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3959A - 리튬 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리튬 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3959A
KR20060103959A KR1020067016267A KR20067016267A KR20060103959A KR 20060103959 A KR20060103959 A KR 20060103959A KR 1020067016267 A KR1020067016267 A KR 1020067016267A KR 20067016267 A KR20067016267 A KR 20067016267A KR 20060103959 A KR20060103959 A KR 20060103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ide
crystallized glass
lithium ion
lithium
ion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6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1148B1 (ko
Inventor
마사히로 다츠미사고
미노루 센가
요시카츠 세이노
아키토시 하야시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마사히로 다츠미사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마사히로 다츠미사고 filed Critical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3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9/00Other methods of shaping g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sulf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2/00Thermal after-treatment of glass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3B19/00, C03B25/00 - C03B31/00 or C03B37/00, e.g. crystallisation, eliminating gas inclusions or other impurities; Hot-pressing vitrified, non-porous, shaped glass products
    • C03B32/02Thermal crystallisation, e.g. for crystallising glass bodies into glass-ceramic 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0/00Devitrified glass ceramics, i.e. glass ceramics having a crystalline phase dispersed in a glassy phase and constituting at least 50%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32Non-oxide glass compositions, e.g. binary or ternary halides, sulfides or nitrides of germanium, selenium or tellu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4/00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 C03C4/18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for ion-sensitive g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01B1/122Ionic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1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in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2Solid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68Solid electrolytes inorgan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Glass Melting And Manufacturing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성 성분으로서 리튬(Li), 인(P) 및 황(S) 원소를 함유하고, X선 회절(CuKα: λ=1.5418Å)에 있어서 2θ=17.8±0.3deg, 18.2±0.3deg, 19.8±0.3deg, 21.8±0.3deg, 23.8±0.3deg, 25.9±0.3deg, 29.5±0.3deg 및 30.0±0.3deg에 회절 피크를 갖는 리튬 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리튬 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 및 그의 제조방법{LITHIUM ION CONDUCTING SULFIDE BASED CRYSTALLIZED GLASS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본 발명은 리튬 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 그의 제조방법, 및 이것을 이용한 고체형 전해질 및 전고체 전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실온에서 높은 리튬 이온 전도성을 나타내는 전해질은 대부분 액체로 한정되어 있었다. 예를 들면, 실온에서 높은 리튬 이온 전도성을 나타내는 재료로서 유기계 전해액이 있다.
또한, 실온에서 10-3Scm-1 이상의 높은 전도도를 나타내는, Li3N을 베이스로 하는 리튬 이온 전도성 세라믹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유기계 전해액은 유기 용매를 포함하기 때문에 가연성이다. 따라서,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이온 전도성 재료를 전지의 전해질로서 실제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액체 누설의 우려나 발화의 위험성이 있다.
또한, 이러한 전해액은 액체이기 때문에, 리튬 이온이 전도될 뿐만 아니라 짝음이온이 전도되기 때문에, 리튬 이온 수율이 1이 아니다.
종래의 Li3N을 베이스로 하는 리튬 이온 전도성 세라믹은 분해 전압이 낮기 때문에, 3V 이상에서 작동하는 전고체 전지를 구성하는 것이 곤란했다.
이러한 과제에 관해서, Li2S 50 내지 92.5몰% 및 P2S5 7.5 내지 50 몰%의 조성으로 30 내지 99%의 결정화율을 갖고 Li2S와 P2S5를 주성분으로 하는 유리상과, Li7PS6, Li4P2S6 및 Li3PS4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결정상이 존재하는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제2002-109955호 공보 참조).
이 황화물계 결정성 유리는 실온에서도 높은 리튬 이온 전도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 결정계 유리를 제조할 때에 열처리 온도는 500℃ 이상이어서, 공업적으로 생산하는 경우에는 특수한 설비가 필요하다. 또한, 높은 이온 전도도를 나타내는 영역은 80몰% Li2S 및 20몰% P2S5의 조성이어서, 고가의 Li원을 다량으로 사용한다.
이 때문에, 재료의 제조비용이 비싸져서, 경제성에 있어서 반드시 만족할만한 것은 아니었다.
또한, 황화물계 결정성 유리를 이용한 리튬 2차 전지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더욱 높은 리튬 이온 전도성을 갖는 재료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실온에서도 극히 높은 리튬 이온 전도성을 나타내고, 열처리 온도의 저온화 및 Li원 사용량의 저감을 도모함으로써 공업 생산이 가능하고, 또한 경제성이 우수한 황화물계 결정성 유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일본 특허공개제2002-109955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연구를 거듭한 결과, 열처리 온도가 낮고 Li원 사용량이 비교적 적은 조성에서 황화물계 결정성 유리가 신규한 결정구조를 발현하고, 이 결정구조를 가질 때에 리튬 이온 전도성이 현저히 우수한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이하에 나타낸 리튬 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 그의 제조방법, 및 이것을 이용한 고체형 전해질 및 전고체 전지가 제공된다.
1. 구성성분으로서 리튬(Li), 인(P) 및 황(S) 원소를 함유하고, X선 회절(CuKα: λ=1.5418Å)에 있어서 2θ=17.8±0.3deg, 18.2±0.3deg, 19.8±0.3deg, 21.8±0.3deg, 23.8±0.3deg, 25.9±0.3deg, 29.5±0.3deg 및 30.0±0.3deg에 회절 피크를 갖는 리튬 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
2. Li2S: 68 내지 74몰% 및 P2S5: 26 내지 32몰%의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황화물계 유리를 150 내지 360℃에서 소성처리하는 리튬 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 의 제조방법.
3. 상기 Li2S가, 비프로톤성 유기 용매중에서 수산화리튬과 황화수소를 반응시켜 얻은 Li2S를,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100℃ 이상의 온도에서 세정하여 정제한 것인 상기 2에 기재된 리튬 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의 제조방법.
4. 상기 Li2S에 포함되는 황산화물의 총량이 0.15질량% 이하이며, N-메틸아미노부티르산리튬(LMAB)이 0.1질량% 이하인 상기 2 또는 3에 기재된 리튬 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의 제조방법.
5. 상기 P2S5 대신에, 상당하는 몰비의 단체 인(P) 및 단체 황(S)을 이용하는 상기 2 내지 4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튬 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의 제조방법.
6. 상기 Li2S 및 P2S5 또는 단체 인(P) 및 단체 황(S)을 기계적 분쇄법(mechanical milling)에 의해 상기 황화물계 유리로 하는 상기 2 내지 5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의 제조방법.
7. 상기 2 내지 6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리튬 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
8. 상기 1 또는 7에 기재된 리튬 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를 원료로 하는 리튬 2차 전지용 고체 전해질.
9. 상기 8에 기재된 리튬 2차 전지용 고체 전해질을 사용한 전고체 전지.
본 발명의 황화물계 결정성 유리 및 그의 제조방법은, 소성 온도가 150℃ 내지 360℃로 저온영역이며, 또한 Li원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공업 생산이 가능하고, 경제성도 우수하다.
또한, 실온에서도 극히 높은 리튬 이온 전도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 황화물계 결정성 유리를 사용한 리튬 2차 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작한 황화물계 유리의 X선 회절 스펙트럼 챠트이다.
도 2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작한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의 X선 회절 스펙트럼 챠트이다.
도 3은 실시예 2에서 제작한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의 이온 전도도의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는, 구성 성분으로서 리튬, 인 및 황 원소를 함유하고, X선 회절(CuKα: λ=1.5418Å)에 있어서 2θ=17.8±0.3deg, 18.2±0.3deg, 19.8±0.3deg, 21.8±0.3deg, 23.8±0.3deg, 25.9±0.3deg, 29.5±0.3deg 및 30.0±0.3deg에 회절 피크를 갖는다.
상기의 8개 영역에서 회절 피크를 갖는 결정구조는 과거에는 관측되지 않아서, 이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가 신규한 결정구조를 갖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결정구조를 갖는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가 극히 높은 리튬 이온 전도성을 갖는다는 것을 밝혀낸 것이다.
이 결정구조는 Li2S: 68 내지 74몰% 및 P2S5: 26 내지 32몰%의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황화물계 유리를 150 내지 360℃에서 소성처리함으로써 발현할 수 있다.
출발원료인 Li2S로서는, 예를 들면, 비프로톤성 유기 용매중에서 수산화리튬과 황화수소를 반응시켜 얻은 Li2S를,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100℃ 이상의 온도에서 세정하여 정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본 특허공개 제1995-330312호 공보에 개시된 제조방법으로 Li2S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Li2S를 일본 특허출원 제2003-363403호에 기재된 방법으로 정제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Li2S의 제조방법은 간단한 수단에 의해서 고순도의 황화리튬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의 원료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정제방법은 간편한 처리에 의해, Li2S에 포함되는 불순물인 황산화물이나 N-메틸아미노부티르산리튬(이하, LMAB라고 함) 등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유리함과 동시에, 얻어진 고순도의 황화리튬을 이용한 리튬 2차 전지용 고체 전해질은 순도에 기인하는 성능 저하가 억제되고, 그 결과 우수한 리튬 2차 전지(고체 전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Li2S에 포함되는 황산화물의 총량은 0.1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LMAB는 0.1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P2S5는 공업적으로 제조되어 판매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P2S5 대신에, 상당하는 몰비의 단체 인(P) 및 단체 황(S)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수가 용이하고, 또한 저렴한 재료로부터 본 발명의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단체 인(P) 및 단체 황(S)은 공업적으로 생산되어 판매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의 조성은 Li2S: 68 내지 74몰% 및 P2S5: 32 내지 26몰%로 한다. 이 배합비의 범위를 벗어나면, 본 발명 특유의 결정구조가 발현되지 않아서, 이온 전도도가 작아지고, 고체 전해질로서 충분한 성능을 발휘하지 않는다. 특히 Li2S의 배합량을 68 내지 73몰%로 하고, P2S5의 배합량을 32 내지 27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결정화 유리가 갖는 결정구조를 발현할 수 있는 범위에서, 상기 P2S5 및 Li2S 외에 출발원료로서 Al2S3, B2S3, GeS2 및 SiS2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황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황화물을 첨가하면, 황화물계 유리를 형성할 때에 보다 안정한 유리를 생성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Li2S 및 P2S5에 더하여, Li3PO4, Li4SiO4, Li4GeO4, Li3BO3 및 Li3AlO3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오르쏘 옥소산리튬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오르쏘 옥소산리튬을 포함하면, 결정화 유리중의 유리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Li2S 및 P2S5에 더하여, 상술한 황화물을 적어도 1종 이상 포함하고, 또한, 상술한 오르쏘 옥소산리튬을 적어도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발원료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황화물계 유리로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기계적 분쇄처리(이하, MM 처리로 표시하는 경우가 있다) 또는 용융급냉법(melt-quenching method)이 있다.
MM 처리를 이용하여 황화물계 유리를 형성하면, 유리 생성 영역을 확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용융급냉법에서 수행하는 가열처리가 불필요해져서 실온에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공정의 간략화도 가능해진다.
용융급냉법이나 MM 처리에 의해 황화물계 유리를 형성할 때,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의 분위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증기나 산소 등은 출발물질과 반응하기 쉽기 때문이다.
MM 처리에서는, 볼 밀(ball mill)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큰 기계적 에너지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볼 밀로서는, 유성형 볼 밀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성형 볼 밀에서는, 포트가 자전 회전하면서 대반(台盤)이 공전 회전하기 때문에, 매우 높은 충격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MM 처리 조건은 사용하는 기기 등에 의해 적절히 조정할 수 있는데, 회전 속도가 빠를수록 황화물계 유리의 생성 속도는 빠르게 되고, 회전 시간이 길수록 황화물계 유리로의 원료 전환율은 높게 된다. 예를 들면, 일반적인 유성형 볼 밀기를 사용하는 경우는, 회전 속도를 수십 내지 수백 회전/분으로 하고, 0.5시간 내지 1100시간 처리할 수 있다.
얻어진 황화물계 유리를 소성처리하여 결정화시켜,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로 한다. 이 때의 소성 온도는 150℃ 내지 360℃로 한다. 150℃ 미만에서는 황화물계 유리의 유리 전이점 이하의 온도이기 때문에 결정화가 진행하지 않는다. 한편, 360℃를 넘으면, 상술한 본 발명 특유의 결정구조를 갖는 결정 유리가 생성되지 않고, 상기 일본 특허공개 제2002-109955호 공보에 기재된 결정구조로 변화해 버린다. 소성 온도는 200℃ 내지 350℃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소성 시간은 결정이 생성되는 조건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순간이거나 장시간이더라도 상관없다. 또한, 소성 온도까지의 승온 패턴에 관해서도 특별한 한정은 없다.
본 발명의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는, 적어도 5V 이상의 분해전압을 갖고, 불연성 무기 고체이며 리튬 이온 수율이 1이라고 하는 특성을 유지하면서, 실온에 있어서 10-3Scm-1대라고 하는 지금까지는 없는 극히 높은 리튬 이온 전도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리튬 전지의 고체 전해질용 재료로서 극히 적합하다.
또한, 상기의 특성을 갖는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을 사용한 전고체 전지는 에너지 밀도가 높고, 안전성 및 충방전 사이클 특성이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조예
(1) 황화리튬(Li2S)의 제조
황화리튬은 일본 특허공개 제1995-330312호 공보의 제 1 양태(2 공정법)의 방법에 따라서 제조했다. 구체적으로는, 교반 날개가 장착된 10리터 오토클레이브에 N-메틸-2-피롤리돈(NMP) 3326.4g(33.6몰) 및 수산화리튬 287.4g(12몰)을 채우고, 300rpm에서 130℃로 승온했다. 승온 후, 용액중에 황화수소를 3리터/분의 공급속도에서 2시간 취입하였다. 계속해서 이 반응액을 질소기류하(200cc/분)에서 승온하여, 반응한 황화수소의 일부를 탈황화수소화하였다. 승온하면서 상기 황화수소와 수산화리튬의 반응에 의해 부생된 물이 증발하기 시작했지만, 이 물은 콘덴서에 의해 응축하여 계밖으로 뽑아 내었다. 물을 계밖으로 증류 제거함과 동시에 반응액의 온도는 상승하지만, 180℃에 도달한 시점에서 승온을 정지하고, 일정 온도로 유지했다. 탈황화수소반응이 종료된 후(약 80분), 반응을 종료하여 황화리튬을 얻었다.
(2) 황화리튬의 정제
상기 (1)에서 얻어진 500mL의 슬러리 반응 용액(NMP-황화리튬 슬러리)중의 NMP를 디켄테이션(decantation)한 후, 탈수한 NMP 100mL를 첨가하고, 105℃에서 약 1시간 교반했다. 그 온도 그대로 NMP를 디켄테이션하였다. 또한, NMP 100mL를 첨가하고, 105℃에서 약 1시간 교반하고, 그 온도 그대로 NMP를 디켄테이션하고, 동일한 조작을 총 4회 반복했다. 디켄테이션 종료후, 질소기류하에 230℃(NMP의 비점 이상의 온도)에서 황화리튬을 상압하에서 3시간 건조했다. 얻어진 황화리튬중의 불순물 함유량을 측정했다.
또한, 아황산리튬(Li2SO3), 황산리튬(Li2SO4) 및 티오황산리튬(Li2S2O3)의 각각의 황산화물, 및 N-메틸아미노부티르산리튬(LMAB)의 함유량은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정량했다. 그 결과, 황산화물의 총 함유량은 0.13질량%이며, LMAB는 0.07질량%였다.
이렇게 하여 정제한 Li2S를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했다.
실시예 1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한 Li2S와 P2S5(알드리치에서 제조함)를 출발원료로 이용했다. 이들을 70 대 30의 몰비로 조제한 혼합물을 약 1g과 입경 10mmΦ의 알루미나제 볼 10개를 45mL의 알루미나제 용기에 넣고, 유성형 볼 밀(프리츄(Fritsch)사에서 제조함: 유형번호 P-7)을 사용하여, 질소중 실온(25℃)에서 회전속도를 370rpm으로 하고, 20시간 기계적 분쇄처리함으로써 백황색의 분말인 황화물계 유리를 얻었다.
얻어진 분말에 대하여, 분말 X선 회절 측정을 하였다(CuKα: λ=1.5418Å). 이 X선 회절 스펙트럼을 도 1에 나타낸다. 또한, 도 1에는 후술하는 비교예 1 내지 3의 스펙트럼도 나타내었다.
이 챠트가 비정질체 특유의 브로드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부터, 이 분말이 유리화(비정질화)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분말(황화물계 유리)을 질소중에서 상온(25℃) 내지 260℃까지의 온도범위에서 소성처리를 하여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를 제작했다. 또한, 소성처리와 동시에 시차열분석을 했다.
이 때의 승온·강온(降溫) 속도를 10℃/분으로 하고, 260℃까지 승온한 후 실온까지 냉각했다.
시차열분석의 결과, 230 내지 240℃에서 비정질체의 결정화에 동반하는 발열 피크가 관찰되었다. 이에 따라, 230 내지 240℃에서 비정질체가 결정성 유리로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에서 제작한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에 대하여 분말 X선 회절 측정을 수행하였다(CuKα: λ=1.5418Å). 도 2에 이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의 x선 회절 스펙트럼 챠트를 나타낸다. 또한, 도 2에는 후술하는 비교예 1 내지 4의 스펙트럼도 나타낸다.
도 2로부터, 얻어진 결정화 유리는 2θ=17.8deg, 18.2deg, 19.8deg, 21.8deg, 23.8deg, 25.9deg, 29.5deg 및 30.0deg에 회절 피크를 갖는 것이 확인되 었고,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Li7PS6, Li4P2S6, Li3PS5와는 다른 결정상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제작한 황화물계 유리(소성처리전 분말)을 펠렛 형상(직경 약 10mm, 두께 약 1mm)의 성형체로 가공했다.
이 성형체에 대하여, 소성처리를 실시하면서 이온 전도도를 측정했다. 측정은 성형체에 전극으로서 카본 페이스트를 도포한 것에 대하여 교류이단자법에 의해 수행했다.
소성(측정)은 실온(25℃)에서 개시하여 25℃ 부근까지 승온하고, 그 후, 실온까지 강온하는 것으로 수행했다. 이 때의 승온·강온에는 각각 약 3시간이 필요했다.
도 3는 이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의 이온 전도도의 측정 결과를 아레니우스 플롯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 처리에 의해 얻어진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의, 실온(25℃)에 있어서의 이온 전도도는 2.1×10-3Scm-1였다. 이 값은 본 원소계(Li, P, S)의 전해질에서는 과거 최대의 값이었다.
측정 후의 시료에 대하여 X선 회절 측정을 한 결과,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인 회절 피크 패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및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비교예의 소성 온도, 각 예에서 제작 한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의 X선 회절 피크, 결정 및 이온 전도도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06057586797-PCT00001
실시예 3
Li2S와 P2S5의 몰비를 68:32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결정화 유리를 제작했다.
얻어진 결정화 유리는 실시예 1과 동일한 X선 회절 피크가 관찰되었다. 또한,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인 방법으로 이온 전도도를 측정한 결과, 1.0×10-3S/cm였다.
실시예 4
Li2S와 P2S5의 몰비를 73:27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결정화 유리를 제작했다.
얻어진 결정화 유리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X선 회절 피크가 관찰되었다. 또한,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인 방법으로 이온 전도도를 측정한 결과, 1.3×10-3S/cm였다.
비교예 1
Li2S와 P2S5의 몰비를 67:33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를 제작했다. 또한,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인 방법으로 이온 전도도를 측정했다.
비교예 2
Li2S와 P2S5의 몰비를 75:25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를 제작했다. 또한,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인 방법으로 이온 전도도를 측정했다.
비교예 3
Li2S와 P2S5의 몰비를 80:2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를 제작했다. 또한,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인 방법으로 이온 전도도를 측정했다.
비교예 4
소성처리에 있어서, 최고 온도를 250℃에서 55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2와 마찬가지로 하여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를 제작하고, 이온 전도도를 측정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작한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는 본 발명의 결정화 유리가 갖는 특유의 회절 피크가 출현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표 1에 기재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이온 전도도의 측정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가 종래의 것에 비해 극히 높은 이온 전도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는 적어도 5V 이상의 분해전압을 갖고, 불연성 무기 고체이며 리튬 이온 수율이 1이라고 하는 특성을 유지하 면서, 실온에 있어서 10-3Scm-1대라고 하는 지금까지는 없는 극히 높은 리튬 이온 전도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리튬 전지의 고체 전해질용 재료로서 극히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소성 온도가 150℃ 내지 360℃로 저온영역이며, 또한 Li원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공업 생산이 가능하고, 경제성도 우수하다.
또한, 상기의 특성을 갖는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을 사용한 전고체 전지는 에너지 밀도가 높고, 안전성 및 충방전 사이클 특성이 우수하다.

Claims (11)

  1. 구성 성분으로서 리튬(Li), 인(P) 및 황(S) 원소를 함유하고, X선 회절(CuKα: λ=1.5418Å)에 있어서 2θ=17.8±0.3deg, 18.2±0.3deg, 19.8±0.3deg, 21.8±0.3deg, 23.8±0.3deg, 25.9±0.3deg, 29.5±0.3deg 및 30.0±0.3deg에 회절 피크를 갖는 리튬 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
  2. Li2S: 68 내지 74몰% 및 P2S5: 26 내지 32몰%의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황화물계 유리를 150 내지 360℃에서 소성처리하는 리튬 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Li2S가, 비프로톤성 유기 용매중에서 수산화리튬과 황화수소를 반응시켜 얻는 Li2S를,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100℃ 이상의 온도에서 세정하여 정제한 것인 리튬 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의 제조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Li2S에 포함되는 황산화물의 총량이 0.15질량% 이하이며, N-메틸아미노산부티르산리튬(LMAB)이 0.1질량% 이하인 리튬 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의 제조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P2S5 대신에, 상당하는 몰비의 단체 인(P) 및 단체 황(S)을 이용하는 리튬 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의 제조방법.
  6. 제 2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Li2S 및 P2S5 또는 단체 인(P) 및 단체 황(S)을 기계적 분쇄법에 의해 상기 황화물계 유리로 하는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의 제조방법.
  7. 제 2 항 또는 제 5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리튬 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
  8. 제 1 항에 따른 리튬 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를 원료로 하는 리튬 2차 전지용 고체 전해질.
  9. 제 7 항에 따른 리튬 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를 원료로 하는 리튬 2차 전지용 고체 전해질.
  10. 제 8 항에 따른 리튬 2차 전지용 고체 전해질을 사용한 전고체 전지.
  11. 제 9 항에 따른 리튬 2차 전지용 고체 전해질을 사용한 전고체 전지.
KR1020067016267A 2004-02-12 2005-01-31 리튬 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811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35380A JP4813767B2 (ja) 2004-02-12 2004-02-12 リチウムイオン伝導性硫化物系結晶化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4-00035380 2004-02-12
PCT/JP2005/001323 WO2005078740A1 (ja) 2004-02-12 2005-01-31 リチウムイオン伝導性硫化物系結晶化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959A true KR20060103959A (ko) 2006-10-04
KR101181148B1 KR101181148B1 (ko) 2012-09-17

Family

ID=34857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6267A KR101181148B1 (ko) 2004-02-12 2005-01-31 리튬 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962194B2 (ko)
JP (1) JP4813767B2 (ko)
KR (1) KR101181148B1 (ko)
CN (1) CN1918668B (ko)
DE (1) DE112005000120B4 (ko)
TW (1) TW200529247A (ko)
WO (1) WO20050787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3552A (ko) * 2009-04-10 2015-04-22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고체 전해질 입자로 이루어지는 유리 및 리튬 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0589B2 (ja) * 2004-05-13 2011-10-26 三洋電機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用固体電解質含有電極
WO2007015409A1 (ja) * 2005-08-02 2007-02-08 Idemitsu Kosan Co., Ltd. 固体電解質シート
JPWO2007066539A1 (ja) * 2005-12-09 2009-05-14 出光興産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伝導性硫化物系固体電解質及びそれを用いた全固体リチウム電池
JP4996120B2 (ja) * 2006-03-31 2012-08-08 出光興産株式会社 固体電解質、その製造方法及び全固体二次電池
JP4834442B2 (ja) * 2006-03-31 2011-12-14 出光興産株式会社 固体電解質、その製造方法及び全固体二次電池
JP4392618B2 (ja) 2006-05-15 2010-01-0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固体電解質の形成方法
JP5414143B2 (ja) * 2006-06-21 2014-02-12 出光興産株式会社 硫化物系固体電解質の製造方法
JP5189304B2 (ja) * 2006-10-17 2013-04-24 出光興産株式会社 ガラスセラミ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4989181B2 (ja) * 2006-10-19 2012-08-01 出光興産株式会社 硫化リチウム系固体電解質
JP5848801B2 (ja) * 2006-10-19 2016-01-27 出光興産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伝導性固体電解質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103285A (ja) * 2006-10-20 2008-05-01 Idemitsu Kosan Co Ltd 全固体バイポーラ電池
JP5348853B2 (ja) * 2007-05-18 2013-11-20 出光興産株式会社 硫化物系電解質成形体及びそれを備える全固体電池
DE102007048289A1 (de) * 2007-10-08 2009-04-09 Universität Siegen Lithium-Argyrodite
EP2211415B1 (en) * 2007-10-11 2013-11-06 Idemitsu Kosan Co., Ltd. Method for producing lithium ion conductive solid electrolyte
JP5395346B2 (ja) * 2007-10-11 2014-01-22 出光興産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硫化物系固体電解質
JP2009266575A (ja) * 2008-04-24 2009-11-12 Idemitsu Kosan Co Ltd 硫化物系電解質の製造方法及びボールミル
US8349498B2 (en) * 2010-01-12 2013-01-08 Sisom Thin Films, Llc Method of forming solid state electrolyte having high lithium ion conduction and battery incorporating same
CN102017269B (zh) 2008-05-13 2015-09-30 国立大学法人东北大学 固体电解质、其制造方法以及具备固体电解质的二次电池
JP5536996B2 (ja) * 2008-07-29 2014-07-02 株式会社オハラ リチウムイオン伝導性ガラスセラミックスの製造方法
JP5577028B2 (ja) * 2008-10-09 2014-08-20 出光興産株式会社 硫化物系固体電解質の製造方法
JP4948510B2 (ja) 2008-12-02 2012-06-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全固体電池
JP5485716B2 (ja) * 2009-01-15 2014-05-07 出光興産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伝導性固体電解質の製造方法
JP5448038B2 (ja) 2009-02-27 2014-03-19 公立大学法人大阪府立大学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
US20120028128A1 (en) * 2009-03-18 2012-02-02 Santoku Corporation All-solid-state lithium battery
JP5158008B2 (ja) * 2009-04-28 2013-03-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全固体電池
JP5287739B2 (ja) 2009-05-01 2013-09-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固体電解質材料
JP5590836B2 (ja) * 2009-09-09 2014-09-17 公立大学法人大阪府立大学 硫化物固体電解質
JP5168269B2 (ja) * 2009-11-25 2013-03-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Liイオン伝導性材料およびリチウム電池
JP5552802B2 (ja) * 2009-12-04 2014-07-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およびリチウム電池
JP5141675B2 (ja) 2009-12-16 2013-02-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およびリチウム電池
EP2339674B1 (en) * 2009-12-23 2018-05-30 Robert Bosch GmbH Lithium-sulphu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JP5625351B2 (ja) * 2009-12-25 2014-11-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極層、固体電解質層および全固体二次電池
EP2555307B1 (en) * 2010-03-26 2016-07-20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Sulfide solid electrolyte material,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sulfide solid electrolyte material
JP5455766B2 (ja) 2010-04-23 2014-03-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複合正極活物質、全固体電池、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2013528912A (ja) 2010-06-07 2013-07-11 インフィニット パワー ソリュ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再充電可能高密度電気化学素子
US9160034B2 (en) * 2010-06-29 2015-10-1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Method for producing sulfide solid electrolyte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lithium solid state battery
JP5621849B2 (ja) * 2010-08-05 2014-11-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ガラス、リチウム固体電池および硫化物固体電解質ガラスの製造方法
JP5729940B2 (ja) * 2010-08-13 2015-06-03 出光興産株式会社 固体電解質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043654A (ja) * 2010-08-19 2012-03-01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リチウムイオン伝導性材料の製造方法
JP5349427B2 (ja) 2010-08-26 2013-11-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正極体およびリチウム固体電池
JP5521899B2 (ja) 2010-08-26 2014-06-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およびリチウム固体電池
KR20140003514A (ko) 2011-01-27 2014-01-09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알칼리 금속 황화물과 도전제의 복합 재료
US20140205885A1 (en) * 2011-05-19 2014-07-24 Hirotoshi Imai Sulfide-based solid cell module
US20140315098A1 (en) * 2011-06-20 2014-10-2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olid electrolyte microparticle production method
WO2012176267A1 (ja) * 2011-06-20 2012-12-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用電極層、固体電解質層および全固体二次電池
JP5443445B2 (ja) 2011-07-06 2014-03-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リチウム固体電池、および、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
JP5787291B2 (ja) * 2011-07-29 2015-09-30 国立大学法人東京工業大学 固体電解質およびリチウム電池
EP2759525B1 (en) * 2011-09-22 2017-07-26 Idemitsu Kosan Co., Ltd Glass particles
JP6234665B2 (ja) 2011-11-07 2017-11-22 出光興産株式会社 固体電解質
JP6203474B2 (ja) 2011-11-24 2017-09-27 出光興産株式会社 電極材料、電極及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電池
JP2013114966A (ja) * 2011-11-30 2013-06-10 Idemitsu Kosan Co Ltd 電解質シート
JP5888610B2 (ja) * 2011-12-22 2016-03-22 国立大学法人東京工業大学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電池および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
JP5888609B2 (ja) 2012-02-06 2016-03-22 国立大学法人東京工業大学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電池および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
KR101660609B1 (ko) * 2012-02-06 2016-09-27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 전지 및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재료의 제조 방법
JP6243103B2 (ja) 2012-06-29 2017-12-06 出光興産株式会社 正極合材
WO2014010172A1 (ja) 2012-07-10 2014-01-16 出光興産株式会社 硫化物系ガラスと硫化物系ガラスセラミックスの製造方法
US9673482B2 (en) 2012-11-06 2017-06-06 Idemitsu Kosan Co., Ltd. Solid electrolyte
KR102046768B1 (ko) 2012-12-27 2019-11-20 도요타 지도샤(주) 황화물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
JP6037444B2 (ja) * 2013-01-17 2016-12-07 国立大学法人東京工業大学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電池および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
JP5785574B2 (ja) * 2013-02-22 2015-09-30 出光興産株式会社 リチウム電池用固体電解質シート、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全固体二次電池
EP2983231A4 (en) 2013-04-02 2017-04-12 Idemitsu Kosan Co., Ltd. Composite material
JP6259617B2 (ja) * 2013-04-24 2018-01-10 出光興産株式会社 固体電解質の製造方法
KR20220129669A (ko) * 2013-05-15 2022-09-23 퀀텀스케이프 배터리, 인코포레이티드 배터리용 고상 캐소라이트 또는 전해질
JP2014234212A (ja) * 2013-06-03 2014-12-15 出光興産株式会社 硫化物系化合物保存用容器の製造方法
US9761861B1 (en) 2013-06-25 2017-09-12 Quantumscape Corporation Pulse plating of lithium material in electrochemical devices
JP6077403B2 (ja) 2013-06-28 2017-02-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
JP6003831B2 (ja) 2013-06-28 2016-10-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硫化物ガラス、リチウム固体電池、および、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
US9231275B2 (en) 2013-07-22 2016-01-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manufacturing sulfide-based solid electrolyte
US9466834B2 (en) 2013-08-23 2016-10-11 Ut-Battelle, Llc Lithium-conducting sulfur compound cathode for lithium-sulfur batteries
JP5741653B2 (ja) * 2013-09-02 2015-07-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の製造方法
JP2014013772A (ja) * 2013-09-11 2014-01-23 Idemitsu Kosan Co Ltd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硫化物系固体電解質
CN103515654B (zh) * 2013-09-13 2016-06-01 四川川为电子有限公司 一种聚合物固体电解质的制造方法
US9853323B2 (en) 2013-10-31 2017-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sitive electrode for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JP2014089971A (ja) * 2013-12-18 2014-05-15 Toyota Motor Corp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リチウム固体電池、および、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
JP2015137218A (ja) 2014-01-24 2015-07-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の製造方法
JP6310713B2 (ja) * 2014-02-03 2018-04-11 古河機械金属株式会社 固体電解質材料、リチウムイオン電池および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
JP6309344B2 (ja) * 2014-03-19 2018-04-11 出光興産株式会社 固体電解質及び電池
JP6186296B2 (ja) * 2014-03-20 2017-08-23 出光興産株式会社 結晶化硫化物系固体電解質の製造方法
JP6044587B2 (ja) * 2014-05-15 2016-12-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電池および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
JP6044588B2 (ja) * 2014-05-15 2016-12-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電池および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
US9859560B2 (en) 2014-06-04 2018-01-02 Quantumscape Corporation Electrode materials with mixed particle sizes
JP6288716B2 (ja) 2014-06-25 2018-03-07 国立大学法人東京工業大学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
US11984553B2 (en) 2014-12-02 2024-05-14 Polyplus Battery Company Lithium ion conducting sulfide glass fabrication
US10164289B2 (en) 2014-12-02 2018-12-25 Polyplus Battery Company Vitreous solid electrolyte sheets of Li ion conducting sulfur-based glass and associated structures, cells and methods
US10147968B2 (en) 2014-12-02 2018-12-04 Polyplus Battery Company Standalone sulfide based lithium ion-conducting glass solid electrolyte and associated structures, cells and methods
US11749834B2 (en) 2014-12-02 2023-09-05 Polyplus Battery Company Methods of making lithium ion conducting sulfide glass
JP6761928B2 (ja) * 2014-12-05 2020-09-30 国立大学法人豊橋技術科学大学 固体電解質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固体電解質ガラス用前駆体、サスペンジョン、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電極並びにリチウムイオン電池
KR101646416B1 (ko) 2014-12-18 2016-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붕산염이 첨가된 전고체 이차전지용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55583B1 (ko) 2014-12-22 2022-01-25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이온 전도체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16126610A1 (en) 2015-02-03 2016-08-11 Quantumscape Corporation Metal sulfide anolytes for electrochemical cells
CN104752759B (zh) * 2015-04-23 2017-02-01 中南大学 结晶态Li‑Sn‑S系无机锂离子固体电解质的制备方法
US10411296B2 (en) 2015-05-07 2019-09-10 Kabushiki Kaisha Toyota Jidoshokki Structural body containing garnet-type ionic conductor
EP3979382A1 (en) 2015-06-24 2022-04-06 QuantumScape Battery, Inc. Electrochemical cell with a composite electrolyte
JP6877084B2 (ja) * 2015-07-31 2021-05-26 国立大学法人東京工業大学 α−リチウム固体電解質
JP2016006798A (ja) * 2015-10-07 2016-01-14 出光興産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硫化物系固体電解質
KR20180090293A (ko) 2015-12-04 2018-08-10 콴텀스케이프 코포레이션 리튬, 인, 황 및 요오드를 포함하는 전해질 및 음극액 조성물, 전기화학적 장치를 위한 전해질 막, 및 이들 전해질 및 음극액을 제조하는 어닐링 방법(annealing method).
CN105609870A (zh) * 2015-12-23 2016-05-25 山东玉皇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非晶态硫化物固体电解质的制备方法
JP6719202B2 (ja) * 2015-12-24 2020-07-08 出光興産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硫化物ガラス、電極合材及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
US11245131B2 (en) 2015-12-25 2022-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olid electrolyte and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1930992B1 (ko) * 2016-02-15 2018-12-1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리튬 이차전지
WO2017159665A1 (ja) 2016-03-14 2017-09-21 出光興産株式会社 ハロゲン化アルカリ金属の製造方法、及び硫化物系固体電解質の製造方法
WO2017159667A1 (ja) 2016-03-14 2017-09-21 出光興産株式会社 固体電解質及び固体電解質の製造方法
US10707536B2 (en) 2016-05-10 2020-07-07 Polyplus Battery Company Solid-state laminate electrode assemblies and methods of making
JP6257698B2 (ja) * 2016-05-23 2018-01-10 出光興産株式会社 極材層と電解質層を有する積層体の製造方法
EP3504749A4 (en) 2016-08-29 2020-05-06 QuantumScape Corporation SOLID STATE RECHARGEABLE BATTERY CATHOLYTES, BATTERY ARCHITECTURES SUITABLE FOR USE WITH SUCH CATHOLYT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WO2018075972A1 (en) 2016-10-21 2018-04-26 Quantumscape Corporation Electrolyte separators including lithium borohydride and composite electrolyte separators of lithium-stuffed garnet and lithium borohydride
JP7105449B2 (ja) 2016-10-31 2022-07-25 国立研究開発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イオン性固体
JP6686860B2 (ja) * 2016-12-09 2020-04-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の製造方法
WO2018165606A1 (en) 2017-03-10 2018-09-13 Quantumscape Corporation Metal negative electrode ultrasonic charging
JP6763808B2 (ja) 2017-03-14 2020-09-30 出光興産株式会社 固体電解質の製造方法
US10868293B2 (en) 2017-07-07 2020-12-15 Polyplus Battery Company Treating sulfide glass surfaces and making solid state laminate electrode assemblies
US10629950B2 (en) 2017-07-07 2020-04-21 Polyplus Battery Company Encapsulated sulfide glass solid electrolytes and solid-state laminate electrode assemblies
KR20190050034A (ko) * 2017-11-02 2019-05-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Li2S-P2S5-B2S3 글래스 세라믹 및 이를 고체 전해질로 함유하는 전고체 이차전지
US10811726B2 (en) 2017-11-14 2020-10-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olid electrolyte for all-solid lithium secondary battery, all-solid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olid electrolyte
CN111656574A (zh) 2018-02-02 2020-09-11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固体电池用正极电极、固体电池及固体电池的制造方法
JP6595031B2 (ja) * 2018-03-19 2019-10-23 古河機械金属株式会社 固体電解質材料、リチウムイオン電池および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
US11127974B2 (en) 2018-05-14 2021-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reparing sulfide-based solid electrolyte, sulfide-based solid electrolyte prepared therefrom, and soli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ulfide electrolyte
US11664530B2 (en) 2018-07-17 2023-05-30 Idemitsu Kosan Co., Ltd. Production method for solid electrolyte
JP7221114B2 (ja) * 2019-03-29 2023-02-13 古河機械金属株式会社 無機材料の製造方法
CN116812887A (zh) * 2019-03-29 2023-09-29 古河机械金属株式会社 硫化物系无机固体电解质材料的制造方法
US11799126B2 (en) 2019-05-31 2023-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reparing solid electrolyte and all-solid battery including solid electrolyte prepared by the method
JP2022547101A (ja) * 2019-09-06 2022-11-10 ローディア オペレーションズ Li-p-s製品の新規な製造方法及び対応する製品
EP4029827B1 (en) * 2019-09-11 2024-02-28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Sulfide solid electrolyte
US20220109183A1 (en) * 2019-09-11 2022-04-07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Sulfide solid electrolyte
JP7266111B2 (ja) * 2019-10-02 2023-04-27 古河機械金属株式会社 無機材料を製造する装置及び無機材料を製造する方法
US11631889B2 (en) 2020-01-15 2023-04-18 Polyplus Battery Company Methods and materials for protection of sulfide glass solid electrolytes
CN116444162A (zh) * 2020-08-21 2023-07-18 Agc株式会社 化学强化玻璃和微晶玻璃以及它们的制造方法
CN113363568B (zh) * 2021-06-29 2022-04-19 深圳高能时代科技有限公司 一种制备硫化物固态电解质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8866B2 (ja) * 1994-06-03 2004-05-24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硫化リチウムの製造方法
KR100410790B1 (ko) * 1995-03-06 2004-05-03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비수(非水)전해액2차전지용음극재료,그제조방법및그것을이용한비수전해액2차전지
JP4028920B2 (ja) 1997-11-06 2008-01-09 日本無機化学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伝導性固体電解質の合成方法
JP3433173B2 (ja) * 2000-10-02 2003-08-04 大阪府 硫化物系結晶化ガラス、固体型電解質及び全固体二次電池
JP4174816B2 (ja) * 2001-02-28 2008-11-0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無機固体電解質およびリチウム電池部材
JP2003208919A (ja) 2002-01-15 2003-07-25 Idemitsu Petrochem Co Ltd リチウムイオン伝導性硫化物ガラス及びガラスセラミックスの製造方法並びに該ガラスセラミックスを用いた全固体型電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3552A (ko) * 2009-04-10 2015-04-22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고체 전해질 입자로 이루어지는 유리 및 리튬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18668A (zh) 2007-02-21
KR101181148B1 (ko) 2012-09-17
DE112005000120T5 (de) 2007-01-18
JP2005228570A (ja) 2005-08-25
CN1918668B (zh) 2010-12-08
TWI370461B (ko) 2012-08-11
WO2005078740A1 (ja) 2005-08-25
DE112005000120B4 (de) 2016-09-15
US20070160911A1 (en) 2007-07-12
US8962194B2 (en) 2015-02-24
TW200529247A (en) 2005-09-01
JP4813767B2 (ja) 201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1148B1 (ko) 리튬 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 및 그의 제조방법
JP5311169B2 (ja) リチウムイオン伝導性固体電解質、その製造方法及び該固体電解質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用固体電解質並びに該二次電池用固体電解質を用いた全固体リチウム電池
JP4996120B2 (ja) 固体電解質、その製造方法及び全固体二次電池
JP4873479B2 (ja) 高性能全固体リチウム電池
JP4834442B2 (ja) 固体電解質、その製造方法及び全固体二次電池
JP5414143B2 (ja) 硫化物系固体電解質の製造方法
US10280109B2 (en) Sulfide glass and crystalline solid electrolyte production method, crystalline solid electrolyte, sulfide glass and solid-state battery
JP5590836B2 (ja) 硫化物固体電解質
JP5189304B2 (ja) ガラスセラミ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030889A (ja) リチウムイオン伝導性硫化物ガラスの製造方法、リチウムイオン伝導性硫化物ガラスセラミックスの製造方法及び硫化物ガラス製造用のメカニカルミリング処理装置
JP5495472B2 (ja) 硫化リチウム粉体および無機固体電解質
JP2014102987A (ja) 硫化物固体電解質の製造方法
JP5270825B2 (ja) ガラス組成物及びガラスセラミックの製造方法
US20240030485A1 (en) Sulfide solid electrolyte material, gas-phase synthesis method for materials thereof and application thereof
CN100583543C (zh) 锂离子传导性固体电解质、其制造方法及使用了该固体电解质的锂二次电池用固体电解质以及使用了该二次电池用固体电解质的全固体锂电池
KR20240044399A (ko) 리튬 이차전지 고체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71194A (ko) 황화물 고체 전해질 및 이의 전구체 ii
JP2016027554A (ja) 固体電解質
CN111710902B (zh) 玻璃-陶瓷型硫化物电解质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180352B1 (ko) 황화물계 글래스 세라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고체전해질로 함유하는 전고체 이차전지
KR20230120192A (ko) 황화물 고체 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4091664A (ja) 固体電解質ガラス粒子及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
KR20070017190A (ko) 고성능 전고체 리튬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