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5155B1 - 코일 부품 - Google Patents

코일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5155B1
KR101265155B1 KR1020110130702A KR20110130702A KR101265155B1 KR 101265155 B1 KR101265155 B1 KR 101265155B1 KR 1020110130702 A KR1020110130702 A KR 1020110130702A KR 20110130702 A KR20110130702 A KR 20110130702A KR 101265155 B1 KR101265155 B1 KR 101265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magnetic
magnetic body
component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4657A (ko
Inventor
히토시 마츠우라
토모미 코바야시
요시카즈 오키노
히데미 이와오
켄이치로 노기
켄지 오타케
Original Assignee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4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4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03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 H01F1/0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0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03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 H01F1/0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06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 H01F1/08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pressed, sintered, or bound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33Printed inductances with the coil helically wound around a magnetic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55Magnetic cores made from p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01F2027/2809Printed windings on stacked layers

Abstract

나선상(螺旋狀)의 코일부가 자성체부(磁性體部)와 직접 접촉하는 타입이면서 대전류화(大電流化)의 요구를 만족할 수 있는 코일 부품을 제공한다. 코일 부품(10)은, 나선상의 코일부(13)가 자성체부(12)에 의해 덮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자성체부(12)는 자성 합금 입자군을 그 주체로 하며, 유리 성분을 포함하고 있지 않고, 상기 자성 합금 입자 각각의 표면에는 상기 입자의 산화물막이 존재하고 있다.

Description

코일 부품{COIL COMPONENT}
본 발명은, 나선상(螺旋狀)의 코일부가 자성체부(磁性體部)에 의해 덮인 구조를 가지는 코일 부품에 관한 것이다.
인덕터나 초크 코일이나 트랜스 등으로 대표되는 코일 부품(흔히 말하는 인덕턴스 부품)은, 나선상의 코일부가 자성체부에 의해 덮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코일부를 덮는 자성체부에는, 그 재료로서 Ni-Cu-Zn계 페라이트 등의 페라이트(산화철을 주성분으로 하는 세라믹스를 의미한다)가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 이 종류의 코일 부품에는 대전류화(大電流化)[정격 전류의 고치화(高値化)를 의미한다]가 요구되고 있고, 그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서, 자성체부의 재료를 종전의 페라이트로부터 Fe-Cr-Si합금으로 절체(切替)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특허 문헌 1을 참조).
이 Fe-Cr-Si합금은, 재료 자체의 포화 자속 밀도가 종전의 페라이트에 비해서 높은 반면, 재료 자체의 체적 저항률이 종전의 페라이트에 비해서 현격히 낮다. 즉, 나선상의 코일부가 자성체부와 직접 접촉하는 타입의 코일 부품, 예를 들면, 적층 타입이나 압분(壓粉) 타입 등의 코일 부품에 있어서, 자성체부의 재료를 종전의 페라이트로부터 Fe-Cr-Si합금으로 절체하기 위해서는, Fe-Cr-Si합금 입자군(粒子群)으로 이루어지는 자성체부 자체의 체적 저항률을 페라이트 입자군으로 이루어지는 자성체부 자체의 체적 저항률에 가깝게 하는 연구,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적 저항률보다도 높이는 연구가 필요해진다.
요컨대, Fe-Cr-Si합금 입자군으로 이루어지는 자성체부 자체에 높은 체적저항률을 확보할 수 없으면, 재료 자체의 포화 자속 밀도를 유효 이용하여 부품 자체의 포화 자속 밀도를 고치화할 수 없고, 코일부로부터 자성체부에 전류가 누설되어 자계가 흐트러지는 현상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부품 자체의 인덕턴스가 저하해버린다.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1에는, 적층 타입의 코일 부품에 있어서의 자성체부의 제작 방법으로서, Fe-Cr-Si합금 입자군 이외에 유리 성분을 포함하는 자성체 페이스트에 의해 형성된 자성체층과 도체 패턴을 적층하여 질소 분위기 중(=환원성 분위기 중)에서 소성(燒成)한 후에, 상기 소성물에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含浸)시키는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제작 방법에서는, 자성체 페이스트에 포함된 유리 성분이 자성체부 내에 잔존하기 때문에, 상기 자성체부 내에 존재하는 유리 성분에 의해 Fe-Cr-Si합금 입자의 체적률이 감소하고, 상기 감소를 원인으로 하여서 부품 자체의 포화 자속 밀도도 저하해버린다.
1. 일본 공개 특허 제2007-027354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나선상의 코일부가 자성체부와 직접 접촉하는 타입으로 대전류화의 요구를 만족할 수 있는 코일 부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자성체부에 의해 덮인 나선상의 코일부가 그 자성체부와 직접 접촉하는 타입의 코일 부품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부는 자성 합금 입자군을 그 주체(主體)로 하며, 유리 성분을 포함하고 있지 않고, 상기 자성 합금 입자 각각의 표면에는 상기 자성 합금 입자의 산화물막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성체부를 구성하는 자성 합금 입자 각각의 표면에는 상기 자성 합금 입자의 산화물막(=절연막)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자성체부 내의 자성 합금 입자는 절연막의 역할을 하는 산화물막을 개재하여 상호 결합하고, 코일부 근방의 자성 합금 입자는 절연막의 역할을 하는 산화물막을 개재하여 상기 코일부와 밀착하고 있기 때문에, 자성 합금 입자군을 그 주체로 하는 자성체부 자체에 높은 체적 저항률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자성체부는 유리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기 자성체부 내에 존재하는 유리 성분에 의해 자성 합금 입자의 체적률이 감소하지 않고, 상기 감소를 원인으로 한 부품 자체의 포화 자속 밀도의 저하도 회피할 수 있다.
즉, 코일부가 자성체부와 직접 접촉하는 타입으로, 자성 합금 재료 자체의 포화 자속 밀도를 유효 이용하여 부품 자체의 포화 자속 밀도를 고치화할 수 있기 때문에 대전류화의 요구를 만족할 수 있고, 코일부로부터 자성체부에 전류가 누설되어 자계가 흐트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자체의 인덕턴스의 저하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과 그 이외의 목적과, 구성 특징과, 작용 효과는, 이하의 설명과 첨부 도면에 의해 명확해진다.
도 1은 적층 타입의 코일 부품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S11-S11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부품 본체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자성체부를 구성하는 입자의 입도(粒度)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자성체부를 투과형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에 얻은 화상에 준하여 입자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은 탈(脫) 바인더 프로세스 실행 전의 자성체부를 투과형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에 얻은 화상에 준하여 입자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은 탈 바인더 프로세스 실행 후의 자성체부를 투과형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에 얻은 화상에 준하여 입자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코일 부품의 구체 구조예]
우선, 본 발명을 적층 타입의 코일 부품에 적용한 구체 구조예를, 도 1∼도 5를 인용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코일 부품(10)은, 길이(L)가 약 3.2mm이고, 폭(W)이 약 1.6mm이고, 높이(H)가 약 0.8mm이고, 전체가 직방체(直方體)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코일 부품(10)은, 직방체 형상의 부품 본체(11)와, 상기 부품 본체(11)의 길이 방향의 양단(兩端)부에 설치된 1쌍의 외부 단자(14, 15)를 포함하고 있다. 부품 본체(1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방체 형상의 자성체부(12)와, 상기 자성체부(12)에 의해 덮인 나선상의 코일부(13)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코일부(13)의 일단은 외부 단자(14)에 접속하고 타단은 외부 단자(15)에 접속하고 있다.
자성체부(1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총 20층의 자성체층(ML1∼ML6)이 일체화한 구조를 가지고, 길이가 약 3.2mm이고, 폭이 약 1.6mm이고, 높이가 약 0.8mm이다. 각 자성체층(ML1∼ML6)의 길이는 약 3.2mm이고, 폭은 약 1.6mm이고, 두께는 약 40㎛이다. 이 자성체부(12)는, Fe-Cr-Si합금 입자군을 그 주체로 하고, 유리 성분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Fe-Cr-Si합금 입자의 조성은, Fe가 88∼96.5wt%이고, Cr이 2∼8wt%이고, Si가 1.5∼7wt%이다.
자성체부(12)를 구성하는 Fe-Cr-Si합금 입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적 기준의 입자 지름으로서 본 경우의 d50(메디안 지름)이 10㎛이고, d10이 3㎛이고, d90이 16㎛이고, d10/d50이 0.3이고, d90/d50이 1.6이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Fe-Cr-Si합금 입자(1) 각각의 표면에는 상기 Fe-Cr-Si합금 입자의 산화물막(=절연막, 2)이 존재하고 있고, 자성체부(12) 내의 Fe-Cr-Si합금 입자(1)는 절연막의 역할을 하는 산화물막(2)을 개재하여 상호 결합하고, 코일부(13) 근방의 Fe-Cr-Si합금 입자(1)는 절연막의 역할을 하는 산화물막(2)을 개재하여 그 코일부(13)와 밀착하고 있다. 이 산화물막(2)은, 자성체에 속하는 Fe3O4와, 비자성체에 속하는 Fe2O3 및 Cr2O3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또한, 도 4는 레이저 회절 산란법을 이용한 입자 지름·입도 분포 측정 장치[니키소(日機裝)(주) 제(製)의 마이크로 트럭]를 이용하여 측정한 입도 분포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5는 자성체부(12)를 투과형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에 얻은 화상에 준하여 입자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자성체부(12)를 구성하는 Fe-Cr-Si합금 입자(1)는 실제로 완전한 구형(球形)을 이루는 것이 아니지만, 입자 지름이 분포를 가지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서 입자 전부를 구형으로서 그리고 있다. 또한, 입자 각각의 표면에 존재하는 산화물막(2)의 두께는 실제로 0.05∼0.2㎛의 범위에서 편차를 가지나, 산화물막(2)이 입자 표면에 존재하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서 상기 산화물막(2)의 두께 전부를 균등하게 그리고 있다.
코일부(13)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총 5개의 코일 세그먼트(CS1∼CS5)와, 상기 코일 세그먼트(CS1∼CS5)를 접속하는 총 4개의 중계(中繼) 세그먼트(IS1∼IS4)가, 나선상으로 일체화한 구조를 가지고, 그 권취수는 약 3.5이다. 이 코일부(13)는 Ag입자군을 그 주체로 한다. Ag입자는, 체적 기준의 입자 지름으로서 본 경우 d50(메디안 지름)이 5㎛이다.
4개의 코일 세그먼트(CS1∼CS4)는 ㄷ자 형상을 이루고, 1개의 코일 세그먼트(CS5)는 띠 상태를 이루고 있고, 각 코일 세그먼트(CS1∼CS5)의 두께는 약 20㎛이고, 폭은 약 0.2mm이다. 최상위의 코일 세그먼트(CS1)는, 외부 단자(14)와의 접속에 이용되는 L자 형상의 인출(引出) 부분(LS1)을 연속해서 포함하고, 최하위의 코일 세그먼트(CS5)는, 외부 단자(15)와의 접속에 이용되는 L자 형상의 인출 부분(LS2)을 연속해서 포함하고 있다. 각 중계 세그먼트(IS1∼IS4)는 자성체층(ML1∼ML4)을 관통한 주상(柱狀)을 이루고 있고, 각각의 구경(口徑)은 약 15㎛이다.
각 외부 단자(14, 1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품 본체(11)의 길이 방향의 각 단면과 상기 단면 근방의 4측면에 달하고 있고, 그 두께는 약 20㎛이다. 일방의 외부 단자(14)는 최상위의 코일 세그먼트(CS1)의 인출 부분(LS1)의 단연(端緣)과 접속하고, 타방의 외부 단자(15)는 최하위의 코일 세그먼트(CS5)의 인출 부분(LS2)의 단연과 접속하고 있다. 이 각 외부 단자(14, 15)는, Ag입자군을 그 주체로 한다. Ag입자는, 체적 기준의 입자 지름으로서 본 경우의 d50(메디안 지름)이 5㎛이다.
[코일 부품의 구체적 제법의 예]
다음으로, 상기 코일 부품(10)의 구체적 제법의 예를, 도 3, 도 5, 도 6 및 도 7을 인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코일 부품(10)을 제조할 때에는, 닥터 블레이드나 다이 코터 등의 도공기(塗工機, 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미리 준비한 자성체 페이스트를 플라스틱제의 베이스 필름(도시 생략)의 표면에 도공하고, 이것을 열풍 건조기 등의 건조기(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약 80℃, 약 5min의 조건으로 건조하고, 자성체층(ML1∼ML6, 도 3을 참조)에 대응하여, 다수 개 적합한 사이즈의 제1∼제6 시트를 각각 제작한다.
여기서 이용한 자성체 페이스트의 조성은, Fe-Cr-Si합금 입자군이 85wt%이고, 부틸카르비톨(용제)이 13wt%이고, 폴리비닐부틸알(바인더)이 2wt%이고, Fe-Cr-Si합금 입자의 d50(메디안 지름), d10 및 d90은 전술한 바와 같다.
계속해서, 펀칭 가공기나 레이저 가공기 등의 천공기(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자성체층(ML1, 도 3을 참조)에 대응하는 제1 시트에 천공을 수행하고, 중계 세그먼트(IS1, 도 3을 참조)에 대응하는 관통공을 소정 배열로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자성체층(ML2∼ML4, 도 3을 참조)에 대응하는 제2∼ 제4시트 각각에, 중계 세그먼트(IS2∼IS4, 도3을 참조)에 대응하는 관통공을 소정 배열로 형성한다.
계속해서, 스크린 인쇄기나 그라비어 인쇄기 등의 인쇄기(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미리 준비한 도체 페이스트를 자성체층(ML1, 도 3을 참조)에 대응하는 제1 시트의 표면에 인쇄하고, 이것을 열풍 건조기 등의 건조기(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약 80℃, 약 5min의 조건으로 건조하고, 코일 세그먼트(CS1, 도 3을 참조)에 대응하는 제1 인쇄층을 소정 배열로 제작한다. 마찬가지로, 자성체층(ML2∼ML5, 도 3을 참조)에 대응하는 제2∼제5 시트 각각의 표면에, 코일 세그먼트(CS2∼CS5, 도 3을 참조)에 대응하는 제2∼제5 인쇄층을 소정 배열로 제작한다.
여기서 이용한 도체 페이스트의 조성은, Ag입자군이 85wt%이고, 부틸카르비톨(용제)이 13wt%이고, 폴리비닐부틸알(바인더)이 2wt%이고, Ag입자의 d50(메디안 지름)은 전술한 바와 같다.
자성체층(ML1∼ML4, 도 3을 참조)에 대응하는 제1∼제4 시트 각각에 형성한 소정 배열의 관통공은, 소정 배열의 제1∼제4 인쇄층 각각의 단부에 중첩하는 위치에 존재하기 때문에, 제1∼제4 인쇄층을 인쇄할 때에 도체 페이스트의 일부가 각 관통공에 충전되고, 중계 세그먼트(IS1∼IS4, 도 3을 참조)에 대응하는 제1∼제4 충전부가 형성된다.
계속해서, 흡착 반송기와 프레스기(모두 도시 생략)를 이용하고, 인쇄층 및 충전부가 설치된 제1∼제4 시트(자성체층 ML1∼ML4에 대응)와, 인쇄층만 설치된 제5 시트(자성체층 ML5에 대응)와, 인쇄층 및 충전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제6 시트(자성체층 ML6에 대응)를, 도 3에 도시한 순서로 적층하여 열압착하여 적층체를 제작한다.
계속해서, 다이싱기나 레이저 가공기 등의 절단기(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적층체를 부품 본체 사이즈로 절단하고, 가열 처리 전 칩(가열 처리 전의 자성체부 및 코일부를 포함한다)을 제작한다.
계속해서, 소성로 등의 가열 처리기(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대기 등의 산화성 분위기 중에서, 가열 처리전 칩을 다수 개 일괄로 가열 처리한다. 이 가열 처리는 탈(脫) 바인더 프로세스와 산화물막 형성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탈 바인더 프로세스는 약 300℃, 약 1hr의 조건에서 실행되고, 산화물막 형성 프로세스는 약 750℃, 약 2hr의 조건에서 실행된다.
탈 바인더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전의 가열 처리 전 칩에 있어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 처리 전의 자성체부 내의 Fe-Cr-Si합금 입자(1)의 사이에 다수의 미세 극간(隙間)이 존재하고, 상기 미세 극간은 용제와 바인더의 혼합물 (4)로 채워지고 있지만, 이들은 탈 바인더 프로세스에 있어서 소실하기 하기 때문에, 탈 바인더 프로세스가 완료한 후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미세 극간은 포어(3)로 변한다. 또한, 가열 처리 전의 코일부 내의 Ag입자의 사이에도 다수의 미세 극간이 존재하고, 상기 미세 극간은 용제와 바인더의 혼합물로 채워지고 있으나, 이들은 탈 바인더 프로세스에 있어서 소실한다.
탈 바인더 프로세스에 이어지는 산화물막 형성 프로세스에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열 처리 전의 자성체부 내의 Fe-Cr-Si합금 입자(1)가 밀집하여 자성체부(12, 도 1 및 도 2를 참조)가 제작됨과 동시에, 상기 Fe-Cr-Si합금 입자(1) 각각의 표면에 상기 입자(1)의 산화물막(2)이 형성된다. 또한, 가열 처리 전의 코일부 내의 Ag입자군이 소결하여 코일부(13, 도 1 및 도 2를 참조)가 제작되고, 이에 의해 부품 본체(11, 도 1 및 도 2를 참조)가 제작된다.
또한, 도 6 및 도 7은, 탈 바인더 프로세스 실행 전후의 자성체부를 투과형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에 얻은 화상에 준하여 입자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가열 처리 전의 자성체부를 구성하는 Fe-Cr-Si합금 입자(1)는 실제로 완전한 구형을 이루는 것이 아니지만, 도 5와의 조정을 도모하기 위해서 입자 모두를 구형으로 그리고 있다.
계속해서, 딥 도포기나 롤러 도포기 등의 도포기(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미리 준비한 도체 페이스트를 부품 본체(11)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도포하고, 이것을 소성로 등의 가열 처리기(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약 600℃, 약 1hr의 조건으로 소성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소성 처리에 의해 용제 및 바인더의 소실과 Ag입자군의 소결을 수행하여, 외부 단자(14, 15, 도 1 및 도 2를 참조)를 제작한다.
여기서 이용한 도체 페이스트의 조성은, Ag입자군이 85wt%이고, 부틸카르비톨(용제)이 13wt%이고, 폴리비닐부틸알(바인더)이 2wt%이고, Ag입자의 d50(메디안 지름)은 전술한 바와 같다.
[효과]
다음으로, 상기 코일 부품(10)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에 대해서, 표 1의 샘플No. 4를 인용하여 설명한다.
(표 1)
Figure 112011097423900-pat00001
상기 코일 부품(10)에 있어서는, 자성체부(12)를 구성하는 Fe-Cr-Si합금 입자 각각의 표면에는 상기 Fe-Cr-Si합금 입자의 산화물막(=절연막)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자성체부(12) 내의 Fe-Cr-Si합금 입자는 절연막의 역할을 하는 산화물막을 개재하여 상호 결합하고, 코일부(13) 근방의 Fe-Cr-Si합금 입자는 절연막의 역할을 하는 산화물막을 개재하여 상기 코일부(13)와 밀착하고 있기 때문에, Fe-Cr-Si합금 입자군을 그 주체로 하는 자성체부 자체에 높은 체적 저항률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자성체부(12)는 유리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기 자성체부(12) 내에 존재하는 유리 성분에 의해 Fe-Cr-Si합금 입자의 체적률이 감소하지 않고, 상기 감소를 원인으로 한 부품 자체의 포화 자속 밀도의 저하도 회피할 수 있다.
즉, 코일부(13)가 자성체부(12)와 직접 접촉하는 타입이면서, Fe-Cr-Si합금 재료 자체의 포화 자속 밀도를 유효 이용하여 부품 자체의 포화 자속 밀도를 고치화할 수 있기 때문에 대전류화의 요구를 만족할 수 있고, 코일부(13)로부터 자성체부(12)에 전류가 누설되어 자계가 흐트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자체의 인덕턴스의 저하도 회피할 수 있다.
이 효과는, 상기 코일 부품(10)에 해당하는 표 1의 샘플 No. 4의 체적 저항률과 L×Idc1로부터도 입증할 수 있다. 표 1에 나타낸 체적 저항률(Ω·cm)은, 자성체부(12) 자체의 체적 저항률을 나타내는 것이고, 시판하고 있는 LCR미터를 이용해서 측정한 것이다. 한편, 표 1에 나타낸 L×Idc1(μ·HA)은, 초기 인덕턴스(L)와 상기 초기 인덕턴스(L)가 20% 저하했을 때의 직류 중첩 전류(Idc1)와의 곱을 나타내는 것으로, 시판하고 있는 LCR미터를 이용하여 측정 주파수 100kHz로 측정한 것이다.
여기서, 체적 저항률과 L×Idc1의 양·불량 판단 기준에 대해서 설명한다. 종전의 코일 부품의 자성체부에는 페라이트 중에서도 Ni-Cu-Zn계 페라이트가 범용되고 있는 것을 기초로 하고, 비교를 위해서,「Fe-Cr-Si합금 입자를 대신하여, 체적 기준의 입자 지름으로서 본 경우의 d50(메디안 지름)이 10㎛의 Ni-Cu-Zn페라이트 입자를 이용한 점」과「산화물막 형성 프로세스를 대신하여, 약 900℃, 약 2hr의 조건의 소성 프로세스를 채용한 점」이외는, 상기 코일 부품(10)과 구조 및 제조법이 동일한 코일 부품(이하, 비교 코일 부품이라고 한다)을 제작하였다.
이 비교 코일 부품의 자성체부의 체적 저항률과 L×Idc1을 상기와 마찬가지로 측정했더니, 그 체적 저항률은 5.0× 106Ω·cm이며, L×Idc1은 5.2μH·A이었지만, Ni-Cu-Zn페라이트 입자를 채용한 종전의 코일 부품에 있어서는 상기 입자 조성 조작이나 수지 함침 등의 수법에 의해 자성체부의 체적 저항률을 1.0× 107Ω·cm이상으로 향상시키고 있는 상황을 고려한 뒤, 체적 저항률의 양·불량 판단 기준을「1.0× 107Ω·cm」로 하고 상기 기준값 이상의 것을 「양(○)」으로 판단하고 상기 기준값보다도 낮은 것을 「불량(×)」이라고 판단하였다. 또한, L×Idc1의 양·불량 판단 기준을 비교 코일 부품의 L×Idc1의 측정값, 즉, 「5.2μH·A」로 하고 그 기준값보다도 높은 것을 「양호(○)」이라고 판단하고 그 기준값 이하의 것을 「불량」이라고 판단하였다.
샘플 No. 4의 체적 저항률과 L×Idc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코일 부품(10)에 해당하는 샘플 No. 4의 체적 저항률은 5.2× 108Ω·cm이고, 전술한 체적 저항률의 양·불량 판단 기준(1.0× 107Ω·cm)보다도 높고, 또한, 상기 코일 부품 (10)에 해당하는 샘플 No. 4의 L×Idc1은 8.3μH·A이고, 전술한 L×Idc1의 양·불량 판단 기준(5.2μH·A)보다도 높은 것으로부터, 이들 수치에 의해 상기 효과가 입증되고 있다.
[최적인 입도 분포의 검증]
다음으로, 상기 코일 부품(10, 샘플 No.4)의 자성체부(12)를 구성하는 Fe-Cr-Si합금 입자가 최적인 입도 분포(d10/d50과 d90/d50)를 검증한 결과에 대해서, 표 1을 인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코일 부품(10, 샘플 No.4)에서는, 자성체부(12)를 구성하는 Fe-Cr-Si합금 입자로서, 체적 기준의 입자 지름으로서 본 경우의 d50(메디안 지름)이 10㎛이고, d10이 3㎛이고, d90이 16㎛인 것을 이용하였으나, 입도 분포(d10/d50 과 d90/d50)가 다른 입자를 이용한 경우라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지 아닌지를 확인하였다.
표 1에 나타낸 샘플 No. 1∼3 및 5∼10은, 「d10의 값이 상기 코일 부품 (10, 샘플 No.4)과 다른 Fe-Cr-Si합금 입자를 이용한 점」이외는, 상기 코일 부품(10)과 구조 및 제조법이 동일한 코일 부품이다. 또한, 표 1에 나타낸 샘플 No. 11∼22는, 「d90의 값이 상기 코일 부품(10, 샘플 No.4)과 다른 Fe-Cr-Si합금 입자를 이용한 점」이외는, 상기 코일 부품(10)과 구조 및 제조법이 동일한 코일 부품이다.
샘플(No. 1∼10)의 체적 저항률과 L×Idc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d10이 7㎛이하라면, 전술한 체적 저항률의 양·불량 판단 기준(1.0× 107Ω·cm)보다도 높은 체적 저항률을 얻을 수 있고, 또한, d10의 값이 1㎛이상이라면, 먼저 말한 L×Idc1의 양·불량 판단 기준(5.2μH·A)보다도 높은 L×Idc1을 얻을 수 있다. 즉, d10이 1∼7.0㎛의 범위 내(d10/d50이 0.1∼0.7의 범위 내)라면, 좋은 체적 저항률과 L×Idc1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샘플(No. 11∼22)의 체적 저항률과 L×Idc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d90이 50㎛이하라면, 전술한 체적 저항률의 양·불량 판단 기준(1.0× 107Ω·cm)보다도 높은 체적 저항률을 얻을 수 있고, 또한, d90의 값이 14㎛이상이라면, 전술한 L×Idc1의 양·불량 판단 기준(5.2μH·A)보다도 높은 L×Idc1을 얻을 수 있다. 즉, d90이 14∼50㎛의 범위 내(d90/d50가 1.4∼5.0의 범위 내)라면, 좋은 체적 저항률과 L×Idc1을 얻을 수 있다.
요컨대, 체적 기준의 입자 지름으로서 본 경우의 d10/d50이 0.1∼0.7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d90/d50이 1.4∼5.0의 범위 내에 있으면, 입도 분포(d10/d50과 d90/d50)가 다른 Fe-Cr-Si합금 입자를 이용한 경우라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적인 메디안 지름의 검증]
다음으로, 상기 코일 부품(10, 샘플 No.4)의 자성체부(12)를 구성하는 Fe-Cr-Si합금 입자가 최적인 메디안 지름(d50)을 검증한 결과에 대해서, 표 2를 인용하여 설명한다.
(표 2)
Figure 112011097423900-pat00002
상기 코일 부품(10, 샘플 No.4)에서는, 자성체부(12)를 구성하는 Fe-Cr-Si합금 입자로서, 체적 기준의 입자 지름으로서 본 경우의 d50(메디안 지름)이 10㎛이고, d10이 3㎛이고, d90이 16㎛의 것을 이용하였으나, d50(메디안 지름)이 다른 입자를 이용한 경우라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였다.
표 2에 나타낸 샘플 No. 23∼31은, 「d50(메디안 지름)의 값이 상기 코일 부품(10, 샘플 No.4)과 다른 Fe-Cr-Si합금 입자를 이용한 점」이외는, 상기 코일 부품(10)과 구조 및 제조법이 동일한 코일 부품이다.
샘플(No. 23∼31)의 체적 저항률과 L×Idc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d50이 20㎛이하면, 전술한 체적 저항률의 양·불량 판단 기준(1.0×107Ω·cm)보다도 높은 체적 저항률을 얻을 수 있고, 또한, d50이 3㎛이상이면, 전술한 L×Idc1의 양·불량 판단 기준(5.2μH·A)보다도 높은 L×Idc1을 얻을 수 있다. 즉, d50(메디안 지름)이 3∼20㎛의 범위 내라면, 뛰어난 체적 저항률과 L×Idc1을 얻을 수 있다.
요컨대, 체적 기준의 입자 지름으로서 본 경우의 d50(메디안 지름)이 3.0∼20.0㎛의 범위 내에 있으면, d50(메디안 지름)이 다른 Fe-Cr-Si합금 입자를 이용한 경우라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른 코일 부품에의 적용]
다음으로, 상기 [최적인 입도 분포의 검증]란과 상기 [최적인 메디안 지름의 검증]란에서 서술한 수치 범위가, (1) 상기 코일 부품(10, 샘플 No.4)과 구체 제조법이 다른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지 아닌지, (2) 상기 코일 부품(10, 샘플 No.4)과 구체 구조가 다른 동(同)타입의 코일 부품에 적용할 수 있는지 아닌지, (3) 상기 코일 부품(10, 샘플 No.4)과 다른 입자를 자성체부(12)에 이용한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지 아닌지, (4) 상기 코일 부품(10, 샘플 No.4)과 다른 타입의 코일 부품에 적용할 수 있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1) 상기 [코일 부품의 구체적 제법의 예] 란에서는, 자성체 페이스트의 조성으로서, Fe-Cr-Si합금의 입자가 85wt%이고, 부틸카르비톨(용제)이 13wt%이고, 폴리비닐부틸알(바인더)이 2wt%의 것을 나타내었으나, 용제 및 바인더의 백분율 질량은 탈 바인더 프로세스에서 소실하는 범위 내의 것이라면 문제없이 변경할 수 있고, 상기 코일 부품(10, 샘플 No.4)과 동일한 코일 부품을 제조할 수 있다. 도체 페이스트의 조성에 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각 페이스트 용제로서 부틸카르비톨을 나타내었으나, Fe-Cr-Si합금 입자와 Ag입자에 화학적으로 반응하지 않는 용제라면, 부틸카르비톨 이외의 에테르류는 물론, 알코올류나 케톤류나 에스테르류 등에 속하는 것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고, Ag입자를 대신하여 Pt입자나 Pd입자를 이용하여도 상기 코일 부품(10, 샘플 No.4)과 동일한 코일 부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각 페이스트의 바인더로서 폴리비닐부틸알을 나타내었으나, Fe-Cr-Si합금 입자와 Ag입자에 화학적으로 반응하지 않는 바인더라면, 폴리비닐부틸알 이외의 셀룰로오스계 수지는 물론,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나 아크릴 수지 등에 속하는 것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코일 부품(10, 샘플 No.4)과 동일한 코일 부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각 페이스트에, 분산제로서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나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등에 속하는 것을 적량 첨가하여도 특별한 문제는 생기지 않고, 상기 코일 부품(10, 샘플 No.4)과 동일한 코일 부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탈 바인더 프로세스로서 약 300℃, 약 1hr의 조건을 나타내었으나, 용제와 바인더를 소실할 수 있는 조건이라면, 다른 조건을 설정하여도 상기 코일 부품(10, 샘플 No.4)과 동일한 코일 부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산화물막 형성 프로세스로서 약 750℃, 약 2hr의 조건을 나타내었으나, Fe-Cr-Si합금 입자 각각의 표면에 상기 입자의 산화물막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Fe-Cr-Si합금 입자에 물성 변화를 발생시키지 않는 조건이라면, 다른 조건을 설정하여도 상기 코일 부품(10, 샘플 No.4)과 동일한 코일 부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소성 처리로서 약 600℃, 약 1hr의 조건을 나타내었으나, 도체 페이스트의 소성을 문제없이 실시할 수 있는 조건이라면, 다른 조건을 설정하여도 상기 코일 부품(10, 샘플 No.4)과 동일한 코일 부품을 제조할 수 있다.
요컨대, 상기 [최적인 입도 분포의 검증]란과 상기 [최적인 메디안 지름의 검증]란에서 말한 수치 범위는, 상기 코일 부품(10, 샘플 No.4)과 구체 제조법이 다른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2) 상기 [코일 부품의 구체 구조예]란에서는, 자성체부(12)로서 길이가 약 3.2mm이고, 폭이 약 1.6mm으로, 높이가 약 0.8mm의 물건을 나타내었으나, 상기 자성체부(12)의 사이즈는 기본적으로는 부품 자체의 포화 자속 밀도의 기준값에 관여하는 것뿐이기 때문에, 자성체부(12)의 사이즈를 변경하여도 상기 [효과]란에서 말한 효과와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코일부(13)로서 권취수가 약 3.5의 것을 나타내었으나, 상기 코일부(13)의 권취수는 기본적으로는 부품 자체의 인덕턴스의 기준값에 관여하는 것뿐이기 때문에, 코일부(13)의 권취수를 변경하여도 상기 [효과]란에서 말하는 효과와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코일부(13)을 구성하는 각 세그먼트(CS1∼CS5) 및 (IS1∼IS4)의 치수나 형상을 변경한 경우라도 상기 [효과]란에서 말한 효과와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요컨대, 상기 [최적인 입도 분포의 검증]란과 상기 [최적인 메디안 지름의 검증]란에서 말한 수치 범위는, 상기 코일 부품(10, 샘플 No.4)과 구체 구조가 다른 동 타입의 코일 부품에도 적용할 수 있다.
(3) 상기 [코일 부품의 구체 구조예]란에서는, 자성체부(12)를 구성하는 입자로서 Fe-Cr-Si합금 입자를 나타내었으나, 재료 자체의 포화 자속 밀도가 종전의 페라이트보다도 높고, 또한, 산화성 분위기 중의 열처리에 의해 그 표면에 산화물막(=절연막)이 형성되는 자성 합금 입자라면, 예를 들면, Fe-Si-Al합금 입자나 Fe-Ni-Cr합금 입자를 대신하여 이용한 경우라도 상기 [효과]란에서 말한 효과와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요컨대, 상기 [최적인 입도 분포의 검증]란과 상기 [최적인 메디안 지름의 검증]란에서 말한 수치 범위는, 상기 코일 부품(10, 샘플 No.4)과 다른 자성 합금 입자를 자성체부(12)로 이용한 경우라도 적용할 수 있다.
(4) 상기 [코일 부품의 구체 구조예]란에서는, 적층 타입의 코일 부품(10)을 나타냈으나, 나선상의 코일부가 자성체부와 직접 접촉하는 타입의 코일 부품과, 예를 들면, 압분 타입의 코일 부품에 본 발명을 이용한 경우라도 상기 [효과]란에서 말한 효과와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압분 타입의 코일 부품이란, 미리 준비한 나선상의 코일선을 프레스기를 이용하여 자성체분으로 이루어지는 자성체부에 매설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며, 상기 자성체부를 구성하는 자성체분에 Fe-Cr-Si합금 입자를 이용하여 프레스 후의 자성체부를 상기 산화물막 형성 프로세스와 마찬가지의 조건으로 가열 처리하면, 상기 [효과]란에서 말한 효과와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요컨대, 상기 [최적인 입도 분포의 검증]란과 상기 [최적인 메디안 지름의 검증]란에서 말한 수치 범위는, 상기 코일 부품(10, 샘플 No.4)과 다른 타입의 코일 부품에도 적용할 수 있다.
1…자성 합금 입자 2…산화물막
3…포어 4…용제와 바인더의 혼합물
10…코일 부품 11…부품 본체
12…자성체부 13…코일부
14, 15…외부 단자

Claims (5)

  1. 자성체부(磁性體部)에 의해 덮인 나선상(螺旋狀)의 코일부가 상기 자성체부와 직접 접촉하는 타입의 코일 부품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부는 자성 합금 입자군을 그 주체(主體)로 하며, 유리 성분을 포함하고 있지 않고, 상기 자성 합금 입자 각각의 표면에는 상기 자성 합금 입자의 산화물막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합금 입자는, 산화성 분위기 중의 가열 처리에 의해 그 표면에 산화물막이 형성되는 자성 합금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합금 입자는, Fe-Cr-Si합금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합금 입자는, 체적 기준의 입자 지름으로서 본 경우의 d10/d50이 0.1∼0.7의 범위 내에 있고, d90/d50이 1.4∼5.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합금 입자는, 체적 기준의 입자 지름로서 본 d50이 3.0∼20.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품.
KR1020110130702A 2011-01-20 2011-12-08 코일 부품 KR1012651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09886 2011-01-20
JPJP-P-2011-009886 2011-01-20
JP2011232371A JP6081051B2 (ja) 2011-01-20 2011-10-24 コイル部品
JPJP-P-2011-232371 2011-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657A KR20120084657A (ko) 2012-07-30
KR101265155B1 true KR101265155B1 (ko) 2013-05-24

Family

ID=46527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702A KR101265155B1 (ko) 2011-01-20 2011-12-08 코일 부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349517B2 (ko)
JP (1) JP6081051B2 (ko)
KR (1) KR101265155B1 (ko)
CN (2) CN105161283B (ko)
TW (1) TWI4477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81051B2 (ja) * 2011-01-20 2017-02-15 太陽誘電株式会社 コイル部品
JP5032711B1 (ja) 2011-07-05 2012-09-26 太陽誘電株式会社 磁性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イル部品
JP5082002B1 (ja) 2011-08-26 2012-11-28 太陽誘電株式会社 磁性材料およびコイル部品
JP5930643B2 (ja) * 2011-09-29 2016-06-08 太陽誘電株式会社 軟磁性合金素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部品
JP6567259B2 (ja) * 2013-10-01 2019-08-28 日東電工株式会社 軟磁性樹脂組成物、軟磁性フィルム、軟磁性フィルム積層回路基板および位置検出装置
KR101994722B1 (ko) * 2013-10-14 2019-07-01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전자부품
KR101922871B1 (ko) * 2013-11-29 2018-11-28 삼성전기 주식회사 적층형 전자부품, 그 제조방법 및 그 실장기판
JP6452312B2 (ja) * 2014-05-13 2019-01-16 株式会社トーキン コイル部品
JP6502627B2 (ja) * 2014-07-29 2019-04-17 太陽誘電株式会社 コイル部品及び電子機器
US10049808B2 (en) 2014-10-31 2018-08-1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oil component assembly for mass production of coil components and coil components made from coil component assembly
KR102064027B1 (ko) * 2014-10-31 2020-01-09 삼성전기주식회사 시트 타입 인덕터
KR101659206B1 (ko) * 2015-01-30 2016-09-22 삼성전기주식회사 파워 인덕터
JP6345146B2 (ja) * 2015-03-31 2018-06-20 太陽誘電株式会社 コイル部品
JP7223825B2 (ja) * 2016-06-14 2023-02-16 株式会社Fuji 電気的特性取得装置
US10777342B2 (en) * 2016-06-15 2020-09-15 Taiyo Yuden Co., Ltd. Coil compon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7257735B2 (ja) * 2016-06-15 2023-04-14 太陽誘電株式会社 コイル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630627B (zh) * 2016-12-30 2018-07-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磁性材料及包含其之磁性元件
JP6729422B2 (ja) * 2017-01-27 2020-07-2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型電子部品
JP7145610B2 (ja) * 2017-12-27 2022-10-03 Tdk株式会社 積層コイル型電子部品
EP3866179A4 (en) * 2018-10-10 2022-08-17 Ajinomoto Co., Inc. MAGNETIC PASTE
JP7371327B2 (ja) * 2019-01-23 2023-10-31 Tdk株式会社 積層コイル部品
JP7251395B2 (ja) * 2019-08-05 2023-04-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コイル部品
KR102293033B1 (ko) * 2020-01-22 2021-08-24 삼성전기주식회사 자성 복합 시트 및 코일 부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3620A (ja) 2001-04-13 2002-10-25 Toyota Motor Corp 絶縁皮膜を有する軟磁性粉末及びそれを用いた軟磁性成形体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2002329626A (ja) 2001-04-27 2002-11-15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圧粉磁心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93768A (en) 1932-02-06 1940-03-12 Kinzoku Zairyo Kenkyusho Magnetic alloys
US4129444A (en) 1973-01-15 1978-12-12 Cabot Corporation Power metallurgy compacts and products of high performance alloys
JPH0834154B2 (ja) 1986-11-06 1996-03-29 ソニー株式会社 軟磁性薄膜
EP0406580B1 (en) 1989-06-09 1996-09-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 composite material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H04346204A (ja) 1991-05-23 1992-1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3021208B2 (ja) * 1992-09-29 2000-03-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巻線一体型磁気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3688732B2 (ja) 1993-06-29 2005-08-31 株式会社東芝 平面型磁気素子および非晶質磁性薄膜
JPH07201570A (ja) 1993-12-28 1995-08-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厚膜積層インダクタ
JP3483012B2 (ja) * 1994-07-01 2004-01-06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セラミック基板製造用焼結体、セラミック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37107A (ja) * 1994-07-22 1996-02-06 Tdk Corp 圧粉コア
JPH0974011A (ja) 1995-09-07 1997-03-18 Tdk Corp 圧粉コア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106841A (ja) * 1996-09-27 1998-04-24 Taiyo Yuden Co Ltd チップ形インダクタ
US6051324A (en) 1997-09-15 2000-04-18 Lockheed Martin Energy Research Corporation Composite of ceramic-coated magnetic alloy particles
JP2000030925A (ja) 1998-07-14 2000-01-28 Daido Steel Co Ltd 圧粉磁芯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764643B2 (en) 1998-09-24 2004-07-20 Masato Sagawa Powder compaction method
US6392525B1 (en) 1998-12-28 2002-05-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agnetic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1011563A (ja) * 1999-06-29 2001-01-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複合磁性材料の製造方法
JP2001044037A (ja) 1999-08-03 2001-02-16 Taiyo Yuden Co Ltd 積層インダクタ
US6432159B1 (en) 1999-10-04 2002-08-13 Daido Tokushuko Kabushiki Kaisha Magnetic mixture
JP2001118725A (ja) 1999-10-21 2001-04-27 Denso Corp 軟磁性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磁アクチュエータ
JP4684461B2 (ja) 2000-04-28 2011-05-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磁性素子の製造方法
JP4683178B2 (ja) 2001-03-12 2011-05-11 株式会社安川電機 軟質磁性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258812B2 (en) * 2001-10-29 2007-08-21 Sumitomo Electric Sintered Alloy, Ltd. Compound magnetic material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3744859B2 (ja) * 2002-02-01 2006-02-15 三洋電機株式会社 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AU2003221020A1 (en) 2002-04-05 2003-10-20 Nippon Steel Corporation Fe-BASE AMORPHOUS ALLOY THIN STRIP OF EXCELLENT SOFT MAGNETIC CHARACTERISTIC, IRON CORE PRODUCED THEREFROM AND MASTER ALLOY FOR QUENCH SOLIDIFICATION THIN STRIP PRODUCTION FOR USE THEREIN
US20110104476A1 (en) * 2003-05-30 2011-05-05 Haruhisa Toyoda Soft magnetic material, motor core, transformer co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oft magnetic material
JP4265358B2 (ja) 2003-10-03 2009-05-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複合焼結磁性材の製造方法
JP2005150257A (ja) 2003-11-12 2005-06-09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複合磁性粒子および複合磁性材料
JP4457682B2 (ja) 2004-01-30 2010-04-2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圧粉磁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196704B2 (ja) 2004-03-12 2013-05-15 京セラ株式会社 フェライト焼結体の製造方法
JP2005286145A (ja) 2004-03-30 2005-10-13 Sumitomo Electric Ind Ltd 軟磁性材料の製造方法、軟磁性粉末および圧粉磁心
JP4548035B2 (ja) 2004-08-05 2010-09-22 株式会社デンソー 軟磁性材の製造方法
US7678174B2 (en) 2004-09-01 2010-03-16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Soft magnetic material, compressed powder magnetic core and method for producing compressed power magnetic core
KR20070049670A (ko) * 2004-09-06 2007-05-11 미쓰비시 마테리알 피엠지 가부시키가이샤 Mg 함유 산화막 피복 연자성 금속 분말의 제조 방법 및이 분말을 이용하여 복합 연자성재를 제조하는 방법
JP2006179621A (ja) 2004-12-21 2006-07-06 Seiko Epson Corp 成形体の製造方法および成形体
JP4458093B2 (ja) 2005-01-07 2010-04-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及び電子部品製造方法
JP4613622B2 (ja) 2005-01-20 2011-01-1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軟磁性材料および圧粉磁心
JP4650073B2 (ja) 2005-04-15 2011-03-1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軟磁性材料の製造方法、軟磁性材料および圧粉磁心
JP4736526B2 (ja) 2005-05-11 2011-07-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JP2007019134A (ja) 2005-07-06 2007-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複合磁性材料の製造方法
JP4794929B2 (ja) 2005-07-15 2011-10-19 東光株式会社 大電流用積層型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
US7920043B2 (en) * 2005-10-27 2011-04-05 Kabushiki Kaisha Toshiba Planar magnetic device and power supply IC package using same
JP2007123703A (ja) 2005-10-31 2007-05-17 Mitsubishi Materials Pmg Corp Si酸化膜被覆軟磁性粉末
GB2432966A (en) * 2005-11-25 2007-06-06 Seiko Epson Corp Dye-sensitised electrochemical cell
JP2007157983A (ja) 2005-12-05 2007-06-21 Taiyo Yuden Co Ltd 積層インダクタ
TWI277107B (en) * 2006-01-11 2007-03-21 Delta Electronics Inc Embedded inductor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907044B2 (en) 2006-01-31 2011-03-15 Hitachi Metals, Ltd. Laminate device and module comprising same
JP4802795B2 (ja) 2006-03-23 2011-10-26 Tdk株式会社 磁性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99871A (ja) * 2006-04-28 2007-11-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複合磁性体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て得られた複合磁性体
US7994889B2 (en) 2006-06-01 2011-08-09 Taiyo Yuden Co., Ltd. Multilayer inductor
EP2031609A4 (en) 2006-06-20 2012-08-22 Murata Manufacturing Co FELT COIL PART
CN101529535B (zh) * 2006-07-05 2012-05-23 日立金属株式会社 层叠部件
JP2008028162A (ja) 2006-07-21 2008-02-07 Sumitomo Electric Ind Ltd 軟磁性材料の製造方法、軟磁性材料、および圧粉磁心
JP4585493B2 (ja) 2006-08-07 2010-11-24 株式会社東芝 絶縁性磁性材料の製造方法
JP5099480B2 (ja) 2007-02-09 2012-12-19 日立金属株式会社 軟磁性金属粉末、圧粉体、および軟磁性金属粉末の製造方法
US8703282B2 (en) * 2007-03-09 2014-04-22 Kabushiki Kaisha Toshiba Core-shell type magnetic particle and high-frequency magnetic material
TW200845057A (en) 2007-05-11 2008-11-16 Delta Electronics Inc Inductor
CN101308719A (zh) 2007-05-16 2008-11-19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电感元件
JP2009088502A (ja) 2007-09-12 2009-04-23 Seiko Epson Corp 酸化物被覆軟磁性粉末の製造方法、酸化物被覆軟磁性粉末、圧粉磁心および磁性素子
JP5093008B2 (ja) * 2007-09-12 2012-12-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酸化物被覆軟磁性粉末の製造方法、酸化物被覆軟磁性粉末、圧粉磁心および磁性素子
TW200919498A (en) 2007-10-19 2009-05-01 Delta Electronics Inc Inductor and core thereof
US20090143216A1 (en) * 2007-12-03 2009-06-04 General Electric Company Composition and method
US8339227B2 (en) 2007-12-12 2012-12-25 Panasonic Corporation Inductance par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358562B2 (ja) 2008-04-15 2013-12-04 東邦亜鉛株式会社 複合磁性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複合磁性材料
DE112009000918A5 (de) 2008-04-15 2011-11-03 Toho Zinc Co., Ltd Magnetisches Verbundmaterial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CN102113069B (zh) 2008-07-30 2013-03-27 太阳诱电株式会社 叠层电感器、其制造方法和叠层扼流线圈
WO2010044213A1 (ja) 2008-10-14 2010-04-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セラミック積層部品とその製造方法
JP5190331B2 (ja) * 2008-11-14 2013-04-24 東光株式会社 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205905A (ja) * 2009-03-03 2010-09-16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磁気部品および磁気部品の製造方法
WO2010113681A1 (ja) 2009-04-02 2010-10-07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複合磁性材料及び磁性素子
TWI407462B (zh) 2009-05-15 2013-09-01 Cyntec Co Ltd 電感器及其製作方法
JP5650928B2 (ja) 2009-06-30 2015-01-0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軟磁性材料、成形体、圧粉磁心、電磁部品、軟磁性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圧粉磁心の製造方法
TWM388724U (en) 2010-02-25 2010-09-11 Inpaq Technology Co Ltd Chip type multilayer inductor
US8723634B2 (en) 2010-04-30 2014-05-13 Taiyo Yuden Co., Ltd. Coil-type electronic compon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4866971B2 (ja) 2010-04-30 2012-02-01 太陽誘電株式会社 コイル型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081051B2 (ja) * 2011-01-20 2017-02-15 太陽誘電株式会社 コイル部品
JP2012238840A (ja) 2011-04-27 2012-12-06 Taiyo Yuden Co Ltd 積層インダクタ
JP4906972B1 (ja) 2011-04-27 2012-03-28 太陽誘電株式会社 磁性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イル部品
JP5997424B2 (ja) 2011-07-22 2016-09-2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圧粉磁心の製造方法
JP6091744B2 (ja) 2011-10-28 2017-03-08 太陽誘電株式会社 コイル型電子部品
JP5960971B2 (ja) 2011-11-17 2016-08-02 太陽誘電株式会社 積層インダクタ
JP2013131578A (ja) 2011-12-20 2013-07-04 Taiyo Yuden Co Ltd 積層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3620A (ja) 2001-04-13 2002-10-25 Toyota Motor Corp 絶縁皮膜を有する軟磁性粉末及びそれを用いた軟磁性成形体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2002329626A (ja) 2001-04-27 2002-11-15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圧粉磁心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32572A (en) 2012-08-01
JP2012164958A (ja) 2012-08-30
US20160233019A1 (en) 2016-08-11
KR20120084657A (ko) 2012-07-30
CN102610362A (zh) 2012-07-25
JP6081051B2 (ja) 2017-02-15
US9685267B2 (en) 2017-06-20
CN102610362B (zh) 2015-09-16
TWI447756B (zh) 2014-08-01
US20120188046A1 (en) 2012-07-26
CN105161283A (zh) 2015-12-16
US9349517B2 (en) 2016-05-24
CN105161283B (zh) 2018-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155B1 (ko) 코일 부품
JP6388426B2 (ja) 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JP5960971B2 (ja) 積層インダクタ
KR101335926B1 (ko) 적층 인덕터
KR101335930B1 (ko) 적층 인덕터
JP5881992B2 (ja) 積層インダ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TWI453774B (zh) Magnetic materials and coil parts
KR101490772B1 (ko) 자성 재료 및 코일 부품
US8362866B2 (en) Coil component
KR101839204B1 (ko) 복합 페라이트 조성물 및 전자 부품
KR101187350B1 (ko) 자성 재료 및 그것을 이용한 코일 부품
JP6166021B2 (ja) 積層インダクタ
WO2009087928A1 (ja) 開磁路型積層コイル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238840A (ja) 積層インダクタ
JP5940465B2 (ja) 積層型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453370B2 (ja) 積層インダクタ
JP4552679B2 (ja) 酸化物磁性材料及び積層型インダクタ
JP5129893B1 (ja) 磁性材料およびコイル部品
JP6553279B2 (ja) 積層インダクタ
JP2019192934A (ja) インダ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