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3127A - Ad 변환 방법, ad 변환 장치, 물리량 분포를 검지하는반도체 장치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Ad 변환 방법, ad 변환 장치, 물리량 분포를 검지하는반도체 장치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3127A
KR20060043127A KR1020050014886A KR20050014886A KR20060043127A KR 20060043127 A KR20060043127 A KR 20060043127A KR 1020050014886 A KR1020050014886 A KR 1020050014886A KR 20050014886 A KR20050014886 A KR 20050014886A KR 20060043127 A KR20060043127 A KR 20060043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component
count
cou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7523B1 (ko
Inventor
요시노리 무라마쯔
노리유끼 후꾸시마
요시까즈 니따
유끼히로 야스이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3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1Charge-coupled device [CCD] sensors; Charge-transfer registers specially adapted for CCD sensors
    • H04N25/75Circuitry for providing, modifying or processing image signals from the pixel arra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0Calibration or testing
    • H03M1/1009Calibration
    • H03M1/1014Calibration at one point of the transfer characteristic, i.e. by adjusting a single reference value, e.g. bias or gain error
    • H03M1/1019Calibration at one point of the transfer characteristic, i.e. by adjusting a single reference value, e.g. bias or gain error by storing a corrected or correction value in a digital look-up t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60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 H04N25/616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involving a correlated sampling function, e.g. correlated double sampling [CDS] or triple sam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60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 H04N25/65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applied to reset noise, e.g. KTC noise related to CMOS structures by techniques other than C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6Addressed sensors, e.g. MOS or CMOS sensors
    • H04N25/78Readout circuits for addressed sensors, e.g. output amplifiers or A/D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03M1/1205Multiplexed conversion systems
    • H03M1/123Simultaneous, i.e. using one converter per channel but with common control or reference circuits for multiple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03M1/50Analogue/digital converter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to time interval
    • H03M1/56Input signal compared with linear r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Analogue/Digital Conver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압 비교부와 카운터부를 가지며 수직 신호선마다 설치되는 컬럼 AD 변환 회로에 관한 것이다. 전압 비교부는 행 제어선마다 수직 신호선을 경유하여 입력되는 화소 신호와 참조 전압 RAMP를 비교하여, 리세트 성분이나 신호 성분의 각 크기에 대응한 시간축 방향으로 크기를 갖는 펄스 신호를 생성한다. 카운터부는 전압 비교부의 비교 완료까지 펄스 신호의 폭을 클럭으로 카운트하고, 비교 완료 시점의 카운트값을 유지한다. 통신 및 타이밍 제어부는 제1 단계로 전압 비교부에서 리세트 성분을 비교 처리하여 카운터부가 다운 카운트하는 한편, 제2 단계로 전압 비교부로 신호 성분을 비교 처리하여 카운터부가 업 카운트하도록 제어한다.
고체 촬상 장치, 디지털 데이터, 카운터부

Description

AD 변환 방법, AD 변환 장치, 물리량 분포를 검지하는 반도체 장치 및 전자 기기{METHOD AND APPARATUS FOR AD CONVERSION, SEMICONDUCTOR DEVICE FOR DETECTING DISTRIBUTION OF PHYSICAL QUANTITY, AND ELECTRONIC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CMOS 고체 촬상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의 고체 촬상 장치의 컬럼 AD 회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CMOS 고체 촬상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제2 실시 형태의 고체 촬상 장치의 컬럼 AD 회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
도 5는 카운터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회로 블록도.
도 6은 AD 변환 장치를 화소부와 동일한 반도체 기판에 탑재한 종래예의 CMOS 고체 촬상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종래예의 고체 촬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체 촬상 장치 3 : 단위 화소
7 : 구동부 10 : 화소부
12 : 수평 주사 회로 14 : 수직 주사 회로
15 : 행 제어선 18 : 수평 신호선
19 : 수직 신호선 20 : 통신 및 타이밍 제어부
21 : 타이밍 제어부 23 : 클럭 변환부
24 : 카운터부 25 : 컬럼 AD 회로
26 : 컬럼 처리부 27 : 참조 신호 생성부
27a : DA 변환 회로 28 : 출력 회로
본 발명은, AD(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방법 및 AD 변환 장치 및 복수의 단위 구성 요소가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물리량 분포 검지의 반도체 장치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광이나 방사선 등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자파에 대하여 감응성을 하는 복수의 단위 구성 요소가 배열되어 이루어지고, 단위 구성 요소에 의해서 전기 신호로 변환된 물리량 분포를, 어드레스 제어에 의해 임의 선택하여 전기 신호로서 판독 가능한, 예를 들면 고체 촬상 장치 등의, 물리량 분포 검지의 반도체 장치나 그 외의 전자 기기에 이용하기에 적합한, 아날로그로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광이나 방사선 등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자파에 대하여 감응성을 하는 단위 구성 요소(예를 들면 화소)를 라인 형상 혹은 매트릭스 형태로 복수개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물리량 분포 검지 반도체 장치가 여러가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영상 기기의 분야에서는, 물리량 중 광(전자파의 일례)을 검지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형 혹은 MOS(Metal Oxide Semiconductor)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형의 고체 촬상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단위 구성 요소(고체 촬상 장치에서의 화소)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된 후, 상기 장치들은 상기 물리량의 분포를 판독한다.
또한, 고체 촬상 장치 중에는, 전하 생성부에서 생성된 신호 전하에 따른 화소 신호를 생성하는 화소 신호 생성부에 증폭용 구동 트랜지스터를 갖는 증폭형 고체 촬상 소자(APS; Active Pixel Sensor 또는 게인 셀이라고도 함) 구성의 화소를 구비한 증폭형 고체 촬상 장치가 있다. 상기 APS는 전하 생성부에서 생성된 신호 전하에 따른 화소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대다수의 CMOS형 고체 촬상 장치가 그와 같은 구성을 하고 있다.
이러한 증폭형 고체 촬상 장치에서 화소 신호를 외부에 판독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단위 화소가 배열되어 있는 화소부에 대하여 어드레스 제어를 하여, 개개의 단위 화소로부터의 신호를 임의로 선택하여 판독하도록 하고 있다. 즉, 증폭형 고체 촬상 장치는, 어드레스 제어형의 고체 촬상 장치의 일례이다.
예를 들면, 단위 화소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X-Y 어드레스형 고체 촬상 소자의 일종인 증폭형 고체 촬상 소자는, 화소 그 자체에 증폭 기능을 갖게 하기 위해서, MOS 구조 등의 능동 소자(MOS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화소를 구성하고 있다. 즉, 광전 변환 소자인 포토다이오드에 축적된 신호 전하(광전자)를 상기 능동 소자로 증폭하여, 화상 정보로서 판독한다.
이 종류의 X-Y 어드레스형 고체 촬상 소자에서는, 예를 들면 화소 트랜지스터가 2차원 행렬 형상으로 다수 배열되어 화소부가 구성된다. 신호 전하의 축적은 라인(행)마다의 화소 혹은 개별적인 화소에서 개시된다. 그 축적된 신호 전하에 기초하는 전류 또는 전압의 신호가 어드레스 지정에 의해서 각 화소로부터 순서대로 판독된다. 여기서, MOS(CMOS를 포함함)형에서는, 어드레스 제어의 일례로서, 1 행분을 동시에 액세스하여 행 단위로 화소 신호를 화소부로부터 판독하는 방식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화소부로부터 판독된 아날로그의 화소 신호는, 필요에 따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장치(AD 변환 장치; Analog Digital Converter)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여기서, 화소 신호는, 리세트 성분에 신호 성분이 가해진 형태로 출력되므로, 리세트 성분에 따른 신호 전압과 신호 성분에 따른 신호 전압과의 차를 취함으로써, 진짜 유효한 신호 성분을 추출할 필요가 있다.
아날로그의 화소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최종적으로는, 리세트 성분에 따른 신호 전압과 신호 성분에 따른 신호 전압과의 차신호 성분을 디지털 데이터로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하기의 특허 또는 비특허 문헌에 따른 여러 가지의 AD 변환의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 11-331883호 공보
비특허 문헌 1 : W.Yang et.al., "An Integrated 800x600 CMOS ImageSystem," ISSCC Digest of Technical Papers, pp.304-305, Feb., 1999
비특허 문헌 2 : 요네모또 카즈야 저, "CCD/CMOS 이미지 센서의 기초와 응용", CQ 출판사, 2003년 8월 10일 초판 p201∼203
비특허 문헌 3 : 이마무라 토시후미, 야마모토 미꼬, "3.고속·기능 CMOS 이미지 센서의 연구", [online], [평성 16년 3월 15일 검색], 인터넷<URL: http://www.sankaken.gr.jp/project/iwataPJ/report/h12/h12index.html>
비특허 문헌 4 : 이마무라 토시후미, 야마모토 미꼬, 하세가와 나오야, "3.고속·기능 CMOS 이미지 센서의 연구", [online], [평성 16년 3월 15일 검색], 인터넷<URL:http://www.sankaken.gr.jp/project/iwataPJ/report/h14/h14index.html>
비특허 문헌 5 : Oh-Bong Kwon et.al., "A Novel Double Slope Analog-to-Digital Converter for a High-Quality 640x480 CMOS Imaging System", VL3-03 1999 IEEE p335∼338
그러나, 종래의 AD 변환의 구조는, 회로 규모나 회로 면적이나 소비 전력, 혹은 다른 기능부 사이의 인터페이스용 배선의 수나, 이 배선에 의한 노이즈나 소비 전류 등의 면에서 어려움이 있다.
도 6은, AD 변환 장치를 화소부와 동일한 반도체 기판에 탑재한 종래예의 CMOS 고체 촬상 장치(CMOS 이미지 센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고체 촬상 장치(1)는 복수의 단위 화소(3)가 행 및 열로 배열된 화소부(촬상부)(10)와, 화소부(10)의 외측에 설치된 구동부(7)와, 카운터부(CNT)(24)와, 수직 열마다 배치된 컬럼 AD 회로(25)를 갖는 컬럼 처리부(26)와, 컬럼 처리부(26)의 컬럼 AD 회로(25)에 AD 변환용 참조 전압을 공급하는 DAC(Digital Analog Converter)를 갖고 구성된 참조 신호 생성부(27)와, 감산 회로(29)를 갖고 구성된 출력 회로(28)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부(7)는, 열 어드레스나 열 주사를 제어하는 수평 주사 회로(열 주사 회로)(12)와, 행 어드레스나 행 주사를 제어하는 수직 주사 회로(행 주사 회로)(14)와, 단자(5a)를 통하여 마스터 클럭 CLK0을 수취하고, 여러가지의 내부 클럭을 생성하여 수평 주사 회로(12)나 수직 주사 회로(14) 등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부(21)를 구비하고 있다.
각 단위 화소(3)는, 수직 주사 회로(14)로 제어되는 행 제어선(15)이나 화소 신호를 컬럼 처리부(26)에 전달하는 수직 신호선(19)과 접속되어 있다.
컬럼 AD 회로(25)는 전압 비교부(255) 및 데이터 기억부(255)를 포함한다. 전압 비교부(252)는 참조 신호 생성부(27)에서 생성되는 참조 전압 RAMP와 행 제어선(15)(H0, H1, …)마다 단위 화소(3)로부터 수직 신호선(19)(V0, V1, …)을 경유하여 얻을 수 있는 아날로그의 화소 신호를 비교한다. 데이터 기억부(255)는 전압 비교부(252)가 비교 처리를 완료하기까지의 시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터부(24)의 카운트 결과를 저장하는 기억 장치로서의 래치(플립플롭)를 포함한다. 컬럼 AD 회로(25)는 n 비트의 AD 변환 기능을 갖는다. 데이터 기억부(255)는 내부에 독립한 기억 영역으로서의, 각각 n 비트의 래치 1과 래치 2를 갖고 있다.
전압 비교부(252)의 한쪽의 입력 단자 RAMP는, 다른 전압 비교부(252)의 입 력 단자 RAMP와 공통으로, 참조 신호 생성부(27)에서 생성되는 계단 형상의 참조 전압 RAMP가 입력되고, 다른 쪽의 입력 단자에는, 각각 대응하는 수직 열의 수직 신호선(19)이 접속되어, 화소부(10)로부터의 화소 신호 전압이 개개로 입력된다. 전압 비교부(252)의 출력 신호는 데이터 기억부(255)에 공급된다.
카운터부(24)는 마스터 클럭 CLK0에 대응한 카운트 클럭 CK0(예를 들면 쌍방의 클럭 주파수가 동일함)에 기초하여 카운트 처리를 행한다. 그런 다음 카운터부(24)는 카운트 출력 CK1, CK2, …, CKn을 카운트 클럭 CK0과 함께, 컬럼 처리부(26)의 각 컬럼 AD 회로(25)에 공통으로 공급한다.
즉, 수직 열마다 배치되는 데이터 기억부(255)의 각 래치에 대하여 카운터부(24)로부터의 각 카운트 출력 CK1, CK2, …, CKn의 배선을 주회함으로써, 각 수직 열의 컬럼 AD 회로(25)가 하나의 카운터부(24)를 공통으로 사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컬럼 AD 회로(25)는 상기 하나의 카운터부(24)에 따라 공통으로 동작한다.
개개의 컬럼 AD 회로(25)의 출력측은, 수평 신호선(18)에 접속되어 있다. 수평 신호선(18)은, 2n 비트 폭분의 신호선을 갖고, 도시하지 않은 각각의 출력선에 대응한 2n개의 센스 회로를 경유하여 출력 회로(28)의 감산 회로(29)에 접속된다. 출력 회로(28)로부터 출력된 영상 데이터 D1은, 출력 단자(5c)로부터 고체 촬상 장치(1)의 외부에 출력된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종래예의 고체 촬상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이다.
예를 들면, 1회째의 판독을 위해, 우선 카운터부(254)의 카운트값을 초기값 "0"에 리세트해둔다. 그리고, 임의의 행 Hx의 단위 화소(3)로부터 수직 신호선(19)(V0, V1, …)에의 1회째의 판독이 안정된 후, 참조 신호 생성부(27)에 의해 대강 톱니(램프; RAMP) 형상으로 되도록 계단 형상으로 시간 변화시킨 참조 전압 RAMP를 입력하여, 임의의 수직 신호선(19)(열 번호 Vx)의 화소 신호 전압과의 비교를 전압 비교부(252)에서 행한다.
이 때, 전압 비교부(252)의 한쪽의 입력 단자 RAMP에의 참조 전압 RAMP의 입력과 동시에, 전압 비교부(252)에서의 비교 시간을 카운터부(24)를 이용하여 계측하기 위해, 참조 신호 생성부(27)로부터 발생하는 램프 파형 전압에 동기하여(t10), 카운터부(24)는, 1회째의 카운트 동작으로서, 초기값 "0"으로부터 다운 카운트를 개시한다.
전압 비교부(252)는, 참조 신호 생성부(27)로부터의 램프 형상의 참조 전압 RAMP와 수직 신호선(19)을 통하여 입력되는 화소 신호 전압 Vx를 비교하여, 쌍방의 전압이 동일하게 되었을 때에 비교기 출력을 H 레벨로부터 L 레벨로 반전시킨다(t12).
이 결과를 받아, 데이터 기억부(255)는, 비교기 출력의 반전과 거의 동시에, 비교 기간에 따른 카운터부(24)로부터의 카운트 출력 CK1, CK2, …, CKn을 카운트 클럭 CK0에 동기하여 데이터 기억부(255)의 래치(1)에 래치(유지·기억)함으로써, 1회째의 AD 변환을 완료한다(t12).
타이밍 제어부(21)는, 소정의 다운 카운트 기간을 경과하면(t14), 전압 비교 부(252)에의 제어 데이터의 공급과, 카운터부(254)에의 카운트 클럭 CK0의 공급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전압 비교부(252)는, 램프 형상의 참조 전압 RAMP의 생성을 정지한다.
이 1회째의 판독 시에는, 단위 화소(3)의 리세트 성분 ΔV를 판독하고 있고, 리세트 성분 ΔV 내에는, 단위 화소(3)마다 변동되는 잡음이 오프셋으로서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이 리세트 성분 ΔV의 변동은 일반적으로 작고, 또한 리세트 레벨은 전체 화소 공통이기 때문에, 임의의 수직 신호선(19)(Vx)의 출력은 대략 이미 알려져 있다.
따라서, 1회째의 리세트 성분 ΔV의 판독 시에는, 참조 전압 RAMP를 조정함으로써 비교 기간을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종래예에서는, 7 비트분의 카운트 기간(128 클럭)에서 리세트 성분 ΔV의 비교를 행하고 있다.
2회째의 판독은, 리세트 성분 ΔV 외에 추가로, 단위 화소(3)마다의 입사광량에 따른 신호 성분 Vsig를 판독하여, 1회째의 판독과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한다.
즉, 2회째의 판독을 위해, 우선 카운터부(254)의 카운트값을 초기값 "0"에 리세트해둔다. 그리고, 임의의 행 Hx의 단위 화소(3)로부터 수직 신호선(19)(V0, V1, …)에의 2회째의 판독이 안정된 후, 참조 신호 생성부(27)에 의해 대강 램프 형상으로 되도록 계단 형상으로 시간 변화시킨 참조 전압 RAMP를 입력하여, 임의의 수직 신호선(19)(열 번호 Vx)의 화소 신호 전압과의 비교를 전압 비교부(252)에 의해 행한다.
이 때, 전압 비교부(252)의 한쪽의 입력 단자 RAMP에의 참조 전압 RAMP의 입 력과 동시에, 전압 비교부(252)에서의 비교 시간을 카운터부(24)를 이용하여 계측하기 위해, 참조 신호 생성부(27)로부터 발생하는 램프 파형 전압에 동기하여(t20), 카운터부(24)는 2회째의 카운트 동작으로서, 초기값 "0"으로부터 다운 카운트를 개시한다.
전압 비교부(252)는, 참조 신호 생성부(27)로부터의 램프 형상의 참조 전압 RAMP와 수직 신호선(19)을 통하여 입력되는 화소 신호 전압 Vx를 비교하여, 쌍방의 전압이 동일하게 되었을 때에, 비교기 출력을 H 레벨로부터 L 레벨로 반전시킨다(t22).
이 결과를 받아, 데이터 기억부(255)는, 비교기 출력의 반전과 거의 동시에, 비교 기간에 따른 카운터부(24)로부터의 카운트 출력 CK1, CK2, …, CKn을 카운트 클럭 CK0에 동기하여 데이터 기억부(255)에 래치(유지·기억)함으로써, 2회째의 AD 변환을 완료한다(t22).
이 때, 데이터 기억부(255)는, 1회째의 카운트값과 2회째의 카운트값을, 해당 데이터 기억부(255) 내의 서로 다른 장소, 구체적으로는 래치 2에 유지한다. 2회째의 판독 시에는, 단위 화소(3)의 리세트 성분 ΔV와 신호 성분 Vsig와의 합성분을 판독하고 있다.
타이밍 제어부(21)는, 소정의 다운 카운트 기간을 경과하면(t24), 전압 비교부(252)에의 제어 데이터의 공급과, 카운터부(254)에의 카운트 클럭 CK0의 공급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전압 비교부(252)는, 램프 형상의 참조 전압 RAMP의 생성을 정지한다.
2회째의 카운트 처리가 완료된 후의 소정의 타이밍에서(t28), 타이밍 제어부(21)는 수평 주사 회로(12)에 대하여 화소 데이터의 판독을 지시한다. 이것을 받아, 수평 주사 회로(12)는, 제어선(12c)을 통하여 데이터 기억부(255)에 공급하는 수평 선택 신호 CH(i)를 순차적으로 시프트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데이터 기억부(255)에 기억·유지한 카운트값, 즉 n 비트의 디지털 데이터로 표시된 1회째와 2회째의 각각 n 비트의 화소 데이터가, 각각 n개(계 2n개)의 수평 신호선(18)을 통하여, 순차적으로, 컬럼 처리부(26) 밖으로 출력되어, 출력 회로(28)의 감산 회로(29)에 입력된다.
n 비트의 감산 회로(29)는, 단위 화소(3)의 리세트 성분 ΔV와 신호 성분 Vsig와의 합성분을 나타내는 2회째의 화소 데이터로부터 단위 화소(3)의 리세트 성분 ΔV를 나타내는 1회째의 화소 데이터를 대응하는 화소 위치마다 감산함으로써, 단위 화소(3)의 신호 성분 Vsig를 구한다.
이 후, 순차적으로 행마다 마찬가지의 동작이 반복되는 것으로, 출력 회로(28)에서, 2차원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신호가 얻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예에서는, 각 수직 열의 컬럼 AD 회로(25)가 하나의 카운터부(24)를 공통으로 사용하는 구성으로, 메모리 장치로서의 데이터 기억부(255) 내에 1회째와 2회째의 카운트 결과를 유지할 필요가 있어, n 비트의 신호에 대하여, n 비트의 래치가 2조(비트마다 2n개의 래치)가 필요하게 되어, 회로 면적이 증대한다(제1 문제라고 함).
또한, 동기용의 카운트 클럭 CK0뿐만 아니라, 수직 열마다 배치되는 데이터 기억부(255)의 각 래치에 대하여 카운터부(24)로부터의 각 카운트 출력 CK1, CK2, …, CKn의 배선할 필요가 있고, 이 배선의 주회를 위해, 잡음의 증가나 소비 전력의 증대도 걱정된다(제2 문제라고 함).
또한, 1회째의 카운트값과 2회째의 카운트값을, 데이터 기억부(255) 내의 서로 다른 장소에 유지시키기 위해서, 1회째와 2회째의 카운트 결과를 데이터 기억부(255)에 전달하기 위한 2n개의 신호선이 필요해지고, 그에 수반하는 전류 증가도 생긴다(제3 문제라고 함).
덧붙여, 외부 출력 이전에는, 출력 회로(28)에서 1회째와 2회째의 카운트값을 감산하기 위해, 각 회의 카운트값을 출력 회로(28)에 설치되어 있는 n 비트의 감산 회로(29)까지 유도하는 2n개의 신호선이 필요하게 되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잡음이나 소비 전력의 증가가 걱정된다(제4 문제라고 함).
즉, 1회째의 판독 결과를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와 2회째의 판독 결과를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를 카운터부는 별도로, 각각 준비(즉 2계통분 준비)해야만 하며, 또한 이들 메모리 장치에 카운터부로부터 n 비트분의 카운트값을 전달하는 신호선이 필요해지고, 또한 1회째와 2회째의 카운트값을 감산기까지 전송하기 위해 n 비트에 대하여 2n 비트분(즉 2배)의 신호선이 필요하게 되어, 회로 규모나 회로 면적을 증대시킴과 함께, 잡음의 증가나 소비 전류나 소비 전력의 증대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AD 변환 처리와 판독 처리를 병행하여 행하는 파이프 라인 동작을 행 하도록 구성하기 위해서는, AD 변환된 데이터를 보유하는 메모리 장치가 카운트 결과를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와는 별도로 필요하게 되지만, 제1 문제와 마찬가지로, 이를 위한 메모리 장치가 2계통분 필요해지기 때문에, 회로 면적이 증대한다(제5 문제라고 함).
상기 제1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수직 열에 대하여 공통으로 사용되는 카운터부와, 수직 열마다 CDS(Correlated Double Sampling; 상관 2중 샘플링) 처리 기능부와 카운터부의 카운트값을 저장하는 래치를 직렬로 배치함으로써 CDS 처리 기능과 AD 변환 기능을 실현하는 컬럼(Column) AD 변환 회로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2 참조).
또한, 상기 제2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컬럼 처리부(26) 내에, 수직 열마다 카운터부를 설치하여 AD 변환 기능을 실현하는 구조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3∼5, 특허 문헌 1 참조).
비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컬럼 AD 변환 회로는, 수직 신호선(수직 열)마다 병렬 처리하는 카운터부 및 래치를 이용한 AD 변환 회로에 의해, 리세트 성분과 신호 성분과의 차를 취함으로써 화소의 고정 패턴 노이즈를 억압하면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때문에, 감산 처리가 불필요하고 카운트 처리가 1회에 완료하고, 또한 AD 변환된 데이터를 보유하는 메모리 장치를 래치로 실현할 수 있어, 회로 면적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는, 즉 상기 제1, 제3, 제4, 제5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도 6에 도시한 구성과 같이, 카운터부를 모든 수직 열에 대하여 공통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수직 열마다 배치되는 데이터 기억부(255)의 각 래치에 대하여, 카운터부로부터의 각 카운트 출력 CK1, CK2, …, CKn의 n개의 배선이 필요하여, 상기 제2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또한 비특허 문헌 3, 4에 기재된 구조는, 광을 검출하는 복수의 픽셀로부터의 전류를 동시에 출력 버스 상에 출력함으로써, 출력 버스 상에서 전류에 의한 가감산을 행하고, 이 후 시간축 방향으로 크기를 갖는 펄스 폭 신호로 변환하고, 이 펄스 폭 신호의 펄스 폭의 클럭수를 열 병렬로 설치된 카운터 회로에서 카운트함으로써 AD 변환을 행함으로써, 카운트 출력의 배선이 불필요한, 즉 상기 제2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그러나, 리세트 성분과 신호 성분의 취급에 대해서는 기재가 없고, 상기 제1, 제3, 제4, 제5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고는 한정하지 않는다. 이 리세트 성분과 신호 성분의 취급에 대한 기재가 없는 것은, 비특허 문헌 1, 5도 마찬가지이다.
이에 대하여, 특허 문헌 1에는, 리세트 성분과 신호 성분의 취급에 대한 기재가 있다. 상관 2중 샘플링 등, 리세트 성분과 신호 성분으로부터 순수한 이미지만의 전압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해는, 리세트 성분의 디지털 데이터를 신호 성분의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감산하는 감산 처리를 수직 열마다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4 문제를 피할 수 있다.
그러나, 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구조에서는, 외부 시스템 인터페이스부에서 카운트 처리를 행하여 카운트 신호를 발생하고, 리세트 성분이나 신호 성분의 전압과 비교 처리의 참조 전압이 일치한 시점의 카운트값을 수직 열마다 설치된 1조의 버퍼에 각각 보존하도록 하고 있어, AD 변환 처리의 구조는 각 수직 열이 하 나의 카운터를 공통으로 사용하는 구성인 점에서, 비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상기 제1∼제3, 제5 문제를 피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제1∼제5 문제 중 적어도 1개를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AD 변환 방법은, 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을 포함하여 표시되는 아날로그의 처리 대상 신호에서의, 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과의 차신호 성분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법으로, 기준 성분 및 신호 성분의 각각에 따른 신호와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참조 신호를 비교하고, 이 비교 처리와 병행하여, 다운 카운트 모드 및 업 카운트 모드 중 어느 한쪽의 모드로 카운트 처리를 행하여, 비교 처리가 완료된 시점의 카운트값을 유지한다. 이 때, 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 중 어느 한쪽에 대하여 비교 처리를 행하고 있는지에 따라서 카운트 처리의 모드를 전환하는 것으로 했다.
여기서, 카운트 처리의 모드 전환 처리로서는, 우선, 1회째의 처리로서, 화소 등 동일 단위 요소로부터 출력되는 하나의 처리 대상 신호에서의 물리적 성질이 서로 다른 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 중 어느 한쪽에 따른 신호와,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참조 신호를 비교함과 함께, 이 비교 처리와 병행하여 다운 카운트 모드 및 업 카운트 모드 중 어느 한쪽의 모드로 카운트 처리를 행하여, 비교 처리가 완료된 시점의 카운트값을 유지한다.
이 후, 2회째의 처리로서, 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 중 다른 쪽과 참조 신호를 비교함과 함께, 이 비교 처리와 병행하여 다운 카운트 모드 및 업 카운트 모드 중 다른 쪽의 모드로 카운트 처리를 행하여, 이 비교 처리가 완료된 시점의 카운트값을 유지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2회째의 처리 후에 유지되는 카운트값은, 1회째의 카운트값과의 차로 된다. 즉, 카운트 모드를 전환한 2회의 카운트 처리를 행함으로써, 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의 차에 따른 디지털값이 2회째의 카운트 처리의 카운트값으로서 얻어진다.
또한, 2회째의 처리로 대상으로 하는 신호 성분이란, 적어도 처리 대상 신호에서의 진짜 신호 성분을 나타내는 것이면 되고, 진짜 신호 성분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실제로는 처리 대상 신호에 포함되는 잡음 성분이나 리세트 성분 등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은, 상대적인 것으로, 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과의 차신호 성분은, 결국, 화소 등 동일 단위 요소로부터 출력되는 하나의 처리 대상 신호에서의 물리적 성질이 서로 다른 2개의 신호 성분 간의 차의 성분이면 된다.
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에 대하여 비교 처리를 행할 때에는, 기준 성분이나 신호 성분에 따른 신호와 소정의 기울기로 변화하는 참조 신호를 비교하여, 기준 성분이나 신호 성분에 따른 신호와 참조 신호가 일치하는 점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의 기울기는, 항상 일정한 기울기인 형태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신호 성분이 커질수록 기울기가 커지도록 복수의 기울기를 단계적으로 설정함으로써, 다이내믹 범위를 확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카운트 처리를 행할 때는, 비교 처리에서 이용하는 참조 신호의 생성시점으로부터, 기준 성분이나 신호 성분에 따른 신호와 참조 신호가 일치한 시점까지를 카운트 클럭으로 카운트함으로써, 기준 성분이나 신호 성분의 각 크기에 대응한 카운트값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운 카운트 모드나 업 카운트 모드로 카운트 처리를 행할 때에는, 공통의 업다운 카운터를 이용하면서, 그 처리 모드를 전환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카운트 처리에 이용하는 카운터 회로를 컴팩트(compact)하게 할 수 있다. 덧붙여, 2개의 모드를 전환하여 카운트 처리함으로써, 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과의 감산 처리를 직접 할 수 있어, 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과의 차를 취하기 위한 특별한 감산기가 불필요해진다.
또한, 2회째의 처리에서의 카운트 처리는, 1회째의 처리에서 유지해둔 카운트값으로부터 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2회째의 처리 후에 유지되는 카운트값은, 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의 차 그 자체의 디지털값으로 된다.
여기서, 1회째의 처리로서, 기준 성분에 대하여 비교 처리와 카운트 처리를 행하고, 2회째의 처리로서, 신호 성분에 대하여 비교 처리와 카운트 처리를 행하도록 하면, 2회째의 처리 후에 유지되는 카운트값은, 신호 성분측으로부터 기준 성분측을 뺀 디지털값으로 된다.
덧붙여, 화소 등의 단위 구성 요소의 처리 대상 신호가, 시간 계열로서 기준 성분 후에 신호 성분이 나타나는 것인 경우, 2회째의 처리는 기준 성분에 신호 성분을 가한 신호에 대한 처리로 되어, 2회째의 처리 후에 유지되는 카운트값은, 단 위 구성 요소의 신호 성분을 나타내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 2 단계 중 하나에서는 상기 기준 성분에 대한 처리를 다운 카운트 모드로 행하고, 상기 제1 및 제 2 단계 중 나머지 하나에서는 신호 성분에 대한 처리를 업 카운트 모드로 행하도록 한다. 그렇게 하면, 상기 제2 단계 후에 유지되는 카운트값은 신호 성분측으로부터 기준 성분측을 뺀 디지털값이 플러스의 값으로서 얻어진다.
이들 2개를 조합하여, 1회째의 처리로서, 기준 성분에 대하여 비교 처리와 다운 카운트 처리를 행하고, 2회째의 처리로서, 신호 성분에 대하여 비교 처리와 업 카운트 처리를 행하도록 하면, 2회째의 처리 후에 유지되는 카운트값은, 신호 성분측으로부터 기준 성분측을 뺀 디지털값이 플러스의 값으로서 얻어진다. 단위 구성 요소의 처리 대상 신호가, 시간 계열로서 기준 성분 후에 신호 성분이 나타나는 것인 경우에는, 단위 구성 요소의 유효 신호 성분을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가 플러스의 값으로서 얻어진다.
또한, 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을 비교한 경우, 기준 성분은 대강 일정함과 동시에 그 신호량은 적다. 신호 성분은 화소 등의 단위 구성 요소에 의해 광 등의 전자파가 검지될 때 얻어지는 변동 성분이다. 따라서 상기 신호 성분의 최대량은 크게 된다. 바람직하게, 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의 양쪽의 비교 처리의 최장 기간 즉 AD 변환 기간의 최대값을 동일하게 하는 것은 아니고, 기준 성분에 대한 비교 처리의 최장 기간을 신호 성분에 대한 비교 처리의 최장 기간보다도 짧게 함으로써, 2회에 걸치는 AD 변환 기간을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회의 처리 대상 신호에 대하여, 2회째의 처리에서 유지한 카운트값을 또 다른 데이터 기억부에 유지해두고, 금회의 처리 대상 신호에 대하여, 1회째의 처리와 2회째의 처리를 행할 때에, 데이터 기억부로부터의 카운트값의 판독 처리를 병행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AD 변환 처리는, 입사된 전자파에 대응하는 전하를 생성하는 전하 생성부 및 전하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전하에 따른 단위 신호를 생성하는 단위 신호 생성부를 단위 구성 요소 내에 포함하고, 이 단위 구성 요소가 행렬 형상으로 배치된, 물리량 분포 검지를 위한 반도체 장치에서, 단위 신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어 열 방향으로 출력된 아날로그의 단위 신호를 처리 대상 신호로 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처리에 이용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단위 구성 요소를 2차원 행렬 형태로 배치하고 있는 경우, 단위 신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고 열 방향으로 출력되는 아날로그의 단위 신호를 행 단위로(열 병렬로) 액세스하여 받아들이는 (수직)스캔 판독을 행하고, 이 행 단위로, 단위 구성 요소의 각각에 대하여, 1회째의 처리와 2회째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단위 신호의 판독이나 AD 변환 처리의 고속화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AD 변환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AD 변환 방법을 실시하는 데 적합한 장치로서, 기준 성분 및 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처리 대상 아날로그 신호의 기준 성분 및 신호 성분 사이의 차신호 성분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변환 장치는 기준 성분 및 신호 성분의 각각에 대응하는 신호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참조 신호를 비교하는 비교부와, 비교부에서의 비교 처리와 병행하여, 다운 카운트 모드 및 업 카운트 모드 중 어느 한쪽의 모드로 카운트 처리를 행하여, 비교부에서의 비교 처리가 완료된 시점의 카운트값을 유지(저장)하는 카운터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참조 신호를 생성하여 비교부에 공급하는 참조 신호 생성부나, 비교부가 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 중 어느 것에 대하여 비교 처리를 행하고 있는지에 따라서 카운터부에서의 카운트 처리의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부도 구비하고 있으면 더 바람직하다.
카운터부는 업 카운트 모드와 다운 카운트 모드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도 있고, 다운 카운트 모드로 카운트 처리를 행하는 다운 카운터 회로와, 업 카운트 모드로 카운트 처리를 행하는 업 카운터 회로를 갖고 있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회로 구성에 따라서, 다운 카운터 회로가 유지한 카운트값과 업 카운터 회로가 유지한 카운트값과의 합을 취하는 가산 회로를 갖고 있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나 전자 기기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AD 변환 방법을 적용한 장치로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AD 변환 장치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에서는 비교부와 카운터부로 구성되는 AD 변환부를, 단위 구성 요소의 열의 배열 방향인 행 방향으로 복수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교부는, 단위 신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어 열 방향으로 출력되는 아날로그의 단위 신호를 행 단위로 받아들이고, 비교부 및 카운터부는, 행 단위로, 단위 구성 요소의 각각에 대하여, 각각이 담당하는 처리를 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위 신호 생성부는, 증폭용 반도체 소자를 갖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하 생성부를, 전자파로서의 광을 수광하여, 이 수광한 광에 대응하는 전하를 생성하는 광전 변환 소자를 갖고 있는 것으로 하면, 반도체 장치를 고체 촬상 장치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X-Y 어드레스형의 고체 촬상 장치의 일례인, CMOS 촬상 소자를 디바이스로서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CMOS 촬상 소자는, 모든 화소가 NMOS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단 이것은 일례로서, 대상으로 되는 디바이스는 MOS형의 촬상 디바이스에 한하지 않는다. 광이나 방사선 등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자파에 대하여 감응성을 하는 단위 구성 요소를 라인 형상 혹은 매트릭스 형태로 복수개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물리량 분포 검지용의 반도체 장치 모두에, 후술하는 모든 실시 형태가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1 실시 형태인 CMOS 고체 촬상 장치(CMOS 이미지 센서)(1)의 개략 구성도이다. 또한, 이 CMOS 고체 촬상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일 양태이기도 하다.
고체 촬상 장치(1)는, 입사광량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 소자(전하 생 성부의 일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화소가 행 및 열로 배열된(즉 2차원 매트릭스 형태의) 화소부를 갖고, 각 화소로부터의 신호 출력이 전압 신호이며, CDS(Correlated Double Sampling; 상관 2중 샘플링) 처리 기능부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ADC; Analog Digital Converter) 등이 열 병렬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열 병렬로 CDS 처리 기능부나 디지털 변환부가 설치되어 있다"란, 수직 열의 수직 신호선(19)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병렬로 복수의 CDS 처리 기능부나 디지털 변환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복수의 각 기능부는, 디바이스를 평면으로 보았을 때에, 모두 화소부(10)에 대하여 열 방향의 한쪽의 엣지측(도면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는 출력측)에만 배치되어 있는 형태의 것이어도 되고, 화소부(10)에 대하여 열 방향의 한쪽의 엣지측(도면의 하측에 배치되고 있는 출력측)과 그 반대측인 다른 쪽의 엣지측(도면의 상측)으로 나누어서 배치되어 있는 형태의 것이어도 된다. 후자의 경우, 행 방향의 판독 주사(수평 주사)를 행하는 수평 주사부도, 각 엣지측으로 나누어서 배치하여, 각각이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열 병렬로 CDS 처리 기능부나 디지털 변환부가 설치되어 있는 전형예에서는, 촬상부의 출력측에 설치한 컬럼 영역이라고 불리는 부분에, CDS 처리 기능부나 디지털 변환부를 수직 열마다 설치하여, 순차적으로 출력측에 판독하는 컬럼형의 것이다. 또한, 컬럼형에 한하지 않고, 인접하는 복수(예를 들면 2개분)의 수직 신호선(19)(수직 열)에 대하여 하나의 CDS 처리 기능부나 디지털 변환부를 할당하는 형태나, N개마다(N은 플러스의 정수; 사이에 N-1개를 배치함)의 N개분의 수직 신호선(19)(수직 열)에 대하여 하나의 CDS 처리 기능부나 디지털 변환부를 할당하는 형태 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컬럼형을 제외하는 것은, 어느 하나의 형태도, 복수의 수직 신호선(19)(수직 열)이 하나의 CDS 처리 기능부나 디지털 변환부를 공통으로 사용하는 구성으로 되기 때문에, 화소부(10)측으로부터 공급되는 복수 열분의 화소 신호를 하나의 CDS 처리 기능부나 디지털 변환부에 공급하는 전환 회로(스위치)를 설치한다. 또한, 후단의 처리에 의해서는, 출력 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설치하는 등의 대처가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수직 신호선(19)(수직 열)에 대하여 하나의 CDS 처리 기능부나 디지털 변환부를 할당하는 형태 등을 채용함으로써, 각 화소 신호의 신호 처리를 화소 열 단위로 판독한 후에 행함으로써, 마찬가지의 신호 처리를 각 단위 화소 내에서 행하는 것에 비하여, 각 단위 화소 내의 구성을 간소화하고, 이미지 센서의 다화소화, 소형화, 저비용화 등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열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신호 처리부에서 1 행분의 화소 신호를 동시 병행 처리할 수 있으므로, 출력 회로측이나 디바이스의 외부에서 하나의 CDS 처리 기능부나 디지털 변환부에서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신호 처리부를 저속으로 동작시킬 수 있어, 소비 전력이나 대역 성능이나 노이즈 등의 면에서 유리하다. 반대로 말하면, 소비 전력이나 대역 성능 등을 동일하게 하는 경우, 센서 전체의 고속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컬럼형의 구성인 경우, 저속으로 동작시킬 수 있어 소비 전력이나 대 역 성능이나 노이즈 등의 면에서 유리함과 함께 전환 회로(스위치)가 불필요한 이점도 있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는, 특별한 사항이 없는 한, 이 컬럼형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고체 촬상 장치(1)는, 복수의 단위 화소(3)가 행 및 열로 배열된 화소부(촬상부)(10)와, 화소부(10)의 외측에 설치된 구동부(7)와, 컬럼 처리부(26)와, 컬럼 처리부(26)에 AD 변환용의 참조 전압을 공급하는 참조 신호 생성부(27)와, 출력 회로(2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컬럼 처리부(26)의 전단 또는 후단에는, 필요에 따라 신호 증폭 기능을 갖는 AGC(Auto Gain Control) 회로 등을 컬럼 처리부(26)와 동일한 반도체 영역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컬럼 처리부(26)의 전단에서 AGC를 행하는 경우에는 아날로그 증폭, 컬럼 처리부(26)의 후단에서 AGC를 행하는 경우에는 디지털 증폭으로 된다. n 비트의 디지털 데이터를 단순하게 증폭하면, 계조가 손상되게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아날로그에서 증폭한 후에 디지털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구동부(7)는, 화소부(10)의 신호를 순차적으로 판독하기 위한 제어 회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구동부(7)에서는, 열 어드레스나 열 주사를 제어하는 수평 주사 회로(열 주사 회로)(12)와, 행 어드레스나 행 주사를 제어하는 수직 주사 회로(행 주사 회로)(14)와, 내부 클럭을 생성하는 등의 기능을 갖는 통신 및 타이밍 제어부(2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 중, 통신 및 타이밍 제어부(20)의 근방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속 클럭 생성부의 일례로서, 입력된 클럭 주파수보다도 고속의 클럭 주파수의 펄스를 생성하는 클럭 변환부(23)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통신 및 타이밍 제어부(20)는, 단자(5a)를 통하여 입력되는 입력 로크(마스터 클럭) CLK0이나 클럭 변환부(23)에서 생성된 고속 클럭에 기초하여 내부 클럭을 생성한다.
클럭 변환부(23)에서 생성된 고속 클럭을 근원으로 하는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AD 변환 처리 등을 고속으로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속 클럭을 이용하여, 고속의 계산을 필요로 하는 움직임 추출이나 압축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컬럼 처리부(26)로부터 출력되는 병렬 데이터를 시리얼 데이터화하여 디바이스 외부에 영상 데이터 D1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AD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의 비트분보다도 적은 단자로 고속 동작 출력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클럭 변환부(23)는, 입력된 클럭 주파수보다도 고속의 클럭 주파수의 펄스를 생성하는 체배 회로를 내장하고 있다. 이 클럭 변환부(23)는, 통신 및 타이밍 제어부(20)로부터 저속 클럭 CLK2를 수취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하여 2배 이상 높은 주파수의 클럭을 생성한다. 클럭 변환부(23)의 체배 회로로서는, k1을 저속 클럭 CLK2의 주파수의 배수로 했을 때 k1 체배 회로를 설치하면 되고, 주지의 여러가지 회로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행 및 열의 일부를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각 행이나 각 열에는, 수십으로부터 수천의 단위 화소(3)가 배치된다. 이 단위 화소(3)는, 전형적으로는, 수광 소자(전하 생성부)로서의 포토다이오드와, 증폭용 반도체 소자(예를 들면 트랜지스터)를 갖는 화소 내 앰프로 구 성된다.
화소 내 앰프로서는, 예를 들면 플로팅 확산 앰프 구성의 것이 이용된다. 일례로서는, 전하 생성부에 대하여, 전하 판독부(전송 게이트부/판독 게이트부)의 일례인 판독 선택용 트랜지스터, 리세트 게이트부의 일례인 리세트 트랜지스터, 수직 선택용 트랜지스터, 및 플로팅 확산의 전위 변화를 검지하는 검지 소자의 일례인 소스 폴로어 구성의 증폭용 트랜지스터를 갖는, CMOS 센서로서 범용적인 4개의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구성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혹은, 일본 특허 제2708455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전하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신호 전하에 대응하는 신호 전압을 증폭하기 위한, 드레인선(DRN)에 접속된 증폭용 트랜지스터와, 전하 생성부를 리세트하기 위한 리세트 트랜지스터와, 수직 시프트 레지스터로부터 전송 배선(TRF)을 통하여 주사되는 판독 선택용 트랜지스터(전송 게이트부)를 갖는, 3개의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구성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구동부(7)의 다른 구성 요소로서, 수평 주사 회로(12), 수직 주사 회로(14), 및 통신 및 타이밍 제어부(20)가 설치되어 있다. 수평 주사 회로(12)는, 컬럼 처리부(26)로부터 카운트값을 판독하는 판독 주사부의 기능을 갖는다. 이들 구동부(7)의 각 요소는, 화소부(10)와 함께, 반도체 집적 회로 제조 기술과 마찬가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단결정 실리콘 등의 반도체 영역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반도체 시스템의 일례인 고체 촬상 소자(촬상 디바이스)로서 구성된다.
단위 화소(3)는, 행 선택을 위한 행 제어선(15)을 통하여 수직 주사 회로 (14)와, 또한 수직 신호선(19)을 통하여 컬럼 AD 회로(25)가 수직 열마다 설치되어 있는 컬럼 처리부(26)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행 제어선(15)은 수직 주사 회로(14)로부터 화소에 들어가는 배선 전반을 나타낸다.
수평 주사 회로(12)나 수직 주사 회로(14)는, 후술한 바와 같이 디코더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통신 및 타이밍 제어부(20)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신호 CN1, CN2에 응답하여 시프트 동작(주사)를 개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행 제어선(15)에는, 단위 화소(3)를 구동하기 위한 여러가지의 펄스 신호(예를 들면, 리세트 펄스 RST, 전송 펄스 TRF, DRN 제어 펄스 DRN 등)이 포함된다.
통신 및 타이밍 제어부(2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각 부의 동작에 필요한 클럭이나 소정 타이밍의 펄스 신호를 공급하는 타이밍 제너레이터 TG(판독 어드레스 제어 장치의 일례)의 기능 블록과, 단자(5a)를 통하여 마스터 클럭 CLK0을 수취하고, 또한 단자(5b)를 통하여 동작 모드 등을 명령하는 데이터 DATA를 수취하고, 또한 고체 촬상 장치(1)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의 기능 블록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수평 어드레스 신호를 수평 디코더(12a)에, 또한 수직 어드레스 신호를 수직 디코더(14a)에 출력하고, 각 디코더(12a, 14a)는 그것을 받아 대응하는 행 혹은 열을 선택한다.
이 때, 단위 화소(3)를 2차원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하고 있는 것으로, 화소 신호 생성부(5)에 의해 생성되어 수직 신호선(19)을 통하여 열 방향으로 출력되는 아날로그의 화소 신호를 행 단위로(열 병렬로) 액세스하여 받아들이는 (수직)스캔 판독을 행하고, 이 후에, 수직 열의 배열 방향인 행 방향으로 액세스하여 화소 신호(본 예에서는 디지털화된 화소 데이터)를 출력측에 판독하는 (수평)스캔 판독을 행하도록 함으로써, 화소 신호나 화소 데이터의 판독의 고속화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스캔 판독에 한하지 않고, 판독하고자 하는 단위 화소(3)를 직접 어드레스 지정함으로써, 필요한 단위 화소(3)의 정보만을 판독하는 랜덤 액세스도 가능하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통신 및 타이밍 제어부(20)에서는, 단자(5a)를 통하여 입력되는 마스터 클럭(마스터 클럭) CLK0과 동일한 주파수의 클럭 CLK1이나, 그것을 2 분주한 클럭이나 보다 분주한 저속의 클럭을 디바이스 내의 각 부, 예를 들면 수평 주사 회로(12), 수직 주사 회로(14), 컬럼 처리부(26) 등에 공급한다. 이하, 2 분주한 클럭이나 그 이하의 주파수의 클럭 전반을 통합하여, 저속 클럭 CLK2라고 한다.
수직 주사 회로(14)는, 화소부(10)의 행을 선택하고, 그 행에 필요한 펄스를 공급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수직 방향의 판독 행을 규정하는(화소부(10)의 행을 선택함) 수직 디코더(14a)와, 수직 디코더(14a)에서 규정된 판독 어드레스 위(행 방향)의 단위 화소(3)에 대한 행 제어선(15)에 펄스를 공급하여 구동하는 수직 구동 회로(14b)를 갖는다. 또한, 수직 디코더(14a)는, 신호를 판독하는 행 외에, 전자 셔터용의 행 등도 선택한다.
수평 주사 회로(12)는, 저속 클럭 CLK2에 동기하여 컬럼 처리부(26)의 컬럼 AD 회로(25)를 순서대로 선택하고, 그 신호를 수평 신호선(수평 출력선)(18)에 유 도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수평 방향의 판독 열을 규정하는(컬럼 처리부(26) 내의 개개의 컬럼 AD 회로(25)를 선택함) 수평 디코더(12a)와, 수평 디코더(12a)에서 규정된 판독 어드레스에 따라서, 컬럼 처리부(26)의 각 신호를 수평 신호선(18)에 유도하는 수평 구동 회로(12b)를 갖는다. 또한, 수평 신호선(18)은, 예를 들면 컬럼 AD 회로(25)가 취급하는 비트수 n(n은 플러스의 정수)분, 예를 들면 10(=n) 비트이면, 그 비트수분에 대응하여 10개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의 고체 촬상 장치(1)에서, 단위 화소(3)로부터 출력된 화소 신호는, 수직 열마다, 수직 신호선(19)을 통하여, 컬럼 처리부(26)의 컬럼 AD 회로(25)에 공급된다.
컬럼 처리부(26)의 각 컬럼 AD 회로(25)는, 1 열분의 화소의 신호를 받아, 그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면, 각 컬럼 AD 회로(25)는, 아날로그 신호를, 예를 들면 저속 클럭 CLK2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10 비트의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ADC(Analog Digital Converter) 회로를 갖는다.
ADC 회로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 내용은 후술하지만, 비교기(전압 비교기)에 램프 형상의 참조 전압 RAMP를 공급함과 동시에 클럭 신호에서의 카운트(계수)를 개시하고, 수직 신호선(19)을 통하여 입력된 아날로그의 화소 신호를 참조 전압 RAMP와 비교함으로써 펄스 신호가 얻어질 때까지 카운트함으로써 AD 변환을 행한다.
또한, 이 때, 적절한 회로 구성을 도입함으로써, AD 변환과 함께, 수직 신호선(19)을 통하여 입력된 전압 모드의 화소 신호에 대하여, 화소 리세트 직후의 신 호 레벨(노이즈 레벨)과 진짜(수광 광량에 따름) 신호 레벨 Vsig와의 차분을 취하는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정 패턴 노이즈(FPN; Fixed Pattern Noise)나 리세트 노이즈로 되는 노이즈 신호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 컬럼 AD 회로(25)로 디지털화된 화소 데이터는, 수평 주사 회로(12)로부터의 수평 선택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도시하지 않은 수평 선택 스위치를 통하여 수평 신호선(18)에 전달되고, 또한 출력 회로(28)에 입력된다. 또한, 10 비트는 일례이고, 10 비트 미만(예를 들면 8 비트)이나 10 비트를 초과하는 비트수(예를 들면, 14 비트) 등, 그 밖의 비트수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전하 생성부로서의 수광 소자가 행렬 형상으로 배치된 화소부(10)로부터는, 행마다 각 수직 열에 대하여 화소 신호가 순차적으로 출력된다. 그리고, 수광 소자가 행렬 형상으로 배치된 화소부(10)에 대응하는 1매분의 화상 즉 프레임 화상이, 화소부(10) 전체의 화소 신호의 집합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된다.
참조 신호 생성부(27)는, DA 변환 회로(DAC; Digital Analog Converter)(27a)를 갖고 구성되어 있고, 통신 및 타이밍 제어부(20)로부터의 제어 데이터 CN4로 나타내는 초기값으로부터 카운트 클럭 CK0에 동기하여, 계단 형상의 톱니 형상파(램프 파형)를 생성하고, 컬럼 처리부(26)의 개개의 컬럼 AD 회로(25)에, 이 생성한 톱니 형상파를 AD 변환용 참조 전압(ADC 기준 신호)으로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노이즈 방지용의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 계단 형상의 톱니 형상파는, 클럭 변환부(23)로부터의 고속 클럭, 예를 들면 체배 회로에서 생성되는 체배 클럭을 바탕으로 생성함으로써, 단자(5a)를 통하여 입력되는 마스터 클럭 CLK0에 기초하여 생성하는 것보다도 고속으로 변화할 수 있다.
통신 및 타이밍 제어부(20)로부터 참조 신호 생성부(27)의 DA 변환 회로(27a)에 공급하는 제어 데이터 CN4는, 비교 처리마다의 램프 전압이 동일한 기울기(변화율)로 되도록, 시간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의 변화율을 동일하게 하는 정보도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위 시간마다 1씩 카운트값을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컬럼 AD 회로(25)는, 참조 신호 생성부(27)의 DA 변환 회로(27a)에서 생성되는 참조 전압 RAMP와, 행 제어선(15)(H0, H1, …)마다 단위 화소(3)로부터 수직 신호선(19)(V0, V1, …)을 경유할 수 있는 아날로그의 화소 신호를 비교하는 전압 비교부(비교기)(252)와, 전압 비교부(252)가 비교 처리를 완료하기까지의 시간을 카운트하고, 그 결과를 저장하는 카운터부(254)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n 비트 AD 변환 기능을 갖고 있다.
통신 및 타이밍 제어부(20)는, 전압 비교부(252)가 화소 신호의 리세트 성분 ΔV와 신호 성분 Vsig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비교 처리를 행하고 있는지에 따라서 카운터부(254)에서의 카운트 처리의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부의 기능을 갖는다. 이 통신 및 타이밍 제어부(20)로부터 각 컬럼 AD 회로(25)의 카운터부(254)에는, 카운터부(254)가 다운 카운트 모드로 동작하는 것인지 업 카운트 모드로 동작하는 것인 지를 지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 CN5가 입력되어 있다.
전압 비교부(252)의 한쪽의 입력 단자 RAMP는, 다른 전압 비교부(252)의 입력 단자 RAMP와 공통으로, 참조 신호 생성부(27)에서 생성되는 계단 형상의 참조 전압 RAMP가 입력되고, 다른 쪽의 입력 단자에는, 각각 대응하는 수직 열의 수직 신호선(19)이 접속되어, 화소부(10)로부터의 화소 신호 전압이 개개로 입력된다. 전압 비교부(252)의 출력 신호는 카운터부(254)에 공급된다.
카운터부(254)의 클럭 단자 CK에는, 다른 카운터부(254)의 클럭 단자 CK와 공통으로, 통신 및 타이밍 제어부(20)로부터 카운트 클럭 CK0이 입력되고 있다.
이 카운터부(254)는, 그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지만, 도 6에 도시한 래치로 구성된 데이터 기억부(255)의 배선 형태를 동기 카운터 형식으로 변경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고, 하나의 카운트 클럭 CK0의 입력으로, 내부 카운트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카운트 클럭 CK0도, 계단 형상의 전압 파형과 마찬가지로, 클럭 변환부(23)로부터의 고속 클럭(예를 들면 체배 클럭)을 바탕으로 생성함으로써, 단자(5a)를 통하여 입력되는 마스터 클럭 CLK0보다 고속으로 할 수 있다.
n개의 래치의 조합으로 n 비트의 카운터부(254)를 실현할 수 있고, 도 6에 도시한 2계통의 n개의 래치로 구성된 데이터 기억부(255)의 회로 규모에 대하여 반으로 된다. 덧붙여, 카운터부(24)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전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한 구성보다도 대폭 조밀하게 된다.
여기서, 제1 실시 형태의 카운터부(254)는, 상세 내용은 후술하지만, 카운트 모드에 상관없이 공통의 업다운 카운터(U/DCNT)를 이용하여, 다운 카운트 동작과 업 카운트 동작을 전환하여(구체적으로는 교대로) 카운트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점에 특징을 갖는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카운터부(254)는, 카운트 출력값이 카운트 클럭 CK0에 동기하여 출력되는 동기 카운터를 사용한다.
또한, 동기 카운터의 경우, 모든 플립플롭의 동작이 카운트 클럭 CK0으로 제한된다. 따라서, 보다 고주파수 동작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카운터부(254)로서는, 그 동작 제한 주파수가 최초의 플립플롭의 제한 주파수에 의해서만 결정되기 때문에 고속 동작에 적합한 비동기 카운터의 사용이 보다 바람직하다.
카운터부(254)에는, 수평 주사 회로(12)로부터 제어선(12c)을 통하여 제어 펄스가 입력된다. 카운터부(254)는 카운트 결과를 저장하는 래치 기능을 갖고 있고, 제어선(12c)을 통한 제어 펄스에 의한 지시가 있을 때까지는, 카운터 출력값을 유지한다.
이러한 구성의 컬럼 AD 회로(25)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직 신호선(19)(V0, V1, …)마다 배치되고, 열 병렬 구성의 ADC 블록인 컬럼 처리부(26)가 구성된다.
개개의 컬럼 AD 회로(25)의 출력측은, 수평 신호선(18)에 접속되어 있다.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수평 신호선(18)은, 컬럼 AD 회로(25)의 비트폭인 n 비트폭분의 신호선을 갖고, 도시하지 않은 각각의 출력선에 대응한 n개의 센스 회로를 경유하여 출력 회로(28)에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컬럼 AD 회로(25)는, 수평 블랭킹 기간에 상당하는 화소 신호 판독 기간에서, 카운트 동작을 행하여, 소정의 타이밍에서 카운트 결과를 출력한다. 즉, 우선 전압 비교부(252)에서는, 참조 신호 생성부(27)로부터의 램프 파형 전압과, 수직 신호선(19)을 통하여 입력되는 화소 신호 전압을 비교하여, 양쪽의 전압이 동일하게 되면, 전압 비교부(252)의 비교기 출력이 반전(본 예에서는 H 레벨로부터 L 레벨로 천이)한다.
카운터부(254)는, 참조 신호 생성부(27)로부터 발생하는 램프 파형 전압에 동기하여 다운 카운트 모드 혹은 업 카운트 모드로 카운트 동작을 개시하고 있으며, 비교기 출력의 반전한 정보가 카운터부(254)에 통지되면, 카운트 동작을 정지하고, 그 시점의 카운트값을 화소 데이터로서 래치(유지·기억)함으로써 AD 변환을 완료한다.
이 후, 카운터부(254)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수평 주사 회로(12)로부터 제어선(12c)을 통하여 입력되는 수평 선택 신호 CH(i)에 의한 시프트 동작에 기초하여, 기억·유지한 화소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컬럼 처리부(26)밖이나 화소부(10)를 갖는 칩밖으로 출력 단자(5c)로부터 출력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설명으로서는 직접 관련되지 않기 때문에 특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그 외의 각종 신호 처리 회로 등도, 고체 촬상 장치(1)의 구성 요소에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의 고체 촬상 장치(1)의 컬럼 AD 회로(25)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이다.
화소부(10)의 각 단위 화소(3)로 감지된 아날로그의 화소 신호를 디지털 신 호로 변환하는 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소정의 기울기로 하강하는 램프파 형상의 참조 전압 RAMP와 단위 화소(3)로부터의 화소 신호에서의 기준 성분이나 신호 성분의 각 전압이 일치하는 점을 찾고, 이 비교 처리에서 이용하는 참조 전압 RAMP의 생성시점으로부터, 화소 신호에서의 기준 성분이나 신호 성분에 따른 신호와 참조 신호가 일치한 시점까지를 카운트 클럭으로 카운트함으로써, 기준 성분이나 신호 성분의 각 크기에 대응한 카운트값을 얻는 방법을 채용한다.
여기서, 수직 신호선(19)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소 신호는, 시간 계열로서, 기준 성분으로서의 화소 신호의 잡음을 포함하는 리세트 성분 ΔV 후에 신호 성분 Vsig이 나타나는 것이다. 1회째의 처리를 기준 성분(리세트 성분 ΔV)에 대하여 행하는 경우, 2회째의 처리는 기준 성분(리세트 성분 ΔV)에 신호 성분 Vsig를 가한 신호에 대한 처리로 된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회째의 판독을 위해, 우선 통신 및 타이밍 제어부(20)는, 카운터부(254)의 카운트값을 초기값 "0"으로 리세트시킴과 함께, 카운터부(254)를 다운 카운트 모드로 설정한다. 그리고, 임의의 행 Hx의 단위 화소(3)로부터 수직 신호선(19)(V0, V1,…)에의 1회째의 판독이 안정된 후, 통신 및 타이밍 제어부(20)는, 참조 신호 생성부(27)를 향하여, 참조 전압 RAMP 생성용의 제어 데이터 CN4를 공급한다.
이에 응답하여, 참조 신호 생성부(27)는, 전압 비교부(252)의 한쪽의 입력 단자 RAMP에의 비교 전압으로서, 전체적으로 톱니 형상(RAMP 형상)으로 시간 변화시킨 계단 형상의 파형(RAMP 파형)을 입력한다. 전압 비교부(252)는, 이 RAMP 파형의 비교 전압과 화소부(10)로부터 공급되는 임의의 수직 신호선(19)(Vx)의 화소 신호 전압을 비교한다.
전압 비교부(252)의 입력 단자 RAMP에의 참조 전압 RAMP의 입력과 동시에, 전압 비교부(252)에서의 비교 시간을, 행마다 배치된 카운터부(254)로 계측하기 위해, 참조 신호 생성부(27)로부터 발생하는 램프 파형 전압에 동기하여(t10), 카운터부(254)의 클럭 단자에 통신 및 타이밍 제어부(20)로부터 카운트 클럭 CK0을 입력하여, 1회째의 카운트 동작으로서, 초기값 "0"으로부터 다운 카운트를 개시한다. 즉, 마이너스의 방향으로 카운트 처리를 개시한다.
전압 비교부(252)는, 참조 신호 생성부(27)로부터의 램프 형상의 참조 전압 RAMP와 수직 신호선(19)을 통하여 입력되는 화소 신호 전압 Vx를 비교하여, 쌍방의 전압이 동일하게 되었을 때에, 비교기 출력을 H 레벨로부터 L 레벨로 반전시킨다(t12). 즉, 리세트 성분 Vrst에 따른 전압 신호와 참조 전압 RAMP를 비교하여, 리세트 성분 Vrst의 크기에 대응한 시간축 방향으로 크기를 갖고 있는 액티브 로우(L)의 펄스 신호를 생성하여, 카운터부(254)에 공급한다.
이에 응답하여, 카운터부(254)는, 비교기 출력의 반전과 거의 동시에 카운트 동작을 정지하고, 그 시점의 카운트값을 화소 데이터로서 래치(유지·기억)함으로써 AD 변환을 완료한다(t12). 즉, 전압 비교부(252)에서의 비교 처리에 의해서 얻어지는 시간축 방향으로 크기를 갖고 있는 액티브 로우(L)의 펄스 신호의 폭을 카운트 클럭 CK0으로 카운트함으로써, 리세트 성분 Vrst의 크기에 대응한 카운트값을 얻는다.
통신 및 타이밍 제어부(20)는, 소정의 다운 카운트 기간을 경과하면(t14), 전압 비교부(252)에의 제어 데이터의 공급과, 카운터부(254)에의 카운트 클럭 CK0의 공급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전압 비교부(252)는, 램프 형상의 참조 전압 RAMP의 생성을 정지한다.
이 1회째의 판독 시에는, 화소 신호 전압 Vx에서의 리세트 레벨 Vrst을 전압 비교부(252)로 검지하여 카운트 동작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단위 화소(3)의 리세트 성분 ΔV를 판독하고 있는 것으로 된다.
이 리세트 성분 ΔV 내에는, 단위 화소(3)마다 변동되는 잡음이 오프셋으로서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이 리세트 성분 ΔV의 변동은 일반적으로 작고, 또한 리세트 레벨 Vrst은 대략 전체 화소 공용이기 때문에, 임의의 수직 신호선(19)의 화소 신호 전압 Vx에서의 리세트 성분 ΔV의 출력값은 이미 알려져 있다.
따라서, 1회째의 리세트 성분 ΔV의 판독 시에는, RAMP 전압을 조정함으로써, 다운 카운트 기간(t10∼t14; 비교 기간)을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세트 성분 ΔV에 대한 비교 처리의 최장 기간을, 7 비트분의 카운트 기간(128 클럭)으로 하여, 리세트 성분 ΔV의 비교를 행하고 있다.
계속하는 2회째의 판독 시에는, 리세트 성분 ΔV 외에 추가로, 단위 화소(3)마다의 입사광량에 따른 신호 성분 Vsig를 판독하여, 1회째의 판독과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한다. 즉, 우선 통신 및 타이밍 제어부(20)는, 카운터부(254)를 업 카운트 모드로 설정한다. 그리고, 임의의 행 Hx의 단위 화소(3)로부터 수직 신호선(19)(V0, V1, …)에의 2회째의 판독이 안정된 후, 통신 및 타이밍 제어부(20)는, 참조 신호 생성부(27)를 향하여, 참조 전압 RAMP 생성용의 제어 데이터 CN4를 공급 한다.
이에 응답하여, 참조 신호 생성부(27)는, 전압 비교부(252)의 한쪽의 입력 단자 RAMP에의 비교 전압으로서, 전체적으로 톱니 형상(RAMP 형상)으로 시간 변화시킨 계단 형상의 파형(RAMP 파형)을 입력한다. 전압 비교부(252)는, 이 RAMP 파형의 비교 전압과 화소부(10)로부터 공급되는 임의의 수직 신호선(19)(Vx)의 화소 신호 전압을 비교한다.
전압 비교부(252)의 입력 단자 RAMP에의 참조 전압 RAMP의 입력과 동시에, 전압 비교부(252)에서의 비교 시간을, 행마다 배치된 카운터부(254)로 계측하기 위해, 참조 신호 생성부(27)로부터 발생하는 램프 파형 전압에 동기하여(t20), 카운터부(254)의 클럭 단자에 통신 및 타이밍 제어부(20)로부터 카운트 클럭 CK0을 입력하고, 2회째의 카운트 동작으로서, 1회째의 판독 시에 취득된 단위 화소(3)의 리세트 성분 ΔV에 대응하는 카운트값으로부터, 1회째와는 반대로 업 카운트를 개시한다. 즉, 플러스의 방향으로 카운트 처리를 개시한다.
전압 비교부(252)는, 참조 신호 생성부(27)로부터의 램프 형상의 참조 전압 RAMP와 수직 신호선(19)을 통하여 입력되는 화소 신호 전압 Vx를 비교하여, 쌍방의 전압이 동일하게 되었을 때에, 비교기 출력을 H 레벨로부터 L 레벨로 반전시킨다(t22). 즉, 신호 성분 Vsig에 따른 전압 신호와 참조 전압 RAMP를 비교하여, 신호 성분 Vsig의 크기에 대응한 시간축 방향으로 크기를 가지고 있는 액티브 로우(L)의 펄스 신호를 생성하여, 카운터부(254)에 공급한다.
이에 응답하여, 카운터부(254)는, 비교기 출력의 반전과 거의 동시에 카운트 동작을 정지하고, 그 시점의 카운트값을 화소 데이터로서 래치(유지·기억)함으로써 AD 변환을 완료한다(t22). 즉, 전압 비교부(252)에서의 비교 처리에 의해서 얻어지는 시간축 방향으로 크기를 가지고 있는 액티브 로우(L)의 펄스 신호의 폭을 카운트 클럭 CK0으로 카운트(계수)함으로써, 신호 성분 Vsig의 크기에 대응한 카운트값을 얻는다.
통신 및 타이밍 제어부(20)는, 소정의 다운 카운트 기간을 경과하면(t24), 전압 비교부(252)에의 제어 데이터의 공급과, 카운터부(254)에의 카운트 클럭 CKO의 공급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전압 비교부(252)는 비교 처리를 정지한다.
이 2회째의 판독 시에는, 화소 신호 전압 Vx에서의 신호 성분 Vsig를 전압 비교부(252)로 검지하여 카운트 동작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단위 화소(3)의 신호 성분 Vsig를 판독하고 있는 것으로 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카운터부(254)에서의 카운트 동작을, 1회째의 판독 시에는 다운 카운트하고, 2회째의 판독 시에는 업 카운트로 하고 있기 때문에, 카운터부(254) 내에서 자동적으로 수학식 1로 나타내는 감산이 행해지고, 이 감산 결과에 따른 카운트값이 카운터부(254)에 유지된다.
(2회째의 비교 기간에서의 카운트값)-(1회째의 비교 기간에서의 카운트값)
여기서, 수학식 1은, 수학식 2와 같이 변형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는 카운터부(254)에 유지되는 카운트값은 신호 성분 Vsig에 따른 것으로 된다.
(2회째의 비교 기간)-(1회째의 비교 기간)
=(신호 성분 Vsig+리세트 성분ΔV+컬럼 AD 회로(25)의 오프셋 성분)
-(리세트 성분 ΔV+컬럼 AD 회로(25)의 오프셋 성분)
=(신호 성분 Vsig)
즉, 전술된 바와 같이 하여, 1회째의 판독 시에서의 다운 카운트와 2회째의 판독 시에서의 업 카운트 등과 같은, 2회의 판독과 카운트 처리에 의한 카운터부(254) 내에서의 감산 처리에 의해서, 단위 화소(3)마다의 변동을 포함한 리세트 성분 ΔV와 컬럼 AD 회로(25)마다의 오프셋 성분을 제거할 수가 있어, 단위 화소(3)마다의 입사광량에 따른 신호 성분 Vsig만을 간이한 구성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리세트 잡음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컬럼 AD 회로(25)는, 아날로그의 화소 신호를 디지털의 화소 데이터로 변환하는 디지털 변환부로 할뿐만 아니라, CDS(Correlated Double Sampling; 상관 2중 샘플링) 처리 기능부로서도 동작하게 된다.
또한, 수학식 2에서 얻어지는 카운트값이 나타내는 화소 데이터는 플러스의 신호 전압을 나타내기 때문에, 보수 연산 등이 불필요해지고, 기존의 시스템과의 친화성이 높다.
여기서, 2회째의 판독 시에는, 입사광량에 따른 신호 성분 Vsig를 판독하기 때문에, 광량의 대소를 넓은 범위에서 판정하기 위해, 업 카운트 기간(t20∼t24; 비교 기간)을 넓게 취하여, 전압 비교부(252)에 공급하는 램프 전압을 크게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신호 성분 Vsig에 대한 비교 처리의 최장 기간을, 10 비트분의 카운트 기간(1024 클럭)으로 하여, 신호 성분 Vsig의 비교를 행하고 있다. 즉, 리세트 성분 ΔV(기준 성분)에 대한 비교 처리의 최장 기간을, 신호 성분 Vsig에 대한 비교 처리의 최장 기간보다도 짧게 한다. 리세트 성분 ΔV(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 Vsig의 양쪽의 비교 처리의 최장 기간, 즉 AD 변환 기간의 최대값을 동일하게 하는 것은 아니고, 리세트 성분 ΔV(기준 성분)에 대한 비교 처리의 최장 기간을 신호 성분 Vsig에 대한 비교 처리의 최장 기간보다도 짧게 함으로써, 2회에 걸치는 토탈의 AD 변환 기간이 짧아지도록 고안한다.
이 경우, 1회째와 2회째와의 비교 비트수가 다르지만, 통신 및 타이밍 제어부(20)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참조 신호 생성부(27)에 공급하고, 이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참조 신호 생성부(27)에 의해 램프 전압을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램프 전압의 기울기 즉 참조 전압 RAMP의 변화율을 1회째와 2회째에서 동일하게 한다. 디지털 제어로 램프 전압을 생성하기 때문에, 램프 전압의 기울기를 1회째와 2회째에서 동일하게 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에 의해, AD 변환의 정밀도를 같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업다운 카운터에 의한 수학식 1로 나타낸 감산 결과가 정확하게 얻어진다.
2회째의 카운트 처리가 완료된 후의 소정의 타이밍에서(t28), 통신 및 타이밍 제어부(20)는 수평 주사 회로(12)에 대하여 화소 데이터의 판독을 지시한다. 이것을 받아, 수평 주사 회로(12)는, 제어선(12c)을 통하여 카운터부(254)에 공급하는 수평 선택 신호 CH(i)를 순차적으로 시프트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카운터부(254)에 기억·유지한 수학식 2로 나타낸 카운트값, 즉 n 비트의 디지털 데이터로 표시된 화소 데이터가, n개의 수평 신호선(18)을 통하여, 순차적으로, 컬럼 처리부(26) 밖이나 화소부(10)를 갖는 칩 밖으로 출력 단자(5c)로부터 출력되고, 그 후 순차적으로 행마다 마찬가지의 동작이 반복됨으로써, 2차원 화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 D1이 얻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고체 촬상 장치에 따르면, 업다운 카운터를 이용하면서, 그 처리 모드를 전환하여 2회에 걸쳐 카운트 처리를 행하도록 했다. 또한, 행렬 형상으로 단위 화소(3)가 배열된 구성에서, 컬럼 AD 회로(25)를 수직 열마다 설치한 열 병렬 컬럼 AD 회로로 구성했다.
이 때문에, 기준 성분(리세트 성분)과 신호 성분과의 감산 처리가 2회째의 카운트 결과로서 수직 열마다 직접적으로 취득할 수 있고, 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의 각각의 카운트 결과를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를 카운터부가 구비하는 래치 기능으로 실현할 수 있어, AD 변환된 데이터를 보유하는 전용의 메모리 장치를 카운터와는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다.
덧붙여, 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과의 차를 취하기 위한 특별한 감산기가 불필요하게된다. 따라서, 종래 구성보다도, 회로 규모나 회로 면적을 적게 할 수 있고, 덧붙여, 잡음의 증가나 전류 혹은 소비 전력의 증대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비교부와 카운터부에서 컬럼 AD 회로(AD 변환부)를 구성하였기 때문에, 비트수에 상관없이 카운터부를 동작시키는 카운트 클럭 1개와 카운트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선으로 카운트 처리를 제어할 수 있고, 종래 구성에서 필요로 하고 있었던 카운터부의 카운트값을 메모리 장치까지 유도하는 신호선이 불필요해져서, 잡음의 증가나 소비 전력의 증대를 해소할 수 있다.
즉, AD 변환 장치를 동일 칩 위에 탑재한 고체 촬상 장치(1)에서, 전압 비교부(252)와 카운터부(254)를 쌍으로 하여 AD 변환부로서의 컬럼 AD 회로(25)를 구성함과 함께, 카운터부(254)의 동작으로서 다운 카운트와 업 카운트를 조합하여 사용하면서, 처리 대상 신호의 기본 성분(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세트 성분)과 신호 성분과의 차를 디지털 데이터로 함으로써, 회로 규모나 회로 면적이나 소비 전력, 혹은 다른 기능부 사이의 인터페이스용 배선의 수나, 이 배선에 의한 노이즈나 소비 전류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CMOS 고체 촬상 장치(CMOS 이미지 센서)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 제2 실시 형태의 고체 촬상 장치(1)는, 제1 실시 형태의 고체 촬상 장치(1)에 대하여, 컬럼 AD 회로(25)의 구성을 변형하고 있다.
즉,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컬럼 AD 회로(25)는, 카운터부(254)의 후단에, 이 카운터부(254)의 유지한 카운트 결과를 저장하는 n 비트의 메모리 장치로서의 데이터 기억부(256)와, 카운터부(254)와 데이터 기억부(256) 사이에 배치된 스위치(258)를 구비하고 있다.
스위치(258)에는, 다른 수직 열의 스위치(258)와 공통으로, 통신 및 타이밍 제어부(20)로부터, 소정의 타이밍에서, 제어 펄스로서의 메모리 전송 지시 펄스 CN8이 공급된다. 스위치(258)는, 메모리 전송 지시 펄스 CN8이 공급되면, 대응하는 카운터부(254)의 카운트값을 데이터 기억부(256)에 전송한다. 데이터 기억부 (256)는, 전송된 카운트값을 유지·기억한다.
또한, 카운터부(254)의 카운트값을 소정의 타이밍에서 데이터 기억부(256)에 유지시키는 구조는, 양자 간에 스위치(258)를 배치하는 구성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카운터부(254)와 데이터 기억부(256)를 직접 접속하면서, 카운터부(254)의 출력 인에이블을 메모리 전송 지시 펄스 CN8로 제어함으로써 실현할 수도 있고, 데이터 기억부(256)의 데이터 취득 타이밍을 정하는 래치 클럭으로서 메모리 전송 지시 펄스 CN8을 이용하는 것으로도 실현할 수 있다.
데이터 기억부(256)에는, 수평 주사 회로(12)로부터 제어선(12c)을 통하여 제어 펄스가 입력된다. 데이터 기억부(256)는, 제어선(12c)을 통한 제어 펄스에 의한 지시가 있을 때까지는, 카운터부(254)로부터 받아들인 카운트값을 유지한다.
수평 주사 회로(12)는, 컬럼 처리부(26)의 각 전압 비교부(252)와 카운터부(254)가, 각각이 담당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과 병행하여, 각 데이터 기억부(256)가 유지하고 있었던 카운트값을 판독하는 판독 주사부의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제2 실시 형태의 구성에 따르면, 카운터부(254)가 유지한 카운트 결과를, 데이터 기억부(256)에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카운터부(254)의 카운트 동작 즉 AD 변환 처리와, 카운트 결과의 수평 신호선(18)에의 판독 동작을 독립하여 제어 가능하여, AD 변환 처리와 외부에의 신호의 판독 동작을 병행하여 행하는 파이프 라인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제2 실시 형태의 고체 촬상 장치(1)의 컬럼 AD 회로(25)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이다. 컬럼 AD 회로(25)에서의 AD 변 환 처리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에, 데이터 기억부(256)를 추가한 것이고, AD 변환 처리를 비롯하는 기본적인 동작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지만, 카운터부(254)의 동작 전(t30)에, 통신 및 타이밍 제어부(20)로부터의 메모리 전송 지시 펄스 CN8에 기초하여, 전행 Hx-1의 카운트 결과를 데이터 기억부(256)에 전송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2회째의 판독 처리, 즉 AD 변환 처리가 완료된 후가 아니면 화소 데이터를 컬럼 처리부(26)의 외부에 출력할 수 없기 때문에, 판독 처리에는 제한이 있는 것에 대하여, 제2 실시 형태의 구성에서는, 1회째의 판독 처리(AD 변환 처리)에 앞서서 전회의 감산 처리 결과를 나타내는 카운트값을 데이터 기억부(256)에 전송하고 있기 때문에, 판독 처리에는 제한이 없다.
이렇게 함으로써, 데이터 기억부(256)로부터 수평 신호선(18) 및 출력 회로(28)를 거친 외부에의 신호 출력 동작과, 현행 Hx의 판독 및 카운터부(254)의 카운트 동작을 병행하여 행할 수 있어, 보다 효율이 좋은 신호 출력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 형태를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에 기재된 범위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실시 형태에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할 수 있고, 그와 같은 변경 또는 개량을 더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는, 청구항에 따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아직 실시 형태 중에서 설명되어 있는 특징의 조합의 전부가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 수라고 한하지는 않는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는 여러가지의 단계의 발명이 포함되어 있고, 개시되는 복수의 구성 요건에서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여러가지의 발명을 추출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전체 구성 요건으로부터 몇몇 구성 요건이 삭제되어도, 효과가 얻어지는 한, 이 몇몇 구성 요건이 삭제된 구성이 발명으로서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압 비교부(252)와 카운터부(254)로 이루어지는 컬럼 AD 회로(25)를 수직 열마다 설치하여 수직 열마다 디지털 데이터화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수직 열에 대한 전환 회로를 설치함으로써, 복수의 수직 열에 대하여 하나의 컬럼 AD 회로(25)를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화소부(10)의 판독 측에 위치하는 컬럼 영역에 AD 변환 기능부를 설치하고 있었지만, 그 밖의 개소에 설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수평 신호선(18)까지 아날로그로 화소 신호를 출력하고, 그 후에 AD 변환을 행하여 출력 회로(28)에 보내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AD 변환용의 참조 신호와 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을 포함하여 표시되는 처리 대상 신호를 비교하여, 이 비교 처리와 병행하여, 다운 카운트 모드 및 업 카운트 모드 중 어느 한쪽의 모드로 카운트 처리를 행하여, 비교 처리가 완료된 시점의 카운트값을 유지할 때, 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 중 어느 것에 대하여 비교 처리를 행하고 있는지에 따라서 카운트 처리의 모드를 전환함으로써, 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과의 차를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를, 다운 카운트 모드 및 업 카운 트 모드의 2개의 모드로 카운트 처리한 결과로서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의 각각의 카운트 결과를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를 카운터부가 구비하는 래치 기능으로 실현할 수 있고, AD 변환된 데이터를 보유하는 전용의 메모리 장치를 카운터와는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다. 모든 수직 열에 대하여 하나의 AD 변환 기능부를 설치하면 되고, 고속인 변환 처리가 필요하게는 되지만 회로 규모는 상기 실시 형태보다도 적어진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2회째의 처리에서의 카운트 처리를, 1회째의 처리에서 유지해 둔 카운트값으로부터 개시하도록 했었지만, 카운트 출력값이 카운트 클럭 CK0에 동기하여 출력되는 동기식의 업다운 카운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모드 전환 시에 특단의 대처를 요하지 않고, 이것을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동작 제한 주파수가 최초의 플립플롭(카운터 기본 요소)의 제한 주파수만으로 결정되어 고속 동작에 적합한 이점이 있는 비동기식의 업다운 카운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카운트 모드를 전환했을 때, 카운트값이 파괴되게 되어, 전환 전후로 값을 유지한 상태에서 연속하는 정상적인 카운트 동작을 행할 수 없다는 문제를 갖는다. 따라서, 2회째의 처리에서의 카운트 처리가, 1회째의 처리에서 유지해 둔 카운트값으로부터 개시 가능하게 하는 조정 처리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는 조정 처리부의 상세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화소 신호가, 시간 계열로서, 동일 화소에 대하여, 리세트 성분 ΔV(기준 성분) 후에 신호 성분 Vsig가 나타나, 후단의 처리부가 정극성(신호 레벨이 클수록 플러스의 값이 큰)의 신호에 대하여 처리하는 것에 대응하여, 1회째의 처리로서, 리세트 성분 ΔV(기준 성분)에 대하여 비교 처리와 다운 카운트 처리를 행하고, 2회째의 처리로서, 신호 성분 Vsig에 대하여 비교 처리와 업 카운트 처리를 행하도록 했었지만, 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이 나타나는 시간 계열에 상관없이, 대상 신호 성분과 카운트 모드와의 조합이나 처리순은 임의이다. 처리 수순에 의해서는, 2회째의 처리로 얻어지는 디지털 데이터가 마이너스의 값이 되는 적도 있지만, 그 경우에는, 보정 연산을 하는 등의 대처를 하면 된다.
물론, 화소부(10)의 디바이스 아키텍처로서, 신호 성분 Vsig 후에 리세트 성분ΔV(기준 성분)을 판독해야만 하고, 후단의 처리부가 정극성의 신호에 대하여 처리하는 것인 경우에는, 1회째의 처리로서, 신호 성분 Vsig에 대하여 비교 처리와 다운 카운트 처리를 행하고, 2회째의 처리로서, 리세트 성분으로 ΔV(기준 성분)에 대하여 비교 처리와 업 카운트 처리를 행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업다운 카운터를 동작 모드에 상관없이 공통으로 사용하면서, 그 처리 모드를 전환하여 카운트 처리를 행하도록 했었지만, 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에 대하여, 다운 카운트 모드와 업 카운트 모드를 조합하여 카운트 처리를 행하는 것이면 되고, 모드 전환 가능한 업다운 카운터를 이용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 중 어느 한쪽에 대하여 비교 처리를 행하여 다운 카운트 처리를 행하는 다운 카운터 회로와, 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의 다른 쪽에 대하여 비교 처리를 행하여 업 카운트 처리를 행하는 업 카운터 회로와의 조합으로 카운터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2회째의 카운트 처리를 행하는 카운터 회로는,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임의의 초기값을 로드할 수 있는 구성의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다운 카운트 후에 업 카운트를 행하는 경우이면,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1회째의 카운트 처리에서는 다운 카운터 회로를 작동시키고, 2회째의 카운트 처리로서는 업 카운터 회로를 작동시킨다.
이 때, 카운트 모드 전환용의 전환 제어 신호 CN5에 의해 카운트 모드를 전환한 후의 업 카운트 처리의 개시 전에, 초기값 설정용의 전환 제어 신호 CNload를 업 카운터 회로의 로드 단자 LDd에 공급함으로써, 다운 카운트 처리로 취득한 다운 카운트값을 초기값으로서 업 카운터 회로에 설정한다.
또한, 업 카운트 후에 다운 카운트를 행하는 경우이면,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1회째의 카운트 처리로서는 업 카운터 회로를 작동시키고, 2회째의 카운트 처리로서는 다운 카운터 회로를 작동시킨다.
이 때, 카운트 모드 전환용 전환 제어 신호 CN5에 의해 카운트 모드를 전환한 후의 다운 카운트 처리의 개시 전에, 초기값 설정용의 전환 제어 신호 CNload를 다운 카운터 회로의 로드 단자 LDd에 공급함으로써, 업 카운트 처리로 취득한 업 카운트값을 초기값으로서 다운 카운터 회로에 설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 5의 (a) 및 도 5의 (b) 중 어느 하나의 구성도, 후단의 카운터 회로의 출력으로는, 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과의 감산 처리를 직접 할 수 있어, 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과의 차를 취하기 위한 특별한 가산 회로가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비특허 문헌 1에서는 필요로 하였던 감산기에의 데이터 전송이 불필 요해져서, 그 때문에 잡음의 증가나 전류 혹은 소비 전력의 증대를 해소할 수 있다.
또, 다운 카운트 회로와 업 카운터 회로와의 조합으로 카운터부를 구성하는 경우, 2회째의 카운트 처리에서, 1회째의 카운트 처리로 취득한 카운트값을 초기값으로서 설정하지 않고, 제로로부터 카운트하는 구성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도 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업 카운터 회로의 출력 Qup과 다운 카운터 회로의 출력 Qdown의 합을 취하는 가산 회로가 필요해지지만, 이 경우에도 비교부와 카운터부로 구성되는 AD 변환부마다 가산 회로를 설치하기 때문에, 배선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잡음의 증가나 전류 혹은 소비 전력의 증대를 해소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어느 구성도, 다운 카운터 회로와 업 카운터 회로의 동작의 지시는,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통신 및 타이밍 제어부(20)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다운 카운터 회로와 업 카운터 회로는, 함께 카운트 클럭 CK0으로 동작시키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NMOS로 구성되어 있는 단위 화소로 구성된 센서를 일례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PMOS로 이루어지는 화소의 것에 대해서도, 전위 관계를 반전(전위의 정부(正負)를 반대로)하여 생각함으로써, 상기 실시 형태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누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어드레스 제어에 의해 개개의 단위 화소로부터의 신호를 임의 선택하여 판독 가능한 고체 촬상 장치의 일례로서, 광을 수광함으 로써 신호 전하를 생성하는 화소부를 구비한 CMOS 센서를 예로 나타내었지만, 신호 전하의 생성은, 광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적외선, 자외선, 혹은 X선 등의 전자파 일반에 적용 가능하고, 이 전자파를 받아 그 양에 따른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소자가 다수 배열된 단위 구성 요소를 구비한 반도체 장치에, 상기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사항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기준 성분 및 신호 성분의 각각에 따른 신호와 AD 변환용 참조 신호를 비교하는 비교부와, 비교부에서의 비교 처리와 병행하여, 다운 카운트 모드 및 업 카운트 모드 중 어느 한쪽의 모드로 카운트 처리를 행하여, 비교부에서의 비교 처리가 완료된 시점의 카운트값을 저장하는 카운터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AD 변환 회로(AD 변환 장치; 전례에서는 컬럼 AD 회로)를 고체 촬상 장치에 적용한 사례를 설명했지만, 상기 실시 형태로 설명한 AD 변환 회로의 구조는, 고체 촬상 장치에 한하지 않고, 2개의 신호 성분의 차신호 성분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AD 변환의 구조를 이용하는 모든 전자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로 설명한 AD 변환 회로(AD 변환 장치)는, 고체 촬상 장치나 그 밖의 전자 기기에 조립되어 제공되는 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IC(Integrated Circuit; 집적 회로)나 AD 변환 모듈 등으로 하도록 하여, 단독의 장치로서 제공되어도 된다.
이 경우, 비교부와 카운터부를 구비한 AD 변환 장치에서 제공해도 되지만, AD 변환용 참조 신호를 생성하여 비교부에 공급하는 참조 신호 생성부나, 비교부가 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 중 어느 것에 대하여 비교 처리를 행하고 있는지에 따라서 카운터부에서의 카운트 처리의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부도 동일한 반도체 기판 위에 배치한 IC(집적 회로)나 개별 칩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모듈로 조립하여 제공해도 된다.
이들을 조립하여 제공함으로써, 비교부와 카운터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부를 통합하여 취급할 수 있고, 부재의 취급이나 관리가 간이하게 된다. 또한, AD 변환 처리에 필요한 요소가 IC나 모듈로서 통합되어(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고체 촬상 장치나 그 밖의 전자 기기의 완성품의 제조도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AD 변환 방법 및 AD 변환 장치 및 반도체 장치 및 전자 기기에 따르면, AD 변환용 참조 신호와 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을 포함하여 표시되는 처리 대상 신호를 비교하여, 이 비교 처리와 병행하여, 다운 카운트 모드 및 업 카운트 모드 중 어느 한쪽의 모드로 카운트 처리를 행하고, 비교 처리가 완료된 시점의 카운트값을 유지할 때, 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 중 어느 것에 대하여 비교 처리를 행하고 있는지에 따라서 카운트 처리의 모드를 전환하도록 했다.
이에 의해, 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과의 차를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를, 다운 카운트 모드 및 업 카운트 모드의 2개의 모드로 카운트 처리한 결과로서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의 각각의 카운트 결과를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를 카운터부가 구비하는 래치 기능으로 실현할 수 있고, AD 변환된 데이터를 보유하는 전용 메모리 장치를 카운터와는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고, 회로 규모나 회로 면적의 증대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공통으로 사용되는 업다운 카운터를 이용하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비교부와 카운터부에서 AD 변환부를 구성했기 때문에, 비트수에 상관없이 카운터부를 동작시키는 카운트 클럭 1개와 카운트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선으로 카운트 처리를 제어할 수 있어, 카운터부의 카운트값을 메모리 장치까지 유도하는 신호선이 불필요해져서, 잡음의 증가나 소비 전력의 증대를 해소할 수 있다.
업다운 카운터를 동작 모드에 상관없이 공통으로 사용하면서, 그 처리 모드를 전환하여 카운트 처리를 행하도록 하면, 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과의 감산 처리를 직접 할 수 있고, 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과의 차를 취하기 위한 특별한 감산기가 불필요해진다. 또한, 감산기에의 데이터 전송이 불필요해져서, 그 때문에 잡음의 증가나 전류 혹은 소비 전력의 증대를 해소할 수 있다.
다운 카운터 회로와 업 카운터 회로와의 조합으로 카운터부를 구성하는 경우, 2회째의 카운트 처리의 개시 전에, 1회째의 카운트 처리로 취득한 카운트값을 초기값으로서 설정함으로써, 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과의 감산 처리를 직접 할 수 있어, 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과의 차를 취하기 위한 특별한 가산 회로가 불필요해진다. 또한, 감산기에의 데이터 전송이 불필요해져서, 그 때문에 잡음의 증가나 전류 혹은 소비 전력의 증대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다운 카운터 회로와 업 카운터 회로와의 조합으로 카운터부를 구성하 는 경우, 1회째의 카운트 처리로 취득한 카운트값을 초기값으로서 설정하지 않고, 제로로부터 카운트하는 구성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각 카운트값의 합을 취하는 가산 회로가 필요해지지만, 이 경우에도, 비교부와 카운터부로 구성되는 AD 변환부마다 가산 회로를 설치하기 때문에, 배선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잡음의 증가나 전류 혹은 소비 전력의 증대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비교부와 카운터부를 쌍으로 하여 AD 변환부를 구성했기 때문에, 단위 구성 요소가 행렬 형상으로 배치된 반도체 장치로부터 출력된 단위 신호를 처리 대상 신호로 하는 경우, 단위 구성 요소의 열의 배열 방향인 행 방향으로 AD 변환부를 복수 배치하는 경우에도, 각각에 카운터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어, 도 6에 도시한 종래예와 같이, 카운터부로부터의 카운트 출력의 배선을 래치까지 주회할 필요가 없고, 배선의 주회에 의한, 잡음의 증가나 소비 전력의 증대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AD 변환 처리와 판독 처리를 병행하여 행하는 파이프 라인 동작을 행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도, AD 변환된 데이터를 보유하는 메모리 장치가 AD 변환부마다 1계통분만 있으면 되어, 회로 면적의 증대를 최저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Claims (29)

  1. 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을 포함하여 표시되는 아날로그의 처리 대상 신호의 상기 기준 성분과 상기 신호 성분과의 차신호 성분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AD 변환 방법으로서,
    상기 기준 성분과 상기 신호 성분 중 어느 한쪽에 따른 신호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참조 신호를 비교 처리함과 동시에, 상기 비교 처리와 병행하여 다운 카운트 모드 및 업 카운트 모드 중 어느 한쪽의 모드로 카운트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비교 처리가 완료된 시점의 카운트값을 저장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기준 성분과 상기 신호 성분 중 다른 쪽과 상기 참조 신호를 비교 처리함과 동시에, 상기 비교 처리와 병행하여 상기 다운 카운트 모드 및 상기 업 카운트 모드 중 다른 쪽의 모드로 카운트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비교 처리가 완료된 시점의 카운트값을 저장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AD 변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 카운트 모드와 상기 업 카운트 모드에서의 각 카운트 처리를, 업다운 카운터를 공통으로 이용하면서, 그 처리 모드를 전환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D 변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의 상기 카운트 처리는 상기 제1 단계에서 저장해 둔 카운트값으로부터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D 변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의 상기 비교 처리 및 상기 카운트 처리는 상기 기준 성분에 대하여 수행되고,
    상기 제2 단계의 상기 비교 처리 및 상기 카운트 처리는 상기 신호 성분에 대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D 변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 중 하나는 상기 기준 성분에 대해 상기 다운 카운트 모드로 수행되고,
    상기 제1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신호 성분에 대해 상기 업 카운트 모드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D 변환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성분에 대한 상기 비교 처리의 최장 기간은 상기 신호 성분에 대한 상기 비교 처리의 최장 기간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AD 변환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성분의 변화 특성은 상기 제1 단계로부터 상기 제2 단계까지 동일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D 변환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의 전회의 처리 대상 신호에 대하여, 상기 제2 단계에 의해 저장된 상기 카운트값을 또 다른 데이터 기억부에 저장해 두고,
    금회의 처리 대상 신호에 대하여, 상기 제1 단계와 상기 제2 단계를 수행할 때에, 상기 데이터 기억부로부터의 상기 카운트값의 판독 처리를 병행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D 변환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대상 신호는 물리량 분포 검지를 위한 반도체 장치에서의 단위 신호 생성부에 의해 열 방향으로 생성 및 출력된 아날로그의 단위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반도체 장치는 행렬 형상이고 각각이 입사된 전자파에 대응하는 전하를 생성하는 전하 생성부 및 상기 전하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전하에 따른 아날로그 단위 신호를 생성하는 단위 신호 생성부를 구비한 단위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D 변환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 방향으로 생성 및 출력되는 상기 아날로그 단위 신호는 상기 단위 신호 생성부에 의해 행 단위로 받아들여지고,
    상기 제1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행 단위로, 상기 단위 구성 요소의 각각에 대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D 변환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성분은 상기 단위 신호의 잡음을 포함하는 리세트 성분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AD 변환 방법.
  12. 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을 포함하여 표시되는 아날로그의 처리 대상 신호의 상기 기준 성분과 상기 신호 성분과의 차신호 성분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AD 변환 장치로서,
    상기 기준 성분 및 상기 신호 성분의 각각에 따른 신호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참조 신호를 비교 처리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에서의 상기 비교 처리와 병행하여, 다운 카운트 모드 및 업 카운트 모드 중 어느 한쪽의 모드로 카운트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비교부에서의 상기 비교 처리가 완료된 시점의 카운트값을 저장하는 카운터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D 변환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상기 참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참조 신호를 상기 비교부에 제공하는 참조 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D 변환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가 상기 기준 성분과 상기 신호 성분 중 어느 것에 대하여 상기 비교 처리를 수행하고 있는지에 따라서 상기 카운터부의 상기 카운트 처리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D 변환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부는 상기 업 카운트 모드 및 상기 다운 카운트 모드를 전환하면서 상기 카운트 처리를 수행하는 공통 카운터 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D 변환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단계의 상기 카운트 처리를, 상기 제1 단계에서 저장해 둔 카운트값으로부터 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D 변환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계에서는 상기 기준 성분에 대하여 상기 비교 처리와 상기 카운트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제2 단계에서는 상기 신호 성분에 대하여 상기 비교 처리와 상기 카운트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D 변환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부가 상기 기준 성분에 대하여 상기 비교 처리를 수행할 경우에는 상기 카운터부가 상기 다운 카운트 모드로 상기 카운트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비교부가 상기 신호 성분에 대하여 상기 비교 처리를 수행할 경우에는 상기 카운터부가 상기 업 카운트 모드로 상기 카운트 처리를 수행하도록, 상기 카운터부에서의 상기 카운트 처리의 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D 변환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로부터의 상기 참조 신호 변화 특성을 동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D 변환 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의 상기 처리 대상 신호에 대하여, 상기 카운터부에서 저장된 상기 카운트값을 저장하는 데이터 기억부와,
    상기 제2 단계의 상기 처리 대상 신호에 대하여, 상기 비교부와 상기 카운터부가, 각각이 담당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과 병행하여, 상기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상기 카운트값을 판독하는 판독 주사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D 변환 장치.
  21. 각각이 입사된 전자파에 대응하는 전하를 생성하는 전하 생성부 및 기준 성분 및 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아날로그 단위 신호를 생성하는 단위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행렬 형상의 단위 구성 요소를 포함하여, 물리량의 분포를 검지하는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 성분의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참조 신호와 상기 기준 성분 및 상기 신호 성분의 각각에 대응하는 신호를 비교 처리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에서의 상기 비교 처리와 병행하여, 다운 카운트 모드 및 업 카운트 모드 중 어느 한쪽의 모드로 카운트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비교부에서의 상기 비교 처리가 완료된 시점의 카운트값을 저장하는 카운터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참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비교부에 상기 참조 신호를 제공하는 참조 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가 상기 기준 성분과 상기 신호 성분 중 어느 것에 대하여 상기 비교 처리를 행하고 있는지에 따라서 상기 카운터부의 상기 카운트 처리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각각이 상기 비교부 및 상기 카운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 구성 요소의 열 방향 및 행 방향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AD 변환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단위 신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어 열 방향으로 출력되는 상기 아날로그 단위 신호를 행 단위로 받아들이고,
    상기 비교부 및 상기 카운터부는 상기 행 단위로, 상기 단위 구성 요소의 각각에 대하여, 각각이 담당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기준 성분으로서, 상기 단위 신호의 잡음을 포함한 리세트 성분을 받아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생성부는 상기 전자파로서의 광을 수광하고, 상기 수광한 광에 대응하는 전하를 생성하는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신호 생성부는 증폭용의 반도체 소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9. 기준 성분과 신호 성분을 포함하여 표시되는 아날로그의 처리 대상 신호의 상기 기준 성분과 상기 신호 성분과의 차신호 성분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참조 신호를 생성하는 참조 신호 생성부;
    상기 기준 성분과 상기 신호 성분의 각각에 대응하는 신호와 상기 참조 신호 생성부가 생성한 참조 신호를 비교 처리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에서의 상기 비교 처리와 병행하여, 다운 카운트 모드 및 업 카운트 모드 중 어느 한쪽의 모드로 카운트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비교부에서의 상기 비교 처리가 완료된 시점의 카운트값을 저장하는 카운터부; 및
    상기 비교부가 상기 기준 성분과 상기 신호 성분 중 어느 것에 대하여 상기 비교 처리를 행하고 있는지에 따라서 상기 카운터부에서의 상기 카운트 처리의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050014886A 2004-02-23 2005-02-23 Ad 변환 방법, ad 변환 장치, 물리량 분포를 검지하는반도체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10675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45942 2004-02-23
JPJP-P-2004-00045942 2004-02-23
JPJP-P-2004-00110866 2004-04-05
JP2004110866 2004-04-05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363A Division KR101067622B1 (ko) 2004-02-23 2011-07-19 Ad 변환 방법, ad 변환 장치, 물리량 분포를 검지하는 반도체 장치, 전자 기기, 모듈, cmos 이미지 센서 및 그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
KR1020110071358A Division KR101067556B1 (ko) 2004-02-23 2011-07-19 Ad 변환 방법, ad 변환 장치, 물리량 분포를 검지하는 반도체 장치, 전자 기기, 모듈, cmos 이미지 센서 및 그 구동 방법
KR1020110071365A Division KR101067598B1 (ko) 2004-02-23 2011-07-19 Ad 변환 방법, ad 변환 장치, 물리량 분포를 검지하는 반도체 장치, 전자 기기, 모듈, cmos 이미지 센서 및 그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127A true KR20060043127A (ko) 2006-05-15
KR101067523B1 KR101067523B1 (ko) 2011-09-27

Family

ID=34713015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886A KR101067523B1 (ko) 2004-02-23 2005-02-23 Ad 변환 방법, ad 변환 장치, 물리량 분포를 검지하는반도체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20110071358A KR101067556B1 (ko) 2004-02-23 2011-07-19 Ad 변환 방법, ad 변환 장치, 물리량 분포를 검지하는 반도체 장치, 전자 기기, 모듈, cmos 이미지 센서 및 그 구동 방법
KR1020110071365A KR101067598B1 (ko) 2004-02-23 2011-07-19 Ad 변환 방법, ad 변환 장치, 물리량 분포를 검지하는 반도체 장치, 전자 기기, 모듈, cmos 이미지 센서 및 그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
KR1020110071363A KR101067622B1 (ko) 2004-02-23 2011-07-19 Ad 변환 방법, ad 변환 장치, 물리량 분포를 검지하는 반도체 장치, 전자 기기, 모듈, cmos 이미지 센서 및 그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358A KR101067556B1 (ko) 2004-02-23 2011-07-19 Ad 변환 방법, ad 변환 장치, 물리량 분포를 검지하는 반도체 장치, 전자 기기, 모듈, cmos 이미지 센서 및 그 구동 방법
KR1020110071365A KR101067598B1 (ko) 2004-02-23 2011-07-19 Ad 변환 방법, ad 변환 장치, 물리량 분포를 검지하는 반도체 장치, 전자 기기, 모듈, cmos 이미지 센서 및 그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
KR1020110071363A KR101067622B1 (ko) 2004-02-23 2011-07-19 Ad 변환 방법, ad 변환 장치, 물리량 분포를 검지하는 반도체 장치, 전자 기기, 모듈, cmos 이미지 센서 및 그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6) US7129883B2 (ko)
EP (2) EP2093883B1 (ko)
JP (2) JP4983889B2 (ko)
KR (4) KR101067523B1 (ko)
CN (2) CN102801419B (ko)
TW (1) TWI26008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246B1 (ko) * 2007-02-05 2014-10-02 소니 주식회사 고체 촬상 장치 및 촬상 장치
KR101455400B1 (ko) * 2007-05-18 2014-10-27 소니 주식회사 고체 촬상 장치, 촬상 기기, 전자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64533A1 (en) * 2002-08-27 2006-07-27 E-Phocus, Inc Electronic image sensor
US7595883B1 (en) * 2002-09-16 2009-09-29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Biological analysis arrangement and approach therefor
JP4107269B2 (ja) * 2004-02-23 2008-06-25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JP4289206B2 (ja) * 2004-04-26 2009-07-01 ソニー株式会社 カウンタ回路
JP2006014316A (ja) * 2004-06-22 2006-0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サブサンプリングされたアナログ信号を平均化する改善された固体撮像素子及びその駆動方法
US7315273B2 (en) * 2004-11-08 2008-01-01 Sony Corporation Analog-to-digital conversion method, analog-to-digital converter, semiconductor device for detecting distribution of physical quantity, and electronic apparatus
EP1657910A1 (en) * 2004-11-12 2006-05-17 STMicroelectronics Limited Image sensor
US20060209200A1 (en) * 2005-03-15 2006-09-21 Eastman Kodak Company Frequency modulation technique for CMOS image sensors
US7916186B2 (en) 2005-04-07 2011-03-29 Micron Technology, Inc. Anti-eclipse circuitry with tracking of floating diffusion reset level
JP4524652B2 (ja) 2005-07-06 2010-08-18 ソニー株式会社 Ad変換装置並びに半導体装置
JP4529834B2 (ja) * 2005-07-29 2010-08-25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固体撮像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撮像装置
KR100744117B1 (ko) * 2005-08-24 2007-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손실이 없는 비선형 아날로그 게인 콘트롤러를 지닌 이미지 센서 및 제조 방법
JP4723994B2 (ja) * 2005-12-19 2011-07-13 株式会社東芝 固体撮像装置
JP5080794B2 (ja) * 2006-01-17 2012-11-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
US7382008B2 (en) * 2006-05-02 2008-06-03 Eastman Kodak Company Ultra-small CMOS image sensor pixel using a photodiode potential technique
EP1858245A1 (en) * 2006-05-17 2007-11-21 STMicroelectronics (Research & Development) Limited High performance photosensor
US7696545B2 (en) * 2006-08-29 2010-04-13 Micron Technology, Inc. Skimmed charge capture and charge packet removal for increased effective pixel photosensor full well capacity
KR100830582B1 (ko) * 2006-11-13 2008-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더블 샘플링 방법 및 그것을 수행하는 씨모스이미지 센서 그리고 그것을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
US7474582B2 (en) * 2006-12-12 2009-01-0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power
US11339430B2 (en) 2007-07-10 2022-05-24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alytes using large scale FET arrays
US8262900B2 (en) * 2006-12-14 2012-09-11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alytes using large scale FET arrays
EP2092322B1 (en) 2006-12-14 2016-02-17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alytes using large scale fet arrays
JP4340296B2 (ja) * 2007-01-30 2009-10-07 シャープ株式会社 A/d変換器
JP5076568B2 (ja) * 2007-03-12 2012-11-21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処理方法、データ処理装置、固体撮像装置、撮像装置、電子機器
JP5264095B2 (ja) * 2007-04-09 2013-08-14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JP5162946B2 (ja) 2007-04-18 2013-03-13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転送回路、固体撮像素子、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2008278062A (ja) * 2007-04-26 2008-11-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固体撮像装置、ad変換器、ad変換方法
JP4458113B2 (ja) * 2007-05-02 2010-04-28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転送回路、固体撮像素子、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5040427B2 (ja) * 2007-05-11 2012-10-03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処理方法、データ処理装置、固体撮像装置、撮像装置、電子機器
JP5040449B2 (ja) 2007-05-31 2012-10-03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および固体撮像素子を用いた信号処理方法
US7538702B2 (en) * 2007-06-15 2009-05-26 Micron Technology, Inc. Quantizing circuits with variable parameters
JP4929075B2 (ja) * 2007-06-28 2012-05-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撮像装置
JP4929090B2 (ja) * 2007-07-26 2012-05-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4389981B2 (ja) * 2007-08-06 2009-12-24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固体撮像装置のアナログ−デジタル変換方法および撮像装置
JP5187550B2 (ja) * 2007-08-21 2013-04-24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4386118B2 (ja) 2007-08-31 2009-12-16 ソニー株式会社 撮像回路
KR101448917B1 (ko) * 2007-09-11 2014-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의사 멀티플 샘플링 방법을 사용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장치 및 방법
JP4946761B2 (ja) 2007-09-28 2012-06-06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2009089085A (ja) * 2007-09-28 2009-04-23 Sony Corp 固体撮像素子およ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カメラシステム
JP4853445B2 (ja) * 2007-09-28 2012-01-11 ソニー株式会社 A/d変換回路、固体撮像素子、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4858388B2 (ja) * 2007-09-28 2012-01-18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駆動制御方法、および撮像装置
TWI399088B (zh) * 2007-10-12 2013-06-11 Sony Corp 資料處理器,固態成像裝置,成像裝置,及電子設備
JP2009159069A (ja) * 2007-12-25 2009-07-16 Panasonic Corp 固体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
JP2009159331A (ja) * 2007-12-26 2009-07-16 Panasonic Corp 固体撮像装置、その駆動方法およびカメラ
JP2009177797A (ja) * 2007-12-26 2009-08-06 Panasonic Corp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9200931A (ja) * 2008-02-22 2009-09-03 Panasonic Corp 固体撮像装置、半導体集積回路装置、および信号処理方法
JP5371463B2 (ja) * 2008-02-28 2013-12-1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GB0806427D0 (en) * 2008-04-09 2008-05-14 Cmosis Nv Parallel analog-to-digital conversion in pixel arrays
JP5115335B2 (ja) * 2008-05-27 2013-01-09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及びカメラシステム
JP5332314B2 (ja) * 2008-05-29 2013-11-06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2009296500A (ja) * 2008-06-09 2009-12-17 Olympus Corp 撮像装置
JP5198156B2 (ja) * 2008-06-09 2013-05-1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
JP5077091B2 (ja) * 2008-06-23 2012-11-21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JP5262512B2 (ja) * 2008-09-25 2013-08-14 ソニー株式会社 撮像素子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カメラ
US20100137143A1 (en) 2008-10-22 2010-06-03 Ion Torrent Systems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alytes
US20100301398A1 (en) 2009-05-29 2010-12-02 Ion Torrent Systems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alytes
JP5446282B2 (ja) * 2009-01-21 2014-03-19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KR101621244B1 (ko) * 2009-02-13 201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운터 회로, 이를 포함하는 장치 및 카운팅 방법
GB0902822D0 (en) * 2009-02-19 2009-04-08 Cmosis Nv Analog-to-digital conversation in pixel arrays
US8446309B2 (en) * 2009-02-19 2013-05-21 Cmosis Nv Analog-to-digital conversion in pixel arrays
KR101365408B1 (ko) * 2009-03-03 2014-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카운터 회로, 이를 포함하는 물리량 측정 장치 및 카운팅 방법
KR101543676B1 (ko) * 2009-03-04 2015-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증분 델타-시그마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와 이를 포함하는장치들
JP2010212365A (ja) * 2009-03-09 2010-09-24 Sony Corp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電子機器
FR2943199B1 (fr) * 2009-03-13 2012-12-28 E2V Semiconductors Procede de lecture de signal de capteur d'image et capteur d'image.
JP5245984B2 (ja) * 2009-03-30 2013-07-24 ソニー株式会社 撮像素子、読み出し信号の変換方法およびカメラ
JP5636694B2 (ja) * 2009-04-03 2014-12-10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ad変換装置、ad変換方法
JP5426220B2 (ja) * 2009-04-13 2014-02-26 株式会社東芝 電源ノイズ除去回路
JP2010268080A (ja) * 2009-05-12 2010-11-25 Canon Inc 固体撮像装置
US8776573B2 (en) 2009-05-29 2014-07-15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alytes
JP2011029793A (ja) * 2009-07-22 2011-02-10 Panasonic Corp 固体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
JP5282689B2 (ja) * 2009-07-23 2013-09-04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2011035701A (ja) * 2009-08-03 2011-02-17 Curious Corp イメージセンサ用a/d変換装置
KR101647366B1 (ko) * 2009-09-25 2016-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운터 회로, 이를 포함하는 장치 및 카운팅 방법
JP5429547B2 (ja) * 2009-10-02 2014-02-26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撮像装置、ad変換方法
JP5481221B2 (ja) 2010-02-08 2014-04-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ad変換方法
JP5493980B2 (ja) * 2010-02-19 2014-05-14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5619434B2 (ja) 2010-02-26 2014-11-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5620693B2 (ja) 2010-02-26 2014-11-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カメラ
JP5127862B2 (ja) * 2010-03-24 2013-01-23 株式会社東芝 固体撮像装置
JP5552858B2 (ja) * 2010-03-26 2014-07-16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固体撮像装置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JP2011239068A (ja) * 2010-05-07 2011-11-24 Toshiba Corp 固体撮像装置
KR20110129543A (ko) * 2010-05-26 2011-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들
JP5632660B2 (ja) * 2010-06-18 2014-11-26 キヤノン株式会社 Ad変換器及びそれを複数用いた固体撮像装置
CN106932456B (zh) 2010-06-30 2020-02-21 生命科技公司 用于测试isfet阵列的方法和装置
WO2012003363A1 (en) 2010-06-30 2012-01-05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Ion-sensing charge-accumulation circuits and methods
US8487790B2 (en) 2010-06-30 2013-07-16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Chemical detection circuit including a serializer circuit
US11307166B2 (en) 2010-07-01 2022-04-19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Column ADC
EP2589065B1 (en) 2010-07-03 2015-08-19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Chemically sensitive sensor with lightly doped drains
JP2012049597A (ja) 2010-08-24 2012-03-08 Nikon Corp 撮像装置
JP5631129B2 (ja) * 2010-09-07 2014-11-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
EP2617061B1 (en) 2010-09-15 2021-06-30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alytes
US8685324B2 (en) * 2010-09-24 2014-04-01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Matched pair transistor circuits
KR101754131B1 (ko) * 2010-12-01 2017-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샘플링 회로와 광감지 장치
JP5695401B2 (ja) * 2010-12-01 2015-04-0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
JP5730030B2 (ja) * 2011-01-17 2015-06-03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WO2012143982A1 (ja) * 2011-04-21 2012-10-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ランプ生成回路、並びにそれを備えたイメージセンサーおよび撮像装置
CN103828343B (zh) * 2011-06-10 2017-07-11 菲力尔系统公司 基于行的图像处理和柔性存储系统
JP5749579B2 (ja) * 2011-06-14 2015-07-1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Ad変換回路および固体撮像装置
JP5784377B2 (ja) * 2011-06-14 2015-09-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Ad変換回路および撮像装置
JP5734121B2 (ja) * 2011-07-15 2015-06-10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JP5814050B2 (ja) * 2011-09-02 2015-11-17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JP5806566B2 (ja) * 2011-09-15 2015-11-10 キヤノン株式会社 A/d変換器および固体撮像装置
US9970984B2 (en) 2011-12-01 2018-05-15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defects in a chemical sensor array
JP5882041B2 (ja) 2011-12-08 2016-03-09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Adコンバ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固体撮像装置
TWI462487B (zh) 2011-12-23 2014-11-21 Ind Tech Res Inst 類比數位轉換裝置及其轉換方法
JP5500660B2 (ja) * 2012-01-23 2014-05-21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固体撮像装置
ITPI20120060A1 (it) * 2012-05-15 2013-11-16 Ronaldo Bellazzini Sensore radiologico digitale
US8786331B2 (en) 2012-05-29 2014-07-22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 for reducing noise in a chemical sensor array
JP5980080B2 (ja) * 2012-10-02 2016-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電変換装置、撮像システム、光電変換装置の検査方法および撮像システムの製造方法
JP2014099693A (ja) * 2012-11-13 2014-05-29 Sony Corp 撮像素子、撮像装置、半導体素子、および読み出し方法
US9080968B2 (en) 2013-01-04 2015-07-14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point of use removal of sacrificial material
US9841398B2 (en) 2013-01-08 2017-12-12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s for manufacturing well structures for low-noise chemical sensors
JP6097574B2 (ja) * 2013-01-25 2017-03-1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その駆動方法、及び撮像システム
JP6108878B2 (ja) * 2013-03-01 2017-04-0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駆動方法、撮像システム、撮像システムの駆動方法
US8963216B2 (en) 2013-03-13 2015-02-24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Chemical sensor with sidewall spacer sensor surface
US9835585B2 (en) 2013-03-15 2017-12-05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Chemical sensor with protruded sensor surface
CN105264366B (zh) 2013-03-15 2019-04-16 生命科技公司 具有一致传感器表面区域的化学传感器
US20140264471A1 (en) 2013-03-15 2014-09-18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Chemical device with thin conductive element
US20140336063A1 (en) 2013-05-09 2014-11-13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Windowed Sequencing
US10458942B2 (en) 2013-06-10 2019-10-29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Chemical sensor array having multiple sensors per well
JP6173058B2 (ja) * 2013-06-17 2017-08-0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撮像装置の駆動方法、撮像システムの駆動方法
KR102057575B1 (ko) 2013-07-25 2019-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N103595411A (zh) * 2013-10-14 2014-02-19 天津市晶奇微电子有限公司 Cmos图像传感器单斜adc数字相关双采样电路
KR102130611B1 (ko) * 2013-12-31 2020-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회로,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및 이미지 센서의 동작 방법
JP6245997B2 (ja) * 2014-01-16 2017-12-13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JP6274898B2 (ja) * 2014-02-17 2018-02-07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カメラ
KR102160120B1 (ko) * 2014-03-14 2020-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샘플링 주기를 제어할 수 있는 샘플링 주기 제어 회로
KR102215751B1 (ko) 2014-06-11 2021-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미지 센서, 이의 작동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 시스템
US10021332B2 (en) * 2014-06-25 2018-07-10 Sony Semiconductor Solutions Corporation Image sensor, method of driving an image sensor, electronic apparatus, and program
KR102253003B1 (ko) * 2014-07-11 2021-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의 픽셀 어레이 및 이미지 센서
JP2016036075A (ja) * 2014-08-01 2016-03-17 株式会社東芝 固体撮像装置
JP6699553B2 (ja) * 2014-08-20 2020-05-27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撮像素子、並びに、電子機器
JP2016111677A (ja) * 2014-09-26 2016-06-2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無線センサ、及び電子機器
JP6579744B2 (ja) 2014-11-28 2019-09-2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撮像装置の駆動方法、及び撮像装置の検査方法
US10077472B2 (en) 2014-12-18 2018-09-18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High data rate integrated circuit with power management
CN107250784B (zh) 2014-12-18 2020-10-23 生命科技公司 具有发送器配置的高数据率集成电路
JP6586793B2 (ja) * 2015-06-30 2019-10-09 株式会社リコー 光電変換装置及び画像生成装置
JP2017046318A (ja) * 2015-08-28 2017-03-02 株式会社東芝 半導体集積回路及びイメージセンサ
CN109076181B (zh) * 2016-03-29 2021-10-15 株式会社尼康 摄像元件及摄像装置
US10326957B2 (en) 2016-12-05 2019-06-18 Tech Idea Co., Ltd. A/D converter and sensor device using the same
JP6748622B2 (ja) * 2017-02-16 2020-09-02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撮像システムおよび撮像装置
KR102332646B1 (ko) * 2017-05-02 2021-11-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집적회로
JP2018195975A (ja) * 2017-05-17 2018-12-06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撮像素子、並びに、電子機器
US10419701B2 (en) * 2017-06-26 2019-09-17 Facebook Technologies, Llc Digital pixel image sensor
US10686996B2 (en) 2017-06-26 2020-06-16 Facebook Technologies, Llc Digital pixel with extended dynamic range
US10598546B2 (en) 2017-08-17 2020-03-24 Facebook Technologies, Llc Detecting high intensity light in photo sensor
JP6987603B2 (ja) * 2017-10-26 2022-01-05 ブリルニクス シンガポール プライベート リミテッド 固体撮像装置、固体撮像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US10785423B2 (en) * 2017-12-07 2020-09-2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ensor,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image capturing method
TWI703549B (zh) * 2018-03-08 2020-09-01 瑞鼎科技股份有限公司 應用於顯示裝置之電壓校正電路及電壓校正方法
US11906353B2 (en) 2018-06-11 2024-02-20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Digital pixel with extended dynamic range
US11463636B2 (en) 2018-06-27 2022-10-04 Facebook Technologies, Llc Pixel sensor having multiple photodiodes
US10897586B2 (en) 2018-06-28 2021-01-19 Facebook Technologies, Llc Global shutter image sensor
US10931884B2 (en) 2018-08-20 2021-02-23 Facebook Technologies, Llc Pixel sensor having adaptive exposure time
US11956413B2 (en) 2018-08-27 2024-04-09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Pixel sensor having multiple photodiodes and shared comparator
US11595602B2 (en) 2018-11-05 2023-02-28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Image sensor post processing
US11218660B1 (en) 2019-03-26 2022-01-04 Facebook Technologies, Llc Pixel sensor having shared readout structure
JP2020188360A (ja) * 2019-05-14 2020-11-19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およびその駆動方法
US11943561B2 (en) 2019-06-13 2024-03-26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Non-linear quantization at pixel sensor
US11936998B1 (en) 2019-10-17 2024-03-19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Digital pixel sensor having extended dynamic range
KR20210112765A (ko) * 2020-03-06 2021-09-1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이미지 센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902685B1 (en) 2020-04-28 2024-02-13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Pixel sensor having hierarchical memory
US20230170179A1 (en) * 2020-05-01 2023-06-01 Asml Netherlands B.V. Enhanced architecture for high-performance detection device
US11910114B2 (en) 2020-07-17 2024-02-20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Multi-mode image sensor
US11956560B2 (en) 2020-10-09 2024-04-09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Digital pixel sensor having reduced quantization op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8716A (en) * 1979-09-28 1981-05-02 Nec Corp Offset voltage compensating circuit
JPS57162520A (en) * 1981-03-30 1982-10-06 Fujitsu Ltd A/d converting system
JPS58186215A (ja) * 1982-04-23 1983-10-31 Nec Corp 高速コンパレ−タ回路
JPS5945715A (ja) 1982-09-09 1984-03-14 Hitachi Ltd デイジタルアナログ変換器
JPS63177609A (ja) * 1987-01-19 1988-07-21 Hitachi Ltd 電圧比較器
CN1047406A (zh) * 1989-05-08 1990-11-28 蒋南峰 实时信号处理机的双口存贮器
JP2523998B2 (ja) * 1991-01-31 1996-08-14 株式会社東芝 コンパレ―タ
JPH04247705A (ja) * 1991-02-04 1992-09-03 Sansei Denshi Japan Kk 電圧比較集積回路装置
JPH05206756A (ja) * 1992-01-28 1993-08-13 Fujitsu Ltd 差動チョッパ型cmos比較器
JPH0669769A (ja) * 1992-08-20 1994-03-11 Nec Corp 比較器
JPH06164337A (ja) * 1992-11-18 1994-06-10 Fuji Xerox Co Ltd 差動型電圧比較器
JPH07297720A (ja) * 1994-04-25 1995-11-10 Hitachi Ltd コンパレータ
JPH07302497A (ja) * 1994-05-06 1995-11-14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のセンスアンプ回路
JPH08256060A (ja) * 1995-03-17 1996-10-01 Nec Corp 比較型a/d変換器
FR2733101A1 (fr) * 1995-04-12 1996-10-18 Philips Electronics Nv Circuit logique de type a emetteurs couples, fonctionnant sous une faible tension d'alimentation
US5877715A (en) * 1997-06-12 1999-03-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rrelated double sampling with up/down counter
US6115066A (en) 1997-06-12 2000-09-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mage sensor with direct digital correlated sampling
US5920274A (en) * 1997-08-05 1999-07-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mage sensor employing non-uniform A/D conversion
KR100266657B1 (ko) * 1998-01-20 2000-10-02 김영환 이중 리셋 구조를 갖는 모스형 증폭 촬상소자
US6633335B1 (en) * 1998-02-28 2003-10-14 Hyundai Electronics Industries Co., Ltd. CMOS image sensor with testing circuit for verifying operation thereof
US6204795B1 (en) * 1999-01-08 2001-03-20 Intel Corporation Programmable incremental A/D converter for digital camera and image processing
GB2356796B (en) 1999-11-30 2001-10-31 Roberts Technologies Plc Equipment holder
DE19959539A1 (de) 1999-12-09 2001-06-13 Thomson Brandt Gmbh Bildaufnehmer
CN1224896C (zh) * 1999-12-13 2005-10-26 凌阳科技股份有限公司 可实现临界区控制的微处理器结构
KR100498594B1 (ko) * 2000-12-30 2005-07-01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씨모스 이미지 센서
EP1301028A1 (en) * 2001-10-05 2003-04-09 STMicroelectronics Limite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MOS Image sensors
US7319423B2 (en) * 2002-07-31 2008-01-15 Quantum Semiconductor Llc Multi-mode ADC and its application to CMOS image sensors
JP2004080581A (ja) * 2002-08-21 2004-03-11 Sanyo Electric Co Ltd 電圧比較器、アナログ−デジタル変換器およびアナログ−デジタル変換回路
US7130988B2 (en) * 2002-11-15 2006-10-31 Via-Cyrix, Inc. Status register update logic optimization
KR100559451B1 (ko) * 2003-09-17 2006-03-10 한국과학기술원 Cmos 이미지센서
US7315273B2 (en) * 2004-11-08 2008-01-01 Sony Corporation Analog-to-digital conversion method, analog-to-digital converter, semiconductor device for detecting distribution of physical quantity,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671693B1 (ko) * 2005-03-29 2007-01-19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아날로그 상호 연관된 이중 샘플링 기능을 수행하는cmos 이미지센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246B1 (ko) * 2007-02-05 2014-10-02 소니 주식회사 고체 촬상 장치 및 촬상 장치
KR101455400B1 (ko) * 2007-05-18 2014-10-27 소니 주식회사 고체 촬상 장치, 촬상 기기, 전자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81211A (zh) 2005-10-12
US20070024730A1 (en) 2007-02-01
EP2093883B1 (en) 2011-08-17
KR20110087262A (ko) 2011-08-02
CN102801419A (zh) 2012-11-28
TWI260089B (en) 2006-08-11
KR101067523B1 (ko) 2011-09-27
KR20110087261A (ko) 2011-08-02
EP1566891A3 (en) 2006-06-21
JP5605377B2 (ja) 2014-10-15
TW200536115A (en) 2005-11-01
US20070019091A1 (en) 2007-01-25
US7564398B2 (en) 2009-07-21
US20050206548A1 (en) 2005-09-22
US7683818B2 (en) 2010-03-23
US20070024731A1 (en) 2007-02-01
US7586431B2 (en) 2009-09-08
KR101067598B1 (ko) 2011-09-27
JP2012095349A (ja) 2012-05-17
US20070024729A1 (en) 2007-02-01
EP2093883A1 (en) 2009-08-26
JP2010022063A (ja) 2010-01-28
KR101067556B1 (ko) 2011-09-27
JP4983889B2 (ja) 2012-07-25
US20070024728A1 (en) 2007-02-01
CN102801419B (zh) 2016-12-21
KR20110087260A (ko) 2011-08-02
US7129883B2 (en) 2006-10-31
US7532148B2 (en) 2009-05-12
EP1566891A2 (en) 2005-08-24
KR101067622B1 (ko) 201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523B1 (ko) Ad 변환 방법, ad 변환 장치, 물리량 분포를 검지하는반도체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1202167B1 (ko)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방법,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장치,물리량 분포 검출용 반도체 장치, 및 전자 기기
JP4470700B2 (ja) Ad変換方法およびad変換装置並びに物理量分布検知の半導体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202140B1 (ko) 카운터 회로, ad 변환 방법, ad 변환 장치, 물리량 분포 검지용 반도체 장치 및 전자 기기
US7321329B2 (en) Analog-to-digital converter and semiconductor device
KR101143113B1 (ko) Ad 변환 방법 및 물리량 분포 검지용 반도체 장치
KR20060045620A (ko) Ad 변환 방법, ad 변환기, 물리량 분포를 검출하기위한 반도체 장치 및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