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8793B1 - 이온액을 사용한 셀룰로즈의 용해 및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이온액을 사용한 셀룰로즈의 용해 및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8793B1
KR100778793B1 KR1020047004974A KR20047004974A KR100778793B1 KR 100778793 B1 KR100778793 B1 KR 100778793B1 KR 1020047004974 A KR1020047004974 A KR 1020047004974A KR 20047004974 A KR20047004974 A KR 20047004974A KR 100778793 B1 KR100778793 B1 KR 100778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ulose
ionic liquid
anion
abandoned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4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5550A (ko
Inventor
스와틀로스키리차드패트릭
로저스로빈돈
홀브리존데이빗
Original Assignee
더 유니버시티 오브 알라바마
피지 리서치 파운데이션,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327331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7879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더 유니버시티 오브 알라바마, 피지 리서치 파운데이션,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더 유니버시티 오브 알라바마
Publication of KR20040065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5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8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8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9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organic liquids
    • C08J3/091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organic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nstitution of the organic liquid
    • C08J3/096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1/00Preparatory treatment of cellulose for making derivatives thereof, e.g. pre-treatment, pre-soaking, activation
    • C08B1/003Preparation of cellulose solutions, i.e. dopes, with different possible solvents, e.g. ionic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 C08J11/06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without chemical reactions
    • C08J11/08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without chemical reactions using selective solvents for polymer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8Treatment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C08L1/06Cellulose hyd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1/00Carrier-bound or immobilised enzymes; Carrier-bound or immobilised microbial cells; Preparation thereof
    • C12N11/02Enzymes or microbial cells immobilised on or in an organic carrier
    • C12N11/10Enzymes or microbial cells immobilised on or in an organic carrier the carrier being a carbohydrate
    • C12N11/12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2/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Manufacture thereof
    • D01F2/0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Manufacture thereof from solutions of cellulose in acids, bases or 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68Natural source-type polyamide [e.g., casein, gelatin, etc.]
    • Y10T428/31772Next to cellulos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971Of carbohyd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유도체화시키지 않고서도 셀룰로즈를 이온액에 용해시키고, 해롭거나 휘발성인 유기 용매의 사용을 요구하지도 않으면서 셀룰로즈를 일정 범위의 구조 형태로 재생시킨다. 셀룰로즈 용해도와 용액 특성은 이온액 구성분을 선택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는데, 작은 양이온 및 할라이드 또는 슈도할라이드 음이온이 용액에 선호된다.
셀룰로즈, 이온액, 용해, 재생, 용해도, 용액 특성.

Description

이온액을 사용한 셀룰로즈의 용해 및 가공 방법{Dissolution and processing of cellulose using ionic liquids}
셀룰로즈는 생물학적으로 재생 가능한(biorenewable) 가장 풍부한 재료이고, 셀룰로즈-유도된 생성물은 가장 원시적인 사회로부터 고도로 개발된 현대기술사회에 이르기까지 모든 문명에서 사용되어 왔다. 개질되지 않은 셀룰로즈 함유 재료(예: 목재, 무명)의 사용과는 별도로, 현대의 셀룰로즈 기술 분야에서는 현대 화학 산업이 시작된 이래로 거의 변화되지 않은 기술을 사용하여 1차 공급원으로부터 셀룰로즈를 추출 및 가공할 필요가 있다.
셀룰로즈 및 이의 유도체는 수 많은 화학물질 공급원을 대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석유 공급 원료를 셀룰로즈로 대체하여 페인트, 플라스틱 및 기타 제형 물질에 적용하기 위한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용해된 다음 재생되는 비스코오스(viscose)를 매개로 셀로판이 제조되는 반면, 일반적으로 에스테르 또는 에테르 형성과 같은 유도체화를 수반하는 화학적 용해로 인해서는, 광범위한 현대 재료가 생성된다.
셀룰로즈 변환에 대한 1차적인 화학공정이 에스테르화 공정이며, 셀룰로즈 에스테르는 섬유 및 텍스타일(textile) 뿐만 아니라 중합체 및 필름 제조를 위해, 제지 산업에 대규모로 적용되는 중요한 재료이다. 혼합 에스테르, 예를 들면, 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또는 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가 플라스틱에 사용된다. 혼합 에스테르는 또한, 예를 들어, 자동차 페인트 분야에서, 마무리(finish) 시간과 건조 시간을 개선시키도록 금속 박편을 배향시킬 수 있는 유동학적 개질제(rheological modifiers)로서 사용된다. 미세결정성 셀룰로즈가 또한, 식이성 식품 첨가제로서 시판되고 있으며 약제학적 제제에 사용된다.
셀룰로즈 및 셀룰로즈 생성물에 대한 최대한의 잠재성은 완전히 개발되지 못하였는데, 이는 부분적으로는, 1940년대 이후부터 석유계 중합체에 대한 관심이 쏠렸기 때문이며, 또한 셀룰로즈를 용이하게 용해시킬 수 있는 통상적인 용매의 수가 제한되었기 때문이다. 쿠프라암모늄(cuprammonium) 및 크산테이트(xanthate) 공정을 포함한 전통적인 셀룰로즈 용해 공정은 종종 성가시거나 비용이 많이 들며, 전형적으로 높은 이온 강도를 지니고 비교적 거친 조건 하에 사용되는 색다른 용매의 사용을 요구한다[참조: Kirk-Othmer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Fourth Edition 1993, volume 5, p. 476-563]. 이러한 용매로는 이황화탄소, N-메틸모르폴린-N-옥사이드(NMMO),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염화리튬의 혼합물(DMAC/LiCl), 디메틸이미다졸론/LiCl, 농축된 수성 무기 염 용액 [ZnCl/H2O, Ca(SCN)2/H2O], 농축된 무기 산(H2SO4/H3PO4) 또는 용융된 염 수화물(LiClO4.3H2O, NaSCN/KSCN/LiSCN/H2O)이 있다.
셀룰로즈계 자원을 처리하기 위한 수 많은 물리적 및 화학적 가공 방법이 있다. 화학적, 효소적, 미생물학적 및 거대생물학적 촉매를 사용하여, 생성물 형성에 열역학적으로 선호되도록 선택된 조건 하에 상기 공정을 촉진시킬 수 있다. 화학적 공정에는 산화, 환원, 열분해, 가수분해, 이성체화, 에스테르화, 알콕시화 및 공중합체화 공정이 포함된다. 셀룰로즈를 화학적 및 효소적으로 가수분해시키는 공정이 문헌[참조: 'The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2nd ed, J. I. Kroschwitz (Ed in Chief), Wiley (New York), 1985]에 기재되어 있다. 목재, 종이, 무명, 레이온,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및 기타 텍스타일이 광범위한 셀룰로즈계 재료의 몇 가지 예이다.
산업 오염 증가에 따른 정부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오염과 폐기물 생성을 방지하고 재생 가능한 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환경친화적(green)' 공정 수행에 대한 필요성이 현저하게 증가 추세이다. 기존의 셀룰로즈 용해 및 유도체화 방법 상의 효율은, 제련 및 천연 셀룰로즈에 적합한 용매를 이용할 수 있음으로써 상당히 개선될 수 있는데, 이의 한 예가 리오셀(lyocell) 섬유 제조용 셀룰로즈의 비-유도체화 용해용 용매로서 사용되는 N-메틸모르폴린-N-옥사이드(NMMO)이다[참조: http://www.lenzing.com.].
화학적 공정, 생화학적 공정 및 분리 공정에서, 통상적인 유기 용매에 대한 대체물로서의 이온액의 사용이 입증되었다. 그라엔나처(Graenacher)는 먼저, 셀룰로즈를 특히 질소 함유 염기, 예를 들면, 피리딘의 존재 하에, 액상 N-알킬피리디늄 또는 N-아릴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염에서 가열함으로써 셀룰로즈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미국 특허 제1,943,176호). 이 제안은 새로운 것이기는 하지만 실용적인 가치는 없는 것으로 취급되어 왔는데, 그 이유는 상기 용융된 염 시스템이 그 당시에는 다소 난해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이 최초의 연구는, 이온액이 거의 알려지지 않았고, 용매의 한 부류로서의 이온액의 용도 및 가치가 실현되지 않았던 시기에 착수되었다.
셀룰로즈가 물, 질소 함유 염기 및 기타 용매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이온액으로서 본원에 기재되는 용매에 용해될 수 있다는 사실이 본 발명에 의해 밝혀졌다. 또한, 광범위하고 다양한 범위의 이온액을 사용하여, 전반적인 가공 방법론에서 보다 잘 제어되고 가요성이 더 커질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추가로, 본 공정에서 휘발성 유기 용매 또는 기타 바람직하지 못한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이온액 용매 시스템으로부터 셀룰로즈 함유 재료를 수득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들 발견은 다음에 보다 상세히 논의되어 있다.
발명의 간단한 요약
셀룰로즈의 용해방법이 고려된다. 이 방법은 셀룰로즈를, 물 또는 질소 함유 염기의 실질적인 부재 하에,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구성된 친수성 이온액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용해가 완료될 때까지 상기 혼합물을 진탕시킨다. 이 혼합물을 몇몇 양태에서는 가열하는데, 이러한 가열은 마이크로파 조사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온액을 약 150℃ 미만에서 용융시킨다.
이온액의 양이온은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릭이고, 이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화학식의 화합물에 구조적으로 상응한다:
Figure 112004013845201-pct00001
Figure 112004013845201-pct00002
위의 화학식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C1-C6 알킬 그룹 또는 C1-C 6 알콕시알킬 그룹이고,
R3, R4, R5, R6, R7, R8 및 R9 는, 존재하는 경우, 독립적으로, 하이드리도, C1-C6 알킬, C1-C6 알콕시알킬 그룹 또는 C1-C6 알콕시 그룹이다.
이온액의 음이온은 할로겐, 슈도할로겐, 또는 C1-C6 카복실레이트이다. 이들이 2개의 이성체성 1,2,3-트리아졸이라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양이온 형성에 요구되지 않는 모든 R 그룹이 하이드리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환 구조와 융합되지 않은 단일 5원환을 함유하는 양이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양이온으로 구성된 이온액을 사용하는 셀룰로즈의 용해방법이 또한 고려된다. 이 방법은 셀룰로즈를, 물의 실질적인 부재 하에 상기 5원환 양이온 및 음이온으로 구성된 친수성 이온액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용해가 완료될 때까지 상기 혼합물은 진탕시킨다. 양이온의 예가 다음에 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R1, R2, 및 R3-R5는 존재하는 경우, 앞서 정의된 바와 같다:
Figure 112004013845201-pct00003
기타 환 구조와 융합되지 않은 단일 5원환을 함유하는 보다 바람직한 양이온 중에서, 다음 화학식 A에 상응하는 이미다졸륨 양이온이 특히 바람직한데, 여기서 R1, R2, 및 R3-R5는 앞서 정의된 바와 같다:
Figure 112004013845201-pct00004
1,3-디-(C1-C6 알킬)-치환된-이미다졸륨 이온, 즉 화학식 A의 R3-R5가 각각 하이드리도이고, R1 및 R2가 각각 독립적으로 C1-C6 알킬 그룹 또는 C1-C6 알콕시알킬 그룹인 이미다졸륨 양이온이 특히 보다 특히 바람직한 양이온이다. 1-(C1-C6 알킬)-3-(메틸)-이미다졸륨[Cn-mim, 여기서 n은 1 내지 6이다] 양이온이 가장 바람직하고, 할로겐이 바람직한 음이온이다. 가장 바람직한 양이온이 다음 화학식 B에 상응하는 화합물로써 예시되는데, 여기서 화학식 B의 R3-R5는 각각 하이드리도이고, R1 은 C1-C6 알킬 그룹 또는 C1-C6 알콕시알킬 그룹이다:
Figure 112004013845201-pct00005
물 또는 질소 함유 염기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용융된 친수성 이온액 용매 중의 셀룰로즈로 구성된 용액이 또한 고려된다. 언급된 바와 같이, 이러한 이온액은 바람직하게는 앞서 논의된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한 용액은, 이의 양이온이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기타 환 구조와 융합되지 않은 단일 5원환을 함유하는 친수성 액에 용해된 셀룰로즈로 구성된다. 고려된 용액은 그 자체로서 사용되어, 셀룰로즈 상에서 추가의 반응, 예를 들면, 아실화 반응을 수행하여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또는 부티레이트를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재생될 수 있다.
셀룰로즈의 재생 방법이 또한 고려된다. 이 방법은 물 또는 질소 함유 염기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용융된 친수성 이온액 용매, 또는 이의 양이온이 기타 환 구조와 융합되지 않은 단일 5원환을 함유하는 친수성 이온액 중의 셀룰로즈 용액을, 상기 이온액과 혼화성인 셀룰로즈용 액상 비-용매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혼합 단계는 셀룰로즈 및 이온액이 각각 고체 상 및 액체 상을 형성하도록 해준다. 이러한 고체 상은 동일 반응계에서 추가로 반응되는 것과 비교해서, 바람직하게는 수집되는 재생 셀룰로즈이다. 본 방법에 사용된 이온액은 위에서 논의된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는 도면에서,
도 1은 넓은 구경의 주사기로부터 물로 압출시킴으로써 제조된, 본래의 섬유상 셀룰로즈(좌측)와 재생 셀룰로즈(우측)의 2개 사진을 도시한 것인데, 이는 모노리드식 형태(monolithic forms)가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해준다.
도 2는 재생 셀룰로즈 샘플(청색, 흑색)의 열비중 분석(TGA) 기록과 본래의 섬유상 셀룰로즈(적색)의 열비중 분석 기록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도 3A 및 3B의 2개 패널로서, 본래의 섬유상 셀룰로즈의 X선 회절(XRD) 패턴(도 3A) 및 [C4mim]Cl로부터 제생된 섬유상 셀룰로즈의 X선 회절 패턴(도 3B)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4A, 4B, 4C 및 4D의 4개 패널로서, 섬유상 셀룰로즈의 주사 전자 마이크로그래프(micrograph)(도4A, 도 4B) 및 셀룰로즈 샘플 A(셀룰로즈 아세테이트 적용 분야에 사용된 목재 펄프)의 주사 전자 마이크로그래프(도4C, 도4D)이며, 재생 전의 것은 도 4A 및 도 4C이고 [C4mim]Cl로부터 물 내로 재생된 후의 것은 도 4B 및 도 4D이다.
본 발명은 친수성 이온액 중에서 셀룰로즈 용액을 형성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용매는 유기 양이온과 무기 또는 유기 음이온을 포함하는 친수성 이온액이다.
셀룰로즈의 용해방법이 본 발명의 한 양태로서 고려된다. 한 양태에서, 당해 방법은 셀룰로즈를, 물 또는 질소 함유 염기의 실질적인 부재 하에,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구성된 친수성 이온액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용해가 완료될 때까지 상기 혼합물을 진탕시킨다. 이 혼합물을 몇몇 양태에서는 가열하는데, 이러한 가열은 마이크로파 조사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온액을 약 150℃ 미만에서 용융시킨다.
예시되는 사이클릭 이온액 양이온은 다음에 제시된 화학식에 상응한다:
Figure 112004013845201-pct00006
Figure 112004013845201-pct00007
위의 화학식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C1-C6 알킬 그룹 또는 C1-C 6 알콕시알킬 그룹이고,
R3, R4, R5, R6, R7, R8 및 R9 는 존재하는 경우, 독립적으로, 하이드리도, C1-C6 알킬, C1-C6 알콕시알킬 그룹 또는 C1-C6 알콕시 그룹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R1 및 R2 그룹은 둘 다 C1-C4 알킬이고, 하나가 메틸이며, R3-R9는, 존재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리도이다. 예시적인 C1-C6 알킬 그룹 및 C1-C4 알킬 그룹에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2급-부틸, 이소-부틸, 펜틸, 이소-펜틸, 헥실, 2-에틸부틸, 2-메틸펜틸 등이 포함된다. 상응하는 C1-C6 알콕시 그룹은 양이온 환에 결합되기도 하는 산소 원자에 결합된 상기 C1-C6 알킬 그룹을 함유한다. 알콕시알킬 그룹은 알킬 그룹에 결합된 에테르 그룹을 함유하고, 본원에서는 총 6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존재하는 경우"란 표현은 치환체 R 그룹에 대해 본원에 종종 사용되는데, 반드시 모든 양이온이 상기 번호가 매겨진 그룹 모두를 갖지는 않기 때문이다. 고려된 양이온 모두는 4개 이상의 R 그룹을 함유하지만, R2가 모든 양이온에 반드시 존재할 필요는 없다.
"실질적인 부재" 및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이란 표현은, 예를 들어, 약 5중량% 미만의 물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동의적으로 사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중량% 미만의 물이 해당 조성물에 존재한다. 질소 함유 염기의 존재에 관해서도 동일한 의미가 적용된다.
고려된 이온액 양이온에 대한 음이온은 바람직하게는 할로겐 이온(예: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또는 요오다이드), 퍼클로레이트, 슈도할로겐 이온(예: 티오시아네이트 및 시아네이트) 또는 C1-C6 카복실레이트이다. 슈도할라이드는 1가이고, 할라이드와 유사한 특성을 지닌다[참조: Schriver et al., Inorganic Chemistry, W.H. Freeman & Co., New York (1990) 406-407]. 슈도할라이드에는 시아니드(CN-1), 티오시아네이트(SCN-1), 시아네이트(OCN-1), 풀미네이트(CNO-1), 및 아지드(N3 -1) 음이온이 포함된다. 카복실레이트 음이온은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고(C1-C6 카복실레이트), 포르메이트,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부티레이트, 헥사노에이트, 말레에이트, 푸마레이트, 옥살레이트, 락테이트, 피루베이트 등으로서 예시된다. 고려된 이온액은 친수성이므로, 코크(Koch) 등의 미국 특허 제5,827,602호에 기재된 소수성 이온액,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음이온에서와 같이 탄소 원자에 공유결합된 하나 이상의 불소 원자를 함유하는 본호트(Bonhote) 등의 미국 특허 제5,683,832호에 기재된 소수성 이온액과는 상이하다.
양이온 형성에 요구되지 않는 모든 R 그룹, 즉 상기 제시된 이미다졸륨, 피라졸륨 및 트리아졸륨 양이온 이외의 화합물에 대한 R1 및 R2 이외의 것이 하이드리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시된 양이온은 바람직하게는, 다음에 제시된 화학식에 상응하는 구조를 지니는데, 여기서 R1 및 R2는 앞서 기재된 바와 같다:
Figure 112004013845201-pct00008
Figure 112004013845201-pct00009
기타 환 구조와 융합되지 않은 단일 5원환을 함유하는 양이온이 보다 바람직하다. 양이온의 예가 다음에 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R1, R2, 및 R3-R5는, 존재하는 경우, 앞서 정의된 바와 같다:
Figure 112004013845201-pct00010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셀룰로즈를, 물의 실질적인 부재 하에 용융된 이온액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셀룰로즈의 용해방법을 고려한다. 여기서는, 상기 이온액이 기타 환 구조와 융합되지 않은 단일 5원환을 함유하는 양이온, 및 음이온으로 구성된다. 이로써 생성된 혼합물을, 용해가 완료될 때까지 진탕시킨다. 이 혼합물을 본원에 논의된 바와 같이 가열하여 상기 용해를 촉진시킬 수 있다.
기타 환 구조와 융합되지 않은 단일 5원환을 함유하는 보다 바람직한 양이온 중에서, 다음 화학식 A에 상응하는 이미다졸륨 양이온이 특히 바람직한데, 여기서 R1-R5는 앞서 정의된 바와 같고, 이온액의 음이온은 할로겐 또는 슈도할로겐이다:
화학식 A
Figure 112004013845201-pct00011
1,3-디-(C1-C6 알킬 또는 C1-C6 알콕시알킬)-치환된-이미다졸륨 이온, 즉 화학식 A의 R3-R5가 각각 하이드리도이고, R1 및 R2가 각각 독립적으로 C1-C6 알킬 그룹 또는 C1-C6 알콕시알킬 그룹인 이미다졸륨 양이온이 보다 특히 바람직한 양이온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3-디-C1-C6 알킬 그룹(R1 또는 R2) 중의 하나가 메틸이다. 이의 양이온이 화학식 A의 양이온 구조에 상응하는 이온액의 음이온은 할로겐 또는 슈도할로겐이다.
1-(C1-C6 알킬)-3-(메틸)-이미다졸륨[Cn-mim, 여기서 n은 1 내지 6이다] 양이온이 가장 바람직하고, 할로겐이 가장 바람직한 음이온이다. 가장 바람직한 양이 온이 다음 화학식 B에 상응하는 화합물로써 예시되는데, 여기서 화학식 B의 R3-R5는 각각 하이드리도이고, R1 은 C1-C6 알킬 그룹이다. 가장 바람직한 음이온은 클로라이드 이온이다:
화학식 B
Figure 112004013845201-pct00012
고려된 이온액은 약 200℃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150℃ 이하, 약 -100℃ 이상의 온도에서 액체이다. 예를 들어, N-알킬이소퀴놀리늄 및 N-알킬퀴놀리늄 할라이드 염은 융점이 약 150℃ 미만이다. N-메틸이소퀴놀리늄 클로라이드의 융점은 183℃이고, N-에틸퀴놀리늄 요오다이드의 융점은 158℃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려된 이온액이 약 120℃ 이하, -44℃ 이상의 온도에서 액체(용융됨)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고려된 이온액이 약 -10 내지 약 100℃의 온도에서 액체(용용됨)이다.
셀룰로즈를, 약 100℃로 가열하고, 초음파 욕에서 약 80℃로 가열하며, 가장 효과적으로는 가정용 전자렌지를 사용하여 해당 샘플의 마이크로파 가열을 이용함으로써, 유도체화시키지 않고서도 이온액 중에 고농도로 용해시킬 수 있다. 마이크로파 가열기를 사용하여, 친수성 이온액과 셀룰로즈의 혼합물을 약 100 내지 약 150℃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려된 이온액은 극도로 낮은 증기압을 지니므로, 전형적으로 가열 이전에 분해된다. R1 및 R2 중의 하나가 메틸인 예시적인 1,3-디-C1-C6-알킬 이미다졸륨 이온-함유 이온액에 대한 액화 온도[즉, 융점(MP) 및 유리 전이 온도(Tg)] 및 분해 온도가 다음 표에 제시되어 있다:
Figure 112004031342775-pct00044
예시적인 1-알킬-3-메틸-이미다졸륨 이온액 [Cn-mim]X [n = 4 - 6, X = Cl-, Br-, SCN-, (PF6)-, (BF4)-]을, 이의 용도가 청구되지 않은 [C8-mim]Cl에 대해서와 같이 제조하였다. 주위 조건 하에서 100℃로 가열하고, 초음파 처리하며 마이크로파 가열하면서, 상기 예시적 이온액 중에서의 셀룰로즈(섬유상 셀룰로즈; Aldrich Chemical Co.로부터 공급됨)의 용해에 관해 연구하였다. 용해는 마이크로파 가열을 사용함으로써 증강된다. 셀룰로즈 용액을 매우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는데, 이는 에너지 측면에서 효율적이고, 이와 연관된 경제적 이점을 제공해준다.
고려된 이온액 및 이러한 이온액으로부터 제조된 용액은 혼합물을 형성하기 위해 물 또는 질소 함유 염기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 그 자체로서, 상기 이온액 또는 용액은 약 1% 이하의 물 또는 질소 함유 염기를 함유한다. 따라서, 용액이 제조되는 경우, 이는 이온액과 셀룰로즈를 물 또는 질소 함유 염기의 부재 하에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용해시키고자 하는 셀룰로즈는, 실질적으로, 액체에 의해 습윤되기 쉬운 임의의 형태일 수 있다. 본원에 유용한 셀룰로즈 형태의 예에는 섬유상 셀룰로즈로서의 셀룰로즈, 목재 펄프, 린터(linter), 코튼 볼(cotton balls) 및 종이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섬유상 셀룰로즈는 광학적으로 청정한 점성 용액을 제공하기 위해 마이크로파 가열함으로써 [C4mim]Cl에 25중량%로 용해시킨다.
셀룰로즈를 일정 범위의 이온액에 용해시킬 수 있다. 셀룰로즈는, 예를 들어,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유도체화 및 분석을 위해 용해시킬 수 있다.
셀룰로즈는 가열원으로서 가정용 전자렌지를 사용하여 이온액에 용이하게 용해시킬 수 있다. 마이크로파 가열은 이온액 중에서의 셀룰로즈의 용해를 상당히 증강시킨다. 셀룰로즈를 이온액에 마이크로파-유도된 용해시키는 공정은 극히 신속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중합도 감쇠가 저하된다. 용해는 비교적 신속한 공정이기 때문에, 에너지 측면에서 효율적이다.
셀룰로즈는 이온액에서 높은 용해도를 나타낸다. 점성의 복굴절 액정 용액이 고농도, 예를 들면, 약 10 내지 약 25중량%로 수득된다.
고려된 이온액 중의 셀룰로즈 용액은 이러한 용액의 중량을 기준하여, 셀룰로즈를 약 5 내지 약 35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즈가 용액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5 내지 약 25중량%로 존재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즈가 용액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10 내지 약 25중량%로 존재한다.
클로라이드 음이온을 함유하는 이온액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클로라이드 음이온이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이온액이 티오시아네이트, 퍼클로레이트 및 브로마이드 음이온을 함유하는 경우에도 적당한 용해도가 또한 관찰되었다.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또는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음이온을 함유하는 이온액에 대해서는 용해도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일정 범위의 상이한 양이온이 이용될 수 있다. 이온액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어 온 통상의 세트로부터 선별된 것 중에서, 이미다졸륨 염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여겨지는데, 가장 작은 이미다졸륨 양이온이 가장 용이한 용해를 나타낸다. 유기 염기를 함유하지 않는 알킬-피리디늄 염은 덜 효과적이었으며, 조사된 장쇄 알킬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염에서는 실재적인 용해도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보다 짧은 쇄의 알킬 치환체를 함유하는, 보다 작은 포스포늄 및 암모늄 4급 염이 공지되어 있긴 하지만, 이는 융점이 보다 높고, 이온액으로서 규정하기 위한 허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액체가 아인 경우가 빈번하다.
셀룰로즈에 대한 용매로서 이미다졸륨 클로라이드 이온액을 사용하는 것은, 미국 특허 제1,943,176호에 논의된 바와 같이 기존에 보고된 유기 염/염기 N-벤질피리디늄 클로라이드/피리딘 중에서의 셀룰로즈의 용해도(여기서, 최대 용해도는 5중량%이다)에 비해 상당한 개선을 가져다 준다. 실제로, 상기 특허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가의 질소 함유 염기는, 당해 이온액 중에서의 셀룰로즈의 우수한 용해도를 제공하는데 요구되지 않는다.
셀룰로즈는 이온액 용액을, 이러한 이온액과 혼화성인 셀룰로즈용 액상 비-용매와 혼합(접촉)함으로써 재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액상 비-용매가 물과 혼화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액상 비-용매의 예에는 물, 알코올(예: 메탄올 또는 에탄올), 아세토니트릴, 에테르(예: 푸란 또는 디옥산), 및 케톤(예: 아세톤)이 포함된다. 물의 장점은 해당 공정이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의 사용을 피할 수 있다는 점이다. 재생 공정은 휘발성 유기 용매의 사용을 요구하지 않는다. 상기 이온액을 건조시키고, 재생시킨 후에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셀룰로즈는 각종 구조 형태의 이온액으로부터 재생시킬 수 있다. 이들에는 엉김물(flocs) 또는 분말(벌크 급냉에 의해 제조됨), 튜브, 섬유 및 압출물, 및 필 름이 포함된다. 압출 동안, 셀룰로즈 복합체를 조작하여 상이한 형태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재생 셀룰로즈가, 주사 전자 마이크로그래프(SEM) 화상으로부터 볼 때 비교적 균질한 것으로 여겨진다. 튜브, 섬유 및 기타 압출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셀룰로즈 용액을 다이를 통하여 비-용매 내로 압출시킴으로써 혼합 단계를 수행한다.
실시예 1: 셀룰로즈 용해
예시되는 시험 재료, 즉 재생 섬유상 셀룰로즈를 용해시키는데 가장 우수한 이온액이 [C4mim]Cl인 것으로 밝혀졌다. 일반적인 과정에서는, 섬유상 셀룰로즈(0.2g)를 유리 바이알 내의 용융된 [C4mim]Cl(2g)에 놓아 두고, 3 x 5초 가열 펄스를 이용하여 가정용 전자렌지 속에서 가열한다. 각 가열 펄스 후, 상기 바이알을 꺼내고, 와동시켜 내용물을 혼합한 다음, 이를 상기 마이크로파에 대체시켜 둔다. 상기 이온액 중의, 광학적으로 청정한 점성의 셀룰로즈 용액이 수득되었다.
이온액에 용해된 셀룰로즈의 농도를 다양하게 하면서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용액은 셀룰로즈 농도에 따라 점차적으로 점성이 증가되었다. 셀룰로즈 25중량%에서, 상기 청정한 용액이 여전히 작동 가능하였다. 셀룰로즈 농도가 보다 높을 수록, 불투명한 점성 겔이 형성되었다. [C4mim]Cl 중에서의 셀룰로즈에 대한 효과적인 용해도 한계치가 명확하게 밝혀지진 않았지만, 이 는 셀룰로즈 조성물이 2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 형성된 고도로 점성인 페이스트의 기계적 가공 정도에 따라 좌우된다.
[C4mim]Cl 중에서의 셀룰로즈의 용해도는 기타 용매를 사용하여 수득될 수 있는 것 보다 상당히 더 높다. 예를 들어, 용융된 무기 염 수화물 중에서 최대 5중량%로 용해된 셀룰로즈 용액이 다음 문헌에 보고되었다[참조: Leipner et al., Macromol. Chem. Phys., (2000) 201:2041].
통상적인 가열을 이용하여 셀룰로즈를 용해시키는 것은 느린 공정인데, 이는 청정한 용액을 수득하기 위해 70 내지 100℃에서 가열하는데 수 시간이 소요된다. 해당 샘플을 초음파 욕에 주기적으로 놓아둠으로써, 용해 속도를 증강시켰다.
실시예 2: 음이온 및 양이온의 함수로서의, 1,3-디알킬이미다졸륨 염 중에서의 셀룰로즈 용해
셀룰로즈는 통상의 용매와 비교해서 이온액에 고농도로 용이하게 용해되었다. 상이한 양이온을 갖는 이온액이 이들의 클로라이드 염으로서 선별되었다. 이들에는 [C6mim]Cl 및 [C8mim]Cl이 포함된다. 이미다졸륨계 이온액 중에서의 셀룰로즈의 용해도는 상기 양이온 상의 알킬 쇄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저하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크기가 작은 수소-결합 수용체(Cl-)에서부터 크기가 큰 비-배위성 음이온(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및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까지 다양한 범위의 음이온이 [C4mim]+ 염으로서 선별되었다. 이러한 음이온에는 Cl, Br, 티오시아네이트, 퍼클로레이트,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및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가 포함되었다. 이들 결과가 다음의 표 1에 제시되어 있다.
강력한 수소 결합 수용체(할로겐 및 슈도할로겐)인 음이온을 함유하는 이온액이 우수한 용해 결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모든 음이온이 수소-결합 수용체이고, 연장된 수소-결합성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셀룰로즈가, BF4 - 및 PF6 -를 포함한 '비-배위성' 음이온을 함유하는 이온액에서는 용해될 수 없는 것으로 또한 측정된 바 있다. 기타 비-배위성 음이온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함유 음이온, 예를 들면, 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네이트,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아미드(NTf2 -)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용해에 대한 요구 조건에는, 강력하게 배위성인 음이온의 존재가 포함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수소-결합 기증에 참여할 수 있는 방향족 양이온은 약한 H-결합 공여체이긴 하지만, 필요할 수도 있다.
셀룰로즈를 용해시키기 위한 용매의 수소-결합 특성의 중요성은 인식된 바 있다. 예를 들어, NMMO는 물 또는 폴리삭카라이드와 2개의 수소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참조: Maia et al., Acta. Cryst. B, (1981) 37:1858]. 무수 NMMO와 1수화물은 둘 다 셀룰로즈에 대한 우수한 용매이다. 2개 이상의 물로 수화되는 경우, NMMO는 더 이상 셀룰로즈용 용매가 아니며, 이는 물에 의해 우선적으로 용매화된다.
샘플을 가열하는 것이 용해를 가능케 하는데 통상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가열 효과로 인해, 이온액 용매가 섬유 벽 내로 침투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섬유 및 미세원섬유(microfibril) 구조를 파괴시킬 수 있고 피포된(encapsulated) 물과 경쟁적으로 수소 결합할 수 있다.
이온액은 마이크로파 조건 하에서 극히 효율적으로 가열된다. 따라서, 천연 중합체 쇄의 수-매개된 강력한 수소 결합을 붕괴시킴으로서 셀룰로즈의 용해를 증진시키는, 고도로 편중된 온도가 획득될 수 있다.
이온액 중에서의 섬유상 셀룰로즈의 용해도
이온액 방법 용해도 (중량%)
[C4min]Cl 가열(100℃) ( 70℃) 5% 3%
[C4min]Cl 가열(80℃) + 초음파 5%
[C4min]Cl 마이크로파 가열(3 x 5 초 펄스) 25%, 투명한 점성 용액
[C4min]Br 마이크로파 5 내지 7%
[C4min]SCN 마이크로파 5 내지 7%
[C4min][BF4] 마이크로파 불용성
[C4min][PF6] 마이크로파 불용성
PR4Cl* 마이크로파 불용성
PR4Cl* 마이크로파 분해됨
[C6min]Cl 가열(100℃) 5%
[C6min]Cl 가열(100℃) 난용성 졸
*PR4Cl = 테트라데실-트리헥실포스포늄 클로라이드; NR4Cl = 테트라부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실시예 3: 셀룰로즈 재생
물을 부가함으로써 이온액 용액으로부터 셀룰로즈가 침전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비-화합성이 다음에 기재된 재생 과정에 대한 기본 원리이다.
이온액의 용매 특성은 유지시키면서, [C4mim]Cl에 존재할 수 있는 물의 농도는, 공지된 양의 물을 상기 이온액에 부가한 다음, 마이크로파 가열을 이용하여 용해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측정하였다. 이온액의 물 함량이 약 1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대략 0.5 몰 분획 H2O), 용매 특성이 상당히 손상되었고, 섬유상 셀룰로즈가 더 이상 용해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고농도의 셀룰로즈(10중량% 초과)가 [C4mim]Cl에 용해되는 경우에는, 교차된 편광 필터와 디스플레이된 복굴절 간에 광학적으로 이방성인 용액이 수득되었다. 셀룰로즈의 액정 용액을 형성함으로써, 이는 새롭고 진보된 재료를 생성시키는 분야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방성을 고체 상에 보존시키는 것이 특히 요망되는데, 이로써 기계적 특성이 증강되고 고강도 재료가 생성된다. 또한, 광학과 같은 기타 분야에서는, 이방성으로 인한 특수 품질이 개발될 수도 있다.
실시예 4: 셀룰로즈 용해도 연구
이온액 중에서의 셀룰로즈의 용해도는 음이온과 양이온의 변화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극성의 작은 음이온이 요구된다는 것은, 클로라이드 함유 이온액 중에서의 셀룰로즈의 높은 용해도를 지시해주는데, 브로마이드 시스템에서는 용해도가 저하되고,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및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시스템에서는 전 혀 용해되지 않는다.
용해도는 또한, 예를 들어, 알킬 그룹의 길이를 증가시키고, 또한 이미다졸륨 환의 C-2 위치(R3 그룹) 상의 메틸-작용기를 치환함으로써, 양이온의 크기를 증가시킴에 따라 저하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해당 양이온의 수소 결합 기증 능력과 전하 밀도 모두가 중요할 수 있고, 이는 이온액 작용기를 변화시킴으로써 용이하고도 선택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변형으로 인해, 해당 용액의 유동학과 조성을 간단히 제어할 수 있으며, 이는 용해된 셀룰로즈의 후속 가공에 유익하다. 이온액에 물이 존재하면, 셀룰로즈의 용해도가 상당히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가용화를 억제시키는 셀룰로즈 미세원섬유에 대한 경쟁적 수소 결합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재생 섬유상 셀룰로즈를 사용하여 1차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타 셀룰로즈 샘플에 대해서도 부가의 연구를 또한 수행하였다. 생산 라인으로부터의 3개의 건조된-용해성 펄프 샘플을 연구 조사하였다.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적용 분야에 사용되는 목재 펄프인 샘플 A는 98.7% R-18을 가지며; 리오셀 적용 분야에 사용되는 목재 펄프인 샘플 B는 97.5% R-18을 가지며; 레이온 적용 분야에 사용되는 목재 펄프인 샘플 C는 96.8% R-18을 갖는다[R-18 시험은 18% 가성 소다 용액에서 용해되기를 거부하는 셀룰로즈 분획을 측정하는 TAPPI(펄프 및 제지 산업의 기술 협회) 표준화 시험이다]. 3개 펄프에 대한 중합도(DP; 쇄 길이 측정치)는 다음과 같다: 샘플 A; 1056, 샘플 B; 470, 샘플 C; 487. 이들 3개 샘플 모두가 섬유상 셀룰로즈 보다는 [C4mim]Cl에 보다 용이하게 가용성인 것으로 밝혀졌다.
섬유상 셀룰로즈는 [C4mim]Br 및 [C4mim]SCN 이온액에서 5% 초과하여 용해될 수 있었지만, [C4mim]Cl 시스템을 사용한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용해도를 달성하기가 보다 어려웠다. 가열 조건 하에서는, 트리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테트라부틸암모늄 클로라이드가 분해되었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상기 언급된 마이크로파 공정을 사용하여, 무회 왓트만 여과지(ashless Whatman filter paper)를 [C4mim]Cl 이온액에 용해시켰다. 초기 접촉 및 마이크로파 가열시, 상기 여과지는 반투명해지고, 이온액이 매트릭스 내로 흡수됨에 따라 여과지가 팽윤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추가의 가열 및 진탕시, 상기 여과지는 5중량% 부하량에서 완전히 용해되어 무색의 청정한 용액을 제공하였다. 이온액이 10중량%로 여과지에 부하되는 경우에는, 완전한 용해가 훨씬 더 어려워졌고, 잔류성의 이온액 함침된 여과지를 함유하는 점성 용액이 수득되었다.
3개의 목재 펄프 샘플 모두가 섬유상 셀룰로즈 샘플 보다 더 용이하게 용해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3초 펄스로 마이크로파 가열을 사용하여 [C4mim]Cl 중의 5% 용액(10g 이온액 중의 0.5g)을 제조하기 위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부하량을 증가시키면, 매우 점성의 혼합물이 생성되는데, 가장 좋게 언급하자면, 이는 페이스트일 것이다. 섬유상 셀룰로즈를 약 25중량% 이하로 부하하면, 주걱을 이용하여 페이스트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가열과 조작을 연장하여 수행하면 청정한 물질이 생성되었다. 부하량이 보다 많아지면, 불균질하고 부분적으로 불투명한 혼합물이 수득되었다.
실시예 5: 셀룰로즈 용액을 가공 처리함
이온액 중의 셀룰로즈 용액을 간단히 가공시킬 수 있다. 셀룰로즈 함유 이온액을 물과 혼합시킴으로써, 셀룰로즈를 이온액 용액으로부터 재생시킬 수 있다. 기타 침전성 용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용액의 예로는 에탄올, 아세톤, 물, 및 수성 또는 순수한 염 용액이 있다.
셀룰로즈는 이온액 용액과 재생액을 어떻게 접촉시키는 지에 따라서, 다양한 거시적(macroscopic) 형태로 재생시킬 수 있다. 수성 상 내로 형성시킴으로써 이온액으로부터의 셀룰로즈 가공 범위를 예시하기 위해, 모노리드(monolith), 섬유 및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온액 용액과 수성 스트림을 신속하게 혼합시키면, 셀룰로즈가 분말상 엉김물로서 침전된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이온액/셀룰로즈 용액을 비-용매, 예를 들면, 물 내로 압출시키면, 도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얇은 섬유와 막대가 제조될 수 있다. 초기 압출물은 가단성(malleable)이고, 이온액이 압출물로부터 용액 내로 확산됨에 따라 물과의 접촉시 경화된다.
적당한 표면, 예를 들면, 유리 현미경 슬라이드를 균일한 층의 셀룰로즈 용액(대략 1 내지 2mm 두께)으로 피복시킴으로써, 셀룰로즈 필름을 수득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슬라이드를 수욕 속에 침지시킨다. 초기의 재생 셀룰로즈 샘플은 가요성이며, 외견상 매우 다공성이다. 건조시, 상당한 수축이 발생되어 경질의 탄성 필름이 형성되었다.
이온액 용액으로부터의 셀룰로즈를 또한, 각종 형태로 성형시킬 수 있다. 상기 용액을 주형 내로 따라 붓고, 비-용매를 가하여 셀룰로즈가 침전되도록 한다.
상기 용액의 점도와 셀룰로즈 농도는 동종 계열로부터의 상이한 이온액(예: [C4mim]Cl 또는 [C6mim]Cl)을 선택하거나 또는 온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한 생성물 제조에 대한 가공 조건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온액 용액과 물 접촉 방법론을 제어하면, 가공 조건과 이온액을 간단히 변화시킴으로써 광범위한 형태를 지닌 용액으로부터 셀룰로즈를 재생시킬 수 있게 된다.
재생 용액으로서 물을 사용하는 것은, 휘발성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현재의 가공 방법론에 비해 잠재적인 환경 상의 이점을 지니고 있고, 비용면에서 유리하다. 이온액을 수용액으로부터 회수하고, 물을 제거함으로써 이를 재사용할 수 있따. 이러한 물 제거 방법은, 수성/이온액 용액을 건조 증발시킴으로써 실험실 규모로 입증된 바 있다. 그러나, 대규모 산업적 규모에서는, 다른 물 제거 방법이 보다 실제적인 것으로 입증될 수 있다. 대체 방안의 예로는 이온액의 역 삼투압, 퍼베포레이션(pervaporation) 및 염석이 있다.
실시예 6: 재생 셀룰로즈의 물리적 특성
이온액으로부터의 재생이 셀룰로즈 분자 형태 상에 어떠한 변화라도 유발시켰는지를 측정하기 위한 분말 X-선 회절(XRD),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DSC) 및 열비중 분석(TGA)에 의해, 재생 셀룰로즈의 성상을 확인하였다. 주사 전자 현미경법(SEM)을 사용하여, 이온액으로부터 재생시킴으로써 제조된 셀룰로즈 재료의 벌크 구조를 관찰하였다(도 5 참조).
이온액 용액으로부터 침전된 셀룰로즈에 대한 DSC 및 TG 온도 자기기(thermograms)를 수집하고, 이를 본래의 셀룰로즈 재료와 비교하였다. 샘플을 백금 샘플 홀더에 놓아두고, 질소 대기 하에 10℃min-1로 600℃까지 가열한다.
도 2은 본래의 섬유상 셀룰로즈, 및 [C4mim]Cl로부터 제조된 재생 형태에 대한 TGA 곡선을 도시한 것이다. 순수한 셀룰로즈는 350 내지 360℃의 협소한 온도 범위에서 신속한 분해를 나타낸다. 이온액으로부터의 재생이 분해 개시 온도를 낮춰주긴 하지만, 열분해시 보다 많은 양의 탄화 생성물(비휘발성의 탄소 함유 재료)이 생성되게 한다.
[C4mim]Cl로부터 변성된 섬유상 셀룰로즈의 경우에는, 분말 XRD가 형태 상의 작은 변화만을 나타낸다. 섬유상 셀룰로즈의 결정화도는, 도 3에 도시된, 약 10°에서의 급격한 피크(d = 4Å)의 상대적 세기와 외형 및 넓은 기저 회절 밴드로써 지시된 바와 같이, [C4mim]Cl로부터의 용해 및 재생 후 약간 감소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셀룰로즈의 결정화도 지수 Ic는 다음 수학식 1을 사용하여 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04013845201-pct00014
위의 수학식 1에서,
Imin는 2θ=18-19° 간의 최소 세기이고,
Imax는 2θ=22-23° 간의 최대 결정성 피크 세기이다.
이는 다음 문헌으로부터 취하였다[참조: Marson et al.,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1999, 1355-1360].
이온액에서 수 주 동안 저장된 다음 재생된 샘플에서는, XRD가 상이하고, 이에는 셀룰로즈 결정성 영역에 대한 특징적인 피크가 결여되어 있다. 무정형 물질에 특징적인 단일의 넓은 밴드가 관찰되었다. 이는, 셀룰로즈 III 형태를 생성시키기 위해 액체 암모니아에서 셀룰로즈를 팽윤시킨 후에 관찰된 바와 같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중합체 쇄가 느리게 파괴된다는 것을 지시해줄 수 있다.
섬유상 셀룰로즈 샘플을 [C4mim]Cl에 용해시켜 균질한 5중량% 용액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2개 샘플을 주사기로부터 물에 압출시킴으로써 (i) 물과의 엉김물로서 및 (ii) 막대로서 별개로 재생시킨다. 재생된 양 형태를 물로 세척한 다음, 1주 동안 공기 건조시켜, 수분 함량과 주위 대기가 평형을 이루게 하였다.
본래의 섬유상 셀룰로즈, 및 2개의 재생 형태에 대해 결정된 분말 XRD 기록과 결정화도 지수가 다음 도면에 제시되어 있다. 이들 특정한 연구에서는, 분말상의 재생 엉김물이 어떠한 결정화도도 나타내지 않는 무정형 회절 패턴을 나타낸 반면, 압축된 막대 형태는 본래의 섬유상 재료와 구별할 수 없을 정도의 결정화도 지수를 갖는다. 이들 결과는, 결정성에서부터 무정형 까지 다양한 미정질도(microcystallinity)를 지닌 물질을 제조하기 위한 재생 공정 동안에, 셀룰로즈의 결정화도(이에 따른 미세구조)를 조작할 수 있다는 것을 지시해준다.
재생 셀룰로즈의 벌크 구조에 대한 변형이, 초기의 처리되지 않은 샘플 및 [C4mim]Cl로부터 재생된 셀룰로즈의 주사 전자 현미경법으로부터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섬유상 셀룰로즈 및 용해성 펄프의 초기 샘플은 SEM에서 300배 배율로 섬유를 나타낸다. 재생 후, 양 경우에서는, 셀룰로즈가 완전히 변화된 형태를 지니지만, 섬유가 융합된 거친 응괴(conglomerate) 텍스쳐를 나타내었다. SEM 데이터는, 셀룰로즈 원섬유가 용해될 수 있고, 비교적 균질한 거대구조로 재생될 수 있다는 것을 지시해준다.
실시예 7: 재생 셀룰로즈로부터의 이온액의 제거
이온액이 재생 공정 동안 셀룰로즈 매트릭스 내에 트랩핑 또는 피포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일련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용해성 용매로서 탄소-14 표지된 [C4mim]Cl 샘플을 사용하여, 섬유상 셀룰로즈 샘플을 용해시킨 다음(탄소-14 표지된 [C4mim]Br 40㎕를 함유하는 2%(wt/wt) 용액 1g), 압출된 막대로서 재생시킨다. 상기 샘플의 방사능을 결정하고, 샘플을 공지된 용적의 물과 접촉시킴으로써 순차적으로 세척함에 따라 이를 모니터한다.
이어서, 셀룰로즈/이온액 용액을 탈이온수 5ml로 희석시키고, 이러한 셀룰로즈/이온액/물 용액의 초기 활성을 측정한다. 샘플링 후, 수성 상을 경사 제거하고, 탈이온수 5ml를 더 가한다. 이어서, 상기 용액을 잘 혼합하고, 활성을 다시 측정한다. 이 과정을 10회 반복한다.
각 세척에 따른 수성 세척 용액의 활성 변화는, 효과적으로 모든 이온액이 4 내지 5회 세척 이내에 셀룰로즈로부터 추출되었다는 것(각각은 초기 이온액 용적의 5배이다)을 지시해준다. 그러나, 10번째 세척 후에 잔류 활성을 측정한 결과, 셀룰로즈 1g당 대략 76㎍의 이온액(76ppm)이 재생 셀룰로즈 내에 잔존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실시예 8: 셀룰로즈/이온액 용액 특성
셀룰로즈가 [C4mim]Cl에 고농도(> 10중량%)로 용해되는 경우에는, 교차된 편광 필터와 디스플레이된 복굴절 간에 광학적으로 이방성인, 고도로 점성인 용액이 수득되었다. 복굴절이 교차된-편광기로 관찰된, [C4mim]Cl 중의 다양한 농도의 셀룰로즈 용액이 다음 표에 지시되어 있다. 복굴절은 네마틱(nematic) 또는 스멕틱(smectic)인 액정 상을 지시해주는데, 여기서는 중합체 쇄가 벌크 배양성 지시기와 부분적으로 정렬되어 있다. 액정 중합체 용액의 형성이 바람직하고, 이를 사용하여, 증강된 기계적 특성을 가져다 주는 고체 상에 용액 이방성을 보존시키는 고 강도 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
액정 특성을 지닌 셀룰로즈 용액
셀룰로즈 농도 (중량/중량%) 회전판 편광
5% 없음
10% 없음
15% 있음
20% 있음
25% 있음
본원에 인용된 각 특허, 특허원 및 문헌이 참조문헌으로써 삽입된다. 단수로 언급된 용어의 사용은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전술된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의 신규한 개념의 진정한 요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수 많은 변형과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관찰될 것이다. 또한, 본원에 예시된 이의 특정한 양태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본 기술 내용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본 청구범위의 속하는 모든 변형을 포괄한다.

Claims (62)

  1. 질소 함유 염기의 실질적인 부재하에, 셀룰로즈를,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구성되며 약 -44 ℃ 내지 약 120℃의 온도에서 용융된 이온액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이러한 혼합물을 용해가 완료될 때까지 진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셀룰로즈의 용해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혼합물에 마이크로파 복사선을 조사하여 분해를 촉진시키는, 셀룰로즈의 용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이온액의 음이온이 할로겐, 퍼클로레이트, 슈도할로겐 또는 C1-C6 카복실레이트인, 셀룰로즈의 용해방법.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셀룰로즈가 섬유상 셀룰로즈, 목재 펄프, 린터, 코튼 볼 또는 종이인, 셀룰로즈의 용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이온액의 양이온이 화학식
    Figure 112007028654871-pct00045
    Figure 112007028654871-pct00046
    의 화합물(여기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C1-C6 알킬 그룹 또는 C1-C6 알콕시알킬 그룹이고, R3, R4, R5, R6, R7, R8 및 R9는, 존재하는 경우, 독립적으로 하이드리도, C1-C6 알킬, C1-C6 알콕시알킬 그룹 또는 C1-C6 알콕시 그룹이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이온액의 음이온이 할로겐, 퍼클로레이트, 슈도할로겐 또는 C1-C6 카복실레이트인, 셀룰로즈의 용해방법.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양이온이, 기타 환 구조와 융합되지 않은 단일 5원환을 함유하는, 셀룰로즈의 용해방법.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양이온이, 기타 환 구조와 융합되지 않은 단일 5원환을 함유하며, 양이온 형성에 필요치 않은 모든 R 그룹이 하이드리도인, 셀룰로즈의 용해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양이온이 화학식
    Figure 112004031342775-pct00019
    의 화합물(여기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C1-C6 알킬 그룹 또는 C1-C6 알콕시알킬 그룹이고, R3, R4 및 R5는 독립적으로 하이드리도, C1-C6 알킬 그룹, C1-C6 알콕시알킬 그룹 또는 C1-C6 알콕시 그룹이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에 상응하는 구조를 갖는, 셀룰로즈의 용해방법.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R3 내지 R5가 하이드리도인, 셀룰로즈의 용해방법.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양이온이 1,3-디-C1-C6-알킬 이미다졸륨 이온인, 셀룰로즈의 용해방법.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1,3-디-C1-C6-알킬 그룹 중의 하나가 메틸인, 셀룰로즈의 용해방법.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양이온이 화학식
    Figure 112007028654871-pct00047
    의 화합물(여기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C1-C6 알킬 그룹 또는 C1-C6 알콕시알킬 그룹이고, R3, R4 및 R5는 독립적으로 하이드리도, C1-C6 알킬 그룹, C1-C6 알콕시알킬 그룹 또는 C1-C6 알콕시 그룹이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에 상응하는 구조를 가지며, 음이온이 클로라이드 이온인, 셀룰로즈의 용해방법.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이온액이 약 -10 내지 약 100℃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셀룰로즈의 용해방법.
  15. 질소 함유 염기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용융된 이온액 용매 중의 셀룰로즈로 구성된 용액으로서, 이온액이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구성되고 약 -44 내지 약 120℃의 온도에서 용융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16. 제15항에 있어서, 셀룰로즈가, 용액의 중량을 기준하여, 약 5 내지 약 35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용액.
  17. 제15항에 있어서, 이온액의 양이온이 구조면에서 제6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양이온에 상응하고, 이온액의 음이온이 제6항 또는 제13항의 음이온인 용액.
  18. 제15항에 있어서, 이온액의 음이온이 할로겐, 퍼클로레이트, 슈도할로겐 또는 C1-C6 카복실레이트인 용액.
  19. 제15항에 있어서, 이온액의 음이온이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또는 요오다이드인 용액.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이온액 용매가 약 -10 내지 약 100℃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용액.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셀룰로즈가 약 10 내지 약 25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용액.
  22. 질소 함유 염기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구성된 용융된 이온액 용매 중의 셀룰로즈 용액을, 이온액과 혼화성인 셀룰로즈용 액상 비-용매와 혼합함으로써, 셀룰로즈와 이온액이 각각 고체 상과 액체 상을 형성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셀룰로즈의 재생방법.
  23.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2항에 있어서, 이온액이 약 150℃ 미만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셀룰로즈의 재생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이온액의 양이온이 구조면에서 제6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양이온에 상응하고, 이온액의 음이온이 제6항 또는 제13항의 음이온인, 셀룰로즈의 재생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이온액의 음이온이 할로겐, 퍼클로레이트, 슈도할로겐 또는 C1-C6 카복실레이트인, 셀룰로즈의 재생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이온액의 음이온이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또는 요오다이드인, 셀룰로즈의 재생방법.
  27. 제22항에 있어서, 형성된 셀룰로즈 상을 수집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셀룰로즈의 재생방법.
  28. 제22항에 있어서, 이온액이 약 -44 내지 약 120℃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셀룰로즈의 재생방법.
  29. 제22항에 있어서, 이온액과 혼화성인 셀룰로즈용 액상 비-용매가 또한, 물과 혼화성인, 셀룰로즈의 재생방법.
  30. 청구항 3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9항에 있어서, 이온액과 혼화성이고, 또한 물과 혼화성인 셀룰로즈용 액상 비-용매가 물, 알코올 또는 케톤인, 셀룰로즈의 재생방법.
  31. 청구항 3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2항에 있어서, 셀룰로즈가 초기에 약 10 내지 약 25중량%의 양으로 용액에 존재하는, 셀룰로즈의 재생방법.
  32. 제1항에 있어서, 이온액의 음이온이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또는 요오다이드인, 셀룰로즈의 용해방법.
  33. 제1항에 있어서, 이온액의 음이온이 티오시아네이트, 시아네이트, 풀미네이트 또는 아지드인, 셀룰로즈의 용해방법.
  34. 제1항에 있어서, 이온액의 음이온이 포르메이트,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부티레이트, 헥사노에이트, 말레에이트, 푸마레이트, 옥살레이트, 락테이트, 또는 피루베이트인, 셀룰로즈의 용해방법.
  35. 청구항 3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이온액의 음이온이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또는 요오다이드인, 셀룰로즈의 용해방법.
  36. 청구항 3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이온액의 음이온이 티오시아네이트, 시아네이트, 풀미네이트 또는 아지드인, 셀룰로즈의 용해방법.
  37. 청구항 3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이온액의 음이온이 포르메이트,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부티레이트, 헥사노에이트, 말레에이트, 푸마레이트, 옥살레이트, 락테이트, 또는 피루베이트인, 셀룰로즈의 용해방법.
  38. 청구항 3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이온액의 음이온이 티오시아네이트, 시아네이트, 풀미네이트 또는 아지드인, 용액.
  39. 청구항 3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이온액의 음이온이 포르메이트,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부티레이트, 헥사노에이트, 말레에이트, 푸마레이트, 옥살레이트, 락테이트, 또는 피루베이트인, 용액.
  40. 청구항 4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2항에 있어서, 이온액의 음이온이 티오시아네이트, 시아네이트, 풀미네이트 또는 아지드인, 셀룰로즈의 재생방법.
  41. 청구항 4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2항에 있어서, 이온액의 음이온이 포르메이트,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부티레이트, 헥사노에이트, 말레에이트, 푸마레이트, 옥살레이트, 락테이트, 또는 피루베이트인, 셀룰로즈의 재생방법.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KR1020047004974A 2001-10-03 2002-10-03 이온액을 사용한 셀룰로즈의 용해 및 가공방법 KR1007787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2670401P 2001-10-03 2001-10-03
US60/326,704 2001-10-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550A KR20040065550A (ko) 2004-07-22
KR100778793B1 true KR100778793B1 (ko) 2007-11-28

Family

ID=23273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4974A KR100778793B1 (ko) 2001-10-03 2002-10-03 이온액을 사용한 셀룰로즈의 용해 및 가공방법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6824599B2 (ko)
EP (2) EP2325246B1 (ko)
JP (2) JP4242768B2 (ko)
KR (1) KR100778793B1 (ko)
CN (2) CN101007853B (ko)
AT (1) ATE522571T1 (ko)
AU (1) AU2002347788B2 (ko)
BR (1) BR0213106A (ko)
CA (1) CA2462460C (ko)
DK (1) DK1458805T3 (ko)
EA (1) EA008535B1 (ko)
ES (1) ES2371756T3 (ko)
HK (2) HK1076120A1 (ko)
IL (2) IL161124A0 (ko)
MX (1) MXPA04003029A (ko)
NO (1) NO20041774L (ko)
NZ (1) NZ532076A (ko)
PL (1) PL206185B1 (ko)
WO (1) WO2003029329A2 (ko)
ZA (1) ZA20040261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254A (ko) * 2015-02-04 2016-08-16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셀룰로오스 분해율이 낮은 이온성 액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8557B2 (en) * 2001-10-03 2004-10-26 The University Of Alabama Cellulose matrix encapsulation and method
US6824599B2 (en) * 2001-10-03 2004-11-30 The University Of Alabama Dissolution and processing of cellulose using ionic liquids
US20040077519A1 (en) * 2002-06-28 2004-04-22 The Procter & Gamble Co. Ionic liquid based product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GB0228571D0 (en) * 2002-12-06 2003-01-15 Novartis Ag Organic compounds
US7138121B2 (en) * 2003-01-23 2006-11-21 Spangler Brenda D Biosensors utilizing dendrimer-immobilized ligands and there use thereof
FI115835B (fi) * 2003-08-15 2005-07-29 Kemira Oyj Liuotusmenetelmä
EP1512460A1 (de) * 2003-09-05 2005-03-09 Solvent Innovation GmbH Herstellung und Verwendung von ionischen Flüssigkeiten mit Thiocyanat als Anion
FI116142B (fi) * 2003-09-11 2005-09-30 Kemira Oyj Esteröintimenetelmä
FI116140B (fi) * 2003-12-03 2005-09-30 Kemira Oyj Eetteröintimenetelmä
US7423164B2 (en) * 2003-12-31 2008-09-09 Ut-Battelle, Llc Synthesis of ionic liquids
FI116141B (fi) * 2004-01-05 2005-09-30 Kemira Oyj Depolymerointimenetelmä
US7888412B2 (en) * 2004-03-26 2011-02-15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labama Polymer dissolution and blend formation in ionic liquids
DE102004025756A1 (de) * 2004-05-26 2005-12-15 Iolitec Ionic Liquid Technologies Gmbh & Co. Kg Neue Lösemittel für Titrationen
DE102004031025B3 (de) * 2004-06-26 2005-12-29 Thüringisches Institut für Textil- und Kunststoff-Forschung e.V.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Formkörpern aus Cellulose
CN100362151C (zh) * 2004-09-23 2008-01-16 中国石化上海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聚丙烯腈纤维的湿法纺丝方法
CN100362150C (zh) * 2004-09-23 2008-01-16 中国石化上海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聚丙烯腈纤维湿法纺丝的方法
CN100362149C (zh) * 2004-09-23 2008-01-16 中国石化上海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聚丙烯腈纤维的湿法纺丝方法
US20060094621A1 (en) * 2004-11-01 2006-05-04 Jordan Glenn T Iv Process for improving processability of a concentrate and compositions made by the same
US7737102B2 (en) * 2004-11-01 2010-06-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onic liquids derived from functionalized anionic surfactants
US20060094616A1 (en) * 2004-11-01 2006-05-04 Hecht Stacie E Ionic liquids derived from surfactants
US20060090271A1 (en) * 2004-11-01 2006-05-04 Price Kenneth N Processes for modifying textiles using ionic liquids
US7939485B2 (en) * 2004-11-01 2011-05-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enefit agent delivery system comprising ionic liquid
US7776810B2 (en) * 2004-11-01 2010-08-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s containing ionic liquid actives
US20060090777A1 (en) * 2004-11-01 2006-05-04 Hecht Stacie E Multiphase cleaning compositions having ionic liquid phase
JP4951750B2 (ja) * 2004-11-10 2012-06-13 国立大学法人東京農工大学 難溶性多糖類の溶解剤および該溶解剤と多糖類を含有してなる組成物
US7671178B1 (en) * 2004-12-30 2010-03-0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Solubilization and reconstitution of silk using ionic liquids
US20070161095A1 (en) * 2005-01-18 2007-07-12 Gurin Michael H Biomass Fuel Synthesis Methods for Increased Energy Efficiency
CN1806945B (zh) * 2005-01-20 2010-05-12 中国科学院过程工程研究所 利用秸秆预处理和酶解工艺使秸秆纤维素完全酶解的方法
US7786065B2 (en) * 2005-02-18 2010-08-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onic liquids derived from peracid anions
FI20050293A (fi) * 2005-03-18 2006-09-19 Kemira Oyj Uudet komposiittimateriaalit ja niiden valmistus ja käyttö paperin ja kartongin valmistuksessa
US7550520B2 (en) * 2005-05-31 2009-06-23 The University Of Alabama Method of preparing high orientation nanoparticle-containing sheets or films using ionic liquids, and the sheets or films produced thereby
DE102005017733A1 (de) * 2005-04-15 2006-10-19 Basf Ag Löslichkeit von Cellulose in ionischen Flüssigkeiten unter Zugabe von Aminbase
DE102005017715A1 (de) * 2005-04-15 2006-10-19 Basf Ag Lösungen von Cellulose in ionischen Flüssigkeiten
US7763715B2 (en) * 2005-04-22 2010-07-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xtracting biopolymers from a biomass using ionic liquids
GB0511649D0 (en) * 2005-06-06 2005-07-13 Bp Plc Method
US8883193B2 (en) 2005-06-29 2014-11-11 The University Of Alabama Cellulosic biocomposites as molecular scaffolds for nano-architectures
JP2009500016A (ja) * 2005-06-29 2009-01-08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アラバマ 固体支持体マトリックスとしてのイオン液体再生セルロース複合材
JP2009502738A (ja) * 2005-07-27 2009-01-29 株式会社日本触媒 反応用溶媒及びそれを用いた製造方法
US20100239673A1 (en) * 2005-08-01 2010-09-23 Linhardt Robert J Blood compatible nanomaterial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N103271083B (zh) * 2005-10-07 2017-08-11 阿拉巴马大学 多功能离子液体组合物
JPWO2007049485A1 (ja) * 2005-10-25 2009-04-30 日清紡績株式会社 セルロース溶液の製造方法、セルロース溶液および再生セルロースの製造方法
FI20051145A0 (fi) * 2005-11-11 2005-11-11 Kemira Oyj Uusi massa ja menetelmä massan valmistamiseksi
WO2007076979A1 (de) * 2005-12-23 2007-07-12 Basf Se Lösungssystem auf der basis geschmolzener ionischer flüssigkeiten, dessen herstellung sowie verwendung zur herstellung regenerierter kohlenhydrate
DE102006035830A1 (de) 2006-08-01 2008-02-07 Basf Ag Lösungssystem auf der Basis geschmolzener ionischer Flüssigkeiten, dessen Herstellung sowie Verwendung zur Herstellung regenerierter Kohlenhydrate
KR20080091820A (ko) * 2006-01-24 2008-10-14 바스프 에스이 인공 조직을 제조하기 위한 중합체 지지대
US8187422B2 (en) 2006-03-21 2012-05-29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Disposable cellulosic wiper
US7718036B2 (en) 2006-03-21 2010-05-18 Georgia Pacific Consumer Products Lp Absorbent sheet having regenerated cellulose microfiber network
US8187421B2 (en) 2006-03-21 2012-05-29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Absorbent sheet incorporating regenerated cellulose microfiber
US8540846B2 (en) 2009-01-28 2013-09-24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Belt-creped, variable local basis weight multi-ply sheet with cellulose microfiber prepared with perforated polymeric belt
EP2002010A2 (en) * 2006-03-25 2008-12-17 Llc Altervia Energy Biomass fuel synthesis methods for incresed energy efficiency
US20070225191A1 (en) * 2006-03-27 2007-09-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for modifying bioplymers in ionic liquids
US7714124B2 (en) * 2006-03-27 2010-05-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for modifying cellulosic polymers in ionic liquids
JP4992077B2 (ja) * 2006-05-19 2012-08-08 国立大学法人 鹿児島大学 セルロース−高分子イオン液体ハイブリッドの製造方法
EP1860201A1 (en) 2006-05-25 2007-11-28 BP p.l.c. Conversion method
DE102006028165A1 (de) * 2006-06-16 2007-12-20 Basf Ag Verfahren zur Acylierung von Cellulose
US20080212261A1 (en) * 2006-07-05 2008-09-04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Energy storage devices and composite articles associated with the same
FI121924B (fi) * 2006-07-13 2011-06-15 Carbodeon Ltd Oy Menetelmä karbonitridin valmistamiseksi
WO2008043837A1 (en) * 2006-10-13 2008-04-17 Basf Se Ionic liquids for solubilizing polymers
US8357734B2 (en) 2006-11-02 2013-01-22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Creping adhesive with ionic liquid
GB0623473D0 (en) 2006-11-24 2007-01-03 Bristol Myers Squibb Co Dissolution and processing of cellulose
US7998313B2 (en) * 2006-12-07 2011-08-16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Inflated fibers of regenerated cellulose formed from ionic liquid/cellulose dope and related products
ES2625956T3 (es) * 2006-12-22 2017-07-21 Basf Se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textiles, en particular cuero artificial, recubiertos
CN101215262B (zh) * 2007-01-05 2010-06-23 中国纺织科学研究院 一种离子液体及其制备方法和用途
DE102007003336A1 (de) * 2007-01-17 2008-07-24 Carl Freudenberg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Cellulose-Schwammtuches, Cellulose-Schwammtuch und desen Verwendung
US7951264B2 (en) * 2007-01-19 2011-05-31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Absorbent cellulosic products with regenerated cellulose formed in-situ
JP2010516265A (ja) * 2007-01-23 2010-05-20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多原子アニオンを有するイオン性液体で前処理されたセルロースの酵素的加水分解によりグルコースを製造する方法
EP2126104A1 (de) * 2007-01-23 2009-12-02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lucose durch enzymatische hydrolyse von cellulose, die unter verwendung einer ionischen flüssigkeit, welche ein polyatomiges anion besitzt, aus lignocellulosehaltigem material gewonnen wurde
WO2008098036A1 (en) * 2007-02-06 2008-08-14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Product preparation and recovery from thermolysis of lignocellulosics in ionic liquids
US8182557B2 (en) * 2007-02-06 2012-05-22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Use of lignocellulosics solvated in ionic liquids for production of biofuels
WO2008098037A2 (en) * 2007-02-06 2008-08-14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Polymer derivatives and composites from the dissolution of lignocellulosics in ionic liquids
CN101657583B (zh) * 2007-02-07 2011-09-28 昆士兰技术大学 木质纤维素材料的分馏方法
US9834516B2 (en) * 2007-02-14 2017-12-05 Eastman Chemical Company Regioselectively substituted cellulose esters produced in a carboxylated ionic liquid process and products produced therefrom
US10174129B2 (en) 2007-02-14 2019-01-08 Eastman Chemical Company Regioselectively substituted cellulose esters produced in a carboxylated ionic liquid process and products produced therefrom
US8148518B2 (en) 2007-02-14 2012-04-03 Eastman Chemical Company Cellulose esters and their production in carboxylated ionic liquids
FR2912748B1 (fr) 2007-02-16 2009-11-13 Centre Nat Rech Scient Alkyl h-phosphonates de n,n'-dialkylimidazouliums, d'ammoniums quaternaires et leurs utilisations
US7674608B2 (en) * 2007-02-23 2010-03-09 The University Of Toledo Saccharifying cellulose
CN101765663B (zh) 2007-03-14 2014-11-05 托莱多大学 生物质预处理
JP2010132558A (ja) * 2007-03-16 2010-06-17 Nisshinbo Holdings Inc 多糖類の処理剤
US20080241536A1 (en) * 2007-03-29 2008-10-02 Weyerhaeuser Co. Method for processing cellulose in ionic liquids and fibers therefrom
WO2008119770A1 (de) * 2007-03-30 2008-10-09 Basf Se Verfahren zur modifizierung der struktur eines cellulosematerials durch behandeln mit einer ionischen flüssigkeit
CN101289817B (zh) * 2007-04-20 2010-07-28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在离子液体中高效水解纤维素的方法
WO2008133269A1 (ja) * 2007-04-24 2008-11-06 Tokyo University Of Agriculture And Technology イオン液体およびこのイオン液体からなるポリマー処理剤
DE102007019768A1 (de) * 2007-04-25 2008-11-13 Thüringisches Institut für Textil- und Kunststoff-Forschung e.V.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bioaktiven Cellulosefaser mit hohem Weißgrad
DE102007019650A1 (de) 2007-04-26 2008-10-30 Kalle Gmbh Nahrungsmittelhülle aus einer Lösung von Cellulose in einer ionischen Flüssigkeit und ihre Verwendung
PT103752A (pt) 2007-05-25 2008-11-25 Inst De Biolog Ex E Tecnologia Processo de biocatálise fúngica num meio de cultura contendo líquidos iónicos solúveis em água
EP2150356A4 (en) * 2007-05-26 2012-05-30 Stonybrook Water Purification HIGH FLOW FLUID SEPARATION MEMBRANES COMPRISING A CELLULOSE LAYER OR CELLULOSE DERIVATIVE
CN101333777B (zh) * 2007-06-27 2010-07-28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在离子液体中高效水解木质纤维原料的方法
CN101100822B (zh) * 2007-07-04 2010-05-26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利用离子液体进行办公废纸脱墨脱色的方法
KR100889373B1 (ko) * 2007-07-09 2009-03-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온성 액체에 용해된 셀룰로오즈 용액
DE102007035322B4 (de) 2007-07-25 2011-11-17 Friedrich-Schiller-Universität Jena Verfahren zur Herstellung wasserlöslicher, niedrig substituierter Cellulosesulfate
WO2009018469A1 (en) * 2007-07-31 2009-02-05 Hoffman Richard B System and method of preparing pre-treated biorefinery feedstock from raw and recycled waste cellulosic biomass
US8276664B2 (en) * 2007-08-13 2012-10-02 Baker Hughes Incorporated Well treatment operations using spherical cellulosic particulates
DE102007041416A1 (de) 2007-08-31 2009-03-05 Basf Se Destillation ionischer Flüssigkeiten
EP2033973A1 (en) * 2007-09-06 2009-03-11 The Queen's University of Belfast Conversion method
EP2033974A1 (en) * 2007-09-06 2009-03-11 The Queens University of Belfast Conversion method
US20090084509A1 (en) * 2007-09-28 2009-04-02 Weyerhaeuser Company Dissolution of Cellulose in Mixed Solvent Systems
CA2701476C (en) 2007-10-02 2017-10-10 Metabolic Analyses, Inc. Generation and use of isotopic patterns in mass spectral phenotypic comparison of organisms
BRPI0817552A2 (pt) 2007-10-09 2017-05-02 Bioecon Int Holding N V processos para converter celulose para glicose, e para dissolver seletivamente celulose
JP2009114437A (ja) * 2007-10-18 2009-05-28 Sanyo Chem Ind Ltd アミド変性カルボキシメチルセルロースの製造方法
EP2062922A1 (de) * 2007-11-14 2009-05-27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regenerierten Biopolymeren und die danach erhältlichen regenerierten Erzeugnisse
DE102007058394A1 (de) 2007-12-03 2009-06-04 Bayer Technology Service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raftstoffen aus Biomasse
CN101215725B (zh) * 2007-12-27 2010-07-21 天津工业大学 一种纤维素溶剂及用其制备纺丝液的方法
JP5421291B2 (ja) 2008-01-16 2014-02-19 レンツィング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繊維混合物、それから製造された糸および織物
JP5190277B2 (ja) * 2008-01-31 2013-04-24 株式会社Kri セルロースおよびキチンの微細繊維の製造方法
JP2009203454A (ja) * 2008-01-31 2009-09-10 Toyota Central R&D Labs Inc イオン液体を利用したセルロース分解産物の生産方法
BRPI0908350A2 (pt) 2008-02-11 2015-10-27 Basf Se processos para preparar poliamidas, para funcionalizar poliamidas por transmidação e para produzir fibras, folhas, filmes ou revestimentos a partir de poliamidas
KR101601993B1 (ko) 2008-02-11 2016-03-17 바스프 에스이 합성 중합체로부터 다공성 구조의 제조 방법
US8158777B2 (en) 2008-02-13 2012-04-17 Eastman Chemical Company Cellulose esters and their production in halogenated ionic liquids
US8188267B2 (en) * 2008-02-13 2012-05-29 Eastman Chemical Company Treatment of cellulose esters
US20090203900A1 (en) * 2008-02-13 2009-08-13 Eastman Chemical Comapany Production of cellulose esters in the presence of a cosolvent
US8354525B2 (en) 2008-02-13 2013-01-15 Eastman Chemical Company Regioselectively substituted cellulose esters produced in a halogenated ionic liquid process and products produced therefrom
US9777074B2 (en) 2008-02-13 2017-10-03 Eastman Chemical Company Regioselectively substituted cellulose esters produced in a halogenated ionic liquid process and products produced therefrom
US8668807B2 (en) 2008-02-19 2014-03-11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labama Ionic liquid systems for the processing of biomass, their components and/or derivatives, and mixtures thereof
WO2009103681A1 (de) 2008-02-22 2009-08-27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fester materialien auf der basis von synthetischen polymeren und/oder biopolymeren und ihre verwendung
EP2098539B1 (en) 2008-03-03 2017-05-10 SE Tylose GmbH & Co.KG Homogeneous synthesis of cellulose ethers in ionic liquids
DE102008014735A1 (de) 2008-03-18 2009-09-24 Studiengesellschaft Kohle Mbh Verfahren zur Depolymerisation von Zellulose
US8022014B2 (en) * 2008-03-26 2011-09-20 Shrieve Chemical Products, Inc. Deep eutectic solvents and applications
AT506657A1 (de) * 2008-04-14 2009-10-15 Chemiefaser Lenzing Ag Cellulosebasiertes hydrogel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102009002978A1 (de) 2008-05-19 2009-11-26 Basf Se Verwendung von ionischen Flüssigkeiten gelösten Polysacchariden als Klebstoff
DE102009003011A1 (de) 2008-05-19 2009-11-26 Basf Se Verwendung von ionischen Flüssigkeiten als Klebstoff
EP2303825B1 (en) 2008-06-17 2016-11-09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Chemical transformation of lignocellulosic biomass into fuels and chemicals
US7999355B2 (en) * 2008-07-11 2011-08-16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Aminosilanes for shallow trench isolation films
EP2157155A1 (en) * 2008-08-18 2010-02-24 BIOeCON International Holding N.V. Process for the conversion of lipid-containing biomass
EP2157103A1 (en) * 2008-08-18 2010-02-24 BIOeCON International Holding N.V. Process for regenerating or derivatizing cellulose
CA2735867C (en) 2008-09-16 2017-12-05 Dixie Consumer Products Llc Food wrap basesheet with regenerated cellulose microfiber
BRPI0920779B1 (pt) 2008-10-01 2018-02-14 Licella Pty Limited Método de produção de óleo biológico.
JP5676860B2 (ja) * 2008-10-02 2015-02-25 株式会社Kri 多糖類ナノファイバーとその製造方法、多糖類ナノファイバー含むイオン液体溶液と複合材料
EP2199319A1 (en) 2008-12-19 2010-06-23 Gambro Lundia AB Virus filter
AT507758A1 (de) 2008-12-23 2010-07-15 Chemiefaser Lenzing Ag Yarn and threads from blends of fibres and articles therefrom
US9278134B2 (en) 2008-12-29 2016-03-08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labama Dual functioning ionic liquids and salts thereof
US8435355B2 (en) * 2008-12-29 2013-05-07 Weyerhaeuser Nr Company Fractionation of lignocellulosic material using ionic liquids
US20120037174A1 (en) 2009-01-12 2012-02-16 Sepp Steinlechner Tobacco product filters
JP5219216B2 (ja) * 2009-01-29 2013-06-26 国立大学法人 鹿児島大学 キサンタンゲル及びキサンタンヒドロゲルの製造方法
DE102010001957A1 (de) 2009-02-23 2010-08-26 Basf Se Destillation von Gemischen, welche ionischer Flüssigkeiten und Metallsalze enthalten
EP2398753B1 (de) 2009-02-23 2017-04-26 Basf Se Destillation ionischer flüssigkeiten unter verwendung eines destillationshilfsmittels
CN101497699B (zh) * 2009-02-24 2011-05-11 华南理工大学 一种提高纤维素在离子液体中溶解性能的方法
JP5055314B2 (ja) * 2009-02-27 2012-10-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セルロース/樹脂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5544507B2 (ja) * 2009-03-19 2014-07-09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セルロース含有材料からその分解産物を生産する方法
DE102009016001A1 (de) 2009-04-02 2010-10-07 Rheinisch-Westfälische Technische Hochschule Aachen Verfahren zur Hydrolyse von Celluloserohstoffen
US8067488B2 (en) 2009-04-15 2011-11-29 Eastman Chemical Company Cellulose solutions comprising tetraalkylammonium alkylphosphate and products produced therefrom
KR20100119018A (ko) * 2009-04-30 2010-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리그노셀룰로오스계 바이오매스의 전처리 방법
DE102010028550A1 (de) 2009-05-05 2010-11-11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isen-Nanopartikel enthaltenden thermoplastischen Polymerformmassen
CN101649495B (zh) * 2009-05-12 2012-06-06 山东海龙股份有限公司 溶剂法制备阻燃抗融纤维纺丝原液的方法
US9096743B2 (en) 2009-06-01 2015-08-04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labama Process for forming films, fibers, and beads from chitinous biomass
DE102009023458A1 (de) 2009-06-02 2010-12-30 Carl Freudenberg Kg Lösung, umfassend Cellulos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GB0911172D0 (en) 2009-06-29 2009-08-12 Univ Leicester New polysaccharide-based materials
BRPI1011588A2 (pt) 2009-07-01 2017-05-16 Wisconsin Alumni Res Found hidrólise de biomassa
US8784691B2 (en) 2009-07-24 2014-07-22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labama Conductive composites prepared using ionic liquids
FR2948668B1 (fr) * 2009-07-31 2012-06-08 Inst Francais Du Petrole Nouveaux liquides ioniques a base d'anions dithiophosphate et leurs preparations
FR2948667B1 (fr) 2009-07-31 2012-06-08 Inst Francais Du Petrole Nouveaux liquides ioniques a base d'anions thiophosphate et leurs preparations
JP5120965B2 (ja) * 2009-08-06 2013-01-16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セルロース含有材料からの有用物質の生産方法
EP2473553A1 (en) 2009-09-01 2012-07-11 O'Connor, Paul Pretreatment of solid biomass material comprising cellulose with ionic liquid medium
US8652261B2 (en) * 2009-09-01 2014-02-18 Kior, Inc. Process for dissolving cellulose-containing biomass material in an ionic liquid medium
WO2011045231A1 (de) 2009-10-16 2011-04-21 Basf Se Verfahren zur entfernung von kationen aus celluloseformkörpern
CA2777115C (en) * 2009-10-20 2018-06-12 Basf Se Method for producing paper, paperboard and cardboard having high dry strength
US20120216705A1 (en) * 2009-11-04 2012-08-30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labama Methods for dissolving polymers using mixtures of different ionic liquid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the mixtures
EP2507300A1 (de) 2009-12-04 2012-10-10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olymerisatdispersion
JP5762437B2 (ja) 2009-12-10 2015-08-12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Basf Se 帯電防止熱可塑性組成物
US8884003B2 (en) * 2010-01-15 2014-11-11 Basf Se Method of chlorinating polysaccharides or oligosaccharides
WO2011086082A1 (en) 2010-01-15 2011-07-21 Basf Se Method of chlorinating polysaccharides or oligosaccharides
US20110217777A1 (en) * 2010-03-02 2011-09-08 Teixeira Rodrigo E Process for the Extraction of Lipids from Microalgae Using Ionic Liquids
US8450111B2 (en) 2010-03-02 2013-05-28 Streamline Automation, Llc Lipid extraction from microalgae using a single ionic liquid
US8303818B2 (en) * 2010-06-24 2012-11-06 Streamline Automation, Llc Method and apparatus using an active ionic liquid for algae biofuel harvest and extraction
JP5677754B2 (ja) * 2010-03-05 2015-02-2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セルロースナノファイバーとその製造方法、複合樹脂組成物、成形体
DE102011005441A1 (de) 2010-03-15 2011-09-15 Basf Se Korrosionsinhibitoren für ionische Flüssigkeiten
FI20105272A (fi) * 2010-03-18 2011-09-19 Univ Helsinki Menetelmä lignoselluloosamateriaalin fibrilloimiseksi, kuidut ja niiden käyttö
JP2011224978A (ja) * 2010-04-01 2011-11-10 Shin-Etsu Chemical Co Ltd 押出成形用組成物及び押出成形体の製造方法
CN101806007B (zh) * 2010-04-09 2011-09-07 山东轻工业学院 一种采用1-烯丙基-3-甲基咪唑氯化物处理纸浆的方法
DE102011007559A1 (de) 2010-04-19 2011-10-20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lektrolyten für die Aluminiumabscheidung
DE102011007566A1 (de) 2010-04-19 2012-01-19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Zusammensetzungen, welche Aluminiumtrihalogenide enthalten
DE102011007639A1 (de) 2010-04-23 2011-10-27 Basf Se Verfahren zur mechanischen Bearbeitung von Werkstücken mit einem Hochdruckstrahl
WO2011154370A1 (en) 2010-06-10 2011-12-15 Basf Se Process for determining the purity of and reusing ionic liquids
DE102010024827A1 (de) 2010-06-23 2011-12-29 Studiengesellschaft Kohle Mbh Verfahren zum Auflösen von Zellulose
FI125827B (fi) 2010-06-23 2016-02-29 Stora Enso Oyj Menetelmä lignoselluloosamateriaalien liuottamiseksi
EP2585606A4 (en) 2010-06-26 2016-02-17 Virdia Ltd SUGAR MIXTURES, METHODS OF PRODUCTION AND USE THEREOF
IL206678A0 (en) 2010-06-28 2010-12-30 Hcl Cleantech Ltd A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fermentable sugars
US8980050B2 (en) 2012-08-20 2015-03-17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for removing hemicellulose
GB2481824B (en) 2010-07-07 2015-03-04 Innovia Films Ltd Producing cellulose shaped articles
GB2483427A (en) 2010-07-07 2012-03-14 Innovia Films Ltd Process for dissolving cellulose and casting films
IL207329A0 (en) 2010-08-01 2010-12-30 Robert Jansen A method for refining a recycle extractant and for processing a lignocellulosic material and for the production of a carbohydrate composition
IL207945A0 (en) 2010-09-02 2010-12-30 Robert Jans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carbohydrates
JP2012057137A (ja) * 2010-09-13 2012-03-22 Kaneka Corp セルロース多孔質膜の製造方法
US8563787B2 (en) 2010-10-05 2013-10-22 Basf Se Preparation of homoallyl alcohols in the presence of noncovalently supported ionic liquid phase catalysts under gas-phase reaction conditions
JP5874993B2 (ja) * 2010-10-20 2016-03-02 国立大学法人金沢大学 バイオマスの前処理方法
JP5851418B2 (ja) * 2010-11-30 2016-02-0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精製セルロース繊維の製造方法、繊維−ゴム複合体の製造方法、及びタイヤの製造方法
DE102011119840A1 (de) 2010-12-01 2012-06-06 Technische Universität Ilmenau Polymerlösungen in ionischen Flüssigkeiten mit verbesserter thermischer und rheologischer Stabilität
EP2468812A1 (de) 2010-12-21 2012-06-27 Basf Se Thermoplastische Formmasse
EP2468811A1 (de) 2010-12-21 2012-06-27 Basf Se Thermoplastische Formmasse
JP5794609B2 (ja) * 2011-01-06 2015-10-14 国立大学法人鳥取大学 セルロース系バイオマスの処理方法
JP5589871B2 (ja) 2011-01-27 2014-09-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セルロース系バイオマスの処理方法、セルロース系バイオマスからの糖又はアルコール又は有機酸の製造方法
JP5817740B2 (ja) * 2011-02-07 2015-11-18 日東紡績株式会社 セルロース繊維の製造方法
WO2012123411A1 (de) 2011-03-15 2012-09-20 Basf Se Verfahren zum abreichern von säuren aus zusammensetzungen, welche ionische flüssigkeiten enthalten
DE102011005849B4 (de) 2011-03-21 2015-06-03 Innovent E.V.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lebers, Kleber und dessen Verwendung
JP5820688B2 (ja) 2011-03-23 2015-11-24 株式会社Kri 多糖類の溶解に用いられる溶媒ならびに該溶媒を用いた成形体および多糖類誘導体の製造方法
US9394375B2 (en) 2011-03-25 2016-07-19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labama Compositions containing recyclable ionic liquids for use in biomass processing
CA2829042A1 (en) 2011-03-29 2012-10-04 Basf Se Method for the coating of a cellulose material by using a glucan
US8852750B2 (en) 2011-03-29 2014-10-07 Wintershall Holding GmbH Method for the coating of a cellulose material by using a glucan
WO2012133003A1 (ja) 2011-03-30 2012-10-04 独立行政法人理化学研究所 セルロース誘導体のエステル化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GB2524906B8 (en) 2011-04-07 2016-12-07 Virdia Ltd Lignocellulose conversion processes and products
US9975967B2 (en) 2011-04-13 2018-05-22 Eastman Chemical Company Cellulose ester optical films
GB2493488A (en) 2011-05-20 2013-02-13 Innovia Films Ltd Process for dissolving and casting non-dissolving cellulose
GB2493490A (en) 2011-05-20 2013-02-13 Innovia Films Ltd Process for dissolving and casting non-dissolving cellulose
JP5824766B2 (ja) * 2011-06-08 2015-12-02 国立大学法人京都工芸繊維大学 繊維分離方法
WO2012170026A1 (en) * 2011-06-09 2012-12-13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Pre-treatment for preservation of wood
ES2644138T3 (es) * 2011-06-13 2017-11-27 Rival S.E.C N,N,N-trialquilpolímeros, métodos para su preparación y usos de los mismos
JP5708300B2 (ja) * 2011-06-28 2015-04-30 Jsr株式会社 セルロースゲル
EP2545985A1 (en) 2011-07-15 2013-01-16 Gambro Lundia AB Composite membrane
EP2545984A1 (en) 2011-07-15 2013-01-16 Gambro Lundia AB Composite membrane
US9267240B2 (en) 2011-07-28 2016-02-23 Georgia-Pacific Products LP High softness, high durability bath tissue incorporating high lignin eucalyptus fiber
US9309627B2 (en) 2011-07-28 2016-04-12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High softness, high durability bath tissues with temporary wet strength
JP2013044076A (ja) * 2011-08-26 2013-03-04 Olympus Corp セルロースナノファイバーとその製造方法、複合樹脂組成物、成形体
US9617608B2 (en) 2011-10-10 2017-04-11 Virdia, Inc. Sugar compositions
JP2014532106A (ja) 2011-10-14 2014-12-04 ビーエイエスエフ・ソシエタス・エウロパエアBasf Se アミン基含有オリゴ糖の製造方法
AT512601B1 (de) 2012-03-05 2014-06-15 Chemiefaser Lenzing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Cellulosesuspension
AU2013256049B2 (en) 2012-05-03 2017-02-16 Virdia, Inc. Methods for treating lignocellulosic materials
US9493851B2 (en) 2012-05-03 2016-11-15 Virdia, Inc. Methods for treating lignocellulosic materials
US20150129101A1 (en) 2012-05-21 2015-05-14 Bridgestone Corporation Cord, rubber-cord composite structure, and tire
KR101703404B1 (ko) 2012-05-21 2017-02-06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정제 다당류 섬유의 제조 방법, 정제 다당류 섬유, 섬유-고무 복합체 및 타이어
JP2015527483A (ja) 2012-06-15 2015-09-17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Basf Se 求核試薬の存在下での有機基材の陽極酸化
EP2864364A4 (en) 2012-06-22 2016-03-09 Suganit System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BIOMASS SUBSTRATES
WO2014018586A1 (en) 2012-07-24 2014-01-30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labama Process for electrospinning chitin fibers from chitinous biomass solution and fibers and articles produced thereby
US20140048221A1 (en) 2012-08-20 2014-02-20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for extracting hemicellulose from a cellulosic material
CN102786474A (zh) * 2012-08-22 2012-11-21 林州市科能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硫氰酸盐类离子液体的合成方法
US9260674B2 (en) 2012-09-14 2016-02-16 Pedro Manuel Brito da Silva Correia Biofuel containing furanic compounds and alkoxy benzene compounds and the process for obtaining these compounds from sugar cane by hydrolysis of cellulose, sugars and lignin in ionic liquids
KR102094386B1 (ko) 2012-12-03 2020-03-30 고에이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오늄염 및 당해 오늄염과 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액상 조성물, 및 셀룰로오스 회수 방법
CA2803863A1 (fr) * 2013-01-25 2014-07-25 9198-4740 Quebec Inc. (D.B.A. Ventix Environnement Inc.) Procede d'extraction de cellulose
JP6176941B2 (ja) * 2013-02-25 2017-08-09 フタムラ化学株式会社 不均質セルロー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9226481B1 (en) 2013-03-14 2016-01-05 Praveen Paripati Animal weight monitoring system
BR112015025441A2 (pt) 2013-04-04 2017-07-18 Aalto Univ Foundation processo para a produção de artigos de celulose moldados
CN103172754A (zh) * 2013-04-07 2013-06-26 中国科学院过程工程研究所 一种利用离子液体制备羧甲基纤维素的方法
US10415183B2 (en) * 2013-04-15 2019-09-17 Metsä Spring Oy Method of producing regenerated cellulose and hemicellulose
JP2014227619A (ja) 2013-05-21 2014-12-0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精製多糖類繊維の製造方法、精製多糖類繊維、及びタイヤ
DE102013009138A1 (de) * 2013-05-31 2014-12-04 Rainer Pommersheim Verfahren und technischer Prozess zur Rückgewinnung von Rohstoffen aus papierhaltigen Abfällen mittels lonischer Flüssigkeiten
WO2014207100A1 (en) 2013-06-27 2014-12-31 Basf Se A process for coating paper with cellulose using a solution containing cellulose
US9120834B2 (en) 2013-10-31 2015-09-01 Cms Technologies Holdings, Inc. Membrane separation of ionic liquid solutions
CN104610557B (zh) 2013-11-01 2018-03-02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一种再生纤维素膜、功能膜及其制备方法
US20150184338A1 (en) 2013-12-31 2015-07-02 Weyerhaeuser Nr Company Treated kraft pulp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WO2015111619A1 (ja) * 2014-01-24 2015-07-30 日東紡績株式会社 I型結晶含有再生セルロース長繊維
CN103831021B (zh) * 2014-01-28 2016-02-24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以n-甲基吗啉氧化物为溶剂制备再生纤维素纳滤膜的方法
US9708760B2 (en) 2014-06-30 2017-07-18 International Paper Company Esterified cellulose pulp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US9222223B1 (en) 2014-06-30 2015-12-29 Weyerhaeuser Nr Company Esterified cellulose pulp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US10100131B2 (en) 2014-08-27 2018-10-16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labama Chemical pulping of chitinous biomass for chitin
US10011931B2 (en) 2014-10-06 2018-07-03 Natural Fiber Welding, Inc. Methods, processes, and apparatuses for producing dyed and welded substrates
US10982381B2 (en) 2014-10-06 2021-04-20 Natural Fiber Welding, Inc. Methods, processes, and apparatuses for producing welded substrates
CN112226466A (zh) 2015-01-07 2021-01-15 威尔迪亚公司 萃取和转化半纤维素糖的方法
JP6582485B2 (ja) * 2015-03-27 2019-10-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組成物、造形物の製造方法および造形物
JP2016188283A (ja) 2015-03-30 2016-11-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組成物セット、造形物の製造方法および造形物
KR101540202B1 (ko) * 2015-04-23 2015-07-28 주식회사 씨티씨 투명성이 향상된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6191503A1 (en) 2015-05-27 2016-12-01 Virdia, Inc. Integrated methods for treating lignocellulosic material
WO2017137284A1 (de) * 2016-02-11 2017-08-17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merfasern aus in ionischen flüssigkeiten gelösten polymeren durch einen luftspaltspinnprozess
CN114657730A (zh) 2016-03-25 2022-06-24 天然纤维焊接股份有限公司 用于生产焊接基质的方法、工艺和设备
WO2017170746A1 (ja) 2016-03-31 2017-10-0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熱可塑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セルロース強化樹脂成形品およびセルロース強化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EP3730555A1 (en) 2016-03-31 2020-10-28 Furukawa Electric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ellulose-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ethod of producing cellulose-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olded article of cellulose-reinforced resin, and method of producing molded article of cellulose-reinforced resin
EP3438207B1 (en) * 2016-03-31 2023-02-15 Furukawa Electric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production method, cellulose-reinforced resin molded product, and cellulose-reinforced resin molded product manufacturing method
DE102016205954A1 (de) * 2016-04-28 2017-11-02 Duale Hochschule Baden-Württemberg -Körperschaft Des Öffentlichen Rechts- Verfahren und Anlage zum Herstellen eines flächigen imprägnierten Faserstoffproduktes
MX2018013351A (es) 2016-05-03 2019-02-20 Natural Fiber Welding Inc Metodos, procesos y aparatos para producir sustratos teñidos y soldados.
US10233261B1 (en) 2016-08-19 2019-03-1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Natural polymer nanoparticles from ionic liquid emulsions
US10927191B2 (en) 2017-01-06 2021-02-23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labama Coagulation of chitin from ionic liquid solutions using kosmotropic salts
JP7012212B2 (ja) * 2017-01-30 2022-02-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イオン液体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てセルロースを溶解する方法
EP3574136A1 (en) 2017-01-30 2019-12-04 Aalto University Foundation sr A process for making a cellulose fibre or film
US10941258B2 (en) 2017-03-24 2021-03-09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labama Metal particle-chitin composite materials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WO2018234638A1 (en) 2017-06-22 2018-12-27 Helsingin Yliopisto METHOD FOR ASSEMBLING POLYMERIC BIOMATERIALS
US11028249B2 (en) * 2017-08-31 2021-06-08 National Technology & Engineering Solutions Of Sandia, Llc Methods of synthesizing ionic liquids from primary alcohol-containing lignin compounds
JP7252128B2 (ja) 2017-09-29 2023-04-0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成形品
JP7203743B2 (ja) 2017-09-29 2023-01-1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成形品
CN111148798A (zh) 2017-09-29 2020-05-12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成型品
EP3705520A4 (en) 2017-10-31 2021-07-21 Furukawa Electric Co., Ltd. MOLDED ARTICLE
WO2019180321A1 (en) 2018-03-20 2019-09-26 Helsingin Yliopisto Method of processing cellulosic materials
FI129226B (fi) 2018-05-15 2021-09-30 Metsae Fibre Oy Menetelmä paperisellun esikäsittelemiseksi
GB2583719B (en) 2019-05-02 2023-05-31 Worn Again Tech Ltd Recycling process
EP3741887A1 (de) 2019-05-21 2020-11-25 Aurotec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generieren eines lösungsmittels von zellulose aus einem spinnverfahren
FI20195926A1 (en) 2019-06-12 2020-12-13 Aurotec Gmbh Device for handling thin films
EP3855051A1 (de) 2020-01-21 2021-07-28 Aurotec GmbH Ventil
EP3854565A1 (de) 2020-01-21 2021-07-28 Aurotec GmbH Ventil und verfahren zum transport von fluiden
EP3901333A1 (de) 2020-04-22 2021-10-27 Aurotec GmbH Herstellung von filamenten mit kontrollierter gasströmung
EP3978038A1 (de) 2020-10-04 2022-04-06 Elke Münch Durch eine temperaturdifferenz betreibbare, mobile vorrichtung zur reinigung und desinfizierung von raumluft und eine testvorrichtung hierfür
DE102020125920B4 (de) 2020-10-04 2022-05-19 Elke Münch Durch eine Temperaturdifferenz betreibbare, mobile Vorrichtung zur Reinigung und Desinfizierung von Raumluft
DE102020125919B4 (de) 2020-10-04 2022-06-23 Elke Münch Durch eine Temperaturdifferenz betreibbare, mobile Vorrichtung zur Reinigung und Desinfizierung von Raumluft und eine Testvorrichtung hierfür
DE102020125922B4 (de) 2020-10-04 2022-06-02 Elke Münch Mobile Vorrichtung zur Reinigung und Desinfizierung von Raumluft
DE102020125921B4 (de) 2020-10-04 2022-05-19 Elke Münch Durch eine Temperaturdifferenz betreibbare, mobile Vorrichtung zur Reinigung und Desinfizierung von Raumluft
EP3981442A1 (de) 2020-10-04 2022-04-13 Elke Münch Durch eine temperaturdifferenz betreibbare, mobile vorrichtung zur reinigung und desinfizierung von raumluft
DE102020006226B4 (de) 2020-10-10 2023-05-25 LUCRAT GmbH Mobile Vorichtung für die Reinigung und Desinfektion von Raumluft, Bausätze für ihren Zusammenbau und ihre Verwendung
WO2023189817A1 (ja) * 2022-03-31 2023-10-05 広栄化学株式会社 オニウム塩、オニウム塩組成物、当該オニウム塩と多糖類を含有する液状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多糖類の回収方法
CN116446209A (zh) * 2023-04-27 2023-07-18 恒天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离子液体法纤维素纤维浆粕溶胀方法及设备
CN117327301B (zh) * 2023-11-27 2024-02-13 江苏新视界先进功能纤维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离子液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43176A (en) 1930-09-27 1934-01-09 Chem Ind Basel Cellulose solution
US5679146A (en) 1993-09-14 1997-10-21 Lenzing Aktiengesellschaft Moulding materials and spinning materials containing cellulos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153446A (de) * 1930-09-27 1932-03-31 Chem Ind Basel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neuen Zelluloselösung und neue Zelluloselösung.
JP3720084B2 (ja) * 1994-07-26 2005-11-24 株式会社日本触媒 吸水性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吸水性物品
ES2244958T3 (es) 1994-12-21 2005-12-16 Hydro Quebec Sales hidrofobicas liquidas, su prepracion y su aplicacion en electroquimica.
US5827602A (en) 1995-06-30 1998-10-27 Covalent Associates Incorporated Hydrophobic ionic liquids
CN1300383A (zh) * 1998-04-29 2001-06-20 部鲁尔科学公司 得自纤维素粘合剂的快速蚀刻、热固性抗反射涂料
US6824599B2 (en) * 2001-10-03 2004-11-30 The University Of Alabama Dissolution and processing of cellulose using ionic liqui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43176A (en) 1930-09-27 1934-01-09 Chem Ind Basel Cellulose solution
US5679146A (en) 1993-09-14 1997-10-21 Lenzing Aktiengesellschaft Moulding materials and spinning materials containing cellulos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254A (ko) * 2015-02-04 2016-08-16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셀룰로오스 분해율이 낮은 이온성 액체
KR101981365B1 (ko) * 2015-02-04 2019-05-2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셀룰로오스 분해율이 낮은 이온성 액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29329A2 (en) 2003-04-10
MXPA04003029A (es) 2005-06-20
US6824599B2 (en) 2004-11-30
AU2002347788A1 (en) 2003-04-14
EP2325246A2 (en) 2011-05-25
EP1458805B1 (en) 2011-08-31
ZA200402610B (en) 2005-02-23
ES2371756T3 (es) 2012-01-09
JP2009079220A (ja) 2009-04-16
CN101007853B (zh) 2012-10-03
NZ532076A (en) 2005-09-30
ATE522571T1 (de) 2011-09-15
IL161124A (en) 2010-03-28
BR0213106A (pt) 2006-05-23
EP2325246B1 (en) 2013-11-27
JP2005506401A (ja) 2005-03-03
NO20041774L (no) 2004-04-30
US20030157351A1 (en) 2003-08-21
EP1458805A2 (en) 2004-09-22
AU2002347788B2 (en) 2006-07-13
DK1458805T3 (da) 2011-10-03
EA008535B1 (ru) 2007-06-29
CA2462460C (en) 2009-05-19
JP4242768B2 (ja) 2009-03-25
EP2325246A3 (en) 2011-06-08
EP1458805A4 (en) 2004-10-20
EA200400503A1 (ru) 2005-02-24
PL374298A1 (en) 2005-10-03
CA2462460A1 (en) 2003-04-10
CN101007853A (zh) 2007-08-01
HK1108165A1 (en) 2008-05-02
PL206185B1 (pl) 2010-07-30
KR20040065550A (ko) 2004-07-22
CN100365050C (zh) 2008-01-30
IL161124A0 (en) 2004-08-31
WO2003029329A3 (en) 2003-07-31
CN1596282A (zh) 2005-03-16
JP5148436B2 (ja) 2013-02-20
HK1076120A1 (en) 200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8793B1 (ko) 이온액을 사용한 셀룰로즈의 용해 및 가공방법
Kasprzak et al. Dissolution of cellulose in novel carboxylate-based ionic liquids and dimethyl sulfoxide mixed solvents
EP1966284B1 (de) Lösungssystem auf der basis geschmolzener ionischer flüssigkeiten, dessen herstellung sowie verwendung zur herstellung regenerierter kohlenhydrate
JP5265563B2 (ja) セルロースの溶解および加工
Nguyen et al. Natural deep eutectics as a “green” cellulose cosolvent
Hattori et al. New solvents for cellulose. II. Ethylenediamine/thiocyanate salt system
JP2010111707A (ja) ポリマー処理剤およびドープ
US4028132A (en) Cellulose solutions and products prepared therefrom
WO2007049485A1 (ja) セルロース溶液の製造方法、セルロース溶液および再生セルロースの製造方法
Li et al. Facile preparation for robust and freestanding silk fibroin films in a 1‐butyl‐3‐methyl imidazolium acetate ionic liquid system
DE102006035830A9 (de) Lösungssystem auf der Basis geschmolzener ionischer Flüssigkeiten, dessen Herstellung sowie Verwendung zur Herstellung regenerierter Kohlenhydrate
US6827773B2 (en) Cellulose solven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employing same
DE102009023458A1 (de) Lösung, umfassend Cellulos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Swatloski et al. Ionic Liquids for the Dissolution and Regneration of Cellulose
Jadhav et al. Carboxylate functionalized imidazolium-based zwitterions as benign and sustainable solvent for cellulose dissolution: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Attallah Use of a superbase ionic liquid for cellulose dissolution and regeneration upon cooling in the form of particles and films
CN117327301B (zh) 一种离子液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Ma et al. Novel insights on room temperature-induced cellulose dissolution mechanism via ZnCl2 aqueous solution: Migration, penetration, interaction, and dispersion
Kuzmina Research of dissolution ability of ionic liquids ofr polysaccharides such as cellulose
WO2023232906A1 (en) Method for making fibres
Sandström Investigating coagulation of cellulose solutions
Teles Electrospinning de Celulose a Partir de Soluções de Líquido Iónicos
JPH08158148A (ja) セルロースドープおよびその調製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