30)의 충분한 용량을 확보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한편, 이차전지(30)의 바깥지름 D를 6㎜ 이하로 하는 것은, 바깥지름 D가 이것보다 큰 경우와 비교해서, 시청장치의 뒷부분에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여, 디자인성이 손상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전원장치(16)에 이차전지를 사용함으로써, 전지를 빈번히 바꿀 필요가 없어져, 시청장치(10)의 사용의 편리성이 높아진다. 이차전지(30)의 용량은, 예를 들면, 10~100mAh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차전지(30)의 케이스는, 비자성체로 형성된다. 비자성체에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고망간 비자성강, 알루미늄, 및 티타늄의 단체, 또는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니켈도, 예를 들면, SUS316 등의 비자성체 합금 성분으로 하여 사용함으로써, 케이스를 형성하는 비자성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케이스의 재료인 비자성체를 상기의 재료로 함으로써, 이차전지(30)와 수전 코일(34)을 근접 배치해도 자장이 흐트러지지 않는다고 하는 효과 외에, 전지 형상을 안정화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라미네이트 전지이면, 가스의 발생에 의해 내압이 상승하면, 전지에 부풀음이 생겨, 그것을 수납하는 안경에 변형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 결과, 유저가 시청장치를 장착했을 때에 위화감을 느끼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이차전지(30)는, 위에 열거한 것과 같은 비자성체를 케이스의 재료에 사용함으로써, 가스가 발생해도 전지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어, 상술한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이차전지(30)를 리튬 이온 이차전지로 구성하는 경우의 이차전지(30)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차전지(30)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전지 케이스(51), 전지 케이스(51)내에 수용된 권회형 전극군(52), 및 전지 케이스(51)를 밀봉하는 절연 개스킷(61)을 구비하고 있다. 전지 케이스(51)의 외측면은 절연 커버(54)로 덮여 있다.
전극군(52)은, 도전성을 가지는 권심(55)과, 음극(56)과, 양극(57)과, 음극(56)과 양극(57)과의 사이를 격리하는 세퍼레이터(58)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전극군(52)에는, 비수전해질이 접촉하고 있다.
전극군(52)의 최외주에는, 양극(57)이 배치되어, 전지 케이스(51)의 내측면과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전지 케이스(51)의 바닥면 및 측면은, 외부에 노출되어, 외부 양극 단자로서 이용된다.
권심(55)의 일단(59)은, 전지 케이스의 외부에 노출되어, 음극 단자로서 이용된다. 권심(55)의 일단은, 절연 개스킷(61)의 구멍에 압입되어 있다. 권심(55)의 타단에는, 전지 케이스(51)와 단락되지 않도록, 절연 캡(60)이 부착되어 있다.
음극(56)의 일단부는, 권심(55)에 용접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음극(56)은, 권심(55)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음극(56)은, 띠 형상의 음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의 양면에 형성된 음극 활물질층을 가진다. 음극(56)의 총두께는, 35~150㎛가 바람직하다.
음극(56)의 일단부에, 집전체의 양면에 있어서 음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고 음극 집전체가 노출되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이 부분이, 권심(55)에 용접되어 있다.
음극 집전체에는, 사용되는 음극 활물질의 충방전시의 전위 범위에서 화학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재질이 이용된다.
음극 활물질로서는, 흑연 등의 탄소 재료, 규소 산화물, 및 규소를 포함한 합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소형 전지로 고용량화하기 위해서는, 음극 활물질층의 용량 밀도는, 1000mAh/㎤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 용량 밀도는, 음극 활물질층 1㎤당의 용량(가역 용량)(mAh)을 가리킨다.
증착법으로 음극 집전체의 표면에 용량 밀도의 높은 규소를 포함한 박막을 형성하는 경우, 용량 밀도가 1200~1300mAh/㎤ 정도의 높은 음극 활물질을 얻을 수 있다. 소형 전지로도, 고에너지 밀도화에 의해, 고용량을 가지는 전지를 얻을 수 있다.
용량 밀도가 높기 때문에, 음극 활물질은, 규소, 규소를 포함한 합금, 규소 산화물이 바람직하고, 특히 규소 산화물이 바람직하다. 규소를 포함한 합금, 규소 산화물은, 충방전시의 팽창 수축이 비교적 크지만, 전지가 소형화될수록, 팽창 수축의 절대치가 작아지기 때문에, 그 영향이 작아져, 소형 전지에 대해서 적합하게 이용된다.
규소 산화물은, SiOx(0<x<2)가 바람직하다. x가 작을수록 활물질의 용량이 커지지만, 충방전시의 활물질의 팽창 수축에 의한 부피 변화가 커진다. 또한, x가 클수록 충방전시의 활물질의 팽창 수축에 의한 부피 변화가 작아지지만, 불가역용량이 커진다. 본 발명의 소형 전지에서는, 활물질의 부피 변화에 의한 영향이 비교적 작다. 따라서, 소형 전지에서의 활물질의 부피 변화 및 가역 용량의 관점으로부터, 0<x≤1.1이 바람직하다.
규소를 포함한 합금은, 규소와, 철, 코발트, 니켈, 구리, 및 티타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원소와의 합금이 바람직하다.
권심(55)은, 음극(5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사용되는 음극 활물질의 충방전시의 전위 범위에서 화학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재질을 이용하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권심(55)으로서는, 스테인리스강(SUS), 구리, 구리합금, 알루미늄, 철, 니켈, 팔라듐, 금, 은, 백금이 이용된다. 이것들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권심(55)은, 음극 집전체와, 재질이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권심(55)은 음극(56)과의 용접에 적절한 형상이면 좋다. 권심(55)은, 막대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막대 형상의 권심(55)은, 길이방향을 따라서 평탄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탄부에서 전극과 면접촉시킬 수 있다.
양극(57)은, 전극군의 최외주부에 있어서, 양극 집전체의 내주측의 면에는, 양극 활물질층이 형성되고, 양극 집전체의 외주측의 면에는, 양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는 한쪽면 도공부(양극 집전체가 노출되는 부분)가 설치되어 있다. 양극 집전체가 노출되는 부분의 표면이, 전지 케이스의 내면에 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양극(57)은, 전지 케이스(51)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양극 집전체에는, 띠 형상의 금속박이 이용되고,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박 또는 알루미늄 합금박이다.
전지의 소형화 및 양극 용량의 관점으로부터, 양극 활물질층(한쪽면 당의 두께)은, 두께 30~100㎛가 바람직하다.
양극 활물질층은,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서, 양극 도전제 및 양극 결착제를 더 포함해도 좋다.
양극 활물질은, 리튬 이온 이차전지로 사용 가능한 재료이면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양극 활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코발트산리튬(LiCoO2), 니켈산리튬(LiNiO2), 및 망간산리튬(LiMn2O4)과 같은 리튬 함유 천이금속 산화물을 이용할 수 있다.
전지의 소형화 및 고에너지 밀도화의 관점으로부터, 양극 활물질에는, 일반식: LixNiyM1-yO2(식중, M은, Na, Mg, Sc, Y, Mn, Fe, Co, Cu, Zn, Al, Cr, Pb, Sb 및 B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며, 0<x≤1.2, 0.5<y≤1.0)로 표시되는 리튬 함유 복합 산화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지의 소형화 및 고에너지 밀도화의 관점으로부터, 양극 활물질에는, 일반식: LixNiyCozM1-y-zO2(식중, M은, Mg, Ba, Al, Ti, Sr, Ca, V, Fe, Cu, Bi, Y, Zr, Mo, Tc, Ru, Ta, 및 W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며, 0.9≤x≤1.2, 0.3≤y≤0.9, 0.05≤z≤0.5, 0.01≤1-y-z≤0.3)로 표시되는 리튬 함유 복합 산화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이차전지(30)를 제작하는 제작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전지 구성부재인 절연 개스킷(61), 권심(55), 음극(56), 양극(57), 세퍼레이터(58), 전지 케이스(51)를 100℃의 진공하에서 방치하고, 각 부품을 건조시킨다. 그 후, 노점 -50℃ 이하의 분위기하에서, 이하와 같이 전지를 제작한다.
권심(55)에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제의 환봉(직경 1㎜)을 사용한다. 음극(56)에 있어서의 음극 집전체가 노출되는 부분과, 권심(55)을, 포개 맞추어, 바늘 형상의 제 1 저항용접 전극과, 평판 형상의 제 2 저항용접 전극을, 음극(56)과 권심(55)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시킨다. 제 1 저항용접 전극을 음극(56)의 표면에 접촉시키고, 제 2 저항용접 전극을 집전체에 접촉시키고, 제 1 및 제 2 저항용접 전극간에 전류를 인가하여, 권심(55)의 축방향 X를 따른 복수의 개소에서, 음극(56)과 집전체를, 저항용접에 의해 접합한다.
그 후, 음극(56)을, 세퍼레이터(58) 및 양극(57)과 함께, 집전체의 주위에 감아 붙이고, 도 5에 도시하는 권회형 전극군(52)을 형성한다. 음극(56), 양극(57) 및 세퍼레이터(58)를 감아 붙인 후에는, 그 가장 외주에, 폴리프로필렌제의 점착 테이프를 붙여 전극군이 느슨해지지 않도록 고정해도 좋다. 게다가, 권심(55)의 일단(59)에는, 절연 개스킷(61)을 관통시키고, 타단에는, 절연 캡(60)을 부착한다.
플라스틱제의 용기내에, 전극군(52)을 정치한 후, 용기내에 전해액을 넣어 전해액중에 전극군(52)을 침지한다. 그 후, 감압하에서 전극군(52)에 전해액을 함침시킨다.
전해액을 포함한 전극군(52)을, 용기로부터 꺼내, 이것을 바닥이 있는 원통형 알루미늄제 전지 케이스(바깥지름 4㎜, 높이 20㎜)내에 삽입하고, 전지 케이스(51)의 개구에 절연 개스킷(61)을 배치하고, 전지 케이스(51)의 개구단(31)을, 절연 개스킷(61)의 상부에 코킹하여, 전지 케이스(51)를 밀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예를 들면 공칭 용량이 18mAh인 소형의 리튬 이온 이차전지(직경 4㎜, 높이 20㎜)를 얻을 수 있다. 이차전지의 외관 치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바깥지름 D: 2~6㎜, 길이 L: 15~35㎜의 가느다란 원통 형상이면 좋다.
도시하는 예의 시청장치(10)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회로(14)는, 우측(도면의 안쪽)의 모던부(26)에 배치되고, 전원장치(16)는, 좌측(도면의 앞쪽)의 모던부(26)에 배치되어 있다. 각 부재의 배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원장치(16) 및 구동 회로(14)를 구성하는 각 부의 적어도 1개 또는 전부를 좌우의 템플(22)의 후단부측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원장치(16)의 충방전 회로(32)를 우측으로 옮기고, 이차전지(30)만을 좌측에 남기고, 좌우의 밸런스를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구동 회로(14) 및 전원장치(16)의 전부를, 템플(22)의 후단부측, 또는 모던부(26)에 배치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일부분(예를 들면 구동 회로(14))을 템플(22)의 전단부측, 혹은 테두리(18)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차전지(30)는 중량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템플(22)의 후단부측, 또는 모던부(26)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전 코일(34)도 배선길이를 가능한 한 짧게 하기 위해서, 이차전지(30)와 같은 쪽의, 템플(22)의 후단부측, 또는 모던부(26)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템플(22)의 전단부(예를 들면 힌지(24)의 축의 중앙의 점)로부터 모던부(26)의 선단부까지의 거리(템플이 이어지는 방향을 따른 거리)를 100%로 하여, 시청장치(10)의 무게중심 G가, 템플(22)의 전단부로부터 15~50%의 위치가 되도록, 구동 회로(14), 및 전원장치(16)의 각 부를 배치하는 것이 좋다. 시청장치(10)의 무게중심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시청장치(10)의 장착감이 현저하게 양호해진다.
도 6에, 구동 회로 및 전원장치를 수납하는 수납부의 일례를 나타낸다. 수납부(36)는, 우측 및 좌측의 템플(22)에 각각 설치된 중공부로 형성되어 있고, 구동 회로(14) 및 전원장치(16)를 템플(22)에 내장하여 수납한다. 수납부(36)에는, 개폐 가능한 뚜껑을 마련할 수 있다.
수납부(36)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하는 네모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템플(22)의 횡단면이 둥그럼을 띠고 있으면, 거기에 맞추어 원통 형상 등으로 해도 좋다. 수납부(36)의 사이즈는, 수납 대상물의 사이즈에 따라 적당히 설정된다. 또한, 수납부(36)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던부(26)에 설치해도 좋다.
수납부(36)를, 템플(22) 또는 모던부(26)에 설치된 중공부로 형성함으로써, 구동 회로(14) 및 전원장치(16)의 각 부, 특히, 비교적 소형화가 곤란한 이차전지(30)를 템플(22) 또는 모던부(26)에 내장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그 존재를 유저에게 의식시키는 일 없이 수납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시청장치(10)의 디자인의 폭이 확대되어, 외관을 향상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게다가, 전원장치(16)는, 종래의 일차 전지를 대신하여 이차전지(30)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전지의 교환의 필요성이 작다. 따라서, 전원장치(16) 및 구동 회로(14)는, 템플(22) 또는 모던부(26)가 수지제이면, 인서트 성형에 의해 템플(22) 또는 모던부(26)에 메워넣도록 하여, 내장시켜도 좋다. 이것에 의해, 시청장치의 디자인의 자유도를 더 넓힐 수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전 코일(34)과, 송전 코일(38)을 사용한 이차전지(30)의 비접촉 충전에서는, 수전 코일(34)을, 송전 코일(38)과 축이 일치하도록 대향시킨다. 그 상태로 송전 코일(38)에 교류를 통전함으로써, 양 코일의 사이를 관통하는 자속이 시간과 함께 변화한다. 그 자속의 변화에 의해 수전 코일(34)에 기전력이 생긴다. 그 기전력에 의해 이차전지(30)가 충전된다.
이 때, 수전 코일(34)과 이차전지(30)와의 간격은, 4㎝ 이하로 하는 것이, 배선길이를 짧게 하기 위해서 바람직하다. 또한, 수전 코일(34)은, 축이 모던부(26) 등의 측면과 수직이 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 이차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의 일례를 나타낸다.
충전기(40)는, 개구(42a)와, 바닥(42b)을 가지는 통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유지부(42)를 구비하고 있다. 유지부(42)는, 템플(22)이 접혀진 시청장치(10)를, 한쪽의 테두리(18)의 외측 단부를 개구(42a)쪽을 향하고, 다른쪽의 테두리(18)의 외측 단부를 바닥(42b)을 향한 상태로 유지한다.
충전기(40)는, 게다가, 송전 코일(38)에 전력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과의 도시하지 않은 접속 단자를 가진다. 또한, 송전 코일(38)에 보내는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제어 유닛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처리장치), MPU(Micro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메모리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개구(42a) 및 바닥(42b)의 형상은, 템플(22)이 접혀진 시청장치(10)를 유지부(42)의 내부에 삽입할 때, 유지부(42)에 대한 시청장치(10)의 상하 및 표리의 방향이 하나로 정해지도록,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지부(42)에는, 시청장치(10)를 수전 코일(34)이 설치되어 있는 부분이 바닥(42b)을 향하도록 삽입한 상태에서, 수전 코일(34)과 축이 일치하고, 또한 대향하도록, 송전 코일(38)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송전 코일(38)을 유지부(42)의 개구측에 설치하고, 시청장치(10)의 수전 코일(34)이 설치되어 있는 부분을 개구측을 향하도록 개구(42a)의 형상을 설정해도 좋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지부(42)의 측면에는, 송전 코일(38)이 설치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송전 코일(38)이 설치된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44)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과 대응하여,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청장치(10)의 모던부(26)의 수전 코일(34)이 설치된 위치에는 표시(46)가 마련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유저는, 수전 코일(34)이 설치된 측을 바닥측으로 하고, 개구(42a)의 형상 그대로의 상하 및 표리의 방향으로 시청장치(10)를 유지부(42)의 내부에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용이하게, 수전 코일(34)과 송전 코일(38)이 대향하도록, 시청장치(10)를 유지부(42)에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0에, 충전기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 충전기(40A)에 있어서는, 유지부(42A)는, 평평한 타원 형상의 개구(42a) 및 바닥(42b)을 가지고 있다. 송전 코일(38)은, 바닥(42b)측의 위치에 한 쌍과, 개구(42a)측의 위치에 한 쌍이 배치되어 있다. 송전 코일(38)이 배치되는 위치는, 시청장치(10)가 유지부(42A)의 내부에 유지될 때의 가능한 4가지의 상태(표리와 그 반대의 2가지×상하와 그 반대의 2가지)에 대응하고 있다.
송전 코일(38)을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유저가, 송전 코일(38) 및 수전 코일(34)의 위치를 전혀 의식하지 않아도, 이차전지(30)를 비접촉 충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시청장치(10)의 사용의 편리성이 보다 좋아진다.
한편, 4개의 송전 코일(38)을 직렬로 접속하면, 어느 송전 코일(38)이 수전 코일(34)과 대향하고 있는지에 관계없이 충전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4개의 송전 코일(38)을 외부 전원과 병렬로 접속하는 경우에는, 어느 송전 코일(38)이 수전 코일(34)과 대향하고 있는지를 검지하는 검지 기구를 설치한다. 예를 들면, 단시간의 전류를 흘렸을 때의 각 송전 코일(38)의 임피던스를 검지하면, 수전 코일(34)과 대향하고 있는 송전 코일(38)을 특정할 수 있다. 그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각 송전 코일(38)에의 통전을 온 또는 오프하는 것을 선택한다. 이러한 기구는, 충전기(40)의 제어 유닛에 설치하면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2를 설명한다.
(실시형태 2)
도 11에, 실시형태 2에 관한 광디바이스로서의 도수 가변 안경에 사용되는 렌즈를 빛의 입사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에서 본 모양을 나타낸다. 도수 가변 안경 자체의 외관은, 도 1의 시청장치와 유사하다. 따라서,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도 1의 부호를 유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각 부재의 두께 등의 비율은, 시인성(visibility)을 고려하여, 실제의 것으로부터 변경되어 있다.
도시하는 예의 렌즈(70)는, 베이스 렌즈(70a)와, 베이스 렌즈(70a)에 메워 넣어진 평판 형상의 전기활성소자(71)를 포함한다. 베이스 렌즈(70a)에는, 예를 들면 근시 교정용의 통상의 광학 렌즈(오목 렌즈)를 사용할 수 있다. 전기활성소자(71)는, 전기에너지의 적용에 의해서 변화될 수 있는 굴절률을 가지는 디바이스이다. 전기활성소자(71)는, 베이스 렌즈(70a)와 광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렌즈(70)는, 도 1의 프레임(1)(보다 구체적으로는, 테두리(18))에 부착할 수 있다. 한편, 전기활성소자(71)는, 베이스 렌즈(70a)의 내부가 아니라 표면에 부착할 수도 있다.
전기활성소자(71)는, 렌즈(70)의 전체 시야 또는 그 일부에만 배치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이점쇄선에 의해, 전기활성소자(71)가 렌즈(70)의 전체 시야에 배치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전기활성소자(71)는, 도시하는 예와 같은 평면 형상으로 할 수도 있고, 렌즈의 곡면을 따라서 만곡시킬 수도 있다. 게다가, 전기활성소자(71)는, 한 쌍의 렌즈(70)의 양쪽에 배치할 수도 있고, 한쪽에만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1개의 렌즈(70)에 배치되는 전기활성소자(71)는 1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2 이상의 전기활성소자(71)를 1개의 렌즈(70)에 배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렌즈(70)를 근시 교정용 또는 원시 교정용의 굴절력을 가지지 않는 단순한 투명체로 하는 동시에, 1개의 렌즈(70)에, 활성시에 근시 교정용 굴절력을 발휘하는 전기활성소자(71)와, 활성시에 원시 교정용 굴절력을 발휘하는 전기활성소자(71)의 양쪽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기활성소자(71)가 렌즈(70)의 전체 시야의 일부에만 배치될 때, 렌즈(70) 중에서 전기활성소자(71)가 배치되는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서 유저의 시선이 아래를 향했을 때에, 그 시선과 포개지는 위치, 즉 렌즈(70)의 하부의 중앙에, 전기활성소자(71)를 배치할 수 있다.
도 12에, 전기활성소자의 일례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는, 전기활성소자(71)의 두께와 폭과의 비율, 및 각 층의 두께의 비율은, 실제를 반영하고 있지 않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는, 전기활성소자(71)를 주로 두께 방향으로 확대하고 있다.
도시하는 예의 전기활성소자(71)는, 2개의 투명한 기판(72)과, 그 사이에 배치된, 액정 재료의 박층으로 이루어지는 전기활성재료(73)를 포함한다. 기판(72)은, 전기활성재료(73)가 기판 사이내에 포함되고, 또한 새어 나올 수 없는 것을 보증하도록 성형되어 있다. 기판(72)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0㎛ 이상 1㎜ 미만이며, 바람직하게는 250㎛의 오더이다. 전기활성재료(73)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0㎛ 미만으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미만이다.
2개의 기판(72) 중 하나에 의해, 베이스 렌즈(70a)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한쪽의 기판(72)은 다른쪽보다 실질적으로 두꺼워질 수 있다. 이들의 형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베이스 렌즈(70a)의 일부를 형성하는 기판은, 1㎜~12㎜ 두께의 오더일 수 있다. 다른 기판(72)의 두께는 100㎛ 이상 1㎜ 미만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250㎛의 오더일 수 있다.
2개의 기판(72)은, 동일한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전기활성재료(73)는, 액정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은, 액정을 횡단하는 전장(electric field)을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서 바꿀 수 있는 굴절률을 가지므로, 전기활성재료(73)에 특히 적절하다. 액정 재료는, 편광 불감수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액정 재료에는, 콜레스테릭 액정 재료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콜레스테릭 액정 재료는 대략 0.2 이상의 복굴절률을 가지는 네마틱(nematic) 액정을 포함할 수 있다. 콜레스테릭 액정 재료는, 대략 1.1(㎛-1) 이상의 크기를 가진 헤리컬 트위스트력(helical twisting power)을 가진 키랄 도펀트(Chiral dopan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기활성재료(73)는, 상기 굴절률에 대체로 동일한 평균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각 기판(72)의 전기활성재료(73)와 접촉하는 면에는, 각각, 광학적으로 투명한 전극(74)이 배치되어 있다. 전극(74)에 의해서 전기활성재료(73)에 전압이 인가된 활성화 상태로, 전기활성재료(73)의 굴절률은 변화하고, 그것에 의해, 예를 들면 그 초점거리 또는 회절 효율과 같은 전기활성재료(73)의 광학 특성을 변화시킨다. 전극(74)에는, 예를 들면 임의의 기존의 투명 도전성 산화물(예를 들면, ITO(Indium Tin Oxide): 산화인듐주석(주석 도프 산화인듐)), 또는 도전성 유기 재료(예를 들면, PEDOT: PSS(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styrenesulfonate)), 또는 카본 나노 튜브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74)의 두께는, 예를 들면 1㎛ 미만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0.1㎛ 미만이다.
전기활성소자(71)는, 제 1 굴절률과 제 2 굴절률과의 사이의 스위칭이 가능한 것이며, 인가된 전압이 제 1 소정치 E1 미만인 불활성화 상태에서 제 1 굴절력을 가질 수 있어, 인가된 전압이 제 2 소정 전압 E2(E2>E1)를 넘는 활성화 상태에서 제 2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불활성화 상태에서는, 전기활성소자(71)는, 실질적으로 굴절률력을 주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환언하면, 제 1 소정치 E1 미만의 전압이 인가되었을 경우(또는 실질적으로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는, 전기활성재료(73)는, 기판(72)의 굴절률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전기활성소자(71)의 굴절률은 그 두께에 걸쳐 실질적으로 일정하여, 굴절률의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다.
한편, 전기활성재료(73)에 포함된, 예를 들면 콜레스테릭 액정 재료의 디렉터(director)를, 초래되는 전장과 평행하게 배열시키기 위해서 충분한 전압(제 2 소정 전압 E2를 넘는 전압)이 인가된 경우, 전기활성소자(71)는, 굴절률의 증대를 부여하는 활성화 상태에 있다. 환언하면, 제 2 소정 전압 E2를 넘는 전압이 인가된 경우, 콜레스테릭 액정 재료는, 기판(72)의 굴절률과는 다른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가, 자동차의 운전과 같은 원거리의 직업에 종사하는 경우, 전기활성소자(71)는 불활성화 되어, 그것에 따라 유저에게 베이스 렌즈(70a)에 의한 적절한 원거리의 교정을 줄 수 있다. 한편, 유저가, 독서 또는 컴퓨터 화면을 보는, 근거리 또는 중간 거리의 직업에 종사하는 경우, 전기활성소자(71)가 활성화 되어, 그것에 따라 유저에게 적절한 근거리의 교정을 줄 수 있다.
전기활성재료(73)에 포함시킨 콜레스테릭 액정 재료는, 본질적으로 콜레스테릭 상태(즉, 키랄 또는 비틀림)이거나, 또는 네마틱 액정을 키랄 트위스트제와 혼합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된다. 후자의 어프로우치(approach)가 이용된 경우, 얻어진 콜레스테릭 액정은, 원래의 네마틱 액정과 같은 많은 특성을 가진다. 예를 들면, 얻어진 콜레스테릭 액정 재료는, 같은 굴절률의 분산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얻어진 콜레스테릭 액정 재료는, 원래의 네마틱 액정과 같은 정상 굴절률, 및 이상 굴절률을 가진다. 네마틱 재료는 콜레스테릭 액정보다 많이 시판되어 있으므로 후자의 어프로우치는 바람직하며, 보다 큰 설계의 유연성을 준다.
도수 가변 안경은, 각 전극(74)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구동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회로는, 실시형태 1의 구동 회로(14)와 같은 구동 회로이며, 유저의 버튼 조작 등에 따라서, 또는, 유저의 소정의 동작(예를 들면, 머리를 아래로 기울이는 동작)을 검출한 검출 결과에 따라서, 각 전극(74)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도록 동작시킬 수 있다. 그러한 구동 회로는, 실시형태 1의 구동 회로(14)와 같은 배치로 템플(22) 또는 모던부(26)에 설치할 수 있다.
도수 변환 안경은, 게다가, 전기활성소자(71)를 제어 가능하도록 구동 회로와 접속된 전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전원장치는, 도 3의 전원장치(16)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그러한 전원장치는, 전원장치(16)와 같은 배치로 템플(22) 또는 모던부(26)에 설치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을 설명한다.
(실시형태 3)
도 13에, 실시형태 3에 관한 충전 시스템에 사용되는 충전기(8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충전기(80)의 형상은, 도 8의 충전기(40) 또는 도 10의 충전기(40A)와 같다. 충전기(80)는, 송전 코일(38)이 가동식인 점에서, 그러한 충전기와는 다르다. 도시하는 예의 충전기(80)는, 도 8의 충전기(40)와 같이 1개의 송전 코일(38)만을 구비하고 있다. 충전기(80)에는, 도 10의 충전기(40A)와 같이, 4개의 송전 코일(38)을 구비시켜도 좋다. 도시하는 예의 충전기(80)에서는, 송전 코일(38)의 초기 위치는, 도 8의 충전기(40)에 있어서의 송전 코일(38)의 배치와 같다.
충전기(80)는, 송전 코일(38)의 초기 위치 주위의 제 1 점의 자속밀도(제 1 자속밀도)를 검출하는 자속밀도 검출 코일(81)과, 송전 코일(38)의 초기 위치 주위의 제 2 점의 자속밀도(제 2 자속밀도)를 검출하는 자속밀도 검출 코일(82)과, 송전 코일(38)의 초기 위치 주위의 제 3 점의 자속밀도(제 3 자속밀도)를 검출하는 자속밀도 검출 코일(83)을 구비하고 있다.
게다가, 충전기(80)는, 송전 코일(38)을 제 1 점을 향하여 끌어 들이도록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84)와, 송전 코일(38)을 제 2 점을 향하여 끌어들이도록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85)와, 송전 코일(38)을 제 3 점을 향하여 끌어들이도록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86)를 구비하고 있다. 액츄에이터(84~86)는, 액츄에이터 제어부(87)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액츄에이터 제어부(87)는, CPU, MPU 및 메모리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 1~3의 점은, 다른 점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초기 위치에 있는 송전 코일(38)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정삼각형의 3개의 정점과 대응해서 배치된다.
그리고, 충전기(80)는, 충전기(80)의 유지부에 의해 광디바이스가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수전 코일(34)이 송전 코일(38)과 가장 근접해야 할, 내지는, 축을 일치시키도록 하여 대향해야 할 정규 위치로부터 얼마나 어긋나 있는지를 나타내는 편차량을 검지하기 위한 편차량 검지부(88)를 더 구비하고 있다. 수전 코일(34)이 정규 위치에 있을 때, 즉 수전 코일(34)과 송전 코일(38)이 축을 일치시켜 대향할 때, 이차전지를 최고의 효율로 충전할 수 있다.
편차량 검지부(88)는, 자속밀도 검출 코일(81~83)에 의해 검출된 자속밀도에 기초하여 상기 편차량을 검지한다. 액츄에이터 제어부(87)는, 편차량 검지부(88)에 의해 검지된 편차량을 작게 하는 방향으로 송전 코일(38)을 이동시키도록 액츄에이터(84~86)를 제어한다. 이하, 이 점을 설명한다.
초기 위치의 송전 코일(38)의 축심과 대응하는 위치(이하, 송전 코일 중심 위치라고 한다)로부터 자속밀도 검출 코일(81)이 배치된 위치(제 1 점)를 종점으로 하는 벡터를 제 1 단위벡터로 하고, 송전 코일 중심 위치로부터 자속밀도 검출 코일(82)이 배치된 위치(제 2 점)를 종점으로 하는 벡터를 제 2 단위벡터로 하고, 송전 코일 중심 위치로부터 자속밀도 검출 코일(83)이 배치된 위치(제 3 점)를 종점으로 하는 벡터를 제 3 단위벡터로 한다.
편차량 검지부(88)는, '(제 1 자속밀도×제 1 단위벡터)+(제 2 자속밀도×제2의 단위벡터)+(제 3 자속밀도×제 3 단위벡터)'라고 하는 연산에 의해, 상기 편차량(벡터량)을 검지한다. 자속밀도 검출 코일(81~83)에 발생하는 기전력은, 자속밀도의 시간 변화율에 비례하므로, 자속밀도는 기전력으로부터 용이하게 구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 제어부(87)는, 상기 연산된 편차량이 0이 되는 방향 및 거리만큼 송전 코일(38)을 이동시키도록, 액츄에이터(84~86)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송전 코일(38)의 중심과 수전 코일의 중심을 정면에 마주하게 할 수 있으므로, 최선의 효율과, 가능한 한 짧은 시간에 이차전지를 충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실시형태 3에서는, 상기 편차량을 작게 하도록 송전 코일(38)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수전 코일(34)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수전 코일(34)을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그 이동 기구를 광디바이스에 설치하면 좋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광디바이스의 중량이 커지는 동시에, 이동의 범위도 한정된 것이 된다. 또한, 송전 코일 및 수전 코일의 양쪽을 이동시켜도 좋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광디바이스는, 장착감이 양호하고, 또한 사용의 편리성이 높기 때문에, 이른바 3D안경의 형태에서는, 영화관에서 장시간 3D영상 시청이나, 3D TV에 의한, 어린이를 포함한 가정에서 3D영상 시청에 유용하다. 또한, 항상 장착하는 도수 변환 안경의 형태에서는, 편리성이 높은 것에 의해 유저에 혜택은 더 크다.
본 발명을 현시점에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그러한 개시를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여러 가지의 변형 및 개변은, 상기 개시를 읽는 것에 의해서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의 당업자에게는 틀림없이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 모든 변형 및 개변을 포함한다고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입체영상 시청장치
12 : 광셔터
81 : 구동 회로
83 : 전원장치
22 : 템플
26 : 모던부
30 : 이차전지
32 : 충방전 회로
34 : 수전 코일
36 : 수납부
38 : 송전 코일
40, 40A, 80 : 충전기
50 : 렌즈
51 : 전기활성소자
81, 82, 83 : 자속밀도 검출 코일
84, 85, 86 : 액츄에이터
87 : 액츄에이터 제어부
88 : 편차량 검지부

Claims (14)

  1. 빛의 투과 상태를 가변으로 하도록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1 이상의 광학 요소, 상기 광학 요소의 구동 회로, 상기 광학 요소의 구동용 전원장치, 적어도 1개의 상기 광학 요소를 지지하는 한 쌍의 테두리, 전단부 및 후단부를 가지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테두리와 상기 전단부에서 각각 접속된 한 쌍의 템플, 및 상기 한 쌍의 템플의 후단부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모던부를 구비하는 광디바이스로서,
    상기 전원장치가, 이차전지와, 상기 이차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수전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이차전지의 케이스가 비자성체로 형성되어 있는, 광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 및 상기 수전 코일이, 같은 쪽의 상기 템플의 후단부측, 또는 같은 쪽의 상기 모던부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템플의 전단부로부터 무게중심까지의 상기 템플이 이어지는 방향을 따른 거리가, 상기 템플의 전단부로부터 상기 모던부의 후단부까지의 상기 템플이 이어지는 방향을 따른 거리의 15~50%인, 광디바이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가 원통 형상 또는 각기둥 형상인, 광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의 지름 또는 폭이 2~6㎜인, 광디바이스.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와 상기 수전 코일과의 거리가, 4㎝ 이하인, 광디바이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자성체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고망간 비자성강, 니켈, 알루미늄, 및 티타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한, 광디바이스.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요소가, 상기 한 쌍의 테두리에 의해 각각 지지된 한 쌍의 액정 광셔터이며,
    상기 구동 회로는, 외부의 영상 표시장치에 의해 교대로 표시되는 2계통의 영상의 전환에 동기하여, 상기 한 쌍의 액정 광셔터의 한쪽의 투명도가 클 때에는 다른쪽의 투명도가 작아지고, 상기 한 쌍의 액정 광셔터의 한쪽의 투명도가 작을 때에는 다른쪽의 투명도가 커지도록, 가변 전압을 상기 한 쌍의 액정 광셔터의 각각에 인가하는, 광디바이스.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요소가, 소정치 이상의 전압의 인가에 의해 활성화하여 굴절률이 변화하는 전기활성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전기활성재료에 상기 소정치 이상의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전기활성재료를 활성화시키는, 광디바이스.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디바이스와,
    상기 광디바이스를 소정의 자세로 유지하는 유지부 및 상기 수전 코일과 협동하여 상기 이차전지를 충전하는 송전 코일을 포함한 충전기를 구비하는 충전 시스템으로서,
    상기 유지부가, 상기 수전 코일이 상기 송전 코일과 근접하도록 상기 광디바이스를 유지하는, 충전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템플이, 상기 전단부에서, 상기 한 쌍의 테두리의 각각의 외측 단부와, 힌지를 통하여 접힐 수 있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충전기의 상기 유지부가, 일단부에 개구를 가지는 동시에, 타단부에 바닥을 가지는 통 형상 부재이며,
    상기 유지부는, 상기 한 쌍의 템플이 접혀진 상기 광디바이스를, 한쪽의 테두리의 외측 단부를 상기 개구측을 향하여, 다른쪽의 테두리의 외측 단부를 상기 바닥측을 향한 상태로, 상기 통 형상 부재의 내부에 유지하고,
    상기 송전 코일은, 상기 광디바이스가 상기 통 형상 부재의 내부에 유지된 상태로, 상기 수전 코일과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충전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 코일이 설치된 측의 상기 템플 또는 상기 모던부에, 상기 수전 코일이 설치된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표시가 마련되고,
    상기 통 형상 부재에, 상기 송전 코일이 설치된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표시가 마련되어 있는, 충전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형상이 비대칭이며, 상기 템플이 접혀진 상기 광디바이스를 상기 통 형상 부재의 내부에 유지시킬 때의, 상기 광디바이스의 광학 요소측과 템플측의 방향, 및 한쪽과 다른쪽의 테두리측의 방향이 상기 개구의 형상에 의해 규정되는, 충전 시스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템플이, 상기 전단부에서, 상기 한 쌍의 테두리의 각각의 외측 단부와, 힌지를 통하여 접힐 수 있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충전기의 상기 유지부가, 일단부에 개구를 가지는 동시에, 타단부에 바닥을 가지는 통 형상 부재이며,
    상기 이차전지 및 상기 수전 코일은, 같은 쪽의 상기 템플의 후단부측, 또는 상기 모던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템플이 접혀진 상기 광디바이스를, 한쪽의 테두리의 외측 단부를 상기 개구측을 향하고, 다른쪽의 테두리의 외측 단부를 상기 바닥측을 향한 상태로, 상기 통 형상 부재의 내부에 유지하고,
    상기 송전 코일이, 상기 광디바이스가 상기 통 형상 부재의 내부에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수전 코일과 대향할 가능성이 있는 상기 바닥측의 한 쌍의 위치와, 상기 개구측의 한 쌍의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충전 시스템.
  14.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디바이스가 상기 유지부에 유지된 상태로, 상기 수전 코일이 상기 송전 코일과 가장 근접해야 할 정규 위치로부터 어긋나 있는 편차량을 검지하는 편차량 검지부와,
    상기 편차량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편차량을 작게 하도록 상기 송전 코일 또는 상기 수전 코일을 이동시키는 코일 이동 제어부를 구비하는 충전 시스템.
KR1020127033992A 2010-08-09 2011-06-13 광디바이스, 및 이것을 포함한 충전 시스템 KR1014205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78294 2010-08-09
JPJP-P-2010-178294 2010-08-09
PCT/JP2011/003340 WO2012020527A1 (ja) 2010-08-09 2011-06-13 光デバイス、及びこれを含む充電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789A true KR20130029789A (ko) 2013-03-25
KR101420560B1 KR101420560B1 (ko) 2014-07-16

Family

ID=45567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3992A KR101420560B1 (ko) 2010-08-09 2011-06-13 광디바이스, 및 이것을 포함한 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120706A1 (ko)
JP (1) JP5436678B2 (ko)
KR (1) KR101420560B1 (ko)
CN (1) CN102972037B (ko)
WO (1) WO20120205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9229A (ko) * 2014-03-19 2015-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글래스 타입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8530A (ja) * 2010-09-09 2012-03-22 Seiko Epson Corp シャッター眼鏡、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JP5847014B2 (ja) * 2012-05-17 2016-01-2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頭部装着型表示装置
JP6513895B2 (ja) * 2013-02-20 2019-05-15 日東電工株式会社 携帯機器及びその充電機器、携帯機器充電システム
KR20230044041A (ko) * 2013-03-11 2023-03-31 매직 립, 인코포레이티드 증강 및 가상 현실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40285402A1 (en) * 2013-03-13 2014-09-25 Aliphcom Social data-aware wearable display system
US9417452B2 (en) 2013-03-15 2016-08-16 Magic Leap, Inc. Display system and method
JP2015038542A (ja) * 2013-08-06 2015-02-26 株式会社ドクター中松創研 耳かけダイナミックバランスドスマホ,pc
CN103676154A (zh) * 2013-12-09 2014-03-26 苏州市峰之火数码科技有限公司 电子缩放眼镜
CN103777759A (zh) * 2014-02-18 2014-05-07 马根昌 电子眼镜动作识别系统
US9575319B2 (en) 2014-03-10 2017-02-21 Ion Virtu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motion blur when experiencing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s
US9529200B2 (en) 2014-03-10 2016-12-27 Ion Virtu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motion blur when experiencing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s
US9829711B2 (en) 2014-12-18 2017-11-28 Ion Virtual Technology Corporation Inflatable virtual reality headset system
CA2999103A1 (en) * 2015-09-16 2017-03-23 E-Vision Smart Optics, Inc.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ophthalmic lenses with wireless charging
JP6654031B2 (ja) 2015-12-14 2020-02-26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小型電子機器
KR102473670B1 (ko) * 2016-02-02 2022-12-02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스마트 헬멧 장치
JP6747844B2 (ja) * 2016-03-30 2020-08-26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頭部装着型電子機器及び非接触充電システム
US10534203B2 (en) * 2017-07-31 2020-01-14 Snap Inc. Near-field antenna for eyewear
WO2019059200A1 (ja) * 2017-09-19 2019-03-28 三井化学株式会社 アイウェア
CN111033361A (zh) * 2017-09-21 2020-04-17 三井化学株式会社 眼睛佩戴物、眼睛佩戴物用供电装置及眼睛佩戴物套组
JP7200637B2 (ja) * 2017-12-25 2023-01-10 株式会社リコー 頭部装着型表示装置および表示システム
CN117238224A (zh) 2018-08-31 2023-12-15 奇跃公司 用于增强现实装置的空间分辨的动态调暗
US11372251B2 (en) * 2019-06-17 2022-06-28 Google Ll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electrical pathways between components in wearable heads-up displays
CN110376763A (zh) * 2019-08-02 2019-10-25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眼镜、眼镜盒及系统
JP7359941B2 (ja) 2019-08-12 2023-10-11 マジック リープ,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仮想現実および拡張現実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1444488B2 (en) * 2020-05-28 2022-09-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ireless charging for optica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0119A (en) * 1989-02-28 1992-06-09 Mats Yoshiro N Spectacles having head retainers
CN2097077U (zh) * 1991-02-11 1992-02-26 上海市中亚电器厂 盒内充电式电动剃须刀
JP3032925B2 (ja) * 1992-09-25 2000-04-17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非水電池
JPH095674A (ja) * 1995-06-21 1997-01-10 Sanyo Electric Co Ltd 立体映像再生システム用液晶シャッタ眼鏡
JP2001190029A (ja) * 1999-12-28 2001-07-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充電装置
US20010038491A1 (en) * 2000-02-02 2001-11-08 Fergason John D. Modular 3-D shutter glasses and method
US8109629B2 (en) * 2003-10-09 2012-02-07 Ipventure, Inc. Eyewear supporting electrical components and apparatus therefor
AR064986A1 (es) * 2007-01-22 2009-05-06 Pixeloptics Inc Material cristalino liquido colesterico en lente electroactiva
JP4915579B2 (ja) * 2007-06-20 2012-04-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接触電力伝送機器
JP2009098655A (ja) * 2007-09-27 2009-05-07 Panasonic Corp 電子めがね
JP2009251068A (ja) 2008-04-02 2009-10-29 Panasonic Corp 電子眼鏡及びその充電装置
JP2009273327A (ja) * 2008-05-10 2009-11-19 Sanyo Electric Co Ltd 電池内蔵機器と充電台
JP5297955B2 (ja) 2008-09-16 2013-09-25 日本電産コパル電子株式会社 非接触充電器の送電コイルの移動装置
CN102326116A (zh) * 2009-01-09 2012-01-18 匹克塞尔光学器件股份有限公司 电激活眼镜和相关电子装置
CN201533182U (zh) * 2009-09-25 2010-07-21 北京华旗资讯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包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9229A (ko) * 2014-03-19 2015-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글래스 타입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36678B2 (ja) 2014-03-05
JPWO2012020527A1 (ja) 2013-10-28
CN102972037A (zh) 2013-03-13
WO2012020527A1 (ja) 2012-02-16
CN102972037B (zh) 2015-07-15
KR101420560B1 (ko) 2014-07-16
US20130120706A1 (en) 201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0560B1 (ko) 광디바이스, 및 이것을 포함한 충전 시스템
JP5938643B2 (ja) 光デバイス
US11137626B2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ophthalmic lenses with wireless charging
KR101364942B1 (ko) 광 디바이스
CN110383151B (zh) 带有无线充电装置的眼镜
US11283301B2 (en) Wearable device, battery used in the same, and power supply system
US20020118464A1 (en) Optical apparatus
JP2011232550A (ja) 眼鏡及びその給電器
KR102443061B1 (ko) 온도 변화에 따른 가변층을 포함하는 재충전가능한 배터리
US9030738B2 (en) Stereoscopic image viewing device
US20210389605A1 (en) Eyewear, electricity supply device for eyewear and eyewear set
WO2019073736A1 (ja) 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
JP2013125202A (ja) メガネおよびメガネ置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