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3027A - 착탈 가능한 유닛의 개별 정보 판독 방법, 개별 정보 판독장치, 상기 개별 정보 판독 장치를 갖는 장치 및 착탈가능한 유닛 - Google Patents

착탈 가능한 유닛의 개별 정보 판독 방법, 개별 정보 판독장치, 상기 개별 정보 판독 장치를 갖는 장치 및 착탈가능한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3027A
KR20080103027A KR1020080047441A KR20080047441A KR20080103027A KR 20080103027 A KR20080103027 A KR 20080103027A KR 1020080047441 A KR1020080047441 A KR 1020080047441A KR 20080047441 A KR20080047441 A KR 20080047441A KR 20080103027 A KR20080103027 A KR 20080103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individual information
reading
unit
t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6916B1 (ko
Inventor
다까시 스기우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3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3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15/0872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the developer cartridges being generally horizontally mounted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3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an electronic mem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987Remanufacturing, i.e. reusing or recycling part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95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identification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 Endoscope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착탈 가능한 유닛을 갖는 장치에 있어서, 착탈 가능한 유닛의 개별 정보를 판독할 경우에, 개별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기준 신호를 생성하는 제1 라벨과, 개별 정보를 나타내는 제2 라벨이 착탈 가능한 유닛의 표면에 배열되고, 제1 라벨 판독부에서, 제1 라벨을 소정 방향으로 판독하면서, 기준 신호를 생성하고, 제2 라벨 판독부에서, 제2 라벨에 포함된 착탈 가능한 유닛의 개별 정보가 생성된 기준 신호에 동기하여 판독된다. 또한, 판독된 개별 정보는 저장되고, 장착된 착탈 가능한 유닛이 새것인지 사용된 것인지 여부가 장착된 유닛으로부터 판독된 개별 정보와 저장된 개별 정보의 비교에 기초하여 인식된다.
착탈 가능한 유닛, 개별 정보, 제1 라벨, 제2 라벨, 기준 신호

Description

착탈 가능한 유닛의 개별 정보 판독 방법, 개별 정보 판독 장치, 상기 개별 정보 판독 장치를 갖는 장치 및 착탈 가능한 유닛{METHOD OF READING INDIVIDUAL INFORMATION OF A DETACHABLE UNIT, INDIVIDUAL INFORMATION READING DEVICE, APPARATUS HAVING THE INDIVIDUAL INFORMATION READING DEVICE, AND A DETACHABLE UNIT}
본 발명은, 착탈 가능한 유닛의 개별 정보 판독 방법, 개별 정보 판독 장치, 상기 개별 정보 판독 장치를 갖는 장치 및 착탈 가능한 유닛에 관한 것이고, 특히, 잠상 담지체 상의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기와, 내부에 저류하고 있는 토너를 현상기로 공급하는 토너 저류부를 구비하는 프린터, 복사기 또는 팩시밀리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의 착탈 가능한 유닛의 개별 정보를 판독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기술 분야는, 프린터, 복사기 또는 팩시밀리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잠상 담지체 상의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기와, 내부에 저류하고 있는 토너를 현상기에 공급하는 토너 저류부를 구비하는 프린터, 복사기 또는 팩시밀리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를 예를 들어서 배경 기술을 설명한다.
상기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감광체와 같은 잠상 담지체에 담지되는 잠상을 현상하는 방식으로서, 1 성분 현상 방식과 2 성분 현상 방식이 공지되어 있다. 1 성분 현상 방식은, 토너를 주성분으로 하는 1 성분 현상 재료를 이용해서 잠상을 현상하는 방식이다. 이에 반해, 2 성분 현상 방식은, 토너와 자성 캐리어를 함유하는 2 성분 현상 재료를 이용해서 잠상을 현상하는 방식이다.
두 방법에서 토너의 스톡량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새로운 토너를 세트할 필요가 있다. 새로운 토너를 세트하는 방식으로서는, 토너가 소모된 시점에 토너 내포형의 현상기를 교환하는 방식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새로운 토너를 화상 형성 장치에 직접적으로 또는 토너 수용 유닛과 함께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보충하는 방식이 공지되어 있다. 후자의 방식이 작동 비용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후자의 방식을 이용하여 새로운 토너를 세트하는 화상 형성 장치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116호에 개시된다. 화상 형성 장치는 현상기에 공급하기 위한 토너를 저류하는 토너 저류부(호퍼)와, 토너 저류부의 토너 잔량을 연산하는 토너 잔량 연산 수단과, 연산된 토너 잔량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포함한다. 토너 잔량 연산 수단은 토너 저류부 내에 배치된 가동 부재의 구동원인 모터의 회전수의 누적 값에 기초하여 토너 저류부내의 토너 잔량을 연산하고,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표시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관한 토너 세트의 필요성을 판단하고, 필요에 따라 토너 저류부 내에 새로운 토너를 세트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토너 세트 작업을 빈번히 수행하도록 하는 상황을 회피하기 위해서, 다량의 토너를 스톡할 수 있는 대형의 토너 저류부가 필요하다.
토너의 세트에 의한 상태 변화를 제어하기 위해, 화상 형성에 사용되는 정보 또는 신품인지 사용된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토너 병 또는 토너 카트리지와 같은 착탈 가능한 유닛에 제공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07-036348호로 대표되는 감열지를 이용한 방식이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09945호로 대표되는 메모리 방식이 이를 실현하는 대표적인 수단이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08-039824호로 대표되는 단순한 바코드를 이용하는 방식도 제안되었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평07-036348호와 같은 감열지를 이용하는 방식은 불기피하게 전기 접점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기 접점의 존재는 접촉 불량 등의 요인으로 장치의 신뢰성을 저하시킨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09945호와 같은 비접촉 메모리 방식은 신뢰성이 우수하지만, 구성이 복잡하고 고가이며, 전파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금속과 같은 도체의 배치에 제약을 받는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을 염가로 실현하기 위해, 착탈 유닛에 바코드를 부가하는 일본 특허 공개 평08-039824호와 같은 방식이 이용된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평08-039824호에서와 같이 착탈 유닛에 단순한 바코드 방식을 사용하면, 바코드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검지할 수 없다.
예를 들어, 회전하는 토너 병으로부터 바코드를 판독할 경우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즉, 토너 수용 유닛을 회전시키는데 일반적으로 브러시 모터가 사용된다. 토너 수용 유닛 내에 잔류한 토너의 양에 의해 회전에 필요한 토크가 변화되기 때문에, 그 변화에 강한 모터로서 브러시 모터가 채용된다. 이러한 브러시 모터는 토크가 크고, 부하 변동에 대하여 효과적이지만, 소정의 회전 속도를 유지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바코드를 일정한 데이터 샘플링에서 판독하는 것이 어렵고, 판독 실패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한편,삽입 동안 토너 카트리지로부터 바코드를 판독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착탈 유닛의 삽입 속도가 조작자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에,바코드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검지할 수 없다.
이들 문제점의 구체예가 도21에 따라 설명된다. 도21은 1개의 라벨로부터 개별 정보를 판독할 경우의 발생하는 불안정성과 판독 에러의 가능성을 도시한다. 도21은 상하로 2개의 도면을 도시한다.
상부의 도면은 정확하게 판독되는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면부호 2105x는 데이터 라벨이며, 2300x는 데이터 샘플링의 타이밍을 나타낸다. 라벨이 1매뿐일 때에는, 이러한 데이터 샘플링(2300x)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할 필요가 있다. 데이터 샘플링 시에 라벨이 흑 또는 백인지 여부에 따라 이진수 신호를 판독할 수 있다. 상부의 도면의 경우, 데이터가 도면부호 2301x와 같이 "110100101111001101"로 정확하게 판독될 수 있다.
한편,하부의 도면은, 회전 또는 삽입 속도가 2배가 될 때에 발생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 데이터 라벨(2105y)이 데이터 라벨(2105x)과 같더라 도, 데이터는 도면부호 2300y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샘플링되어, 도면부호 2301y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임포트된(imported) 데이터는 "110011011"로 된다. 따라서, 판독된 데이터는 명백히 부정확하다.
전술한 하나 이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착탈 가능한 유닛의 개별 정보를 단순한 구성으로 안정적으로 판독할 수 있는 개별 정보 판독 방법 및 개별 정보 판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개별 정보 판독 장치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와, 착탈 가능한 유닛을 제공한다.
제1 양태의 본 발명은, 장치에 장착되며 그 표면에 개별 정보의 판독의 기준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라벨과 상기 개별 정보를 나타내는 제2 라벨을 갖는 착탈 가능한 유닛의 개별 정보 판독 방법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제1 라벨 판독부에서 상기 제1 라벨을 소정 방향으로 판독하면서 상기 기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제2 라벨 판독부에서 상기 생성된 기준 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제2 라벨에 표기된 상기 착탈 가능한 유닛의 개별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양태의 본 발명은 장치에 장착되어, 그 표면에 개별 정보의 판독의 기준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라벨과 상기 개별 정보를 나타내는 제2 라벨을 갖는 착탈 가능한 유닛의 개별 정보 판독 장치가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라벨을 소정 방향으로 판독하면서 기준 신호를 생성하는 제1 라벨 판독부와, 상기 생성된 기준 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제2 라벨에 표기된 상기 착탈 가능한 유닛의 개 별 정보를 판독하는 제2 라벨 판독부를 포함한다.
제3 양태에서 본 발명은, 장치 내부 또는 장치에 장착된 착탈 가능한 유닛을 갖고, 전술한 개별 정보 판독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4 양태에서 본 발명은 착탈 가능한 유닛의 개별 정보를 판독하는 장치 내부 또는 장치에 장착되는 착탈 가능한 유닛을 제공할 수 있고, 착탈 가능한 유닛은, 그 표면에, 기준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제1 라벨과, 상기 기준 신호를 사용해서 상기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하고, 상기 착탈 가능한 유닛의 상기 개별 정보를 나타내는 제2 라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간단한 구성으로 착탈 가능한 유닛의 개별 정보를 안정적으로 판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간단한 구성으로 토너 병이나 토너 카트리지의 개별 정보를 안정적으로 판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개별 정보의 판독에 기초하여 토너 병이나 토너 카트리지의 신품 또는 사용된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의 이하의 설명을 참조하여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본 실시예는, 전자 사진 방식의 프린터의 착탈 가능한 유닛을 구성하는 토너 병이나 토너 카트리지의 개별 정보의 판독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는 점에 주의한다. 그러나,본 발명의 기술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의 장치의 착탈 가능한 유닛의 개별 정보의 판독에 대하여도 적용되어, 이러한 것들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화상 형성 장치를 구성하는 전자 사진 방식의 프린터(이하, "프린터"라고 한다)에 적용한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예>
우선,이 프린터의 기본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1에서, 잠상을 담지하는 잠상 담지체로서 제공되는 드럼 형상의 감광체(101)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부에 의해 소정의 선속(linear velocity)으로 도1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감광체(101)의 표면이 대전기(102)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 후에, 광주사 장치(103)에 의해 화상 정보에 기초로 한 광주사가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 정전 잠상이 담지된다. 이러한 화상 정보는 (도시하지 않은)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부터 송신된다.
감광체(101)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토너와 자성 캐리어를 함유하는 2 성분 현상제를 이용하는 현상기(104)에 의해 토너 상으로 현상된 후, (후술하는) 전사 닙부에서 전사체로서 기능하는 용지 상에 정전 전사된다.
감광체(101)의 하방에는 전사 롤러(106)를 갖는 전사부가 배치된다. 도1에 도시된 전사 롤러(106)로부터 이격되어, 이러한 전사부는 전사 롤러(106)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전사 롤러(106)에 전사 바이어스를 인가하는 (도시하지 않 은) 구동원을 갖는다. 전사 롤러(106)는 감광체(101)와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해서 전사 닙부를 형성하면서, 접촉부에서 그 표면이 감광체(1O1)의 표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도1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전사 닙부에서, 전사 바이어스의 영향으로 전사 전계가 형성된다.
도1의 전사부의 아래에는 전사체로서 제공되는 전사 시트(P)를 복수매 적층된 상태로 보유하는 2개의 급지 카세트(107a, 107b)가 수직으로 겹쳐지도록 배치된다. 이들 급지 카세트(107a, 107b)는 전사지(P)의 최상단 시트에 대해 가압하는 급지 롤러(171a, 171b)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회전 구동시켜서, 전사지(P)를 급지 반송로로 송출한다. 송출된 전사 시트(P)는 복수의 반송 롤러(108a, 108b)를 통과하고, 레지스트 롤러 쌍(109) 사이에 끼워져서 멈춘다.
레지스트 롤러 쌍(109)은 감광체(101) 상에 형성된 토너 상에 전사 시트(P)가 서로 중첩되는 타이밍에서 끼워진 전사 시트(P)를 전사 닙부로 송출한다. 따라서 감광체(1) 상의 토너 상과, 레지스트 롤러 쌍(109)에 의해 송출된 전사지(P)는 전사 닙부에서 서로 동기해서 접촉하고, 전사 전계와 닙부 압력(전사 압력)의 영향에 의해 전사지(P)에 정전 전사된다.
두 개의 롤러 주위에 루프 연결된 무단 반송 벨트(110a)를 도1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무단 이동시키는 용지 반송 유닛(110)이 도1의 전사 롤러(106)의 좌측에 배치된다. 정착 장치(111)와 배지 롤러 쌍(112)이 도1의 용지 반송 유닛(110)의 좌측에 순차 배치된다.
전사 닙부에서 토너 상이 정전 전사된 전사지(P)는 감광체(101)와 전사 롤 러(106)의 회전으로 용지 반송 유닛(110)의 용지 반송 벨트(110a)로 운반된 후, 정착 장치(111)를 통과한다.
정착 장치(111)는 할로겐 램프와 같은 내부 열원을 각각 갖고 또한 서로 접촉하면서 등속으로 회전하는 정착 롤러 쌍(111a, 111b)을 이용하여 정착 닙부를 형성한다. 이들 정착 롤러(111a, 111b)는 각각 (도시하지 않은) 표면 온도 센서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열원으로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 제어함으로써, 소정의 표면 온도(예를 들어 165 내지 185 ℃)로 유지된다. 토너 상은 전사지(P)가 정착 닙부에 끼워져 가열 처리 및 가압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정착 장치(111)로 전달된 전사지(P)의 표면에 전사된다. 전사지(P)는 정착 장치(111)로부터 배지 롤러 쌍(112)을 거쳐서 프린터 외측으로 배출된다.
전사 닙부에서 전사지(P) 상에 정전 전사되지 않고 감광체(101) 표면에 잔류하는 임의의 토너는 감광체 클리너(113)에 의해 감광체(101)로부터 제거된다. 클리닝된 감광체(101) 표면은 (도시하지 않은) 제전부(neutralizing)에 의해 우선 제전 된 후, 대전기(102)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다. 또한, 상기 전사 닙부에서 감광체(1O1)로부터 용지 반송 벨트(11Oa) 상으로 이동한 임의의 토너는, 용지 반송 유닛(110)의 벨트 클리닝 장치(11Ob)에 의해 용지 반송 벨트(11Oa)로부터 제거된다. 감광체 클리너(113)는 스테아린산 아연 막대를 긁어서 얻어진 스테아린산 아연 분말로 감광체(101) 표면에 도포하는 스테아린산 아연 도포부를 갖는다. 클리닝후의 감광체(101) 표면에 스테아린산 아연 분말을 도포함으로써, 감광체(101)의 표면 마찰 계수를 감소시켜서 전사성을 향상될 수 있다. 감광체 클리너(113)에 의 해 감광체(101)로부터 제거된 잔류 토너와 벨트 클리닝 장치(11Ob)에 의해 용지 반송 벨트(11Oa)로부터 제거된 토너는, 현상기(104) 또는 호퍼부(105)(도1에는 도시하지 않음)로 복귀된다.
<현상기 및 호퍼부의 구성예>
도2는 감광체(101)와 현상기(104)를 도시하는 확대 구성도이다.
도2에서, 감광체(101)의 측방에 배치된 현상기(104)에는 토너 저류부로서 기능하는 호퍼부(105)가 접속된다. 이러한 호퍼부(105)는 토너 반송 스크류(251), 가동 부재로서 기능하는 기어 형상의 토너 공급 롤러(252), 토너 공급량 규제판(253) 및 토너 검지 센서(254)를 갖는다. 호퍼부(105) 내의 (도시하지 않은) 토너는 감광체(101)와 평행하게 배치된 토너 반송 스크류(251)에 의해 스크류 축선 방향(도2에서 깊이 방향)으로 반송되면서, 도2의 토너 반송 스크류(251)의 우측 아래에 배치된 토너 공급 롤러(252) 상에 조금씩 낙하된다. 낙하된 토너는, 토너 공급 롤러(252)의 표면 둘레에서 담지되면서, 토너 공급량 규제판(253)에 의해 토너 공급 롤러(252)상의 토너의 두께가 규제 된 후, 현상기(104)로 공급된다.
현상기(104)는 현상 롤(241), 교반 패들(242), 교반 롤러(243), 규제 블레이드(244), 반송 스크류(245), 토너 농도 센서(이하, "토너 센서"라고 함)(246) 및 도2에서 현상 롤(241)의 우측에 배치된 세퍼레이터(247)를 갖는다. 현상기(104) 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토너와 자성 캐리어를 함유하는 2 성분 현상제가 수용된다.
호퍼부(105)로부터 현상기(104)로 공급된 토너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부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서 교반 롤러(243) 위로 낙하한다. 교반 롤러(243)는 이러한 토너를 2 성분 현상제(이하, 단순히 "현상제"로 지칭함)와 교반하면서, 도2에서 좌측으로 교반 패들(242)을 향해서 운반한다. 이때, 새로 보급된 토너가 자성 캐리어, 교반 롤러(243) 등과 마찰함으로써 마찰 대전된다.
교반 패들(242)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부에 의해 도2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교반 롤러(243)로부터 운반된 현상제를 현상 롤(241)을 향해서 반송한다. 따라서, 현상제는, 현상 롤(241)의 회전하는 현상 슬리브(241a)의 표면 상으로 퍼 올려질 수 있다.
현상 롤(241)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부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비자성 파이프로 구성되는 현상 슬리브(241a)와, 현상 슬리브(241a)와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현상기(104)에 고정되는 현상 슬리브(241a) 내의 마그네트 롤(241b)을 갖는다. 교반 패들(242)로부터 운반된 현상제는 마그네트 롤(241b)의 자력에 의해 현상 슬리브(241a) 표면으로 퍼 올려져서 담지된다. 현상제의 층두께는 현상 슬리브(241a) 둘레에 현상제가 담지되면서 현상 롤(241)과 소정의 간극을 유지하도록 배치된 규제 블레이드(244)에 의해 규제된다. 현상제는 현상 슬리브(241a)의 회전에 의해 현상 롤(241)이 감광체(101)와 대향하는 현상부로 반송된다.
현상 슬리브(241a)에는 (도시하지 않은) 전원에 의해 현상 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이러한 인가에 의해, 현상부에서는 현상 슬리브(241a)와 감광체(101) 상의 정전 잠상 사이에서, 현상 슬리브(241a)로부터 감광체(1O1)로 토너가 정전 이동되는 현상 전위가 작용한다. 또한, 감광체(101)로부터 현상 슬리브(241a)로 정전 전 사되는 비현상 전위가 현상 슬리브(241a)와 감광제(101)의 비화상 영역(비잠상 영역) 사이에 작용한다. 따라서, 현상부로 반송된 현상제 내의 토너는 감광체(101)의 정전 잠상에만 부착되어 정전 잠상을 토너 상으로 현상한다. 현상 슬리브(241a)의 회전에 수반하여 현상부를 통과한 현상제는 현상기(104) 내에서 회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 롤(241)의 현상 슬리브(241a)의 현상제의 층두께는 규제 블레이드(244)에 의해 규제된다. 이러한 규제에 의해 규제 블레이드(244)보다 현상 슬리브(241a)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현상 슬리브(241a) 둘레에 담지되는 것이 방지되는 현상제가 체류한다. 체류 현상제는 현상 슬리브(241a) 둘레에 순차적으로 담지되는 현상제에 의해 밀려서, 도2의 현상 롤(241)의 우측에 배치된 세퍼레이터(247) 위로 넘치게 된다(overflow). 넘친 현상제는 세퍼레이터(247) 상면의 경사를 따라 중력 이동하고, 반송 스크류(245)를 향해서 안내된다.
상기 반송 스크류(245)는 세퍼레이터(2471)에 의해 안내되는 현상제를 그 축선 방향(도면 중, 깊이 방향)을 향해서 교반 반송한다. 이에 의해, 현상기(104) 내에서 현상제의 소위 수평 교반이 수행된다. 이러한 수평 교반에 비해, 교반 롤러(243)와 교반 패들(242)은 현상제를 그 회전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소위 수직 교반을 행한다. 반송 스크류(245)에 의해 반송되는 현상제는 수평 교반하면서 교반 롤러(243) 위로 낙하한 후, 교반 롤러(243) 및 교반 패들(242)에 의해 형성된 수직 교반 경로를 통과한다. 현상제의 일부는 다시 현상 슬리브(241a)로부터 세퍼레이터(247) 위로 넘치고, 반송 스크류(245)를 향해서 안내된다. 현상기(104) 내에서, 현상제의 수직 순환 경로가 형성된다.
교반 롤러(243)의 하측의 케이싱 저면에는, 토너 센서(246)가 고정되고, 교반 롤러(243)에 의해 교반되어 반송되는 현상제의 투자율(magnetic permeability)에 따른 신호를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로 출력한다. 현상제의 토너 농도는 현상제의 투자율을 검출하는 토너 센서(246)의 결과로써 검출되며, 토너 농도는 투자율과 양호한 상관 관계를 나타낸다. 토너 농도는 투자율을 검출하는 토너 센서(246)의 결과로써 효과적으로 검출되며, 현상제의 토너 농도는 현상제의 투자율과 양호한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상기 제어부는 다음과 같은 토너 농도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즉, 이러한 제어는 토너 센서(246)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소정의 목표값에 근사하도록 호퍼부(105)로부터 토너를 공급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호퍼부(105) 내의 토너 공급 롤러(252)를 회전 구동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현상기(104) 내의 현상제의 토너 농도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유지된다. 그러나, 현상제의 투자율이 토너 농도에서의 변화 및 습도 등의 환경 변화에 의해 변동되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표값을 적당하게 보정한다. 구체적으로,기준 토너 상이 소정의 타이밍에서 감광체(101)에 형성되고, 상기 목표값은 기준 토너 상에 대해 단위 면적 당 토너 부착량을 기초로 보정된다. 기준 토너 상에 대한 단위 면적 당 토너 부착량은 예로써, 기준 토너 상의 광반사율을 검지하는 반사형 포토 센서의 출력 전압값을 사용하여 파악된다.
도3은 현상기(104) 및 호퍼부(105)의 일단부를 도2의 좌측 상부로부터 본 사 시도이다.
토너 병(도시 생략)으로부터 공급된 토너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구(355)는 현상기(104)의 상방에 배치된 호퍼부(105)의 일단부 근방의 상벽에 제공된다.[도2에서, 수납구(355)의 위치는 화살표로 표시함] 수납구(355)로부터 호퍼부(105)로 보급된 토너는 호퍼부(105)의 측면에 고정된 토너 검지부인 토너 검지 센서(254)에 의해 검지된다. 토너 검지 센서(254)로서는 압전 진동자에 의해 진동된 검지면의 진동이 토너의 부착을 방해한다는 점을 이용해서 토너의 유무를 검지하는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반사형 포토 센서도 사용될 수 있다.
<토너 보급 장치의 구성예>
도4는 호퍼부(105)의 단부에 부가하여 프린터의 토너를 보충하는 토너 보급 장치(413)의 일단부를 도(2)의 우측 상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4에서, 토너 보급 장치(413)는 토너 병(414, 착탈 가능한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체(431)와, 토너 병(414)이 회전되게 하는 구동 기어(432a)와, 회전 구동력을 구동 기어(432b)에 전달하는 보급 모터(432b)를 갖는다. 토너 병(414)은 토너 병(414)의 단부가 호퍼부(105)의 수납구(355) 상에 직접 위치되도록 토너 병(414)을 옆으로 넘어짐의 상태에서 또한 호퍼부(105)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연장 위치에서 호퍼부(105) 상에 지지된다.
내부에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기인 토너 병(414)은 병과 같은 병 본체부(441)와, 병 본체부(441)의 상부에 고정된 캡부(42)를 갖는다. 병 축선을 향해 돌출하는 나선 돌기(443)는 병 본체부(441)의 내주면에 설치된다. 기어(444)는 캡 부(442)의 외주면에 설치된다. 토너 보급 장치(413)의 지지체(431)는 구동 기어(432a)가 기어(444)와 맞물리도록 토너 병(414)을 지지한다. 보급 모터(432b)가 제어부(도시 생략)에 의해 구동될 때, 그 회전 구동력은 구동 기어(432a)를 통해서 캡부(442)의 기어(444)에 전달된다. 따라서, 토너 병(414)은 도4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병 내부의 토너가 나선 돌기(443)의 나선 운동으로 캡부(442)를 향해 이동된다. 이후, 토너의 일부는 캡부(442)의 단부면에 설치된 수용기 개구를 구성하는 배출구(445)로부터 배출되어, 호퍼부(105)의 수납구(355)를 통해서 호퍼부(105) 내에 보급된다.
도5는 도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본 호퍼부(105)와 토너 병(414)의 단부의 확대 구성도이다. 도2 내지 도4와 같은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도5에서, 토너 병(414)으로부터 호퍼부(105) 내에 보급된 토너(도시 생략)는 토너 검지 센서(254)의 옆에 직접 설치된 토너 반송 스크류(251) 위로 낙하한다. 이후, 상기 토너는 스크류 축선의 깊이 방향으로 반송되면서 조금씩 토너 공급 롤러(252)를 향해 떨어뜨려 넣어진다.
상기 제어부는 토너 검지 센서(254f)의 검지 결과를 기초로 보급 모터(432b)를 구동하여 토너 병(414)으로부터 호퍼부(105)로 토너를 보급하는 토너 보급 제어를 실시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토너는 토너 농도 제어의 결과에 의해 호퍼부(105)로부터 현상기(104, 도2 참조)로 보급되며, 호퍼부(105) 내의 토너량이 소모되기 시작할 때, 토너 검지 센서(254)는 더 이상 토너를 검지하지 않게 된다. 토너 검지 센서(254)에 의해 토너가 더 이상 검지되지 않게 될 때, 상기 제어부는 토너가 검지되게 될 때까지 보급 모터(432b)를 회전 구동시킨다.
토너 병(414)의 1 회전 당 토너 병으로부터의 토너 배출량은 토너 병(414)에서의 토너 잔량에 의해 크게 변화된다. 이 변화는 토너 잔량에 따라서 토너 병(414)의 토너 상면 레벨이 변화되는 것에 기인하고 있다. 구체적으로,상술한 바와 같이, 토너 병(414)은 측면에 놓여지도록 토너 보급 장치에 장착된다. 측면에 놓여진 토너 병(414)이 토너로 사실상 가득찰 때, 토너 병(414)에서의 토너의 상면 레벨은 배출구(도4에서의 445)보다 연직 방향으로 높고, 배출구는 토너로 완전히 덮여진다. 토너는 토너 병(414)의 회전에 의해 배출구(445)의 전체 영역으로부터 배출되어, 1 회전당 많은 양의 토너가 배출된다. 이와 달리, 토너 병(414)의 토너 잔량이 소량일 때, 토너 병(414)의 토너의 상면 레벨은 배출구(445)보다도 연직 방향으로 낮아져서, 배출구는 더 이상 토너로 덮이지 않는다. 이러할 때, 토너는 토너 병(414)의 회전으로 배출구(445)의 하부로부터만 배출되어, 1 회전 당 극소량의 토너가 배출된다. 토너 병(414)이 가득찰 때와 같은 토너 배출량을 얻기 위해, 토너 병(414)은 수회 내지 수십 회 회전되어야 한다.
따라서, 토너 배출량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토너 병(414)은 현상제의 토너 농도를 회복시키기 위해서 현상기(104)에 토너를 보급하는 토너 보급부로서는 부적합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프린터는 토너 병(414)으로부터 배출되는 토너가 호퍼부(105)에 받아들여서 일시적으로 저장된 뒤, 그로부터 현상기(104)로 보급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호퍼부(105)로의 토너 배급은 토너 검지 센서(254) 에 의해 토너 반송 스크류(251)의 주위의 토너가 더 이상 검지되지 않을 때 개시된다. 호퍼부(105)로부터 현상기(104)로의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공급 롤러(252)는 이러한 토너 반송 스크류(251)보다도 연직 방향으로 낮게 배치된다. 결국, 토너 공급 롤러(252)는 돌발적인 이상이 발생하지 않는 한 항상 토너에 매몰한 상태가 되고, 1 회전 당 토너 보급량은 매우 안정된다. 따라서, 토너 공급량이 매우 안정된 토너 공급 롤러(252)의 구동에 의해 토너를 현상기(104)에 조금씩 공급함으로써 정밀한 토너 농도 제어가 수행된다.
내부에 토너가 아직 남아 있는 토너 병(414)을 새로운 것으로 교환하는 것은 병의 토너가 불필요하게 폐기되기 때문에 경제적이지 않다. 또한, 토너 병(414)의 토너가 소모되었다는 통지가 어떠한 전조도 없이 실행되면, 사용자에게 새로운 토너 병(414)을 준비시키기 위한 충분한 기간을 제공할 수 없다. 따라서, 토너 병(414)의 토너 잔량을 몇 가지의 방법을 사용하여 정량적으로 검지하여 검지된 양을 사용자에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너 잔량을 검출시키는 방법으로서, 토너 공급 롤러(252)의 구동 기간을 기초로 하여 호퍼부(105)로부터 현상기(104)로의 누적 토너 공급량을 산출하여 산출 결과를 기초로 토너 잔량을 구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호퍼부(105) 내에 고정된 토너 공급 롤러(252)는 정기적으로 교환되도록 설계되지 않았다. 따라서, 토너 공급 롤러(252)가 장시간의 사용으로 토너가 고착되게 하거나 마모되게 하면, 1 회전 당 공급되는 토너양은 시간이 지날수록 변화된다. 따라서, 토너 잔량이 토너 공급 롤러(252)의 구동 시간에 기초로 해서 검출될 때, 토너 잔량의 검출 정밀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악화된다.
<제1 실시예의 개별 정보 판독 장치의 구성예>
도6은 제1 실시예의 개별 정보 판독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6에서, 도면 부호 600은 개별 정보 판독 장치를 제어하는 CPU이다. 도면 부호 601은 (후술하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이다. 도면 부호 602는 CPU(600)로부터 받는 구동 신호에 따라 구동을 실행하는 모터 구동 회로를 나타낸다. 도면 부호 603은 토너 병(414)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나타낸다. 모터(603)는 모터 구동 회로(602)에 의해 구동된다.
도면 부호 605a 및 605b는 토너 병(414)에 접착된 라벨을 나타내며, 토너 병(414)에 대한 고유한 개별 정보를 표기한다. 토너 병(414)에 접착된 라벨(605a, 605b)은 센서(606a, 606b)에 의해 판독된다. 데이터는 데이터 판독 회로(607)에 의해 상기 센서(606a, 606b)로부터 판독된다. 데이터 판독 회로(607)의 출력(608)은 CPU(600)로 입력된다.
이후, 본 실시예의 개별 정보 판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라벨의 판독은, 장치의 전원 주입이 검출 또는 (본 발명의 착탈 가능한 유닛을 대표하는) 토너 병(414)의 교체가 검출될 때와 같은 다양한 상황에서 생각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점으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토너 병(414)을 회전시키기 위해, 신호는 모터 구동 회로(602)로 송신된 뒤 모터(603)를 회전시킨다. 소정 시간이 지나고 소정 속도(토너 잔량 등에 따라 설정되기 때문에 고정 속도는 아님)에 도달한 후 그리고 토너 병(414)이 회전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한 후, 센서(606a, 606b)는 라벨(605a, 605b) 판독을 개시한다. 센서(606a, 606b)로부터 얻어진 신호는 데이터 판독 회로(607)로 입력된다. 이러한 데이터 판독 회로(607)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는 CPU(600)에 입력된다. 이때, 처리된 데이터도 메모리(601)에 저장된다. 또한, 지금까지 동일한 병을 사용하고 있는 지를 인식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된 이력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도7은 센서와 라벨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면 부호 700은 (도6의 605a 및 605b에 상당하는) 라벨을 나타내며, 도면 부호 701은 라벨 상의 잉크를 나타낸다. 도면 부호 702는 LED가 사용되는 것과 같은 일반적인 광원을 갖는 발광부를 나타낸다. (도6의 606a, 606b에 상당하는) 도면 부호 703은 발광부(702)로부터 방사된 후 라벨로부터 난반사된 광을 수광하기 위한 센서를 나타낸다. 도7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라벨(700) 상의 잉크(701)의 존재에 따라 센서(703)에 의해 수광되는 광량에서 차가 발생한다는 점은 센서(703)의 임계값을 이용하여 라벨(700) 상의 잉크 바아의 존재를 인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외장 회로의 기준 전압 및 비교 측정기로 실현될 수 있다.(도10 참조)
<제1 실시예의 개별 정보 판독 장치의 제어부의 구성예>
도8은 도6 (도17)의 CPU(600, 1700) 및 메모리(601, 1701)를 포함하는 개별 정보 판독 장치의 제어부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컴퓨터 프로그램 및 데이터만을 도8에 도시한다.
도8에서, CPU(600, 1700)는 메모리(601, 1701)의 ROM(6011)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따라, RAM(6012)에 확보된 영역을 사용하면서 본 실시예의 처리를 실행한다.
토너 병의 라벨로부터 개별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된 개별 정보로부터 현재 장착된 토너 병이 새로운 것인지 또는 사용된 것인지를 인식하기 위한 토너 병 인식 프로그램(6011a)은 ROM(6011)에 저장된다. 판독하여 인식된 개별 정보를 기초로 하여 토너 병을 제어하기 위한 토너 병 제어 프로그램(6011b)도 ROM(6011)에 저장된다. 제1 실시예의 경우, 모터 구동 회로(602)를 통해 모터(603)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 프로그램(6011c)도 ROM(6011)에 저장된다. 제2 실시예의 경우, 프로그램의 초기 용어 "토너 병"은 "토너 카트리지"로 변환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현재 장착된 토너 병이 새로운 것인지 또는 사용된 것인지와 같은 판단 결과를 기초로 하여 토너 병이 새로운 상태인지 또는 사용된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프래그(6012a)를 저장하는 영역이 RAM(6012)에 확보된다. 토너 병의 라벨로부터 판독된 개별 정보(판독 토너 병 라벨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도 RAM(6012)에 확보된다. 지금까지 판독된 토너 병의 개별 정보를 축적하는 판독 토너 병 라벨 테이블(6012c)을 저장하는 영역도 RAM(6012)에 확보된다. 판독 라벨(1 내지 n)은 판독 토너 병 라벨 테이블(6012c)에 축적된다. 여기서, 토너 병의 회전 제어 파라미터, 상태, 이력 등을 포함하는 각각의 판독 라벨의 정보는 개별 정보로서 토너 병 식별 정보와 대응하여 저장되며, 토너 병 제어 프로그램(6011b) 및 모터 제어 프로그램(6011c)에 의해 사용된다. 제2 실시예의 경우, 초기 용어 "토너 병"은 "토너 카트리지"로 치환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도8에서, 도면 부호 802는 본 예에서 데이터 판독 회로(607, 1707)로부터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면 부호 803은 제1 실시예에서는 모터 구동 회로(602)로, 제2 실시예에서는 표시부(1709)로 데이터가 출력되는 출력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면 부호 801은 도8의 구성 요소와 접촉된 버스를 나타낸다.
도9는 본 실시예의 토너 병 인식 프로그램(6011a)에 포함된 일예의 처리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우선,스텝(S901)에서, 장치의 전원이 켜졌는지 또는 토너 병 교체가 실행되는 지를 판정한다. 이러한 판정은 센서, 스위치 등(도시 생략)에 의해 실현된다. 장치의 전원이 켜지거나 또는 토너 병 교체가 실행되지 않는 경우, 처리는 종료되고 본체 제어 루틴으로 복귀된다. 장치의 전원이 켜지거나 또는 토너 병 교체가 실행되는 경우, 처리는 단계(S902)로 진행하여 모터가 구동된다. 모터가 소정의 속도에 도달할 때, 본 실시예에 따른 라벨 데이터의 판독이 단계(S903)에서 실행되고, 판독된 개별 정보는 RAM(6012)에 저장된다.
단계(S904)에서, 판독된 개별 정보가 포함된 식별 정보는 판독된 토너 병 라벨 테이블(6012c)에 저장된 개별 정보에 포함된 식별 정보와 비교된다. 판독된 토너 병 라벨 테이블(6012c)의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개별 정보가 없는 경우, 처리는 단계(S905)로 진행한다. 단계(S905)에서, 장착된 토너 병이 새로운 토너 병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새로운 토너 병을 나타내는 정보가 RAM(6012)에 저장된다. 한편, 판독된 토너 병 라벨 테이블(6012c)의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개별 정보가 있는 경 우, 처리는 단계(S906)로 진행한다. 단계(S906)에서, 장착된 토너 병은 재사용을 위해 재장착된 것으로 인식하고, 재장착 토너 병을 나타내는 정보가 RAM(6012)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요지를 구성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토너 병 제어 프로그램(6011b) 및 모터 제어 프로그램(6011c)의 처리 순서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지 않는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제1 실시예의 개별 정보 판독 장치의 제1 구체예>
이하, 제1 실시예의 개별 정보 판독 장치가 회로 레벨로 떨어진 제1 구체예의 블록도를 도10에 도시한다. 제1 구체예에서, 각각이 바코드로 구성된 라벨(605a-1, 제1 라벨) 및 라벨(605b-1, 제2 라벨)이 사용된다. 이들 라벨은 도11에 상세히 도시한다. 따라서, 센서(606a, 606b)는 바코드 센서이다. 도6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제1 구체예의 데이터 판독 회로(607-1)의 내부 회로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면 부호 607a 및 607b는 센서(606a, 606b)의 출력을 수용하기 위한 버퍼를 나타낸다. 각각의 버퍼된 신호는 플립-플롭(flip-flop, F/F)에 입력된다. 여기서, 센서(606a, 제1 라벨 판독부)와 대면하게 위치되어 그에 의해 판독되는 등간격 바코드(605a-1)를 사용하여 생성된 신호(기준 신호)가 기준 클록으로써 F/F(607)의 클록 단자(클록 입력 단자)로 입력된다. 토너 병의 개별 정보를 포함하고, 센서(606b, 제2 라벨 판독부)와 대면하게 위치되어 그에 의해 판독되는 바코드(605b-1)로부터 생성된 신호는 F/F(607c)의 입력 단자(데이터 입력 단자)로 입력된다. 바코드(605a-1, 605b-1)는 토너 병(414)의 회전 방향으로 배열되고 각각의 바아는 토너 병(414)의 회전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바코드(605a-1)에서의 바아의 개수는 개별 정보의 데이터량에 대응한다.
이러한 회로 구성은 라벨(605a-1)의 백/흑 변화점(예로써, 도11에서의 백색이 흑색으로 변하는 점)에서 라벨(605b)-1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는 것을 허용한다. 다시 말해서, 토너 병(414)의 회전에 얼룩짐이 발생할 경우에도, 데이터는 토너 병(414) 상에서 소정 간격으로 데이터를 수신될 수 있어, F/F(607c)의 안정적인 출력(608-1)이 얻어진다.
도10의 아래표는 센서(606a, 606b)로부터의 입력이 한계값(Vth) 이상인지 이하인지에 따라 출력을 하이와 로우 사이에서 절환하는 회로를 도시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버퍼(607a, 607b)는 비교 측정기(609a, 609b)로 교체된다. 이러한 회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라벨이 더러워지거나 또는 센서의 열화에 의해 영향받지 않고 라벨을 안정적으로 판독할 수 있다.
도11은 제1 구체예에서의 라벨의 판독을 설명한다. 도17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대응하는 부분(이하 설명)은 도면 부호로 도시한다.
도면 부호 605b-1은 토너 병의 개별 정보를 도시하는 라벨을 나타내며, 도면 부호 605a-1은 샘플링 시간을 도시한 라벨이다. 예로써, 도10의 회로는 라벨(605a-1)이 백색에서 흑색으로 변화될 때 라벨(605a-1)을 판독하도록 구성된다. 판독 시간은 토너 병(414)의 회전으로 얼룩짐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 판독 회로(607-1)으로부터의 출력(608-1)에서의 라벨 인 식 에러의 문제는 용이하게 해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라벨이 있다는 관점에서 설명하였지만, 라벨(605a-1, 605b-1)이 단일 라벨로 결합된 구성도 완벽하게 수용될 수 있다. 단일 라벨 구성은 두 개의 라벨이 있는 경우에 비해, 토너 병에의 라벨 부착 처리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간단한 구성으로 각각의 토너 병에 부착된 고유의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토너 병의 새로운/사용된 상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도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너 병과 관련지어 설명하였지만, 감광 드럼 또는 정착 유닛과 같은 다른 착탈식 유닛이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예로써, 감광 드럼은 화상 형성 시간 및 화상 형성 시트의 개수에 따라 열화되어, 각각의 유닛에 대한 사용 상황은 화상 형성 조건(인가 바이어스, 타이밍 등)을 변경하는 등의 착탈가능 유닛 또는 교환 가능 유닛에 따라 다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정착 유닛은 정착 유닛을 통과하는 시트의 매수에 따라 열화되기 때문에, 각각의 유닛에 대한 사용 상황은 유닛에 따라 다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개별 정보 판독 장치의 제2 구체예>
제1 실시예의 제2 구체예를 이하 설명한다. 도12는 제2 구체예의 블록도이다. 제2 구체예는 제1 실시예의 제1 구체예와 다소 유사하기 때문에, 도10과 다른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면 부호 605a-2 및 605b-2는 토너 병(414)에 대한 고유한 개별 정보를 갖고, 토너 병(414)에 접착된 라벨을 나타낸다. 토너 병(414)에 접착된 라벨(605a-2, 605b-2)은 센서(606a, 606b)에 의해 판독된다. 데이터는 데이터 판독 회로(607-2)에 의해 센서(606a, 606b)로부터 판독된다. 데이터 판독 회로(607-2)의 출력(608-2)은 CPU(600)로 입력된다.
이하, 제2 구체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장치 전원의 켜짐 또는 토너 병 교체가 검지되었을 때와 같은 라벨 판독이 수행되는 다양한 상황을 생각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이러한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토너 병(414)을 회전시키기 위해, 신호는 모터 구동 회로(602)로 송신되어 모터(603)를 회전시킨다. 소정 시간이 지나고 소정 속도(고정 속도는 아님)에 도달한 후 그리고 토너 병(414)이 회전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한 후, 센서는 라벨 판독을 개시한다. 센서(606a, 606b)로부터 얻어진 신호는 데이터 판독 회로(607-2)로 입력된다. 이러한 회로에 의해 출력(608-2)은 CPU(600)에 입력된다. 이때, 처리된 데이터도 메모리(601)에 저장된다. 또한, 지금까지 동일한 병을 사용하고 있는 지를 인식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된 이력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제2 구체예에서, 라벨(605a-2, 605b-2) 및 데이터 판독 회로(607-2)의 내부 구성은 제1 구체예와 상이하다. 센서(606a)의 출력은 데이터 판독 회로(607-2) 내의 F/Fs(607e, 607f)의 인에이블 단자(enable terminal)에 접속된다. 센서(606b)의 출력은 버퍼(607d)를 경유하여 F/Fs(607e, 607f)의 클록 단자에 접속된다. F/Fs(607e)의 입력 단자(D)는 "하이(high)"로 설정된다. F/Fs(607e, 607f)는 직렬 로 접속되고 각각의 출력은 CPU(600)에 접속된다.
판독 데이터의 비트 수만큼의 F/Fs가 요구되지만(16 비트 데이터를 취급하는 데에는 16 F/Fs가 필요하고, 예로써 도13에서는 적어도 4 F/Fs가 요구됨), 도12에서는 단지 2개의 F/Fs가 접속된 것을 도시한다. 또한, 복수의 JK 플립-플롭을 갖는 회로를 구성하고, 센서(606b)의 출력이 "하이"일 때마다 신호를 반전하여 판독 데이터를 바이너리에서 카운트할 수 있게 한다는 점은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은 데이터 판독 회로(607)의 회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구체예의 도13에서, 라벨(605b-2)의 바아와 동일한 개수의 클록은 소정의 상태(예로써, 도13에서 흑색일 때)에서 라벨(605a-2)로 출력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CPU(600)로의 신호 출력이 바아의 수와 동일한 회수만큼 "하이"이기 때문에, 신호의 하이 상태의 횟수를 카운팅하는 것은 판독 데이터의 내용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세하게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선두 및 종료 비트로 특정 데이터를 내장하여 데이터 구분 문자로써 특정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체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내부 데이터와 비교하는 것은, 동일한 토너 병이 지금까지 사용되었는 지를 인식하는 데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제2 구체예에서의 라벨(605a-2, 605b-2) 및 출력(608-2)은 도1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7에 도시된 제2 실시예와 대응 부분(이하 설명)은 도면 부호로 도시한다.
도면 부호 605b-2는 토너 병의 개별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를 갖는 라벨을 나타내고, 도면 부호 605a-2는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라벨을 나타낸다.
데이터는 인에이블 신호로써 라벨(605a-2)의 신호와 함께 라벨(605a-2)에 포함된 바코드의 엣지를 카운팅함으로써 정확하게 판독될 수 있다. 예로써, 라벨(605b-2)은 라벨(605a-2)의 좌단부로부터 제1 바아가 흑색인 동안 바아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출력(608-2)의 데이터는 "0"이 된다. 라벨(605a-2)의 좌단부로부터 두 번째 바아는 라벨(605b-2)의 4개의 바아에 대응하여, 데이터는 "4"가 된다. 유사하게, 일련의 데이터가 "3" 및 "1"이 된다.
[제2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이 화상 형성 장치를 구성하는 전자사진 프린터에 적용된 제2 실시에에 대해 설명한다.
< 제2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예>
<화상 형성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
도14는 착탈 가능한 유닛 및 대표적인 토너 보급 장치를 갖는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의 종단면을 도시한다.
원고(150)는 평면 글래스(1502) 상에 위치되어, 원고의 정보가 광학부(1503)의 복수의 미러 및 렌즈를 사용하여 감광체 드럼(1504) 상에서 결상하도록 배치된다. 최적인 급지 카세트는 조작부(도시 생략)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 혹은 원고(1501)의 용지 사이즈에 기초하여, 급지 카세트(1505 내지 1508)에 적재된 용지(P)로부터의 용지 사이즈 정보를 사용하여 선택된다. 급지 또는 분리 롤 러(1505A 내지 1508A) 중 하나를 사용하여 반송된 1매의 용지(P)는 반송부(1509)를 경유해서 레지스트 롤러(1510)까지 반송된다. 여기서, 용지(P)는 광학부(1503)의 스캔 타이밍이 감광체 드럼(1504)의 회전과 동기된 상태에서 반송된다. 감광체 드럼(1504) 상의 토너가 전사/분리 대전기(1511, 1512)에 의해 전사된 용지(P)는 반송부(1513)에 의해 정착부(1514)로 반송되고, 용지(P) 상의 토너는 열 및 압력을 사용하여 정착부(1514)에 의해 정착된다.
그 후, (1) 편면 복사의 경우, 용지(P)는 배지/반전부(1515)를 통과하여, 배지 롤러(1516)에 의해 배지 트레이(1517)로 배출된다.
(2) 다중 복사의 경우, 배지/반전부(1515)의 플래퍼(1518)를 제어함으로써, 용지(P)는 용지 재급송로(1519, 1520)를 따라 반송된다. 용지(P)는 레지스트 롤러(1510)까지 반송되고, 앞서와 유사한 화상 형성이 이루어진 후에, 정착부를 통과하고, 이번은 배지 트레이(1517)로 배출된다.
(3) 양면 복사의 경우, 용지(P)는 배지/반전부(1515)를 통과하고, 일부는 배지 롤러(1516)에 의해 장치 밖으로 배출된다. 이어서, 용지(P)의 종단이 플래퍼(1518)를 통과한 이후에 배지 롤러(1516)에 의해 닙핑될 때, 용지(P)는 플래퍼(1518)를 제어하여 배지 롤러(1516)를 역회전시킴으로써 다시 장치 내부로 반송된다. 용지(P)는 레지스트 롤러(1510)까지 용지 재급송로(1519, 1520)를 따라 반송되고, 앞서와 유사한 화상 형성이 이루어진 후에, 정착부를 통과하고, 이번은 배지 트레이(1517)로 배출된다.
전술된 구성을 가지는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에서, 현상기(1601), 클리 닝기(1602), 1차 대전기(1603)와 같은 유닛은 감광체 드럼(1504) 주위에 배치된다. 현상기(1601)는 광학부(1503)에 의해 감광체 드럼(1504) 상에서 정전 잠상으로 형성된 원고(1501)의 정보를 사실적으로 묘사하기 위해서, 감광체 드럼(1504)에 흡착시키기 위한 토너를 공급한다. 따라서, 현상기(1601)에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 카트리지(1402)가 장치 본체(1414)의 홀더(1431)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된다. 토너 카트리지(4102) 및 홀더(1431)는 제2 실시예의 토너 보급 장치(1600)를 구성한다.
현상기(1601)는 감광체 드럼(1504)에 미소한 틈(약 300 ㎛)을 두고 제공되는 현상 롤러(1601a)를 가진다. 현상 시, 얇은 토너층은 현상 블레이드(1601b)를 사용하는 토너의 마찰 대전에 추가하여 현상 롤러(160la)에 형성되고, 잠상은 감광체 드럼(1504)과 현상 롤러(1601a) 사이에 현상 바이어스를 인가함으로써 감광체 드럼(1504) 상에서 현상된다.
현상에 의해 감소하는 토너는 토너 보충 영역(1601c)을 경유해서 토너 저장부(1500)로부터 현상기(1601)로 보급된다. 즉, 토너 보충 영역(1601c)은 토너 저장부(1500) 내의 토너가 제1 실시예의 토너 반송 스크류(251) 및 토너 공급 롤러(252)에 상당하는 기능을 하는 제1 및 제2의 토너 반송 스크류(1422, 1423)에 의해 반송되고 배출구(1627)로부터 배출됨으로써 토너로 충전된다.
< 제2 실시예의 토너 보급 장치의 동작예>
제2 실시예의 토너 보급 장치(1600)의 동작예가 도15 및 도16에 따라 설명될 것이다. 검지부(도시 생략)가 토너 저장부(1500) 내의 토너가 적어진 것을 검지하 면, 사용자에게 알려진다.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장치 본체(1414)의 전방면 상부 코너에 제공된 개구부(1522)의 하부 모서리에 장착되어 있는 개폐 부재(1521)를 열면, 토너 카트리지(4102)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장착부를 구성하는 홀더(1431)가 보이게 된다. 홀더(1431)에 삽입될 때, 원통형 토너 카트리지(4102)는 홀더(1431)의 길이 방향으로 제공된 가이드로 유도된다. 이어서,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4102)의 축(1813)에 고정된 수동측 커플링(1815a)은 장치 본체(1414)에 제공된 커플링(1615)과 결합한다. 사용자가 개폐 부재(1521)를 닫으면, 전원이 온으로 절환되고 화상 형성 장치는 구동 가능하게 된다. 교환된 토너 카트리지(1402) 내부에서는, 축(1813)이 모터(M)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토너가 개구부까지 운반되어 개구부로부터 낙하되어 토너 저장부(1500)의 토너를 보충함으로써, 현상기(1601)에 토너가 안정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2 실시예의 개별 정보 판독 장치의 구성예>
도17은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개별 정보 판독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면 부호 1700은 개별 정보 판독 장치의 제어를 행하는 CPU를 나타낸다. 도면부호 1701은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를 나타낸다(후술됨). 도면 부호 1709는 개별 정보 판독 장치의 다양한 상태를 도시하는 표시부를 나타낸다.
도면 부호 1705a 및 1705b는 착탈 가능한 유닛을 구성하는 토너 카트리지(4102)에 접착되어, 토너 카트리지(4102)의 고유한 개별 정보를 가지고 있는 라 벨을 나타낸다. 토너 카트리지(4102)에 접착된 라벨(17O5a, 17O5b)은 센서(1706a, 1706b)에 의해 판독된다. 데이터는 데이터 판독 회로(1707)에 의해 센서(1706a, 1706b)로부터 판독된다. 데이터 판독 회로(1707)의 출력(1708)은 CPU(1700)에 입력된다.
또한, 도6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의 차이는 회전하는 토너 병(414)과 도17에서 X 방향으로 삽입되는 토너 카트리지(4102) 사이의 차이에 기인한 구성 상의 차이임에 주목하여야 한다. 라벨의 판독 방법이 다르지만, 기술 사상은 마찬가지다.
다음에, 제2 실시예의 개별 정보 판독 장치의 동작이 설명될 것이다.
토너 카트리지(4102)의 교체가 검지되는 경우와 같이, 라벨 판독이 수행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이 생각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태양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토너 카트리지(1402)의 착탈 동작의 개시가 검지되면, 센서는 라벨의 판독을 개시한다. 센서(1706a, 1706b)로부터 얻어진 신호는 데이터 판독 회로(1707)로 입력된다. 이러한 회로에서 처리된 데이터는 CPU(1700)로 입력된다. 이때, 처리된 데이터는 메모리(1701)에도 저장된다. 또한, 장착 가능한 유닛의 사용 이력(사용된 적이 있는지 없는지 여부)을 확인하기 위해서, 메모리에 저장된 이력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이 허용된다.
<제2 실시예의 제어부의 구성예>
제2 실시예의 개별 정보 판독 장치의 제어부의 구성은 도8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다.
이하, 본 실시예의 토너 카트리지 인식 프로그램에 포함된 예시적인 작동 순 서가 이러한 예시적인 처리 순서를 도시하고 있는 도18의 흐름도에 따라 설명될 것이다.
먼저,스텝(S1801)에서는, 토너 카트리지(4102)를 착탈하는 동작을 사용하여 토너 카트리지의 교환이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이러한 판정은 센서나 스위치(도시 생략) 등으로 실현된다. 토너 카트리지의 교환이 수행되고 있는 것이 아니면, 처리는 종료되어서 본체 제어 루틴으로 복귀한다. 토너 카트리지의 교환이 수행되고 있는 경우에는, 처리는 본 실시예에 따른 라벨 데이터의 판독이 행해지는 스텝(S1802)으로 진행하고, 판독 개별 정보는 RAM(6012)에 저장된다.
스텝(S1803)에서는, 판독된 라벨 데이터(개별 정보)에 따라 처리가 행해진다. 이러한 처리로는, 예를 들어, 표시부(1709) 상에서의 표시 및 판독된 개별 정보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를 판독 토너 카트리지 라벨 테이블(6012c)의 개별 정보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와 비교하여,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의 신/구 상태를 판정하는 처리도 포함한다. 또한, 도16에 도시된 모터(M)의 회전 제어가 수행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의 개별 정보 판독 장치의 제1 구체예)
다음으로, 제2 실시예의 개별 정보 판독 장치가 회로 레벨로 축소된 제1 구체예의 블록도가 도19에 도시된다. 제1 구체예에서는, 라벨(1705a-1, 1705b-1)이 사용된다. 이들 라벨의 상세한 것은 먼저 도시된 도11과 마찬가지이다.
도면 부호(1705a-1, 1705b-1)는 토너 카트리지(4102)에 접착되고, 토너 카트리지에 필요한 개별 정보를 포함하는 라벨을 나타낸다. 토너 카트리지(4102)에 접착된 라벨(1705a-1, 1705b-1)은 센서(1706a, 1706b)에 의해 판독된다. 데이터는 데이터 판독 회로(1707-1)에 의해 센서(1706a, 1706b)로부터 판독된다. 데이터 판독 회로(1707-1)의 출력(1708-1)은 CPU(1700)로 입력된다.
도19의 개별 정보 판독 장치의 제1 구체예의 구성 및 동작은 라벨(1705a-1, 1705b-1) 및 데이터 판독 회로(1707-1)의 회로 구성을 제외하고는 도17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동작을 설명한다. 이하, 제1 구체예의 특징인 데이터 판독 회로(1707-1)의 예시적인 내부 회로 구성이 도시될 것이다.
센서(1706a, 1706b)의 출력은 데이터 판독 회로(1707-1) 내의 버퍼(1707a, 1707b)를 통하여 F/F(1707c)로 접속된다. 여기서, 버퍼(1707b)의 출력은 F/F(1707c)의 D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버퍼(1707a)의 출력은 기준 클록으로서 F/F(1707c)의 클록 단자에 접속된다. F/F(1707c)의 출력(17O8-1)은 CPU(17OO)로 출력된다. 라벨(1705a-1, 1705b-1)은 토너 카트리지(4102)가 삽입되는 방향(X)으로 배열되고 각각의 바아는 그 길이 방향이 토너 카트리지(4102)의 삽입 방향(X)과 수직인 상태로 배열됨에 주목하여야 한다. 라벨(1705a-1)의 바아의 수는 개별 정보의 데이터량에 대응한다.
도11을 참조하여 제1 실시예의 제1 구체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라벨(1705a-1, 1705b-1)은 개별적으로 샘플링의 타이밍 및 토너 카트리지의 개별 정보를 나타낸다. 라벨(1705a-1)의 타이밍에서 라벨(1705b-1)을 판독하는 것은 사용자의 다양한 조작 속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옳은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라벨(1705a-1)이 백에서 흑으로 변화할 때, 회로는 라벨(1705b-1)을 판독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판독 타이밍은 착탈 가능한 유닛의 삽입 속도가 변화되어도, 원하는 곳에서 데이터가 판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세한 설명은 행하지 않지만, 착탈 가능한 유닛이 착탈되는 경우 데이터가 뒤집혀지는 것이 생각될 수도 있다. 그러나,선두 비트/종료 비트에 특정한 패턴을 내장하고, 이러한 특정 패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은 착탈 가능한 유닛이 장착되거나 탈거되는 모든 경우에 데이터가 정확하게 판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2 실시예의 개별 정보 판독 장치의 제2 구체예>
도20은 제2 실시예의 제2 구체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제2 구체예가 제1 구체예와 몇몇 관점에서는 유사하기 때문에, 도19로서 차이점만 설명될 것이다.
센서(1706a)의 출력은 데이터 판독 회로(1707-2) 내의 F/F(17O7e, 17O7f)의 인에이블 단자에 접속되고, 센서(1706b)의 출력은 버퍼(1707d)를 통해서 F/F(17O7e, 17O7f)의 클록 단자에 접속된다. F/F(17O7e)의 D 입력 단자는 "하이(High)"로 설정된다. F/F(17O7e, 17O7f)는 직렬로 접속되고, 그 개별 출력(1708-2)은 CPU(1700)로 접속된다. 도20은 단지 2개의 F/F가 접속된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F/F는 판독 데이터의 비트 수가 필요로 하는 수와 동일하다(16 비트의 데이터를 취급하기 위해서는 16개의 F/F가 필요하다). 또한,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 회로를 복수의 JK 플립-플롭(flip-flop)으로 구성하고, 센서(1706b)의 출력이 "하이"일 때마다 신호를 반전함으로써 판독 데이터를 바이너리로 카운트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데이터 판독 회로(1707)의 이러한 회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구체예 도20에서는, 제1 실시예의 제2 구체예의 도13과 마찬가지로, 라벨(1705b-2)의 바아 수와 동일한 클록이 라벨(1705a-2)이 소정 상태(주어진 예에서는 블랙인 경우)인 상태로 출력된다. 즉, 바아의 수와 동일한, CPU(1700)에 입력되는 신호가 "하이"가 되기 때문에, 그 수를 카운트하는 것으로 판독 데이터가 용이하게 인식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세한 설명은 행하지 않지만, 선두 비트/종료 피트에 특정한 데이터를 내장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데이터 경계 기호로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내부 데이터와 비교하는 것으로 동일한 착탈 가능 유닛이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것인지 여부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실시예에 있어서도, 도10의 아래의 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가 기준 전압 및 비교 측정기로서 실현될 수 있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라벨이 존재하는 관점에서 설명되었지만, 라벨(1705a, 1705b)이 단일 라벨로 합쳐지는 구성도 특별한 문제 없이 수용될 수 있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본 발명이 복수의 기기(예를 들어 컴퓨터, 인터페이스 기기, 리더, 프린터등)로 구성되는 시스템 또는 단일 기기로 구성되는 레이아웃 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선 실시예에 도시된 흐름도의 수순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한 기억 매체를 시스템 혹은 장치에 삽입하고,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 퓨터(또는 CPU, MPU)로서 기억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 실행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 자체가 앞선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고,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한 기억 매체는 본 발명을 구성하게 된다.
프로그램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기억 매체의 예로서는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CD-ROM, CD-R, 마그네틱 테이프, 불휘발성 메모리 카드 및 ROM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컴퓨터에 의해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기초하여 컴퓨터 상에서 가동하고 있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등이 실제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고, 이러한 처리에 의해 앞선 실시예 기능이 실현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에 삽입된 기능 확장 보드나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 확장 유닛에 구비되는 메모리에 기입되고, 이어서 기능 확장 보드나 기능 확장 유닛에 구비되는 CPU 등이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기초하여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고, 이러한 처리에 의해 앞선 실시예의 기능이 실현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이 예시적인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다음 청구범위의 범위는 모든 변형 및 등가 구조 기능을 포함하는 가장 넓은 범위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개략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2는 도1의 프린터의 감광체와 현상기를 도1과 같은 방향으로부터 본 확대도.
도3은 도1의 프린터의 현상기 및 호퍼부의 단부의 구성예를 도2의 좌측 상부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4는 도1의 프린터의 토너 보급 장치의 단부의 구성예를 호퍼부의 단부와 함께, 도2의 우측 상부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5는 도1의 프린터의 토너 병의 단부의 구성예를 호퍼부와 함께 도2와 같은 방향으로부터 본 확대도.
도6은 제1 실시예의 개별 정보 판독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7은 제1 실시예의 라벨과 센서의 개략도.
도8은 제1 실시예의 개별 정보 판독 장치의 제어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9는 제1 실시예의 개별 정보 판독 장치의 대표적인 동작 수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10은 제1 실시예의 구체예1의 개별 정보 판독 장치의 상세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11은 제1 및 제2 실시예의 구체예1에의 데이터의 임포테이션(importation)을 도시하는 도면.
도12는 제1 실시예의 구체예2의 개별 정보 판독 장치의 상세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13은 제1 및 제2 실시예의 구체예2의 데이터의 임포테이션을 도시하는 도면.
도1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 사진식 프린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15는 도14의 프린터의 외관 및 토너 용기의 장착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16은 도14의 프린터의 토너 보급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17은 제2 실시예의 개별 정보 판독 장치의 개략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18은 제2 실시예의 개별 정보 판독 장치의 동작 수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19는 제2 실시예의 구체예1의 개별 정보 판독 장치의 상세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20은 제2 실시예의 구체예2의 개별 정보 판독 장치의 상세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21은 1개의 라벨을 갖는 종래의 문제점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4 : 현상기
105 : 호퍼부
414 : 토너 병
600 : CPU
601 : 메모리
605a, 605b : 라벨
606a, 606b : 센서
607 : 데이터 판독 회로

Claims (24)

  1. 장치에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개별 정보의 판독용 기준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라벨과 상기 개별 정보를 나타내는 제2 라벨을 표면에 가지는 착탈 가능한 유닛의 개별 정보 판독 방법이며,
    제1 라벨 판독부에서 상기 제1 라벨을 소정 방향으로 판독하면서 상기 기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제2 라벨 판독부에서 상기 제2 라벨에 포함된 상기 착탈 가능한 유닛의 개별 정보를 상기 생성된 기준 신호에 동기하여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탈 가능한 유닛의 개별 정보 판독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라벨은 각각 상기 개별 정보에 있어서 데이터와 폭이 대응하는 바아를 가지는 바코드이고,
    상기 제1 라벨은 상기 제2 라벨의 폭을 카운트하는 기준 클록을 생성하는 바코드인 착탈 가능한 유닛의 개별 정보 판독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벨은 상기 제2 라벨의 폭을 카운트하는 기준 클록을 생성하는 등간격으로 배치된 바아를 갖는 바코드인 착탈 가능한 유닛의 개별 정보 판독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라벨은 상기 개별 정보에 있어서 데이터와 수가 대응하는 바아를 가지는 바코드이고,
    상기 제1 라벨은 상기 제2 라벨에 있어서 바아를 카운트하기 위한 인에이블(enable) 신호를 생성하는 바코드인 착탈 가능한 유닛의 개별 정보 판독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가능한 유닛은 회전 가능한 유닛이고,
    상기 제1 및 제2 라벨은 바아가 착탈 가능한 유닛의 회전 방향으로 배열되는 바코드이고,
    상기 제2 라벨에 포함된 개별 정보가 상기 제1 라벨을 사용하여 생성되는 기준 신호에 동기하여 판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바코드가 상기 착탈 가능한 유닛의 회전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착탈 가능한 유닛의 개별 정보 판독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정보의 판독은 상기 장치의 전원을 켜는 경우 또는 상기 착탈 가능한 유닛을 장치에 장착하는 경우 실시되는 착탈 가능한 유닛의 개별 정보 판독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착탈 가능한 유닛은 토너 보충용 토너 병인 착탈 가능한 유닛의 개별 정보 판독 방법.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가능한 유닛은 장치에 삽입됨으로써 착탈 가능하며,
    상기 제1 및 제2 라벨은 바아가 상기 착탈 가능한 유닛의 삽입 방향으로 배열되는 바코드이며,
    상기 제2 라벨에 포함된 개별 정보가 상기 제1 라벨을 사용하여 생성되는 기준 신호에 동기하여 판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바코드가 상기 착탈 가능한 유닛의 삽입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착탈 가능한 유닛의 개별 정보 판독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정보의 판독은 상기 착탈 가능한 유닛을 장치에 장착하는 경우 실시되는 착탈 가능한 유닛의 개별 정보 판독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착탈 가능한 유닛은 토너 보충용 토너 카트리지인 착탈 가능한 유닛의 개별 정보 판독 방법.
  11. 장치 내에 또는 장치 상에 장착 가능하고, 개별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기준 신호를 생성하는 제1 라벨과 상기 개별 정보를 나타내는 제2 라벨을 표면에 가지는 착탈 가능한 유닛의 개별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개별 정보 판독 장치이며,
    상기 제1 라벨을 소정 방향으로 판독하면서 기준 신호를 생성하도록 작동 가 능한 제1 라벨 판독부와,
    상기 제2 라벨에 포함된 상기 착탈 가능한 유닛의 개별 정보를 상기 생성된 기준 신호에 동기하여 판독하도록 작동 가능한 제2 라벨 판독부를 포함하는 개별 정보 판독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라벨은 각각 상기 개별 정보에 있어서 데이터와 폭이 대응하는 바아를 가지는 바코드이고,
    상기 제1 라벨은 상기 제2 라벨의 폭을 카운트하는 기준 클록을 생성하는 바코드이고,
    상기 제2 라벨 판독부는 상기 제1 라벨을 판독함으로써 생성된 기준 신호를 클럭 입력 단자에서 수용하기 위해 접속되고, 상기 제2 라벨을 판독함으로써 생성된 신호를 데이터 입력 단자에서 수용하기 위해 접속되는 플립-플롭(flip-flop)을 갖는 개별 정보 판독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벨은 상기 제2 라벨의 폭을 카운트하는 기준 클록을 생성하는 등간격으로 배치된 바아를 갖는 바코드인 개별 정보 판독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라벨은 상기 개별 정보에 있어서 데이터와 수가 대응하는 바아를 가지는 바코드이고,
    상기 제1 라벨은 상기 제2 라벨에 있어서 바아를 카운트하기 위한 인에이 블(enable) 신호를 생성하는 바코드이고,
    상기 제2 라벨 판독부는 상기 제1 라벨을 판독함으로써 생성된 기준 신호를 인에이블 단자에서 수용하기 위해 접속되고, 상기 제2 라벨을 판독함으로써 생성된 신호를 데이터 입력 단자에서 수용하기 위해 접속되는 플립-플롭을 갖는 개별 정보 판독 장치.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가능한 유닛은 회전 가능한 유닛이며,
    상기 제1 및 제2 라벨은 착탈 가능한 유닛의 회전 방향으로 배열되는 바아를 가지는 바코드이고,
    상기 제2 라벨에 포함된 개별 정보가 상기 제1 라벨을 사용하여 생성되는 기준 신호에 동기하여 판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바코드가 상기 착탈 가능한 유닛의 회전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1 및 제2 라벨 판독부는 상기 착탈 가능한 유닛이 상기 장치의 내에 또는 상기 장치 상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라벨을 상기 착탈 가능한 유닛의 표면에 각각 상대하는 위치에서, 상기 착탈 가능한 유닛의 회전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각각의 바코드 센서를 가지는 개별 정보 판독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전원을 켜는 경우 또는 상기 착탈 가능한 유닛을 장치에 장착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라벨 판독부에 의한 개별 정보의 판독 을 달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개별 정보 판독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착탈 가능한 유닛은 토너 보충용 토너 병인 개별 정보 판독 장치.
  18.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가능한 유닛은 장치에 삽입됨으로써 착탈 가능하며,
    상기 제1 및 제2 라벨은 상기 착탈 가능한 유닛의 삽입 방향으로 배열되는 바아를 가지는 바코드이며,
    상기 제2 라벨에 포함된 개별 정보가 상기 제1 라벨을 사용하여 생성되는 기준 신호에 동기하여 판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바코드가 상기 착탈 가능한 유닛의 삽입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1 및 제2 라벨 판독부는 상기 착탈 가능한 유닛이 상기 장치의 내에 또는 상기 장치 상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라벨을 상기 착탈 가능한 유닛의 표면에 각각 상대하는 위치에서, 상기 착탈 가능한 유닛의 회전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각각의 바코드 센서를 가지는 개별 정보 판독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착탈 가능한 유닛은 토너 보충용 토너 카트리지인 개별 정보 판독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가능한 유닛을 장치에 장착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라벨 판독부에 의한 개별 정보의 판독을 달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개별 정보 판독 장치.
  21. 내부 또는 상부에 장착되는 착탈 가능한 유닛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청구항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개별 정보 판독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판독된 개별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기억부에 미리 기억된 개별 정보와 상기 판독된 개별 정보를 비교하여, 판독된 개별 정보 내에 포함된 식별 정보가 기억된 개별 정보 내에 포함된 식별 정보와 정합하는 경우 상기 착탈 가능한 유닛이 재사용된 착탈 가능한 유닛인 것으로 인식하도록 작동 가능한 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인 장치
  24. 착탈 가능한 유닛이 장치 내에 또는 장치 상에 장착되는 경우 착탈 가능한 유닛의 개별 정보를 판독하는 장치 내에 또는 장치 상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착탈 가능한 유닛이며,
    기준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제1 라벨 및 상기 기준 신호를 사용해서 상기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하고, 상기 착탈 가능한 유닛의 상기 개별 정보를 나타내는 제2 라벨을 표면에 포함하는 착탈 가능한 유닛.
KR1020080047441A 2007-05-22 2008-05-22 착탈 가능한 유닛의 개별 정보 판독 방법, 개별 정보 판독장치, 상기 개별 정보 판독 장치를 갖는 장치 및 착탈가능한 유닛 KR1009869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35950 2007-05-22
JP2007135950A JP5110963B2 (ja) 2007-05-22 2007-05-22 着脱可能なユニットの個別情報読取方法及びその装置、該個別情報読取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3027A true KR20080103027A (ko) 2008-11-26
KR100986916B1 KR100986916B1 (ko) 2010-10-08

Family

ID=39666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441A KR100986916B1 (ko) 2007-05-22 2008-05-22 착탈 가능한 유닛의 개별 정보 판독 방법, 개별 정보 판독장치, 상기 개별 정보 판독 장치를 갖는 장치 및 착탈가능한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17129B2 (ko)
EP (1) EP1995644A3 (ko)
JP (1) JP5110963B2 (ko)
KR (1) KR100986916B1 (ko)
CN (1) CN1013118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91307B2 (en) * 2007-09-24 2011-08-02 Xerox Corporation Media elevator's current position identification method and a media handling device arranged with the same
JP5121579B2 (ja) * 2008-05-30 2013-01-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216537B2 (ja) * 2008-11-10 2013-06-1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無線タグ通信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JP5393180B2 (ja) * 2009-01-30 2014-01-2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455513B2 (ja) * 2009-09-09 2014-03-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135314B2 (ja) * 2009-10-14 2013-02-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640412B2 (ja) * 2010-03-17 2014-12-17 株式会社リコー 封止部材、現像剤収納容器、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314062B1 (ko) * 2010-03-17 2013-10-07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캡, 현상제 용기, 현상제 공급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4919124B2 (ja) 2010-03-31 2012-04-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5115607B2 (ja) 2010-08-31 2013-01-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キャップおよびカートリッジ
JP2013029663A (ja) 2011-07-28 2013-02-0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5884436B2 (ja) 2011-11-24 2016-03-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ITVI20120188A1 (it) * 2012-07-30 2014-01-31 Dws Srl Confezione di resina stereolitografica e metodo di mescolamento di una resina stereolitografica contenuta in tale confezione
JP6127779B2 (ja) 2013-06-28 2017-05-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102573B2 (ja) 2013-06-28 2017-03-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060866B2 (ja) 2013-09-20 2017-01-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064867B2 (ja) 2013-10-31 2017-01-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136938B2 (ja) 2014-01-06 2017-05-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6137029B2 (ja) 2014-03-31 2017-05-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079688B2 (ja) 2014-03-31 2017-02-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079687B2 (ja) 2014-03-31 2017-02-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137027B2 (ja) 2014-03-31 2017-05-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137028B2 (ja) 2014-03-31 2017-05-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221905B2 (ja) 2014-03-31 2017-11-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135583B2 (ja) 2014-03-31 2017-05-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2017181527A (ja) * 2016-03-28 2017-10-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6681031B2 (ja) * 2017-05-23 2020-04-1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7098929B2 (ja) * 2017-12-27 2022-07-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EP3531209B1 (en) * 2018-02-02 2021-12-29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for fixing regulating blade and develop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297590B (de) 1970-04-30 1972-03-27 Helmut Dipl Ing Groettrup Einrichtung zum Abtasten und Auswerten von auf Paketen od.dgl. befindlichen, flächenhaften Markierungen
JPS62173482A (ja) * 1986-01-28 1987-07-30 Ricoh Co Ltd 静電記録装置のトナ−補給装置
DE68915307T2 (de) * 1988-02-27 1994-09-08 Fuji Photo Film Co Ltd Vorrichtung zum Lesen des Strichcodes eines photographischen Filmes.
JPH03210573A (ja) * 1990-01-16 1991-09-13 Ricoh Co Ltd 電子写真記録装置
JPH041682A (ja) 1990-04-18 1992-01-07 Nec Corp 印刷装置
JPH0462564A (ja) * 1990-06-30 1992-02-27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H04338990A (ja) * 1991-02-05 1992-11-26 Konica Corp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の誤装着防止機構
US5229585A (en) 1991-02-19 1993-07-2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ilm cartridge bar code scanner and controller for a digital imaging system
JPH0512288A (ja) * 1991-07-08 1993-01-22 Sharp Corp 情報処理装置
JPH0554152A (ja) * 1991-08-22 1993-03-05 Nec Corp 携帯型入出力装置
JPH05224479A (ja) 1992-02-10 1993-09-03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US6164540A (en) * 1996-05-22 2000-12-26 Symbol Technologies, Inc. Optical scanners
US5317139A (en) * 1992-10-20 1994-05-31 Eastman Kodak Company Film optical code reader having clock and data sensors
JPH0736348A (ja) * 1993-07-23 1995-02-07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用カートリッジ
JPH0839824A (ja) * 1994-07-29 1996-02-13 Canon Inc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該インクカートリッジを用いた記録装置
JPH09281784A (ja) * 1996-04-17 1997-10-31 Fuji Xerox Co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
CN1122193C (zh) * 1996-09-06 2003-09-24 株式会社理光 墨粉/显影剂用再循环瓶
JPH10207263A (ja) * 1997-01-21 1998-08-07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11153929A (ja) * 1997-11-19 1999-06-08 Ricoh Co Ltd 電子写真装置
JP2000003116A (ja) * 1998-06-15 2000-01-0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0066554A (ja) 1998-08-17 2000-03-0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5999759A (en) * 1998-09-21 1999-12-07 Xerox Corporation Toner cartridge with self identification system
JP2000137417A (ja) * 1998-11-04 2000-05-16 Minolta Co Ltd 交換部品使用時の処理方法と装置、これを用いた作業装置
US6240262B1 (en) * 2000-02-18 2001-05-29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Toner supply device and toner cartridge
DE60107103T2 (de) * 2000-09-26 2005-03-17 De La Rue International Ltd., Basingstoke Bogenzuführvorrichtung und verfahren
JP2002296883A (ja) * 2001-03-30 2002-10-09 Ricoh Co Ltd トナーボトル
US6694205B2 (en) * 2001-12-21 2004-02-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inary registration mark detection using 3-state sensing and matched filtering
FI115128B (fi) * 2002-05-24 2005-03-15 Waertsilae Finland Oy Vesikulkuneuvon propulsiojärjestelmä ja menetelmä vesikulkuneuvon propulsiojärjestelmän käyttämiseksi
JP2004309945A (ja) * 2003-04-10 2004-11-04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US6895191B2 (en) * 2003-05-13 2005-05-17 Xerox Corporation Insertion verification of replaceable module of printing apparatus
JP2005345773A (ja) * 2004-06-03 2005-12-1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2007122453A (ja) * 2005-10-28 2007-05-17 Toshiba Corp 紙葉類処理装置の内部設定方法
US7477853B2 (en) * 2006-07-26 2009-01-13 Kabushiki Kaisha Toshiba Toner cartridge having machine readable authentication pattern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rea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17129B2 (en) 2013-04-09
EP1995644A3 (en) 2009-01-07
KR100986916B1 (ko) 2010-10-08
CN101311850A (zh) 2008-11-26
JP2008292596A (ja) 2008-12-04
EP1995644A2 (en) 2008-11-26
CN101311850B (zh) 2010-09-22
JP5110963B2 (ja) 2012-12-26
US20080298820A1 (en) 200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6916B1 (ko) 착탈 가능한 유닛의 개별 정보 판독 방법, 개별 정보 판독장치, 상기 개별 정보 판독 장치를 갖는 장치 및 착탈가능한 유닛
EP2778792B1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3780171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707884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116120A (ja)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9132991A (ja) 画像形成装置
US20120020683A1 (en) Developer storage device
JP2010276779A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のトナー残量表示制御方法
JP530706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203495A (ja) 画像形成装置
JP4608307B2 (ja) 画像形成装置
US9128444B1 (en) Toner level sensing for a replaceable unit of an image forming device using pulse width patterns from a magnetic sensor
JP2017138527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890603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補給方法
JP5612294B2 (ja) 画像形成装置
JP4948101B2 (ja) 粉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214893A (ja) トナー補給装置・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
JP5294049B2 (ja) 画像形成装置
JP5963711B2 (ja) 画像形成装置、補給制御方法
JP201100277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099593A (ja)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093543A (ja) 画像形成装置
JP7039926B2 (ja) 搬送装置、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10207213A (ja) 画像形成装置
JP3408051B2 (ja) 現像剤残量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9